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안번호 제659호)

2017. 6. 19. 제345회 정례회 제2차 경제환경위원회

경상남도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 조례안

검 토 보 고 서

경제환경위원회 수석전문위원 황외성 (의안번호 제659호) 경상남도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 조례안

검 토 보 고 서

1. 검토경과 가. 발 의 일 자 : 2017. 3. 31 나. 발 의 자 : 박병영 의원 외 21명 다. 회 부 일 자 : 2017. 3. 31.

2. 제안이유 경상남도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기반을 조성하고 경쟁력을 강화하여 경상남도 경제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함

3. 주요내용 가.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을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 등을 규정함(안 제5조) 나.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해외진출을 위한 사업, 연구개발과 실용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규정함(안 제6조) 다. 무인항공기 등 산업 육성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에 대하여 규정함(안 제7조) 라. 무인항공기 조정 경기대회 등 관련 대회의 개최 및 지원에 대하여 규정함(안 제8조) 마. 무인항공기 등의 종사자 안전교육 및 무인항공기 등 산업에 관한 실태조사 실시에 대해 각각 규정함(안 제9조부터 안 제10조까지) 바.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연구개발과 실용화에 관한 업무를 위탁할 수 있도록 규정함(안 제11조)

4. 참고사항

가. 관계법규 :「지방자치법」제9조제2항제3호차목

나. 예산조치 : 비용추계 미첨부 사유서 첨부

다. 합 의 : 경상남도 국가산단추진단 의견수렴

라. 기 타

1) 입법예고

가) 기 간 : 2017. 4. 3. ~ 2017. 4. 9.

나) 제출의견 : 없음

2) 규제심사 : 비심사대상

3) 부패영향평가 : 원안 동의

4) 성별영향평가 : 개선사항 없음

5) 지방보조금심의위원회 심의 : 조례안 제12조의 ‘무인항공기 등 관련 연구 및 산업발전’은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어 직 접 규정으로 볼 수 없으므로 지방재정법 제17조 제4항에 따 라 조문의 삭제(또는 수정)가 필요

- 2 - 5. 검토의견 □ 본 조례안은

❍ 경상남도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기반을 조성하고 경쟁력을 강화하여 경상남도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사항으로 총 13개 조문과 부칙으로 구성됨

□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 안 제1조와 제2조에서는 조례 제정의 목적과 조례에 사용하는 “무인항공기 등”과 “무인항공기 등 산업”에 대한 용어를 정의 하고 있고,

❍ 안 제4조에서는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도지사의 책무를 규정하고 있음.

❍ 안 제5조에서 도지사는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을 위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시행에 대한 사항을 규정 하고 있음

※ 무인항공기 산업을 포함한 「경남 항공우주산업육성 발전 기본계획」 (’10~’19) 수립․시행 중

❍ 안 제6조와 제7조에서는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연구 개발 사업 추진 및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근거를 명시하고 있음.

- 3 - ❍ 안 제8조에서는 무인항공기 조정 경기대회 등 관련 대회의 개최 및 지원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데,

- 조문의 “조정”이라는 용어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기준이나 실정에 맞도록 조절하여 정돈함”을 뜻하므로 “비행기나 자동차 따위의 기계를 다루어 부림”이라는 뜻의 “조종”으로 수정하는 것이 타당 하다고 사료되며, 이에 대해서는 집행부도 같은 의견임

❍ 안 제9조와 안 제10조에서는 무인항공기 등의 종사자 안전교육 및 무인항공기 등 산업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에 대해서 각각 규정하고 있으며,

❍ 안 제11조에서는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연구개발과 실용화에 관한 업무의 위탁 및 위탁관리에 드는 경비 지원 근거를 명시 하고 있음.

❍ 안 제12조에서는 무인항공기 등 관련 연구 및 산업발전이나 무인항공기 조정 경기대회 등 관련 대회를 추진하는 자에 대한 예산 지원 근거를 규정하고 있음,

- 안 제12조와 관련하여「지방재정법」제32조의 2 및「경상남도 지방 보조금 관리 조례」제8조에 따른 지방보조금 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무인항공기 등 관련 연구 및 산업발전”은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어 직접 규정으로 볼 수 없으므로, 지방재정법 제17조제1항에 따라 조문의 삭제(또는 수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으므로, 해당 조문을 보다 구체화하여 명시할 필요가 있음

- 4 - ※ 지방재정법 제17조(기부 또는 보조의 제한)

제17조(기부 또는 보조의 제한) ① 지방자치단체는 그 소관에 속하는 사무와 관련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와 공공기관에 지출하는 경우에만 개인 또는 법인·단체에 기부·보조, 그 밖의 공금 지출을 할 수 있다. 다만, 제4호에 따른 지출은 해당 사업에의 지출근거가 조례에 직접 규정되어 있는 경우로 한정한다. <개정 2014.5.28.> 1. 법률에 규정이 있는 경우 2. 국고 보조 재원(財源)에 의한 것으로서 국가가 지정한 경우 3. 용도가 지정된 기부금의 경우 4. 보조금을 지출하지 아니하면 사업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로서 지방자치단체가 권장 하는 사업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 이상 전반적인 검토 결과,

❍ 무인항공기는 앞으로 항공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로 최근 교통 물류, 통신 농업 등 민간 분야로 급속히 확대 대고 있음.

❍ 이에 산업통상자원부에서도 작년 12월 “무인항공기 산업분야 간담회”를 통해 현재 1.5억불 규모의 국내 무인기 시장을 2025년까지 30억불 규모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향후 3년간 민관합동으로 5천억원을 집중투자 한다는 “무인기 산업 발전전략”을 밝힌 바 있음

- 5 - < 무인기 산업 발전전략 주요내용 >

【목표】 現 1.5억불 규모의 국내 무인기 시장을 ’20년 10억불, ’25년 30억불 규모로 확대, 연관 서비스 시장 창출 • 공공분야를 중심으로 초기수요 집중 창출 초기시장 • 실증사업을 통한 무인기 활용역량 확보 창출 및 • 수출 산업화 및 연관 서비스 육성 규제개선 • 상시적 규제발굴‧완화 고기능 • 핵심기술 중점개발 무인기 • 시장요구에 부응하는 특수 무인기 개발 집중개발 • 미래 기반기술 선행연구 지원

융합산업 • 융합 얼라이언스, 세계 일류기업 육성, 인력양성 등 민간역량 강화 생태계 조성 • 세계적 수준의 테스트베드 구축 ➡ 향후 3년간 2천억원 이상 공공수요 시장 창출 ➡ 향후 3년간 민관합동 5천억원 집중 투자 ※ 산업통상자원부 2016. 12.5일자 보도자료

○ 우리 도에서도 무인항공기 등의 저변 확대와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해 “경남 항공우주 산업육성 발전 기본계획”에 무인항공기 전용 산업단지 조성, 무인기 통합시험 및 훈련센터 구축, 도지사배 PAV 대회 개최 등을 포함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이러한 시점에 도내 무인기 관련 사업 부흥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하여 경상남도 지역경제 육성에 기여하려는 목적으로 한 본 조례안의 제정은 타당하다고 사료됨.

○ 다만, 안 제8조와 제12조에서 사용된 “조정”이라는 용어에 대한 해당부서의 의견과, 지방보조금심의의원회 심의 결과에 따라 안 제12조에 대한 수정의견은 반영할 필요가 있어 보임.

- 6 - <수정의견 조문 대비표>

조례안 수정안 제1조~제7조 <생 략> 제1조~제4조 <조례안과 같음> 제8조(무인항공기 조정 경기대회 등) 제8조(무인항공기 조종 경기대회 등) ①도지사는 무인항공기 등 산업발전을 위하여 무인 ①------항공기 조정 경기대회 등 관련 대회를 개최하거나 ---조종------이를 개최하는 기관․단체 등을 지원할 수 있다. ------②제1항에 따른 무인항공기 조정 경기대회 등 관련 ②------조종------대회를 위한 안전한 공간 및 장소확보와 참가비행체 ------의 크기, 경기 운영 등 필요한 사항은 도지사가 정 ------한다. -- 제9조~제11조 <생 략> 제9조~제11조 <조례안과 같음> 제12조(예산의 지원) 제12조(예산의 지원) 도지사는 무인항공기 등 관련 연구 및 산업발전이나 도지사는 무인항공기 등 관련 연구 및 산업발전을 무인항공기 조정 경기대회 등 관련 대회를 추진하는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추진하려는 자에게 예 자에게 예산의 범위에서 필요한 경비의 전부 및 일 산의 범위에서 필요한 경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 부를 지원할 수 있다. 원할 수 있다 1. 무인항공기 등 기술개발 및 연구 2. 무인항공기 등 세미나 개최 등 정보교류 3. 무인항공기 조종 경기대회 등 관련 대회 개최 제13조 <생 략> 제13조 <조례안과 같음>

- 7 - [참고 : 경남TP항공우주센터 제공] 무인기(드론) 및 PAV 산업 현황

무인기 산업현황

1. 무인기의 개념

○ 통상 UAV(Unmanned Aerial Vehicle) 또는 ROA(Remotely Operated Aircraft)1)로 불리우는 무인 항공기는 인간이 탑승하지 않는 일회용 또는 재사용이 가능한 반자동, 자동, 원격조종의 동력 항 공기를 말하며, 각 임무와 관련한 다양한 탑재체로 그에 적합한 체공(항속)시간 동안 지구대기권 또는 그 이상의 공간에서 특정 임무를 수행하게 됨

○ 최근에는 플랫폼 위주의 의미를 갖는 무인기 대신 통합된 체계임을 강조하기 위해 무인기체계 (UAS: Unmanned Aircraft System)로도 표현되는데, 이는 운용 목적과 모델에 따라 상이할 수 있 으나, 일반적으로 항공기의 기체에 통신장비와 감지기 등의 임무장비를 탑재시킬 수 있는 비행체 와 통신에 의하여 비행체를 조종 통제할 수 있도록 설계된 통제장비, 감지기와 같이 임무를 위해 무인기에 탑재되는 임무장비, 무인기의 운용에 필요한 분석, 정지 등에 활용되는 지원 장비로 구 성되어 하나의 시스템에 운용되는 장비임

2. 산업여건 및 동향

1) 세계여건 및 동향

○ 미국 방위산업 전문 시장 분석업체인 틸(Teal) 그룹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무인기 시장 규모는 2016년 64억 달러로, 2025년까지 910억 달러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 그 중 상업용 무인 항공기는 2018년까지 연평균 14% 증가, 1만대 규모로 전망되고 있음 - 2013년 미국의 허가받은 민간 무인 항공기 수는 545대 - 2014년 민간 무인기는 취미 생활로 즐기는 장난감과 사진 촬영용으로 사용되며, 5년 동안 공공안전, 환경관리, 교통관리, 농작물 관리, 배달 및 운수업, 산업현장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전망임 ○ 아마존은 5년 내로 무인 항공기 배달 서비스 ‘프라임에어(Prime Air)’를 실시할 계획이며, 프라임 에어는 GPS가 달린 드론 ‘옥토콥터(Octocopter)’가 아마존 물류창고에서 물품을 싣고 고객의 집 앞까지 제품을 배달하는 서비스임

○ 구글도 2014년 4월 태양열 무인 항공기 제작업체인 타이탄(Titan) 에어로스페이스를 인수, 드론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준비함

○ 한편, 시장 조사 업체 리서치앤드마켓은 무인기(드론) 시장이 2020년까지 15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며, 특히 소형 드론이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함

○ 현재 미국과 이스라엘이 무인기 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한국, 중국, 독일, 프랑스, 호주 등이 관 련 기술 개발에 집중 투자하고 있음

- 8 - ○ 무인 항공기가 이처럼 주목받고 있는 것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가능하기 때문임. 현재 농업, 측 량, 촬영, 원유 및 전력 시설 감시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구글과 아마존이 추진하고 있는 무 인 배송 영역까지 활용 범위가 확대될 전망임

○ 무인기 관련 주요기업은 미국 에어로바이론먼트, 스웨덴 사브, 이스라엘 에어로스페이스 인더스트 리, 프랑스 패롯 등 임

2) 국내여건 및 동향

○ 국내에서는 드론을 구입해 레저용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으며,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4년 기준 국내에 등록된 무인동력 비행장치(드론) 대수는 376대 이르고 있음. 2012년 170대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이며, 이 숫자는 무게 12 kg을 초과한 경우이며 12 kg 이하 취미·레저용 드론장치는 신고의무가 없음

○ 현행 드론 안전관리 제도 및 처벌 기준은 12 kg을 초과하는 드론에 대해 △장치신고 △안전성 인 증 △조종자 증명 △비행계획 승인 등을 규정하고 있음. 12 kg 이하 드론의 경우 위의 4가지 규 제 중 어느 것도 적용되지 않고 항공법에 의한 비행규칙을 지키기만 하면 됨

○ 우리나라는 세계 7위 수준의 무인기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은 2011년 세계에서 두 번째로 수직 이착륙과 고속 비행이 가능한 ‘틸트로터형’ 스마트 무인기(TR-100)를 개발함 - 원천 기술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갖고 있으며, KAI와 LIG넥스원, 한화, 퍼스텍 등 20여개 기업 이 참여해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총 872억원을 들여 개발·제작한 뒤 2011년 11월 첫 비행에 성공함 ○ 하지만 개발과정에서 난관이 적지 않으며, 미국이 수십년 동안 개발해오다 2006년 사업을 접을 정도로 무인 틸트로터 개발은 어려움, TR-100의 개발 성공 이후 한국의 무인항공기 기술은 높은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음

○ 국내 민간 기업 중에서는 대한항공이 무인 항공기 사업에 가장 적극적임. 대한항공은 2004년부터 공군의 근접감시용 무인 항공기 개발 사업을 시작하여 2007년 8월에 감시정찰용 무인기 ‘KUS-7’ 을 내놓음

○ 무인 항공기가 늘어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과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충돌감지 및 회피시스템 을 갖춘 무인기 개발이 필요함

3) 경남여건 및 동향

○ 경남 고성군은 무인항공기 산업 단지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16. 12월 국토부 드론시범사 업 지역으로 선정됨

○ 드론시범사업을 통하여 무인항공기센터를 조성하고자 하며, 무인항공기센터의 향후 운영 및 유지 관리 계획 수립을 위한 방안모색 필요함

- 9 - ○ 경남 대표적인 기업 중에서는 KAI가 국내 최초로 전력화된 정찰용 군단급 무인기 송골매 개발 이 후 후속모델인 차기군단급 무인기를 개발 중에 있으며 최근 민간용 대형 드론(X-Vant) 개발사업 에 참여, 군용 무인기 기술을 상용으로 확대하고 있음 - 차기군단급 무인기는 지난 2001년부터 15년간 육군에서 주·야간 감시·정찰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 행하고 있는 송골매의 후속 모델로 작전만경 및 성능이 대폭 향상될 예정임 ○ KAI는 지난해 기준으로 무인항공기 충돌회피시스템, 영상기반 자동 이착륙 시스템 등 44개의 무 인기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베이징 대학, 일본 야마하 발동기, 미국 허니웰, 미국 패럿 등에 이어 세계 5위에 해당하는 숫자임

3. 기술동향

1) 세계 기술동향

□ 미국

○ 현재 시계 최고의 드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 고고도 장기체공형 무인 항공기부터 초소형 무 인항공기까지 군용/민수용으로 사용 중에 있으며, 무인전투기나 공격 및 자폭형 무인기 같은 다양 한 종류의 군사용 드론을 운영 중임. 체계 소요기술 및 모든 서브시스템에 이르는 핵심기술을 보 유하고 있어 중/대형 장기체공~(초)소형, 고정익~회전익 등 UAV 전 분야에서 고성능, 다기능 무 인기를 개발하여 운용 중임. 지상 20 Km 대기권을 비행하며 광역 정밀 정찰이 가능한 고고도 무 인 항공기 Global Hawk를 개발하여 군사용으로 운용중이며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때 이 지역 상공을 비행하며 재난 지역 항공 촬영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또한 중고도 무인 항공기 Predator를 개발하여 정찰용은 물론 미사일을 장착하여 공격용 무인기로 운용 중임

□ 이스라엘

○ 최첨단 항공전자 기술력과 실전경험을 바탕으로 한 전술급 군용무인기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 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을 포함한 세계 모든 나라들이 이스라엘의 기술적 영향력을 받았다 IAI사와 Elbit사를 중심으로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42개국 이상에 무인기 기술 및 제품 수출을 통 해 미국과 대등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

□ 프랑스

○ EADS, Sagem, Dassault, Altec, Alcore 등 드론분야 체계업체와 함께 Aerspatial, Thales 등과 같은 항공전자분야를 선도하는 기업들을 보유하고 있어 임무장비 개발 능력이 타국을 능가하고 초소형으로부터 중고도 장기체공형급인 Eagle-1 개발과 EU 국가들이 공동 개발 중인 무인전투기 Neuron의 개발을 주도하는 등 다양한 무인기 개발을 진행 중임

- 10 - □ 독일

○ 1990년대부터 무인기를 운용해 왔고 임무장비 개발에 독자적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국 개발 무인항공기의 실전 운용 경험을 통해 지속적인 기술 발전을 이루고 있음. EADS, EMT, Rheinmetall사 등의 업체가 주도하면서 전술급 KZO, CL-289, Luna, Aladin, Orka 1200 등 다양 한 군사용 무인기를 개발하여 운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Global Hawk 동체를 들여와 EADS가 개발한 전자전장비를 탑재한 Euro Hawk를 공동 개발하였음

□ 영국

○ 독자적인 무인기 기체 및 엔진, 탑재장비 개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태양광 이용 장 기체공 드론인 Zepher 개발을 통해 이 분야 기술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있음. 일찍이 전술급 무인 기인 Phoenix를 개발하여 운용 중이고, 이스라엘 Elbit사가 포함된 Thales 팀이 Watchkeeper 프 로그램을 통해 Hermes 무인기를 개발하였으며, 최근에는 무인전투기 Taranis 및 중고도 장기체공 형 무인기인 Mantis를 개발 중임

□ 중국

○ 신흥항공기술국가로 발돋움하고 있으나 항공전자/통신, 항법시스템분야는 아직 미흡한 수준임. 지 난 10여 년 동안 군사용 전술급 무인기들을 다수 개발하여 운용해 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고도 장기체공형 무인기인 Yilong과 고고도 장기체공형으로 Global Hawk를 닮은 Xianglong을 개발 중 임

2) 국내 기술동향

□ 우리나라

○ Frost & Sullivan사는 우리나라의 드론 기술수준에 대하여 미국, 영국, 이스라엘, 일본 등과 함께 무인기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Tier1 등급으로 분류하였음. 한국은 세계 7위권의 무인기 기술 경쟁력을 보유(고정익 13위권, 회전익 11위권)하고 있다고 국방기술품질원은 평가하였음. 국내 무 인기 시장 규모는 Global Hawk의 도입 및 국내 연구개발 사업 등 군용 무인기 획득 시장의 성장 세로 인하여 2022년까지 연평균 22%의 시장성장률이 예상되고 있음

○ 우리나라의 무인기 분야의 연구개발은 국방과학연구소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소 가 주도하는 가운데 한국항공우주산업, 대한항공이 주로 체계종합(System Integrator) 및 비행체 개발을 담당하고 LIG넥스원, 한화테크윈 등의 대기업을 포함한 중소업체들이 부체계 기술을 개발 하였음. 군사용으로는 군단급 전술정찰용 무인기 송골매를 개발/운용 중이며, 현재는 중고도 무인 정찰기로부터 군단/사단급의 전술급 무인기 및 소형무인기에 이르는 전 기종 라인업을 구축하여 국내 기술로 개발 중에 있으나, 아직 해외수출 실적은 없음

○ 민간용으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에 성공한 스마트무인항공기 기술을 활용하여 실용급인 TR-6X 무인기의 기술시제기를 개발하여 민/군용으로의 상용화 개발을 준비 중임. 최근에는 민간 무인기 분야의 성장 가능성에 힘입어 대학 및 벤처기업들을 중심으로 소형 멀티콥터 드론 개발에

- 11 - 경쟁적으로 참여하고 있음. 요즘 국내의 기업들도 민수용 드론 부분에 관심이 높아져 방재, 소방 이나 물품 수송을 위한 드론 개발에 CJ, 대한통운 등 대기업이 참여하기 시작하였고 관련 벤처기 업들도 등장하고 있음

3) 경남 기술동향

○ 경남에서는 대한항공, KAI 등이 활발히 연구 중에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 중에서는 샘코, 켄코아 에어로스페이스 등이 무인기 시장에 본격 진출하였음. 샘코와 켄코아 에어로스페이스는 ‘드론쇼 코리아 2016 전시회’에 자체 개발한 무인기를 선보였으며, 샘코는 하이브리드 수직이착륙 무인기 로 날개 앞뒤로 4개의 프로펠러를 장착해 이·착륙시 수직으로 동체를 띄우고 천이비행(수직→수평 비행으로 변경)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꼬리 날개 뒤에 장착된 프로펠러를 이용, 일반 비행기 모드 로 비행할 수 있는 듀오드론을 선보였음. 듀오드론의 경우 활주로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좁 은 공간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며, 날개를 갖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배터리를 탑재해도 일반적인 무인기에 비해서 2배 시앙의 비행시간이 가능함

4. 정책동향

1) 세계 정책동향

□ 미국

○ 이라크 전쟁에서 무인기의 군사용 활용도가 입증된 이후, 무인기 기술개발에 국방예산을 집중 투 자 중임 - 향후 10년간 전 세계 무인기 연구개발비의 65%, 획득비의 51%를 투입 예상 ○ 미국의 민간 무인기 인증 규정은 미국 연방항공청(FAA,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에서 관 장하며, 현재 FAA 내에서도 무인기 관련 조직을 구성하여 관련 규정을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 FAA는 2011년 UAS ARC(Aviation Rulemaking Committee)을 구성하여 UAS 관련 규정을 만들 고, 2012년에는 UAS Integration Office를 조직하여 UAS 인증 및 운항허가를 총괄하도록 하고 있음 - 또한 RTCA(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Aeronautics)를 통하여 UAS Standards를 작성하도 록 하고 있음 ○ 전장에 대량 투입되었던 군용 무인기의 민간 활용방안 모색의 일환으로 민간 무인기 산업화 촉진 정책 추진 - 2012년 민간 무인기의 공역 통합을 포함한 ‘연방항공청 현대화 및 개혁법’(FAA Modernization & Refoerm Act of 2012) ○ 1990년대 이후 PAV 관련 연구 프로그램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2030년 미국 자동차시장의 3% 인 25만대 이상을 PAV로 대체 예상함

- 12 - □ 유럽

○ 2012년 7월 유럽위원회에서 민간 무인기 정책개발 그룹(ERSG, European RPAS Steering Group) 결성하고, 2013년 유럽 민간무인기 통합 로드맵 발표 - 단계별, 점진적 접근으로 무인기의 공역 통합 운용으로 가는 길을 준비 - 2013년부터 2028년까지 5개년씩 3차, 총 15년 계획 수립 - 제도 마련, 기술개발, 사회적 영향샹성의 3분야로 나누어 계획수립 ○ 2007년 미래형 PAV 개념을 적용한 개인용 항공수송시스템 EPATS(European Personal Air Transportation System, 유럽개인항공시스템)연구 착수, 2030년 유럽에서 약 39만대의 PAV 운용 예상

○ 2009년에는 유럽연합 11개국의 13개 기관이 참여한 PPlane Project를 착수하여 2012년까지 유 럽의 미래형 PAV 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립

○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유럽 내 6개 기관이 참여하는 MyCopter Project를 진행하고 있으며, 단 거리 운용을 위한 PAV 제어 및 항법기술 등 연구

○ 프랑스는 2014년 4월에 민간 공역에서 무인기 사용을 위한 법안을 발행함. 프랑스에서는 2012년 부터 현재까지 무인기 시장이 연간 약 350% 정도 성장함. 전체의 76%가 회전익이고, 20%는 고 정익 무인기이며 나머지는 비행선 등과 같은 형태임.

2) 국내 정책동향

□ 우리나라

○ 2015년 1월, 정부가 고속·수직 이착륙 무인항공기와 자율주행 자동차 등 이른바 13대 산업엔진 프로젝트 초기 연구에 총 4495억원을 투입하기로 함. 추진과정에서 파생된 중간 성과는 제품화 해 상용화를 앞당긴다는 방침임

○ 산업통상자원부는 13대 산업엔진프로젝트 관련예산으로 4,495억원을 확보했다고 밝힘. 기술개발 에 2,548억원, 산업생태계 조성에 1,947억원을 각각 투자하기로 함

○ 특히, 많은 예산이 필요한 고속·수직 이착륙 무인항공기와 자율주행 자동차 등에 대해서는 예비타 당성조사를 통해 안정적인 예산을 확보한다는 방침임. 이에 대해서는 2014년 하반기 예타가 신청 된 상태임

○ 산업부는 특히 성과를 조기에 상용화할 수 있도록 중간단계에서 제품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임. 자 율주행 자동차의 경우 내년까지 우선 플라스틱 승용완구용 전동차를 출시한 후 2022년 플라스틱 재질의 상용차 제품을 내놓은 식임. 무인기의 경우 2017년 원양 어군탐지용 무인기를 우선 개발 하고 2023년까지 무인기 완제품을 만들기로 함

○ 규제개선도 병행 추진함. 융합 신제품 사업화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인증과 규제 등 13대 분야 종합 제도개선방안을 도출한다는 방침임

- 13 - 3) 경남 정책동향

○ 『항공산업』은 경상남도 5+1 핵심전략산업

* 5 + 1 핵 심 전 략 산 업 : 기 계 융 합 , 항 공 우 주 , 나 노 융 합 , 조 선 해 양 플 랜 트 , 항 노 화 +국 제 관 광 단 지 조 성 ○ 경상남도 2017년 중점사업에『무인항공기 센터 조성』포함

○ 경상남도는 무인기‧PAV 산업 활성화를 위해 2010년부터 PAV 기술개발 경연대회 및 콘퍼런스를 개최하고 있음

PAV 산업현황 1. PAV의 개념

○ PAV()는 자동차처럼, 자신의 집에서 출발하여 원하는 목적지는 어디든 갈 수 있는 개인 소유의 비행체를 의미함

­ 소재, 전자, 자동차, 항공 산업의 발달과 항공기에 대한 운용 노하우의 축적으로 인한 안전성 확보, 인간의 편리한 운송 수단의 요구에 따라 만들어진 개념임 ­ 자동운행 같은 보다 쉽고 편리한 방법으로, 비행기처럼 짧은 시간에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자동차의 영역을 빠르게 대체해 나갈 것이며, 가장 매력적인 개인용 운송 수단으로써 각광 받을 것으로 보임 ­ PAV가 한정된 공간에서 운영할 수밖에 없는 지상 운송의 한계점을 극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PAV는 다양한 추진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를 기체의 자세와 연계해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어 개념을 도입하고, 조종사가 잘못된 조종 입력 값을 넣었을 때 이 입력 값을 분석하여 치명 적 고장(Critical Failure)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함

­ 조종사가 원하는 자세를 유지하면서 비행이 가능한 비행 제어 개념과 조종사 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요소를 최소화한 조종간 및 Fail-Safe1) 제어개념을 적용해야 함

1) Fail-Safe : 기계가 고장났을 경우, 그대로 폭주해서 사고, 재해로 연결되는 일이 없이 안전을 확보하는 기구

- 14 - PAV 개념

PAV의 분류

분류방식 Mode 개념

Single Mode ‧ 현재의 항공기와 비슷한 개념, 소형항공기와 같은 (단일모드) 방법으로 운용하는 PAV 운용기준 Dual Mode ‧ 지상 운용장치의 기능이 함께 있어 지상과 항공 (이중모드) 두가지로 운용 가능한 PAV

‧ 현재 고정익 항공기와 비슷한 형태, 활주로 이용하여 CTOL/STOL 이착륙방 이착륙 식 ‧ 회전날개를 이용하여 운행하는 방식, 활주로 필요 없음, SSTOL/VTOL 수직 이착륙 가능

○ PAV는 다양한 동력 장치를 사용하여 토크 혹은 추력을 생성

­ Dual Mode인 경우 지상에서 바퀴를 구동시키고, 항공기 형태로 비행할 때는 추력 장치에 동력이 전달되어야 함 ­ Single Mode인 경우 하나 혹은 다수의 엔진을 사용하여 추력 장치로 동력을 공급해야 하는데, 이 를 위해서는 운항 조건에 적합한 동력을 전달해야 함 ○ PAV의 궁극적인 목표 중에 하나는 편리하고 저렴한 유지/보수 개념의 동력 전달장치 개발을 필요 로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기어박스내의 윤활 상태 및 칩생성여부, 고장 시 모듈화된 부품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개념을 적용해야 함

○ PAV 조종사들은 기존 항공기보다 적은 시간의 훈련을 받고, 자가용으로 많이 활용 할 것으로 예 상됨.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설계/제작에 반영해야 함

- 15 - ­ 조종사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하고 편리한 운항을 위해서는 PAV의 운용 상태를 감지하고 최적의 비행경로 및 조종사가 원하는 비행을 할 수 있도록 미션관리 시스템을 보유 ­ PAV가 대중화 되면 공중의 고속도로와 같은 개념으로 운용 되는데, 이때 선행하는 항공기들에 의 해 발생하는 와류로 인해 비행 안정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PAV들 간의 적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분리보장(Separation Assurance)시스템을 장착 ­ PAV는 조종사의 건강 상태를 수시로 감지하는 시스템을 내장하여, 조종사의 신체상태가 기준치에 벗어나면 비행 중에도 강제로 자동 착륙하는 기능을 보유 할 것으로 예상됨

2. PAV 개발동향

1) 세계동향

□ PAV 초기 개발

○ 넓은 의미에서의 PAV 개발은 이미 오래전부터 시도되어 옴

○ 미국의 Curtiss Aeroplane & Motor Company의 ‘Auto Plane(1917)’ 이후 Waldo Waterman의 ‘Waterman Arrowbile(1937)’, Pitcairn의 ‘Pitcairn Whirlwing(1939)’, William B.Stout의 ‘Stout/Spartt Skycar IV(1944)’, Fulton FA-2 Airphibian(1946) 등의 시험적인 PAV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옴. 특히 Fulton FA-2 Airphibian은 날개의 탈부탁이 가능한 Flying Car의 원조격 비행 체임

○ 이후 상용자동차에 비행을 위한 장비를 장착하고 비행할 수 있는 ConVair Car118(1947), 1950년 대 후반에는 프로펠러 추진방식의 Flying Car인 Taylor Aerocar가 개발된 바 있음

○ 초기 형태의 PAV는 안전성 및 기술적 결함, 경제성 등이 결여되어 상용화에는 한계를 보이며, 개 발성공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평가됨

Fulton FA-2 Airphibian

- 16 - □ NASA의 PAV 관련개발사업 현황

○ PAV는 국가의 연구기관과 소규모 항공관련 벤처회사를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수행. 특히 미국은 민간업체 이외에도 NASA를 비롯한 국가 연구기관이 매우 적극적으로 PAV에 대한 장기 개발 프 로그램을 추진

○ NASA가 추진한 PAV 개발사업 중 중요한 개발 프로그램으로는 PAVE(Personal Air Vehicle Exploration), AGATE(Advanced General Aviation Transports Experiment), GAP(General Aviation Propulsion), SATS(Small Aircraft Transportation System) 등이 있으며 각 개발프로그램은 PAV개 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형태별 개발동향 ① 수 직 이 착 륙 형 (VTOL) ○ VTOL은 좁은 공간에서 수직으로 이착륙이 가능한 기종임

○ 통상 엔진으로는 작고 가벼우며, 양력을 많이 발생시킬 수 있는 Ducted fan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이륙거리가 짧을수록 사용이 용이해야 하는 PAV에 적합한 것으로서 개발 초기부터 수직이착륙에 중점을 두어 개발된 추진기관으로 평가되고 있음

○ 주요 개발기종으로는 영국의 Moller International의 Skycar M400, M200, Macro Industries Inc의 ‘Skyrider X2R, 이스라엘 Urban Aeronautics의 City Hawk(민간용모델)과 동 기종의 파생형 모델 인 8인승급 X-Hawk(시제기)등이 있음. 특히 2009년 시험비행을 완료한 것으로 알려진 X-Hawk 는 응급환자수송용 등 공공목적과 부분적으로는 소규모 군대운용도 가능하여 그 활용도와 혁신성 에서 우리가 주목 할 필요가 있음

○ 이외에도 미국의 Sikorsky는 X2 Technology 기술시현기(2008년 시험비행), Carter Aviation Tech 는 CarterCopter(1998년 시험비행), 4인승 Carter 4 Place PAV 전환식 항공기 (convertplane)(2006년 모델 발표) 등을 각각 개발 중임

○ 유럽에서는 네덜란드 ‘PAL-V Europe NV’에서 PAL-V(Personal Air and Land Vehicle) One을 개 발(2012년 초도비행)하였으며, 이 기종은 하이브리드카, 모터 바이크, 3륜 자동차 윗부분이 헬리 콥터(복수로터)인 자이로콥터형의 혼용. 이외에도 2009년 개발이 완료된 영국 Parajet automotive 의 Skycar, 이탈리아 Cell Craft의 G440, 독일 Stefan Hager의 Flying Rider 등도 각각 활발히 연 구 및 개발되고 있으며, 중국의 EHANG에서는 멀티콥터 드론 형태의 기체에 사람을 태워 비행하 는 유인드론 형태의 ‘EHANG 184’의 개발이 막바지 단계에 있음

② 단 거 리 이 착 륙 형 (C T O L , STOL) ○ STOL은 기본적으로 대부분 날개의 폭을 최대한 줄여 좁은 공간에도 주차가 가능한 형태이며, 적 은 날개 면적으로도 운항이 가능하고, 지상에서도 도로를 이용하기 쉽고, 매우 짧은 이착륙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로터를 이용한 형태로 개발한 기종

○ 시험적 기종으로는 AFA(Advanced Flying Automobile)의 'Sokol A400, LaBiche Aerospace의

- 17 - FSC-1, 캐나다 Milner Motors사의 Aircar 등이 있음

○ 2000년에는 미국의 Groen Brothers Aviation Inc.가 개발한 4인승용 Hawk-4가 시험비행에 성공 하였으며, 동 기종은 세계 최초로 터빈엔진을 장착한 Gyroplane으로 미국연방항공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이하 FAA)의 승인을 받음

○ 이후 Jet Hawk 4, Hawk 5, Hawk 8 등의 개량형이 개발 중에 있음

○ 2008년에는 미국의 Terrafugia가 제조한 ‘Transition’이 시험 비행에 성공. Transition은 비행기처 럼 날지만 날개를 반으로 접으면 자동차처럼 도로를 주행할 수 있는 복합형 공륙양용형이며 어느 기종보다 상용화에 근접한 것으로 평가됨

○ 슬로바키아에서 개발한 ‘에어로모빌3.0’은 2013년 초도비행에 성공하였으나, 2015년 비행시험 중 추락하여, 문제점 분석 및 보완 개발을 진행 중

세계 각국의 PAV 개발 현황

국가명 개발중인 PAV

미국

테라푸지아 트랜지션 테라푸지아 TF-X ICON A5

유럽 Moller Skycar M400(영국) Parajet SkyCar(영국) Skyrider X2R(영국) (영국,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Messerschmitt Club Laurent Fabre Flying PAL-V One FlyingCar(독일) Car(프랑스) (네덜란드)

아시아 (이스라엘, 중국, 일본) X-Hawk(이스라엘) EHANG184(중국) TEMA(일본)

기타

Avro Canada Milner Motors 에어로모빌 3.0 AVROCAR(캐나다) AirCar(캐나다) (슬로바키아)

- 18 - 주요 PAV 개발 현황 네덜란드PAL-O 중국 이항社 미국 테라푸지아 슬로바키아 구 분 NE 이항 184 트랜지션 에어로모빌3.0 PAL-ONE V 개발기간 ’11 ~ 현재 ’06 ~ 현재 ’90 ~ 현재 ’16. 06. ’09. 초도비행, ’13. 10. 초도비행 ’09. 도로주행 진행상황 미국(네바다주) 비행&주행 안정성 ’15. 5. 추락 ’12. 초도비행 시험비행 승인 검증 테스트 상용화 ’17 상용품 개발 ’17 상용품 개발 ’17 상용품 개발 ’17 상용품 개발 예정시기 완료 목표 완료 목표 완료 목표 완료 목표 200,000~300,000달 예정가격 279,000달러 2억원 정도 500,000유로 러 길이(전장) : 전장 : 4.0m 6.02m 길이(전장) : 6.0m 크 기 미공개 전폭 : 날개(전폭) : 날개(전폭) : 8.3m 1.6m(로터제외) 8.08m 200kg 440kg 중 량 (payload 120kg (payload 210kg 600kg 680kg 제 가능) 가능) 185km/h(비행) 200km/h(비행) 180km/h(주행, 원 속 도 100km/h 110km/h(주행) 160km/h(주행) 비행) 항속거 주행 1,296km 주행 875km 주행 1,200km 항속시간 23분 리 비행 787km 비행 700km 비행 500km 2인승 2인승 1인승 2인승 기 타 엔진 100hp, 160KW 14.4kWh 베터리 엔진 ROTAX912 Rotax 가솔린엔진 수직이착륙 활주비행 특 징 활주비행 활주비행 주행불가능 자이로콥터* 형태

2) 국내동향

○ 국내에서는 차세대 교통수단으로서 PAV 및 Flying car의 중요성과 수요증대를 인지하여 2009년 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지식경제부의 지원을 받아 선행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정부는 2010년 1월 PAV 개발계획이 포함된『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2010~2019)』을 발표하였음

○ 같은해 3월에는『미래형 항공기 개발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PAV 개발에 대한 구체적 추진 의지 를 공표하였음

PAV 비전 및 목표

- 19 - ○ SWOT 분석을 통한 R&D 추진 전략

내부요인 (내부역량) Strength Weakness 외부요인 (Biz 환경) SO 전략 [Expansion] WO 전략 [Acceleration] ․우리나라 강점의 자동차, 항공, IT ․미래형 항공기 기술 분야에 대한 산업 분야융․복합화 촉진을 통해 한국 특허는 발전기에 있고, 따라서 산업 경쟁력의 지속적 우위 확보 국내 기업은 한국 내에서의 증가하 및 신성장 동력 창출이 가능한 신 는 특허 활동에서 더 나아가, 항공 산업 기 기술 분야의 주요 시장인 미국 Opportunity ․선진국의 과점으로 진입 장벽이 높 과 유럽에서도 기술력 확보를 위하 은 기존 항공 산업과는 달리, 궁극 여 적극적으로 해외 특허 출원을 적으로 자동차를 대체할 새로운 산 시도해야 할 것으로 분석 업이며, 선진국의 본격적인 개발 경 ․PAV 연구는 세계적으로도 초기 단계 쟁이 시작되지 않은 단계로 시장 선 로 재원 집중 시 선진국과 대등 경쟁 점 가능 가능

ST 전략 [Alliance] WT 전략 [Innovation] ․기술 도입이 필요한 원천/중점추진 ․PAV 운용에 필요한 국제적인 교통 기술이나 지적 소유 제한 기술 등 법규 및 제도, 서비스 인프라 구축 에 대해서는 국제 공동 개발 및 국 방안, 운항 관제 제도 구축 등에 대 산화 개발 등을 통해 수출입 장벽 한 선도적 연구 수행 을 극복할 수 있음 ․혁신적 공역 체계/법규 체계 개선 Threat ­국제 컨소시엄을 결성하여 선진국과 및 지역 간 국내 교통 인프라 확충 의 협조와 보완을 통해 소요 기술 확보 ­실용화에 따른 위험도와 투자 소요 를 줄이고 용이한 국제 시장 진입 을 위해 국제 공동 개발 방식으로 추진

○ 특히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016년 12월 무인기 산업 간담회에서 미래 다가올 PAV 기반기술 확보 측면에서 무인기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

○ 경남은 차세대 교통수단인 PAV에 대한 미래 수요 증대에 선제적으로 대응을 위해 국내 유일의 PAV 기술개발 경연대회를 2010년부터 매년 개최해오고 있으며, 2016년에는 PAV 기술개발 성과 확산을 위해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함

- 20 - 의안번호 제 659 호 의 결 2017. . 사 의결연월일 (제 회) 항

경상남도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 조례안

발 의 자 박병영 의원 외 21명

발의연월일 2017. 3. 31.

- 21 - 경상남도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 조례안

발의연월일 : 2017. 3. 31. 의안번호 제 659 호 발 의 자 : 박병영·김진부·강용범·

권유관·김창규·박해영· 조우성·최학범·황대열·

정광식·박정열·강민국· 김홍진·여영국·이태춘· 정판용·제정훈·김성준· 천영기·진병영·김부영· 박 준 의원 1. 제안이유

경상남도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 써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기반을 조성하고 경쟁력을 강화하여 경상남도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함

2. 주요내용

가.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을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 등을 규 정함(안 제5조)

나.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해외진출을 위한 사업, 연구개발과 실용

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규정함(안 제6조)

- 22 - 다. 무인항공기 등 산업 육성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에 대하여 규정함(안

제7조)

라. 무인항공기 조정 경기대회 등 관련 대회의 개최 및 지원에 대하여 규 정함(안 제8조)

마. 무인항공기 등의 종사자 안전교육 및 무인항공기 등 산업에 관한 실태

조사 실시에 대해 각각 규정함(안 제9조부터 안 제10조까지) 바.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연구개발과 실용화에 관한 업무를 위탁할 수 있

도록 규정함(안 제11조) 3. 참고사항

가. 관련법규 :「지방자치법」제9조제2항제3호차목 나. 예산조치 : 비용추계 미첨부 사유서 첨부 다. 합 의 : 라. 기 타 1) 입법예고 : 2) 규제심사 :

- 23 - 경상남도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 조례안

제1조(목적) 이 조례는 경상남도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기반을 조성하고 경쟁력을 강화

하여 경상남도 경제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조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무인항공기 등"이란 드론을 포함한 무인운송수단(UAV, Unmanned Aeria

l Vehicle) 또는 무인이동체(UMV, Unmanned Movable Vehicle)로써 명칭, 사용용도, 비행반경, 비행고도, 크기 등을 불문하고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원격으로 조정되는 항공기나 비행장치 및 미래형 개인 비행체(PAV : Perso nal Air Vehicle)를 말한다. 2. "무인항공기 등 산업"이란 무인항공기 등을 제작ㆍ운용하기 위한 산업 및 무인항공기 등을 이용하여 재화를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등을 말한다. 제3조(다른 조례와의 관계)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하여 다 른 조례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조례를 따른다. 제4조(도지사의 책무) ① 경상남도지사(이하 "도지사"라 한다)는 무인항공기 등 기술의 공유와 확산 및 산업의 기반조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노력하

여야 한다.

② 도지사는 무인항공기 등의 운용과 산업 발전에 저해되는 규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제5조(기본계획의 수립 및 시행 등) ① 도지사는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을 위한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을 5년마다 수립․시행할

- 24 - 수 있다.

② 기본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의 기본목표와 방향에 관한 사항 2. 무인항공기 등 산업 인력의 양성 계획에 관한 사항

3. 무인항공기 등 사업자의 창업ㆍ경영 및 기술지원에 관한 사항

4. 무인항공기 등 산업행사ㆍ기술개발ㆍ연구사업 등의 지원에 관한 사항 5.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정보교류 및 저변확대에 관한 사항

6. 무인항공기 등 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확대 및 소요재원에 관한 사항 7. 무인항공기 등 운용실험 등을 할 수 있는 안전한 장소제공에 대한 사항 8. 그 밖에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을 위하여 도지사가 필요 하 다고 인정하는 사항 ③ 도지사는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을 위하여 기본계획에 따른 시행계획을 해마다 수립ㆍ시행할 수 있다. ④ 도지사는 제3항의 시행계획에 따른 추진실적을 해마다 평가할 수 있다. ⑤ 도지사는 제3항의 시행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관련 기 관 및 단체 등에 자료를 요청할 수 있다. 제6조(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연구개발 등) ① 도지사는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해외진출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1. 무인항공기 등 산업 관련 국제행사의 개최 및 외국인의 투자유치

2. 국내외 마케팅 및 홍보 3. 무인항공기 등 연구개발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산학연 협동연구

4. 무인항공기 등의 효과적인 이용 촉진을 위한 행정적 지원

5. 그 밖에 도지사가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 25 - ② 도지사는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연구개발과 실용화를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 업을 수행할 수 있다. 1. 무인항공기 등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 기획 및 정보 확산 2. 연구개발 및 실용화 촉진 3. 기술․시장 선도를 위한 행사․교육 4. 개발인력 및 사용자 수요확산을 위한 인력 양성 5. 국내외 관련 산학연과의 교류․협력 6. 그 밖에 도지사가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연구개발과 실용화를 위하여 필요하 다고 인정하는 사업 제7조(전문인력 양성) ① 도지사는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에 필요한 전 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시책을 추진할 수 있다. ② 도지사는 제1항에 따른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하여 무인항공기 등 산업과 관련된 대학ㆍ연구소 등 적절한 인력과 시설을 갖춘 기관ㆍ단체 등과 협력관 계를 구축할 수 있다. 제8조(무인항공기 조정 경기대회 등) ① 도지사는 무인항공기 등 산업발전을 위하여 무인항공기 조정 경기대회 등 관련 대회를 개최하거나 이를 개최하는 기관․단체 등을 지원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무인항공기 조정 경기대회 등 관련 대회를 위한 안전한 공 간 및 장소 확보와 참가비행체의 크기, 경기운용 등 필요한 사항은 도지사가 정

한다.

제9조(안전교육) 도지사는 무인항공기 등의 조정자 및 산업종사자를 대상으로 다음 각 호의 안전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1. 무인항공기 등 조정자 안전운행 교육

- 26 - 2. 무인항공기 등 산업종사자 안전 교육

3. 그 밖에 도지사가 안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교육

제10조(실태조사) ① 도지사는 무인항공기 등 산업 관련 정책의 수립ㆍ시행을 위하여 무인항공기 등 산업에 관한 실태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실태조사의 대상ㆍ방법 등 필요한 사항은 도지사가 정한다.

제11조(업무의 위탁) ① 도지사는 제6조제2항에 따른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연구개발과 실용화에 관한 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기관․단체에 위탁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지사는 위탁관리에 드는 경비의 전 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1. 국공립 연구기관 2. 정부나 경상남도가 출자 또는 출연한 연구ㆍ기업지원 기관 3. 그 밖에 도지사가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 는 기관 ② 제1항에 따라 업무를 위탁받은 기관․단체는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연구 개발과 실용화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조직과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제12조(예산의 지원) 도지사는 무인항공기 등 관련 연구 및 산업발전이나 무 인항공기 조정 경기대회 등 관련 대회를 추진하는 자에게 예산의 범위에서 필요한 경비의 전부 및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제13조(시행규칙) 이 조례의 시행에 필요한 사항은 규칙으로 정한다.

부칙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 27 - 경상남도 무인항공기 등 산업의 육성 및 지원 조례안 비용추계 미첨부 사유서

1. 비용발생 요인 및 관련 조문 제4조(도지사의 책무) 제6조(무인항공기 사업 육성 및 기술개발 등) 제8조(무인항공기 관련 경기대회) 제10조(실태조사) 제13조(예산의 지원)

2. 미첨부 근거 규정 「경상남도 의안의 비용추계 조례」제4조(비용추계 제외대상) 제1항 제2호 “의안 내용이 선언적 권고적 형식으로 규정 되는 등 기술적으로 추계가 어려운 경우”에 해당됨

3. 미첨부 사유 조례가 시행되어 구체적으로 계획이 수립되어야만 비용 추계가 가능함

4. 작성자 국가산단추진단장 류 명 현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