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천체사진(APOD) 번역집 2013-2 BigCrunch 소개글

NASA에서 운영하는 오늘의 천체사진(Astronomy Picture of the Day, 이하 APOD)사이트는 1995년 6월 16일 첫번째 천체사진을 발표한 이래, 지금까지 하루도 빠짐없이 천체관련 사진 또는 동영상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본 블로그 북은 2013년 APOD를 통해 발표된 천체사진의 번역 모음집 두번째 편으로서 2013년 5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총 78개의 APOD 번역내역이 담겨 있습니다.

참고 : 2013년 발표 천체사진 중 과거에 이미 발표된 내용이 반복 게재된 경우, 그리고 동영상이 게재되어 본 블로그북 형식으로 담아낼 수 없는 경우는 제외되었으니 이점 참고하여 주십시오. 목차

1 오메가 센타우리 7

2 토성 북극의 회오리 폭풍 10

3 말머리 성운과 그 주변 13

4 헝가리에서 촬영된 부분월식 18

5 슈퍼셀(Supercell) 구름 21

6 레몬혜성의 꼬리 24

7 은하수와 작은 바닷가의 비경 27

8 감마선 폭발 : GRB 130427A 30

9 모뉴먼트 밸리 상공의 불의 고리 34

10 M77 37

11 케이프 요크에서 촬영된 금환일식 40

12 구름과 새와 달과 금성 43

13 부분일식과 비행기 46

14 케플러의 초신성 잔해 50

15 2013년 처음으로 관측된 X등급 플레어 53

16 폭포와 밤하늘 56

17 판스타스 혜성의 이온꼬리 59

18 리차트 구조(The Richat Structure) 62

19 파란색 태양 65

20 붉은 직사각형 성운 68

21 레드 스프라이트(Red Sprite)와 오로라 71

22 M109 74

23 달에 어린 지구의 본영과 반영 77

24 코헴성 상공의 달무리 80

25 판스타스 혜성의 장대한 반대꼬리 83 26 Bird Sun Dog 87

27 대마젤란 성운 90

28 NGC 6960 95

29 NGC 4725 99

30 독수리 성운과 백조 성운 102

31 The Milky Trail 105

32 화성을 딛고 선 큐리오시티호의 바퀴. 108

33 오리온 성운 111

34 M57 : 고리 성운 114

35 메시에 크레이터 117

36 자외선으로 바라본 대마젤란 성운 120

37 NGC 3582 124

38 네 개 행성의 일몰 127

39 Sharpless 115 130

40 미스테리의 돌고래 자리 유성우 133

41 APOD의 열여덟번째 생일 137

42 드라이아이스가 만든 화성의 썰매자국 140

43 크레이터 호수 위의 대기광과 은하수 144

44 NGC 3628 147

45 하지의 일몰 150

46 근지점의 달 154

47 한때 용암지대였을 금성의 지형 158

48 돌고래 은하(NGC 2936) 161

49 화성 락 네스트(Rock Nest)지역의 파노라마 사진 164

50 M31 167 51 모스크바 상공의 야광구름 171

52 슈퍼문의 헤일로 174

53 판스타스 혜성의 길게 뻗은 반대꼬리 177

54 별과 번개 180

55 M82 183

56 NGC 6752 187

57 NGC 6384 190

58 NGC 2170 193

59 플루토의 달 케베로스(Kerberos)와 스틱스(Styx) 196

60 백조자리 감마별 사드르(Sadr) 199

61 태양 흑점 202

62 황소자리의 먼지성운들 205

63 메시에의 11개 천체 208

64 M104 212

65 Zond 8호가 촬영한 달 215

66 용오름 현상 218

67 IC 342 222

68 토성을 찍으세요. 225

69 레몬 혜성과 깊은 우주 228

70 토성의 계절 231

71 토성에서 바라본 지구 234

72 지구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238

73 아름다운 삼엽성운 241

74 IC 1396의 코끼리 코 성운 244

75 아타카마의 구름낀 밤하늘 247 76 호그의 천체 251

77 토성, 타이탄, 토성의 고리와 연무 254

78 에스키모 성운 258 01 오메가 센타우리 오메가 센타우리 2013.05.04 18:18

이 천체는 우리 태양보다 오래된 별들로 구성된 거대한 뭉치이다.

인간이 존재하기도 전에, 공룡들이 지구를 활보하기도 전에, 아니 지구가 존재하기도 전에, 이 고대의 별들은 이미 한데 모였고, 어린 우리의 은하 주위를 돌고 있었다.

오늘날 약 200여개 정도의 구상성단들이 남아 있으나 오메가 센타우리는 1천만개의 별들을 포함하고 있는 이 중에서 가장 큰 구상성 단이다.

오메가 센타우리는 또한 가장 밝은 구상성단이기도 한데, 이 성단의 밝기 등급은 3.9등급으로서 남쪽 하늘을 관측하면 육안으로도 볼 수 있는 천체이기도 하다.

오메가 센타우리 • 8 NGC 5139로 등재되어 있는 오메가 센타우리는 1만 8천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150광년의 직경을 가지고 있다.

여타 대부분의 구상성단과는 달리 오메가 센타우리의 별들은 다양한 연령대를 보여주고 있으며 풍부한 화학적 구성을 보여주고 있 다. 이는 이 구상성단에 지난 120억년 동안 매우 복잡한 사건들을 겪어왔음을 말해주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01.html

참고 : NGC 5139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1277833 http://blog.daum.net/bigcrunch/1138452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3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4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18

원문> Ome ga Ce ntauri: The B righte s t Glo bular Clus te r Image Cre dit & Co pyright: Joaquin Polleri & Ezequiel Etcheverry (Observatorio Panameo en San Pedro de Atacama) Explanatio n: This huge ball of stars predates our Sun. Long before humankind evolved, before dinosaurs roamed, and even before our Earth existed, ancient globs of stars condensed and orbited a young . Of the 200 or so globular clusters that survive today, Omega Centauri is the largest, containing over ten million stars. Omega Centauri is also the brightest , at apparent visual magnitude 3.9 it is visible to southern observers with the unaided eye. Cataloged as NGC 5139, Omega Centauri is about 18,000 light-years away and 150 light-years in diameter. Unlike many other globular clusters, the stars in Omega Centauri show several different ages and trace chemical abundances, indicating that the globular has a complex history over its 12 billion year age.

오메가 센타우리 • 9 02 토성 북극의 회오리 폭풍 토성 북극의 회오리 폭풍 2013.05.04 18:48

지난해 말 토성 북극이 태양빛을 받는 모습을 처음으로 보게 되면서 카시니호가 협대역 앵글을 사용하여 토성 북극의 회오리 바람을

토성 북극의 회오리 폭풍 • 11 멋진 사진으로 촬영해 낼 수 있었다.

근적외선으로 촬영된 사진에 인위적으로 색체를 입혀 낮은 고도의 구름은 붉은 색으로 높은 고도의 구름은 초록색으로 표현한 결과 폭풍 자체가 마치 장미와 같은 모습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지구에서 발생하는 허리케인의 등급으로 볼 때, 너무나도 거대한 이 폭풍의 눈은 약 2천 킬로미터의 지름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바깥쪽에서 회전하고 있는 구름들은 시속 500킬로미터에 달하는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토성 북극의 이 회오리 바람은 육각형의 거대한 육면체 기후 패턴 안에 위치하고 있다.

카시니호는 2006년에 토성 남극의 허리케인도 촬영한 바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2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02.html

참고 : 토성 북극 회오리바람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60

원문> S aturn Hurric ane Image Cre dit: Cassini Imaging Team, SSI, JPL, ESA, NASA Explanatio n: Acquiring its first sunlit views of far northern Saturn late last year, the Cassini spacecraft's narrow-angle camera recorded this stunning image of the vortex at the ringed planet's north pole. The false color, near-infrared image results in red hues for low clouds and green for high ones, causing the north-polar hurricane to take on the appearance of a rose. Enormous by terrestrial hurricane standards, this storm's eye is about 2,000 kilometers wide, with clouds at the outer edge traveling at over 500 kilometers per hour. The north pole Saturn hurricane swirls inside the large, six-sided weather pattern known as the hexagon. Of course, in 2006 Cassini also imaged the hurricane at Saturn's south pole.

토성 북극의 회오리 폭풍 • 12 03 말머리 성운과 그 주변 말머리 성운과 그 주변 2013.05.04 19:07

말머리 성운과 그 주변 • 14

그 유명한 말머리 성운과 이 성운을 둘러싼 경관을 촬영한 이 멋진 사진은 지상에 위치한 거대 망원경인 VISTA 망원경과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을 조합하여 만들어졌다. 근적외선 파장으로 촬영된 이 지역을 가로지르고 있는 먼지 분자 구름의 광경은 보름달 크기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앵글을 차지하고 있다.

말머리 성운과 그 주변 • 15 사진의 왼쪽에서 오른쪽까지의 폭은 1600광년 거리인 말머리 성운까지의 거리를 고려할 때 약 10광년 정도의 크기이다.

바나드 33으로도 알려져 있는, 여전히 말머리 형상을 하고 있는 성운이 상단 오른쪽에 있으며 새로 탄생한 별들을 이고선 먼지 기둥이 근적외선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그 아래 왼쪽으로는 밝은 빛을 반사하고 있는 NGC 2033이 뜨겁고 어린 별들을 둘러싸고 빛을 반사해내고 있다.

말머리 성운의 아래쪽 구름들이 빽빽이 들어찬 곳과 NGC 2023의 외곽으로는 새로 생성된 별들과 연관된 허빅-하로 천체로 알려져 있는 고에너지 제트들이 진한 붉은 빛을 복사해내며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3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03.html

참고 : 말머리성운과 주변 천체에 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0396085 http://blog.daum.net/bigcrunch/10624304 http://blog.daum.net/bigcrunch/11167732 http://blog.daum.net/bigcrunch/1117702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1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1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2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4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4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3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0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5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5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82

참고 : 허빅-하로(Herbig-Haro)천체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2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5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7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7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1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5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7068

말머리 성운과 그 주변 • 16 http://blog.daum.net/bigcrunch/1234706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7075

참고 : 허빅-하로 천체등 별에 대한 각종 포스트는 하기 링크 INDEX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72

원문> Ho rs e he ad: A Wide r Vie w Composition and Processing: Robert Gendler Image Data: ESO, VISTA, HLA, Hubble Heritage Team (STScI/AURA) Explanatio n: Combined image data from the massive, ground-based VISTA telescope and the Hubble was used to create this wide perspective of the interstellar landscape surrounding the famous Horsehead . Captured at near-infrared wavelengths, the region's dusty molecular cloud sprawls across the scene that covers an angle about two-thirds the size of the Full Moon on the sky. Left to right the frame spans just over 10 light- years at the Horsehead's estimated distance of 1,600 light-years. Also known as Barnard 33, the still recognizable Horsehead Nebula stands at the upper right, the near-infrared glow of a dusty pillar topped with newborn stars. Below and left, the bright reflection nebula NGC 2023 is itself the illuminated environs of a hot young star. Obscuring clouds below the base of the Horsehead and on the outskirts of NGC 2023 show the tell-tale far red emission of energetic jets, known as Herbig-Haro objects, also associated with newborn stars.

말머리 성운과 그 주변 • 17 04 헝가리에서 촬영된 부분월식 헝가리에서 촬영된 부분월식 2013.05.05 10:49

지난 주 어느 해질녁, 발라톤 호수의 북쪽, 봄을 맞은 헝가리의 도시 티하니(Tihany) 위로 보름달이 솟아올랐다.

청명한 하늘위로 달이 떠오르며 지구 그림자에 잠시 스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올해 첫 부분 월식을 연출하였다. 사진 상단에 보이듯이 달의 상단 가장 자리가 어둠에 잠겨든 부분 월식이 지속된 시간은 채 27분이 되지 못했다.

일련의 노출을 통해 촬영한 장면을 이어붙인 이 사진은 각 장면의 자연 색체를 그대로 표현하고 있으며, 육안으로 봤을 때와 같은 미묘한 음영도 함께 표현하고 있다.

다음 주에는 금환 일식이 연출되면서 하늘의 그림자 쇼가 계속 이어질 예정인데, 이 금환일식은 호주 북부와 남태평양 지역을 통과 할 예정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4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04.html

헝가리에서 촬영된 부분월식 • 19

원문> Hungarian S pring Ec lips e Image Cre dit & Co pyright: Tamas Ladanyi (TWAN) Explanatio n: Last week, as the Sun set a Full Moon rose over the springtime landscape of Tihany, Hungary on the northern shores of Lake Balaton. As it climbed into the clear sky, the Moon just grazed the dark, umbral shadow of planet Earth in the year's first partial lunar eclipse. The partial phase, seen near the top of this frame where the lunar disk is darkened along the upper limb, lasted for less than 27 minutes. Composited from consecutive exposures, the picture presents the scene's range of natural colors and subtle shading apparent to the eye. At next week's New Moon, the season's celestial shadow play will continue with an annular solar eclipse, the path of annularity tracking through northern Australia and the central Pacific.

헝가리에서 촬영된 부분월식 • 20 05 슈퍼셀(Supercell) 구름 슈퍼셀(Supercell) 구름 2013.05.05 16:39

이건 우주선일까? 아니면 구름일까? 마치 외계 우주선의 모선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것은 슈퍼셀(supercell)이라 불리는 인상적인 폭풍우 구름이다.

이와 같은 거대 폭풍 체계는 수킬로미터에 걸쳐 팽창하며 호우를 발생시키고 토네이도와 같은 강력한 바람을 발생시키는 회전상승구 름체계인 메조사이클론을 집중시킨다.

중심부근에서는 먼지와 비를 동반하는 바람이 주를 이루는 반면 들쭉날쭉 조각된듯한 구름들이 슈퍼셀의 가장자리를 수놓고 있다. 침착하게 기다리고 있는 나무가 바로 앞에 보인다.

이 슈퍼셀 사진은 미국 몬타나주 글레스고 서부에서 7월에 촬영되었으며 피해는 그다지 많지 않았고, 자리를 옮기기 전까지 수시간 동안 지속되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5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05.html

슈퍼셀(Supercell) 구름 • 22 참고> 특이한 형태의 각종 구름에 대한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9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2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9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2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1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47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56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66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68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7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8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0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17

원문> A S upe rc e ll Thunde rs to rm Clo ud Ove r Mo ntana Image Cre dit & Co pyright: Sean R. Heavey Explanatio n: Is that a spaceship or a cloud? Although it may seem like an alien mothership, it's actually a impressive thunderstorm cloud called a supercell. Such colossal storm systems center on mesocyclones -- rotating updrafts that can span several kilometers and deliver torrential rain and high winds including tornadoes. Jagged sculptured clouds adorn the supercell's edge, while wind swept dust and rain dominate the center. A tree waits patiently in the foreground. The above supercell cloud was photographed in July west of Glasgow, Montana, USA, caused minor damage, and lasted several hours before moving on.

슈퍼셀(Supercell) 구름 • 23 06 레몬혜성의 꼬리 레몬혜성의 꼬리 2013.05.09 21:56

올해 초부터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레몬 혜성의 이 흥미롭게 복잡미묘한 꼬리는 왜 생겨나게 된 것일까?

일단, 태양으로 다가서는 모든 혜성은 두 개의 꼬리를 보여주게 되는데 하나가 먼지꼬리, 그리고 나머지 하나가 이온 꼬리이다.

레몬혜성의 먼지 꼬리는 사진에서 혜성의 핵을 감싸면서 위쪽으로 뻗어나간 하얀색의 꼬리로서 이는 가열된 혜성의 핵으로부터 흘러나온 먼지에 태양빛이 반사되면서 만들어진다. 그러나 레몬혜성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좀더 다양한 모습을 하고 있는 푸른색의 이온 꼬리는 태양풍에 의해 핵으로부터 태양 반대방향으로 뿜어져 나온 이온에 의해 만들어진다.

레몬혜성의 꼬리 • 25 또한 주목할만한 것은 레몬혜성의 핵을 둘러싸고 있는 코마인데, 탄소 가스가 태양빛에 자극받아 형광 현상을 나타내면서 초록색 톤 을 띠고 있다.

이 사진은 4월 중순 경 나미비아의 어두운 밤하늘에서 촬영되었다. 레몬 혜성은 현재 태양계 외곽으로 다시 밀려나면서 점점 희미해져가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6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06.html

원문> Tails o f Co me t Le mmo n Image Cre dit & Co pyright: Gerald Rhemann Explanatio n: What caused the interestingly intricate tails that Comet Lemmon displayed earlier this year? First of all, just about every comet that nears the Sun displays two tails: a dust tail and an ion tail. Comet Lemmon's dust tail, visible above and around the comet nucleus in off-white, is produced by sun-light reflecting dust shed by the comet's heated nucleus. Flowing and more sculptured, however, is C/2012 F6 (Lemmon)'s blue ion tail, created by the solar wind pushing ions expelled by the nucleus away from the Sun. Also of note is the coma seen surrounding Comet Lemmon's nucleus, tinted green by atomic carbon gas fluorescing in sunlight. The above image was taken from the dark skies of Namibia in mid-April. Comet Lemmon is fading as it now heads back to the outer Solar System.

레몬혜성의 꼬리 • 26 07 은하수와 작은 바닷가의 비경 은하수와 작은 바닷가의 비경 2013.05.09 22:10

이와같이 멋진 장면을 얻어내기 위해서는 인내와 하이킹, 카메라가 필요하다. 인내심은 이와 같이 적합한 장소를 찾아내고, 적합한 때까지 기다리는데 필요하다. 하이킹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줄리아 파이퍼번스 주립공원에 자리잡은 외딴 바닷가의 위쪽 거친 고지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하다. 그리고 카메라는 우리 은하에 담겨 있는 별들과 성운들의 희미한 빛을 오랜 노출을 통해서 담아내는데 필요하다.

2주전 촬영된 이 조합사진에서 근처의 나무들 뒤에 숨겨진 해변가가 달빛과 잠깐의 인공 조명에 의해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대개 가려져서 잘 보이지 않는 맥웨이 폭포가 사진 중앙 바로 아래 보이고 그 오른쪽으로는 태평양 바다가 보인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7일 자)

은하수와 작은 바닷가의 비경 • 28 http://apod.nasa.gov/apod/ap130507.html

원문> Galaxy Co ve Vis ta Image Cre dit & Co pyright: Rogelio Bernal Andreo (Deep Sky Colors) Explanatio n: To see a vista like this takes patience, hiking, and a camera. Patience was needed in searching out just the right place and waiting for just the right time. A short hike was needed to reach this rugged perch above a secluded cove in Julia Pfeiffer Burns State Park in California, USA. And a camera was needed for the long exposure required to bring out the faint light from stars and nebulae in the background Milky Way galaxy. Moonlight and a brief artificial flash illuminated the hidden beach and inlet behind nearby trees in the above composite image taken about two weeks ago. Usually obscured McWay Falls is visible just below the image center, while the Pacific Ocean is in view to its right.

은하수와 작은 바닷가의 비경 • 29 08 감마선 폭발 : GRB 130427A 감마선 폭발 : GRB 130427A 2013.05.09 22:53

가까운 거리의 우주에서 발생한 거대한 폭발에 대해 지구와 우주에 있는 주요 망원경들이 조사중이다.

GRB 130427A로 명명된 감마선 폭발이 지구궤도에서 공전하며 고에너지의 관측 임무를 수행하는 페르미 위성과 스위프트 위성에 의

감마선 폭발 : GRB 130427A • 31 해 처음 탐지되었으며 곧바로 지구로 보고되었다.

이어서 3분 만에 뉴멕시코주의 0.5미터 ISON망원경이 이 폭발을 가시광선으로 탐지해내며 그 엄청난 밝기를 기록하였고, 보다 정확 한 좌표를 전달해 주었다.

바로 다음 수분 내에 이 밝은 광학대응천체는 캘리포니아의 2미터 P60망원경과, 아리조나주의 1.3미터 PAIRITEL 망원경, 그리고 하와이 2미터 폴크스 망원경과 같은 몇몇 망원경들에 의해 신속히 재겨냥 되었다.

이어 두 시간 이내에 하와이의 8.2미터 제미니 망원경은 이 빛의 적색 편이가 0.34임을 알아냈는데, 이는 우주론적 시간척도를 적용했을 때 이 폭발이 50억광년 거리에서 발생했음을 말해주고 있다.

RAPTOR 전천 모니터기에 의해 바로 이전에 기록된 사진들은 밝기등급 7.4에 해당하는 매우 밝은 광학대응천체가 스위프트 위성의 보고가 있기 50초 전에 발견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근래들어 가장 밝은 폭발이기도 한 GRB 130427A 의 신호는 VLA에 저에너지 라디오파로도 관측되었으며 페르미 위성이 기록한 것 중 가장 고에너지에 해당하기도 한다.

뉴트리노와 중력파, 그리고 오로지 강력한 고에너지 광자만을 탐지하기 위해 설계된 망원경들이 GRB 130427A 의 신호 데이터를 분 석하고 있다.

사진에 보이는 이 애니메이션은 GRB 130427A의 강력한 불꽃이 순간적으로 온 하늘을 장악하던 순간의 전체 감마선 하늘을 보여주 고 있다.

광학대응천체에 대한 추적이 계속됨에 따라 이 불꽃이 전형적인 초신성 폭발의 불꽃일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가 곧 드러나게 될 것이 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8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08.html

원문> Earth' s Majo r Te le s c o pe s Inve s tigate GRB 130427A Illus tratio n Cre dit: NASA, DOE, Fermi LAT Collaboration Explanatio n: A tremendous explosion has occurred in the nearby universe and major telescopes across Earth and space are investigating. Dubbed GRB 130427A, the gamma-ray burst was first detected by the Earth-orbiting Fermi and Swift satellites observing at high energies and quickly reported down to Earth. Within three minutes, the half-meter ISON telescope in New Mexico found the blast in visible light, noted its extreme brightness, and relayed more exact coordinates. Within the next few minutes, the bright optical counterpart was being tracked by several quickly re- pointable telescopes including the 2.0-meter P60 telescope in California, the 1.3-meter PAIRITEL telescope in Arizona,

감마선 폭발 : GRB 130427A • 32 and the 2.0-meter Faulkes Telescope North in Hawaii. Within two hours, the 8.2-meter Gemini North telescope in Hawaii noted a of 0.34, placing the explosion about 5 billion light years away -- considered nearby in cosmological terms. Previously recorded images from the RAPTOR full-sky monitors were scanned and a very bright optical counterpart -- magnitude 7.4 -- was found 50 seconds before the Swift trigger. The brightest burst in recent years, a signal from GRB 130427A has also been found in low energy radio waves by the Very Large Array (VLA) and at the highest energies ever recorded by the Fermi satellite. Neutrino, gravitational wave, and telescopes designed to detect only extremely high energy photons are checking their data for a GRB 130427A signal. Pictured in the above animation, the entire gamma-ray sky is shown becoming momentarily dominated by the intense glow of GRB 130427A. Continued tracking the optical counterpart will surely be ongoing a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glow of a classic will soon emerge.

감마선 폭발 : GRB 130427A • 33 09 모뉴먼트 밸리 상공의 불의 고리 모뉴먼트 밸리 상공의 불의 고리 2013.05.10 23:26

새로운 달이 이번 시즌 천상의 그림자 놀이를 계속하면서 세계표준시 5월 9일 22시 30분 - 현지 시간 5월 10일 해뜰녘 - 금환일식이 호주 서쪽에서부터 시작된다.

현재 달은 원지점을 지나고 있는 기간이기 때문에 달의 그림자는 태양을 충분히 가릴만큼 크지 못하고, 그래서 순간적으로 멋진 불 의 고리를 만들어내게 된다.

금환 일식을 볼 수 있는 지역은 고작 폭 200킬로미터 지역밖에 되지 못하지만 더 많은 지역에서는 부분 일식을 볼 수 있으며, 일식을 볼 수 있는 지역은 총 13,000 킬로미터에 걸쳐 뻗어있어 남태평양 전역을 가로지르며 그 모습을 보여주게 된다. 금환 일식을 볼 수 있는 지역에서는 불의 고리를 4~6분 정도 볼 수 있다.

지평선 근처에서 나타나는 5월 9/10일의 금환 일식이 2012년 5월 촬영된 멋진 사진에 의해 미리 선보여지고 있다.

모뉴먼트 밸리 상공의 불의 고리 • 35 이 사진은 미국 남서부 모뉴먼트 벨리의 일몰 전 발생한 금환 일식을 순서대로 이어붙인 사진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9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09.html

참고> 일식에 대한 또 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1393412 http://blog.daum.net/bigcrunch/1233869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333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3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1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2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2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2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3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3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4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6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7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9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9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89

원문> Ring o f Fire o ve r Mo nume nt Valle y Image Cre dit & Co pyright: Tun Tezel (TWAN) Explanatio n: As the New Moon continues this season's celestial shadow play, an annular solar eclipse track begins in western Australia at 22:30 UT on May 9 -- near sunrise on May 10 local time. Because the eclipse occurs within a few days of lunar apogee, the Moon's silhouette does not quite cover the Sun during mid-eclipse, momentarily creating a spectacular ring of fire. While a larger region witnesses a partial eclipse, the annular mid-eclipse phase is visible along a shadow track only about 200 kilometers wide but 13,000 kilometers long, extending across the central Pacific. For given locations along it, the ring of fire lasts from 4 to 6 minutes. Near the horizon, the appearance of the May 9/10 annular eclipse (online viewing) is suggested by this dramatic composite from May of 2012. The timelapse sequence depicts an annular eclipse in progress before sunset over Monument Valley in the southwestern United States.

모뉴먼트 밸리 상공의 불의 고리 • 36 10 M77 M77 2013.05.10 23:44

정면을 우리에게 보이고 있는 은하 M77은 고래자리 방향으로 4천 7백만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천체까지의 거리를 고려해 볼 때, 이 거대한 섬우주는 10만 광년의 지름을 가지고 있다.

NGC 1068로도 알려져 있는 있는 이 은하는 작고 고밀도로 몰려 있으면서 매우 밝은 은하핵이 활성 세이퍼트 은하의 거대 블랙홀의 신비를 탐색하는 천문학자들에 의해 충분히 연구되어온 천체이다.

M77은 또한 X선, 자외선, 적외선, 라디오파 모두에서 관측된다. 그러나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 고해상도의 가시광선 사진에서는

M77 • 38 먼지 구름들이 따라 존재하는 휘어감긴 나선팔과 밝은 빛을 뿜어내는 은하핵 주변으로 새로운 별들이 탄생하는 붉은 점들의 모습을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10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10.html

원문> Me s s ie r 77 Image Cre dit: NASA, ESA, Andr van der Hoeven Explanatio n: Face-on M77 lies a mere 47 million light-years away toward the aquatic Cetus. At that estimated distance, the gorgeous island universe is about 100 thousand light-years across. Also known as NGC 1068, its compact and very bright core is well studied by astronomers exploring the mysteries of supermassive black holes in active Seyfert . M77 is also seen at x-ray, ultraviolet, infrared, and radio wavelengths. But this sharp visible light image based on Hubble data follows its winding spiral arms traced by obscuring dust clouds and red- tinted star forming regions close in to the galaxy's luminous core.

M77 • 39 11 케이프 요크에서 촬영된 금환일식 케이프 요크에서 촬영된 금환일식 2013.05.11 16:17

이번주 새로운 달의 그림자가 호주 북부 퀸즈랜드 케이프 요크를 가로질러 지구에 드리워졌다... 반년만에 두 번째로 발생한 일이 다.

5월 10일 아침, 달의 크기는 태양을 가리기에 너무나도 작았기 때문에 금환일식이 지나는 경로의 중심부를 따라서 '불의 고리'를 볼 수 있었다.

일식이 지나는 경로의 중간지점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던 호주 코엔에서, 인터넷 방송팀이 금환일식의 망원사진을 촬영하였다. 수소-알파 필터를 끼고 촬영한 이 드라마틱한 사진에는 태양의 원반안에 든 달의 그림자와 함께 태양 활성지역에서 솟아오른 홍염의 모습도 찾아볼 수 있다.

케이프 요크에서 촬영된 금환일식 • 41

연달아 발생한 일식의 주인공이 된 북부 호주는 다음번 일식과 2013년의 마지막 일식은 볼 수 없게 된다. 오는 11월 보기 드문 금환개기일식이 북대서양과 적도 아프리카 지역을 지날 예정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1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11.html

참고> 일식에 대한 또 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1393412 http://blog.daum.net/bigcrunch/1233869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333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3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1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2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2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2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3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3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4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6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7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86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9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89

원문> Cape Yo rk Annular Ec lips e Image Cre dit & Co pyright: Courtesy Cameron McCarty - MWV Observatory, Coca-Cola Space Science Center, Columbus State Univ. Eclipse Team Explanatio n: This week the shadow of the New Moon fell on planet Earth, crossing Queensland's Cape York in northern Australia ... for the second time in six months. On the morning of May 10, the Moon's apparent size was too small to completely cover the Sun though, revealing a "ring of fire" along the central path of the annular solar eclipse. Near mid-eclipse from Coen, Australia, a webcast team captured this telescopic snapshot of the annular phase. Taken with a hydrogen-alpha filter, the dramatic image finds the Moon's silhouette just within the solar disk, and the limb of the active Sun spiked with solar prominences. Still, after hosting back-to-back solar eclipses, northern Australia will miss the next and final solar eclipse of 2013. This November, a rare hybrid eclipse will track across the North Atlantic and equatorial Africa.

케이프 요크에서 촬영된 금환일식 • 42 12 구름과 새와 달과 금성 구름과 새와 달과 금성 2013.05.12 18:00

간혹 하늘위는 통째로 예술품이 된다. 일례로, 2010년 9월 초순, 달과 금성이 가까이 모이면서 지구 전역에서 천체 관측자들에게 멋진 광경을 보여주었다. 물론 어느 지역에서는 그림과 같은 멋진 광경을 연출해 내기도 했다.

지난 주 스페인에서 촬영된 이 사진에는 그믐달과 금성이 해가 지는 동안 진한 파란색을 띤 하늘을 배경으로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 습이 담겨있다. 그 전면으로는 어두운 폭풍구름을 밟고선 하얀색 모루구름이 보인다.

검은색 점들은 새들이 무리지어 날아가는 모습이 촬영된 것이다. 이 사진이 찍히고 바로 뒤 새들은 모두 사라졌고, 폭풍도 끝이 나고, 금성과 달도 모두 졌다. 밝게 빛나는 금성은 2013년 5월에는 해가 지자마자 볼 수 있으며 이달 말에는 목성과 가까운 거리에서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될 예정

구름과 새와 달과 금성 • 44 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12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12.html

원문> Clo uds , B irds , Mo o n, Ve nus Image Cre dit & Co pyright: Isaac Gutirrez Pascual (Spain) Explanatio n: Sometimes the sky above can become quite a show. In early September of 2010, for example, the Moon and Venus converged, creating quite a sight by itself for sky enthusiasts around the globe. From some locations, though, the sky was even more picturesque. In the above image taken last week from Spain, a crescent Moon and the planet Venus, on the far right, were captured during sunset posing against a deep blue sky. In the foreground, dark storm clouds loom across the image bottom, while a white anvil cloud shape appears above. Black specks dot the frame, caused by a flock of birds taking flight. Very soon after this picture was taken, however, the birds passed by, the storm ended, and Venus and the Moon set. Bright Venus again becomes visible just after sunset this 2013 May and will appear near Jupiter toward the end of the month.

구름과 새와 달과 금성 • 45 13 부분일식과 비행기 부분일식과 비행기 2013.05.14 06:46

태양이 떠 오르고 바로 8분 후에 있었던 일이다. 태양 앞에는 이미 4개의 물체가 자리를 자리를 잡고 있었다.

이 중에서 가장 크고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지구의 달이다. 이 달이 태양의 아래쪽으로부터 태양을 막아서면서 태양 원반을 가로질러 가고 있는 모습이 호주 프리맨탈에서 촬영되었다.

부분 일식이 발생하는 동안 촬영된 이 사진에서와 같은 장면은 이미 예상된 일이었다.

부분일식과 비행기 • 47 어떤 지역에서는 태양 빛이 달을 완전히 감싸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 다음으로 수직으로 버티고 선 흥미로운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일련의 구름들이 태양을 가로로 나누고 있다.

세 번째로 태양 앞을 막아섰다고 말할 수 있는 것으로 지구의 대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고밀도 대기의 요동이 태양의 가장 자리를 어른거리게 만들면서 태양을 흐릿하게 만들어주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사진작가에게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지만 태양 앞을 가로막은 가장 작은 물체는 비행기이다. 비행기 내 양 사이드의 관객들이 이 비범한 장면을 보았겠지만, 이 장면은 오직 동쪽을 향해 열린 창문에서만 볼 수 있었을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13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13.html

참고> 일식에 대한 또 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1393412 http://blog.daum.net/bigcrunch/1233869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333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3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1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2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2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2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3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3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4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6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7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86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9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89

원문> Partial S o lar Ec lips e with Airplane Image Cre dit & Co pyright: Phillip Calais Explanatio n: It was just eight minutes after sunrise, last week, and already there were four things in front of the Sun. The largest and most notable was Earth's Moon, obscuring a big chunk of the Sun's lower limb as it moved across the solar disk, as viewed from Fremantle, Australia. This was expected as the image was taken during a partial solar eclipse -- an eclipse that left sunlight streaming around all sides of the Moon from some locations. Next, a band of

부분일식과 비행기 • 48 clouds divided the Sun horizontally while showing interesting internal structure vertically. The third intervening body might be considered to be the Earth's atmosphere, as it dimmed the Sun from its higher altitude brightness while density fluctuations caused the Sun's edges to appear to shimmer. Although closest to the photographer, the least expected solar occulter was an airplane. Quite possibly, passengers on both sides of that airplane were contemplating the unusual view only visible out the eastern-facing windows.

부분일식과 비행기 • 49 14 케플러의 초신성 잔해 케플러의 초신성 잔해 2013.05.15 22:19

무엇이 이러한 엉망진창을 만들어낸 것일까?

어떤 유형의 별들은 폭발하면서 케플러 초신성 잔해로 알려진 사진의 초신성 잔해와 같은 특이한 형태의 성운을 만들어낸다.

그렇다면 어떤 유형의 별이 이런 결과를 만들어낼까? 엄청난 에너지를 지닌 이 우주 구름이 만들어낸 빛이 지구에서 처음 관측된 것은 1604년 10월로서 고작 400년밖에 되지 않았다.

이 초신성 폭발은 17세기 뱀주인 자리에서 새로운 밝은 별을 만들어냈다. 이 현상은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와 동시대 사람들에 의해 일체의 망원경의 조력 없이 연구되었으며 이들은 이 현상을 천상에 나타난 유령과 같은 식으로 설명했다.

케플러의 초신성 잔해 • 51 현대에 들어 별의 진화이론으로 무장된 21세기의 천문학자들은 팽창하고 있는 우주먼지구름에 대한 탐색을 계속 하고 있지만 지금은 우주공간에 위치한 망원경을 통해 스펙트럼 전 영역에서 케플러의 초신성 잔해에 대한 탐색을 계속하고 있다.

최근 찬드라 X선 망원경이 잡아낸 케플러 초신성의 X선 데이터와 사진들은 전형적인 Ia 유형의 초신성에 상대적으로 더 풍부한 원소들이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원래는 백색왜성이었으나 자신의 동반성인 적색왜성으로부터 물질을 너무나 많이 빨아들여 찬드라세카르 한계를 초과하는 순간 폭발 하게 되는 이 유형의 초신성에 대해 더 많은 정보을 알려주고 있다.

1만 3천 광년 거리에 존재하는 케플러의 초신성은 우리 은하 내에서 발생한 초신성 폭발로는 가장 최근에 발생한 초신성 폭발을 보여주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15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15.html

참고 : 찬드라세카르 한계에 대해서는 하기 링크 ' 7-1. 찬드라세카르 한계와 백색왜성의 폭발' 항목을 참고하세요.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586

원문> Ke ple r' s S upe rno va Re mnant in X-Rays Image Cre dit: X-ray: NASA/CXC/NCSU/M. Burkey et al. Optical: DSS Explanatio n: What caused this mess? Some type of star exploded to create the unusually shaped nebula known as Kepler's supernova remnant, but which type? Light from the stellar explosion that created this energized cosmic cloud was first seen on planet Earth in October 1604, a mere four hundred years ago. The supernova produced a bright new star in early 17th century skies within the constellation . It was studied by astronomer Johannes Kepler and his contemporaries, without the benefit of a telescope, as they searched for an explanation of the heavenly apparition. Armed with a modern understanding of stellar evolution, early 21st century astronomers continue to explore the expanding debris cloud, but can now use orbiting space telescopes to survey Kepler's supernova remnant (SNR) across the spectrum. Recent X-ray data and images of Kepler's supernova remnant taken by the orbiting Chandra X- ray Observatory has shown relative elemental abundances typical of a Type Ia supernova, and further indicated that the progenitor was a white dwarf star that exploded when it accreted too much material from a companion Red Giant star and went over Chandrasekhar's limit. About 13,000 light years away, Kepler's supernova represents the most recent stellar explosion seen to occur within our Milky Way galaxy.

케플러의 초신성 잔해 • 52 15 2013년 처음으로 관측된 X등급 플레어 2013년 처음으로 관측된 X등급 플레어 2013.05.18 16:38

지난 월요일 태양의 동쪽 가장 자리를 휘감으며, AR1748로 명명되어 있는 지역의 일련의 태양흑점으로부터, 48시간에 걸쳐 2013년의 첫 X등급 태양 플레어 4개가 발생하였다.

사진 왼쪽 상단에서 시계방향으로, 이 네개의 불꽃을 시간 순서대로 표현한 이 사진들은 SDO위성의 극자외선 파장으로 촬영된 사진 들이다.

쏟아져나오는 최대 밝기를 X선으로 측정하여 평가되는 X등급의 플레어는 가장 강력한 등급에 해당하는 분출이며 태양으로부터 고에너지 플라즈마로 구성된 거대 질량의 구름들이 우주공간으로 분출되는 코로나 질량 분출(coronal mass ejections, CMEs)을 자주 동반하기도 한다.

사진에서 처음 3개의 플레어로부터 발생한 코로나 질량 분출은 지구를 향하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쪽으로 분출되었으나 마지막 하나의 플레어로부터 발생한 코로나 질량분출은 지구의 자기장에 5월 18일, 충돌할 것으로 보이며, 일시적인 라디오파의 정전을 야기시킬 것으로 보인다.

2013년 처음으로 관측된 X등급 플레어 • 54 AR1748의 움직임은 아직 끝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아직도 강력한 플레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이 예보되고 있으며, 태양양활성지역은 태양의 가장 자리를 지나 직접 바라볼 수 있는 각도로 회전을 계속하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16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16.html

원문> Fo ur X-c las s Flare s Image Cre dit: NASA, Solar Dynamics Observatory, GSFC Explanatio n: Swinging around the Sun's eastern limb on Monday, a group of sunspots labeled active region AR1748 has produced the first four X-class solar flares of 2013 in less than 48 hours. In time sequence clockwise from the top left, flashes from the four were captured in extreme ultraviolet images from the Solar Dynamics Observatory. Ranked according to their peak brightness in X-rays, X-class flares are the most powerful class and are frequently accompanied by coronal mass ejections (CMEs), massive clouds of high energy plasma launched into space. But CMEs from the first three flares were not Earth-directed, while one associated with the fourth flare may deliver a glancing blow to the Earth's magnetic field on May 18. Also causing temporary radio blackouts, AR1748 is likely not finished. Still forecast to have a significant chance of producing strong flares, the active region is rotating into more direct view across the Sun's nearside.

2013년 처음으로 관측된 X등급 플레어 • 55 16 폭포와 밤하늘 폭포와 밤하늘 2013.05.19 22:10

북방 한대지방의 정경을 담아낸 이 사진에는 우리 은하의 아치와 반짝반짝 빛나는 오로라가 밤하늘에 흐르는 모습이 담겨있다. 마치 메아리처럼 그 아래로 신의 폭포라 불리는 아이슬란드의 장관 고다포스 폭포가 자리잡고 있다.

은하수 바로 아래에 밝게 빛나는 목성이 함께 담긴 이 파노라마 야경은 3월 9일에 촬영되었다. 희미하게 퍼져 있는 안드로메다 은하(M31)가 오로라의 불빛 속에 잦아들고 있다.

4장의 사진을 이어붙인 이 사진은 TWAN(The World at Night)이 어두운 하늘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조직한 2013년 지구와 하늘 국제 사진 컨테스트에서 최우수상을 차지한 작품이다.

행성 지구의 밤하늘의 아름다움을 환기시키는 모든 수상작들은 하기 링크의 동영상을 통해 감상할 수 있다. (블로그 링크 :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603 Vimeo 사이트 링크 : http://vimeo.com/65960743)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17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17.html

원문> The Wate rfall and the Wo rld at Night Image Cre dit & Co pyright: Stphane Vetter (Nuits sacres) Explanatio n: Above this boreal landscape, the arc of the Milky Way and shimmering aurorae flow through the night.

폭포와 밤하늘 • 57 Like an echo, below them lies Iceland's spectacular Godafoss, the Waterfall of the Gods. Shining just below the Milky Way, bright Jupiter is included in the panoramic nightscape recorded on March 9. Faint and diffuse, the Andromeda Galaxy (M31) appears immersed in the auroral glow. The digital stitch of four frames is a first place winner in the 2013 International Earth and Sky Photo Contest on Dark Skies Importance organized by The World at Night. An evocative record of the beauty of planet Earth's night sky, all the contest's winning entries are featured in this video.

폭포와 밤하늘 • 58 17 판스타스 혜성의 이온꼬리 판스타스 혜성의 이온꼬리 2013.05.21 00:09

한때 유명한 해질녁의 혜성이었던 판스타스 혜성(PanSTARRS, C/2011 L4)은 지금 황도면 상공에서 점점 고도를 높이며 태양계 외 곽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한밤에 대부분의 북반구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비록 점점 희미해지고, 점점 빛이 사그러들고 있지만 이 혜성이 폭넓게 드리우고 있는 먼지 꼬리는 여전히 빛을 내고 있다. 이 광대역 사진은 3월 15일 케페우스 자리의 별빛이 가득들어찬 하늘을 배경으로 촬영되었다. 이 사진에서는 혜성의 공전궤도(코마에서 왼쪽으로)를 따라 늘어선 먼지들과 폭넓게 자라나 프레임 전반을 가로지르며 3도 이상 뻗어있는 이온 꼬리를 보여주고 있다.

현재 혜성은 지구로부터 1.6AU이상 떨어져 있으며 이는 1천 200만 킬로미터에 해당하는 거리이다. 5월 말경이 되면 판스타스 혜성은 천정 가까이를 통과하게 될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18일 자)

판스타스 혜성의 이온꼬리 • 60 http://apod.nasa.gov/apod/ap130518.html

원문> Co me t PanS TARRS Anti-Tail Image Cre dit & Co pyright: Marco Fulle (INAF) Explanatio n: Once the famous sunset comet, PanSTARRS (C/2011 L4) is now visible all night from much of the northern hemisphere, bound for the outer solar system as it climbs high above the ecliptic plane. Dimmer and fading, the comet's broad dust tail is still growing, though. This widefield telescopic image was taken against the starry background of the constellation on May 15. It shows the comet has developed an extensive anti-tail, dust trailing along the comet's orbit (to the left of the coma), stretching more than 3 degrees across the frame. Since the comet is just over 1.6 astronomical units from planet Earth, that corresponds to a distance of over 12 million kilometers. In late May Comet PanSTARRS will pass within a few degrees of the north celestial pole.

판스타스 혜성의 이온꼬리 • 61 18 리차트 구조(The Richat Structure) 리차트 구조(The Richat Structure) 2013.05.21 00:13

지구에 있는 이것의 정체는 무엇일까?

사하라 사막 모리타니아에 있는 이 리차트 구조는 지름이 거의 50킬로미터에 달하여 우주공간에서도 쉽게 눈에 띄는 구조이다.

한때 리차트 구조는 충돌 분화구로 생각되기도 했지만 리차트 구조에 나타나는 평평한 중심부와 충격에 의해 변형된 바위가 많지 않 다는 사실은

리차트 구조(The Richat Structure) • 63 이 구조물이 다른 사건에 의해 발생했음을 암시하고 있다. 리차트 구조가 형성될 가능성으로 여겨지는 화산 분출 역시 불의 영향이나 화산성 암반으로 이루어진 돔의 부족으로 인해 가능성은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지금은 리차트 구조에 있는 층층이 쌓인 바위 구조는 침식에 의해 깎여나간 바위들의 융기로 인해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 사진은 테라 위성에 장착된 ASTER에 의해 촬영된 것이다.

리차트 구조가 왜 거의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남아 있는지는 여전히 미스테리로 남아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19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19.html

원문> Earth' s Ric hat S truc ture Image Cre dit: NASA/GSFC/METI/Japan Space Systems, and U.S./Japan ASTER Science Team Explanatio n: What on Earth is that? The Richat Structure in the Sahara Desert of Mauritania is easily visible from space because it is nearly 50 kilometers across. Once thought to be an impact crater, the Richat Structure's flat middle and lack of shock-altered rock indicates otherwise. The possibility that the Richat Structure was formed by a volcanic eruption also seems improbable because of the lack of a dome of igneous or volcanic rock. Rather, the layered sedimentary rock of the Richat structure is now thought by many to have been caused by uplifted rock sculpted by erosion. The above image was captured by the ASTER instruments onboard the orbiting orbiting Terra satellite. Why the Richat Structure is nearly circular remains a mystery.

리차트 구조(The Richat Structure) • 64 19 파란색 태양 파란색 태양 2013.05.21 00:21

우리 태양은 거대한 블루베리가 아니다. 그러나 우리의 태양을 대기상에 존재하는 극소량의 이온 칼슘이 방출하는 CaK이라 불리는 극좌외선 파장을 특정 색체로 받아내어 이를 인위적인 색깔로 변환시킴으로써 작은 열매인것처럼 보이게 만들수는 있다.

사진에 담긴 태양의 모습은 태양의 채층을 매우 생생하게 묘사한 것으로서, 곳곳에 균열이 진 태양 표면과, 선명하게 밝은 모습을 띄는 저온의 흑점, 그리고 이를 둘러싸고 있는 고온의 태양활성지역을 검은 색 으로 보여주고 있다.

파란색 태양 • 66 지금 태양은 11년 주기에서 극대기에 거의 다다르고 있으며 지난 몇 주동안 강력한 태양 플레어를 방출했다. 이 극대기동안 태양으로부터 쏟아져나온 고에너지 입자흐름이 지구의 자기장에 강타하면서 스펙터클한 오로라를 연출해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20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20.html

원문> B lue S un B urs ting Image Cre dit & Co pyright: Alan Friedman (Averted Imagination) Explanatio n: Our Sun is not a giant blueberry. Our Sun can be made to appear similar to the diminutive fruit, however, by imaging it in a specific color of extreme violet light called CaK that is emitted by the very slight abundance of ionized Calcium in the Sun's atmosphere, and then false color-inverting the image. This solar depiction is actually scientifically illuminating as a level of the Sun's chromosphere appears quite prominent, showing a crackly textured surface, cool sunspots appearing distinctly bright, and surrounding hot active regions appearing distinctly dark. The Sun is currently near the maximum activity level in its 11 year cycle, and has emitted powerful flares over the past week. During times of high activity, streams of energetic particles from Sun may impact the Earth's magnetosphere and set off spectacular auroras.

파란색 태양 • 67 20 붉은 직사각형 성운 붉은 직사각형 성운 2013.05.21 23:55

이떻게 이렇게 특이한 형태의 붉은 직사각형 성운이 만들어진 것일까?

이 성운은 성운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늙은 연성계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 성운의 색깔이 왜 이런 색을 띠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알지 못한다.

붉은 직사각형 성운의 기이한 외양은 한쪽 방향이 좁아지는 구면 연속체의 끝부분이 맞닿은 원뿔 형태의 두꺼운 먼지 토러스(원환체) 형태를 갖추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우리가 이 토러스를 측면에서 바라보게 되면서 원뿔형의 모서리 경계부분이 X자 형태로 보이기 때문인 것이다.

붉은 직사각형 성운 • 69 성운에 뚜렷이 보이는 바큇살 구조는 단속적으로 바깥방향으로 물질들이 흘러나오고 있음을 말해준다.

이 성운의 특이한 색체에 대해서는 그다지 납득할만한 설명이 존재하지 않는데, 유기물을 구성하는 탄화수소 분자에 의해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이 붉은 직사각형 성운은 외뿔소자리 방향으로 230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대단히 세밀한 모습을 담고 있는 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의 사진을 최근 재처리한 것이다. 향후 수백만년 내에 중심에 있는 별들 중 하나는 핵연료를 모두 소진하게 될 것이고 붉은 직사각형 성운은 행성상 성운으로 피어나 게 될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2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21.html

원문> The Re d Re c tangle Ne bula fro m Hubble Image Cre dit: ESA, Hubble, NASA; Reprocessing: Steven Marx, Hubble Legacy Archive Explanatio n: How was the unusual Red Rectangle nebula created? At the nebula's center is an aging binary star system that surely powers the nebula but does not, as yet, explain its colors. The unusual shape of the Red Rectangle is likely due to a thick dust torus which pinches the otherwise spherical outflow into tip-touching cone shapes. Because we view the torus edge-on, the boundary edges of the cone shapes seem to form an X. The distinct rungs suggest the outflow occurs in fits and starts. The unusual colors of the nebula are less well understood, however, and speculation holds that they are partly provided by hydrocarbon molecules that may actually be building blocks for organic life. The Red Rectangle nebula lies about 2,300 light years away towards the constellation of the Unicorn (Monoceros). The nebula is shown above in great detail as recently reprocessed image from Hubble Space Telescope. In a few million years, as one of the central stars becomes further depleted of nuclear fuel, the Red Rectangle nebula will likely bloom into a .

붉은 직사각형 성운 • 70 21 레드 스프라이트(Red Sprite)와 오로라 레드 스프라이트(Red Sprite)와 오로라 2013.05.22 22:18

하늘에 나타난 저것은 무엇일까?

이것은 고작 25년 전에야 번개현상으로 인정된, 정말 드물게 목격되는 레드 스프라이트(Red Sprite)라는 현상이다.

최근의 연구는 레드 스프라이트 현상이 땅으로 내려꽂히는 강력한 양전하 번개에이어 100미터 이하 크기의 이온화 공기 덩어리가 80 킬로미터 이하 상공에서 빛의 속도의 10%에 달하는 속도로 내려꽂히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 바로 뒤, 일단의 상승전하가 이 이온화 공기 덩어리를 빠른 속

레드 스프라이트(Red Sprite)와 오로라 • 72 도로 치고 올라오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 사진은 며칠전 미국 사우스 다코나 상공에서 촬영된 레드 스프라이트 사진으로서 이 사진은 레드 스프라이트와 오로라가 함께 촬영된 첫번째 사례의 후보이기도 하다.

저 멀리 사진 하단을 가로지르는 폭풍 구름들이 보이고, 그 배경으로 쭉쭉 내려뻗은 다채로운 색채의 오로라가 보인다. 레드 스프라이트는 눈 깜짝할 사이에 발생하며 발견하기 가장 좋은 때는 강력한 폭풍우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22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22.html

참고 :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촬영된 레드 스프라이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30

원문> Re d S prite Lightning with Auro ra Image Cre dit & Co pyright: Walter Lyons (FMA Research), WeatherVideoHD.TV Explanatio n: What's that in the sky? It is a rarely seen form of lightning confirmed only about 25 years ago: a red sprite.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following a powerful positive cloud-to-ground lightning strike, red sprites may start as 100-meter balls of ionized air that shoot down from about 80-km high at 10 percent the speed of light and are quickly followed by a group of upward streaking ionized balls. The above image, taken a few days ago above central South Dakota, USA, captured a bright red sprite, and is a candidate for the first color image ever recorded of a sprite and aurora together. Distant storm clouds cross the bottom of the image, while streaks of colorful aurora are visible in the background. Red sprites take only a fraction of a second to occur and are best seen when powerful thunderstorms are visible from the side.

레드 스프라이트(Red Sprite)와 오로라 • 73 22 M109 M109 2013.05.23 23:33

찰스 메시에의 유명한 밝은 성운과 성단 목록에 109번째로 등재된 아름다운 막대나선은하 M109는 큰곰자리의 국자모양 바로 아래에 서 찾을 수 있다. 망원경으로 촬영한 사진에서 인상적인 중심의 막대는 은하의 전체 외형을, 수학 기호로 흔히 쓰이는 그리스 문자 세타( )처럼 보이 게 만든다. 물론 M109는 행성 지구의 하늘에서 대단히 작게 보이는데 대략 7분각 또는 0.12도에 해당하는 크기이다. 하지만 이렇게 작은 각도로 보여도 이 은하까지의 거리가 6천만광년임을 감안할 때, 이 은하의 실제 지름은 무려 12만 광년에 해당 한다. 큰곰자리 은하단에서 가장 밝은 은하이기도 한 M109(NGC 3992로도 알려져 있음)가 마치 전면을 가로지르는 3개의 별과 연결된 듯 보인다.

M109 • 75 사진에는 또한 3개의 작은, 솜털같은 푸른빛의 은하들이 보이는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UGC 6969, UGC 6940, UGC 6923이 그것으로 이 은하들은 거대은하 M109의 위성은하일 가능성이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23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23.html

원문> Me s s ie r 109 Image Cre dit & Co pyright: Bob Franke Explanatio n: Beautiful barred spiral galaxy M109, 109th entry in Charles Messier's famous catalog of bright Nebulae and Star Clusters, is found just below the Big Dipper's bowl in the northern constellation Ursa Major. In telescopic views, its striking central bar gives the galaxy the appearance of the Greek letter "theta", , a common mathematical symbol representing an angle. Of course M109 spans a very small angle in planet Earth's sky, about 7 arcminutes or 0.12 degrees. But that small angle corresponds to an enormous 120,000 light-year diameter at the galaxy's estimated 60 million light-year distance. The brightest member of the now recognized Ursa Major , M109 (aka NGC 3992) is joined by three spiky foreground stars strung out across this frame. The three small, fuzzy bluish galaxies also on the scene, identified left to right as UGC 6969, UGC 6940 and UGC 6923, are possibly satellite galaxies of the larger M109.

M109 • 76 23 달에 어린 지구의 본영과 반영 달에 어린 지구의 본영과 반영 2013.05.25 11:17

연속노출을 촘촘한 간격으로 찍어내어 이어 붙인 이 사진에는 하늘을 가로지르며 서서이 얼룩이 번지고 있는 달의 흥미로운 일련의 모습이 담겨있다.

상당 우측에서 세계표준시 4월 25일 19시 42분에 시작되어 22시 14분까지를 담고 있는 이 사진은 독일에서 촬영된 것으로 달이 지구의 그림자를 지나가면서 발생한 부분 월식을 촬영한 것이다.

위쪽 근처에서 달은 지구 남반구의 본영이라 불리는 어두운 중심 그림자를 스치고 지나갔다. 그러나 이렇게 어둡게 변한 부분 바깥쪽으로도 밝기가 감소된 부분이 보이는데 이 부분은 '반영'이라 불리며 달의 원반에서 역시 명백히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지구의 암영부와 달의 상대적인 크기와 모양은 달의 궤적을 촬영한 일련의 사진에서 쉽게 알아볼 수 있다.

비록 육안으로 식별하기는 거의 불가능하지만 보름달이 지구의 반영부 외곽을 지나가면서 발생하는 반영 월식이 5월 25일 시작될 예 정이다.

달에 어린 지구의 본영과 반영 • 78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24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24.html

원문> Cate rpillar Mo o n Image Cre dit & Co pyright: Joerg Kopplin Explanatio n: A close series of consecutive exposures are combined in this intriguing composite of the Full Moon slowly crawling, across the sky. Beginning on the upper right at 19:42 UT and ending at 22:14 UT on April 25, the sequence follows the Moon from Germany as it passes through Earth's shadow in a partial lunar eclipse. Near the top, the Moon just grazes the southern edge of Earth's dark central shadow, or umbra. But the decreased brightness in the darker part of the outer shadow region, the penumbra, is also apparent on the lunar disk. In fact, the relative size and shape of the Earth's shadow regions and the Moon are easier to see along the segments of this lunar caterpillar. Nearly impossible to follow with the eye though, a penumbral lunar eclipse, the Full Moon passing only through the pale outer penumbral shadow, will begin on May 25.

달에 어린 지구의 본영과 반영 • 79 24 코헴성 상공의 달무리 코헴성 상공의 달무리 2013.05.26 11:43

이 박쥐 형상은 고담 시를 지나가는 구름위에서 빛나는게 아니다. 다채로운 색을 발하는 달무리를 배경으로 그림자를 드리운 이 구름띠는 모젤강 둔덕에 자리잡은 독일의 코헴시에서 3월 18일 저녁에 촬영된 것이다.

달무리는 밝은 달빛이 전면 대기상에 위치한 얇은 구름의 물방울에 의해 회절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그 아래 자리잡고 있는 것은 브루스 웨인의 영지가 아닌, 11세기의 역사적 건축물인 코헴 성이다. 지구상 어떤 지역에서든, 이번 주말에 보름달의 출현과 서쪽 하늘에 집결하는 밝은 행성들의 모습을 밤하늘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 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25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25.html

코헴성 상공의 달무리 • 81

원문> Lunar Co ro na o ve r Co c he m Cas tle Image Cre dit & Co pyright: Babak Tafreshi (TWAN) Explanatio n: This bat-like apparition does not shine on clouds passing over Gotham city. Instead, the cloud bank in silhouette against a colorful lunar corona was spotted on the evening of May 18 over Cochem, Germany from the banks of the river Mossele. The lunar corona is formed as bright moonlight is diffracted by water droplets in thin clouds drifting in front of the lunar disk. Below it lies the region's historic Cochem Castle dating from the 11th century, and not Wayne Manor. Still, regardless of your location on planet Earth it is well worth scanning the evening skies this weekend, as a Full Moon rises and bright planets gather in the west.

코헴성 상공의 달무리 • 82 25 판스타스 혜성의 장대한 반대꼬리 판스타스 혜성의 장대한 반대꼬리 2013.05.27 23:23

5월 23일 지구가 판스타스 혜성(Comet PanSTARRS, C/2011 L4)의 공전궤도면에 접근했을 때, 혜성 관측자들은 웅장한 혜성의 반대꼬리를 볼 수 있게 된 것에 기뻐하였다.

사진에서 오른쪽으로 좁고 기다랗게 늘어선 반대꼬리의 길이는 거의 4도에 달했는데, 이는 보름달 지름의 8배에 해당하는 길이다.

내행성계에서 멀어져가는 혜성의 공전궤도를 따라 먼지들이 반대꼬리의 궤적을 만들어내고 있다.

외행성계로 향하는 혜성의 공전궤도 평면 근처에서 바라본, 거의 모서리를 보는듯한 시각에서 반대 꼬리의 모습은 선명하게 드러나 고 태양을 가리키고 있는듯 보인다. 혜성의 먼지꼬리는 태양풍의 압력에 의해 명확히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다.

행성 지구의 북반구 하늘을 휩쓸고 있는 이 혜성은 대부분의 북반구에서 밤새 떠 있지만 지금은 밝은 달빛이 이 혜성을 보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판스타스 혜성의 반대 꼬리는 1957년 아렌드-롤란드 혜성 이후 가장 긴 혜성 꼬리에 해당한다.

판스타스 혜성의 장대한 반대꼬리 • 84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26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26.html

원문> PanS TARRS Anti-Tail Gro ws Image Cre dit & Co pyright: Joseph Brimacombe, Explanatio n: As planet Earth approached the plane of the Comet PanSTARRS (C/2011 L4) orbit on May 23rd, comet watchers were treated to this view of its magnificent anti-tail. The long, narrow anti-tail stretches to the right across this frame for nearly 4 degrees or about 8 times the angular size of the full Moon. Dust forming the anti-tail trails along the comet's orbit as it leaves the inner solar system behind. An almost edge-on perspective from near the outbound comet's orbital plane enhances the view of the anti-tail and makes it seem to point in the sunward direction, only apparently contrary to the behavior of comet dust tails pushed outward by the pressure of sunlight. Sweeping far north in planet Earth's skies, the comet is up all night for most of the northern hemisphere, but now bright moonlight interferes with its visibility. PanSTARRS anti-tail is one of the longest since the appearance of Comet Arend-Roland in 1957.

판스타스 혜성의 장대한 반대꼬리 • 85 26 Bird Sun Dog Bird Sun Dog 2013.05.29 23:01

태양 옆에 작은 무지개를 본 적이 있습니까?

매우 드물긴 하지만 볼만한 가치가 있는 이 장관은 '무리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무리해는 지구 대기상에서 낙하하는 육각형 얼음결정에 햇빛이 굴절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 작은 얼음 알갱이들이 거의 수평각에 가깝게 내려앉을 때, 태양 빛이 측면으로 가장 잘 굴절되면서 무리해가 만들어집니다.

간혹 이 얼음알갱이들이 일정하게 도열하게 되면 완전한 원형의 태양 헤일로를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비록 때대로 근처의 구름에 의해 가려지기하는 하지만 무리해는 해질녁 또는 해뜰녁 태양의 22도 각도에서 발생합니다.

이 사진은 2012년 10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편광필터를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입니다.

Bird Sun Dog • 87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27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27.html

원문> B ird S un Do g Image Cre dit & Co pyright: Juan Manuel Prez Rayego Explanatio n: Have you ever seen a little rainbow off to the side of the Sun? Rare but rewarding to see, such spectacles are known as sundogs, mock suns or parhelia. Sundogs are just sunlight refracting through hexagonal falling ice crystals in the Earth's atmosphere. When thin ice crystals flitter down nearly horizontally, they best refract sunlight sideways and create sundogs. Alternatively, randomly oriented ice crystals may create a complete circular sun halo. Sundogs occur 22 degrees to each side of a setting or rising Sun, although sometimes nearby clouds can block one or both. The above image was taken through a polarizing filter during October 2012 in Mrida, Spain.

Bird Sun Dog • 88 27 대마젤란 성운 대마젤란 성운 2013.05.29 23:13

16세기 포르투갈의 항해가 페르디난드 마젤란과 그의 선원들은 첫 지구 일주 동안 남반구의 하늘에 대해 연구할 충분한 시간을 가졌 다.

대마젤란 성운 • 90

그 결과 남반구에서 보풀 구름 모양을 갖춘 이 천체들은 남반구의 천체 관측자들에게 마젤란 구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천체들은 오늘날 훨씬 거대한 규모를 가진 우리 은하의 위성은하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사진은 황새치 자리 방향으로 16만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대마젤란 성운의 멋진 고해상도 사진에 설명을 붙인 사진이다.

이 은하는 1만 5천 광년의 지름을 가진,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들 중 가장 무거운 은하이고, 가장 최근에 발견된 초신성인 SN 1987A가 위치하고 있는 은하이기도 하다.

30 Doradus 의 중심부에서 살짝 왼쪽에, 타란툴라 성운으로 알려져 있는 거대 성운은 약 1천 광년의 지름을 가진 거대한 별 생성지 역이다.

대마젤란 성운 • 91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28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28.html

참고 : 대마젤란 성운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9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16

참고 : 대마젤란 성운 내 각종 천체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1315877

대마젤란 성운 • 9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57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4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6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8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9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2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5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7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3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6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0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8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9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16

원문> The Large Clo ud o f Mage llan Image Cre dit & Co pyright: L. Comolli, L. Fontana, G. Ghioldi & E. Sordini Explanatio n: The 16th century Portuguese navigator Ferdinand Magellan and his crew had plenty of time to study the southern sky during the first circumnavigation of planet Earth. As a result, two fuzzy cloud-like objects easily visible to southern hemisphere skygazers are known as the Clouds of Magellan, now understood to be satellite galaxies of our much larger, spiral Milky Way galaxy. About 160,000 light-years distant in the constellation Dorado, the Large Magellanic Cloud (LMC) is seen here in a remarkably deep, colorful, and annotated composite image. Spanning about 15,000 light- years or so, it is the most massive of the Milky Way's satellite galaxies and is the home of the closest supernova in modern times, SN 1987A. The prominent patch just left of center is 30 Doradus, also known as the magnificent Tarantula Nebula, is a giant star-forming region about 1,000 light-years across.

대마젤란 성운 • 93 28 NGC 6960 NGC 6960 2013.05.29 23:20

1만년 전 인간의 역사가 여명을 맞기도 전에 밤하늘에서 갑자기 새로운 빛이 나타났다가 수주일에 걸쳐 사라졌다.

NGC 6960 • 95

오늘날 우리는 이것이 폭발하는 별이 만들어내는 초신성의 빛임을 알고 있고, 그 흔적이 초신성 잔해인 '베일 성운'이라는 팽창하는 잔해 구름으로 남아있다.

이 고해상도 망원경 사진은 NGC 6960으로 기록되어 있는 베일 성운의 서쪽 파편 중심부를 촬영한 것으로 '마녀의 빗자루 성운'이라는 비공식적인 이름도 가지고 있다.

가공할 폭발로부터 휘몰아쳐나온 성간 충격파가 우주공간을 쓸어버리면서 성간 물질을 가열시키고 있다. 협대역 필터로 촬영된 이 불타오르는 필라멘트들은 거의 측면에서 바라본 기다란 파동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수소(붉은색)와 산소(청록색) 원자가 갈라져 있는 모습이 확인히 보인다.

이 완벽한 초신성 잔해는 백조자리 방향으로 140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녀의 빗자루 성운은 35광년에 걸쳐 펼쳐져 있다.

사진에서 밝게 빛나는 별은 백조자리52 별로서 짙은 밤하늘을 가진 지역에서는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지만, 이 별은 고대 초신성 잔해와는 관련이 없는 별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29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29.html

참고> 베일 성운에 대한 또 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8230897 http://blog.daum.net/bigcrunch/1204406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9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0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6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26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4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86

원문> NGC 6960: The Witc h' s B ro o m Ne bula Image Cre dit & Co pyright: Martin Pugh Explanatio n: Ten thousand years ago, before the dawn of recorded human history, a new light would have suddenly have appeared in the night sky and faded after a few weeks. Today we know this light was from a supernova, or exploding star, and record the expanding debris cloud as the Veil Nebula, a supernova remnant. This sharp telescopic view is centered on a western segment of the Veil Nebula cataloged as NGC 6960 but less formally known as the Witch's Broom Nebula. Blasted out in the cataclysmic explosion, the interstellar shock wave plows through space sweeping up and exciting interstellar material. Imaged with narrow band filters, the glowing filaments are like long

NGC 6960 • 96 ripples in a sheet seen almost edge on, remarkably well separated into atomic hydrogen (red) and oxygen (blue- green) gas. The complete supernova remnant lies about 1400 light-years away towards the constellation Cygnus. This Witch's Broom actually spans about 35 light-years. The bright star in the frame is 52 Cygni, visible with the unaided eye from a dark location but unrelated to the ancient supernova remnant.

NGC 6960 • 97 29 NGC 4725 NGC 4725 2013.05.30 23:04

우리 은하를 포함한 대부분의 나선 은하들은 두 개 이상의 나선팔을 가지고 있음에 반해 NGC 4725는 단 하나의 나선팔을 가지고 있 다.

이 고해상도 조합사진에서, 이 하나의 황금분할 나선은 새로 탄생한 성단과 붉은 점으로 나타난 새로운 별들을 생성해내는 지역들이 가득 들어찬 푸른빛의 고리로부터 휘감겨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이 특이한 은하는 또한 훨씬 오래된 별들로 구성된 노란빛의 중심 막대와 이를 가리고 선 검은 먼지 대역을 과시하고 있다.

NGC 4725는 10만 광년이 넘어서는 지름을 가지고 있으며 머리털 자리, 4천 1백만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단 하나의 나선팔을 가진 은하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는

NGC 4725 • 99 이 나선팔이 은하전체의 회전에 끌려 가는 것일 수도, 또는 은하 전체 회전을 주도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 다.

또한 이 사진에는 좀더 전통적인 형태로 보이는 작은 규모의 은하가 배경에 담겨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30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30.html

참고> NGC 4725에 대한 또 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80

원문> One -Arme d S piral Galaxy NGC 4725 Image Data: Subaru Telescope (NAOJ), Hubble Space Telescope, Additional Color data: Adam Block, Bob Franke, Maurice Toet - Assembly and Processing: Robert Gendler Explanatio n: While most spiral galaxies, including our own Milky Way, have two or more spiral arms, NGC 4725 has only one. In this sharp color composite image, the solo spira mirabilis seems to wind from a prominent ring of bluish, newborn star clusters and red tinted star forming regions. The odd galaxy also sports obscuring dust lanes a yellowish central bar structure composed of an older population of stars. NGC 4725 is over 100 thousand light-years across and lies 41 million light-years away in the well-groomed constellation Coma Berenices. Computer simulations of the formation of single spiral arms suggest that they can be either leading or trailing arms with respect to a galaxy's overall rotation. Also included in the frame, a more traditional looking spiral appears as a smaller background galaxy.

NGC 4725 • 100 30 독수리 성운과 백조 성운 독수리 성운과 백조 성운 2013.06.01 16:31

우리은하의 중심방향 궁수자리 나선팔을 촬영한 이 광대역 망원경 사진에는 독수리 성운과 백조 성운이 펼쳐져 있다. 사진 왼쪽 상단에 있는 것이 M16으로 알려져 있는 독수리 성운이며 오른쪽 아래에 있는 것은 M17, 백조 성운이다.

깊은 노출을 통해 담아낸 이 광대역 사진에는 활성 별 생성 구역의 밝은 우주 구름들이 담겨 있다. 이들은 수소 원자 가스의 특징인 붉은 빛을 복사해내는 수소 가스들과 먼지 가득한 암흑 성운들이 가득 들어차 있는 우리 은하의 나 선팔에 위치하고 있다.

사실 이 두 개 성운 모두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새로운 별 탄생구역의 확대 사진으로서 잘 알려져 있는 성운들이다.

오메가 성운이라 불리기도 하는 M17은 약 5500광년 거리에 위치하며 M16은 650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사진의 폭은 하늘의 3도각에 해당하는 영역이며 독수리 성운은 120광년 이상의 너비를 가지고 있다.

독수리 성운과 백조 성운 • 102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5월 3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531.html

참고> 독수리 성운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0664560 http://blog.daum.net/bigcrunch/1219093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0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3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9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8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40 참고> M17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143913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59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57 원문> The Eagle and The S wan Image Cre dit & Co pyright: Dieter Willasch (Astro-Cabinet) Explanatio n: The and the Swan Nebula span this broad starscape, a telescopic view of the Sagittarius spiral arm toward the center of our Milky Way galaxy. The Eagle, also known as M16, is left, above center, and the Swan, or M17 at the lower right. The deep, wide-field image shows the cosmic clouds as brighter regions of active star-formation. They lie along the spiral arm suffused with reddish emission charactistic of atomic hydrogen gas, and dusty dark nebulae. In fact, the center of both nebulae are locations of well-known close-up images of from the Hubble Space Telescope. M17, also called the , is about 5500 light-years away, while M16 is some 6500 light-years distant. In the frame that covers 3 degrees across the sky, the extended wings of the Eagle Nebula are spread over 120 light-years.

독수리 성운과 백조 성운 • 103 31 The Milky Trail The Milky Trail 2013.06.01 16:42

The Milky Trail • 105

행성 지구, 미국 유타주에 있는 브라이스 케년의 퀸스 가든 트레일을 걸어본적이 있으신가요?

어두운 밤하늘 아래 이 길을 걷는다면, 당신은 여행길 내내 희미하게 빛나는 우리 은하가 함께 동행한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 은하의 이름인 영어의 'the Milky Way', 그리고 라틴어인 'Via Lactea' 라는 이름은 하늘에서 우유가 흐르고 있는 길의 형상을 담고 있는 것입니다. Lactea 라는 말은 그리스어로 우유를 의미하죠.

달빛이 없는 어두운 밤에는, 사진에서처럼 이렇게 화려하거나 밝지는 않아도, 우리 은하의 평단면을 따라 무수한 별들이 함께 모여 만든 이 빛나는 천상의 밴드가 보이지만, 너무도 희미하여 각각의 별들이 분리되어 보이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퍼진 별빛이 우리 은하의 검은 먼지 구름에 의해 갈라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4백년전 갈릴레오는 그의 망원경으로 우리 은하를 보고 "...셀 수 없이 무수한 별들의 집단...' 으로 기록한 바 있습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01.html

원문> The Milky Trail Image Cre dit & Co pyright: Wally Pacholka (AstroPics.com, TWAN) Explanatio n: Have you ever hiked the Queen's Garden trail in Bryce Canyon, Utah, USA, planet Earth? Walking along that path in this dark night skyscape, you can almost imagine your journey continues along the pale, luminous Milky Way. Of course, the name for our galaxy, the Milky Way (in Latin, Via Lactea), does refer to its appearance as a milky band or path in the sky. In fact, the word galaxy itself derives from the Greek for milk. Visible on moonless nights from dark sky areas, though not so bright or quite so colorful as in this image, the glowing celestial band is due to the collective light of myriad stars along the plane of our galaxy, too faint to be distinguished individually. The diffuse starlight is cut by dark swaths of obscuring galactic dust clouds. Four hundred years ago, Galileo turned his telescope on the Milky Way and announced it to be "... a congeries of innumerable stars ..."

The Milky Trail • 106 32 화성을 딛고 선 큐리오시티호의 바퀴. 화성을 딛고 선 큐리오시티호의 바퀴. 2013.06.04 00:24

화성에 생명체가 살수 있었던 때가 있었을까? 이를 알아내기 위해 인류는 지난해 8월 화성에 큐리오시티 호를 착륙시켰다.

자동차 크기의 이 탐사선이 행성간 여행을 안전하게 수행했는지, 그리고 드라마틱한 착륙과정에서 이상이 발생하지는 않았는지를 확 인하기 위해 이 사진과 다른 사진들을 통해 큐리오시티호의 이곳 저곳을 살펴보았다.

이 사진은 큐리오시티호의 6개 바퀴중 3개의 바퀴를 촬영한 독특한 풍경의 사진으로서 사진에 보이는 큐리오시티호 바퀴 하나의 지 름은 대략 0.5미터이다.

화성을 딛고 선 큐리오시티호의 바퀴. • 108 최근 몇 달동안 큐리오시티호는 '엘로우나이프 베이'라 명명된 지역 주변을 탐사했다.

큐리오시티호의 카메라와 큐리오시티호에 탑재된 실험장비들은 이곳 화성에서 한때 생명이 살 수 있었다는 강력한 증거들을 보여주 었다.

저 멀리 보이는 것은 게일 크레이터에 자리잡고 있는 봉우리의 경사면으로서 큐리오시티호는 샤프 산이라는 이름의 이곳을 오를 예 정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3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03.html

원문> Curio s ity: Whe e ls o n Mars Image Cre dit: NASA, JPL-Caltech, MSSS, MAHLI Explanatio n: Could life ever have existed on Mars? To help find out, humanity landed the Curiosity rover on Mars last August. To make sure the car-sized explorer survived the interplanetary trip and dramatic landing intact, the above image and others was taken peering at, under, and around Curiosity. Pictured above in this unusual vista are three of Curiosity's six wheels, each measuring about half a meter across. In recent months, Curiosity has been exploring the surroundings of an area dubbed Yellowknife Bay. Analyses of data taken by Curiosity's cameras and onboard laboratories has provided strong new evidence that Mars could once have supported life. In the distance is part of the slope to the central peak inside Gale Crater that Curiosity is scheduled to attempt to climb -- Mt. Sharp.

화성을 딛고 선 큐리오시티호의 바퀴. • 109 33 오리온 성운 오리온 성운 2013.06.04 22:31

오리온 성운으로 알려져 있는 가까운 거리에 존재하는 별들의 육아실 같은 몇몇 천체는 상상력을 들뜨게 만든다. 성운의 불타오르는 가스가 거대 성간 분자 구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뜨겁고 어린 별을 둘러싸고 있다. 사진에 보이는 수많은 필라멘트 모양의 구조물들은 실제로는 충격파로서 빠르게 움직이는 물질이 전면에 위치하는 느리게 움직이는 가스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오리온 성운은 40광년에 걸쳐 펼쳐져 있으며 우리 태양과 같은 은하나선팔에, 지구로부터 1500광년 떨어져 있는 성운이다. 오리온 대성운은 대중적인 별자리인 오리온 자리의 벨트를 구성하고 있는 3개의 별, 왼쪽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육안으로도 쉽게 찾을 수 있는 천체이다.

오리온 성운 • 111 찾을 수 있는 천체이다. 이 사진은 특별히 수소, 산소, 황 가스로부터의 복사선을 잡아내 3개의 색깔로 표현한 사진이다. 말머리 성운을 포함하고 있는 오리온 성운의 분자구름 복합체는 향후 10만년 동안 서서이 흩어지게 될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4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04.html

참고 : 오리온 성운에 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116773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4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56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2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1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5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0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3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3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0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82

원문> Orio n Ne bula in Oxyge n, Hydro ge n, and S ulfur Image Cre dit & Co pyright: Csar Blanco Gonzlez Explanatio n: Few astronomical sights excite the imagination like the nearby stellar nursery known as the Nebula. The Nebula's glowing gas surrounds hot young stars at the edge of an immense interstellar molecular cloud. Many of the filamentary structures visible in the above image are actually shock waves - fronts where fast moving material encounters slow moving gas. The spans about 40 light years and is located about 1500 light years away in the same spiral arm of our Galaxy as the Sun. The Great Nebula in Orion can be found with the unaided eye just below and to the left of the easily identifiable belt of three stars in the popular constellation Orion. The above image shows the nebula in three colors specifically emitted by hydrogen, oxygen, and sulfur gas. The whole Orion Nebula cloud complex, which includes the Horsehead Nebula, will slowly disperse over the next 100,000 years.

오리온 성운 • 112 34 M57 : 고리 성운 M57 : 고리 성운 2013.06.06 15:46

토성의 고리를 제외하면, 아마도 고리 성운(M57)은 가장 유명한 하늘의 고리일 것이다.

그러나 이 천체의 전통적인 외양은 우리가 바라보는 시각에 기인하여 이해된 것이다.

최근 선명한 허블 우주망원경의 사진에 입각하여 팽창을 계속 하는 이 성운의 3차원 구조를 그려본 결과에 의하면 이 성운은 상대적으로 고밀도를 지닌 도넛 모양의 고리가 럭비공 모양의 불타는 가스구름을 둘러싸고 있는 것임을 알려주고 있다. 지구에서 바라보는 각도에서는 럭비공의 기다란 축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인해 고리와 같은 정면 모양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M57 : 고리 성운 • 114

이 행성상 성운은 익히 잘 알려진 성운의 하나로서 이 천체의 불타는 물질들은 전혀 행성으로부터 연유한 것이 아니다. 가스상의 외곽부는, 지금은 성운의 중심에 바늘구멍처럼 작은 빛으로 보이는, 한때 우리 태양과 같았던 별이 죽어가면서 뿜어낸 외곽 껍질부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가스 속에는 고온의 중심별로부터 쏟아져 나온 이온화 원자의 강력한 자외선으로 가득 차 있다.

사진에서 중심의 파란색은 이온화 헬륨을 나타내며, 고리 안쪽의 청록색은 수소와 산소의 불꽃을 나타낸다. 고리 외곽부의 붉은 빛은 질소와 황으로부터 발생하는 복사를 표현한 것이다.

고리 성운은 2천 광년 거리에 위치하며 지름은 약 1광년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5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05.html

참고 : 고리 성운의 입체적 구조에 대한 내용은 2013년 5월 23일 뉴스로 발표된 바 있습니다. 동영상을 비롯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하기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622

참고 : 고리 성운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5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66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8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83

원문> M57: The Ring Ne bula Image Cre dit: NASA, ESA, and the Hubble Heritage (STScI / AURA)- ESA / Hubble Collaboration Explanatio n: Except for the rings of Saturn, the Ring Nebula (M57) is probably the most famous celestial band. Its classic appearance is understood to be due to our own perspective, though. The recent mapping of the expanding nebula's 3-D structure, based in part on this clear Hubble image, indicates that the nebula is a relatively dense, donut-like ring wrapped around the middle of a football-shaped cloud of glowing gas. The view from planet Earth looks down the long axis of the football, face-on to the ring. Of course, in this well-studied example of a planetary nebula, the glowing material does not come from planets. Instead, the gaseous shroud represents outer layers expelled from the dying, once sun-like star, now a tiny pinprick of light seen at the nebula's center. Intense ultraviolet light from the hot central star ionizes atoms in the gas. In the picture, the blue color in the center is ionized helium, the cyan color of the inner ring is the glow of hydrogen and oxygen, and the reddish color of the outer ring is from nitrogen and sulfur. The Ring Nebula is about one light-year across and 2,000 light-years away.

M57 : 고리 성운 • 115 35 메시에 크레이터 메시에 크레이터 2013.06.09 23:18

행성 지구의 하늘에 보이는 많은 밝은 성운들과 성단들의 이름은 천문학자 찰스 메시에가 18세기에 작성한 그 유명한 천체 목록과 연관되어 있다.

그의 이름은 달에 있는 이 두 개의 거대하고 주목할만한 크레이터에도 붙어있다. 어둡고 균질한 바닥을 가진 달의 풍요의 바다에서 두드러지게 보이는 메시에 크레이터(왼쪽)와 메시에 A 크레이터는 각각 사방 15X8 킬로미터와, 8X16킬로미터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들의 길쭉한 외형은 이 크레이터를 만든 충돌체가 비스듬한 입사각으로 충돌하여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이며 지형을 비스듬하게 패어냈기 때문으로 추측하고 있다.

메시에 크레이터 • 117 비스듬하게 발생한 충돌은 또한 물질들이 튀어나가면서 만들어진 두 개의 밝은 선이 오른쪽 사진 너머에까지 뻗어 있는 모습도 만들 어냈다.

빨강색과 파랑색(빨강색이 왼쪽) 안경으로 바라봤을 때,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만들어진 이 멋진 사진은 아폴로 11호가 달탐사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촬영한 두 개의 사진(AS11-42-6304, AS11-42-6305)을 입체사진으로 보이도록 최근 재 가공한 사진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8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08.html

원문> Me s s ie r Crate rs in S te re o Cre dit: Apollo 11, NASA; Stereo Image by Patrick Vantuyne Explanatio n: Many bright nebulae and star clusters in planet Earth's sky are associated with the name of astronomer Charles Messier, from his famous 18th century catalog. His name is also given to these two large and remarkable craters on the Moon. Standouts in the dark, smooth lunar Sea of Fertility or Mare Fecunditatis, Messier (left) and Messier A have dimensions of 15 by 8 and 16 by 11 kilometers respectively. Their elongated shapes are explained by an extremely shallow-angle trajectory followed by the impactor, moving left to right, that gouged out the craters. The shallow impact also resulted in two bright rays of material extending along the surface to the right, beyond the picture. Intended to be viewed with red/blue glasses (red for the left eye), this striking stereo picture of the crater pair was recently created from high resolution scans of two images (AS11-42-6304, AS11-42-6305) taken during the Apollo 11 mission to the moon.

메시에 크레이터 • 118 36 자외선으로 바라본 대마젤란 성운 자외선으로 바라본 대마젤란 성운 2013.06.10 21:49

자외선으로 촬영한 대마젤란 성운

자외선으로 바라본 대마젤란 성운 • 120

가시광선으로 촬영한 대마젤란 성운

가까운 거리의 은하들 내에서 가장 뜨거운 별들은 어디에 위치하고 있을까?

이를 알아내기 위해 NASA는 지구궤도를 돌고 있는 스위프트 위성을 조종하여 자외선으로 대마젤란 성운을 촬영한 후 각각의 사진들을 이어붙여 이 사진을 만들었다.

가장 무거운 질량을 지닌 어린 별들은 자외선 대역에서 푸른 빛을 내며 밝게 빛나기 때문에 이 사진에서는 대마젤란 성운에서 최근 별들이 생성되고 있는 곳이 어디인지를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이와는 반대로, 이 장면을 가시광선 영상으로 전환해보면 훨씬 익숙한 모습을 한 대마젤란 성운이 보이는데 여기서는 나이를 먹은 별들이 더 도드라져 보인다.

상단 왼쪽에 있는 것은 국부 은하군에서 가장 거대한 규모로 별들을 생성하고 있는 곳인 타란툴라 성운이다.

대마젤란 성운과 이 성운의 동반은하인 소마젤란 성운은 남반구의 하늘에서 육안으로도 쉽게 관측되는 천체이다.

이 사진을 자세하게 검토함으로써 어떻게 별들의 생성이 촉발되는지에 대해 은하전반에 걸친 포괄적인 그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10일 자)

자외선으로 바라본 대마젤란 성운 • 121 http://apod.nasa.gov/apod/ap130610.html

참고 : 대마젤란 성운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9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16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16

참고 : 대마젤란 성운 내 각종 천체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131587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57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4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6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8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9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2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5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7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3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6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0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8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92

원문> The Large Mage llanic Clo ud in Ultravio le t Image Cre dit: UV: NASA, Swift, S. Immler (Goddard) & M. Siegel (Penn State); Optical: Axel Mellinger (CMU) Explanatio n: Where are the hottest stars in the nearest galaxies? To help find out, NASA commissioned its Earth- orbiting Swift satellite to compile a multi-image mosaic of the neighboring Large Magellanic Cloud (LMC) galaxy in ultraviolet light. The above image shows where recently formed stars occur in the LMC, as the most massive of these young stars shine brightly in blue and ultraviolet. In contrast, visible in an image roll-over, a more familiar view of the LMC in visible light better highlights older stars. On the upper left is one of the largest star forming regions known in the entire Local Group of galaxies: the Tarantula Nebula. The Large Magellanic Cloud and its smaller companion the Small Magellanic Cloud are easily visible with the unaided eye to sky enthusiasts with a view of the southern sky. Detailed inspection of the above image is allowing a better galaxy-comprehensive picture for how star formation occurs.

자외선으로 바라본 대마젤란 성운 • 122 37 NGC 3582 NGC 3582 2013.06.11 22:58

NGC 3582에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이곳에는 밝은 별과 흥미로운 분자들이 형성되고 있다.

이 복잡한 성운은 RCW57이라 불리는 별 생성지역 안에 위치하고 있다.

사진에는 별 사이에 고밀도로 몰려있는 어두운 성간 먼지와 생성된지 수백만년 정도밖에 되지 않은 밝은 별들, 그리고 이 별들에 의해 전리된 불타오르는 수소가스가 모여있는 지역과 죽어가는 별로부터 분출된 거대한 가스고리들이 보인다.

NGC 3584와 NGC 3576으로도 알려져 있는 NGC 3582에 대한 세부 연구는 이곳에 별 형성의 막바지 단계에 다다른 최소 33개의 무 거운 별들이 존재하며

NGC 3582 • 124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로 알려져 있는 복잡한 탄소 분자들이 확실히 존재함을 밝혀냈다.

다환방향족탄화수소는 별이 탄생하는 지역의 식어가는 가스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50억년 전 태양을 형성한 성운내에서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발생은 지구에서 생명을 발생시키는데 있어 중요한 단계였을 것으로 여 겨진다.

이 사진은 미국 아리조나주 피닉스 북부의 할로우사막 천문대에서 촬영되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1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11.html

참고 : NGC 3582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1332201

원문> S tar Fo rming Re gio n NGC 3582 Image Cre dit & Co pyright: Desert Hollow Observatory Explanatio n: What's happening in the NGC 3582 nebula? Bright stars and interesting molecules are forming. The complex nebula resides in the star forming region called RCW 57. Visible in this image are dense knots of dark interstellar dust, bright stars that have formed in the past few million years, fields of glowing hydrogen gas ionized by these stars, and great loops of gas expelled by dying stars. A detailed study of NGC 3582, also known as NGC 3584 and NGC 3576, uncovered at least 33 massive stars in the end stages of formation, and the clear presence of the complex carbon molecules known a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PAHs are thought to be created in the cooling gas of star forming regions, and their development in the Sun's formation nebula five billion years ago may have been an important step in the development of life on Earth. The above image was taken at the Desert Hollow Observatory north of Phoenix, Arizona, USA.

NGC 3582 • 125 38 네 개 행성의 일몰 네 개 행성의 일몰 2013.06.14 22:52

평온한 일몰풍경을 촬영한 이 사진에서 당신은 네 개의 행성을 볼 수 있다. 이 사진은 5월 25일 황혼녁에 디지털 노출로 촬영된 일련의 사진을 겹쳐붙여 만들어졌다.

이 사진은 네 개의 행성들 중 세 개 행성, 즉 목성과 금성 그리고 수성(왼쪽부터 오른쪽으로)이 서쪽 지평선을 향해 가라앉는 궤적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세 개의 행성은 지난 달 말 주목할만큼 가까운 거리로 모여드는 삼중행성 결합의 광경을 연출해냈다.

수성의 밝기와 비슷한 밝기로 엘나스 별(황소자리 베타별)또한 하늘을 가로지르는 모습이 포착됐는데 사진 오른쪽 멀리에 궤적이 찍 혀있다.

전경으로 보이는 것은 물결하나 없이 잔잔한 행성 지구의 얕은 호수로서, 이름은 알릭스 소금호수이며

네 개 행성의 일몰 • 127 그리스 코스아일랜드의 황홀한 일몰풍경이 반사되고 있다.

지금 목성은 일몰시 태양의 빛 속으로 잠겨들어가고 있지만, 수성과 금성은 황혼녁에 낮은 고도에서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13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13.html

원문> Fo ur Plane t S uns e t Image Cre dit & Co pyright: Chris Kotsiopoulos (GreekSky) Explanatio n: You can see four planets in this serene sunset image, created from a series of stacked digital exposures captured near dusk on May 25. The composite picture follows the trail of three of them, Jupiter, Venus, and Mercury (left to right) dropping toward the western horizon, gathered close in last month's remarkable triple planetary conjunction. Similar in brightness to planet Mercury, the star Elnath (Beta Tauri) is also tracked across the scene, leaving its dotted trail still farther to the right. Of course, in the foreground are the still, shallow waters of Alikes salt lake, reflecting the striking colors of sunset over Kos Island, Greece, planet Earth. For now, Jupiter has wandered into the glare of the setting Sun, but Mercury and Venus remain low in the west at twilight.

네 개 행성의 일몰 • 128 39 Sharpless 115 Sharpless 115 2013.06.14 23:06

샤프리스 115(Sharpless 115)는 지구에서 바라본 하늘에서 백조자리 알파별인 데네브 바로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1959년 천문학자 스튜어트 샤프리스(Stewart Sharpless)에 의해 Sh2-115로 등재된 희미하지만 사랑스러운 빛을 뿜어내고 있는 이 성운은 우리 은하 외곽 거대 분자구름중 하나의 모서리를 따라 위치하고 있으며 750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Sharpless 115 • 130 허블의 다중색체조합 사진에서 이온화 수소, 황, 산소 원자로부터 방출된 빛을 내고 있는 이 성운의 불꽃은 버클리 90(Berkeley 90) 성단의 뜨거운 별들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고 있다.

이 성단의 별들은 고작 1억년 상관의 연령을 가지고 있으며, 여전히 샤프리스 115성운 내에 깊이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 별들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강력한 별폭풍과 복사는 자신들이 탄생한 먼지구름의 상당량을 밀어내고 있다.

이 발광성운까지의 거리를 고려했을 때 사진이 담고 있는 폭은 100광년 정도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14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14.html

원문> S harple s s 115 Image Cre dit & Co pyright: Bill Snyder (at Sierra Remote Observatories) Explanatio n: Sharpless 115 stands just north and west of Deneb, the alpha star of Cygnus the Swan in planet Earth's skies. Noted in the 1959 catalog by astronomer Stewart Sharpless (as Sh2-115) the faint but lovely emission nebula lies along the edge of one of the outer Milky Way's giant molecular clouds, about 7,500 light-years away. Shining with the light of ionized atoms of hydrogen, sulfur, and oxygen in this Hubble palette color composite image, the nebular glow is powered by hot stars in star cluster Berkeley 90. The cluster stars are likely only 100 million years old or so and are still embedded in Sharpless 115. But the stars' strong winds and radiation have cleared away much of their dusty, natal cloud. At the emission nebula's estimated distance, this cosmic close-up spans just under 100 light-years.

Sharpless 115 • 131 40 미스테리의 돌고래 자리 유성우 미스테리의 돌고래 자리 유성우 2013.06.16 16:47

미스테리의 돌고래 자리 유성우 • 133

미스테리의 돌고래 자리 유성우 • 134 지난 화요일 아침 5시간 이상의 노출을 통해 촬영된 이 사진에는 칠레 라스 캄파나스 천문대 상공의 어두운 하늘을 배경으로 유성이 만들어내는 선과 우리 은하의 모습이 담겨 있다.

당시 천문학자들은 이름은 알려지지 않은 혜성이 지나간 궤적에 남겨놓은 먼지를 지구가 쓸고 지나가면서 만들게 되는 돌고래자리 감마별 유성우(the gamma Delphinid meteor shower)를 보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돌고래 자리로부터 방사상으로 나타나는 유성우라는 특성에 의해 이름이 명명된 이 유성우는 1930년 6월 10일 달빛이 빛나는 하늘임에도 불구하고 짧은 시간동안 강렬한 폭발 양상을 보이며 매우 밝은 유성우를 만든것으로 전 해진다. 그 이후로 그닥 강력한 유성우는 없었던 것으로 보고된 돌고래자리 유성우였지만, 2013년에는 일시적으로 강력한 양상을 보일 것으 로 예견됐었다.

그러나 지난 화요일 어두운 밤하늘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발생하는 유성의 비율은 현저하게 낮았고, 오직 3개의 유성이 만들어내는 유성우 궤적만이 유성우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 방향을 배경으로 나타났을 뿐이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15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15.html

원문> De lphinid Me te o r Mys te ry Image Cre dit & Co pyright: Yuri Beletsky (Las Campanas Observatory, Carnegie Institution) Explanatio n: Over a five hour period last Tuesday morning, exposures captured this tantalizing view of meteor streaks and the Milky Way in dark skies above Las Campanas Observatory in Chile. During that time, astronomers had hoped to see an outburst from the gamma Delphinid meteor shower as Earth swept through the dust trail left by an unknown comet. Named for the shower's radiant point in the constellation Delphinus, a brief but strong outburst was reported in bright, moonlit skies on June 10, 1930. While no strong Delphinid meteor activity was reported since, an outburst was tentatively predicted to occur again in 2013. But even though Tuesday's skies were dark, the overall rate of meteors in this field is low, and only the three lower meteor streaks seem to point back to the shower's estimated radiant.

미스테리의 돌고래 자리 유성우 • 135 41 APOD의 열여덟번째 생일 APOD의 열여덟번째 생일 2013.06.16 17:11

Congratulate!!! 18th Birthday of APOD!

주요 언어별 APOD 번역 사이트 - 우리나라도 공식적인 번역사이트가 하루빨리 만들어지길 희망합니다. APOD is also available in: Arabic, Bahasa Indonesian, Catalan, Chinese, Chinese, Czech, Dutch, Farsi, Farsi, Galego, German, French, Hebrew, Japanese, Polish,Portuguese or Turkish

첫번째 '오늘의 천체사진'이 발표된 것이 18년전 바로 오늘인 1995년 6월 16일이었다. 처음 시작하는 날의 기록은 비록 14페이지뷰에 그쳤지만 지금의 APOD가 지난 18년 동안 제공한 천체관련 사진이 대략 10억장이 넘어간다는 사실에 대해 우리는 자긍심을 가지고 있다.

초창기부터 형식에 거의 변함이 없었던 APOD 사이트는 항상 수많은 변화로 채워지는 웹 사이트에서 계속 친근한 사이트로 남아있을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APOD의 내용이 수많은 주요 언어로 번역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APOD의 열여덟번째 생일 • 137

우리는 다시금 우리 독자들과, 천체사진가들, 그리고 아낌없는 지원을 계속하고 있는 NASA측에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어떠한 형식이든 감사의 의미를 담은 이메일을 매일매일 APOD의 내용을 수많은 시간과 노고를 들여 번역해주고 계시는 전세계의 자원봉사자들에게 보내주기를 요청드린다.

APOD에서 발표한 사진들 몇몇을 모아 영화필름과 같은 형태의 멋진 콜라주가 만들어졌다. 이 작품은 APOD의 열성팬이 디지털 편집을 통해 만들어 제출한 것이다. APOD에서 발표한 사진을 얼마나 많이 식별할 수 있는가?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16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16.html

원문> APOD Turns Eighte e n Image Cre dit & Co pyright: Wang Letian Explanatio n: The first APOD appeared eighteen years ago today, on 1995 June 16. Although garnering only 14 pageviews on that day, we are proud to estimate that APOD has now served over one billion space-related images over the past eighteen years. That early beginning, along with a nearly unchanging format, has allowed APOD to be a consistent and familiar site on a web frequently filled with change. Many people don't know, though, that APOD is now translated daily into many major languages. We again thank our readers, astrophotographers, and NASA for their continued support, but ask that any potentially congratulatory e-mail go this year to the volunteers all around the world who translate APOD's captions daily, many times with considerable effort. Some APOD images are featured in the above spectacular collage visualizing APOD as a classic film reel, submitted by an APOD enthusiast skilled in digital image manipulation. How many APOD images can you identify?

APOD의 열여덟번째 생일 • 138 42 드라이아이스가 만든 화성의 썰매자국 드라이아이스가 만든 화성의 썰매자국 2013.06.18 22:51

무엇이 화성에 이처럼 기다랗고 직선에 가까운 홈들을 파 놓은 것일까? 직선상 도랑(linear gullies)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구조물은 화성이 봄을 맞는 동안 모래언덕의 사변을 따라 나타난 것으로 거의 일정한 너비를 가지고 있으며 2킬로미터 정도의 거리로 뻗어있고 양쪽측면으로는 둑을 형성하고 있다.

물의 흐름으로 형성된 대부분의 경우와 달리 이 구조물들은 경사면 가장 아래쪽에 바짝 마른 퇴적물이 쌓여 있는 지역이 전혀 존재 하지 않는다.

실제 지구에서 테스트되기도 한 이 구조물에 대한 선구적인 가설은 이 직선상 도랑이 드라이아이스가 승화되는 동안 깨져나가면서 경사면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내리고 결국 드라이아이스는 완전히 대기상으로 승화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드라이아이스가 만든 화성의 썰매자국 • 140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천연 드라이아이스 썰매야말로 미래의 모험가가 승화되는 이산화탄소 쿠션 위에서 부드러운 승차감을 느끼 게 해 줄 것이다.

최근에 발표된 이 사진은 현재 화성 궤도를 공전중인 NASA의 화성의 MRO 위성에 탑재된 HiRISE 카메라로 2006년 촬영한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17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17.html

참고 : 화성의 지형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8546581 http://blog.daum.net/bigcrunch/10274625 http://blog.daum.net/bigcrunch/10736329 http://blog.daum.net/bigcrunch/11215992 http://blog.daum.net/bigcrunch/11168017 http://blog.daum.net/bigcrunch/11554198 http://blog.daum.net/bigcrunch/11661817 http://blog.daum.net/bigcrunch/1219112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57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58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6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7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8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5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96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7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8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8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44

원문> Dry Ic e S le d S tre aks o n Mars Image Cre dit: HiRISE, MRO, LPL (U. Arizona), NASA Explanatio n: What creates these long and nearly straight grooves on Mars? Dubbed linear gullies, they appear on the sides of some sandy slopes during Martian spring, have nearly constant width, extend for as long as two kilometers, and have raised banks along their sides. Unlike most water flows, they do not appear to have areas of dried debris at the downhill end. A leading hypothesis -- actually being tested here on Earth -- is that these linear gullies are caused by chunks of carbon dioxide ice (dry ice) breaking off and sliding down hills while sublimating into gas, eventually completely evaporating into thin air. If true, these natural dry-ice sleds may well provide future

드라이아이스가 만든 화성의 썰매자국 • 141 adventurers a smooth ride on cushions of escaping carbon dioxide. The above recently-released image was taken in 2006 by the HiRISE camera on board the NASA's Mars Reconnaissance Orbiter currently orbiting Mars.

드라이아이스가 만든 화성의 썰매자국 • 142 43 크레이터 호수 위의 대기광과 은하수 크레이터 호수 위의 대기광과 은하수 2013.06.19 23:26

이 사진에 몇 개의 천문 현상이 담겨 있는걸까? 여기에는 여러 개의 현상이 담겨있다.

첫번째로 전경에 보이는 것은 크레이터 호수로서 이것은 7700년전 행성 지구의 화산 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칼데라 호수이다.

두 번째로는 이 호수에 담겨있는 물이다. 비록 이 물의 원천은 크레이터에 담겨진 눈이 녹은 것이지만 지구에서 물의 기원은 아직 명쾌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가능성있는 가설을 들자면, 옛날 지구에 얼음 천체가 충돌되면서 생겨났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하늘에 초록색으로 보이는 대기광을 들 수 있다. 대기광은 지구 대기 높은 고도에 있는 원자의 복사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 복사는 원자가 낮동안 태양빛에 의해 전리된 후 밤에 전자와 재결합되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하늘에 빛나고 있는 수많은 빛들은 핵융합 반응에 의해 불타오르고 있는 별들이다. 이들은 대기보다 훨씬 멀리 존재하는 천체들이지만 모두 우리 은하에 존재하는 태양의 이웃 별들이다.

마지막으로 등장하는 것은 사진을 가로질러 나타나고 있는 밝은 아치로서 이것은 우리 은하의 중심 대역이다. 은하는 사진에 보이는 일반적인 별들에 비해서 훨씬 멀리 위치하고 있으며 중력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외형에서 보이는 바와는 반대로 은하수는 대기광에 의해서 빛을 내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빛을 낸다.

크레이터 호수 위의 대기광과 은하수 • 144 이 사진은 미국 오레곤 주에서 2주전, 6장의 프레임으로 촬영한 사진을 이어 붙인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19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19.html

원문> Milky Way Ove r Crate r Lake with Airglo w Image Cre dit & Co pyright: John H. Moore; Anno tatio n: Judy Schmidt Explanatio n: How many different astronomical phenomena have come together to create the above vista? Several. First, in the foreground, is Crater Lake -- a caldera created by volcanism on planet Earth about 7,700 years ago. Next, inside the lake, is water. Although the origin of the water in the crater is melted snowfall, the origin of water on Earth more generally is unclear, but possibly related to ancient Earthly-impacts of icy bodies. Next, the green glow in the sky is airglow, light emitted by atoms high in the Earth's atmosphere as they recombine at night after being separated during the day by energetic sunlight. The many points of light in the sky are stars, glowing by nuclear fusion. They are far above the atmosphere but nearby to our Sun in the Milky Way Galaxy. Finally, the bright arch across the image is the central band of the Milky Way, much further away, on the average, than the nearby stars, and shaped mostly by gravity. Contrary to appearances, the Milky Way band glows by itself and is not illuminated by the airglow. The above image is a six-frame panorama taken during about two weeks ago in Oregon, USA.

크레이터 호수 위의 대기광과 은하수 • 145 44 NGC 3628 NGC 3628 2013.06.21 00:23

망원경으로 잡아낸 이 고해상도 사진에는 모서리를 보이고 있는 웅장한 나선은하 NGC 3628의 부풀어오른 은하원반과 이 원반을 가로지르고 있는 먼지 대역이 담겨있다.

이 은하의 모습에서 천문학자들은 이 은하의 대중적인 별칭인 '햄버거 은하'의 모습을 떠올리게 된다.

흥미를 유발시키는 이 섬우주는 10만광년에 걸쳐 펼쳐져 있으며 봄의 북반구 별자리인 사자자리 방향으로 3500만 광년 거리에 위치 하고 있다. 국부우주에서 NGC 3628은 두 개의 거대한 나선은하인 M63, M66과 이웃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 일련의 은하단은 사자자리 세쌍동이 은하(the Leo Triplet)로 알려져 있다.

이 은하원반에서 팽창하고 있는 은하의 빛무리와 구부러진 원반은 이러한 이웃은하들과의 중력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것으 로 보인다.

NGC 3628 • 147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20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20.html

참고 : NGC 3582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152536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66

원문> Edge -o n NGC 3628 Image Cre dit & Co pyright: Alessandro Falesiedi Explanatio n: Sharp telescopic views of magnificent edge-on spiral galaxy NGC 3628 show a puffy galactic disk divided by dark dust lanes. Of course, this deep galactic portrait puts some astronomers in mind of its popular moniker, The Hamburger Galaxy. The tantalizing island universe is about 100,000 light-years across and 35 million light-years away in the northern springtime constellation Leo. NGC 3628 shares its neighborhood in the local Universe with two other large spirals M65 and M66 in a grouping otherwise known as the Leo Triplet. Gravitational interactions with its cosmic neighbors are likely responsible for the extended flare and warp of this spiral's disk.

NGC 3628 • 148 45 하지의 일몰 하지의 일몰 2013.06.24 22:57

하지의 일몰 • 150

오늘, 세계 표준시 5시 4분이 하지로서 이 때 태양은 행성 지구의 하늘을 가로지르는 1년 중의 여행 중 북반구에서 가장 높은 곳에 다다르게 된다.

6월의 하지는 북반구에서는 여름의 시작을, 그리고 남반구에서는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표식이기도 하다.

하지의 일몰 • 151 또한 이때 북반구에서는 일출과 일몰 사이에 가장 오랜 시간을 갖는, 하루가 가장 긴 때이기도 하다.

이 사진은 2012년 6월의 하지가 끝나갈 때, 저녁 노을이 가득한 청명한 하늘을 배경으로 서쪽 지평선으로 넘어가는 태양의 궤적을 촬 영하여 합성한 것이다.

이 장면은 이탈리아 산타 세베라(Santa Severa)의 티레니아 해안(Tyrrhenian Sea)을 따라 북서쪽을 바라본 장면이다.

시간 간격을 잘 조정한 이 일련의 사진에서 사진 작가 자신의 조그마한 형채가 미디블 캐슬의 어두운 담벼락에 그림자진 모습이 함 께 담겨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2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21.html 원문> A S o ls tic e S uns e t S e lf Po rtrait Image Cre dit & Co pyright: Danilo Pivato Explanatio n: Today, the solstice is at 05:04 Universal Time, the Sun reaching the northernmost declination in its yearly journey through planet Earth's sky. A June solstice marks the astronomical beginning of summer in the northern hemisphere and winter in the south. It also brings the north's longest day, the longest period between sunrise and sunset. This composite image follows the Sun's path toward the end of the June solstice day of 2012 as it approaches the western horizon in a colorful, clear sky. The scene looks north and west along the Tyrrhenian Sea coast from Santa Severa, Italy. Appearing in the well-timed sequence, the small figure of the photographer himself is illuminated against the wall of the town's medieval castle.

하지의 일몰 • 152 46 근지점의 달 근지점의 달 2013.06.24 23:01

근지점의 달 • 154

가장 크고, 밝고 아름다운 보름달이 이번 일요일 일몰 때 뜨게 된다.

근지점의 달 • 155 보름달에 도달하는 시간(세계표준시 6월 23일 11시 32분)은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근지점에 도달하기 바로 전에 이루어 지게 되는데 이것은 2013년 보름달 중 가장 큰 보름달이 될 것이다.

이러한 환경은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달이 근지점에서 보름달에 도달하는 것은 매 14번의 보름달 주기에 해당한다. 이는 2013년 6월 23일 이후 다음 근지점에 도달하는 때가 2014년 8월 10일임을 의미한다.

이 사진은 14번째 이전 보름달인 2012년 5월 5일의 보름달로, 이 영감어린 사진은 그리스 소유니온 케이프(Cape Sounion)의 고대 포세이돈 사원 위로 떠오른 근지점의 보름달을 촬영한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22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22.html 원문> Pe rige e ' s Full Mo o n Image Cre dit & Co pyright: Anthony Ayiomamitis (TWAN) Explanatio n: A big, bright, beautiful Full Moon will rise at sunset on Sunday. Its exact full phase (June 23, 11:32 UT) will occur shortly before it reaches perigee, the closest point to Earth in the Moon's orbit, and make it the largest Full Moon of 2013. But such circumstances are not very rare. The full lunar phase falls near the Moon's orbit perigee about every 14 lunar months. That means the following Full Perigee Moon will be on August 10, 2014, the 14th Full Moon after June 23. On May 5, 2012, 14 Full Moons ago, this inspired telescopic night skyscape captured the Full Perigee Moon rising over Cape Sounion, Greece and the ancient Temple of Poseidon.

근지점의 달 • 156 47 한때 용암지대였을 금성의 지형 한때 용암지대였을 금성의 지형 2013.06.24 23:06

만약 당신이 화성 전역을 레이더로 바라볼 수 있다면 어떤 모습을 볼 수 있을까? 화성의 표면을 촬영한 이 컴퓨터 재생 사진은 마젤란 호가 촬영한 데이터를 근거로 만들어진 것이다. 마젤란 호는 1990년부터 1994년까지 금성 주위를 돌며 우리 이웃 행성인 금성의 표면 지도를 레이더로 그려냈다.

마젤란 호는 사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거대한 원형 돔을 비롯한 흥미로운 구조를 여러개 발견했는데 이 구조들은 일반적으로 25킬로미터의 지름을 가지고 있다. 화산 활동이 이와 같은 돔을 만들어낸 것으로 생각되지만 확실한 메카니즘은 여전히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금성의 표면은 엄청난 고열을 가지고 있어서 그 어떤 탐지장치도 수분 이상을 버틸 수 없는 상태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23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23.html

한때 용암지대였을 금성의 지형 • 158 참고 : 금성의 화산 지형에 대한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46

원문> Ve nus ' Onc e Mo lte n S urfac e Image Cre dit: E. De Jong et al. (JPL), MIPL, Magellan Team, NASA Explanatio n: If you could look across Venus with radar eyes, what might you see? This computer reconstruction of the surface of Venus was created from data from the Magellan spacecraft. Magellan orbited Venus and used radar to map our neighboring planet's surface between 1990 and 1994. Magellan found many interesting surface features, including the large circular domes, typically 25-kilometers across, that are depicted above. Volcanism is thought to have created the domes, although the precise mechanism remains unknown. Venus' surface is so hot and hostile that no surface probe has lasted more than a few minutes.

한때 용암지대였을 금성의 지형 • 159 48 돌고래 은하(NGC 2936) 돌고래 은하(NGC 2936) 2013.06.25 21:18

이 나선 은하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고작 수백만년전 사진 상단에 보이는 거대은하 NGC 2936은 원래는 일반적인 형태의 나선은하였을 것이나 회전을 지속하며 새로운 별들을 만들어내는 본연의 임무를 망각한 상태이다. 그 대신, 이 은하는 가까이 근접한 거대 질량의 타원은하 NGC 2937을 향해 다이빙을 하고 있다.

외양을 따서 돌고래 은하라는 이름이 붙은 NGC 2936은 아래로 굽어졌을 뿐 아니라 가까이 접근한 은하와의 중력 상호작용으로 뒤틀 리기도 한 상태이다.

돌고래 은하(NGC 2936) • 161 갓 태어난 푸른 별들의 폭발이 돌고래의 코 부분을 구성하고 있으며, 은하의 핵이 돌고래의 눈처럼 보인다.

또 다른 시각으로, Arp 142로 알려진 한쌍의 은하를 같이 보면 알을 돌보고하고 있는 펭귄의 모습인듯도 보인다.

뒤얽혀 있는 먼지 선들과 푸른 별들의 흐름이 은하로부터 끌려나와 하단 우측으로 흐르고 있다.

이 사진은 최근 공개된 전례없이 세세한 모습을 담아낸 Arp 142의 사진으로 지난 해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하였다. Arp 142는 바다뱀자리 방향으로 3억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십억년 이내에 이 두 개 은하는 하나의 거대 은하로 합쳐질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24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24.html

참고 : Arp 142의 사진 발표는 지난 6월 20일 허블 사이트의 뉴스로도 보도된 바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673

원문> The Po rpo is e Galaxy fro m Hubble Image Cre dit: NASA, ESA, and The Hubble Heritage Team (STSci/AURA) Explanatio n: What's happening to this spiral galaxy? Just a few hundred million years ago, NGC 2936, the upper of the two large galaxies shown, was likely a normal spiral galaxy -- spinning, creating stars -- and minding its own business. But then it got too close to the massive NGC 2937 below and took a dive. Dubbed the Porpoise Galaxy for its iconic shape, NGC 2936 is not only being deflected but also being distorted by the close gravitational interaction. A burst of young blue stars forms the nose of the porpoise toward the left of the upper galaxy, while the center of the spiral appears as an eye. Alternatively, the galaxy pair, together known as Arp 142, look to some like a penguin protecting an egg. Either way, intricate dark dust lanes and bright blue star streams trail the troubled galaxy to the lower right. The above recently-released image showing Arp 142 in unprecedented detail was taken by the Hubble Space Telescope last year. Arp 142 lies about 300 million light years away toward the constellation, coincidently, of the Water Snake (). In a billion years or so the two galaxies will likely merge into one larger galaxy.

돌고래 은하(NGC 2936) • 162 49 화성 락 네스트(Rock Nest)지역의 파노라마 사진 화성 락 네스트(Rock Nest)지역의 파노라마 사진 2013.06.25 21:25

이곳은 화성이다. 주위를 한 번 둘러보라. 좀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이곳은 화성의 고대 생명체가 거주한 단서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지역으로 선정된 곳이기도 하다.

좀더 나은 동선을 찾기 위해, 큐리오시티호는 락네스트(Rock Nest)라 불리는 위치에서 일련의 세밀한 사진을 촬영하였다.

900여개 이상의 사진이 이 붉은 행성에서 만들어진 사진 중 최고 해상도의 사진을 만들기 위해 조합되었으며 이 조합사진은 10억 픽셀이상의 화소를 담고 있다.

사진 위쪽, 중앙으로는 큐리오시티호가 착륙하여 현재 탐험을 계속하고 있는 거대 크레이터의 중심부에 솟은 샤프 산이 보인다.

사진을 이리저리 확인하거나 확대보려면 이곳을 클릭해보면 된다. (http://mars.nasa.gov/multimedia/interactives/billionpixel/index.cfm?image=PIA16919&view=pano)

향후 수년동안 큐리오시티호는 샤프산의 봉우리를 향해 탐험을 계속할 것이며 지질학적, 화학적 분류를 위한 감시를 계속할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25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25.html

참고 : 동일한 사진에 대한 JPL의 설명은 하기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669

원문> Ro c k Ne s t Pano rama fro m Curio s ity o n Mars Image Cre dit: NASA, JPL-Caltech, MSSS, Mastcam Explanatio n: This is Mars -- have a look around. More specifically, this is one area picked for its promise of

화성 락 네스트(Rock Nest)지역의 파노라마 사진 • 164 Explanatio n: This is Mars -- have a look around. More specifically, this is one area picked for its promise of holding clues to the habitability of Mars to ancient life. To better search for telling leads, the robotic Curiosity rover took a series of detailed images from a location called Rock Nest. Over 900 of these images were then composed into one of the highest resolution images ever created of the red planet -- a composite containing over one billion pixels. Shown above, toward the middle of this image mosaic, is Mt. Sharp, the central peak of the large crater where the Curiosity rover landed and is currently exploring. An interactive and zoomable version of this image is available here. Over the next few years, Curiosity is scheduled to roll toward the peak of ancient Mt. Sharp, all the while keeping a lookout for distinguishing geological and chemical markers.

화성 락 네스트(Rock Nest)지역의 파노라마 사진 • 165 50 M31 M31 2013.06.26 22:30

안드로메다는 우리 은하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대은하이다. 우리 은하 역시 안드로메다 은하와 같은 모양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 두 개의 은하는 국부은하군을 장악하고 있는 은하이기도 하다.

안드로메다 은하로부터 퍼져나오는 빛은 이 은하를 구성하고 있는 수천억개의 별들로부터 발생하는 것이다. 안드로메다 은하를 둘러싸고있는, 선명한 모습의 별들은 이 은하를 배경으로 두고 그 전면에 늘어서 있는 우리 은하의 별들이다.

안드로메다 은하는 M31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찰스 메시에가 기록한 천체 목록중 31번째로 등재된 천체이기 때문이다.

안드로메다 은하까지의 거리는 약 2백만 광년이다.

M31 • 167 비록 도구의 도움 없이도 볼 수 있는 천체지만 이 사진은 소규모 천체 망원경으로 촬영한 것이다.

어떻게 이 은하가 두 개의 은하핵을 가지게 되었는지를 포함해서 이 은하에 대한 상당 부분은 여전히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26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26.html

참고> 안드로메다 은하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0253912 http://blog.daum.net/bigcrunch/1062566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2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3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2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9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44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3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4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35

원문> M31: The Andro me da Galaxy Image Cre dit & Co pyright: Lorenzo Comolli Explanatio n: Andromeda is the nearest major galaxy to our own Milky Way Galaxy. Our Galaxy is thought to look much like Andromeda. Together these two galaxies dominate the Local Group of galaxies. The diffuse light from Andromeda is caused by the hundreds of billions of stars that compose it. The several distinct stars that surround Andromeda's image are actually stars in our Galaxy that are well in front of the background object. Andromeda is frequently referred to as M31 since it is the 31st object on Messier's list of diffuse sky objects. M31 is so distant it takes about two million years for light to reach us from there. Although visible without aid, the above image of M31 was taken with a small telescope. Much about M31 remains unknown, including how it acquired its unusual double-peaked center.

M31 • 168 51 모스크바 상공의 야광구름 모스크바 상공의 야광구름 2013.06.27 23:34

이 파노라마 야경사진은 6월 8일 로모노소프 모스크바 주립 대학(Lomonosov Moscow State University) 본관 옥상에서 바라본 모스크바의 스카이라인을 촬영한 것이다.

어두운 밤하늘을 뒤덮으며 밝게 빛나고 있는 것은 넓게 퍼져 있는 야광구름들이다. 우주의 끝자락, 지구표면으로부터 약 80킬로미터 상공에 발생하는 이 얼음 구름은 태양이 완전히 지평선 너머로 넘어갔음에도 불구 하고 여전히 태양빛을 반사해내고 있다.

극지 중간층 구름(polar mesospheric clouds)으로도 알려져 있는 이 구름은 일반적으로 여름에 고위도 지방에 나타나는 아주 얇 은 구름으로 올해는 비교적 일찍 출현하기 시작했다.

이 계절성 구름은 수증기가 차가운 상층 대기로 상승을 계속하다가 유성으로부터 부서져나온 파편들 또는 화산재에 의해 만들어진 매우 작은 먼지 입자들에 들러붙어 응축되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생각 되고 있다.

올해 이 구름이 일찍 보이기 시작한 것은 아마도 좀더 낮은 대기에서 나타나고 있는 전 지구적인 대기순환 패턴의 변화와 연관된 것 으로 보인다.

올해 북반구의 여름기간에 NASA의 AIM(Aeronomy of Ice in the Mesosphere, 지구대기 중간권의 얼음을 연구하는 초고층 대기 물리학)위성은 우주에서 바라본 야광운의 투영도를 매일 제공할 예정이다.

모스크바 상공의 야광구름 • 170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27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27.html

참고> 특이한 형태의 각종 구름에 대한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9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2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9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1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47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56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8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66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7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8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0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17

참고 : 야광구름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24

원문> No c tiluc e nt Clo uds o ve r Mo s c o w Image Cre dit & Co pyright: Sergey Lisakov Explanatio n: This panoramic night scene from June 8 looks out across a Moscow skyline from atop the main building of Lomonosov Moscow State University. Shining in the darkened sky above are widespread noctilucent clouds. From the edge of space, about 80 kilometers above Earth's surface, the icy clouds can still reflect sunlight even though the Sun itself is below the horizon as seen from the ground. Usually spotted at high latitudes in summer months the diaphanous apparitions, also known as polar mesospheric clouds, have come early this season. The seasonal clouds are understood to form as water vapor driven into the cold upper atmosphere condenses on the fine dust particles supplied by meteor smoke (debris left by disintegrating meteors) or volcanic ash. Their early start this year may be connected to changing global circulation patterns in the lower atmosphere. During this northern summer, NASA's AIM mission provides daily projections of the noctilucent clouds as seen from space.

모스크바 상공의 야광구름 • 171 52 슈퍼문의 헤일로 슈퍼문의 헤일로 2013.06.28 22:33

지난 주 일요일 태양이 지고나서 근지점에 이른 보름달이 떠올랐다.

지구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점을 막 벗어난, 1년중 가장 크고 밝은 이 보름달은 슈퍼문(Super Moon)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근처 리오데라플라타의 초입에 있는 푼타 삐에드라스(Punta Piedras)에서 바라본 슈퍼문이 웅장한 원형 달무리를 만들어냈다.

달무리의 크기는 지구 대기 높은 곳에 떠있는 얇은 구름을 구성하는 육면체의 얼음결정이 어떻게 배열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이 얼음결정은 달빛을 최소각 22도로 더욱 강력하게 굴절해낸다. 그래서 헤일로의 내측 반경은 22도로 형성되게 되는데 이 각도는 슈퍼문보다 작은 달이 만들어내는 헤일로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슈퍼문에 의해서보다 훨씬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아름다운 22도각 헤일로는 년중 어느때든지 찾아볼 수 있다.

슈퍼문의 헤일로 • 173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28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628.html

원문> A S upe r Mo o n' s Halo Image Cre dit & Co pyright: Luis Argerich Explanatio n: A Full Perigee Moon rose as the Sun set last Sunday. At its closest to Earth it was, by just a bit, the year's brightest and largest Full Moon also known as a Super Moon. Seen from Punta Piedras, Argentina and the mouth of the Rio de La Plata, near Buenos Aires, the Super Moon's light created this magnificent circular lunar halo. Still, the size of a lunar halo is determined by the geometry of six sided water ice crystals in planet Earth's high, thin clouds. The crystals deflect the rays of moonlight more strongly through a minimum angle of 22 degrees. So this halo has an inner radius of 22 degrees, just like the halos of the less-than-super moons. Even more common than a Super Moon, beautiful 22 degree halos can be spotted at any time of year.

슈퍼문의 헤일로 • 174 53 판스타스 혜성의 길게 뻗은 반대꼬리 판스타스 혜성의 길게 뻗은 반대꼬리 2013.06.29 23:27

한때 지구에서 해질녁에만 보이던 혜성 판스타스(PanSTARRS, C/2011 L4)는 현재 밤새 그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북반구에서만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혜성은 지금은 많이 희미해졌고, 태양계 외곽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이 혜성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망원경이 필요하다.

지난 5월 말경 지구가 이 혜성의 공전 궤도면을 통과하게 되면서, 판스타스 혜성은 앞으로 현저하게 긴 꼬리를 가진 혜성으로 기억 될 것이다.

넓게 펼쳐진 공전면을 따라 측면을 보여주고 있는 이 혜성은 길게 펼쳐진 먼지 꼬리가 혜성의 뒷면을 따라 생성되듯이 태양계 안쪽을 다시 향하고 있는듯, 태양계쪽을 가리키고 있는 반대 꼬리도 만들어냈다.

5월 27일 밤에 촬영된 이 사진은 13장의 건판에 담긴 사진을 모자이크한 것으로 판스타스 혜성의 반대 꼬리가 우측의 혜성 코마로부터 7도 이상까지 뻗어나온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반대 꼬리는 사진의 왼쪽 끄트머리에서 밝은 달빛에 잠식당하고 있긴 하지만 훨씬 더 길게 뻗어있을 것으로 보인다.

배경으로 사진 상단 왼쪽으로 늘어서 있는 별들은 케페우스 자리에 있는 NGC 188 성단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6월 29일 자)

판스타스 혜성의 길게 뻗은 반대꼬리 • 176 http://apod.nasa.gov/apod/ap130629.html 원문> PanS TARRS : The Anti Tail Co me t Image Cre dit & Co pyright: Pete Lawrence (Digital-Astronomy) Explanatio n: Once known as Earth's sunset comet, PanSTARRS (C/2011 L4) is up all night now, but only for northern hemisphere skygazers. Telescopes are required to track its progress as it fades and heads for the outer solar system. But because planet Earth passed through the comet's orbital plane in late May, PanSTARRS will also be remembered for its remarkably long anti-tail. That edge-on perspective looking along the broad, fanned-out dust tail as it trailed behind the comet created the appearance of an anti-tail pointing in the sunward direction, back toward the inner solar system. Recorded on the night of May 27, this 13 pane mosaic (shown in positive and negative views) follows PanSTARRS' anti-tail as it stretches over 7 degrees from the comet's coma at the far right. The anti-tail was likely much longer, but gets lost in the evening's bright moonlight encroaching on the left edge of the scene. Background star cluster NGC 188 in Cepheus shows up along the way, near top left.

판스타스 혜성의 길게 뻗은 반대꼬리 • 177 54 별과 번개 별과 번개 2013.07.04 22:42

처음 이 사진을 봤을 때는 아마 섬광을 뿜어내고 있는 은하처럼 보일는지 모르겠지만 이 사진은 지구의 풍경을 촬영한 것이다.

그림같이 아름다운 풍경을 배경으로 촬영된 이곳은 그리스의 코르푸 섬으로 코리시온 호수를 둘러싼 도시의 불빛이 함께 담겨있다. 그리고 멀리 보이는 불빛들은 그리스 본토 프레베자 시의 불빛들이다. 저 멀리 하늘에서는 천둥이 휘몰아치고 있으며, 5월 중순 45초간 노출을 통해 촬영한 이 광대역 사진에는 두 개의 번개가 함께 포착 됐다.

왼쪽 번개의 가지 하나가 프레베자 부근을 강타하고 있는 듯 보이며, 오른쪽 번개는 케팔로니아 섬의 아이노스 산 근처를 강타하고 있는 듯 보인다.

훨씬 더 멀리 우리 은하에 속하며 태양의 주변에 있는 수백개의 별들이 하늘을 가득 채우고 있다.

별과 번개 • 179 전체 사진을 가로지르며 아치를 그리고 있는 것은 우리 은하의 중심 대역에 포함된 수십억개의 별들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3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03.html

원문> S tars and Lightning Ove r Gre e c e Image Cre dit & Co pyright: Bill Metallinos Explanatio n: It may appear, at first, like the Galaxy is producing the lightning, but really it's the Earth. In the foreground of the above picturesque nighttime landscape is the Greek Island of Corfu, with town lights surrounding Lake Korrision. Visible farther in the distance are lights from the town of Preveza on the Greek mainland. In the more distant sky a thunderstorm is threatening, with two lightning strokes caught together during this 45 second wide-angle exposure taken in mid-May. The lightning branch on the left appears to be striking near Preveza, whereas the lightning strike on the right appears to be striking near Mount Ainos on the Greek Island of Cephalonia. Much farther in the distance, strewn about the sky, are hundreds of stars in the neighborhood of our Sun in the Milky Way Galaxy. Furthest away, arching over the entire panorama, are billions of stars that together compose the central band of our Milky Way.

별과 번개 • 180 55 M82 M82 2013.07.04 22:51

길쭉한 모습 때문에 시거 성운으로도 알려져 있는 M82는 새로운 별을 폭발적으로 만들어내고 있는 은하이다.

초신성의 폭발과 거대 질량의 별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강력한 별폭풍으로 인해 M82에서 탄생하고 있는 별의 폭발적인 에너지는 거대한 규모로 물질들을 바깥쪽으로 내몰아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은하의 중심지역으로부터 쏟아져나오는 강력한 폭풍의 증거가 이 고해상도 망원경 사진에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M82 • 182 이 조합 사진에는 길게 뿜어져나오고 있는 필라멘트의 수소 원자가 복사해내는 붉은 빛이 강조되어 있다. 이 강력한 폭풍에 포함된 가스들 중에는 거대한 질량의 별로부터 만들어진 무거운 원소들이 풍부히 존재하며 결국 이 원소들은 성간 공간으로 탈출하게 될 것이다.

깊은 노출을 통해 촬영된 협대역 사진에는 캡(cap)이라 불리는 희미한 구조가 드러나 있다. 은하의 상단 왼쪽 3만 5천광년 거리에 위치한 이 캡은 강력하게 몰아쳐나오는 폭풍의 쇼크 또는 은하핵에 포함된 거대한 질량의 어 린 별들로부터 쏟아져나오는 강력한 자외선 복사에 의해 이온화된 물질들로 구성된 은하의 헤일로인듯 보인다.

가까이 근접한 M81은하에 의해 촉발된 M82의 새로운 별의 탄생으로부터 발생하는 격렬한 폭발양상은 향후 1억년동안 지속될 것으 로 보인다. M82는 1천 2백만광년 거리에 위치하며 큰곰자리 북쪽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4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04.html

참고> M82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9938222 http://blog.daum.net/bigcrunch/1148640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1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0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4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3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4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705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7072

참고>M82를 비롯한 은하에 대한 각종 포스트는 하기 링크 INDEX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76

원문> M82: S tarburs t Galaxy with a S upe rwind Image Cre dit & Co pyright: Ken Crawford (Rancho Del Sol Obs.) Explanatio n: Also known as the Cigar Galaxy for its elongated visual appearance, M82 is a starburst galaxy with a superwind. In fact, through ensuing supernova explosions and powerful winds from massive stars, the burst of star formation in M82 is driving a prodigious outflow of material. Evidence for the superwind from the galaxy's central regions is clear in this sharp telescopic snapshot. The composite image highlights emission from long outflow filaments of atomic hydrogen gas in reddish hues. Some of the gas in the superwind, enriched in heavy elements forged in the massive stars, will eventually escape into intergalactic space. Including narrow band image data in the deep exposure has revealed a faint feature dubbed the cap. Perched about 35,000 light-years above the galaxy at the upper left, the cap appears to be galactic halo material ionized by the superwind shock or intense ultraviolet radiation

M82 • 183 from the young, massive stars in the galaxy's core. Triggered by a close encounter with nearby large galaxy M81, the furious burst of star formation in M82 should last about 100 million years or so. M82 is 12 million light-years distant, near the northern boundary of Ursa Major.

M82 • 184 56 NGC 6752 NGC 6752 2013.07.05 22:56

남반구 공작자리 방향 1만 3천광년 거리에 위치하는 구상성단 NGC 6752는 우리은하의 헤일로를 배회하고 있다. 100억년의 나이를 가지고 있는 NGC 6752는 오메가 센타우리와 47Tuc(큰부리새자리 47, 47 Tucanae) 다음으로 행성 지구의 밤하늘에서 세번째로 밝게 빛나는 구상성단이다.

이 구상성단은 약 100광년의 지름을 가진 구체 안에 10만여개의 별을 품고 있다.

NGC 6752에 대한 망원경 탐사 결과는 이 구상성단 중심 근처에서 다중성계라는 주목할 만한 별들의 파편을 발견했다.

또한 이 탐사 결과 청색낙오성의 존재도 밝혀냈는데, 청색낙오성은 일반적으로 우리 태양보다 최소 두배이상의 나이를 가진 별들만이 존재할 것이라 예상되는 구상성단에서는

NGC 6752 • 186 너무나 어리고 무거운 질량의 별에 해당된다. 이와같은 청색 낙오성은 성단 중심에 빽빽하게 별들이 몰려있는 지역에서 별들의 충돌과 병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 다.

이 고해상도의 조합사진에서는 노란색 빛을 뿜어내고 있는 오래된 적색 거성들의 모습 또한 그 특징이 되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5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05.html

원문> Glo bular S tar Clus te r NGC 6752 Image Cre dit & Co pyright: Damian Peach Explanatio n: Some 13,000 light-years away toward the southern constellation Pavo, the globular star cluster NGC 6752 roams the halo of our Milky Way galaxy. Over 10 billion years old, NGC 6752 follows clusters Omega Centauri and 47 Tucanae as the third brightest globular in planet Earth's night sky. It holds over 100 thousand stars in a sphere about 100 light-years in diameter. Telescopic explorations of the NGC 6752 have found that a remarkable fraction of the stars near the cluster's core, are multiple star systems. They also reveal the presence of blue straggle stars, stars which appear to be too young and massive to exist in a cluster whose stars are all expected to be at least twice as old as the Sun. The blue stragglers are thought to be formed by star mergers and collisions in the dense stellar environment at the cluster's core. This sharp color composite also features the cluster's ancient red giant stars in yellowish hues.

NGC 6752 • 187 57 NGC 6384 NGC 6384 2013.07.09 23:05

우주는 은하들로 가득 차 있다. 그러나 천문학자들이 이 은하들을 보기 위해서는 우리 은하에 속하는 별들 너머를 바라봐야 한다.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 천연색 사진은 NGC 6384 나선은하를 촬영한 것으로 이 은하는 뱀주인자리 방향으로 8천만 광년 떨어 져 있다. 이 은하까지의 거리를 고려해봤을 때 이 은하의 지름은 15만 광년에 달하는데, 허블이 촬영한 이 확대 사진에는 은하의 중심부 7만 광년의 폭이 담겨 있다.

머나먼 은하를 촬영한 이 고해상도 사진에서는 웅장한 은하의 나선팔을 따라 푸른색의 성단과 먼지 대역을 볼 수 있으며 노란색의 별빛이 우세하게 나타나는 밝은 은하핵도 볼 수 있다.

사진에 하나하나 보이는 별들은 우리 은하에 속하는 별들이다.

우리 은하의 별들은 망원경 자체에서 발생한 회절 현상에 의해 십자모양 또는 방사상 모양을 띄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6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06.html

NGC 6384 • 189

원문> NGC 6384: S piral B e yo nd the S tars Cre dit: ESA, Hubble, NASA Explanatio n: The universe is filled with galaxies. But to see them astronomers must look out beyond the stars of our own galaxy, the Milky Way. This colorful Hubble Space Telescopic portrait features spiral galaxy NGC 6384, about 80 million light-years away in the direction of the constellation Ophiuchus. At that distance, NGC 6384 spans an estimated 150,000 light-years, while the Hubble close-up of the galaxy's central region is about 70,000 light-years wide. The sharp image shows details in the distant galaxy's blue star clusters and dust lanes along magnificent spiral arms, and a bright core dominated by yellowish starlight. Still, the individual stars seen in the picture are all in the relatively close foreground, well within our own galaxy. The brighter Milky Way stars show noticeable crosses, or diffraction spikes, caused by the telescope itself.

NGC 6384 • 190 58 NGC 2170 NGC 2170 2013.07.09 23:14

우주의 붓으로 그려낸 아름다운 천상의 정물화, 먼지 성운 NGC 2170이 상단 좌측에서 빛나고 있다.

근처에 위치한 뜨거운 별들의 빛을 반사해내고 있는 NGC 2170은 푸른빛을 반사해내는 성운들과 붉은 빛을 복사해내는 밀집지역 그리고 뒷편의 별빛을 막아서고 있는 우주먼지의 흐름이 함께 어우러져 있는 천체이다.

정물화가들이 그림의 대상으로 집안의 도구들을 선택하는 것처럼, 가스와 먼지구름 그리고 뜨거운 별들을 이 사진에서 발견할 수 있 다. 거대한 질량을 가지고 새로운 별들을 만들어내는 이 분자구름은 외뿔소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Mon R2라는 이름의 이 거대 분자구름은 대단히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데 그 거리는 약 2400광년 정도이다. 이 천체까지의 거리를 고려했을 때 사진이 담고 있는 폭은 15광년이다.

NGC 2170 • 192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7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07.html

참고 : NGC 2170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57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0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42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429

원문> NGC 2170: S till Life with Re fle c ting Dus t Image Cre dit & Co pyright: Adam Block, Mt. Lemmon SkyCenter, U. Arizona Explanatio n: In this beautiful celestial still life composed with a cosmic brush, dusty nebula NGC 2170 shines at the upper left. Reflecting the light of nearby hot stars, NGC 2170 is joined by other bluish reflection nebulae, a compact red emission region, and streamers of obscuring dust against a backdrop of stars. Like the common household items still life painters often choose for their subjects, the clouds of gas, dust, and hot stars pictured here are also commonly found in this setting - a massive, star-forming molecular cloud in the constellation of the Unicorn (Monoceros). The giant molecular cloud, Mon R2, is impressively close, estimated to be only 2,400 light-years or so away. At that distance, this canvas would be about 15 light-years across.

NGC 2170 • 193 59 플루토의 달 케베로스(Kerberos)와 스틱스(Styx) 플루토의 달 케베로스(Kerberos)와 스틱스(Styx) 2013.07.09 23:24

플루토에서 새로 발견된 위성에 이름이 지어졌다. P4, P5라는 임시 이름이 붙여졌던 플루토 주위의 네번째, 다섯번째로 발견된 이 위성에 국제천문연맹은 각각 케베로스(Kerberos) 와 스틱스(Styx)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이 작은 달들은 2011년과 2012년 허블우주망원경이 2015년 플루토에 근접하게될 뉴호라이즌호의 비행을 준비하는 와중에 발견하였 다.

케베로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저승의 초입을 지키는 머리가 여럿 달린 개의 이름이며, 스틱스는 저승과 이승을 가르고 있는 신화상의 강을 주관하는 여신의 이름이다.

두 개의 명칭 모두 플루토와 연관이 있는 이름으로 플루토는 신화에서 저승세계를 주관하는 신의 이름이다.

플루토의 달 케베로스(Kerberos)와 스틱스(Styx) • 195

이 두 개 위성 모두 반사도가 정확하지 않아 그 크기는 확실하지 않지만 대략 지름 20킬로미터 정도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뉴호라이즌 호는 2015년 플루토를 통과하게 되며 이 때 처음으로 이 왜소행성과 그 위성들에 대한 명료한 사진들을 제공하게 될 예 정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8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08.html

참고 : 플루토의 다섯번째 위성 발견은 2012년 7월 11일 허블사이트에서 뉴스로 발표된 바 있습니다. 하기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85

그외 플루토의 네번째, 다섯번째 위성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9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76

원문> Pluto ' s Ne wly Dis c o ve re d Mo o ns Re c e ive Name s Image Cre dit: NASA, ESA, Mark Showalter (SETI Institute) Explanatio n: Pluto's newly discovered moons now have names. Known previously as P4 and P5,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has now given the fourth and fifth discovered moons of Pluto the names Kerberos and Styx. The small moons were discovered in 2011 and 2012 by the Hubble Space Telescope in preparation for the close passing of the New Horizons spacecraft by Pluto in 2015. Kerberos is named for the many headed dog in Greek mythology that guards the entrance to the underworld, while Styx is named for the goddess who overlooks the mythological river that runs between the Earth and the underworld. Both monikers are related to the name of Pluto, who rules the mythical nether region. Because their reflectivity is unknown, the size of each moon is quite uncertain -- but each is crudely estimated to be about 20 kilometers in diameter. The robotic New Horizons spacecraft is on schedule to pass by Pluto in 2015 and provide the first clear images of the dwarf planet and its companions.

플루토의 달 케베로스(Kerberos)와 스틱스(Styx) • 196 60 백조자리 감마별 사드르(Sadr) 백조자리 감마별 사드르(Sadr) 2013.07.09 23:32

초거대별 백조자리 감마별은 백조자리에 위치한 유명한 별자리인 북반구 십자성의 한복판에 위치하고 있다.

사드르(Sadr)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는 이 밝은 별이 이 멋진 사진에서도 한복판에 위치하고 있으며 우리 은하의 평단면을 따라 복잡하게 들어선 별들과, 먼지구름들, 그리고 불타는 성운들이 사진을 함께 수놓고 있다.

하늘의 3도 영역(보름달 6개 크기)을 촬영한 이 사진에는 발광성운 IC 1318과 산개성단 NGC 6910이 함께 담겨 있다.

백조자리 감마별 좌측으로는 두개의 불타오르는 날개 모양 성운이 기다랗고 검은 먼지 대역에 의해 갈라져 있는데 IC 1318의 대중적인 명칭은 '나비 성운'이라는 그럴듯한 이름으로 불린다.

백조자리 감마별 사드르(Sadr) • 198

백조자리 감마별의 위쪽 약간 왼쪽으로는 여전히 촘촘하게 별들이 몰려 있는 어린 성단 NGC 6910이 위치하고 있다.

백조자리 감마별까지의 거리는 약 750광년이며 IC 1318과 NGC 6910은 각각 2천광년, 5천광년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9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09.html

참고 : 백조자리 감마별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5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52

원문> S upe rgiant S tar Gamma Cygni Image Cre dit & Co pyright: Jose Francisco Hernandez (Altamira Observatory) Explanatio n: Supergiant star Gamma Cygni lies at the center of the Northern Cross, a famous asterism in the constellation of the Swan (Cygnus). Known by the proper name Sadr, the bright star also lies at the center of this gorgeous skyscape, featuring a complex of stars, dust clouds, and glowing nebulae along the plane of our Milky Way galaxy. The field of view spans over 3 degrees (six Full Moons) on the sky and includes emission nebula IC 1318 and open star cluster NGC 6910. Left of Gamma Cygni and shaped like two glowing cosmic wings divided by a long dark dust lane, IC 1318's popular name is understandably the Butterfly Nebula. Above and slightly left of Gamma Cygni, are the young, still tightly grouped stars of NGC 6910. Some distance estimates for Gamma Cygni place it at around 750 light-years while estimates for IC 1318 and NGC 6910 range from 2,000 to 5,000 light-years.

백조자리 감마별 사드르(Sadr) • 199 61 태양 흑점 태양 흑점 2013.07.10 22:17

근래들어 가장 거대한 규모로 형성된 흑점지역이 지금 태양을 가로지르고 있다.

자기장이 휘어말리고 있는 이 지역은 태양계에 하전입자 구름을 쏟아내는 태양플래어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때 매우 강력한 하전입자 구름이 생성되어 지구 자기권에 충돌하게 되면 지구 궤도를 공전하는 우주선이나 위성에는 치명적인 위 험이 될 수 있다. 그 반대로 적은 양의 하전입자 구름이 충돌하게 되면 한상적인 오로라를 만들어내게 된다.

이 사진에 보이는 흑점 구역은 이틀전에 촬영된 것이다. 가장 우측 지역은 AR 11785로 목록화되었으며 왼쪽 부분은 AR 11787로 등재되었다.

흑점에서 가장 어두운 부분은 거의 수직으로 도열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움브라스(umbras)라 부른다. 그리고 이를 둘러싼 청동색 지역에서는 실처럼 늘어선 자기장 흐름 튜브들이 훨씬 명료하게 보이는데 이것은 펜움브라스( penumbras)라 부른다.

태양 흑점 • 201

직경 1000킬로미터 폭을 담고 있는 사진에서 수많은 쌀알무늬 구조가 배경을 가득 채우고 있다.

이 흑점 지역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아무도 알지 못하지만 우주 기상 관측자들은 이를 매우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10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10.html

원문> Large S uns po ts No w Cro s s ing the S un Image Cre dit & Co pyright: Damian Peach Explanatio n: One of the largest sunspot regions in recent years is now crossing the Sun. This region of convoluted magnetic fields may well produce a solar flare that releases a cloud of energetic particles into the Solar System. Were a very powerful cloud to impact the Earth's magnetosphere, it could be dangerous to Earth-orbiting astronauts and satellites. Conversely, the impact of even a less energetic cloud might create picturesque aurora. Pictured above is the sunspot region as it appeared two days ago. The rightmost part of this region has been cataloged as AR 11785, while the left part as AR 11787. The darkest sunspot regions contain nearly vertical magnetic fields and are called umbras, while the surrounding bronze regions -- more clearly showing stringy magnetic flux tubes -- are called penumbras. Churning solar granules, many about 1000 km across, compose the yellow background region. No one knows what this sunspot region will do, but space weather researchers are monitoring it closely.

태양 흑점 • 202 62 황소자리의 먼지성운들 황소자리의 먼지성운들 2013.07.11 21:53

일련의 먼지성운들이 황소자리 분자구름의 모서리를 따라 450광년이 채 안되는 거리에 모여 있다.

이 망원경 사진은 1.5도의 폭을 담아내고 있으며 이 우주의 무대에서 상단 왼쪽에 뚜렷이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갓 태어난 별 황소자리 RY(RY Tauri)를 포함하여 새로운 별들이 탄 생하고 있다.

황소자리 RY별은 아직 주계열상에 들어서기 이전 단계의 별로서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vdB 27로 등재된 반사성운 속에 아직 파 묻혀 있다. 높은 변광양상을 보이는 이 별은 아직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 머물러 있으며 중력붕괴의 마지막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이 별은 곧 적은 질량을 보유한 채로 안정된 상태인 주계열 상에 편입될 것인데, 이 단계를 우리 별 태양은 이미 45억년전에 지나쳤

황소자리의 먼지성운들 • 204 다.

또다른 주계열 진입 이전의 별인 황소자리 V1023(V1023 Tauri)이 하단 오른쪽에 보인다. 이 별은 Ced 30으로 등재된 푸른색 반사성운에 인접한 노란색 먼지 구름속에 파뭍혀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1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11.html

원문> Dus ty Ne bulae in Image Cre dit & Co pyright: Bob Franke Explanatio n: This complex of dusty nebulae linger along the edge of the Taurus molecular cloud, a mere 450 light- years distant. Stars are forming on the cosmic scene, including extremely youthful star RY Tauri prominent toward the upper left of the 1.5 degree wide telescopic field. In fact RY Tauri is a pre-main sequence star, embedded in its natal cloud of gas and dust, also cataloged as reflection nebula vdB 27. Highly variable, the star is still relatively cool and in the late phases of gravitational collapse. It will soon become a stable, low mass, main sequence star, a stage of stellar evolution achieved by our Sun some 4.5 billion years ago. Another pre-main sequence star, V1023 Tauri, can be spotted below and right, embedded in its yellowish dust cloud adjacent to the striking blue reflection nebula Ced 30.

황소자리의 먼지성운들 • 205 63 메시에의 11개 천체 메시에의 11개 천체 2013.07.13 12:02

15도 너비의 하늘을 촬영한 이 사진에는 우리 은하의 중심, 궁수자리방향으로 별들이 가득 들어차 있는 하늘을 촬영한 것이다. 사진에서 우리 은하의 중심부분은 오른쪽 모서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11개의 밝은 성단들과 성운들이 사진의 중심근처에 위치하고 있 다.

이 11개의 천체들은 모두 18세기 천체관측가 찰스메시에가 작성한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천체관측자에게는 너무나도 유명한 M8(라군성운), M16(독수리성운), M17(오메가성운), M20(삼엽성운)이 별을 만들어내고 있는 지역 과 연계되어 붉은 빛을 복사해내고 있다.

또한 이곳에서는 작은 천체망원경을 통해 더 많은 천체들을 볼 수 있는데 M18, M21, M22, M23, M25, M28이 각각 그것이다.

이 성단들보다 훨씬 더 넓게 퍼져 있는 M24는 우리 은하의 별들이 수천광년의 길이로 몰려 있는 별의 구름으로서,

메시에의 11개 천체 • 207 이 성단들보다 훨씬 더 넓게 퍼져 있는 M24는 우리 은하의 별들이 수천광년의 길이로 몰려 있는 별의 구름으로서, 우리 은하의 먼지 대역이 만들어내고 있는 베일의 사이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12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12.html

참고> M8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11557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4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4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2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7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6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7044

참고 : M16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0664560 http://blog.daum.net/bigcrunch/1219093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08

메시에의 11개 천체 • 20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3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9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84

참고 : M17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143913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59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57

참고 : M20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5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2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6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2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7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441

참고 : M25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06

참고> 각종 성운에 대한 포스트는 하기 링크 INDEX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74

원문> Me s s ie r' s Ele ve n Image Cre dit & Co pyright: Fernando Cabrerizo Explanatio n: This fifteen degree wide field of view stretches across the crowded starfields of Sagittarius toward the center of our Milky Way galaxy. In fact, the center of the galaxy lies near the right edge of the rich starscape and eleven bright star clusters and nebulae fall near the center of the frame. All eleven are numbered entries in the catalog compiled by 18th century cosmic tourist Charles Messier. Gaining celebrity status with skygazers, M8 (Lagoon), M16 (Eagle), M17 (Omega), and M20 (Trifid) show off the telltale reddish hues of emission nebulae associated with star forming regions. But also eye-catching in small telescopes are star clusters in the crowded region; M18, M21, M22, M23, M25, and M28. Broader in extent than the star clusters themselves, M24 is actually a cloud of the Milky Way's stars thousands of light-years long, seen through a break in the galaxy's veil of obscuring dust. You can put your cursor over the image (or click here) for help identifying Messier's eleven.

메시에의 11개 천체 • 209 64 M104 M104 2013.07.15 23:10

이 나선은하의 중심에서는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멕시코 모자를 닮은 외양때문에 솜브레로 은하라는 이름이 붙은 이 은하는 M104로 등재되어 있으며 두드러진 먼지 대역 및 별과 구상성단들로 이루어진 밝은 헤일로가 특징인 은하이다.

솜브레로 모자를 닮았다고 얘기하는 이유는 우리 눈에 거의 모서리를 보여주고 있는 이 은하의 원반에서 보이는 두드러진 검은 먼지 대역과 별들로 이루어진 비정상적으로 거대한 은하 중심의 팽대부 때문이다.

M104 • 211 수십억개의 별들이 뿜어내는 뿌연 빌빛이 200인치 헤일 망원경이 촬영한 이 사진에서 중심 팽대부에 광대하게 보이고 있다. 이 중심 팽대부를 보다 확대한 사진으로 검사한 결과 수많은 별들의 점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것들은 실제로 하나하나가 구상성단 들이었다.

M104에서 장관을 이루고 있는 먼지 고리는 수많은 갓 태어난 밝은 별들을 품고 있는데 복잡한 양상을 보이는 세부구조는 아직 완전 히 이해되지 않고 있다.

솜브레로 은하의 정중앙부는 전자기 스펙트럼 전영역에서 밝게 빛나고 있는데 이는 아마도 이곳에 거대한 블랙홀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되고 있다.

5억광년 거리에 위치하는 솜브레로은하는 처녀자리 방향으로 작은 망원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15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15.html

참고 : 솜브레로 은하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115794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1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9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94

원문> The S o mbre ro Galaxy fro m Hale Image Cre dit & Co pyright: Caltech/Palomar Observatory/Paul Gardner, Salvatore Grasso, and Ryan Hannahoe Explanatio n: What's going on in the center of this spiral galaxy? Named the Sombrero Galaxy for its hat-like resemblance, M104 features a prominent dust lane and a bright halo of stars and globular clusters. Reasons for the Sombrero's hat-like appearance include an unusually large and extended central bulge of stars, and dark prominent dust lanes that appear in a disk that we see nearly edge-on. Billions of old stars cause the diffuse glow of the extended central bulge visible in the above image from the 200-inch Hale Telescope. Close inspection of the central bulge shows many points of light that are actually globular clusters. M104's spectacular dust rings harbor many younger and brighter stars, and show intricate details astronomers don't yet fully understand. The very center of the Sombrero glows across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and is thought to house a large black hole. Fifty million-year-old light from the Sombrero Galaxy can be seen with a small telescope towards the constellation of Virgo.

M104 • 212 65 Zond 8호가 촬영한 달 Zond 8호가 촬영한 달 2013.07.16 22:02

이 사진은 어느 위성을 찍은 것일까? 이것은 지구의 위성인 달이다.

우리의 달이 이처럼 낯설게 보이는 이유 중 하나는 우리에게 익숙치 않은 각도에서 촬영되었기 때문이다. 이 사진은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1970년 10월 달을 공전했던 구 소련의 우주선 존드 8호(Zond 8)에 의해 촬영되었다.

Zond 8호가 촬영한 달 • 214 사진에서 위쪽에 확연히 눈에 띄는 검은 중심부를 가진 원형 구조물은 '동쪽 바다(Mare Orientale)'로서 이 지형은 고대에 유성의 충돌에 의해 만들어진 충돌분지이다. '동쪽 바다'는 밝은 색으로 보이는, 촘촘히 짜여진 듯한 질감이 느껴지는 고지대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사진 하단에는 광활하게 펼쳐져 있는 검은 색의 '폭풍의 대양(Oceanus Procellarum)'이 보인다. 이곳은 달에서 가장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검은 바다로서 달에서 항상 지구를 향하고 있는 면을 거의 점유하고 있다.

원래는 인간이 탑승할 예정이었던 존드 8호는 달의 1000킬로미터 거리까지 접근하여 100여장이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했으며 일주일 후 무사히 귀환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16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16.html

원문> The Mo o n fro m Zo nd 8 Image Cre dit & Co pyright: Galspace Explanatio n: Which moon is this? Earth's. Our Moon's unfamiliar appearance is due partly to an unfamiliar viewing angle as captured by a little-known spacecraft -- the Soviet Union's Zond 8 that circled the Moon in October of 1970. Pictured above, the dark-centered circular feature that stands out near the top of the image is Mare Orientale, a massive impact basin formed by an ancient collision with an asteroid. Mare Orientale is surrounded by light colored and highly textured highlands. Across the image bottom lies the dark and expansive Oceanus Procellarum, the largest of the dark (but dry) maria that dominate the side of the Moon that always faces toward the Earth. Originally designed to carry humans, robotic Zond 8 came within 1000 km of the lunar surface, took about 100 detailed photographs on film, and returned them safely to Earth within a week.

Zond 8호가 촬영한 달 • 215 66 용오름 현상 용오름 현상 2013.07.17 22:33

용오름 현상 • 217

저 바다 위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이 사진은 지금까지 용오름을 촬영한 사진 중 가장 선명하게 촬영된 사진의 하나로서 용오름 현상은 바다 위에서 발생하는 토네이도

용오름 현상 • 218 현상중 하나이다.

용오름은 일반적으로 따뜻한 바다위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수증기가 치솟아 오르면서 회전하는 상승 물기둥이 형성되는 현상이다. 용오름은 토네이도만큼이나 위험한 자연현상이기도 하며 이때 바람의 속도는 시속 200킬로미터에 육박한다. 어떤 용오름 현상은 폭풍우와는 완전히 별개로 발생하며 심지어는 상대적으로 청명한 날씨에도 발생하곤 한다.

용오름 현상은 상대적으로 투명한 자연현상으로 눈에 잘 띄지 않는데, 이들이 바다위에서 비정상적인 패턴으로 발생될 때는 확연 히 눈에 띄게 된다.

이 사진은 플로리다 템파베이 근처에서 이달 초에 촬영된 것이다. 플로리다 연안에 맞닿은 대서양은 이론의 여지없이 세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용오름이 생성되는 곳으로 1년에 백여개의 용오름이 발 생하곤 한다. 몇몇 사람들이 이 용오름 현상이 버뮤다 삼각지대에서 발생한 몇몇 실종사건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17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17.html

원문> A Wate rs po ut in Flo rida Image Cre dit & Co pyright: Joey Mole Explanatio n: What's happening over the water? Pictured above is one of the better images yet recorded of a waterspout, a type of tornado that occurs over water. Waterspouts are spinning columns of rising moist air that typically form over warm water. Waterspouts can be as dangerous as tornadoes and can feature wind speeds over 200 kilometers per hour. Some waterspouts form away from thunderstorms and even during relatively fair weather. Waterspouts may be relatively transparent and initially visible only by an unusual pattern they create on the water. The above image was taken earlier this month near Tampa Bay, Florida. The Atlantic Ocean off the coast of Florida is arguably the most active area in the world for waterspouts, with hundreds forming each year. Some people speculate that waterspouts are responsible for some of the losses recorded in the Bermuda Triangle.

용오름 현상 • 219 67 IC 342 IC 342 2013.07.18 22:54

우리 은하의 이웃으로 비슷한 크기를 가진, 밝은 나선은하인 IC 342는 북반구 별자리인 기린자리 방향으로 1천만광년 거리에 위치하 고 있다.

나선팔을 불규칙하게 늘어뜨리고 있는 Ic 342은하는 밤하늘을 장식하는 주요 은하들 중 하나가 될 수 있었을테지만, 이 은하는 우리 은하의 평단면을 따라 가득 들어차 있는 별과 가스, 먼지구름들 사이로 맑은 날에만 언뜻언뜻 보이는 은하이다. 비록 IC 342가 먼지구름들에 가려져 흐리게 보이지만 이 망원경 사진에서는 은하의 빛을 차단하는 먼지구름과 푸른 성단들, 그리고 새로운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분홍빛 점들이 은하의 핵으로부터 멀리떨어진 지점까지 휘어감기며 뻗어있는 나선팔들을 따 라 도열한 모습이 선명히 드러나고 있다.

IC 342는 아마도 새로운 별의 생성을 최근까지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상당히 가까운 거리로 인해 우리 은하와 국부은하군의 진화에 있어 중력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

IC 342 • 221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18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18.html

참고 : IC 342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993970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408

원문> Hidde n Galaxy IC 342 Image Cre dit & Co pyright: Stephen Leshin Explanatio n: Similar in size to large, bright spiral galaxies in our neighborhood, IC 342 is a mere 10 million light-years distant in the long-necked, northern constellation Camelopardalis. A sprawling island universe, IC 342 would otherwise be a prominent galaxy in our night sky, but it is hidden from clear view and only glimpsed through the veil of stars, gas and dust clouds along the plane of our own Milky Way galaxy. Even though IC 342's light is dimmed by intervening cosmic clouds, this deep telescopic image traces the galaxy's obscuring dust, blue star clusters, and glowing pink star forming regions along spiral arms that wind far from the galaxy's core. IC 342 may have undergone a recent burst of star formation activity and is close enough to have gravitationally influenced the evolution of the local group of galaxies and the Milky Way.

IC 342 • 222 68 토성을 찍으세요. 토성을 찍으세요. 2013.07.19 23:06

오늘밤 하늘에 떠 있는 토성을 찍으세요. 당신도 이 사진과 같은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이 사진은 지난달 행성 지구의 남쪽 하늘을 담은 사진이며 , 앞에 보이는 것은 터키 아소스에 있는 아테네 신전의 잔해입니다. 달은 사진 왼쪽편 멀리에서 떠오르고 토성은 상단 우측에 처녀자리의 알파별 스피카 옆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별처럼 보입니다.

만약 당신이 토성을 촬영하거나 토성을 향해 손을 흔드는 사진을 찍는다면 당신은 그 사진을 온라인에서 공유할 수 있고, 토성 모자이크 프로젝트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오늘밤 왜 토성 사진을 찍냐구요? 왜냐하면 오늘 토성 궤도에서 공전중인 카시니호가 당신을, 지구를 촬영할 거랍니다.

토성을 찍으세요. • 224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19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19.html

참고> 2013년 7월 19일, 토성을 향해 손흔들기(Wave at Saturn) 이벤트 관련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3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3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80

원문> Take a Pic ture o f S aturn Image Cre dit & Co pyright: Tun Tezel (TWAN) Explanatio n: Take a picture of Saturn in the sky tonight. You could capture a view like this one. Recorded just last month looking toward the south, planet Earth and ruins of the ancient temple of Athena at Assos, Turkey are in the foreground. The Moon rises at the far left of the frame and Saturn is the bright "star" at the upper right, near Virgo's alpha star Spica (picture with labels). If you do take a picture of Saturn or wave at Saturn and take a picture, you can share it online and submit it to the Saturn Mosaic Project. Why take a picture tonight? Because the Cassini spacecraft will be orbiting Saturn and taking a picture of you.

토성을 찍으세요. • 225 69 레몬 혜성과 깊은 우주 레몬 혜성과 깊은 우주 2013.07.21 09:39

지금 황도면의 높은 고도를 휩쓸며 지나가고 있는 레몬 혜성은 태양계 외곽을 향하고 있으면서 그 밝기가 드라마틱하게 줄어들고 있 다.

태양으로부터 16광분 거리(2AU 거리)에 존재하는 이 혜성은 여전히 초록색 코마를 과시하고 있으며 카시오페이아 자리의 성단과 성운들을 배경으로 촬영된 4도 너비의 이 망원경 사진 우측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별들이 가득 들어차 있는 배경은 우리 은하의 평단면을 따라 위치해 있는 카시오페이아 자리의 경계선에서는 전형적인 풍경에 해당 한다.

사진 중심부근에는 5천광년 거리에 위치하는 M52 산개 성단이 보인다. 약 1만 1천광년 거리에서 붉은 빛을 뿜어내는 NGC 7635성운이 M52의 왼쪽 아래로 보인다.

레몬 혜성과 깊은 우주 • 227 이 성운은 확대사진에서 나타나는 모양을 따서 거품 성운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사진에서는 점점 사그러들고 있는 레몬 혜성만이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우측으로 희미하게 보이는 직선은 오랜시간의 노출을 이용하여 이 사진을 촬영하는 동안 이곳을 가로질러가는 위성이 햇빛을 반사하 면서 잡힌 것이다. 이 위성은 곧 지구의 그림자로 들어가면서 사진에서 사라졌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20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20.html

참고 : NGC 7635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58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6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0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5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58

원문> Co me t Le mmo n and the De e p S ky Image Cre dit & Co pyright: Nick Martin Explanatio n: Now sweeping high above the ecliptic plane, Comet Lemmon has faded dramatically in planet Earth's night sky as it heads for the outer solar system. Some 16 light-minutes (2 AU) from the Sun, it still sports a greenish coma though, posing on the right in this 4 degree wide telescopic view from last Saturday with deep sky star clusters and nebulae in Cassiopeia. In fact, the rich background skyscape is typical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boastful northern constellation that lie along the crowded starfields of the Milky Way. Included near center is open star cluster M52 about 5,000 light-years away. Around 11,000 light-years distant, the red glowing nebula NGC 7635 below and left of M52 is well-known for its appearance in close-up images as the Bubble Nebula. But the fading Comet Lemmon is not the only foreground object on the scene. A faint streak on the right is an orbiting satellite caught crossing through the field during the long exposure, glinting in the sunlight and winking out as it passes into Earth's shadow.

레몬 혜성과 깊은 우주 • 228 70 토성의 계절 토성의 계절 2013.07.21 15:03

토성의 자전궤도는 태양 공전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토성 역시 지구와 마찬가지로 계절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구와의 차이라면 토성의 한 계절은 7년을 넘는 기간동안 진행된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지금 토성의 계절은 무엇일까? 토성의 적도면을 휘감고 있는 토성의 고리는 토성이 맞고 있는 계절을 가시적으로 보여준다. 2009년 우리에게 모서리만을 보여주던 토성의 고리는 2016년까지 매해 점점 그 모습을 명확하게 우리에게 보여줄 것이다. 또한 토성은 밤하늘에서 적합한 위치에 머물며 여름을 맞고 있는 북반구와 겨울을 맞고 있는 남반구의 멋진 모습을 보여주게 될 것

토성의 계절 • 230 이다.

이 사진은 허블 우주망원경이 매해마다 촬영한 토성의 모습으로 왼쪽이 1996년 그리고 오른쪽 끝이 2000년에 촬영된 토성의 모습이 다.

토성의 고리가 마치 단단한 고체덩어리처럼 보이지만 이 고리는 두께가 50미터도 채 되지 않는, 작은 모래 알갱이 크기부터 자동차 정도 크기의 바위까지 개개의 얼음과 바위덩어리들로 구성되어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2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21.html

참고 : 토성의 위상 변화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09

원문> The S e as o ns o f S aturn Image Cre dit: R. G. French (Wellesley College) et al., NASA, ESA, and The Hubble Heritage Team (STScI/AURA) Explanatio n: Since Saturn's axis is tilted as it orbits the Sun, Saturn has seasons, like those of planet Earth ... but Saturn's seasons last for over seven years. So what season is it on Saturn now? Orbiting the equator, the tilt of the rings of Saturn provides quite a graphic seasonal display. Each year until 2016, Saturn's rings will be increasingly apparent after appearing nearly edge-on in 2009. The ringed planet is also well placed in evening skies providing a grand view as summer comes to Saturn's northern hemisphere and winter to the sou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took the above sequence of images about a year apart, starting on the left in 1996 and ending on the right in 2000. Although they look solid, Saturn's Rings are likely less than 50 meters thick and consist of individually orbiting bits of ice and rock ranging in size from grains of sand to barn-sized boulders.

토성의 계절 • 231 71 토성에서 바라본 지구 토성에서 바라본 지구 2013.07.22 23:03

당신은 여기 있다. 그리고 당신이 알고 있는 모든 사람들도 이곳에 있다. 그리고 삶을 영위했던 모든 인류도 이곳에 있다.

이 사진은 토성주변을 공전중인 카시니호가 촬영한 지구와 달이다. 사진에 보이는 두 개 점 중에서 지구는 더 밝게 빛나고 있는 점이며, 달은 그 아래 왼쪽에 위치하고 있다. 사진에 보이는 몇몇 희미한 점들은 별이 아니라 사진을 촬영하는 동안 디티털 카메라에 부딪힌 우주선들이다.

이 사진은 지난 금요일 촬영되었고, 토요일에 발표되었다.

토성에서 바라본 지구 • 233 사진이 촬영될 당시 지구의 많은 사람들이 토성의 사진을 함께 촬영하였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22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22.html

참고> 2013년 7월 19일, 토성을 향해 손흔들기(Wave at Saturn) 이벤트 관련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2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3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80

* 참고 : 7월 19일 NASA 의 '토성을 향해 손흔들어 인사하기(Wave at Saturn)'행사가 있었습니다. 이날 토성궤도를 공전중인 카시니호가 지구를 촬영하는 것에 맞추어 지구에서는 토성을 향해 인사를 하며 사진을 촬영하는 행사였죠. 하지만 그날 서울은 구름이 끼어있었고, 저녁 9시 이후 토성을 촬영할 수가 없었답니다. 안타까운 마음에 토성이 지평선 아래로 가라앉기 전 토성방향을 겨냥하고 사진을 찍었답니다. 비록 토성은 구름 뒷편에 있어 보이지 않았지만 아쉬우나마 그 때 찍은 사진을 여기 함께 담습니다. 저 구름 너머로 카시니호가 우리를 향해 사진을 찍고 있었다고 생각하니 감회가 새롭네요.

토성에서 바라본 지구 • 234

원문> Earth and Mo o n fro m S aturn Image Cre dit: NASA/JPL-Caltech/Space Science Institute Explanatio n: You are here. Everyone you've ever known is here. Every human who has ever lived -- is here. Pictured above is the Earth-Moon system as captured by the Cassini mission orbiting Saturn in the outer Solar System. Earth is the brighter of the two spots near the center, while the Moon is visible to its lower left. The unprocessed image shows several streaks that are not stars but rather cosmic rays that struck the digital camera while it was taking the image. The image was snapped by Cassini on Friday and released on Saturday. At nearly the same time, many humans on Earth were snapping their own pictures of Saturn.

토성에서 바라본 지구 • 235 72 지구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지구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2013.07.23 22:28

태양계를 가로질러 행성간 공간에서 사상 처음으로 지구가 수성과 토성으로부터 같은 날 촬영되었다. 왼쪽의 사진에서 토성의 고리 바로 아래로 창백한 푸른 점처럼 보이는 지구는 토성 궤도를 공전중인 카시니호에 의해 촬영된 것이 다. 그 반면 지구와 지구의 달이 어두운 우주를 배경으로 찰영된 오른쪽 사진은 수성궤도를 공전중인 메신저 호에 의해 촬영되었다.

메신저호가 찍은 사진에서 지구(왼쪽)와 달(오른쪽)은 태양 빛을 반사하며 매우 밝게 빛나고 있다. 지난 금요일 메신저 호는 너무나 희미할 것으로 보이는 수성의 작은 자연 위성을 찾기 위한 일환으로 과노출을 이용해 이 사진을 촬 영하였다.

같은 날 지구의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카메라로 토성을 촬영하였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23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23.html

지구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 237 참고> 2013년 7월 19일, 토성을 향해 손흔들기(Wave at Saturn) 이벤트 관련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2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3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80

원문> Two Vie ws o f Earth Image Cre dit: NASA/JPL-Caltech/Space Science Institute & NASA/JHU Applied Physics Lab/Carnegie Inst. Washington Explanatio n: In a cross-Solar System interplanetary first, our Earth was photographed during the same day from both Mercury and Saturn. Pictured on the left, Earth is the pale blue dot just below the rings of Saturn, as captured by the robotic Cassini spacecraft now the gas giant. Pictured on the right, the Earth-Moon system is seen against a dark background, as captured by the robotic MESSENGER spacecraft now orbiting Mercury. In the MESSENGER image, the Earth (left) and Moon (right) shine brightly with reflected sunlight. MESSENGER took the overexposed image last Friday as part of a search for small natural satellites of the innermost planet, moons that would be expected to be quite dim. During this same day, humans across planet Earth snapped many of their own pictures of Saturn.

지구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 238 73 아름다운 삼엽성운 아름다운 삼엽성운 2013.08.01 20:58

아름다운 삼엽성운은 우주의 콘트라스트를 연구할 수 있는 천체이다.

M20으로도 알려져 있는 이 성운은 성운이 가득 들어차 있는 궁수자리 방향으로 5천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우리 은하의 평단면, 별들의 탄생이 계속되는 있는 지역에 위치한 삼엽 성운의 3가지 색체는 서로 다른 유형의 성운을 보여주고 있 다. 우선 붉은 색의 발광 성운은 수소원자의 복사에 의한 색체가 우세하게 나타나는 성운이며, 파란색의 반사성운은 성운의 먼지에 별빛 이 반사되면서 나타나는 성운이다. 그리고 암흑 성운은 고밀도의 먼지구름이 빛을 막아서면서 보이는 성운이다.

아름다운 삼엽성운 • 240 붉은 색으로 밝게 빛나는 지역은 이 지역을 막아서고 있는 먼지 대역에 의해 3개로 분리되어 보이는데, 이로 인해 삼엽성운이라는 대중적인 이름을 갖게 되었다.

이 고해상도의 천연색 사진에는 붉은 빛의 복사지역을 감싸고 있는 반사성운의 푸른 빛 연무도 드러나고 있다.

이 지역을 확대해서 촬영한 허블 우주망원경의 사진에는 중심부 발광성운의 하단 왼쪽으로는 갓태어난 별에 의해 깍여진 기둥과 제 트가 보인다.

삼엽성운의 지름은 대략 40광년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25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25.html

참고> M20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5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2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6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2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7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44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08

원문> The B e autiful Trifid Image Cre dit & Co pyright: Mximo Ruiz Explanatio n: The beautiful is a cosmic study in contrasts. Also known as M20, it lies about 5,000 light- years away toward the nebula rich constellation Sagittarius. A star forming region in the plane of our galaxy, the Trifid illustrates three different types of astronomical nebulae; red emission nebulae dominated by light emitted by hydrogen atoms, blue reflection nebulae produced by dust reflecting starlight, and dark nebulae where dense dust clouds appear in silhouette. The bright red emission region, roughly separated into three parts by obscuring dust lanes, lends the Trifid its popular name. But in this sharp, colorful scene, the red emission is also surrounded by the the telltale blue haze of reflection nebulae. Pillars and jets sculpted by newborn stars, below and left of the emission nebula's center, appear in Hubble Space Telescope close-up images of the region. The Trifid Nebula is about 40 light-years across.

아름다운 삼엽성운 • 241 74 IC 1396의 코끼리 코 성운 IC 1396의 코끼리 코 성운 2013.08.01 22:14

고위도에 저멀리 자리잡은 세페우스 자리에, 발광성운과 젊은 성단의 복합체인 IC 1396을 가로지르며 휘감겨 있는 코끼리 코 성운은 마치 우주의 아기 코끼리 이야기를 묘사한 삽화같다. 물론 우주의 코끼리 코는 20광년이 넘어설만큼이나 길다.

이 조합 사진은 이 지역에 존재하는 이온화 수소, 황, 산소 원자로부터 복사된 빛을 협대역 필터에 담아내어 만들어졌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사진에 차가운 성간 먼지와 가스 뭉치의 윤곽을 그리고 있는 후퇴각을 가진 먼지능선들을 강조하였다.

이처럼 쌓여있는 어두운 덩굴과 같은 모양의 구름들은 새로운 별을 만들어낼 수 있는 원재료들을 품고 있으며 그 안에는 원시별을

IC 1396의 코끼리 코 성운 • 243 품고 있기도 하다.

3천광년 거리에 위치하지만 상대적으로 희미한 천체인 IC 1396은 하늘에서 거의 5도에 달하는 광활한 지역에 걸쳐 퍼져 있다. 이 확대 모자이크 사진은 그 중 2도 영역을 잡아낸 것인데 그 너비는 4개의 보름달을 합친 크기에 맞먹는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26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26.html

참고> IC 1396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9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01

원문> The Ele phant' s Trunk in IC 1396 Image Cre dit & Co pyright: Juan Lozano de Haro Explanatio n: Like an illustration in a galactic Just So Story, the Elephant's Trunk Nebula winds through the emission nebula and young star cluster complex IC 1396, in the high and far off constellation of Cepheus. Of course, the cosmic elephant's trunk is over 20 light-years long. This composite was recorded through narrow band filters that transmit the light from ionized hydrogen, sulfur, and oxygen atoms in the region. The resulting image highlights the bright swept- back ridges that outline pockets of cool interstellar dust and gas. Such embedded, dark, tendril-shaped clouds contain the raw material for star formation and hide protostars within the obscuring cosmic dust. Nearly 3,000 light-years distant, the relatively faint IC 1396 complex covers a large region on the sky, spanning over 5 degrees. This close-up mosaic covers a 2 degree wide field, about the size of 4 Full Moons.

IC 1396의 코끼리 코 성운 • 244 75 아타카마의 구름낀 밤하늘 아타카마의 구름낀 밤하늘 2013.08.02 22:52

지구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는 칠레의 아타카마 사막에도 가끔은 폭풍구름이 몰려온다. 겨울을 나고 있던 지난 달, 밤하늘에서 쓸려나가는 구름들이 이 파노라마 사진에 담겨졌다.

그러나 구름 사이로 떠 있는, 우리 은하 중심부의 별들과 성운들, 그리고 이곳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 검은 먼지구름들을 포함한 우주의 구름들이 이 지역에 머물고 있는 천문학자들에게 더 환영을 받는다.

은하 중심부의 하단 우측으로는 별빛이 가득찬 남반구의 하늘에는 그 외모에 걸맞는 이름을 가진 대마젤란 성운이 위치하고 있다.

저 멀리 오른쪽 지평선으로는 아직까지도 불을 밝히고 있는 200킬로미터 거리의 도시 불빛이 보이고 그 윗쪽 구름이 몰려 있는 하늘 위로 여전히 밝게 빛나고 있는 별 케노푸스가 보인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27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27.html

원문>

아타카마의 구름낀 밤하늘 • 246 Atac ama' s Clo udy Night Image Cre dit & Co pyright: Yuri Beletsky (Las Campanas Observatory, Carnegie Institution) Explanatio n: Storm clouds do sometimes come to Chile's Atacama desert, known as the driest place on Earth. These washed through the night sky just last month during the winter season, captured in this panoramic view. Drifting between are cosmic clouds more welcome by the region's astronomical residents though, including dark dust clouds in silhouette against the crowded starfields and nebulae of the central Milky Way. Below and right of center lies the Large Magellanic Cloud, appropriately named for its appearance in starry southern skies. City lights about 200 kilometers distant still glow along the horizon at the right, while bright star Canopus shines above them in the cloudy sky.

아타카마의 구름낀 밤하늘 • 247 76 호그의 천체 호그의 천체 2013.08.02 23:01

이 은하는 하나의 은하일까 아니면 서로 다른 두 개의 은하일까? 이 질문은 1950년, 천문학자 아트 호그(Art Hoag)가 이 기이한 은하계 바깥의 천체를 우연히 발견했을 때 제기되었다.

바깥쪽을 감싸고 있는 고리에는 밝은 푸른색의 별들이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중심부에는 훨씬 늙은 별들로 보이는 붉은 빛의 많은 별들이 둥그렇게 뭉쳐있다. 그리고 이 두 개의 천체사이는 거의 완벽한 어둠으로 갈라져 있다.

비록 이 천체의 모습이 지금은 고리 은하라는 이름으로 식별된 천체와 유사한 형태이긴 하지만 어떻게 이 호그의 천체가 이런 모습을 띠게 되었는지는 여전히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호그의 천체 • 249 최초의 가설은 이 은하가 수십억년전 충돌을 겪은 은하이며 지금은 사라진 중심부의 막대에 의한 중력조석작용을 겪었을 것이라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 사진은 2001년 7월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것으로 유례없는 세세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라디오파 관측 결과는 이 호그의 전체가 지난 수십억년 내에 작은 규모의 은하와 병합된 것은 아니라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호그의 천체는 10만광년의 크기를 가지면 뱀자리 방향으로 6억광년 떨어져 있다. 호그의 천체 사이로 우연히 보이는(약 1시 방향) 은하는 또다른 고리은하일 것으로 보이며, 훨씬 멀리 떨어져 있는 천체일 것으로 보 인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28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28.html

원문> Ho ag' s Obje c t: A S trange Ring Galaxy Image Cre dit: Cre dit: R. Lucas (STScI/AURA), Hubble Heritage Team, NASA Explanatio n: Is this one galaxy or two? This question came to light in 1950 when astronomer Art Hoag chanced upon this unusual extragalactic object. On the outside is a ring dominated by bright blue stars, while near the center lies a ball of much redder stars that are likely much older. Between the two is a gap that appears almost completely dark. How Hoag's Object formed remains unknown, although similar objects have now been identified and collectively labeled as a form of ring galaxy. Genesis hypotheses include a galaxy collision billions of years ago and the gravitational effect of a central bar that has since vanished. The above photo taken by the Hubble Space Telescope in July 2001 revealed unprecedented details of Hoag's Object. More recent observations in radio waves indicate that Hoag's Object has not accreted a smaller galaxy in the past billion years. Hoag's Object spans about 100,000 light years and lies about 600 million light years away toward the constellation of the Snake (Serpens). Coincidentally, visible in the gap (at about one o'clock) is yet another ring galaxy that likely lies far in the distance.

호그의 천체 • 250 77 토성, 타이탄, 토성의 고리와 연무 토성, 타이탄, 토성의 고리와 연무 2013.08.02 23:51

이것은 일식장면이 아니다. 이 사진은 토성에서 촬영된, 토성의 고리와 위성들이 분주하게 움직이는 광경을 촬영한 것이다.

사진 중앙에 보이는 커다란 원형 천체는 토성의 가장 거대한 위성인 타이탄으로서, 타이탄은 태양계에서 가장 흥미로운 천체중 하나 이기도 하다.

중심의 검은 점이 바로 타이탄의 몸통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이를 둘러싸고 있는 고리는 가스로 이루어진 타이탄의 대기로서 이곳에서 산란된 태양빛이 카시니호에 탑재되어 있는 카메라에 포착 된 것이다.

토성, 타이탄, 토성의 고리와 연무 • 252

사진 중앙을 수평으로 가로지르고 있는 것은 거의 모서리를 보이고 있는 토성의 고리이다. 타이탄의 하단 오른쪽으로는 토성의 작은 위성인 엔켈라두스가 보인다. 사진이 촬영될 당시 카메라가 태양을 향하고 있었기 때문에 타이탄과 엔켈라두스의 표면이 그림자에 잠긴 모습으로 보이고, 토성의 고리는 마치 음화와 유사하게 보이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엔켈라두스를 정말로 가까이서 보게 된다면 당신은 사진의 하단 쪽에서 엔켈라두스로부터 뿜어져나오는 얼음 제트의 단 서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제트는 미래에 엔켈라두스에 상륙하여 얼음을 뚫고 들어가 외계 생명체의 흔적을 탐색해볼만한 생각을 하게 만든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29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29.html

참고>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2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6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8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7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0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41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43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64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8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3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6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70

원문> S aturn, Titan, Rings , and Haze Image Cre dit: Cassini Imaging Team, SSI, JPL, ESA, NASA Explanatio n: This is not a solar eclipse. Pictured above is a busy vista of moons and rings taken at Saturn. The large circular object in the center of the image is Titan, the largest moon of Saturn and one of the most intriguing objects in the entire Solar System. The dark spot in the center is the main solid part of the moon. The bright surrounding ring is atmospheric haze above Titan, gas that is scattering sunlight to a camera operating onboard the robotic Cassini spacecraft. Cutting horizontally across the image are the rings of Saturn, seen nearly edge on. At the lower right of Titan is Enceladus, a small moon of Saturn. Since the image was taken pointing nearly at the Sun, the surfaces of Titan and Enceladus appear in silhouette, and the rings of Saturn appear similar to a photographic negative. Now if you look really really closely at Enceladus, you can see a hint of icy jets shooting out toward the bottom of the image. It is these jets that inspired future proposals to land on Enceladus, burrow into the ice, and

토성, 타이탄, 토성의 고리와 연무 • 253 search for signs of extraterrestrial life.

토성, 타이탄, 토성의 고리와 연무 • 254 78 에스키모 성운 에스키모 성운 2013.08.05 23:05

1787년, 천문학자 윌리암 허셜은 에스키모 성운을 발견하였다.

지구에서 바라본 NGC 2392는 머리에 파카모자를 두른 사람처럼 보인다. 2000년에 허블 우주망원경은 에스키모 성운을 가시광선으로 촬영하였으며 2007년에는 찬드라 X선 망원경이 이 성운을 X선으로 촬영 하였다.

중심부 고온의 가스로부터 복사되어 나오는 X선을 분홍색으로 표현한 이 사진은 가시광선과 X선 사진을 합성한 것으로서 지난 주에

에스키모 성운 • 256 발표되었다. 우주에서 바라본 이 성운은 복잡한 가스구름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상태이다.

에스키모 성운은 명백하게 행성상 성운임에 분명하며 이 가스에는 고작 1만년전 폭발한 우리 태양과 같은 별의 외피가 포함되어 있 다. 내부에 보이는 필라멘트들은 중심부에 위치한 별로부터 강력한 입자 폭풍이 쏟아져나오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외곽 원반에는 기이하게 보이는 1광년 길이의 오랜지색 필라멘트들이 포함되어 있다.

에스키모 성운은 1/3광년에 걸쳐 펼쳐져 있으며 우리 은하 내에서 쌍동이 자리 방향으로 3천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7월 30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0730.html

원문> The Es kimo Ne bula fro m Hubble and Chandra Image Cre dit: X-ray: NASA/CXC/IAA-CSIC/N. Ruiz et al.; Optical: NASA/STScI Explanatio n: In 1787, astronomer William Herschel discovered the Eskimo Nebula. From the ground, NGC 2392 resembles a person's head surrounded by a parka hood. In 2000, the Hubble Space Telescope imaged the Eskimo Nebula in visible light, while the nebula was imaged in X-rays by the Chandra X-ray Observatory in 2007. The above combined visible-X ray image, with X-rays emitted by central hot gas and shown in pink, was released last week. From space, the nebula displays gas clouds so complex they are not fully understood. The Eskimo Nebula is clearly a planetary nebula, and the gas seen above composed the outer layers of a Sun-like star only 10,000 years ago. The inner filaments visible above are being ejected by strong wind of particles from the central star. The outer disk contains unusual light-year long orange filaments. The Eskimo Nebula spans about 1/3 of a light year and lies in our Milky Way Galaxy, about 3,000 light years distant, toward the constellation of the Twins (Gemini).

에스키모 성운 • 257 오늘의 천체사진(APOD) 번역집 2013-2

BigCrunch http://blog.daum.net/bigcrunch 블로그

BigCrunch 저자

2014.02.08 18:52:59 발행일

저작권법에 의해 한국 내에서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와 전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