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주아 응접실에 걸려있는 그림과 사진 1 2 3 4 안데르센의 사람들 5 6 7 8 Paintings and Photographs(reproduction) in “The Bourgeoise Parlor”

캔버스 유화, 엘리자베스 제리샤-바우만, 1862 1 엘리자베스 제리샤-바우만의 아이들에게 원작 _ 오덴세시립박물관 소장 Oil on canvas, painted by Elisabeth Jerichau Baumann, 1862 동화 <천사>를 읽어주고 있는 안데르센 Original in Odense City Museums H. C. Andersen Reading the Story The Angel for the Children of the Painter Elisabeth Jerichau-Baumann

안데르센은 친한 친구이자 폴란드 화가인 엘리자베스 제리샤-바우만(1819-1881)의 작품에서 모델로 자주 등장한다. 이 작품은 아파서 누워 있 는 바우만의 아이와 그 자매들에게 책을 읽어주고 있는 안데르센의 모습을 담았다. 침대 뒤에 걸려 있는 그림과 안데르센이 들고 있는 책을 통해 안데르센이 아이들에게 1843년 출판된 동화 <천사>를 읽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안데르센은 그림에서 자신의 한 쪽 양말이 눈에 띄는 것을 제 외하고는 이 작품에 만족스러워 했다. This portrait of Andersen reading aloud was painted by a good friend of his, the Polish-Danish female painter Elisabeth Jerichau-Baumann (1819-1881). The children depicted in the painting are Jerichau-Baumann’s own. The book that Andersen is holding in his hand, as well as the illustration on the wall behind the bed, makes it clear that the story that Andersen is reading aloud to the sick child and her siblings is The Angel that was published in 1843. Andersen modelled for the painting on several occasions and was happy with the result except from the fact that one sees one of his socks on it.

캔버스 유화, 오귀스트 시오트, 1855 도로테아 멜키오르의 초상화 원작 _ 개인 소장 2 Portrait of Dorothea Melchior Oil on canvas, painted by August Schiøtt, 1855 Original in private ownership 안데르센은 가족과도 같았던 후원자인 요나스 콜린의 보살핌을 받고 있었는데, 콜린이 사망하자 멜키오르 가족의 도움을 받았다. 유대인 재력가 모리츠 멜키오르(1816-1885)는 1860년대 코펜하겐 인근에 롤리드라는 여름 별장을 지었다. 그의 아내 도로테아 멜키오르(1823-1885)는 안데르센을 위해 자신의 별장을 내어주었다. 간암으로 힘들어 하던 안데르센은 멜키오르 가족의 별장에서 생애 마지막을 보냈다. 안데르센보다 20여 살이나 어렸지만 도르테아는 엄마처럼 안데르센을 지극히 간호하였다. 롤리드에 살기 시작한지 두 달이 지난 1875년 8월 4일 안데르센 은 세상을 떠났다. In the 1860’s Dorothea Melchior(1823-1885) created the ‘home of homes’ for Andersen that he had formerly had with the Collin family. In the late part of his life, he would stay at “Rolighed” for months in the summertime, and though Dorothea was much younger than him, she would care for him in an almost motherly way. In the summer of 1875, Andersen moved to “Rolighed” as a bedbound guest of the Melchior family and was lovingly cared for his last two months by Dorothea Melchior until he died on August 4th from cancer of the liver.

캔버스 유화, 에드바르 리먼, 1868 3 마틴 엔리크 집에서 열린 음악회 원작 _ 개인 소장 A Music Soirée in Martin Henriques’ Home Oil on canvas, painted by Edvard Lehmann, 1868 Original in private ownership

안데르센은 왕립 발레단장 오귀스트 브루농빌(1805-1879)의 소개로 도로테아 멜키오르의 오빠인 마틴 R. 엔리크(1825-1912)와 그의 아내 테레세 엔리크를 알게 되었고, 1860년 즈음 그는 엔리크 가족과 자주 왕래하는 사이가 되었다. 피아니스트였던 테레세 엔리크는 자신의 집에서 저 녁 음악회를 개최하곤 했었는데, 안데르센도 음악회에 자주 참석하는 사람 중 한 명 이었다. 이 그림 속에 안데르센은 없지만 그림 속 인물들은 모두 안데르센과 교류가 있던 친구들이다. 예를 들어 출입문 앞 오른쪽에 있는 인물은 덴마크 작곡가 닐스 빌헬름 가데(1817-1890)이다. Andersen came to know Martin R. Henriques(1825-1912) – brother of Dorothea Melchior - and his wife Therese Henriques(1833-1882) through the director of The Royal Ballet, (1805-1879). From around 1860 Andersen became a regular guest in their home. Therese Henriques was a skilled pianist and would often arrange musical evenings in their home, which Andersen would most often attend. Unfortunately he was not attending on this depicted situation. But all the people in the painting belong to Andersen’s network of friends. For example – in front of the door on the right - the Danish composer Niels W. Gade(1817-1890).

캔버스 유화, 빌헬름 벤츠, 1828 4 타바코(담배) 파티 뉴 칼스베아 글립토테크 미술관 제공 A Tobacco Party Oil on canvas, painted by , 1828 Reproduction by permission of ,

19세기 초, 담배를 피우며 자신들의 의견을 나누고 토론하는 일명 ‘타바코 파티’가 젊은 지식인들 사이에서 유행하였다. 그림 속 젊은이들은 담배를 입에 물고 진지하게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모습이다. 이 그림을 그린 덴마크 화가 빌헬름 벤츠(1804-1832)는 안데르센과 같은 고향 출신으로 덴 마크 황금 시대의 촉망받는 화가였지만 불행하게도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This is a genre painting by the Danish painter Wilhelm Bendz(1804-1832) and an example of the personal style and highly skillful technique within “The Golden Age” of . The painting describes a gathering of young students smoking tobacco, a typical event at the time, being used as forums for debate and discussion. The painter, who unfortunately died very young, was not only a contemporary of Andersen, but just like him grew up in Odense. 1 2 3 4

5 6 7 8

사진, 이스라엘 베렌트 멜키오르, 1867 5 롤리드 별장에서 멜키오르 가족에게 원작 _ 오덴세시립박물관 소장 Photograph by Israel Berendt Melchior, 1867 책을 읽어주고 있는 안데르센 Original in Odense City Museums H. C. Andersen Reading Aloud for the Melchior Family in the Garden of their Home “Rolighed”, Eastern Copenhagen

안데르센은 말년에 유대인 가족인 엔리크와 멜키오르 가족과 가깝게 지냈다. 모리츠 멜키오르와 그의 아내 도로테아 멜키오르는 코펜하겐 중심부 의 아파트에 살고 있었지만 코펜하겐 동쪽에 롤리드라는 여름 별장을 소유하고 있었다. 별장의 정원에서 멜키오르 가족과 안데르센은 즐거운 시 간을 보내곤 하였다. 사진에 관심이 많았던 안데르센은 촉망 받는 아마추어 사진 작가인 모리츠 멜키오르의 남동생 이스라엘 멜키오르와 친해질 수 있었다. 이스라엘 멜키오르는 안데르센의 독사진뿐만 아니라 멜키오르 가족들과 함께 있는 사진을 많이 찍었다. 그 중 이 사진은 안데르센과 멜키 오르 가족이 롤리드 별장의 정원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모습을 담고 있다. Towards the end of his life, Andersen befriended and became close with the Jewish families Henriques and Melchior. Besides their apartment in the center of Copenhagen, Moritz G. Melchior and his wife Dorothea Melchior owned “Rolighed”, a ‘country home’ in what is now the eastern part of Copenhagen. Israel B. Melchior(1827-1893) was Moritz’s younger brother(and son-in-law) and a very skillful amateur photographer who took a lot of portraits of Andersen in the garden of “Rolighed” – alone and in groups with the Melchior family members. This photograph is an example of the latter.

사진, 프라느 클레멘스 스테판 웰러, 1874 6 니하운 18번지 서재에 앉아 있는 안데르센 Photograph by Frantz Clemens Stephan Weller, 1874 H. C. Andersen by the Table in His Study in Nyhavn 18

1874년 5월 21일, 독일계 덴마크 사진작가 프란츠 클레멘스 스테판 웰러(1838-1900)는 안데르센의 마지막 모습을 사진에 담았다. 안데르센의 마지막 보금자리였던 니하운 18번지의 서재에서 각각 다른 각도로 5장의 사진을 찍었다. 이는 후대 ‘안데르센학’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 을 뿐만 아니라 이 사진 자료를 바탕으로 오덴세시립박물관의 분관인 안데르센박물관에 안데르센의 서재를 재현하였다. 간암으로 고통 받고 있던 안데르센은 틀니도 하지 않은 채 힘겹게 의자에 앉아 있는 나이든 작가의 모습을 하고 있다. On May 21st, 1874, Andersen had five photographs taken of him, sitting different places in his study in his last apartment in Nyhavn 18. These photographs have later played an important role as sources for the reconstruction of Andersens study that you will see in the VR. The photographs were taken by the German-Danish photographer Frantz Clemens Stephan Weller(1838-1900) and they portray an old poet, marked by the liver cancer that he was suffering from by then. This impression is enforced by the fact that Andersen was not wearing his false teeth on the photographs.

캔버스 유화, E. H. 벤젠, 1866 7 작업 중인 조각가 H. W. 비센 원작 _ 프레데릭스보르 국립역사박물관 소장(사진: 킷 와이스) The Sculptor H. W. Bissen in His Workshop Oil on canvas, painted by E. H. Bentzen, 1866 Reproduction by permission of Frederiksborg Museum of National History (Photo: Kit Weiss)

이 그림은 덴마크 화가 에드바르 하랄드 벤젠(1833-1914)이 작업실에서 작품을 구상하고 있는 조각가 비센을 그린 것이다. 덴마크 황금 시대의 대표적 조각가이자 안데르센의 절친한 친구였던 베르텔 토르발센(1770-1844)의 연습생으로 10여 년의 시간을 보낸 비센은 덴마크 왕립미술아 카데미 교수가 되었으며, 덴마크 황금 시대 주목받는 조각가로 인정받았다. 비센은 주로 석고, 대리석, 동을 재료로 당대 유명한 예술가들의 흉상을 제작하였다. 전시장 가운데 전시되어 있는 안데르센의 흉상은 1864년 비센의 작품이다. The sculptor Herman Wilhelm Bissen(1798-1868) was an assistant of the famous Danish sculptor for 10 years before he himself became a professor at The Royal Danish Academy of Fine Arts. Bissen worked in plaster, marble and bronze and made several busts of contemporary artist – among them, in 1864, the bust of his friend Andersen that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is exhibition room. The painting of Bissen in his workshop is made by the Danish painter Edvard Harald Bentzen(1833-1914).

요한 토마스 룬드비 그림을 목판 인쇄, 1843 8 성냥팔이 소녀 원작 _ 오덴세시립박물관 소장 The Little Match Girl Woodcut print on paper, after drawing by , 1843 Original print in Odense City Museums

덴마크 황금 시대를 대표하는 화가 요한 토마스 룬드비(1818-1848)는 달력에 넣을 삽화로 성냥팔이 소녀를 그렸다. 달력의 편집자는 이 그림을 보고 안데르센에게 이 그림에 대한 이야기를 써 달라고 요청하였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안데르센의 동화 <성냥팔이 소녀>가 탄생하였다. 아마도 안데르센의 작품 중에서 이야기보다 삽화가 먼저 그려진 유일한 동화가 <성냥팔이 소녀>일 것이다. 당시 어린이들이 길거리에서 구걸하는 것은 불 법이었기 때문에 아이들은 비교적 가벼운 성냥을 팔면서 생계를 이어가곤 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아이들을 거지라고 생각했고 룬드비는 이 그림을 통해 성냥 파는 아이들에게 돈을 줄 때 한 번쯤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반면 안데르센은 소녀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풀어감으로써 독자들이 성냥을 파는 소녀를 생각할 수 있게 하였다. This is the only example that we know of, where the illustration came before Andersen’s fairy tale. Johan Thomas Lundbye(1818-1848), an excellent painter of “The Golden Age”, made the illustration for a Danish almanac – and the editor of the almanac sent the illustration to Andersen and asked him to write a story for it. Ironically the illustration was originally used to caution the reader of the almanac to think twice before giving money to match sellers, that was commonly thought of as beggars – whereas Andersen’s story takes the viewpoint of the beggar, the little match girl, and urges the reader to put themselves in her 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