(qPem);

이 중에서도 제일 중요 한 부분은 [어절억양 5가족]( )이다. 한글로 적혀 있으니까 나머지 부분들도 쭉 한 번 읽고 넘어가기 바란다. 4과에서는 정지선 및 연결선과 50개의 어절억양들을 공부한다.

4과를 쓰면서 어떻게 써야 이 책으로 공부하는 사람들이 편하게 공부할 수 있 을까? 많은 생각을 했다. 첫 째로 공부하기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서 어절억양 이 름들을 모두 우리말로 만들어 제공했다. 4과에서 약 50개의 어절억양들을 소개한 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4됵)에서 설명하는 어절억양 5가족에 대해서 이해하고, 히브리어 성경구절에 찍힌 어절억양들을 5가족을 사용하면서 분류해 낼 수 있다면, 4과에서 어절억양 공부는 잘되었다고 본다. 아래 5가족들은 (JM§15i)에서 1-12 가지로 분류한 악센트들이다. 이를 가지고, BHS 번역을 바르게 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5가족]으로 발전 시켜서 소개한다. 본인도 4과를 이 러한 짜임새를 갖추어 내어놓는 바에 대해서 흡족하게 생각하는 바이다. 4과 공부 내용은 아래와 같다:

gt,m, 메테그 "제어“ (4다)

ta와 4서

4-8 (4귝) (4뉵) (4댝) (4럭)

- 245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절휴지표 & =--+반절휴지표 + =--제2반절표)i

( =삼각점분. & =| -막대체인분. + =지팡이분, -고리분)

( =강한쌍점, =쌍점분 + =-위엣, =--쌍위엣분, =-화살분)

( =-제2반절표 + =-점빗금분, =--빗금분, =-쌍빗금분)

( =-다이아분 + =-갈림분, =-뿔분, =--쌍뿔분)

다른 억양들은 쭉 한두 번 읽어 보면서, 어느 기호가 분리억양인지 연결억양 인지를 식별할 정도로만 이해하고 5과로 넘어가면 충분하다. 필요할 때면 쉽게 찾 아 볼 수 있도록 어절억양 기호 표를 Book V 뒤편에 붙였다. 이렇게 찾아보면서 사용하다 보면 언젠가는 자연스럽게 내 것이 된다. 어절억양은 찍힌 그대로 알아 볼 수 있으면 족하다. 어절억양 기호 50여개를 한 번에 다 외울 필요가 없으므로 많이 신경 쓸 필요 없다는 점을 지적해 둔다.

,한 단어에서 소리의 높고 낮음을 뜻하며 ֫ 로 나타낸다 :

분 = 분리표를 뜻한다. 은 성경의 한 절을 2-3개의 단어들로 이어서 읽고, 띄어서 읽고, 어떤 단어를 보다 더 강하게 하는가를 지시하여 주는 기호이며, 성경을 암송할 때 사용했으며 현대 음악의 이음줄이나 붙임줄 쉼표와 같은 기능들이다. : 어절이란 칭호는 (A'-a'):처럼 콜론 :이 붙은 영어 철자에 주어지는 칭호이며, 소절을 세분하면 어절이 된다. : A'와 a' 사이에 놓인 히브리어 단어들을 칭하는 용어다. 다른 억양 앞에 나타나는 억양을 선억양이라 한다. 소어: 명사, 대명사, 동사를 제외한, 전치사, 부사, 의문사, 접속사 w, 감탄사 등을 소어 particle이라 칭한다(JM chapter iv). 불변사: 자음이 3개 이상이면서 변화하지 않는 단어들을 칭한다. “소절”이란 문장이거나 혹은 부분으로 두 개 이상의 어절들로 만들어 진다. 그리고 A-B=처럼 “=”이 붙은 영어 철자에 붙여지는 칭호다

- 246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마지막 음절에만 놓이는 강세다, : 약한 모음을 충분히 발음하도록 모음 옆에 세워진 짧은 수직선이다. : 자음 글자만큼이나 긴 수직선으로 글자와 글자 사이에 놓인 수직선이다. : qPem; 마페크, 두 개의 단어나 그 이상의 단어들을 밀접하게 연결시키는

단아음 정도 크기의 짧은 직선이다. = 단어의 앞쪽 음절에 주어진 강세를 칭한다. = 단어의 아래(끝) 음절에 주어진 강세를 칭한다. : 분사 접미어를 칭하는 약어다. " “: 지면관게로, 석간역에서는 ” “로 표기한다.

강세나 억양은 평범한 의미에서는 동의어로 볼 수 있으나, 히브리어 문법에서 는 구별해서 사용한다, 는 한 단어에서 어떤 음절의 소리가 높고 낮음을 표현 하는 기호 이다.

반면에 은 성경의 한 구절을 읽을 때에, 2-3개의 단어들을 이어서 읽고, 띄어서 읽고, 어떤 단어를 보다 더 강하게 발음하고 소리하는가를 지시하여 주는 기호이며, 성경을 암송할 때 사용했으며, 현대 음악의 이음줄이나 붙임줄 쉼 표와 같은 기능들이다. 그리고 어절억양은 약칭으로 이라 칭한다. 어절억양 기 호들은 발음기호 보다 약 천 여년 앞서서 발명되었다(JM§15e(1)).

성서 히브리어에서는 수십 종류의 기호들을 사용해서 어절억양들을 표현했다. 첫째로 히브리어는 조사가 없는 언어이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어절 억양들을 사용 해서 이어야 할 말들은 이어 주고 분리해야 할 말들은 분리 시켜 놓았다. 둘째로는 어절 억양들을 사용해서 마치 시조를 가락에 맞추어 읊는 것처럼, 회당에서 구약성 경의 절들을 가락에 맞추어 읊을 수 있도록 가락을 표시해 놓았다. 셋째로는 문법 적으로 비슷한 형들을 구별하기 위해서 “어절 억양”을 사용했다.

[r:L...mi ly[eL..mi (4그) 강세가 주어진 음절에 따라서 두 가지로 구별한다. 강세가, 마지막 음절에 주

- 247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어졌으면 “아랫 강세” [r:L...mi 밀러라ㅇ, 그리고 단어 위쪽에 강세가 주어지면 “윗강 세” ly[eL.mi 밀러에일,이라 칭한다. 아래 보기를 잘 이해해야 한다. 윗강세=위엣강세.

< ∪ < \ ) ly[eL.mi 밀러엘, [r:L.mi 밀러라ㅇ.

① penultimate closed syllable

ㅓ T'l.j;q' 카탈타에서 l..j;-에 ly[eL.mi 접미음절 T'-가 개음절이

ㅓ 어야 한다. T'l.j;q' 카탈타에서 l..j;-에 강세가 온 이유는 접미음절 T'-가 개음절이기

ㅓ 때문이다. ~T,l.j;q. 커탈템에서 l.j;-에 강세가 없는 이유는 접미음절 ~T,-이 폐음절 이기 때문이다.

/ ㅓ ׃ ∸ ㅓ - T'l.j;q' 카탈타, ~T,l.j;q. 커탈템.

② 반대로, final closed syllable ~q'/Y"/w: 바야콤에서 끝음절 ~q'- penultimate syllable Y"-이 폐음절이어야 한다. ~q'/Y"/w: 바야콤에서 ~q'-은 폐음절인데 강세가 없 다. 그 이유는 위엣(접두)음절 Y"-가 개음절 (y")이기 때문이다(JM§31a). ljo/q.YI/w: 바 이크톨에선 위엣음절 q.YI-이 폐음절이기 때문에 끝음절 ljo-에 [r:l.m가 왔 다(JM§31a).

\ ⏆ ~q'Y"w: = ~q'/y"/yw: 바야콤.

- 248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2. #r,a,ê , rb"ïD' (4기) 대부분의 경우에 강세는 아랫 강세[r:L...mi로서 단어의 마지막 음절에 놓인다. 첫음절에 놓이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센 강세가 아닌 약 강세는 첫 음절에

놓일 수 도 있다: rb"ïD' 다바르 "말씀, 단어" [”다발로“받은 ”말씀“]. #r,a,ê 에레츠 땅, (창세1:10). rb"ïD' 다바르에는 아랫 강세[r:L...mi가, #r,a,ê 에레츠에는 윗 강세ly[eL..mi가 왔다.

또한, 음율을 맟추기 위해서, 또한 악쎈트가 연속적으로 두 번 놓이는 경우를 피하기 위해서, 악쎈트가 후진하는 경우를 hg"ysin> 너씨가 nsiga hg"ysin> = rAha' gAsn" 라 한다(JM§31d). rb)')D' 다바르에서 -b)')-에 있던 악쎈트 가, ~yrIb'D> 더바림에선 -yrI-으로 후진했다. 이렇게 후진한 악쎈트를 hg"ysin> 너씨가 nsigna, 또는 rAxa' gAsn" 나쏘그 아호르 “ stress moving away backwards이라 칭한다. gAsn" B1, gWs 쑤그 “뒤로 물러가다.”(JM§31c)

> ⌃ ⌃ ׃ \ ⌃ - ⌃ - \ \ - ∸ rb"ïD' 다바르, #r,a,ê 에레츠, rAxa' gAsn" 나 쏘그 아 호르, hg"ysin> 너씨가, ~yrIb'D> 더

- ∩ ⌃ 바림 , gWs 쑤그.

3. xr;P,ê (4나) 그러나 겹단에음 명사들은 모두 윗 강세ly[eL..mi를 취한다: %l,m,( 멜레흐 “왕”, rp,seê 쎄페르 “책”, vd,qOß 코데씌 “거룩” [“거룩”한 곳에 “코(를)데씌?”]. r[;n:© 나아르

“소년”, xc;meä 메차흐 “이마”, xr;P,ê 페라흐 “꽃” [“꽃”으로라도 “페라ㅎ”ㅏ지마라].

겹단에음 명사라고 해서 언제나 단에음(lAgs,)만 두 개가 온 단어를 뜻하는 것 은 아니다. 윗 강세ly[eL..mi를 취한 명사들 중 겹단에음을 가진 명사들이 많기 때문

- 249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에, 이 종류에 속한 단어들을 통틀어서 겹단에음 명사라 호칭한다. 의 단수형은 여러 가지 모음 형이 많이 있지만, 복수형은 일괄적으로 변화한다. 명 사를 취급하는 부분에 가서 구체적으로 언급하겠다.

\ / - \ ( - \ - ׃ %l,m,( 멜레흐, rp,seê 쎄페르, vd,qOß 코데씌, r[;n:© 나아르, xc;meä 메차흐, xr;P,ê 페라흐,

4. (4냐) 만일 3음절이 되는 경우엔 보통 첫음절을 약하게 발음하고 세음절을 향해서 빨리 넘어가려는 경향이 생긴다. 이러한 습성 때문에, 음절이 강세가 있는 세음절 로부터 2음절 이상 떨어지면 모음축소 현상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모음축 소를 줄이는 방법으로 3가지 해결방안이 사용되고 있다. 보기: T'r.m;v' 쏴마르타 “네

가 준수했다”, ~d''a''h*'' 하.아담 “그 인간”, ~T,,r..m;;v.. 쎠마르템 < ~T,,+rm;;v' 쌰마르템

“당신들이 준수했다”, hl'AdG> 거돌라 < lAdG" 가돌 “큰, 위대한”. [“위대한“가 돌”을

들어보여라].

세 음절이상 되는 단어에서 첫 음절의 모음을 정확하게 발음하지 않고 빨리 발음해 버리려는 성급한 발음을 해결하는 방법 3가지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 번째 보기에서는 첫음절이나 두 음절이 강세를 취하는 방법, 두 번째 보 기에서는 보조강세를 취하는 방법, 세 번째 보기에서는 모음변화를 취하면서 강세 를 세음절, 마지막 음절로 넘겨주는 방법들을 아래에 소개했다.

^ ^ > / \\ ׃ - - - ∸ \\ - T'r.m;v' 쏴 마르타, ~d''a''h*'' 하 아 담 ”, ~T,,r..m;;v.. 쎠마르템, hl'AdG> 거돌라 ,

∸ ^ lAdG" 가돌.

T'r.m;v' (4너) 첫 번째 모음축소 방지 방법은 윗 강세ly[eL..mi를 취하는 것이다. 쏴마르타처럼

- 250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윗강세를 취하는 방법이 있다. T'r.m;v' 쏴마르타에서 접미어 T'- 타에는 강세가 없 다. T'r.m;v'의 두 음절 -m;- 마에 윗 강세가 놓였다. 또한 윗 강세가 올 수 도 있다.

- \\  T'r.m;v' 쏴 마르타

접두 음절에 보조강세를 첨부하므로 (4녀) 두 번째 모음축소 방지 방법은 접두음절에 보조강세(h*'')를 첨부하는 방법이다. ~d''a''h*'' 하.아담처럼 접두음절에 보조강세( -h*'' )를 첨부한다. h 아래 장모음이 왔 는데 그 장모음 옆에는 짧은 선이 있다. 이 짧은 선의 이름은 이다(4다). 정 지선은 첫 모음을 성급히 발음해 버리고 세음절로 넘어 가려는 급한 발음을 일단 정지 시켜서 첫 모음을 충분히 발음하도록 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4도).

윗 강세를 아랫 강세로 넘기므로 ~T,Þr>m;v. (4노) 세 번째 방안은 윗 강세ly[eL..mi를 아랫 강세[r:L...m로, 마지막 음절로 넘겨주는

방법이다. ~T,Þr>m;v. 처럼 v' 쏴 > v. 쎠로 변하는 모음 축소를 허락하면서 강세를 세음절로 보내 버리면 된다. 즉, 쏴마르탐이라고 되어야 하는데 첫음절에 주요강세 가 떨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장아음 ‘ㅏ’를 극히 짧은 반어음(aw"v.)으로 축소시 키고, 첫음절은 살짝 발음한다. 그리고 강세를 아랫 강세로 넘겨주므로 발음이 부 드럽게 세음절(~T,Þ--)로 넘어 가도록 허락하는 방법이다. 세음절은 (16교)를 보라.

여성형 접미어 -h--' 혹은 복수형 접미어 -~T, 템, -!T, 텐이 붙어서 음절이 두 개에서 세 개로 늘어날 때에는 모음변화를 취해서 강세를 세음절로 넘겨주는 방법

을 취하는 단어들이 많다. ~T,,d..b;;[] 아바드템 < ~T,,d..b;;[. 어바드템 < ~T,,+db;;[' 로 예를 들어 보자. db;;[' 아바드 '일하다‘는 히브리어 사전에 오르는 석자음 동사 (~ymilev. 쎨레밈) 동사이다.

- 251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db;;[' 아바드처럼 철자가 3개로 이루어지는 남성단수 3인칭형이 에 오른다. 모든 어형변화는 이 남성단수 3인칭에서부터 일어난다. 석자음 (~ymilev.) 동사인 db;;[' 아바드에 복수형 접미어 ~T,- 템이 오면(=붙으면), 모음변 화가 일어나게 된다. 즉, ~T,, 템 +db;;[' 아바드가 되면 -['의 모음 장아음(bx'r' #meq"))이 -[.처럼 반어음으로 축소되어 ~T,,d..b;;[. 어바드템이 기대가 된다. 그러나 첫 자음으로 후자음(후자음이 첫자음인 단어) [이 왔다. 그런데 (첫) 후자음은 반어음 보다는 주로 복합 반어음(~ypij'x])을 취한다. 결과로 -[. 반어음 대신에 복합 반어 음 []을 취해서 ~T,,d..b;;[] 아바드템 형으로 정착했다.

(( / ׃ ⊂ ~T,,d..b;;[] 아바드템, db;;[' 아바드,

5. bk''AK > ~ybiik''AK (4뇨) 그러나, 때로는 첫 음절을 이루고 있는 전통장모음이 반어음(aw"v. 없음)으로 감소하지 않고서 강세만 마지막 음절로 넘어가는 경우도 있다.

① A같은 된다 (4누)

bk''AK 코하브 “별” > ~ybiik''AK 코/하/빔 “별들”로 변한다. 단어를 분석하면 복수형 어미 ~y--i이 엄연히 붙었는데도 단수형의 전통장모음 -A-는 변하지 않고 복수형에 서도 사용되었다. 이렇게 전통장모음들은 접미어가 붙어도, 히브리어 성경에 -A-가 기록이 되었기 때문에, 결코 변하지 않는다. (4뉴)(4느)(4니)에서는 아직 공부하지 않은 분사를 보기로 들었다. 히브리어를 공부해 본 경험이 있으면 읽어 보기 바라 고, 처음이면, 지금 모두 이해하려고 신경 쓸 필요 없다. 17과를 공부하면서 다시 와서 (4뉴)(4느)(4니)를 읽어 보면 된다.

- 252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 ╺ ^ bk''AK 코하브, ~ybiik''AK 코하빔 .

② A같은 (4뉴) ~Wq 쿰 “일어나다"에 접두어 --n> 눈을 붙이고, 접미어로는 ~y--i 임을 동시에 붙이면 ~ymiAqn> 너코밈이 된다. 그래도 W 우가 A 오로 바꾸어졌을 뿐, w 바브는 그대로 보존되었다. ~Wq 쿰 앞에 붙인 접두어 --n> 눈은 기재사 변화(l[;p.ni !y"n>Bi 빈얀 니프알)에 붙는 접두어다(24갸). 그리고 ~ymiAqn> 너코밈 끝에 붙인 접미어 ~y--i 임은 능동분사 접미어 남성복수형이다(17기). ~ymiAqn> 너코밈 B3M의 뜻은 ” 너남들이 일어나게 되다”이다. 기호풀이 B3M = B(기재사집 동사)3(분사 수동 태)M(남성복수형)을 뜻한다.

^ ⌃ ׃ ( ׃ ∾ V ^ ~Wq 쿰, l[;p.ni !y"n>Bi 빈얀 니프알, ~ymiAqn> 너코밈 .

③ 여성복수형 접미어 tA--오트를 붙여도 W같은 (4느) %WB 부흐 “당황해지다“에 접두어로 --n> 눈을 붙이고, 접미어로는 tA--오트를 붙이면 tAkAbn> 너보호트가 된다. 또 하나의 전통장모음 A--오가 붙게 되었는데도 W 우가 A 오로 바꾸어졌을 뿐, w 바브는 그대로 보존되었다. 단지, 접미어로 tA-- 오트가 붙자 마지막 글자로 사용된 %가, 더 이상 마지막 글자가 아니기 때문에 k 로 바꾸어졌을 뿐이다. 접미어 tA--오트는 능동분사 여성복수형 접미어다(17기). 이처럼 전통 장모음들은 글자 앞과 뒤로 다른 모음이나 자음들이 붙어도 변하지 않 는다. 이유는 히브리어 성경에 약자음들로(2스) 기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tAkAbn> B3F 너보호트의 뜻은 “너녀들이 당황하게 되다”이다.

- 253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 ׃  %WB 부흐, tAkAbn> 너보호트.

④ 미완료 동사 접두어가 붙어도 w 바브같은 (4니) aAB 보ㅇ "오다“라는 동사에 미완료 접두어 --y" 야를 붙이면 aAby" 야보ㅇ A10E ”그가 올 것이다“는 뜻이 된다. 그래도 A가 그대로 남아있다. !WK 쿤 “준 비하다”는 동사에 기재사집(l[;p.ni !y"n>Bi) 접두어 a, 에를 붙이면 !AKa, 에콘 B10A “내가 준비될 것이다”는 뜻이 된다. W 우가 A 오로 바꾸어졌을 뿐, w 바브는 그 대로 보존되었다. 기호풀이 B10A =B(기재사집 동사)10(미완료시제)A(공단1인칭) 를 뜻한다.

 ∾ ^   aAB 보ㅇ, aAby" 야보ㅇ, !WK 쿤, !AKa, 에콘,

gt,m, 메테그 "제어“ (4다)

1. br,[,-yhiy>)w:( 한 단어가 3음절을 가지고 있고, 강세가 마지막 음절에 오면, 제2의 강세가 올 수 있다. 이 때에 정지선 gt,m, 메테그를 사용해서 제2의 강세를 표현한다. 새로 첨가된 접두어의 모음에는 약강세가 주어지기 때문에 아무래도 강세가 약한 음들은 살짝 발음해 버리고 서둘러서 센 강세가 있는 음절로 쉽게 넘어가려는 경향 이 있다. 이렇게 서둘러서 발음해 버릴 약한 모음을 붙잡아 충분한 발음가가 들리 도록 하기 위해서 바로 모음 옆에 세워진 짧은 수직선 (이 있다. 이 수직선을 (gt,m, 메테그 "제어“)이라 칭한다. `rAa-yhiy>w:) 바.여히-오르 “빛이-되었다”

(창세1:3)(5드[ㄴ]). (아침이-되었다 rq,boß-yhiy>w:) 저녁이-되었고 br<[,î-yhiy>w:)

- 254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바.여히-에레브 바.여히-보케르 “저녁이 되었고 아침이 되었다” rq,boß-yhiy>w:) br<[,î-yhiy>w:) (창세1:5). 위 보기들에서는 반어음을 충분히 발음하라는 뜻으로 정지선(gt,m,) y>w:)- 이 왔(찍혔)다. gt,m, 메테그,

\ : ^ ^ \ ) \ - \ `rAa-yhiy>w:) 바여히 -오르, br<[, 에레브, rq,bo 보케르.

2. tAba'h((' (4댜) ① hl'j.q") (4더)

׃ hl'j.q") 카/털라 A5F “그녀가 죽였다”에서, --q")에 붙은 정지선(gt,m,)은 q")를 개

׃ 음절로 나누어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hl'j. 털라가 두 번째 개음절을 이룬다.

② yTil.j;q")w> (4뎌)

ㅓ yTil.j;q")w> 버카탈티에서 yTi-- 티에는 아랫 강세[r:L...mi가 왔다. q") 카의 장아음 왼편에 찍힌 정지선(gt,m,)이 버금가는 강세이다.

ㅓ  - \\ ^ ׃ - hl'j.q") 카털라 , yTil.j;q")w> 버카탈티

③ (4도) 강세가 약한 첫 모음을 성급히 발음해 버리고 강세가 주어진 세 음절로 넘어 가려는 발음을 일단 정지시켜서 발음가가 감소되지 않고 충분히 발음되도록 잡아주 는 역할을 하는 기호가 정지선(gt,m,)이다: ~d"a"h"( 하.아담 “그 인간”, tAba'h((' 하.아 보트 "그 아버지들"(민수36:1). 보기에서 정지선(gt,m,)은 --h"( 아래 놓인 장아음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대부분의 경우에 강세가 있는 세음절로부터 2음절 앞에 장아음(bx'r' #meq") 카메츠 라하브)이 놓였으면 축소되기 마련이지만, 보기에

- 255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서는 정지선 때문에 모음축소가 일어(나게 해서는 안 된다는)나지 않았다는 점도 눈여겨보아 둘 일이다.

- - - - - ^ - - ∾ ╺ ~d"a"h"( 하아 담 , tAba'h((' 하아 보트, bx'r' #meq") 카메츠 라하브

3. (4도1) 정지선이 반드시 찍혀야 하는 경우들은 (4됴)이하에서 설명하는 15개 중에서 ① ② ③ ④ ⑤ ⑥ 들이다(GKC§16f). GKC가 사용하는 정지선의 이름들에 대해서, 간단하게, 아래와 같이 정리하겠다. 정지선 gt,m, 메테그를 과

두 가지로 나눈다. 예를 들면, 무거운 정지선은 hL'sim.h;(, 하머씰라 ‘고속도

로’(사하20:12)에서처럼, 단아음 --h;( 하, 또는 hyo"h'w)> 버하야의 첫반어음 --w)> (시편 1:3)의 발음을 강조하기 위해서 찍는다. 가벼운 정지선은 다시 the ordinary MeÊtheçg과 - the indispensable MeÊtheçg으로 나눈다.

 ׃ hL'sim.h;(, 하머씰라.

1) (4도2) ① 은 강세로부터(~d"ñ-) 두 번째 음절인 개음절 --h;(에 찍힌다, ~d"ña'h'( 하아담 ‘사람을’(창세1:27).

② 은 강세로부터(~y[iñ-) 폐음절(r>a;)이면 개음절인 세 번째 음절 --h'(에 찍힌다, ~y[iñB'r>a;h'( 하아르바임 ‘그 40명’(창세18:29).

- \\ ∸ ∪ ~y[iñB'r>a;h'( 하아르바임

- 256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③ 은 ~k,ñyte[o)buv'( 쏴부오테이헴 ‘너남들의 주간들의 축제(the Feast of Weeks(NAB)'에서처럼 강세로부터(~k,ñ-) 이미 두 번째 음절에 정지선(-[o)-)이 왔으면 4음절(-bv'()에도 찍힌다,

- )) ^ ~k,ñyte[o)buv'( 쏴 부오테 헴.

④ 은 연결선으로 이어진 두 번째 단어 첫 음절(f.yI-)이 무강세이면 연결선 앞 단어의 끝음절 ultima에(-ynE)) 찍힌다, laer"f.yI-ynE)B. 버네-이쓰라엘 ‘이쓰라 엘의 아들들’.

- ∾ ׃ \ ^ > ( \ > [r:L.mi 밀러라ㅇ, laer"f.yI-ynE)B. 버네 -이쓰라엘,

⑤ 은 연결선(-) 다음 단어의 첫 모음이 반어음이면(l.-) 연결선 앞 에(-ymi() 찍힌다, 미-러하 ^ñl.-ymi( ‘누가 당신에게?’

╺ ׃ ^ ^ñl.-ymi( 미 -러하

2) (4도3)

① 은 음절이 무성반어음(-r>yI), -v.yI),)으로 끝날 때, War>yI), Wnv.yI),

War>yI) 이르우 그들이 볼 것이다. Wnv.yI) 이씌누 서 있는 자.

^ ׃ \ ^ \\ \ War>yI) 이르우, Wnv.yI) 이씌누

- 257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② 은 폐음절(-tv'()의 장모음을 강조하려고, yli-tv'( 쏴트 리 ‘그 분께서 나에게 주셨다’(창세4:25).

- ^ yli-tv'( 쏴 트 리

③ 은 음정변화로 장에음이 되었는데, 이 장에음이 반에음으로 읽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t[;D"+ bhe(aoñ 오헤브 다아트 ‘지식을 사랑하는 자’ (잠언12:1)

- - ∸ ) t[;D"+ bhe(aoñ 오헤 브 다아트

④ 은 복합반모음 composite SèewaÖ,(-[]) 앞 모음(-y:))에 찍힌다, dmo[]y:), 야아모드 ‘그는 지탱할 것이다’(출에21:21). ~yqi[]co) 초아킴 ‘그것들이 부르 짖고 있음’(창세4:10).

\ ⊃ - - ⊃ ⌃ dmo[]y:) 야아모드, ~yqi[]co) 초아킴.

⑤ 은 반아음([])이 단아음([;) 위치를 취했을 때에 찍힌다, Wdm.[;y:) 야암두 ‘그들이 설 것이다’(민수1:5). dmo[]y: 야아모드 ‘그는 설 것이다’ -[]y:의 (--])이 단아음(--;)으로 장음화했을 때 찍힌다.(GKC§27c).

\ ㅓ ^ \ ⊃ ╺ Wdm.[;y:) 야 암두, dmo[]y: 야아모드.

- 258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⑥ 은 hy"h' to be, and hy"x' to live 의 접두음절(h.yI), x.Ti() 아래 무

성반어음(h., x.)이 오면, 접두음(--yI))에 찍힌다, hy

\ ׃ / \ ׃ \ hy

3) the grave MeÊtheçg (4도4) ① 은 단아음Pathah을 취한 정관사나 접두어 b, k, l가 붙은 단어 에서, 흑점Dagesh이 찍히지 않은 자음의 첫 모음이나, 첫 반어음Shewa을 강조하기

위해서 특별히 무거운 정지선을 정관사나 접두어 모음 왼편에 찍는다. 그러나 y> 앞에는 찍지 않는다. 그러나, 여기에도 예외는 있다: 보기, yhiy>w:) yxiy>w:).(GKC§16g)

무거운 정지선을 보기를 들어 설명하겠다. hL'sim.h;( 함씰라 ‘그 고가도로’, hL'sim.l;( 람씰라 ‘그 고가도로에’는 정관사 h;(와 접두어 l;(가 단아음Pathah을 취했다. 그리고 시자음 m.가 반어음Shewa을 취했다. 이러한 모음구조에서 m.의 반어음을 강조하기 위해서 정관사 h;(와 접두어 l;(에 찍은 정지선을 무거운 정지선이라 칭한다 (GKC§16g).

ㅓ  ㅓ  hL'sim.h;( 함씰라, hL'sim.l;( 람씰라.

② 단아음을 취한 의문사 h;(;에 찍힌다, %leaeh;( 하엘레흐 ‘내가 갈까요?’(출에2:7).

׃ - - %leaeh;( 하엘레흐.

- 259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③ 후자음 앞에 온 정관사의 모음 단아음, 반에음, 반어음에 찍힌다,

~yYIx;h;( 하하임 ‘그 생명’, ~yrIh'h,( 헤하림 ‘그 산들’, hyo"h'w)> 버하야 ‘그는 ...이 될 것 이다’(시편1:3)(GKC§16g).

⋔ - ∩ \\ - ∩ ~yYIx;h;( 하하임, ~yrIh'h,( 헤하 림, hyo"h'w)> 버하 야.

4. ① War>yyI) (4됴)

׃ ׃ hl'j.q") 카/털라 A5F ”그녀가 죽였다“. hl'j.q") 카털라에서 장아음이 온 q") 카와 반어음이 온 j. 사이에 정지선(gt,m,)이 찍혔다. 이렇게 정지선(gt,m,)은 장모음 과 반어음 사이에 찍힌다.

War>yyI) 이러우 = War>yI) 이르우(결여글자) “그들은 두려워할 것이다”. 정지 선이 전이음(lAdG" qyrIyxi)이 온 --yyI) 이와 반어음이 온 r> 러 사이에 찍혔다. 반면 에, War>yI 이르우에는 정지선(gt,m,)이 없다. 정지선이 없으면 뜻도 다르다. 정지선 (gt,m,)이 없는 War>yI 이르우는 "그들은 볼 것이다“를 뜻한다. 정지선의 유무에 따라 서 단어의 의미가 달라진다는 점을 알아 두어야 한다.(JM§14c(1)).

^ \\ \ ⌃ \\ ∩ ^ \\ \ ^ ׃ - hl'j.q") 카털라 , War>yI) 이르우, War>yyI) 이러우, War>yI 이르우

② 악센트가 앞 음절(--aoå)로 넘어가 버린 장에음(he()에 찍힌다. 장에음이 단에음으로 발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t[;D'_ bhe(aoå 오헤브 다아트 “지식을 사랑하는 것”(잠언12:1)(GKC§16f).

- 260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 ) t[;D'_ bhe(aoå 오헤브 다아트.

③ (4두)

։ - ⌃ - ^ A. 엘로힘 하ㄴ님께서 ~yhil{a/ 쏴 트-리 나에게-주셨다 yliÛ-tv'(

╺ \ \ ) 아헤르 다른 rxeêa; 제라ㅇ 씨앗을 [r;z<å

B. 쏴트-리 엘로힘 제라ㅇ 아헤르 “하ㄴ님께서 나에게 rxeêa; [r;z<å ~yhil{a/ yliÛ-tv'( 다른 씨앗을 주셨다“(창세4:25).

C. ㄱ 나에게 주셨다 쏴트-리 yliÛ-tv'( ㄴ 하ㄴ님께서 엘로힘 ~yhil{a/ ㄷ 다른 씨앗을 제라ㅇ 아헤르 rxeêa; [r;z<å

D. [ㄱ]: yliÛ-tv'( 쏴트-리에서 장아음(bx'r' #meq"))이 온 tv'( 쏴트가 연결선(qPem;) 으로 이어질 때에 발음 상실을 막기 위해서 정지선(gt,m,)을 찍었다. tv'( 쏴트의 장 모음을 강조하기 위해서다(GKC§16f). 그러면 rxeêa; [r;z<å ~yhil{a/ yliÛ-tv'(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는? 강조를 받고 있는 단어는? 설교할 때에 강조해야 할 단어는 무엇인 가? 당연히 yliÛ-tv'( ‘나에게 주셨다‘다. 여기에서 하ㄴ님의 사랑을 보는가? 살인자를 낳아 키운 여인에게 다른 씨앗을 허락하시는 창조주 하ㄴ님의 그 크신 사랑! 여기 에 숨어 있지 않는가!

tv'( 쏴트 A5E "그 분께서 주셨다“, tyvi 쒸트 ”놓다, 정하다“. 연결선으로 이 어 질 때에 장모음인 -tae( 에트에는 정지선이 찍히지만, 단모음이 온 -ta, 에트에

- 261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는 정지선(gt,m,)이 찍히지 않는다(GKC§16f).

[ㄷ]: rxeêa; [r;z<å 제라ㅇ 아헤르 “다른 씨앗을“은 대격으로 동사 tv'(의 목적어 다.

. (창세4:25)  (창세4:25)의 을 rxa [rz ~yhla yl-tv  (창세4:25)의 을 .

- ^ ։ - ⌃ \ ) ╺ \ 쏴 트-리 엘로힘 제라ㅇ 아헤르 .  (창세4:25) 을 rxeêa; [r;z<å ~yhil{a/ yliÛ-tv'(

④ Alh\\a''( (4듀) 정지선(gt,m,)은 대부분의 모음들과 함께 복합반어음(~ypij'x]) 앞에 붙는다. ~ynIh]Koh*; 하.코하님 “그 제사장들”(레위1:5). bqo[]y:(() 야아코브 “야곱”. Alh\\a''( 오홀로 “그의 천막”. bqo[]y:() 야아코브의 경우에는 --y:(가 개음절이지만 정지선(gt,m,)이 단 아음(xT'P;)을 충분히 발음하도록 잡아준다. Alh\\a''( 오홀로의 경우에는 정지선이 --a'' (를 장아음 ㅏ로 읽으라는 뜻이 아니다. 정지선이 반오음(#m;q' aw"v.)전에 찍혔기 때 문에 --a''(를 단오음(!j'q' #m;q"))으로 읽어 주되 정확하게 발음하라는 뜻이다.

ㅏ : ^ \ ⊃ - - - ╺ ∸ ։ ^ Alh\\a''( 오 홀로, bqo[]y:() 야아코브. !j'q' #m;q") 카마츠 카탄. ~ynIh]Koh*; 하코하님 .

⑤ ~k'x'h,( (4드)

- 262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k'x'h,( 헤하함 ”그 지혜로운 자“(욥기15:2), ~yMi[;h'( 하.아밈 ”그 백성“, ~d'a'h'( 하.아담 ”그 인간“에서 접두어 h'(와 개음절인 첫음절 x', [;, a', 사이에 정지 선(gt,m,)이 찍혔다. 지금 (4드)에서, 이하에서도, 중요한 것은 개음절이냐 폐음절이 냐이다.

╺ ╺ - )  - - - ~k'x'h,( 헤하함, ~yMi[;h'( 하 아밈, ~d'a'h'( 하 아 담

."찍힌다. ~yTiB'( "집들“, tyIB;֫ "집 ⑥

⑦ 두 번째 강세를 지시한 yTil.j;q)"w> (4디) yTil.j;q)"w> 버카탈티 “그리고 내가 죽였다”에는 (yTi-)에 아랫 강세[r:L...mi가 왔 다. 첫모음 --q): 카에 찍힌 것은 두 번째 강세를 뜻한다. --q)"의 충분한 발음을 요구 한다. ~d"ña'h'( 하.아담, “그 인간”, ~(k,_yte[obuv'( 쏴부오테헴 nmw(C) "너남들의 축제 주간들에“(민수28:26), 첫모음(--v'()과 개음절인 (o-bu-) 부 사이 --buv'(에 정지선 (gt,m,)이 찍혔다. [;Wbv' 쏴부아 nm ”7일 기간, 7년 기간, 일곱 개가 한 벌“.

\\ - ㅓ  - ^ ) - )) ^ - - - yTil.j;q")w> 버카탈티 [;Wbv' 쏴부아, ~(k,_yte[obuv'( 쏴 부오테 헴, ~d"ña'h'( 하아 담 .

⑧ r>a (4라)

ㅏ ⏆ \ - ׃ / A. 비씌나트 해에 tn:åv.Bi 쐄 거기에서 ~v'_ 바야모 트 (그리고) 그가 죽었다 tm'Y"åw:

∪ ∸ \\ - - ׃ 아들들이 laer"f.yI-ynE)B. 러체 ㅇ트 나온 후에 taceÛl. 하 아르바임 40년째 ~y[iªB'r>a;h'(

- ∾ ׃ \ ^ > \ - \ \ ׃ 미츠라임 에집트 ~yIr:êc.mi 메 에레츠 땅으로부터 #r

- 263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B. ~yIr:êc.mi #ra;h'( tn:åv.Bi ~v'_ tm'Y"åw: 바야모트 쐄 비씌나트 하아르바임 러체ㅇ트 버네이-이쓰라엘 메에레츠 미츠라임 “이쓰라엘의 아들들이 에집트 땅으로부터 나온 후에, 그가 거기에서 40년째 해에 죽었다“(민수33:38).

C. 우리말 번역을 보고 히브리어 성경으로 대답해 보라. ㄱ (그리고) 그가 거기에서 죽었다 바야모트 쐄 ~v'_ tm'Y"åw: ㄴ 해에 비씌나트 tn:åv.Bi ㄷ 40년째 하아르바임 ~y[iªB'r>a;h'( ㄹ 이쓰라엘의 아들들이 나온 후에 laer"f.yI-ynE)B. taceÛl. ㅁ 에집트 땅으로부터 ~yIr:êc.mi #r

D. [ㄱㄴ]: tm'Y"åw: 바야모트 A6E “그가 죽었다”, tWm 무트 ”죽다‘. tn:åv.Bi 비씌나트 = tn:åv. nfw "...의 해“+Bi 전치사 ”안에“, hn"v' 쏴나 nf ”해, 년“.

[ㄷ]: ~y[iªB'r>a;h'( tn:åv.Bi 하/아르/바/임에서 r>a; 아르가 폐음절이기 때문에, 개음 절인 B' 바와 접두음절 h'( 하 사이에 정지선(gt,m,)이 찍혔다. 이는 보통정지선 ③에 해당된다(JM§14c). 10째 까지는 서수가 있으나, 10째 이상은 ~y[iªB'r>a;h'( 하아르바 임처럼 기수 cardinal number(하나, 둘)로 표현한다(JM§142o).

[ㄹ]: laer"f.yI-ynE)B. taceÛl.에서 laer"f.yI-ynE)B.을 주격으로 보기 때문에, 변부사 taceÛl.러체ㅇ트를 동사로 취급한 것이다(JM§124g).

. (민수33:38)

- 264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민수33:38)의 을 םירצמ ץראמ לארׂשי־ינב תאצל םיעבראה תנׁשב םׁש תמיו  (민수33:38)의 을 .

\ \ ׃ \ - - ∾ ׃ \ ^ > - ׃ ∪ ∸ \\ - ׃ - - ㅏ ⏆ \ 바야모 트 쐄 비씌나트 하 아르바임 러체 ㅇ트 버네 -이쓰라엘 메 에레츠 미츠라임

 (민수33:38) 을

~yIr:êc.mi #ra;h'( tn:åv.Bi ~v'_ tm'Y"åw:

⑨ (4랴) dmo[]y:) 야아모드 A10E "그는 설 것이다“에서, -[]y:) 반아음(xT'P; aw"v.)이 온 첫 모음 []와 접두모음 y:) 사이에 정지선(gt,m,)이 찍혔다.

\ ⊃ - dmo[]y:) 야아모드.

⑩ hy"h' hy"x' (4러) 발음을 정확하게 내도록 하기 위해서 정지선이 찍힌다. hy

∩ - \ ׃ \ hy

⑪ hN"a") (4려) (가야 하는가? `ab'(- 나는 ynIa] 어디로 hN"a")) 아나 아니 바ㅇ “어디로 `ab'(-ynIa] hN"a")

- 265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나는 가야 하는가?”(창세37:30). !a' 안: !yIa; 아인의 축소형, 부사, “어디로?”, !a'me 메안 “어디서, 어디로부터”, !a'-d[; 아드-안 “언제까지? 얼마나 오래?”.

- ։ ^ -  - - ) - `ab'( 바 ㅇ -ynIa] 아니 hN"a") 아 나. !a'me 메 안 , !a'-d[; 아드-안

. (창세37:30)  (창세37:30)의 을 hb-acmnh ~[h-lk  (창세37:30)의 을 .

-  ։ ^ - 아 나 아니 바 ㅇ  (창세37:30) 을 `ab'(-ynIa] hN"a")

⑫ h;( (창세18:17)(4로)

/ ׃ ^ ։ A. 아브라함으로부터 ~h'êr"b.a;me¥ 아니 내가 ynIa] 하머하쎄ㅎ 숨어야 하는가? hS,Ûk;m.h;¥)

- ∾ ׃ - 메 아브라함

B. 하.머하쎄ㅎ 아니 메아브라함 “내가 아브라함ㅇ으로부터〔숨어야 ~h'êr"b.a;me¥ ynIa] hS,äk;m.h;(

하는가?04〕”(창세18:17).

C. ㄱ 내가 숨어야 하는가? ynIa] hS,äk;m.h;(

ㄴ 아브라함ㅇ으로부터 ~h'êr"b.a;me¥

D. [ㄱ]: 의문부사 m.h;( 하에 정지선(gt,m,)이 찍혔다(JM§14c). hS,Ûk;m.h;( = hS,Ûk;+m.

- 266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강동사집 +h; 의문사로 나누어진다. 후자음이 아니면서 반어음이 온 자음에 는 겹자점이 찍히지 않는다(JM§35d). 분사 hS,äk;m.h;(는 문장 품사 서열에서 두 번째 에 놓인다. 그러나 본절에서는 주어 앞에 놓여서 강조를 받는다(JM§154fe). hS,Ûk;m. 머하쎄 C1M, hs'K' 카싸 “덮다(나체), 옷입다, 숨기다 (부끄러움)”. * = 현재형 접두어.

- ∸ - ∾ ׃ - ^ ։ / ׃ hS,Ûk;m. 머하쎄ㅎ, ynIa] 아니 , ~h'êr"b.a;me¥ 메 아브라함, hs'K' 카싸

. (창세18:17)  (창세18:17)의 을 ~hrbam yna hskmh  (창세18:17)의 을 .

- ∾ ׃ - ^ ։ / ׃ 하머하쎄ㅎ 아니 메 아브라함.  (창세18:17) 을 ~h'êr"b.a;me¥ ynIa] hS,äk;m.h;(

⑬ (4료) (레위3:3)

/ - A. 하.머하쎄ㅎ 덮는 hS,äk;m.h;( 에트-하헬 레브 그 기름은 bl,xeh;-ta,

/ \ 에트-하케레브, 그 내장을 br

B. 에트-하헬레브 하.머하쎄ㅎ 에트-하케레브 “그 내장을 br

C. ㄱ 그 기름은 bl,xeh;-ta, ㄴ 그 내장을 덮는 br

- 267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D. [ㄱ]: bl,xeh;-ta, 에트-하헬레브 “그 기름”은 주격(4샤)이다. br

[ㄴ]: hS,äk;m.h;( 하.머하쎄ㅎ에서 단아음(xT'P;)을 취한 정관사 h;(와 반어음이 온,

사실상 겹자음 virtual gemination인 (함머하쎄) m. 사이에 정지선 Metheg (gt,mñ, bridle)이 찍힌 점이다(JM§14c6). 겹자점은 강동사, 강수사 분사에서 종종 생략된 다(JM§35c), 겹자점 생략은 >(3쳐). hS,äk;m.h;( 하머하쎄ㅎ C1M “덮는”, hs'K' 카 싸 “덮다”.

╺ / ׃ \ / br

. (레위3:3)  (레위3:3)의 을 brqh-ta hskmh blxh-ta  (레위3:3)의 을 .

╺ / / \ 에트-하헬레브 하.머하쎄ㅎ 에트-하케레브,  (레위3:3) 을 br

⑭ (!j'q' #m;q")) hm'Þk.x'( , War>yyI( (4루) 정지선의 유무에 따라서 모음의 장단이 결정되며 또한 의미도 달라진다.

⌃ ׃ ╺ [ㄱ]: hm'Þk.x'( 하흐마

׃ ╺ hm'Þk.x'( 하흐마 ‘그녀는 지혜로웠다’에는 이미 (4됴)에서 설명한 것처럼, 반어

- 268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음과 장아음 사이에 정지선(gt,m,)이 와서, --k.x'(를 “하흐”라고 읽는다.

⌃ ׃ ╺ hm'Þk.x'( 하흐마

[ㄴ]: (!j'q' #m;q"))

׃ ㅏ hm'k.x'' 호 흐마에는 정지선(gt,m,)이 없다. 그래서 단오음(!j'q' #m;q"))으로, “호흐

׃ ㅏ 마“로 읽는다. hm'k..x' 호 흐마 nf=여성명사 “지혜”란 뜻이다. 정지선이 찍힌

^ ׃ ╺ `dao)m. hm'Þk.x'( 하흐마 머오드는 “그녀는 매우 지혜로웠다”(스가9:2)를 뜻한다.

- ׃ ⌃ ׃ ㅏ ^ ׃ ╺ hm'Þk.x'( 하흐마 . hm'k.x' 호 흐마, `dao)m. 머오드.

[ㄷ]: 전이음(lAdG" qyrIyxi)으로 읽는다. War>yyI( 이러우에서 단이음(!j'q' qyrIyxi)이 찍힌 첫 번째 --yI 요드는 첫 자음이 다. 모음이 없는 두 번재 --y 요드는 첫 번째 --yI 요드 아래에 찍힌 단이음과 합해 서 전이음이 된다. yyI( = --y i(전이음)+ y (첫 자음)이다. 그리고 두 번쩨 --y 요 드 아래 찍힌 내림선이 곧 정지선이다. 전이음 --y I 다음에 온 -r>-에 붙은 반어음 은 유성반어음이 된다. 반어음(aw"v.)이 전이음을 따라 왔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War>yyI(를 이르우라 발음하지 않고 “이러우”라 발음한다. War>yyI( 이러우가 나오는 단 문을 읽어 보라. `hw")hy>-ta, Waïr>yyI) “그들이 여ㅎ바님을 두려워 할 것이다.” (왕하17:28)

과거에 히브리어를 공부해 본 경험이 있으면 동사풀이를 읽어 보라. 아래 동 사분해는 본인이 만들어 낸 [히브리어 동사분해 한글모음 방정식]을 사용해서 동사

- 269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를 분해한 것이다. 차후로 에서 자세하게 배우게 된다.

War>yyI( = W+a+[아]r"[무겹]+yyI「이」 모음구조가 와서 「이」+[무겹]+[아] 모음 (4류) 방정식 <45댜>에 속하기 때문에 lq;(기동사)집이나 첫후동사의 기재사집 동사다. War>yyI( 이러우는 첫후동사가 아니고 첫-y동사기 때문에 lq;(기동사)집 동사다. W...yI 이...우는 미완료 동사에 붙는 유강세 양접어(18고)다. War>yyI( 이러우 A10E “그들 이 두려워 할 것이다”, arey" 야레ㅇ “두려워하다”.

[ㄹ]: 으로 읽는다. War>yI에는 정지선(gt,m,)이 없다. 첫 --yI 아래 찍힌 모음은 단이음(!j'q' qyrIyxi) 이다. 따라서 “이르우“라 읽는다. 정지선이 없는 War>yI 이르우는 A10E “그들이 볼 것이다”(창세12:12)를 뜻한다. War>yI 이르우의 동사분해는 War>yyI( 이러우와 같다. War>yI A10E = 기동사집 미완료 남복 3인칭이다, ha''r"" 라아 “보다”. 기호풀이 A10E = A(lq;, 칼 기동사집 동사)10(미완료시제)E(남성복수 3인칭)을 뜻한다. > (15가).

⑮ War>y)I (4르) War>y)I 이러우는 정지선(gt,m,)이 첫음절에 찍혔다. 따라서 >y)I = >yy)I 전이음과 같 다. 따라서 반어음도 유성반어음이 된다. 정지선이 왔기 때문에 War>y)I 요드 아래 온 흑점이 단이음(!j'q' qyrIyxi)이 아니고 전이음(lAdG" qyrIyxi) --yy)I이 되어야 하는데 --y)I 요드 하나가 탈락된 것이다. 정지선이 찍혔으나 있어야 할 --y- 요드가 탈락된 -- >y)I 이를 이라 칭한다. 정지선(gt,m,)이 찍히는 곳이 ⑮ 가지나 되는데, 이는 정지선이 발음에 미치는 영향력이 대단하다는 증거다. 보기를 중심으로 한 두 번 더 읽어 보아야 할 것이다.

- 270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 ∾ ∾ \ \\ ^ Waïr>yyI) 이러우, arey" 야레ㅇ, War>yI 이르우,

5. (4리) ① W는 우바님 로ㅇ 하유 “그리고 그들은 자녀들이 없었다.”(민수3:4). Wyæh'-al{ ~ynIB'W ~ynIB'W 우바님에서 W는 본디 단모음이었기 때문에 정지선을 취하지 않는 것으 로 본다. 그러나, 우자하브 하아레츠 하히ㅂㅇ 토브 “그리고 [바로 bAj+ awhiÞh; #r,a'îh' bh;²z]W* 그땅의} 금은 좋다”(창세2:12)에서 bh;²z]W* 우자하브는 예외로 정지선 (gt,m,)을 취했다. awhiÞh; “바로, ...만큼”은 한정명사 #r,a'îh'를 강조하는 독인사다. (33규)에서 공부함.

^ ∸ ^ \ ^ : - - \ - ~ynIB'W ㅜ바님 , awhiÞh; 하히ㅂㅇ, bh;²z]W ㅜ자하브, #r,a'îh' 하아 레츠, Wyæh'-al{ 로ㅇ

- ∩ ⌃ 하유. bAj+ 토브.

② -y>-와 (4마) (출에1:17)

\ < X \ - A. 그 소년들-을 `~ydI(l'y>h;-ta, 바터하예ㅇ나 (그리고) 그녀들은 살려 주었다 !'yY<ßx;T.w:

: - ^ 에트-하열라 딤

B. 바터하예ㅇ나 에트-하열라딤 “그녀들은 그 소년들을 살려 `~ydI(l'y>h;-ta, !'yY<ßx;T.w: 주었다”(출에1:17).

C. ㄱ 그리고 그녀들은 살려주었다 !'yY<ßx;T.w:

- 271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ㄴ 그 소년들을 `~ydI(l'y>h;-ta,

D. [ㄱ]: !'yY<ßx;T.w: 바터하예ㅇ나 C6F "그녀들이 살려주었다“, hy"x' 하야 ”살다“.

[ㄴ]: `~ydI(l'y>h; 하열라딤에서처럼 반어음이 온 -y>-와 단아음(xT'P;)을 취한 정 관사 h; 사이엔 정지선이 찍히지 않았다는 점이다.

: - ^ \ < X \ - `~ydI(l'y>h;-ta, 에트-하열라 딤 , !'yY<ßx;T.w: 바터하예ㅇ나

. (출에1:17)  (출에1:17)의 을 `~ydlyh-ta !yyxtw  (출에1:17)의 을 .

\ < X \ - : - ^ 바터하예ㅇ나 에트-하열라 딤  (출에1:17) 을 `~ydI(l'y>h;-ta, !'yY<ßx;T.w:

정지선(gt,m,)이나 절휴지표는 수직선의 길이가 모음의 길이만하며 모음과 모 음 사이에 찍히지만, 가름선은 그 수직선의 길이가 자음 글자만큼이나 길다. 가름 선의 용도는 크게 나누어서 5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에서 갈라놓기 위해서 아주 비슷한 단어들이 문장의 마지막과 그 다음 문장의 앞부분에 사용되었을 때 이 두 단어들을 갈라놓기 위해서 가름선이 사용된다.

- 272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 - ∪ > A.버오드 계속해서 안에 dA[B. 헴 그들은 `~he 야밈 일(들) ~ymiy" 쎨쐬트 삼 tv,l{v.

׃ ^ ∾ 야밈 일(들) ~ymiy" 쎨쐬트 삼 tv,l{v. B.쎨쐬트 야밈 헴 버오드 쎨쐬트 야밈 ~ymiy" tv,l{v. dA[B. `~he ~ymiy" tv,l{v. “그들은 삼 일. 계속해서 삼 일 안에”(창세40:18-19).

- ^ ∾ ׃ C. ㄱ 그들은 삼 일 쎨쐬트 야밈 헴 `~he ~ymiy" tv,l{v.

^ ∾ ׃ ∪ > ㄴ 계속해서 삼 일 안에 버오드 쎨쐬트 야밈 ~ymiy" tv,l{v. dA[B.

D. [ㄱ]: `~he의 `--은 “마침표“다. 따라서 ` 다음에는 19절 새로운 문장이 시작 한다.

[ㄴ]: ~ymiy" tv,l{v. 쎨쐬트 야밈이 다음절 시작에서 다시 나오기 때문에 이를 갈라놓기 위해”서 가름선 을 tv,l{v. 쎨쐬트 앞에 두었다. dA[B. 버오드 ”(시간 상) 계속해서...안에“라는 뜻이다(BDB729우).

׃ - ∪ > ^ ∾ ~ymiy" 야밈 , dA[B. 버오드, `~he 헴, tv,l{v. 쎨쐬트.

. (창세40:18-19)  (창세40:18-19)의 을 dw[b `~h ~ymy tvlv ׀ ymy tvlv~  (창세40:18-19)의 을 .

^ ∾ ׃ ∪ > - ^ ∾ ׃ 쎨쐬트 야밈 헴 버오드 쎨쐬트 야밈 .  (창세40:18-19) 을 ~ymiy" tv,l{v. dA[B. `~he ~ymiy" tv,l{v.

- 273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2. 갈라놓기 위해서 ~Ay ~Ay 같은 절에서 사용된 같거나 비슷한 단어들 ~Ay ~Ay 욤 욤 “날마다” (창39:10)을 갈라놓기 위해서 가름선이 사용된다. ~Ay ~Ay 욤 욤처럼 단어를 반 복해서 복수의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vyaiî-vyai 이씌-이씌 ”각 사람마다“ (출에36:4).

^ ^ ∩ ∩ vyaiî-vyai 이 씌-이 씌, ~Ay ~Ay 욤 욤

3. 갈라놓기 위해서 ~yhil{a/ [v'r' 셋째로 상대적인 의미들 ~yhil{a/ [v'r' 라쏴ㅇ 엘로힘 “악인 하ㄴ님” (시편10:13), 즉 완전히 반의적인 단어들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서다.

∾ - ) [v'r' 라쏴ㅇ.

4, 갈라놓기 위해서 넷째로 잘못 연결될 수 있는 두 개의 단어들을 갈라놓기 위해서다.

∸ ׃ - / A an"òf.Tiw: 체데크 바른-것을 qd

- ׃ / \ ( \ ∸ ( 알켄 그러므로 !Ke-l[; 레쏴ㅇ 악을 [v;r<ï 바티쓰나ㅇ &미워하십니다

╺ ։ - ׃ - - ։ 엘로 힘 하ㄴ님께서 ~yhil{a/ 머쏴하하 너를 기름 부으셨다 ^x]v'm.

- ^ ։ - \ - 싸 쏜 환희 !Afªf' 쐬멘 의.기름으로 !m,v,î 엘로 헤ㅇ하 너남의 하ㄴ님께서 ^yh,l{a/

- ։ - \ \ ╺ 메 하베 레ㅇ하 너남의 동료들 위에 `^yr<)bex]me(

B. `^yr<)bex]me( !Afªf' !m,v,î ^yh,l{a/ â~yhiäl{a/ ^x]v'm. Ÿ!KeÛ-l[; [v;r<ï an"òf.Tiw: éqd

- 274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아하브타 체데크 바티쓰나ㅇ 레쏴ㅇ 알켄 머쏴하하 엘로힘 엘로헤ㅇ하

쐬멘 싸쏜 메하베레ㅇ하 “당신께서는 바른-것을(C,) 09/승진시키/사랑하\시고 악 을(r<ï) 미워하십니다. 그러므로([;), 하ㄴ님, 너남의 하ㄴ님께서 환희의(f') 기름으 로(v,) 너남의 동료들(x]) 위에 너남을 기름 부으셨다.”(시편45:8).

C. ㄱ 당신께서는 바른-것을(C,) 사랑하십니다 éqd

D. [ㄱㄴ]: T'b.h;äa' 아하브타 A5C는 과거동사지만 사랑한다는 상태를 표현하는 상 태과거(S239)이기 때문에 현재 사랑한다,로 옮겼다. an"òf.Tiw: 바티쓰나ㅇ A6C는 시 미과거이지만 현재를 표현하는 상태동사 다음에 놓이면, 역시 현재의 뜻으로 옮긴 다(JM§118p).

[ㄷㅁ]: ~yhil{a/ ^x]v'm. !Ke-l[; 알켄 머쏴하하 엘로힘 “이것을 위해서 하ㄴ님 께서 너를 기름 부은 것”처럼 이라고 읽을 수 있어서 가름선을 사용했다. ^x]v'm. 머쏴하하 A5Ec , xv;m' 마쏴흐 “기름을 바르다, 문대다”는 동사는 제2 대격 !Afªf' !m,v,î을 취하는 동사다(GKC§117ee). ^x]v'm.는 무접두어다. -m.는 접미어 ^-가 붙으 면서 첫모음이 축소한 축어다. [축어] 모음구조가 와서 모음방정식 <45쿄>에 속 하기 때문에 lq;(기동사)집 동사다. rbex' 하베르 ㅎㅅ, nm 동료.

- 275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 \ xv;m' 마 쏴 흐, rbex' 하베르.

. (시편45:8)  (시편45:8)의 을 `$yrbxm !wff !mv $yhla ~yhla $xvm !k-l[ [vr anftw qdc tbha  (시편45:8)의 을 .

╺ \ - \ - - \ ╺ ։ - ׃ ∸ ( ( \ - ׃ / \ / ∸ ׃ - 아 하브타 체데크 바티쓰나ㅇ 레쏴ㅇ 알켄 머쏴하하 엘 로 힘 엘 로 헤ㅇ하

- ^ - ։ - \ \ ╺ 쐬멘 싸 쏜 메 하베 레ㅇ하

 (시편45:8) 을 `^yr<)bex]me( !Afªf' !m,v,î ^yh,l{a/ â~yhiäl{a/ ^x]v'm. Ÿ!KeÛ-l[; [v;r<ï an"òf.Tiw: éqd

5. 을 갈라놓기 위해서 ( 한 쌍처럼 사용된 다른 이름들을 갈라놓기 위해서다. (창세40:20)

∾ \ X ∸ A. 에트-로ㅇ씌 의.머리-를 varo-ta, 바.이싸ㅇ 그러나 그는 들어 올렸다 aF'YIw:o

\ ⌃ ׃ / 하.마씌킴 술관리자들 ~yqiv.M;h; 싸르 의.총책임자 rf; |

B. 바.이싸ㅇ 에트-로ㅇ씌 | 싸르 하.마씌킴 ~yqiv.M;h; rf; | varo-ta, aF'Yw: “그러나 그는 술관리자들의 총책임자의 머리를 들어 올렸다”(창세40:20).

\ X ∸ ∾ C. ㄱ 그러나 그는 머리를 들어 올렸다 바.이싸 에트-로ㅇ씌 varo-ta, aF'Yw:

⌃ ׃ / \ ㄴ 술관리자들의 총책임자의 싸르 하.마씌킴 ~yqiv.M;h; rf; |

D. [ㄱ]: varo-ta, 에트-로ㅇ씌 “...의 머리를“. aF'YIw:o 바.이싸ㅇ A6E av'n" 나쏴

- - ㅇ “들어 올리다, 운반하다, 취하다”. [“나싸ㅇ”국에서 “들어 올린다”]. av'n" 나쏴ㅇ.

- 276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ㄴ]: ~yqiv.M;h; = ~yqiv.M;+h; = “술 관리자들“, rf; 싸르 nmv/w ”...의 총책임 자“는 원형과 변형이 같다.

. (창세40:20)  (창세40:20)의 을 ~yqvmh rf var-ta afyw  (창세40:20)의 을 .

⌃ ׃ / \ ∾ ∸ X \ 바이싸ㅇ 에트-로ㅇ씌 | 싸르 하마씌킴  (창세40:20) 을

~yqiv.M;h; rf; | varo-ta, aF'Yw:

하나선과 띠음선은 필자가 히브리어를 한글로 번역하면서 독자가 정확하게 한 글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호들일 뿐이며, 히브리어 문법에 속하지는 않는다.

1. ~yhil{a/-la, 1) 연결선(qPem;)은 하이픈과 같은 짧은 직선으로서 두 개의 단어나 그 이상의 단 어들을 밀접하게 연결해 준다. 연결선으로 이어진 단어들은 하나의 단어로 간주되 며 처음 단어의 강세가 연결선으로 이어진 다음 단어로 넘어가게 된다. 이때에 대 부분 모음축소 현상이 일어나기 마련이다: ~yhil{a/-la, 엘-엘로힘 “하ㄴ님께로”

(시편55:17), laer'f.yI ynEB. 버네이 이쓰라엘 “이스라엘의 어린이들”(출에1:1).

։ - ^ ~yhil{a/-la, 엘-엘로힘 .

- 277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 - \ \ : ^ ) \ A.바여히 -보케르&아침이-되었다 rq,bo-yhiy>w: 바여히 에레브 &저녁이 -되었다 br,[,-yhiy>w:

B. 바여히 에레브 바여히 보케르 "저녁이 되었다, 그리고 아침이 rq,bo-yhiy>w: br,[,-yhiy>w: 되었다“(창세1:13). 연결선에 의해서 이어지는 것은 연결 억양에 의한 것보다 단어 들의 결합력이 강하다(JM§13a). rq,bo-의 -이 연결선(qPem;)이다.

2) 연결선(qPem;)은 일정하게 고정시켜 놓은 규칙은 없어도, 종합하면 아래와 같다.

① h--'와 h--,로 또한 강세가 없는 h--'와 h--,로 끝나는 단어 다음에 첫 강세를 가진 단어가 따 라오면 이 두 단어를 보다 밀접하게 연결시켜 주기 위해서 두 단어 사이에 연결선 (qPem;)을 그어 하나의 단어로 이어 준다. 그리고 yLi-hn''t...n"" 나트나-리에서 yLi- 리처 럼, 두 번째 단어의 첫 자음에 흑점을 찍어 준다. 은 강점(Dagash Lene)처 럼 자음의 발음을 변화시키지도 않고 자음을 겹자음으로 늘리지도 않는다. 흑점은 보통은 두 자음에 찍히지만, 연결선으로 이어진 경우에는 yLi- 리처럼 첫 자음에도 찍힌다. (창세3:12)

^ ׃ -  A. 나에게 -리 yLi- 그 여자가 주었습니다 나 트나 hn''t...n"" B. 나트나-리 “그 여자가 나에게 주었습니다.”(창세3:12). yLi-hn''t...n""

D. yLi- 리에 붙은 선이 연결선이다.

(사사8:22)

׃ ^ ∸ A. 우리 위에 바누 WnB''- 군림하라 머쑐 lv''m... B. 머쑐-바누 “우리 위에 군림하라”(사사8:22) WnB''-lv''m...

D. WnB''-에 그어진 짧은 선이 연결선(qPem;)이다. lv''+[어]m... = [어] <45켜> =

- 278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lq;(기동사)집 명령형이다(A15M). lv;m' 마쏼 “지배하다, 다스리다, 통치하다”.

^ ∸ ㅏ ׃  ^ ׃ - yLi-hn''t...n"" 나 트나 -리, WnB''-lv''m... 머쑐 -바누 .

② (JM§13b) -!B, 벤 “...의 아들”은 언제나 연결선을 동반한다. 반면에 ~ae 엠 “어머니”, ~ve 쐼 “이름”, ~v, 쐼은 연결선과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v, 쐼은 사상8:2서만 나타 난다. 단음절 ba; 아브 “아버지”(창세17:5)는 결코 연결선과 사용되지 않았다.

/ - - !B, 벤, ~v, 쐼, ba; 아브. ~ae 엠, ~ve 쐼 “이름”

③ -!B, -la; 알 “아님“, -la, 엘 ”향하여“, -~ai 임 ”만일“, -!mi 민 ”...로부터“, -!P, 펜 ”...하지 않도록“, -d[; 아드 ”...까지“, -l[; 알 ”위에“, -~[i 임 ”...과 함께“ 등에는 거의 언제나 연결선(qPem;)이 온다.

) ) ) d[; 아드, -l[; 알, -~[i 임.

④ 소어 an"- ㅇ an"- 나ㅇ에는 연결선(qPem;)이 언제나 an"- 나ㅇ 앞에 온다.

- an"- 나 ㅇ

- 279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⑤ 연결선(qPem;)이 온다 , 자체 단어에는 강세가 없어서 따라 오는 단어에 붙어 사용되는 단어 를 후접어라 칭한다. 후접어는 주로 단모음을 취한다. ~ve 쐼 후접어로는 -~v, 쐼,

╺ lKo 콜 후접어로는 -lK' 콜, 부정사 ljoq. 커톨 후접어로는 -lj'q. 커톨이 된다. 그러나 ~y" 얌 "바다“는 연결선과 사용되더라도 장아음(bx'r' #meq"))을 유지하는 단 어다: tr,N,Ki-~y" 얌-키네레트 ”키네레트의 바다“. 이 경우에도 예외가 있다: @Ws-~y: 얌쑤프 ”갈대 바다“. 언어에는 예외가 언제나 있을 수 있다.

\ / / ∾ ∾ ㅏ ׃ ㅏ ∸ ~v, 쐼, lKo 콜, -lK' 콜, -lj'q. 커톨 , ~y" 얌, tr,N

\ ⌃ @Ws-~y: 얌-쑤프.

⑥ ^ïl.-qx'l. 러호크-러하 “너를 위한 의식으로서”(출에12:24), qxo 호크 nm "의식,

의무, 할당“. (그리고 과부 hn"+m'l.a;w> 고아 ~Atßy"- 외국인 rGE) 게르-야톰 hn"+m'l.a;w> ~Atßy"-rGE 버알마나 ”외국인, 고아, 그리고 과부“(신명27:19)(JM§13d).

∸ \ ∾ ⌃ \\ ㅓ ╺ ⌃ hn"+m'l.a;w> ~Atßy"-rGE 게르-야톰 버알 마나

(잠언28:21)

- ⌃ ∸ ^ ∸ \ A. 좋지-않다 로ㅇ-토브 bAj+-al{ 얼굴들을 파님 ~ynIïP'- 존중하는 것은 하케르 rKeh;(

B. 하케르-파님 로ㅇ-토브 ”얼굴들을 존중하는 것은 bAj+-al{ ~ynIïP'-rKeh;( 좋지 않다“(잠언28:21).

- 280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 ^ C. ㄱ 얼굴들을 존중하는 것은 하케르 파님 ~ynIïP'-rKeh;

- ⌃ ㄴ 좋지 않다 로ㅇ-토브 bAj+-al

D. [ㄱ]: rKeh;( 하케르 F8 “존중하는 것”, rk;n" 나하르 “인정하다”, F "존중하다“. ~ynIïP' 파님 nm "얼굴들”, hn

^ ∾ \ ∸ ^ - ㅓ \\ ╺ ╺ ׃ ㅏ ׃ ^ïl.-qx'l. 러호 크-러하, qxo 호크, hn"+m'l.a;w> 버알 마 나 , ~Atßy"-rGE 게르-야톰,

∸ \ - \ ∸ ^ ∸ - ⌃ rKeh;( 하케르, rk;n" 나하르, ~ynIïP' 파님 , hn

בוט־אל םינפ־רכה .E

2. “너남은-결코-가져오지-못하게 하라” 하나선은 한글 번역에서 글자와 글자 사이 중간에 놓인 짧은 선이다. 히브리 어에선 한 단어가 사실상 한 문장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한어로 옮길 때에는 여러 개의 단어들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한글은 특히 띄어쓰기를 하기 때문에 히 브리어 한 단어의 뜻이 여러 개의 한글 단어들로 나누어질 수밖에 없다. 문제는 독 자가 여러 개의 한글 단어들로 나누어진 단어들 중에서 어느 한 단어만을 편파적으 로 강조하는 것이 문제다. 이는 히브리어의 한 단어가 한글로는 한 문장으로 번역 될 수밖에 없는데서 어쩔 수 없이 야기되는 잘못이기 때문에 필자는 이러한 오류를 최소한 줄이기 위해서 하나선을 사용한 것이다. 한글에서 여러 개의 단어들이 짧은 선으로 이어져 있는 것을 하나선이라 칭한다. 하나선으로 이어진 여러 개의 한글 단어들은 히브리어로는 한 단어다는 것을 지적하기 위해서다. 여러 개의 단어들 중 에서 어느 한 단어를 강조할 것이 아니고, 여러 개의 단어들이 주는 내용을 한 그 림으로 보고 여기에서 한 생각을 뽑아냄으로서 올바른 독해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 자는 의도에서 하나선을 사용했다. 그렇지만 컴퓨터에서는 기나긴 줄 문장은 큰 방 해가 되기 때문에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필요할 때에는 하나선을 사용해서, 독자 가 히브리어 문장이 뜻하는 한 폭의 그림으로 보지 못하고, 독자가 좋아하는 한 단 어만을 강조해서 곡해 내지는 오독하는 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번역자가 바르고

- 281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충분하게 표기해 주어야 할 것이다. (신명7:26).

A. 너남은 가져오지 aybiiit;'- (그리고) 결코 못하게하라 alow>

B. 버.로ㅇ-타비ㅇ “너남은-결코-가져오지-못하게-하라” (신명7:26). aybiiit;'-alow>

C. ㄱ 너남은-결코-가져오지-못하게-하라 aybiiit;'-alow>

D. [ㄱ]: 연결선(qPem;) 하나와 세 개의 하나선이 사용되었다. 연결선은 “결코-가져 오지”에 사용되었고 하나선은 “너남은-결코”와 “가져오지-못하게-하라”에 사용되 었다. aybiii[이]+t'「아」 = 「아」+[이]= F10, 사동사(ly[ip.hi) 미래다. aAB 보ㅇ “가다, 들어오다, 들어가다”.

\\ - - ^  איבת־אלו .aybiiit;'-alow> 버로ㅇ-타비 ㅇ, aAB 보ㅇ. E

3. “그의-모든-도망가는-자들..은” 띠음선은 한글에선 한 글자로 붙여진 단어가 히브리어에서는 두 글자로 나누 어져 있다는 점을 알려 주는 기호이다.

(그의 도망가는 자들 Axr'b.mi- 모든 lK' 은 taew>) 버.에트 콜-미브라호 Axr'b.mi-lK' taew> “그의-모든-도망가는-자들..은”(에겔17:21)에서 “-자들..은”은 한글에선 반드시 한 글자로 붙여 쓰지만, 히브리어에서는 Axr'b.mi-lK' taew> 버.에트 콜-미브라호처럼 두 개의 단어로 표현 되어 있다는 점을 알려 주는 역할을 한다. ta가 주어 앞에 놓인데 대한 이유에 대해선 정확한 설명이 부실하다(JM§125j). xr'b.mi 미브라흐 nm “망명자”. 이러한 기호들은 히브리어로 작문할 때에, 성서에 기록된 히브리어 그대로 히작할 수 있도록 유도해 주는 역할을 한다. 성서 히브리어로 히작을 연습

- 282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할 때에 사용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 ׃ - \\ ^ ∾ ׃ ㅏ Axr'b.mi-lK' 콜-미브라호 taew> 버에트. xr'b.mi 미브라흐

ta와

ta ) yliAq-ta, tae 에트는 주격하고도 사용되기 때문에 tae 에트를 목적어 기호라고 칭하는 것은 정확하지 못하지만, 주로 목적어로 사용되는 명사 앞에 놓이기 때문에 편이상 목적격 소어라 칭한다. tae 에트가 목적격을 인도하면, 이를 대격소어, 목적격 소어 라 칭한다. tae 에트는 그 자체에 강세가 있으며 또한 장모음이다. 제한을 받고 있 는 목적어 앞에 tae 에트를 사용한다. 이때에 연결선(qPem;)이 목적어와 목적격 소 어 사이에 놓인다. 이렇게 연결선으로 이어진 단어들은 하나의 단어로 간주되기 때 문에, 자연히 강세가 연결선 다음 단어로 넘어가게 되며 장에음 -ae 에가 단에음 -a, 에로 축소하는 모음변화가 일어난다: yliAq-ta, 에트-콜리 “나의-목소리를” (시편116:1)에는 인접어 1인칭형 y--i(13나)가 붙었기 때문에 제한을 받는 목적격 이 된다. 그러나 접미어 y--i에 의아심이 주어진다. 언제나 lAq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 ⌃ ^ ⌃ (JM§93p). lAq 콜 "소리”, [“콜 콜” 코 고는 “소리”]. yliAq-ta, 에트-콜리. lAq 콜. (창세1:4)

- ^ \ ։ - ⌃ \ X \\ A. 에트-하오르 그 빛-을 rAah'-ta, 엘로힘 하ㄴ님께서 ~yhil{a/ 바.야르ㅇ 보셨다 ar>Y:w:

 ⌃ 키-토브 좋은 bAj- (것, 바) yKi

B.바.야르ㅇ 엘로힘 에트-하오르 키-토브 “하ㄴ님께서 bAj-yKi rAah'-ta, ~yhil{a/ ar>Y:w: 그 좋은 빛을 보셨다”(창세1:4)에서, rAah'-ta, 에트-는 목적격 소어다.

- 283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창세1:4)  (창세1:4)의 을 bwj-yk rwah-ta ~yhla aryw  (창세1:4)의 을 .

\ X \\ ։ - ⌃ - ^ \  ⌃ 바야르ㅇ 엘로힘 에트-하오르 키-토브  (창세1:4) 을 bAj-yKi rAah'-ta, ~yhil{a/ ar>Y:w:

2. tae `lyIx'-yven>a; hL,ae-lK'-ta, hL,ae-lK'-ta, 에트 콜 엘레ㅎ처럼 단어들이 연결되어 있으면 한 단어로 취급 한다. 히브리어 단어들 사이에도 우리말 석간역을 넣었다. (사사20:44)

ㅏ - / ① A.용사 `lyIx'- 의.사람들 yven>a; 에트 콜 엘레ㅎ 이(들) hL,ae- 모든 lK'- 이 ta,

ㅓ ⌃ ╺ \ 안 쐬-하일

B.에트 콜 엘레ㅎ 안쐬이-하일 “이-모든 용사들이”(사사20:44). `lyIx'-yven>a; hL,ae-lK'-ta,

ㅏ - / C. ㄱ 이-모든...이 에트 콜 엘레ㅎ hL,ae-lK'-ta,

ㅓ ⌃ ╺ \ ㄴ 용사들 안 쐬-하일 `lyIx'-yven>a;

D. [ㄱ]: hL,ae-lK'-ta, 에트 콜 엘레ㅎ에서 -ta, 에트가 주격으로 사용되었기 때 문에 -ta를 “...이”라 옮긴 것이다.

[ㄴ]: yven>a; 안쐬이 "...의 사람들“ = ”의.사람들“은 복수형 변형이다. ~yvin"a]

- 284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아나쓈 명사 복수형 nm "사람들“, 또한 ~yviyai 이쓈 복수형 nm "사람들“ (시편141:4)은 3회 나온다. vyai 이씌 nm "사람”은 남자란 뜻 보다는 동물에 반대 된다는 뜻으로 일반적인 사람,이란 의미다. 또한 변형으로 (창세25:27)에 사용되었 다. 소유격을 나타내는 "...의 사람들“은, 지면상, 석간역에서는 ”의.사람들“로 표기 한다. 그리고 ~d'a' 아담은 "인간 man, homo"를 뜻한다(JM§99b) lyIx' 하일 “용사” [“하일(비번)”에는 “힘”이 난다].

ㅓ ^ ╺ \ ㅏ - / ^ ^ `lyIx'-yven>a; 안 쐬 -하일, hL,ae-lK'-ta, 에트 콜 엘레ㅎ, ~yviyai 이 쓈 , ~yvin"a]

։ - ^ 아나 쓈 .

. (사사20:44)  (사사20:44)의 을 `lyx-yvna hla-lk-ta  (사사20:44)의 을 .

ㅏ - / ㅓ ^ ╺ \ 에트 콜 엘레ㅎ 안 쐬 -하일.  (사사20:44) 을 `lyIx'-yven>a; hL,ae-lK'-ta,

② (그의 도망가는 자들 Axr'b.mi- 모든 lK' 은 taew>) 버에트 콜 Axr'b.mi-lK' taew> 미브라호 “그의 모든 망명자들은”(에겔17:21). Axr'b.mi-lK' taew> 버에트 콜 미 브라호에서 -ta,가 주격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tae를 “...은”라 옮긴다. xr'b.mi 미

브라흐 nm "망명자“(BDB550). xr;B' 바라흐 ”도망가다“(BDB137), [”바라ㄱ을“ 하고 ”도망간다“].

- 285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 ∾ ׃ ㅏ Axr'b.mi-lK' 콜-미브라호 taew> 버에트.

③ A. 한 글자 역 Interlinear,

^ ⌃ - ׃ \\ - 로ㅇ 않았다 al{... 버에트 멀라헤누 (그러나) 우리의 왕들-은 Wnykel'm.-ta,w>

 ∾ ╺ )) ^ 토라테하 당신의 율법을 ^t,r'AT 아쑤 따르지 Wf[' B. 한역,

버에트 멀라헤누 로ㅇ 아쑤 토라테하 ^t,r'AT Wf[' al{...Wnykel'm.-ta,w> “「우리의-왕들은 당신의-율법을 실천하지 않았다.”(느헤9:34)

C. 말마디 나누기

ㄱ 우리의 왕들은 버에트 멀라헤누 Wnykel'm.-ta,w> ㄴ 실천하지 않았다 로ㅇ 아쑤 Wf[' al {ㄷ 당신의-율법을 토라테하 ^t,r'AT

D. 단어 설명

[ㄱ] Wnykel'm.-ta,w> 버.에트-멀라헤이누는 단어 하나다. Wnykel'm.-ta,w> 버.에트-멀라

헤이누에서 ta,가 주격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JM§125j) -ta,를 “...은”이라 옮긴

다. Wnykel'm. 멀라헤이누 = Wny e 명사모접어(13나) “우리들” + ykel.m; 말헤이 nmw "...의 왕들“ = "우리의 왕들”이다. %l,m, 멜레흐 nm “왕”, ~ykil'm. 멀라힘 nm “왕 들”.

⌃ - ׃ ׃ ^ ⌃ - ׃ \\ Wnykel'm.-ta,w> 버에트-멀라헤누, %l,m, 멜레흐, ~ykil'm. 멀라힘.

- 286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ㄴ] Wf[' A5G "그들이 행동화 했다, 행했다, 실천했다“. hf'[' 아싸 ”행하다, 실천하다, 만들다“.

. (느헤9:34)  (느헤9:34)의 을 $trwt wf[ al{...wnyklm-taw  (느헤9:34)의 을 .

╺ ∾  ^ (( - ^ ⌃ - ׃ \\ 버에트 멀라헤누 로ㅇ 아쑤 토라테하.  (느헤9:34) 을 ^t,r'AT Wf[' al{...Wnykel'm.-ta,w>

4서 기호 “>”나 “<”는 모음이 ...으로부터 ...으로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기호다. 기호의 방향을 보고 어느 단어에서 어느 단어로 변화하는 것을 찾아야 한다. 히브 리어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써 가기 때문에, 히브리어의 모음변화가 한글의 흐름

과는 거슬러서 읽어가야 할 때가 많을 것이다: ymiv. 쎠미 < y I+~ve 쐼 (4아). 명 사나 동사의 모음은 규칙에 따라서 변하게 된다. 그러나 종종 기대되는 모음이 오 지 않고 다른 모음이 놓여 있어서 당황할 때가 자주 있다. 이는 어절억양의 영향을 입어 모음이 변했기 때문이다. 이럴 때엔 어절억양으로 다시 돌아 와서 모음이 변 하게 된 이유를 찾아야 할 것이다. 을 소개한 다. 1. (4셔) 폐음절이 강세를 상실하게 되는 경우에 나타난다.

① 모음변화시 (4셔1)

dy" 야드 > hwhy-dy: 야드-여ㅎ바 ”여바님의-손”: dy" 야드가 연결선(qPem;)으로 이어지자, dy" 야드에 있던 강세가 연결선으로 이어진 단어 hwhy 여ㅎ바로 넘어간 다. 이때에 dy" 야드의 장아음이 아모음 그룹에 속하는 단모음 ; ㅏ로 축소해서

- 287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dy: 야드가 된 것이다. 즉, 같은 모음 그룹에 속한 단모음인 단아음(xT'P;)이 나타

나게 되었다. dy" 야드가 연결선으로 그 다음 단어에 이어지는 이유는 dy" 야드가 한 음절, 하나의 폐음절이기 때문이다. 된다.

\ \ \ hwhy-dy: 야드-ㅇㅎㅂㅎ,

② 모음변화시 인 (!j'q' #m;q")) (4셔2)

lKo 콜 > ~['h'-lK'' 콜-하암 ”백성-모두, 모든-백성”: lKo 콜은 한 음절, 하나의 폐음절 단어이기 때문에 연결선으로 다음 단어 ~['h' 하암에 이어져서, 한 단어로 발음되어 버린다. 이때에 lKo 콜이 한 단어로서 가지고 있던 강세는 자연히 ~['h' 하암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lKo 콜의 모음이 축소될 수밖에 없다. lKo 콜의 장오음이 속한 우모음 그룹 중에서 단오음(!j'q' #m;q"))으로 축소해서 lK'' 콜이 된 것이다. 역시 장오음이 속한 우모음 그룹에서 단모음인 단오음이 나타난 것이다. 모음 변화는 짧아지고 길어진다. 다른 모음 그룹 에 속한 모음을 빌려다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다시 언급한다.

ㅏ - )) ~['h'-lK'' 콜-하암.

③ 모음변화시 인 단이음(!j'q' qyrIyxi) (4셔3)

byEEaO 오예브 > ^b..yIao 오이브하 “너남의-원수”: byEEaO 오예브는 두 음절을 가 지고 있다: byEE/aO 오/예브. aO 오는 개음절인데, byEE 예브는 자음 b로 끝나기 때문에 폐음절이다. 이 폐음절 byEE 예브 다음에 인접어(남단2인칭) ^--. ㅓ하가 붙자, 이에

- 288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영향을 받아 폐음절 byEE 예브의 모음 장에음(yreyce 체이레이)이 축소한다. 장에음이 속한 이모음 그룹 중에서 단모음인 단이음(!j'q' qyrIyxi)이 사용되게 된다(=나타나 게 된 것이다). 이렇게 되어, 장에음(yreyce)을 가졌던 byEE 예브가 단이음이 온 b..yI 이 브로 축소한 것이다.

╺ - ∩ ^ ∩ ^ ╺ ׃ \ - ∾ - byEEaO 오예브. ^b..yIao 오이브하, yreyce 체 레. !j'q' qyrIyxi 히 리 크 카탄.

④ 한다: yrIp.si 씨프리 < y--i+rp,,se (4셔4)

rp,,se 쎄페르 > yrIp.si 씨프리 “나의-책”: rp,,se 쎄페르에 명사에 붙는 모접어 (13냐) 공단1인칭 y--i 이가 rp,,se 쎄페르에 붙자 상당한 모음변화가 일어나게 된 것이다. y--i 이는 모접어 공단 1인칭이면서 사실상 이모음 그룹에 속하는 전이음 (2구)이다. 보기 ③에서 byEEaO 오예브에 인접어(남단2인칭) ^--. ㅓ하가 붙을 때 에는 첫모음인 장오음(-a-o)은 변하질 않았다. 그러나 rp,,se 쎄페르에 전이음(lAdG" qyrIyxi 히리크 가돌)이 붙자, 첫모음인 장에음이 축소한 것이다. 이모음 그룹에서 단모음인 단이음(!j'q' qyrIyxi 히리크 카탄)이 첫 모음으로 사용되어 --si 씨가 된

것이다. 그리고 두모음 p, 페는 무성반어음으로 축소해서 p. 프가 되었다: yrIp.si

씨프리 < y--i+rp,,se. dy" 야드, lKo 콜, byEEao 오예브, rp,,see 쎄페르들은 모두 폐음 절들인데 강세가 상실되면서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단모음으로 축소하거나 모음의 원형이 다시 사용 된 예문들이다.

^ ׃ \ - rp,,se 쎄페르, yrIp.si 씨프리 .

2. (4소)

- 289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1). (lj;) (Alj') Alj'q. (4쇼)

lj;;q'' 카탈 > Alj'q. 커탈로 “그가-그를-죽였다.” [”Car" “탈”이나 “죽였다”]. td;AD 도다트 > ytid"AD 도다티 “나의-아주머니”(13머), lj;;q'' 카탈의 두자음에 붙 은 단아음 j; ㅏ가, 첫자음에 붙어 있는 장모음 q''나 AD를 따라서, 'ㅏ를 취하면서 장음화했다. 폐음절 lj; 탈에 남단 3인칭 A-가 붙으면서 l가 개음절 Al로 변하자, j가 장아음을 취하여 j'q. 커탈이 되었다.

^   ^ ╺ ׃ - lj;;q'' 카탈, Alj'q. 커탈로, td;AD 도다트, ytid"AD 도다티

2). vDeqi > %r::Be (4수) %r::Be 베라흐 C5E “그가 축복했다.” %r::Be 베라흐에는 두r자음으로 후자음 (the guttural letter)은 아니지만 겹자점(Dagesh Forte)을 찍을 수 없는 -r::-가 왔기 때문에 -r::-에 겹자점이 없다. 후자음이 오지 않았으면 vDeqi 키데씌의 -De-처 럼 두자음에 겹자점이 찍혀야 하며, 첫모음으로 qi처럼 단이음이 와야한다. 그러나 -r::-가 와서 겹자점을 찍지 못한데 대한 보상으로 첫자음의 모음 단이음(!j'q' qyrIyxi) --Bi가 장에음으로 길어져서 --Be가 되었다. %r::+[이]Be = [이] <45추> = 강과다. vDeqi 키데씌 C5E (25도) "그는 거룩하게 했다.“ vDe(겹)+[이]qi 모음 구 조가 와서, [이]+(겹)으로 모음방정식 <45추>에 속하기 때문에 강과(C5)로 식별 한다.

╺ - ∩ ^ ∸ ׃ \ ∸ %r::Be 베라흐, vDeqi 키데씌, !j'q' qyrIyxi 히 리 크 카탄.

- 290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3) a , w , y ac;;m'' > ac'm' (4슈) 약자음들 a , w , y가 단모음(c;;) 다음에서, 마지막(세) 자음에, 모음 없이, 놓이게 되면, ① 약자음 a 앞에 놓인 단모음 --;이 --'로 장모음화 한다: ac;;m'' 마차

ㅇ > ac'm' 마차ㅇ. ② 그리고 마지막(세) 자음에 놓인 약자음 a-는 약자음이라는 기능을 완전히 상실해 버린다(GKC§23a). ③ 그러면서 약자음 a-는 앞에 있는 모 음과 함께(a+--') 장모음(a--')을 만든다. ④ 이 장모음(a--')은 반드시 개음절이다 (GKC§27g).

- - - ac;;m'' 마 차ㅇ > ac'm' 마 차ㅇ.

4) 으로 장음화 한다 (4스) ① ( _) lj;q' > lj'_q' 'yIm;֫ > ~yIm'_ . #r,a, > #r,a'_ . 규칙적으로 단아음(xT'P;)이 장아음(bx'r~ #meq"))화 한다.

\ - \ \ - \ .yIm;֫ 마임, ~yIm'_ 마 임 . #r,a, 에레츠 > #r,a'_ 아 레츠~

② 도 있다 (4스1) 단아음(xT'P;) 다음의 자음을 강하게 발음하기 위해서 단아음을 장음화하지 않 는다. yTin>q:+z" 자칸티 “나는 늙었다”(창세27:2), d[;_ 아드 nm "약탈품“(창세49:27).

(약탈물로 `zB;( 성급하게 가는자 vx'î 노획물로 ll'Þv' 빠르게 rhEïm;). 이사야와 부인 여선지자 사이에서 출생한 아들 이름임. 마헤르 쏼랄 하씌 `zB;( vx'î ll'Þv' rhEïm; 바즈, “노획물로 빨리 가는자, 약탈물로 성급하게 가는 자”(이사8:3). 심지어 `zB;

- 291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바즈에는 절휴지표(4쳐)가 왔는데도 단아음이 보존, >④ E. `zb vx llv rhm

- ㅓ  / ╺ - - - \ yTin>q:+z" 자 칸티, `zB;( 바즈, vx'î 하씌, ll'Þv' 쏼랄 , rhEïm; 마헤르.

③ 에서 다시 회복한다 (4스2) 접미어가 붙으면서 단아음(-j;-/;-m;;-)이 반어음(-j.-/-m.-)으로 축소한다. 그러나 반절 휴지표(xn""t...a;;)가 오면 장아음(-j'_-/-m'(-)으로 다시 회복한다는 점이다. lj;q'

╺ - ׃ - 카탈 “살해하다” > hl'j.q' 카틀라 > hl'j_'q' 카탈라. [m;v. 쎠마ㅇ A15M “너남은 들으라“ > W[m.vi 쓈우 A15M A15M 너남들은 들어라!(4스2). > W[m'(v. 쎠마우 A15M .

∪ ㅓ ( ׃ ^ ╺ - ^ ׃ - - lj;q' 카탈, hl'j.q' 카틀라 , hl'j_'q' 카탈라 , [m;v. 쎠마ㅇ, W[m.vi 쓈우,

∪ ╺ ׃ W[m'(v. 쎠마우.

④ ( ) 가 오면 장음화 한다. (dq;>dq') dq;P' :dq'P'* (4스3) dq;P' 파카드 > :dq'P'* 파카드 [그가 “파ㄴ 카드”를 갖고 “방문했다”].

∸ ∸ - dq;P' 파카드, :dq'P'* 파카드.

⑤ ( ) 가 올 때 장에음(yreyce) 바꾸어지기도 함. laeb.j'( (4스4) 타브엘 (에라4:7) > `la;(b.j'( 타브알 (이사7:6). laeb.j'( nm 인명, 아람 사람,

- 292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 ׃ ╺ laeb.j'( 타브엘 , `la;(b.j'( 타브알,

⑥ 에 장음화 한다. (4스5) yhiy> > yhiy<֫ , ynIa] > ynIa'֫ , ^r>b"(D> 더바르하 “당신의 말” > ^r,b"D> 더바레하

< - \\ ╺ < - \ ╺ ^r>b"(D> 더바 르하, ^r,b'D> 더바 레하.

⑦ ( ) 가 오면 단오음(!j'q' #m;q"))(tm'-)이 (`tmo)-) (4스6)

화 한다. tm'Y"ßw: > `tmo)Y"w: 바야모트 “그는 죽었다”.

\ ⏆ - `tmo)Y"w: 바야모트

⑧ ( ) 가 오면 (-Le-)이 (-L");-)화 한다. (4스7)

%Leh;t.yI 이트할레흐 > `%L")h;t.yI 이트할라흐 “그가 걸어간다”(욥기18:8).

׃ ∸ ׃ \ ׃ - ׃ \ %Leh;t.yI 이트할레흐, `%L")h;t.yI 이트할라흐.

⑨ ( ) 가 오면 탈락(Atß-)되었던 y가 앞의 모음과 함께 다시(`Wyt('-) (4스8)

나타난다: Atßa] 아토 페알(peal)동사 5E 그들이 왔다. `Wyt'(ae 에타유 A15M “너남 들은 오라!”(이사21:12)에서는 t'(에 절휴지표가 와서 (`Wyt('-)처럼 탈락되었던 y 가 앞의 모음 t'(와 함께 다시 나타났다. ht'a' 아타 “오다” (오직 시어로),

- 293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 - ∩ Atßa] 아토, `Wyt'(ae 에 타 유.

⑩ (4스9)

#r,a, 에레츠 ‘땅’ > #r,a'h' 하아레츠 ‘그 땅’, rh; 하르 ‘산’ > rh'h' 하하르

‘그 산’, ~[; 암 ‘백성’ > ~['h' 하암 ‘그 백성’, rP; 파르 “황소” > rP'h; 하파르 ‘그 황소’. a, 에가 a'h' 하아로, h; 하가 h'h' 하하로, [; 아가 ['h' 하아로, P; 파 가 P'h; 하파로 길어졌다.

\ - - \ ) - )) / \ rh; 하르, rh'h' 하하르, ~[; 암, ~['h' 하암, rP; 파르.

3. (4시) 1) (~ve) (ymi-) (4아)

(-iv.) ~ve > ymiv.

~ve 쐼 “이름”> ymiv. 쎠미 “나의 이름”, tAmve 쐬모트 “이름들“ > ~t''Amv. 쎠

모탐 “그남들의 이름들”. ymiv. < y I+~ve 즉, ~vee에 접미어 y I이가 붙자 장에음 ve 쐬가 반어음 v. 쎠로 변하면서 ymiv. 쎠미가 되었다. 또한 이때에 강세가 ~ve에서 ymi-로 옮겼다.

- ^ ׃ ^ - ^ ׃ - ~ve 쐼 , ymiv. 쎠미 , tAmve 쐬 모 트 , ~t''Amv. 쎠모탐 .

2) (10거) 반어음화 rb''D" > rb;D>> (4야)

rb''D" 다바르 “말씀” > rb;D>> 더바르 “...의 말씀”, rb;D>> 더바르가 명사구 변형 (w)이다. 강세가 -D"에서 rb;-로 옮겨 가면서 장아음 -D" 다가 -D>> 더로 반어음

- 294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aw"v.)으로 축소했다. hq'd''c.. 처다카 “의” > tq;d.ci 치드카트 “...의의“, tq;d.ci 치드 카트가 명사구 변형이다.

׃ ⌃ - ׃ hq'd''c.. 처다 카, tq;d.ci 치드카트.

3) rb''D"" >~yrIb''D>>(4어)

rb''D"" 다바르 “말씀” > ~yrIb''D>> 더바림 “말씀들”. rb''D"" 다바르에 복수형 접미어 ~y-i가 붙자 첫모음 D""가 --D>>로 반어음으로 변하여 ~yrIb''D>> 더바림이 되었다. [“말씀

들”을 “더바람”은 좋지만]. lAdG" 가돌 nm ”위대한“ > hl'AdG> 거돌라 nf ”위대한“, lAdG" 가돌은 남성 형용사다. [“위대한“가 돌”을 들어 보여라].

∸ - \ - ∩ ∸ ^ < ⌃ ^ rb''D"" 다 바 르, ~yrIb''D>> 더바 림 , lAdG" 가 돌, hl'AdG> 거돌라 .

4) (-j;-), (-l,-), (-j-oo ) (4여)

lj;;q'' > hl'j.q'' ① 단아음(xT'P;)(-j;-) -j.-

lj;;q'' 카탈 ”죽이다“ > hl'j.q'' 카틀라 A5F ”그녀가 죽였다“: lj;;q'' 카탈엔 두 모음으로 단아음(xT'P;)이 온 동사다. h--'과접어(과거 동사에 붙는 접미어 여단3인 칭, 16교) “그녀”가 lj;;q'' 카탈에 붙자, 단아음 -j;-가 반어음 -j.- "트“로 축소한다.

그래서 hl'j.q'' 카틀라가 되었다. lj;;q'' 카탈 [”Car" “탈”이나 “죽였다”].

^ ׃ - - lj;;q'' 카탈, hl'j.q'' 카틀라 .

- 295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② (-l,-) -l.-

”나의 왕“ 말키 yKil.m;; < y--i+%l,,m,, 멜레흐 ”왕”: %l,,m,, 멜레흐에 인접어(=모 접어 공단, 13냐) y--i가 붙자, 두모음 -l,,- 레는 무성반어음으로 축소해서 -l.-가 되 고, 첫 모음에는 본디 모음인 단아음(xT'P;) (--m;;)가 다시 나타나 yKil.m;; 말키가 되 었다(JM§96Ac).

׃ ㅓ  yKil.m;; 말키 , %l,,m,, 멜레흐.

③ (-j-o ) ( -j.-

׃ ╺ ljoq.yI 이크톨 A10E ”그가 죽일 것이다.” > Wlj.q.yI 이크털루 A10E ”그남들이 죽일 것이다”, 인접어가 붙을 때, 두모음의 장오음(jO)이 반어음(j.)으로 축소해서 Wlj.q.yI 이크털루가 되었다.

^ ׃ ׃ \ ╺ ׃ \ ljoq.yI 이크톨, Wlj.q.yI 이크털루.

5) 반어음화 (4오) ① 가벼운 인접어가 오면(=붙으면), 명사변형이 사용된다. rb''D' 다바르의 명사변형은 첫 모음으로 반어음이 온 rb;D> 더바르 nmw다. 가 벼운 인접어가 붙을 때에는 명사변형 rb;D> 더바르를 사용한다. ~yrIb''D> 더바림 “말

씀들” [“말씀들”을 “더바람”은 좋지만]. yrIb''D> 더바리 “나의 말씀”. rb''D' 다바르 nm “말씀”, rb;D> 더바르 nmw “...의 말씀”.

- 296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 - ∩ ∸ - \ < - ^ rb;D> 더바르, yrIb''D> 더 바 리 , rb''D' 다 바 르, ~yrIb''D> 더 바 림 .

׃ ② 무거운 인접어(13구)들이 오면 yreb..DI 디브레를 사용한다. 무거운 인접어가(~k,-, ~h,-(16교)) 붙을 때는 yreb..DI 디브레를 사용한다. ~h,,yreb..DI 디브레헴 “그들의 말씀들”. yreb..DI 디브레이에서 DI 디가 온 것은 겹성자음(DI)과 반 어음(b.) 사이에 일어나는 마찰음 때문에 단이음(!j'q' qyrIyxi)이 왔다(JM§96Bb).

∩ ׃ / ∩ ׃ / yreb..DI 디브레 , ~h,,yreb..DI 디브레 헴.

rt''y""/b.a, , vx'K,, , h[,p.a, 1) , 첫모음으로 단에음이 옴 (4우) ① 고유명사의 첫음절에 단에음(lAgs,)이 온다: rt''y""/b.a, 에브/야타르 “에브야타 르”.

\ - ∾ ׃ rt''y""b.a, 에브야타 르.

② 첫음절이 폐음절인 단어에 단에음이 온다: ~k,,/d>y< 예드/헴 “너남들의 손”, -b.a, 에브나 -d>y< 예드는 첫음절이 폐음절이기 때문에 단에음(lAgs,) -y<가 왔다. h[,p.a, 에프에ㅎ nm “뱀, 독사”.

( ׃ ׃ \ ~k,,d>y< 예드헴, h[,p.a, 에프에ㅎ .

2) x| 호가 x' 는 ,이 옴 hx'P,(4유)

- 297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① 장아음(bx'r' #meq"))을 취한 x' 하 앞 음절에 단에음이 온다: wyx'a, 에하ㅇ브

"그의 형제들", vx'K,, 케하씌 “거짓”, hx'P, 폐하 “도지사” 등이다. [“폐하”께서 “도지

사”로 좌천했다]. ~yrIh'h, 헤.하림 “그 산들”.

╺ \ \ / ╺ / ^ - ∩ wyx'a, 에하ㅇ브, vx'K,, 케하씌, hx'P, 폐하 . ~yrIh'h, 헤하림 .

② 반오음(#m;q' aw"v.)을 취한 x| 호 앞 음절에 단에음(--h,)이 온다: ~yvid'x|h, 헤.호다쓈 “그 달들”,

։ - ^ ~yvid'x|h, 헤호다 쓈 .

3) h--'가 h--,로 `hf,[/a, (4으) `hf,[/a, hm' 마 에에쎄ㅎ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사상28:15). hf,[/a,

A10A "내가 할 것이다“, hv'[' 아싸 “행하다, 만들다” [“아싸”리 “그가 행했다”]. 동 사 hv'[' 아싸에 접두어가 붙으면 hv'- 싸가 hv,- 쎄로 축소하고, 접두음으로는 단 에음이 와서, `hf,[/a, 에에쎄ㅎ가 되었다.

^ ⊃ )) ^ `hf,[/a, hm' 마 에에쎄ㅎ, hv'[' 아싸 .

5. varoh'' (4이) ① 정관사 --h; 하가 약자음 a에 붙으면 --h' 하로 길어진다. ba''h' 약자음 a나 r 앞에서 단아음은 언제나 장아음(bx'r' #meq"))으로 길어진다. 약

- 298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자음 a 앞에 온 정관사의 모음 단아음(xT'P;) --h; 하가 장아음 --h' 하로 길어진 경우가 이에 속한다: ba''h' 하아브 “그 아버지”,

- - ba''h' 하아 브.

② 정관사 --h; 하가 r에 붙으면 --h' 하로 길어진다. varoh' varoh' 하로ㅇ씌 “그 머리”. 그러나 예외도 있다. 정관사가 r 앞에서 장아음이 아닌 단에음(lAgs,)을 취했다: hr"h, 헤라 “그 산을 향해서”.

- ∾ ∩ varoh' 하로ㅇ씌, hr"h, 헤라.

6. (4자)

1) 완전히 닫힌 폐음절 단이음화 Dm; > ADmi (4쟈)

① ADmi = Ad/d>mi이다. 완전폐음절이기 때문에 Dm; > ADmi dm; 마드 “옷, 치수”는 완전폐음절이다. 이처럼 강세가 없는 완전폐음절인 단

어가 인접어를 취하면, 본디 모음 단아음(xT'P;) m; 마가 단이음(!j'q' qyrIyxi)으로 축소해서 ADmi 미도 “그의 옷”(사하20:8)이 된다.

 dm; 마드, ADmi 미도.

② --d>l;- = 완전폐음절, -d>l;- > i-d>li- yTid>l;y" 얄라드티 "내가 낳았다“(룻기1:12)는 동사가 목적어를 취할 때 모음변

- 299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화가 일어난다. --y" 야는 개음절이다. --d>l; 라드는 완전 폐음절이다. 그런데 목접 어가 붙으면 완전 폐음절 --d>l; 라드의 단아음(xT'P;)은 단이음(!j'q' qyrIyxi)으로 축소해서 d>lI 리드가 되었다. 따라서 `^yTid>liy> 열리드티하 “내가 너를 낳았다” (시편2:7)가 됐다.

╺  ׃ :  ׃ ∾ yTid>l;y" 얄라드티 , `^yTid>liy> 열리드티하.

2) -m.DI 단이음화 (4저) ① ~D" 담 “피” > ~k,m.DI 디머헴 “너남들의 피”(창세9:5), ~k,m.DI 디머헴에서 -m.- 는 중용음절이다. 음절이 완전폐음절이 아니고 어느 정도 열려있기 때문에 겹성자 음인 -k,-에 강점이 찍히지 않았다. 따라서 딤헴이 아니고 “디머헴”이라 읽는다. 이 렇게 장아음(bx'r' #meq"))이 변할 때에 겹성자음이 중용음절을 만들면 첫 모음으로 DI 디처럼 단이음(!j'q' qyrIyxi)을 취한다.I

׃ / ∸ ~D" 담 , ~k,m.DI 디머헴.

② dg vd,qo-ydeg>bi 비거데-코데씌 “거룩한 옷들”(출

에28:2) [“거룩”한 곳에 “코를데씌?”].. ydeg>bi 비거데를 분해하면 yde-는 겹성자음인데 도 강점(Dagash Lene)이 찍히지 않았다. 이유는 첫음절 -g>bi가 중용음절로 읽혀졌

기 때문이다. 이렇게 중용음절을 만드는 겹성자음은 -g>bi처럼 단이음을 취한다. [새 “옷”이 “베게드”라고].

- 300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 - dgbi 비거데 -코데씌.

7. --/ > --] tm,a/ > `ATmia] (4져) 반어음(aw"v.) 중에서 --]가 --/보다 짧고 가볍다. 따라서 --/가 --]로 변하게 된다.

`~Ada/ 에돔 > ~ymiAda] 아도밈 “에돔 사람들”(역하25:14). tm,a/ 에메트 nf “진리”

> `ATmia] 아미토 “그의 진리”. `ATmia] 아미토가 나오는 문장을 읽어보라.

։ ^ ։ ^ ^ ։ ։  `~Ada/ 에돔, ~ymiAda] 아도밈 , tm,a/ 에메트, `ATmia] 아미토. (시편91:4)

։  \\ - - ∩  A. 그의 진리 아미토 `ATmia] 방패와 버쏘헤라 hr'xesow> 전신방패(라) 치나 hN"ci

B. 치나 버.쏘헤라 아미토 “그의 진리, {방패와 전신방패라}71 `ATmia] hr'xesow> hN"ci ”(시편91:4). 인접어를 취하는 tm,a/ “에“메트가 > `ATmia] “아“미토로 변했다. hN"ci

치나 nf “전신방패“, [“전신방패”로 “치나”]. hr'xeso 쏘헤라 nf "방패". rx;s' 싸하르 “돌아다니다” [“싸하르” 사막을 “돌아다닌다”]. 을 알면 자음자에 모음을 붙일 때 에 큰 도움이 된다.

։  \\ - ╺ ∩  `ATmia] 아미토, hr'xesow> 버쏘헤라, hN"ci 치나.

절휴지표 -- 를 정지선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절휴지표는 언제나 ` --와 함께 사용된다. 절휴지표 -- qWlsi 씰루크가 있는 단어에서는 읽 는 속도가 떨어지면서 장모음화가 일어난다: `^yxia' 아히하 “너의 형제”(창세

- 301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22:20). 반절 휴지표(xn""t...a;; 아트나흐)가 있는 곳에서는 읽기를 멈추었다가 다시 읽기 시작한다, 반절 휴지표는 쎄미콜론과 같다. 마침표 `--가 있는 단어에서 한 절 이 끝난다. 마침표는 종지부와 같다.

- ׃ ╺ ^ - ^ qWlsi 씰루크, `^yxia' 아히 하 , xn""t...a;; 아트나 흐,

1. 4죠 아래 억양들은 모음이 장음화하는 주요 억양들이며, 5가족의 중심 억양들이다. -- qWls 씰루크 “ ”, > (4쳐)를 참고하라 ---_ xn""t...a;; 아트나흐 “ ”, > (4초) (aT'l..Ags.. 써골러타ㅇ “ ”, > (4쵸 ־

( !Ajq'' @qez" 자케프 카톤 “ ” (4츠־ ( ax'p..ji 티프하ㅇ " 표“ (4치־־ -- [;ybir>> 러비아 “ ”, > (4캬) -- aj''v..P;; 파씌타ㅇ “ “, > (4켜) -- vr,,G,, 게레씌 “ ”, > (4큐) ( rzEEP'' 파제르 “ ” 등이다. > (4키־־

╺ ׃ ⌃ - - - ∸ ∂ ׃ aT'l..Ags.. 써골타ㅇ, !Ajq'' @qeez" 자 케 프 카톤, ax'p..ji 티프하ㅇ,

\ - ∸ \ / ╺ ׃ / ( ^ \\ [;ybir>> 러비 아, aj''v..P;; 파씌타ㅇ, vr,,G,, 게레씌, rzEEP'' 파제 르.

2. dq;P' 파카드 > : dq'P'* (4주) 문장의 마지막 단어가 절 휴지표(qWlsi 씰루크)를 동반하거나 반절 휴지표

- 302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xn""t...a;; 아트나흐)를 동반한 단어의 단아음은 장아음으로 길어진다. dq;P' 파카드 >

: dq'P'* 파카드 [그가 “파ㄴ 카드”를 갖고 “방문했다”]. T.a; 아트 '너녀‘> :

T.a''* 아트, ~yIm;; 마임 > ~yIm_' 마임.

∸ < - < \ - \ ∸ - .dq;P' 파카드, T.a; 아트, T.a''* 아 트, ~yIm;֫ 마임, ~yIm'_ 마 임, :dq'P'* 파카드

3. 명사의 @l,a, > `@l,a'* (4쥬) 문장의 마지막 단어로 사용된 겹단에음 명사(4나)가 절 휴지표(qWlsi 씰루크) 를 동반하게 될 때에는, 첫음절의 단에음(lAgs, 쎄골)이 휴지상태에서 장아음으로 길어진다.

① @l,a, 엘레프 “1,000”(민수1:43) > `@l,a'* 알레프 “1,000”(민수3:39),

② %r,D,B; 바.데레흐 “그 길에서”(창세24:27) > `%r

/ \ ③ `br,Q,h; 하.케레브 (레위9:14) > `br,Q<)h; 하케레브 “그 속, 그 내장”(레위3:3). `br,Q<)h; 하.케레브에서 절휴지표가 왔는데도 -Q*,-아래 단에음이 장아음으로 길 어지지 않고 남아 있는 이유는 두자음 -r,-가 강세를 받기 때문이다(GKC§16f). 보 기 하나를 더 들어 보면,

④ `WNb,*Q\yI hw"hy> yPi 피 여ㅎ바 이코베누 “여바님의 입이 그것을 명명하실 것이 다”(이사62:2)에서도 -b,-아래 단에음(lAgs,)이 남아 있다. `WNb,*Q\yI 이코베누 A10Ee, bq;n" 나카브 “꿰찌르다, 꿰뚫다, 관통하다.”

- 303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 \ ∸ / ׃ \ / / - @l,a, 엘레프, `@l,a'* 알 레프, %r,D,B; 바데레흐, `%r

- \ <  bq;n" 나카브, `WNb,*Q\yI 이코베누.

(s,(Ws (4즈^׃< 의 ^s.Ws .4 문장의 마지막 단어가 절 휴지표(qWlsi)를 동반할 때, 그 단어에 반어음이 있 으면, 그 반어음은 휴지상태에서 단모음이나 장모음으로 길어진다.

.s,(Ws 쑤쎄하^׃ < s.Ws 쑤써하^

╺ ⌃ ╺ ׃ ⌃ s,(Ws 쑤쎄하^׃ < s.Ws 쑤써하^

5. ^l. > `%l(' , ^B. > `%B''''( (4지) 절 휴지표(qWlsi)가 오면 ^l. 러하와 ^B.. 버하는 여성형 %l'( 라흐와 %B''''( 바 흐로 변한다.

 \\ - ׃ - ① (라 흐 너남에게 `%l' 아 마르티 내가 말했다 yTir>m;a') 아마르티 라흐 “내가 너남에게 말했다”(왕하4:24) `%l'( yTir>m;a'

^ ^ (( ׃ - ② (라 흐 너남에게 `%l'( 아씨 티 내가 행했느냐 ytiyfi['- 메ㅎ 무엇을? hm,) 메ㅎ-아씨티 라흐 “내가 너남에게 무엇을 행했느냐?"(왕상19:20). `%l'( ytiyfi['-hm,

⌃ \\ - ㅓ ׃ ∸ ③ (바흐 너녀를 `%B'- 임쏼 다스릴 것이다 lv'm.yI 버후ㅇ (그리고) 그가 aWhw>) 버후ㅇ 임쏼-바흐 “그가 너녀를 다스릴 것이다”(창세3:16). `%B('-lv'm.yI aWhw>

- 304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 ^ (( ׃ -  \\ - `%l'( yTir>m;a' 아 마르티 라 흐, `%l'( ytiyfi['-hm, 메ㅎ-아씨 티 라 흐,

׃ ∸ - ㅓ ⌃ \\ `%B('-lv'm.yI aWhw> 버후ㅇ 임쏼 -바흐.

4-8 어절억양은 매우 중요하다. 히브리어 문장은 히브리어 문법과 구문론과 어절 억양을 사용해서 번역한다. 어절억양이 없이는 많은 경우에 오역을 낳을 수밖에 없 다. 문장의 단락, 문맥, 단어들의 연결, 문장의 시작과 끝이 모두 어절억양으로 표 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어절억양은 전통주의-학자들Masoretes이, 히브리어 문장의 맥락을 어떻게 보 았던가에 대한 매우 중요한 재료를 제공해 준다. 성서 히브리어는 조사가 발달되지 않은 언어이기 때문에, 어절억양이 없이 문법과 구문론만 가지고는 도저히 해석할 수 없는 난해구절들이 많다. 어절억양은 히브리어 성서 번역을 많이 도와준다. masora = 전해진 바(CJJ17).

중요하면서도 많이 사용되는 어절억양에는 한글로 이름을 붙여 두었다. 한글 로 붙여 놓은 이름은 히브리어의 뜻을 따라 옮긴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어절억양 이 찍힌 위치와 그 기능의 성격을 따라서, 어절억양의 이름을 붙였다. 어절억양을 공부하면서 관심을 기울일 곳은, 어절억양이 분리 억양인지, 연결 억양인지, 자음위 에 찍히는지, 아래에 찍히는지, 첫자음 위에 찍히는지 세자음 위에 찍히는지, 억양 이 찍히는 위치와, 억양의 모양들이다. 또한 시서, 잠언, 욥기서 등에 나오는 억양 인지 일반 책들에서 사용되는 억양인지 구별해서 익혀야 한다. 어절억양들 중에서 더러는 그 뜻이 전해진 바가 없어서, 어절억양의 용도를 모르는 경우들도 있다. 지 금까지 알려진 억양만 잘 이해해도 번역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어절억양 히브리 어 이름 끝은 주로 ax'p.ji처럼 a--'로 끝난다 .

어절억양을 히브리 단어에 찍는 위치는 3가지가 있다. 단어가 시작할 때에 찍 는 억양들을 , 단어가 끝나고 나서 찍는 억양들을 , 강세가 온 음절에 찍는 억양들을, 강세와 함게 타고 간다는 뜻에서 impositive이라 칭한다(JM§15f).

- 305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1. 히브리어 구약성경에 (GKC§15fn1)

1) 절 휴지표(4쳐), 반절 휴지표(4초), 제2 반절표(4치), 강한 쌍점 분 리표(4츄), 위엣 분리표(4켜) 들이다.

2) 고리 분리표(4커), 삼각점 분리표(4쵸), 다이아 분리표(4캬), 막대 분리표(4터), 점빗금 분리표(4쿠) 들이다.

3) 막대체인 분리표(4추), 갈림 분리표(4키), 뿔 분리표(4타), 빗금 분 리표(4큐) 들이다.

는 무슨 뜻인가? 이(+)는 제2 반절표(---) 보다 앞(--״-- / -- /- + ----)

에 올 수 있는 선억양들을 표기한 것이다. /는 혹은 이란 뜻으로 사용되었다. 제2 반절표(---) 앞에는 선억양으로(...보다 앞선 억양이란 뜻임) 점빗금 분리표나

가(-״-- )), 혹은(/) 빗금 분리표( -- ) 또는(/) 쌍빗금 분리표-- )

는 뜻이다. 이 4 개의 억양들이 식구들이다(4됵).

1) ~ykil'm.. (4처) 기억할 때에 “ , 씰루크 qWlsi -- (4쳐)”라고 한 줄로 암기해라. ① ( -- + ---) , 씰루크 qWlsi -- (4쳐) ( -- + ---)는? 절 휴지표( -- ) 앞에는 제2 반절표(---)가 올

- 306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수 있다는 뜻이다. `AT*l.v;m.m,-lk'b.W 우버홀-멤쏼토 (이사39:2): -- ׃ qWlsi 씰루크는 절의 마지막 단어 강세음절에(`AT*--) 붙으며, 반드시 qWsP' @As 가 따라오며 한 절이 끝난다. (-- ) qWlsi 씰루크 가 붙는i 단어는 이 절의 마지막 단어이므로 억양을 내리고 읽기를 멈추라는 뜻이 다. 절 휴지표 앞에는 선억양으로 제2 반절표(ax'p..j) --- ax'p.ji 티프하ㅇ가 올 수 있다. `AT*l.v;m.m,-lk'b.W 우버홀-멤쏼토 "& 그 분의 모든 지배권 안에“(이사39:2)

`AT*l.v;m.m, 멤쏼토 nfw(E), hl'v'm.m,, 멤쏼라 nf “지배(권)”.

⌃ ∸ - ㅓ ㅓ  ׃ ^ ⌃ - ׃ ~ykil'm.. 멀라힘, `AT*l.v;m.m,-lk'b.W ㅜ버홀-멤쏼토. qWsP' @As 쏘프 파쑤크,

^ - ㅓ ╺ ׃ ax'p.ji 티프하ㅇ. hl'v'm.m, 멤쏼 라 .

② (---_ + ---) , 아트나흐 xn"t.a; --_ (4초) (---_ + ---)는? (---_) 앞에는 선억양으로 제2 반절표(ax'p..j)

--- ax'p.ji 티프하ㅇ가 올 수 있다는 뜻이다. ~yh+l{a/. (창세1:1) 엘로 힘 또는 wyt'_roc.ao)B. 버오츠로타ㅇ브 (이사39:2)에 --_ xn"t.a; 아트나흐 가 붙었다.

반절 휴지표(---_)는 내용상으로 한 절을 상반절과 하반절로 나눈다. 대비기 호 ⌃가 위쪽으로 향해 있으며 모음 왼편에 찍힌다. 반절 휴지표(---_)가 붙은 wyt'_roc.ao)B. 버오츠로타ㅇ브까지가 상반절이다. 그리고 wyt'_roc.ao)B. 버오츠로타ㅇ브 이 하 단어들이 하반절이 된다. wyt'_roc.ao)B. 버오츠로타ㅇ브 nmw(E) "그의 보배함들

안에 (있는)“, rc'Aa 오차르 n ”보배, 보배함, 금고“, [”오! 차르“ㄹ ”금고“에 넣는다].

- 307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 \ \ - ∾ ׃ - > - ׃ xn"t.a; 아트나 흐 , wyt'_roc.ao)B. 버오츠로타ㅇ브, rc'Aa 오차르.

(삼각점 분리표, 써골러타ㅇ aT'l.Ags.  (4쵸 (־־ +  ) ③

־는? ( ) 앞에는 선억양으로 (־־ +  ) aK'r.z: 자르카ㅇ가 드물긴 하지만 올 수 있다는 뜻이다.  ־

aT'l.Ags. 써골타ㅇ는 점 세 개로 이루어졌으며 세자음 윗 쪽 왼편에 찍힌다. WhY"qiz>xi 히즈키야후 (이사39:2), 히즈키야후(인명).

⌃ ⏆ ׃ ∸ \\ ∸ ∂ ׃ aT'l.Ags. 써골타ㅇ, aK'r.z: 자르카ㅇ, WhY"qiz>xi 히즈키야후.

( (4추 ׀ ;;쏼쐴레트 tl,,v,,l..v , ④

;;막대체인 분리표 tl,,v,,l..v ׀ ŸHm;h.m;t.YIw:¥ 바이트마ㅎ마흐 (창세19:16)에는 이 따라온다. 내림선은 가름선(4됴)하고 모양이 같 ׀ 쏼쐴레트가 왔다. 언제나 내림선 아서 혼동하기 쉽다. 내림선은 반드시 체인 분리표 다음에 놓인다. 또한 삼각점 분리 표 대신으로 7회나 사용 되었는데 이때에는 반드시 문장의 첫 단어 위에 놓인다. 막 대체인 분리표 앞에는 선억양이 온다는 지시가 없는 점도 유의해야 할 것이다. Ÿ Hm;h.m;t.YIw:¥ 바이트마ㅎ마흐 S6E, “그는 머뭇거렸다”(창세19:16) Hh;m' 마하흐 “주저 하다, 지체하다”.

/ - / ׃ ׃ ㅓ \ X tl,,v,,l..v;; 쏼쐴레트, ŸHm;h.m;t.YIw:¥ 바이트마흐마흐, Hh;m' 마 하흐.

. 머리말을 보고 S6E를 풀어보라: 히트팔펠동사 시미과거 남단3인칭이다.

- 308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⑤ (-- + --) , 자케프 가돌 lAdG"" @qeez"" -- (4츄)

(-- + --)는? (--) lAdG"" @qeez"" 자케프 가돌 앞에는 선 억양으로 위엣 분리표 -- aj'v.P; 파씌타ㅇ 가 올 수 있다는 뜻이다. lyDI§b.h;l. 러하브딜 (창세1:14)에는 -- lAdG"" @qeez"" 자케프 가돌 이 붙었다. 앞에 나온 억양이 연결 억양이 아니면, 쌍점 분리표 대신에 강한 쌍점 분 리표를 사용한다. lyDI§b.h;l. 러하브딜 (창세1:14) F9, "가르도록“, ld;B' 바달 “나누 다, 가르다” [여ㅎ바님은 “바달” “가른다”].

∸  ׃ ׃ ╺ ׃ / ^ ∸ - - lAdG"" @qeez"" 자 케프 가돌, aj'v.P; 파씌타ㅇ, lyDI§b.h;l. 러하브딜, ld;B' 바달.

⑥ (-- + --) , 자케프 카톤 !Ajq'' @qez" -- (4츠)

(-- + --)는? 쌍점 분리표(-- !Ajq'' @qez'') 앞에는 선억양으로 위엣 분

리표 -- aj'v.P; 파씌타ㅇ가 올 수 있다는 뜻이다. wyl'Ke 켈라ㅇ브 (이사39:2)에는 -- !Ajq'' @qez" 자케프 카톤이 왔다. 쌍점 분리표가

두 개가 오면, 먼저 나오는 것이 더 강하다. wyl'Ke tyBe 베트 켈라ㅇ브 “무기고” (이사39:2)를 뜻하며 관용구다.

\ \ - ∸ ╺ ׃ / ⌃ - - - !Ajq'' @qez" 자 케 프 카톤, aj'v.P; 파씌타ㅇ, wyl'Ke 켈라ㅇ브,

 ∸ - \ \ wyl'Ke tyBe 베트 켈라ㅇ브.

(티프하ㅇ ax'p.ji --- (4치 , (--״-- / -- /- + ----) ⑦

AtßybeB. 버베이토 (이사39:2)에는 --- ax'p.ji 티프하ㅇ 혹은

- 309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ax'r.j; 타르하ㅇ가 붙었다. --- 는 마침표 안에서 또한 반절 휴지표 (xn""t...a;;) 안에서만 사용되며, 짧은 절에서는 반절 휴지표 대용으로 자주 사용된다. (이사2:18). 그러나 때로는 긴 절에서도 사용된다(창세3:21).

--- 앞에는 선억양으로 점빗금 분리표 --rybiT. 터비르, 또 yIv;r>G< 게르쏴임이~ --״-- 는 빗금분리표 -- vr,G< 게레씌나 혹은 쌍빗금분리표 올 수 도 있다. AtßybeB. 버베이토 “그의 집안에”(이사39:2). ax'p.ji 티프하 는 xp;j' 타파흐 ”넓히다, 뻗어지다”에서 유래한 명사다. 동사 xr:j' 타라흐는 “수고 하다”의 뜻이다.

╺ ^ ^ > \ ^ > ╺ \\ ╺ ׃ ax'p.ji 티프하ㅇ, ax'r.j; 타르하ㅇ, rybiT. 터비 르, AtßybeB. 버베토, xp;j' 타파흐,

╺ \ / \ / \\ \ xr:j' 타라흐, vr,G< 게레씌, ~yIv;r>G< 게르쏴임.

⑧ , 자르카ㅇ aq'r.z: - (4카)

지팡이 분리표 aq'r.z: 자르카ㅇ가 끝 ־־é~h,yle[] 알레이헴 (이사39:2)에는  자음 위쪽에 찍혔다. BHS에 나오는 기호이고 GKC에는 고리분리표가 나온다. 따 라서 aq'r.z: 자르카ㅇ라는 한 이름에 두 개의 기호가 사용되고 있다. é~h,yle[] 알레 헴 “그들로 인해서”(4댝ㄴ).

\\ - ⊃ ^ aq'r.z: 자르카ㅇ, é~h,yle[] 알레 헴,

⑨ ( -- + --/) , 러비아 [;ybir> -- (4캬)

- 310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 --/)는? 다이아 분리표( --) 앞에는 선억양으로 갈림 분리표

-- rzEP'' 파제르나 또는 쌍뿔분리표lAdG"" rzEEP"" 파제르 가돌이 올 수

있다는 뜻이다. rb'ªd" 다바르 (이사39:2)에는 -- [;ybir> 러비아가 왔 다. rb'ªd' hy"åh'-al{) 로ㅇ-하야 다바르 “아무것도 없었다”(이사39:2)

\\ ^ ) ∸ - \ ∸ - \ / - [;ybir> 러비 아, rzEP'' 파제르, lAdG"" rzEEP"" 파제르 가돌 ,

- - ∩ ╺ - \ rb'ªd' hy"åh'-al{) 로ㅇ-하야 다바 르,

⑩ , 자르카ㅇ aq'r.z: -- (4커)

~yhil{a/ 엘로힘 (창세1:7)에는 -- aq'r.z: 자르카ㅇ가 왔다. 고

리 분리표 --는 끝자음 윗쪽 왼편에 찍히기 때문에 --- tyrIANci 치노리트와 구별된다. 고리분리표도 지정된 선억양이 없다.

\\ -  ∩ ։ - ^ aq'r.z: 자르카ㅇ, tyrIANci 치노리 트, ~yhil{a/ 엘로힘 .

⑪ , 파씌타ㅇ aj'v.P; -- (4켜) taew> 버에트 (이사39:2)에는 -- aj'v.P; 파씌타ㅇ가 왔다. 우 쪽 빗금표가 마지막(세) 자음 위쪽에 찍힌다. taew> 버에트 “...을” (이사39:2). , -- aj'v.P; 파씌타ㅇ가 온 단어의 두 음절에 억양이 주어졌으면, 그 철자위에도 -- aj'v.P; 파씌타ㅇ가 찍힌다(GKC§15fn1).

- 311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 ׃ / aj'v.P; 파씌타ㅇ, taew> 버에 트.

(4코) ֙- ֙- ⑫ vm,V'h; 하쏴메씌 (이사38:8)에는 -֙ -֙ 가 왔다. 첫자음과 세자음 위에 찍힌다. 첫자음, 마지막(세) 자음 위쪽에 찍힌다. vm,V'h; 하쏴메씌 “그 태양”(이사38:8).

∸ vm,V'h; 하쏴메씌

⑬ , 여티브 bytiy> -- (4쿄)

bv'T'Ûw: 바타쑈브 (이사38:8)에는 -- bytiy> 여티브가 왔다. 첫 모음(v'T'Û) 오른쪽에 찍히는 점이 왼편에 찍히는 화살 연결표와 다른 점이다. bytiy> 여티브는 대비< 기호가 왼쪽으로 향해 있으며 (v'-'Û)처럼 첫모음 오른쪽에 찍힌다 단음절 단어와, 음절이 앞 당겨진 단어에서, 연결억양이 앞에 오지 않은 단어에서 위엣 분리표(aj''v..P;;) 대신 사용된다. bv'T'Ûw: 바타쑈브 A6F "그 후에 그것(태양)이 돌아왔다.“. bv'T'Ûw:에서 접속사 w:는 결과를 표현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에 '그 후에 then'라 옮겼다(TWOT). bWv 쓔브 ”돌다, 돌아가다“.

: ⌃ \ ∸ ㅏ ^ bytiy> 여티브, bv'T'Ûw: 바타쑈 브 , bWv 쓔브.

⑭ , 터비르 rybiT. -- (4쿠)

- 312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WhY"±qiz>xi 히즈키야후(이사39:2)에는 -- rybiT. 터비르가

세모음 왼 쪽에 찍혔다.

⌃ ∸ ׃ \ ^ > rybiT. 터비 르, WhY"±qiz>xi 히즈키야후.

⑮ , 게레씌 vr,G< -- (4큐) ~ymiøf'B.h;-ta,w> 버에트-하버싸밈 (이사39:2)에는 --- vr,G< 게레 씌 또는 sr,j, 테레쓰가 붙었다. 세자음 위쪽에 찍힌다. ~ymiøf'B.h;-ta,w> “그리고 양념 들을”(4댝[ㅂ]).

/ \ \ \\ < - ^ vr,G< 게레씌, sr,j, 테레쓰, ~ymiøf'B.h;-ta,w> 버에트-하버싸 밈 .

⑯ 게르쏴임 ~yIv;r>G< --- (4크) hT'úa;w> 버아타 ‘그러나 너남은’(이사41:8)에는 --- 게르쏴임이 왔다. 구약성 경에서 오직 16회 사용되었다. 끝음절에 억양이 있고 위엣 연결표(4티)가 오지 않 았다면, 두자음 위쪽에 찍힌다. vr,G< 게레씌 “쫓겨난 것, 던져진 것” vr;;G"" 가라씌 ” 쫓아내다, 던지다”.

/ \\ \ \\  / \ ∸ \ ~yIv;r>G< 게르쏴임. hT'úa;w> 버아타, vr,G< 게레씌, vr;;G"" 가라씌.

⑰ , 파제르 rzEP'' -- (4키) Atkon> 너호토 (이사39:2)에는 -- rzEP'' 파제르가 왔다. rz:P'' 파

- 313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자르 “뿔뿔이 흩어지다”. Atkon> 너호토 “그의 보물”(이사39:2).

^ ╺ ׃ \ ∸ \ - ∸ rzEP'' 파제 르, rz:P'' 파자 르, Atkon> 너호토.

⑱ , 파제르 가돌 lAdG"" rzEEP"" (4타)

!m'¡h' 하만 (에스7:9)에는 lAdG"" rzEEP"" 파제르 가돌이 왔다.

혹은 hr''p'' ynEEr>q:: 카르네 파라 “젖소의 뿔들”이라고도 칭한다. 구약에 오직 16회 드 물게 사용되었다. 두자음 위쪽에 찍힌다.

∸ - \ ∸ ∸ - - \\ ^ - ^ lAdG"" rzEEP"" 파제 르 가돌, !m'¡h' 하만 , hr''p'' ynEEr>q:: 카르네 파 라 .

⑲ 털리쏴ㅇ 거돌라 hl''AdG>> av''yliT.. -- (4탸)

![;Y:w:û 바야안(스가4:5)에는 -- hl''AdG>> av''yliT.. 털리쏴ㅇ 거돌라

가 첫자음 위편 오른쪽에 찍혔다. av''yliT.. 털리쏴ㅇ “찢음, 뽑음, 떨어짐”이란 뜻이 다. ![;Y:w:û 바야안 A6E "그는 대답했다“, hn"[' 아나 ”대답하다“

< ^ - \ X ) )) ^ av''yliT.. 털리 쏴 ㅇ, ![;Y:w:û 바야안, hn"[' 아나

⑳ , 러가르메흐 Hm,r.g;l. | -- (4터)

Ÿtaeäw> 버에트 (이사39:2)에는 | -- Hm,r.g;l. 러가르메흐가 왔 다. Hm,r.g;l. 러가르메흐 “스스로를 위해서”를 뜻한다. Ÿtaeäw> 버에트 “...을”

- 314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이사39:2).

- \\ / \\ ׃ Hm,r.g;l. 러가르메흐 , Ÿtaeäw> 버에 트.

2). ~ydib'[] (4텨) ㉑ , 무나흐 xn""Wm -- (4토) ~aeär>Y:w: 바야르엠 (이사39:2)에는 -- xn""Wm 무나흐가 왔다. xn""Wm 무

나흐는 막대분리표 러가르메흐 Hm,r.g;l. | -- 와 반대되는 기호다. ~aeär>Y:w: 바야 르엠 F6Ee "그리고 그는 그남들에게 보여 주었다“, ha'r' 라아 “보다”.

⊃ - ^ ^ - \ X \\ - ∾ ^ ~ydib'[] 아 바 딤 xn""Wm 무나 흐, ~aeär>Y:w: 바야르엠 , ha'r' 라 아 .

㉒ , 머후파흐 %P''hum. -- (4툐)

!yBeÛ (창세1:7)에는 -- %P''hum. 머후파흐가 왔다. 대비기호가

왼쪽으로 향해 있으며 모음 왼쪽에 찍힌다. -- %P''hum. 머후파흐가 붙어 있는 단어를 따라오는 단어와 의미상 한 묶음으로 뜻을 묶으라는 표다. 그러 나 단어 연결표 무나ㅎ xn""Wm --보다는 약하다. 화살 연결표는

bytiy> --와 모양은 같다. 그러나 화살 연결포는 모음 왼편에, 화살 분리표 (4쿄)는 첫모음 오른편에 찍히는 점이 다르다. 상호 반대기호가 된다. !yBeÛ 베인 “사이”(창세1:7).

 ⌃ : ׃ ∸ ׃ %P''hum. 머후파흐, bytiy> 여티브, !yBeÛ 벤

- 315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ak'r.yme 메이러하ㅇ --֥ (4투 ㉓ taeî 에트 (창세1:1)에는 --֥ ak'r.yme 메러하ㅇ가 왔다. 모음 왼 쪽에 찍힌다. taeî “...을”(창세1:1).

⌃ \\ ╺ ak'r.yme 메러하ㅇ

㉔ hl'Wpk. ak'r>ymee 메러하ㅎ 허풀라ㅇ -- (4튜)

Al로 (창세27:25)에는 --֦ hl'Wpk. ak'r>ymee 메러하ㅎ 허풀

라ㅇ가 왔다. lp;K' 카팔 “이중이다, 겹치다”. Al로 “그에게” (창세27:25)

^ ∸ ^ ^ ׃ ╺ \\ ^ hl'Wpk. ak'r>ymee 메러하ㅇ 허풀라 ㅇ, lp;K' 카팔, Al로

㉕ , 다르가ㅇ aG"r>D; -- (4트)

ar.Y:ôw: 바야르ㅇ (창세1:4)에는 -- aG"r>D; 다르가ㅇ gr;D" 다라

그 “한 걸음씩 걷다”, [“다락”을 “한 걸음씩 걸어” 오른다]가 왔다. ar.Y:ôw: 바야르ㅇ “그 분께서 보셨다”(창세1:4).

/ \\ ∸ ∸ \ \ X \\ aG"r>D; 다르가ㅇ, gr;D" 다라그, ar.Y:ôw: 바야르ㅇ.

㉖ , 아즐라ㅇ al'z.a; - - (4티) bh''Z"h;-ta,w> (이사39:2)에는 - - al'z.a; 아즐라ㅇ가 왔다. 아

- 316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즐라가 빗금 분리표와 함께 사용되면 라 칭한다: ~ymiøf'B.h;-ta,w> bh''Z"h;;-ta,w> 버에트-하자하브 버에트-하버싸밈 “그리고 그 금을 그리고 양념들을”(이사39:2). al'z.a; 아즐라ㅇ “가다”. 위엣 분리표(4켜)와 유사하다.

^ - > - \\ - ׃ al'z.a; 아즐라 ㅇ, ~ymiøf'B.h;-ta,w> 버에 트-하버싸 밈

\\ - ∸ - bh''Z"h;;-ta,w> 버에 트-하자하브

㉗ 뿔 연결표, 털리쏴ㅇ 커타나 hN""j;q. av'yliT. -- (4파)

hNEhi 히네ㅎ (창세1:29)에는 -- hN""j;q. av'yliT. 털리쏴ㅇ 커

타나가 마지막(세) 자음 위쪽 왼편에 찍혔다. hNEhi 히네ㅎ “보라”(창세1:29). 뿔

분리표는(4탸)는 왼편으로, 뿔 연결표는 오른편으로 뻗는다.

∸  ׃ - ^ > hN""j;q. av'yliT. 털리 쏴 ㅇ 커타나 , hNEhi 히네ㅎ.

㉘ 바퀴 연결표, 갈갈 lG::l.G:: -- (4퍄) hf'ç[' 아싸 (에스7:9)에는 -- lG::l.G:: 갈갈 “바퀴, 회전”, [“갈 갈”거리며 “바퀴”가 돈다]이 왔다. 대비기호가 아랫 쪽으로 향해 있으며 마지막(세) 모음 왼쪽에 찍힌다. hf'ç[' 아싸 “그가 만들었다”(에스7:9)

V / )) ^ lG::l.G:: 갈갈, hf'ç[' 아싸 ,

(마ㅇ열라ㅇ al'y>am' --֭ (4퍼 , ㉙

- 317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x;nO=-aceYEßw: 바예체ㅇ-노아흐 (창세8:18)에는 --֭ al'y>am' 마ㅇ열 라ㅇ 혹은 al'Y>a:m. 머아열라ㅇ가 왔다. 제2 반절표(ax'p..j)의 일종으로 마침표나 반 절휴지표가 있는 절에서 다음 가는 휴지 역할을 하거나, 혹은 연결선-에 의해서

이어진 첫 번째 단어의 억양으로 사용된다. x;nO=-aceYEßw: 바예체ㅇ-노아흐 “노아흐가 나갔다.”

- - ⏆ \ - : ׃ - : - al'y>am' 마ㅇ열라 ㅇ, al'Y>a:m. 머아열라 ㅇ, x;nO=-aceYEßw: 바예체 ㅇ-노ㅏ흐

1). (4포) ② **처럼 번호에 별표가 붙은 것은 욥기, 잠언, 시편에만 나오는 억양기호들이다. ① ( -- + ---) , 씰루크 qWlsi -- (4표) 에 대한 설명은 (4쳐)를 보라. `AT*l.v;m.m,-lk'b.W 우버홀-멜쏼토 “그리고 그의 모든 지배권 안에”(이사39:2)

ㅓ ㅓ  ╺ ׃ ^ ^ qWlsi 씰루크, `AT*l.v;m.m,-lk'b.W ㅜ버홀-멤쏼토

②** , 올레ㅎ 버요레드 drEAyw> hl,A[ -- (4푸) Acïp.x,ñ 헤프초 (시편1:2)에는 -- drEAyw> hl,A[ 올레ㅎ 버 요레드가 왔다. 반절 휴지표(xn""t...a;;)보다 강하다. 그래서 “강”자가 들어갔다. 는 억양표가 위아래 두 곳에 찍힌다. 기호가 자음과 모음에 찍힌다. Acïp.x,ñ 헤프초 “그의 기쁨은” (시편1:2):

- ׃ ^ ׃ ∾ ∩ \\ ∪ drEAyw> hl,A[ 올레ㅎ 버요레 드, Acïp.x,ñ 헤프초. xn""t...a;; 아트나 흐.

- 318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③ (---_ + ---) , 아트나흐 xn"t.a; --_ (4퓨) 반절 휴지표에 대한 설명은 (4초)를 보라.

④ ( -- + --/) , 러비아 -- (4프)

다이아 분리표는 (4캬)를 참고하라. 두자음 위쪽에 찍힌다.

\\ ^ ) [;ybir> 러비 아.

⑤** , 러비아 무그라씌 vr"g>mu [:ybir> -- -- (4피) qreªPo÷ 포레크 (시편7:3)에는 -- -- vr"g>mu [:ybir> 러비아 무그라씌가 왔다. 다이아는 강세가 있는 음절에 나타나고 빗금 분리표는 그 전 음 절에 나타난다. qreªPo÷ 포레크 A1M, qr;P' 파라크 “찢다, 채 가다”(시편7:3).

\ ∸ ∾ ∸ ∾ ׃ ( ^ \\ vr"g>mu [:ybir> 러비 아 무그라씌, qreªPo÷ 포레 크, qr;P' 파라크.

( (4하 ׀ ;;쏼쐴레트 tl,,v,,l..v , ⑥ 막대체인 분리표는 (4추)를 보라.

ㅓ tl,,v,,l..v;; 쏼쐴레트.

⑦ , 자르카ㅇ aK'r.z: - (4햐) 지팡이 분리표는 (4카)를 보라.

- 319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aK'r.z: 자르카ㅇ

⑧** , 러비아 카톤 !Ajq' [;ybir> -- (4허) 작은 다이아 분리표는 반절강 휴지표 바로 직전에 놓인다. 두자음 위쪽에 찍힌다.

\\ ^ ) - ⌃ !Ajq' [;ybir> 러비아 카톤.

⑨** , 더히 yxiD> - (4혀)

- 모점 분리표 yxiD> 더히는 강세음절과 상관없이 첫모음 오른쪽 아래에 찍 힌다.

< ^ yxiD> 더히 .

⑩ , 파제르 rzEP'' -- (4호) 갈림 분리표는 (4키)를 보라.

∸ - \ rzEP'' 파제 르.

(- (4효׀ .머후파흐 러가르메흐 Hm,r.g;l. %P'hum , **⑪

/ \\ ׃ ׃ ∸ ׃ Hm,r.g;l. %P'hum. 머후파흐 러가르메흐.

- 320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아즐라ㅇ 러가르메흐 Hm,r.g:l. al'z.a; | ֙ (4후 , **⑫ 두자음 위에 온다.

/ \\ ׃ - \ Hm,r.g:l. al'z.a; 아즐라ㅇ 러가르메흐 .

2). ~ydIb'[] (4휴) ⑮ **처럼 번호에 별표가 붙은 것은 욥기, 잠언, 시편에만 나오는 억양기호들 이다.

⑬ , 무나흐 xn""Wm -- (4흐) 단어 연결표는 (4토)를 보라.

^ - xn""Wm 무나흐,

(메러하ㅇ ak'r.yme --֥ (4히 , ⑭ 아랫 연결표는 (4투)를 보라.

^ \\ ╺ ak'r.yme 메 러하ㅇ.

⑮** , 일루ㅇ yWL[i -- (4각)

)  \ yWL[i 일루ㅇ.

⑯** , 타르하ㅇ ax'r.j; -- (4갹)

- 321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우쪽 빗금표가 세모음 왼쪽에 강세음절에 찍힌다.

\\ ╺ ax'r.j; 타르하ㅇ.

⑰ , 갈갈 lG::l.G:: -- (4걱) 바퀴 연결표는 (4퍄)를 보라.

V / lG::l.G: 갈갈.

⑱ , 머후파흐 %P''hum. -- (4격) 화살 연결표는 (4툐)를 보라.

׃ ∸ ׃ %P''hum. 머후파흐,

(위 , 아즐라ㅇ al'z.a; --֙ (4곡 **⑲ .al'z.a; 아즐라ㅇ “가다”를 뜻한다. 우쪽 빗금표가 두자음 윗 쪽에 찍힌다 ֙--

- ׃ al'z.a; 아즐라ㅇ

(쏼쐴레트 커타나 hN"j:q. tl,,v,,l..v;; --֓ (4굑 , **⑳

 ׃ ㅓ hN"j:q. tl,,v,,l..v;; 쏼쐴레트 커타나 .

- 322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㉑** , 치노리트 tyrIANci --- (4국)

---지팡이 연결표 tyrIANci 치노리트는 어절억양이 아니지만, 첫자음 윗쪽

오른편에 놓이기 때문에 마지막(세) 자음 위쪽에 찍히는 tyrIANc 치노리트와 구별 된다. 지팡이 연결표는 화살 연결표나, 아랫 연결표가 붙은 자음 앞의 개음절 위 쪽에 붙는다.

 ^ tyrIANci 치노리 트.

(4귝) BHS에서는 48종의 어절억양 기호들을 사용하고 있다. 이 기호들을 분석하면 대 략 7종으로 모을 수 가 있다. 모형별로 분석하면 빨리 익숙해 질 수 있다.

1. ( < > ) (4극) ∧, 반절 휴지표: 아트나흐 xn"t.a; --_ 대비기호가 위쪽으로 향해 있으며 모음 왼편에 찍히는 기호인데 이를 “반절휴지표”라 한다. wyt'_roc.ao)B.

<, 화살 분리표: --여티브 bytiy> 대비기호가 왼쪽으로 향해 있으며 첫 모음 오른쪽에 찍힌다. bv'T'Ûw:

<, 화살 연결표: 머후파흐 %P''hum. -- 대비기호가 왼쪽으로 향해 있으 며 모음 왼쪽에 찍힌다. !yBeÛ

/ / ∨, 바퀴 연결표: 갈갈 lG::l.G:: -- 대비기호가 아랫 쪽으로 향해 있으며 세모음 왼쪽에 찍힌다. hf'ç[' -- 반절강 휴지표: -- 올레ㅎ 버요레드 drEAyw> hl,A[ 기호가 단어의 위 아래 자음과 모음에 찍힌다. Acïp.x,ñ

- 323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2. : (4긱)

1). 우쪽 빗금표: \로 모음 옆에 찍히는 것과 자음 위에 찍히는 것 (4낙) 들이 있다. 5가지를 표현한다. --- 모점 분리표: yxiD> - 우쪽 빗금표가 첫모음 오른쪽에 찍히는 기호인데 “모점 분리표”라 한다. qr'y"â - -- 강세음절 연결표: ax'r.j; -- 우쪽 빗금표가 세모음 왼쪽에 찍히는 기호인데 강세음절에 찍힌다해서 “강세음절 연결표”라 한다. WcnEßhe --- 위엣 분리표: aj'v.P; -- 우쪽 빗금표가 세자음 위쪽에 찍힌다.

‘yrIyfi[]B'* .위엣 연결표: al'z.a; --֙ 우쪽 빗금표가 두자음 위쪽에 찍힌다 -- - bh''Z"h;-ta,w> ;쌍 위엣 분리표: 첫자음, 세자음 위쪽에 찍힌다. ‘!p,G<’h ֙- ֙-

2). (4냑) -- 빗금 분리표: vr,G< -- 위쪽에 찍힌다. ~yhiøl{a/ --- 쌍빗금 분리표: ~yIv;r>G< --- 위쪽에 찍힌다. ha,úr>nI

-- 점빗금 분리표: rybiT. --세모음 왼 쪽에 찍힌다. wyn"±b'W

<아랫 연결표: ak'r.yme --֥ 세모음 왼 쪽에 찍힌다. ATïv.aiw ----

¢-- 쌍아랫 연결표: hl'Wpk. ak'r>ymee -- 세모음 왼 쪽에 찍힌다. Al־

- 324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3. (4넉)

--- 큰 다이아 분리표: [;ybir> -- 두자음 윗 쪽에 찍힌다. ~yhiªl{a/

-- 작은다이아 분리표: !Ajq' [;ybir> -- 첫자음 윗 쪽에 찍힌다.

#r (창세1:2) -- -- 다이아빗금 분리표: vr"g>mu [:ybir> -- -- 다이아는 강세음절에, 빗 금은 그 이전 음절에 찍힌다. ymeªyKi÷//////

; 쌍점 분리표: !Ajq'' @qez" -- vd,xoêl־־

-- 강한 쌍점분리표 강한 쌍점분리표: lAdG"" @qeez"" -- yhi§y>w:

;삼각점 분리: aT'l.Ags.  세자음 위쪽 왼편에 찍힌다. èx:xoyNIh ־

4. (4녁) -- “ ”, qWlsi 씰루크, (4쳐)를 참고하라 -- 정지선 (gt,m,)

-׀ . 막대화살 분리표: Hm,r.g;l. %P'hum׀

.막대 위엣 분리표: Hm,r.g:l. al'z.a; | 두자음위에 놓인다 ֙ |

이 반드시 체인분리표 ׀ 내림선 ׀ ;; 막대체인 분리표: tl,,v,,l..v ׀ 다음에 놓인다. ŸHm;h.m;t.YIw:¥

< 막대 분리표: Hm,r.g;l. | -- ֣ Ÿtaeäw ׀

(4녹) . 지팡이 연결: tyrIANci ---첫자음 위쪽 오른편에 찍힌다־־

지팡이 분리표: aK'r.z: - 세자음 위쪽에 찍힌다, éwyN"vi ־־

- 325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6. (4뇩)

 뿔 분리표: hl''AdG>> av''yliT.. --뿔이 왼 쪽으로 뻣고 첫자음 위쪽־־־

에 찍힌다. ![;Y:w:û

뿔 연결표: hN""j;q. av'yliT. -- 뿔이 오른 쪽으로 뻣고 세자음 ־־־־

위쪽 왼편에 찍힌다. hNEhi

)' 쌍뿔 분리표: lAdG"" rzEEP""두자음 위쪽에 찍힌다. hM'¡a;B־

7. (4눅) < 갈림 분리표: rzEP'' -- Atkon־־ : 단어 연결표: xn""Wm -- ~aeär>Y:w־־ -- 단어 위엣 연결표: yWL[i -- rpeìAs

֓-- ;;체인연결표: hN"j:q. tl,,v,,l..v ֓-- : 걸음마 연결표: aG"r>D; -- ar.Y:ôw־־

-- 지팡이 분리표: aq'r.z: -- 세자음 윗쪽 왼편에 찍힌다. éhw"hy ~yhil{a/ qWsP' @As ׃

(4뉵)

(4늑) 선억양들을 거느리는 억양들 7종을 알아두는 것은 절을 나누는데 매우 중요하다. 확실하게 알아 두어야 한다. 모두 20개의 어절억양들이 사용된다.

- 326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는 무슨 뜻인가? (4챠)를 보라(--״-- / -- /- + ----)

2. (4닉) 선억양들을 거느리는 억양들은 아래와 같이 7 종류로 정리할 수 있다. ① ( -- + ---)(절휴지표, 씰루크 qWlsi + 제2반절표 티프하ㅇ ax'p.ji)i(4쳐) ② (---_ + ---) (반절휴지표, 아트나흐 xn"t.a; + 제2반절표 티프하ㅇ ax'p.ji)i(4초) (삼각점 분리표, 써골타ㅇ aT'l.Ags. + 지팡이 분리표 aK'r.z:)(4쵸) (־־+  ) ③

④ (--+ --) (강한 쌍점 분리표, lAdG"" @qeez"" + 위엣 분리표 aj'v.P;) (4츄)

⑤ (--+ --)(쌍점 분리표, 자케프 카톤 !Ajq'' @qez" + 위엣 분리표 aj'v.P;)(4츠)

(제2반절표+점빗금분리표/빗금분리표/쌍빗금분리표)(4치)(--״-- / -- /-+ ----) ⑥

⑦ ( -- + --/) (다이아 분리표 [;ybir> + 갈림분리표/쌍뿔분리표)(4캬)

3. (CJJ46). (4닉1) 히브리어 억양 배열은 ← 쪽으로 읽고, 우리말 배열은 → 쪽으로 읽어간다. ① [qWlsi+xn"t.a;] = [아트나흐 반절휴지표 + 씰루크 절휴지표] 그룹 (4닉2)

: ^ ։ - ^ \ ⏆ \ A. 여히 있어라 yhiäy> 엘로힘 하ㄴ님께서 ~yhiÞl{a/ 바요메르 그후 말씀하셨다 rm,aYOðw:

\ : ^ ^ \ ^ \ 바여히 오르 그후 빛이 있었다 `rAa)-yhiy>w:) 오르 빛은 rAa+

B. 바요메르 엘로힘 여히 오르 바여히 오르 `rAa)-yhiy>w:) rAa+ yhiäy> ~yhiÞl{a/ rm,aYOðw: 그후 하ㄴ님께서 말씀하셨다, 빛은 있어라, 그후 빛이 있었다(창세1:3). 구체적인 설명은 >(5디). rAa+에 xn"t.a; 반절휴지표 아트나흐가 왔고 또 `rAa)-오르에 절휴지 표 씰루크 qWlsi도 따라왔다는 점이다.

- 327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② [xn"t.a; + xn""Wm + ax'p.ji + ak'r.yme] = [메이러하ㅇ +티프하ㅇ(4닉3) + 무나 + 아트나흐 ],

바요메르 엘로힘 여히 오르 rAa+ yhiäy> ~yhiÞl{a/ rm,aYOðw: “그리고 ‘빛이 있어라!‘고 하ㄴ님께서 말씀하셨다(창세1:3). rm,aYOðw:에 ak'r.yme 아랫 연결표, ~yhiÞl{a/에 ax'p.ji 제2반절표, yhiäy>에 xn""Wm 단어 연결표, rAa+에 xn"t.a; 반절 휴지표가 왔다. 와 사이에 와 가 들어 있는 4가지 억양들을 이라 칭한다.

아트나흐 반절휴지표 ‸는 한 절을 절반으로 나눈다. 그리고 [메이러하ㅇ 아랫 연결표 + 티프하ㅇ 제2반절표]는 아트나흐 반절휴지표 ‸가 나누어 놓은 반절을 다 시 절반으로 나눈다. rAa+ yhiäy> ~yhiÞl{a/ rm,aYOðw:는 상반절이다. 아랫 연결표 + 티프 제2반절표가 온 ~yhiÞl{a/ rm,aYOðw:은 상반절을 반으로 나누었다. 따라서 ~yhiÞl{a/ rm,aYOðw: 을 = 이라 칭한다.

③ [!Ajq'' @qez" + aj'v.P; + %P''hum.] = [머후파흐 +파씌타ㅇ (4닉4) + 자케프 카톤 ]

\ : ∩ \ ⏆ \ A. 엘-카인 카인에게 !yIq;ê-la, 여ㅎ바 여ㅎ바님께서 ‘hw"hy> 바요메르 물었다 rm,aYOÝw:

B. 바요메르 여ㅎ바 엘-카인 여ㅎ바님께서 카인ㅇ에게 <ㅅ물었다> !yIq;ê-la, ‘hw"hy> rm,aYOÝw: (창세4:9). rm,aYOÝw:에 %P''hum. 머후파흐 화살 연결표, ‘hw"hy>에 aj'v.P; 파씌타ㅇ 위엣 분리표, !yIq;ê-la,에 !Ajq'' @qez" 자케프 카톤 쌍점 분리표가 왔다.

④ [aT'l.Ags. + xn""Wm + aq'r.z: + xn""Wm] = [무나 + 자르카ㅇ (4닉5)

- 328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무나 + 써골타ㅇ ]

^ : ∩ \ ⏆ \ A. 에트-레아흐 냄새를 x:yrEå-ta, 여ㅎ바 여ㅎ바님께서 éhw"hy> 바야라흐 맡으셨다 xr;Y"åw:

 - 하니호 ㅏ흐 마음이-풀어지는 èx;xoyNIh;

B. 바야라흐 여ㅎ바 에트-레이아흐 하니호아흐 èx:xoyNIh; x:yrEå-ta, éhw"hy> xr;Y"åw: 여ㅎ바님께서 마음이-풀어지는 냄새를 맡으셨다(창세8:21). xr;Y"åw:에 xn""Wm 무나 단어 연결표, éhw"hy에 자르카ㅇ 고리 분리표, x:yrEå-ta,에 xn""Wm 무 나 단어 연결표, èx:xoyNIh; 하니호아흐에 aT'l.Ags. 써골타ㅇ 삼각점 분리표가 찍혔다.

⑤ [[;ybir> + xn""Wm] = [무나 + 러비아 ] (4닉6) 바요메르 엘로힘 그리고 하ㄴ님께서 말씀하셨다(창세1:24) ~yhiªl{a/ rm,aYOæw: rm,aYOæw:에 xn""Wm 무나 단어 연결표, ~yhiªl{a/에 [;ybir> 러비아 다이아 분리표가 왔다.

⑥ [vr,G<+al'z.a;+hN""j;q. av'yliT.] = [털리쏴ㅇ 커타나 + 아즐라 (4닉7) +게레씌 ]

։ - ^ : ∩ \ X \ A. 엘로힘 하ㄴ님께서 ~yhiøl{a/ 여ㅎ바 여ㅇ바 hw"’hy> 바이체르 지으셨다 •rc,YIw: 바이체르 여ㅎ바 엘로힘 여ㅇ바 하ㄴ님께서 지으셨다, ~yhiøl{a/ hw"’hy> •rc,YIw: •rc,YIw:에 hN""j;q. av'yliT. 털리쏴 ㅇ 커타나 뿔 연결표, hw"’hy>에 al'z.a; 아즐라 위엣 연결표, ~yhiøl{a/에 vr,G< 게레씌 빗금 분리표가 왔다.

4. (4닥) 우리말로 먼저 익히고 점차로 히브리어로도 익혀 가는데 도움이 되도록 우리 말과 히브리어 대비 5가족표를 만들었다. BHS가 사용하는 약 50개의 억양들 중에 서도, 분리 억양들을 구성원으로 하는 5가족들이 있다. 억양 5가족을 ABC로 바꾸 어 사용하는 것은 (4독)에서 설명한다. 분 = 분리표를 뜻한다. (4닥)에서는

- 329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해 보기 바란다. 자세한 설명은 따라온다.

( =-- 절휴지표 & =--+반절휴지표 + =--제2반절표)i ( =-- qWlsi & =--+ xn"t.a; + =--ax'p.ji)i

( =삼각점분. & =| -막대체인분. + =지팡이분, -고리분)

(:aT'l.Ags. & =| -֓ tl,,v,,l..v;; + =aq'r.z:, -֘ aq'r.z= )

(강한쌍점, =쌍점분 + =-위엣분, =--쌍위엣분, =-֤ 화살분= )

(<lAdG"" @qeez"" =!Ajq'' @qez" + =-aj'v.P;, =--쌍위엣분, =-֤ bytiy= ) (제2반절표 + =-점빗금분, =--빗금분, =-֞ 쌍빗금분 ֖-= ) ( >ax'p.ji + =-֛ rybiT. =-- vr,G< =-֞ ~yIv;r>G ֖-= )

( =-다이아분 + =-갈림분, =-뿔분리표 =--쌍뿔분)

( =-[;ybir> + =-rzEP'' =- hl''AdG>> av''yliT.. =--lAdG"" rzEEP"")

(4댝) 1. 영어철자 ABCDE를 사용한 분리억양 (4덕) 약 50개의 억양들이 있다. 그러나 오직 5가족의 20개 분리억양들(가족들)만 찾아 표기한다. 이외 억양들은 히브리 문장에서 어절들을 찾아 낼 때에 표기하지 않는다.

또한 은 히브리어를 언급하지 않으면서도 히브리어를 정확하게 지적해 줄 수 있는 할 수 있다. e-mail에서 히브리어 발음을 적기 보다는 라고 적으면, 어느 히브리어 단어를 가리키는지 피차간에 쉽 게 이해하고 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영어철자를 기본으로 한 분리억양 들은 본인이 만들어 사용하는 어절억 양 규칙들이다. 어절억양들 중에서 에 포함되어 있는 20개 분리 억양만 잘

- 330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알면 BHS의 모든 절들이 어떻게 세부적으로 나누어져 있는지를 파악해 낼 수 있 다. 은 구약성경을 이해하고 번역하는데 있어서 아주 중요한 규칙들이다. 어 떻게 번역해야 할지 결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을 사용해서 시원스럽게 번역 문을 완성시킨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히브리어 성경의 모든 절들은 어절억양 기 호들에 의해서 이미 나누어져 있다. 아래 소개한 은 절을 상반절, 하반절로 나누고, 나누어진 이나 을 어떻게, 들과 들로 다시 나누어 놓았는지를 파악해 내는데 사용하는 요긴한 규칙이다. 본인이 만들어서 많이 사용 해 왔다. 이라고 호칭한 이유는 자음을 어머니, 모음을 자녀들이라 본 히브리 사람들의 전통을 따랐기 때문이다. 혹은 “ ”이라 불러도 좋다.

* = 제2 반절표(ax'p..j)는 D와 a 두 가지로 표기한다. a가 이미 찍혔으면 D는 생략한다는 뜻이다. 지면상, 분 = 분리표를 뜻한다.

(4뎍) ① 은 각 가족마다, 크고 작은 같은 영어 철자를 사용해서 호칭 했다. A 가족의 선억양들을 호칭하는 데에는 모두 A와 a만 사용했다는 뜻이다. 아 래에 주어진 영어 철자 호칭들을 알아야 된다. E, e, e1, e2처럼 순서대로, 절을 나 누는데 있어서, E부터 억양의 중요성(영향력)이 크고 순서대로 중요성이 감소된다.

= 절의 시작점, 절의 첫 단어를 가리킨다. 첫 단어에 V를 찍지 않아도 언제나 찍힌 것처럼 취급한다. V = a verse(절)를 뜻한다. = 절 휴지표, = 반절 휴지표 = 제2 반절표(ax'p..ji) = 삼각점분, 막대체인분 = 고리 분리표(aq'r.z:)(지팡이분리표) = 강한쌍점, 쌍점분리표 = 위엣, = 쌍위엣분리표 = 화살분리표 * = 제2반절표 =점빗금분리표 =빗금분리표 =쌍빗금분리표 = 다이아분리표 =갈림분리표 =뿔분리표 =쌍뿔분리표

② (4독) 위엣 분리표(aj''v..P;; 파씌타ㅇ)는 세자음 위에, 화살분리표는 첫모음 오른쪽에,

- 331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뿔 분리표(hl''AdG>> av''yliT. 털리쏴ㅇ 거돌라).는 첫 자음 우쪽에 찍힌다. 의 20가지 억양들 중에서 , , , , , 만 에 찍힌다.

(4됵) 을 그림 한 장처럼 머리에 넣어도 좋지만, 그러지 않아도 좋 다. 어절억양을 가지고 절을 세부적으로 나누는 연습을 20번 하게 되는데, 그 때 마다 을 절을 나누어 보라고 5가족을 넣어 두었다. 차후 절 나누기를 연습할 때에는 억양기호 왼편에 영어 철자를 적어 넣게 된다. 4과 억 양 공부 중에서 이 하다. : 가족에서 사용된 빗금들은 아래에 서 시작 위쪽 왼편으로 움직인다면, 가족에서 사용되는 빗금들은 위에서 시작 아 래쪽 우편으로 움직인다고, 즉 서로 반대 방향으로 빗금의 동작이 움직인다고 생각 하면 큰 혼동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 =-- 절휴지표, =--+반절휴지표, =--제2반절표)i

( =삼각점분, =| -막대체인분, =지팡이분, -고리분)

( =강한쌍점, =쌍점분, =---위엣, =--쌍위엣분, =---화살분) ( =-제2반절표, =-점빗금분, =--빗금분, =-쌍빗금분)

( =-다이아분, =-갈림분, =---뿔분, =--쌍뿔분)

(4둑) 이사32:9절에 찍어 넣은 5가족 억양들을 아래와 같은 순서로 종합한다. 화살표 ->는 “...로부터...까지; ...로부터...사이에 있는 단어들”을 뜻한다. 을 여러번 쳐다보면서 아래 글들을 읽어야 이해가 될 것이다.

① -> -> 을 찾아내라 (4듁) 언제나 절은 A가족으로 상반절과 하반절로 나눈다. 끝 단어에 붙은 절 휴지표(A') 와 반절 휴지표(--+ xn""t...a;;)(A)를 찾는다. 여기에서 상반절, 하반절이 나온다. 절의 첫 단어는 언제나 verse의 첫 자 V로 표시한다. 따라서 상반절은 언제나 A->V가

- 332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된다. 그리고 하반절은 언제나 A'->A가 된다. 이렇게 해서, : A->V, : A'->A 표기가 나왔다. 모든 절을 상반절은 A->V로, 하반절은 A'->A로 나누고 표기한다.

A->V 상반절: e Atkon> tyBeä-ta, ~aeär>Y:w: B èWhY"qiz>xi b é~h,yle[] xm;äf.YIw:V E bAJªh; !m,V,äh; Ÿ taeäw> d1 ~ymiøf'B.h;-ta,w> bh''Z"h;-ta,w>; û@s,K,h;-ta,

A wyt'_roc.ao)B. a ac'Þm.nI rv<ïa]-lK' tae²w> C wyl'êKe tyBeä-lK' c taew>

A'->A 하반절: d' WhY"±qiz>xi ~a'ór>h,-al{) rv,a]û E' rb'ªd' hy"åh'-al{)

A' `AT*l.v;m.m,-lk'b.W a' AtßybeB.

② -> =: 을 사용하면서 다.(4득) 반절휴지표(--+ xn""t...a;; A)부터 삼각점 분리표(aT'l..Ags.. B) 왼편 단어까지가 -> = 이다. 소절과 어절의 뜻은 (4륵)(4릭)을 보라. ‘소절’은 괄호 없 이 정확하게 -> 처럼 표기한다.

-> = e Atkon> tyBeä-ta, ~aeär>Y:w: B E bAJªh; !m,V,äh; Ÿ taeäw> d1 ~ymiøf'B.h;-ta,w> bh''Z"h;-ta,w>; û@s,K,h;-ta,

A wyt'_roc.ao)B. a ac'Þm.nI rv<ïa]-lK' tae²w> C wyl'êKe tyBeä-lK' c taew>

( -> ) B èWhY"qiz>xi b é~h,yle[] xm;äf.YIw:V

( -> ) 삼각점 분리표(aT'l.Ags. B)부터 절의 첫 단어(V)까지가 ( -> ) 이다. 어절은 ( -> )처럼 반드시 괄호를 사용해서 표기한다. 주로 B 가족으로 상 반절을 다시 두 개로 나눈다. 언제나 상반절의 어절들을 먼저 정리한다. A로부터 읽어 올라간다. 상반절에서 우선적으로 삼각점 분리표(써골타ㅇ aT'l..Ags.. )나

- 333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쏼쐴레트 tl,,v,,l..v;; 가 있는가 찾아보라. 둘 다 B로 표기한 다. 같은 철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어절을 나누는데 있어서 둘의 영향력이 거의 동 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철자를 배정하지 않았다.

이사32:9절에는 삼각점 분리표(써골타ㅇ aT'l.Ags. )가 있다. 따라서 은 -> 과 ( -> ) 로 다시 나누어져 있음을 . 필자가 나 누는 것이 아니다. 필자는 을 창안해서, 전통주의 학자들이 이미 나 누어 놓은 소절이나 어절을 찾아내고, 이들을 고전어인 히브리어 성경을 번역할 때 에 적용해서, 올바른 번역문을 이끌어 내는 데에 그들을 사용하고 있다. 소절과 어 절을 찾아내면, 비로서 히브리어 성경번역을 할 수 있다.

③ A' A a C c c1 c1 E e e1 e2 B b (V) (4딕)

절을 나누는 억양들의 영향력을 글자 크기로 표기했을 뿐이다. 혼동이 없기를 바란다. 실지 어절 나누기에서는 같은 크기의 철자들을 사용한다. 글자 크기처럼 A 또는 가 상하반절을 나누는 큰일을 한다. 5 가족들 중에서 A로부터 B C D E 가 족 서열로 내려 갈수록 절을 나누는 영향력이 적어진다. 이사32:9절을 보면, C,D,E 가족이 A->B 소절과 ( -> ) 어절을 다시 나누고 있다.

∸ ∂ ׃ 만일 상반절에서 삼각점 분리표(써골타ㅇ aT'l.Ags., B)나 막대 체인 분리표

- - ∸ ^ ""쏼쐴레트 | -֓ tl,,v,,l..v;; B) 둘 다 없으면, 강한 쌍점 분리표(자 케 프 가돌 lAdG)

╺ ׃ ^ - - - @qeez"". C), 쌍점 분리표(자 케 프 카 톤 !Ajq'' @qez'', C), 제2 반절표(티프하 ㅇ --

\\ ^ ) ,ax'p..ji, D/a), 다이아 분리표(러비 아 -֗ [;ybir>>, E)가 있나 찾아본다. B가 없으면

׃ ⌃ ׃ ∸ ∂ ׃ -> , -> , -> 들로 절을 나눌 수 있는지 찾아본다. 써골타ㅇ의 발음은 써골러

∸ 타 ㅇ처럼 발음한다. 전통 장오음이 왔기 때문이다.

④ (4락) 의 선억양들도 절을 더 세분화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A + a ; B +

- 334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b ; C + c, c1, c2; D + d, d1, d2; E + e, e1, e2 등이 선억양을 표하는 기호들 이다.

⑤ 상반절의 나누어진 어절들을 찾아 정리한 후, 하반절에서 나누어진 억양들을 (4략) 같은 방법으로 찾아낸다. 이제 이사32:9절의 어절들을 정리해 놓은 것을 읽어 보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럭)

1. (4력) “그리고“가 히브리어에는 엄청나게 많이 나오기 때문에, 석간역에서는 “그리고” 대신 &을 사용하겠다.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서다. 아직은 문법을 깊이 들어가지 못했 기 때문에 이사39:2을 자세하게 설명하지는 않겠다. 이사39:2 번역은 한 번 정도 읽 어보고 5과로 들어간다. 8과를 공부하고 난 후에 다시 와서 공부하면 훨씬 쉽게 이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A. 석간역 interlinear, 한 글자역(A to A) (4록) 한 글자역에서 히브리어를 읽을 때에는 악센트가 주어진 음절을 강하게 발음 하면서 읽어야 한다. 자모 음역, 대선 음역체계는 악센트는 표기하지 않는다. 히브리어 단어에서 악센트 기호를 보고 그 음절을 강하게 발음해야 한다.

׃ X \ ⌃ ⊂ 히즈키야후는 èWhY"qiz>xi 알레헴 그들로 인해서 é~h,yle[] 바이쓰마흐 &기뻐했다 xm;äf.YIw:

⌃ ⏆ ׃ - \\ X \ (의)창고-를 tyBeä-ta, 바야르엠 & 그는 그들에게 보여주었다 ~aeär>Y:w: 히즈키야 후

 ^ ╺ ׃ / bh''Z"h;-ta,w> 에트-하케쎄프 은-을 û@s,K,h;-ta, 너호토 그의 보물 Atkon> 에트-베트

\\ / ╺ ⌃ \\ ∸ - 버에트-하버싸밈 &양념들을 ~ymiøf'B.h;-ta,w> 버에트-하자하브 &금-을

\\ ╺  / \\ - 버에트 를 taew> 하토브 그 귀중한 bAJªh; 하쐬멘 기름(들) !m,V,äh; 버에 트 &을 Ÿtaeäw>

\\ - ∸ - \ \ ㅏ  버에 트 &을 tae²w> 켈라ㅇ브 그의 무기들 wyl'êKe 콜-베트 의.모든 창고 tyBeä-lK'

ㅓ ╺ ㅏ ։ \ wyt'_roc.ao)B. 님차ㅇ 그가 발견하게 된 ac'Þm.nI 콜-아쐬르 모든-것들 rv<ïa]-lK'

\ \ - ∾ ׃ - > ∩ - - \ ╺ ╺ 다바르 아무것도 rb'ªd' 로ㅇ-하야 없었다 hy"åh'-al{) 버오츠로타ㅇ브 그의창고들안에서

- 335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 ։ \ 로ㅇ-헤르암 그가 그들에게 보여주지 않은 ~a'ór>h,-al{) 아쐬르 (바) rv,a]û

⌃ ⏆ ׃ ^ ⌃ > 버베토 그의 집 안에서 AtßybeB. 히즈키야후 히즈키야후는 WhY"±qiz>xi

ㅏ ㅓ ㅓ  ׃ ⌃ ㅜ버홀 -멤쏼토 &그의 모든 지배권 안에서 `AT*l.v;m.m,-lk'b.W

B. bh''Z"h;-ta,w> û@s,K,h;-ta, Atkon> tyBeä-ta, ~aeär>Y:w: èWhY"qiz>xi é~h,yle[] xm;äf.YIw: ac'Þm.nI rv<ïa]-lK' tae²w> wyl'êKe tyBeä-lK' taew> bAJªh; !m,V,äh; Ÿtaeäw> ~ymiøf'B.h;-ta,w> `AT*l.v;m.m,-lk'b.W AtßybeB. WhY"±qiz>xi ~a'ór>h,-al{) rv,a]û rb'ªd' hy"åh'-al{) wyt'_roc.ao)B. 바이쓰마흐 알레헴 히즈키야후 바야르엠 에트-베트 너호토 에트-하케쎄프 버에 트-하자하브 버에트-하버싸밈 버에트 하쐬멘 하토브 버에트 콜-베트 켈라ㅇ브 버에트 콜-아쐬르 님차ㅇ 버오츠로타ㅇ브 로ㅇ-하야 다바르 아쐬르 로ㅇ-헤르암 히즈키야후 버베토 우버홀-멤쏼토 “히즈키야후는 그들로 인해서 기뻐했다, 그리고 그는 그의 보물창고를, 은을, 그리고 금을, 그리고 양념들을, 그리고 그 귀중한 기름들을, 그리고 그의 무기들의 모든 창고를, 그리고 그의 창고들 안에서 그가 발견하게 된 모든 것들 을 그들에게 보여주었다. 히즈키야후는 그의 집 안에서 그리고 그의 모든 지배권 안 에서 그가 그들에게 보여주지 않은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이사39:2).

C (4룍) ㄱ 그리고 그는 기뻐했다 바이씌마흐 xm;äf.YIw: ㄴ 히즈키야후는 그들로 인해서 알레헴 히즈키야후 èWhY"qiz>xi é~h,yle[] ㄷ 그리고 그는 그들에게 보여주었다 바야르엠 ~aeär>Y:w: ㄹ 그의 보물창고를 에트-베트 너호토 Atkon> tyBeä-ta, ㅁ 은을, 그리고 금을 에트-하케쎄프 버에트-하자하브 bh''Z"h;-ta,w> û@s,K,h;-ta, ㅂ &양념들을 버에트-하버싸밈 ~ymiøf'B.h;-ta,w> ㅅ &그 귀중한 기름들을, 버에트 하쐬멘 하토브 bAJªh; !m,V,äh; Ÿtaeäw> ㅇ &그의 무기들의 모든 창고를 버에트 콜-베트 켈라ㅇ브 wyl'êKe tyBeä-lK' taew>

- 336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ㅈ 그리고 모든 것들을 버에트 콜-아쐬르 rv<ïa]-lK' tae²w> ㅊ 그의 창고들 안에서 그가 발견하게 된 wyt'_roc.ao)B. ac'Þm.nI ㅋ 아무것도 없었다 로ㅇ-하야 다바르 rb'ªd' hy"åh'-alO ㅌ 그가 그들에게 보여주지 않은 것은, 아쐬르 로ㅇ-헤르암 ~a'ór>h,-al{) rv,a]û ㅍ 히즈키야후는 그의 집 안에서 히즈키야후 버베토 AtßybeB. WhY"±qiz>xi ㅎ 그리고 그의 모든 지배권 안에서 우버홀-멤쏼토 `AT*l.v;m.m,-lk'b.W

D. [ㄱ]: xm;äf.YIw: 바이씌마흐 A6E, xm;f' 싸마흐, x;mef' 싸메아흐 “기뻐하다, 즐거워 하다, 즐기다”. A6E와 같이 나오는 동사분해 약어들은 지금은 신경 쓸 필요 없다.

[ㄷ]: ~aeär>Y:w: 바야르엠 F6Ee, ha'r' 라아 “보다”.

[ㄹ]: Atkon> 너호토 nfw(E) “그의 보물”, tkon> 너호트 nf “보물”.

[ㅂ]: ~ymiøf'B. 버싸밈 nm "양념들“, ~f,Bo 보쎔 nm “양념, 발삼, 발삼나무, 향 유”.

[ㅅ]: bAJªh; !m,V,äh; Ÿtaeäw> 버에트 하쐬멘 하토브에서 Ÿtaeäw> 버에트에는

, 러가르메흐 Hm,r.g;l. | -- (4터)가 왔다. | 막대기가 있어서 (4토)의 , 무나흐 xn""Wm -- 와 구별이 된다. 러가르메흐는 분리표이고, 무나흐는 연 결표이기 때문에 서로 반대가 된다(JM§15의13). !m,V,äh; 하쐬멘에는 또한 정관사 h; 하가 붙었다. 그러나 (이사39:2)의 내용이 (왕하20:13)에서도 나오는데, (왕하20:13)에 서는 정관사가 붙지 않은 bAJªh; !m,V,ä Ÿtaeäw>이 사용되었다(GKC§126x).

- 337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ㅇ]: wyl'êKe 켈라ㅇ브 nmw(E) yliK. 컬리 “무기”.

[ㅊ]: wyt'_roc.ao)B. 버오츠로타ㅇ브 nmw(E), rc'Aa 오차르 nm “보물, 창고, 보물 창고, 저장고”. ac'Þm.nI 님차ㅇ B5E, ac'm' 마차ㅇ “찾다”.

[ㅌ]: ~a'ór>h, 헤르암 F5Ee, ha'r' 라아 “보다”.

[ㅎ]: `AT*l.v;m.m, 멤쏼토 nfw(E), hl'v'm.m, 멤쏼라 nf “지배, 지배권”.

. (이사39:2)  (이사39:2)의 을 ÎwtknÐ ¿htknÀ tyb-ta ~aryw whyqzx ~hyl[ xmfyw taw bwjh !mvh taw ~ymfbh-taw bhzh-taw @skh-ta rbd hyh-al wytrcab acmn rva-lk taw wylk tyb-lk `wtlvmm-lkbw wtybb whyqzx ~arh-al rva  (이사39:2)의 을 .

\\ / ^ ╺ ׃ X \\ -  \ ⌃ ⏆ ׃ ⌃ ⊂ ׃ X \ 바이쓰마흐 알레헴 히즈키야후 바야르엠 에트-베트 너호토 에트-하케쎄프 버에트-

∸ - \\ / ╺ ⌃ \\ ╺ /  \\ ╺ ㅏ  ∸ - \ \ \\ - 하자하브 버에트-하버싸밈 버에트| 하쐬멘 하토브 버에트 콜-베트 켈라ㅇ브 버에

׃ - \\ - \ ։ \ ╺ ╺ ∩ - - \ \ - ∾ ׃ - > ╺ ㅏ ։ \ ㅓ 트 콜-아쐬르 님차ㅇ 버오츠로타ㅇ브 로ㅇ-하야 다바르 아쐬르 로ㅇ-헤르암 히즈

ㅏ ㅓ ㅓ  ׃ ⌃ ^ ⌃ > ⌃ ⏆ 키야후 버베토 ㅜ버홀 -멤쏼토.

 (에겔23:42) 을 bh''Z"h;-ta,w> û@s,K,h;-ta, Atkon> tyBeä-ta, ~aeär>Y:w: èWhY"qiz>xi é~h,yle[] xm;äf.YIw: ac'Þm.nI rv<ïa]-lK' tae²w> wyl'êKe tyBeä-lK' taew> bAJªh; !m,V,äh; Ÿtaeäw> ~ymiøf'B.h;-ta,w>

- 338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AT*l.v;m.m,-lk'b.W AtßybeB. WhY"±qiz>xi ~a'ór>h,-al{) rv,a]û rb'ªd' hy"åh'-al{) wyt'_roc.ao)B.

(4룩) 지금부터 설명하는 내용은 다른 문법책에는 없는 새로운 내용이다. 빨리 읽으 려 하지 말고, 서서히 읽으면서, 내가 이해하는지를 확인하면서,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기 바란다. (4먹)과 (4목)을 잘 쳐다보면서 한 줄씩 읽어간다. 이사39:2절에 들어가서 어절들을 찾아내기 전에, 이름부터 정의를 내리려고 한다.

1) (4륙)

- ׃ 하면 절의 첫 단어부터 반절 휴지표(xn""t...a;; 아트나 흐)가 찍힌 단어까지를

^ 뜻한다. 하면 반절휴지표가 찍힌 단어 이하부터 절휴지표 qWlsi 씰루크가 찍 힌 단어까지다.

은 , 로 나누어 진다: = ( -> -> -> 가 상반절이고, -> 이 하반절이다.

은 과 로 나누어질 수 있다: -> = (A->B)+(B->V);

은 언제나 -> 로 표기한다. 하반절도 상반절처럼 소절과 어절로 나 누어진다: -> = (A'->E')+(E'->A); A'->E' = (A'->a')+(a'->E')

하반절에서도 상반절에서 사용하는 같은 영어 철자들을 사용하지만, 하반절에 사용하는 AaBbCcDdEd 철자들에는 한다. 반드시 따옴표가 붙 은 A'a'B'b'C'c'D'd'E'e'를 하반절에서 사용한다.

의 는 묵음이다. -> 를 말할 때는 AE 하반절 소절, (a'->E'):는 aE 하반절 어절이라 칭한다.

. -> = “...부터”라 읽는다. = “까지”라 읽는다.

- 339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a “아”라 발음한다.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다. -> = “AV 상반절” 또는 “A부터 V까지가 상반절” ㄹ -> “A 따옴표부터 A까지가 하반절” ㅁ. -> = “AB 상반절 소절” 또는 “A부터 B 사이의 단어들이 AB 상반절 소절” ㅂ.(A->B): “AB 상반절 어절” 또는 “A부터 B 사이의 단어들이 AB 상반절 어절” ㅅ.(A'->a'): “Aa 애이아 하반절 어절 = ”A 따옴표부터 아 따옴표 사이의 단어들이 하반절 어절” ㅇ. -> = (A'->E')+(E'->A), “AA 하반절은 AE 하반절 어절과 EA 하반 절 어절들”이다.

2) (4륵) 소절은 언제나 -> 처럼 영어 대문자를 사용하고 항상 =가 끝에 온다. -> = (A->C)+(C->B). 소절 표기는 -> =이다. 은 언제나 어절들로 나 누어진다. 괄호가 없는 -> =는 이다. 괄호가 있는 (A->C):는 어절이다.

에는 A->B=처럼 “=”을 영어 철자 바로 다음에 붙여준다. 은 하나 나 두 개 이상의 어절들로 만들어지지만, 의미상으로는 완전한 한 문장일 수 있다. (4묵)에서 왼편 첫 단(column) 아래에 놓이는 영어철자에는 E->B=, C->B=, A->B=, A'->E'=처럼 “=” 표가 붙어있으며 괄호가 없기 때문에 이다.

3) ? (4릭) 은 (A->C):처럼 언제나 괄호와 함께 사용된다. 어절은 한 절의 최소 단 위다. 이 최소 단위인 어절에 바르게 도달하기 위해서 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 이다. 이 절의 최소 단위인 어절 하나하나는 각각 번역문을 낳게 된다. 각 어절마 다 반드시 번역문을 산출해 내어야 한다.

또한 이 다시 나누어지면, 그 어절은 한 다. (A->B):가 다시 나누어지면 어절 (A->B):은 괄호를 벗게 되고, 소절 -> 로 승격한다:

- 340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이면, +기호를 두 번째 괄호 붙인다: +(B->V):.

반드시 콜론 (A'->a'):

? 하반절에 나오는 하반절 어절을 보기로 든다. 이란 ? 하반절에서 A'와 a'사이에 놓인(4믹) : 즉, A' `AT*l.v;m.m,-lk'b.W a' 에서 들 사이에 놓인 히브리어 단 어들 `AT*l.v;m.m,-lk'b.W이 이다. >(4목)을 참고하라!

3. (4막) 20개의 분리표 억양들을 ABC로 바꾸어 표기할 때에 아래와 같은 규칙들을 지켜야 한다.

① 제2 반절표(--ax'p..j)는 a도 되고 D도 된다. 일단 a로 먼저 찍혔으면 D는 생략하고, d, d1, d2를 필요에 따라 써 넣는다(출에20:5, 31므).

② “V“는 절의 첫 단어, 절을 시작하는 단어를 가르키는 기호다. 첫 단어에 “V “를 써 넣지 않아도 써져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③ 상반절에서 C가 2개 3개 나오면, C는 각각 1C, 2C, 3C로 표기한다. 숫자를 C의 적는다. 그리고 소문자 c에도 1c1, 1c2, 2c1, 2c2처럼 숫자를 왼편에 적는다. 1c1, 1c2는 1C에 속하고, 2c1, 2c2는 2C에 속한다는 뜻이다. 반복되는 다른 대문자도 같은 방법으로 표기한다. 하반절도 같은 방법으로 표 기한다: 1C', 2C' 그리고 1c'1, 1c'2로, 2c'1, 2c'2로 표기한다. 1c'1, 1c'2는 1C'에 속하고, 2c'1, 2c'2는 2C'에 속한다. 반복되는 다른 대문자도 같은 방법으로 표기한다.

- 341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위엣 분리표(--- aj''v..P;;)는 세자음위에; 화살 분리표(--'-֤ bytiy>)는 첫모음 우 ④

쪽; 뿔 분리표(--- hl''AdG>> av''yliT.).는 첫 자음 위에 찍히는 것을 알고 정확히 식

별해야 한다.

. (4먁) 은 번역자의 길잡이다. 번역한 후에는 번역을 확인 해 주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어절 하나하나와, 즉 짧게 나누어진 히브리어의 구(phrase)에 사용된 어절 들과 번역문을 비교함으로서 번역의 정확성을 알아낼 수 있다. 한다.

① 5가족을 참고하면서 히브리어 구절에서 억양 기호들을 찾아내어 이에 해당하 는 영어철자를 써 넣는다. ② 어절들을, 주로 ABCDE만 사용하면서 상하반절을 크게 구분한다. ③ 어절들의 순서대로 번역한다.

1). (4먹) ( =-- 절휴지표, =--+반절휴지표, =--제2반절표)i

( =삼각점분, =| -막대체인분, =지팡이분, -고리분)

( =강한쌍점, =쌍점분, =---위엣, =--쌍위엣분, =---화살분)

( =-제2반절표, =-점빗금분, =--빗금분, =-쌍빗금분)

( =-다이아분, =-갈림분, =---뿔분, =--쌍뿔분)

(4먹)을 쳐다보면서, 내가 써 넣은 영어 철자들을 찾아 억양을 비교해 보라.

e Atkon> tyBeä-ta, ~aeär>Y:w: B èWhY"qiz>xi b é~h,yle[] xm;äf.YIw:V E bAJªh; !m,V,äh; Ÿ taeäw> d1 ~ymiøf'B.h;-ta,w> bh''Z"h;-ta,w>; û@s,K,h;-ta,

hy"åh'-al{) A wyt'_roc.ao)B. a ac'Þm.nI rv<ïa]-lK' tae²w> C wyl'êKe tyBeä-lK' c taew>

- 342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A' `AT*l.v;m.m,-lk'b.W a' AtßybeB. d WhY"±qiz>xi ~a'ór>h,-al{) ' rv,a]û E' rb'ªd'

① û@s,K,h;-ta, 에트-하케쎄프에 찍힌 뿔은 세자음 위에 찍혀서 뿔 연결표다, 뿔

분리표(hl''AdG>> av''yliT.).는 rv,a]û처럼 첫 자음 우편에 찍힌다. 찍히는 자음의 위치가 연결표와 분리표를 구별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② bh''Z"h;;-ta,w> 버에트-하자하브에 찍힌 억양은 두 자음 위에 찍혀서 위엣 연결 표다. 위엣 분리표(aj''v..P;;)는 마지막(세) 자음 위에 찍힌다.

(4멱) 이 부분에서 시간을 소비해야 한다. 읽고 넘어가면 공부가 잘 될 수 없다. 펜을 들 고서 아래에 분류해 놓은 것처럼 상하반절로, 또 소절로, 또 어절로 나누어 가는 연습을 해야 한다. 을 참고하면서, 내가 억양들을 쳐다보면서, 어떻게 소절을 만들고, 소절을 어절들로 분류했는지를 실지로 분류해 보아야 터득할 수 있을 것이 다. 일단 분류억양들을 알게 되면 눈으로 쳐다보며 순식간에 분류하는 때가 온다.

-> = (A->B)+(B->V); -> = (A->C)+(C->B); -> = (C->E)+(E->B) E->B = (E->d1)+(d1->e)+(e->B)

-> = (A'->E')+(E'->A); A'->E' = (A'->a')+(a'-> ')

① 상반절과 하반절 표기는 괄호 없이 -> -> 처럼 표기한다.

② 상반절이나 하반절이 두 개 이상으로 나누어지면 반드시 +와 () 괄호를 사용해서 -> = (A->B)+(B->V)처럼 표기한다.

상반절과 하반절 및 소절들은 돋보이도록 로 바꾸어 쓴다.

그러면 (A->C): 어절의 (4목)

- 343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A 반절휴지표가 붙은 글자부터 쌍점 분리표가 붙은 C 이전 단어 (d tae²w>)까지다:

A wyt'_roc.ao)B. a ac'Þm.nI rv<ïa]-lK' d tae²w> C wyl'ê--를 (A->C) 어절이라고 부르는데

AC 어절에 포함되는 단어는 A wyt'_roc.ao)B. a ac'Þm.nI rv<ïa]-lK' d tae²w> 까지다.

C의 오른편에 나오는 단어 wyl'êKe 켈라ㅇ브는 (A->C) 어절에 포함되지 않는 다. 다음 어절인 (C->E) 어절의 시작 단어가 된다. (C->E) 어절에 포함되는 단 어는 C wyl'êKe tyBeä-lK' c taew> 까지다.

하반절은 -> = (A'->E')+(E'->A)이다. E' 다이아 분리표 -에 의해서 (4묙)

다시 (A'->E'), (E'->A)로 나누어진 것이다. (A'->E') 어절은 제2 반절표

.(' <-'ax'p..j)에 의해서 다시 나누어진다: A'->E' = (A'->a')+(a ֖-)

A'->E'는 소절이고, (A'->a')+(a'-> ')은 어절들이다. A' 하반절에는 a' 제 2 반절표(ax'p..j)가 왔으며, a'의 선억양인 d 점빗금 분리표(rybiT.)가 왔다. (E'->A)는 짧기 때문에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어절이다.

3). (A' a' d' e1' E' A a C c E d1 e B b V) (4묵) 이사야 39:2안에 쳐 넣은 5가족의 이름들, 영어철자들을, 절 끝(A')에서부터, 절 시작(V)으로 읽어 올라가면서 위에처럼 순서대로 한 줄로 배열한다. 어절들을 번역한 번역문의 배열은, 어절의 이름을 넘어가는 것이 있더라도, 배열 순서에 있 어서는 이 어절들의 순서와 정확하게 일치해야 한다. 배열 방법은 아래와 같다.

① :(A' a' d' e1' E' A a C c E d1 e B b V) ② 소절과 억양으로 나누어 번역하기 소절들의 수효나 그 이름들과 소절들의 배열은 (4멱)에서 이미 정리해 놓은 것과 정확하게 맞아야 한다. A->V와 A'->A는 언제나 상반절 하반절이기 때문에 소절 에 포함시킨다.

- 344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e Atkon> tyBeä-ta, ~aeär>Y:w: B èWhY"qiz>xi b é~h,yle[] xm;äf.YIw:V E bAJªh; !m,V,äh; Ÿ taeäw> d1 ~ymiøf'B.h;-ta,w> bh''Z"h;-ta,w>; û@s,K,h;-ta,

hy"åh'-al{) A wyt'_roc.ao)B. a ac'Þm.nI rv<ïa]-lK' tae²w> C wyl'êKe tyBeä-lK' c taew>

A' `AT*l.v;m.m,-lk'b.W a' AtßybeB. d WhY"±qiz>xi ~a'ór>h,-al{) ' rv,a]û E' rb'ªd'

-> = (B->V): “히즈키야후는 그들로 인해서 기뻐했다” E->B= (e->B): “그리고 그는 그의 보물 창고를 그들에게 보여주었다“ +(d1->e): “은을, 그리고 금을, 그리고 양념들을” +(E->d1): “그리고 그 귀중한 기름들을” -> = (C->E): “그리고 그의 무기들의 모든 창고를”, -> = (A->C): “그리고 그의 창고들안에서 그가 발견하게 된 모든 것들을” -> (E'->A): “아무것도 없었다” -> = (a'-> '): “히즈키야후는 그의 집안에서 그가 그남들에게 보여주지 않은 것은“ +(A'->a'): “그리고 그의 모든 지배권 안에서”

. “히즈키야후는 그들로 인해서 기뻐했다, 그리고 그는 그의 보물창고를, 은을, 그리고 금을, 그리고 양념들을, 그리고 그 귀중한 기름들을, 그리고 그의 무기들의 모든 창고를, 그리고 그의 창고들안에서 그가 발견하게 된 모든 것들을 그들에게 보여주었다. 히즈키야후는 그의 집 안에서 그리고 그의 모든 지배권 안에서 그가 그들에게 보여주지 않은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인류 역사상 최 고서이며 가장 많이 읽혀진 구약성경을 바르게 번역 (4뮥) 했는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누구에게 물어야 될까? 답은 히브리어 성경에만 기 록되어 있다. 오직, 오직 어절억양을 통해서만이 나의 번역이 바르게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5가족을 사용해서 이미 나누어져 있는 어절들을 찾아내고, 이 어 절들에 맞추어 봄으로서 바르게 번역한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할 수 있다. 수 천 년 전에 기록된 문헌이지만 나누어진 어절들이 있기 때문에, 우리도 수 천 년 전에 읽

- 345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었던 히브리 사람들과 거의 같은 맥락으로 구약성서를 읽어보려는 우리의 번역을 확증해 주는 도구가 어절억양

이사39:2절은 거의 모든 분리표들이 모두 사용될 정도로 긴 절에 속한다. 하 지만, 분리억양 5가족을 사용해서 긴 절도 짧게 나누면서 쉽게 번역할 수 있다. 을 사용하면서 어절억양들을 분류해서 번역해 놓은 번역문 20개를 보 기들로 제시했다. 과거에 히브리어를 공부한 사람은 , ,

등을 읽 고 을 사용하면서 번역해 보라. 분리억양 5가족은 바르게 번역하도 록 안내하여 주는 길잡이다. 그래서 이 책을 시작하는 4과에 넣어 일찍 배우도록 했다.

(4믁)

그리고 (4묵)과 비교해 보라. Atkon> tyBeä-ta, ~aeär>Y:w: èWhY"qiz>xi é~h,yle[] xm;äf.YIw: bAJªh; !m,V,äh; Ÿ taeäw> ~ymiøf'B.h;-ta,w> bh''Z"h;-ta,w>; û@s,K,h;-ta, hy"åh'-al{) wyt'_roc.ao)B. ac'Þm.nI rv<ïa]-lK' tae²w> wyl'êKe tyBeä-lK' taew> `AT*l.v;m.m,-lk'b.W AtßybeB. WhY"±qiz>xi ~a'ór>h,-al{) rv,a]û rb'ªd'

paragraph, (4박) 4-13에서는 히브리어 문장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없다. 단지 관련된 철 자와 단어에 대해서, 그 기호들에 대해서 이해하면 충분하다.

< ^ ╺ 1. 을 표시하는 기호, p = ax'WtP. 퍼투하ㅇ, 퍼투하ㅇ (4뱍) 단원을 시작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앞 단원이 끝날 때 사용된 마지막 줄은 사용하지 않고서, 새로운 줄에서 시작하는 단원을 ax'WtP. 퍼투하 ㅇ,라 칭한다(EW21,CJJ47). 예를 들면 BHS p13에 가서, 창세9:17의 끝과 18절의 시작 줄을 보자.

- 346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 \ ։ \ A. 그리고 이었다 Wyæh.YI)w:18 알-하아 레츠 땅 위에 있는 `#r

∩ ׃ X \ - ^ \ 나온 ‘~yaic.YO*h; 버네 노ㅏ흐 노아의 아들들은 x:nO©-ynEb. 바이흐유

⌃ ׃ ⏆ ^ ∸ - ╺ \\ &야페트 tp,y"+w" 버함 &함 ~x'äw> 쐼 쐼 ~veÞ 민하테바 그배로부터 hb'êTeh;-!mi 하요츠임

∾ ∾ ╺ \\ ^ ⌃ ։ ( - ׃ 허나 안 커나안 `![;n")k. 아비 의 아버지 ybiîa] 후ㅇ aWhß 버함 ~x'§w> 바야페트

p `#r

B. `![;n")k. ybiîa] aWhß ~x'§w> tp,y"+w" ~x'äw> ~veÞ hb'êTeh;-!mi ‘~yaic.YO*h; x:nO©-ynEb. Wyæh.YI)w:18 아쐬르 알-하아레츠. 바이흐유 버네이 노아흐 하요츠임 민하테바 쐼 버함 바야페트 버함 후ㅇ 아비 허나안 “17땅 위에 있는 것. 18그리고 그 배로부터 나온 노 아의 아들들은 쐼, 그리고 함, 그리고 야페트, 그리고 허나안의 아버지인 함이었 다.” (창세9:17-18)

C. ㄱ 땅 위에 있는 것 p `#r ~veÞ ㄹ 그리고 허나안의 아버지인 함이었다. `![;n")k. ybiîa] aWhß ~x'§w>

D. [ㄱ]: p, 17절이 끝나면서 왼편으로 긴 공간을 남겨 두었지만 사용하지 않고, 18절은 새 줄에서 단원을 시작하기 때문에 이러한 단원을 ax'WtP. 퍼투 하ㅇ,라 칭한다. 주의, 항상 화면이 바꾸어지는 전자책인 bibleworks에서는 이러한 지면의 보습을 볼 수 없다. BHS는 기호 s나 p를 위와 같이 반드시 절과 절 사이 에서 사용했다.

. (창세9:17-18)  (창세9:17-18)의 을

- 347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פ ׃ץראה־לע רׁשא ׃ןענכ יבא אוה םחו תפיו םחו םׁש הבתה־ןמ םיאציה חנ־ינב ויהיו  (창세9:17-18)의 을 .

։ \ ) - - \ \ X \ ∩ \ ^ - ⏆ \ ^ ∸ ^ - \\ ╺ ∾ ∾ 아쐬르 알-하아 레츠` 바이흐유 버네 노ㅏ흐 하요츠임 민하테바 쐼 버함 &함 바야

\\ ╺ ^ ։ ^ \ - ) 페트 버함 후ㅇ 아비 허나 안.

 (창세9:17-18) 을

p `#r

`![;n")k. ybiîa] aWhß ~x'§w> tp,y"+w" ~x'äw> ~veÞ hb'êTeh;-!mi ‘~yaic.YO*h; x:nO©-ynEb. Wyæh.YI)w:18

- ^ ׃ 2. 을 표시하는 기호, s = am'Wts. 써투마ㅇ, 써투마 ㅇ (4벅) 앞 단원이 끝난 줄에서 3자 정도의 사이를 두고 같은 줄에서 다른 단원을 시 작하기 때문에 이러한 단원을 am'Wts. 써투마ㅇ,라 칭한다. 예를 들 면 BHS p7에 가서, 창세5:2절의 끝과 3절 시작 줄을 보자.

\ : ^ ∸ \\ - < ∩ A.바여히 살았다 yxiäy>w:¥3 s 히바르암 그들이 창조되어졌던 `~a'(r>B")hi 버욤 날에 ~AyàB....2

- - ^ - ׃ ^ - -낳게했다 dl,AYðw: 쏴 나 세 hn"ëv' 100 ‘ta;m.W 쎨로쓈 30 ~yviÛl{v. 아 담 아담은 ~d"ªa'

⋔ \ ^ ^ ׃ / 모양처럼(K.) Am+l.c;K. 비드무토 자신을-닮은 AtßWmd>Bi 바욜레드 &그는 자식을

< ㅓ ^ 커찰모 자신의-

B. Am+l.c;K. AtßWmd>Bi dl,AYðw: hn"ëv' ‘ta;m.W ~yviÛl{v. ~d"ªa' yxiäy>w:¥3 s `~a'(r>B")hi ~AyàB....2 버욤 히바르암 바여히 아담 쎨로쓈 우머아트 쏴나 바욜레드 비드무토 커찰모 2 그들이 창조되어졌던 날에... 3 아담은 130세를 살았다 그리고 그는 자신의-모양 처럼(K.) 자신을-닮은 자식을-낳게했다.

- 348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앞 단원의 마지막 줄인 2절이 끝난 같은 줄에서 시작하는 새로운 단원을(3절

- ^ ׃ 부터) am'Wts. 써투마ㅇ 써투마 ㅇ,라 칭한다(EW21,CJJ47).

3. (4벽) 단지 팔레스타인 방법과 바빌론 방법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절verse을 표시한 것은 이미 탈무드 시기에도 있었다. 그러나 장chapter을 표시하는 방법은 16세기에 와서야 만들어졌다. Stephen Langton(1150-1228)이 장chapter을 조직했으며, 14 세기에 Latin Vulgate에서 이를 받아들인 후로 장과 절이 함께 사용되기 시작했다 (EW21,CJJ48).

① s (4복) 구약성경을 3년에 다 읽도록 452 부분으로 나누었다. 이 452 부분들을 rd,s, 쎄데르 ‘순서, 차례’의 첫 자음 s를 사용해서 여백에다가 표시한다. 3년간 독해하는 방법은 팔레스타인 전통에서 나왔다.

\ rd,s, 쎄데르.

② vrp (4뵥) 을 1년에 다 읽도록 54, 53 주간 독해로 나누었다. 이 54 주간 독해들을 vrp = hvrp 를 사용해서 책 안 쪽 여백에다가 표시한다. Parashoth는 일주간 독해란 뜻이다. 오경 1년간 독해완료는 바빌론 전통에서 나왔다. BHS p9에 가면 s가 vrp 위에 찍혀 사용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4. (CJJ49) (4북) BHS의 편집자들이 히브리 글자에 관심을 기울이기를 바랄 때에, 개정한 글자 에 아직도 불확실한 점이 남아 있을 때에나, 새롭게 고친 경우 등은 독자의 관심을 요구하기 위해서 기호들을 사용한다.

① literae majusculae (4뷱)

- 349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m;Þv.는 의도적으로 다른 철자보다 큰 철자 [를 사용하면서 지정한 단어에 특 별한 관심을 기울일 것을 요구하는 경우다.

( ׃ - ∾ ׃ \ ∩ : A. 여ㅎ바 여ㅎ바님은 hw"ïhy> 이쓰라 엘 이쓰라엘아! lae_r"f.yI 쎠마ㅇ 들으라! [m;Þv.

╺ : ∩ ։ - ⌃ ^ 에하드 유일한 `dx'(a, 여ㅎ바 여ㅎ바님! Ÿhw"ïhy> 엘로헤누 우리의 신 WnyheÞl{a/

B. `dx'(a, Ÿhw"ïhy> WnyheÞl{a/ hw"ïhy> lae_r"f.yI [m;Þv.

쎠마ㅇ 이쓰라엘 여ㅎ바 엘로헤누 여ㅎ바 에하드.에서 첫 글자 [m;Þv.의 세자

음 [을 큰 글자로 사용하면서 독자의 관심을 요구했다. 번역과 설명은 (7브)를 찾

아 읽어보라. 들으라! 이쓰라엘아! {여ㅎ바님은}106 우리의 하ㄴ님, {여ㅎ바님

은}106 유일신이다(신명6:4)

② literae minusculae (4븍) 히브리 구약성경 출판을 준비하면서 표준에 미치지 못하는 단어에 대해서는 작은 철자를 사용했다. BHS에서는 이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다.

③ literae suspensae (4빅) 어떤 부분에 의심이 간다든지 또는 개정한 단어나 부분에 관심을 요구할 때에 는 다른 철자보다 위쪽으로 올려서 프린트 한다. 사사18:30절을 읽어 보자.

< ⌃ - - \ ⏆ ⌃ ⌃ A.버네 -단 단 사람들이 !d"ß-ynEB. 라 헴 자신들을위해서 ~h,²l' 바야키무 세웠다 WmyqIôY"w:

∩ ⌃ ╺ ╺ ∸ 게르쐼아들 ~vo’r>GE-!B, 비호나탄 & 여호나탄 !t'n"AhywIû 에트-하파쎌 우상을 ls,P'_h;-ta, - \\ ∸ / :나 / 나 n ׃ / 벤-머 쐬ㅎ 머 쎄ㅎ 아들 hV,nm.-!B, 벤-게르쐼

n: B. hV,nm.-!B, ~vo’r>GE-!B, !t'n"AhywIû ls,P'_h;-ta, !d"ß-ynEB. ~h,²l' WmyqIôY"w:

- 350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나 바야키무 라헴 버네이-단 에트-하파쎌 비호나탄 벤-게르쐼 벤-머 쐬ㅎ “단 사람 들이 자신들을 위해서 우상을 세웠다. 그리고 여호나탄, 게르쐼 아들, 머나쎄ㅎ 아 n: 들,”(사사18:30)에서 hV,nm.-!B, 글자에 관심을 요청하고 있다.

④ ž inverted nun, nun inversum (4삭)

뒤집어 사용한 철자 눈ž이 두 번 사용된 민수10:34하-36을 읽어 보자. 34절 하반절과 35-36은 문맥의 흐름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알려주기 위해서 철 자 눈n을 뒤집은 ž을 일종의 괄호처럼 사용했다.

/ ։ < ㅏ ։ )) 34 A. 민-하마하네ㅎ 그 야영지로부터 `hn<)x]M;h;(-!mi 버노 쓰암 그들이 출발할 때에~['Þs.n"B.

- - - V - ) \ : ⌃ 35 rm,aYOæw: 하아 론 그 상자가 !roßa'h' 빈쏘아 떠날 때 [:soïn>Bi 바여히 였습니다 yhi²y>w:

⌃ ⌃ - \ ⏆ \ hw"©hy> 쿠마 일어나세요 Ÿhm'äWq 모쐬ㅎ 모쐬ㅎ는 hv,_mo 바요ㅇ메르 말했습니다

\\ ∾ ⌃ : ∩ 당신의 원수들이 ^yb,êy>ao) 버야푸추 흩어지게 하십시오 ‘Wc“puy"w> 여ㅎ바 여ㅎ바님이시여!

\\ ∾ ⌃ - : \ ╺ 당신을 증오하는 자들이 ^ya,Þn>f;m. 버야누쑤 도망가도록 하십시요! WsnUïy"w> 오여베ㅇ하 ╺ \ ㅓ ׃ ╺ \ ∸ 36 ╺ ׃ ⌃ ㅜ버누호ㅎ &끝이 날 때에는 hxoßnUb.W 미파네ㅇ하 당신 앞에서 `^yn<)P'mi 머싼에ㅇ하

: ∩ ⌃ ⌃ ∾ \ 여ㅎ바 여ㅎ바님이시 hw"ëhy> 쓔바 돌아오소서! hb'äWv 요ㅇ마르 말했습니다rm;_ayO

⌃ ׃ \ ⌃ ㅓ - ∾ ׃ \ 이쓰라엘 이쓰라엘의 `lae(r"f.yI 알 페 군중들에게로(1000) ypeîl.a; 리브보트 많은 tAbßb.rI)

B. s ž `hn<)x]M;h;(-!mi ~['Þs.n"B....34 `^yn<)P'mi ^ya,Þn>f;m. WsnUïy"w> ^yb,êy>ao) ‘Wc“puy"w> hw"©hy> Ÿhm'äWq hv,_mo rm,aYOæw: !roßa'h' [:soïn>Bi yhi²y>w: 35 s ž `lae(r"f.yI ypeîl.a; tAbßb.rI) hw"ëhy> hb'äWv rm;_ayO hxoßnUb.W 36 34...버노쓰암 민-하마하네ㅎ, 35 바여히 빈쏘아 하아론 바요메르 모쐬ㅎ 쿠마 여ㅎ 바 버야푸추 오여베ㅇ하 버야누쑤 머싼에ㅇ하 미파네ㅇ하, 36 우버누호ㅎ 요ㅇ마르

쓔바 여ㅎ바 리브보트 알페이 이쓰라엘 “34...그들이 그 야영지로부터 출발할

- 351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때에. 35 그 상자가 떠날 때였습니다. 그래서 모쐬ㅎ는 말했습니다, ‘일어나세요, 여ㅎ바님이시여! 당신의 원수들이 흩어지게 하십시오, 당신을 증오하는 자들이 당 신 앞에서 도망가도록 하십시요! 36 그리고 끝이 날 때에는, 여ㅎ바님이시여! 이쓰 라엘의 많은 군중들에게로 돌아오소서!(민수10:34,35-36)

⑤ puncta extraordinaria (4샥) 의심이 가는 단어에는 철자마다 철자 위에다 기호들을 찍어서 의심이 가는 단어임을 알려 주었다. 창세18:9을 읽어보자.

∩ ׃ ⏆ \ \ \ - - ⏆ A. 아예ㅎ 어디에? hYEßa; 엘 라 ㅇ브 그에게 w©y©l'ëªaeª 바요ㅇ머루 그들은 물었다 Wråm.aYOw:

- ⌃ 싸라 싸라는 hr"åf'

B. 바요ㅇ머루 엘라ㅇ브 아예ㅎ 싸라 hr"åf' hYEßa; w©y©l'ëªaeª Wråm.aYOw: “그들은 그에게 물었다, 싸라는 어디에?”에서 단어 w©y©l'ëªaeª 위에 의심이 가는 단어임 을 표기하는 기호들이 찍혀있다.

5. (4석) ① (4셕) 예외라면 사상, 왕상, 에즈라, 역상만 제외가 된다, 본디 이들은 하권과 한 권 이었기 때문이다. 다른 책들의 끝에는 글자들에 대한 통계를 올려놓았는데, 그 이 유라 할까 목적이라 할까! 같은 책을 새로 편찬할 때에 그 새로 편집된 책의 글자 수들을 이 통계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신명기서 끝에는 아래와 같은 재료들을 올려놓았다 * 절, 955;

)  * 책의 중간 지점, 17:10의 yPiÛ-l[; 알 피, 알 피 “조건에 따라서”;

∩ - ׃ * 31개의 ~yrIªd"s. 써다림, 써다 림 독해 부분들; * 오경은 5945절들, 158 ~yrIªd"s. 독해 부분들, 79,856 단어들, 400,945 철자들을

- 352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가지고 있다.

∩ - ׃  ( yPiÛ-l[; 알 피, ~yrIªd"s. 써다 림 .

② (4속) 여백 주해를 Marginal notes, Masora parva (Mp), little Masora라고 칭한다. 본문에 대한 주해, 희귀한 단어들, 책들의 중심부 등에 대해서 주해를 달았고 아래 와 같은 통계도 제공된다.

* l는 BHS에 단 한 번 밖에 나오지 않는 유일한 단어임을 가리킨다. l는 아람 어 tyl “한 번” 또는 tyl al "다른 것은 없다“의 약어다.

* b는 2번 사용된 단어나 어휘를 가리키는 철자다. b = 2

* g는 3번 사용된 단어나 어휘를 가리키는 철자다. g = 3(CJJ50)

6. (DD5.2) (4쇽) BHS를 읽으려면 아래와 같은 약어들을 바로 마주치게 된다. 알아두면 좋다.

∸ ( ׃ - ⌃  \\ A. 아말렉을 qleªm'[]-ta, 버히키타 쳐라! ht'øyKi(hiw> 레 흐 가라 %le’ 아타 이제는 •hT'[;

⊃ - - 에트-아말레 크

B. 아타 레흐 버히키타 에트-아말레크 qleªm'[]-ta, ht'øyKi(hiw> %le’ •hT'[; “이제는 가서 아말렉을 쳐라!” 아래 순서대로 여백주해 약어들을 풀어 나간다.

∸ ( ׃ - ⌃  \\ - - ⊂ qleªm'[]-ta, 에트-아말레 크, ht'øyKi(hiw> 버히키타 , %le’ 레 흐, •hT'[; 아타.

① . •hT'[;에는 소공이 찍혀 있다. 이 을 (4숙) circellus라 칭한다. 언급하는 단어가 하나이면 그 단어 위에다 소공을 찍는다.

- 353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그러나 하나 이상이면 단어와 단어 사이에 소공이 찍힌다: ~yhiêl{a/֯ hw"åhy>֯ ‘rm,aYO“w (창세2:18)이다.

② 여백주해에서 •hT'[;를 언급하는 . (4슉)

같은 줄에 소공 circellus들이 3개 있으면 여백에 3개의 주해들이 나온다. • hT'[;는 그 줄에서 2번째 소공이기 때문에, 여백에서 2번째 주해를 찾으면 된다. 순 5 .r hk가 •hT'[;에 대한 주해임을 알 수 있다״서에 따라 주해 p

③ (4슥) hk = 20(k) + 5(h) = 25. (1갸)에서 즉 1-2에서 히브리어 자음들을 소개 하면서 자음으로 숫자를 나타낸다는 것을 공부했다. 자음으로 숫자를 표기하는 공 부가 잘 되어있지 않으면, 여백주해를 해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히브리어에서는 자음으로 숫자를 표기하기 때문에 히브리어 성경 전체를 아라비아 숫자로 바꾸어 오직 숫자만으로도 표기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1갸)에 돌아가서 자음과 숫자 관계를 확실하게 공부해야 할 것이다. hk처럼 숫자를 표기하는 자음들이 나오면 이를 숫자로 바꾸어 나온 숫자들을 합해서 총계를 내야한다.

④ (4식) 를 자음״ r의 약어들을 해독해야 한다. 생략된 자음들은 이중 아포쓰트로피״p .r = qwufp; varo 로ㅇ씌 파쓰부크״과 자음 사이에 찍어 표기한다. p

∾ \ ⑤ qwufp; varo 로ㅇ씌 파쓰부크 (4악) qwufp; varo = initium versus, initia v = beginning(s) of verse = 절의 시 작,을 뜻한다.

∾ \ qwufp; varo 로ㅇ씌 파쓰부크

- 354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5 (r에서 위로 (4약״p ⑥ 5 - -는 Mm = Masora magnae들이 본문 바로 아래에 일렬로 배열된 숫자들

중에서 5번을 가리킨다. 그리고 Mm 아래에는 현대판 원문비평 modern critical apparatus가 페이지의 맨 아래쪽에 기록되어 있다.

5 ⑦ Mm을 (4억)

5 Mm 1057을 읽을 수 있다. 숫자 1057은 Masora magna에 나오는 일련번호 1057을 찾아가라는 뜻이다. Masora magna에는 각 구절들이 용어색인 concor dance 형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BHS와 묶어서 출판하지 않고 분리해서 다른 책으 로 편집한 책이 Masora magna라는 책이다. 또한 Masora magna나 Massorah gedolah는 같은 이름들이다.

5 ⑧ Mm 1057을 (4역)

일련번호 1057을 1권에서 찾아내면, •hT'[;가 문장의 첫 단어로 시작하는 25 구절을 제공한다. 보기로 택한 들을 모두 해독 했다. BHS나 BHQ를 펼쳐 볼 때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재료들이다.

bibleworks.com을 사용할 때에 히브리 악쎈트에 대해서 알아 보려면, ① menu View > Choose Display Version(s) > Hebrew를 클릭 > JDP Hebrew Accent Tagging by Dr. J.D.Price를 클릭한다.

② The Browse Widnow에 JDP source가 열린다. JDP 왼편 줄을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으로 click하면 새로운 창이 열린다.

③ 새로운 창에서 Suypplemental Hebrew Codes를 click하면 No Supplemental Codes, Full Supplemental Codes, Condensed Supplemental Codes, 3가지 종류의 선택이 가능하 다.

- 355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Deu 10:17 JDP)יִּכ *+Condensed Supplemental Codes를 click한다. @Pc+*Hb*Rx+Kc ④ 를 보면 Kc가 yKi ֤ 키에 붙은 히브리 악쎈트의 이름을 약어를 사용해서 Kc라 표현했 다. Dr. J.D.Price이 사용한 악쎈트의 약어들을 그대로 소개한다.

The following are the two letter codes for each accent.

Prose books Poetical Books

Xx no accent Xx no accent

Ae Silluq (4쳐) AF Silluq

BE Athnach (4초) Ee Rebia Mugrash

Hd Tiphcha (4치) Fe Great Shalsheleth

ED Zaqeph (4츠) BE WeYored

FD Great Zaqeph (4츄) CE Athnach

CD Segolta (4됵) Id Dechi

DD Great Shalsheleth 4하 Gd Sinnor

Lc Tebir (4쿠) DD Great Rebia

Jc (4켜) JC

Kc Yethib (4쿄) Lb Legarmeh-Azla

Ic Zarqa (4커) Kb Legarmeh-Mahpa k GC Rebia (4캬) Ma

Mb (4큐) Na Mereka

Nb Garshaim (4크) Ra Mahpak

OB Pazer (4키) Pa Tarcha

PB Great Pazer (4타) Sa Azla

QB Great (4탸) Oa Illuy

- 356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Rb Legarmeh (4터) Qa Galgal

Sa Munach (4토) Ta Little Shalsheleth

Ua Mereka (4투) Wa Sinnorit

Ta Mahpak (4툐) Ua Sinnorit-Mereka

Va Mereka Kephula 4튜 Va Sinnorit-Mahpak

Xa Azla (4티)

Ya Little Telisha (4파)

Za Galgal (4퍄)

Wa (4트)

- 357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히한 대선 음역으로 써봐라.

(흑1) (흑2) (흑3)

/ X V

rB<ßDI ywr+ . T.l.G:vuu

/ X V 디 Y: 야 갈

(반1) (반2) (반3) (반4) (반5) (반6)

։ \\ // < ⊃ ㅓ

> ywr+ -> ywr+.+ -> ynIlOP. ymi[\n") l.a, m.yI m.[;

: \\ // < ⊃ ㅓ ㅓ ㅓ 거 w> 버 R> 러 펄 오 엘 임 암

(장1) (장2) (장3) (장4) (장5) (장6) (장7)

╺ ∸ ∆ ⍀ ∾ ⏆ ))

`@l,a'* lAdG" Wkßl.YEw: Wrm.v' ywr YWR z[O

╺ ∸ ㅓ ⍀ ∾ ⏆ )) 알 가 엘 쐄 바 바 오

(전1) (전2) (전3) (전4) (전5) (전6)

⌃  ∂ ∩ ⋔ ∪

lAdG" tyBe aT'l..Ags.. ywr ywr+. ry[i

^  ∂ ∩ ⋔ ∪ ∪ 도 베 골 요 욜 이 보

(기1) (기2)

ㅈ ㅏ

\ ㅏ 브ㅈ 로

- 1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ㅎ = h ㅎ = x ㅎ = k ㅆ =s ㅋ = q ㅌ = j

∸ ^ 가돌 lAdG" 가돌 큰, 위대한(4냐)

∸ \ 가라씌 vr;;G"" 가라씌 쫓아내다(4크)

V / 갈갈 lG::l.G:: 갈갈 바퀴 연결표(4퍄)

< ⌃ ^ 거돌라 hl'AdG> 거돌라 위대한(4어)

/ \ 게레씌 vr,G< 게레씌 -- 빗금분리표

/ \ 게레씌 vr,G< 게레씌 쫓겨난 것, 던져진 것(4크)

∸ \ 게르 rGE 게르 외국인(4부)

∸ \ ∾ ⌃ 게르-야톰 ~Atßy"-rGE 게르-야톰 외국인, 고아,

/ \\ \ 게르쏴임 ~yIv;r>G< 게르쏴임 -֞ 쌍빗금 분리표

- - 나쏴ㅇ av'n" 나 쏴 ㅇ 들어 올리다(4무)

) \ 나아르 r[;n:© 나아르, “소년” (4나)

- ⌃ ╺ ⌃ \ 나쏘그 아호르 rAxa' gAsn" 나 쏘그 아호르 “악쎈트 후진(4기)

- ⌃ 나쏘그 gAsn" 나 쏘그 후진한 B1(4기)

- 나카브 bq;n" 나 카브 꿰찌르다(4여)

^ ׃ - 나트나 hn''t...n"" 나 트나 그 여자가 주었습니다(4뱌)

 ^ ׃ - 나트나-리 yLi-hn''t...n"" 나 트나 -리, “그 여자가 나에게 주었습니다.(4뱌)

- \ 나하르 rk;n" 나하르, “인정하다”, F "존중하다“. (4부)

⌃ ^ ׃ 너보호트 tAkAbn> 너보호트, B3F, “너녀들이 당황하게 되다”(4느)

^ ⌃ ׃ 너코밈 ~ymiAqn> 너코밈 B3M. ”너남들이 일어나게 되다”(4뉴)

- 358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 너씨가 hg"ysin> 너씨가, 후진한 악쎈트, nsigna(4기)

^ ╺ ׃ 너호토 Atkon> 너호토 “그의 보물” (4키)

ㅓ - 님차ㅇ ac'Þm.nI 님차ㅇ 그가 발견하게 된(4댝), B5E 저장고

∸ \ 다라그 gr;D" 다라그 한 걸음씩 걷다(4트)

- - \ 다바르 rb'ªd' 다 바 르 아무것도(4댝),부정문에서

∸ - \ 다바르 rb''D" 다 바 르 말씀(4야)

∸ 담 ~D" 담 피(4저)

< \ 더바르 rb;D>> 더바르 ...의 말씀(4야)

< - \\ ╺ 더바르하 ^r>b"(D> 더바 르하 당신의 말(4스)

< - ∩ 더바리 yrIb''D> 더 바 리 나의 말씀(4오)

< - ∩ 더바림 ~yrIb''D>> 더 바 림 말씀들(4어)

< ^ 더히 yxiD> 더히 - 모점 분리표, (4혀)

 도다트 td;AD 도다트, w ...의 아주머니. (4쇼)

 ^ 도다티 ytid"AD 도다티 “나의-아주머니” (4쇼)

׃ / 디머헴 ~k,m.DI 디머헴 “너남들의 피” (4저)

∩ ׃ / 디브레이 yreb..DI 디브레 , ...의 말씀들” (4오)

∩ ׃ / 디브레헴 ~h,,yreb..DI 디브레 헴. “그들의 말씀들” (4오)

∾ ^ 라아 ha''r"" 라 아 보다(4류)

׃ - 라흐 `%l' 라 흐 너남에게(4지)

- 라헴 ~h,²l' 라 헴 자신들을 위해서 (4빅)

ㅓ  람씰라 hL'sim.l;( 람씰라. ‘그 고가도로에’(4도4)

/ \\ ׃ ֣ -- | 러가르메흐 Hm,r.g;l. 러가르메흐

- 358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 러가르메흐 Hm,r.g;l. 러가르메흐 스스로를 위해서(4터)

\\ ^ ) 러비아 [;ybir> 러비 아 -- 다이아분리표 (4프)

∾ ׃ ( ^ \\ 러비아 무그라씌 vr"g>mu [:ybir> 러비 아 무그라씌 -- -- 다이아빗금 분리표, (4피)

\\ ^ ) - ⌃ 러비아 카톤 !Ajq' [;ybir> 러비아 카톤 -- 작은 다이아분리표, (4허)

- ׃ 러체ㅇ트 taceÛl. 러체 ㅇ트 나온 후에 (4라)

 ׃ ׃ 러하브딜 lyDI§b.h;l. 러하브딜, F9 "가르도록“, (4츄)

╺ ׃ ㅏ ׃ 러호크-러하 ^ïl.-qx'l. 러호 크-러하, “너를 위한 의식으로서” (4부)

\ ) 레쏴ㅇ [v;r<ï 레쏴ㅇ 악을 (4묘)

׃ - 레흐 %le’ 레 흐 가라 (4쇽)

^ 로 Al 로 “그에게” (4튜)

- - ∩ 로ㅇ 하유 Wyæh'-al{ 로ㅇ 하유 그들은 없었다. (4리)

∾ \ 로ㅇ씌 파쓰부크 qwufp; varo 로ㅇ씌 파쓰부크 절의 시작 (4식)

- ⌃ 로ㅇ-토브 bAj+-al{ 로ㅇ-토브 좋지-않다 (4부)

- - ∩ 로ㅇ-하야 hy"åh'-al{) 로ㅇ-하야 “아무것도 없었다” (4캬)

- - ∩ ╺ - \ 로ㅇ-하야 다바르 rb'ªd' hy"åh'-al{) 로ㅇ-하야 다 바 르 아무것도 없었다(4캬)

- - ∩ 로ㅇ 하유 Wyæh'-al{ 로ㅇ-하유 그들은 없었다(4리)

- 로ㅇ al{ 로ㅇ 않았다(4샤)

- ⌃ 로ㅇ-토브 bAj+-al{ 로ㅇ 토브 좋지-않다(4부)

- \\ - 로ㅇ-헤르암 ~a'ór>h,-al{) 로ㅇ-헤르암 그가 그들에게 보여주지 않은(4댝)

⌃ ׃ \ 리브보트 tAbßb.rI) 리브보트 많은 (4삭) 마드 dm; 마드 옷, 치수(4쟈)

- 마쏴흐 xv;m' 마 쏴 흐 기름을 바르다(4묘)

- 359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마쏼 lv;m' 마쏼 지배하다,(4뱌)

\ (마임 ~yIm;֫ 마임, nm 물, 물들(4스

- \ 마임 ~yIm'_ 마 임 nm 물, 물들(4스)

- 마차ㅇ ac;;m'' 마 차ㅇ 찾다 (4슈)

- - 마차ㅇ ac'm' 마 차ㅇ 찾다 (4슈)

- / 마하흐 Hh;m' 마 하흐 주저하다(4추)

- \ 마헤르 rhEïm; 마헤르 빨리 (4스1)

- \ - - 마헤르 쏼랄 ll'Þv' rhEïm; 마헤르 쏼 랄 노획물로 빨리 가는자(4스)

마헤르 쏼랄 하씌 바즈 `zB;( vx'î ll'Þv' rhEïm; 이사야의 부인 여선지자의 아들 이름(4스)

╺ \ ㅓ ׃ 머싼에ㅇ하 ^ya,Þn>f;m. 머싼에ㅇ하 당신을 증오하는 자들이 (4삭)

╺ ։ - ׃ 머쏴하하 ^x]v'm. 머쏴 하하 A5Ec 너를 기름부으셨다(4묘)

╺ ׃ 머쏼 lv''m... 머쏼 군림하라(A15M)(4뱌)

^ ∸ ㅏ ׃ 머쑐-바누 WnB''-lv''m... 머쑐 -바누 “우리 위에 군림하라”(4뱌)

- : ׃ (머아열라ㅇ al'Y>a:m. 머아열라 ㅇ, --֭ 모점 연결표, (4퍼

- 머오드 `dao)m. 머오드. 매우 (4루)

/ 머하쎄 hS,Ûk;m. 머하쎄ㅎ 숨어야 하는가? (4로)

׃ ∸ ׃ 머후파흐 %P''hum. 머후파흐 벗-- 화살 연결표, (4툐)

/ \\ ׃ ׃ ∸ ׃ (벗-막대화살분리표(4효׀ 머후파흐 러가르메흐 Hm,r.g;l. %P'hum. 머후파흐 러가르메흐

⌃ - ׃ 멀라힘 ~ykil'm. 멀 라 힘 nm 왕들(4샤)

- ∾ ׃ - 메아브라함 ~h'êr"b.a;me¥ 메 아브라함 아브라함으로부터(4로)

- - 메안 !a'me 메 안 어디서, 어디로부터(4려)

- 메차흐 xc;meä 메차흐 이마(4나)

- 360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메테그 gt,m, 메테그 제어, 정지선(4다)

)) ^ ^ 메ㅎ-아씨티 ytiyfi['-hm, 메ㅎ-아씨 티 “내가 무엇을 행했느냐?" (4지)

- ։ - \ \ ╺ 메하베레ㅇ하 `^yr<)bex]me( 메 하베 레ㅇ하 너남의 동료들 위에 (4묘)

׃ 멜레흐 %l,m, 멜레흐 nm 왕(4샤)

ㅓ - ^ 멤쏼라 hl'v'm.m, 멤쏼 라 nf 지배(권)(4쳐)

ㅓ ㅓ  멤쏼토 `AT*l.v;m.m, 멤쏼토 그의 지배권 nfw(E)(4룍)

- 모쐬ㅎ hv,_mo 모쐬ㅎ 모쐬ㅎ는 (4삭)

^ - 무나ㅎ xn""Wm 무나 흐 -- 단어 연결표 (4토)

 미도 ADmi 미도 그의 옷(4쟈)

∾ ׃ 미브라흐 xr'b.mi 미브라흐 nf 망명자(4브).

⌃ ∾ ׃ 미브라호 Axr'b.mi 미브라호 그의 도망가는 자들(4브)

╺ ׃ ⌃ 미러하 ^ñl.-ymi( 미 -러하 ‘누가 당신에게?’ (4도2)

\ \ ׃ 미츠라임 ~yIr:êc.mi 미츠라임 에집트 (4라)

∸ \ ╺ 미파네ㅇ하 `^yn<)P'mi 미파네ㅇ하 당신 앞에서 (4삭) 민 -!mi 민 ...로부터(4벼)

/ ։ 민-하마하네ㅎ `hn<)x]M;h;(-!mi 민-하마하네ㅎ 그 야영지로부터 (4삭)

∸ ^ 민하테바 hb'êTeh;-!mi 민하테바 그 배로부터 (4뱍)

< \ \ 밀러라ㅇ [r:L.mi 밀러라ㅇ 단어의 끝음절 (4도2), 아랫 강세(4그)

< ∪ 밀에일 ly[eL.mi 밀러엘, “윗강세 = 위엣강세” (4그)

\ X \\ 바.야르ㅇ ar>Y:w: 바야르ㅇ 그 분께서 보셨다(4사)

\ : ^ - \ 바.여히-보케르 rq,boß-yhiy>w:) 바여히 -보케르 아침이 되었다(4다)

\ : ^ ) \ 바.여히-에레브 br<[,î-yhiy>w:) 바여히 에레브 저녁이 되었고(4다)

- 361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 ^ \ 바.여히-오르 `rAa-yhiy>w:) 바여히 -오르 빛이 있었다(4다)

\ X ∸ 바.이싸ㅇ aF'YIw: 바이싸ㅇ 그러나 그는 들어 올렸다 A6E(4무)

∸ ⌃ 바누 WnB'' 바누 우리 위에(4뱌)

׃ \ ∸ / 바다레흐 `%r,D'B; 바다레흐 길에서(4쥬)

∸ 바달 ld;B' 바달 나누다, 가르다(4츄)

∸ \ 바라흐 xr;B' 바라흐 도망가다(4샤)

╺ 바ㅇ `ab'( 바ㅇ 가야 하는가?(4려)

\ X \\ 바야르ㅇ ar.Y:ôw: 바야르ㅇ 그 분께서 보셨다(4트)

\ X \\ - 바야르엠 ~aeär>Y:w: 바야르엠 F6Ee & 그는 그남들에게 보여 주었다(4토) 바

\ ⏆ - 야모트 `tmo)Y"w: 바야모트 (그리고) 그는 죽었다(4스)

\ ⏆ ㅏ 바야모트 tm'Y"åw: 바야모 트 A6E “그가 죽었다”(4라)

\ X ) 바야안 ![;Y:w: 바야안 A6E 그는 대답했다(4탸)

\ ⏆ 바야콤 ~q'Y"w: = ~q'/y"/yw: 바야콤 그는 일어났다 (4그)

\ ⏆ ⌃ ⌃ 바야키무 WmyqIôY"w: 바야키무 그들이 세웠다 (4빅)

∾ ∾ 바야페트 tp,y"+w" 바야페트 &야페트 (4뱍)

\ : ⌃ 바여히 yhi²y>w: 바여히 그것이...였습니다 (4삭)

\ : ^ 바여히 yxiäy>w:¥ 바여히 그가 살았다 (4벅)

\ ⏆ - - 바예체ㅇ-노아흐 x;nO=-aceYEßw: 바예체 ㅇ-노ㅏ흐 노아흐가 나갔다(4퍼)

\ ⏆ \ 바요메르 rm,aYOæw: 바요ㅇ메르 그는 말했습니다 (4삭)

\ ⏆ \ ∩ 바요ㅇ머루 Wråm.aYOw: 바요ㅇ머루 그들은 물었다 (4샥)

\ ⋔ 바욜레드 dl,AYðw: 바욜레드 그는 자식을-낳게했다 (4벅).

׃ X \ 바이씌마흐 xm;äf.YIw: 바이쓰마흐 & 그는 기뻐했다(4록)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X \ 바이체르 •rc,YIw: 바이체르 그가 지으셨다 (4닉7)

/ ׃ ׃ X \ 바이트마ㅎ마흐 ŸHm;h.m;t.YIw:¥ 바이트마흐마흐, S6E 그는 머뭇거렸다 (4추)

∩ ׃ X \ 바이흐유 Wyæh.YI)w: 바이흐유 그리고 그들은...이었다 (4뱍)

/ 바즈 `zB;( 바즈, 약탈물로 (4스1)

\ ∸ ㅏ 바타쑈브 bv'T'Ûw: 바타쑈 브 A6F 그것이 돌아갔다(4쿄)

\ < X \ - 바터하예ㅇ나 !'yY<ßx;T.w: 바터하예ㅇ나 그녀들은 살려 주었다(4마)

- ׃ / \ 바티쓰나ㅇ an"òf.Tiw: 바티쓰나ㅇ & 당신께서는 미워하십니다 (4묘)

׃ ∸ 바흐 `%B' 바흐 너녀를(4지)

\\ - - ^ 버.로ㅇ-타비 aybiiit;'-alow> 버로ㅇ-타비 ㅇ너남은-결코-가져오지-못하게-하라(4뷰)

\\ - ╺ ∩ 버.쏘헤라 hr'xesow> 버쏘헤라 방패와(4져)

- ^ ׃ 버네이 노아흐 x:nO©-ynEb. 버네 노ㅏ흐 노아의 아들들은 (4뱍)

< ⌃ - 버네이-단 !d"ß-ynEB. 버네 -단 단 사람들이 (4빅)

- ∾ ׃ \ ^ > 버네이-이쓰라엘 laer"f.yI-ynE)B. 버네 -이쓰라 엘 이쓰라엘의 아들들이 (4라) < ㅏ ։ )) 버노쓰암 ~['Þs.n"B. 버노 쓰암 그들이 출발할 때에 (4삭)

\\ - 버로ㅇ alow> 버로ㅇ 그리고 결코 못하게 하라

< ⌃ ⌃ 버베이토 AtßybeB. 버베 토 그의 집안에(서)(4치)

< - ⌃ 버싸밈 ~ymiøf'B. 버싸 밈 nf 양념들

\\  버아타 hT'úa;w> 버아타 ‘그러나 너남은’ (4크)

\\ ㅓ ╺ ⌃ 버알마나 hn"+m'l.a;w> 버알 마나 그리고 과부(4부)

\\ ∾ ⌃ 버야누쑤 WsnUïy"w> 버야누쑤 도망가도록 하십시요! (4삭)

\\ ∾ ⌃ 버야푸추 ‘Wc“puy"w> 버야푸추 흩어지게 하십시오 (4삭)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버에트 taew> 버에트 ..은(주격으로)(4브)

\\ - 버에트 taew> 버에 트. “...을” (4켜) ^ ⌃ - ׃ \\ 버에트 멀라헤누 Wnykel'm.-ta,w> 버에트-멀라헤누 (그러나) 우리의 왕들-은(4샤) \\ < - ^ 버에트-하버싸밈 ~ymiøf'B.h;-ta,w> 버에트-하버싸 밈 “그리고 양념들을” (4큐)

\\ ∸ - 버에트-하자하브 bh''Z"h;;-ta,w> 버에트-하자하브 그리고 그 금을 (4티)

< ∪ 버오드 dA[B. 버오드 (시간상) 계속해서 안에 (4머) \ \ - ∾ ׃ - > 버오츠로타ㅇ브 wyt'_roc.ao)B. 버오츠로타ㅇ브 nmw(E)그의 보배함들 안에 (있는)(4초) < ∩ 버욤 ~AyàB. 버욤 날에 (4벅)

\\ - ㅓ  버카탈티 yTil.j;q")w> 버카탈티 “그리고 내가 죽였다” (4뎌) \\ - ∩ 버하야 hyo"h'w)> 버하야 ‘그는 ...이 될 것이다’ (4도4) \\ ╺ 버함 ~x'§w> 버함 & 함 (4뱍) \\ ⌃ 버후ㅇ aWhw> 버후ㅇ 그리고 그가 (4지) \\  ⌃ 버히키타 ht'øyKi(hiw> 버히키타 쳐라!(4쇽) / 베게드 dg,,B,,, 베게드 옷(4저) ׃ \ ∸ 베라흐 %r::Be 베라흐 C5E 그가 축복했다(4수)  ∸ - \ \ 베트 켈라ㅇ브 wyl'Ke tyBe 베트 켈라ㅇ브 무기고(4츠) / 벤 -!B, 벤 ...의 아들(4버) / ∸ \\ - 벤-게르쐼 ~vo’r>GE-!B, 벤-게르쐼 게르쐼 아들 (4빅) / 나 ׃ / :나 n 벤-머 쐬ㅎ hV,nm.-!B, 벤-머 쐬ㅎ 머나쎄ㅎ 아들 (4빅) ∸ 보쎔 ~f,Bo 보쎔 nf 양념(4룍)  보ㅇ aAB 보ㅇ 가다, 오다, 들어오다(4뷰) - \ 보케르 rq,bo 보케르 아침 (4다) ׃  부흐 %WB 부흐 당황해지다(4느)

։ ^ - 비거데-코데씌 vd,qo-ydeg>bi 비거데 -코데씌 거룩한 옷들(4저)

- 362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 / 비드무토 AtßWmd>Bi 비드무토 자신을-닮은 (4벅) / 비씌나트 tn:åv.Bi 비씌나트 해에(4라) ∩ ⌃ - - 비호나탄 !t'n"AhywIû 비호나탄 & 여호나탄 (4빅)

V - ) 빈쏘아 [:soïn>Bi 빈쏘아 떠날 때 (4삭) ( ׃ ∾ V 빈얀 니프알 l[;p.ni !y"n>Bi 빈얀 니프알, 기재사 변화 (4뉴) - ⌃ 싸라 hr"åf' 싸라 싸라는 (4샥) \ 싸르 rf; 싸르 nmv/w ..의 총책임자(4무) - ^ 싸쏜 !Afªf' 싸 쏜 환희 (4묘)

- \ 싸하르 rx;s' 싸하르 돌아다니다(4져)

∸ ׃ ⌃ ׃ 써골러타ㅇ aT'l.Ags. 써골러타 ㅇ  삼각점 분리표(4됵)

∸ ∂ ׃ 써골러타ㅇ aT'l.Ags. 써골타 ㅇ  삼각점 분리표(4됵)

⌃ ╺ ׃ 써다림 ~yrIªd"s. 써다림 독해 부분들 (4셕) - ^ ׃ 써투마ㅇ am'Wts. 써투마 ㅇ = s 같은 줄에서 시작하는 새 단원 (4벅) \ 쎄데르 rd,s, 쎄데르 ‘순서, 차례’ (4복)

- \ 쎄페르 rp,seê 쎄페르 책(4나)

( ׃ 쎠마 [m;v. 쎠마ㅇ A15M 너남은 들으라(4스)

( ׃ 쎠마ㅇ [m;Þv. 쎠마ㅇ 들으라! (4뷱)

/ \\ ׃ 쎠마르템 ~T,,r..m;;v.. 쎠마르템 당신들이 준수했다(4냐) ∪ ╺ ׃ 쎠마우 W[m'(v. 쎠마우 A15M 너남들은 들으라(4스2) ^ - ׃ 쎨로쓈 ~yviÛl{v. 쎨로쓈 30 (4벅) - ^ ׃ 쎠모탐 ~t''Amv. 쎠모탐 그남들의 이름들(4스)

⌃ ׃ 쎠미 ymiv. 쎠미 나의 이름(4스) ׃ 쎨쐬트 tv,l{v. 쎨쐬트 삼 3(4머)

- 355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 쏘헤라 hr'xeso 쏘헤라 nf 방패(4져) - ^ 쏴나 hn"v' 쏴 나 nf 해, 년(4라) - \\ ∸ 쏴마르타 T'r.m;v' 쏴 마르타 네가 준수했다(4냐) - ^ ) 쏴부아 [;Wbv' 쏴부아 nf 7일 기간(4디) - )) ^ 쏴부오테헴 ~k,yte[obuv'( 쏴 부오테 헴 nmw(C) 너남들의 축제 주간들에(4디) - 쏴트 tv'( 쏴 트 A5E 그 분께서 주셨다(4두) - ^ 쏴트-리 yliÛ-tv'( 쏴 트 리 나에게-주셨다(4두) ㅓ (쏼쐴레트 tl,,v,,l..v;; 쏼쐴레트 | -֓ 막대체인분리표(4됵 - ⌃ 쐬모트 tAmve 쐬 모 트 이름들(4스) 쐬멘 !m,v,î 쐬멘 의.기름으로 (4묘)

- 쐄 ~v'_ 쐄 거기에서(4라) - 쐼 ~ve 쐼 이름(4스) 쐼 ~v, 쐼 ...의 이름 (4버)

⌃ 쑤그 gWs 쑤그 “뒤로 물러가다.”(4기) ╺ ׃ ⌃ 쑤써하 ^s.Ws 쑤써하 (4즈) ⌃ ╺ (4즈) ׃s,(Ws 쑤쎄하^׃ 쑤쎄하 ㅓ ∪ 쓈우 W[m.vi 쓈우 (4스2) ⌃ ⌃ 쓔바 hb'äWv 쓔바 돌아오소서! (4삭) ^ 쓔브 bWv 쓔브 ”돌다, 돌아가다“ (4쿄) ^ ׃ 씨프리 yrIp.si 씨프리 “나의-책” (4셔4) ^ 씰루크 qWlsi 씰루크 -- 절휴지표 >(4쳐) (4조) ^ 쒸트 tyvi 쒸 트 놓다, 정하다(4두) -  아나 hN"a") 아 나 어디로 (4려) )) ^ 아나 hn"[' 아나 대답하다(4탸)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 아나쓈 yvin"a] 아나 쓈 nm 사람들(4샤) ^ ׃ ։ 아나흐누 Wnx.n;a]] 아나흐누 “우리” (3루) ։ ^ 아니 ynIa] 아니 나는, 내가 (4려) ։ ^ 아누 Wna} 아누 우리 ։ - - \ 아도나이 yn"doa] 아도나ㅇ ։ - - \ - 아도나이 밤 ~b' yn"doa] 아도나ㅇ 밤 나의 주께서 그들 안에(3쟈) ։ ^ ^ 아도밈 ~ymiAda] 아도밈 에돔 사람들(4져) ) 아드 -d[; 아드 ...까지(4벼), nm 약탈품(4스) ) - 아드-안 !a'-d[; 아드-안 언제까지? 얼마나 오래?(4려) - \\  아마르티 yTir>m;a' 아 마르티 내가 말했다(4지) ։  아미토 `ATmia] 아미토 그의 진리(4져) )) 아바드 db;;[' 아바드 '일하다‘(4노) ⊃ / 아바드템 ~T,,d..b;;[] 아바드템 (4노) ⊃ - ^ ~ydib'[] 아바 딤 연결억양 (4토) 아브 ba; 아브 아버지 (4버)

։ ^ 아비 ybiîa] 아비 의 아버지 (4뱍) )) ^ 아싸 hv'[' 아싸 행하다, 만들다(4으) )) ⌃ 아쑤 Wf[' 아쑤 A5G 그들이 행동화 했다(4샤) - ׃ (아즐라 al'z.a; 아즐라 ㅇ -֨ 위엣분리표(4됵 / \\ ׃ - ׃ (아즐라ㅇ 러가르메흐 Hm,r.g:l. al'z.a; 아즐라ㅇ 러가르메흐 | ֙ 막대 위엣 분리표, (4후 - ׃ 아즐라 al'z.a; 아즐라 ㅇ 가다(4티) - ⌃ 아타 ht'a' 아 타 오다(오직 시어로)(4스) ) ∸ 아타 •hT'[; 아타 이제는 (4쇽) - ׃ 아트나흐 xn"t.a; 아트나 흐 --+ 반절 휴지표(4됵)

- 369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아토 Atßa] 아토 그들이 왔다. (4스8) - < 아트 T.a''* 아 트, '너녀‘ (4주) ∸ ׃ - 아하브타 T'b.h;äa' 아 하브타 당신께서는 사랑하신다(4묘) ╺ \ 아헤르 rxeêa; 아헤르 다른 (4두) - ^ ╺ 아히하 `^yxia' 아히 하 “너의 형제” (4조) ㅓ ^ ╺ \ 안쐬이-하일 `lyIx'-yven>a; 안 쐬 -하일, 용사들이 (4샤) - 안 !a', 안 !yIa; 아인의 축소형, 어디로?(4려) ㅓ ⌃ 안쐬 yven>a; 안 쐬 의.사람들(4샤) ) 알 -l[; 알, 위에 (4벼) 알 -la; 알, “아님“ (4벼)

)  알 피 yPiÛ-l[; 알 피 “조건에 따라서” (4셕)

⊃ ^ 알레이헴 é~h,yle[] 알레 헴, “그들로 인해서” (4카)

╺ 알레프 `@l,a'* 알레프, 1,000. (4쥬) ) ∸ 알켄 !KeÛ-l[; 알켄 그러므로 (4묘) ㅓ ⌃ 알페이 ypeîl.a; 알 페 군중들에게로(1000) (4삭) ) - - \ 알-하아레츠 `#r

\ ⊃ - 야아코브 bqo[]y:() 야아코브 야곱 (4듀) \ ㅓ ^ 야암두 Wdm.[;y:) 야 암 두 ‘그들이 설 것이다’ (4도3)

- 370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 얄라드티 yTid>l;y" 얄라드티 "내가 낳았다“ (4쟈) ∾ ^ 야톰 ~Atßy" 야톰 고아(4부) ∾ 얌 ~y" 얌, "바다“ (4뵤) \ ⌃ 얌쑤프 @Ws-~y: 얌-쑤프 ”갈대 바다“. (4뵤) ∾ / / \ 얌-키네레트 tr,N,Ki-~y" 얌-키네레트 ”키네레트의 바다 (4뵤) / ׃ ⊂ 어바드템 ~T,,d..b;;[. 어바드템 (4노) ։ ^ 에돔 `~Ada/ 에돔 에돔 사람 (4져) ) \ 에레브 br<[, 에레브 저녁 (4다) \ 에레츠 #r,a, 에레츠 땅, (4스) ։ 에메트 tm,a/ 에메트 nf “진리” (4져) \ - ∾ ׃ 에브야타르 rt''y""b.a, 에브야타 르 에브야타르 (4우) ) 에에쎄ㅎ hf,[/a, 에에쎄ㅎ A10A 내가 할것이다(4으)  에콘 !AKa, 에콘 B10A “내가 준비될 것이다” (4니) - - ∩ 에타유 `Wyt'(ae 에 타 유 “너남들은 오라!” (4스8) ㅏ - / 에트 콜 엘레ㅎ hL,ae-lK'-ta, 에트 콜 엘레ㅎ 이-모든 (4샤) ∾ 에트-로ㅇ씌 varo-ta, 에트-로ㅇ씌 의 머리를 (4무) ⊃ - - 에트-아말레크 qleªm'[]-ta, 에트-아말레 크 아말렉을 (4쇽) ⌃ ^ 에트-콜리 yliAq-ta, 에트-콜리 “나의-목소리를” (4사) : - ^ 에트-하열라딤, `~ydI(l'y>h;-ta, 에트-하열라 딤 그 소년들을 (4마) - ^ \ 에트-하오르 rAah'-ta, 에트-하오르 그 빛-을 (4사)

/ \ 에트-하케레브 br

 에트-베트 tyBeä-ta, 에트 베트 (의)창고-를(4댝) : ∩ 에트-여ㅎ바 `hw"hy>-ta, 에트-여ㅎ바 여ㅎ바님-을 (4류)

- 371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 에트-하열라딤, `~ydI(l'y>h;-ta, 에트-하열라 딤 그 소년들을 (4마) ∸ 에트-하파쎌 ls,P'_h;-ta, 에트-하파쎌 우상을 (4빅) ╺ 에트-하헬레브 bl,xeh;-ta, 에트-하헬레브 그 기름 (4료) / 에트-하케쎄프 û@s,K,h;-ta, 에트-하케쎄프 은-을(4댝) ( ׃ 에프에ㅎ h[,p.a, 에프에ㅎ nm “뱀, 독사” (4우) ╺ 에하드 `dx'(a, 에하드 유일신 (4뷱) ╺ \ \ 에하ㅇ브 wyx'a, 에하ㅇ브 그의 형제들(4유) ׃ 에흐바드 dB;k.a, 에흐바e드 “나는 무거울 것이다“ (3자) 엘 -la, 엘 ”향하여“ (4벼)

- - \ \ 엘라이브 w©y©l'ëªaeª 엘 라 ㅇ브 그에게 (4샥) - \ ╺ 엘레ㅇ하 h'yl,,ae 엘 레ㅇ하 “그녀에게” 엘레프 @l,a, 엘레프 1,000(4쥬)

׃ - ∾ (엘레흐 %leyE֫ 옐레 흐 “그가 간다.” (3댜 ։ - \ ╺ 엘로헤ㅇ하 ^yh,l{a/ 엘로 헤ㅇ하 너남의 하ㄴ님께서 (4묘)

։ - ⌃ ^ 엘로헤이누 WnyheÞl{a/ 엘로헤누 우리의 하ㄴ님 (4뷱) ։ - ^ 엘로힘 ~yhilOa/ 엘로힘 하ㄴ님 (3먀) ⊃ - \ ╺ 엘-아바데이하 ^yd,b'[]-la, 엘-아바 데ㅇ하 ‘너의 종들에게’ \ - ^ 엘-엘로힘 ~yhil{a/-la, 엘-엘로힘 하ㄴ님께로 (4미) \ 엘-카인 !yIq;ê-la, 엘-카인 카인에게(4닉4) - 엠 ~ae 엠 “어머니” (4버) ╺ / 엘레ㅎ hL,ae 엘레ㅎ 이(들)(4샤)

: ^ 여티브 bytiy> 여티 브 -- 화살 분리표, (4쿄)

: ∩ 여ㅎ바 hw"©hy> 여ㅎ바 여ㅎ바님이시여! (4삭){여ㅎ바님은}106(4뷱) ╺  ׃ : 열리드티하 `^yTid>liy> 열리드티하 “내가 너를 낳았다” (4쟈)

- 372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예드헴 ~k,,d>y< 예드헴 “너남들의 손” (4우) - : \ ╺ 오여베ㅇ하 ^yb,êy>ao) 오여베ㅇ하 당신의 원수들이 (4삭) - ∾ 오예브 byEEaO 오예브. 원수 (4셔3) ╺ ׃ \ - 오이브하 ^b..yIao 오이브하 “너남의-원수” (4셔3) ^ - \ 오차르 rc'Aa 오차르 nm 보배, 보물창고 (4초) - - ∸ ) 오헤브 다아트 t[;D"+ bhe(aoñ 오헤 브 다아트 ‘지식을 사랑하는 자 (4도3) : ^ 오홀로 Alh\\a''( 오홀로 그의 천막 (4듀) ∪ \\ ∩ ∾ 올레ㅎ 버요레드 drEAyw> hl,A[ 올레ㅎ 버요레 드 -- 반절강 휴지표, (4푸) ∾ \ 요ㅇ마르 rm;_ayO 요ㅇ마르 그가 말했습니다 (4삭) ∩ ∩ 욤 욤 ~Ay ~Ay 욤 욤 “날마다” (4며) ׃ ^ 우머아트 ‘ta;m.W ㅜ머아트 그리고 100 (4벅) ^ ∸ ^ 우바님 ~ynIB'W ㅜ바님 그리고 자녀들이 (4리) ╺ ׃ ⌃ 우버누호ㅎ hxoßnUb.W ㅜ버누호ㅎ & 끝이 날 때에는 (4삭) ㅏ ㅓ ㅓ  ׃ ^ 우버홀-멤쏼토 `AT*l.v;m.m,-lk'b.W ㅜ버홀 -멤쏼토. & 그 분의 모든 지배권 안에(4처) ^ : 우자하브 bh;²z]W* ㅜ자하브 그리고 금은 (4리) ∩ \\ ^ 이러우 War>yyI( 이러우 A10E“ 그들이 두려워 할 것이다(4루) \ \\ ^ 이르우 War>yI 이르우 "그들은 볼 것이다 (4됴) \ \\ ^ 이르우 War>yI) 이르우, “그들은 두려워할 것이다” (4됴) ⌃ ⌃ 이쓈 ~yviyai 이쓈 "사람들“ (4샤)

- ∾ ׃ \ 이쓰라엘 lae_r"f.yI 이쓰라 엘 이쓰라엘아! (4뷱) ^ ׃ \ 이씌누 Wnv.yI) 이씌누 서 있는 자 (4도3)

\ <  이코베누 `WNb,*Q\yI 이코베누 A10Ee(4여)그가 그것을 명명하실 것이다. ^ ׃ ׃ \ 이크털루 Wlj.q.yI 이크털루. A10E ”그남들이 죽일 것이다” (4여) ╺ ׃ \ 이크톨 ljoq.yI 이크톨, A10E ”그가 죽일 것이다. (4여)

- 373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 \ 이트할라흐 `%L")h;t.yI 이트할라흐 “그가 걸어간다”(4스7) ׃ - ׃ \ 이트할레흐 %Leh;t.yI 이트할레흐, “그가 걸어간다”(4스7) \ ׃ \ 이흐예ㅎ hy

ㅓ - 임쏼 lv'm.yI 임쏼 그가 다스릴 것이다(4지) ׃ ∸ - ㅓ 임쏼-바흐 `%B('-lv'm.yI 임쏼 -바흐 그가 너녀를 다스릴 것이다(4지)

\\ ∸ 자르카ㅇ aK'r.z: 자르카ㅇ - 지팡이 분리표, (4햐)

\\ - 자르카ㅇ aq'r.z: 자르카ㅇ, -- 고리 분리표, (4커)

- ㅓ  자칸티 yTin>q:+z" 자 칸티, “나는 늙었다” (4스1)

- - ∸ ^ 자케프 가돌 lAdG"" @qeez"" 자 케프 가돌 -- 강한 쌍점 분리표 (4츄)

- - - ⌃ ( (4츠־ 자케프 카톤 !Ajq'' @qeez" 자 케프 카톤

\ ) 제라ㅇ [r;z<å 제라ㅇ 씨앗을 (4두) \ ) ╺ \ 제라ㅇ 아헤르 rxeêa; [r;z<å 제라ㅇ 아헤르 다른 씨앗을(4두) ⌃ - ׃ 처다카 hq'd''c.. 처다 카, “의” (4야) / 체데크 éqd

- 374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치노리트 tyrIANci 치노리 트 --- 지팡이 연결표(4국)

׃ 치드카트 tq;d.ci 치드카트 “...의 의“ (4야) \\ ^ - ^ 카르네 파라 hr''p'' ynEEr>q:: 카르네 파 라 “젖소의 뿔들” (4타)

- - ╺ 카마츠 카탄 !j'q' #m;q") 카마츠 카탄 단오음 (4듀)

- - ∾ ╺ 카메츠 라하브 bx'r' #meq") 카메츠 라하브 장아음 (4도) ∸ ⌃ 카싸 hs'K' 카싸 “덮다(나체) (4로)

- 카탈 lj;;q'' 카탈 ”죽이다“ (4여)

- ╺ ^ 카탈라 hl'j_'q' 카탈라 “그녀가 죽였다” (4스2)

- ㅓ ∸ 카탈타 T'l.j;q' 카탈타 “너남이 죽였다”(4그)

^ ׃ - 카털라 hl'j.q") 카털라 A5F “그녀가 죽였다” (4뎌)

^ ׃ - 카틀라 hl'j.q'' 카틀라 A5F ”그녀가 죽였다“ (4여) ∸ 카팔 lp;K' 카팔, 이중이다, 겹치다” (4튜) \\ ⌃ - ⌃ 카르네 파라 hr''p'' ynEEr>q:: 카르네 파 라 젖소의 뿔들(4타) < ㅓ ^ 커찰모 Am+l.c;K. 커찰모 자신의-모양처럼 (4벅) ^ ╺ ׃ 커탈로 Alj'q. 커탈로, “그가-그를-죽였다.” (4쇼) / ㅓ ׃ 커탈템 ~T,l.j;q. 커탈템 (4그) ㅏ ׃ 커톨 -lj'q. 커톨 (4뵤) < ⌃ 컬리 yliK. 컬리 무기 / ╺ 케하씌 vx'K,, 케하씌, “거짓” (4유) ∸ - \ \ 켈라ㅇ브 wyl'Ke 켈라ㅇ브, 무기. (4츠)

- 코데씌 vd,qOß 코데씌, “거룩” (4나)  ╺ 코하브 bk''AK 코하브 “별” (4누)  ╺ ^ 코하빔 ~ybiik''AK 코하빔 “별들” (4누) ⌃ 콜 lAq 콜 "소리” (4사)

- 375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콜 lKo 콜, (4뵤) ㅏ 콜 lK' 콜 모든(4샤) ^ ∾ ׃ ㅏ 콜-미브라호 Axr'b.mi-lK' 콜-미브라호 그의-모든-도망가는-자들..(4브) ㅏ ։ \ 콜 아쐬르 rv<ïa]-lK' 콜]-아쐬르 모든-것들 (4댝) ㅏ  콜-베이트 tyBeä-lK' 콜]-베트 의.모든 창고들(4댝) ㅏ - ) 콜-하암 ~['h'-lK'' 콜]-하암 백성-모두, 모든백성(4셔) ⌃ ⌃ 쿠마 Ÿhm'äWq 쿠마 일어나세요 (4삭)  쿤 !WK 쿤 “준비하다” (4니) ⌃ 쿰 ~Wq 쿰 “일어나다" (4뉴)

 키 yKi (것, 바)(4사)

∸ 키데씌 vDeqi 키데씌 C5E "그는 거룩하게 했다(4수)(25도)  ⌃ 키-토브 bAj- yKi -토브 좋은 것 (4사) ╺ \ 타라흐 xr:j' 타라흐 “수고하다” (4치) \\ ╺ 타르하ㅇ ax'r.j; 타르하ㅇ -- 강세음절 연결표, (4갹) ׃ ╺ 타브알 `la;(b.j'( 타브알 nm 인명, 아람 사람 (4스4) - ׃ ╺ 타브엘 laeb.j' 타브엘 nm 인명, 아람사람(4스) ╺ 타파흐 xp;j' 타파흐 ”넓히다, 뻗어지다” (4치) - ⌃ 타비ㅇ aybiiit;' 타 비 ㅇ 너남이 가다. < ^ \ (터비르 rybiT. 터비 르 -֛ 점빗금 분리표(4됵 < ^ - 털리쏴ㅇ av''yliT.. 털리 쏴 ㅇ “찢음, 뽑음 (4탸)

< ^ - < ^ ^ 털리쏴ㅇ 거돌라 hl''AdG>> av''yliT.. 털리 쏴 ㅇ 거돌라 -- 뿔 분리표(4탸)

 ׃ - ^ > 털리쏴ㅇ 커타나 hN""j;q. av'yliT. 털리 쏴 ㅇ 커타나 -- 뿔 연결표, (4파)

\ 테레쓰 sr,j, 테레쓰 -- 점빗금 분리표, (4쿠)

- 376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토브 bAj+ 토브 좋다 (4리)  ∾ ╺ 토라테하 ^t,r'AT 토라테하 당신의 율법을(4샤) ╺ ׃ ( 표 (4치־־ 티프하ㅇ ax'p..ji 티프하ㅇ \ ׃ / 티흐예ㅎ hy

∸ - \ ∸ ∸ 파제르 가돌 lAdG"" rzEEP"" 파제 르 가돌  쌍뿔 분리표, (4타)

∸ 파카드 dq;P' 파카드 그가 방문했다 (4스3) / - 페라흐 xr;P,ê 페라흐 “꽃” (4나) 펜 -!P, 펜 ”...하지 않도록“ (4벼)

/ ^ 폐하 hx'P, 폐하 “도지사” (4유) ∸ ∾ 포레크 qreªPo÷ 포레 크 A1M 찢음 (4피) ⌃ ׃ / 하.마씌킴 ~yqiv.M;h; 하마씌킴 술 관리자들 (4무)

/ 하.머하쎄ㅎ hS,äk;m.h;( 하머하쎄ㅎ 덮는 (4료)

/ 하.머하쎄ㅎ hS,äk;m.h;( 하머하쎄ㅎ 숨어야 하는가? (4로) - - - 하.아담 ~d'a'h'( 하 아 담 ”그 인간“ (4드) - \\ ∸ ∪ 하아르바임 ~y[iªB'r>a;h'( 하 아르바임 40년째(4라) - )  하.아밈 ~yMi[;h'( 하 아밈 ”그 백성“ (4드) - - ^ 하.아보트 tAba'h((' 하아 보트 "그 아버지들" (4도)

- 377 -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 / \ 하.케레브 `br,Q,h; 하케레브 “그 속, 그 내장” (4쥬) - ∸ ։ ^ 하.코하님 ~ynIh]Koh*; 하코하님 “그 제사장들” (4듀) - ∾ 하로ㅇ씌 varoh' 하로ㅇ씌, “그 머리” (4이) \ 하르 rh; 하르, 산 (4스9) - - 하만 !m'¡h' 하만 하만 (에스7:9) (4타)  ׃ 하머씰라 hL'sim.h;(, 하머씰라 고속도로(4도1) ╺ - \ 하베르 rbex' 하베르 ㅎㅅ, nm 동료 (4묘) ∸ 하쏴메씌 vm,V'h; 하쏴메씌 “그 태양” (4코) / 하쐬멘 !m,V,äh; 하쐬멘 그 기름을 (4록) ╺ 하씌 vx'î 하씌 빨리 가는자 (4스1) - - \ 하아레츠 #r,a'îh' 하아 레츠 그 땅의 (4리) - - - 하아론 !roßa'h' 하아 론 그 상자가 (4삭) - \\ ∸ ∪ 하아르바임 ~y[iªB'r>a;h'( 하아르바임 40년째 (4라), ‘그 40명 (4도2) - ^ 하아보트 tAba'h((' 하아 보트 그 아버지들(4도) - - 하아브 ba''h' 하아 브 “그 아버지” (4이) - )) 하암 ~['h' 하암 (4스9) - ∩ 하야 hy"h' 하야 ...이다 (4러) ׃ - - 하엘레흐 %leaeh;( 하엘레흐 ‘내가 갈까요?’ (4도4) ^ ׃ ⏆ 하요츠임 ‘~yaic.YO*h; 하요츠임 (...로부터) 나온 (4뱍) ╺ \ 하일 `lyIx' 하일 용사(4샤) ╺ / 하씌 바즈 `zB;( vx'î 하씌 바 즈 약탈물로 성급하게 가는 자 ∸ \ 하케르 rKeh;( 하케르 존중하는 것은 (4부) ∸ \ ⌃ 하코하님 ~ynIh]Koh*; 하코하님 그 제사장들(4듀)  하토브 bAJªh; 하토브 그 귀중한(4댝)

- 378 - 1=능현,2=상현,3=수현,4=상태과,5=과거,6=시미과,7=수동과,8=불부,9=변부,10=미래,11=시과미,12=상태미,13=청3단, 14=청3복,15=명령,16=청2단,17=청2복,18=청1단,19=청1복,20=시변사,21=의1단,22=의1복,23=간1단,24=간1복

- - \ 하하르 rh'h' 하하르 (4스9) ⋔ 하하임 ~yYIx;h;( 하하임 ‘그 생명’ (4도4) ^ ׃ ╺ 하흐마 hm'Þk.x'( 하흐마 그녀는 지혜로웠다 (4루) - ׃ ^ ׃ ╺ 하흐마 머오드 `dao)m. hm'Þk.x'( 하흐마 머오드 그녀는 매우 지혜로웠다(4루) \ 하히ㅂㅇ awhiÞh; 하히ㅂㅇ 바로, ...만큼 (4리) ㅓ  하함씰라 hL'sim.h;( 함씰라 ‘그 고가도로’ (4도4) ( - ׃ 허나안 `![;n")k. 허나 안 커나안 (4뱍) \\ - 헤르암 ~a'ór>h, 헤르암 F5Ee 그가 그들에게 보여주었다. - ∩ 헤.하림 ~yrIh'h, 헤하림 “그 산들” ╺ ╺ 헤.하함 ~k'x'h,( 헤하함 ”그 지혜로운 자“ (4드) ∩ 헤라 hr"h, 헤라 “그 산을 향해서” (4이) ^ ׃ 헤프초 Acïp.x,ñ 헤프초 “그의 기쁨은”(4푸) - ∩ 헤하림 ~yrIh'h,( 헤하 림 ‘그 산들’, (4도4) ։ - ^ 헤호다쓈 ~yvid'x|h, 헤호다 쓈 “그 달들”, (4유) - 헴 `~he 헴 그들은 (4머) ╺ 호크 qxo 호크 nm "의식, (4부) ⌃ ׃ ㅏ 호흐마 hm'k.x' 호 흐마 지혜 (4루) ⌃ 후ㅇ aWhß 후ㅇ ...인 (4뱍) ∸ 히네ㅎ hNEhi 히네ㅎ “보라” (4파)

^ ∩ - ╺ 히리크 카탄 !j'q' qyrIyxi 히 리 크 카탄. ∸ \\ - 히바르암 `~a'(r>B")hi 히바르암 그들이 창조되어졌던(4벅) ⌃ ⏆ ׃ 히즈키야후 WhY"qiz>xi 히즈키야후 인명(4초) A=기동사,B=기재사,C=강동사,D=강수사,E=강재사,F=사동사,G=사수사,H=겹자에,I=겹자아,J=겹재사,K=포엘,L=포알, M=히트포엘,N=팔렐,O=풀랄,P=히트팔렐,Q=필펠,R=폴펠,S=히펠,T=퍼알랄,U=티펠,V=히씨타펠,W=넉자어근,X=싸펠

(4다) `rAa-yhiy>w:( (4다) rq,bo-yhiy>w:( br,[,-yhiy>w:( (4두) rxeêa; [r;z<å ~yhil{a/ yliÛ-tv'( (4라) ~y[iªB'r>a;h'( tn:åv.Bi ~v'_ tm'Y"åw: (4로) ~h'êr"b.a;me¥ ynIa] hS,Ûk;m.h;( (4록) bh''Z"h;-ta,w> û@s,K,h;-ta, Atkon> tyBeä-ta, ~aeär>Y:w: èWhY"qiz>xi é~h,yle[] xm;äf.YIw: ac'Þm.nI rv<ïa]-lK' tae²w> wyl'êKe tyBeä-lK' taew> bAJªh; !m,V,äh; Ÿtaeäw> ~ymiøf'B.h;-ta,w> `AT*l.v;m.m,-lk'b.W AtßybeB. WhY"±qiz>xi ~a'ór>h,-al{) rv,a]û rb'ªd' hy"åh'-al{) wyt'_roc.ao)B. (4료) brh;-ta, !'yY<ßx;T.w: (4루) `dao)m. hm'Þk.x'( (4루) `hw"hy>-ta, War>yyI( ~ymiy" tv,l{v. dA[B. `~he ~ymiy" tv,l{v. ~yhil{a/ ^x]v'm. !Ke-l[; ( ~yqiv.M;h; rf; | var-ta, aF'YIw: rq,bo-yhiy>w: br,[,-yhiy>w: yLi-hn''t...n"" WnB''-lv''m... ^ïl.-qx'l. hn"+m'l.a;w> ~Atßy"-rGE bAj+-al{ ~ynIïP'-rKeh;( aybiiit;'-alow> bAj-yKi rAah'-ta, ~yhil{a/ ar>Y:w: `lyIx'-yven>a; hL,ae-lK'-ta, Axr'b.mi-lK' taew> ^t,r'AT Wf[' al{...Wnykel'm.-ta,w> (4으) `hf,[/a, hm' (4져) `ATmia] hr'xesow> hN"ci

- 3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