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tis Vinifera L.) 생과실 개별 병해충 위험평가

(Vitis Vinifera L.) 생과실 개별 병해충 위험평가

호주산 포도(Vitis vinifera L.) 생과실 개별 병해충 위험평가 2011. 7.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식물검역부 위험관리과 요약 추진경과 ❍ ‘02. 6.호주측이 자국산 포도 ( Vitis vinifera L.) 생과실 수입허용 요청 및 병해충 목록 제시 -병해충 237 종 ( 병 103, 해충 134) 의 목록 제공 ❍ ‘09.10.호주측이자국산포도 ( Vitis vinifera L.) 재배현황및 수확후 관리등 자료제시 ❍ ‘10. 8.호주산 포도 ( Vitis vinifera L.) 생과실 수입위험분석 착수 -호주측 제공 해충목록 19 종에 대한 정확한 종명 추가 요구 ❍ ‘10. 10호주산 포도 ( Vitis vinifera L.) 생과실 예비평가 ❍ ‘11. 5. 11 호주측이 호주산 포도 병해충 관련 추가자료 제시 - 예비평가에 대한 관련 자료 회신 개별평가결과 ❍ 호주포도 생과실에 발생하는 병해충의 예비위험평가를 재검토한 결과 15종 ( 병 3 종 , 해충 12 종 ) 을 개별평가 대상으로 선정 ❍ 이중 과실파리류3, 종 잎말이 나방과 1, 종 병원체 1 종을 특별위험관리 병해충으로 평가(10나머지 종은 일반위험관리병해충으로 평가 ) ❍ 특별위험관리병해충에 대해서는 검토대상국가에 위험관리방안 제시를 요구 하여 적절한 관리방안 마련 예정 - 저온처리방법 등의 물리 화학적인 소독처리 및System approach 가 요구됨 이해당사자 및 전문가 의견 수렴 ❍ 우리부 홈페이지 게시 또는 자문위원,, 학회 연구기관 ( 농진청 , 각도 농업기술원), 과수협회 등 관련기관 의견수렴 금후추진계획 ❍ 이해 당사자 및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확정된 평가결과를 해당과에 통보 하고 상대국에 적절한 위험관리방안 제시 요구 ❍ 상대국이 제시한 관리방안의 적용 및 세부처리기준 검토 - 1 - 요 약 1 I. 추진 경과 1 II. 개별병해충 위험평가 2 1. 호주산 포도 병해충 categorization 2 2. 개별 병원체 위험평가 7 3. 개별 해충 위험평가 8 4.개별병해충 위험평가 결과 종합 9 III .금후 추진 계획 10 <첨 부 > 1. 개별병원체 위험평가서 2 개별해충 위험평가서 3. 호주산 포도 생과실 병해충 목록 4. 포도의 식물학적 특징 및 산업현황 5. 수입허용 요청 품목의 병해충 위험평가 방법 개요 - 1 - ⅠⅠ.. 추진추진 경과 경과 ❍ ‘02. 6.호주측이 자국산 포도 ( Vitis vinifera L.) 생과실 수입허용 요청 및 병해충 목록 제시: 병해충 237 종 ( 병 103, 해충 134) 의 목록 제공 ❍ ‘09.10.호주측이자국산포도 ( Vitis vinifera L.) 재배현황및수확후관리등 자료제시 ❍ ‘10.8.호주산 포도 ( Vitis vinifera L.) 생과실 수입위험분석 착수 -호주측 제공 해충목록 19 종에 대한 정확한 종명 추가 요구 ❍ ‘10.10호주산 포도 ( Vitis vinifera L.) 생과실 예비평가 ❍ ‘11. 5. 11 호주측이 호주산 포도 병해충 관련 추가자료 제시 - 예비평가에 대한 관련 자료 회신 II.II. 개별개별 병해충 병해충 위험평가 위험평가 1.호주 포도 병해충 Catagorization 호주산 포도 발생 병해충 조사 및 포괄적 목록작성 국내 국 내 미 분 포 종 구분 계 과실 과실 감염 추가자료 분포종 소계 미감염 (개별평가대상 ) 요청대상 병원체 110 52 58 35 23 - 해 충 153 48 105 68 18 19 계 263 100 163 103 41 19 ※ 속명으로 처리된19 종에 대한 호주측의 추가자료 검토결과 분포하지 않거나 과실과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됨 병해충별Catagorization 결과 ❍ 병원체(3 종 ) - 예비평가에서 개별 평가 대상으로 잠정 선정되었던23 종 중 국내 분포, 호주에 분포하지 않는 병원체 및 생산과실을 통해 유입 가 능성이 없는20 종을 제외한 3 종을 개별평가대상으로 선정 - 1 - ❍ 해충(12 종 ) - 예비평가에서 개별 평가대상으로 잠정 선정되었던18 종 중 과실 에 발생하지 않거나 상업적으로 생산된 과실을 통해 유입가능성 이 없는8 종을 제외하고 예비평가단계에서 검토되지 않았던 과실 을 통해 유입의 가능성이 있는2 종을 추가하여 12 종을 개별평가 대상으로 선정 가. 병원체 개별평가 검토대상 제외 종(20 종 ) 개별평가대상종 제외근거 [진균] Ascochyta ampelina 2002 년에 제공된 호주 포도에 발생하는 병원체 목록에 Penicillium canascens ⦁ Penicillium elongatum 동 병원균이 포도의 병원체로 등록되어 있었으나, 2011 Penicillium griseoroseum 년5 월 새롭게 제공된 자료에 의하면 더 이상 호주에 존 Penicillium janthenellum 재하지 않는 병원균으로 되어 있으므로 개별평가대상에 Penicillium rolfsii 서 제외코자 함(APPD, 2010) [바이러스] Tomato ringpot virus ⦁한국이나 일본, 중국 , 인도네시아 등에서 전통주를 만들 [진균] 때 발효과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균주로 우리나라에서는 Aspergillus wentii 메주에서 많이 발견되는 곰팡이이며, 이 균주를 조절하여 Rhizopus arrhizus 된장, 간장을 만듬 . 도처에 흔한 누룩곰팡이로 개별평가 대상에서 제외코자 함( 곽호영 등 , 2008) ⦁이 병원균은 곤충, 토양 , 공기 중에 있는 병원균으로 우 [진균] 리나라의 호박벌 등에 병은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분리되 Aspergillus flavus 었으므로 개별평가대상에서 제외코자 함( 국내 호박벌에 서 분리된 석고병균, Aspergillus flavus 의 형태학적 특성) ⦁동 병원체들은 호주 포도에서 검출기록은 있으나(APPD, 2011), 병원체의 특성상 직접적인 피해를 입히기 보다는 2차적으로 침입하는 경우가 많으며 포도에서 경제적인 피해를 준다는 기록은 없음 [진균] 또한 동 병원체들은 포도 관련 병해충 자료들에서도 이들이 Aspergillus aculeatus ⦁ 포도가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지역에서 문제가 된다는 어떠한 Penicillium purpurescens 보고도 없음(Person & Goheen, 1998, Nicholas et al., 2000) Penicillium variabile ⦁위의 사실들을 종합해 볼 때, 이 병원체들의 경우 호주 의 포도에서 발생하나 경제적 피해를 준다는 보고가 없 으며2 차적으로 침입하는 균들이므로 개별 평가대상에 서 제외코자 함 - 2 - 개별평가대상종 제외근거 ⦁이 병원균은 우리나라의 백합의 저장 중에 발생하는 것 으로 보고가 되었으므로 국내발생균으로 개별평가대상 [진균] 에서 제외코자 함( 백합 저장 중 구근부패에 관여하는 병 Penicillium brevicompactum 원균의 동정과 종구 소독효과, 식물병 연구 2006, Vol.12, No.1, pp. 2024) ⦁이 병원균은 우리나라 벼과작물 종자에서 분리된 보고가 [진균] 있으므로 국내발생균으로 개별평가대상에서 제외코자 Penicillium chrysogenum 함( 형태적 특성에 의한 벼과작물 종자전염 Penicillium spp.의 동정 , 한국균학회지 2005, 33(2): 8185) ⦁동 병원체는 호주 측에서 제공한 자료(2002) 에 따라 예비 평가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나2011 년 호주에서 추가로 보 [진균] 내온 자료에 의하면 단지 서호주에서1976 년 보고밖에 Phoma vitis 없고 그 외 어떠한 연구된 바가 없으며1976 년 자료도 이 병원체가 포도의 과실에 병을 일으킨다는 보고는 없 으므로 개별평가 대상에서 제외코자 함 ⦁이 병원균은 Compendium of grape disease (Pearson & Goheen, 1988) 에 포도병원체로 기록이 되어 있었으나 compendium의 review 에서는 더 이상 포도의 병원체로 언급하지 않았고 호주의 Mucor 속 균은6 종류가 알려져 [진균] 있는데 그중 포도에 가는 균은 없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 Mucor circinelloides 다. Mucor 속의 균은 대부분 전세계적으로 분포하고 Mucor circinelloides 는 망고와 복숭아, 노니에서 검출된 기록은 있으나 포도에 대해서는 확인된 기록이 없으므로 따라서 개별 평가에서 제외코자 함 ⦁관리병으로 과실의rot 를 일으키는 병원체이다 . BA 의 자 료에 의하면 식용 포도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병으로 되 어 있으며 이 병원체가 호주 남동부 지역에서 발생한 것 으로 보고되었지만 호주에서는 포도속에서도 검출된 기 록이 없음(APPD, 2010) [진균] 비록 어린 포도 묘목에서 쇠락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Phoma glomerata ⦁ 기록되어 있으며 인도의 포도에서 검출된 기록이 있으나 (Farr & Rossman, 2010),주로 2 차적인 감염에 의한 것 으로 흰가루병의mycoparasite 로 사용되고 호주에서 포 도의 생산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개별평가대상에서 제외코자 함 - 3 - 개별평가대상종 제외근거 ⦁ArMV는 관리병으로 기주범위가 매우 넓으며, 특히 포도 를 비롯하여 딸기, 홉 , 상추 , 샐러리 등 경제적으로 중요 한 작물에 피해를 줌 -,,종자 묘목 선충을 통해 전염하며 , 많은 종류의 작물에 서 종자전염을 함 -,다만 포도에서 종자전염을 한다는 보고는 없음(CABI 2010, EPPO Seed pathology 2nd edition) ⦁TRSV는 관리병으로 주요기주로는 블루베리, Bell pepper,수박 , 멜론 , 오이 , 콩 , 토마토 , 포도 등을 가해하 며, 포도의 경우 과실이 작아지고 묘목이 시드는 증상 을 나타냄 -이 바이러스의 전파는 종자 , 접목 또는 기계적 접종 , 또는 매개충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음(CABI, 2010) -감자 , Amaranthus hybridus ,제라늄 , 양상추에서는 종자 전염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콩 (soyabean) 의 경우 온실 조건에서3 세대에 걸쳐 100% 전염함 (Demski & Harris, 1974).한편 , 포도에서는 종자전염 보고가 없음 (CABI, 2010, EPPO Seed pathology 2nd edition). -매개충으로는 미국창선충 ( Xiphinema americanum ) 등이 주로 알려지며, 유럽에는 분포하지 않고 , 북미지역에 [바이러스] 널리 분포하며(CABI, 2010), 우리나라에도 분포함 ( 한국 Arabis mosaic virus 식물병리학회, 2009) Tobacco ringspot virus ⦁BA(2011년 ) 자료에 의하면 - ArMV는 유럽과 뉴질랜드에서 포도에 기록이 있으나, 호주에서는 태즈메이니아의 구근 및 빅토리아 주의 홉 에서 발견되었을 뿐 포도에서는 검출기록이 없음 최근 10 년 동안 포도에 대한 검사결과 및 1998∼ 2000 년에 호주 전역에서2,500 개 샘플에 대한 테스트 결 과에서도 검출되지 않음(Habili & Symons, 2000) - TRSV 는 호주에서는 퀸즐랜드와 남호주 주에서만 보고 가 있으며, 기주식물도 글라디올러스와 담배만이 보고 됨(Randles & Francki, 1965; Brunt et al., 1996) 1990년 후반에 호주 포도 샘플을 대상으로PCR 검사 결과 검출되지 않음 ⦁한편, 포도는 종자로 번식을 할 경우 유전적 분리현상으 로 원종과 동일한 개체를 형성할 수 없음(Zohary, 1996) -,또한 포도종자의 휴면 타파조건이 052℃∼ ℃ 에서 개월 이상이 소요되며, 휴면타파를 거치지 않은 종자는 발아 율이 매우 낮음(Ellis et al., 1985; Doijode, 2011) ⦁위의 사실들을 종합해 볼 때, 이 바이러스가 포도에서 종자전염한다는 기록이 없고, 호주의 포도에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과실을 통한 감염의 위험성도 거의 없으므 로 개별 평가대상에서 제외코자 함 - 4 - 나. 해충 개별평가 검토대상 제외종 (8) 종 개별평가대상종 제외근거 [깍지벌레과 ] ⦁옆4 종은 호주에 분포하지만 , 포도생산과 관련성이 없다 Aspidiotus nerii (Ivy scale) 고 함(BA, 2011) Diaspidiotus ancylus ⦁Aspidiotus nerii 는 포도의minor 기주로 목록되어 있으나 (Putnam scale) (CABI, 2010; Ben-Dov et al., 2010), 호주에서 포도와 관 Hemiberlesia rapax 련된 기록이 없다고 함(BA, 2011). (Greedy scale) - 한편 우리나라에도 분포한다는 호주 측의 주장과 관련, Parlatoria oleae Nakahara(1982) 가 미국에서 한국으로부터 수입된 물품 (Olive parlatoria scale) 에서 검출된 표본을 바탕으로 발표하였으며, 국내에서 는 흰유리깍지벌레로 알려지지만 표본을 확인할 수 없 고(Paik, 2000), 2005∼ 2008 년 동안 조사에서 온실이나 야외에서 채집되지 않았음(Suh et al., 2009) ⦁Diaspidiotus ancylus 는2002 년 호주 측에서 포도해충목록 으로 제공되었지만 블루베리와 관련된 종이며, 포도의 해충이란 증거 문헌이 없음(BA, 2011) ⦁Hemiberlesia rapax 는 열대지역이 원산지로 다양한 식물체 의 심각한 해충이지만, 포도가 기주로 알려져 있지 않음 (PIS, 2011; CABI, 2010).단지 , 1908 년 호주 Queensland 에서 포도와 관련된 유일한 기록이 있음(Brimblecombe, 1968) ⦁Parlatoria oleae 는 포도가 기주로 알려져 있으나(PIS, 2011; Ben-Dov et al., 2010),올리브 , 일부 핵과류 , 사과 , 배, 많은 정원수의 해충이고 (Miller and Davidson, 2005), 장미과, 콩과 , 물푸레나무과 식물을 선호함 (Watson, 2006). 한편 호주에서는 포도로부터 채집된 기록이 없음 (BA, 2011) ⦁위4 종의 깍지벌레류가 포도를 기주로 할 수 있을지라도 선호하는 기주가 아니며, 호주에서 포도생산과 관련성이 거의 없으며, 또한 과일 , 괴경 , 절화와 같은 비재식용 식 물체를 통해 새로운 지역으로의 침입가능성이 없으므로 (Beardsley and Gonzalez, 1975) 개별위험평가 대상종에 서 제외코자 함 - 5 - 개별평가대상종 제외근거 [가루깍지벌레과 ] ⦁옆4 종은 호주에 분포하지만 , 포도생산과 관련성이 없다 Ferrisia virgata 고 함(BA, 2011) (Striped mealybug) ⦁Ferrisia virgata 는 아르헨티나에서 포도가 기주로 알려졌 Maconellococcus hirsutus 으며(Ben-Dov et al., 2010), 호주에서는 Queensland 와 (Pink hibiscus mealybug) Northern Territory에만 분포하고 , 상업적 작물로 토마토 Nipaecoccus viridis 만이 기록됨(Williams, 1985) (Spherical mealybug) ⦁Maconellococcus hirsutus 는 사우디아라비아, 카리브해 , 이 Planococcus minor 집트에서 포도가 기주로 알려졌으며(Ben-Dov et al., (Pacific mealybug) 2010),호주에서는 무궁화속 ( Hibiscus )의 정원수와 주로 관련되며, 재배되는 과수류로는 Queensland 의 감귤에서 만 때때로 기록됨(BA, 2011) ⦁Nipaecoccus viridis 는 포도와 관련된 많은 기록들이 있으 나(CABI, 2010; Ben-Dov et al., 2010), 호주에서는 Queensland와 Northern Territory 에만 분포하고 , 상업적 으로 생산하는 포도에서 발견된 증거가 없으며(Nicholas et al., 2000), 포도와 관련된 유일한 기록으로는 Northern Territory의 Darwin 지방에서 상업적으로 생산 하지 않는 관상용 품종에서 기록됨(Williams, 1985) ⦁Planococcus minor 는 인도에서 포도의 해충으로 알려졌으 며(Batra et al., 1987), 호주 동부지역에 존재하지만 포도 가 기주로 알려진 기록이 없음(Williams, 1985) ⦁위4 종이 포도를 기주로 할 수 있을지라도 선호하는 기 주가 아니며, 호주에서 포도생산과 관련성이 거의 없으 며, 가루깍지벌레과의 Pseudococcus 속에 속하는 종들의 관리를 통해서도 유입위험성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으므 로 개별위험평가 대상종에서 제외코자 함 ○ 따라서, 국내에 분포하지 않으며 과실을 감염하는 병해충15 종 (병원체 3 종 , 해충 12 종 ) 을 개별병해충 평가대상으로 선정 - 6 - 2.

View Full Text

Details

  • File Type
    pdf
  • Upload Time
    -
  • Content Languages
    English
  • Upload User
    Anonymous/Not logged-in
  • File Pages
    98 Page
  • File Size
    -

Download

Channel Download Status
Express Download Enable

Copyright

We respect the copyright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all users. All uploaded documents are either original works of the uploader or authorized works of the rightful owners.

  • Not to be reproduced or distributed without explicit permission.
  • Not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outside of approved use cases.
  • Not used to infringe on the rights of the original creators.
  • If you believe any content infringes your copyright, please contact us immediately.

Support

For help with questions, suggestions, or problems, please contac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