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프리카공화국 REPUBLIC OF

01 | 정보통신(ICT)・방송 _ 정책 현황 02 | 정보통신(ICT)・방송 _ 품목 현황 03 | 정보통신(ICT)・방송 _ 사업자 현황 04 | 정보통신(ICT)・방송 _ 협력 현황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보통신(ICT)・방송 시장 주요 이슈 ■ 시장 - 2015년 12월 말 기준, 재원 확보의 어려움과 디지털 셋톱박스 보급 실패 등으로 남아공의 디지털 방송 전환은 지연 상태 - 2015년 7월, 남아공 법무부는 개인정보보호법 준수 여부를 감독할 정보 규제당국 설립 절차 착수 - 남아공은 온라인 사기와 피싱 공격으로 인해 연간 22억 랜드 이상의 피해가 발생 - 2014년 남아공 디지털 TV 보유가구 수는 597만 가구로 2013년 대비 11.5% 증가 - 2014년 남아공의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2013년 대비 3.4% 증가한 7,954만 명, 보급률은 149.7%로 집계

■ 사업자 - 2014년 말 Telkom은 LTE-Advanced 네트워크를 남아공 외곽 5개 지역을 대상으로 증설 - Telkom은 2018년 3월 말까지 100만 가구를 커버리지 대상으로 광네트워크 구축 계획 수립 - 2015년 12월 , 유선 사업자 Neotel의 이동통신 부문을 제외한 자산 인수案에 합의 - Cell C, 2015년 12월부터 Western Cape 지역을 중심으로 LTE 서비스 제공 개시 1. 정보통신(ICT)・방송 정책 현황

1.1. 정보통신(ICT)・방송 정책 및 규제 기관

정보통신(ICT)・방송 주무 기관

정보통신(ICT) 및 우편 부문 정책 수립 - 통신우편서비스부(Department of Telecommunications and Postal Services, DTPS) 남아공의 미디어, 방송, 영화, 출판 산업 및 공보부문 담당 - 통신부(Department of Communications, DOC) 정보통신(ICT)・방송 및 우편 부문 규제 - 독립통신청(Independent Communication Authority of South Africa, ICASA)

정보통신(ICT)・방송 관련 업무 구조

정보통신(ICT)・방송 정책 주요 계획

국가 브로드밴드 정책(SA Initiative) - 2010년 6월, 남아공 정부는 국가 브로드밴드 정책을 승인, 상기 계획은 2020년까지 추진되며, 同 계획의 비전은 적절한 가격에 안정된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보편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보급 추구 독립통신청(ICASA) 2013~2017년 5개년 계획 - 브로드밴드 보급, 주파수 발급, 디지털 지상파 방송 리뷰, 적합한 규제 시행 등이 포함됨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계획 - 남아공은 당초 2011년 11월 1일을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완료일로 결정했으나, 2009년 9월 일정이 촉박하다고 판단한 독립통신청(ICASA)은 2013년으로 연기함 - 이후 2016년 6월로 다시 연기를 했으나, 2015년 12월 기준 디지털 방송 전환 관련 관계부처 장관들 간의 불협화음과 디지털 셋톱박스 보급 문제 등으로 인해 재차 지연되고 있는 상황

108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보통신(ICT)

1) 통신우편서비스부(DTPS)

통신우편서비스부(Department of Telecommunications and Postal Services, DTPS)는 1996년 103호 통신법(Telecommunications Act No 103)에 의해 현재의 기능을 갖추게 됐으며, 전신은 우편통신부(Department of Communications)임 - 2014년 5월 25일, 새 대통령 Jacob Zuma이 기존 정보통신 및 방송 주무부처 통신부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OC)를 통신우편서비스부와 통신부로 세분화 - 이 중 통신우편서비스부(DTPS)는 통신 및 ICT 분야와 기존 통신부 업무를 대부분 승계 통신우편서비스(DTPS)는 정보통신(ICT) 정책과 법령을 개발하고 입안함으로써 진보된 정보통신(ICT) 환경을 구축, 남아공의 사회제도적 발전 목표를 충족시키는 것이 주요 목표임

통신우편서비스부(DTPS) 조직도

출처: 통신부(DTPS)

Profile History 기관명 통신우편서비스부(Department of 2014.05 통신부(DOC)의 통신우편서비스(DTPS) 개편 Telecommunications and Postal 2010 2010 월드컵 축구 프로그램 추진 Services, DTPS) 2006 정보통신(ICT) 법령 및 독립통신청(ICASA) 설립시기 2014.05 수정안 법령 개시 전신기구 통신부(Department of Communication) 1997 산하 규제기관 독립통신청(ICASA) 설립, 통신 업무분야 정보통신(ICT) 및 우편 정책 수립 부(DOC)로 개명 홈페이지 www.dtps.gov.za 1996 103호 통신법 통과 1991 우편통신부, 통신 서비스와 우편 서비스 업무를 Telkom과 우체국을 설립해 각각 이관

남아프리카공화국 | 109 2) 독립통신청(ICASA)

독립통신청(Independent Communication Authority of South Africa, ICASA)은 2000년 7월 독립통신청법 2000(ICASA Act of 2000)에 의해 기존 통신 규제기관이었던 남아공 통신규제청(South African Telecommunications Regulatory Authority, SATRA)과 방송 규제기관 독립방송청(Independent Broadcasting Authority, IBA)이 통합되면서 설립된 정보통신(ICT)・방송 독립 규제기관임 - 해당 기관은 통신부(DOC)의 산하기관 중 하나이며, 독립통신청 개정법 2005(ICASA Amendment Act 2005)에 의해 우편시장 규제도 추가됨 - 독립통신청개정법 2005, 독립방송법, 방송법, 통신청법 등 4개 법령에 명시된 의무에 따라 운영되며, 청장과 8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는 평의회가 독립통신청(ICASA)의 대표로 권한을 행사함 독립통신청(ICASA)의 주요 업무로는 정보통신(ICT)・방송 규제 개발 및 우편 라이선스 분배, 정보통신(ICT)・방송 시장 감시 및 질서 유지, 업계 분쟁 해결 등이 있음

독립통신청(ICASA) 조직도

출처: 독립통신청(ICASA)

Profile History 기관명 독립통신청(Independent Communication 2005 독립통신청 개정법 2005에 따라 우편영역 Authority of South Africa, ICASA) 규제 기능 추가 설립시기 2000년 7월 2000.07 독립통신청(ICASA) 설립 전신기구 South African Telecommunications Regulatory Authority 및 Independent Broadcasting Authority 업무분야 정보통신(ICT)・방송 영역 규제 홈페이지 www.icasa.org.za

110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방송

1) 통신부(DOC)

기존의 정보통신 및 방송 주무부처 통신부(Department of Communications, DOC)가 통신우편서비스부와 통신부로 세분화되면서 신설 통신부(DOC)는 방송통신 부문에 집중 - 통신부(DOC)는 기존 Governmen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ystem(GCIS)의 업무를 승계하면서 남아공의 미디어, 방송, 영화, 출판 산업 및 공보부문 담당 통신부(DOC)는 장관, 차관 및 사무총장으로 구성되며, 사무총장 아래 3인의 협력관 (Deputy Director-General)이 있음 - 각 협력관은 콘텐츠 처리 및 보급, 기업 서비스, 정부 간 중재 및 이해 관계자 관리 등의 업무를 관장하고 있음 - 통신부 장관은 방송사 SABC, 정보통신(ICT) 규제기관(ICASA), GCIS, Media Development and Diversity Agency(MDDA), Film and Publication Board 및 Brand South Africa를 관리 감독함

통신부(DOC) 조직도

출처: 통신부(DOC)

남아프리카공화국 | 111 Profile History 기관명 통신부(Department of Communications, 2014.05.24 Jacob Zuma 대통령이 기존 정보통신 및 방송 DOC) 주무부처 통신부(Department of Communi- 설립시기 2014.05 cation, DOC)를 세분화 하면서 신설 전신기구 Government Communication and 2014.05.24 신설 DOC는 Government Communication Information System(GCIS) and Information System(GCIS)의 업무를 업무 분야 방송 및 미디어 대민 공보 승계 홈페이지 www.doc.gov.za 1998.05 Governmen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ystem(GCIS) 신설

1.2. 정보통신(ICT)・방송 정책 및 규제

정책

1) 독립통신청(ICASA) 2013~2017년 5개년 계획

2012년 4월 18일, 독립통신청(ICASA)은 2013~2017년 5개년 계획을 국회에 보고했다고 발표함 - 2013~2017년 5개년 계획의 주요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독립통신청(ICASA)의 청장 Stephen Sipho Mncube는 보고는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며, 국회는 이를 수용 했다고 밝힘 - 한편 同 계획과 관련된 예산은 2012년 5월 29일 국회에서 논의됨 보고 내용에는 수정된 2012~2013년 전략도 함께 발표되었으며, 주요 내용에는 브로드밴드 보급, 주파수 발급, 디지털 지상파 방송 리뷰, 적합한 규제 시행 등이 포함됨 - 브로드밴드 보급 계획에는 가입자 선로 공동 활용(local loop unbundling, LLU)1), 통신요금 조정, 보편적 서비스 확대, 장비 및 관련 소프트웨어 제공, 브로드밴드 네트워크 도매 상품 개발, 교외 지역의 브로드밴드 보급 등이 있음 - 주파수 라이선스 사안에는 4G용 라이선스 발급에 관한 계획이 포함되었으며, 그밖에 주파수 사용에 관한 모니터링 사안이 언급됨 - 디지털 지상파 방송 관련 사안에는 현재 진행 중인 계획에 관한 리뷰 및 개선안이 포함됨

1) 가입자 선로 공동 활용(Local Loop Unbundling, LLU): 시내전화 사업자의 가입자 선로를 활용해 다른 기간통신 사업자가 시내전화 또는 초고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도. 인터넷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자유스런 경쟁을 촉진시킬 목적으로 지배적인 통신업체의 통신망을 개방하는 하나의 수단임

112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적합한 규제 시행은 주파수 라이선스에 관한 감사, 연간 가이드라인 작성, 보편적 서비스 보급 관련 규제 등을 통해 추진할 예정임 - 독립통신청(ICASA)은 상기 2012~2013년 전략을 통해 효율적인 자원 분배, 공정한 경쟁 권장, 남아공 경제의 디지털화, 적합한 규제 시행 등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함

2012~2013년 세부전략 통신 세부전략

∙ 가입자 선로 공동 활용 ∙ 높은 통신 요금 조정 ∙ 보편적 서비스의 액세스 확대 통신 ∙ 관련 장비 및 소프트웨어 제공 ∙ 브로드밴드 커버리지 확장 ∙ 도매 네트워크 상품 소개 ∙ 교외 지역의 브로드밴드 보급 ∙ 4G용 주파수 라이선스 발급 논의 주파수 라이선스 ∙ 주파수 사용에 대한 모니터링 방송 ∙ 디지털 지상파 방송 계획에 관한 리뷰 ∙ 주파수 라이선스에 관한 감사 규제 ∙ 연간 가이드라인 작성 ∙ 보편적 서비스 보급 관련 규제 출처: 독립통신청(ICASA)

2) 디지털 전략 2009~2012 세부 사항

■ e-Learning 단계별 목표 남아공 정부는 교육 부문에 정보통신(ICT)을 접목시킴으로써 지식사회로의 전환을 촉진 시키고 나아가 정보격차를 해소하는 동시에 국민 모두가 전자정부(e-Government) 서비스를 활용함으로써 국가전반의 생산성을 제고하는 데 궁극적인 목표를 둠 - 전자교육 정책은 2013년까지 모두 3단계에 걸쳐 이루어졌음 e-Learning의 단계별 목표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착수 시기 2004년 7월 2007년 10월 2011년 1월 교육 행정 부문의 모든 교육 행정 부문의 교육 행정 부문의 목표 정보통신(ICT) 적용을 위한 정보통신(ICT) 통합시스템 정보통신(ICT) 통합 시스템 개발 구축

남아프리카공화국 | 113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교육자의 80%가 인프라 컴퓨터와 S/W 보급 모든 교육자가 컴퓨터 이용 컴퓨터 망 접속 교육 콘텐츠 교육자료의 DB화 교육포털을 통한 의사소통 교육포털의 지속적인 내실화 출처: 통신부(DOC, 현 DTPS)

■ e-Barometer 2011년 8월, 디지털 전략의 중간 평가 개념으로 남아공의 디지털 지표인 ‘e-Barometer’를 공개, 국가 디지털화 관련 다양한 지표 발표와 함께 여전히 3%에 머물고 있는 브로드밴드 보급 촉진을 위한 대책을 발표함 - 남아공 통신부(DOC, 현 DTPS)는 브로드밴드 보급 활성화 정책을 통해 2020년까지 브로드밴드 보급률 100%를 달성한다는 계획임 남아공 통신부(DOC, 현 DTPS)는 e-Barometer 보고서 공개와 함께 더디게 보급되고 있는 브로드밴드 확산을 위한 정책 및 전략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힘 - 브로드밴드 서비스 확산 촉진을 위한 방안으로 1) 모바일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요금 인하, 2) 브로드밴드 및 인터넷 네트워크 구축 확대, 3) 브로드밴드 관련 단말 가격 및 서비스 이용 요금이 높은 지역 규명 등을 제시함 - 이를 통해 2020년까지 브로드밴드 보급률 100%를 달성하고 10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 할 것이라고 밝힘

남아공 브로드밴드 촉진 전략

출처: 통신부(DOC, 현 DTPS)

그러나 최근 수년 동안 남아공의 브로드밴드 보급 상황은 매우 열악한 상태로 Akamai가 2014년 4분기에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남아공은 유럽・중동・아프리카 국가들 중 브로드밴드 기본 표준을 충족하지 못한 유일한 나라로 꼽힘

114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동 보고서는 남아공의 평균 브로드밴드 속도는 2014년 4분기 동안 크게 감소했으며, 브로드밴드 보급률 역시 매우 저조한 것으로 지적

3) 정보통신(ICT)・방송 융합 정책

통신부(DOC, 현 DTPS)는 정보통신(ICT)・방송 시장의 컨버전스 추세가 심화되자 이에 대응하는 규제 프레임워크를 도입하기 위한 준비에 착수, 정보통신(ICT)・방송 컨버전스 법안 ‘Convergence Bill[B09-2005]’을 의회에 제출함 - 이는 기존의 방송과 통신 규제를 통합하고 同 부문의 네트워크 서비스 및 기술 통합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후에 방송통신법(Electronic Communications Act)으로 개명함 - 통신 및 방송 규제 수립 프로세스 통합, 기존의 통신 및 방송 라이선스 프레임워크 단일화, 규제기관 독립통신청(ICASA)의 정보통신(ICT)・방송 경쟁 촉진 강화 등이 주요 내용임 - 이밖에 외국 자본 및 소유 규제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음 ∙ 민영 방송국의 외국 자본 비율은 20%를 초과할 수 없음 ∙ 소유 규제의 경우, TV 방송국 1개 이상 소유 금지, 라디오 방송국 2개 이상 소유 금지 통신부(DOC, 현 DTPS)는 2008년 1월 방송통신법 2005(Electronic Communications Act 2005)에 대한 정책 방향을 추가하고 문제에 대한 연계를 위해 수정안을 발표함 - 현행의 방송통신법 2005 조항은 정보,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기술에 대한 액세스 비용 절감을 위한 전략적 개입의 편리성을 정부의 전자통신 부분에 제공하지 못함 - 이는 정보에 대한 접근의 가용성을 확장하고 통신 및 기술 인프라를 도매 기준의 비용을 지향하고 자국 內 사업자에게 지원함 - 공공 단체의 효율적인 라이선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방송통신법 2005의 수정이 필요, 수정 내용은 다음과 같음 ∙ ‘공공 기관’이라는 정의가 ‘공영방송 서비스’로 수정 삽입 ∙ 법령 원리 수정과 전략적 인프라 투자 및 통신 분야의 혁신 장려 ∙ 정부에 의해서 정보통신(ICT) 인프라 투자를 보장 받기 위해서 용이한 개입 제의 및 당국에 의해 공공 법인의 라이선스에 대한 프레임워크 제공

남아프리카공화국 | 115 규제

1) 정보통신(ICT) 규제

남아공의 통신법은 1996년 통신시장의 효율적인 규제를 위해 도입됐으며, 주요 내용 및 목적은 아래와 같음 ∙ 보편적 서비스 촉진 ∙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통해 경제 성장 및 국가 발전 촉진 ∙ 통신 시장의 투자 및 혁신 촉진 ∙ 통신 제조업계의 경쟁력 및 효율성 촉진 ∙ 소비자들의 니즈에 부응하는 통신 서비스 개발 및 촉진 ∙ 장애인들의 통신 서비스 이용 촉진 ∙ 통신 시장의 경쟁 촉진 ∙ 통신 서비스의 개발에 있어 지정된 기술 표준 이용 ∙ 무선 주파수의 효율적 활용 ∙ 중소기업의 정보통신(ICT) 활용 지원 ∙ 통신 전문 인력 개발의 촉진 - 2000년 개정법에서는 통신규제청(SATRA)과 독립방송청(Independent Broadcasting Authority)의 해체를 명시하고 그 기능을 독립통신청(ICASA)으로 전환시킴 남아공 독립통신청(ICASA)은 전자통신법(EC Act) 관련규정에 의거, 2.6GHz 대역과 3.5GHz 대역 주파수 허가 관련 위원회 결정사항을 고시함 - 2.6GHz 주파수 대역 세부배분 ∙ 同 대역 일부분은 이미 신호분배사업자(Sentech)와 무선인터넷사업자(Wireless Business Solution)에 할당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 2008년 중 6개의 무선인터넷 사업자를 신규로 허가하고(사업범위 전국) 주파수는 사업자당 20MHz씩 배분함 - 주파수 허가방법 및 심사기준 ∙ 사전자격심사(Pre-Qualification) 이후 주파수 경매 실시 ∙ 사전자격심사 단계의 주요 심사기준으로는 1) 흑인기업우대정책(BEE Act)에 따라 최소 51% 이상의 흑인 지분 보유, 2) 고용평등법에 의한 경영진 참여정도, 3) 역사적 불이익집단(HDI)2)에 대한 인력양성 기여 등

116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주파수 세부분배 계획 ∙ 3.5GHz 대역은 가용 주파수 80% 이상이 Telkom(2×28MHz), Neotel(2×28MHz) 및 Sentech(2×14MHz) 등 3개 전국 단위의 업체에 배분되어 있어, 각 지역별로 2개의 15MHz 주파수 배분 - 주파수 허가 방법 및 심사기준 ∙ 2.6GHz 대역 주파수 허가 방법 및 심사기준과 동일

2) 방송 규제

■방송법 1999년 남아공 정부는 1976년 방송법을 개정한 신규 방송법 1999(Broadcasting Act 1999)를 도입함 - 통신부(DOC, 현 DTPS) 설립의 근거법이기도 하며, South African Broadcasting Corporation(SABC)의 의무, 위성방송 라이선스 허가, 스포츠 경기 방송권, 지역 방송 서비스, 연간 주파수 계획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 특히 SABC의 방송 서비스를 ‘공공 서비스’와 ‘상업 서비스’ 2개 부문으로 나누어 각각 독립된 형태로 운영하도록 명시함 2009년 7월 남아공 통신부(DOC)는 방송법 1999를 개정하기 위한 준비에 착수함 - 재정 상황이 악화된 SABC의 통제를 더욱 강화하는 것이 주 내용임 - 법 개정 이후 방송법은 ‘공공서비스 방송법(Public Services Broadcasting Act)’으로 개명됨

■ 방송 콘텐츠 규제 정책 남아공은 정부의 미디어 규제가 심한 국가 중 하나로, TV는 미디어 중에서도 규제 수위가 강함 - 특히 자국 콘텐츠 쿼터제가 장르별로 세분화되어 적용되고 있는데, 이 영향으로 남아공 TV 프로그램 제작사의 규모가 큰 편이며 자국 콘텐츠의 시청률도 높은 편임 2006년 1월 규제기관 독립통신청(ICASA)은 남아공의 문화와 다양성을 보호하고 발전 시키기 위한 방송 콘텐츠 규제 ‘ICASA South African Television Content Regulation’을 발표함

2) HDI: Historically Disadvantaged Individuals, 과거 인종차별 정책에 의해 차별받았던 남아공 시민 및 여성, 장애인 등을 지칭

남아프리카공화국 | 117 - 해당 규제안은 공영 방송, 상업 방송, 유료 방송으로 나누어 드라마, 시사, 다큐멘터리, 지식/정보, 교육, 어린이 등 6개 장르별로 자국 제작 콘텐츠 쿼터제를 제시함 ∙ 공영 방송은 주간 편성 프로그램 중 최소 55%를 자국 제작 콘텐츠로 편성해야 하며, 공영 방송국이 운영하는 상업 채널 역시 이를 준수해야 함 ∙ 상업 방송의 경우 주간 편성 프로그램 중 최소 35%를 자국 제작 콘텐츠로 편성해야 하며, 유료 방송은 2%를 자국 제작 콘텐츠로 편성해야 함 ∙ 또한 모든 방송 채널들은 독립 제작사의 콘텐츠를 최소 40% 이상 편성해야 함

■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정책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규정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함 - 기존의 TV 채널의 디지털 지상파 방송으로의 전환을 조절 -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목적을 위한 Multiplex 1과 Multiplex 2 채널 용량 할당 규정 - 디지털 지상파 방송 인센티브 채널의 승인 절차를 위한 처리 절차 규정 - 방송 서비스 라이선스에 의해 달성할 수 있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내의 시간 프레임 설정 남아공은 기존에 2011년 11월 1일까지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완료일로 결정했으나, 2009년 9월 일정이 촉박하다고 판단한 독립통신청(ICASA)은 2013년으로 연기함 - 남아공은 2013년까지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방송 기술은 유럽형인 DVB-T를 채택함 - 아날로그 방송 종료 시점은 당초 2011년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디지털 지상파 방송 개시가 예정보다 늦춰져 이와 더불어 아날로그 방송 종료 시점도 늦춰짐 ∙ 2013년 5월 기준,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네트워크 커버리지는 인구의 60%를 기록, 2013년 3월까지 80%, 2013년 12월까지 84%를 달성키로, 나머지 12%는 위성기술로 커버할 예정이었음 - 남아공은 2008년 10월 30일부터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 모두 전송하는 듀얼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음 ∙ 디지털 전환을 달성하기 위해서 SABC 채널, e.tv 채널, M-Net 채널과 TBN 채널의 듀얼 서비스를 제공함 ∙ 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SDTV) 모드에서 방송해야 한다는 규정에 따라 SABC 채널, e.tv 채널, M-Net 채널, TBN 등의 디지털 방송 및 디지털 인센티브 채널을 제공함

118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M-Net, the SABC, e.tv, TBN 등을 제외한 모든 텔레비전 방송서비스 라이선스는 규제에 따라 제공된 아날로그 형식으로 할당된 라디오 주파수대로 방송을 지속함 한편, 독립통신청(ICASA)은 디지털방송을 위해 3개의 디지털 멀티플렉스(Multiplex)를 3개 방송 사업자에 할당함 - Multiplex 1의 90%를 국영 방송사 SABC(South Africa Broadcasting Corporation)에 할당했으며, 기독교 방송 사업자 TBN(Trinity Broadcasting Network)에 나머지 10%를 할당함 - Multiplex 2와 Multiplex 3은 각각 민영 방송사 e.TV(60%)와 유료 TV 사업자 M-Net(50%)에게 할당함 - 셋톱박스는 2010년 상반기부터 판매되었으며, 정부는 저소득층에 셋톱박스 비용 700 랜드(93달러)의 70%까지 보조금을 지급함 ∙ 통신부(DOC)는 약 500만 가구에 지급할 보조금을 위해 4억 랜드(약 5,280만 달러)를 투자한 바 있음 그러나, 남아공 정부의 디지털 지상파 방송으로의 전면적 전환 계획은 난민층을 대상으로 한 무리한 보조금 지원 등을 이유로 지속적으로 지연되고 있는 상황

남아공 디지털 멀티플렉스 할당 현황 멀티플렉스 구분 방송사 할당비율

국영 방송사 SABC 90% Multiplex 1 민영 방송사 TBN 10% Multiplex 2 민영 방송사 e.tv 60% Multiplex 3 유료 방송사 M-Net 50% 출처: 독립통신청(ICASA)

남아공 통신부(DOC)는 2015년 3월 최종적으로 디지털 전환 정책 계획을 발표하며, 2015년 6월까지 남아공의 디지털 방송 전환을 완료키로 함 - 그러나 2015년 12월 말까지도 관련된 발표는 나오지 않고 있으며, 디지털 셋톱박스 보급 실패가 주요 원인으로 꼽힘

남아프리카공화국 | 119 2. 정보통신(ICT)・방송 품목 현황

(단위: 천 명 / 천 회선 / 천 가구, 2014년 12월 기준) 정보통신(ICT)・방송 주요지표 남아공 보급률(%) 한국 보급률(%)

유선통신 가입회선 4,303 8.1% 29,481 59.5% 이동통신 가입자 79,540 149.7% 57,208 115.5%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1,706 3.2% 19,199 38.8% TV 보급대수 9,611 77.5% 17,893 97.5% 케이블 TV 가입가구 0 0.0% 9,519 53.2% 위성 TV 가입가구 5,970 62.1% 1,917 10.7% 지상파 디지털 방송 가입가구 3,637 55.6% 15,209 85.0% IPTV 가입가구 5 0.1% 5,815 32.5% ※ 각 항목별 보급률은 인구 대비 기준 출처: ITU, Digital TV Research

방송 Value Chain 內 주요 업체

Contents SABC, e.tv, M-Net, Bloomberg, Time Warner, Al Jazeera, BBC, Viacom, News Corp.

Syndicator/ 주요 대형 방송사들이 자체 제작 콘텐츠에 대한 독립 신디케이션/어73그리게이션을 강화해 직접 Aggregator 판권 문제를 다루는 경우가 대부분임

Platform Microsoft, Cisco

[지상파] SABC, e.tv Service [위성] MultiChice(DStv), Sentech(Vivid), ODM(Top TV) Provider [IPTV] GTS, MultiChoice, Telkom

Terminal [TV] 삼성전자, LG전자, , Mecer, NEC, BenQ, Philips, Acer, Prestigio, PVision

통신 Value Chain 內 주요 업체

Contents Time Warner, News Corp., MusicStation

Syndicator/ Yahoo, Google, Android Market, Apple App Store Aggregator

Platform Sun Microsystems, Microsoft, Nokia Siemens Networks Service

Service [통신] Telkom, Vodacom, MTN, Neotel, Cell C, Maxwell Provider

[휴대전화] 삼성전자, LG전자, Sony, Motorola, Apple, Xiaomi, Huawei Terminal [PC/노트북] Sony, Dell, Fujitsu, Toshiba, HP, Lenovo, Acer, Asus, 삼성전자, LG전자

120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1. 디지털 콘텐츠

시장

1) 시장 개요

2014년 말 기준, 남아공의 인터넷 이용률은 49%로 인터넷 이용의 점진적 증가와 신기술 수용에 적극적인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시장의 성장이 견인될 것으로 전망 시장조사기관 Conlumino에 따르면, 남아공 음악 및 비디오 콘텐츠 시장은 2014년 2억 8,140만 달러의 규모를 형성했으며, 2010~2014년까지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 3.3%를 기록

남아공 음악 및 비디오 콘텐츠 시장 추이 (단위: 백만 달러)

출처: Conlumino(2015)

2) 시장 현황

음악 콘텐츠 시장은 2014년 1억 6,130만 달러로, 브로드밴드 및 모바일 인프라가 점차 개선됨에 따라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동반 상승 중임 - 남아공의 유력 음악 스트리밍 사업자로는 RDIO, Africa, Deezer, , Mixradio 등의 5개를 꼽을 수 있음 ∙ 이 중 RDIO는 2,500만 개의 음악 라이브러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월 60랜드에 온라인과 모바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 중

남아프리카공화국 | 121 비디오 콘텐츠 시장에서는 통신 사업자들과 인터넷 비디오 사업자들 간의 각축전이 전개 되고 있음 - MTN은 2015년 초 VoD 플랫폼인 FrontRow를 통해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 ∙ 동 서비스는 월 199랜드로 제공되며 초기 3개월은 179랜드임 - 이 외, Netflix, Node, Vidi 등도 역시 푸시 및 스트리밍 방식의 비디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 중

■ 모바일 게임 남아공 디지털 콘텐츠 시장 중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분야가 스마트폰과 태블릿에 기반한 모바일 게임으로, 청소년 및 젊은 층을 중심으로 특히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음 - 2013년 8억 5,800만 랜드를 기록한 남아공 모바일 게임 시장은 2018년까지 15억 랜드의 시장을 형성하며 전체 게임 시장의 4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PwC, 2015) 남아공 내 주요 유무선 게임 개발사로는 Celestial Games, Thoopid, I-Imagine Interactive 등이 있음 - 이 중 I-Imagine은 특히 모바일 분야의 비중이 높은 개발사로 iOS, Android, J2ME 등 다양한 모바일 플랫폼에 대응한 게임 타이틀을 개발 중

3) 시장 전망

남아공 소비자들은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같은 모바일 기술과 클라우드, 데이터 분석 같은 신기술 수용에 적극적이며, 이러한 소비자 니즈와 기대는 디지털 콘텐츠 관련 기술 및 서비스 수용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예상 - 남아공의 인터넷 발달 추세로 볼 때, 향후 5년 동안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에 대한 소비자 지출 역시 큰 폭으로 성장할 전망

주요 정책

남아공 정부는 정보통신 인프라에 대한 대규모 투자 및 시장 경쟁 확대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인프라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 - 2020년을 목표로 광대역망 구축 완료, 경쟁 활성화 및 민관 협력을 포함한 민간투자 유치를 위해 노력 중임

122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2. 방송 콘텐츠

시장

1) 시장 개요

남아공의 방송 콘텐츠 시장은 시청 점유율면에서 SABC와 e.tv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2014년 시청률 상위 10대 프로그램은 SABC 1이 8개를 차지 남아공의 유료 TV 가입가구 수는 2013년 484만 가구에서 2014년 539만 가구로 늘어남 (출처: Digital TV World Household Databook, 2015 edition)

2) 시장 현황

■ 방송 채널 현황 남아공의 지상파 TV 사업자는 국영 방송 사업자인 SABC(South Africa Broadcasting Corporation), 민영 방송 사업자인 e.tv가 있으며, 유료 TV 사업자로는 위성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MultiChoice 및 Sentech, ODM이 있음

방송 플랫폼별 주요 사업자 구분 주요 사업자

∙ 국영: SABC(SABC 1, SABC 2, SABC 3) 지상파 TV ∙ 민영: e.tv 위성 TV ∙ MultiChoice(DStv), Sentech(Vivid), ODM(Top TV)

■ TV 방송사별 점유율 2014년 남아공의 TV 채널 중 SABC의 메이저 3대 채널 점유율은 47.8%로, 채널별로는 SABC 1(24.7%), SABC 2(14.6%), SABC 3(8.5%)이 각각 1위, 3위, 4위를 차지 - 2위는 16.0%의 시청률을 확보한 e.tv가 차지함

남아프리카공화국 | 123 남아공 시청 점유율 현황(2014) (단위: 천 가구)

출처: Eurodata TV(2015)

■ 시청률 현황 2014년 Top 10 인기 프로그램 중 8개가 SABC 1에서 방영되었으며, ‘GENERATIONS’가 시청률 1위를 차지함 - 2014년 남아공 시청률 Top 10 프로그램은 드라마와 시리즈물이 가장 높은 시청률을 보였으며, SABC 2의 프로그램은 7위와 9위에 랭크

남아공 시청률 순위 Top 10(2014) 순위 채널 프로그램 장르 시청 점유율(%) 1 SABC 1 GENERATIONS 드라마 73.8 2 SABC 1 GENERATIONS THE LEGACY 드라마 72.0 3 SABC 1 SKEEM SAAM 시리즈 67.4 4 SABC 1 MFOLOZI STREET 시리즈 55.0 5 SABC 1 AMAZA 시리즈 52.5 6 SABC 1 NGEMPELA 시리즈 53.2 7 SABC 2 MUVHANGO 드라마 59.3 8 SABC 1 KOWETHU 시리즈 51.2 9 SABC 2 ISIDINGO : THE NEED 드라마 49.3 10 SABC 1 SOUL CITY 시리즈 51.6 출처: Eurodata TV(2015)

124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TV 시청 시간 Eurodata에 따르면, 2014년 기준 남아공 일반 시청자의 TV 시청 시간은 2시간 57분으로 2013년 대비하여 19분 가량 감소

남아공 TV 시청 시간

출처: Eurodata TV(2015)

3) 시장 전망

2015년 6월에 완료 예정이었던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이 연기되어 있으나 디지털 방송 기술 기반의 방송 서비스 시장 확대와 OTT 플랫폼 구축에 따라 콘텐츠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 남아공의 방송 콘텐츠 시장은 미국, 영국 등 주요 선진국의 프로그램들이 현지 시장에서 높은 장악력을 보이고 있어, 국내 콘텐츠 제작 관련 사업자들의 보다 차별화된 접근 전략 수립이 필요함

주요 정책

남아공은 정부의 미디어 규제가 심한 국가 중 하나로, TV는 미디어 중에서도 규제 수위가 강함 - 특히 자국 콘텐츠 쿼터제가 장르별로 세분화되어 적용되고 있는데, 이 영향으로 남아공 TV 프로그램 제작사의 규모가 큰 편이며 자국 콘텐츠의 시청률도 높은 편임 2006년 1월 규제기관 독립통신청(ICASA)은 남아공의 문화와 다양성을 보호하고 발전 시키기 위한 방송 콘텐츠 규제 ‘ICASA South African Television Content Regulation’을 발표함

남아프리카공화국 | 125 - 해당 규제안은 공영 방송, 상업 방송, 유료 TV로 나누어 드라마, 시사, 다큐멘터리, 지식/정보, 교육, 어린이 등 6개 장르별로 자국 제작 콘텐츠 쿼터제를 제시함 ∙ 공영 방송은 주간 편성 프로그램 중 최소 55%를 자국 제작 콘텐츠로 편성해야 하며, 공영 방송국이 운영하는 상업 채널 역시 이를 준수해야 함 ∙ 상업 방송의 경우 주간 편성 프로그램 중 최소 35%를 자국 제작 콘텐츠로 편성해야 하며, 유료 방송은 2%를 자국 제작 콘텐츠로 편성해야 함 ∙ 또한 모든 방송 채널들은 독립 제작사의 콘텐츠를 최소 40% 이상 편성해야 함

2.3. 인터넷 서비스

시장

1) 시장 개요

남아공 인터넷 이용자 수는 2015년 11월 기준 2,684만 1,000명으로 집계(출처: Internet World Stats, 2015.11) - 이 중 Facebook 이용자 수는 1,300만 명으로 추산 지역별로 볼 때는 Johannesburg에 남아공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25.8%가 거주하고 있으며, 이어서 Cape Town(13.2%), Pretoria(11.0%) 순(출처: mybroadband, 2015.04) - 연령대별로는 20대가 30.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이어서 30대(24.7%), 50대 (12.7%) 순으로 나타남 ITU는 2014년 남아공 인터넷 이용자 비율을 49.0%로 집계, 매년 꾸준한 상승세를 기록 중임

126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남아공 인터넷 이용률 추이 (단위: %)

출처: ITU 2015

2) 시장 현황

남아공의 주요 인기 웹사이트는 Google, Facebook, YouTube, Yahoo 등의 글로벌 웹사이트가 차지하고 있음 - 남아공 국내 사업자로는 Gumtree 등의 쇼핑몰이 순위권에 포함됨 - SNS로는 Facebook이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5위에 Twitter 등이 포진함

남아공 Top 10 웹사이트 현황(2015.12) 순위 사업자명 사이트 주소

1 Google SA www.google.co.za 2 Google www.google.com 3 Facebook www.facebook.com 4 YouTube www.youtube.com 5 Twitter www.twitter.com 6 Gumtree www.gumtree.co.za 7 Amazon www.amazon.com 8 Yahoo www.yahoo.com 9 Junkmail www.junkmail.co.za 10 FNB www.fnb.co.za 출처: Alexa

남아프리카공화국 | 127 ■ 검색 및 포털 서비스 남아공 검색 및 포털 시장은 Google이 지배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지역 기반 검색 엔진들이 Google의 검색 엔진을 사용하고 있어 실제 Google의 시장 점유율은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됨

남아공 주요 검색 및 포털 사이트(2015.12) 사업자명 사이트 주소

Google SA www.google.co.za Google www.google.com 출처: Alexa

대표적인 로컬 검색 엔진은 ‘ananzi’로 남아공 최초의 자체 포털 및 검색엔진임 - ananzi는 1996년 설립되었으며 남아공에 특화된 검색 서비스를 제공, Google, Yahoo 등의 글로벌 사업자들과의 차별화를 추구함

■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미디어 분석업체 Fuseware와 기술조사업체 World Wide Worx가 발간한 ‘South African Social Media Landscape 2016’ 보고서에 따르면 남아공의 Facebook 이용률은 25%를 기록함(World Wide Worx, 2015.09) - 남아공의 Facebook 이용자 1,300만 명 중 77%인 1,000만 명은 모바일 단말로 Facebook을 이용 ∙ 790만 명은 스마트폰, 160만 명은 피처폰으로 Facebook에 접속하며 태블릿 PC로 Facebook 접속하는 140만 명 중 다수는 휴대전화도 함께 사용하고 있음 - Instagram은 남아공의 소셜 미디어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데, 2014년 Instagram의 이용자 수는 110만 명에서 268만 명으로 133%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특히 유명인들의 Instagram 사용이 두드러짐

3) 시장 전망

남아공은 열악한 브로드밴드 인프라 환경으로 유선 기반의 인터넷 서비스보다는 스마트폰 보급을 통한 인터넷 서비스를 중심으로 시장이 활성화될 전망임 - 특히, 최근 통신 사업자들의 LTE 개시로 모바일을 통한 인터넷 이용자 수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상황으로, 사업자들의 다양한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출시가 기대됨

128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4. 정보보호

시장

1) 시장 개요

2015년 상반기 남아공 금융위기정보센터(South African Banking Risk Information Centre)의 분석에 따르면, 남아공 국민들은 매년 온라인 사기와 피싱 공격으로 인해 22억 랜드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음 Vodacom의 Cyber Intelligence Centre는 2015년 6월을 기준으로 과거 18개월 동안 DDoS 공격수가 150% 늘어난 것으로 발표 남아공 정부가 접수한 사이버 침해 사고 신고를 토대로 한 통계에 따르면, 2014년 10월 기준 사이버 범죄 유형은 은행 사기 25.5%, SNS 사고 17.0%, SMS 사기 6.4%, 멀웨어 4.3%, 스팸 4.3% 등의 순으로 나타남

남아공 사이버 범죄 유형 비중

출처: South African Security Center

2) 시장 현황

남아공은 통신 서비스의 빠른 보급으로 네트워크 보안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단계로, 특히 브로드밴드 서비스의 보급이 전체 보안 시장의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남아공은 아프리카에서도 통신 서비스가 가장 발달한 국가로 정보보안 시장도 가장 두드러지게 성장하고 있음

남아프리카공화국 | 129 방화벽(Firewall)/IPSec(Internet Protocol Security), VPN(Virtual Private Network), SSL(Secure Socket Layer) VPN,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IPS(Intrusion Prevention System)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3) 시장 전망

정보보안 시장은 남아공 정부가 사이버 범죄에 따른 피해 규모를 줄이기 위해서 사이버 전문 자문위원을 출범시키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어 향후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임 - 특히, 남아공 정부는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개인정보보호 관련 규제를 법제화하기 시작, 남아공의 정보보안 시장이 확대되는 데 초석을 마련한 것으로 분석됨 - 또한, 사이버 범죄와 관련하여 주변 아프리카 국가와 함께 대책을 마련할 가능성이 높으며, 선진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선진국가들과의 지속적인 협의를 논의할 전망임

주요 정책

■ 관련 규제 남아공에서는 2009년 통과된 개인정보보호법(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Bill)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규정하고 있음 또한 전자통신 및 거래법(Electronic Communications and Transactions Act, ECT) 에서 전자통신을 통해 얻어지는 개인의 정보에 대한 규제를 하고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同 법에서는 개인의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 혹은 조직을 Data Controller라고 명명 하고 있으며 개인정보 관련자들의 의무사항을 명시하고 있음

남아공 전자통신 및 거래법의 주요 정보보안 관련 내용

∙ Data Controller는 데이터 수집, 조사, 처리, 공개 등에 대해 반드시 글로 쓰인 허가 내용을 밝혀야 함 ∙ Data Controller는 법적인 목적 외 개인의 정보를 요청, 수집, 조사, 처리, 저장할 수 없음 ∙ Data Controller는 개인정보를 요청하거나 수집, 조사, 처리할 경우 반드시 구체적인 목적을 밝혀야 함 ∙ Data Controller는 명시한 목적 외 개인정보를 활용할 수 없음 ∙ Data Controller는 법적인 허가 없이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넘길 수 없음 ∙ Data Controller는 더 이상 쓰이지 않는 개인정보를 폐기할 의무가 있음 출처: Michael Rauch

130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남아공 정부는 2013년 10월에 사이버 보안 강화를 위해 국가 사이버 보안 자문 의회 (National Cyber Security Advisory Council, NCAC)를 출범시킴 - 주요 역할은 정부의 사이버 규제 및 기술적 이슈들에 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임 - 한편, 해당기관은 2012년 3월에 남아공 정부가 국가 사이버 보안 정책 프레임워크를 통과시키며 설립된 기관임 2015년 10월에 사이버 범죄 및 사이버 보안 법안(Cybercrimes and Cybersecurity Bill) 초안 작성 완료 - 이 법안에서는 개인 및 재무 정보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불법탈취와 액세스 등을 불법화 했으며, 사이버 범죄 수사기관에 대한 조사, 접근 및 압수 등의 권한을 대폭 강화 - 또한 사이버 보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자통신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 대한 다양한 의무 규정 등을 정함 - 이 법안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로부터의 의견을 수렴한 뒤 공식 법안으로 상정될 예정

■ 개인정보보호 정책 법무부는 2015년 7월 개인정보보호법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ct 4 of 2013(POPI)’ 준수 여부를 감독할 정보 규제당국(Information Regulator) 설립 절차 착수 - POPI 시행일 후 1년 내 이를 준수하지 않거나 기간 연장도 요청하지 않는 기업들은 최대 1,000만 랜드의 벌금 또는 최대 10년 형을 받게 됨 - POPI는 2013년 법제화되어 기업들에게 개인정보보호 및 처리에 대한 엄격한 조건을 부여하고 있으나, Jacob Zuma 대통령의 효력일 공표 이후에야 전면 시행될 수 있음 - POPI 시행이 언제 이루어질지는 불확실한 상황이나, 규제당국 구성 절차가 시작됨에 따라 POPI 시행도 현실화될 예정

협력 현황

고려대는 남아공 Johannesburg의 University of Johannesburg을 방문하여 태양광 에너지 및 정보보안 분야의 연구교류에 대해 학술교류협정을 맺는 것에 합의(2011.01)

남아프리카공화국 | 131 2.5. 방송

시장

1) 시장 개요

남아공의 지상파 TV 사업자는 국영 방송 사업자인 SABC(South Africa Broadcasting Corporation), 민영 방송 사업자인 e.tv가 주요 사업자로 활동 중이며, 유료 TV 사업자로는 위성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MultiChoice 및 Sentech, ODM이 있음 - 특히, 국영 방송 사업자인 SABC가 차지하는 시청 점유율은 전체 시장의 약 50%대로 남아공 방송 서비스 시장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끼치고 있음 2014년 남아공 TV 보유가구 수는 961만 1,000가구로 2014년 대비 2.2% 증가하였으며, 디지털 유료 위성 TV 가입가구 수는 539만 3,000가구임 - 남아공의 디지털 위성 TV 보급률은 56.1%로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

남아공 TV 보유가구 수 및 디지털 위성 유료 TV 가입가구 수 추이 (단위: 천 가구)

출처: Digital TV World Household Databook(2015)

2014년 남아공 디지털 TV 보유가구 수는 597만 4,000가구로 2013년 대비 11.5% 증가 하였으며 이에 비해 아날로그 TV 보유가구 수는 363만 7,000가구로 2013년 대비 10% 감소하며 디지털 전환이 점진적으로 탄력을 얻고 있는 중임

132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남아공 디지털 및 아날로그 TV 보유가구 수 추이 (단위: 천 가구)

출처: Digital TV World Household Databook, 2015 edition

기존 지상파, 위성 방송, 케이블 방송과 더불어 IPTV와 모바일 TV 등의 새로운 TV 플랫폼의 등장으로 콘텐츠를 접근할 수 있는 경로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모바일, 3G 및 브로드밴드를 결합한 통신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음 한편, 남아공의 유료 TV 가입가구 수는 2013년 484만 가구에서 2014년 539만 가구로 늘어남(출처: Digital TV World Household Databook, 2015 edition)

2) 시장 현황

방송 플랫폼별 주요 사업자 구분 주요 사업자

∙ 국영: SABC(SABC 1, SABC 2, SABC 3) 지상파 TV ∙ 민영: e.tv 위성 TV ∙ MultiChoice(DStv), Sentech(Vivid), ODM(Top TV)

■ 지상파 TV 남아공에는 국영 방송 사업자인 SABC가 3개의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민영 방송 사업자인 e.tv가 1개의 채널을 운영하고 있음 SABC는 1936년 설립된 남아공의 국영 방송 사업자로 1975년부터 TV 방송을 개시하여 1976년에는 방송 권역을 전국으로 확대함 - 2002년 4월 주식회사로 전환하였으나 주식 100%를 남아공 정부가 소유함 - SABC는 TV, 라디오, 위성 TV 서비스와 함께 상업 방송도 제공하고 있어 광고 수입의

남아프리카공화국 | 133 비중이 전체 수입의 74%를 차지할 정도로 높음 - 공공 서비스 사업부가 운영하는 SABC 1은 남아공 시청률 1위 채널로, 공공방송법에 명시된 의무에 따라 영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아프리카 언어로 방송함 - 공공 서비스 사업부가 운영하는 또 하나의 채널인 SABC 2는 가족 대상의 채널로써 운영 중임 - 상업 서비스 사업부가 운영하는 SABC 3은 SABC의 수익 증대라는 목표로 도입된 채널이며, 영어로 방송되고 수입 콘텐츠와 자국 제작 콘텐츠가 골고루 편성됨 - 2015년 3월 기준 SABC 1은 남아공 인구의 약 91.2%, SABC 2는 남아공 인구의 92.5%, SABC 3은 남아공 인구의 82.1%를 커버하며, 3개 채널 모두 위성으로도 방송됨 e.tv는 남아공의 민영 방송사로 1998년 설립되어 10월부터 방송을 송출하였으며, 자국 제작 드라마, 버라이어티 쇼, 수입 콘텐츠 등의 엔터테인먼트 장르의 프로그램을 위주로 편성함 - 1998년 3월 미국의 미디어그룹 Time Warner가 20%의 지분을 보유한 컨소시엄 Midi TV가 남아공 정부로부터 민영 방송 라이선스를 획득하여 설립함 - 편성 프로그램의 45%는 자국 제작 콘텐츠이며, 그 외는 미국 위주의 수입 콘텐츠임 - 선정성 시비를 일으킬 정도로 파격적인 프로그램들을 편성하여 빠른 시일 내에 시청률을 증가시키며, 국영 방송사와는 차별화된 뉴스 프로그램을 제작함

■위성 TV MultiChoice는 1986년 설립된 남아공 최대 위성 TV 사업자로 설립 당시의 사명은 M-net이었으며, MultiChoice의 위성 TV 브랜드명은 ‘DStv’임 - MultiChoice는 남아공뿐만 아니라 49개 국가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아프리카 최대의 위성 TV 사업자임 - MultiChoice는 일반 채널 90개, HD 채널 4개, 오디오 채널 40개, 라디오 채널 32개 및 양방향 채널 3개를 제공함 - 제공 채널 수 및 특성에 따라 총 8개의 패키지 요금제가 있음 - 2015년 3월 기준 DStv의 가입가구 수는 540만 가구를 기록함 2014년 7월 9일, 남아공 국영 위성 방송사 Sentech는 향후 3년간 최대 9억 230만 남아공 랜드를 투입하여 OTT(Over-The-Top) 콘텐츠 전송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계획을 발표함 - Sentech가 개발하게 될 OTT 플랫폼은 태블릿, 스마트폰,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전국 및 지역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멀티스크린 콘텐츠 전송과 네트워크 관리에

134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특화된 것을 특징으로 함 디지털 위성 TV 방송사인 Openview는 ‘Openview HD’ 서비스를 앞세워 남아프리카 지역에서 시장을 확장 중이나 실적은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임 - Openview는 e,tv를 보유하고 있는 Sabid Investments의 자회사 Platco Digital이 운영하고 있으며, 2013년 10월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2014년 말 기준 약 5만 3,000명의 가입자를 확보하는 데 그침 - Openview HD 서비스는 출범 당시 잠재고객 1,070만 가구 중 2년 간 200만 시청자를 확보할 계획을 수립한 바 있음 - 이러한 부진에는 남아공의 디지털 지상파 방송 도입 일정 지연에 따른 디지털 TV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식기 시작한 것이 영항을 미친 것으로 분석됨

■ 시청률 현황 2014년 남아공의 TV 채널 중 SABC의 메이저 3대 채널 점유율은 47.8%로, 채널별로는 SABC 1(24.7%), SABC 2(14.6%), SABC 3(8.5%)이 각각 1위, 3위, 4위를 차지 - 2위는 16.0%의 시청률을 확보한 e.tv가 차지

3) 시장 전망

남아공의 방송 콘텐츠 시장은 미국, 영국 등 주요 선진국의 프로그램들이 현지 시장에서 높은 장악력을 보이고 있어, 국내 콘텐츠 제작 관련 사업자들의 보다 차별화된 접근 전략 수립 필요

주요 정책

남아공의 방송 시장에 관한 규제 및 정책 업무는 독립통신청(ICASA)에서 관할함 남아공은 방송 서비스에 대한 규제 수위가 높은 편이며, 특히 장르별로 쿼터제를 적용하여 자국 프로그램에 대한 보호 및 육성 의지가 강하게 반영

■ 디지털 방송 전환 정책 남아공의 디지털 방송 전환은 당초 2011년 11월로 예정돼 있었으나, 이후 2013년으로 연기된 뒤 재원 확보의 어려움에 따른 셋톱박스 보급 차질로 인해 2015년 12월 말까지 관련 발표가 나오지 않고 있는 상황

남아프리카공화국 | 135 2.6. 통신

브로드밴드 시장

1) 시장 개요

2014년 남아공의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는 2013년 대비 5.6% 증가한 170만 6,000 회선, 보급률은 3.21%로 집계됨

남아공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 및 보급률 추이 (단위: 천 회선, %)

출처: ITU 2015

최근 수년 동안 남아공의 브로드밴드 보급 상황은 매우 열악한 상태로, Akamai가 2014년 4분기에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남아공은 유럽・중동・아프리카 국가들 중에서도 가장 낙후된 인프라국의 하나로 언급 - 이 보고서는 남아공의 평균 브로드밴드 속도는 2014년 4분기 동안 크게 감소했으며, 브로드밴드 보급률 역시 매우 저조한 것으로 지적함

2) 시장 현황

남아공의 브로드밴드 시장은 최대 통신 사업자 Telkom이 대부분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그 외에는 후발 사업자인 Neotel 및 Maxwell 등이 있음 - 남아공의 브로드밴드 사업자들은 Maxwell을 제외하고 주로 ADSL을 기반으로 함

136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사업자 현황

남아공 주요 브로드밴드 사업자 현황(2015.12) 구분 서비스 개시 지원 기술

ADSL, 다이얼 업, Telkom 2002년 8월 위성 브로드밴드 Neotel 2008년 5월 WiMAX, xDSL, 광케이블 Maxwell 2011년 8월 위성 브로드밴드 출처: 각 사업자

Telkom은 2002년 남아공 Pretoria와 Johannesburg 지역에서 ADSL 기반의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개시, 2011년 5월에 서비스 커버리지 100%에 도달함 - FTTH 요금제는 다운로드 속도에 따라 10Mbps/20Mbps/40Mbps/100Mbps Fibre의 네 가지 요금제로 구분 Neotel은 2009년부터 WiMAX, xDSL 및 광케이블 기반의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개시함 - Vodacom은 2015년 12월 유선 사업자인 Neotel의 이동통신 부문을 제외한 자산에 대한 인수키로 합의 Maxwell은 2011년 8월에 남아공에 새로운 위성 브로드밴드 서비스인 ‘SkyMax’를 개시, 브로드밴드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거나 낙후된 지역 등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함 남아공 이동통신 사업자인 MTN은 2014년 4월 23일 Johannesburg에서 30km 떨어진 주택지 Monagham Farm 지역에서의 FTTH(Fibre To The Home) 시연에 성공 - 2014년 6월 이후 정식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특히 고급 신흥 주택지, 고층 빌딩 지역 및 인구밀도가 높은 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공격적인 확대 진행 중

3) 시장 전망

남아공 브로드밴드 시장은 보급률과 가입회선 수가 미미하지만, 남아공 정부의 브로드밴드 활성화 정책으로 향후 브로드밴드 시장 확대 속도는 가속화될 전망임 - 브로드밴드 서비스 제공 사업자들은 서비스 속도 증가를 위해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사업에 투자를 확대할 것으로 보임 - 한편, Telkom이 독점하던 남아공의 브로드밴드 시장에 2008년 Neotel의 서비스 개시를 시작으로 2011년 Maxwell 등 민간 사업자들이 진입하고 있어 향후 사업자 간의 가입회선 유치를 위한 경쟁이 강화될 전망

남아프리카공화국 | 137 주요 정책

남아공 정부는 2010년 6월에 국가 브로드밴드 정책을 승인하였으며, 통신부(DOC, 현 DTPS)는 정책 실행을 위해 브로드밴드 위원회를 설립함 - 상기 계획은 2020년까지 추진되며, 同 계획의 비전은 적절한 가격에 안정된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보편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보급하는 것임 국가 브로드밴드 정책의 목적은 남아공 국민 모두가 브로드밴드 네트워크를 통해서 보편적인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으로 하기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준비함 - 모든 비도심 지역의 서비스 취약 지점에서 신뢰할 만하고 가격이 적절하며 안전한 브로드 밴드 서비스를 제공 - 디지털 통합과 정보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정부의 적절한 지원 필요 - 브로드밴드 서비스 발전을 위하여 통합적 접근을 제공 - 국가의 경제와 사회적 목표를 지원하기 위하여 브로드밴드 수용의 지속적 확장과 이용을 보증 - 브로드밴드 서비스의 비용을 감소 - 세계 수준의 브로드밴드 인프라 발전을 위하여 정부, 정부 소유 기업, 민간부문 등의 명확한 역할 분담 국가 브로드밴드 주요 우선 영역으로는 공급적인 측면과 수요적인 측면으로 구분됨

국가 브로드밴드 정책의 주요 우선 영역 공급 측면 수요 측면

∙ 인터내셔널 백본 네트워크 접속 ∙ 국가 백본 네트워크 접속 ∙ 최종 사용자 장비 접속 증가 ∙ 로컬 네트워크 접속 ∙ 콘텐츠 및 애플리케이션 확대 ∙ 브로드밴드용 주파수 사용 ∙ 고객 서비스 지원 확대 ∙ 인프라 설치비용 최소화 출처: 통신부(DOC, 현 DTPS)

138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이동통신 시장

1) 시장 개요

2014년 남아공의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2013년 대비 3.4% 증가한 7,954만 명, 보급률은 149.6%로 집계됨

남아공 이동통신 가입자 수 및 보급률 추이 (단위: 천 명)

출처: ITU

남아공 통신 시장에서는 Vodacom을 필두로, MTN, Cell C, Telkom의 4개 사업자들이 경쟁 중

2) 시장 현황

2015년 상반기 기준 남아공 이동통신 시장은 Vodacom이 40%를 점유하며 시장 1위이며, MTN 32%, Cell C가 25%, Telkom 3% 등의 순임

남아프리카공화국 | 139 남아공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2015.1H)

출처: Thomson Reuters

■ 사업자 현황 Vodacom은 2012년 10월, Vodacom은 남아공 최초로 LTE 상용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2015년 3월 기준 남아공 내 Vodacom의 LTE 셀사이트는 2,600개, 인구 커버리지는 35%를 기록 중동・아프리카 최대 통신 사업자로 21개 국가에서 약 1억 7,000만 명 이상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는 MTN은 2012년 12월 1일 LTE 상용 서비스를 개시함 2001년 2월 1,800MHz 대역의 GSM 라이선스를 획득했으며, 2001년 11월 GSM 기반의 2G 상용 서비스 개시를 통해 남아공 이동통신 시장에 진출한 Cell C는 2015년 12월부터 Western Cape 지역을 중심으로 LTE 서비스 제공에 착수 - Vodacom의 LTE 서비스 개시는 동사의 이동통신 커버리지 목표치였던 95% 달성과 동시에 이뤄졌으며, 2016년 이후 지속적인 LTE 신규 인프라 확충에 사업 우선권을 두고 추진할 예정

■ 단말 및 장비 파트너 Vodacom은 삼성전자, Sony, LG전자, Huawei 등의 스마트폰이 주로 판매되고 있음

Vodacom 모바일 디바이스 현황(2015.12) 구분 제품명 가격(랜드)

Sony Xperia M4 Aqua 229 Galaxy Core Prime 129 삼성전자 Galaxy S4 Mini LTE VE 129 LG전자 G4 Beat LTE 249 Huawei P8 Lite 199 ※ 월 할부금/24개월 약정 기준 출처: Vodacom ※ 2015년 12월 기준, 1 랜드 = 0.06 달러

140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MTN은 Apple, 삼성전자, Xiaomi 등의 스마트폰이 주로 판매되고 있음

MTN 모바일 디바이스 현황(2015.12) 구분 제품명 가격(랜드)

Apple iPhone 6S 16GB 489 Xiaomi Mi4 289 Galaxy Note 4 Black 539 삼성전자 Galaxy Grand Neo Plus 149 ※ 월 할부금/24개월 약정 기준 출처: MTN ※ 2015년 12월 기준, 1 랜드 = 0.06 달러

Cell C는 Apple, 삼성전자, Huawei 등의 스마트폰이 주로 판매되고 있음

Cell C 주요 디바이스 현황(2015.12) 구분 제품명 가격(랜드)

Huawei Mate 7 499 Galaxy J5 Dual SIM 209 삼성전자 Galaxy A3 229 iPhone 6s 16GB 449 Apple iPhone 6s Plus 16GB 499 ※ 2015년 12월 기준, 1 랜드 = 0.06 달러 출처: Cell C

3) 시장 전망

남아공의 이동통신 시장은 주요 통신 사업자들이 LTE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후발 사업자인 Cell C도 LTE 상용 서비스 개시를 위한 준비 작업에 착수하고 있어 LTE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전망임 - 또한, 주요 통신 사업자들은 3G에 이어 최근 4G LTE 네트워크 확장 사업에도 주력하고 있어 남아공 전체 이동통신 시장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신규 가입자 유치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 - 이에, 각 사업자들은 자사의 서비스를 강화시키기 위해서 모바일 뱅킹 및 엔터테인먼트 관련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출시 등 부가서비스에 주력할 가능성이 높음

남아프리카공화국 | 141 주요 정책

남아공의 이동통신 규제는 독립통신청(CASA)에서 담당함 2012년 4월 18일, 독립통신청(ICASA)은 2013~2017년 5개년 계획을 국회에 보고함 - 2013~2017년 5개년 계획 주요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독립통신청(ICASA)의 청장 Stephen Sipho Mncube는 보고는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며, 국회는 이를 수용 했다고 밝힘 - 한편 同 계획과 관련된 예산은 2012년 5월 29일 국회에서 논의됨

유선통신 시장

1) 시장 개요

2014년 남아공의 유선통신 가입회선 수는 2014년 대비 11% 증가한 430만 3,000회선, 보급률은 8.1%임 - 남아공의 유선통신은 도시 지역에 주로 집중되어 있으며, 인구 70% 이상이 거주하고 있는 지방 지역의 보급률은 5% 이하임

남아공 유선통신 가입회선 수 및 보급률 추이 (단위: 천 회선)

출처: ITU(2015)

2) 시장 현황

남아공의 유선통신 시장에는 남아공 최대 통신 사업자인 Telkom과 민영 사업자 Neotel이

142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있으며, Telkom이 전체 시장 점유율의 대부분을 차지함 - 남아공은 국영 통신 사업자인 Telkom이 독점하고 있었으나, 남아공 정부는 유선통신 시장의 경쟁 촉진을 위해 2002년 5월 유선통신 시장에 민영 사업자의 진입을 허용함

■ 사업자 현황 Telkom은 PSTN과 ISDN 기반의 유선통신 서비스를 기업고객과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제공하며, 가입자 수는 매년 하락 추세로 2015년 3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4.9% 하락한 343만 9,000회선을 기록 Neotel은 2005년 말 정식으로 통신 사업자 라이선스를 획득하여 2007년부터 기업 대상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2008년부터는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대함

3) 시장 전망

남아공 유선통신 시장은 2014년 한 해 이례적으로 가입자 반등을 기록했으나, 이는 Vodacom의 인수를 앞둔 Neotel의 적극적인 가입자 유치에 기인한 한시적 효과로 분석 - 그러나, 향후 이동통신 서비스의 확산과 유선 네트워크 인프라의 절대적인 부족 등으로 인해 남아공의 유선통신 보급률 하락은 피할 수 없는 트렌드가 될 것으로 전망

주요 정책

남아공의 유선통신 시장은 1996년 제정된 남아공의 통신법(Telecommunications Act 1996)을 근간으로 하여 규제됨

2.7. 방송통신 융합

IPTV 시장

1) 시장 개요

남아공의 IPTV 시장은 초기 단계로, 남아공 정부는 IPTV 서비스를 확대시키기 위해 정책 및 인프라 구축 등의 환경을 조성 중에 있음 - 남아공의 많은 사업자들이 IPTV 서비스에 관심을 표명하고 있으나 독립통신청은 미흡한

남아프리카공화국 | 143 브로드밴드 환경 등을 이유로 본격적인 IPTV 서비스 도입을 연기하고 있음 - 한편, 남아공 정부는 IPTV 규제 프레임워크를 수립 및 ICT 통합법(Integrated National ICT Act) 제정 등 IPTV의 본격적인 상용화를 앞둔 정책 준비 단계 남아공의 IPTV 서비스는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개시되기 시작했으며, 2014년 말 기준 4,800명 가량의 유료 IPTV 가입자를 확보했음(출처: Digital TV World Databook 2015)

2) 시장 현황

남아공의 IPTV 사업자는 GTS와 위성 TV 사업자인 MultiChoice이며, 그 외의 일부 사업 자들이 IPTV 서비스 제공 의사를 밝힘

남아공 주요 IPTV 사업자 현황 사업자 서비스 개시일 제공 서비스 특징 GTS 2009년 5월 FTTK 회선을 이용한 VOD, PPV 상용 서비스 MultiChoice 2010년 4월 위성 신호 기반 VOD Telkom - VDSL 기반미정 SouthTel 예정VOD미정 출처: 각 사업자

■ 사업자 현황 GTS는 2009년 5월에 전국 대상의 IPTV 서비스를 개시함 - GTS는 VOD 형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서비스 지역은 Johannesburg, Pretoria, Nelspruit 등의 일부 주요 도시임 ∙ 서비스는 월정액 요금 기반으로 기본적인 콘텐츠들은 무제한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신규 개봉작 및 프리미엄 콘텐츠들은 PPV(Pay-per-View)로 제공함 ∙ GTS는 Nextvisiontv 및 World Media Distributor의 IPTV 서비스 솔루션을 이용하며, 서비스 네트워크로는 GTS의 FTTK(Fiber-To-The-Kiosk) 회선 및 PLC를 활용함 위성 TV 사업자인 MultiChoice는 2010년 4월부터 위성 신호 수신에 기반한 IPTV 서비스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over IP’를 상용화함 - 同 서비스는 위성 접시 안테나로 방송 신호를 전송받은 후 이를 IP 신호로 전환하여 IP 네트워크로 연결된 아파트, 호텔 등 댁내 서비스 사용자들에게 전달함

144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2010년 5월부터 브로드밴드 서비스 사업자인 MWEB, Vox Telecom, Neology 및 CyberSmart의 가입자들은 해당 인터넷 제공 사업자들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DStv On Demand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MultiChoice는 향후 인터넷 제공 사업자 참여를 더욱 확대할 방침임 남아공의 최대 통신 사업자인 Telkom은 2005년부터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방안으로 IPTV 서비스를 준비해왔으나 시장의 미성숙 및 전략의 부재로 2009년 6월 Telkom Media의 지분을 매각하였으며, IPTV 서비스는 지연되고 있음 Vodacom은 2015년 3월 동부 Pretoria 지역에서 FTTH 시범 서비스를 통해 가입자들을 통한 IPTV 서비스 제공을 준비 중인 것으로 밝힘 - 시범 서비스에서는 Netflix와 VOD 서비스가 포함될 예정 한편 Netflix 역시 2016년 중 자체적으로 남아공 시장 진출완료 계획을 밝힌 바 있음 이 외에 On Digital Media 및 Super 5 Media가 IPTV 서비스 개시에 관심을 표명함

3) 시장 전망

남아공의 IPTV 시장은 2014년 기준 자국의 브로드밴드 보급률이 3.2%에 그치는 등 초기 단계로 활성화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임 -그러나, 정부의 브로드밴드 활성화 정책과 더불어 향후 ICT 통합법(Integrated National ICT Act)의 제정 및 브로드밴드 시장 성장이 뒷받침되어 준다면 IPTV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이에 국내 네트워크 장비 및 솔루션 사업자들과 셋톱박스 제조 사업자들은 해당 시장 선점을 위해 진출 전략 수립을 모색해야 할 시점인 것으로 분석됨

주요 정책

2010년 남아공의 독립통신청(ICASA)이 IPTV 활성화를 위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확립하기 위한 준비에 착수함 - 2010년 2월 독립통신청(ICASA)은 ‘IPTV 규제에 대한 논의서(Discussion Document on the Regulation of Protocol Television)’를 발표하였으며, 3월 26일까지 전문가들의 의견을 접수하여 4월 공청회를 개최함 - 또한, 2010년 8월 독립통신청(ICASA)은 IPTV 및 VOD 서비스와 관련하여 이해 관계자 들의 의견을 반영한 성명서를 발표함

남아프리카공화국 | 145 - 독립통신청(ICASA)의 IPTV 규제 프레임워크의 궁극적인 목적은 IPTV를 통해 정보통신 (ICT)・방송 융합 환경을 조성하여 Triple Play Service 영역의 성장을 유도하기 위함임

2.8. 전파관리

개요

1994년 이전까지 방송 주파수는 국영 방송 사업자 SABC(South African Broadcasting Corporation), 통신 주파수는 국영 통신 사업자 Telkom이 운영해왔으나, 서비스 발달로 주파수 수요가 증가하자 1993년부터 주파수 관리 및 할당 권한이 정부기관으로 이양됨 - 1993년 설립된 독립방송연합(Independent Broadcasting Association, IBA)과 1996년 설립된 남아공통신규제청(South African Telecommunications Regulatory Authority, SATRA)이 각각 방송 주파수와 통신 주파수를 담당해왔음 - 이후, 2000년에 독립방송연합(IBA)과 남아공통신규제청(SATRA)이 통합, 독립통신청 (Independent Communication Authority of South Africa, ICASA)이 출범하면서 모든 정보통신(ICT) 주파수의 계획, 통제, 관리를 담당하게 됨

주요정책

■ 관련 규제 남아공의 주파수관리에 관여하는 정부기관은 크게 통신부(DOC, 현 DTPS), 독립통신청 (ICASA),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 DoH), 과학기술부(Depart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DOST) 등이 있음

남아공 주파수 정책 관련 기관 구분 내용

∙ 주파수 정책 관련 대외 협력 통신부(DOC, 현 DTPS) ∙ 정부용 주파수 할당 ∙ 주파수 계획 독립통신청(ICASA) ∙ 주파수 관리 및 라이선스 발급 보건부(DoH) ∙ 전자기 방사선(Electromagnetic Radiation) 관련 안전기준 설정 과학기술부(DOST) ∙ 전파 망원경(Square Kilometre Array, SKA) 구축 관련 전파관리 출처: Association for Progressive Communications(APC)

146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통신부(DOC, 현 DTPS)에서 보안 서비스 및 정부용 주파수 할당을 포함해 주파수 용도를 결정하며, 주파수 관련하여 국제 협력과 지역별 주파수 계획 승인 및 주파수 관리를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함 독립통신청(ICASA)은 정부 및 보안용 주파수를 제외한 모든 주파수의 관리 및 할당을 담당하며, 라이선스에 기반하여 주파수를 할당

■ 관련 정책 2012년 4월 18일, 독립통신청(ICASA)은 2013~2017년 5개년 계획을 국회에 보고했다고 발표함 - 주요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독립통신청(ICASA)의 청장 Stephen Sipho Mncube는 보고는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며, 국회는 이를 수용했다고 밝힘 - 한편 同 계획과 관련된 예산은 2012년 5월 29일 국회에서 논의됨 독립통신청(ICASA)의 보고 내용에는 수정된 2012~2013년 전략도 함께 발표되었으며, 주요 내용에는 브로드밴드 보급, 주파수 발급, 디지털 지상파 방송 리뷰, 적합한 규제 시행 등이 포함됨 - 주파수 라이선스 사안에는 4G용 라이선스 발급에 관한 계획이 포함되었으며, 그밖에 주파수 사용에 관한 모니터링 사안이 언급됨 - 디지털 지상파 방송 관련 사안에는 현재 진행 중인 계획에 관한 리뷰 및 개선안이 포함됨 - 적합한 규제 시행은 주파수 라이선스에 관한 감사, 연간 가이드라인 작성, 보편적 서비스 보급 관련 규제 등을 통해 추진할 예정임 - 독립통신청(ICASA)은 상기 2012~2013년 전략을 통해 효율적인 자원 분배, 공정한 경쟁 권장, 남아공 경제의 디지털화, 적합한 규제 시행 등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고 밝힘

2012~2013년 세부전략 통신 세부전략

∙ 가입자 선로 공동 활용 ∙ 높은 통신 요금 조정 ∙ 보편적 서비스의 액세스 확대 통신 ∙ 관련 장비 및 소프트웨어 제공 ∙ 브로드밴드 커버리지 확장 ∙ 도매 네트워크 상품 소개 ∙ 교외 지역의 브로드밴드 보급 ∙ 4G용 주파수 라이선스 발급 논의 주파수 라이선스 ∙ 주파수 사용에 대한 모니터링

남아프리카공화국 | 147 통신 세부전략

방송 ∙ 디지털 지상파 방송 계획에 관한 리뷰 ∙ 주파수 라이선스에 관한 감사 규제 ∙ 연간 가이드라인 작성 ∙ 보편적 서비스 보급 관련 규제 출처: 독립통신청(ICASA)

■ 주파수 할당 남아공의 주요 통신 기술별 주파수 할당 현황은 다음과 같음

남아공 통신 서비스별 주파수 할당 구분 내용

∙ 1993년, MTN 및 Vodacom에 900MHz 대역 주파수 할당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개시 GSM ∙ 2001년, 세 번째 사업자 Cell C에 900MHz 및 1.8GHz 할당 ∙ 2005년, MTN 및 Vodacom에 1.8GHz 주파수 할당 3G ∙ 2004년, MTN 및 Vodacom에 2.1GHz 주파수 할당 ∙ 2006년, 통신사에 800MHz 주파수 접근 허용 CDMA ∙ 2007년, Neotel에 CDMA 기반 고정 무선서비스용 800MHz 주파수 할당 WiMAX ∙ iBurst, Sentech,Telkom, Neotel 등에 2.6GHz 및 3.5GHz 주파수 할당 마이크로웨이브 ∙ 1.4GHz, 6~8GHz, 15GHz, 38GHz 주파수 할당 출처: Association for Progressive Communications(APC)

2011년 9월 6일, 독립통신청(ICASA)은 4G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라이선스 발급에 대해서 발표함 - 2012년 3월까지 2.6GHz 주파수 대역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TV 전환에 따른 유휴 주파수 대역인 디지털 디비던드 라이선스를 발급하겠다는 계획이었으나, 2015년 12월 까지 해당 주파수 대역의 4G 경매에 대한 구체적인 보도는 나오지 않고 있음 - 독립통신청(ICASA)은 4G 주파수 도입을 통해, 제한된 무선 주파수 대역과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해당 기관이 4G 서비스 도입을 위해 2.6GHz와 디지털 디비던드를 선택한 이유로는, 고주파수인 2.6GHz는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수용능력이 뛰어나며, 저주파수인 800MHz는 커버리지가 넓다는 장점이 있음 동 주파수 할당 계획안에서는 사전 자격 심사 후 주파수 경매를 통해 최종적으로 주파수를 할당키로 했음 - 사전 자격 심사 단계의 주요 심사 기준으로는 1) 흑인 기업 우대 정책(BEE Act)에 따라

148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흑인 지분율이 최소 51% 이상인 기업, 2) 고용 평등법에 의한 경영진 참여 정도, 3) 흑인, 여성 등 역사적 불이익 집단에 대한 인력 양성 기여도 등이 있음 그러나, 남아공의 주정부 산하기관인 Sentech의 2.6GHz 주파수 대역에 대한 높은 보유율로 인해 2.6GHz 주파수 대역 확보 및 할당과 관련하여 갈등이 심화됨 - Sentech CEO Setumo Mohapi는 보유하고 있는 주파수를 포기하지 않겠다고 한 반면, 독립통신청(ICASA)은 2.6GHz 주파수 분할 협상이 무조건 필요하다는 입장임 - 2008년, 독립통신청(ICASA)은 2.6GHz 주파수 대역의 일부분이 이미 Sentech와 무선 브로드밴드 사업자인 Wireless Business Solution에 할당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6개의 무선 브로드밴드 사업자를 신규로 허가하고 주파수는 사업자당 20MHz씩 배분한 사례가 있음 2014년 11월, 독립통신청(ICASA)은 국제모바일전화 로드맵 최종판(Final International Mobile Telephony Roadmap)을 발간하며 현재 배분된 주파수 대역의 재분배를 통해 모바일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위한 추가 스펙트럼 확보 계획을 밝힘 - 독립통신청(ICASA)은 827MHz~832MHz/872MHz~877MHz 대역에서 2×5MHz 대역을 보유하고 있는 Neotel의 경우 825MHz~830MHz/870MHz~875MHz 대역 으로의 전환 제안 - 이외 독립통신청(ICASA)은 서비스 미보급 지역으로의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 450MHz~ 470MHz 대역에서의 주파수 대역 활용 방안들에 대해서도 논의 - 또한 SA Connect Initiative를 위한 주파수 개방을 위해 농촌 지역의 주파수 마이그레이션 프로세스는 2015년 초부터, 기존 주파수 보유 사업자들의 농촌 지역 대역 개방은 2018년 전까지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 - 이외 독립통신청(ICASA)은 도심 지역에서는 기존의 사업자들이 2022년 말까지 의무적 으로 대역 이전을 완료해야 한다고 언급

2.9. 소프트웨어

시장

1) 시장 개요

시장조사기관 MarketLine에 따르면, 2014년 남아공 소프트웨어 시장은 2013년 20억 달러에서 10.0% 증가한 22억 달러로 집계

남아프리카공화국 | 149 - 위 집계에 사용된 소프트웨어의 범위는 일반 비즈니스 생산성/홈 애플리케이션, 범산업/ 수직산업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및 데이터 관리 소프트웨어, OS 소프트웨어, 기타 애플리케이션 및 기타 소프트웨어로 구분

남아공 소프트웨어 분야 매출 현황 및 전망 (단위: 십억 달러)

출처: MarketLine(2015)

소프트웨어 분야 중에서는 2014년 말 기준 일반 비즈니스 생산성/홈 애플리케이션이 26.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이어서 범산업/수직산업 애플리케이션(23.6%), 네트워크 및 데이터 관리 소프트웨어(19.1%) 순임

남아공 소프트웨어 시장 구성(2014)

출처: MarketLine(2015)

2) 시장 현황

최근 남아공 IT 산업에 외국 투자 기업들이 진출이 증가하는 가운데 현지 기업과의 협력 모델도 새로운 특징으로 부상하고 있음

150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Mustek은 Sizwe IT Africa의 주식 26%를 매입, Mustek의 네트워크 솔루션으로 T-system을 구축함 - 2013년 11월 Microsoft South Africa는 최근 정부 네트워크 기관인 TISA, SEDA, NSBC와 파트너십을 맺었으며 Vodacom과 합작해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Hub인 Biz4Afrika 서비스를 개시를 발표 남아공 통신사들은 네트워크 및 가입자 기반 자산의 강점을 내세워 남아공 로컬 및 글로벌 벤더와의 협력을 통해 IT 분야 진입을 도모 중 - 일례로 2014년 3월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개발하여 중소기업에게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4월에는 MTN은 기업 고객에게 LA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Business Connexion(BCX)와 파트너십을 체결 - 또한, MWeb Business는 SAP Business One OnDemand 서비스를 개시하여 기업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 중

3) 시장 전망

남아공의 소프트웨어 시장은 2014~2019년 기간 동안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 7.8%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2019년 32억 달러의 시장 규모에 이를 전망(MarketLine, 2015) 남아공 IT시장은 전반적으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나 시장 진입에 착수하기 전 경제 및 경영환경 등 남아공 시장의 특수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 작업이 필요 - 남아공의 소프트웨어 및 IT 인력의 기술 수준이 낮은 점을 감안해 단일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기보다는 단독 혹은 파트너와 협력해 통합 솔루션 형태로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 - 또한, 중소기업의 IT 서비스 수요 증가가 IT 제품 및 서비스에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들 시장을 공략 대상으로 한 전략 수립이 필요함

주요 정책

남아공 정부는 교육 분야의 혁신을 통한 지식 사회 촉진을 위해 교육과 정보통신(ICT) 간의 접목을 강화하며 정보격차를 줄여갈 계획 또한 교육 행정 전반에 걸친 정보통신(ICT) 통합 시스템 구축을 통해 교육 생산성을 향상시 키고자 함 - 이를 위해 남아공 정부는 2004년부터 소프트웨어 적용을 통한 교육 분야의 첨단화 정책을 시행해 왔음

남아프리카공화국 | 151 2.10. ICT 융합

빅데이터 시장

1) 시장 개요

2015년 12월 현재 남아공의 빅데이터 시장 규모는 보고되지 않음 - 그러나 2013년 9월에 발표된 Strategy Worx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빅데이터 애널 리틱스에 투자 중인 조직의 69%가 실시간 정보분석을 위한 인프라를 보유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빅데이터 시장 성장 환경이 열악하다는 점을 시사 한편, 남아공 기업의 75%는 빅데이터 분석에 투자하고 있으며, 이들 중 80%는 빅데이터 솔루션 프로그램을 배포하고 있음(출처: AfricanBrains, 2013.08) - 해당 매체는 남아공 기업들은 데이터 분석에 관한 준비 작업에 착수하고 있지만, 관련 인프라 부족으로 인하여 빅데이터 활성화에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라고 밝힘 남아공에서는 모든 산업에 걸쳐 38%의 기업들만이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경쟁 우위를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출처: memeburn.com, 2014.12)

2) 시장 현황

KDDI의 자회사인 Telehouse Europe은 2009년 12월에 남아공 Cape Town에 데이터 센터를 오픈함 - 해당 센터는 Telehouse Europe의 고객정보를 365일 동안 안전하게 저장하며, 다중 경로 전원공급 장치,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UPS) 등의 백업 발전기가 장착되어 있음 냉각 처리기술 사업자인 Smartcool은 2012년 8월 남아공에 위치한 NTT 소유의 데이터 센터에 지능형 냉각장치를 제공한다고 밝힘 - 데이터센터 관계자는 해당 냉각장치를 통해 약 15%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전체 빅데이터 운영 비용의 50%를 절감할 수 있다고 언급함 2013년 11월 14일에 빅데이터 아프리카 컨퍼런스를 개최하여 아프리카 최초의 빅데이터 관련 이벤트를 진행함 - 해당 컨퍼런스는 각 아프리카 IT 관련 기업의 임원 250여 명이 참가하여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업의 모바일화 등 미래 정보통신(ICT) 기술에 초점을 맞춤

152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4년에 들어 남아공 은행들의 빅데이터 분석 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관찰됨 - 남아공 4대 메이저 은행 중 하나인 Nedbank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소셜 미디어 데이터 분석 기법을 마케팅에 이용하기도 했으며, IBM과 애널리틱스 전문 업체인 OLRAC SPS 와의 협력을 통해 소셜 미디어 데이터 이용 기법을 고도화

3) 시장 전망

남아공의 빅데이터 시장은 자국의 빅데이터 구축 기간이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빅데이터 솔루션 및 서비스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 빅데이터 기술은 기업들의 데이터 분석 수요가 높은 통신기업과 주요 대기업을 중심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으며, 고도화된 빅데이터 기술도입 확대를 위해 글로벌 사업자들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할 전망임

주요 정책

남아공 정부는 빅데이터와 관련된 별도의 법안을 마련하고 있지 않으나, 빅데이터에 대한 국가적 중요성을 인식하여 빅데이터 전문가 육성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음 - 남아공 전파망원경 단지(SKA)에서만 향후 3년간 200명의 데이터 과학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나, 2015년 현재 자국 내에서는 15명에 그치고 있음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1) 시장 개요

2014년 3월 시장조사기관 IDC가 발표한 남아공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2014년 2억 3,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 - 아웃소싱, 매니지드 및 호스팅 서비스는 2013년 대비 10.9% 성장한 28억 달러로 예상 - 클라우드 서비스의 성장은 공공 클라우드 SaaS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며, 공공 클라우드는 전체 클라우드 지출의 65%를 차지 클라우드 컴퓨팅은 기업 최고 정보책임자의 최우선 과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약 60만 개의

남아프리카공화국 | 153 중소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클라우드 사업은 상당한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한편, 2012 비즈니스 소프트웨어 연합 보고서에서 남아공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성장률 순위에서 총 24개 국가 중 18위를 차지함

남아공 산업별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 비중

출처: World Wide Worx(2012.12)

2) 시장 현황

남아공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자는 Vodacom, MTN, Cell C 등이 있음 2015년 12월 현재 Vodacom의 기업 서비스는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음 - Vodacom은 2013년 5월, 모바일 헬스 서비스 개시를 위해 IT 사업자인 Mezzanineware와 제휴관계에 돌입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한 환자 원격 관리, 실시간 의료 정보 수집 등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를 개시함

Vodacom 클라우드 서비스 현황(2015.12) 구분 서비스 개요

IT 솔루션 ∙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백업 웹 호스팅 ∙ 클라우드 기반의 기업 IT 자산 실시간 확인 서비스 출처: Vodacom

MTN은 2013년 4월에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발표함 - MTN 클라우드 서비스는 원격 이메일인 Office Desktop, 백업 서비스인 Dialcom 등을 제공하며, 안티 스팸 보안 소프트웨어인 McAfee도 함께 제공됨

154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MTN 클라우드 서비스 현황(2015.12) 구분 서비스 개요

Averiware ∙ 웹 기반 자산 관리 서비스 Spontania ∙ 원격 기반 영상 서비스 McAfee ∙ 안티 스팸 보안 소프트웨어 Microsoft Dynamics CRM ∙ 고객 관계 관리 솔루션 Mozypro ∙ 데이터 백업 서비스 출처: MTN

Cell C는 2015년 12월 현재 클라우드 기반의 모바일 서비스인 MyTools를 제공하고 있음 - MyTools는 모바일 서비스를 활용하여 자신의 음성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Facebook 등의 SNS를 통해 공유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임 ∙ 한편, Cell C 고객은 추가비용 없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MyTools (www.cellc.co.za/mytools)에서 접속하여 가입할 수 있음

3) 시장 전망

클라우드 시장은 초기 단계이나, 기업 경쟁력 유지를 위해 비용 절감을 모색하는 기업들에게 중요한 솔루션이 되고 있어 지속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이 확대될 것으로 보임 남아공의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은 성장성이 높은 시장으로,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자들에게 시장 진출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됨 - 남아공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자체 기술력이 부족하여 글로벌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클라우드 사업 영역이 IT와 통신에서 유통, 운송, 상거래로 확대될 전망임

남아프리카공화국 | 155 3. 정보통신(ICT)・방송 사업자 현황

3.1. Telkom Group

Telkom은 1991년 우편 및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던 남아공 우편통신부(DOC, 현 DTPS) 로부터 분리되어 설립된 국영 통신 사업자로, 남아공 정부가 39.8%의 지분을 소유한 최대 주주임 1997년 미국 SBC(現 AT&T)와 Malaysia Telekom 합작회사 Thintana가 Telkom의 지분 30%를 인수함 2003년 3월, 남아공 정부가 보유한 지분 28%를 주식시장에 공개하면서 총 지분의 60%를 민영화함 2002년까지 남아공의 유선통신 서비스를 독점 제공했으나 Neotel이 해당 시장에 진출, 유선통신 가입회선 수가 지속적인 하락세에 있음 또한, 2010년 10월 자회사인 8ta를 통해 남아공 이동통신 시장에 진출, 2014년 3월 기준 180만 3,000명의 가입자 수를 확보함 2013년 4월, 남아공 주요 도시인 Johannesburg, Pretoria, Durban, Cape Town에 LTE 상용 서비스를 개시함

■ 유선통신 1991년 100% 국영 통신 사업자로 설립된 Telkom은 2002년까지 유선통신 서비스를 독점 제공하였으나, 2004년 9월 남아공 통신부(DOC, 현 DTPS)가 경쟁 사업자인 Neotel 에게 유선통신 라이선스를 발급, Telkom의 해당 시장 독점이 종료됨 Telkom은 PSTN과 ISDN 기반의 유선통신 서비스를 기업고객과 일반 소비자에게 제공함 - Telkom 유선전화 서비스는 음성사서함, 발신자 번호 확인, 통화 대기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며, 총 네 가지의 요금제로 구성됨

156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Telkom 유선전화 서비스 현황(2015.12) 요금 상품 개요 공통 (랜드)

Telkom Unlimited 유선전화→유선전화/Telkom Mobile/타 599/월 Fixed Plan 네트워크 무제한 통화 Telkom Evening and 저녁 및 주말 무제한 통화 206/월 긴 Weekend Plan 30건의 국제전화 10% 할인 급전화 3자간 통화 유선전화 간 무제한 통화 음성사서함 Telkom Anytime Plan 건 할 259/월 30 의 국제전화 15% 인 발신자 번호 확인 유선전화→유선전화/Telkom Mobile 무제한 Telkom Anytime 통화 349/월 Extra Plan 30건의 국제전화 20% 할인 ※ 2015년 12월 기준, 1 랜드 = 0.06 달러 출처: Telkom

2015년 3월 기준 Telkom의 유선통신 가입회선 수는 2014년 3월 대비 4.9% 하락한 343만 9,000회선을 기록, 유선통신 가입회선 수가 지속적인 하락세에 있음

Telkom 유선통신 가입회선 수 추이 (단위: 천 회선)

출처: Telkom

■ 이동통신 Telkom은 2010년 10월 이동통신 서비스 자회사 8ta를 통해 시장에 진출했으며, 2014년 10월 현재 GSM 기반의 2G, HSPA 기반의 3G, LTE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함 - 또한, Telkom은 이동통신 서비스 개시 후 자사의 3G 네트워크 업그레이드에 주력, 2011년 6월 최대 21Mbps 속도를 지원하는 HSPA+ 상용 서비스를 개시함 ∙ HSPA+ 서비스 개시 당시 Telkom은 1,200개 이상의 3G 기지국을 확보했으며, 2015년 까지 3,500개의 3G 기지국을 확보할 방침임

남아프리카공화국 | 157 - 2013년 4월, Telkom은 LTE 상용 서비스를 남아공 주요 도시인 Johannesburg, Pretoria, Durban, Cape Town에서 개시했으며, 2013년 3월 기준 총 651개의 LTE 지원 기지국에서 2014년 3월 기준 1,183개를 확보함 ∙ Telkom의 LTE 요금제는 최소 750MB에서 최대 15GB의 데이터를 지원하며, Wi-Fi 무제한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가 끊김 없는 모바일 브로드밴드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음 - 2014년 말에는 LTE-Advanced 네트워크를 남아공 외곽 5개 지역을 대상으로 증설 ∙ Gauteng의 Illovo/Melrose, Cape Town(Sea Point/Three Anchor Bay), KwaZulu-Natal(Umhlanga) 지역 주민들은 최대 150Mbps 다운로드 속도의 인터넷을 3년 약정으로 월 1,399랜드에 이용할 수 있게 됨 한편, Telkom은 2005년 2월 남아공 주요 도시인 Johannesburg, Pretoria, Durban, Cape Town 등에 Wi-Fi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카페, 레스토랑, 호텔, 쇼핑몰 등 소비자가 밀집된 지역을 중심으로 해당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 - 2007년 6월, Telkom은 남아공 최초로 3.5GHz 기반의 고정형 WiMAX 상용 서비스를 개시함 ∙ WiMAX 서비스 개시를 위한 관련 장비 제공 사업자로는 Alvarion이 선정되었으며, 브로드밴드 서비스 제공이 제한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WiMAX 서비스가 제공됨 ∙ 한편, 2013년 9월 기준 Telkom의 WiMAX 서비스 가입자 수는 2013년 3월 대비 17% 증가한 3,781명을 기록하며 큰 폭의 상승세로 돌아섬

Telkom WiMAX 가입자 수 추이 (단위: 명)

출처: Telkom

158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WiMAX 인프라가 확보되지 못한 지역에서는 3G 모뎀, USB 동글을 이용한 W-CDMA 기반의 모바일 브로드밴드 서비스가 제공됨 2015년 3월 기준 Telkom의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2014년 동기 대비 21.1% 증가한 218만 7,000명을 기록

Telkom 이동통신 가입자 수 추이 (단위: 천 명)

출처: Telkom

남아공 1위 통신 사업자인 Telkom은 2015년 중 Cell C에 대한 인수를 계획했었으나, 기업 가치에 대한 Telkom과 Cell C 양측의 견해 차이를 좁히지 못해 Telkom은 2015년 11월 최종적으로 인수 계획을 철회 - 2015년 말 기준 Cell C는 전사적인 구조조정 과정을 거치고 있는 가운데, 2015년 12월에는 선불제에 특화된 통신사인 Blue Label이 同 사의 지분 35%를 40억 랜드에 취득

■ 브로드밴드 Telkom은 2002년 남아공 Pretoria와 Johannesburg 지역에서 ADSL 기반의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개시, 2011년 5월에 서비스 커버리지 100%에 도달함 - 2012년 7월, 글로벌 통신 장비 사업자인 Alcatel-Lucent와 파트너십을 통해 ADSL 기반의 브로드밴드 인프라를 VDSL2 기반으로 업그레이드를 진행 - 2015년 12월 기준 Telkom은 ADSL과 FTTH 기반의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음 - FTTH 요금제는 다운로드 속도에 따라 10Mbps/20Mbps/40Mbps/100Mbps Fibre 네 가지 요금제로 구분

남아프리카공화국 | 159 Telkom FTTH 요금제 현황(2015.12) 상품 다운로드 속도 데이터 용량 요금(랜드)

10Mbps Fibre 10Mbps 50GB 699 20Mbps Fibre 20Mbps 50GB 849 40Mbps Fibre 40Mbps 100GB 1,099 100Mbps Fibre 100Mbps 200GB 1,599 ※ 2015년 12월 기준, 1 랜드 = 0.06 달러 출처: Telkom

2015년 말 기준 Telkom의 FTTH 가입자 수는 공개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2015년 3월 기준 Telkom의 ADSL 기반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는 2014년 3월 대비 6.3% 증가한 100만 회선을 기록함 - Telkom의 브로드밴드 서비스는 낮은 품질과 높은 요금으로 신규 가입회선 수 확보에 난항을 겪고 있음

Telkom ADSL 가입회선 수 추이 (단위: 천 회선)

출처: Telkom

Telkom은 2007년 유료 TV 자회사를 설립해 IPTV 허가를 받았으나, 낮은 브로드밴드 보급률로 IPTV 서비스를 개시하지 못함 - Telkom은 IPTV, 케이블 TV, 위성 TV 등의 유료 TV 서비스 제공을 위해 2006년 MSG Afrika, Videovision, WDB Investments 등의 사업자와 함께 유료 TV 자회인 Telkom Media를 설립한 바 있음 ∙ 한편, 2008년 하반기에 IPTV 상용 서비스를 개시할 방침이었으나, 사업성 문제로 서비스 개시 일정이 지속적으로 연기되었으며, 2009년 5월 중국의 Shenzhen Media 에게 지분 75%를 매각함

160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5년 9월 Telkom은 2018년 3월 말까지 100만 가구를 커버리지 대상으로 광네트워크 구축 계획을 발표 - 이에 따라 Telkom은 2015년 말까지 50만 가구 이상을 대상으로 FTTH 서비스 제공을 일차적으로 완료할 예정 - 이 외 자사 인프라 내 200개 가량의 교환망을 경쟁사에게 개방할 것을 약속

Profile History 상장여부 상장사 2015.10 도매망 부문 분사 결정 설립시기 1991년 2013.04 LTE 상용 서비스 개시 사업분야 이동통신, 유선통신, 브로드밴드, IPTV 2010.10 모바일 서비스 개시 매출 316억 7,500만 랜드(’15.03) 2007.06 고정형 WiMAX 개시 EBITDA 89억 7,800만 랜드(’15.03) 2004 Thintana, 30%의 Telkom 지분 매각 직원 수 19,316명(’15.03) 2003.03 기업공개(IPO) 홈페이지 www.telkom.co.za 2002 ADSL 서비스 개시 1997 미국 SBC(現 AT&T)와 Malaysia Telekom의 JV Thintana, Telkom 지분 30% 인수 1991 Telkom 설립

Financial Data (단위: 백만 랜드 달러) 구분 2013.03 2014.03 2015.03

매출 32,501 32,483 31,675 EBITDA 7,109 8,370 8,978 ※ 2015년 12월 기준, 1랜드 = 0.06달러 출처: Telkom

3.2. Vodacom

아프리카 최대의 통신 사업자로, 남아공, 탄자니아, 콩고, 레소토, 모잠비크 등의 국가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함 1993년 영국의 Vodafone과 남아공 금융 사업자 VenFin, 남아공 국영 통신 사업자 Telkom의 합작 투자로 설립됨 1994년 GSM 기반의 2G 이동통신 서비스를 통해 남아공 이동통신 시장에 진출했으며, 2015년 3월 기준 서비스 가입자 수 3,330만 명을 확보한 남아공 최대의 이동통신 사업자임 또한, 탄자니아, 콩고, 레소토, 모잠비크에서도 시장 점유율 기준 1~2위 사업자 위치를 유지하고 있음

남아프리카공화국 | 161 2012년 10월, 남아공 최초로 LTE 상용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2015년 3월 기준 아프리카 내 1만 6,242개의 셀룰러 기지국을 확보함 2015년 4월 유선 사업자인 Neotel에 대한 인수에 합의한 뒤, 2015년 12월 규제 기관의 권고에 따라 이동통신 부문을 제외한 자산을 인수하는 것으로 수정 합의

■ 이동통신 2015년 12월 현재 Vodacom은 EDGE 기반의 2G, HSDPA/HSUPA 기반의 3G, HSPA+ 기반의 3.5G 및 LTE 서비스를 제공 중 - 1994년 6월 GSM 기반의 2G 상용 서비스를 개시를 통해 남아공 이동통신 시장에 진출했으며, 2004년 12월 남아공 최초로 3G 상용 서비스를 개시함 ∙ 2006년 4월, 자사의 3G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를 통해 최대 14.4Mbps 속도를 지원하는 HSDPA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2011년 4월에는 최대 43.2Mbps 속도를 지원하는 HSPA+ 상용 서비스를 개시함 ∙ 2015년 3월 기준 3G 셀사이트는 8,802개이며, 인구 커버리지는 96%를 기록 - 2012년 10월, 남아공 최초로 LTE 상용 서비스를 Johannesburg 지역에서 개시함 ∙ 또한, LTE 네트워크 장비 제공 사업자로 Nokia Siemens Networks를 선정, 2014년 3월 기준 916개 이상의 LTE 지원 기지국을 확보함 ∙ LTE 상용 서비스 개시를 위해 2010년 7월 남아공 Midrand 지역에서 LTE 시범 서비스를 진행한 바 있음 ∙ 2015년 3월 기준 남아공 내 LTE 셀사이트는 2,600개로 확대됐으며, 인구 커버리지는 35%를 기록 - 2008년 모바일 WiMAX 상용 서비스를 개시한 바 있으나, LTE 상용 서비스 개시에 따른 WiMAX 가입자 이탈로 2013년 7월 해당 서비스를 종료함

Vodacom 이동통신 서비스 현황(2015.03) 구분 기지국(개) 서비스 커버리지

6,167 2G 84.9% (2013.03) 8,802 3G 96% (2015.03) 2,600 LTE 35% (2015.03) 출처: Vodacom

162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Vodacom은 모회사인 Vodafone과 함께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공을 통해 신규 가입자 확보에 주력하고 있음 - Vodacom이 운영 중인 모바일 결제 플랫폼인 m-Pesa는 2014년 7월에 새롭게 개시된 이후 2015년 5월 기준 7만 2,000명의 이용자를 확보하는 데 그침 ∙ 2010년 9월 남아공 시장에서 최초로 m-Pesa를 도입했으며 당시 100만 명 이상의 이용자를 확보했었으나, 케냐와 탄자니아에서와 같은 광범위한 확산은 일어나지 않음

Vodacom 주요 이동통신 부가서비스 현황(2015.12) 서비스명 세부사항

∙ 게임, 바탕화면, 벨소리 다운로드 ∙ 고지서 확인 ∙ 주소록 관리 Vodacom4me ∙ 무료 SMS 20개/MMS/SMS 수신 확인 ∙ 오늘의 운세 ∙ 뉴스, 날씨, 교통정보 ∙ 엔터테인먼트 뉴스 및 영화 콘텐츠 Look4me ∙ 다른 Vodacom 고객의 위치정보 확인 Look4it ∙ 가까운 극장, ATM, 주유소 등 찾기 iVideo ∙ 3G 기반의 VOD 서비스 MusicStation ∙ 음원 다운로드 DStv Mobile ∙ 스트리밍 기반의 모바일 TV 서비스, 14개의 채널 지원 live! ∙ 모기업 Vodafone이 제공하는 모바일 포털 m-Pesa ∙ 모바일 뱅킹, 송금, 선불카드 구매 및 통신비 지불 서비스 등 출처: Vodacom

2015년 3월 기준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2014년 3월 대비 6.2% 증가한 3,330만 9,000명을 기록

남아프리카공화국 | 163 Vodacom South Africa 이동통신 가입자 수 추이 (단위: 천 명)

출처: Vodacom

■ 기업 서비스 2008년 2월 기업 서비스 부문 ‘Vodacom Business’를 신설하고 본격적으로 B2B 사업을 진행함 - Vodacom Business를 설립한 2008년 초부터 2009년 11월까지 남아공의 주요 도시에 720km에 달하는 11개의 광케이블망 구축을 완료,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제공함 ∙ Vodacom은 2010년 7월 ADSL 기반의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개시, 향상된 브로드밴드 속도를 기반으로 다양한 IT 솔루션을 사업자에게 제공함 - 2015년 12월 현재 Vodacom의 기업 서비스는 클라우드와 M2M 솔루션을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각 산업에 특화된 M2M 솔루션 제공을 통해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음 ∙ 2013년 5월에는 모바일 헬스 서비스 개시를 위해 IT 사업자인 Mezzanineware와 제휴관계에 돌입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한 환자 원격 관리, 실시간 의료 정보 수집 등의 모바일 헬스 서비스를 개시함

Vodacom 주요 기업 서비스 현황(2015.12) 구분 서비스 개요

∙ 무선: 3G(HSPA), Microwave, 위성, VPN 인터넷 ∙ 유선: ADSL, FTTx ∙ 산업별 M2M 솔루션 IT 솔루션 ∙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백업 ∙ SaaS 서비스(Microsoft Office) 웹 호스팅 ∙ 클라우드 기반의 기업 IT 자산 실시간 확인 서비스 ∙ VoIP 통신 서비스 ∙ 기업 통신 솔루션 출처: Vodacom

164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2015년 3월 기준 Vodacom의 M2M 서비스 가입회선 수는 176만 4,000회선으로 2014년 대비 18.5% 증가함

Vodacom South Africa M2M 가입회선 수 추이 (단위: 천 회선)

출처: Vodacom

Profile History 상장여부 상장사 2015.08 남아공 최초 VoWiFi 개시 설립시기 1993년 2009 Telkom 15% 지분 매각 사업분야 이동통신, 기업 서비스 2004 남아공 최초로 3G 서비스 개시 매출 620억 3,700만 랜드(’15.03) 2003 모잠비크에서 GSM 서비스 개시 EBITDA 228억 3,700만 랜드(’15.03) 2000 탄자니아에서 GSM 서비스 개시 직원 수 4,886명(’15.03) 1996 레소토에서 GSM 서비스 개시 홈페이지 www.vodacom.co.za 1994 남아공에서 GSM 서비스 개시 1993 Vodacom Group 설립

Financial Data (단위: 백만 랜드) 구분 2013.03 2014.03 2015.03

전체 69,917 75,711 77,333 매출 남아공 58,607 61,806 62,037 전체 25,253 27,314 26,905 EBITDA 남아공 22,408 23,087 22,837 ※ 2015년 12월 기준, 1랜드 = 0.06달러 출처: Vodacom

남아프리카공화국 | 165 3.3. Cell C

Cell C는 2001년 11월 설립된 남아공 3위 이동통신 사업자로 2013년 7월 현재 Oger Telecom, Lanun Securities SA, Pty 등이 각각 60%, 15%, 25%의 지분을 보유 중에 있음 2001년 2월, 1,800MHz 대역의 GSM 라이선스를 획득했으며, 2001년 11월부터 이동통신 서비스를 개시함 2010년 8월부터 HSPA+ 기반의 3.5G 상용 서비스를 개시, 2013년 7월 현재 남아공 인구의 92%를 커버할 수 있는 HSPA+ 네트워크 인프라를 확보함 또한, 2012년 12월 남아공 Capetown과 Durban 지역에서 LTE 시범 서비스를 개시, 서비스 커버리지 확장에 주력하고 있음

■ 이동통신 2015년 12월 현재 Cell C는 GSM 기반의 2G, WCDMA 기반의 3G, HSPA+ 기반의 3.5G, LTE 서비스를 제공함 - 2001년 2월 1,800MHz 대역의 GSM 라이선스를 획득했으며, 2001년 11월 GSM 기반의 2G 상용 서비스 개시를 통해 남아공 이동통신 시장에 진출함 - 2010년 4월, 자사의 3G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를 위해 약 6억 6,0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진행, 최대 43.2Mbps 속도를 지원하는 HSPA+ 상용 서비스를 개시함

Cell C 약정 기반 데이터 요금제 현황 데이터 용량 요금(랜드)

1GB 69 2GB 99 3GB 159 5GB 199 10GB 449 20GB 949 30GB 1,299 50GB 1,699 100GB 2,799 ※ 2015년 12월 기준, 1랜드 = 0.06달러 출처: Cell C

166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Cell C는 HSPA+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관련 통신 장비 제공 사업자로 ZTE를 선정 했으며, 2010년 5월 Port Elisabeth 지역을 중심으로 900MHz 대역의 HSPA+ 네트 워크 구축에 착수함 ∙ 또한, 확보한 HSPA+ 네트워크 인프라를 바탕으로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모바일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제공함 ∙ 2015년 12월 기준 남아공 인구의 95%를 커버할 수 있는 HSPA+ 네트워크를 확보했으며, 경쟁 사업자인 MTN, Vodacom보다 넓은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보함 - Cell C는 2012년 12월부터 남아공 Cape Town, Durban 지역에서 LTE 시범 서비스를 진행, 상용 서비스 개시를 위해 서비스 커버리지 확장에 주력해 옴 ∙ 2013년 4월 기준 총 100개의 LTE 지원 기지국을 확보했으며, 2013년 內 총 1,000개의 LTE 기지국 확보를 통해 LTE 상용 서비스를 개시할 방침임 ∙ 2013년 7월 남아공 Pretoria, Johannesburg, Durban, Cape Town 지역에서 LTE 시범 서비스를 제공 - 2015년 12월부터 Cell C는 Western Cape 지역을 중심으로 LTE 서비스 제공에 착수 ∙ 서비스 제공 초기 단계에서는 Western Cape 지역의 280개 도시를 대상으로 제공되며, 최초 1,000명의 가입 고객에 대해서는 100랜드에 3개월 동안 100GB 용량의 데이터 이용이 가능 ∙ Cell C의 LTE 서비스 개시는 동사의 이동통신 커버리지 목표치였던 95% 달성과 동시에 이뤄졌으며, 2016년 이후 지속적인 LTE 신규 인프라 확충에 사업 우선권을 두고 추진 할 예정 한편, Cell C는 모바일 뱅킹, 모바일 TV, 음악 스트리밍 등과 같은 부가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으며, 통신 서비스 제공에 주력하고 있음 - 2015년 12월 기준, 194개국 570개 네트워크와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며, 3G 서비스는 109개국 230개 네트워크와 로밍이 가능함 2014년 말 기준,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1,960만 명으로 2013년 12월 대비 8.3% 증가함

남아프리카공화국 | 167 Cell C 이동통신 가입자 수 추이 (단위: 천 명)

출처: Cell C

Profile History 상장여부 비상장사 2015.12 LTE 상용 비스 개시 설립시기 2001년 2010.09 WCDMA/HSPA+ 서비스 개시 사업분야 이동통신 2010.08 모바일 브로드밴드 서비스 개시 매출 132억 랜드(’15/추정) 2010.04 HSPA+ 네트워크 구축 착수 순이익 13.7억 랜드(’15/추정) 2001.11 Cell C 설립, GSM 서비스 개시 직원 수 1,500명(추정) 홈페이지 www.cellc.co.za

Financial Data (단위: 백만 랜드) 구분 2009 2010 2015.03(추정)

매출 9,900 10,200 13,243 EBITDA 1,400 1,400 1,374 ※ 2015년 12월 기준, 1랜드 = 0.06달러 출처: Engineering News, My Broadband, Memoburn, Deutesche Bank

3.4. SABC

SABC(South African Broadcasting Corporation)는 18개의 라디오 채널과 4개의 TV 채널을 제공하는 남아공의 국영 방송사임 1936년 Act of Parliament에 의해 공공사업체로 설립, 1923년 설립된 국영 라디오 방송국 African Broadcasting Company를 대체함 1975년 주요 도시에 TV 방송 송출을 개시했으며, 1976년 전국으로 확대함

168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방송법 1999(Broadcasting Act 1999)에 따라 2003년 10월 SABC는 정부 100% 소유의 유한회사로 전환함 또한 同 법안에서 정한대로 공공 서비스 사업부(Public Broadcasting Services)와 상업 서비스 사업부(Public Commercial Broadcasting Services), 지역 서비스 사업부 (Community Service)로 조직이 변경됨 최고 기관은 15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는 경영위원회로, 위원은 공청회를 거쳐 통신부가 선발, 대통령이 임명함 TV 수신료도 SABC 재정의 일부이나, 광고 수입의 비중이 74%로 가장 큼 SABC 1을 비롯, SABC 2, SABC 3 등 총 3개의 TV채널을 제공함

■TV

SABC의 주요 TV 채널 현황(2015.3) 구분 로고 개요

∙ 젊은 층 대상의 종합 편성 채널 SABC 1 ∙ 드라마 30%, 어린이 25%, 스포츠 9%

∙ 가족 대상의 종합 편성 채널 SABC 2 ∙ 뉴스 17%, 드라마 17%, 정보 13%, 어린이 12%

∙ 25~49세 대상의 오락 및 정보 채널 SABC 3 ∙ 드라마 27%, 외국 프로그램 11%, 정보 9%

출처: SABC

SABC는 총 3개의 무료 지상파 채널을 제공 중임 - 공공 서비스 사업부가 운영하는 SABC 1은 남아공 시청률 1위 채널로, 공공방송법에 명시된 의무에 따라 영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아프리카 언어로 방송함 - 공공 서비스 사업부가 운영하는 또 하나의 채널인 SABC 2는 가족 대상의 채널로써 운영 중임 - 상업 서비스 사업부가 운영하는 SABC 3은 SABC의 수익 증대라는 목표로 도입된 채널로, 영어로 방송되며 수입 콘텐츠와 자국 제작 콘텐츠가 골고루 편성됨 - 2015년 3월 기준 SABC 1은 남아공 인구의 약 91.2%, SABC 2는 남아공 인구의 92.5%, SABC 3은 남아공 인구의 82.1%를 커버하며, 3개 채널 모두 위성으로도 방송됨

남아프리카공화국 | 169 ■ 시청 점유율 2014년 남아공의 TV 채널 중 SABC의 메이저 3대 채널 점유율은 47.8%로, 채널별로는 SABC 1(24.7%), SABC 2(14.6%), SABC 3(8.5%)이 각각 1위, 3, 4위를 차지 SABC는 2007년 7월부터 24시간 아프리카 뉴스 채널 ‘SABC News International’을 도입, 아프리카 주요국은 물론 짐바브웨, 나이지리아, 케냐, 영국, 미국 등 해외 주요국에 지사를 두고 방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SABC는 자국 제작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들의 니즈를 수용하기 위해 연간 6억 랜드 이상을 투자하고 있으며, 독립 제작사들에게 연간 200개 이상의 프로그램 제작을 위탁하는데, 외주 제작 콘텐츠의 대부분은 드라마임 - 또한 매년 100만 랜드 이상을 프로그램 자막과 더빙에 투자 SABC는 재정의 일부분을 국민들이 납부하는 연간 TV 시청료로 충당 - 2012년 11월 기준 연간 시청료는 250랜드이며, 70세 이상과 저소득층의 경우 연간 70랜드임

■라디오 SABC는 총 18개의 라디오 방송 채널을 보유하고 있음 - 이 중 15개 채널은 공공 서비스 사업부가 운영하며, 남아공의 모든 공식 언어로 프로그램을 제공 - , MetroFM, Good Hope FM 3개 채널은 상업 서비스 사업부가 운영

SABC의 라디오 채널 현황(2015.03) 구분 로고 언어/개요

Ikwekwezi FM isiNdebele

Lesedi FM seSotho

Ligwalagwala FM isiSwati

Lotus FM 인디언 커뮤니티 대상 방송

Motsweding FM Setswana

Munghana Lonene FM xiTsonga

170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구분 로고 언어/개요

Phalaphala FM Tshivenda

Radio 2000 커뮤니티 프로그램

RadioSonderGrense Afrikaans

SAfm 전국 영어 방송

Thobela FM Sepedi

TruFM 영어 및 isiXhosa

Ukhozi FM isiZulu

Umhlobo Wenene FM Xhosa

X-K FM !Xun & Khwe 아트 커뮤니티 대상 방송

5FM 음악 전문 방송

Good Hope FM 22~32세 대상의 음악 전문 방송

Metro FM 남아공 최대의 상업 라디오 방송

출처: SABC

Profile History 상장여부 비상장 2010 2010 FIFA 월드컵 중계 설립시기 1936년 2003 정부 100% 소유의 유한회사로 전환 주요채널 TV, 라디오 1996 TV1, CCV-TV, NNTV을 각각 SABC 1, 매출 74억 8,700만 랜드(’15.03) SABC 2, SABC 3으로 개편 순이익 71억 7,400만 랜드(’15.03) 1994.02 NNTV 채널 도입 직원 수 3,645명(’13.03) 1992.10 TV2, TV3, TV4 등 3개 채널을 CCV-TV로 통합 홈페이지 www.sabc.co.za 1985 네 번째 채널 TV4 개시 1983 TV2/3, TV2와 TV3로 분할 1982.01 두 번째 채널 TV2/3 개시 1976 전국 TV 방송 송출 1936 SABC 설립

남아프리카공화국 | 171 Financial Data (단위: 백만 랜드) 구분 2014.03 2015.03

매출 7,174 7,487 순이익 559 -401 ※ 2015년 12월 기준, 1랜드 = 0.06달러 출처: SABC

3.5. e.tv

e.tv는 남아공 최초의 민영 방송국이자 시청률 2위 방송국으로, 1998년 설립됨 1998년 3월 미국의 미디어 그룹 Time Warner가 20%를 보유한 컨소시엄 Midi TV가 남아공 정부로부터 민영 방송 라이선스를 획득, e.tv를 설립하고 1998년 10월 방송 송출 개시함 2001년 Time Warner가 Midi TV의 지분 20%를 매각함 현재는 남아공의 투자사 HCI(Hosken Consolidated Investments)가 Midi TV의 지분 63%를 보유 중임 2001년부터 SABC 1에 이어 남아공 시청률 2위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영어 채널 중에서는 1위를 기록 중임 자국 제작 드라마와 버라이어티쇼, 수입 프로그램 등의 엔터테인먼트 장르를 위주로 편성함

■TV e.tv는 45%를 자국 제작 콘텐츠로, 나머지 55%를 미국 위주의 수입 콘텐츠로 편성 선정성 시비를 일으킬 정도로 파격적인 프로그램들을 편성해 빠른 시일 내에 시청률을 향상시킴 - 프라임 타임에 WWE 레슬링 프로그램과 할리우드 영화 등의 수입 프로그램을 집중 편성해 시청률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음 - 또한 국영 방송사와는 차별화된 뉴스 프로그램으로 시청자들의 관심을 집중 최근에는 자극적인 수입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비판에 대응하기 위해 남아공 제작사들이 제작한 프로그램도 적극적으로 홍보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음 - 프라임 타임에 자국 제작 드라마를 1주일에 4시간씩 편성함

172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일일 청소년 드라마 ‘Rhythm City’는 2007~2008년 e.tv의 영어 프로그램 중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드라마 ‘Sacndal’이 Rhythm City의 뒤를 이어 높은 시청률을 기록 중임 e.tv의 주요 자국 제작 프로그램 및 수입 프로그램 현황(2013.12) 채널명 제목 개요 제작사

Coconut Cool Scandal! 미디어 기업을 무대로 한 드라마 Productions Rhythm City 음악 산업을 중심으로 한 드라마 Curious Pictures 남아 공 제작 The Showbiz Report 세계 각지의 흥미로운 뉴스- 프로그램 Biggest Loser SA 미국 Biggest Loser의 남아공 버전 - Sistahood 10대 소녀들의 토크쇼 - Forgive and Forget 용서를 주제로 한 리얼리티 쇼 Endemol King of Queens 코미디 시트콤 CBS WWE Wrestling 레슬링 경기 - Fear Factor 경쟁 리얼리티 쇼 NBC 수입 프로그램 America’s Next Top Model 모델 오디션 리얼리티 쇼 CW Friends 뉴욕을 무대로 한 시트콤 NBC The Biggest Loser 다이어트 경쟁 리얼리티 쇼 NBC 출처: e.tv

어린이 콘텐츠의 경우 ‘Craz-e’라는 브랜드로 제공 중이며, 수입 프로그램을 포함 주 14시간씩 어린이 대상의 프로그램을 편성함

■ 시청률 현황 2014년 기준, 남아공 시청 점유율에서 e.tv는 약 16.0%를 기록하며 SABC TV에 이어 2위를 차지함

■기타 한편, e.tv는 2008년 디지털 위성 TV인 DSTV에서 24시간 뉴스 채널 ‘e.News’를 개시, DSTV 뉴스 채널 중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 - 2015년 12월 기준, DSTV 뿐만 아니라 e.tv의 지상파 TV와 이동통신사 Vodacom의 3G 모바일 TV를 통해서도 제공 중임

남아프리카공화국 | 173 Profile History 상장여부 비상장 2013.04 e 온디맨드 캐치업 서비스 개시 설립시기 1998 2009 e.tv 가나 개시 사업분야 TV 2008 위성 기반의 뉴스 채널 e.News 개시 매출 21억 2,000만 랜드(’13.03) 2001 시청률 2위 기록 홈페이지 www.etv.co.za Time Warner, Midi TV 지분 20% 매각 1998 e.tv 남아공 설립

Financial Data (단위: 백만 랜드) 구분 2011.03 2012.03 2013.03

매출 1,610 1,880 2,120 ※ 2015년 12월 기준, 1랜드 = 0.06달러 출처: Sabido

174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4. 정보통신(ICT)・방송 협력 현황

4.1. 정부 간 협력 현황

한국무역협회는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서 BUSA(남아공 경제인연합) 및 BBC(남아공 흑인 경제인연합)와 제 3차 한-남아공 경제협력포럼을 개최하고 동 포럼의 지속적인 발전과 양국 교역 및 투자 확대 지원을 위한 MOU를 체결(2013.11) 김충식 방송통신위원회(KCC) 상임위원은 2012년 6월 4일부터 7일까지 남아공 Cape Town에서 열린 ‘제1회 ICT INDABA 2012’에 참석하여 남아공 Dina Deliwe Pule 통신부(DOC, 현 DTPS) 장관과 회담을 갖고, KT의 TelKom 투자 지원요청(2012.06) 이계철 방송통신위원회(KCC) 위원장은 5월 14일, ‘제8회 방송통신장관회의’ 참석을 위해 방한한 Dina Deliwe Pule 통신부(DOC, 현 DTPS) 장관과 양자회담(2012.05) 남아공 공무원의 정보통신(ICT) 기술 및 첨단 정보통신(ICT) 관련 교육 수행(2010.06) - 남아공의 정보통신(ICT) 기술 관련 공무원과 전문가들이 한국을 방문하여 첨단 정보통신 (ICT) 정책과 기술동향 등에 대한 전문 교육과정에 참여함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KCC), Siphiwe Nyanda 통신부(DOC, 현 DTPS) 장관과의 회담 (2010.06) - 同 회담에서 WiBro, DMB, IPTV 등 정보통신(ICT)・방송 전략 품목의 아프리카 보급 확대를 위해 양국이 협력하기로 합의함 - 특히 Siphiwe Nyanda 장관은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등을 위한 전문 인력이 부족하며, 이를 위해 한국과의 협력을 강화할 것을 요청함 - 최시중 위원장은 한국의 정보통신(ICT)・방송 분야 초청 교육사업에 남아공 정보통신 (ICT) 전문인력들을 초청하기로 약속함 한국과 남아공 정보통신(ICT) 전문가들의 정보통신(ICT)・방송 포럼(2010.06) - Dina Deliwe Pule 남아공 통신부(DOC, 현 DTPS) 부장관 등 한국과 남아공 정보통신 (ICT)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남아공 정보통신(ICT)・방송 포럼’ 개최함 - 특히, 이날 시연회에서 소개된 Wibro, DMB, IPTV 기술과 월드컵을 계기로 시연된 3D TV 기술은 남아공 정보통신(ICT) 기업인들의 많은 관심을 주목받음

남아프리카공화국 | 175 4.2. 민간 협력 현황

누리텔레콤, ‘아프리칸 유틸리티 위크(AUW)’서 스마트그리드 기술 소개(2015.05) - 누리텔레콤은 남아프라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아프리카 최대 에너지・전력산업 전시회 ‘아프리칸 유틸리티 위크(AUW)’에 참가 - 누리텔레콤은 전력 서비스의 선결제를 지원할 목적으로 전력기기업계 최초로 개발한 3세대 ‘온라인 선불식 지능형검침인프라(AMI) 시스템’을 전시 KT, Telkom 자회사 200억 원에 인수 검토(2013.04) - KT가 Telkom의 자회사인 iWayAfrica를 인수할 것으로 밝혔으며, iWayAfrica가 위성 분야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자사의 위성 사업과 시너지 제고 차원에서 인수를 검토 중임 KT, 남아공 Telkom 인수 빨간불(2012.06) - 남아공 정부는 2012년 6월 1일 Telkom에 KT의 지분 인수를 반대한다고 밝혔으며, 남아공 정부는 5월 30일 내각회의에서 KT와 Telkom 지분 거래에 대해 논의한 결과 입장을 결정함 KT, 남아공 Telkom에 직원 100명 파견(2012.05) - KT는 남아공 Telkom에 기술직 직원 100여 명을 연내 파견하며, 파견 인원은 3년간 현지에 머물며 유・무선 정보통신(ICT) 컨설턴트 역할을 수행함 KT, 남아공 최대 유선통신사 Telkom 지분 20% 매입 추진(2011.10)

176 | 정보통신산업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