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시백 _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정책연구본부 융합정책연구부 주임연구원 (02) 2142-2113, [email protected]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드라마, 영화, 뮤직 비디오 등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해서는 지상파 방송에 서의 재방송, 케이블 방송에서의 다시보기, DVD 구매 및 대여, PC를 통해 구입해서 보는 방법 등으로 한정되어 있었으며, 볼 수 있는 동영상 콘텐츠도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방송 환 경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콘텐츠들을 시청자가 원하는 시간에, IPTV, PC, 핸드폰, 태블릿PC 등 원하는 방법으로 시청하고 있다.

이러한 동영상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창구의 확대는 기존 방송의 VoD, 온라인상의 Youtube 및 무 수히 많은 동영상 콘텐츠들을 소비하게 하는 기회를 확대 시킨 것이다. 이렇듯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 소 비창구 확대와 범람하는 동영상 콘텐츠들을 시장에서 공급되어지는 대로 놔두었을 때에는 내용 및 다양 한 부분에서 문제점들이 발생할 것이고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 들이 필요해 질 것이라 판단되며, 본고에 서는 동영상 콘텐츠들에 대한 규제가 필요한 것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스마트 미디어, 미디어 이용 행태 변화, ATVoD, VoD규제

Ⅱ. 본 론 로 하락하였고, 라디오는 11.3%에서 6.1%, 인쇄매체 는 12.5%에서 7.3%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 만 컴퓨터, 인터넷의 이용 변화를 살펴보면 1995년 1 . 국내 시청자의 방송 매체 이용 변화 1.5%에서 16.5%로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 1995년부터 2000년 사이 국내 시청자들의 방송 이 다. 이는 초고속 인터넷 보급을 통해 이용자들이 전통 용 환경은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인터넷의 활 적 미디어 매체에서 새로운 미디어 매체로의 이용 변 성화를 통해 정보 획득 수단이 발달하였고, 각 매체를 화를 나타내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용하는 비율도 변화하게 되었다. <표 1. 7개 미디어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텔레비전의 이용 비율은 줄 의 연도별 이용비율 변화패턴>변화를 살펴보면 텔레 었지만 이용 시간은 오히려 149.3분에서 159.6분으로 비전의 이용 비율은 1995년 71%에서 2005년 66.7% 늘어난 점이다. 라디오나 인쇄매체, 비디오, 극장의 평

16 Journal of Communications & Radio 동영상 콘텐츠 소비창구 확대와 규제 필요성

[표 1] 7개 미디어의 연도별 이용비율 변화패턴

연도 1995년(N=3,191) 2000년(N=3,173) 2005년(N=3,309) 미디어 전체 100 (221.0) 100 (220.7) 100 (239.4) 텔레비전 71.0 (149.3) 76.7 (167.1) 66.7 (159.6) 라디오 11.3 (32.4) 4.3 (13.5) 6.1 (19.2) 인쇄매체 12.5 (26.4) 8.8 (18.3) 7.3 (15.5) 컴퓨터/인터넷 1.5 (3.2) 8.2 (16.8) 16.5 (36.8) 비디오 1.5 (3.9) 0.7 (1.9) 0.3 (0.9) 극장 0.2 (0.5) 0.2 (0.4) 0.3 (0.7) 음악 2.1 (5.3) 1.2 (2.7) 2.8 (6.7) ※ 주 : 괄호 안의 수치는 평균이용시간(분)을 나타냄 ※ 자료 출처 : 조성동,강남준,「다매체 환경 정착에 따른 수용자들의 매체이용 특성변화와 이용매체 구성변화」, 한국언론학보,2009.02

균 이용 시간이 줄어든 반면 텔레비전의 평균 이용 시 분의 매체 조합을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있기 간이 늘어난 것은 미디어의 텔레비전 의존도 및 영향 때문에 텔레비전이 여전히 중심적인 매체임을 알 수 력은 크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있다.

<표2. 이종매체 이용자와 다중매체이용자의 이용매 또한 ‘다중매체이용자’의 분석 결과를 보면, 기존 체 조합과 연도별 변화 >에서‘이종매체이용자’를살 미디어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매체 조합의 비율은 급격 펴보면, 1995년의 경우 수용자들의 이종매체 조합은 히 감소하고, 뉴미디어인 컴퓨터/인터넷과 조합된 경 TV와 인쇄매체, TV와 라디오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 우 이용자가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종매체 다. 그러나 2000년의 경우, TV와 라디오 매체조합 비 이용자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1995년의 경우 기존 율이 급감하고, TV와 컴퓨터/인터넷 조합이 크게 증 매체인 TV-라디오-인쇄매체 이용조합이 51.1%로 가하였다. 2005년의 경우 TV와 인쇄 매체 조합이 급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지만, 2000년부터는 TV-인 감하고, TV와 컴퓨터/인터넷 조합이 증가하여 수용자 쇄매체-컴퓨터/인터넷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들의 이종매체 구성이 기존 미디어 중심에서 컴퓨터/ 있다. 또한, 컴퓨터/인터넷이 포함된 TV-라디오-컴 인터넷을 포함하는 패턴으로 변화한 것을 살펴볼 수 퓨터/인터넷조합과TV-음악-컴퓨터/인터넷 조합에 있다. 2005년‘이종매체이용자’들은 TV와 인터넷 서도 높은 비율이 나타나‘다중매체이용자’에서도 컴 (46.0%), TV와 인쇄매체(27.7%), TV와 라디오(15%) 퓨터/인터넷이 중요한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파악된 를 중심으로 매체를 조합해 사용하고 있으며, 이외에 다. 그러나 여전히TV의 역할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 도 낮은 비율이지만 기존매체조합의 경우는 감소패턴 고 있기 때문에 2005년에도‘다중매체이용자’들은 컴 으로 변화하고, 컴퓨터/인터넷과 조합된 케이스는 그 퓨터/인터넷과TV를 중심으로 매체를 조합하여 이용 비율이 증가하면서‘이종매체이용자’들의 매체조합 특 징이 뉴미디어 조합으로 점차 변경되고 있음을 알 수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있다. 그러나 2005년에도‘이종매체이용자’들은 대부

June Vol. 38 17 [표 2] 이종매체 이용자와 다중매체이용자의 이용매체 조합과 연도별 변화]1)

이종매체이용자 다중매체이용자 구분 구분 1995년 2000년 2005년 1995년 2000년 2005년 (N=1,258) (N=1,123) (N=1,297) (N=491) (N=245) (N=1,297) TV·라디오· TV·라디오 30.4 (382) 15.0 (169) 15.0 (195) 59.9 (294) 29.0 (71) 18.7 (93) 쇄매체 TV· TV·라디오· 51.1 (643) 48.1 (540) 27.7 (359) 5.5 (27) 11.4 (28) 24.3 (121) 인쇄매체 컴퓨터/인터넷 TV·컴퓨터/ TV·라디오· 3.9 (49) 26.3 (295) 46.0 (596) 3.9 (19) 1.2 (3) 0.4 (2) 인터넷 비디오 TV· 라디오· TV ·비디오 4.3 (54) 1.9 (21) 0.5 (7) 10.0 (49) 8.2 (20) 8.4 (42) 음악 TV·인쇄매체· TV·음악 4.5 (56) 3.2 (36) 4.2 (55) 8.8 (43) 42.0 (103) 42.8 (213) 컴퓨터/인터넷 라디오 · TV·인쇄매체 3.4 (43) 1.0 (11) 0.5 (6) 6.3 (31) 4.5 (11) 1.4 (7) 인쇄매체 · 비디오 라디오· TV·인쇄매체· 0.2 (2) 0.6 (7) 1.4 (18) 13.4 (66) 10.2 (25) 9.0 (45) 컴퓨터/인터넷 음악 인쇄매체· TV·음악· 0.2 (2) 2.0 (23) 1.9 (25) 1.8 (9) 5.7 (14) 17.7 (88) 컴퓨터/인터넷 컴퓨터/인터넷 음악· 0.2 (2) 0.4 (4) 1.2 (16) 컴퓨터/인터넷 ※ 주 : 괄호 안의 수치는 평균이용시간(분)을 나타냄 ※ 자료 출처 : 조성동,강남준,「다매체 환경 정착에 따른 수용자들의 매체이용 특성변화와 이용매체 구성변화」, 한국언론학보,2009.02

결국 미디어 이용자들은 TV는 기본으로 기타 이용 난 2010년 방송 매체 이용 행태를 살펴보아도 같은 결 매체들의 이용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으며, 컴퓨터와 과를 나타내고 있다.‘2010년 방송 매체 이용 행태 조 인터넷을 이용하여 TV에서 획득하지 못하는 정보들과 사 보고서’에서 TV 이용 시간은 하루 평균 180.1분으 TV에서 시청하지 못한 콘텐츠들을 검색하고 획득하는 로 방송매체 중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과정을 거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시청 뒤를 이어 인터넷은 하루 평균 105.7분, 라디오는 자들의 미디어 이용의 변화의 중심에는 TV에서 시청 75.3분 정도 이용하고 있다. TV의 경우 주말 이용 시 하지 못한 방송 프로그램 즉 자신이 원하는 동영상 콘 간이 평일보다 길고, 그 외의 매체는 평일 이용 시간이 텐츠의 소비가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이는 5년이 지 더 긴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라디오의 경우에는 평

1) 연도별 매체조합 비율의 합이 100%가 되는 않는 이유는 이종매체 이용자의 경우 21개의 매체조합 케이스 중 9개만이 주요매체조합으로 구성되어 낮 은 수치의 기타비율을 제외했기 때문이고, 다중매체 이용자의 경우 35개 매체조합케이스 중 8개만이 주요 매체 조합으로 구성되었지만 매체를4개, 5 개로 조합하여 쓰는 이용자들의 이용조합을 3개 조합 케이스로 중복 체크했기 때문임.

18 Journal of Communications & Radio Spectrum 동영상 콘텐츠 소비창구 확대와 규제 필요성

[그림 1 ] 하루 평균 매체 이용 시간

※ 자료 출처: 2010년 방송매체 이용 현황 조사, 방송통신위원회

일 평균 이용 시간이 주말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 PMP를 통해 재생해 보는 비율이 2.2%로 집계되고 있 다. 으며, TV 외의 다른 매체를 통해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이유로는‘방송 못 본 것을 보기 위해서’가 이 결과를 살펴보면 국내 방송 이용자들의 매체 이 54.4%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실시간 TV 방송을 용 행태 유추가 가능한데, 인터넷 보급 활성화 이전에 보기 위해서’가 44.9%로 나타났다. 결국 지상파 방송 는 인쇄 매체에 대한 선호도가 분명하였으며, 방송 매 에서 시청하지 못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DMB, PMP 체의 주 소비 창구는 TV가 우선순위로 자리매김하고 등으로 시청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이는 있다. 하지만 초고속 인터넷 확산과 신규 기술의 개발 다양한 방법으로 지상파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 에 따른 이용자 편익 증대에 따라 인쇄 매체를 인터넷 다는 것을 의미하며, 시청자들은 TV를 대신하여 방송 이 대체함에 따라 인쇄 매체 이용 시간이 감소하였다. 을 시청하기 위한 방법을 탐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그리고 평일의 라디오 이용 시간이 주말보다 긴 것은 것이다. 출, 퇴근 시 대중교통의 라디오 방송, 자가 운전의 라 또한 지상파 방송 이외 케이블 방송, 위성방송, 디오 청취 때문이라 판단 할 수 있을 것이다. 1995년 IPTV 이용자들의 시청 행태를 살펴보면, 가장 즐겨보 에 비하여 방송, 통신 환경이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하 는 채널은 드라마 채널이었으며, 뒤를 이어 뉴스와 스 더라도 시청자들이 인지하는 방송 시청은 TV를 우선 포츠, 영화 채널이 그 뒤를 잇고 있다. 결국 지상파 방 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송에서 보지 못하였던 프로그램이나 시청자들의 여가 ‘2010년 방송매체 이용 행태조사’보고서를 살펴보 시간을 활용하여 TV를 이용한 영화 시청 등 동영상 면, TV 이외의 방송 프로그램 시청 방법은 컴퓨터를 콘텐츠의 소비가 늘어남을 의미하고 있으며, 이는 동 통해 동영상 파일로 재생해서 보는 비율이 22.9%, 영상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창구가 많아지게 될 경

June Vol. 38 19 [그림 2] TV 이외의 방송 프로그램 시청 방법

※ 자료 출처: 2010년 방송매체 이용 현황 조사, 방송통신위원회

[그림 3] TV 이외의 방송 프로그램 시청 이유

※ 자료 출처: 2010년 방송매체 이용 현황 조사, 방송통신위원회

우에는 그만큼 드라마, 영화, 스포츠 콘텐츠에 대한 소 2 . 동영상 콘텐츠 소비창구 확대와 제공 비가 늘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반증하는 사업자의 변화 것이다. 1990년 초반만 하더라도 동영상 콘텐츠를 소비할 이상에서 살펴본 방송 매체 이용자의 행태는 과거 인쇄 매체에서 컴퓨터, 인터넷 사용으로 변화하였고, 수 있는 방법은 TV 시청뿐이었다. 하지만 PC 통신이 TV는 방송 매체를 소비하는 우선순위가 되고 있다. 시작되면서 소설 등 인쇄 매체를 대체하기 시작하였 또한 TV 이외 방송프로그램 시청 방법도 PMP, 고, 초고속 인터넷 보급으로 컴퓨터의 대중화가 이루 DMB, IPTV 등 유료방송 가입으로 원하는 시간에 원 어지면서 음악, 영화와 같은 동영상 콘텐츠 소비가 증 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대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더불어 동영상 콘텐츠 소비

20 Journal of Communications & Radio Spectrum 동영상 콘텐츠 소비창구 확대와 규제 필요성

[그림 4] 유료 방송 서비스별 채널 유형 시청 정도

※ 자료 출처: 2010년 방송매체 이용 현황 조사, 방송통신위원회

행태 자체도 변화함에 따라 공급자들은 인터넷을 통한 의하면 2011년 50백만 대, 2013년 92백만 대를 거쳐 동영상 콘텐츠 판매를 시행하였고, 모바일 인터넷 등 2015년까지 약 121백만 대가 전 세계적으로 보급될 방송과 통신 환경 변화에 맞는 다양한 기기들이 선보 것으로 예측하고 있어 태블릿 PC에 대한 비중은 점차 이기 시작하였다. 증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모바일 기기와 스마트기기의 보급은 가히 혁신 핸드폰에서 PC로의 이동은 전통적 방송 소비 매체 적이란 표현을 쓰기에 적합할 정도로 기하급수적으로 인 TV로까지 확대 되었으며, 2011년 상반기까지 약 증대되었다. iPhone이 2009년 국내에 선보이면서 소 30만대가 판매되고 있다. 스마트TV에서는 기본적으 비자들에게 선풍적 인기 몰이를 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로 인터넷 Full Browsing이 가능하여 App 마켓을 통 스마트폰 시장 확대를 불러 오게 되었다. 2011년 상반 해 동영상 콘텐츠를 선택하여 시청 할 수 있도록 하고 기까지 스마트폰의 누적 판매 대수는 1,002만대로 스 있다. 뿐만 아니라 주요 스마트TV에서는 시청자 편의 마트폰이 국내에 첫선을 보인지 3년이 넘지 않은 시점 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보다 손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을 감안한다면 가히 이례적인 경우라 말할 수 있을 것 하고, TV와 핸드폰, TV와 컴퓨터 등 기기 간 연동을 이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는 통해 시청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인터 핸드폰 시장 뿐 아니라 태블릿 PC와 전통적 TV 시장 페이스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있다. 에까지 스마트에 대한 열풍이 이어지고 있다. 태블릿 이러한 동영상 콘텐츠 소비 창구의 확대는 동영상 PC의 국내 판매량은 2011년 상반기 67만대였으며, 해 콘텐츠를 소비하는 주체들에게 다양한 접점을 활용할 외 시장까지 합쳐지게 된다면 그 판매량은 약 180만대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동영상 콘텐츠 에 달하고 있다. 또한 IDC, 현대증권의 분석 자료에 제공 사업자들은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여 새로운 비즈

June Vol. 38 21 [표 3 ] 스마트 기기누적 판매 현황2) (단위:만대) 구분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T V 국내 1,002 67 30 국외 33,560 1,740 3,800 ※ 자료: 방송통신위원회, 내부자료

[그림 5] 휴대폰 및 태블릿 PC 생산량

※ 자료출처: IDC, 현대증권 리서치 보고서

니스 모델을 창출해 낼 수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이에 어져 있는 동영상 정보 제공 및 콘텐츠 판매를 위해 과거 TV로만 한정되어 있던 프로그램 소비는 인터넷 ‘콘팅(Conting)’이라는 통합 페이지를 오픈하였다. 과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소비자들에 하지만 이 콘팅은 단순히 3개 방송사의 동영상 콘텐츠 게 제공 되어지고 있다. 즉 시청자들은 TV에서 방송 판매 페이지를 합쳐 하나의 화면으로 제공할 뿐이며, 되는 프로그램 및 영화 등 동영상 콘텐츠를 소비하기 원하는 방송사의 콘텐츠를 선택하게 되면 각사의 페이 위하여 TV와 컴퓨터, 인터넷을 통해 소비하는 행태 지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다시 말하면 지상파 방송사의 통합 서비스모델이 아닌 각 사별 별도 서비 변화로 국내 동영상 콘텐츠 제공 사업자들은 지상파 스 모델을 유지하면서, 단순히 동영상 콘텐츠 소비에 방송의 프로그램을 재전송하거나 온라인을 통해 동영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통합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 콘텐츠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있는 것이다. 지상파 방송사에서 인터넷을 통한 동영 지상파 방송사 각 사는 자사가 보유한 방송 프로그 상 콘텐츠 제공이 의미하는 바는 소비자들의 이용 행 램과 영화를 온라인상에서 소비자 및 콘텐츠 배급 제 태 자체가 인터넷으로 이동하여 동영상 콘텐츠 소비 휴를 통해 판매, 제휴를 통해 동영상 콘텐츠 즉 VoD 수단으로 변화하였음을 의미하고 있다. 인터넷이라는 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각사에서 진행해왔던 온라 새로운 소비 수단과 더불어 이동성과 사용 가능 기기 인 동영상 콘텐츠 사업의 확장성 및 시청자들의 접근 의 확대 또한 동영상 콘텐츠 소비를 늘리는 하나의 축 성 제고를 위해 2009년 KBS, SBS, MBC는 각기 흩 으로 자리 잡고 있다.

2) ’10년, ’11년 각사 자료 종합, 국내 스마트폰 판매량은 가입자수 적용

22 Journal of Communications & Radio Spectrum 동영상 콘텐츠 소비창구 확대와 규제 필요성

[표 4 ] 지상파 방송사별 동영상 콘텐츠 제공 현황

서비스명 콘텐츠 사업자 제공서비스 BM (형태) 수급 콘피아 콘텐츠 판매 및 제휴 KBS (Conpia) 자체 자사 방송, 보유 영화 - 개인, 사업체 - 건별, 정액제 운영 자사 방송, 보유 영화 콘텐츠 판매 및 제휴 VOD+ 방송 편집기능 제공 지상파 SBS 자체 - 개인, 사업체 NeTV - 원하는 장면을 개별 시청자가 - 건별, 정액제 방송사 편집 가능 콘텐츠 판매 및 제휴 MBC VOD 자체 자사 방송, 보유 영화 - 개인, 사업체 - 건별, 정액제 방송 콘텐츠 다양한 요금제 콘팅 공통 방송3사 - 지상파 방송(3사) - 편당, 정액(일,월) (Conting) - 영화(3사 보유) ※ 자료: 각 사별 홈페이지 재구성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콘텐츠 소비가 늘고 있으며, 기능을 앞세운 N-Screen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가 아프리카TV, 판도라TV 등 인터넷 방송을 통한 동영 입자들이 언제, 어디서든 핸드폰과 태블릿PC를 통해 상 콘텐츠 소비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에 곰TV, 동영상 콘텐츠를 구매한 가입자들에게 편의성을 제공 판도라TV, 아프리카TV는 개별 사용자에 의한 동영상 함으로써 재구매 유도와 창구 확대, 콘텐츠 판매를 중 콘텐츠를 수급하며, 스포츠, 뉴스 등의 콘텐츠는 콘텐 심으로 사업전개가 이루어지고 있다.

츠 제공업자(Contents Provider)를 통해 수급하고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유료방송사들은 다양한 방법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선호를 으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충족시키기 위하여 영화, 드라마, 게임 등의 VoD 콘 IPTV사업자들은 기본적으로 가입자 기반의 요금제를 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 방송의 BM은 기본적으 바탕으로 콘텐츠 소비에 따른 매출에 따른 수익 모델 로 가입자 기반의 광고 수익과 인터넷 방송 구축, 행사 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콘텐츠 제공 측면에서는 현 중계 및 프로모션과 자체제작 프로그램의 유통에 기반 재 제공되고 있는 프로그램 다시 보기 기능 이외에 영 하고 있다. 화, 미용, 스포츠 등 다양한 콘텐츠를 콘텐츠 제작 업 인터넷 포탈의 경우 기본 가입자의 이탈 방지와 고 체와의 제휴 및 구매를 통해 확보하고 시청자들이 원 객 접점 확대를 통해 가입자 확대를 추구하고 있다. 다 하는 콘텐츠들을 골라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시청자 음의 경우에는 동영상 VoD 서비스와 시청자들의 매 들이 가장 원하는 실시간 방송을 비롯하여 소비자들의 체 이용 행태를 반영한 스포츠, 엔터테인먼트의 실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 쇼핑 등의 편의성을 제 간 중계, 개인방송을 통해 가입자 확대를 추구하고 있 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IPTV User Group이라는 으며, 네이버는 N-드라이브를 앞세워 고객의 편의성 커뮤니티 채널 제공으로 커뮤니티에서 직접콘텐츠를 증대를 꾀하고 있다. KTH는 VoD 서비스의 이어보기 제작, 배포하고 가입자간 공유를 통해 가입자 확대 전

June Vol. 38 23 [표 5] 인터넷 방송 동영상 콘텐츠 제공 현황

서비스명 콘텐츠 사업자 제공서비스 BM (형태) 수급 방송 플랫폼 삽입 광고 개인 실시간 방송 개별 사용자 인터넷 / 모바일 방송국 구축 보이는 라디오 Afreeca 제휴(CP) 기업 행사 생중계 네오콤 스포츠 중계 TV 행사 프로모션 - 스포츠, 게임중계 ※ 매출액 : 70,373 백만원 뉴스 등 ※ 가입자 : 1,400만 - ’09년 아프리카TV외 5개 사업 인터넷 동영상 광고 개별 UCC 방송 콘텐츠 유통 판도라 Pandora 영화 VOD 개별 사용자 - 자체제작 프로그램 TV TV 실시간 방송 UCC 엔터테인먼트 ※ 방문자수(09년) : 4,900만 ※ 자본금 : 3,755 백만원 VOD 사용자 방송물 제작 및 판매 - 영화, 드라마, 게임 등 GOM 방송사 배너 광고 그래텍 지상파 방송 3사 방송 직후 TV 케이블(CJ) 정보가전 다운로드 및 다시보기 ※ 매출액 : 20,000 백만원규모 ※ 이용자수 : 650만/일 ※ 자료: 각 사별 홈페이지 재구성

[표 6] 인터넷 포털의 동영상 콘텐츠 제공 현황

서비스명 콘텐츠 사업자 제공서비스 BM (형태) 수급 고객 접점 확대를 통한 가입자 CP 동영상 VOD 확대 케이블 실시간 중계 - 가입자 확대를 통한 다음의 다음 TV팟 가입자 -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기타 서비스 이용을 통한 수 익창출 개인방송 배너광고 인터넷 웹하드 서비스를 통해 가입자 고객편의성 증대를 통한 고객 포털 네이버 N-드라이브 가입자 의 콘텐츠를 기기 간 공유 서 충성도 증대와 네이버의 기타 비스 서비스 이용을 통한 수익 창출 콘텐츠 판매(건당,정액요금제) - 다양한 기기간 연동(TV,PC, KTH Playy CP VOD(영화) 모바일)을 통한 콘텐츠 소비 (Paran) 창구 확대와 이를 통한 콘텐 츠판매

24 Journal of Communications & Radio Spectrum 동영상 콘텐츠 소비창구 확대와 규제 필요성

략을 구사하고 있다. ‘고객 이용성 증대’,‘개인화’ 라는 큰 축으로 인지할

방송 서비스 환경이 융합 환경으로 변화하고, 기기 수 있다. 이러한 큰 축은 별도의 개념이 아닌 연결고리 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즉 소비자 지향적으로 콘텐 의 스마트 화와 더불어 케이블 방송사업자들뿐 아니라 츠를 제공하는 것은 개인화 되어 있는 개별 고객들에 통신 사업자들도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CJ 헬로비전 맞추어 고객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함인 것이다. 이 은‘Tving’서비스를 런칭하면서 콘텐츠 소비 창구 를 다시 이야기 하자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즉 ‘소비 다양화 전략을 선택하여 추진하고 있다. CJ미디어 등 자 지향적’이라는 의미는 소비자들이 원하는 콘텐츠 CJ에서 자체 제작한 콘텐츠들과 지상파 방송, 영화, 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콘텐츠 범위를 설정하고 다큐,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장르의 동영상 콘텐츠 각 범위에 맞는 콘텐츠들을 수급함으로써 콘텐츠 소비 들을 핸드폰, 태블릿PC, 웹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또 자가 원하는 것을 제공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과거 한 SK 텔레콤에서는‘호핀(Hopping)’서비스를 런칭 TV라는 개념에서 탈피해가는 과정일 것이다. 즉 과거 하여 핸드폰에서 시청하고 있는 동영상 콘텐츠들을 집 TV는 거실에서 온 가족이 모여 시청하는 가족 개념의 안의 TV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TV이었다고 한다면, 변화된 TV는 각 구성원이 원하 써 시청자들이 원하는 콘텐츠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시 는 콘텐츠가 각기 다르고, 그 다름을 충족시키기 위하 청 할 수 있도록 하여 가입자 확보와 콘텐츠 판매, 제 여 다양한 기기를 통해 동영상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 휴를 통한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이상에서 살펴보면 동영상 콘텐츠들을 소비자에게 환경에 의하여 거실에서는 가족 TV로의 역할을 TV가 제공하기 위해 각 사업자별로 공통점을 찾아볼 수가 수행하더라도 가족 구성원들은 PC, 핸드폰, 태블릿 있는데 그것은 바로‘소비자 지향적’이라는 사항과 PC를 통해 각기 다른 방에서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표 7] IPTV 사업자의 동영상 콘텐츠 제공 현황

서비스명 콘텐츠 사업자 제공서비스 BM (형태) 수급 지상파 실시간 방송 가입자 기반 요금제 SK B BTV CP VOD(영화, 드라마 등) 채널 사용 그룹별 수익 분배 User Group Group 별 제작 콘텐츠 가입자 기반 요금제 지상파 콘텐츠 수급을 위한 제휴 실시간 방송 LG U+ U+Box CP - CJ 미디어 VOD(영화, 드라마 등) IPTV User Group 콘텐츠 소비 창구 다양화 - 스마트폰, PC, TV 연동 가입자 기반 요금제 사업자 협력을 통한 요금제 다 지상파 실시간 방송 양화 CP VOD(영화, 드라마 등) Qook Qook TV - Skylife와의 업무 협력을 통 User Group Group 별 제작 콘텐츠 한 소지 지향 요금제 개발 채널 사용 그룹별 수익 분배

June Vol. 38 25 원하는 콘텐츠들을 소비함을 의미하고 있다.‘고객 이 상으로 삼는 콘텐츠의 범위를 방송망 또는 통신망 등 용성 증대’라는 의미는 소비자 지향적으로 변화하는 네트워크 종류나 기술에 상관없이, 기존 TV방송 사업적 관점 변화에 따라 콘텐츠 소비자들이 원하는 (linear service)뿐 아니라 주문형 서비스(non- 기기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소비할 수 linear service)까지 모두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럼 하지만 VOD를 비롯한 비선형의 주문형 서비스는 이 에 따라 유료방송 사업자들은 각 사별로 N-Scree 전 용자 선택권이나 사회적 영향력 이전통적인 실시간 방 략을 채택하여 다양한 기기에서, 원하는 시간에, 어디 송 서비스보다 적다고 간주하고 비교적 낮은 수준의 서든 콘텐츠 소비가 가능해지도록 추구하는 것이다.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이는 수평적 규제의 원칙에 따 라 전통적인 형태의 방송서비스이건 새로운 형태의 방 송서비스이건 방송으로 간주하고 규제를 실시하되 사 3. EU와 영국의 동영상 콘텐츠 규제 회적인 파급력 등을 기준으로 하여 차별적인 규제를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편성책임(editorial EU의 시청각미디어서비스 지침(Audiovisual responsibility)은 미디어서비스 제공업자의 역할과 Media Services Directive)에 따르면 시청각미디어 시청각 미디어 서비스의 개념을 정의하는 핵심적인 개 서비스를 미디어서비스 사업자(media service 념이다. 시청각미디어서비스 지침에서는 편성책임에 provider)가 편집권(editorial responsibility)을 갖 대해“텔레비전 방송의 시간 편성표나 주문형 서비스 고 일반 공중에게 정보, 오락, 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목록 등에서 프로그램의 선택과 구성에 미치는 효과적 주된 목적으로 유럽의회 및 평의회가 정의하는 전자통 인 통제력의 행사”로 정의하고 있으나, 각 회원국들이 신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로 정의했다. 기존 편집권의 개념 및“효과적인 통제”의개념등을자율 의 전통적인 텔레비전 방송서비스3)와 주문형 동영상 적으로 규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프 콘텐츠(VoD)가 모두 여기에 해당된다. 즉, 아날로그 로그램을 단순히 전송하는 자연인이나 법인은 편집권 및 디지털 텔레비전, 실시간 스트리밍, 웹캐스팅 등이 이 제3자에게 있으므로 미디어서비스 사업자4)에해당 텔레비전 방송서비스에 포함되게 된다. 시청각미디어 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EU는 편성에 대 서비스 지침 제정의 배경은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해 갖는 책임이 사회문화적인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본 인해 대두된 콘텐츠 계층의 환경변화에 적절한 규제 것이라는 것이다. 주문형 서비스(On-Demand 방안 수립의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황준호, 이상 Service)의 개념은 미디어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해서 우, 2007). 인터넷이나 모바일과 같은 통신 서비스와 선택된 프로그램의 카탈로그 내에서 이용자가 개별적 방송 서비스의 융합과 같은 서비스의 융합, 디지털 텔 으로 요청한 프로그램을 이용자가 선택한 시간에 볼 레비전이나 3G네트워크, PPV, VOD와 같은 주문형 수 있도록 미디어서비스 제공업자가 제공하는 시청각 서비스의 활성화 등 환경의 변화는 콘텐츠 계층에 대 미디어서비스로서, 비실시간 시청각미디어서비스와 한 새로운 접근을 필요하게 만든 것이며, 이는 규제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유럽의 시청각미디어서

3) 시청각미디어서비스 지침에 따르면, 텔레비전방송은 “미디어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프로그램 편성표에 따라 동일한 시간에 시청(simultaneous viewing)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시청각미디어 서비스”를의미 4) 미디어서비스 사업자는“시청각미디어서비스의 시청각 콘텐츠의 선택에 대한 편집권을 갖거나, 서비스가 구성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자연인 또는 법 인”을 의미.(미디어미래연구소, 2009.09, 국내외 VOD 서비스 산업 현황과 규제법제에 관한 연구)

26 Journal of Communications & Radio Spectrum 동영상 콘텐츠 소비창구 확대와 규제 필요성

비스지침은 VOD의 법적 정의(legal definition)를 미 제의 대상이 되게 되었다는 것이며, 같은 방송서비스 디어서비스사업자가 선택한 프로그램 목록 중에서 이 라고 할지라도 규제의 정도에 차등을 두었다는 것이 용자가 선택한 시점에 개별적인 요청에 의해 프로그램 다. EU의 지침에 따르면 VOD는 규제의 범위에는 포 을 시청할 수 있도록 미디어서비스로 사업자가 제공하 함되지만 사회문화적 영향력 차원에서 일반 방송보다 는 시청각미디어서비스로 규정하고 있으며, 다음의 7 는 낮은 수준의 규제를 받게 되는 것이다.

가지 요건을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이러한 유럽 지침 권고에 따라 Ofcom 유럽에서는 시청각미디어서비스 지침이 도입되기까 에서 2009.12월과 2010.03월 각각 Audiovisual 지 EU 차원에서‘TV 서비스’의 범위를 규정하기 위 Media Services Regulations 개정하고, 이를 바탕 해 상당한 논란이 있었다. 그 결과 새로운 TV 형태인 으로 Communications Act 2003 Section 368B를 VOD 서비스에 대한 법적인 규제는 적합하지 않더라 추가하여 Ofcom이 VoD 서비스에 대한 규제 권한을 도, 유럽차원에서 VOD 서비스에 대한 최소한의 조건 갖기 위한 법적 토대를 마련하였다.5) 동영상 콘텐츠에 을 요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것이며, EU는‘TV 규제 대한 규제를 시작하기에 앞서 Ofcom은 과연 동영상 의범위’에 VOD 서비스를 포함시키되, 각 국가별로 콘텐츠 소비 주체들이 VoD를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 VOD 서비스 중 규제대상의 범위를 어느 정도로 설정 지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었다.6) 이는 소비 주체들이 할 것인지와 효율적인 규제방안을 마련하도록 하였다. 과연 동영상 콘텐츠들을 방송으로 인지하고 있는지에

이처럼 유럽의 시청각미디어서비스 지침은 시청각 대한 여부와 규제해야 할 대상인지에 대한 틀을 다잡 미디어서비스의 개념과 규제범위를 명시하고, 공동규 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된 것이다. 그 결과 수용자들은 제(co-regulation)를 강조했다는 특징을 갖고 있으 Youtube와 같은 전문가들이 제작하지 않은 동영상 며, VOD와 관련하여 EU의 시청각미디어서비스 지침 콘텐츠들과 방송사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여부, 콘텐 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아직도 많은 논란이 있지 츠의 질적 가치, 콘텐츠 보급의 대상과 프로그램 제목, 만 그 전까지 규제하기 어려웠던 VOD와 같이 방송 서 동영상 콘텐츠의 길이에 따라 TV와 유사한 서비스로 비스로 인지 할 수 있는 TV와 같은 방송서비스도 규 인지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해 판단하고 있었다.

VoD 포함 요건

① 경제적 활동을 전제로 한 서비스 ② 미디어서비스 사업자의 편성책임 하의 서비스 ③ 공공미디어의 특징을 가진 서비스 ④ 일반 공중에게 정보, 엔터테인먼트, 교육을 제공하는 서비스 ⑤ 서비스 주요 목적은 프로그램 제공하는 것 ⑥ 시청각 속성을 가진 서비스 ⑦ 전자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로 제공되는 서비스

5) 유럽의 시청각미디어서비스 지침에 따른 정의 중에서 법적인 기준을 충족시키는 VoD 서비스를 규제의 범위에 포함하되, 최소한의 내용표준(content standards)의 적용을 받도록 하며, 표준은 인터넷상의 서비스를 포함하여 TV와 유사한 VoD 서비스에 적용되고, Ofcom은 공동규제의 효율적인 운 용에 대한 책임을 맡도록 함으로써 VoD 규제에 대한 토대를 만들었음을 의미. 미디어미래연구소(2009. 09) 6) 6개 지역, 18~65세의 사람들 중 VoD 이용정도에 따라 많이 사용하는 사람, 중간, 조금, 전혀 사용하지 않는 그룹으로 구분, 재분류하여 총 12개 그 룹에 대한 설문조사 시행

June Vol. 38 27 즉 방송사가 선형TV(Liner TV)로 제공하고 있고, 전 규제하는 방안, ③ 규제기관과 자율기관이 공동으로 문가가 제작하여 질적 가치(Quality)가 높은 것, 보급 규제하는 방안 등을 검토해 왔으며, 그 결과 규제의 기 대상이 대중이고 콘텐츠 이름이 잘 알려진 것들을 TV 본방향은 자율성을 존중하면서도 최종 권한은 규제기 와 유사한 서비스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아마추어가 관이 담당하는 것으로 정해졌다7). 이를 충족시키기 기 제작하고 콘텐츠의 길이가 짧고, 서비스 제공 브랜드 존 영국에서 VoD 콘텐츠에 대한 자율 규제 기구이며, 가 잘 알려지지 않은 것, 조금이라도 금전적으로 지불 민간 협회였던 ATVOD(The Association for 해야 하는 것들은 방송으로 인지하고 있지 않았다. 또 Television )를 독립적인 공동 규제기관 한 이 연구에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규제 사항들에 으로 승격 시키게 되었다. ATVOD는 독립적인 공동 대해서는 청소년 보호를 위한 경고 문구 삽입 등 성인 규제기관으로 규제 기구로서의 ATVOD는 사업자로부 용과 청소년용의 명확한 구분들에 대해 필요성을 제기 터 제공되는 VoD 서비스에 대한 시청자 접근권 보장 함에 따라 향후 동영상 콘텐츠들에 대한 규제의 틀을 을 위해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서비스 제공 사업자 제시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들의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를 규제8)하며, 회원사들로

또한 Ofcom은 신규 VOD 서비스에 대한 규제와 하여금 청소년 보호, 유해 및 공격, 광고 등에 관한 규 관련하여 ① 일반적인 방송이나 통신 서비스와 같이 정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규제기관에서 담당하는 방안, ② 민간이 자율적으로 즉 ①프로그램을 모든 사람들이 시청 가능하도록

[그림 6] TV와 유사한 서비스로 인지하는 주요 항목

※ 자료출처 : Ofcom, 2009, The regulation of video-on-demand: consumer views on what makes audiovisual services“”TV-Like”a qualitative research report

7) 미디어미래연구소, 2009.09, 국내외 VOD 서비스 산업 현황과 규제법제에 관한 연구 8)‘Catch-up’ , 뮤직비디오, 해외드라마와 같이 TV프로그램을 포함한 VoD 서비스와 유선방송사업자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VOD 서비스 등 On- Demand 프로그램 서비스(ODPS)서비스에 대해 규제

28 Journal of Communications & Radio Spectrum 동영상 콘텐츠 소비창구 확대와 규제 필요성

행정 절차 개선 ②서비스 제공사업자가 Communi- 근권 보장을 하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VoD 제공 사업 cations Act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의 판 자들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Communica- 단 ③규제 비용 및 관련 비용의 판단 및 징수 ④VoD tions Act 2003에 의한 기준을 충족시키는지에 대한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진흥을 위한 방안 마련 기능 수 여부와 ATVOD에서 제공한 가이드라인의 준수 여부 행으로 크게 기능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프로그램 를 판단하고 규제하고 있다.9) 또한 유럽 시장 단일화 시청을 원하는 일반적 시청자뿐만 아니라 장애인(청 에 대응하기 위하여 VoD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진흥 각, 시각장애인)을 위해 프로그램에 부제 설정과 오디 을 위해‘European Works Plan’을 세우고 자국 내 오 설명 기능을 덧붙여 제공해야 하는 가이드라인 기 에서 생산되는 콘텐츠가 유럽 전체 시장에서 유통될 준을 제공하는 Access Service Plan 제정을 통해 모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여 규제와 진흥 두 가지 든 사람들이 원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 할 수 있도 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으며, VOD 서비스를 공식적인 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시청자들의 보편적 접 규제의 대상으로 보고 있을 뿐 아니라 최소한의 내용

[표 8] 영국 VoD 규제 대상 사업자

Baby First HBO on demand Baby TV HIT BBC iPlayer Honda TV Sky Travel Bikini Destinations Horse & Country Sumo TV BOD Movies ITV Player Teachers TV BOD Music Jetix The Adult Channel Bravo Karaoke Channel The Biography Channel Butterfly LA Muscle TV The History Channel C1 (Tiscali) Lifetime The Lovers’ Guide Cartoon Network LiverpoolFCTV The Pit Channel 4 (4OD) Living TV Theatreland TV Chelsea TV Movies4men Time for Bed Comedy Central MTV TV Favourites Community Channel MUTV V:MX Content Film Nat Geo Virgin Books Crime & Investigation Network New Frontier Media Shorts CSC Media New You Virgin1 Demand Five Nickelodeon Vision Kids Discovery Picturebox Film Vision Music Discovery Kids Playboy Vision Sport Disney Channel RUSH VisionTV DMA Media Saavan Warner TV Elle UK Scamp Wedding TV Entertainment Rights Sci Fi Channel WhatCar Eros Screen Gems Zone Horror Exercise TV Screenies Zone Reality Filmflex Zonevision Fitness TV Sky Entertainment FX Sky Movies ※ 자료출처 : KT경제경영연구소(2009.7쪽)미디어미래연구소, 2009.09, 국내외 VOD 서비스 산업 현황 과 규제법제에 관한 연구 p66 재인용

9) 법적 준수 및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를 판단하여 부족한 사업자라 판단되면 시정명령을 공고하고 사업 지속 여부는 Ofcom에서 판단

June Vol. 38 29 규제로 산업의 자율성을 보장하고자 있으며, 이에 따 규제란 결국 바람직한 방송질서를 부여하기 위해 생산 라 Ofcom이 1차적 책임 의무를 가지며 각 산업에서 과 재생산의 과정에서 관련 행위 주체들의 활동과 관계 공동 규제 기구를 선정하고 있다. 를 통제하거나 조정하는 행위인 것이다.

이에 국내의 경우 서비스가 제공되는 네트워크의 기 술적 특성에 따라 방송에 대해 지상파방송, 종합유선 Ⅲ. 결 론 방송, 위성방송 등으로 구분하고, 서비스마다 차별적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이는 지상파, 종합유선, 위성방 송 등이 모두 동일한 전송서비스의 기능을 하고 있음 동영상 콘텐츠 소비 주체들의 행태 변화는 불과 10 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시장으로 인식되어 차별적 여년 사이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컴퓨터와 인터 규제가 적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이상우, 2008). 더 넷의 보급은 인쇄매체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하지 욱이 방송과 통신 융합 서비스라고 할 수 있는 IPTV 만 변하지 않는 것은‘TV 방송을 보기위해’라는 대명 의 경우 다른 법으로 규제를 받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제이다. 즉 TV 방송을 보기위해, 보지 못한 것을 보기 콘텐츠에 대해 다른 규제가 적용될 수 있는 여지가 있 위해 동영상 콘텐츠에 접근 하고 소비 할 수 있는 방안 는 것이 국내의 현실이다.10) 이러한 동일 콘텐츠에 대 을 소비자들은 스스로 찾아내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해 다른 규제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은 과거 방송의 울타 때문에 10여년이 지난 지금도 시청자들이 방송 소비 리를 재정비하지 못한 이유도 속할 것이다. 즉 과거 방 매체 중 제일 우선이 되는 것이 TV가 되는 것이다. 송 서비스 제공 형태와 현재의 방송 서비스 제공 형태 TV가 우선시 되는 현 상황에서 다양한 스마트 미디어 는 소비자들의 서비스 소비 패턴 및 행태의 변화에 따 기기가 파생되어 발생하고, 다양한 형태로 동영상 콘텐 라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데 규제 및 제도적인 사항과 츠들이 보급되면서 이제는 손만 뻗으면 동영상 콘텐츠 개념들이 시의 적절하게 변화되어야 함을 이야기 하는 소비 주체들이 원하는 콘텐츠들을 쉽게 구할 수 있고, 것이다. 또한 국내의 방송 개념은 기존에 수직적 체제 소비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변화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하에서 서비스 제공사업자를 중심으로 구분되어 있어 급속히 실생활 속에 스며든 동영상 콘텐츠들과 이를 소 환경 변화에 따른 제반 규제적, 정책적 문제들을 포괄 비하는 과정에서 과연 소비자들은 이러한 콘텐츠들을 하기에는 한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11) 어떻게 인지하고 있을지에 대해서도 고민해 봐야 할 것 이다. 영국의 경우 동영상 콘텐츠들에 대해 인지하고 국내에는 아직 동영상 콘텐츠, VoD에 대한 명확한 있는 부분들도 확연히 차이가 발생한다. 방송으로 인지 규제 체계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 이미 동영상 콘텐츠 되는 동영상과 단순히 공유하기 위한 동영상 콘텐츠, 들은 우리들 실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 잡아 있고 이렇 그리고 다양한 표현의 방법으로의 동영상 콘텐츠 제작 게 자리 잡은 콘텐츠들을 소비할 수 있는 방법들은 무 들이다. 영국에서도 동영상 콘텐츠에 대해 규제를 하는 수히 많아지고 있다. 동영상 콘텐츠의 소비 주체들이 사항에 대해서도 결국은 방송으로 인지되는 동영상 콘 판단하여 개별 소비자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소비한다 텐츠, VoD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방송 고 하더라도, 아직은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어 보호가

10) 미디어미래연구소, 2009. 09, 국내외 VOD 서비스 산업 현황과 규제법제에 관한 연구 11) 미디어미래연구소, 2009. 09, 국내외 VOD 서비스 산업 현황과 규제법제에 관한 연구P96

30 Journal of Communications & Radio Spectrum 동영상 콘텐츠 소비창구 확대와 규제 필요성

필요한 대상들도 존재하고 있다. 그럼에 따라 동영상 수용하기만 하였다. 하지만 환경변화에 따라 수용자 콘텐츠에 대한 적절한 규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 입장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인지되어지고, 소비되는 동 이며,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은 수용자 입장에 영상 콘텐츠들에 대하여 명확한 규정과 방송의 개념 서의 콘텐츠들을 바라보는 것이다. 과거 방송사업자 재정립을 통해 동영상 콘텐츠들에 대한 규제가 필요할 위주의 규제체계 하에서는 사업자들을 규제하고, 그 것이라 판단된다. 규제된 콘텐츠들을 소비자가 아무런 여과없이 단순히

[1] 조성동,강남준,「다매체 환경 정착에 따른 수용자들의 매체이용 특성변화와 이용매체 구성변화」, 한국언론학보,.2009.02 [2] 방송통신위원회, 2010년 방송매체 이용 현황 조사 [3] 미디어미래연구소, 국내외 VOD 서비스 산업 현황과 규제법제에 관한 연구, 2009.09 [4] 이상우, 황준호, 유럽연합의 시청각미디어서비스 지침의 함의와 국내 콘텐츠 규제의 적요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2008, [5] IDC, 현대증권 리서치 보고서, 2011 [6] ATVOD, Rules & Guidance - Statutory Rules and Non-Binding Guidance for Providers of On-Demand Programme Services (ODPSs) , 2010.09 [7] OFcom, The regulation of video on demand services , 2009.12 [8] OFcom, ATVOD, The regulation of video-on-demand: consumer views on what makes audiovisual services“TV-Like” - a qualitative research report , 2009.12 [9] OFcom, ATVOD, The regulation of video-on-demand: consumer views on what makes audiovisual services“TV-Like” - a qualitative research report , 2009.12 [10] Audiovisual Media Services Directive, DIRECTIVE 2010/13/EU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0 March 2010 [11]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mc=m_015_00001&id=201105310160

June Vol. 3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