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 칭 한복의 맵시 종 수 4 발 행 일 2019년 9월 9일 발 행 량 총 672,000장 액면가격 380원 디 자 인 1500년대, 1600~1700년대, 1800년대, 1900년대 우표번호 3416 ~ 3419 인쇄 / 색수 / 특수처리 평판 / 4도 우표크기 30mm × 40mm 인 면 38.5mm × 40mm 천 공 13¼ × 13 전지구성 4 × 4 (165mm × 185mm) 용 지 평판 원지 디자이너 신재용 인 쇄 처 한국우편사업진흥원(Southern Colour Print) Title The Style of the Types 4 Date of Issue September 9, 2019 Quantity Total 672,000 Denomination KRW 380 The 1500s, The 1600s ~ the 1700s, Design The 1800s, The 1900s Stamp No. 3416 ~ 3419 Printing Process / Colors / Special Offset / Four Colors processing Size of Stamp 30mm × 40mm Image Area 38.5mm × 40mm Perforation 13¼ × 13 Sheet Composition 4 × 4 (165mm × 185mm) Paper White unwatermarked Designer Shin Jaeyong Printer Southern Colour Print for POSA - 국문작성 : 한국우편사업진흥원(전보경) - 국문감수 : 한글문화연대 - 영문번역 : 한국번역연구소 - 자료제공 및 내용 감수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다음 발행우표 : 대한민국 공군 창군 70주년, 2019년 9월 20일 ※ Next issue : 70th Anniversary of the R.O.K. Air Force, September 20, 2019 ※ 이 계획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This schedule is subject to change without notice. 한복의 맵시 The Style of the Hanbok

우정사업본부는 세계인이 극찬하는 우리 한복의 우수성을 Post is issuing commemorative postage stamps to promote the exquisite beauty of the hanbok which the 알리고 복식 문화를 가꾸기 위해 기념우표를 발행합니다. world has great admiration for and also to nurture Korea s culture. 한복은 시대에 따라 부분적으로 모양은 변화해 왔지만, While the hanbok has gone through a number of changes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그대로 유지해 온 점에서 세계 유일의 in keeping with the times, it is the only traditional attire in the world that has retained its fundamental structure. 전통의복입니다. 남자는 저고리와 바지에 포(抱)를 덧입고 The men s hanbok is comprised of , baji, po, and 관모(冠帽)를 머리에 썼으며, 여자는 저고리와 치마를 gwanmo for the head. The most basic components of the 입었는데, 이것이 기본형입니다. 그 밖에 신발과 버선, 허리띠 women s hanbok are jeogori and chima while the full attire can be completed with the addition of the beoseon, 등의 부속품을 갖추면 옷차림이 완성됩니다. a tie belt, and shoes. Referring to the traditional clothing artifacts from the 기념우표에는 16세기부터 20세기에 이르는 여성의 전통 16th to 20th centuries, we have created commemorative 복식 유물을 참고하여 한복의 변천사를 담았습니다. 16세기 stamps that feature the transformations of the hanbok over time. As the hanbok signified the wearer s social 한복에는 자신의 신분을 드러내고 과시하려는 경향이 엿보 status in the 16th century, it was designed to impress, 입니다. 체격과 상관없이 누구나 입을 수 있을 만큼 길이가 boasting both a great length and width, regardless of the wearer s physique. Thu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길고 품이 넓었습니다. 그러다 임진왜란 등을 거치며 17세기 the 17th century saw distinctively practical changes to 에는 한복에 눈에 띌 만한 실용적 변화가 생겼습니다. 치마 the design of the hanbok. Jeogori was narrowed and shortened so that it hovered above the waist of the 허리를 맴도는 길이로 저고리가 짧고 좁아져, 적은 양의 chima, which made it possible to produce more clothes 옷감으로도 한복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조선 후기, 영·정조 with a lesser amount of material. In the later period of in the 19th century, through the reign of Yeongjo 전성기를 거치며 19세기 한복은 더욱 다양한 맵시를 선보 and Jeongjo, the design of the hanbok became more 였습니다. 상체는 꼭 끼고 하체는 부풀려 항아리 모양을 diversified while the basic structure consisted of a close- 기본으로 삼았고, 양반층 여성이 외출할 때 입었던 장옷은 fitting jeogori and a wide bottom with the shape of a bell. A jang-ot, an outerwear worn by upper class women, 얼굴을 가리기 위해 머리에 쓰는 것으로 쓰임이 넓어졌 acquired another use as the women began to wear it as 습니다. 20세기에는 지난날의 다양했던 저고리의 종류나 a veil to cover their faces. On the other hand, in the 20th century, the types of jeogori were simplified, and 명칭 등이 더욱 간소해졌습니다. 특히 1900년도 초에는 the length of jeogori was shortened, indicating the wide <제국신문> 논설에 (여성의) 저고리를 길게 하여 살이 popularity of such style in the early 1900s. This period featured the shortest jeogori in the history of the hanbok. 보이지 않도록 하며 라는 대목이 있을 정도로 복식 역사에서 In fact, it was shortened to such an extent that there 가장 짧은 형태의 저고리가 유행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appeared an article in the Jeguk Sinmun that said, (womens) Jeogori should be lengthened so as not to reveal any flesh.” 이처럼 한복은 우리 민족 고유의 의상으로 당대의 생활 As Korea s traditional attire, the hanbok has gone through a series of transformations that reflect the prevalent 문화와 시대 상황, 미적 감각 등에 따라 형태와 구조를 다양 living culture and circumstances as well as aesthetics 하게 변화하며 그 아름다움과 가치를 지켜왔습니다. 이번 of the time while still maintaining its graceful beauty and unique value. We hope that the issuance of these 기념우표로 많은 국민이 한복의 의미와 중요성을 되새기는 commemorative stamp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appreciate the importance and meaning of the hanb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