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쿠샨시대의 스투파 형식 77 ISSN 1598-1142(Print)
Total Page:16
File Type:pdf, Size:1020Kb
인도 쿠샨시대의 스투파 형식 77 ISSN 1598-1142(Print) http://dx.doi.org/10.7738/JAH.2012.21.6.077 인도 쿠샨시대의 스투파 형식 Stupa Form of India, The Kushan Era 천 득 염* Cheon, Deuk-Youm (전남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김 준 오 Kim, Juno (전남대학교 문화재학 박사) Abstract The typical form of Indian Stupa, which is going to understood the gradual development and various forms at the Kushan-era Stupa. Buddhist art and architecture of the Kushan-era was influenced Gandharan Hellenistic culture of the foreign. And indigenous Indian cultures of mature was visually big change. The Kushan-era Stupa has been ten feature. First, a circular podium at typical form of the initial Stupa was constantly changed. Second, is the Stupa of the overlaps and increase podium. Third, the Stupa has been square podium. Forth, is down scale of Anda(Bokbal). Fifth, increases the Stupa and Railing smaller, and Change the position of the Torana(gateway). Sixth, changing the target of the faith, thereby a statue of Buddha has been added in the Stupa. Seventh, around the main Stupa and podium are made in a tabernacle. Eighth, the developed spokes structure was added to on the podium inside. Ninth, crosswise plan appears unlike general Stupa. This type has relevance with Tower Stupa. Tenth, the Votive Stupa was added to the temples and Apse type chaitya has been developed. 주제어 : 인도, 쿠샨왕조, 간다라, 불교사원, 스투파, 부조스투파 Keywords: India, Kushan Dynasty, Gandhara, Buddhist Temple, Stupa, Relief Stupa 1. 서 론 견되고 있어, 각 지역에서는 나름대로의 독자성을 지닌 문화가 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 쿠샨미술은 스키타이 민 쿠샨왕조(기원 전후∼5세기 중엽)1)는 인도 불교미술의 족인 쿠샨의 지배 아래 서북인도, 펀잡, 아프가니스탄, 번영기라 할 수 있는 시기이다. 흔히 이 시기에 이루어 파키스탄 일대에서 발달했던 양식(Fig.1)을 지칭2)한다. 진 인도 불교미술은 서북인도(현 파키스탄)의 간다라미 또한 쿠샨미술 이해에 있어 중요지역이 되는 간다라는 술과 북부 본토의 마투라미술로 나누어 보는 경향이 일 일반적으로 인도 전통과 헬레니즘 문화가 혼재하면서 발 반적이다. 그러나 쿠샨의 두 가지 형식 이외에도 동인도 전한 것으로 이해된다. 나 남인도지방에서도 불교유적인 스투파와 사원지가 발 분석의 대상에서 쿠샨 스투파로 한정함은 미술과 건축 분야에서 고전기, 즉 마우리아(B.C. 317년∼B.C 180년), * Corresponding Author : [email protected] 숭가(B.C. 185년∼B.C. 72년)와 함께 쿠샨 불교미술의 1) Susan L. Huntington, ≷The art of Ancient India, Buddhist,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어 이를 중점적으로 특징을 정리하 Hindu, Jain≸, Weatherhill, New York, 1985, p.125. 쿠샨왕조는 1∼ 고자 했다. 그간의 쿠샨미술 연구는 주로 간다라와 마투 5C에 존재한 왕조이나, 일반적으로 영향을 미친 시기는 1C 말에서 3C로 인식된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쿠샨왕조의 미술양식이 이후 인 라 불상이 중심이었으며, 동시에 불교사원도 다각도에서 도 전역에서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므로, 5C까지 그 연원을 한 정한다. 2) Benjamin Rowland, 이주형 역, ≷인도 미술사≸, 예경, 2004, p.114.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ol.21, No.6, 77-90, 2012 78 논문 간다라의 경우 미 발굴지를 포함하여 크고 작은 유구가 많고, 이외의 지역에서는 비교적 그 사례가 적은 특징을 보이고 있어 분포와 대상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러므로 분석의 기준으로는 다수를 차지하고 방대한 범위에 산재 하는 유적 중 대표적인 유구와 유사성을 보이는 사례에 대해 제시하고, 그 특징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러나 스투 파의 외형적 형식뿐만 아니라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서 는 각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특징과 발전양상에서 보다 세부적인 검토가 이뤄져야 하나, 이에 대해서는 미흡한 점이 있음을 밝힌다. 2. 쿠샨시대의 역사적 배경과 발전 마우리아왕조와 숭가왕조5), 그리고 사타바하나왕조6)를 거치면서 인도의 불교미술은 민중에게 확고히 뿌리를 내 Fig.1 Period the area of India(Tadgell, Fig.16) 려 번영기를 맞이했다. 이 시기 인도 서북부의 간다라 지역에서는 중국 서쪽의 흉노에 쫒긴 월지족을 비롯해 진행되었다.3) 쿠샨시대의 스투파 양상에 대한 이해는 지 알렉산더대왕이 이끄는 그리스 등 외래 이민족의 침입이 속적으로 다양하게 연구되었으나, 이에 대한 포괄적인 잦았다.7) 이 영향으로 인도는 헬레니즘문화(그레코로만 특징을 제시하고 있는 사례가 미약한 편이다. 그러므로 계통)가 전래되면서 불교미술에 있어 커다란 변모와 새 본고에서는 각 대상의 세부적인 특징 연구를 통해 당대 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된다.8) 이를 흔히 간다라미술이라 의 발전양상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인도에 고 한다. 이전까지의 인도는 민족주의적이면서도 보수적 서 시작된 불교미술과 건축이 간다라를 통해 중앙아시아 인 경향의 고유한 민족문화를 지속하고 있었으나, 다양 와 중국, 그리고 한국으로 이어지는 계통성을 이해하는 한 외래문화를 흡수·소화함으로써 자국의 문화를 윤택하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게 하였다. 이는 지중해에서 멀리 떨어진 동양의 인도에 본 연구에서는 쿠샨시대에 새로운 양식이 적용되고 양 이르기까지 헬레니즘문화가 전래됨으로써, 문화사적으로 식적으로 변화되는 스투파가 주요 대상이 된다. 즉 초기 문명교류의 큰 장을 연 계기가 됐다. 이러한 문화전파는 의 전형적인 스투파는 최초 조영 이후 점차 발전하였는 비록 정복이나 상업거래를 통한 것이었으나, 결국 문화· 데, 특히 쿠샨시대 들어 다양한 형식으로 변모하고 있다. 문명의 교류와 통합이 이뤄져 새로운 문화를 탄생하게 주요 대상으로는 주로 간다라지방이 중심이 되지만, 이 된다. 와 함께 쿠샨시대 영역에 포함되는 서북인도와 중북인도 이러한 서양의 헬레니즘 문화는 사상을 비롯해 다양한 의 석굴사원까지 포함4)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각 사례들에 대한 기초적인 사료와 기 연구사례의 검토, 그 5) Benjamin Rowland, 이주형 역, 전게서, p.68. 마우리아왕조와 숭 가왕조는 인도 미술에서의 ‘초기 고전기(Early Classic)’라고 할 수 리고 일부 지역의 답사를 통해 종합분석 하였다. 그러나 있다. 즉 두 시기에는 마우리아왕조 아소카왕의 상징적인 팔만사천 스투파건립을 시작으로, 숭가왕조에서 산치와 바르후트, 남인도의 3) 쿠샨을 비롯한 인도 전역에 걸쳐 있는 불교건축과 미술에 대해 아마라바티 등의 사원이 발전된다. 여기서 초기 고전이라 함은 붓다 서는 19세기 영국식민지시대부터 J. Mashall, J. Fergusson 등을 비 입멸 이후 최초 불교건축 조영부터 마우리아 이전까지의 기간으로 롯해 여러 국가의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구되었다. 물론 이 본격적인 불교미술이 개화되면서 고졸한 조형 표현이 점차 성숙해 연구들에서는 쿠샨시대 건축과 미술에 대해 다양하게 언급되고 있 지는 시대라 할 수 있다. 다. 그러나 대부분의 문헌과 연구에서는 스투파의 전체적인 특징보 다는 각 대상에 대한 개설적인 내용이 주를 이뤘다. 그나마 근래에 6) 기원전 3세기 말부터 기원후 3세기 전반까지 데칸고원 일대를 연구된 손신영(2005)의 논고에서는 스투파 기단의 발전에 대해 언급 지배하던 고대 남부 인도의 왕조로, Andhra왕조라고도 한다. 하고 있어 많은 도움을 주었다. 7) 이주형, ≷아프가니스탄, 잃어버린 문명≸, 사회평론, 2007, p.75. 4) 남인도는 쿠샨왕조와 공존한 후기 사타바하나왕조에 해당하므로 8)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지역은 아케메네스왕조의 지배를 받았 지역적으로나 시대적으로 차이가 있다. 그러나 두 왕조는 양식적 발 고, 알렉산더대왕을 계승한 셀레우코스왕조 때 박트리아를 중심으로 달사에서 서로 긴밀한 연관성을 보이므로 유사사항에 대해서는 일 그리스의 식민지를 형성하게 된다. B.C. 2세기 초 박트리아의 그리 부 언급하였다. 또한 중요특징 중 하나인 보드가야의 마하보디 스인은 마우리아제국의 붕괴를 틈타 서북인도로 침입하여 인도, 그 (Mahabodhi) 고탑형 스투파는 간접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시기적 리스인의 왕국을 건립하였다. 이와 같은 장기간에 걸친 다수 민족의 인 문제가 있어 제외하였다. 이동은 인도세계에 그리스-헬레니즘 문화의 도래를 촉진시켰다. 건축역사연구 제21권 6호 통권85호 2012년 12월 인도 쿠샨시대의 스투파 형식 79 속한 것인지 분명하지 않지만, 건축 평면의 디테일에 나 타난 모습으로 보아 헬레니즘의 전통을 계승한 건축임을 알 수 있다.10) 간다라지방에 불교가 본격적으로 전해진 것은 마우리 아왕조 시기라 할 수 있는데, 아소카왕은 탁실라의 달마 라지카(Darmarajika)와 스와트의 붓카라(Butkara) 제1사 원지 스투파 등을 건립11)했다고 한다. 즉 스투파는 인도 중북부에서 처음으로 조성되어 서북부인 간다라로 전파 된 것이지만, 이들 두 곳에서 유행한 시기는 대체로 비 슷하다고 본다. 그러나 간다라에서 불교사원이 활발하게 Fig.2 Floor Plans of The Parthenon, Greece 조영된 것은 쿠샨왕조 이후의 일로 간다라 탁실라를 중 (by Winand W. Klassen) 심으로 다수의 사원지가 발굴되었다. 이 사원지의 대다 미술과 건축양식이 인도에 전달되어 표현되는데, 초기에 수는 심하게 붕괴되었지만 가람배치의 흔적을 찾을 수 축조된 건축의 예는 드물게 보이고 있다. 이러한 사례 있다. 간다라에는 4,000내지 5,000곳에 불교사원이 있었 중 대표적인 예로는 1세기경에 조성된 탁실라 잔디알 다고 전해지나, 현재까지 페샤와르, 스와트, 탁실라에만 (Jandial) 신전(Fig.2)을 들 수 있다. 이 신전은 평면이 약 1,000여 곳이 확인되었다.12) 이와 함께 남인도지방13) 그리스 신전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주목된다. 신전의 과 중북인도에서도 불교문화의 흔적은 이른 시기부터 나 평면형식은 이오니아식 기둥(Fig.3) 뒤로 신전이 있고, 타났다.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지성소가 나온다. 지성소와 연단 사이에는 공간이 있는데, 그곳에 대형의 스투파가 있었 3. 쿠샨시대의 스투파 형식 을 것으로 추정 된다. 일반적으 3-1. 발전된 원형기단 로 그리스신전 쿠샨시대 스투파의 최초 양식은 산치나 바르후트 스투 에서는 기둥이 파와 같이 시원형에서 점차 발전된 것이다. 특히 이러한 있던 자리에 커 형식은 간다라 스투파에서도 다수 확인할 수 있다. 이들 다란 창을 규칙 은 기단과 드럼, 반구형 복발이 있고, 대부분 조각과 부 14) 적으로 낸 벽 조가 부가 되어 있다. 그러나 이 형식에서 상부구조가 (석축)이 축조된 완연한 상태를 가진 대상은 보이지 않고 있다. 다. 신전 내부의 발달된 원형기단을 보이는 사례로는 대표적으로 간다 구성은 전실, 내 라의 달마라지카(Dharmarajika, Fig.4), 마니키알라 진, 후실로 이루 어지는데, 기본 신전일 것으로 생각했지만 확실한 근거는 없다. ≷ ≸ 적으로 그리스 10) 미야지 아키라, 김향숙 역, 인도미술사 , 다미디어, 2006, p.112. 와 간다라지역 11) 문명대 외, ≷간다라에서 만난 부처≸, 한언, 2009, p.458. 달마라 이 서로 동일한 Fig.3 The Ionic Capital of Jandial 지카와 붓카라 사원은 유구의 발굴을 통해 마우리아시대까지 그 연 원을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중심 스투파는 이후 개보수와 증축을 형식을 보인다. temple, Taxila(blog, Sanctification love, 거쳤으므로 마우리아시대에 축조된 원형은 알 수 없다. 더욱이 입구에 Jesus love) 12) 손신영, 「간다라 방형기단의 일고찰」, 강좌미술사 25호, 2005, p.127. 각주 28 참조. 는 2개의 이오니아식 주두가 세워져 있어 그리스 형식이 13) 미야지 아키라, 김향숙 역, 전게서, p.160. 불교의 남인도 진출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들 양자 간의 차이점은 내 이 또한 아소카왕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마이솔지방에서는 진과 후실 사이에 견고한 돌더미가 있는 점이라 할 수 아소카 마애법칙(磨崖法勅)이 6곳 발견되었고, 또한 아마라바티에서 도 소형의 석주법칙(石柱法勅)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1∼4세기경 사 있는데, 이 자리에는 높이가 약 12m인 스투파가 있었을 타바하나왕조의 익슈바쿠왕대에 와서야 안드라지방에서는 불교미술 이 번성하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간타샬라, 바티프로 것으로 추정된다.9) 이처럼 잔디알 신전은 어떤 종교에 루, 아마라바티, 자가야페타, 나가르주나콘다 등이 있다. 9) J. Marshall은 이 스투파의 존재로 보아 이 건물을 조로아스터교 14) Benjamin Rowland, 이주형 역, 전게서, p.135.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ol.21, No.6, 77-90, 2012 80 논문 (Manikiala), 붓카라(Butkara) 제1사원지, 알리 마스지드 3-2. 중첩되고 높아진 기단형식 (Ali Masjid), 자말가리(Jamalgarhi) 스투파와 동북인도 쿠샨시대 스투 사르나트의 달마라지카, 바이샬리의 Ramabhar(다비탑), 파는 인도 서북의 원후봉밀터 스투파 등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