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관련 국제동향 보고서 (4/4분기 : 2004년 10월∼12월)

2005. 1.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정보센터 목 차

Ⅰ. 세계 도메인이름 등록 현황 ··································································3

1. 전체 현황 ········································································································ 3 2. OECD 가입국 등 ccTLD 등록 현황 ························································· 4 3. 주요 gTLD 현황(출처: http://webhosting.info, 2005. 1) ···················· 7

Ⅱ. ccTLD 현황 ······························································································10

1. Asia & Pacific 지역 ····················································································· 10 * 'i.ph'(필리핀) 익명으로 도메인이름 등록 가능 ············································ 10 * 아랍 에미리트 연합(UAE), 아랍어 도메인 등록을 위한 프로젝트 진행 10 * 동티모르 ccTLD 변경(TP -> TL) ···································································· 10 * 팔레스타인 ccTLD(.PS) 등록 개방 ·································································· 10 * .NR(나우루) 도메인 등록 개시 ········································································ 11 * 팔라우 국가도메인 PW도메인 등록 개시 ······················································ 11

2. Europe 지역 ··································································································· 11 * .de 도메인 등록 건수, 800만건 달성 ······························································ 11 * EURid, European Commisison과 계약 체결 완료 ···································· 12 * 그리스 도메인이름(.GR) 등록에 있어 몇가지 쟁점사항 ····························· 13 * Nominet(영국), me.uk 등록자격 변경 ··························································· 14 * 핀란드 정부 "도메인이름법( Act)" 개정 ····························· 14

3. America 지역 ································································································· 15 * CIRA, Whois Policy 수정안 공지 ··································································· 15 * .CA 등록인들에게 scam 메일 발송 ································································15 * .PR(푸에르토리코) 도메인 2단계 공공도메인 추가 ··································· 15

4. Africa 지역 ····································································································· 16 * AFNIC, .TF 재위임(Redelegation) 완료 ························································· 16

- 1 - Ⅲ. gTLD 등 현황 ·························································································17

1. ICANN 관련 ·································································································· 17 * ICANN, 베리사인과의 소송을 국제상업회의소로 이관 요청 ··················· 17 * ICANN, Registrar transfer 관련 분쟁해결기구 승인 ································· 17 * .POST 도메인 빠르면 2005년에 등장할 전망 ··············································· 18 * ICANN, 2005년부터 .net도메인 한개당 $.75의 annual fee 부과예정 ···· 19

2. gTLD registry 관련 ························································································ 20 * 기술자, 건축가, 치과의사도 .pro 등록이 가능 ············································· 20 * OSG사, .coop Registry 양수 ············································································ 20 * PIR, 독일어.org 등록 개시 ················································································ 21 * Afilias사 .in도메인(인도) 관리 ········································································· 21 * ICANN, `.mobi`, `.jobs` 예비승인 ······························································· 21

3. 기타 ···················································································································· 22 * 언어기반의 TLD(L-TLD) 생성 제안 ······························································· 22 * Registrar "eNom"에서 .info 도메인 백만건 등록 ········································ 23

Ⅳ. 부록 ···········································································································24

[부록1] 국내 gTLD Registrar 목록(2005. 1월 현재) ········································· 24 [부록2] NZ(뉴질랜드) 도메인 관련 현황 및 세부등록정책 개관 ·················· 25 [부록3] TW(대만) 도메인 관련 현황 및 세부등록정책 개관 ························· 31 [부록4] DK(덴마크) 도메인 관련 현황 및 세부등록정책 개관 ······················ 38

- 2 - Ⅰ. 세계 도메인이름 등록 현황

1. 전체 현황

o gTLD와 ccTLD 모두 도메인이름 총 등록 수는 증가추세에 있으나, 2004년 3/4분기 대비 증가 폭이 감소하였음

o TLD별 전세계 등록순위는 COM, DE, NET, UK, ORG 순이며, KR은 3/4분기 대비 13위에서 14위로 순위가 하락하였음(JP가 13위를 차지)

가. 총 도메인이름 등록 수

o 2005년 1월 현재, 주요 gTLD 및 OECD 가입국의 ccTLD 총 등록 수는 약6천 7백 1십만건임 - 총 등록건수는 2004년 10월 대비 3백5십만건 증가

※ 3/4분기에는 총 등록건수가 약400만건 증가하였었음

80,000,000 67,116,356 70,000,000 63,710,727 59,692,969 60,000,000

50,000,000 총합계 40,000,000 42,718,183 45,477,368 oecd 39,424,534 30,000,000 gTLD 20,000,000 20,268,435 20,992,544 21,638,988 10,000,000 - 2004.7 2004.10 2005.1

나. TLD별 1위부터 10위까지의 도메인이름 등록 순위

COM DE NET UK ORG INFO NL IT BIZ US

32,905,686 8,176,639 5,258,931 3,706,798 3,269,286 2,974,983 1,302,164 1,151,270 1,068,482 891,824

※ KR도메인은 전체 TLD 중 BR(브라질), CH(스위스), JP(일본)에 이어 14위를 나타 내고 있음(3/4분기 대비 13위에서 14위로 하락)

- 3 - 2. OECD 가입국 등 ccTLD 등록 현황

o OECD 가입국 ccTLD 총 도메인 등록 수는 2천 1백 6십 6만건이며, 3/4분기 대비 약67만건 증가

o KR의 경우, OECD 가입국 중 총 도메인이름 등록 수는 8위(약59만개), 인구 100명당 도메인이름 등록 수는 19위(약1.2개)를 나타내고 있음 - KR도메인 ccTLD 총 등록 수는 3/4분기 대비 7위에서 8위로 하락

o OECD 가입국 중 SK(슬로바키아), GR(그리스), TR(터키), KR(한국)이 3/4분기 대비 4/4분기에 등록 수가 감소하였으나, KR이 가장 많이 감소하였음

가. OECD 가입국 별 ccTLD 총 등록 수

순위 국가명 TLD 도메인 수 순위 국가명 TLD 도메인 수 1 독일 DE 8,176,639 16 폴란드 PL 273,425 2 영국 UK 3,706,798 17 노르웨이 NO 250,299 3 네덜란드 NL 1,302,164 18 체코 CZ 186,469 4 이태리 IT 1,151,270 19 뉴질랜드 NZ 171,807 5 미국 US 891,824 20 헝가리 HU 144,000 6 스위스 CH 673,529 21 멕시코 MX 110,431 7 일본 JP 645,197 22 핀란드 FI 93,107 8 한국 KR 591,763 23 스페인 ES 84,064 9 덴마크 DK 561,035 24 그리스 GR 77,000 10 호주 AU 481,018 25 터키 TR 62,309 11 캐나다 CA 478,610 26 슬로바키아 SK 60,067 12 오스트리아 AT 384,872 27 포르투갈 PT 42,682 13 벨기에 BE 380,059 28 아일랜드 IE 42,486 14 프랑스 FR 313,647 29 룸셈부르크 LU 18,904 15 스웨덴 SE 295,301 30 아이슬란드 IS 10,800

※ OECD 가입국 ccTLD 중 KR도메인 등록 수는 3/4분기 대비 7위에서 8위로 하락 ※ OECD 가입국 ccTLD 평균 총 등록 수 : 722,053개(3/4분기대비 22,302 증가)

- 4 - OECD 가입국 총 도메인이름 등록 수 8,000,000

7,000,000

6,000,000

5,000,000

4,000,000

3,000,000

2,000,000

1,000,000

- 독일 영국 미국 평균 일본 한국 호주 체코 터키 이태리 스위스 덴마크 캐나다 벨기에 프랑스 스웨덴 폴란드 헝가리 멕시코 핀란드 스페인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포르투갈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슬로바키아 룸셈부르크 아이슬란드

나. 인구 100명당 등록 수

순위 국가명 TLD 인구 100명당 순위 국가명 TLD 인구 100명당 1 덴마크 DK 10.4 16 핀란드 FI 1.8 2 독일 DE 9.9 17 캐나다 CA 1.5 3 스위스 CH 9.2 18 헝가리 HU 1.4 4 네덜란드 NL 8.1 19 한국 KR 1.2 5 영국 UK 6.3 20 슬로바키아 SK 1.1 6 노르웨이 NO 5.5 21 아일랜드 IE 1.1 7 오스트리아 AT 4.8 22 그리스 GR 0.7 8 뉴질랜드 NZ 4.4 23 폴란드 PL 0.7 9 룸셈부르크 LU 4.3 24 프랑스 FR 0.5 10 아이슬란드 IS 3.8 25 일본 JP 0.5 11 벨기에 BE 3.7 26 포르투갈 PT 0.4 12 스웨덴 SE 3.3 27 미국 US 0.3 13 호주 AU 2.4 28 스페인 ES 0.2 14 이태리 IT 2.0 29 터키 TR 0.1 15 체코 CZ 1.8 30 멕시코 MX 0.1

※ 인구 100명당 KR도메인 평균 등록 수는 3/4분기 대비 0.1개 감소 ※ OECD 가입국 인구 100명당 ccTLD 평균 등록 수 : 3.1개(3/4분기 대비 0.2개 증가)

- 5 - 인구 100명당 도메인이름 등록 수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 일본 미국 터키 독일 영국 평균 호주 체코 한국 그리스 폴란드 프랑스 스페인 덴마크 스위스 벨기에 스웨덴 이태리 핀란드 캐나다 헝가리 아일랜드 포르투갈 네덜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 룸셈부르크 아이슬란드

다. OECD 가입국 ccTLD 등록 증감 현황

250,000

200,000

150,000

100,000

50,000

- FI IT IE IS JP NZ CZ TR NL PL FR AT PT KR MX ES LU SK BE SE CA NO US GR DE UK AU DK CH HU 평균 -50,000

※ OECD 가입국의 등록 수 증감 현황(평균) : 22,301개 증가 ※ OECD 가입국의 등록 수 평균 증가 건수는 3/4분기(24,137) 대비 1,836건 감소

라. 기타 ccTLD

국가명 TLD 도메인수 100명당 도메인 수 기간 증감현황 중국 CN 432,678 0.03 2004.11월말 +12,175 대만 TW 264,680 1.18(+0.03) 2004.12월말 +7,304 브라질 BR 709,511 0.41(+0.01) 2005.1.12 +24,335

- 6 - 3. 주요 gTLD 현황(출처: http://webhosting.info, 2005. 1)

o 주요 gTLD의 총 도메인 등록 수는 약4천 5백 4십만건이며, 3/4분기 대비 약2백 8십만건 증가

o .info의 경우 2004년 12월말 무료등록이벤트의 종료로 증가폭이 감소 (3/4분기 : 약100만여건 증가, 4/4분기 : 약42만건 증가)

가. 주요 gTLD 총 등록 수

순위 TLD 도메인 수 비율 1 COM 32,905,686 72.57% 2 NET 5,258,931 11.56% 3 ORG 3,269,286 7.19% 4 INFO 2,974,983 6.54% 5 BIZ 1,068,482 2.35%

나. gTLD 등록 수 변화 및 증감 추이

o 총 등록 수 등

시기 .com .net .org .info .biz 총합 2001.7 24,264,364 4,748,370 3,067,563 - - 32,080,297 2002.1 34,717,455 4,629,289 2,992,715 - - 42,339,459 2002.7 22,526,354 3,907,160 2,553,817 926,769 735,766 30,649,866 2003.1 23,662,001 4,060,182 2,674,286 1,049,839 858,945 32,305,253 2003.7 25,260,438 4,226,821 2,867,551 1,173,714 999,009 34,527,533 2003.12 27,035,869 4,515,550 3,015,179 1,164,136 1,004,118 36,734,852 2004.7 29,372,598 4,800,582 3,035,533 1,212,321 1,003,500 39,424,534 2004.10 30,998,749 4,990,563 3,135,484 2,554,734 1,038,653 42,718,183

2005.1 32,905,686 5,258,931 3,269,286 2,974,983 1,068,482 45,477,368 증감 +1,906,937 +268,368 +133,802 +420,249 +29,829 +2,759,185

- 7 - <주요 gTLD 총 등록 수>

40,000,000 35,000,000 30,000,000 .com 25,000,000 .net 20,000,000 .org 15,000,000 .info 10,000,000 .biz 5,000,000 0 2001.7 2002.1 2002.7 2003.1 2003.7 2003.12 2004.7 2004.10 2005.1

<주요 gTLD 총 등록 수 증감 현황>

3,000,000 2,500,000 2,000,000 1,500,000 1,000,000 .com 500,000 .net .org 0 .info 2002.1/2 2002.3/4 2003.1/2 2003.3/4 2004.1/2 2004.3/4 2004. 4/4 -500,000 .biz -1,000,000 -1,500,000 -2,000,000 -2,500,000

다. 이용율

o COM, NET 유지율 현황

70% 72% 72%

50%

2003. 1 2004. 1 2004. 9 2004.11

- 8 - o COM, NET 홈페이지 운영 현황 - com, net 도메인의 77%가 웹사이트와 관련이 있고, 이 중 약64%가 실제 홈페이지로 운영중이며, 13%는 파킹사이트로 운영되고 있음

64.0% 64.70% 63.6%

61.0%

2003. 초 2004. 초 2004. 9 2004.11

- 9 - Ⅱ. ccTLD 현황

1. Asia & Pacific 지역

제목 'i.ph'(필리핀) 익명으로 도메인이름 등록 가능 o .PH 도메인의 Registry인 DotPH에서는 일반 개인 인터넷 이용자 및 블로거들을 대상으로, i.ph 도메인을 생성하여 등록할 예정임

o i.ph 도메인의 특징은 "익명도메인"으로, i.ph 도메인이름 등록 시에는 주요내용 핸드폰 번호와 전자우편 주소만 기재하면 등록이 가능하다고 하며, 등록비용도 $5로서 타 도메인에 비해 저렴하고, 최초의 IPv6가 지원 되는 도메인임 - 한편, DotPH사는 2002년 말 i.ph 생성과 관련 의견수렴을 실시하였 으며, 의견수렴 결과 긍정적인 반응이 많아 생성하게 되었다고 함 출처 http://www.itmatters.com.ph/news/news_09082004h.html 2004. 10

제목 아랍 에미리트 연합(UAE), 아랍어 도메인 등록을 위한 프로젝트 진행

o 아랍에메리트 연합을 위한 ccTLD인 .AE의 Registry인 UAEnic은 사우디 주요내용 아라비아, 카타르와 함께 .EMARAT 도메인 아래에 아랍어 도메인 등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젝트 진행

출처 베리사인, Digital Branding Bulletin - 2004. 11

제목 동티모르 ccTLD 변경(TP -> TL)

o 동티모르 Registry는 지금까지 운영되어 온 ccTLD 'TP' 아래 더이상 주요내용 신규 등록을 받지 않고, 대신하여 동티모르의 공식 이름을 대표하는 새로운 ccTLD 'TL'을 운영하기로 함

출처 베리사인, Digital Branding Bulletin - 2004. 11

제목 팔레스타인 ccTLD(.PS) 등록 개방

o 팔레스타인의 ccTLD인 .PS 도메인 중 , .PS, .COM.PS, NET.PS, 주요내용 .ORG.PS 도메인은 누구나 제한없이 등록 가능해짐 - 위 도메인은 팔레스타인 국민 및 Personal Site로 positioning 됨

출처 베리사인, Digital Branding Bulletin - 2004. 11

- 10 - 제목 .NR(나우루) 도메인 등록 개시

o 나우루(마셸아일랜드의 남쪽에 있는 남태평양의 작은 섬국가)의 국가 도메인 .NR의 등록이 가능해짐

주요내용 o 현재 등록가능한 도메인은 com.nr, org.nr, net.nr, info.nr 이며, 누구나 제한없이 등록할 수 있음 - 한편, .nr아래 2단계 도메인 등록도 2005년 상반기 내에 가능할 예정

출처 베리사인, Digital Branding Bulletin - 2004. 11

제목 팔라우 국가도메인 PW도메인 등록 개시

o 태평양 섬국가인 팔라우의 국가도메인인 .pw도메인이 2004년 12월 15 일 12시부터 PW도메인 등록을 개시 - PW도메인은 개인과 그룹을 위한 Privacy Web으로 Positioning되어 등록이 이루어 짐

o 한편, 등록개시 전 12월 13일 12시까지 상표권자들에게 상표를 방어할 주요내용 수 있는 기간을(Land Rush Period) 주었으며, 분쟁조정은 홍콩의 분 쟁조정기관인 Hong Kong International Arbitration Centre (HKIAC) 에서 독점적으로 해결

o 또한, PW도메인은 Registry차원에서 스팸방지가 되는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며, PW도메인을 이용한 메일계정으로 발송된 이메일은 기존 ISP에서 사용하고 있는 메일로 포워딩 된다고 함

출처 http://www.pwregistry.pw/ 2004. 12

2. Europe 지역

제목 .de 도메인 등록 건수, 800만건 달성

o .de 도메인 등록 건수가 2004년 9월말 기준으로 7,981,014 건이었는데, 10월 초 800만건을 넘었음

주요내용 o 참고로, 2004년 10월 15일 기준 .de 등록 건수는 8,023,257건이며, 이 건수는 독일인 10명 중 1명이 .de 도메인을 등록해서 사용하고 있는 것임

출처 http://dmeurope.com/default.asp?ArticleID=3669 2004. 10. 15

- 11 - 제목 EURid, European Commisison과 계약 체결 완료 o .eu 도메인과 관련 .eu의 registry인 Eurid와 European Commisison과의 계약이 2004. 10. 12일 최종 체결됨

o 이를 근거로 현재 IANA의 Root server에 zone을 추가하기 위한 협의를 진행 중에 있으며, 정식 등록 시기는 2005년 6월 정도에 시작될 것으로 예측됨(우선등록기간-약 4개월 후 선접수 선처리 시작)

<.eu 등록과 관련한 세부 사항>

o eu도메인 등록자격 - 등록사무소, central administration, 또는 주된 사무소가 유럽내에 있는 경우 - 유럽내에 설립된 기관 - 유럽내에 거주하고 있는 자연인

o 우선등록기간(Sunrise Period) < 1단계 > - 공공기관 full name -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공기관 약어 주요내용 - 지역명(적용 가능한 경우) - 등록된 공동체 또는 국가적인 상표명

< 2단계 > - 1단계에서 등록가능한 이름 - EU회원국의 국가 법하에서 보호되는 권리를 가지고 있는 아래와 같은 이름들 .. 상호/사업표지/보호되는 문학, 예술작품의 제목/ .. 등록되지 않은 상표 .. 사업명 등 - 우선등록기간 동안의 모든 권리는 서류로 입증되어야 함 - 우선등록기간 동안 동일한 이름이 등록신청되는 경우 선접수/선처리로 등록 - 우선등록기간 비용이 별도 청구 예정

o 도메인이름 등록 - registrar를 통해서만 가능하며, EURid는 직접 등록을 받지 않음

o EU domain name 등록비용(안) - Registry fee는 10유로 예정(부가세 별도)/1년(첫해) - 연장수수료의 경우 Registry fee는 5유로 정도로 낮출 예정임 - 소비자가는 registrar 별로 다양할 예정임 출처 http://www.eurid.org/Information/information.html 2004. 10

- 12 - 제목 그리스 도메인이름(.GR) 등록에 있어 몇가지 쟁점사항

1. 등록관리 o 2002년 11월 그리스의 국가 통신/우편위원회(EETT)의 위임을 받아 Institute of Computer Science of the Foundation for Research & Technology Hellas가 .GR의 registry기능 수행

2. 등록 제한 o 2004년 4월부터, 제한 없이 누구나, 선접수 선처리로 등록이 가능해짐

o 단, GR도메인이름 관리 및 할당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몇가지 예외 사항이 있음 - 3자 이상만 등록 가능, 기존에 등록된 2자로 등록된 GR도메인은 사용기간 연장이 불가능함 - 2단계 공공도메인별 등록자격 1) .COM.GR — 회사 및 영리기관만 등록 가능 2) .EDU.GR — 교육기관만 등록 가능 3) .NET.GR — ISP 및 네트웍 제공자만 등록 가능 4) .ORG.GR — 기관만 등록 가능 5) .GOV.GR — 정부기관만 등록 가능 - GR 도메인이름 신청이 거부되는 경우 1) 그리스 지역명으로 구성된 경우 2) 그리스 주를 상징하는 경우 주요내용 3) 종교적 상징이나 단어들 4)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키워드 (예 : Internet, www, e-mail 등) 5) 그리스 법에 따라 제3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3. 도메인이름 분쟁절차 o .GR도메인 분쟁은 ICANN의 UDRP에 의하지 않으므로, 분쟁을 해결 하고자 하는 자는 그리스 법원 또는 EETT를 통한 이의절차를 따라야 함

o 권리침해를 이유로 이의를 제기하는 제3자는 EETT에게 도메인이름 등록 취소를 요청할 수 있으며, 비용은 무료임. 단, 변호사를 선임하는 경우엔 추가 비용이 발생하며, 이는 평균 700-1200유로임

o EETT를 통한 분쟁해결 절차는 3가지 단계를 거침 - 첫째, 이의제기, 둘째, 의견청취 및 추가의견 진술, 셋째, 결정

o EETT를 통한 분쟁해결에 걸리는 시간은 지난 몇달간 급속도로 증가 했으며, 이의 제기 후 의견 청취하는데, 60일에서 90일이 소요되고, 최종 결정은 사안의 복잡성에 따라 7개월에서 9개월내에 이루어짐

o EETT에서 내린 결정에 불복하여 법원에 소 제기 가능

4. 기타 이슈 o 그리스 내 음반 제작사와 아티스트와의 도메인이름 분쟁 o 그리스어와 로마어(Roman Character)가 스펠링은 같으나, 뜻이 다른 경우/ 스펠링은 다르나 뜻이 동일한 경우 도메인이름 분쟁 등 출처 베리사인, Digital Branding Bulletin - 2004. 11 - 13 - 제목 Nominet(영국), me.uk 등록자격 변경

o Nominet UK의 정책자문위원회는 .me.uk 등록자격과 관련 지금까지 개인들이 등록할 것을 권장하였으나, 이를 개인만 등록 가능한 것으로 변경함(closed sTLD로 변경)

※ 추진경과 - 2003년 8월과 2004년 4월 등록자격 변경 제안 - 2004년 5월 21일부터 2004년 8월 23일까지 public consultation 실시 - Consultation 이후 Nominet UK 위원회는 .me.uk 규정을 변경하기로 합의 주요내용 ․ 규정변경은 변경일로부터 30일전에 웹사이트에 공지되어야 하므로, 2004년 10월 25일 월욜일, 웹사이트에 관련내용이 공지되었으며 2004년 11월 29일 월요일부터 새로운 규정 효력발생 예정

o .me.uk SLD 관련 규정 주요변경사항 - 변경전 : me.uk 등록인은 자연인(natural person)일 것을 권장 (anticipate) - 변경후 : 자연인만이 me.uk를 등록할 수 있음(must)

출처 Nominet - 2004. 11

제목 핀란드 정부 "도메인이름법(Domain Name Act)" 개정

o 핀란드 정부는 2003년 9월 1일 제정된 "도메인이름법"을 개정하는 개정안을 제출함. 본 법에 따르면, 핀란드 도메인이름(.FI 도메인)은 현재 등록되어 있는 핀란드 법인과 전문가 개인, 핀란드 공공기관 및 주요내용 외국공관만 등록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음

o 한편,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등록자격을 확대하는 것으로, 15세 이상의 일반 개인도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임

출처 베리사인, Digital Branding Bulletin - 2004. 12

- 14 - 3. America 지역

제목 CIRA, Whois Policy 수정안 공지 o .CA(캐나다)의 Registry인 CIRA는 최근 시행된 "Privacy Law"에 발맞춰, .CA도메인 등록인들에게 개인정보를 더욱 보호하는 차원에서 "Whois Policy" 개정안을 공지

o 제안된 내용에 따르면, CIRA는 등록인들로부터 세부 등록정보를 수집 하기는 하나, 웹기반의 Whois 사이트에서는 최소한의 정보만 공개

o 제안된 Whois Policy 세부 내용은 아래와 같음 주요내용 - .CA 도메인 등록인이 개인인 경우 : Registrar 이름, 등록일, 최근정보변경일, 도메인이름 상태, 및 네임서버 정보가 Whois에서 공개됨. 단, 등록인은 원하는 경우 추가 정보를 공개할 수 있음 - .CA 도메인 등록인이 기관인 경우 : Whois를 통해 공개하는 항목은 기존과 동일. 단, 기관은 몇몇 정보를 Whois에서 공개되지 않도록 요청할 수 있음 - CIRA는 법 시행기관들에게는 필요한 경우 모든 등록정보를 공개함 출처 http://www.circleid.com/article/808_0_1_0_C/ 2004. 11

제목 .CA 등록인들에게 scam 메일 발송

o .CA(캐나다)의 Registry인 CIRA로 가장한 이메일이 .CA 도메인 등록 인들에게 발송되어 등록인들의 계좌정보와 비밀번호를 빼내는 사기사 건이 발생하여 등록인들의 주의를 요하고 있음 주요내용 o 메일 내용은 도메인이름 중단 방지와 등록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하며, 발송된 메일계정은 [email protected] 였다고 함 (실제 CIRA에서 사용하는 메일 주소는 [email protected] 임)

출처 베리사인, Digital Branding Bulletin - 2004. 11

제목 .PR(푸에르토리코) 도메인 2단계 공공도메인 추가 o 푸에르토리코(서인도 제도의 대(大)앤틸리스 제도에 있는 미국의 자치령)의 국가도메인인 .PR이 누구나 등록할 수 있는 아래와 같은 2단계 공공 도메인을 추가함 주요내용 = .info.pr, biz.pr, name.pr, pro.pr, isla.pr(isla.pr은 지역 사업을 위한 것임)

o 한편, .pr아래 2단계 도메인 등록도 2005년 상반기 내에 가능해질 예정 이며, sunrise period 정책도 공지 예정임 출처 베리사인, Digital Branding Bulletin - 2004. 12

- 15 - 4. Africa 지역

제목 AFNIC, .TF 재위임(Redelegation) 완료

o '남극 대륙의 프랑스령'의 ccTLD인 ".TF도메인"이 캠브리지에 소재한 영국계 회사인 AdamsNames에서 프랑스의 비영리기관인 AFNIC으로 재위임됨

<.TF도메인 재위임 관련 경과사항> * 1997년 10월 23일 : Administrative & Technical 관리가 AdamsNames에게 위임됨 * 2004년 5월 25일 : ICANN 이사회에서 AFNIC으로 .TF 재위임 승인 * 2004년 10월 23일 : AFNIC으로 재위임되어 관리되기 시작함

o .TF도메인과 관련 AdamsNames이 신뢰할만한 기술적인 서비스를 제 공하기는 했으나, 그 관리는 프랑스 당국뿐 아니라, 프랑스 법과 상관 없이 운영되어 왔으며, 프랑스어로 서비스가 제공되지도 않아 왔음 주요내용 - 이런 이유로 프랑스 당국에서는 ICANN에게 .TF도메인의 재위임 (AdamsNames->AFNIC)을 요구한 것이라고 함

o 한편, AFNIC은 현재, 프랑스의 ccTLD인 .FR과 아프리카에 소재한 프랑스령인 레위니옹 섬(Reunion Island)의 ccTLD .RE를 관리하고 있으며, 이번 결정에 따라 남극에 있는 프랑스령인 .TF의 관리도 맡게 된 것임

o 현재 .TF도메인의 등록 수는 총 1,550개이며, AFNIC은 .TF도메인 관련 새로운 정책이 만들어 질 때까지, 원래 등록인들은 무료로 운영되나, 신규등록도 받지 않는다고 함

o 한편, 프랑스령인 나라들의 ccTLD는 아래와 같으며, 이들은 AFNIC이나, 프랑스 내의 ISP에 위임되어 운영되거나 운영 예정에 있음 - .RE/.MQ/.GP/.GF/.TF/.NC/.PF/.WF/.PM/.YT 출처 http://www.nic.tf 2004. 10

- 16 - Ⅲ. gTLD 등 현황

1. ICANN 관련

제목 ICANN, 베리사인과의 소송을 국제상업회의소로 이관 요청

o 2004년 2월 시작된 ICANN과 베리사인의 소송과 관련하여 ICANN은 미국 LA 관할법원에서 파리에 있는 국제상업회의소(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로 해당 소송의 이관을 요청함 주요내용 o ICANN은 베리사인과의 소송이 전세계 인터넷 커뮤니티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민감한 사안이므로, 이의 신속한 결론을 내리기 위해 국제상업회의소로 중재를 요청한 것이라고 함

출처 http://news.com.com 2004. 10

제목 ICANN, Registrar transfer 관련 분쟁해결기구 승인

o 2004년 11월 12일부터 ICANN에서 정한 새로운 Registrar 이전(Transfer) 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ICANN에서는 2004년 11월 8일, Registrar transfer와 관련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기관으로 NAF와 ADNDRC를 선정했다고 발표함

※ 참고로, ICANN은 지난 4월 Registrar transfer관련 분쟁해결기구를 모집하는 공고를 냈었음. 주요내용 o Registrar transfer관련 분쟁 발생 시, 이의 제기자는 먼저 해당 registry에게 분쟁조정을 신청하나, registry의 결정에 불복하는 경우, 위 두개의 분쟁조정기관에게 분쟁해결을 다시 의뢰할 수 있음

※ 참고로, NAF와 ADNDRC는 현재 UDRP에 의한 도메인이름 분쟁해결기구이며, 1986년에 설립된 NAF는 북미에 기반을 둔 분쟁해결기관이고, ADNDRC는 중국와 홍콩의 조정기관이 연합하여 설립한 도메인 분쟁조정기관임

출처 http://icann.org/announcements/announcement-08nov04.htm 2004.11

- 17 - 제목 .POST 도메인 빠르면 2005년에 등장할 전망

o ICANN은 지난 2004년 3월에 신청된 10개의 sTLD(sponsored Top Level Domain)에 대한 심사와 독립평가단계(자세한 내용 아래 참조)를 거쳐 2004년 10월 27일, .POST와 .TRAVEL을 예비승인하기로 했다고 밝힘

o 이에 따라, ICANN은 닷포스트와 닷트래블 신청단체와 해당도메인에 대한 상업적&기술적 협상을 곧 시작할 예정임

o .post 도메인은 스위스 베른에 있는 국제우편연합(UPS : Universal Postal Union)이 세계전역의 우체국과 우편서비스, 우표수집가들을 위해 신청한 도메인으로, Fedex나 UPS처럼 우편서비스를 제공하는 사기업도 이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게 될 예정임

o 국제우편연합(UPS)은 닷포스트도메인이 다양한 전자적인 우편서비스들을 주요내용 연결하게 될 것이라며 사용자들이 세계 어느 곳에서든 우편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65만개의 가상 우체국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힘

※ 독립평가단계(Independent Review Process) : 독립적인 프로젝트 매니저와 세명의 전문가 패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RFP(Request for Proposal)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신청서들을 평가하며, 평가분야는 다음과 같음 - 기술적 역량, 상업적&재정적 능력, sponsored community 존재여부 - 평가절차 중, 각각의 전문패널들은 신청서에 대한 질의서를 제출하며, 질의서는 패널들의 익명성과 독립성 보장을 위하여 프로젝트 매니저를 통해 신청인 에게 전달됨 - 각각의 패널은 신청서에 대한 개별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며, 보고서는 신청인에게 전달됨. 신청인이 위에서 언급한 세 분야의 기준 중 하나라도 충족시키지 못한 경우, 신청인은 독립적 패널들의 결론(보고서)에 대한 답변을 서면으로 제출해야 함

출처 ICANN, 2004. 10

- 18 - 제목 ICANN, 2005년부터 .net도메인 한개당 $.75의 annual fee 부과예정

o ICANN은 2005년부터 .net 도메인 한개당 $.75의 annual fee를 받을 예정이며, 향후 .com과 .biz 등의 일반도메인으로 이러한 연회비 제도 확장 계획을 발표

※ 타 gTLD의 경우 ICANN은 도메인 한개당 $.25의 annual fee를 registry로 부터 부과하고 있음

o 이러한 연회비 제도가 시행되면, .net 도메인이름 소유자들은 매년 4백만불에 달하는 추가금액을 지불해야 하며, .com 등의 기타 최상위도메인에도 연회비가 부과될 경우 이는 3천4백만불이라는 금액으로 불어나게 됨 - 이러한 금액은 ICANN의 1년 예산을 훨씬 뛰어넘는 액수임

※ ICANN은 1999년(Clinton 행정부 시절)에도 도메인 한개당 $1의 annual tax를 부과하는 안을 제시하였다가 정치인들과 보수적 activists들의 강한 비난을 받은바 있으며, 이번에 제안된 안에 대하여 일부에서는, ICANN이 주요내용 최소한의 관리업무를 수행하는 대가로 너무 많은 돈은 걷어 들이려 하고 있으며, 이렇게 걷어 들인 자금을 목적이 분명치 않은 프로젝트에 사용하려 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음

o 현재, ICANN 총예산($15.8 million)의 75%가 레지스트라들로 부터 받는 고정연회비로 충당되고 있으며, 이러한 예산구성에 대한 레지스트라들로부터의 불만이 거세지자 ICANN은 레지스트라들이 아닌 레지스트리에게로 눈을 돌리게 되었으며 .net 도메인 재계약 시점(2005년)을 틈타 .75 fee 관련 항목을 .net bidding 절차에 포함시킴으로서, .net 도메인을 첫번째 타겟 으로 잡은 것으로 보임

o Cordoza School of Law의 Susan Crawford 교수는 'ICANN은 ITU와의 파워게임에 필요한 추가자금원을 찾고 있으며, 몇 년 후에 진행될 각 registry들과의 재계약 시기에 맞추어, 이러한 fee(건당 $.75/year)를 모든 일반최상위도메인으로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함

출처 http://news.com.com/ 2004. 12

- 19 - 2. gTLD registry 관련

제목 기술자, 건축가, 치과의사도 .pro 등록이 가능

o .Pro의 Registry인 RegistryPro는 기존에 의사, 법률가, 회계사만 가능 하던 .Pro 등록이 기술자, 건축가, 치과의사도 등록 가능해졌다고 발표

o RegistryPro는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기관 및 제3의 데이터베이 스를 이용하여 도메인이름 등록을 승인하며, .Pro 신청자는 지역, 주, 연방 licensing 이사회로부터 증명받아야 한다고 함 (예로, 기술자들은 허가번호와 허가당국을 포함한 정보를 제공해야 함)

o 2004년 11월 1일 .Pro registrar들은 지적재산권자들의 1주일 동안의 주요내용 방어등록기간을 거친 후, 2004년 11월 8일부터 해당 2단계 공공도메 인 아래에 도메인이름 등록을 받기 시작했다고 함

o 한편, 현재 등록가능한 .pro의 2단계 공공도메인 종류는 아래와 같음

․ Medical -- .med.pro ․ Legal -- .law.pro, .jur.pro., .bar.pro ․ Accountants -- .cpa.pro, .aca.pro, .stb.pro ․ Dentists -- .den.pro, dds.pro, dnt.pro ․ Engineers -- eng.pro, ing.pro ․ Architects -- arc.pro

출처 http://registrypro.pro 2004. 10

제목 OSG사, .coop Registry 양수

o OSG(OXFORD, Swindon & Gloucester)라는 회사가 .COOP의 Registry와 Registrar 사업권을 기존의 업체인 Poptel.Led로부터 인수

o 현재 .coop 도메인은 약 8,000개가 등록되어 있으며, 이러한 사업인수로 기존 등록인의 변화 및 불편은 없을 예정임

o 또한, OSG는 .coop의 잠재시장을 공략하여 2005년 성장을 목적으로 전세계 리셀러와 등록 수 증가에 주력할 예정임 주요내용 ** OSG는 영국에 있는 회사이며, 주력사업은 음식, 자동차, 여행 등임

o 한편, 일각에서는 이번 .coop도메인의 registry 양도와 관련하여 지난 .pro 도메인의 registry 양도와 같이 ICANN이 아무런 정책이 없음에 문제제기함

o ICANN이 신규 Registry 선정을 위하여 평가를 수행하는 것처럼, 기존의 registry를 양수하는 업체에 대해서도 평가 매커니즘을 마련하여 이를 승인해야 할 필요성 제기됨

출처 http://www.thenews.coop/details.php?id=517 2004. 10

- 20 - 제목 PIR, 독일어.org 등록 개시 o .ORG의 Registry인 PIR에서는 2005년 1월 15일부터 .org아래에 독일어 등록을 개시한다고 발표

o 등록은 선접수 선처리 원칙이며, 2005년 1월 15일부터 2월 14일사이에 주요내용 등록된 도메인이름은 2005년 3월 16일까지 Registry Lock 상태가 되고, 이 기간동안엔 정보변경, 삭제 또는 이전이 제한됨 - 이는 지적재산권자들에게 권리 침해를 구제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하기 위함이라고 함 출처 베리사인, Digital Branding Bulletin, 2004. 12

제목 Afilias사 .in도메인(인도) 관리 o 약 10억 이상의 인구 수를 보유한 인도의 국가도메인 IN의 Registry 운영을 위해 info와 org의 Registry를 운영하고 있는 Afilias사가 인도의 국가인터넷교환국(NIXI)과 협약 체결

o Afilias사와의 협약 체결을 통해 IN도메인은 등록 채널이 다양해지고, 주요내용 SRS시스템에 의한 기술지원, 실시간 등록 및 Whois 서비스가 가능해 짐

o 한편, 현재 IN도메인은 약 6,000여개만이 등록되어 있으나, 인도의 인 구수(약10억) 및 인터넷 사용율면에서 2-3년 내에 인터넷 관련 인도의 시장이 아주 커질 것으로 예상됨 출처 http://domaintimes.net 2004. 12

제목 ICANN, `.mobi`, `.jobs` 예비승인

o ICANN은 모바일 서비스와 인력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2개의 새로운 도메인(.mobi, .jobs)에 대해 예비 승인함

o `.mobi'는 노키아와 마이크로소프트, T-모바일 등 이동통신업계를 선도 하는 업체들이 함께 제안한 도메인으로, 모바일 관련 웹사이트를 대상 으로 만들어진 것임 -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 자체적으로 `microsoft.com'이라는 메인 사이트를 가지고 있지만, 모바일에 적합하게 만들어진 낮은 주요내용 해상도의 사진 등을 담은 `microsoft.mobi'를 운영할 수 있음

o `.jobs'는 인력 개발 커뮤니티들이 모여 제안한 도메인으로, 구인 구직을 위한 서비스나 회사에 적용될 수 있으며, 기업들은 회사 소개나 제품 정보를 나타내는 메인 사이트와 별도로, `company.jobs'라는 도메인을 사용해 회사별로 구인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음

o 지난 2004년 10월, ICANN은 우편 서비스를 위한 `.post'와 여행관련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 `.travel'에 대한 예비 승인을 내린 바 있음

출처 디지털타임즈 2004. 12. 15

- 21 - 3. 기타

제목 언어기반의 TLD(L-TLD) 생성 제안 o ISO 639리스트에 기반한(아스키) 3자리 언어 TLD를 생성하고, 이를 향후에 다국어 TLD로 이전을 제안함(Danny Younger) - 이는 영어를 모르는 전세계 인구의 92%가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고 주장함 o 기본적으로 이 제안은 많은 TLD 생성이 인터넷 이용자의 선택권 확장에 기여하며, 이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라고 생각함

<관련 이슈와 답>

1. ICANN이 언어별 다국어 TLD 도입을 위해 참조할 수 있는 리스트는? ISO 639 리스트 => 3자리 언어 코드임 2. IDN 관련 본 제안이 지금 당장 다국어 TLD 생성을 제안하는 것은 아니고, 먼저, 언어를 기반으로 한 아스키 기반의 3글자 TLD를 생성하고, 향후 이를 다국어 TLD로 전환(mitrate) 할 수 있음 3. L-TLD의 수(언어기반 TLD) 현재, ISO 639리스트에는 약 400여개의 코드들이 있음. 이 리스트에는 사용 되지 않는 코드들도 포함되어 있음. 현재 ROOT zone file에 있는 ccTLD 수가 241개임을 감안하여 해당 개수에 대한 논의 필요함 4. 단계별 L-TLD 생성 계획 모든 L-TLD 생성 완료시까지는 약 10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 주요내용 1) 최초 : 12개 L-TLD 생성 2)18개월 이후 : 24개 L-TLD 생성 3) 3년 : 36개 L-TLD 생성 4) 3년 +18개월 : 48개 L-TLD 생성 5) 6 년 : 60개 L-TLD 생성 6) 6년 +18개월 : 72개 L-TLD 생성 7) 9년 : 84개 L-TLD 생성 8) 9년 +18개월 : 나머지 모든 L-TLD 생성 5. 정책 및 선정 절차 - L-TLD 생성과 관련 언어그룹을 위한 registry operator 선정과 관련하여 국가 및 사람의 범위 등에 대한 문제제기될 수 있음 - 정부기관이 이러한 선정절차에 반대하는 경우 해당 L-TLD는 Root zone file에 추가되지 않을 수 있음 6. 선정방법 정책적인 절차가 끝난 언어코드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선별하여 "4"에서 정 한 단계에 따라 생성 시작됨 7. Registry operator 선정 L-TLD가 Root zone 에 추가되기 전에 먼저 Registry operator를 선정하여야 하며, 업무는 "6"에서 선정된 순서대로 시작됨 <정리> o L-TLD도 언어를 사용하는 Community에 따라서, 그 범위가 작거나 큰 TLD를 모두 생성할 수 있음. 이는, 전세계 소비자의 선택권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임 출처 http://www.circleid.com/article/772_0_1_0_C/ 2004. 10

- 22 - 제목 Registrar "eNom"에서 .info 도메인 백만건 등록 o .info 도메인이 Registry인 Affilias사의 특별 channel promotion으로 (12월 말까지/registry fee무료/1인당 최대 25개까지만 가능) 1주일내에 약 백만건이 등록됨

주요내용 o 그러나, 대부분의 도메인이름이 eNom이라는 registrar 1곳에서 등록신청 된 것이며, 해당 registrar는 등록인의 요청없이 임의대로 .com의 whois를 복사하여 (심지어는 등록일까지 기계적으로 복사함) 그대로 .info 도메인 등록DB에 넣은 것으로 파악됨 출처 http://www.domaines.info/english_article.php?art_id=7 2004. 10

- 23 - Ⅳ. 부록

[부록1] 국내 gTLD Registrar 목록(2005. 1월 현재)

Registrar com/net org info biz name pro museum coop aero

아사달

사이덴터티

닷포스

가비아

한강시스템

아이네임즈 한국정보인증 (DomainCA.com) 넷피아

오늘과내일 알지네임즈 (우호티엔씨) 예스닉

Registrar로서 등록 시행 중 등록 준비 중

- 24 - [부록2] NZ(뉴질랜드) 도메인 관련 현황 및 세부등록정책 개관

ccTLD 현황 및 정책조사 : DNC(.NZ)

1. 등록기관

o 기관명칭 : DNC (The Office of the Domain Name Commissioner) o 소재지 : Level 9, Exchange Place, 5-9 Willeston Street, PO Box 11 881 Wellington, New Zealand o 홈페이지 : www.dnc.org.nz o 기관성격 : InternetNZ(.nz ccTLD 위임을 받은 비영리기관)의 .nz 운영기관 (operational office)으로서, .nz 도메인이름 등록 및 관리시 스템을 운영하며, 레지스트라 승인 및 분쟁조정을 담당함

o .nz 운영체계(기관설명) - InternetNZ : 1995년에 설립된 비영리기관으로 ICANN으로부터 .nz ccTLD 위임을 받음 - .nz Oversight Committee(NZOC) : InternetNZ Council로부터 .nz 정책 틀 형성 업무를 위임받은 위원회 - The Office of Domain Name Commissioner(DNC) : InternetNZ 소속의 .nz 운영기관(operational office)으로서, NZOC(.nz Oversight Committee)의 감독하에서 .nz 도메인네임시스템 관리를 맡고 있음 - .nz Registry Service(NZRS) : InternetNZ가 2002년 설립하여, 기존의 레지스트리인 Domainz의 업무를 인수함. NZRS는 NZOC가 형성하고 DNC가 검토한 정책틀 안에서 운영되며, DNC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함. NZRS는 공인사업자관련 업무만 처리하며, 등록인과의 contact는 전혀 없으며, 주요 업무는 SRS(Shared Registry System)의 안정적 운영 확보임 ※ SRS(Shared Registry System) : 복수의 레지스트라들이 .nz 도메인이름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 25 - o 레지스트리(NZRS)가 도메인관리기관(DNC)에게 지불하는 비용(관리비) - NZRS는 DNC에게 관리비(management fee : NZ818,400)를 지불하며, 이는 DNC의 운영을 위해 사용됨. NZRS는 DNC에게 관리비 이외의 다른 수수료는 지불하지 않음. 관리비는 DNC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자금으로, .nz 도메인이름 공간 regulation을 위한 비용을 등록인들이 부담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운영되는 자금임

2. NZ도메인

가. 개요

o 도메인체계 : 3단계 o 2단계 공공도메인 현황 : 12개 (일반 8개 + 제한 4개)

구분 2단계 공공도메인 등록자격/기준 AC 제3차 교육기관(대학) 및 관련기관 CO 영리 GEN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지 않는 개인 및 단체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능하며 전문기술을 지닌 상 GEEK 일반 상력이 풍부한 보수적인 사람 2단계도메인 MAORI 마오리 사람, 단체 및 기관

NET 뉴질랜드 인터넷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기관 또는 서비스 제공업체 ORG 비영리기관 SCHOOL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및 관련기관

GOVT 법률에 기반하여 운영되는 국립, 지역, 지방 정부기관 제한적 2단계도메인 IWI 지방 IWI당국의 위임은 받은 전통적인 마오리 부족 (moderated) CRI CROWN 연구기관 MIL 뉴질랜드정부 군사기관

※ moderated 2LD domains : 추가적인 등록자격을 요하는 제한적 2단계 도메인 으로서, moderating 기관(InternetNZ로부터 해당도메인에 대한 권한을 위임 받은 기관)으로부터 등록승인을 얻은 후 지정 레지스트라를 통하여 등록 가능

o 전체 도메인 등록 수 : 171,807 (2004년 11월 30일 현재)

- 26 -

o NZ 영문도메인 등록 추이 ('03.12 ~ ‘04.11)

2LD Dec 03 Jan 04 Feb 04 Mar 04 Apr 04 May 04 Jun 04 Jul 04 Aug 04 Sep 04 Oct 04 Nov 04 .ac 812 814 825 842 857 873 888 900 910 923 944 948 .co 120,773 122,148 124,133 126,762 128,866 131,334 133,399 136,241 138,774 141,129 143,253 145,725 .cri 27 27 27 27 27 28 28 28 28 28 27 27 .geek 583 584 610 607 619 629 644 666 636 599 611 624 .gen 848 878 844 838 835 833 829 853 900 907 910 921 .govt 700 704 710 709 718 718 715 717 713 711 712 724 .iwi 45 47 49 48 50 50 49 48 54 54 49 51 .maori 310 310 308 318 334 346 351 362 369 347 354 361 .mil 14 14 17 17 17 17 17 17 16 16 16 16 .net 8,071 8,143 8,252 8,390 8,515 8,659 8,794 9,482 9,723 9,878 10,012 10,177 .org 8,191 8,309 8,447 8,584 8,727 8,898 9,047 9,266 9,412 9,597 9,767 9,941 .school 2,094 2,114 2,125 2,127 2,146 2,173 2,178 2,182 2,203 2,218 2,271 2,292 Total 142,468 144,092 146,347 149,269 151,711 154,558 156,939 160,762 163,738 166,407 168,926 171,807

나. 등록 방법

o 일반 2단계 도메인 : Registrar를 통하여 등록 가능 o moderated 2단계 도메인 - moderating 기관으로부터 등록승인을 얻은 후(NZRS(.nz 레지스트리)는 승인절차에 개입하지 않음), moderating 기관이 지정한 레지스트라를 통하여 등록하여야 함 - 최초등록은 지정된 registrar에서만 가능하며, moderated 기관의 정책에 위배되지 않는 한, 이전은 모든 공인 registrar로 가능함

다. 레지스트라

o 레지스트라 개수 : 52개 (개수 제한은 없음) o 신청비 : NZ$2000 o 수수료 : NZ$1.75/도메인1개, 최소월간수수료 NZ$48 o 자격요건 및 절차 : 국내 및 외국법인은 모두 신청 가능하며 수시접수 가능 및 접수 후 1달 이내 결과통보

- 27 - o 레지스트라 마켓쉐어 현황(2004년 11월 현재)

라. NZ 도메인 등록규칙

o 등록자격 : 18세 이상의 개인 또는 properly constituted organizations o 등록취소 : 등록 후 5일내에 등록취소(환불가능)가 가능함. 등록 취소된 도메인을 취소 신청한 레지스트라가 재등록하는 것은 가능 하나, 재등록된 도메인은 최초등록일로부터 1달이 지나야 취소(환불불가)가 가능함 o 도메인이름 Lock : 법원의 명령 또는 DNC의 요청이 있을 시에 NZRS는 해당 도메인이름을 LOCK 또는 UNLOCK 할 수 있음 (LOCK 상태의 도메인은 정보변경, 삭제, 재등록 등 불가) o 도메인이름의 삭제(cancel) : 등록인의 삭제 요청 또는 등록인이 레지스트라 와의 계약을 이행하지 못한 경우 해당도메인이름은 삭제됨. 삭제된 도메인은 90일간의 ‘pending release' 기간 이후 일반에게 제공되며, pending release 기간 동안 등록인은 해당도메인의 재등록 또는 다른 레지스트라로 이전 가능

- 28 - o 레지스트라 변경(이전) - 등록인이 gaining 레지스트라에게 이전을 신청하면, gaining 레지스트라는 NZRS에 ‘이전신청’을 접수함. NZRS는 이전을 접수한 즉시 레지스트라 이전을 수행한 후 gaining 레지스트라에게 이전사실을 알린 후, releasing 레지스트라에게 이전사실을 통보 - 레지스트라 간 복수 도메인 이전은 해당 등록인들이 타 레지스트라로의 이전사실을 알고 있으며, gaining 레지스트라의 계약서에 서명을 했음을 증명한 경우 가능함(레지스트라간의 인수합병 등)

마. 분쟁조정

o 분쟁조정 기관 : DNC o 분쟁조정절차 - 최초분쟁조정신청은 분쟁사항 발생 후 60일 이내에 접수되어야 함 - 모든 분쟁조정신청은 관련기관에게 우선적으로 접수되어 분쟁해결을 위한 절차를 밟아야 하며(등록인이 레지스트라에게 레즈스트라가 NZRS에게, NZRS가 레지스트라에게),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해결 되지 못한 경우에만 DNC로 넘어감 - 분쟁조정신청은 서면, 팩스 또는 전자우편으로 신청가능하며 접수일 로부터 2일(working days)안에 접수사실을 통보받음. 분쟁조정은 사안에 따라 조정기간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정해진 조정기간은 없으나 분 쟁조정신청인에게 진행사항에 대한 업데이트 및 분쟁조정절차 예상 소요기간 관련 통보가 있을 것임

o 조정 결정 - 분쟁조정사안이 경미한 사안인 경우 DNC가 독자적으로 final 결정을 내리며, 사안이 중대한 경우 DNC는 NZOC(New Zealand Oversight Committee)와의 협의를 거친 후 최종 결정을 내림. 최종결정은 조정 신청인에게 전자우편으로 전달됨 - 최종결정 내용 ․정책 및 절차 breach(위반/불이행) 사실이 없음 ․위반/불이행이 인정되나, sanction(제재, 처벌)을 적용할 정도로 중대하지 않음

- 29 - ․위반/불이행이 인정되어 그 결과로 sanction(해당 transaction의 적용 또는 되돌릴 것 또는 권리 정지 및 de-authorisation을 권고)이 적용될 것임

- 분쟁조정을 위하여 독립적개인(NZ Law Society의 회장 또는 부회장이 임명한 independent person)을 임명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은 당사자들이 공평하게 나눠서 부담하여야 함. 단, 이러한 절차는 모든 조사가 완결되어 final outcome이 결정된 이후에만 이용 가능

- 30 - [부록3] TW(대만) 도메인 관련 현황 및 세부등록정책 개관

ccTLD 현황 및 정책조사 : TWNIC(.TW)

1. 등록기관

o 기관명칭 : TWNIC(Taiwan Network Information Center) o 소재지 : 4-F, No. 9, Roosevelt Rd,. Sec 2, Taipei 100, Taiwan, R.O.C. o 기관성격 : 중립적 비영리기관으로, 도메인이름 등록 관리 및 IP 주소할당 업무를 담당

2. TW도메인

가. 개요

o 도메인체계 : 2단계(IDN), 3단계(영문, IDN) - 3단계(Specific English Domain Names) : 10개 ․edu.tw : 등록된 교육기관 및 학술기관. 교육청이 신청검토. ․gov.tw : 법에 의거한 정부기관. 연구개발위원회 & 평가위원회의 Yuan 이사가 신청검토 ․mil.tw : 법에 의거한 국방기관. 국방부가 신청검토 ․com.tw : 합법적으로 등록된 기업, 그리고 해당 국가에서 합법적으로 등록된 외국기업 ․net.tw : Type I 정보통신사업 또는 네트워크 구축 라이센스 보유자, 또는 Type II 라이센스 보유자 ․org.tw : 법에 의거하여 등록된 법인, 해당 국가에서 합법적으로 등록된 외국 비영리기관 ․idv.tw : 모든 자연인. 자격요건 없으나(단, 신청인의 신원을 이메일을 통하여 증명해야 함), 국내(대만) 레지스트라를 통해서만 등록가능 ․game.tw : 자격요건 없으나(단, 신청인의 신원을 이메일을 통하여 증명해야 함), 국내(대만) 레지스트라를 통해서만 등록가능

- 31 - ․ebiz.tw : 자격요건 없으나(단, 신청인의 신원을 이메일을 통하여 증명해야 함), 국내(대만) 레지스트라를 통해서만 등록가능 ․club.tw : 자격요건 없으나(단, 신청인의 신원을 이메일을 통하여 증명해야 함), 대만 레지스트라를 통해서만 등록가능 - 3단계(Specific Chinese Domain Names) : Specific Chinese Domain Name 등록시, 신청인은 해당 Specific 영문도메인이름을 먼저 등록하여야 함. 한 개의 specific 영문도메인은 그에 상응하는 한 개의 specific 중국어도메인이름에만 적용됨. 영문도메인이름과 중국어 도메인 대응(correspondence) 원칙은 다음과 같음 : ․ : com.tw에 해당 ․ : org.tw에 해당 ․ : net.tw에 해당 - 2단계(IDN) : 합법적으로 등록된 모든 회사, 사업체, 기관. 외국법인은 해당국가법에 따라 등록가능(may register under the law of their country) o 전체 도메인 등록 수 : 261,036 (2004.11) = 147,681(영문) + 113,355(IDN) o TW 영문도메인 등록 추이 ('03.11~'04.11)

- 32 - o IDN 등록 추이 ('03.11~'04.11)

나. 등록 방법 및 비용

o 등록방법 : Registrar를 통한 등록 접수 o 등록비용 : 레지스트라는 TWNIC의 수수료 표준표에 제시된 금액을 초과 하지 않는 선에서 수수료 금액 조정 가능하며, 최대 2년까지 등록가능 - 도메인이름 표준 등록수수료/관리수수료(NT$ 1 = 35원) 종류 카테고리 최고수수료(maximum) com.tw net.tw 등록수수료 : org.tw NT$450/도메인관리비 NT$900/year 영문도메인이름(3단계) game.tw (47,250원/year) Specific English ebiz.tw Domain Names club.tw 등록수수료 : idv.tw NT$270/도메인관리비 NT$450/year (25,200원/year) 등록수수료 : IDN(2단계) NT$450/도메인관리비 Generic Chinese xxxx.tw NT$900/year Domain Name (47,250원) IDN(3단계) Specific Chinese 현재 무료 Domain Names

- 33 - - 도메인이름 정보변경 표준 수수료(NT$ 1 = 35원)

종류 카테고리 최고수수료(maximum)

com.tw net.tw 등록수수료 org.tw NT$450/time game.tw 영문도메인(3단계) ebiz.tw (15,750원) Specific English Domain club.tw Names 등록수수료 idv.tw NT$270/time (9,450원)

IDN(3단계) Specific Chinese Domain 현재 무료 Names

다. 레지스트라

o 레지스트라 개수 : 27개 = 국내 9개 + 국외 18개 (미국, 유럽, 한국 : 국외 레지스트라의 모집은 NeuLevel과의 계약을 통해 NeuLevel사가 accreditation process를 담당)

o 계약기간 : 레지스트라와 TWNIC과의 상호협의하에 기간을 정하나, 최대 2년을 넘을 수 없음

o TWNIC에게 지불하는 수수료(fee) - Registration software fee : NT$ 180,000/year(NT$1=35원 : 6,300,000원) - 등록수수료, 유지수수료 : 레지스트라가 등록인으로부터 받는 금액의 50%를 registry fee로 지불(건당/month)

o 신청절차 - TWNIC에 관련 증빙서류, 라이센스 등과 함께 서면으로 신청서 제출 - 신청서에는 신청인이 보유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장비, 인적자원, 관리체계 등을 기술하여야 하며, ‘도메인이름 레지스트라 자격요건’에 제시된 자격요건 모두를 만족시켜야 함 - TWNIC은 신청서 검토 후 의견 제시

- 34 - o 도메인이름 레지스트라 자격요건 - 최소 NT$ 10,000,000(=350,000,000)에 해당하는 paid-in 자본을 가지고 있으며 관련법에 의거하여 설립된 회사(company), 또는 관련법에 의거하여 설립되었으며 인터넷서비스 관련 사업을 하고 있는 공공 기관, 학술기관, 기업연합(association of enterprises)과 같은 법인 또는 협회(institute) - 신청인이 법인인 경우, 신청인의 director, 감사, 매니저, 또는 최소 5%이상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주주는 대만 상법의 제30조1항부터 5항을 행하면 안 됨 - 레지스트라는 등록인에게 하루 24시간, 안정적인 실시간 등록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여야 함 - 레지스트라는 등록인의 데이터 보호를 위하여, 접근통제, 방화 및 보안 시스템, 정보보안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프로그램과 같은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여야 함 - 레지스트라는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적정수의 기술자를 유지하여야 함 - 레지스트라는 충분한 수의 서비스 직원을 유지하여야 함 - 레지스트라는 TWNIC과의 협력하에 도메인이름 등록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위한 마케팅 및 PR 직원을 고용하여야함

라. TW 도메인 등록규칙

o 수수료 - 도메인 등록 관련 수수료는 break-even basis로 산정되며(원가기준), 표준수수료는 전문가와 학자 등으로 구성된 서비스 rate 위원회에 의해 결정됨 - 레지스트라는 표준수수료에 제시된 금액을 초과한 비용을 등록인에게 부과 하면 안됨 - 서비스 수수료는 년단위로 부과됨 - 레지스트라는 등록인에게 만료일 90일전에 수수료관련 통지를 하여야 하며, 도메인이름 만료일까지 수수료가 납부되지 않은 경우, 30일간의

- 35 - 사용정지기간을 거침. 사용정지기간 중에도 수수료가 납부되지 않을 경우 해당 도메인이름은 삭제됨

o 서비스 Quality 보장 - TWNIC의 과실(reasons attributable to TWNIC)로 인한 서비스 장해 또는 중단 발생시, 장애 시간이 24시간(연속)을 초과한 경우 TWNIC은 웹 사이트에 기간-연장 정책을 공지하여야 하며, 자동적으로 장애 또는 중단시간만큼 서비스기간이 연장됨. (12시간 이하의 경우 o일로 계산, 12-24시간의 경우 1일로 계산) - 불가항력으로 인한(천재지변, 전자통신서비스제공자 장애) 서비스 장애 또는 중단시간이 48시간(연속)을 초과한 경우, TWNIC은 웹사이트에 기간- 연장 정책을 공지하여야 하며, 자동적으로 서비스기간이 장애/중단시간 만큼 연장됨. (12시간 이하의 경우 o일로 계산, 12-24시간의 경우 1일로 계산) - TWNIC이 서비스를 중단(discontinue)하게 된 경우, 서비스 중단 7일전 지역신문과 TWNIC 웹사이트에 중단사실을 공지하여야 하며, 공지일 로부터 3개월 내에 고객의 요청이 있는 경우 surplus fee의 비율에 해 당하는 비용을 환불하여야 함

o 도메인이름의 이전 및 삭제 - 등록인 또는 그 대리인으로부터 서면신청이 접수된 경우 - 법원으로부터의 판결이 있은 경우 - 분쟁조정기관으로부터 서면 결정을 통보받은 경우

라. 분쟁조정

o 분쟁조정 기관 : TWNIC이 승인한 중립적 기관 - STLC(Science & Technology Law Center) - Taipei Bar Association

o 분쟁조정비용 - 분쟁조정비용은 기본적으로 신청인이 부담. 단, 신청인이 1인 패널을 요청 하고, 등록인이 3인 패널을 요청한 경우, 등록인이 조정비용을 반을 부담

- 36 - o 조정절차 - 분쟁조정기관을 통해 분쟁조정신청 접수(증빙서류 하드카피로 제출. 단, 부록문서의 경우 전자형태로 제출가능) - 신청인이 1인 패널 또는 3인 패널 선택. 3인 패널 선택시, 분쟁조정기관의 패널리스트 목록에서 3명의 후보자를 지정하여 연락정보 등을 제출. 후보 자중 1인은 3인 패널 중 한명으로 채택됨 - 분쟁조정기관은 신청인으로부터 조정비용을 접수한 날로부터 3일내에 등록인에게 신청서를 전달하여야 하며, 등록인에게 신청서를 전달한 날짜를 기준으로 분쟁조정절차가 시작됨 - 등록인은 분쟁조정절차 시작으로부터 영업일 20일이 내에 분재조정기관 에게 답신하여야 함 - 신청인이 1인 패널을 신청하였으나, 등록인이 3인 패널로 변경하기를 원 하는 경우, 분쟁조정비용의 반을 등록인이 부담하여야 하며, 3인 패널 중 한명으로 채택될 3인의 패널후보자를 선정하여 연락정보 등을 제출 - 등록인이 3인 패널을 선택한 경우, 등록인은 분쟁조정기관으로 답변서 제출 시, 전체금액의 절반에 해당하는 비용을 지불하여야 함. 비용 미 지불시, 분쟁조정은 1인 패널로 진행됨 - 등록인으로부터 답변서를 접수한 날로부터 3일내에, 분쟁조정기관은 신청인에게 답변서를 전달 - 등록인이 답변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아주 특별한 경우를 제외 하고는, 신청서를 근거로 결정을 내림 - 1인 패널로 결정된 경우, 분쟁조정기관은 답변서 접수일로부터 5일 이내에 한명의 패널리스트를 선정 - 3인 패널로 결정된 경우, 신청인과 등록인이 제출한 3인의 후보 중 각 한 명씩을 분쟁조정기관이 선정. 세 번째 패널은 분쟁조정기관이 5인의 후보를 선정하여, 등록인과 신청인의 의견을 들어본 후, 가장 중립적이고 적합하다 사료되는 1인을 선정 o 조정 결정 - 3인 패널의 경우, 다수결로 결정 - 결정문은 서면으로 작성되어야 하며, 해당도메인의 이전 또는 삭제 결정이 내려진 경우, 분쟁조정기관은 패널로부터 결정문을 전달받을 날로부터 3일 이내에 TWNIC과 신청인, 등록인에게 해당 결정사항을 통보하여야 함

- 37 - [부록4] DK(덴마크) 도메인 관련 현황 및 세부등록정책 개관

ccTLD 현황 및 정책조사 : DK Hostmaster A/S(.DK)

1. 등록기관

o 기관명칭 : DK Hostmaster A/S o 소재지 : Kalvedod Brygge 43, 4.sal, DK-1560 Kobenhavn V, Danmark o 기관성격 : ICANN으로부터 DK도메인 등록 위임을 받은Dansk Internet Forum(DIFO)이 100% 소유하고 있는 유한회사로서, DIFO의 위임을 받아 DK 도메인의 등록을 담당

2. DK 도메인

가. 개요 o 도메인체계 - 2단계 : www.hostmaster.dk o 전체 도메인 등록 수 : 539,418 (2004.10.1 현재) o IDN 등록 수 : 24,195 (2004.10.1 현재 전체도메인의 약 4.5% 차지) o DK 도메인 등록 추이 ('96~'04) http://www.dk-hostmaster.dk

나. 등록 방법 및 비용

o 등록자격 : 외국인을 포함한 모든 개인 및 법인(legal body) o 등록방법 - Registrar를 통한 등록만 받음 - 레지스트라는 신청인이 서면으로 작성한 등록신청서를 접수 - 등록신청서를 접수한 레지스트라는 레지스트리가 승인한 최소 두개의 네임서버가 서비스 되고 있는지를 레지스트리 홈페이지상의 DNS look-up을 통하여 검사 - 검사 완료 후 레지스트라는 해당 도메인에 대한 전자신청서를 작성 하여 레지스트리에게 발송

- 38 - - 레지스트리는 전자신청서 접수시 tracking number를 레지스트라에게 발송하며, tracking number에 따라 신청도메인들을 등록(tracking number는 접수순서에 따라 발행됨)

o 등록비용 - DKK 60/1년 (레지스트라가 레지스트리에게 지불하는 비용) - 레지스트리는 최소 1달 전 등록인에게 유지수수료 청구서를 이메일로 발송 되며 등록인이 서면청구를 원할 경우, DKK 10의 추가비용을 부담 하여야 함

다. DK 도메인 등록규칙

o 레지스트리에 의한 도메인이름의 삭제 및 등록변경(등록인과의 계약 취소(Cancellation) 및 종료) - 정해진 기간 내에 등록/유지수수료를 내지 않은 경우 도메인이름 삭제 가능 - 레지스트리의 자료요청에 응하지 않은 경우 도메인이름 삭제 가능 - 레지스트리가 승인한 최소 두 개의 네임서버들로 구성된 DNS 서비스 유지에 실패한 경우 도메인이름 삭제 가능 - 덴마크, 외국법원, 중재재판소, 또는 상응하는 권한이 있다고 사료되는 공공기관의 삭제결정이 내려진 경우 도메인이름 삭제 또는 등록변경 가 능 - 덴마크법률에 명백하게 위배되는 도메인이름의 사용에 대하여 법적인 권한이 있는 공공기관이 해당도메인이름에 대한 삭제 요청을 한 경우 도메인 이름의 삭제 또는 등록변경 가능 - DIFO의 이사회가 만장일치로 삭제결정을 내리고, 등록인이 이러한 결정을 통보받은 날로부터 30일 안에 덴마크 법원에 해당 결정에 대한 소송을 제기하지 않은 경우 도메인이름의 삭제 및 등록변경 가능 - 레지스트리가 DK도메인에 대한 호스트마스터로서의 기능을 정지할 경우 등록인과의 계약 종료 가능. 이러한 경우 레지스트리는 기간만료 전의 등록인에게 수수료 환불의 의무가 없음 - 레지스트리는 전자우편을 통하여 계약종료를 통보. 등록인이 전자우편을 통한 통보를 받지 못한 채 해당도메인이 정지된 경우, 등록인은 통보일 로부터 8주 안에 해당도메인의 재등록 가능. (재등록비용 DKK 100)

- 39 - o 등록인에 의한 도메인이름의 삭제(계약종료) - 등록인은 레지스트리에게 등록인이 서명한 계약종료신청서(레지스트리 홈페이지에 제공)를 서면으로 제출 - 사용만료일전에 삭제된 도메인의 남은 사용기간에 대한 수수료 환불 불가 o 도메인이름 이전 - 인도자(등록인)과 인수자는 레지스트라를 통하여 서면으로 이전신청서 (레지스트리홈페이지에 제공)를 작성하여 레지스트리에게 제출 - 도메인이름분쟁조정위원회(Complaints Board)에 접수된 도메인 또는 제3자에 의하여 등록인에게 반하는(against) 법적행동이 취해진 것에 대한 서면통지를 레지스트리가 접수한 경우, DIFO manager의 동의에 의해서만 제 3자에게 해당 도메인이름의 이전가능. 도메인이름분쟁 조정위원회 또는 등록인 또는 제 3자로부터 현재진행중인 분쟁에 대한 통지를 레지스트리가 접수받은 경우, 레지스트리는 해당도메인에 대하여 등록인 관련 데이터 변경 금지 조치를 취하며 이러한 조치가 취해진 경우 등록인 관련 데이터는 DIFO manager의 동의를 얻어 야만 변경 가능. 해당 조치를 취한 레지스트리는 이러한 사실을 등록인 에게 통보. 분쟁조정위원회로부터 해당 분쟁에 대한 결정 통지를 받거나 등록인 또는 제3자로부터 법적판결 또는 합의관련 서류를 접수 받은 경우, 레지스트리는 등록인 관련 데이터 변경 금지 조치를 해지. (등록인이 현행규정을 위반하였거나 비용지불 의무를 행하지 않아 분쟁중인 도메인이름의 정지 또는/그리고 삭제가 이루어 진후, 그 삭제 의 결과로서 제 3자가 해당 도메인의 등록을 하게 된 경우, 이러한 행위는 본 조항에 따른 이전으로 취급하지 않음) o 공익에 의한 도메인이름이용 권리 회수(Withdrawal of rights of use to Domain Names) - DIFO는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해당 도메인이름을 사용해야 된다고 사료될 경우, 기등록된 도메인이름의 이용권리 회수 가능. 해당 도메인 이름이 등록인의 통상적 행위로서 능동적으로(actively) 사용되었던 경우, DIFO는 등록인에게 적정수준의 보상금 지불 가능 o 재위임(Redelegation) : 네임서버 변경 - 등록인 또는 그 대리인(zone contact)은 레지스트리에게 전자신청서를 접수함으로서 재위임을 요청

- 40 - - 해당 네임서버는 레지스트리에 등록되어 있어야 하며, 레지스트리는 재위임 승인관련 요청에 대한 등록인의 서명이 담긴 declaration 또는 이메일로부터 긍정적인 답변을 접수한 후 재위임 절차 진행 o 정보공개선택여부 - 등록인은 WHOIS상에서 제공되는 해당 정보의 공개여부를 선택할 권리가 있음. 그러나 레지스트리가 제3자의 법적권리가 등록인의 정보공개여부선택권리를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해당 정보는 분쟁 조정위원회를 포함하는 제3자에게 공개될 수 있음

o 웨이팅리스트(Waiting List) - 레지스트리는 기등록된 도메인이름을 등록하고자 하는 등록대기자 명단을 유지, 관리 - 대기자명단에 포함되기 위한 비용은 DKK 60/1년(대기자명단 최초 포함 시점에 지불되야함)이며 온라인신청서로 접수 - 대기명단이 접수된 도메인의 종료일이 도래한 경우, 레지스트리는 이메일을 통하여 대기자들에게 해당사실을 통보하며, 대기자들은 통보일 로부터 14일안에 해당도메인에 대한 등록의향여부를 밝혀야 함. 등록 의향이 있음을 통보한 대기자들 중 대기자명단에 먼저 등록한 순서대로 도메인을 할당 o Zone Contact : 네임서버관리인 - Zone Contact가 되기 원하는 개인 또는 법인은 호스트신청서를 통하여 레지스트리에게 신청 - 레지스트리는 신청인의 DNS 기능 관련 기술적 전문성을 검토한 후, 자격에 부합하는 신청인의 네임서버 승인 후 등록 - Zone Contact 신청비용 :DKK 500 (신청서가 기각된 경우, 레지스 트리는 DKK 200을 신청인에게 돌려주며, 레지스트라가 Zone Contact 신청서를 제출한 경우, 신청비용은 무료) - Zone Contact가 네임서버를 숫자의 제한 없이 구축하고자 하는 경우, 레지스트리에게 DKK 1000/1달을 지불하고 해당 계약을 맺을 수 있음 - 문제점 발생시 Zone Contact는 14일안에 문제를 해결하여야 함. 14일 경과 시 레지스트리는 해당 zone을 DK zone에서 정지시키며 등록인 에게 8주내에 문제를 해결할 것을 요청 - 8주안에 문제해결이 되지 않은 경우, 통보 없이 해당도메인이름을 삭제함

- 41 - o 레지스트라 - 모든 자연인 또는 법인은 홈페이지에 제공되어 있는 신청서를 접수 함으로서 레지스트라 신청 가능 - 레지스트라 예치금(deposit) : DKK 25,000 - 레지스트라는 Zone Contact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함

라. 분쟁조정

o 분쟁조정 기관 - DIFO는 도메인이름분쟁조정위원회(Complaints Board for Domain Names)를 설립하였으며, 레지스트리가 해당 비용을 부담 - 분쟁조정위원회는 세 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임기는 3년임. 한명은 고등법원판사에 준하는 자격을 가진 사람이여야 하며, 나머지 두 명은 이름 및 상표권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로 구성됨. 소비자관련 사건일 경우, 위원회는 각각 소비자와 상업적 이익(commercial interest)를 대표하는 두 명의 멤버로 구성됨. 전문기술문제 관련 사건일 경우, 위원회는 기술적전문성을 지닌 2 명의 멤버 추가 영입 가능 - 분쟁조정위원회는 조정신청준비업무를 담당할 비서를 둘 수 있으며, 사무국을 운영함 - 분쟁조정신청은 서면 또는 전자우편을 통하여 접수 가능

o 분쟁조정비용 - DKK 500 (조정신청인이 해당 도메인이름이 상업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지 않음을 주장하고, 이러한 주장인 받아들여진 경우 조정비용은 DKK 200으로 조정됨 - 신청인의 주장이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인정된 경우, 신청인이 지불한 조정비용은 환불됨. 이러한 경우 위원회는 respondent 에게 환불된 비용을 대신 지불할 것을 명령할 수 있음

o 조정절차 - 신청인으로부터 조정신청을 접수받은 사무국은 신청서가 분쟁조정의 요건을 모두 충족시킬 경우, respondent에게 조정신청관련 서류를 동봉하여 조정신청이 접수되었음을 알림과 동시에 통보를 받은

- 42 - 날로부터 2주 안에 답변서를 제출해 줄 것을 요청. respondent가 답변서를 제출하면 사무국은 답변서를 다시 신청인에게 발송하고 2주 안에 답변서에 대한 응답을 할 것을 요청. 답변서에 대한 신청인의 응답은 다시 respondent에게 전달됨 - 위원장 또는 위원장의 위임을 받은 자는 필요하다 사료되는 경우, 위에서 제시된 기간의 연장 또는 추가 자료 요청 가능 - 조정절차는 4주를 초과할 수 없음 - 위원회의 위원장은 서면결정을 통해 처리할 것인지 또는 meeting이 필요한지에 대한 결정을 내림. (소비자와 상업적 대표(commercial representatives)들이 참여하는 경우엔 반드시 meeting을 통해 결정을 내려야 함) - 위원회의 결정은 www.difo.dk에 공개됨

- 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