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원추리속(Hemerocallis)의 분류학적 연구
Total Page:16
File Type:pdf, Size:1020Kb
Korean J. Pl. Taxon. ISSN 1225-8318 42(4): 294-306 (2012) Korean Journal of http://dx.doi.org/10.11110/kjpt.2012.42.4.294 Plant Taxonomy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Yong Hwang and Muyeol Kim*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61-756, Korea (Received 29 May 2012; Revised 29 June 2012; Accepted 22 August 2012) 한국산 원추리속(Hemerocallis)의 분류학적 연구 황용·김무열*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ABSTRACT: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was conducted based on morpho- logical data. H. middendorffii was distinguished from its related taxon H. dumortieri by the trait of coriaceous long bract with green color. H. taeanensis was distinguished from its related taxon H. minor by its odorless flowers, longer perianth tube and leaf length. H. thunbergii was distinguished from its related taxon H. lilio- asphodelus by its long perianth tube. Lastly, H. hakuunensis was distinct from its related taxon H. hongdoensis as a result of its extreme branching of scape and short leaf width. From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H. minor, H. lilioasphodelus, and H. dumortieri were distributed only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Keywords: Hemerocallis, H. hongdoensis, H. taeanensis 적요: 한국산 원추리속(Hemerocallis) 9종 1품종에 대해 외부형태형질을 기초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새로운 종 검색표를 작성하고 종의 한계를 재검토하였다. 큰원추리는 녹색 혁질의 긴 포를 가지고 있어 연녹 색 막질의 작은 포를 가진 각시원추리와 구별되었다. 태안원추리는 애기원추리와 유사하나 향기가 없고 화 피통부와 잎의 길이가 길어 구별되었다. 노랑원추리는 골잎원추리와 유사하나 화피통부가 길어 뚜렷이 구별 된다. 백운산원추리는 홍도원추리와 유사하나 화경이 깊게 분지하고 잎의 폭이 좁아 구별되었다. 이번 연구 를 통해 애기원추리, 각시원추리, 골잎원추리는 한국 북부지방에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주요어: 원추리속, 홍도원추리, 태안원추리 원추리속(Hemerocallis L.)은 APG II 분류 체계에서 비짜 산 원추리를 대상으로 6절(sect. Aurantiacae, Citrinae, 루목(Asparagales)의 원추리과(Hemerocallidaceae)에 속하 Capitatae, Fulvae, Flavae, Anthelatae)로 구분하여 분류체 며 이 과에서 가장 큰 속은 디아넬라속(Dianella), 원추리 계의 기틀을 확립하였고, Matsuoka and Hotta(1966)는 속(Hemerocallis), 카에시아속(Caesia) 등이다(APG, 1998; Nakai의 연구를 토대로 3개의 절(sect. Capitate, Fulvae, APG , 2003; APG , 2009). 그 중 원추리속은 세계적으로 약 Hemerocallis)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Hu(1986) 20-30종이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Noguchi, 1986; Chung 는 Nakai와 마찬가지로 Monograph 연구를 수행하여 23종 and Kang, 1994a). 한국에는 특산종인 백운산원추리(H. 을 보고하고 3절로 구분한 바 있다. 국내산에 대한 연구로 hakuunensis), 태안원추리(H. taeanensis)를 포함하여 약 10 는 Palibin(1901)이 H. fulva, H. graminea 및 H. minor 등 3종 분류군이 분포한다(Lee, 1980; Jang, 2010). 을 보고 하였고, Nakai(1911)는 H. flava, H. minor, H. 원추리속에 대한 연구는 Nakai(1932)가 일본산과 한국 dumortieri, H. middendorffii 등 4종을 기재하였다. Park (1949)은 골잎원추리(H. coreana), 들원추리(H. disticha), 가 *Author for correspondence: [email protected] 지원추리(H. dumortieri), 겹원추리(H. middendorffii), 참칼 원추리 저역원추리 등 종을 보고 http://www.pltaxa.or.kr (H. minor), (H. thunbergii) 6 Copyright © 2012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하였다. Chung(1957)은 큰원추리(H. middendorffii), 각시원 294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295 추리(H. dumortieri), 왕원추리(H. fulva), 골잎원추리(H. coreana), 애기원추리(H. minor), 원추리(H. aurantiaca) 등 6 종을 보고하였고, Lee(1980)는 각시원추리(H. dumortieri), 원추리(H. fulva), 왕원추리(H. fulva var. kwanso), 골잎원추 리(H. lilioasphodelus), 홍도원추리(H. littorea), 큰원추리 (H. middendorffii), 애기원추리(H. minor), 노랑원추리(H. thunbergii) 등 8종, Lee(1996)는 4종 4변종을 언급하였다. 최근 Chung and Kang(1994b)에 의해 홍도원추리(H. hongdoensis)와 Kang and Chung(1997a)에 의해 태안원추리 (H. taeanensis) 2종이 한국 특산종으로 발표된 바 있다. 이와 같이 학자들 간 종 및 종 하위분류군의 처리가 상 이한 이유는 속내 종을 분류할 수 있는 형질이 적고 기준 이 부정확하며, 분포지에 따른 종간, 종내 형태적 변이가 다양하기 때문이다(Matsuoka and Hotta, 1966; Kitamura et al., 1986; Chung and Kang, 1994a). 또한 원추리속의 분류 군을 구분 짓는 형질 중 화형, 화색, 향기의 유무 등이 건조 표본에서는 구별이 어려워 동정하는데 문제가 있다 (Matsuoka and Hotta, 1966). 특히 건조표본 제작 시 원추리 속 분류군들의 꽃들은 개화 후 24시간이 경과하면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망가지거나, 식물체 건조과정 중 갈변이 쉽게 진행되어 원형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잘 못 동정된 경우가 있는데도 과거 선행연구자들의 의견을 검증 없이 그대로 받아들여 현재까지도 국내 자생종의 실 체에 대한 정리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Fig. 1. Collection map of genus Hemerocallis in Korea. ■ H. 따라서 종의 한계에 있어 논쟁이 있어온 한국산 원추리 lilioasphodelus; □ H. dumortieri; ● H. fulva var. kwanso; ○ H. 속 종 품종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조사하여 새로 9 1 hakuunensis; ▲ H. hongdoensis; △ H. middendorffii; ◆ H. 운 종 검색표를 작성하고, 종의 한계를 분명히 하고자 본 teanensis; ◇ H. thunbergii; ◎ H. minor. Table 1. Collection data of the genus Hemerocallis in Korea. Taxa Collection site and date Voucher H. minor Mill. (애기원추리) HB: Riv. Duman (Aug. 14, 2011) MKH 0050 (JNU) H. thunbergii Baker (노랑원추리) JB: Gochang (Aug. 12, 2011) MKH 0016 (JNU) JN: Is. Dal (Aug. 19, 2011) MKH 0020 (JNU) H. lilioasphodelus Nakai (골잎원추리) HB: Riv. Duman (Aug. 10, 2010) MKH 0045 (JNU) H. middendorffii Trautv. & C.A. Mey. (큰원추리) JB: Mt. Dukyu (Jun. 25, 2010) MKH 0039 (JNU) GN: Mt. Jiri (Jul. 9, 2011) MKH 0038 (JNU) H. dumortieri Morren (각시원추리) HB: Mt. Baekdu (Aug. 12, 2011) MKH 0051 (JNU) H. teanensis S.S. Kang & M.G. Chung (태안원추리) CN: Is. Anmyeon (Jul. 7, 2011) MKH 0032 (JNU) H. hongdoensis M.G. Chung & S.S. Kang (홍도원추리) JN: Is. Heuksan (Jun. 21, 2010) MKH 0001 (JNU) JN: Is. Hong (Aug. 27, 2010) MKH 0002 (JNU) H.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GN: Mt. Jiri (Jul. 18, 2010) MKH 0008 (JNU) GB: Mangyang (Jul. 15, 2010) MKH 0007 (JNU) JN: Is. Jin (Jul. 15, 2011) MKH 0011 (JNU) GN: Mt. Gaya (Jul. 16, 2010) MKH 0005 (JNU) Hemerocallis fulva (L.) L. (왕원추리) JB: Jeonju (Jul. 15, 2010) MKH 0051 (JNU) H. fulva for. kwanso (Regel) Kitam. (겹왕원추리) JB: Jeonju (Jul. 15, 2010) MKH 0049 (JNU) Abbreviation CN: Chungcheongnam-do, GN: Gyeongsangnam-do, HB: Hamkyeongbuk-do, JB: Jeollabuk-do, JN: Jeollanam-do.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 42 No. 4 (2012) 296 Yong Hwang and Muyeol Kim 연구를 시도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재료: 본 연구에 사용된 재료는 2009년 3월부터 2011 년 9월까지 채집하였고 국립수목원 표본관(KH)과 전북대 학교 생명과학과 식물표본관(JNU)의 표본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기간 중 채집된 개체는 건조표본으로 제작하여 전 북대학교 생명과학과 식물표본관(JNU)에 확증표본으로 보관하였다. 일부 개체는 생육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묘포 장에 이식 재배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분류군 및 채집 지 정보는 Fig. 1과 Table 1에 있다. 관찰 및 측정에 사용된 표본은 Appendix에 기재하였다. 2. 방법: 외부 형태학적 형질은 직접 채집한 재료와 국 립수목원 표본관(KH)의 표본을 사용하여 관찰 및 측정하 였다. 분류학적 주요형질은 해부현미경(Nicon SMZ-10)으 로 관찰하였고, Carl Zeiss AxioCam을 이용하여 촬영하였 다. 잎의 길이와 폭, 화경의 형태와 길이, 포의 길이와 폭, 화피의 색, 화통의 길이와 폭, 외화피 길이와 폭, 내화피 길 Fig. 2. Measurement of morphological characters of Hemerocallis. A. Overall shape; B. Leaf; C. Bract; D. Flower; E, Stamen; F. Pistil; 이와 폭, 화사의 길이, 약의 길이와 폭 등을 관찰하여 정성 G. Outer tepal; H. Inner tepal; I. Seed (1-length of leaf; 2-width of 적 형질과 정량적 형질을 취했다 색의 구분은 생체재료 . leaf; 3-length of scape; 4-diameter of scape; 5-length of bract; 6- 를 대상으로 색도계(RHS colour chart)를 이용하였다. 직접 width of bract; 7-number of flower; 8-length of outer tepal; 9-width 관찰한 분류군에 대한 총 32개의 정성적, 정량적 형질을 of outer tepal; 10-length of inner tepal; 11-width of inner tepal; 12- 관찰하여 Table 2에 정리하였고, 정량적 형질 21개의 측정 length of perianth tube; 13-diameter of perianth tube; 14-length of anther; 15-width of anther; 16-length of filament; 17-length of 기준은 모식도로 제시하였다(Fig. 2). pistil; 18-length of ovary; 19-width of ovary; 20-length of seed; 21- width of seed). 결과 및 고찰 1. 형태학적 연구 분류군에서 관찰되었다. 현지에서 채집했을 때와 연구용 1) 뿌리(Root) 포지로 이식 후 방추형 뿌리의 비후 정도를 관찰했을 때 방추형 뿌리의 유무가 원추리속 식물들을 동정하는 인 비후 정도가 낮아졌다. 이는 생육지 환경이나 영양상태에 식형질로 사용되어 왔다(Ahn et al., 1999; Lee, 2006; Chung, 의해 달라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라 색상도 흰색 2007). 확인결과 기존 문헌과는 달리 방추형 뿌리가 모든 에서 짙은 갈색까지 다양했다. Table 2.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s of the genus Hemerocallis in Korea. Root Leaf Scape Taxa root shape rhizome length (cm) width (cm) scape type length (cm) diameter (mm) H. minor fusiform × 30.0 (31.0±1.0) 35 1.0 (1.1±0.1) 1.2 drooped 29.0 (30.0±6.3) 50 2.0 (2.2±0.4) 3.3 H. thunbergii fusiform × 62.0 (83.4±13.5) 98 1.0 (1.7±0.5) 2.2 drooped 100.0 (120.7±16.0) 143.0 4.0 (5.2±1.0) 6.4 H. lilioasphodelus fusiform × 38.0 (89.4±24.1) 111.0 1.2 (1.5±0.2) 2.0 drooped 51.0 (108.5±33.0) 142.0 3.8 (4.5±0.8) 6.1 H. middendorffii fusiform × 45.0 (65.0±11.0) 76 1.3 (1.7±0.4) 2.7 drooped 38.0 (56.0±14.) 80.0 2.4 (3.2±0.8) 4.7 H. dumortieri fusiform × 56.0 (59.0±2.6) 62.0 2.2 (2.5±0.2) 2.7 drooped 56.0 (61.0±6.2) 70.0 4.0 (4.5±0.6) 5.0 H. teanensis fusiform × 22.7 (39.2±7.2) 49.0 0.6 (0.9±0.2) 1.2 drooped 32.0 (45.4±8.4) 61.0 2.0 (2.3±0.5) 3.5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