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1. 정책 및 규제 기관 2. 정책 및 규제 3. 산업구조 및 특징 4. 산업 주요 이슈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1. 소프트웨어 2. 인터넷서비스 3. 통신 4. 디지털콘텐츠 5. 방송스마트미디어 6. 정보보호 7. 클라우드 컴퓨팅 8. 사물인터넷 9. IT 스마트융합 10. 전파위성 11. 디바이스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6 棱. 말레이시아 유망제품 진출전략 1. 유망품목 도출 ICT & Broadcasting 2. 유망제품 선정 3. 유망제품 유통구조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MALAYSIA Market Report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Overview

Overview

惊 주요 정보통신방송 기관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정보통신멀티미디어부(KKMM) - 말레이시아의 정보통신(ICT) 및 방송 총괄은 정보통신미디어부 (KKMM) 가 담당하며 , 정보통신 (ICT) 및 역할 방송 규제는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가 담당함 산업 동향

조직도 1. 정책 및 규제 기관

2. 정책 및 규제

3. 산업구조 및 특징 惊 정보통신방송 주요 정책 4. 산업 주요 이슈 공공부문 ICT 전략플랜 2016~2020 - 공공부문 ICT 전략플랜 (PSISP, Public Sector ICT Strategic Plan)은 2020 년 까지 말레이시아 공공부문에서의 T IC 활용에 대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 있음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제 11 차 말레이시아 국가 발전 계획 2015~2020 -2015 년 5 월 21 일 정부는悧Anchoring Growth on People您 라는 테마 아래11 제 차 말레이시아 국가 발전 계획을 발표함 - 말레이시아 정부는 제11 차 말레이시아 국가 발전 계획을 발표하면서10 제 차 말레이시아 국가전 계획이 발 도입된 기간 동안 경제가 민간투자를 앞세운 내수와 탄탄한 경제 인프라를 기반으로 성장했음을 알림 국가 IT 어젠다 (NITA) 1996~2020 - 말레이시아는1991 년부터 정보선진국으로 도약하여 2020 년까지 선진국이 되는 것을 목표로 국가 정보화계획인 悧Vision 2020您 을 수립하여 추진해 오고 있음 MSC말레이시아 (Multimedia Super Corridor Malaysia) 1996~2020 -MSC 말레이시아 (Multimedia Super Corridor Malaysia) 는 2020 년까지 말레이시아를 선진국의 반열에 올리겠다는 정책으로서 첨단정보산업 관련 환경을 완벽하게 조성하기 위해 계획된 특별구역임

惊 한국과의 협력 현황 - 한䡆 말레이시아 사이버 보안 동맹 형성(2016.11) - 말레이시아 주재 한국 대사, ICT 기반으로 말레이시아와 관계 강화 표명 정부 (2016.10) - 미래부, 말레이시아서悧 디지털콘텐츠 비즈니스 로드쇼 您 개최 (2016.09) -KISA, 동남아시아 정보보호시장 진출 (2016.11) 기업 - 국내 소프트웨어(SW) 기업 , 동남아시아 진출에 적극적 (2016.10) -LG CNS, 말레이시아 버스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수주(2016.03)

2016 CONEX 4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1. 정책 및 규제 기관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1. 정책 및 규제 기관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 (MCMC, Malaysian Communications and 1. 정책 및 규제 기관 말레이시아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 (MCMC) 위원장 프로필 Multimedia Commission) YBhg. Dato' Sri 1998년에 제정된 정보통신 (ICT) 柴 방송 융합 관련 법안인 통신 및 멀티미디어 말레이시아의 정보통신(ICT) 및 방송 총괄은 정보통신미디어부 (KKMM) 가 담 성명 Dr. Halim Shafie 당하며, 정보통신 (ICT) 및 방송 규제는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 (MCMC) 가 담당함 위원회 법안(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Commission Act) 과 통신 및 통신멀티미디어위원 직급 회 위원장 멀티미디어 법안(Communication and Multimedia Act) 을 근거로 설립된 말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멀티미디어부 (KKMM) 시러큐스 대학교 레이시아 정보통신(ICT) 柴 방송 규제기관임 정보통신멀티미디어부(KKMM, Kementerian Komunikasi dan Multimedia) 학력 1988 년 장관 프로필 정보전송 박사 2013년 5 월 말레이시아 정부는 ICT 전문성 강화를 위해 정보통신멀티미디어 2014 산업대 고문 이사회 YB. Datu Seri 주요 업무는 방송, 통신 , 전자 콘텐츠 , 우편 서비스 등을 관리 감독하고 규제 성명 Dr. Salleh Said 부(KKMM) 를 출범함 현재~ 멤버 Keruak 2006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 함. 정보통신 (ICT)柴 방송 분야 라이선스 발급 , 주파수 관리 , 통신 장비 인증 , 주요 ~2009 위원장 정보통신멀티미디 직급 경력 2000 에너지, 물 , 통신부 기술 규제 등을 담당함. 주요 역할은 통신 , 멀티미디어 시장 및 사업자를 관 어부 장관 정보, 통신 , 문화 분야를 총괄하는 정보통신문화부 (MICC, Ministry of ~2006 사무총장 리柴 감독하는 것이나 지나친 시장 개입보다 시장의 자율규제를 장려함 뿌뜨라 말레이시아 대학교 Information Communi- cation and Culture)가 전신임 . 정보통신문화부 1999 커뮤니케이션과 학력 정치과학 박사 ~2000 멀티미디어부 사무차장 (MICC)는 정보 , 통신 , 문화 분야를 총괄하는 부처로 2009 년 4 월에 설립됨 2015 정보통신멀티디디어부 말레이시아 우편서비스법 1991(Postal Service Act 1991) 에 따라 2001 년 11 현재~ 장관 2012 UMNO, 연락 월 우편국(Postal Department) 으로부터 우편서비스 규제 권한을 위임 받음 . 현재~ 차관 정보통신문화부(MICC) 는 기존의 정보부 (Ministry of Information), 예술문화유 2010 정보통신멀티미디어부(KKMM) 산하기구로서 정보통신멀티미디어부 (KKMM) 와 장관직 과학기술 고문 산부(Ministry of Culture, Arts and Heritage), 에너지수자원통신부 (Ministry ~2012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음 주요 2011 말레이시아 국립영화 of Energy, Water and Communications)로부터 정보 , 통신 , 문화 부문의 관 경력 ~2012 개발공사 회장 련 정책 업무를 인계 받음 2010 Sabah 주 입법회의 정보통신멀티미디어부(KKMM) 가 정보통신 (ICT) 柴 방송 분야 관련 정책이나 규 ~2012 의장 제 혹은 법규를 마련하는 과정에 협력하고 이에 대한 조언을 제공함. 정보통 2010 정보통신멀티미디어부(KKMM) 는 산하에 정보통신 (ICT) 柴 방송 규제 기관 통신 정보통신 장관 ~2015 신멀티미디어부(KKMM) 가 마련한 정책 및 전략을 수행함 1994 멀티미디어위원회 (Malaysian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Commission, Sabah 주 주지사 ~1996 MCMC)와 멀티미디어개발공사 (MDEC) 를 두고 있음 그림 1.2 : 말레이시아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조직도

그림 1.1 : 정보통신멀티미디어부(KKMM) 조직도

출처 : 정보통신멀티미디어부 (KKMM) 출처 :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 (MCMC)

2016 CONEX 5 2016 CONEX 6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2. 정책 및 규제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2. 정책 및 규제

주파수 관리 및 재분배 정책 2. 정책 및 규제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는 ITU 의 권고에 따라 주파수 관리 정책을 수립 1) 정책 및 관리하고 있음. 주로 주파수 관련 규제 수립 , 주파수 이용 계획 수립 , 주파 수 할당, 전파 장애 감시 및 조사 , 주파수 할당에 관한 기술적 측면의 분석 등 을 수행함. 주파수 할당은 클래스별 할당 , 기기별 할당 , 대역별 할당 등으로 공공부문 ICT 전략플랜 2016~2020 이루어짐 공공부문 ICT 전략플랜 (PSISP, Public Sector ICT Strategic Plan) 은 2020 년 까지 말레이시아 공공부문에서의 ICT 활용에 대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 표 1.2 : 주파수 할당 정책 구분 내용 있음 - 단말기柴 서비스의 운용과 제어 , 단말기 이용에 관한 특정 조건 , 특정 주파수의 이용, 서비스 지역의 한정 등과 같이 특정한 이 Vision 2020 달성을 목표로 하며 , 공공부문의 사업방향에 맞추어 기술 활용 클래스별 할당 유로 이용이 한정된 기기에 대한 주파수 대역의 사용권을 부여함 을 조정하는 동시에 공공부문 전략플랜을 토대로 기술을 개발하고 구조화된 - 이동통신 단말기, VSAT, FFWA, 무선 전화기 , 블루투스 등과 같 설계를 통해 투자수익률을 보장함 은 단거리 통신 기기에 이용되는 주파수의 할당이 대표적인 예임

- 통신 관련 라이선스를 보유한 개인 및 법인이 이용하는柴 유 무 제 11 차 말레이시아 국가 발전 계획 2015~2020 기기별 할당 선柴 방송 사업용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에 사용권을 부여함 2015년 5 월 21 일 정부는 悧Anchoring Growth on People您 라는 테마 아래 제 11차 말레이시아 국가 발전 계획을 발표함 . 제 11 차 말레이시아 국가 발전 - 경매와 입찰 등에 따라 할당되는 방식임 계획은 비전2020 을 실현하는 마지막 관문임 -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 (MCMC) 가 설정한 할당 조건에 부합되는 대역별 할당 경우에 한하여 주파수 대역의 사용권이 부여됨 말레이시아 정부는 제 11 차 말레이시아 국가 발전 계획을 발표하면서 제 10 - 낙찰된 주파수 라이선스의 유효 기간은20 년 이하임

차 말레이시아 국가 발전 계획이 도입된 기간 동안 경제가 민간투자를 앞세운 출처: 국가정보기술회의 (NITC)

내수와 탄탄한 경제 인프라를 기반으로 성장했음을 알림 2012년 12 월 6 일 , 통신미디어위원회 (MCMC) 는 8 개 사업자에 4G 서비스를 위 표 1.1 : 제 11 차 말레이시아 국가발전계획 전략적 추진방안6 가지 한 2,600MHz 주파수 대역을 할당함 . 4G 주파수를 할당받은 8 개 통신 사업자 목표 계획 는 Celcom Axiata, Maxis Broadband, DiGi Telecommunications, Packet

성별, 인종 , 지역과 관련 없이 균등하게청년 리더십 및 기업가 정신 프로그램 제공, One Networks, Puncak Semangat, Redtone Marketing, U Mobile, YTL 기회 및 혜택 제공 여성䠯 취업 제고 , 노약자 지원 강과 Communications 등임 모바일 건강관리 서비스, 공공병원 경영시스 국민 생활수준 및 삶의 질 향상 템 개선, 의료시설 확대 , 민간부문 NGO 협 통신미디어위원회(MCMC) 는 상기 통신 사업자 중 기존 사업자는 2,600MHz 대 력 강화 등 추진 말레이시아의 경제성장 및 투자유치를지식 산업에 투자, 교육과정 개선능력 , 중심 역을 통해 모바일 브로드밴드 네트워크 서비스를 향상시켜 개선된 통신 서비스 위한 인적자원 개발 의 임금체계 구축 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며, 신규 사업자들은 새롭고 혁신적인 국민 생활여건 및 기업환경 개선을 위한2020 년까지 99% 의 인구에게 수도 및 전기 서비스를 제공할 것임 교통, 통신 , 전기등 인프라 개발 공급, 도로공사 , 물류 및 교통 인프라 개선

고부가가치 제조업 및 서비스업을 통한이슬람금융 , ICT, 할랄 등 서비스 산업 육성 , 상기 통신 사업자들은 네트워크 구축 비용 및 송전탑 중복 구축을 줄이기 위해 고급 일자리 창출 소규모 창업 지원, 수출지원 상기 대역을 공유하는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주파수 접근 권한이 출처: 말레이시아행정경영계획부 (MAMPU) 없는 서비스 제공업체들에게 4G MVNO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임

2016 CONEX 7 2016 CONEX 8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2. 정책 및 규제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2. 정책 및 규제

국가 IT 어젠다 (NITA) 1996~2020 2) 규제 말레이시아는 1991 년부터 정보선진국으로 도약하여 2020 년까지 선진국이 되 는 것을 목표로 국가 정보화 계획인 悧Vision 2020您 을 수립하여 추진해 오고 말레이시아의 주요 정보통신柴 방송 시장에 적용되는 법규는 5 가지로 구분 할 있음. 이를 위하여 수상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 IT 위원회 (NITC, National IT 수 있음. Postal Service Act 2012 로 2012 년 개정된 우편서비스법 , Strategic Council) 를 설립하여 운영해 오고 있음 Trade Act 2010로 전략적 거래에 관한 법률 ,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Act 1998로 커뮤니케이션멀티미디어법 , Malaysian 국가IT 위원회 (NITC) 는 悧Vision 2020您 달성을 위하여 1996 년 12 월 국가 IT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Commission Act 1998 로 정보통신 융합 어젠다(NITA) 를 수립함 . 국가 IT 어젠다 (NITA) 의 비전은 말레이시아를 정보사 법, Digital Signature Act 1997 로 전자서명법이 있음 회, 지식 기반 사회 이상의 가치 기반 사회로 전환시키는 것임 표 1.3 : 말레이시아의 주요 정보통신(ICT) 柴 방송 시장 법규 구분 내용 1998년에는 말레이시아 국민이 IT 가 제공하는 기회에 참여하고 , 활용하는 것 Postal Service Act 2012 우편서비스법(2012 년 개정 )

을 목표로 한 Demonstrator Application Grant Scheme(DAGS)을 수립함 . Strategic Trade Act 2010 전략적 거래에 관한 법률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Act 국가 IT 어젠다 (NITA) 는 e-World 로 전환하기 위한 중점 전략으로 e- 커뮤니티 , 커뮤니케이션멀티미디어법 1998 e-공공서비스 , e- 러닝 , e- 경제 , e- 주권 등 5 개 영역을 소개하고 있음 Malaysian Communications and 정보통신(ICT) 융합법 Multimedia Commission Act 1998 MSC말레이시아 (Multimedia Super Corridor Malaysia) 1996~2020 Digital Signature Act 1997 전자서명법 출처: 국가정보기술회의 (NITC) MSC 말레이시아 (Multimedia Super Corridor Malaysia) 는 2020 년까지 말레 이시아를 선진국의 반열에 올리겠다는 정책으로서 첨단정보산업 관련 환경을 말레이시아는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및 멀티미디어 산업의 발전과 변화에 대응 완벽하게 조성하기 위해 계획된 특별구역임 하기 위해 1998 년 정보통신 (ICT) 융합법인 悧 커뮤니케이션멀티미디어법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Act 1998)您을 도입함. 悧 커뮤니케이션멀티미 물리적 인프라, 통신 인프라 , 소프트 인프라의 3 개 인프라를 동시 병행적으로 디어법您 도입 이전에는 정보통신 (ICT)柴 방송 시장에 각각 悧방송법 (Broadcasting 개발하려는 것이 MSC 의 기본 컨셉임 . MSC 에는 푸트라자야 (Putrajaya) 와 사이 Act 1988)您悧과 통신법(Telecommunications Act 1950)您 을 적용함 버자야(Cyberjaya) 등 2 개 도시를 개발하는 것으로 푸트라자야 (Putrajaya) 는 신행정도시로서 2005 년까지 수도 기능의 전부를 이전하여 전자정부를 추진함 . 同법은 기존의 방송 서비스, 통신 서비스 , 컴퓨터 네트워크 , 콘텐츠 등에 공통    사이버자야(Cyberjaya) 는 IT 기업의 사업 및 연구 , 개발의 거점이 되는 MSC 의 으로 적용되는 법안으로 경쟁 촉진, 기술 중립성 , 보편적 서비스 확대 중핵 인텔리전트 시티임 등을 목적으로 함

悧MSC 말레이시아는 您 지금까지 말레이시아 경제를 견인해온 제조업과 더불어 커뮤니케이션멀티미디어법 IT산업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 및 지식집약형 산업 육성을 중시함. 悧MSC 말레 표 1.4 : 커뮤니케이션 멀티미디어법 이시아您 추진을 위해 실행계획으로 멀티미디어특구의 건설, 규제완화 , 기업우 커뮤니케이션멀티미디어법의 목적 - 말레이시아를 커뮤니케이션 , 멀티미디어 , 정보 , 콘텐츠 서비스의 글로벌 허브 (Global 대조치, 플래그쉽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 세계적 기업의 유치 등을 내걸고 있 Hub) 로 육성 으며, IT 산업의 육성집적화를悳 통하여 말레이시아를 IT 의 국제허브로 만들겠다 - 말레이시아 국민의 삶과 업무의 질을 향상시키는 정보기반 서비스를 촉진 는 것을 밝히고 있음 - 국가 정체성과 글로벌 다양성을 뒷받침하는 지역 정보 자원을 육성 - 장기적인 소비자 (End-User) 이익을 도모 - 서비스에 대한 최고 수준의 소비자 신뢰도를 형성 - 국가 유비쿼터스 인프라를 기반으로 합리적인 가격의 서비스를 보장 - 소비자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조성 - 자원 ( 자본 , 지식 , 국가 자원 , 인적 자원 등 ) 의 효율적 이용 - 말레이시아 컨버전스 산업 역량 및 기술 개발을 촉진 - 정보 보안 및 네트워크 신뢰성 보장 출처: 커뮤니케이션 멀티미디어법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Act 1998)

2016 CONEX 9 2016 CONEX 10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2. 정책 및 규제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2. 정책 및 규제

커뮤니케이션멀티미디어법은 기술 중립성 원칙에 입각하여 정보통신(ICT) 柴 방 표 1.7 : 주요 기술 규제 송 서비스를 다음의 4 가지로 구분함 .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 (MCMC) 는 네트워 구분 내용 주파수 할당, 기기 할당 , 클래스 할당으로 구분 , 크 인프라 사업자(NFP), 네트워크 서비스 사업자 (NSP),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실질적으로는 정보통신멀티미디어부(KKMM) 와 사업자(ASP),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사업자 (CSP) 의 각 서비스별 라이선스 발급 할당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가 목적과 시기에 따라 을 담당하고 있음 융통성 있게 할당함

표 1.5 : 말레이시아 정보통신(ICT) 柴 방송 주요 라이선스 구분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가 번호 및 전자 주소의 사용 , 번호 및 전자 주소 구분 내용 할당, 이동 등과 관련된 계획 및 규제 수립 권한을 보유 - 인프라 관련 라이선스 네트워크 인프라 사업자 네트워크 상호 운영을 방해하거나 공공의 안전을 해치는 - 위성 지구국 , 광케이블 , 전환 장비 , 방송 (Network Facilities Provider, NFP) 기술 장비 및 시스템 금지 기술표준 장비, 이동통신 기지국 등 모든 기술 장비는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네트워크 서비스 사업자 - 기본 접속 및 연결 의 인증 획득 필요 (Network Services Provider, NSP) - 이동통신 , 방송 , 모바일 위성 서비스 등 기술 스펙은 말레이시아內 통신 장비의 인증 혹은 통신 장비의 기술 스펙 테스트를 위해 마련됨 - 통신 서비스 ( 음성 , 데이터 , 콘텐츠 ,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사업자 전자상거래 서비스 등) 출처: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 (MCMC) (Application Services Provider, ASP) - 인터넷 , VoIP, 무선호출 , Audiotex 포함 커뮤니케이션멀티미디어법에서는 서비스 취약 지역 및 특정 그룹의 네트워크 -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사업자 및 콘텐츠 서비스 보급을 촉진하는 悧 보편적 서비스 조항 (USP, Universal - TV 및 라디오 방송 , 인터넷 콘텐츠 (Content Application Services, CSP) Service Provision)您 이 마련되어 있음 서비스 등

출처: 커뮤니케이션 멀티미디어법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Act 1998) 보편적 서비스 조항(USP) 은 檾 타깃 지역과 그룹의 선정 및 공지 , 檿 제공을 위 커뮤니케이션멀티미디어법은 정보통신(ICT) 柴 방송 시장의 경쟁 촉진 조항을 두 한 제안서 접수 및 평가, 櫀 제공 사업자 선정 , 櫁 이행 및 모니터링의 과정을 고 있음 거쳐 실시됨 표 1.6 : 경쟁촉진 조항 경쟁촉진조항 서비스 취약 지역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기반 유선

- 모든 라이선스 소유자에게 통신 시장에서의 경쟁을 저해하는 행동을 금지함 통신 가입률이 20% 미만이거나 , 브로드밴드 가입률이 말레이시아 전체 브로 - 요금 담합 , 공급자 및 경쟁자에 대한 보이콧 등의 조항이 담긴 조약 체결을 금지함 드밴드 보급률보다 낮은 지역, 기본적인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지역으 - 상품 및 서비스 공급에 관한 계약 위임을 금지함 로 정의함. 이 지역에는 보편적 서비스 조항 (USP) 기금 지원을 통해 서비스

출처: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 (MCMC) 보급을 촉진함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는 커뮤니케이션멀티미디어법을 기반으로 상세한 2008년부터는 MyICMS 886 전략 (Malaysian Information, Communications 경쟁 촉진 규제를 담은 통신 시장의 지배적 사업자 규제 가이드라인 (Guide and Multimedia Services) 프레임워크 및 국가 브로드밴드 이니셔티브 정책 on Dominant Position in a Communications Market) 과 경쟁 저해 행위에 의 개정에 따라, 悧 애플리케이션 및 콘텐츠 서비스가 커뮤니티 규모에 비해 불 대한 규제 가이드라인(Guide on Substantial Lessening of Competition) 을 충분한 지역도您 서비스 취약 지역의 범위에 포함됨 발표함. 커뮤니케이션멀티미디어법에는 네트워크 기술 상호운용, 자원의 효과 적 배분, 안전성 및 보안성 향상 , 네트워크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통합을 서비스 취약 그룹은 일반 서비스 지역에 거주하더라도 기본적인 커뮤니케이션 통한 효과적인 기술 규제 프레임워크 등의 내용이 포함됨 서비스에 접근하기 어려운 집단 및 개인으로, 장애인 , 사회 복귀 및 복지 시 설 관리 하의 어린이나 여성, 저비용 소형 주거 단지 거주자가 포함됨 보편적 서비스 보급 정책에서 기본 전화 및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서비스 취약 지역의 통신 접근권이 개인의 통신 접근권보다 우선 순위에 있음

2016 CONEX 11 2016 CONEX 12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2. 정책 및 규제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3. 산업구조 및 특징

표 1.8 : 보편적 서비스의 목표 구분 내용 3. 산업구조 및 특징 지역 통신 접근권 -모든 커뮤니티에 기본적인 공공전화 서비스 제공 (Collective Access) -최저 128kbps 급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 말레이시아 ICT 시장 규모 연평균 11.8% 로 성장

개인 통신 접근권 -모든 개인에게 기본 전화 서비스 제공 말레이시아 정보통신협회(PIKOM) 의 자료에 따르면 , 2010 년 약 416 억 링깃약 ( (Individual Access) -모든 가정에 기본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 103억 2,400 만 달러이었던 ) 말레이시아 ICT 시장 규모는 6 년이 지난 2016 년 기본 전화 서비스 약 2 배 가까이 증가한 814 억 링깃약 ( 208 억 9,321 만 달러이며 ) 연평균 11.8% (Basic Telephony -기본 음성 서비스 Service) 로 성장함 합리적인 서비스 -제공되는 모든 보편적 서비스는 경제적이고 (Reasonable Access) 효율적이어야 하며 상업적인 가치가 있어야 함 말레이시아 ICT 산업은 총 6 개 분야로 구분되어 있음 . 통신 서비스 출처: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 (MCMC) (Telecommunication Services), 컴퓨터 서비스 (Computer Services), 온라인

커뮤니케이션멀티미디어법은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의 지나친 시장 개 발행물(Publishing), 영상제작 (Motion Picture, Video and Television 입보다 悧산업 포럼(Industry Forums)您 등을 통한 관련 사업자들의 자율규제를 Programme), 방송 서비스 (Programing & Broadcasting), 정보 서비스 적극 장려하고 있음 (Information Services) 로 구분됨

커뮤니케이션멀티미디어법에 근거해 한 산업군의 연합이 일정 조건을 갖추게 2016년 말레이시아 ICT 시장 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분야는 통 되면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가 이를 산업 포럼으로 지정함 . 산업 포럼 신 서비스로 시장의 59.2% 를 점유하고 있으며 , 시장 규모는 약 484 억 3,300 은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의 자문을 얻어 자발적으로 산업 규약 만 링깃( 약 120 억 3,235 만 달러 ) 임 (Industry Codes)을 제정하고 이를 자율적으로 이행함 . 소비자 포럼과 콘텐츠 2010년과 비교했을 때 , 2016 년 ICT 시장은 컴퓨터 서비스 , 방송 서비스 분야 포럼이 각각의 규약에 따라 자율 규제를 시행하고 있음 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됨. 컴퓨터 서비스 분야는 6 년 간 2.2%p, 방송 서비 스 분야는 3.8%p 가량 점유율이 확대된 반면 , 정보 서비스는 0.2%p, 영상 제 작은 0.7%p 가량 줄어들었음

표 1.9 : 콘텐츠 포럼, 소비자 포럼 구분 내용 구분 내용 등록 시기 2001.03 등록 시기 2001.02 그림 1.3 : 말레이시아 ICT 분야별 시장 점유율 방송, 통신 , 온라인 서비스 , 구성원 구성원 소비자 단체 및 산업체 네트워크 사업자 등 콘텐츠 소비자 -커뮤니케이션멀티미디어법에 -커뮤니케이션멀티미디어법에 포럼 포럼 언급된 정책 목표 지원 언급된 정책 목표 지원 포럼의 포럼의 목적 -소비자 권리 보호를 위한 규약 -콘텐츠 규약 제정 및 콘텐츠 시장 목적 개발 및 수정 규제 -분쟁 및 문제 발생 시 자체 조사 일반 소비자 규약 코드(General 규약명 콘텐트 코드(Content Code) 규약명 Consumer Code of Practice) 등록 시기 2004.09 등록 시기 2003.10 관련 관련 규약 규약 콘텐츠 가이드라인, 광고 , 방송 소비자의 요구 충족, 소비자 불만 콘텐츠 가이드라인, 온라인 콘텐츠 주 내용 주 내용 대응, 소비자 보상 , 소비자 정보 가이드라인, 오디오 텍스트 보호, 사업자 - 소비자 관계 가이드라인, 소비자 보호 등 [2010년 ] [2016년 ] 출처: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 (MCMC) 출처: 말레이시아 정보통신협회 (PIKOM), 2016

2016 CONEX 13 2016 CONEX 14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3. 산업구조 및 특징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4. 산업 주요 이슈

말레이시아 ICT 분야 , 무역수지 적자 기록 2011년 기준 말레이시아 ICT 부문 수입액은 18 억 10 만 달러인 것으로 집계 4. 산업 주요 이슈 되었으며, 수출액 보다 약 4,000 만 달러 가량 낮은 수치를 기록함 . 2013 년을 세계적으로 IT 부문 지출 삭감 , 말레이시아는 7.8% 인상 기점으로 수입액이 수출액 규모를 추월했으며 2015 년 기준 수입액은 27 억 정보 기술 연구 및 자문 기관인 Gartner 의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적인 IT 부문 7,450만 달러를 기록 , 수출액 대비 약 5 억 달러 더 높은 규모임 지출은 2016 년 3 조 4,900 만 달러로 전년 대비 0.5% 감소한 추세임 . 반면 , 말 레이시아는 지속적으로 IT 부문 지출을 늘리는 상황임 . 2016 년 말레이시아의 최근 5 년간 수입액의 연평균 성장률은 11.4% 를 기록해 수출액 대비 높은 성 IT부문 지출은 전년 대비 7.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장률을 보였으며, 수출액의 연평균 성장률은 4.4% 에 그침 그림 1.5 : 말레이시아 IT 부문 지출 규모 및 전망 (단위 : 억 링깃 ) 그림 1.4 : 2011~2015년 ICT 부문 수출입 성장 변화 (단위 : 백만 달러 )

2,774.5 2,499.2 2,499.7

2,244.1 2,187.4

1,841.3 2,123.8 2,236.1 2,226.7

1,800.1

2011 2012 2013 2014 2015

수 출 액 수 입 액 출처 : Gartner

출처 : 말레이시아 정보통신협회 (PIKOM) 말레이시아, ICT 기반 교통인프라 투자 활발 말레이시아 경제기획실에 따르면 정부가 발표한 제 11 차 말레이시아 국가 발 전 계획에서 교통 인프라를 확충하고 서비스 품질을 높이겠다고 발표함. 지난 5년간 9 만 3,100畼 도로 신설 , 2 곳의 컨테이너 항구 세계 20 위권 진입 , KLIA 공항 이용객 수 46% 상승 , KLIA2 공항 신설 , 도심 철도 32% 증가 , 항구를 통한 물류량 증가를 예로 들며 교통 인프라 실적을 강조함 그림 1.6 : 말레이시아 2011~2015 년 도로 인프라 성장률 (단위 : 천 킬로미터 )

출처 : EPU(Economic Planning Unit)

2016 CONEX 15 2016 CONEX 16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4. 산업 주요 이슈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2016년 2 분기부터 RFID 시스템을 고속도로와 국경 진입점에서 운영함. 지난 24개월간 Ampang-Kuala Lumpur 고속도로와 New Klang Valley 고속도로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에서 시험운행 됐음. RFID 가 부착된 스티커는 저렴한 가격으로 , 기존에 현금 1) 정부 간 협력 으로 지불한 고속도로 통행료를 전자통행료로 대체해 편리성을 증진시키는 것 이 목적임 한䡆 말레이시아 사이버 보안 동맹 형성 (2016.11) 말레이시아 디지털 보안 업체인 사이버 시큐리티 말레이시아 (CyberSecurity 육상 대중교통위원회(SPAD), 통합 교통 결제시스템 도입 Malaysia)와 한국 인터넷진흥원 (KISA) 은 핵심 인프라 및 사이버 보안 문제에 육상대중교통위원회(SPAD) 는 끌랑 밸리 지역에서 일원화된 교통 결제시스템 대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협력함 을 도입함. 현금카드 업체인 터치 앤 고 (Touch您n Go) 와 단일통합 전자상거래 지불 시스템(ICPS) 을 상용화하기 위해 논의 중임 사이버 시큐리티 말레이시아(CyberSecurity Malaysia) 의 CEO 와 KISA 의 기관 장은 쿠알라룸푸르에서 사이버 보안 사고에 대처하는 그들의 지식과 경험을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승객들은 2017 년 1 월부터 하나의 통합 카드로 모든 교환, 개발 및 통합하는데 합의함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음. 말레이시아에서는 대중교통 시스템을 이용할 때 현금카드 사용률이 10% 밖에 되지 않음 . 육상대중교통위원회 (SPAD) 는 다양한 말레이시아 주재 한국 대사, ICT 기반으로 말레이시아와 관계 교통수단 이용을 권장하기 위해 요금을 낮출 계획임 강화 표명(2016.10)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지능형 교통신호제어 시스템 도입 새롭게 주재 된 말레이시아 주재 한국 대사 유현석은 10 월 3 일 개천절 , 말레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 지능형 교통신호제어 시스템 도입 예정임 . 이시아 언론사인 베르나마() 와의 이메일 인터뷰에 응함 . 정보 통신 지능형 교통신호제어 시스템은 쿠알라룸푸르 시청 센터(DBKL) 에서 통합 관제 기술 기반의 창조 경제, 녹색 에너지 및 금융 산업과 같은 미래 지향적인 분 할 수 있도록 구성됐고, 기존에 설치돼 있던 Itaka 및 SCATS 시스템과 연동 야에서 말레이시아와의 협력을 더욱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힘 할 예정임 미래부, 말레이시아서 悧디지털콘텐츠 비즈니스 로드쇼 您 개최(2016.09) 구상 중인 교통관리시스템은 62 개소의 차량통행량 등을 자동으로 분석해 교 미래창조과학부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悧2016 말레이시아 디지털콘텐 차로 신호 주기를 최적화하는 것임. 정부 차원에서 도시와 교외지역 간의 교 츠 비즈니스 로드쇼를您 개최함 통 인프라 연결에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어, 국내외로부터의 각종 ITS 관 련 장비 및 기술 도입이 예상됨 방송영화콘텐츠, 모바일 교육콘텐츠 , 융합콘텐츠홀로그램가상현실 ( 䡆 등) 등 3 개 분과로 나눠 비즈니스 상담회 진행함. 20 여개 국내 콘텐츠 기업이 참여하 며, 말레이시아에서는 디지털콘텐츠 관련 50 여개 기업이 바이어로 참여함

미래부, ICT 수출유망기업 해외 시장공략 국내외 동시 추진(2016.09) 미래창조과학부는 국내 중소 정보통신기술기업의 아세안 시장 진출 확대와 신 규 사업 발굴을 위해 悧K- 솔루션 페어 2016您, 悧Connect. W 2016您 을 국내외에 서 동시 개최함

您K-솔루션 페어 2016悧 행사는 총 3 일에 걸쳐 베트남호치민 ( , 27 일 ), 말레이시 아( 쿠알라룸프르 , 29 일 ), 싱가포르 (30 일 ) 에서 개최됨 . 참가규모는 각 국별 50 懋150명 수준으로 총 300 명이 참석함

2016 CONEX 17 2016 CONEX 18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정부, 보안기업과 말레이시아 사이버보안 국제박람회 참가 (2016.09) 강원정보문화진흥원- 말레이시아 멀티미디어대 MOA(Memorandum 행정자치부 정부통합전산센터센터장( 김우한는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of Agreement) 체결 (2014.04) 2016년 9 월 7 일부터 9 일까지 개최되는 悧 국제보안 및 화재안전 전시회 2016您 마하티르 전 총리는 강원정보문화진흥원을 방문, 정보통신 (IT) 기술 분야에서 에 대표단을 파견함 강원도와 말레이시아 간 협력 확대 희망 의사를 피력함

대표단은 한국- 말레이시아 전자정부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MOU) 협의 , 말레 강원정보문화진흥원과 말레이시아 멀티미디어대학교(MMU) 간의 선진기술 이 이시아 사이버보안체계 침해 대응전략 간담회, 한국 사이버보안 대응전략 발 전, IT/CT 기술 융합 공동 프로젝트 발굴 柴 진행을 위한 합의각서(MOA) 체결함 표 등 주요 행사에 참가함 한국- 말레이시아 산업협력 채널 구축 (2012.07)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 말레이시아 MCMC 와 ITU 가 공동 주관하는 양국 정부는 플랜트, 전기전자 및 정보통신 (ICT), 자동차 , 무역투자제도 개선 아柴 태 규제기관장회의 참석(2015.08) 등 4 개 분야별 워킹그룹을 구성해 구체적인 협력 사업을 발굴할 예정임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은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할림 샤피이 (Halim Shafie) 위원장과 양국 정부 간 방송통신 분야 협력을 논의함. 2015 년 8 월 플랜트, 전기전자 및 정보통신 (ICT) 등에서 다양한 협력 사업이 발굴되면 국 24일부터 25 일 양일 간 개최된 제 5 차 ITU 아柴 태 규제자 라운드 테이블에 참 내 기업의 말레이시아 시장 진출은 물론 이를 교두보로 한 동남아시아 시장 가함 진출 기회도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한국정보산업연합회(FKIL), 말레이시아와 IT 협력 추진 (2012.10) 방송통신위원회, 말레이시아 KL Converge 행사 참가 (2015.08) 2012년 10 월 22~24 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WCIT 2012 에서 김대훈 KL Converge는 ASEAN 디지털 교류를 실현하기 위하여 말레이시아 방송통신 한국정보산업연합회(FKIL) 회장은 말레이시아와 경제협력프로그램에 한국 IT 멀티미디어부(KKMM), 방송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 (MCMC) 에서 주관하는 디지 기업 참여 요청을 받음 털 라이프 관련 행사로 2015 년 8 월 26 일 부터 30 일까지 말레이시아 쿠알라 룸프르에서 개최함 悧제4 차 한柴 말레이시아 정부 간 위성망 조정회의您 개최 (2012.04)

방통위는 아시아채널, 제이디사운드 , 한국케이블 TV 방송협회 , 맥스온소프트 , 마 이번 회의를 통해 우리나라가 현재 운용 중인 무궁화 위성이 말레이시아의 위 그나랩, 블루핀 , CJ E&M, SM 엔터테인먼트 , 삼성전자 등 한국관 참가기업을 성으로부터 전파 간섭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 지원함 또한, HDTV 를 포함한 고화질의 차세대 위성방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서울시와 서울산업진흥원, 쿠알라룸푸르에서 기술수출상담회 개최 위해 현재 위성방송에 이용하는 주파수보다 광대역 주파수를 사용할 계획인 방송위성의 조정 협상도 함께 진행됨 (2015.08) 서울 소재 중소柴 중견기업, 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구기관의 기술수출을 위해 시행됨

2016 CONEX 19 2016 CONEX 20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棯.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2) 기업 진출 및 협력 국내 ICT 기업 8 개사 , 신흥국 진출 (2015.11)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가 주관하는 행사에서 해외 ICT 관련 부처 고위관료 및 통신사, 국내 ICT 기업 등 200 여명이 참석해 해외진출을 위한 전문 컨퍼런스 KISA, 동남아시아 정보보호시장 진출 (2016.11) 및 비즈니스 미팅 등을 진행함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백기승과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 최양희는 ) 인도 네시아와 오만 현지에서 국내 정보보호기업의 해외 진출지원을 위한 悧정보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 베트남 , 방글라데시통신사와 국내 ICT 8 개사코발트 ( 호 비즈니스 상담회를您 각각 개최함 레이, ( 주 ) 한국사이버결제 (KCP), 유에스와이에스 , 아이백스랩 , 플러스기술 , 데 이터스트림즈, 국민카드 , 노크가 ) 계약과 공동사업을 위한 양해각서 (MOU) 를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일정 중 말레이시아 사이버시큐리티 말레이시아 체결함 (CyberSecurity Malaysia)와 업무협약 (MoU) 을 체결하고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 (MCMC) 와 공동협약서 재협약을 합의함 SK플래닛 11 번가 , 세 번째 해외시장 말레이시아로 결정 (2015.04) SK플래닛의 오픈마켓 11 번가가 세 번째 해외시장으로 말레이시아에 진출함 . 국내 소프트웨어(SW) 기업 , 동남아시아 진출에 적극적 (2016.10) 쿠알라룸푸르에서 '11street'(www.11street.my) 론칭 행사를 하고 모바일 애 포시에스, 지란지교소프트 , 인프라웨어 , 핸디소프트 등이 동남아 수출을 진행 플리케이션 출시와 함께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함 함. 동남아 국가는 IT 인프라에 투자 확대 기조를 보임 . 베트남 ,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태국 등이 대표적인 국가임 말레이시아는 연평균 6懋 7% 의 높은 경제 성장률과 인터넷스마트폰 䡆 보급률로 인터넷 산업과 함께 이커머스(e-commerce) 의 성장 가능성이 큰 국가로 꼽힘 말레이시아는 경제성장 계획인 '비전 2020' 에 IT 산업 발전에 대한 부분을 포 함했으며, IT 기업 육성 , 핵심 애플리케이션앱 ( ) 개발 , 지식도시 구축 등을 실 LG CNS, 말레이시아 택배회사 포스라쥬 (PosLaju) 의 우편물류집중처 현한다는 목표를 세움 리센터(IPC) 에 국산 자동 물류처리 솔루션 공급 (2014.08) LG CNS, 말레이시아 버스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수주 (2016.03) 포스라쥬는 동 IPC 구축 사업 이후 말레이시아 10 여 개소로 물류네트워크 인 프라를 확대할 계획임 말레이시아 버스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은 페낭시 시내버스 400 대에 스마트 기 술을 적용해 교통 흐름을 최적화하고 버스 운행을 효율화하는 사업임 LG CNS 는 동 프로젝트 수주 당시 유럽 글로벌 물류 솔루션 업체들과의 입찰 경쟁에서 기술점수 1 위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짐 LG CNS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교통 솔루션을 제안 , 교통 IT 분야의 주요 글로 벌 기업들을 제치고 수주에 성공해 우리나라 교통IT 의 우수성을 입증함 . 자체 아시아나IDT, 2,500 억 말레이시아 ICT 사업 수주 (2013.02) 개발한 FMS( 운영관리 시스템 ) 와 AFC( 요금징수시스템 ) 솔루션을 제안함 금호아시아나 그룹의 IT 서비스 자회사인 아시아나 IDT 가 말레이시아 Mersing CJ오쇼핑 , 말레이시아 진출 (2016.01) Laguna 리조트 개발 프로젝트 정보통신시스템 구축사업을 2,500 억 원에 수주함 CJ()오쇼핑 대표 김일천 은 말레이시아 미디어 그룹 悧 미디어 프리마 (Media SK, 悧말레이시아 에너지柴 정보통신(ICT) 협력 논의 您(2013.01) Prima)您와 합작법인을 설립함. 상반기 현지에서 TV 홈쇼핑 사업을 시작한다고 최태원 SK 그룹 회장이 23 일 말레이시아 국회의사당에서 Najib Tun Razak 밝힘 총리를 접견해 에너지와 정보통신(ICT) 부문 협력 방안을 논의함

합작법인은 지상파 채널 네 곳에서 타임 슬롯 형태로 홈쇼핑 방송을 송출함 . 기존 TV 채널에서 일부 시간을 할애해 상품 판매방송을 선보임

2016 CONEX 21 2016 CONEX 22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Overview

Overview

惊 2015 년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주요지표 (단위 : 천 명 / 천 회선 / 천 가구 , 2015 년 기준 ) 지표 말레이시아 보급률(%) 한국 보급률(%) 유선통신 가입회선 5,309 7.88% 28,882 58.06%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이동통신 가입자 102,942 152.73% 58,935 118.46%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6,229 9.24% 20,024 40.25% TV 보급대수 7,118 97.70% 18,237 97.50% 케이블 TV 가입가구 35 0.49% 7,293 38.99% 품목 동향 위성 TV 가입가구 3,566 48.95% 2,008 10.74% 지상파 디지털 방송 가입가구 5,609 76.99% 18,144 97.00% IPTV 가입가구 747 10.26% 8,845 47.29% 惊 각 항목별 보급률은 인구 대비 기준 출처: ITU, Digital TV Research(2016)

惊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1. 소프트웨어 - 말레이시아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  2014您 38억 5,100 만 링깃椡 2016您 45 억 6,400 만 링깃 시장 동향 2. 인터넷서비스 - 말레이시아 임소프트웨어MSC 제품 인증 제도 적용 - 말레이시아 , 소프트웨어 테스팅 마켓 육성 - 오라클: 말레이시아에 디지털 영업 허브 설립 3. 통신 주요 소프트웨어 - 룩소프트: 아시아 태평양 진출위해 말레이시아 사무소 설립 사업자 - 마이크액세스모바일珺: 말레이시아 이동통신 사업자와 공동사업계약

4. 디지털콘텐츠 -2016 년 말레이시아 인터넷 보급률 68.6% 로 지속적인 증가 시장 동향 - 말레이시아의 전자상거래 시장, 2017 년 38 억 달러 도달 예상 5. 방송스마트미디어 주요 - 인스타그램: 말레이시아 이용자 비율 73% 로 증가 인터넷서비스 사업자 - 트위터: 지속적인 성장세로 2019 년 이용자수 240 만 명으로 예상

6. 정보보호 - 말레이시아 이동통신 가입자 : 수 2015您 4,410 만 명 시장 동향 - 말레이시아 브로드밴드 가입 건수: 2015您 306 만 건

7. 클라우드 컴퓨팅 주요 -U-Mobile: 말레이시아서 ZTE 와 5G 모바일 네트워크 개발 협력 발표

통신 사업자 - 에릭슨: UTM 와 5G 기술을 위해 협력

8. 사물인터넷 -2016悧 말레이시아 게임 시장 , 약 4 억 9800 만 달러 규모 - 말레이시아 게임 소프트웨어 시장 연평균6.1% 지속적인 성장 9. IT 스마트융합 시장 동향 - 말레이시아 디지털 음악 시장 규모: 2017 ~2021년 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8.6% - 말레이시아 정부의 애니메이션 산업 지원 - 말레이시아 방송사 웹 콘텐츠 개발을 위해 디지털 전략부 신설 10. 전파위성 디지털콘텐츠 주요 - 말레이시아 모바일 게임 업계, 중국 회사가 1 위 차지 사업자 11. 디바이스 - 말레이시아, 자국 방송콘텐츠 제작 적극적 지원 시장 동향 - 말레이시아 TV 보유 가구 수 : 2016您 724 만 가구 - 지상파 TV 공영 : RTM(TV1, TV2) 주요 - 지상파 TV 민영 : (TV3, NTV7, TV9, 8TV), Al Hijrah Media

방송스마트미디어 사업자 Corporation - 위성 TV: , NJOI

2016 CONEX 24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Overview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1. 소프트웨어

Overview 1. 소프트웨어 惊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말레이시아 2016悧 상반기 총 1,705 건의 해킹사고 발생 시장 동향 1) 시장 동향 및 전망 - 말레이시아 정부는 보안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개입

-BAE Systems: 클라우드 기반 보안 솔루션 출시 주요 2018년 말레이시아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 51 억 8,600 만 링깃 전망 -SyDimension Data: AIG 와 양해각서 (MOU) 체결 사업자 시장조사기관 BMI 에 따르면 , 2014 년 말레이시아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38 정보보호 - 화웨이 : 悧 올해의 사이버 보안기구로 선정 억 5,100 만 링깃 ( 약 8 억 6,660 만 달러 ) 으로 추정되며 , IT 산업 전체에서 약 - 말레이시아 2017悧 클라우드 시장 규모 2 억 2,190 만 달러 전망 20%의 비중을 차지함 . 소프트웨어 시장은 2018 년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시장 동향 - 말레이시아,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매력지수 8 위로 중국보다 우위 그 규모는 약 51 억 8,600 만 링깃약 ( 11 억 6,700 만 달러에 ) 달할 것으로 전망함 - 말레이시아, 2016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24 개국 중 13 위 그림 2.1 : 말레이시아 IT& 소프트웨어 현황 및 전망 (단위 : 백만 링깃 ) -Microsoft: 말레이시아 내 입지 강화를 위해 G-Asia Pacific 과 협력 주요 - 오라클: 2016您 UEM 그룹의 ERP 클라우드 솔루션 지원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자 - 아마존: 2016您 말레이시아 클라우드 시장 진출

- 말레이시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시장 동향  2015悧 4,493만 3,400 달러 椡 2020您 22 억 달러 - 맥시스: 2016您 사물인터넷 서비스 향상을 위해 보다폰(Vodafone) 과 협력 주요 -Celcom: 2015您 Gigalink 와 제휴하여 사물인터넷을 택시에 접목 사업자 사물인터넷 - 콘트론: 2015您 말레이시아에 사물인터넷 연구소 설립에 참여

- 말레이시아 3D 프린터 시장 규모  2013悧 25억 달러 椡 2018您 162 억 달러 시장 동향 毾소프트웨어 毾IT - 말레이시아 인공지능 분야, 아세안 지역 내 선두 출처: BMI - 한국- 말레이시아 , 지능형 로봇 국제교류 양해각서 (MOU) 체결 소프트웨어 MSC 제품 인증 제도 적용 주요 - 스트라타시스: 말레이시아와 협력 내시경 신경외과 수술 시뮬레이션에 성공 IT 스마트융합 사업자 - 유콘시스템: 말레이시아 비엠티와 무인항공기 협력MOU 체결 MSC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자국 소프트웨어 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전략의 하 나로 자국에서 국제 기준에 맞게 개발한 소프트웨어 제품에 대해 悧MSC -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말레이시아 주파수 관리 역할 Malaysia Certified Solutions您 라는 인증 제도를 적용함 - 말레이시아 동아시아 위성(MEASAT), 통신 인프라 개발 전문가 팀 구성 시장 동향 - 말레이시아 최대 위성방송 사업자 Astro 悧MSC Malaysia Certified Solutions您 는 말레이시아 현지에서 생산된 제품에 - 말레이시아 첫 번째 무료 위성TV 서비스 NJOI 한하며 관련 평가 표준은 MDeC(Multimedia Development Corporation) 와 전파위성 세계적인 통신장비 및 소프트웨어 인증기관인 TUV Rheinland 와 공동으로 개 - 말레이시아 3D 프린터 시장 규모 발함. 해당 인증은 자국산 소프트웨어의 품질 및 생산 프로세스를 인증하기 시장 동향  2016悧 1,640만 명 椡 2021您 2,130 만 명 - 말레이시아 정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새로운 의료정책 계획 위한 지원책 중 하나임. 말레이시아는 해외 IT 아웃소싱 서비스 분야에서 인 주요 도 및 중국과 치열한 경쟁 중임 디바이스 - 삼성: 2016悧 4/4 분기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 전년 동기 대비 12.9%p 증가 사업자 고객 요구에 대응하며 해외 기업들을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 및 프로그램 등을 제공해 DHL, HSBC, IBM, Intel, Motorola, Nokia, Shell, Unisys 와 같은 세 계적인 기업을 유치함.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 (BPO), IT 서비스 등의 성 장에 힘입어 말레이시아 IT 서비스 매출은 2012 년 16 억 달러 규모로 예상됨

2016 CONEX 25 2016 CONEX 26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1. 소프트웨어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1. 소프트웨어

정부는 MSC Certified Solutions 리스트를 통합적으로 볼 수 있는 사이트를 말레이시아, 지식관리 소프트웨어산업 두 자릿수 성장 예상 개설하고 있으며 이들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국산 소프트웨어의 조사기관 Frost&Sullivan 에 따르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지식관리 소프트웨 점유율 향상과 프로모션에 적극적으로 대응 중임 어산업부문에서 2009 년까지 8% 의 수요증가를 보이며 4 억 800 만 달러를 기록 함. 아시아 태평양 지역 주요 국가는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임 현재 말레이시아의 소프트웨어 시장은 다국적 기업이 활약하는 수입 중심의 시장으로 SAP, Oracle, VMWare 등의 글로벌 업체들이 장악하고 있음 . BMI 많은 기업이 말레이시아 정부의 MSC(Multimedia Super Corridor) 지위 부여 보고서에 따르면, IT 솔루션 시장은 대기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 제품 중 와 장려정책에 힘입어 전반적 산업 활동에서 IT 기술을 활용함 . 소프트웨어 기 심에서 향후 중소기업 시장용 ERP 및 CRM 등의 솔루션 시장이 확대될 것으 술을 바탕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비용을 절감시키고 편리함 로 전망됨. 이들 솔루션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확산되고 있어 클라우드 컴퓨팅 및 보안 의식 강화에 따른 보안 소프트웨어 시장이 동반 성장 중임 한편, 정부의 장려정책으로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지식관리 소프트웨어 시장 은 지속적으로 성장해옴. 지식관리가 투자수익률의 관점에서 가장 효과적인 말레이시아, 소프트웨어 테스팅 마켓 육성 판매방법이라고 여겨짐. 글로벌 마켓 리서치 기관 Gartner 와 Frost&Sullivan 말레이시아 총리부는 2020 년까지 글로벌 소프트웨어 테스트 시장의 전체 규 에 따르면 지식관리 소프트웨어의 활용이 일반 광고에 비해 더 높은 투자수익 모인 940 억 달러 중 적어도 5% 를 점유한다는 목표를 밝혔음 . 이에 따라 3 만 률을 가져다준다고 밝힘 개의 직업이 생길 것으로 기대됨. 소프트웨어 테스트 산업 종사자들의 평균 월급은 5,000 링깃 ~10,000 링깃약 ( 1,125 달러 ~2,250 달러으로 ) 예상됨 . 이는 다 말레이시아에서 지식관리 소프트웨어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았으며 중소기업들 른 산업 종사자들의 평균 월급과 비교해 높은 수치임 이 대부분 시장을 점유하고 있음. 이들은 산업 전반에서 ICT 접근으로의 전환 점에 있음. 말레이시아 , 중국 , 인도는 관련 산업 발전비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 총리실 산하 경제계획부 장관 압둘 라흐만은 소프트웨어 테스트 산업은 고급 는 나라에 속함 노동력을 갖춘 말레이시아에 거대한 경제 성장의 원동력 될 것이라고 밝힘

장관은 말레이시아 소프트웨어 테스팅 위원회 (MSTB, Malaysian Software Testing Board) 와 협력하여 현지 대학교에서 특정 산업 지식과 기술을 보유한 인재를 육성하기로 합의함. 조사기관 IDC 에 근거해 경제계획부가 발표한 내 용에 따르면 2012 년 말레이시아의 소프트웨어 테스트 서비스 시장은 약 3 억 1,900만 달러 규모였음 . 2020 년에는 약 6 억 800 만 달러의 규모에 달할 것으

로 예상함 표 2.1 : 연령별 주요 SNS 이용자 현황 그림 2.2 : 말레이시아 정부가 자국산 소프트웨어에 부여하는 인증 제품 설명 CRM 시장점유율 1 위 제품 . 훌륭한 ERP 통합성 , 새로운 SOA, 전문화된 소프트웨어 기능 , 발전된 유연성 , SAP 넷위버, 최상급데이터베이스 . 고가 상품 . 포천 200, 글로벌 5000 기업 안에 드는 선도제품 CRM시장의 클라이언트서버를 / 만듦 . 양질 architecture, 산업별 솔루션 제공 , 전문화된 소프트웨어 Oracle (Sieble) 기능, 뛰어난 기술제공 . 고가상품

Salesforce.com 낮은 위험도, 저렴한 가격 . 중소기업을 위한 프로그램 . 현지 글로벌 시장에서 3 순위에 속함

Microsoft Dynamic 훌륭한 Outlook 동기화 , 저렴한 가격 , Microsoft Dynamics CRM 은 소규모 기업시장에서의 선도제품 출처: Official Portal-Multimedia Development Corporation CRM Pivotal 훌륭한 시장솔루션, 뛰어난 기술유연성과 마케팅솔루션 . 중국과 아시아에 적합한 모델 .

CareWare Systems Sdn 말레이시아 Sage Accpac 프로그램의 선도제품 Bhd 출처 : Syndacast

2016 CONEX 27 2016 CONEX 28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1. 소프트웨어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2. 인터넷서비스

2) 주요 기업 현황 2. 인터넷서비스 오라클, 말레이시아에 디지털 영업 허브 설립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6년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회사 중 하나인 ORACLE Corp 은 말레이시아에 5개의 최첨단 디지털 영업 허브를 구축하기로 결정함 2016년 , 말레이시아 인터넷 보급률 68.6% 로 지속적인 증가 말레이시아는 높은 인터넷 및 스마트폰 보급률을 바탕으로 인터넷 서비스가 이곳에서 23 개국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 할 예정임 . 23 개국에 해당되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국가임. 2016 년 말 기준 , 말레이시아의 인터넷 이용자 국가는 동남아시아(11 개국 ), 호주 , 뉴질랜드 , 네팔 , 부탄 , 스리랑카 , 파키스탄 , 는 2,109 만 명 , 보급률은 68.6% 임 . 말레이시아의 인터넷 보급률은 점진적으로 방글라데시, 몰디브 , 대만 , 한국 , 중국 및 인도의 국가를 포함함 증가하고 있음

그림 2.3 : 말레이시아 인터넷 이용자수 (단위 : 만 명 ) 룩소프트, 아시아 태평양 진출위해 말레이시아 사무소 설립 세계 고객을 기반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서비스 및 혁신적 IT 솔루션 분 야의 선도적 공급업체인 룩소프트 홀딩스(Luxoft Holding, Inc) 가 2017 년 아 시아태평양 지역 진출을 위해 말레이시아 페낭(Penang) 에 사무소를 엶

금융 서비스, 자동차 , 텔레콤 등 룩소프트의 핵심 산업 고객들은 말레이시아 로의 현지 공급이 늘어남으로써 더 많은 이익과 더 많은 고급 컨설턴트들과 함께하며 효율성을 높이고 쉽게 의사소통 하고, 높은 투자수익률을 얻게 될

것임 출처 : Internet Live Stats

말레이시아의 인터넷 서비스는 Facebook, Google 등 글로벌 웹사이트가 강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페낭 사무소를 개설함에 따라 룩소프트의 전체 사무소 세를 보이고 있으며, 말레이시아 자국의 웹사이트 중에서는 검색 포털, SNS 보 숫자가 여러 지역의 19 개 국가에서 39 개로 늘어남 . 룩소프트는 전 세계에 사 다는 생활과 밀접한 인터넷 뱅킹 및 온라인 쇼핑 사이트 등의 이용률이 높음 무소를 지속적으로 늘려 새로운 사업 기회를 뒷받침하고 기존의 확고한 고객 관계를 발전시킬 전망임 말레이시아의 주요 검색 엔진 및 포털 사이트 말레이시아의 웹사이트는 구글을 선두로 유튜브, 야후 등과 같은 글로벌 웹사 액세스모바일珺 말레이시아 이동통신 사업자와 공동사업계약 이트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음. 전체 검색 엔진 중에서 구글이 점유율 92% 를 2015년 코엑스에서 미래창조과학부 ( 장관 최양희 , 이하 미래부 ) 가 주최한 차지하며 압도적으로 시장을 주도함. 말레이시아 현지 포털 사이트 중에서는 悧2015년 소프트웨어 (SW) 연구개발 (R&D) 성과발표회를 您 개최함. SW 중심사회 Mudah가 9 위를 차지하며 10 위 안에 랭킹됨 실현의 핵심기술을 개발해온 연구자를 격려하고 개발된 기술의 글로벌화 등 표 2.2 : 말레이시아 Top 10 웹사이트 (2017.02) 성과지향의 SW R&D 문화를 확산하는 것이 추진배경임 순위 사업자명 사이트 주소 1 Google www.google.com 미래창조부 장관상을 수상한 액세스모바일珺 는 이동통신 핵심망에서 사용자의 2 YouTube www.youtube.com 위치정보와 단말정보를 획득하여, In-App 푸쉬로 사용자별 광고를 보낼 수 있 3 Yahoo www.yahoo.com 4 Google Malaysia www.google.com.my 는 서비스를 개발함. 그 결과 말레이시아 Celcom 이동통신 사업자와 공동사 5 Lazada www.Lazada.com.my 업계약(100 억 매출 예상 ), 동남아시아 이동통신 사업자와 공동사업 협의 중임 6 Maybank2u www.Maybank2u.com.my 7 Wikipedia www.Wikipedia.org 이동통신핵심망 데이터를 활용하는 기술과 대용량 데이터 유저를 실시간으로 8 Facebook www.Facebook.com 처리하는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9 Mudah www.Mudah.my 10 Teepr www.Teepr.com 출처: Alexa(2017.02)

2016 CONEX 29 2016 CONEX 30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2. 인터넷서비스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2. 인터넷서비스

말레이시아의 전자상거래 시장, 2017 년 38 억 달러 도달 예상 2) 주요 기업 현황 글로벌 마켓 분석 기관 BMI 리서치는 말레이시아 전자상거래 시장이 올해 38 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분석함. 이는 연 33.9% 의 성장을 상정한 수치임 2016년 , 말레이시아 인스타그램 이용자 비율 73% 로 증가 글로벌 마켓 리서치 기관 Kantar TNS 에 따르면 2016 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말레이시아는 빠른 인터넷과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전자상거래 산업 발전이 에서 인스타그램의 인기가 가장 높은 국가는 말레이시아임. 설문 조사에 따르 가속화되고 있음. 각종 통계 기관과 업체들은 2020 년까지 3G/4G 무선통신서 면 말레이시아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비율은 2015 년 59% 에서 2016 년 73% 로 비스 이용자 수가 전체 인구에 육박하는 2,870 만 명에 달할 것이며 , 대부분의 증가함 거래가 스마트폰을 통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함 또한 말레이시아 인터넷 사용자 중 중장년층인 55~65 세 사이의 인구 48% 가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적극적인 사용자임

말레이시아, 트위터 지속적인 성장세로 2019 년 이용자수 240 만 명 으로 예상 글로벌 리서치 기관 Statista 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에서 트위터는 향후에도 꾸 준히 강세를 유지하며 2019 년에는 이용자수가 240 만 명에 이를 것임 . 2014 년 트위터에서 하루 평균 약 540 만 개의 게시물이 작성되었으며 , 2014 년 2 월 에는 약 1 억 6,000 만 건의 게시물이 작성됨 .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활동적인 트위터 계정은 TV 방송국 , 메인 스트림 뉴스 미디어 및 기업, 그리고 현지 말레이시아 유명인임

그림 2.4 : 말레이시아 트위터 활성화된 이용자 수 및 예상 (단위 : 백만 명 )

출처 : Statista

2016 CONEX 31 2016 CONEX 32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3. 통신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3. 통신

브로드밴드 3. 통신 2015년 말레이시아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는 약 306 만 3,800 회선으로 1) 시장 동향 및 전망 91.7% 그리고 72.2% 의 가입 회선율을 보임 . 브로드밴드 보급률은 2004 년부 터 진행되고 있는 국가 브로드밴드 계획(NBP) 과 국가 브로드밴드 이니셔티브 이동통신 (NBI) 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 중임 말레이시아의 주요 이동통신 사업자로는 Maxis, Celcom Axiata, Digi, U 말레이시아 통신 및 멀티미디어위원회(MCMC) 는 2020 년까지 말레이시아 95% Mobile등이 있음 . 2015 년 말레이시아의 이동통신 1,2 위 사업자는 Digi, 에 이르는 지역에 브로드밴드 보급을 목표로 함. Bernama 의 보고서에 따르면 Maxis이며 두 기업은 2016 년 기준 전체 이동통신 시장의 68.6% 를 점유함 도시 지역의 50% 와 시골 지역의 20% 까지 최대 100Mbps 의 속도를 제공 할 계획임 Barclays Research에 따르면 , 2012 년까지 시장 1 위였던 Maxis 는 2013 년 이 후 시장 가입자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014 년 3 분기 기준 Celcom 에 그림 2.7 : 말레이시아 브로드밴드 가입 수 변동 추이 (단위 : 천 건 ) 이어 2 위를 차지하였고 , 이후 공격적인 4G 시장 공략을 통해 2016 년 기준 시장 점유율 35.6% 를 점유해 1 위 사업자로 재등극함 . 대부분 말레이시아 이 동통신 가입자들은 후불제보다는 선불 요금제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2.5 : 말레이시아 이동통신 가입자 수 변동 추이 (단위 : 천 명 )

출처 : ITU 5G 2017년 1 월 , 말레이시아 정부는 일본과 정보통신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함. 말레이시아의 통신 및 멀티미디어부 장관 Datuk Seri 과 일본 총무부 나세타카치 총재는 悧양국 정보통신 분야 협력에 관한 각서(MOU)您 에 정식 서 출처 : ITU 명함. 통신 및 멀티미디어부의 국제 협력실은 주요 협력분야 중 하나가 5G 통신 및 사물인터넷이 될 것이라고 발표함

그림 2.6 : 말레이시아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

출처: BMI

2016 CONEX 33 2016 CONEX 34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3. 통신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4. 디지털콘텐츠

2) 주요 기업 현황 4. 디지털콘텐츠 U-Mobile, 말레이시아서 ZTE 와 5G 모바일 네트워크 개발 협력 발표 U Mobile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5년 10 월 , U-Mobile 과 ZTE, 말레이시아서 5G 모바일 네트워크 개발 위 한 협력 발표함. 협력 양해각서 (MOU) 를 통해 말레이시아 사용자들에게 차세 ITU에 따르면 , 2016 년 기준 말레이시아의 인터넷 이용자는 2,109 만 명 , 보급 대 네트워크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프리 5G 와 5G 기술을 공동 연구개발하기 률은 68.1% 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말레이시아 개발공사 (MDeC, 로 결정함 Malaysia Development Corporation)에 따르면 , 현재 말레이시아에서 다운로 드 되는 모바일 앱의 80% 가 해외 콘텐츠로서 외산 의존도가 높음 홈페이지 www.u.com.my 모바일 인터넷을 위한 통신, 엔터프라이즈 및 소비자 기술 솔루션을 제공하는 표 2.3 : 말레이시아 Top 10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설립 1998년 , 말레이시아 세계 주요 업체인 ZTE 코퍼레이션 (ZTE Corporation) 이 U 모바일 (U Mobile 순위 어플리케이션 장르 업종 통신 서비스업 SdnBhd)과 프리 5G(Pre5G) 모바일 광대역 기술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 (MOU) 1 Google Play Store App Store 2 WhatsApp Chat/VOIP 를 체결함으로써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혁신을 위한 협력을 더욱 강화함 3 Facebook Social Networking 4 FB Messenger Chat/VOIP U-Mobile측은 2015 년 7 월부터 4G LTE 사이트를 추가하기 시작했으며 , 5 YouTube Multimedia 2020년까지 전국에 5,000 개의 사이트 (3G 의 경우 60%, 4G LTE 의 경우 40%) 6 WeChat Chat/VOIP 를 추가 할 계획이라고 발표함. U Mobile 이 현재 말레이시아에서 약 10 % 의 7 Google Chrome Multimedia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자본 지출 측면에서 약 4 억 링깃 ( 약 9,005 만 8 Google Search Searc 9 달러) 을 쓸 계획이라고 전함 Instagram Social Networking 10 Gmail Email 그림 2.8 : U-Mobile과 ZTE 의 5G 네트워크 개발 협력 발표 출처: Nielsen 2016년 말레이시아 게임 시장 , 약 4 억 9,800 만 달러 규모 2016년 10 월 시장조사기관 Newzoo 의 발표에 따르면 , 2016 년 말레이시아의 의 게임 시장에서 벌어들인 수익은 22 억 1,200 만 링깃약 ( 4 억 9,800 만 달러 ) 수준이며, 2015 년과 비교해 약 70% 의 성장률을 기록함

말레이시아에 있는 1,490 만 명의 게이머 중 780 만 명이 게임에 돈을 쓰며 , 플레이어 대 플레이어 비율은 52 % 로 동남아 평균보다 높은 수치임 . 평균 연 출처 : TechNave 봉 지출액(37.31 달러 ) 도 지역 평균보다 높으며 총 수익은 2018 년까지 매년 2016년 UMT 과 에릭슨 5G 기술을 위해 협력 20.9% 성장할 것으로 추정됨 에릭슨 2016년 4 월 , 스웨던의 통신업체인 및 통신 서비스 기업인 스웨덴의 에릭슨 (Ericsson)은 UTM(Universiti Teknologi Malaysia) 과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말 말레이시아 게임 시장 연평균 6.1% 지속적인 성장 레이시아의 5G 이동 통신 기술을 연구 및 개발을 위한 토대를 마련함 시장조사기관 Conlumino 에 따르면 2013 년 기준 말레이시아 게임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3.7% 성장한 2 억 달러에 달하며 , 말레이시아 게임 시

4G LTE는 평균 2.6GHz 대역폭 스펙트럼에서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반 장은 2008 년 ~2013 년까지 연평균 6.1% 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음 면, 5G 기술이 적용된다면 48GHz 대역폭 스펙트럼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것 홈페이지 www.ericsson.com 설립 1876년 , 스톡홀름 으로 전망됨 말레이시아 게임 시장 규모는 앞으로도 매년 성장하여 2018 년에는 2 억 6,000 창립자 라르스 마그누스 에릭슨 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업종 통신업

2016 CONEX 35 2016 CONEX 36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4. 디지털콘텐츠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4. 디지털콘텐츠

그림 2.9 : 말레이시아 게임 시장 전망 (단위 : 십억 달러 ) 2) 주요 기업 현황

말레이시아 모바일 게임, 2017년 2 월 27 일 기준 , 모바일 앱 통계 전문 사이트인 앱애니 (Appannie) 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플레이에서 모바일 게임 매출 규모 1위는 모두 剑侠情Г (Wuxia Online) 으로 확인됨 . 해당 게임 개발사는 EFUN 으로 중국에 본사를 두고 있음

그 다음으로 구글 플레이 기준으로 Clash of Clans 와 Clash of Kings 가 각각 2위 , 3 위를 차지했으며 2 위는 영국 회사의 게임 , 3 위는 중국 회사의 게임임 출처: Conlumino

디지털 음악 한편, 애플 앱스토어 기준으로 미국 회사 게임인 Zynga Poker-Texas 말레이시아의 디지털 음악 시장은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발달해 있으며 매출은 Holdem:Vegas Casino Card Game가 2 위를 차지했고 , 3 위는 倚天屠⒔Ⴋ ( 新 약 1,000 만 달러임 . 2017 년 ~2021 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8.6% 로 예상되어 ὧ版)-ᛌ庸正版授权 3D 手游巨作 이 차지함 .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플레이 모두 2021년 시장 규모는 1,300 만 달러로 예상함 이스라엘에 본사를 둔 Playtika 의 Slotomania Slots 게임이 5 위를 차지함

표 2.4 : 모바일 게임 개발업체 2017년 , 약 800 만 달러의 규모로 悧 음원 스트리밍이 您 시장의 가장 많은 부문 을 차지함. 사용자 침투율은 24.5% 이며 사용자 당 평균 수익은 1.67 달러임 . 기업명 2021년에는 26.4% 를 기록 할 것으로 예상됨 EFUN Playtika Supercell 설립연도 2012 2010 2010 애니메이션 剑侠情Г (Wuxia Hay Day, Clash of 대표 말레이시아 정부는 2000 년부터 MDeC(Multimedia Development Corporation) Online)-Efun独家新 Slotomania Slots Clans, Boom Beach, 게임 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업계에 1 조 1,000 억 원의 자금을 지원함 . 당시 말레 ὧ版 Clash Royale 이시아의 애니메이션 산업은 인지도가 없었지만,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출처 : 각 사 홈페이지 대표적인 애니메이션 Upin&Ipin 과 Mustang Mama 을 제작함 표 표 2.5 : 말레이시아 인기 모바일 게임 매출 TOP5 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구글플레이 순위 키링 스튜디오 웹 콘텐츠 게임명 개발사 국가 게임명 개발사 국가 2016년 10 월 , 말레이시아 방송사 미디어프리마의 니콜라스 사가우 토니 본부 剑侠情Г (Wuxia 剑侠情Г (Wuxia 1 Online)-Efun独家新 EFUN 중국 EFUN 중국 장은 방송사에 디지털 전략부를 신설했고,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다양한 파 Online) ὧ版 생사업을 할 계획이라고 밝힘. 동남아 시장에서는 웹 콘텐츠는 발전단계이기 Zynga Poker-Texas 때문에 한국의 키링 스튜디오, 72 초 TV 등과 논의해볼 것이라고 전함 2 Holdem:Vegas Zynga 미국 Clash of Clans Supercell 핀란드 Casino Card Game 倚天屠⒔Ⴋ(新 ὧ版 )- 홈페이지 www.keyringstudio.com Elex 3 ᛌ庸正版授权3D 手游 Eagamebox - Clash of Kings 중국 설립 2013년 , 서울 Technology 巨作 대표 김봉호 數碼世界- 童年ʎ典對 Mobile Legends: 4 YONGWEI SHI - Moonton 홍콩 업종 애니메이션 광고& 戰ᕅ戲 Bang bang Slotomania Casino 5 Slots Games-Slot Playtika 이스라엘 Slotomania Slots Playtika 이스라엘 Machines 출처 : Appannie(www.appannie.com)

2016 CONEX 37 2016 CONEX 38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5. 방송스마트미디어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5. 방송스마트미디어

말레이시아는 국내 드라마, 영화 , 음악 등 한류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아 5. 방송스마트미디어 콘텐츠 업체들의 해당 시장 진출이 긍정적임. 끌랑 밸리의 Pavilion KL 와 1Utama, 페낭의 Gurney Plaza, 코타키나발루의 Cityone Megamall Kuching 1) 시장 동향 및 전망 등 전국 5 곳에서 한국 영화 축제인 悧The Korean Film Festival(KFF: Korean 방송콘텐츠 Film Festival)您 를 개최하여 한국 영화를 알리는 행사를 가짐 1980년대 悧말레이시아국립영화발전협회 (FINAS, National Film Development 8TV는 CJ E&M 과 드라마 블록 편성을 계약해 연간 200 시간씩 총 400 시간을 Corporation of Malaysia)您 의 설립을 시작으로 말레이시아의 영화 산업이 본 고정 편성함. 2015 년 1 월 CJ E&M 드라마 悧미생이 您, 2015 년 3 월에는 悧 칠전팔 격적으로 육성되고 발전함. 말레이시아는 다양한 민족으로 이루어진 국가이기 기 구해라가您 8TV 에서 방영돼 호평을 받은 바 있음 때문에 말레이어, 중국어 , 타밀어 세 가지 언어로 영화를 제작함 . 말레이시아 영화산업은 매년 20 여 편의 영화를 제작하고 있으며 매년 국립 영화제를 개 방송 최하고 있음. 2012 년 말레이시아국립영화발전협회 (FINAS) 는 Skim Wajib 2016년 기준 말레이시아의 TV 보유가구 수는 724 만 가구로 전년 대비 1.7% Tayang를 설립하여 매주 지역 영화관에 현지 영화 2 편을 상영할 것을 합의하 증가하였으며, 유료 위성 TV 보급률은 49.7% 로 글로벌 시장에서 10 위권 내 여 현지 영화 산업에 활기를 되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에 속함

TV Tube에 따르면 2017 년 2 월 기준 말레이시아 인기 채널은 TV3 으로 말레이시아의 지상파 TV 시장은 공영 방송국인 RTM(Radio Television Media Prima Berhad가 소유 및 운영하고 있음 . TV3 채널에서는 영화 , 드라 Malaysia)과 민영 방송사인 Media Prima, Al Hijrah Media Corporation 의 마, 뉴스 , 다큐멘터리 , 토크쇼 등의 프로그램을 방영중임 방송 채널들이 차지하고 있음. 말레이시아의 유일한 케이블 TV 사업자로는 표 2.6 : 말레이시아 인기 채널 TOP5(2017.02) 悧Mega TV您가 있었으나, 위성방송의 벽을 넘지 못하고 서비스 중단함 . Astro 순위 채널 장르 공식 사이트 가 말레이시아의 위성 방송시장을 점유하고 있음 1 TV 3 일반 www.eduwebtv.com.my 2 RTM TV2 일반 www.rtm.gov.my 3 Astro TVi 엔터테인먼트 www.rtm.gov.my 한편, 말레이시아의 방송 콘텐츠는 주로 미국 , 유럽 등 해외에서 구매한 프로 4 Edu Web TV 뉴스 www.rtm.gov.my 그램의 비중이 높은 편이며, 전체 시청률의 절반 이상를 Media Prima 계열 5 RTM 1 일반 www.rtm.gov.my 출처: TV Tube 채널들이 차지함

2014년 총 10 개의 인기 프로그램 전부가 TV3 에서 방영되었으며 , 표 2.8 : 방송 플랫폼별 주요 사업자 구분 주요 사업자 悧ANUGERAH JUARA LAGU您가 시청률 1 위를 차지함 . 2014 년 말레이시아 시 공영- : RTM(TV1, TV2) 청률 Top 10 프로그램은 이벤트 , 드라마 , 리얼리티 쇼 , 뉴스 등 TV3 의 다양 지상파TV 민영- : Media Prima(TV3, NTV7, TV9, 8TV) Al Hijrah Media Corporation 한 장르의 프로그램이 고르게 분포함 - Astro 위성TV 표 2.7 : 말레이시아 시청 점유율 순위 Top10 (2014) - NJOI 순위 채널 프로그램 장르 시청 점유율 ANUGERAH JUARA LAGU 1 TV3 이벤트 18.2% (SINGING AWARDS) 방송통신융합 2 TV3 ARIANA ROSE 시리즈 15.1% 시장조사기관 Statista 의 발표에 따르면 , 2017 년 말레이시아 VOD 분야의 수익 3 TV3 RINDU AWAK 200% 시리즈 14.3% 은 3,200 만 달러로 전망함 . 2017 년 ~2021 년 연평균 성장률은 10.2% 로 2021 4 TV3 ANUGERAH SKRIN 버라이어티쇼 14.1% 년 시장 규모는 4,700 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사용자 당 평균 VOD 5 TV3 MAAF JIKA AKU TAK SEMPURNA 시리즈 14.0% 관련 지출 금액 (ARPU) 은 약 15.04 달러로 예측됨 6 TV3 BULETIN UTAMA 뉴스 14.1% 7 TV3 BINTANG MENCARI BINTANG AKHIR 리얼리티쇼 14.0% 8 TV3 MENJINAK OMBAK 시리즈 13.6% 2017년 VOD 분야에서 가장 두드러진 항목은 悧유료 시청제 (Pay-per-View, 9 TV3 RAMADAN JGN PERGI 시리즈 13.1% TVOD)您로 1,400 만 달러의 매출액으로 수익율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할 것 10 TV3 KERANA TERPAKSA AKU RELAKAN 시리즈 12.7% 이며 보급률은 2017 년 기준 9.1% 이며 2021 년에 10.4% 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함 출처: Eurodata TV(2015)

2016 CONEX 39 2016 CONEX 40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5. 방송스마트미디어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6. 정보보호

2) 주요 기업 현황 6. 정보보호 2016년 1 월 넷플릭스 , 말레이시아 서비스 개시 1) 시장 동향 및 전망 세계 최대 동영상 스트리밍 업체인 넷플릭스(Netflix) 가 말레이시아 시장에서 공식적으로 서비스 개시함. 서비스의 가격은 월 35.39 링깃 ( 약 7.99 달러 ) 부터 말레이시아, IT 발전과 해킹 위험 동시 증가 제공되며, 첫 한 달은 무료로 서비스를 체험해 볼 수 있음 2017년 사이버 보안 업체 Bitdefender 에 따르면 , 말레이시아는 IT 부문의 지 표 2.9 : 말레이시아 넷플릭스 서비스 속적인 발전과 함께 해킹 이슈 또한 증가하면서 사이버 위협이 고조되고 있 구분 가격 스크린 수 화질 음. 정부 및 관련 기관들의 사이버 보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여 해외 보안 기본 패키지 35.39 링깃 개1 SD 기업들의 매력적인 수출 대상 국가로 떠오르고 있음 스탠다드 패키지 44.25 링깃 개2 HD 프리미엄 패키지 53.11 링깃 개4 Ultra HD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에서 2016 년 상반기 총 1,705 건 출처: Netflix 의 해킹사고가 발생했음. 이는 2015 년 한 해 전체 건수인 1,714 건에 근접하 Astro, OTT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하는 Tribe 출시 는 수치임. 말레이시아는 '멀웨어 (Malware)' 공격대상국 중 10 위 안에 속하며 , 말레이시아에 본사를 둔 위성 TV 사업자인 Astro 는 2016 년 OTT 비디오 스 좀비 PC 들로 구성된 네트워크 ' 봇넷의 ' 공격이 계속해서 발생함 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Tribe 를 출시함 . 2016 년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에서 각각 3 월과 5 월에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아세안 지역의 모바일 유저들을 대상 특히, 말레이시아 중소기업의 33% 가 사이버 공격에 취약하다는 분석이 있는 으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데 이는 아세안 평균보다 5% 높은 수준임

Tirbe은 현지 영화 , 다양한 장르의 아시아 영화 , 스포츠 채널 등과 같은 콘텐 말레이시아 정부,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응 강화 츠들을 제공함. 한편 , Tribe 는 한류 팬들을 위해 채널 M 에서 K-Pop 프로그램 , 말레이시아 정부는 사이버 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보안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 영화 등 한국의 최신 방송을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함 로 개입하고 있음. 2017 년 9 월부터 국방시스템분야에 대한 사이버 위협에 대 응하기 위해 悧말레이시아 군사이버방위활동센터(ATM CDOC)您 를 중심으로 사 Telekom Malaysia의 IPTV 서비스 HyppTV, 모바일로 확대 이버 방어체계가 가동될 예정임 2013년 말레이시아의 이동통신사 Telekom Malaysia(TM) 는 IPTV 서비스인 HyppTV를 출시함 . 2015 년 Telekom Malaysia(TM) 는 HyppTV 를 말레이시아 또한, 정부는 주요 국가정보인프라 (CNII) 의 10 대 영역인 교통 , 은행 , 에너지 , 통신사 Digi(Digi) 와 협력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개시함 정보, 통신 , 보건 , 국방 , 치안 등에 대한 위협을 줄이기 위해 보안체계를 강화 할 계획임 Digi통신사 이용자는 Channel NewsAsia, Euronews 및 Bloomberg TV 와 같 은 무료 채널뿐만 아니라 Al Jazeera, MUTV, Hyppsports HD, Discovery 말레이시아 정부는 1997 년 1 월부터 悧말레이시아 컴퓨터비상대응팀 (MyCERT)您 Kids, TVB8, Nick Jr, Warner TV, Comedy Central HD 및 FOX Football 을 설립하며 디지털 보안 사업을 실시했음. 2007 년에는 사이버보안 전담기관 과 같은 프리미엄 채널을 이용할 수 있음 인 사이버시큐리티 말레이시아(CSM, CyberSecurity Malaysia) 를 창설함 . 사이 버시큐리티 말레이시아(CSM) 는 사이버 인프라와 기술지원을 통해 말레이시아 8TV, 황금 시간대 한국 드라마 방영 정부가 사이버공격에 대한 대응과 준비를 강화하고 있음 말레이시아의 공중파 TV 방송국 중 하나인 8TV 는 프로그램 悧Best of the East您를 통해 지속적으로 한국 드라마를 방영하고 있음. 한국 드라마는 2016 말레이시아와 인도, 사이버보안 협정 체결 년 4 월 이후로 평일 황금시간대인 오후 9 시 30 분에 별도로 방영됨 . 현재 현 2015년 11 월 사이버시큐리티 말레이시아 (CSM) 와 인도 전자정보기술부의 컴 지 방영작은 悧 신데렐라와 네 기사 您, 悧 캐리어를 끄는 여자임 您 퓨터비상대책팀(CERT-In) 은 사이버 보안 관련 양해각서 (MOU) 를 체결함 . 양국 의 양해각서는 사이버시큐리티 말레이시아(CSM) 의 회장 Amirudin Abdul Wahab과 인도의 Anil Wadhwa 외교부 장관이 각각 서명함

2016 CONEX 41 2016 CONEX 42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6. 정보보호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7. 클라우드 컴퓨팅

2) 주요 기업 현황 7. 클라우드 컴퓨팅 말레이시아에서 활동하고 있는 주요 글로벌 정보보호 업체는 Trend Micro, 1) 시장 동향 및 전망 Symantec 그리고 Sophos 등이 있음 시장조사기관인 Frost&Sullivan에 따르면 , 말레이시아의 클라우드 시장 규모 BAE Systems, 클라우드 기반 보안 솔루션 출시 는 2014 년 9,870 달러를 기록했으며 , 2017 년 2 억 2,190 만 달러에 이를 전망 BAE Systems 는 말레이시아 기업들을 사이버 공격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것 임. 말레이시아는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에서 2012 년부터 2018 년까지 33.2% 을 목표로 클라우드 기반 보안 솔루션을 출시함. 주요 기술인 이메일보호서비 의 성장률을 보임 스(EPS, Email Protection Services) 로 클라우드의 이메일을 분석하고 더욱 정 교해진 위협을 분류하고 기업을 보호함 말레이시아 내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직업은 2011 년 3,000 개에서 2020 년 1 만 1,000 개로 증가할 전망임 Dimension Data, AIG Malaysia Insurance Berhad 와 양해각서 (MOU) 체결 말레이시아 정부, 클라우드 분야에 적극적 투자 Dimension Data 는 고객에게 광범위한 사이버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클라우드는 말레이시아 정부의 ICT 산업 집중 성장을 위한 핵심 동력 가운데 AIG Malaysia Insurance Berhad와 양해각서 (MOU) 를 체결함 . Dimension 하나로써 공공영역을 중심으로 클라우드 활용에 적극적임. 정부는 클라우드 Data는 AIG 의 IT 시스템 위험도를 측정함 . 이는 위험성을 평가하고 , 위험에 서비스 분야에서 가장 많은 지출을 하고 있음 대한 관리 시스템을 불신하는 고객들의 불안감을 낮추기 위함임 말레이시아,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매력지수 8 위로 중국보다 우위 ICT 솔루션 제공 업체 화웨이 , 悧 올해의 사이버 보안기구로 선정 2016년 아시아 클라우드 컴퓨팅 협회 (ACCA, Asia Cloud Computing 2016년 , 중국에 본사를 둔 ICT 솔루션 제공 업체 화웨이 (Huawei) 는 사이버 Association)가 발표한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매력지수 (CRI, Cloud Readiness 시큐리티 말레이시아(CyberSecurity Malaysia) 의 사이버 보안 전문가가 뽑은 Index)에서 말레이시아는 총점 66.3 점으로 8 위를 차지함 . 이는 각각 12 위 , 悧올해의 사이버 보안기구로' 2014 년에 이어 두 번째로 선정됨 13위를 차지한 인도 , 중국보다 높은 수준임

悧올해의 사이버 보안기구는 您 말레이시아의 사이버 보안 또는 정보 보안에 기 말레이시아, 2016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24 개국 중 13 위 여한 개인 및 조직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짐. 화웨이 (Huawei) 는 2014 년 사이 2016년 소프트웨어 연합 BSA 에 따르면 , 말레이시아는 데이터 프라이버시 , 보 버 보안에 대한 막대한 투자를 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해왔기 때문에 높은 평 안, 사이버 범죄 등 7 가지 항목으로 평가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순위에서 가를 받았음 2016년 조사 대상 24 개국 중 13 위를 기록함

표 2.10 : 말레이시아에 진출한 정보보안 사업자 개요 말레이시아는 최신 전자 서명법, 전자 상거래 법률 및 개인 정보 보호 법률이 있기 때문에 디지털 경제 및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강력한 보호 수준을 제 기업명 공한다고 판단됨. 말레이시아의 저작권법은 국제 표준에 부합하지만, 꾸준히

BAE Systems Dimension Data Huawei 법안을 개정하고 있음 본사 위치 영국, 판버러 남아프리카 공화국 중국 선전,

-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 디지털, 데이터 클라우드 보안 -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 기업 보안 솔루션 주요 서비스 - 이메일 게이트웨이 보안 솔루션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 데이터 보안 솔루션 - 네트워크 보안, IT 시스템 - 기업 보안 솔루션 및 네트워킹 - 보안 기술 수명 주기 관리 평가

출처 : Cybersecurity Venture, 각 사 홈페이지

2016 CONEX 43 2016 CONEX 44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7. 클라우드 컴퓨팅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8. 사물인터넷

2) 주요 기업 현황 8. 사물인터넷 Microsoft, 말레이시아 내 입지 강화를 위해 G-Asia Pacific 과 협력 G-Asia Pacific 1) 시장 동향 및 전망 Microsoft 는 말레이시아 내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말 레이시아의 유일한 클라우드 기술 전문 업체 G-Asia Pacific 을 Microsoft 의 말레이시아 2020 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22 억 달러로 전망 클라우드 솔루션 공급자(CSP, Cloud Solutions Provider) 로 임명함 글로벌 마켓 리서치 기업인 Frost &Sullivan 에 따르면 , 말레이시아의 2015 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4,493 만 3,400 달러 규모였음 . 그러나 2020 년에 말레이시아에 본사를 둔 G-Asia Pacific 은 현지에 있는 소수의 클라우드 솔루 는 22 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홈페이지 www.g-asiapac.com 션 제공 업체 중 하나이며, Microsoft CSP 인증을 받았음 . Google, Amazon 설립 2008년 , 말레이시아 Web Services(AWS), Microsoft 등 주요 기업들과 협력하는 유일한 Cloud 전 그림 2.10 : 말레이시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변동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대표 Mark Goh 문 업체임 2,200.0 클라우드 컴퓨팅, 업종 빅데이터 분석 Microsoft가 G-Asia Pacific 과 파트너십을 체결한 것은 말레이시아의 주요 산 업에 더 깊이 진출하려는 장기 전략임. 주요 산업에는 항공 , 건설 , 미디어 , 석 유 및 가스 산업 등이 포함됨

44.9 2016년 10 월 , 오라클 UEM 그룹의 ERP 클라우드 솔루션 지원 2015 2020 2016년 10 월 소프트웨어 업계의 강자 오라클은 말레이시아에 본사를 두고 엔 출처 : Frost&Sullivan 지니어링 인프라 구축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UEM 그룹의 ERP( 전사적 자원 관 리) 클라우드 솔루션을 지원하기로 협의함 . UEM 그룹 내의 전체 정보를 관리 특히 말레이시아에서 사물인터넷(IoT) 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분야는 중 하고, 기업 관련 이해 당사자들의 내외적인 요구를 수용하는 통합 플랫폼을 하나는 의료임. 2015 년 제 6 회 Asia IoT Business Platform 에서 말레이시 제시하는 것이 목적임 아 IoT 전문가들은 원격 진단 , 대용량 데이터 분석 및 통합 의료 솔루션 사용이 의료 수요가 증가하는 고령화 시대, 만성 질환의 증가 , 심혈관 질환 오라클 소프트웨어는 디지털 정보를 활용한 계획적인 솔루션 서비스(SaaS) 를 및 뇌졸중 발병률 증가에 대응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함 제공하여 UEM 그룹과 같은 기업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 을 함 말레이시아 사물인터넷 시장 전망 사물인터넷 시장은 본격적인 발전단계로 향후에도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기 2016년 4 월 , 아마존 말레이시아 클라우드 시장 진출 업 및 정부 간 파트너십 확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함. 현재 2016년 4 월 , 세계에서 가장 큰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인 아마존 웹 서비스 관련 정부부처는 국가정보통신기술센터 미모스(Mimos) 의 주도하에 헬스케 (AWS) 가 말레이시아 시장에 진출함 어䡆䡆 농업정부 부문에 대한 悧 말레이시아 IoT 전략로드맵을 您 세워 관리중임

아마존 웹 서비스(AWS) 는 말레이시아 고객에게 응용 프로그램의 높은 효율성 2020 년까지 컴퓨터에서부터 가정용 기기 및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단말 기기 을 제공하기 위해 위치에 따라 클라우드 가용 구역을 말레이시아 혹은 싱가포 의 수는 연간 25%~30% 씩 증가할 것이며 , 관련 기술 전문가들은 1 만 4,270 르 중 선택할 수 있게 함 명까지 늘어날 전망임. 정부 주도하에 건설되는 스마트 시티인 사이버 자야 는 사물인터넷을 통해 悧 스마트& 세이프시티로您 발전할 것으로 전망됨

2016 CONEX 45 2016 CONEX 46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8. 사물인터넷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9. IT 스마트융합

2) 주요 기업 현황 9. IT 스마트융합

2016년 맥시스 , 사물인터넷 서비스 향상을 위해 보다폰 (Vodafone) 1) 시장동향 및 전망 과 협력 2016년 7 월 , 말레이시아의 통신사 맥시스 (Maxis) 는 보다폰 (Vodafone) 의 세 말레이시아 3D 프린팅 시장 초기단계지만 가능성 존재해 계적인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업무에 적용할 것이라고 밝힘 . 이 파트너 말레이시아 프린트지원사업디렉토리(MPSID) 에 의하면 , 전 세계 3D 프린팅 시 십을 통해 맥시스는 합리적인 비용으로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더 높 장에서 3D 프린터 판매 , 재료 및 관련 서비스분야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 은 가치를 창출하게 됨 2013년 25 억 달러에서 2018 년 162 억 달러로 연평균 45.7% 성장할 것이라 예측함 맥시스가 지닌 현지 시장 정보와 고속 데이터 네트워크가 Vodafone 의 전문

적이고 사물인터넷 시장을 주도하는 플랫폼과 결합하면, 맥시스는 사물인터 말레이시아에서 3D 프린팅은 새로운 기술이고 , 개발에 제한적인 기술력임 . 하 넷과 관련한 필수적인 기술을 업무에 적용할 수 있음 지만, 재고 및 비용 절감으로 인한 3D 프린팅 시장 제품의 지속적인 가격하락 은 말레이시아를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의 3D 프린트 시장 발전가능성에 대한 맥시스는 자동차, 소매 , 물류 , 금융 및 금융 , 스마트 도시 및 제조 등과 같은 잠재력을 높이고 있음. 이는 중소기업들의 3D 프린트 시장에 대한 옵션으로 방대한 분야에 사물인터넷을 적용함 말레이시아를 고려해볼 수 있다는 말레이시아 프린트지원사업디렉토리(MPSID) 의 평가임 Gigalink 2015년 Celcom, Gigalink 와 제휴하여 사물인터넷을 택시에 접목 말레이시아의 주요 통신사 셀콤은 Gigalink 와 제휴하여 사물인터넷을 택시에 말레이시아의 대학, 영국 대학과 협력 3D 프린터 수술모델 개발 접목하여 M2M(machine-to-machine) 솔루션을 제시함 . 500 개의 택시에 설치 말레이시아의 말라야 대학은 영국 옥스퍼드 대학 및 포츠머스 대학의 연구자 했고 1,000 대의 택시에 더 설치할 계획임 들과 협력 하에 효과적인 복합 소재 3D 프린터 (Multimaterial 3-D Printers) 수 홈페이지 www.gigalink.com.my 술 모델을 개발함. 3D 프린터를 사용해 단단한 두개골과 부드러운 뇌 조직 M2M솔루션은 택시 안에서 승객들이 스크린을 통해 광고, 뉴스 등을 실시간 설립 2011년 , 말레이시아 및 주변 조직을 성형하고, 이를 모델로 수술법을 연구하고 테스트 할 수 있음 말레이시아 기술 대학교 으로 시청하고, Celcom 4G LTE 네트워크로 구동되는 WiFi 를 사용할 수 있 창립자 (UTM) 게 만들어주는 서비스임. 또한 , GPS 를 이용해 택시의 위치를 알려주어 교통 업종 ICT 리서치 말레이시아 인공지능 분야, 아세안 지역 내 선두 서비스를 한층 향상시킴 말레이시아는 아세안(ASEAN) 지역에서 인공지능 로봇을 포함한 전자 자동화 시스템 및 전기전자/ 분야에서 선두를 점하고 있음 . 이를 위해 말레이시아 대 Kontron 2015년 콘트론 , 말레이시아에 사물인터넷 연구소 설립에 참여 학교, 말레이시아 멀티미디어 대학교 , 푸트라 대학교 등 15 여 곳의 대학교에 2015년 , 독일에 본사를 둔 콘트론 (Kontron) 은 말레이시아 페낭에 사물인터넷 서 인공지능 분야 교육 과정을 개설함 클라우드데이터센터 및 연구소 (ICDC Research Lab, Internet of Things Cloud Data Center and Research Laboratory) 설립을 도움 또한, 인공지능 로봇을 포함한 전자 자동화 시스템을 생산해낼 수 있는 능력 홈페이지 www.kontron.com 을 보유한 기업들이 17 곳임 설립 1959년 , 독일 이 연구소의 목표는 클라우드의 연결성 및 사물인터넷의 연구 개발을 육성하 대표 Rolf Schwirz 고 의학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으로 말레이시아 정부의 경제, 과학 및 업종 컴퓨터 하드웨어 한국- 말레이시아 , 지능형 로봇 국제교류 양해각서 (MOU) 체결 기술 프로그램의 일환임. 콘트론은 연구시설 설립에 협력한 Cisco, Dell, IBM, 한국로봇산업협회는 말레이시아의 로봇자동화협회와 로봇시장 현황에 대한 정 Intel 그리고 Universiti Sains Malaysia(USM) 에 참여함 . 연구소는 IoT 제품을 보교류, 전시회 상호협력 , 로봇표준화 정보교류 및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설계, 개발 및 상용화하고 새로운 의료 솔루션을 개발함 (MOU) 를 체결하고 지속적인 협력을 약속함

2016 CONEX 47 2016 CONEX 48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9. IT 스마트융합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10. 전파위성

2) 주요 기업 현황 10. 전파위성 스트라타시스말레이시아와, 협력 내시경 신경외과 수술 시뮬레이션에 성공 STRATASYS 1) 시장동향 및 전망 세계 1 위의 3D 프린트 제조업체인 스트라타시스는 말레이시아의 국립대학교 바이오메디컬기술통합센터(CBMTI) 와 공동으로 실물과 흡사한 인체 모형을 제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말레이시아 주파수 관리 역할 작함. 스트라타시스의 3D 프린터로 제작된 이 인체 모형은 내시경으로 진행 홈페이지 www.stratasys.co.kr 말레이시아의 주파수 관리는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가 담당하고 있음 . 설립 1989 년 되는 신경외과 수술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어 수술 계획 및 교육 분야에 혁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는 1998 년 재정된 커뮤니케이션 및 멀티미디어 스캇크럼프(S.Scott Crump), 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됨 창립자 리사 크럼프(Lisa Crump) 법을 기반으로 말레이시아의 주파수 관리 전반을 관리함 업종 3D 프린터 제조업 외과의의 교육 개선을 목표로 교육과 연구 목적의 맞춤형 생체모델 제작을 전 문으로 하는 바이오메디컬기술통합센터(CBMTI) 는 스트라타시스의 3D 프린터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내에서 연구기획국의 주파수조사팀과 주파수정책 기술 도입 이후 생산량이 40% 이상 증가했음 . 실물과 같은 사실적인 표현이 및 계획팀, 자원배분관리국의 주파수 대역 엔지니어링 , 라이선싱 , 경제규제국 가능하며, 영상 데이터로부터 최종 사용 제품을 곧바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 의 주파수감시팀 등이 주파수 관련 업무를 수행함. 특히 , 주파수 감시와 관련 에 실물 크기 모형 제작이 필요치 않은 경우 축소 모델을 제작할 수 있고 테, 하여 중앙감시국을 포함한 22 개의 전파감시국과 6 개의 이동감시국을 설치함 스트 속도를 높이고 재료를 절약하는데 효과적임 표 2.11 : 말레이시아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 주요업무 내용 그림 2.11 : 스트라타시스 , CBMTI 인체모형 제작 - 국제 규약과 국가적 우선 순위에 따라 말레이시아 내에서 주파수 사용을 , 계획 조정, 규제 및 관리함 - 국제 규제 및 협약과 관련하여 기지국을 통해서 이용하는 각 주파수 대역 또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통제하는 규제, 기술적 변수 및 표준 등을 제정함 - 주파수를 사용하는 서비스들 간의 조화로운 운영을 위해 주파수와 우주위성 및 정지궤도를 최적화함 - 무선 기지국의 설치를 인가하고 호출 신호를 배정하며, 선박과 구조선을 위한 해상이동업무 식별번호(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ty, MMSI)를 부여함 - 인가받은 무선 시스템에 관한 모든 정보를 갱신하고 필요시에는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에 통보함 출처 : Computerworld Malaysia - 무선 기지국의 기술적 변수와 송출이 적절한지를 측정함

유콘시스템 유콘시스템, 말레이시아 비엠티와 무인항공기 협력 MOU 체결 - 무선통신 기지국이 장비 및 운영과 관련하여 인가받은 기술 표준과 기술 요소를 드론 생산 전문업체인 유콘시스템이 동남아 최대 방위산업전 悧LIMA 충족하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한 조사를 실시함 2015您(The 13th Langkawi International Maritime and Aerospace Exhibition) - 주파수가 사용되는 모든 무선 서비스의 개발 계획 및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국제 에서 말레이시아 현지 국방조달업체 비엠티(BMT Diversified Sdn Bhd) 와 소 및 국가의 주파수 규제를 준수하고 있는지를 점검함 홈페이지 www.uconsystem.com 형 정찰용 무인항공기 수출 협력에 관한 MOU 를 체결함 출처 : 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 (MCMC) 설립 2001 년 말레이시아 동아시아 위성(MEASAT) 대표이사 송재근, 전용우 이번 협약으로 말레이시아에 소형 정찰용 무인항공기 수출 교두보를 마련하고 업종 무인기 개발 인공위성 6 개의 용량이 전 세계 인구의 80% 를 차지하고 있는 말레이시아 동 무인기 개발 및 생산입지가 강화 될 것으로 예상됨 아시아 위성(MEASAT) 는 말레이시아 통신 인프라 개발을 위해 전문가 팀을 구성함

1996년에 MEASAT-1, MEASAT-2 를 발사함에 따라 기술적으로 진보된 디지 털 DTH(Direct-To-Home) 다중 채널 TV 서비스 , Astro 의 출시 등 통신 및 방송 업계의 말레이시아 인프라 개발이 급속히 증가함

2016 CONEX 49 2016 CONEX 50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10. 전파위성 棰. 말레이시아 ICT 품목 동향 11. 디바이스

MEASAT-1은 수명이 12 년이었지만 , 그 후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해 보잉 위성 시스템(Boeing Satellite Systems) 의 도움으로 아프리카 대륙에 서비스를 제공 11. 디바이스 하기 위해 이전됨. 2010 년 1 월 , MEASAT 는 MEASAT-1 을 "AFRICASAT-1" 로 1) 시장동향 및 전망 변경함. 도달된 인공위성은 궤도가 정해져 2013 년 4 월에 '묘지 ' 궤도로 보내짐

나머지 위성들인 MEASAT-3 와 MEASAT-3a 는 각각 2006 년 , 2009 년에 카자 말레이시아, 스마트폰 사용자 지속적 증가 보여 흐스탄에서 발사됨. MEASAT-3b 는 2014 년 프랑스에서 발족함 글로벌 통계기관인 Statista 에 따르면 , 말레이시아 스마트폰 사용자는 2016 년 1,640만 명을 기록했고 , 2021 년에는 2,130 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함 그림 2.12 : MEASAT-1, MEASAT-3위성사진

2015년 기준 , 말레이시아 시장에서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대비 8% 증가해 800만 대인 것으로 추정됨 . 스마트폰 판매 성장은 기존의 삼성과 아이폰 주 도하에 중국 스마트폰 기업들이 진출하면서 시장 경쟁을 가열시키는 중임

그림 2.13 : 말레이시아 스마트폰 사용자 추이 및 전망 (단위 : 백만 명 )

출처 : SatIL.com 말레이시아 최대 위성방송 사업자 Astro 말레이시아의 위성방송 Astro 는 Astro B.yond 과 Astro on the Go 를 통해 HD, 3D, PVR, VOD 및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임

말레이시아 최대 위성방송 사업자인 Astro 는 2011 년 4 월 , TIME dot Com Berhad과 협력하여 悧Astro B.yond IPTV您 서비스를 개시함 . 悧Astro B.yond IPTV您는 Astro 가 자사의 위성 방송 채널을 TIME dot Com 의 광네트워크 브 惊 2017-2021은 전망치임 출처 : Statista 로드밴드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TIME dot Com 의 브로드밴드 , 유선통 신, TPS 로 제공됨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새로운 의료정책 말레이시아 정부는 시민들이 온라인을 통해 건강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웨, 말레이시아 첫 번째 무료 위성 TV 서비스 NJOI 어러블 디바이스의 중요한 통계를 의사들이 공유할 수 있게 새로운 의료계획 NJOI는 말레이시아 정부와 Astro 의 협력을 통해 2012 년 출시된 초고속 DTH 을 진행 중임 위성 TV 서비스이며 , 30 개의 TV 와 20 개의 라디오 채널을 제공하는 말레이시 아 최초의 비 가입 기반 위성 임TV 또한, 환자는 건강상태를 직접 입력하고 , 원격 모니터링으로 의사가 진료를 할 수 있으며, 현재 고혈압과 만성질환을 가진 가정환자들을 테스트하고 있음 . 원격 모니터링은 민간 회사들을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정부의 역할이 더 욱 확대될 것임. 말레이시아 정부는 2017 년 5 월 , 20 개의 원격 모니터링 클리 닉을 시행할 것이며, 10 월에는 전국적으로 해 나갈 예정임

2016 CONEX 51 2016 CONEX 52 棰.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11. 디바이스

2) 주요 기업 현황

삼성,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전년 동기 대비 12.9%p 증가 삼성이 2016 년 4/4 분기에 집계된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에서 32.8% 를 기록하 며, 1 위를 달성함 .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2.9%p 상승한 수치이며 , 2 위인 Apple사도 0.6%p 상승해 13.1% 를 기록함

하지만 삼성은 2013 년 , 2014 년 40% 대를 유지하던 시장 점유율이 30% 대로 棱. 말레이시아 유망제품 진출전략 하락했고 주요 경쟁사인 Apple 사 또한 20% 대를 기록했던 전년도에 비해 10% 대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됨

그림 2.14 : 2016년 4/4 분기 말레이시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 유망품목 도출 Samsung 27.3% 32.8% Apple OPPO 2. 유망제품 선정 Huawei 7.7% Asus 3. 유망제품 유통구조 8.2% 13.1% Others 10.9%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출처 : Statista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삼성전자, 말레이시아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주도 국제조사시장기관인 Euromonitor 에 따르면 , 삼성전자가 기어 S2 에 대한 강력 한 광고와 다양한 프로모션 활동을 통해 말레이시아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을 주도하고 있음

또한, 수요가 높은 갤럭시 S7 Edge 와 다른 기타 주요 스마트폰을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묶음 판매를 통해 할인해주는 마케팅 정책을 펼치고 있음

전 세계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 할 것이 예상되면 서, 말레이시아 시장에서 스마트폰에 이어 글로벌 기업들의 또 다른 디바이스 경쟁이 펼쳐질 것으로 보임

2016 CONEX 53 棱. 말레이시아 유망제품 진출전략 Overview 棱. 말레이시아 유망제품 진출전략

Overview 1. 유망품목 도출 惊 유망품목 도출 유망품목 선정 - 悧 사물인터넷 您 선정 사유 1. 사물인터넷 (IoT) 시장 규모 22,50% 까지 증가

- 선정 사유 1. 말레이시아 사물인터넷 (IoT) 시장 규모 확대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인 Frost&Sullivan 에 따르면 , 말레이시아의 2015 년 사  2020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22 억 달러 전망 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4,493 만 3,400 달러 규모였음 . 2020 년에는 시장 규모가 - 선정 사유 2. 말레이시아 정부의 교통 인프라 및 서비스 발전 계획 22억 달러로 급증하며 , 2025 년에는 100 억 달러로 2020 년 보다 약 5 배 증가  제 11 차 말레이시아 국가 발전 계획 (2015~2020) 에서 교통 인프라의 확충 및 서비스 품질 향상을 발표 할 것으로 예상됨 - 선정 사유 3. 도심 교통체증의 지속적인 증가  말레이시아의 교통체증은 매년 심각해짐 그림 3.1 : 말레이시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단위 : 백만 달러 ) 惊 유망제품 선정 - 첨단교통관리시스템  교통체증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이에 대비하는 교통 분석 시스템 도입이 시급함 - 차량 검지기  교통량, 점유율 , 지점속도 , 차종 및 정지영상 등 기본 자료를 수집하여 도로 유지 관리비 절감 - 스마트 교통정보 스크린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이용객들의 시간을 절약하고 효율성을 높임

惊 유망제품 유통구조 惊 현지 진출 기업 사례

惊 2020, 2025 년도는 추정치임 출처 : Frost &Sullivan

-LG CNS, 悧 도시철도 지선버스 시스템 구축 您 사업 수주 선정 사유 2. 말레이시아 정부의 교통 인프라 및 서비스 발전 계획 - 모루시스템, 말레이시아 지능형교통체계 (ITS) 시장 진출 말레이시아 경제기획실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5 년 말레이시아 정부는 -BYD, 말레이시아 버스노선에 15 대의 전기버스 독점 공급 제 11 차 말레이시아 국가 발전 계획 (2015~2020) 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교통 - 정부 기관에 속하는 말레이시아의 발주처담당자와 연수회 인프라의 확충 및 서비스 품질 향상을 밝힘. 2010 년부터 5 년 동안 말레이시 혹은 포럼에서 1:1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 아에서 9 만 3,100畼 의 도로 신설 , 2 곳의 컨테이너 항구 세계 20 위권에 진입 , - 말레이시아 현지 파트너사를 발굴하여 수입, 유통업체를 통 KLIA 공항 이용객 수 46% 상승 , KLIA2 공항 신설 , 도심 철도 32% 증가 , 항 해 간접적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가 많음 구를 통한 물류량이 증가함 惊 유망제품 홍보 방법 선정 사유 3. 교통체증의 지속적인 증가 말레이시아 현지 언론 베르나마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교통체증은 매년 심각 -悧ITS Seminar and Exhibition 2017您 세미나 및 전시회 참여 해지고 있음. 세계은행은 쿠알라룸푸르 거주자들이 1 년 간 약 2 억 5,000 만 시간 이상을 도로에 갇혀있다고 발표함. 교통 체증은 말레이시아 경제에도 피

해를 입힘. 2014 년 교통 체증으로 인해 GDP 가 1.1%~2.2% 하락함

높은 자동차 보유비율로 쿠알라룸푸르에서는 통근자의 17% 만이 대중교통을 이 용함. 정부는 교통 체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중교통 이용 장려책의 일환으 로 LRT, MRT 및 버스 노선을 늘였지만 역 건설 지역의 적합성, 버스 배차간 격 문제 등 여전히 개선할 사항이 많은 실정임

2016 CONEX 55 2016 CONEX 56 棱. 말레이시아 유망제품 진출전략 2. 유망제품 선정 棱. 말레이시아 유망제품 진출전략 3. 유망제품 유통구조

2. 유망제품 선정 3. 유망제품 유통구조 지능형교통체계(ITS) 관련 장비 및 시스템을 말레이시아 시장에 유통하는 방법 첨단교통관리시스템 은 크게 직접 진출 및 간접 진출 방식이 존재함. 직접 진출 방식은 말레이시 아의 발주처담당자와 연수회 혹은 포럼에서 1:1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하는 것 을 의미하며, 간접 진출 방식은 말레이시아 현지 파트너사를 발굴하여 간접적 淞도로에 차량 특성, 속도 등의 교통정보 감지 시스 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것임 템을 설치하여 교통상황 실시간 분석 淟중국 기업 제품들이 시장을 선점함 그러나 말레이시아의 발주처 담당자와 1:1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할 수 있는

[ 첨단교통관리시스템 ] 기회가 많지 않음. 따라서 초기 시장 진출 시 현지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현지 파트너사와 관계를 구축하여 협업하는 것이 바람직함 悱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汯 悱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 汯 말레이시아 내 지능형교통체계 관련 장비 및 시스템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悱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汮 개발, 생산되고 있음 . 따라서 지능형교통체계 산업과 관련된 제조업체 또는 설치, 서비스 업체를 통해 지능형교통체계 관련 장비 및 시스템을 유통할 수 차량 검지기 있음

말레이시아에서 지능형교통체계 관련 장비 및 시스템의 최종 수요처는 주로 淞 교통량, 점유율 , 지점속도 , 차종 및 정지영상 등 정부기관임. 정부기관은 대중교통 관련 주요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말레이시아 기본 자료를 수집함 교통상황에 적합한 지능형교통체계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임 淟 주로 일본, 한국 기업이 진출함 [ 차량 검지기 ]

悱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汯 悱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 汯 悱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汮

그림 3.2 : 말레이시아 지능형교통체계 관련 장비 및 시스템 유통 구조 스마트 교통정보 스크린

淞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현지 수요량이 증가하는 제품임

[ 스마트 교통정보 스크린 ]

悱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汯 悱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 汯 悱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䡆汮

2016 CONEX 57 2016 CONEX 58 棱. 말레이시아 유망제품 진출전략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棱. 말레이시아 유망제품 진출전략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LG CNS, 悧도시철도 지선버스 시스템 구축 您 사업 수주 쿠알라룸푸르에서 悧ITS Seminar and Exhibition 2017您 개최 한국 기업 LG CNS 는 2016 년 말레이시아 페낭시 버스정보시스템이하 ( BIS 시 2017년 2 월 말레이시아에서 최초로 悧ITS Seminar and Exhibition 2017您 를 스템) 구축사업을 수주함 . 말레이시아에서 3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섬 지역인 페 개최함. ITS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자 말레이시아 ITS 협회 , 노동부 , 낭의 시내버스 400 대에 스마트 기술을 적용해 교통 흐름을 최적화하고 버스 공공사업부, 말레이시아 고속도로부가 주최함 운행을 효율화하는 사업임. 전체 사업규모는 약 200 억 원이며 2017 년 8 월 개 통을 목표로 말레이시아 현지 에이팩스(APEX) 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을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관계자들의 담화로 핵심 정보 격차를 좁히고, 아이디 진행함 어를 교환하고 참여 기업들의 제품을 홍보하는 것이 주목적임. 전 세계에서 다국적의 전문가들이 방문하여 ITS 산업부문을 발전시키고 개선시킬 방법들을 LG CNS는 또한 2016 년 120 억 원 규모의 말레이시아 도시철도 지선버스 시 논의함. 이번 전시회의 주제는 悧ITS 를 뉴 노멀 ( 새로운 표준기준 / ) 로로您 , 2017 스템 구축 사업을 수주함. 이 사업은 최대 규모의 교통사업인 도시철도 건설 년 2 월 21 일부터 23 일까지 3 일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Connexion 과 연계된 사업임 Nexus 에서 진행되었음

말레이시아의 쿠알라룸푸르의 도시철도 31 개역과 주민들의 거주지역을 잇는 한편, 세미나 및 전시회의 개최로 말레이시아에서 ITS 분야에 대한 관심의 급 지선버스에 스마트 기술을 적용해 교통을 원활하게 하는 사업임. LG CNS 는 증을 증명했으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기대됨 2012년 10 월에도 1,400 억 원 규모의 말레이시아 도시철도 통신시스템 구축 그림 3.3 : ITS 세미나 및 전시회 개최 사업을 수주하여 성공적으로 완료함

모루시스템, 말레이시아 지능형교통체계 (ITS) 시장 진출 모루시스템이 자료 수집과 신호등 운영을 담당하는 장치인 검지기와 교통신호 제어기를 개발하여 2015 년 말레이시아에 수출 및 공급함 . 교통신호설비 전문 업체인 모루시스템은 2011 년에도 KT 와 파트너십을 맺고 말레이시아 조호바 루 누사자야 U- 교통 설계를 담당함

BYD, 말레이시아 버스노선에 15 대의 전기버스 독점 공급 출처 : www.itsseminar2017.com 2015년 , 중국의 자동차 제조사 BYD Company Limited 는 말레이시아 끌랑 밸리 통합교통시스템의 일환인 급행버스 라인 BRT Sunway Line 에 15 대의 전기버스를 독점 공급함. 말레이시아총리 나집 라작은 2015 년 6 월 BRT Sunway Line 개통을 공식적으로 발표함 . Sunway Line 은 총 5.4km 의 경로 를 달리는 15 대의 전기버스로 구성된 세계 최초의 BRT 시스템으로 이용객들 에게 빠르고 통합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함

BYD 의 배터리 전기버스는 재생 제동 장치가 달린 독자적인 화재 안전 및 무 독성 배터리를 사용하여 한 번의 충전으로 250km 운행할 수 있음 . 일반 버 스처럼 불편한 움직임 혹은 진동이 없기 때문에 조용하고 편안한 승차감을 제 공함. 이 버스는 2014 년 2 월 BRT Sunway Line 운영에 필요한 완벽한 요건 을 갖추어서 수많은 경쟁업체들을 제치고 입찰되었고 2 년간 시연 운행되었음

2016 CONEX 59 2016 CONEX 60 발행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발행일자 : 2017.02.

본 보고서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무단전재 및 재배포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금지되어 있습니다. 본문 내용 중 문의사항이나 개선할 사항에 대해서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으로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2016 NIPA. All Right Reserved. Printed Korea in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정통로 10 (TEL) : 043-931-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