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산 포도( vinifera L.) 생과실 개별 병해충 위험평가

2011. 7.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식물검역부 위험관리과 요약

추진경과

❍ ‘02. 6.호주측이 자국산 포도 ( L.) 생과실 수입허용 요청 및 병해충 목록 제시 병해충 237 종 ( 병 103, 해충 134) 의 목록 제공 ❍ ‘09.10.호주측이자국산포도 ( Vitis vinifera L.) 재배현황및 수확후 관리등 자료제시 ❍ ‘10. 8.호주산 포도 ( Vitis vinifera L.) 생과실 수입위험분석 착수 호주측 제공 해충목록 19 종에 대한 정확한 종명 추가 요구 ❍ ‘10. 10호주산 포도 ( Vitis vinifera L.) 생과실 예비평가 ❍ ‘11. 5. 11 호주측이 호주산 포도 병해충 관련 추가자료 제시 예비평가에 대한 관련 자료 회신

개별평가결과 ❍ 호주포도 생과실에 발생하는 병해충의 예비위험평가를 재검토한 결과 15종 ( 병 3 종 , 해충 12 종 ) 을 개별평가 대상으로 선정 ❍ 이중 과실파리류3, 종 잎말이 나방과 1, 종 병원체 1 종을 특별위험관리 병해충으로 평가(10나머지 종은 일반위험관리병해충으로 평가 ) ❍ 특별위험관리병해충에 대해서는 검토대상국가에 위험관리방안 제시를 요구 하여 적절한 관리방안 마련 예정 저온처리방법 등의 물리 화학적인 소독처리 및System approach 가 요구됨

이해당사자 및 전문가 의견 수렴 ❍ 우리부 홈페이지 게시 또는 자문위원,, 학회 연구기관 ( 농진청 , 각도 농업기술원), 과수협회 등 관련기관 의견수렴

금후추진계획 ❍ 이해 당사자 및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확정된 평가결과를 해당과에 통보 하고 상대국에 적절한 위험관리방안 제시 요구 ❍ 상대국이 제시한 관리방안의 적용 및 세부처리기준 검토

- 1 - 요 약 ————————————————————————————————————————————————————————————————————————————————————————————————————— 1

I. 추진 경과 —————————————————————————————————————————————————————————————————————————————————————— 1

II. 개별병해충 위험평가 —————————————————————————————————————————————————————————————————— 2

1. 호주산 포도 병해충 categorization —————————————————————————————————————— 2 2. 개별 병원체 위험평가 ————————————————————————————————————————————————————————————— 7 3. 개별 해충 위험평가 ————————————————————————————————————————————————————————————————— 8 4.개별병해충 위험평가 결과 종합 ——————————————————————————————————————————— 9

III .금후 추진 계획 —————————————————————————————————————————————————————————————————————————— 10

<첨 부 > 1. 개별병원체 위험평가서 2 개별해충 위험평가서 3. 호주산 포도 생과실 병해충 목록 4. 포도의 식물학적 특징 및 산업현황 5. 수입허용 요청 품목의 병해충 위험평가 방법 개요

- 1 - ⅠⅠ.. 추진추진 경과 경과

❍ ‘02. 6.호주측이 자국산 포도 ( Vitis vinifera L.) 생과실 수입허용 요청 및 병해충 목록 제시: 병해충 237 종 ( 병 103, 해충 134) 의 목록 제공 ❍ ‘09.10.호주측이자국산포도 ( Vitis vinifera L.) 재배현황및수확후관리등 자료제시 ❍ ‘10.8.호주산 포도 ( Vitis vinifera L.) 생과실 수입위험분석 착수 호주측 제공 해충목록 19 종에 대한 정확한 종명 추가 요구 ❍ ‘10.10호주산 포도 ( Vitis vinifera L.) 생과실 예비평가 ❍ ‘11. 5. 11 호주측이 호주산 포도 병해충 관련 추가자료 제시 예비평가에 대한 관련 자료 회신

II.II. 개별개별 병해충 병해충 위험평가 위험평가

1.호주 포도 병해충 Catagorization 호주산 포도 발생 병해충 조사 및 포괄적 목록작성

국내 국 내 미 분 포 종 구분 계 과실 과실 감염 추가자료 분포종 소계 미감염 (개별평가대상 ) 요청대상 병원체 110 52 58 35 23 해 충 153 48 105 68 18 19 계 263 100 163 103 41 19

※ 속명으로 처리된19 종에 대한 호주측의 추가자료 검토결과 분포하지 않거나 과실과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됨

병해충별Catagorization 결과 ❍ 병원체(3 종 ) 예비평가에서 개별 평가 대상으로 잠정 선정되었던23 종 중 국내 분포, 호주에 분포하지 않는 병원체 및 생산과실을 통해 유입 가 능성이 없는20 종을 제외한 3 종을 개별평가대상으로 선정

- 1 - ❍ 해충(12 종 ) 예비평가에서 개별 평가대상으로 잠정 선정되었던18 종 중 과실 에 발생하지 않거나 상업적으로 생산된 과실을 통해 유입가능성 이 없는8 종을 제외하고 예비평가단계에서 검토되지 않았던 과실 을 통해 유입의 가능성이 있는2 종을 추가하여 12 종을 개별평가 대상으로 선정

가. 병원체 개별평가 검토대상 제외 종(20 종 )

개별평가대상종 제외근거 [진균] Ascochyta ampelina 2002 년에 제공된 호주 포도에 발생하는 병원체 목록에 Penicillium canascens ⦁ Penicillium elongatum 동 병원균이 포도의 병원체로 등록되어 있었으나, 2011 Penicillium griseoroseum 년5 월 새롭게 제공된 자료에 의하면 더 이상 호주에 존 Penicillium janthenellum 재하지 않는 병원균으로 되어 있으므로 개별평가대상에 Penicillium rolfsii 서 제외코자 함(APPD, 2010) [바이러스] Tomato ringpot virus ⦁한국이나 일본, 중국 , 인도네시아 등에서 전통주를 만들 [진균] 때 발효과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균주로 우리나라에서는 Aspergillus wentii 메주에서 많이 발견되는 곰팡이이며, 이 균주를 조절하여 Rhizopus arrhizus 된장, 간장을 만듬 . 도처에 흔한 누룩곰팡이로 개별평가 대상에서 제외코자 함( 곽호영 등 , 2008) ⦁이 병원균은 곤충, 토양 , 공기 중에 있는 병원균으로 우 [진균] 리나라의 호박벌 등에 병은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분리되 Aspergillus flavus 었으므로 개별평가대상에서 제외코자 함( 국내 호박벌에 서 분리된 석고병균, Aspergillus flavus 의 형태학적 특성) ⦁동 병원체들은 호주 포도에서 검출기록은 있으나(APPD, 2011), 병원체의 특성상 직접적인 피해를 입히기 보다는 2차적으로 침입하는 경우가 많으며 포도에서 경제적인 피해를 준다는 기록은 없음 [진균] 또한 동 병원체들은 포도 관련 병해충 자료들에서도 이들이 Aspergillus aculeatus ⦁ 포도가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지역에서 문제가 된다는 어떠한 Penicillium purpurescens 보고도 없음(Person & Goheen, 1998, Nicholas et al., 2000) Penicillium variabile ⦁위의 사실들을 종합해 볼 때, 이 병원체들의 경우 호주 의 포도에서 발생하나 경제적 피해를 준다는 보고가 없 으며2 차적으로 침입하는 균들이므로 개별 평가대상에 서 제외코자 함

- 2 - 개별평가대상종 제외근거 ⦁이 병원균은 우리나라의 백합의 저장 중에 발생하는 것 으로 보고가 되었으므로 국내발생균으로 개별평가대상 [진균] 에서 제외코자 함( 백합 저장 중 구근부패에 관여하는 병 Penicillium brevicompactum 원균의 동정과 종구 소독효과, 식물병 연구 2006, Vol.12, No.1, pp. 2024) ⦁이 병원균은 우리나라 벼과작물 종자에서 분리된 보고가 [진균] 있으므로 국내발생균으로 개별평가대상에서 제외코자 Penicillium chrysogenum 함( 형태적 특성에 의한 벼과작물 종자전염 Penicillium spp.의 동정 , 한국균학회지 2005, 33(2): 8185) ⦁동 병원체는 호주 측에서 제공한 자료(2002) 에 따라 예비 평가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나2011 년 호주에서 추가로 보 [진균] 내온 자료에 의하면 단지 서호주에서1976 년 보고밖에 Phoma vitis 없고 그 외 어떠한 연구된 바가 없으며1976 년 자료도 이 병원체가 포도의 과실에 병을 일으킨다는 보고는 없 으므로 개별평가 대상에서 제외코자 함 ⦁이 병원균은 Compendium of grape disease (Pearson & Goheen, 1988) 에 포도병원체로 기록이 되어 있었으나 compendium의 review 에서는 더 이상 포도의 병원체로 언급하지 않았고 호주의 Mucor 속 균은6 종류가 알려져 [진균] 있는데 그중 포도에 가는 균은 없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 Mucor circinelloides 다. Mucor 속의 균은 대부분 전세계적으로 분포하고 Mucor circinelloides 는 망고와 복숭아, 노니에서 검출된 기록은 있으나 포도에 대해서는 확인된 기록이 없으므로 따라서 개별 평가에서 제외코자 함 ⦁관리병으로 과실의rot 를 일으키는 병원체이다 . BA 의 자 료에 의하면 식용 포도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병으로 되 어 있으며 이 병원체가 호주 남동부 지역에서 발생한 것 으로 보고되었지만 호주에서는 포도속에서도 검출된 기 록이 없음(APPD, 2010) [진균] 비록 어린 포도 묘목에서 쇠락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Phoma glomerata ⦁ 기록되어 있으며 인도의 포도에서 검출된 기록이 있으나 (Farr & Rossman, 2010),주로 2 차적인 감염에 의한 것 으로 흰가루병의mycoparasite 로 사용되고 호주에서 포 도의 생산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개별평가대상에서 제외코자 함

- 3 - 개별평가대상종 제외근거 ⦁ArMV는 관리병으로 기주범위가 매우 넓으며, 특히 포도 를 비롯하여 딸기, 홉 , 상추 , 샐러리 등 경제적으로 중요 한 작물에 피해를 줌 ,,종자 묘목 선충을 통해 전염하며 , 많은 종류의 작물에 서 종자전염을 함 다만 , 포도에서 종자전염을 한다는 보고는 없음(CABI 2010, EPPO Seed pathology 2nd edition) ⦁TRSV는 관리병으로 주요기주로는 블루베리, Bell pepper,수박 , 멜론 , 오이 , 콩 , 토마토 , 포도 등을 가해하 며, 포도의 경우 과실이 작아지고 묘목이 시드는 증상 을 나타냄 이 바이러스의 전파는 종자 , 접목 또는 기계적 접종 , 또는 매개충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음(CABI, 2010) 감자 , Amaranthus hybridus ,제라늄 , 양상추에서는 종자 전염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콩 (soyabean) 의 경우 온실 조건에서3 세대에 걸쳐 100% 전염함 (Demski & Harris, 1974).한편 , 포도에서는 종자전염 보고가 없음 (CABI, 2010, EPPO Seed pathology 2nd edition). 매개충으로는 미국창선충 ( Xiphinema americanum ) 등이 주로 알려지며, 유럽에는 분포하지 않고 , 북미지역에 [바이러스] 널리 분포하며(CABI, 2010), 우리나라에도 분포함 ( 한국 Arabis mosaic virus 식물병리학회, 2009) Tobacco ringspot virus ⦁BA(2011년 ) 자료에 의하면 ArMV는 유럽과 뉴질랜드에서 포도에 기록이 있으나, 호주에서는 태즈메이니아의 구근 및 빅토리아 주의 홉 에서 발견되었을 뿐 포도에서는 검출기록이 없음 —최근 10 년 동안 포도에 대한 검사결과 및 1998∼ 2000 년에 호주 전역에서2,500 개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 과에서도 검출되지 않음(Habili & Symons, 2000) TRSV 는 호주에서는 퀸즐랜드와 남호주 주에서만 보고 가 있으며, 기주식물도 글라디올러스와 담배만이 보고 됨(Randles & Francki, 1965; Brunt et al., 1996) —1990년 후반에 호주 포도 샘플을 대상으로PCR 검사 결과 검출되지 않음 ⦁한편, 포도는 종자로 번식을 할 경우 유전적 분리현상으 로 원종과 동일한 개체를 형성할 수 없음(Zohary, 1996) ,또한 포도종자의 휴면 타파조건이 052℃∼ ℃ 에서 개월 이상이 소요되며, 휴면타파를 거치지 않은 종자는 발아 율이 매우 낮음(Ellis et al., 1985; Doijode, 2011) ⦁위의 사실들을 종합해 볼 때, 이 바이러스가 포도에서 종자전염한다는 기록이 없고, 호주의 포도에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과실을 통한 감염의 위험성도 거의 없으므 로 개별 평가대상에서 제외코자 함

- 4 - 나. 해충 개별평가 검토대상 제외종 (8) 종

개별평가대상종 제외근거 [깍지벌레과 ] ⦁옆4 종은 호주에 분포하지만 , 포도생산과 관련성이 없다 Aspidiotus nerii (Ivy scale) 고 함(BA, 2011) Diaspidiotus ancylus ⦁Aspidiotus nerii 는 포도의minor 기주로 목록되어 있으나 (Putnam scale) (CABI, 2010; BenDov et al., 2010), 호주에서 포도와 관 Hemiberlesia rapax 련된 기록이 없다고 함(BA, 2011). (Greedy scale) 한편 우리나라에도 분포한다는 호주 측의 주장과 관련, Parlatoria oleae Nakahara(1982) 가 미국에서 한국으로부터 수입된 물품 (Olive parlatoria scale) 에서 검출된 표본을 바탕으로 발표하였으며, 국내에서 는 흰유리깍지벌레로 알려지지만 표본을 확인할 수 없 고(Paik, 2000), 2005∼ 2008 년 동안 조사에서 온실이나 야외에서 채집되지 않았음(Suh et al., 2009) ⦁Diaspidiotus ancylus 는2002 년 호주 측에서 포도해충목록 으로 제공되었지만 블루베리와 관련된 종이며, 포도의 해충이란 증거 문헌이 없음(BA, 2011) ⦁Hemiberlesia rapax 는 열대지역이 원산지로 다양한 식물체 의 심각한 해충이지만, 포도가 기주로 알려져 있지 않음 (PIS, 2011; CABI, 2010).단지 , 1908 년 호주 Queensland 에서 포도와 관련된 유일한 기록이 있음(Brimblecombe, 1968) ⦁Parlatoria oleae 는 포도가 기주로 알려져 있으나(PIS, 2011; BenDov et al., 2010),올리브 , 일부 핵과류 , 사과 , 배, 많은 정원수의 해충이고 (Miller and Davidson, 2005), 장미과, 콩과 , 물푸레나무과 식물을 선호함 (Watson, 2006). 한편 호주에서는 포도로부터 채집된 기록이 없음 (BA, 2011)

⦁위4 종의 깍지벌레류가 포도를 기주로 할 수 있을지라도 선호하는 기주가 아니며, 호주에서 포도생산과 관련성이 거의 없으며, 또한 과일 , 괴경 , 절화와 같은 비재식용 식 물체를 통해 새로운 지역으로의 침입가능성이 없으므로 (Beardsley and Gonzalez, 1975) 개별위험평가 대상종에 서 제외코자 함

- 5 - 개별평가대상종 제외근거 [가루깍지벌레과 ] ⦁옆4 종은 호주에 분포하지만 , 포도생산과 관련성이 없다 Ferrisia virgata 고 함(BA, 2011) (Striped mealybug) ⦁Ferrisia virgata 는 아르헨티나에서 포도가 기주로 알려졌 Maconellococcus hirsutus 으며(BenDov et al., 2010), 호주에서는 Queensland 와 (Pink mealybug) Northern Territory에만 분포하고 , 상업적 작물로 토마토 Nipaecoccus viridis 만이 기록됨(Williams, 1985) (Spherical mealybug) ⦁Maconellococcus hirsutus 는 사우디아라비아, 카리브해 , 이 Planococcus minor 집트에서 포도가 기주로 알려졌으며(BenDov et al., (Pacific mealybug) 2010),호주에서는 무궁화속 ( Hibiscus )의 정원수와 주로 관련되며, 재배되는 과수류로는 Queensland 의 감귤에서 만 때때로 기록됨(BA, 2011) ⦁Nipaecoccus viridis 는 포도와 관련된 많은 기록들이 있으 나(CABI, 2010; BenDov et al., 2010), 호주에서는 Queensland와 Northern Territory 에만 분포하고 , 상업적 으로 생산하는 포도에서 발견된 증거가 없으며(Nicholas et al., 2000), 포도와 관련된 유일한 기록으로는 Northern Territory의 Darwin 지방에서 상업적으로 생산 하지 않는 관상용 품종에서 기록됨(Williams, 1985) ⦁Planococcus minor 는 인도에서 포도의 해충으로 알려졌으 며(Batra et al., 1987), 호주 동부지역에 존재하지만 포도 가 기주로 알려진 기록이 없음(Williams, 1985)

⦁위4 종이 포도를 기주로 할 수 있을지라도 선호하는 기 주가 아니며, 호주에서 포도생산과 관련성이 거의 없으 며, 가루깍지벌레과의 Pseudococcus 속에 속하는 종들의 관리를 통해서도 유입위험성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으므 로 개별위험평가 대상종에서 제외코자 함

○ 따라서, 국내에 분포하지 않으며 과실을 감염하는 병해충15 종 (병원체 3 종 , 해충 12 종 ) 을 개별병해충 평가대상으로 선정

- 6 - 2. 개별 병원체 위험평가

대상 병원체

계 금지병원체 관리병원체 미지정 병원체 3종 02 종 1 종

❍ 관리병원체1( 종 진균 1) 종 Greeneria uvicola, Phaeomoniella chlamydospora

❍ 검역병원체 미지정 종진균( 1 종 ) - Capnodium elongatum

병원체3 종을 호주산 생과실의 우려병해충으로 평가

❍ 이중 과실을 통해 유입위험성이 높은 진균 Greeneria uvicola 를 특별 위험관리 병해충으로 평가

※ 관행적인 상업적 재배— 수확 — 선과 및 육안수출검사 이외의 추가적인 관리 방안이 필요함

❍ 또 다른 진균 Phaeomoniella chlamydospora, Capnodium elongatum 은 관행적인 상업적 재배․․ 수확 선과 및 육안 수출입검사로 충분 히 발견․ 제거될 수 있는 일반 관리 병해충으로 평가 특별위험관리병해충1 종에 대해서는 호주 측으로부터 적절한 위 험관리방안을 제시 받은 후 해당 관리방안의 적용 가능성 및 세 부 처리 기준에 대해 정밀 검토 예정

❍ 해당병원체에 대한 발생여부 조사 및 포장내 발생시 방제법 등 이 요구됨

- 7 - 3. 개별 해충 위험평가

대상 해충

계 금지해충 관리해충 미지정 해충 12종 38 종 1 종

❍ 금지해충(3 종 ) - 과실파리과: Ceratitis capitata, Bactrocera tryoni, Bactrocera neohumeralis

❍ 관리해충(8 종 ) 총채벌레과 : Haplothrips victoriensis, Selemothrips rubrocintus, Thrips imaginis - 가루깍지벌레과: Pseudococcus affinis, Pseudococcus calceolariae, Pseudococcus longispinus - 애응애과: Brevipalpus phoenicis - 잎말이나방과: Epiphyas postvittana

❍ 검역해충 미지정 종(1 종 ) - 꼬마거미과: Latrodectus hasselti

해충12 종을 호주산 생과실의 우려병해충으로 평가

❍ 이중 과실 내부를 가해하여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4 종의 해충을 특별 위험관리 병해충으로 평가

- 과실파리과(3 종 ): Ceratitis capitata, Bactrocera tryoni, Bactrocera neohumeralis -잎말이나방과 (1): 종 Epiphyas postvittana ※ 관행적인 상업적 재배— 수확 — 선과 및 육안수출검사 이외의 추가적인 관리 방안이 필요함

❍ 나머지8 종의 해충은 포도 생과실을 통한 유입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관행적인 상업적 재배 — 수확 — 선과 및 육안 수출검사로 충분히

- 8 - 발견— 제거 될 수있는 일반 위험관리 병해충으로 평가 - Haplothrips victoriensis, Selemothrips rubrocintus, Thrips imaginis, Pseudococcus affinis, Pseudococcus calceolariae, Pseudococcus longispinus, Brevipalpus phoenicis, Latrodectus hasselti

특별위험관리병해충4 종에 대해서는 호주측으로부터 적절한 위험관리방안을 제시 받은 후 해당 관리방안의 적용 가능성 및 세부 처리 기준에 대해 정밀 검토 예정

❍ 과실파리과3 종에 대해서는 저온처리방법 또는 이와 동등한 효 과를 가지는 기타 물리 화학적인 소독처리가 요구됨

❍ 잎말이나방과1 종의 경우 system approaches 또는 이와 동등한 효과를 가진 관리방안이 요구됨

4. 개별 병해충 위험평가 결과 종합

국내에 분포하지 않으며 과실이 유입경로가 되는 병해충 15 종병( 3, 해충 12) 을 호주산 포도 생과실 우려병해충으로 지 정관리하여야․ 하는 것으로 평가 ❍ 일반위험관리대상종:10 종 ( 병 2, 해충 8) ❍ 특별위험관리대상종:5( 종 병 1, 해충 4)

호주산 포도 우려병해충 구분 소계 일반위험관리 특별위험관리 병원체 3 2 1 해 충 12 8 4 계 15 10 5

- 9 - III.III. 금후금후 추진계획 추진계획

위험평가 결과( 안 ) 에 대한 전문가 및 이해당사자 의견 수렴

❍ 우리 본부 홈페이지 게재(20 일 ) ❍ 관련 전문가, 기관 및 단체 검토 의뢰 연구기관 (, 농진청 각 도농업기술원 ),( 학회 식물병리 , 응용곤충학회 ), 자문위원, 과수협회 개별 위험평가 결과( 안 ) 국제검역협력과에 통보 의견수렴결과를 반영, 위험평가결과 확정 후 상대국 통보 ❍ 특별위험관리병해충에 대한 적절한 위험관리방안 제시 요구

[평가 및 검토자 ]

평가자:(,, 홍기정 농학박사 곤충학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위험관리과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6 동 4331 ( 우 : 430016) Email: [email protected] 예미지(,, 농학석사 식물병리학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위험관리과 ) Email: [email protected]

검토자: 이기병 (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위험관리과) 이종호(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위험관리과) 김희열( 과장 ,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위험관리과)

- 10 - <붙임 1 .> 개별 병원체 위험평가서

1. 검역병으로 지정된 종(진균 2 종 ) 의 과실을 통한 유입 위험평가

□ Greeneria uvicola -이 명 : Myrothecium convexum Berk.&M.A. 1875 Greeneria fuliginea Scribner &Viala 1887 Frankiella viticola speschnew 1900 - 일반명: Bitter rot, Ripe rot of grape, Necrotic fleck of grapevine , Bunch rot

❍ 이 병원체는 진균으로 자낭균에 속하며 우리나라 검역병원체( 관리 ) 로 지정되어 있음

❍ 포도 줄기, 잎 , 과실등 모든 부위에 병을 일으키며 대부분의 경우 포도에 서는 줄기가 박피가 일어나면서 나무가 고사하게 됨, 과실의 경우 색 깔의 변색은Pedicel 또는 과실이 달리는 끝부분에서 시작되며 차츰 갈색의 반점 과 검은색 포자덩어리가 생성, 감염 과실은 물러지고 쓴 맛을 생성함, 이병에 걸린 포도는 식용이나 가공용으로 이용성이 떨 어짐. 꽃가루를 통하여 과실에 침입하고 연한색의 포도송이가 갈변되 며 포도가 미성숙시에는 표면이 거칠어 지고 분생자층이 발달되면 불

꽃 모양이됨, 감염된 포도는 매우 쓴맛이 나므로 상품성이 없음 (Ridings and Clayon 1970, Pearson and Goheen 1988) -대만의 경우에는 이병은 12 년에 번의 생활환을 완성할 수 있는데 5 월에서8 월까지와 11 월에서 1 월까지임 . (Kao et al 1990), 많은 포도의 품종이 이병원체에 대해 감수성임

❍ 포도의 생육 기간 중에서도 발생을 하며 수확 후 저장병으로도 매우

- 11 - 중요하며, 분생포자가 포도과실의 표면에 존재하므로 감염된 과실 에서 다른 과실로 전염이 이루어지므로 따라서, 육안상의 병징이 없는 상태의 포도도 병원체의 전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음 (Ullasa and Rawal 1986) -병원체의 생육온도는 8℃ -36 ℃ 이며 생육적온은 28 ℃ 이며 분생포자의 발아는12℃ 이상에서 이루어지고 38 ℃ 까지 발아가 가능 . 주로 포자가 공기에 의해 전염되며 감염된 가지를 통해서도 전염 줄기와 포도과실에서 월동을 함

❍ 분포지역은 미국,, 호주 브라질 , 그리스 ,, 인도 일본 ❍ BA(2011) 에 의하면 이병의 분포지역은 북동 사우스 웨일즈의 와인 용 포도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고table grape 에 서는 퀸스랜드주의Mundubbera 에서 보고됨 . ❍ 따라서, 과실을 통해 전염 하고 병징이 없는 상태로 수송 중에 발생 할 수 있는 저장병으로 호주산 포도 생과실의 우려병해충으로 지정

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일반적인 상업적 재배수확․․선과 및 육안 수출검사로 적절히 제거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그 이외에 추 가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특별 위험관리 병해충 )

□ Phaeomoniella chlamydospora

-일반명 : Esca complex disease, Petri decline, Young grapevine decline ❍ Petri disease complex및 Esca disease 를 일으키는 병원체임 . 두 종 류의 병은 모두complex disease 로 한 종류 이상의 곰팡이들이 병을 일으키는데 관여를 하는데, 동 병원균은 그 중 대표적인 곰팡이임 - 특히, Petri disease 의 경우 식물체의 dieback 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세 계적으로 포도에서 가장 문제가 많이 되는 병이며, Esca disease 는 포도 에서 현재 가장 위험한 병의 일종으로 유럽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 12 - 있으며, 호주에서는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음 (Graniti, 1999) ❍ Petri disease가 줄기에만 병을 일으키는 것과는 달리Esca disease 의 경우 과실의 표면에 흑갈색의spot 형성되거나 줄무늬가 형성되다가 후기에 과실의 표면에 균열이 생김(Graniti, 1999, CABI 2010) - 호주에서는 현재까지Esca disease 에 의한 병이 유럽만큼의 경제적 피 해를 일으키지는 않으나, 호주의 일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음 -호주포도에 대한 자체 sampling 검사결과 Petri disease 가 82% Esca disease가 18% 검출 (Cooperative Research Centre for Viticulture 2006, Final report) ❍ 동 병원체는 기주가 포도(Vitis vinifera )에 국한 되어 있으며 BA(2011) 자료에 의하면 동 병원균이 과실을 통해 전염되지 않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CABI(2010)자료에서는 병원체가 과실 , 꽃 , 잎 등을 통해 전파되는 것으로 기 록되어져 있으며 공기전염으로 확산되며 또한 접종시험을 통해 과실에 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됨 (W.D. Gubler 2004) 따라서 포도송이의 과실을 통해 유입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호주산 포 도 생과실의 우려병해충으로 지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음

❍ 다만 동병원체의 경우 과실에 검은색 반점 및 포도과실이 터지는 증상을 나타내므로 상업적 선과 및 수출입 검사 과정을 통해 적절히 제거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위험관리방안은 필요하지 않음(일반 위험관리 병해충)

2.검역병원체로 미 지정된 1 종의 위험평가

□ Capnodium elongatum

<병원체 특성 >

❍ 일반명: Sooty mold, 그을음병

- 13 - ❍ 기주:, 포도 튜립나무 , 서양협죽도 , 호랑가시나무 등 ❍ 증상 감로를 분비하는 해충 (hoppers, scales, mealy bugs 등 ) 이 가해한 후 발생을함 병원균 자체로는 병을 일으키지는 않으나 식물체 표면을 검게 덮어 잎의 광합성 저해나 과실의 품질에 영향을 줌 <유입 가능성 >

❍ BA(2011)에서는 동병원체가 호주의 열대 지역인Herbert river 에서 기 록된 점으로 보아 이 지역에서는 상업적 포도재배지역이 아니므로 병 원체가 관상용 포도에서 검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

❍ 그을음병은 과실, 잎 , 줄기 모든 부위에 발생하므로 유입의 가능성 있으 나 선과과정에서 쉽게 발견됨( 낮음 ) <정착 가능성 >

❍ 이 병원균의 기주가 되는 식물은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에도 Capnodium citri, Capnodium salicinum, Capnodium sp 가 분포하고 있으므로 국내에서 생존가능성 있음( 한국식물병리학회 , 2009)

❍ 감염된 과실이 국내에 들어왔을 경우 과실로부터 기주로 전파될 가능성 이 있으나 그을음 병균 자체가 식물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는 않음

❍ 따라서 이 병원체가 국내 유입되었을 경우 국내 정착가능성이 있는 것 으로 판단됨 <확산 가능성 >

❍ 만일 유입되어 정착이 된 경우 이 병원체의 확산은 바람, 비등으로 전반 ❍ 이 균의 기주가 되는 식물이 국내에서 자생 ❍ 따라서 국내 정착시 국내 분포하는 기주식물을 통하여 확산가능성이 있음 <경제적 중요성 >

❍ 그을음병은 직접적으로 식물에 피해를 주지 않으며 육안상의 문제를 유발하여 과실의 품질을 떨어뜨린다.

- 14 - ❍ 곤충의 감로로 인해 생기는 병으로 경제적 중요성은 매우 낮다. <종합의견 >

❍ 이 병원체의 유입, 정착 및 확산 가능성 그리고 경제적 중요성이 매우 낮으며 유사한 병원균이 우리나라 분포하고 있으며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며 표면에 서식하고 있으므로 선과과정 중 충분히 관리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휘험관리방안은 필요치 않음(일반 위험 관리병해충 )

[참고문헌 ]

○ AQIS. 1999. Draft Import Risk Analysis for the Importation of Fresh Table Grapes ( Vitis vinifera L.) from California (USA). ○ AQIS. 2010. Draft Import Risk Analysis report for Table Grapes (Vitis vinifera L.) from Peoples's Republic of ○ Behncken GM, 1968. Stipple streak disease of French bean caused by a tobacco necrosis virus in Queensland. Australian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19(5):731738. ○ CABICPC. 2007. Crop Protection Compendium Database, CAB Int'l. Wallington, UK. Available online at: http://www.cabi.org/cpc/ (accessed September, 2010). ○ CABI/EPPO, 2003. Strawberry latent ringsport virus. Distribution Maps of Plant Diseases, No. 891. Wallingford, UK: CAB International. ○ Christopher C.S., Lindsay A.G and Sandra S ,2007 Studies on Colletotrichum acutatum and Greeneria uvicola: Two fungi associated with bunch rot of grapesin subtropical Australia, Australian Journal of Grape and Wine Research 13, 2329 ○ CMI, 1984. Distribution Maps of Plant Diseases, No. 144. Wallingford, UK: CAB International. ○ Credi R, Babini AR, Betti L, Bertaccini A, Gelli C, 1981. A

- 15 - distinctive isolate of strawberry latent ringspot virus from grapevines in Italy. Phytopathologia Mediterranea, 20(1):5663 ○ Dias HF, 1977. Incidence and geographic distribution of tomato ringspot virus in DeChaunac vineyards in the Niagara Peninsula. Plant Disease Reporter, 61(1):2428

○ Doijode SD (2001) Grape: Vitis vinifera L. In Seed storage in fruit crops pp. 55-59. Haworth, New York. ○ EPPO, 2006. PQR database (version 4.5). Paris, France: European and Mediterranean Plant Protection Organization. www.eppo.org. ○ Finlay JR, Teakle DS, 1969. The effect of pH on the particle stability of a phosphotungstatestained tobacco necrosis virus. Journal of General Virology, 5:9396. ○ Fisher, D. 2006. Garden weevil in vineyards. Farmnote, 60/2003.

○ Granata G; Refatti E 1981. Decline and death of young grapevines by infection of Phoma glomerata on rootstock. Vitis 20: 341-34 4 ○ Graniti A, Surico G, Mugnai L, 2000. Esca of grapevine: a disease complex or a complex of diseases?. Phytopathologia Mediterranea, 39(1):1620. ○ Hollings M, Stone OM, 1970. Carnation ringspot virus. In: CMI/AAB Descriptions of Plant Viruses. No. 21. Wellesbourne, UK: Association of Applied Biologists. ○ L. mugnai, A.graniti and G. Surico 1999. Esca (black measles)and brown woodstreaking: Two old and elusive diseases of grapevines. Plant disease 404418 ○ Loch, A. 2007. Grapevine pests and their management. Primefacts 511. ○ Malipatil, M.B. and G. Cassis. 1997. Taxonomic Review of Creontiades Distant in Australia (Hemiptera: Miridae: Mirinae). Australian

- 16 - Journal of Entomology, 36(1): 113. ○ Cooperative Research Centre for viticulture. Managing grapevine trunk disease(Petri, Esca, and others) that threaten the sustainability of Australian viticulture 2006 ○ M. J. Richardson 1990 An annotated list of seedborne disease 4th edition. ○ Mugnai L, Graniti A, Surico G, 1999. Esca (black measles) and brown woodstreaking: two old and elusive diseases of grapevines. Plant Disease, 83(5):404418. ○ Murant AF, Jones AT, Martelli GP, StaceSmith R, 1996. Nepoviruses: general properties, diseases, and virus identification. In: Harrison BD, Murant AF, eds. The Plant Viruses. Polyhedral Virions and Bipartite Genomes. New York, USA: Plenum Press, 99137. ○ Randles JW, Francki RIB, 1965. Some properties of a tobacco ringspot virus isolated from gladiolus in Australia. Australi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18:979986. ○ Reynolds B, Teakle DS, 1976. Viruses infecting commercial gladiolus cultivars in Queensland. APPS Newsletter, 5(2):2223Reynolds B, Teakle DS, 1976. Viruses infecting commercial gladiolus cultivars in Queensland. APPS Newsletter, 5(2):2223 ○ State of Victoria,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January. 2007. Organic viticulture: An Australian manual. ○ Sutton J, 1974. Carnation viruses in Australia. Australian Plant Patholology Society Newsletter, 3:21. ○ Ullasa, B A; Rawal, R D (1986) Studies on American rot of grapes due to Greeneria uvicola from Bangalore, . Indian Journal of Plant Pathology (4)2: 154-161

- 17 - ○ V.K. Agarwal, James B. Sinclair 1996 Principles of seed Pathology second edition.

○ W.D. Gubler, T.S. Thind, A.J. Feliciano, A. Eskalen (2004) Phaeoacremonium aleophilum and Phaeomoniella chlamydospora on Grape Berries in California Phytopathologia Mediterranea 43:70-74 ○ Zohary D (1996) The domestication of the grapevine Vitis vinifera L. in the Near East. In The origins and ancient history of wine (eds. McGovern PE, Fleming SJ, Katz SH) pp. 2330. Gordon and Breach Publishers, London. ○ 국립식물검역소 조사연구과. 2003. 오스트레일리아 포도병원체 Data Sheet. 258pp. ○ 국립식물검역원 위험평가과. 2005. 페루산 포도생과실 예비위험평가자료. ○ 호주산 포도생과실 위험도평가를 위한 호주측 제공자료(2002). ○ 호주산 포도생과실 위험도평가를 위한 호주측 제공자료(2011).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9. 한국식물병명목록

- 18 - <붙임 2 .> 개별 해충 위험평가서

1.검역해충으로 지정된 18 종의 과실을 통한 유입가능성 평가

총채벌레류3 종 : — Tubular black thrips, Haplothrips victoriensis Bagnall — Red banded thrips, Selemothrips rubrocintus (Giard) — Plague thrips, Thrips imaginis Bagnall

❍ 위3 종은 호주에 분포하며 , 포도생산지에 존재할 수 있음 (BA, 2011; CABI, 2010) 호주 측에서 이 총채벌레들은 포도의minor 해충으로 간주하고 있 으며, 예찰과 적절한 살충제 살포로 쉽게 효과적으로 방제된다고 함 (BA, 2011) 그러나 총채벌레류는 일반적으로 기주식물의 과실 및 과경을 포함하 여 식물체 전체를 가해하므로(CABI, 2010) 과실에 부착되어 유입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음

❍ 따라서, 포도송이의 과실표면이나 가지에 붙은 성충 및 미성숙 충태 로 유입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호주산 포도 생과실의 우려병해충으 로 지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음 다만 , 과실의 외부에 부착 가해하는 종으로 호주 측에서 꽃눈시기부 터 수확 시까지2 주 간격으로 예찰을 통해 발견될 경우 생물적 방 제나 화학적 방제가 적용될 것이며(BA, 2011), 상업적 선과 및 수출 입 검사 과정을 통해 적절히 제거될 수 있으므로, 관행적인 상업적

재배․․ 수확 선별(thinning)— 손질 (trimming) 및 육안 수출검사 이외에 별도의 위험관리방안은 필요하지 않음(일반 위험관리 병해충) 우리나라는 칠레 및 미국산 포도 생과실을 수입허용하고 있으나, 이 종들에 대한 별도의 위험관리방안은 적용하고 있지 않음

- 19 - Pseudococcus 속 가루깍지벌레류3 종 : — Obscure mealybug, Pseudococcus affinis (Maskel) — Citrophilus mealybug, Pseudococcus calceolariae (Maskel) — Longtailed mealybug, Pseudococcus longispinus (Targioni Tozzetti)

❍ 위3 종은 호주의 포도 재배포장에 흔히 발견되며(BA, 2011), P. longispinus 가 가장 중요한 해충으로 간주됨(Buchanan and Amos, 1992) 가루깍지벌레류는 일반적으로 식물체의 즙액을 빨아 먹고, 감로를 분비하여 그을음병을 유발하는 피해를 일으킴 P. affinis 는 칠레산 포도에서13 회 , P. calceolariae 는 칠레산 포도에서 1회, P. longispinus 는 칠레 및 미국산 포도에서 각각1 회 검출됨 (PIS, 2011) P. affinis 는0℃ 저장에서 42 일 이상 생존함 (Hoy and Whiting, 1997) 성충이나 약충은 포도의 버려지는 것들에 존재할 수 있으며, 약충 (1 령) 은 이것들로부터 적합한 기주로 움직이는 능력이 몇m 정도로 제한되며, 약충의 짧은 거리 분산은 기류나 생물적 또는 기계적 매 개체에 혼입되어 이동이 일어나지만(Williams, 1996), 먼 거리 분산 은 식물체와 함께 이동이 요구됨 가루깍지벌레류는 일반적으로 다식성이기 때문에 감수성 기주를 발 견할 기회가 증가함 가루깍지벌레류는 일반적으로 높은 산란능력을 지녀 P. affinis 와 P. calceolariae 는 대략500 개의 알을 낳고 수일 내로 부화하며, P. longispinus 는200∼ 300 개의 새끼를 낳음 (PIS, 2011)

❍ 따라서 포도송이의 과실표면이나 가지에 붙은 성충 및 미성숙 충태 로 유입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호주산 포도 생과실의 우려병해충으 로 지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음

- 20 - 다만 , 과실 외부에 부착 가해하는 종으로 호주 측에서 포도원의 예 찰과 방제를 포함한systems based approach 를 통해 관리하고 , 꽃 눈시기부터 수확 시까지2 주 간격으로 예찰을 통해 발견될 경우 생 물적 방제나 화학적 방제가 적용될 것이며(BA, 2011), 상업적 선과 및 수출입 검사 과정을 통해 적절히 제거될 수 있으므로, 관행적인

상업적 재배․․ 수확 선별(thinning)— 손질 (trimming) 및 육안 수출검사 이외에 별도의 위험관리방안은 필요하지 않음(일반 위험관리 병해 충) 우리나라는 칠레 및 미국산 포도 생과실을 수입허용하고 있으나, 이 종에 대한 별도의 위험관리방안은 적용하고 있지 않음

Mediterranean fruit fly (Medfly), Ceratitis capitata (Wiedemann)

❍ Medfly ( Ceratitis capitata )는 호주의 경우 New South Wales 에서는 1898년 처음 기록되었으나 1948 년에 사라졌고 , Queensland 에서는 1909년 처음 기록되어 가장 남쪽에 발생하였으나1930 년대 사라졌 으며, Victoria 에서는 1909 년 처음 기록되었으나 1940 년대 사라졌음 . 그러나South Australia 에서는 간혹 돌발하며 (outbreak), Western Australia에는 이미 정착되어 있음 (CABI, 2010; BA, 2005) 성숙한 암컷이 낳은 알이 기주 과일의 껍질 밑에 있고, 유충은 과실 내부 섭식자로 육안 검사로 쉽게 발견할 수 없음 Medfly는 저온저장온도에 대한 내성을 지니기 때문에(Thomas et

al., 2001) 호주에서 포도의 수확 후 관리로0℃ 저온저장 및 SO 2를 처리한 후3.0±0.5 ℃ 이하로 해상선적할 경우 수송 중 충분히 생존 가능할 것임

❍ Medfly ( Ceratitis capitata )는 다식성으로 감귤 ,,,,, 복숭아 배 사과 살구 무화과,,,,,,, 자두 키위 모과 포도 양벚 석류 딸기 등과 같은 많은 식 물의 과실을 섭식하며, 어떠한 과일이 유용하느냐에 따라 지역적으로

- 21 - 기주와의 관계는 다양함(White & ElsonHarris, 1994) 많은 기주들이 한반도 전역에 널리 분포함 Medfly 는 실제적으로 영하의 겨울철 온도에서는 살 수 없을 것이며 (CABI/EPPO, 1997),암컷은 온도가 16 ℃ 이하로 내려가면 산란하지 않고, 알 , 유충 , 번데기의 발육은 10℃ 에서 멈춤 (Thomas et al., 2001). 그러나 생태기후적 평가 (ecoclimatic assessment) 에서 뉴질랜드가 정 착이 가능한 지역으로 평가된 것(Worner, 1988) 으로 보아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정착 가능할 것임

❍ Medfly ( Ceratitis capitata )성충은 적어도 20km 를 비행할 수 있음 (Fletcher, 1989) 감염되지 않은 지역으로 이동 및 분산의 주요수단은 감염된 과일의 수송과 성충의 비행임(CABI/EPPO, 1997) 최적온도인 32℃ 에서 2 주내에 세대를 완성할 수 있고 , 열대 및 아열 대지역에서는1 년에 12∼ 13 세대정도 발생하며 , 이탈리아 남부에서는 1년에 6∼ 7 세대 발생함 (HYPP, 2004) 암컷은 과일 속 2∼ 5mm 깊이에 3 ∼ 7 개의 알무더기로 최적조건에서 생애동안500∼ 600 개의 알을 낳을 수 있음 (HYPP, 2004)

❍ 따라서, Medfly 는 포도 생과실을 통한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음으로 호주산 포도 생과실의 우려병해충으로 지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

으며, 유입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출시 관행적인 상업적 재배․ 수확․ 선별(thinning)— 손질 (trimming) 및 육안검사 이외에 별도의 추가 적인 위험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특별위험관리병 해충) 칠레산 포도에 대하여 저온처리 (0,12℃ 일 이상 ) 를 위험관리방안으로 적용하고 있고, 미국에서 포도에 대한 저온처리 기준(T107a1; USDA/APHIS/PPQ)으로 1.11℃ 또는 그 이하에서 15 일 이상 또는

- 22 - 1.67℃ 또는 그 이하에서 17 일 이상을 적용하고 있어 호주 측에서 제시한1℃ 에서 16 일간 또는 2 ℃ 에서 18,3 일간 ℃ 에서 20 일간 저온 처리를 통한 위험관리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음

Queensland fruit fly (QFF), Bactrocera tryoni (Froggatt)

❍ QFF ( Bactrocera tryoni )는 현재 호주에만 분포하며 , Queensland 의 동 부 절반, New South Wales 의 동부 , Victoria 의 동쪽 끝에 발생함 . 1989년에 Western Australia 에 정착하였으나 , 1991 년에 박멸을 선언하 였으며, South Australia 에서는 박멸을 선언하고 있으나 돌발 (outbreak)이 나타남 (CABI, 2010) 성숙한 암컷이 낳은 알이 기주 과일의 껍질 밑에 있고, 유충은 과실 내부 섭식자로 육안 검사로 쉽게 발견할 수 없음 Bactrocera spp.는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휴면 임계온도가7℃ 이고 , 겨 울철에는2℃ 정도로 떨어지며 (CABI/EPPO, 1997), QFF 는 성충으로 월동하고, 반복적인 서리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므로 (Meats & Fitt, 1987), 호주에서 포도의 수확 후 관리로0 ℃ 저온저

장 및 SO 2를 처리한 후3.0±0.5 ℃ 이하로 해상선적할 경우 수송 중 충분히 생존 가능할 것임

❍ QFF ( Bactrocera tryoni )는 호주에서 과수 및 채소작물의 가장 심각한 해충으로 모든 상업적 과수 작물을 가해하며(Drew, 1982), 49科 234 種의 식물이 기주로 기록됨(CABI, 2010) 많은 기주들이 한반도 전역에 널리 분포하며, 호주의 생태기후적 특 성으로 보아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정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많은 Bactrocera spp.의 성충은 50∼ 100km 를 비행할 수 있음 (Fletcher, 1989) 감염되지 않은 지역으로 이동 및 분산의 주요수단은 감염된 과일의 수송과 성충의 비행임(CABI, 1997)

- 23 - QFF가 동떨어진 (isolated) 캘리포니아의 cue lure 의 먹이트랩에서 채 집(Foote et al., 1993) 된 것은 몰래 숨겨 들여 온 과일이 썩으면 쉽 게 버리는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임(CABI, 2010) 여름철에 2∼ 3 주 , 가을철에 2 달에 생활사를 완성됨 (Weems & Fasulo, 2002)

❍ 따라서, QFF 는 포도 생과실을 통한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음으로 호 주산 포도 생과실의 우려병해충으로 지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으

며, 유입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출시 관행적인 상업적 재배․ 수 확․ 선별(thinning)— 손질 (trimming) 및 육안검사 이외에 별도의 추가적 인 위험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특별위험관리병해 충) 미국에서 포도가 아닌 사과 ,,, 키위 오렌지 배 등에서 QFF 에 대한 저온처리 기준(T107d; USDA/APHIS/PPQ) 으로 0 ℃ 또는 그 이하 에서13 일 이상 , 0.56℃ 또는 그 이하에서 14 일 이상 , 1.11 ℃ 또는 그 이하에서18 일 이상 또는 1.67℃ 또는 그 이하에서 20 일 이상 , 2.22℃ 또는 그 이상에서 22 일을 적용하고 있어 호주 측에서 제시한 1℃에서 12 일간 또는 2 ℃ 또는 3 ℃ 에서 14 일간 저온처리를 통한 위 험관리 방안을 비교 검토할 필요가 있음.

Light brown (LBAM), Epiphyas postvittana (Walker)

❍ LBAM ( Epiphyas postvittana )은 호주가 원산지로 다른 나라로 침입되 어(Danthanarayana 1975), 현재는 유럽 북부 ( 영국 ), 호주 , 뉴질랜드 , 뉴칼레도니아, 하와이 , 미국 ( 캘리포니아 ) 에 분포함 (CABI, 2010) 암컷이 기주식물의 잎 , 줄기 , 또는 과실표면에 난괴로 산란하고, 과 실표면 및 과실 속에 알 상태 또는 유충태로 존재할 수 있음(Hely et al., 1982; Whittle, 1984) 1마리의 유충이 성숙한 포도 약 30g 을 파괴할 수 있음 (Bailey, 1997)

- 24 - 유충이 과실 속을 파고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Whittle, 1984; Meijerman & Ulenberg, 2000), 가해초기 과실 밖으로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나 배꼽 또는 과경 끝에 숨어 있는 경우

수확 후 위생관리 및 검사과정에서 발견․ 제거되기 어려울 수 있음 한편 , 과실 표면에 연한 녹색에서 갈색의 알이 산란되므로(Whittle, 1984), 양벚의 경우 붉은 과피에 대비되어 쉽게 발견될 수 있으며, 과실을 가해하는 경우 유충이 거미줄을 치거나 과실을 뚫고 들어가 면서 생긴 피해 및 분비물의 흔적이 남으므로 수출입 검사과정에서 쉽게 발견될 수 있는 것(USDA/APHIS, 2007) 으로 여겨지고 있기도 함

호주에서 포도의 수확 후 관리로 0℃ 저온저장 및 SO 2를 처리한 후 3.0±0.5℃ 이하로 해상선적할 것이므로 , 수송 중 충분히 생존 가능할 것임 미국의 식물검역에서는 1971 년 이후 100 회 이상 검출된 바 있고 , 주 로 장미과 기주의 과실표면이나 과실 속에서 빈번히 발견되고 있으 며(Whittle, 1984; USDA/APHIS, 2007),일본에서는 한 항구에서 1 년 동안63 회 검출된 바 있으나 (Takahashi, 2002), 국내에서는 한 번 도 검출된 바 없음 호주산 포도의 일반적인 선별 (thinning) 및 손질 (trimming) 과정에서 과실 표면에 연한 녹색에서 갈색의 알, 유충이 거미줄을 치거나 과 실을 뚫고 들어가면서 생긴 피해 및 분비물의 흔적이 남으므로 수 출입 검사과정에서 쉽게 발견될 수 있어 적절히 제거될 수 있을지 라도, 미국 및 일본의 검역과정에서 기주의 과실 속에서 빈번히 발 견되고 있어 수확물에 부착되어 유입될 가능성이 높음

❍ LBAM ( Epiphyas postvittana )은 벚, 사과 , 포도 , 배추 등 55 개과 250 종 이상의 식물을 기주로 함(Wearing et al., 1991; Whittle, 1984; Meijerman & Ulenberg, 2000; Robinson et al., 2001) 이들 중 많은

- 25 - 기주들이 한반도에 널리 분포함 호주 전역에서 발견되며 , 높은 온도에서보다는 온화한 여름철을 지 닌 보다 선선한 지역에서 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킴(Loch, 2007) 1930년대 영국에 침입하였고 ,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도 발생하였 으며(CABI, 2010), 기후대 분포에 기초하여 예상되는 분포지를 추정 한 결과 미대륙의80% 정도가 기후적으로 적합 (Venette et al., 2003) 한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도LBAM 의 정착에 적합한 환경조건이라 고 판단됨

❍ LBAM ( Epiphyas postvittana )성충의 분산능력을 표식 재포획 방법으 로 조사한 결과, 수컷의 80%, 암컷의 99% 가 방사지점에서 100m 내에 서 재포획되고(Suckling et al., 1994), 양질의 풍부한 기주가 있을 때 쉽게 분산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Geier & Briese, 1981) 다른 나방류 에 비해 분산 능력이 제한적인 것으로 보임 그러나 , 수출입 검사과정에서 기주의 과실표면이나 과실 속에서 빈 번히 발견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Whittle, 1984; USDA/APHIS, 2007) 알이나 유충이 기주식물을 통해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음 호주의 대부분 지역에서 1 년에 3 세대를 완성하며 (Danthanarayana, 1975; Geier & Briese, 1980; Thomas 1989), 더 따뜻한 곳인 남동부 (Buchanan et al., 1991; Magarey et al., 1994)에서는 4 세대 , 타즈마 니아(Evans, 1937), 뉴질랜드 (McLaren & Fraser, 1992), 영국 (Bradley, 1973)에서는 2 세대 발생함 뉴질랜드에서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은 과수류의 열30m 당 유충 6 마 리 이상이지만, 수출할 목적이라면 단지 1 마리의 유충이 발견되어도 방제를 권하고 있음(Charles et al. 1987)

❍ 따라서 과실에 부착되어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호주산 포도 생 과실의 우려병해충으로 지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음 아울러 알이나 유충상태로 배꼽이나 과경 끝에 은폐되거나 과실송이

- 26 - 내부에 감염되어 유입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 관행적인 상

업적 재배․․ 수확 선별(thinning)— 손질 (trimming) 및 육안 수출검사이외 에 별도의 추가적인 위험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특별위험관리병해충)

Red and black flat mite (RBFM), Brevipalpus phoenicis (Geijskes)

❍ RBFM ( Brevipalpus phoenicis )은 주로 열대지역 전역에서 발견되고, 가 장 북쪽으로는 네덜란드에서 가장 남쪽으로는 아르헨티나까지 범세계 적으로 분포하며, 무역을 통해 세계 여러 지역으로 퍼졌음(CABI, 2010) 호주에 발생하지만 , 포도에서 발견된 보고가 없음 (BA, 2011) 그러나 호주에서는 포도송이 (bunch) 에 피해를 주기 때문에 “bunch mite"로 불리며 (Zhang, 2003), Brevipalpus 속의 종들은 호주에서 포도 나무의 껍질 밑이나 눈의 바깥쪽 인편에서 월동하며, 눈이 벌어진 후 신초의 기부로 이동하여 섭식과 산란을 시작함. 신초가 자람에 따라 이들은 송이(bunch) 로 이동하여 섭식함으로써 송이 (bunch) 및 포도알(berry) 에 갈색의 상처를 남김 (Somers & Quirk, 2007). 일반적 으로 양조용 포도에서는 문제가 없으나, 식용 포도에서는 시각적인 면에서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음(Somers & Quirk, 2007) 암컷성충의 몸길이가 300㎛ 에 불과하고 , 몸이 납작하며 , 다소 정주성 인 습성(Kane, 2004) 을 지니기 때문에 식물체에서 육안으로 발견하 는데 어려움이 있음

호주에서 포도의 수확 후 관리로 0℃ 저온저장 및 SO 2를 처리한 후 3.0±0.5℃ 이하로 해상선적할 것이므로 , 수송 중 충분히 생존 가능할 것임 현재 칠레 및 미국산 포도 생과실이 수입허용 되어 있으며, 2010 년 3월 칠레산 포도에서 이 종과 동일속의 B. chilensis 가 검출된 바 있

- 27 - 음(PIS, 2011) 호주산 포도의 일반적인 선별 (thinning) 및 손질 (trimming) 과정에서 과실표면 부착 해충이고, 과실표면에 피해증상이 있는 경우 적절히 제거될 수 있을지라도, 칠레산 포도에서 동일속의 종이 검출된 예로 보아 수확물에 부착되어 유입될 가능성이 있음

❍ RBFM ( Brevipalpus phoenicis )은 주요기주로 감귤 ,,, 차나무 커피 복숭 아, 파파야 ,, 비파 코코넛 ,,, 사과 배 구아바 , 올리브 , 무화과 ,, 호두 포 도를 포함(Jeppson et al., 1975) 한 매우 광식성 (polyphagous) 으로 64 개科118 개屬 에 속한 486 종의 식물이 기주로 알려지며 (Childers et al., 2003), 이들 중 많은 기주들이 한반도에 널리 분포함 애응애류는 아열대 또는 열대지역에 가장 잘 적응되어 있으나(Baker & Bambara, 1997), Brevipalpus 의 일부종인 B. californicus (귤애응애 ) 및 B. lewisi (포도애응애 ), B. obovatus (망초애응애 ) 는 이미 한반도에 분포하며(KSSZ, 1997), 이 종들의 한국내 분포는 한반도가RBFM 의 정착에 적합한 환경조건임을 지적하고 있음

❍ RBFM ( Brevipalpus phoenicis )은 하루에 1cm 미만으로 이동하고 , 시속 23km의 풍속으로는 분산을 유발하지 않으며, 시속 30km 와 40km 의 풍속에서는 과실 위에 있는 응애의1% 미만만 분산을 유발하며 , 야 외 조건에서 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분산 연구로 볼 때, 감귤류에 발 생하는 다른 응애류에 비해 분산 능력이 제한적인 것으로 알려짐 (Alves et al., 2005) 그러나 , 암컷성충의 몸길이가 300 ㎛ 에 불과해 포도송이 내에서 성충 이나 미성숙 충태를 발견하기 어려우므로 도매상이나 소매상을 경 유하여 퍼져 나갈 수 있음 Brevipalpus 속의 종들은 주로 정주성(sedentary) 을 보이며 (Kane, 2004),느리게 움직이기 때문에 (Jeppson et al., 1975) RBFM 도 버려 진 과일껍질로부터 적당한 기주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은 제한적임

- 28 - Brevipalpus phoenicis 의 일반적인 생식방법은 암컷을 생산하는 단위 생식(parthenogenetic thelithockous) 이며 , 반수체 (haploid) 를 지님 (Helle et al., 1980; Pijnacker et al., 1981; Weeks et al., 2003; CABI, 2010) Brevipalpus phoenicis 의 증식률(growth rate (rm) = 0.127) 은 낮은 반 면, 생존율 (survival rate) 은 높은데 , 일정한 조건에서 순생식률 (net reproduction rate)은 33.2eggs/mite 이고 , 세대기간 (generation time) 은27.6 일로 개체군의 밀도가 2 배가 되는 것은 5.5 일이며 (Kennedy et al., 1996),이집트에서는 연간 10 세대 발생함 (Zaher et al., 1970).

❍ 따라서, 이상의 평가결과를 종합할 때 , 과실표면에 붙은 성충 및 미 성숙 충태로 포도송이에 부착되어 유입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호주산 포도 생과실의 우려병해충으로 지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음 다만 , 과실 외부에 부착 가해하는 종으로 상업적 선과 및 수출입 검

사 과정을 통해 적절히 제거될 수 있으므로, 관행적인 상업적 재배․ 수확․ 선별(thinning)— 손질 (trimming) 및 육안 수출검사 이외에 별도의 위험관리방안은 필요하지 않음(일반 위험관리 병해충) 우리나라는 칠레 및 미국산 포도 생과실을 수입허용하고 있으나, 이 종에 대한 별도의 위험관리방안은 적용하고 있지 않음

2. 예비위험평가단계에서 검토되지 않은2 종의 과실을 통한 유 입가능성 평가 Lesser queensland fruit fly (LQFF), Bactrocera neohumeralis (Hardy)

❍ LQFF ( Bactrocera neohumeralis )는 호주의 Queensland 와 New South Wales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 Queensland fruit fly (QFF; B. tryoni ) 의 종 그룹에 속하고 기주범위 등 모든 면에서QFF 와 매우 유사함 (CABI, 2010) 단지 생태적으로 OFF 를 포함한 대부분의 Bactrocera 속의 과실파리는

- 29 - 땅거미가 질 무렵에 교미하지만, LQFF 는 한낮에 교미하는 차이를 보임(CABI, 2010)

❍ 따라서, QFF 와 매우 유사한 LQFF 는 포도 생과실을 통한 유입 가능 성이 매우 높음으로 호주산 포도 생과실의 우려병해충으로 지정하 여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유입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출시

관행적인 상업적 재배․․ 수확 선별(thinning)— 손질 (trimming) 및 육안검 사 이외에 별도의 추가적인 위험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 단됨(특별위험관리병해충) 다만 , OFF 와 매우 유사하므로 OFF 에 대한 저온처리와 동일한 조건 으로 위험관리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음

Australian redback spider, Latrodectus hasselti Thorell

❍ Australian redback spider는 호주 고유종이며 , 호주에서 가장 위험한 거미 중의 하나로 신경독을 지니고 있어 사람을 물어 심한 고통을 줌 (http://en.wikipedia.org/wiki/Redback_spider) 암컷의 몸길이는 1cm 정도로 길고 가는 다리를 지니며 , 수컷은 3 ∼ 4mm 로 작음 가늘지만 강한 실로 불규칙하게 얼기설기 거미줄을 치며, 곤충을 먹 이로 함 수컷은 평균적으로 약 90 일 (37∼ 167 일 ) 에 , 암컷은 약 4 개월 (60 ∼ 325 일) 에 성숙하며 , 수명은 수컷이 67,∼ 개월 암컷이 23, ∼ 년이며 먹이 가 없이도 평균100 일을 살 수 있음 암컷은 교미하면 2 년 동안 여러 개의 알주머니를 낳고, 각 알주머니 에는40∼ 300 개의 알이 있으나 5000 개까지도 낳을 수 있음 사람들의 거주지 근처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보통 바위들 사이나 원목,, 관목 오래된 타이어 ,,, 틈새 헛간 아이들 장난감 , 쓰레기 밑과 같은 건조한 숨져진 장소에 거미줄을 침

- 30 - 일본에서는 칸사이국제공항에서 100km 내의 오사카에서 발견되었는 데, 항공기의 외벽에 붙어 편승했거나 목재칩의 화물에 수반되어 유 입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008 년에는 후쿠오카시의 하카다만에 있 는 컨테이너 터미널 부근에서700 마리 이상이 발견됨 뉴질랜드에서는 전신주로 이용하기 위해 수입된 호주산 활엽수 지주 대와 함께 유입되었음

❍ 뉴질랜드에서2000 년 1 월부터 2002 년 2 월까지 포도 화물에서 거미나 알, 거미줄이 58 번 검출되었으며 , 그 중 20 번은 사람에게 유해할 수 있는 거미였으며, Australian redback spider 도 2 번 검출되었음 (MOH, 2002)

❍ 따라서, 이상의 평가결과를 종합할 때 이 거미는 사람을 물어 신경독 작용을 일으키고, 포도송이 속에 잠복되어 유입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호주산 포도 생과실의 우려병해충으로 지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 음 다만 , 과실 외부에 부착 가해하는 종으로 상업적 선과 및 수출입 검

사 과정을 통해 적절히 제거될 수 있으므로, 관행적인 상업적 재배․ 수확․ 선별(thinning)— 손질 (trimming) 및 육안 수출검사 이외에 별도의 위험관리방안은 필요하지 않음(일반 위험관리 병해충)

참고문헌 Alves, E.B., N.F.B. Casarin and C. Omoto. 2005. Meacnismos de dispersao de Brevipalpus phoenicis (Geijskes) (Acari: Tenuipalpidae) em pomares de citros. Neotropical Entomology , 34(1): 8996 (cited from Vacante, 2010) Bailey, P.T. 1997. Lightbrown apple moth control options for the 19978 season. Australian & New Zealand Wine Industry Journal , 12: 267270. (cited from Venette et al., 2003)

- 31 - Baker, J.R. and S. Bambara. 1997. False spider mites. Department of Entomology, North Carolina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 Batra, R.C., S.S. Brar, J.S. Khangura and W.S. Dhillon. 1987. A new record of Planococcus pacificus Cox (Pseudococcidae: Hemiptera) as a pest of grapevine in India. Punjab Horticultural Journal , 27: 250251. (cited from BA, 2011) Beardsley, J.W. and R.H. Gonzalez. 1975. The biology and ecology of armored scales. Annual Review of Entomology , 20: 4773. BenDov, Y., D.R. Miller and G.A.P. Gibson. 2010. ScaleNet : A database of the Scale of the World. Biosecurity Australia (BA). 2005. Final Report for the Import Risk Analysis for Table Grapes from Chile. Biosecurity Australia, Canberra, Australia. Biosecurity Australia (BA). 2011. Additional information on potential pests and diseases of Australian table grapes . Biosecurity Australia, Canberra, Australia. (호주측 제공자료 ) Bradley, J.D. 1973. Epiphyas postvittana (Walker), pp. 126127, British Tortricoid ; Cochylidae and Tortricidae; Tortricinae. The Ray Society, London. (cited from Venette et al., 2003) Brimblecombe, A.R. 1968. Studies of the Coccoidea: 14. the genera Aspidiotus, Diaspidiotus and Hemiberlesia in Queensland. Queensland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25: 3955. (cited from BA, 2011) Buchanan, G.A. 1977. The seasonal abundance and control of light brown apple moth, Epiphyas postvittana (Walker) (: Tortricidae), on grapevines in Victoria. Australian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28: 125132. Buchanan, G.A., S.C. Stirrat and D.G. Madge. 1991. Integrated control of

- 32 - light brown apple moth, Epiphyas postvittana (Walker), in vineyards. Wine Industry Journal , 6: 220222. (cited from Venette et al., 2003) Buchanan, G.A. and T.G. Amos. 1992. Grape Pests. In "Viticulture. Volume 2. Practices". (Eds B.G. Coombe and P.R. Dry). Australian Industrial Publishers Pty Ltd, Adelaide. CAB International. 2010. Crop Protection Compendium (2010 edition). Wallingford, UK. CABI/EPPO. 1997. Quarantine Pests for Europe Data sheets on quarantine pests for the European Union and for the European and Mediterranean Plant Protection Organization. Smith, I.M., McNamara, D.G., Scott, P.R. and Holderness, M. (Editorial Committee); Burger, B. (Associate Editor).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in association with the European and Mediterranean Plant Protection Organization (EPPO). Charles, J., V. White, and M. Cornwell. 1987. Leafroller (Lepidoptera: Tortricidae) damage to buds of raspberry canes in New Zealand. New Zealand Journal of Experimental Agriculture, 15: 491496. (cited from Venette et al., 2003) Childers, C.C. et al. 2003. Host Plants of Bevipalpus californicus, B. obovatus , and B. phoenicis (Acari: Tenuipalpidae) and their potential involvement in the spread of viral diseases vectored by these mites. Experimental and Applied Acarology, 30(13): 29105. Danthanarayana, W. 1975. The bionomics, distribution and host range of the light brown apple moth, Epiphyas postvittana (Walk.) (Tortricidae). Australian Journal of Zoology , 23: 419437. Drew R.A.I. 1982. I. Taxonomy, In: Drew R.A.I., G.H.S. Hooper and M.A. Bateman, eds. Economic Fruit Flies of the South Pacific Region. 2nd ed .

- 33 - Brisbane, Australia: Queensland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197. Evans, J. W. 1937. The lightbrown apple moth ( Tortrix postvittana , Walk). The Tasmanian Journal of Agriculture, 8: 118. (cited from Venette et al., 2003) Fletcher, B.S. 1989. Ecology; movements of tephritid fruit flies. In: World crop pests 3(B). Fruit flies; their biology, natural enemies and control (Ed. by Robinson, A.S.; Hooper, G.), pp. 209219. Elsevier, Amsterdam, Netherlands. Foote R.H., F.L. Blanc and A.L. Norrbom. 1993. Handbook of the Fruit Flies (Diptera: Tephritidae) of America North of Mexico. Ithaca, USA: Comstock. Geier, P. and D. Briese. 1980. The lightbrown apple moth, Epiphyas postvittana (Walker): 4. Studies on population dynamics and injuriousness to in the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Australian Journal of Ecology, 5: 6393. (cited from Venette et al., 2003) Geier, P. and D. Briese. 1981. The lightbrown apple moth, Epiphyas postvittana (Walker): a native leafroller fostered by European settlement., pp. 131155. In R. Kitching and R. Jones [eds.], The Ecology of Pests. CSIRO, Melbourne, Australia. (cited from Venette et al., 2003) Helle, W. et al. 1980. Chromosomes and types of pathenogenesis in the false spider mites (Acari: Tenuipalpiae). Genetica, 54(1): 4550 (cited from Vacante, 2010) Hely, P.C., G. Passfield, and J.G. Gellatley. 1982. Pests of Fruit and Vegetables in NSW. Melbourne, Inkata Press. (indirectly) Hoy, L.E. and D.C. Whiting. 1997. Lowtemperature storage as a postharvest treatment to control Pseudococcus affinis (Homoptera:

- 34 - Pseudococcidae) on Royal Gala apples. J. Econ. Entomol. , 90: 13771381. HYPP. 2004. Mediterranean fruit fly. [http://www.inra.fr/Internet/Produits/HYPPZ/RAVAGEUR/6cercap.htm] Jeppson, L.R., H.H. Keifer and E.W. Baker. 1975. Mites Injurious to Economic Plant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CA. 614 pp. Kane, E.C. 2004. Acari: Flat mites - Tenuipalpidae. [http://www.sel.barc.usda.gov/acari/content/brevipalpus/brevi1.html] Kennedy, J.S. et al. 1996. Demecology of the false spider mite, Brevipalpus phoenicis (Geijskes) (Acari, Tenuipalpidae).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120(8): 493499 (cited from Vacante, 2010)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KSSZ). 1997. List of in Korea (excluding insects). Academic Press. Loch, A. 2007. Grapevine pests and their management. NSW DPI Primefact , 511. Magarey, P.A., P.R. Nicholas and M.F. Wachtel. 1994. Control of the diseases of grapes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Wine Industry Journal, 9: 197225. (cited from Venette et al., 2003) McLaren, G.F. and J.A. Fraser. 1992. Leafroller and codling moth flights in Central Otago. The Orchardist, 65: 21. (cited from Venette et al., 2003) Meats, A. and G.P. Fitt. 1987. Survival of repeated frosts by the Queensland fruit fly, Dacus tryoni : experiments in laboratory simulated climates with either step or ramp fluctuations of temperature. Entomologia Experimentalis et Applicata, 45: 916. Meijerman, L. and S.A. Ulenberg. 2000. of Economic Importance: Eurasian Tortricidae. Amstermam. Zoological Museum Amsterdam (University of Amsterdam).

- 35 - [http://ip30.eti.uva.nl/bis/tortricidae.php?selected=beschrijving&menuen try=soorten&id=197] Miller, D.R. and J.A. Davidson. 2005. Armored Scale Insect Pests of Trees and Shrubs.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New York. 442 pp. Ministry of Health (MOH). 2002. A Health Impact Assessment Relating to Venomous Spiders Entering New Zealand in Association with Imported Table Grapes. [http://www.moh.govt.nz/moh.nsf/ea6005dc347e7bd44c2566a40079ae6f/ 0b9a1a519ee47387cc256c2c00181053/$FILE/exoticspiders.doc] Nakahara, S. 1982. Checklist of the armored scales (Homoptera: Diaspididae) of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and Plant Health Inspection Service, Plant Protection and Quarantin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USA. 110 pp. Nicholas, P., P.A. Magarey and M. Wachtel. 2000. Diseases and pests. Winetitles, Adelaide. (cited from BA, 2011) Paik, J.C. 2000. Homoptera (Coccinea). Economic Insects of Korea , 6. 193 pp.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Pest Information System (PIS). 2011. A database of plant quarantine and datasheets of quarantine pests in Korea. National Plant Quarantine Service. Pijnacker, L.P. et al. 1981. Cytological investigations on the female and male reproductive system of the parthenogenetic privet mite Brevipalpus obovatus Donnadieu (Phytoptipalpidae, Acari). Acarologia, 22(2): 157163 (cited from Vacante, 2010) Robinson, G.S., P.R. Ackery, I.J. Kitching, G.W. Beccaloni and L.M. Hernandez. 2001. Hostplants of the Moth and Butterfly Caterpillas of the Oriental Region. London: The Natural History Museum. (cited from

- 36 - USDA/APHIS, 2007) Somers, T. and L. Quirk. 2007. Grapevine management Guide 200708. Agdex, 241/10. NSW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http://www.csu.edu.au/research/nwgic/extension/grapevinemanagem entguide.pdf] Suckling D., J. Brunner, G. Burnip and J. Walker. 1994. Dispersal of Epiphyas postvittana (Walker) and Planotortrix octo Dugdale (Lepidoptera: Tortricidae) at a Canterbury, New Zealand orchard. New Zealand Journal of Crop and Horticultural Science, 22: 225234. (cited from Venette et al., 2003) Suh, S.J., S.J. Lee and G.S. Hodges. 2009. Notes on Armored Scale Species from Greenhouse in Korea (Hemiptera: Diaspididae). Korean J. Appl. Entomol. , 48(3): 281284. Takahashi, G. 2002. Notes on the light brown apple moth, Epiphyas postvittana (Walker) intercepted at import plant quarantine of Narita Airport in . Research Bulletin of the Plant Protection Service, Japan, 38: 99103. Thomas, W. 1989. Epiphyas postvittana (Walker), lightbrown apple moth (Lepidoptera: Tortricidae), pp. 187195. In P. Cameron, R. Hill, J. Bain and W. Thomas [eds.], A review of biological control of invertebrate pests and weeds in New Zealand 1874 - 1987. DSIR Entomology Division, Wallingford, UK. (cited from Venette et al., 2003) Thomas, M.C., J.B. Heppner, R.E. Woodruff, H.V. Weems, G.J. Steck and T.R. Fasulo. 2001. Mediterranean fruit fly. Florida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Consumer Services, Division of Plant Industry, EENY214. (cited from BA, 2005) USDA/APHIS. 2007. Importation of Sweet Cherry, , from

- 37 - Australia into the 50 States of the United States, including the District of Columbia (Draft), A Qualitative, Pathway-initiated Risk Assessment. USDA/APHIS/PPQ. 2010. Treament Manual 5. Treatment Schedules: T100 - Schedules for fruit, Nuts, and Vegetables. Venette R.C., E.E. Davis, M. DaCosta, H. Heisler and M. Larson. 2003. Mini Risk Assessment of Light brown apple moth, Epiphyas postvittana (Walker) [Lepidoptera: Tortricidae]. CAPS PRA. Watson, G.W. 2006. Arthropods of economic importance: Hemiberlesia rapax . Wearing, C.H., W.P. Thomas, J.S. Dugdale, and W. Danthanarayana. 1991. Tortricid pests of poe and stone fruits, Australian and New Zealand species, pp. 453472. In: L.P.S. van der Geest and H.H. Evenhuis (eds). Tortricid Pests: Their Biology, Natural Enemies and Control. World Crop Pests, Vol. 5., Elsevier Sci. Publ. B.V. Amsterdam. Weeks, W.C. et al. 2003. A mite species that consists entirely of haploid females. Science, 292: 24792482 (cited from Vacante, 2010) Weems, H.V. and T.R. Fasulo. 2002. Queensland Fruit Fly, Bactrocera tryoni (Froggatt) (Insecta: Diptera: Tephritidae). EENY 259 (DPI Entomology Circular 34). [http://edis.ifas.ufl.edu/pdffiles/IN/IN54000.pdf] White, I.M. and M.M. ElsonHarris. 1994. Fruit Flies of Economic Significance; Their Identification and Bionomic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Whittle, K. 1984. Lightbrown apple moth: Epiphyas postvittana (Walker). Pests Not Known to Occur in the United States of of Limited Distribution No. 50. USDAAPHIS, PPQ. Williams, D.J. 1985. Australian mealybugs.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Chichester. (cited from BA, 2011)

- 38 - Williams, D.J. 1996. A synoptic account of the mealybug genus Ferrisia Fullaway (Hemiptera: Pseudococcidae). Entomologist’'s Monthly Magazine , 132: 110. Worner, S.P. 1988. Ecoclimatic assessment of potential establishment of exotic pests. Journal of Economic Entomology, 81: 973983. Zaher, M.A. et al. 1970. Biology of Brevipalpus phoenicis (Geijskes) in Egypt. Bulletin de la Societe Entomologique d'Egypte, 54: 177183 (cited from Vacante, 2010) Zhang, Z.Q. 2003. Mites of Greenhouses: Identification, biology and control. CABI. 244pp. (cited on p.93)

- 39 - <붙임 3 .> 호주산 포도에 발생하는 병원체 목록 국내 규제 가해 과실 평가 학명 일반명 참고문헌 비고 분포 상태 부위 동반 대상 Alternaria alternata (Fr.:Fr.) Keissl.(1912) Alternaria leaf spot CABI(2007), 1 syn : Alternaria tenuis Nees(1822) YES 과실 YES NO 호주 and fruit rot 식물병명목록(2009) (Ascomycetes: Pleosporales) Anthostomella pullulans (de Bary) F.T.Bennett(1928) Pearson & Goheen, 2 syn : Aureobasidium pullulans blue stain of wood NO 잎 NO NO 호주 1988 (Ascomycetes, Dothideales) Armillaria luteobubalina Watlng & Kile(1978) 3 armillaria root rot NO 뿌리 NO NO Cooke & Dube, 1989 호주 (Basidiomycetes, Agaricales) Ascochyta ampelina Sacc. 4 syn: Pseudodiplodia ampelina (Sacc.) Petr. leaf spot, fruti spot NO 잎, 과실 YES NO Kiewinck, 1989 호주 (Ascomycetes, Incertae sedis) Aspergillus aculeatus Iizuka 1953 berry rot, Pearson & Goheen, 5 syn : Aspergillus japonicus var. aculeatus (Iizuka) NO 과실 YES NO 호주 raisin mold 1988 (Ascomycetes, Eurotiales) Aspergillus flavus Link Pearson & Goheen, 6 syn : Aspergillus parasiticus Spear(1912) fruit rot YES 과실 YES NO 호주 1989 (Ascomycetes, Eurotiales) Aspergillus niger Tiehg Pearson & Goheen, 7 Aspergillus rot YES 과실 YES NO 호주 (Ascomycetes, Eurotiales) 1990 Aspergillus wentii Wehmer Pearson & Goheen, 8 fruit rot YES 과실 YES NO 호주 (Ascomycetes, Eurotiales) 1991 Aureobasidium pullulans (de Bary) Arnaud(1918) associated with 9 syn : Aureobasidium vitis Viala & Boyer 1891 NO 잎 NO NO Vercesi et al.,1982 호주 vein browning (Ascomycetes, Dothideales) 10 Bipolaris bicolor (Mitra) Shoemaker(1959) leafspot YES 잎 NO NO Nair, 1985 호주

- 40 - syn : Dreschlera bicolor (Mitra), Helminthosporium bicolor Mitra Teleomorph : Cochliobolus bicolor A.R. Paul & Parbery (Ascomycetes, Pleosporales) Pearson & Goheen,1988 Botryosphaeria dothidea (Moug.:Fr.) Ces. & De Not. Phillips, 2000., 11 Anamorph: Fusicoccum aesculi Corda Botryosphaeria rot YES 과실 YES NO 호주 Zachos & Tzavella, (Ascomycetes, Dothideales) 1980 Botryosphaeria obtusa (Schwein.) Shoemaker(1964) Castillo-Pando et al., Syn: Physalospora obtusa (Schwein.) Cooke 2001; Pearson & 12 wood decay YES 줄기 YES NO 호주 Anamorph : Diplodia seriata De Not Goheen, 1988 (Ascomycetes: Dothideales) 식물병명목록(2009) Botryosphaeria rhodina (Berk. & M.A. Curtis) Arx 1970 ≡ Physalospora rhodina Berk. & M.A. Curtis 1889 Diplodia cane Anamorph: Lasiodiplodia theobromae (Pat.) Griffon & Maubl. Pearson & Goheen, 13 dieback and bunch YES 줄기, 과실 YES NO 호주 ≡ Botryodiplodia theobromae Pat. 1892 1988 rot ≡Diplodia theobromae (Pat.) W. Nowell 1923 (Ascomycetes, Dothideales) Botryosphaeria ribis Grossenb. & Duggar(1911) = Botryosphaeria ribis f. achromogena Grossenb. & Duggar 1911 Snowdon, 1990 14 wood decay YES 줄기 NO NO 호주 Anamorph: Neofusicoccum ribis (Slippers, Crous & M.J. 식물병명목록(2009) Wingf.) Crous (Ascomycetes: Dothideales) Botryosphaeria stevensii Shoemaker(1964) Lehoczky, 1974 15 Anamorph: Diplodia mutila (Fr. : Fr.) Mont black dead arm NO 관리 목질부 NO NO Pearson & Goheen, 호주 (Ascomycetes, Dothideales) 1988 16 Botrytis cinerea Pers. : Fr. 1794 botrytis bunch rot YES 과실 YES NO Pearson & Goheen, 호주

- 41 - ≡Botrytis cinerea f. cinerea Pers. 1794 ≡Botrytis cinerea var. cinerea Pers. 1794 1988 Anamorph : Botryotinia fuckeliana (de Bary) Whetzel Capnodium elongatum Berk. & Desm. 1849 17 Anamorph: Polychaetella elongata Speg. sooty mold NO 잎, 과실 YES YES BRIP record 호주 (Ascomycetes, Capnodiales) 18 Cephaleuros virescens Kunz algal leaf spot YES 잎 NO NO Joshi et al., 1978 호주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Fresen.) G.A. De Vries 1952 19 fruit rot YES 잎, 과실 YES NO Ouchi et al., 1976 호주 (Ascomycetes, Mycosphaerellales) Cladosporium herbarum (Pers. : Fr.) Link 1816 ≡Dematium herbarum Pers. : Fr. 1794 Ouchi et al., 1976 ≡Acladium herbarum (Pers. : Fr.) Link 1809 20 Cladosporium rot YES 과실 YES NO Pearson & Goheen, 호주 Teleomorph: Davidiella tassiana (De Not.) Crous & U. Braun 1988 ≡Mycosphaerella tassiana (De Not.) Johans. 1884 (Ascomycetes, Mycosphaerellales)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Penz.) Penz. & Sacc. 1884 ≡ Vermicularia gloeosporioides Penz. 1882 Pearson & Goheen, 21 Teleomorph: Glomerella cingulata (Stoneman) Spauld. & H. ripe rot YES 과실 YES NO 호주 1988 Schrenk (Ascomycetes, Incertae sedis) Coniella diplodiella (Speg.) Petr. & Syd. 1927 ≡Coniothyrium diplodiella (Speg.) Sacc. 1884 Pearson & Goheen, 22 white rot YES 과실 YES NO 호주 ≡Phoma diplodiella Speg. 1878 1988 (Ascomycetes, Diaporthales) Cylindrocarpon destructans var. destructans?(Zinssm.) Scholten 1964 23 blackrot YES 뿌리 NO NO Grasso, 1984 호주 = Cylindrocarpon radicicola Wollenw. 1926 Teleomorph: Neonectria radicicola (Gerlach & L. Nilsson)

- 42 - Mantiri & Samuels (Ascomycetes, Hypocreales) Cylindrocarpon obtusisporum (Cooke & Harkn.) Wollenw. 1926 Grasso et al., 1975 24 ≡ Fusarium obtusisporum Cooke & Harkn. 1884 black foot NO 뿌리 NO NO 호주 Scheck et al., 1998 Teleomorph: Nectria tawa Dingley Elsinoe ampelina Shear (Ascomycetes, Myriangiales) Anthracnose, Pearson & Goheen, 25 YES 잎, 눈 NO NO 호주 Anamorph: Sphaceloma ampelinum de Bary bird's-eye rot 1988 Erysiphe necator var. necator ?Schwein. 1834 ≡Uncinula necator (Schwein.) Burrill 1892 줄기, 잎 , Pearson & Goheen, 26 = Uncinula americana Howe 1872 Powdery mildew YES YES NO 호주 과실 1988 Anamorph: Oidium tuckeri Berk (Ascomycetes, Erysiphales) Eutypa lata var. lata ?(Pers. : Fr.) Tul. & C. Tul. 1863 eutypa dieback, Pearson & Goheen, 27 = Eutypa armeniacae Hansf. & M.V. Carter 1957 dead arm, NO 줄기 NO NO 호주 1988 Anamorph: Libertella blepharis dying aim Exserohilum rostratum (Drechsler) K.J. Leonard & Suggs 1974 ≡Bipolaris rostrata (Drechsler) Shoemaker 1959 ≡Drechslera rostrata (Drechsler) M.J. Richardson & E.M. leaf spot and 28 Fraser 1968 NO 잎 NO NO Reddy, 1973 호주 necrosis ≡Helminthosporium rostratum Drechsler 1923 Teleomorph: Setosphaeria rostrata K.J. Leonard (Ascomycetes, Pleosporales) Cortesi et al., 2000 Fomitiporia punctata (Fr.) Murrill associated with 29 NO 목질부 NO NO Larignon & Dubos, 호주 ≡Phellinus punctatus (Fr. Ex P. Karst.) Pilat(1942) esca disease complex 1997 Fusarium moniliforme J. Sheld. 1904 Pearson & Goheen, 30 fruit rot YES 과실 YES NO 호주 =Fusarium verticillioides (Sacc.) Nirenberg 1976 1988

- 43 - Teleomorph: Gibberella moniliformis Wineland (Ascomycetes, Hypocreales) Fusarium oxysporum Schltdl.(1824) 31 = Fusarium angustum Sherb. 1915 root rot, wilt YES 뿌리 NO NO Highet&Goheen,1995 호주 (Ascomycetes, Hypocreales) Fusarium solani(Mart.) Sacc.(1881) = Fusarium lathyri Taubenh. 32 Teleomorph: Haematonectria haematococca (Berk. & root rot YES 뿌리 NO NO Andrade&Andrade,1993 호주 Broome) Samuels & Rossman (Ascomycetes, Hypocreales) Fusarium sporotrichioides Sherb.(1915) 33 =Fusarium sporotrichiella var. sporotrichioides (Sherb.) Bilai 1953 root rot NO 뿌리 NO NO Nair, 1985 호주 (Ascomycetes, Hypocreales) Greeneria uvicola (Berk.&M.A.Curtis) Punithalingam(1974) = Myrothecium convexum Berk. & M.A. Curtis 1875 34 = Greeneria fuliginea Scribn. & Viala 1887 bitter rot NO 관리 과실 YES YES Pearson&Goheen,1988 호주 = Frankiella viticola Speschnew 1900 (Ascomycetes, Diaporthales) Macrophomina phaseolina Goidalich(1968) = Sclerotium bataticola Taubenh. 1913 35 = Macrophoma corchori Sawada 1916 root rot NO 뿌리 NO NO Cooke & Dube, 1989 호주 = Rhizoctonia lamellifera W. Small 1924 (Ascomycetes, Incertae sedis) Monilia laxa (Ehrenb.) Sacc.&Voglino = Sclerotinia cerasi Woronin 1895 36 = Monilia cinerea Bonord. 1851 Note: Not Sacc. & Vogl. fruit rot Yes 과실 Yes NO Pearson&Goheen,1988 호주 1886 nor Woronin 1900 = Monilia oregonensis Barss 1923

- 44 - Teleomorph: Monilinia laxa (Aderh. & Ruhland) Honey (Ascomycetes, Helotiales) Mucor circinelloides Tiegh.(1895) 37 =Mucor ambiguus Vuill. 1887 [1886] fruit rot NO 과실 Yes NO Pearson&Goheen,1988 호주 (Zygomycetes, Mucorales) Nattrassia mangiferae (Syd.&P.Syd.) Sutton&Dyko(1988) =Dothiorella mangiferae Syd. & P. Syd. 1916 38 =Nattrassia mangiferae (Syd. & P. Syd.) B. Sutton & Dyko 1989 leaf rot NO 잎 NO NO Granata&Sidoti,1991 호주 =Hendersonula toruloidea Nattrass(1933); =Torula dimidiata Penz.(1887) Penicillium aurantiogriseum Dierckx (1901) =Penicillium cyclopium Westling(1911) 39 =Penicillium martensii Thom(1911) fruit rot YES 과실 Yes NO Pearson&Goheen,1988 호주 =Penicillium aurantio-griseum Dierckx (Ascomycetes, Eurotiales) Penicillium brevicompactum Dierckx(1901) 40 =Penicillium stoloniferum Thom 1910 fruit rot YES 과실 Yes NO Pearson&Goheen,1988 호주 (Ascomycetes, Eurotiales) 41 Penicillium canascens Sopp.(1912) fruit rot NO 과실 Yes NO Sharma et al.,1985 호주 Penicillium chrysogenum Thon(1910) 42 =Penicillium notatum Westling(1911) fruit rot blue mold YES 과실 Yes NO Pearson&Goheen,1988 호주 (Ascomycetes, Eurotiales) Penicillium citrinum Thon(1910) fruit rot,penicillium 43 =Penicillium steckii Zalewski(1927) YES 과실 YES NO Pearson&Goheen,1988 호주 rot (Ascomycetes, Eurotiales) Penicillium crustosum Thom(1930) 44 =Penicillium farinosum Novobr.(1974) fruit rot, berry rot YES 과실 YES NO Pearson&Goheen,1988 호주 =Penicillium pseudocasei Abe ex G. Sm. 1963

- 45 - =Penicillium terrestre C.N. Jensen, sensu Raper & Thom 1912 (Ascomycetes, Eurotiales) Penicillium digitatum (Pers.)Sacc.(1883) =Aspergillus digitatus Pers. : Fr. 1794 45 =Monilia digitata (Pers. : Fr.) Pers. 1801 fruit rot YES 과실 YES NO Pearson&Goheen,1988 호주 =Mucor digitata (Pers. : Fr.) M?rat 1821 (Ascomycetes, Eurotiales) 46 Penicillium elongatum Dierckx. fruit rot NO 과실 YES NO Pearson&Goheen,1988 호주 Penicilliu expansum Link(1921) =Coremium glaucum Link 1809 47 Brunch rot YES 과실 YES NO Pearson&Goheen,1988 호주 =Penicillium glaucum Link 1805 (Ascomycetes, Eurotiales) Penicillium griseoroseum Dierckx =Penicillium cyaneofulvum Biourge(1923) fruit rot,penicillium 48 NO 과실 YES NO Pearson&Goheen,1988 호주 =Penicillium griseoroseum SaccOnly rot (Ascomycetes, Eurotiales) Penicillium janthenellum Biourge(1923) =Penicillium simplicissimum(Oedem.) Thom 1930 49 fruit rot NO 과실 YES NO Pearson&Goheen,1988 호주 =Penicillium piscarium Westling 1911 (Ascomycetes, Eurotiales) 50 Penicillium purpurescens (Sopp) Biourge(1972) fruit rot NO 과실 YES NO Benkhemmar et al.,1993 호주 Penicillium rolfsii Thom(1930) berry rot; raisin 51 NO 과실 YES NO Benkhemmar et al.,1993 호주 (Ascomycetes, Eurotiales) mold Penicillium variabile Sopp(1912) 52 fruit rot NO 과실 YES NO Pearson&Goheen,1988 호주 (Ascomycetes, Eurotiales) Phaeomoniella chlamydospora black goo, esca, 목질부, 53 (W.Gams,Crous,M.J.Wingfiel&L.Munai)Crous&W.Gams(2000) NO 관리 YES YES Crous&Gams,2000 호주 black measles 줄기, =Phaeoacremonium chlamydosporum

- 46 - W.Gams,Crous,M.J.Wingfield&L.Munai(1996) 과실, 잎 (Ascomycetes, Incertae sedis) Phaeoacremonium aleophilum W.Gams, Crous, M.J.Wingfield&L.Munai(1996) Teleomorph: Togninia minima (Tul. & C. Tul.) Berl. =Calosphaeria minima Tul. & C. Tul. 1863 black goo, esca, 54 =Erostella minima (Tul. & C. Tul.) Traverso 1906 NO 목질부 NO NO Larignon&Dubos,1997 호주 black measles =Erostella minima Ellis & Everh. 1891 [1890] =Togninia alnicola (Ellis & Everh.) Berl. 1900 =Longoa paniculata Curzi 1927 (Ascomycetes, Calosphaeriales) Phaeoramularia heterospora Ellis& Galloway)Deighton(1976) Oprea et al.,1992; =Septosporium heterosporum Ellis&Galloway(1888) Pearson&Goheen,1988 =Phaeoramularia heterospora (Ellis & Galloway) Deighton 55 leaf spot NO 잎 NO NO Graniti et al., 2000 호주 1976 Note: Published twice in 1976. Mugnai et al., 1999 =Stigmina vitis Dearn. & Barthol. (1929) (Ascomycetes, Mycosphaerellales) Phoma glomerata (Corda)Wollenw.&Hochapfel(1936) =Peyronellaea glomerata (Corda)Goid.(1946) =Coniothyrium glomeratum Corda 1840 56 fruit rot NO 관리 과실 YES NO Pearson&Goheen,1988 호주 =Aposphaeria glomerata (Corda) Sacc. 1884 Anamorph: Alternaria polymorpha L. Planchon (Ascomycetes, Pleosporales) Phoma vitis Bonord 1864 57 fruit rot NO 과실 YES NO Shivas,1989 호주 (Ascomycetes, Pleosporales)

Phomopsis viticola (Sacc.)Sacc.(1915) Phomopsis cane and Pearson&Goheen,1988 58 YES 줄기, 잎 NO NO 호주 =Diplodia viticola (1938) leaf spot; excoriose, Phillips,1999

- 47 - =Phoma viticola Sacc. (1880) =Phoma viniferae Cooke(1885) Phillips,2000 Telemorph: Diaporthe perjuncta Niess1 dead arn Scheper et al.,2000 =Cryptosporella viticola Shear (Ascomycetes, Diaporthales) Phytophthora cactorum (Leb.&Cohn)J.Shrott(1886) =Peronospora cactorum Lebert & Cohn 1870 =Phytophthora cactorum var. cactorum (Lebert & Cohn) J. Schr?t. 1886 Phytophthora crown Marais,1980 59 YES 수관, 뿌리 NO NO 호주 =Phytophthora omnivora de Bary 1881 and root rot Pearson&Goheen,1988 =Peronospora fagi R. Hartig 1876 (Oomycetes, Pythiales) Phytophthora cinnamomi Rands(1922) Phytophthora crown Marais,1980 60 =Phytophthora cinnamomi Rands 1922 YES 관리 수관, 뿌리 NO NO 호주 and root rot Pearson&Goheen,1988 (Oomycetes, Pythiales) Phytophthora citricola Sawada(1927) =Phytophthora cactorum var. applanata Chester 1932 =Phytophthora pini Leonian 1925 Phytophthora crown 61 YES 관리 수관, 뿌리 NO NO Pearson&Goheen,1988 호주 =Phytophthora pini var. pini Leonian 1925 and root rot =Phytophthora pini var. antirrhini Sundar. & T.S. Ramakr. 1928 (Oomycetes, Pythiales) Phytophthora cryptogea Pethybr.&Laff.(1919) Phytophthora crown Marais,1980 62 YES 수관, 뿌리 NO NO 호주 (Oomycetes, Pythiales) and root rot Pearson&Goheen,1988 Phytophthora megasperma Drechs.(1931) =Phytophthora megasperma var. megasperma Drechsler 1931 Phytophthora crown Marais,1980 63 NO 수관, 뿌리 NO NO 호주 =Pythiomorpha miyabeana S. Ito & Nagai 1931 and root rot Pearson&Goheen,1988 (Oomycetes, Pythiales) Phytophthora parasitica Dastar(1931) 64 Phytophthora crown YES 수관, 뿌리 NO NO Marais,1980 호주 =Phytophthora nicotianae var. nicotianae Breda de Haan 1896

- 48 - =Phytophthora parasitica var. nicotianae (Breda de Haan) Tucker 1931 =Phytophthora allii Sawada 1915 and root rot Pearson&Goheen,1988 =Phytophthora formosana Sawada 1942 (Oomycetes, Pythiales) Plasmopara viticola (Berk.&M.A. Curtis)Berl&De Toni(1888) =Perenospora viticola Berk.&Curtis 잎, 줄기 , 65 =Botrytis viticola Berk. & M.A. Curtis 1848 diwny mildew YES NO NO Pearson&Goheen,1988 호주 도관 =Peronospora viticola (Berk. & M.A. Curtis) Casp. 1855 (Oomycetes, Peronosporales) Pseudocercospora vitis (Lev.)Speg.(1910) =Cercospora vitis (Lev.)sacc.(1876) =Cercospora viticola (Ces.)Sacc. =Septonema vitis Lev.(1848) leaf spot, leaf blight, Pearson&Goheen,1988 66 YES 잎 NO NO 호주 =Isariopsis clavispora (Berk.&Curt.)Sacc. isariopsis leaf spot Suhag et al.,1983 =Phaeoisariopsis vitis (Lev)Speg.(1910) Teleomorph: Mycosphaerella personata Higgins 1929 (Ascomycetes, Mycosphaerellales) Pythium aphanidermatum (Edson) Fitzp.(1923) =Rheosporangium aphanidermatum Edson 1915 =Nematosporangium aphanidermatum (Edson) Fitzp. 1923 67 root rot YES 뿌리 NO NO Marais,1980 호주 =Nematosporangium aphanidermatum var. hawaiiensis Sideris 1931 =Pythium butleri L. Subram. 1919 (Oomycetes, Pythiales) Pythium debaryanum R.Hesse(1874) =Eupythium debaryanum (R. Hesse) Nieuwl. 1916 Cooke & Dube, 1989 68 root rot YES 뿌리 NO NO 호주 =Pythium debaryanum var. debaryanum R. Hesse 1925 Marais,1980 (Oomycetes, Pythiales)

- 49 - Pythium irregulare Buisman(1927) =Pythium fabae G. Cheney 1932 Cooke & Dube, 1989 69 =Pythium irregulare var. hawaiiense Sideris 1932 root rot NO 뿌리 NO NO 호주 Marais,1980 =Pythium polymorphon Sideris 1932 (Oomycetes, Pythiales) Pythium spinosum Sawada(1926) Bumbieris,1972 70 root rot YES 뿌리 NO NO 호주 (Oomycetes, Pythiales) Cooke & Dube, 1989 Pythium splendens Hans Braun(1925) 71 =Pythium splendens var. hawaiianum Sideris 1932 root rot NO 관리 뿌리 NO NO Cooke & Dube, 1989 호주 (Oomycetes, Pythiales) Pythium ultimum Trow(1901) =Pythium ultimum var. ultimum Trow 1901 72 root rot YES 뿌리 NO NO Pearson&Goheen,1989 호주 =Pythium haplomitri Lilienfeld 1911 (Oomycetes, Pythiales) Rhizoctonia solani J.G.Kuhn(1858) =Moniliopsis solani (J.G. K?hn) R.T. Moore 1987 =Moniliopsis aderholdii Ruhland 1908 =Rhizoctonia grisea (J.A. Stev.) Matz 1920 =Rhizoctonia napaeae Westend. & Wallays 1846 73 root rot YES 뿌리 NO NO Walker,1992 호주 Teleomorph: Thanatephorus cucumeris (A.B. Frank) Donk =Hypochnus cucumeris A.B. Frank 1883 =Pellicularia filamentosa f. sp. sasakii Exner 1953 =Hypochnus filamentosus Pat. 1926 (Basidiomycetes, Ceratobasidiales) Rhizopus arrhizus A. Fischer(1982) 74 =Rhizopus oryzae Went & Prins. Geerl. 1895 Rhizopus fruit rot YES 과실 YES NO Pearson&Goheen,1988 호주 =Rhizopus tritici Saito 1904

- 50 - (Zygomycetes, Mucorales) Rhizopus stolonifer (Ehrenb:Fr)Vuill.(1902) =Mucor stolonifer Ehrenb. 1818 =Rhizopus artocarpi Racib. 1959 75 Rhizopus fruit rot YES 과실 YES NO Pearson&Goheen,1988 호주 =Rhizopus necans Massee 1897 =Rhizopus nigricans Ehrenb. 1821 (Zygomycetes, Mucorales) Sclerotinia sclerotiorum (Lib.)de Bary (1884) =Peziza sclerotiorum Lib. 1837 =Sclerotinia libertiana Fuckel 1870 =Helotium sclerotiorum (Lib.) Fuckel 1866 =Hymenoscyphus sclerotiorum (Lib.) W. Phillips 1887 Hall&McMahon2001 76 root rot YES 뿌리 NO NO 호주 =Phialea sclerotiorum (Lib.) Gillet 1881 Pearson&Goheen,1988 =Whetzelinia sclerotiorum (Lib.) Korf & Dumont 1972 Anamorph: Sclerotium varium Pers. : Fr. = Sclerotium opuntiarum Speg. 1899 (Ascomycetes, Helotiales) Seimatosporium lichenicola (corda) Shoemaker&E.Muller(1964) =Hendersonia lichenicola (Corda) L?v. 1846 =Coryneum carbonaceum Kab?t & Bub?k 1916 =Coryneum microsticium Berk.&Broome Teleomorph: Discostroma fuscellum (Berk. & Broome) 77 canler NO 관리 목질부 NO NO Cooke&Duke,1989 호주 Huhndorf =Sphaeria fuscella Berk. & Broome 1852 =Leptosphaeria fuscella (Berk. & Broome) Ces. & De Not. 1863 =Coryneum microsticum Berk.&Broome

- 51 - (Ascomycetes, Xylariales) Septoria ampelina Berk.&M.A.Curtis(1865) Septoria leaf spot; 78 =Septoria melanosa var. melanosa Elenkin 1909 NO 관리 잎 NO NO Pearson&Goheen,1988 호주 melanose (Ascomycetes, Mycosphaerellales) Stemphylium botryosum Sacc.(1833) =Macrosporium commune Rabenh. 1870 berry rot; raisin 79 Teleomorph: Pleospora tarda E.G. Simmons YES 과실 YES NO Pearson&Goheen,1988 호주 mold =Pleospora herbarum P.Karst(1863) (Ascomycetes, Pleosporales) Stereum hirsutum Willd.:Fr(1938) =Stereum complicatum (Fr. : Fr.) Fr. wood decay, 80 =Stereum rameale (Schwein.) Burt 1890 NO 잎, 목질부 NO NO Pearson&Goheen,1988 호주 associated with esca =Stereum styracifluum (Schwein. : Fr.) Fr. 1838 (Basidiomycetes, Russulales) Trichothecium roseum (Pers.) Hirk(1809) =Trichoderma roseum Pers. : Fr. 1794 =Hyphelia rosea (Pers. : Fr.) Fr. 1825 81 fruit rot YES 과실 YES NO Svetov,1980 호주 =Puccinia rosea (Pers. : Fr.) Corda 1905 =Cephalothecium roseum Corda 1838 (Ascomycetes, Incertae sedis) Verticillium dahliae Kleb.(1913) Canter,1970 =Verticillium albo-atrum var. dahliae (Kleb.) R. Nelson 1950 Pearson&Goheen,1988 82 =Verticillium albo-atrum var. medium Wollenw. 1929 Verticillium wilt YES 뿌리 NO NO 호주 Schnathorst&Goheen,197 =Verticillium ovatum G.H. Berk. & A.B. Jacks. 1926 7 (Ascomycetes: Hypocreales) Zygophiala jamaicensis Mason(1945) 83 flyspeak YES ㅡ NO NO Nasu et al .,1985 호주 (Ascomycetes, Incertae sedis) 84 Agrobacterium tumefaciens crown gall YES 뿌리 NO NO Goodman et al., 1987 호주

- 52 - (Smith & Townsend) Conn 1942 Burr, 1988

Agrobacterium vitis Ophel & Kerr 1990 Ophel & Kerr, 1990 85 crown gall YES 뿌리 NO NO 호주 Burr et al., 1999 Cugusi et al., 1986 bark necrosis, l Hall & McMahon, 86 Pseudomonas syringe van Hall 1902 YES 줄기, 잎 NO NO 호주 eaf necrosis 2001 Klinger et al, 1976 Cadman et al, 1960 Grapevine fanleaf nepovirus(GFLV) Ipach et al, 2000 87 fan leaf YES 관리 잎 NO NO 호주 Nepovirus: Comoviridae Pinck, 2000 Kim et al, 2002 Grapevine fleck virus(GFkV) Sabanadzovic et al, 88 fleck YES 잎 NO NO 호주 (ungrouped) 2000 Abou-Ghanem et al, 1998 89 Grapevine leafroll associated mealyvirus 1(GLRaV1) leaf roll disease YES 잎 NO NO 호주 Belli et al, 1995 Boscia et al, 1995 Cabaleiro & Segura 90 Grapevine leafroll associated closterovirus 2(GLRaV2) leaf roll disease NO 잎 NO NO 1997 호주 Choueiri et al, 1996 Gonslaves, 2000 91 Grapevine leafroll associated mealyvirus 3(GLRaV3) leaf roll disease YES 잎 NO NO Grief et al, 1995 호주 Gugerli et al, 1984 Gugerli et al, 1997 92 Grapevine leafroll associated virus 4(GLRaV4) leaf roll disease NO 잎 NO NO 호주 Habili et al, 1997

- 53 - Hu et al, 1990 Monis & Bestwick, 93 Grapevine leafroll associated virus 5(GLRaV5) leaf roll disease NO 잎 NO NO 1997 호주 Wilcox et al, 1998 Uyemoto et al, 2000 94 Grapevine rootstock stem lesion associated virus(GRSLaV) lesion on rootstock NO 뿌리 NO NO 호주 Habili & Symons, 2001 Grapevine rupestris stem pitting associated Meng et al, 1999 95 stem pitting NO 줄기 NO NO 호주 foveavirus(GRSPaV) Zhang et al, 1998 Abou-Ghanem et al, 1997 Bonavia et al, 1996 96 Grapevine vitivirus A(GVA) NO 줄기 NO NO Garau et al, 1994 호주 La Notte et al, 1997 Minafra 2000 Boscia et al, 1995 97 Grapevine vitivirus B(GVB) NO 목질부 NO NO 호주 CABI(2007)EPPO, 2006 98 Arabis mosaic virus (ArMV) NO 관리 잎, 과실 YES NO 추가 Murant et al., 1996 Sutton, 1974 99 Carnation ringspot virus (CRSV) NO 관리 잎, 뿌리 NO NO 추가 Hollings & Stone, 1970 CABI/EPPO, 2003 100 Strawberry latent ringspot virus (SLRSV) NO 관리 잎 NO NO EPPO 2006 추가 Credi et al., 1981 Behncken, 1968 101 Tobacco necrosis virus (TNV) NO 관리 잎, 줄기 NO NO 추가 Finlay & Teakle, 1969 102 Tobacco ringspot virus (TRSV) NO 관리 잎, 줄기 , YES NO Reynolds & Teakle, 추가

- 54 - 1976 Randles & Francki, 과실 1965 CMI, 1984 CABI(2007), EPPO 잎, 줄기 , 103 Tomato ringspot virus (ToRSV) NO 관리 YES NO 2006 추가 과실 Dias, 1977 Rezaian et al, 1988 104 Australian grapevine apscaviroid (AGVd) NO 줄기 NO NO 호주 Rezaian et al, 1992 Bovey & Martelli, 1992 105 Citrus exocortis popsiviroid (CEVd) NO 줄기 NO NO Minafra et al, 1990 호주 Semancik et al, 1987 Kofalvi et al, 1997 Koltunow et al, 1988 106 Grapevine yellow speckle apscaviroid (GYSVd) yellow speckle NO 줄기 NO NO Szychowski et al, 1998 호주 Woodham & Krake, 1982 Farkas et al, 1999 Kofalvi et al, 1997 107 Hop stunt hostuviroid (HSVd) YES 줄기 NO NO Koltunow et al, 1988 호주 Rezaian et al, 1988 Sano et al, 1999 Woodham & Krake, 108 Summer mottle- viroid like NO 줄기 NO NO 1982 호주 Krake et al, 1999 109 Stolbur(STOL) group Australian grapevine NO 줄기 NO NO Andersen et al, 2001 호주

- 55 - yellows Constable et al, 2000 (candidatus Gibb et al, 1999 phytoplasma Liefting et al, 1998 australiense) Padovan et al, 2000 Other uncharacterised 110 Stolbur(STOL) group NO 줄기 NO NO 호주 grapevine yellows

- 56 - 호주산 포도에 발생하는 해충 목록

추가검토 학명 일반명 가해부위 경로여부 국내분포 규제상태 참고문헌 대상 Collembola 톡토기목 [Onychiuridae어리톡토기과 ] 호주측 제공자료(2002) Root feeding 유묘의 뿌리( 토양에서 Onychiuridae spp. No15 종 분포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springtail 만) ESK/KSAE(1994) Dermaptera 집게벌레목 [Forficulidae ] 집게벌레과 잎, 꽃 , 과일 호주측 제공자료(2002) ※ 땅속에 산란하며, 약 호주포도Datasheet(2003) European earwig Forficula auricularia Linnaeus 충과 성충은 활발히 움 No Yes No State of Victoria(2007)-Organic 양집게벌레 직이므로 상업적 과일에 viticulture 나타날 가능성 없음 ESK/KSAE(1994) 메뚜기목 [ ] 메뚜기과 guttulosa (Walker) 호주측 제공자료(2002) syn.= Patanga guttulosa Walker; Spur-throated 잎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Nomadacris guttulosa Walker; locust Cyrtacanthacris guttulosa Walker 호주측 제공자료(2002) Small plague Austroicetes cruciata (de Saussure) 잎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grasshopper

호주측 제공자료(2002) Australian plague Chortoicetes terminifera (Walker) 잎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locust State of Victoria(2007)-Organic

- 57 - viticulture 호주측 제공자료(2002) Wingless 호주포도Datasheet(2003) Phaulacridium vittatum (Sjostedt) 잎, 신초 No No No grasshopper State of Victoria(2007)-Organic viticulture 호주측 제공자료(2002) Valanga irregularis (Walker) Giantgrasshopper 잎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Tettigoniidae ] 여치과 Long-horned 호주측 제공자료(2002) grasshopper; Caedicia spp. 잎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katydid; bush cricket Embioptera 흰개미붙이목 [Oligotomidae] 낙엽, 건초 , 이끼 , 나무 호주측 제공자료(2002) Oligotoma saundersii (Westwood) Saunders embid No No No 껍질 호주포도Datasheet(2003) Thysanoptera 총채벌레목 [Phloethripidae ] 관총채벌레과 꽃 ※ 분류 논문에만 기록 호주측 제공자료(2002) Black plague Haplothrips froggatti Hood 된 종으로 경제적 중요 No No 관리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thrips 성은 극히 낮다고 판단 PIS(2010)-Datasheet 됨 Tubular black 꽃, 어린 잎 , 줄기 , 과 호주측 제공자료(2002) Haplothrips victoriensis Bagnall Yes No 관리 Yes thrips 일 호주포도Datasheet(2003) [Thripidae ] 총채벌레과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Western flower 꽃눈, 포도송이 Yes Yes 비검역 No 호주측 제공자료(2002)

- 58 - syn.= Frankliniella californica Moulton; Euthrips helianthi Moulton; Euthrips tritici var. californicus Moulton; Frankliniella tritici var. moultoni Hood; Frankliniella canadensis Morgan; Frankliniella claripennis Morgan; Frankliniella occidentalis f. brunnescens Priesner; Frankliniella occidentalis f. dubia Priesner; Frankliniella nubila thrips; 꽃노랑총채 Treherne; Frankliniella tritici 호주포도Datasheet(2003) 벌레 maculata Priesner; Frankliniella venusta Moulton; Frankliniella conspicua Moulton; Frankliniella chrysanthemi Kurosawa; Frankliniella dahliae Moulton; Frankliniella dianthi Moulton; Frankliniella syringae Moulton; Frankliniella umbrosa Moulton; Frankliniella moultoni Hood; Frankliniella trehernei Morgan Heliothrips haemorrhoidalis (Bouche) 호주측 제공자료(2002) syn.= Heliothrips haemorrhoidalis Greenhouse thrips; 과일, 잎 Yes Yes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var. abdominalis Reuter; Heliothrips 귤총채벌레 ESK/KSAE(1994) haemorrhoidalis var. ceylonicus Schmutz; Heliothrips

- 59 - haemorrhoidalis var. andustior Priesner; Heliothrips adonium Haliday; Heliothrips semiaureus Girault; Dinurithrips rufiventris Girault Banded greenhouse thrips; Glasshouse thrips; Hercinothrips femoralis (Reuter) 과일 Yes Yes No CABI(2007) Banded sugarbeet thrips; 고사리그물 총채벌레 Limothrips cerealium (Haliday) 꽃, 잎 CABI(2007) syn.= Limothrips avenae Hinds Corn thrips No No 관리 No ※ 주로 화본과 식물 PIS(2010)-datasheet

Scirtothrips dorsalis Hood syn.= Hekiothrips mintissmus Chilli thrips; Baganll; Anaphothrips andreae Yellow tea thrips; 잎, 신초 , 꽃눈 , 꽃 No Yes 비검역 No CABI(2007) Karny; Neophysopus fragariae Strawberry thrips; Girault; Scirtothrips padmae 볼록총채벌레 Ramakrishna Selenothrips rubrocinctus (Giard) Red banded syn.= Brachyurothrips indicus thrips; Cacao Bagnall; Heliothrips (Selenothrips) 잎, 꽃 , 과일 Yes No 관리 Yes CABI(2007) thrips; Cocoa decolor Karny; Heliothrips thrips (Selenothrips) mendex Schmutz Thrips australis (Bagnall) Eucalyptus thrips; 호주측 제공자료(2002) 꽃, 잎 No No 관리 No syn.= Isoneurothrips australis Eucalyptus flower 호주포도Datasheet(2003)

- 60 - Bagnall thrips Thrips hawaiiensis (Morgan) syn.= Thrips albipes Bagnall; Thrips nigriflava Schmutz; Thrips sulphurea Schmutz; Physothrips Hawaiian flower pallipes Bagnall; Taeniothrips thrips; Banana 꽃,, 잎 어린 과일 Yes Yes 비검역 No CABI(2007) eriobotryae Moulton; Thrips flower thrips; 하와 hawaiiensis f. imitator Priesner; 이총채벌레 Taeniothrips rhodomytri Priesner; Taeniothrips pallipes var. florinatus Priesner; Thrips versicolor Bagnall Thrips imaginis Bagnall 호주측 제공자료(2002) syn.= Thrips fortis Bagnall; Thrips Plague thrips; 꽃, 어린 송이 , 과경 , Yes No 관리 Yes 호주포도Datasheet(2003) io Girault; Thrips aureolus Girault; Apple thrips 과일 CABI(2007) Thrips apertus Kelly et Mayne Thrips tabaci Linderman syn.= Limothrips allii Gillette; Thrips Onion thrips; 호주측 제공자료(2002) allii Sirrine & Lowe; Thrips Cotton seedling 꽃, 잎 No Yes 비검역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hololeucus Bagnall; Thrips thrips; 파총채벌레 ESK/KSAE(1994) bremnerii Moulton; Thrips dianthi Moulton Hemiptera( ) 노린재목 [Aphididae ] 진딧물과

Aphis gossypii Glover Cotton aphid; 호주측 제공자료(2002) syn.= Aphis bauhiniae Theobald; Melon aphid; 목화 잎 No Yes 비검역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Aphis circezandis Fitch; Aphis citri 진딧물 ESK/KSAE(1994) Ashmead of Essig; Aphis

- 61 - cucumeris Forbes; Aphis cucurbiti Buckton; Aphis parvus Theobald; Aphis tectonae van der Goot; Toxoptera leonuri Takahashi; Doralina frangulae (Kaltenbach); Aphis citrulli Ashmead; Aphis lilicola Williams; Aphis minuta Wilson; Aphis monardae Oestlund Aphis spiraecola Patch syn.= Aphis citricola van der Goot; Aphis pseudopomi Blanchard; Aphis bidentis Theobald; Aphis croomiae Shinji; Aphis deutziae Spirea aphid; 호주측 제공자료(2002) Shinji; Aphis malvoides van der Apple aphid; 조팝 신초, 잎 , 과일 No Yes 비검역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Goot; Aphis mitsubae Shinji; Aphis 나무진딧물 ESK/KSAE(1994) nigricauda van der Goot; Aphis pirifoliae Shinji; Aphis virburnicolens Swain; Anuraphis erratica del Guercio; Aphis pseudopomi Bertels Macrosiphum euphorbiae (Thomas) syn.= Macrosiphum amygdaloides; Macrosiphum euphorbiellum Theobald; Macrosiphum koehleri Potato aphid; 감자 CABI(2007) 줄기,,, 잎 꽃 과실 No Yes 비검역 No B?ner; Macrosiphon solanifolii 수염진딧물 페루포도예비위험평가자료(2005) Ashmead; Macrosiphum cyprissiae var. cucurbitae del Guercio; Macrosiphum rosaeollae Theobald;

- 62 - Macrosiphum tabaci Pergande; Nectarophora ascepiadis Cowen et al.; Nectarophora heleniella Cockerell; Nectarophora lycopersici Clarke; Siphonophora asclepiadifolii Thomas; Siphonophora cucurbitae Middleton et Thomas; Siphonophora tulipae Mondell Myzus persicae (Sulzer) Green 호주측 제공자료(2002) syn.= Myozoides persicae van der aphid; 복숭아혹진 잎 No Yes 비검역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Goot; Rhopalosiphum persicae 딧물 ESK/KSAE(1994) Matsumura Popular-lettuce 호주측 제공자료(2002) Pemphigus sp. 잎 No No No aphid 호주포도Datasheet(2003) [Cicadidae ] 매미과 호주측 제공자료(2002) Melampsalta sp. Blackcicada 줄기목질부( )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Coccidae ] 밀깍지벌레과 CABI(2007) Ceroplastes sinensis Del Guercio Chinese wax scale 잎, 가지 , 줄기 No No 관리 No PIS(2010)-datasheet Coccus hesperidum L. syn.= Lecanium (Coccus) signiferum Green; Chermes lauri 호주측 제공자료(2002) Boisduval; Lecanium signiferum Soft brown scale; 과일 No Yes 비검역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Green; Calypticus laevis Costa; 무화과깍지벌레 ESK/KSAE(1994) Coccus patellaeformis Curtis; Lecanium angustatus Signoret; Lecanium maculatum Signoret;

- 63 - Kermes aurantj Alfonso; Lecanium alienum Douglas; Lecanium minimum Newstead; Lecanium terminaliae Cockerell; Lecanium assimile amaryllidis Cockerell; Lecanium assimile amaryllis Cockerell; Lecanium ceratoniae Gennadius; Lecanium nanum Cockerell; Lecanium minimum pinicola Maskell; Lecanium flaveolum Cockerell; Lecanium ventrale Ehrhorn; Lecanium hesperidum alienum Douglas; Lecanium (Calymnatus) hesperidum pacificum Kuwana; Saissetia punctulifera (Green) 호주측 제공자료(2002) Eulecanium sp. 잎, 줄기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Parasaissetia nigra (Nietner) syn.= Lecanium depressum Targioni Tozzetti; Lecanium Black coccid; depressum simulans Douglas; Black scale; 호주측 제공자료(2002) Lecanium begoniae Douglas; Pomegranate 잎, 줄기 No Yes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Lecanium caudatum Green; scale; Nigra scale; ESK/KSAE(1994) Lecanium (Saissetia) pseudonigrum 검은철모깍지벌레 Kuwana; Saissetia cuneiformis Leonardi; Lecanium (Saissetia)

- 64 - signatum Newstead; Lecanium (Saissetia) nigrum nitidum Newstead; Saissetia perseae Brain; Lecanium (Saissetia) crassum Green European fruit Parthenolecanium corni (Bouche) CABI(2007) scale; 말채나무공 줄기, 주간 No Yes No syn. = Lecanium corni (Bouche) ESK/KSAE(1994) 깍지벌레 Parthenolecanium persicae persicae (Fabricius) syn. = Coccus persicorum Sulzer; Coccus costatus Schrank; Coccus clematidis Gmelin; Coccus berberidis Schrank; Lecanium elongatum Signoret; Lecanium Brown peach genistae Signoret; Lecanium mori scale; Grapevine 호주측 제공자료(2002) Signoret; Lecanium sarothamni scale; European 줄기, 그을음병 유발 No Yes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Douglas; Lecanium magnoliarum peach scale; 복숭 ESK/KSAE(1994) Cockerell; Eulecanium magnoliarum 아공깍지벌레 hortensiae Cockerell; Eulecanium cecconi Leonardi; Lecanium persicae goidanichi Kawecki; Parthenolecanium thymi Danzig; Parthenolecanium persicae spinosum (Brittin) Parthenolecanium pruinosum 호주측 제공자료(2002) Frosted scale 줄기, 그을음병 유발 No No 관리 No (Coquillett) 호주포도Datasheet(2003)

- 65 - syn.= Lecanium robiniae Townsend; Eulecanium robiniae subsimile Cockerell

호주측 제공자료(2002) Parthenolecanium sp. 잎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Saissetia coffeae (Walker) syn.= Lecanium hemisphaericum Hemispherical Targioni Tozzetti; Chermes anthurii scale; Brown Boisduval; Chermes filicum CABI(2007) coffee scale; 줄기, 주간 No Yes No Boisduval; Chermes hibernaculorum ESK/KSAE(1994) Helmet scale; 철 Boisduval; Lecanium beaumontiae 모깍지벌레 Douglas; Lecanium clypeatum Douglas Saisettia oleae oleae (Olivier) 호주측 제공자료(2002) syn.= Coccus palmae Haworth; Blackscale 줄기잎, No No 관리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Coccus testudo Curtis [Coreidae ] 허리노린재과 호주측 제공자료(2002) Amblypelta sp. 과일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Crusader bug; 호주측 제공자료(2002) Mictis profana (Fabricius) Coffee-brown 잎, 신초 No No 관리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plant bug [Diaspididae ] 깍지벌레과 Aspidiotus nerii Bouche Ivy scale; Acuba syn.= Chermes aloes Boisduval; 호주측 제공자료(2002) scale; Oleander 과일, 잎 , 신초 Yes No 관리 NO Chermes ericae Boisduval; 호주포도Datasheet(2003) scale Chermes cycadicola Boisduval;

- 66 - Aspidiotus affinis Targioni Tozzetti; Aspidiotus bouchei Targioni Tozzetti; Aspidiotus caldesii Targioni Tozzetti; Aspidiotus denticulatus Targioni Tozzetti; Aspidiotus villosus Targioni Tozzetti; Aspidiotus budleiae Signoret; Aspidiotus ceratoniae Signoret; Aspidiotus gnidii Signoret; Aspidiotus ilicis Signoret; Aspidiotus limonii Signoret; Aspidiotus myricinae Signoret; Aspidiotus capparis Signoret; Aspidiotus ulicis Signoret; Aspidiotus vriesciae Signoret; Aspidiotus genistae Signoret; Aspidiotus epidendri Signoret; Coccus limonii Murray; Aspidiotus lentisci Signoret; Aspidiotus ?osmanthi Signoret; Aspidiotus atherospermae Maskell; Aspidiotus dysoxyli Maskell; Coccus (Aspidiotus) palmarum Signoret; Aspidiotus oleae Colvee; Aspidiotus corynocarpi Colvee; Aspidiotus oleastin Colvee; Aspidiotus

- 67 - sophorae Maskell; Aspidiotus carpodeti Maskell; Aspidiotus vagabundus Cockerell; Aspidiotus transparens rectangulatus Lindinjger; Aspidiotus confusus Froggatt; Aspidiotus transvaalensis Leonardi; Aspidiotus tasmaniae Green; Aspidiotus hederae urenae Hall; Aspidiotus hederae unipectinata Carimini; Aspidiotus fonsecai Giannotti; Aspidiotus hederae unisexualis Schmutterer; Aspidiotus paranerii Gerson Chrysomphalus aonidum (Linnaeus) Curcular scale; 호주측 제공자료(2002) syn.= Chrysomphalus ficus Black scale, 잎 No Yes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Ashmead; Aonidiella ficorum Florida red scale, ESK/KSAE(1994) Ashmead 온실갈색깍지벌레 호주측 제공자료(2002) Diaspidiotus ancylus (Putnem) Putnamscale 과일 Yes No 관리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Diaspidiotus perniciosus (Comstock) syn.= Quadraspidiotus perniciosus San Jose scale, 호주측 제공자료(2002) (Comstock); Comstockaspis Californian scale; 가지, 과일 Yes Yes 비검역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perniciosus (Comstock); Aonidia 산호제깍지벌레 ESK/KSAE(1994) fusca Maskell; Aspidiotus albopunctatus Cockerell; Aspidiotus (Diaspidiotus) andromelas Cockerell

- 68 - Hemiberlesia lataniae (Signoret) syn.= Aspidiotus cydoniae Cockerell; Aspidiotus greenii Latania scale, 호주측 제공자료(2002) Cockerell; Aspidiotus punicae Palm scale, 야자 줄기, 가지 , 잎 No Yes 비검역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Cockerell; Aspidiotus tectus Ferris; 흰깍지벌레 ESK/KSAE(1994) Aspidiotus aspleniae Ferris; Aspidiotus askleniae Sasaki; Aspidiotus crawii Cockerell Hemiberlesia rapax (Comstock) syn.= Aspidiotus camelliae Signoret; Aspidiotus lucumae 호주측 제공자료(2002) Cockerell; Aspidiotus convexus Greedy scale 과일 Yes No 관리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Comstock; Aspidiotus tricolor Cockerell; Hemiberlesia argentina Leonardi Lepidosaphes ulmi (Linnaeus) syn.= Coccus berberidis Schrank; Coccus amygdali Schrank; Aspidiotus conchiformis Curtis; Aspidiotus falciformis Apple mussel 호주측 제공자료(2002) Baerensprung; Aspidiotus pomorum scale; Oystershell 수간, 가지 ,, 잎 과일 Yes Yes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Bouche; Aspidiotus juglandis Fitch; scale; 사과굴깍지 ESK/KSAE(1994) Mytilococcus communis Amerling; 벌레 Mytilaspis pomicorticis Riley; Mytilaspis ulmicorticis Riley; Aspidious fraxini Altum; Mytilaspis vitis Goethe; Mytilaspis ulicis

- 69 - Douglas; Aspidiotus pyrus-malus Cockerell; Mytilaspis ceratoniae Gennadius; Mytilaspis pomorum candidus Newstead; Mytilaspis (Lepidosaphes) bicolor Newstead; Lepidosaphes beckii oleae Leonardi; Lepidosaphes ulmi unisexualis Thiem; Lepidosaphes ulmi bisexualis Thiem; Lepidosaphes ulmi cotini Koroneos; Lepidosaphes ulmi oleae Koroneos; Lepidosaphes ulmi rosae Koroneos; Lepidosaphes fici Lindinger; Lepidosaphes tiliae Savescu; Lepidosaphes populi Savescu; Lepidosaphes mesasiatica Borchsenius Parlatoria oleae (Colvee) syn.= Parlatoria calianthina Berlese & Leonardi; Parlatoria affinis Newstead; Diaspis squamosus Olive parlatoria 호주측 제공자료(2002) 잎, 과일 Yes No 관리 NO Newstead & Theobald; Parlatoria scale 호주포도Datasheet(2003) judaica Bodenheimer; Parlatoria iudaica Lindinger; Parlatoria morrisoni Bodenheimer Pseudaulacaspis pentagona Mulberry scale, CABI(2007) 잎, 줄기 , 주간 , 과일 Yes Yes 비검역 No (Targioni Tozzetti) White peach ESK/KSAE(1994)

- 70 - syn.= Diaspis amygdali Tryon; Diaspis lanatus Morgan & scale, 뽕나무깍지 Cockerell; Diaspis patelliformis 벌레 Sasaki; Aspidiotus vitiensis Maskell; [Lygaeidae ] 긴노린재과 호주측 제공자료(2002) Nysius vinitor Bergroth Rutherglenbug 녹색부분에서즙액흡즙 No No 관리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호주측 제공자료(2002) Oxycarenus arctatus (Walker) Coonbug 어린줄기 No No 관리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Margarodidae ] 이세리아깍지벌레과 Cottony cushion 호주측 제공자료(2002) Icerya purchasi Maskell scale; Australian 줄기, 가지 , 목질부 No Yes 비검역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syn.= Pericerya purchasi (Maskell) bug; 이세리아깍지 ESK/KSAE(1994) 벌레 [Miridae ] 장님노린재과 Creontiades dilutus (Stal) 호주측 제공자료(2002) syn.= Megacoelum dilutum Stal; Greenmirid 잎꽃, No No 관리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Megacoelum modesteum Distant; Matipatil & Cassis (1997) Creontiades virescens Reuter [Pentatomidae ] 노린재과 Green vegetable Nezara viridula (Linnaeus) 호주측 제공자료(2002) bug; Green stink syn.= Cimex torquatus Fabricius; 과일, 꽃눈 No Yes 비검역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bug; 남쪽풀색노린 Cimex smaragdulus Fabricius ESK/KSAE(1994) 재 호주측 제공자료(2002) Plautia affinis (Dallas) Greenstinkbug 과일 No No 관리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Phylloxeridae ] 뿌리혹벌레과 Daktulosphaira vitifoliae (Fitch) Grapevine 뿌리,( 잎흔하지않음 ) No Yes No호주측제공자료(2002)

- 71 - syn.= Viteus vitifoliae (Fitch); phylloxera; Vine 호주포도Datasheet(2003) Phylloxera vastarix Planchon; louse; 포도뿌리혹 ESK/KSAE(1994) Phylloxera vitifoliae (Fitch) 벌레 [Pseudococcidae ] 가루깍지벌레과 Ferrisia virgata (Cockerell) syn.= Dactylopius segregatus Cockerell; Dactylopius ceriferus Newstead; Dactylopius talini Green; Dactylopius dasylirii Cockerell; Dactylopius setosus Hempel; Striped mealybug, 잎, 줄기 , 주간 , 과일 Yes No 관리 NO CABI(2007) Dactylopius magnolicida King; Guava mealybug Pseudococcus marchali Vayssiere; Pseudococcus bicaudatus Keuchenius; Heliococcus malvastrus McDaniel; Ferrisia neovirgata Khalid & Shafee Maconellicoccus hirsutus (Green) syn.= Pseudococcus hibisci Hall; Phenacoccus quaternus Ramakrishna Ayyar; Phenacoccus Pink hibiscus glomeratus Green; Pseudococcus mealybug; Grape 잎, 줄기 , 주간 , 과일 Yes No 관리 NO CABI(2007) crotolariae Miller; Spilococcus mealybug; perforatus De Lotto; Paracoccus Hirsutus mealybug pasaniae Borchsenius; Pseudococcus crotolariae Yunus & Ho Nipaecoccus viridis (Newstead) Spherical 과경, 잎자루 , 신초 기 Yes No 관리 NO 호주측 제공자료(2002)

- 72 - syn.= Dactylopius vastator Maskell; Dactylopius perniciosus Newstead & Willcocks; Pseudococcus mealybug; Pink solitarius Brain; Ripersia theae 부, 잎 호주포도Datasheet(2003) melaybug Rutherford; Pseudococcus filamentosus var. corymbatus Green; Trionymus sericeus James Planococcus citri (Risso) syn. = Coccus tipularum Bouche; Dactylopius alaterni Signoret; Dactylopius ceratoniae Signoret; Dactylopius cyperi Signoret; Dactylopius robiniae Signoret; Lecanium phyllococcus Ashmead; Dactylopius brevispinus Targioni 호주측 제공자료(2002) Tozzetti Dactylopius destructor Citrus mealybug, 즙액을 흡즙하여 잎과 호주포도Datasheet(2003) Yes Yes 비검역 NO Comstock Dactylopius secretus 귤가루깍지벌레 과일에 그을음병을 유발 ESK/KSAE(1994) Hempel; Phenacoccus spiriferus PIS(2010)-미국포도 1 회검출 Hempel; Pseudococcus citri coleorum Marchal; Pseudococcus citri var. phenacocciformis Brain; Planococcus cubanensis Ezzat & McConnell; Planococcus citricus Ezzat & McConnell; Planococcus cucurbitae Ezzat & McConnell Planococcus minor (Maskell) Pacific mealybug 잎, 줄기 , 주간 , 과일 Yes No 관리 NO CABI(2007) syn.= Planococcus pacificus Cox;

- 73 - Planococcus psidii Cox Pseudococcus affinis (Maskel) Pseudococcus viburni (Signoret) syn= Dactylopius affinis Maskell; Pseudococcus obscurus Essig; Obscure 호주측 제공자료(2002) Pseudococcus capensis Brain; mealybug; Tuber 즙액을 흡즙하여 잎과 Yes No 관리 Yes 호주포도Datasheet(2003) Pseudococcus nicotianae Leonardi; mealybug; Fruit 과일에 그을음병을 유발 PIS(2010)-칠레포도 13 회검출 Pseudococcus longispinus latipes mealybug Green; Pseudococcus fathyi Bodenheimer; Pseudococcus malacearum Ferris Pseudococcus calceolariae (Maskell) 호주측 제공자료(2002) syn.= Dactylopius similans Lidgett; Citrophilous 즙액을 흡즙하여 잎과 Yes No 관리 Yes 호주포도Datasheet(2003) Pseudococcus fragilis Brain; mealybug 과일에 그을음병을 유발 PIS(2010)-칠레포도 1 회검출 Pseudococcus citrophilus Clausen; Pseudococcus gahani Green Pseudococcus longispinus (Targioni Tozzetti) syn.= Pseudococcus adonidum 호주측 제공자료(2002) Long-tailed (Linnaeus); Dactylopius longifilis 즙액을 흡즙하여 잎과 호주포도Datasheet(2003) mealybug; 긴꼬리 Yes No 관리 Yes Comstock; Coccus laurinus 과일에 그을음병을 유발 PIS(2010)-칠레 / 미국포도각 1 회검 가루깍지벌레 Boisduval; Dactylopius pteridis 출 Signoret; Dactylopius hoyae Signoret [Pyrrhocoridae ] 별노린재과

Dysdercus sidae Montrouzier Palecotton 과일, 신초 No No No호주측제공자료(2002)

- 74 - stainer 호주포도Datasheet(2003) [Ricaniidae ] 큰날개매미충과 Passion vine 호주측 제공자료(2002) Scolypopa australis (Walker) 잎 No No 관리 No hopper 호주포도Datasheet(2003) [Scutelleridae ] 광대노린재과 호주측 제공자료(2002) Scutiphora pedicellata (Kirby) Metallicshieldbug 과일, 잎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Coleoptera( ) 딱정벌레목 [Bostrichidae ] 개나무좀과 호주측 제공자료(2002) Large auger 호주포도Datasheet(2003) Bostrychopsis jesuita (Fabricius) 줄기 No No 관리 No beetle State of Victoria(2007)-Organic viticulture Powder-post 호주측 제공자료(2002) Trogoxylon impressum (Comolli) 줄기( 목질부 ) No No 관리 No beetle 호주포도Datasheet(2003) Two-spined auger 호주측 제공자료(2002) Xylobosca bispinosa (MacLeay) 줄기( 목질부 ) No No No beetle 호주포도Datasheet(2003) 호주측 제공자료(2002) Common auger 호주포도Datasheet(2003) Xylopsocus gibbicollis (MacLeay) 줄기( 목질부 ) No No 관리 No beetle State of Victoria(2007)-Organic viticulture [Cerambycidae ] 하늘소과 호주측 제공자료(2002) Acalopepta vastator (Newman) Fig longicorn 유충- 뿌리 , 가지 , 줄 호주포도Datasheet(2003) syn.= Dihammus vastator No No 관리 No borer 기 State of Victoria(2007)-Organic (Newman) viticulture [Chrysomelidae ] 잎벌레과 Altica gravida (Blackburn) Metallic flea 호주측 제공자료(2002) 잎 No No 관리 No syn.= Haltica gravida Blackburn beetle 호주포도Datasheet(2003)

- 75 - Lucerne leaf 호주측 제공자료(2002) Colaspoides foveiventris Lea 잎, 신초 No No No eating beetle 호주포도Datasheet(2003) 호주측 제공자료(2002) Colaspoides heroni Lea 잎, 신초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호주측 제공자료(2002) Colaspoides picticornis Lea 잎, 신초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Red-shouldered 유충- 뿌리 호주측 제공자료(2002) Monolepta australis (Jacoby) No No 관리 No leaf beetle 성충- 꽃 , 잎 , 과일 호주포도Datasheet(2003) ※ M. australis 와 유사 Small monolepta 호주측 제공자료(2002) Monolepta divisa Blackburn 유충- 뿌리 No No No beetle 호주포도Datasheet(2003) 성충- 꽃 , 잎 , 과일 Pyrrhalta luteola (Muller) syn.= Galeruca calmariensis Fabricius; Galeruca xanthomelaena Elmleafbeetle 잎 No No 관리 No CABI(2007) Schrank; Galerucella crataegi (Joannis) Sugarcane leaf 호주측 제공자료(2002) Rhyparida dimidiata Baly 잎 No No 관리 No beetle 호주포도Datasheet(2003) 호주측 제공자료(2002) Rhyparida polymorpha Lea Leafbeetle 잎 No No 관리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호주측 제공자료(2002) Rhyparida sp. Leafbeetle 잎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유충- 뿌리 ; 성충 - 신 호주측 제공자료(2002) Scelodonta brevipilis Lea Fleabeetle No No No 초 호주포도Datasheet(2003) [Coccinellidae ] 무당벌레과 Henosepilachna dorya (Boisduval) 잎, 줄기 , 과일 호주측 제공자료(2002) syn.= Epilachna vigintisexpunctata Ladybird No No No ※ vector (?) 호주포도Datasheet(2003) doryca (Boisduval) Stethorus nigripes Kapur Ladybird 잎 No No No 호주측제공자료(2002)

- 76 - syn.= Stethorus loxtoni Britton et 호주포도Datasheet(2003) Lee [Curculionidae ] 바구미과 Portulaca CABI(2007) Hypurus bertrandi (Perris) leafmining weevil; 잎 No Yes No Hong et al.(2000) 쇠비름좁쌀바구미 Wattle pig; Fruit 성충- 잎 , 꽃눈 호주측 제공자료(2002) Leptopius squalidus (Boheman) No No 관리 No tree root weevil 유충- 뿌리 호주포도Datasheet(2003) 호주측 제공자료(2002) Listroderes difficilis Germain Vegetableweevil 꽃눈,,, 잎 줄기 뿌리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호주측 제공자료(2002) Neomerimnetes inflatus Lea 뿌리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Orthorhinus cylindrirostris (Fabricius) syn.= Curculio innubus Herbst; Orthorhinus longimanus Boisduval; Orthorhinus cylindrirostris var. albiceps Lea; Orthorhinus cylindrirostris var. carbonarius 호주측 제공자료(2002) 성충- 꽃눈 , 나무껍질 , Pazc.; Orthorhinus cylindrirostris 호주포도Datasheet(2003) Elephant weevil 어린 줄기 No No 관리 No var. euchromus Fairm; Orthorhinus State of Victoria(2007)-Organic 유충- 수간 , 뿌리 cylindrirostris var. pomicola Lea; viticulture Orthorhinus cylindrirostris var. patruelis Pasc.; Orthorhinus cylindrirostris var. simulans Boheman; Orthorhinus cylindrirostris var. vagus Olliff. 성충- 꽃눈 , 나무껍질 , 호주측 제공자료(2002) Orthorhinus klugi (Boheman) Vine weevil No No No 어린 줄기 호주포도Datasheet(2003)

- 77 - State of Victoria(2007)-Organic 유충- 수간 , 뿌리 viticulture 성충- 어린 잎 , 신초 , Otiorhynchus cribricollis Gyllenhal 송이줄기 호주측 제공자료(2002) syn.= Arammichnus terrestris Cribrate weevil; 유충- 뿌리 No No 관리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Marseul; Arammichnus recticollis Apple weevil ※ 상업적 과일에 성충 Loch(2007)-Primefact 511 Weise 이 나타날 가능성 매우 낮음 호주측 제공자료 Black vine weevil; 성충- 어린 잎 (2002)-Factsheet Otiorhynchus sulcatus (Fabricius) European No No 관리 No 유충- 뿌리 호주포도Datasheet(2003) strawberry weevil Botha(2006) 성충- 꽃눈 , 잎 , 송이 줄기 호주측 제공자료(2002) Garden weevil; 유충- 뿌리 호주포도Datasheet(2003) Phlyctinus callosus Boheman Banded fruit No No 관리 No ※ 상업적 과일에 성충 Fisher(2006)-Farmnote weevil 이 나타날 가능성 매우 Loch(2007)-Primefact 511 낮음 호주측 제공자료(2002) Platyapistes sp. 성충-; 잎 유충 - 뿌리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호주측 제공자료(2002) Stenocorynus neglectus Lea 성충-; 잎 유충 - 뿌리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Elateridae ] 방아벌레과 Wire worm; Click 유충- 뿌리와 줄기의 호주측 제공자료(2002) Conoderus sp. No No No beetle 목질부; 성충 - 잎 호주포도Datasheet(2003) [Nitidulidae ] 밑빠진벌레과 Corn sap beetle; 과숙한 과일 호주측 제공자료(2002) Carpophilus dimidiatus (Fabricius) No Yes 비검역 No Dried fruit beetle; ※ 부식자 호주포도Datasheet(2003)

- 78 - 곡식밑빠진벌레 ESK/KSAE(1994) Carpophilus hemipterus (Linnaeus) syn.= Silpha bimaculata Linnaeus; Nitidula flexuosa Herbst; Nitidula 호주측 제공자료(2002) Dried fruit beetle; 과숙한 과일 quadrata Fabricius; Cateretes No Yes 비검역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반밑빠진벌레 ※ 부식자 pictus Heer; Carpophilus 한국식물보호학회(1986) quadrisignatus Erichson; Carpophilus aterrimus McLeay [Scarabaeidae ] 풍뎅이과 유충- 뿌리 호주측 제공자료(2002) Dilochrosis atripennis (MacLeay) Flower chafer No No No 성충- 잎 , 꽃 호주포도Datasheet(2003) Green scarab 유충- 뿌리 호주측 제공자료(2002) Diphucephala sp. No No No beetle 성충- 잎 , 꽃 호주포도Datasheet(2003) Heteronychus arator (Fabricius) 호주측 제공자료(2002) African black 유충- 뿌리 syn.= Heteronychus transvaalensis 호주포도Datasheet(2003) beetle; Black lawn 성충- 지제부의 줄기 , No No 관리 No Peringuey; Heteronychus State of Victoria(2007)-Organic beetle 나무껍질, 신초 sanctaehelenae Blanchard viticulture 유충- 뿌리 호주측 제공자료(2002) Hoplia callipyge LeConte Hoplia beetle No No No 성충- 꽃 호주포도Datasheet(2003) 유충- 뿌리 호주측 제공자료(2002) Liparetrus atriceps Macleay Scarab beetle No No 관리 No 성충- 꽃 호주포도Datasheet(2003) 유충- 죽은 나무 목질 Elephant beetle; Xylotrupes gideon (Linnaeus) 부 호주측 제공자료(2002) Rhinoceros beetle; No No No syn.= Xylotrupes nimrod Voet. 성충- 잎 , 과일 , 나무 호주포도Datasheet(2003) Unicorn beetle 껍질, 생장점 [Silvanidae ] 가는납작벌레과 Oryzaephilus surinamensis Sawtoothed grain 호주측 제공자료(2002) 건조된 저장산물 No Yes 비검역 No (Linnaeus) beetle; 머리대장가 호주포도Datasheet(2003)

- 79 - 는납작벌레 ESK/KSAE(1994) Diptera( ) 파리목 [Drosophilidae ] 초파리과 Drosophila melanogaster Meigen syn.= Drosophila ampelophila Common fruit fly; Loew; Drosophila approximata Common grape Zetterstedt; Drosophila balteata fruit fly; Grape 호주측 제공자료(2002) Bergroth; Drosophila emulata Ray vinegar fly; Small 과숙한 과일 No Yes 비검역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et al.; Drosophila fasciata Meigen; vinegar fly; ESK/KSAE(1994) Drosophila immatura Walker; Pomace fly; 노랑 Drosophila nigriventris Macquart; 초파리 Drosophila pilosula Becker; Drosophila uvarum Rondani CABI(2007) Drosophila simulans Sturtevant 어리노랑초파리 부패과일 No Yes No ESK/KSAE(1994) 호주측 제공자료(2002) Drosophila spp. Drosophilidfly 부패과일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Tephritidae ] 과실파리과 Queensland fruit 과일 호주측 제공자료(2002) Bactrocera tryoni (Froggatt) Yes No 금지 Yes fly ※ 포도에는 드물다 호주포도Datasheet(2003) Ceratitis capitata (Wiedemann) syn.= Ceratitis citriperda MacLeay; Mediterranean fruit 호주측 제공자료(2002) Ceratitis hispanica De Breme; fly; Med fly; 지중 과일 Yes No 금지 Yes 호주포도Datasheet(2003) Pardalaspis asparagi Bezzi; 해과실파리 Tephritis capitata Wiedemann Hymenoptera( ) 벌목 [Formicidae ] 개미과 Camponotus spp. Carpenterants 땅속지표면, No12 종 분포 No 호주측제공자료(2002)

- 80 - ※ 칠레산 포도검사에서 일개미가 검출된 예가 호주포도Datasheet(2003) 있지만, 상업적 과일에 ESK/KSAE(1994) 서 여왕개체군이 나타날 PIS(2010)-칠레포도 1 회검출 가능성은 없음 호주측 제공자료(2002) Linepithema humile (Mayr) Argentineant 땅속, 지표면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호주측 제공자료(2002) Myrmecia spp. Bulldogant 땅속지표면,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Vespidae ] 말벌과 호주측 제공자료(2002) Vespula germanica (Fabricius) Europeanwasp 부패과일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Lepidoptera( ) 나비목 [Geometridae ] 자나방과 호주측 제공자료(2002) Chlenias sp. 잎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Lymantriidae ] 독나방과 Euproctis paradoxa (Butler) 호주측 제공자료(2002) Tussockmoth 잎 No No No syn.= Porthesia paradoxa (Butler) 호주포도Datasheet(2003) [Noctuidae ] 밤나방과 Black cutworm; Greasy cutworm; 호주측 제공자료(2002) Agrotis ipsilon (Hufnagel) Dark sword grass 잎 No Yes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moth; 검거세미나 ESK/KSAE(1994) 방 호주측 제공자료(2002) 잎, 신초 , 꽃눈 , 과일 Agrotis munda Walker Pink cutworm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 겉에서 갉아먹음 State of Victoria(2007)-Organic

- 81 - viticulture Helicoverpa armigera (H ?bner) Corn earworm; syn.= Noctua barbara Fabricius; Cotton bollworm; Heliothis conferta Walker; Heliothis American 호주측 제공자료(2002) pulverosa Walker; Heliothis 어린 잎, 눈 , 꽃 , 어린 bollworm; Tomato No Yes 비검역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uniformis Wallengren; Heliothis 과일 grub; Tobacco ESK/KSAE(1994) fusca Cockerell; Helicoverpa budworm; 왕담배 commoni Hardwick; Heliothis rama 나방 Bhattacherjee & Gupta 호주측 제공자료(2002) 어린 잎, 꽃 , 어린 과일 호주포도Datasheet(2003) Helicoverpa punctigera (Wallengren) Native budworm ※ 상업적 과일에 나타 No No 관리 No State of Victoria(2007)-Organic syn. = Chloridea marmada Swinhoe 날 가능성은 매우 낮음 viticulture PIS(2010)-Datasheet Orthreis fullonia (Clerk) syn.= Noctua dioscoreae Fabricius; Fruit piercing 호주측 제공자료(2002) Phalaena pomona Cramer; moth; 애으름밤나 과일흡즙 No Yes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Ophideres princeps Boisduval; 방 ESK/KSAE(1994) Ophideres obliterans Walker 잎( 산란 ), 꽃 , 섭식할 잎 호주측 제공자료(2002) 이 없으면 송이를 섭식 Phalaenoides glycinae Lewin Grapevine moth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 상업적 과일에 나타 Loch(2007)-Primefact 511 날 가능성은 매우 낮음 호주측 제공자료(2002) Simplicia sp. 죽은 잎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Spodoptera litura (Fabricius) Taro caterpillar; CABI(2007) syn.= Mamestra albisparsa Walker; Tobacco 잎, 과일 Yes Yes 비검역 No ESK/KSAE(1994) Prodenia ciligera Guenee; Prodenia budworm; 담배거

- 82 - declinata Walker; Noctua elata Fabricius; Prodenia evanescens Butler; Prodenia glaucistriga Walker; Noctua histrionica Fabricius; Prodenia subterminalis 세미나방 Walker; Prodenia tasmanica Guenee; Prodenia testaceoides Walker Prodenia littoralis Fabricius [Oecophoridae ] 원뿔나방과 melanostigma (Wallengren) 호주측 제공자료(2002) syn.= Cryptophasa melanostigma 호주포도Datasheet(2003) Fruit-tree borer 줄기, 나무껍질 , 잔가지 No No 관리 No (Wallengren); Maroga gigantella State of Victoria(2007)-Organic Walker; Maroga tasmanica Turner viticulture [Psychidae ] 주머니나방과 Leaf case moth; 호주측 제공자료(2002) Hyalarcta huebneri Westwoood 잎 No No 관리 No Leaf bagworm 호주포도Datasheet(2003) [Pyralidae ] 명나방과 Cadra figulilella (Gregson) Raison moth; Fig 호주측 제공자료(2002) 건조과일 또는 부패과일 No No No syn.= Ephestia figulilella Gregson moth 호주포도Datasheet(2003) 호주측 제공자료(2002) Plodia interpunctella (Hubner) Indian meal moth; 건조과일 No Yes 비검역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syn.= Tinea zeae Fitsh 화랑곡나방 ESK/KSAE(1994) [ ] 박각시나방과 호주측 제공자료(2002) Gnathothlibus erotus (Cramer) 잎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Hippotion celerio (Linnaeus) Grapevine 잎 No 호주측 제공자료(2002) No 관리 No syn.= Deilephila albo-lineata hawkmoth; 호주포도Datasheet(2003)

- 83 - Silver-line hawkmoth; Silver-striped ※ Carcasson(1967) 의 Montrouzuer; Elpenor phoenix hawkmoth; 근거로CABI(2007) 에 CABI(2007) Oken; Hippotion ocys Hubner; Silver-striped vine 한반도에 분포한다고 기 ESK/KSAE(1994) Phalaena inquilinus Harris; Sphinx moth; 록되어 있으나 국내 관 박규택(2000) tisiphone Linnaeus Sweetpotato 련문헌에 분포기록 없음 hawkmoth; Taro hawkmoth; Taro hornworm White-lined sphinx 호주측 제공자료(2002) Hyles lineata (Fabricius) 잎 No No No moth 호주포도Datasheet(2003) clotho (Drury) syn.= Chaerocampa aspersata Kirby; Deilephila cyrene Westwood; Theretra lifuensis Rothschild; CABI(2007) 큰줄박각시 잎 No Yes No Chaerocampa bistrigata Butler; ESK/KSAE(1994) Chaerocampa celata Butler; Chaerocampa cloacina Miskin; Chaerocampa luteotincta Lucas 호주측 제공자료(2002) Theretra latreillei (MacLeay) Hawkmoth 잎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Theretra oldenlandiae (Fabricius) Vine hawkmoth; syn.= Sphinx drancus Cramer; Impatiens 잎, 과일 호주측 제공자료(2002) Sphinx lewini Thon; Deilephila hornworm; Taro ※ 상업적 과일에 나타 No Yes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argentata Stephens; Chaerocampa impatiens 날 가능성은 거의 없음 ESK/KSAE(1994) firmata Walker; Chaerocampa hawkmoth; 세줄박

- 84 - puellaris Butler; Deilephila proxima Austaut; Theretra oldenlandiae f. olivacens Mell; Theretra oldenlandiae fuscata Gehlen; 각시 Theretra oldenlandiae samoana Gehlen; Theretra oldenlandiae olivascens Inoue [Tortricidae ] 잎말이나방과 Light brown apple 호주측 제공자료(2002) Epiphyas postvittana (Walker) 꽃눈, 신초 , 잎 , 과일 Yes No 관리 Yes moth 호주포도Datasheet(2003) [Xyloryctidae ] 판날개뿔나방과 호주측 제공자료(2002) 호주포도Datasheet(2003) Echinomina sp. Vineborermoth 유충- 줄기속목질부 No No No State of Victoria(2007)-Organic viticulture Acarina( ) 응애목 [Eriophyidae ] 혹응애과 호주측 제공자료(2002) Grape leaf rust 호주포도Datasheet(2003) Calepitrimerus vitis (Nalepa) mite; 포도나무혹응 잎, 신초 , 줄기 , 송이 Yes Yes 관리 No CABI(2007) 애 이종호(2006) 박사학위논문 Colomerus vitis (Pagenstecher) strain a - Grape 호주측 제공자료(2002) strain a & b leaf blister mite strain a - 잎 호주포도Datasheet(2003) ※ strain a: the erineum strain No No 관리 No strain b - Grape strainb-꽃눈 , 신초 AQIS(1999)- 호주의캘리포니아포 strain b: the bud strain leaf bud mite 도PRA 보고서 strain c: the leaf curling strain [Tarsomemidae ] 먼지응애과 Polyphagotarsonemus latus (Banks)Broadmite; 줄기,, 잎 신초 , 꽃눈 , No Yes No 호주측제공자료(2002)

- 85 - Yellow tea mite; 호주포도Datasheet(2003) 과경, 과일 차먼지응애 KSSZ(1997) [Tenuipalpidae ] 애응애과 Brevipalpus californicus (Banks) syn.= Tenuipalpus australis Tucker; Citrus flat mite; 호주측 제공자료(2002) Tenuipalpus vitis Womersley; Bunch mite; 귤애 줄기,, 잎 꽃눈 , 과일 Yes Yes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Brevipalpus confusis Baker; 응애 KSSZ(1997) Brevipalpus browningi Baker; Brevipalpus woglumi McGregor Citrus flat mite; 호주측 제공자료(2002) 줄기, 신초 , 어린잎 , 과 Brevipalpus lewisi McGregor Bunch mite; 포도 Yes Yes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경, 과일 애응애 KSSZ(1997) Brevipalpus obovatus Donnadieu 호주측 제공자료(2002) syn.= Tenuipalpus bioculatus Privet mite; 망초애 잎, 줄기 , 엽병 , 과일 Yes Yes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Tenuipalpus inornatus Tenuipalpus 응애 KSSZ(1997) pseudocuneatus Brevipalpus phoenicis (Geijskes) syn.= Brevipalpus macbridei Baker; Brevipalpus papayensis Baker; False spider mite 과일, 잎 , 신초 Yes No 관리 Yes CABI(2007) Brevipalpus pseudocuneatus Baker; Brevipalpus yothersi Baker [Tetranychidae ] 잎응애과 Oligonychus mangiferus (Rahman & Sapra) Mango red spider 호주측 제공자료(2002) syn.= Paratetranychus mangiferus 줄기, 잎 No No 관리 No mite 호주포도Datasheet(2003) Rhaman & Sapra; Paratetranychus insularis McGregor; Paratetranychus

- 86 - terminalis Sayed 호주측 제공자료(2002) Oligonychus sp. Tetranychidmite 잎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호주측 제공자료(2002) Citrus red mite; 귤 Panonychus citri (McGregor) 잎 No Yes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응애 KSSZ(1997) European red 호주측 제공자료(2002) mite; Fruit-tree Panonychus ulmi Koch 잎 No Yes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red spider mite; KSSZ(1997) 사과응애 Brown wheat mite; 호주측 제공자료(2002) Petrobia latens (Muller) Stone mite; 보리 잎 No Yes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응애 KSSZ(1997) Tetranychus desertorum Banks syn.= Tetranychus opuntiae Banks; Prickly pear spider Tetranychus thermophilus Ewing; 호주측 제공자료(2002) mite; Desert 잎 No No No Septanychus argentinus McGregor; 호주포도Datasheet(2003) spider mite Septanychus deserticola McGregor; Septanychus texazona McGregor Kanzawa spider CABI(2007)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잎 No Yes No mite; 차응애 KSSZ(1997) Tetranychus ludeni Zacher 호주측 제공자료(2002) syn.= Septanychus deviatarsus Beanspidermite 잎 No No 관리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McGregor CABI(2007) Tetranychus urticae Koch Two-spotted 호주측 제공자료(2002) syn.= Tetranychus bimaculatus spider mite; 점박 잎 No Yes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Harvey; Eotetranychus scabrisetus 이응애 KSSZ(1997) Epitetranychus althaeae von

- 87 - Hanstein; Epitetranychus telarius Tetranychus fragariae; Tetranychus manihotis; Tetranychus russeolus [Tydeidae ] 애기응애과 호주측 제공자료(2002) Tydeus sp. Tydeidmite 잎 No No No 호주포도Datasheet(2003)

- 88 - <붙임 4 .> 포도의 식물학적 특징 및 재배현황

◇ 포도속(Vitis) 식물 중 재배종으로 육성된 종은 유럽종포도( V. vinifera L.) 와 북미종의 일종인 V. labrusca 가 대표적임 - 호주측에서 수입허용 요청한 포도 종은 V. vinifera 임 ※ 현재 국내 주요 재배종인 캠벨얼리는 북미종(V. labrusca )임

◇ V. vinifera 은 알칼리성 토양이나 내건성이 비교적 강한 편이나, 강수 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열과가 많이 발생하고 노균병, 흰가루병 , 새눈 무늬병 및 포도뿌리혹벌레(plylloxera) 에 대한 내병충성이 낮은 편임 (농촌진흥청 , 1997)

1. 분류학적 특징

◦ 포도는 포도속(Vitis) 에 속하는 식물로서 , 포도속은 갈매나무목 (Rhamnales), 포도과 (Vitaceae)에 속하는 덩굴성 식물로 적도부근 및 위도50° 이상 지역 을 제외한 지구 전역에서 자생 혹은 재배되고 있음 ◦ 포도과에는11 속 700 여종이 있으나 , 이 중 재배적 가치가 있는 것은 포도속(Vitis) 의 10 여종 뿐 임 ◦ 포도속(Vitis) 에는 머스카디니아아속 (Muscadinia, 2n=40) 과 진정포도아 속(Euvitis, 2n=38) 의 두 속이 있으며 자연상태에서는 염색체수의 상 이에 의하여 서로 교잡되지 않음 머스카디니아아속에는 V. munsoniana 와 머스카딘포도(V. rotundifolia , 원엽포도) 의 두 종이 있으나 머스카딘 포도만이 경제적으로 이용 가능함 진정포도아속중에서 유럽종(V. vinifera ),미국종 ( V. labrusca ), V. aestivalis, V. lincecumii 및 그들의 교잡종 등이 주로 과실을 이용 하기 위한 재배에 사용되는 종이며, 강변포도 , 사막포도 , 겨울포도 , V. solonis 및 V. champinii 등이 대목육종을 위한 원종으로 사용됨

2. 포도 분류군

가. 유럽군 유럽군 포도종에는 유럽종 ( V. vinifera L.) 하나임 카스피해 연안의 중동 지역이 원산지로써 기원전에 아프리카 북부 및 유럽으로 전파되었으며, 아시아로도 전파됨 현재 전세계에서 재배되는 포도의 대부분이 이에 속하며, 생식용 , 양 조용, 건포도용 등으로 이용되고 있음 유럽종 포도는 두 개의 아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유럽종 원래 의 원생종을ssp. silvestris 라고 하며 , 현재 급격히 그 수가 줄어들 고 있는 실정이며, 학자에 따라서는 ssp. silvestris 를 따로 종으로 분 류하여 V. silvestris 로 독립시키기도 함 경제적으로 재배되는 유럽종 포도는ssp. sativa 임

나. 미주군 중미와 북미 대륙은 포도속 식물의 보고로, 약 90 종 정도가 자생하 며, 내병충성 , 내한성 , 토양적응성 등 불량환경적응성 형질을 가진 포도종이 많아 육종소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음 대표적인 것은 미국종(V. labrusca ) 포도로 실제 우리나라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 는 포도 품종의 대부분은 미국종이거나 미국종과 유럽종의 교잡종이 대부분임 미국종은 잎이 두꺼우며, 절간이 짧고 , 덩굴손이 연속성이며 , 특유의 향인 호취향(fox 향 , 여우향 ) 이 나며 , 종자와 과피가 과육과 잘 분리됨 착립성이 아주 좋고 , 과립은 원형이거나 원형에 가깝우며, 우리나라 의 주 품종인 캠벨얼리 품종은 미국종 포도 중에서도 가장 호취향 이 강한 품종 중 하나임 다. 동아시아군 동아시아군은 중국 , 한국 , 일본 등지에서 자생하는 포도종을 지칭하 는 것으로,10 약 여종이 이에 속하며 , 보통 과실의 품질은 떨어지나 내한성이 강하고, 내병충성이 강하여 육종 소재로 이용되며, 몇몇 종은 가공용 및 건강용으로 재배 동아시아군은 미주군과 빙하기시대 이전에는 지리적으로 가까워서 비슷한 형질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 V. amurensis (산포도 , 왕머루 ), V. thunbergii (까마귀머루 ), V. flexuosa (새머루 ), V. coignetia (머루 )

3. 국내 포도 품종

가. 재배품종

◦ 조생종: 캠벨얼리 ,,,,, 쉴러 알덴 홍단 세네카 힘로드씨드레스 ,, 청수 탐나라 ◦ 중생종:, 거봉 골든마스캇 , 네오마스캇 , 블랙올림피아 ,, 피오네 마스 캇함부르그,,, 홍서보 홍부사 후지미노리 ,, 홍이두 델라웨 어, 블랙함부르그 , 고묵 , 씨벨 9110 ◦ 만생종: 마스캇오브알랙산드리아 , 마스캇베리에이 ,, 타노레드 골든 퀸, 새단 , 스튜벤

나. 자생종

◦ 머루(V.coignetiae ),왕머루 ( V.amurensis ),새머루 ( V.flexuosa ), 까마귀머루 (V.thunbergii var. sinuata),개머루 ( Ampelopsis heterophylla ) 4. 포도 생산 현황

가. 세계 포도 생산 현황 (FAO, 2009)

○ 세계적으로 포도는 약7,272 천 ha 에서 67,221 천 M/T 정도 생산되며 그 중 스페인, 프랑스 , 이탈리아 등 유럽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음 ○ '07 세계 주요 포도 생산국가의 생산현황 (FAO, 2009)

구분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터키 중국 미국

재배면적(ha) 1,157,853 827,561 770,000 484,610 433,266 379,000

생산량(M/T) 5,995,300 6,044,900 8,519,418 3,612,781 6,787,081 6,384,090

한국 : 18,843ha, 328,680M/T

나. 호주의 포도 재배 및 생산 , 수출 현황 (호주 제공자료 )

○ 호주 남부의 온대지역이 포도 생산의 큰 중심지로, Victoria 주와 New South Wales주가 각각 호주 전체 생산량의 65% 와 20% 를 차지함 생산량의 약50% 인 45 천~ 65 천톤 /season 수출하며 , 그 중 90% 이상이 Sunraysia (Vic)와 Riverland (NSW) 에서 생산 :,수출국 홍콩 인도네시아 , 싱가포르 , 말레이시아 ,,, 태국 베트남 대 만, 중동 및 유럽 ○ 주요 품종 White grape seedless : Thompson (1~ 5월 ), Menindee (12 ~ 2 월 ) White grape seeded : Calmeria (3~ 5월 ) Red & Black seedless : Crimson (2~ 5월 ), Midnight Beauty (2 ~ 3 월 ) Red & Black seeded : Red Globe (12~ 5월 )

○수확 후 관리: 0 ℃ 저온저장 , SO 2 처리( 살균제 역할 ), 해상선적조건 (3.0±0.5℃ 이하 ) ○ 과실파리류에 대한 검역적 위생조치: 해충무발생지역 또는 저온처리

5. 우리나라 포도 재배 및 수입 상황

가. 국내 포도 재배 현황

○2008 년 우리나라 포도 재배면적은 16,231ha, 생산량은 333,596M/T 으로 서 전체 과수 생산량의12.4% 를 차지함 ( 통계청 , 2009) 주로 경북 ,,, 경기 충북 충남을 중심으로 재배되고 있음 ○ 포도 품종은 대부분 북미종인 캠벌얼리(69%) 이며 , 그 외 거봉 , 다노래드 등이 재배되고 있음( 농촌진흥청 , 1997)

나. 포도 생과실 수입 (국립식물검역원 ,2010)

○ 현재 칠레 및 미국산 포도가 주로 수입되고 있으며 특히 칠레산 포도가 대부분을 차지함 (‘10):칠레산 70,072 M/T(89.9%), 미국산 4,690 M/T (10.0%) ○ 포도 생과실 수입현황

년도 '02 '04 '06 ‘08 ‘10 수입량(M/ T) 6,563 10,100 17,200 32,704 74,762

다. 포도 생과실 수출 (국립식물검역원 ,2010)

○ 포도 생과실 수출 현황

년도 '02 '04 '06 ‘08 ‘10 수출량(M/ T) 54 63 177 258 328

* 주요 수출국은 미국, 싱가포르 , 홍콩 , 일본 등이며 , ‘05 년부터 미국 수출이 허용되면 서 수출량이 늘어나는 추세임 <붙임 5 .>

수입허용 요청 품목의 병해충 위험평가방법 개요

1.병해충 Categorizatoion

병해충 목록 작성

❍ 호주측이 호주 포도에서 발생하는 병해충 목록 제공 ❍ 추가적인 문헌조사를 통해 호주 포도에 발생하는 병해충이 확인 될 경우 목록에 추가

병해충 categorization

❍ 문헌을 토대로 호주산 포도 발생 병해충의 국내 분포여부 조사 ❍ 국내 미분포 병해충 중 포도 생과실을 감염가해하는․ 병해충 선정 * 어린 과실만 가해하거나 성충이 과실표면에 단순 부착 가해하는 경우 제외 ⇒호주산 포도 발생 병해충 중 우리나라에 분포하지 않으며 과 실을 경로로 하는 병해충( 개별 병해충 위험평가 대상 ) 선정

2. 개별 병해충 위험평가 방법 우리나라 검역병해충 지정 여부 확인

❍ '11. 6현재우리나라검역병해충목록국립식물검역원 ( , 2010) 에 포함여부확인 1 검역병해충 지정 여부에 따른 위험평가

❍ 검역병해충 기 지정 종 : 과실을 통한 유입위험성을 중심으로 평가 검역병해충은 지정 당시 유입가능성, 정착가능성 , 확산가능성 , 경제 적 중요성에 대하여 이미 평가됨 검역병해충으로 기 지정된 병해충은 호주산 포도 생과실 “우려병 해충”으로 지정, 관리

* 우려병해충: 해당 품목을 통해 국내에 유입되어 정착, 확산하여 경제적 피해 를 줄 수 있는 병해충으로 수입검사에서 발견시 소독, 폐기 , 반 송 등 검역조치 관행적인 상업재배수확선과․․ 및 육안 수출검사로 위험이 경감될 수 있 는 병해충은 “일반 위험관리 병해충 ” , 그 이상의 추가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한 병해충은 “특별 위험관리 병해충 ” 으로 선정

❍ 검역병해충 미 지정 종 : 유입가능성, 정착가능성 , 확산가능성 , 경제 적 중요성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평가 호주산 포도생과실을 통해 국내에 유입되어 정착, 확산하여 경제적 피해 를 줄 수 있는 병해충에 대하여 “우려병해충 ” 으로 지정

관행적인 상업재배수확선과․․ 및 육안 수출검사로 위험이 경감될 수 있 는 병해충은 “일반 위험관리 병해충 ” , 그 이상의 추가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한 병해충은 “특별 위험관리 병해충 ” 으로 선정 ⇒ 구체적인 관리방안 내용에 대하여는 다음 단계인 관리방안 평가단계에서 병해충별로 정밀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