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천체사진(APOD) 번역집 2013-4 BigCrunch 소개글

NASA에서 운영하는 오늘의 천체사진(Astronomy Picture of the Day, 이하 APOD)사이트는 1995년 6월 16일 첫번째 천체사진을 발표한 이래, 지금까지 하루도 빠짐없이 천체관련 사진 또는 동영상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본 블로그 북은 2013년 APOD를 통해 발표된 천체사진의 번역 모음집 두번째 편으로서 2013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51개의 APOD 번역내역이 담겨 있습니다.

참고 : 2013년 발표 천체사진 중 과거에 이미 발표된 내용이 반복 게재된 경우, 그리고 동영상이 게재되어 본 블로그북 형식으로 담아낼 수 없는 경우는 제외되었으니 이점 참고하여 주십시오. 목차

1 목성의 삼중 일식 6

2 하이브리드 일식 9

3 뉴욕 상공의 일식 13

4 노르웨이 상공의 오로라 16

5 1만 3천미터 상공의 일식 20

6 우간다 상공의 일식 23

7 러브조이 혜성과 M44 26

8 불꽃놀이와 번개 사이의 혜성 30

9 개기일식 동안 촬영된 왕성한 활동력의 태양 33

10 토성의 그림자 속에서 바라본 토성 36

11 NGC 1097 39

12 태양의 스펙트럼 42

13 아이손 혜성 45

14 맥너트 혜성의 웅장한 꼬리 48

15 아이슬란드 상공의 오로라와 멋진 구름 51

16 4U1630-47 의 블랙홀 제트 54

17 미노타우르스 미사일의 궤적 57

18 캘리포니아 성운과 플레아데스 성단 60

19 스테레오 위성이 포착한 아이손 혜성 63

20 인디안 코브 상공의 헤일-밥 혜성 66

21 NGC 4921 69

22 시에라 네바다 산맥 위의 모자 구름 72

23 NGC 1999 75

24 태양 주위를 통과하기 전과 후의 아이손 혜성 79

25 은하 중심을 향해 발사되고 있는 레이저 82 26 M63 앞을 지나는 러브조이 혜성 86

27 로 오피유키(Rho Ophiuchi)의 찬란한 구름들 89

28 러브조이 혜성(C/2013 R1) 92

29 Abell 7 95

30 감마선을 내뿜는 지구와 하늘 98

31 구제프 크레이터 전경 - 에베레스트 파노라마(the Everest panorama) 102

32 풍차 위의 러브조이 혜성 105

33 세이퍼트의 6중 은하(Seyfert's Sextet) 108

34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 111

35 알니탁, 알니렘, 민타카 114

36 다샨바오 습지 상공의 쌍동이 자리 유성우 118

37 NGC 7635 121

38 유로파 124

39 달에 내려선 탐사로봇 위투(Yutu) 127

40 테이드 화산 위의 유성우 130

41 핀란드에서 촬영된 빛기둥 133

42 다채로운 색깔의 달 136

43 호수의 세계 타이탄 140

44 태양활동관측위성이 다파장으로 바라본 태양 144

45 칠레에서 촬영된 쌍동이자리 유성우 148

46 Sharpless 2-308 151

47 M33의 수소구름 154

48 하트 성운 중심의 Melotte 15 159

49 알라스카의 오로라 162

50 환상적인 프렉탈의 풍경 165 51 말머리 성운 169 01 목성의 삼중 일식 목성의 삼중 일식 2013.11.16 22:02

세계표준시 10월 12일 새벽 5시 28분에 벨기에에서 촬영된 이 사진은 천체망원경에 웹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것으로서 목성의 달이 목성 상공을 지나면서 그 그림자를 목성 대기에 드리우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목성이 여러개의 달을 거느린 거대한 행성이긴 하지만 세 개의 달이 한꺼번에 식현상을 일으키는 것은 상대적으로 드문 사건이다.

사진에 담긴 세 개의 갈릴레오 위성은 가장 왼쪽 멀리에 있는 것이 칼리스토, 목성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것이 이오, 그리고 이오의 왼쪽 바로 아래에 있는 것이 유로파이다.

태양 빛을 반사해내고 있는 목성의 대기에 드리워진 그림자 중, 목성의 아래쪽 남극지역 근처에 가장 길쭉하게 보이는 것이 칼리스 토의 그림자이다. 이오의 그림자는 그 위쪽으로 대적반의 오른쪽에 있다.

목성의 삼중 일식 • 7 물론 이 모습을 목성에서 바라본다면 이 그림자가 지나는 곳에서는, 행성 지구에서 달에 의해 해가 가리워지는 현상을 일컫는 용어인 일식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2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02.html

원문> Jupite r' s Triple S hado w Trans it Image Cre dit & Co pyright: Leo Aerts Explanatio n: This webcam and telescope image of banded gas giant Jupiter shows the transit of three shadows cast by Jupiter's moons in progress, captured in Belgian skies on October 12 at 0528 UT. Such a three shadow transit is a relatively rare event, even for a large planet with many moons. Visible in the frame are the three Galilean moons responsible, Callisto at the far left edge, Io closest to Jupiter's disk, and Europa below and just left of Io. Of their shadows on the sunlit Jovian cloud tops, Callisto casts the most elongated one near the planet's south polar region at the bottom. Io's shadow is above and right of Jupiter's Great Red Spot. Of course viewed from Jupiter's perspective, these shadow crossings could be seen as solar eclipses, analogous to the Moon's shadow crossing the sunlit face of planet Earth.

목성의 삼중 일식 • 8 02 하이브리드 일식 하이브리드 일식 2013.11.16 22:37

2005년 천상에 장관을 연출한 이벤트인 하이브리드 일식이 발생했었다. 하이브리드 일식은 관측자의 관측지역의 특성으로 개기일식과 금환일식이 함께 보이는 현상이다.

갈라파고스의 서쪽 2200킬로미터 길이로 펼쳐진 달의 그림자 궤적 중앙에서 부드럽게 흔들리는 배에 타고 있던 프레드 에스페낙 (Fred Espenak)에게 관측되는 일식은 짧은 순간 태양 원반이 달에 의해 완벽하게 가려지는 개기일식이었다. 그의 카메라는 팽창하는 태양 코로나와 태양의 모서리로부터 솟구쳐 오르는 홍염을 완벽하게 포착해냈다.

그러나 이 그림자 궤적의 가장 자리 부근, 파나마 페노노메 비행장에 있던 스테판 하인시우스(Stephan Heinsius)에게 달의 크기는

하이브리드 일식 • 10 금환일식을 연출하기에 충분할 만큼 태양에 잠겨드는 크기였고, 드라마틱한 불의 반지 모양을 연출하는 완벽한 금환일식을 볼 수 있 었다.

이 사진은 바로 이 두 지역에서 촬영한 사진을 비교한 것이다.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 일식은 얼마나 드문 현상일까? 계산 결과, 21세기 일식의 고작 3.1%(총 224회 중 7회)만이 하이브리드 일식일 것이고 기원전 2천년부터 기원후 3천년까지 하이브리드 일식은 전체 일식의 5%밖에 되지 않는다.

오늘 하이브리드 일식은 아메리카 북동부에서 아프리카 지역까지 짧은 부분일식과 이어진 15초간의 금환일식으로서 그림자 궤적의 중심부 바깥쪽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목격될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3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03.html

참고> 일식에 대한 또 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1393412 http://blog.daum.net/bigcrunch/1233869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333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3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1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2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2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2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3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3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4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6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7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86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9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98

원문> A Rare Hybrid S o lar Ec lips e Image Cre dit & Co pyright: Left: Fred Espenak - Right: Stephan Heinsius Explanatio n: A spectacular geocentric celestial event of 2005 was a rare hybrid eclipse of the Sun - a total or an annular eclipse could be seen depending on the observer's location. For Fred Espenak, aboard a gently swaying ship

하이브리드 일식 • 11 within the middle of the Moon's shadow track about 2,200 kilometers west of the Galapagos, the eclipse was total, the lunar silhouette exactly covering the bright solar disk for a few brief moments. His camera captured a picture of totality revealing the extensive solar corona and prominences rising above the Sun's edge. But for Stephan Heinsius, near the end of the shadow track at Penonome Airfield, Panama, the Moon's apparent size had shrunk enough to create an annular eclipse, showing a complete annulus of the Sun's bright disk as a dramatic ring of fire. Pictures from the two locations are compared above. How rare is such a hybrid eclipse? Calculations show that during the 21st century just 3.1% (7 out of 224) of solar eclipses are hybrid while hybrids comprise about 5% of all solar eclipses over the period 2000 BC to AD 3000. Today's hybrid solar eclipse is most widely visible beyond the central shadow track as a brief partial eclipse from northeastern Americas through Africa, and along the track in an annular phase for only the first 15 seconds.

하이브리드 일식 • 12 03 뉴욕 상공의 일식 뉴욕 상공의 일식 2013.11.19 22:31

뉴욕 상공에 이와 같은 일출이 연출되는 것은 드문 일이다. 그러나 어제 태양은 부분적으로 달에 가린채로 떠올랐으며 이 모습은 북동 아메리카와 남아메리가 북부에서 관측되었다.

동시에 아프리카 상당부는 이미 한 낮이었고, 일식의 시작부터 끝까지를 관측할 수 있었다.

이 일식은 특이한 하이브리드 일식이었다. 지구 일부에서 사람들은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기에는 크기가 작아서 완전히 태양을 가렸을 때 달을 둘러싼 불의 고리를 볼 수 있 었고 다른 지역의 사람들은 달이 태양을 충분히 가릴만한 크기를 가져서 개기일식을 볼 수 있었던 것이다. 달의 각크기가 이처럼 미묘한 차이를 연출한 것은 지구의 표면이 곡면인 것과 달의 궤도가 타원형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 사진에서는 뉴욕의 유명한 빌딩인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이 부분일식을 연출하는 태양의 왼쪽으로 보이고 구름이 하늘을 장식하

뉴욕 상공의 일식 • 14 고 있다. 뉴욕에서 다음 일식은 - 약간의 부분일식을 보이는데 - 2014년 10월 24일 해질녁에 나타날 예정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4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04.html

원문> Ec lips e Ove r Ne w Yo rk Image Cre dit & Co pyright: Chris Cook Explanatio n: A sunrise over New York City rarely looks like this. Yesterday, however, the Sun rose partly eclipsed by the Moon as seen from much of the eastern North American and northern South America. Simultaneously, much of Africa, already well into daytime, saw the eclipse from beginning to end. The eclipse was unusual in that it was a hybrid -- parts of the Earth saw the Moon as too angularly small to cover the whole Sun, and so at maximum coverage left the Sun surrounded by a ring a fire, while other parts of the Earth saw the Moon as large enough to cover the entire Sun, and so at maximum coverage witnessed a total solar eclipse. Slight changes in the angular size of the Moon as seen from the Earth's surface are caused by the non-flatness of the Earth and the ellipticity of the Moon's orbit. Pictured above, the famous Empire State Building in New York City is seen to the left of the partially eclipsed Sun, adorned with scenic clouds. The next solar eclipse visible from New York City -- a very slight eclipse -- will occur during the sunset of 2014 October 23. Gro wing Galle ry: See great eclipse pictures To mo rro w' s pic ture : alternate earth

뉴욕 상공의 일식 • 15 04 노르웨이 상공의 오로라 노르웨이 상공의 오로라 2013.11.19 22:36

노르웨이 상공의 오로라 • 17

노르웨이 상공의 오로라 • 18

할로윈의 하늘은 어떤 생물체처럼 보였다. 그 생물체가 정확히 무엇인지 천체사진작가는 확신하지 못했지만 아마도 당신은 무엇인지 제안해볼 수 있을 것이다. 으스스한 모습을 연출한 것이 정확히 무엇인지를 확실했다. : 이것은 최근 연출된 오로라 중에서 가장 최고의 오로라이다. 이 장관을 연출한 오로라는 매우 높은 수준의 세부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생생하게 연출된 초록색과 보라색의 오로라는 태양폭발로부터 유입된 전자가 대기상의 산소 및 질소와 상호작용을 일으키며 발생하 였다. 노르웨이 트롬쇠의 자작나무들이 으스스한 풍경을 연출하고 있다. 다른 많은 멋진 오로라 사진들은 최근 발생한 고에너지 태양 플레어에 의해 촉발되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6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06.html

원문>

Cre ature Auro ra Ove r No rway Image Cre dit & Co pyright: Ole C. Salomonsen (Arctic Light Photo) Explanatio n: It was Halloween and the sky looked like a creature. Exactly which creature, the astrophotographer was unsure (but possibly you can suggest one). Exactly what caused the eerie apparition was sure: one of the best auroral displays in recent memory. This spectacular aurora had an unusually high degree of detail. Pictured above, the vivid green and purple auroral colors are caused by high atmospheric oxygen and nitrogen reacting to a burst of incoming electrons. Birch trees in Tromsø, Norway formed an also eerie foreground. Many other photogenic auroras have been triggered by recent energetic flares on the Sun.

As tro phys ic is ts : Browse 600+ codes in the Astrophysics Source Code Library

노르웨이 상공의 오로라 • 19 05 1만 3천미터 상공의 일식 1만 3천미터 상공의 일식 2013.11.19 22:40

11월 3일 일식을 담아낸 이 사진의 촬영은 결정적인 순간 이루어졌다. 그러나 용감한 일식 사냥군들은 1만 3천 미터 상공에서 전세비행기에 탑승하여 시속 800킬로미터로 비행하며 달의 그림자에 끼어들 었다. 이 멋진 비행은 달 그림자가 만드는 그림자대역 중앙을 수직방향으로 따라가며 이루어졌다. 날개 끄트머리 너머의 하늘이 어둠에 잠기는 순간의 달 그림자는 버뮤다 남동쪽 960킬로미터 지점에서 시속 12800킬로미터의 속도로 대서양을 가로지르고 있었다. 전체 일식에서 한순간 밖에 되지 않는 짧은 순간 촬영된 이 사진은 그림자 속의 달 원반을 잡아냈다. 달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열한 봉우리와 계곡을 통과한 태양빛이 빛나는 다이아몬드 반지의 모습을 연출해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7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07.html

1만 3천미터 상공의 일식 • 21

원문> Ec lips e at 44,000 Fe e t Image Cre dit & Co pyright: Ben Cooper (Launch Photography) Explanatio n: Timing was critical to catch this image of November 3rd's solar eclipse. But flying at 44,000 feet, intrepid eclipse chasers on a chartered jet traveling 500 miles per hour managed to intercept the the Moon's shadow. The remarkable flight made a perpendicular crossing of the central shadow track. Darkening the skies beyond the wing tip at that moment, the Moon's shadow was moving at some 8,000 miles per hour across the Atlantic Ocean, 600 miles southeast of Bermuda. After only an instant of totality, this snapshot captured the lunar disk in silhouette. Rays of sunlight shining past peaks and valleys along the lunar limb created the fleeting appearance of a glistening diamond ring.

1만 3천미터 상공의 일식 • 22 06 우간다 상공의 일식 우간다 상공의 일식 2013.11.19 22:45

20초의 짧은 시간동안 달의 암영부에 완전히 막히 태양원반이 11월 3일 우간다 북서부 포퀘로를 가로질러갔다.

중앙 아프리카 지역의 청명한 하늘의 개기일식을 담은 이 고해상도 망원경 사진과 같은 모습이 여러 사람들에 의해 목격되었다. 달이 압도적인 빛을 뿜어내는 태양을 막아서며 그 빛의 강도를 낮추면서 태양의 대기층이 목격되는 영감어린 장면이 연출되었다. 태양으로부터 뻗어나오는, 태양 채층의 붉은 빛 수소 알파 불꽃이 달의 테두리를 그리고 있으며 이 불꽃은 태양의 얇고 뜨거운 외곽

우간다 상공의 일식 • 24 대기, 또는 코로나쪽으로 사그러들고 있다. 1시 방향 근처에는 채층으로부터 떨어져나온 불타는 플라스마 구름을 담은 행성 크기의 홍염이 테두리를 벗어난데까지 솟구치며 가 장 자리를 장식하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8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08.html

원문> Solar Eclipse from Uganda Image Credit & Copyright: Jaime Vilinga - collaboration / Institut d'Astrophysique de Paris Explanation: The Sun's disk was totally eclipsed for a brief 20 seconds as the Moon's dark umbral shadow raced across Pokwero in northwestern Uganda on November 3rd. So this sharp telescopic view of totality in clear skies from the central African locale was much sought after by eclipse watchers. In the inspiring celestial scene the Moon just covers the overwhelmingly bright photosphere, the lower, normally visible layer of the Sun's atmosphere. Extending beyond the photosphere, the reddish hydrogen alpha glow of the solar chromosphere outlines the lunar silhouette, fading into the Sun's tenuous, hot, outer atmosphere or corona. Planet-sized prominences reaching beyond the limb of the active Sun adorn the edges of the silhouette, including a cloud of glowing plasma separated from the chromosphere near the 1 o'clock position.

우간다 상공의 일식 • 25 07 러브조이 혜성과 M44 러브조이 혜성과 M44 2013.11.19 22:50

러브조이 혜성과 M44 • 27

러브조이 혜성과 M44 • 28 태양쪽으로 추락하며 점점 빛을 밝히고 있는 아이손 혜성을 열망하고 있는 동안 북반구의 천체 관측자들은 해뜨기 전 동쪽 하늘에서 3개의 밝은 혜성을 찾아볼 수 있다.

사실 러브조이 혜성(C/2013 R1)은 지금 이른 아침 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고 있다. 9월에 발견된 이 혜성은 태양 근접 혜성이 아니며 그 밝기는 육안 한계 밝기에 거의 근접하고 있으나 매우 어두운 밤하늘을 가진 지 역에서만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초록빛 코마와 꼬리가 특색을 이루고 있는 이 망원경 사진은 11월 7일 촬영되었으며 이때 러브조이 혜성은 지구로부터 0.5AU, 태양 으로부터 1.2AU 거리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 혜성은 게자리의 벌집인 M44성단으로 잘 알려진 성단을 지나며 멋진 사진을 연출하였다. 사진 하단에는 노란빛의 밝은 별 게자리 델타별이 보인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9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09.html

참고 : 러브조이 혜성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2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26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41

원문> Co me t Lo ve jo y with M44 Image Cre dit & Co pyright: Damian Peach Explanatio n: While anxiously waiting for Comet ISON to brighten further as it falls toward the Sun, northern skygazers can also find three other bright comets in the east before dawn. In fact, Comet Lovejoy C/2013 R1 is currently the morning sky's brightest. Only discovered in September and not a sungrazing comet, this Comet Lovejoy is nearing the edge of naked-eye visibility and might be spotted from very dark sky sites. Sporting a greenish coma and tail in this telescopic view taken on November 7, Comet Lovejoy is about 0.5 AU from our fair planet and 1.2 AU from the Sun. The comet is having a photogenic Messier moment, sweeping past well known star cluster M44, the Beehive in Cancer. Yellowish bright star Delta Cancri is near the bottom of the frame.

러브조이 혜성과 M44 • 29 08 불꽃놀이와 번개 사이의 혜성 불꽃놀이와 번개 사이의 혜성 2013.11.19 22:56

때때로 하늘은 도시에서 최상의 볼거리이기도 하다. 2007년 1월 호주 퍼스의 주민들은 그 지역의 해변에 모여 가까운 곳과 먼곳에서 일어나는 빛의 잔치를 즐겼다. 가까운 곳에서는 호주의 날을 기념하는 일환으로 불꽃놀이가 펼쳐졌다. 그리고 오른쪽 멀리에는 번개가 빛을 뿜어내고 있었다.

사진 중앙으로는 비록 구름에 가려져 보이지만 가장 특이한 광경이 펼쳐졌는데 맥너트 혜성이 바로 그 주인공이었다. 이 포토제닉 혜성은 너무나 밝아서 지구의 빛공해에도 불구하고 육안으로 보일 정도였다.

지금 맥너트 혜성은 태양계 외곽으로 돌아갔으며 거대 망원경에 의해서만 관측이 가능하다. 이 사진은 실제로는 3개의 사진을 이어붙인 것으로 불꽃놀이로부터 발생한 붉은 색의 반사광은 감소되도록 처리되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10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10.html

원문>

Co me t B e twe e n Fire wo rks and Lightning Image Cre dit & Co pyright: Antti Kemppainen Explanatio n: Sometimes the sky itself is the best show in town. In January 2007, people from Perth, Australia gathered on a local beach to watch a sky light up with delights near and far. Nearby, fireworks exploded as part of Australia

불꽃놀이와 번개 사이의 혜성 • 31 Day celebrations. On the far right, lightning from a thunderstorm flashed in the distance. Near the image center, though, seen through clouds, was the most unusual sight of all: Comet McNaught. The photogenic comet was so bright that it even remained visible though the din of Earthly flashes. Comet McNaught has now returned to the outer Solar System and is now only visible with a large telescope. The above image is actually a three photograph panorama digitally processed to reduce red reflections from the exploding firework.

불꽃놀이와 번개 사이의 혜성 • 32 09 개기일식 동안 촬영된 왕성한 활동력의 태양 개기일식 동안 촬영된 왕성한 활동력의 태양 2013.11.19 23:01

개기일식 동안 촬영된 왕성한 활동력의 태양 • 34

때때로 개기일식은 기회이기도 하다. 그와 같은 이점이 있었던 장면을 촬영한 이 사진은 이달 초 발생한 일식을 촬영한 것이며 달이 해를 가린 정도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었다. 가장 안쪽에 보이는 사진은 자외선으로 수시간 동안 촬영한 태양의 모습으로 지구의 저궤도에서 태양에 맞춰 정지궤도를 유지하고 있는 위성인 PROBA2 위성에 장착된 SWAP에 의해 촬영된 것이다. 그리고 이 사진을 가봉에서 촬영되어 푸른 색으로 재가공된, 지상에서 촬영한 일식사진이 감싸고 있다. 이보다 더 바깥쪽으로 원형으로 차폐된 지역은 인공적으로 흐리게 처리된 태양 중심부로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SOHO 위성 에 탑재된 LASCO가 촬영한 것이다. 가장 바깥쪽 사진은 일식후 10분후에 LASCO가 촬영한 것으로 바깥쪽으로 몰아쳐나오는 태양 코로나의 모습을 담고 있다. 지난 수주동안 태양은 흑점과 코로나 질량분출, 그리고 플레어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왔다. 이러한 활동은 11년 주기의 태양 활동 주기 중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이는 태양 극대기를 향해 가는 요즘에는 일반적으로 예상되는 현상이다.

여러 태양의 층위를 하나의 사진으로 합성한 이 사진은 태양 천문학자들로 하여금, 태양 코로나에 담긴 바깥쪽으로 몰아쳐나오는 제 트와 함께 태양 또는 태양 표면 근처에 위치하는 활성지역을 보다 잘 찾아낼 수 있도록 해준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1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11.html

원문> An Ac tive S un During a To tal Ec lips e Image Cre dit & Co pyright: D. Seaton (ROB), A. Davis & J. M. Pasachoff (Williams College Eclipse Expedition), NRL, ESA, NASA, NatGeo Explanatio n: Sometimes, a total eclipse of the Sun is an opportunity. Taking advantage of such, the above image shows the solar eclipse earlier this month as covered and uncovered by several different solar observatories. The innermost image shows the Sun in ultraviolet light as recorded over a few hours by the SWAP instrument aboard the PROBA2 mission in a sun-synchronous low Earth orbit. This image is surrounded by a ground-based eclipse image, reproduced in blue, taken from Gabon. Further out is a circularly blocked region used to artificially dim the central sun by the LASCO instrument aboard the Sun-orbiting SOHO spacecraft. The outermost image -- showing the outflowing solar corona -- was taken by LASCO ten minutes after the eclipse and shows an outflowing solar corona. Over the past few weeks, our Sun has been showing an unusually high amount of sunspots, CMEs, and flares -- activity that was generally expected as the Sun is currently going through Solar Maximum -- the busiest part of its 11 year solar cycle. The above resultant image is a picturesque montage of many solar layers at once that allows solar astronomers to better match up active areas on or near the Sun's surface with outflowing jets in the Sun's corona.

개기일식 동안 촬영된 왕성한 활동력의 태양 • 35 10 토성의 그림자 속에서 바라본 토성 토성의 그림자 속에서 바라본 토성 2013.11.21 06:43

토성의 그늘 속에서는 예상을 벗어나는 놀라운 모습이 나타난다.

지금 토성 궤도를 공전중인 카시니호는 올해 초 이 거대 행성의 그늘 속으로 잠겨들면서 태양을 가리고 있는 이 행성을 돌아보았었 다. 그리고 카시니호는 독특하고 기념비적인 장면을 보게 되었다.

우선 토성의 야간반구는 자신을 감싸고 있는 고리에 반사된 빛을 받아 은은하게 빛나고 있었다. 그리고 토성의 광대한 고리가 이처럼 독특한 앵글에서도 언제나 그랬듯이 웅장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었다. 불규칙한 조각들일 뿐인 고리의 입자들이 빛을 반사해내면서 약간은 분산된 태양빛이 카시니호를 향하고 있다.

사진에서는 몇몇 토성의 위성과 고리 구조가 식별된다.

토성의 그림자 속에서 바라본 토성 • 37 가장 두드러지게 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은 토성의 E 고리로서 이 고리는 특이하게도 많은 얼음을 함유하고 있는 토성의 위성인 엔켈라두스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그리고 가장 바깥쪽 고리도 눈에 띈다.

상단 왼쪽 멀리로는 화성과 금성이 보인다. 그러나 우측 아래로는 아마도 모두에게 가장 경이로운 모습일 수 있는 거의 보이지 않아 무시하고 지나갈만큼의 작은 크기로 창백한 푸른 점 지구가 보인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13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13.html

원문> In the S hado w o f S aturn Image Cre dit: Cassini Imaging Team, SSI, JPL, ESA, NASA Explanatio n: In the shadow of Saturn, unexpected wonders appear. The robotic Cassini spacecraft now orbiting Saturn drifted in giant planet's shadow earlier this year and looked back toward the eclipsed Sun. Cassini saw a unique and celebrated view. First, the night side of Saturn is seen to be partly lit by light reflected from its own majestic ring system. Next, Saturn's expansive ring system appears as majestic as always even from this odd angle. Ring particles, many glowing only as irregular crescents, slightly scatter sunlight toward Cassini in this natural color image. Several moons and ring features are also discernible. Appearing quite prominently is Saturn's E ring, the ring created by the unusual ice-fountains of the moon Enceladus and the outermost ring visible above. To the upper left, far in the distance, are the planets Mars and Venus. To the lower right, however, is perhaps the most wondrous spectacle of all: the almost invisible, nearly ignorable, pale blue dot of Earth.

토성의 그림자 속에서 바라본 토성 • 38 11 NGC 1097 NGC 1097 2013.11.21 06:50

수수께끼의 나선은하 NGC 1097은 남쪽 밤하늘의 별자리인 화학로자리에, 4천 5백만광년 거리에서 빛나고 있다.

이 천연색 은하의 초상화에서는 새로운 별들을 만들어내는 분홍빛 지역이 얼룩덜룩하게 들어차 있는 푸른색 나선팔이 드러나 있다. 이들은 마치 왼쪽 아래의 작은 동반은하를 감싸고 있는 듯 보인다. 이 동반은하는 NGC 1097의 밝은 은하핵으로부터 4만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NGC 1097에서 가장 특이한 구조는 아니다.

NGC 1097 • 40 가장 깊은 노출을 통해 바라보면 수수께끼의 제트가 보이는데 이 제트는 우측 하단으로 뻗어나간 푸른색의 나선팔 너머에서 가장 쉽 게 찾아볼 수 있다.

사실 NGC 1097을 촬영한 가시광 사진에서는 궁극적으로 총 4개의 희미한 제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이 제트들은 은하핵에서 X자로 교차하고 있지만 아마도 이곳에서 발생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이것은 별들의 흐름이 만들어낸 잔해일 것인데, 아주 오래전 이 거대 나선은하에 포섭된 훨씬 작은 은하가 와해되면서 남겨 진 흔적일 것이다.

세이퍼트 은하인 NGC 1097의 핵은 초거대질량의 블랙홀이 머무는 집이기도 하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14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14.html

참고> NGC 1097에 대한 또 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5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95

원문> The Jets of NGC 1097 Image Cre dit & Co pyright: Martin Pugh Explanatio n: Enigmatic spiral galaxy NGC 1097 shines in southern skies, about 45 million light-years away in the chemical constellation Fornax. Its blue spiral arms are mottled with pinkish star forming regions in this colorful galaxy portrait. They seem to have wrapped around a small companion galaxy below and left of center, about 40,000 light- years from the spiral's luminous core. That's not NGC 1097's most peculiar feature, though. The very deep exposure hints of faint, mysterious jets, most easily seen to extend well beyond the bluish arms toward the lower right. In fact, four faint jets are ultimately recognized in optical images of NGC 1097. The jets trace an X centered on the galaxy's nucleus, but probably don't originate there. Instead, they could be fossil star streams, trails left over from the capture and disruption of a much smaller galaxy in the large spiral's ancient past. A Seyfert galaxy, NGC 1097's nucleus also harbors a supermassive black hole.

NGC 1097 • 41 12 태양의 스펙트럼 태양의 스펙트럼 2013.11.21 07:04

지난 11월 3일 일식중 태양이 완전히 달에 가려지는 짧은 시간, 토양 스펙트럼의 흡수선이 방출선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 다.

이 짧은 순간이 망원렌즈에 잡혔고, 중앙 아프리카 가봉의 청명한 하늘에서 순간을 제대로 잡아낸 사진에서 회절격자무늬를 만들어 냈다. 압도적인 태양빛이 완전히 달에 가리는 순간, 태양광구에서 일반적으로 우세하게 나타나는 흡수선이 감춰졌다.

가리워진 태양 우측으로 다양한 색체의 스팩트럼에 남겨진 회절격자들이 태양 채층의 얇은 아치를 따라 위치한 원자들의 방출선 파 장에 각각의 일식 장면을 새겨넣었다. 가장 강력하게 채층 방출선을 보여주고 있는 부분은 수소 원자로 인한 것으로 이는 가장 오른쪽에 붉은색 수소 알파 방출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푸른색의 수소 베타 방출은 가장 왼쪽으로 보이고 있다.

태양의 스펙트럼 • 43

그 중간에 보이는 밝은 노란색 방출이 나타나는 부분은 헬륨원자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헬륨은 태양 스펙트럼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원소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15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15.html

원문> The Flas h S pe c trum o f the S un Image Cre dit & Co pyright: Constantine Emmanouilidi Explanatio n: In a flash, the visible spectrum of the Sun changed from absorption to emission on November 3rd, during the brief total phase of a solar eclipse. That fleeting moment is captured by telephoto lens and diffraction grating in this well-timed image from clearing skies over Gabon in equatorial Africa. With overwhelming light from the Sun's disk blocked by the Moon, the normally dominant absorption spectrum of the solar photosphere is hidden. What remains, spread by the diffraction grating into the spectrum of colors to the right of the eclipsed Sun, are individual eclipse images at each wavelength of light emitted by atoms along the thin arc of the solar chromosphere. The brightest images, or strongest chromospheric emission lines, are due to Hydrogen atoms that produce the red hydrogen alpha emission at the far right and blue hydrogen beta emission to the left. In between, the bright yellow emission image is caused by atoms of Helium, an element only first discovered in the flash spectrum of the Sun.

태양의 스펙트럼 • 44 13 아이손 혜성 아이손 혜성 2013.11.21 07:08

아이손 혜성은 이른 새벽 동트기 전의 하늘에서 계속 고도를 낮추며 11월 28일 태양과 근접하게 된다.

가장 기대를 모으고 있는 이 혜성은 상당히 활동성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어두운 밤하늘에서라면 육안으로도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고, 훨씬 복잡한 꼬리들이 자라나고 있다.

2도 영역이상 뻗어있는 아이손 혜성의 꼬리가 11월 14일 아침 케냐 남부에서 촬영된 이 망원경 사진에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우측 음화 처리된 사진에서는 이 긴꼬리의 세부 모습 및 사진 상단을 향해 뻗어나간 꼬리로부터 단절된 필라멘트들을 좀 더 쉽게 따 라가 볼 수 있다.

처음으로 내행성계를 방문하는 이 태양근접 혜성이 끝내 살아남아 12월 지구의 밤하늘에서 그 밝은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는 여전

아이손 혜성 • 46 히 의문으로 남아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16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16.html

참고 : 아이손 혜성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6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7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5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6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6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1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1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2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21

원문> Ac tive Co me t IS ON Image Cre dit & Co pyright: Babak Tafreshi (TWAN) Explanatio n: Falling through planet Earth's predawn skies toward its close encounter with the Sun on November 28, Comet ISON is coming to life. The much anticipated comet has now been reported to have substantially increased in activity, surging to naked-eye visibility for dark sites and sprouting a more complex tail. ISON's tail stretches over two degrees in this telephoto skyview from southern Kenya, captured on the morning of November 14. Shown in two panels, the enlarged negative version on the right makes details of the long tail easier to trace, including the tail's separated filaments toward the top of the frame. A sungrazer and first time visitor to the inner solar system, the possibility of ISON's survival to become a bright comet in planet Earth's December skies remains a question.

아이손 혜성 • 47 14 맥너트 혜성의 웅장한 꼬리 맥너트 혜성의 웅장한 꼬리 2013.11.21 07:12

2007년의 대혜성이었던 맥너트 혜성의 꼬리는 극적인 모습을 연출할 정도로 자라났다. 밤하늘을 가로지른 이 웅장한 꼬리는 며칠동안 해가 진후 남반구의 관측자들에게 관측되었다.

이 놀라운 꼬리가 오랫동안 노출한 이 광각 사진에 멋지게 펼쳐져 있다.

몇시간동안 이 꼬리 자체의 밝기는 밝기 등급 -5까지 다다르며 그 밝기가 절정에 도달했는데, 이 혜성의 발견자가 촬영한 이 사진은 호주 사이딩 스프링 천문대에서 2007년 1월 일몰후 촬영되었다.

최근 수십년동안 가장 밝은 빛을 붐어낸 맥너트 혜성은 태양과 지구를 벗어나 남반구의 하늘에서 점점 멀어지며 사그러들었다.

다음 주 2주동안 빠르게 밝기가 강화되고 있는 아이손 혜성의 꼬리가 맥너트 혜성과 어깨를 견줄 정도로 자라날 수 있을 가능성이

맥너트 혜성의 웅장한 꼬리 • 49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17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17.html

원문>

The Magnific e nt Tail o f Co me t Mc Naught Image Cre dit & Co pyright: Robert H. McNaught Explanatio n: Comet McNaught, the Great Comet of 2007, grew a spectacularly long and filamentary tail. The magnificent tail spread across the sky and was visible for several days to Southern Hemisphere observers just after sunset. The amazing tail showed its greatest extent on long-duration, wide-angle camera exposures. During some times, just the tail itself estimated to attain a peak brightness of magnitude -5 (minus five), was caught by the comet's discoverer in the above image just after sunset in January 2007 from Siding Spring Observatory in Australia. Comet McNaught, the brightest comet in decades, then faded as it moved further into southern skies and away from the Sun and Earth. Within the next two weeks of 2013, rapidly brightening Comet ISON might sprout a tail that rivals even Comet McNaught.

맥너트 혜성의 웅장한 꼬리 • 50 15 아이슬란드 상공의 오로라와 멋진 구름 아이슬란드 상공의 오로라와 멋진 구름 2013.11.21 07:15

하늘에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겨울에 다다른 아이슬랜드의 밤은 매우 고요하다.

우선 전면에는 아이슬랜드에서 가장 거대한 빙하인 바트나요쿨이 자리잡고 있다. 왼쪽 멀리로는 밝은 초록빛의 오로라가 마치 화산에서 터져나오는 것처럼 빙하로부터 퍼져나오고 있다. 이 오로라의 불빛의 앞쪽 요쿨살론 호수에 반사되고 있다.

오른쪽 멀리로는 기다랗고 독특한 렌즈상 구름이 그 뒤쪽에 숨어있는 또 다른 오로라의 불빛을 받아 초록색으로 물들고 있다. 이 렌즈상 구름의 바로 위로는 특이한 무지개빛 렌즈상 성운이 폭넓은 색체를 연출하고 있다.

아이슬란드 상공의 오로라와 멋진 구름 • 52

렌즈상 구름의 뒤로는 달과 별들이 자리를 잡고 있다.

이 사진은 2012년 3월 하순에 촬영되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18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18.html

원문> Auro ra and Unus ual Clo uds Ove r Ic e land Image Cre dit & Co pyright: Stphane Vetter (Nuits sacres) Explanatio n: What's happening in the sky? On this cold winter night in Iceland, quite a lot. First, in the foreground, lies the largest glacier in Iceland: Vatnajokull. On the far left, bright green auroras appear to emanate from the glacier as if it was a volcano. Aurora light is reflected by the foreground lake Jkulsrln. On the far right is a long and unusual lenticular cloud tinged with green light emitted from another aurora well behind it. Just above this lenticular cloud are unusual iridescent lenticular clouds displaying a broad spectral range of colors. Far beyond the lenticular is the setting Moon, while far beyond even the Moon are setting stars. The above image was captured in late March of 2012.

아이슬란드 상공의 오로라와 멋진 구름 • 53 16 4U1630-47 의 블랙홀 제트 4U1630-47 의 블랙홀 제트 2013.11.21 07:18

블랙홀의 제트를 구성하는 것은 무엇일까? 연성계에 존재하는 많은 블랙홀들은 확실히 가스 원반과 가까운 동반성으로부터 빨려나온 플라스마에 둘러싸여 있다. 이 물질들중 일부는 블랙홀에 다가선 후, 회전하는 블랙홀의 정점으로부터 발산되어 나온 강력한 제트로 연성계로부터 분출되면서 대단원의 막을 내리게 된다.

최근 관측 증거는 이 제트에 단순히 전자나 광자뿐 아니라 철이나 니켈과 같은 무거운 원소의 핵도 포함되어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4U1630-47 성계에서 발견된 이러한 증거는 호주 동부 CSIRO’s 라디오 망원경 컴팩트 어레이와 지구궤도를 공전중인 ESA의 XMM-뉴톤 위성에 의해 밝혀졌다.

4U1630-47 의 블랙홀 제트 • 55 4U1630-47 성계가 이 상상화에 묘사되어 있다. 오른쪽에는 거대한 푸른별이 있고, 그 왼쪽으로는 강착 원반의 중심에 자리잡은 블랙홀로부터 제트가 분출되어 나오고 있다.

비록 4U1630-47 은 태양 질량의 몇 배 정도에 해당하는 작은 블랙홀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번 연구 결과의 영향은 훨 씬 거대할 것이다. : 훨씬 더 큰 규모의 블랙홀 역시 무거운 원소의 핵을 우주공간으로 분출해내고 있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20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20.html

원문> He avy B lac k Ho le Je ts in 4U1630-47 Illus tratio n Cre dit: NASA, CXC, M. Weiss Explanatio n: What are black hole jets made of? Many black holes in stellar systems are surely surrounded by disks of gas and plasma gravitationally pulled from a close binary star companion. Some of this material, after approaching the black hole, ends up being expelled from the star system in powerful jets emanating from the poles of the spinning black hole. Recent evidence indicates that these jets are composed not only electrons and protons, but also the nuclei of heavy elements such as iron and nickel. The discovery was made in system 4U1630-47 using CSIRO’s Compact Array of radio telescopes in eastern Australia, and the European Space Agency's Earth-orbiting XMM-Newton satellite. The 4U1630-47 star system is depicted above in an artist's illustration, with a large blue star on the right and jets emanating from a black hole in the center of the accretion disc on the left. Although the 4U1630-47 star system is thought to contain only a small black hole -- a few times the mass of our Sun --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may be larger: that black holes of larger sizes might also be emitting jets of massive nuclei into the cosmos.

4U1630-47 의 블랙홀 제트 • 56 17 미노타우르스 미사일의 궤적 미노타우르스 미사일의 궤적 2013.11.22 23:15

고요한 해변과 야경을 촬영한 이 사진에서 달빛어린 해변과 방파제 위로 별들이 궤적을 그리고 있다.

11월 19일 촬영된 이 사진은 매사추세츠 케이프 코드의 대서양 해변에서 남쪽방향을 바라보며 한번의 노출을 이용하여 촬영된 것이 다. 사진에서 가장 밝고 길게 보이는 궤적은 미노타우르스 1 로켓의 발사궤적으로 추진체 분리단계와 사라지는 발사연기가 지구의 저궤 도를 향해 치솟은 로켓의 궤적을 따라 보인다. 다단계 추진체를 갖춘 미노타우르스는 버지니아주 NASA 왈롭스 비행 센터의 중앙대서양 지역 우주발사장에서 미국동부시간 오후 8 시 15분에 발사되었다. 이 로켓에는 지구 저궤도 진입을 목표로 하는 29개의 주목할만한 위성이 탑재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고등학교 학생들이 만든 작은 큐브위성과 반딧불이 위성이 포함되어 있다.

미노타우르스 미사일의 궤적 • 58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2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21.html

원문> The Trail o f a Mino taur Image Cre dit & Co pyright: Chris Cook Explanatio n: Star trails arc above a moonlit beach and jetty in this serene sea and night skyscape. Captured on November 19, the single time exposure looks south down the Atlantic coast from Cape Cod, Massachusetts, USA. But the longest and brightest trail is a Minotaur 1 rocket, a stage separation and exhaust plume visible along the rocket's fiery path toward low Earth orbit. The multi-stage Minotaur was launched from the Mid-Atlantic Regional Spaceport at NASA's Wallops Flight Facility at 8:15 pm Eastern Time in Virginia, about 400 miles away. On board were a remarkable 29 satellites destined for low Earth orbit, including a small cubesat built by high school students, and Firefly.

미노타우르스 미사일의 궤적 • 59 18 캘리포니아 성운과 플레아데스 성단 캘리포니아 성운과 플레아데스 성단 2013.11.22 23:30

캘리포니아 성운으로부터 플레아데스 성단까지의 천체관측 여행은 행성 지구의 밤하늘에서 거의 12도에 달하는 영역을 가로질러가야 할 것이다.

이 폭은 무려 25개의 보름달의 각크기에 달하는 것으로서 망원경으로는 페르세우스 자리와 황소자리의 경계를 모두 휩쓸며 관측해야 한다.

이 광대역의 깊의 노출을 이용한 모자이크 사진은 먼지 가득한 성운들과 그 색체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들은 육안으로 보기에는 너 무나 희미한 천체들이다.

왼쪽으로 보이는 NGC 1499로 등재된 캘리포니아 성운은 낯익은 모습을 하고 있지만 이 성운의 경계선은 거의 60광년에 달하며, 150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성운의 뚜렷한 붉은 빛은 페르세우스 크사이 별로부터 발생한 빛에 의해 이온화된 수소 원자때문이다.

캘리포니아 성운과 플레아데스 성단 • 61 페르세우스 자리 크사이 별은 캘리포니아 성운 바로 오른쪽으로 보인다.

오른쪽 끝으로는 400광년 거리에 15광년의 폭을 가진 그 유명한 플레아데스 성단이 보인다. 이 성운의 장관을 연출하는 푸른색 빛은 성간 먼지에 별빛이 반사되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 사이로는 페르세우스 OB2 성협의 뜨거운 별들과 무거운 페르세우스 분자구름 근처의 경계를 따라, 먼지가 가득 들어찬 검은 성 운들이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22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22.html

참고 : 캘리포니아 성운과 플레아데스 성단을 함께 담은 또다른 사진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64

참고 : 플레아데스 성단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56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4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6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7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8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3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22

원문> Fro m Califo rnia to the Ple iade s Image Cre dit & Co pyright: Rogelio Bernal Andreo (Deep Sky Colors) Explanatio n: An astronomical trip from the California Nebula to the Pleiades star cluster would cover just 12 degrees across planet Earth's night sky. That's equivalent to the angular extent of 25 Full Moons, as your telescope sweeps over the borders of the constellations Perseus and Taurus. This wide and deep mosaic image of the region explores the cosmic landscape's dusty nebulae and colors otherwise too faint for your eye to see. On the left, cataloged as NGC 1499, the California Nebula does have a familiar shape, though its coastline is actually over 60 light-years long and lies about 1,500 light-years away. The nebula's pronounced reddish glow is from hydrogen atoms ionized by luminous blue star Xi Persei seen just to its right. At the far right, the famous Pleiades star cluster is some 400 light- years distant and around 15 light-years across. Its spectacular blue color is due to the reflection of starlight by interstellar dust. In between are hot stars of the Perseus OB2 association and dusty, dark nebulae along the edge of the nearby, massive Perseus molecular cloud.

캘리포니아 성운과 플레아데스 성단 • 62 19 스테레오 위성이 포착한 아이손 혜성 스테레오 위성이 포착한 아이손 혜성 2013.11.23 19:17

11월 21일, 아직 온전한 모습을 갖추고 있는 아이손 혜성의 모습이 STEREO-A 위성에 탑재된 HI-1 카메라에 포착되었다.

이 카메라는 주기혜성인 엔케혜성의 모습과 함께 수성과 지구도 함께 포착하였다. 태양은 태양풍이 불려나오고 있는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스테레오 위성이 바라보는 행성간 공간에서 행성 지구는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데 태양 반대편에서 공전궤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 사진에서는 수성이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데 수성과 지구 역시 모두 너무나 밝은 빛을 뿜어내고 있어 수직으로 뻗은 선을 만

스테레오 위성이 포착한 아이손 혜성 • 64 들어내고 있다.

두 개 혜성 모두 현저한 꼬리가 명확하게 드러나 있으며 카메라에 더 가까이 위치하는 아이손 혜성은 좀더 빠른 속도로 이곳을 통과 하게 될 것이다.

지구에서는 점점 태양에 다가서는 아이손 혜성의 위치로 인해 밝은 새벽하늘에 묻혀들어가는 이 혜성을 더더욱 보기 어렵게 되겠지 만 스테레오 위성과 소호 위성에 탑재된 카메라는 태양에 가장 가깝게 다가서는 11월 28일까지 아이손 혜성을 계속 추적하게 될 것이 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23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23.html

참고 : 아이손 혜성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6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7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5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6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6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0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1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2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21

원문> Co me t IS ON fro m S TEREO Image Cre dit: Karl Battams, NASA, STEREO, CIOC Explanatio n: Still intact, on November 21 Comet ISON (C/2012 S1) swept into this animated field of view (left) from the HI-1 camera on the STEREO-A spacecraft. The camera has also captured periodic Comet Encke, Mercury, and Earth, with the Sun cropped out of the frame at the right, the source of the billowing solar wind. From STEREO's perspective in interplanetary space, planet Earth is actually the most distant of the group, seen in its orbit beyond the Sun. Mercury is closest, but both planets are still so bright they create sharp vertical lines in the camera's detector. Both comets clearly sport substantial tails, but ISON is closer to the camera and will continue to move more rapidly through the field. Cameras on STEREO and SOHO spacecraft will be able to follow Comet ISON as it falls towards its close encounter with the Sun on November 28, even as ISON gets more difficult to see in the bright dawn skies of planet Earth.

스테레오 위성이 포착한 아이손 혜성 • 65 20 인디안 코브 상공의 헤일-밥 혜성 인디안 코브 상공의 헤일-밥 혜성 2013.12.02 05:51

1997년의 대혜성이었던 헤일-밥 혜성은 정말 장관이었다. 이 사진은 1997년 4월 6일에 촬영된 것으로 미국 캘리포니아 조슈아 트리 국립공원의 인디안 코브 캠핑장에서 촬영된 것이다. 전경의 바위에 비치는 빛은 전체 6분의 노출 중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한 플레쉬 빛 때문이다. 인상적인 푸른색 이온 꼬리가 태양빛을 반사하고 있는 하얀색 먼지 꼬리 위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헤일-밥 혜성은 태양계 외곽으로 돌아가며 희미해지기 전까지 1년여에 걸쳐 육안으로 관측이 가능했다. 지구의 천체 관측자들은 이번주 아이손 혜성이 태양에 다가설때, 사진에 담긴 헤일-밥혜성보다도 훨씬 장관을 이루는 아이손 혜성의 모습을 볼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24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24.html

인디안 코브 상공의 헤일-밥 혜성 • 67

원문> Co me t Hale -B o pp Ove r Indian Co ve Image Cre dit & Co pyright: Wally Pacholka (Astropics, TWAN) Explanatio n: Comet Hale-Bopp, the Great Comet of 1997, was quite a sight. In the above photograph taken on 1997 April 6, Comet Hale-Bopp was imaged from the Indian Cove Campground in the Joshua Tree National Park in California, USA. A flashlight was used to momentarily illuminate foreground rocks in this six minute exposure. An impressive blue ion tail was visible above a sunlight-reflecting white dust tail. Comet Hale-Bopp remained visible to the unaided eye for over a year before returning to the outer Solar System and fading. As Comet ISON approaches the Sun this week, sky enthusiasts around the Earth are waiting to see if its tails will become even more spectacular than those displayed by Comet Hale-Bopp.

인디안 코브 상공의 헤일-밥 혜성 • 68 21 NGC 4921 NGC 4921 2013.12.02 05:58

나선은하 NGC 4921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 은하일까?

비록 현재로서는 이 천체까지의 거리를 3억 2천만 광년으로 추측하고 있지만 이 천체가 우리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속도를 통해 전체 우주의 팽창율을 보다 정교하게 계산하다보면 이 천체까지의 보다 정교한 거리가 다시금 계산될 수 있을 것이다.

세페이드 변광성으로 알려져 있는 천체의 거리 측정 지표를 식별하는 것을 돕기 위해 허블우주망원경이 몇몇 사진을 촬영하였다.

NGC 4921은 코마 은하단의 일원이기 때문에 이 은하까지의 거리 정교화 작업은 국부우주에서 가장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은하단중 하나인 코마 은하단까지의 거리를 보다 정교하게 결정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NGC 4921 • 70

거대한 나선은하인 NGC 4921은 비공식으로는 빈혈증에 걸린 은하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새로운 별을 형성하는 비율이 매우 낮고, 표면 광도도 매우 낮기 때문이다.

이 사진에는 중심부로부터 차례로 밝은 핵과 중심막대, 그리고 고리를 이루고 있는 검은 먼지들과 새로운 별들을 만들어내고 있는 푸른 성단들, 몇몇 작은 동반은하들과 훨씬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은하들, 그리고 우리 은하 바깥쪽에 있는 별들이 담겨져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25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25.html

참고 : NGC 4921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0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18

원문>

Ane mic S piral NGC 4921 fro m Hubble Image Cre dit: Data - Hubble Legacy Archive, ESA, NASA; Processing - Roberto Colombari Explanatio n: How far away is spiral galaxy NGC 4921? Although presently estimated to be about 310 million light years distant, a more precise determination could be coupled with its known recession speed to help humanity better calibrate the expansion rate of the entire visible universe. Toward this goal, several images were taken by the Hubble Space Telescope in order to help identify key stellar distance markers known as Cepheid variable stars. Since NGC 4921 is a member of the Coma Cluster of Galaxies, refining its distance would also allow a better distance determination to one of the largest nearby clusters in the local universe. The magnificent spiral NGC 4921 has been informally dubbed anemic because of its low rate of star formation and low surface brightness. Visible in the above image are, from the center, a bright nucleus, a bright central bar, a prominent ring of dark dust, blue clusters of recently formed stars, several smaller companion galaxies, unrelated galaxies in the far distant universe, and unrelated stars in our Milky Way Galaxy.

NGC 4921 • 71 22 시에라 네바다 산맥 위의 모자 구름 시에라 네바다 산맥 위의 모자 구름 2013.12.02 06:06

어떤 이들은 시에라 네바다 산맥에 종이 덧씌워진 날이라고 얘기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지난 1월, 스페인 그레나다 알바이신에 해가 지고나서 거대한 구름이 벨레타 봉우리를 감싼듯한 종모양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모자 구름은 산맥에서 발생하는 상승기류가 점점 차가워져 응결되면서, 최종적으로 구름을 구성하는 물방울로 응축되면 서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 모양의 구름은 일반적으로 공기가 수평으로 흐르며 바닥이 평평한 구름을 만드는것이 대부분이라는 것을 고려해봤을 때 특이한 구름이라 아니할 수 없다.

수직 기류는 또한 사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렌즈구름 층위를 만들기도 한다.

시에라 네바다 산맥 위의 모자 구름 • 73

한순간 사라지는 구름이 일몰의 빛에 물든 멋진 모습을 고려할 때 어떤 이들은 이 멋진 사진을 촬영한 사진작가도 선구적인 사진작가가 된 날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26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26.html

참고> 특이한 형태의 각종 구름에 대한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9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2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9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2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1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47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56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8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66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68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7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8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05

원문> Cap Clo ud o ve r the S ie rra Ne vadas Image Cre dit & Co pyright: Guido Montas Explanatio n: One might say this was a bell weather day for the Sierra Nevada mountains. In January, just as the Sun was setting above the district of Albayzn in Grenada, Spain, a huge cloud appeared as a bell capping the Veleta peak. Such a Cap cloud is formed by air forced upwards by a mountain peak, with the air then cooling, saturating with moisture, and finally having its molecular water condense into cloud droplets. Such a bell-shaped cloud structure is unusual as air typically moves horizontally, making most clouds nearly flat across at the bottom. Vertical waves can also give additional lenticular cloud layers, as also seen above. Given the fleeting extent of the great cloud coupled with momentarily excellent sunset coloring, one might considered this also a bellwether day for an accomplished photographer.

시에라 네바다 산맥 위의 모자 구름 • 74 23 NGC 1999 NGC 1999 2013.12.02 23:38

NGC 1999 • 76

오리온 성운으로 알려져 있는 거대 별 생성지역의 남쪽에는 밝은 반사성운 NGC 1999가 자리잡고 있다.

NGC 1999 • 77 1500광년 거리, 오리온 분자구름 복합체의 가장자리에 자리잡고 있는 NGC 1999는 자신이 품고 있는 변광성 오리온자리 V380으로부 터 빛을 받아 빛나는 것이다. 사진 중앙 T자 모양의 검은 천체와 함께 촬영된 이 사진의 폭은 약 10광년이다.

이 검은 천체는 한때는 반사성운의 빛을 막아서고 있는 먼지 구름으로 생각되었었다. 그러나 최근의 적외선 관측 결과는 이 검은 구름이 왕성한 에너지를 가진 별들에 의해 파헤쳐진 구멍이라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사실 이 지역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왕성한 에너지의 어린 별들은 제트와 별폭풍을 뿜어내며 불타오르는 충격파를 만들어내고 있다.

천문학자 조지 허빅과 길레르모 하로의 이름을 따서 허빅-하로 천체로 등재되어 있는 충격파가 이 사진에 보이는데 붉은 색의 가스뭉치처럼 보이는 이 천체는 NGC 1999아래 위치하며 HH1, HH2로 등재되어 있다.

별들로부터 뿜어져나오는 제트가 주변을 둘러싼 물질들을 밀어젖히는 속도는 초속 100백킬로미터에 달한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28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128.html

원문> NGC 1999: S o uth o f Orio n Image Data: Subaru Telescope (NAOJ), Hubble Space Telescope, Additional Color Data and Processing: Robert Gendler Explanatio n: South of the large star-forming region known as the Orion Nebula, lies bright blue reflection nebula NGC 1999. At the edge of the Orion molecular cloud complex some 1,500 light-years distant, NGC 1999's illumination is provided by the embedded variable star V380 Orionis. That nebula is marked with a dark sideways T-shape near center in this cosmic vista that spans about 10 light-years. The dark shape was once assumed to be an obscuring dust cloud seen in silhouette against the bright reflection nebula. But recent infrared images indicate the shape is likely a hole blown through the nebula itself by energetic young stars. In fact, this region abounds with energetic young stars producing jets and outflows with luminous shock waves. Cataloged as Herbig-Haro (HH) objects, named for astronomers George Herbig and Guillermo Haro, the shocks look like red gashes in this scene that includes HH1 and HH2 just below NGC 1999. The stellar jets push through the surrounding material at speeds of hundreds of kilometers per second.

NGC 1999 • 78 24 태양 주위를 통과하기 전과 후의 아이손 혜성 태양 주위를 통과하기 전과 후의 아이손 혜성 2013.12.02 23:41

세계 표준시 11월 28일 18시 45분에 태양큰접혜성인 아이손이 태양과 가장 가까운 거리를 지나쳤다.

이 혜성이 근일점을 지날때의 거리는 태양 표면으로부터 100만 킬로미터로서, 이는 태양 지름에 채 미치지 못하는 거리였다.

이 두 장의 사진은 아이손 혜성이 태양에 근접하기 전(오른쪽)과 그 이후를 촬영한 것으로 SOHO위성에 탑재된 LASCO에 의해 촬 영된 것이다. 압도적인 빛을 내뿜는 태양은 LASCO의 오컬트 디스트에 의해 가려져 있는데 하얀색 원은 태양의 위치와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근일점 통과 이전을 담고 있는 사진에서 아랫쪽으로 접근하는 혜성이 밝게 보이지만, 통과 이후를 담고 있는 사진에는 상단에 훨씬 희미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근일점을 통과한 이후 남겨진 잔해로부터 먼지 꼬리가 재 생성될 가능성이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1월 29일 자)

태양 주위를 통과하기 전과 후의 아이손 혜성 • 80 http://apod.nasa.gov/apod/ap131129.html

참고 : 아이손 혜성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6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7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5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6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6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0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1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1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21

원문> Co me t IS ON B e fo re and Afte r Image Cre dit: NASA, SOHO Explanatio n: Sungrazing Comet ISON reached perihelion, its closest approach to the Sun, yesterday, November 28, at 18:45 UT. The comet passed just over 1 million kilometers above the solar surface, a distance less than the diameter of the Sun. These two panels follow ISON before (right) and after its close approach, imaged by the LASCO instrument onboard the Sun staring SOHO spacecraft. Overwhelming sunlight is blocked by LASCO's central occulting disk with a white circle indicating the Sun's positon and scale. The bright comet is seen along its path at the bottom of the before panel, but something much fainter exits near the top of the after panel, potentially a dust tail reforming from the debris left from ISON's perihelion passage.

태양 주위를 통과하기 전과 후의 아이손 혜성 • 81 25 은하 중심을 향해 발사되고 있는 레이저 은하 중심을 향해 발사되고 있는 레이저 2013.12.04 22:11

왜 사람들이 은하 중심에 강력한 레이저를 발사하는 것일까?

다행스럽게도 우주전쟁이 시작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칠레의 VLT 사이트에서 천문학자들이 항상 변화하고 있는 지구대기의 왜곡정도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높은 대기에 존재하는 원자들이 레이저에 의해 대전되면서 마치 인공적인 별처럼 보이게 되고 이를 일관되게 촬영하게 되면

은하 중심을 향해 발사되고 있는 레이저 • 83 천문학자들은 대기가 어른거리는 양상을 즉시 측정해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정보는 바로 VLT의 거울상에 전달되고 대기가 어른거리는 정도에 의해 왜곡된 화상을 최소화는 방향으로 약간의 변형을 만 들어내게 된다.

사진의 경우 VLT는 우리 은하의 중심부를 관측하고 있었고 그 뱡향에서 지구 대기가 어느정도 어른거리고 있는지에 대한 측정이 필 요했던 것이다.

은하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은하간 전쟁이라 하더라도 그 어떤 사상자 발생도 예측되진 않을 것이다. 사실 이 강력한 레이저로부터 발생한 빛은 우리 태양의 빛과 합쳐지게 될 것이고 멀리 위치한 별로부터 오는 빛마냥 희미하게 보이 게 될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01.html

원문> A Las e r S trike at the Galac tic Ce nte r Image Cre dit: Yuri Beletsky (ESO) Explanatio n: Why are these people shooting a powerful laser into the center of our Galaxy? Fortunately, this is not meant to be the first step in a Galactic war. Rather, astronomers at the Very Large Telescope (VLT) site in Chile are trying to measure the distortions of Earth's ever changing atmosphere. Constant imaging of high-altitude atoms excited by the laser -- which appear like an artificial star -- allow astronomers to instantly measure atmospheric blurring. This information is fed back to a VLT telescope mirror which is then slightly deformed to minimize this blurring. In this case, a VLT was observing our Galaxy's center, and so Earth's atmospheric blurring in that direction was needed. As for inter-galaxy warfare, when viewed from our Galaxy's center, no casualties are expected. In fact, the light from this powerful laser would combine with light from our Sun to together appear only as bright as a faint and distant star.

은하 중심을 향해 발사되고 있는 레이저 • 84 26 M63 앞을 지나는 러브조이 혜성 M63 앞을 지나는 러브조이 혜성 2013.12.04 22:19

러브조이 혜성이 지난 주 나선은하 M63의 전면을 통과하는 모습이 제대로 촬영되었다.

고작 3개월 전에 발견되어 현재 최대 밝기에 도달하고 있는 러브조이 혜성은 북두칠성의 국자 끝 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어두운 밤하늘을 가진 북반구에서라면 해가 뜨기 전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아이손 혜성의 예상치 못한 라이벌이기도 한 러브조이 혜성( C/2013 R1)은 거대한 초록색 코마와 아름다운 질감을 보이는 이온 꼬 리가 그 특색을 이루고 있다.

러브조이 혜성은 지금 외태양계로 돌아가고 있지만 향후 수주 동안 쌍안경 정도로도 그 모습을 잘 볼 수 있을 정도의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훨씬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나선은하 M63은 하늘에서 여전히 그 모습을 유지하고 있을 것이고 최소한 향후 수백만년동안 상대적으로 일관된 밝기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2일 자)

M63 앞을 지나는 러브조이 혜성 • 86 http://apod.nasa.gov/apod/ap131202.html

참고 : 러브조이 혜성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9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26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41

참고 : M63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1228339

원문> Co me t Lo ve jo y B e fo re Galaxy M63 Image Cre dit & Co pyright: Damian Peach Explanatio n: Comet Lovejoy was captured last week passing well in front of spiral galaxy M63. Discovered only three months ago and currently near its maximum brightness, Comet Lovejoy can be seen near the Big Dipper from dark northerly locations before dawn with the unaided eye. An unexpected rival to Comet ISON, C/2013 R1 (Lovejoy), pictured above, is currently sporting a large green coma and a beautifully textured ion tail. Comet Lovejoy is now headed back to the outer Solar System but should remain a good sight in binoculars for another few weeks. Conversely, spiral galaxy M63, lies far in the distance and is expected to remain stationary on the sky and hold its relative brightness for at least the next few million years.

M63 앞을 지나는 러브조이 혜성 • 87 27 로 오피유키(Rho Ophiuchi)의 찬란한 구름들 로 오피유키(Rho Ophiuchi)의 찬란한 구름들 2013.12.04 22:38

로 오피유키 성운의 장관을 이루는 다채로운 색깔은 이곳에서 여러 작용들이 일어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푸른색으로 보이는 지역은 주로 별빛의 반사에 의해 빛나는 것이다. 로 오피유키와 그 근처에 위치한 별들로부터 발생한 푸른 빛의 반사가 이 부분에서는 붉은 색보다 더 효과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 이다. 지구에서 낮동안 하늘이 푸르게 보이는 것과 같은 이유이다.

붉은 색과 노란색은 성운을 구성하는 원자들과 분자 구름의 복사 때문에 발생하는 색깔이다. 푸른 색 별 안타레스보다 훨씬더 왕성한 에너지를 뿜어내는 근처의 푸른색 별들의 빛이 가스의 전자를 때려 이 전자를 벗겨내고 이렇게 떨어져 나간 전자가 가스와 다시 재결합할 때 이러한 색이 발생한다.

로 오피유키(Rho Ophiuchi)의 찬란한 구름들 • 89 짙은 고동색을 보이는 지역은 그 안에 어린 별들을 품고 있는 먼지 다발에 의해 그 뒷편의 빛들이 차단되고 있는 것이다.

사진 좌측 하단에 보이는 구상성단 M4의 전면으로 위치를 제대로 잡고 있는 로 오피유키 성운은 인간이 육안으로 보는 것보다 훨씬 더 다채로운 색을 띠고 있는데 이 성운으로부터 나오는 빛의 파장은 라디오파에서부터 감마선까지 모든 대역에 펼쳐져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3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03.html

참고 : 로 오피유키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052501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2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3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29

원문> The Co lo rful Clo uds o f Rho Ophiuc hi Image Cre dit & Co pyright: Rafael Defavari Explanatio n: The many spectacular colors of the Rho Ophiuchi (oh'-fee-yu-kee) clouds highlight the many processes that occur there. The blue regions shine primarily by reflected light. Blue light from the star Rho Ophiuchi and nearby stars reflects more efficiently off this portion of the nebula than red light. The Earth's daytime sky appears blue for the same reason. The red and yellow regions shine primarily because of emission from the nebula's atomic and molecular gas. Light from nearby blue stars - more energetic than the bright star Antares - knocks electrons away from the gas, which then shines when the electrons recombine with the gas. The dark brown regions are caused by dust grains - born in young stellar atmospheres - which effectively block light emitted behind them. The Rho Ophiuchi star clouds, well in front of the globular cluster M4 visible above on lower left, are even more colorful than humans can see - the clouds emits light in every wavelength band from the radio to the gamma-ray.

로 오피유키(Rho Ophiuchi)의 찬란한 구름들 • 90 28 러브조이 혜성(C/2013 R1) 러브조이 혜성(C/2013 R1) 2013.12.04 22:51

이 새로운 혜성은 정말 멋진 포토제닉감이다. 불과 석달전에 발견된 러브조이 혜성이 지난 주 스웨덴의 고대 유적인 뫼르비 성에서 촬영되었다. 이 혜성은 초록색으로 빛나는 코마와 길게 뻗어있는 꼬리가 특색을 이루고 있다.

지난 수주간은 혜성을 관측하는 사람에게는 4개의 혜성(아이손, 러브조이, 엔케, 리니어)이 시종일관 쌍안경으로도 관측될만큼 가까 이 보이는 특별한 시간이 되었다. 러브조이 혜성(C/2013 R1)은 지금 어두운 밤하늘을 가진 곳이라면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월요일부터 상현달은 거의 빛을 내지 못하게 때문에 돌아오는 며칠동안은 최대 밝기에 도달하는 러브조이 혜성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앞으로 2주 반 정도가 지나면 러브조이 혜성은 태양에 가장 가깝게 다가서게 되는데 그 거리는 지구 공전 궤도 거리의 약간 안쪽 정

러브조이 혜성(C/2013 R1) • 92 도에 해당한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4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04.html

참고 : 러브조이 혜성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9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2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41

원문> Co me t Lo ve jo y thro ugh M rby Cas tle Ruins Image Cre dit & Co pyright: P-M Hedn (Clear Skies, TWAN) Explanatio n: This new comet is quite photogenic. Comet Lovejoy, discovered only three months ago, was imaged through ruins of ancient Mrby Castle in Sweden last week sporting a green-glowing coma and tails trailing several degrees. The past few weeks have been an unusually active time for comet watchers as four comets were visible simultaneously with binoculars: ISON, Lovejoy, Encke, and LINEAR. C/2013 R1 (Lovejoy) comet is currently visible to the unaided eye from a dark location. As Monday's new Moon will provide little glare, the next few days provide a good time to see Comet Lovejoy as it reaches its peak brightness. In two and a half weeks, Comet Lovejoy will reach its closest approach to the Sun at a distance just inside the orbital distance of the Earth.

러브조이 혜성(C/2013 R1) • 93 29 Abell 7 Abell 7 2013.12.05 21:54

매우 희미한 행성상 성운 Abell 7 은 1800광년 거리에 위치하며 오리온 자리 바로 남쪽 아래의 별자리인 토끼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우리 은하에 속하는 별들과 먼 거리에 위치하는 은하들에 둘러 싸여 있는, 지름 8광년의 단순한 구체형상이 깊은 노출을 이용한 이 망원경 사진에 그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구형 경계 내부의 아름답고 훨씬 복잡한 세부 모습이 협대역 필터를 통해 한층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Abell 7 • 95 수소와 질소로부터 나오는 복사는 붉은 색으로, 산소로부터 나오는 복사는 청록색 빛깔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Abell7의 외양을 한 측 더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보이게 만들어주고 있다. 그렇지 않았더라면 이 천체는 너무나 희미해서 눈으로는 볼 수 없었을 것이다.

행성상 성운은 별의 진화단계에서 가장 마지막에 속하는 짧은 기간동안만 나타나는 천체로서 우리 태양은 앞으로 50억년 후 행성상 성운이 될 것이다. 이 성운 역시 그 중심에는 한때는 우리 태양과 같았을 별이 겉껍질을 우주공간으로 쏟아내고 있다.

Abell 7 은 대략 2만 년 정도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 중심에 있는 별은 약 100억살로서 백색왜성으로 사그러들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5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05.html

원문> Plane tary Ne bula Abe ll 7 Image Cre dit & Co pyright: Don Goldman Explanatio n: Very faint planetary nebula Abell 7 is some 1,800 light-years distant, just south of Orion in planet Earth's skies in the constellation Lepus, The Hare. Surrounded by Milky Way stars and near the line-of-sight to distant background galaxies, its generally simple spherical shape, about 8 light-years in diameter, is outlined in this deep telescopic image. Within its confines are beautiful, more complex details enhanced by the use of narrowband filters. Emission from hydrogen and nitrogen is shown in reddish hues with oxygen emission mapped to a bluish-green color, giving Abell 7 a more natural appearance that would otherwise be much too faint to be appreciated by eye. A planetary nebula represents a very brief final phase in stellar evolution that our own Sun will experience 5 billion years hence, as the nebula's central, once sun-like star shrugs off its outer layers. Abell 7 itself is estimated to be 20,000 years old. Its central star is seen here as a fading white dwarf some 10 billion years old.

Abell 7 • 96 30 감마선을 내뿜는 지구와 하늘 감마선을 내뿜는 지구와 하늘 2013.12.07 23:10

지구 궤도를 공전중인 감마선 망원경의 입장에서 보면 지구 역시 빛 중에서 가장 강력한 에너지를 가진 가장 밝은 감마선을 발산시

감마선을 내뿜는 지구와 하늘 • 98 키는 천체이다.

지구의 감마선은 우주선이 지구 대기와 충돌할 때 고에너지 입자들로부터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위험한 복사가 지구표면에 닿는 것이 차단되는동안,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의 거대 배열 망원경이 바라본 지구와 하늘의 모습에서 감마선은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 사진은 우리 은하의 중심이 천정 근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즉 페르미 망원경의 직각방향으로 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 관측한 데 이터를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사진의 정 중앙이 천정에 해당한다.

지구가 위치하는 방향은 위성의 직각 아래 방향인 천저에 위치하고 있는데, 그 결과 사진의 테두리를 따라 지구가 위치하고 있으며 지구 궤도를 공전중인 페르미 위성의 시점에서는 모든 하늘을 담은 사진이 되는 셈이다.

로그스케일로 표현된 이 사진에서 낮은 강도를 지닌 감마선은 파란색으로, 높은 강도를 지닌 감마선은 노란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우리 지구로부터 방출되는 밝은 감마선이 모서리를 따라 흘러넘치고 있으며 높은 강도의 감마선을 나타내는 노란색 고리가 지구의 테두리를 따라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희미한 우리 은하를 따라 감마선 천체들이 중앙에 대각선으로 펼쳐져 있다.

2008년 6월 11일에 발사된 우주의 고에너지 탐사장비인 페르미 위성은 이번 주 지구 저궤도 공전 2천회를 자축하였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6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06.html

참고 :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의 관측자료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5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2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02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02

원문> Gamma-Ray Earth and S ky Image Cre dit: International Fermi Large Area Telescope Collaboration, NASA, DOE Explanatio n: For an Earth-orbiting gamma-ray telescope, Earth is actually the brightest source of gamma-rays, the most energetic form of light. Gamma-rays from Earth are produced when high energy particles, cosmic rays from space, crash into the atmosphere. While that interaction blocks harmful radiation from reaching the surface, those gamma-rays dominate in this remarkable Earth and sky view from the orbiting Fermi Gamma-ray Space Telescope's

감마선을 내뿜는 지구와 하늘 • 99 Large Area Telescope. The image was constructed using only observations made when the center of our Milky Way galaxy was near the zenith, directly above the Fermi satellite. The zenith is mapped to the center of the field. The Earth and points near the nadir, directly below the satellite, are mapped to the edges of the field resulting in an Earth and all-sky projection from Fermi's orbital perspective. The color scheme shows low intensities of gamma-rays as blue and high intensities as yellowish hues on a logarithmic scale. Our fair planet's brighter gamma-ray glow floods the edges of field, the high intensity yellow ring tracing Earth's limb. Gamma-ray sources in the sky along the relatively faint Milky Way stretch diagonally across the middle. Launched June 11, 2008 to explore the high-energy Universe, this week Fermi celebrated its 2,000th day in low Earth orbit.

감마선을 내뿜는 지구와 하늘 • 100 31 구제프 크레이터 전경 - 에베레스트 파노라마(the Everest panorama) 구제프 크레이터 전경 - 에베레스트 파노라마(the Everest panorama) 2013.12.08 19:49

만약 당신이 화성에 서게 된다면 어떤 모습을 보게 될까? 스크롤을 오른쪽으로 움직이며 그 답을 찾아보라.

2004년부터 2009년까지 화성을 탐사했던 스피릿호가 2005년 화성의 언덕 위에 올라 3일동안 일련의 사진을 촬영했으며 이 사진들이 360도 파노라마 사진으로 디지털 합성 처리되었다. 스피릿 호는 인간의 시각과 동일하게 20-20 시력의 해상도로 사진을 촬영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었다.

위 사진을 클릭하면 전체 파노라마 사진을 볼 수 있는데 이 사진은 화성 표면을 촬영한 사진들 중 유례없이 세밀하게 촬영된 사진에 속한다.

이 파노라마 사진은 허스번드 언덕 정상에서 촬영되었으며 지구에서 가장 높은 산인 에베레스트 산을 기리는 뜻에서 에베레스트 파 노라마로 명명되었다.

구제프 크레이터 안에 있는 바위들, 녹슨 모래들과, 화성의 해가 만들어낸 해시계, 광활한 평원과 가까운곳과 먼곳에 솟아오른 봉우 리들, 부유하는 먼지들이 사진에 담겨있다.

저 멀리에는 빠르게 움직이는 더스트 데블이 사진을 자연색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 사용된 필터의 영향을 받아 붉은색, 초록색, 파란 색으로 아스라하게 보인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8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08.html

원문> Eve re s t Pano rama fro m Mars Image Cre dit: Mars Exploration Rover Mission, Cornell, JPL, NASA Explanatio n: If you could stand on Mars -- what might you see? Scroll right to find out. The robotic Spirit rover that rolled around Mars from 2004 to 2009 Mars climbed to the top of a hill in 2005 and took a series of images over three

구제프 크레이터 전경 - 에베레스트 파노라마(the Everest panorama) • 102 days that were then digitally combined into a 360 degree panorama. Spirit was instructed to take images having the same resolution as a human with 20-20 eyesight. The full panoramic result can be found by clicking on the above image and has a level of detail unparalleled in the history of Martian surface photography. The panorama was taken from the pinnacle of Husband Hill and has been dubbed the Everest panorama, in honor of the view from the tallest mountain on Earth. Visible in Gusev Crater are rocks, rusting sand, a Martian sundial, vast plains, nearby peaks, faraway peaks, and sand drifts. In the distance, fast moving dust devils can be seen as slight apparitions of red, green, or blue, the colors of filters used to build up this natural color vista.

구제프 크레이터 전경 - 에베레스트 파노라마(the Everest panorama) • 103 32 풍차 위의 러브조이 혜성 풍차 위의 러브조이 혜성 2013.12.10 22:37

러브조이 혜성은 인상적인 모습을 계속 보여주고 있는 혜성이다.

이 사진은 프랑스 남부 생 미셸 천문대의 풍차 위를 지나는 러브조이 혜성(C/2013 R1)을 6초간의 노출로 촬영한 것이다. 앞쪽으로는 라벤더 숲이 펼쳐져 있다.

러브조이 혜성은 비록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희미해지며 해뜨기 전의 하늘에서 고도를 높여갈 것이지만 북반구의 관측자에게는 12월의 상당 기간동안 그리고 밤의 상당 시간동안 사진을 촬영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풍차 위의 러브조이 혜성 • 105 이 혜성은 쌍안경만 가지고도 최상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러브조이 혜성은 약 7천년 전 태양계 내 행성계를 방문한 적이 있으며 이 때 인간은 이제 막 바퀴를 발명했을 때였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9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09.html

참고 : 러브조이 혜성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9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2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26

원문> Co me t Lo ve jo y Ove r a Windmill Image Cre dit & Co pyright: Jens Hackmann Explanatio n: Lovejoy continues to be an impressive camera comet. Pictured above, Comet C/2013 R1 (Lovejoy) was imaged above the windmill in Saint-Michel-l'Observatoire in southern France with a six-second exposure. In the foreground is a field of lavender. Comet Lovejoy should remain available for photo opportunities for northern observers during much of December and during much of the night, although it will be fading as the month progresses and highest in the sky before sunrise. In person, the comet will be best viewed with binoculars. A giant dirty snowball, Comet Lovejoy last visited the inner Solar System about 7,000 years ago, around the time that humans developed the wheel.

풍차 위의 러브조이 혜성 • 106 33 세이퍼트의 6중 은하(Seyfert's Sextet) 세이퍼트의 6중 은하(Seyfert's Sextet) 2013.12.10 22:44

이 은하간의 전쟁에서 무엇이 살아남게 될까? 세이퍼트의 6중 은하(Seyfert's Sextet)로 알려져 있는 이 멋진 일단의 은하들은 하늘을 가로지르고 있는 뱀 자리의 머리 부분에 위 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 6중 은하를 구성하고 있는 실제 은하의 수는 4개이다.

허블이 촬영한 이 사진의 중앙 근처에, 정면을 보이고 있는 작은 나선은하는 실제로는 훨씬 멀리 떨어져 있는 은하이지만, 우연히 이

세이퍼트의 6중 은하(Seyfert's Sextet) • 108 일단의 은하들과 함께 도열하고 있는 것처럼 보일 뿐이다. 그리고 상단 왼쪽에 두드러져 보이는 짙게 몰려 있는 천체는 하나의 독립된 은하가 아니라 중력 상호작용이 발생하고 있는 은하들로 부터 찢어져 나온, 별들로 이루어진 중력섭동 꼬리이다.

1억 9천만 광년 거리에 위치하는 이 은하들은 우리 은하의 크기와 비견할만한 10만 광년 범위에 모두 몰려 있어 지금까지 알려진 은 하그룹 중 가장 고밀도를 자랑하고 있다.

중력에 묶여 있는 이 은하들은 향후 수십억년에 걸쳐 하나의 거대 은하로 통합될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10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10.html

원문> S e yfe rt' s S e xte t Image Cre dit: Hubble Legacy Archive, NASA, ESA; Processing: Judy Schmidt Explanatio n: What will survive this battle of the galaxies? Known as Seyfert's Sextet, this intriguing group of galaxies lies in the head portion of the split constellation of the Snake (Serpens). The sextet actually contains only four interacting galaxies, though. Near the center of this Hubble Space Telescope picture, the small face-on spiral galaxy lies in the distant background and appears only by chance aligned with the main group. Also, the prominent condensation on the upper left is likely not a separate galaxy at all, but a tidal tail of stars flung out by the galaxies' gravitational interactions. About 190 million light-years away, the interacting galaxies are tightly packed into a region around 100,000 light-years across, comparable to the size of our own Milky Way galaxy, making this one of the densest known galaxy groups. Bound by gravity, the close-knit group may coalesce into a single large galaxy over the next few billion years.

세이퍼트의 6중 은하(Seyfert's Sextet) • 109 34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 2013.12.11 22:00

지구의 기온은 얼마나 추워질 수 있을까? 남극의 내륙에서 기록된 가장 낮은 온도는 영하 93.2도이다. 이 온도는 인간들이 영구히 거주하는 지역에서 기록된 가장 낮은 온도보나 무려 25도나 낮은 온도이다.

이 기록적인 온도는 2010년 8월 - 남극이 겨울일 때 - 기록된 것이며 과학자들이 10년 단위로 지구 궤도를 공전중인 위성으로부터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 • 111 측정한 데이터에서 발견된 것이다.

이러한 가장 낮은 기온의 기록은 산봉우리들 근처에서 측정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고도의 기온이 더 차갑기 때문이기도 하고, 비록 이 산봉우리들 근처의 저지대에 한정된 이야기이긴 하나 이곳에는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들이 고이게 되고 얼어붙은 땅에 의해 더더욱 차가워 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극을 방문하는데는 여름이 훨씬 좋은 계절이 된다. 이때 몇몇 곳의 온도는 영상 15도를 웃돌기도 한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1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11.html 원문> The Co lde s t Plac e o n Earth Image Cre dit: Ted Scambos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et al., Landsat 8, USGS, NASA Explanatio n: How cold can it get on Earth? In the interior of the Antarctica, a record low temperature of -93.2 °C (- 135.8 °F) has been recorded. This is about 25 °C (45 °F) colder than the coldest lows noted for any place humans live permanently. The record temperature occurred in 2010 August -- winter in Antarctica -- and was found by scientists sifting through decades of climate data taken by Earth-orbiting satellites. The coldest spots were found near peaks because higher air is generally colder, although specifically in depressions near these peaks because relatively dense cold air settled there and was further cooled by the frozen ground. Summer is a much better time to visit Antarctica, as some regions will warm up as high as 15 °C (59 °F).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 • 112 35 알니탁, 알니렘, 민타카 알니탁, 알니렘, 민타카 2013.12.12 22:47

알니탁, 알니렘, 민타카 • 114 이 멋진 사진에서 사선을 이루며 가장 밝게 빛나는 푸른색 별들은 동쪽에서 서쪽으로(사진 우측 하단에서 상단 좌측으로) 각각 알니 탁, 알니렘, 민타카이다. 이 별들은 오리온 벨트로 알려져 있는 것 외에도, 우리 태양보다 훨씬 무겁고 뜨거운 푸른색의 초거성이기도 하다. 이들은 모두 1500광년 거리에 위치하며 잘 알려진 오리온 성간 구름들로부터 탄생했다.

사실 사진에 떠돌고 있는 가스 및 먼지 구름들은 알니탁 우측 아래로 보이는 말머리 성운과 불꽃 성운들을 포함하여 흥미롭고 놀라 우리만치 친숙한 모양을 띠고 있다. 그리고 그 유명한 오리온 성운은 다채로운 별들이 가득 들어차 있는 이 사진의 오른쪽 모서리 바로 너머에 위치하고 있다.

제대로 조준하여 촬영해낸 이 광대역 망원경 사진은 약 4도에 걸친 하늘을 담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12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12.html

참고 : 말머리성운과 주변 천체에 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0396085 http://blog.daum.net/bigcrunch/10624304 http://blog.daum.net/bigcrunch/11167732 http://blog.daum.net/bigcrunch/1117702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1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1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2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4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74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3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0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53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5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57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82

원문> Alnitak, Alnilam, Mintaka Image Cre dit & Co pyright: Rogelio Bernal Andreo (Deep Sky Colors) Explanatio n: Alnitak, Alnilam, and Mintaka, are the bright bluish stars from east to west (lower right to upper left) along the diagonal in this gorgeous cosmic vista. Otherwise known as the Belt of Orion, these three blue supergiant stars are hotter and much more massive than the Sun. They lie about 1,500 light-years away, born of Orion's well-studied interstellar clouds. In fact, clouds of gas and dust adrift in this region have intriguing and some surprisingly familiar shapes, including the dark Horsehead Nebula and Flame Nebula near Alnitak at the lower right. The famous Orion

알니탁, 알니렘, 민타카 • 115 Nebula itself is off the right edge of this colorful star field. The well-framed, wide-field telescopic image spans about 4 degrees on the sky.

알니탁, 알니렘, 민타카 • 116 36 다샨바오 습지 상공의 쌍동이 자리 유성우 다샨바오 습지 상공의 쌍동이 자리 유성우 2013.12.13 21:56

매년 찾아오는 쌍동이자리 유성우가 이번주 지구를 찾아온다. 볼록한 달빛에도 불구하고 유성우가 절정에 다다르는 13일과 14일의 밤에는 충분히 즐길만한 유성우가 될 것이다.

지난 해 12월 14일 이른 새벽, 유성우의 절정을 담아낸 이 사진에는 수많은 쌍동이 자리의 사랑스러운 유성우들이 담겨들이다. 이 사진은 중국 내륙 다샨바오 습지대에서 3시간 동안에 걸쳐 촬영한 사진들을 주의깊게 합성한 것이다.

어두운 밤하늘에 밝은 목성(오른쪽)과 오리온 성운(중심 오른쪽) 그리고 희미한 우리 은하가 담겨 있다. 모든 유성우 궤적의 명백한 원천이 되며, 유성우를 방사상으로 흩뿌리고 있는 쌍동이 자리는 사진 상단 프레임 바로 바깥쪽에 위치 하고 있다.

다샨바오 습지 상공의 쌍동이 자리 유성우 • 118 활동성 소행성 3200 파에톤의 공전궤도에 남아있는 먼지가 쓸리면서 발생하는 쌍동이 자리 유성우들은 약 초속 22킬로미터의 속도로 대기권에 진입한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13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13.html

참고 : 쌍동이 자리 유성우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2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2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7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4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63

원문> Ge minid Me te o r S ho we r o ve r Das hanbao We tlands Image Cre dit & Co pyright: Jeff Dai Explanatio n: The annual Geminid meteor shower is raining down on planet Earth this week. And despite the waxing gibbous moonlight, the reliable Geminids should be enjoyable tonight (night of December 13/14) near the shower's peak. Recorded near last year's peak in the early hours of December 14, 2012, this skyscape captures many of Gemini's lovely shooting stars. The careful composite of exposures was made during a three hour period overlooking the Dashanbao Wetlands in central China. Dark skies above are shared with bright Jupiter (right), Orion, (right of center) and the faint band of the Milky Way. The shower's radiant in the constellation Gemini, the apparent source of all the meteor streaks, lies just above the top of the frame. Dust swept up from the orbit of active asteroid 3200 Phaethon, Gemini's meteors enter the atmosphere traveling at about 22 kilometers per second.

다샨바오 습지 상공의 쌍동이 자리 유성우 • 119 37 NGC 7635 NGC 7635 2013.12.15 09:20

거대한 질량의 별로부터 쏟아져나오는 별폭풍이 흡사 유령과도 같은 모습을 만들어내고 있다. NGC 7635로 등재되어 있는 이 천체는 거품성운(the Bubble Nebula)으로 불리기도 한다.

사진 자체는 세부적인 모습을 담아낸듯 보이지만 사실 이 거품의 지름은 10광년에 달하며 대단히 파괴적인 사건이 진행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증거가 된다. 거품 우측에 보이는 별은 O-타입의 별로서 우리 태양보다 수백배 더 밝고 질량은 약 45배에 달하고 있다.

이 별로부터 뿜어져 나온 격렬한 별폭풍과 강력한 복사가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좀더 밀도가 높은 분자구름들을 밀쳐내면서 이와같 이 불타오르는 가스구조물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 성운은 카시오페이아 자리 방향으로 1만 1천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협대역 촬영 데이터로 구성된 이 사진은 자연색을 그대로 담고 있으며 입체 모델을 만드는데 활용되었다.

NGC 7635 • 121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0월 2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14.html

참고 : NGC 7635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58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6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26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0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53

원문> The B ubble Ne bula Image Cre dit & Co pyright: J-P Metsvainio (Astro Anarchy) Explanatio n: Blown by the wind from a massive star, this interstellar apparition has a surprisingly familiar shape. Cataloged as NGC 7635, it is also known simply as The Bubble Nebula. Although it looks delicate, the 10 light-year diameter bubble offers evidence of violent processes at work. Above and right of the Bubble's center is a hot, O star, several hundred thousand times more luminous and around 45 times more massive than the Sun. A fierce stellar wind and intense radiation from that star has blasted out the structure of glowing gas against denser material in a surrounding molecular cloud. The intriguing Bubble Nebula lies a mere 11,000 light-years away toward the boastful constellation Cassiopeia. This natural looking view of the cosmic bubble is composed from narrowband image data, also used to create a 3D model.

NGC 7635 • 122 38 유로파 유로파 2013.12.15 18:07

사진에 나타난 달과 같은 반달모습은 우리에게 익숙한 것일지 몰라도 이 달 자체는 우리에게 익숙한 그 달이 아니다. 이 달은 목성의 위성 유로파의 사진이다.

이 사진은 갈릴레오호가 1995년부터 2003년 사이에 목성궤도를 공전하는 중에 찍은 사진을 모자이크한 것이다. 밝은 얼음 평원과 지평선쪽으로 쭉 뻗어있는 균열, 얼음과 먼지를 모두 포함하고 있을 어두운 부분들이 보인다. 융기지형은 그늘이 드리워지는 융기부의 말단부와 대비되어 특별히 도드라져 보인다.

유로파는 지구의 달과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있지만 훨씬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고원이나 크레이터 자국은 거의 보이 지 않는다.

유로파 • 124 갈리레오로부터 수집된 증거와 사진들을 볼때, 얼음 표면 밑에는 액체로 된 바다가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곳에 생명체가 있을지 모른다는 가정을 실험하기 위해 유럽우주국(ESA)는 유로파얼음위성 탐사선( the Jupiter Icy Moons Explorer, JUICE)의 예비개발을 시작했으며 이 우주선의 발사를 2022년쯤으로 계획하고 있다. 이 우주선은 목성과 특히 유로파에 대해 보다 많은 탐사를 하게 될 것이다.

허블 우주망원경의 최근 관측에 의하면 유로파에는 토성의 위성 엔켈라두스와 같이 그 표면에서 얼음 분출이 발생하고 있다는 증거 를 찾아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15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15.html

참고> 유로파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63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1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52 --> 유로파의 수증기 분출을 다룬 허블 뉴스 Release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53

참고> 토성의 위성 엔켈라두스의 수증기 분출에 대해서는 하기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89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831

원문> Gibbo us Euro pa Image Cre dit: Galileo Project, JPL, NASA; reprocessed by Ted Stryk Explanatio n: Although the phase of this moon might appear familiar, the moon itself might not. In fact, this gibbous phase shows part of Jupiter's moon Europa. The robot spacecraft Galileo captured this image mosaic during its mission orbiting Jupiter from 1995 - 2003. Visible are plains of bright ice, cracks that run to the horizon, and dark patches that likely contain both ice and dirt. Raised terrain is particularly apparent near the terminator, where it casts shadows. Europa is nearly the same size as Earth's Moon, but much smoother, showing few highlands or large impact craters. Evidence and images from the Galileo spacecraft, indicated that liquid oceans might exist below the icy surface. To test speculation that these seas hold life, ESA has started preliminary development of the Jupiter Icy Moons Explorer (JUICE), a spacecraft proposed for launch around 2022 that would further explore Jupiter and in particular Europa. Recent observations by the Hubble Space Telescope have uncovered new evidence that Europa, like Saturn's moon Enceladus, has ice venting from its surface.

유로파 • 125 39 달에 내려선 탐사로봇 위투(Yutu) 달에 내려선 탐사로봇 위투(Yutu) 2013.12.17 21:07

책상 정도 크기의 새로운 로봇이 달을 탐사하기 시작했다. 2주전 중국 국립 우주국이 발사한 창이 3호가 어제 달에 착륙하여 탐사로봇을 달에 내려놓았다. 중국 전승에서 달에 살고 있는 옥토끼 이름을 따서 위투라는 이름이 명명된 이 탐사로봇은 앞으로 3개월동안 달의 충돌 크레이터 중 하나인 무지개 만 내부를 수킬로미터에 걸쳐 탐사할 예정이다. 위투에 탑재된 카메라와 분광분석기는 달의 토양 구조와 그 구성성분을 조사하는 한편 레이더로 토양을 투과시켜 표피 아래의 토양 구조도 함께 탐사할 예정이다. 창이 3호는 1976년 소련의 루나 24호 이래 처음으로 달에 착륙한 우주선이 되었으며, 위투는 1973년 소련의 루노코드 2호 이래 처음 으로 달을 탐사하는 로봇이 되었다. 이 사진은 어제 달에 내려선 위투가 처음 움직이기 시작하는 장면을 촬영한 것이다.

달에 내려선 탐사로봇 위투(Yutu) • 127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16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16.html

참고 : 위투에 대한 또 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7067

참고 : 지구의 위성, 달에 대한 각종 포스트는 하기 링크 INDEX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39

원문> Yutu Ro ve r Ro lls o nto the Mo o n Image Cre dit: Chinese National Space Administration, Xinhuanet Explanatio n: A new desk-sized rover has begun exploring the Moon. Launched two weeks ago by the Chinese National Space Administration, the Chang'e 3 spacecraft landed on the Moon yesterday and deployed the robotic rover. Yutu, named for a folklore lunar Jade Rabbit, has a scheduled three-month mission to explore several kilometers inside the Sinus Iridum (Latin for "Bay of Rainbows") impact crater. Yutu's cameras and spectrometers will investigate surface features and composition while ground penetrating radar will investigate deep soil structure. Chang'e 3 achieved the first soft Moon landing since the Soviet Union's Luna 24 in 1976, and Yutu is the first lunar rover deployed since the USSR's Lunokhod 2 in 1973. Pictured above, Yutu was imaged from its lander yesterday soon after rolling onto the Moon.

달에 내려선 탐사로봇 위투(Yutu) • 128 40 테이드 화산 위의 유성우 테이드 화산 위의 유성우 2013.12.17 21:11

어떤 밤에는 유성우가 내리곤 한다. 이틀 전 소행성의 먼지들이 지구의 어두운 밤하늘에 궤적을 그리며 쌍동이 자리 유성우가 절정에 달했다.

이 사진은 천체사진작가 후안 카를로스 카사도(Juan Carlos Casado)가 촬영한 것으로 광곽 렌즈를 활용하여 2.3시간동안의 노출 을 이용하여 촬영한 것이다.

스페인 카나리 제도의 만년설을 덮고 있는 테이드 화산이 앞쪽에 우뚝 서있고, 아름다운 별자리 오리온이 하늘을 장식하고 있다. 화산 바로 정상에 보이는 별은 리겔이다.

비록 소행성 먼지 입자들은 서로 평행하게 지구에 진입하지만 지구에서 바라볼 때 이 유성들은 하늘의 특정 지점에서 방사상으로 뻗

테이드 화산 위의 유성우 • 130 어나오는 모습을 보인다. 이 경우 하늘의 특정 지점은 쌍동이 자리로서 사진 상단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마치 멀리 떨어진 기차길이 하나로 합쳐지는 것처럼 보이듯, 유성이 보이는 방사상 효과는 관찰자의 시점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사진을 촬영한 천체사진 작가는 이 사진에서 대략 50개의 쌍동이 자리 유성우가 보인다고 했다. 당신의 눈에 보이는 유성우 숫자는 얼마나 되는지?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17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17.html

참고 : 쌍동이 자리 유성우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25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2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7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4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49

원문> Ge minid Me te o rs o ve r Te ide Vo lc ano Image Cre dit & Co pyright: Juan Carlos Casado (TWAN, Earth and Stars) Explanatio n: On some nights it rains meteors. Peaking two nights ago, asteroid dust streaked through the dark skies of Earth, showering down during the annual Geminids meteor shower. Astrophotographer Juan Carlos Casado captured the space weather event, as pictured above, in a series of exposures spanning about 2.3 hours using a wide angle lens. The snowcapped Teide volcano of the Canary Islands of Spain towers in the foreground, while the picturesque constellation of Orion highlights the background. The star appearing just near the top of the volcano is Rigel. Although the asteroid dust particles are traveling parallel to each other, the resulting meteor streaks appear to radiate from a single point on the sky, in this case in the constellation of Gemini, off the top of the image. Like train tracks appearing to converge in the distance, the meteor radiant effect is due to perspective. The astrophotographer has estimated that there are about 50 Geminids visible in the above composite image -- how many do you see?

테이드 화산 위의 유성우 • 131 41 핀란드에서 촬영된 빛기둥 핀란드에서 촬영된 빛기둥 2013.12.19 22:11

이 집들 뒤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걸까?

이 사진은 오로라가 아니며 근처에 발생한 빛 기둥을 촬영한 현상이다. 빛 기둥 현상은 멀리서 봤을 때 그 모습이 보이는 국지적인 현상이다.

지구 대부분의 지역에서 운좋은 관측자라면 수평으로 떠다니는 얼음 결정에 햇빛이 반사되면서 태양빛으로부터 뻗어나오는 빛이 만 들어내는 해 기둥 현상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얼음 알갱이들은 지표에 닿기 전에 증발되어 없어져버린다. 그런데 온도가 어는 점 이하로 내려가면 수평으로 떠다니는 얼음 알갱이들은 지표 근처까지 내려오면서 눈 빛 덩어리를 형성하게 되 는데, 때때로 이 현상은 얼음 안개라고 알려져 있기도 하다.

핀란드에서 촬영된 빛기둥 • 133 이러한 얼음알갱이들은 지상의 빛을 기둥 형태로 반사하기도 하는데 이는 해 기둥 현상과 다르지 않은 현상이다.

이 사진은 사진을 찍은 사람이 고양이 먹이를 사러가는 동안 주차장에서 발생한 밝은 빛이 빛기둥을 만든 현상을 촬영한 것으로 핀 란드의 오울루에서 촬영된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18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18.html

참고 : 해기둥, 빛기둥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57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7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7064

원문> Light Pillars o ve r Finland Image Cre dit & Co pyright: Thomas Kast Explanatio n: What's happening behind those houses? Pictured above are not aurora but nearby light pillars, a local phenomenon that can appear as a distant one. In most places on Earth, a lucky viewer can see a Sun-pillar, a column of light appearing to extend up from the Sun caused by flat fluttering ice-crystals reflecting sunlight from the upper atmosphere. Usually these ice crystals evaporate before reaching the ground. During freezing temperatures, however, flat fluttering ice crystals may form near the ground in a form of light snow, sometimes known as a crystal fog. These ice crystals may then reflect ground lights in columns not unlike a Sun-pillar. While going out to buy cat food, a quick thinking photographer captured the above light pillars extending up from bright parking lot lights in Oulu, Finland.

핀란드에서 촬영된 빛기둥 • 134 42 다채로운 색깔의 달 다채로운 색깔의 달 2013.12.19 22:22

다채로운 색깔의 달 • 136

다채로운 색깔의 달 • 137 달은 일반적으로 미묘한 명암차이를 가진 회색 또는 노란색 천체로 보인다. 그러나 보름달동안 찰영된 이 다중 색채의 망원경 사진은 달의 측정할 수 있을만한 수준의 작은 편차가 대단히 크게 과장되어 표현 되었다. 이러한 색채 차이는 달 표면의 화학적 구성성분의 실제 차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그 차이에 대응되어 만들어졌다.

푸른 색조로 나타나는 부분은 티타늄이 풍부히 존재하는 지역이지만, 오렌지 색과 보라색은 상대적으로 티타늄과 철이 빈약하게 존 재하는 지역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고요의 바다는 사진 상단 우측 모서리에 파란색으로 나타나있다. 그리고 사진 하단의 티코 크레이터로부터 방사상으로, 85킬로미터 너비로 뻗어나온 하얀색 선들이 오렌지색을 띠는 남쪽 고지대를 가로질러 뻗어나오고 있다.

그 위로 코페르니쿠스 크레이터로부터 뻗어나온 좀더 어두운 선은 상단 왼쪽, 비의 바다로 뻗어나가고 있다. 아폴로 미션동안 취득된 바위 샘플을 근거로 구성성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조정된 수치를 이용하여, 우주선으로부터 촬영된 유사한 다중 색깔 사진들은 달 전역의 구성성분을 탐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19일 자) ht tp://apod.nasa.gov/apod/ap131219.html

참고 : 지구의 위성, 달에 대한 각종 정보는 하기 INDEX 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39

원문>

A Co lo rful Mo o n Image Cre dit & Co pyright: Lszl Francsics Explanatio n: The Moon is normally seen in subtle shades of grey or yellow. But small, measurable color differences have been greatly exaggerated to make this telescopic, multicolored, moonscape captured during the Moon's full phase. The different colors are recognized to correspond to real differences in the chemical makeup of the lunar surface. Blue hues reveal titanium rich areas while orange and purple colors show regions relatively poor in titanium and iron. The familiar Sea of Tranquility, or Mare Tranquillitatis, is the blue area in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frame. White lines radiate across the orange-hued southern lunar highlands from 85 kilometer wide ray crater Tycho at bottom left. Above it, darker rays from crater Copernicus extend into the Sea of Rains (Mare Imbrium) at the upper left. Calibrated by rock samples from the Apollo missions, similar multicolor images from spacecraft have been used to explore the Moon's global surface composition.

다채로운 색깔의 달 • 138 43 호수의 세계 타이탄 호수의 세계 타이탄 2013.12.20 21:55

토성의 거대한 위성인 타이탄은 그 표면에 항구적인 액체 호수와 바다를 유지하는 천체로서 태양계에서 독특한 천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지구를 제외하고 말이다.

타이탄의 북극을 중앙에 두고 색채를 입힌 이 지도에는 영하 180도의 혹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액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메탄과 에탄이 파란색과 검은 색으로 보이고 있다.

이 지도는 2004년부터 2013년사이 카시니호가 이 위성을 근접비행할 때 촬영한 레이더 자료를 근거로 제작된 것이다.

호수의 세계 타이탄 • 140 얼추 하트 모양으로 보이는, 우측상단의 호수는 리지아의 바다(Ligeia Mare)로서 이는 타이탄에 있는 액체호수 중 두 번째로 큰 규 모이며 지구의 슈페리어 호수보다도 큰 규모이다.

타이탄 북극 바로 아래에 있는 것은 풍가의 바다(Punga Mare)이다. 풍가의 바다 바로 아래 오른쪽에 펼쳐져 있는 바다는 크라켄의 바다(Kraken Mare)로서 이것이 타이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바다이 다.

타이탄 북극의 상단 왼쪽으로는 지름 50킬로미터정도의 작은 호수들이 가득 들어차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20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20.html

참고> 타이탄의 호수에 대한 내용은 최근 NASA 태양계 탐사 뉴스에서 보도된 바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기 링크를 확인하세요.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61

참고>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 대한 또다른 포스트 http://blog.daum.net/bigcrunch/1234592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62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189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277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304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410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431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64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3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788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32

원문> Titan' s Land o f Lake s Image Cre dit: Cassini Radar Mapper, JPL, USGS, ESA, NASA Explanatio n: Saturn's large moon Titan would be unique in our solar system, the only world with stable liquid lakes and seas on its surface ... except for planet Earth of course. Centered on the north pole, this colorized map shows Titan's bodies of methane and ethane in blue and black, still liquid at frigid surface temperatures of -180 degrees C (- 292 degrees F). The map is based on data from the Cassini spacecraft's radar, taken during flybys between 2004 and

호수의 세계 타이탄 • 141 2013. Roughly heart-shaped, the lake above and right of the pole is Ligeia Mare, the second largest known body of liquid on Titan and larger than Lake Superior on Earth. Just below the north pole is Punga Mare. The sprawling sea below and right of Punga is the (hopefully sleeping) Kraken Mare, Titan's largest known sea. Above and left of the pole, the moon's surface is dotted with smaller lakes that range up to 50 kilometers across.

호수의 세계 타이탄 • 142 44 태양활동관측위성이 다파장으로 바라본 태양 태양활동관측위성이 다파장으로 바라본 태양 2013.12.23 20:55

오늘 세계표준시 17시 11분에 태양이 지점에 이르렀다. 태양은 1년에 걸친 하늘에서의 여정 중 남반구에서 가장 높은 곳에 도달한 것이다. 12월의 지점은 천문학적으로는 북반구에서는 겨울, 남반구에서는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표지이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태양활동 관측위성(Solar Dynamics Observatory, SDO)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시광선부터 자외선파장까지의 관측자료를 담은 독창적인 사진을 만들어냈다. 가시광 파장으로 만들어진 태양원반을 배경으로 그 위에 쐐기 모양으로 구분된 각 조각들은 짧은 자외선 파장부터 극자외선 파장까 지를 표현하고 있다. 인위적인 색갈을 입혀 표현된 이 사진은 시계방향으로 170 나노미터(분홍색)파장으로부터 점점 파장을 낮추어 9.4 나노미터(초록색) 파장까지를 표현하고 있다. 짧은 파장으로 갈수록, 해당 지역의 고도와 온도는 태양대기에서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가시광선 파장에서 밝게 보이는 태양 광구는 자외선에서는 좀더 어둡게 보이지만 태양 흑점은 밝게 보이며 밝은 플라스마는 자기장

태양활동관측위성이 다파장으로 바라본 태양 • 144 을 따라 궤적을 그리며 돌고 있다. SDO의 다파장을 이용하여 바라본 태양 애니메이션에서 태양 원반을 휩쓰는 필터를 구경해 보라.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2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21.html

참고 : 우리별 태양에 대한 각종 포스트는 하기 링크 INDEX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34

원문> S DO' s Multiwave le ngth S un Image Cre dit: GSFC Scientific Visualization Studio, SDO, NASA Explanatio n: Today, the solstice is at 17:11 Universal Time, the Sun reaching the southernmost declination in its yearly journey through planet Earth's sky. The December solstice marks the astronomical beginning of winter in the northern hemisphere and summer in the south. To celebrate, explore this creative visualization of the Sun from visible to extreme ultraviolet wavelengths, using image data from the orbiting Solar Dynamics Observatory (SDO). Against a base image made at a visible wavelengths, the wedge-shaped segments show the solar disk at increasingly shorter ultraviolet and extreme ultraviolet wavelengths. Shown in false-color and rotating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filters decrease in wavelength from 170 nanometers (in pink) through 9.4 nanometers (green). At shorter wavelengths, the altitude and temperature of the regions revealed in the solar atmosphere tend to increase. Bright at visible wavelengths, the solar photosphere looks darker in the ultraviolet, but sunspots glow and bright plasma traces looping magnetic fields. Watch the filters sweep around the solar disk in this animation of SDO's multiwavelength view of the Sun.

태양활동관측위성이 다파장으로 바라본 태양 • 145 태양활동관측위성이 다파장으로 바라본 태양 • 146 45 칠레에서 촬영된 쌍동이자리 유성우 칠레에서 촬영된 쌍동이자리 유성우 2013.12.23 21:06

쌍동이자리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나오는 쌍동이 자리 유성우가 지난 몇 주동안 지구로 쏟아져내렸다.

칠레에서 촬영된 쌍동이자리 유성우 • 148 12월 13일과 14일 밤사이 절정을 기록한 이 유성우가 칠레 라스 깜파나스 천문대의 어두운 하늘을 배경으로 4시간동안 촬영한 사진 을 합성한 이 사진에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앞쪽으로는 2.5미터 듀퐁 망원경과 1미터 SWOPE 망원경이 보인다. 유성우 너머로는 사진 정중앙에 밝은 점으로 보이는 목성과 그 왼쪽으로 수직으로 도열해선 우리 은하의 중심대역, 그리고 더 왼쪽 으로 분홍빛의 오리온 성운이 하늘을 장식하고 있다.

3200 파에톤 소행성의 궤적으로부터 먼지들이 휩쓸려들어오며 발생하는 쌍동이 자리 유성우는 초속 22킬로미터로 지구 대기에 유입 된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23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23.html

참고 : 쌍동이자리 유성우를 비롯한 각종 유성 및 유성 포스트는 하기 링크 INDEX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54

원문> Ge minid Me te o rs o ve r Chile Image Cre dit & Co pyright: Yuri Beletsky (Las Campanas Observatory, Carnegie Institution) Explanatio n: From a radiant point in the constellation of the Twins, the annual Geminid meteor shower rained down on planet Earth over the past few weeks. Recorded near the shower's peak over the night of December 13 and 14, the above skyscape captures Gemini's shooting stars in a four-hour composite from the dark skies of the Las Campanas Observatory in Chile. In the foreground the 2.5-meter du Pont Telescope is visible as well as the 1-meter SWOPE telescope. The skies beyond the meteors are highlighted by Jupiter, seen as the bright spot near the image center, the central band of our Milky Way Galaxy, seen vertically on the image left, and the pinkish Orion Nebula on the far left. Dust swept up from the orbit of active asteroid 3200 Phaethon, Gemini's meteors enter the atmosphere traveling at about 22 kilometers per second.

칠레에서 촬영된 쌍동이자리 유성우 • 149 46 Sharpless 2-308 Sharpless 2-308 2013.12.25 11:34

뜨겁고 무거운 별로부터 쏟아져나오는 폭풍이 만들어낸 이 우주거품은 대단히 거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큰개자리 방향으로 5200광년 거리에 위치하는 이 천체는 Sharpless 2-308로 등재된 천체이며 그 크기는 보름달 크기를 약간 넘어서 는 크기이다. 이 천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면 이 천체의 직경은 60광년 정도가 되는 셈이다.

이 거대한 거품을 만들어낸 무거운 질량의 별은 울프-레이에(Wolf-Rayet)별로서 이 성운의 한가운데에서 밝게 빛나는 별이 그것이 다. 울프-레이에 별들은 태양 질량의 20배 이상의 질량을 가지며 무거운 별의 진화단계에서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기 바로 전 짧은 단계

Sharpless 2-308 • 151 에 머무는 별로 생각되고 있다.

울프-레이에 별로부터 쏟아져나온 강력한 폭풍이 초기 진화단계에서 쏟아져나와 천천히 움직이는 물질들을 쓸어내면서 이러한 거품 모양의 성운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이 거품 성운은 대략 7만 살 정도되었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 사진에 함께 담긴 상대적으로 희미한 복사는 이온화된 산소원자가 타오르며 형성된 것으로, 사진에는 보라색 톤으로 나타나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24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24.html

참고> 초신성에 대한 각종 포스트는 하기 링크 INDEX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89

원문> S harple s s 308: S tar B ubble Image Cre dit & Co pyright: Jeff Husted Explanatio n: Blown by fast winds from a hot, massive star, this cosmic bubble is huge. Cataloged as Sharpless 2-308 it lies some 5,200 light-years away toward the constellation of the Big Dog (Canis Major) and covers slightly more of the sky than a Full Moon. That corresponds to a diameter of 60 light-years at its estimated distance. The massive star that created the bubble, a Wolf-Rayet star, is the bright one near the center of the nebula. Wolf-Rayet stars have over 20 times the mass of the Sun and are thought to be in a brief, pre-supernova phase of massive star evolution. Fast winds from this Wolf-Rayet star create the bubble-shaped nebula as they sweep up slower moving material from an earlier phase of evolution. The windblown nebula has an age of about 70,000 years. Relatively faint emission captured in the expansive image is dominated by the glow of ionized oxygen atoms mapped to violet hues.

Sharpless 2-308 • 152 47 M33의 수소구름 M33의 수소구름 2013.12.26 22:47

화려한 나선은하 M33은 불타오르는 수소 가스에 대응되는 양보다도 훨씬 더 많은 양의 수소를 가지고 있는 듯 보인다.

M33의 수소구름 • 154

국부 은하군의 주요 멤버이기도 한 M33은 삼각형자리 은하로도 알려져 있으며 3백만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망원경으로 촬영한 이 사진은 은하의 안쪽 3만광년 범위가 담겨 있으며 붉은 빛의 이온화 수소 구름, 또는 HII 지역이 강조되어 있 다.

은하핵쪽으로 휘어감겨드는 느슨하게 묶인 나선 팔을 따라 위치하고 있는 M33의 거대 HII 지역들 중 몇몇은 가장 큰 규모로 알려진 별의 육아실이며 이곳에는 짧은 수명을 가진, 그러나 거대한 질량을 가진 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밝게 빛나는 이들 무거운 별들로부터 쏟아져나온 강력한 자외선 복사가 주위의 수소 가스를 이온화시키면서 궁극적으로 이들의 특성 이기도 한 붉은 빛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대역 데이터가 이 천연색 은하의 모습을 만들어내는데 사용되었으며 여기에 가장 강력한 수소 복사선의 빛을 잡아낸 수소 알파 필터를 통해 취합한 협대역 데이터를 합성하였다.

하기 사진은 단색으로 처리된 협대역 데이터이며 그 아래 동영상을 통해 M33의 수소 구름 사이를 여행해 보라.

M33의 수소구름 • 155

M33의 수소구름 • 156 Hydrogen Clouds of Spiral Galaxy M33 from Adam Block on Vimeo.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26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26.html

참고 : M33을 포함한 각종 은하에 대한 포스트는 하기 링크 INDEX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76

원문> The Hydrogen Clouds of M33 Image Credit & Copyright: Adam Block, Mt. Lemmon SkyCenter, U. Arizona Explanation: Gorgeous spiral galaxy M33 seems to have more than its fair share of glowing hydrogen gas. A prominent member of the local group of galaxies, M33 is also known as the Triangulum Galaxy and lies about 3 million light-years distant. Its inner 30,000 light-years are shown in this telescopic galaxy portrait that enhances the reddish ionized hydrogen clouds or HII regions. Sprawling along loose spiral arms that wind toward the core, M33's giant HII regions are some of the largest known stellar nurseries, sites of the formation of short-lived but very massive stars. Intense ultraviolet radiation from the luminous, massive stars ionizes the surrounding hydrogen gas and ultimately produces the characteristic red glow. To enhance this image, broadband data was used to produce a color view of the galaxy and combined with narrowband data recorded through a hydrogen-alpha filter, transmitting the light of the strongest hydrogen emission line. To see the monochromatic narrowband data alone, move your cursor over the image, or take this video tour of the hydrogen clouds of M33.

M33의 수소구름 • 157 48 하트 성운 중심의 Melotte 15 하트 성운 중심의 Melotte 15 2013.12.30 22:25

발광성운 IC 1805의 중심부에는 환상적인 모양을 갖춘 우주구름이 있다. 물론 이 구름은 성운의 내부에서 이제 갓 태어난 별들이 모여 있는 멜롯 15(Melotte 15) 성단으로부터 복사되어 나오는 빛과 폭풍 에 의해 조각된 것이다.

약 150만년 정도의 어린 나이인 이 성단의 별들은 이 화려한 사진의 중심부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 검은 먼지 구름들을 따라 도 열해 있다.

하트 성운 중심의 Melotte 15 • 159

수소원자로부터의 복사선이 주를 이루고 있는 이 망원경 사진은 약 30광년의 폭을 담고 있다.

사진을 좀 더 넓게 보면 IC 1805의 좀더 단순한 형태가 드러나는데 이 외형으로부터 '하트성운'이라는 대중적인 이름이 붙여졌다.

IC 1805는 우리은하의 북쪽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카시오페이아 자리 방향으로 약 7500광년 떨어져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27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27.html

참고> IC 1805를 비롯한 각종 성운에 대한 포스트는 하기 링크 INDEX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74

참고> Melotte 15를 비롯한 각종 성단에 대한 포스트는 하기 링크 INDEX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75

원문> Me lo tte 15 in the He art Image Cre dit & Co pyright: Jimmy Walker Explanatio n: Cosmic clouds seem to form fantastic shapes in the central regions of emission nebula IC 1805. Of course, the clouds are sculpted by stellar winds and radiation from massive hot stars in the nebula's newborn star cluster, Melotte 15. About 1.5 million years young, the cluster stars are near the center of this colorful skyscape, along with dark dust clouds in silhouette. Dominated by emission from atomic hydrogen, the telescopic view spans about 30 light-years. But wider field images reveal that IC 1805's simpler, overall outline suggests its popular name - The Heart Nebula. IC 1805 is located along the northern Milky Way, about 7,500 light years distant toward the constellation Cassiopeia.

하트 성운 중심의 Melotte 15 • 160 49 알라스카의 오로라 알라스카의 오로라 2013.12.30 22:35

인상적으로 강렬한 오로라가 어른거리는 색채를 띠고 12월 7일 북쪽 하늘에 흘러넘쳤다.

이 아름다운 일련의 사진은 알라스카 페어뱅크 외곽 이스터 근처의 차갑고 청명한 하늘 아래에서 삼각대에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되 었다. 왼쪽에서 오른쪽까지의 사진은 약 30분의 시간동안 촬영된 것으로 각 사진은 고도 100킬로미터까지 뻗어올라간 오로라 커튼의 변화 를 바로 아래서 올려다보며 담아낸 것이다. 각 사진은 수직으로 150도의 폭을 담고 있으며 아래에서 위쪽 끝까지 하늘을 가로지르며 도열한 약 500킬로미터 폭의 오로라를 담아

알라스카의 오로라 • 162 내고 있다.

이 오로라 활동은 일반 등급의 자기폭풍에 의해 촉발된 것으로 빠른속도의 태양풍이 행성 지구의 자기권을 강타할 때 발생한 것이 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28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28.html

참고> 오로라를 비롯한 각종 지구의 대기현상에 대한 포스트는 하기 링크 INDEX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40

원문> Alas ka Auro ra S e que nc e Image Cre dit & Co pyright: LeRoy Zimmerman (TWAN) Explanatio n: A remarkably intense auroral band flooded the northern night with shimmering colors on December 7. The stunning sequence captured here was made with a camera fixed to a tripod under cold, clear skies near Ester, just outside of Fairbanks, Alaska. Left to right, spanning a period of about 30 minutes, the panels follow changes in the dancing curtains of northern lights extending to altitudes of over 100 kilometers in a band arcing directly overhead. The panels span 150 degrees vertically, covering about 500 kilometers of aurora laying across the sky from edge to edge. The auroral activity was triggered by a moderate level geomagnetic storm, as a high speed solar wind stream buffeted planet Earth's magnetosphere.

알라스카의 오로라 • 163 50 환상적인 프렉탈의 풍경 환상적인 프렉탈의 풍경 2013.12.30 22:50

이 이상한 세계는 무엇일까?

이 사진은 실제 사진은 아니며, 프렉탈을 3차원으로 일반화한 것을 순전히 수학적으로 시각화해본 것이다. 고전적인 프랙탈 다이어그램은 반복순환 작용이 분기되는 특정할 수 없는 지역인 복소평면상에 내재된 2차원구조로 한정된다.

최근 추가로 확장된 3차원 프렉탈 만델브로트 집합이 만델박스와 만델벌브 집합으로 불리는 규칙하에 탐색되었다. 그 결과는 무한한 세부를 가진, 시각적으로 대단히 아름다운 가상 세계를 종종 보여주고 있는데 어떤 것들은 당신이 날아서 통과를 할 수 있는 정도이다.

이 사진은 그와 같은 수학적으로 표시된 환상의 세계 중 하나로서 증기기관으로만 움직이는 기계나라의 일종을 떠올릴법한 양자역학 의 세계가 표현되어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30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30.html

환상적인 프렉탈의 풍경 • 165 원문> Quantum S tre ampunk Fantas y Frac tal Lands c ape Image Cre dit & Co pyright: Jos Leys (Mathematical Imagery), Ultra Explanatio n: What strange world is this? Pictured above is no real place but rather a purely mathematical visualization of a generalization of a fractal into three dimensions. Classical fractal diagrams are typically confined to the two dimensions inherent in the complex number plane, demarking regions where an iterative function diverges. Recently explored additions expand the of to three dimensions with prescriptions dubbed Mandelbox and sets. The results are often visually stunning creations of virtual worlds with limitless detail, some of which you can fly through. Pictured above is one such mathematical fantasy, possibly reminiscent of some sort of steam-punkian, quantum-mechanical landscape.

환상적인 프렉탈의 풍경 • 166 51 말머리 성운 말머리 성운 2014.01.01 22:05

말머리 성운은 가장 유명한 성운들 중 하나이다. 이 성운이 사진중앙에 붉은 복사선을 방출하고 있는 성운쪽으로 검게 움푹 패인 모습처럼 보인다.

말머리 모양이 검게 보이는 이유는 이 성운이 실제로 붉은 빛의 발광성운 앞쪽에 놓은 불투명한 먼지 구름이기 때문이다. 우리 지구 대기상의 구름들과 마찬가지로 이 우주 구름이 익숙한 모양을 보이는 것은 전적으로 우연일 뿐이다. 수천년이 지나면 이 구름 내부의 작용으로 인해 이러한 형상은 변하게 될 것이다.

성운에서 방출되고 있는 붉은 빛은 전자가 양성자와 재결합하여 수소원자를 형성하면서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사진 하단 좌측으로는 지근 거리에 위치한 별들의 푸른 빛을 우선적으로 반사하고 있는 초록빛의 반사 성운들이 보인다.

말머리 성운 • 168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3년 12월 31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31231.html

참고> 말머리 성운(Barnard 33)을 비롯한 각종 성운에 대한 포스트는 하기 링크 INDEX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blog.daum.net/bigcrunch/12346974

원문> The Ho rs e he ad Ne bula Image Cre dit & Co pyright: John Chumack Explanatio n: The Horsehead Nebula is one of the most famous nebulae on the sky. It is visible as the dark indentation to the red emission nebula in the center of the above photograph. The horse-head feature is dark because it is really an opaque dust cloud that lies in front of the bright red emission nebula. Like clouds in Earth's atmosphere, this cosmic cloud has assumed a recognizable shape by chance. After many thousands of years, the internal motions of the cloud will alter its appearance. The emission nebula's red color is caused by electrons recombining with protons to form hydrogen atoms. Also visible at the bottom left of the picture is a greenish reflection nebulae that preferentially reflects the blue light from nearby stars.

말머리 성운 • 169 오늘의 천체사진(APOD) 번역집 2013-4

BigCrunch http://blog.daum.net/bigcrunch 블로그

BigCrunch 저자

2014.02.08 19:16:20 발행일

저작권법에 의해 한국 내에서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와 전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