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프리카공화국 Kotra Country Report
Total Page:16
File Type:pdf, Size:1020Kb
http://news.kotra.or.kr 남아프리카공화국 KOTRA 요하네스버그 무역관 작성 KOTRA COUNTRY REPORT - 목 차 - I. 국가 일반 국가 개요 2 정치사회동향 3 한국과의 주요 이슈 8 II. 경제 경제지표 DB 10 경제동향 및 전망 11 주요 산업동향 16 지역무역협정 체결현황 29 III. 무역 수출입동향 32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34 수입규제제도 35 대한 수입규제동향 38 관세제도 39 주요 인증제도 43 지식재산권 44 통관절차 및 운송 45 수출유망품목 48 시장 특성 50 바이어 발굴 55 상관습 및 거래 시 유의사항 57 주요 전시회 개최일정 59 수출 성공실패사례 65 수출 시 애로사항 66 Ⅳ. 투자 투자환경 68 투자 인센티브제도 69 외국인 투자동향 73 한국기업 투자동향 75 한국기업 진출현황 78 투자진출 성공실패사례 79 주요 투자법 내용 81 투자방식 82 투자진출형태 86 진출형태별 절차 89 투자법인 철수 및 청산 90 투자입지여건 92 투자진출 시 애로사항 104 노무관리제도 104 조세제도 110 외환관리 및 자금조달 113 V. 비즈니스 참고정보 물가정보 115 취업유망분야 및 유의사항 116 비즈니스 에티켓 119 이주정착 가이드 121 생활여건 122 취항정보 124 출입국 및 비자제도 125 관광, 호텔, 식당, 통역 130 출장 시 유의 및 참고사항 135 유관기관 웹사이트 144 KOTRA 무역관 안내 145 남아프리카공화국 국가정보 자료원: CIA 1 / 146 남아프리카공화국 국가정보 I. 국가 일반 1. 국가 개요 가. 일반 사항 국 명 남아프리카공화국(Republic of South Africa) 위 치 아프리카 대륙 최남단 면 적 1,219,090㎢(한반도의 5.5배, 남한의 12배) 기 후 내륙 지방(온대성), 서부 해안(지중해성), 동부 해안(아열대성) 수 도 Pretoria(행정수도), Cape Town(입법수도), Bloemfontein(사법수도) 인 구 5,565만명(2016년) 요하네스버그(494만 명), 케이프타운(400만 명), 더반(344만 명), 프레토리아(292만 주요 도시 명) 흑인: 42.30백만(79.8%), 백인: 4.60백만(8.7%), 혼혈: 4.76백만(9.0%), 인종 구성 인도/아시아계: 1.33백만(2.5%) 영어, 아프리칸스어, 줄루어, 코사어 등을 비롯한 11개 공식 언어 사용 언 어 비즈니스어로는 영어가 널리 사용됨 기독교(79.8%), 카톨릭교(7.1%), 이슬람교(1.5%), 힌두교(1.2%), 토착신앙(0.3%), 종 교 유대교(0.2%), 기타(17.1%) 건국(독립)일 1910년 5월 31일 (영국) 정부 형태 대통령 중심제(내각제적 요소 가미: 의회에서 대통령 선출 등) 국가 원수 Jacob Zuma(대통령, 취임일: 2009년 5월, 재취임일: 2014년 5월) 주: 2016년 7월기준 입수가능 최신자료 자료원: 남아공정부포탈(www.gov.za), 남아공 통계청 나. 경제 지표 GDP(명목) US$ 3,128억 GDP 성장률(실질) 1.3% 1인당 GDP(명목) US$ 6,618 실 업 률 25.4% 물가 상승률 5.2% 화폐단위 RAND(ZAR) 환 율 US$ 1 = ZAR 14.40 (2016년 7월) 외 채 US$ 131,735백만 외환 보유고 US$ 41,798백만 산업구조 농수산업(3.1%), 광산업(5.2%), 제조업(15.1%), 전력(1.7%), 건설(3.0%), 도소매 (GDP기여도, %) (11.8%), 운송(8.9%), 금융(21.2%), 정부(19.24%), 기타(10.9%) 교역 규모 수출: US$ 81,641백만/ 수입: US$ 85,721백만 2 / 146 남아프리카공화국 국가정보 수출: 귀금속, 금속류, 원유, 자동차, 철강, 기계 등 주요 교역품 수입: 원유, 기계, 전자, 자동차, 플라스틱, 의약품 등 주: 2016년 7월 기준 입수가능 최신자료 자료원: 남아공 중앙은행, 통계청(http://beta2.statssa.gov.za), 관세청, EIU Country Report 다. 한-남아공 관계 항공협정(1995), 이중과세방지협정(1996), 투자보장협정(1997) 체결 협정 국립검정원 기능향상사업시행약정(2000), 과학기술협력협정(2004), 원자력협력협정(2011) 2007년: 우리나라 수출 US$ 1,753백만, 수입 US$ 1,766백만 - US$ 13백만 적자 2008년: 우리나라 수출 US$ 1,397백만, 수입 US$ 2,159백만 - US$ 762백만 적자 2009년: 우리나라 수출 US$ 1,082백만, 수입 US$ 1,171백만 - US$ 89백만 적자 2010년: 우리나라 수출 US$ 1,668백만, 수입 US$ 2,272백만 - US$ 604백만 적자 교역 규모 2011년: 우리나라 수출 US$ 2,254백만, 수입 US$ 3,105백만 - US$ 851백만 적자 2012년: 우리나라 수출 US$ 2,188백만, 수입 US$ 2,129백만 - US$ 59백만 흑자 2013년: 우리나라 수출 US$ 2,698백만, 수입 US$ 1,729백만 - US$ 969백만 흑자 2014년: 우리나라 수출 US$ 1,476백만, 수입 US$ 1,624백만 - US$ 148만 적자 2015년: 우리나라 수출 US$ 1,290백만, 수입 US$ 1,093백만 - US$ 197만 흑자 우리나라 수출: 선박, 자동차, 기계류, 철강제품, 전자기기 등 주요 교역품 우리나라 수입: 백금, 철광, 합금철, 동괴 및 스크랩, 아연광, 곡류 등 우리나라의 대 남아공 투자: US$ 202백만 투자교류 남아공의 대 한 투자: US$ 75백만 약 4,100명(2015년 기준) Gauteng주(요하네스버그, 프레토리아) 2100명 교 민 Western Cape주(케이프타운, 스텔렌보쉬) 1600명 KwaZulu-Natal주(더반) 등 기타 500명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관세청, 한국무역협회 2. 정치·사회동향 가. 남아공 역사 요약 남아공에 도착하여 희망봉을 발견한 최초의 유럽인은 포르투갈 선원 디아스 (Bartholomu Diaz)로, 1488년 현재의 더반 지역에 상륙했다. 그리고 1652년 네덜란드인 리베크 (Liebeeck)가 본격적으로 케이프타운에 보급기지를 건설하였으며, 1688년에는 프랑스 위그노교도들이 케이프타운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농 업과 목축을 하면서 스스로를 보어인(Boer, 네덜란드어로 ‘농부’라는 뜻)이라 불렀다. 18세기 후반 국제적인 해운통상국으로 네덜란드를 물리친 영국은 인도무역의 중계지로서 케이프타운을 점 령하였다가 1815년 정식으로 영국의 케이프 식민지로 만들었고, 1843년에는 나탈 지역도 점령했다. 영국 3 / 146 남아프리카공화국 국가정보 의 노예해방과 자유주의 정책을 반대한 보어인은 1830년대부터 내륙으로 이동하여, 트란스발 공화국(1852) 과 오렌지 자유국(1854)을 건설하였다. 남아공으로의 백인 이민은 19세기 중반까지 대부분 농업 이민이었 고, 이때까지 남아공의 역할도 항해 보급기지 중심이었으나, 1867년에는 호프타운에서 다이아몬드가, 1886년에는 현재의 요하네스버그 부근에서 금광이 발견되면서 대규모 투자가 유입되고 일확천금을 꿈꾸는 백인들의 다이아몬드러시, 골드러시가 시작되었다. 남아공의 주도권을 놓고 1899년 영국계 이민자들과 네덜란드 계 보어인 사이에 전쟁이 발발하였고, 1902 년 보어인의 패배로 트란스발 공화국과 오렌지자유국은 영국의 식민지가 되어 영연방에 편입되었다. 영국의 회는 남아프리카 법을 통과시켜 1909년 4개 주로 구성된 남아프리카 연방을 수립(영연방 내의 자치정부)하 였으며, 이듬해인 1910년 영연방국가로 독립하였다. 1948년 백인들만의 총선에서 국민당(NP)이 승리하면 서 본격적인 인종차별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가 시작되었으며, 이후 인종차별과 유색인종 탄압에 대한 국제 사회와 영국 정부의 비난이 거세지자, 영연방을 탈퇴하고 1961년 5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수립을 선언하였다. 1923년 출범한 아프리카민족회의(ANC, African National Congress)는 남아공 내에 반아파르트헤이트 투 쟁을 주도해 왔으며, 1948년 국민당 정부가 아파르트헤이트 노선을 강화하자 ANC도 이에 맞서 무력투쟁 노선을 채택하였다. 1961년에는 ’민족의 창‘이라는 ANC내 게릴라 조직이 탄생하였고, 1962년 의장이던 넬 슨 만델라가 체포되어 종신형을 선고 받았다. 1984년 흑인 대중의 반아파르트헤이트 폭동이 고조되자 ANC와 ‘민족의 창’의 입지는 더욱 강화되었으며, 1989년 취임한 프레데릭 데 클레르크 대통령은 아파르트헤이트 체제가 장기적으로 유지될 수 없음을 인식 하고 개혁 절차를 개시하였다. 이에 따라 1990년 넬슨 만델라가 석방되고 ANC의 활동이 합법화되었으며, 석방된 넬슨 만델라는 ANC 부의장에 취임, 데 클레르크 총리와 함께 아파르트헤이트의 종식을 위한 예비교 섭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1994년 4월 남아공 최초의 민주선거가 실시되어 ANC가 압승을 거두었으며, 다수 당의 당수가 대통령에 취임하는 헌법 규정에 따라 같은 해 5월 넬슨 만델라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1999년 6월에도 ANC의 압승으로 당시 ANC 의장이었던 타보 음베키(Thabo Mbeki)가 제2대 대통령에 취 임(2004년 재선)하였고, 2009년 4월 총선에서 다시 ANC가 승리하여 의장인 현 대통령 제이콥 주마(Jacob Zuma)가 5월에 취임하였다. 나. 정치 동향 1) 여당 ANC의 확고한 1당 집권체제 1994년 4월 전인종 참여 민주선거를 통한 만델라 정권 수립에 이어 1999년 6월 및 2004년 4월 총선에서 집권당인 아프리카민족회의(ANC, African National Congress)가 압승하여 음베키 대통령이 연속 집권하 였으며, 2009년 4월 실시된 총선에서도 ANC가 압도적 지지(총 투표자의 65.9%)를 획득함으로써 주마 대 통령 시대가 개막되었다. 2014년 5월 총선결과 ANC는 의회 총 400석중 249석을 획득하였으며, 야당인 DA(Democratic Alliance)가 89석, 여타 군소정당들이 62석을 획득하였다. 남아공은 대통령 중심제이나 의회에서 대통령을 선출하기 때문에 의석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ANC의 총재가 대통령이 되어왔다. 남아 공 최대야당인 DA는 흑인 유권자의 지지 확대 및 소수 야당과의 정치적 연합을 추진하고 있으나, 백인 기반 정당의 한계로 인해 당분간 남아공 집권 여당인 ANC의 아성에 도전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기타 야당으 로는 경제자유튜사당(EFF), 국민회의당(COPE), 앙카타자유당(IFP), 독립민주당(ID) 등이 있다. ANC 부총재 는 Cyril Ramaphosa가 임명되었다. 4 / 146 남아프리카공화국 국가정보 주마 대통령은 2012년 신년 국정연설에서 일자리 확충과 빈곤 해소, 경제적 불평등 해결 의지를 천명하며 철도와 도로, 댐 등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인프라 확충 계획은 남아공 동북부 림포포주의 석탄 과 백금 등 광물자원 부존지역의 개발을 위한 철도, 도로 및 수자원 인프라 개발, 남부항구도시인 더반과 수 도권 하우텡주 및 중부 내륙지방 프리스테이트주를 물류운송과 산업·수출기지화, 남아공 최저개발 지역인 이 스턴케이프주의 농업 발전을 위한 댐 건설, 노스웨스트주에서의 10개 도로 개량, 남아공 서부의 노던 케이프 주의 철광석 개발 확장을 위한 철도 연장 등으로 구성된다. 실업, 빈곤, 범죄 및 HIV/AIDS(580만명 감염 추정) 만연이 계속해서 주요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2014년6월, 주마대통령은 국정연설에서 최저임금제 도입, “대통령 비즈니스 실무그룹”을 통해 고충해소 지 원, 특별경제구역(SEZ) 운영강화, 신설된 중소기업부 및 광범위흑인경제육성법을 통해 중소기업 진흥 프로 그램 지원, 청년고용세금혜택의 시행으로 기업의 고용확대 지원, 에너지 믹스 개발 강화를 위해 기존의 국가 원자력에너지집행조정위원회를 국무회의 에너지안보위원회로 확대 개편을 표명했다. 인프라 분야에서는 광 대역통신 정책과 전략을 바탕으로 세계 최대 지상전파망원경 프로젝트의 안테나 건설 계획 이행, 레소토와 공동 진행 중인 Lesotho Highlands Water Project의 댐건설 이행 등 정보통신 인프라를 확충하고 디지털 방송 계획의 추진력 강화를 표명했다. 흑인 민주정부가 수립된 지 20년이 경과한 현재, 정치적 안정과 보수적 거시경제정책 운용에 따른 제반 경제 지표의 안정화는 상당부분 달성되었으나, 실질 경제상황 개선수준은 흑인다수의 기대수준에는 미치지 못하 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선진국 수준의 생활을 누리는 백인들과 일부 흑인 부유층에 비해 가난을 면하지 못 한 대부분 국민이 불만을 표출,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2) 심각한 빈부격차가 정치 불안요소 남아공은 흑인정권 수립 이후 일부 흑인 부유층과 중산층이 생겨났으나 여전히 대부분 흑인은 빈곤에 시달리 는 등 빈부 격차가 극심하다. 또한 정치와 행정 부문의 부정부패가 심각해 국민의 불신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줄리어스 말레마 같은 대중에 영합하는 정치인의 인기가 높은 편이다. 여당 ANC의 청년조직인 청 년동맹(ANCYL) 위원장이었다가 2012년에 규율 위반으로 당에서 제명된 말레마는 광산 국유화 등 빈부 격 차 해소를 위한 급진적인 경제개혁을 주장해왔다. 또한 경찰 발포로 수십 명이 사망한 참사가 발생한 론민 마 리카나 참사 광산 등지의 파업 현장을 방문하며 참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주마 대통령이 사퇴해야 한다고 주 장했고, 광산회사가 근로자들에게 대폭의 임금 인상을 할 때까지 근로자들이 정기적으로 총파업을 해야 한다 고 선동하기도 했다. 말레마는 남아공의 극심한 빈부 격차에 분노하는 가난한 서민 대중으로부터 상당한 지 지를 받고 있다. 3) 아프리카 지역의 선도국 남아공은 아프리카 지역의 선도국으로서 지역 및 국제문제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남아공은 G20 회원국이자 유엔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 유엔, 세계무역기구 등 다자간 국제기구에서 아프 리카의 이해를 대변하고 있다. 또한 아프리카 지역기구인 아프리카 연합(AU)에서도 은코사자나 들라미니- 주마 내무장관이2012년 7월 AU의 새 집행위원장에 선출되는 등 지역협력과 관련해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