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Korean History Information Center 2005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Korean History On-Line www.koreanhistory.or.kr Designed by we'll Communications 02-3443-4620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종합정보센터 한국역사종합정보센터 427-010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2-6 koreanhistory@history.go.kr http://www.koreanhistory.or.kr CONTENTS

개관 03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연계서비스도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03 한국역사종합정보센터 소개 한국역사종합정보센터 04 한국역사 분야 기관별데이터베이스 전문정보센터

경상대학교문천각 08 Gyeongsang NationalMun University -cheon-Kak 국가보훈처 10 Ministry of PatriotsRepublic &VeteransAffairs ofKorea 국사편찬위원회 15 National Institute ofKoreanHistory 독립기념관 24 The Independence HallofKorea 국제한국학연구소 명지대학교 27 Myongji UniversityACADEMIA COREANA 민족문화추진회 28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31 The Korea Democracy Foundation 서울대학교규장각 33 Seoul NationalKyujanggak University Royalbrary Li 존경각성균관대학교 36 Sungkyunkwan University Jon’gyeong’gak 전쟁기념관 37 The War Memorial ofKorea 한국국학진흥원 38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한국여성개발원 40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한국학중앙연구원 42 The Academy of KoreanStudies 고전운영실 국립중앙도서관 46 Old and Rare Book CollectionNational Division, Library ofKorea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Korean History On-Line)은 2000년 1월 지식정보자원관리법의 시행에 따라, 지식정보자원관리법의 2001년 한국역사분야3월 국사편찬위원회가 종합정보센터로 지정되어운영하는 한국역사분야 포털사이트입니다.한국역사분야 2005년한국역사분야 12월현재 전문정보센터인 기관의역사자료를통합메타 13개 데이터로, 국립중앙도서관의 한국고전적종합목록을 메타서치방식으로 검색서비스하고, 메타서치방식으로 원문 한국고전적종합목록을 데이터로,데이터는국립중앙도서관의 각기관에서서 비스하는체제를 갖추고있습니다.

한국역사종합정보센터 서비스도 한국역사종합정보센터

교육학술분야 문화분야 지식정보자원 Portal Portal 관리위원회 일반 (정보통신부) 사용자 국가지식정보 국가지식정보 민간 통합검색 시스템 자원관리센터 Portal www.knowledge.go.kr (한국정보문화진흥원)

과학기술분야 분야 Portal Portal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한국역사 (역사분야 Portal) 자문회의 종합정보센터 www.koreanhistory.or.kr 전문정보센터협의회 기술협의회 전문정보센터 전문정보센터

경상대학교문천각 http://nmh.gsnu.ac.kr 국가보훈처공훈전자사료관 http://e-gonghun.mpva.go.kr 국사편찬위원회 http://www.history.go.kr 독립기념관 http://www.independence.or.kr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명지대학교 http://www.e-coreana.or.kr 민족문화추진회 http://www.minchu.or.kr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http://saryo.kdemocracy.or.kr 서울대학교규장각 http://e-kyujanggak.snu.ac.kr 성균관대학교 존경각성균관대학교 http://koco.skku.edu 전쟁기념관 http://www.warmemo.co.kr 한국국학진흥원 http://www.koreastudy.or.kr 한국여성개발원 http://www.womenshistory.re.kr 한국학중앙연구원 DB서비스 http://yoksa.aks.ac.kr 국립중앙도서관 고전운영실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nl_classics/

3 Korean History ON-Line 한국역사종합정보센터(韓國歷史綜合情報 센터)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종합정보센터(韓國歷史綜合情報 : Korean History Information Center

한국역사종합정보센터가 운영하는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은 2000년한국정보문화진흥원이 지식정보자원관리법의 따라 1월 시행에 전담하여운영하는지 식정보자원관리사업 가운데 하나인지식포털이다. 역사분야 식정보자원관리사업

국사편찬위원회는 한국역사분야 종합정보센터로서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을 관리하며,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을 한국역사정보화운영 한국역사분야종합정보센터로서 정책및 전략을 수립하고 역사정보화 관련 표준화 연구 개발 및 중심의포털서비스 사용자 를위한 노력을 다하고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은 있다.현재 기관의 역사자료데이터14개 베이스를 통합메타데이터 방식으로 검색서비스하고방식으로 베이스를통합메타데이터 있다.앞으로도 많은 더 역사관련기관과 대학도서관소장 서비스하고,역사자료를 역사 및 관련연구소에게는학회 웹호스팅을제공 하고자한다. 아울러 한국역사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역사자료의 공유와 해외한국역사연 구자양성을 위해 국제적인네트워크 구축도 준비하고 있다.현재 본 시스템은 총5억여자 의방대한 양의 역사관련 데이터를 보유하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연구자다양한 형태의 와일반 국민에게 우리역사 자료를 손쉽고빠르게 포털사이트로서의서비스하는 역할을다 하고자한다.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4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한국역사종합정보센터 연혁 KHIC(Korean History Information Center) designated and notified in March 2001 by Law of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2001. 3. 정보통신부로부터 국가지식종합정보 5개분야 managed by Korean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 Promotion, an 센터『한국역사분야종합정보센터』로 가운데 affiliated organization of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지정됨 국사편찬위원회가 KHIC established the Korean History On-Line(KHON) and a korean history information policy and strategy. We make an effort on 2002. 1. 역사관련 10개합의로『한국역사분야 기관의 standardization of Korean History Information and maintenance of user- 규약(안)』수립 정보화추진협의회 centered information system. KHON provides a integrated Metadata for searching historical database 2002. 4. 정보화전략계획(ISP)한국역사분야 수립 of 14 organizations, composed of about 5 billion characters. We plan to extend the services to historical collections of related organizations 2003. 3. 한국전산원과전담기관인 국가지식사업 주요 and universities and offer webhosting services for related societies and 4개기관『한국역사분야종합정보센터운영 합의로 research institutions. 규정(안)』수립 KHIC History 2003. 8개기관연계 포탈서비스 Mar. 2001: Designated as the Korean History Information Center for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which is one of 5 2004. 12개기관 포탈서비스 연계 시스템 구축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Center 2004. 10. 12. 한국역사분야종합정보센터운영규정(국사편찬 Jan. 2002 : Made『 An agreement of Korean History Information promotion council』 제106호) 위원회규정 제정 Mar. 2003 : Established『 A Management Provision of Korean History 2004. 12. 2. 국사편찬위원회·민족문화추진회·한국과학기술 Information Center』 agreement with National Computerization 인문과학정보 『과학기술정보와 정보연구원이 Agency, specialized national agency for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협정』체결 관한 공동 연구·활용에 2003 : Opened Korean History On-Line (8 organizations) 2005. 한국역사분야전문정보센터협의회(4회) 및 2004 : Opened Korean History On-Line (12 organizations) 기술협의회(1회) 개최 Oct. 2004 : Set『 A Management Provision of Korean History Information Center』 (NIKH 106) 2005. 11.24.『韓日機關歷史資料情報化 專門家 FORUM』 Dec. 2004 : Concluded 『 An agreement for Cooperative research and 개최(국사편찬위원회) appl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gy Information and Human Studies Information 」 among NIKH,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and 2005. 11. 14개기관 포탈서비스 연계 시스템 구축-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경상대학교문천각, 국가보훈처, 국사편찬위원회, 2005 : be held Korea History Data Information Center Council and 독립기념관,명지대학교국제한국학연구소, 민족문화 Korea History Data Information Center Technology Council 추진회,서울대학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규장각, 존경각,성균관대학교 전쟁기념관, 한국국학진흥원, Nov. 2005 : be held『 韓日歷史資料情報化 機關 專門家 FORUM 』 at NIKH 국립중앙도서관한국여성개발원,한국학중앙연구원, 고전운영실 Nov. 2005 : Opened Korean History On-Line (14 organizations)

5 Korean History ON-Line Korean History Information Center 2005

경상대학교 문천각경상대학교 공훈전자사료관국가보훈처 / / 국사편찬위원회 /독립기념관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명지대학교 민족문화추진회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서울대학교 규장각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 존경각/ /한국국학진흥원 전쟁기념관 한국여성개발원 한국여성개발원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전운영실국립중앙도서관 /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한국역사분야 전문정보센터 기관별 데이터베이스 기관별 전문정보센터 한국역사분야

문천각(慶尙大學校 경상대학교 文泉閣)

문천각은경상대학교 도서관 고서실의명칭으로,1986년에 설치된 경남지역 유일의고문헌관 리전문 도서관이다. 조선중기 경상우도지역의 학문을 주도하였던 남명 조식(南冥 曺植, 1501~1572)을 비롯한 그의학파를연구하고, 역사와 경남지역의 문화연구를진흥시키고자하 는 경상대학교와 지역민의 열망에 열망에 지역민의는 힘입어경상대학교와 2001년 대학 남명학관(南冥學館)이내에10월 건립되자, 도서관에서는 남명학 도서관에서는 지역학 효율적으로및 위해지원하기연구를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던고서 및관련 자료 일체를 남명학관으로 이관하고, 2001년23일 고서실을‘문천각’으로명명하 10월 여개관하였다. 이곳에는 여러경남지역현재 문중에서 2만기증한 5천여 점의고문헌과고서영 인본자료 2만여 경상남도유형문화재 권, 8종 1,682점 총 5만여 등 점의자료가소장되어있다.

남명 조식 관련 고문헌 조선중기지역의 경상우도 주도하였던 학문을 남명조식(南冥 曺植)과 직접적으로관련된고 문헌 DB로, 여러 판본과「학기유편(學「남명선생문집(南冥先生文集)」의 문집인 남명 조식의 記類編)」, 연보(年譜),문인록(門人錄), 덕천서원(德川書院) 관련 기록등을제공한다.

남명 조식과 교유한 인물의 고문헌 「산해사우연원록(山海師友淵源錄)」 :1636년에 무민당 박인(无悶堂 朴絪, 1583~1640)이편 찬한 「산해사우연원록」에 수록된 남명의 찬한「산해사우연원록」에 종유인(從遊人)24명, 문인(門人) 50명의인적사 항과문집 및 관련 기록을 제공한다.

「덕천서원원생록(德川書院院生錄)」 : 일명‘청금록(靑衿錄)’으로도 불리는 「덕천서원원생 불리는 일명‘청금록(靑衿錄)’으로도 「덕천서원원생록(德川書院院生錄)」: 록」에 수록된남명의 록」에 문인및 사숙인 372명의인적사항과 문집 및 관련기록을제공한다.

「산해연원록(山海淵源錄)」「산해연원록」(1894년경 : 간행)에 수록된 남명의종유인과문 인 111명의인적사항과 문집 및 관련 기록을 제공한다.

「덕천사우연원록(德川師友淵源錄)」: 담헌 하우선(澹軒 河禹善, 1894~1975)이 편찬간행한 「덕천사우연원록」에 수록된 남명의종유인과 「덕천사우연원록」에 문인 및 사숙인249명의 인적사항과 문집및 관련기록을 제공한다.

경상우도지역 문집류 조선초기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경상우도지역 유학자의 인적사항과 유학자의 및관련 문집 기록을 제공한다. 경상우도지역 이르기까지 근대에 조선초기에서

경상우도지역 기록류 경상우도지역의 학문을 연구하는데참고하여야 경상우도지역경상우도지역의 될 관련 군지(郡誌), 읍지(邑誌) 등의기록을 제공한다.

경상우도지역 고문서류 문천각및 경남지역 개인및 문중 소장 고문서 정보를 제공한다.

경상우도지역 책판류 경남지역 고인쇄에 사용된고인쇄에 문천각경남지역 소장 책판 정보를 제공한다.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8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Mun-Cheon-Kak(文泉閣 ), Gyeongsang National Sanhae’s Original Circle(山海淵源錄 ): This was published around University 1894, and includes information on 111 friends and students of Nammyeong’s.

The collection of old books The Original Deokcheon Circle (Deokcheon, was another and local archival materials pen name of Nammyeong’s 德川師友淵源錄 ): This book was has been an activity of edited by Ha Wooseon (河禹善 , 1894~1975), whose own pen Gyeongsang University Library name was “Damheon(澹軒 )”. It offers information on 249 of since the establishment of Nammyeong’s friends, students and followers. the Department of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 The Collected Works of Confucian Scholars provides in 1989, which was then information on Confucian scholars from the western housed within the Library. The Department has been unique Gyeongsang area, starting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in Gyeongnam Province. In October 2001, the Department Dynasty through modern times. moved to Nammyeong Hall, a new building erected in memory of a leading local scholar from the Joseon Dynasty, and named after him. The construction of this building had been a long- standing wish of local residents and the university in order to promote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studies, and provide better access to the Nammyeong Collections. The Department of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 was officially renamed the “Literary Well Office” (Mun-cheon-kak) during the inauguration ceremony of Nammyeong Hall on October 23rd, 2001. The aims of the Literary Well Office are threefold: to acquire, catalog and conserve old books and archive materials; to serve the specialist interests of amateur historians, as well as academics and professional researchers; to become the leading resource centre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Western area of .

Books and archival materials on Master Jo Nammyeong Database provides several editions of Collected Works of Master Jo Nammyeong(南冥先生文集 ) as well as Hak-ki-yu-pyeon(學記類 編 ), Nammyeong’s Annals(年譜 ), Mun-in-rok(門人錄 ), and records related to the Deokcheon Confucian School(德川書院 ).

Archival materials on the Nammyeong Circle Description of Master Sanhae’s Circle (San-hae, was another pen name to refer to Jo Sik’s house 山海師友淵源錄 ): This book was edited by Park In (朴絪 , 1583~1640), whose own pen name was “Mu-min-dang”(无悶堂 ). The book provides information on 24 friends and 50 students.

List of Students Allowed to Attend the Deokcheon Confucian School(德川書院院生錄 ): This list, sometimes called “Cheong-gum- rok”(靑衿錄 ), gives details on 372 alumni of the Nammyeong’s school.

9 Korean History ON-Line 국가보훈처(國家報勳處)

국가보훈처는 1961년에설립되어 주권을 국가의 수호·회복하고 체제를발전시키는 데공헌한 분들을 독립유공자·국가유공자·참전유공자 등으로 예우·선양하고등으로 있다.이의 분들을 일환으로독립 독립유공자·국가유공자·참전유공자 운동,6·25전쟁, 4·19혁명관한 등에 자료를 수집·검토하여43,000여 명의독립운동가색인을 작성해두고있으며, 독립운동으로 포상 받은 분들의「독립유공자공훈록」15권과 실은 공적을 「해외의한국독립운동사료」 28권등의 서적을 특히 발간하였다. 독립유공자의 포상심사를위 해제출된자서전, 공적개요, 등 판결문 심사자료를35,000여 건의 파일내에소장하고있다.

독립운동사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가 1970년부터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가 1978년까지 9년간에 약 걸쳐 의병항쟁사,3·1운동사(상 ·하),임시정부사, 독립군전투사(상·하), 의열투쟁사, 문화투쟁사, 학생독립운동사,대중투쟁 사등 간행하였으며, 총10권의『독립운동사』를 이를 Text Full 데이터베이스로구축하였다.

독립운동사자료집 1971년부터1978년까지 9년간에 약 걸쳐발간된 의병항쟁, 3·1운동, 임시정부,독립군전투,의 열투쟁,문화투쟁, 학생운동, 재일한국인민족운동 대중투쟁, 독립운동사자료집 17권의 총 등 을 2004년4권에 이어 모두Text 데이터베이스로구축하였다. Full

해외의 한국독립운동사료 국가보훈처에서 해외의 한국독립운동사료 시리즈로 해외의 한국독립운동사료 국가보훈처에서 간행한총 28권의 자료를 스캔,DB하여 원문과함께 제공하고 있다. 내용은 임시정부와 28권의 관련자료,국제연맹 독일외무성문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승인관련문서, 대한민국임시정부 독립운동단체 자료, 중국 관내 발간 신문의 독립운동관련 기사,독립군 수기,안중근 관련 3·1운동자료, 요시찰인명부,대한민국임 독립선언서와 격문, 시정부와광복군, 신한청년·진광·한민·한국청년·조 간도관계서류,미주한인민족운동자료, 선의용대통신·조선의용대, 대동공보, 선의용대통신·조선의용대, KOREA REVIE W, THE KOREA N A M ERICA N TIM ES, THE KOREA N STUDENT BULLETIN, NAPKO PROJECT OF OSS, KOREA N STUDENTS ’ A N N UAL 등이다.

폭도에 관한 편책 폭도에관한 편책은 1907년부터이른바‘폭도토벌’을 일제가 구실로탄압했던정 1910년까지 미의병 관련자료이다. 미의병 총89권으로 이루어진 이총무처에서 정부기록문서인‘경 1966년 자료는 무관계서류(警務關係書類)’를 무관계서류(警務關係書類)’를 축소 촬영할 당시, MF로 현재 촬영되어국가기록원에 보존되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자료를 원본이미지와 이 바탕으로 함께 제공하고 있다.다만,국 사편찬위원회에서「한국독립운동사자료(의병편)」으로 출간한 바 있어 연계를검토하고 있다. 사편찬위원회에서「한국독립운동사자료(의병편)」으로

독립유공자증언자료집 독립유공자로 포상된독립유공자로 안춘생, 김승곤,윤경빈, 이규창, 오항선,김상권, 임형선,권쾌복,서상 교,성장환, 김정숙,장호강, 백창섭, 이병훈,김윤경, 박준기,김상길, 류흥수,성창환,이두표 선생의관한독립운동에 증언록을 FullText로 제공하고있다.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10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일본의 한국침략사료총서 관되어있다. 그러나 방위청본의 경우, 문서 오류가있어순서의 이자료는 1867년부터 1945 서이를 내용에 재배치하였다. 맞게 판본의 이는 미국 경우에도 년까지약 미공개되80년간 마찬가지다.현재 원문제공과 메타테이타를 함께 추출하여 서비 었던일제의대한침략 관련 스를제공한다. 비밀문서를 1988년 한국출 고등경찰요사 판문화원에서 영인한판문화원에서 것이 며,이를 데이터베이스하였 고등경찰요사는 1934년독립운동가들을 경상북도경찰부에서 탄 다. 총47권, 약 40,000면 위한압하기교양자료로 고등경찰의 편찬한 것이다. 총 350여 면, 에달하는 자료에는 이 동 29만여 자에 달하는 책은 이 유일본으로 알려진 조지훈선생의 학농민전쟁 당시 한국보호에 관한 청·일교섭 자료, 청·일교섭당시 학농민전쟁한국보호에 청·일전쟁후 자료, 관한 소장본(뒷부분낙장)과 장기홍선생의 소장본(앞부분 낙장)을서 일본정부의 대한정책, 일본정부의갑오개혁에 관한 러·일전쟁 교섭, 전일본 로보완·복원하여 1970년영인하여 발간되었다. 이자료는간행 의 군비상황, 러·일전쟁시 의러·일전쟁시 군비상황, 한·청양국 경영에 관한 건언(建言), 이후필독서로 연구자들에게이용되었고, 자주 포상자료유공자 러·일전쟁 당시 일본육군의전투보고, 러·일전쟁 노령내 한인의 법률상위 로서많이 활용된 관계로 FullText로 입력하여제공하고있다. 치와러시아 관헌의 한인취급방침, 노국월보(露國月報), 구한말 공적조서 러시아의한국토지 조차관계, 1910년대통감정치 및일본의통 공적조서는 독립운동가의 공적을독립운동가의 심사·공적조서는 치에대한 논평관계, 관한 러·일협약,한국에 1910년대 각지조 포상하기위해 작성된서류이다. 1948년 선인회설립 관계, 한국주둔 러·일전쟁관계,병영부지 일본군의 이승만과이시영 건국훈장이2인에게 포 시일본의 군사경영, 한국 각지 개항 관계,일본 망명객김옥균 상된후 포상업무를 총무처에서 관할하 ·박영효·이용익 등과 의화궁(義和宮)·이준용(李埈鎔) ·박영효·이용익 등에관 였으나,현실적 어려움으로 1960년대에 한동정, 러시아 관련자료, 통감부 두만강·압록강방 정황보고, 는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업무를 담당하였 는국사편찬위원회에서 면청·한양국 거주 조사, 거주 청국 대한청의회유정조선인에 다.그후 1977년부터 국가원호처(현재의 책, 1898년부산과 이후 한국 남대문지소편책, 1901~2년한국지 보훈처)로 지금까지이관되어업무가 내려오고있다. 따라서공적 소매수 관련 지방정황보고,자료, 조선주차군의 1920년대 초반 조서는 독립운동가들의 신상정보와활동을 조서는독립운동가들의 살필 있는 수 귀중한 간도사건관계서류, 1920년대중반 조선공산당 검거, 북경체류 자료로서, 2005년까지 약 10,000여 명의독립운동가가포상되었 조선인개황, 조선군역사, 1936~1940년 조선사상운동개관,1920 다. 자료를 이 FullText와원문이미지로 함께제공하고있다. 년전반 발송한 조선군참모부에서 관계서류, 간도출병사, 재만 조선인사정,지원병제도에조선인 관한 조선혁명당건, 이용방책, 신분장지문원지 1940년조선군연락회동에서의군사령관 훈시,1940년대 초반재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일제강점기 활동하다 일경에 체포되어 옥고를치 중한인의 상황, 1940년대기밀작전일지, 간도 판도에관한한· 른분들에 관한 기록으로, 총 18,663명의 신상정보가자세히수 청양국의분의(紛議) 등이수록되어 있다. 록되어 있어록되어 독립운동가생애와 활동을복원할 있는 수 귀중한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 자료이자국가보훈처가 유일하게 소장하고 있는 자료이다. 이 자료는 연도별·작성기관별로 구조가 대체적으로상이하나 자료는약간 연도별·작성기관별로 일본 외무성·육해군성에 보관되어 있는이 일본외무성·육해군성에 자료는 총7권, 12,000 보면성명, 이명,성별, 신분,직업, 연령, 본적, 출생지,주소,작 여면으로 있으며,구성되어 1919년 3·1운동부터 1923년까지국 성연도,죄명, 인치년월일, 송치년월일,송치기관, 판결년도일,수 내외독립운동에편철되어관한 보고문서들로 있다. 다만,이자 형개시일,출옥일, 석방장소, 형기, 언도관서, 집행관서,범죄사실 료는 2차세계대전 후 미국이 반출하여워싱턴 소재 Library of 개요,처분년월일, 처분장소 등의 구성되어 항목들로 있고,독립 Congress Photoduplication Service에서MF로촬영·보관하고 운동가의좌우 10개의날인되어지문이 있다. 있으며,후일 일본으로 반납하여 현재 일본 방위청에도 MF가보

11 Korean History ON-Line 수형인명부 이른바 수형인명부는 일제강점기 투옥된 인사들에일제강점기 이른바수형인명부는 관한 기록이다.수형인명부에다만, 등재된 인사는독립운동가뿐만 아니라 사회적있기에범죄로 혼재되어 구속된 사람들이 조심스럽게 판별해야 하는 어려움이 하는어려움이판별해야 수형인명부와 있다. 문서로는유사한 형사사건부,범죄인명부, 명적표, 집행명부 등이 집행명부있으나, 수형인명부라 통칭하여 칭하였다.자료들은국가기록원을 이 비롯하여 읍·면 사무소에 보관되어 있던 것을 수집·정리하였다. 사무소에보관되어 읍·면 있던것을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Bohun”, the meaning and philosophy of the ministry responsible for National Meritorious people, such as Korean independent movement activists, veterans and sacrificed advocaters for democratization of Korea, is a lot more than just a word. Though the word literally translates as ‘to honor and secure the stable lives for their contribution and merits, the Relative Acts define the purpose of National Merit Rewards as follows; “The Republic of Korea’s current development and prosperity is indebted to those National Meritorious people who made contributions and sacrifices through their distinguished services and patriotic actions to the nation.” “The idea of Bohun, or Merit Reward, is that the contributions and sacrifices of heroes should always be recognized as a model of noble patriotism. Because of their actions, adequate benefits are to be provided in order to maintain and ensure an honorable life for them and their bereaved families.” To realize this formidable vision, the Ministry of Patriots & Veterans Affairs(MPVA), focuses not only on providing national meritorious people with the benefits which they deserve, but also on working together with the general community to broaden and deepen public awareness of the reasons why national meritorious people have earned our infinite respect.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s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s Compilation Committee compiled ten books on independence movements over approximately nine years from 1970 to 1978 and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created databases of those books. It includes the History of the Volunteer Army’s Resistanc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two volumes), Histor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China, History of the Combats Korean Troops Engaged In Against the Imperialist Japanese Army(two volumes), History of the Struggle Endured by Volunteers, History of the Cultural Struggle, History of the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s, and History of the Struggles of the General Public.

The collection of materials concerning independence movements Databases in full text were created on the 17-volume collection of materials concerning independence movements published from 1971 to 1978, including History of the Volunteer Army’s Resistanc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Histor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China, History of the Combats Korean Troops Engaged In Against the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12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Imperialist Japanese Army, History of the Struggle Endured by Recording of testimonies of those of merit concerning Volunteers, History of the Cultural Struggle, and History of the the nation’s independence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s, after four volumes were This contains testimonies made by award-winners for their part initially registered in 2004. in the nation’s independence. The winners include Ahn Chun- saeng, Kim Seung-gon, Yun Gyeong-bin, Yi Gyu-chang, Oh Historical materials concerning independence Hang-seon, Kim Sang-gwon, Lim Hyeong-seon, Kwon Kwe-bok, movements carried out overseas Seo Sang-gyo, Seong Jang-hwan, Kim Jeong-suk, Jang Ho-gang,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provides a database Baek Chang-seop, Yi Byeong-hun, Kim Yun-gyeong, Park Jun-gi, of a total of 28 scanned volumes of historical materials concerning Kim Sang-gil, Ryu Heung-su, Seong Chang-hwan, and Yi Du-pyo. independence movements carried out overseas, along with their original materials. There is a total of 28 volumes of materials The collection of historical materials concerning concerning the nation’s provisional government during the Japan’s invasion of Korea imperialist Japanese colonial rule, the Union of Nation’s documents The collection contains undisclosed classified materials on Japan’s concerning approval of the nation’s Provisional Government, invasion of Korea, which spanned a period of approximately 80 documents issued by the Foreign Ministry of Germany, materials years from 1867 to 1945. Its photoprinting in 1988 by the Korea concerning organizations involved in independence movements, Publishing Cultural Institute was compiled into a database along such as the nation’s Provisional Government, the Korean with its original versions. The collection of the historical materials Independence Army, the Joseon Voluntary Troops, articles of Japan’s invasion of Korea, consisting of about 40,000 in Chinese newspapers concerning ’ independence pages in 47 volumes, features: negotiations between the Qing movements, memos left by Korean independence fighters, Ahn Dynasty and Japan regarding the protection of Korea during Jung-geun (who shot Japanese senior statesman Ito Hirobumi the Donghak Peasant Uprising of 1894, Japan’s policy on Korea to death at Harbin Station, China in 1909), Declaration of following the Sino-Japanese War, negotiations on , Independence in March 1919 and relevant manifestos, a blacklist Japan’s military preparedness before the Russo-Japanese War, made by Japanese (concerning leaders of the nation’s Provisional management of Korea and the Qing during the Russo-Japanese Government, and Koreans in Russian Territory and North Kando War, reports on the Japanese army’s battle during the Russo- 北間島 areas), materials concerning nationalist movement Japanese War, Koreans’ legal status in Russia and the Russian by Koreans in America, documents concerning Kando, and government’s policy on treating Koreans, the Russian Monthly publications, such as New Korean Youths, Jingwang, Hanmin, Newsletter, leasing by Russia of Korean land during the late Korean Youths, the Korean Volunteer Troops Gazette, The Joseon Dynasty, governing of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Daedong Gazette, Korea Review, The Korean American Times, and commentaries on Japanese reign in the 1910s, the Russo- The Korean Student Bulletin, Napko Project of OSS, and Korean Japanese Treaty on Korea, establishment of Korean associations Students’ Annual. in the 1910s, the barracks site for Japanese troops stationed in Korea, Japan’s military management during the Russo-Japanese Report on the mob War, opening of ports in various parts of Korea, information The report on the mob relates to the Jeongmi(1907) volunteer on exiles to Japan such as Kim Ok-gyun, Park Yeong-ho, and Yi soldiers that the colonial Japanese suppressed under the pretext Yong-ik, as well as on Yi Jun-yong, leasing of Jiaozhou Bay and of subjugating rioters from 1907 to 1910. The collection, Yeosun Port and the Korea-Russia Treaty on Korea Preservation comprised of a total of 89 volumes, was recorded on microfilm in 1898, the Russo-Korean Treaty on leasing Masan Inlet and in 1966 when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non-cession of Geojedo Island, Russia’s proposal on Korea’s placed the government records of documents (police-related permanent neutralization, circumstances reports by the Office of documents) on microfilm, and is currently preserved in the the Residency-General in Korea, surveys on the residents of Korea National Archives & Records Service. Its database is provided and the Qing Dynasty alongside the Duman River and the Apnok along with images of the original materials. The National River, the Qing’s conciliation policy on Koreans, reports on Institute of Korea History, which translated and published the and Namdaemun branch offices in Korea after 1898, bribing historical materials concerning independence movements of Korean branch offices during 1901~1902, reports by Korea- (Volunteer Army’s Resistance), is reviewing an interconnection stationed troops on the local situation, the Kando Incident in the with Korean versions. NEXT▶▶

13 Korean History ON-Line early 1920s, apprehension of Korean Communist Party members and Yi Si-yeong in 1948, and later, the meritorious service work in the mid 1920s, information on Koreans residing in Beijing, was undertaken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history on the Korean military, overview of Korean thought For its effective management, the work was then transferred to movements during 1936~1940, documents forwarded by the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in the 1960s. Thereafter Staffing Affairs Department of the Joseon Army during the early and since 1977, the work was transferred to the Office of 1920s, history on dispatching troops to Kando, information Veterans Administration (currently, the Ministry of Patriots & on Koreans residing in Manchuria, system of volunteer Korean Veterans Affairs). Thus, the written evidences on meritorious troops, measures to utilize the Korean Revolutionary Party, the service serve as a precious material for studying the personal military commander’s admonitory speech to the Korean military information of independence activists. Based on the material, liaison meeting in 1940, information on Korean residents in about 10,000 independence activists were presented with China in the early 1940s, the secret operation diary in the late citations up until 2004. The material’s full texts and original 1940s, disputes between Korea and the Qing regarding the images have been made available. Kando political landscape, and others. Sinbun jangjimun wonji (records on personal informationof Documents concerning Korean commotion incidents imprisoned independence activists) The collection, housed in the archive of the Japan Foreign The record feature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18,663 Office and the Army and Navy, is comprised of 13,000 pages in independence activists who were captured and suffered seven volumes. It contains reports on Koreans’ independence imprison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It serves movements conducted, ranging from the March 1st as a valuable material to reinstate the lives and activities of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to various independence independence activists, and is the only version of its kind that movements that occurred both at home and abroad until is possessed by the Ministry of Patriots & Veterans Affairs. 1923. The collection was recorded on microfilm by the United This material, albeit slightly varying in format according to States after World War II, and the microfilms are housed in compilation year and institution, generally consists of items such the Library Congress Photoduplication Service in Washington. as name, alias, gender, social class, occupation, age, ancestral Later, the collection was returned to Japan and was recorded seat, place of birth, address, compilation year, the type of crime, on microfilm, and the microfilms are kept by Japan’s Ministry of custody date, forwarding date, forwarding agency, ruling date, Defense. The American version has been much better preserved. imprisonment commencement date, release date, release place, The collection’s original texts and metadata have been made imprisonment term, sentencing agency, execution agency, crime available. outline, disposition date, and disposition place. It also features ten fingerprints from both hands of independence activists. Summary history on haute police The summary history on haute police was compiled by Directory of prisoners Gyeongsangbuk-do’s Keisatsu bu, or police department, in 1934 The directory of prisoners features records on those who were to guide Japanese haute police on how to suppress Korean imprison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directory lists independence activists. The book of 350 pages, consisting of not only independence activists, but criminals as well, requiring some 290,000 letters, was recovered from a combination of one to exercise discernible judgment in reading the material. Jo Ji-hun’s housed version (pages from the latter part missing), The directory of prisoners includes a list of criminals, a list of known as the only version, and Jang Gi-hong’s housed version criminal cases, records on personal information of prisoners, (pages from the beginning part missing), and was photoprinted and execution list. The directory, compiled from data housed and published in 1970. This material has remained essential for at the National Archives & Records Service and from eup and researchers and is used for selecting candidates for meritorious myeon offices, features the name, alias, date of birth, permanent service citations. It has been made available in full text. domicile, place of birth, address, occupation, name of crime, imprisonment term, ruling date, confirmation date, number of Written evidences on meritorious service executions, place of decision, and others. Written evidences on meritorious service are designed to screen the meritorious service of independence activists and present citations to them. Citations were presented to Rhee Syng-man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14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국사편찬위원회(國史編纂委員會)

국사편찬위원회는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는 조사·수집하고,자료를 이를 토대로역사를 연구·편찬하는국 우리 가기구이다. 1946년「조선왕조실록」·「승정원일기」 이래 창설된 3월에 등 1,000여권의자료 집을간행하였고, 각종 고서와 수집하여고문서,해외자료를 학계에 제공해 왔다.현재정보화 의추세에 맞추어 대부분의 전산화하고, 업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자료를 인터넷으로방대한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는 조선시대 역사기록인「승정원일기」와 「비변사등록」을 비롯하여 각종 제공하고있다.역사기록인「승정원일기」와 여기에는조선시대 자료가있고,포함되어 한국사연구의최신 정보들이 제공되고 있다.2001년 또한 한국역사분야 종합정보센터로 지정되었으며, 아울러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을 운영·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 아울러지정되었으며,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을 종합정보센터로 고있다.

중국정사조선전 중국정사조선전은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중국정사조선전 역주≫1~4(1987~1990년)를간행한≪중국정사조선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중국정사조선전은 전 문 입력·디지털화한 것이다. ≪중국정사조선전 것이다. ≪중국정사조선전 역주≫는 사기(史記)에서청사고(淸史稿)에 문 이르 입력·디지털화한 는 24종조선전(동이전)을중국 정사의 주석, 국역및 원문교감하였다.

한국고대사료집성 한국고대사료집성은 한국고대사료집성은 74종에 달하는각종 중국 한국고대사문헌에서 관련 자료를 발췌,정리한 것이다.다양한 자료속에 산재한 일목요연하게한국 모으고 관련기록을 한데 정리하여사료 이용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본 데이터베이스는 국사편찬위원회가 수행한 <한국고대사료의 편의를이용의국사편찬위원회가 집 도모하였다.수행한 데이터베이스는 본 성과사업>(1998~2004년)의전산화 결과물로서, 향후 계속적으로 추가할계획에있다.

비변사등록 비변사등록은 비변사의 회의비변사의 비변사등록은 내용을 자료이다.수록한 현존하는 비변사등록은 광해군9년부 터고종 29년까지 12대276년간의 기록으로 중간중간 잃어버린 부분(총 54년)이있다.원본은 규장각에서 소장하고규장각에서 있으며 모두국사편찬위원회에서는 273책이다. 1959년과 1960년에초서 로되어 있는 원본을 해서로 옮겨 28권으로 간행한바 있다.비변사는 16세기초국방경비와 관련된사무를 임시기관이었다가전담하는상설기관으로 바뀌었으며,점차 임진왜란을거치 면서국정 정책결정을권력기구로 전반의주도하는 성격이 변화되었다. 직무와권한비변사의 이만큼막중하였던 비변사등록은 그 사료적 가치가 어느 다른 자료보다도 크다.

국역 비변사등록 임진왜란 이후임진왜란 최고 통치 일기인 기관인 비변사의 비변사등록을 일반인이쉽게 읽을수있도 록국역한 것으로, 국사편찬위원회가 간행한≪국역 비변사등록≫ 1∼24집(1989~2001)에 수 록한구축하였다. 내용을데이터베이스로 2002년부터는 입력 전산 작업만 진행하여경종4년 과영조 5년의 추가하였으며, 내용을 향후 지속적인국역사업을 통하여 추가할계획이다.

한국사료총서 한국사료총서는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한국사료총서는 1955년 이래 한국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들을엄선하여 활판학계에인쇄하여 보급한 것이다.현재 매천야록, 해학유서, 기려수필, 변례집요등42개

15 Korean History ON-Line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자료를데이터베이스로 지식정보자원의이 자료는 한국사 기초를 형성할것으로 기대된다.

고종시대사 1863년즉위년으로부터 고종 조선왕조실록·비변사등록때까지를 1910년 강점될 일제에 의해 ·승정원일기·일성록 기타 및 관아기록·외교문서 문집 각 등을 ·승정원일기·일성록 자료로 하여 편년체로 서술한 자료집≪고종시대사≫(1967~72년, 간행)의 6책 내용을디지털화하였다.

중추원조사자료 일제가 식민통치를 위한일제가 식민통치를 기초 자료로정리한 것으로 당시 제반한국사회 분야의생생한실상 을보여주는 자료이다. 조선총독부 중추원의전국적인 사료수집활동 자료로서인류학관계 지적가치를가지고 경제관계로는 있다. 달성군 <경상북도 시장에 관한 등8건,관습관습> 관계로는 <금강관계로는 낙동강 및 니생포락(泥生浦落)연안의 관습 조사 보고서> 등24건,풍속관 계는<제례(祭禮)에 관한 관습 조사 보고서>등 7건, 등총48건의중추원조사자기타9건 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료를데이터베이스로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는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편년체 자료집으로, 1966년부터 1978년까지출판된 입력·디지털화하였다. 원문대로 전13권을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는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모든 부문을 망라하여 주요 사건을 기술하고 자료를수록하였정치·경제·사회·문화의 관련 는데,이를 조선총독부관보, 조선총독부통계연보,위해 조선총독부 비밀문서 및군경관의각 종보고서 관변자료와 등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함께 신문자료, 교민단 대한민국임관계문헌, 시의정원 문서 시의정원 속기록 및 기초자료뿐 등의 광범위한보조자료를 아니라, 이용하였다.

한국독립운동사자료 ≪한국독립운동사자료≫는 국사편찬위원회가 ≪한국독립운동사자료≫는 1970년대에 들어 사료간행사업의 일환으로일 제하주안점을 항일독립운동에 자료집으로, 두고 편찬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각종문서및 임시정부 임시의정원의 속기록, 회의록과임시의정원의 임시정부 3·1운동에 관한 자료, 각종의 의병관계자료, 안중근 및 독립운동가들의 공판기록이 수록되어및 공판기록이 독립운동가들의 있다.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은 국사편찬위원회의 유일소장 국사편찬위원회의 자료를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은 항일독립운동에 일제하 주안점을두고 편찬한 자료집이다. 이 자료집은 105인사건,3·1운동 등에투신한국내외독 립운동가들에 대한 일제의 신문·재판기록을 탈초·교열·번역하여 편찬하였다. 탈초·교열·번역하여 신문·재판기록을 대한 일제의 립운동가들에

한국근현대회사조합자료 회사조합자료는 회사조합자료는 8·15해방을기준으로 이전과 이후로 구분된다.8·15 해방전자료는총11 권으로, 1921년부터 1942년간 조선에 본점을 두었던3만 4,000여 회사와일본및외국회사로 조선에지점을 두었던 1,200여회사, 그리고 조선 내 각종6,710여조합류 개가수록되었다.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16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8·15해방 후 자료는 총 5종으로 이후 해방 1950년대까지존재 전객사일기(典客司日記 :1~8책, ≪각사등록≫ 92집, 1999)를대 하였던 3만2,000여기업체가 수록되어있다. 상으로하고 있다.

직원록자료 각사등록 근대편 직원록자료는 1908년판 ≪대한제국 직원록≫, 1910년부터 1943 서울대학교규장각이 소장하고 있는자료 중1880년대~대한제 년까지의≪조선총독부직원록≫, 1952년판 ≪대한민국직원록 국기중앙 정치·외교·통상·재정· 및 지방 각 생산한 관청에서 ≫을디지털화대상으로 하였다. 단, 조선총독부 직원록의 경우, 등에 사법·왕실 관련된 80종 708책54,154건의 공문서내용을 자료의미비로 인해 1913년, 1915년,1942년, 1943년에한해서는 FullText로 입력하였다. ≪일본제국 직원록≫가운데 ≪일본제국 <조선총독부편>으로 보충하였다. 주한일본공사관기록 반민특위조사기록 1894년부터1910년에 이르기까지 걸친주한일본공사관 17년간에 국사편찬위원회 유일소장국사편찬위원회 자료인 반민특위 조사기록은 친일파 유일소장본이다. 국사편찬위원회의 비밀문서로서 ·통감부의 주 처단을위한 반민특위심문조서로서특별검찰부의 친일인물 행 일본외무성 간,한일본공사관·영사관과 각국주재일본공사관· 적을알 수 있는 자료이다.생생한 반민특위특별검찰부가 반민 영사관과일본외무성 비밀전보·공문으로간 주고받은 구 등에 족행위처벌법에 의거해구속된 반민족행위자(친일파)들을 검거하족행위처벌법에 포함되었다.비밀문서도 정치있고,성되어 일본경시청·헌병대의 는과정부터 공판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관련 자료들을 조사 등 분야에 각 걸친 일본의 ·경제·군사·국제관계·문화 대한(對 기록한것이다. 韓)집행과정은 침략정책의 수립과정까지 나타물론 적나라하게 난다.따라서 이한일관계사를 기록은 비롯한 정치국제관계사, 친일파관련문헌 자료이다.기본적인 등 한국근대사연구에서 사·경제사 ≪민족정기의 심판(民族正氣의 ≪민족정기의 審判)≫, 대공판기(反民≪반민자 者 大公判記)≫,≪반민자죄상기(反民者罪狀記)≫, ≪친일파군상 통감부문서 (親日派群像)≫등 해방직후 간행된 친일파 관련 4종의 자료를 소장 국사편찬위원회 주한일본공사관기록 중 1905~1910년까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데이터베이스로 통감부문서를교서본으로 간행한 자료집 ≪통감부문서≫ 11권 (1998~2000년수록된 내용의데이터베이스이다. 간행)에 자료대한민국사 자료대한민국사는 자료대한민국사는 1945년광복 한국현대사의이후부터 정치사 국내외항일운동문서 회적상황과 흐름, 정치·경제·사 제반정책과 등 정부의 사회상 유일 국사편찬위원회 국내외항일운동문서는 소장 자료인 <일제 회·문화·국제 분야의 중요한 사안과 회·문화·국제 사건들을 정리하고, 이에 경성지방법원편철문서>와 <불령단관계잡건(不逞團關係雜件)> 관련된신문 및 각종 국내외공사 문서를일자별로 정리하여기 이루어졌다.문서군으로 등 일본외무성기록의 그 내용은 국내를 록한앞으로 편년체 자료집이며 간행에맞추어 계속 구축될예정 국외의 한인사회에등 비롯하여만주·상해·일본·러시아·미국 이다. 대한 해외한인사회1차자료로서, 운동,국내 주요사건 및운동에 대한생생한 보고 자료이다. 각사등록 각사등록은 1577년(선조10)부터1910년까지 지방각관아와중 이승만서한철 앙과의왕복문서와 등록류(謄錄類)를 해서(楷書)로 탈초하여편 간행한 이승만서한철은국사편찬위원회에서 ≪이승만관계서한 찬한연구의 사료집이다. 조선시대 기초 원본은 규장각에 소장되 자료집≫총 10권(1944~1965년)과 이승만관계하와이법정자료 어있으므로, 범례에서 책명 규장각소장 도서번호를 제시하였다. 인이승만≫(1915~1936년)을 ≪대한인국민회와 묶어서디지털화 현재 TextDB서비스는 칙사등록(勅使謄錄, ≪각사등록≫ 90/91 하였다. 집, 1997/1998),조하등록(朝賀謄錄, ≪각사등록≫ 91집,1998),

17 Korean History ON-Line 미군정기 군정단·군정중대문서 한국근현대신문자료 주한 미군정사령부 예하에서 남한의 도·시·군 차원의 남한의 지방을실예하에서 주한미군정사령부 공립신보·신한민보·시대일보·중외일보 한국근현대신문자료는 질적으로통치하는기본 단위였던 군정단(軍政團, Headquarters 등으로 구성되었다. ·중앙일보·조선중앙일보·동아일보 이 중 & Headquarters Detachment, Military GovernmentGroup:사 동아일보는≪동아일보색인(東亞日報索引)≫을 대상으로 하여 령부및 사령부파견대 군정단)과 군정중대(軍政中隊, Military 나머지작업하였으며, 신문은 이미간행된 영인본 자료를대상으 Government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Company:군정 로데이터를구축하였다. 색인어를추출하여 본부및 본부중대)의 조직과활동에 관한 자료이다. 한국근현대인물자료 휴전회담회의록 한국 한국근현대인물자료는 근현대에 활동한 다양한 인물들에 휴전회담회의록은 유엔군 휴전회담회의록은 및 미군 측 대해각 인물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한 1차자료의정보를 것이다. 이가장 작성·보관했던 정확한 공식 구축방법은주요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선정하고 속에 그 기록된 문서로, 한국전쟁의 전개 과정과 쟁점, 각인물들의 정보를 정리하였다.종합하여 지금은 2003년도 이 휴전회담에이르는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가 서비스되고 후에데이터베이스화된 있으며, 향후꾸준하 기본자료이다. 게 DB를 예정이다.구축할

유엔의 한국문제처리에 관한 미국무부의 문서 한국사연표 유엔의관한 한국문제처리에 미국무부 문서철로 국립문서미국 시대별연표 : 한국사시대별연표는 근대사연표와현대사연표 기록관리청(NARA)에서 수집한 발굴 자료이다. 로구성되어 있다. 근대사연표는 1860년∼1945년까지 개항기 및 일제강점기의 연표로서, 및 일제강점기의 연대기형식의 자료수십 종을통합 유엔한국임시위원단관계문서 하여단일 DB로구성하였다. 현대사연표는1945년 광복이후 유엔한국임시위원단관계문서는, 1947년 2차미소공동위원 5월 1981년정치·경제·3월까지의 사실을 사회·문화의세 중요한 회결렬 이후 미국의 제안에 따라 1948년1월에 유엔한국임시위 분야로 나누어기록한 ≪대한민국사 상·하권(국사편찬 연표≫ 원단이내한하여 활동한 기록이다. 구체적으로는 유엔 한국임시 위원회, 1984·1985)을데이터베이스로 제공하고있다. 위원단에파견된 미군측 연락장교 존 웨커링(John Weckerling) 주제별연표 : 광고연표, 한국사주제별연표는 회사기업가연표, 준장이남한 내에서벌어진 사건들에 대해 하지(John R.Hodge) 기상재해연표,농민항쟁연표, 식량식생활연표,해외항일운동연 장군에게 보고한장군에게 자료이다. 표,장시연표,근대질병의료연표, 화폐연표, 북한근대여성연표, 한국근현대잡지자료 연표,노비연표, 노동쟁의연표, 전근대여성연표전쟁연표, 등한 국사상의각 주제별로연표를 작성하여 제공하고 있다. 한국근현대잡지자료는 대한제국기부 한국근현대잡지자료는 터해방 이후까지 간행된 총 80종의 사진·유리필름자료 잡지를원문 전부 목차만을 또는 입 국사편찬위원회가 소장하고 있는 국사편찬위원회가 사 력하여디지털화하였다.잡지는 발간 진·유리필름 목록과 진·유리필름 이미지 자료이 된시기에 따라 대한제국기 13종, 일 다.조선사편수회가 1927년 5월에서 제시기 50종,해방 이후 17종으로구 1935년 9월까지 일본· 우리나라와 성되었으며, 이 중 원문을 모두입력 만주지방에산재해 있는 사료를 수 한발행된 잡지는 대한제국기에 학회 집촬영한 것과 근래에 수집한 미국 지 12종과일제시기에 발행된 7종등 총 19종이다. 국회도서관소장 근대관련 추가분으로, 자료 사진자료(2,263종 5,580건), 유리필름(4,802건), 근대자료추가분(121건)이다.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18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조선왕조실록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국보제151호이며 세계기록유산인조선왕조실록(태조~철정) 디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NIKH) is a governmental 지털자료로서 국가차원의 대국민서비스체제를 국가차원의온라인 지털자료로서 구축하고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investigating, collecting, and 있다.조선왕조실록(태조~철종)과 고순종실록의 국역본과원문 compiling historical materials. Since its foundation in March 을원스톱 연계하는 통합 DB를「오례의」, 구축하고, 「악보」, 1946, the NIKH has published over one thousand volumes of 「칠정산」 등 「칠정산」 실록에 그림·도표 보이는 등의 자료는 이미지로 historical materials includ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제작교육 서비스하여 문화콘텐츠 및 자료로 활용할 수있는기 and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We also collected various materials such as old books, documents and materials discovered 반을제공하고있다. overseas to assist scholars and students in their research and studies. 승정원일기 조선시대왕명을 출납하던 승정원일기 가운데현재 규장각에 The NIKH has brought together research accomplishments in 남아있는 인조 원년(1577)부터 융희 4년(1910)까지 288년간의 the field of Korean history and published the (Hanguksa) in 53 volumes. Today, the institute continues to 3,245책을 해서(楷書)로탈초하여 등사·영인한 사료집(141책, investigate and collect historical materials scattered around the 1960~1977)을 새로이 원문과 대조 교감하여 FullText데이터베 world and provides financial supports for research neglected 이스로구축하고 있다. 2004년 현재간행본 141책 가운데68책 areas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y. Having been designated as 을입력 완료하였고, 규장각에서 원문구축한 이미지 DB와민족 KHIC(Korean History Information Center), the NIKH also plays a major role in creating KHON(Korean History On-Line). 문화추진회에서 번역한고종대 자료와 연계하고 문화추진회에서 있다.

한국사연구휘보 Jungguk jeongsa Joseonjeon (Annotated Translation of Sections on Korea in the Standard HistoriesofChina中國正史朝鮮傳) 국사편찬위원회가 국사편찬위원회가 1973년부터 한국사연구활동계속하여 국내외 The collection is a digitalized version of Annotation to the 을 조사·정리하여 계간으로발행하는 을한국사 연구논저 정보지인조사·정리하여 Collection of Joseon-related Extracts from Chinese Historical 한국사연구휘보와 2003년 한국사종합논저목9월 간행·배포한 Records (vol. 1~4) which was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록 CD-ROM을구축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서비스하고 있다. of Korean History during 1987~1990. The annotation was compiled by extracting Joseon-related records from 24 Chinese 한국역사용어 시소러스 historical records such as Shi Chi (史記 ) and Qingshigao (淸史稿 ). 국사편찬위원회가 국사편찬위원회가 2001년부터한국역사용어검색사전으 구축한 Collections of Korean Ancient Historical Materials 로서, 2004년 말 현재 시소러스 표제어 인명·지명· 39,000개, 총 (韓國古代史料集成 ) 서명전거데이터 9,000개를 구축하였다. 2단계(2005~2008)사업 The collection features Korea’s ancient history - related extracts from 74 types of various ancient Chinese records in a manner 으로서는 2005년도부터한국역사용어의영문표기 사업을추진하 that has historical records itemized and arranged to enhance 고있다. convenience of use. This database is the outcome of the Collection and Computerization of Korea’s Ancient Historical

NEXT▶▶

19 Korean History ON-Line Materials Project that was carried out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邊司謄錄 ), Ilgi (the Diaries of Royal Secretariat Korean History during 1998~2004, and it will continue to add 承政院日記 ), Ilseongnok (The Record of Daily Reflections 日省 more data. 錄 ), official records kept by each level of administrative units, diplomatic documents and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Bibyeonsa Deungnok (Records of the Border DefenseCouncil 備邊司謄錄) Research Data of the Military Affairs Commission The record features the minutes of the meeting of (中樞院調査資料) Bibyeonsa(Border Defense Council). The historical collection, Collected for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they are substantial handed down up to the present, features 276 years of records materials concerning various sectors of the Korean society at that over the reign of twelve kings, ranging from the 9th year of King time. A total of 48 cases of national census materials were put Gwanghaegun until the 29th year of King Gojong, with some into a database, including eight on economy, including “Customs intervening records of a total of 54 years missing. The prototype, in the market in Dalseong-gun, Gyeongsangbuk-do,” twenty- comprised of 273 volumes, is housed at the . The four on customs, including “Rice paddies and fields eaten away collection was published in 28 volumes by the National Institute by river streams of the Geumgang River and the Nakdonggang of Korean History after the original versions were converted River,” seven on traditional customs, including “Customs on from cursive style of writing into printed style of writing in 1959 paying homage to dead ancestors,” plus nine others. and 1960. The collection presents the monthly seat order of Bibyeonsa’s members, and the meeting minutes by date. History of 36 Years of Japanese Colonial Rule (日帝侵略下韓國 36年史) Gugyeok Bibyeonsa Deungnok (Translated Records ofthe History of 36 Years of Japanese Colonial Rule was compiled in Border Defense Council 國譯備邊司謄錄) chronological form by NIKH. The entire 13-volume collection, This is a present-day language(Korean) version of the record which was published during 1966~1978, was digitalized. The kept by Bibyeonsa, the Border Defense Council established in collection describes the major events in all categories including the 16th Centur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ontents of the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long with related materials. 24-volume record published by NIKH during the 1989~2001 To this end, the compilation utilized a wide range of materials such period were put into the database. Contents concerning the as the journals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statistical period under the reign of Kings Gyeongjong and Yeongjo were annals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classified documents added as a result of work carried out from 2002. and police and military-related reports from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other government materials, and journalistic Series of Korean Historical Materials(韓國史料叢書) materials, as well as literature related to Korean Provisional Distribu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in the Government and Korean residents organizations, and documents form of type-printed materials based on materials handpicked and shorthand records from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from 1955, the collection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of the knowledge/information source concerning the national Sources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of Korea. So far a total of 42 data, including Maecheon (韓國獨立運動資料) yarok(梅泉野錄 ), Haehak yuseo(海鶴遺書 ), Giryeo supil(騎驢隨筆 ), Materials Concerning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s have made their way into the database. of Korea was compiled with a focus on Koreans’ independence movements against the colonial Japanese by NIKH in the 1970s History of Joseon under the Reign of King Gojong as a part of the efforts to publish historical materials. The (高宗時代史) collection features various documents of Korean Provisional This is a collection of materials put into a database concerning Government, shorthand records and the meeting minutes of the the history in the 1863 (King Gojong’s rising to the throne) Provisional Congress under the Provisional Government, various ~1910 (Japan’s annexation of Korea) period based on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chronology (in 6 volumes, 1967~1972) with the same title, materials related to volunteer soldiers, and trial records on Ahn Joseon wangjo 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朝鮮王朝實錄 ), Jung-geun and other independence activists. Bibyeonsa deungnok (the Records of Border Defense Council 備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20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Sources on the People's treason pursuant to the Anti-national Activities Punishment Law. Independence Movement(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 It features the apprehension and trials of national traitors (pro- This is a collection of materials compiled with a focus on Koreans’ Japanese) and conspirators. independence movements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based on materials kept by NIKH. The materials are comprised of Materials concerning pro-Japanese Koreans during newspaper articles and records of court proceedings concerning Japanese colonial rule(親日派關聯文獻) Koreans engaged in independence movements, including an A database comprised of four sources concerning pro-Japanese event in 1911 in which 105 Koreans were arrested by Japan Korean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such as Judgment of on charges of being involved in the attempted assassination of National Justice, Chronicles of Legal Proceedings concerning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in Korea and an independence Activities Betraying Nation and Compatriots, Chronicles of movement in 1919. To help understand its original texts, the Crimes Perpetrated by Traitors, and Pro-Japanese Korean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collection presents legibly arranged original Japanese versions, as well as translations in the first half of each volume. Material-History of Republic of Korea(資料大韓民國史) A database based on the original chronological collection of Database of the Company and Union in Modern Korea materials with the same title concerning events that occurred (韓國近現代會社組合資料) between August 15, 1945 and June 24, 1950. The materials are The collection is classified into materials before and after comprised of newspaper articles and public/private documents Liberation in 1945. Materials before the Liberation, consisting of circulated and used both in and out of the country concerning eleven volumes, features approximately 34,000 companies with important matters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headquarters based in Korea during 1921~1942, some 1,200 international sectors. Addition of more material to the database Japanese and other foreign companies with branches located in will continue. Korea, and some 6,710 cooperatives of various kinds in Korea. Materials after the August 15th Independence, comprised of five Records of the Capital Bureaus(各司謄錄) volumes, presents some 32,000 companies that operated until This is a collection of official letters exchanged between the the 1950s after the Liberation. central government and provincial offices during the 1577~ 1910 period. Re-arranged in the printed style, it will serve as Database on the Employment Roll of the Japanese a basic material for research of the Joseon Dynasty. Relevant Government-General of Korea(職員錄資料) serial numbers of the originals kept at the Kyujanggak are also The list of public officials is a digitalized version of the 1908 provided. Web-based database service is provided for Chiksa edition of the list of public officials of Daehan jeguk (Korean Deungnok (勅使謄錄 the 90th, 91st section, 1997/1998), Joha Empire), the list of public officials of the Japanese Government Deungnok (朝賀謄錄 the 91st section, 1998), and Jeongaeksa Ilgi General in Korea from 1910 to 1943, and the 1952 edition of (典客使日記 1~8 volumes, 92nd section, 1999). the list of public officials of Korea. In the case of the list of public official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 Korea, given Records of the Capital Bureaus, Modern Edition the lack of its data, it was complemented from the section of (各司謄錄近代篇)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 Korea of the list of public This is a full-text version of the contents of 708 volumes (in 80 officials of the Japanese Empire for the years 1913, 1915, 1942, kinds) and 54,154 cases of official letters made by the central and 1943. government and provincial offices concerning politics, foreign affairs, trade, finance, law enforcement and the royal court Investigation Records of the Special Committee for during Korean Imperial (1897~1910). Their originals are kept by Anti-Nationalist Movement(反民特委調査記錄) the Kyujanggak. A database of a substantial material showing detailed activities of sixty-four pro-Japanese Korean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Documents of the Japanese Legation in Korea based on the Special Prosecutor’s record concerning punishment (駐韓日本公使館記錄) of national traitors. The record describes investigations that were The records compile 17 years of the classified documents of the conducted by the special prosecution to prosecute activities of NEXT▶▶

21 Korean History ON-Line Japanese Legation and Residency-General from 1894~1910, run by the U.S. troops following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the only version of its kind housed at NIKH. The records rule in 1945. are comprised of confidential telegrams and official letters exchanged between the Japanese Legation and Consulate in Armistice Conference minutes Korea and the Japanese Foreign Office, and between Japanese The Armistice Conference minutes were drafted and kept by Legations and Consulates in various nations and the Japanese the U.N. Armed Forces and the U.S. military, and are official Foreign Office. The records also feature confidential documents documents noted for their accuracy. The dossier features the of the Japanese Police Bureau and Military Police. The material development of the Korean War and the relevant arguments exposes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Japan’s surrounding it, as well as the armistice agreement. policies on invading Korea in its political, economic, military, international relations, and cultural sectors. Collection of U.S. Department of State documents Thus, this material is essential in studying Korea’s recent modern concerning the U.N. handling of Korean issues history such as Korea-Japan relationship history, international The document file features the U.S. Department of State relationship history, and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y. documents concerning the U.N. handling of Korean issues. It was acquired from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Documents of the Directorate-General(統監府文書) Administration. This is a database of the contents of the collection of the documents of the Residency-General of Japan sorted out Documents concerning the U.N. Korean Provisional among the records kept by the Japanese Legation in Korea in Conference the 1905~1910 period, based on the 11-volume book with the The documents concerning the U.N. Korean Provisional same title published in the 1988~2000. Conference features the activities of the conference, established in January 1948 at the proposal of the United States, following Collections of Documents on Korean People’s the breakup of the US-Soviet Joint Commission in May 1947. Independence Movement(國內外抗日運動文書) Specifically, the documents contain the reports that U.S. liaison The collection is comprised of the Document File of the military officer Brigadier-General John Weckerling, dispatched to the committee, made to Lieutenant General John R. Hodge Gyeongseong (another name for during Japanese colonial regarding incidents that took place in . rule) District Court, the only version housed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documents of the Japanese Magazine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 Foreign Office such as Bullyeongdan gwangye japgeon (reports The collection features the digitalization outcome of the full on Koreans’resistance movements against imperial Japan). The original texts or tiles only of 80 kinds of magazines that were collection features live reports from the scene on the movements published from the Korean Empire era until after Korea’s of Korean communities both at home and abroad such as liberation. According to their publication dates, the magazines Manchuria, Shanghai, Japan,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as are categorized into 13 kinds from the Korean Empire era, well as the major domestic events and movements. 50 from the imperial Japan era, and 17 from the period after Korea’s liberation. Of these, twelve academic magazines from Letters of Sung-man Rhee(Yi, Seungman), the First the Korean Empire era and seven from the imperial Japan era, President of Republic of Korea(李承晩書翰綴) totaling 19, have been made available in full texts. A collection of Rhee Sung-man’s letters (10 volumes) written in the period between 1944~1965, plus materials concerning the Newspaper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 Federation of Korean Associations, Hawaii in the period between Newspaper articles are comprised of Gongnip Sinbo, Sinhan 1915~1936. Minbo, Sidae Ilbo, Jungoe Ilbo, Choongang Ilbo, and Donga Ilbo newspapers, among others. Of these, Donga Ilbo articles were Documents of Military Government Headquarters and compiled from the Donga Ilbo Index, and the other newspapers Headquarters Company were compiled into a database by extracting keywords from the They are materials concerning the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already published photoprinted materials.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22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Joseon Dynasty are the authentic records of one dynasty which Personal Data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over the longest period of time. Materials concerning modern day distinguished Koreans were compiled into a database featuring information on the figures Seungjeongwon Ilgi(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承政院日記) appearing in collected major materials. The database, first Work is under way to make a full-text database on the basis compiled in 2003, has now been made available, and addition of the 141-volume materials re-arranged in the 1960~1977 of more data will continue. period from the 3,245 books written during the 288-year period (i.e. from 1577 through 1910). By 2004, sixty-eight out of the Chronology by period 141-volume materials were put into the database. A way is The Chronology Korean history are comprised of Chronology mulled to link them with the original text image database made concerning modern history and Chronology concerning the by the Kyujanggak Royal Library and those made during the most recent history. Chronology concerning modern history is reign of King Gojong of the Joseon Dynasty (translated by the a database integrating tens of kinds of existing chronological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materials covering the 1860~1945 period (i.e. the nation’s door-opening period and Japanese colonial rule). Chronology The Bulletin for Korean Historical Studies concerning the most recent history are two-volume (published An integrated database based on the Korean History Research in 1984-1985) database based on the Chronology of History Bulletin published quarterly by NIKH since 1973, and the CD- of Republic of Korea. The database classifies important events ROM entitled the Comprehensive List of Korean History Treatises that occurred between August 15, 1945 and March 1981 into published in September 2003. political, economic, social/cultural sectors. The Thesaurus of Korean Historical Terms Chronology by Theme A dictionary for retrieval of Korean history terms made by the A database of the modern Korean history shown in Chronolog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from 2001. By the end of 2004, a total of 39,000 entries plus 9,000 source data for fifteen sectors, i.e. ads, entrepreneurs, weather disasters, concerning names of people, places and books were put into the farmers’ uprising, food/diet,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s, database. Work is under way to put Korean history terms into market, diseases/medical treatment, currency, women, North English in the project, phase-2 (2005~2008). Korea, slave, labor disputes, war, etc.

Collections of Photos, glass films and images They are comprised of photos (5,580 cases in 2,263 kinds) and glass films (4,802cases) collected by Joseon’s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between May 1929 and September 1935 in Korea, Japan and Manchuria, plus additional most recent data (121 cases) obtained from the U.S. Congress Library.

Joseonwangjo Silr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comprise 1,893 books covering 472 years (1392 ~1863) of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reign of King Taejo, the founder, to the end of the reign of King Cheoljong. Thick extensive set of records is considered to deal with the longest period of a single dynasty of any search records in the world. For their cultural and historic rarity,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deserve world cultural preservation as an invaluable documentary heritage. First, the Annals of the

23 Korean History ON-Line 독립기념관(獨立紀念館)

독립기념관은 외침을 극복하고독립기념관은 민족의 자주와독립을지켜온 우리민족의 국난 극복사와국가 발전사에 관한 자료를 수집·전시·연구함으로써, 국민의 투철한발전사에 국가관을관한민족정신과 수집·전시·연구함으로써, 자료를 정립하는 데이바지함을목적으로 1987년개관하였다.한국독립운동사를 8월 15일 비롯한한국근현대사 관련약 73,000여 점의 자료와 43,000여소장하고 있으며,각종독립운동자료총서 권의 도서를 와논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편찬사업과 등의 7개의 전시관을 통한 전시, 그리고 국민교육의 장으로서 독립정신을 고취시키는 장으로서독립정신을 데 그 역할을 다 하고있다.

전시자료 한국독립운동사와 관련된 한국독립운동사와독립기념관소장자료 약 73,000여점1,700여 중 점의전시자료에 대한제공하고 세부정보를 있다.

독립운동가 국가공훈록에 등재된국가공훈록에대한민국장, 대통령장, 독립장 등 상훈자8,866명에 대한이름,출신지, 훈격,운동계열, 공훈 등의 내용에 대해서비스 하고있다

독립운동 유적지 국내 548곳과중국, 일본,미국, 러시아등 국외 530여 곳의 독립운동유적지에대한정보를 텍스트와 지도를 병행한 검색방법으로 구성하였으며, 지도를병행한텍스트와검색방법으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국내·외전역 에서 펼쳐졌던 우리 민족의 국권회복 노력을 우리민족의국권회복 펼쳐졌던 에서멀티미디어 노력을 매체를 수 통해 있도록볼 구축하였다.

신문자료 독립신문,국민보, 황성신문, 중경대공보,태평양주보, 등 대한민보 일제시기에 발행된신문정 보를신문에 따라 원문, 색인어 등으로이미지, 구축하였다.

선언서·격문 등 3·1 독립선언서를 비롯한228종에 이르는선언서, 격문, 포고문, 성명서, 전단등을원문으로 입력하여 이미지와 같이이미지와 입력하여 볼 수 있도록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인력수탈 구술역사자료 일제하강제동원(징용, 종군위안부)과징병, 연행자의 관련된 구술·음성자료강제 및동영상 자료를녹취록과같이 구축하였으며, 이는 일제 피해사실에 대한 역사적 증거 확보,생존자들 에대한 구술자료채취로 사라져가는 증거자료를역사복원, 통한 생생한 체험사료정리라는 측면에서 의미가있다. 측면에서

번역자료 도산안창호 자료, 서재필 자료,3·1운동 관련 자료, 일본방위청 소장 의병관계자료,중국 당안관자료 등 영어, 일본어,중국어, 러시아어 등으로되어 있는 자료를 번역하고,원문이미 지와 연계하여 서비스할지와 연계하여 구축하였다.수 있도록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24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독립운동가 자료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안창호,한길수, 이동휘,유자명, 헐버트, 방사겸 등독립운동가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is a place dedicated to 관련문건 및 수기 등 약 18,000여 면에 대하여일부번역및탈 display Korean history from past to present, focusing on the 초등을 구축하였다.거쳐 데이터베이스로 원문 이 자료들중일 independence movement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부는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독립운동가들에자료로 위 대한새 This Independence Hall encompasses the full range of Korean 로운 조명과 한국독립운동사의 밝혀지지로운 조명과 한국독립운동사의 않은 새로운 사실을규 history to offer better understanding on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and to enrich knowledge, patriotism, and sheer 명할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enjoyment of Korean people. Devoted to collect, preserve, exhibit, study and research the materials and resources about 대한민국임시정부 관련자료 Korean history, visitors would learn the wisdom of Korean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발행한 광복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조선민족혁명당에 등의 자료와 ancestors in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while reminding Koreans of their national consciousness. 서발행한 조선의용대통신 등 잡지류에대한 원문데이자료를 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터베이스로 이 임시정부의 활동 대한민국자료들은 Displayed materials 을임정과비롯해 관련한 조선민족혁명당의 활동을 파악하는 데 Out of 73,000 items related to the nation’s history of 중요한자료들이다. independence movements kept by the Hall, 1,700 items were selected to be used as the basis for detailed information on displayed items. 미주흥사단 문건 1996년독립기념관이 로스앤젤레스에 미국 있는 미주흥사단으 Those with meritorious deeds in independence 로부터직접 인수한 국내에서는 자료들로서 원본 처음 소개되는 movement 자료들이다.흥사단의 창립과 조직,활동의 내용을 담고있으며 This provides information on 8,866 people of the List of Leading Patriot, such as their places of origin, kinds of medals bestowed, 각종공문서와 서한류 미주지역의 독립운동사를자료들로 등의 names of group they belonged to, etc. 규명하는데 매우 규명하는데중요한 자료로평가되고 있다. Historic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마이크로필름 A user can retrieve information on the sites of independence movement, i.e. 548 places in Korea and 530 places in China, 미국국무부 마이크로필름 외무성으로부터 및 형태로수집일본 Japan, Russia and the U.S., using texts and maps, in addition 된자료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색인어작업과 이미지화작 to seeing the efforts made by Koreans to regain the nation’s 업을통하여 구축하였으며, 한국관계문서」,「미국 국무부 소장 sovereignty via multimedia. 「일본외무성문서」 등 196,000여면을 서비스하고있다. Newspaper articles 독립운동사 발간물 A user can check original texts, images and indices of articles of newspapers published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독립기념관에서 발간한 연구논문, 교양총서,독립기념관에서 관보 등을 HTML과 PDF로및 구축하여한국독립운동사 초·중·고등학생 연구자료 Declarations and written appeals 들의활용할교양학습자료로 구축하였다.수 있도록 Original texts of a total of 228 kinds of declarations, written appeals, manifestos, leaflets, including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n March 1, 1919, are stored so that users can 소장도서 retrieve them along with their images. 독립운동사를중심으로 한국근대사 한 도서 약 43,000여 권의 장서를제목명,저자명과 세부 데이터베이스 목차 등을중심으로 Oral materials concerning Japanese exploitation of Koreans 화하여 체계적인 열람체제를 구축하였다.열람체제를 화하여체계적인 These are materials comprisedof oral statement and video image of Koreans forcefully mobilized by Japan as laborer, servicemen

NEXT▶▶

25 Korean History ON-Line or comfort women. They have the value as historical evidences about the victims of the atrocities perpetrated by Japan.

Foreign-based materials translated into Korean About 1,900 cases of materials in English, Japanese, Chinese and Russian translated into Korean are displayed, along with their original images, including those concerning national leaders, such as Ahn Chang-ho and Seo Jae-pil,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materials kept by the Japanese Defense Agency concerning Korean volunteer troops fighting imperial Japan and materials kept by the National Archives and Documents Bank of China.

Materials concerning independence activists The database features the original texts of the information on independence activities from activists such as Ahn Chang-ho, Han Gil-su, Yi Dong-hui, Yu Ja-myeong, Hulbert, and Bang Sa-gyeom, after about 18,000 pages of related documents and memos were translated, legibly arranged and printed. Of these materials, some were first introduced domestically, shedding new light on the above mentioned independence activists, as well as new facts on independence movements in Korean history that have yet to be revealed.

Materials concerning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Created into this database are the original versions of materials concerning the liberation and others published by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s well as magazines such as Joseon Uiyongdae Tongsin published by the Korean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These materials are crucial in studying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of the Korean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in connection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

Documents concerning the U.S. Heungsadan(興士團) The documents are the original materials that were seized in 1996 from the U.S. Heungsadan (society for fostering activists) in Los Angeles. These documents, first introduced domestically, feature Heungsadan’s inauguration, organization and activities, as well as Heungsadan’ s various official letters and epistles. They are crucial in defining Korean independence movements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Microfilm materials This is a database of materials obtained from the U.S. State Department and the Japanese Foreign Office in the form of microfilms.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use, they are provided with indices and images. They are comprised of a total of 140,000 pages, including documents related to Korea kept by the U.S. State Department and the written records of the Japanese police’s interrogations of Koreans involved in independence movement.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publications A database made in the form of HTML and PDF based on research papers, collections of books and gazettes published by Independence Hall of Korea, it is useful for those studying the nation’s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s an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students.

Books The Hall made a database containing the names, subjects, and detailed indices of the 43,000 books concerning the nation’s modern history, particularly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s.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26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明知大學校 國際韓國學硏究所) 국제한국학연구소(明知大學校 명지대학교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는 학교법인 명지학원에서학교법인 국제한국학연구소는 명지대학교 과거 수세기 동안 지구촌 곳곳에서간 행되어산재해 있는 한국관련 문헌들을 발굴 수집하고 <한국관계고서찾기운동본부>의 있는 성 과물을기반으로하여 2001년에정식으로 국제한국학연구소는 발족하였다. 이러한자료를토대 로세계 속의 한국, 속에서의국제관계 한국, 문화권동아시아 한국 안에서의 등국제적인시각 속에서한국의 위상과정립시키는 한국학을국제적으로 것을 주요 활동방향으로 삼고세계각 국에서진행되고있는 한국학 연구 상황을 조사, 분석, 연구하고 매년국제심포지엄을있으며, 개최하여 한국학의 국제적한국학의 개최하여이바지하고위상을 높이는데 있다.

한국관련 서양고서 원문DB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한국관련서양고서 국제한국학연구소 명지대학교 원문세계적인 DB는 컬렉션인「명 한국학 지대-LG연암문고」에서주요 자료를 선별하여 순차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세계사속의한국 을대중들이쉽고 편리하게 접근할수 있도록서비스할 예정이다.2005년 현재구축된한국 관련서양고서원문 DB에는 총 266권의 영문판 서양고서원문 이미지 및국역목차,색인어 검색서비스와 서지정보가 제공되고 있으며제공되고 서지정보가 검색서비스와 이중 약30%에 해당하는 서지는원문텍스트주요 까지함께서비스 되고 이와있다. 동시에 DB화된 자료의 그림 삽화를별도의검색서비스 및 를제공하여통해한국학의 대중들에게 대중화와연구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Academia Coreana, Myongji University

ACADEMIA COREANA was inaugurated in 2001 as part of the Myongji Academy, which has explored and collected Korea-related archives of antique literature and documents published and dispersed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for dozens of centuries from its Seeking Historical Campaign Headquarters. ACADEMIA COREANA aims to promote Korea and Korean studies in both the East Asian cultural community and the wider international community. To this end, the center surveys and analyzes Korean studies that are being conducted worldwide, and holds international symposiums every year to enhance the global profile of Korean studies.

In 2005 the research center created a database for its archives of Western literature about Korea based on the worldwide collection of literature on Korean studies housed at the Myongji University-LG Yeonam Archive. The project aims to make available information and data in a way that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e general public. The database consists of 266 original English editions of antique Western texts in images, which can be searched via a table of contents translated into Korean with keywords and bibliographies. Major bibliographies, representing 30% of the database, are also provided with the original texts, along with search services for pictures and illustrations stored on the database.

27 Korean History ON-Line 민족문화추진회(民族文化推進會)

민족문화추진회는 전통문화의계승과 민족문화의민족문화추진회는 창달을 목적으로 1965년 학계와문화계의원 로들을 중심으로 설립된 민간단체로 고전의 수집·정리·번역을 통해 민족문화의 보존·전승·개 수집·정리·번역을통해 로들을민족문화의 설립된중심으로 민간단체로 고전의 발·연구를 추진하여 민족문화추진하여「조선왕조실록」의 진흥에이바지하고 발·연구를 국역을완료하 이미 있다. 였고, 현재 「승정원일기」와 「일성록」 였고,및 일반고전을「승정원일기」와 현재 고전국역사업을 대상으로 수행하고있 으며, 우리나라의간행하는 원전정리사업과 「한국문집총간」으로 역대 총정리하여 주요 문집을 부설통해 국역연수원을 국역 국역자인재를 길러내는 양성사업을 수행하고 2000년도부터 있다. 는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에 참여하면서 간행자료에전산화사업을 참여하면서 대한 추진하고 활발하게 는 있다.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에

고전국역총서 고전국역총서는 전통문화의 계승·발전과 고전자료의 대중화를계승·발전과 전통문화의 고전국역총서는 위해 한문으로 된 고전적을 한글로국역한 것으로 국내외의 국학연구자료와 교육자료 및 문화의 대외홍보자료로우리 제공하고 있다. 고전국역총서는 「동국이상국집」, 제공하고있다. 「삼봉집」「동국이상국집」, 우리나라고전국역총서는 등 선현들의 사상과 문학을담고 있는 문집류,「기측체의」 「경세유표」, 등의 한국학 연구의 주요자료가되는 전문서, 「연려실기술」, 「대동야승」 등 역사학 연구의 「연려실기술」, 전문서, 뿐 아니라 민족정체성을확자료가될 립할수 있는 사서류 구성되어등으로 있는데, 그중 48종253책을 DB로구축하였다.

국역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는 조선시대 승정원에서 조선시대 승정원일기는 왕명 출납,제반 행정사무, 의례적사항을 기록한일기로 임진왜란,이괄의 난 등을 거치면서 1623년(인조1)부터 1910년(융희 4)까지의3,243책만남아 있는데,이는 「조선왕조실록」 국정 전반에기록으로 관한 편찬의 광범위한 원자료가되는1 차사료라는 점에서 가치가점에서차사료라는 매우 높다고할 수 있다. 현재 제303호와 유네스코의세계기 국보 록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록유산으로 지정되어 승정원일기」는 「국역 1996년고종대를 시작으로국역에착수하 여고종대를 완료하고, 인조대의 번역이있으며 진행중에 번역이 완료된 고종대 210책중총 189책이 구축되었다.DB로

국역 일성록 일성록은 1752년(영조 28)부터 1910년(융희국왕의 4)까지 동정과주요국정사항을기록한일 기로,현존하는 것은 1760년(영조 36)부터의기록 2,327책이다. 왕의입장에서편찬한일기의 형식을갖추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공식기록으로 「조선왕조실록」 정부의 역시 편찬의이 원자료가되는 1차사료이며, 정리되어 내용이 체계적으로 있고 기사마다 제목이 붙어있어이 용하기에 편리하다.용하기에 국보 제153호로 지정되어 있다. 「국역 일성록」은 1998년정조대를시작 으로국역에 착수하였으며, 그중에 현재 36책이DB로 구축되었고, 서울대학교규장각의「일 성록」 원문 성록」텍스트 이미지와 날짜단위로 서비스되고 연계되어및 있다.

국학원전 국학원전은고전국역총서 DB중에서번역 대본으로 사용된 원문을텍스트로 구축한것으로 한국문집총간에 수록되지한국문집총간에 않은 서목을 대상으로「고려사절요」, 「대동야승」, 「연 하였다. 행록선집」 등 행록선집」 12종 58책이DB로 구축되었으며, 고전국역총서의 동일서목과기사단위로연 계되어 서비스되고 있다서비스되고 계되어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28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한국문집총간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한국문집총간은 고전국역과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which was established to 국학연구의기초자료 제공을 promote national cultures with elders of academic and culture in 목적으로 1910년 이전까지생 1965, aims to preserve, inherit, develop, and research national 존했던역대우리나라 주요 인 cultures through acquisition and translation of old and rare 물들의문집을 체계적으로 수 books. 집·정리하고 표점을 더하여 Work and Activity To collect, organize and research of old and rare books 간행한 자료이다. 현존하는 Compilation and translation of old and rare documents 4,000여 종의 문집 중에서1,200여 종을 선별하여정편350집,속 Publication and propagation of korean old and rare collection 편 150집, 총 500집으로 완간할예정이며, 1988년부터매년20집 Education of translator for old and rare books 씩간행하여 2005년까지 정편이350집이 완간되었다. 그중최치 Publication and propagation of korean research paper 원의 「계원필경」, 송시열의 「송자대전」,송시열의 「여유당전 원의「계원필경」, 정약용의 Read-a-thon development for popularization of old and rare books 서」등 서」등 552종248집이 DB로 구축되었다. Old and rare books tanslation award

한국문집총간 해제 Translated Selections of Korean Classics 한국문집총간해제는 「한국 The Translated Selections of Korean Classics is a library of Korean 문집총간」에 수록된 문집에 classics which have been translated from Chinese writings into Korean for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대한기초적인안내서로 해당 and for the popularization of classic literatures. The selections 문집의형태서지, 저자의 가계 have been offered for the stud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와행력, 편찬및 간행, 구성 for education, and for overseas publicity. The selections include; 과내용을 객관적이고도 상세 a collection of works of thoughts and literatures of ancient sages 하게기술한 국내 최고의 문집 such as Donggug-isanggug-jib and Sambong-jib, technical books which are materials for the studies of Koreanology such as 해제이다. 1991년부터2001년까지 5차례에걸쳐「한국문집 모두 Gyeongse-yupyo and Gicheug-chei, and history books which will 총간」정편 1집에서 255집까지에 수록된 575종의 문집에대한 contribute to establish national spirit as well as historical studies 해제가간행되었는데, 전량 DB로 구축되었다. 특히저자의행 such as Yeonlyeosilgisul and Daedong-yaseung. 48 titles of 253 력은통해연령대별, 상세검색을 인물의시대별로 비교가가능하 books of the 79 titles of 408 books which had been published by 2003 have been processed into database. 여인물 연구에 유용한 DB로 평가된다. Translation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Seungjeongwon Ilgi 國譯承政院日記) The Seungjeongwon Ilgi is a logbook of royal orders, all the administrative business, and ceremonies recorded by the Royal Secretariat of the Joseon Dynasty. 3,243 books from the 1st year of the King Injo(1623) to 1910 have been preserved - previous books had been lost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r the Insurrection of Lee Gwal. The books cover all the matters of the state affairs, of which value is appreciated that they are the first hand and the basic record for prepar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Joseonwangjosillok 朝鮮王朝實錄 ). They are registered as the National Treasure(No. 303) and as the Memory of the World

NEXT▶▶

29 Korean History ON-Line of UNESCO. Translation has been begun in 1996. 7 books of the King Injo and 196 books of the King Gojong has been published by 2003. 179 books from the January of the first year to November of the 35th year of King Gojong have been processed into database.

Translation Ilsungnok(Record of DailyReflection 國譯日省錄) Ilsungnok is a diary of king’s movements and major national administrations, from 1752(28th year of the King Yeongjo) to 1910, of which 2,327 books from 1760 are preserved. The books are written in the form of king’s diary, in fact, they are official records of the government, and also the row records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rticles are described systematically with relevant subjects for the convenience of reference. Registered as a National Treasure(No. 153). Translation has been begun in 1998. 44 books of the king Jeongjo era have been published by 2003, of which 18 books of the March, 1st year to the January, 4th year and 15 books of the February, 10th year to December,11th year of the king have been processed into database. The original text and images, as preserved in the Kyujanggak, can be viewed through reference service on daily basis.

Original Text of Korean Classics This compilation is the database of the original text used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The books in this DB are those not included in the Comprehensive Korean Classics Written Collection. 12 titles of 58 books including Goryeosajeolyo(高麗史節要 ), Daedongyaseung(大東野 乘 ), and Yeonhaengnog-seonjib(燕行錄選集 ) have been processed into database which can be inquired by book titles and articles classified in the Translated Selections of Korean Classics.

Anthology of Korean Classics This collection of historical persons who had lived before 1910 has been systematically collected, compiled and marked for publication in order to provide primary materials for translation and national literature studies. 1,200 titles of 4,000 which have been preserved have been selected and are being published in 500 collections including 350 mains and 150 sub-collections. 320 collections have been published by 2003, by 20 collections a year since 1988. 482 titles of 192 collections including the Gyewonpilgyeong(桂苑筆耕 ) of Choi Chi- Won(崔致遠 ) and Songjadaejeon(宋子大全 ) of Song Si-Yeol(宋時烈 ) have been processed into database. Currently 198 collections are being provided under services with the addition of the DB of the Yeoyudangjeonseo(與猶堂全書 ) of Jeong Yag-Yong(丁若鏞 ) which was constructed by this institution.

Annotation of the Anthology of Korean Classics A primary guide for the Comprehensive Korean Classics Written Collection. This is the most detailed bibliography for the collection describing types, family and personal histories of the authors, compilation and publications, structures and contents. In 5 times from 1991 to 2001, the bibliographies of 575 books in the Comprehensive Korean Classics Written Collection, from 1st to 255th had been published and digitalized. Especially, personal histories of authors are appreciated as a very useful DB enabling detailed and comparative inquiry by ages and eras.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30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民主化運動記念事業會)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民主化運動記念事業會)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한국 민주주의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동력이었던 민주화운동 핵심 정신을 국가적으로계 승·발전시켜야 한다는 사회적 합의에 따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에 의해한다는 사회적 합의에 승·발전시켜야 설립되었다. 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에 따라 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민주화운동을 기념하고 “민주화운동을 그 정신을 계승하기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위한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민주주의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발전에민주주의의이바지함을 이러한하며, 사업의 하나로 민주화운사료관에서는 동의 역사 정리를 위한 사료의 수집·보존·전산화·관리·전시·홍보·조사 연구를 및 수행하고 동의역사 정리를 수집·보존·전산화·관리·전시·홍보·조사 위한 사료의 있다.

민주화운동 관련 문서류 DB 2004년8만 3천여 건,2005년 4만 8천여 건 총 등 건,180만여면에이르는민주화운13만여 동과연관된 각종 기록물(archives) 중 문서류(paper type)를 중심으로국제표준인ISAD(G) 를베이스를데이터 구축하였다.기준으로

1960년대민주화운동 : 3·15의거,4·19혁명, 6·3한일회담반대, 3선개헌저지운동등

1970년대민주화운동민청학련·인혁당사건, : 유신반대투쟁, 3·1민주구국선언, 민주회복국 민회의,노동운동, 재야운동 등

1980년대민주화운동 :1980년 광주항쟁, 5월 민주통일민중연합운동(민통련) 활동,'87년민 주화대투쟁(6월항쟁), 노동자 대투쟁등

1990년대민주화운동 :1990년대 전개된노동운동·농민운동· 활발하게 사회 각 부문별로 도시빈민운동·인권운동·학생운동, 지역활동 등 도시빈민운동·인권운동·학생운동,

2000년대민주화운동 : 현재진행중인 분야별, 지역별활동등

민주화운동 관련 사진 DB 정부수립 이후정부수립 현재에이르기까지 민주화운동과 연관된 사진을 중심으로 하여 <민주화운동 사진을중심으로 한국현대사 한 사진> collection을지향하였다. 민주화운동과관련하여정치 사회적배경이되는 사진,독재정권과 관련된 사진 등 4만 7천여점을 데이터베이스로구축 하였다.

31 Korean History ON-Line The Korea Democracy Foundation

The Korea Democracy Foundation, which was established to pay tribute to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inherit the holy democratic spirit from our pioneering activists and thereby to foster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our society, has celebrated its forth anniversary of its founding. The Foundation’s Archives will collect and preserve every form of historical data associated with Korea ‘s democracy movement from the establishment of our government in 1948 to today. In addition, the Foundation wishes to be the source of information for the public for data and facts on the democracy movement.

Database of documents concerning democratic movements A database of paper type materials has been created in the format of the 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 (ISAD(G)) totaling some 1.8 million pages in 130,000 cases of various archives concerning democratic movements, including some 83,000 cases in 2004 and some 48,000 cases in 2005.

1960s: March 15th Uprising, April 19th Revolution, June 3rd Opposition to Korea-Japan Conference, Opposition Movement Against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Third Straight Term Presidency, etc.

1970s: Mincheonghangnyeon and Inhyeokdang incidents, March 1st Declaration for Democracy and Save the Nation, National Convention for Recovering Democracy, labor movements, dissidents’ democratic movements, etc.

1980s: May 1980 Uprising, Mintongnyeon Democratic Movements, June Democratization Movement, Grand Labor Struggle, etc.

1990s: Labor movements, farmers movements, urban underprivilegedpeople movements, human rights movements, students movements, regional campaigns, etc.

2000s: Activities in progress by category and region, etc.

Database of photos concerning democratic movement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s government, a collection of photos concerning democratic movements in Korean modern history has been compiled into a database. The database contains some 47,000 photos of democratic and social backgrounds and autocratic regimes, among others.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32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규장각(奎章閣)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규장각의 역사는규장각의 서울대학교 1776년 조선의22대 국왕 정조가 창덕궁 후원(後苑)에창설한것에 서시작된다. 규장각은 조선창설되어후기의번영기에 한말, 일제하, 6·25 등민족사의영광과 수난을함께 겪으면서도 소장자료의 그 종류와 수가 꾸준히 늘어났다. 규장각은 국내·외의 일반국민과 한국학 연구자에게 규장각은국내·외의 한국학 원문 정보를제공하기 위하여1999 년도부터 대규모의 정보화사업을 시작한 정보화사업을대규모의 년도부터 이래,1차에서 6차에 현 이르기까지 2.7TB이상71만건, 의자료를 DB로 구축 있으며서비스하고 규장각에서 소장하고 있는 다수의 국보(7종, 7,078책) 와보물(8종, 28책)을 비롯하여 26만여 약 점에 달하는 고문서,책판등을디지털화하고도서와 여있다. 서비스하고

목록 서울대학교 규장각에서 소장하고규장각에서서울대학교 있는 각종 자료들을서명별, 청구기호별, 사부분류별,어학 자료/문학자료별,경제관계문헌, 장토문적류 등으로 분류하여목록을 서비스한다.

해제 한국본과중국본의 도서류, 문집해설, 어문학자료,외교문서, 감리서문서, 아문문서,해관문 서등 구한말고문서 해제를 대해서는등에 대하여 제공하며,영문해제를일부 자료에 제공한다.

고문서 국왕문서(下膳狀,五功臣會盟錄, 備忘記), 왕실문서(令旨, 令書,圖署牌旨), 관부문서(上疏草, 啓文,啓本), 사인문서(土地賣買文記,土地賣買文記 牌旨, 土地賣買文記 考音) 등서울대학교 규장각에서 소장하고 규장각에서있는 디지털화하였다. 고문서를 각종

고지도 조선시대각 지역의자연지리 사회정보를 및 포괄하는 내용을담고 있다. 고지도중상당수 는제작되어 기법으로산수화적 회화적가치도 높으며, 문화적한국의 이미지를 보여줄수있 는보고(寶庫)라고 할 수있다. 현재광여도 7책, 해동지도8책, 동여도, 1872년지방지도,비 변사印방안지도, 조선지도, 팔도군현지도 자료를 구축하였다.

33 Korean History ON-Line 근대정부기록류 각도각군 소장 10종 110책,공문편안 99책, 각 도별 외교자료, 통상관계자료149책,사법품 보 180책등에 대하여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들 자료는 근대화 정책과 서구자본주의열강의 침략에대한 대응의 모습을 살펴볼 있는 수 자료이다. 또한 사법품보는 1894년부터 1910년까 지의 재판기록으로서 각계 지의각층의재판기록으로서 생활 모습과 사고방식, 통치행위등에 관한종합적인정보 를가지고있다.

일성록 1973년 12월에 국보로지정된 일기정조 정사를형식으로국왕의이후 정리한연대기자료이다. 조선시대 규장각이 작성하였기 때문에 작성하였기규장각이규장각을 조선시대 대표적인 상징하는 자료로서 총 2,329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루어져

내각일력 1779년부터1883년까지의 규장각 귀중본일기로서 도서로 있다.실록,승정원일기지정되어 등다른 연대기자료에서 찾아볼 없는 수 내용이 많이 있으며, 1,249책으로 총 이루어져있다.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는 국보 승정원일기는 제303호로서,국왕 비서실에 해당하는 편찬한일기형식의역승정원에서 사인조년간(1623)부터 기록물인데 고종년간(1894)까지총 3,047책으로 이루어졌다.현재영인 본도없는 귀중한 사료이다.

책판 (총102종, 17,821판) 서울대학교 규장각에서 소장하고 규장각에서서울대학교 조선시대 이미지화하였다. 있는 주요 책판을 고경중마방(古 鏡重磨方),釋十九史略通攷), 석십구사략통고(古今歷代標題註 고금역대표제주 광국지경록(光 國志慶錄),속광국지경록(續光國志慶錄) 등 총 102종 17,816판이다.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34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Kyujanggak Royal Library(奎章閣 ), painting. Thus, they are appraised to have high artistic value.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database includes seven gwangyeodo, eight haedong jido, dongyeodo, a provincial map of 1872, a plotting-paper map stamped by Bibyeonsa, a Joseon map, and an eight-province The Kyujanggak Royal Library dates back to 1776 when King map. Jeongjo, the 22nd king of the Joseon Dynasty, constructed its prototype in the gardens at the rear of Changdeokgung Palace(昌 德宮 ). Created during the prosperous days of the late Joseon Government records in modern era Dynasty, Kyujanggak gradually increased the size and scope of its A database of 110 volumes in ten kinds kept by each provincial archives, surviving such national tribulations as Japanese colonial and gun office, 99 collections of compiled official documents, rule and the Korean War. foreign diplomacy documents kept by each province, 149 A large-scale project to create a database for Kyujanggak’s archives volumes of foreign trade-related materials, 180 volumes of court began in 1999, with the goal of providing original information proceeding records. The materials show how the nation took on Korean studies to domestic and overseas nationals and modernization policies and coped with aggressions of Western researchers of Korean studies. To date, a six-phase project has powers. The court proceeding records (Sabeop pumbo 司法稟 been carried out to database over 2.7TB of materials in 710,000 報 ) covering the 1894~1910 period provide comprehensive cases. Kyujanggak is also digitalizing a number of its natio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life style of people of various walks of treasures (7,078 books) and treasures (28 books), as well as life, their way of thinking, and acts of the State. about 260,000 items ranging from historical literature and documents to printing blocks. Ilseongnok (Records of Daily Reflection日省錄) Comprised of 2,329 volumes, it is a chronological material List of materials on daily affairs concerning the Royal Court and high-ranking The Kyujanggak Royal Library provide users with the lists of officials between 1760 and 1910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various materials kept by it,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names was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in December 1973. It is a of books, book classification system, such as linguistic materials/ representative material compiled by the Gyujanggak Royal Library literary materials, economy-related books, etc of the Joseon Dynasty.

Introductions to antique books Naegak illyeok(內閣日錄) It covers ordinary books, collections of books in Korean and A record (comprised of 1,249 volumes) of daily affairs kept by Chinese, linguistic/literary materials, diplomatic documents, the Gyujanggak Royal Library in the 1779~1883 period, it is official documents, including those of the Foreign Trade designated as a precious book. It contains many contents not Supervision Office (Gamriseo) and the Customs House in the found in other chronological materials covering the same period. last days of Korean Empire. Some introductions are provided in English. Seungjeongwon Ilgi (承政院日記) A record of daily affairs at Seungjeongwon, a state institution Antique documents handling, and keeping record concerning, royal orders covering A digitalized database of various antique documents, such as the 1623~1894 period under the reign of Kings Injo and royal documents, such as haseonjang, ogongsin hoemaengnok, Gojong, it is comprised of 3,047 volumes. It is designated as and bimanggi, royal family documents (such as, yeongji, National Treasure No. 303. , and doseopaeji), government documents (such as sangsocho, gyemun, and gyebon), private documents [such Book plates as records of land transactions (toji maemae mungi), relevant This is a material containing the images of major book plates power of attorney (toji maemae mungi paeji), etc]. [17,816 plates in 102 kinds, including Gogyeong jungmabang(古 鏡重磨方 ), Gogeum yeokdae pyoje juseok sipgu saryak tonggo (古 Antique maps 今歷代標題註釋十九史略通攷 ), Gwanggukjigyeongnok(光國志慶錄 ), It contains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natural geography etc] of the Joseon Dynasty kept by the Kyujanggak Royal Library and the state of society of the Joseon Dynasty. Many of th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tique maps were made using the technique of landscape

35 Korean History ON-Line 성균관대학교 존경각(成均館大學校 성균관대학교 尊經閣)

성균관대학교 존경각은 동아시아성균관대학교 수집·정리·가공하 학술자료 관련 체계적으로 연구 성과를 및 여제공하기 연구자들에게 전문도서관으로서 위한 고문헌, 양장본 및 각종도서 마이크로필름 자료와 해외학술지를 구비하고 있으며,구비하고자료와 해외학술지를 데이터를웹서비스하고이미지원본 고문헌의 있다.

한국경학자료시스템 한국경학가(經學家)들이 사서(四書 : 論語 孟子大學 中庸)와오경(五經 :詩經書經易經禮 記春秋)에 자신들의 관해 학술적 견해를 풀어놓은 주석서(註釋書)들을 집대성한한국경학 자료집성 145책의데이터베이스로 원문이미지도구축하고 해제를 텍스트와 함께제공하고있 다.다양한검색기능을 도입해원하는 자료를 입체적으로재구성해 활용할 수있는등이용 자들의최대한편의성을 설계되었으며고려해 주석별특히, 검색은경서의 원문과관련된주 석들을 일목요연하게 조망해 석들을일목요연하게 볼 수 기초자료가 한국경학자료시스템의 되는한국경학자 있다. 료집성은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이 한국의경학자료에 대한정리의필요성을 대동문화연구원이 성균관대학교 료집성은 절감하고, 1988년부터1999년까지 11년여에걸쳐 150여명의 전문가와 50여명의실무진을참여시켜발 굴집대성한세계적으로도수집한 경학자료를 책으로 그 명성이 높다.

Jon’gyeong’gak(尊經閣 ), University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jingxue (經學 ) in Chinese, is not only conventional but also the most important method in East Asia to study politics, economics, culture, and philosophy, even in the modern times. In the past times of East Asia, those who concerned themselves with Confucian learning wrote a considerable number of works that purported to display their thoughts in the manner of interpreting Confucian classics. In the recent years, a number of efforts have been made for cataloging and critically compiling this vast amount of scholarly heritage in China and Japan for their own possessions, and therefore well-arranged texts are now available to the modern researchers of East Asian studies. Nevertheless, until recently, the texts of the similar nature surviving in Korea were not arranged in a desired manner, and such a situation made the researchers even in Korea difficult to have an access to many of these texts or to have the whole picture of about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n Korea of the traditional times.

Complete Collection of the Korean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 database of 145 volumes of texts of the Collection of Confucian Classics in Korea and Introductions published by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e original text images are also provided. A variety of retrieval functions adopted makes it possible for users to reconfigure only the materialsthey want to use in three dimensions. In particular, search by annotation allows one to view notes related to the classics in a streamlined perspective. As the foundation of its system (http://koco.skku.edu), the Complete Collection of the Korean Study of Confucian Classics was compiled by the Institute of Eastern Studies at Sungkyunkwan University, when the institute, over a period of eleven years from 1988 to 1999, hired some 150 experts and some 50 staffs to explore and gather Confucian classics. The collection is renowned worldwide.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36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전쟁기념관(戰爭紀念館)

전쟁기념관은 고대로부터 현대까지의 전쟁에 관한 자료를 수집·보존·전시·연구하고, 전쟁의교 수집·보존·전시·연구하고, 전쟁에 현대까지의 고대로부터 관한전쟁기념관은 자료를 훈을통하여전쟁의 예방과 조국의평화적 통일을이바지함을 이룩하는데 목적으로 1994년6월 10일개관하여 현재에이르고 있다.전쟁기념관은 조국을 목숨을 위해 바친 선열들의숭고한희 생정신을 추모하고 후세들에게 선열들이 추모하고생정신을 후세들에게 남긴 소중한 전쟁자료와 체험하게함으로교훈을 보고 써 평화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는 호국·안보교육의 도량이자 국제외교 국위선양의 호국·안보교육의써 도량이자 깨닫게평화의소중함을및 국제외교 현장으로서, 하는 후손에게 물려줄 귀중한 문화유산임을 명심하여 봉사·책임·창의의 정신으로 관리·운영하는데 봉사·책임·창의의정신으로 후손에게물려줄 귀중한 명심하여 문화유산임을 최선의 노력을최선의 다하고 있다.

6·25 전쟁과 월남전쟁 한민족전쟁사 중 한민족전쟁사 가장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있는 분야로 정보, 호국인물 전쟁·전투정보, 전쟁·군사사 사진 정보,전적지·기념비전쟁·군사사 정보와 요소인공통 무기·군사 유물 정보와전쟁· 군사원고용어사전을 형식으로 집필 전쟁사가공하여 접근도와정보에 대한 활용도를고려, 이해하기 쉽도록 현재이해하기 3,130건이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있다.

The War Memorial of Korea

The War Memorial of Korea, which was opened to collect, preserve and exhibit historical materials of war at June 1994, contribute to war prevention and peaceful unification achievement. The War Memorial of Korea cherishs a spirit of sacrifice of a deceased patriots and makes an effort on management the war historical materials that posterity realizes the importance of peace through learning by war material and lesson.

Materials concerning the Korean War and the Vietnam War A database containing a total of 3,130 cases of materials, including information on national patriots, the two wars and combats, battle sites, monuments, weapons, military relics, military terminologies and photographs which are considering its accessibility and utility into the war history information. The two wars are those for which studies have been the most actively carried out among the war history on the Korea.

37 Korean History ON-Line 한국국학진흥원(韓國國學振興院)

한국국학진흥원은 전통의한국국학진흥원은 창조적 계승을 통해 미래의 정신가치를모색하려는 목적 아래민간 소장 국학자료의 체계적인 조사·수집, 연구·연수 조사·수집, 소장 등을체계적인 국학자료의종합 수행하는 국학기관이다. 2001년본 관 개관과 더불어 추진중인 국학자료 수집운동으로 고서·고문서·목판관개관과 더불어추진중인 국학자료 수집운동으로 등 14만 점의자료를갖 추었다.이들 자료 중에는 보물 36종448점이 포함되어있으며, 특히 목판의경우37,000장이 수집되어 국내에서 팔만대장경을 소장하고 팔만대장경을 국내에서있는 해인사에 수집되어 이어가장 많은 목판을 소장하고있다. 국학원은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영인·해제집국학원은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발간, 번역, 고전 연구과제수행, 국역전문가육성, 문중유물특별전 개최 문중유물특별전등의 연구사업을활발하게 수행해 오고 있다.이미 목판 10만장수장규 모의장판각(2개동)을 갖추었으며, 2006년 유교문화박물관(1,300평)과 연수관(300명수용)이완 공되면 명실상부한공되면종합 국학기관으로 자리 잡게 된다.

영남사림문집 퇴계학파중심의데이터베이스로 유학자들 문집을 구축해 제공하고 있다. 총 1,328종 3,503책 의서지와해제정보를갖추고 있는데, 이 중에서 1,912책은본문 이미지로 구축되어있고972 책은텍스트로 구축되어다양한 검색이 가능하다. 문집에 관한한 현재 국내최대규모의데 이터베이스이며, 특히중심으로영남지역을 이터베이스이며, 한 퇴계학파의 세계를 학문 이해하는 데필수적인 자료이다.

도산서원 고문서 도산서원 광명실에 소장되어 전해오던도산서원소장되어도산서원 광명실에 관련 문서 2,500종 데이터베이스13,238건을 로구축해 제공하고 있다. 전장기,노비안, 등매매문서 서원경제의 현황을 보여주는자료는 물론이고,원임록, 유원록등 서원의 제도적 측면을 보여주는자료, 통문, 간찰,일기류등서 원의일상적운영을 보여주는이르기까지 다양한자료에 고문서들이 포함되어 있다.

명문가 고문서 국학진흥원소장 명문가 데이터베이스로고문서를 구축해 서비스하고 있다. 이들고문서는 조선시대문화를‘유교’가 이해하는 단순한통치이념의코드인 핵심 넘어향촌사회차원을 의 기층질서를 실질적으로 규제하는 규범원리로규제하는의 실질적으로 기층질서를어떻게 수 있었는가를 작동할 보여주는살아 있는가치를지닌다. 사료로서의 재령이씨 현재까지 영해파 종택총 14개 등 영남지역명문가 고문서 20,555종(27,407면)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있다.

사림 일기류 사료 국학진흥원소장 일기류 사료 구축해 데이터베이스로 389종을 서비스하고 있다. 국학원소장 일기류는대부분 미공개 필사본 형식의 조선시대재지자료로서 사림들의 각종 공사(公私)의 삶과이해하는 사회현상을 데 자료이다.중요한 사료는 정치·사회적현안해결이들 일기류 을목적으로 올린 상소관련 서원의일기, 건립이나 제향과관련한 일기, 사신을수행하면서 외교동향및 풍물을 기록한 일기, 당시 의병활동과 전란 관련한일기 등 종류가대단히다양 하다.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38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유학 인물정보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퇴계학파 900명을포함한 인명정보를데이영남지역유학자들의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KSAC) was established as 터베이스로 구축해서비스하고 터베이스로 있다. 데이터베이 고문서 문집 및 the nonprofit foundation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스구축 얻어진 과정에서인물정보를 별도로 가공한 것으로,일 Republic of KSAC in 1995, aiming at the promotion of the 반유학사전이나인물사전에서 찾을수 없는 인물관련 정보가 national culture through the general and systematic research of 다수를차지한다. the endangered traditional culture. KSAC is located in Andong in the region, which 유교문화 유적· 유물 has been the international center of Confucianism culture since Jeseon regime. Due to this geographical condition, KSAC 2005년진행된 지식자원관리‘지식정보기반유 사업 정책과제로 concentrates on the general and deep research of Confucianism 교문화권 체험관광 서비스’에서 구축된 교문화권체험관광유교문화서비스’에서 관련 유적과 culture especially . 유물안동을 데이터베이스이다. 중심으로 한 유교문화권 지역에 According to this project, KSAC not only researches and 분포한 생활·교육·풍류·행정·경관 등 주제5개 영역의 분포한생활·교육·풍류·행정·경관 유적과 preserves recorded heritages related to Confucianism but gathers database on the related materials. In addition, KSAC 유물을 멀티미디어 형식의 데이터베이스로 데이터베이스로 형식의 일반인가공한것으로유물을 멀티미디어 is establishing a museum for the exhibition of the heritages of 의이해에유교문화 유용하다. Confucianism culture and is projecting the establishment of Jangpangak which can keep 100,000 wood-block prints of the 유교문화권 역사연표 results of Confucian scholars’ writings for the registration of the 2005년‘지식정보기반 서비스’에서 구축 체험관광 유교문화권 World Culture Heritage. Through these projects, KSAC is upgrading the research of 한유교문화권 역사연표이다. 1차사업 대상지역인 안동유교문 Korean studies into culture contents-preference leading the 화권의 사회문화·정치경제·역사연혁·인물 등 4개영역의 화권의사회문화·정치경제·역사연혁·인물 역사 digital visuals era out of text-preference. We hope for your 사건과관련 기사내용을포함하고 있다. support and encouragement for the success of these affairs.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of scholar in Yeongnam(嶺 南 ) A database of bibliography concerning 3,503 volumes in 1,328 kinds [written by Confucian scholars, mostly followers of Yi Hwang(李滉 , Penname: Toegye 退溪 )] and introductions. Out of them, 1,912 volumes are made in images and 972 volumes in texts. It is regarded as the largest database concerning literary works in Korea. In particular, the materials are essential in understanding the studies of the Togye school, centering on the Yeongnam Region.

Antique documents kept at Dosan Seowon(陶山書院 ) A database of 13,238 pages of documents in 2,500 kinds kept at Dosan Seowon, a private school run by Yi Hwang in the Joseon Dynasty. It contains a variety of antique documents, including records concerning fields, servants, and transactions, those concerning the school’s systematic aspects, such as Wonimnok(院任錄 ) and Yuwonnok(遊院錄 ), and those showing the school’s day-to-day operation, such as circular letters, letters, and diaries.

39 Korean History ON-Line 한 국여성개발원(韓國女性開發院)

국성발은한국여성개발원은 여성문제에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여성정책 및 여성능력개발,여 성정보 제공을 통하여 여성의 사회참여, 복지증진 및 여성과 국가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1983년에 설립된 국가차원의 여성문제전문연구기관이다.

여성정책사 중앙정부의 여성정책(부녀행정)의 발전사 자료를 정책일반, 법·제도, 고용·노동, 가족·보건· 복지, 교육, 생활·문화, 대외활동, 기타 등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지역여성사 가정생활, 복지, 교육, 문화·예술,인물 등 다양한 지역여성의 변화와 삶,발전에대한발자취 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여성단체 활동사 개화기 여성의 구국운동, '20년대 신여성들의 단체운동, '70년대 노동운동, '80년대여성운동 의 발전, '90년대 여성운동의 다변화 등을 주요 여성단체의 자료(정기간행물, 단체발간도서및 문서)를 통해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여성 문화·교육사 여성의 지위변천 및 생활, 문화에 관련된 자료, 개화기이후 여학교의 역사 및여성교육교재로 삼았던 교육서등을 소개하고 있다.

여성 인물사 정부 정책을 이끌어 온 주요 여성인물들과 여성계의 원로인물들의 구술을 동영상및음성으 로 소개하고 있다.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40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Ko r e a n Wo m e n ’ s D e v e l o p m e n t I n s t i t u t e in the199 0, b as e d on p er io dic als , p u b l i c a t i o n s , a n d d o c u m e n t s o f l e a d i n g w o m e n o r g a n i z a t i o n s .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KWDI) was e s t ablishe d t o c arr y out c ompr ehensiv e r e s e ar ch on w omen’s i s s u e s , M a t e r i a l s c o n c e r n i n g c u l t u r a l a f f a i r s a n d e d u c a t i o n d e v e l o p w o m e n ’ s p o l i c i e s a n d w o m e n ’ s a b i l i t i e s a n d i n c r e a s e c o n c e r n i n g w o m e n w o m e n ’ s s o c i a l p a r t i c i p a t i o n a n d w e l f a r e s o a s t o c o n t r i b u t e t o M a t e r i a l s c o n c e r n in g c h an g e s in t h e s o c i a l s t a t u s o f w o m e n , t h e ir w o m e n ’ s d e v e l o p m e n t a n d t o n a t i o n a l d e v e l o p m e n t . e v er y da y lif e and cultur al ac ti v itie s , de v elopmen t o f w omen’s s c h o o l s i n m o d e r n t i m e s , a n d m a t e r i a l s u s e d f o r w o m e n ’ s e d u c a t i o n . M a t e r i a l s c o n c e r n i n g w o m e n - r e l a t e d p o l i c i e s A d a t a b a s e o f m a t e r i a l s c o n c e r n i n g t h e d e v e l o p m e n t o f w o m e n - H i s t o r y o f D i s t i n g u i s h e d Ko r e a n Wo m e n r e l a t e d p o l i c i e s t a k e n b y t h e G o v e r n m e n t , c l a s s i f i e d i n t o s e c t o r s , Leading women in Korean women’s circles and influential s u c h a s p o l i c i e s i n g e n e r a l , l a w s / i n s t i t u t i o n s , e m p l o y m e n t / l a b o r, w o m e n i n f o r m u l a t i n g t h e n a t i o n ’ s p o l i c i e s a r e f e a t u r e d i n v i d e o family/health/welfare, education, everyday life/culture, social a n d a u d i o m e d i a f o r m a t s . a c t i v i t i e s , e t c .

M a t eri a l s c o n c e rn i n g th e h i s t o ry o f w o men ’s l i f e a s c o m m u n i t y m e m b e r s A da t ab as e o f ma t er ials c onc er ning the de v e lopmen t in w omen’sl i f e a s c o m m u n i t y m e m b e r s , i n c l u d i n g t h e i r f a m i l y l i f e , w e l f a r e a n d e d u c a t i o n f o r t h e m , t h e i r c u l t u r a l / a r t s a c t i v i t i e s , a n d i n f l u e n t i a l w o m e n .

M a t e r i a l s c o n c e r n i n g w o m e n o r g a n i z a t i o n s ’ a c t i v i t i e s A dat ab as e o f mat er ials c onc erning s a v e - the -nation ac ti v itie s c arr ie d out b y w omen o f the int elligent sia at the time o f the n a t i o n ’ s d o o r- o p e n in g in t h e 18 7 0 s , s im i l ar a c t i v i t i e s in t h e 19 2 0 s , w o m e n ’ s l ab o r m o v e m e n t in t h e 19 7 0 s , d e v e l o p m e n t o f w o m e n ’ s m o v e m e n t in t h e 19 8 0 s , an d di v e r s i f i c a t i o n o f w o m e n ’ s mo v emen t

41 Korean History 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韓國學中央硏究院)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문화의 정수를한국문화의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연구하여 깊이 건전한 가치관을 정립하고, 미래한국의 좌표와 기본원리를 탐구하기 위하여좌표와탐구하기 기본원리를 1978년한국정신문화연구원으로30일 6월 설립되었다.이에 전통문화의 현대적 재해석과현대적전통문화의 한국학의 정체성 확립및 21세기 세계화시대에 요구되는가치관과 능력을갖춘 인재 양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3월 2005년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이름을바꾸어 새로운발전을 꾀하고 있다.

장서각 고도서 DB 조선왕실의 도서관이었던 장서각(藏書閣)에 소장된 데이터베이스화한 고도서를 것이다. 15,517종의 원문이미지 256만면과 텍스트정보를이데이터베이스에서제공하913종 3,100책의 고있다. 궁중의례류, 오군영등록류, 관계자료, 낙선재본 한글 고소설 등궁중의역사와문 화에관련된 한국 궁중문화역사자료가 주류를이루고 있다. 한편민간에서편찬된 야사자료 데이터베이스에일기자료가 및 이 집성되어 있다.이자료들 은중앙사 자료의 부족한 부분을보충해 줄 수 있다.2005년도 사업으로일기자료가날자 중심으로 통합되어 서비스되게 서비스되게중심으로 통합되어 연대기자료를된다. 통합적으로열람할 수있게 되어이방면 연구자들의 편의를연구자들의 도모하였다. 장서각에 소장된 팔세보 계통의 8종이 텍스트화되어계보류 서비스되고 있는 것도서비스되고 데이터베이스의큰 이 의궤류의고도서에는 특징이다. 궁중의의식에쓰 였던각종 물품, 도구, 등이 정교하게 복장 그림으로그려져 있으며왕의 행렬을묘사한반차 도가있다. 수록되어 조선시대 궁중의 의식과문화에 관심이 있는이용자를 위하여이들그림 들을 중심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서비스하고 구성하여 들을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있다.10,887건의 물품도와반차도가간 략한설명과 함께 제공되고 텍스트화있다.한글소설의 낙선재본 작업시 한자어의복원도동 시에진행하였는 바,데이터베이스를 복원된 구성하였다.중심으로 한자어를 현재는 27,333개 의 한자어가 4자성어 함께 용례와서비스되고 있다.

수집고문서 DB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지난 한국학중앙연구원이 10여 동안전국의 명가에서 년 수집한 고문서 중 15개 가문4,551점, 21,000컷의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 이 것이다. 데이터베이스에한 수록된재산상속문서,계약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42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문서,법정소송문서,관직임명장 등을 통해서 조선시대 지방사 인물정보의 발굴을 망라적이고 통해더욱 체계적인 인물백과 회에서 이루어진 실생활상을자세하게이루어진 회에서 알 수 있다. 발전시켜예정이다. 갈 데이터베이스로 慶州良洞 書百堂,慶州孫氏 羅州 會津 羅州林氏 滄溪後孫家, 大 田安東金氏 金英漢 所藏本, 固城李氏文書, 法興 尙州 延安李氏 과거합격자 DB 息山宗宅,尙州 晋州鄭氏 愚山 愚伏宗宅, 安東 葛田 順興安氏定 조선시대문과, 무과, 사마시, 합격자 신상정보를 잡과 시대별, 峯宗宅,安東 光山金氏 後彫(凋)堂, 安東 全州柳氏무실宗水谷 성씨별,본관별, 시험 종류별 다양한 방식으로 등 검색할수있 宅,驪州李氏 玉山精舍 古文書,議政府 潘南朴氏 西溪宗宅,周 도록데이터베이스는구성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이 본원장서각 村眞城李氏文書, 晉陽河氏 丹池宗宅, 咸陽朴氏 九堂宗宅古文 에소장된 방대한 방목자료를제작되었는데, 바탕으로 합격자의 書,海南 尹氏蓮洞 宗家 15개 등 가문이 소장한 고문서의원문 단순한신원정보 뿐만이 아니라, 시험연도,합격등수, 시험당시 이미지가 제공되고 있다.제공되고 이미지가 거주지,가족관계 등에대한 상세한 정보도 제공된다. 또한역대 인물 데이터베이스와도 연계 인물검색이 데이터베이스와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향토민속구술녹취자료 차후과거합격자,고려시대 음관정보 등으로 계속 확장됨으로써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창립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초창기인 1980년대 초부터 수집한한 지배층을고려와 완전히 조선시대의 복원하기 위한 밑바탕이 될 국구비문학대계녹취자료와 한국방언집녹취자료, 그리고한국방언집녹취자료, 민요연국구비문학대계녹취자료와 것이다. 구 전문가들이 제공한 한국민요녹취자료를 디지털화하여 데이터디지털화하여구 제공한전문가들이 한국민요녹취자료를 베이스화한 것이다.베이스화한 26,291건의민요, 방언등의음성자료설화, 성씨와 본관 가총 2,878시간서비스되고 있다. 한국의주요 성씨와 본관들에 해당 대한 자세한 정보를제공하 는본관의 데이터베이스이다. 유래, 주요 배출 인물, 항렬자,집 한국문화 화상자료 성촌및 인구 과거로부터현황 등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정보를,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민족문화대백과사전을 편찬시 수집했던 민족문화대백과사전을 한한국학중앙연구원이 성씨별,본관별 검색을 통해 한눈에 볼 있으며, 수 역대인물데 국문화관련필름자료 90,000컷 중 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에 상호 연계될 이터베이스와 구성하였다. 수 있도록 이용되지 않은 이용되지 필름 28,350컷을디지털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것이다.사진자료들을주제에 따라 분류하고간단한 설명을붙 관직명 사전 여이용의편의를 도모하였다. 데이터베이스이다. 구성한사전식으로 관직명을조선시대 관직에 대한외에도 설명정보 관계, 관서, 관직의서열 관계를트리구조 한국사 기초사전 를통해 열람할시각적으로 데이터베이스와수 역대인물 있으며, 한국의역사, 문화와 관련된주요 용어들을 개념, 인물,지명,문 도상호 구성되어연계되도록 있다.차후 고려와 삼국시대의관 헌,작품, 제도,단체, 사건,행사, 유물, 유적,사상등으로구분 직명정보를 통합 검색할 수 있는 확장될 시스템으로 것이다. 하여설명한 자료를데이터베이스화 한 것이다.2,882항목의 용 어들이자세한설명 자료와 서비스되고 함께 있다.

한국역대인물 DB 우리역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인물 16,000여 명에대한상세 한내용을 담은 데이터베이스이국내최대 규모의 인물백과사전 다.한국학정보센터에서 1999년에「한국인물대사전」의 간행한 콘텐츠를기반으로개발되었으며, 이용자참여를통해 지속적으 로콘텐츠 내용을 확충해 나아가고 있다.2005년부터는 데이터 베이스상의 유관한 인물 정보가상호 연계되고 조선조 문과,무 과,사마시, 잡과 합격자서비스할연계 정보와도 것이며, 새로운

43 Korean History ON-Line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was founded with the objects of “studying the essence of Korean culture for establishing the base for new creation with independent historical views and a sound sense of values, seeking the basic principles of future Korea to raise and restore the spirit of the Korean people, and creating and developing Korean culture.” To achieve these objects, the Academy has steadily carried out various projects such as academic research on Korean culture, publishing and translating Korean classics, supporting and cooperating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ions, co-researching and publishing with prominent scholars outside, training Korean studies researchers, and publishing and distributing research materials.

Database of antique literature housed at the Jangseogak Royal Library(藏書閣) The database features antique literature housed at Jangseogak, the Joseon Dynasty’s Royal Library. It provides 2.56 million original image pages of 15,517 kinds, and text-based information in the form of 3,100books of 913 kinds. Dominating the database are Korean royal court-related cultural and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court rituals, documents related to Ogunyeong (five-army garrisons), and ancient Korean novels in Nakseonjae version. These materials can be used to reinstate historical materials in historical dramas and recovering traditional royal costumes. Ancient Korean novel materials, converted into text form, will help activate their studies. Also, materials concerning unofficial history and diaries kept in the civil sector have been compiled into a database. These complement official history-related materials. In 2005, combined diary materials will be provided by period to help related researchers. The database also provides eight kinds of palsebo(official genealogies of officials) genealogic records in text form from the Jangesogak Library. The database currently provides bibliographic notes on 592 kinds of antique literature together with their original images and texts to enhance convenience of use. The academy will endeavor to provide more bibliographic notes. Antique royal books feature detailed pictures of various items, tools, costumes and others that were used in royal ceremonies, as well as Banchado (pictures of ceremonial royal parades). These pictures are useful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royal court ceremonies and rituals practic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database presents 10,887 pictures of related items and ceremonial royal parades, together with brief captions. When Korean novels in Nakseonjae version were converted into text form, the Chinese characters present were recovered simultaneously, thus creating a database centering on Chinese characters. This database is said to be useful in compiling Korean dictionaries. Currently, 27,333 four-syllable Chinese phrases are provided together with their usage.

Database of collected antique literature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created this database featuring 21,000 pieces of 4,551 kinds from 15 families, as a result of some 10 years of collecting antique literature from famous residences nationwide. The database features documents concerning property inheritance, contracts, lawsuits, appointment to government posts, and others, allowing one to take a close look at the lifestyles of local communit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database provides images of original antique literature housed at the said 15 families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44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such as Seobakdang literature from the Gyeongju Sohn family in licentiate examinations, and miscellaneous examinations Yangdong, Gyeongju and so on. administer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periods, surnames, family origins, kinds of examinations, and others. Voice records on native folk materials Created on the basis of the extensive materials housed at the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asdigitalized this database academy’s Jangseogak Library, this database features detailed featuring voice records on the Collections of Korean Oral information on test passers including passers’ test-taking years, Literature and Korean dialects that it has collected since its initial examinations rankings, whereabouts, family information, and years during the 1980s, as well as voice records on Korean folk others. This database can be searched interconnected with the songs that were provided by folk song researchers. A total of database of notable Korean figures. The database will continue 2,878 hours of voice records on 26,291pieces of folk songs, to expand with information on passers of the state-administered legends, and dialects are available. gwageo examination and eumgwan officials during the Goryeo Dynasty, thus providing a full database of the dominant classes Paintings on Korean culture of both dynasties.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as digitalized this database, featuring 28,350 photos, not used for the compilation purpose, Family name and place of family origin out of 90,000 pieces of film data concerning Korean culture that This database feature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major Korean were collected for compiling the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family names and places of family origin. At a glance, according Photos are classified by subject and are presented together with to surnames and places of family origin, searches for information brief descriptions to enhance convenience of use. on places of family origin, notable figures, the proper characters for the names of each generation of the clan, the villages of Basic Korean history dictionary same clans, and populatio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can be The database features the major terminologies of Korean made. This database can be interconnected with the database of history and culture according to concepts, personnel, locations, notable Korean figures. literature, works, systems, organizations, incidents, events, relics, remains, and thoughts. 2,882 entries are provided together with Dictionary on the names of government posts detailed descriptions and related materials. This database features the names of the government posts of the Joseon Dynasty in dictionary format. In addition to Database of notable modern day Korean figures the description of government posts, the database provides This database is the nation’s largest encyclopedia featuring some information tree diagrams on the hierarchies in the officialdom, 16,000 notable Korean figures in its history. Developed on the government agencies, and government posts. The database is basis of the contents of the Grand Dictionary of Notable Korean interconnected with the database of notable Korean figures. Figures published in 1999 by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Updates will continue to include the information on government Center, the database continues to accumulate its contents post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Three Kingdoms Period. with support from its users. Starting in 2005, related figures information within the database will b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on successful passers in state-run supreme literary civil service examinations, supreme military civil service examinations, licentiate examinations, and miscellaneous examinations administer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database will be further updated by adding information on new notable figures.

Database of successful passers in gwageo(科擧) Within this database can be searched the personal informationon passers of the state-run supreme literary civil service examinations, supreme military civil service examinations,

45 Korean History ON-Line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

국립중앙도서관은 국립중앙도서관은 562만여책에 달하는 방대한 자료를 국가대표 소장하고 있는 도서관으로서 국가의 지적문화유산을 총체적·체계적으로 수집·보존하여 문화전달자 이를 후세에 전승시키는 총체적·체계적으로 국가의지적문화유산을 로의책무를 수행하고 문헌정보의우리나라 총보고이다.있는 국립중앙도서관은 국립중앙도서관은 21세기정보시대를 선도하는 다양한기관으로서 디지털 정보를 신속하게제 공하며 종합문화공간으로서의 소임을 다하고자 공하며종합문화공간으로서의 최선을다하고 있다.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문화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전국에산재되어 문화관광부한국고전적에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대한있는 체계적인 보존, 활용및 연구를 정보교류의 한국고전적종합목록 위한 대두됨에필요성이 따라 DB를통합하 고위한 서비스하기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2005년도사업에 참여하는 기관은한국고전적 보존협의회 회원기관(42개기관, 보존협의회 회장 규장각 관장 이성규)가운데 1차 참여기관인규장각등 28개기관이며기관으로부터 이들 고서목록DB 약 31만 제공 건을 받아 사업을진행하고있다. 또한국내 소장자료 뿐만 아니라국외 한국 소재 고전적에 한국고전적종합 목록DB도 대한 목록으로 구축하여 명실공히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로서의 면모를목록으로갖추게 명실공히구축하여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로서의 될 것이다.한 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은 국내외소재 한국고전적에 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은 대한 목록, 해제,원문 등인터넷을통 해제공하여관련 연구자 이용자들이 및 표준화된 고서목록DB를 용이하게 이용함으로서관 련학문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National Library of Korea

As a National Library with a collection of over 5 million volumes,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a treasure trove of Korean literature. Hence its noble undertaking is the task of collecting and preserving our national intellectual and cultural heritage systematically, in order to hand it to posterity. Every employee in this library is determined to put all effort necessary into nurturing and grooming our institution for the shining role of a 21st century information age leader. With a prompt supply of digital information integrated with a long established cultural milieu, we are surely bound to succeed in our mission. We always welcome your patronage to our library as well as your comments and opinions.

Union Catalogue of Korean Old Books and Manuscripts(韓國古典籍綜合目錄)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has recently started to construct a comprehensive database and an integrated catalogue of books and documents that have been kept by separate sources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The database is aimed at offering systematic services on the preservation and use of these valuable materials via an integrated catalogue. The project of constructing the database and the catalogue is currently participated by 28 organizations including the Kyujanggak Royal Library(奎章閣 ) and others that are memb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reservation of Old Books. Experts in the National Library have already started to work on the collections of over 310,000 items provided by the participants. The library plans to make the database a truly comprehensive one by integrating the collections not only of Korean but overseas collectors as well, and provide readers with the integrated catalogue complete with bibliographical introductions and main texts. The services of the newly constructed database via online are expected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academic advancement in the related areas.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46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뿌리깊은나무우리의 역사입니다 www.koreanhistory.or.kr

47 Korean History ON-Line 뿌 리 깊 은 나 무 우 리 의 역 사 입 니다

Korean History Information Center 2005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Korean History On-Line www.koreanhistory.or.kr Designed by we'll Communications 02-3443-4620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종합정보센터 한국역사종합정보센터 427-010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2-6 koreanhistory@history.go.kr http://www.koreanhistory.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