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n J Fam Pract. 2012;2:289-295

쉽게 처방하는 감기약물 다시 보기: Symposium Antitussives, Expectorants, and Mucolytics 분류와 기전을 중심으로

남가은, 김도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The Use of Antitussives, Expectorants, and Mucolytics in Clinical Practice Ga Eun Nam, Do Hoon Kim*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Acute upper airway infection includes acute nasopharyngitis (common cold), acute sinusitis, acute pharyngitis, and acute epiglottitis. It can also be referred to as acute nasopharyngitis in the narrower sense. Cough and sputum are the common symptoms of these diseases. Specific treatments are needed for these symptoms according to their underlying causes. However, empirical therapies using drugs such as antitussives, expectorants, and mucolytics are applied to symptomatic relief in certain situations. The effects of these drugs are not clearly demonstrated and do not last long.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examine the list, mechanism,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s for the use of these drugs currently available for the common cold.

Keywords: Common Cold; Antitussive Agents; Expectorants; Mucolytics

서론 면 기도점막을 보호하는 기능이 있으나 과도할 경우 환자에 게 괴로움을 준다. 이러한 증세는 원인질환에 따른 특이치료 급성상기도감염은 급성비인후염(감기), 급성부비동염, 가 필요하나, 여의치 않을 경우 비특이적인 진해거담제를 사 급성편도염, 급성후두개염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 좁은 의 용하게 된다. 진해거담제는 크게 진해제(antitussives), 거담제 미로는 급성비인후염을 말한다. 전 세계적으로 급성상기도감 (expectorants), 점액용해제(mucolytics)로 분류된다. 진해제는 염은 병원을 찾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 사회경제적 부담이 매 기침의 원인에 관계없이 기침을 가라앉히는 약을 말한다. 거 우 큰 질환이며, 공통된 주된 증상으로 기침과 객담을 들 수 있 담제란 환자에게 고통을 주는 끈끈한 점액을 녹여서 묽게 만 다. 기침은 기도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예방하는 정상적 들어 기도 밖으로 배출시키는 약을 말하는 반면, 점액용해제 인 방어기전이나 지나치게 되면 환자나 의사에게 모두 매우 는 폐에 있는 점액을 분해하여 호흡기 분비물을 묽게 만드는 불편한 증세이다. 객담 역시 호흡기에서 정상적으로 분비되 데까지만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거담제와 점액용해제의 차 이를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강좌에서는 감기에 흔히 처 Received: November 10, 2012, Accepted: December 5, 2012 방되는 진해거담제의 종류와 작용 기전 및 임상적 특징, 사용 *Corresponding Author: Do Hoon Kim 시 주의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el: 031-412-5365, Fax: 031-412-5364 E-mail: [email protected] 기침반사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Copyright © 2012 by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기침반사(cough reflex) 수용체는 인후두 등의 상기도와 기

가정의학 Vol. 2, No. 4 Dec 2012 | 289 Ga Eun Nam, et al: The Use of Antitussives, Expectorants, and Mucolytics

관의 후벽, 기관분기부(carina), 주 기관지 등의 하기도에 주로 해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마약류 약제는 남용의 분포되어 있다. 작은 기도로 가면서 희박하게 분포하며 주로 우려가 있어 주의해야 하며, 가급적이면 마약유도체나 비마 분지부에 많으나 폐 실질 내에는 거의 없다.1) 기침반사 수용 약류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 체는 기도 외에도 흉막, 고막, 부비동, 횡격막, 심낭, 위, 식도 등 흔히 사용되고 있는 진해제에는 단일 성분 약제와 항히스 에 분포한다. 기계적 기침 수용체는 접촉이나 변형에 반응하 타민제를 포함한 여러 약제의 복합제제가 있다. 시럽 형태로 고, 화학적 기침 수용체는 자극성 기체나 연기에 예민하다. 기 된 약제 중 코푸시럽에스(cough syrup S®)와 코푸시럽(cough 침반사 수용체가 자극을 인식하면 미주신경을 통해 뇌간으로 syrup®) 및 코데날시럽(codenal syrup®)은 약국에서 판매되는 자극을 전달하고, 호흡 근육에 분포하는 척수신경세포들을 종합 감기약과 함께 대표적인 복합제제이다(Table 2). 코푸 흥분시켜 기침을 유발한다.1) 시럽에스에는 , 에페드린 성분과 항히스타 민제인 페니라민이 포함되어 있어 졸음이 올 수 있다.1,4) 코푸 진해제 시럽에는 dextromethorphan 대신에 소량의 코데인이 포함되 어 있어 역시 졸음을 유발할 수 있다. 코데날시럽은 항히스타 진해제(Antitussives)는 작용기전에 따라 중추 작용 약물 민제와 소량의 코데인, guaifenesin을 주성분으로 한다.1) 일반 과 말초 작용 약물로 나뉜다(Table 1). 중추에 작용하는 약물 적으로 객담을 동반하는 기침에 guaifenesin를 포함한 약물을 은 마약류(narcotic ), 마약유도체(non-narcotic opioids), 사용하고, 객담을 동반하지 않는 기침에는 dextromethorphan, 비마약류(nonopioid)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마약류 약제 codeine을 사용한다.1) 레보투스(levotuss®)는 는 codein, , morphine 등으로 결과가 일정하지 않 성분의 진해제로 기침의 경로 중 C-fiber를 억제하여 기침을 으나 제한적인 기침 억제효과가 증명이 되었고,2-4) 적정 용량 억제한다. 또한 건조 아이비 잎 추출물(ivy-leaf dried extract)로 에서도 졸음, 변비, 소화장애, 남용이나 의존의 위험이 있다. hederocoside C가 주성분인 푸로스판(prospan®)은 진해 및 거 마약유도체 진해제인 dextromethorphan은 기침약 및 일반 감 담작용이 있으며,1) 항염증효과 및 기도 평활근 이완효과가 보 기약에 흔히 포함되는 약제이나 이 약제의 진해효과 역시 일 고되었다. 정하지 않다.2-4) 기침반사의 과감작(hypersensitivity)에 있어 여러 연구에서 오래된 1세대 항히스타민제가 진해효과 중요한 기전의 하나는 시냅스 후세포에 위치한 N-methyl-D- 를 갖고 있음이 증명되었다.6) 새로운 항히스타민제의 경우 aspartate (NMDA) 수용체의 상향 조절(up regulation)이다.5) 진해효과가 없으므로,7) 1세대 약제의 중추 신경계 침투효과 Dextromethorphan은 약한 NMDA 수용체 길항제로 작용해 진 및 항콜린성 작용이 그 기전일 것으로 추측된다.8) 항콜린제

Table 1. Currently available drugs with proven or potential antitussive effect.

Antirussives Drugs

Proven antitussives

Centrally acting

Narcotic opioids: morphine, codein, hydrocodone

Non-narcotic opioids: dextromethophan

Non-: , , older generation

Peripherally acting

Benzonatate, levodropropizine, ,

Potential antitussives (drugs approved for other indications; not approved as antitussives)

Centrally acting: amitriptyline, baclofen, gabapentin, pregabalin

Peripherally acting: tiotropium,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

Non-pharmaceutical agents: theobromine

From Kim SH. Korean J Med 2010;78:682-6.4)

290 | Vol. 2, No. 4 Dec 2012 Korean J Fam Pract 남가은 외 : 쉽게 처방하는 감기약물 다시 보기

인 ipratropium bromide 흡입제도 감기 및 만성기관지염에 의 에 의한 비염이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9) 한 기침 환자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유사한 Benproperine(코프렐®)이나 zipeprol(레스피렌®)도 중추 기전으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추정된다.4) 또한 일시적으로 에 작용하는 진해제로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인간을 대상으 ephedrine이나 phenylnephrine이 들어 있는 분무형 비충혈 제거 로 하는 이중맹검연구가 존재하지 않는다. Benproperine을 복 제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제제는 장기간 사용 시 약제 용할 경우 졸음, 어지러움, 피로, 식욕부진, 복통 등이 흔히 나

Table 2. Commonly used syrup form antitussives in South Korea.

Brand name Component Usual dose (adult) Effects

Cough syrup s In 100 mL: dextromethorphan 75 mg, methylephedrine 20 mL tid or qid Antitussive, expectorant, antihistaminic HCl 131.25 mg, chlorpheniramine maleate 15 mg, effect ammonium Cl 1 mg

Cough syrup In 100 mL: dihydrocodein 50 mg, methylephedrine HCl 20 mL tid or qid Antitussive, expectorant, antihistaminic 131.25 mg, chlorpheniramine maleate 15 mg, effect ammonium Cl 1 mg

Codenal syrup In 100 mL: 50 mg, guaifenesin 375 mg, 20 mL tid or qid Antitussive, expectorant, analgesic, methylephedrine HCl 131.25 mg, chlorpheniramine antihistaminic effect maleate 15 mg

Levotuss Levodropropizine 6 mg/mL 10 mL tid Antitussive

Prospan Dried ivy leaf extract: hederocoside C 0.35 mg/mL 5–7.5 mL tid Inhibitory effects on bronchospasm, expectorant, anti-infl ammatory effect

From Kim SK and Chang J. Tuberc Respir Dis 2006;60:261-9.1)

Table 3. Summary of studies on peripherally acting and potential antitussives.

Drug Author/reference no./year No. Subjects Study results

Peripherally acting antitussives

Levodropropizine vs. Allegra and Bossi12) (1988) 194 Acute and chronic bronchitis Cough severity/frequency ↓ 72% placebo (P<0.05)

Moguisteine vs. placebo Aversa et al.14) (1993) 97 COPD, pulmonary Cough frequency ↓ 42% (P<0.03) neoplasm, pulmonary fi brosis, unknown, other

Moguisteine vs. placebo Adams et al.15) (1993) 108 URI Signifi cant difference in nighttime cough severity (P<0.05)

Guaifenesin, benzotate Dicpinigaitis et al.16) (2009) 30 URI Cough refl ex sensitivity ↓ (P<0.05) vs. placebo

Guaifenesin vs. placebo Dicpinigaitis and Gayle17) (2003) 14 URI Cough refl ex sensitivity ↓ (P<0.05)

Potential antitussives

Amitriptyline vs. Jeyakumar et al.20) (1988) 28 Postviral vagal neuropathy Improved cough-specifi c quality- /guaifenesin of-life (P<0.05)

Tiotropium vs. placebo Dicpinigaitis et al.18) (2008) 21 URI Inhibition of cough refl ex sensitivity (P<0.05)

Baclofen vs. placebo Dicpinigaitis and Dobkin23) 20 Healthy adults Elevation of capsaicin cough (1997) threshold (P<0.05)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URI: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가정의학 Vol. 2, No. 4 Dec 2012 | 291 Ga Eun Nam, et al: The Use of Antitussives, Expectorants, and Mucolytics

타나고 zipeprol은 과량 복용 시 환각작용이 있어서 특히 젊 는 천연약물이면서 비마약성 진해제라는 장점이 있다. 동물 은 층에서 오남용의 우려가 있다. 국내에서 1991–1998년 사 을 이용한 기침유발검사에서 효과를 증명하였으나27) 임상시 이 총 61명이 ziperol 남용으로 사망했다는 보고도 있었다.10) 험에서 아직까지 효과가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 펠라고니 Dextromethorphan 역시 ziperol과 유사한 환각효과로 청소년 사 움시도이데스(Pelargonium sidoides) 추출물(Umckamin syrup®) 이에서 남용이 문제된 바 있으며,11) 현재 단일 성분 제제인 러 역시 급성상기도감염 환자에서 진해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 미라정은 생산허가가 취소되었다. 다.28) 말초에 작용하는 진해제 중 흔히 사용되는 약제인 levodropropizine(레보투스 정® or 시럽®)은 급성 및 만성기 거담제 및 점액용해제(Expectorants and 관지염 환자에서 위약보다 효과가 우월하였고,12) 폐암으로 Mucolytics) 인한 기침에도 코데인과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Table 3).13) Moguisteine14,15) 역시 말초신경계에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 객담의 주성분은 점액으로 수분이 95%이고, 나머지 5%는 며, 급성상기도감염 및 만성폐쇄성 폐질환, 폐암 등의 환자에 당단백질, 지질 및 무기질 등으로 구성된다. 당단백질의 구조 서 기침을 줄여주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국내에서는 시판되 가 선형중합체 이중 구조로 겔 형태이기 때문에 끈적이는 양 지 않고 있다. Benzonatate는 procaine과 구조적으로 유사하고 상을 보인다.1) 널리 사용되고 있는 거담제와 점액용해제가 stretch 수용체를 억제하여 진해효과를 보이는데, 국내에서 지 Table 4에 제시되었다. 흔히 거담제라고 부르는 약제들은 대부 콜 캅셀이라는 상품으로 시판되고 있다. 미국에서도 사용이 분이 점액용해제(mucolytics)로 급만성호흡기질환에서 증상 승인되었으나 최근 급성상기도감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완화를 위해 사용되지만 위약대조시험에서 효과가 일정치 않 에서 위약에 비해 의미 있는 기침 감소를 보여주지는 못했고, 아 가능한 짧은 기간 사용이 권유된다.4) 만성기관지염 환자에 guaifenesin과 병용 투여 시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 서도 기침을 억제하기 위하여 이들 약제를 지속적으로 투여 다.5,16) 최근 미국에서 benzonatate의 남용으로 인한 심각한 부 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항콜린제를 투여하는 것보다 이득이 정맥 및 경련 발생의 위험이 보고되어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다. Guaifenesin는 객담 양을 증가시키고 점성을 줄여 객담 배출 Guaifenesin, (Mucosol®, Bisolvon® 등) 등의 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이 있어 거담제로 잘 알려져 있으나 위 약제는 위장관 자극으로 위와 기도 분비물을 증가시킨다. 약대조연구를 통해 급성상기도감염에서의 진해효과도 입증 Guaifenesin은 거담제로 분류되는 대표적인 약제로 만성기관 되었다.16,17) Guaifenesin의 진해효과는 말초와 중추에 함께 작 지염에서 객담의 양과 질을 호전시켰다고 보고되었으나 객관 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복합제제인 종합 감기약 형태로 약국 적인 자료는 부족하다. 하지만 오랜 기간 부작용이 별로 없었 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페나투신 캅셀이라는 상품명의 단일 고 저렴한 가격 등으로 인해 많은 감기약에 포함되어 판매되 성분 제제로도 시판되고 있다. 고 있다. Bromhexine은 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환자에서 진해제로 허가받지는 않았지만 기침 억제효과가 있음이 객담 양을 줄일 수 있었지만 기침을 호전시키지는 못했다.4,29) 보고된 약제들도 있다. 삼환계 항우울제인 amitriptyline이나 γ-aminobutyric acid 수용체 작용물질인 baclofen, 항콜린제인 tiotropium 등의 약제는 기침 억제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Table 4. Currently available mucolytics and expectorants. (Table 3).2,18-23) Gabapentin과 pregabalin은 시냅스전 세포의 전위 Mucolytics 작동 칼슘통로(voltage gated calcium channel) α2δ 아단위를 차단 N- 함으로써 시냅스 안으로 glutamate의 방출을 방해하는 항경련 제로 여러 연구에서 기침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특발성 Bromhexine 만성기침(idiopathic chronic cough)24)이나 미주신경 감각병증 Expectorants (vagal sensory neuropathy)25) 환자에서 gabapentin 치료로 기침의 호전을 보였다는 연구도 있고, 만성기침을 호소하는 인후 감 Guaifenesin 각신경병증(laryngeal sensory neuropathy)26) 환자에서 pregabalin Ivy-leaf dried extract 이 도움이 되었다는 보고도 있다. Theobromine (Anycough®)는 코코아에서 유래된 메틸잔틴 유사 성분으로, 말초에 작용하 Myrtol

292 | Vol. 2, No. 4 Dec 2012 Korean J Fam Pract 남가은 외 : 쉽게 처방하는 감기약물 다시 보기

항콜린제인 ipratropium bromide 역시 거담효과를 보인다. 다. 비강 내 분무형 제제는 졸음을 피할 수 있다. 2세대 항히스 Acetylcysteine (Muteran®, Mucosten® 등)은 점액을 용해 타민제는 항콜린 작용이 없어 감기증상에는 효과가 없다. 비 시켜 객담 배출을 쉽게 한다. 만성기관지염에서 사용되는 충혈이 동반된 경우 pseudoephedrine이 많이 처방되는데 혈압 acetylcysteine 분무 흡입제는 분비물을 묽게 하지만 객담 생성 을 상승시킬 수 있다. 기관지확장제 중 beta2-agonists는 기도 평 을 줄이지는 못하며 기관지 수축효과가 있다. 항산화 작용이 활근에 직접 작용하거나 간접적으로는 기관지 수축 화학매체 있다고 알려진 erdosteine (Erdos® 등)은 경구 투여하면 간에서 의 분비와 기관지 수축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억제시켜 기 대사되어 제제와 유사한 효과를 보이며, 만성폐쇄성 도 확장을 일으키며, 기관지 점막 부종의 발생을 억제하고 점 폐질환자에서 악화 및 입원뿐 아니라 질병관리비용도 줄인 액분비를 증가시킴으로써 기도 상피의 mucociliary clearance를 다고 보고된 바 있다.30) 또한 erdosteine은 amoxicillin과 병용 시 증가시키고 기침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1) amoxicillin의 조직 내 농도를 높여 효과를 증진시키는 작용도 있다.31) 국내에서는 건조 아이비 잎 추출물(Prospan®)도 흔히 감기 약물 사용 시 주의사항 사용되고 있는데1) hederocoside C가 주성분으로 진해 및 거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독일 등 유럽 국가에서의 몇몇 일반적인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시럽 형태의 진해제는 연구를 제외하고 아직까지 무작위 위약대조군연구결과가 부 당분이 포함되어 당뇨병 환자에게 투여 시에 주의가 필요하 족하다. 그 외에 점액조절제로는 항콜린제, 스테로이드, 인도 다. 약제를 씹어서 복용하게 되면 구강 마취효과를 유발할 수 메타신, 마크로라이드 항생제 등이 있으며 점액활성제로 기 있어 씹지 않고 삼키는 것이 좋다. 임신이나 수유 중 투여에 있 관지확장제, 표면활성제 등이 있다.31) 어 안전성이 확립되지는 않아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며 고령 그리고 수분 섭취가 적절하지 못해 탈수되면 객담 배출에 자에게는 감량 투여를 고려해야 한다. 방해가 되므로 목이 마르지 않을 정도의 수분 섭취가 필요하 Levodropropizine은 24개월 이하 유소아나, 중증 신부전이 며 과다하게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1) 있는 경우 의식장애 시에 사용해서는 안된다. Erdosteine은 간 경변 환자나 시스타치오닌 합성효소(cystathionine synthase) 결 그 밖의 대증적 치료를 위한 약물 핍 환자에서 금기이다.31) 과당불내성인 경우 건조 아이비 잎 추출물을 사용해서는 안되며, N-acetylcysteine과 acetylcysteine 감기에 대한 대증적 치료로 열이나 경한 오한, 근육통, 두 은 소화성 궤양이 있는 환자에서 금기이다.31) Ambroxol은 중증 통 등의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해 acetaminophen을 처방할 수 신장애가 있는 경우, myrtol은 신결석이나 담석증 환자에게는 있다.32) 상기도감염의 증상이 면역반응 때문에 생기고 비스테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로이드계 항염증제(NSAID)의 투여로 염증반응을 줄일 수 있 음이 알려지면서 감기에 NSAID를 투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결론 는 견해가 있다. 실험적으로 유발시킨 상기도감염이나 자연 적으로 생긴 감기에 NSAID를 투여한 연구들에서 감기로 인 급성상기도감염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비특이적인 한 증상의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감기 치료를 하게 되는데 흔히 진해제와 거담제, 점액용해제를 사 증상의 완화에 pseudoephedrine 단독 투여에 비해 ibuprofen을 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약제는 환자의 증세 호전에 도 동시에 투여하였을 때 더 효과적이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33) 움을 줄 수 있으나 효과가 분명하지 않고 장기간 사용 시 효과 그러나 NSAID는 두통이나 근육통 등의 통증에 비해 다른 증 가 입증되지 않아 임상적으로 적응이 되는 경우에 한하여 최 상에는 이득이 적고 유병기간을 줄이지는 못하며,34) 위장관 소한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 출혈이나 고령 등의 상황에서는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한 편, 흔히 처방되고 있는 약제 중 lysozyme, streptodornase 등의 효소형 소염제는 도움이 된다는 근거를 찾기는 어렵다.35) 1세 요약 대 항히스타민제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비충혈 완화제와 함 께 사용했을 때 일부 감기증상의 완화효과를 보인다. 졸리는 급성상기도감염은 급성비인후염(감기), 급성부비동염, 부작용이 있어 운전이나 위험한 근무를 하는 사람에게는 주 급성편도염, 급성후두개염을 포함하며 좁은 의미로는 급성비 의를 요하며, 감기로 수면장애를 겪는 경우 도움이 될 수도 있 인후염을 말한다. 증상으로는 기침과 가래가 흔한데 원인에

가정의학 Vol. 2, No. 4 Dec 2012 | 293 Ga Eun Nam, et al: The Use of Antitussives, Expectorants, and Mucolytics

따른 특이적인 치료가 필요하지만 증상 완화를 위해 경험적 of levodropropizine and dihydrocodeine on nonproductive 으로 진해거담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진해거담제의 효 cough in primary and metastatic lung cancer. Eur Respir J 1998; 과는 분명하지 않고 장기간 사용 시 효과가 입증되지는 않았 12:97-101. 다. 본 종설에서는 감기에 흔히 처방되는 진해거담제의 종류 14. Aversa C, Cazzola M, Clini V, Dal Negro R, Maiorano V, Tana 와 작용기전 및 임상적 특징, 사용 시 주의사항에 대해 살펴보 F, et al. Clinical trial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moguisteine in 고자 한다. patients with cough associated with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Drugs Exp Clin Res 1993;19:273-9. 중심단어: 감기; 진해제; 거담제; 점액용해제 15. Adams R, Hosie J, James I, Khong T, Kohn H, Smith I, et al. Antitussive activity and tolerability of moguisteine in patients REFERENCES with acute cough: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Adv Ther 1993;10:263-71. 1. Kim SK, Chang J. Respiratory symptoms relievers: antitussives, 16. Dicpinigaitis PV, Gayle YE, Solomon G, Gilbert RD. Inhibition mucolytics, antihistamines. Tuberc Respir Dis 2006;60:261-9. of cough-reflex sensitivity by and guaifenesin in 2. Dicpinigaitis PV. Currently available antitussives. Pulm acute viral cough. Respir Med 2009;103:902-6. Pharmacol Ther 2009;22:148-51. 17. Dicpinigaitis PV, Gayle YE. Effect of guaifenesin on cough reflex 3. Bolser DC. Cough suppressant and pharmacologic protussive sensitivity. Chest 2003;124:2178-81. therapy: ACCP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18. Dicpinigaitis PV, Spinner L, Santhyadka G, Negassa A. Effect of Chest 2006;129(1 Suppl):238S-249S. tiotropium on cough reflex sensitivity in acute viral cough. Lung 4. Kim SH. Antitussives, mucolytic agents and expectorants in 2008;186:369-74. clinical practice. Korean J Med 2010;78:682-6. 19. Chung KF. Clinical cough VI: the need for new therapies for 5. Young EC, Smith JA. Pharmacologic therapy for cough. Curr cough: disease-specific and symptom-related antitussives. Opin Pharmacol 2011;11:224-30. Handb Exp Pharmacol 2009;(187):343-68. 6. Pratter MR. Cough and the common cold: ACCP evidence- 20. Jeyakumar A, Brickman TM, Haben M. Effectiveness of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hest 2006;129(1 Suppl): amitriptyline versus cough suppressants in the treatment 72S-74S. of chronic cough resulting from postviral vagal neuropathy. 7. Dicpinigaitis PV, Gayle YE. Effect of the second-generation Laryngoscope 2006;116:2108-12. , fexofenadine, on cough reflex sensitivity and 21. Dicpinigaitis PV, Rauf K. Treatment of chronic, refractory cough pulmonary function. Br J Clin Pharmacol 2003;56:501-4. with baclofen. Respiration 1998;65:86-8. 8. Bolser DC. Older-generation antihistamines and cough due 22. Dicpinigaitis PV, Dobkin JB, Rauf K, Aldrich TK. Inhibition to upper airway cough syndrome (UACS): efficacy and of capsaicin-induced cough by the gamma-aminobutyric acid mechanism. Lung 2008;186 Suppl 1:S74-7. agonist baclofen. J Clin Pharmacol 1998;38:364-7. 9. Mossad SB. Treatment of the common cold. BMJ 1998;317:33- 23. Dicpinigaitis PV, Dobkin JB. Antitussive effect of the GABA- 6. agonist baclofen. Chest 1997;111:996-9. 10. Chung HS, Choi HK, Kim EM, Park MJ, Chung KH, Yoo YC. 24. Mintz S, Lee JK. Gabapentin in the treatment of intractabl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zipeprol-associated deaths in idiopathic chronic cough: case reports. Am J Med 2006;119:e13- Korea. Arch Pharm Res 1998;21:286-90. 5. 11. Schwartz RH. Adolescent abuse of dextromethorphan. Clin 25. Lee B, Woo P. Chronic cough as a sign of laryngeal sensory Pediatr (Phila) 2005;44:565-8. neuropathy: diagnosis and treatment. Ann Otol Rhinol Laryngol 12. Allegra L, Bossi R. Clinical trials with the new antitussive 2005;114:253-7. levodropropizine in adult bronchitic patients. Arzneimittelforschung 26. Halum SL, Sycamore DL, McRae BR. A new treatment option 1988;38:1163-6. for laryngeal sensory neuropathy. Laryngoscope 2009;119:1844- 13. Luporini G, Barni S, Marchi E, Daffonchio L. Efficacy and safety 7.

294 | Vol. 2, No. 4 Dec 2012 Korean J Fam Pract 남가은 외 : 쉽게 처방하는 감기약물 다시 보기

27. Usmani OS, Belvisi MG, Patel HJ, Crispino N, Birrell MA, Drugs Exp Clin Res 2004;30:143-52. Korbonits M, et al. Theobromine inhibits sensory nerve 31. Ahn CM. Use of antitussive, mucolytic agents and expectorants. activation and cough. FASEB J 2005;19:231-3. J Korean Med Assoc 2005;48:77-81. 28. Timmer A, Gunther J, Rucker G, Motschall E, Antes G, Kern 32. Heikkinen T, Jarvinen A. The common cold. Lancet 2003;361: WV. Pelargonium sidoides extract for acute respiratory tract 51-9. infection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8;(3):CD006323. 33. Kim SY. Evidence-based upper respiratory infection prescription. 29. Olivieri D, Ciaccia A, Marangio E, Marsico S, Todisco T, Del J Korean Med Assoc 2003;46:851-7. Vita M. Role of bromhexine in exacerbations of bronchiectasis. 34. Kim SY, Cho HM, Hwang YW, Moon YS, Chang YJ. Non- Double-blind randomized multicenter study versus placebo. 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for the common cold. Respiration 1991;58:117-21.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9;(3):CD006362. 30. Moretti M, Bottrighi P, Dallari R, Da Porto R, Dolcetti A, Grandi 35. Kim SW.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in adults. J Korean Med P, et al. The effect of long-term treatment with erdosteine on Assoc 2010;53:10-9.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 EQUALIFE Study.

가정의학 Vol. 2, No. 4 Dec 2012 |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