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Pl. Taxon. ISSN 1225-8318 42(4): 294-306 (2012) Korean Journal of http://dx.doi.org/10.11110/kjpt.2012.42.4.294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Yong Hwang and Muyeol Kim*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61-756, Korea (Received 29 May 2012; Revised 29 June 2012; Accepted 22 August 2012)

한국산 원추리속(Hemerocallis)의 분류학적 연구

황용·김무열*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ABSTRACT: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was conducted based on morpho- logical data. H. middendorffii was distinguished from its related taxon H. dumortieri by the trait of coriaceous long bract with green color. H. taeanensis was distinguished from its related taxon H. minor by its odorless flowers, longer perianth tube and leaf length. H. thunbergii was distinguished from its related taxon H. lilio- asphodelus by its long perianth tube. Lastly, H. hakuunensis was distinct from its related taxon H. hongdoensis as a result of its extreme branching of scape and short leaf width. From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H. minor, H. lilioasphodelus, and H. dumortieri were distributed only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Keywords: Hemerocallis, H. hongdoensis, H. taeanensis

적요: 한국산 원추리속(Hemerocallis) 9종 1품종에 대해 외부형태형질을 기초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새로운 종 검색표를 작성하고 종의 한계를 재검토하였다. 큰원추리는 녹색 혁질의 긴 포를 가지고 있어 연녹 색 막질의 작은 포를 가진 각시원추리와 구별되었다. 태안원추리는 애기원추리와 유사하나 향기가 없고 화 피통부와 잎의 길이가 길어 구별되었다. 노랑원추리는 골잎원추리와 유사하나 화피통부가 길어 뚜렷이 구별 된다. 백운산원추리는 홍도원추리와 유사하나 화경이 깊게 분지하고 잎의 폭이 좁아 구별되었다. 이번 연구 를 통해 애기원추리, 각시원추리, 골잎원추리는 한국 북부지방에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주요어: 원추리속, 홍도원추리, 태안원추리

원추리속(Hemerocallis L.)은 APG II 분류 체계에서 비짜 산 원추리를 대상으로 6절(sect. Aurantiacae, Citrinae, 루목()의 원추리과(Hemerocallidaceae)에 속하 Capitatae, Fulvae, Flavae, Anthelatae)로 구분하여 분류체 며 이 과에서 가장 큰 속은 디아넬라속(Dianella), 원추리 계의 기틀을 확립하였고, Matsuoka and Hotta(1966)는 속(Hemerocallis), 카에시아속(Caesia) 등이다(APG, 1998; Nakai의 연구를 토대로 3개의 절(sect. Capitate, Fulvae, APG , 2003; APG , 2009). 그 중 원추리속은 세계적으로 약 Hemerocallis)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Hu(1986) 20-30종이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Noguchi, 1986; Chung 는 Nakai와 마찬가지로 Monograph 연구를 수행하여 23종 and Kang, 1994a). 한국에는 특산종인 백운산원추리(H. 을 보고하고 3절로 구분한 바 있다. 국내산에 대한 연구로 hakuunensis), 태안원추리(H. taeanensis)를 포함하여 약 10 는 Palibin(1901)이 H. fulva, H. graminea 및 H. minor 등 3종 분류군이 분포한다(Lee, 1980; Jang, 2010). 을 보고 하였고, Nakai(1911)는 H. flava, H. minor, H. 원추리속에 대한 연구는 Nakai(1932)가 일본산과 한국 dumortieri, H. middendorffii 등 4종을 기재하였다. Park (1949)은 골잎원추리(H. coreana), 들원추리(H. disticha), 가 *Author for correspondence: [email protected] 지원추리(H. dumortieri), 겹원추리(H. middendorffii), 참칼 원추리 저역원추리 등 종을 보고 http://www.pltaxa.or.kr (H. minor), (H. thunbergii) 6 Copyright © 2012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하였다. Chung(1957)은 큰원추리(H. middendorffii), 각시원

294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295

추리(H. dumortieri), 왕원추리(H. fulva), 골잎원추리(H. coreana), 애기원추리(H. minor), 원추리(H. aurantiaca) 등 6 종을 보고하였고, Lee(1980)는 각시원추리(H. dumortieri), 원추리(H. fulva), 왕원추리(H. fulva var. kwanso), 골잎원추 리(H. lilioasphodelus), 홍도원추리(H. littorea), 큰원추리 (H. middendorffii), 애기원추리(H. minor), 노랑원추리(H. thunbergii) 등 8종, Lee(1996)는 4종 4변종을 언급하였다. 최근 Chung and Kang(1994b)에 의해 홍도원추리(H. hongdoensis)와 Kang and Chung(1997a)에 의해 태안원추리 (H. taeanensis) 2종이 한국 특산종으로 발표된 바 있다. 이와 같이 학자들 간 종 및 종 하위분류군의 처리가 상 이한 이유는 속내 종을 분류할 수 있는 형질이 적고 기준 이 부정확하며, 분포지에 따른 종간, 종내 형태적 변이가 다양하기 때문이다(Matsuoka and Hotta, 1966; Kitamura et al., 1986; Chung and Kang, 1994a). 또한 원추리속의 분류 군을 구분 짓는 형질 중 화형, 화색, 향기의 유무 등이 건조 표본에서는 구별이 어려워 동정하는데 문제가 있다 (Matsuoka and Hotta, 1966). 특히 건조표본 제작 시 원추리 속 분류군들의 꽃들은 개화 후 24시간이 경과하면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망가지거나, 식물체 건조과정 중 갈변이 쉽게 진행되어 원형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잘 못 동정된 경우가 있는데도 과거 선행연구자들의 의견을 검증 없이 그대로 받아들여 현재까지도 국내 자생종의 실 체에 대한 정리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Fig. 1. Collection map of genus Hemerocallis in Korea. ■ H. 따라서 종의 한계에 있어 논쟁이 있어온 한국산 원추리 lilioasphodelus; □ H. dumortieri; ● H. fulva var. kwanso; ○ H. 속 종 품종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조사하여 새로 9 1 hakuunensis; ▲ H. hongdoensis; △ H. middendorffii; ◆ H. 운 종 검색표를 작성하고, 종의 한계를 분명히 하고자 본 teanensis; ◇ H. thunbergii; ◎ H. minor.

Table 1. Collection data of the genus Hemerocallis in Korea. Taxa Collection site and date Voucher H. minor Mill. (애기원추리) HB: Riv. Duman (Aug. 14, 2011) MKH 0050 (JNU) H. thunbergii Baker (노랑원추리) JB: Gochang (Aug. 12, 2011) MKH 0016 (JNU) JN: Is. Dal (Aug. 19, 2011) MKH 0020 (JNU) H. lilioasphodelus Nakai (골잎원추리) HB: Riv. Duman (Aug. 10, 2010) MKH 0045 (JNU) H. middendorffii Trautv. & C.A. Mey. (큰원추리) JB: Mt. Dukyu (Jun. 25, 2010) MKH 0039 (JNU) GN: Mt. Jiri (Jul. 9, 2011) MKH 0038 (JNU) H. dumortieri Morren (각시원추리) HB: Mt. Baekdu (Aug. 12, 2011) MKH 0051 (JNU) H. teanensis S.S. Kang & M.G. Chung (태안원추리) CN: Is. Anmyeon (Jul. 7, 2011) MKH 0032 (JNU) H. hongdoensis M.G. Chung & S.S. Kang (홍도원추리) JN: Is. Heuksan (Jun. 21, 2010) MKH 0001 (JNU) JN: Is. Hong (Aug. 27, 2010) MKH 0002 (JNU) H.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GN: Mt. Jiri (Jul. 18, 2010) MKH 0008 (JNU) GB: Mangyang (Jul. 15, 2010) MKH 0007 (JNU) JN: Is. Jin (Jul. 15, 2011) MKH 0011 (JNU) GN: Mt. Gaya (Jul. 16, 2010) MKH 0005 (JNU) Hemerocallis fulva (L.) L. (왕원추리) JB: Jeonju (Jul. 15, 2010) MKH 0051 (JNU) H. fulva for. kwanso (Regel) Kitam. (겹왕원추리) JB: Jeonju (Jul. 15, 2010) MKH 0049 (JNU) Abbreviation CN: Chungcheongnam-do, GN: Gyeongsangnam-do, HB: Hamkyeongbuk-do, JB: Jeollabuk-do, JN: Jeollanam-do.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 42 No. 4 (2012) 296 Yong Hwang and Muyeol Kim

연구를 시도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재료: 본 연구에 사용된 재료는 2009년 3월부터 2011 년 9월까지 채집하였고 국립수목원 표본관(KH)과 전북대 학교 생명과학과 식물표본관(JNU)의 표본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기간 중 채집된 개체는 건조표본으로 제작하여 전 북대학교 생명과학과 식물표본관(JNU)에 확증표본으로 보관하였다. 일부 개체는 생육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묘포 장에 이식 재배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분류군 및 채집 지 정보는 Fig. 1과 Table 1에 있다. 관찰 및 측정에 사용된 표본은 Appendix에 기재하였다.

2. 방법: 외부 형태학적 형질은 직접 채집한 재료와 국 립수목원 표본관(KH)의 표본을 사용하여 관찰 및 측정하 였다. 분류학적 주요형질은 해부현미경(Nicon SMZ-10)으 로 관찰하였고, Carl Zeiss AxioCam을 이용하여 촬영하였 다. 잎의 길이와 폭, 화경의 형태와 길이, 포의 길이와 폭, 화피의 색, 화통의 길이와 폭, 외화피 길이와 폭, 내화피 길 Fig. 2. Measurement of morphological characters of Hemerocallis. 이와 폭, 화사의 길이, 약의 길이와 폭 등을 관찰하여 정성 A. Overall shape; B. Leaf; C. Bract; D. Flower; E, Stamen; F. Pistil; G. Outer tepal; H. Inner tepal; I. (1-length of leaf; 2-width of 적 형질과 정량적 형질을 취했다 색의 구분은 생체재료 . leaf; 3-length of scape; 4-diameter of scape; 5-length of bract; 6- 를 대상으로 색도계(RHS colour chart)를 이용하였다. 직접 width of bract; 7-number of flower; 8-length of outer tepal; 9-width 관찰한 분류군에 대한 총 32개의 정성적, 정량적 형질을 of outer tepal; 10-length of inner tepal; 11-width of inner tepal; 12- 관찰하여 Table 2에 정리하였고, 정량적 형질 21개의 측정 length of perianth tube; 13-diameter of perianth tube; 14-length of anther; 15-width of anther; 16-length of filament; 17-length of 기준은 모식도로 제시하였다(Fig. 2). pistil; 18-length of ovary; 19-width of ovary; 20-length of seed; 21- width of seed). 결과 및 고찰

1. 형태학적 연구 분류군에서 관찰되었다. 현지에서 채집했을 때와 연구용 1) 뿌리(Root) 포지로 이식 후 방추형 뿌리의 비후 정도를 관찰했을 때 방추형 뿌리의 유무가 원추리속 식물들을 동정하는 인 비후 정도가 낮아졌다. 이는 생육지 환경이나 영양상태에 식형질로 사용되어 왔다(Ahn et al., 1999; Lee, 2006; Chung, 의해 달라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라 색상도 흰색 2007). 확인결과 기존 문헌과는 달리 방추형 뿌리가 모든 에서 짙은 갈색까지 다양했다.

Table 2.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s of the genus Hemerocallis in Korea. Root Leaf Scape Taxa root shape rhizome length (cm) width (cm) scape type length (cm) diameter (mm) H. minor fusiform × 30.0 (31.0±1.0) 35 1.0 (1.1±0.1) 1.2 drooped 29.0 (30.0±6.3) 50 2.0 (2.2±0.4) 3.3 H. thunbergii fusiform × 62.0 (83.4±13.5) 98 1.0 (1.7±0.5) 2.2 drooped 100.0 (120.7±16.0) 143.0 4.0 (5.2±1.0) 6.4 H. lilioasphodelus fusiform × 38.0 (89.4±24.1) 111.0 1.2 (1.5±0.2) 2.0 drooped 51.0 (108.5±33.0) 142.0 3.8 (4.5±0.8) 6.1 H. middendorffii fusiform × 45.0 (65.0±11.0) 76 1.3 (1.7±0.4) 2.7 drooped 38.0 (56.0±14.) 80.0 2.4 (3.2±0.8) 4.7 H. dumortieri fusiform × 56.0 (59.0±2.6) 62.0 2.2 (2.5±0.2) 2.7 drooped 56.0 (61.0±6.2) 70.0 4.0 (4.5±0.6) 5.0 H. teanensis fusiform × 22.7 (39.2±7.2) 49.0 0.6 (0.9±0.2) 1.2 drooped 32.0 (45.4±8.4) 61.0 2.0 (2.3±0.5) 3.5 H. hongdoensis fusiform × 47.0 (66.6±20.4) 94.5 2.0 (2.9±0.9) 4.0 drooped 55.5 (69.4±10.1) 79.0 5.0 (6.2±0.7) 6.7 H. hakuunensis fusiform × 51.0 (79.4±18.3) 106.0 1.5 (1.8±0.2) 2.0 drooped 55.0 (82.9±19.5) 101.0 2.7 (4.2±0.8) 5.1 H. fulva fusiform ○ 52.0 (63.1±6.1) 74 1.4 (1.8±0.4) 2.7 erect 90.0 (100.0±5.6) 110.0 5.9 (6.3±0.4) 8.0 H. fulva for. kwanso fusiform ○ 55.0 (63.1±6.1) 74 1.4 (1.8±0.5) 2.7 erect 92.0 (100.4±5.8) 109.0 5.8 (6.3±0.4) 7.0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 42 No. 4 (2012)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297

Table 2. Continued. Bract Flower Taxa inflorescence flowering flowering number of position bract shape length (cm) width (cm) type season time Flower H. minor disperse lanceolate 1.2 (1.3±0.1) 1.4 0.8 (0.9±0.1) 1.0 branched type May-Jun. nighttime 2 (3±1) 5 H. thunbergii disperse lanceolate 0.5 (4.2±2.7) 8.5 0.3 (1.0±0.4) 1.5 branched type Jul.-Agu. nighttime 8 (13±4) 21 H. lilioasphodelus disperse lanceolate 0.8 (1.7±0.7) 2.5 0.4 (0.6±0.2) 0.8 branched Jul.-Agu. nighttime 8 (13±3) 16 H. middendorffii concentrate ovate 5.1 (5.8±0.4) 6.2 2.4 (2.7±0.3) 3.4 unbranched type Jun.-Jul. daytime 3 (4±1) 6 H. dumortieri concentrate ovate 2.4 (2.5±0.3) 2.8 0.2 (4.0±0.4) 0.8 unbranched type Jun.-Jul. daytime 4 (5±) 7 H. teanensis disperse lanceolate 0.4 (1.1±0.6)1.8 0.2 (0.3±0.1) 0.4 branched type May-Jun. daytime 1 (3±1) 5 H. hongdoensis disperse lanceolate 1.7 (2.8±1.6) 5.2 0.9 (1.1±0.2) 1.3 branched type Jul.-Agu. daytime 7 (9±1) 10 H. hakuunensis disperse lanceolate 0.4 (3.5±3.1) 10.0 0.6 (0.6±0.1) 0.8 branched type Jul.-Agu. daytime 3 (8±3) 14 H. fulva disperse lanceolate 1.0 (1.5±0.42) 2.4 0.5 (0.8±0.3) 1.3 branched type Jul.-Agu. daytime 10 (13±3) 18 H. fulva for. kwanso disperse lanceolate 1.0 (1.6±0.42) 2.2 0.5 (0.7±0.2) 1.2 branched type Jul.-Agu. daytime 10 (14±3) 18

Table 2. Continued. Flower Taxa outer tepal inner tepal color scent fertility length (cm) width (cm) length (cm) width (cm) H. minor yellow type fragrant fertile 4.5 (5.0±0.6) 5.5 1.4 (1.6±0.2) 1.7 5.4 (5.6±0.2) 5.8 1.6 (2.0±0.3) 2.2 H. thunbergii yellow type fragrant fertile 5.7 (7.7±1.1) 8.5 1.0 (1.2±0.2) 1.5 5.6 (7.5±0.9) 8.3 1.3 (1.7±0.3) 2.2 H. lilioasphodelus yellow type fragrant fertile 5.0 (6.0±1.2) 7.4 1.0 (1.2±0.1) 1.3 5.1 (6.6±1.1) 7.5 2.0 (2.2±0.2) 2.5 H. middendorffii yellow-orange type odorless fertile 7.8 (8.1±0.2) 8.3 1.2 (1.4±0.1) 1.5 8.0 (8.2±0.1) 8.4 1.3 (1.4±0.1) 1.5 H. dumortieri yellow-orange type odorless fertile 7.6 (8.5±0.6) 9.0 2.0 (2.3±0.2) 2.6 7.3 (8.4±0.8) 9.2 2.6 (3.2±0.5) 3.7 H. teanensis yellow-orange type odorless fertile 4.8 (6.0±0.7) 7.1 0.7 (1.0±0.2) 1.3 5.4 (6.2±0.5) 6.8 1.0 (1.5±0.4) 2.1 H. hongdoensis yellow-orange type odorless fertile 8.2 (9.1±1.5) 11.3 1.5 (1.7±0.14) 1.8 8.6 (9.4±1.2) 11.2 2.6 (2.9±0.2) 3.0 H. hakuunensis yellow-orange type odorless fertile 7.2 (8.1±0.8) 9.5 1.3 (1.5±0.1) 1.6 7.0 (8.1±0.8) 9.5 1.5 (2.3±0.5) 2.8 H. fulva orange type odorless sterile 7.0 (8.4±0.2) 9 .0 1.6 (1.8±0.3) 2.2 7.9 (8.3±0.2) 8.9 3.0 (3.1±0.1) 3.4 H. fulva for. kwanso orange type odorless sterile 8.0 (8.4±0.3) 9 .0 1.6 (1.9±0.3) 2.2 8.0 (8.3±0.2) 8.7 3.0 (3.1±0.1) 3.3

2) 지하경(Rhizome) 두 선형으로 관찰되었다. 화경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지하경의 유무는 표본상태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인식 구분하였다. 형질이다. 또한 무성생식과 유성생식을 구분하는 형질 a. 장엽형(long leaf type): 화경보다 잎이 긴 형태이다. 애 이다. 무근경형과 근경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채집시 다수 기원추리와 큰원추리에서 관찰되었다. 의 개체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b. 단엽형(short leaf type): 화경보다 잎이 짧은 형태이다. a. 무근경형(unrhizome type): 지하경이 없다. 애기원추리, 노랑원추리, 골잎원추리, 각시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 큰원추리, 각시원추리, 골잎원추리, 노랑원추리, 홍도원 원추리, 백운산원추리, 왕원추리 및 겹왕원추리에서 관찰 추리, 백운산원추리 및 태안원추리에서 관찰되었다(Fig. 되었다. 3A-a). b. 근경형(rhizome type): 지하경이 있다. 왕원추리와 겹 4) 화서(Inflorescence) 왕원추리에서 관찰되었다(Fig. 3A-b). 화서는 총상화서이고, 무분지형과 분지형으로 구분 된다. 3) 잎(Leaf) a. 무분지형(unbranched type): 화경이 분지되지 않는 형 잎은 근생엽만 존재하며, 1열로 과상으로 배열하고 모 이다(Fig. 3B-a). 소화경이 밀집해있는 형태로, 꽃은 3-5개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 42 No. 4 (2012) 298 Yong Hwang and Muyeol Kim

a. 밀집형(concentrate type): 포가 화경 끝에 구형으로 모여 있다. 큰원추리와 각시원추리에서 관찰되었다(Fig. 3D-a). b. 분산형(disperse type): 포가 화경에 흩어져 있다. 애기 원추리, 노랑원추리, 골잎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원추 리, 백운산원추리, 왕원추리 및 겹왕원추리에서 관찰되었 다(Fig. 3D-b).

7) 포 형태(Bract form) 포의 형태는 난형과 피침형으로 구분하였다. a. 난형(ovate): 포의 길이와 폭의 비율이 1.5:1인 난형이 다. 큰원추리와 각시원추리에서 관찰되었다(Fig. 3E-a). b. 피침형(lanceolate): 포의 길이와 폭의 비율이 3:1 이상 인 피침형이다. 피침형은 화서의 기부로 갈수록 길이가 짧 아져 난형으로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애기원추리, 노랑원 추리, 골잎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원추리, 백운산원 추리, 왕원추리 및 겹왕원추리에서 관찰되었다(Fig. 3E-b).

8) 꽃(Flower) Fig. 3. Key characters of the Hemerocallis. A. Rhizome type: A-a 개화기(flowering season) 및 개화시간(flowering time): unrhizome, A-b rhizome; B. Inflorescence type: B-a unbranched, B-b branched; C. Scape type: C-a erect, C-b drooped; D. Bract 개화기는 5월에서 8월까지 3개월에 걸쳐 대부분이 개화 position: D-a concentrate, D-b disperse; E. Bract form: E-a ovate, 한다. 5-6월에 애기원추리, 태안원추리, 큰원추리가 가장 E-b lanceolate; F. Tepal type: F-a obovate, F-b oblong, F-c 빨리 개화한다. 7-8월에 각시원추리, 노랑원추리, 홍도원 elliptical; G. Flower colors: G-a yellow-3-A, G-b yellow-7-A, G-c 추리, 백운산원추리, 왕원추리가 개화 한다. 개화시간에 yellow-orange-23-A, G-d yellow-orange-24-A, G-e orange-N25-A. 따라 주간개화형과 야간개화형으로 구분하였다. a. 주간개화형(daytime flowering type): 오전 9시를 기준 가 달리며 해당된 종은 큰원추리와 각시원추리이다. 으로 개화를 시작하는 형이다. 큰원추리, 각시원추리, 백 b. 분지형(branched type): 화경이 분지하는 형으로 화경 운산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원추리, 왕원추리 및 겹왕 끝에서 3회 이상 차상분지한다(Fig. 3B-b). 꽃은 8-14개가 원추리에서 관찰되었다. 달린다. 분지형은 다시 얕게 분지하는(2-4 cm) 것과 깊게 b. 야간개화형(nighttime flowering type): 오후 5시 기준으 분지하는(5 cm 이상) 것으로 구분하였다. 화경이 얕게 분 로 개화를 시작하는 형이다. 애기원추리, 노랑원추리 및 지하는 종은 애기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원추리이고, 골잎원추리에서 관찰되었다. 깊게 분지하는 종은 백운산원추리, 노랑원추리, 골잎원 추리, 왕원추리 및 겹왕원추리이다. 꽃색(flower colors): 꽃색은 주로 노랑색과 주황색 사이 의 명도, 채도에 따라 다양한 색변이를 RHS Color Chart를 5) 화경(Scape) 이용하여 구분했으며. 연한 황색형과 오렌지빛 황색형, 화경과 꽃의 방향을 기준으로 직립형과 처진형으로 구 주황색형으로 구분되었다(Fig. 3G). 분하였다. a. 연한 황색형(yellow type): 레몬색(Yellow-3-A)이나 연 a. 직립형(erect type): 화경이 지면과 수직으로 신장하고 한 노랑색(Yellow-7-A)을 띤다. 애기원추리, 노랑원추리 꽃의 방향은 상향이다. 왕원추리와 겹왕원추리에서 관찰 및 골잎원추리에서 관찰되었다. 되었다(Fig. 3C-a). b. 오렌지빛 황색형(yellow-orange type): 오렌지빛 황색 b. 처진형(drooped type): 화경이 기울어져 신장하고 꽃 (Yellow-orange-23-A)이나 연한 주황색(Yellow-orange-24- 의 방향은 측향이다. 애기원추리, 노랑원추리, 골잎원 A)을 띤다. 큰원추리, 각시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원추 추리, 큰원추리, 각시원추리, 태안원추리, 백운산원추리 리 및 백운산원추리에서 관찰되었다. 및 홍도원추리에서 관찰되었다(Fig. 3C-b). c. 주황색형(orange type): 주황색(Orange-N25-A)을 띤다. 왕원추리와 겹왕원추리에서 관찰되었다. 6) 포의 위치(Bract position) 포의 위치에 따라 포가 화경 끝에 구형으로 모여 있는 향기(scent): 향기의 경우 원추리의 분류형질 중 난해한 것과 화경 전체에 흩어져 있는 것으로 구분되었다. 부분이지만 확실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향기가 있는 형과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 42 No. 4 (2012)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299

없는 형으로 구분하였다. 한국산 원추리속(Hemerocallis)의 검색표 a. 향기형(fragrant type): 개화 후 향기를 맡았을 때 향기 가 있다. 애기원추리, 노랑원추리 및 골잎원추리에서 확 1. 꽃은 연한 황색. 야간형 개화. 향기가 있다. 인할 수 있었다. 2. 화경은 2-4 cm로 얕게 분지. 5-6월 개화. 꽃은 2-4개. b. 무취형(odorless type): 개화 후 향기를 맡았을 때 향기 약은 5 mm··································· 애기원추리 H. minor 가 없다. 태안원추리, 홍도원추리, 백운산원추리, 큰원추 2. 화경은 5cm 이상 깊게 분지. 7-8월 개화. 꽃은 10-21개. 리, 각시원추리, 왕원추리 및 겹왕원추리에서 확인할 수 약은 6-10 mm. 있었다. 3. 화피통부의 길이는 3-5 cm. 화사는 4-5 cm. ············································· 노랑원추리 H. thunbergii 임성(fertility): 임성이 있어 종자를 결실하는 분류군과 3. 화피통부의 길이는 2.6-3.0 cm. 화사는 3-4 cm. 불임으로 종자를 결실하지 않는 분류군으로 구분하였다. ····································· 골잎원추리 H. lilioasphodelus a. 임성형(fertile type): 종자를 결실하는 형이다. 애기원 1. 꽃은 오렌지빛 황색. 주간형 개화. 향기가 없다. 추리, 노랑원추리, 골잎원추리, 각시원추리, 큰원추리, 태 4. 화경은 무분지형. 포는 난형이고 화경 끝에 구형으로 안원추리, 홍도원추리 및 백운산원추리에서 관찰되었다. 모여 있다. b. 불임성형(sterile type): 종자를 결실하지 않는 형이다. 5. 포는 녹색 혁질. 내화피 열편 폭은 1.3-1.5 cm. 잎의 왕원추리와 겹왕원추리에서 관찰되었다. 폭은 1.3-2.1 cm.················ 큰원추리 H. middendorffii 5. 포는 연녹색 막질. 내화피 열편 폭은 2.7-3.7 cm. 화피(tepal): 3장의 외화피 열편과 3장의 내화피 열편으 잎의 폭은 2.3-2.7 cm ······· 각시원추리 H. dumortieri 로 구성되며 보통 개화시작 후 1-2일 내로 시들어 버린다. 4. 화경은 분지형. 포는 피침형이고 화경에 흩어져 외화피 열편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은 애기원추리로 5±0.6 있다. cm로 관찰되었으며, 가장 긴 것은 9.1±1.5 cm로 홍도원추 6. 꽃은 임성(2배체). 꽃은 옆을 향해 핌. 화경이 리였다. 외화피 열편의 폭이 가장 좁은 것은 태안원추리 처짐. 지하경이 없다. 로 1±0.2 cm, 가장 넓은 것은 각시원추리로 2.3±0.2 cm로 7. 화경은 2-4 cm로 얕게 분지. 관찰되었다. 내화피 열편도 외화피 열편처럼 비슷한 경향 8. 잎의 폭이 0.7-1.1 cm. 잎의 길이 32.0-46.0 cm. 을 보였다. 외·내화피 열편의 형태는 도난형, 장타원형, 화경 직경 2.0-3.0 mm. 타원형으로 구분되었다. ········································· 태안원추리 H. teanensis a. 도난형(obovate): 길이와 너비의 비가 약 3:1 정도이고, 8. 잎의 폭이 1.4-3.0 cm. 잎의 길이 55.0-93.0 cm. 중앙보다 윗부분이 다소 넓어진 도난형에 가까운 형이다. 화경 직경 4.7-5.0 mm. 태안원추리, 백운산원추리 및 노랑원추리에서 관찰되었 ··································· 홍도원추리 H. hongdoensis 다(Fig. 3F-a). 7. 화경은 5cm 이상 깊게 분지. 잎의 폭이 1.8- b. 장타원형(oblong): 길이와 너비의 비가 약 4:1 이상 2.0 cm······················ 백운산원추리 H. hakuunensis 이고, 기부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이다. 6. 꽃은 불임성(3배체). 꽃은 하늘을 향해 핌. 화경이 큰원추리에서 관찰되었다(Fig. 3F-b). 곧음. 지하경이 있다. c. 타원형(elliptical): 길이와 너비의 비가 약 2:1 정도이고, 9. 꽃이 홑꽃이다 ··························· 왕원추리 H. fulva 중앙부분이 다소 넓어진 형이다. 골잎원추리, 애기원추리, 9. 꽃이 겹꽃이다 홍도원추리, 각시원추리, 왕원추리 및 겹왕원추리에서 관 ····························· 겹왕원추리 H. fulva for. kwanso 찰되었다Fig. 3F-c). 1) Hemerocallis minor Mill., Gard. Dict., ed. 8. no. 2. (1768) 2. 분류학적 기재 Fig. 4A H. graminea Andrews, Bot. Repos. 4: t. 244 (1804) 원추리속 Hemerocallis L., Sp. Pl. 324, 1753 H. flava var. minor (Miller) M. Hotta, Acta Phytotax. 원추리속은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뿌리는 방추형이며 Geobot. 22: 40 (1966) 근경이 있거나 없다. 잎은 근생엽이 총생하고 평평한 선 국명: 애기원추리(Chung, 1937) 형이다. 화경은 직립하거나 옆으로 기울어진다. 꽃은 화 경 끝에 1-21개가 달린다. 화관은 깔대기 모양으로 화피통 잎은 선형이고 길이는 30.0-35.0 cm, 폭은 1.0-1.2 cm이며 부가 길다. 수술은 6개이며 화관통부에 붙는다. 암술은 자 선단부는 예두이다. 개화기는 5-6월이다. 화서는 총상 방상위이며, 자방은 3실이다. 열매는 세모진 삭과이다. 염 화서이며 꽃은 2-5개가 달린다. 소화경은 5.0 cm 미만으로 색체 수는 x =11이다. 짧고, 1-2회 얕게 분지한다. 화경은 길이가 29.0-50.0 cm이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 42 No. 4 (2012) 300 Yong Hwang and Muyeol Kim

Fig. 4. A. H. minor Mill.: A-a flower, A-b inflorescence, A-c bract; B. H. thunbergii Baker: B-a flower, B-b inflorescence, B-c bract; C. H. lilioasphodelus Nakai: C-a flower, C-b inflorescence, C-c bract; D. H. middendorffii Trautv. & C.A. Mey.: D-a flower, D-b inflorescence, D-c bract.

며 폭은 2.0-3.3 mm이다. 화경의 포는 난형 또는 피침형이 생태: 두만강과 만주지방의 주변 저지대, 숲의 가장자 며 화경에 포가 분산되어 있다. 꽃에 향기가 있으며 야간 리나 초지에 주로 분포한다. 개화형이다. 화피통부의 길이는 1.2-1.5 cm이다. 외화피 분류학적 검토: 애기원추리는 꽃색이 연한 황색이고 야 열편의 길이는 4.5-5.5 cm, 폭은 1.4-1.7 cm이며, 내화피 열 간개화형이다. 화경은 얕게 분지하며, 꽃에 향기가 있다. 편의 길이는 5.4 -5.8 cm, 폭은 1.6-2.2 cm이다. 화피는 연한 다른 분류군에 비해 잎과 화경의 길이가 짧은 특징을 가 황색을 띤다. 화사는 선형, 길이는 3.2-3.8 cm이며 연한 노 지고 있다. 태안원추리에 비해 전체적으로 작으며 특히 랑색을 띤다. 약은 장타원형, 길이는 4.8-7 mm이며 갈색 잎과 화피통부의 길이가 짧은 특징이 있다. 이다. 암술의 길이는 7.8-8.0 cm 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3릉 형 타원체이다. 종자는 능형이며 광택이 있고 검은색을 2) Hemerocallis thunbergii Baker, Gard. Chron. 2: 94 띤다. (1890) Fig. 4 B 분포: 한국(북부), 만주 H. coreana Nakai, Bot. Mag. Tokyo 46: 123 (1932)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 42 No. 4 (2012)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301

H. vespertina H. Hara, J. Jap. Bot. 17: 127 (1941) 분류학적 검토: 골잎원추리는 연한 황색으로 야간개화 H. citrina var. vespertina (H. Hara) M. Hotta, Acta Phytotax. 형이다. 화경은 깊게 분지하고, 꽃에 향기가 있다. 노랑원 Geobot. 22: 41 (1966) 추리에 비해 화피통부와 화사가 짧은 특징이 있다. 국명: 노랑원추리(Lee, 1976) 4) Hemerocallis middendorffii Trautv. and C.A. Mey., Fi. 잎은 선형이고 길이는 62.0-98.0 cm, 폭은 1.0-2.2 cm 이 Ochot. Phaenog. 94 (1856) Fig. 4D 며 선단부는 예두이다. 개화기는 7-8월이다. 화서는 총상 H. dumortieri var. middendorffii (Trautv. and C.A. Mey.) 화서이며 꽃은 8-21 개 이다. 소화경은 5.0 cm 이상으로 Kitamura, Act. Phytotax. Geobot, 22: 70 (1966) 길고, 3회 이상 깊게 분지한다. 화경은 길이가 100.0- 국명: 큰원추리(Chung, 1937) 143.0 cm 이며 폭은 4.0-6.4 cm 이다. 화경의 포는 난형 또 는 피침형이며 화경에 포가 분산되어 있다. 꽃에 향기가 잎은 선형이고 길이는 45.0-76.0 cm, 폭은 1.3-2.7 cm 이 있으며 야간개화형이다. 화피통부의 길이는 2.4-4.5 cm 며 선단부는 예두이다. 개화기는 6-7월이다. 화서는 총상 이다. 외화피 열편의 길이는 5.7-8.5 cm, 폭은 1.0-1.5 cm 화서이며 꽃은 3-6개 이다. 소화경은 5.0 cm 미만으로 짧고, 이며, 내화피 열편의 길이는 5.6-8.3 cm, 폭은 1.3-2.2 cm 무분지형이다. 화경은 길이가 38.0-80.0 cm이며 폭은 2.4- 이다. 화피는 연한 황색을 띤다. 화사는 선형, 길이는 3.1- 4.7 cm이다. 화경의 포는 난형이며 화경에 포가 밀집되어 6.4 cm이며 화피색과 같은 색을 띤다. 약은 장타원형, 길이 있다. 포가 녹색 혁질이다. 꽃에 향기가 없으며 주간개화 는 4.2-7.4 mm이며 갈색이다. 암술의 길이는 6.0-12.0 cm 형이다. 화피통부의 길이는 1.4-1.8 cm이다. 외화피 열편 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3릉형 타원체이다. 종자는 능형이 의 길이는 7.8-8.3 cm, 폭은 1.2-1.5 cm이며, 내화피 열편의 며 광택이 있고 검은색을 띤다. 길이는 8.0-8.4 cm, 폭은 1.3-1.5 cm이다. 화피는 오렌지 빛 분포: 한국(서남부), 일본 황색을 띤다. 화사는 선형, 길이는 4.7-6.0 cm이며 화피색 생태: 서남해안 해안가 저지대에 분포한다. 과 같은 색을 띤다. 약은 장타원형, 길이는 7.0-10.0 cm이며 분류학적 검토: 노랑원추리는 연한 황색으로 야간개화 갈색이다. 암술의 길이는 7.0-8.1 cm이다. 열매는 삭과이 형이다. 화경은 깊게 분지하고, 꽃에 향기가 있다. 화피통 며 3릉형 타원체이다. 종자는 능형이며 광택이 있고 검은 부의 길이가 3.0-5.0 cm로 다른 분류군에 비해 길다. 골잎 색을 띤다. 원추리에 비해 화피통부와 화사가 긴 특징이 있다. 분포: 한국(중북부), 만주, 일본 생태: 산지의 고지대의 숲의 가장자리나 초지에 주로 분 3) Hemerocallis lilioasphodelus L., Sp. Pl. 1: 324 (1753) 포한다. Fig. 4C 분류학적 검토: 큰원추리는 주간개화형이며, 화경은 무 H. flava (L.) L., Sp. Pl. ed. 2: 462 (1762) 분지형이고, 꽃에 향기가 없다. 포는 각시원추리에 비해 국명: 골잎원추리(Chung et al., 1937) 길이와 폭이 크고, 녹색 혁질이다.

잎은 선형이고 길이는 38.0-111 cm, 폭은 1.2-2.0 cm이며 5) Hemerocallis dumortieri Morren, Hort. Belge. 2: 195 t. 선단부는 예두이다. 개화기는 7-8월이다. 화서는 총상화 43 (1835) Fig. 5A 서이며 꽃은 8-16개 이다. 소화경은 5.0 cm 이상으로 길고, 국명: 각시원추리(Chung et al., 1937) 3회 이상 깊게 분지한다. 화경은 길이가 51.0-142.0 cm이며 폭은 3.8-6.1 cm이다. 화경의 포는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잎은 선형이고 길이는 56.0-62.0 cm, 폭은 2.2-2.7 cm이며 화경에 포가 분산되어 있다. 꽃에 향기가 있으며 야간개 선단부는 예두이다. 개화기는 6-7월이다. 화서는 총상화 화형이다. 화피통부의 길이는 2.4-3.5 cm이다. 외화피 열 서이며 꽃은 4-7개이다. 소화경은 5.0 cm 미만으로 짧고, 편의 길이는 5.0-7.4 cm, 폭은 1.0-1.3 cm이며, 내화피 열편 무분지형이다. 화경은 길이가 56.0-70.0 cm이며 폭은 45.0 의 길이는 5.1-7.5 cm, 폭은 2.0-2.5 cm이다. 화피는 연한 황 cm 이다. 화경의 포는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화경에 포가 색을 띤다. 화사는 선형, 길이는 3.1-3.5 cm이며 화피색과 밀집되어 있다. 포가 연녹색 막질이다. 꽃에 향기가 없으 같은 색을 띤다. 약은 장타원형, 길이는 8.0-10 mm이며 갈 며 주간개화형이다. 화피통부의 길이는 1.4-1.7 cm이다. 색이다. 암술의 길이는 6.4-10.0 cm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외화피 열편의 길이는 7.6-9.0 cm, 폭은 2.0-2.6 cm이며, 내 3릉형 타원체이다. 종자는 능형이며 광택이 있고 검은색 화피 열편의 길이는 7.3-9.2 cm, 폭은 2.6-3.7 cm이다. 화피 을 띤다. 는 오렌지 빛 황색을 띤다. 화사는 선형, 길이는 5.5-6.2 cm 분포: 한국(북부), 만주 이며 화피색과 같은 색을 띤다. 약은 장타원형, 길이는 8- 생태: 두만강과 만주지방 저지대 숲의 가장자리나 초지 9 mm 이며 갈색이다. 암술의 길이는 6.7-7.6 cm이다. 열매 에 주로 분포한다. 는 삭과이며 3릉형 타원체이다. 종자는 능형이며 광택이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 42 No. 4 (2012) 302 Yong Hwang and Muyeol Kim

Fig. 5. A. H. dumortieri Morren: A-a flower, A-b inflorescence, A-c bract; B. H. teanensis S.S. Kang & M.G. Chung: B-a flower, B-b inflorescence, B-c bract; C. H. hongdoensis M.G. Chung & S.S. Kang: C-a flower, C-b inflorescence, C-c bract; D. H. hakuunensis Nakai: D-a flower, D-b inflorescence, D-c bract.

있고 검은색을 띤다. 잎은 선형이고 길이는 22.7-49.0 cm, 폭은 0.6-1.2 cm이며 분포: 한국(북부), 만주, 일본 선단부는 예두이다. 개화기는 5-6월이다. 화서는 총상화 생태: 산지의 고지대의 숲의 가장자리나 초지에 주로 분 서이며 꽃은 1-5개이다. 소화경은 5.0 cm 미만으로 짧고, 포한다. 1-2회 얕게 분지한다. 화경은 길이가 32.0-61.0 cm이며 폭 분류학적 검토: 각시원추리는 주간개화형이며, 화경은 은 2.0-3.5 cm이다. 화경의 포는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화 무분지형이고, 꽃에 향기가 없다. 포는 큰원추리에 비해 경에 포가 분산되어 있다. 꽃에 향기가 없으며 주간개화 길이와 폭이 짧고, 연녹색 막질이다. 형이다. 화피통부의 길이는 1.8-2.8 cm이다. 외화피 열편 의 길이는 4.8-7.1 cm, 폭은 0.7-1.3 cm이며, 내화피 열편의 6) Hemerocallis taeanensis S.S. Kang and M.G. Chung, 길이는 5.4-6.8 cm, 폭은 1.0-2.1 cm이다. 화피는 오렌지 빛 Syst. Bot. 22(3): 428 (1997) Fig. 5B 황색을 띤다. 화사는 선형, 길이는 3.5-4.7 cm이며 화피색 국명: 태안원추리(Kang and Chung, 1997) 과 같은 색을 띤다. 약은 장타원형, 길이는 4.5-7.0 mm이며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 42 No. 4 (2012)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303

갈색이다. 암술의 길이는 5.8-7.8 cm이다. 열매는 삭과이 선단부는 예두이다. 개화기는 7-8월이다. 화서는 총상화 며 3릉형 타원체이다. 종자는 능형이며 광택이 있고 검은 서이며 꽃은 3-14개이다. 소화경은 5.0 cm 이상으로 길고, 색을 띤다. 3회 이상 깊게 분지한다. 화경은 길이가 55.0-101.0 cm이며 분포: 한국(태안반도), 한국특산식물 폭은 2.7-5.1 cm이다. 화경의 포는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생태: 안면도 해안주변의 저지대, 숲의 가장자리나 초 화경에 포가 분산되어 있다. 꽃에 향기가 없으며 주간개 지에 주로 분포한다. 화형이다. 화피통부의 길이는 2.0-3.0 cm이다. 외화피 열 분류학적 검토: 태안원추리는 주간개화형이며, 화경은 편의 길이는 7.2-9.5 cm, 폭은 1.3-1.6 cm이며, 내화피 열편 얕게 분지하고, 꽃에 향기가 없다. 애기원추리에 비해 전 의 길이는 7.0-9.5 cm, 폭은 1.5-2.8 cm이다. 화피는 오렌지 체적으로 크며 특히 잎과 화피통부의 길이가 긴 특징이 빛 황색을 띤다. 화사는 선형, 길이는 4.1-6.5 cm이며 화피 있다. 색과 같은 색을 띤다. 약은 장타원형, 길이는 5.0-9.0 mm이 며 갈색이다. 암술의 길이는 7.6-12.0 cm이다. 열매는 삭과 7) Hemerocallis hongdoensis M.G. Chung and S.S. Kang, 이며 3릉형 타원체이다. 종자는 능형이며 광택이 있고 검 Novon 4(2): 94 (1994) Fig. 5C 은색을 띤다. 국명: 홍도원추리(Kang and Chung, 1994) 분포: 한국(중남부), 한국특산식물 생태: 저지대 숲의 가장자리나 초지에 주로 분포한다. 잎은 선형이고 길이는 47.0-94.5 cm, 폭은 2-4 cm이며 선 분류학적 검토: 백운산원추리는 한반도에서 가장 분포 단부는 예두이다. 개화기는 7-8월이다. 화서는 총상화서 지가 넓은 일반종으로 우리가 원추리라고 흔히 일컫는 종 이며 꽃은 7-10개 이다. 소화경은 5.0 cm 이상으로 길고, 1- 이다. 백운산원추리는 원추리라는 이름으로 민속학적으 2회 얕게 분지한다. 화경은 길이가 55.5-79 cm이며 폭은 5- 로 오랫동안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백운산원 6.7 cm이다. 화경의 포는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화경에 포 추리는 주간개화형이며, 화경은 깊게 분지하고, 향기가 가 분산되어 있다. 꽃에 향기가 없으며 주간개화형이다. 없다. 홍도원추리에 비해 화경이 깊게 분지하며, 잎과 내 화피통부의 길이는 3.0-3.7 cm이다. 외화피 열편의 길이는 화피의 폭이 좁다. 8.2-11.3 cm, 폭은 1.5-1.8 cm이며, 내화피 열편의 길이는 8.6-11.2 cm, 폭은 2.6-3.0 cm이다. 화피는 오렌지 빛 황색을 Hemerocallis fulva (L.) L., Sp. Pl. ed. 2: 462 (1762) 띤다. 화사는 선형, 길이는 5.2-6.0 cm이며 화피색과 같은 H. liloasphodelus var. fulva L., l. c. ed. 1: 324 (1753) 색을 띤다. 약은 장타원형, 길이는 7.0-10.0 mm이며 갈색 H. maculata Baroni, Nouv. Giorn. Bot. Ital. 2: 306 (1897) 이다. 암술의 길이는 11.6-12.7 cm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3 H. aurantiaca Nakai, Bull. Nat. Sci. Mus. Tokyo 31: 146 릉형 타원체이다. 종자는 능형이며 광택이 있고 검은색을 (1952) 띤다. 국명: 왕원추리(Chung, 1957), 원추리(Lee, 1980) 분포: 한국(전남-홍도, 흑산도, 가거도), 한국특산식물 생태: 해안주변의 저지대에서 고지대까지, 숲의 가장자 잎은 선형이고 길이는 55.0-74.0 cm, 폭은 1.4-2.7 cm이며 리나 초지에 주로 분포한다. 선단부는 예두이다. 개화기는 7-8월이다. 화서는 총상화 분류학적 검토: 홍도원추리는 주간개화형이며, 화경은 서이며 꽃은 10-18개이다. 소화경은 5.0 cm 이상으로 길고, 얕게 분지하고, 꽃에 향기가 없다. 다른 분류군에 비해 내 3회 이상 깊게 분지한다. 화경은 길이가 92.0-109.0 cm이며 화피 열편과 암술의 길이, 잎의 폭이 길다. 백운산원추리 폭은 5.8-7.0 cm이다. 화경의 포는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에 비해 잎과 내화피의 폭이 넓고 화경이 얕게 분지한다. 화경에 포가 분산되어 있다. 꽃에 향기가 없으며 주간개 홍도원추리는 H. littorea로 취급하기도 했으나(Lee, 1980), 화형이다. 화피통부의 길이는 2.0-3.2 cm이다. 외화피 열 H. littorea는 형태적으로 왕원추리(H. fulva)와 형태가 유사 편의 길이는 8.0-9.0 cm, 폭은 1.6-2.2 cm이며, 내화피 열편 하며 화피열편의 형태가 날카로운 피침형인 특징이 있다 의 길이는 8.0-8.7 cm, 폭은 3.0-3.3 cm이다. 화피는 주황색 (Ohwi, 1984). 또한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 H. littorea와 을 띤다. 화사는 선형, 길이는 6.6-7.7 cm이며 화피색과 같 차이가 있어, 별개의 한국특산종임을 지지해 주었다 은 색을 띤다. 약은 장타원형, 길이는 6.7-9.0 mm이며 갈색 (Hwang et al., unpublishing data). 이다. 암술의 길이는 9.4-11.5 cm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3 릉형 타원체이다. 종자는 능형이며 광택이 있고 검은색을 8)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J. Jap. Bot. 19: 315 띤다. (1943) Fig. 5D 분포: 재배식물(외래식물), 중국 H. micrantha Nakai, J. Jap. Bot. 19: 315 (1943) 분류학적 검토: Lee(1980)가 H. fulva를 원추리라고 하 국명: 백운산원추리(Chung and Chung, 1995), 원추리 기전에 Chung(1957)이 먼저 왕원추리라고 했기에 이를 잎은 선형이고 길이는 51-106 cm, 폭은 1.5-2.0 cm이며 따랐다. 왕원추리(H. fulva)는 겹왕원추리(H. fulva for.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 42 No. 4 (2012) 304 Yong Hwang and Muyeol Kim

kwanso)와 꽃잎이 홑꽃이나 겹꽃이냐의 차이이외는 다른 리는 노랑원추리(H. thunbergii)에 가깝다고 하였다. 이번 차이점이 없다. 왕원추리는 겹꽃인 겹왕원추리와 함께 원 연구를 통해 한반도 북부지방에서 애기원추리의 실체를 예용으로 조경에 많이 사용된다. 주간개화형이며, 화경은 확인하였으며, 태안원추리처럼 잎과 화경의 길이가 짧은 깊게 분지하고, 꽃에 향기가 없다. 화경은 직립형이고 꽃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나, 태안원추리에 비해 전체적으로 은 하늘을 향해 핀다. 꽃은 불임성이며 주황색 홑꽃이다. 작고, 특히 잎과 화피통부의 길이가 짧은 특징이 있었다. 노랑원추리의 학명은 H. coreana와 H. vespertina가 H. Hemerocallis fulva for. kwanso (Regel) Kitamura, Act. thunbergii과 동일종이므로 H. thunbergii가 정명이라는 견 Phytotax. Geobot. 22: 69 (1966) 해를 따랐다(Chung et al., 1994). Chung et al.(1994)은 노랑 Hemerocallis fulva var. kwanso Regel, Gartenfl. 15: 66, t.500 원추리가 한반도 중부 특히 남서부에 많이 분포한다고 언 (1866) 급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노랑 Hemerocallis disticha var. kwanso (Regel) Nakai, Bot. Mag. 원추리는 화서가 깊게 분지하고 연한 노랑색으로 개화 (Tokyo) 38: 179 (1924) 하며, 꽃에 향기가 있어 골잎원추리와 유사하나, 화피통 국명: 겹왕원추리(국명신칭), 왕원추리(Lee, 1980) 부의 길이가 3-5cm로 길어 뚜렷이 구별되었다. 분포: 재배식물(외래식물), 중국 골잎원추리(H. lilioasphodelus)의 학명을 일부 학자들 분류학적 검토: 겹왕원추리(H. fulva for. kwanso)는 왕원 (Chung, 1957; Lee, 1996; Lee, 2006)은 H. coreana를 사용 추리의 수술이 화피화되어 겹꽃인 점이 다르고 나머지 외 하고, Lee(1980)는 H. lilioasphodelus를 사용하였으나, 부 형태학적 특징에서 왕원추리와 큰 차이가 없다. 또한 H. coreana는 노랑원추리(H. thunbergii)와 동일종이므로 왕원추리와 겹왕원추리 모두 홑꽃 개체와 겹꽃 개체가 존 (Chung et al., 1994), 골잎원추리는 H. coreana가 아닌 H. 재하므로 겹꽃인 겹왕원추리의 분류학적 위치가 매우 불 lilioasphodelus로 판단된다. Lee(1996)는 골잎원추리가 애 분명하여 품종수준의 학명을 따랐다. 기원추리에 비해 화경이 분지하고 잎보다 길다고 하였고, Lee(2006)는 식물체 전체가 애기원추리에 비해 작다고 기 3. 분류학적 논의 재하였다. 이처럼 학자들 마다 골잎원추리의 인식형질에 그동안 원추리속을 분류하는 인식형질 중 지하경의 유 대한 견해가 서로 다르며, Chung(2007)의 경우 골잎원추 무, 방추형 뿌리의 유무, 개화시간, 향기의 유무 등에 대한 리를 한국산 원추리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형질들을 본 연구에서 논의하였다. 지하경의 유무가 인식 통해 골잎원추리의 실체를 한반도 북부지역에서 확인하 형질로 제시되었으나(Ahn et al., 1999; Chung, 2007), 표본 였으며, 야간에 연한 노랑색으로 개화하며 꽃에 향기가 상태에서는 확인하기 어렵지만 생체를 채집할 때 넓은 면 있고, 화경이 심하게 분지하여 노랑원추리와 유사하나, 적에서 다수의 개체를 조사한 결과 인식형질로 가치 있는 화피통부와 화사가 짧은 특징이 있었다. 형질임을 알 수 있었다. 방추형 뿌리의 경우 Ahn et al. 각시원추리(H. dumortieri)의 경우 연변의 남쪽에서 (1999)의 연구에서 제시된 형태와 차이가 있으며 명확한 Kitagawa와 Noda에 의해서 보고되었으나 중국 Jilin에서 구분이 어려웠다. 자생지에서 채집한 개체와 그 중 일부 실체를 확인하지 못했으며 H. esculenta와 H. middendorffii 개체를 연구용 포지에 재배하여 확인한 결과 생육환경과 와 관계가 있다고 언급하였다(Chen and Noguchi, 2000). 반 영양상태에 따라 방추형 뿌리의 비후정도가 달랐으며, 이 면 Chung(1957)은 왕원추리에 비해 식물체 전체가 소형 는 환경변화에 따른 생태형으로 판단된다. 개화시간과 향 이며, 화경은 잎에서 초출하지 않는다고 기재하였으며, 기에 대한 인식형질은 학자 간에 차이가 있으나(Lee, Lee(1996)는 큰원추리에 비해 화경은 잎과 길이가 거의 같 1980; Lee, 1996; Lee, 2006; Chung, 2007), 애기원추리, 노랑 고 꽃은 길이 5-7 cm로 내화피 열편의 폭이 1-2 cm로 좁다 원추리, 골잎원추리가 야간개화형이며 향기가 나는 형임 고 하였고, Lee(2006)는 왕원추리에 비해 전체가 소형이고, 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경은 잎보다 길게 나온다고 하였다. 이처럼 각시원추리 애기원추리(H. minor)는 그동안 종의 실체와 분포가 부 의 실체에 대해 학자들 간의 견해가 달랐다. 한반도 북부 정확하였다. Kim(1985)은 애기원추리가 제주도산 자생원 의 백두산지역에서 실체를 확인한 결과 큰원추리(H. 추리라고 했다. 또한 Nakai(1932)는 T. Ishidoya가 1912년 8 middendorffii)와 형태적으로 유사하나 포의 길이와 폭이 월 15일 제주 한라산에서(해발 약 1,500m) 채집한 표본을 짧고, 포가 연녹색 막질인 점에서 뚜렷이 구별되었다. 애기원추리라고 보았다(Chung et al., 1994). Matsuoka and 홍도원추리(H. hongdoensis)는 일본에 분포하는 H. littorea Hotta (1966)는 이 표본을 H. hakuunensis의 왜소형(dwarf) 로 간주하거나(Lee, 1980), H. fulva var. littorea로 보아(Lee, 이라고 보았으며, Chung et al. (1994)은 늦은 오후부터 다 2006), 종의 동정과 분포에 있어 학자들간에 견해차가 음날 아침에 개화하고 향기가 많이 난다는(Matsuoka and 있다. H. littorea는 홍도원추리와 달리 왕원추리(H. fulva)와 Hotta, 1966) 점과 만주, 한반도 북부지방, 동부 시베리아에 형태가 유사하며 화피열편의 형태가 날카로운 피침형인 분포한다는(Kitamura et al., 1986) 특징들을 봐서 애기원추 특징이 있다(Ohwi, 1984). 따라서 홍도원추리는 H. litt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 42 No. 4 (2012)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305

와 별개의 종으로 구분되며 홍도, 흑산도, 가거도에 한정 jisa. Seoul. Pp. 962-964. (in Korean) 적으로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임을 지지해주었다. Hara, H. 1941. Observations and plant Asia orientalis (). Journal of 왕원추리(H. fulva)와 겹왕원추리(H. fulva for. kwanso)는 Japanese Botany 17: 127. 외부형태 측정치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수술의 화피화 Hu, S. Y. 1986. The species of the . American Horticulture 유무에 의한 홑꽃과 겹꽃의 차이로 두 분류군을 구분하고 Magazine 47: 86-113. 있다. Jang, U. S. 2010. A taxonomy of the genus Hemerocallis (Lili-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한반도에 자생하는 원추리 aceae) in Korea.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 속 식물은 8종으로 재정리하였다. Cheongju, Korea. Pp. 1-52. (in Korean) Kang, S. S. and M. G. Chung. 1997a. Hemerocallis taeanensis 인용문헌 (Lili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Systematic Botany 22: 427-431. Ahn, Y. H., S. H. Kim, C. Lee, and S. Lee. 1999. Palynotaxo- Kang, S. S. and M. G. Chung. 1997b. Genetic variation and pop- nomic study of the genus Hemerocallis L. in Korea. Korean ulation structure in Korean endemic species: . Hemerocallis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40(4): 505- hakuunensis (Liliaceae). Journal of Plant Research 110: 209- 510. (in Korean) 217. Angiosperm Phylogeny Group (APG II). 2003. An update of the Kim, M. H. 1985. Flora of Cheju Islands. Cheju Provincial Offic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Pp. 50-55. (in Korean) families of flowering : APG II. Botanical Journal of the Kitamura, S., G. Murata, and T. Koyama. 1986. Colored Illustra- Linnean Society 141(4): 399-436. tions of Herbaceous Plants of Japan (Monocotyledoneae). Angiosperm Phylogeny Group (APG III). 2009. An update of the Hoikusha Publ. Co., Ltd., Osaka. Pp. 210-220.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Botanical Journal of the Pp. 201-202. (in Korean) Linnean Society 161(2): 105-121. Lee, W. T. 1996. Lin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Seoul, Angiosperm Phylogeny Group (APG). 1998. An ordinal classifi- Korea. Pp. 1253-1256. (in Korean) 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flowering plants. Annals of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I. Kyohak Publishing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85: 531-553. Co., Ltd, Seoul. Pp. 418-421. (in Korean) Chen, X. and J. Noguchi. 2000. Hemerocallis L. In Flora of China. Matsuoka, M. & M. Hotta. 1966. Classification of Hemerocallis in Wu, Z.-Y. and P. H. Raven (eds.), Science Press, Beijing and Japan and its vicinity. Acta Phytotaxonomica et Geobotanica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USA. 24: 161- 22: 25-43. (in Japanese) 165. Nakai, T. 1911. Flora Koreana (2). J Coll. Sci. Imp. Univ. Tokyo. Chung, M. G. 2007. Hemerocallis L. In The Genera of Vascular 31: 251-253.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Nakai, T. 1932. Hemerocallis japonica. Botanical Magazine Seoul. Pp. 1306-1308. Tokyo 46: 111-123. Chung, M. G. and Kang S. S. 1994a. Morphometric analysis of the Noguchi, J. 1986. Geogrphical and ecological differentiation in the genus Hemerocallis L (Liliaceae) in Korea. Journal of Plant Hemerocallis dumortieri complex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Research 107: 165-175. karyology. Journal of Science of the Hiroshima University Ser. Chung, M. G. and Kang S. S. 1994b. Hemerocallis hongdoensis B. Div. 2 (Botany) 20: 29-193. (Lili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Novon 4: 94-97. Ohwi J. 1984. Flora of Japan.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 Chung, M. G., H. G. Chung, and S. S. Kang. 1994. Distribution ton, D. C. Pp. 291-293. and morphometric analysis of Hemerocallis hakuunensis and Palibin, J. 1901. Conspectus Florae Koreae . Trudy Imp. S.-Peter- Hemerocallis thunbergii.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burgsk. Bot. Sada. 19: 112. 24 : 17-32. Park, M. K. 1949. An Enumeration of Koran Plants. Ministry of Chung, T. H. 1957. Koran Flora, Part 2, Herbaceous Plants. Shin- Education. Pp. 320. (in Korean)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 42 No. 4 (2012) 306 Yong Hwang and Muyeol Kim

Appendix. Examined specimens of Hemrocallis. Duta 9 Jun. 2007, Jin Oh Hyun 1171029-30 (KB); Cheongcheon 30 Jul. 2004, Chang, C. & Park, S. 1069855 H. minor Mill. 애기원추리 (KB) CNINA: Weichang Hebei 1 Aug. 2002, Kang, J. 1063243-44 Gyeongnam: Hadong 30 Jul. 2004, Lim, H. 1069854, 1071722 (KH); Jilin, 1 Aug. 2010, ? (KB), 1 2010, ? (KB) (KB); Mt. Jiri, 9 Jul. 2011, MKH 0038 (JNU) Hambuk: Riv. Duman, 14 Aug. 2011, MKH 0050 (JNU) H. dumortieri Morren 각시원추리 H. thunbergii Baker 노랑원추리 CHINA: 16 Jun. 2010, Hyun, J. 2010-0477 (KB) Jeonbuk: Gochang, 12 Aug. 2011, MKH 0016 (JNU); Wanju Hambuk: Mt. Baekdu, 12 Aug. 2011, MKH 0051 (JNU) 2004.7.29 Oh, B 1071681 (KB). Jeonnam: Is. Dal, 19 Aug. 2011, MKH 0020 (JNU); 19 Jul. 2006, H. teanensis S.S. Kang & M.G. Chung 태안원추리 Cho, Y. 060719-151 (KB); Mt. Dalma 8 Aug. 2005, Choi, H. Chungnam: Is. Anmyeon, 7 Jun. 2006 Jeon, E. 60544, 60551, 1101245 (KB); Bonggang 8 May. 2006, Nam, G. 1099265 (KB) 60581 (KB); Is. Anmyeon, 13 Jun. 2006 Jeon, E. 60640 (KB); 18 Jun 2009, Jeon, E. 90363, 90458, 90482 (KB); Is. Anmyeon, H. lilioasphodelus Nakai 골잎원추리 7 Jul. 2011, MKH 0032 (JNU) CHINA: 2 Jul. 2010, Jilin Robak Mountain, Kim, S. 0697 (KB). Hambuk: Riv. Duman, 10 Aug. 2010, MKH 0045 (JNU); Mt. H. hongdoensis M.G. Chung & S.S. Kang 홍도원추리 Baekdu, 22 Aug. 2010, Kim S. 1777 (KB) Jeonnam: Is. Heuksan, 21 Aug. 2003, Jeon, E. 32310 (KB); Is. Heuksan, 21 Jun. 2010, MKH 0001 (JNU); Is. Hong, 27 Aug. H. middendorffii Trautv. & C.A. Mey. 큰원추리 2010, MKH 0002 (JNU) Gyeonggi: Jinjeop 6 Jul. 2001, Park, S. et al. 05196 (KB); Mt. Yeonin Jeon, E. 1125578-9 (KB); Jangsubong 17 Jun. 2006, H.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Jeon, E. 1125559, 60652, 60657, 60670, 60496 (KB); Yeoju 29 Gangwon: 19 Jun. 2004. Chung, J. 0406185 (KB). Jun. 2004, Baek, W. 1077821 (KB); Mt. Gonam 13 Jul. 2007, S. Gyeongnam: Mt. Gaya, 16 Jul. 2010, MKH 0005 (JNU); Mt. Jiri, Ko 1173343 (KB) 18 Jul. 2010, MKH 0008 (JNU) Jeonbuk: Mt. Dukyu, 25 Jun. 2010, MKH 0039 (JNU); Mt. Gyeongbuk: Mangyang, 15 Jul. 2010, MKH 0007 (JNU) Daedun 14 Aug. 2008, Lee, H. 1200087 (KB); Mt. Bugwi 31 Jeonnam: Is. Jin, 15 Jul. 2011, MKH 0011 (JNU) Jul. 2005, Choi, H. 1101584-5 (KB) Jeonnam: Sinan 15 Aug. 2007, Cho Y. 1178390 (KB); Mt. Hemerocallis fulva (L.) L. 왕원추리 Baekun 11 Sep. 2007, S. Ko 1173405 (KB); Hampyeong 16 Gangwon: Mt. Daeam 22 Jun. 2006 Park, & S. Nam 1119075, Oct. 2004, Kim, J. 1077715 (KB); Muan 30 Jul. 2004, Chang, 1119076 (KB) C. et al. 1077767 (KB) Gyeonggi: Yongamri 9 Jun. 2005, Park, S. 1089968 (KB) Gyeongbuk: Mt. Geomma 2004. 24 Jun. Chung G. Y. et al. Jeonbuk: Jeonju, 15 Jul. 2010, MKH 0051 (JNU) 1076772-3 (KB); Mt. Sobaek 2007. 21 Aug. Hyun, J. 1170340 Jeonnam: Jangseong 3 Jul. 2008, Jeon, E. 1219561(KB); Mt. (KB); Mt. Hakga 10 Aug. 2006, Oh, B. 1131979-80 (KB); Mt. Baekun 16 Jun. 2008, Hyun, J. 1193907(KB)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 42 No. 4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