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구학회지(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Vol. 24, No. 1 January, 2013, 1-14

미국 현대 아트퍼니처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 1980년대 이후 제2세대 미국 가구디자이너를 중심으로 -

최 병 훈†,1, 정 명 택2

1 2 홍익대학교 목조형가구학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디자인공예학과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merican Contemporary Art Furniture - Focusing on the Second Generation Since the 1980’s -

†,1 2 Byung Hoon Choi , Myung Taek Jung

1 Department of and Furniture Design, Hongik University, Seoul 121-791, Korea 2 Department of Design and Crafts,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121-791, Korea

Abstract: Since the 1980s the development of American art furniture was embodied its concept by second-generation furniture artists affected and educated from the first generation that has implanted art furniture fundamental values. Besides, embracing inevitably needs of the new era going with the social change rather than dwell on the nature of mere handicraft era, it has evolved with economic revival in the United States, the attention and increased consumption of the public, and ongoing government-sponsored. And more recently, the American contemporary Art Furniture faces another change in the non-boundary phenomena between art and design. American art furniture since the 1980s are summarized as three major trends: Art furniture em- bellished with traditional hand-craft, Art furniture featured the individualistic avant-guard char- acteristic, Art furniture eroded the distinction between art and design. By analyzing focusing on the furniture artists and their works in contemporary art furniture deployment aspects since the 1980s, the purpose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method to measure the forward direction, internationally competitive, creativity, and artistic value of the domestic art furniture.

Keywords: art furniture, studio furniture, american furniture, design art, second generation

1. 서 론 험적 정신이 개입된 ‘개념의 가구’로서 그 영역을 1 구축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다양한 스타일 1.1. 연구배경 및 목적 의 출현과 함께 순수미술가, 공예가, 디자이너에 현대 아트퍼니처는 다원화된 대중사회를 중심으로 의해 각기 다른 접근방식으로 구체화된 미국 아트 개인주의적 혁신적 상업적 성격을 띠며 가구에 , , 퍼니처는 1980년대를 기점으로 더욱 발전된 기술과 대한 전통적 관념으로부터 독립된 가치로 발전을 소재의 개발로 디자인의 순수성과 독창성, 상징과 거듭하였다 또한 작가의 철학적 접근 방식과 실 . , 유머, 테크놀로지와 소재의 다양성 등의 특성을 보 여주고 있다. 특히 최근 미국 아트퍼니처의 특성을 2012년 12월 9일 접수; 2013년 1월 2일 수정; 2013년 1월 보면 과거 스튜디오 퍼니처 운동으로부터 확장․ 3일 게재확정 발전하여 보다 전위적이고 자유로운 표현방식으로 † 교신저자 : 최 병 훈 ([email protected])

1 2 최병훈․정명택

Table 1. Influence by generation of american furniture artists

그들만의 특유의 가치를 만들어가고 있음을 알 수 1.2. 연구범위 및 방법 있다. 반면 2000년대 중반 이후 유럽과 아시아 디 미국 아트퍼니처 작가의 세대분기점을 1세대는 자이너들의 미국시장 진출과 성공으로 인해 예술 1950년대를 전후하여 1970년대 중반까지, 2세대는 과 비예술의 경계가 더욱 모호해지면서 ‘디자인아 1970년대 말부터 1990년대, 3세대는 2000년대 이 트(design-art)’라는 새로운 카테고리까지 상업시장 후로 나누고, 제2세대 미국 아트퍼니처 작가들의 에 출현하였고 이에 미국 아티스트들은 예상치 못 활동이 두드러진 1980년대 이후부터 최근 2000년 한 자국시장의 점령에 대해 위기의식을 갖고 있다. 대 후반까지를 연구범위로 정하였다(Oscar 2007) 국내에도 아트퍼니처가 정착되고 그 인식이 급속 (Table 1). 1980년대 이후 미국 아트퍼니처의 전개 도로 확장되어 가고 있는 현시점에서 미국 현대 양상에 대한 고찰에 앞서, 제2장에서는 예술적인 아트퍼니처의 전개양상에 대한 고찰은 국내 아트 이데아와 대중적 관심 속에 전개되었던 1970년대 퍼니처의 올바르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더욱 요 아트퍼니처 운동의 시대적 패러다임과 함께 제2세 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시대적 대 퍼니처 아티스트들의 출현 배경을 살펴보았다. 양식과 문화적 특성을 통해 자주적으로 발전해온 그리고 이들이 추구했던 가구디자인의 새로운 가 미국 현대 아트퍼니처의 전개양상을 작가와 작품 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1980년대 이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국내 아트퍼니처의 후 미국 아트퍼니처의 특성을 1) 전통적 수공예의 예술적 가치와 방향, 독창성, 국제적 경쟁력 등을 표현방식, 2) 개인주의적 아방가르드, 3) 예술과 디 가늠하는 데 그 수법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 자인의 비경계적 현상으로 나누고 이 시기에 활동 의 목적을 두었다. 이 두드러진 대표 작가들의 작품경향을 중심으로

한국가구학회지, 제 24 권 제 1 호, 2013 미국 현대 아트퍼니처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3

미국 아트퍼니처 전개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방 을 받은 2세대들은 1980년대를 기점으로 순수미술 법으로는 미국 가구디자인에 관련한 단행본과 학 과 공예, 디자인의 영역을 모두 아우르며 아트퍼니 술지논문, 신문기사, 프리탐앤임스갤러리(Pritam & 처를 예술의 한 장르로서 대중의 관심을 성공적으 Eames Gallery)의 문헌자료 등을 토대로 하였으 로 이끌어냈다. 며, 시카고박물관(Art Institute of Chicago), 보스 턴예술박물관(Museum of Fine Arts, Boston), 퓰 2.1. 1970년대 아트퍼니처의 시대적 흐름 러박물관(Fuller Museum of Art), 왁슬러갤러리 1970년대로 들어서 미국 아트퍼니처의 흐름은 (Waxler Gallery), 베리프리드만갤러리(Barry Fried- 다수의 지역 전시, 제2세대 퍼니처 아티스트그룹 man Gallery), 가고시안갤러리(Gagosian Gallery), 의 형성, 정부의 후원 등으로 가구분야의 발전이 웬델캐슬스튜디오( Studio), 주디맥 이루어졌으며 작가들은 색다른 수종의 사용과 테 키스튜디오(Judy Mckie Studio), 마이클허위츠스 크닉적 기교들로 기술지향의 특성을 보였다. 1971 튜디오 (Michael Hurwitz Studio) 등의 방문 기록 년 열린 ‘캘리포니아 디자인 11’ 전시회에서는 혼 등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합재료나 목재 위에 페인팅, 기능성이 없거나 극히 제한적 기능을 가진 가구 등에 대한 작가들의 지 2. 제2세대의 아트퍼니처 운동 속적 탐구를 보여주었다. 반면 그동안 유기적인 형 태의 탐구와 자유분방하고 다양했던 실험들은 조 아트퍼니처는 1860년대 미술공예운동(Arts & 금씩 가라앉았다. 60년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Crafts Movement)에서 그 시원이 나타나기 시작 (FRP)의 성형실험과 목재 라미네이션으로 전통적 하여 20세기 전반에 걸쳐 창조적인 아티스트나 디 인 가구제작방법으로부터 탈피를 시도해왔던 웬델 자이너, 또는 공예가들에 의하여 가구의 보편적 가 캐슬 역시 다양한 수종과 정교한 목재짜임방식을 치에서 일탈된 새로운 표현양식과 언어로 예술로 사용하며 우아한 복고풍의 접근방식으로 작업방향 서의 가구 개념을 확장시켰다. 아트퍼니처는 일상 을 바꾸었다. 이러한 작업 방향의 변화는 작가들의 생활과 예술을 연결지으려 했던 하나의 예술운동 개인주의적 표현에 대한 자유과 다양성에 대한 갈 으로, 현대에 이르러서는 조형예술의 표현매체나 망으로 볼 수 있다. 1972년에는 워싱턴 스미스소 디자인 분야의 개성추구, 그리고 일품공예로서 다 니안국립미술관(Smithsonian American Art Mu- 양한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최 2001). 동시대의 seum)의 공예와 장식미술 프로그램으로서 렌윅갤 미국 예술은 1945년부터 1960년대 말까지 순수미 러리()가 설립되면서 수준 높은 술, 공예, 디자인의 전 영역에 걸쳐 스튜디오 중심 아트퍼니처 작품들이 전시되고 그로 인해 미국 대 으로 폭넓은 분파가 이루어졌다. 특히 모더니즘의 중들에게 아트퍼니처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점차 대량생산에 대응하여 장인정신이 깃든 수공예를 확산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정책의 변화도 현대 추구한 미국의 공예가들은 19세기말 유럽의 공예 아트퍼니처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갖는 데 기여했 운동을 뒤이어 미국 스튜디오 공예 운동(American 다. 당시 닉슨 대통령은 국립예술기부단체(the Na- Studio Craft Movement)을 주도하며 스튜디오 규 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NEA)의 예산을 모의 작업장에서 그들만의 단호한 예술적 표현의 올려 민간예술과 장식미술을 포함한 지역예술에 형태와 개념으로 미국 예술을 발전시켜 나갔다. 그 적극적인 협조를 하였다. 그 결과 많은 지역에서 들의 공예작품은 순수예술작품처럼 전시되고 다루 기획된 현대 가구디자인 전시회가 NEA를 통해 어지지는 않았지만 ‘예술성과 유용성’이라는 두 가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NEA는 1979년 미국공예 지의 목적을 지니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흐름과 박물관(현, the Museum of Arts and Design)이 함께 1950년을 전후하여 미국 현대 아트퍼니처의 “New Handmade Furniture” 전시회를 기획할 수 첫 세대가 등장하였다. 그리고 1세대로부터 교육 있도록 지원하고 보스턴예술박물관은 샘 말루프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Vol. 24, No. 1, 2013 4 최병훈․정명택

Fig. 1. 2nd generation furniture artists at Program in Artisanry Woodshop (PIA), 1978, Photo by Paul J. Wedel. Fig. 2. Memorial to the Idea of Man I He Was an Idea, H. C. Westermann, 1958. (), 테지 프리드(), 조지 나 카시마(), 웬델캐슬(Wendell Castle), 주디 매키(Judy Mackie) 등 시대를 대표 하는 작가들의 의자를 구입할 수 있도록 후원해 주었다. 그리고 미국의 아트퍼니처는 1970년대 말 2 세대 그룹의 형성으로 제2의 도약기를 맞이하였다.

2.2. 제2세대 퍼니처 아티스트의 출현 테지 프리드, 웬델 캐슬, 제임스 크래노브(), 제레 오스굿() 등 제1세대 퍼니처 아티스트에 의한 교육활동의 힘으로부터

출현한 제2세대 퍼니처 아티스트들은 1970년대 말 Fig. 3. Yellow Top, George Sugarman, wood and paint, 부터 왕성한 활동을 시작하였다. 특히 RISD의 테 1966. 지 프리드와 제임스 크래노브는 강연과 저서를 통 하여 가구제작기술과 재료, 그리고 디자인에 관해 (Program in Artisanry)를 통해 마이클 허위츠(Mi- 대중적 흥미와 관념의 균형을 강조하면서 철학적 chael Hurwitz), 토마스 허커(Thomas Hucker) 등 인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수준 높은 공예의 예술성 실력 있는 작가들이 많이 배출되었다(Fig. 1). 2세 에 대한 인식을 회복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웬델 대들은 전후 나무를 주재료로 사용한 웨스터만(H. 캐슬은 60년대부터 로체스터대학(Rochester Institute C. Westermann)과 조지 수가만(George Sugaman) of Technology), 뉴욕주립대학(State University of 등 조각가들로부터 형태와 색채의 영향을 받기도 )을 거쳐 80년대 웬델 캐슬 스쿨(Wen- 하였다(Figs. 2, 3). 그 외 대표적인 제2세대 퍼니 dell Castle Scool)을 직접 운영하며 많은 2세대 작 처 아티스트로 리차드 스콧 뉴먼(Richard Scott 가들을 배출해냈다. 뿐만 아니라, 댄 잭슨(Dan Jack- Newman), 톰 로저(Thomas Loeser), 제임스 쉬리 son)과 제레 오스굿은 작품을 통하여 디자인과 기 버(James Schriber), 리치 테넌(Rich Tannen), 브 술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필라델피아 미술대학 루스 비켄(Bruce Beeken), 제프 파슨(Jeff Parsons), (P.C.A)의 댄 잭슨의 제자로 에디 주카(Ed Zucca), 존 에릭 바이어스(John Eric Byers) 등과, 여성 퍼 알폰스 마티아(Alphonse mattia)의 활동이 두드러 니처 아티스트로서 보스턴 출신의 주디 맥키(Judy 졌으며, 제레 오스굿이 교육한 보스턴대학의 PIA Kensley Mckie), SDSU와 RIT에서 교육받은 웬

한국가구학회지, 제 24 권 제 1 호, 2013 미국 현대 아트퍼니처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5

디 마루야마(), RISD의 테지 3. 1980년대 이후 미국 아트퍼니처의 전개 프리드에게 사사받은 로잔 써머슨(Rosanne Somer- 양상 son) 등이 두각을 보였다. 이렇게 다양한 교육기관 으로부터 배출된 제 세대들은 재료와 기술의 다양 2 1979부터 1982년까지 모더니즘에 대항한 스튜 성을 강화하며 디자인 과정에 더 큰 관점을 두었 디오 알키미아와 멤피스의 연계된 이탈리안 건축 고 창의적 표현을 만들며 새로운 시대의 법칙으로 가들과 디자이너들은 크게 대중적 인정을 받았다. 개척해 나갔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모던 퍼니처디자인에 대응한 반응은 이태리에서 일어난 것처럼 절대적인 구속 2.3. 제2세대에 의한 아트퍼니처의 가치 변화 력을 갖지는 않았다. 이태리 디자인과 생산물이 미 년대까지 퍼니처 아티스트들이 다양한 타입 1970 국 사회 안에서는 보편성을 갖지 못해서였다. 비록 의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켜주며 주문가구를 많이 일부 미국 건축가나 디자이너들이 가구산업계와 생산하는 데 주력하였던 반면 1980년대는 제2세대 함께 이태리 디자인과 유사한 제품을 만들어 내기 들을 중심으로 모더니즘의 헤게모니를 극복하고 도 했지만 대부분의 미국 퍼니처 아티스트들은 독 가구의 전통적 정체성을 탐미하며 스스로의 개인 립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그들의 스타일을 고수했 주의적 표현방법을 추구하였다 그 결과 미국 아트 . 다. 이렇게 독립된 분야의 상호작용과 대립으로 전 퍼니처는 예술과 디자인 공예로서의 초기 접근방 , 개된 1980년대 이후 미국 아트퍼니처의 특성을 크 식에서 벗어나 점차 각 분야의 영역별 구분 없이 게 세 가지로 구분하고 대표적인 작가와 작품경향 하나로 접목되는 현상을 보였고 가장 동적인 미국 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조형 예술 분야의 하나로 부상하였다. 또한 1970 년대가 미국 아트퍼니처의 성장이 정부차원으로 3.1. 전통적 수공예의 표현방식 크게 증가했던 시기였다면 년대는 세대들로 1980 1 디자인의 다원화 시대에 돌입한 1980년대 미국 부터 교육을 받은 세대 퍼니처 아티스트들의 다 2 아트퍼니처의 강력한 조형적 방향은 한마디로 ‘그 양한 실험들로 아트퍼니처의 시장 이 (marketplace) 래픽의 감수성’이었다(Edward 2003). 1980년대 크게 확대된 시기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2세대 색채의 화려함의 전형이었던 멤피스 디자인 운동 들의 개인전과 단체전 컨퍼런스 워크숍 그리고 , , , 의 유입으로 인한 포스터모더니즘(Post-modernism) 교육 등 적극적인 활동은 아트퍼니처가 미술시장 과 전통의 재출현으로 볼 수 있는 뉴 클래시시즘 의 새로운 장르로 환영받고 많은 갤러리들이 아트 (New Classicism), 그리고 팝아트와 옵아트 등 시 퍼니처를 선보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뉴욕 대를 넘나드는 여러 스타일들이 예술 각 분야에서 의 Max Protetch, Art et Industrie, Peter Joseph 유행되었다. 이 시기에 미국 퍼니처 아티스트들은 등이 아트퍼니처를 소개하는 중요한 시장 Gallery 그들의 관심사였던 장식과 패턴, 재료에 대한 감수 이 되었으며 그중 프리탐 앤 임스 갤러리는 1981 성, 가구기능의 순수성 등을 전통적 수공예의 표현 년 설립되어 현재 대표적인 미국의 장식미술과 아 방식으로 탐구하였다. 그 결과 가구분야에서도 과 트퍼니처 전문화랑으로 자리를 잡았다. 1989년에 거의 추억과 미래의 대한 상상력이 교차하는 두 는 보스턴예술박물관에서 “New American Furni- 개의 전시회가 개최되었다. 1983년 프리탐앤임스 ture: The Second Generation of Studio Furni- 갤러리에서 열린 “포스트모던 장식(Post-Modern 전시회를 개최함으로써 세대들에 ture Makers” 2 Embellishment)” 전시회에 출품한 알폰스 마티아, 의한 가구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사고 예술성과 , 주디 맥키, 리차드 스콧 뉴먼(Ricard Scott New- 기능성의 균형을 추구하는 아트퍼니처에 대한 가 man), 제임스 쉬리버(James Schriber) 등의 작품 치가 순수미술세계에서 더욱 인정을 받았다 . 을 보면 표면적 장식, 페인트의 사용, 에폭시 레진, 금, 흑단, 그리고 조각 등 장식과 재료에 초점이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Vol. 24, No. 1, 2013 6 최병훈․정명택

Fig. 4. ‘Post-Modern Embellishment’ poster, 1983. Fig. 6. Leopard Chest, Judy Mckie, Basswood, oil paint, gold leaf, 1989.

Fig. 5. First Demilune, Richard Newman, maple and ebony, 1982. Fig. 7. Upholstered bench, , 1986.

맞추어진 것을 볼 수 있다(Fig. 4). 특히, 리차드 뚜렷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그녀는 유기적 형태미 스콧 뉴먼의 뉴 클래시시즘을 반영한 반달모양의 를 추구했던 화가의 딸로서, 고대 그리스와 이집트 콘솔은 이후 그의 대표적 캐릭터를 예견할 수 있 의 미술, 고대 콜롬비아와 아프리카, 에스키모 및 는 작품이 되었다(Fig. 5). 또한 1984년 워크벤치 민속 예술 등으로부터 영감을 얻으며 동물의 유기 갤러리와 렌윅갤러리가 공동 기획한 “material 적인 형태를 절제된 디자인으로 표현하고 있다. 비 Evidence: New Color Techniques in Handmade 평가들로부터 “순수한 원시(True primitive)”라 불 Furniture” 전시회는 포마이카 재료에 의한 색채 렸던 찰스 펜더게스트(Charles Pendergast)의 1927 의 탐구와 포스트모던 스타일을 보여주었다. 이렇 년 제작된 체스트에서 영감을 받은 주디 맥키는 듯 이 시기에 페인팅은 목재의 결을 가릴 수 있는 1989년 보스턴예술박물관의 “New American Fur- 보편적인 방법이 되었고 가구의 조각장식 또한 많 niture Show”에서 ‘레오파드 체스트(Leopard chest)’ 이 시도되었다. 를 선보였다. 레오파드 체스트는 여러 식물들과 두 보스턴출신의 가구디자이너로서 동물의 형태를 레오파드가 서로 꼬여 있는 모습이 부조로 조각되 재해석하여 세련된 현대미와 조각적 요소를 표현 어 있으며 자연과 동물의 형태는 화려한 금박과 하고 있는 주디 맥키가 대표적인 예이다. “나는 너 깊은 붉은색의 색감이 어우러져 주디 맥키의 상징 무 기술적으로 많이 알고 싶지 않다. 그러면 다르 적이고 회화적인 조각 스타일을 보여주고 있다 게 만들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조각을 할 때 아직 (Fig. 5). 서툰 내 자신을 발견한다. 어떻게 조각을 해야 하 재료에 대한 탐구와 뛰어난 공예기법으로 수공 는지 정말 모른다. 하지만 여러 가지 공구들을 쓰 예의 표현방식을 추구하는 또 한 명의 대표적인 면서 내가 원하는 것을 항상 만들 수 있다. 줄, 조 작가로 로잔 써머슨(Rosanne Somerson)을 들 수 각 공구들, 사포, 커다란 샌더기, 체인톱 등 내가 있다. 로잔 써머슨은 섬세함이 부족했던 자신에게 좋아하는 것을 얻기 위해 무슨 공구이든 사용한 “Ten Thumbs”라는 애칭을 붙여준 RISD의 테지 다”(David 2011)라고 그녀는 자신의 표현방식을 프리드로부터 강한 트레이닝을 받았다. 그 후 크고

한국가구학회지, 제 24 권 제 1 호, 2013 미국 현대 아트퍼니처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7

Fig. 8. Rocking chaise rear, milk paint on mahogany, Micheal Hurwitz, 1989.

복잡한 작품들로부터 기술적 자신감을 얻은 그녀 Fig. 9. Angel of Blind Justice, Wendell Castle, stained 는 유희적인 형태들의 표면 위에 페인트를 칠하고 mahogany, birdseye maple, 1990. 텍스쳐를 주어 매우 정교하고 장식적인 형태들을 추구하였다. 로잔은 80년대 중반 페인트, 목재탈 의 관심사와 영감, 그리고 전통에서 멀어진 형태주 색, 오일마감 등 다양한 표면처리와 면과 가죽 등 의에 입각한 특성이다. 이러한 개인주의적 아방가 다른 마감재를 사용하며 여러 개의 벤치시리즈를 르드의 특성은 1990년대에 들어서 더욱 뚜렷이 드 발표하였다(Fig. 7). 러났다. 보스턴대학의 PIA에서 제레 오스굿에게 사사를 60년대 이래 조각과 가구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받은 마이클 허위츠(Michael Hurwitz)는 BFA를 방식을 추구해오던 웬델캐슬은 그의 트레이드마크 받은 1979년 이래 퍼니처 아티스트로서 활동하고 인 목재 라미네이션 기법과 일류미네이션 조각기 있으며 피터조셉 갤러리와 프리탐 앤 임스 갤러리, 법에서 벗어나 1980년대초 좀 더 개념적인 가구를 존 엘더 갤러리 등 가구전문화랑에서 다수의 개인 제안했다. 13개의 시계를 제작하지만 모두 기능이 전을 가져왔다. 작품에 대한 마이클 허위츠의 주된 배제된 작품들이었다. 더불어 다른 아티스트들의 관심사는 가구의 구조가 조형의 전개에 있어 그것 작품과 차별을 두기 위해 그는 “more is more”라 을 규정짓는 힘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는 항상 는 태도를 취했다. 그러나 웬델 캐슬은 90년대부터 곡선과 직선를 조화롭고 흥미롭게 쓰며 뛰어난 공 다시 목재 라미네이션 기법을 이용해 독특한 자신 예기술과 무궁무진한 상상력을 내포하는 작품을 의 조형언어를 만들며 장인정신을 바탕으로 추상 제작하고 있다. 1989년 보스턴예술박물관의 “New 적 표현주의, 해체주의, 초현실주의, 그리고 포스 American Furniture Show”를 위해 제작한 Roc- 트 모더니즘으로부터 형태와 개념을 결합하였다. king Chaise는 마호가니에 밀크페인트 마감을 한 이렇듯 웬델 캐슬의 작품은 시기별로 다양한 스타 작품이다. 항상 가벼운 구조에 관심을 준 마이클 일을 보여주지만 사실 각기 분리된 목적으로서 ‘전 허위츠는 19세기 초 사무엘 그랙(Samuel Gragg) 통으로부터의 탈피’라는 하나의 통일됨을 보여주 의 보스턴 사이드 체어에서 디자인 영감을 받았다 고 있다. 이는 즉 혁신적 아방가르드를 추구한 그 (Fig. 8). 그는 동양, 특히 일본에 대한 각별한 관 의 실험적 정신을 의미한다. 웬델 캐슬은 왈튼 에 심을 갖고 일본건축 구조에 대한 연구와 다양한 쉬릭(Wharton Esherick)과 더불어 2세대들이 그 혼합재료를 통한 실험으로 장식적 소품과 오브제 러했던 것처럼 조지 수가만의 조각으로부터 큰 영 도 발표하고 있다. 향을 받았다. 특히 조지 수가만의 해체주의적 형태 표현과 강렬한 색채의 대비는 1990년 발표한 웬델 3.2. 개인주의적 아방가르드 캐슬의 ‘Angel of Blind Justice’ 의자를 통해 엿볼 미국 현대 아트퍼니처의 또 하나의 특성은 기성 수 있다. 위로 치솟은 두 개의 날개와 좌판의 결합 관념이나 표현방식을 따르지 않고 아티스트 개인 은 섬세하고 감각적인 균형감으로 일상적인 의자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Vol. 24, No. 1, 2013 8 최병훈․정명택

Fig. 11. Parker, Forrest Myers, Steel wire, black oxi- Fig. 10. Lecturn, , steel and brass, 1990. dized patina, 2006, Edition of 8.

의 형태와 구조에 대해 저항하고 있다 (Fig. 9). (Fig. 11). 1964년 마이어는 심미성과 실용성의 경 한편 동시대에 있어 순수예술가로서 아트퍼니 , 계를 벗어난 단순한 스툴 ‘Tendu’를 처음 만들었 처를 접근한 알버트 펠리 포레스트 (Ablert Paley), 다. 그 후 1980년 알루미늄 의자 ‘Cut Out’과 ‘Fold 마이어 토미 심슨 (Forrest Myers), (Tommy Simp- Chairs’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아트퍼니처 제 밥 트로트만 등의 표현적이고 son), (Bob Trotman) 작을 시작하였다. 1981년 Art et Industrie갤러리 사색적인 작품들을 이러한 아방가르드 특성으로 에서 첫 번째 개인전을 가진 마이어는 계속해서 분류할 수 있다. 예술과 건축의 요소를 통합하여 조각이 지니는 가구로서의 가능성을 실험하며 재 독창적인 형태를 추구하는 알버트 펠리는 다양한 료, 형태, 색상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했다. 또한 가 실험의 금속작업을 통해 대형 조각물과 아트퍼니 구의 기능을 추상화시키면서 구조를 허무는 혁신 처를 제작하고 있다 년 스미소니안박물관의 . 1974 적인 작업을 구상하였다. “누군가 앉기 전까지는 렌윅갤러리를 위한 포탈게이트(portal gate)를 제작 전혀 의자같이 안 보일 정도로 나의 작품들은 굉 하면서 국제적으로 명성을 쌓은 그는 특유의 단조 장히 추상적이다. 추상적인 것이 어떠한 형태를 가 로 만든 강철 구조로 전위적인 형태를 추구하고 질 때가 비로소 내가 바라는 순간이다. 내 의자들 있다 그의 비틀어지고 유기적인 형태의 작업은 . 10 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일종의 이벤트가 된다. 대 때부터 수집한 아르누보 오브제들로부터 영감 그것이 나의 변형의 행위이다.”라고 의자에 대한 을 받은 것이다 년 첫 번째 성서대를 디자인 . 1971 그의 생각을 밝히고 있다(http://www.friedman- 한 이래 개를 더 제작하였는데 년에 제작한 6 1990 benda.com, 2012). 성서대의 형태를 가장 선호하고 있다(Fig. 10). 알 버트 펠리는 작품 전체를 통해 제스처가 있는 유 3.3. 예술과 디자인의 비경계적 현상 동성의 흐름 균형 그리고 추상적 표현주의 화가 , , 2000년대 들어서 미국의 미술시장은 유럽과 아 의 방법처럼 각 파트 사이의 대조를 통해 과도하 시아 디자이너들의 진출에 의해 급속도로 빠른 변 고 표현적인 작품을 추구하고 있다 (Oscar 2007). 화를 맞이하고 있다. 호주의 디자이너 마크 뉴슨 지난 년간 미국 현대미술의 최전선에서 조각 40 (Marc Newson)이 1985년 제작한 록히드 라운지 가로 활동했던 포레스트 마이어는 형태와 기능의 체어(Lockheed lounge chair) 세 점이 2006년 뉴 병합에 초점을 둔 작업을 선보여 왔다. 그리고 자 욕 소더비 옥션에서 순수 예술품처럼 고가의 판매 유로운 재즈와 칼더 의 와이어 조각 (Calder) (wire 기록을 세우자 뉴욕타임즈(NYT)는 무엇이 예술이 )으로부터 영감을 받고 산화처리한 철사 고 무엇이 디자인인가 하는 원론적인 문제를 제기 를 엮어 조각적인 아트퍼니처를 제작하고 있다 했다(http://www.nytimes.com). 이렇게 희소성을

한국가구학회지, 제 24 권 제 1 호, 2013 미국 현대 아트퍼니처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9

Fig. 12. Nirvana, Wendell Castle, polychromed fiber- Fig. 13. Rocker, Thomas Hucker, Fumed white oak, glass, 2007. 2008.

지닌 디자인의 상업적 가치가 부각되자 미술시장 는 17세부터 독일 캐비닛 제작자 레오날드 힐게르 은 장식미술(decorative art) 카테고리에서 디자인 (Leonard Hilger)에게 목공예와 가구디자인을 배 을 독립시키고 ‘아트로서의 디자인(design as art)’ 우며 조형적 컨포지션과 제작기술을 익혔다. 특히 이란 의미를 함축하여 디자인아트(design-art)라는 전통 유럽가구(Beidermeir)와 일본 가구(Ming Dy- 새로운 카테고리까지 만들었다. 이러한 크로스오 nasty), 일본의 차의식(Urasenke school)에 대해 버 현상은 최근 디자인분야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공부했으며 1976년 보스턴대학에 입학하여 스승인 일어나는 현상이 되었다. 2000년대 이후 미국의 제레 오스굿에게 사사를 받았다. 스칸디나비안 디 아트퍼니처 역시 예술과 디자인의 비경계적 현상 자인 미학에 뿌리를 둔 오스굿의 작품과 일본 차 을 뚜렷하게 보이고 있다. 의식에 대한 토마스의 관심은 독특한 그의 융합적 1세대 작가 웬델 캐슬은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 조형세계를 만들어 냈다. 그의 가구는 부력(buo- 를 무너뜨린 미국 아트퍼니처의 중심에 서있다. 앞 yancy)과 덩어리(mass), 추상과 실용, 화려함과 순 서 언급하였듯이, 웬델 캐슬은 시대를 거쳐 다양한 수함 등 비양립적인 요소들을 결합시키고 있다. 스타일을 시도하였다. 최근 그는 디자인 마이애미 2008년 제작한 Rocker는 섬세하고 부드러운 곡선 페어, The Salon of Art + Design, 베리프리드만 의 사용으로 특히 팔걸이에서 등받이로 이어지는 갤러리 등을 통해 60년대 제작했던 FRP 몰드를 흐름은 기존 가구에서 연상할 수 있는 구조에 대 재사용하거나 10가지의 다른 금속으로 라운지 체 한 정석을 그의 조형언어로서 새롭게 바꾸었다(Fig. 어를 제작하는 등 아트와 디자인의 경계를 넘나드 13). 1990년 밀라노 도무스 아카데미에서 수학하 는 오브제, 화려한 색채의 유기적 디자인을 선보이 고 뉴욕으로 돌아와 현재 뉴저지에서 작품 활동을 며 유럽 디자이너들을 상대로 미국 아트퍼니처의 하고 있는 그는 현대 이탈리안 디자인의 혁신적 위상을 지키고 있다. 2007년 제작한 Nirvana는 목 사고와 전통 일본의 미학으로부터 깊게 영향을 받 재 라미네이션 기법으로 조각한 형태를 FRP로 성 고 아트퍼니처 속에 내재된 미학과 외적 기능을 동 형하고 폴리크롬으로 마감한 의자다. 매우 유기적 시에 포함하는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2000년대 이 이고 절제된 곡선과 색의 완벽한 코팅마감은 시대 래 왕성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는 3세대 퍼니처 디 를 앞서나간 웬델 캐슬만의 개척 정신을 엿볼 수 자이너들의 작품은 더욱 뚜렷하게 예술과 디자인 있다(Fig. 12). 기존의 틀과 전통적인 테크닉에서 의 비경계적 현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아트퍼니처 벗어나 수공예의 장인정신과 예술성 그리고 디자 를 통한 3세대들의 표현력은 그 범위와 방법이 매 인의 경계선을 넘나드는 웬델 캐슬의 작품들은 현 우 다양해졌다. 마티아스 플리스닉(Matthias pli- 대미술에서 아트퍼니처라는 새로운 장르를 창출해 essnig)의 스팀벤딩기법을 이용한 부드러운 곡선과 냈다. 유기적인 형태(Fig. 14), 조셉 왈쉬(Joseph Walsh) 펜실베니아 출신 토마스 허커(Thomas Hucker) 의 프리폼 라미네이팅 테크닉(Fig. 15), 현대 디지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Vol. 24, No. 1, 2013 10 최병훈․정명택

Fig. 14. Amada, Matthias Pliessnig, steam bent white Fig. 15. Enignum II Dining Table and Chair, Joseph oak, 2010. Walsh, 2010.

털 테크놀로지와 차원 의 이용 등 세 3 CNC M/C 3 트들은 그들의 전통적 표현방식을 고수하였다. 둘 대 작가들의 실험과 도전 정신은 새로운 개념의 째, 개인주의적 아방가르드의 특성으로, 전통으로 가구를 실현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진보해 나아가 부터 멀어진 형태와 기법으로 개인의 관심사와 영 고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Hybrid)와 크로스오버 감에 의해 순수한 예술 조형 작업을 시도함으로써 같은 디자인 접근방법으로 예술성과 (Cross-over) 전위적인 조형 형태가 이루어졌다. 셋째, 예술과 실용성의 두 가지 측면을 모두 아우르며 가구라는 디자인의 비경계적 현상으로, 예술과 디자인 분야 매개체를 통해 기능적 개념적 콘텐츠를 보여주고 , 사이의 장벽이 허물어지면서 아트퍼니처의 개념, 있으며 대량생산의 획일성을 극복하고 소비자 개 정신, 가치 또한 변화하고 있다. 인의 취향과 희소성에 가치를 두고 있다 . 21세기 아트퍼니처가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더욱 그 영역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대중이 요구하 4. 결 론 는 심미성과 기능성은 물론, 문화적 정서까지 충족 시켜야 한다. 더불어 미래 주거환경의 변화에 대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1980년대 이후 미국 예측과 끊임없는 실험과 도전으로 새로운 방향을 아트퍼니처의 전개는, 아트퍼니처의 근본적 가치 제시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작가의 개성을 내세우 관을 심어준 1세대들로부터 큰 영향과 전문교육을 고 집착하기에 앞서 모든 사람이 공유할 수 있는 받은 2세대 퍼니처 아티스트들에 의해 그 개념이 더욱 진보된 신조형과 기술혁신으로 아트퍼니처가 더욱 구체화되었다. 더불어 미국의 경제적 부흥, 대중 생활 속에서 계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대중의 관심과 소비의 증가, 그리고 지속적인 정부 해야 할 것이다. 특히, 아트퍼니처가 이제 정착되 의 후원 등으로 단순한 수공예시대의 특성에 머물 어가는 우리의 사회 환경에서 문화적으로 걸맞지 지 않고 사회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시대의 필연적 않는 가구로는 아트퍼니처가 한국사회 저변으로 요구를 받아들이면서 미국 아트퍼니처는 발전을 거 확대되기를 기대하기란 어려운 일일 것이다. 따라 듭하여 왔다. 그리고 최근 미국 현대 아트퍼니처는 서 한국의 정체성을 재인식하고 우리의 실정에 맞 예술과 디자인의 비경계적 현상을 띠며 또 다른 는 아트퍼니처의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 변화를 맞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해 본다. 1980년대 이후 미국 현대 아트퍼니처의 특성은 크게 세 가지의 경향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사 사 전통적 수공예의 표현방식으로, 1980년대를 전후 하여 재료에 대한 탐구와 기술적인 공예기법을 강 본 논문은 2011학년도 홍익대학교 학술연구진흥 조한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유럽 포스트모 비에 의하여 지원되었음. 더니즘의 거센 영향에도 불구하고 퍼니처 아티스

한국가구학회지, 제 24 권 제 1 호, 2013 미국 현대 아트퍼니처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11

Table 2. Art furniture embellished with traditional hand-craft 작품 제목 아티스트 발표시기 특징 및 주요정보

덴마크 태생 테지 프리드는 미국의 3세대 가구제 Three Three- Tage Frid 1982-83 작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줌. 스툴은 가구의 구조적 Legged Stools 기술이 디자인을 결정한다는 그의 신념을 제시

1976년부터 웬델 캐슬은 그의 illusions 시리즈를 Table with Wendell Castle 1983 시작. 익숙한 형태의 테이블이나 의자 위에 극사실 Gloves and Keys 적으로 조각한 오브제를 표현

여러 가지 수종으로 제작된 Cabinet on stand는 크레노브의 수준높은 기술을 보여줌. 디자인과 기 Cabinet-on-stand James Krenov 1982 능이 결합된 그의 캐비닛들은 극도로 정교하고 섬 세함으로 70년대 말과 80년대 초 많은 목공예가들 에게 영감을 줌

PIA를 졸업한 제임스 쉐리버는 목재 가구 위에 페 Perforated Metal James Schriber 1985 인팅. 그의 페인팅 기술과 컬러사용은 가구제작자 China Cabinet 들에게 다른 재료를 혼용할 수 있는 용기를 북돋음

80년대 중반 그녀는 다양한 표면처리(페인트, 목재 Rosanne Upholstered bench 1986 탈색, 오일마감)와 다른 섬유(면, 가죽)로 여러 개 Somerson 의 벤치시리즈를 발표

목공예가가 아닌 아티스트로서 교육을 받음. 기능 Caster Oyle Stephen 적으로 쏘사스나 멤피스의 작업처럼 불편하지만 1987 Cabinet Whittlesey 휘틀레시의 재생된 목재의 사용은 모던 이탈리안 가구 재료의 부산물과는 상반됨

Bent lamination 방식을 네 개의 다리에 이용. 1790 Cylinder Front Jere Osgood 1989 년부터 1800년 사이에 메사추세스 살렘에서 만들 Desk 어진 Federal cylinder desk에서 영감을 받음

목공기계에 대해 해박한 지식과 기술을 지닌 리처 Richard Scott 드 스콧 뉴만은 18세기 프랑스 가구의 상감기법, First Demilune 1990 Newman 캐스팅, 금속조각술, 목재색상의 대비 등 장식적인 요소를 진화시킴

스칸디나비안 가구기법의 영향을 받았던 초기 Low-back Lowback side chair로부터 30년간 발전시킨 1995 Sam Maloof 1995 Side Chair 년 작품. 의자는 ‘hard edge’와 전형적인 후기 작 품의 정제된 형태 함축

의인화된 의자 ‘Oops’는 18세기 필라델피아 치펜 데일 의자를 묘사한 10개 의자 중 아홉 번째로, 의 Oops Jacob Cress 2002 자로서의 기능성 결핍과 150시간 이상의 제작시간 의 소요로 그리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함

ladderback 톰 루저는 2005년 흔들의자와 일반의자를 병합시 Tom Loeser 2005 kcabreddal #1 키는 아이디어로 새로운 가구의 개념을 제시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Vol. 24, No. 1, 2013 12 최병훈․정명택

Table 3. Art furniture featured the individualistic avant-guard characteristic 작품 제목 아티스트 발표시기 특징 및 주요정보

돌덩어리를 단순하게 절단함으로써 자연과 아티 Settee with Two Scott Burton 1983 스트의 인위적인 작업이 서로 결합한 아트퍼니 Chairs 처. 뉴욕현대미술관 소장

Brains, Knothead 1980년대 Valet 시리즈를 통해 알폰스 마티아는 and Mister Potato Alphonse Mattia 1984 조각과 색채를 강조하고 특유의 유머와 상징을 Head 표현

시계의 기능성을 배제하면서 매우 섬세한 조각 Ghost Clock Wendell Castle 1985 기술로 13개의 시계 시리즈를 발표

일본의 나무블록 인쇄기법과 미국의 카툰으로부 터 테크닉을 적용한 세더퀴스트는 상감기법과 Ghost Boy 1992 에폭시 레진, 잉크를 사용하면서 디자인. Ghost Boy는 각 부분이 해체되어 마치 큐비즘을 연상

주디 맥키는 아프리칸 미술과 토착민, 고대 이집 monkey Settee Judy Mckie 1995 크와 그리스 미술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음. 의자 는 석고로 원형을 조각한 후 브론즈 캐스팅

다양한 층의 대중과 소통을 위해 카툰 캐릭터를 Uncle Rick’s Richard Ford 1997 사용. 좋은 표면질감을 위해 아크릴 페인트와 수 Wonderland 용성 랙커의 혼합제를 20번 이상 도장

Surreal Vegetable 채소를 소재로 한 크랙 너트의 가구는 초현실주 Craig Nutt 1997 Composition Chairs 의적 환상을 표현

존 브룩스는 단풍나무로 조각한 동물형태 위에 One Voice Jon Brooks 1998 아크릴, 색연필, 파스텔로 채색하는 등 다양한 표현방법을 추구

1971년 시작으로 6개의 성서대를 만든 알버트 펠리는 철, 황동, 동 등으로 용접하며 즉흥적인 Lectern Albert Paley 1990 소재와의 대화를 시도. 추상적 표현주의 화가의 방법으로 유동성과 조화의 전체적인 제스처 효 과를 추구

포레스트 마이어는 형과 색에 대한 실험과 조각 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춤. 흑색 산화처리로 마감 Parker Forrest Myers 2006 된 철사를 이용한 Parker는 모양과 기능을 합병 하는 상징성이 강한 의자 사일라스 신델은 다양한 금속으로 가구와 조각 Bronzeforms 5 SV Silas Seandel 2007 을 제작. 표면처리는 모두 그가 자체 개발한 산 (Cocktail Table) 성반응과 열처리방식의 결과물

한국가구학회지, 제 24 권 제 1 호, 2013 미국 현대 아트퍼니처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13

Table 4. Art furniture eroded the distinction between art and design 작품 제목 아티스트 발표시기 특징 및 주요정보

디지털 테크놀로지인 CNC 기계를 사용하여 3차 Blanket Chest Rich Tannen 2003 원의 표면 질감을 표현. 기계와 수작업의 병행

DMFD를 운영하는 다니엘 미켈릭은 버려지거나 Cortica Daniel Michalik 2004 환경친화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가구의 새로운 구 조적 가능성을 제시

제임스 크래노브와 웬디 마루야마로부터 사사받 Echo Chaise Jenn Anderson 2004 은 제니퍼 앤더슨의 라운지 체어는 산업용 펠트 와 합판을 이용한 유기적 구조를 시도

리히 우즈는 ‘놀람’, ‘미스테리’, ‘기대’에 관련된 Blonde Side 72 Leah Woods 2005 아이디어를 표현. 라미네이션 벤딩방식으로 독특 한 조형세계를 추구

1993년부터 2001년까지 앤더슨 랜치에서 가구 Rocker Gail Fredell 2006 프로그램을 감독한 게일 프레델은 Diamond Plate Steel을 이용한 종이접기 방식으로 조형성을 강조

70년대 FRP작업의 성형틀을 재사용하여 디자인 Black Widow Wendell Castle 2007 아트페어에서 최근 지속적으로 선보임

컴퓨터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대략적인 스 TW Bench Isaac Arms 2007 케치를 철제 판으로 전환하여 조각을 자르고 용 접하여 2차원 형태를 3차원 물체로 변환

사각형과 곡선의 대조를 의도한 비비한 비어는 Lounge Vivian Beer 2007 라운지 체어의 Use, Image, Action을 통해 새로 움을 추구

Vehicle #2: 매튜 허버트의 작품은 가구, 환경, 그리고 사용자 Stool Mathew Herbert 2008 간에 새로운 형식의 상호작용을 형성 (for Philip K. Dick)

2000년대를 들어서 웬델캐슬은 더욱 과감하고 진 Faust Wendell Castle 2010 보적인 가구의 형태를 제시하며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없이 활동

컴퓨터 3D작업을 통해 얻은 형태를 디자인에 적 Amada Matthias Pliessnig 2010 용. 화이트오크를 스팀방식으로 유기적인 가구를 표현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Vol. 24, No. 1, 2013 14 최병훈․정명택

참 고 문 헌 American Studio Craft.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Janine, C., Carole, H., Jessica, N., and Jennifer, O. Arthur, C. D., Peter, T. J., and Emma, T. C. 1991. 2010. Wendell Castle Rocin. Barry Friedman Ltd. Angel Chairs: New Work by Wendell Castle. Peter Oscar, P. F. 2007. Studio Furniture of the Renwick joseph Gallery New York. Gallery. Smithsonian American Art Museum in as- David, S. 2011. Furniture with Soul: Master Wood- sociation with Fox Chapel Publishing: 19∼20, 150. workers and Their Craft. Kodansha International Wendell, C. and David, E. 1980. The Wendell Castle Ltd.: 93∼97. Book of wood Lamination. Van Nostrand Rein- Davira, S. T., Edward, S. C. Jr., and Joseph, G. hold Company. 1989. Furniture by Wendell Castle. Hudson Hills 최병훈. 2001. 현대 아트퍼니처의 개념정립 및 전개에 Press, New York. 관한 연구. 한국가구학회 12(2): 101∼102. Edward. S. C. Jr., Gerald, W. R. W., and Kelly, H. 최병훈. 2002. 가구디자인에서 예술적 표현의 가치와 한 L. 2003. The Maker’s Hand: American Studio 계에 관한 연구: 팝 아트퍼니처를 중심으로. 한국가구 Furniture, 1940-1990. MFA Publications (a divi- 학회 13(3). sion of the Museum of Fine Arts, Boston): 91. http://www.friedmanbenda.com. Friendman, B. 2009. Lines of Force, Modern Fall: http://www.nytimes.com(But is it art. 2006.10.8.). 136. Janet, K. and Bruce, M. 2010. Makers: A History of

한국가구학회지, 제 24 권 제 1 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