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세계 속 대한민국의 위상과 상호이해를 통한 글로벌 파트너십 증진

ACKNOWLEDGEMENTS

Research for this volume was supported by the Scholars Group for Public Diplomacy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at Ewha Womans University which awarded the Editor research leave to work on the book, and the Korean Studies Department of the Freie Universität Berlin which is hosting the Editor for his sabbatical. The authors are very grateful for the leadership provided by Booyeon Lee Allen, without whom this international and interdisciplinary work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and to Rachelle Seohyun Park and Ju-yeon Shin for their administrative support.

5

Acknowledgements

Notes on Contributors

Brendan M. HOWE is Department Chair at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Ewha Womans University in , and has served there as a professor of international relations since 2001. He was appointed a member of the Scholars Group for Public Diplomacy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n January 2013. He trained at Oxford University (B.A./M.A Modern History) the University of Kent at Canterbury (M.A. International Conflict Analysis), Georgetown University (International Law), Trinity College, Dublin (PhD Political Science), and Harvard University (Negotiations). He has been a Visiting Research Fellow at the Centre for 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Sydney University; the Research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the East-West Centre in Hawaii; and Georgetown University. He previously held posts at Beijing Foreign Studies University and Universiti Malaysia Sarawak. He has published extensively on security decision-making, human security, post- conflict development, global governance, and the East Asian operating environment. Recent books include: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Security in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2013); Post-Conflict Development in East Asia (ed.) (London: Ashgate, 2014); and Northeast Asian Perspectives on the Legality and Legitimacy of the Use of Force (with Boris Kondoch eds.) (Boston: Brill, 2013).

7

Notes on Contributors Daniel A. PINKSTON is the Northeast Asia Deputy Project Director for the International Crisis Group in Seoul. Prior to joining the International Crisis Group, he was director of the East Asia Nonproliferation Program at the James Martin Center for Nonproliferation Studies. Pinkston received his Ph.D. in international affairs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and he has a M.A. in Korean studies from Yonsei University. He is the author of The North Korean Ballistic Missile Program, and has published several scholarly articles and book chapters on Korean security affairs. He also served as a Korean linguist in the U.S. Air Force.

Kadir AYHAN works as the Academic Coordinator at Istanbul Culture Center located in Gangnam, Seoul. Ayhan is currently a Ph.D. candidate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soft power theory, public diplomacy and non-state actors’ role in international politics. Ayhan graduated from The University of Auckland (New Zealand) with double majors in Economics and International Trade before join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 studying master’s program which he graduated with High Honor Award and Distinguished Thesis Award. He occasionally contributes articles to books, research centers and newspapers. Ayhan is fluent in Turkish, English and Korean. He was appointed as Honorary Envoy for Korea's Public Diplomacy by the Kore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n January 2013.

Utai UPRASEN is an Assistant Professor in European Studies at Division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He received his doctoral degree in Economics from University of Limerick, Republic of Ireland. Utai specializes in Theory of Economic Integration, Theory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and in economic interaction between the European and

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Asian countries. Th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modeling and the econometric analysis also are his specialised areas. One of his latest publications includes “The Impact of Non-Tariff Barriers in the European Union on China’s Exports” a chapter in Economic Integration in Asia: Towards the Delineation of a Sustainable Path (Palgrave Macmillan, 2014). He has been appointed as an Honorary Envoy for Public Diplomacy for Korea since January 2013.

Judee Grace NEMENO attained her Bachelor’s degree in Biology from San Pedro College. She served her Alma Mater as a full-time Assistant Professor and as the Biology Internship Coordinator for 13 years in Davao City, Philippines. She completed a Masters of Arts in Science Teaching major in Biology at the University of Southeastern Philippines in 2006. Thereafter, she pursued her academic growth in and then acquired her Master of Science in Life Sciences from Ewha Womans University in February 2012 with her research focused on cell signalling pathways involved in cancer. Currently, she is an Assistant Researcher and a PhD candidate at the Stem Cell Research Center, Konkuk University where she, together with her research team, conducts studies focused on the role of Nanog in cancer, stem cell therapy,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for various degenerative diseases. She is involved in various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ferences in the field of Cell and Molecular Biology, Stem Cell Therapy, and Tissue Engineering. As a Research scholar in Korea, she has published newsletter, review, and research articles in international journals. She was appointed honorary envoy to the Philippines for Korea’s Public Diplomacy in 2013.

Robert J. MITCHELL is an Associate Professor in the School of Life Sciences at the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NIST), in Ulsan where he and his group study microorganisms and

9

Notes on Contributors their applications to biotechnology and medicine. He was appointed a member of the Scholars Group for Public Diplomacy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n January 2013 and as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Science Business Belt Advisory Committee under the Ministry of Science, ICT & Future Planning. He trained at the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B.Sc. Double Major in Microbiology and Chemistry), the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Sc./ Ph.D.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Harvard University Medical School (Bacterial Pathogens), Forsyth Dental Institute (Oral Pathogens) and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Bioenergy). He has published extensively in the areas of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authoring over 40 peer-reviewed SCI- indexed research articles and book chapters. Recent publications include articles in top-ranking scientific journals such a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Bioresource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He also has thirteen patents (submitted and approved) related with applied and medical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Young Hoon KIM is Professor and Chair of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and the Director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Culture at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KIM Young Hoon is a cultural anthropologist, conducting research in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Korea, Korean Aesthetics, and various issues in Contemporary Korean culture. He received his Ph.D. in anthropology from University Southern California (USC). With unique combination of academic backgrounds of cultural and visual anthropology, he has been carrying out both writing and producing visual works on the various issues of Korean culture. His own film works includes Vegas Bliss (1996), Yong Su Han, A North Korean Defector (1997), and others. He is the author of From Dolmen Tombs

1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to Heaven’s Gate (2013) Culture and Image (2002) and has published articles in the areas of Korean cultural studies, visual studies, and Korean aesthetics.

A. M. Jehad SARKAR received B.S. and M.S. degree in Computer Science from National University, Bangladesh, in 1999 and 2000, respectively. He received Ph.D. in Computer Engineering from Kyung Hee University, Korea in 2010. Since, September 2010 he has been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Dept. of Digital Information Engineering, Hu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Korea. He has also been a member of the Scholars Group for Public Diplomacy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ince January 2013. From May, 2005 to August, 2006, he served as a Principal Software Engineer in ReliSource Technologies Ltd., Bangladesh. From April, 2000 to April, 2005, he served as a Senior Software Engineer in TigerIT Ltd., Bangladesh. His research interests are Activity Recognition, Web mining, Data mining and Cloud Computing.

Xuemei CUI is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School of International Tourism,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of Dong-A University in Busan, and she has been working there since 2006. She got a Ph. D. degree at Dong-A University. Her specialty is tourism management. Before graduating from school, She has worked for Seoul City government in Beijing. She was appointed as a member of the Scholars Group for Public Diplomacy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n January 2013. She has published the Han Liu magazine for Chinese students to promote Korea in June 2014. She will be continuing do the research on tourism. She published many articles, such as Study of Chinese Leisure type(2006), Chinese Leisure Recognition(2007), The Effect of shopping Tourist’ Emotional Consumption Tendencies on Luxury Brand Attachment and Loyalty (2012), Exploring the Behavioral

11

Notes on Contributors Model of Shopping Tourist on Conspicuous Consumption of Luxury Brands(2013), Change of China’s Leisure Trends(2014), etc.

Akli HADID is a Ph.D. candidate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Korean Studies where he majors in Korean Studies and Sociology. He has an M.A. in Peace and Global Governance from Kyung Hee University, Graduate Institute of Peace Studies, and a B.A. in Applied Foreign Languages (English and Spanish) from Université de Paris 10 Nanterre. He also got his 6-level certificate from Yonsei University Korean Language Institute and is certified in Teaching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TESOL). He worked as a Teacher’s Assistant at Kyung Hee University (2007), a Research Assistant at the Asia-Europe Perspective Forum (2008), a language teacher trainer at an affiliate school of the London Teacher Training College in Algiers, Algeria (2010-2011). He was then an Assistant Professor at Kaya University’s English Education Center (2012- 2013). He is now in the final stages of his dissertation, an ethnography of English teachers in Korea with two years of field work, leading to a study on the “career cycles,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xpat TESOLers in Korea” which he will defend soon. He specializes i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nd occupational sociology.

Damdinsuren OTGONTSETSEG is a full professor at the Mongolian Department of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he also taught at the School of Foreign Languages, University of Humanities in Mongolia. Otgontsetseg is the author of number of academic articles, Mongolian study text books, Mongolian dialogue books etc. She also renders various social service activities for the care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nd for the improvement of goodwill between Korea and Mongolia. She is an Honorary Envoy of Korea’s

1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Public diplomacy, appointed by Foreign affairs department of Korea and is a member of BBB Korea Administrator of Language Committee, Mongolian language. BBB is a public service organization offering free interpretation for foreigners in Korea. Otgontsetseg received her B. A. from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epartment, National University of Mongolia, her M.A from University of Humanities in Mongolia, and her Ph.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Her research interests lie mainly with Mongolian language pedagogy, Korean language pedagogy,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13

Notes on Contributors

INTRODUCTION

OVERVIEW

In their famously influential 2003 book, The Kimchi Matters: Global Business and Local Politics in a Crisis-Driven World authors Marvin Zonis, Dan Lefkovitz, and Sam Wilkin used South Korea’s ubiquitous food as a metaphor for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the unique local dynamics at work in a particular country or region. A decade later, South Korean recording artist Psy took the world by storm when the video of his hit single Gangnam Style became the first YouTube video to reach a billion views (and in 2014 two billion views). The single itself topped the charts around the world in December 2012. These two phenomena illustrate a paradox. On the one hand we have the dramatic global impact of Korean cultural exports since the late 1990s which has variously been referred to as the Korean Wave or Hallyu. According to the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KOCIS), part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CST), the number of foreign news stories about Korean culture in 2013 double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the organization has also noted that the attention received by Hallyu was no longer limited to Asian nations. Latin American nations, such as Mexico and Argentina, and even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Italy, France and Germany, have been drawn to ‘things Korean.’ On the other hand, there remain concerns that still little is known globally about South Korea, its achievements, or

15

INTRODUCTION its contributions to the global commons beyond kimchi, Hallyu, or the threat posed by . Even successful global brands originating in South Korea are frequently mistaken for Japanese products. Seoul has ambitions to correct negative impressions of Korea which perhaps date back to the Korean War and are also perpetuated by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The Republic of Korea (ROK) is further keen, however,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increasingly dynamic global role it plays. As a result the South Kore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OFA) has embraced the concept of public diplomacy.

PUBLIC DIPLOMACY IN KOREA

MOFA views public diplomacy as a way to provide information on South Korea and its activities, and of course to help create a positive image of the country and its people. The Republic of Korea designated the year 2010 as the starting point for its promotion of public diplomacy initiatives. MOFA officially began laying the groundwork for making public diplomacy one of the three pillars of foreign policy (along with political and economic affairs) in 2011 by appointing its first Ambassador for Public Diplomacy. In January 2012, it established the Public Diplomacy Division in the Cultural Affairs Bureau. As a part of its efforts to include as much domestic citizenry as possible in its public diplomacy initiatives, MOFA has created three public diplomacy citizen groups. The Youth Public Diplomacy Corps, the Senior Public Diplomacy Corps, and the Scholars Group for Public Diplomacy (SGPD). The first two are comprised of Korean citizens, and the SGPD of foreign scholars residing in Korea. These groups were formed in order for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hear feedback from its own citizenry and foreigners resident in the country

1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about how Korea's messages should be communicated to the world. They were also formed to involve as much of the public as possible in the creation of MOFA's public diplomacy programs from an early stage in the evolution of the paradigm and related policies. Nineteen scholars from 17 countries have participated in the first two years of the SGPD. Not only are these scholars drawn from as geographically diverse backgrounds as possible (in terms of both country of origin and university affiliation in Korea), but they also embody tremendously diverse disciplinary backgrounds. In the first year of operation of the program, the scholars focused on learning as much as possible from and about their host country. In the second year the emphasis turned to forging global partnerships between Korea, the scholars’ countries of origin, and indeed the world as a whole. MOFA expressed an eagerness to have the scholars develop programs on their own initiative, but also the SGPD was extremely keen as a whole to demonstrate its enthusiasm for engagement with all things Korean, and its appreciation of the contributions made by Korea and Koreans in each of the scholars’ fields. In particular, at a meeting of the SGPD, four projects were selected for further development with the support of MOFA. These included a Chinese medium magazine focusing on Korean culture and life in Korea, a collaborative multi-media project involving students and professors from Thailand and Korea, a major international workshop for which students from around the world were invited to present papers on how Korea and their home countries can increase mutual understanding and promote further partnerships, and this volume. Public diplomacy is often conflated with the concept of ‘soft power’ introduced by Joseph Nye in his 1990 book, Bound to Lead: The Changing Nature of American Power and further elaborated in his seminal work Soft Power: The Means to Success in World Politics (2004). Indeed the two concepts share much in common. For Nye, there

17

INTRODUCTION are three ways to get what you want when interacting with others: you can coerce them with threats; you can induce them with payments; or you can attract and co-opt them to want what you want (1990). This third way is soft power, and it is appealing not only because it is more legitimate to attract rather than coerce or bribe, but also because it can be exerted by those less well-endowed with the traditional resources of hard power. This includes not only small and medium-ranked states, but also other international actors such as NGO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even academics (Nye, 2004). There are, however, unfortunate connotations with the ‘soft power’ terminology and usage. ‘Power’ itself can be seen to have negative or even pejorative connotations, and concerns remain that when directly wielded by the representatives of a state, there can be significant blurring of the boundaries between soft power and hard power. Although it can clearly be wielded by non-state actors, as mentioned above, and used to target the populations of other countries, soft power also seems to follow traditional diplomatic and strategic models of interaction, viewing actors as unitary and rational. Public diplomacy, by contrast, has a much greater emphasis on uninhibited attraction between peoples, and this has found much greater favor with MOFA. Indeed, public diplomacy is the one area of middle-power international relations where Korea aspires to play a leading role and even serve as a paradigmatic case-study. The contemporary usage of the term was coined in 1965 by Edmund Gullion, Dean of the Fletcher School of Law and Diplomacy at Tufts University when establishing the Edward R. Murrow Center of Public Diplomacy. A brochure for the center described the concept as dealing “with the influence of public attitudes on the formation and execution of foreign policies….; the cultivation by governments of public opinion in other countries; the interaction of private groups and interests in one country with another; the reporting of foreign affairs and its impact on policy; communication between those whose job is communication, as

1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diplomats and foreign correspondents; and the proces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s” (Cull, 2006). This project therefore sticks firmly to the attraction of public diplomacy without any attempt at overt manipulation by the Korean government. Indeed, as mentioned above, in setting up and administrating the Public Diplomacy Division, MOFA has been keen for citizens to take the leadership roles in promoting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on, and global partnerships with the Republic of Korea. This has particularly been true of the second year of the SGPD. This book is in fact the result of a three-fold public diplomacy initiative. First, of course, it is the result of a conscious attempt by MOFA to get Korea’s message out there, but also to letting the message or record speak for itself – a clear expression of soft power by attraction rather than an attempt to lean on the audience. Second, many of the themes explored in the book itself relat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tenets of public diplomacy discourse. Third, the authors of the book chapters are all academics, in all but one case from countries other than Korea, and may therefore be seen as clear examples of the people-to- people communication format championed by the proponents of public diplomacy. In this volume, the authors seek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Korea and its global role to all countries with which the Republic of Korea maintains diplomatic relations. It is an attempt to fill the knowledge gap identified by many of the student presenters at the International Scholars and Student Workshop on Korea in the World -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 held at Ewha Woman’s University May 22-23, 2014. 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 bridge between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actors, between different countries, peoples, and geographic regions, and between academic disciplines in order to stimulate further discourse, policy initiatives, and global partnerships.

19

INTRODUCTION CHAPTER OUTLINE

The book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looks at some of the major ways in which South Korea contributes to the global commons;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state, and the contributions of the Korean people. The second part of the book explores in more detail the role played by the propagation of different aspect of Korean culture. In Chapter 1, Brendan M. Howe explores how South Korea has operated, and continues to operate, as both inspiration and catalyst for good governance and the global production of public goods. Regionally, in terms of good governance, Korea acts as a ‘shining city on the hill’, with twin ‘Miracles on the Han River’ related to both economic development and political transition, despite ongoing national security challenges. Korea and Koreans also, however, contribute directly to the betterment of peoples’ lives in other countries through development assistance, peacekeeping, and other humanitarian operations. In Chapter 2, Daniel Pinkston further examines South Korea’s role as a good international citizen, with an emphasis on the evolution of Seoul’s capacity building and role in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In the last part of the 19th century and through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Korea suffered from extreme insecurity. Pinkston notes, however, that the Republic of Korea (ROK) has recovered from past catastrophes to become an active contributor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Despite continued threats and challenges from North Korea, the ROK has acquired the capacity to provide support beyon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realms of United Nations peace-keeping operations, nonproliferation, counter-proliferation, counterterrorism, counter-piracy, counter-narcotics, climate change, public health, and human rights. Kadir Ayhan then turns explicitly to examine Korean public diplomacy, noting its shortcomings, but also suggesting new initiatives. He notes that the Republic of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have

2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realized not only the importance of new trends in public diplomacy, but also the advantages of cooperation with non-state actors to conduct more effective public diplomacy. Thus Chapter 3 analyzes the role of non- state actors in South Korea’s public diplomacy and suggests ways to exploit unrealized potential more effectively. His work is guided by two- way symmetrical model and dialogue methods. In Chapter 4, Utai Uprasen explores Korea’s role as a global player in the fields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ternational investment. He highlights how, in terms of international trade, Korea was successful in adopting an export-led growth policy, has more recently shifted from labor intensive to technology intensive industries, increasing the degree of trade complementarity vis-à-vis developing countries, and is a champion of global trade liberalization. In terms of international investment he describes how South Korea has drawn upon its own experience of utilizing international funds to place its external direct investments to the most advantage. Judee Grace E. Nemeno and Robert J. Mitchell conclude the first part of the book in Chapter 5 with an examin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s contributions to the global advancement of knowledge in the Biological and Biotechnological fields. Biotechnology is defined as the application of biological principles to address issues facing humankind, including environmental and health concerns, and they note that Korea has grown to become one of the world’s leading nations in related programs such as stem cell and tissue engineering research as well as medical development, products and services. Younghoon Kim introduces the second part of the book in Chapter 6 with an overview of seven key a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He uses analysis of these elements to explain the dramatic cultural rise of Korea, and its successful impact on the global stage. He notes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s not only been trying to keep up with the times but also to create a new future. Hence, as pointed out by Time Magazine,

21

INTRODUCTION “From movies to music to groundbreaking science, the nation (Korea) is riding a new wave of creativity”. In Chapter 7, Jehad Sarkar explores further how Korean creativity has played out in other fields by looking at the impact of a broad spectrum of Korean inventions and discoveries. He notes that, historically, invention and invention have proven to be crucial components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 Innovation is the driving commodity to achieve the goals of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is natural resource scarce country. From pre-modern development, such as under-floor heating (Ondol), to modern technological revolutions, such as 4G Long-Term Evolution (LTE) for communication, Korean inventions have made their mark in every era. In Chapter 8, Cui Xue Mei rides the Korean wave, showing how the explosion of K-Pop popularity throughout the world, but in particular in Asia, has heightened interest in the wider aspects of Korean culture and led the more inquisitive to visit the Republic of Korea. For Cui, the 21st century is a stage of cultural tourism. The Republic of Korea utilizes culture to its advantage as a great tourism resource, and she finds that foreign tourists are fascinated by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this chapter, K-tourism, (utilizing traditional culture as a tourism resource), is divided for purposes of discussion and analysis into three main groupings: food (Hansik), clothing (Hanbok), and shelter (Hanok). Akli Hadid also looks at the fascination with Korean culture visitors develop. In Chapter 9 he notes that a large number of expatriate residents in Korea also study Korean. Although China, Japan, Mongolia and Vietnam make up almost 80% of those on Korean language learning visas, his interest lies with satisfaction levels among Korean language learning minority groups. He finds that despite difficulties in learning the language, and lack of transferability for use in other countries, nevertheless, the levels of learner satisfaction are high and most do not regret their decision to study Korean.

2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Finally, Otgontsetseg Damdinsuren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more broadly defined. In Chapter 10 she explores the use of honorifics in the Korean Language and how comprehension of the functioning of this linguistic tool helps shed light on Korean customs. She further points out how a deepe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can help with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f the Korean language. She thu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as an element of public diplomacy. Indeed, anybody who, like all of the contributors to this volume, has spent a significant time in Korea or among Koreans, is aware of the complex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language, Korean culture and traditions, Korean innovations (including development of the language itself), and Korean success stories. It falls upon the members of the SGPD to explain and translate these relationships to a wider global audience.

REFERENCES

Cull, N. (2006) ‘Public Diplomacy’ Before Gullion: The Evolution of a Phrase USC Center on Public Diplomacy at http:// uscpublicdiplomacy.org/blog/060418_public_diplomacy_before_ gullion_the_evolution_of_a_phrase Nye, J. (1990) Bound to Lead: The Changing Nature of American Power (New York: Basic Books). Nye, J. (2004) Soft Power: The Means to Success in World Politics (New York: Public Affairs).

23

INTRODUCTION

머리말

2003년 출판된 유명 사회과학서『 빅맥이냐 김치냐 글로벌 기업의 현지 화 전략』(마빈 조니스, 댄 레프코비츠, 샘 월킨 저. 김덕중 역)에서는 김 치라는 단어를 한국의 역동성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하여 한국의 정 치경제학적 구조를 매우 설득력 있게 설명하였다. 그로부터 십 년이 흐른 2012년 12월 한국 대중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전세계 음악순위를 휩 쓸어 2013년에 유튜브 사상 최초로 조회수 10억건을 돌파하였으며, 2014 년에는 20억건을 넘어선 기염을 토하였다. 사실 이러한 두 가지 사례는 매우 상반된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한류의 물결은 아시아 뿐만 아니라 전세계로 그 영역이 확장되었으며, 실제 문화부 산하 해외문화홍보원(KOCIS)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12년에서 2013년 사이 전세계 언론에서 한국문화 관련 이슈를 다룬 횟수는 두 배로 증가하였다. 멕시코, 아르헨티나와 같 은 라틴아메리카 국가에서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같은 유럽국가에 이르 기까지 한류의 바람이 확대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성공적인 한류의 바 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세계 속의 한국은 김치, 한류, 북한문제 등 몇 가 지를 제외하고는 널리 알려져 있지 않고 있으며, 심지어 세계시장에서 승 승장구하고 있는 한국기업이 일본기업으로 오해를 받고 있는 경우도 종 종 벌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와 같은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한국 전쟁과 북한문제로부터 시작된 한국에 대한 부정적 국가 이미지의 탈바

25

머리말 꿈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급변하는 국제사회 환경에서 국 가 차원의 정보제공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 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외교부는 공공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대한민국의 공공외교

외교부는 공공외교를 외국인들과의 소통을 통해 전세계에 대한민국의 국가 이미지와 국가브랜드를 높이는 외교활동으로 정의하고 2010년을 공 공외교의 원년으로 선포하였으며 2011년 들어 기존의 정무외교, 경제외 교와 더불어 공공외교를 대한민국 외교의 3대 축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2012년 1월에는 최초로 공공대사를 임명하고 외교부 문화외교국 산하 공 공외교정책과를 신설하는 등 공공외교 강화를 위한 각고의 노력을 기울 이고 있다. 특히 외교부는 국민참여형 공공외교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내국 민 간인 참여 그룹인 청년공공외교단과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외국인 학 자로 구성된 공공외교 학술그룹, 그리고 시니어공공외교단을 창설하여 공공외교정책 활동에 민간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민간참 여그룹은 국제사회에서 한국정부의 효과적인 공공외교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대국 국민들과의 소통을 통한 민간차원에서의 평가와 조언을 제공하는 등 외교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공공외교 관련 사업 및 활동에 적극 참여하며 대한민국 공공외교의 성공적인 수행에 이바지하고 있다. 최초 출범 당시, 17개의 다양한 국가와 각기 다른 전문분야를 가진 19 명의 교수와 학자가 참여한 공공외교 학술그룹은 첫 해에 진행된 각자의 국가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이듬해에는 자국과 한국과의 파트너십 구 축을 위한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여 한국정부의 공공외교 정책에 대한 자 문 제공의 장으로의 역할 수행을 통해 대한민국의 보다 효과적인 공공외

2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교정책 수립에 기여하였다. 외교부는 이러한 해외 전문가 그룹의 참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공공 외교정책과 제반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공공외교 학술그룹 또한 다양한 학문적 배경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문화를 자국에 효과적으로 알리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본 도서의 출간을 포함한 △ 중국 잡지를 매개 체로 한 한국의 문화와 생활 소개 △ 태국교수와 학생이 참여하는 멀티미 디어 컨텐츠 제작 △ 전세계 학생들이 참여하는 한국 문화 및 자국과의 교류 관련 논문경시대회 등은 공공외교 학술그룹 논의의 구체적인 결과 물이라 할 수 있다. 사실 공공외교는 미국 하버드대학의 조지프 나이(Joseph Nye)가 그의 저서『 미국은 세계를 정복할 수 있는가』(Bound to Lead: The Changing Nature of American Power, 1990)와『 소프트 파워』(The Means to Suc- cess in World Politics, 2004)를 통해 소개한 소프트 파워(soft power, 연 성권력)와 종종 혼동되는 개념이다. 나이에 따르면 원하는 것을 얻기 위 한 방법에는 세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힘과 같은 물리적 힘을 통하는 방법, 두 번째는 보상을 통한 경제적 힘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는 강제력 보다는 매력을 통한 자발적 참여에 의한 방법이며 바로 이 세 번째가 소프트 파워의 개념이다. 소프트 파워는 군사력이나 경제 적 보상과 같은 강제적이거나 물리적인 힘에 의한 방법이 아닌, 보다 정당 한 방법인 동시에 전통적인 물리적·강제적 힘이 없는 주체들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준다는데 그 의미가 있으므로 약소국 및 NGOs, 기타 국제단체, 학계, 국제기구 등에서까지 사용될 수 있는 방법 이다(나이, 2004). 하지만 소프트 파워의 ‘파워’라는 단어가 부정적이면서 억압적인 함축 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국가가 그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 비록 소프트 파워라 하더라도 하드 파워와 그 경계가 모호해 질 수 있다. 앞서 언급되 었듯이 비정부조직들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법으로 매우 유용한 소프

27

머리말 트 파워는 사실 전체적이고 일방적인 영향력 행사방법이라는 점에서 전 통적인 외교정책과 크게 다를 바가 없다. 그러나 공공외교는 이러한 점 에서 소프트 파워와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공공외교는 어떠한 행동이 나 의사표현의 제약 없이 사람들 사이의 상호관계에 초점을 맞춘 관계수 립을 통한 외교정책이라고 볼 수 있으며 대한민국 외교부 역시 현재 추진 하고 있는 공공외교 정책의 방향성이 이러한 특징과 맥을 같이하고 있음 을 표명하고 있다. 한국은 이러한 공공외교 정책을 통해 국제사회에서 중 대국과의 관계에서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는 다른 국가들 로부터 공공외교를 통한 국가위상 제고의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Cull, 2006). 공공외교는 터프츠대학교 외교법학전문대학인 플레쳐 스쿨의 에드먼 드 길리온(Edmund Gullion)학장이 1965년 머로우 공공외교센터(Ed- ward R. Murrow Center of Public Diplomacy)를 설립하며 그 개념이 처 음 정립되었다. 머로우 공공외교센터의 안내책자에는 공공외교를 △ 상대 국 외교정책 수립과 실행에 영향을 주기 위해 해당국 국민들에게 영향을 주는 행위 △ 상대국 여론을 형성하는 국가외교행위 △ 특정 국가 및 해 당 국가의 사회적 기구와의 상호이익관계 형성 △ 상대국 외교정책 수립 에 영향력 행사 △ 파견된 외교관의 의사소통 △ 문화상호적 의사소통 등 으로 요약하고 있다. 대한민국 외교부의 정책방향 역시 이러한 공공외교의 틀 안에서 수립되 고 있으며 구체적 실행을 위해 외교부는 공공외교정책과를 신설하여 민 간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는 한편, 파트너십 구축을 통하여 한국을 전세계 에 알리는데 힘쓰고 있다. 한편, 공공외교 학술그룹 활동의 결과는 설립 이듬해부터 구체적으로 가시화되어 3대 추진방향이 확립되었으며 그 바 탕 위에 이 책의 출판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 책의 바탕이 되고 있는 공공외교 학술그룹의 3대 추진방향은 다음 과 같다. 첫 번째는 한국정부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전세계 국민들

2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에게 알리되 일방적인 정보의 주입이 아닌 상대국 국민들과의 직접적인 정보의 소통을 통해 전달하는 것이며, 이는 정보의 매력을 통해 영향력 을 전달하는 소프트 파워와 유사한 맥락이다. 두 번째는 직·간접적으로 공공외교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들을 이 책에서 다루는 것이며 끝 으로 세 번째는 이 책의 집필진을 한 사람을 제외하고는 모두 한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외국인 학자 및 전문가들로 구성하여 사람 대 사람의 소통 방식이라는 공공외교가 지향하는 바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 책의 집필진들은 대한민국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국제사회에서의 한국의 외교적 위치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주려고 노력하였다. 이 책의 내용은 2014년 5월 22일부터 23일까지 이틀간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개 최되었던,『 Korea in the World -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을 주제로 한 공공외교 학술그룹 학자들과 외국인 학생 등이 참여하는 국제 워크숍에서 나타난 한국에 대한 정보 중 개선 이 필요한 점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이 책은 △ 정부와 비 정부 참여자의 간격을 좁히고 △ 세계 각국의 견해적 차이를 이해하고 △ 다양한 분야의 학문적 접근을 통해서 앞으로 지속될 공공외교 관련 논의 와 정책 수립 그리고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에 기여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각 장의 소개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1부에서는 한국정부와 한 국 국민들이 국제사회에 어떤 기여를 해왔는지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제2부에서는 한국문화가 국제사회에서 갖는 의의에 대해 기술하였다.

호우(Brendan M. HOWE)가 집필한 제1장에서는 국제사회의 공공재 및 공공의 이익창출을 위해 그간 대한민국이 걸어온 길을 살펴보았다. 한

29

머리말 국은 남북 문제라는 안보적 대립 상황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경제적 성장 과 민주주의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은 한강의 기적을 보이며 아시아 지 역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룩한 국가로 자리매김하여 왔다. 또한 국제 사회에 평화유지군 및 개발지원, 인도주의적 원조 등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녕을 위해 적극 기여하여 왔다.

제2장에서 핑스톤(Daniel A. PINKSTON)은 국제사회 안보를 위한 국 제사회 구성원으로서의 대한민국에 대해 기술하며 19세기 후반부터 20 세기 중반까지 매우 불안정한 안보위기 상황을 경험한 대한민국이 이러 한 안보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국 안보의 안정을 넘어 국제사회의 안보 를 위해 적극 동참하기까지의 과정을 다루었다. 남북대립의 심각한 안보 상황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은 한반도를 넘어서 △ 유엔 평화유지군 파 병 △ 국제사회의 비핵화 및 대(對)핵활동 적극 참여 △ 해적 퇴치활동 △ 기후변화 대응 활동 △ 세계인류 보건유지활동 △ 인권문제 등에 적극 참 여하여 국제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하여 왔다.

제3장에서 아이얀(Kadir AYHAN)은 오늘날까지의 대한민국 공공외교 에 대해 전반적으로 논의하며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한국정부의 민간참여 확대가 공공외교 성과 제고를 위한 매우 중요한 핵 심 방안으로 보고 공공외교에서의 한국 국민들의 역할과 그 역량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양방향균형모델과 대화법을 통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 고 있다.

제4장에서 웁라센(Utai UPRASEN)은 국제무역·투자 부분에서 대한 민국의 선진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한민국이 수출을 기반으로한 성 공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하고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변모해가는 과정을 통해, 개도국에 국제 무역을 통한 국가 성장의 좋은

3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사례를 제시하고 있는 동시에 국제무역 자유화에 기여하였음을 강조하였 다. 또한 국제투자 분야에서 보여준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외자유치 등 국 제무역 투자를 통한 한국정부의 성공적인 정책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 다.

제5장의 공동저자인 네메노(Judee Grace NEMENO)와 미쳴(Robert J. MITCHELL)은 전세계 생명공학 및 생명의학 분야에서 선진국 반열에 올라선 대한민국의 발자취 및 앞으로의 행보에 대해 살펴보았다. 생명공 학은 생물학의 원리를 접목 개발하여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건강과 환경 관련 과제의 대응책을 제시해 줌으로써 매우 중요한 주제로 대두되었다. 특히 이러한 생명공학 분야에서 한국은 △ 줄기세포치료 △ 조직공학 △ 의료기술 발전 △ 관련 제반기술 상용화 등 해당 분야에서 세계 최고수준 의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제6장의 저자인 김영훈은 이 책의 두 번째 주제인 국제사회에서 한국 문화의 위상과 의의에 대해 소개하며 현대 한국문화의 7가지 주요 분야 를 다루고 있다. 한국문화의 급격한 성장과 글로벌 위상 영향력 증대에 대 해 설명하며, 한국문화의 그간 발자취 및 향후 창의력을 발휘하는 창의 적 문화로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타임지(Time Magazine)는 “영화에서 음악으로 더 나아가 뛰어난 과학기술 혁신으로 이어진 한국문화는 앞으로 창의력을 통해 새로운 한류를 이끌 것이다” 라 고 언급한 바 있다.

제7장에서 사르카(A. M. Jehad SARKAR)는 한국의 발명과 발견의 역 사를 되짚어보며 오늘날 한국의 발전은 과거로부터 이어져온 위대한 발명 과 발견의 자명한 결과임을 보여주고 있다. 전근대 시대 한국의 온돌방식 에서 오늘날 최신 기술 혁신인 LTE 상용화까지 시대를 뛰어넘는 한국의

31

머리말 발명발견에 대해 논의하며 한국과 같이 자원이 한정된 국가에서 지속가 능한 발전을 위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하는 중요한 요소가 혁신임을 강조 하였다.

제8장에서 메이(Xuemei CUI)는 전세계에 강력히 전파되고 있는 한류 에 대해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특히 아시아지역에서 한류와 한국 문화의 전파는 한국이 21세기 문화대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 주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동시에 문화관광의 시대인 21세기에 들어 한 국정부가 추진해온 문화관련 활성화 방안 및 세계 각국의 여행객들이 느 끼는 한국의 뛰어난 전통문화에 대해 다루며 앞으로 한국정부가 문화를 통해 전세계 인류와 교류할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 장에서는 전통문화를 관광자원으로 개발하고 있는 K-투어리즘(K-tourism)을 의 (한복), 식(한식), 주(한옥) 의 세 가지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소개하였다.

제9장에서 하디드(Akli HADID)는 한국 문화 중 한국어에 대해 이야 기하며 제2외국어로써의 한국어교육을 통한 문화 전파의 틀을 모색하였 다. 특히 한국어를 배우기 위하여 오는 외국인 중 약 80%를 차지하고 있 는 중국, 일본, 몽골, 베트남을 제외한 제3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어려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한 국어를 배우는데 있어서 언어 자체에 대한 어려움 보다는 실용성 측면을 어려움으로 꼽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본 연구를 통해 결과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의 만족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 을 증명하였다.

마지막 장인 제10장에서는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전반적인 중요성과 관계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장을 집필한 담딘슈렌(Damdinsuren OT- GONTSETSEG)은 한국어의 존칭어에 대한 언어적 측면의 이해가 어떻

3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게 한국의 문화, 관습에 대한 이해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한국 어를 이해하는 것이 한국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능케 하는 매우 중 요한 요소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의견을 바탕으로 공공외교의 중 요 요소로 문화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이 책의 집필진들을 비롯한 한국사회에서 상당한 시간을 보낸 외국인 들은 비교적 오랜 한국문화 경험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한국문화 그리고 한국사회의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 그리고 성공신화에 대하여 충분히 이 해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느낄 것이다. 앞으로 우리 공공외교 학술 그룹은 이러한 시각차이를 좁히고, 한국을 알고 싶어하는 이들에게 한국 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소통의 장을 제공해 나갈 것이다.

REFERENCES

Cull, N. (2006) ‘Public Diplomacy’ Before Gullion: The Evolution of a Phrase USC Center on Public Diplomacy at http://uscpublicdiplomacy.org/ blog/060418_public_diplomacy_before_gullion_the_evolution_of_a_ phrase Nye, J. (1990) Bound to Lead: The Changing Nature of American Power (New York: Basic Books). Nye, J. (2004) Soft Power: The Means to Success in World Politics (New York: Public Affairs).

33

머리말 CONTENTS

INTRODUCTION • 15

Part I. International Relations and Global Contributions

1. South Korea’s Humanitarian Contributions Brendan M. HOWE ·································································································· 41

2. Korea’s Capacity Building and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Daniel A. PINKSTON ······························································································ 83

3. Utilizing Non-state Actors for Korean Public Diplomacy Kadir AYHAN ··········································································································· 127

4. Korea’s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Perspectives Utai UPRASEN ········································································································ 171

5. Korea’s Competitive Edge and International Impact in Biological and Biotechnological Advancements Judee Grace NEMENO and Robert J. MITCHELL ···································· 207

3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Part II. Korean Culture and Innovations

6. South Korea Through Indicators and Keywords Young Hoon KIM ····································································································· 251

7.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Korea A. M. Jehad SARKAR ···························································································· 283

8.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K-Tourism Xuemei CUI ················································································································ 323

9. Korean Language Learning Akli HADID ··············································································································· 343

10. Inher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Terms of Address in Language Etiquette Damdinsuren OTGONTSETSEG ····································································· 395

35

CONTENTS 목 차

머리말 • 25

제1부 세계공영에 기여하는 대한민국

1. 대한민국의 인도주의적 기여 Brendan M. HOWE ······································································································· 63

2. 대한민국의 세계평화증진 기여

Daniel A. PINKSTON ································································································· 105

3. 대한민국의 공공외교와 민간참여 확대방안

Kadir AYHAN ················································································································· 149

4. 대한민국의 국제 무역과 글로벌 투자

Utai UPRASEN ············································································································· 189

5. 대한민국 생명공학 기술의 우수성과 파급효과

Judee Grace NEMENO and Robert J. MITCHELL ······································· 229

3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제2부 대한민국 문화의 우수성과 새로운 지평

6. 지표와 키워드로 읽어보는 코리아

Young Hoon KIM ·········································································································· 267

7. 대한민국의 발명과 발견

A. M. Jehad SARKAR ································································································· 303

8. 한국의 전통문화와 K-Tourism

Xuemei CUI ···················································································································· 333

9.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Akli HADID ···················································································································· 369

10. 언어 예절에서 한국어 호칭어의 고유한 특성

Damdinsuren OTGONTSETSEG ········································································ 407

37

CONTENTS 세계 속 대한민국의 위상과 상호이해를 통한 글로벌 파트너십 증진 Part I International Relations and Global Contributions

제1부 세계공영에 기여하는 대한민국

1. South Korea’s Humanitarian Contributions 대한민국의 인도주의적 기여 Brendan M. HOWE

2. Korea’s Capacity Building and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대한민국의 세계평화증진 기여 Daniel A. PINKSTON

3. Utilizing Non-state Actors for Korean Public Diplomacy 대한민국의 공공외교와 민간참여 확대방안 Kadir AYHAN

4. Korea’s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Perspectives 대한민국의 국제 무역과 글로벌 투자 Utai UPRASEN

5. Korea’s Competitive Edge and International Impact in Biological and Biotechnological Advancements 대한민국 생명공학 기술의 우수성과 파급효과 Judee Grace NEMENO and Robert J. MITCHELL

1 SOUTH KOREA’S HUMANITARIAN CONTRIBUTIONS

INTRODUCTION

We expect those who govern to do so in the interests of the governed, usefully providing services that can best or perhaps only be achieved through collective action. According to the Report of the Commission on Global Governance, ‘governance is the sum of the many ways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public and private, manage their common affairs’ (1995: 2). It is an ongoing and evolutionary process which looks to reconcile conflicting interests in order to protect the weak, through the rule of law, from unjust exploitation, and introduce security for all. Governance is also a process through which the collective good and goods are generated so that all are better off than they would be acting individually. Thus governance implies a concern, held by those who govern, with the security, development or provision of basic human needs, of those who are governed. This includes steps to eradicate poverty, particularly in conflict affected areas. South Korea’s current president, Park Geun-hye, promised in the 2012 presidential election, and reiterated in her inaugural address on 25 February 2013, that good governance and human security considerations would be further brought to the fore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y-making. She has pledged to usher in an era of hope focused on ‘economic democratization’ and the ‘happiness’ of South Korean citizens, while actively promoting the spread and flourishing of Korean

41

1. South Korea’s Humanitarian Contributions culture. With regard to North Korea she has emphasized ‘strategic patience’ focused on ‘trustpolitik’ and humanitarian assistance, despite inflammatory speeches and actions issuing from Pyongyang (Cha and Kim, 2013). In taking such a line President Park is following in a traditional of humanitarian concern pioneered by administrations of both political groupings in Seoul. Indeed, dating back even to before the onset of democracy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the country has a lengthy tradition of humanitarian contributions. South Korea has operated as, and continues to operate as both inspiration and catalyst for good governance and the global production of public goods. Regionally, Korea acts as a ‘shining city on the hill’. Through the ‘Miracle on the Han River’, South Korea grew from a devastated shell of a state, one of the poorest in the world, let alone the region, and itself heavily dependent o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for 50 years (1945-95), to become the newest member of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and host of both the G20 and the High Level Forum (HLF-4) on Aid Effectiveness. This has been achieved in the context of ongoing security challenges. A second, political, miracle on the Han has seen the ROK successfully transition to, and then consolidate as, a representative liberal democracy. As a newly emerging global good citizen, South Korea therefore symbolizes three things: (1) a rapid rise from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in the world to the 13th largest economy – a message of hope to other developing countries; (2) rapid economic development accompanied by democratization; and (3) achievement of these milestones in the context of insecurity. The Republic of Korea also, however, contributes directly to the betterment of lives in other countries. In accordance with its new DAC responsibilities, South Korea is looking to dramatically expand its ODA budget and also to host many fact-finding missions and students from small and medium-sized regional economies who see in the ROK a role

4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model more closely analogous to their own conditions and experiences than perhaps is the case with more traditional donors. Furthermore, South Korea is unique among donors in not suffering from any neo- imperial baggage. In a parallel development, Korea has grown from being the host of largest UN enforcement operation, and one of the largest ongoing peacekeeping operations, to being a major contributor to international peacekeeping operations. Finally, it is not just the government of the ROK which has contributed assistance to vulnerable sections of international society, but also individual Korean citizens. This chapter, therefore, explores all of these contributions and reflects on the role of South Korea as a humanitarian pioneer.

SOUTH KOREA’S DEVELOPMENT EXPERIENCE

The ‘Miracle on the Han River’ saw South Korea grow from one of the world’s poorest countries with a GDP per capita of US$67 in 1953 to the world’s 13th largest economy. Its evolution from dependent recipient to its current status as one of the world’s leading economies is one of the few aid success stories, and South Korea sees its own experience as an asset it can provide to other recipients of aid. Indeed South Korea is the only country to have graduated from recipient of OECD assistance to a donor and member of the DAC. Thus, Korea has unique stories to tell and experiences to share. Indeed, South Korea has become increasingly actively involved 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mmunity and has endorsed a ‘Knowledge Sharing Program’ (KSP) in its development cooperation efforts. This section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South Korea can represent a positive example of externally-stimulated and internally-generated development and governance success. South Korea’s history as a recipient of ODA began in 1945 after Japan’s defeat in World War II. Korea was divided at the 38th parallel

43

1. South Korea’s Humanitarian Contributions north in accordance with United Nations directives, with the South administered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North by the Soviet Union. The Soviets and the Americans were unable to agree on the implementation of joint trusteeship over the whol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us the division became formalized in 1948 with the establishment of two governments at Pyongyang in the North and Seoul in the South; capitals respectively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and the ROK. The newly established government in Seoul, however, lacked the capacity to use foreign assistance fo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thus most foreign assistance was provided as a form of emergency relief (Kim, 2011). The Korean War (1950-1953), resulted in the devastation of over 80% of the Korean Peninsula. While over 98% of foreign aid to South Korea was, initially, grant aid, beginning in the 1960s, loans increased substantially and peaked around the early 1980s. ODA to South Korea totaled US$3,941.4 million during the period 1961-75, of which 50.7% was provided in grant aid and 49.3% in concessional loans (Lee, 2004: 59). Likewise, the nature of foreign aid changed from relief aid to development assistance. South Korea experienced rapid economic growth during this period, and foreign assistance, mostly loans, was used to support the ROK’s economic development plans. In particular, the largest proportion of loans was used to finance the building of economic infrastructure, including electric power,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water systems and construction (Kim, 2011: 278). For example, around 57% of the funds from the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 program were invested in building basic social infrastructure (Chung, 2007: 331). Foreign loans were also used to finance large industrial project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heavy chemical industries (HCIs) production facilities. By 1975, South Korea’s GNP per capita reached US$574 and thus it was no longer eligible for a low-income economy classification by the

4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ODA to South Korea decreased to US$3,510.8 million in 1976-90 and to US$2,226.2 million in 1991- 99, as its economy continued to grow (Lee, 2004: 74). The government focused on specific industries including chemical industry within the HCIs, oil refineries and fertilizer plants. In addition, it aimed to promote promising industries such as automobiles, machinery, electronics, and semiconductors, while reducing the country’s dependence on labor- intensive industries such as textiles and footwear (Chung, 2007: 145). During these periods, Korea registered an average growth rate of 8.2% from 1976-90 and 7.3 in the 1990s before the Asian Financial Crisis (World Bank, 2013). Finally, in 1995, South Korea graduated from being a recipient when it paid off its final structural adjustment loan to the World Bank. It was removed from the OECD’s list of recipient nations in 2000. It is important, however, to recognize that in the Korean case, economic development has been accompanied by human development. Indeed, it would seem that much of the remarkable economic recovery and growth in the ROK was precisely because of the prioritization of human development, particularly in the realm of education and capacity building. Economic growth and human development have interacted with each other in the Korean economy, and the government-led economic development plans have been directly reflected in education policy and planning (Lee, 1997). As will be discussed below, these prioritizations were then transferred to South Korea’s role as a donor. Until the 1960s, the role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providing education was limited by financial shortcomings, with foreign aid largely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rom 1945 to 1948, two-thirds of the operating costs of running primary schools were financed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USMG) in South Korea. Foreign aid, mostly from the US, and amounting to US$100 million in 1952-66, provided the resources for classroom construction and

45

1. South Korea’s Humanitarian Contributions thereby facilitated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student enrollment and the number of schools (McGinn, 1980). Despite financial limitations,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initiated a ‘national campaign for literacy’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in the adult literacy rate from 22% in 1945 to approximately 80%in 1960 (Pillay, 2010: 10). Since the 1960s, the government has focused on providing an education system based on the needs for human resources (ibid: 73). The focus of the government’s educational plan has moved from primary to secondary education and finally to the tertiary level, according to its economic advancement. For example, during the early stage of industrialization in the 1960s and 1970s, during which workers with a lower level of technical skill were required, the government implemented an effort to expand vocational training and the supply of secondary school technical graduates. Later in the 1980s, in order to absorb more advanced technology, more support was given to two-year junior technical colleges, colleges and universities for a supply of skilled workers and technicians (Lee, 1997). Consequently, South Korea has achieved the largest increase in human capital stock. The average years of schooling of the population aged 15 and above more than doubled from 4.2 years in 1960 to 9.9 years in 1990, which exceeds the average of the OECD countries as a whole (ibid.). Education has also, however, laid the foundations upon which democratic principles and institutions are based (Pillay, 2010: 74). It has promoted political knowledge, changed political behavior patterns, and shaped political attitudes and values. Simultaneously, education has imbued the people with commitment to modernization and citizenship. Increased educational opportunities have made upward social mobility possible, and the middle class has expanded as a result. South Korea has a history, therefore, of prioritizing human capacity building and education, while at the same time promoting rapid economic development – an ambition to which many obstacles case studies in

4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the region could aspire.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investment, as well as, through these initiatives, the development of an educated and skilled workforce, have led to rapid and sustained economic growth. But they have also contributed to political governance gains, democratic transition and consolidation. In this regard, South Korea has also achieved significant progress in the human security related aspects of development from which others could learn. Many developing countries in the region and from further afield have been looking to learn the lessons of the Korean development experience. South Korea represents a rare case of an ODA recipient success story, a country that has overcome the dual challenges of post-conflict under- development and insecurity, a ‘miracle’ of economic and political governance development, and a country that embraces both macro and human-centered development in its policy prioritization. Since becoming a donor, however, South Korea has also looked actively to export these lessons rather than being content to serve merely as a developmental ‘shining city on the hill’. This is considered further in the next section.

SOUTH KOREA’S DEVELOPMENT ASSISTANCE

South Korea became a donor of ODA in 1963 when it was asked by USAID to participate in a joint training project. It was not, however, until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that South Korea became an independent donor of ODA. In 1987, after South Korea had enjoyed nearly three decades of rapid industrialization, it established the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 under the Export- Import Bank of Korea (Eximbank) in order to handle concessional loans. The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was established in 1991 to deal with grant aid. Since South Korea joined the OECD in 1996 and the DAC in 2010, it has worked hard to boost its aid and to

47

1. South Korea’s Humanitarian Contributions contribute to global development efforts. South Korea strengthened its legal framework for a more effective ODA system by enacting the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ramework Act) and the Presidential Decree, and South Korea devised the Strategic Pla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trategic Plan) to provide a greater clarification for managing its development budget (National Assembly, 2010; PMO, 2010a; GOK, 2010). In addition to strengthening its own development assistance, South Korea has been active in international debates and global processes (OECD, 2012). South Korea hosted the G20 Summit in 2010 and played a leading role in expanding G20’s agenda to include development issues. In addition, during the Fourth High Level Forum on Aid Effectiveness (HLF-4) at Busan in 2011, South Korea paved the way to enhancing global partnership between DAC members and recipients. A large share of Korea’s aid has been directed to Asia to strengthen development cooperation as a top priority. Asia, particularly East Asia, received the largest portion of bilateral ODA with approximately 50% during 2006-10, and the volume itself has gradually increased (OECD, 2013). According to the Strategic Plan and the Mid-term ODA Policy for 2011-2015, which describe strategic orientations and allocation principles for each region, strategic priority is given to the Asian region (GOK, 2010; PMO, 2010b). Furthermore, in early March 2009, then President Lee Myung-bak announced the ‘New Asia Initiative’, intended to enhance Korea’s cooperation with neighboring Asian countries, including a plan for increasing ODA contributions to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MOFAT, 2009). Although Korea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Africa in its commitment to join the global efforts to fight poverty through the MDGs, Korea has closer ties with Asian countries due to geographical proximity and cultural familiarity. Of 26 priority partner countries, 11 are located in Asia and Korea pledges to increase

4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its amount of aid to these Asian partner countries to 55% by 2015 (PMO, 2010b). Specifically, since the start of Korea’s official aid program in 1987, the largest volume of aid has been given to Vietnam, followed by Indonesia, Sri Lanka, Bangladesh and Cambodia (OECD, 2013). All of its five largest recipients are classified as low or lower-middle income countries by the World Bank, and its top 15 recipients include all of the poorest East Asian countries, with only one, Angola, from a continent other than Asia. This shows somewhat different geographical patterns of ODA allocation from Japan, the other Asian member of OECD DAC, which puts priority on East Asian upper-middle income countries including China and Indonesia. Indeed, South Korea does appear to be following a pattern more in line with DAC recommendations in terms of aid to least developed countries (LDCs) and low-income countries. In 2010, Korea allocated 61% of its gross bilateral ODA to these two groups of countries, which is above the DAC average of 53%. Over time, South Korea has changed its development goals and priority sectors. According to the EDCF’s Annual Report 2003, development goals included ‘economic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of developing countries’ by ‘sharing Korea’s development experience and transferring technological expertise accumulated during its economic development’ (2003: 9). By 2004, however, the emphasis had shifted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partner countries and Korea’s participation in development effor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uch as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EDCF, 2004: 11). In addition, South Korea began to place a higher priority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ves of people by providing more assistance to enhance water supply, public health, and education (Ibid.; EDCF, 2005: 11). Overall, however, the Republic of Korea has attempted to balance social and economic infrastructure, and not to radically change its ODA prioritization. This is reflective of South Korea’s own development

49

1. South Korea’s Humanitarian Contributions experience whereby the foundations for growth are laid by concentrating ODA on social and economic infrastructure projects (EDCF, 2004: 14). The East Asian approach to ODA as a whole draws heavily upon the successful economic case histories of the region, and South Korea’s KSP is perhaps the embodiment of this approach. The KSP, initiated by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nd implemented by the Korean Development Institute, is a comprehensive consultation program designed to assist development partner countries in key policy areas by sharing Korea’s development experience (Kim and Tcha, 2012). Such policy areas include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industrialization and export promotion, economic crisis management, a knowledge-based economy,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SP, 2013). South Korea has successfully completed policy consultation for 107 countries on more than 440 topics up to 2012, and most of the countries asking for consultation are located in Asia. The KSP budget has increased 17 fold between 2004 and 2012 (Kim and Tcha, 2012: 3-4).

SOUTH KOREA’S HUMANITARIAN ASSISTANCE

In addition to economic development, South Korea actively supports and participates in collective international efforts to promote human security and protect the entitlement rights of those in crises caused by hunger, diseases, or natural and man-made disasters. The ROK supports all internationally agreed-upon humanitarian principles such as impartiality, neutrality and independence, and applies them to foreign, security, and assistance policies. As part of its efforts, South Korea has made good progress towards ensuring better humanitarian donorship through a legislative framework for its humanitarian action, and a commitment to increase its humanitarian aid. In March 2007, Korea enacted the Overseas Emergency Relief Act

5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designed to allow the Korean government to provide more effective and prompt overseas emergency relief in order to play a greater role in the concerted efforts of the global community towards disaster management. In addition, the Framework Act of 2010 recognizes that humanitarian assistance is an integral part of South Korean development cooperation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2010). Furthermore, humanitarian assistance is outlined as one of the six objectives of the ROK’s Strategic Plan (GOK, 2010). Thus South Korea has a strong legislative mandate for its humanitarian activities, although it still lacks a cross-government policy to focus and guide its humanitarian program (OECD, 2012). South Korea has also made good progress in strengthening its humanitarian partnerships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UN agencies. For example, it increased its humanitarian budget allocation to UN agencies from 7% of total humanitarian budget in 2006 to 63% in 2010 (OECD, 2012). South Korea also takes part in the UN humanitarian mechanisms such as the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OCHA), which is the main UN body designed to strengthen the UN’s response to both complex emergencies and natural disasters. As part of its effort to strengthen its partnership with OCHA, Korea joined the OCHA Donors Support Group (ODSG) in 2006, and has been part of the UN Disaster Assessment and Coordination (UNDAC) teams since 2003 and the International Search and Rescue Advisory Group (INSARAG) since 1999. Since Korea specializes in search and rescue efforts, it has participated in the OCHA-administered Asia-Pacific Humanitarian Partnership (APHP) since its establishment in 2004. In 2009, Korea signed on to the Good Humanitarian Donorship (GHD) initiative and became the 36th member. In terms of protecting vulnerable civilian populations from violent threats, just as South Korea has graduated to becoming a donor country from an aid recipient, likewise it has moved from playing host to the

51

1. South Korea’s Humanitarian Contributions largest UN peacekeeping operation to an active participant in UN peacekeeping operations, as well as other international protection operations. For Eun-Sook Chung (2010: 101), ‘Korea’s participation in the UNPKO conveys the message of reciprocating international assistance it received after 1945, and it also demonstrates the nation’s will and capabilities to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peac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is is symptomatic of the ‘paying back syndrome’ prevalent among the majority of South Korean citizens who believe that it is their ‘moral duty to help those who are caught in armed conflict’ in return for the international assistance the country received during the Korean War (Hong, 2009: 24). Furthermore, for Sangtu Ko (2012: 288) peacekeeping operations (PKOs) represent the one field where South Korea aspires to middle power activism. Since the dispatch of its first peacekeepers, the Ever Green Unit, which constituted part of the 1993 UNOSOM II UN peacekeeping mission in Somalia, the ROK has deployed some 40,000 globally. ‘As of January 2014, about 1,650 personnel under 6 units of the ROK Armed Forces, and about 40 Observers, staff and coordination officers are deployed in 16 different countries in various operations, tallying up to 1690 assignments’ (MND, 2014). These include the infantry, medical and engineering units deployed in eight UN missions, in particular 317 troops to UN Interim Force in Lebanon (UNIFIL), and 282 troops to UN Mission in the Republic of South Sudan (UNMISS). South Korea also sent a 240-person engineering unit to assist Haiti after the January 2010 earthquake, and Korea ranks 34th in the number of PKO troops dispatched as of August 2013 (MOFA, 2013). The 2010 Defense White Paper announced a plan to steadily expand Korea’s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peacekeeping operations. This ambition has, in fact, repeatedly been reiterated by senior military and political leaders. Lee Myung Bak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08-2013) sought to strengthen Korean dedication to international

5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peacekeeping, pursuing an active PKO policy under the name of ‘Global Korea’ diplomacy which in turn aimed to reflect the international responsibility, of which Korea is increasingly aware, commensurate with its rising international status. ‘The president stated in 2009, at an event commemorating national independence, that he would raise the value of the national brand through optimal use of two instruments, namely ODA and PKO’ (Ko, 2012: 296). In July 2013, the Joint Chiefs of Staff (JCS) talked of further beefing up Korea’s presence in international PKOs (Kang, 2013). Also in 2013, in order to improve functioning of Korean peacekeeping operations, the government increased the staff of the Peacekeeping Operations (PKO) Center, and relocated it from the ROK Joint Staff College to the National Defense University. The PKO center provides pre-deployment education and training to military and police personnel, writes up the ‘after action’ report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unit, and gathers any lessons learned for future missions, while also participating in exchange programs with PKO military from other countries to improve training and coordination (Roehrig, 2013: 639). In recent years South Korea has further supported major commitments in Iraq and Afghanistan which, due to the nature of the Korean role in these missions, the Ministry of Defense considers also to be peacekeeping operations. Again, the ROK has enacted a sound legal framework for these activities.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Law on Participation in United Nations Peacekeeping Operations’ in December 2010, and it took effect in April the following year. Korea’s UNPKO law includes a definition of the UN peacekeeping operations, principles of mission performance, the legal basis for establishing standing forces, parliamentary approval procedures for dispatching forces, and authorizes the administration to make ‘provisional’ agreements with the UN on the scale of forces for dispatch (up to 1,000 personnel each time), subject to and in anticipation of National Assembly approval (Chung, 2010: 98).

53

1. South Korea’s Humanitarian Contributions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also officially expressed its support for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R2P) principles. Prior to and during the 2005 World Summit’s deliberation on the R2P, Korea was a consistent supporter of the Principle. The ROK has, however, emphasized the R2P’s prevention component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role in assisting states to build the capacity needed to deliver on their responsibility to protect their own population, rather than taking a more interventionary position (Park, 2009). This stance makes the ROK a less threatening humanitarian partner than other states with more imperial and/or interventionary baggage. Thus, despite an ongoing heavy US military presence within the country, South Korea is closely attuned to East Asian humanitarian perspectives. Hence, the ROK did not support the rather interventionary US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of 2004, with Seoul expressing concern that the Act would ‘negatively affect cooperation between the two and six-way talks’ (Goodenough, 2004). In fact, the ROK has consistently promoted humanitarian issues in the DPRK, despite, or because of national security concerns between the two Koreas. Nowhere is South Korean international assistance more substantial, more important, and yet more controversial than that which has been offered and delivered to the fraternal enemy state of North Korea. Seoul has multiple, overlapping reasons for wanting and needing to give assistance to North Korea. From a development perspective, there is hope that economic growth will lead to gradual and peaceful regime transformation in the North, or at the very least a modification of the erratic, self-destructive and dangerous policies pursued by Pyongyang. From a security perspective, addressing some of the internal insecurity issues of North Korea may help steer Pyongyang away from the songun (military first) philosophy which has proved so damaging to internal human security, and so threatening to international peace. From a human rights perspective, Seoul is obligated to help Koreans in the North,

5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first as a state claiming to govern in the interests of all Koreans on the peninsula, and second, due to the obligations placed on all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en a state (in this case the DPRK) fails in its responsibility to protect its citizens and to provide for their human security. So great is the commitment in Seoul that successive administrations in the ROK have continued to give humanitarian assistance to the DPRK even while Pyongyang has been threatening, or carrying out hostile acts. It seems that, despite recent escalations, hostile posturing, and saber rattling by both sides, the idea that North Korea must somehow be engaged from both humanitarian and national security perspectives has become internalized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national planning in the ROK. In the 2012 Presidential elections, both front-running candidates, the eventual victor, Park Geun-hye, and her defeated rival, Moon Jae-in, campaigned on the need for more constructive dialogue and engagement with the DPRK. Since becoming president, Park Geun-hye has made this her policy platform through an emphasis on trustpolitik and humanitarian assistance (Park, 2013). The citizens of the ROK tend to view their cousins in the North favorably and with compassion, even if they despise the regime in Pyongyang. Many South Koreans are active in variou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which give assistance to North Korean refugees, champi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or look to give assistance to the North free from the entanglements of national realpolitik. These activities are, however, just part of the humanitarian contributions of South Korean society. The final analytical section of this chapter explores the roles of NGOs and volunteer programs.

55

1. South Korea’s Humanitarian Contributions CIVIL SOCIETY’S HUMANITARIAN CONTRIBUTIONS

Although, perhaps understandably, many NGOs in the ROK are deeply involved with assistance to vulnerable individuals and groups in North Korea and to North Korean defectors and refugees, South Korean civil society is increasingly active in humanitarian activities across the region, and indeed the globe. Despite the frantic pace of life in this rapidly developing nation, South Korea remains a deeply spiritual society, with the majority of the followers of Buddhism, and the Roman Catholic and Protestant churches, counting themselves active members, putting into practice what they believe. This has been reflected in the large number of faith- based NGO humanitarian missions in South Korea, and the large Korean membership of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NGOs) such as World Vision International, the Evangelical Christian humanitarian aid, development, and advocacy organization which has grown into one of the largest providers of humanitarian assistance in the world. South Koreans have also joined more secular humanitarian INGOs, as well as like-minded home-grown organizations, in large numbers. Korea-based ‘Good Neighbors’ is an international, non-profit humanitarian organization committed to child education, community development, and emergency relief projects in 30 countries around the world with more than 2,000 professional staff and 20,000 volunteers giving humanitarian assistance and support to approximately 16.8 million people, including 9.6 million children. In 1996, Good Neighbors was awarded General Consultative Status with the United Nations and in 2007,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 Award was bestowed upon the organization (Good Neighbors Website). Likewise, the Korea International Volunteer Organization (KVO International) aims to promote volunteer work supporting human development

5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with programs covering emergency relief, vocational and agricultural training, promotion of economic independence for local communities, gender mainstreaming,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t holds special consultative status at the UN’s Economic and Social Council (ECOSOC), with a membership of 30,000, extending operations to 17 countries (Villarino, 2011). The government of the ROK has also looked to harness this wellspring of humanitarian concern among its citizenry, providing coordinating functions for volunteer activities around the world. In 1989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inauguration of its overseas volunteer program, and the following year the UNESCO Korean National Committee dispatched the first batch of volunteers to four Asian countries. In 1991 the program came under the auspices of the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and was expanded to seven countries (World Friends Korea Website). Other volunteer programs followed including the Korea Internet Volunteers under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where volunteers taught about technology, Korea University Volunteers, a short-term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to offer service opportunities of a few weeks to five months, and the Korea Techno Peace Corps that had one- year assignments, both run by the Ministry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Roehrig, 2013: 632). In 2009,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brought these programs and a number others together to form ‘World Friends Korea’ (WFK). Since its formation WFK has sent a similar number of volunteers (around 20,000 in total) to those administered annually by non-governmental Good Neighbors and KVO international programs (Roehrig, 2013: 632). Each year an additional 1,000 volunteers join the 1,600 already in the field in the regular program, with additionally several hundred serving in more ad hoc programs (World Friends Korea Website). Its objectives are similarl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developing

57

1. South Korea’s Humanitarian Contributions countries; to increase coopera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developing countries and Korea; [and] to achieve self-realization and growth through service activities’ (ibid). The ROK is one of only six countries that has a similar volunteer program (the others being Belgium, Germany, Japan, Luxembourg, and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s program is second only to the US in terms of size (Roehrig, 2013: 632).

CONCLUSION

The Republic of Korea remains one of the few ODA development success stories, overcoming the legacies of conflict, extreme poverty, insecurity, and authoritarian regimes to become a dual (economic and political governance) miracle on the Han. It has emerged from the ashes of war, to a situation where it is able to provide havens safe from fear and want for the majority of its people, and even become a regional economic powerhouse and global political player in the course of a mere half-century. As such, it serves as a tremendous example to other regional obstacle case studies of what can be achieved. Based on its own development experience, South Korea has prioritized its assistance to others on building socio-economic infrastructure as a ground for growth. Based on a combination of national interest and local knowledge/identity, the ROK has geographically concentrated its assistance towards the East Asian region. When economic development is considered as a tool for enhancing human security, as well as a goal in and of itself, such policies can be seen to contribute extensively towards providing freedom from fear and want. In addition, however, South Korea acts more directly to promote human security through humanitarian assistance and regional and global peace and security dialogues. Conscious of the debt owed to prior acts of international assistance to their own country,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South

5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Korean citizens are supportive of the ROK giving such assistance to other countries; particularly to those in need in Asia. Many of these citizens go further and actively engage in non-governmental and other civil society programs working on behalf of the most vulnerable citizens of other countries. Thus South Korea stands not only as an example of good governance in its own right, to be emulated by other East Asian states, but also as the first of a new breed of actors and donors from the region.

REFERENCES

Cha, V. and Kim, E. (2013) ‘Inauguration of South Korea’s New President Park Guen-hye,’ Center for Strategic & International Studies (CSIS), 6 February 2013, csis.org/publication/inauguration-south-koreas- new-president-park-geun-hye. Chung, E. (2010) ‘Korea’s Law on UNPKO and Its Role in International Peacekeeping Missions’ Korea Focus 18 (2), 98-102. Chung, Y. I. (2007) South Korea in the Fast Lane: Economic Development and Capital Form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CGG (Commission on Global Governance) (1995). Our Global Neighborhoo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EDCF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2003) EDCF Annual Report 2003, Seoul: EDCF. EDCF (2004) EDCF Annual Report 2004, Seoul: EDCF. EDCF (2005) EDCF Annual Report 2005, Seoul: EDCF. Goodenough, P. (2004) ‘S Korea Wary of US Law Targeting North Korea Human Rights,’ CNS News, 21 October 2004, http://www.cnsnews. com/ViewForeignBureaus.asp?Page=%5CForeignBureaus%5Carchi ve%5C200410%5CFOR20041021a.html.

59

1. South Korea’s Humanitarian Contributions GOK (Government of Korea) (2010) Strategic Pla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eoul: GOK. Good Neighbors Website, http://www.goodneighbors.org/index. 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94 Hong, K. (2009) ‘South Korean Approaches to Peacekeeping and Peacebuilding: Lessons Learned and Challenges Ahead’ The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23 (1), 23-46. Kang, S. (2013) ‘Korea beefing up presence in PKO’ The Korea Times July 11, https://www.koreatimes.co.kr/www/news/nation/ 2013/07/116_139642.html. Kim, J. Y. (2011) ‘Foreign Aid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Success Story of South Korea,’ Pacific Focus, 26 (2), 260-86. Kim, Y. L. and Tcha, M. (2012) Introduction to the Knowledge Sharing Program (KSP) of Korea, http://keia.org/publication/introduction- knowledge-sharing-program-ksp-korea. Ko, S. (2012) ‘Korea’s middle power activism and peacekeeping operations’ Asia Europe Journal 10, 287–299. KSP (Knowledge Sharing Program) (2013) Bilateral Consultation, http:// www.ksp.go.kr/. Lee, J. M. (2009) ‘The History of South Korean Aid to DPRK and its Transition to Development Assistance: Aid to DPRK in the Context of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itarian and Development Assistance to DPRK, Seoul, 24-26 November, 2009. Lee, J. W. (1997) ‘Economic growth and human develop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1945-1992,’ Occasional Paper, No. 24 (New York: UNDP), http://hdr.undp.org/en/reports/global/hdr1997/papers/ jong-wha_lee.pdf. Lee, K. K. (2004) Hangugedaehan kaebalwŏnjowa hyŏmnyŏk [Development assistance and cooperation to South Korea: A Review of ODA for South Korea as a Recipient and Case Studies] in Korean,

6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Seoul: KOICA. McGinn, N. F., Sondgrass, D. R., Kim, Y. B., Kim, S. B., and Kim, Q. Y. (1980) Education and Development in Korea,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MND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http://www.mnd.go.kr/mbshome/ mbs/mnd_eng/subview.jsp?id=mnd_eng_020300000000 MOFAT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2009) Introduction to New Asian Initiative, http://www.mofat.go.kr/webmodule/htsboard/ template/read/korboardread.jsp?typeID=6&boardid=9795&seqno=3 20961&c=&t=&tableName=TYPE_DATABOARD&px=&dc=&wc= &lu=&vu=&iu=&du. MOF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3) Bilateral Policy Activities, http://un.mofa.go.kr/english/am/un/bilateral/policy/activities/index. jsp 2013.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2010)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eoul: National Assembly.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2) DAC Peer Review of Korea, Paris: OECD, http://www.oecd.org/dac/ peerreviewsofdacmembers/Korea%20CRC%20-%20FINAL%20 21%20JAN.pdf. OECD (2013) International Development Statistics, http://stats.oecd.org/ qwids/. Park, B. S. (2013) ‘Incoming Park Administration Plans to Increase Defense Spending,’ The Hankyoreh, 22 February 2013, http://english. hani.co.kr/arti/english_edition/e_national/575126.html. Park, I. K. (2009) Plenary Meeting of the General Assembly on Responsibility to Protect, statement, 23 July 2009, http://www. responsibilitytoprotect.org/Korea_ENG.pdf. Pillay, P. N. (2010) Linking Higher Educ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Africa from Three Successful Systems, Wynberg: Center for Higher Education Transformation (CHET).

61

1. South Korea’s Humanitarian Contributions PMO (Prime Minister’s Office) (2010a) Presidential Decree of the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eoul: PMO. PMO (2010b) The Mid-term ODA Policy for 2011-2015, Seoul: PMO. Roehrig, T. (2013) ‘South Korea, Foreign Aid, and UN Peacekeeping: Contributing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as a Middle Power’ Korea Observer 44 (4), 623-645. Villarino, E. (2013) Top global development groups in Seoul: A primer https://www.devex.com/news/top-global-development-groups-in- seoul-a-primer-76800 World Bank (2013)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http://databank. worldbank.org/ddp/home.do?Step=3&id=4 World Friends Korea Website, http://www.worldfriendskorea.or.kr/eng/ historyInfo/eng.intro.history/list.do

6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제1장 대한민국의 인도주의적 기여

서론

오늘날 우리는 집단적 행동을 통해서만 달성될 수 있거나, 그렇게 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 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방 식으로 조직, 사회 등을 이끌어 나가는 무언가를 기대하게 되었으며, 이 러한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개념으로 거버넌스(governance)가 등장하게 되었다. 글로벌 거버넌스 위원회 보고서(Commission on Global, 1995:2) 에 따른 거버넌스의 개념을 살펴보면 거버넌스는 개인과 집단, 공적인 영 역과 사적인 영역의 모두가 추구하는 포괄적인 이익을 창출해내는 행위 로 요약할 수 있다. 거버넌스는 공정한 법 집행을 통해 불공정한 사회적 모순으로부터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안녕과 복 지를 제공하여, 구성원 모두가 보다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전체적 유익을 창출해내기 위한 중요한 역할로 계속 발전해왔다. 이러한 거버넌 스는 구성원들의 생명과 안전, 개발, 기본권보호를 위해 노력하며, 특히 갈등이 고조된 지역에서 화합의 장을 만들어 내고 절대빈곤 퇴치를 위해 노력할 의무가 있음에 대한 근거를 마련해 주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2012년 대선 공약은 물론 취임연설에서 거버넌스와 함께 국민의 안녕, 나라의 안보에 대한 관심을 국내 정책뿐만 아니라 외교 정책 수립에까지 반영시킬 것을 천명하며 경제민주화와 함께 국민들의 행 복, 그리고 한국의 문화를 전세계에 널리 알리며 희망의 시대를 열겠다고

63

제1장 대한민국의 인도주의적 기여 발표하였다. 또한 남북문제에 관해서는 북한의 대남 군사도발과 선동공세 에도 불구하고 신뢰정치철학(trustpolitik)과 인도주의 정신에 기반한 ‘전 략적 인내’ 정책을 취할 것임을 공표하였다(Cha and Kim 2013). 박근혜 대통령이 따르고 있는 이러한 전통적인 인도주의 정신은 여당과 야당 할 것 없이 과거 대한민국에 민주주의가 수립되기 이전부터 이어져 오던 것 으로, 대한민국의 글로벌 공공재 생산과 좋은 거버넌스의 실천에 있어 영 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 반세기 동안(1945-95) 공적개발원조(ODA)를 받은 세계에서 가장 빈곤 한 나라 중 하나였던 대한민국은 전세계에 한강의 기적을 보여주었다. 한 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개발원조위원회(DAC) 가입과 함께 원 조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단기간에 전환되었고 나아가 ‘G20 정상회의’ 와 ‘제4차 원조효과 고위급포럼(HLF-4)’ 개최국가의 위치에 올라서게 되 었다. 대한민국은 한반도가 직면하고 있는 안보위협에도 불구하고, 경제 적 성공뿐만 아니라 대의민주주의라는 정치적 성장을 통해 한강의 기적 을 이룩하였다. 대한민국은 이러한 행보와 성장을 통해 세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상징성을 갖게 되었다. 첫째, 세계 최빈곤국에서 세계13위 경제대 국으로 성장함으로써 다른 개도국에게 희망의 메시지가 되었으며, 둘째, 고도경제성장과 민주주의를 동시에 이룩한 국가가 되었으며, 셋째, 이러 한 놀라운 성과를 불안정한 한반도의 안보상황 속에서 이룩하였다는 점 이다. 대한민국은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다른 나라의 삶의 개선을 위해 직 접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는데, DAC 가입과 함께 한국정부는 대외원 조 예산을 큰 폭으로 확대하고 다양한 관련연구 사업을 유치하고 있다. 특히 신제국주적인 침략의 역사가 없는 한국은 기존 선진국들이 제공하 는 성장 모델과는 다른 개도국들에게 보다 효과적일 수 있는 성장 모델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관련 연구를 진행하거나 해당국가의 학생들 을 교육시키는 사업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은 이러한 경

6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제성장과 함께 과거 UN의 최대 지원대상 국가에서 현재는 UN평화유지 활동(PKO:Peace keeping operation)의 주요 지원 국가로 성장하였다. 이 처럼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의 평화 및 개발체제 구축에 적극 참여하는 인 도적 지원 국가가 될 수 있었던 바탕에는 한국정부 뿐만 아니라 국민들이 기여했던 중요한 역할이 있었으며 이 장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 전 세계 인도적 지원의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대한민국에 대해 논의해 보 고자 한다.

1.1. 대한민국의 경제개발과 성장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로 1인당 GDP가 67달러(1953년)에 불과했던 대한민국은 한강의 기적을 통해 전세계 유일하게 원조 수원국 에서 공여국으로 성장하며, 세계 13대 경제대국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성 공적인 대외원조하의 경제성장 경험과 국제적 위상이 제고되며 최근에는 개도국과 이러한 개발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일 환으로 한국정부는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 추진을 통해 한국의 발 전경험과 지식, 기술 공유 및 관련 정책자문 등의 사업을 확대해 나아가 고 있다. 이 절에서는 대외원조를 통한 정부의 국내 개발정책의 성공적인 예로 대표되는 대한민국의 개발경험과 그 의의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논 해보려 한다. 1945년 일본의 세계2차대전 패전과 함께 UN 총회 결의에 의거하여 한 반도는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미국이 통치하는 남한과 구소련 연방이 통 치하는 북한으로 나뉘어지게 되었다. 그 후 소련과 미국은 한반도 전체를 통치하는 공동 신탁통치 합의 도출에 실패하며, 1948년 서울과 평양에 각 각 대한민국과 조선인민공화국이라는 개별의 정부를 세우는 것으로 한 반도의 남북 분단은 공식화 되었다. 이 시기부터 대한민국은 ODA 수혜

65

제1장 대한민국의 인도주의적 기여 국으로서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았으며 당시 공적 원조는 경제개발보다는 긴급구제의 목적으로 이용되었다(Kim, 2011). 1950년부터 1953년까지 이어진 한국전쟁은 한반도 전체 면적의 80% 이상을 파괴하는 비극적인 결과를 낳았다. 당시 대한민국이 받은 대외원 조 중 98% 이상이 무상원조였던 것에 반하여 1960년부터 유상원조의 비 중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1980년대 초에는 대외원조 중 유상원조의 비 중이 정점을 찍게 되었다. 1961년부터 1975년까지 대한민국이 받은 공적 개발원조 총액은 394억 14백만 달러로 이중 50.7%는 무상원조이고 나머 지 49.3%는 양허성 차관이었다(Lee, 2004:59). 대외원조의 성격 또한 과 거 긴급구제원조에서 개발원조로 변모하여 한국정부가 받은 대외원조는 (주로 차관) 대부분 국가의 경제발전계획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이 시기 한국은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루게 되었다. 당시 미국(USAID)에서 받은 차관의 57% 정도가 기초적인 사회 인프라 건설을 위해 사용된 것과 같 이(Chung, 2007: 331) 한국정부는 양허성 차관의 대부분을 전기발전시 설, 교통, 통신, 하수도, 도로 등 경제 인프라 구축을 위해 사용하였으며 (Kim, 2011: 278) 해외 은행 차입금은 중공업(HCIs) 제작시설 구축과 같 은 산업 개발을 위해 중점적으로 사용되었다. 1975년 대한민국의 1인당 GDP는 574달러로 증가하며 더 이상 한국은 세계개발기구(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하 저소득 국가 로 분류되지 않았다. 국제사회의 대외원조는 한국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351억 8백만 달러로 감소하기 시작하여(1976-1990년) 이후 222억 62백만 달러까지(1991-1999년) 감소하였다(Lee, 2004: 74). 한국정부는 화학산 업, 석유여과기, 원자력발전과 같은 특정 산업에 집중하는 한편, 자동차, 기계, 전력, 반도체와 같은 산업육성을 위해 적극 투자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섬유, 신발과 같은 노동집약산업이 점차 축소되었다(Chung, 2007: 145). 같은 기간 동안 한국은 평균 8.2%의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1976-1990년) 1990년대 아시아 금융위기 이전까지는 7.3%의 평균성장

6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률을 기록하였다(World Bank, 2013). 1995년 마침내 한국은 세계은행에 차관의무를 모두 이행하며 차관공여대상국에서 제외되었고, OECD는 2000년 한국을 원조수원국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여기서 한 가지 주목해야 할 점은 이러한 경제발전 과정에 있어서 대한 민국은 교육과 인적 역량강화를 바탕으로 한 개발을 주요과제로 삼았으 며 이는 한국 경제발전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는 것이다. 당시 경제발 전과 인적개발 과제는 서로 분리할 수 없는 주요과제였으며 한국정부는 범국민적 개발계획을 한국교육정책에 반영시켜 적극 추진함으로써(Lee, 1997) 한국을 원조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하는 놀라운 성과를 이 루는데 기여하게 되었다. 1960년대까지 한국정부의 교육정책 관련 예산은 대외원조에 상당부분 의지하고 있었는데 예를 들어 1945년부터 1948년 사이 한국 초등학교 지 원예산의 2/3이상이 미 군정청(USMG)에서 지원되었다. 1952년에서 1966 년 사이 한국정부는 주로 미국으로부터 받은 약 1억 달러의 대외원조를 교육시설 설비 및 구축에 사용하여 학교와 학생수를 크게 증가시키는 결 과를 이뤘다(McGinn, 1980). 정부의 예산부족에도 불구하고 범국민적 문맹퇴치운동을 전개하여 1945년 78%였던 성인 문맹률을 1960년에 이 르러서는 약 20%로 줄이는 성과를 보이며(Pillay, 2010: 10) 국가의 인적 자원 개발을 위한 교육정책을 1960년대 들어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시작 하였다(ibid: 73). 한국정부는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사이 기초적인 노동기술력이 요구 되던 산업화 초기에는 전문계고등학교에서의 직업 및 기술 교육을 확대 하고 이후 초·중·고등 및 대학교육으로 정부 교육추진 사업을 확대하며 국가적 차원에서의 인력양성 정책을 적극 추진하였다. 1980년대 후반, 산 업화와 함께 이전보다 선진화된 기술이 요구됨에 따라 한국정부는 2년제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의 교육을 통한 고급인력의 양성에 집중하였다 (Lee, 1997). 1960년 4.2년이었던 대한민국 15세이상 국민의 평균 교육기

67

제1장 대한민국의 인도주의적 기여 간은 1990년에는 OECD 전체 멤버국가의 평균보다 높은 9.9년으로 30년 사이 두 배 이상 높아지는 성과를 보였다(ibid.).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와 이를 통한 고급인력의 양성은 한국 경제성장 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계층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 여 중산층이 크게 확대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기간 동안 한국은 고도 의 경제성장을 이룬 동시에 국민의 인적 역량 배양과 교육에도 괄목할 만 한 성과를 이룩한 것이다. 경제개발에 초점을 맞춘 한국정부의 교육정책 은 경제성장뿐 아니라 한국사회의 근대화와 공민권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한국 민주주의 운동의 토대가 되었다(Pillay, 2010: 74). 한국정 부가 추진한 경제성장과 인적자원개발 정책이 민주주의라는 정치적인 성 과를 가져옴에 따라 한국의 경제개발 모델은 단순한 경제개발이 아닌 국 가전체를 성장시키는 경제개발로 평가되어 오늘날 많은 개도국들이 한국 의 개발경험을 공유하고 그들 국가의 개발정책에 적용하는 등 개도국들 의 국가개발정책 수립에 훌륭한 모범이 되고 있다. 과거 ODA 수원국으로서 놀라운 성공 사례를 보여준 대한민국은 정부 의 다각적인 노력의 결과로 고도의 경제발전과 정치발전을 함께 이루며 국가의 거시적 개발과 국민 개인의 안녕이라는 두 개의 과제를 동시에 성 공적으로 달성하였다. 수원국에서 공여국이 된 한국은 원조지원 뿐만 아 니라 개발경험을 개도국들과 공유하는 등 개도국들의 국가 개발사업에 지속적으로 지원 및 참여하고 있다.

1.2. 대한민국의 대외지원과 개발원조

대한민국의 대외지원은 1963년 미국국제개발기구(USAID)의 요청 에 따라 시작되었다. 이후 30여 년 동안 고도산업화를 이룬 한국정부 는 1987년 개도국에 대한 양허성차관 업무를 담당하는 경제협력기금

6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EDCF)을 수출입은행 산하에 출범시켰다. 이어 1991년에는 무상증여 원 조 제공을 위한 한국국제협력단(KOICA)을 정식 출범하고 1996년에는 OECD에 가입하고, 2010년부터는 DAC 회원국으로 적극 활동하는 등 세 계 개도국 개발과 지원을 확대하며 적극 협력해오고 있다. 한국정부는 내부적으로「 대외경제협력기금법」 제정을 통하여 보다 효 과적인 ODA 사업을 위한 법적 근간을 마련하는 한편(National Assem- bly, 2010; PMO, 2010a; GOK, 2010) 개발협력 강화를 위한 국제적인 노 력에 적극 동참하여 (OECD, 2012) 2010년에는 ‘G20 정상회의’를 유치하 였고 G20 개발의제 주도로 국제 개발협력 무대에서 한국의 리더십을 발 휘하였다. 또한 2011년에는 ‘부산세계개발원조총회’를 주최하여 보다 효과 적인 개발원조 확대를 위한 공여국과 수원국의 협력체제 구축 방안인 글 로벌 파트너십의 구체적인 운영방향을 마련하는 등 주최국으로서의 위상 에 걸맞은 역할을 적극 수행하였다. 이 밖에도 한국정부는 국제사회의 MDGs 달성 노력에 기여하기 위해 아프리카 지역을 포함한 지역별 인도적 지원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한국의 26개의 핵심 파트너 국가 중 11개의 국가가 위치한 아시아 지역에 대한 지 원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OECD, 2013) 지리적 접근성 및 정치·경 제적으로 긴밀한 동아시아를 정부의 ODA 최우선 지원 대상으로 지정하 고, 2006-2010년 동안 전체 양자 원조액의 약 50%를 배분하였다. 2009년 3월 이명박 전 대통령은 주변 아시아 국가들과 보다 긴밀한 협력체제를 중시하는 ‘신아시아 외교’ 구상과 이를 위한 아시아 지역 개도국의 ODA 지원확대 계획을 발표하였다(MOFAT, 2009). 이에 따라 수원국의 국가개 발전략 및 실질적 수요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2011-2015 ODA 기본계획’ 에서는 아시아 지역을 최우선 ODA 지원 대상 지역으로 구분하고 (GOK, 2010; PMO, 2010b), 2015년까지 전체 양자 원조의 55%를 아시아 파트너 국가에 배분할 계획을 밝히는 등 (PMO, 2010b) 해당 지역에 대해 최우선 중점지원 기조를 유지할 것을 공약하였다.

69

제1장 대한민국의 인도주의적 기여 1987년 한국이 공식적으로 대외원조 사업을 시작한 이래 한국의 대외 원조 5대 수원국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로 모두 세계은행 저소득 국가분류에 포함되며(OECD, 2013), 한국 대외 원조 15대 수원국에서 앙골라를 제외하고는 모두 아시아 국가이다. 이러 한 한국 원조현황은 일본을 포함한 주변 아시아 국가와 기타 OECD 회원 국들이 중국과 인도네시아와 같은 중·상위소득 국가를 ODA 중점 지원 대상국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DAC 는 공여국가들에게 최빈개도국과 저소득 국가를 우선지원 대상국으로 선정할 것을 권고하고 있는데, 한국은 2010년 전체 양자 공적개발원조 중 DAC의 평균인 53%을 훨씬 웃도는 61%를 최빈개도국과 저소득국가에 게 배분하는 등 DAC의 권고사항을 성실히 이행하고 있다. 한국정부의 ODA 지원은 한국 경제와 사회의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그 내용 또한 한층 구체화 되어왔다. 2003년 한국정부의 ODA 지원은 개발경험을 바탕으로 한 기술과 전문성의 이전을 통한 개도 국의 경제개발과 산업화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EDCF’s Annual Report, 2003: 9). 2004년에는 수원국과의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지속적인 국가개 발에 기여하는 동시에 MDGs와 같은 국제사회와 공동 과제 달성 협력을 중점 추진 방향으로 선정하였으며(EDCF, 2004: 11), 2005년에는 교육시 설 확충 및 교과과정 개선, 보건의료서비스 개선 및 안전한 식수 공급 등 개발경험 공유 및 개도국의 역량강화를 우선순위로 선정하여 개도국 국 민들의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추진 해 오고 있다(Ibid.; EDCF, 2005: 11). 한국정부가 단기간의 경제개발 경험 속에서 이러한 지속적이고 체계 적인 대외원조 지원을 추진해 온 이유는 ODA를 기반으로 한 개발과정 을 경험한 국가로서 누구보다 이러한 원조의 중요성과 영향력을 잘 알 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EDCF, 2004: 14). 한국정부는 기획재정부와 한 국개발협회와의 협력하에 경제개발전략, 산업화와 수출강화, 경제위기

7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관리, 지식기반경제, 인적자원 역량강화와 같은 한국의 경제발전경험 을 포괄적으로 전수하는 개발지원사업인(KSP, 2013) ‘경제발전경험공 유(KSP:Knowledge Sharing Program)사업’을 시행하여 왔다(Kim and Tcha, 2012). 대한민국은 이러한 활동을 통해 국제적 역할을 확대하여 나 가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지역 개도국들의 공유 요청 또한 지속적으로 증 대되고 있다. 한국정부는 이에 따라 KSP사업의 내실화를 위해 2004년 에서 2012년까지 KSP 예산을 17배로 대폭 확대하였으며 2012년까지 총 440개 이상의 개발경험을 총 107개 개도국에 전수하였다(Kim and Tcha, 2012: 3-4).

1.3. 대한민국의 인도적 지원정책

국제적 위상의 제고와 함께 한국은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구성원으로 국 제사회의 빈곤·질병 및 자연재해, 인재 등으로 위기에 처한 사람들의 생 명과 기본적 인격 및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대 한민국은 국제사회의 인도적 원칙인 인도성, 공평성, 중립성, 독립성에 따 라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해외 구호 활동에 대한 효과성을 높이 기 위해 관련 정책예산을 대폭 확대하고 국내의 법적 기반을 정비하는 등 해외구호의 체계화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2007년 3월 제정된「 해외긴급구호에 관한 법률」은 국제사회 대규모 재 난 발생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긴급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해주고 있으며 2010년 제정된「 국제개발협력기본법」은 해외개발협력사 업과 인도적 지원정책의 중요성을 공표하는 계기가 되었다(National As- 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2010). 인도적 지원정책사업 정책수립 및 운영에 여당과 야당의 입장 차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정부는 2010년에는 6대 핵심 국가전략 중 하나로 ‘인도적 지원목표’를 발표하며

71

제1장 대한민국의 인도주의적 기여 (GOK, 2010) 국제사회 인도적 지원활동에 적극 참여할 뜻을 천명하였다 (OECD, 2012). 한국정부는 2006년 UN에 전체 인도적 지원활동 관련 예산의 7%를 배 분하였던 것을 2010년에는 큰 폭으로 확대하여 전체 예산의 63%를 배분 하는 동시에 전세계적 재난에 대처하기 위해 설립된 UN 인도적 지원조정 국(OCHA: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과 긴밀 한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 파트너십을 통한 인도적 지원정책을 추진해오고 있다(OECD, 2012). 특히, OCHA와의 보다 효과 적인 협력관계 구축을 통한 국제사회의 평화구축 노력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기 위하여 한국정부는 1999년부터 OCHA 산하의 국제탐색구조 자문단(INSARAG: International Search and Rescue Advisory Group) 을 지원하였고, 2003년부터 UN 재난평가조정팀(UNDAC: UN Disaster Assessment and Coordination)을 지원하였으며, 2006년에는 OCHA 공 여국 지원그룹(ODSG: OCHA Donors Support Group)에 가입하였다. 특 히 매우 우수한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는 한국의 구조기술과 소방구조 기 술을 바탕으로 한국은 2004년 OCHA 산하 아/태 인도주의협력(APHP: Asia-Pacific Humanitarian Partnership)에 가입하고, 2009년에는 선진인 도적 지원공여국협의회(GHD: Good Humanitarian Donorship)에 36번째 로 가입하며 세계 취약국가 재건 및 평화구축 지원활동에 다각적으로 기 여하고 있다. 한국은 또한 지난 1945년 UN 평화유지활동(PKO) 지원을 받은 경험 을 바탕으로 이제는 PKO 주요 지원국으로 적극 참여하며 주요 지원국가 로서의 위상에 걸맞은 기여 활동을 국제사회에 전개하는 등(Sangtu Ko, 2012: 288) 과거 한국이 받았던 국제사회의 지원을 국제사회에 환원하고 자 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데(Eun-Sook Chung, 2010: 101) 이는 어 려울 때 받은 도움을 다시 다른 어려운 사람에게 베푸는 것이 도덕적인 일이라고 믿는 대한민국 국민들의 정서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

7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다(Hong, 2009: 24). 한국정부는 1993년 육군공병대인 상록수 부대를 UN PKO 활동을 위 해 소말리아로 파견한 이래 4만여 명의 병력을 국제사회 평화 구축을 위 하여 지원해왔다. 최근 2014년 1월에는 국방부 소속 6개 부대 1,650명의 병력을 파견하였고 그 밖에도 의료, 엔지니어링 부분 전문가 등 40명의 인력을 추가 파견하는 등 현재까지 총 8개 UN 임무지역에서 1,690개의 PKO 관련임무를 맡아 수행하고 있다(MND, 2014). 구체적으로는 282명 의 병력을 UN 아프리카 남 수단 PKO 지원활동을 위해 파견하였고, 317 명의 병력은 레바논의 PKO임무 수행을 위해 파견하였으며, 지난 2010년 에는 240명의 엔지니어링 전문가를 아이티 지진피해 구호활동을 위해 파 견하는 등 2013년 8월 기준 전세계에서 34번째로 많은 PKO 병력을 파병 하였다(MOFA, 2013). 이명박 전 대통령은 부상하는 국제사회에서의 한국의 위상에 맞추어 그에 걸맞은 역할 확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평화유지군의 세계평화구축 노력에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을 공표하였으 며, 2009년 광복절 경축사에서는 국가브랜드 제고 방안으로 ODA를 확대 하는 동시에 PKO에 적극 협력하고 지원할 것임을 표명하였다(Ko, 2012: 296). 이에 따라 국방부는 2010년 발간한「 국방백서」에서 한국군의 지 속적인 국제 평화구축 목적의 파병 의지를 천명하였으며 2013년 7월에는 한국의 PKO 지원 확대방안에 대한 합동참모본부 논의를 진행하였다. 또 한 같은 해 PKO 지원 선진화 방안 및 성과 강화를 위해 기존의 PKO 센 터를 합참대학교에서 국방대학교로 조직 이전하고 확대하였는데, 현재 PKO 센터는 PKO 교관, 정책요원, 주요간부 등 해외파병 간부교육과 해 외파병요원 귀국 시 귀국보고서 작성 감독 및 작성된 자료의 관리를 담당 하며, PKO 관련 국내외 기관과의 정보 및 교류활동 증진임무를 맡고 있 다(Roehrig, 2013: 639). 한국정부는 최근 몇 년간 지속적으로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분쟁지역의 재건을 위해 지원인력을 파병해 왔으며 국방부

73

제1장 대한민국의 인도주의적 기여 는 이러한 작전 수행을 위한 한국의 포괄적인 역할을 PKO 지원활동으로 규정 하고 있다. 2010년 발효된「 국제연합 평화유지활동에 관한 법률」은 △ 평화유지 활동의 정의 △ 임무수행 기본원칙 △ 상비부대의 설치 및 운영 △ 파병 규모(1,000명 이상으로 증원) △ 국군부대 파견의 국회동의 △ 평화유지 활동 정책협의회의 설치 및 운영 △ 국군부대 파견의 국회 동의와 같은 내용을 포함하여 UN 평화유지활동에 참여할 파견부대와 참여요원의 파 견 및 철수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Chung, 2010: 98). 2005년 UN 정상회의에서 ‘보호책임(R2P: Responsibility to Protect)’ 원칙이 결의되기 이전부터 한국정부는 지속적으로 R2P 원칙 지지 의사 를 국제사회에 표명해 왔다. 한국정부가 추진하는 R2P 원칙은 무력개입 과 같은 직접적인 개입보다는 비인도적 범죄로부터 자국민을 보호할 수 없는 국가를 보조하는 성격이 강하며(Park, 2009), 한국은 실제로 한반 도 내 주군하고 있는 미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간접적인 형태의 인도적 개입을 하고 있다. 한편, 2004년 북한 주민의 인권증진을 목적으로한 개 입을 허용하는 미국의 ‘북한인권법’에 대하여 대한민국은 직접개입의 성 격을 가진 ‘북한인권법’이 남북한의 우호적 관계를 위한 노력과 6자회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하여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Goodenough, 2004). 단순히 특정 국가를 지원하는 것 이상의 의미와 가치를 갖는 동시 에 다양한 의견이 공존하는 대북지원정책에 있어 대한민국의 대북 정책 은 기존의 원칙을 유지하는 가운데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보다 유연 한 방식으로 북한주민의 인권 개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으로 추진 되고 있다. 이러한 한국의 대북지원정책 방향은 몇 가지 관점에서 그 타당성을 찾 아볼 수 있다. 첫째, 개발의 관점에서 한국의 대북지원을 통한 북한의 경 제성장은 그 동안 한반도안보를 위협하는 무분별한 도발행태를 보여온 북한의 태도에 대한 긍정적 변화의 기대감을 갖게 한다. 둘째, 안보 관점

7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에서 대북지원은 북한의 내부적인 취약함을 북한사회에 드러내 그 동안 북한을 지배해온 반인류적 행태인 선군 사상의 맹목적인 강조를 약화 시 킬 수 있다. 셋째, 인권문제 관점에서 한국정부는 한반도의 모든 국민을 보호할 의무가 있다고 명시하는 대한민국의 헌법과 국제사회의 R2P 원칙 에 근거하여 한국정부는 북한정부에 의해 보호받지 못하는 북한주민을 보호할 책임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계속되는 북한의 무분별한 도발과 위 협과는 별개로 한국정부의 인도적 대북지원은 그 타당성을 갖게 되며 남 북 안보문제와 인도적 대북지원정책은 한국정부에게 주어진 분리할 수 없 는 과제로써 한국정부는 이를 위한 범 정부적 대책을 지속적으로 논의하 고 있다. 2012년 대선 당시 양 당의 대권후보는 북한과의 보다 체계적인 대화의 필요성에 대해 뜻을 함께하였고 당선 후 박근혜 대통령은 ‘신뢰외교’와 ‘인 도적 지원’ 정책 구축의 뜻을 밝히며 이를 구체화 하였다. 한국 국민들은 북한 지도부의 위협적 행태에 대한 우려와는 별개로 북한에 거주하고 있 는 이산가족과 동포들에게 깊은 연민을 갖고 있으며 많은 한국인들이 자 원봉사활동과 NGO 활동을 통하여 북한탈북자 지원, 북한 인권운동 전 개, 탈 권력정치(realpolitik) 지원 운동 등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 노력 에 동참하고 있다(Park, 2013).

1.4. 국민과 함께하는 대한민국의 인도주의적 기여

지금까지 기술한 정부적 차원에서의 인도주의적 지원 이외에도 한국 사 회의 수많은 비정부 단체(NGOs)와 자원봉사단이 국제사회에 인도적 지 원을 위해 다각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북한의 주민들과 탈북자 지원을 포함한 대한민국 국민들의 범세계적 인도적 지원활동은 지속적으로 확대 되고 있다.

75

제1장 대한민국의 인도주의적 기여 급격한 개발경험, 그리고 이를 위해 끊임없이 고군분투해야 했던 삶 속 에서도 상당수의 한국 국민들은 불교와 기독교 등의 종교적 신념을 가지 고 그 가르침을 따르며 살고 있다. 가장 많은 한국인들이 활동하고 있는 동시에 전세계 NGOs 중 가장 큰 인도적 지원활동을 하고 있는 기독교 선 교단체인 월드비젼(World Vision International)을 포함하여 수많은 한국 의 NGO는 종교적 바탕을 가지고 설립되었다. 한국인이 설립한 ‘굿네이버스(Good Neighbors)’는 국제구호개발 NGO 로 아동 교육 및 권리보호, 지역개발, 긴급구호 사업 등을 위해 전세계 30 여 개국에서 2천여 명이 넘는 전문 요원과 2만여 명의 자원봉사자를 파 견, 현재까지 약 9천6백만 명의 어린이를 포함하여 1억 6천8백만여 명을 위한 인도적 지원활동을 해오고 있다(Good Neighbors Website). ‘한국국 제봉사기구(KVOI: Korea International Volunteer Organization)’ 또한 긴 급구호, 직업·농업교육, 지역경제자립운동, 양성평등화운동, 환경보호운 동 등 세계 도움이 필요한 곳에 인도주의 정신에 입각한 다양한 지원사업 을 펼치고 있다. KVOI는 3만 명 이상의 회원규모와 전세계 17개국에서의 그 인도주의적 기여를 인정받아 UN경제사회이사회(ECOSOC:Economic and Social Council)의 특별협의지위(specail status)를 받는 등 국제적으 로 그 역할과 기여를 인정받고 있다(Villarino, 2011). 1989년 한국정부는 국제봉사사업 의지를 발표하고 이듬해 아시아 4개 국가에 유네스코 한국협의회 소속 첫 번째 봉사단을 파견하였다. 1991년 에는 정부 국제협력 전담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ICA: Korea Interna- tional Cooperation Agency)을 출범하고, 7개 국가에 봉사단을 파견하였 다(World Friends Korea Website). 이외에도 과학기술부 주관의 컴퓨터 및 인터넷 기초지식 교육 대학생 봉사단인 해외인터넷청년봉사단(KIV: Korea Internet Volunteers)과 과학기술지원단(Korea Techno Peace Corps)을 당시 행정안전부 산하에 설치하고 개도국의 과학, 교육기술 발 전을 위해 파견하였다(Roehrig, 2013: 632).

7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또한 이명박 정부는 2009년 월드프렌즈 코리아(WFK: World Friends Korea)를 출범하여 굿네이버스와 한국국제봉사기구를 통하여 총 2만여 명의 자원봉사자를 파견하였으며(Roehrig, 2013: 632) 이 중 정기봉사단 원은 1,600여 명이며 매 해 1,000여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정기사업과 수 백여 개의 단기사업에 참여하고 있다(World Friends Korea Website). 한 국정부의 이러한 해외봉사지원 사업추진 목적은 ‘개도국에 대한 인도적 지원에 입각한 해당지역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이를 통한 양국간의 협 력증진’과 ‘인도적 지원 선진국가로서의 부상’이라 할 수 있다(ibid). 대한 민국은 벨기에, 독일, 일본, 룩셈부르크, 미국을 제외하고 세계에서 유일 하게 정부차원의 체계적인 해외봉사 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국가이며 그 규모는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이다(Roehrig, 2013: 632).

결론

과거 ODA 수원국이었던 대한민국은 전쟁, 극빈곤, 남북문제, 독재정권 의 역사를 뒤로하고 경제개발과 민주주의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 전세 계에 한강의 기적이라는 놀라운 성과를 보여주었다. 불과 50여 년 전까지 만 해도 전쟁이 휩쓸고 간 황무지였던 한반도는 오늘날 안식과 풍요로움 의 땅이 되었으며 대한민국은 이제 주변 아시아 지역을 넘어 국제사회의 든든한 구성원으로 새로운 위상에 걸맞는 역할을 주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의 개발경험은 또한 과거 한국이 가졌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오늘날의 많은 개도국들에게 좋은 모범 사례가 되고 있다. 이러한 성공적인 개발경험을 기반으로 한국정부는 개도국의 사회·경제 인프라 구축의 재건과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확대해가며 이를 통한 주변 국가 경제개발에 따른 자국의 이익 추구와 아시아 지역에서의 위상을 제 고하는 등 아시아 지역 개발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해 내고 있다. 이 장에

77

제1장 대한민국의 인도주의적 기여 서 살펴본 한국의 경제성장과 같이 국민의 기본권을 동시에 추구하는 형 태로 이루어지는 경제개발은 놀라운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더 나 아가 자국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의 평화 구축과 인권보호를 위한 노력에 적극 동참해오는 행보를 보인 대한민국의 사례는 국제사회에 좋은 모범 이 되고 있다. 또한 한국의 국민들은 과거 국가재건을 위해 한국이 받은 국제사회의 지원을 기억하며 특히 아시아 지역 중심의 대외원조사업에 넘 치는 지지를 보내며 직접 국제 NGOs 활동에 참여하는 등 전세계에 도움 을 필요로 곳에 다각적인 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이러한 인 도주의적 행보를 통해 동아시아 지역에서 그 위상과 영향력에 걸맞은 좋 은 거버넌스를 보여줄 뿐 아니라 동아시아 지역의 인도주의적 선구자로서 다른 나라들의 모범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Cha, V. and Kim, E. (2013) ‘Inauguration of South Korea’s New President Park Guen-hye,’ Center for Strategic & International Studies (CSIS), 6 Febru- ary 2013, csis.org/publication/inauguration-south-koreas-new-president- park-geun-hye. Chung, E. (2010) ‘Korea’s Law on UNPKO and Its Role in International Peace- keeping Missions’ Korea Focus 18 (2), 98-102. Chung, Y. I. (2007) South Korea in the Fast Lane: Economic Development and Capital Form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CGG (Commission on Global Governance) (1995). Our Global Neighbor- hoo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EDCF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2003) EDCF Annual Re- port 2003, Seoul: EDCF.

7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EDCF (2004) EDCF Annual Report 2004, Seoul: EDCF. EDCF (2005) EDCF Annual Report 2005, Seoul: EDCF. GOK (Government of Korea) (2010) Strategic Plan for International Devel- opment Co-operation, Seoul: GOK. Goodenough, P. (2004) ‘S Korea Wary of US Law Targeting North Korea Hu- man Rights,’ CNS News, 21 October 2004, http://www.cnsnews.com/ ViewForeignBureaus.asp?Page=%5CForeignBureaus%5Carchive%5C2 00410%5CFOR20041021a.html. Good Neighbors Website, http://www.goodneighbors.org/index. 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94 Hong, K. (2009) ‘South Korean Approaches to Peacekeeping and Peacebuild- ing: Lessons Learned and Challenges Ahead’ The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23 (1), 23-46. Kang, S. (2013) ‘Korea beefing up presence in PKO’ The Korea Times July 11, https://www.koreatimes.co.kr/www/news/nation/2013/07/116_139642. html Kim, J. Y. (2011) ‘Foreign Aid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Success Story of South Korea,’ Pacific Focus, 26 (2), 260-86. Kim, Y. L. and Tcha, M. (2012) Introduction to the Knowledge Sharing Pro- gram (KSP) of Korea, http://keia.org/publication/introduction-knowl- edge-sharing-program-ksp-korea. Ko, S. (2012) ‘Korea’s middle power activism and peacekeeping operations’ Asia Europe Journal 10, 287–299. KSP (Knowledge Sharing Program) (2013) Bilateral Consultation, http:// www.ksp.go.kr/. Lee, J. M. (2009) ‘The History of South Korean Aid to DPRK and its Transi- tion to Development Assistance: Aid to DPRK in the Context of the

79

제1장 대한민국의 인도주의적 기여 Inter-Korean Relationship,’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i- tarian and Development Assistance to DPRK, Seoul, 24-26 November, 2009. Lee, J. W. (1997) ‘Economic growth and human develop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1945-1992,’ Occasional Paper, No. 24, New York: UNDP, http://hdr.undp.org/en/reports/global/hdr1997/papers/jong-wha_lee.pdf. Lee, K. K. (2004) Hangugedaehan kaebalwŏnjowa hyŏmnyŏk [Development assistance and cooperation to South Korea: A Review of ODA for South Korea as a Recipient and Case Studies] in Korean, Seoul: KOICA. McGinn, N. F., Sondgrass, D. R., Kim, Y. B., Kim, S. B., and Kim, Q. Y. (1980) Education and Development in Korea,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MND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http://www.mnd.go.kr/mbshome/mbs/ mnd_eng/subview.jsp?id=mnd_eng_020300000000 MOF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3) Bilateral Policy Activities, http:// un.mofa.go.kr/english/am/un/bilateral/policy/activities/index.jsp 2013. MOFAT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2009) Introduction to New Asian Initiative, http://www.mofat.go.kr/webmodule/htsboard/template/ read/korboardread.jsp?typeID=6&boardid=9795&seqno=320961&c=& t=&tableName=TYPE_DATABOARD&px=&dc=&wc=&lu=&vu=&iu =&du.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2010) Framework Act on Inter- 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eoul: National Assembly.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2) DAC Peer Review of Korea, Paris: OECD, http://www.oecd.org/dac/ peerreviewsofdacmembers/Korea%20CRC%20-%20FINAL%2021%20 JAN.pdf.

8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OECD (2013) International Development Statistics, http://stats.oecd.org/ qwids/. Park, B. S. (2013) ‘Incoming Park Administration Plans to Increase Defense Spending,’ The Hankyoreh, 22 February 2013, http://english.hani.co.kr/ arti/english_edition/e_national/575126.html. Park, I. K. (2009) Plenary Meeting of the General Assembly on Responsibil- ity to Protect, statement, 23 July 2009, http://www.responsibilitytopro- tect.org/Korea_ENG.pdf. Pillay, P. N. (2010) Linking Higher Educ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Africa from Three Successful Systems, Wynberg: Center for Higher Education Transformation (CHET). PMO (Prime Minister’s Office) (2010a) Presidential Decree of the Frame- 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eoul: PMO. PMO (2010b) The Mid-term ODA Policy for 2011-2015, Seoul: PMO. Roehrig, T. (2013) ‘South Korea, Foreign Aid, and UN Peacekeeping: Con- tributing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as a Middle Power’ Korea Observer 44 (4), 623-645. Villarino, E. (2013) Top global development groups in Seoul: A primer https://www.devex.com/news/top-global-development-groups-in-seoul- a-primer-76800 World Bank (2013)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http://databank.world- bank.org/ddp/home.do?Step=3&id=4 World Friends Korea Website, http://www.worldfriendskorea.or.kr/eng/histo- ryInfo/eng.intro.history/list.do

81

제1장 대한민국의 인도주의적 기여

2 KOREA’S CAPACITY BUILDING AND SUPPORT FOR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INTRODUCTION

When the East Asian world order collapsed in the late 19th century, Korea’s integration into the Westphalian system of international relations was turbulent and agonizing for the Korean people. Korea’s geostrategic location amongst great powers made it the target of imperialist rivalry, and there was a loss of sovereignty when the peninsula fell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1910-1945). Korea was liberated in August 1945, but full sovereignty was not restored until 1948 when two separate states were established on each side of the 38th parallel. The Republic of Korea (ROK) was founded on 15 August 1948, the new nation had no institutional foundation to meet its own security challenges. Prior to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Korea was inward looking and not prepared for integration into the modern international system as it adhered instead to a Neo-Confucian world order that prescribed isolation and assigned an insignificant role to the military. During three years of administration under the U.S. Army, the ROK worked with the U.S. to create a military from scratch since none existed at the time of liberation. Some Koreans served in the Japanese military in the 1940s, but their numbers were small and they did not rise to high ranks. As the ROK recovered from the destruction of the Korean War, Seoul had to focus on its internal problems of national reconstruction. For

83

2. Korea’s Capacity Building and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several years, the ROK was a consumer of security under protection of the United States (Roehrig, 2013). National division and the geopolitics of the Cold War delayed the ROK’s entry into the United Nations until September 1991 even though the UN General Assembly recognized the ROK in 1948. In 1950, the UN Security Council recommended that member states provide assistance in response to North Korea’s military invasion, and authorized the establishment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UNC) as a unified command under an American commander. Sixteen nations sent combat troops1) under the UNC and five countries provided humanitarian assistance.2) Although the ROK was in no material position to provide military assistance to allies in the wake of the Korean War, in October 1953 Seoul signed a mutual defense treaty with the United States whereby the ROK recognized its desire to “strengthen its effort [with the U.S.] for collective self-defense the preservation of peace and security…in the Pacific area.” Under the treaty, Seoul and Washington pledge to “settle any international disputes in which they may be involved by peaceful means in such a manner that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and justice are not endangered and to refrain in their international relations from the threat or use of force in any manner inconsistent with the purposes of the United Nations.”3) Between 1964 and 1973, South Korea deployed about 320,000 ROK Army troops in South Vietnam (Han, 2005). The deployments were controversial; Korean society and historians are still assessing the ROK’s participation in the war (Park, 2007). Nevertheless, the personal sacrifices of the solders (over 5,000 died and about 10,000 were wounded) must be acknowledged. In the 1960s, the ROK

1) The sixteen nations were Australia, Belgium, Canada, Colombia, Ethiopia, France, Greece, Luxembourg, Netherlands, New Zealand, Philippines, South Africa, Thailand, Turkey,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2) The five nations were Denmark, India, Italy, Norway, and Sweden. 3) Following ratification, the treaty went into effect on 17 November 1954.

8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government view was that sending troops to Vietnam was part of Seoul’s responsibility to defend the free world from communism, but critics argue that President Park Chung-hee wanted to send ROK troops as part of a quid pro quo to reduce the risk of U.S. abandoning the Korean peninsula. After gaining full UN membership in 1991, the ROK began to support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directly through the UN. This contribution is evident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CC), the International Tribunal for the Law of the Sea (ITLOS),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he ROK is embedded in an international framework for cooperation as a party to more than 540 multilateral treaties. The ROK served as a non-permanent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 during 1996-1997, and was re-elected as a member for 2013-2014. During its first membership on the Security Council, the ROK “focused on upgrading the Council’s transparency, protecting humanitarian assistance to refugees and others, and enhancing the Council’s capacity for resolving regional conflicts (ROK MFA, 2014).” The ROK continues to support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during its second term on the Security Council.

UNITED NATIONS PEACE-KEEPING OPERATIONS (PKO)

The ROK first contributed to UN PKO in 1993 when it deployed the “Ever Green Unit” engineering battalion to Somalia in 1993 (Hwang, 2012; ROK MND, 2014). According to Article 60 of the ROK Constitution, “the National Assembly shall also have the right to consent to…the dispatch of armed forces to foreign states.” Therefore, the National Assembly must approve ROK deployments for PKO missions,

85

2. Korea’s Capacity Building and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but in 2010 the ROK passed legislation that allows prior consultation for the dispatch of about 1,000 personnel before National Assembly approval (ROK MFA, 2014). The “Act on Participation in UN PKO” should facilitate better planning and greater participation in appropriate PKO missions for the ROK military in the future. In February 2014, the ROK had 630 military personnel deployed to eight missions for PKO and post-conflict stabilization and reconstruction. The largest contributions were in Lebanon (321 personnel for UNIFIL) and South Sudan (290 personnel for UNMISS). Small numbers of ROK military observers (between 2 and 7) were present in India and Pakistan (UNMOGIP) to monitor the cease-fire in Kashmir, Liberia, Sudan- Darfur, Cote d’Ivoire, and West Sahara. Two ROK military observers were present in Haiti to assist in the reconstruction and recovery from the January 2010 earthquake (ROK MFA, 2014). The ROK government and literature often combine PKO with operations for post-conflict stabilization and reconstruction, but the missions are quite different (Finnegan, 2012; Hwang 2012). The skills required for peace-keeping and reconstruction differ, but reconstruction depends upon successful peace-keeping and stability. ROK troops have proven they have the skills to contribute in both realms. For example, the ROK’s Tongmyŏng Unit with over 300 troops has been deployed to Lebanon since July 2007. In addition to monitoring the cease-fire, the ROK unit has been providing humanitarian assistance such as medical services. Reconstruction support has included road construction and social infrastructure improvements, and support for community building has been provided through education programs for Taekwondo, IT, Korean language, and other activities (ROK MND, 2012). After a powerful earthquake struck Port-au-Prince, Haiti in January 2010, the ROK sent 240 personnel with its Haiti Reconstruction Support Group (or Tanbi Unit) the following month. The ROK team cleared debris, repaired damaged buildings, drilled wells, provided medical

8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assistance, dredged waterways, and provided other assistance such as education services and vocational training (ROK MND, 2012). Similar assistance has been provided in Charikar, Afghanistan by the Korean Independent Construction Team (Ashena Unit) that was initiated in July 2010 after Seoul signed agreements with NATO to contribute to the International Security Assistance Force (ISAF) in Afghanistan (Finnegan, 2012; ROK MND, 2012). The local Afghan population appears to be pleased overall with the ROK program, which marks the first time an East Asian country has participated in a civilian-military reconstruction effort (Hemmings, 2012). The Ashena Unit provided medical services, vocational training, and other development assistance (Shin, 2014) and closed down operations on 23 June 2014 (Kim, 2014). As the ROK gains more experience, and works with the UN, allies, and other national authorities in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stabilization and reconstruction operations, the ROK should be able to enhance and expand its contributions. Furthermore, ROK experience in foreign multilateral operations for post-conflict stabilization and reconstruction would have direct applications for many Korean unification scenarios.

NONPROLIFERATION AND COUNTER-PROLIFERATION

The ROK has acceded to the full range of multilateral arms control and nonproliferation agreements including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NPT), the Chemical Weapons Convention (CWC), the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BWC), and the Comprehensive Test Ban Treaty (CTBT). Seoul had a nuclear weapons development program in the 1970s but abandoned its nuclear ambitions when it became clear that nuclear weapons would undermine rather than enhance ROK national security. Despite North Korea’s belligerence and methodical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and delivery systems, Seoul has

87

2. Korea’s Capacity Building and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signed an Additional Protocol agreement with the IAEA and is in full compliance with all safeguards and nonproliferation obligations. Seoul has taken actions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despite Pyongyang’s intransigence. The 1992 Joint Declaration on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obliged both Koreas to forgo “the testing, manufacturing, production, reception, possession, storage, deployment, or use nuclear weapons.” The declaration also provided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Korean nuclear inspection team to verify compliance, but after 13 rounds of talks, the negotiations broke down and the verification regime never was implemented. After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signed the Agreed Framework in 1994, the ROK made tremendous contributions to the Korean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on (KEDO), which was established in March 1995 by Japan, the ROK, and the U.S. to implement the Agreed Framework.4) Ten more members joined KEDO to provide various support, but the ROK was to provide about $4 billion for the denuclearization and light-water power reactor project. Unfortunately, the project fell apart in 2002 when it was disclosed that Pyongyang had violated its commitments under the Agreed Framework and the Joint Declaration on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Agreed Framework collapsed, the Bush administration proposed multilateral talks to address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n April 2003 trilateral talks with China, North Korea, and the U.S. were held in Beijing. The talks were expanded to become the Six- Party Talks in August 2003. The Six Parties (China, Japan, North

4) Under the Pyongyang-Washington agreement, North Korea had agreed to freeze its nuclear programs in exchange for heavy fuel oil. In exchange for negative security guarantees from the U.S. and the eventual normalization of bilateral relations, Pyongyang was to return to the NPT and come into compliance with all nonproliferation and verification commitments. Once North Korea came into compliance, KEDO was to deliver two proliferation-resistant light-water power reactors.

8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Korea, South Korea, Russia, and the U.S.) signed a statement of principles in September 2005 whereby Pyongyang agreed to abandon all nuclear programs, but the process broke down in December 2012 when Pyongyang refused to accept inspection and verification measures deemed necessary by the other parties. Nevertheless, Seoul has not closed the door on nuclear diplomacy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ROK is an active member in all the major global export control regimes including the Nuclear Suppliers Group (NSG), the Zangger Committee, the Missile Technology Control Regime (MTCR), the Hague Code of Conduct against Ballistic Missile Proliferation (HCOC), the Australia Group, and the Wassenaar Arrangement. The ROK also became a member of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PSI) following North Korea’s second nuclear test in May 2009. The PSI is a coalition of the willing that does not operate under the authority of the United Nations, but it relies upon information sharing and the enforcemen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aws to interdict illicit shipments and transfers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 WMD- related materials, and delivery systems. In October 2010, Seoul hosted a multinational PSI exercise “Eastern Endeavor” that was designed to practice coordination and communication to prevent WMD proliferation in Northeast Asia. The same month, Seoul hosted a regional PSI workshop for 12 PSI participants. In the realm of nuclear security, the ROK is a participant in the Global Initiative to Combat Nuclear Terrorism (GICNT), which was established during the G-8 Summit in St. Petersburg, Russia in July 2006. The ROK joined the GICNT in May 2007 and hosted its Exercise Planning Group (EPG) meetings and workshop in Seoul in April 2009, and the 7th Plenary Meeting in Taejŏn in June 2011 (ROK MFA, 2014). Seoul also hosted the second Nuclear Security Summit in March 2012 as part of its commitment and contribution to ensure that nuclear materials are

89

2. Korea’s Capacity Building and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secure from theft, and that nuclear technology is only used for peaceful purposes (ROK MFA 2014; ROK MND, 2012). A significant but relatively unnoticed South Korean contribution to international security is Seoul’s destruction of its chemical weapons (CW) stockpile. In 1993, the ROK signed the Chemical Weapons Convention (CWC), which went into effect in 1997. Seoul began destroying its stockpile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tion in 1999, but subsequently signed a confidentiality agreement with the Organisation for the Prohibition of Chemical Weapons (OPCW) whereby Seoul neither confirmed nor denied the existence of its CW inventory. Nevertheless, the ROK completed the destruction of its CW munitions in July 2008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09).

COUNTERTERRORISM

International terrorism is a multidimensional, trans-border problem that must be addressed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Effective counterterrorism measures require appropriate domestic legislation, intelligence sharing, excellent policing and criminal justice systems, and good police-community relations. International terrorism must be countered with a multifaceted approach to include diplomatic, military,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dimensions. The ROK has been implementing a multifaceted counterterrorism policy in cooperation with friends and allies. Seoul is an active member in APEC, ASEAN+3, East Asia Summit, Asia-Europe Meeting, Asia Cooperation Dialogue, Forum for East Asia-Latin America Cooperation, OECD, the G-20, and the Conference on Interaction and Confidence-Building Measures in Asia (U.S. State Department, 2013). The ROK is a party to 12 international terrorism conventions and has passed domestic legislation to fight money-laundering (ROK

9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MFA, 2014), which is vital in obstructing the financial support that international terrorist organization need to plan and execute their attacks. ROK anti-money laundering legislation includes the Financial Transaction Reports Act and the Proceeds of Crime Act, which became law in November 2001 (Shepard, 2012; ROK MFA, 2014). The ROK is a member of the Financial Action Task Force (FATF) and the Asia Pacific Group on Money Laundering (U.S. State Department, 2013). Furthermore, the ROK has been participating in the drafting of the Comprehensiv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errorism in the UN Sixth Committee but the committee process remains stalled (ROK MFA 2014;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Ad Hoc Committee, 2013). For decades, North Korea was responsible for a number of terrorist attacks against the ROK, most notably: failed assassination attempts against President Park Chung-hee (Pak Ch’ŏng-hŭi) in 1968 and 1974; a bombing in Rangoon that failed to kill President Chun Doo-hwan (Chŏn Du-hwan) in 1983 but killed 17 senior ROK government officials and four Burmese, injuring 46; and the bombing of a Korean Air passenger plane in 1987 (Nanto, 2003). However, according to the U.S. State Department, North Korea “is not known to have sponsored any terrorist acts since the bombing of a Korean Airlines flight in 1987.” In October 2008, the U.S. removed North Korea from its list of state sponsors of terrorism, but in May 2013, the U.S. “re-certified North Korea as a country ‘not cooperating fully’ with U.S. counterterrorism efforts” (U.S. State Department, 2013). The North Korean terrorism threat appears to have subsided and the ROK does not face any significant domestic terrorism threats (U.S. State Department, 2013). However, as more Korean citizens have been travelling abroad, some have become targets of terrorist groups. For example, Kim Sŏn-il was kidnapped and then murdered in June 2004 by terrorists trying to pressure the ROK government to cancel its plans to deploy troops to Iraq (Shepard, 2012). In July 2007, 23 South

91

2. Korea’s Capacity Building and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Korean Christian missionaries were kidnapped and two were murdered before the rest were released after the ROK government promised to withdraw its 200 troops from Afghanistan by the end of 2007 (Rohde, 2007). However, ROK troops returned to Afghanistan in July 2010 as mentioned above. Seoul has taken steps with Washington under a 2008 agreement on Preventing and Combating Serious Crime to conduct joint investigations of suspected or real terrorist activities in the ROK (U.S. State Department, 2013). During their summit in June 2009, President Lee Myung-bak and President Barack Obama signed a joint vision statement for the bilateral alliance that committed the two countries to expanding their cooperation overseas and to battle international terrorism (Shepard, 2012). In November 2013, the two countries held their Fourth Bilateral Consultation on Counterterrorism to expand and deepen their cooperation in this issue area (U.S. State Department, 2014).

COUNTER-PIRACY

In March 2009, the ROK National Assembly approved the deployment of the Ch’ŏnghae Unit to conduct counter-piracy operations in the Gulf of Aden and in Somali waters in accordance with UN Security Council (UNSC) Resolution 1816 (June 2008) and UNSC Resolution 1838 (October 2008) to address growing piracy in the region (Roehrig, 2012; ROK MND 2012).5) Seoul co-sponsored all five UNSC counter- piracy resolutions (1816, 1838, 2125, 2077, and 2039) addressing piracy with its annual global costs of about $12 billion (ROK MFA, 2014). To implement Resolutions 1816 and 1838, a coalition of states established

5) Two ROK commercial ships were hijacked in the area in 2006, two in 2007, and three in 2009. A Japanese ship with South Korean crew members also was hijacked in 2009 (Roehrig, 2012).

9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the Combined Maritime Forces with three combined task forces (Combined Task Force (CTF) 150, CTF-151, and CTF-152 (Roehrig, 2012). The ROK is an active member of the Contact Group on Piracy off the Coast of Somalia (CGPCS), which was established in January 2009 pursuant to UNSC Resolution 1851. The CGPCS is a forum that coordinates the activities of over 60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CGPCS, the number of pirated ships declined from 47 in 2010, to 25 in 2011, and down to 5 in 2012 (CGPCS, 2014). The ROK chaired the CGPCS 7th Plenary meeting in New York in November 2010, and hosted the 7th CGPCS Working Group 3 meeting in Seoul in February 2013 (CGPCS, 2014; ROK MFA, 2014). Seoul coordinates and exchanges intelligence on pirates with task force partners, and conducts mutual naval vessel visits with countries such as China, France, Japan, India, Turkey, and the U.S. The Ch’ŏnghae Unit has about 300 personnel including ROK Navy SEALs, and it provides escorts for ROK and foreign vessels in the Gulf of Aden. The unit includes a destroyer and one or two helicopters for rapid deployment to crises; the destroyers have been on a six-month rotation from the beginning (ROK MND, 2012). By the end of 2012, the Ch’ŏnghae Unit had rescued 25 civilian vessels including the North Korean ship Dabaksol in May 2009 (ROK MND, 2012; Roehrig, 2012). In dramatic fashion, the Ch’ŏnghae Unit rescued the ROK commercial ship Samho Jewelry in January 2011 after it had been captured by Somali pirates. ROK Navy SEALs engaged in a five-hour battle with the pirates before taking control of the ship. The ship’s captain was injured but no crew or military personnel were lost in the rescue. The pirates were captured and sent to the ROK where they were tried and convicted in ROK courts (Roehrig, 2012). Southeast Asia also has been plagued by piracy and the ROK has been providing support and assistance to ASEAN countries. For example, the

93

2. Korea’s Capacity Building and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ROK government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with ASEAN to establish the Marine Electronic Highway for information sharing on security around the Strait of Malacca. Seoul’s financial contribution to the project is $850,000 (ROK MND, 2012).

CLIMATE CHANG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limate change is a global threat that could overwhel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y the end of this century. Data now show that average global temperature increases since the pre-industrial age are from anthropogenic cause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 The Potsdam Institute for Climate Impact Research and Climate Analytics (PICIRCA), 2012; World Economic Forum, 2013). Average global temperatures have increased by 0.8°C since preindustrial times and average ocean temperatures have risen by 0.09°C since the 1950s. Oceans are becoming more acidic, threatening many marine species. Sea levels have risen by 20cm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now are rising at a rate of about 3.2cm per decade (The Potsdam Institute for Climate Impact Research and Climate Analytics, 2012). Despite the magnitude of this rapidly emerging thre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o far has failed to surmount the collective action barriers to resolve this complex problem. The ROK has the potential to play a significant role for both the developed world and the developing world in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climate change. Korea’s rapid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are two remarkable success stories that provide several lessons for the developing world. Nevertheless, the Korean case is not perfect and we should strive to improve upon the ROK’s extraordinary achievements. If 20th century models of industrialization are replicated across the developing world, then global ecosystems will

9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not be able to adapt to rapid climate change that will follow the large increases in greenhouse gases (GHG). In the ROK case, GHG output doubled between 1990 and 2005, representing the fastest growth rate among OECD countries (Yale Center for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2012). The ROK recently surpassed Australia to become the world’s seventh largest emitter of greenhouse gases. Since ROK emissions were much lower when the Kyoto Protocol was being negotiated, it had no GHG reduction commitments under the treaty. Nevertheless, the ROK recently has taken steps to reduce its greenhouse gas emissions compared to “business as usual” (BAU) projections, as explained in more detail below.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re already being felt but the harmful impacts could accelerate unless actions are taken in the very near term. A recent report by the World Economic Forum based upon interviews with over 1,000 experts concludes that the risk and likelihood of climate change impacting the global economy over the next ten years are indeed serious (World Economic Forum, 2013). Experts are concerned that the fragility of the global economic and financial systems combined with climate change effects could exacerbate economic shocks and reduce the ability to adapt to ecological shocks. The risks are particularly acute in the developing world, which has fewer resources to respond to global warming and rising sea levels. Furthermore, many developing countries lie in the tropics with large urban centers in coastal areas that are most vulnerable to storm surges, flooding, and rising sea levels (World Economic Forum, 2013; The Potsdam Institute for Climate Impact Research and Climate Analytics, 2012). Although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re complex are varied depending upon the geographic location, the overall outcome is reflected in rising global temperatures, which in turn affects ecosystems, agriculture, and human heal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a commitment to hold global warning to an increase of 2°C by the end of

95

2. Korea’s Capacity Building and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the 21st century, but even if those commitments are met, there is about a 20% probability that average temperatures will rise by 4°C, which almost certainly would have catastrophic consequences (The Potsdam Institute for Climate Impact Research and Climate Analytics, 2012). Korea’s contribution to climate change mitigation takes place at bot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vels. Domestically, ROK laws and regulations affect the local environment and ecology; environmental protec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mproves public health of Koreans and helps preserve biodiversity. At the international level, ROK commitments to reduce GHG output, if successfully implemented, will contribute to global efforts aimed at avoiding catastrophic climate change. Pollution increased with the ROK’s industrialization that took off in the 1960s. In the late 1980s, the ROK democratized and public demand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could not be ignored. In 1980, the ROK government established the Environment Administration, and it was upgraded to a ministry in 1990.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ROK has enacted several statues and related to environmental protection.6) The ROK acceded to the Climate Change Convention in March 1994 and the Kyoto Protocol in February 2005. The first commitment period of the Kyoto Protocol expired in 2012, but at the 18th Conference of the Parties

6) ROK cabinet ministries can submit proposed legislation to the National Assembly, but the legislature must approve bills and the president must sign them before they become law. The president has extensive executive powers to issue decrees. Some of the ROK’s environmental legislation and regulations include: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the Act on Special Measures for the Control of Environmental Offenses, the Act on the Promotion of Saving and Recycling of Resources, the Toxic Chemicals Control Act, the Environmental Dispute Adjustment Act, the Promotion of Installation of Waste Disposal Facilities and Assistance, etc., to Adjacent Areas Act, the Wastes Control Act, the Water Quality and Ecosystem Conservation Act, the Act on the Control of Transboundary Movement of Hazardous Wastes and Their Disposal, and the Development of and Support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Act, in addition to several presidential enforcement decrees.

9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in Doha in 2012, the parties agreed to establish a second commitment period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20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2014; ROK MFA, 2014). At Doha, the parties also agreed to launch the Green Climate Fund (GCF)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for green growth. In October 2012, the Green Climate Fund Board selected Inchŏ’n as the host of the GCF, and the decision was approved by the parties two months later.7) Subsequently, the GCF headquarters opened in Song-do, a large modern development zone in the City of Inch’ŏn about 35km from downtown Seoul and about 15km from Inch’ŏn International Airport.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GCF headquarters in Inch’ŏn, the ROK hopes to play a greater role in green growth finance and to become a bridge between the developed world and developing countries in order to facilitate progress in climate change mitigation (ROK MFA, 2014). Although the ROK had no GHG reduction commitments under international treaties, the Lee Myung-bak government announced in 2009 that the ROK was setting a goal of a 30% reduction in GHG emissions by 2020 compared to business as usual (BAU) projection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In 2010, the ROK Ministry of Environment led an inter-agency effort by 13 government departments to draft the country’s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ROK MOE, 2011). The legal foundation for the adaptation plan was established in January 2010 when the ROK government enacted the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Korea Environment Institute). The plan focuses on seven sectors: agriculture, biodiversity, coastal-marine resources, forestry, human health, natural disasters, and water resources. Policy measures in the adaptation plan are in the realms of monitoring and providing estimates of future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industry and energy usage, education and public communications (promotion),

7) Other sites under consideration were Germany, Mexico, Namibia, Poland, and Switzerland.

97

2. Korea’s Capacity Building and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ROK government has made the plan binding and mandatory, but it will be readjusted every five years in accordance with uncertainty and actual variance in climate change data (ROK MOE, 2011). The Korea Adaptation Center for Climate Change (KACCC), established in July 2009 under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8) is responsible for conducting research and providing policy options for implementation of Korea’s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ROK MOE, 2011; ROK MOE, 2014). The ROK’s GHG reduction efforts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are now supported by legislation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in February 2012 to establish a cap-and-trade system setting limits to GHG emissions (Han, 2012). The ROK cap-and-trade scheme is scheduled to take effect in 2015, making the ROK the third country in East Asia/Oceania to implement such a scheme after New Zealand and Australia. If Korea is able to meet its commitment, it will reduce its GHG emissions by 30% in 2020 compared to BAU estimates (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Association, 2014; Yale Center for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2012).

The main greenhouse gases are water vapor, carbon dioxide (CO2),

methane (CH4), nitrous oxide (NOx), and tropospheric ozone (O3). Water vapor occurs naturally but increases in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the others are linked to anthropogenic activities and thus can be reduced

through human efforts. CO2 is present in the atmosphere for long periods

so the effects of CO2 emissions are felt for decades or longer. However, there are also short-lived climate pollutants (SLCP) that produce a greenhouse effect but only last for short periods in the atmosphere.

SLCPs include black carbon (BC), methane (CH4), tropospheric ozone

(O3), and many hydro-fluorocarbons (HFCs), and they are the greatest

contributors to anthropogenic global warning after CO2. But compared

8) The KEI was founded in 1993 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research institute.

9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to CO2, which is present and persistent for decades or longer, the dissipation rate for BC, CH4, O3, and HFCs are days, 12 years, weeks, and 15 years (weighted by usage), respectively (Climate and Clean Air Coalition to Reduce Short-Lived Climate Pollutants (CCAC), May 2014). A number of practical steps have been identified to reduce SLCP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modern cooking stoves and clean fuels in the developing world. In February 2012,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and six countries 9) established the Climate and Clean Air Coalition to Reduce Short-Lived Climate Pollutants (CCAC) (CCAC, June 2014). The CCAC is a voluntary coalition of state members including the ROK and NGO partners working to reduce SLCPs with the aim of having a short-term impact on global warming mitigation. Given the ROKs position as a newly industrialized OECD member and its commitment to green growth, Korea is in an ideal position to transfer green technologies to developing countries to reduce SLCPs. In sum, the ROK has taken the initial steps to reduce its GHG emissions and to cooperate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address the increasingly ominous challenges of climate change. Seoul has taken these steps despite significant opposition from domestic industry and a skeptical public (Han, 2012).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will require extraordinary efforts by states and non-state actors; the outcomes are uncertain. Ultimately, future generations of historians - unless humans are headed for extinction in the short-term - will be able to assess whether the ROK’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climate change policies have been a success.

9) The six countries were Bangladesh, Canada, Ghana, Mexico, Sweden, and the United States.

99

2. Korea’s Capacity Building and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CONCLUSION

The Republic of Korea was unprepared for a changing world order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paid the price of falling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Following liberation in August 1945,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of Korea (15 August 1948), and the Korean War (1950-1953), the ROK had no capacity to contribute to international security and stability. Seoul was completely dependent upon Washington for its security and was merely a consumer of security as provid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owever, in an extremely short period by historical standards, the ROK began an extraordinarily successful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rguably, the ROK’s democratization that began in the late 1980s is even more remarkable than its record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e global context, the ROK’s extraordinary achievements have occurred in the shadow of an ever-present and growing North Korean threat. Nevertheless, the ROK has managed North Korean threats while Seoul moves to expand its security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eoul clearly has demonstrated that it is a serious and capable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partner at the United Nations and in numer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international treaty arrangements. The ROK’s contributions in the areas of peacekeeping operations, nonproliferation and counter-proliferation, counterterrorism, counter-piracy, and climate change serve as models for the rest of the world.

10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REFERENCES

Climate and Clean Air Coalition to Reduce Short-Lived Climate Pollutants (CCAC), “Time To Act to Reduce Short-Lived Climate Pollutants,” Climate and Clean Air Coalition to Reduce Short-Lived Climate Pollutants, May 2014. Climate and Clean Air Coalition to Reduce Short-Lived Climate Pollutants (CCAC) website, http://www.unep.org/ccac, accessed June 2014. Contact Group on Piracy off the Coast of Somalia website, http://www. thecgpcs.org, accessed June 2014. Finnegan, Michael, J., “Postconflict Stabilization and Reconstruction,” Chapter 9 in Scott Snyder, editor, The US–South Korea Alliance: Meeting New Security Challenges, Boulder: Lynne Rienner Publishers, 2012. Green Climate Fund website, http://www.gcfund.org, accessed June 2014. Han, Hong-goo, “South Korea and the Vietnam War,” chapter 9 in Lee, Byeong-cheon, editor, Developmental Dictatorship and the Park Chung-Hee Era: The Shaping of Modernity in the Republic of Korea, Paramus, New Jersey: Homa & Sekey Books, 2005. Han, Sangim, “South Korean Lawmakers Vote for Limits on Greenhouse- Gas Emissions,”\ Bloomberg, 8 February 2012. Hemmings, John, “The ROK Provincial Reconstruction Team in Afghanistan,” in Scott A. Snyder, editor, Global Korea: South Korea’s Contributions to International Security, New York: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2. Hong, Kyudok, “South Korean Approaches to Peacekeeping and Peacebuilding: Lessons Learned and Challenges Ahead,” The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Vol. 23, No. 1, Spring/Summer 2009. Hwang, Balbina Y., “Peacekeeping”, Chapter 8 in Scott Snyder, editor, The US–South Korea Alliance: Meeting New Security Challenges, Boulder: Lynne Rienner Publishers, 2012.

101

2. Korea’s Capacity Building and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adopted section by section at IPCC Plenary XXVII, 12-17 November 2007. International Crisis Group, “North Korea’s Chemical and Biological Weapons Programs,” Asia Report N°167, 18 June 2009. 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Association, Environmental Defense Fund, “The World’s Carbon Markets: A Case Study Guide to Emissions Trading (South Korea),” March 2014. Kim, Sarah, “Team ends mission in Afghanistan,” The Korea Joongang Daily, 25 June 2014. Korea Environment Institute, “Greenhouse Gas Energy Target Management Scheme,” Korea Environmental Policy Bulletin (KEPB), no date.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Nanto, Dick K., “North Korea: Chronology of Provocations, 1950 – 2003,”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18 March 2003. Park, Jinim, Narratives of the Vietnam War by Korean and American Writers, New York: Peter Lang International Academic Publishers, 2007. The Potsdam Institute for Climate Impact Research and Climate Analytics (PICIRCA), “Turn Down the Heat: Why a 4°C Warmer World Must Be Avoided,” A report for the World Bank, November 2012.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the Environment, Ecorea: Environmental Review, Korea, Seoul: Ministry of the Environment, June 2013.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the Environment, “Korea’s Adaptation Strategy to Climate Change,” Korea Environmental Policy Bulletin, Vol. IX, Issue 1, 2011.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the Environment website, http://www.kei. re.kr, accessed June 2014.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website, http://www.mofa. go.kr, accessed June 2014.

10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ebsite, http://www.mnd. go.kr, accessed June 2014.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12 Defense White Paper, Seoul: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December 2012. Roehrig, Terence, “South Korea’s Counterpiracy Operations in the Gulf of Aden,” in Snyder, Scott A., editor, Global Korea: South Korea’s Contributions to International Security, New York: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2. Roehrig, Terence, “South Korea, Foreign Aid, and UN Peacekeeping: Contributing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as a Middle Power,” Korea Observer, Vol. 44, No. 4, Winter 2013. Rohde, David, “Taliban Free Remaining 7 Koreans Held Captive,” The New York Times, 312 August 2007. Shepard, Kevin, “Counterterrorism,” Chapter 3 in Scott A. Snyder, editor, The US–South Korea Alliance: Meeting New Security Challenges, Boulder: Lynne Rienner Publishers, 2012. Shin, Hyon-hee, “[Newsmaker] Korean troops bid adieu to Afghanistan,” The Korea Herald, 24 June 2014. Snyder, Scott A., editor, The US–South Korea Alliance: Meeting New Security Challenges, Boulder: Lynne Rienner Publishers, 2012. The World Bank and The International Cryosphere Climate Initiative, “On Thin Ice: How Cutting Pollution Can Slow Warming and Save Lives,” A Joint Report of The World Bank The International Cryosphere Climate Initiative, October 2013.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website, http:// unfccc.int/2860.php, accessed June 2014.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Ad Hoc Committee, “Report of the Ad Hoc Committee established by General Assembly resolution 51/210 of 17 December 1996,” Sixteenth\ Session, 8 to 12 April 2013. World Economic Forum, Global Risks 2013, Geneva: World Economic Forum, 2013.

103

2. Korea’s Capacity Building and International Security Cooperation Yale Center for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Climate Policy & Emissions Data Sheet: South Korea,” Webinar Series, 26 April 2012.

10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제2장 대한민국의 세계 평화 증진 기여

서론

19세기 후반 국제 정세가 웨스트팔리안 체제로 재편되고 동아시아의 질서가 붕괴되며 이 시기는 한국 국민들에게 있어 격동과 고통의 역사를 남겨주었다.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는 세계 및 지역패권 국가들의 경쟁 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한국은 결국 주권을 상실하고 1910년부 터 일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910-1945). 1945년 8월 한국은 해방되었으나, 38도선을 경계로 남과 북으로 한반도 가 나뉘어진 이후 1948년까지 완전한 주권이 회복되지 않았다. 1948년 이 전의 한국은 신유교사상을 바탕으로 근대 국제정세 편입보다는 내부적 고립에 머물러있는 상태였으며 1948년 8월 15일 정부 수립 당시의 대한민 국은 자국의 안보를 책임질 수 있는 어떤 기반조차 준비되어있지 않은 국 가였다. 1940년대에 일본군으로부터 군사 훈련을 받은 한국인이 있었지 만 그 수는 소수에 불과하였으며 광복 후 미 군정 당국의 3년간의 지휘 아래 군대를 창설, 병력을 증원하기 전까지는 실질적으로 적의 무력도발 에 대처할 수 있는 군대는 준비되어 있지 않았다. 한반도 전체를 황폐화시킨 한국전쟁 이후 한국정부는 미국의 군사적 보호 아래 서울을 중심으로 국가재건사업에 국가의 모든 심혈을 기울이 기 시작하였다(Roehrig, 2013). 한국은 1948년 UN 총회에서 국가로 인정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남북 분단과 한반도에서의 냉전체제 갈등 극대화

105

제2장 대한민국의 세계 평화 증진 기여 라는 현실로 인하여 1991년에서야 UN에 가입할 수 있었다. 1950년 UN 안전보장이사회는 회원국가들에게 북한의 군사도발에 대한 지원 제공 및 미군사령부 지휘하의 UN군 사령부(UNC: United Nations Command) 설 치 결의안에 동의할 것을 호소하였으며 그 결과 UN군 사령부 산하 16개 회원국이 병력을 지원하였으며1) 5개 회원국이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였 다.2) 당시 대한민국은 한국전쟁의 여파로 국제사회에 어떠한 군사적 지원도 제공할 수 없는 상황이었으나 1953년 10월 미국과 한미상호방위조약을 통해 군사적 동맹관계를 체결하게 되었다. 본 조약을 통해 한국은 태평양 지역에서의 평화와 안정유지를 위하여 개별적 자위권과 집단적 자위권을 발동하여 미국과 협력할 것을 협약하였으며, 양국은 발생 가능한 모든 국 제적 분쟁에 대하여 국제적 평화와 안전, 정의를 위협하지 않는 평화적 수 단으로 해결하며 국제연합의 목적이나 의무에 배치되는 무력의 행사를 자제할 것을 협의하였다.3) 1964-1973년 한국정부는 약 32만 명의 육군병력을 남베트남으로 파병 하였으며(Han, 2005) 당시 그 목적을 베트남의 공산당 집권을 저지하고 세계평화증진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해 반대론자들 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지속적인 미국의 한반도 군사지원에 대한 대가로 한국군을 파병한 것이라는 비판을 제기하는 등 한국정부의 베트남 파병 은 오늘날 까지도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Park, 2007). 그러나 5,000 명 이상이 전사하고 1만여 명이 부상한 베트남전 참전 한국군의 희생은 잊혀져서는 안 될 것이다. 1991년 UN의 정식 회원국이 된 대한민국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In-

1) 16개 국가는 호주, 벨기에, 캐나다,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프랑스, 그리스, 룩셈부르크, 네덜란 드, 뉴질랜드, 필리핀, 남아프리카공화국, 태국, 터키, 미국, 영국이다. 2) 5개 국가는 덴마크, 인도, 이탈리아, 노르웨이, 스웨덴이다. 3) 해당 조약은 1954년 11월 17일 발효되었다

10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국제형사재판소(ICC: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국제해양법재판소(ITLOS: International Tribunal for the Law of the Sea),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등 국제기구에 적극 참여하며 UN의 세계평화안보 노력에 적극적으로 협 력하기 시작하였다. 1996-1997년 UN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에 선출된 대한민국은 그 후 2013-2014년 비상임이사국 선거에서 재선출 되었다. 1996년 UN 안 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에 선출된 이후 대한민국은 △ 이사국의 투명 성 제고 △ 인도적 지원과 난민 보호 △ 국제사회 분쟁지역에서의 이사국 의 평화구축 역할 강화 등을 위해 노력해왔으며(ROK MFA, 2014) 오늘 날까지 계속하여 비상임이사국에서 국제사회평화 증진을 위한 역할을 충 실히 수행하고 있다.

2.1. UN 평화유지활동

대한민국은 1993년 소말리아 UN 평화유지군에 상록수 부대를 파병함 으로써 UN 평화유지활동(PKO: peace keeping operation) 참여를 시작 하였다(Hwang, 2012; ROK MND, 2014). 대한민국 헌법 제60조에서는 PKO 지원과 같은 대한민국 병력의 해외 파병시 대한민국 국회의 동의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2010년 대한민국은 PKO 참여에 관한 법을 제정하 여 국회의 동의 없이도 1천 명 규모 이내의 PKO 병력 파견에 대해 국제연 합과의 잠정적인 합의를 가능케 하는 법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렇게 제 정된「 국제연합 평화유지활동 참여에 관한 법률」은 향후 대한민국의 보 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지원 병력 파견으로 국제평화유지와 조성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2014년 2월 한국정부는 8개의 PKO 임무지역의 재건 및 평화구축 지

107

제2장 대한민국의 세계 평화 증진 기여 원을 위하여 레바논에 321명, 남부 수단에는 290명 등 총 630여 명의 병 력을 파병하였다. 또한 인도와 파키스탄 경계의 분쟁지역인 카슈미르 (Kashmir), 리베리아(Liberia), 수단의 다르프(Sudan-Darfur), 코트디부 아르(Cote d'Ivoire), 서사하라(West Sahara) 지역에는 2명에서 7명사이의 군 옵서버(observer)를 파견하기도 하였다. 또한 2010년 아이티 대지진의 재건복구 활동을 위해 2명의 군 옵서버를 지원하였다(ROK MFA, 2014). 한국정부와 관련 보고서 등에서는 평화 유지 활동과 재건복구 지원 활동을 크게 구분을 두지 않았으나 사실 두 활동에는 큰 차이가 있다 (Finnegan, 2012; Hwang 2012). 바로 재건복구 지원 활동은 성공적인 평 화유지 활동의 선행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동안 한국의 평화유 지군은 평화 유지 활동뿐만 아니라 재건복구 지원 활동에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왔다. 그 중 한 예로 2007년 7월 레바논 평화유지 작전을 위 하여 현장에 파병된 약 300명 규모의 동명부대는 분쟁지역의 정전감시 임 무를 수행함과 동시에 보건서비스와 같은 인도지원 활동에도 적극 참여 하고 있다. 특히 도로건설, 사회기반시설 개선, 태권도, IT, 한국어교육 등 을 통해 지역사회 역량강화 등 레바논 평화유지뿐 아니라 재건지원 사업 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ROK MND, 2012). 이 외에도 2010년 1월 아이티 포르토프랭스(Port-au-Prince)의 대지진 이후 한국정부는 아이티 안정화를 위하여 아이티재건지원단(단비부대) 을 포함하여 240명의 지원단을 파병하였다. 파병된 한국 지원단은 재해지 역의 잔해제거, 건물보수, 우물 건설을 통한 안전한 식수 공급, 보건서비 스 제공, 수로 준설, 교육(기초교육, 직업훈련) 등 해당지역의 재건 및 평화 구축을 위해 적극 기여한 바 있다. 2010년 7월 한국정부는 아프가니스탄 의 국제안보지원군(ISAF: International Security Assistance Force)에 협 력하기로 NATO와 협의하고 지방재건팀(PRT) 오쉬노 부대를 아프가니 스탄 차리카(Charikar) 지방에 파견, 동아시아 국가로서는 최초로 해당지 역 주민들의 자립기반 구축을 위한 활동을 수행하였다(Finnegan, 2012;

10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ROK MND, 2012). 2014년 6월 23일 현지에서 임무를 종료하고 철수한 오쉬노 부대는(Kim, 2014) 의료서비스, 직업훈련 등 해당지역의 발전과 안정을 위한 기반 구축 등(Shin, 2014) 아프가니스탄 주민 친화적 사업을 수행하였으며 이 같은 활동은 한-아프간 양자 우호 협력 관계 강화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Hemmings, 2012). 대한민국의 UN, 동맹국가, 국가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한 국제사회 분쟁 과 재해관련 재건 및 평화구축 지원 참여 확대는 국제사회 내 대한민국의 역할 확대 및 위상을 제고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며 이러한 대한민국 의 평화구축 사업 선진화는 향후 남북통일 이후 예상되는 한반도 재건사 업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2. 대한민국의 국내·외 핵 안보 역량강화 및 기여

대한민국은 핵확산금지조약(NPT: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화학무기금지협정(CWC: Chemical Weapons Convention), 생물무기금지 협약(BWC: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포괄적 핵실험 금지조약 (CTBT: Comprehensive Test Ban Treaty) 등 대량살상무기의 확산을 막 는 다자조약에 가입, 대량살상무기의 비 확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오고 있다. 한국은 1970년대 핵무기 개발 사업을 추진하였으나 해당 사 업이 국가안보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핵무기 개발 연구를 중지한 바 있 으며 이후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북한이 계속하여 도발을 감행하고 핵보유 의지를 더욱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 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정부는 IAEA 추가의정서에 서명함에 따라 한반도 의 비핵화 실현 의지를 재차 천명하였다. 공전을 거듭해 온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에도 불구하고 한국정부는 북 핵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꾸준히 진행해왔다. 1992년 남북은

109

제2장 대한민국의 세계 평화 증진 기여 ‘한반도 비핵화공동선언’을 통하여 핵무기의 시험·제조·갱산·접수·보 유·저장·배비(配備) 사용을 금지하기로 하고 남북 핵 통제를 위한 기구 를 설립, 한반도 비핵화를 검증하기 위한 사찰을 실시할 것을 협의하였으 나 이후, 이러한 협의는 결렬되었고 한반도 비핵화 사찰기구 설립 역시 실 현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정부는 1994년「 미·북한 핵 동결 협약(미·북 제네바 합의)」이 합의됨에 따라 해당 협약 하에 1995년 일본, 미국과 함 께 한반도 에너지 개발기구(KEDO: Korean Peninsula Energy Devel- opment Organization)를 설립하는 성과를 이루었다.4) 이후 10개국이 KEDO에 추가로 가입하여 북핵문제 대응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대한민국 은 약 4억불을 북 비핵화 및 경수형 원자로 사업을 위해 지원하였다. 그러 나 이러한 국제사회의 지원 및 노력에도 불구하고 2002년 북한이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및 미·북한 핵 동결 협약내용을 불이행 함으로써 북핵 문제 진전을 위한 여건 조성에 실패하였다. 관련국의 계속되는 북 비핵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렇다 할 진전을 보 이지 못한 가운데, 2003년 4월 미국의 주도로 미국·중국·북한이 참여한 3자 회담이 중국 북경에서 개최되었다. 곧 회담은 북핵 문제 관련 6개국 을 포함한 6자 회담으로 발전하였고, 2006년 9월 북한을 포함한 6개 회 담 참가국은 북한의 핵 계획 포기내용을 담은 공동성명 합의 도출에 성 공하였다. 2012년 북한이 합의를 파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정부는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적인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한민국은 원자력공급국그룹(NSG: Nuclear Suppliers Group), 쟁 거위원회(Zangger Committee),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 Missile Technology Control Regime), 헤이그행동규약(HCOC: Hague Code of

4) 미 ·북 핵 동결 협약 당시 북한은 중유를 제공받고 미국과의 관계정상화를 조건으로, IAEA사 찰을 수락하고 핵개발을 중단할 것에 합의하였다. 또한 KEDO와의 협상을 통해 경수로 공급 협정에 합의하였다.

11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Conduct against Ballistic Missile Proliferation), 화학무기수출통제체제 (Australia Group), 바세나르 협정(Wassenaar Arrangement)에 가입하며 국제사회 핵 확산 방지를 위해 국제사회와 긴밀한 공조를 이어나가고 있 다. 2009년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실험 이후 한국정부는 대량살상무기확산 방지구상(PSI: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참여를 결정하며 북한의 도발행위를 규탄하였다. PSI는 국제법과 국내법에 따라 대량살상무기(WMD: weapons of mass destruction)의 국제적 확산을 막기 위해 발족한 자발적인 국제 협력체제 로서 핵과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회원국간의 정보를 공유하며 필요한 경우 회원국간의 합동작전을 가능하게 하고 있 다. 한국정부는 PSI 가입을 통해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를 위한 범세계적 노력에 동참해 왔으며 2010년 10월에는 12개국이 참가한 PSI 지역워크샵 및 PSI 해양차단훈련(Eastern Endeavor)을 주관하여 실시하였다. 한국은 핵테러 대응능력 제고와 국제공조 강화를 위해 △ 2007년 5월 G8 정상회의에서 발족된 세계 핵테러방지구상(GICNT: Global Initiative to Combat Nuclear Terrorism) 가입 △ 2009년 4월 훈련계획그룹(EPG: Exercise Planning Group)회의 서울 개최 △ 2011년 제7회 세계 핵테러방 지구상 총회 대전 개최(ROK MFA, 2014) △ 2012년 3월 제2차 핵안보 정 상회의 개최 등 국제사회의 핵의 평화적 이용과 비확산을 위한 노력에 적 극 기여하였다(ROK MFA 2014; ROK MND, 2012). 1993년 한국은 화학무기 개발, 생산, 비축을 중지하고 생산시설의 폐 기를 담당하는 화학무기금지협약(CWC: Chemical Weapons Conven- tion)에 가입(1997년 발효)하였다. 가입 당시 한국은 화학무기금지기구 (OPCW: Organisation for the Prohibition of Chemical Weapons)와의 협 의 하에 당시 소유한 화학무기의 위치, 총량, 제고 내역은 비공개 하였으 며 1999년부터 생산시설 폐기를 시작하여 지난 2008년 전량 폐기를 완료 하였다(International Crisis Group, 2009).

111

제2장 대한민국의 세계 평화 증진 기여 2.3. 대한민국의 대 테러 국제협력

오늘날의 테러행위는 다각적이고 초국경적인 위협으로 주요 국제 안보 현안으로 대두되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외교, 군사, 정치, 경제, 사회 등 모든 분야가 고려된 다방면의 국제사회 공동의 논의와 노력이 요 구된다. 보다 효과적인 테러방지 대응 방안의 수립을 위해서는 이와 관련 한 국내법 제정 및 구체적인 국내 정책수립 뿐만 아니라 국가 간 관련 고 급 정보의 교환, 사법제도의 강화와 효과적인 이행이 동반되어야 할 것 이다. 대한민국은 동맹국과의 긴밀한 협력 아래 국제 테러위협에 대응하 기 위한 다각적인 논의를 진행해왔다. 한국정부는 APEC, 아세안+3, 동 아시아정상회의(East Asia Summit), 아시아 유럽정상회의(ASEM: Asia- Europe Meeting), 아시아 협력대화(Asia Cooperation Dialogue), 동아시 아-라틴아메리카 협력포럼(Forum for East Asia-Latin America Coop- eration), OECD, G20, 아시아 교류 및 신뢰구축회의(CICA: Conference on Interaction and Confidence-Building Measures in Asia)의 국제 테러 방지를 위한 활동과 논의에 성실히 동참해오고 있다(U.S. State Depart- ment, 2013). 대한민국은「 UN 국제 테러리즘에 대한 포괄적 방지 협약」 제정에 참 여하며 해당 협약의 조속한 합의를 위해 노력해오고 있음과 동시에(ROK MFA 2014;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Ad Hoc Committee, 2013) 현재 12개의 테러리즘 관련 국제협약에 가입하였다(ROK MFA, 2014). 또한 2001년「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 률」을 제정하고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 Financial Action Task Force)’, ‘아시아 태평양 자금세탁방지기구(Asia Pacific Group on Money Laundering)’에 가입하여(U.S. State Department, 2013) 국제 테러조직의 자금 원천을 차단하기 위한 자금세탁을 규제, 방지하는 국내법적 기반을 마련하였다(Shepard, 2012; ROK MFA, 2014).

11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북한은 1968년과 1974년 두 차례에 걸친 박정희 전 대통령 암살 시도 등 지난 수십 년 동안 수 차례에 걸쳐 한국에 테러행위를 감행하였다. 1983년에는 버마를 방문한 전두환 전 대통령을 시해할 목적으로 아웅산 에서 폭탄테러를 자행, 한국외교사절단의 고위급 간부 중 17명이 사망하 고 46명이 부상을 입는 결과를 나았다. 이후 북한의 대남 테러행위는 민 간에게까지 확대대어 1987년에는 대한항공 여객기 폭파사건을 자행하 였다(Nanto, 2003). 2008년 미국 국무부는 1987년 비행기 폭파 테러 이 후, 북한이 지원한 테러 활동이 없다는 이유로 북한을 테러지원국(State Sponsors of Terrorism)에서 제외하고 대테러 비협력국(not cooperating fully)으로 지정해오고 있다(U.S. State Department, 2013). 미국 국무부는 북한의 테러 위협이 한국 국민들의 삶에 큰 안보 위협을 주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U.S. State Department, 2013). 그러 나 2004년 한국정부의 이라크 파병을 반대하는 테러단체에 의한 고 김선 일씨 피살사건(Shepard, 2012), 2007년 한국정부의 아프가니스탄 파병 철 회를 요구하는 테러단체에 한국 기독교 선교단체가 피랍되어 그 중 2명이 피살되는 등 국제테러리즘은 한국 국민들에게까지 그 위협을 미치고 있 다. 한국정부는 테러단체와 2007년 말까지 200명 규모의 아프가니스탄 파병 철회를 약속한 바 있으나(Rohde, 2007) 이후 2010년 7월, 한국군을 아프가니스탄에 재 파병 하였다. 한국정부는 2008년 미국정부와의 범죄경력조회시스템 구축 등 관련 제반사항의 긴밀한 공조를 위한「 범죄예방과 대처를 위한 협력증진에 관 한 협정」에 서명, 발효하였다(U.S. State Department, 2013). 2009년 이명 박 전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한·미 동맹을 위한 공동비전」을 채택 하여 상호협력을 기반으로 한·미 양국의 동맹관계를 통해 세계 평화 안 보에 대한 양국의 역할을 강화시켜나갈 것을 재차 확인하였다(Shepard, 2012). 또한 2013년 11월 한·미 양국은「 제 4차 한미 대 테러 협의회」를 개최하여 국제 테러리즘 대처를 위한 양국 간 실질 협력을 한층 구체화하

113

제2장 대한민국의 세계 평화 증진 기여 였다(U.S. State Department, 2014).

2.4. 해적퇴치를 위한 국제공조 참여

UN 안전보장이사회는 2008년 6월「 결의안 1816호」, 그리고 같은 해 10월「 결의안 1838호」를 채택하여 해적 퇴치를 위한 국제 협력을 강조하 고 모든 당사국의 지원을 요청하였다(Roehrig, 2012; ROK MND 2012). 이에 따라 한국정부는 해적퇴치를 위한 국제협력을 촉구하는 UN 안전 보장이사회의 5개 결의안(결의 제1816호, 제1838호, 제2125호, 제2077호, 제2039호)에 모두 지지의사를 표명하였다. 결의안 1816호, 1838호의 이행 을 위해 3개의 기동부대(CTF-150, CTF-151, CTF-152)로 구성되어 창설 된 ‘다국적 연합해군사령부’(Roehrig, 2012) 참여를 위하여, 한국정부는 2009년 3월 국회 동의에 따라 소말리아 해역에서 기승하는 해적퇴치를 위한 목적으로 청해부대를 해당지역에 파병하였다.5) 대한민국의 해적퇴 치 활동 지원에 따른 연간 비용은 약 1,200억 불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ROK MFA, 2014). 한국정부는 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1851호’에 따라 지난 2009년 창설된「 소말리아 해적퇴치 연락그룹(CGPCS: Contact Group on Piracy off the Coast of Somalia)」에 적극 참여, 해적퇴치를 위한 국제공조 방 안 마련에 동참하고 있다. CGPCS는 60개국이 가입한 국제 협의체의 창 설 이후, 해적 피해선박이 2010년 47척, 2011년 25척, 2012년에는 5척으 로 감소하는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CGPCS, 2014). 대한민국은 2010년 뉴욕에서 열린 ‘7차 CGPCS 전체회의(CGPCS 7th Plenary meeting)’에서 의장국을 맡고 2013년 2월에는 서울에서 개최된 ‘CGPCS 제3작업반(7th

5) 2009년에는 한국 선박 승무원들이 소말리아 해적들에 의해 피랍된 사건이 있었다(Roehrig, 2012).

11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CGPCS Working Group 3 meeting)’ 의장국으로 참여하는 등(CGPCS, 2014; ROK MFA, 2014) 해적 퇴치 분야에서 선구적 역할을 맡고 있다. 또 한 대한민국은 미국, 중국, 프랑스, 일본, 인도, 터키 등과 함께 연합해군함 대를 창설하여 최신 해적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등 소말리아 해적퇴 치를 위한 국제공조 강화에 기여해오고 있다. 한국정부는 소말리아 해적의 위협으로부터 한국 선박 등의 보호 임무 를 위해 아덴만에 특수전 요원과 해병대 요원 등이 포함된 청해부대를 약 300여 명 규모로 꾸준히 파병해오고 있다. 청해부대는 아덴만 등 소말리 아 인근 해역에서 해적퇴치 등의 활동을 지원하는 구축함과 해상작전헬 기, 특수전 요원으로 구성되었으며 파병기간은 6개월이다(ROK MND, 2012). 2012년까지 청해부대는 25척의 민간선박을 해적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였으며 2009년에는 북한 선박인 다박솔호를 지원하기도 하였다 (ROK MND, 2012; Roehrig, 2012). 2011년 1월 삼호주얼리호 해적 납치 사건 발생 당시, 청해부대 특전요원들은 해적과의 5시간의 교전 끝에 삼호 주얼리호 선원을 전원 구출하였고 삼호주얼리호를 피랍한 소말리아 해적 을 한국으로 송치, 재판에 회부하는 등 성공적으로 그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Roehrig, 2012). 동남아시아 해안 역시 해적의 위협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대한민국 은 ASEAN과 말래카 해협의 항해 안전에 관한 정보 등을 다루는 해상 안 전 정보시스템의 구축을 협의하기 위한 MOU를 체결하고 이를 위해 총 85만 불을 제반 사업에 지원하는 등 말래카 해협의 해상안보와 해적활동 척결을 위한 노력을 다각도로 기울이고 있다.

115

제2장 대한민국의 세계 평화 증진 기여 2.5. 대한민국의 국제 환경 및 기후변화 협력 강화

기후변화 문제는 오늘날 국제사회가 직면한 초국가적 위협으로 이에 대 한 적절한 대응책이 강구되지 않는다면 앞으로 100년 이내에 국제사회는 큰 혼란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최근 관련 연구는 산업화 이전부터 시작 된 지구 기온상승의 주된 이유로 인간의 활동을 꼽고 있다(Intergovern- 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 The Potsdam Institute for Cli- mate Impact Research and Climate Analytics (PICIRCA), 2012; World Economic Forum, 2013). 산업화 이전에 비하여 지구의 온도는 0.8°C 상 승하였으며 해수의 온도는 1950년에 비하여 0.09°C 상승하였다. 산업 혁명을 기점으로 해양생태계를 파괴하는 해양산성화와 함께 해수면은 20cm 정도 상승하였으며 현재 약 10년마다 3.2cm씩 상승하고 있다(The Potsdam Institute for Climate Impact Research and Climate Analytics, 2012). 기후변화 문제는 급속한 속도로 우리의 삶과 지구를 위협하고 있 으나 이에 대해 국제사회는 문제해결 및 대응책 합의 도출에 실패하여 아 직까지 뚜렷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은 기후변화 문제에 대해서 선진국과 개도국의 이익을 모두 대 변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점을 활용하여 기후변화 협상 틀 내에서 주 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국가이다.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대한민 국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민주주의 달성은 개도국가들에게 길잡이가 되 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경제성장중심 국가 성장 모델만으로 오늘 날 국제사회가 당면한 환경문제를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21세기 개 도국의 국가성장 방향은 기후변화 문제 대응책 안에서 온실가스 감축의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990년과 2005년 사이 두 배로 증가하 였으며 이는 OECD 회원국 중 가장 큰 폭의 증가량이다(Yale Center for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2012). 최근 호주를 제치고 세계 7위의

11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온실가스 배출 국가가 된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교토의정서 협의 당 시에는 기준치보다 매우 낮았기 때문에 온실가스 감축 의무대상국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한국정부는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business as usual)를 산정하고 이에 따라 감축계획을 발표하는 등 온실가스 감축 노 력 이행의지를 보이고 있다. 조속한 기후변화 대응책의 제시없이는 가까운 미래에 국제사회가 직면 할 그 대가는 실로 엄청나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 서는 최근 1천여 명의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여 10년 후 기후변화가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심각한 우려의 뜻을 보인 바 있다(World Eco- nomic Forum, 2013). 전문가들은 세계경제 금융구조의 취약성과 지구 기 후변화가 맞물려 세계 경제에 큰 타격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를 냈으며 특히 대다수의 개도국들이 기후변화로 인해 폭풍해일, 홍수, 해면 상승 등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열대 및 해안지역에 위치하고 있음을 언 급하며 이로 인한 피해는 상당할 것이라 예측하였다(World Economic Forum, 2013; The Potsdam Institute for Climate Impact Research and Climate Analytics, 2012). 기후변화가 끼치는 영향이 지리적 위치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고 하더라 도, 결국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 온도상승은 특정 지역이 아닌 전 세계 생 태계, 농업, 인간의 건강에까지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국제사회는 21세기 말 지구 상승온도를 2도 이하로 유지하기로 뜻을 모았으나 지구 상승온도가 2도 상승 이하로 유지된다 하여도 지구의 평균온도가 4°C 상 승할 확률은 20%에 달하며 지구의 평균온도가 4°C 상승한다면 전 세계 는 이로 인한 끔찍한 결과를 목격하게 될 것이다. 기후변화 문제 해결안 모색을 위한 한국정부의 노력은 국제사회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진행되어 왔다. 한국정부는 지역환경과 생태계를 보호 하는 환경보호 관련법을 제정하고 국민의 건강과 한반도에 서식하는 생

117

제2장 대한민국의 세계 평화 증진 기여 물의 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6) 또한 한국정부는 온실가 스 감축 및 이를 위한 제반사업 구축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의 이러한 노력은 결국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문제 해결에 긍정적 영 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된다. 1960년대 산업화 이후 나타난 한국의 공해문제는 1980년대 민주화와 이에 따른 시민운동이 활성화 되면서 그 문제가 표면위로 떠오르기 시작 하였다. 1980년 한국정부는 환경청을 발족하고 환경청은 1990년 환경처 로, 이후 환경부로 승격되었다. 지난 20여 년 동안 한국정부는「 UN 기후 변화협약(UN Climate Change Convention)」에 가입(1994년 3월 발효)하 고 2005년 2월에는 교토의정서에 서명하는 등 다양한 국제사회 환경보호 활동에 참여하여 왔다. 2012년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UN 기후변화협약 제 18차 당사국 총회’ 에서 기후변화협약 당사국들은 교토의정서의 유효 기간을 2012년(1차공약기간)에서 2020년까지 연장하는데 합의하며 녹색 성장 지원을 위한 ‘녹색기후기금(GCF: Green Climate Fund)’의 설립을 합 의하였다. 이에 따라 GCF를 한국 인천광역시에 유치하자는 안건이 상정 되었고 그로부터 두 달 후 당사국의 합의를 통해 GCF 인천 유치가 결정 되었다.7) 국제도시 송도에 출범하게 된 GCF 사무국은 서울 중심부에서는 35km, 인천국제공항에서는 15km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GCF 인천 유 치를 통해 한국정부가 국제사회의 녹색성장기금 참여 및 선진국과 개도 국의 녹색성장을 위한 경제 협력을 연결하고 실현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6) 한 국정부의 환경관련 현행법령은 대통령령을 포함하여「 환경정책기본법」「, 대기환경보전법」, 「자연환경보전법」,「 환경범죄 등의 단속 및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유해화학물질관리법」「, 환경분쟁조정법」「,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폐기물관리법」,「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폐 기물의 국가간 이동 및 그 처리에 관한 법률」,「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 법」 등이 있다. 한 국정부의 중앙행정기관은 소관사항에 대한 관련 입법안을 대통령의 재가 후 서명을 거쳐 국 회에 제출할 수 있으며 대통령은 위임 받은 사항과 법률을 집행 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과 이에 관한 명령(대통령령)을 발의할 수 있다. 7) 그 외 GCF유치 후보지로 상정된 국가로는 독일, 멕시코, 나미비아, 폴란드, 스위스가 있다.

11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수행할 것이라 기대되고 있다(ROK MFA, 2014).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에서 규정하는 온실가스 감축의무 제외 대상 국가 임에도 불구하고, 2009년 이명박 정부는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0 년 배출전망치 대비 30%를 감축하겠다는 자발적 목표를 국제사회에 공 표하였다(Korea Environment Institute). 환경부는 2010년 13개 정부부 처와 공조하여 국가 기후변화 대응계획안을 수립하였는데(ROK MOE, 2011) 2010년 시행된「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은 해당 계획안의 법적 토 대가 되었다(Korea Environment Institute). 해당 계획안의 7가지 중점분 야는 △ 농업 △ 생물다양성 △ 해양생물자원 △ 산림 △ 국민건강 △ 자 연재해 △ 수력자원이다. 또한 정책수립 방향은 △ 미래 기후변화 예측 및 감시 △ 에너지 사용 및 산업 △ 교육 및 홍보 △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기 반으로 추진되었다. 한국정부는 해당 계획안에 법적 구속력을 부여하였 으며 기후변화 예측 자료의 가변성을 고려하여 5년마다 개정토록 하였다 (ROK MOE, 2011). 한국정부는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기후변화 적응정책 마련을 위 하여 2009년 환경정책 연구 및 검토 업무를 수행하는 한국환경정책평 가연구원8) 산하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KACCC)’를 개소 하였다(ROK MOE, 2011; ROK MOE, 2014). 이어 2012년 2월에는 온실가스 총량제 한 배출권 거래제의 국회 비준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가 법적 체계를 구축하였다(Han, 2012). 2015년 발효 예정인 한국정부의 총량제 한 배출권 거래제는 동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국가에서는 뉴질랜드와 호 주에 이어 세 번째이며 배출권 거래가 성공적으로 이행된다면, 2020년 배 출전망치 대비 30%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을 것이라 관측되고 있 다(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Association, 2014; Yale Center for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2012).

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환경부 소속 연구기관으로 1993년 출범하였다.

119

제2장 대한민국의 세계 평화 증진 기여 온실가스는 수증기,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이산화질소(NOx),

대류권 오존(O3)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수증기는 자연적으로 발생 하지만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받아 감소 또는 증가할 수 있으며, 대기 중 에서 상당한 기간 잔류하는 성질을 가진 이산화탄소는 배출된 이후 수 십 년 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비해 짧게는 수 일에서 길게는 15년까지 상대적으로 대기 중에 머무르는 수명이 짧은 블랙 카본(BC), 메탄, 대류권 오존, 수소불화탄소 등의 단기수명가스(SLCP: Short-lived climate pollutants)는 대기권에 단기간 머무르는 오염가스로, 농업/생태계 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산화탄소 다음으로 기후변화의 가장 큰 주요 원인물질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는 자연친화적 오븐 사용 및 친환경 연료 등과 같은 구체적인 SLCP 감축 실현 방안 구축에 적극 노력 하고 있다. 2012년 2월에는 6개 국가와9) UN 환경계획(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의 협력하에 기후 및 청정대기협력체(CCAC: Climate and Clean Air Coalition to Reduce Short-Lived Climate Pollut- ants)가 발족되었다(CCAC, June 2014). CCAC는 국가와 NGO가 함께 참 여하는 자발적 국가 협력체로 SLCPs 감축을 통해 단기적인 기후변화 완 화를 위한 국가 지역차원의 실행계획 수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도 참여국으로 적극 협력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다른 회원국에 비해 비교 적 늦게 OECD에 가입하고 산업화를 이른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적 극적으로 녹색성장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국가로서 개도국에 SLCPs에 대한 과학적 이해 증진 및 제반 기술을 보다 유용하게 전파할 수 있는 역 량을 갖추고 있다. 한국정부는 국내 산업계 및 여론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국가적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제반 정책을 통해 기후변화 대

9) 참 여 6개국은 방글라데시, 캐나다, 가나, 멕시코, 스웨덴, 미국이다.

12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응책의 중요성을 알리는 등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방안 구축 및 실행 을 위해 적극 협력하고 있다(Han, 2012). 기후변화 완화와 이를 위한 대 응 정책은 국가간뿐 아니라 비 국가 행위자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서 수립되고 추진되어야 하며, 한국정부의 기후 변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과 활동을 통한 기여 및 이에 대한 평가는 수십 년, 혹은 수백 년이 지난 후 에 우리의 자손들을 통해서(인류가 멸망하지 않는다면) 그 가치가 측정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19세기 후반 한국은 새로운 국제정세 속에서 일본의 식민지배라는 비 극적인 역사를 경험하게 되었다. 1945년 광복과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다시 1950년 한국전쟁을 겪는 과정에서 대한민국은 국제사회 구성원으로 서 세계평화와 안정을 논의할 여유조차 없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놀라 운 고도의 경제성장과 근대화를 거쳐 1980년대 민주주의를 이룩하는 등 수십 년 만에 놀라운 성과를 이루어 냈다. 내부적으로 놀라운 경제성장과 민주주의를 이룬 대한민국은 외부적으 로는 대북문제 및 북한의 위협이라는 문제에 끊임없이 대응하여야 했다.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해 안보위협에 대응하고 UN을 비롯 한 수개의 국제기구 및 국제조약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국제사회의 평화 와 안보구축을 위해 중대한 기여를 해왔다. 대한민국은 PKO 지원, 비핵화 및 핵 안보활동, 국제테러위협 방지 노력, 해적퇴치 노력, 기후변화 대응방 안 구축 노력 등 국제사회가 당면한 핵심 과제 해결안 모색을 위해 국제 사회와 적극 공조하고 그에 따른 책임을 성실히 이행하며 국제사회에서 모범 국가로 그 위상을 떨치고 있다.

121

제2장 대한민국의 세계 평화 증진 기여 참고문헌

Climate and Clean Air Coalition to Reduce Short-Lived Climate Pollutants (CCAC), “Time To Act to Reduce Short-Lived Climate Pollutants,” Climate and Clean Air Coalition to Reduce Short-Lived Climate Pollut- ants, May 2014. Climate and Clean Air Coalition to Reduce Short-Lived Climate Pollutants (CCAC) website, http://www.unep.org/ccac, accessed June 2014. Contact Group on Piracy off the Coast of Somalia website, http://www.thecg- pcs.org, accessed June 2014. Finnegan, Michael, J., “Postconflict Stabilization and Reconstruction,” Chap- ter 9 in Scott Snyder, editor, The US–South Korea Alliance: Meeting New Security Challenges, Boulder: Lynne Rienner Publishers, 2012. Green Climate Fund website, http://www.gcfund.org, accessed June 2014. Han, Hong-goo, “South Korea and the Vietnam War,” chapter 9 in Lee, Byeo- ng-cheon, editor, Developmental Dictatorship and the Park Chung- Hee Era: The Shaping of Modernity in the Republic of Korea, Para- mus, New Jersey: Homa & Sekey Books, 2005. Han, Sangim, “South Korean Lawmakers Vote for Limits on Greenhouse-Gas Emissions,”\ Bloomberg, 8 February 2012. Hemmings, John, “The ROK Provincial Reconstruction Team in Afghanistan,” in Scott A. Snyder, editor, Global Korea: South Korea’s Contributions to International Security, New York: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2. Hong, Kyudok, “South Korean Approaches to Peacekeeping and Peacebuild- ing: Lessons Learned and Challenges Ahead,” The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Vol. 23, No. 1, Spring/Summer 2009. Hwang, Balbina Y., “Peacekeeping”, Chapter 8 in Scott Snyder, editor, The

12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US–South Korea Alliance: Meeting New Security Challenges, Boul- der: Lynne Rienner Publishers, 2012.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2007: Synthe- sis Report,” adopted section by section at IPCC Plenary XXVII, 12-17 November 2007. International Crisis Group, “North Korea’s Chemical and Biological Weapons Programs,” Asia Report N°167, 18 June 2009. 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Association, Environmental Defense Fund, “The World’s Carbon Markets: A Case Study Guide to Emissions Trad- ing (South Korea),” March 2014. Kim, Sarah, “Team ends mission in Afghanistan,” The Korea Joongang Dai- ly, 25 June 2014. Korea Environment Institute, “Greenhouse Gas Energy Target Management Scheme,” Korea Environmental Policy Bulletin (KEPB), no date.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 rea.” Nanto, Dick K., “North Korea: Chronology of Provocations, 1950 – 2003,”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18 March 2003. Park, Jinim, Narratives of the Vietnam War by Korean and American Writ- ers, New York: Peter Lang International Academic Publishers, 2007. The Potsdam Institute for Climate Impact Research and Climate Analytics (PICIRCA), “Turn Down the Heat: Why a 4°C Warmer World Must Be Avoided,” A report for the World Bank, November 2012.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the Environment, Ecorea: Environmental Re- view, Korea, Seoul: Ministry of the Environment, June 2013.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the Environment, “Korea’s Adaptation Strategy to Climate Change,” Korea Environmental Policy Bulletin, Vol. IX, Is-

123

제2장 대한민국의 세계 평화 증진 기여 sue 1, 2011.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the Environment website, http://www.kei.re.kr, accessed June 2014.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website, http://www.mofa. go.kr, accessed June 2014.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ebsite, http://www.mnd. go.kr, accessed June 2014.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12 Defense White Paper, Seoul: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December 2012. Roehrig, Terence, “South Korea’s Counterpiracy Operations in the Gulf of Aden,” in Snyder, Scott A., editor, Global Korea: South Korea’s Contri- butions to International Security, New York: Council on Foreign Rela- tions, 2012. Roehrig, Terence, “South Korea, Foreign Aid, and UN Peacekeeping: Con- tributing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as a Middle Power,” Korea Observer, Vol. 44, No. 4, Winter 2013. Rohde, David, “Taliban Free Remaining 7 Koreans Held Captive,” The New York Times, 312 August 2007. Shepard, Kevin, “Counterterrorism,” Chapter 3 in Scott A. Snyder, editor, The US–South Korea Alliance: Meeting New Security Challenges, Boul- der: Lynne Rienner Publishers, 2012. Shin, Hyon-hee, “[Newsmaker] Korean troops bid adieu to Afghanistan,” The Korea Herald, 24 June 2014. Snyder, Scott A., editor, The US–South Korea Alliance: Meeting New Secu- rity Challenges, Boulder: Lynne Rienner Publishers, 2012. The World Bank and The International Cryosphere Climate Initiative, “On Thin Ice: How Cutting Pollution Can Slow Warming and Save Lives,” A

12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Joint Report of The World Bank The International Cryosphere Climate Initiative, October 2013.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website, http://un- fccc.int/2860.php, accessed June 2014.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Ad Hoc Committee, “Report of the Ad Hoc Committee established by General Assembly resolution 51/210 of 17 December 1996,” Sixteenth\ Session, 8 to 12 April 2013. World Economic Forum, Global Risks 2013, Geneva: World Economic Fo- rum, 2013. Yale Center for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Climate Policy & Emissions Data Sheet: South Korea,” Webinar Series, 26 April 2012.

125

제2장 대한민국의 세계 평화 증진 기여

3 UTILIZING NON-STATE ACTORS FOR KOREAN PUBLIC DIPLOMACY

INTRODUCTION

Public diplomacy is a relatively new and evolving term in the terminology of diplomacy. Its definition, goals, methods, evaluation and effectiveness are still being contested by both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 In one of the earlier definitions in 1966, Gullion defines public diplomacy as “the means by which governments, private groups and individuals influence the attitudes and opinions of other peoples and governments in such a way as to exercise influence on their foreign policy decisions” (The Edward R. Murrow Center of Public Diplomacy, 2010). Delaney adds indirect influences to his definition but again limits public diplomacy to influencing foreign policy decisions: “the way in which both government and private individuals and groups influence directly or indirectly those public attitudes and opinions which bear directly on another government‘s foreign policy decisions” (1968: 3). In a similar vein, Malone also argues that public diplomacy is to alter foreign policies of other countries: “the core idea is one of direct communication with foreign peoples, with the aim of affecting their thinking and, ultimately, that of their governments” (1985: 199). Tuch sees public diplomacy in the monopoly of government by defining public diplomacy as “a government’s process of communication with foreign publics in an attempt to bring about understanding for its nation’s ideas and ideals, its institutions and culture, as well as its national

127

3. Utilizing Non-state Actors for Korean Public Diplomacy goals and policies” (1990: 26-27). A planning group for integration of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Agency (USIA) into the Department of State emphasizes promotion of national interests as it defines public diplomacy seeking “to promote the national interest of the United States through understanding, informing and influencing foreign audiences” (USIA, 1997). Public diplomacy definitions in the paragraph above either see public diplomacy as an exclusively governmental initiative or as employed for the influencing of foreign policy decisions of other countries. Later definitions of public diplomacy, or of “new public diplomacy,” add more dimensions, objectives and actors to the definition of public diplomacy. As such, building relationships and mutual understanding are also seen as vital public diplomacy objectives. Non-state actors can use public diplomacy not only as outsourcers of government’s public diplomacy but also for their own interests. Indeed, in many cases public diplomacy is an unintended outcome of non-state actors’ usual activities. In this regard, Leonard defines public diplomacy as being “about building relationships: understanding the needs of other countries, cultures and peoples; communicating our points of view; correcting misperceptions; looking for areas where we can find common cause” (2002: 8). Gregory’s definition is more comprehensive and more appreciative of non-state actors as he sees public diplomacy as “an instrument used by states, associations of states, and some sub-state and non-state actors to understand cultures, attitudes and behavior; to build and manage relationships; and to influence thoughts and mobilize actions to advance their interests and values” (2011: 353). In these definitions, altering foreign policy decisions of other countries can represent just one of the objectives -and not necessarily the “ultimate” one - out of many other objectives of public diplomacy.

12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THEORETICAL FRAMEWORK

There are various theoretical approaches to public diplomacy. This chapter will base its framework on two main approaches: firstly, the two- way symmetrical model of public relations; and secondly, the dialogue method. According to J. Grunig and Hunt, for communication to be most effective it should not only be two-way but should also be symmetrical (1984). They categorize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into four models. In the press agentry model, there is one-way asymmetrical communication as the communicating side attempts to use misleading propaganda. The public information model is also one-way asymmetrical model as it only involves informing the target audience with newsletters and other forms of media. The two-way asymmetrical model adds listening to the target audience to its communication strategy in order to identify attitudes and to develop messages that appeal to the target audience. Nevertheless, it fails to emphasize the interests of target audiences, making it asymmetrical. The two-way symmetrical model, on the other hand, not only listens to public opinion but also take public interests into account. This model is more interactive as it builds long- term relationships and treats the public as a counterpart, and not just as a “target audience.” While public relations theories such as those above are used for public diplomacy, dialogue methods are often overlooked. Indeed, dialogue methods also emphasize two-way communication as the word “dialogue” as opposed to “monologue” suggests. Moreover, dialogue methods are used for a better mutual understanding and are established based on the criteria of mutuality; i.e. symmetrical communication. Therefore, methods established by theorists and practitioners of dialogue can guide public diplomacy policies in line with the two-way symmetrical model of communication.

129

3. Utilizing Non-state Actors for Korean Public Diplomacy Gangadean and Swidler developed seven stages of deep dialogue in which the change begins from the “self” rather than from the “other” following an encounter between the two (2000). This change includes a transformation of the self through empathy, an expanded vision by experiencing the world of the other, and a paradigm shift of the more conscious self. This is a different approach compared to most other public diplomacy approaches, and for that matter compared to approaches to soft power that expect others to change as the self pleases. This kind of mindset can be useful for practicing a two-way symmetrical approach. It is better understood that public diplomacy is a win-win game that is played repeatedly and not a one-time event. That is to say disregarding counterparts’ interests and focusing only on self-interest, such as influencing other countries directly or indirectly to change their foreign policy decisions, cannot serve the long-term interests of the home country’s public diplomacy. That is because it will create an image of the home country as self-interested, causing it to lose influence in the long- run. Nevertheless, building relationships, understanding the interests of others, and expanding vision as a result of this encounter can also represent public diplomacy objectives. Furthermore, Sleap and Sener published a book on dialogue theories combining the practices in the field (2013). One chapter addresses Gulen’s dialogue method, whose influence created a conglomerate social movement called the “Hizmet Movement.” This movement’s cultural and dialogue centers, inspired by Gulen’s approach, are estimated to be in about 160 countries. Even though their objective is not public diplomacy, public diplomacy is an outcome of their dialogue activities. The widespread use of this method can indeed make Gulen’s dialogue method the prevailing form of dialogue, and for that matter the prevailing approach to public diplomacy. Gulen believes that dialogue should include following criteria:

13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inclusiveness, open-endedness, oriented towards actions and not words, involve ordinary people at the grassroots of societies, involve opinion leaders, lead to greater mutual understanding, involve a needs-based dynamic process as opposed to a predetermined static process, and focused on relationships, with events a means to that end. Gulen believes that real dialogue is only possible in the long-run as the foundations for dialogue are built by the present generation by eradicating the barriers and prejudices between people. Through dialogue, people can cooperate and build durable solutions to shared problems. Dialogue is a means to community building and peace. Gulen is against using dialogue to convert people (asymmetrically) or to create a melting pot in which people lose their distinct identities. For Gulen, dialogue cannot be left to dialogue practitioners alone; the collective will of wider society and other organizations must support dialogue efforts (Sleap and Sener, 2013: 83-100). The two-way symmetrical model emphasizes taking the interests of others into account and building long-term relationships with them for more effective public relations and public diplomacy. Seven stages of deep dialogue suggest a mindset for achieving this while Gulen’s ideas on dialogue show how to practice the two-way symmetrical model. Practitioners of public diplomacy and dimensions of complex relationships are outlined in the diagram below.1) As opposed to traditional diplomacy between states, public diplomacy involves more non-state actors. Non-state actors’ role in public diplomacy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in the next paragraph. Public diplomacy involves a state’s interactions with its own citizens as public diplomacy cannot be thought of in isolation from domestic politics, especially regarding those issues that concern people of other countries. In addition, public diplomacy should involve briefing domestic constituencies on

1) This diagram is an advanced version of the diagram by McDowell (2008: 9).

131

3. Utilizing Non-state Actors for Korean Public Diplomacy the relevant policies. Diaspora communities in other countries can also be helpful for public diplomacy as they know the local culture and have access to and relationships with both ordinary people and influential networks in other countries. Foreign non-state actors, both living in the home country and in host countries, are also potential partners for effective public diplomacy. There are also international NGOs (INGOs) and Transnational Advocacy Networks (TANs) that help frame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State bodies’ and non-state actors’ interactions with these INGOs and TANs are also important elements of public diplomacy. All of these direct relations are public diplomacy benefitting the “self” with a more expanded vision and better understanding of “others.” Simultaneously, there can also be indirect benefits as foreign publics, diaspora communities and international networks can influence other states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for the advantage of the home state.

INTERNATIONAL STATE 1 STATE 2 INSTITUTIONS

NON-STATE NON-STATE INTERNATIONAL ACTORS ACTORS COMMUNITY ‡ Local non-state actors ‡ Local non-state actors ‡ INGOs ‡ Foreign non-state actors ‡ Diaspora ‡ TANs

13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NON-STATE ACTORS’ ROLE IN PUBLIC DIPLOMACY

Non-state actors have become more significant in the international arena as the importance of public opinion has increased. National governments, especially in democratic countries, are more receptive towards the public opinion of their constituents. Their constituents are now linked to, and more informed about, events occurring overseas. Non-state actors either act on their own to form and develop relationships and to help certain causes in other countries or they pressure their national governments to act, especially in the realm of advocacy. In the case of INGOs and TANs, they can also pressure international institutes as well as local and/or national governments. Indeed, international institutions such as the UN, the WTO and the EU have realized the importance of close cooperation with non-state actors more fully than nation states (Valencia, 2006: 90). Non-state actors’ rise is highly correlated with easier access to information and with more international interactions du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communication and transportation. In the 21st century, states can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non-state actors and the role they play in public diplomacy. Non-state actors have access to the following resources or qualities that can benefit a country’s public diplomacy: credibility, neutrality, efficacy, flexibility, political, financial and human resources, mobilization capacity, expertise, specialization (know-how), networks, reach and influence. A U.S. Department of State report emphasized that indispensable partnerships with non-state actors is advantageous: “civil society, universities, and humanitarian organizations can often act in areas or in a manner that a government simply cannot: as neutrals or aid providers in conflict zones; as thought-leaders; and as intermediaries between states or between states and peoples..,” and the report continues to describe non-state actors as “indispensable partners, force multipliers,

133

3. Utilizing Non-state Actors for Korean Public Diplomacy and agents of positive change” (Department of State, 2010: 14). Government actions can sometimes be seen as conspicuous and considered to be asymmetrical propaganda (Leonard, 2002: 55). Non- state actors’ actions are more likely to be seen as less conspicuous and involve more symmetrical communication. Their interactions and transactions with foreigners are based more on mutuality and take into account the interests of the other party. Moreover, non-state actors are more efficient in building long-lasting relationships with foreign publics as they often have better infrastructure and specialization in the field. As La Porte suggests, non-state actors are ahead of the state in “time and experience” (2012: 2). States can benefit from above-stated advantages of non-state actors working for shared goals. However, symmetrical communication is also significant for cooperation between states and non-state actors. They can have healthier and longer-lasting cooperation if both parties have common interests as partners rather than as parties in a patron-client relationship, wherein a state outsources its public diplomacy to non-state actors. Nevertheless, state bodies should also be careful in setting standards regarding with whom they can work as partners. Non-state actors’ interests, goals and activities can also be seen as suspicious and counterproductive, placing the state’s interests in jeopardy. Terrorist groups and unlawful non-state actors are examples of how a state should not cooperate with organization that jeopardize its image and interests.

KOREA’S PUBLIC DIPLOMACY

The Republic of Korea has realized the importance of public diplomacy, especially after 2010. Before 2010, there were efforts to promote Korean culture, arts, sports, food and cultural perspectives;

13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but these efforts were more one-way exchanges attempting to create an attractive brand image for Korea. In 2010, public diplomacy was seen as a third pillar of foreign policy following political and economic diplomacy (Ma et al., 2012: 15). A public diplomacy division was created within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OFA) and first Ambassador for Public Diplomacy was appointed soon afterwards. The Korean state body Korea Foundation (KF) established a Korea Public Diplomacy Forum and opened P2P (people-to-people) diplomacy channels in order to increase non-state actors’ contributions in public diplomacy. Public Diplomacy is still a new area for Korean MOFA. New developments in academia are closely watched by Korean policymakers in order to develop Korea’s public diplomacy. Positive steps were taken to reorganize the Ministry and KF, especially for cooperation with other state institutions and non-state actors (Park, 2010: 5). MOFA published a manual for cultural diplomacy for use by its diplomats. The manual shows cultural diplomacy as “a subordinate concept” of public diplomacy (MOFA, 2010). Nevertheless, the manual was named “Cultural Diplomacy Manual” and a Public Diplomacy Policy Division was created under Cultural Diplomacy Bureau. It may take some time to reshuffle the structure of MOFA; however, this ambiguity needs to be addressed for a better management of public diplomacy policies. Furthermore, there are at least four ministrie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more than thirty state bodies and municipalities involved in public diplomacy activities (Kim, 2012: 47- 62). However, even the first Korean ambassador for public diplomacy, Ma Young Sam, acknowledged that Korea lacks an effective managing body on public diplomacy (Ma et al. 2012: 18). In other words, top Korean diplomats are in the process of making these improvements. In

135

3. Utilizing Non-state Actors for Korean Public Diplomacy order to increase collaboration between these institutions and organize the overlapping or missing parts of public diplomacy, a managing body seems to be necessary. Indeed, Lee Myung-Bak’s government created the Presidential Council on Nation Branding for this purpose, but it was short-lived and dissolved with the end of President Lee Myung-Bak’s era. In the same cultural diplomacy manual of MOFA, Korean public diplomacy goals are given as the following: •Implementing the nation’s strategic goals; •Strengthening diplomacy’s traditional meaning (in the fields of politics, security, economics, and trade); •Increasing the influence of Korea in other countries and in the international arena; •Increasing the awareness of mutual understanding and peace among peoples of different countries through the promotion of dialogue between countries (MOFA, 2010:10).

These are fair objectives for any country’s public diplomacy. The first three objectives can create the image of self-interest, which can be counterproductive and create suspicions of one-way asymmetric propaganda. However, with a careful approach using a symmetrical model of public relations through the dialogue method, this potential problem can be minimized. In order to tackle any suspicions of self- interest, it is important for Korea’s public diplomats to take their counterparts’ interests into account and build long-lasting relationships with foreign publics. Cooperation with non-state actors would be helpful for this reason. The fourth objective itself is open for a two-way symmetrical model of communication and should be emphasized as such. The fourth objective should be reflected in reality so that it is not seen as mere rhetoric.

13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KOREAN NON-STATE ACTORS’ ROLE IN PUBLIC DIPLOMACY

Korea has non-state actors that are already, or have the potential to be, valuable assets for public diplomacy. More than anything else Korea has a highly educated and informed population. Korean people are known to be warm-hearted (jeong would be a better term) and patriots. World Friends Korea, a volunteers’ program initiated by KOICA, bases its activities heavily on these characteristics of Korean youth. World Friends Korea is the second largest such volunteer program behind the U.S. Peace Corps (Chun, 2013). Similarly, Korean NGOs also have volunteer programs, mainly in cooperation with KOICA. KCOC, an umbrella organization for some Korean NGOs, have NGO Overseas Volunteers Corps, for example, which also benefit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youth. Koreans are also probably the most wired nation in the world with high literacy and active usage rates of the Internet and SNS. Added to the other advantages cited above, this is another plus for non-state actors’ potential for Koran public diplomacy. An example of non-state actors using this potential is VANK, which voluntarily informs foreigners about Korea. However, VANK’s way of doing business may fall short of the two-way symmetrical model. Korea has vital civil society and strong NGOs, famous for their high mobilization capacity. The best example is Korean missionaries, who have a strong potential for Korean public diplomacy, but who can also represent a liability, placing Korean public diplomacy goals in jeopardy. Missionary groups’ financial and human resources, mobilization capacity, outreach, established relationships and their positive actions abroad can create outcomes in line with Korea’s public diplomacy objectives. Nevertheless, their objective to convert others often can limit them to a one-way asymmetric model rather than having a two-

137

3. Utilizing Non-state Actors for Korean Public Diplomacy way symmetrical model in the form of dialogue. Using dialogue as a shield for the real agenda of eventually converting others would also not work for ongoing public diplomacy. As Murrow said in 1963 “truth is the best propaganda and lies are the worst. To be persuasive we must be believable; to be believable we must be credible; to be credible we must be truthful. It is as simple as that” (Waller, 2007: 158). Korean movie and pop stars are other non-state actors with a huge potential for public diplomacy. This potential has been realized by relevant state bodies since the early popularity of Korean Wave. Korean movies, dramas and K-pop have been promoted all over the world with the help of the Korean state. Stars have been also appointed as honorary ambassadors for that goal. However, there have been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unidirectional flow of Korean popular culture to other countries, mainly in East Asia. These problems were realized by entertainment companies that lead the Korean Wave, or “Hallyu,” and state bodies have been promoting it. Two-way exchanges were emphasized by academics, policymakers and entertainment companies in order to minimize anti-Hallyu sentiments. A White Paper on Hallyu includes a chapter on correcting the mistakes of Hallyu promotion in which it explores ways to overcome anti-Hallyu sentiments through “dialogu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227). KF’s book on Hallyu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utual exchanges by giving the example that when Turkish JYJ fans met their beloved Kim Jae-Joong in Ankara, most of the questions and presents were related to Turkish culture (Korea Foundation, 2013: 382). This shows that even the Hallyu fans most exposed to Hallyu and Korea expect rather two-way symmetrical exchanges. It is a promising sign that entertainment companies address this problem with joint projects with foreign entertainment companies and stars. Also, the Korean state is emphasizing more mutual exchanges. Websites and forums opened by Hallyu fans also offer potential

13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for Korean public diplomacy. The above-cited KF book on Hallyu gives web addresses in many of the countries that Hallyu has entered. For example, the Korea Fans Forum in Turkey has more than 60,000 members, while the SNSD Fan Club in Thailand has more than 77,000 members (Korea Foundation, 2013: 384). Groups organize gatherings of Korea fans offline as well as online. Some of them publish their own journals or broadcast their own radio channels related to Korean culture, mainly about - but not limited to - Hallyu. Their spaces can be regarded as the least suspicious for host countries’ people since they are opened by local people. Korean cultural centers and embassies are encouraged to cooperate with these fan groups. Coopera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a fan site director (of Korea-Fans Turkey), Hilmi Kesenek, was appointed as Cultural Consultant to the Korean Ambassador in Ankara. This is another positive sign of how much embassies and cultural centers overseas cooperate with local non-state actors. Korea has global brands such as Samsung, Hyundai, LG and Kia. Their association with Korea contributes to the image of Korea as a producer of cutting-edge technology. More news coverage of these global brands can indeed compete with the negative North Korea-related news stories in the marketplace of images. In additio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Korean companies overseas, both of conglomerates and also medium- and small-sized companies, have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Korean public diplomacy goals. Furthermor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se companies’ treatment of their workers and their relations with customers, partners and people of the host country can be associated with Korea. These direct experiences can indeed create more lasting images rather than what is read or watched about in Korea.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be aware of the fact that companies’ potential for contribution to public diplomacy is significant, while they can also be a liability if the companies have a negative image in foreign countries.

139

3. Utilizing Non-state Actors for Korean Public Diplomacy Korea has four universities in the top 200 universities in the world according to Times High Education (Times Higher Education, 2014a). In the case of the Asian continent, Korea has 14 universities in the top 100 (Times Higher Education, 2014b). Korean universities are known for their success and facilities complete with cutting edge technology, especially in the case of engineering departments. In addition, the recent trend in Korean universities is globalizing and forming international networks. These universities’ intellectual capacity, logistics, physical facilities and international networks can be utilized for the purposes of public diplomacy. Indeed, Ewha Women’s University is the first university to open a Public Diplomacy Center and it is in close relationship with the Korean MOFA and KF to help shape public diplomacy policies. Other than these, Korean sports players abroad are also important. Successful sports players abroad are likely to have a large fan base and participate in networks of journalists, sports players and other influential people. These players can also work as honorary ambassadors for Korea in the countries where they play. They are natural bridges that can serve the mutual goals of both countries as in two-way symmetrical model. The volleyball player Kim Yeon-Keong and the soccer player Park Ji- Sung are probably the best examples. Korean policymakers are increasingly more aware of the capabilities and potential of non-state actors for public diplomacy. Articles written by diplomats and the opening of new channels for cooperation with non-state actors effectively demonstrate this.2) In order to increase partnerships with non-state actors, MOFA created a Senior Public Diplomacy Group consisting of Korean people with experience and networks, a Public Diplomacy Scholars Group consisting of foreign

2) Some examples are Ambassador Ma Young-Sam and Dr. Kim Tae-Hwan’s articles cited in this chapter. Another example is Dr. Cha Du-Hyeogn of KF who is very open to cooperation with non-state actors.

14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scholars living in Korea, and a Junior Public Diplomacy Group consisting of Korean and foreign university students (MOFA, 2013). Cooperating with foreign scholars living in Korea is a valuable strategy. People tend to be more receptive towards messages from people with whom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Leonard 2002: 55). If utilized effectively, foreign scholars can serve Korean public diplomacy objectives in their own countries free of the suspicion of propaganda. Their involvement in a MOFA public diplomacy group showcases the two-way symmetrical approach. Joint projects can be increased with these envoys’ networks in their home countries to facilitate more effective dialogue between Korea and those countries. Furthermore, KF created two online platforms called “People’s Participation” and “People-to-People Diplomacy Community” to encourage civil society organizations to contribute to Korea’s public diplomacy. On its website, KF invites any “civilian diplomacy organization” to apply for cooperation for their international activities that are “non-religious, non-political and non-profit” (Korea Foundation, 2013b). This is another positive step to utilize the potential of non-state actors. However, cooperation is rather passive in this initiative as KF or MOFA want non-state actors to apply for support for their activities. Active cooperation indeed can offer more unrealized potential if KF and MOFA also cooperate with non-state actors already doing “people- to-people” diplomacy. KF’s emphasis on “non-religious” activities also represents another question mark. Religious activities can help boost Korean public diplomacy goals as long as KF can make sure that a faith organization does not put KF’s image in jeopardy with its asymmetric missionary activity. As stated above, the mobilization capacity of faith groups can be useful for Korean public diplomacy. The Korean Conference of Religion and Peace (KCRP) is a good example of a religious NGO that can serve Korean public diplomacy. KCRP represents seven different religions as federations and organizations of

141

3. Utilizing Non-state Actors for Korean Public Diplomacy these religions are full members of KCRP. It is involved in international dialogue activities emphasizing two-way symmetrical relations. KCRP and other similar organizations are already in the field and cooperation with them can improve Korea’s public diplomacy. In 2013, KF hosted leading public diplomacy specialists and practitioners from Korea and overseas in a KF Global Seminar (KFGS) whose main theme was public diplomacy. The program focused on creating a network of state and non-state public diplomacy practitioners and specialists to encourage mutual understanding and emphasize symmetrical exchanges based on long-lasting relationships. Having witnessed Korea’s move to create a win-win network, foreign participants demanded that KF work as the hub for such a network in the years to come. KF is contemplating pioneer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uch a network, with the aim of letting it become an independent body afterwards. Also, a “Global Public Diplomacy Network,” is expected to be created by October 2014 to serve as a network for cooperation and exchange. One potential problem is that while emphasizing cooperation with non-state actors within this network, potential member organizations are limited to state bodie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re left out. Keeping foreign and Korean non-state actors motivated for cooperation requires that at least two conditions be met. The first condition is that their personal or group interes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at is to say that they will be willing to cooperate with Korean public diplomacy practitioners as much as there are shared goals and common denominators. The second condition is that state bodies should play the role of a “boundary spanner” or a “facilitator” and not become involves in patron-client relations with non-state actors (Hemery, 2005: 196; Fitzpatrick, 2007: 198). In a similar vein, Riordan suggests that government and diplomats should play the role of “catalysts” in relation to non-state actors, “coordinating their activities within a broader

14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strategy, encouraging those not already engaged in such activities, and, on occasion, providing discrete technical and financial support” (Riordan 2005: 191). These two conditions would create a better environment for state and non-state cooperation in public diplomacy.

CONCLUSION

In conclusion, new public diplomacy requires close cooperation with non-state actors. Korean policymakers and diplomats realize the importance of new public diplomacy and the necessity of cooperation with non-state actors, especially since 2010. Korean non-state actors have huge potential that can be utilized for Korean public diplomacy goals. Some of this potential is already used for that purpose, while there is also unrealized potential. KF and MOFA are increasingly opening more channels for cooperation with non-state actors. However, thus far cooperation has not included the active seeking of partners for common goals but rather waiting for non-state actors to apply for support. Increasing emphasis on new public diplomacy is likely to result in more active cooperation between state bodies and non-state actors. The Korean state and its diplomats have already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two-way exchanges from the lessons of anti-Hallyu sentiments. The importance of two-way symmetrical relationships should be more fully realized. To achieve this, it is vital to cooperate with credible non-state actors that have credibility, neutrality, efficacy, flexibility, political, financial and human resources, mobilization capacity, expertise, specialization (know-how), networks, reach and influence. Korean non-state actors exhibit many of these qualities and have much to offer to Korean public diplomacy.

143

3. Utilizing Non-state Actors for Korean Public Diplomacy REFERENCES

Chun, S.W. (2013) ‘KOICA, Peace Corps to team up for overseas volunteer projects,’ Korea Herald, 24 September 2013, http://www.koreaherald. com/view.php?ud=20130924000821&mod=skb Cull, N.J. (2010) ‘Public diplomacy: Lessons from the past,’ Place Branding and Public Diplomacy, 6, 11-17, http://annenberg.usc.edu/ images/pdfs/pubd/cull_pd_report_for_fco_final_version.pdf Delaney, R.F. (1968) ‘Introduction’ in A.S. Hoffman (ed.),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nd the New Diplomacy (Bloomington, IN: India University Press) quoted in Straughen, Harriet (2011) ‘Image is everything: The importance of public diplomacy in the Israeli- Palestinian conflict,’ MIFTAH, http://www.miftah.org/Doc/ SpecialStudies/2011/Image_is_everything.pdf Department of State (2010) Leading Through Civilian Power: The First Quadrennial Diplomacy and Development Review, Washington, D.C.. Fitzpatrick, K.R. (2007) ‘Advancing the New Public Diplomacy: A Public Relations Perspective,’ The Hague Journal of Diplomacy, 2(3), 187- 211. Gangadean, A. and Swidler, L. (2000) ‘Seven Stages of Deep-Dialogue/ Critical Thinking,’ Dialogue Institute at Temple University, http:// institute.jesdialogue.org/fileadmin/DI/SEVEN%20STAGES%20 W%20PHOTOS.pdf Gregory, B. (2011) ‘American Public Diplomacy: Enduring Characteristics, Elusive Transformation,’ The Hague Journal of Diplomacy, 6, 351- 372. Grunig, J.E. and Hunt, T. (1984) Managing Public Relations (Fort Worth, TX: Harcourt, Brace, Jovanovich) Chapter 2, quoted in Grunig, J.E. (1993) ‘Public relations and international affairs: Effects, ethics and responsibility,’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47(1), 137-162. Hemery, J. (2005) ‘Training for Public Diplomacy: An Evolutionary

14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Perspective’ in Jan Melissen (ed.), The New Public Diplomacy,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Kim, H.J. (2012) ‘Munhwaoikyo wa Kukjemunhwakyoryu Bumun Jeongchaeksoohangchekye ui Kaeseonbangan [Improving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in Cultural Diplomacy an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NARS Hyunan Bokoseo, 145. Korea Foundation (2013a) Jigucheon Hallyuhyeonhwang II [Current State of Hallyu in the Global Village II], Seoul: NCL Peoples. Korea Foundation (2013b) http://www.kf.or.kr/?menuno=295 and https:// www.kf.or.kr/?menuno=44&type=view&evnt_no=257&pageIndex= 2&searchevnt=0 La Porte, T. (2012) ‘The Legitimacy and Effectiveness of Non-State Actors and the Public Diplomacy Concept,’ Public Diplomacy Theory and Conceptual Issues,’ ISA Annual Convention, San Diego, April 1-4, 2012. Leonard, M. (2002) Public Diplomacy, London: Foreign Policy Centre. Ma, Y.S., Song, J.H. and Moore, D. (2012) ‘Korea’s Public Diplomacy: A New Initiative for the Future,’ Issue Brief, 39, http://en.asaninst.org/ issue-brief-no-39-koreas-public-diplomacy-a-new-initiative-for-the- future/ Malone, G. (1985) ‘Managing public diplomacy,’ Washington Quarterly 8(3) quoted in Gilboa, E.(2008) ‘Searching for a theory of public diplomacy,’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616(1), 55-77. McDowell, M. (2008) ‘Public Diplomacy at the Crossroads: Definitions and Challenges in an “Open Source” Era,’ The Fletcher Forum of World Affairs, 32(3), Special Edition, http://www.eastwestcoms.com/ images/Public_Diplomacy.pd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Hallyu Baekseo [Hallyu White Paper], Seoul: Korea Culture and Tourism Research Center.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0) Munhwawaegyo Maenyueol [Cultural

145

3. Utilizing Non-state Actors for Korean Public Diplomacy Diplomacy Manual], Seoul: CLP People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3) The Opening Ceremony of the Center for Public Diplomacy and the Appointment Ceremony for Public Diplomats to Take Place, http://www.mofa.go.kr/ENG/press/ pressreleases/index.jsp?menu=m_10_20&sp=/webmodule/htsboard/ template/read/engreadboard.jsp%3Fboardid=302%26typeID=12%26 tableName=TYPE_ENGLISH%26seqno=312569 Park, C.H. (2010) ‘Groping for New Governance in Korean Public Diplomacy,’ Jeju Peace Institute-Korea Foundation-U.S. Embassy Seoul Joint Symposium (Jeju: Jeju Peace Institute), http://jpi.or.kr/board/run/ download.php?board_id=EnCD&page=1&vnum=70&row_per_ page=15&page_per_block=10&pds_uid=4045 Riordan, S. (2005) ‘Dialogue-based Public Diplomacy: a New Foreign Policy Paradigm?,’ in Melissen, J. (ed.), The New Public Diplomacy ,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Sleap, F. and Sener, O. (2013) Dialogue Theories, London: Dialogue Society. The Edward R. Murrow Center of Public Diplomacy at The Fletcher School (2010) Definitions of Public Diplomacy, http://fletcher.tufts. edu/murrow/pd/definitions.html Times Higher Education (2014a) World University Rankings 2013- 2014, http://www.timeshighereducation.co.uk/world-university- rankings/2013-14/world-ranking Times Higher Education (2014b) Asia University Rankings 2014 Top 100, http://www.timeshighereducation.co.uk/world-university- rankings/2013-14/regional-ranking/region/asia Tuch, H. (1990)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US public diplomacy overseas (New York: St. Martin’s) quoted in Gilboa, E.(2008) ‘Searching for a theory of public diplomacy,’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616(1), 55-77. USIA (1997), ‘Definition of Public Diplomacy,’ quoted in Leonard, Mark

14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2002) Public Diplomacy, London: Foreign Policy Centre. Valencia, R. (2006) ‘The Role of Non-State Actors in Multistakeholder Diplomacy,’ in Kurbalija, J. and Katrandjiev, V. (eds.), Multistakeholder Diplomac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Geneva and Malta: DiploFoundation. Waller, M. (2007) The Public Diplomacy Reader, Washington: IWP Press.

147

3. Utilizing Non-state Actors for Korean Public Diplomacy

제3장 대한민국의 공공외교와 민간참여 확대방안

서론

외교분야에서 비교적 최근 새롭게 대두되기 시작한 공공외교는 아직 명확한 개념 정립이 되지 않아 학자마다 설명하는 내용과 정의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1966년 귈리언(Gullion)은 공공외교를 타국 외교정책의 입 안 및 실행과정에 해당 타국 국민들이 관여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일이 라고 정의하였다(The Edward R. Murrow Center of Public Diplomacy, 2010). 델라니(Delaney)는 이러한 귈리언의 설명에 ‘간접적인 영향(indi- rect influences)’ 을 포함시켜 공공외교를 타국 외교정책의 수립 및 결정에 직접적이거나 혹은 간접적 영향을 끼치는 타국 정부의 행위로 정의하였 다(1968:3). 비슷한 맥락으로 말론(Malone, 1985:199)은 공공외교를 타국의 외교정 책 수립과정에 영향을 끼치는 행위로 규정하고 “공공외교의 핵심은 상대 국 국민들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서 그들의 생각에 영향을 끼치고 결 국 이러한 영향을 통해 타국 정부에까지 영향을 끼치는 것’ 이라고 설명 한 바 있다. 투흐(Tuch, 1990:26-27)는 공공 외교를 자국의 국가적 목표 와 정책뿐만 아니라 사상과 이상, 제도,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정부가 타국의 대중과 의사 소통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하였다. 미 국 국무부 소속 해외공보처(USIA: United States Information Agency) 기획팀은 타국 국민들에게 미국의 국익을 선전하고 영향을 끼치는 행위

149

제3장 대한민국의 공공외교와 민간참여 확대방안 를 공공외교 활동으로 설명하며 공공외교를 통한 국익의 선전 효과를 강 조한 바 있다(USIA, 1997). 이와 같이 공공외교에 대한 개념은 학자 또는 정부에 따라 차이가 존재 하므로 학계와 실무자들 모두가 동의하는 공공외교의 정의, 목적, 수단, 평가방법 등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을 위해서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앞서 소개된 공공외교에 대 한 여러 정의들이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내용은 공공외교 활동 주체 를 정부로 국한시키고 그 목적에 대해서는 다른 국가 정부의 외교정책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한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장에서는 이러 한 기존의 공공외교의 개념에서 벗어나, 이른바 신공공외교(new public diplomacy)의 관점에서 보다 다각적인 공공외교의 활동주체와 목적에 대 해 논의할 예정이다. 신공공외교는 상호 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공동 의 이익추구를 목표로 설정하고 참여대상의 범위를 확대하여 정부뿐만 아니라 비정부 주체도 공공외교를 통해 이익을 추구할 수 있으며 실제로 많은 공공외교 성공 케이스들은 민간의 참여를 통해 이루어 졌다는 것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공공외교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레오날드(Leonard, 2002:8)는 공공외교에 대해 △ 관계 수 립 △ 소통을 통한 양국간 상호이해도 향상 △ 국가브랜드 제고 △ 공감대 공유 활동 등을 모두 포괄하는 외교활동으로 정의를 내리고 있다. 한편, 그 레고리(Gregory, 2011:353)는 보다 포괄적이며 민간의 참여를 중시하는 공 공외교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는데, 구체적으로는 공공외교를 국가가 사용 하지만 국가 및 민간이 모두 참여하는 도구로써 △ 상대국의 문화 및 행동 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관계를 수립하고 △ 상대국의 이익과 가치 수 립에 영향을 끼치는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레오날드와 그레고리의 공공외 교에 대한 설명은 공공외교를 상대국의 외교정책 수립에 끼치는 수단일 뿐 만 아니라 상대국과의 관계구축에 기여하는 도구로 보고 있다는 점에서 앞 서 살펴보았던 공공외교에 대한 설명들과 차이를 보인다.

15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3.1. 이론적 배경

공공외교에 대한 논의는 다양한 이론적 갈래들을 바탕으로 성장해왔으 나 이 장에서는 특히 대화법(dialogue method)과 홍보학의 양방향 균형모 델(two-way symmetrical model)을 바탕으로 공공외교에 관한 논의를 지 속해 보고자 한다. 그루닉(Grunig)과 헌트(Hunt)는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한 쌍방향 소통이 아닌 균형이 맞는 쌍방향 소통이 동반되 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1984). 그루닉과 헌트는 국제홍보를 4가지 모 델로 분류하였는데 첫 번째 모델인 선동형 언론관계모델(Press agentry model)은 단방향 불균형 커뮤니케이션 모델로써 전달되는 정보의 객관 성 및 정확성과는 상관없이 공중에게 정보가 전달되는 방식이다. 둘째로 공중정보제공모델(Public information model) 또한 단방향 커뮤니케이 션 모델이지만 보도자료 배포 등과 같이 전달되는 정보의 객관성을 유지 해야 한다는 점에서 첫 번째 모델과 구별된다. 셋째로 양방향 불균형모델 (Two-way asymmetric)은 설득을 목표로 공중과의 쌍방향 소통을 하지 만 정보제공자가 커뮤니케이션의 주도권을 갖고 있는 형태로 공중의 이익 을 대변하기에는 부족함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 모델인 양방향 균형모델 (Two-way symmetrical model)은 대중을 단순히 ‘정보제공 대상(target audience)’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관계수립대상으로 간주하여 쌍방향으로 소통하는 동시에 대중의 이익이 실제로 커뮤니케이션에 반영 될 수 있도록 하여 상호작용을 통한 균형적인 소통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홍보학의 이론들이 공공외교에 심심치 않게 적용되는 것에 반하 여 대화법(dialogue methods)은 상대적으로 그 적용 빈도가 매우 낮은 편 이다. 대화법은 그 이름에서도 나타나듯이 독백(monologue)의 반대말인 대화(dialogue)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대화법은 앞서 소개한 홍보

151

제3장 대한민국의 공공외교와 민간참여 확대방안 학의 양방향 균형모델임과 동시에 대화 참여자 모두의 공통된 이익 추구 를 바탕으로 진행되는 균형적인 대화모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이 장에서는 홍보학의 양방향 균형모델과 대화법을 통 해 신공공외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강가딘(Gangadean)과 스위들(Swidler)은 보다 심층적인 대화를 위 한 7단계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 중 주목할 점은 쌍방향의 대화에서 상대 (other)의 변화가 아닌 스스로(self)의 변화에 중요성을 갖고 집중하였다 는 것이다(2000). 이와 관련하여 강가딘과 스위들은 다른 세계에 살고 다 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과의 경험을 통해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이 향상될 경우, 타인의 변화에만 초점을 맞추는 자세가 아닌 스스로 변화를 추구 하는 모습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주장하였는데 이 같은 주장은 보다 효 과적인 양방향 균형모델의 공공외교 적용을 위해 매우 유용한 접근법을 제시해주고 있다. 또한 이는 본인의 이익추구 수단으로 한정되었던 소프 트파워(softpower)이론 및 기존의 공공외교 방법론들과는 상당한 차이를 두고 있다. 공공외교는 일회성 관계가 아닌 장기적 관계를 추구하는 것으로 양측 모두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윈-윈 게임에 가깝다. 상대국의 이익에 상충하 는 자국의 이익 추구를 위해 직·간접적 영향을 끼치는 행위는 단기적으 로는 효과를 볼 수 있지만 그 효과가 장기적으로는 지속될 가능성은 매 우 낮다. 자국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공공외교는 상대국에 이기적인 국가 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심어 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볼 때 결코 현명한 공공외교 전략이라고 볼 수 없을 것이다. 보다 성공적인 공공외교 결과를 위해서는 관계를 구축하고 상대방의 이익을 이해하고 함께 공동의 비전을 확립해 나가는 관계의 구축이 무엇보다 중점 되어야 할 것이다. 슬렙(Sleap)과 세너(Sener)는 그들의 저서에서(2013) 대화이론과 이의 실제 업무적용에 대해 상당한 분량을 할애하여 굴렌(Gulen)의 대화법에

15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대해 언급하였다. 슬렙과 세너에 따르면 굴렌의 대화방법론은 터키의 범 국가적 사회운동이었던 히즈메트 운동(Hizmet Movement)에 영향을 끼 쳐 이후 약 160여개 국가의 사회운동에 직간접적 영감이 되어 왔다. 이러 한 사회운동의 목표는 공공외교가 아니었지만 사용된 대화법은 공공외 교가 추구하는 바와 같았다. 여러 실제 경험을 통하여 그 효과가 입증된 굴렌의 대화법은 공공외교의 기본적인 접근이론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 이다. 굴렌은 효과적인 대화를 위해서는 △ 포괄성(inclusiveness) △ 개방성 (open-endedness) △ 단어보다 행동 중심 △ 사회 각층의 구성원의 참여 △ 시민사회 지도자의 참여 △ 상호협력추진 극대화 △ 관련 구성원의 의 사결정단계 참여 △ 관계모색에 대한 노력 등이 지속적으로 동반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참된 대화는 현 세대 각계 각층 사람들간의 벽 을 허물고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하며 그렇기 때문에 참된 대화 는 단기적일 수 없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대화는 공동체를 구성하고 공동체 내·외의 평화 구축에 기여할 뿐만 아 니라 대화를 통하여 대화 참여자들이 공유하는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실행 가능한 대응책과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다. 굴렌은 상대를 변화시키 려는 목적의 불균형적인 대화나 개개인마다 서로 다른 필요와 요구를 무 시한 채 하나의 큰 집합으로 묶는 대화법을 지양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진정한 대화를 위해서는 대화 참여자 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친 노력이 동반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Sleap and Sener, 2013: 83-100). 양방향 균형모델은 보다 효율적인 홍보 및 공공외교를 위해 상대방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그 안에서 상대방이 추구하는 이익을 이해하 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한다. 굴렌의 대화법이 실생활에 어떻게 양방 향 균형모델을 적용하는지 보여주고 있다면 심층대화법의 7가지 단계는 양방향 균형모델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가져야 할 관점의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153

제3장 대한민국의 공공외교와 민간참여 확대방안 그림 11)은 공공외교 참여자들과 그 대상과의 관계도를 보여주고 있다. 국가만이 외교의 주체였던 전통적인 외교관계와는 달리 공공외교는 비 정부 주체를 외교 활동과정에 포함하고 있다. 공공외교에서 비정부 참여 자의 역할은 다음 절에서 조금 더 자세히 언급될 예정이다. 공공외교에서 국가와 국민들과의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한 요소인 동시에 이를 통해 상 대국 국민들이 관심을 갖는 주제를 이해하는 것은 성공적인 공공외교 활 동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일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상대 국에 거주하는 재외국민이나 동포를 통한 여론조사는 상대국의 최근 수 립된 정책에 관한 그 나라 국민의 여론을 이해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수 단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국내 또는 상대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역시 공 공외교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중요 역할을 맡을 수 있다. 국제적으로 활 동하는 NGOs, 초국적 네트워크(TANs: Transnational Advocacy Net- works) 또한 국제 여론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이들 과 정부와의 상호관계는 성공적인 공공외교 정책 수립의 포괄적 밑바탕

ǎa ᯱǎ ǎa ᯱǎ ǎᱽʑǍ

እᱶᇡₙᩍᯱ እᱶᇡₙᩍᯱ ǎᱽᔍ⫭ ǎၝ Ⱁ*/(0T ᔢݡǎ Ⱁǎၝ Ⱁ ⰑǎԕÑᵝ᫙ǎᯙ Ⱁᰍ᫙ǎᯙ Ⱁ5"/T

1) 이 그림은 맥도웰(McDowell,2008:9)이 제시한 관계도를 바탕으로 수정되었다.

15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이 될 수 있다. 사실 이러한 관계들이 모두 타인을 이해하고 포용하는 행 위 그 자체이며 이것이 바로 공공외교인 것이다. 동시에 이러한 관계의 내 실화는 타국의 국민 및 재외국민, 해외동포, 국제기구 등 국내 및 국제사 회 구성원 모두에게 직·간접적 이익을 창출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3.2. 공공외교와 민간참여자의 역할

국제사회에서 비정부단체 및 개인이 미치는 영향력이 점차 커짐에 따 라 이들의 역할과 위치 또한 확대되고 있다. 특히 민주주의 국가들은 유 권자인 국민들의 의견에 보다 수용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으며 유권자들 은 국내문제를 넘어 해외문제에 이르기까지 관심을 가지며 이전보다 더 결집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비정부 주체는 국내를 넘어 전세계에 걸쳐 도 움을 필요로 하는 곳에 직접적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시민단체의 형식으 로 정부를 압박하는 등 국내 정책뿐 아니라 외교정책수립에 상당한 영 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비정부 참여자로 구성된 국제 NGOs 와 TANs는 국가를 넘어 국제기구에까지 그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UN, WTO, EU 와 같은 국제기구들은 일찍이 그들의 영향력을 인정하여 때로 는 각 국의 정부보다 더 긴밀히 국제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공조하고 있다 (Valencia, 2006: 90). 21세기 정보 접근성의 확대와 통신 및 교통기술의 발달은 비정부 행위 자들로 하여금 국경에 제한을 받지 않는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하여 더 이 상 공공외교에서 그들을 배제할 수 없도록 하였다. 사실 비정부 행위자들은 그 동안의 결집과 영향력 행사를 통해 공공 외교 활동에 중요한 요소인 △ 신뢰성 △ 중립성 △ 전문성 및 노하우 (Know-how) △ 네트워크 △ 자본 △ 영향력 등과 같은 역량을 갖추어 왔다. 미국 국무부는 정부, 자국 시민사회, 대학교, 인도적 지원 단체들과

155

제3장 대한민국의 공공외교와 민간참여 확대방안 같은 비정부 행위자들과의 네트워크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는데, 이러 한 비정부 행위자들은 △ 중립적 입장을 필요로 하는 갈등지역에 국가를 대신하여 지원하거나 △ 이념적 지도자를 세워 이를 전파할 수 있으며 △ 국가간 혹은 국가와 비정부 주체를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하는 등 국가 가 쉽게 접근하거나 실행할 수 없는 분야에 있어서 상당히 효과적인 역할 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또한 비정부 행위자는 정부에게 결코 없 어서는 안될 파트너인 동시에 영향력을 확대시켜 주고 긍정적 변화를 가 져다 줄 수 있는 조직이라고 설명하였다(Department of State, 2010: 14). 때때로 정부의 정책은 성과주의적이며 불균형적 정보제공 방식으로 국민을 선동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Leonard, 2002: 55). 이에 비해 비 정부 단체의 활동이 성과주의적이며 사람들을 선동한다고 여기는 사람 은 상대적으로 드물 것이다. 비정부 참여자들과 타국의 국민들과의 관계 는 기본적으로 상호이익 추구를 바탕으로 구축되어 왔으며, 비정부 단체 가 정부보다 시간과 경험면에서 앞서 있다는 라포르테(La Forte)의 말처 럼(2012: 2) 각각의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관계를 내실화 해오고 있다. 정부와 비정부 참여자와의 공조는 국가 외교정책 수행에 보다 성공적 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정부와 비정부 참여자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의 기반에는 소통의 균형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양측이 고 객과 대리인의 관계가 아닌 균형적 소통을 바탕으로 하는 파트너십 관계 를 형성할 때 보다 효과적인 성과가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 가지 중요한 점은 정부가 민간과 파트너십을 구축할 때 해당 민간단 체의 성격을 잘 이해하고 신중하게 선정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인데, 예를 들어 테러단체 또는 불법적인 성향을 가진 비정부 조직과 같은 어떤 민간 참여자들과의 활동은 정부가 추구하는 방향과는 정반대의 목적을 가질 수 있다.

15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3.3. 대한민국의 공공외교

한국정부는 이미 꽤 오랜 시간 이전부터 한국의 문화, 예술, 스포츠, 한 식 등을 해외에 알리는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해 왔다. 그러나 과거 한국 정부의 국가브랜드 이미지 제고사업은 단 방향의 일방적인 정보제공 형 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던 것이 사실이었다. 이 장에서 설명하고 있는 신공공외교라 일컬어지는 공공외교가 한국정부의 외교정책에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은 2010년으로 당시 한국정부는 공공외교를 정무외교, 경제외교와 함께 외교의 3축으로 지정하였다(Ma et al., 2012: 15). 이에 따라 외교부는 ‘공공외교정책과’를 신설하고 첫 번째로 공공외 교 대사를 임명하였으며, 정부산하기관인 한국국제교류재단(KF: Korea Foundation)은 ‘한국 공공외교포럼’을 개최하고 공공외교 활동 민간참여 활성화 방안인 ‘P2P(People to People) 외교채널’을 설립하였다. 현재 한국정부는 학계 및 정책 입안자들과의 긴밀한 공조하에 구체적인 공공외교 추진방향과 관련 정책을 모색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국제교류재 단과의 협력하에 해외 관련기관과의 민간 협력 채널 구축을 위해 노력하 고 있다(Park, 2010:5). 그러나 한국의 공공외교는 여전히 도입 초기단계로 시급한 개념확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외교부가 한국 외교관들의 보다 효과적인 공공외교 활동을 위해 출간한「 문화외교매뉴얼」에서는 공공외교를 문화외교의 상위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는(MOFA, 2010) 반면 외교부 내에서는 ‘공공외교정책과’가 ‘문화외교국’의 하급 조직 부문으로 소속되어 일관성 없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공공외교 정책의 효율성 제고 와 성공적인 외교활동 수행을 위해서는 하루빨리 이러한 부분이 개선되 어야 할 것이다. 현재 한국정부부처 중 공공외교 관련 사업에 4개(외교부,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여성가족부), 그리고 30개 이상의 정부 부처및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고 있다(Kim, 2012: 47-62). 정부의 공공

157

제3장 대한민국의 공공외교와 민간참여 확대방안 외교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확립 및 정부내 조직 개편의 필요성에 대해서 는 한국의 고위 외무공무원들 또한 그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한국정 부의 첫 번째 공공외교대사로 지명된 마영삼 대사는 국가 정부 내에 효과 적으로 공공외교를 수행하는 시스템의 부재에 대해 언급하였다(Ma et al. 2012: 18). 각 정부부처의 개별적인 공공외교 제반사업 수행으로 인해 동 일한 사업이 중복되거나 필요한 사업이 간과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 는 공공외교 총괄 컨트롤 타워의 설립 또한 신중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이와 같은 사령탑 역할을 수행하는 국가브랜드위원 회를 출범한 바 있으나 정권이 바뀌면서 위원회의 활동뿐만 아니라 존재 자체도 불투명해졌다. 앞서 언급한 외교부 발행「 문화외교 매뉴얼」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 을 공공외교의 목적으로 두고 있다(MOFA, 2010). 1) 국가전략목표 달성 기여 2) 전통적 외교활동(정치, 안보, 경제, 무역) 강화 3) 국제사회 및 타 국가에서의 대한민국 영향력 제고 4) 전 세계 국가간의 대화채널 구축을 통한 국제사회 상호이해 및 평화 증진 기여(MOFA, 2010:10)

한국정부가 내세운 이러한 공공외교 목표는 사실 다른 국가의 공공외 교 목표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실제 많은 국가들이 이러한 내용을 공공 외교의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1), 2), 3)번의 목표는 자칫 자국의 이익만을 추구한다는 부정적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정책방 향이 단 방향의 일방적인 정보 제공으로 기울어 역효과를 불러올 가능성 이 크다. 이러한 잠재적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홍보학 의 양방향 균형모델의 신중한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타국에 서 자국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국가라는 부정적 인식을 피하기 위해서는 한국 외교관들이 상대국 국민들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그들의

15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이권을 이해하는 태도를 보여야 할 것이며 비정부 참여자들과의 협력은 이러한 이해의 폭의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외의 공공외교 목표 또 한 양방향 균형모델을 통한 소통을 기반으로 실행되어야 하며 특히 보다 실질적인 현실상황을 고려하여 이러한 공공외교 목표가 단순히 듣기 좋 은 미사여구로 들리지 않도록 구체적인 정책방향 구축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3.4. 대한민국 공공외교와 한국국민의 민간외교활동

한국 국민은 높은 교육수준과 애국심, 그리고 따뜻한 정을 가진 국민 으로 잠재적으로 훌륭한 공공외교 활동 참여자가 될 수 있는 충분한 자 질을 갖고 있다. 미국 평화봉사단(U.S. Peace Corps)에 이어 세계 두 번 째 규모의 자원봉사단체인 KOICA 산하「 월드프렌즈코리아 봉사단」은 오늘날 한국 젊은이들의 뛰어난 공공외교 역량을 보여주고 있다(Chun, 2013). 이 밖에 한국의 NGOs를 포함하여 KOICA와 KCC에 소속된 수많 은 한국자원봉사단이 세계 각국에 파견되어 있으며 이러한 한국 청년들 의 적극적인 해외 자원봉사활동은 세계 평화 및 안정 구축에 매우 큰 기 여를 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낮은 문맹률과 높은 인터넷 및 SNS 사용률을 자랑하고 있다. 한국 국민의 훌륭한 자질과 더불어 이러 한 높은 정보력 및 IT 접근성은 한국 공공외교 활동에 국민의 참여를 적 극 유도해야 하는 큰 이유 중 하나이다. 한국을 알고 싶어하는 사람들에 게 인터넷상의 정보 교류를 통하여 한국에 관한 것을 알려주는 외교사절 단인 반크(VANK: Voluntary Agency Network of Korea)는 비록 양방향 균형의 정보제공에는 한계가 있으나 한국 국민들이 가진 특성과 이를 이 용하여 공공외교 활동에 참여하는 좋은 예를 보여주고 있다.

159

제3장 대한민국의 공공외교와 민간참여 확대방안 한국 시민사회와 NGOs는 생동감이 넘치며 강력하고 높은 결집력을 보 이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장 잘 설명해 주고 있는 것 중 하나는 한국의 기독교 선교단체이다. 그러나 한국의 기독교 선교단체는 한국 공공외교 활동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한국 공공외교의 목표를 자칫 수렁에 빠트릴 수 있는 위험도 가지고 있다. 정부는 재정, 인 력, 결집력, 대상지역에 도움 제공 및 그동안의 지원을 통한 네트워크 등 의 강점을 가진 선교 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 하지 만 주로 이러한 선교단체들의 목표와 대화법은 양방향 균형모델이 아닌 단방향 불균형모델로 일방적인 정보의 제공, 즉 포교를 목표로 진행될 가 능성이 높다. 특별히 공공외교의 수단으로 상대방을 바꾸려는 목적을 가 진 이러한 활동이 동반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1963년 머로우 (Murrow)는 이렇게 말한 바 있다. “진실은 가장 효과적인 선전이며 거짓 은 가장 비효과적인 선전이다. 설득력을 높이고 싶다면 신뢰와 신빙성이 기반 되어야 하는데 이는 진실되다면 함께 따라올 것이다. 간단하지 않은 가?” (Waller, 2007:158) 한국 영화배우와 대중가수들 또한 공공외교 활동에 있어 비정부 참여 자로서 훌륭한 역할을 해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한국정부는 이들의 역할 중요성을 인식하고 초창기 한류열풍이 불던 때부터 정부부 처 내 관련사업 추진 부서를 지정하여 그 중요성을 강조하여 왔다. 한국정 부는 한국의 영화, 드라마, 가요 등을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다양한 활 동을 적극 추진해 왔으며 한류 주역에 있는 인기 연예인들을 민간외교관 으로 위촉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런 거센 한류 열풍 속에서 일부 동아 시아 국가에서는 통제력을 잃은 한국 문화의 유입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 가 나오기 시작함에 따라, 이러한 반한류 정서의 확산을 막기 위한 대응 방안으로 학계, 정책수립자, 연예기획사 등 관련 참여자들은 양방향 교류 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에서 발간한「 한 류백서」는 반한류 정서확산을 막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대화의 필요성

16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227). 또한 한국문화교류재단은 한류 전문 정보 제공을 통해 상호교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류스타 그룹 ‘JYJ’의 멤버 김재중씨가 앙카라를 방 문하였을 때 터키 팬들의 질문 및 선물이 대부분 터키 문화에 관련되었던 것을 상호교환의 좋은 예로 제시하기도 하였다(Korea Foundation, 2013: 382). 이러한 터키 팬들의 행동은 한류와 한국문화에 노출된 한류 팬들조 차 양방향균형이 바탕이 되는 상호교류를 원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매우 적절한 예로서 한국 연예기획사는 이를 바탕으로 현지 연예기획사 및 연 예인과의 상호 협력을 통해 보다 건설적인 방향으로 한류물결을 확산시 킬 수 있을 것이며 실제로 한국정부 또한 상호교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강조하고 있다. 이 밖에도 해외 한류 팬들을 위해 개설된 인터넷 웹페이지 또한 한국 공공외교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한국교류재단에서는 전 세계 각 국에 개설된 온라인 한류 팬클럽 홈페이지 주소를 공개하고 있는데 터키 의 온라인 한류 팬클럽의 경우, 회원수가 약 6만여 명에 달하며 인기 여 성그룹인 ‘소녀시대’의 온라인 팬클럽 회원 수는 7만 7천여 명에 달하고 있다(Korea Foundation, 2013: 384). 오프라인을 넘어 온라인에서의 한 류 팬들의 네트워크는 갈수록 활성화되어 자체적인 소식지 발간 및 라디 오 방송 등 단순 한류를 넘어 한국문화 전체를 아우르는 넓은 범위의 정 보 제공 채널이 해외 한류 팬들에 의해 활성화 되고 있다. 이러한 해외 한 류 팬들을 통해 제공되는 한국문화관련 정보는 한국인이 제공하는 정보 보다 해당 국가의 국민들에게 보다 우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큰 장점을 갖고 있으며, 한국정부의 문화부처 또는 재외공관이 이들과 공조하여 공 공외교 활동을 진행한다면 매우 효과적인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한국정부는 상대국 국민과의 협력관계 구축을 이미 긍정적으로 검토하여 온라인 터키 한류 팬클럽 운영자인 케스넥(Hilmi Kesnek)을 앙 카라 주재 한국대사관의 문화 자문위원으로 위촉하기도 하였다. 한국정

161

제3장 대한민국의 공공외교와 민간참여 확대방안 부가 보이는 상대국 국민과의 협력관계 구축에 대한 긍정적 자세는 앞으 로 한국 공공외교 활동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 현대, LG, 기아 등의 한국 기업은 이미 세계에서 그 명성을 떨치 는 글로벌 브랜드로 한국정부는 이러한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전 세계 에 최첨단 기술력 보유 한국의 이미지를 강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한국의 글로벌 브랜드를 통한 지속적인 홍보는 북한 문제에 편향된 한국 의 이미지를 쇄신시키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 대기 업, 중소기업 할 것 없는 한국 기업의 사회적기업 활동(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은 한국정부가 공공외교의 목표를 이루는데 이바지할 수 있는 큰 장점이기도 하다. 한국 대기업들의 현지인 직원에 대한 복지와 현 지 고객 및 파트너와의 관계 제고는 한국 국가이미지 개선에 상당한 영향 을 미치고 있으며, 더 나아가 한국 기업들과의 직접적 관계를 통해 얻은 경험은 간접적으로 보거나 읽어서 얻은 정보보다 더 영향력 있고 오래 지 속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렇듯 한국 기업들이 정부의 공공외교 활 동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은 매우 크며 그만큼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가 져올 수도 있는 반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영국의 THE(Times Higher Education) 종합평가에 따르면 전 세계 대 학 중 한국의 4개 대학이 세계 200위 대학에 선정되었으며(Times Higher Education, 2014a), 아시아 내 대학 중에서는 한국의 14개 대학이 아시아 100위 대학에 선정되었다(Times Higher Education, 2014b). 한국의 대학 들은 최첨단 기술이 구비된 교육시설을 토대로 특히 공학기술 분야에서 높은 수준을 자랑하고 있으며 최근 많은 대학들이 대학의 글로벌화를 목 표로 국제 네트워크 구축에 노력하고 있다. 한국 대학들의 뛰어난 연구 역량을 동반한 제반사업과 시설의 선진화, 그리고 국제 네트워크는 한국 공공외교 활동에 큰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일례로 이화여 자대학교는 한국 대학으로는 최초로 공공외교센터를 설립, 외교부와 한 국교류재단과의 공조를 통해 보다 체계적인 한국 공공외교 컨텐츠 구축

16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에 적극 기여하고 있다. 한국의 유명 운동선수들 또한 국가 이미지 제고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해외활동을 통해 알려진 한국의 유명 운동선수들은 대규 모의 팬 층을 확보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전 세계 기자단, 동료 운동선수, 유 명인사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활동국가에서 한국의 명예 외교사절로 서의 역할을 훌륭히 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김연경(배구)과 박지성 (축 구) 같은 유명 운동선수들은 양방향 균형소통모델을 바탕으로 자연스럽 게 자국과 상대국을 잇는 중간 다리 역할을 훌륭히 수행해낼 수 있을 것 이다. 언론과 각종 연구 등을 통해 나타난 한국 외교관들의 생각과 최근 한 국정부가 보여주고 있는 적극적인 민간 협력채널 구축 의지를 통해 한국 정책입안자들이 민간의 공공외교 활동 참여와 그 영향력에 대해 주시하 고 있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2) 실제로 한국정부는 민간과의 효과 적인 협력 채널 구축의 일환으로 공공외교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시 니어공공외교단’, 한국에서 연구중인 외국인 교수와 학자들이 참여하는 ‘공공외교 학술그룹’,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학생과 한국 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청년공공외교단’을 출범하였다(MOFA, 2013).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자신들과 공통된 입장에 있는 사람들의 의견을 보다 잘 수용할 수 있는 것처럼(Leonard, 2002: 55) 현재 한국정부가 실행 하고 있는 한국에서 연구활동을 하고 있는 외국인 학자들과의 협력 채널 구축은 매우 효과적인 정책이라 할 수 있으며, ‘공공외교 학술그룹’과의 협 력을 통하여 보다 자유롭게 타국에서 한국의 공공외교사업을 전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양방향 균형모델을 적용한 매우 좋은 예이며 참여자들 의 국가와의 정부간 협력채널 구축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국제교류재단은 해당 홈페이지의「 국민참여」와「 민간외교단체커

2) 해 당 기고와 관련해서는 마영석 대사(Ma et al., 2012)를 참조. KF의 김태환 공공외교 부장과 차두현 교류협력이사 또한 민간과의 협력 중요성을 언급한바 있음.

163

제3장 대한민국의 공공외교와 민간참여 확대방안 뮤니티」를 통해 국민들이 국제사회의 비종교, 비정치, 비수익 사업활동 에 참여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해당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시민사회 및 민간의 공공외교 활동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있다(Korea Foundation, 2013b). 이러한 정책은 민간의 공공외교 참여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법 인 동시에 한편으로는 정부가 민간에 다가가는 것이 아닌 일차적으로 민 간의 참여지원을 통해서만 참여가 이루어진다는 면에서 수동적인 태도 를 보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공공외교 활동에 민간의 참여를 보다 활성 화하기 위한 보다 능동적인 방안으로는 자체적으로 민간 외교활동을 수 행하고 있는 민간단체를 선정하여 보다 효과적인 민관협력을 위하여 그 들과 적극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한국국제교 류재단은 민간 참여활동을 ‘비종교적인 활동’으로 그 한계를 규정하고 있 는데 비록 종교에 바탕을 둔 활동이라 하더라도 일방적인 포교활동으로 치우치지 않는다면 한국 공공외교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실질적인 협의 및 감독을 통해 보완될 수 있는 부 분 일 것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종교단체들의 결집력은 공공외교수행 사업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데 한국의 7대 종단 기독교, 불교, 유교, 원불 교, 천도교, 천주교, 민족종교(역자 주)의 지도자들이 참여하는 연대 협 력기구인 한국종교인평화회(KCRP: Korean Conference of Religion and Peace)는 종교단체가 한국 공공외교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것 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KCRP는 활동범위를 국제사회로 넓혀 양방향 균형관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 밖에도 KCRP 와 유사한 한국의 비정부 단체들이 국제사회에서 자체적으로 활동하며 한국공공외교 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고 여건을 조성해 나 가고 있다. 2013년 한국국제교류재단은 전 세계 각국의 공공외교 관련 전문가 및 주요 인사를 초청,「 KF글로벌 세미나」를 개최 하였다. 이 세미나에서는 국가와 민간 참여자들간의 상호이해와 장기적인 균형 관계수립 기반의 네

16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트워크 구축안이 논의되었으며 한국이 이뤄낸 기존의 성공적인 상호이익 네트워크 구축 사례와 함께 외국인 참여자들은 한국국제교류재단이 이 러한 네트워크의 중심 허브로서 역할을 수행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에 따 라 한국국제교류재단은 이 같은 선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독립적 기 구의 출범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2014년 10월에는 협력과 교류 중심의 네트워크인 ‘글로벌 공공외교네트워크’ 출범을 예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체적인 민간참여 네트워크 구축안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국 내 및 해외의 비정부 참여자와의 관계에 있어서 이들의 역할이 자칫 정 부에 비하여 제한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조건 이 전제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첫째, 정부는 참여하는 민간 및 단 체가 추구하는 이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상호간에 공유하는 목적을 설정하여 보다 이상적인 민관협력 관계를 설정해야 한다. 둘째, 정부가 민 간 참여자들과 협력할 때, 주종관계(patron-client)를 회피하기 위하여 정 부는 각기 다른 지식과 생각을 조화롭게 결합할 수 있는 바운더리 스패 너(boundary spanner)이자 효율적으로 일의 수행을 도와주는 촉매자(fa- cilitator)의 역할을 해야 한다. 이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된다면 공공외교 활 동성과 제고를 위한 민관협력을 보다 성공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 다(Hemery, 2005:196; Fitzpatrick, 2007: 198). 비슷한 맥락으로 리오단 (Riordan)은 정부와 외교관들은 비정부 참여자와의 관계에서 민간의 참 여를 이끌어 내는 수준에서 더 나아가 점차 그들의 참여를 확대하고 필요 한 경우 기술적 및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는 기폭제(catalysts)로서의 역할 을 수행하여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2005: 191).

165

제3장 대한민국의 공공외교와 민간참여 확대방안 결론

신공공외교가 추구하는 방향은 정부의 독자적인 활동이 아닌 민간과 의 긴밀한 협력을 통한 외교 활동이며 이에 맞춰 한국 정책입안자들과 외 교관들 또한 2010년을 기점으로 공공외교의 민간참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해 오고 있다. 더욱이 한국의 시민사회와 국민들은 정부의 공공외교 목표 성취에 기여할 수 있는 뛰어난 역량과 자질을 갖추고 있으며 이미 상당부분 대한민국의 공공외교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 은 민간과 정부의 협력을 강조하는 신공공외교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 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국제교류재단과 외교부가 현재까지 보여준 비정부 참여자의 협력관계 채널 구축 확대를 위한 노력은 공동의 목표를 공조할 수 있는 파트너를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기 보다는 참여를 원하는 민간의 지원을 기다리고 있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온 것도 사실이다. 또한 한국정부는 최근 나타난 반 한류 정서를 한국 공공외교의 미래에 양방향 정보전달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계기로 삼아 앞으로 양방향 균 형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공공외교 정책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 한 구체적인 대안으로 비정부 참여자와의 신뢰기반의 협력 네트워크 구 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미 많은 한국의 비정부 참여자가 갖추 고 있는 자질인 △ 신뢰성 △ 중립성 △ 효율성 △ 유연성 △ 정치적 영향 력 △ 고급 인적네트워크 △ 전문성 및 노하우(Know-how) △ 자본 △ 영향력 등을 신중히 고려하여 한국 공공외교를 위한 민관 파트너십을 구 축한다면 앞으로 한국 공공외교의 미래는 밝을 것이다.

16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참고문헌

Chun, S.W. (2013) ‘KOICA, Peace Corps to team up for overseas volunteer projects,’ Korea Herald, 24 September 2013, http://www.koreaherald. com/view.php?ud=20130924000821&mod=skb Cull, N.J. (2010) ‘Public diplomacy: Lessons from the past,’ Place Branding and Public Diplomacy, 6, 11-17, http://annenberg.usc.edu/images/pdfs/ pubd/cull_pd_report_for_fco_final_version.pdf Delaney, R.F. (1968) ‘Introduction’ in A.S. Hoffman (ed.), International Com- munication and the New Diplomacy (Bloomington, IN: India Univer- sity Press) quoted in Straughen, Harriet (2011) ‘Image is everything: The importance of public diplomacy i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MIFTAH, http://www.miftah.org/Doc/SpecialStudies/2011/Image_is_ everything.pdf Department of State (2010) Leading Through Civilian Power: The First Quadrennial Diplomacy and Development Review (Washington, D.C.). Fitzpatrick, K.R. (2007) ‘Advancing the New Public Diplomacy: A Public Re- lations Perspective,’ The Hague Journal of Diplomacy, 2(3), 187-211. Gangadean, A. and Swidler, L. (2000) ‘Seven Stages of Deep-Dialogue/ Criti- cal Thinking,’ Dialogue Institute at Temple University, http://institute. jesdialogue.org/fileadmin/DI/SEVEN%20STAGES%20W%20PHO- TOS.pdf Gregory, B. (2011) ‘American Public Diplomacy: Enduring Characteristics, Elusive Transformation,’ The Hague Journal of Diplomacy, 6, 351-372. Grunig, J.E. and Hunt, T. (1984) Managing Public Relations (Fort Worth, TX: Harcourt, Brace, Jovanovich) Chapter 2, quoted in Grunig, J.E. (1993) ‘Public relations and international affairs: Effects, ethics and re-

167

제3장 대한민국의 공공외교와 민간참여 확대방안 sponsibility,’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47(1), 137-162. Hemery, J. (2005) ‘Training for Public Diplomacy: An Evolutionary Per- spective’ in Jan Melissen (ed.), The New Public Diplomacy, Basing- stoke: Palgrave Macmillan. Kim, H.J. (2012) ‘Munhwaoikyo wa Kukjemunhwakyoryu Bumun Jeongchaeksoohangchekye ui Kaeseonbangan [Improving Policy Im- plementation System in Cultural Diplomacy an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NARS Hyunan Bokoseo, 145. Korea Foundation (2013a) Jigucheon Hallyuhyeonhwang II [Current State of Hallyu in the Global Village II], Seoul: NCL Peoples. Korea Foundation (2013b) http://www.kf.or.kr/?menuno=295 and https://www. kf.or.kr/?menuno=44&type=view&evnt_no=257&pageIndex=2&searc hevnt=0 La Porte, T. (2012) ‘The Legitimacy and Effectiveness of Non-State Actors and the Public Diplomacy Concept,’ Public Diplomacy Theory and Conceptual Issues,’ ISA Annual Convention, San Diego, April 1-4, 2012. Leonard, M. (2002) Public Diplomacy, London: Foreign Policy Centre. Ma, Y.S., Song, J.H. and Moore, D. (2012) ‘Korea’s Public Diplomacy: A New Initiative for the Future,’ Issue Brief, 39, http://en.asaninst.org/issue- brief-no-39-koreas-public-diplomacy-a-new-initiative-for-the-future/ Malone, G. (1985) ‘Managing public diplomacy,’ Washington Quarterly 8(3) quoted in Gilboa, E.(2008) ‘Searching for a theory of public diplomacy,’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616(1), 55-77. McDowell, M. (2008) ‘Public Diplomacy at the Crossroads: Definitions and Challenges in an “Open Source” Era,’ The Fletcher Forum of World

16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Affairs, 32(3), Special Edition, http://www.eastwestcoms.com/images/ Public_Diplomacy.pd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Hallyu Baekseo [Hallyu White Paper], Seoul: Korea Culture and Tourism Research Center.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0) Munhwawaegyo Maenyueol [Cultural Di- plomacy Manual], Seoul: CLP People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3) The Opening Ceremony of the Center for Public Diplomacy and the Appointment Ceremony for Public Diplo- mats to Take Place, http://www.mofa.go.kr/ENG/press/pressreleases/ index.jsp?menu=m_10_20&sp=/webmodule/htsboard/template/read/ engreadboard.jsp%3Fboardid=302%26typeID=12%26tableName=TYP E_ENGLISH%26seqno=312569 Park, C.H. (2010) ‘Groping for New Governance in Korean Public Diplo- macy,’ Jeju Peace Institute-Korea Foundation-U.S. Embassy Seoul Joint Symposium (Jeju: Jeju Peace Institute), http://jpi.or.kr/board/ run/download.php?board_id=EnCD&page=1&vnum=70&row_per_ page=15&page_per_block=10&pds_uid=4045 Riordan, S. (2005) ‘Dialogue-based Public Diplomacy: a New Foreign Policy Paradigm?,’ in Melissen, J. (ed.), The New Public Diplomacy, Basing- stoke: Palgrave Macmillan. Sleap, F. and Sener, O. (2013) Dialogue Theories (London: Dialogue Society) The Edward R. Murrow Center of Public Diplomacy at The Fletcher School (2010) Definitions of Public Diplomacy, http://fletcher.tufts.edu/mur- row/pd/definitions.html Times Higher Education (2014a) World University Rankings 2013-2014, http:// www.timeshighereducation.co.uk/world-university-rankings/2013-14/ world-ranking

169

제3장 대한민국의 공공외교와 민간참여 확대방안 Times Higher Education (2014b) Asia University Rankings 2014 Top 100, http://www.timeshighereducation.co.uk/world-university- rankings/2013-14/regional-ranking/region/asia Tuch, H. (1990)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US public diplomacy over- seas (New York: St. Martin’s) quoted in Gilboa, E.(2008) ‘Searching for a theory of public diplomacy,’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616(1), 55-77. USIA (1997), ‘Definition of Public Diplomacy,’ quoted in Leonard, Mark (2002) Public Diplomacy, London: Foreign Policy Centre. Valencia, R. (2006) ‘The Role of Non-State Actors in Multistakeholder Di- plomacy,’ in Kurbalija, J. and Katrandjiev, V. (eds.), Multistakeholder Diplomac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Geneva and Malta: Diplo- Foundation. Waller, M. (2007) The Public Diplomacy Reader, Washington: IWP Press.

17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4 KOREA’S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PERSPECTIVES

INTRODUCTION

Korea’s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policy is considered an essential contributor to “The Miracle on the Han River.” This policy allowed Korea to transition from a poor economy to a rich economy in just a few decades. This chapter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for Korea and explores how Korea plays a global role in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Additionally, this chapter examines Korea’s role as a major contributor to economic development in the developing world. As a result, the chapter is organized as follows. Section 4.1 describes Korea’s economic miracle, while Section 4.2 describes roles Korea’s role in international trade. Section 4.3 illustrates the roles of Korea as a global investor. Section 4.4 describes the position of Korea in an environment of global free trade environment. Finally, Section 4.5 concludes the chapter.

4.1. KOREA’S ECONOMIC MIRACLE

A few decades ago, South Korea was characterized by having a poor economy. World Bank statistics indicate that the value of Korea’s gross domestic products (GDP) in 1960 (in current prices) was just 3,891 million USD while it was 1,304,554 million USD in 2013. Similarly,

171

4. Korea’s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Perspectives per-capita GDP in 1960 was 156 USD while it was 25,977 USD in 2013 (World Bank, 2013). The above numbers show that Korean economy enlarged by 335 times and that per-capita GDP increased by 167 times over the past 50 years. This transformed Korea from a poor country into one of the richest in the world. In fact, Korea was the world’s 12th largest economy in 2013 (IMF, 2014). Korea’s economic growth, referred to as “the Miracle on the Han River,” began at the end of the Korean War. This export-led growth policy, especially in the manufacturing sector, coincided with efficient industrial policy and is recognized as an essential contributor to the miracle (Krueger, 1985). For instance, exports have been promoted through devaluation of exchange rates in the 1960s while import controls have been gradually liberalized (Nam, 1990). By the 1970s, the value of Korean currency was reduced by 40% compared to the 1960s (Edwards, 1992). The growth rate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creased from 9% to 27% from the 1950s to the 1970s. This stimulated the exports of manufactured products by 22% (Kim and Roemer, 1979). In other words, Korea’s export promotion policy encouraged the production of manufactured products and contributed to the success of industrialization (Trindade, 2005). Under the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model, Korea adopted sector-specific-industrial development strategies over time. Labor-intensive industries represented the key sectors for the expansion of industrial exports during the 1960s. They were changed to heavy and chemical industries from the 1970s to 1980s, especially towards the industries with long-term potential such as automotive, shipbuilding, electronics and steel industries. Here, Korea also hoped to reduce the economy’s reliance on imported capital and intermediate goods (Amsden and Barton, 2004). Accordingly, Chaebol received various benefits, such as reduced corporate and private income taxes and tariff exemptions on raw materials imported for export production, as incentives from the government to invest in

17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heavy industries (Savada and Shaw, 1990; Park and Markusen 1995). High-technology industries such as semiconductors were promoted in the 1980s. The policy of providing governmental support to knowledge- intensive industries, including to the financial sector, was emphasized in the 1990s, especially after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The government emphasizes regional innovation as the central policy of the nation for this twenty-first century (Huang and Bocchi, 2009). Currently, the major industries in Korea ar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metal products, chemicals, transport equipment and machinery. Current evidence demonstrates the success of the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policy and reveals, for example, that the automobile industry of Korea is the fifth largest in the world (behind China, Japan, the U.S. and Germany) in terms of productive capacity in 2009, and that Korea accounts for approximately 6% of global automobile production (Haugh, et. al., 2010). Hyundai, GM Korea and Kia are the three largest producers,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90% of automotive production (KAMA 2012). Apart from the automobile, Korea is the global leader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Korea surpassed Japan and became the world’s largest shipbuilder in 2003. Today, Hyundai Heavy Industries is the world’s largest shipbuilder. The other major shipbuilders of Korea include Samsung Heavy Industries and Daewoo Shipbuilding and Marine Engineering (ECORYS, 2009). Korea is also a leader in steel industry. In 2012, Korea was ranked at 6th largest crude steel producer of the world (69 million tons). The POSCO alone produced 40 million tons of crude steel, becoming the world’s 5th biggest steel company. Today, Korea is the world’s 4th largest exporter of steel 30 million tons, behind China, the European Union and Japan (World Steel Association, 2014).

173

4. Korea’s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Perspectives 4.2. KOREA AS AN INTERNATIONAL TRADE CONTRIBUTOR

As previously stated, Korea adopted an export-led growth policy in the 1960s. The primary approach in the 1950s was based on the import substitution industrialization policy. The success of this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policy altered Korea’s patterns of trade, as presented in Table 1. The majority of exports from Korea in the 1960s included

Table 1. Korea exports to the world (per cent of total exports)

SITC* 1962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3 03 Fish 14.8 10.2 4.8 7.1 3.9 2.6 2.1 1.3 0.8 0.4 0.3 0.3 05 Fruit 3.8 3.2 2.3 1 1 0.6 0.4 0.3 0.2 0.1 0.1 0.1 26 Textile fibers 7.8 4.4 5 0.8 0.4 0.3 0.5 0.9 0.6 0.4 0.3 0.3 27 Crude fertilizers 2.8 2.5 1.1 0.5 0.3 0.2 0.2 0.1 0.1 0 0 0.1 28 Metalliferous ores 21.1 10.1 3.7 0.7 0.2 0.1 0.1 0 0 0.2 0.2 0.1 29 Crude animal mat. 5.3 3.9 1.8 0.7 0.5 0.3 0.5 0.3 0.2 0.1 0.1 0.1 51 Chemical elements 1.5 0.1 0.2 0.8 1.2 0.9 1.3 2.4 3.1 3.9 4.2 5 58 Plastic materials 0 0 0.2 0.2 0.8 1.1 1.6 3.7 3.7 4.5 4.6 4.9 63 Wood 4.1 10.4 11 4.5 2.3 0.2 0.1 0.1 0.1 0 0 0 65 Textile yarn 3.9 15 10 12.8 12.6 8.3 9.3 9.8 7.2 3.7 2.4 2.2 67 Iron 1 7.3 1.6 4.6 9.4 6 5.7 4.5 4 5.1 5.3 4.8 71 Machinery 0.5 1.4 1 1.5 2.1 3.7 7.7 9.6 16.9 12.9 11.2 10.4 72 Electrical machinery 0.2 1.1 5.2 8.7 11 11.9 19.3 28.8 25.9 28 23.6 24.5 73 Transport equip. 1.8 0.6 1.1 3.6 6.6 20.7 9.8 13.1 14.3 19.3 22 19.8 84 Clothing 2 11.8 25.1 22.6 16.9 14.7 12.3 4.3 3.1 0.9 0.3 0.4 86 Scientific instrum. 0.2 0.2 0.4 1.3 1.8 1.2 1.3 1.4 1.2 4.1 8 6.2 89 Mis. manufactures 0.8 5.1 13.4 7.6 5 5.9 8.3 5.3 4 2.5 1.7 1.5 Source: Author’s calculation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KITA). * SITC: Standard International Trade Classification Revision 1.

17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mostly primary goods: fish, textile fibers, metalliferous ores and wood. However, the shares of these products declined over time. Conversely, shares of exported industrial products increased significantly, including machinery, electrical machinery,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In terms of imports, the share of imports of raw materials product has increased over time. The statistics from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KITA) show that petroleum products (SITC 33), as a share of Korea’s total imports, increased from 7% to 25% from 1962 to 2013. The same patterns can be observed in gas and natural materials (SITC 34), which rose from 0.1% to 7% across the same time period. Additional increases in imports are found in machinery equipments (SITC 71) and also in electrical machinery, equipment and appliances (SITC 72). These statistics affirm the industrialization of Korea’s economy. Changes in Korean trade across the decades occurred not only in the composition of products but also in the distribution of trade partners. The statistics from KITA indicate that across the decades Korea traded less with developed countries and more with developing economies. During 1986 to 2011, Korea’s share of trade with the U.S. declined from 31% to 9%, while its share with China increased from 1% to 20%. In 2011, emerging markets accounted for 68% of Korea’s total trade while the advanced countries held only 32%. Korea imports mainly raw materials and natural products, and here the patterns of Korea’s imports also reflect increases in trade complementarity vis-à-vis developing countries. Table 2 exhibits the share of products which Korea imports from 109 developing countries, as classified by the World Bank (World Bank, 2013). The table shows that Korea’s imports of primary products and light industrial products from developing nations increased over time. Certain products account for more than of 70% of total imports of Korea, including fish and crustaceans, leather and fur, textiles, headgear, base metals, tools and cutlery.

175

4. Korea’s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Perspectives Table 2. Korea’s imports from developing countries (per cent of total imports)**

HS* 1962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3 03 Fish and crustaceans n/a n/a n/a n/a 4 5 14 65 64 73 74 74 04 Cereals, Dairy produce n/a 0 0 4 1 4 0 3 47 48 21 66 08 Edible fruit and nuts n/a n/a 15 4 41 35 27 76 64 70 60 67 26 Ores, slag and ash 6 2 1 1 5 8 14 30 38 29 49 47 29 Organic chemicals 2 13 7 36 23 21 24 43 44 43 43 53 42 Articles of leather 3 1 2 39 68 79 70 72 65 65 73 70 43 Fur skins and artificial n/a n/a n/a 2 19 15 21 59 52 59 70 79 56 Wadding, felt nonwoven 3 6 n/a 12 n/a 9 19 47 46 49 36 43 61 Knitted/ crocheted fabric n/a n/a 1 0 4 10 25 28 42 67 75 70 62 Apparel & clothing n/a 1 n/a 2 4 2 5 10 19 32 40 45 63 Textile articles 42 n/a 1 5 8 40 70 73 76 78 87 82 64 Footwear & gaiters 0 n/a 0 0 0 0 2 9 23 34 40 44 65 Headgear 6 0 0 1 3 4 21 50 62 67 78 78 66 Umbrellas n/a n/a n/a 0 1 1 8 15 21 35 39 52 67 Prepared feathers 0 2 1 3 0 4 18 43 37 47 48 51 68 Articles of stone 8 5 6 12 15 14 14 34 33 44 40 41 69 Ceramic products n/a 0 0 3 0 1 4 6 12 31 49 46 72 Iron and steel n/a 0 0 0 2 1 6 7 17 29 43 45 81 Other base metals n/a n/a n/a 0 0 0 11 13 13 51 63 71 82 Tools, cutlery n/a n/a 1 0 2 2 9 29 40 75 71 72 83 Miscellaneous articles n/a n/a n/a 1 n/a 6 17 47 46 59 49 48 Source: Author’s calculation based on data from the UN Comtrade. * HS: Harmonized System Codes. **Only products with values of share greater than 40% are reported.

The above figures demonstrate the essential role of Korea in international trade. Korea not only is one of the world’s major exporters

17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in crucial industries but also plays a significant role as a major export destination for emerging economies. Economic theory, generally, posits that exports do accelerate the economic growth of the nation (Edwards, 1991; Grossman and Helpman, 1991; Giles and Williams, 2000). Accordingly, Korea is one of the crucial contributors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developing world through export-led growth.

4.3. KOREA AS A GLOBAL INVESTOR

Before the 1980s, the amoun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both inward (IFDI) and outward (OFDI), was quite small. In case of IFDI, Korea has followed a passive liberal policy. The IFDI was discouraged unless it was deemed necessary for technology access or exports. One of the reasons that Korea discouraged IFDI was the fear that the economy would be dominated by foreign interests,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domestic firms’ competitiveness. Before 1981, the government had opened up of a large number of business areas to foreign investment. The IFDI mainly flowed into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eventually shifting away from labor intensive industries to more capital intensive ones during the 1990s. The U.S. and Japan were the main investors. European countries were just starting to invest in Korea in the late 1990s (ESCAP, 1998). The IFDI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sam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in 1994. In the aftermath of the 1997 financial crisis, IFDI was considered as an essential factor for reviving the Korean economy. Since 1998, various policies for promoting IFDI were implemented. Many legislative acts related to investment have been revised, and the restrictions on shareholdings by foreign investors in some public enterprises have been relaxed. Special economic zones have been established (Nicolas, 2003). These policies led to a significant

177

4. Korea’s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Perspectives impact on the amount of IFDI, as displayed in Figure 1. The IFDI continued to increase over time, except for an interruption in 2008 due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Figure 1. Stocks of Korea inward and outward FDI (million USD)

250000

200000

150000

IFDI 100000 OFDI

50000

0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Source: Author’s calculation based on data from UNCTADstat databases.

At this juncture, it is useful to scrutinize the Korean OFDI. According to Figure 1, Korean OFDI has emerged in greater quantity since the late 1980s, jumping significantly since 1994 with the WTO, similar to the IFDI. Korea’s OFDI continued increasing rapidly since the mid- 2000s. In 2008, OFDI surpassed IFDI, making Korea a net exporter of direct investment. The government first allowed Korean companies to invest overseas in 1968. Before the 1980s, Korean OFDI was in the learning stage with a small amount of investments (Park and Lim, 2000). In the early and mid 1980s, the OFDI was regarded as an investment for seeking natural resources. The second phase of Korean OFDI stared in the late 1980s when Korean companies tried to manage the difficulties of exports due to higher trade barriers in major markets.

17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The third phase of OFDI was caused by the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firms in the 1990s. The major conglomerates (Chaebols), such as Daewoo and Samsung Electronics, aimed to increase their overseas share of productions and sales. This was in line with the promotion of the globalization policy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domestic productivity of the firms also raised Korean OFDI considerably (Jang and Hyun, 2012). The 1997 financial crisis motivated Korean firms to initiate extensive restructuring. Some investment plans were cancelled or delayed until the early 2000s. The Korean economy recovered from the crisis in the mid- 2000s. Many factors drove this increase in OFDI. The appreciation of the won currency made Korean firms engage in more outward foreign investment. The soaring outward investment after the mid-2000s was characterized by the combination of cost-reducing investments and market-seeking investments (Kwak, 2007). Figure 2 displays the main destinations of Korea’s OFDI during 1985 to 2012. Natural resource-seeking investments led to North America, Asia and the Middle East becoming the major recipients of Korean

Figure 2. Korea OFDI by destination, 1985-2012 (per cent) EUROPE 15% OCEANIA & POLAR REGIONS 3% AFRICA 1%

NORTH AMERICA 21%

ASIA CENTRAL AMERICA SOUTH AMERICA 53% 5% 2%

Source: Author’s calculation based on data from the OECD StatExtracts databases.

179

4. Korea’s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Perspectives OFDI. Nevertheless, the OFDI from Korea has been distributed over the different regions across time. Figure 2 shows Asia is still the largest destination for Korean OFDI (53%) followed by North America (21%), and investments of Korean companies in the other regions also increased essentially: Europe (15%), Central America (5%), Oceania (3%), South America (2%) and Africa (1%). Figure 3 displays the classification for Korean OFDI. A few decades ago, the natural resource-seeking investments went to the primary industries, including the mining industry. Nonetheless, the OFDI after the mid-2000s were significantly represented by cost-reducing and market-seeking investments. The empirical research posited that small and medium sized Korean firms invested primarily in Asia to search for cheap labor, while large firms invested in major markets such as North America and Europe to secure market share and to acquire and develop technology (Nam and Craig, 2002; Kim and Rhe, 2009). Finally, based on Figure 3, the

Figure 3. Korea OFDI by industry, 1985-2012 (per cent)

FINANCIAL REAL ESTATE, RENTING OTHER SERVICES AGRICULTURE AND INTERMEDIATION AND BUSINESS ACTIVITIES 2% FISHING 6% 10% 1% TRANSPORTS, STORAGE MINING AND QUARRYING AND COMMUNICATION 12% 2% HOTELS RESTAURANTS 1%

TRADE AND REPAIRS 17% ELECTRICITY, GAS AND MANUFACTURING WATER 46% CONSTRUCTION 1% 2%

Source: Author’s calculation based on data from the OECD StatExtracts databases.

18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manufacturing industry holds the largest portion of Korean OFDI (46%), followed by trade and repairs (17%), mining and quarrying (12%), real estate (10%) and financial intermediation (6%). The service sectors account for a significant share of Korean OFDI. Table 3 illustrates the essential role of Korea in the investment of the developing world. The statistics indicate that 91% of total OFDI from Korea flowed to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industries in the developing countries in 2013. Only 9% flowed to the same sector in the advanced countries. In 2013, besides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industries, the evidence implies that currently the major share of OFDI from Korea flowed to developing nations rather than to the advanced economies in certain industries: manufacturing (80%), sewage and waste management (97%), construction (78%) and accommodation and food-service activities (63%). These are the core industries of many developing economies. The empirical studies affirmed that Korean OFDI benefitted the recipients. For instance, the OFDI from Korea to China contributed to exports of China (Shumei, 2003; Xiangfeng, 2005). Moreover, Korean OFDI led to significant technology transfers into countries in South East Asia (ASEAN) (Ryou and Song, 1993). The facts above suggest that Korea is one of the crucial contributors to economic development in the developing world.

181

4. Korea’s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Perspectives 4.4. KOREA: ESSENTIAL ROLES IN GLOBAL FREE TRADE

Korea’s economy has been strongly driven by an export-oriented trade policy since 1960, and market opening and liberalization policies were particularly emphasized during the 1980s.

Table 3. Korea’s OFDI flows to developing countries* (per cent)

Industry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3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91 54 91 22 69 99 91 Mining and quarrying 28 87 83 68 84 32 39 Manufacturing 89 54 76 59 82 84 80 Electricity, gas, steam and water supply 43 43 Sewerage, waste management, materials recovery 79 84 97 Construction 53 58 47 59 82 78 Wholesale and retail trade 18 12 28 33 30 Transportation 37 41 68 25 39 53 Accommodation and food service activities 76 81 92 36 42 63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14 33 9 36 11 Financial and insurance activities 61 16 18 39 89 32 33 Real estate activities and renting and leasing 56 33 47 15 45 23 63 Profess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activities 56 30 20 16 8 Business facilities management and business support 36 12 64 46 9 Education 5 4 28 34 40 Human health and social work activities 31 40 13 Arts, sports and recreation related services 5 11 30 38 39 Membership organizations, repair and personal service 67 6 18 86 61 Source: Author’s calculation based on data from Korea Exim Bank * Developing economies composed of 109 countrie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World Bank.

18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Since the 1990s, trade policy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globalization.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however, alerted Korea to the structural weaknesses of its economy. The government tried to overcome the crisis through various policies, including the stimulation of exports and investments. Regional cooperation through free trade agreements (FTAs) became one of Korea’s crucial policies. The policy on the FTAs of Korea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phases (Myoung et. al., 2014). The first phase, 1998-2004, saw the initiative for a Korea-Chile FTA in 1998, as the first free trade agreement of Korea. The main objective was to overcome the structural weakness of the Korean economy exposed by the financial crisis, and to maximize the economic benefit from market expansion and foreign investment (Sohn and Yoon, 2001; Jung, 2003; Lee, 2012). The agreement entered into effect after April 1, 2004.

Table 4. Korea free trade agreement (as of July 2014) Concluded FTAs under FTAs under FTAs in effect year FTAs year negotiation year consideration year Korea- Korea-Chile 2004 Korea-Turkey 2012 Korea-Canada 2005 MERCOSUR 2005 Korea- Singapore 2006 Korea-Colombia 2011 Korea-Mexico 2006 Korea-Israel 2009 Korea-Central Korea-EFTA 2006 Korea-GCC 2008 America 2010 Korea- Korea-ASEAN 2007 Korea-Australia 2009 Malaysia 2011 Korea-New Korea-India 2010 Zealand 2009 Korea-EU 2011 Korea-China 2007 Korea-Peru 2011 Korea-Vietnam 2010 Korea-U.S. 2012 Korea-Indonesia 2011 Korea-China- Japan 2010 RCEP +6 2012 Korea-Japan 2008 Sourc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Korea

183

4. Korea’s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Perspectives The second phase, 2004 to 2012, witnessed the Korean government publishing an FTA roadmap with certain economies: the U.S., the EU, China, Singapore, Mexico, Canada, and the 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 (EFTA). Finally, the FTAs with the EU and the US went into effect in 2011 and 2012, respectively. The third phase, from 2012, is characterized by the Korean government publishing its New Trade Roadmap in June 2013. The roadmap specified the roles of Korea in the economic integration of East Asia through the US-led Trans-Pacific Partnership (TPP) and the China-led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Under the roadmap, Korea would also sign TFA agreements with Turkey, Australia, Canada and some ASEAN countries such as Indonesia and Vietnam, in order to promote trade and investment for Korea. Negotiations on the Korea–China FTA and the Korea–China– Japan FTA were launched simultaneously. Table 4 summarizes the recent (as of July 2014) FTA agreements of Korea with its trading partners.

CONCLUSION

This chapter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of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for Korea and explored how Korea plays a global role in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Korea’s economic miracle start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its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policy. The success of the same policy allowed Korea to become a world leader in important industries such as automobiles, shipbuilding and steel. During the last few decades, the volume of trade between Korea and advanced economies has declined, while trade between Korea and emerging economies has substantially increased. In addition, Korea witnessed changes in its structure of trade, importing more from the developing world, with primary products, commodities and light manufacturing leading to trade complementarity with developing

18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economies. This led to Korea becoming a crucial export destination of the developing nations. Accordingly, Korea is one of the crucial contributors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developing world through export-led growth. Regarding investments, the amount of outward FDI surpassed the amount of inward FDI after 2008, making Korea a net exporter of direct investment to the world. The patterns of outward FDI changed from natural resource-seeking investments to a combination of cost- reducing and market-seeking investments. Korean OFDI became widely distributed across various regions, including the developing world. The evidence suggests that FDI from Korea contributes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low-income nations through increases in exports of the host countries and especially through technology transfers. Accordingly, Korea plays a significant role in world trade and investment. In particular, Korea is a crucial contributor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The policy focusing on global FTAs, with the New Trade Roadmap and the FTA Roadmap, will surely continue to enhance to Korea’s global role.

185

4. Korea’s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Perspectives REFERENCES

Amsden, A. H. and Barton, L. (2004) ‘Import Substitution in High-tech Industries: Prebisch Lives in Asia!’, CEPAL Review, 82, 7-91. ECORYS, (2009). Study on Competitiveness of the European Shipbuilding Industry, Final report for the European Commission, ENTR/06/054. Edwards, C. (1992) ‘Industrialization in South Korea’, in Hewitt, T., Johnson, H., Wield, D. (Eds.), Industrialization and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Edwards, S. (1991) ‘Trade orientation, distortions and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NBER Working Papers No. 3716, Th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Giles, J. A. and Williams, C. L. (2000) ‘Export-led growth: a survey of the empirical literature and some non-causality results, Part 1’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 Economic Development, 9(3), 261-337. Grossman, G. and Helpman, E. (1991) Innovation and Growth in the Global Economy, Cambridge: MIT Press. Haugh, D. A., Mourougane, A. and Chatal, O., (2010) ‘The Automobile Industry in and Beyond the Crisis’,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 No. 745, OECD. Huang, Y. K. and Bocchi, A. M. (2009) Reshaping Economic Geography in East Asia, The World Bank, Washington, DC.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4) IMF World Economic Outlook, April , IMF: Washington, DC. Jang, Y. J. and Hyun, H. J. (2012) ‘Comparative Advantage,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Average Industry Productivity: Theory and Evidence’, KIEP Working Paper No. 12-01,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Jung, T. H. (2003) ‘Free Trade Agreements and Korea’s Trade Policy’,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10 (2), 21-37. KAMA. (2012) Korean Automobile Industry Annual Report, Korea

18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Kim, K.S. Roemer, M. (1979) Growth and Structural Transformation. Studies in the Moderniz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1945–1975,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Krueger, A.O. (1985) The Experiences and Lessons of Asia’s Super Exporters, in: Corbo, V., Krueger, A.O., Ossa, F. (Eds.), Export Oriented Development Strategies: The Success of Five Newly Industrialized Countries, 187-212, Boulder: Westview Press. Kwak, J. S. (2007) “Korean OFDI: Investment Strategies and Corporate Motivations for Investing Abroad”, CEPAL-Serie Desarrollo Productivo No. 182, United Nations Publication. Kim, J. M. and Rhe, D. K. (2009) ‘Trends and Determinants of South Korean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 Copenhagen Journal of Asian Studies, 27(1), 126-154. Lee, J. K. (2012) ‘The Future of Korean Trade Policy: Korea’s Trade Structure and Its Policy Challenges’ a chapter in Korea’s Economy 2012, 28, Korea Economic Institute of America (KEI), Washington DC. Myoung, J. H. Jung, H. S. Je, H. J. and Mun, S. G. (2014) ‘The Decade- Long Journey of Korea’s FTAs’, IIT Working Paper No. 14-01, Institute for International Trade, Korea. Nam, C.H. (1990) Export Promotion Strategy and Economic Development in South Korea, in: Milner, C. (Ed.) Export Promotion Strategies: Theory and Evidence from Developing Countries, 165-183,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Nam, S. H. and Craig, T. (2002) ‘Foreign Direct Investment by Korean Firms: Profile, Theory, and Implementation’,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and Economy, 47-67. Nicolas, F. (2003) “FDI as a Factor of Economic Restructuring: The case of South Korea” a chapter in International trade, capital flows and economic development in East Asia: The Challenge in the 21st

187

4. Korea’s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Perspectives Century, Wiltshire, Great Britain. Park, K. H. and Lim, Y. T. (2000) ‘External Factors Inducing Korean Overseas Direct Invest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Economy, 1 (1), 191-205. Park, S. O. and Markusen, A. (1995) ‘Generalizing New Industrial Districts: A Theoretical Agenda and an Application from a Non- Western Economy.’ Environment and Planning A, 27 (1), 81–104. Ryou, J. W. and Song, B. N. (1993) ‘Korea’s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South East Asia’, KIEP Working Paper No. 93-02,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Savada, A. and Shaw, W. (1990) South Korea: A Country Study, United States Library of Congress, Washington DC. SCAPE, (1998)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Selected Asian Countries: Policies, Related Institution Building and Regional Cooperation’, Development Papers No. 19, United Nations, New York. Shumei, Y. (2003) ‘Korea’s FDI in China: Status and Perspectives’, KIEP Working Paper No. 03-01,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Sohn C. and Yoon, J. (2001) ‘Korea’s FTA Policy: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KIEP Discussion Paper 01-01,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Trindade, V. (2005) ‘The Big Push, Industrialization and International Trade: The Role of Exports’,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78, 22– 48. World Bank (2013)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http://data.worldbank. org/country/korea-republic World Steel Association, (2014) World Steel in Figures 2013, http://www. worldsteel.org Xiangfeng, L. (2005) ‘The Impact of FDI from South Korea to China on Bilateral Trade’, KIEP Working Paper No. 05-08,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18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제4장 대한민국의 국제 무역과 글로벌 투자

서론

대한민국은 수출주도형 경제정책을 통해 몇십 년 만에 빈곤국가에서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이른바 ‘한강의 기적’을 이룩하였다. 이 장에서는 대 한민국의 수출 주도형 경제정책의 의의를 알아보고, 나아가 오늘날 국제 통상 및 국제 투자부문에서의 한국의 위상과 역할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 다. 또한 이와 더불어 이 장에서는 대한민국이 개도국의 경제 성장에 미치 고 있는 영향에 대해서도 다루어질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 4.1 대한민 국 경제성장의 기적 △ 4.2 대한민국의 국제무역 활성화 △ 4.3 대한민국 의 글로벌 투자 네트워크 △ 4.4 세계 무역자유화를 위한 대한민국의 기 여와 역할 순으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4.1. 대한민국 경제성장의 기적

불과 몇십 년 전까지 세계 빈곤국가로 분류되었던 대한민국은 불과 50 년 만에 세계 12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하였다. 1960년 3억 8천9백만 달 러에 불과했던 GDP는 2013년 1조3천45억 5천4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으 며(World Bank, 2013), 전체 경제규모는 335배, 1인당 GDP는 167배 증 가하였다(IMF, 2014). 이러한 ‘한강의 기적’ 이라고 불리우는 대한민국 의 놀라운 경제성장은 한국전쟁의 휴전과 동시에 시작되었다. 당시 수출

189

제4장 대한민국의 국제 무역과 글로벌 투자 에 긍정적인 환경이 조성되며 이와 맞물려 정부의 제조산업 중심의 수 출주도형 성장정책이 대한민국 경제성장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 다(Krueger, 1985). 1960년대에 들어 하락하기 시작한 원/달러 환율은 (Nam, 1990) 1970년대에 들어서는 1960년대에 비해 40%나 하락하였다 (Edwards, 1992). 그 결과 1950년대에서 1970년대 사이 제조산업의 성 장률은 9%에서 27%로 증가하였고 제조상품의 수출은 22% 증가하였다 (Kim and Roemer, 1979). 즉 대한민국은 수출 장려정책을 통해 제조산업의 활성화와 성공적인 산업화를 동시에 이룩하게 되었다(Trindade, 2005). 수출 주도형 경제성 장모델 하에서 대한민국은 특정산업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시키는 성장 전략을 함께 추진하였다. 1960년대 대한민국 수출을 주도하였던 노동집 약산업은 1970년대와 80년대를 지나면서 중화학공업으로 대체되었으며, 특히 장기적 성장 잠재력을 갖고 있던 자동차, 선박, 전기, 철강 산업 등이 한국을 대표하는 산업으로 떠오르기 시작하였다. 한국정부는 이러한 특 정산업 육성정책을 통해 외국자본과 중간재의 의존도를 낮추고자 노력 한 것이다(Amsden and Barton, 2004). 이러한 정책에 따라 재벌기업들은 세금혜택, 수출품 제조를 위한 수입품의 관세 면제 등 다양한 특혜를 받 게 되었다(Savada and Shaw, 1990; Park and Markusen 1995). 1980년대 들어서는 반도체와 같은 고도기술 산업이 주요 추진 산업으로 떠오르게 되었으며, 1990년대에는 1997년 금융위기를 계기로 금융산업과 같은 지 식기반 산업이 정부의 지원 속에서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 다. 그리고 최근 한국정부는 21세기 국가 주요정책으로 지역 혁신정책을 추진할 것을 천명하였다(Huang and Bocchi, 2009). 대한민국의 3대 자동 차 제조사는 현대, 기아, GM대우로 3사의 총 제조량은 대한민국 자동차 생산의 90%를 차지하고 있다(KAMA 2012). 오늘날 대한민국의 주요산 업은 △ 전자기기 △ 금속제품 △ 화학 △ 운송 및 제반시설 등으로 요약 할 수 있다. 이는 과거 한국정부의 성공적인 수출주도형 경제정책의 결과

19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물로서, 세계 5위 수준으로(2009년 기준) 성장하여 이제는 전 세계 자동 차 제조의 6%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의 자동차 산업이 구체적인 성공 예 라고 할 수 있다(Haugh, et. al.,2010). 자동차 산업 이외에도 한국은 전세 계 선박제조 분야 선진국가로 자리매김하여 2003년에 일본을 제치고 세 계 최대의 선박 제조국이 되어 오늘날 전 세계 조선해양 산업을 이끌고 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조선 업체인 현대중공업과 이외 주요 조선 업체인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이 모두 한국 기업들이다(ECORYS, 2009). 대한민국은 또한 철강 분야에서도 2012년 기준 세계 조강생산분 야 6위(6천9백만 톤)에 오를 정도의 철강 선진국가가 되었으며, 대표적인 한국 철강기업인 포스코의 경우 연 4억만 톤의 조강을 생산하는 등 세 계 5위의 철강회사 자리를 지키고 있다. 현재 한국은 중국, 유럽연합, 일본 에 이어 3억만 톤의 철강을 생산해내며 세계 4위의 철강수출국이 되었다 (World Steel Association, 2014).

4.2. 대한민국의 국제무역활성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정부는 1960년부터 수출주도형 성장정책 을 적극 추진해 왔으며, 그 결과 1950년대까지 수입품에 의존하던 대한민 국의 무역 흐름 역시 변모하였다. 아래 표 1은 대한민국의 품목별 수출 비 중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1960년대 주로 어류, 원단, 목재 등 기초 품목 이 주요 수출 품목이었다면 최근 들어 전자기계, 운송시설 등의 수출비중 이 확대되었다.

191

제4장 대한민국의 국제 무역과 글로벌 투자 표 1. 최근 50년간 대한민국의 수출 품목 구성비(단위 . %) SITC 1962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3 03 물고기, 갑각류, 연 체동물 및 수생무척 14.8 10.2 4.8 7.1 3.9 2.6 2.1 1.3 0.8 0.4 0.3 0.3 추동물 05 채소 및 과실 3.8 3.2 2.3 1 1 0.6 0.4 0.3 0.2 0.1 0.1 0.1 26 섬 유 및 그 웨이스트 7.8 4.4 5 0.8 0.4 0.3 0.5 0.9 0.6 0.4 0.3 0.3 27 미 가공 비료 및 2.8 2.5 1.1 0.5 0.3 0.2 0.2 0.1 0.1 0 0 0.1 미가공 광물 28 금 속성 광석 및 21.1 10.1 3.7 0.7 0.2 0.1 0.1 0 0 0.2 0.2 0.1 금속 부스러기 29 미 가공 동식물성 물질 5.3 3.9 1.8 0.7 0.5 0.3 0.5 0.3 0.2 0.1 0.1 0.1 51 유기화학물 1.5 0.1 0.2 0.8 1.2 0.9 1.3 2.4 3.1 3.9 4.2 5 58 플라스틱 0 0 0.2 0.2 0.8 1.1 1.6 3.7 3.7 4.5 4.6 4.9 63 코크 및 나무제품 4.1 10.4 11 4.5 2.3 0.2 0.1 0.1 0.1 0 0 0 65 섬 유사, 직물, 직물제품 3.9 15 10 12.8 12.6 8.3 9.3 9.8 7.2 3.7 2.4 2.2 67 철 및 강 1 7.3 1.6 4.6 9.4 6 5.7 4.5 4 5.1 5.3 4.8 71 원동기기 및 설비 0.5 1.4 1 1.5 2.1 3.7 7.7 9.6 16.9 12.9 11.2 10.4 72 특수산업용 기계 0.2 1.1 5.2 8.7 11 11.9 19.3 28.8 25.9 28 23.6 24.5 79 기타 수송장비 1.8 0.6 1.1 3.6 6.6 20.7 9.8 13.1 14.3 19.3 22 19.8 84 의복제품 및 의복 부속품 2 11.8 25.1 22.6 16.9 14.7 12.3 4.3 3.1 0.9 0.3 0.4 87 달 리 명시되지 않은 전문, 과학, 통제기 0.2 0.2 0.4 1.3 1.8 1.2 1.3 1.4 1.2 4.1 8 6.2 구 및 장치 89 달 리 분류되지 않은 잡제품 0.8 5.1 13.4 7.6 5 5.9 8.3 5.3 4 2.5 1.7 1.5 * 1) SITC(Standard International Trade Classification Revision 1): 표준국제무역분류 2) 출처:한국무역협회

수입의 경우 원자재 수입이 계속 증가하여 전체 수입량 중 석유제품 (SITC 33)의 비중이 1962년 대비 2013년 7%에서 25%로 증가하였다. 또 한 같은 기간 동안 천연가스 및 제조가스(SITC 34)의 수입은 0.1%에서 7%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원동기기 및 설비(SITC 71)와 특수산업용기계 (SITC 72) 수입 또한 증가하였다. 이러한 품목들의 수입 확대는 한국경제

19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의 산업화 과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KITA). 이러한 대한민국 무역동향의 변화는 품목뿐만 아니라 무역상대국의 변 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주요 무역상대국이 점차 선진국에서 개도국 으로 변화하였다. 1986년에서 2011년 사이 전체 무역 중 대미국 무역 비 중은 31%에서 9%로 감소한 반면 대중국 무역 비중은 1%에서 20%로 대 폭 증가하였다. 2011년 한국의 전체 무역 중 선진국과의 무역은 32%에 불 과한 반면 신흥 개도국과의 무역 비중은 68%에 달했다. 이는 원자재 및 천연재료가 한국의 주요 수입품목으로 자리매김함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아래 표 2는 대한민국의 세계은행 기준 개도국 으로 구분되는 109개 국가와의 수입품목 동향(World Bank, 2013)이다. 이 표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의 개도국으로부터의 원자재 및 1차 상품수 입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어류, 갑각류, 가죽 모, 섬유, 비금속 등의 품목이 전체 수입 비중의 70%를 차지하게 되었다.

표 2. 최근 50년간 대한민국의 개도국으로부터의 품목별 수입비중

(단위 : %) HS 1962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3 03 어류, 갑각류, 연체동 물, 기타 수생무척추 n/a n/a n/a n/a 4 5 14 65 64 73 74 74 동물 04 낙농품, 조란, 천연꿀, 기타 식용의 동물성 n/a 0 0 4 1 4 0 3 47 48 21 66 생산품 08 식용의 과실과 견과 류, 감귤류 또는 n/a n/a 15 4 41 35 27 76 64 70 60 67 멜론의 껍질 26 광, 슬랙, 회 6 2 1 1 5 8 14 30 38 29 49 47 29 유기화학품 2 13 7 36 23 21 24 43 44 43 43 53 42 가죽제품, 동물거트 의제품, 마구, 3 1 2 39 68 79 70 72 65 65 73 70 여행용구, 핸드백, 기타유사제품 43 모피, 인조모피 및 이들의제품 n/a n/a n/a 2 19 15 21 59 52 59 70 79

193

제4장 대한민국의 국제 무역과 글로벌 투자 HS 1962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3 56 워딩, 펠트, 부직포, 특수사, 끈, 코오디지, 3 6 n/a 12 n/a 9 19 47 46 49 36 43 케이블과 그제품 61 메리야스 및 뜨게질 편물의 의류와 n/a n/a 1 0 4 10 25 28 42 67 75 70 그 부품 62 의류와 그 부속품 (메리야스 및 뜨게질 n/a 1 n/a 2 4 2 5 10 19 32 40 45 편물의 것은 제외) 63 기타 방직용섬유제품 42 n/a 1 5 8 40 70 73 76 78 87 82 64 신발류, 모자류, 산 류, 지팡이, 시트스틱, 0 n/a 0 0 0 0 2 9 23 34 40 44 채찍 및 이들의 부분품 65 모자류와 그 부분품 6 0 0 1 3 4 21 50 62 67 78 78 66 산류, 지팡이, 시트스틱, 채찍 및 n/a n/a n/a 0 1 1 8 15 21 35 39 52 이들의 부분품 67 조제우모와 솜털 및 그 제품, 조화, 0 2 1 3 0 4 18 43 37 47 48 51 인모제품 68 석, 플라스터, 시멘 트, 석면, 운도 또는 8 5 6 12 15 14 14 34 33 44 40 41 이와 유사한재료의 제품 69 도자제품 n/a 0 0 3 0 1 4 6 12 31 49 46 72 철강 n/a 0 0 0 2 1 6 7 17 29 43 45 81 기타 비금속, n/a n/a n/a 0 0 0 11 13 13 51 63 71 서메트, 이들의 제품 82 비금속제의 공구, 도구, 칼붙이, 스푼과 n/a n/a 1 0 2 2 9 29 40 75 71 72 포크 및 이들의 부분 품 83 비금속제의 각종제품 n/a n/a n/a 1 n/a 6 17 47 46 59 49 48 * 1) HS(Harmonized System Codes): 관세·통계통합품목분류표 2) 출처: U.N Comtrade

이 같은 통계 수치는 국제무역에서 한국이 차지하고 있는 위상을 나타 내고 있는데, 이제 대한민국은 세계 주요 산업의 주 수출국일 뿐만 아니 라 신흥국의 무역대상국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경제이론 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출이 국가의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는 것

19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으로 설명하고 있는데(Edwards, 1991; Grossman and Helpman, 1991; Giles and Williams, 2000) 한국은 개도국과의 무역(수입)량 확대를 통해 개도국의 수출주도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4.3. 대한민국의 글로벌 투자 네트워크

1980년대 이전 한국의 외국인 직접투자(IFDI: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및 해외 직접투자(OFDI:outward foreign direct inverstment) 의 규모는 매우 작았다. 외국인 직접투자의 경우 과거 한국정부는 기술이 전이나 수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소극적인 자세를 유지하였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외국 자본에 의해 한국 기업의 경 쟁력 제고가 저해되거나, 한국 경제가 지배되는 것에 대한 우려였다. 1981 년 이후 한국정부는 상당수 한국 기업의 외국인 투자유치를 허용하였으 며, 이러한 외국인 직접투자는 1990년대 이르러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자 본집약적 산업으로 점차 확대되었다. 한국에 대한 주요 투자국은 일본과 미국이었으며, 1990년대 후반 이후 에는 한국의 주요 투자국으로 유럽 국가들이 부상하기 시작하였다(ES- CAP, 1998). 1994년 세계무역기구(WTO)가 출범한 이후 한국의 외국인 직접투자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1997년 금융위기를 겪으며 한국경제를 다시 살릴 수 있는 주요 대안으로 외국인 직접투자가 대두되 어 1998년부터 외국인 직접투자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추진되 었다. 외국인 투자 관련 다양한 법률 체계가 수정되어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내기업 주식보유와 관련한 법체계가 상당부분 완화되었으며 특별경제 구역이 지정되기도 하였다(Nicolas, 2003). 이러한 IFDI 관련 규제완화 정 책들은 한국 내 외국인 직접투자 규모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결과로 이어 져 세계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8년을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195

제4장 대한민국의 국제 무역과 글로벌 투자 그림 1. 대한민국 외국인 직접투자(IFDI) 및 해외 직접투자(OFDI) 추이

(단위 : 백만 불) 250000

200000

150000

IFDI 100000 OFDI

50000

0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 출처: UNCTADstat

추세를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한국의 대외투자에 대해 살펴보면 대외투자 규모는 1980년 대 후반에 이르러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WTO가 출범한 1994년 이후 외국인 직접투자와 함께 큰 폭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2000년대 중반 이 후 급격한 상승 추세를 보인 한국의 대외 투자규모는 2008년 들어 외국 인 직접투자 규모를 넘어서게 되었다. 한국정부가 이러한 한국 기업의 해 외 직접투자를 허용한 것은 1968년이며 1980년대 이전까지 한국의 대외 투자는 매우 기초적인 단계로서 그 규모 역시 미비하였다(Park and Lim, 2000). 한국 기업들의 해외 직접투자는 크게 3단계로 변화하여 왔다. 1980년대 초·중반 초창기 해외투자는 천연자원 확보를 위한 투자의 성격이 강했으 며, 1980년대 후반부터는 한국 기업들이 해외 주요시장의 높은 무역장벽 에 대응하기 위해 그 성격이 변화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자 해외 직접 투자는 기업들의 세계시장 공략 전략의 일환으로 변화하였다. 대우, 삼성

19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전자 등과 같은 주요 재벌기업들은 해외시장 공략을 목표로 적극적인 해 외 직접투자를 진행하였고 이러한 기업의 행보는 당시 한국정부가 추진하 고 있던 세계화 정책과도 일맥상통하였다. 또한 재벌기업들의 한국 내 생 산규모 확대 역시 한국 기업들의 해외 직접투자 규모를 증가시키는 결과 를 가져왔다(Jang and Hyun, 2012). 1997년의 금융위기는 한국 기업들로 하여금 전반적인 구조조정의 필 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는데 그에 따라, 일부 기업들은 해외 직접투 자 계획을 취소하거나 2000년대 이후로 연기하기도 하였다. 한국경제가 200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부터 회복세로 돌아섬에 따라 다시 해외 직 접투자가 활성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같은 시기에 있었던 원 화가치의 상승은 한국 기업들의 해외 직접투자를 더욱 촉진시키는 계기 로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2000년대 중반 이후의 한국 기업들의 해외 직 접투자의 특징은 크게 비용절감 투자와 신흥시장 투자라는 두 가지 측면 으로 요약할 수 있다(Kwak, 2007).

그림 2. 1985년-2012년 기간 동안 대한민국의 해외 직접투자 지역별 비중

(단위 : %) ᮁ౞ 15% ᪅ᖙᦥܩᦥ 3% ᦥ⥥ญ⋕ 1%

ᇢᦥີญ⋕ 21%

ᦥ᜽ᦥ ᵲᦺᦥີญ⋕ ԉᦥີญ⋕ 53% 5% 2% * 출처: OECD

197

제4장 대한민국의 국제 무역과 글로벌 투자 그림 2는 1985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 기업들의 주요 투자대상국을 보 여주고 있다. 천연자원 유치를 위한 투자는 주로 북아메리카, 아시아, 중 동국가에 집중되었으나 점차 다양한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그림 2에서 보 는 바와 같이 한국의 직접투자비중이 가장 큰 지역은 아시아(53%), 북아 메리카(21%) 이며, 이외에도 유럽(15%), 중앙아메리카(5%), 오세아니아 (3%), 남아메리카(2%), 아프리카(1%) 지역에까지 한국 기업들의 직접투 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림 3은 한국의 산업별 해외투자 비중을 보여주고 있다. 몇십 년 전까지 천연자원 유치를 위한 목적이 주된 투자항목을 차지하였으나 2000년 후반 들어 비용절감 및 신흥시장 개발 목적으로 그 흐름이 변화하고 있다. 한국 기업 투자동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에 따르면 한국의 중소기업들 은 노동비용 절감을 위해 아시아 국가에 해외 직접투자를 진행하는 반면 대기업들은 세계 주요시장에 기반을 확보하고 고급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북아메리카 및 유럽과 같은 국가를 주요 투자대상으로 하고 있

그림 3. 1985년-2012년 기간 동안 대한민국의 해외 직접투자 업종별 비중

(단위 : %)

ᇡ࠺ᔑⰑᯥݡ ʑ┡ ׮Ⱁᙹᔑ ɩᬊ 10% 2% 1% 6% ₥ŲⰑ₥ᕾ ᬕᘂⰑ☖ᝁ 12% 2%

ᙺၶⰑ᫵᜾ 1%

ᵲ} 17% ᱥʑ aᜅ ᙹࠥ ᱽ᳑ 1% 46% Õᖅ 2%

* 출처: OECD

19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다(Nam and Craig, 2002; Kim and Rhe, 2009). 한국의 전체 해외투자에 서는 제조부문이 가장 큰 비율(46%)을 차지하고 있으며 △ 중개(17%) △ 채광·채석(12%) △ 부동산(10%) △ 금융(6%) 등이 그 뒤를 잇고 있어 서 비스 분야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표 3은 한국의 업종별 대외투자량 중 그 대상국이 개도국인 비중을 나 타내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2013년 한국 기업의 전체 해외 직접투자 중 91%가 개도국의 농업, 삼림, 수산업 분야에 집중되었다. 한편, 2013년에는 농림수산업 이외에도 제조업(80%), 하수·폐기물처리

표 3. 대한민국의 업종별 개도국 대외투자비중

(단위 : %) 산업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3 농림수산업 91 54 91 22 69 99 91 광업 28 87 83 68 84 32 39 제조업 89 54 76 59 82 84 80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43 43 하수처리, 재활용업 79 84 97 건설업 53 58 47 59 82 78 도매 및 소매업 18 12 28 33 30 운수업 37 41 68 25 39 53 숙박, 요식업 76 81 92 36 42 63 정보통신업 14 33 9 36 11 금융 및 보험업 61 16 18 39 89 32 33 부동산 및 임대업 56 33 47 15 45 23 63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56 30 20 16 8 현지법인투자 및 지원 36 12 64 46 9 교육업 5 4 28 34 40 건강의료업 31 40 13 문화, 예술, 스포츠 서비스업 5 11 30 38 39 회원제 및 개인 서비스 67 6 18 86 61 * 1) 개도국 : 세계은행분류 기준 109개 국가 2)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199

제4장 대한민국의 국제 무역과 글로벌 투자 (97%), 건설(78%), 숙박·요식업(63%) 등의 분야에서도 선진국보다 개도 국에 한국의 대외투자가 집중되었다. 이러한 산업들은 개도국의 주요산업 분야로서, 한국의 개도국 대상 해외 직접투자는 이들 국가에 긍정적 영향 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단적인 예로 한국의 중국투자는 중국 수출업자들에게 큰 성장 기반으로 작용하였으며 (Shumei, 2003; Xiang- feng, 2005), 이외에도 수 많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한국의 직접투자를 통해 선진기술을 이전받는 효과를 얻기도 하였다(Ryou and Song, 1993). 이처럼 한국은 개도국의 경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4.4. 세계무역자유화를 위한 대한민국의 기여와 역활

1960년대부터 시작된 수출주도형 성장정책에 이어, 1980년대 들어 한국 정부는 시장개방과 무역자유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 이후 한국정부는 세계화에 기초한 통상정책을 추진하였다. 그 과정에서 1997년 발생한 금융위기는 한국 경제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는데 한국정부는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수출 및 투자를 적극 장려하는 등 다양한 제반 정책을 마련하였으며 특히 다양한 지역과 자유 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s) 체결을 주요 정책 순위로 지정하 기도 하였다. 즉, 한국정부는 금융위기로 드러난 한국경제의 구조적 취약 성을 새로운 해외시장 개척을 통한 경제이익 극대화로 극복하는 것을 주 목표로 하여 FTA를 추진하였는데 그 과정은 크게 3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Myoung et. al., 2014). 첫 번째는 1998년에서 2004년 사이 있었던 한국의 첫 FTA인 한-칠레 FTA 체결로서 당시 한-칠레 FTA는 2004년 4 월 1일 발효되었다(Sohn and Yoon, 2001; Jung, 2003; Lee, 2012). 표 4는 2014년 7월 기준 대한민국의 FTA 체결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20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표 4. 대한민국 FTA 체결현황 (2014. 7월 기준) 협상준비 발효된 FTA 년도 타결된 FTA 년도 협상중인 FTA 년도 년도 공동연구 FTA Mercosur 칠레 2004 터키 2012 캐나다 2005 2005 (4개국) 싱가포르 2006 콜롬비아 2011 멕시코 2006 이스라엘 2009 EFTA(4개국) 2006 GCC(6개국) 2008 중미(6개국) 2010 아세안(10개국) 2007 호주 2009 말레이시아 2011 인도 2010 뉴질랜드 2009 EU(28개국) 2011 중국 2007 페루 2011 베트남 2010 미국 2012 인도네시아 2011 한국.중국.일본 2010 RCEP(6개국) 2012 일본 2008 * 출처: 외교부

두 번째 시기는 2004년에서 2012년 사이로 한국정부는 세계 주요 시 장인 △ 미국 △ 유럽연합(EU) △ 중국 △ 싱가포르 △ 멕시코 △ 캐나 다 △ 유럽자유무역연합(EFTA: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과의 FTA체결을 적극 추진하여 2011년 EU, 2012년 미국과 FTA체결에 합의하 였다. 세 번째 시기는 2012년 이후로 한국정부는 2013년 6월 새로운 로드 맵을 발표, 앞으로 한국정부가 추진해 나아갈 FTA 정책 방향을 밝혔다. 새로운 로드맵에 따르면 한국정부는 미국 주도 ‘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 (TPP: Trans-Pacific Partnership)’과 중국 주도 ‘역내포괄적 경제동반자협 정(RCEP: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에 적극 참여 하여 동아시아 경제 통합의 주된 역할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향후 터키, 호주, 캐나다 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등을 포 함한 ASEAN 국가들과의 FTA 체결 의지를 밝히며 대외무역과 투자에 더욱 활발히 참여할 의사를 표명하였다.

201

제4장 대한민국의 국제 무역과 글로벌 투자 결론

이 장에서 우리는 한국의 수출주도형 경제성장 정책의 의의와 한국이 국제 무역 자유화와 투자 활성화에 어떠한 기여를 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대한민국의 기적적인 경제성장은 한국정부의 수출주도 정책으로 이루어 졌으며 이를 기반으로 오늘날 대한민국은 자동차, 조선, 철강 등의 산업 분야에서 세계적 주도권을 갖게 되었다. 지난 몇십 년간 한국의 무역은 몇 가지 주목할만한 변화를 보여왔는데, 한국의 주 무역상대국이 선진국에 서 개도국으로 변모한 것이고 이러한 개도국가와의 무역 증가가 원자재 수입의 증가에서 기인되었다는 것이다. 그 결과 이러한 변화를 통해 한국 은 수출주도형 경제성장 정책을 추진하는 개도국의 중요 무역상대국이 되었다. 한편 국제투자 부문의 경우, 2008년 대한민국의 해외 직접투자가 외국 인 직접투자 총액을 넘어서게 되었다. 한국의 해외투자는 천연자원 확보 에서 비용절감 및 신흥시장 개척으로 그 성격이 변화하면서 투자대상 국 가 및 지역이 점차 다양하게 확대되었다. 특히 저소득 국가로의 대외투자 는 상대국에 수출 활성화와 선진기술 이전 효과를 동반하여 해당 국가의 경제성장에 이바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이처럼 한국은 국제무역과 국제투자 활성화에 큰 공헌을 하고 있으며, 특히 개도국의 경제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글로벌 FTA에 초점을 맞춘 한국정부의 새로운 통상 로드맵은 향후 국제 사회에 서 한국의 위상과 역할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20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참고문헌

Amsden, A. H. and Barton, L. (2004) ‘Import Substitution in High-tech Indus- tries: Prebisch Lives in Asia!’, CEPAL Review, 82, 7-91. ECORYS, (2009). Study on Competitiveness of the European Shipbuilding Industry, Final report for the European Commission, ENTR/06/054. Edwards, C. (1992) ‘Industrialization in South Korea’, in Hewitt, T., Johnson, H., Wield, D. (Eds.), Industrialization and Development, Oxford Uni- versity Press, New York. Edwards, S. (1991) ‘Trade orientation, distortions and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NBER Working Papers No. 3716, Th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Giles, J. A. and Williams, C. L. (2000) ‘Export-led growth: a survey of the empirical literature and some non-causality results, Part 1’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 Economic Development, 9(3), 261-337. Grossman, G. and Helpman, E. (1991) Innovation and Growth in the Global Economy, Cambridge: MIT Press. Haugh, D. A., Mourougane, A. and Chatal, O., (2010) ‘The Automobile Indus- try in and Beyond the Crisis’,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 No. 745, OECD. Huang, Y. K. and Bocchi, A. M. (2009) Reshaping Economic Geography in East Asia, The World Bank, Washington, DC.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4) IMF World Economic Outlook, April, IMF: Washington, DC. Jang, Y. J. and Hyun, H. J. (2012) ‘Comparative Advantage,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Average Industry Productivity: Theory and Evidence’, KIEP Working Paper No. 12-01, Korea Institute for Interna-

203

제4장 대한민국의 국제 무역과 글로벌 투자 tional Economic Policy. Jung, T. H. (2003) ‘Free Trade Agreements and Korea’s Trade Policy’,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10 (2), 21-37. KAMA. (2012) Korean Automobile Industry Annual Report, Korea Automo- 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Kim, K.S. Roemer, M. (1979) Growth and Structural Transformation. Stud- ies in the Moderniz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1945–1975, Cam- 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Krueger, A.O. (1985) The Experiences and Lessons of Asia’s Super Exporters, in: Corbo, V., Krueger, A.O., Ossa, F. (Eds.), Export Oriented Develop- ment Strategies: The Success of Five Newly Industrialized Countries, 187-212, Boulder: Westview Press. Kwak, J. S. (2007) “Korean OFDI: Investment Strategies and Corporate Mo- tivations for Investing Abroad”, CEPAL-Serie Desarrollo Productivo No. 182, United Nations Publication. Kim, J. M. and Rhe, D. K. (2009) ‘Trends and Determinants of South Korean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 Copenhagen Journal of Asian Studies, 27(1), 126-154. Lee, J. K. (2012) ‘The Future of Korean Trade Policy: Korea’s Trade Structure and Its Policy Challenges’ a chapter in Korea’s Economy 2012, 28, Ko- rea Economic Institute of America (KEI), Washington DC. Myoung, J. H. Jung, H. S. Je, H. J. and Mun, S. G. (2014) ‘The Decade-Long Journey of Korea’s FTAs’, IIT Working Paper No. 14-01, Institute for International Trade, Korea. Nam, C.H. (1990) Export Promotion Strategy and Economic Development in South Korea, in: Milner, C. (Ed.) Export Promotion Strategies: Theory and Evidence from Developing Countries, 165-183, New York: New

20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York University Press. Nam, S. H. and Craig, T. (2002) ‘Foreign Direct Investment by Korean Firms: Profile, Theory, and Implementation’,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 ness and Economy, 47-67. Nicolas, F. (2003) “FDI as a Factor of Economic Restructuring: The case of South Korea” a chapter in International trade, capital flows and eco- nomic development in East Asia: The Challenge in the 21st Century, Wiltshire, Great Britain. Park, K. H. and Lim, Y. T. (2000) ‘External Factors Inducing Korean Overseas Direct Invest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Economy, 1 (1), 191-205. Park, S. O. and Markusen, A. (1995) ‘Generalizing New Industrial Districts: A Theoretical Agenda and an Application from a Non-Western Economy.’ Environment and Planning A, 27 (1), 81–104. Ryou, J. W. and Song, B. N. (1993) ‘Korea’s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South East Asia’, KIEP Working Paper No. 93-02,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Savada, A. and Shaw, W. (1990) South Korea: A Country Study, United States Library of Congress, Washington DC. SCAPE, (1998)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Selected Asian Countries: Poli- cies, Related Institution Building and Regional Cooperation’, Develop- ment Papers No. 19, United Nations, New York. Shumei, Y. (2003) ‘Korea’s FDI in China: Status and Perspectives’, KIEP Working Paper No. 03-01,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Sohn C. and Yoon, J. (2001) ‘Korea’s FTA Policy: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KIEP Discussion Paper 01-01, Korea Institute for Interna- tional Economic Policy.

205

제4장 대한민국의 국제 무역과 글로벌 투자 Trindade, V. (2005) ‘The Big Push, Industrialization and International Trade: The Role of Exports’,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78, 22– 48. World Bank (2013)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http://data.worldbank.org/ country/korea-republic World Steel Association, (2014) World Steel in Figures 2013, http://www. worldsteel.org Xiangfeng, L. (2005) ‘The Impact of FDI from South Korea to China on Bilat- eral Trade’, KIEP Working Paper No. 05-08, Korea Institute for Inter- national Economic Policy.

20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5 KOREA’S COMPETITIVE EDGE AND INTERNATIONAL IMPACT IN BIOLOICAL AND BIOTECHNOLOGICAL ADVANCEMENTS

INTRODUCTION

South Korea has already gained global recognition, especially through its economic growth and the Korean Wave. When most people think of South Korea, they envisage a country linked together electronically. While this is true, this is not the only area in which South Korea is trying to make an image for itself. South Korea has made tremendous strides towards becoming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leader in industry and manufacturing. The city of Ulsan, recognized as the industrial center of South Korea, is renowned world-wide as a hub for several different industries, including petrochemicals and shipbuilding. In fact, South Korea boasts five of the top ten shipbuilding companies worldwide, including the four leaders. The largest exports in 2012 were petrochemicals, followed by semiconductors, machinery and automobiles. South Korea has three major petrochemical plants (SK Energy in Ulsan, GS Caltex in Yeosu and S-Oil in Onsan) ranked within the top seven worldwide, with SK Energy listed as 2nd. However, there is more that South Korea can offer to the world. This nation also contributes tremendously to the international impac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especially in the fields of biological and biotechnological advancements.

207

5. Korea’s Competitive Edge and International Impact in Biological and Biotechnological Advancement Biotechnology is defined as the application of biological principles to address issues facing humankind, including environmental and health concerns. In 1994, South Korean Ministries signed the Biotech 2000 plan which aimed to make South Korea one of the seven biotechnology producing countries in 2010. From then on, many Korean companies, ranging from 450-600 in number, have engaged in businesses where biotechnological techniques are applied to a significant degree. An exponential growth of publicly-known South Korean biotechnology companies was achieved in 2002 when the list had reached 23, from just one company in 2000. Macrogen (Seoul) and Bioneer (Daejeon) are among the giant life science corporations in South Korea that have ventured into post-genomic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that have gained an international reputation in DNA sequencing and synthesis (Wong et al., 2004). Recently, Medipost (Seoul) has been globally recognized for its novel contribution to regenerative medicine and stem cell therapy. Hence, South Korea has been regarded as a rising industrial and scientific powerhouse not only in Asia but all over the world. This chapter will discuss several of the aspects inherent to the South Korean mindset towards biotechnology and the biomedical sciences, exploring their impact on this country’s standing as an international research and business hub. The first portion of this chapter will discuss the commitment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has made to biotechnology and its research, and the results that have been obtained as a result. This section will also focus on the research trends here in Korea, with emphasis on the academic aspects of biotechnology and how Korea has grown to become one of the top research nations in this scientific field. The second portion will review the biomedical research and advancements achieved in South Korean by researchers and medical staff. The latter section will also discuss the current medical and welfare standards in South Korea and how South Korea is educating other nations through its own experiences and advantages.

20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SOUTH KOREA’S COMMITMENT TO BIOTECHNOLOGY

One scientific field that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has been investing in heavily for several decades is biotechnology. From 1994 until 2008, governmental investment in the biotechnology sector increased an average of 23% annually, translating into a 19-fold increase in the amount invested per year (Figure 1a). By comparison, the national inflation rate during these years averaged only around 4% and was far below the increase in governmental support (Figure 1b). More remarkable about these figures, however, is the dramatic increase seen in 1998-1999 that began a trend that continued for more than a decade. This sudden upsurge in support between 1998 and 1999 coincides with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that hit South Korea, which required the government to borrow 19.5 billion USD from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Even in the midst of this struggle that saw the South Korean won weaken from 800 to more than 2,000 won per USD (and the national debt-to-GDP ratio more than double), the government invested more heavily in biotechnology research and industry. With the final repayment to the IMF given in 2001, the percent increase in biotechnology declined but, except for one year, continued to remain well above 10%. This dedication and commitment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fund and encourage biotechnology and its related industries is further exemplified by the Bio-Vision 2016 program.

209

5. Korea’s Competitive Edge and International Impact in Biological and Biotechnological Advancement Figure 1. Chart showing the investment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biotechnology from 1995 to 2008 alongside the national inflation rates. The percent change was determined using a comparison between the yearly investments. The investment data i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inflation data was obtained from digital sources.

14000 60% Investment Change Infiltion

12000 50%

10000 40%

8000 30%

6000 20%

4000 10% 100 Million Korean Won Percent Change or Inflation

2000 0%

0 -1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BIO-VISION 2016-THE DRIVE TO BE A TOP BIOTECH COUNTRY

“The Korean Government started promoting bioscience since the mid 1980's. In 2004, biotechnology was selected as one of the next- generation growth engines. A pan-governmental agency comprehensive plan known as the Second Framework Plan for Biotechnology Promotion (Bio-Vision 2016) was established in 2006,” as stated by Tae Sun Min, Director, Division of Life Science,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South Korea. Under the Bio-Vision 2016 plan, Korea is seeking to improve its status as a biotechnology-oriented country with the primary focus being a “Healthy Life” and a “Prosperous Bioeconomy.” In 2006, South Korea

21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ranked 12th and 15th as a nation in the number of science technology papers published and the number of patents generated, respectively. Under the Bio-Vision 2016 program, it is seeking to raise both of these national rankings to at least 7th. Within this framework, South Korea desires to nearly double the R&D workforce, based upon postgraduate degrees, from 9,500 in 2006 to 17,300 by 2016 and increase its industrialized market value by more than 20-fold, from 2.7 trillion Korean won (approximately 2.7 billion USD) to 60 trillion Korean won. As a show of their commitment to Bio-Vision 2016 and biotechnology from 1998 to 2009, the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20 regional techno-parks and research centers around the country, including the Bio21 Center, the Ulsan Technopark, the Gyeongbuk Institute for Marine Bio-Industry and the Gimhae Biomedical Center. The focus of these centers are diverse, covering nanobiotechnology and biomaterials as well as the marine, food and health fields, embodying the broad nature of bio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However, their primary purpose remains the same: to advance South Korean biotechnology firms and their research, through local and specialized support systems.

BIOLOGY AND BIOTECHNOLOGY RESEARCH FUNDING AND PATENTS

Aside from establishing these centers, the Korean Government has provided increased funding for research over the years leading to South Korea being ranked as one of the highest supporting countries in the world. For instance,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 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in 2011 South Korea was ranked as one of the top four countries, along with France, Slovenia and the Russian Federation, with regards to percent of GDP given in support of business R&D activities. Likewise, in 2012 the average OECD

211

5. Korea’s Competitive Edge and International Impact in Biological and Biotechnological Advancement government devoted 0.8% of their GDP to R&D while Finland and South Korea both provided over 1%. This trend continued in 2013 as the OECD report also acknowledged the generous treatment of South Korea toward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It should come as no surprise, therefore, that the number of SMEs within South Korea continues to rise. According to Pugatch et al. (2012), between 1999 and 2006, the same period where governmental support increased rapidly in Figure 1, the number of biotechnology-related SMEs jumped from only 70 to around 600, an increase of nearly 9-fold. They also stated that in 2010, a survey of Korean SMEs found that 96% of these had searched for patent information. The main reasons provided for the searches were to 1) avoid redundant R&D activities; 2) establish the R&D activities currently being pursued within the field of interest; and 3) monitor the activities of compete entities and businesses. In addition to searching patent records and filings, 95% of the SMEs surveyed also applied for their own patents, with an average of 11.59 domestic patents and 4.98 international patents per SME. From 2000 to 2009, the total number of biotechnology patents filed under the Patent Cooperation Treaty worldwide decreased by about 20% (Pugatch et al. 2012). During this same period, the number filed by Korean scientists and companies increased by approximately 3-fold. This trend-breaking characteristic of South Korea was evident in many Asian countries, including Taiwan, Singapore, India and China. This may suggest a transition of the field of biotechnology away from Western countries, like the U.S. and European countries, both of which showed decreases.

21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A NEW PARADIGM IN BIOINDUSTRY

Although many venture companies and SMEs within South Korea and abroad start out strong, they eventually fail to gain traction and do not survive longer than several years. According to a Forbes report, only 44% of all startup companies make it to their fourth year. One company within the biotechnology realm of South Korea, however, is applying a revolutionary approach to research and business. The company, ChunLab, specializes in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and bioinformatics, both of which are central to many biological studies, and ChunLab is a successful biotech startup due to both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its unique business style. Established in 2009, ChunLab was supported during its early years by both the Korean government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where its founder, Dr. Jongsik Chun, was a professor. In 2010, it was officially recognized as a venture firm by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and has since received and participated in more than ten governmental grants from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the Ministry of Knowledge and Economy (MKE). These studies include various topics, including metagenomic diagnostic tools for respiratory infections and the genomics of resistant pathogens and anthrax. More recently, ChunLab has received $6,000,000 in investments from Hanwha Investment-Oxford Bioscience Partners, Atinum Investments and KB Investments, and it currently employs around 43 people. This company, however, stands out for another reason, namely its attitude towards academic-industry relationships. It represents a new paradigm for companies the world over as it devotes almost 30% of its net profits to research and development (R&D). Currently, ChunLab provides services to over 350 companies, government centers, research labs and universities around the globe. Several of these are through direct collaboration and as partners on the grants mentioned above. In

213

5. Korea’s Competitive Edge and International Impact in Biological and Biotechnological Advancement fact, this company recently established a collaboration with the Institute Pasteur-Korea to provide services for the researcher associated with this research center. Although this special approach to academic research is clearly a factor contributing to ChunLab’s success while so many other startups fail, the importance of a governmental support base for venture companies that have their roots within university labs cannot be overlooked. The presence of both agencies specifically engineered to help startups establish themselves, as well as numerous grant opportunities encouraging academic-industry collaboration, all illustrate the Korean mindset of commercializing research and advancing it into the public domain.

SOUTH KOREA’S GLOBAL IMPACT IN BIOMEDICAL ADVANCEMENTS AND STEM CELL THERAPY

The high sense of patriotism and pragmatism among Koreans are a few of the significant driving forces that contribute to the biomedical advancements of South Korea. Most of the current experts and scientists in South Korea obtained their degrees and training abroad but they returned to their home country to apply their expertise and employ important adaptations relevant to the domestic context. As mentioned above, South Korea is one of the top research nations in the world and has always been engaged in the rapidly developing fields of biotechnology and biomedical sciences, which include the scientific fields of microbiology and probiotics, nanomedicine and nanotechnology, tissue engineering, regenerative medicine and stem cell therapy, as well as others. Among the top focus of biomedical groups in South Korea, however, are cancer, cardiovascular diseases, osteoarthritis and plastic or reconstructive surgery.

21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one of the initial success stories from South Korea was the development and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of a Hepatitis B vaccine in 1982. This development paved the way to cheaper vaccine production that could compete globally (Kim et al., 1982). Some of the famous South Korean health biotechnology products were previously listed elsewhere (Wong, et al, 2004). To name a few, Typhoid-Kovax and Hib TITER are vaccines for typhoid fever and bacterial meningitis, respectively. Other therapeutic products include Aphaferon and Genexol for cancer, Easyef as antiulcerant for diabetics, and chondron for cartilage damage. LG HDC 3.0 and Ostoemark NTx, on the other hand, are diagnostic kits for hepatitis C and osteoporosis, respectively. Another global contribution of South Korea is the generation of the world’s first stem cell capsules by Medipost as one of the significant frontiers of science and technology. Medipost is regarded as a one of the top biotechnological companies in South Korea and is garnering attention worldwide. Over the years, tissue engineering and stem cell therapy have been applied clinically as alternative treatment strategies for degenerative diseases. Mesenchymal stem cells are widely used in stem cell therapy because they are clonogenic, non-haematopoietic stem cells that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e bone marrow (Chang et al., 2012), adipose tissues (Zhu et al. 2008), synovium (Lee et al.,2011), from the patient undergoing treatment, and from the human umbilical cord blood of newborns (Barachini et al., 2009). These mesenchymal stem cells can differentiate into multiple mesoderm-type cell lineages, e.g. osteoblasts, chondrocytes, endothelial-cells and also nonmesoderm- type lineages, e.g. neuronal-like cells (Kassem et al.,2004). Furthermore, MSCs have been shown to have low immunogenicity both in vitro and in vivo and are therefore safe for allogeneic transplantation (Lee et al., 2014). Currently, Medipost has manufactured four types of stem cell capsules derived from human umbilical cord blood, namely the

215

5. Korea’s Competitive Edge and International Impact in Biological and Biotechnological Advancement cartistem, neurostem, pneumostem, and promostem (Medipost Website). Since osteoarthritis (OA) is a common degenerative cartilage disorder affecting Korea’s aging population, cartistem was manufactured to address this health concern. Osteoarthritis can either be degenerative or trauma-associated with aging, obesity and injury, respectively. A number of treatments have been clinically studied over the years, such as artificial cartilage replacement surgery, microfracture, and autologous chondrocyte transplantation. However, these treatment strategies still have their corresponding limitations. Cartistem, composed of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has been clinically tested via transplantation in 2012 and has been proven as a novel alternative treatment for cartilage defects. Over 600 patients suffering from osteoarthritis of the knee have been treated by Cartistem in the Korean market since 2013. Neurostem, which is also derived from the human umbilical cord blood, has been applied clinically (pre-phase and phase 1) in Alzhiemer’s patients experiencing dementia at Samsung Medical Hospital. Korean medical staff and researchers have shown that the use of these stem cells leads to a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the amyloid beta-protein, which causes toxicity in neurons, and that this inhibits the destruction of the brains nerve cells. An on-going 2 –year clinical trial in the same hospital involving 40 Alzhiemer’s patients is being conducted to verify the efficacy and efficiency of the neurostem treat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em cell Medipost capsule will not only treat but may also prevent the onset of Alzhiemer’s dementia. Pneumostem has been specifically designed to counteract bronchopulmonary dysplasia (BRCD), a rare life-threatening disease affecting premature newborns characterized by severe inflammation and fibrosis (tissue scarring) in the lungs. The significant pre-clinical restoration of lung tissue with decreased extent of fibrosis and number of inflammatory cells, following a single intra-tracheal injection of pneumostem in animal models, paved the way to its approval from

21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Figure 2. Image taken from Medipost, a South Korean company related with stem cell research and materials that is taking tremendous steps in the field of regenerative medicine. Photo credit: Medipost.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for clinical (phase II) trials. Among the nine super premature babies (24-26 weeks), who are commonly at high risk for BRCD, the number of BRCD cases was reduced significantly (by 50%) in the pneumostem-treated group. The last stem cell capsule developed by Medipost is promostem, which has been found to promote bone morphogenetic-hematopoiesis in blood cancer patients and to induce early engraftment of donor hematopoietic stem cells following transplantation. All four stem cell capsules have been patented domestically in South Korea as well as internationally in Japan, India, the United States and many other countries. Hence, these advancements will not only promote a healthy life and well-being among Koreans but also among the global population (Medipost Website).

217

5. Korea’s Competitive Edge and International Impact in Biological and Biotechnological Advancement SOUTH KOREA’S HEALTH CARE AND WELFARE SYSTEM

Parallel to the increasing number of Korean Health Professionals, advancements in available medical services and the medical system in South Korea are particularly evident across the last two decades. Korea has been operating its own 119 system, which is similar to the 911 system in the US. Moreover, South Korea also has world class hospitals that are not only equipped with sophisticated medical facilities and efficient medical personnel but also provide medical training for foreign professionals. Among these top ranking hospitals 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s Seoul St. Mary’s Hospital, the Samsung Medical Hospital, the Asan Medical Hospital and the Yonsei University Severence Hospital. In addition, Korea has continually produced competitive medical practitioners; implemented a centralized medical record system at each hospital; established international clinics; and provided translators to aid foreigners who require either in-patient or out-patient services. A unique foundation-based international clinic has been operating in Seoul, South Korea for 17 years: the Raphael Clinic. This international clinic was founded when the Catholic Cardinal of the Archdiocese of Seoul, Stephen Sou-hwan Kim, suggested the creation of a medical center that could cater to the health needs of the migrants from Africa, China, Pakistan, Bangladesh and the Philippines. The Raphael Clinic was officially founded in 1966 by the late Cardinal who convened four medical volunteer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it operates only on Sundays, the usual non-working day for migrants, to specifically attend to the health problems of the migrant community. It started as a corridor hospital at the Seminary of Seoul attending to only 30 patients every Sunday (Harms, 2010), but it recently expanded into its own four- story building that can attend to more than 300 patients in a single day. The new building is much conducive for medical treatment and was

21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designed to house specific areas, including registration, triage, pharmacy, a referral system area and different medical departments, which include family and internal medicine, neurosurgery, cancer, obstetrics and gynecology, orthopedic medicine, eyes, ears, nose and throat (EENT) and dental medicine. Medication is provided free of charge to these patients following their medical consultations. The Raphael Clinic is also affiliated with a number of other health care facilities, such as imaging facilities and larger hospitals, where patients with complicated medical conditions are referred for further treatments. The volunteers that initially started with four medical professionals have also grown to 100 this year. These volunteers who work at the clinic are composed of medical physicians as well as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from various hospitals (mostly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Konkuk University Hospital) and clinics in Seoul. The Raphael Clinic is not only for foreigners, however, as its services have also been the refuge of less fortunate Koreans.

Figure 3. Raphael Corridor Clinic in 2010 (left- Photo by Anna Waigand) has now evolved into a 4-storey building Raphael International Clinic (right) at Seongbuk-dong, Seoul South Korea.

219

5. Korea’s Competitive Edge and International Impact in Biological and Biotechnological Advancement Moreover, a number of hospitals have special medical programs for selected Asian countries by offering free surgical services to certain beneficiaries. For instance, a group of cardiologists from Konkuk University Hospital render free heart surgeries to children with inborn heart defects with free hospitalization and accommodation as well as round trip airline tickets for the patient and the accompanying family member. The Philippines, Russia, and Iraq are all among the beneficiaries’ countries of origins during the last three years (Konkuk University Hospital Website). The Seoul Red Cross Hospital also provides surgical services for free or at a discounted medical cost through its social welfare office and Good Neighbors organization. These services are available for foreigners and range from general to specific orthopedic surgeries, particularly for patients with referrals from the Raphael Clinic.

Figure 4. Dr. Dong Man SEO of the Department of Pediatric Cardiosurgery (left) and the Filipino children (right), along with their mothers, who underwent Cardiac Surgery in 2012 at Konkuk University Hospital. photo credit: KU News (www. konkuk.ac.kr/eng/jsp/News).

22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SOUTH KOREA’S MEDICAL WELL-BEING DIPLOMACY

Aside from its healthy lifestyle and food, advancements in the healthcare and welfare syste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ife expectancy among Korean nationals. In 1960 the average lifespan was 53 years but this increased to 81 in 2012, reaching a level comparable with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n Germany. According to the Penn World Table as cited by Yang (2008), the blueprint for the Korean health insurance system was initiated by the Health Insurance Act of December 1963, when South Korea's real per capita GDP (RPCG) was still under 1,600 USD. At that time, Korea's RPCG was only two-thirds of that of the Philippines, and was about the same level of Mozambique, Niger, Sri Lanka and Cameroon. The insurance coverage among Korean nationals has gradually improved, starting from those who are capable of paying and corporate employees and then including those who are self-employed and those who belong to the informal labor sector. Fee- for-service (FFS) at all referral levels has been the dominant method of payment for physicians (both Western and traditional), clinical services and pharmacists. Physicians at hospitals are paid salaries, but occasionally they are paid bonuses based on their performance. Another peculiar feature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is that health care delivery system has been initiated and facilitated by private institutions before the government-based insurance system was established (Yang, 2008). With the improved status of Korea’s NHI,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w seeks to use the excellence of Korea’s health care and welfare system to strengthen global cooperation. This so-called Medical Well-Being Diplomacy has been lauded by Minister Chin Young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s a new yet effective strategy for public diplomacy and has been directed towards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various countries.

221

5. Korea’s Competitive Edge and International Impact in Biological and Biotechnological Advancement SOUTH KOREA’S CONTRIBUTION TO GLOBAL BIOMEDICAL AND BIOTECHNOLOGICAL EDUCATION

Apart from the national increase in medical experts in South Korea, a rising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 scholars from all over the world are also evident.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launched a Study Korea Project in 2005 with the goal of attracting foreign students. This trend peaked in 2012 whe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cholars reached 100,000. It is expected that this number will doubled by 2020 (KISSA Website). Various government, university-based, and foundation-based scholarships have bridged the globalization of Korea’s education and through the programs discussed in this section. The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was founded as a government agency on April 1, 1991. The main goal of this agency remains to implement governmental grant aid and technical cooperation programs with the aim of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Korea's grant aid programs for developing countries. KOICA also aims to drive sustainable development by promoting a healthy lifestyle in developing countries. To achieve this, one of its strategies has been to strengthen human resources. Consequently, many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under KOICA scholarships are in programs geared towards increasing education for health policies, medical experts and basic health workers. In addition, KOICA implemented cooperative programs with developing countries to establish biotechnology institutes that provide a suitable environment for the training and education of target beneficiaries. Another program, the Korean Government Scholarship Program (KGSP), is designed to provide higher education in Korea for international students with the goals of promoting international educational exchanges and mutual friendship between the participating countries. The selected scholarship recipients may enroll in a Master’s

22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Program, a Doctoral Program or an Integrated Masters and Doctoral Program after completing the required Korean Language requisite. The KGSP is facilit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NIIED). As an executive agency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NIIED plays a leading role in strengthening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South Korea by developing international human resources among Koreans residing overseas, through student exchange programs as provided by national government scholarships and by providing administrative services to educators and their institutes. Furthermore, while students spend their academic life in South Korea,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s various support systems for international students. For instance, the Korea International Student’s Support Association (KISSA) was founded in 2011 to facilitate foreign student scholars in coping with the challenges and help them get accustomed to Korean society. KISSA ensures that student’s rights and welfare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a better academic growth and experience. In fact, the first forum for policy development was conducted in 2013 at the National Assembly and was attended by law-makers and foreign students where grievances, research ethics, and welfare issues were presented and discussed as a basis for future policies (Nemeno, 2013). South Korea also offers post-graduation privileges for student migrants through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OFA). MOFA’s D-10 (Job Seeking) and F-2 point system (Long-term Residency) visas are offered to foreigners who are alumni of any Korean university in the hope of retaining these global talents in South Korea for further academic pursuit and professional skill development. As such, through the various international scholarships and programs offered, South Korea is laying the foundation for future scientists, medical professionals and professors, and this is particularly true for students coming from developing countries. Moreover, these programs promote technology transfer, intellectual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223

5. Korea’s Competitive Edge and International Impact in Biological and Biotechnological Advancement research collaborations between the respective countries. South Korea clearly values the roles of its students since it realizes that they are future ambassadors of this nation to their respective home countries and are, therefore, effective non-state actors for two-way public diplomacy.

CONCLUSIONS

South Korea continues to develop its global brand in biotechnological and biomedical advancements through the efforts and support of various government agencies and programs. This support is not a recent trend but one that has been central to academic research and business incubation for more than three decades. This drive to make South Korea one of the top countries worldwide has not only driven research and publication but also patent development and business culture. Moreover, the successes seen here in South Korea have empowered various Koreans to look outwards to other countries, assisting in establishing the Medical Well- Being Diplomacy, a novel strategy for public diplomacy. As South Korea makes strides forward and progresses in both knowledge and ability, it is clear that it seeks to extend this hand to others, including to developing countries. Various examples of this include the Raphael Clinic, the cardiologists at Konkuk University, and the orthopedic surgeons at Seoul Red Cross Hospital, which offer free services to less fortunate people and scholarships to students wishing to study in South Korea. Taken together, South Korea is indeed competitive in terms of medical facilities, healthcare/ welfare systems, medico-technological services and available medical professionals. For these reasons, this nation will continue to develop a greater global brand in medicine until it becomes a top-notch medical tourism destination in the not-so-distant future (Figure 5).

22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Figure 5. Korea’s Competitive edge in Biotechnology, Biomedical Science, and Biotech and Biomedical Education will promote its global brand through Bio-economic, well- being, and 2-way student public diplomacy.

South Korea

Biotechnology Biomedical Sciences Biotech and Biomedical Science Education

· Increased Biomedical · More Scholarships & · Increased Publication Frontiers Grants · Competitive Patent · Sophisticated Health · Development of Technology Care Facilities And Global Education · Increased Research & Welfare System Policies Development Manpower · Increased Medical Experts · More Job Opportunities

Bio-Economic 2-Way Student Diplomacy Well-Being Diplomacy Diplomacy

Global Trademark Of South Korea

225

5. Korea’s Competitive Edge and International Impact in Biological and Biotechnological Advancement REFERENCES

Barachini, S., Trombi, L., Danti, S., D'Alessandro, D., Battolla, B. and Legitimo, A. (2009) ‘Morpho-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from umbilical cord blood for potential uses in regenerative medicine’ Stem Cells and Development18, 293-305. Chang, Q., Yan, L., Wang, C.Z., Zhang, W.H., Hu, Y.Z. and Wu, B.Y. (2012) ‘In vivo transplantation of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accelerates repair of injured gastric mucosa in rats’ Chinese Medical Journal 125, 1169-74. Good Neighbor’s Website. www.goodneighbors.org/index. php?option= com_content&view=article&id=94 Harms, D. (2010) ‘A Place to Call Their Own: Seoul’s Raphael Clinic’ International Underground, http://www.internationalunderground. org/2010/place-call-their-own Kassem, M., Kristiansen, M. and Abdallah, B.M. (2004) ‘Mesenchymal stem cells: cell biology and potential use in therapy’ Basic & Clinical Pharmacology & Toxicology 95, 209-14. Kim, P.K., Kim, K.S., Kim, Y.H., Lee, J.Y. and Choi, I.J. (1982) ‘Incidence of positive serum hepatitis B surface antigen and its antibody in renal diseases of children’ Yonsei Medical Journal 23, 110-7. KOICA Website. www.koica.go.kr/english/aid/health/index.html Konkuk University Website (Konkuk University Hospital Performs Free Heart Surgery) www.konkuk.ac.kr/eng/jsp/News/news_020000.jsp Lee, J.I., Sato, M., Kim, H.W. and Mochida J. (2011) ‘Transplantatation of scaffold-free spheroids composed of synovium-derived cells and chondrocytes for the treatment of cartilage defects of the knee’ European Cells & Materials Journal 22, 275-90. Lee, M., Jeong, S.Y., Ha, J., Kim, M., Jin, H.J. and Kwon, S.J. (2014) ‘Low immunogenicity of allogeneic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n vitro and in vivo’ Biochemical and

22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446, 983-9. Medipost Website (The Future of Biotechnology) www.medi-post.com/ index.asp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of the Republic of Korea (2013) Global Sales for Well-Being Diplomacy towards the Foreign Diplomatic Corps of Korea, english.mw.go.kr/front_eng/al/sal0101vw.jsp? Nation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Website. www.niied.go.kr/eng/ index.do Nemeno, J. G. (2013) ‘Filipinos involve in SK’s Educational Reform and Policy Development for International Students’ Sambayanan, a publication of the Hyewhadong Filipino Catholic Community in Seoul Archdioces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Scoreboard www.oecd.org/sti/scoreboard.htm Pugatch, M.P., Torstensson, D. and , R. (2012) Taking Stock: How Global Biotechnology Benefits from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London: Pugatch Consilium. Wong, J., Quach, U., Thorsteinsdottir, H., Singer, P.A. and Daar, A.S. (2004) ‘South Korean biotechnology - a rising industrial and scientific powerhouse’ Nature Biotechnology 22, 42-7 Yang, B. (2008) ‘Health Care System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of South Korea’ Official News & Technic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Pharmacoeconomics and Outcomes Research, www. ispor.org/news/articles/Oct08/HCSystemsSKorea.asp

227

5. Korea’s Competitive Edge and International Impact in Biological and Biotechnological Advancement

제5장 대한민국 생명공학 기술의 우수성과 파급효과

서론

세계 무대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은 크게 높아졌으며, 여기에는 고도의 경제성장과 한류물결이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한국을 생 각할 때 최첨단 IT기술의 나라를 떠올리지만 이러한 IT기술 이외에도 대 한민국의 제조산업 부문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수준으로 성장하였고 석 유화학업과 조선업으로 대표되는 대한민국 산업의 심장부인 울산광역시 는 전세계 산업 중심 허브로 떠오르고 있다. 실제로 대한민국 조선업은 세계 최고수준으로 세계 10대 조선회사 중 5개사가 한국 회사이며 이 중 1개 회사를 제외한 4개 회사가 세계 1위부터 4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의 석유화학산업은 2012년 이후 한국의 가장 높은 대외수출 비 중을 차지하는 품목인 반도체, 기계, 자동차의 뒤를 이어 국가의 주요 산 업이 되었으며 한국의 3대 석유화학 공장인 SK에너지는 세계 2위, GS칼 텍스와 S-oil은 세계 7순위 안에 드는 석유화학 공장으로 그 경쟁력을 인 정받고 있다. 이외에도 한국은 연구·개발 분야에서 전세계가 주목할 만 한 놀라운 성과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생물·생명공학연구 분야는 세계 최고의 수준에 도달하였다. 생명공학은 생물학의 원리를 연구하여 그 기술을 인간의 건강, 환경 등 에 적용하는 고도의 기술로, 1994년 한국정부는 2010년까지 생명공학 기술을 선진 7개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의지를 천명하였다. 이러 한 의지의 일환으로 ‘바이오테크2000사업’을 추진하였으며 그 결과, 약

229

제5장 대한민국 생명공학 기술의 우수성과 파급효과 450~600여개 한국 기업들이 고도의 생명공학기술을 바탕으로 한 제반 사업에 참여하는 성과를 이루게 되었다. 2002년에는 한국의 생명공학기 술 관련 유명 기업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2000년도에 1개에 불 과했던 관련 기업이 2년 사이에 23개로 증가하는 세계적 수준의 성장률 을 보이고 있다. 이 중 특히 생명공학 벤처기업 전문 업체인 마크로젠(서 울 소재)과 바이오니아(대전 소재)는 DNA 분석 및 합성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메디포스트(서울 소재)의 경우 세 계 재생의학 및 줄기세포 치료부분의 발전에 높이 기여하였다(Wong et al., 2004). 이러한 한국 과학분야 제반 산업의 괄목할만한 성장은 아시아 뿐 아니라 전세계에서 그 수준과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이 장에서는 한국의 생명공학연구 및 제반 기술발전 동향과 이를 통한 국제사회에서 생명공학 중심 허브로서의 한국의 역할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첫 부분에서는 한국정부의 생명공학기술 제고를 위한 정책 및 그 성과와, 관련 분야의 연구 및 학계 동향 등을 바탕으로 한국이 과학분야 선진국으로 자리매김 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겠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한국 연구진과 의료진 이 거둔 생명공학 분야 기여에 대해 살펴보며 끝으로 세 번째 부분에서는 오늘날 한국사회의 의료수준과 복지, 그리고 이러한 한국의 뛰어난 관련 기술이 다른 국가들에 주는 영향력과 그 의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5.1. 대한민국의 생명공학 분야 선진화를 위한 노력

한국정부는 과학분야 육성정책 중 특히 생명공학 분야의 발전을 위해 지난 수십 년간 집중적인 지원을 해왔다. 1994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정 부의 생명공학 분야 투자 총액은 매해 평균 23% 증가하였으며 일년 투자 총액은 약 19배 증가되었다(그림 1). 지난 3년간 한국의 물가상승률이 4%

23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에 그친 것을 고려할 때 이러한 투자액 증가는 매우 높은 수준이라 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한가지 주목할 점은 1998년과 1999년 사이 가장 큰 폭으로 투자금액이 확대되었고 그 이후 한국정부의 생명공학 분야 지원 금액이 꾸준히 상승하여 왔다는 사실이다. 한국정부의 생명공학 분야 지원이 가장 크게 증가한 1998년과 1999 년은 사실 1997년 있었던 아시아 금융위기의 여파로 한국정부가 IMF에 195억 달러의 차관을 요청한 시기와 맞물려 있어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1997년 금융 위기 당시 원화 가치는 1달러 당 800원에서 2,000원 으로 급격히 상승하였고 이 같은 원화가치 하락으로 GDP 대비 국가 부 채는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한국정부는 이러한 국가 경제위 기 상황에도 불구하고 생명공학 분야의 연구 및 제반 산업 활성화를 위 한 노력을 멈추지 않고 지속적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2001년 한국정 부가 IMF 채무 상환을 완료한 이후, 생명공학 분야에 대한 연간 지원 총

그림 1. 한국정부의 생명공학 분야 투자추이 및 물가상승률(1995년-2008년)

14000 60% 투자액 전년대비 증감률(%) 물가상승률(%)

12000 50%

10000 40%

8000 30%

6000 20%

4000 10% 단위 : 백만원

2000 0%

0 -1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 1) 전년대비 증감률은 연간 투자금액을 기준으로 산정 2) 투자금액 출처:교육과학기술부 3) 물가상승률 출처: 웹 데이터

231

제5장 대한민국 생명공학 기술의 우수성과 파급효과 액 증가율은 한 해를 제외하고는 매년 10%를 상회하였으며, 한국정부의 이러한 생명공학 분야 선진화를 위한 끈기와 전폭적인 지원은 제2차 생명 공학육성기본계획(Bio-Vision 2016)을 통해 더욱 더 강화되었다.

5.2.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Bio-Vision2016)-생명공학 선진국으로서의 발걸음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한국정부의 생명과학 연구는 2004년들 어 여섯 가지 차세대 성장 원동력 중 하나로 지정되었으며, 이를 바탕으 로 2006년에는 부처간 연계를 통한 제 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Bio- Vision2016)이 발표 되었습니다.” – 전 한국연구재단 생명과학단 민태선 단장-

‘건강한 삶’과 ‘풍요로운 바이오 경제’ 구현에 초점을 맞춘 생명공학 을 지향하는 국가로서의 지위 향상이라는 비전을 골자로 한 Bio-Vision 2016을 통해 한국정부는 세계 생명공학기술 강국으로 발돋음 하겠다는 의지를 공표하였다. 그 결과 한국은 2006년 생명공학기술 관련 논문 발표 세계 12위, 생명공학 특허기술 세계 15위 라는 성적표를 내놓았다. 이외에 도 Bio-Vision 2016은 2016년까지 세계 7위의 생명공학 기술 강국 진입을 목표로 2006년 9,500여 명이던 해당분야 석·박사 및 전문인력을 2016년 까지 약 두 배에 달하는 총 17,300명까지 육성하고, 생명공학산업 경제규 모를 현재 2조 7천억 원에서 20배가 넘는 60조 원까지 확대하는 등의 구 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 같은 Bio-Vision 2016 사업을 통해 1998년부터 2009년까지, ‘바이오 21센터’, ‘울산 테크노파크’, ‘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김해 바이오메디 컬센터’ 등을 포함하여 전국적으로 총 20개의 테크노파크와 연구기관이

23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설립되었다. 이러한 연구기관과 시설들은 나노기술과 바이오기술을 결합 한 나노바이오기술(nanobiotechnology) 및 바이오소재(biomaterials), 해 양, 식품, 보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생명공학 관련 산업의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결국, 이 같은 분야의 다양화 및 관련 기술 적 용의 확대는 생명공학기술 발전을 위한 중심 축으로 한국정부는 이를 바 탕으로 생명공학 분야의 기술과 연구강국으로 성장하기 위하여 박차를 가하고 있다.

5.3. 생명공학기술에 대한 연구지원과 특허권

한국정부는 제반시설 설립 이외에도 생명공학 분야 기술 선진화를 위 하여 지난 1년이 넘는 기간 동안 적극적으로 관련 연구를 지원해왔다. OECD에 따르면 한국은 프랑스, 슬로베니아, 러시아에 이어 세계 네 번째 로 GDP 대비 가장 높은 비중의 연구개발 활동비를 지원하는 국가이며 (OECD, 2011) 2012년 OECD 회원국의 평균 GDP 대비 연구개발목적 지 원금액은 0.8%인데 반해 한국과 핀란드만이 GDP 대비 1% 이상을 연구 개발비로 지원하였다. 이 같은 한국정부의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의 연구 개발비 책정은 2013년에도 지속되었다(OECD, 2013). 이와 더불어 주목 할 만한 점은 2013년 한국정부의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이 큰 폭으로 증가 하였다는 것인데, 이는 향후에도 지속될 한국 중소기업의 성장을 예견하 는 중요한 지표이다. 푸가치(Pugatch et al., 2012)는 한국정부의 지원이 큰 폭으로 확대된 1999년과 2006년(그림 1 참조) 생명공학 관련 중소기업의 수가 70개에서 600여개로 약 9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2010년에는 한국의 중소기업 중 96% 이상이 특허권 관련 조사를 한 경험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특허권 조사는 △ 이미 시행된 연구개발 주제의 제외 목적 △ 현재 진행중인 연

233

제5장 대한민국 생명공학 기술의 우수성과 파급효과 구개발의 관련 분야 내 위치 정립 및 선정 목적 △ 경쟁업체의 연구개발 진행사항 동향 파악 등의 이유로 조사되었다. 특히 특허권 관련 조사를 한 경험이 있는 기업 중 95% 이상이 특허권을 소유하고 있다고 답하였으 며, 특허권 보유 개수는 국내 특허권의 경우 평균 11.59개, 세계 특허권은 평균 4.98개에 달하였다. ‘특허협력조약(PCT: Patent Cooperation Treaty worldwide)’에 신청된 생명공학기술 관련 특허권은 2000년에서 2009년 사이 약 20% 증가하였 으며(Pugatch et al., 2012) 같은 기간 동안 한국 연구원 및 기업의 특허권 신청 건수는 약 3배 이상 증가하였다. 사실 이 같은 급격한 성장은 대한 민국 뿐만 아니라 대만, 싱가폴, 인도, 중국 등의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며, 이는 생명공학 분야의 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 하여 아시아 국가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이는 생명공학 분야의 중심이 과거 미국과 유럽의 국가들에서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5.4. 생명공학산업의 새로운 지평

대한민국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수많은 벤처기업들이 설립되었으 나 많은 기업들이 생존하지 못하고 수 년 내에 사라져갔다. 실제 포브스 (Forbes) 보고에 따르면 신규 설립된 벤처기업 중 4년 이상 생존한 기업의 비율은 44%에 불과하다. 이처럼 어려운 벤처기업 생존 환경 속에 대한민 국의 한 생명공학 분야의 벤처기업은 혁신적인 연구와 사업모델을 기반 으로한 성장으로 눈길을 끌고 있다. 바로 (주)천랩이라는 기업인데, 이 회 사는 수많은 생물학 연구의 중심이 되고 있는 차세대 시퀀싱기술과 생물 정보학으로 특화된 기업으로 한국정부의 재정지원과 특별한 사업모델로 성공적인 벤처기업이 되었다.

23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2009년 당시 서울대학교 교수였던 천종식 박사의 주도 아래 서울대학 교 교내 벤처로 설립된 ㈜천랩은 2010년 벤처기업 증을 받고 질병관리본 부와 지식경제부로가 시행하는 열 개가 넘는 정부 연구과제 수행기업에 선정되어 ‘호흡기 감염 메타지놈 진단 학술연구’를 포함하여 병원균과 탄 저병 저항 유전체학 연구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왔다. 최근 ㈜천랩은 한화인베스트먼트-옥스포트 바이오사이언스 파트너스 및 에이티넘인베 스트먼트, KB인베스트먼트와 같은 기관투자자로부터 약 6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였으며, 현재는 약 43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이 외에도 ㈜천랩의 학계와 기업간의 상호관계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경영전략은 이 회사를 주목해야 할 또 다른 이유이다. 최근 전 세계 기업 들의 영업수익 중 약 30% 이상이 연구개발 분야에 투자된다는 점을 고 려할 때 산학협력관계 구축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천랩은 이 부분에 서도 매우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천랩은 전 세계 350여 기업체, 정부기관, 국공립연구소, 대학의 연구진을 고객으로 확보하여 해 당 연구에 요구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은 공동 연구 개발 또는 연구비 지원을 통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천랩은 최근 한국 파스퇴르 연구소를 고객으로 확보, 해당 연구소의 연구시 필요 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같은 ㈜천랩의 성공에 있어 앞서 언급하였던 ㈜천랩만의 특별한 기 업 전략이 주된 역할을 하였음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으나, 대학 연구소에 기반을 둔 벤처기업에 대한 한국정부의 재정지원 역시 간과될 수 없는 부 분일 것이다. 이 같은 한국정부의 산학협동 연구지원과 초기 창업 벤처기 업의 성장을 돕는 정책 모두 생명공학기술의 산업화와 대중화를 통해 국 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한국정부의 행보인 것이다.

235

제5장 대한민국 생명공학 기술의 우수성과 파급효과 5.5. 대한민국의 생물의학기술 및 줄기세포치료 연구

대한민국 생물의학(Biomedical)의 선진화가 가능했던 몇 가지 원인들 중에서도 한국 국민들의 높은 실용주의와 애국심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 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 과학자와 관련 분야의 전문가 대부 분은 해외 학위취득 후 한국으로 돌아와 그들이 배운 선진기술과 경험을 전파하는 추세로 그 결과, 대한민국은 △ 프로바이오틱스 △ 나노의약 및 나노기술 △ 조직공학 △ 재생의학 줄기세포 치료 등의 생물의학과 생명 공학기술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수준을 자랑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같은 성장 이면에는 생물의학의 무궁무진한 적용 범위에도 불구하고 암, 심장 혈관계 질병, 퇴행성 관절염, 성형 재건 수술 등 소수 분야에만 생물의학 연구가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생명공학 분야에서 한국이 성취한 가장 괄목할만한 성과 중 하나는 1982년 B형 간염의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HB백신의 개발과 이를 통한 성공적인 예방사업이다. 이러한 HB백신의 개발은 세계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저렴한 백신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였다(Kim et al., 1982). 또한 장티푸스 예방을 위한 타이포이드 코박스(Typhoid- Kovax) Hib 역시 한국에서 개발된 유명한 백신 중 하나이다. 이 외에도 △ 암 치료를 위한 인터페론(Aphaferon) 과 제녹솔주(Genexol) △ 당뇨 치료 목적의 이지에프(Easyef) △ 관절염 등 연골손상 치료목적의 콘드 론(Chondron) △ C형 간염 및 골다공증의 진단장치인 LG HDC 3.0와 Ostoemark NTx 등이 대한민국 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었다(Wong, et al, 2004).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생명공학 기업인 ‘메디포스트’는 세계 1위 줄기세 포 기업으로서 세계 최초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등 한국 뿐만 아니라 세 계 줄기세포연구 분야를 주도하고 있다. 조직공학과 줄기세포 치료는 10 여년 전부터 퇴행성 질환 대체치료 수단으로 임상실험이 진행되어 왔는

23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데, 여기에는 증식성세포인 동시에 비조혈 줄기세포로써 치료를 받고 있 는 환자의 골수(Chang et al., 2012), 지방조직(Zhu et al. 2008), 윤활막이 나(Lee et al.,2011) 탯줄의 제대혈로부터 채취가 가능한(Barachini et al., 2009) 중간엽 줄기세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간엽 줄기세포는 다양한 중배엽 세포계통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골아세포, 연골세포, 내피세포 등과 같은 비중배엽 계통과 신경세포계통 등이 있 다(Kassem et al., 2004). 또한 낮은 면역원성을 가지고 있음으로 밝혀진 MSC는 동종 세포 및 조직 이식에 보다 안전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 으로 보인다(Lee et al., 2014). 현재까지 메디포스트는 체외에서 분리배양 된 줄기세포를 통해 카티스템(cartistem), 뉴로스템(Neurostem), 뉴모스 템(Pneumostem), 프로모스템(promostem)의 총 4가지 줄기세포 치료제 를 생산하였다(메디포스트 홈페이지). 카티스템은 한국 사회 고령인구의 상당수가 겪고 있는 퇴행성 관절염 치료를 위해 개발되었다. 퇴행성 관절염은 노화, 비만 혹은 부상에 따른 퇴행성 혹은 외상 후 관절염이 있는데 그 치료를 위해 10여 년이 넘는 기 간 동안 인공관절 이식수술, 미세골절술, 세포이식술 등 수 차례의 임상실 험이 실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 방법들은 아직 완전한 치료법이 되 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인간의 제대혈로부터 분리된 줄기세포를 배양하 여 만들어진 카티스템은 2012년 시작된 임상실험을 통해 연골 관련 질환 에 그 효과가 입증되고 있으며 2013년부터는 퇴행성 무릎관절염으로 고 통 받는 600여 명이 넘는 환자들이 카티스템으로 치료를 받아왔다. 뉴로 스템 또한 인간의 제대혈을 통해 개발된 치료제로 삼성서울병원에서 치 매환자를 대상으로 예비 임상 및 1차 임상이 진행되었다. 한국 의료진들 과 연구진들은 이러한 줄기세포 치료제가 뇌신경 세포에 독을 유발하여 뇌의 신경세포를 파괴하는 물질인 아밀로이드 베타를 줄인다는 것을 확 인하였다. 뉴로스템은 현재 치매의 치료 뿐만 아니라 치매의 예방 효과까 지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데, 뉴로스템의 이러한 효능과 치료의 효과

237

제5장 대한민국 생명공학 기술의 우수성과 파급효과 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삼성서울병원에서 40명의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2 년간의 임상실험을 진행 중에 있다.

그림 2. 대 한민국 기업인 메디포스트는 세계 최초의 동종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등 탁 월한 성과와 기술력으로 현재 세계 바이오(Bio)신약 분야를 주도 하고 있다.

* 출처 : 메디포스트

미숙아의 사망과 합병증의 주 원인 질환인 만성폐질환의 줄기세포 치료 제로 알려진 뉴모스템은 현재 동물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2차 임상실 험을 위해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미숙아 만성 폐질환의 발병 위험성이 매우 높은 임신 24~26주의 초 미숙아 9명을 대 상으로 한 1차 임상실험에서는 뉴모스템 치료제 투여군에서 만성폐질환 의 발병률이 절반 이하로 감소되어 그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메디포스트의 프로모스템은 비혈연 조혈모세포를 이식할 때 생착을 촉 진시키는 동시에 중증이식 편대 숙주병을 예방하기 위한 줄기세포 치료

23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제이다. 이 같은 메디포스트의 네 가지 줄기세포 치료제는 모두 한국을 포함하여 일본, 인도, 미국 등 세계 각국에서 그 특허권이 인정되었으며 이러한 줄기세포 재생의학의 발전은 대한민국 국민들 뿐만 아니라 전 세 계 인류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메디포스트 홈페이지).

5.6. 대한민국의 건강보험 및 복지 선진화

지난 20여년 간 대한민국의 의료서비스와 의료시스템은 선진화된 의료 인력과 기술에 맞추어 함께 성장하였다. 한국의 의료서비스는 국가의 긴 급구조 119시스템 뿐 아니라 서울대학교병원, 가톨릭대학교병원, 삼성서 울병원, 연대세브란스병원 등 대형병원들의 고급 의료진 및 시설 등을 통 하여 세계 선진화 계열에 들어섰다. 특히 일부 병원의 경우에는 다른 국가 의 의료진들에게 선진화된 한국의 의료기술을 전수하고 있기도 하다. 이 처럼 대한민국은 △ 높은 수준의 의료 인력의 지속적인 배출 △ 통합 의 료기록 시스템 구축 △ 한국의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외국인들을 대상 으로 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국제병원 지정 등 의료시설 선진화를 위해 국가적 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966년 서울에는 이주 노동자를 대상으로 무료진료와 구호활동을 하 는「 라파엘클리닉」이 설립되었다. 라파엘클리닉은 한국에 거주하고 있 는 이주 노동자들을 위해 고 김수환 추기경의 제안으로 서울대학교 의과 대학 가톨릭교수회와 서울대학교 의대·간호대 동아리를 주축으로 시작 되었다. 라파엘클리닉은 이주 노동자들의 휴일인 일요일에만 진료활동을 하며 이주 노동자가 거주하고 있는 지역을 방문하여 진료 및 구호 활동 등을 진행하고 있다. 매주 일요일 30여 명의 환자가 방문하던 가톨릭대학 교 신학대학의 임시 진료소는(Harms, 2010) 현재 총 4개층 규모의 건물 로 확장 이전하였고 매일 300여 명의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라파엘클리

239

제5장 대한민국 생명공학 기술의 우수성과 파급효과 닉은 이 같은 진료소 확장 이전을 통해 더욱 확대된 진료서비스를 제공 하며, 자체적 약제부 뿐만 아니라 가정의학과, 내과, 암치료, 정형외과, 신 경외과, 산부인과, 이비인후과, 치과 등 다양한 분야의 의료진이 참여하 여 거의 모든 분야에 걸친 무료 진료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필요시에 는 다른 병원과의 협력을 통하여 질병으로 고통 받는 이주 노동자들이 적 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의료봉사진 역시 초창기에는 4명의 의대 교수에 불과하였으나, 현재는 그 수가 약 100여 명 으로 늘어났다. 또한 의료봉사자 구성원 역시, 의대 교수 뿐만 아니라 의 대 및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학생들로(주로 서울대학교와 건국대학교) 다 양해졌다. 라파엘클리닉은 이주 노동자들뿐 아니라 한국의 어려운 이웃 에게까지 그 활동범위를 넓히고 있다.

그림 3. 현재 서울 성북동에 위치한 4층규모의 라파엘클리닉 전경

* 출처 : Anna Waigand,2010

이 외에도 한국의 많은 병원들이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 그 온정의 손길

24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을 내밀고 있다. 건국대학교병원 흉부외과 교수진은 세계 각국의 선천성 심장 기형을 앓는 어린이들에게 무료 심장 수술을 시행하고, 동반 가족들 을 위한 왕복항공권 및 한국 내 숙박을 제공하는 등 성공적인 치료를 위 해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지난 3년간 필리핀, 러시아, 이라크 등 여러 나라 의 어린이들을 한국으로 초청하여 무료심장수술을 시행하였다. 서울적십 자병원 또한 본원의 사회사업실과 굿네이버스와의 협력하에 외국인들에 게 일반치료뿐 아니라 특수 정형외과 치료를 비롯한 수술비 지원 및 무료 수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필요한 경우 라파엘클리닉에도 의료 지원 을 하고 있다.

그림 4. 건 국대학교 서동만 흉부외과 교수(왼쪽)와 2012년 건국대학교에서 무료 심 장수술을 받은 필리핀 어린이와 가족들(오른쪽)

* 출처 : 건국대학교병원 홈페이지(www.konkuk.ac.kr/eng/jsp/News)

5.7. 대한민국의 의학 웰빙 외교

한국의 선진화된 건강보험제도는 건강한 한식문화와 생활습관을 가진 한국사람들의 기대수명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1960년대 53세였던

241

제5장 대한민국 생명공학 기술의 우수성과 파급효과 한국의 기대수명은 2012년에 들어서는 독일과 비슷한 81세로 연장되었 다.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의 펜 세계 도표(Penn World Table)에 따르면 한 국의 건강보험제도는 국민당 GDP가 1,600달러에도 미치지 못하던 1963 년의「 국민건강보험법」 제정을 기점으로 시행틀이 구축되었는데 당시 한 국의 GDP는 필리핀 GDP의 2/3 수준이었으며 모잠비크, 나이지리아, 스 리랑카, 카메룬과 같은 수준이었다. 이후 한국의 건강보험제도는 점차 선 진화되어 그 대상 범위도 근로소득 가입자부터 자영업자, 그리고 일반노 동자까지 그 대상 범위가 점차 확대되었다. 대한민국 건강보험제도의 비 용부담방식은 의사, 약사 등 예외없이 모든 의료행위에 대해 관련 비용이 지급되며 이러한 제도하에서 종합병원의 의사들은 월급을 기본급여로 하 고 경우에 따라 진료 성과에 따라 성과금을 받는다. 한국 건강보험제도의 또 다른 독특한 점은 건강보험제도가 정부가 아니라 민간에 의해 먼저 시 행되었다는 사실이다(Yang, 2008). 한국의 의료·보건 수준이 점차 선진 화됨에 따라 한국정부는 보건복지부 주도 하에 보건의료 외교 추진 체계 를 구축하고 보건의료 복지분야 국제협력 확대를 위한 틀을 마련하였다. 진영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주창한 이러한 소위 보건의료 외교는 공공외 교와 그 맥을 같이하는 새로운 외교로써 향후 세계 각국과의 긴밀한 협력 관계 구축을 위해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5.8. 세계 생명공학기술 및 교육 확대를 위한 대한민국의 역할

대한민국의 의학분야 관련 교육은 전세계적으로 그 뛰어남을 인정받 아 전세계의 학생들이 한국의 선진화된 의학기술을 배우러 오고 있다. 한 국정부는 2005년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방안으로 ‘스터디코리아프로젝트’ 를 시행하여, 2012년에는 외국인 유학생 및 연구진의 수가 십만 명을 넘 어섰으며 2020년에는 그 수가 이십만 명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4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KISSA Website). 이러한 한국정부의 노력과 함께 세계 각국의 정부, 대 학, 재단들의 한국으로 유학하는 학생들에 대한 재정지원은 한국교육의 세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991년 설립된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정부출연기관으로 정부차 원에서의 대외무상협력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지원 대상 국가의 개발 뿐만 아니라 해당 국가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다. KOICA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적자원 강화를 핵심 과제로 선 정하여, 개도국 학생들이 한국에서 의료정책, 기초전문의학 분야의 교육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더 나아가 KOICA는 개도국이 자 체적으로 적절한 교육과 훈련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생명공학기관을 설립할 수 있도록 지원 수원국과 관련 상호협력 프로그램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한국정부는 이 외에도 상대국과의 우호협력관계 증진 및 상호이익 증 진 목적의 일환으로 상대국의 학생을 초청하여 한국의 대학 교육을 받 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대한민국정부 장학프로그램(GKS: Korean Government Scholarship Program)’을 시행 중이다. 교육부 산하 국립국 제교육원이 추진하고 있는 한국정부 장학프로그램은 지정된 한국어 교육 을 이수한 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국내대학에서의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국립국제교육원에 의해 시행되고 있는 이 같은 세계 우수 인재초청 및 장학제도를 통한 글로벌 인적자원 네트워크 구축은 대 한민국의 국가경쟁력 제고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한국정부는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이 외에도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 다. 2011년에는 ‘주한유학생지원협의회’를 설립하여 외국인 유학생들이 보 다 한국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불공정한 처 우, 의식주와 관련한 현실적인 어려움을 해소하는 실질적인 정책지원을 하 고 있다. 또한 유학생 관련 정책을 점검하고 제언하기 위하여 2013년에는 정책입안자, 유학생 등이 참여한 오픈포럼을 국회에서 진행하는 등 한국사

243

제5장 대한민국 생명공학 기술의 우수성과 파급효과 회와 유학생들 간의 교류를 증진하고 화합할 수 있는 기회들을 만들고 있 다(Nemeno, 2013). 한국정부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졸업 후 한국에 거주 할 경우 국내에서의 구직을 허용하는 D-10, 장기거주를 허용하는 F-2 등 의 사증 발급 혜택을 제공하여 한국 대학을 졸업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 국의 미래사회를 이끌 고급 인력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고 더 나아가 잠재 적인 외교 인재들이 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제정, 시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국정부가 제공하는 다양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지원 사 업은 특히 미래과학분야와 의학전문분야 등의 선진화 기술 분야에서 전 문가를 꿈꾸는 개도국 학생들에게 매우 중요한 성장 발판이 될 뿐 아니라 이러한 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상대국과의 기술이전, 지식개발 및 국제연 구 공조 등 다양한 상호이익 협력의 틀이 마련되고 있다. 한국정부는 한국 주재 외국인 유학생들이 향후에 세계로 나아가 한국을 긍정적으로 홍보 해 줄 홍보대사인 동시에 미래에는 한국과 그들 나라와의 가교 역할을 담 당할 외교 인재들로써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임을 잘 알고 있으며 그들 또한 비 정부 참여자로서 효과적인 공공외교 활동 수행에 큰 몫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결론

한국정부는 다양한 제반 정책과 각 부처간 협력을 통하여 생명공학기 술 및 생물의학 분야의 강국으로 성장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전개하 여 왔다. 30여 년 전부터 꾸준히 진행해온 생명공학기술 관련분야 연구 및 제반사업 추진 등의 노력은 오늘날 한국을 생명과학 분야의 연구뿐 아 니라 관련 특허권, 산업부분에서까지 세계 정상에 올려놓았다. 나아가 이 러한 발전은 한국 국민들의 세계 사회 안녕과 평안을 위한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보건의료 외교의 근간을 마련하는 등 성공적인 공공외교 활동

24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한국의 생명공학 분야 선진화는 연구 및 관 련 사업 추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개도국에 대한 지원으로까지 확대되 어 △ 라파엘클리닉 △ 건국대학교의 흉부외과 의료진 △ 서울적십자병 원의 정형외과 의료진 등은 소외계층인 한국 거주 외국인 들에게 무료 진 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한국정부는 한국에서 공부하는 유학생을 지원 하는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현재 한국은 의료장비 및 시설, 국가 건강보험제도, 의료기술, 전문 의료진 보유 등 관련된 거의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세계 경쟁력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국은 계 속하여 국제사회에서 의료선진국으로서의 기반을 닦을 것이며, 가까운 미래에 세계 최고의 의료관광 국가로 발돋움할 것이다(그림 5).

그림 5. 대 한민국 생명공학·의학의 발전 및 제반 기술 교육은 바이오 경제외교, 보 건의료 외교, 양방향 교육외교와 같은 공공외교를 통해 대한민국의 국가 브랜드를 한층 강화할 것이다.

대한민국

생명공학기술 생명의학 생명의학기술 교육

· 관 련 장학금 및 연구비 · 해당분야 선구적 역활 강화 · 관련 연구 해외 발표 지원 확대 · 의 료시설 및 건강복지제도 · 관련기술 특허권 · 글 로벌교욱 정책 개발 및 선진화 · 관련 연구, 전문 인력 증가 구체화 · 의학 전문인력 증가 · 관련 직종 구직 기회 확대

바이오-경제외교 보건·의료 외교 양방향 교육 외교

대한민국 국가 브랜드 강화

245

제5장 대한민국 생명공학 기술의 우수성과 파급효과 참고문헌

Barachini, S., Trombi, L., Danti, S., D'Alessandro, D., Battolla, B. and Le- gitimo, A. (2009) ‘Morpho-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human mes- enchymal stem cells from umbilical cord blood for potential uses in regenerative medicine’ Stem Cells and Development18, 293-305. Chang, Q., Yan, L., Wang, C.Z., Zhang, W.H., Hu, Y.Z. and Wu, B.Y. (2012) ‘In vivo transplantation of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acceler- ates repair of injured gastric mucosa in rats’ Chinese Medical Journal 125, 1169-74. Good Neighbor’s Website. www.goodneighbors.org/index.php?option=com_ content&view=article&id=94 Harms, D. (2010) ‘A Place to Call Their Own: Seoul’s Raphael Clinic’ Interna- tional Underground, http://www.internationalunderground.org/2010/ place-call-their-own Kassem, M., Kristiansen, M. and Abdallah, B.M. (2004) ‘Mesenchymal stem cells: cell biology and potential use in therapy’ Basic & Clinical Phar- macology & Toxicology 95, 209-14. Kim, P.K., Kim, K.S., Kim, Y.H., Lee, J.Y. and Choi, I.J. (1982) ‘Incidence of positive serum hepatitis B surface antigen and its antibody in renal dis- eases of children’ Yonsei Medical Journal 23, 110-7. KOICA Website. www.koica.go.kr/english/aid/health/index.html Konkuk University Website (Konkuk University Hospital Performs Free Heart Surgery) www.konkuk.ac.kr/eng/jsp/News/news_020000.jsp Lee, J.I., Sato, M., Kim, H.W. and Mochida J. (2011) ‘Transplantatation of scaffold-free spheroids composed of synovium-derived cells and chon- drocytes for the treatment of cartilage defects of the knee’ European

24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Cells & Materials Journal 22, 275-90. Lee, M., Jeong, S.Y., Ha, J., Kim, M., Jin, H.J. and Kwon, S.J. (2014) ‘Low im- munogenicity of allogeneic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 enchymal stem cells in vitro and in vivo’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446, 983-9. Medipost Website (The Future of Biotechnology) www.medi-post.com/index. asp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of the Republic of Korea (2013) Global Sales for Well-Being Diplomacy towards the Foreign Diplomatic Corps of Korea, english.mw.go.kr/front_eng/al/sal0101vw.jsp? Nation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Website. www.niied.go.kr/eng/ index.do Nemeno, J. G. (2013) ‘Filipinos involve in SK’s Educational Reform and Policy Development for International Students’ Sambayanan, a publication of the Hyewhadong Filipino Catholic Community in Seoul Archdioces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Score- board www.oecd.org/sti/scoreboard.htm Pugatch, M.P., Torstensson, D. and Chu, R. (2012) Taking Stock: How Global Biotechnology Benefits from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London: Pugatch Consilium. Wong, J., Quach, U., Thorsteinsdottir, H., Singer, P.A. and Daar, A.S. (2004) ‘South Korean biotechnology - a rising industrial and scientific power- house’ Nature Biotechnology 22, 42-7. Yang, B. (2008) ‘Health Care System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of South Korea’ Official News & Technic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Pharmacoeconomics and Outcomes Research, www.ispor.org/ news/articles/Oct08/HCSystemsSKorea.asp

247

제5장 대한민국 생명공학 기술의 우수성과 파급효과 세계 속 대한민국의 위상과 상호이해를 통한 글로벌 파트너십 증진 Part II Korean Culture and Innovations

제2부 대한민국 문화의 우수성과 새로운 지평

6. South Korea Through Indicators and Keywords 지표와 키워드로 읽어보는 코리아 Young Hoon KIM

7.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Korea 대한민국의 발명과 발견 A. M. Jehad SARKAR

8.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K-Tourism 한국의 전통문화와 K-Tourism Xuemei CUI

9. Korean Language Learning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Akli HADID

10. Inher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Terms of Address in Language Etiquette 언어 예절에서 한국어 호칭어의 고유한 특성 Damdinsuren OTGONTSETSEG

6 SOUTH KOREA THROUGH INDICATORS AND KEYWORDS

INTRODUCTION

South Korea is the 109th largest country in the world by area and the 27th by population, out of the 193 countries in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Once combined with North Korea, the whole of Korea slightly increases in the ranking to 85th and 20th, respectively. Whichever way one counts, Korea does not appear to be a large country. Surprisingly, however, these days Korea is becoming famous for many kinds of “world records.” Indeed, we must think about what kinds of records have been assessed internationally and what these records actually mean. Therefore, the elements that made these records possible raise significant questions for various scholars. With this in mind, firstly, we examine Korea’s characteristic changes through fundamental statistics. We intend to define contemporary Korea with a number of keywords. It might be impossible to attempt to examine the changes of the last 100 years in Korea within one short article. Nonetheless, this can perhaps become an introductory guide for those with a budding interest in Korea. “South Korea Through Key Indicators” will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via indicators and statistics, and “South Korea through Keywords” will attempt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Korean society based on the aforementioned data.

251

6. Key A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SOUTH KOREA THROUGH KEY INDICATORS

The first indicator to be considered relates to economic development and progress. After a long occupation under Japan, followed by the Korean War in 1950, Korea was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in the world. In 1953, Korea’s per capita GDP was just 67 US dollars, giving the country one of the lowest income levels in the world. Remarkably, however, in 2014, Korean per capita GDP is approximately 30,000 US dollars, and it has become the world’s 13th largest economy. This represents incredible growth, with GDP rising more than 340 times. This kind of growth has never been observed anywhere else in the history of the global economy, and the important point is that even though the growth rate has been slowing, South Korea’s economy is still growing. Now it seems scarcely believable, looking back to the 1970s, when Korea’s main export items were dried seaweed and wig products. Now the country focuses on electronic components, semiconductors, cars, and ships. Korean products are near the top in the world market. While South Korea is the world’s fifth largest auto producer, it was only in 1974 that the country began producing cars with its own technology. I still vividly remember the first domestic product named “Pony” in 1974 after years of assembly work from imported secondhand parts. The first export of the Pony was just six units to Ecuador in July 1976. In 2010, 5 million cars were produced in Korea, more than 3 million of which were exported. Samsung and LG, which have emerged as leading players in the international TV market, now show record export figures. These companies’ exports have increased 100 times in the last 10 years and they now lead the global market with new technologies, such as ultra high-end TV screens and LED monitors. One must ask how such changes have been possible. This sort of reality was unthinkable half a century ago under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and amid the poverty

25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that followed the Korean War.

Graph 1. National Per Capita Income Trend

30,000 26.205 25,000 22,170 20,000

15,000 11,292 GNI($) 10,000 6,303 5,000 1,660 67 79 255 - 1953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2013

Source : National Accounts Statistics of the Bank of Korea

The second remarkable indicator, as a result of South Korea’s stunning economic growth, is overseas economic aid. South Korea is the only state in world history that shifted its status from being a recipient to a donor country. Ever since the country started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in 1990, foreign aid has increased up to 21 times by 2011. In 2012, Korean aid agency KOICA dispatched volunteers to 44 countries around the world to provide economic and humanitarian aid. In addition, the government is sending peacekeeping troops to conflict areas to provide various kinds of assistance. As a country that recovered from war with the sacrifice of the UN peacekeeping troops, who once shed blood to free Korea, as well as with generous economic aid received from the members of international community, South Korea is actively providing economic aid to those in need. In order to distinguish itself as a successful role model for developing countries/aid receiving states, South Korea is increasing its aid budget as well as working on

253

6. Key A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effective policy development and aid programs.

Graph 2. ODA Support Status of Korea

1800 1,551 1600

1400 1,174 1200

1000 USD million 800 752

600

400 212 116 200 61

0 1990 1995 2000 2005 2010 2012

Source :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2014)

The third remarkable indicator is the influx of international students coming to learn the South Korean development model. Before moving onto that subject, however, one needs to look first at the history of Korean students going abroad. The growing number of Korean students who have registered at reputable universities in the U.S. and Europe is just behind Chinese and Indian students. This indicates that Koreans are eager to learn from developed countries. While so many Korean students have left the country to acquire expertise and the human resource potential for economic advancement,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come to acquire knowledge and career opportunities has grown in a record high. According to current data on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he number increased rapidly in the 10 years after 2001 and currently nearly 90,000 of them are here either for

25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degree or language study. Compared to the early 2000s when this data started being collected, the number increased 8-fold, and the speed of the growth has also increased. Not only students but also the number of foreigners who settle in the country for employment and international marriage have increased: approximately 1.5 million in 2014, slightly more than 3.5% of the population. Considering the trend in increasing numbers of foreign nationals, it is worth noting the impact on the societal and cultural change that is different from old Korea. The term multicultural age, or multicultural society, has become a norm in Korea. Such changing aspects in South Korean society, coupled with the other social indicators, need to be discussed in a later section.

Graph 3.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Country: 2001-2013 (Degree Courses/Training Courses)

100,000 89,537 90,000 85,923 50,000 75,850 70,000 60,000 49,270 50,000 Person 40,000 30,000 22,526 20,000 10,000 11,646 12,314 0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e– Nara Indix

The fourth remarkable indicator concerns the use of the Internet. International surveys show that South Korea has the highest number of high-speed Internet subscribers in the world. Although the Netherlands, Switzerland and other countries might rank ahead of them in per capita

255

6. Key A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use, if one considers South Korea’s population compared to those listed, calling the country as the No. 1 high-speed broadband nation might not be an overstatement. A few years back, there was a catchy broadband service advertisement song on TV that repeated “fast, fast, fast.” Still, the same kinds of ads that promise the fastest/top broadband/services continue. When the word “Internet” first appeared in the mid-1990s, it took ten days to download a film. It now only takes ten seconds to do the same with the usual Internet transmission. In retrospect, there was no television or a phone in a whole town 50 years ago, and it is indeed remarkable that the country is now called the greatest telecommunication nation in the world, or the Internet nation. Finally, there are a few more indicators related to social change. Unlike the lists of indicators above, population growth,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macro-level indicators, fell into the bottom of global rankings. In particular, the projected 10-year population growth rate from 2015 is predicted as lowest in the world, except for Japan and China. Such stagnation in population growth can be understood in two ways: as the result of the strenuous promotion of family planning policies in the 1970s and 1980s; and as the change of women’s career opportunities and the increasing cost of living, specifically regarding childrearing and education.

As a result, South Korea is facing a different change from 40 years ago when family planning posters said “procreation without planning will make you end up penniless” or “let’s have just two and raise them well,” and “two kids are more than enough,” to encouraging childbirth with national campaigns in 2000s. The current population growth rate, however, still remains as the lowest amongst OECD member states, not to mention the lowest in the world. Another sign of change in South Korean society is the rapid increase in international marriage. Accord- ing to the recent marriage statistics, in the 2000s, as many as one in 10

25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South Korean marriages was to a foreign national. Therefore, in accordance with societal change, multicultural poli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become important topics in Korean soci- ety. Whether increasing international marriages and foreign residents will Picture 1. Family Planning Posters bring changes to the con- ventional view on “one-blood and one-nation” still remains to be seen. Finally, other significant stats are the trend on the fastest-growing ageing population. While there are other developed states that have already be- come aging societies, the issue here is the fact that South Korean society is aging faster than any other society in the world.

Table 1. Population Growth Rate Comparison United Year Korea Japan China India France US Kingdom '90~'95 1.01 0.31 1.08 1.93 0.51 1.07 0.32 '95~'00 0.83 0.25 0.88 1.75 0.37 1.05 0.34 '00~'05 0.48 0.17 0.65 1.55 0.41 0.97 0.34 '05~'10 0.52 0.02 0.51 1.43 0.58 0.89 0.60 '10~'15 0.48 -0.07 0.42 1.32 0.51 0.85 0.60 '15~'20 0.32 -0.20 0.26 1.17 0.45 0.80 0.58

257

6. Key A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Table 2. Over The Age Of 65 Population Ratio Per Country (Percent)

2050 2040 2030 2020 2010 Korea 37.4 32.3 24.3 15.7 11.0 US 21.5 21.2 20.2 16.6 13.1 France 25.5 25.4 23.2 20.4 16.8 United Kingdom 24.7 24.0 21.7 18.9 16.6 Source : Future Population Estimation,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1)

Such unbalanced population indicators on both extreme ends surely cannot allow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r the increasing demand for social welfare. A country where it is considered a social norm to save seats for the elderly in public transit nowadays hears doing the same for the children – although this is said rather half-jokingly. So far, this paper h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Korean society through core indicators and supporting statistics. The next section will seek to define South Korea using main keywords.

LOOKING INTO SOUTH KOREA WITH MAIN KEYWORDS

The first keyword is about “development Korea” as discussed earlier in the section on economic development. When one compares the outcome on economic development that started in the 1960s to the figures in 2009, one finds remarkable figures. Figures show that South Korea’s economic performance between the 1960s and 2009 was amazing. As shown in the diagram below, GNP increased over 1000 times, the scale of trade went up over 700 times, and the per-capita number of vehicles grew over 300 times. In 2014, South Korea has become one of the world’s 15 biggest economies. Such big numbers are somewhat hard to grasp, so we need to break them down into specific examples. In 2012, Samsung Electronics,

25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ranked No. 1 for smartphone sales worldwide, earned over 150 trillion KRW. While it is too simplistic to compare, such figures are nearly the equivalent of the annual GDP on a middle-income state. While it is not certain as to whether such high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amid today’s fierce international trade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competition, no one can deny that South Korea has reached a point that was nearly unthinkable 60 years ago.

Graph 4. Economic Development Outcome of Korea (1966-2009)

Hallyu Korea: Back in 2013, a South Korean pop song called “Gangnam Style” by Psy became a global sensation. What this actually means is still being discussed. Reaching No. 1 on prominent Western music charts and 20 billion views of its music video was unprecedented for an Asian singer. The Korean Wave, aka Hallyu, is a topic of discussion as Korean pop culture spreads around the world, beyond Asia. It is true that only 20 years ago South Korean pop culture was limited within the country and Korean audiences preferred pop culture from abroad, such as movies from Hollywood and Japan. Now the country has transformed itself into cultural exporter. Just over 10 years ago, there

259

6. Key A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Key records on ‘Gangnam Style’ hit 2012 15th July ‘Gangnam Style’ release: Psy, 6th album, ‘Psy6gam’ Feat No.1 21st Aug US itune Music Video Chart No. 1 4th Sept Youtube view reaches One hundred million (First ever on Korean Contents) 27th Sept Billboard Single Chart No. 2 1st Oct UK Single Chart No. 1 8th Nov Billboard Single Chart NO. 2 (7consecutive weeks) 12th Nov MTV Europe Music Awards (MTV EMA 2012) Best Video Award 19th Nov The 40th American Music Awards (AMA) New Media Award 24th Nov Youtube view hits Eight Hundred Million (Biggest ever record on Youtube) 18th Dec Presented as ‘Most watched Video’ on Youtube 2013 27th Jan Three wins on NRJ Music Awards, France 14th Dec ‘Hot 100 Songs’ No. 56 on Billboard ‘2013 Overall Chart’ 2014 31st May First ever 2 Billion Youtube view

were no cultural exports. These exports have grown to an estimated 4 billion KRW annually. Along with music, other kinds of culture are being exported, notably K-Drama (Korean TV series) and K-Cinema. “Dae Jang Geum,” also known as “Jewel in the Palace,” was first produced in 2003 and has been exported worldwide as far as the Middle East and Africa where its popularity continues. It has been said that behind the rise of Hallyu, there were a couple of factors that enabled it, for instance, the government’s cultural subsidies, the unique production system development, changes in world contents market demand and widespread sharing on social media such as Youtube. Multifaceted academic research is being conducted into this phenomenon now. Indeed, while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at the future holds for Hallyu, no one will deny that it has brought unprecedented changes to the world cultural contents market.

South Korea, a country of rich cultural heritage: The third keyword pertains to long-standing and unique cultural traditions. While Korean history and culture were mainly influenced by ancient Chinese culture, due to geographical proximity, for a long time it is also true that

26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Picture 2. Cultural Heritages of Korea

- Whangnamdechongbokbun Cheomseongdae Jikji Gwansuhasik(191st National Treasure) (31st National Treasure) (The Memory of th the World Program, - Gold Hat Ornament (618 Treasure) UNESCO) - Cheonmachong Gold Hat(189th National Treasure) it developed its own unique cultural traditions. Here is one example: Amongst numerous artifacts that illustrate the cultural legacy of the country, the ancient golden crown has a special place as there are few remaining ancient golden crowns in the world. Amongst the few of them, the Shilla golden crown remains unique because of its symbolism and form. The first observatory in the East was built in Shilla, an old dynasty of Korea. Such cultural heritages have been recognized by UNESCO, for instance, Jikji, the Buddhist document also called “Anthology of Great Buddhist Priests Zen Teachings,” demonstrates that people in Korean peninsula developed the first and finest quality of typography since the early days. In fact, the remarkable economic growth and the spread of contemporary culture are impossible to separate from the long-standing traditions of the past, and therefore,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and history.

South Korea, a democratic nation: The fourth keyword can be considered a “miracle” along with economic advancement. There are

261

6. Key A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few states that were newly independent after the Second World War and achieved both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cy. In that regard, some Western scholars claim that South Korea should be called “dual miracle on the Han River.” The political development that led democracy along with economic advancement for the last 60 years must be the most impressive achievement of all, indeed. Throughout the process, however, the country suffered a great deal of sacrifice, tragedy and struggle. Since after the mid-1980s, Korea gradually matured and developed democratic institutions and processes. In particular, images of “candlelight vigils” since the 2000s have contrasted with the violent demonstrations of the past. Also, Korean civil society’s role in the democratization and its example for developing countries is a research topic in international scholarship. But the fact that Korea is the last country still divided after the Cold War brings us to what is still missing.

A country still divided by the legacy the Cold War: This last keyword is in contrast to successful democratization of South Korea earlier in the chapter, and still is the reality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World War II, the tens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landed on the 38th parallel, dividing South and North Korea, a division that still stands. Tension between the two Koreas has locked in, and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DMZ) is the most militarized place in the world. The conflic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ultimately associated with not just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with Northeast Asia. Strictly speaking, the Korean War has not yet ended. Considering the past 60 years of extraordinary economic growth and democratization of the country, the security status of the last remaining cold war state is certainly a historical irony.

26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CONCLUSION

In understanding South Korea through indicators and keywords simply by introducing positive and desirable ones is not a correct representation of reality. In the last half century, we saw economic and political development that is unprecedented in history, while Hallyu spread Korean pop culture all over the world. From making a phone call with a Korean smartphone and watching Korean TV series to enjoying Korean food such as bibimbap and kimchi, as well as K- Pop is indeed the spread of “K- Culture.” Simultaneously, however, the country remains as the only state still divided by the Cold War. In a nutshell, this is an uneasy coexistence of prosperity and disconnection. In fact, there are many pressing issues to be solved behind the rapid societal development of South Korea. Already mentioned in the previous chapter, the growth rate of the South Korean population is rapidly declining and the birth rate is the lowest in the world. According to the World Factbook by the United State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CIA) in 2014, South Korea showed just 1.25 children on the total fertility rate, (births per woman aged 15 to 49), ranked 219th out of 224 countries. This goes to show that although the figure is slightly higher than for Hong Kong (1.17, ranked 221st), considering the fact that Hong Kong is a city state, South Korea has practically the lowest fertility rate in the world. Another worrying indicator is the growing suicide rate. The problem is not only that South Korea has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st the OECD states, but also that the rate is rising quickly: 7.6 per 100,000 people in 1990 to about 14 in 2001, and recently the suicide rate has risen close to 30. Despite South Korea’s stunning economic advancement and political stability, inequality and the demand for social welfare are increasing, thus producing more social isolation, even amid the backdrop of increasing growth.

263

6. Key A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Graph 5. Suicide Rate in Korea: 1990-2009 (Suicide per 10 Million Persons)

자살률 추이(단위 : 명) (자살률=인구 10만명당 자살료 사망한 사람 수) 31.0

24.8

14.4 10.8 7.6

자료: 통계청

90 95 01 07 2009

Nonetheless, considering the aforementioned indicators on changes and keywords in Korean society, there is no doubt that it is a dynamic country. The transformation of Korea over the last half a century has been a wonderful and fascinating subject for researchers. This seems to appear in the university departments of Korean studies in other countries. Interest from students as well as researchers is increasing and many foreign students enroll in universities in Korea. Because of these exchanges, Korea’s growth and development experiences will be discussed more open and universal settings.

26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REFERENCE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4) The World Fact Book, https://www.cia. 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ks.html Donga.com Video News Team (June 16th, 2014), [South Korea listed as the world's lowest birth rates ...219th of the 224 countries] in Korean. Heo, S. Y. (2012), [‘Korea's liberation in 1945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Research, 43: 463-509] in Korea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2014), [Korea's ODA Support: Results and Data Overview] in Korean, http://www.odakorea.go.kr/ ODAPage_2012/T02/L03_S01_01.jsp Jang, J. Y. (July 3rd, 2014), [Korea’s suicide rate remains top in 10 years, tragedy caused by pensioner poverty, JoongAng Ilbo, 8] in Korean. Jung, S. H. (2011), [‘Korea's Development Strategy: Economic Development Trajectory’ (1961-2010)] in Korean. Kim, H. J. (2002), [‘Korea Society's Modernization Planning and Family Politics: Focused on Family Planning Project, Korean Demography’] 25 (1): 51-82. Kim, H. M. (2008), [‘Immigrants and Multiculturalism’, Contemporary Society and Culture] 26:57-105. Kim, S. R. (June 2nd 2014), [Psy, ‘Thrilled…will come back with more entertaining material,’ ‘Gangnam Style’ Music video on its first ever 2 billion views on Youtube, Seoul Newspaper] in Korean, http:// 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0602011046 Kim, Y. H. (2013) From Dolmen Tombs to Heaven's Gate, Paju: Jimoondang Min, G. Y. (2011), [‘Migrant Women's Multicultural Policy Acceptance Process and Study on the Effects’, Social Science Research] 22 (1): 83-104.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1), [Estimations on the Prospective

265

6. Key A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Population (Based on 2010 Total Population Housing Survey)] in Korean.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Park, M. H. et al (2013), [‘Korean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Research Using Indicators: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OECD Member States’, The Korean Economic Associ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2013 (4): 43-7] in Korean. Park, S. P. (2012), [Progress in South Korean Civil Society Since the 1990s: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Memories and Prospects 27: 162-191] in Korean. Park, Y. S. (May 31st 2014). Psy ‘Gangnam style’, the first ever ' 2 billion views on Youtbe, Yonhap NewsAgency: http://news.naver.com/ 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 = 0006936740 Son, A. R. (2013), [Socialization of Childbirth: 1960-70s Korean Family Planning Project, The Korea society 14 (1): 101-131] in Korean.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Journal Vol.14 (4): 453-466.

26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제6장 지표와 키워드로 읽어보는 코리아

들어가며

세계 여러 나라 중에 면적과 인구의 크기로 보면 한국은 면적으로는 109위, 인구수로는 27위에 해당한다. 물론 여기에 북한까지 포함시키면 면 적은 세계 85위, 인구는 20위에 해당되는데 어느 쪽으로 계산하든 한국 이 영토와 인구 규모 면에서 세계적인 대국이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다. 하 지만 놀랍게도 한국은 여러 가지 ‘세계적’ 기록으로 최근 유명해지기 시작 했다. 과연 어떤 기록들이 세계적으로 평가되고 있는가, 이러한 기록들이 의미하는 것은 과연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이러한 기록들이 가능하게 된 다양한 요인들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분야 학자 들에게 주요하고 심각한 질문들이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먼저 주요 지표들을 통해 한국의 특징적 변화를 살펴보고 뒷부분에서는 현대 한국 을 몇 가지 키워드들을 통해 정의해 보고자 한다. 지난 100여 년간 한국 에서 일어난 변화를 짧은 글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는 것은 불가능할 뿐 아니라 무모한 일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처음 한국에 대한 관심을 가지 기 시작한 외국인들에게 한국에 대한 본격적인 질문의 시작, 핵심적인 가 이드라인은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 지표로 보는 한국’에서는 각종 지표와 통계를 통해 한국사회의 특 징적 단면들을 살펴보고 이어지는 ‘키워드로 보는 한국’에서는 앞에서 제 시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주요 키워드를 통해 현대 한국사회의 특성을 정 의해 보고자 한다.

267

제6장 지표와 키워드로 읽어보는 코리아 주요 지표로 보는 한국

제일 먼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는 지표는 경제 발전에 관한 것이다. 1945년 일제로부터 해방되었지만 긴 식민지배의 피해에다 1950년 발발 한 6.25전쟁으로 인해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의 하나였다. 1953년 개인당 소득은 불과 67달러 수준이었고 이는 당시의 기준으로도 가장 빈곤한 나라였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2014년 현 재 한국 1인당 국민총소득은 3만불을 향해가고 있으며 각종 통계마다 약 간의 차이가 있지만 세계 13위 정도의 경제대국이 되었다. 이는 쉽게 믿어 지지 않은 성장으로 소득의 경우 340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세계 경제사 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경제 성장의 결과이며 중요한 것은 그 성장세가 둔 화되었음에도 여전히 성장 가능성이 높은 나라로 한국이 평가되고 있다 는 것이다. 이제는 우습게 들리는 것이 되었지만 1970년대 수출품목을 살 펴보면 미역과 같은 수산물이나 가발 제품들이 주 종목이었으나 이제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전자부품, 자동차, 선박 등 중화학과 기술 집약형 품목들이 세계시장에 수출되고 있으며 세계시장에서의 점유율이 최상위 인 제품들이 적지 않다. 현재 세계 자동차 생산량에서 한국은 세계 5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자체적으로 처음 자동차를 생산한 것이 1974년으로 불 과 40여 년 만에 이러한 성과를 낸 것이다. 외제 자동차의 중고 부품들을 조립하던 것에서 벗어나 1974년에 처음 자체기술로 생산된 ‘포니(Pony)’라 는 이름의 자동차를 필자도 생생히 기억하고 있는데 이 차가 처음 수출된 것은 1976년 7월 에콰도르로 6대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0년대 한국 자 동차 생산대수는 연간 500만대에 이르고 있으며 이중 300만대 이상이 수 출되고 있다. 세계 TV 시장에 강자로 떠오르고 있는 삼성과 LG의 TV와 디스플레이 수출 현황도 기록적이다. 불과 10여 년 전과 비교해도 100배 이상의 수출 신장이 이뤄지고 있으며 최근 초고급 화질과 휘는 모니터 등 새로운 기술로 세계 시장을 이끌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과연 어떻게 가능

26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했던 것인가 묻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식민통제와 전쟁으로 가장 가난하 고 피폐했던 반세기 전에는 그 누구도 상상할 수 없는 현실이 21세기 한 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도표 1. 대한민국 1인당 국민소득 변화 추이

30,000 26.205 25,000 22,170 20,000

15,000 11,292 GNI($) 10,000 6,303 5,000 1,660 67 79 255 - 1953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2013

출처: 한국은행 통계자료 국민계정

두 번째 놀라운 지표는 한국의 놀라운 경제 성장의 결과로 나타난 것 인데 바로 경제 원조에 관한 것이다. 한국은 경제 원조를 받던 나라 중 유 일하게 경제 원조를 주는 나라로 바뀐 국가이다. 1990년 공적 개발 원조 (ODA)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한국은 2011년 현재 원조 규모를 21배 증가 시키며 빠르게 대외 원조에 나서고 있다. 2012년 기준으로 한국 ODA의 무상원조 수행기관인 KOICA는 전 세계 44국에 봉사단을 파견하는 등 각종 물적, 인적 원조에 참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쟁과 재해 등으로 긴장이 높은 지역에는 평화유지군을 파견하여 해당지역의 다양한 원조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1950년 한국전쟁에서 피흘려 자유한국을 수호한 UN 참전국 병사들의 희생과 전쟁 후 회복과정에서 받은 수많은 경제 원 조를 바탕으로 성장한 한국은 적극적으로 경제 원조에 나서고 있다. 역사

269

제6장 지표와 키워드로 읽어보는 코리아 상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제공하는 유일한 나라로서 그 모범이 되 기 위해 원조 예산의 증대는 물론 적절한 정책개발과 효과적인 원조활동 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도표 2. 한국의 ODA 지원현황

(단위 : USD백만)

1800 1,551 1600

1400 1,174 1200

1000

800 752

600

400 212 116 200 61

0 1990 1995 2000 2005 2010 2012

출처: 국제개발협력(2014), ‘한국의 ODA 지원현황’

세 번째 놀라운 지표는 한국의 빠른 성장을 배우기 위한 외국 유학생들 의 국내 유입에 관한 것이다. 사실 이보다 앞서 눈여겨봐야 할 것은 한국 학생들의 외국유학의 역사와 실태일 것이다. 미국과 유럽 등의 우수 대학 에서 공부하고 있는 한국 유학생들의 숫자가 중국과 인도의 뒤를 잇는 것 만 보더라도 한국인들이 선진 지식의 습득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경제성장에 필요한 전문지식과 인적 자원의 확보를 위해 수많은 한국 학생들이 외국으로 유학을 떠났지만 이제는 한국의 축적된 지식과 취업 기회를 위해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국내의 외국인 유학생 현황을 보면 2001을 시작으로 10여 년 사이

27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에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90,000명에 가까운 외국 유학생들 이 학위와 연수를 위해 한국을 찾고 있다. 이는 통계가 시작된 2000년대 초반에 비교하면 8배 이상 늘어난 숫자이고 그 성장속도도 점점 빨라지 고 있다. 실제 유학생뿐 아니라 국내 취업, 국제결혼 등 한국에서 정착하 고 있는 외국인들의 숫자도 빠르고 늘고 있어 2014년 150여만 명, 전체 인 구의 3.5%를 넘어서고 있다. 이러한 국내 거주 외국인들의 비중이 확대되 고 있는 추세를 감안하면 과거의 한국의 모습과 비교되는 새로운 사회와 문화로 변화되어 가는 한국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소위 다문화시대, 다 문화 사회라는 말들이 일상화되고 있다. 이러한 한국사회 변화양상은 다 른 사회적 지표와 연관하여 뒷부분에서 다시 한 번 논의할 필요가 있다.

도표 3. 국내 외국인 유학생 현황 추이

(단위 : 명)

100,000 89,537 90,000 85,923 50,000 75,850 70,000 60,000 49,270 50,000 40,000 30,000 22,526 20,000 10,000 11,646 12,314 0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출처: e-나라지표

네 번째 놀라운 지표는 한국의 인터넷에 관한 것이다. 국제비교에서 한 국은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수로는 최고 수준이다. 가입비율로 보면 네덜 란드와 스위스 등이 국가순위에서는 앞서 있지만 전체 인구수를 감안해

271

제6장 지표와 키워드로 읽어보는 코리아 보면 한국은 세계 1위의 초고속 인터넷 국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몇 해 전 한국 TV에서 인터넷 통신관련 광고의 배경음악으로 ‘빠름, 빠름, 빠름’이라는 광고가사가 귓전을 울린 것처럼 지금도 늘 역대 최고속도와 서비스를 약속하는 인터넷 광고가 이어지고 있다. 1990년대 중반 인터넷 이라는 말이 처음 등장하고 당시 데이터 전송속도로 영화 한 편을 다운 로드 하는데 10일 이상이 걸리던 것이 지금의 상용 인터넷 속도로는 불 과 10초 밖에 걸리지 않는 현실은 쉽게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생각해보 면 한 마을전체에 TV는 물론 전화기가 한 대도 없었던 50년 전과 비교해 보면 세계 최고 통신의 나라, 인터넷의 나라라고 불리는 오늘날 한국의 모 습은 그저 경이적이다. 마지막으로 볼 것은 몇 가지 사회적 변화에 관련된 지표들이다. 거시적으 로 가장 중요한 지표는 인구 성장률이 세계 최하위권으로 떨어진 것이다. 특히 2015년 이후 10년간 예상 인구 성장률의 경우도 일본과 중국을 제외 하면 세계에서 가장 낮은 인구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러 한 인구 성장률의 둔화는 장기적으로 보면 7·80년대를 통해 강력히 추진되 었던 가족계획 정책의 결과이고 단기적으로는 여성의 취업확대와 자녀양 육과 교육에 필요한 고비용 사회로 전환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40년 전 ‘덮어놓고 낳다보면 거지꼴을 못면한다’며 ‘둘만 낳아 잘 기르 자’, ‘둘도 많다’ 등의 가족계획 포스터는 2000년대 들어와 출산장려 국민 운동이 시작될 만큼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인구 성 장률은 여전히 OECD 회원국 중에서뿐 아니라 전 세계로 볼 때도 최하 위권을 못 벗어나고 있다. 또 하나 한국사회의 성격변화를 보여주는 지표 는 빠르게 늘고 있는 국제결혼이다. 최근의 결혼 통계를 보면 전체 결혼의 10% 수준으로 배우자중 1명이 외국인일 정도로 2000년대 들어와 국제 결혼은 이제 일상이 되었고 그에 따른 다문화 정책과 교육이 한국 사회의 중요한 화두가 되어 있다. 점차 증가되는 국제결혼과 외국인 거주인의 증 가는 단일민족, 단일국가라는 기존 인식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

27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해봐야 할 것이다. 마지막 으로 주목해봐야 할 중요 지표는 한국의 초고속 고 령화에 관한 것이다. 다른 선진국들도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해 있지만 문제 가 되고 있는 것은 그 진입 속도가 그 어떤 나라보다 빠르다는 사실이다.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 <그림 1> 가족계획 표어와 포스터 산율을 보이고 있는 동시 에 가장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변화는 지속적 인 성장과 늘어나는 복지수요를 감당하기에 어려운 상황임에 틀림없다. 대 중교통에서 노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특별히 좌석을 비워두거나 양보하는 것이 미덕인 한국사회에서 이젠 어린이석을 만들어 점차 줄어드는 어린이 들을 대우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농담이 들릴 만큼 심각한지도 모르겠다. 여기까지 주요 지표를 통해 한국사회의 특성과 변화를 살펴보았다면 다음에서는 핵심 키워드를 통해 한국을 정의해 보고자 한다.

표 1. 인구 성장률 국제비교

(단위 : 명) 연도 한국 일본 중국 인도 프랑스 미국 영국 '90~'95 1.01 0.31 1.08 1.93 0.51 1.07 0.32 '95~'00 0.83 0.25 0.88 1.75 0.37 1.05 0.34 '00~'05 0.48 0.17 0.65 1.55 0.41 0.97 0.34 '05~'10 0.52 0.02 0.51 1.43 0.58 0.89 0.60 '10~'15 0.48 -0.07 0.42 1.32 0.51 0.85 0.60 '15~'20 0.32 -0.20 0.26 1.17 0.45 0.80 0.58 출처: 통계청(2011), ‘장래인구추계’

273

제6장 지표와 키워드로 읽어보는 코리아 표 2. 국가별 65세 이상 인구 비율

(단위 : %) 2050 2040 2030 2020 2010 한국 37.4 32.3 24.3 15.7 11.0 미국 21.5 21.2 20.2 16.6 13.1 프랑스 25.5 25.4 23.2 20.4 16.8 영국 24.7 24.0 21.7 18.9 16.6 출처: 통계청(2011), ‘장래인구추계’

주요 키워드로 보는 한국

첫 번째 키워드는 앞서 소개한 지표에서 논의한 경제성장에 관한 것으 로 발전한국이라고 할 수 있다. 1960년대 이후 본격 추진된 경제개발의 성과를 2009년도 기준으로 비교해 보면 믿기 어려운 놀라운 수치를 보게 된다. 다음 도표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국민총생산은 1,000배가 넘고 무 역규모 700배 이상, 자동차 보유대수는 300배 이상 증가하였다. 2014년 현재 한국은 국민총생산이 세계 15위 안에 드는 경제대국이 된 것이다. 이와 같은 거시적인 발전수치는 실감하기 어려운 것으로 좀 더 세부적 인 예를 들어 볼 필요가 있다. 2012년 전세계 스마트폰 점유율 1위를 한 삼성전자만 보더라도 그 매출이 연간 150조 원을 넘고 있다. 이를 단순 비 교할 수는 없지만 웬만한 중진국의 1년 총생산과 맞먹는 것이다. 현재 진 행되고 있는 국가 간 무역경쟁과 치열한 기술개발 경쟁에서 계속 그 자리 를 지킬지는 아무도 알 수 없겠지만, 60여 년 전 한국의 상황에서는 꿈조 차 꿀 수 없던 희망이 현실이 되었다고 밖에 할 수 없을 것이다.

27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도표 4. 한국의 경제개발 성과

두 번째 키워드는 한류 한국이다. 2013년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전세계 팝 음악 시장에 끼친 영향은 엄청난 것으로 그것이 의미하는 것 이 과연 무엇인지 아직도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시아의 가수가 서양 의 주요 음악차트에서 1, 2위를 다툰 것도 유례가 없는 것이었고 특히 뮤 직비디오의 시청횟수는 20억 회를 넘어 아직도 최고 기록을 계속 갈아 치우고 있다. 과연 이러한 현상은 어떻게 벌어진 것일까? 한국 대중문화 가 빠르게 인근 아시아 국가를 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가게 된 것을 두고 최근 한류학이라 부를 만큼 다양한 논의가 되고 있다. 불과 20여 년 전 만 해도 한국의 대중문화는 국내 울타리를 넘지 못했고 한국의 시청자 들은 오히려 할리우드 영화, 일본 애니메이션 등 수입된 문화콘텐츠를 선 호했던 것이 사실이다. 문화 수입국이었던 한국이 문화 수출국으로 변모 한 것이다. 10여 년 전만 해도 0원이었던 문화수출이 이제 연간 4조 원 대 규모로 성장했다. 앞서 언급했던 싸이를 비롯한 소위 K-POP은 물론 K-Drama, K-Cinema 등 다양한 장르의 한국 문화콘텐츠가 외국에 적극 수출되고 있다. 10여 년 전 국내에서 제작된 <대장금>이라는 한국 드라 마는 전 세계에 수출되었고 아시아는 물론 아랍, 아프리카 지역에서 상영

275

제6장 지표와 키워드로 읽어보는 코리아 '강남스타일'이 세운 주요기록(한국시간 기준) 2012 7월 15일 ‘강남스타일’ 발표(싸이 정규6집 ‘싸이6갑’ 파트1) 8월 21일 미국아이튠스 뮤직비디오 차트 1위 9월 4일 유튜브 조회수 1억건 돌파(한국 콘텐츠 사상 최초) 9월 27일 빌보드 싱글 차트 2위 10월 1일 UK 빌보드 싱글 차트 1위 11월 8일 빌보드 싱글 차트 2위(7주 연속) 11월 12일 MTV 유럽뮤직 어워즈 (MTV EMA 2012) 베스트 비디오상 11월 19일 제 40회 아메리칸뮤직어워즈 (AMA) 뉴미디어상 11월 24일 유튜브 조회수 8억건 돌파(유튜부 최다 조회수 기록) 12월 18일 유튜브 선정 ‘올해 가장 주목받은 영상’ 2013 1월 27일 프랑스 라디오 음악채널 NRJ 주관 ‘NRJ 뮤직 어워즈’ 3관왕 12월 14일 빌보드 ‘2013 결산차트’의 ‘핫 100송스’ 55위 2014 5월 31일 유튜브 사상 첫 조회수 20억건 돌파

되어 아직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한류의 등장 배경으로 정부의 문화지원 정책, 독특한 프로덕션 시스템의 개발, 세계 콘텐츠 시장의 수요 변화, YouTube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기반확대 등 다양한 요인들이 지적 되고 있으며 다각적인 연구가 국내외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과연 한류의 미래가 어떨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겠지만 세계 문화콘텐 츠 시장에 유례가 없는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는 점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문화유산의 나라-한국, 이 세 번째 키워드는 한국의 유구하고 독특한 문화전통에 연관된 것이다. 한국의 역사와 문화는 오랜 시간 중국 문화권 의 영향 속에서 있어 왔지만 동시에 매우 독자적인 문화전통을 발전시켜 온 것도 사실이다. 예를 하나 들어 생각해보자. 수많은 유물이 한국을 대 표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 금관은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지금 전 세계 에 남아있는 고대 금관은 과연 몇 개나 될까? 학자마다 의견이 다를 수 있 지만 불과 손에 꼽을 정도 남아있는 금관들 중 신라 금관의 형태와 그 상

27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그림 2. 한국의 문화유산

① 황남대총복분 관수하식(국보 제191호) 첨성대(국보 제31호) 직지심체요절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② 새날개모양금관장식(보물 618호) ③ 천마총 관모(국보 제189호)

징성은 매우 독특하고 의미심장하다. 동양에서 최초로 건립된 천문대가 한국에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된 직지심체 요절 같은 문화재들은 오래 전부터 이 땅의 사람들이 세계 최초, 최고 수 준의 인쇄술을 발전시켜왔다는 점을 보여준다. 놀라운 경제성장과 최근 다른 나라에 빠르게 알려지고 있는 한국의 현대문화를 자세히 살펴보면 이는 오랜 전통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것이므로 긴 역사적 맥락에서 한국문화를 이해해야 할 것이다. 민주화의 나라-한국, 네 번째 키워드는 사실 한국의 경제성장과 짝을 이룬 또 다른 기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식민지였 던 많은 신생독립국 중에서 경제발전과 동시에 정치적 민주화를 이룬 나 라는 매우 드물다. 이러한 측면에서 외국학자들 중에서 한강의 기적이라 는 표현을 살려 한강의 이중기적 - Dual Miracle on the Han River - 으로 불러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경제성장과 함께 민주화를 이룬 정치발전은 한국사회가 지난 60여 년 간 성취한 가장 큰 업적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이 과정은 엄청난 희생과 비극, 투쟁의 역사였으며 1980년대 중반 이후 점차적으로 민주적 제도와 절차가 성숙 발전되어 오고 있다. 특히 2000년

277

제6장 지표와 키워드로 읽어보는 코리아 대 이후 등장한 소위 ‘촛불집회’의 이미지들은 외신을 통해 전세계에 알려 지면서 독재투쟁 과정에서 보여진 이전의 과격한 시위 모습과 대비된다. 한국사회의 민주화 과정에서 한국 시민사회의 등장과 그 전개는 제3세계 국가들에게 하나의 모델이며 20세기 세계 정치사에서 중요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아직도 미완으로 남아있는 한국의 분단은 우리에게 마지막 키워드를 생각해 보게 한다. 유일한 냉전 분단국가-한국, 이 마지막 키워드는 앞서 제시된 한국의 성공적인 민주화와 대비되는 또 다른 한국의 현실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구 소련간의 냉전관계 속에서 남북은 38도선을 중심으로 갈 라져 지금에 이르고 있다. 특히 1950년 6.25전쟁 이후 한반도의 긴장은 더욱 고착화되어 지금도 전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무력이 상호 대치되 어있다. 정전협상 후 UN이 정한 소위 휴전선지대 DMZ(Demilitarized Zone)는 실상 가장 무력이 집중된 MMZ(Most Militarized Zone)라고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할 지도 모르겠다. 남북 간의 첨예한 대립은 한반도 는 물론 동북아시아, 전세계 긴장과 평화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는 현장이 다. 엄밀하게 말하면 1950년 한반도의 전쟁은 아직 완전히 끝나지 않았 다. 유일한 냉전 분단국가로 남아있는 한국의 안보상황은 지난 60여 년 간의 놀라운 경제성장, 민주화에 비추어 볼 때 하나의 역사적 아이러니 가 아닐 수 없다.

나가며

지표와 키워드를 통해 한국을 핵심적으로 이해할 때 반드시 긍정적이 고 바람직한 것만을 골라 소개한다는 것은 옳지도 않고 현실을 정확히 전달하는 것도 아니다. 지난 반세기간 역사상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울 만 큼 경제와 정치가 발전하고 최근 한류를 통해 한국문화가 세계 곳곳에 널

27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도표 5. 한국의 자살률

자살률 추이(단위 : 명) (자살률=인구 10만명당 자살료 사망한 사람 수) 31.0

24.8

14.4 10.8 7.6

자료: 통계청

90 95 01 07 2009

리 알려지고 있다. 한국의 스마트폰으로 통화하고 한국산 TV를 보는 것 에서 나아가 비빔밥, 김치 같은 한국 음식을 즐기고 K-Pop 등의 문화콘 텐츠를 즐기는 소위 K-culture의 확산이다. 그러나 동시에 세계 유일의 냉 전분단 국가로 남아있고 한반도의 긴장은 여전하다. 한마디로 번영과 단 절의 불안한 공존이다. 실제 남한의 급속한 사회발전의 이면에는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앞에서 비친 것이지만 한국의 인구 성장률은 급속히 감 소되고 있고 알려진 대로 한국의 출산율은 세계 최하위권이다. 2014년 미 국 중앙정보국(CIA)이 발행한 월드 팩트북(The World Factbook)에 의하 면, 15세부터 49세까지의 가임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아 이의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 조사에서 한국은 1.25명에 그쳐 분석 대상 224개국 중 219위를 차지했다. 이는 221위를 차지한 홍콩의 1.17명보다 수적으로는 높으나 실제 홍콩이 하나의 도시국가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한국은 세계 최저의 출산율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또 하나 염려스러운 지표 중의 하나는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한국의 자살률이다. OECD 국

279

제6장 지표와 키워드로 읽어보는 코리아 가 중 가장 높은 자살률을 보이고 있다는 것도 문제이지만 그 증가 속도 가 너무 빠르다는 점이다. 인구 10만 명당 1990년 7.6명, 2001년 14명 정 도였던 것이 최근 30명에 가까운 자살률을 보이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 가 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은 놀라운 경제성장과 정치안정에도 불구하고 분배와 복지에 불평등이 커지고 있고 사회전체의 성장과 개인의 삶과의 괴리감이 커지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서 소개한 각종 지표상의 변화와 키워드를 통해 본 한국사회의 특성을 종합해 볼 때 한국이 역동적인 국가라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지난 반세기 간 한국의 변화상은 놀라움인 동시에 연구 자들에겐 가장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연구 주제가 되고 있다. 이를 반영 하듯 외국에서 한국학 전공자, 연구자들이 늘어나고 있고 매년 수많은 학 생들이 한국대학을 방문하고 있다. 이러한 교류를 통해 한국의 성장과 개 발경험이 보다 보편적 수준에서 논의되고 연구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국제개발협력(2014). ‘한국의 ODA 지원현황’, http://www.odakorea.go.kr/ ODAPage_2012/T02/L03_S01_01.jsp 김소라(2014.06.02). 싸이 “감격스러운 기록... 더 즐거운 콘텐츠로 컴백” ‘강남스 타일’ 뮤직비디오 유튜브 사상 첫 조회수 20억뷰 돌파. 서울신문. http:// www.seoul.co. kr/news/newsView.php?id=20140602011046 김현미(2008). ‘이주자와 다문화주의’, 현대사회화 문화 26: 57-105. 김홍주(2002). ‘한국 사회의 근대화 기획과 가족정치: 가족계획사업을 중심으 로’, 한국인구학, 25(1): 51-82. 동아닷컴 영상뉴스팀(2014.06.16). 한국, 출산율 세계 최하위…224개국 중 219 위 기록 ‘심각’, 동아닷컴.http://news.donga.com/Economy/3/01/20140616

28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64330505/1 민가영(2011).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정책 수용과정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사 회과학연구, 22(1): 83-104. 박명호 외(2013). ‘지표를 활용한 한국의 경제사회발전 연구: OECD 회원국과의 비교분석’, 한국국제경제학회 학술대회, 2013(4): 43-71. 박상필(2012). ‘1990년대 이후 한국 시민사회의 발전: 정부와 시민사회와의 관계 를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27: 162-191. 박영석(2014.05.31). 싸이 '강남스타일', 유튜브 사상 첫 '20억 뷰' 돌파. 연합뉴 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 06&oid=001&aid =0006936740 손애리(2013). ‘출산을 사회화하기: 1960-70년대 한국의 가족계획사업’, 한국사 회, 14(1): 101-131. 장주영(2014. 07.03).‘한국 자살률 10년째 1위, 노년 빈곤이 빚은 비극’, 중앙일보, p.8. 정성훈(2011). ‘한국의 발전 전략: 한국 경제발전 궤적(1961~2010)’ 통계청(2011). ‘장래인구추계(2010 인구주택총조사 기준)’ http://kostat.go.kr/ portal/korea/index.action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4): 453-466. 허수열(2012). ‘1945년 해방과 대한민국의 경제발전’, 한국독립운동사연구, 43: 463-509. CIA(2014). THE WORLD FACTBOOK.https://www.cia.gov/library/publica- tions/the-world-factbook/geos/ks.html Kim, Young Hoon(2013). From Dolmen Tombs to Heaven’s Gate. Paju: Ji- moondang.

281

제6장 지표와 키워드로 읽어보는 코리아

7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KOREA

INTRODUCTION

Historically, inventions and discoveries have proven to be crucial for modern Korea’s development, which in a country of scarce natural resources has been driven by innovation. Korean inventions and discoveries date back to as early as 5000 BCE. Korea ha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innovation at the world level. From the pre-modern development of underfloor heating (Ondol), to modern technological revolutions such as 4G Long-Term Evolution (LTE) for communication, Koreans have made their mark in every historical era. In this chapter we describe Korea’s major inventions and discoveries that have changed the course of world history. Archeological findings of Korea have indicated that the first settlements on the Korean peninsula began as early as 700,000 years ago. The New Stone Age began around 8,000 years ago. Many relics of that period have been found in coastal areas and near rivers on the Korean peninsula, then known as Gojosen. These relics include the tools and other instruments that were created by Koreans to help humans survive. As civilization began to form in this first kingdom during the Bronze Age around 1500 to 2000 B.C., numerous tribes appeared (Eckert, C. and Baik, L, 1990; Korea.net, 2014). Perhaps the greatest invention is that of printing press. This invention, of movable metal type printer, is perhaps the most important invention described here. The creation of

283

7.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Korea new information technology (IT) by Koreans has consistently changed the world. From the invention of mp3 player, to the 4G Long-Term Evolution (LTE) for communication, we have witnessed the dramatic impact of Korea. Who knows what will be next? Korea has established itself as one of the leaders in world’s IT market. The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Korea are so large in number that it will not be possible to describe in a chapter. Therefore, we only describe some key inventions in science, technology, medicine, sports and culture that have changed the course of the world. The remainder of the chapter is organized as follows. In Section II, we discuss some of Korea’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ventions. In Section III, we discuss some of Korea’s inventions in culture and sports. Finally, in Section IV, we conclude the chapter.

SCIENCE AND TECHNOLOGICAL INVENTIONS

If one wants to see what the fu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looks like, he or she should visit Korea. According to the World Bank, South Korea ranks 2nd in both Internet and Smartphones penetration with a usage rate of 84.1% and 73.0% respectively. Modern South Korea is one of the leading innovators of the world, especially in the science and technological sector. As we have seen, this process of invention started in pre-modern time as early as 5000 BCE.

Ondol, the Underfloor Heating System One of the most important inventions of pre-modern time is the Ondol, invented by Korea. An Ondol, also known as Gudeul, is a type of underfloor heating system invented in 5000 BCE (GuoQ., 2005; Bean, R., Olesen, B. W., and Kim, K. W., 2010). As it is shown in 1(a), the system works by channeling excess heat from cooking into the spaces under the

28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Figure 1. Ondol - Underfloor heating system [http://www.chingu-association.com/pages/la-coree-de-a-a-z/lettre-o/ondol.html]

a) Traditional Ondol b) The modern Ondol floor of the house. This not only ensures that the house is warm but also saves fuel. Heat that would have been created by the cooking is re-used, and as the heating blows under floor it lasts a long time. The modern Ondol, shown in Figure 1(b), has changed from its original version. The same effect is achieved by assembling water pipes under the floor. Hot water runs through the pipes, heating the floor and warming the room. People were going to heat water for bathing anyway, and water and metal retain heat better than air, making this a more energy efficient option than what is standard in most modern homes, though it admittedly takes quite a lot of energy to warm the water in the pipes in the dead of winter.

Movable Metal Type Printer The movable metal type printer, show in Figure 2(a) is the greatest invention in the last 1000 years, according to the reports published by Time Magazine, BBC, The Wall Street Journal and The Washington Post. With the help of movable metal type printing, it was possible to produce mass information by general people. This printer was first inven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in 1234. A

285

7.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Korea Figure 2. Korean movable type printer and the oldest extant printed book [http://bangnangja.wordpress.com/2011/10/19/the-gutenberg-bible-vs-the-jikji/].

a) Korean movable type printer b) Jikji: The oldest extant movable metal print book

set of ritual books, Sangjeong, Gogeum and Yemun, were printed with the movable metal type printer in 1234 (Christensen, T., 2007; Sohn, P.K., 1993). The oldest extant movable metal print book is the Jikji, shown in Figure 2(b) printed in Korea in 1377, 78 years before the Guetenberg Bible (Twyman, M., 1998).

Portable MP3 Player The world’s first mass-produced MP3 player, MPMan F10, was launched in 1998 by the Korean manufacturer Saehan Information Systems. After three years of launching MPMan F10, Apple burst on to the scene with its first iPod. The MPMan F10, shown in Figure 3, came with an impressive 32MB flash memory and with an upgradable option up to a larger 64MB. The device allowed around 32 minutes of music which is equivalent to around eight separate tracks – to be stored. The device was featured with a minuscule LCD screen to display playback information. It could also be connected to PCs via a parallel port. The MPMan F10 ran on a rechargeable battery pack with up to nine hours of use – an impressive technology which is still better than many hard

28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Figure 3. The world’s first mass-produced MP3 player, MPMan F10 [http://www.antiqueradio.com/Dec04_Menta_mp3pt1.html].

drive-based players we see today (Hazelwood, S., 2013).

Touchscreen Mobile Phone LG Prada, shown in Figure 4, is the first mobile phone with capacitive touch screen made by LG electronics, Korea. It was first announced on December 12, 2006 and released in May 2007, a month before the Apple’s iPhone was first introduced (Ziegler, C., 2007; Temple, S., 2007). The display was TFT capacitive touchscreen, 2with 56K colors and 240 x 400 pixels, and 3.0 inches (~155 ppi pixel density) in size. Apart from touchscreen it also had an MP3 Music Player, Video Player, Adobe Flash UI and Document viewer. It supported GSM 900 / 1800 / 1900. Its body was 98.8 x 54 x 12 mm (3.89 x 2.13 x 0.47 in). It had a built- in camera with 2 MP, 1600 x 1200 pixels, Schneider-Kreuznach optics, autofocus, LED flash. It had a Li-Ion 800 mAh battery, with a standby time of 300h and talk time up to 3 hours (Gsmarena.com).

287

7.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Korea Figure 4. LG PRADA KE850 Touch Screen phone [http://www.trustedreviews.com/news/LG-KE850-iPhone-Look-A-Like-Officially- Unveiled].

Contactless Smart Transportation Card Contactless Smart Card, shown in Figure 5, is a kind of pocket-sized card with embedded integrated circuits embedded that can process and store data, and communicate with a terminal via radio waves. Its primary purpose is to power the automatic bus and subway fare-collection (AFC) system. There are two broad categories of contactless smart cards. Contactless smart cards were first used for electronic ticketing in 1995 in Seoul, South Korea, and 1997 in Hong Kong. It is now increasingly popular for payments and ticketing applications such as mass transit. Globally, contactless fare collection systems are being employed in public transit

28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Figure 5. Contactless Smart Card [http://www.plasticpvccard.com/contact-smart-card--1371479.html].

(www.apsca.org, 2013; Brule, D., 2012).

LTE 4G Mobile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Long-Term Evolution (LTE), commonly known as 4G LTE, is a standard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mobile phones and data terminals. It is a reliable, easily deployable network technology, offering high speeds and low latencies over long distances. As of today, with the commercialization of LTE, Korea’s Samsung and LG electronics retain the largest number of LTE-related patents (Ray, B., 2011). This is world’s first commercially available LTE device, and it was designed and developed by Samsung, Korea. The world’s first LTE service was provided for mass people in Stockholm. The South Korean company is providing the LTE infrastructure on the MetroPCS, North America’s first operator offering 4G LTE services.

Multiple Rocket Launcher The world’s first multiple rocket launcher (MRL), , was invented by Korean in 1409 during Dynasty. Figure 6, shows

289

7.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Korea Figure 6. Multiple rocket launcher, Hwacha [http://en.wikipedia.org/wiki/Hwacha].

the first generation Hwacha. This was a technological breakthrough consisting of a two-wheeler launch pad and a mobile wooden launchpad with 100 to 200 cylindrical holes, into which the igniters like were placed. It had the capability of firing up to 200 fire arrow rockets. It had a range up to 2,000 meters (Kim, M. O., and Jaffe, S., 2010). These types of rocket launchers were mostly used for defense. However, according to East Asian historians, these had been used as offensive weapon in the Battle of Noryang Point, during the Imjin Wars in 1598 (Nossov, K., and Golubev, V., 2005).

The Turtle Ship The Turtle ship, also known as Geobukseon, was a type of large warship with a protective shell-line covering, used by the Royal Korean Navy in their fight against the invading Japanese navy (Bryan E., 2013). The first generation of turtle ship was first in 1413 (Hawley, S., 2005).

29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Figure 7. The Turtle Ship [http://navy.memorieshop.com/Korea/index.html]

The turtle ship, Shown in Figure 7, could boast unparalleled firepower and mobility and was a pivotal instrument for victory against the Japanese navy. It also had iron spikes protruding from hexagonal plates covering the top, which protected the Korean marines from small arms and incendiary fire. The spikes discouraged the Japanese from engaging in their primary method of naval combat at the time, which involved grappling an enemy ship with hooks and then boarding it to engage in hand-to-hand combat (KoreanHero.net, 2014).

The Triangle of U The Triangle of U shown in Figure 8 is a theory that demonstrates the evolu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of the plant genus Brassica (e.g. Turnip, Black mustard and Broccoli). The theory shows how genomes of three ancestral species of Brassica, Brassica campestris (AA)

291

7.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Korea Figure 8. Triangle of U [http://www.plantsciences.ucdavis.edu/gepts/pb143/LEC09/pb143l09.htm]

(e.g., Turnip), Brassica nigra (BB) (e.g. Black mustard) and Brassica oleracea (e.g. Broccoli), combined to create three modern species of Brassica, Brassica juncea (AABB) (e.g. Brown mustard), Brassica napus (AACC) (e.g. Swedes and rapeseed) and Brassica carinata (BBCC) (e.g. Ethiopian mustard) (Jules, J., 2009). The theory was first published by Woo Jang-choon in 1935, a Korean- Japanese botanist who was working in Japan. His Japanese name was Nagaharu. The theory was named after him. He made synthetic hybrids between the diploid and tetraploid species and examined how the chromosomes paired in the resulting triploids (Nagaharu, U. 1935). According to Woo’s theory, as the tree ancestor species were closely related, it was possible for them to interbreed, allowing for creation

29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of three new species. As the newly-created species were derived from the genomes of two different species, these plants were called allotetraploids.

Hanta Virus The hanta virus is a type of newly-discovered virus named after the Korean Han River. Although it is not one of the deadly viruses, it can still cause severe sicknesses such as, renal failure, generalized hemorrhage, and shock. Its attack was first noticed during the Korean War (1951-1953). Around 3,000 Korean and American troops were infected by this virus. Ho-Wang Lee, a South Korean virologist, Karl M. Johnson, an American tropical virologist, and his colleagues, successfully isolated the Hantaan virus in 1976 from the lungs of striped field mice (Lee, H.W., Baek, L.J., and Johnson, K.M., 1982).

Traditional Medicine Korean oriental medicine, originating in ancient and prehistoric times can be traced back in 3000 B.C. The poem, Jewang Ungi, referred to wormwood and garlic as the first medicinal herbs introduced as curatives in Ko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a royal physician, Heo Jun, wrote Dongeui Bogam, a medical book, which is often noted as the defining tex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 work later spread to Japan and China, where it is still regarded as one of the classics of Oriental medicine.

Inventions in sports and Culture

Traditionally, Koreans are generally very sporty and known to be engaged in numerous traditional sports and games. They have many traditional sports, such as, Taekwondo, the Korean martial art. It is

293

7.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Korea widely practiced around the world and is an Olympic event originating in Korea. Korea is a country of cultural abundance. Korean culture is interesting and full of tradition. It is a magical place where perfect peace and harmony can be found. Korea has many cultural inventions, such as, language and music. The Korean writing system, , is one of the most scientific and modern alphabets. Korean popular music (K-Pop), is one of the popular forms of popular music in the world.

Taekwondo Taekwondo is a type of martial arts invented in Korea. Although the origin of Taekwondo began 2,300 years ago in Korea [23], the name has only been used since 1955. Taekwondo was admitted to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ilitary Sports (CISM) and the General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 (GAISF) in 1976. The World Taekwondo Federation (WTF) became an International Olympic

Figure 9. Taekwondo (the Korean martial art) fight [http://www.cs.middlebury.edu/~ikipouros/hobbies.html]

29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Committee (IOC) recognized sport in 1980. It was first introduced to the Olympics as a demonstration sport in 1988 and 1992. Taekwondo has been an official event of Olympics since 2000 (Southwick, R., 2014). Taekwondo is a partial combination of Taekkyeon, Onkinawan karate, and other traditions. The name was coined by Choi Hong Hi (of the Oh Do Kwan) although it is believed to be a collaborative effort by a council consisting of members from the nine original Kwans (Capener, S.D., 2000). Taekwondo combines combat and self-defense techniques with sport and exercise. It has distinguishing features in comparison with other popular martial arts such as Karate: it is known for emphasizing high kicks and fast hand movements. As the leg is the longest and strongest limb a human has, it therefore has the greatest potential to execute powerful strikes with less chance of retaliation (Capener, S.D., 2000). The high kicking action of Taekwondo is shown in Figure 9.

Ssireum Ssireum is a type of folk wrestling and the traditional national sport of

Figure 10. Ssireum- the traditional national sport of Korea [http://beautifulwall.wordpress.com/]

295

7.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Korea Korea. As shown in Figure 10, this wrestling is a competition of physical strength and technique. The origin of Ssireum is not exactly known. However, much evidence indicates that it was invented during Koguryo Dynasty (37 BC – 668 AD) (Korea Sirum (Ssirum) Research Institute). During the Joseon Dynasty, Ssireum gained widespread popularity, although the first recognizable Ssireum contest was held in 1912 under the authority of Yugakkwon Club. In 1983, the Korea Folk Ssirum Federation (KFSF) was established. KSFS made the sport even more popular and ensured access to cultural heritage (Korea Sirum (Ssirum) Research Institute).

Janggu Janggu is a type of Korean traditional hourglass-shaped drum used for folk music. It is also known as Seyogo (slim waist drum). It has two heads made from animal skins that produce sounds of different pitch and timbre, which when played together are believed to represent the harmony of man and a woman (Hasselink, N., 2006; Lee, S.H, 2014). The oldest Korean historical records about this type of drum can be traced to the reign of King Munjong (1047–1084) of the Goryeo (918-

Figure 11. Janggu - Korean traditional drum [http://riskorea.blogspot.kr/2011/01/drum-class.html].

29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1392) dynasty. As shown in Figure 11, Janggu is a hollow, hourglass- shaped body and made out of porcelain, tile, metal, wood, gourd, or tinned sheet. The round wooden tube is used between the two sides of the hourglass to control the sound of the instrument, and this is called the Jorongmok. A wide Jorongmok creates a deep sound while a narrow Jorongmok creates a harder sound (staff.pausd.org, 2014). A skin is lashed onto metal hoops placed over the open ends of the body and secured by ropes. The left side of the Janggu, called the "buk" side, is covered with a thick animal hide to produce deep tones. The right side, called the "chae" side, is covered with a lighter hide to produce a higher tone. The Janggu is usually played by hitting the two sides of it. Traditionally, drummers will use their bare hands on the left side and a special kind of drum stick, a Yeolchae, on the right side. Modern day drummers sometimes use Yeolche on both sides.

Hangul Hangul, the native alphabet of the Korean language, is the world’s most scientific alphabet. According to the legendary University of Chicago linguist Professor, James McCawley, “Hangul is the most ingeniously devised writing system that exists in the world. It occupies a special place in the typology of writing systems. It’s the only writing system in the world that divides sentences not only into words and syllables and individual sounds, but also articulatory features.” (Asia Society, 2014). Figure 12 shows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consisting of 14 consonants and 10 vowels. The shapes of the consonants are based on the shape the mouth makes when uttering the sound. Hangul is not written sequentially like most other alphabets. Alphabets are instead grouped into blocks; for example, Han is written as 한, which is composed of three letters: ㅎ h, ㅏ a, and ㄴ n. The blocks consist of two to five letters, with the following convention: there is at least one

297

7.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Korea Figure 12. Hangul - Korean alphabet [http://www.lifeinkorea.com/language/korean.cfm]

consonant and one vowel in a group. Blocks are written vertically from top to bottom or horizontally from left to righ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4). Hangul was invented in 1444 A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r.1418-1450), the four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The original name was Hunmin jeongeum, or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The name, Hangeul, was coined by a Korean linguist called Ju Sigyeong (1876-1914) in 1912.

CONCLUDING REMARKS

In this chapter, we described some of the Korean inventions in science, technology, medicine, culture and the arts. From the earliest Neoglacial and Neolithic relics to the latest digital advances, the inventions and technologies of Korea have shaped civilizations and transformed life on earth. Apart from modern inventions in IT, many Korean inventions

29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were coin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inventions of Korea were never static; instead, expectations and capabilities evolved with time, and each new generation of Korean boasts its own set of innovators.

REFERENCES

APSCA (2013) 4th Asian Transport Revenue Collection Forum - Overview. Asia Pacific Smart Card Association. Retrieved 28 June 2014 from http://www.apsca.org/events/info.php?event=121 Asia Society. (2014) The World’s Most Incredible Alphabet, Retrieved from Asia Society: http://asiasociety.org/countries/traditions/ world%E2%80%99s-most-incredible-alphabet Bean, R., Olesen, B. W., and Kim, K. W. (2010) History of Radiant Heating & Cooling Systems,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Inc. ASHRAE. Brule, D. (2012) MIFARE4Mobile™ enabling electronic ticketing and access management applications on mobile devices. MIFARE4 Mobile Industry Group. Bryan, E. (2013) 'The Turtle Ship,' Military History Monthly, 28 June 2014, 27. Capener, S.D. (2000). Taekwondo: The Spirit of Korea (portions of). Seoul: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Christensen, T. (2007) 'Did East Asian Printing Traditions Influence the European Renaissance?' Arts of Asia Magazine. Eckert, C. J., and Lee, K.B. (1990) Korea Institute Series. Published for the Korea Institute, Harvard University. Ilchokak. Gsmarena.com. (n.d.). LG KE850 Prada. Retrieved 28 June 2014 from http://www.gsmarena.com/lg_ke850_prada-1828.php Guo, Q. (2005) Chinese Architecture and Planning: Ideas, Methods, Techniques. Edition Axel Menges. Edition Axel Menges.

299

7.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Korea Retrieved 6 27, 2014, from http://books.google.co.kr/books?id= VVdQAAAAMAAJ Hasselink, N. (2006). Pungmul: South Korean Drumming and Danc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awley, S. (2005). The Imjin War. Japan's Sixteenth-Century Invasion of Korea and Attempt to Conquer China, Seoul: The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Hazelwood, S. (2013). Dialaphone heroes: Mpman f10 mp3 player. Retrieved 10 May 2014 from http://www.dialaphone.co.uk/ blog/2013/01/08/dialaphone-heroes-mpman-f10-mp3-player/ Jules, J. (2009). Plant Breeding Reviews 31, Hoboken, NJ: Wiley. Kim, M. O., and Jaffe, S. (2010) The New Korea: An Inside Look at South Korea's Economic Rise. AMACOM Div American Mgmt Assn. Korea Sirum (Ssirum) Research Institute. (n.d.). History of Ssireum. (K. S. Institute, Producer, & Korea Sirum (Ssirum) Research Institute) Retrieved 28 June 2014 from Korea Sirum (Ssirum) Research Institute: http://ynucc.yeungnam.ac.kr/~ssi/Introduction/History/ history.html KOREA.net. (n.d.) History. KOREA.net. Retrieved 28 June 2014, from http://www.korea.net/AboutKorea/Korea-at-a-Glance/History KoreanHero.net. (2014) The Kobukson orTurtle Ship, Retrieved from KoreanHero.net: http://www.koreanhero.net/en/TurtleShip.htm Lee, H.W., Baek, L.J., and Johnson, K.M. (1982) 'Isolation of Hantaan virus, the etiologic agent of Korean hemorrhagic fever, from wild urban rats.'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46(5), 638-644. Lee, S. H. (2014). About South Korea. Retrieved from Website: http:// seunghyunlee.weebly.com/korea-instrument.html Nagaharu, U. (1935) 'Genome Analysis in Brassic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xperimental Formation of B. Napus and Peculiar Mode of Fertilization' Journal of Botany, 389-452. Nossov, K., and Golubev, V. (2005) Ancient and Medieval Siege Weapons:

30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A Fully Illustrated Guide to Siege Weapons and Tactics (1st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Ray, B. (2011) Who Owns 4g Mobile Technology? Retrieved 28 June 2014 from http://www.theregister.co.uk/2011/09/23/lte_patent_pie/ Sik, K.W., and Myung, L. K. (1999) A Modern History of Taekwondo, Seoul: Pogyŏng Munhwasa. Sohn, P.K. (1993) Printing since the 8th Century in Korea 7(2), 4-9. Southwick, R. A. (2014) A Brief History of Taekwondo. Retrieved 28 June 2014 from www.msu.edu: https://www.msu.edu/~spock/history.html Staff.pausd.org. (2014, 6 28).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 Janggu. Retrieved from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http://staff.pausd. org/~cbly/1web_design/12_final/Catherine/janggu.html Temple, S. (2007) History of GMS: Birth of the Mobile Revolution. Vintage Mobiles: LG Prada – First Mobile with a Capacitive Touchscreen. Retrieved 28 June, 2014, from http://www.gsmhistory.com/vintage- mobiles/#prada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4)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of Hangeul. Retrieved 28 June 2014 from Want to know about Hangeul?: http://www.korean.go.kr/eng_hangeul/setting/002. html Twyman, M. (1998) The British Library Guide to Printing: History and Techniques, London. The British Library. Retrieved from http:// books.google.co.kr/books?id=KXoaalwyOjAC Ziegler, C. (2007).The LG KE850: Touchable Chocolate, Retrieved 28 June 2014 from http://www.engadget.com/topics/mobile/2006/12/15/the- lg-ke850-touchable-chocolate/

301

7.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Korea

제7장 대한민국의 발명과 발견

서론

대한민국의 역사에서 발명과 발견은 한정된 자원을 가진 국가를 성장 시켜온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전 세계에서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한국의 발명과 발견은 기원전 5000년 전부터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 근대 이전 발명된 온돌난방에서 현대 통신혁신을 불러온 4G LTE 기술까지 한국의 발명과 발견은 계속하여 진화하며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 이 장에서는 전 세계에 영향을 준 한국의 발명 및 발견의 역사를 살 펴보고 현대 발명·발견 강국으로서 한국의 위상에 대해서 논의해보고 자 한다. 고고학 연구에 의하면 한반도에 인류가 거주한 역사는 약 70만 년 전 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반도 전역에서 8천 년 전 신석기 시대인 고조선 때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생활 도구 등 다양한 유물들이 발견되고 있다. 기원전 1500년에서 2000년 사이, 청동기 시대에 들어서며 한반도에 문명 의 시대가 막을 연 이후(Eckert 외 1990, Korea.net, 2014) 한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명품 중의 하나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금속활자에서 오늘날 MP3 플레이어와 4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LTE까지 수많은 위대 한 발명품이 한국인들에 의해 발명되었다. 전 세계는 한국인들의 멈추지 않는 놀라운 발명과 발견의 역사를 지켜보며 오늘날 뛰어난 발명 및 혁신 기술을 통해 세계 IT 강국으로 자리매김한 대한민국의 다음 행보에 시선 을 집중하고 있다.

303

제7장 대한민국의 발명과 발견 한국의 발명·발견의 범위와 그 업적은 이 장에서 다 소개하기 어려울 정도로 무수히 많으며, 이에 따라 이 장에서는 과학, 기술, 의학, 문화체육 부문에서 전 세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한국의 주요 발명·발견을 선정 하여 논의하였다. 1절에서는 한국의 과학 기술 혁신에 대하여, 2절에서는 세계 문화체육 분야에 있어서 한국의 기여에 대해 다루며 한국의 발명· 발견이 오늘날 전 세계에 주고 있는 영향력에 대해 논의하였다.

7.1. 과학 기술분야의 발명과 발견

만약 미래의 우리 삶이 과학과 기술의 발전을 통해 어떻게 변화할지 궁 금한 사람이 있다면 한국에 방문해 보기를 추천한다. 전 세계 과학기술 분야 초강국으로 자리매김한 대한민국의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률은 전 세계 2위 수준으로(World Bank) 국민 인터넷 사용률은 84.1%, 스마 트 폰 사용률은 73%에 달하고 있다. 사실 이처럼 뛰어난 한국의 혁신 과 학기술은 비단 갑자기 생겨난 것이 아니며 근대 이전인 기원전 5000년 전 부터 뛰어난 과학적 지혜를 보여왔다.

1) 온돌난방문화 근대 이전 한국의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를 꼽으라면 전통 난방방식인 온돌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구들로 알려진 온돌은 기원전 5000년에 발명된 난방방식으로 (GuoQ, 2005; Bean, R., Olesen, B. W., and Kim, K. W., 2010) 그림 1-가에서 나타나듯 부엌에서 사용하는 열을 통해 집 전체 의 난방을 하는 전통 난방방식이다. 온돌난방은 조리시 사용된 열을 재 사용할 뿐만 아니라 열을 오래도록 보존하여 효과적으로 집안 전체를 난 방하면서 연료절감 효과까지 갖고 있는 매우 혁신적인 난방방식으로 평 가되고 있다.

30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그림 1. 온돌 난방방식

1-가. 전통온돌 1-나. 현대온돌

출처 : http://www.chingu-association.com/pages/la-coree-de-a-a-z/lettre-o/ondol.html

오늘날 온돌난방은 그림 1-나에서 나타나듯이 전통적인 방식과는 약간 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바닥 배수관에 온수를 흘려 보내 난방을 가동하 는 현대 온돌 방식의 경우 사람들이 생활하는데 필요한 온수를 바닥에 설치된 철제 배수관에 보관하여 난방을 하기 때문에 한 겨울에 배수관 속 물이 식어서 다시 열을 가할 경우에도 다른 난방방식에 비해 전통 온 돌방식과 같이 열을 더 오래 지속시키고 에너지를 절감하는 장점을 가지 고 있다.

2) 금속활자 정보의 대량제공을 가능케 한 한국의 금속활자(그림 2-가)는 타임지 (Time Magazine), BBC, 월스트리트 저널(Wall Street Journal), 워싱 턴 포스트(Washington Post)가 선정하는 지난 1000년의 역사상 세계에 서 가장 위대한 발명품으로 선정된 바 있다. 1234년 고려 시대에 처음 발 명된 금속활자를 통해 상정고금이 최초로 인쇄되었다(Christensen, T., 2007; Sohn, P.K., 1993). 금속활자로 간행한 현존 최고의 인쇄물인 직지 (그림 2-나)는 1377년 구텐베르크의 42행 성경보다 무려 78년이나 앞서

305

제7장 대한민국의 발명과 발견 그림 2. 한국의 금속활자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

2-가. 금속활자 2-나. 세 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인 직지 출처 : http://bangnangja.wordpress.com/2011/10/19/the-gutenberg-bible-vs-the-jikji/

인쇄되었다(Twyman, M., 1998).

3) 휴대용 MP3 플레이어 세계 최초의 휴대용 MP3 플레이어인 MPMAN F10은 1998년 한국 기 업인 세한정보통신에 의해 개발 및 생산되었다. 애플(Apple Inc.)의 아이 팟은 MPMAN F10의 개발 3년이 지난 후 처음으로 그 모습을 보였다. MPMAN F10(그림 3)의 용량은 32MB로 업그레이드를 통해 64MB까지 용량확장이 가능하였다. 이 같은 용량의 MP3 플레이어는 출시 당시 모두 를 놀라게 한 수준으로 약 32분 정도의 음악 재생이 가능한 크기이며 이 는 약 8개의 CD 트랙을 재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수준이었다. 또한 병렬 단자를 통해 PC와의 연결이 가능한 MPMAN F10는 재생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작은 LCD 창과 함께 완전 충전시 9시간 정도 재생이 가능한 재 충전 배터리 등이 탑재되어 오늘날 생산되는 제품들과 견주어도 뒤쳐지 지 않는 놀라운 제품이었다(Hazelwood, S., 2013).

30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그림 3. 세계 최초 휴대형 MP3 플레이어인 MPMAN F10

출처 : http://www.antiqueradio.com/Dec04_Menta_mp3pt1.html

4) 터치스크린 핸드폰 LG전자에서 생산한 프라다폰(그림 4)은 2006년 12월 발표한 뒤 다음 해인 2007년 5월부터 판매된 세계 최초 터치스크린 핸드폰으로 이는 애 플사의 첫 번째 아이폰 출시보다 한 달 앞선 시기이다(Ziegler, C., 2007; Temple, S., 2007). 이 외에도 프라다폰은 △ 56K 3인치 액정 TFT 터 치스크린 디스플레이 △ MP3, 비디오, 플래쉬, 문서보기 기능 △ GSM 900/1800/1900 네트워크 △ 본체 크기는 98.8 x 54 x 12 mm △ LED 플 래쉬 기능 내장카메라 △ 800 리튬이온 배터리(대기시간 최대 300시간, 통화시간 최대 3시간) 등 뛰어난 사양을 갖춘 제품으로 평가 받고 있다 (Gsmarena.com).

5) 비접촉식 스마트카드 비접촉식 스마트카드는(그림 5) 신용카드와 동일한 크기와 두께의 플

307

제7장 대한민국의 발명과 발견 그림 4. LG프라다(LG-KE850) 터치 스크린 핸드폰

출처 : http://www.trustedreviews.com/news/LG-KE850-iPhone-Look-A-Like-Officially-Unveiled

라스틱 카드에 직접회로(IC:integrated circuit)를 삽입하여 카드 내에서 정보의 저장과 처리가 가능한 지능형 카드이다. 이 같은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는 버스 및 지하철 등 대중교통의 ‘자동운임징수시스템(AFC: auto- matic bus and subway fare-collection)’ 구축 및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비접촉식 스마트카드는 1995년 서울에서 전자발권을 위해 처음 사용 되었으며 1997년부터는 홍콩에서도 사용되기 시작하는 등 비접촉식 스 마트카드의 사용은 전 세계적으로 크게 확산되어 현재 공공교통수단의 요금 지불수단으로 많은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www.apsca.org, 2013; Brule, D., 2012).

30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그림 5.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출처 : http://www.plasticpvccard.com/contact-smart-card--1371479.html

6) LTE 4세대 이동통신 기술 보다 빠른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4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LTE(Long-Term Evolution)는 기존 네트워크와 유연한 연동이 가능한 동시에 투자비용 또한 저렴하여 차세대 기술로 급격히 부상하고 있는 최 첨단 혁신 기술이다. LTE 상용화와 함께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해당 기 술 발전 및 상용화를 위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진행하여 현재 세계에서 가 장 많은 수의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Ray, B., 2011) 특히, 삼성전자 의 경우 LTE 단말기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상용화하는데 성공하였다. LTE 상용서비스는 스웨덴에서 세계 최초로 시작되었으며 현재 한국 기 업은 미국 최초 LTE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트로 PCS(MetroPCS Inc.)의 상용 LTE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7) 화차 세계 최초의 화약 발사무기인 화차(그림 6)는 1409년 조선시대에 발명 되었다. 바퀴 2개 위에 나무로 제작된 화차는 차체 위에 로켓형 화기인 소

309

제7장 대한민국의 발명과 발견 그림 6. 화차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Hwacha

신기전과 중신기전을 최소 100개에서 200개까지 동시에 꽂아 발사할 수 있는 신기전기(발사틀)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매우 위력있는 조선시대의 전통 무기이다. 총통기를 이용할 경우 동시에 세전 200발을 발사할 수 있 으며 발사거리는 최대 2000m까지 가능하였다(Kim, M. O., and Jaffe, S., 2010).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따르면 화차는 당초 왜구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나, 1598년 임진왜란 중 공격 목적으 로도 사용되었다고 알려지고 있다(Nossov, K., and Golubev, V., 2005).

8) 거북선 고려 말 조선 초에 왜적을 격퇴하기 위해 제작된 거북선은 (Bryan E., 2013) 1413년 처음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Hawley, S., 2005). 사방에 화포를 설치하고 뛰어난 견고함으로 왜군을 무찌르는데 매우 큰 역할을 수행한 거북선은 지붕(덮개) 역할을 하는 개판이 갑판의 윗부 분을 덮고 있는 특수한 구조를 갖고 있어 매우 강력한 방어력이 특징인 군함이었다. 거북선의 두꺼운 개판과 그 위에 설치한 뾰족한 철침은 해전

31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그림 7. 거북선

출처 :「 거북선 신화에서 역사로」김정진, 2005

시, 적의 배로 뛰어들어 칼과 창으로 공격하는 일본군의 주요 전술을 원 천봉쇄할 수 있었다(KoreanHero.net, 2014).

9) 우장춘의 삼각형 우장춘의 삼각형은 십자화속 식물(브로컬리와 같은)의 진화과정과 관 계를 성명하는 이론이다. 재일동포인 우장춘(일본명: 나가하루) 박사는 1935년 그의 박사 논문에서 브라시카(brassica)의 세 가지 조상종인 브 라시카 니그라(brassica nigra)(BB), 브라시카 올레라케아(brassica oler- aces), 브라시카 캠페스트리(brassica campestris)(AA)와 세 가지 후손종 인 브라이카 윤케아(brassica juncea)(AABB), 브라시카 나푸스(brassica

311

제7장 대한민국의 발명과 발견 그림 8. 우장춘의 삼각형

출처 : http://www.plantsciences.ucdavis.edu/gepts/pb143/LEC09/pb143l09.htm

napus)(AACC), 브라시카 카리나타(brassica carinata)(BBCC) 등 (Jules, J., 2009) 현존하는 두 종을 사용해 새로운 종인 복이배체(allotetraploid) 를 만드는데 성공, 같은 속의 다른 종을 교배해 기존에 존재하는 다른 식 물을 새롭게 만들어낼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Nagaharu, U. 1935) 기존 의 진화론에 수정과 보충을 가한 획기적인 결론을 도출하였다.

10) 한타바이러스 발견된 지역인 한탄강의 이름에서 유래된 한타바이러스는 비교적 최근 에 한국의 이호왕 박사에 의해서 최초로 발견되었다. 한국전쟁 당시 약 3 천명의 외국인 병사들이 한탄강 주변에서 감염되어 주목받게 된 한타바 이러스는 비록 치사율은 낮은 편이나, 유행성 출혈열을 일으키는 원인균

31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으로 지목되었다. 1976년 이호왕 박사는 미국의 칼 존슨 박사(Karl M. Johnson)와의 공동연구에서 동물의 혈액에서 해당 바이러스를 분리함으 로 이 바이러스가 유행성 출혈의 원인임을 확인하였다(Lee, H.W., Baek, L.J., and Johnson, K.M., 1982).

11) 전통 한의학 한국 한의학의 역사는 기원전 3000년 전의 기록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데 역사서인 제왕운기에서는 마늘과 쑥의 의학적 효능에 대해서 설명하 고 있다. 이후 조선시대 의관이었던 허준은 한방의학의 발전에 지대한 영 향을 준 동의보감을 완성하였는데 이는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에서 도 동양의학의 고전으로 여겨지고 있다.

7.2. 문화체육 분야 한국의 발명·발견

한국은 예로부터 평화와 화합의 정신을 바탕으로 다양하고 위대한 고 유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나아가며, 그 문화의 고유성뿐 아니 라 특별함을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체육분야에서는 올림픽 정식 종목인 전통무술 태권도가 있으며, 음악분야에서는 한국 고유의 전통음 악에서부터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K-Pop이 있으며, 이 외에도 전 세계에서 가장 현대화되고 과학적인 글자로 평가 받는 고유 의 문자인 한글 등이 있다.

1) 태권도 태권도는 2300년 전부터 이어져 내려온 한국의 전통 무술로서 1955년 당시 국제태권도연맹 총재였던 고 최홍희 총재가 태권도명칭제정위원회 와 함께 그 명칭을 태권도라 제정하여(Capener, S.D., 2000) 그 이후부터

313

제7장 대한민국의 발명과 발견 태권도라 칭하게 되었다. 태권도는 1976년 국제경기연맹총연합회(GAISF: General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와 국제군인체 육이사회(CISM: International Council of Military Sports)에 공식적으로 등록되었으며, 1980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로부터 올림픽종목 승인을 받아 1988년과 1992년 올림픽에서는 시범종목으로 승인되고, 2000년에 는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Southwick, R., 2014).

그림 9. 태권도

출처 : http://www.cs.middlebury.edu/~ikipouros/hobbies.html

인간의 사지 중 가장 길고 힘이 센 다리를 사용한 공격과 방어기술을 통해 강력한 격투기술을 가능케 하는 태권도는(Capener, S.D., 2000) 택 견, 가라데의 동작과 일부분 유사한 동작을 갖고 있는데 이들을 구분짓 는 가장 큰 특징은 빠른 손동작과 그림 9에서 나타나는 높은 발차기 공격 기술이다.

31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2) 씨름 씨름(그림 10)은 한국의 전통 레슬링으로 몸의 힘과 기술을 겨루는 경 기이다. 씨름의 기원은 정확히 알려지고 있진 않으나 많은 역사연구에서 그 기원을 고구려시대로 추측하고 있다. 조선시대 때부터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얻은 씨름의 첫 번째 정식대회는 1912년 유각권의 주최로 처음 개 최되었다. 이후 1983년 한국씨름연맹의 설립과 함께 본격적으로 씨름 대 회가 개최되며 씨름은 한국의 인기스포츠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Korea Sirum Research Institute).

3) 장구 ‘세요고’라고도 불리는 장구는 한국의 전통음악에 사용되는 북의 일종 으로 장구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려시대 문종시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장구는 양쪽 끝에는 암캐가죽과 숫캐가죽을 각각 덮어 음과 양의 조화를 바탕으로 각기 다른 음색과 높낮이를 내는 전통 타악기이다(Has-

그림 10. 씨름

출처 : http://beautifulwall.wordpress.com/

315

제7장 대한민국의 발명과 발견 selink, N., 2006; Lee, S.H, 2014). 아래 그림 11에서 보여지듯 모래시계 형태를 가진 장구는 가운데 부분에는 나무, 사기, 철 등으로 만들어진 공 명통을 가지고 있다. 공명통의 가장 잘록한 부분인 조롱목은 공명된 소리 를 북통에 잡아 두는 장치로서 좋은 소리를 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staff.pausd.org, 2014). 공명통은 양쪽 끝에 가죽을 대고 양쪽의 북면을 끈으로 묶어서 만든 다. 깊은 소리를 내는 장구의 왼쪽은 북편이라 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소 리를 내는 오른쪽은 채편이라 부른다. 장구 연주자는 양 편을 함께 치며 연주하는데, 이 때 맨 손으로 치거나 혹은 열채라고 불리는 북채로 치기 도 한다. 한편, 오늘날에는 대부분의 장구 연주자가 장구 연주시 북채를 사용하고 있다.

그림 11. 장구

출처 : http://riskorea.blogspot.kr/2011/01/drum-class.html

31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4) 한글 한국의 고유 문자인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문자로 평가되고 있다. 저명한 언어학자인 고 맥콜리(James McCawley) 교수는 한글을 세 계 현존하는 문자 중 가장 재치있게 창안된 문자 체계이며 전 세계 문자 중 유일하게 조음 음성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문자라 설명하며 (Asia Society, 2014) 한글의 우수성에 대해 극찬한 바 있다.

그림 12. 한글의 자음과(14개)모음(10개)

* 출처 : http://www.lifeinkorea.com/language/korean.cfm

한글 자음의 모양은 해당 소리를 낼 때 움직이는 입의 모양을 바탕으 로 만들어졌다. 한글은 다른 문자와는 다르게 소리가 이어져서 나지 않 고 하나의 자음과 모음이 합해져 한 음절을 낸다. 예를 들어 ‘한’ 은 하나 의 음절로 발음되며 ㅎ, ㅏ, ㄴ 세 개의 철자로 이루어져있으며 한글의 자 음과 모음은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의 순서로 쓴다(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4). 1444년 조선시대 네 번째 왕이었던 세종대왕이 창시한 한글은 창시 당시에는 ‘백성을 가르치는 바

317

제7장 대한민국의 발명과 발견 른 소리’ 라는 의미의 훈민정음으로 불리었으며 1912년 언어학자였던 주 시경에 의해 한글로 고쳐 불리어지게 되었다.

결론

이 장에서 우리는 한국의 발명·발견의 역사가 오늘날 전세계에 미치고 있는 영향력에 대하여 과학, 기술, 의학, 문화, 예술 등 전반에 걸쳐 다양하 게 살펴보았다. 신빙하기 시대부터 시작되어 이미 조선시대 이전부터 두 각을 나타낸 한국의 발명과 발견의 역사는 현대 IT 강국의 기술혁신으로 이어져 전 세계 인류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한국의 새로운 기술의 발명과 발견은 미래 전세계 인류의 삶에 점점 더 많은 영 향을 미치며 더 큰 변화를 불러올 것이며 한국을 짊어질 다음 세대들 또 한 훌륭히 그 역할을 해낼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31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참고문헌

APSCA (2013) 4th Asian Transport Revenue Collection Forum - Overview. Asia Pacific Smart Card Association. Retrieved 28 June 2014 from http://www.apsca.org/events/info.php?event=121 Asia Society. (2014) The World’s Most Incredible Alphabet, Retrieved from Asia Society: http://asiasociety.org/countries/traditions/ world%E2%80%99s-most-incredible-alphabet Bean, R., Olesen, B. W., and Kim, K. W. (2010) History of Radiant Heating & Cooling Systems,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 Conditioning Engineers, Inc. ASHRAE. Brule, D. (2012) MIFARE4Mobile™ enabling electronic ticketing and access management applications on mobile devices. MIFARE4 Mobile Indus- try Group. Bryan, E. (2013) 'The Turtle Ship,' Military History Monthly, 28 June 2014, 27. Capener, S.D. (2000).Taekwondo: The Spirit of Korea (portions of). Seoul: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Christensen, T. (2007) 'Did East Asian Printing Traditions Influence the Euro- pean Renaissance?' Arts of Asia Magazine. Eckert, C. J., and Lee, K.B. (1990) Korea Institute Series. Published for the Korea Institute, Harvard University. Ilchokak. Gsmarena.com. (n.d.). LG KE850 Prada. Retrieved 28 June 2014 from http:// www.gsmarena.com/lg_ke850_prada-1828.php Guo, Q. (2005) Chinese Architecture and Planning: Ideas, Methods, Tech- niques. Edition Axel Menges. Edition Axel Menges. Retrieved 6 27, 2014, from http://books.google.co.kr/books?id=VVdQAAAAMAAJ Hasselink, N. (2006). Pungmul: South Korean Drumming and Dance, Chi-

319

제7장 대한민국의 발명과 발견 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awley, S. (2005). The Imjin War. Japan's Sixteenth-Century Invasion of Ko- rea and Attempt to Conquer China, Seoul: The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Hazelwood, S. (2013). Dialaphone heroes: MPMAN F10 mp3 player. Retrieved 10 May 2014 from http://www.dialaphone.co.uk/blog/2013/01/08/diala- phone-heroes-mpman-f10-mp3-player/ Jules, J. (2009). Plant Breeding Reviews 31, Hoboken, NJ: Wiley. Kim, M. O., and Jaffe, S. (2010) The New Korea: An Inside Look at South Korea's Economic Rise. AMACOM Div American Mgmt Assn. Korea Sirum (Ssirum) Research Institute. (n.d.). History of Ssireum. (K. S. In- stitute, Producer, & Korea Sirum (Ssirum) Research Institute) Retrieved 28 June 2014 from Korea Sirum (Ssirum) Research Institute: http:// ynucc.yeungnam.ac.kr/~ssi/Introduction/History/history.html KOREA.net. (n.d.) History. KOREA.net. Retrieved 28 June 2014, from http:// www.korea.net/AboutKorea/Korea-at-a-Glance/History KoreanHero.net. (2014) The Kobukson orTurtle Ship, Retrieved from Korean- Hero.net: http://www.koreanhero.net/en/TurtleShip.htm Lee, H.W., Baek, L.J., and Johnson, K.M. (1982) 'Isolation of Hantaan virus, the etiologic agent of Korean hemorrhagic fever, from wild urban rats.'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146(5), 638-644. Lee, S. H. (2014). About South Korea. Retrieved from Website: http://seun- ghyunlee.weebly.com/korea-instrument.html Nagaharu, U. (1935) 'Genome Analysis in Brassic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xperimental Formation of B. Napus and Peculiar Mode of Fertil- ization' Journal of Botany, 389-452. Nossov, K., and Golubev, V. (2005) Ancient and Medieval Siege Weapons: A

32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Fully Illustrated Guide to Siege Weapons and Tactics (1st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Ray, B. (2011) Who Owns 4g Mobile Technology? Retrieved 28 June 2014 from http://www.theregister.co.uk/2011/09/23/lte_patent_pie/ Sik, K.W., and Myung, L. K. (1999) A Modern History of Taekwondo, Seoul: Pogyŏng Munhwasa. Sohn, P.K. (1993) Printing since the 8th Century in Korea 7(2), 4-9. Southwick, R. A. (2014) A Brief History of Taekwondo. Retrieved 28 June 2014 from www.msu.edu: https://www.msu.edu/~spock/history.html Staff.pausd.org. (2014, 6 28).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 Janggu. Retrieved from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http://staff.pausd. org/~cbly/1web_design/12_final/Catherine/janggu.html Temple, S. (2007) History of GMS: Birth of the Mobile Revolution. Vintage Mobiles: LG Prada – First Mobile with a Capacitive Touchscreen. Retrieved 28 June, 2014, from http://www.gsmhistory.com/vintage- mobiles/#prada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4)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of Hangeul. Retrieved 28 June 2014 from Want to know about Hangeul?: http://www.korean.go.kr/eng_hangeul/setting/002.html Twyman, M. (1998) The British Library Guide to Printing: History and Techniques, London. The British Library. Retrieved from http://books. google.co.kr/books?id=KXoaalwyOjAC Ziegler, C. (2007).The LG KE850: Touchable Chocolate, Retrieved 28 June 2014 from http://www.engadget.com/topics/mobile/2006/12/15/the-lg- ke850-touchable-chocolate/

321

제7장 대한민국의 발명과 발견

8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K-TOURISM

INTRODUCTION

In July 1953, South and North Korea drew the 38th parallel, signing the ceasefire agreement that ended the Korean War. South Korea (officially known as the Republic of Korea and simply referred to as Korea in this essay) had to start all over again from the ruins of war. General Douglas MacArthur even claimed that it would take “at least 100 more years to rebuild Korea.” And yet in 1988, only 35 years later, Korea successfully held the Seoul Olympics, demonstrating the miracle of the Han River. As one of “the four Asian tigers,” Korea achieved the phenomenal feat of reaching the semi-finals in the 2002 FIFA World Cup. Ten years later, global interest is increasing in Korean culture—and K-Pop in particular—a phenomenon known as Hallyu, or the Korean Wave. It is hard to imagine that all of this has been achieved in just half a century— indeed, it can only be described as “miraculous.” When I first visited Korea ten years ago, my initial impression of the country was that it was clean, modern, and charming. Korea looked quaint and colorful, and underneath the modern outlook, authentic Korean traditions were still very much alive. This aspect of Korea— traditions melding into bustling urban centers—is attractive to foreign tourists. While living in Korea for the last 10 years, I have experienced how this juxtaposit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 creates a truly wonderful country. Hence, I intend to focus on the concepts of food,

323

8.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K-Tourism shelter, and clothing, drawing upon my daily experiences, as I compose my thoughts o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FOOD

Scientific American magazine recognized umami as being the fifth kind of taste. While the Japanese define the word as being the taste of amino acids, Koreans understand it to mean the savory taste of well-fermented food. Indeed, it is fair to say that Korea is the nation of fermented flavor, with the vast majority of traditional Korean dishes consisting of pickled food. Made with high-quality ingredients, , often called Hansik, is ideal for the contemporary pursuit of a healthy lifestyle. A variety of fermented foods known as jang, or sauces, and kimchi are found on the bountiful Korean table. Kimchi, the best-known fermented dish in Korea, was named one of the world’s five healthiest foods, while kimjang, the tradition of making and sharing kimchi, made UNESCO’s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Kimchi is made of at least 15 ingredients, each with its own health benefits. Cabbage is rich in vitamins; radish helps with digestion; salted seafood is full of amino acids; garlic is a natural antibiotic; and ginger is antibacterial, just to name a few. To make kimchi, these ingredients are all mixed and ferment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microorganisms break down each of these substances, with the final product containing more nutrients than there were to begin with. Additionally, Korean food reflects the theory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which says that everything consists of the opposite aspects of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of water, fire, wood, metal, and earth. The life of every human from birth to death, as well as the universe itself, can be analyzed by the movement of these five elements. According to this theory, the flavor of food derives from its color and the energy it receives

32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from the universe. The five flavors are sour, bitter, salty, sweet, and spicy, and the five colors are blue, red, yellow, white and black. The appropriate use of the five flavors and five colors achieves balance between yin and yang, one of the reasons Korean dishes are so healthy. Kimchi is one such food that keeps the five flavors and five colors in balance. It has the five flavors: spicy (chili), salty (salt), sweet (fruits and sauces), sour (lactic acid), and bitter (cabbages soaked in salt water and various vegetables). It also has the five colors: white (cabbage and radish), blue (cabbage leaves and spring onions, since there is an overlap between blue and green in the Korean language), yellow (ginger), red (chili powder) and black (salted seafood) (MOFA, 2013). Kimchi has always been an essential part of Korean cuisine, but these days it is also gaining renown around the world as a health food. The kimchi refrigerator, which was designed to keep kimchi fresh and tasty year-round, was developed using original Korean technology. Today, this device has become an essential appliance in the Korean household. Visitors to the country are fascinated by Koreans’ love of the dish. The Kimchi Museum, a popular designation for tourists, also promotes the many benefits of the dish. Visitors here can find in-depth information about kimchi and even make some of their own. Aside from kimchi, soy sauce, doenjang (soybean paste), gochujang (red pepper paste), and jeotgal (salted seafood) are the main fermented foods on the Korean table. Largely made of soybeans and salt, these various kinds of jang, or sauces, appear throughout Korean cuisine and serve as a significant source of protein. Korean food is cooked with various marinades fermented using traditional methods. Bulgogi, a Korean dish that is popular with international audiences, is marinated with soy sauce. Global exposure to the dish led to the launching of Sungnyemun, a Bordeaux wine developed by Francois Guez, the owner of Chateau Garreau in France. When Guez visited Korea in 2005, he was so charmed by Korean food that he created the wine exclusively to match the

325

8.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K-Tourism soy sauce-based dishes he had so enjoyed. A driving principle in Korean cuisine is the idea that medicine and food are one and the same. Each year is divided into 24 periods, and each period has its specific seasonal foods. On Ipchun (start of spring, February 4th or 5th on the lunar calendar), bamboo shoots, wild chive and naengi namul (fermented herbs) are eaten to make up for the fresh vegetables that were missing during the winter. On Chunbun (vernal equinox, March 20th or 21st), an infusion of foxglove is drunk. On Gogu (grain rain, April the 20th or 21st), birch water, which is known to be good for one’s health, is drunk. On Ipha (start of summer, May 6th or 7th), mugwort is often eaten. On Soseo (minor heat, July 7th or 8th), croaker stew is prepared. On Chubun (autumnal equinox, September 23rd or 24th), mushroom dishes are eaten. On Hanro (cold dew, October 7th or 8th), chrysanthemum is used to make pancakes and also to brew liquor. On Ipdong (start of winter, November 7th or 8th), siruttoek (steamed cake made from the new crop of grain) is shared with neighbors. Finally, on Dongji (winter solstice, December 21st or 22nd), patjuk (red bean gruel) is eaten. After eating these different dishes throughout the year, one gains an appreciation of Korean folk wisdom. Foreigners who dine at Korean restaurants are surprised by two things: first, by how many kinds of kimchi there are; and second, by how the side dishes are refilled for free. The abundance of the Korean table gives visitors insight into the Korean characteristic of jeong. This is generally defined as a unique Korean sentiment felt for kinsfolk and close friends. The concept of jeong was introduced to Europe in the 17th century, by Dutchman Hendrick Hamel, who spent some time in Korea after being shipwrecked there. In his travelogue, Hamel wrote that “our companions were more humanely treated by these idol worshipers than by any other Christians in other parts of the world” and described how jeong motivated Koreans to help others even when it was not in their interest to do so (MOFA, 2013).

32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CLOTHING

Hanbok is the name for traditional Korean clothing that is mostly worn on Chusok (the harvest festival) and the Lunar New Year, as well as other special occasions. Trying on Hanbok is high on the to-do list for many tourists. In addition to producing a unique silhouette, Hanbok is embellished with obangsaek (five traditional colors that are based on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lavish embroidery, and various norigae pendants (Eun-Sook Jung, 2008). Visitors are intrigued by the beautiful colors of Hanbok. The Hanbok aesthetic is based on straight lines and slight curves, creating a lovely silhouette. The former conveys a sense of calmness, while the latter brings out the element of fluidity. On the whole, Hanbok is composed of strong, curvilinear shapes. The beauty of the Hanbok silhouette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ine and the combination and harmony of each element, revealing a simple, innocent beauty. This is based on naturalistic philosophy, which seeks to express its object as realistically as possible: ordinary, yet imbued with lasting depth and style (Yong Joun Cha, 2000). Since Hanbok traditionally has no pockets, it usually comes with a small purse, called a bokjumoni (literally, “luck pocket”). Bokjumoni are made of decoratively colored silk or cotton and embroidered with the Chinese characters for life (壽), luck (福), wealth (富), precious (貴), and joy (喜). Other possible patterns are the 10 traditional symbols for longevity1), the elixir of life, the bat2), and the chrysanthemum3), which are believed to protect the bearer from evil spirits and bring good luck. Bokjumoni, which are also believed to bring good fortune, are

1) Known as the sipjangsaeng, or the ten immortals: sun, mountain, water, stone, cloud, pine tree, elixir of life, turtle, crane and deer. These originated from Taoism, a philosophy whose practitioners revere nature. 2) The bat, called pyeonbok, symbolizes longevity and good fortune. 3) The chrysanthemum symbolizes nobility and eternal life

327

8.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K-Tourism often given as a present rather than for practical use. There is a custom of family members exchanging bokjumoni as New Year’s gifts. It is believed that they can ward off evil spirits and bring good luck if they are worn on the first day of the Lunar New Year. These colorful, tiny items—which take a lot of time to make—are regarded as precious good-luck charms (Korean Custom Dictionary, Korea National Folk Museum). They are also a popular souvenir with foreign tourists. The norigae pendant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Hanbok as well as a quintessential expression of Korean aesthetics. Meaning “precious object,” these accessories are worn on the goreum (ribbon) of the jogori (jacket) or on the waist. In the old days, men would give the women they loved a norigae to express their feelings. Norigae are a traditional handcraft that includes both aesthetic and magical elements; as well as being pretty, they are supposed to bring good luck and keep mishap at bay. The designs used for norigae generally come from daily life: everyday items, plants, and animals (Kyoung Ja Lee, 2006). Nowadays, norigae have an ornamental purpose and are used to adorn furniture or are framed and hung on the wall. They are a popular item for foreigners to purchase. As the beauty of Hanbok becomes more widely known worldwide, trying on Hanbok is becoming a more popular activity for tourists. The Hanbok experience centers at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hotels, and convention centers provide a chance to try on Hanbok and take pictures. Tourists are also drawn to various programs ranging from drawing traditional Hanbok patterns on postcards to making paper bokjumoni in the Hanbok exhibition room. Foreign tourists are often seen in traditional markets shopping for Hanbok and other accessories to take home as souvenirs. Hanbok is now going beyond the Korean peninsula and out into the world.

32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HOUSING

Hanok, or traditional Korean houses, are still easy to find in the heart of Seoul. With the main structure made of wood and the roof and walls made of giwa (clay tiles), soil, and rocks, Hanok are eco-friendly residences. The aesthetics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seeks to express beauty by achieving harmony with nature rather than by being lavish or showy. Bukchon Hanok Village, located amid the skyscrapers of Seoul, attracts thousands of tourists from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re are numerous Hanok guesthouses in the area for those who want to spend a night in one of these authentic buildings. In addition, museums and studios in the area provide activities to make traditional crafts—kites, Korean paper—helping to make Bukchon Hanok Village a top draw for tourists. Naganeupseong in Suncheon, in comparison, is a folk village that recreates the atmosphere of the Chosun Period. Entering this secluded village, you will be charmed by the peaceful and tranquil neighbourhood. Along the stream that flows through the village are a well-preserved traditional market, souvenir shops, craft studios, and forges which will make you want to linger a little longer. As you take part in a natural dye workshop, pottery class, or a musical instrument making session at a craft studio, you may not notice that the sun is setting behind the mountains in the distance. When night comes, thousands of stars shine in the pitch-black sky, rarely seen to urban dwellers. The night deepens as you sit on the edge of the porch under the thatch roof and gaze at the beguiling gift the sky sends down. But Naganeupseong in Suncheon is not the only place like this. Hahoe Village in Andong,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and Sungeup Traditional Village in Jeju also perfectly preserve the Chosun period look. Amazed by the old-fashioned layout of these villages, visitors feel as if the clock had been turned back to the

329

8.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K-Tourism Chosun era. One of the many charming spaces in a Hanok is the madang, or courtyard. Since the old days, the madang has been intimately connected to daily life. It can be used to hold a feast or to thresh and dry the grains harvested in the autumn. Today, visitors to a Hanok are entertained with different folk games: jegichagi (footbag), neolttwigi (seesaw), tuho (stick throwing), gulleongsoenori (hoop rolling) and yutnori (a board game). New visitors tend to find these games a bit tricky, and it is amusing for Koreans to watch them try them over and over. The outstanding feature of Hanok is how they combine ondol (floor heating) and maru (wooden floor). This is a unique housing strategy that attempts to account for the hot summers and cold winter caused by the Korean peninsula’s position between the Asian continent and the Pacific Ocean. Because the maru is raised above the ground, there is space underneath for air to flow through. The maru is designed either with external walls that open on the courtyard or as an easily accessible platform that guests can walk or sit on. As you sit on the edge of the maru, sharing tea with your host and gazing at the jars of gochujang by the corner of the madang and the picturesque scenery beyond the low wall, the chaos of city life will melt away. Ondol is a traditional Korean floor heating system that circulates heated air underneath the floor to warm the entire room. It serves not only to heat the house but also to control humidit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warm feet and cold heat,” believed to provide health benefits. Today, this heating system is well-known and increasingly popular worldwide. It looks as if the wisdom of the ancients is still applicable to modern-day Korea. Spending a night on a warm ondol floor is indeed a unique experience for foreign visitors to the country.

33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CONCLUSION

Visitors to Korea are often enchanted to see the role that traditional Korean culture plays in modern life. Cultural aspects such as these reveal Korea’s unique character and sentiment. Aware that the authentic side of Korea has the greatest international appeal, the Korean government is opening a new era of K-Tourism, combining tradition with tourism. While it is important to keep seeking new ways to boost overseas tourism, it is also crucial to preserve and perpetuate national traditions. The country that created a generation of K-pop fans around the world is preparing a new renaissance of global culture, and this is only possible because Korea is fully committed to protecting and maintaining its traditional culture and values.

REFERENCES

Cha, Y. J. (2000)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Vol. 2 (Traditional Clothing/ Food/ Housing)] in Korean, Jeonju University Press, 125- 134. Jeong, E. S. (2008) [Images of Traditional Outfits in Modern Art Costumes] in Korean, Sangj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17-40. Ju, J. D. (2005) [Cultural Tourism Theory] in Korean, (Daewangsa) 72-119. Lee, K. J. (2005) [Norigae Traditional Hanbok] in Korean, Ewha University Press, 6-7. MOF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3) Delicious Korean Story Kimchi 46-50. National Folk Museum, Korean Custom Dictionary, “Bokjumoni.”

331

8.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K-Tourism

제8장 한국의 전통문화와 K-Tourism

1953년 7월 북위 38도에 선을 긋고 남북이 휴전 협정을 맺으며 한국전 쟁은 마무리 된다. 대한민국(이하, 한국)은 폐허가 된 땅에서 모든 것을 다 시 시작해야 했다. 오죽했으면 휴전 직후 맥아더 장군은 “한국을 재건하 는데 최소 100년이 걸릴 것이다” 라고 이야기 했을까? 그러나 정확히 35년 후인 1988년, 한국은 한강의 기적을 알리면서 성공적으로 올림픽을 개최 했다. 그리고 ‘아시아의 네 마리 용(龍)’으로 비상하며 2002년 월드컵의 4 강 신화를 이루어 냈다. 그로부터 10년 뒤, 전 세계는 한류와 K-pop에 환 호하고 열광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이 반세기만에 이루어진 것이라고 하기 에는 진정 기적이란 단어만 표현이 가능하다. 10여 년 전, 처음 한국을 방문했을 때 내가 받은 첫 인상은 ‘청결, 현대 화(모던함), 아기자기함’ 이었다. 알록달록 아담하고 현대적이지만 그 속에 한국 고유의 전통이 살아 숨쉬고 있었다. 역동적이고 활기 넘치는 현대화 된 도심 속에 녹아있는 한국의 전통은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들을 매료 시키기에 매우 충분했다. 그리고 이어진 10여 년간 한국에서의 일상을 통 해, 필자는 전통과 현재가 날실과 씨실로 조화롭게 엮여 아름다운 대한 민국으로 만들어지고 있음을 몸으로 느꼈다. 평범한 일상생활에서 보고 듣고 느꼈던 식(食), 의(衣), 주(住), 이 세 가지 단어로 ‘해 뜨는 나라’인 한 국에 대한 필자의 느낌을 적어본다.

333

제8장 한국의 전통문화와 K-Tourism 식(食)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지에서 제5의 맛으로 ‘우마미(Umami)’를 인정 하였다. 우마미는 일본어로 아미노산 맛이란 말로, 한국에서는 잘 발효되 어 우러나오는 맛난 맛을 뜻한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발달한 발효미의 종주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 전통 밥상의 80~90%가 발효음식 이다. 좋은 식재료에 오랜 시간과 정성을 더해 만들어진 한식은 오늘날 웰 빙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정말로 적합한 음식이다. 한 상 가득히 차려 지는 한식 안에서 우리는 장류, 김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발효음식들을 발 견할 수 있다. 한국의 대표 발효음식인 김치는 세계 5대 건강식품 중 하나로 선정되 었고 김장문화는 ‘유네스코 인류 무형유산’에 등재되었다. 김치는 비타민 이 풍부한 배추, 소화를 돕는 무, 아미노산 덩어리인 젓갈, 항균력이 뛰어 난 마늘, 강한 살균작용을 가진 생강 등 최소 15가지 이상의 재료로 만든 다. 이런 재료들이 어우러지고 상호작용하여 최종적으로 발효라는 특수 한 과정을 거쳐 김치가 만들어진다. 발효는 미생물이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효소를 활용해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각 재료가 김치 로 어우러질 때 각각의 영양소가 더해지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영양소가 탄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식문화에는 음양오행 사상이 짙게 반영된다. 음양오행에서 모든 사물이나 현상은 서로 대립하는 속성을 가진 음과 양으로 이루어 진다. 음과 양에서 파생된 오행은 水(물), 火(불), 木(나무), 金(쇠), 土(흙) 이며, 음양오행 이론은 이 오행의 움직임으로 우주와 인간생활의 생성소 멸을 해석하는 이론이다. 음양오행에 근거하면 우주의 각 방위를 나타내 는 색과 기운에 따라 각각의 맛이 존재한다. 오미는 신맛, 쓴맛, 짠맛, 단 맛, 매운맛이며 오색은 청색, 적색, 황색, 백색, 흑색이다. 음식에서 이 오 미와 오색을 고루 사용하면 음과 양, 오행이 조화를 이룬 건강한 음식이

33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된다. 김치는 오미와 오색의 균형이 잘 이루어진 음식이다. 김치에 사용되 는 고추의 매운맛, 소금의 짠맛, 양념과 과일의 단맛, 젖산 발효로 인한 신 맛, 여러 가지 채소의 떫은 맛, 굵은 소금에 절여 담근 김치의 쓴맛이 그것 이다. 오색의 균형은 배추와 무의 흰색, 배추 잎과 파의 푸른색, 생강 마늘 등 부산물의 노란색, 고춧가루의 붉은색, 젓갈류의 검은색 등으로 잘 어 우러졌다(MOFA, 2013). 오늘날 김치는 한국인에게 사랑받는 음식일 뿐만 아니라 세계에서도 주목받는 건강식품이 되었다. 1년 365일 변하지 않는 김치의 신선함과 맛 을 유지하기 위해 제조된 김치냉장고는 세계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는 순 수 한국 기술로 개발되었다. 또한 오늘날 한국에서 일반 가정의 필수 가전 제품이다. 외국인들은 이러한 한국인들의 김치 사랑에 놀라움을 금치 못 한다. 한국인들에게는 한국의 전통문화를 계승토록 하고 외국인들에게는 한 국 김치의 우수성도 알리는 김치박물관은 외국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관 광명소이다. 이곳에서 김치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직접 김치를 담그는 문화체험도 경험할 수 있다. 김치 외에도 간장, 된장, 고추장 등 장류와 젓갈류 등 한국의 식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 모두가 발효식품이다. 주원료가 콩과 소금인 장은 한식에서 모든 음식의 맛을 결정하는 조미료이자 주요한 단백질 공급원 이다. 한식은 장기간의 발효를 거치는 전통방식을 통해 만들어진 양념을 사 용하여 요리한다.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외국인들이 꼽은 불고기도 간장으로 양념한다. 불고기가 전 세계인들에게 알려지면서 간장양념을 한 불고기 갈비 등 한식에 어울리도록 특별히 제조된 와인도 출시되었다. ‘숭례문 와인’은 정통 보르도(Bordeaux) 와인으로 프랑스 보르도의 와이 너리 샤토갸호(Chateau Garreau) 사장인 프랑수아 게즈가 2005년에 한 국을 방문했을 때 맛본 한식에 반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335

제8장 한국의 전통문화와 K-Tourism 한식에는 약식동원(藥食同源) 사상이 담겨져 있다. 1년을 24절기로 나 누는데 계절 변화에 따라 생산되는 음식재료로 매 절기에 맞게 특정 음 식을 만들어 먹는 것을 의미한다. 입춘(2월 4일 또는 5일)에는 겨울 동안 먹지 못했던 신선한 야채를 보충하기 위하여 햇나물 무침을 중심으로 죽 순나물, 달래나물, 냉이나물 등을 먹는다. 춘분(3월 20일 또는 21일)에는 숙지황을 달인 물을 마시며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곡우(4월 20 일 또는 21일)에는 산달래나 자작나무 또는 박달나무 등에 상처를 내어 나오는 물을 마시는데 그 물이 몸에 좋다고 하여 약수로 마신다. 입하(5 월 6일 또는 7일)에는 쑥버무리를 먹는 풍습이 있다. 소서(7월 7일 또는 8 일)에는 민어 매운탕, 추분(9월 23일 또는 24일)에는 버섯요리를 먹으며 한로(10월 8일 또는 9일)에는 국화전을 지지고 국화술을 담가 마신다. 입 동(11월 7일 또는 8일)에는 그 해에 수확한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만들어 이웃들과 나누어 먹고, 동지(12월 21일 또는 22일)에는 팥죽 등을 만들어 먹는다.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와 같은 절기음식에서 한민족의 지혜 로움을 배우게 된다. 한식점을 찾는 외국인들은 밥상에 기본으로 올려지는 서너 가지의 김 치 종류와 무료로 제공하는 다양한 밑반찬 종류에 한번 놀라고 모든 반 찬의 리필이 가능하다는 사실에 또 한번 놀란다. 푸짐한 밥상에서 한국 인들의 따뜻하고 넘치는 정(情)을 실감하게 된다. 정(情)은 한국인의 심 리적 특성으로 손꼽힌다. 외국인들도 한국인의 독특한 심성으로 정(情) 을 말한다. 17세기 네덜란드인 하멜이 처음으로 유럽에 한국인의 정(情)을 소개하였다. 그는 “우리 일행은 이 세상 어느 나라의 기독교 신자들로부 터 받은 대우보다 이 우상 숭배자들로부터 받은 대우가 더 인간적이었다” 고 말하며 이해를 초월한 인간적인 한국인의 정(情)에 대해 증언하였다 (MOFA, 2013).

33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의(衣)

한복은 한국의 전통의상으로서 추석이나 설날 같은 명절 때 또는 특별 한 행사가 있는 날이면 꼭 차려 입는 의상이며 외국인들이 꼭 입어보고 싶어 하는 드레스로 인지도가 높다. 한복은 고유의 곡선미를 살릴 뿐 아 니라, 음양오행을 바탕으로 한 오방색, 정성과 아름다움을 겸비한 화려한 자수,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노리개를 사용한다(정은숙, 2008). 이렇 듯 한국적인 문양을 이용한 아름다운 색깔의 한복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 금 그 아름다움에 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한복은 직선과 약간의 곡선이 기본을 이루어 옷의 선이 아름답다. 선의 느낌은 직선의 안정미와 곡선의 흐르는 듯한 유동미를 가지는데 전체적 으로 볼 때는 곡선적 경향이 짙다. 한복의 선미는 각 선의 특징들이 그 자 체 또는 각 요소와의 결합과 조화를 통해 나타나며 순수하고 담백한 미 로 전개된다. 이것은 한국인의 미의식이 대상을 있는 그대로 보고 재현하 고자 하는 자연주의적 철학에 바탕을 두면서 평범하면서도 무한한 깊이 와 멋을 추구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다(차용준, 2000). 전통한복에는 물건을 넣을 수 있는 주머니가 없기 때문에 따로 주머니 를 만들어 차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주머니는 갖가지 색깔의 비단이나 무 명천으로 만들어지며 수(壽), 복(福), 부(富), 귀(貴), 희(喜) 등의 글자나 십 장생1), 불로초, 박쥐2), 국화3) 무늬 등으로 수를 놓는다. 이렇게 하면 사악 한 것을 물리칠 수 있고 복이 온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복주머니는 물건 을 넣기 위한 실용적 목적보다는 특별한 날에 선물하여 복을 기원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특히 정월 초하루에 복주머니를 차면 일년 내내 귀신

1) 십장생(十長生)은 열 가지 장생 불사를 표상한 것이다. 이에 해당하는 물상은 해·산·물·돌· 구름·소나무·불로초·거북·학·사슴이다. 신선사상에서 유래됐으며, 이 모두가 장수물이므 로 자연숭배의 대상이다. 2) 박쥐의 명칭은 ‘편복(蝙蝠)’으로 장수와 복(福)을 상징 3) 국화는 고귀함과 불로장생을 상징

337

제8장 한국의 전통문화와 K-Tourism 이 물러가고 만복이 온다고 하여 새해맞이 선물로 친척들과 자손들에게 나누어 주는 풍습이 있다. 조그마한 물건이지만 손이 많이 가고 부적과 같은 의미가 있어 귀하게 여기는 선물이다(국립민속박물관 한국세시풍속 사전). 알록달록하고 아기자기한 복주머니는 선물용으로 외국 관광객들 이 즐겨 찾는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기념품이다. 한복에서 빠트릴 수 없는 장신구인 노리개는 지극히 한국적인 아름다 움을 구현하고 있다. 노리개는 한복 저고리의 고름 또는 치마허리에 차는 여성 장신구의 일종으로 그 뜻은 ‘소중한 물건’, ‘사랑하고 즐기며 아끼는 물건’이다. 옛날 연인들은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기 위해 남성이 여성에게 선물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또, 노리개는 한국 전통 공예품으로서 심미성 뿐만 아니라 복을 빌고 재액을 막으려는 주술적인 의미도 포함하 고 있으며 노리개의 모티브는 생활 기구와 주변의 동식물 등 실생활 주변 에서 본뜬 것이 많다(이경자, 2006). 오늘날 고급스럽고 화려함을 자랑하 는 노리개는 가구나 벽걸이 액자 등 장식용으로 사용되어 한국을 방문하 는 외국인들에게 한국 전통 공예품으로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 한복의 아름다움이 세계에 알려지면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 객들이 한복을 입어보는 체험행사도 인기를 끌고 있다. 한국관광공사나 인천공항, 호텔, 컨벤션센터 등에 설치된 한복 체험관에서 외국인들은 자 신이 원하는 한복을 직접 선택하여 입어보며 사진촬영을 할 수도 있다. 또한 한복 전시관에서는 한복 전통문양을 활용한 기념엽서를 제작해 보 거나 색종이로 복주머니를 만들어 보는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들로 관 광객들의 발길을 사로잡는다. 한국 전통시장에서 한국을 방문한 기념으 로 한복과 다양한 한복 관련 장신구들을 구매하는 외국인들을 흔히 볼 수 있다. 한국의 전통의상인 한복은 이제 한국을 넘어 세계로 진출하고 있다.

33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주(住)

한국의 전통가옥인 한옥은 현대화된 서울 도심 속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한옥은 목재를 주요 골격으로 사용하고 흙을 구워서 만든 기와 를 얹고 흙과 돌로 벽을 구성하는 환경 친화적인 주거공간이다. 전통적인 한국의 미는 화려하고 외향적인 것보다 자연을 벗 삼아 자연 그대로의 아 름다움을 표현하는 것이다. 고층건물들이 우후죽순처럼 늘어서 있는 서울 도심에 옛 것을 소중히 간직하고 있는 서울 북촌 한옥마을은 수많은 국내외 관광객들의 발길을 사로잡는다. 북촌 한옥마을에는 게스트하우스가 많아 한옥 숙박체험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많은 박물관과 공방들이 자리잡고 있어 전통 연, 한지, 닥종이 등 다양한 전통공예 문화체험도 할 수 있어 외국인 관광객 들이 가장 선호하는 서울의 관광명소이다. 번잡한 도심을 벗어나 산들로 둘러싸인 순천의 낙안읍성은 과거 조선 시대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현재의 마을이다. 한적한 마을에 들어서면 고 요하고도 평화로운 마을 풍경에 매료된다.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마을의 물길을 따라 걷다 보면 옛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민속장터, 기념 품점, 공방, 대장간 등이 보는 사람들의 발길을 머물게 한다. 공방에서 천 연염색, 도자기, 민속악기 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을 하다 보면 어느새 해 가 서산을 넘어가고 있다. 밤이 되면 칠흑같은 하늘에 수많은 별들이 빛 난다. 도시에서 생활하는 이들에게는 정말 보기 드문 풍경이다. 초가집 민박에서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툇마루에 앉아서 하늘이 준 아름다운 선물을 바라보고 있으면 어느새 밤도 깊어간다. 순천 낙안읍성 외에도 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 제주 성읍민속마을 등은 오늘날까지 조 선시대 모습이 완벽히 보존되어 있다. 그 곳을 방문한 외국인들은 타임머 신을 타고 조선시대로 되돌아간 듯한 느낌을 받으며 그 옛스러움에 마음 이 설렌다.

339

제8장 한국의 전통문화와 K-Tourism 한옥의 한 가지 매력적인 장소는 마당이다. 마당은 예로부터 집안에 잔 치가 있을 때 손님을 접대하고 추수철이면 타작을 하면서 곡식을 말렸던 공간으로 의식주 생활에 직접 관여된다. 오늘날 한옥을 찾는 방문객들은 마당에서 제기차기, 널뛰기, 투호놀이, 굴렁쇠, 윷놀이와 같은 다양한 민 속놀이를 즐길 수 있다. 민속놀이를 처음 접하는 외국인들은 과거의 어린 이들이 즐기던 민속놀이가 의외로 어려워 더욱 흥분하여 도전하고 또 도 전한다. 다시 동심으로 돌아간 듯 즐거워하는 그들의 모습은 보는 사람들 에게도 큰 기쁨을 선사한다.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난방을 위한 온돌과 냉방을 위한 마루가 균형 있게 결합된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대륙성 기후와 해양성 기후가 공존하는 한반도의 더위와 추위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독특한 주거형 식이다. 마루는 나무 널판으로 구성된 바닥으로서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어 그 밑으로 통풍이 가능하다. 외벽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거나 개폐 가 쉬운 공간으로 사람이 앉거나 걸어 다닐 수 있도록 만든 공간이다. 마 루에 걸터앉아 마당 곳곳에 놓여 있는 전통 항아리와 낮은 담벼락 밖으 로 보이는 한 폭의 아름다운 수채화와 같은 풍경을 바라보면서 집 주인과 함께 담소를 나누며 마시는 차 한 잔에 도시에서의 번잡함과 고단함이 눈 녹듯 녹아 내린다. 온돌은 아궁이에 불을 땔 때 그 화기가 방밑을 지나게 하여 방바닥 전 체를 덥게 하는 난방장치로 한국 고유의 난방법이다. 따뜻한 온돌바닥을 통해 난방은 물론 습도조절 역할까지 하며 “발은 따뜻하게 하고 머리는 차게 하라”는 전통 건강법으로 인간의 생체리듬에도 활용된다. 오늘날 이 온돌 난방방식은 세계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전 세계로 보급 되고 있다. 먼 옛날 선조들의 지혜가 현대의 한국에 멋진 아이디어를 제 공한 셈이다. 몸을 훈훈하게 해주는 온돌에 앉아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 면서 보내는 밤은 외국인들한테는 또 하나의 색다른 경험이다.

34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맺음말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은 현대화된 한국의 곳곳에 살아 숨 쉬는 한국 의 전통문화를 쉽게 발견하고 깊이 매료된다. 이런 전통문화는 한국의 색 과 정서를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 한국은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 적인 것임을 잘 알고 있기에 그들만의 전통을 관광과 접목시켜 새로운 K- Tourism 시대를 열어 가고 있다.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창조해내는 창의 성도 중요하지만 우리의 전통을 지키고 전승해 나가는 것도 중요하다. 오 늘 전 세계 젊은이들이 열광하는 K-Pop을 탄생시킨 한국은 가히 오늘날 세계문화의 르네상스를 이끌어 나가고 있는 나라이다. 그것은 아마도 전 통을 오롯이 보존하는 대한민국이기에 가능한 것이 아닌가 싶다.

참고문헌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세시풍속사전, 복주머니, http://folkency.nfm.go.kr 이경자(2005), 노리개 전통 한복의 멋,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6-7 정은숙(2008), 현대 예술의상에 나타난 전통복식의 이미지, 상주대학교 산업대 학원, pp.17-40. 주종대(2005), 문화관광론, 대왕사, pp.72-119. 차용준(2000), 전통문화의 이해-제2권(전통복식/음식/주거문화 편), 전주대학교 출판부, pp.125-134. MOFA(2013), Delicious Korean Story KimChi, pp.46-50

341

제8장 한국의 전통문화와 K-Tourism

9 Korean language learning

INTRODUCTION

As of April 2014, there were 20,807 students on a D-4-1 Korean language student visa in Korea: 13,114 from China; 1,290 from Vietnam; 1,141 from Mongolia; and 871 from Japan. Those four countries comprise 78.9%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Korea, when other countries all have at most 350 students study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on a Korean language student visa (Korea Immigration Service, 2014). Up until now, studies on foreign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have focused on the use of honorifics among foreign learners (Brown, 2010; Byon, 2012); politeness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Brown, 2010); learning Hangeul (Jeong and Lee, 2008); distance learning of the Korean language (Salman et. al., 2010); or the acquisition of the Korean language among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expatriates in Korea (Silva, 2002). Other studies have focused on linguistics and the language acquisition of foreign learners of Korean (O’Grady et. al. 2001; O’Grady et. al., 2003; DeKeyser, 2005; Kim and McDonough, 2008) among many other studies. This is the first study completed on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n terms of language learning in general, research shows that levels of student engagement predict learning success and satisfaction (Klem and Connell, 2004, p. 262). The following table will summarize the five stages of language acquisition through which many language learners,

343

9. Korean Language Learning including Korean language learners, proceed. The length of time varies depending on each individual student.

Table 1. Stages, characteristics and time frame of second language learning (adapted from Hill and Bjork, 2008). Approximate Stage Characteristics Time Frame • Has minimal comprehension. • Does not verbalize. Preproduction • Nods "Yes" and "No." 0–6 months Draws and points. • Has limited comprehension • Produces one- or two-word responses. Early Production • Uses key words and familiar phrases. 6 months–1 year Uses present-tense verbs. • Has good comprehension. • Can produce simple sentences. Speech Emergence • Makes grammar and pronunciation errors. 1–3 years Frequently misunderstands jokes. • Has excellent comprehension. Intermediate Fluency • Makes few grammatical errors. 3–5 years Advanced Fluency • The student has a near-native level of speech. 5-7 years

In terms of motivation, satisfaction and language learning, Gardner et al. (1983) identified four factors that determin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hen learning a second language (L2): the social and cultural milieu, individual learner differences, the setting, and the context. Gardner (2001) also identified four individual differences: intelligence, language aptitude, motivation, and situational anxiety. Gardner (2001) then presented a more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is model. He claimed there were four elements that determined languag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external influences, individual differences, language acquisition contexts, and outcomes. Crookes and Schmidt (1991) identified satisfaction and motivation as the learner's orientation with regard to his own goal of learning a second language, in other words that a learner's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target language group and the desire to integrate into the target language community

34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determined levels of satisfaction and motivation. Masgoret and Gardner (2003) thought the desire to learn something practical or concrete from the study of a second language determined satisfaction. They thought instrumental motivation underlies the goal of gaining some social or economic reward through L2 achievement. This chapter aims to accomplish an ethnographic account of minority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n Korea, by seeking to understand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minority learners. The four countries making up 78.9% of the language learner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The chapter aim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ifficulties and satisfaction of the minority learners from underrepresented countries in the area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is effort could also yield conclusions that help attract more minority learners of Korean. A total of 44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ctive learners of Korean who were from underrepresented countries in the area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Of these, 21 were male and 23 were female, and the countries represented were as follows:

Table 2. Nationalities of the subjects. Number of Number of Nationality subjects Nationality subjects United States of America 11 El Salvador 1 France 5 Indonesia 1 Russia 3 Ireland 1 United Kingdom 3 Laos 1 Algeria 2 Lithuania 1 Canada 2 New Zealand 1 Czech Republic 2 Spain 1 Poland 2 Tanzania 1 South Africa 2 Uzbekistan 1 Australia 1 N/A (declined to answer) 1 Costa Rica 1 Total 44

345

9. Korean Language Learning Table 3. Subjects’ number of months spent studying Korean.

Number of months Number of subjects Less than 12 months 16 12-23 months 8 24-35 months 10 36 months or more 10 Total 44

A grounded theory approach was used in this study, as outlined in Strauss and Corbin (1990). It is an interpretiv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the ontological assumption that reality is subjective as seen by the subjects interviewed; the epistemological assumption that the researcher did as much as he could to distance his own personal views from what was being researched; the axiological assumption that biases are present among the interviewees; the rhetorical assumption that the researcher will use the voices of the interviewees; and the methodological assumption that the researcher works with the details of the interview transcripts before making generalizations (Creswell, 2012, p. 17). This chapter was designed to ensure credibility by interviewing as many subjects as possible until there was a saturation of responses; transferability by asking all interviewees the same questions; dependability by interviewing participants at venues where Korean was taught; generalizability by ensuring that the study can be reproduced by using the same questions to another sample of subjects; objectivity by limiting the probing of the answers; and validation by interviewing a large sample of participants. The data was gathered by asking subjects the following questions: Motivation for learning: Why did you start learning Korean? Beginner’s concerns: List two concerns you had as a beginning learner.

34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Current concerns: List two concerns you have with learning Korea at this moment. Usefulness: Do you find learning Korean useful? Why or why not? Future goals: How do you plan to use Korean in the future? Giving up: Have you ever thought of giving up learning Korean? Why or why not? Taking stock and satisfaction: If you had your life to relive, would you study Korean again? Coding was done as the interviews progressed. First, open coding was used by assigning each answer a narrow category to which it belonged. As the interviews progressed, axial coding was used to group the different answers into broader categories. The researcher kept interviewing subjects until the interviews reached saturation. The researcher used snowball sampling to select subjects. One issue the researcher encountered was that although students from Anglo-Saxon countries were open for interviews, people from other countries often declined to be interviewed. At mid-point in his interviews, the researcher stopped interviewing Anglo-Saxon learners to focus on other minority learners. The researcher then used snowball sampling specifying that subjects should not be from Anglo-Saxon countries in order to obtain more interviews from other minority countries. In terms of ethical considerations, transparency was ensured throughout the process; the anonymity of the subjects was guaranteed (including not grouping answers by nationality, which might impair anonymity); and authorization was sought to use the answers for research purposes at all times.

Motivation for learning

When asked “why did you start learning Korean?” subjects gave

347

9. Korean Language Learning various reasons which were group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I work in Korea. I need to learn Korean for my job. •I was interested in the Korean language •I was interested in East Asian languages •I live in Korea. I want to fit in/be independent (integration) •I am doing a degree in Korea/need to lear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My husband/wife/family is Korean •I am seeking employment in Korea/ in a Korean company •Korean is a skill that I want to have •Some subjects skipped the question while other subjects gave several reasons for them to learn Korean. The numbers of subjects are displayed in Table 4.

Table 4. Students’ reasons for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Category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I live in Korea. I want to fit in/be independent 12 27.2 I am doing a degree in Korea/need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8 18.2 I work in Korea. I need to learn Korean for my job. 8 18.2 I was interested in the Korean language 7 15.9 I was interested in East Asian languages 4 9 My husband/wife/family is Korean 2 4.5 I am seeking employment in Korea/in a Korean company 1 2.3 Korean is a skill that I want to have 1 2.3

In the study, 12 subjects said their motivation for learning was to fit in or not to rely on other people to go about their lives in Korea. Four subjects claimed they were studying Korea “out of respect for Korean people” and six others said they wanted to “make Korean friends.” Three subjects also said they took Korean classes before coming to

34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Korea, which prompted their interest in the language. The four subjects who said they were interested in East Asian languages all had an interest in martial arts and Asian cinema, and they either had already learned other East Asian languages or were going to learn other East Asian languages. Those who were interested in the Korean language said they had encountered Korean at some point in their lives and had found the language interesting. For some, it was during their adult lives, while for others, the interest could be traced to childhood. Other subjects included that they had Korean family, or that they started learning Korean because it would help them find a job.

Beginning learners’ concerns

Each respondent was tasked with the following: List two concerns you had when you started learning Korean. The responses were then categorized in six broad categories: Performance concerns (problems with the ability to distinguish phonological, morphological, syntactic or other linguistic patters (Chomsky, 1965)). Competence concerns (problems with the ability to utter or understand linguistic patterns despite the ability to distinguish them (Chomsky, 1965)). Communicative competence concerns (problems with culturally appropriate speech production (Hymes, 1966)). Pedagogical concerns (problems with the way teachers teach). Personal and emotional concerns (problems independent of learning, such as circumstances in which the language is learned or the relevance of emotions while learning languages). Second, language learning research has mainly found that learners go through a six month “silent period” where they cannot make any

349

9. Korean Language Learning utterances through competence but mainly through imitation (Haynes, 2007, p. 29-35; Ellis, 2008, p. 73-75). The following concerns were noted regarding the ability to distinguish linguistic patterns in the Korean language. Note that each subject gave their two main concerns in language learning.

Table 5. Students’ performance concerns regarding learning Korean.

Concern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Distinguishing sounds 14 31.8 Distinguishing grammar patterns 9 20.4 Distinguishing the writing system (Hangeul) 6 13.6 Distinguishing different words 5 11.4 Distinguishing the language as a whole (it’s a new and different language) 2 4.5 Total 36 -

The different sound system and difficulty of acquiring the sound system was the largest concern for beginning learners. Understanding the grammar and writing system were also concerns for beginners. Overall, the novelty of the language made learners of Korean concerned that they would not be able to reproduce or understand the language. The following concerns regarding competence were found for beginning learner’s ability to utter or understand the linguistic patterns of the Korean language.

Table 6. Beginning students’ competence concerns regarding learning Korean.

Concern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Listening 3 6.8 Reading 3 6.8 Writing 3 6.8 Speaking 1 2.2 Total 10

35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In this study, some beginning students did not have problems with performance but explained that competence was their main area of difficulty. Some said that Koreans spoke too fast for them to understand, while other complained about difficulties in reading. Writing was another area of concern, while one respondent said he could understand the language but had trouble speaking it as a beginning learner. In terms of the ability to make accurate use of the language, only one concern was noted by several learners: the correct use of honorifics, falling into the area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able 7. Students’ concerns regarding honorifics in the Korean language.

Concern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How to use honorifics correctly 3 6.8

Three subjects said they were shocked at the idea that a language could have honorifics and that they kept mixing up as beginning learners. The Korean language has six honorific forms (Byon, 2012), which three subjects said were their main concern while learning the language. Some subjects had pedagogical concerns with the way the Korean language was taught. Their responses were divided as depicted in Table 8.

Table 8. Students’ pedagogical concerns regarding Korean language instruction.

Concern Number Percentage Too much reliance on memorization 2 4.5 Classroom content different from the vernacular 1 2.2 No good textbooks in my language 1 2.2 Excessive use of the “listen and repeat” (audiolingual) method 1 2.2 Lack of explanations 1 2.2 Fast pace of learning 1 2.2 Total 7 -

351

9. Korean Language Learning Seven subjects complained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ducation system in their country and the way Korean is taught in Korea. Two respondents complained about the over-reliance their school seemed to have on memorization, while others complained about other aspects of teaching methods. Some of the subjects had basic personal and emotional concerns with learning the language, as shown in Table 9:

Table 9. Students’ personal and emotional concerns regarding learning Korean.

Concern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Lack of time 2 4.5 Lack of motivation 2 4.5 Culture shock/negative perception of Korea and Koreans 2 4.5 Lack of payoffs for learning Korean 1 2.2 Total 7 -

Personal concerns were mentioned by some subjects. Due to their jobs, some subjects said they lacked motivation when they started learning the language, while for others, culture shock discouraged them from learning the language. Overall, it is no surprise that the most common concerns pertained to linguistics. The beginner’s concerns seem to confirm Hill and Bjork’s model (2008) of language learning where the new language is completely alien. However,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Korean language learning is well organized, as few students cited personal concerns or emotional concerns when it came to learning the language.

35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CURRENT concerns with learning Korean

For current concern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ho have been studying the language for over two years and those who have been studying the language for less than two years. The concerns were categorized the same way as with those of beginning students.

Students who studied Korean for less than two years For students who have been studying Korean for less than two years (24 subjects, or 54.5% of the subjects) there were far fewer personal concerns with the language and far more linguistic and pedagogical concerns. Learning Korean, or sometimes learning a foreign language, was often a novelty to them and these beginning students still had difficulties mastering it, as the Tables in this section indicate.

Table 10. Beginning students’ concerns with performance regarding learning Korean.

Concern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Problems recognizing sound patterns 8 18.1 Problems recognizing grammar patterns 8 18.1 Total 16 -

While the language and the alphabet were more familiar, some subjects still had problems with the sound system or with recognizing grammar patterns. However, no subject had problems with vocabulary. Table 11 details the kinds of competence concerns relevant to beginning learners of Korean.

353

9. Korean Language Learning Table 11. Beginning students’ concerns with competence regarding learning Korean.

Concern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Concerns with reading 3 6.8 Concerns with listening 2 4.5 Concerns with writing 2 4.5 Concerns with speaking fluency 2 4.5 Concerns with understanding idioms 1 2.2 Total 10 -

In terms of competence, some subjects still encountered difficulties with receptive skills and production skills, while one subject mentioned that he could not master or understand idiomatic Korean.

Table 12. Beginning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concerns regarding learning Korean.

Concern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Diglossia (differences between formal speech and informal speech, written Korean and spoken 2 4.5 Korean)

Two subjects mentioned that “diglossia” was their main concern, as the Korean language has a high form and low form of language. The high form is used in formal speech or in writing, while the low form is mainly used during private conversation (Yu Cho, 2002; Snow, 2010). Table 13 shows that one personal concern among beginning students of Korean was “attrition,” or failing to progress because of a lack of practice.

35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Table 13. Beginning students’ personal concerns regarding learning Korean.

Concern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Attrition (not practicing the language enough and forgetting the language) 2 4.5

There were 19 subjects who had been studying Korean for two years or more. Few subjects who had studied Korean for less than two years mentioned personal concerns. Two subjects mentioned that despite studying the language, they were not practicing it enough and that they were forgetting what they were learning.

Students who studied Korean for more than two years It is no surprise that those who studied Korean for two years or more (experienced students) did not have problems with performance or competence. However, most revealed personal and emotional concerns with the language, which mainly derived from culture shock. Table 14 shows how these students reported their concerns with communicative competence.

Table 14. Experienced students’ concerns with communicative competence regarding learning Korean. Concern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Achieving native-level fluency 1 2.2 Diglossia (differences between formal speech and informal speech, written Korean and spoken 1 2.2 Korean) Total 2 -

Two subjects said their present concern was with communicative competence, with the ability to reach native-like fluency, mastering both the high form and low form of Korean. Table 15 details the pedagogical concerns of experienced learners of Korean.

355

9. Korean Language Learning Table 15. Experienced students’ pedagogical concerns regarding learning Korean.

Concern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Finding a good teacher 1 2.2 Overreliance of Korea on testing 1 2.2 Total 2 -

Two subjects said they were concerned either with finding a good teacher, or that they were disappointed by Korea’s overreliance on testing to determine one’s language fluency. One subject said that he was rather satisfied with his level and was fully functional yet had difficulty obtaining high scores on tests. Experienced learners of Korean also reported personal and emotional concerns, as shown in Table 16.

Table 16. Experienced students’ personal and emotional concerns regarding learning Korean.

Concern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Culture shock (unfavorable view of Korea and Koreans) 3 6.8 Not enough opportunities to practice 3 6.8 Lack of motivation 2 4.5 Lack of confidence speaking in public 2 4.5 Discouragement (will never reach a perfect level of fluency) 1 2.2 Korean is not a valued skill 1 2.2 Total 12 -

Subjects who have been studying Korean for over two years mainly reported personal and emotional concerns with the language. Some of them had difficulties adjusting to Korean, while others had emotional concerns such as anxiety when speaking the language in public or were discouraged by their inability to reach native fluency. One subject

35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thought that speaking Korean was not a valued skill in their country. Hill and Bjork’s model (2008) is once again confirmed, as beginning learners seem to have more trouble linguistically while students who spend more time studying master the language but encounter person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Usefulness of studying Korean

Questions asked of subjects included: “Do you find studying Korean useful? Why or why not?” An overwhelming majority of respondents thought that studying Korean was useful. Some said it was both useful and not useful.

Table 17. Student views on the usefulness of studying Korean.

Answer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Useful 39 88.6 Not useful 7 15.9 Total 46 -

Answers were then categorized as to why the subjects thought speaking Korean was or was not useful, as displayed in the next two tables.

Table 18. Student views on the Korean language being useful.

Answer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Integration into Korean society 30 68.2 Academia 6 13.6 Employment 2 4.5 Family 2 4.5 Curiosity 2 4.5 Total 42 -

357

9. Korean Language Learning A very large number of the subjects thought Korean was useful to assimilate into Korea, make Korean friends, function in everyday life, interact with their colleagues or enjoy an easier life in Korea. Others mentioned that it was very useful for their studies, to get a job, to interact with their family, or, as two subjects said, it “satisfied their curiosity.” The fact that Korean was highly rated stemmed essentially from a strong desire to identify with the Korean population and integrate into Korean culture, which shows that overall satisfaction is rather high for student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a desire to integrate with the community of language speakers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satisfaction of language learners, along with precise economic and social goals. Conversely, respondents sometimes expressed views suggesting that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could be “not useful.”

Table 19. Student views on the Korean language being not useful.

Answer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Lack of transferability to other countries 5 11.4 Lack of employment opportunities 1 2.2 Lack of practice opportunities 1 2.2 Total 7 -

Five subjects thought Korean was not useful because the skill could not be transferred to their country. They mentioned that Korean was rarely used in their country and that it would not help them advance when they returned home. Others mentioned the lack of employment opportunities with Korean companies in Korea, or the lack of opportunities to practice Korean with Koreans. For some students, the absence of a community of Korean speakers in their country may hinder the motivation to learn and diminish their satisfaction, as learning Korean may not provide the social or economic

35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rewards that reinforc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Future goals

Subjects were asked the question: How do you plan to use Korean in the future? An overwhelming majority said they will use Korean in some way, while a small minority said they will not use Korean in the future. These findings are displayed in the next three tables of this section.

Table 20. Student views on their future use of the Korean language.

Answer Number of subjects Total Will use Korean 37 84.1 Will not use Korean 7 15.9 Total 44 100

Table 21. Student views on their future use of the Korean language.

Answer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Employment 15 34.1 Integration into Korean society 8 18.1 Academia (to teach or research Korea-related subjects) 6 13.6 Family 3 6.8 Party trick 2 4.5 Teach Korean 1 2.2 Total 35 -

A number of subjects said they would use Korean for employment purposes. Others said that they will teach or research topics relating to Korea. Some said it will help them function better with their families, while one subject said they intended to teach Korean in their home country. Again, social and economic motivation was very strong among

359

9. Korean Language Learning the subjects, and there was a mixture of economic and social goals when it came to learning Korean. Two subjects, however, had neither social nor economic future goals when it came to learning Korean. Two subjects mentioned that they would simply use Korean as a “party trick” due to the lack of other opportunities to use Korean in their home countries.

Table 22. Student views on not using the Korean language in the future.

Answer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Don’t intend to stay in Korea 6 13.6 Too busy to learn 1 2.2 It’s not an important language 1 2.2 Total 8 -

For those who did not intend to use Korean in the future, six subjects said they would leave Korea and saw no reason to use Korean in their home countries. Others said they were too busy to keep studying the language or that they thought more widespread languages were more important than Korean, suggesting that they would study languages other than Korean. These subjects did not see any social or economic benefit to using Korean in the future.

Giving up

For the researcher, the surprise came when he asked subjects the following questions: Did you ever think about giving up studying Korean? Why or why not? A small majority (52%) confessed they thought about giving up at some point.

36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Table 23. Student views on giving up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Answer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Intended to give up at one point 23 52.2 Never intended to give up 21 47.7 Total 44 -

Table 24. Student reasons for considering giving up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Answer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Koreans don’t view favorably/don’t have patience with foreigners who learn Korean 14 31.8 Time constraints 3 6.8 Not a useful language 3 6.8 It’s a difficult language 2 4.5 Few job opportunities 1 2.2 Lack of motivation 1 2.2 Total 24 -

Fourteen subjects complained about the fact that Korean people were not helping them in their quest to learn the language. Some had harsh words on the topic, explaining that Koreans often refused to speak to them in Korean, or did not have the patience to listen to them or, as one subject said, “they only speak to me in Korean if it’s in their personal or commercial interest, such as selling products or asking for a favor.” Many complained that they had few opportunities to speak Korean in a natural setting, and that they were often ignored at social gatherings despite speaking Korean. The fact that so many subjects complained about the lack of patience or encouragement from the Korean population may hinder their social goals when it comes to learning Korean. Other subjects mentioned time constraints, the difficulty of the language, or the lack of job opportunities as the reason they wanted to give up studying the language. However, students did report on the reasons why they remained committed to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361

9. Korean Language Learning as shown in Table 25.

Table 25. Student views on not giving up on the Korean language.

Answer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Spent too much time learning it 8 18.1 In line with my future goals 6 13.6 Intend to spend the rest of my life in Korea 5 11.3 It’s an easy language 2 4.5 No reason 2 4.5 Total 23 -

Those who never intended to give up studying the language reported more basic or intrinsic reasons for not giving up: they thought they spent too much time having learning it to give up, or that studying Korean was in line with their goals, such as research goals or employment perspectives. Some viewed learning Korean as an investment of time and money that they thought was too precious to waste. Others thought that learning Korean was in line with their social or economic goals, and others did not want to leave Korea once they had successfully learned the language.

takingSTOCK

As a final question, the researcher asked subjects the following: “If you had to relive your life, would you choose to learn Korean?” to assess their overall satisfaction with learning the language. No explanations were asked of the subjects.

36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Table 26. Student views on learning Korean if they had to relive their lives.

Answer Number of subjects Percentage Yes 33 75 Maybe 6 13.6 No 5 11.4 Total 44 100

Overall, 75% of the subjects said they would study Korean again if they had to relive their lives, which shows a high overall satisfaction rate with learning the language. An additional 13.6% also said they probably would study again,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While answering this question, several subjects said that they would have started studying the language earlier if they could and that they had an overall positive image of the Korean language. The findings of Table 26 show that for many students learning Korean was not particularly a traumatic experience and that they had a great time learning the language. Such a high number of subjects saying they would do it again if they had to relive heir lives suggests that, in Korea, the infrastructure behind the industry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s rather well developed and caters effectively to the needs of minority learners.

Conclusions and policy recommendations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study that did not use stratified sampling, and that intended to assess the overall satisfaction of minority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e researcher, having been a participant- observer between 2005 and 2013, entered into the study with different assumptions. He expected the minority language learners to report more difficulties because of the language curriculum being mostly tailored

363

9. Korean Language Learning to meet the needs of the majority learners, who come from just four countries. The overall findings are positive, as no subjects mentioned that they felt like they were being treated as minority learners, or that Korean language learning programs prioritized the needs of the majority of learners. While the overall satisfaction rate is overall quite high, this study revealed an elephant in the room: the relatively high number of learners who thought about quitting at some point, mainly because they did not find Koreans helpful in their endeavor to learn the language. Perhaps a language learning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to prevent attrition rates among minority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One way to prevent attrition would be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minority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n the media and to encourage Koreans to speak to them in Korean. Park (2009) noted that the media tended to depict the foreigner as almost always being an English speaker, regardless of their level of fluency. The media also tends to depict Koreans as unable to respond to the foreigner’s needs due to the language barrier. This tendency in the media has to be reversed by showing more fluent communication between minority learners and Koreans. The fact that beginning students’ concerns were essentially linguistic concerns, and that those concerns diminished as they were learning Korean, suggests that the curriculum in place to help language learners is rather effective. As beginners, most could not even recognize the language, but the subjects’ level of Korean seemed to progress as they learned the language. This is an encouraging sign for educato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n this study, 88.6% of subjects thought that learning Korean was useful; 84.1% said they will use Korean in the future; and 75% said that if they had to relive their lives they would choose to study Korean again. These are encouraging figures. However, the Korean

36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language, being rather rare as a second language (although increasingly common), means that the Korean government could take measures to help learners use Korean in the future, such as by encouraging Korean firms to hire foreigners who speak Korean, encouraging the hiring of foreign language educators who are bilingual in Korean and their native languages, or hiring them to teach Korean or Korea-related topics in their native countries. It is useful to note that most Korean language learning schools require at least a high school diploma and that learning the language is rather expensive, meaning that while the levels of satisfaction are high and most learners have precise social or economic goals, some potential learners may be excluded from learning the language due to the related educational or economic requirements. It is also useful to note that this chapter was a qualitative study, with preliminary findings, which can lead to a subsequent quantitative study with a more stratified sample, in Korea, to determine more precisely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behind minority language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365

9. Korean Language Learning REFERENCES

Brown, L. (2010) ‘Politeness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The case of Korean speech styles’ Journal of Politeness Research, 6.1, 243-269. Brown, L. (2010) ‘Questions of appropriateness and authenticity in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honorifics in textbooks for second language learners’ Language, Culture and Curriculum 23.1, 35-50. Byon, A. S. (2012) ‘Korean honorifics and politenes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Language, Culture and Curriculum 25.2, 205-207. Creswell, J. W. (2012)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Crookes, G. and Schmidt, R. W. (1991) ‘Motivation: Reopening the research agenda’ Language learning 41.4, 469-512. DeKeyser, R. M. (2005) ‘What Makes Learning Second-Language Grammar Difficult? A Review of Issues’ Language Learning 55.S1, 1-25 Gardner, R. C., Lalonde, R. N. and Pierson, R. (1983) ‘The socio- educational model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 investigation using LISREL causal modeling’ Journal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 2.1, 1-15. Gardner, R.C. (2001)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The Student, the Teacher, and the Researcher’ Texas Paper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6.1, 1-18. Hill, J. D. and Bjork, C. L. (2008)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with English Language Learners Participant's Workbook,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Hymes, D. (1971) On communicative competence. Vol. 35,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Klem, A. M. and Connell, J. P. (2004) ‘Relationships matter: Linking teacher support to student engagement and achievement’ Journal of school health 74.7, 262-273.

36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Masgoret, A. M. and Gardner, R. C. (2003) ‘Attitudes, motivation,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a meta–analysis of studies conducted by Gardner and associates’ Language learning 53.1, 123-163. O’Grady, W., Lee, M. and Choo, M. (2003) ‘A subject-object asymmetry in the acquisition of relative clauses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25.03, 433-448. O’Grady, W., Lee, M. and Choo, M. (2001) ‘The acquisition of relative clauses by heritage and non-heritage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12.2, 283-294. Park, J.S. (2009) The local construction of a global language: Ideologies of English in South Korea Vol. 24, Berlin: Walter de Gruyter. Salman, Y.B., Cheng, H.I, Ince, I.F. Kim, J.Y., and Yildirin, M.E. (2009) ‘Participatory design and evaluation of e-learning system for Korean language training’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action Sciences: Information Technology, Culture and Human, ACM. Silva, D. J. (2002) ‘Western attitudes toward the Korean language: an overview of late nineteenth-and early twentieth-century mission literature’ Korean Studies 26.2, 270-286. Strauss, A. and J. M. Corbin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Won J. J. and J. W. Lee (2008) ‘Hangeul learning system’ in Technologies for E-Learning and Digital Entertainment, Berlin Heidelberg: Springer, 126-134.

367

9. Korean Language Learning

제9장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서론

2014년 기준으로 총 2만 807명의 외국인이 한국어 교육연수 비자인 D-4-1을 받았으며 이 중 △ 중국(13,114명) △ 베트남(1,290명) △ 몽골 (1,141명) △ 일본(871명) 국적을 가진 외국인들이 전체의 78.9%를 차지하 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위 4개 국가를 제외한 국가 출신의 외국 인은 약 350명 수준이다(Korea Immigration Service, 2014).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기존연구는 한국어의 경어법(Brown 2010; Byon 2012), 한국어와 예의(Brown, 2010), 한글 학습(Jeong and Lee, 2008), 원격교육(Salman et. al., 2010), 19-20세기 사이 국외거주 한 국인의 한국어 학습(Silva, 2002) 등의 주제를 통해 주로 언어학적 측면 과 외국인들의 한국어 습득 과정에 그 초점을 맞추어 왔다(O’Grady et. al., 2001; O’Grady et. al., 2003; DeKeyser, 2005; Kim and McDonough, 2008). 이 장에서는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동기와 만족도 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며 이 같은 주제에 관한 연구는 한국어 학습관련 연구로서는 최초이다. 클렘과 코넬은(Klem and Connell, 2004: 262) 외국어 학습에서 학습자 들은 각 단계별 학습목표와 만족도를 기대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아래 표 1은 일반적인 언어교육의 기대 학습목표 및 성취 수준을 나타내고 있 는데 총 5개의 단계로 나누어진 기대 성취도는 일반적인 외국어 학습시 기대되는 과정이며 각 단계의 성취 기간은 학습자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369

제9장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있다.

표 1. 외국어 학습 시 기간별 기대 성취도(Hill and Bjork, 2008) 단계 특징 기간 -최소한의 이해도 준비단계 -생각의 표현불가능 0–6개월 -매우 초급 수준의 예, 아니오 표현 가능 -제한적 이해력 -1-2단어를 통한 표현 가능 초기 단계 6 개월–1년 -주요단어 혹은 친숙한 단어의 사용 -현재분사 사용 -상당한 이해력 -간단한 문장을 통한 대화 가능 대화 단계 1–3년 -빈번한 문법, 발음적 오류 -농담을 이해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존재 -고급수준의 이해력 중급 단계 3–5년 -약간의 문법적 오류 존재 고급 단계 -원어민 수준에 가까운 언어수준 5-7년

가드너(Gardner)는 외국어 교육과정의 동기와 만족도를 구분 짓는 네 가지 요인으로는 △ 사회·문화적 환경 △ 개인의 습득 정도 △ 교육환경 △ 교육내용을 꼽았으며(Gardner et al., 1983), 다시 이 중 개인의 습득 정 도를 결정하는 원인으로는 △ 지능 △ 언어적 소질 △ 동기 △ 상황적 불 안감 을 들었다(2001). 이어 가드너는 학습자의 언어교육에 대한 동기와 만족도는 △ 외부적 영향 △ 개인간의 차이 △ 언어습득 환경 △ 학습 결과를 통해 결정된다 고 주장하였다(2001). 크룩스(Crookes)와 슈미트(Schmidt)는 외국어 교 육에 대한 개인적 동기와 만족도가 외국어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는 주 된 요인으로 설명하고, 이 같은 외국어 학습자 만족도와 동기부여에 있 어 해당 외국어에 관련된 문화와 사회에 대한 긍정적인 자세와 소속하고 자 하는 의지 정도가 큰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였다(1991). 또한 마스고렛 (Masgoret)과 가드너(Gardner)는 외국어 교육의 만족도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으로 외국어 학습을 통해 얻으려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목표의 수

37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립을 강조하며, 이러한 도구적 목표는 주로 외국어 학습을 통한 사회적·경 제적 보상의 형태로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2003). 이 장에서는 한국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전체 외국인들 중 78.9% 를 차지하는 주요 4개국(중국, 일본, 몽골, 베트남)을 제외한 외국인 학습자 를 대상으로 그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와 만족도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 러한 연구 대상 설정과 주제는 한국어 학습이 보편화되지 않은 국가의 외 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우게 된 동기를 밝히고 만족도를 연구함으로써 아 직 한국어 학습이 알려지지 않은 세계 각국에 효과적으로 한국어 학습 을 전파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총 44명의 외국인(남성 21명, 여성 23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들은 앞서 언급하였듯이 모두 한국어 학습이 상대적으로 보편화되지 않은 국적을 가진 외국인들 이며 표 2는 본 연구에 참여한 응답자의 출신 국가를 나타내고 있다.

표 2. 전체 응답자 44명의 국적 국적 응답자 수(명) 국적 응답자 수(명) 미국 11 엘살바도르 1 프랑스 5 인도네시아 1 러시아 3 아일랜드 1 영국 3 라오스 1 알제리아 2 리투아니아 1 캐나다 2 뉴질렌드 1 체코 2 스페인 1 폴란드 2 탄자니아 1 남아프리카 2 우즈베키스탄 1 호주 1 미응답 1 코스타리카 1 합계 44

371

제9장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표 3. 한국에서의 한국어 학습기간 현황 기간 응답자 수(명) 12개월 미만 16 12개월-23개월 8 24개월 -35개월 10 36개월 이상 10 합계 44

이 연구는 스트라우스(Strauss)와 콜빈(Corbin)의 근거이론접근법을 바 탕으로 해석적 이해를 통한 질적 분석 연구법을 사용하였다(1990). 응답 자의 응답내용이 주관적인 판단에 기초한다는 것을 전제로 인식하여 연 구과정 동안 객관성을 최대한 유지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응답자와의 면담 과정에서 편견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여 조사 결과를 일반화하 기보다는 응답자 각각의 면담내용을 여과 없이 연구 결과에 반영하려 노 력하였다(Creswell, 2012: 17). 특히 연구결과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많은 응답자와 면담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연구의 투명성을 위해 모든 응답 자들에게는 같은 내용의 질문을 하였고 응답자들의 답변을 통한 일반화 도출 가능성에 대해 사전에 고지하였다. 면담은 한국어 학습장소에서 진 행되었으며 큰 표본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연구의 유효성을 높이 려 노력하였다. 또한 전 연구과정 동안 응답자에게는 연구 목적에 대한 고지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해 전체 응답자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응답하였다.

- 한 국어 학습동기 : 당신이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한 이유는 무엇입니 까? - 한국어 학습 초기 과정 시 겪은 어려움 : 한국어 학습 초기과정에서 겪은 가장 큰 두 가지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37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 현 재 한국어 학습과 관련하여 겪는 어려움 : 현재 당신이 한국어를 배 우며 겪는 가장 큰 두 가지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 한국어 학습의 실용성 : 당신은 한국어 학습이 실용적이라고 생각하 십니까? - 한 국어 학습의 목표 : 미래 한국어 학습을 통한 목표는 무엇입니까? - 한 국어 학습의 포기 : 당신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과정 중 포기하고 싶 다고 생각한 경험이 있습니까? 그랬다면 이유는 무엇입니까? - 한 국어 학습 만족도 : 당신은 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어를 배울 의사가 있습니까?

응답에 대한 해석은 면담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동시에 진행되었다. 우 선 오픈 코딩을 통하여 각각의 응답을 소분류 한 뒤, 면담이 진행되면서 축코딩을 통해 응답내용을 더 넓은 범위로 분류하였다. 면담은 연구를 위 한 응답내용이 충분해질 때까지 계속 진행되었으며 스노우볼 샘플 수집 방법을 통해 응답자 수를 늘려가게 되었다. 면담 과정 중 발견한 하나의 흥미로운 점은 서방권 국가 출신의 응답자들은 비교적 개방된 자세로 면 담에 응한 반면, 서방권 국가를 제외한 국가 출신의 응답자들은 면담 자 체를 거부하였다. 이로 인해 연구 초반의 면담은 주로 서방권 국가 출신 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면담이 어느 정도 진행된 이후부터 는 서방권 국가를 제외한 국가 출신의 한국어 학습자들을 면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연구과정 동안 인종적 편견을 제거하기 위하여 국가별 분류는 수행하 지 않았으며 전체 응답내용은 익명으로 처리되었다.

373

제9장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9.1. 한국어 학습동기

한국어 학습동기에 대한 응답자들의 답변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한 국에서 일을 하기 위한 목적 - 한 국어에 대한 관심 및 흥미 - 동 아시아 언어에 대한 관심 및 흥미 - 한 국에 거주하기 위한 목적 - 한 국에서 학위취득/과정 참여 - 배 우자/가족이 한국인인 경우 - 한 국 혹은 한국회사의 취직을 희망 - 한 국어를 배우기를 희망

몇몇 응답자의 경우 해당 질문에 대해 응답하지 않았으며 아래 표 4는 각 동기별 응답자수를 나타난다.

표 4. 한국어 학습 동기별 응답자 수 답변 응답자수(명) 응답자 비율(%) 한국 거주목적 12 27.2 한국에서 학위 취득 혹은 과정 참여 8 18.2 한국에서 일을 하기 위한 목적 8 18.2 한국어에 대한 관심 7 15.9 동아시아어에관한 관심 4 9 배우자/가족이 한국인 2 4.5 한국에서 혹은 한국회사의 취직을 희망 1 2.3 한국어를 배우기를 희망 1 2.3

본 질문에서 12명의 응답자는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로 한국에 거주하 며 스스로 생활할 수 있도록 한국어를 배운다고 답하였으며 4명의 응답 자는 한국사람을 존중하여 한국어로 대화할 수 있기 위해 한국어를 배운

37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6명은 한국인 친구를 사귀기 위한 목적이라고 응 답하였고 3명의 응답자는 한국에 오기 이전부터 이미 한국어를 학습하 였다고 응답하여 한국어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4명의 응답자는 동아시아 언어, 예술, 영화 등에 관심이 있으며 한국어 이외에 도 이미 다른 동아시아 국가의 언어를 배운 경험이 있거나 혹은 앞으로 배울 의사가 있다고 답하였다. 이외 특별한 이유없이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 한국어 학습을 시작했다 고 답한 응답자들은 어린 시절이나 성년이 된 후 우연히 한국어에 접하게 되어 흥미를 갖게 되었다고 답하기도 하였다. 다른 응답자들은 한국인 가족이나 혹은 배우자와 대화하기 위해 한국 어를 배운다고 응답하였고 또 다른 응답자는 구직 시 도움이 될 것을 기 대하여 한국어를 배운다고 응답하였다.

9.2. 외국인들이 한국어 학습 초기 단계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어 학습 초기 단계에서 겪었던 어려움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응답 자들은 다음과 같이 크게 6가지의 내용으로 대답하였다.

- 실 력에 대한 우려(음운, 형태, 구문 등 언어구조를 구별하는데 따른 어 려움)(Chomsky, 1965) - 능숙도에 대한 우려(언어적 구조를 이해하는데 따른 어려움)(Chom- sky, 1965) - 의 사소통에 대한 우려(문화 내 적절한 언어의 사용)(Hymes, 1966) - 교수법 관련 우려 - 개 인적 우려

375

제9장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기존의 언어교수법 관련 연구는 학습자들이 직접 학습된 언어를 실제 구사하기까지 이해는 할 수 있으나 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시기인 ‘침묵기 (silent period)’를 약 6개월 동안 갖는다고 보고 있다(Haynes, 2007: 29- 35; Ellis, 2008: 73-75). 표 5에서는 응답자들은 한국어 학습 초기 단계에 서 한국어의 언어구조를 파악하는데 겪는 어려움을 보여주고 있다.

표 5. 한 국어 학습 초기 단계에서 겪는 언어이해관련 어려움(각 응답자는 복수로 응답하였다) 답변 응답자수(명) 응답자 비율(%) 듣기 14 31.8 문법구조이해 9 20.4 한글 쓰기 6 13.6 이의어 식별 5 11.4 한국어전체에 대한 이해 2 4.5 합계 36 -

모국어와 다른 소리 구조로 인해 느끼는 언어적 어려움은 언어학습 초 기 단계에서 가장 빈번히 찾아볼 수 있는 어려움이며 문법에 대한 이해와 쓰기 또한 초보자들이 어렵게 느끼는 부분 중 하나이다. 전체적으로 응 답자들은 새로운 언어 학습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한국어 학습과정에 서도 그대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다음 표 6은 한국어 학습 초기 단계에서 응답자들이 한국어 실력에 대 해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에 대한 응답자의 수를 보여주고 있다.

37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표 6 . 한국어 학습 초기 단계에서 겪는 성취도관련 어려움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비율(%) 듣기 3 6.8 읽기 3 6.8 쓰기 3 6.8 말하기 1 2.2 합계 10

해당 조사를 통해 몇몇 응답자들은 한국어 학습 초기단계에서 성취도 관련 어려움을 느끼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어떤 응답자들은 한국인들 의 대화 속도가 너무 빨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하였으며, 어떤 응답자들은 한국어 읽기/독해에 어려움을 느꼈다고 답하였다. 쓰기 및 기타 어려움과 관련하여 1명의 응답자는 한국어를 듣고 이해하는 것 이 비교적 수월한 것에 반해 한국어 말하기는 쉽지 않았다고 응답하였다.

표 7. 한국어의 경어 사용으로 인한 어려움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비율(%) 존댓말 사용 3 6.8

3명의 응답자들은 한국어 학습 초기, 언어에 경칭어가 따로 존재한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는 초보자가 흔히 어려워할 수 있는 부 분이라고 응답하였다. 한국어의 경어는 6가지 종류로 구분되는데(Byon, 2012) 3명의 응답자는 이러한 존칭어 구분에 대한 이해가 한국어를 배우 는 초기 단계에서 겪은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응답하였다. 응답자중 일부는 한국어 학습 교수법과 관련하여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세부 내용은 표 8에 구분되어 있다.

377

제9장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표 8. 한국어 학습 교수법과 관련하여 학습 초기 단계 시 겪는 어려움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비율(%) 암기에 기초한 교육법 2 4.5 실제로 사용되는 것과는 차이가 존재하는 교과서 1 2.2 모국어 한국어교재의 부재 1 2.2 듣고 말하기의 과다 사용 1 2.2 설명 부족 1 2.2 빠른 교육 과정 1 2.2 합계 7 -

7명의 응답자들은 본인의 국가와 한국의 다른 교육방법에 대해 어려움 을 토로하며 이 중 2명의 응답자는 암기에 너무 의존하는 교육방법에 대 해서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 중 일부는 개인적 어려움을 한국어 학습 초기 단계에서 겪은 어 려움의 하나로 꼽았다.

표 9. 한국어 학습 초기과정에서 겪은 개인적 어려움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비율(%) 시간 부족 2 4.5 동기 부족 2 4.5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한국에 대한 부정적 감정 2 4.5 한국어 학습으로 기대되는 보상 부족 1 2.2 합계 7 -

응답자 중 일부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한 어려움을 한국어 학습 초기 에 겪었다고 응답하였는데 이중 2명의 응답자는 한국어 학습 계기가 일 적인 이유였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에 대한 스스로의 동기부여가 부족하 다고 응답하였으며 어떤 응답자들은 문화적 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한국 어 학습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으로 꼽았다.

37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그러나 전체 응답자 대부분은 학습 과정시 겪은 언어 이해의 어려움을 한국어 학습 초기단계에서 겪은 어려움이라 응답하였으며 이는 힐(Hill) 과 졸크(Bjork)의 연구에서도 언급되었듯이(2008) 낯선 언어를 학습하는 경우 나타나는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응답자 중 학습 과정시 나타 나는 어려움을 제외한 개인적 어려움을 한국어 학습의 어려움으로 꼽은 응답자 수는 비교적 적어 한국어 학습의 초기과정이 대체적으로 잘 구성 되어 진행되고 있음을 가늠할 수 있었다.

9.3. 한국어 학습과 관련하여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 조사하기 위 해 응답자들을 크게 두 종류의 집단으로 분류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집단은 한국어 학습기간이 2년 이상인 집단이고 두 번째 집단은 한국어 학습기간이 2년 미만인 학습자의 집단이다.

1) 한국어 학습기간이 2년 미만인 응답자 집단 본 연구의 전체응답자(44명)중 54.5%인 24명의 응답자는 한국어 학습 기간이 2년 미만으로, 해당 집단은 한국어 학습과 관련하여 현재 겪고 있 는 어려움으로 개인적 어려움 보다는 언어적 이해의 어려움을 꼽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를 포함하여 새로운 외국어를 배우는 것은 모두 에게 낯선 일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러한 어려움은 초보자들이 외국 어 학습시 흔히 겪는 어려움이라고 볼 수 있다.

379

제9장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표 10. 단기(2년 미만) 한국어 학습자들이 현재 겪고 있는 언어이해적 어려움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비율(%) 소리체계 이해 8 18.1 문법구조 이해 8 18.1 합계 16 -

표 10에서 나타나듯이 한국어 학습기간이 비교적 짧은 응답자들은 대 체로 소리구조 또는 문법구조의 이해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응답하였으며 어휘와 관련하여 어려움을 느낀다고 대답한 응답자는 없었다.

표 11. 단기(2년 미만) 한국어 학습자들이 현재 겪고 있는 성취도 관련 어려움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비율(%) 읽기 3 6.8 듣기 2 4.5 쓰기 2 4.5 유창한 말하기 2 4.5 숙어이해 1 2.2 합계 10 -

몇몇 응답자들은 여전히 성취도와 관련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 하였으며 이 중 1명의 응답자는 한국어의 숙어를 완전히 이해하는데 어 려움을 느끼며 미래에도 쉽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응답하였다.

표 12. 단기(2년 미만) 한국어 학습자들이 현재 겪고 있는 의사소통 관련 어려움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비율(%) 양층언어 현상(문어, 구어체 구별) 2 4.5

한국어는 문어체로 사용되는 상위형과 구어체에서 주로 사용되는 하위 형이 공전하는 언어인데(Yu Cho, 2002; Snow, 2010), 두 명의 응답자는

38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이러한 양층언어 현상을 한국어 학습과 관련하여 겪고 있는 주된 어려움 으로 꼽았다. 아래 표 13은 한국어 학습 과정 중 부족한 연습으로 인해 한국어 실력 이 감소하는 것을 어려움으로 꼽은 응답자의 수를 보여주고 있다.

표 13. (2년 미만) 한국어 학습자들이 현재 겪고 있는 실력감소 관련 어려움 답변 응답자 수 전체 중 비율 실력감소(충분한 연습 부족 및 잊어버림) 2 4.5

2명의 응답자는 한국어를 공부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연습해볼 기회 가 적어 배운 것을 쉽게 잊어버리게 되어 연습부족으로 인한 실력 감소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이 밖에도 한국어 공부기간이 2년 미만인 응답자 중 몇몇 응답자는 한국어 학습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으로 언어적 이해와 는 별개인 개인적 어려움을 꼽기도 하였다.

2) 한국어 학습기간이 2년 이상인 응답자집단 조사대상 전체 응답자중 2년 이상 한국어를 공부한 응답자의 수는 19 명이었다. 한국어 공부기간이 2년 이상인 응답자들은 상대적으로 긴 한국 어 학습 기간으로 인해 보다 한국어에 능숙해진 집단으로, 현재 겪고 있 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 언어적 이해 및 성취도와 관련한 응답을 꼽은 응답 자는 적었다. 해당 집단의 응답자들은 대부분 문화적 차이에서 기인하는 개인적 어려움을 한국어 학습과 관련하여 겪고 있는 어려움으로 꼽았다.

표 14. 장기(2년 이상) 한국어 학습자들이 현재 겪고 있는 성취도관련 어려움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중 비율(%) 원어민수준의 한국어 구사 1 2.2 양층언어 현상(문어·구어체 구별) 1 2.2 합계 2 -

381

제9장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두 명의 응답자는 한국어 학습과 관련하여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으로 각각 원어민 수준의 한국어를 구사하는데 따른 어려움과 양층언어 현상 을 이해하는데 따른 어려움을 꼽았다.

표 15. 장기(2년 이상) 한국어 학습자들이 현재 겪고 있는 교수법 관련 어려움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비율(%) 좋은 교사를 만나는데 따른 어려움 1 2.2 시험결과에 과다 의존 1 2.2 합계 2 -

현재 겪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 한 응답자는 좋은 한국어 선생님을 찾는 것을 꼽았다. 또 다른 응답자의 경우 시험 결과에 과다 의존하는 한 국어 교수법을 어려움으로 꼽으며, 본인의 한국어 실력에는 스스로 만족 하며 어려움 없이 사용하고 있으며, 좋은 시험 성적을 받는 것은 이와 별 개의 일이라 답하였다.

표 16. 장 기(2년 이상) 한국어 학습자들이 현재 겪고 있는 한국어 학습관련 개인적 어려움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비율(%) 문화차이(한국과 한국인들의 부정적 시선) 3 6.8 연습할 기회의 부족 3 6.8 동기부족 2 4.5 대중 앞에서 한국어를 말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 2 4.5 실망감(원어민 수준의 한국어를 구사하는 것은 너무 어려움) 1 2.2 한국어의 실용성에 대한 의문 1 2.2 합계 12 -

한국어 학습기간이 2년 이상 되는 본 집단의 응답자들은 한국어 학습 과 관련하여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으로 개인적 어려움을 꼽았다. 일부

38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응답자는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기인한 어려움을 꼽았고 그 밖 의 일부는 대중 앞에서 한국어를 구사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한 응답자는 본인의 국가에서 한국어를 구사하는 것이 실용 적인 기술이 아니라고 응답하였고, 또한 원어민 수준의 한국어 실력에 도 달하는 것이 너무 어려워 한국어 배움에 대한 실망감이 생긴다고 대답한 응답자도 있었다. 이 같은 조사결과는 힐(Hill)과 졸크(Bjork)의 모델에서 언급되었던 것 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외국어 학습 초기 단계에서는 언어 적 이해 및 성취도 관련 어려움이 빈번히 나타나는 반면 외국어 학습 기 간이 상당한 학습자들의 경우 외국어 학습에서 자체에서 기인하는 언어 적인 문제 이외의 개인적 어려움을 주된 어려움으로 꼽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2008).

9.4. 한국어 학습의 실용성

다음으로 한국어 학습의 실용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표본집단을 대상으로 “당신은 한국어 학습이 실용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라는 질 문을 하였다. 이에 대해 대다수의 응답자들은 한국어 학습이 실용적이라 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몇몇의 응답자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고 응답하였다.

표 17. 한국어 학습의 실용성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중 비율(%) 실용적이다 39 88.6 실용적이지 못하다 7 15.9 합계 46 -

383

제9장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아래의 표 18은 한국어 학습이 실용적인 이유에 대한 응답자들의 답변 이다.

표 18. 한국어 학습이 실용적인 이유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중 비율(%) 한국사회 참여 30 68.2 학계 6 13.6 직업 2 4.5 가족 2 4.5 호기심 2 4.5 합계 42 -

대다수의 응답자들은 한국인과의 친교 목적, 한국 거주시 일상생활에 서의 편리함 등, 한국사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을 가장 큰 한국어 학습의 실용성으로 꼽았다. 응답자 중 일부는 한국에서 공부를 하거나 직장을 구하거나 혹은 한국어를 사용하는 가족과 생활하는데 있어서 한 국어 학습이 유용하다고 응답하였다. 2명의 응답자는 본인의 호기심을 충족하는 것에서 한국어 배움의 실용성을 찾는다고 응답하였다. 기존의 연구는 구체적인 경제·사회적 목표와 더불어 외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에 구성원으로 참여하는 것이 외 국어 학습의 만족도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밝힌 바 있다. 이 러한 맥락에서 볼 때, 많은 수의 응답자가 한국사회와 한국문화에 참여 하는 것을 한국어 학습의 가장 큰 유용성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이번 조 사의 결과는 많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학습에 높은 만족도를 느 끼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한편, 응답자 중 일부는 한국어 학습이 실용적이지 못하다고 응답하였다.

38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표 19. 한국어 배움이 실용적이지 않은 이유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중 비율(%) 다른 국가에서 사용되지 않는 유일어 5 11.4 한국어 사용을 우대하는 직장을 찾기 어려움 1 2.2 연습기회의 부족 1 2.2 합계 7 -

다섯 명의 응답자들은 한국어가 본인의 국가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한국어를 학습한 것에 대한 보상이 적다는 이유로 한국어 학습에 대한 유용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일부 응답자는 한국 기 업에 취직을 하고자 하는 경우 외국인에 대한 채용기회가 매우 적을 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 한국인과 한국어를 실제로 사용할 기회가 적기 때문 에 한국어 학습의 실용성을 찾기 어렵다고 응답하기도 하였다.

9.5. 한국어 학습의 목표 목표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을 통해 기대하는 목표를 알아보기 위 하여 표본집단 대상에게 “앞으로 한국어 학습을 통한 목표는 무엇입니 까?”라는 질문을 진행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몇몇의 응답자를 제외한 대 다수의 응답자들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표 20. 한국어 학습 이후에도 계속 한국어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응답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중 비율(%) 사용할 것이다 37 84.1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7 15.9 합계 44 100

385

제9장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표 21. 한국어 학습을 통해 기대하는 목표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중 비율(%) 구직에 도움 15 34.1 한국사회 적응 8 18.1 학업목적(한국관련 주제) 6 13.6 한국어를 사용하는 가족과의 교류 3 6.8 한국인과의 친교 2 4.5 한국어 강사 1 2.2 합계 35 -

다수의 응답자는 취업을 위하여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한국어를 사용 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일부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가족으로 인해 계속 한국어를 사용하거나 한국과 관련된 주제를 연구하거나 가르치는데 한 국어를 사용할 것이라고 응답하였으며, 한 명의 응답자는 고국으로 돌아 가 한국어를 가르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응답자들의 답변에서 나타나 듯, 응답자들이 미래에도 계속 한국어를 사용하게될 요인으로 경제적, 사 회적 이유가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체 응답자 중 2명의 응답자는 고국으로 돌아가면 한국어를 사용할 실질적 기회가 없기 때문 에 한국어 학습을 통한 어떠한 사회적 혹은 경제적 목표를 찾을 수 없으 며, 따라서 단순히 한국인들과의 친교(party trick)목적으로 한국어를 배 운다고 응답하였다.

표 22. 앞으로 한국어를 사용할 계획이 없는 이유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중 비율(%) 한국에 거주예정 없음 6 13.6 계속 배우기에는 시간부족 1 2.2 중요한 언어가 아니라고 생각 1 2.2 합계 8 -

38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앞으로 미래에 한국어를 사용할 계획이 없다고 대답한 응답자들 중 6 명은 그 이유를 한국에 거주할 계획이 없는 것에서 찾았으며, 그 외 응답 자들은 한국어를 계속 배우기에는 시간이 부족하거나 한국어보다 더 널 리 사용되는 언어를 배우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결국 이러 한 생각을 갖고 있는 응답자들은 한국어를 앞으로 계속 사용하는데 있어 서 어떠한 사회적, 경제적 이유를 찾지 못하였다고 볼 수 있다.

9.6. 한국어 학습의 포기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한 번 이라도 포기하고 싶었던 경험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놀랍게도 반 이상(52%)의 응답자들이 그렇다고 응답하였다.

표 23. 한국어 학습을 포기하려 해본 경험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중 비율(%) 포기하려 한 적이 있다 23 52.2 포기하려 한 적은 한번도 없다 21 47.7 합계 44 -

표 24. 한국어 학습을 포기하려 했던 이유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중 비율(%) 한국인들의 비호의적 태도 14 31.8 시간부족 3 6.8 비실용적 언어 3 6.8 언어자체의 어려움 2 4.5 한국어 능력이 요구되는 직업이 매우 적음 1 2.2 동기부족 1 2.2 합계 24 -

14명의 응답자는 한국인들이 한국어가 서툰 외국인들에게 물건을 판매

387

제9장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하는 것과 같이 본인들에게 필요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그들과 한국어로 대화하는 것을 피하거나 인내심을 갖고 이야기 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이 같은 한국인들의 비협조적 태도로 인해 한국어 학습을 포기하고 싶었던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응답자 중 다수는 한국어를 실제로 사 용할 기회가 매우 적으며 본인이 한국어로 대화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친목모임 같은 곳에서조차 한국어로 대화할 기회를 얻는 것은 어렵다고 응답하여 한국어 대화를 원하는 외국인들에 대한 한국인들의 비협조적 태도가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목적 중 사회적 요인에 부정적 영향을 미 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몇몇 응답자의 경우에는 한국어 언어자체의 어려움, 한국어 능력을 요 하는 직업이 매우 적은 것 등을 언급하며 한국어 학습을 포기하고 싶었 던 이유로 꼽았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 의견들에도 불구하고 전체 중 반 이상의 응답자들은 한국어 학습을 계속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표 25. 한국어 학습을 지속하고 싶은 이유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중 비율(%) 이미 한국어를 배우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투자 8 18.1 미래의 개인적 목표에 도움이 될 것 6 13.6 앞으로 한국에서 거주예정 5 11.3 원래 어려운 언어이므로 배우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생각 2 4.5 이유없음 2 4.5 합계 23 -

많은 응답자들은 이미 한국어 학습에 너무 많은 시간과 물리적 노력을 투자하였거나, 미래의 개인적 목표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 등의 이유 로 한국어 학습을 지속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어떤 응답자들은 한 국어 학습을 통한 사회적, 경제적 보상을 기대한다고 답하였으며 한국어 를 배우고 난 후에는 한국에서 계속 거주하고 싶다고 응답하기도 하였다.

38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9.7. 한국어 학습에 대한 만족도

한국어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당신은 다시 태어난다면 다시 한국어를 배울 의사가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아래와 같이 응답하였다. 참고로 해당 질문 외에는 어떤 부가적 설명도 추가하지 않았다.

표 26. 다시 태어나도 다시 한국어를 배울 의사가 있는지에 대한 응답자들의 답변 답변 응답자 수(명) 응답자 중 비율(%) 네 33 75 확실치는 않으나 아마도 그럴것같습니다 6 13.6 아니오 5 11.4 합계 44 100

전체 응답자 중 75%가 다시 태어나도 한국어를 배울 것이라고 응답하 여 한국어 학습에 대한 만족도가 상당히 높은 수준임을 나타냈다. 응답 자 중 13.6%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다시 한국어를 배우는 것 을 긍정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응답자 중 일부는 다 시 태어난다 하더라도 한국어를 배울 것이며 그때는 조금 더 일찍 배우 고 싶다고 응답하여 한국어 학습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표 26 에 나타난 응답자들의 한국어 학습 만족도에 대한 답변은 한국어 학습 이 부정적 기억이 아닌 긍정적인 경험으로 기억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이 경제발전에 비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 어 학습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보완이 필요한 부분임을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대한민국은 일본, 중국 등과 같이 한국어 학습 이 보편화된 국가가 아닌 상대적으로 한국어 학습이 생소한 국가에서 한 국어를 배우기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 으로 보인다.

389

제9장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결론 및 정책제안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표본추출 방식이 아닌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중 다수를 차지하는 중국, 베트남, 몽골, 일본 출신의 학습자를 제 외한 국적을 가진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번 연 구 주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자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참여관찰자 위 치에서 세운 또 다른 가설이 있었는데 이는 “외국인 대상 한국어 학습은 주요 4개국의 학습자들에 맞추어 구성되어 그 외 국가의 학습자들은 한 국어 학습시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느낄 것”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결과에서 어떤 응답자도 한국어를 배우는데 있어 주요 4개국의 학습 자와 다르게 대우를 받는다고 느낀다거나 한국어 학습 교수법이 주요 4 개국의 학생에게 치우쳐 진행된다고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전체적인 만족도는 긍정 적으로 나타났으나, 몇 가지 문제점 또한 드러났다. 응답자의 상당 수가 한국어 학습을 포기하고 싶었던 경험이 있다거나, 한국어 학습의 실용성 을 느끼지 못한다고 응답하여 주요 4개국의 학습자들뿐 아니라 그 외 국 가 출신의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학습 관련 제고 방안이 모색 되어야 함을 보였다. 이러한 제고 방안의 일환으로 언론매체 등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외 국인(주요 4개국가를 제외한)을 노출시키거나 그들과 한국어로 대화하는 전반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박(Park, 2009)은 한국 언론매체에서 외국인들의 영어실력과 관계없이 그들과의 주요 대화 언어 가 언제나 영어인 것을 지적하며 한국인과 외국인 사이의 대화에서 언어 장벽의 어려움을 느끼는 것을 빈번하게 묘사하는 언론의 행태를 지적하 였다. 이러한 언론을 통해 심어진 편견은 한국어를 유창하게 사용하는 외 국인들의 모습을 언론에 자주 노출시켜 상당부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9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본 연구에서 한국어 학습 초기 과정과정에서 겪는 가장 흔한 어려움은 언어이해 및 성취도 관련 어려움이며 시간이 지날수록 이러한 언어이해 및 성취도 관련 어려움은 해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어 초기 학습자들의 언어이해 및 성취도를 향상시켜줄 효과적인 한 국어 교수법의 필요성을 보여주며 이는 한국어 학습 교육업계에 주어진 과제일 것이다. 본 연구의 응답자 중 88.6%는 한국어 학습이 실용적인 것으로 생각한 다고 응답하였으며 전체 중 84.1%의 응답자가 앞으로도 한국어를 계속 사용할 것이며, 전체 중 75%는 다시 태어나도 한국어를 배울 것이라고 응 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상당한 만족도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어 학습에 대한 높은 만 족도에도 불구하고 이번 연구를 통해 전 세계에서 한국어의 사용빈도가 매우 적은 것에 대한 대책의 필요성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정부는 △ 한국 기업에 한국어를 구사하는 외국인 고용 권고 △ 외국인 대상 한 국어 교육에 한국어 구사 외국인 교사 고용 △ 한국어를 배운 외국인들 이 자국에 돌아가 한국어 또는 한국관련 주제를 가르칠 수 있는 기반 제 공 등 한국어를 배운 외국인들이 한국 및 고국에 돌아가 한국어를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대응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 밖에 한가지 지적할 점은 현재 한국어 학습기관의 상당수가 고 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진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수업 료 또한 상당히 높은 가격으로 책정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사회적, 경제 적 목표를 가지고 한국어를 학습하는 상당수의 외국인에게 긍정적인 부 분으로 작용될 수도 있지만 한국어를 배우고 싶지만 학력, 경제적 여건이 되지 않는 외국인들이 배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질적 연구를 통한 이번 연구 결과는 앞으로 더 큰 표본집단과 양적 연 구를 통한 연구의 좋은 바탕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추후 한국어를 배 우는 외국인들 중 특히 주요 4개국을 제외한 국가의 학습자들의 동기와

391

제9장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만족도에 대해 더 명확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Brown, L. (2010) ‘Politeness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The case of Ko- rean speech styles’ Journal of Politeness Research, 6.1, 243-269. Brown, L. (2010) ‘Questions of appropriateness and authenticity in the repre- sentation of Korean honorifics in textbooks for second language learn- ers’ Language, Culture and Curriculum 23.1, 35-50. Byon, A. S. (2012) ‘Korean honorifics and politenes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Language, Culture and Curriculum 25.2, 205-207. Creswell, J. W. (2012)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Crookes, G. and Schmidt, R. W. (1991) ‘Motivation: Reopening the research agenda’ Language learning 41.4, 469-512. DeKeyser, R. M. (2005) ‘What Makes Learning Second-Language Grammar Difficult? A Review of Issues’ Language Learning 55.S1, 1-25 Gardner, R. C., Lalonde, R. N. and Pierson, R. (1983) ‘The socio-educational model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 investigation using LISREL causal modeling’ Journal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 2.1, 1-15. Gardner, R.C. (2001)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The Student, the Teach- er, and the Researcher’ Texas Paper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6.1, 1-18. Hill, J. D. and Bjork, C. L. (2008)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with English Language Learners Participant's Workbook,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9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Hymes, D. (1971) On communicative competence. Vol. 35, Philadelphia: Uni- 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Klem, A. M. and Connell, J. P. (2004) ‘Relationships matter: Linking teacher support to student engagement and achievement’ Journal of school health 74.7, 262-273. Masgoret, A. M. and Gardner, R. C. (2003) ‘Attitudes, motivation,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a meta–analysis of studies conducted by Gardner and associates’ Language learning 53.1, 123-163. O’Grady, W., Lee, M. and Choo, M. (2003) ‘A subject-object asymmetry in the acquisition of relative clauses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25.03, 433-448. O’Grady, W., Lee, M. and Choo, M. (2001) ‘The acquisition of relative clauses by heritage and non-heritage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12.2, 283- 294. Park, J.S. (2009) The local construction of a global language: Ideologies of English in South Korea Vol. 24, Berlin: Walter de Gruyter. Salman, Y.B., Cheng, H.I, Ince, I.F. Kim, J.Y., and Yildirin, M.E. (2009) ‘Participatory design and evaluation of e-learning system for Korean language training’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action Sciences: Information Technology, Culture and Human, ACM. Silva, D. J. (2002) ‘Western attitudes toward the Korean language: an over- view of late nineteenth-and early twentieth-century mission literature’ Korean Studies 26.2, 270-286. Strauss, A. and J. M. Corbin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393

제9장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Won J. J. and J. W. Lee (2008) ‘Hangeul learning system’ in Technologies for E-Learning and Digital Entertainment, Berlin Heidelberg: Springer, 126-134.

39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10 Inher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terms of address in language etiquette

INTRODUCTION

Terms of address takes important part of role in appropriate language usage etiquette in the relationships people form throughout their lives. All the world’s languages have etiquette that guides their proper use. Traditional etiquette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Korea, and a diverse range of terms of address have developed in the Korean language. Foreign students of Korean need to properly learn Korean language etiquette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Koreans and maintain relationships. Using terms of address instead of names can sometimes cause confusion. In a society where order of rank is considered highly important, title/designation sometimes causes confusion and that might also impair relationship between those involved. To integrate into Korean society with a high level of Korean language fluency, foreigners should be able to communicate clearly by using the proper term of address for each circumstance. This helps build amicable relationships with Korean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the term of address when learning Korean. However, because foreigners have few opportunities to use Korean, they can be embarrassed at times by not knowing the proper terms of addres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be educated while paying attention to language etiquette, which relates to Korean lifestyle, customs and traditions.

395

10. Inher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Terms of Address in Language Etiquette Characteristic and importance of Korean terms of address as language etiquette

People choose various linguistic components for social communication in their daily lives. We call this “term of address” when addressing a specific person. Terms of address can get someone’s attention or allow the other person to recognize you in a conversation. The terms of address take on important role when you relate to many people in your social life. Generally, people emphasize grammar and pronunciation in a target language as the most important parts and focus on learning those, and they mistakenly consider terms of address as relatively simple and easy. This can lead to a careless use of terms of address, which then causes problems of improper etiquette. Especially in Korean, there are many term of address and they change into another form depending on the speaker and the subject of conversation. Considering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social hierarchy, we cannot overlook mistakes regarding terms of address. Mistakes in grammar or pronunciation, when speaking a foreign language, are easily forgivable but using the incorrect term of address can come across as rude or insulting, thus creating a misunderstanding that harms the relationship. Therefore, there are linguistic rules and social norms for the use of linguistic forms regarding when, where, for whom, and with what social implications. As a result, to choose and use improper language could be regarded as rude behavior because it breaks the expectations of social standards. We can summarize the importance of etiquette for Korean language as follows. Firstly, the terms of address traditionally used in a large family is still used in daily life today. Of course, the terms of address is us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regional and cultural context. The terms of address maintain order and legitimacy and are therefore important to

39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learn in order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Secondly, language etiquette shows the cognitive framework of life, world and values, throughout Korean linguistic history. Learning the terms of address provides a window to understanding Korean values and ways of thinking, which then helps language learners speak Korean more fluently and elegantly. Thirdly, language learners can communicate amicably while maintaining harmony. The terms of address, including honorifics, can mark the beginning of linguistic interaction and demonstrate the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nts. Also, using names or honorifics properly and treating other person politely enables language learners to expand their Korean ability. Because terms of address are influenced by ethnicity, of people using a certain language, and influenced by each era, they can be affected by foreigners learning the language. Choosing the terms of address not only can be an important issue to each person, but also reflect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ciety.

Characteristics of appellation rules of Korean and Mongolian languages

Today, Mongolian (my native language) has many foreign words due to Russian influence in the 1960s and the liberalization of the economy in the 1990s. These changes inevitably affected Mongolian appellation standards, and the changes were not elegant: appellations lost their traditional forms and became vulgar. Modern terms of address in Mongolian are not well formulated, so people use Mongolian language that is not appropriate or mixed with a foreign language. This reflects how culture and language can change in tandem. Students learning foreign languages need to know the appellation rules of their native languages so that they can recognize the foreign rules appropriately. There are many more terms of address in Korean than in Mongolian,

397

10. Inher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Terms of Address in Language Etiquette towards specific objects or for specific circumstances. There are three categories of Mongolian appellation rules. We can explain what determines appellation rules by dividing types into name, age, and social rank. There are two contexts where names are used as terms of address. First, if you are familiar with the addressee, or speaking among colleagues and married couples, names are used. Second, people call each other by the honorific form, the most polite way (name + suffix ‘-身 纖’). This is similar to Korean (name + suffix -씨‘ ’), but has a different meaning. In the Korean appellation rule, the name + suffix ‘-씨’ is used as an honorific, but in case of the Mongolian appellation rule, it is used for older people. These honorifics can be used for children addressing adults, or for adults between whom there is an age difference of more than 10 years. The second type is used if there is an age difference of more than 5 years between adults and children or among adults. Regardless of gender, if the other is male, he is addressed by his name with the suffix ‘-性’ (brother), and if the addressee is female, she is addressed by her name with the suffix ‘-欽ч’ (sister). Those terms can be used also without names. Generally, if the speaker and addressee are familiar, they call the other by name with the suffix ‘-性, -欽ч’, and if they are less familiar, they call the other just by ‘性, 欽ч’ without name. This is similar to the Korean term of address widely used “아저씨와 아주머니” in responding to a person the speaker does not know, but it has different meaning. And “아저씨와 아주머니” implies that the addressee is married, and is mainly used for married people, but “性, 欽ч” in Mongolian is used for both married and single people. Therefore, the two methods of usage are different but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are used most in both Korean and Mongolian. Considering age difference, to call the other by name with the suffix 性“ , 欽ч”(brother, sister) is common in the Mongolian language, and calling the other by “性, 欽ч” without

39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one's name in Mongolian is used same as calling the other by “아저씨, 아주머니” in Korean. The third type to call the other is a term of address according to social rank, calling someone by their job title or position. Sometimes the person’s name can be added in front of the title, when they are being addressed in the second or third person. As mentioned, Korean terms of address are subdivided into many types depending on who is being addressed, the object or circumstances, so it is quite complicated for foreigners to learn Korean. But “terms of address” in Korean are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where showing courtesy is paramount. Therefore, if the learner tries to come up to appropriate terms of address by comparing them with his or her native language, it is because of the learner does not fully understand Korean appellations and language etiquette. People who learn Korean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erms of address. The next section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erms of address and advances a few suggestions. First, there are Korean native-style terms of address and Chinese-style terms of address. Speakers need to be aware that the form of term of address changes depending on circumstances. •First, terms of address changes if making a direct address. •Second, terms of address changes if making an indirect reference. •Third, terms of address depend on the alive or deceased status of the person. •Fourt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written and spoken forms of terms of address. •Fifth, there are differences that depend on the age difference between the speaker and the addressee. •Sixth, terms of address change when referring to an object about which someone else is referring. •Seventh, terms of address change when the other person refers to him or herself.

399

10. Inher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Terms of Address in Language Etiquette •Eighth, terms of address change when the other refers to an object relating to oneself.

Learners of Korean need to be aware of these terms of address and references. First, to properly address someon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ir title and social position. The greeting “처음 뵙겠습니다” can be used. People then usually exchange cards and start a conversation. This process is meant to determine the other person’s social status and title. For example, it is not proper to add the suffix “-씨” or “-님” after the name when dealing with a person of higher rank. That can create impression of negligence or of an inadequate Korean language skill. Second, in using titles or designations, one must use the terms of address followed by the custom of referring to yourself in lower terms depending on whom you are addressing. Honorifics are used when referring to the other or someone related to him/her. On the other hand, it is regarded as virtuous to refer to friends or family with modest terms. Third, there are some word origins and meanings in terms of address that are considered old-fashioned and outdated. In this case, the terms of address can be better understood as idiomatic expressions. For example, in Korean television shows characters use terms of address such as ‘서방님, 내실, 내당, 큰(작은)아씨, 도련님’. Some traditional terms of address are still used today, but we better understand this as an idiom and feel comfortable with the usage. When Koreans ask ‘진지 잡수셨습니까?’ or ‘식사하셨습니까?’, it doesn't mean that they want to know whether the addressee has actually had a meal or not, but it is just a greeting. Terms of address or designations should be understood in a similar manner. Fourth, Korean has more developed honorifics, so it is recommended be in the habit of using honorific terms of address. Or it is possible to use the best honorific suffix 님‘- ’. For example, someone can be addressed using the honorific term of address as a 회장님,' 사장님, 과장님, 사모님,

40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선생님’ according to the addressee’s social status.

Characteristic and type of Korean term of address

Appellation rules in Korean are more subdivided than in other languages, so foreigners are apt to think that they are complicated. For example, ‘設侁性’ in Mongolian can be divided into ‘삼촌, 작은아버지, 큰아버지, 당숙, 재당숙, 외삼촌, 고모부, 이모부, 아저씨’ and in Korean, learners of Korean need to be aware of all of these variations. Thus, terms of address for relatives in Korean are intricately departmentalized, in relation to honorifics in Korean. Terms of address in Korean depend on the speaker's gender, marital status, the addressee’s gender, age, and even regional factors. There are many term of address and reference terms for parents, children, husbands, wives and friends. All these term of address are used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age and the addressee’s and marital status. First, there are two other forms aside from the basic form in the Korean appellation rule. One form is the honorifics made of the basic form + ‘-님’, and the other is a form to show closeness. For honorifics, the suffix ‘-님’ can be added to Chinese word for relatives, but in case of native word for relatives, the last syllable should be omitted for relatives, which then add honorific suffix ‘-님’. For example, in the case of Chinese words, there are examples such as ‘부모-부모님’, ‘고모-고모님’ and in case of native words, there are examples such as ‘아버지-아버님’, ‘할아버지-할아버님’, ‘누나-누님’. Second, in the Korean appellation rule, the terms of address depend on the speaker's gender, even if the object is the same. For example, men and women are called ‘형’ or ‘오빠’ and ‘누나’ or ‘언니’ depending the gender of the speaker. Also a father's older brother is called ‘큰아버지’,

401

10. Inher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Terms of Address in Language Etiquette younger brother ‘작은아버지’, and sister ‘고모’ no matter how old the person is. Not only speaker’s gender but also addressee’s gender is important for terms of address in Korean. Third, the terms of address in Korean depend on the age of the speaker and addressee and on their marital status. If speaker is elderly, then the honorifics for relatives are used. In the Mongolian language, however, there is no honorific suffix like ‘-님’, but there is another honorific form for elderly people. And in Korea, if the addressee is younger than the speaker, they can usually be addressed by name if they’re not married. If they are married, their name can be still used or their child’s name with ‘아빠’ or ‘엄마’ generally but not in all cases. Fourth, terms of address for relatives such as first, second or third cousins are the same as the terms used for direct descent, which means that terms of address for direct and indirect descent are the same. Fifth, there are many mediation terms of address for relatives, and they are used in two ways. The first way is to use term of address of the listener’s family from the first child. For example, if first child’s name is ‘세진’, you can call his parent as ‘세진이 아빠’or‘세진이 엄마’. The second way is for the speaker to place himself in the position of mediation and use the term of address of the listener’s family from the mediation. For instance, if the speaker is a parent, you can call spouse’s brother ‘삼촌’. And these two types of term of address are used not only for relatives, but also people who are not relatives. For example, you can call an old woman ‘영민이할머니’ if her grandchild’s name is ‘영민’, and also you can call close friend’s mother as ‘어머니’. In particular, terms of address such as ‘아버님, 어머님’ are widely used nowadays, and a person whose age is over about 50 is called as ‘아버님, 어머님’ mostly in hospitals, shops, hair salons and other public places. This is distinctive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and it means that you treat elderly people the same as your parents. This custom should be explained to foreigners so that they can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40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use the correct Korean terms of address.

CONCLUSION

Understanding the linguistic culture of a country can provide motivation to learners while also allowing them to improve their language skills and expand their cultural awareness. This can develop learner’s awareness of linguistic structure and build awarenes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native culture and the target culture. Furthermore, this can help expand the learner’s creativity and imagination. To speak a foreign language fluently, it is important to learn that language’s cultural contex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know how we can systematically understand Korean culture. Thus,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so that foreigners can use proper language and manners in Korea.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the term of address representing the Korean language and manners. Next, I recogniz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with a focus on the terms of address. Here, I identified the potential for misunderstandings and difficulties that can arise because of these differences. Lastly, after examining the features of the Korean terms of address, I advanced principles on how to use Korean terms of address correctly.

403

10. Inher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Terms of Address in Language Etiquette REFERENCES

Ariyasuren, C. and Nyambuu, H (1991) ‘Mongol yoszanshliindyndtailbar- toli’, Suulenhuuhuuhdiinhevleliingazar. Ariyasuren, C. and Nyambuu, H. (1990) ‘Mongol yoszanshliinbagatailbar- toli’, Ylsiinhevleliinuildver. Christian, K. (1976) Developing Second Language Skills, Theory to Practice, Chicago: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Damen, L. (1987) Culture Learning: The Fifth Dimension in the Language, Reading, MA: Addison-Wesley. Dictionary of Korean Myth and Symbols Committee, [Dictionary of Korean Myth and Symbols I, II] in Korean, Donga Publishing. Dorjdagva, T., Sarantuya, N. and Dolgorsuren, J. (1998) ‘Soyolsudlalii- nundes’, Ulaanbaatar. Ellis, R. (1985) Understand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Grabe, W. (1991) ‘Current Development in Second Language Reading Research’, TESOL Quarterly, 25(3). Gregory, E. (1995) Making Sense of a New World: Learning to Read in a Second Language, London: Paul Chapman Publishing Ltd. Hamers, J. F. and Blanc, M. H. A. (1987) Bilinguality and Bilingualis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Hong, S. S. and Jeon, Y. H. (2001), [Traditional Culture and Symbol] in Korean, Hongik Culture Printing. Jespersen, O. (1904/1988) How to Teach a Foreign Language, London: Routledge Press. Kim, J. H. (2002),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in Korean, Kookhak Publishing. Ku, M. R. (1994), [Symbolic world of Koreans], Kyobo Book. Lee, M. Y. (2000) [Courteous Korean Appellation] in Korean, Yeokang Publishing.

40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Nunan, D. (1994) Research Method in Language Learn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yambuu. H, Nazagdorj. Ts (1993) ‘Mongolchyydiintseerlehyosniihyraan- guitoli’, Shyvyynsaaraluildver. Olziihutag, T. (1989) ‘Mongol ardiintsetsenug’, Ylsiinhevleliingazar. Park, Y. S. (2001) [Korean Sociolinguistics] in Korean, Park, Young Soon. Park, Y. S. (2002), [Theory of Korean Culture] in Korean, Hankukmun- whasa Press. Richards, J. C. and Rodgers, T. S. (2001) Approaches and Methods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Ryu, J. B. (1997) [Appellation and Designation] in Korean, Yeyoung Communication. Seo, D. S. (1997) [ Korean Mythology] in Korean, Jipmoon Publishing. Stern. H. H. (1984) Fundamental Concepts of language Teach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Tomorbaatar, J. (2001) ‘Soyolsudlaliinundes’, Ulaanbaatar.

405

10. Inher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Terms of Address in Language Etiquette

제10장 언어 예절에서 한국어 호칭어의 고유한 특성

들어가는 말

사람들은 사회 생활을 하면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또한 그 속에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 이러한 인간 관계 속에서 상호 올바른 언어 예 절을 습득하는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호칭이다. 세계의 어떤 언 어도 언어 예절이 없는 언어는 없다. 하지만 특히 한국은 예의를 중요시 하는 전통이 자리잡아 다른 나라와 달리 상대방을 부르는 호칭어가 다 양하게 발전해 왔다. 외국인이 한국인과 한국어로 소통하면서 상대방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좋은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해 나가기 위해서는 한국인의 언어 예절에 대한 높은 인식과 지식이 요구될 수밖에 없다. 한 국어 사용에 있어서 상호 호칭은 자칫 언어 혼란을 야기할 수도 있다. 위 계를 중시하는 한국 사회에서 언어 사용의 주체인 사람을 부르는 호칭 문제는 때로 혼란을 넘어서 관계를 손상시키는 수준에 이르는 원인이 되 기도 한다. 외국인이 수준 높은 한국어 실력을 습득하고 사회에 진출하기 위해서 는 상대방의 신분에 맞는 호칭을 상황에 맞게 자유자재로 사용해 상대방 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자신의 의사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를 통해 한국인과 상호 의사전달을 매개로 한 원만한 대인관계가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이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에는 한국의 전통 문화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고, 언어 예절인 호칭을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 나 외국인들에게는 한국어 사용 환경이 미흡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

407

제10장 언어 예절에서 한국어 호칭어의 고유한 특성 가 적어 상대를 어떻게 불러야 할지 몰라서 당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 서 한국어 비사용 환경에서는 언어 예절에 대한 교육이 더욱 한국 사람들 의 구체적인 삶의 양상과 방식 및 풍습과 관련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의 사소통능력 향상 목표도 염두에 두고 학습되어야 한다. 따라서 호칭을 중심으로 한 언어 예절에 대한 연구는 한국어 교육의 한 부분으로서 중요성을 제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국인들에게 한 국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고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중요한 의미 가 있다.

언어 예절로서의 호칭어의 특징과 중요성

사람은 일상생활에서 말을 할 때 자신과 상대방의 사회적 관계를 암시 하는 다양한 종류의 언어적 요소를 끊임없이 선택하게 된다. 그 중에서 특정한 사람을 이름 지어 부르는 명칭을 호칭어라고 한다. 호칭어를 사용하는 것은 상대방과 대화를 할 때 상대를 부름으로써 주 의 집중을 유도하거나, 자기를 상대에게 인식시켜 대화 중에 특정 대상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 고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과정 속에서 이러한 호칭은 목표 언어의 예절 면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외국어를 학습하는 사람들은 일반 적으로 해당 언어의 문법과 발음을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여겨 중점적으 로 익히려 한다. 반면, 호칭과 같은 것은 비교적 간단하게 생각하고 편한 대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렇게 호칭을 사용할 경우, 예절에 어긋나는 일들이 자주 발생한다. 특히, 한국어처럼 호칭어가 발달한 언어 는 부르는 상대에 따라 호칭어의 양상이 다르고 같은 사람이더라도 누구 에게 그 사람을 말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화자와 청자 간의 사회적 위 치를 분명히 해야 하는 한국 사회의 특징을 고려하면 호칭에 대한 문제는

40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쉽게 간과할 수 없는 언어 예절이다. 외국어를 사용할 때에 문법이나 발음상의 오류를 범하는 것은 쉽게 용 납되는 편이지만 언어 예절에 어긋나는 발언을 했을 때는 상대방에게 큰 실례가 된다. 때로는 모욕이 되기도 해서 오해나 비난을 받거나 심지어 불 화를 일으키게 되는 경우도 많다. 즉, 어떤 언어형태를 언제, 어디에서, 누 구에게 사용할지, 또한 선택된 언어형태가 어떤 사회적 함축성을 갖는지 에 대한 언어 사용의 규칙과 사회적 규범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 결과 청 자에 대한 화자의 부적절한 언어 형태의 선택과 사용은 한 언어 공동체 내에서 기대되는 언어 관행과 사회적 규범을 어긴 것이 되어 무례한 행위 로 간주될 수도 있다. 외국인들에게 있어 한국어 언어 예절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 다. 첫째, 한국의 대가족제도 아래에서 오래 사용되던 호칭은 오늘날에도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흔히 쓰여지고 있다. 물론 각 지역 및 문화적 차이 에 따라 호칭이 여러 가지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나름대로 정통성을 유지 해 오면서 사회질서를 잡아 주었기 때문에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 하다. 둘째, 한국인의 언어 생활사에서 삶과 세계를 인식하는 틀과 지향 하는 가치를 가장 잘 표현한 것이 언어 예절이다. 이에 대한 학습을 통해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가치관을 잘 알 수 있고 표현 방식도 알 수 있게 된 다. 따라서 한국어를 보다 고급스러운 수준에서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셋째, 상대방과의 상호작용에서 사회적 균형과 조화를 유지 하면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호칭 내지 경어법은 언 어적 상호작용의 시작을 알려주고 더 나아가 한국인과의 의사소통에서 상호관계를 명백히 보여준다. 그리고 적절한 호칭 내지 경어로 상대를 정 중히 대우하여 본인의 한국어 사용 능력을 사회에서 발휘하는데 큰 역할 을 할 수 있게 한다. 호칭어는 그 민족성, 시대성, 변이성 등으로 인하여 외국인들에게 적지 않은 언어 간섭을 발생시킨다. 또 호칭어의 선택은 언 어 사용자 개개인에게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의 구조

409

제10장 언어 예절에서 한국어 호칭어의 고유한 특성 적 특성도 잘 반영하고 있다.

한국어와 몽골어의 호칭법 특성

몽골은 현재 여러 외래어의 범람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1960년대에 러 시아 문화가 급속하게 유입된 이후로 1990년대에 시장 경제 체제를 도입 했기 때문이다. 호칭 문화가 역사의 흐름 속에서 변화되는 것은 필연적이 지만 몽골어의 호칭법은 올바르고 고상하게 변하지 못하고 전통을 잃을 정도로 저속하게 변하고 있어 우려스럽다. 지금의 몽골어는 사회 제도의 변화를 통해 보전되어야 할 전통적으로 바른 호칭어와 지칭어들이 많이 사라져 제대로 전승되지 못하였다. 그래서 현대적인 호칭어가 올바로 정 립되지 않은 채 어폐가 있거나 어지러운 외래어 및 외국어들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사회와 생활양식, 문화 환경이 바뀜에 따라 언어도 변하기 마련이지만 가족과 사회적 관계가 없어지지 않는 한 언어 예절은 바르게 정립되어야 하고 여러 외국어와 잘 구별해서 쓸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외국어를 공부 하는 학습자들은 모국어의 호칭법을 잘 알아야 외국어의 호칭법도 올바 르게 인식하고 그 언어의 언어 예절에 맞게 잘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는 몽골어에 비해 호칭어를 사용할 때의 상대나 대상, 상황과 경 우에 따라 아주 세분화되어 있지만 몽골어의 호칭법은 크게 세 가지 형 태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몽골어의 호칭법을 결정짓는 요인으로 크게 이름(name), 연령(age), 사회적 지위(social rank)로 나눠 세 가지 형태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이름으로 상대방을 부르는 호칭법으로 두 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첫째는 상대방과 아주 친숙한 관계나 서로를 잘 아는 사이, 또는 연령이 같거나 동기인 경우, 혹은 부부 간에도 이름으로 상대한다. 둘째로 이름

410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뒤에 상대를 높여서 부르는 최상의 존칭 (이름+гуай)이다. 이는 한국어의 (이름+씨)와 비슷한 형태이지만 의미 면에서는 다르다. 한국어 호칭법에 서의 (이름+씨)는 주로 젊은 층에서 높임을 표시하여 쓰이지만 몽골어 호 칭법에서는 주로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쓰인다. 이 존칭은 어린이가 어른 을 상대하여 부를 때도 쓸 수 있고 또 같은 성인끼리라도 10년 이상의 차 이가 날 때 존경의 의미로 쓰인다. 두 번째 형태는 연령의 차이에 따라서 쓰는 호칭인데 어른과 아이 사이 나 같은 성인끼리라도 5년 이상의 차이가 날 때 쓰인다. 성별과 상관없이 상대가 남자이면 –ах-(형, 오빠) 여자이면 –эгч-(누나, 언니)를 이름 뒤에 붙여서 부르거나 그냥 이름 없이 “ах, эгч”로 부르는 호칭법이다. 주로 상 대방과 친숙한 관계인 경우 이름 뒤에 “ах, эгч”를 붙어서 부르지만 덜 친 숙한 관계에서는 그냥 “ах, эгч”로 상대를 부른다. 이것은 상대방을 잘 모 르는 상태에서 대응하는 입장과 상황을 보았을 때 한국어 호칭법으로 가 장 많이 쓰이는 “아저씨와 아주머니”와 형태는 비슷하지만 의미는 다르다. 그리고 “아저씨와 아주머니”가 한국어 호칭법에서는 결혼한 상태를 암시 하여 결혼한 사람에게만 주로 쓰이는 것인데 반해, 몽골어 호칭법의 “ах, эгч”는 결혼한 사람에게도 쓰이고 미혼인 사람에게도 쓰이기 때문에 조 금 다른 의미가 있다. 그렇지만 양 언어에서 제일 많이 쓰인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기도 한다. 이와 같이 연령의 차이를 고려하여 이름 뒤에 “ах, эгч”(형/오빠, 누나/언니)를 붙여서 상대를 부르는 것이 몽골어에는 제 일 보편적이고 또 이름 없이 그냥 “ах, эгч”로 부르는 경우에 한국어 호칭 법의 “아저씨, 아주머니”와 쓰임이 같다. 세 번째 형태인 사회적 지위에 따른 호칭법은 직업이나 직급을 가지고 상대를 부르는 경우를 말한다. 그리고 3인칭이나 2인칭을 말할 때 지위 앞 에 이름을 써서 부르기도 한다. 앞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한국어는 대화중인 상대나 언급하는 대상, 또 발화 상황 등에 따라서 호칭어가 아주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한국

411

제10장 언어 예절에서 한국어 호칭어의 고유한 특성 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에게 다소 복잡하다는 인상을 준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을 가진 한국어의 호칭어는 매우 합리적이며 예의를 존중하는 민족 으로서 또 다른 문화와 긍지를 보여주는 요소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복잡하다고 여겨 호칭을 사용할 때 모국어로 그 호칭을 어떻게 부르는지 떠올려 적용하는 것은 한국어 호칭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그 언어 예절 을 모르는 데서 기인한다.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은 한국어 호칭어의 고유한 특징에 주목하여 야 한다. 다음으로는 한국어 호칭의 특징을 밝히고 이를 사용할 때 유의 할 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어에는 고유어 호칭과 한문식 호 칭이 있다. 그리고 호칭의 종류는 다음의 경우에 따라 각각의 형태가 달 라진다는 것을 인식하고 사용하여야 한다.

첫째, 내가 직접 상대를 부를 때 호칭어의 형태가 달라진다. 둘째, 상 대와 직접 대화하면서 상대를 지칭할 때 호칭어의 형태가 달라 진다. 셋째, 살아 있는 대상인가의 여부에 따라 호칭어의 형태가 달라진다. 넷째, 글로 쓸 때와 말할 때 상이한 형태를 보인다. 다섯째, 상 대의 윗사람에게 대상을 말할 때와 상대의 아랫사람에게 대 상을 말할 때 상이한 형태를 보인다. 여섯째, 다른 사람의 대상을 말할 때 호칭어의 형태가 달라진다. 일곱째, 상대가 나에게 자기를 말할 때 호칭어의 형태가 달라진다. 여덟째, 남이 나의 대상을 나에게 말할 때 호칭어의 형태가 달라진다.

한국어로 호칭어와 지칭어를 쓸 때 유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상대방의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를 충분히 숙지한 후 적절한 호칭 어를 사용해야 한다. 한국인은 처음 만날 때 “처음 뵙겠습니다”라는 인사 말을 나눈 후 상대의 말에 주목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명함

412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을 주고받은 다음에 대화를 시작한다. 이것은 그 사람의 사회적인 지위를 알고 그 위치에 맞는 호칭어를 쓰기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 면 높은 직급에 있는 사람을 대할 때는 이름 다음에 “씨” 혹은 “님”을 붙 여 부르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상대방을 무시하는 행동으로 오해를 받 을 수 있고 또 바로 그 자리에서 한국어 실력이 부족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호칭어나 지칭을 사용함에 있어서 상대에 따라 스스로를 낮 추는 한국의 언어 예절에 맞게 호칭어를 선택적으로 써야 한다. 상대방이 나 상대방과 관계된 사람들을 일컬을 때는 존칭을 쓴다. 반면에 자기의 가족이나 친척을 한국 사람에게 말할 때는 높임말을 쓰는 것이 아니라 겸 칭이나 비칭을 쓰는 것이 예절에 어긋나지 않는다. 세 번째로 한국어의 호칭어에 어원이나 낱말의 의미가 현재 감각에 맞 지 않는 것들이 더러 있다. 이런 경우에는 해당 호칭어나 지칭어를 관용어 법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한국 드라마에서도 많 이 나타나는 호칭어들 가운데 ‘서방님, 내실, 내당, 큰(작은)아씨, 도련님’ 등이 그것이다. 이처럼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호칭어들이 적지 않 으나 이러한 말들은 관용어로 이해하고 거부감을 갖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한국 사람들이 ‘진지 잡수셨습니까?’ 또는 ‘식사 하셨습니까?’ 라고 인사 를 할 때 식사 여부를 묻는 것이 아니라 그저 인사말인 것과 같이 호칭어 나 지칭어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하면 된다. 네 번째로 한국어는 경어법이 발달한 언어이므로 가능한 한 존경의 뜻 으로서 존대 호칭어를 사용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즉, 한국어에서 최 상의 존칭인 ‘님’을 붙여서 호칭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그 사람의 실제 하는 일과 상관없이 회장님, 사장님, 과장님, 사모님, 선생님 등으로 존대하여 호칭어를 쓰는 것이다.

413

제10장 언어 예절에서 한국어 호칭어의 고유한 특성 한국어 호칭의 특징 및 형태

한국어의 호칭법은 훨씬 세분화되어 있어서 외국인들은 복잡하다고 여 기기 쉬운데 예를 들어 몽골어의 ‘авга ах’가 한국어에서는 ‘삼촌, 작은아 버지, 큰아버지, 당숙, 재당숙, 외삼촌, 고모부, 이모부, 아저씨’ 등으로 나 뉘므로 한국어를 학습할 때는 이러한 호칭들을 모두 이해해야 하기 때문 이다. 이렇게 한국어의 친족호칭 체계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복잡하게 세분화되어 있으므로 이를 한국어의 경어법과 관련지어 이해하는 것이 좋다. 한국어의 호칭어는 화자의 성별, 결혼 여부, 청자의 성별, 연령, 심지어 지역 등의 요소에 따라 분화된다. 특히 한국어의 친족 호칭어는 부모에 대 한 호칭·지칭어, 자녀에 대한 호칭·지칭어, 남편에 대한 호칭·지칭어, 아 내에 대한 호칭·지칭어, 동기와 배우자의 호칭·지칭어 등으로 아주 세밀 하게 나누어져 있으며 이것은 또 성별, 연령, 청자의 성년 여부, 또는 결혼 여부 등으로 호칭과 지칭의 쓰임이 다르다. 첫째, 한국어 호칭법에는 기본형 이외에 ‘기본형-님’의 높임형, 그리고 친 근감을 나타내는 친근형이 있다. 높임형의 경우 한자어 친족어에는 존대 접미사 ‘-님’을 직접 붙이지만 고유어 친족어에는 마지막 음절을 생략하고 ‘-님’을 붙여야 한다. 예를 들면, 한자어의 경우 부모-부모님, 고모-고모님 등이 있다. 그리고 고유어의 경우 아버지-아버님, 할아버지-할아버님, 누 나-누님 등이 있다. 둘째, 한국어 호칭법에는 화자의 성별에 따라 같은 대상에게도 다른 형 태의 호칭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남자와 여자가 ‘형, 오빠’, ‘누나, 언니’ 등으로 같은 대상임에도 화자의 성별에 따라 다른 호칭어를 쓴다. 또, 아 버지의 형을 ‘큰아버지’라 하고, 아버지의 동생을 ‘작은아버지’라 부르며 아버지의 누나와 여동생에게는 위아래 차별 없이 ‘고모’라고 부를 수 있 다. 이와 같이 한국어의 경우에는 호칭어를 사용할 때에 화자의 성별뿐만

414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아니라 청자의 성별도 호칭어 선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셋째, 한국어의 호칭법 선택에 있어서 화자와 청자의 나이, 청자의 성년 여부, 또는 결혼 여부 등의 요소가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볼 수 있 다. 한국어에서 청자가 손윗사람인 경우는 일반적으로 친족 호칭어(높임 형)를 사용한다. 이러한 양상은 몽골어에도 나타나기는 하지만 몽골어에 는 ‘-님’과 같은 높임형 존대접미사를 호칭어 뒤에 받는 것이 아니라 손윗 사람일 경우에 따로 존댓말을 쓴다. 또 한국에서는 청자가 손아랫사람인 경우, 청자가 결혼하기 전에는 보통 이름 호칭어를 사용하고, 결혼 후에도 이름 호칭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청자의 자식의 이름에 ‘아빠’ 나 ‘엄마’ 등을 붙여서 부르는 아주 독특한 형상이 나타난다. 넷째, 한국어의 호칭어는 종, 재종, 삼종 그리고 외종, 이종 등 친족에 대 한 호칭어는 직계호칭어와 별 차이가 없는 호칭어를 사용하고 있다. 즉, 직계 호칭어가 비직계 친족에게도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다섯째, 한국어 친족 호칭어 체계에서 ‘매개 친족 호칭어’가 많이 존재하 고, 사용빈도가 높으며 매우 발달한 것이 또 다른 독특한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매개 친족 호칭어는 두 가지 유형으로 사용되고 있다. 첫 번째 유 형은 청자 집안의 큰아이로부터 청자의 친족어를 호칭어로 사용하는 것 이다. 예를 들어, 큰 아이가 ‘세진’이면 ‘세진이 아빠’, ‘세진이 엄마’로 부를 수 있다. 두 번째 유형은 화자가 자신을 매개체의 위치에 놓아 매개체로부 터 청자의 친족어를 호칭어로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화자에게 자식 이 있는 경우, 시동생을 ‘삼촌’으로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이 두 가지 유형 은 친족에게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친족관계가 없는 화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민’이라는 손자를 둔 옆집 노인을 ‘영민이 할 머니’로, 친한 친구의 어머니를 ‘어머니’로 부르는 것이다. 특히 ‘아버님, 어 머님’이라는 호칭은 요즘 한국 사회에서 너무나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 는데, 일반적으로 약 50세가 넘은 사람이면 공공장소나 병원, 가게, 미용 실 등 거의 모든 장소에서 ‘아버님, 어머님’이라고 대우하고 있다. 이 또한

415

제10장 언어 예절에서 한국어 호칭어의 고유한 특성 한국 사회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현상이며, 어른을 자신의 부모와 같 이 보고 똑같이 대우해 드린다는 좋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점 은 웃어른을 존경하고 잘 모시는 한국 전통문화와 관련지어 외국인들에 게 설명해주어야 외국인들이 한국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고 한국 어를 구사할 때 이런 호칭들을 거부감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맺음말

한 나라의 언어 문화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동기 유발의 자료, 문 화적 배경으로의 접근, 언어능력 향상, 학습자의 언어적 자각의 확장 등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즉, 목표 언어의 문화를 통해 언어구조에 대한 학 습자의 인식을 증진시킬 수 있고, 문화적 관점을 통해 모국의 문화와 목 표 문화의 차이에 대한 관용성을 갖게 되며 학습자의 창조력과 상상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외국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데 목표 언어 의 문화 교육이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므로 어떻 게 하면 한국의 문화를 좀 더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 중 요하다. 바로 이러한 취지에서 본고는 언어 예절에 있어서 한국어 호칭어 의 특성을 밝히고 외국인들의 올바른 언어 사용 및 한국의 언어 예절에 대한 인식 제고를 도모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한국어에서 언어 예절을 나타내는 호칭어의 특징 및 중요성을 정리하고 외국인들의 올바른 한국어 사용 및 한국의 언어 예 절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시도는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일상 언어로서 구사할 때 올바른 호칭어를 사용하고, 나아가 한국어에 대한 인식과 한국의 언어 예절에 대한 이해 심화를 위해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즉, 한국어에 대한 더 깊고 확실한 이해를 돕고 언어에 투영된 목표 언어의 사회와 문화적인 요소를 좀 더 체계적으로 이

416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다음으로 필자의 모국어인 몽골어와 한국어의 호칭법 특성을 검토한 후에 실제 응용할 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간략하게 두 언어의 호칭 및 경어 관례의 차이점을 규명해보고 그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잠재적인 상호 문화적 오해나 어려움에 대해서도 고민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호칭의 특징 및 형태를 살펴보고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은 한국어 호칭어의 고유한 특징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외국인들이 그들의 모국어 호칭에는 없는 한국어의 호칭과 지칭을 올 바르게 사용하기 위해 지켜야 할 원칙들과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 였다.

참고문헌

구미래(1994). ‘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 김진호(2002). ‘한국문화 바로 알기’, 국학자료원. 류재봉(1997). ‘호칭과 지칭’, 예영커뮤니케이션. 박영순(2001). ‘한국어의 사회언어학’, 박영순. 박영순(2002). ‘한국문화론’, 한국문화사. 박영순(2002).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서대석(1997). ‘한국의 신화’, 집문당. 이무영(2000). ‘예절 바른 우리말 호칭’, 여강출판사.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한국문화 상징사전 I, II’, 동아출판사. 홍순석과 정연학 외(2001). ‘전통문화와 상징’, 흥익문화인쇄. Ariyasuren.Ch, Nyambuu.H(1990). ‘Mongol yoszanshliinbagatailbartoli’, Ylsi- inhevleliinuildver. Ariyasuren.ChNyambuu. H(1991). ‘Mongol yoszanshliindyndtailbartoli’, Suu-

417

제10장 언어 예절에서 한국어 호칭어의 고유한 특성 lenhuuhuuhdiinhevleliingazar. Christian. K(1976). ‘Developing Second Language Skills, Theory to Practice’, Chicago,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Damen.L(1987). ‘Culture Learning’, the Fifth Dimension in the language. Dorjdagva. T, Sarantuya. N, Dolgorsuren. J(1998), ‘Soyolsudlaliinundes’, Ulaanbaatar. Ellis. R(1985). ‘Understand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김윤경역, “외국어습득론”, 한국문화사 1998). Grabe.W(1991). ‘Current development in second language reading research’, TESOL Quarterly, 25(3). Gregory. E(1995). ‘Making Sense of a New World: Learning to read in a sec- ond language’, Paul Chapman Publishing Ltd. Hamers. J. F. & Blanc. M. H. A(1987) ‘Bilinguality and Bilingualism’, Cam- bridge University Press, (이혜란외공역, “2개언어사용과그이론", 한국문 화사, 1995). Jack C. Richards & Theodore S. Rodgers(2001). ‘Approaches and Methods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전병만외역, 외국어 교육접근방법과교수법, 동양서, 2003). Nunan.D(1994). ‘Research Method in Language Learning’, Cambridge Uni- versity Press. Nyambuu.H, Nazagdorj.Ts(1993). ‘Mongolchyydiintseerlehyosniihyraangui- toli’, Shyvyynsaaraluildver. Olziihutag.Ts(1989). ‘Mongol ardiintsetsenug’, Ylsiinhevleliingazar. Otto Jespersen(1904). ‘How to Teach a Foreign Language’, (한학성역, 오토예 스퍼슨의외국어 교육개혁론, 한국문화사, 2004). Richards & Rodgers(1988). ‘Approaches and Methods in Language Teach- ing’, A description and analysis, (임병빈역, 언어교수방법론, 형설, 1994).

418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Stern. H. H(1984). ‘Funder mental Concepts of language Teaching’,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심영택외공역, “언어교수의기본개념”, 하우, 1995). Tomorbaatar.J(2001). ‘Soyolsudlaliinundes’, Ulaanbaatar.

419

제10장 언어 예절에서 한국어 호칭어의 고유한 특성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by Brendan M. Howe, et al.

Copyright (C) 2014 b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Korea

Research for this volume was supported by the Scholars Group for Public Diplomacy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Korea in the World: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Global Partnerships

세계 속 대한민국의 위상과 상호이해를 통한 글로벌 파트너십 증진

인 쇄 2014년 11월 20일 발 행 2014년 11월 25일 지 은 이 Brendan M. HOWE, Daniel A. PINKSTON, Utai UPRASEN, Kadir AYHAN, Judee Grace NEMENO, Robert J. MITCHELL, Young Hoon KIM, A. M. Jehad SARKAR, Xuemei CUI, Akli HADID, Damdinsuren OTGONTSETSEG 발 행 인 박정원 디 자 인 한태희, 여수정, 이지해 편 집 정민호 펴 낸 곳 도서출판 이환 주 소 서울시 중구 다산로22길 28, 201호 전화 02-2254-4301 팩스 02-2254-4303 홈페이지 www.ewhan.com 전자우편 [email protected] 등 록 2008.07.03. 제301-2008-131호 인 쇄 (주)이환디앤비

ISBN 978-89-97902-16-3 93300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