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tis Vinifera L.) 생과실 개별 병해충 위험평가
Total Page:16
File Type:pdf, Size:1020Kb
호주산 포도(Vitis vinifera L.) 생과실 개별 병해충 위험평가 2011. 7.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식물검역부 위험관리과 요약 추진경과 ❍ ‘02. 6.호주측이 자국산 포도 ( Vitis vinifera L.) 생과실 수입허용 요청 및 병해충 목록 제시 -병해충 237 종 ( 병 103, 해충 134) 의 목록 제공 ❍ ‘09.10.호주측이자국산포도 ( Vitis vinifera L.) 재배현황및 수확후 관리등 자료제시 ❍ ‘10. 8.호주산 포도 ( Vitis vinifera L.) 생과실 수입위험분석 착수 -호주측 제공 해충목록 19 종에 대한 정확한 종명 추가 요구 ❍ ‘10. 10호주산 포도 ( Vitis vinifera L.) 생과실 예비평가 ❍ ‘11. 5. 11 호주측이 호주산 포도 병해충 관련 추가자료 제시 - 예비평가에 대한 관련 자료 회신 개별평가결과 ❍ 호주포도 생과실에 발생하는 병해충의 예비위험평가를 재검토한 결과 15종 ( 병 3 종 , 해충 12 종 ) 을 개별평가 대상으로 선정 ❍ 이중 과실파리류3, 종 잎말이 나방과 1, 종 병원체 1 종을 특별위험관리 병해충으로 평가(10나머지 종은 일반위험관리병해충으로 평가 ) ❍ 특별위험관리병해충에 대해서는 검토대상국가에 위험관리방안 제시를 요구 하여 적절한 관리방안 마련 예정 - 저온처리방법 등의 물리 화학적인 소독처리 및System approach 가 요구됨 이해당사자 및 전문가 의견 수렴 ❍ 우리부 홈페이지 게시 또는 자문위원,, 학회 연구기관 ( 농진청 , 각도 농업기술원), 과수협회 등 관련기관 의견수렴 금후추진계획 ❍ 이해 당사자 및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확정된 평가결과를 해당과에 통보 하고 상대국에 적절한 위험관리방안 제시 요구 ❍ 상대국이 제시한 관리방안의 적용 및 세부처리기준 검토 - 1 - 요 약 1 I. 추진 경과 1 II. 개별병해충 위험평가 2 1. 호주산 포도 병해충 categorization 2 2. 개별 병원체 위험평가 7 3. 개별 해충 위험평가 8 4.개별병해충 위험평가 결과 종합 9 III .금후 추진 계획 10 <첨 부 > 1. 개별병원체 위험평가서 2 개별해충 위험평가서 3. 호주산 포도 생과실 병해충 목록 4. 포도의 식물학적 특징 및 산업현황 5. 수입허용 요청 품목의 병해충 위험평가 방법 개요 - 1 - ⅠⅠ.. 추진추진 경과 경과 ❍ ‘02. 6.호주측이 자국산 포도 ( Vitis vinifera L.) 생과실 수입허용 요청 및 병해충 목록 제시: 병해충 237 종 ( 병 103, 해충 134) 의 목록 제공 ❍ ‘09.10.호주측이자국산포도 ( Vitis vinifera L.) 재배현황및수확후관리등 자료제시 ❍ ‘10.8.호주산 포도 ( Vitis vinifera L.) 생과실 수입위험분석 착수 -호주측 제공 해충목록 19 종에 대한 정확한 종명 추가 요구 ❍ ‘10.10호주산 포도 ( Vitis vinifera L.) 생과실 예비평가 ❍ ‘11. 5. 11 호주측이 호주산 포도 병해충 관련 추가자료 제시 - 예비평가에 대한 관련 자료 회신 II.II. 개별개별 병해충 병해충 위험평가 위험평가 1.호주 포도 병해충 Catagorization 호주산 포도 발생 병해충 조사 및 포괄적 목록작성 국내 국 내 미 분 포 종 구분 계 과실 과실 감염 추가자료 분포종 소계 미감염 (개별평가대상 ) 요청대상 병원체 110 52 58 35 23 - 해 충 153 48 105 68 18 19 계 263 100 163 103 41 19 ※ 속명으로 처리된19 종에 대한 호주측의 추가자료 검토결과 분포하지 않거나 과실과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됨 병해충별Catagorization 결과 ❍ 병원체(3 종 ) - 예비평가에서 개별 평가 대상으로 잠정 선정되었던23 종 중 국내 분포, 호주에 분포하지 않는 병원체 및 생산과실을 통해 유입 가 능성이 없는20 종을 제외한 3 종을 개별평가대상으로 선정 - 1 - ❍ 해충(12 종 ) - 예비평가에서 개별 평가대상으로 잠정 선정되었던18 종 중 과실 에 발생하지 않거나 상업적으로 생산된 과실을 통해 유입가능성 이 없는8 종을 제외하고 예비평가단계에서 검토되지 않았던 과실 을 통해 유입의 가능성이 있는2 종을 추가하여 12 종을 개별평가 대상으로 선정 가. 병원체 개별평가 검토대상 제외 종(20 종 ) 개별평가대상종 제외근거 [진균] Ascochyta ampelina 2002 년에 제공된 호주 포도에 발생하는 병원체 목록에 Penicillium canascens ⦁ Penicillium elongatum 동 병원균이 포도의 병원체로 등록되어 있었으나, 2011 Penicillium griseoroseum 년5 월 새롭게 제공된 자료에 의하면 더 이상 호주에 존 Penicillium janthenellum 재하지 않는 병원균으로 되어 있으므로 개별평가대상에 Penicillium rolfsii 서 제외코자 함(APPD, 2010) [바이러스] Tomato ringpot virus ⦁한국이나 일본, 중국 , 인도네시아 등에서 전통주를 만들 [진균] 때 발효과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균주로 우리나라에서는 Aspergillus wentii 메주에서 많이 발견되는 곰팡이이며, 이 균주를 조절하여 Rhizopus arrhizus 된장, 간장을 만듬 . 도처에 흔한 누룩곰팡이로 개별평가 대상에서 제외코자 함( 곽호영 등 , 2008) ⦁이 병원균은 곤충, 토양 , 공기 중에 있는 병원균으로 우 [진균] 리나라의 호박벌 등에 병은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분리되 Aspergillus flavus 었으므로 개별평가대상에서 제외코자 함( 국내 호박벌에 서 분리된 석고병균, Aspergillus flavus 의 형태학적 특성) ⦁동 병원체들은 호주 포도에서 검출기록은 있으나(APPD, 2011), 병원체의 특성상 직접적인 피해를 입히기 보다는 2차적으로 침입하는 경우가 많으며 포도에서 경제적인 피해를 준다는 기록은 없음 [진균] 또한 동 병원체들은 포도 관련 병해충 자료들에서도 이들이 Aspergillus aculeatus ⦁ 포도가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지역에서 문제가 된다는 어떠한 Penicillium purpurescens 보고도 없음(Person & Goheen, 1998, Nicholas et al., 2000) Penicillium variabile ⦁위의 사실들을 종합해 볼 때, 이 병원체들의 경우 호주 의 포도에서 발생하나 경제적 피해를 준다는 보고가 없 으며2 차적으로 침입하는 균들이므로 개별 평가대상에 서 제외코자 함 - 2 - 개별평가대상종 제외근거 ⦁이 병원균은 우리나라의 백합의 저장 중에 발생하는 것 으로 보고가 되었으므로 국내발생균으로 개별평가대상 [진균] 에서 제외코자 함( 백합 저장 중 구근부패에 관여하는 병 Penicillium brevicompactum 원균의 동정과 종구 소독효과, 식물병 연구 2006, Vol.12, No.1, pp. 2024) ⦁이 병원균은 우리나라 벼과작물 종자에서 분리된 보고가 [진균] 있으므로 국내발생균으로 개별평가대상에서 제외코자 Penicillium chrysogenum 함( 형태적 특성에 의한 벼과작물 종자전염 Penicillium spp.의 동정 , 한국균학회지 2005, 33(2): 8185) ⦁동 병원체는 호주 측에서 제공한 자료(2002) 에 따라 예비 평가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나2011 년 호주에서 추가로 보 [진균] 내온 자료에 의하면 단지 서호주에서1976 년 보고밖에 Phoma vitis 없고 그 외 어떠한 연구된 바가 없으며1976 년 자료도 이 병원체가 포도의 과실에 병을 일으킨다는 보고는 없 으므로 개별평가 대상에서 제외코자 함 ⦁이 병원균은 Compendium of grape disease (Pearson & Goheen, 1988) 에 포도병원체로 기록이 되어 있었으나 compendium의 review 에서는 더 이상 포도의 병원체로 언급하지 않았고 호주의 Mucor 속 균은6 종류가 알려져 [진균] 있는데 그중 포도에 가는 균은 없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 Mucor circinelloides 다. Mucor 속의 균은 대부분 전세계적으로 분포하고 Mucor circinelloides 는 망고와 복숭아, 노니에서 검출된 기록은 있으나 포도에 대해서는 확인된 기록이 없으므로 따라서 개별 평가에서 제외코자 함 ⦁관리병으로 과실의rot 를 일으키는 병원체이다 . BA 의 자 료에 의하면 식용 포도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병으로 되 어 있으며 이 병원체가 호주 남동부 지역에서 발생한 것 으로 보고되었지만 호주에서는 포도속에서도 검출된 기 록이 없음(APPD, 2010) [진균] 비록 어린 포도 묘목에서 쇠락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Phoma glomerata ⦁ 기록되어 있으며 인도의 포도에서 검출된 기록이 있으나 (Farr & Rossman, 2010),주로 2 차적인 감염에 의한 것 으로 흰가루병의mycoparasite 로 사용되고 호주에서 포 도의 생산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개별평가대상에서 제외코자 함 - 3 - 개별평가대상종 제외근거 ⦁ArMV는 관리병으로 기주범위가 매우 넓으며, 특히 포도 를 비롯하여 딸기, 홉 , 상추 , 샐러리 등 경제적으로 중요 한 작물에 피해를 줌 -,,종자 묘목 선충을 통해 전염하며 , 많은 종류의 작물에 서 종자전염을 함 -,다만 포도에서 종자전염을 한다는 보고는 없음(CABI 2010, EPPO Seed pathology 2nd edition) ⦁TRSV는 관리병으로 주요기주로는 블루베리, Bell pepper,수박 , 멜론 , 오이 , 콩 , 토마토 , 포도 등을 가해하 며, 포도의 경우 과실이 작아지고 묘목이 시드는 증상 을 나타냄 -이 바이러스의 전파는 종자 , 접목 또는 기계적 접종 , 또는 매개충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음(CABI, 2010) -감자 , Amaranthus hybridus ,제라늄 , 양상추에서는 종자 전염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콩 (soyabean) 의 경우 온실 조건에서3 세대에 걸쳐 100% 전염함 (Demski & Harris, 1974).한편 , 포도에서는 종자전염 보고가 없음 (CABI, 2010, EPPO Seed pathology 2nd edition). -매개충으로는 미국창선충 ( Xiphinema americanum ) 등이 주로 알려지며, 유럽에는 분포하지 않고 , 북미지역에 [바이러스] 널리 분포하며(CABI, 2010), 우리나라에도 분포함 ( 한국 Arabis mosaic virus 식물병리학회, 2009) Tobacco ringspot virus ⦁BA(2011년 ) 자료에 의하면 - ArMV는 유럽과 뉴질랜드에서 포도에 기록이 있으나, 호주에서는 태즈메이니아의 구근 및 빅토리아 주의 홉 에서 발견되었을 뿐 포도에서는 검출기록이 없음 최근 10 년 동안 포도에 대한 검사결과 및 1998∼ 2000 년에 호주 전역에서2,500 개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 과에서도 검출되지 않음(Habili & Symons, 2000) - TRSV 는 호주에서는 퀸즐랜드와 남호주 주에서만 보고 가 있으며, 기주식물도 글라디올러스와 담배만이 보고 됨(Randles & Francki, 1965; Brunt et al., 1996) 1990년 후반에 호주 포도 샘플을 대상으로PCR 검사 결과 검출되지 않음 ⦁한편, 포도는 종자로 번식을 할 경우 유전적 분리현상으 로 원종과 동일한 개체를 형성할 수 없음(Zohary, 1996) -,또한 포도종자의 휴면 타파조건이 052℃∼ ℃ 에서 개월 이상이 소요되며, 휴면타파를 거치지 않은 종자는 발아 율이 매우 낮음(Ellis et al., 1985; Doijode, 2011) ⦁위의 사실들을 종합해 볼 때, 이 바이러스가 포도에서 종자전염한다는 기록이 없고, 호주의 포도에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과실을 통한 감염의 위험성도 거의 없으므 로 개별 평가대상에서 제외코자 함 - 4 - 나. 해충 개별평가 검토대상 제외종 (8) 종 개별평가대상종 제외근거 [깍지벌레과 ] ⦁옆4 종은 호주에 분포하지만 , 포도생산과 관련성이 없다 Aspidiotus nerii (Ivy scale) 고 함(BA, 2011) Diaspidiotus ancylus ⦁Aspidiotus nerii 는 포도의minor 기주로 목록되어 있으나 (Putnam scale) (CABI, 2010; Ben-Dov et al., 2010), 호주에서 포도와 관 Hemiberlesia rapax 련된 기록이 없다고 함(BA, 2011). (Greedy scale) - 한편 우리나라에도 분포한다는 호주 측의 주장과 관련, Parlatoria oleae Nakahara(1982) 가 미국에서 한국으로부터 수입된 물품 (Olive parlatoria scale) 에서 검출된 표본을 바탕으로 발표하였으며, 국내에서 는 흰유리깍지벌레로 알려지지만 표본을 확인할 수 없 고(Paik, 2000), 2005∼ 2008 년 동안 조사에서 온실이나 야외에서 채집되지 않았음(Suh et al., 2009) ⦁Diaspidiotus ancylus 는2002 년 호주 측에서 포도해충목록 으로 제공되었지만 블루베리와 관련된 종이며, 포도의 해충이란 증거 문헌이 없음(BA, 2011) ⦁Hemiberlesia rapax 는 열대지역이 원산지로 다양한 식물체 의 심각한 해충이지만, 포도가 기주로 알려져 있지 않음 (PIS, 2011; CABI, 2010).단지 , 1908 년 호주 Queensland 에서 포도와 관련된 유일한 기록이 있음(Brimblecombe, 1968) ⦁Parlatoria oleae 는 포도가 기주로 알려져 있으나(PIS, 2011; Ben-Dov et al., 2010),올리브 , 일부 핵과류 , 사과 , 배, 많은 정원수의 해충이고 (Miller and Davidson, 2005), 장미과, 콩과 , 물푸레나무과 식물을 선호함 (Watson, 2006). 한편 호주에서는 포도로부터 채집된 기록이 없음 (BA, 2011) ⦁위4 종의 깍지벌레류가 포도를 기주로 할 수 있을지라도 선호하는 기주가 아니며, 호주에서 포도생산과 관련성이 거의 없으며, 또한 과일 , 괴경 , 절화와 같은 비재식용 식 물체를 통해 새로운 지역으로의 침입가능성이 없으므로 (Beardsley and Gonzalez, 1975) 개별위험평가 대상종에 서 제외코자 함 - 5 - 개별평가대상종 제외근거 [가루깍지벌레과 ] ⦁옆4 종은 호주에 분포하지만 , 포도생산과 관련성이 없다 Ferrisia virgata 고 함(BA, 2011) (Striped mealybug) ⦁Ferrisia virgata 는 아르헨티나에서 포도가 기주로 알려졌 Maconellococcus hirsutus 으며(Ben-Dov et al., 2010), 호주에서는 Queensland 와 (Pink hibiscus mealybug) Northern Territory에만 분포하고 , 상업적 작물로 토마토 Nipaecoccus viridis 만이 기록됨(Williams, 1985) (Spherical mealybug) ⦁Maconellococcus hirsutus 는 사우디아라비아, 카리브해 , 이 Planococcus minor 집트에서 포도가 기주로 알려졌으며(Ben-Dov et al., (Pacific mealybug) 2010),호주에서는 무궁화속 ( Hibiscus )의 정원수와 주로 관련되며, 재배되는 과수류로는 Queensland 의 감귤에서 만 때때로 기록됨(BA, 2011) ⦁Nipaecoccus viridis 는 포도와 관련된 많은 기록들이 있으 나(CABI, 2010; Ben-Dov et al., 2010), 호주에서는 Queensland와 Northern Territory 에만 분포하고 , 상업적 으로 생산하는 포도에서 발견된 증거가 없으며(Nicholas et al., 2000), 포도와 관련된 유일한 기록으로는 Northern Territory의 Darwin 지방에서 상업적으로 생산 하지 않는 관상용 품종에서 기록됨(Williams, 1985) ⦁Planococcus minor 는 인도에서 포도의 해충으로 알려졌으 며(Batra et al., 1987), 호주 동부지역에 존재하지만 포도 가 기주로 알려진 기록이 없음(Williams, 1985) ⦁위4 종이 포도를 기주로 할 수 있을지라도 선호하는 기 주가 아니며, 호주에서 포도생산과 관련성이 거의 없으 며, 가루깍지벌레과의 Pseudococcus 속에 속하는 종들의 관리를 통해서도 유입위험성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으므 로 개별위험평가 대상종에서 제외코자 함 ○ 따라서, 국내에 분포하지 않으며 과실을 감염하는 병해충15 종 (병원체 3 종 , 해충 12 종 ) 을 개별병해충 평가대상으로 선정 - 6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