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gust 2009 1st Issue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Table of Contents

August 2009 1st Issue 2009. 8. 3

북미 게임 시장 동향 ································································ 4

글로벌 게임업체들의 부분유료화 게임 성과 가시화 북미 아케이드게임 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 대두 클라우드 기반 PC게임 서비스 Gaikai, 실제 플레이 영상 공개 EA의 NFL 라이선스 독점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 커…美 Michigan大 교수 EA, RPG와 MMO 장르 통합 개발 위해 조직 구조조정 Blizzard, ‘WoW’ 영화 감독으로 ‘Spider Man’ 감독 Sam Raimi 선정 美 캐주얼게임 업체 PopCap, Facebook용 게임 출시 美 게임유통업체 GameStope, 인디게임 공모전 개최 美 MMO게임 개발사 Gazillion, 前 Blizzard North 사장 영입 美 MMO게임 업체 ZeniMax, 1억 500만 달러 투자 유치 2009년 상반기 북미 콘솔게임 타이틀 Top5 美 콘솔 HW&SW 판매량 (7월 넷째 주) 美 PC게임 판매순위 (6월) 북미 MMO게임 이용순위 (7월 넷째 주) App Store 인기게임 순위 (8월 첫째 주)

유럽 게임 시장 동향 ······························································ 18

英 정부, 등급시스템과 세제혜택 논의 위한 게임산업 정책 위원회 발족 英 개발사 Rebellion, 前 Vivendi의 게임 IP 인수 佛 Ubisoft, Facebook용 게임포털 ‘UbiFriends’ 출시 日 SquareEnix, 유럽 퍼블리싱 지사 설립 유럽 콘솔 HW 판매순위 (7월 넷째 주) 유럽 게임 SW 판매순위 (7월 둘째 주)

아시아 게임 시장 동향 ··························································· 24

2

ⓒKOCCA 2009, All Rights Reserved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중국 게임 시장 동향 ··························································· 25

中 NetDragon, EA와 함께 중국판 ‘Ultima Online’ 개발키로 Shanda, 자사 게임 펀드 ‘18 기금’에 향후 3년간 10억 위안 투자 The9, ‘Blizzard와 NetEase의 합작법인은 불법’ 주장 ChinaJoy 2009 Briefing 중국 온라인게임 순위 (7월 셋째 주)

일본 게임 시장 동향 ··························································· 30

Second Life류 서비스의 현황 및 전망 Nintendo, 올해 매출 목표치 달성 위한 Wii 가격 인하 가능성 제기 Sony의 온라인서비스 ‘Home’ 이용자 700만 돌파 PlayStation Network의 6월 판매순위 분석 日 콘솔 HW&SW 판매량 (7월 셋째 주)

아시아 기타 게임 시장 동향 ··············································· 35

대만 정부, Sony와 콘솔게임 개발 활성화를 위한 제휴 체결 필리핀 Digital Media Exchange, 온라인게임 지원 서비스 출시 대만 MMORPG ‘Kingdom Heroes 2’, The9과 중국 퍼블리싱 계약 호주&뉴질랜드 게임 SW 판매순위 (7월 넷째 주)

중남미 게임 시장 동향 ··························································· 38

최근 게임시장 성장동력은 ‘Hispanic’…美 게임 유통업체 GameStop 브라질 게임업체 Webcore, 종이비행기 소재 iPhone 게임 출시 게임용 선불카드 Ultimate Game Card, 브라질과 터키 진출

국내 게임 시장 동향 ······························································· 42

게임용 음성 채팅 서비스 잇따라 출시돼 기능성 게임, 내부 직원 교육용으로도 활용되기 시작 온라인게임 ‘채널링’의 부상 배경과 사례 자동사냥 기능 온라인게임, 등급 거부 판정 게임엔진 3社의 한국 서비스 비교 분석 국내 온라인게임 순위 (8월 첫째 주) 온라인게임 포털 순위 (7월 셋째 주) 국내 게임업체의 해외 진출 동향 (7월 다섯째 주)

3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북미 게임 시장 동향

글로벌 게임업체들의 부분유료화 게임 성과 가시화 북미 아케이드게임 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 대두 클라우드 기반 PC게임 서비스 Gaikai, 실제 플레이 영상 공개 EA의 NFL 라이선스 독점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 커…美 Michigan大 교수 EA, RPG와 MMO 장르 통합 개발 위해 조직 구조조정 Blizzard, ‘WoW’ 영화 감독으로 ‘Spider Man’ 감독 Sam Raimi 선정

美 캐주얼게임 업체 PopCap, Facebook용 게임 출시 美 게임유통업체 GameStope, 인디게임 공모전 개최 美 MMO게임 개발사 Gazillion, 前 Blizzard North 사장 영입 美 MMO게임 업체 ZeniMax, 1억 500만 달러 투자 유치 2009년 상반기 북미 콘솔게임 타이틀 Top5 美 콘솔 HW&SW 판매량 (7월 넷째 주) 美 PC게임 판매순위 (6월) 북미 MMO게임 이용순위 (7월 넷째 주) App Store 인기게임 순위 (8월 첫째 주)

4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글로벌 게임업체들의 부분유료화 게임 성과 가시화

SOE의 ‘Free Realms’, 가입자 수 500만 육박

지난 4월 28일 출시된 Sony Online Entertainment(SOE)의 부분유료화 MMO 게임 ‘Free Realms’가 불과 석 달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500만 명에 가까운 가입자를 유치했다고 SOE의 John Smedley 사장이 지난달 23일 美 San Diego에서 막을 연 Comic-Con International 2009 행사에서 발표

10대 청소년을 주요 타겟으로 삼은 ‘Free Realms’는 출시 10일 만에 가입자 100만 명을 돌파했고, 다시 7주 만에 300만을 돌파하며 세간의 주목을 끌었음

SOE는 기존 정액제 MMO게임인 ‘EverQuest’와 ‘EverQuest 2’에도 부분유료화 BM의 대표적 요소인 유료아이템을 도입하는 등 매출 다각화에 나서고 있음

두 게임 모두에서 사용자들의 반응이 좋고, 특히 ‘EverQuest 2’의 소액결제 사용자 비율은 34%에 달한다고 SOE는 설명

EA의 ‘Battlefield Heroes’도 가입자 유치 호조

EA() 산하 스웨덴 게임개발사 DICE(EA Digital Illusions Creative Entertainment AB)가 개발하고 EA가 출시한 2차 세계대전 배경의 부분유료화 슈팅게임 ‘Battlefield Heroes’ 역시 지난 6월 25일의 서비스 전면 개방 이후 19일 만에 가입자 100만 명을 돌파하며 향후 성장 가능성을 밝힌 것으로 지난 14일 공식 확인됐음

‘Battlefield Heroes’의 경우, 6월 25일 이전에는 소수의 베타키 보유자들만 플레이할 수 있었음

DICE는 부분유료화 방식의 ‘Battlefield Heroes’와 Xbox 360과 PS3를 겨냥한 다운로드 타이틀 ‘Battlefield 1943’으로 수익 다각화를 추진 중이며, 오는 9월에는 ‘1943’의 PC 버전도 선보일 예정

www.soe.com www.ea.com www.dice.se

5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북미 아케이드게임 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 대두

아케이드게임, 공공장소로의 확산과 대형화로 새로운 성장 기회 포착

아케이드게임 산업이 가족용 게임센터(FEC: Family Entertainment Center)의 대형화와 각종 공공장소로의 다각적인 영역 확대를 바탕으로 새로운 도약을 모색하고 있다는 전문가 일각의 진단이 게임전문 웹진 Gamasutra의 6월 23일자 기사에 실렸음

가족용 게임센터의 경우, 통상 1만 5,000~2만 평방피트에 200~400 대의 다양한 게임기를 갖추고 있으며 일부는 볼링이나 레이저건 사격 같은 특정 엔터테인먼트에 초점을 두기도 함

여타 엔터테인먼트와 연계성을 갖지 못한 채 별도의 공간으로 존재했던 과거의 오락실과는 달리, 현재의 아케이드게임 시설은 극장, 호텔, 테마파크, 볼링장 등 다양한 공공장소에서 일종의 엔터테인먼트 보완 요소로 기능하고 있음

숙박시설 로비나 정류장 같은 곳에 키오스크(kiosk) 형태로 아케이드게임 시설을 운영하는 사례도 존재

모션캡처 기술 기반의 운동용 게임과 박물관/미술관 등의 양방양 에듀테인먼트 수요도 늘고 있어 종전 비즈모델에서 벗어난 또 다른 측면의 사업기회를 유발하고 있음

미국 아케이드게임 시장 현황

시장조사업체 Playmeter에 따르면, 미국 아케이드게임 시장은 콘솔게임기 보급률 급증과 맞물려 1990년대 후반 급감했으나 2000년대 들어서는 전반적으로 완만한 성장 추이를 나타내고 있음

2006년에 100억 2,500만 달러로 소폭 증가한 시장규모는 2007년 97억 달러로 3.4% 감소했으나 가족용 게임센터의 발달에 힘입어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성장세 지속 예상

2007년 한 해 동안 미국 아케이드게임시장의 업소 수는 전년 대비 40% 가량 급감한 25만 개소를 기록했으나 전체 매출액 하락은 비교적 소폭에 그쳐 업소 규모의 대형화에 따라 개별 업소의 매출액은 오히려 늘고 있음을 시사했음

6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클라우드 기반 PC게임 서비스 Gaikai, 실제 플레이 영상 공개

Gaikai, “저사양 PC와 웹브라우저만으로 3D 게임 가능”

3D 그래픽카드 없는 저사양 PC로도 각종 최신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공언했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PC게임 서비스업체’ Gaikai가 지난 7월 1일 실제 플레이 영상을 공개했음

Gaikai가 선보일 ‘서비스로서의 PC게임’은 서버에서 게임을 구동해 그래픽/사운드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본질적으로는 양방향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에 가까움

이번 시연 동영상에는 ‘Spore’, ‘World of Warcraft’, ‘EVE Online’ 등 각종 3D 게임과 ‘Adobe Photoshop’ 애플리케이션을 Firefox 브라우저상에서 직접 이용하는 장면이 담겨 있음

해당 동영상을 연출한 Gaikai의 창업자 David Perry는 ‘광케이블이 아닌 일반 가정용 케이블 회선에 데이터 이동거리가 800 마일에 달하는 환경’임에도 매끄러운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다고 강조

향후 계획 및 시사점

Gaikai는 서비스 퀄리티의 관건인 지연율(latency) 문제 해결을 위해 주요 도시마다 별도의 서버를 구축, 데이터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할 예정

우선 12개 서버를 시작으로 지역별 수요를 감안해 지속적으로 서버를 확충할 계획

Gaikai가 선보일 ‘서비스로서의 PC게임’이 의도대로 구현될 경우, 게임 불법복제 및 중고품 유통에 대한 게임업계의 대응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PC 사양에 구애 받지 않으므로 게임 SW 개발의 자유도 제고에도 일조할 수 있음

사용자의 PC 사양을 고려해 게임을 만드는 일은 개발사 입장에서 최대 난제 중 하나임

콘솔게임 부문에서도 신생업체 OnLive와 디지털 콘텐츠 솔루션 업체 Playcast Media가 Gaikai와 유사한 개념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각각 개발 중

Gaikai 소개

Gaikai는 지난 3월 개최된 GDC 2009 행사를 통해 이름을 알렸고 6월 개최된 E3 박람회 당시에도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게임서비스 청사진으로 게임 퍼블리셔들의 이목을 끌었음

7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Gaikai의 창업자인 David Perry는 고전 PC게임 ‘Earthworm Jim’ 개발을 시작으로 다수의 게임 프로젝트를 병행해왔고 지난 2006년에는 게임 개발사들의 투자 유치를 지원하는 GameInvestor.com을 발족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보이고 있음

www.gaikai.com

EA의 NFL 라이선스 독점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 커…美 Michigan大 교수

EA, 대학교수 가세한 집단소송 직면

글로벌 게임 퍼블리셔 Electronic Arts(EA)가 자사 ‘Madden NFL’ 시리즈의 가격을 과도하게 책정해 2005년 8월부터 현재까지 적게는 7억 100만 달러에서 많게는 9억 2,600만 달러의 부당 이익을 취했다는 이유로 집단소송에 직면한 사실이 지난 7월 15일 게임전문웹진 Gamasutra를 통해 보도됐음

이와 관련, Michigan 대학교의 경제학 교수인 Jeffrey Mackie-Mason 박사는 “EA가 NFL(National Football League) 라이선스 독점구조를 악용해 과도한 가격을 책정한 정황이 있다”며, “49.95 달러이던 ‘Madden NFL’ 시리즈 가격은 Take-Two의 경쟁작 ‘NFL 2K’가 등장한 2005년에 잠시 19.95~29.95 달러로 떨어졌으나, 그것이 사라진 2006년에는 다시 49.95 달러로 폭등했고 2007년 버전은 59.95 달러에 출시됐다”고 주장

소송 배경

지난 2004년 Sega와 Take Two는 19.95 달러라는 파격적인 가격으로 NFL 2K5(PS2, Xbox)를 출시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어, 당시 시장을 주도하고 있던 EA의 Madden NFL 타이틀에 상당히 위협적인 경쟁자로 부상

EA는 이에 대응하여 지난 2004년 11월 8일 가격을 20달러로 일시적으로 인하했으며, 후속 조치로 NFL과 5년간의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맺어, Take Two 진영이 NFL 라이선스를 사용하지 못하게 함

당시 독점 계약에 따라, Take Two의 게임은 시장에서 서비스 할 수 없게 되었고, EA는 2006년 타이틀 가격을 종전의 49.55 달러로 다시 올림

Mason 박사는 게임 이용자들이 EA의 독점 라이선스 계약에 따라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는 선택권을 박탈당했으며, 이에 따른 소비자 후생 침해가 크다고 주장하며 법적인 문제제기에 나선 것임

8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EA의 입장

EA 측은 Mason 박사 등 원고 측이 공개를 요구한 자료를 제공하는 한편, 원고 측 주장에 대해서는 ‘법적으로든 사실관계로든 아무런 근거가 없다’고 일축

EA는 자사의 Madden NFL 시리즈의 타이틀 가격이 최근 대부분 50 달러 가량의 가격에 출시되고 있는 일반적인 콘솔게임 타이틀 가격에 따른 것일 뿐이라며, Mackie-Mason 박사의 ‘독점 폐해’ 주장이 법정에서 얼마나 설득력을 지닐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강조

www.ea.com

EA, RPG와 MMO 장르 통합 개발 위해 조직 구조조정

EA, BioWare와 Mythic 통합

Electronic Arts(EA)가 산하 개발사 Bioware와 Mythic을 통합해 RPG/MMO 개발그룹을 발족할 계획이라는 사실이 지난 6월 24일 Mythic의 ‘Warhammer Online’ 웹사이트를 통해 발표됐음

Bioware: 1995년 설립된 캐나다 개발사(공동 창업주: Ray Muzyka, Greg Zeschuk, Augustine Yip)로 ‘Baldur’s Gate’, ‘Neverwinter Nights’ 등 PC용 RPG 게임과 ‘Star Wars: Knights of the Old Republic’ ‘Jade Empire’, ‘Mass Effect’, ‘Sonic Chronicles: The Dark Brotherhood’ 등 콘솔용 RPG 게임을 제작했음

Mythic Entertainments: 1990년대 중반 설립, ‘Dark Age of Camelot’을 발표하며 2001년부터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고, 2005년에는 블록버스터급 게임 ‘Warhammer Online’을 발표하며 MMO게임 전문 개발사로 자리를 굳혔음

이번 조직개편에 따라 BioWare의 공동창업주이자 총괄책임자(General Manager)인 Ray Muzyka는 신생 RPG/MMO 그룹의 총괄책임을 맞게 되고 또 다른 공동창업주 Greg Zeschuk는 그룹 Creative Officer로 임명돼 사실상 BioWare가 Mythic을 관리하는 체계가 형성됨

Mythic의 공동창업주이자 총괄책임자였던 Mark Jacobs는 6월 23일을 끝으로 EA를 퇴사하고 또 다른 공동창업주인 Rob Denton(現 Mythic COO)이 그 자리를 대신할 예정

9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조직 개편 배경

업계 일각에서는 ‘Warhammer Online’의 부진한 실적이 이번 조직개편의 요인이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음

‘Warhammer Online’의 가입자 규모는 현재 30만 남짓에 불과해 경쟁작인 ‘World of Warcraft’와는 여전히 격차가 크고 EA의 자체 예상치 50만조차 채우지 못한 실정

MMO게임 전문 뉴스사이트 Massively에 6월 24일자로 실린 인터뷰 기사에서 익명을 요구한 Mythic 前 직원은 ‘Mark Jacobs의 퇴사가 완전히 자발적인 결정만은 아닐 것’이라면서도 ‘Warhammer Online’의 저조한 성적과 조직개편 사이의 연관 가능성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음

www.herald.warhammeronline.com/warherald/NewsArticle.war?id=841.com

Blizzard, ‘WoW’ 영화 감독으로 ‘Spider Man’ 감독 Sam Raimi 선정

‘WoW’ 영화화 프로젝트 구체화

‘Spider Man’ 시리즈의 감독으로 유명한 Sam Raimi가 ‘World of Warcraft’의 세계관을 기반으로 Legendary Pictures에서 제작하게 될 신작 영화의 감독으로 낙점됐음

Sam Raimi는 ‘Evil Dead’, ‘Drag Me To Hell’, ‘30days Of Night’ 등의 감독을 맡아 다섯 차례 아카데미상 후보에 올랐음

Blizzard 측은 ‘Ram Raimi 감독이 Warcraft의 기존 열성팬과 일반 관객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고 선정 이유를 설명

‘WoW’ 세계관 기반의 신작 영화 프로젝트에는 ‘The Dark Knight’를 제작한 Charles Roven이 프로듀서로 합류 예정

Blizzard 초창기부터 ‘Warcraft’ 관련 사업의 주요 멤버로 활약해온 Chris Metzen(現 Blizzard 부사장)은 공동 프로듀서로 참여

www.blizzard.com www.legendarypictures.com

10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美 캐주얼게임 업체 PopCap, Facebook용 게임 출시

인기 게임 ‘Zuma’의 Facebook 버전 출시

美 케주얼게임 업체 PopCap이 인기게임 ‘Zuma’의 Facebook 버전인 ‘Zuma Web Connect’를 지난 7월 13일 베타 출시했음

이번에 출시된 ‘Zuma Web Conncet’는 Facebook의 웹사이트간 데이터 연동 기술인 Connect를 기반으로 득점 기록 등 각종 플레이 관련 정보의 Facebook 업로드를 지원하는 점이 특징

PopCap의 전략

PopCap은 기존 인기 게임의 플랫폼 다각화로 사용자 저변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Zuma Web Connect’ 출시에 앞서 이미 6개월간 ‘Bejeweled Blitz’를 Facebook 사용자들에게 베타버전으로 제공해 月 50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했다고 자평

‘Bejeweled Blitz’는 ‘1분간 플레이’가 규칙이며, 자신의 점수와 친구들의 점수를 합해 상품 콘테스트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기존 SNS 게임들의 개인간 대전과는 차이를 뒀음

PopCap의 David Robert CEO는 “캐주얼게임과 하드코어게임을 함께 즐기는 이른바 ‘크로스오버 게이머’가 전체 인터넷 인구 중 무려 1/5을 차지하고 있다”며, “캐주얼게임 업계가 굳이 특정 니치 세그먼트(40세 전후의 전형적인 가정주부 등)로 시야를 한정할 이유는 없다”고 주장

기존 하드코어 게이머 층으로 분류되는 14~24세 남성의 비율은 전체 인구의 13%에 불과하나, 마치 유행을 타듯 그때그때 특정 세그먼트 공략에 치중하는 방식으로는 나머지 87%로의 게이머 저변 확대가 쉽지 않다는 토로이기도 함

www.popcap.com

11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美 게임유통업체 GameStop, 인디게임 공모전 개최

GameStop, 총 상금 20만 달러 이상의 대형 콘테스트 공동 주최

美 전국 점포망을 갖춘 게임 유통체인 GameStop이 AIAS 및 텍사스 州 Southern Methodist 대학 게임스쿨(The Guildhall)과 공동으로 인디게임 공모전인 ‘Indie Game Challenge’을 개최

AIAS(Academy of Interactive Arts & Sciences): 게임산업 관계자들을 주축으로 1996년 설립된 비영리기구이며, 매년 네바다 州 Las Vagas에서 D.I.C.E.(Design, Innovate, Communicate, Entertain) Summit을 개최하고 우수 게임에 대한 시상도 병행 中

참가작 공모는 지난 7월 15일 시작돼 오는 10월 1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결선작 발표는 내년 1월 중순, 최종 발표는 내년 2월 D.I.C.E. Summit 행사 직후 각각 진행될 계획

콘테스트 참가비는 100 달러로 책정됐고 자격은 미국 거주자로 제한되며 게임 및 홍보 동영상은 CD-ROM이나 DVD 형태로 제출해야 함

결선 진출자들은 Las Vegas로의 여행 경비 명목으로 각각 최소 500 달러를 지원 받을 예정

프로페셔널 부문과 非 프로페셔널 부문의 최우수작 각각에 10만 달러의 상금이 지급되며 GameStop.com 및 GameStop TV를 통해 상금 1만 달러의 인기작도 선발될 예정

technical skill, art skill, gameplay skill 등 세 항목에 대해 각각 2,500 달러의 별도 시상도 진행되며 The Guildhall 게임 교육과정의 전액 장학금 혜택도 상품으로 걸릴 예정

결선 진출자 각각은 Sony, Nintendo, EA, Namco Bandai, THQ, Ubisoft 등 퍼블리셔 관계자를 상대로 게임 프리젠테이션(pitching)의 기회도 얻게 됨

배경 및 의의

최신 콘솔플랫폼용 게임의 개발비가 편당 수천만 달러까지 치솟자, 상대적으로 개발비 부담이 적은 대신 창의성이 중시되는 인디게임이 게임 관련 업계의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

Indie Game Challenge의 경우, 인디게임 공모전으로는 상금 규모가 큰 편이고 GameStop 같은 대형 유통업체가 가세했다는 점에서도 업계의 시각 변화를 단적으로 반영하고 있음

www..com www.indiegamechallenge.com

12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美 MMO게임 개발사 Gazillion, 前 Blizzard North 사장 영입

‘Diablo’ 시리즈 책임자, 만화 기반 MMO 게임 프로젝트에 합류

美 게임 개발사 Gazillion Entertainment가 Marvel社 만화 기반의 MMO 게임 ‘Marvel Universe’의 개발을 위해 Blizzard North 사장을 역임한 David Brevik을 영입한 사실이 지난 7월 21일 USA Today 등 외신을 통해 보도됐음

David Brevik은 Blizzard North 사장으로 7년을 지내면서 ‘Diablo’과 ‘Diablo2’ 프로젝트를 지휘, 전세계적으로 2,0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린 인물이며 지금은 사라진 Flagship Studios에서 일한 적도 있음

David Brevik은 향후 Gazillion 본사의 Gargantuan 스튜디오에서 Marvel Universe MMO 프로젝트를 총괄 지휘할 예정

입사와 관련, David Brevik은 ‘만화, 수퍼히어로, MMO 게임을 모두 좋아하는 나에게는 매우 매력적인 기회’라며, ‘기존 게이머들의 눈높이에 부응하는 동시에 MMO 게임의 사용자 저변도 넓히겠다는 Gaziliion의 구상에도 깊이 공감한다’고 전언

Gazillion Entertainment

캘리포니아 州 샌머테이오(San Mateo) 市에 위치한 Gazillion Entertainment는 독립 개발사였던 NetDevil과 Slipgate Ironworks를 인수한 데 이어 지난 3월에는 Marvel 社와 10년간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신생 온라인게임 업체

Gazillion은 ‘ Universe’ 개발사인 NetDevil 인수(2008년)를 계기로 글로벌 완구 브랜드 Lego를 협력사로 확보

id Software의 John Romero에 의해 설립됐다가 Gazillion에 합병된 Slipgate는 현재 자체 IP 기반의 MMO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Gazillion이 내년 중 출시할 ‘Marvel Super Hero Squad’는 귀여운 모습으로 표현된 수퍼히어로들을 앞세울 전망이며, David Brevik이 주도할 MMO 게임에 관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출시 일정이 알려지지 않고 있음

www.gazillion.com

13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美 MMO게임 업체 ZeniMax, 1억 500만 달러 투자 유치

ZeniMax, id Software 인수 위해 부채 감수

‘Fallout 3’ 개발사 Bethesda Softworks의 모기업인 ZeniMax가 美 증권거래소에 7월 7일자로 제출한 문서에서 ‘Doom’ 시리즈 개발사 id Software를 인수하기 위해 1억 5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음

Id Software 인수와 관련된 거래 규모는 명시되지 않았으나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7명의 투자자가 개입된 것으로 파악됨

의의 및 전망

ZeniMax는 지난 2001년 인수한 Bethesda Softworks를 주축으로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 역량을 확대해왔으며, 이번 id Software 인수로 메이저급 게임업체로의 부상 가능성을 높였음

ZeniMax는 Id Software 인수 이전에도 Interplay로부터의 ‘Fallout’ 라이선스 인수, ‘The Elder Scrolls’ 관련 사업 다각화, MMO게임 관련 자회사 설립, 글로벌 영업역량 확충, 주요 써드파티 개발사들과의 제휴 확대 등으로 다각도의 사세 확장을 추진해왔음

ZeniMax가 지난 2년간 M&A, 게임 개발, MMO 사업 등을 위해 유치한 투자 규모는 이번 id Software 인수건을 합해 거의 5억 달러에 육박(2007년 3억 달러, 2008년에 1,000만 달러 각각 유치)

www.zenimax.com

14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2009년 상반기 북미 콘솔게임 타이틀 Top5

Wii, 올 상반기 북미시장에서 강세

시장조사업체 NPD Group이 발표한 2009년 상반기 북미 콘솔게임 판매량 순위에 따르면, Wii 타이틀의 강세가 두드러진 가운데 Capcom과 THQ 게임들이 선전한 것으로 나타남

PS3 부문에서는 지난 2월 발매된 ‘Killzone 2’가 1위를 기록했고 Capcom의 ‘Biohazard 5’와 ‘Street Fighter 4’가 각각 2,3위를 차지

Xbox360 타이틀 1위는 ‘Biohazard 5’가 차지했고 ‘UFC 2009 Undisputed’(THQ), ‘Call of Duty : World at War’ 등이 뒤를 이었음

Wii의 경우 Nitendo의 ‘Wii Fit’, ‘Wii Play’, ‘Mario Kart Wii’ 등이 1위부터 3위까지를 휩쓸었으며, 이 세 타이틀의 판매량(총 596만 장)은 Xbox 타이틀 상위 1위에서 5위까지를 합한 수치보다도 많았음

Table 2009년 상반기 북미 콘솔게임 Top5 순위 PlayStation3 Wii 1 Killzone 2 Biohazard 5 Wii Fit 2 Biohazard 5 UFC 2009 Undisputed Wii Play 3 Street Fighter 4 Call of Duty : World at War Mario Kart Wii 4 UFC 2009 Undisputed Halo Wars EA Sports Active Bundle 5 MLB 09 : The Show Street Fighter 4 : Complete Saga [출처] NPD Group

15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美 콘솔 HW&SW 판매량 (7월 넷째 주)

Table 美 콘솔 HW&SW 판매량(2009.7.12~7.18) (단위: 대) 구분 항목 Publisher 판매량 전주 대비 누적판매량 DS Nintendo 156,637 -6% 36,621,308 Wii Nintendo 79,473 +3% 23,912,383 Xbox360 Microsoft 59,107 +4% 17,821,723 HW PlayStation 3 Sony 38,242 +9% 8,901,046 PSP Sony 35,736 -1% 17,119,131 PlayStation 2 Sony 33,258 -1% 50,665,869 NCAA Football 10(X360) Electronic Arts 250,089 신규 250,089 NCAA Football 10(PS3) Electronic Arts 149,787 신규 149,787 Wii Sports(Wii) Nintendo 79,473 +3% 23,912,383 Wii Fit(Wii) Nintendo 64,361 -7% 8,863,215 Mario Kart Wii(Wii) Nintendo 54,394 +9% 7,134,416 SW Fight Night Round 4(X360) EA Sports 40,434 -30% 477,125 EA Sports Active(Wii) EA Sports 36,947 -10% 844,458 NCAA Football 10(PS2) Electronic Arts 34,823 신규 34,823 Fight Night Round 4(PS3) EA Sports 33,887 -23% 299,369 UFC 2009 Undisputed(X360) THQ 33,154 -17% 1,022,008 [출처] VG Chartz

美 PC게임 판매순위 (6월)

Table 美 PC게임 판매량 (2009. 6. 1~2009. 6. 30) 순위 게임명 장르 퍼블리셔 1 The Sims 3 Simulation Electronic Arts 2 The Sims 3 Collector's Edition Simulation Electronic Arts 3 The Sims 2 Double Deluxe Simulation Electronic Arts 4 World of Warcraft: Wrath of the Lich King MMORPG Blizzard 5 World of Warcraft Battle Chest MMORPG Blizzard 6 Spore: Galactic Adventures Simulation Electronic Arts 7 World of Warcraft MMORPG Blizzard 8 Spore Simulation Electronic Arts 9 Empire: Total War RTS Creative Assembly/Sega 10 StarCraft: Battle Chest RTS Blizzard [출처] NPD Group

16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북미 MMO게임 이용순위 (7월 넷째 주)

Table 美 MMO 게임 일일 총 이용시간 (2009. 7. 28 기준) 순위 게임명 퍼블리셔 이용시간 1 World of Warcraft Blizzard Entertainment 385,013 2 Guild Wars NCsoft 24,324 3 Silkroad Online Joymax 22,607 4 Eve Online CCP 15,787 5 MapleStory Nexon 12,437 6 CABAL Online Game-Masters/OGPlanet 12,375 7 The Lord of the Rings Online Turbine 11,229 8 Metin 2 G4Box 10,898 9 Runes of Magic Frogster Interactive Pictures 10,568 Warhammer Online: Age of 10 EA Games 8,061 Reckoning [출처] Xfire.com

App Store 인기게임 순위 (8월 첫째 주)

Table App Store 인기게임 순위 (2009. 7. 28 기준) 구분 순위 게임명 퍼블리셔 장르 가격($) 1 iMob 20 Respect points FREE The Godfather Adventure 1.99 2 Solitaire MobilityWare Card 0.99 3 iMob 40 Respect Points The Godfather Action 3.99 4 The Price is Right™ Ludia Family 0.99 World War™ - 25 Honor Points 유 5 Storm8 Role Playing 2.99 FREE! 료 6 Texas Hold'em Apple Card 4.99 7 Bejeweled 2 PopCap Games Family 2.99 8 I Dig It InMotion Software Adventure 0.99 9 Amazing X-Ray FX WebArtisan Entertainment 0.99 10 Guitar Rock Tour™ Gameloft Music 2.99 1 iRacing PlayMesh Adventure - 2 SpongeBob Tickler LITE MTV Networks Family - 3 Sol Free Solitaire Smallware Card - 4 Wooden Labyrinth 3D Lite Elias Pietilä Kids - 무 5 Magic iBall Eric Redmond Entertainment - 료 6 Tic Tac Toe Free Optime Software Board - 7 Who Wants To Be A Millionaire Lite Capcom Educational - 8 Waterslide Extreme Dare Digital Action - 9 Unblock Me FREE Kiragames Board - 10 Super Monkey Ball Lite SEGA Adventure - [출처] Apple.com

17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유럽 게임 시장 동향

英 정부, 등급시스템과 세제혜택 논의 위한 게임산업 정책 위원회 발족 英 개발사 Rebellion, 前 Vivendi의 게임 IP 인수 佛 Ubisoft, Facebook용 게임포털 ‘UbiFriends’ 출시 日 SquareEnix, 유럽 퍼블리싱 지사 설립 유럽 콘솔 HW 판매순위 (7월 넷째 주) 유럽 게임 SW 판매순위 (7월 둘째 주)

18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英 정부, 등급시스템과 세제혜택 논의 위한 게임산업 정책 위원회 발족

英, 게임산업 정책 위원회 발족

영국 정부가 문화미디어체육부(Department Of Culture, Media and Sport), 비즈니스혁신기술부(Department for Business Innovation and Skills),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 등 정부 주요 부처의 대표들로 구성되는 게임산업 정책위원회를 발족한 것으로 지난 7월 23일 英 게임전문사이트 MCV를 통해 보도됨

이 위원회에서는 Pro-PEG 입법안 및 세제 감면 혜택 등 게임산업과 관련된 정책들을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

위원회를 발족시키기 위해서 영국 문화부 장관(Minister for Creative Industries)인 Sion Simon은 지난 7월 중순경 영국 게임산업 협회인 ELSPA(Entertainment and Leisure Software Publishers Association) 대표인 Michael Rawlinson을 접견했으며, 이 자리에서 게임산업에 관한 세금 감면 및 최근 확정된 PEGI 시스템 등 최근 영국 게임산업 현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짐

게임산업 지원 정책 수립을 위한 요건

영국 정부와 대담을 가진 Rawlinson은 ‘영국 정부가 과거에 비해 게임산업 지원에 대해 개방적인 자세를 견지하고 있지만, 세제 혜택 등의 정책 결정을 위한 구체적인 통계등의 근거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지적

한편, 그는 “정부는 관련 근거만 뒷받침된다면, 게임산업에 대한 지원 정책이 구체화시킬 계획이 있다”고 말했다며, ELSPA는 기꺼이 관련 근거를 제시할 용의가 있다며, 게임산업 지원을 위한 행보가 구체화될 것임을 시사

英 개발사 Rebellion, 前 Vivendi의 게임 IP 인수

Rebellion, 前 Vivendi 게임 타이틀 확보

英 게임개발사 Rebellion이 Activision과의 합병 이전 Vivendi가 제작한 게임 IP 다수를 인수해 각 게임별로 시리즈를 제작할 계획인 것으로 지난 7월 14일 알려짐

19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회사 측은 Elixir Studios의 ‘Evil Genius’, Massive Entertainment의 ‘Ground Control’, Mad Doc Software의 ‘Empire Earth’, Impressions Games의 ‘Lords of the Realm’ 및 ‘Lord of Magic’을 인수하는 등 前 Vivendi 소속 스튜디오의 IP 인수에 힘을 쏟았음

Rebellion은 확보한 IP를 포함해 관련 후속작에 대한 모든 권리를 소유한 것으로 알려졌음

디지털 다운로드 방식 적극 활용할 계획

Rebellion은 이미 ‘Evil Genius’를 Valve의 ‘’에 출시했으며, 차후 구작 전용 유통 사이트인 Good Old Games(GOG.com)를 통해서도 여타 게임 타이틀을 선보일 예정임

‘Sniper Elite’ 역시 Steam 버전으로 출시될 예정이며, 현재 Bethesda의 ‘Rogue Warrior’와 Sega의 ‘Aliens vs. Predator’를 제작 중

디지털 다운로드 서비스는 Rebellion과 같은 독립개발사들의 마케팅 및 수익 창출 통로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음

www.rebellion.co.uk

佛 Ubisoft, Facebook용 게임포털 'UbiFriends' 출시

Ubisoft, UbiFriend 출시를 통해 SNS 게임 부문으로 진출

글로벌 게임업체 Ubisoft가 Facebook용 게임포털 UbiFriends를 출시하며 SNS 게임 부문으로도 자사의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음

Google 애플리케이션 엔진을 기반으로 제작된 UbiFriends는 향후 다양한 SNS 게임의 출시 통로로 활용될 예정

Ubisoft는 UbiFriends을 통해 최근 자사 최초의 Facebook용 게임인 ‘TickTock’을 선보였음

Facebook 기반의 인맥 강화를 목적으로 제작된 ‘TickTock’은 특정 친구의 근황에 대한 질문을 받고, 그 질문을 한 사람이 누구인지 맞추는 게임

‘TickTock’은 또 지인들과 가상 폭탄을 주고 받으며 서로의 근황에 대해 묻고 정확하게 답할 경우, 가상 폭탄이 폭발하는 게임

20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TickTock’은 Ubisoft가 ‘UbiFriends’용 게임 개발을 위해 꾸린 San Francisco 지사의 내부 개발팀에서 개발한 것으로 알려짐

진출배경

Ubisoft의 북미 지사장인 Laurent Detoc은 ‘UbiFriends’ 출시에 관해, “Ubisoft의 게임 개발 역량을 Facebook에도 선보일 수 있게 돼 기쁘다”며, “향후 출시가 예정된 많은 Facebook용 게임 중 첫 작품인 ‘TickTock’은 이용자 제작 콘텐츠(UGC: User Generated Content)를 활용해 친분을 도모할 수 있도록 기획된 게임”이라고 밝힘

apps.facebook.com/ticktockgame

日 Square Enix, 유럽 퍼블리싱 지사 설립

Square Enix Europe 출범

Square Enix는 영국 지사(SQEX)와 최근 인수한 Eidos의 글로벌 스튜디오 및 유럽 판매/마케팅 부문을 결합해 Square Enix Europe을 출범시키기로 한 것으로 지난 7월 7일 알려짐

Eidos의 유럽 지역 게임 유통 사업은 Square Enix Europe으로 이관되며, Eidos는 개발 스튜디오로 머물게 됨

Eidos의 브랜드명는 자체 개발 게임에 한해 그대로 유지되나, 퍼블리싱 업체로서의 브랜드명은 사라지게 됨

이번 조직 통합으로 Eidos 유럽 및 북미 지사의 일부 직원들이 해고될 것으로 예상됨

Square Enix는 ‘효율적이며 강력한 게임 퍼블리싱 업체를 설립하기 위해 두 조직을 통합하게 됐다’며 유럽 시장 퍼블리싱 사업에 강한 의지를 보임

Square Enix의 글로벌 전략

Square Enix는 글로벌 퍼블리싱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 Eidos를 지난 3월 8,430만 파운드(1억 2,330만 달러)에 최종 인수한 데 이어, 추가적인 인수 합병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21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Square Enix의 사장 Yoichi Wada는 "지난 5~10년간 일본의 게임 산업은 매우 폐쇄적이 되었고, 서구 경쟁사들에도 밀리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뒤떨어진 경쟁력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해외 업체들과의 인수합병이나 제휴가 필요하다고 역설

인수합병 외에도 Square Enix는 美 RPG 게임 개발사 Gas Powered Games와 전략 게임 ‘Supreme Commander Ⅱ’를 공동 개발하고 있음

Gas Powered Games와 파트너쉽을 체결한 것은 Square Enix가 지금까지 일본 업체와의 공동작업만을 해왔던 것에서 벗어나 최초로 서양 개발사와 제휴를 맺은 사례

www.square-enix.com/na www.eidos.com

유럽 콘솔 HW 판매량 (7월 넷째 주)

Table 유럽 콘솔 HW 판매량 (7.12~7.18) (단위: 대) 순위 HW 주요 5개국 스칸디나비아 기타 유럽 합계 1 DS 79,594 4,407 9,506 93,507 2 Wii 48,266 4,850 10,363 63,479 3 Xbox360 32,002 2,678 6,248 40,928 4 PSP 29,601 2,833 6,082 38,516 5 PS3 24,120 2,271 7,124 33,515 6 PS2 8,339 814 3,741 12,894 [출처] VG Chartz

22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유럽 게임 SW 판매순위 (7월 둘째 주)

Table 유럽 게임 SW 판매 순위 영국 독일 프랑스 순위 (7.19-7.25) (5.25-5.31) (5.25-5.31) 1 Wii Sports Resort (Wii) Pokemon Platinum (DS) Pokemon Platinum (DS) 2 Wii Fit (Wii) EA Sports Active (Wii) Wii Fit (Wii) 3 The Sims 3(PC) Mario Kart Wii (Wii) Mario Kart Wii (Wii) 4 EA Sports Active (Wii) Wii Fit (Wii) UFC 2009: Undisputed (PS3) Professor Layton And The 5 Mario Kart Wii (Wii) Infamous (PS3) Curious Village (DS) Tiger Woods PGA Tour 10 6 Ufc 2009: Undisputed (PS3) EA Sports Active (Wii) (Wii) Professor Layton and The Professeur Layton Et 7 Sacred 2 - Fallen Angel (PS3) Curious Village (DS) L'etrange Village (DS) Harry Potter & The Half-Blood Sacred 2 - Fallen Angel 8 Ufc 2009 Undisputed (X360) Prince(Wii) (X360) Transformers: Revenge of 9 Mario Kart DS (DS) Virtua Tennis 2009 (PS3) The Fallen (X360) 10 Fight Night Round 4 (X360) New Super Mario Bros. (DS) Infamous Collector (PS3) 스페인 이탈리아 러시아 순위 (6.1~6.30) (5.25~5.31) (7.29) 1 The Sims 3 (PC) Pokemon Platinum (DS) The Sims 3 Harry Potter & the Half Blood 2 Pokemon Platinum (DS) Infamous(PS3) Prince 3 Wii Fit (Wii) Mario Kart (Wii) Prototype (Collection Edition) 4 Wii Play (Wii) Wii Fit (Wii) World of Warcraft 5 Active Personal Trainer(Wii) EA Sports Active (Wii) Spore: Space Adventures The SIMS 3: EDICION Professor Layton And The 6 World in Conflict COLECCIONISTA(PC) Curious Village(DS) World of Warcraft: Burning 7 Virtual Tennis 2009 (PS3) Wii Play (Wii) Crusade World of Warcraft: Wrath of 8 Mario Kart (Wii) Gardening Mama(DS) the Lich King El Professor Layton Y La Villa 9 Virtual Tennis 2009(PS3) Transformers: Revenge Misteriosa (DS) Warhammer Online Time 10 Prototype(PS3) Mario Kart (DS) retaliation *주: 영국, 스페인 순위에는 PC와 콘솔을 통합해 산출한 반면,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는 PC를 제외한 콘솔 플랫폼 기준으로 산출된 순위이며, 러시아는 PC 플랫폼 기준 순위임 *스페인: 주간이 아닌 월간 통계 [출처] Media Control Gfk International, СОЮЗ

23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아시아 게임 시장 동향

중국 게임 시장 동향 中 NetDragon, EA와 함께 중국판 ‘Ultima Online’ 개발키로 Shanda, 자사 게임 펀드 ‘18 기금’에 향후 3년간 10억 위안 투자 The9, ‘Blizzard와 NetEase의 합작법인은 불법’ 주장 ChinaJoy 2009 Briefing 중국 온라인게임 순위 (7월 셋째 주) 일본 게임 시장 동향 Second Life류 서비스의 현황 및 전망 Nintendo, 올해 매출 목표치 달성 위한 Wii 가격 인하 가능성 제기 Sony의 온라인서비스 ‘Home’ 이용자 700만 돌파 PlayStation Network의 6월 판매순위 분석 日 콘솔 HW&SW 판매량 (7월 셋째 주) 아시아 기타 게임 시장 동향 대만 정부, Sony와 콘솔게임 개발 활성화를 위한 제휴 체결 필리핀 Digital Media Exchange, 온라인게임 지원 서비스 출시 대만 MMORPG ‘Kingdom Heroes 2’, The9과 중국 퍼블리싱 계약 호주&뉴질랜드 게임 SW 판매순위 (7월 넷째 주)

24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중국 게임 시장 동향

中 NetDragon, EA와 함께 중국판 ‘Ultima Online’ 개발키로

NetDragon, 신버전 ‘Ultima Online’ 공동 개발

중국 게임 개발사 NetDragon Websoft(홍콩 소재)가 Electronic Arts와 중국판 ‘Ultima Online’의 개발을 위해 제휴를 체결한 것으로 지난 7월 22일 알려짐

중국어 버전 ‘Ultima Online’의 개발에는 EA의 자회사인 Mythic Entertainment가 참여하며, NetDragon은 이번 개발을 통해 중국 외에도 홍콩, 마카오, 인도 등지의 독점 라이선스를 확보하게 됨

‘Ultima Online’은 지난 1997년 EA에서 출시한 온라인게임으로 MMORPG 장르를 대중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NetDragon Websoft는 ‘Way of the Five’, ‘Eudemons Online’, ‘Conquer Online’, ‘Zero Online’, ‘Tou Ming Zhuang Online’, ‘Heroes of Might and Magic Online’ 등의 다양한 온라인게임을 아시아 시장에 서비스하고 있으며, 올해 출시를 목표로 ‘Tian Yuan’, ‘Disney Fantasy Online’, ‘Dungeon Keeper Online’, ‘CJ7 Online’ 등을 개발 중임

시사점

글로벌 게임 퍼블리셔인 EA의 이 같은 행보는 전세계 온라인게임 시장에서 중국의 입지가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단적인 증거임

EA와 같은 글로벌 게임업체 입장에서 특정 게임의 글로벌 서비스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 마켓으로서 중국이 부상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중국의 개발력이 상당한 수준에 올랐음을 반증

시장조사업체 Niko Partners에 따르면 올해 중국 온라인게임 시장은 지난해보다 38% 증가한 약 38억 달러에 달할 전망임

한편으로는 중국정부와 Blizzard의 마찰로 인한 ‘World of Warcraft’의 서비스 중단을 틈타 중국 시장을 공략하려는 의도로도 풀이됨

www.netdragon.us www.ea.com

25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Shanda, 자사 게임 펀드 ‘18 기금’에 향후 3년간 10억 위안 투자

Shanda, 군소 게임 개발사 지원 위해 10억 위안 추가 투입 예정

지난 7월 22일, Shanda의 Diana Li CEO는 상하이에서 개최된 제7회 China Joy 박람회를 참관한 자리에서 군소 개발사 지원을 위한 자사 게임펀드 ‘18 기금(18 Capital)’에 향후 3년간 10억 위안(약 2,000억 원)을 추가 투입할 예정이라고 거듭 공언

‘18 기금’은 자금력이 약한 군소 개발사들에게 게임 개발비, 서비스 플랫폼, 퍼블리싱 등의 각종 지원을 제공하는 포괄적 프로그램

18의 중국식 발음은 부자가 된다는 뜻의 한자와 발음이 같은 ‘야오퐈’이며, Shanda는 매달 18일에 투자 대상 게임을 결정하는 임원회의를 진행

18 기금 현황

지금까지 18 기금을 통해 40여 개 총 5억 달러를 지원 받았고, 그 중 일부는 2차 투자협상이나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고 Diana Li CEO는 전언

Shanda는 지난 1월에도 ‘현재까지 30여 개 업체에 3억 위안을 지원했고 향후 3년간 10억 위안을 더 투입할 것’이라고 언급

2007년 한 해에만 15~16개 업체가 각각 800~1,000만 위안을 지원 받았음

성과 및 시사점

Shanda는 ‘Feng Yun Online’, ‘Shu Shan Xin Zhuan’ 등 일부 18 기금 게임이 이미 연간 결산에서 흑자를 냈다는 평가이며, China Joy 2009 박람회에서도 자사 부스를 18 기금 게임 중심으로 꾸몄음

지난 6월 기준으로 시가 총액 5조원을 돌파한 Shanda의 막강한 자금력이 영세 개발사의 유망 프로젝트를 적극 부양한다는 것은 중국 게임업계의 질적/양적 성장에 유의미한 변수일 수 있음

최근 중국에서도 인력 규모가 3~4명에 불과한 개발팀이 많아졌지만, 자금력 부족으로 인해 중도에 프로젝트를 포기하는 사례가 많음

www.snda.com

26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The9, ‘Blizzard와 NetEase의 합작법인은 불법’ 주장

The9, 합작회사 ‘StormNet’의 적법성에 의문 제기

지난 7월 22일, China Joy 2009의 전야행사에 참석한 The9의 천 샤오웨이 대표가 Blizzard Entertainment와 NetEase의 합작법인 StormNet에 대해 ‘중국 정부의 규정과 법률에 배치되는 측면이 있을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파문을 일으켰음

중국에서는 단독/합작 여하에 관계 없이 외국 업체의 온라인게임 운영이 금지돼 있기 때문에, 만약 Blizzard가 ‘StormNet’을 통해 ‘World of Warcraft’의 운영에 나선 것이라면 불법행위에 해당됨

The9 역시 Blizzard로부터 합작법인 설립을 제의 받았으나 위법성을 우려해 거절했고, 결국 ‘World of Warcraft’ 재계약을 체결하지 못했다고 천 샤오웨이 대표는 덧붙였음

Blizzard의 StormNet 참여 성격이 관건

The9의 이번 발언 이전에도 중국에서는 ‘NetEase와 Blizzard의 합작법인에 대한 당국의 조사가 진행 중’이라는 루머가 돌고 있었으나, NetEase 측은 “2008년 설립된 해당 합작벤처는 ‘StarCraft II’, ‘Warcraft III’, ‘Battle.net’ 등에 관한 기술 지원을 위한 것이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일축한 바 있음

NetEase의 딩 레이 대표는 China Joy 2009 전야행사 당시 The9 대표보다 먼저 단상에 올라 “경쟁사가 악의적으로 왜곡한 소문이 확산돼 게이머들이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이고 그들의 (소송) 공격에 의해 ‘World of Warcraft’의 서비스에도 차질이 발생했다’고 토로

NetEase는 ‘World of Warcraft’ 판권 계약을 체결한 지 두 달여 만인 7월 30일부터 ‘불타는 성전’ 서비스의 재개가 허용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향후의 서비스 정상화 및 ‘리치킹의 분노’ 출시 여부는 StormNet의 적법성에 대한 당국의 판단에 따라 갈릴 전망

www.the9.com www.blizzard.com

27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ChinaJoy 2009 Briefing

ChinaJoy 2009 개요 및 특징

행사명 개최 시기 개최지 관련 웹사이트 2009.07.23 중국 ChinaJoy 2009 en.chinajoy.net/ ~ 26 (상하이 New International Expo Center) ChinaJoy 박람회는 E3, 동경게임쇼 등과 유사한 성격의 글로벌 게임행사를 지향하고 있으며, 中 신문출판총서(GAPP), 과학기술부(MST) 등 관계 당국들의 후원으로 치러졌음

7회째를 맞은 올해의 ChinaJoy 2009 박람회는 50개국 195개 업체가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를 이룸

22일 전야행사의 China Digital Entertainment Summit을 시작으로 26일의 China Web Game Development Forum에 이르기까지 총 6건의 업계 컨퍼런스 병행

ChinaJoy 2009 주요 트렌드 및 이슈

[중국 메이저 게임업체들의 자체개발작 다수 출시] Shanda, Tencent, Perfect World, NetEase, The9 등의 주요 중국 게임업체들의 자체개발작 출시가 전년도 10개에 불과했던 데에서 올해 14개로 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Shanda의 ‘월드 제로’, Giant Online의 ‘wjdeh2’, ‘용혼’, The9의 ‘명장삼국’, ‘뮤X’, ‘구주전기’, 9you의 ‘유성호접검’, ‘신병전기’, Tencent의 ‘QQ선협전’, ‘대명용권’ 등이 출시됨

[삼국지 소재 게임 인기] 이번 전시회에서는 중국인들에게 인기있는 ‘삼국지’를 소재로한 게임이 중국 업체와 한국 업체 양측에서 모두 대거 등장해 향후 경쟁 양상이 주목 받고 있음

국내업체로는 웹진이 세련된 그래픽과 액션을 무기로 ‘일기당천’을 출시했으며, 위메이드가 ‘창천’을 출시

중국업체로는 ‘용환서유’로 이미 인기를 얻고 있는 NetEase가 ‘삼국지영웅전’을 출시했으며, 9you는 ‘맹장’을 출시

[미숙한 전시회 운영으로 비판] 이번 전시회에서는 과도한 소음과 외국인을 위한 안내표지판 미비, 열악한 취재기자들을 위한 프레스 센터 인프라 등으로 비판 받음

E3나 동경게임쇼 같은 여타 글로벌 게임행사들과는 달리 소음 관련 규제 기준이 없는 탓에 관람객들이 대화조차 어려울 정도의 소음에 시달려야 했음

en.chinajoy.net

28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중국 온라인게임 순위 (7월 셋째 주)

Table 중국 PC방 온라인게임 순위 (7월 3일 기준) 순위 게임명 퍼블리셔 순위변동 1 던전앤파이터(地下城与勇士) Tencent - 2 크로스파이어(穿越火线) Tencent - 3 QQ 댄서(QQ炫舞) Tencent - 4 오디션(劲舞团) Nineyou - 5 QQ 스피드(QQ飞车) Tencent - 6 카운터 스트라이크(反恐精英) TianCity - 7 문도(问道) Guang Yu Hua Xia - 8 몽환서유(夢幻西遊) NetEase - 9 천룡팔부(天龍八部) Changyou - 10 카트라이더(跑跑卡丁车) TianCity - [출처] ICM Data

29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일본 게임 시장 동향

일본 내 Second Life류 서비스의 현황과 전망

3D 가상현실 서비스, 수익모델 부재로 퇴출 위기

지난 2007년을 전후해 일본 내에서 다수 출시되었던 ‘Second Life’류의 3D 가상현실 서비스들이 뚜렷한 수익모델을 찾지 못하고 서비스 종료되는 사례가 속속 발생하고 있어, 근본적인 사업성에 대한 문제제기가 일고 있음

핀란드의 Sulake가 개발하고 일본인들이 선호하는 2D 도트 그래픽 스타일로 기대를 모았던 ‘Habbo Hotel’과 SEGA의 ‘인터넷 어드벤처(iA)’는 지난 4월 16일과 7월 3일에 각각 서비스를 종료했으며, Capcom의 자회사인 Daletto와 日 온라인콘텐츠 업체인 Dwango가 함께 개발한 ‘Daletto World’도 오늘 9월 29일 서비스를 종료할 예정

일본의 가상현실 서비스 사례

Square Enix의 자회사 Smile Lab.은 日 인터넷업체 ‘Nifty’와 제휴를 맺고 지난 2008년 10월 9일 2.5D 플래시 기반의 가상공간 서비스 ‘Nicotto Town’은 지난 6월 25일 기준으로 2,200만 명 가입자를 돌파한 것으로 알려짐

‘Nicotto Town’은 실시간 채팅, 아바타 및 방 꾸미기 기능, 미니 게임 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는데, 특히 3종류의 미니 게임 플레이 기능은 여타 가상현실 서비스와 차별화되는 점임

Sony의 PlayStation3용 가상현실 서비스인 ‘Home’의 경우, PS3 이용자들에게만 제공되고 있지만, PS3로 발매되는 타이틀과의 서비스 연계를 지원하며, 관련 광고 및 이벤트를 제공하는 장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Bio Hazard 5’ 발매일에 맞추어, 게임 내에 등장하는 인기 맵을 가상현실 공간으로 재현해 발매에 따른 마케팅을 지원하는 것이 그 사례

국내 업체인 한빛유비쿼터스엔터테인먼트와 엔토모는 각각 ‘포키포키’와 ‘엔토모’를 서비스하며, 일본 내에서 지명도를 높여가고 있음

이처럼 가상현실 서비스가 확산됨에 따라 관련 솔루션도 출시되고 있음

日 통신업체 NTT가 출자하고, 日 3D 솔루션 전문업체 3Di가 개발한 ‘3Di OpenSim’은 일반 기업이나 교육기관에서 별도의 가상공간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으로 지난 4월 15일 출시

30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www.nifty.com/nicotto/tn.html?niftop_948x28 www.daletto.com/pc/ www.habbo.com info.dwango.co.jp 3di-opensim.com/en/

[참고] 경향게임스, 2009.7.17

Table 일본의 주요 온라인 가상세계 서비스 현황

서비스 년도 서비스 명 서비스 업체 2007 년 Splume Splume ViZiMO Microvision meet-me Co-Core (+Transcosmos) Square Enix members Virtual World Square Enix ntomo NTOMO Habbo Hotel Habbo Japan 2008 년 Home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i sp@ce Dwango internet Adventure(iA) SEGA POKIPOKI Hanbit Ubiquitous Entertainment Lamity Eitarosoft Daletto World Daletto(Capcom) 3Di OpenSim 3Di Nicotto Town Smile Lab. pupegirl Pupegirl [출처] 경향게임스, 2009.7.17; JOGA, 2009; 스트라베이스, 2009

Nintendo, 올해 매출 목표치 달성 위한 Wii 가격 인하 가능성 제기

美 투자은행 애널리스트, Wii 가격 인하 가능성 제기

美 투자은행 Wedbush Morgan Securities의 게임산업 전문 애널리스트 Michael Pachter에 따르면, Nintendo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판매량과 로열티 수익이 감소함에 따라, 올해 매출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연말 시즌에 Wii의 가격을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

그가 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Nintendo Wii와 Nintendo DS의 판매실적이 작년에 비해 매우 저조한 상태이며, 특히 Nintendo Wii의 경우 판매량이 전년대비 50% 감소한 상황

뿐만 아니라, Nintendo에 타이틀을 공급하는 퍼스트 파티 업체들의 소프트웨어 판매량 역시 작년에 비해 30% 감소하였으며 각종 로열티로 벌어들이는 수익 역시 미미한 실정

31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Wii 가격 인하설의 근거

Nintendo는 최근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회계연도 2010년(2009.4.1~2010.3.31)의 목표 판매량을 조정하지 않았는데, Michael Pachter는 이를 두고 “전반적인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현실적인 목표”라면서도, 이 목표는 Wii의 가격 인하를 통해 발생하는 판매량 증가 효과 없이는 달성하기 힘들 것으로 평가

Michael Pachter는 Wii의 가격인하 외에도 얼마 전 발매된 Wii의 새로운 컨트롤러인 ‘Motion Plus’나 ‘Wii Fit Plus’, ‘New Super Mario Bros. Wii’, ‘The Legend of Zelda Spirit Tracks’ 등과 같은 인기 타이틀이 발매된 데다, 내년에는 ‘Metroid: Other M’ 과 ‘Super Mario Galaxy 2’도 발매될 예정이어서 Nintendo의 향후 전망이 밝다고 평가

Nintendo는 회계연도 2010년의 Wii의 목표 판매량은 2,600만 대이며, DS의 목표 판매량은 3,000만 대임

Wii 타이틀의 목표 판매량은 2억 2,000만 장이며, DS 타이틀의 목표 판매량은 1억 8,000만 장임

Sony의 온라인서비스 ‘Home’ 이용자 700만 돌파

유럽의 Home 서비스 이용자들의 이용행태

Sony PlayStation3용 온라인 가상서비스 ‘Home’ 담당 이사인 Pete Edward는 지난 7월 15일 영국 Brighton에서 열린 ‘Developer Conference’에서 ‘Home’ 가입자가 서비스 출시 7개월 만에 700만 가입자를 확보했다고 밝힘

Home 서비스는 지난 2005년 초부터 개발돼, 지난 2008년 12월 11일에 공개된 온라인서비스

700만 가입자 중 300만 명은 유럽 이용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1회 평균 이용시간은 56분으로 나타났으며, 18~35세 이용자가 전체의 80% 차지해 콘솔게임 이용자층이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

현재까지의 유/무료 애플리케이셔의 다운로드 건수는 600만 건에 달함

Sony는 ‘Home’ 서비스 1달 만에 1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 이후의 구체적인 매출 추이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음

32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Home 서비스의 의의

Pete Edward는 PS3 Home이 PS3의 핵심 이용자층들이 모일 수 있는 장이 되어 과거 그 어떤 매체보다도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이면서도, 이용자들의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수렴할 수 있는 채널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

Pete Edward는 이 같은 유럽에서의 ‘Home’ 서비스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여타 지역에 비해 ‘게임 공간’에 관한 기능 등이 제공되지 않는 것에 관해, ‘주요 언어(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스페인어)에 맞는 현지화 작업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라고 밝힘

PlayStation Network의 6월 판매순위 분석

PSN 6월 게임 판매 순위

PlayStation Network(PSN)의 6월 다운로드 순위 집계 결과, 'Final Fantasy VII'과 ‘Wolfenstein 3D’가 각각 1,2위를 차지했고 'Resident Evil Director’s Cut', ‘Metal Gear Solid’, ‘Bomberman ULTRA’ 등이 순서대로 3, 4, 5위를 기록했음

6월에는 'Trash Panic', 'Cellfector: Psychokinetic Wars', 'Wolfenstein 3D', 'Gunstar Heroes', 'Droplitz', 'Bomberman Ultra' 등 6개의 신규 타이틀과 'Final Fantasy VII', 'Resident Evil', 'Metal Gear Solid' 등의 PSOne용 고전게임들이 대거 출시됐음

6월 첫 주에 출시된 'Final Fantasy VII'는 2주 만에 10만 번의 다운로드 건수를 기록

분석

PSN 버전으로 재출시된 PS용 고전게임들과 구작게임들의 선전이 두드러졌음

'Final Fantasy VII'(1위), 'Resident Evil Director’s Cut'(3위), ‘Metal Gear Solid’(4위), ‘Street Fighter Alpha 2’(8위) 등 4개의 PS용 고전게임들이 상위 10위권 내에 포진

상위 10위 내에 오른 유명 구작게임들로는 'Wolfenstein 3D'(2위), ‘Bomberman ULTRA’(5위), ‘Trash Panic’(퍼즐게임, 6위)’, ‘Gunstar Heroes’(10위) 등이 있음

www.psn.com

33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Table PlayStation Network 6월 PS3 게임 다운로드 순위

순위 게임명 장르 제작사 1 Final Fantasy VII RPG Square Enix 2 Wolfenstein 3D FPS Id software 3 Resident Evil Director’s Cut Adventure Capcom 4 Metal Gear Solid Action Konami 5 Bomberman ULTRA Action Hudson Soft 6 Trash Panic Puzzle SCE 7 ZEN Pinball Pinball Zen Studios 8 Street Fighter Alpha 2 Fighting Capcom 9 Mortal Kombat 2 Fighting Midway 10 Gunstar Heroes Action Treasure [출처] Poter Novelli PR

日 콘솔 HW&SW 판매량 (7월 셋째 주)

Table 日 콘솔 HW&SW 판매량(2009.7.06~7.12) (단위: 대) 구분 항목 장르 Publisher 판매량 DSi - Nintendo 138,316 PSP - Sony 29,551 Wii - Nintendo 20,850 HW PS3 - Sony 9,051 DS Lite - Nintendo 15,016 PS2 - Sony 5,223 Xbox360 - Microsoft 3,167 Dragon Quest IX: Defenders of the Starry Sky RPG Square Enix 2,343,440 (DS) Wii Sports Resort (Wii) Sports Nintendo 92,894 Tomodachi Collection (Friend Collection)(DS) Other Nintendo 52,698 Boku no Natsuyasumi 4 (My Summer Vacation 4): Youth Detective Group in Seto - Me and the Adventure SCE 22,053 SW Secret Map (PSP) Hatsune Miku: Project Diva (PSP) Music Sega 15,374 Monster Hunter Portable 2 G (BEST) RPG Capcom 12,218 Wii Fit (Wii) Sports Nintendo 10,074 Kingdom Hearts: 358/2 Days (DS) RPG Square Enix 8,082 Sloane and MacHale's Mysterious Story (DS) RPG Level Five 6,672 Pokémon Platinum (DS) RPG Pokémon 6,596 [출처]

34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아시아 기타 게임 시장 동향

대만정부, Sony와 콘솔게임 개발 활성화를 위한 제휴 체결

대만, Sony와 콘솔게임 개발 관련 기술 제휴

대만정부가 자국 게임업체들의 콘솔게임 개발 활성화를 위해 Sony Computer Entertainment(SEC)와 관련 기술 이전 및 라이선스 협약 등의 제휴를 지난 6월 29일 체결

대상 업체로는 온라인게임 개발사 XPEC Entertainment와 InterServ International, 이동통신사업자 InfoComm과 Far EasTone Telecommunications 등이 포함됐으며, SCE는 이들에게 자사의 PS2/PS3 게임 개발에 필요한 관련 기술을 제공할 예정

이번 제휴를 통해 2011년까지 대만 내에서 약 20여 개의 콘솔 게임이 개발될 것으로 전망됨

대만 정부의 지원책

대만 정부는 지난 3월 SCE Taiwan이 제안한 ‘디지털 콘텐츠 연구개발 협력 센터’의 설립 계획을 승인하며, 지역 콘솔게임 개발사에 대한 지원에 나섰음

오는 9월부터 SCE Asia와 일본 CG 전문업체 Premium Agency가 Tatung University 등의 일부 대학교를 대상으로 공동 진행하는 PS3용 게임 개발 교육 프로그램도 지원

www.scei.co.jp

필리핀 Digital Media Exchange, 온라인게임 지원 서비스 출시

Digital Media Exchange, 온라인게임 지원 서비스 출시

필리핀 게임업체 Digital Media Exchange가 온라인게임의 테스트/시장 조사/커뮤니티 운영 및 관리 등을 포괄하는 온라인게임 관련 지원 서비스를 출시함

DME는 플레이어 선호도, 수익 전략 등에 관한 조언도 제공하며 동남아시아 시장을 대상으로 게임 퍼블리싱 사업도 펼치고 있음

35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개발사에게는 유료 아이템 등의 수익 전략을 개발 및 구축할 수 있도록, 퍼블리셔에게는 비용 절감과 신규 수익 모델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함

DME 산하 게임포털 Mobius 현황

동남아시아 최대의 게임포털 Mobius는 ‘Mu Online’, ‘Build-A-Bear 온라인’과 제휴를 체결했고 몇몇 대형 퍼블리셔들과도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해당 사이트는 현재 710만 명의 가입자와 월 최대 110만 명 가량의 활성 유저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짐

시장조사업체인 IDC에 따르면, Mobius는 지난 2007년 매출이 105만 달러로 568만 달러를 기록한 Level Up!과 519만 달러를 기록한 eGames에 이어 필리핀 온라인게임 사업자 중 3위를 차지했으며, 8.6%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함

www.mobiusgames.net

대만 MMORPG ‘Kingdom Heroes 2’, The9과 중국 퍼블리싱 계약

The9, 신규 온라인게임 서비스 계약 체결

中 온라인게임 퍼블리셔 The9는 대만의 게임 개발사 Userjoy Technology이 개발한 3D MMORPG ‘Kingdom Heroes 2 Online’의 중국 내 퍼블리싱 서비스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지난 7월 24일 알려짐

The9은 ‘Kingdom Heroes 2 Online’이 중국 게이머들에게도 호응을 얻으며, 본토에서 큰 성공을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올해 초 Blizzard Entertainment와 WoW(World of Warcraft) 서비스 계약 연장에 실패했던 The9으로서는 이를 통해 기사회생의 기회를 얻은 셈

The9은 자사 매출의 80~90% 가량을 WoW에 의존해온 터라, 한때 파산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었음

Userjoy는

대만 게임업체인 Userjoy Technology는 지난 1995년 설립돼, PC패키지 게임과 PC온라인게임을 주력으로 개발해왔으며, 자사 게임인 ‘The Legend of Three Kingdom Online’이 지난 2008년 동접 8만 5,000명을 기록하며 새로운 성장의 계기를 마련한 바 있음

36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Userjoy는 지난 2007년부터 퍼블리싱 사업에 뛰어들어, 2008년 日 Square Enix의 ‘Concerto Gate Online’을 성공적으로 퍼블리싱한 바 있으며, 같은 해 자사 온라인게임 ‘Angel Love Online’의 PS3 버전을 日 게임개발사 Q Entertainment와 함께 공동개발해 지난 2008년 9월 출시한 바 있음

www.qentertainment.com/ www.userjoy.com.tw/en/

호주&뉴질랜드 게임 SW 판매순위(7월 넷째 주)

Table 호주&뉴질랜드 게임 SW 판매 순위 호주 뉴질랜드 순위 (7.20~7.26) (7.20~7.26) 1 Wii Sports Resort W/Remote (Wii) Wii Sports Resort W/Remote (Wii) 2 Wii Play W/Remote (Wii) Wii Play W/Remote (Wii) 3 Wii Fit (Wii) The Sims 3 (PC/MAC) 4 Mario Kart W/Wheel (Wii) Infamous (PS3) 5 Pokemon Platinum (DS) Wii Fit (Wii) 6 Brain Training (DS) Fight Night Round 4 (PS3) 7 Mario Kart (DS) Fight Night Round 4 (Xbox 360) 8 Harry Potter & Half Blood (Wii) Harry Potter & Half Blood (PS2) 9 Super Smaxh Bros Brawl (Wii) Pokemon Platinum (DS) 10 Ben 10 (DS) Wow Wrath of Lich King (PC/MAC) [출처] Media Control Gfk International

37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중남미 게임 시장 동향

최근 게임시장 성장동력은 ‘Hispanic’…美 게임 유통업체 GameStop 브라질 게임업체 Webcore, 종이비행기 소재 iPhone 게임 출시 게임용 선불카드 Ultimate Game Card, 브라질과 터키 진출

38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최근 게임시장 성장동력은 ‘Hispanic’…美 게임 유통업체 GameStop

美 게임시장 성장 주역은 히스패닉 소비자

美 게임 소매유통 업체인 GameStop의 COO인 Paul Raines는 최근 자사의 성장세는 신규 게이머층의 성장과 히스패닉 이용자들의 성장이 주효했다고 지난 7월 7일 히스패닉 전문 사이트 Hispanic Market Weekly를 통해 밝힘

지난 1999년 이후로 연평균 23.8%로 성장해온 GameStop의 최대 매장은 미-멕시코 국경 지대에 위치한 텍사스 지역 매장들로 관광객이 많은 마이애미 지역에서도 2개 지점에서만 연 매출 400만 달러가 넘는 등 실적이 좋다고 Paul COO는 부연

라틴계는 미국 전체 인구의 14%(4,500만 명 수준)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 내 가장 큰 소수인종임

한편, 35세 이상이 전체 이용자의 절반에 육박하며, 여성이 40%를 차지하는 등 과거 게임을 즐기지 않았던 사람들이 게임을 하기 시작해 신규 게이머가 증가한 점도 성장 동력으로 꼽힘

GameStop은 히스패닉계 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의 지점에 2개 국어 가능 직원을 배치하고 있음

미국 전역 GameStop 매장 가운데 주변 지역의 히스패닉 인구비율이 40%가 넘는 경우는 600~800 개에 달함

게임업계, 히스패닉계에 주목

GameStop의 Paul Raines COO는 ‘히스패닉계 소비자를 겨냥한 게임 개발과 관련해 최근 Activision 같은 대형 게임업체가 조언을 구하는 일이 잦아졌다’고 전언

Activision의 ‘DJ Hero’는 향후 이러한 게임들에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됨

라틴 음악이 미국 내에서 인기가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Shakira나 Juanes 등의 유명 남미 출신 가수들의 음악을 게임에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

Sega는 자사의 ‘Daisy Fuentes’ 필라테스 게임을 스페인어로도 지원하는 등 히스패닉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공세를 펼쳐나갈 계획임

www.gamestop.com

39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Chart GameStop의 매출 추이(1998-2009E)

[출처] GameStop, 2009

브라질 게임업체 Webcore, 종이비행기 소재 iPhone 게임 출시

종이 비행기 시뮬레이션 게임 ‘Papercraft’ 출시

브라질 게임업체 Webcore Games는 종이비행기를 소재로 한 iPhone/iPod Touch용 게임 ‘Papercraft’를 지난 6월 2일 처음으로 출시했다고 밝힘

이 게임은 종이비행기를 조종해 병, 냅킨, 컵, 스낵 등으로 이루어진 장애물 사이에 설치된 기점과 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

출시 배경

Webcore Games의 Fernando Flames 이사는 “향후 목표는 App Store를 통해 광고기반 게임을 출시하는 것”이라고 밝혔으며, 실제로 Webcore Games는 지난 6월 16일 App Store는 아니지만, 광고 에이전시 JWT의 위탁을 받아, 풍선껌 제조업체 Bubbaloo의 광고용 게임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짐

이 게임은 Bubbaloo가 타겟으로 삼고 있는 소비자층인 브라질의 12~16세 청소년을 겨냥해 제작되었으며, 이용자는 미니축구, 바구니에 종이공 넣기 등 미니게임 등을 즐길 수 있음

www.webcoregames.com.br/papercraft/ www.bubbaloo.net

40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게임용 선불카드 Ultimate Game Card, 브라질과 터키 진출

美 PlaySpan, 자사 선불카드 Ultimate Game Card 신흥 시장 출시

1,000여 종의 온라인게임, 가상현실, SNS 등에서 온라인 결제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 PlaySpan이 Ultimate Game Card 서비스를 브라질, 터키를 비롯한 각국으로 확장할 것이라고 지난 7월 2일 발표

Ultimate Game Card는 터키 현지 결제업체인 Uyelikal과 제휴를 맺고, 터키에서 인터넷 카페 3,000여 곳을 포함, 터키 내 각종 웹사이트와 포털에서 제공될 예정

브라질에서도 현지 결제 업체인 E-prepag과 제휴를 맺고, 온라인게임이 대세를 이룬 1,400여 개 인터넷 카페에서 Ultimate Game Card가 제공되며, 4,000여 곳의 일반 상점에도 카드를 비치, 게임 개발사 및 제작사에게 즉석 구매 방식의 효과적인 배급 채널 서비스를 제공

진출 배경 및 전망

Ultimate Game Card가 터키와 브라질에 진출하게 된 것은 현지 시장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신용카드 및 은행 서비스 이용 불가층을 공략할 수 있기 때문

터키에는 약 2,800만 명의 인터넷 이용자가 있으며, 멀티유저 PC/온라인 게임에 관심이 많은 젊은이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게임용 선불카드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

브라질은 600만 명이 넘는 게이머이 게임을 즐기는, 세계적으로도 멀티유저 게임 시장이 급성장 중인 시장

PlaySpan의 Karl Mehta CEO는 "이번 진출로 인해 기존에 마땅한 결제수단이 없어서 매출을 거두기 어려웠던 게임업체들이 브라질 및 터키 시장에서 성과를 거둘 수 있게 됐다”며, “브라질과 터키 외에도 전국적인 상점 및 인터넷 카페 배급망을 확보한 유통업체가 있다면, 계속 확장해갈 계획”이라고 밝혀 추가 진출 가능성을 시사함

www.ultimategamecard.com store.playspan.com www.eprepag.com.br www.uyelikal.com

41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국내 게임 시장 동향

게임용 음성 채팅 서비스 잇따라 출시돼 기능성 게임, 내부 직원 교육용으로도 활용되기 시작 온라인게임 ‘채널링’의 부상 배경과 사례 자동사냥 기능 온라인게임, 등급 거부 판정 게임엔진 3社의 한국 서비스 비교 분석 국내 온라인게임 순위 (8월 첫째 주) 온라인게임 포털 순위 (7월 셋째 주) 국내 게임업체의 해외 진출 동향 (7월 다섯째 주)

42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게임용 음성 채팅 서비스 잇따라 출시돼

게임용 음성채팅, 게임 고도화에 따라 수요 증가

끊임없는 컨트롤과 복잡한 시스템을 채택한 게임들이 증가하면서, 과거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문자 채팅 방식에서 별도의 입력 없이도 빠르게 의사소통 할 수 있는 음성 채팅이 각광받고 있음

음성채팅은 그 동안 FPS 게임 사용자들의 협력 플레이나 MMORPG의 파티 플레이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국내 MMORPG 및 FPS 이용자들이 늘어나고, 해당 게임들이 고도화되면서, 사용자층이 확산되고 있음

주요 게임용 음성 채팅 서비스 사례

NHN은 지난 7월 말 ‘게임톡’ 공식서비스에 들어갔으며, 엔씨소프트는 ‘아이온 게임폰’ 서비스를 준비 중

NHN은 다자간 음성 채팅 서비스인 ‘네이버폰 오픈톡’을 제공하면서 이용자의 60% 이상이 온라인 게임 사용자임을 확인하고 게임에 특화된 전용 서비스를 선보였음

엔씨소프트는 지난 7월 22일부터 온라인롤플레잉게임(MMORPG) ‘아이온’ 음성 채팅 서비스 ‘아이온 게임폰’의 비공개테스트에 들어갔으며, 향후 다른 게임으로도 확대될 전망

지난 6월 말 메신저에서 게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게임온’을 시작한 SK커뮤니케이션즈(대표 주형철)는 최대 50명이 동시에 음성 채팅이 가능한 ‘토크온’으로 사용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음

업체들이 이 같은 음성채팅 지원을 강화하고 있는 것은 과거 문자 위주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에 비해 음성채팅 서비스가 길드 및 파티 등의 커뮤니티 활성화에 긍정적인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며, 궁극적으로는 해당 게임에 대한 충성도를 높여 매출 증대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43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기능성 게임, 내부 직원 교육용으로도 활용되기 시작

EM브릿지, 금융기관과 손잡고 직무교육 게임 시장 진출

기능성게임 전문업체인 EM브릿지가 지난 7월 15일 하나은행과 3D 게임 기반의 직무교육용 게임 솔루션인 ‘팍스하나’ 보급사업을 위해 제휴를 체결했음

3D MMORPG인 ‘팍스하나’는 다양한 미션을 수행해 나가는 동안 자연스럽게 차세대 전산시스템을 익힐 수 있도록 제작됐으며, 게임 내에서 직장 동료들과 협력하면서 공동체 의식도 키울 수 있음

EM브릿지는 3D 영어교육게임 ‘Cylish’, 한자학습게임 ‘EM퀴즈’, 한국게임산업진흥원과 공동 개발한 ‘리틀소방관’ 등의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으며 우리은행의 직무교육 게임인 ‘백두대간’ 개발에도 참여한 바 있음

전망

EM브릿지는 이번 제휴를 계기로 ‘팍스하나’를 금융/교육/기업 등 분야별로 특화시켜 국내는 물론 해외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임

아울러 그간 기능성게임 분야에서 쌓아온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험 및 의료/치료 분야 등으로도 자사의 게임 영역을 확장해 나갈 예정임

온라인게임 ‘채널링’의 부상 배경과 사례

신규 유저 유입에 따른 매출 증대 효과로 인해 ‘채널링’ 부상

최근 채널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채널링을 통해 게임을 제공하는 퍼블리셔 매출의 80%에 육박하는 수익을 거두는 등 채널링의 성과가 가시화되면서, 채널링이 확산되고 있음

채널링은 특정 게임의 퍼블리셔가 기존의 자사 포털이나 사이트가 확보하지 못한 유저들에게 일반 포털 및 타사의 게임 사이트 등을 통해 해당 게임을 서비스하는 것을 의미함

현재 NHN 한게임, 네오위즈게임즈, 엔씨소프트, CJ인터넷, KTH올스타 등의 게임업체들뿐만 아니라, 다음, 네이트 등의 대형 포털들도 채널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44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부상 배경

채널링이 부상하고 있는 배경으로 퍼블리셔들은 자사 서비스를 통한 매출이 정점에 달했다고 판단하는 시기에 신규 유저를 유입시켜 매출을 극대화시키는 수단으로, 채널링사는 자사의 방대한 유저 기반을 바탕으로 별도의 큰 투자 없이 검증된 게임을 확보해 안정적인 매출을 올릴 수 있는 수단이라는 점이 주목 받고 있음

보통 신규 게임의 경우, 안정적인 매출규모에 도달하는 데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이 때 채널링 서비스를 많이 시도하는 것으로 알려짐

대형 포털이나 게임전문 포털 같은 채널링사 입장에서도 최근 경쟁이 심화되면서, 신규 게임의 성공확률이 낮아져 자체 퍼블리싱만으로는 포트폴리오 구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비용도 저렴한 데다 인기가 어느 정도 검증된 게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채널링 서비스는 매력적임

매출 효과

경향게임스에 따르면, 현재 채널링 되는 게임 중 괄목할 만한 매출을 올리고 있는 게임은 CJ인터넷이 서비스하는 ‘마구마구’와 나우콤의 ‘테일즈런너’인 것으로 알려짐

‘마구마구’는 KTH 올스타에서 본 서비스 대비 무려 70%의 매출 기록했으며, NHN 한게임의 경우 넷마블에 비교해 30%의 매출을 기록

같은 게임임에 불구하고 채널링사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은 ‘마구마구’를 즐기는 남성 유저풀이 NHN 한게임보다 KTH와 맞아 떨어진데다, NHN 한게임이 올해 2월에야 시작한데 반해, KTH는 3년이 넘었다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됨

특히 NHN 한게임의 경우 ‘마구마구’보다 유저풀이 일치하고 있는 ‘테일즈런너’ 에 높은 성과를 보여, 퍼블리셔인 나우콤 서버와 비교해 80%에 가까운 매출액을 기록

엔씨소프트의 ‘러브비트’를 채널링 중인 Daum은 엔씨소프트 대비 22%~24%의 매출액을 기록하고 있어, 일반 포털에서도 채널링 서비스의 성과가 가속화되고 있음

[출처] 경향게임스, 2009.7.23

45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자동사냥 기능 온라인게임, 등급 거부 판정

게임위, 자동사냥 기능이 포함된 온라인게임에 등급 거부 결정

게임물등급위원회가 이야인터랙티브의 온라인게임 ‘엔젤러브(Angel Love Online)’에 대해 자동사냥 프로그램과 유사한 기능이 포함돼 있다는 이유로 등급 거부 판정을 내림

엔젤러브는 대만의 ‘UserJoy’에서 개발한 온라인게임으로, 게임 내에 기본 제공되는 ‘천사수호정령’ 기능을 이용할 경우 사냥이나 자원 채집을 자동으로 할 수 있음

게임위는 이 같은 결정을 내린 이유에 대해 ‘온라인게임의 콘텐츠 소모 속도가 빠른 점을 감안할 때 해당 기능은 게임의 재미를 저하시킨다’고 밝힘

업체 반응

이야인터랙티브 측은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된 기능은 이용자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며 ‘유사한 기능을 지닌 게임들이 등급 판정을 받은 전례를 보건대 이번 결정은 형평성 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반응

회사 측의 주장에 따르면 ‘그라나도에스파다’의 킵모드와 지모컨, ‘아틀란티카’의 숙련의 주문서와 자동수색 주문서, ‘위드2FC’의 C.C 모드 등이 비슷한 기능임

게임 내 자동사냥 기능에 대해서는 이용자들 내에서도 ‘사용자의 편의성 증진’과 ‘건전한 게임 문화 저해’라는 두 가지 상반된 견해가 부딪히고 있음

게임엔진 3社의 한국 서비스 비교 분석

Epic Games (Unreal Engine)

지난 6월 한국지사 설립 이전부터 NCSoft, Webzen, Redduck, Bluehone Studio 등 20개 이상의 국내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었음

현재 엔진 및 매뉴얼 한글화 작업이 완료된 상태이며 본사 엔진개발에 참여했던 잭 포터(Jack Porter) 부장이 상주하면서 다양한 기술지원과 개발사 요청 시 코딩작업도 함께 진행할 계획

46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Crytek

2008년 11월 설립된 한국지사는 NCSoft, XL게임즈 등의 국내 게임사들과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있으며 최소한의 고객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삼음

제휴 개발사에게는 독일 본사에서 엔진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며 고객사 대상의 자체 포럼을 통한 체계적인 커뮤니케이션 제공에 역점을 두고 있음

Emergent Game ( Engine)

게임브리오 엔진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우수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어 많은 중소개발사들이 사용 중인 엔진으로, 타 엔진과 비교해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다는 점이 특징

정부지원을 통한 중소기업 대상의 무료 엔진교육을 받을 수 있고, 개발사의 요청이 있을 경우 본사 파견 엔진교육도 지원함

한국총판인 게임베이스를 통해 연 1회 프로모션 진행

[출처] 경향게임스, 2009.7.21

Table 게임엔진 3社 한국 서비스 지원 비교

Epic Games Crytek Emergent Games ▪ 엔진 및 매뉴얼 한글화 서비스 ▪ 매뉴얼 한글화 서비스 제공 ▪ 매뉴얼 한글화 서비스 제공 ▪ 에픽게임스코리아 주최 정기 (작업 중) ▪ 자체 온라인 포럼 통한 세미나 개최 ▪ 개발자 독일 본사 초청 엔진 커뮤니케이션 ▪ 한국어 가능한 본사 기술부장 트레이닝 ▪ 한국정보통신인력개발센터 등 한국지사 상주 ▪ 본사 개발자 비정기적 한국 정부지원 통한 중소기업 대상 ▪ 전담 번역팀 통한 본사 엔지니어 방문 ‘QA 데이’ 마련 무료 교육 컨설팅 ▪ 고객사 대상 자체 포럼 통한 ▪ 본사 파견 엔진 교육 ▪ 기술부장과 메신저 통한 real- 한국어 커뮤니케이션 (비용 개발사 자체 부담) time 서포트 ▪ B2C 서비스로 명확한 답변 ▪ 연 1회 프로모션 통한 엔진 ▪ 방문 서포트 통한 개발사 상주 제공 가격 인하 코딩작업 [출처] 경향게임스, 2009

47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국내 온라인게임 순위 (8월 첫째 주)

Table 국내 온라인게임 순위 (2009년 7월 29일 기준) 사용시간 일평균 PC 방당 평균체류 순위 게임명 장르 PC 방수 점유율(%) (시간) (분) (분) 1 - 아이온 RPG 15.25% 925,465 2,796 138 19,866 2 - 서든어택 FPS 10.29% 624,585 1,811 64 20,696 3 - 스타크래프트 RTS 7.61% 461,663 1,329 59 20,843 4 - 워크래프트 3 RTS 6.73% 408,457 1,242 74 19,730 5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RPG 5.41% 328,267 1,167 122 16,884 6 - 리니지 RPG 5.28% 320,185 1,086 88 17,693 7 - 리니지 2 RPG 4.83% 293,384 1,131 150 15,561 8 - 피파온라인 2 스포츠 4.07% 246,773 749 48 19,772 9 - 스페셜포스 FPS 3.62% 219,603 771 79 17,094 10 - 던전앤파이터 RPG 3.57% 216,521 719 72 18,081 [출처] gametrics

온라인게임 포털 순위 (7월 셋째 주)

Table 온라인게임 포털 순위 (2009.7.13~7.19) 순위 변동 사이트 업체 주간UV 점유율 전주대비 1 - nexon.com Nexon 3,442 30.9% +1.6% 2 - pmang.com Neowiz 3,160 24.8% -2.1% 3 - hangame.com NHN 2,855 21.6% -0.2% 4 - netmarble.net CJ Internet 2,408 18.0% +0.8% 5 - mgame.com Mgame 630 4.7% -0.1% *주: UV(Unique Visitor)의 단위는 천이며, 점유율 및 전주대비의 단위는 %임 [출처] KoreanClick

48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국내 게임업체의 해외 진출 현황 (7월 다섯째 주)

Table 국내 게임업체의 해외 진출 현황(7.21~7.29) 게임 장르 게임업체 퍼블리셔 지역 일자 내용 천상비 MMORPG 하이원,GameOn 리자드 인터렉티브 글로벌 포털 2009.07.10 계약 체결 아이온 MMORPG 엔씨소프트 NC Taiwan 대만 2009.07.21 상용화 위 온라인 MMORPG 구름인터렉티브 Soft-World 대만 2009.07.23 계약 체결 Insrea Game Center H.A.V.E Online TPS SK아이미디어 대만 2009.07.22 계약 체결 (대만) Insrea Game Center Project nX FPS SK아이미디어 대만 2009.07.22 계약 체결 (대만) 스페셜포스 FPS 드래곤플라이 NHN USA 유럽 2009.07.28 상용화 [출처] 스트라베이스

49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글로벌 게임산업 TREND

발행일 2009년 8월 3일 발행인 이 재 웅 발행처 한국콘텐츠진흥원 문의 한국콘텐츠진흥원 전화_02-3153-1114 홈페이지_www.kocca.kr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길 250-15 문화콘텐츠센터(우 121-270)

※ 본 보고서 내용의 무단 전재를 금하며, 가공·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