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 2015. 10. 23. 오전 11:45 Society

in

Support : Role 2

s ’ Museum

ession of

S Changes

and 외부지원과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역할 사회적 박물관·미술관의 외부지원과

Supports

Public

SESSION 2 02-Session2 영월 표지.indd 1

CONTENTS

Brazil: Changes in the role of museums supported by public policies ··································5

브라질: 공공 정책의 지원을 통한 박물관의 역할 변화

The role of International Committee for Museology in public support of museums ···········25

박물관에 대한 공적 지원에 있어서 국제박물관학 위원회의 역할

New museums for new challenges: social responsibility and community participation, cultural diversity and interculturality. ······························································································45

새로운 박물관을 위한 새로운 도전: 사회적 책임, 지역사회 참여, 문화다양성, 상호문화주의

Museums built by all stakeholders ···································································································73

함께 만들어 가는 박물관

The American Alliance of Museums’ Museum Connect Program: A case study of government-funded, museum cultural exchange ·········································································99 미국 박물관 협회의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정부 지원 박물관 문화 교류 사례 연구

The Role of ICOM in Defining the Museum in Society ·····························································127 사회에서의 박물관을 정의하는 데 있어 국제박물관협의회의 역할

Free admission Policy and the developing museum in China ···············································129

무료 관람정책 및 발전중인 중국 박물관들

Changing Role of Museums in the 21th Century ······································································151 21세기 박물관 역할의 변화 Museums and Communities: The Faro Convention ···································································195

박물관과 커뮤니티: FARO 협약

Reflections on the rationales and directions for public support of museums ····················209

박물관 공공지원의 근거와 방향에 대한 재성찰

Cultural Heritage and Public Awareness Centers: in context to ··························245 문화 유산과 공공 인식 센터: 파키스탄의 사례

The Dilemma and Resolution of Public Support Provided for Museums ·····························299 뮤지엄에 대한 공적 지원제도의 딜레마와 해결과제

The Social Function of Museums & Government Policy The case of National Museum of Ethiopia ···················································································································································333

박물관과 정부 정책의 사회적 기능

A Town Promoting Its Nature and Culture The Landscape, Nature, and Life of the Town as a “Living Museum” ···················································································································351

자연과 문화를 홍보하는 마을 “살아있는 박물관”의 마을풍경, 자연 그리고 삶

Perspectives on Museums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375

박물관에 대한 관점과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개발

Session 2

[Support] Supports and Changes of Museum's Role in Society

[지원] 외부지원과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Brazil: Changes in the role of museums supported by public policies

브라질: 공공 정책의 지원을 통한 박물관의 역할 변화

Adriana Mortara Almeida(아드리아나 몰타 알메이다) Director of the History Museum of Butantan Institute (브라질 Butantan 연구소 역사박물관 관장)

Brazil: Changes in the role of museums supported by public policies

Adriana Mortara Almeida

In this article I will present some of the changes in the role of museums in Brazil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public policies, emphasizing recent programs for local and community museums.

Introduction

Brazil is a huge country with 8.515.767.049 km2 - about 86 times the area of South Korea - with more than 204 million inhabitants (about 4 times South Korea population). Between the years 1500 and 1822 Brazil was a Portuguese colony. The two first museums were established by the Portuguese Court: in 1815 the Museum of the “Royal School of Fine Arts” and in 1818 the “Royal Museum” – a Natural History Museum. After independence, during the Imperial period (1822-1889), four museums were created in the country: the Army Museum (1864), the Navy Museum (1868), the Emilio Goeldi Museum of Amazonian Natural History (1871) and the Paranaense Museum (1882) in the South of the country.

Figure 1 and 2: Emilio Goeldi Museum was created in 1871 to preserve and study

7 the nature and culture of the Amazonian region. View of one building and of the Zoobotanic Garden (Photos: Adriana M. Almeida, 2014).

These museums followed the European museum tradition and intended to preserve the image of the Imperial strength and the country ‘exotic’ nature. The Goeldi Museum was a center of natural history research regarding the Amazonian environment and culture; the Paranaense Museum was dedicated to the culture and nature of the southern part of the countr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an system (1889), many museums with strong nationalist tendency were created. The Paulista Museum in São Paulo (1895) and the National Historical Museum (1822) in Rio e Janeiro are good examples of this tendency: their foundation celebrates Brazilian Independence, supporting the official history (ALMEIDA, 2012).

Figure 3: “School Celebration at Paulista Museum” by Agustín Salinas Y Teruel, 1912 (State Pinacoteca collection)

During the 20th century, dozens of different museums were created in Brazil. Most of them aimed to celebrate the life and history of the victors, including national or local issues. Different kinds of museums were founded: history, art, ethnology and

8 science. Among the museums created towards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here were some that weren’t imagined and organized by the authorities or the dominant groups: some community museums. In the 20th the role of museums in Brazil interested the university and in 1932 the first Museum Course was created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Rio de Janeiro. The theme was related to part of the activities of the National Service on Artistic and Historic Heritage (SPHAN), created in 1936. Being aware of the discussions conducted in other countries was another influence for Brazilian museum professionals. In 1946, a young Brazilian museologist – Mario Barata – participated in the foundation of ICOM in Paris. In the same year the ICOM Brazil National Committee was created. UNESCO organized a regional Seminar on the Educational Function of Museums coordinated by George Henri Rivière, in 1958. The educational role of museums became an important and consensus idea for Brazilian museum professionals.

Museums in Brazil today

According to Cadastro Nacional de Museus (Museums National Register), there are more than 3,500 “mapped museological units” in Brazil. The distribution around the country is very unequal: the South and Southeast regions have 67% of Brazilian museums. The North and Midwest have the fewest museums. Among the 5570 Brazilian cities only 1298 have museums (23%). The cities of São Paulo and Rio de Janeiro are the only ones with more than 100 museums. The facts show a strong asymmetry in the distribution of museums throughout Brazilian territory. (IBRAM, 2011; 2015)

9 Figure 4: Number of museums in the 26 Brazilian States (IBRAM, 2015)

This data is an indication that the presence of museums is related to average income and investment, and the presence of managing entities in the cultural field. It is also related to population density, but with some variations. The comparison of museums distribution and the population of each of the 26 states shows that in the Southern region (three states – Rio Grande do Sul, Santa Catarina and Paraná) and in one state of the Central Region (Mato Grosso do Sul) there is the best rate of inhabitants per museum, and in the Northern (one State – Pará) and in the Northeastern regions (Maranhão and Piauí) we find the worst rate.

10 Figure 5: Number of inhabitants per museum in the 26 different Brazilian states (GLOBO G1, 2015)

Museums’ guardianships vary: they can be public ― federal, state, municipal, universities ― or private ― corporations, banks, industries, foundations, universities. Most of them (67%) are public institutions. Their dimensions also vary: from only one to dozens of professionals; there isn’t a single managing model. (IBRAM, 2011) Despite having had museums for 200 years, the law that regulates Brazilian museums is very recent. In fact, there aren’t many official laws regarding cultural organizations in Brazil. The first federal regulations were established during the first dictatorship in Brazil (1937-1945) mostly related to the creation of national agencies of Radio and Cinema. In this period, three National museums were founded (National Museum of Fine Arts, Imperial Museum – both in Rio de Janeiro State - and “Inconfidência”

11 Museum, in Minas Gerais). Regarding museums, the first official regulation was the National Policy for Museums drafted in 1982. Its aim was to support the organization of museums, especially those under the responsibility of the federal government at that time. In 1986, one year after the creation of the Ministry of Culture, the National Museums System (SNM) was established. The National Committee, which had the participation of some professional from museums, some national cultural entities and institutions, had to propose priorities and programs to improve museums in Brazil. The National Museum Program carried out the policies proposed by the SNM, such as training courses for museum professionals. Unfortunately, in the early 1990s, owing to changes in the government, all programs were abandoned. (TOLENTINO, 2013) Only about 10 years later new government actions restarted the organization of a national policy for museums. In 2003, the National Museums Policy (PNM) was launched after a long debate among museums professionals and different government representatives. The aim of the PNM is “To promote the appreciation, preservation and enjoyment of Brazilian cultural heritage, considered one of the social inclusion and citizenship device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existing museum institutions and the fostering the creation of new processes of produc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constitutive memories of social, ethnic, and cultural diversity of the country”. (MINISTÉRIO DA CULTURA, 2007) Three of the seven principles of the PNM are related to cultural diversity, including support to local community museums and to minority museums in indigenous and afro-descendants communities. The PNM has a clear tendency to promote minorities initiatives and oppose the institutions that presented only the side of the victors. In 2004, the Brazilian Museum System (SBM) was created with the aim to identify, articulate and develop an integrated managing system of Brazilian museums and their professionals. Also in 2004, during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Ecomuseums and Community Museums and the 10th MINOM International Workshop the Brazilian Association of Ecomuseums and Community Museums (ABREMC) was founded. This

12 organization stimulated the “strongly associativist nature of community museums and Ecomuseums.” (DUARTE CANDIDO, 2014, p.44) The establishment of ABREMC reveals that there were at that time an increasing number of these kinds of museums in the country with the desire to organize and exchange experiences among them1). In 2009, the Department of Museums was transformed into the Brazilian Institute of Museums In 2009, the Brazilian Institute of Museums (IBRAM) was created from the Department of Museums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a comprehensive policy for all museums was initiated2). In order to give support to community museums and to other initiatives for preservation of local heritage (material and immaterial) the IBRAM launched the Points of Memory Programme. “Its goal is to support the reconstruction and protection of collective and social memory in vulnerable communities by their inhabitants, who act directly on their own origins, stories and values. IBRAM identifies and acknowledges exemplary initiatives and rewards the consolidation and continuity of these”. (SANTOS, 2014, p.17) The 12 first “Points of Memory” were chosen by IBRAM in the capitals of different Brazilian states, in 2010. After these experiences, there were annual public calls – Points of Memory Prize - promoting experiences of community museums / social museology and memory initiatives. With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Points of Memory Programme many community museums and “musealisation process”3) had the chance to increase their activities or even continue to exist. Nowadays there are innumerous heritage experiences in Brazil that express the country cultural diversity and the strength of small communities to preserve its

1) The great number of networks reveals this movement of association of ecomuseums and community museums in Brazil, as Duarte Candido has described, such as the Ceará Community Museums Network; the Pará Points of Memory Network; the Indigenous Museums Network; the Network of Museums, Memory and Social Movement, among others. (DUARTE CANDIDO, 2014, p.45). 2) ICOM Brazil has representatives in two Councils of IBRAM and one Council of the Ministry of Culture. 3) Duarte Candido explains that in her point of view “every museum is a musealisation process, and that musealisation process, even when they are being developed and are characterized by a unique and creative interpretation of the museological operational chain (safeguarding and communication of heritage), can be interpreted as museums, whether or not they are ultimately institutionalized (DUARTE CANDIDO, 2014, p.44)

13 history and identity. According to Duarte Candido there are more than 150 ‘museological experiences’ mapped by the Points of Memory Programme. Despite being local initiatives, the distribution of them in the country is still very unequal – 69 in the Northeast Region, 47 in the Southeast, 16 in the South, 12 in the Centre-west and 10 in the North Region. (Duarte Candido, 2014, p.51)

Final considerations

We have seen many changes in the role of museums supported by public policies along Brazilian History. Since the creation of the first museum by the Portuguese King in the 19th century hundreds of museums have been opened in the country. In the 21st century we are watching a national policy that supports the continuity of the ‘traditional’ museums at the same time that give support and visibility to community museums and initiatives of heritage preservation of minorities, small groups and communities that were neglected in the past. There are many challenges ahead: to maintain the support to community museums and other ‘musealisation process’ in order to further their continuity; to promote a better distribution of ‘traditional’ and community museums in the country; to train people to work and to manage different kinds of museums.

References

ALMEIDA, A.M. 2012. Contemporary History and Education of Next Generation: Tendencies of Brazilian contemporary museums. 2012 International Symposium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pp.177-187. ALMEIDA, A.M. 2014. Museum Education in Brazil: Creativity and Social Change. 2013 CECA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pp.17-23. https://drive.google.com/file/d/0B8yHu7SudP4kcENWMHVrR2JhZjg/view DUARTE CANDIDO, M. M. 2014. Heritage and Empowerment of Local Development Players. Museum International, n.253-256, pp.43-55. GLOBO G1. 2015. Regiões Sul e Sudeste concentram quase 70% dos museus do

14 país. http://g1.globo.com/educacao/noticia/2015/07/regioes-sul-e-sudeste-concentram-quase-70-d os-museus-do-pais.html IBRAM. 2011. Museus em números [Museums in numbers], vol.1. http://www.museus.gov.br/wp-content/uploads/2011/11/museus_em_numeros_volume1.pdf IBRAM. 2015. Cadastro Nacional de Museus [Museums National Register]. http://sistemas.museus.gov.br/cnm/pesquisa/filtrarUf MINISTÉRIO DA CULTURA. 2007. Política Nacional de Museus [National Museums Policy]. https://www.museus.gov.br/wp-content/uploads/2010/01/politica_nacional_museus.pdf SANTOS, A. O. de A. Museums in the Processo f Social Change: The Role of IBRAM. Museum International, n.253-256, pp.13-17. TOLENTINO, A.B. 2013. Governança em rede: o caso do sistema brasileiro de museus [Governance by network: the case of Brazilian Museums System]. Revista CPC, n.16, mai/out, pp.101-118.

15 브라질: 공공 정책의 지원을 통한 박물관의 역할 변화

아드리아나 몰타 알메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 정책 수립과 관련하여 브라질 박물관의 역할 변화에 대해 특히 지역 및 커뮤니티 박물관의 최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도입

브라질은 면적이 8.515.767.049 km2 에 달하는 넓은 영토를 가진 국가로 이는 한국 국토의 86배에 달하며 인구 수 역시 2억 4백만 명 (한국 인구의 약 4배)에 달한다. 1500년에서1822년 사이 브라질은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다. 브라질의 처음 두 개의 박 물관은 1815년에 설립된 “왕립 예술학교 박물관”과 1818 년에 설립된 “왕립 박물관” 자연사 박물관으로 포르투갈 궁정에서 건립하였다. 이후 브라질 독립 이후 왕정 시 대 (1822-1889) 에는 군대 박물관 (1864), 해군 박물관 (1868), 에밀리오 괼디 아마존 자연사 박물관 (1871) 및 남부 지역의 파라나엔시 박물관 (1882) 등 총 네 개의 박 물관이 건립되었다.

그림 1, 2: 에밀리오 괼디 박물관은 1871년 아마존 지역의 자연과 문화 보존에 대한 연구를 위해 설립되었다. 박물관 건물과 보타닉 가든 전경 (사진: 아드리아나 M. 알 메이다, 2014).

16 이들 박물관은 유럽 박물관의 전통을 따랐으며 왕정의 권위와 국가의 ‘이국적인’ 자 연의 이미지 보존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괼디 박물관은 아마존의 환경과 문화에 대 한 자연사 연구의 중심지로 자리잡았으며 파라나엔시 박물관은 남부 지역의 문화 및 자연에 초점을 맞추었다. 공화정이 자리를 잡은 이후에는 (1889) 애국주의적 색채를 띤 수 많은 박물관들이 설립되었다. 상파울루의 파울리스타 박물관 (1895)과 리오 데 자네이루의 국립 역 사 박물관 (1822)이 이러한 국가주의의 흐름을 잘 보여준다. 이들 박물관의 건립은 공식적인 역사적 지원을 통해 브라질의 독립을 축하하기 위한 것이었다. (알메이다 2012).

그림 3: “학교 기념식, 파울리스타 박물관” 오거스틴 셀리나스 Y 테우렐, 1912 (국 립 미술관 컬렉션)

20세기 브라질에서는 수 십 개의 다양한 박물관이 설립되었다. 그들 중 대부분은 국 가 및 지역적 사안에 있어서 승리자의 삶과 역사를 축하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립 되었다. 또한 역사, 예술, 민족학 및 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박물관이 설립되었다. 20세기 후반으로 향해갈 무렵 설립된 미술관 중에는 권력층 혹은 독점 그룹의 주도 나 조직을 벗어난 박물관들도 생겨났다. 일부 지역 사회 박물관이 그러한 예이다. 20세기 브라질의 박물관의 역할에 대해 대학에서 관심을 기울이게 되면서 1932년 리우데자네이루 국립 대학에서 처음으로 박물관 과목이 개설되었다. 강의 주제는

17 1936년 구축된 예술 및 역사 문화 유산 국가 사업 (National Service on Artistic and Historic Heritage: SPHAN)의 활동 중 일부와 관련된 내용을 다루었다. 다른 국가에서 진행 중인 논의 내용 역시 브라질의 박물관 전문가들에게 또 다른 영향을 끼쳤다. 1946년 브라질의 젊은 박물관학자인 마리오 바라타는 파리에서 국제 박물관협의회 (ICOM)의 설립에 참여하였다. 같은 해 국제박물관위원회 브라질 위 원회가 창립되었다. 유네스코의 조지 헨리 리비에르는 1958년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 에 대한 지역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박물관의 교육적인 역할은 그 중요성을 더해 갔 으며 이에 대해서는 브라질 내 박물관 전문가들도 의견을 같이 하였다.

오늘날의 브라질 박물관

국가 박물관 등록처에 따르면 브라질에는3,500개 이상의 “박물관학 단위 조직”이 존 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전체적으로 분포도를 보면 극심한 쏠림 현상이 나타 난다. 전체 브라질 박물관의 67% 가 남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북부 및 중서부의 경우 그 수가 가장 적다. 5570 개의 브라질 도시 중에 단1298 개 도시에만 박물관 이 존재한다 (23%). 상파울루 및 리우데자네이루의 경우 유일하게 100개 이상의 박 물관이 소재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브라질 국토 전체로 볼 때 박물관 분포에 있어 극심한 비대칭 현상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IBRAM, 2011; 2015)

18 그림 4: 브라질 26 개 주의 박물관 분포 수 (IBRAM, 2015)

이러한 데이터는 박물관 소재 여부가 평균 소득 및 투자 수준 및 문화 부문에 있어 서 관리 주체의 존재 여부와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다소 변수가 있기는 하 지만 대체적으로 인구 밀도와도 관련성을 띤다. 26개 주의 박물관 분포와 인구 분포를 비교해 보면 남부 지역 (리오 그란데 도 솔, 산타 카타리나와 파라나 3개 주) 및 중심 지역의 한 개 주 (마토 그로소 오 솔)에서 박물관 당 거주 주민 비율이 가장 양호하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또한 북부 (파라 한 개 주)와 동북부 지역 (마란하오 및 피아우)에서 가장 열악한 비율을 기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19 박물관 당 인구수 1십만 5천명 이상 1십만 5천에서 8만 5천 명 8만 5천에서 6만 5천 명 6만 5천에서 4만 5천 명 4만 5천에서 2만 5천 명 그림 5: 브라질 26개 주 박물관 한 개 당 거주민 수 (GLOBO G1, 2015)

박물관의 후원사는 다양하다. 공공 박물관도 있고, 연방, 주, 자치 단체 및 대학 혹 은 민간, 기업, 은행, 재단이나 학교 등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공공 박물 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67%). 그 형태도 매우 다양하여 전문가 한 명이 관리하는 경우부터 수십 명에 달하는 경우까지 한가지 관리 모델이 아니라 다양한 모델이 존 재한다. (IBRAM, 2011)

20 박물관의 역사가 200년 이상 지속되어 왔음에도 브라질에서 박물관을 규제하기 위 한 법률이 도입된 것은 매우 최근의 일이다. 사실 브라질의 경우 문화 기관의 규제 를 위한 공식적인 법규의 수는 그리 많지 않다. 최초의 연방 규정은 브라질 제 1 독 재 정권 시기(1937-1945)에 도입되었으며 대부분은 국립 라디오 및 영화 제작소의 작업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시기에 세 개의 국립 박물관이 설립되었다 (국 립 예술 박물관, 왕실 박물관- 모두 리우데자네이루 주에 소재 및 미나스 제라이스 에 소재 잉콘피덴시아 박물관). 박물관과 관련된 최초의 공식적인 규제는 1982년 제정된 국가 박물관 법 도입과 함 께 이루어졌다. 이 법안은 박물관 조직, 특히 당시 연방 정부 관리하에 있던 박물관 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문화부가 신설된 지 1년 후인1986년 국가 박물관 시스 템 (National Museums System: SNM)이 구축 되었다. 일부 박물관 전문가 및 문화 기관 및 단체에서 참여한 국가 위원회에서 브라질의 박물관의 최우선 과제를 선정하 고 박물관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국가 박물관 프로그램에서 는 박물관 전문가 양성 교육 등 SNM에서 제안하는 정책들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불행히도 1990년대 초반 정권이 교체되면서 모든 프로그램들이 폐기되었다. (톨렌티 노, 2013) 이후 박물관에 대한 국가 정책 기관이 다시 재 가동 하게 된 것은 거의 10년이나 지나서 신정부가 들어서 이후의 일이었다. 2003년 박물관 전문가와 기타 정부 대표들 간에 긴 논의 끝에 국가 박물관 정책 (National Museums Policy: PNM)이 수립되었는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목표로 하였 다. “기존의 박물관 기관의 발전 및 개선을 통해 사회 통합과 시민 의식의 도구로 여겨지는 브라질의 문화 유산에 대한 감상, 보전 및 향유를 촉진하며 브라질의 사회, 민족 및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집단적 기억의 생산과 제도화를 통해 새 로운 창조의 과정을 강화한다”. (MINISTÉRIO DA CULTURA, 2007) PNM의 일곱 가지 원칙 중 지역 사회 박물관 지원, 원주민 소수 민족 박물관 지원 및 아프리카 후손 박물관 지원 등 세 가지가 문화적 다양성에 관련되어 있다. PNM 의 경우 소수 민족 관련 사업을 촉진하고 승자의 이야기만을 전하고자 하는 기관에 반대하는 분명한 경향을 드러내고 있다. 2004년 브라질의 박물관과 그 전문가들을 파악하고, 찾아 내어 개발하고 통합하고자 하는 목적 하에 브라질 박물관 시스템 (Brazilian Museum System: SBM)이 도입되었 다. 또한 2004년 제 3차 국제 에코 박물관 및 커뮤니티 박물관 회의 및 10차 MINOM

21 국제 워크샵 기간 동안 브라질 에코 박물관 및 커뮤니티 박물관 협회 (Brazilian Association of Ecomuseums and Community Museums: ABREMC) 가 설립되었다. 본 협회는 커뮤니티 박물관과 에코 박물관의 “강력한 연대 활동을 더욱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듀아테 칸디도, 2014, p.44). ABREMC의 설립을 통해 당시 브라 질에 상호 간에 경험을 공유 하고 교류하고자 하는 열망 하에 다양한 종류의 박물 관들이 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1). 2009년 박물관부가 브라질 박물관 협회 (Brazilian Institute of Museums)로 개편되었 다. 2009년 박물관부와 문화부 산하에서 브라질 박물관 기구 (IBRAM)가 설립되었으며 이를 통해 박물관과 관련한 통합적인 정책 수립이 실시 가능해 졌다2). 커뮤니티 박 물관 및 기타 지역 문화 유산 (유형 및 무형) 보전 사업에 대한 지원을 위해 IBRAM 에서는 포인트 오브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위기에 처한 커뮤니티의 거주민들 사이에 스스로 자신들의 기 원, 설화 및 가치에 대한 집단적이고 사회적인 기억의 재 구성과 보전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BRAM에서는 대표적 사례를 찾아 내고 이러 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기 위한 지원을 실시한다”. (SANTOS, 2014, p.17) “IBRAM 에서는 2010년 브라질의 각 주의 주도 별로 포인트 오브 메모리”의 최초 12개 사업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경험이 축적된 후에 포인트 오브 메모리 상을 시상 하여 커뮤니티 박물관의 경험과 사회적인 박물관학 및 기억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자 하는 대중적인 사업을 매년 실시하였다. 포인트 오브 프로그램의 재정적인 지원으로 많은 커뮤니티 박물관과 “박물관화”3) 사업이 지속될 수 있는 혹은 활동을 확대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현재는 브라질 내에 국가의 문화적 다양성이나 소규모 커뮤니티의 강점을 표현할 수 있는 수 많은 문화 유산 경험의 기회가 마련되어 그 역사나 정체성 보존에 기여하 고 있다. 듀아테 칸디도에 따르면 포인트 오브 메모리 프로그램을 통해 150가지 이 상의 ‘박물관학 경험’이 도입되었다고 한다. 지역 사회 중심의 사업적 특성으로 국가 전체적인 차원에서 본 사업의 분포도를 보면 북동부 지역에 69건, 동남부 지역에 47

1) 듀아테 칸디도가 이야기 하였듯이 시에라 커뮤니티 박물관 네트워크, 파라 포인트 오브 메모리 네트워크, 원 주민 박물관 네트워크, 박물관 네트워크 및 기억과 사회 운동 등 많은 수의 네트워크를 통해 브라질의 에코 박물관 및 커뮤니티 박물관에 동일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듀아테 칸디도, 2014, p.45). 2) ICOM 브라질 위원회에서는 두 개의 IBRAM 위원회와 문화부 위원회 1곳에 대표를 파견하였다. 3) 듀아테 칸디도는 “모든 박물관은 박물관화의 과정이며 박물관화라는 것은 박물관화 체인 (문화와 역사를 보 호하고 전달하는 것)의 창의적이고 독특한 적용을 통해 발전되고 규정되는 것이라 하더라도 최종적인 제도화 여부에 상관 없이 여전히 박물관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듀아테 칸디도, 2014, p.44)

22 건, 남부에 16건 및 중앙부에 12건 , 북부 지역에 10 건 등 으로 여전히 특정 지역 에 쏠려 있는 상황이다. (듀아테 칸디도, 2014, p.51)

마지막 결론

브라질 역사와 더불어 공공 정책의 지원의 변화와 함께 브라질 내 박물관의 역할 역시 많은 변화를 거쳐 왔음을 살펴보았다. 19세기 포르투갈 왕정에 의해 처음으로 박물관이 설립된 이래 브라질에는 수 백 개의 박물관이 신설되어 왔다. 21세기에는 “전통적인” 박물관의 지속을 위한 국가 정책의 도입과 함께 동시에 커뮤니티 박물관 에 대한 지원과 소수 민족, 소 집단 및 과거 관심 밖에 있던 커뮤니티의 문화 와 역 사 보전 운동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졌다. 커뮤니티 박물관 및 기타 ‘박물관화 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 국가 전체 적으로 ‘전통적인’ 박물관 및 커뮤니티 박물관의 고른 분포 달성, 다양한 박물관에서 근무하 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인력 교육 등 앞으로도 여전히 많은 과제들이 남아 있다.

참고 문헌

알메이다, A.M. 2012. 다음 세대를 위한 현대 역사 및 교육: 브라질 현대 박물관의 경향. 2012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국제 심포지엄, pp.177-187. 알메이다, A.M. 2014. 브라질의 박물관 교육: 창의성과 사회적 변화. 2013 CECA 연례 컨퍼런스, pp.17-23. https://drive.google.com/file/d/0B8yHu7SudP4kcENWMHVrR2JhZjg/view 듀아테 칸디도, M. M. 2014. 현지 발전의 주역들의 유적 및 권한. 뮤지엄 인터내셔 널 n.253-256, pp.43-55. GLOBO G1. 2015. Regiões Sul e Sudeste concentram quase 70% dos museus do país. http://g1.globo.com/educacao/noticia/2015/07/regioes-sul-e-sudeste-concentram-quase-70-d os-museus-do-pais.html IBRAM. 2011. Museus em números [숫자로 보는 박물관], vol.1. http://www.museus.gov.br/wp-content/uploads/2011/11/museus_em_numeros_volume1.pdf IBRAM. 2015. Cadastro Nacional de Museus [국립 박물관 등록처]. http://sistemas.museus.gov.br/cnm/pesquisa/filtrarUf

23 MINISTÉRIO DA CULTURA. 2007. Política Nacional de Museus [국가 박물관 정 책]. https://www.museus.gov.br/wp-content/uploads/2010/01/politica_nacional_museus.pdf SANTOS, A. O. de A. 사회 변화의 과정에서의 박물관: IBRAM의 역할. 뮤지엄 인 터내셔널, n.253-256, pp.13-17. TOLENTINO, A.B. 2013. Governança em rede: o caso do sistema brasileiro de museus [네트워크를 통한 거버넌스: 브라질 박물관 시스템 사례]. Revista CPC, n.16, mai/out, pp.101-118.

24 Session 2

[Support] Supports and Changes of Museum's Role in Society

[지원] 외부지원과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The role of International Committee for Museology in public support of museums

박물관에 대한 공적 지원에 있어서 국제박물관학 위원회의 역할

Olga Truevtseva(올가 트루엡시바) Professor at Altai State Pedagogical University, Museology School of University of Massarika (러시아 알타이국립대학교 교수)

The role of International Committee for Museology in public support of museums

Olga Truevtseva

There is no country in modern world that does not have its own museums. State and civil society are greatly interested in the development of this important institution of social memory. Relations between the museum and the community in research practice are often studied in terms of what the museum gives the public, whether it is adequate to the challenges of the public, and how effectively it performs a particular function. However, in our view, it is important to carefully consider "the other side": how far society is aware of the place and role of museums in our lives, how it motivates governmental organizations, business representatives to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the museums; how effective the activities of voluntary organizations operating in the museum field are. I hope that this forum will be a noticeable step towards setting and further studying the identified problems. Public associations, interested in the development of museums appeared in the late XIX century. The first "Association of Museums" was founded in 1889 in the UK [1]. In 1893, the museum community was institutionalized in the Austro-Hungarian Empire [2]. In 1906, there was established the American Association of Museums, and simultaneously there was formed the Museums Association of North America. By the end of the XIX century, there appear specialized organizations, unified on the basis of certain problems, for example, the protection of objects of art and culture against counterfeiting and the illegal sale and export. One of such organization is the Association of heads of museums, uniting the heads of major European museums. At the end of the XIX century museums were assisted by various community organizations such as the Friends of Museums. For example, the Federation of

27 assistance to the Northern museum in Sweden, founded in 1880, gained special popularity [3]. In the XX century the process of creating these public organizations was continued. In 1905 there was established the American Association of Museums, in 1915 – the Nordic Museum Union was formed, in 1917 – the Union of German museums in Bonn, in 1923– the museum society of Baden-Wurttemberg. In 1922 there was established the Association of guardians of public collections in France[4]. The activities of associations and societies were aimed at providing informal communication of scholars and professionals, collectors and patrons, and establishing international contacts, publishing activity, carrying out research work and expeditions, acquisition and scientific processing of collections and creating new museums. The Society of Friends of the historical museum, formed in Russia in 1918, is to be considered an example of unselfishness and dedication to the museum work. For the whole year its volunteers were guarding the main building of the Historical Museum from looting during the revolutionary upheaval and civil war [5]. In 1927,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Cultural Cooperation of the League of Nations established the International Bureau of museums - a public organization, which was engaged in distribution of scientific knowledge and coordination of research carried out all-round support of museums, studied the problem of growing world militarization which endangered preservation of museum collections. Originally it consisted only of representatives of Great Britain, Italy, and Germany, but since 1931 it included outstanding museum figures from the US and Japan. Magazine "Museyon",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French in April 1927, was distributed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fter World War II, in November 1945, with the assistance of the UNESCO, the International Bureau of the museums was transformed into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ICOM) which has become a mass international organization actively involved in shaping inter-state policies aimed at preserving the world's cultural heritage and the formation of international museum community.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mmittees involved in the structure of ICOM, were the agents of this non-governmental public organizations in different regions of the world. One of the largest and reputable structural units of ICOM is the Committee

28 for Museology (ICOFOM), organized in May 1977, on the 34th session of the Advisory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One of the important means of achieving goals and implementing programs of ICOFOM is the Annual Symposia – authoritative place for open debate and discussion of topical issues of museology. Theoreticians and practitioners of museums, experts in various fields of knowledge aimed at preserving the world's cultural heritage a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at the scientific debate organized by ICOFOM, are always public, broadcast through the media. The Museology Committee organized and carried out more than 40 symposia in different countries of the world. Annual symposia of ICOFOM Year Topic Country 1978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 scientific research, Poland typical of museums 1979 Sociolog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in the activities The Republic of of museums Czechoslovakia 1980 Systems theory in museology Mexico 1981- Systematics and Interdisciplinarity in museology France 1982 1983 Museum - territory – society. New practices England new tendencies 1984 Collectiing today – collecting for the future Netherlands 1985 Originals and replicas in museums Yugoslavia 1986 Museology and authenticity Argentina 1987 Museology and museums Finland 1988 Museology and development of the countries India 1989 Forecasting as the tool of museology Netherlands 1990 Museology and preservation of heritage Zambia 1991 Language of exhibitions Switzerland 1992 Museums, museology, research Canada

1993 Museum and power Greece 1994 Object – document China 1995 Museum and society Norway 1996 Museology and Art Brazil 1997 Museology and memory France 1998 Museology and globalization Austria 2001 Changes in management: museums facing economic Spain

29 and social challenges 2002 Real and virtual in museums Ecuador 2003 Museology - as the basis of unity and cultural Russia, Barnaul diversity 2004 Museology and intangible heritage South. Korea 2005 Museology and history: field of knowledge Argentina 2006 Museology and definitions Canada 2007 Museums, museology and universal heritage Austria 2008 Museums, museology and global communications Russia-China 2009 Museology - a return to basics Belgium 2010 Museums for social harmony Chinese 2011 Dialogism and visitor’s experience Taiwan 2012 Museums and visitors: process, progress and protest Tunisia 2013 Special visitor: each of us Brazil 2014 New trends in museology France 2015 Museum – library – archives Japan

Analysing the topics under discussion one can see that they reflect urgent problems of modern museology: theory of Communication (1991, 1994, 1995, 2002 and 2011.); collecting (1984, 1985, 1994, 1997.); heritage issues (1990, 2006, 2004, 2010.); museology and cultural identity (1986); museology in developing countries (1988); forecasting as a tool of museology; museology and futurology (1989). The problem dealing with the impact of globalization on the conservation and promotion of heritage has repeatedly become the theme of the symposiums. The geographical scope of the Committee’s activities covers the countries in Europe, Asia and America.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contents of the first scientific debate was published in the magazine "Museological working papers" ("MUWop") («Working Papers in museology"), first published in 1980 under the editorship of Vinosh Sofka which immediately became a bestseller among experts. It was the first fundamental work of scientists around the world in the field of museology. Just two issues of the magazine were published; it was recognized by ICOFOM forum for discussions on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level, and received positive reviews of professionals. Unfortunately, financial constraints made it impossible to organize its regular publication. Since 1983 the materials of discussions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 «ICOFOM Study Series» (ISS) – collective volumes of symposia, which are the main

30 scientific publication of ICOFOM, a point of scientific discussions for the theorists and practitioners of museums. Successive editions of "ICOFOM Study Series" served as a valuable source of information that has been used outside the context of the original workshops – in textbooks for different museum disciplines, monographs and scientific articles. The articles have been translated into many languages. In 1981 ICOFOM began publishing information newsletter "News of museology" in order to inform members about the events of the organization. All the Committee members are provided with the editions free of charge [8]. The Committee was involved in the organization of museological exhibitions that overviewed relevant museological publications from around the world. Similar exhibitions were organized during the General Conference of ICOM in 1986 and 1989 [9]. The result of longstanding period of scientific research activity of the Committee is its major work, published in 2011 in France [10]. Thus, a 40-year period of existence has laid a solid foundation for the recognition of museology as an academic discipline,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Committee, which simultaneously was officially recognized as a major platform for international museological debate. Proceedings of workshops and seminars, as well as publications are widely used by museum employees around the world. Their importance is undeniable, in spite of the limited edition publications. Attraction of ICOFOM members to participation in conferences on the theory of museology, organized by national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s contributed to the dissemination of ideas developed within the Committee. However, this was not the only canal through which museologists addressed to museum practice. In 1987, under the auspices of ICOM in Brno, at the University of Massarika there was organized an international museological summer school. The first director of this school was Zbigniew Stransky, a famous museologist. Since 1988, the school was headed by Vinosh Sofka. Unlike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offering short-term training of museum workers, school program in Brno provided a wide museological training based on innovative approach to museum practice. Keeping in mind that most of the audience had quite a rich and varied practical experience, school teachers planned not only to provide

31 this audience with modern methods of museum work, but, above all, aimed their work at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exchange of experience, formation of international museological thinking oriented at understanding of practices in terms of civilizational challenges of modern life. During the discussions and workshops, students shared not only the methods of museum work, but approaches to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in different countries. As a rule, the participants continued discussions after school was over [11]. The social value of school is that its graduates became transmitters and promoters of new museological ideology focused on general humanitarian values and needs of society. International museological summer school in Brno lasted up to 1999. It had to reduce its activity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However, its ideas and principles of training were not only popular, but actually embodied in other countries and, in particular, in Germany, Russia, Brazil and Taiwan. An important feature of ICOFOM is a permanent extension of the scope of activities due to its involvement in the peripheral, regional museum institutions through the organization of its regional offices. Thus, in 1996 in Brazil there was organized the Committee of museology in Latin America (ICOFOMLam), in 2003 in Siberia there was established ICOFOMSib, and in 2009 – the Committee of museology China. Regional Committees have substantially expanded opportunitie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museum professionals. The decision to create the Regional Committee of Museology in Siberia was approved in 2004 in Seoul, at the XX General Conference of ICOM. Museum employees in Siberia, scientists from different disciplines were actively involved in the work of the Committee. Workshops, conferences and museological school were held annually, the Committee developed publishing activity. A significant event in the international museum community and museums in Siberia was the XXXI Annual Symposium of Committee of Museology on the topic "Museums, museology, global communication," in 2008. The annual meeting was held in the two countries – the Russian Federation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symposium in China was attended by over 200 experts from 18 countries. For

32 Russian specialists, it was a unique opportunity to get acquainted with the work of national and local museums in China. The symposium was attended by 25 practitioners of museums and museologists from different cities of Siberia [12]. In 2009, the Annual Symposium of the Committee for Museology of Siberia was held in the capital city of Taipei, Taiwan. In subsequent years, the annual international symposia were held in Barnaul, Ulan-Ude, Ulan Bator, Shanghai, Tunis, and Paris. Through its activities, the Committe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main activities of ICOM and strengthening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Employees of Siberian museums students of schools and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ctively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museological schools. Since 2005, museological School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Museology of Asia and the Pacific is held annually. Well-known Russian and foreign museologists deliver their lectures here: Hildegard Vieregg (Germany), Kuo-Ning Chen and Tsuimey Huang (Taiwan), Jan Dolak (Czech Republic), Apriza Khusainova (Kazakhstan), Almakan Naizabekova (Kyrgyzstan), Lyudmila Shlyakhtina (Russia), Olga Shelegina (Russia), Galina Patrusheva (Russia). The pupils got acquainted with the museums in Germany, Tunisia, Taiwa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Mongolia, Siberian and metropolitan museums in Russia. In Siberia, the museological summer schools are held by the Committee of Museology in Asia and the Pacific, together with the institutions of further education, municipal museums, universities. ICOFOMSib has permanent partners: Museum Research Center, Institute of History of SB RAS, regional administrations, educational institutions. In 2012, the International museological school was organized by Professor Hildegard Vieregg in Munich. In 2014, the International museological school was organized by Professor Kuo-Ning Chen in Taiwan. Students were given the unique opportunity to get acquainted with the experience of the best museums in Taiwan. A new project “Mainstreaming Cultural Heritage in Asia” was realized in the same year, and museological schools were organized in 7 museums in 4 countries. The territorial scope of the project included 7 cities of Kazakhstan, Russia, Mongolia, and China. The project involved an international team of Russia, Germany, Taiwan, Kyrgyzstan, Kazakhstan and Mongolia. More than 700 professionals of museums,

33 travel agencies, students become participants of the school and were able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the best museums around the world, direct contacts with highly qualified museum professionals. A very important aspect of the Committee's activities in the framework of museological schools, is the opportunity for the Committee experts to better understand the specifics of provincial museums, possessing valuable collections which reveal the ethnic richness of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peoples living in different countries. Exhibition projects were displayed in Kazakhstan, China, and Taiwan. During 12-year period ASPAC Regional Committee prepared 2 handbooks, 12 collections of scientific conferences, 5 monographs. The development of museums is currently impossible without profound knowledge of the foundations of museums around the world, studying international experience of museum activities. Cooperation with the Committee for Museology of ICOM and its regional office – ASPAC – will help solve these problems successfully. We are convinced that our work not only provides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 development of national museums, but also improves the interaction between scientists and specialists from different branches of knowledge; it contributes to the strengthening of friendship between peoples.

Bibliographic list

1. Boylan P. Prehistory of the international museum movement. 1889-1946 // ICOM of Russia and international museum community. 1956-2006. The series "Museum library" / Ed. G.N. Skitovich. – М., 2006. – P. 28-29. 2. Podolak J. Musealna slovenska spolocnost a jej miesto v narodnich dejinach//Zbornik SNM. – Etnografia. 1985. Vol. 26. S.13-35. 3. Truevtseva O.N. Museums of Siberia in the second half of the XX century – Tomsk: Tomsk University, 2000. – P. 238. 4. Ananiev V.G. National and international museum organizations: Training handbook. - Saint Petersburg, 2013. – P. 38,54,59; Klausewitz W. 66 Jahre Deutscher Museumsbund// Deutscher Museumsbund .- Bonn. – 1984. – S. 6-90.;

34 5. Silaeva O.A. Society of Friends of the Historical Museum (1918 – 1930) //Museum and Power. Ed. S.А. Kasparinskaya. М.1991. Part 2. P.109. 6. Sofka, V. ICOFOM: Ten years – ten meetings and twenty seven volumes / V. Sofka // Museological News. – 1987. – №10. P. 5. 7. ICOFOM 1986/1987. Annual report to the ICOM Advisory Committee // Museological News. – 1987. – №10. P. 37. 8. Mensch, P. van. ICOFOM Report / P. van Mensch // Museological News. – 1990. – №13. P. 3. 9. Museological working papers.-№1, 1980.Stockholm, Sweden, p.61. 10. ICOFOM Study Series – London papers available // Museological News. – 1984. – №5. P. 39.Dictionnaire encyclopediqie de museologie / Soul la direcrion d’Andre Desvalleese et de Francois Mairesse. Paris: Armand Colin. 2011. – 776 p. 11. The history of the Committee of Museology of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N.V. Truevtsev, О.N. Truevtseva - Saarbrucken \ Germany: LAP LAMBERT. Academic Publishing, GmbH&Co.KG.2012.- P.168: ill (16,0 п.л.). 12. Truevtseva O.N. A new stag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museology // Museums, disappearing and reproduced heritage, tourism: experience and interaction between contemporary practice: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Youth museological school / Ed. O.E. Mishakova, scientific. Ed .: O.N. Truevtseva– Ulan-Ude: Publishing and Printing Complex FSBEI HPE 2013. – P. 16-19.

35 박물관에 대한 공적 지원에 있어서 국제박물관학 위원회의 역할

올가 트루엡시바

현대 사회의 모든 국가들은 자국 만의 박물관을 갖추고 있다. 국가와 시민 사회 모 두가 사회적 기억의 보존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박물관이라는 기관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지금까지의 박물관과 지역사회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박물관이 국민들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국민들에게 지적인 자극제가 되기에 적절한가, 박 물관의 특정한 역할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있는가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진 행되었다. 그러나 이제는 이와는 “다른 시각”에서 우리의 일상 속에서 박물관이라는 장소와 그 역할에 대해서 사회가 얼마나 잘 인지하고 있는가, 박물관의 업무 수행을 지원하도 록 정부 기구나 재계에 얼마나 동기부여가 잘 이루어 지고 있는가, 그리고 박물관 분야에서 자발적인 단체의 활동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가 등을 살펴 보 는 것도 그 만큼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번 포럼이 위에 언급한 문제들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파악하고 연구해 볼 수 있 는 의미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박물관의 발전을 주요 관심사로 하는 공공 협회가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19세기 말 무렵이다. 최초의 “박물관 협회”는 1889년 영국 에서 설립되었다 [1]. 1893년에는 오 스트로 헝가리안 제국에 박물관 커뮤니티가 형성되었다 [2]. 1906년에는 미국 박물 관 협회가 설립되었으며 동시에 북미 박물관 협회도 출범하였다. 19세기 말 무렵에 는 예술 및 문화 작품의 모조품 혹은 불법 거래 및 수출에 대한 보호책 등 특별한 현안을 중심으로 연합을 형성한 전문 기구들이 등장하였다. 그 중 하나가 유럽 내의 박물관 관장들이 모여 구성된 박물관장 협회이다. 19세기 말에는 박물관의 친구연맹 등 다양한 지역사회 조직으로부터 박물관에 대한 지원이 시작되었다. 한 예로 1880년 스웨덴 북부 박물관 지원 연맹이 설립되면서 특 히 많은 지지를 받았다 [3]. 20세기에도 이와 같은 공공 조직이 지속적으로 설립되었다. 1905년에는 아메리카 박

36 물관 협회가 창설되었으며 1915년에는 노르딕 박물관 연합이 1917년에는 본에 독일 박물관 연합이 1923년에는 바덴-뷔르텐베르그 박물관 학회가 설립되었다. 1922년에 는 프랑스 공공 컬렉션 후견 협회가 설립되었다 [4]. 이들 협회 및 학회는 학자 및 전문가들, 수집가 및 후원자들 간에 비공식적인 커뮤 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국제적인 연락 채널을 마련하는 동시에 활동 내용을 출판하 고 컬렉션 연구 및 발굴, 수집 및 과학적 처리 사업을 실시하고 새로운 박물관을 설 립하는 등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1918년 러시아에서 조직된 역사 박물관의 친구들 학회는 박물관 관련 작업에 헌신 했던 이타적인 조직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본 학회의 자원 봉사자들은 러시아 혁명 및 내전 기간 동안 역사 박물관 본관에 연중 무휴로 보초를 서기도 하였다 [5]. 1927년 박물관의 총체적인 지원을 위해 과학적 지식을 나누고 연구 사업을 조율하 고 지속적인 전 세계적 군사화로 인해 위협 받고 있는 박물관 컬렉션 보존 문제에 대처하고자 국가 연맹 문화 협력을 위한 국제 위원회에서 박물관국을 신설하였다. 당초에는 대영제국, 이탈리아, 독일의 대표들 만으로 구성되었으나 1931년부터는 미 국과 일본의 박물관 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었다. 1927년 4월 프랑스에서 처음 발간 된 "뮤지온 (Museyon)"은 이후 전 세계 많은 국가에 확산되었다. 세계 2차 대전 이후인 1945년 11월 유네스코의 지원을 받아 국제 박물관국이 국제 박물관협의회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ICOM)로 개편되어 전 세계 문화 유산의 보전과 국제 박물관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국가간 정책 수립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국제 조직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전 세계 다양한 지역의 비 정부 공공 조직들 중에서 많은 국가별 혹은 국제 위 원회들이ICOM 구성에 참여하였다. ICOM의 조직 중 가장 큰 규모로 역량을 인 정받은 조직으로는 1977년 제 34차 국제 박물관 협의회 자문 위원회에서 조직 된 국제 박물관학위원회 (Committee for Museology: ICOFOM)를 들 수 있다. ICOFOM의 프로그램 수행과 그 목표 달성의 중요한 방식 중 하나로 매년 개최되었 던 연례 심포지엄은 박물관학에 대한 주제로 토론이 진행되는 권위 있는 논의의 장 이 되었다. 전 세계의 문화 유적 보존을 목표로 하는 박물관 이론가 및 실천가, 다양한 지식 분 야의 전문가들이 토론에 초대되었다. 또한 ICOFOM에서 주최하는 과학적인 토론들 은 언제나 미디어를 통해 방송되는 등 대중에게 열린 토론을 진행한다는 것도 중요 한 점 이다. 박물관학 위원회에서는 전 세계 다양한 국가에서 40회 이상의 심포지엄 을 조직하고 및 개최하였다.

37 ICOFOM 연례 심포지엄 연도 주제 국가 1978 박물관에 일반적인 과학적 연구 방식의 가능성과 한계 폴란드 1979 박물관 활동의 사회 및 환경적 측면 체코 공화국 1980 박물관학 시스템 이론 멕시코 1981- 박물관학의 분류학 및 학제간 특성 프랑스 1982 1983 박물관-영역-사회, 새로운 관습, 새로운 경향 영국 1984 오늘날의 컬렉션-미래의 컬렉션 네덜란드 1985 박물관의 진품과 복제품 유고슬라비아 1986 박물관학과 진품 아르헨티나 1987 박물관학과 박물관 핀란드 1988 박물관학과 국가의 발전 인도 1989 박물관학의 도구 예측 네덜란드 1990 박물관학과 유산의 보존 잠비아 1991 전시의 언어 스위스 1992 박물관, 박물관학, 리서치 캐나다 1993 박물관과 파워 그리스 1994 사물로서의 문서 중국 1995 박물관과 사회 노르웨이 1996 박물관학과 예술 브라질 1997 박물관학과 기억 프랑스 1998 박물관학과 세계화 오스트리아 2001 경영의 변화: 박물관이 직면한 사회 경제적 도전 스페인 2002 박물관의 실제와 가상 에콰도르 2003 박물관학- 통합과 문화적 다양성의 근간으로서 러시아, 바르나울 2004 박물관학과 무형 유산 한국 2005 박물관학과 역사: 지식 분야 아르헨티나 2006 박물관학과 정의 캐나다 2007 박물관, 박물관학 및 전체적인 유산 오스트리아 2008 박물관, 박물관학 및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러시아-중국 2009 박물관학-기본으로 돌아가다 벨기에 2010 사회적 통합을 위한 박물관 중국 2011 대화식 토론법과 방문객 경험 대만 2012 박물관 및 방문객: 과정, 진보 및 시위 튀니지 2013 특별 방문객: 우리 개개인 브라질 2014 박물관학의 새로운 트렌드 프랑스 2015 박물관-도서관-아카이브 일본

토론 과정에서 주제 분석을 통해 참가자들은 이들 주제들이 다음과 같은 근대 박물 관학의 시급한 현안을 반영함을 깨닫게 되었다.: 커뮤니케이션 이론 (1991, 1994,

38 1995, 2002 및 2011.); 컬렉션 수집 (1984, 1985, 1994, 1997.); 유적 문제 (1990, 2006, 2004, 2010.); 박물관학과 문화적 정체성(1986); 개발도상국의 박물관학 (1988); 박물관학의 도구로서의 예측; 박물관학과 미래학 (1989). 특히 세계화가 문화 유산의 보전과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제가 심포지엄의 주제로 여러 번 반복적으로 등장하였다. 위원회 활동의 지리적 범위를 보면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지역의 국가 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박물관학 조사 보고서 (“Working Papers in museology" (MUWop)” 잡지에 처음 개 재 된 최초의 과학적 토의에 대한 내용은 1980년에 비노시 소프카 편집장 아래 처 음으로 출판되었으며 출판 즉시 전문가들 사이에 베스트셀러가 되었음을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는 박물관학 분야에서 세계 최초로 과학자들의 기본적인 업 무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본 잡지에서는 포럼에서 이론적 및 방법론적 차원에서 토론의 대상으로 인정받은 두 가지 주제만을 다루었으며 이는 전문가들 사이에 긍정 적인 평가를 받았다. 안타깝게도 재정적인 제약으로 인해 정기적은 출간은 불가능 해졌다. 1983년 이후부터 토론의 주제는 심포지엄의 내용을 통합 출판하는 ICOFOM 의 주 요 과학적 출간물인 «ICOFOM 연구 시리즈» (ISS) 저널을 통해 출판되고 있으며 이 는 박물관 이론가와 실천가들을 위한 과학적 토론의 중심이 되고 있다. "ICOFOM 연구 시리즈" 는 다양한 박물관 학제를 위한 교과서, 학술 논문 혹은 과학적인 기고 문 등의 형태로 당초의 워크샵의 범위 이외에 그 외부에서 사용되는 정보를 위한 귀중한 원천의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문건들은 다양한 언어로 번역이 이루어져 왔 다. 1981 년 ICOFOM에서는 정보지 뉴스레터 “박물관학 뉴스”를 발간하기 시작 하였다. 모든 위원회 회원들이 무료로 원고를 기탁하였다. [8]. 위원회에서는 전 세계 박물관학에 대한 출판물을 감수하는 박물관학 전시회의 조직 에도 참여하였다. 1986년과 1989년 ICOM의 연례 회의에서도 비슷한 전시회가 조 직된 바 있다 [9]. 위원회에서 오랜 기간 과학적 리서치 활동을 진행한 이후 그 주요 결과물이 2011년 프랑스에서 출간되었다 [10]. 이로서 40년 기간 동안 지속된 끝에 박물관학은 하나의 학문 분야로 인정 받을 수 있는 토대와 함께 박물관학에 대한 국제적인 토론의 장의로서 공식적인 인정을 받아 위원회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하였다. 출판과 더불어 워크샵과 세미나의 진행 과정에서 전 세계 많은 직원들이 참여하였다. 출판된 판본이 제한적

39 이었으나 이들 직원들은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ICOFOM 회원 들이 국내 혹은 국제 기관들이 개최하는 박물관학 이론에 관한 컨퍼런스에 참여하도 록 하는 과정에서 위원회 내부적으로 논의 되었던 아이디어들을 널리 전파하는데 기 여하였다. 그러나 심포지엄이나 세미나가 박물관학자들이 박물관에 대한 실천을 행동에 옮길 수 있는 유일한 통로였던 것은 아니다. 1987년 ICOM 브르노에서는 마사리카 대학 에서 국제 박물관학 여름 학교 과정을 개설하였다. 저명한 박물관학자인 즈비그 스 트랜스키 (Zbigniew Stransky)가 이 여름 학교의 초대 학장 직을 역임하였다. 1988년 부터는 비노쉬 소프카가 학교를 이끌고 있다. 박물관 직원들을 대상으로 단기적인 코스를 운영하는 다른 교육 기관과는 달리 브르 노의 교육 프로그램은 박물관 업무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법을 기반으로 폭넓은 박물 관학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대부분의 수강생들이 매우 다양한 분야에 많은 경험을 보유하고 있음을 염두에 두고 교사들은 이들 수강생을 대상으로 단지 현대 박물관의 작업 방식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교육 과정을 통해 국제적인 협력, 경험의 공유, 현대 사회의 문명화된 삶 속에서의 도전 과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 박물관학의 사고 방식 구축 등 보다 다양한 작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토론과 워크샵을 진행하는 과 정에서 학생들은 박물관 업무의 수행 방식을 배우는 것 뿐 아니라 다양한 국가에서 실시되고 있는 역사적 문화적 유적의 보전과 복원 방식에 대해서도 배우게 된다. 참 가자들은 학교 교육과정이 끝난 후에도 계속해서 토론에 참여하는 것이 하나의 불문 율이다 [11]. 이 학교의 사회적인 가치는 그 졸업생들이 일반적인 인류 가치와 사회적 니즈에 초 점을 맞춘 새로운 박물관학 이데올로기를 전파하고 더욱 발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하 게 된다는 데 있다. 브르노의 국제 박물관학 학교는 1999년까지 지속되었다. 비록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활동의 규모를 줄여야만 했지만 그 교육적인 아이디어와 원칙들은 단순히 인기 를 얻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특히 독일, 러시아, 브라질 및 대만 등 많은 다른 국 가에 단단하게 자리매김하였다. ICOFOM의 중요한 특성으로 그 자체 지역 사무소 조직을 통해 지엽적, 지역적인 박 물관 조직 참여를 통해 지속적으로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1996년 브라질에서는 라틴 아메리카 박물관 위원회 (ICOFOMLam)가 조직되 었으며 2003년에는 시베리아 박물관 위원회 (ICOFOMSib)가 2009년에는 중국 박물 관 위원회 (Committee of museology China)가 조직되었다. 지역 위원회는 국제 박물

40 관 전문가들 사이에 실질적인 교류의 기회를 넓혀 주었다. 박물관 위윈회 시베리아 지부 위원회 개설 결정은 2004년 서울에서 개최된 ICOM 20차 총회에서 승인이 이루어졌다. 시베리아의 박물관 직원들 및 다른 학술 부문의 과학자들이 위원회 활동에 적극 참여 하였다. 매년 워크샵, 회의 및 박물관학 학교 를 개최하였으며 위원회에서는 출판 활동도 진행하였다. 국제 박물관 커뮤니티 및 시베리아의 박물관의 주요 행사로는 “박물관, 박물 관학,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주제 하에 2008년 개최 된 박물관 위원회 31차 총회를 들 수 있다. 본 연례 총회는 러시아와 중국 인민 공화국의 두 개 국가에서 분산 개최하였다. 중국에서 열린 심포지엄에는 18개 국200명의 전문가가 참석하였 다. 러시아의 전문가들에게는 본 심포지엄이 중국의 국립 및 지역 박물관의 업무 내 용을 배울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가 되었다. 심포지엄에는 시베리아의 많은 도시의 25명의 박물관 및 박물관학 분야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다 [12]. 2009년 시베리아 박물관 위원회의 연례 심포지엄이 대만의 수도 타이페이에서 개최 되었다. 그 이후에는 바르나울, 울란 우데, 울란 바토르, 상하이, 튀니스 및 파리 등 에서 차례로 개최되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위원회에서는 ICOM의 주요 활동을 더욱 강화하고 국제적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하는데 기여하였다. 많은 시베리아 박물관 직원들 및 학교와 고등 교육 기관 학생들이 국제 박물관학 학교에서 수학하였다. 2005년부터 국제 박물관학 위원회 아시아 태평양 학교가 매년 개설되었다. 힐데가르드 비에르그 (독일), 쿠오 닝 첸 및 추이메이 황 (대만), 잔 도락 (체코), 아 프리자 코사니노바 (카자흐스탄), 알마칸 나이자베코 (키르기스스탄), 리우드밀라 실 리아카티나 (러시아), 올가 셀레지나 (러시아), 갈리나 파트로쉐바 (러시아) 등 러시 아와 외국의 저명한 박물관학자들이 강사로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독일, 튀니지, 체 코, 중국, 몽고, 시베리아 및 러시아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을 견학하였다. 박물관학 위원회 아시아 태평양 사무소에서는 교육 기관, 지방 자치 단체 박물관 및 대학 등과 공동으로 시베리아에서 박물관학 여름 학교를 개설하였다. ICOFOMSib 는 박물관 리서치 센터, SB RAS 역사 박물관 및 지역 행정기관 및 교육 기관 등 영구적인 파트너를 확보하기도 하였다. 2012년 힐데가르드 비에르그 교수가 뮌헨에 국제 박물관학 학교를 개교하였다. 2014 년에는 쿠오 닝 첸 교수가 대만에 국제 박물관학 학교를 열었다. 학교의 학생들에게 는 대만의 최고의 박물관을 견학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주어졌다. 2014년에는 또 한 “아시아의 문화 유산 주류화”라는 새로운 프로젝트가 시행되었으며 4개 국가의 7

41 개 박물관에서 박물관학 학교 과정이 진행되었다. 본 프로젝트가 진행된 지역의 지 리적인 분포를 보면 카자흐스탄, 러시아, 몽고 및 중국 등의 7개 도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는 러시아, 독일, 대만,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및 몽고 로 구성된 다국적 팀이 참여하였다. 700명 이상의 박물관 전문가, 여행사, 학생들이 수강생으로 참여하여 전 세계 최고의 박물관 견학과 더불어 최고의 박물관 전문가들 과 직접 대면할 수 있는 기회를 누릴 수 있었다. 박물관학 학교와 관련한 위원회 활동 중 매우 중요한 측면 중 하나로 위원회의 전 문가들이 다양한 국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에 녹아 든 풍요로운 문화 유산을 보여 주는 지역별 박물관의 컬렉션을 다루는 과정에서 이들 박물관을 보다 잘 이해 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전시 프로젝트는 카자흐스탄, 중국 및 대만 에서 진행되었다. 지난 12년의 기간 동안 ASPAC 지역 위원회에서는 2권의 핸드북, 12개의 컬렉션에 대한 과학적 컨퍼런스 및 5개의 학술 논문을 준비하고 진행하였다. 현재 박물관 활동에 있어 국제적인 경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 세계 박물관의 근 본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갖추지 않고서는 박물관의 발전은 불가능해 졌다. ICOM 의 박물관학 위원회 및 그 지역 사무소-ASPAC-와의 협력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성공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작업은 단지 문화적 유산의 보전, 국가 박물관의 발전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 라 다른 지식 분야의 과학자 및 전문가들과의 상호 작용을 촉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이는 나아가 인류 간의 우정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목록

1. Boylan P. 국제 박물관 운동의 초기 시대 1889-1946 // ICOM 러시아 및 국제 박물관 커뮤니티. 1956-2006. "박물관 서고" 시리즈/ Ed. G.N. 스키토비 치. – М., 2006. – P. 28-29. 2. Podolak J. Musealna slovenska spolocnost a jej miesto v narodnich dejinach//Zbornik SNM. – Etnografia. 1985. Vol. 26. S.13-35. 3. Truevtseva O.N. 20세기 후반 시베리아 지역의 박물관 – 톰스크: 톰스크 대학, 2000. – P. 238. 4. Ananiev V.G. 국내 및 국제 박물관 조직: 교육용 핸드북. - 상페테르부르

42 크, 2013. – P. 38,54,59; Klausewitz W. 66 Jahre Deutscher Museumsbund// Deutscher Museumsbund .- Bonn. – 1984. – S. 6-90.; 5. Silaeva O.A. 역사 박물관 친구들 학회 (1918 – 1930) //박물관과 파워. Ed. S.А. Kasparinskaya. М.1991. Part 2. P.109. 6. Sofka, V. ICOFOM: 10년 – 열 번의 회의 및 27권의 저서 / V. Sofka // Museological News. – 1987. – №10. P. 5. 7. ICOFOM 1986/1987. ICOM자문 위원회 연례 보고서 // 박물관학 뉴스. – 1987. – №10. P. 37. 8. Mensch, P. van. ICOFOM 보고서 / P. van Mensch // 박물관학 뉴스. – 1990. – №13. P. 3. 9. 박물관학 조사 보고서.-№1, 1980.스웨덴 스톡홀름, p.61. 10. ICOFOM 연구 시리즈– 런던 보고서// 박물관학 뉴스. – 1984. – №5. P. 39.Dictionnaire encyclopediqie de museologie / Soul la direcrion d’Andre Desvalleese et de Francois Mairesse. Paris: Armand Colin. 2011. – 776 p. 11. 국제박물관협의회의 박물관학 위원회의 역사 /N.V. Truevtsev, О.N. Truevtseva - Saarbrucken \ Germany: LAP LAMBERT. 학술 출판, GmbH&Co.KG.2012.- P.168: ill (16,0 п.л.). 12. Truevtseva O.N. 박물관학의 국제적 협력에 대한 새로운 단계 // 박물관, 잃어버린, 혹은 복원된 전통, 관광: 근대 관행의 경험 및 상호작용: 국제 박물 관학 청년 학교 강의록 / Ed. O.E. Mishakova, scientific. Ed .: O.N. Truevtseva– Ulan-Ude: 출판 및 인쇄국 FSBEI HPE 2013. – P. 16-19.

43

Session 2

[Support] Supports and Changes of Museum's Role in Society

[지원] 외부지원과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New museums for new challenges: social responsibility and community participation, cultural diversity and interculturality.

새로운 박물관을 위한 새로운 도전: 사회적 책임, 지역사회 참여, 문화다양성, 상호문화주의

Alberto Garlandini(알베르토 갈란디니) President of the Organising Committee of 2016 ICOM Milan (2016 ICOM 이탈리아 밀라노세계박물관대회 조직위원장)

New museums for new challenges: social responsibility and community participation, cultural diversity and interculturality.

Alberto Garlandini

Introductio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Reconsidering the role of museums, is about what museums can do for communities in times of social change. The second part, Reconsidering public policies in favour of museums and cultural heritage, is about what authorities can do for museums in times of scarcity of resources. Society has been changing rapidly and constantly because of the economic crisis, but also because of worldwide trends such as globalization, technological revolution, transnational communications, migrations, international travels, intermingling cultures. Globalization can produce personal and social growth, but also intolerance and the destruc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diversity, as we have already seen in several parts of the world. Will integration, openness and tolerance prevail? Or will nationalism, narrow-mindedness and conflict have the upper hand? The promotion of cultural diversity is a major challenge of our time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museums.

This paper looks into the new role of museums in a changing society and points out their contribution to promoting participation and interculturality, enhancing cultural diversities and inclusion, and creating the new identities of 21st century communities. I will also explore the social change in Italy and the intercultural activities of some Italian museums. This paper also points out a great paradox: communities are asking for more social activities, while politicians are giving less public financial support to museums. I will conclude this paper presenting what ought to be the primary tasks of authorities in

47 the cultural field: concentrating public resources upon strategic activities, developing networks, partnership and cooperation, and promoting museums’ human resources.

Reconsidering the role of museums in times of social change

Globalization and social change Globalization is affecting the lives of a growing number of people, in a growing number of countries. Capitals, goods, technologies are moving from one country to another, as well as millions of women and men. Different ideas, traditions, cultures and visions meet and sometimes collide.

Globalization is deeply changing the social structure of society. People with different origins, cultures, languages, religions and customs are now living together in our society. How are our communities reacting to the opportunities and the dangers of globalization? Do people consider globalization an opportunity for fertile intercultural dialogue or only a source of fear and insecurity?

Museums and cultural diversity Social integration and cultural interaction are needed nowadays more than in the past. We should recognize and accept both cultural similarities and cultural differences, enhance common values and fight segregation and separation. An inclusive community should be proud of its historical roots and identities, but should also be able to integrate the roots and identities of citizens with different origins.

We look forward to societies where people break down obsolete cultural boundaries and open their mind to intercultural exchanges. We look forward to inclusive communities where people mix and collaborate and see cultural diversities as an enrichment rather than a threat. The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1) and the UNESCO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

1) The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was adopted by acclamation by UNESCO’s General Conference on November 2, 2001; see www.unesco.org

48 s2) represent the conceptual reference for museums. Cultural diversity is an asset that can flourish only in a context of democracy, tolerance, justice and mutual respect. For museum professionals promoting cultural diversity is a crucial, ethical issue.

Many key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professional practice of the ICOM Code of Ethics for Museums3) refer to the respect of cultural diversity, such as the acquisition and exhibition of culturally sensitive materials (paragraphs 2.5 and 4.3), field collecting (paragraph 3.3), research on human remains and materials of sacred significance (paragraph 3.7). The ICOM Code of Ethics highlights that museums have to work in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communities they serve and from which their collections originate. “Museum collections reflect the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of the communities from which they have been derived. As such, they have a character beyond that of ordinary property, which may include strong affinities with national, regional, local, ethnic, religious or political identity. It is important therefore that museum policy is responsive to this situation.” (Key Principle 6 of the ICOM Code of Ethics for Museums)

Social change in Italy In Italy the challenges of globalization are more relevant now than in past times. Italy has always been a country of emigrants. People of Italian origin are present in a great number of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But Italy has deeply changed. Many Italians still emigrate but, at the same time, Italy has become a country of immigrants.

According to the most recent data of the Italian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ISTAT, more than 4.5 million Italians live abroad. On the other hand, almost five million foreigners live in Italy, 8.2 per cent of the total population4). In 1981 the

2) The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was approved on 20 October 2005 and has been ratified by 135 States 3) The ICOM Code of Professional Ethics was adopted unanimously by the 15th General Assembly of ICOM in Buenos Aires (Argentina) on 4 November 1986. It was amended by the 20th General Assembly in Barcelona (Spain) on 6 July 2001, retitled ICOM Code of Ethics for Museums, and revised by the 21st General Assembly in Seoul (Republic of Korea) on 8 October 2004.

49 foreigners living in Italy were only 0.4 per cent of the total population, and in 2003 they were still only 2.5 per cent. Now they are a constituent part of Italian society.

An evidence of Italy’s great social change is the fact that minors of non-European Union nationalities living in Italy are now more than one million5), four times as many as ten years ago, and 60 per cent of them were born in Italy. In 2013 over 800,000 foreign minors enrolled in Italian schools and 47 per cent of them were born in Italy. They were 9 per cent of the total school population. In nursery and primary schools foreign minors are in a larger number: in 2014 they were 10 per cent of the total children6). I would like to highlight that 80 per cent of the foreign children attending nursery schools and 60 per cent of those attending primary schools were born in Italy. In 2025 over two million minors with parents of nationalities other than Italian will be living in Italy and will become Italian citizens when they are 18. Other statistics are even more surprising and reveal that new hybrid intercultural identities are growing in Italy. 70 weddings between an Italian and a foreigner are celebrated every day. A new Italy and new Italians are growing. Unfortunately, many Italians and many politicians are not fully aware of these great changes.

Museums and interculturality In a globalized world many traditional identities of our communities are fading. Creating new hybrid identities can be problematic, but it is necessary. Interculturality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hesion and well-being of our changing communities.

Article 4 Paragraph 8 of UNESCO’s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contains an indisputable definition of

4) According to the ISTAT Report of 24 September 2014 the total resident population in Italy on 1st January 2014 amounted to 60,782,668 and the total resident foreigners in Italy were 4,922,085; see www.istat.it 5)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at the minors of EC nationalities living in Italy are more than 250,000. 6) Caritas e Migrantes, XXIII rapporto immigrazione 2013. Tra crisi e diritti umani, Tau editrice, PG, 2014; see www.caritas.it

50 interculturality: “Interculturality refers to the existence and equitable interaction of diverse cultures and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shared cultural expressions through dialogue and mutual respect.” How can museums help interculturality and inclusion? Museums promote interculturality when they use their collections to support cross-cultural education, dialogue and communication within and between communities. Museums promote intercultural education when they offer citizens the competence and confidence required to relate to people with different customs. If people are aware of their cultural roots, they are more open to different cultures, experiences, habits and can better master the constant changes and challenges of globalization.

The intercultural activities of Italian museums The Italian museums have considerably increased their intercultural activities. The web site Heritage and Interculture7) is an on-line resource devoted to heritage education. It documents many intercultural projects of Italian museums in partnership with schools, adult learning agencies, libraries, archives, local authorities, community organizations, research institutes and cultural mediators. Heritage and Interculture promotes good practices and provides an interesting overview of how Italian museums are improving accessibility, cultural inclusion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8).

In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he intercultural projects of Italian museums share the same social aims of promoting th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cultural diversity, encouraging contacts and exchanges between different cultures, creating lasting partnerships with communities and schools.

From an educational viewpoint, they promote new pedagogic approaches based not only on reading, listening and writing, but also on emotional experiences. Museums’

7) See www.ismu.org/patrimonioeintercultura Heritage and Interculture is a long-term project of Fondazione Ismu – Initiatives and Studies on Multi-ethnicity; Silvia Mascheroni and Silvia Bodo are the directors of Heritage and Interculture. 8) In the next 2016 issue of Museum International, the ICOM’s academic journal, dedicated to Museums managing the tensions of change (Vol. 67 No. 265-266) there will be a paper of mine including a detailed report on the intercultural activities of Italian museums

51 intercultural activities foster the participants’ self-confidence, their personal contribution, experience and skills.

From a museological viewpoint, Italian museums are enhancing the intercultural value of their collections and promoting accessibility in order to encourage cultural participation, mutual respect and a sense of belonging. Some people think that museums, especially art museums, cannot attract new visitors with different backgrounds because their collections mainly consist of religious paintings. On the contrary, works of art can be read in the light of interculturalism and show the fruitful results of mutual influences between cultures and religions.

The new role of museums Contemporary museums must pay great attention to social change The conservation and promotion of collections are the core functions of museums. But today’s museums “in the service of society and of its development”9) have new social goals and larger territorial responsibilities than in past times. They promote not only the collections conserved within their walls, but also the heritage diffused outside their walls. They are territorial facilities and resources for their communities. Museums not only conserve and exhibit collections, but also strengthen cultural identities and promote social cohesion, cultural communication and intercultural mediation. That is particularly true for Italian museums which are disseminated all over the country, in large cities as well as small villages. Half of the 5,500 Italian museums are owned by local governments, 15 per cent by foundations and local associations, 10 per cent by universities, 15 per cent by local bodies of the Catholic Church. Less than 10 per cent of Italian museums are owned by the national Ministry of Cultural Heritage. A great number of Italian museums are strongly linked to their communities, local history and environment, and this territorial role is part of their genetic heritage. Italian museums are part of local identities and of historical, social and natural

9) For the ICOM Statutes and the ICOM Code of ethics for museums a museum is “a non-profit making permanent institution in the service of society and of its development, open to the public, which acquires, conserves, researches, communicates and exhibits, for purposes of study, education and enjoyment, the tangible and intangible evidence of people and their environment.”

52 contexts. That is why André Castel defined Italy as the “museum of museums”10). And that is why the theme of 2016 ICOM General Conference in Milan is Museums and Cultural Landscapes11).

In ICOM’s vision landscape is a multidimensional concept which has an anthropological, social, economic, cultural meaning besides its physical, natural, geographic significance. Landscape expresses the cultural, natural and social diversity of our communities and is a component of their identities. The theoretical framework we refer to is the innovative concept of landscape defined by the European Landscape Convention adopted in Florence on October 20th 200012). Landscape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local cultures and is an integral part of the cultural heritage to be preserved, interpreted and looked after. Tackling with the relations between museums and cultural landscapes offers professionals the opportunity to debate critical contemporary issues not only from museological and scientific, but also social, institutional and economic viewpoints13).

21st century museums require new interdisciplinary competences Today’s museums require highly professional training and specialization, multi-task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carrying out their responsibilities, as well as transversal skills and an aptitude for team work. Museum professionals must cope with a permanent cultural revolution and adapt to the evolving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Museums are melting pots where specialists and professionals with different backgrounds collaborate and cross-fertilize their scientific and technical competences. Interdisciplinary and interprofessional networks are strongly needed. Traditional frontiers between disciplines and cultural institutions are obsolete and quickly changing. Museums, libraries, archives and other cultural institutions must work together. Many of their educational, social and promotional visitor services are already jointly managed. Managing contemporary museums is an innovative and creative job. New museum

10) A. Chastel, Italia museo dei musei, in I musei, Touring Club Italiano, Milano, 1980, p. 14 11) See the official web site of ICOM Milano 2016 www.milano2016.icom.museum 12) See http://conventions.coe.int/Treaty/Commun/QueVoulezVous.asp?NT=176&CL=ENG 13) See the 2014 Siena Charter on Museums and Cultural Landscapes in the ICOM website: http://icom.museum/uploads/media/Carta_di_Siena_EN_final.pdf

53 functions require new jobs and skills. The Italian Chart of Museum Professions14) and the European Frame of Reference for Museum Professions15) have studied the changes of museum professions. Some of these professions - such as directors, curators and conservators - have always been present in museums, and are now deeply and rapidly evolving. Other professions are relatively new and, so far, not present in all museums: educational officers; visitor service officers; fundraisers; promoters; marketing managers; registrars; security officers.

Museum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Promoting individual and collective participation to cultural activities and museums’ life is indispensable to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heritage. Citizens’ contribution is multifold. It can be cultural and ethical, social and economic. Citizens can donate not only money, but also time and professional competences to museums. In Italy more than two million people work on a voluntary basis for the promotion of museums and cultural heritage.

Unfortunately this extraordinary voluntary support is greatly undervalued and scarcely supported by governments. Authorities should be aware that museums with no permanent staff cannot contribute effectively to the life and growth of society.

Voluntary work is essential to museums’ activities. We know that volunteers cannot substitute professionals as they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responsibilities. Professionals and volunteers have complementary roles and must work together harmoniously. A regulated collaboration between professionals and volunteers is needed so that their different jobs be enhanced and effective. Volunteers should be trained to approach the qualification and performance of the permanent staff. When they are recruited, very high recruitment criteria have to be met, similar to those

14) See the ICOM Italy’s web site www.icom-italia.org and A. GARLANDINI (edited by), Professioni museali in Italia e in Europa. II Conferenza nazionale dei musei. Complesso monumentale del San Michele. Ministero per i beni e le attività culturali, 2 ottobre 2006, 2007 15) Museum Professions – A European Frame of Reference was made in 2008 by ICTOP – ICOM International Committee for the Training of Personnel – with ICOM Italy, ICOM France and ICOM Switzerland; it is available in the ICTOP web site: http://network.icom.museum/ictop

54 required for professionals. Professionals should promote participation and consider the organization of voluntary work as one of their major tasks.

Governments must encourage donations and activities in favour of museums and cultural heritage. It is essential that tax advantages are assured not only for donors and sponsors, but also for museum volunteers.

Reconsidering public policies in favour of museums and cultural heritage in times of scarcity of resources

The great paradox Museum professionals must cope with a paradoxical situation. On the one hand, community leaders ask museums to be more active and social-oriented. On the other hand, politicians are dramatically reducing public resources destined to museums and cultural activities. Authorities ask for museums that are both local and global, for museums with strong roots in their context and, at the same time, in deep connection with global cultures. New and more ambitious goals are set for museums, but, at the same time, public and private money is less and less available for cultural activities. What should authorities do for museums and cultural activities in times of scarcity of public resources?

ICOM and UNESCO’s official stances on the support of museums in contemporary society On 5-6 April 2013 ICOM Portugal and ICOM Europe organized the conference “Public Policies towards Museums in Times of Crises” in Lisbon16). At the end of the Conference the Chairs of eleven European ICOM National Committees, the Chair of ICOM Europe and ICOM’s President approved the Lisbon Declaration, an “Appeal to the European Parliament and Commission, to the Parliaments and Governments of

16) See the ICOM web site: http://icom.museum/news/news/article/the-lisbon-declaration-to-support-culture-and-museum s-to-face-the-global-crisis-and-build-the-future/ and L. Raposo, Facing the crossroads. Museums, crisis and finances, in ICOM news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Magazine, Vol. 67 No. 3 September 2014, pp. 10-11 http://archives.icom.museum/icomnews2014-3_eng/index.html#/

55 European Countries and to Regional and Local Governments” so that they support culture and museums to face the global crisis. The Lisbon Declaration asks for three priorities in public policies and proposes ten objectives to face the crisis and promote the values of museums and heritage. The Lisbon Declaration and the e-book of the proceeding of the Conference are available in ICOM’s and ICOM Portugal’s web sites17). The Lisbon Appeal to European authorities was the basis for Resolution no. 6 Viability and Sustainability of Museums through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dopted unanimously in August 2013 by the 22nd ICOM General Conference in Rio de Janeiro18).

On 27-28 May 2015 the UNESCO Intergovernmental Meeting of Experts, with ICOM’s participation and active contribution, approved the Draft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Museums and Collections, their Diversity and their Role, which will be submitted to UNESCO General Conference at its 38th session in November 2015. ICOM contributed largely to draft the UNESCO Recommendation. The Recommendation will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museums in today’s societies and increase the strength of ICOM’s campaign in favour of museums and cultural activities.

Concentrating public resources upon strategic activities and promoting networks and cooperation In many countries museums are facing severe financial cutbacks. In times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crises and global changes, it is a harmful prejudice that culture, museums and cultural heritage are a surplus asset, a luxury that society can no longer afford. On the contrary, museums and culture are assets of sustainable, intercultural, peaceful growth that must be preserved and promoted.

17) See L. Raposo and F. Berei-Nagy (eds), Public policies towards museums in time of crisis : ICOM Portugal and ICOM Europe joint conference, Lisbon, 5-6 April 2013, 2014 in http://issuu.com/mapadasideiaspt/docs/icom_view_final/0#; see also A. Garlandini, Museums in a changing world: eight key points to defy the global crisis in L. Raposo and F. Berei-Nagy (ed), Public policies towards museums in time of crisis : ICOM Portugal and ICOM Europe joint conference, Lisbon, 5-6 April 2013, 2014, pp. 32-37 18) See the ICOM website: http://icom.museum/the-governance/general-assembly/resolutions-adopted-by-icoms-general-asse mblies-1946-to-date/rio-de-janeiro-2013/

56 In times of scarcity of resources authorities have greater responsibilities than in times of economic development. When less and less public money is available, politicians should avoid automatic cuts to public expenditures. Inevitably a great number of financial requests have to be rejected, but strategic investments such as culture, education and social inclusion should have priority. Authorities should support long-term strategies and permanent institutions, select priority actions rather than promote ephemeral activities that have little positive impact on our communities.

Authorities should support cooperation, partnerships and resource sharing. Networking is more than a means of achieving economic synergies and savings. It is a cultural revolution that has an impact on all museum activities. It requires new strategies, responsibilities, competences, even new languages.

Networking is a demanding challenge for museum professionals. Professionals must be courageous and innovative, develop interdisciplinary projects with other cultural institutions, unite museums for better administrative and scientific management, promote new public/private management models.

Promoting museums’ human resources Almost 50,000 people work in the 5,000 Italian museums, but many of them are not professionals: sometimes there is just one professional, often working on a voluntary basis. They have to manage all museum functions on their own.

In past times, the great majority of museum workers were permanent public officers, often working all their lives in the same museum. That is no longer true. Firstly, many museums are managed by private organizations. Secondly, the outsourcing of public museum jobs has increased the number of professionals working for private bodies (associations, cooperatives, enterprises). Thirdly, the labour market is now ruled by more flexible laws and the crisis is producing a drastic decrease of permanent jobs.

As a result, many museum professionals now work on a temporary, free-lance or

57 voluntary basis and are often underpaid and under short-term and precarious contracts.

Many museums are now suffering from a severe reduction or even the loss of scientific direction and technical positions. The eros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professionals and the elimination of positions endanger the future of our cultural institutions. Highly qualified younger staff see their career opportunities disappear and are leaving the profession. The long-term institutional knowledge of our museums is at risk.

ICOM is asking governments to preserve and promote museum professional competences, both in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and ensure that museum positions are filled by qualified personnel with the required skills and competences.

Conclusions

Authorities should consider museums and cultural heritage as a factor of development. We need highways, high-speed railways, airports, telecommunication services, but also cultural infrastructures. Education and culture are increasingly necessary to promote growth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 present and future of museums depend on how museum professionals will be able to face the new social challenges. New interdisciplinary and intercultural competences are needed and museum professionals should be innovative leaders. Museums will be up to their new social tasks if museum professionals are not afraid of change, do not give old answers to new questions, do not look backward but forward. Facing the challenges of a globalized world museum professionals must enhance mutual help and solidarity, promote joint projects, exchange ideas and good practices, diffuse knowledge and competences, build up professional and personal relations. I think that ICOM can be of great help. It is a unique international network of museum professionals and should become the pivot of a coalition of cultural professionals in favour of culture and cultural heritage.

58 Contemporary museums have enlarged their roles. They are exploring new approaches and looking for a new public, at the same time maintaining their traditional objectives. Thanks to the creativity and devotion of their professionals, museums all over the world are carrying on multifaceted activities in favour of their communities. Museums are not a cost, but an invaluable investment for a better future and better life.

59 새로운 박물관을 위한 새로운 도전: 사회적 책임, 지역사회 참여, 문화다양성, 상호문화주의

알베르토 갈란디니

서론

이 논문의 첫 파트인 ‘박물관의 역할에 관한 재고’에서는 사회적 변화의 시대에 박 물관이 지역사회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살펴본다. 두 번째 파트인 ‘박물관과 문화 유산을 위한 공공정책에 관한 재고’에서는 자원 부족을 겪고 있는 현 시점에 당국이 박물관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살펴본다.

사회는 경제 위기뿐 아니라 세계화, 기술 혁명, 국경을 초월한 의사소통, 이민, 해외 여행, 혼합된 문화 등의 세계적인 트렌드로 인해 빠른 속도로,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세계화는 개인과 사회의 성장을 돕지만, 이미 세계 곳곳의 사건·사고를 통해 확인된 것처럼 문화유산 및 다양성의 파괴와 편협함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통합, 개 방, 관용이 우위를 차지할 것인가? 아니면 민족주의, 편협함, 갈등이 우위를 차지할 것인가? 문화다양성을 고취하는 것은 우리 시대의 주요한 도전과제 중 하나다. 그렇 기 때문에 박물관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 논문은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박물관의 새로운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참여와 상 호문화주의의 고취, 문화다양성과 포용의 강화, 21세기 지역사회를 위한 새로운 정 체성 정립에 대해 점검하고자 한다. 이탈리아의 사회적 변화와 일부 이탈리아 박물 관의 상호문화적 활동에 관해서도 살펴볼 예정이다.

또한 이 논문은 중요한 역설을 지적한다. 그 역설이란 지역사회는 박물관에게 더 많 은 사회적 활동을 요구하는 데 반해, 정치인들은 박물관에 대한 재정지원을 줄이고 있는 상황을 말한다. 이 논문의 결론부에서는 문화분야를 위한 당국의 최우선과제를 살펴본다. 그것은 공공자원을 전략적인 활동에 집중 투자하고, 네트워크를 개발하고, 파트너 협약과 협력관계를 체결하고, 박물관의 인적자원을 잘 활용하는 것이다.

60 사회적 변화의 시대에 박물관의 역할에 관한 재고

세계화와 사회 변화

세계화는 점점 더 많은 나라,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자 금, 상품, 기술은 하나의 나라에서 다른 나라로 이동하고 있고, 수많은 사람들이 국 경을 넘나들고 있다. 이 과정에 다른 생각, 문화, 비전이 충돌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세계화는 사회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우리 사회에는 출신지, 문화, 언어, 종교, 관습이 다른 사람들이 함께 모여 살고 있다. 우리의 지역사회는 세계화에 동 반되는 기회나 위험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있을까? 세계화를 성숙한 지적 담론을 위한 기회로 보고 있을까? 아니면 오로지 두려움과 불안의 근원으로 보고 있을까?

박물관과 문화다양성

오늘날 사회는 과거보다 사회적 통합과 문화적 상호작용을 더욱 절실히 필요로 한 다. 우리는 문화적 동질성과 이질성으로 모두 인식·인정하는 것은 물론, 공동의 가치 를 강화하고, 분리·차별과 맞서야 한다. 포용적인 지역사회라면 그 지역의 역사적 뿌 리와 정체성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한편, 다른 지역 출신들이 가진 뿌리와 정체성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사람들이 불필요한 문화적 경계를 허물고 열린 마음으로 타 문화와 교류할 줄 아는 사회가 오기를 기대한다. 한데 뒤섞여 힘을 모으고, 문화다양성을 위협이 아닌 발전으로 받아들이는 포용적인 사회가 오기를 기대한다.

‘UNESCO 문화다양성 선언’ 1)과 ‘UNESCO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와 증진 협 약’ 2)은 박물관들을 위한 참고문헌 역할을 한다.

1) UNESCO 문화다양성 선언(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은 2001년 11월 2일 UNESCO 총회에서 발성투표를 통해 채택되었다. www.unesco.org 참고. 2) UNESCO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와 증진 협약(UNESCO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은 2005년 10월 20일에 승인되었고, 135개국에 의해 비준되었다.

61 문화다양성은 민주주의, 관용, 정의, 상호존중의 맥락 속에서만 꽃을 피울 수 있는 자산이다. 박물관의 전문가들에게는 문화다양성을 증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문제 이자 윤리적인 문제다.

‘ICOM 박물관윤리강령’ 3)에 나타난 전문직원의 행동에 대한 많은 원칙과 지침들은 문화다양성과 연관이 있으며, 이는 문화적으로 민감한 전시물의 취득과 전시(2.5항, 4.3항), 현장 수집(3.3항), 사람의 유해 및 신성한 전시물에 대한 조사(3.7항) 등을 포 함한다. ‘ICOM 박물관윤리강령’은 박물관들이 그들의 지역사회는 물론, 전시물이 유 래된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공조 속에서 작업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박물관 전 시물은 그것이 유래된 지역사회의 자연·문화적 유산을 반영한다. 그렇기 때문에 일 반 소유물과는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국가·지역·윤리·종교·정치적 정체성과 깊 은 관계를 맺고 있을 수도 있다. 고로 박물관 정책은 이러한 상황을 반영해야만 한 다.” (ICOM 박물관 윤리강령, 주요원칙 6)

이탈리아의 사회 변화

이탈리아에서 세계화의 도전과제는 과거보다 오늘날 더 큰 의미를 지닌다. 이탈리아 는 예로부터 이민자의 나라였다. 수많은 이탈리아 이민자들이 현재 세계 각국에 흩 어져 살고 있다. 하지만 이탈리아 역시 많이 변했다. 여전히 많은 이탈리아인들이 다른 나라로 떠나고 있지만, 반대로 수많은 이민자들이 이탈리아를 찾고 있다.

이탈리아 통계청(ISTAT)의 가장 최근 자료에 따르면 450만 명 이상의 이탈리아인들 이 현재 해외에 거주하고 있다. 반대로 거의 500만 명에 가까운 외국인들이 현재 이 탈리아에 살고 있으며, 이는 이탈리아 총 인구의 8.2%에 해당한다4). 1981년 이탈리 아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총 인구의 0.4%에 불과했고, 2003년에도 2.5%에 그쳤다. 하지만 이제 그들은 이탈리아 사회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탈리아의 놀라운 사회 변화를 보여주는 증거 중 하나는, EU 비회원 국가의 국적

3) ICOM 박물관 전문직원 윤리강령(ICOM Code of Professional Ethics)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에서 1986년 11월 4일 개최된 제15회 ICOM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되었다. 이것은 2001년 7월 6일 스 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제20회 총회에서 개정되었고, ICOM 박물관윤리강령(ICOM Code of Ethics for Museums)으로 개칭되었고, 2004년 10월 8일 서울에서 열린 제21회 총회에서 개정되었다. 4) 2014년 9월 24일 통계청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1월 1일 기준 이탈리아의 거주 인구는 총 60,782,668 명이며, 이탈리아 거주 외국인은 4,922,085명이었다. www.istat.it 참고.

62 을 가진 이탈리아 거주 미성년자가 현재 100만 명5)을 넘어선다는 사실이다. 이는 10년 전에 비해 몇 배나 늘어난 수치이며, 그들 중 60%는 이탈리아에서 태어났다.

2013년, 80만 명 이상의 외국인 미성년자들이 이탈리아 학교에 입학했고, 그들 중 47%는 이탈리아에서 태어났다. 그들은 이탈리아 내 총 학생의 9%를 차지한다. 유치 원과 초등학교에도 외국인 미성년자들이 많다. 2014년, 외국인 미성년자는 총 어린 이의 10%에 달했다6). 외국인 유치원생 어린이의 80%와 외국인 초등학생 어린이의 60%가 이탈리아에서 태어났음을 강조하고 싶다. 2025년에는 이탈리아가 아닌 다른 국적의 부모를 둔 미성년자 200만 명 이상이 이탈리아에 살게 될 것이며, 그들은 18 살이 되면 이탈리아 국민으로 인정받을 것이다.

다른 통계는 훨씬 더 놀라운데, 이는 상호문화적 정체성이 이탈리아 내에서 점점 확 대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탈리아에서는 이탈리아인과 외국인의 결혼이 매 일 70건씩 이루어지고 있다.

새로운 이탈리아와 새로운 이탈리아인들이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많은 이탈리아인들과 정치인들은 이러한 대단한 기회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박물관과 상호문화주의

세계화된 세상 속에서 지역사회에 관한 전통적인 정체성이 희미해지고 있다. 혼합된 정체성을 창조하는 것은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지만 꼭 필요한 일이다. 상호문화 주의는 변화하는 우리의 지역사회의 통합과 행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UNESCO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와 증진 협약’ 4조 8항의 내용은 다음과 같 다. “상호문화주의는 다양한 문화의 실재와 공정한 상호작용, 그리고 대화와 상호존 중을 통한 공통된 문화적 표현의 표출에 대한 가능성을 의미한다.”

어떻게 박물관들이 상호문화주의와 포용을 촉진할 수 있을까? 박물관은 전시물을 통

5) EU 회원국 국적의 이탈리아 거주 미성년자의 숫자는 25만 이상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6) Caritas e Migrantes, XXIII rapporto immigrazione 2013. Tra crisi e diritti umani, Tau editrice, PG, 2014. www.caritas.it 참조

63 해 상호문화 교육, 대화, 지역사회 내부 혹은 지역사회 간의 의사소통을 지지함으로 써 상호문화주의를 고취시킬 수 있다. 박물관은 관습이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자신감과 능력을 시민들에게 심어줌으로써 상호문화 교육을 지지할 수 있다. 사람들이 자신들의 문화적 뿌리를 잘 인식하고 있다면 그들은 다른 문화, 경험, 관 습에 열린 태도를 취할 수 있고, 세계화의 지속적인 변화와 도전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이탈리아 박물관의 상호문화 활동

이탈리아 박물관들은 상호문화적 활동을 상당히 확대해왔다. ‘헤리티지 앤 인터컬처 (Heritage and Interculture)’7)는 유산 교육과 관련된 온라인 사이트다. 그곳에는 이탈 리아 박물관들이 학교, 성인교육기관, 도서관, 기록 보관소, 지방당국, 지역사회기관, 연구기관, 문화 중재기관과 함께 진행중인 다양한 상호문화 프로젝트가 소개되어 있 다. ‘헤리티지 앤 인터컬처’는 훌륭한 운영방식을 홍보하고, 이탈리아 박물관들이 어 떻게 접근성, 문화 포용력, 상호문화 의사소통 능력8)을 키우고 있는지를 흥미롭게 소개한다.

이탈리아 박물관의 상호문화 프로젝트는 각각 다른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진행되 지만, 문화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인식 함양, 다른 문화 간의 접촉 및 교유 촉진, 지 역사회 및 학교와의 지속적인 파트너십 마련이라는 공통의 사회적 목표를 지닌다.

교육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박물관들은 듣기·말하기·쓰기뿐 아니라 감정적인 경험에 기반한 교수법을 장려한다. 박물관의 상호문화 활동은 참가자들의 자존감, 타인을 돕 는 능력, 경험, 기술을 키워준다.

박물관학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이탈리아 박물관들은 문화 참여, 상호존중, 소속감 을 높이기 위해 전시물의 상호문화적 가치와 접근성을 강화하고 있다. 어떤 사람들 은 박물관이, 특히 미술관의 경우 더더욱, 새로운 방문객을 끌어들이지 못하고 있으

7) www.ismu.org/patrimonioeintercultura 참고. 헤리티지 앤 인터컬처(Heritage and Interculture)는 ‘Fondazione Ismu – Initiatives and Studies on Multi-ethnicity’의 장기 프로젝트다. 실비아 마르케 로니(Silvia Mascheroni)와 실비아 보도(Silvia Bodo)는 헤리티지 앤 인터컬처의 임원이다. 8) ICOM의 학술지인 ‘뮤지엄 인터내셔널’의 2016년호의 주제는 ‘변화의 긴장에 대처하는 박물관(Museums managing the tensions of change, Vol. 67 No. 265-266)’이며, 여기에는 이탈리아 박물관의 상호문화 활동에 대한 내용이 소개될 것이다.

64 며, 이는 대부분의 전시물이 종교화(畵)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예술품은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고, 다른 문화·종교 간의 상호 교류의 알찬 결과물로 볼 수도 있다.

박물관의 새로운 역할

오늘날 박물관들은 사회 변화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여야만 한다. 전시물의 보존과 홍보는 박물관의 핵심 기능이다. 하지만 “사회와 사회 발전을 위해 봉사하는”9) 오늘 날의 박물관에게는 새로운 사회적 목표와 과거보다 더 넓은 개념의 책임이 뒤따른 다. 오늘날 박물관은 박물관 건물 내부에 보존된 전시물을 홍보하는 데 그치지 않고, 건물 바깥에 널리 퍼져 있는 유산도 홍보한다. 박물관은 그 지역을 위한 기관이자 지역사회를 위한 자원이다. 박물관은 전시물을 보존·전시하는 것은 물론, 문화정체성, 사회통합, 문화적 의사소통, 상호문화적 중재를 강화한다.

이것은 대도시부터 작은 마을에 이르기까지 전국에 퍼져 있는 이탈리아 박물관들에 게 특히 잘 적용되는 말이다. 5,500여 개의 이탈리아 박물관 중 절반은 지방정부 소 유이며, 15%는 재단과 지역 협회, 10%는 대학, 15%는 가톨릭 교회 관련 지역 기관 이 소유하고 있다. 이탈리아 박물관 중 10% 미만만이 문화유산부(Ministry of Cultural Heritage)의 소유다.

이탈리아 박물관 중 상당수는 그들의 지역사회, 현지 역사 및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고, 이러한 지역 기반의 역할은 그들의 유전적 유산의 일부이기도 하다. 이 탈리아 박물관들은 지역 정체성 및 역사·사회·자연적 맥락의 일부를 차지한다. 그래 서 앙드레 카스텔(André Castel)은 이탈리아를 “박물관들의 박물관”10)이라 명명했다. 이 때문에 밀라노에서 개최될 2016년 ICOM 총회의 주제는 “박물관과 문화적 경관 (Museums and Cultural Landscapes)11)”이다.

ICOM의 비전 속에서 경관(landscape)이란 우리 지역사회의 물질·자연·지리적 중요성 뿐 아니라, 인류학·사회·경제·문화적 의미를 드러내는 다차원적인 개념이다. 경관은

9) ICOM 규약과 ICOM 박물관윤리강령에 따르면, 박물관은 “사회와 사회 발전을 위해 봉사하고 대중에게 열 려 있으며, 학문·교육·오락을 목적으로 인류 및 그들의 환경과 관련된 유·무형의 전시물을 취득·보존·연구·전 달·전시하는 영구기관”이다. 10) A. Chastel, Italia museo dei musei, in I musei, Touring Club Italiano, Milano, 1980, p. 14 11) 2015년 ICOM 밀라노 공식 웹사이트 참조. www.milano2016.icom.museum

65 우리 지역사회의 문화·자연·사회적 다양성을 드러내고, 우리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 소 중 하나다. 우리가 참고한 이론적인 뼈대는 2000년 10월 20일 피렌체에서 채택된 ‘유럽경관협약(European Landscape Convention)’12)에 언급되어 있는 혁신적인 경관 개념이다. 경관은 지역 문화 형성에 기여하고, 문화유산의 보존·해석·관리를 위해 빠 질 수 없는 요소다. 박물관과 문화적 경관의 관계를 점검하는 것은 전문가들에게 현 시대의 문제를 박물관학·과학적인 관점뿐 아니라 사회·제도·경제적 관점13)에서 논의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새로운 다학제적 접근법을 요구하는 21세기 박물관

오늘날 박물관들은 그들의 책임을 다하는 데 있어 고도의 전문 교육, 특화 교육, 멀 티태스킹, 다학제적 접근법은 물론, 종횡무진 움직일 수 있는 능력과 팀워크 역량을 필요로 한다. 박물관 전문인력은 반드시 지속적인 문화혁명에 대처할 수 있어야 하 고, 문화유산기관의 진화에 적응해야 한다. 박물관은 다양한 배경을 지닌 전문가와 전문인력들이 함께 협력하고 각자의 과학·기술적 역량으로 서로에게 도움을 주는 일 종의 용광로다.

다학제·상호문화적 네트워크가 시급히 필요하다. 학제 간에, 그리고 문화기관 간에 존재했던 기존의 경계는 더 이상 쓸모가 없어졌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박물관, 도서관, 기록 보관소를 비롯한 문화기관들은 서로 협력해야 한다. 방문객과 관련된 교육·사회·홍보 서비스는 이미 많은 문화기관에서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오늘날의 박물관을 관리하는 것은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작업이다. 박물관의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직업과 기술이 필요하다. ‘이탈리아 박물관 전문 인력 차트(Italian Chart of Museum Professions)’14)와 ‘박물관 전문인력 공통참고기준 (European Frame of Reference for Museum Professions)’15)은 박물관 전문인력의 변

12) http://conventions.coe.int/Treaty/Commun/QueVoulezVous.asp?NT=176&CL=ENG 13) 2014년 발표된 ‘Siena Charter on Museums and Cultural Landscapes’를 ICOM 웹사이트에서 확인 할 수 있다. http://icom.museum/uploads/media/Carta_di_Siena_EN_final.pdf 14) ICOM 이탈리아 웹사이트 참조. www.icom-italia.org A. GARLANDINI (편집), Professioni museali in Italia e in Europa. II Conferenza nazionale dei musei. Complesso monumentale del San Michele. Ministero per i beni e le attività culturali, 2 ottobre 2006, 2007 15) ‘박물관 전문인력 공통참고기준(Museum Professions – A European Frame of Reference)은

66 화를 연구한 내용을 담고 있다. 관장, 큐레이터, 관리자 등의 일부 직종은 이전부터 존재했던 것이지만, 오늘날 빠른 속도로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이에 반해 비교적 최 근에 생겨난 새로운 직종도 있으며, 이러한 직종은 아직 모든 박물관으로 퍼진 것은 아니다. 여기에는 교육담당관, 방문객 서비스 담당관, 자금조달 담당관, 홍보 담당관, 마케팅 매니저, 기록 담당관, 보안 담당관 등이 포함된다.

박물관과 지역사회 참여

문화활동과 박물관의 삶에 개인 및 집단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은 유산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시민들의 기여 방식은 다양하다. 문화, 윤리, 사회, 경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여한다. 시민들은 기부금뿐 아니라, 개인의 시간이나 전문적인 역량을 박물관에 제공할 수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200만 명 이상 이 박물관과 문화유산의 홍보를 위해 자원봉사에 참여한다.

안타깝게도 이러한 자원봉사는 심각하게 저평가되고 있고, 정부의 지지도 거의 받지 못한다. 당국은 영구적인 직원이 없을 경우, 박물관이 지역사회의 삶과 성장에 효과 적으로 기여할 수 없음을 인식해야 한다.

자원봉사는 박물관 활동에서 너무도 중요한 부분이다. 우리는 자원봉사자와 박물관 전문인력의 역할과 책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자원봉사자가 전문인력을 대체할 수 없음을 알고 있다. 적절한 통제 속에서 전문인력과 자원봉사자가 협력한다면 그들이 각각 맡은 역할을 더 훌륭하게,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자원봉사자들은 영구직원의 자질과 능력에 더욱 가까워질 수 있는 훈련을 받아야 한다. 자원봉사자 를 선발할 때에는 전문인력 선발에 이용하는 것과 유사한 수준 높은 기준을 적용해 야 한다. 전문인력은 자원봉사자의 참여를 홍보하고, 자원봉사자 관리를 주요 임무 중 하나로 받아들여야 한다.

정부는 박물관 및 문화유산을 위한 기부와 활동을 권장해야 한다. 기부자와 스폰서 뿐 아니라 박물관 자원봉사자에게도 세제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ICTOP(ICOM International Committee for the Training of Personnel)과 ICOM 이탈리아, ICOM 프랑스, ICOM 스위스에 의해 2008년에 제작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ICTOP 웹사이트에서 확 인할 수 있다. http://network.icom.museum/ictop

67 자원부족의 시대에 박물관과 문화유산을 위한 공공정책에 관한 재고

위대한 역설

박물관 전문인력은 현재의 역설적인 상황을 잘 헤쳐나가야 한다. 한쪽에서는 지역사 회 지도자들이 박물관으로 하여금 더 활발한 사회활동을 벌이기를 요구한다. 하지만 다른 쪽에서는 정치인들이 박물관과 문화활동을 위한 공공재정 지원을 대폭 삭감하 고 있다. 당국은 지역적인 박물관과 세계적인 박물관에게 그들이 처한 맥락 속에서 단단히 뿌리를 지키는 동시에 글로벌 문화와도 깊은 교감을 나누기를 요구한다. 박 물관을 위한 더욱 새롭고 야심 찬 목표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지만, 문화활동을 위한 공공재정 재원이나 개인 기부금은 나날이 줄어들고 있다. 이렇듯 공공자원이 부족한 시기에 당국은 박물관과 문화활동을 위해 어떤 일을 해야만 할까?

현대사회에서의 박물관 지원에 관한 ICOM과 UNESCO의 공식 입장

2013년 4월 5~6일, ICOM 포르투갈과 ICOM 유럽은 리스본에서 ‘위기의 시대에 박 물관을 위한 공공정책(Public Policies towards Museums in Times of Crises)16)’이라 는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 막바지에 유럽 11개국 ICOM 위원회 대표, ICOM 유럽 대표, ICOM 회장은 ‘리스본 선언’을 승인했다. 이는 “유럽의회와 EU집행위원회, 유 럽 국가의 의회와 정부, 지방정부를 향한 호소”이며, 이를 통해 글로벌 위기에 직면 한 박물관과 문화 분야를 지원하고자 했다. ‘리스본 선언’은 공공정책 분야에서 세 가지 최우선과제를 선정하고, 위기를 헤쳐나가기 위한 열 가지 목표를 제안하고, 박 물관과 유산의 가치를 홍보한다. ‘리스본 선언’과 총회 공식 기록에 관한 전자책은 ICOM과 ICOM 포르투갈의 웹사이트17)에서 확인할 수 있다. ‘리스본 선언’에 드러 난 유럽 당국을 향한 호소는 2013년 8월에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제22회

16) ICOM 웹사이트 참조. http://icom.museum/news/news/article/the-lisbon-declaration-to-support-culture-and-museu ms-to-face-the-global-crisis-and-build-the-future/ L. Raposo, 교차로에서(Facing the crossroads). 박물관, 위기, 그리고 금융(Museums, crisis and finances), ICOM 뉴스 박물관협회 매거 진(ICOM news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Magazine), Vol. 67 No. 2014년 9월 3일, pp. 10-11 http://archives.icom.museum/icomnews2014-3_eng/index.html#/ 17) L. Raposo and F. Berei-Nagy (eds), 위기의 시대에 박물관을 위한 공공정책(Public policies towards museums in time of crisis), ICOM 포르투갈과 ICOM 유럽 공동회의, 리스본, 2013년 4월 5~6일, 2014년. http://issuu.com/mapadasideiaspt/docs/icom_view_final/0# A. Garlandini, 변화하는 세상 속의 박물관(Museums in a changing world: eight key points to defy the global crisis), L. Raposo and F. Berei-Nagy (ed), 위기의 시대에 박물관을 위한 공공정책, ICOM 포르투갈과 ICOM 유럽 공동회의, 리스본, 2013년 4월 ~6일, 2014년, pp. 32-37

68 ICOM 총회18)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된 결의안 6호 ‘글로벌 금융위기를 통한 박물관 의 생존능력과 지속가능성(Viability and Sustainability of Museums through the Global Financial Crisis)’의 기초가 되었다.

2015년 5월 27~28일, UNESCO 정부간 전문가 회의는 ICOM의 참여와 적극적인 기 여에 힘입어 “박물관과 전시물, 그들의 다양성과 역할의 보호와 홍보를 위한 추천안 (Draft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Museums and Collections, their Diversity and their Role)”을 승인했고, 이것은 2015년 11월 UNESCO 총회 제38회 세션에 제출될 예정이다. ICOM은 UNESCO 추천안 작성에 큰 기여를 했다. 추천안은 오늘날 사회에서 박물관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을 재고하 고, 박물관과 문화활동을 위한 ICOM의 캠페인에 힘을 실어줄 것이다.

전략적인 활동에 대한 공공자원 집중 투자, 네트워크와 협력 강화

많은 국가에서 박물관들은 심각한 재정지원 삭감을 경험하고 있다. 국가·세계적 위 기의 시대, 전 세계적인 변화의 시대에 문화, 박물관, 문화유산을 잉여자산, 혹은 사 회가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는 사치로 치부하는 것은 유해한 편견이다. 오히려 박물 관과 문화는 지속가능하고 상호문화적이고 평화로운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자산으로 서 반드시 보호받고 지위를 인정받아야 한다.

당국은 경제 개발의 시기보다 자원 부족의 시기에 더 큰 책임감을 발휘해야 한다. 공공자금이 줄어든다고 해서, 정치인들은 무턱대고 공공지출을 삭감해서는 안 된다. 필연적으로 재정지원에 관한 많은 요청들을 거부해야 하겠지만, 문화·교육·사회통합 분야에 대한 전략적인 투자를 최우선과제로 삼아야 한다. 당국은 장기적인 전략과 영구기관을 지원하고, 지역사회에 그리 대단한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일시적 활동보 다는 근본적으로 더 중요한 활동을 선별해서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당국은 협력, 파트너십, 자원 공유를 지지해야 한다. 네트워크는 경제적인 시너지 효 과와 절약을 거두기 위한 도구, 그 이상을 의미한다. 그것은 박물관의 모든 활동에

18) ICOM 웹사이트 참고. http://icom.museum/the-governance/general-assembly/resolutions-adopted-by-icoms-general-a ssemblies-1946-to-date/rio-de-janeiro-2013/

69 영향을 끼치는 문화혁명이다. 또한 네트워크 구축은 새로운 전략, 책임, 능력, 심지 어 새로운 언어를 필요로 한다.

네트워크 구축은 박물관 전문인력들에게 있어 쉽지 않은 도전이다. 전문인력들은 용 감하고 혁신적이어야 하고, 다른 문화기관과 함께 다학제적 프로젝트를 개발해야 하 고, 더 나은 행정·과학적 관리를 위해 박물관들을 하나로 묶어야 하고, 새로운 공공/ 개인 관리 모델을 홍보해야 한다.

박물관의 인적자원 육성

이탈리아의 5천여 개 박물관에는 5만여 명이 근무하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전문인 력이 아니다. 박물관에 따라서는 전문인력이 딱 한 명뿐이고, 이마저도 자원봉사자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인력들은 박물관의 모든 기능을 혼자 힘으로 수행해야 한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박물관 직원이 영구직원인 공무원이었고, 그들은 평생 동안 한 박물관에 근무했다. 하지만 지금은 달라졌다. 첫째, 많은 박물관은 사설기관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둘째, 공공박물관이 외부업체를 통해 인력을 공급받게 되면서 사실기 관(협회, 조합, 기업) 밑에서 일하는 전문인력의 숫자가 많아졌다. 셋째, 노동시장을 규제하는 법이 유연해졌고, 위기로 인해 영구적인 직장이 크게 줄어들었다.

그 결과, 많은 박물관 전문인력은 현재 임시직, 프리랜서, 자원봉사의 형태로 근무하 고 있고, 저임금, 단기계약, 불평등 계약으로 고통 받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많은 박물관들은 심각한 규모 줄이기에 나서고 있고, 심지어 과학적 방향이나 기술 적 위치를 상실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렇듯 전문인력을 위한 노동환경이 파 괴되고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문화기관의 미래가 위기에 직면해 있다. 고도로 훈련 받은 젊은 전문가들은 그들의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을 목격하고 업계를 떠나는 실정 이다. 오랜 시간에 걸쳐 축적된 박물관의 지식도 위기에 처해 있다.

ICOM은 각국 정부로 하여금 박물관의 전문적인 역량을 보존·육성하고, 필요한 자질 과 능력을 갖춘 검증 받은 전문가를 박물관 직원으로 고용할 것을 권한다.

70 결론

당국은 박물관과 문화유산을 개발을 위한 필수요소로 바라봐야 한다. 고속도로, 고속 철도, 공항, 통신 서비스도 중요하지만 문화기관도 중요하다. 교육과 문화는 성장 촉 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박물관의 현재와 미래는 박물관 전문인력이 새로운 사회적 도전과제를 어떻게 다루 느냐에 달려 있다. 다학제간 교류, 상호문화 교류를 위한 역량이 요구되고, 박물관 전문인력들은 혁신적인 지도자가 되어야 한다. 박물관 전문인력들이 변화를 두려워 하지 않고, 새로운 질문에 케케묵은 대답을 내놓지 않고, 뒤가 아니라 앞을 내다볼 줄 안다면, 박물관들은 새로운 사회적 과제와 당당히 맞설 수 있을 것이다.

세계화된 세계의 도전과제와 직면해서, 박물관 전문인력들은 상호 협조와 결속을 강 화하고,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아이디어와 훌륭한 경영방식을 공유하고, 지식과 능력을 전파하고, 전문적인 관계와 개인적인 관계를 구축해야만 한다. 필자는 그 과 정에 ICOM이 상당한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ICOM은 박물관 전문인력으로 구성 된 독특한 국제 네트워크로, 문화와 문화 유산을 위한 문화계 전문인력의 만남에 중 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오늘날 박물관들의 역할은 과거보다 더 커졌다. 박물관들은 새로운 접근법을 탐색하 고 새로운 대중을 물색하는 동시에, 전통적인 목표를 유지하고자 한다. 박물관 전문 인력의 창의성과 헌신으로 말미암아 세계 각국의 박물관들은 지역사회를 위한 다양 한 활동을 벌일 수 있다. 박물관은 단순히 비용이 드는 무언가가 아니라, 더 나은 미래와 더 나은 삶을 위한 가치 있는 투자로 인식되어야 한다.

71

Session 2

[Support] Supports and Changes of Museum's Role in Society

[지원] 외부지원과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Museums built by all stakeholders

함께 만들어 가는 박물관

Jeon, Tae-il (전태일) Adjunct Professor / Myongi University (명지대학교 교수)

Museums built by all stakeholders

Jeon, Tae-il

1. Introduction

In the 21st century, it has become a general trend that culture is recognized as an "industry" and is measured for economic values. The fact that culture has economic values and potential to become an industry on its own has already been proven in other countries and we cannot completely disagree with such a point of view. However, it can be a problem if we say culture is important since it has economic values as an industry. For us to say so means we fail to appreciate the true values of culture.

In Korea, the public perception of culture has evolved in a similar manner to that of other countries and so has government support for the cultural sector. During the years of the late President Kim Dae-jung, the budget earmarked for the cultural sector exceeded 1% of the total government budget for the first time and, as such, the former governments have increased ‘support’ for culture.

Since culture began to be perceived as an "industry," there have been some changes to the way "support" was provided to the cultural sector. Support for culture has some times taken the form of "investment" rather than simply "support," though it is still difficult to attract "investment" to the cultural sector in Korea. The literal meaning of an investment is to put financial resources on a business for the purpose of making profit1). That is, an expenditure is made at present in order to make gains in the future. However, there is wide-spread skepticism in Korea about making profit out of culture, and the cultural community itself lacks professionals and strategies to attract investments by suggesting the vision and evidence to create profit out of

1) Doosan Dong-A Korean dictionary 2010

75 cultural activities. Financial support available from the government and state-run organizations is not enough to back up the operation of all cultural organizations. In the 21st century, it is all the more important that the cultural community should make efforts and changes to secure financial independence. In particular, museums which do not have 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often lack professionals and the abilities to plan and operate exhibition programs and as a result they face a growing distance from the public. “As a matter of fact, museums in Korea are in situations where they can barely perform the basic functions of a museum, except for only a few of them.”2)

Under these social circumstances, this research paper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upport measures and policies for the cultural sector and suggest efficiency ways and systems of support, for the ultimate goal of developing strategies to ensure, at least, the minimum financial independence of museums and normalize their operation. "Investment" is suggested in this paper as one of the support measures for the cultural sector. Here, the "investment" does not mean making an expenditure only for financial gains but also for "cultural benefits to the public" as quoted in other research papers.

In the operation of a museum, the ideal way of running a museum is to create profits and reinvest them. However, what is more realistic would be to make even between revenues and expenditures, which therefore should be regarded as the "minimum level of financial independence.3)"The "normalization of a museum operation" refers to a state where a museum can secure the minimum number of participants (viewers, users) for an exhibition activity and perform the functions of a museum carrying out exhibitions, education and exchange programs.

2)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2002, Research on the mid-to-long-term development of museums & art galleries p vi 3) The ideal way of running a museum is to create profits and reinvest them. However, what is more realistic would be to make even between revenues and expenditures, which therefore should be regarded as the "minimum level of financial independence.

76 2. Policy support of the government

Since the mid 1990s, there has been a quantitative growth in public cultural infrastructure such as library, museum, art gallery and cultural center. Despite the expansion of cultural infrastructure and financial investment in the cultural sector, there are still some limitations in the direction of government policies and financial investments;

First, as opposed to the growth of hardware, or public cultural infrastructure, there was a lack of support on the software of the cultural sector, such as operation programs and workforce, planning and management. That is, there is an absolute deficiency of planning on how to operate cultural infrastructure and, in a more fundamental manner, how to expand the infrastructure.

When it comes to the operation of a museum, planning should include whether to engage members of society and target groups. However, the planning of a museum operation often fails to give due considerations to such aspects and therefore th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has been limited. As a result, the best outcomes of planning, as such, has been jus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museums. Planning of a museum operation is supposed to include the evaluation of its operation result. For instanc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what effects were achieved through the expansion of a museum facility, whether appropriate workforce was assigned in order to maximize such effects, and whether the expansion of the museum facility contributed to giving more cultural benefits to the public. The reality is, however, the evaluation of such aspects has not been adequately conducted and therefore what social implications are achieved through the expansion of museum infrastructure is not recognized properly.

Second, the profit-oriented perspective about the cultural industry results in side-effects. That is, investments overlap in the field of culture4) where "profits" are

4) Visual art organizations such as museums receive less support than other types of art and performance organizations.

77 expected in the short term, while basic cultural facilities such as museums barely receive financial investments. In 2014, the government adopted "cultural prosperity" as the basic direction of culture & art policies. Accordingly, the Culture and Art Promotion Fund was increased 53% from KRW 122.3 billion in 2013 to KRW 187.5 billion in 20145). However, most of the new investments and expansions of existing investments in 2014 concentrated on supporting artists' creative works, particularly performance art.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faces limitations unless it is based on ‘native culture,’ and it cannot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long term. Therefore, strategies to develop the cultural industry should be drawn up from a broader perspective and budgeting and financial investments should be managed accordingly.

Third, there is a lack of systems to evaluate the operation of funds to support the cultural sector. At present, support measures available to private museums are limited to impractical tax benefits, and national/public museums are not allowed to take donations. These constraints should be revisited for improvement. And, systems to evaluate the operation results of the funds should be developed.

Since the early 2000s,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for culture and art activities as the reduced working hour system (to five days a week) left people with more time available for leisure, tourism and cultural activities and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also improve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and cultural contents has emerged as the key industry of the Korean economy, and young people have begun to participate in a broader range of sectors in society.

However, some of the government's cultural policies fail to see the true nature of culture, that it naturally forms, changes, grows and perishes through exchanges within a social community. Culture is mistaken as something to be "provided" by the government or certain organizations or individuals, and as a result support for

5)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press release on the reform of the culture and art fund」 (the Ministry of Finance and Strategy, the Culture and Budget Department, 2013) p.2

78 cultural activities is reduced to an event led by the government as it has often been the case in the past. On the one hand, the government enthusiastically supports the cultural sector and implements cultural policies. On the other hand, however, it fails to reflect the needs of society when it makes decisions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museums and art galleries. Rather, the business plans of a local community or relevant organizations are the main variables in the decision-making on museums, etc. The reasons for these fallacies can be found in the abovementioned perspective.

In that sense, it is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adopt cultural policies that maximize social benefits of culture by engaging the consumers and suppliers of culture from the planning stage of policy-making rather than having cultural programs simply "provided" by the government itself or any particular organizations.

3. Suggestion of museum support systems

Problems of Korea's cultural policies date back to the 1970s~1980s when the government was not aware of the importance of cultural development and failed to set a foundation for financial independence of the cultural sector.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 government's cultural policies, as such, has not been fully addressed till today. Cultural policies have bee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in a centralized manner devoid of consistency, and have rather focused on promotional cultural events. In addition, administrative work of the government has been conducted without expertise and policy vision as government workers responsible for cultural policies do not have adequate abilities for evaluation of culture. In particular,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current status of museums are as follows;

- Museums are constructed without due considerations of their functions as a cultural faci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s - lack of continuous research, and program development - lack of professional/ administrative workforce - business-as-usual way of support

79 - lack of evaluation systems, unfairness in selection of recipients of support - absence of mid-to-long-term development plans to enhance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s

Among these problems, this report would like to focus on the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evaluation" system which should provide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recipients of support. The evaluation results of museums should be disclosed and the evaluation should place higher priority on the planning function of a museum rather than its execution function. Public museums have been evaluated by the public cultural infrastructure evaluation system since 1998 and the result of evaluation was disclosed at the end of every year. However, the central government does not have strong supervisory authority over the evaluation system. As a result, the evaluation result is used only for the adjustment of incentives for public cultural infrastructures, unable to drive the reforms of organizations and operation methods. In a sense, the evaluation system serves only as a tool to collect statistics and evaluation results are not fully disclosed, either.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the operation of the evalu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For instance, the "planning function" should be actively incorporated into the set of evaluation criteria. Evaluation results should be fully disclosed and reflected in the operation policy and personnel management at museums. As to private museums, there should be a system to differentiate financial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or organizations based on evaluation results.

Second,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the planning function of museums, such as research, survey and the development of museum programs. The budget of public cultural infrastructures, such as public libraries, museums, art galleries and cultural centers, consists of mostly budget item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facilities, with few resources allocated to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contents.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very difficult for museums to educate workforce in order to enhance their expertise. That means, the government is providing intensive support to develop the hardware of museums while financial and policy support for

80 the planning,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software, particularly workforce and contents, remain the same as those in the 1970s~1980s.

Third,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comprehensive plan to operate budget and fund to support the cultural sector.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is the most effective way of supporting cultural activities, and therefore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financial support measures should engage cultural professionals, civic groups and the public. The basic administrative procedures of public cultural facilities such as museums, art galleries and cultural centers, ranging from organizational operation to personnel management and budget execution, have not been driven by experts in culture nor the public who are the pillars of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use of cultural values. Instead, unilateral administrative procedures have resulted in unprofessional planning and operation of cultural progra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process of fund raising and operation should be made public with clarity and stakeholders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Fourth, reshuffling the workforce in line with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a cultural facility is a good way of enhancing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facility without spending a budget, and therefore should be conducted as soon as possible. To that end, a legal foundation should be put in place, in order to reinforce the expertise of the facility organization and workforce, by decreasing general, administrative government workers and making the facility be centered on experts. In addition, an operating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let experts from the private sector participate in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It should be set forth in the law that any violations of these provisions shall be subject to penalties. Based on the improved structure of the organization, the cultural facility should establish a mid-to-long-term development plan, reinforce its public functions and strive to improve the quality of its operation in ways to cut cost and increase efficiency. Re-education should be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members of the operating committee so as to enhance their expertise. Getting into more details, the director of a museum/art gallery should be the one who has expertise in the management of a cultural facility. And if necessary, an operating committee or the position of a deputy

81 director should be established and filled with experts who majored museums in school. To that end, the minimum ratio of curator staff should be set forth by the law. As for national or public museums, the education function of the secretariat (management department) should be transferred to the curator department, and let the secretariat carry out only supporting functions such as the management of facilities and accounting. The organizing committee, which does not carry out any substantial roles in most cases, should be convened on a regular basis and its functions should be reinforced, and meeting minutes should be disclosed.

Fifth, state-funded institutions and state-run corporations should be encouraged to provide financial sources to public cultural infrastructures. Korean companies are not active engaged in the mecenat movement than companies in other countries. State-funded institutions serve both public function and business function, and therefore they have the responsibility to enhance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and public interest within an extent that they still make business profits.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mecenat movement can trigger broader engagement of the business community. In addition, state-run companies are the ones which had achieved fast growth on the back of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which actually came from taxpayers' money. Today, state-run companies are making good contributions to the national economy but it is time now that they should contribute also to the enhancement of non-economical values. In that sense, the government should encourage state-run companies to make contributions to the cultural welfare of the general public in the name of promoting public interest. One way to encourage state-funded organizations to increase support for culture and art activities would be to assess their cultural sponsorship as part of business performance evaluation. In other words, “support for cultural experiences of the public” should be adopted as a criterion to evaluate "the efforts of top management to enhance public interest and responsible management" in the category of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efficiency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state-run companies.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Operating Committee of State-funded Organiz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suade the Operating Committee of State-funded Organizations and the Ministry of Finance and Strategy

82 on the necessity of adding "support for culture and art activities" to the set of evaluation criteria. In addition, any efforts to engage state-funded organizations in the mecenat movement should be made from the mid-to-long-term perspective, whereby more suitable companies, given their nature of business, are selectively approached to engage in the mecenat movement.

Sixth, it is important to lay down systems to promote the donations of the private sector in order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Private donations can be a useful source of financial support for not only public museums but also private ones. One way of promoting private donations is to grant tax deduction to individual donors for the amount they contribute to museums. It can have the effect of the government's direct support to museums. In this case, one's donation amount is virtually decreased by the amount of tax deduction, which has the effect of the government granting indirect subsidies to donors. Another way could be that out of the income tax a donor pays to the tax authorities, the amount of tax paid on his/her donation will be later transferred by the tax authorities to the recipient museum. This method is used in some countries including the UK.

The financial support measures suggested in this report are reviewed only in terms of their effectiveness as a way of raising financial resources. Their actual implementation requires coordination and discussions among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legislation, for which a political approach should be taken in order to reach an agreement among relevant ministries. Each suggestion should be reviewed in details to assess its necessity, develop logics and develop the best possible solutions to potential problems. The implementation of these suggestions should be timed in phases, in line with the amendments of relevant laws and in consideration of administrative fitness.

4. Conclusion

In Korea, the title of "regional branches of the national museum" was changed to the "national museums in provinces" in August 1975 and the government has since

83 sought balanced cultural development across the country by having one national museum in each province. Along the economic development, a nationwide campaign to unearth buried cultural assets kicked off and an increasing number of universities began to operate museums on their own.

In the 1980s, the government adopted new directions for cultural policy, that it will clarify cultural identity, distribute cultural benefits from a welfare perspective, promote the social educational functions of cultural facilities, enhance creative cultural abilities and reinforce support systems for cultural development. The government included the cultural sector in the 5th five-year socio-economic development plan and established the ‘Long-term policy planning for cultural development (1986~2000)’ in 1985. It means, the government began to see culture in the context of growing demand for culture along the economic growth of the country and as part of the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During these years, the government's cultural policies focused on setting up the nation's cultural identity,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experience culture, promotion of cultural creativity and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ulture. In particular, the five-year regional culture promotion plan (1984~1988) was established, laying the foundation to provide support for regional cultural activities and expand cultural facilities in coordination with the cultural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 construction of museums gained momentum as a way of cultivating regional culture and more fundamentally increasing access to cultural experience through the expansion of cultural facilities.

The government adopted a policy to expand cultural facilities, for which the Museum Act6) was enacted in 1984 and its enforcement decree in the following year. These laws related to museums stimulated the establishment of public and private museums, and consequently more than 20 public museums were constructed including the public museum in Gyeonggi province during this period.

6) The Museum Act was amended in 1989, but still had many areas to improve in order to respond to changing social needs. On November 30, 1991, the government proclaimed the Museums and Art Galleries Promotion Act in order to ease regula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museums and art galleries and strengthen support for them.

84 In 1990, the Ministry of Culture and Public Communication was split into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he Ministry of Public Communication. The Ministry of Culture established the museum department under the bureau of life and culture. In the 1990s, museums in Korea went through quantitative growth.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was launched in 1998, and it suggested ten key tasks for turning Korea into a country of advanced culture and welfare.

In the early 2000s, the government made active efforts to develop the so called software of culture, in addition to the construction of cultural infrastructure. There were a number of research works conducted as state-sponsored research projects, including 『Research on the mid-to-long-term development of national museums in province』(2000),『Research on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infrastructure in the mid-to-long term』(2001),『Research on the mid-to-long-term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entral museum』(2001) and 『Research on the mid-to-long-term development of museums and art galleries』(2002).

In Korea, museums have gone through rapid increase in a quantitative manner but research on the substance or quality of museums is only at the beginning stage. Social demands for cultural experiences fast change and museums are required to change functions and roles accordingly. At this juncture, it is very important that in-depth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systems and strategie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museums.

Policies to support museums are difficult to make and implement as they have various stakeholders, ranging from the departments of the central government which are responsible for museums, local governments, staff members of museums, users of museums, and also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operational systems of museums and other relevant policies. Putting good policies in place is the precondition of the development of museums, which will in turn lead to higher quality of people's lives and cultural experiences. Despite many challenges, museums in Korea have made progress over the years thanks to the efforts of the government, the museum community and the academia.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issues to be addressed

85 in order to provide people with more desirable services of museum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hat the museum community and the academia should mak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policy-making process on the cultural sector and their implementation, based accurate understanding of and interest in the government's museum policies, so that they can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museums and secure th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as expert groups.

Museums need to earn the status of a cultural facility for public interest and it cannot be done simply by having more museums constructed. Equally important is to reinforce the functions of museums, develop useful programs and contents, and cultivate experts who will operate the programs. To that end, museums need financial resources. In this report, suggestions were made to help secure financial resources to support museums and let them fully perform their functions. These suggestions can bring about desirable results only if they are accompanied by proper administrative coordination with the government and improvement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based on three principles of universality, efficiency and autonomy. If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the museum community and the public, who are the main users of museums, come together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useum policies, museums can serve as a core resource contributing to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the improvement of people's lives.

References the Ministry of Culture and Sports, ‘Research on policies to develop museums and programs in the 21st century’, 1997

Park Shin-ui, et al. Management of Culture and Art, Theories and Practice, Thinking Tree, 2002

Shim Gwang-hyun Basic directions of the government's budget for culture and task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 Source book of the ‘Policy debates on the culture and tourism sector for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budget execution plan (2003)'

86 co-hosted by the Ministry of Planning and Budget,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Lee Nan-young Museology, Samhwa Publishing 2008

Choi Jong-ho, ‘Practical work guidelines for museum employees (1)’, Korea Museum Association, 2000

Korea Cultural Policy Institute , 1996 『Vision and strategies for Korean culture in the 21st century』 2000 『Research on the mid-to-long-term development of national museums in provinces』 2001 『Research on the mid-to-long-term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infrastructures』 2001 『Research on the mid-to-long-term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entral museum』 2002 『Research on the mid-to-long-term development of museums and art galleries』

Hooper-Greenhill, E. 2011 Museums and their visitors. Routledge

Kotler, N. & Kotler, P., 2008 Museum Strategy and Marketing (2nd Ed.) John Wiley & Sons Inc

87 함께 만들어 가는 박물관

전태일

1. 문제의 제기

20세기를 기점으로 문화를 ‘산업’차원으로 인식하고 그 경제적 가치를 가늠하는 것 이 일반화 되고 있다. 문화의 경제적 가치와 산업화 가능성은 이미 다른 나라의 여 러 분야에서 증명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이 잘못된 것이라고만 하기에는 어렵다. 그러나 자칫 이러한 인식의 변화가 산업적 가치가 있으니 문화도 중요하다는 경제적 논리로만 작용하여 문화의 본질이 흐려질 수 도 있다는 것은 주지해야 할 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의 문화에 대한 인식과 지원 역시 비슷한 시기를 거치며 변화하고 있 다. 김대중 대통령의 ‘국민의 정부’에서 문화예산이 처음으로 정부예산의 1% 이상을 넘어서면서 문화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증가의 추세였던 것이 지난 정부들의 문화 정책 방향이었다. 문화에 대한 사회의 지원은 문화가 ‘산업’으로 인식되면서부터 그 형태의 변화가 생 겨 단순한 ‘지원’이 아닌 사업 파트너로서의 ‘투자’의 성격을 띠기도 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는 문화에 대한 ‘투자’를 유치하기에 어려운 점이 많은 것 으로 이해되는데, 투자의 사전적 의미인‘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사업 등에 자금을 댐’1) 에서 보이듯이 장차 얻을 수 있는 수익을 위해 현재 자금을 지출하는 것을 말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은 문화를 통해 이익을 창출한다는 것에 대해 사회적 으로 회의적이며 또한 문화계 자체에서도 문화 활동을 통한 이익 창출에 대해 비전 과 증거를 제시하여 외부 투자를 유치하기에는 전문 인력이나 경영 정책 등 여러 면에서 아직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부나 공공기관의 한정된 지원만으로 는 모든 문화단체나 기구의 운영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21세기의 현대사회는 문 화계에 있어 재정자립을 위한 내 외적인 노력과 변화가 과거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 게 필요한 시기라고 본다. 더욱이 박물관의 경우 재정상의 문제에서 파생되는 인력 부족과 각종 활동 프로그램 기획과 실행의 부족 등은 박물관과 대중의 사이를 더욱

1) 두산 동아 국어사전 2010년 증보판

88 멀게 만드는 위협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우리의 박물관은 사실상 극소수의 박물 관을 제회하면 박물관의 기본기능조차 수행하기 어려운 여건에 처해 있다”2)

이러한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이 글은, 박물관을 중심으로 최소한의 재정 자립과 운영 정상화를 위한 전략의 개발에 있어 현재의 정책을 포함하여 상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외부지원의 방향과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 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지원 시스템에는 기존의 지원 방식 이외에 ‘투자’와 이의 유치 역시 하나의 지원 방법으로 포함하고 있음을 미리 밝힌다. 그러나 이 글에서 사용되는 ‘투자’의 의미가 반드시 금전적인 이윤만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는 아니며 기존의 연구서나 보고서에서도 인용된 의미와 같이 ‘공공의 문화적 혜택’을 포함하 고 있다는 것을 전재한다. 경영적인 측면에서 볼 때 이익을 창출하여 재투자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현실적으로 운영자금의 수입과 지출이 동등한 정도가 가능하다고 생각되며 이를 ‘최소한의 재정 자립’3)으로 본다. 또 박물관 활동에 있어 최소한의 참여자(관람객, 이용자)가 확보되 며 전시와 기타 교육, 교류 프로그램이 박물관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 는 최소한의 여건을 충족시키는 상태를 ‘운영 정상화’로 보고자 한다.

2. 정책적 지원

우리 사회는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 문화의 집 등 공공문화기반시설의 양적 증가를 어느 정도 이룬 편이나 이러한 문화기반 시설의 양적 증가와 재정 투자에도 불구하고 정책의 방향과 재정투자 방향은 몇 가지 한계 를 보여주고 있다.

첫째, 문화기반시설의 하드웨어적 증가와는 달리 이를 운영할 프로그램, 운영 전문인 력, 기획, 경영 등 소프트웨어 측면에 대한 지원은 극히 미비하다. 이는 경영적 측면 에 있어 마련된 하드웨어를 현 상황에 맞추어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또는 보다 원 론적으로 하드웨어의 확장을 어떤 방향으로 할 것인가에 대한 기획이 부족하다는 것 을 전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부분이다. 박물관의 경우에서 보면 기획에는 사회 구성원과 타겟 그룹의 참여 여부도 포함되어

2)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2 박물관 미술관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p vi 3) 경영적인 측면에서 볼 때 이익을 창출하여 재 투자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현실적으로 운영자금의 수입과 지출 이 동등한 정도가 가능하다고 생각되며 이를 ‘최소한의 재정자립’으로 본다.

89 야 하는데 기획 자체가 원론에서 벗어나 있음으로 인해서 대중의 참여는 한정되었으 리라 짐작되고 결국 이러한 정책은 단순한 박물관의 숫적 증가 외에는 별다른 성과 를 기대할 수 없게 한다. 기획은 또한 평가를 수반하게 마련인데 예를 들어 박물관 시설의 확충을 통해 어떤 효과를 얻으려 했는지,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적절 한 인력이 배치되었는지, 그리고 박물관이 속한 사회 구성원들의 문화적 혜택이 증 대되었는지 등에 대한 평가가 부족하여 인프라 확충이 갖는 사회적 효과가 인식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둘째, 앞서 말한 것과 같이 문화 산업에 대한 지나친 경제논리로 인해 단기적으로 ‘이익’이 도출되는 분야4)에 대한 중복 투자는 반복되고 있는 반면에, 박물관 등 기 초 문화시설에 대한 재정투자가 매우 미약하다는 사실이다. 2014년 문화예술정책의 국정기조는 「문화 융성」이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진흥기금 의 사업예산은 2014년 대폭 확대되어 2013년 1,223억 원에서 2014년 1,875억 원으 로 전년대비 53% 증가하게 되었다.5)그러나 2014년에 새롭게 시작되거나 사업규모가 확대되는 사업은 대부분 예술가의 창작활동에 집중되고 있으며 특히 공연예술쪽에 치우여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문화를 주제로 한 산업의 개발과 발전은 ‘고유문화’가 기본 되지 않고서는 한계에 부딪치게 되며 장기적인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다는 점에서 거시적 시각을 토대로 전 략을 마련하고 이에 따른 예산 편성과 재정투자를 추진해야 할 것이다.

셋째, 문화지원금의 운용에 있어서 지원과 투자에 대한 평가 시스템을 부족하다. 현 재의 정책은 사립박물관의 입장에서 볼 때 비현실적인 세제 혜택 등으로 제한되어있 으며 국·공립의 경우 기부금을 받지 못하도록 되어있는 점 등은 우선적으로 재고되 어야 할 부분이며 이후 지원금의 운영 방식과 지원 후 평가 제도의 강화를 개발 하 여야 할 것이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우리사회는 주 5일제 정착에 따른 문화, 관광 여가 활동이 증대하고, 삶의 질 향상에 따른 지역 주민의 문화예술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으 며, 지식, 문화 주도의 콘텐츠 산업 중심으로 변화하고, 청소년과 청년층의 사회 참 여가 확대되고 있다.

4) 공연예술 분야. 특히 박물관 등 시각예술기관에 대한 지원은 공연예술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5) 문화체육관광부, 「문예기금 개편 보도자료」 (기획재정부 문화예산과, 2013) p.2

90 그러나 여전히 정부의 지원정책 가운데에는 사회공동체의 교류활동에 의해 자연스럽 게 생성 변화 발전 소멸하는 문화의 속성을 간과하고 마치 문화를 정부나 기관, 또 는 단체나 특정인에 의해 ‘제공’되는 것처럼 인식하여 자칫 예전의 ‘관 주도 행사’의 성격을 보일 가능성이 남아 있는 것도 사실이다. 정부의 문화예술 정책과 이의 활동 에서는 문화지원에 대한 열의를 보여주는 반면 여전히 박물관, 미술관의 건립과 운 영에 있어 사회적 요구나 필요성을 면밀히 검토 하여 이를 정책 수립의 기본으로 삼기 보다는 지자체나 관련 기관의 사업 목표에 따라 일률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크 게 변하지 않았던 것에서도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이번 정부에서는 문화를 정부나 몇몇 기관, 또는 단체에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기획 단계에서부터 문화의 수요자와 공급자, 그리고 정부가 함께 ‘참여’하여 문화 향 유의 사회적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정책으로 발전하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3. 박물관 지원시스템의 제안

우리나라의 문화정책은 70,80년대를 거치며 정부가 문화 발전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 식하지 못하고 재정적 기반을 세우지 못한 것에서부터 그 문제점을 찾아 볼 수 있 다. 이후로도 이러한 문제점의 핵심 사항은 완전히 해결되지 못한 채 정책의 수립과 집행이 중앙집권적이며 계획성과 일관성이 결여된 채 전시효과적인 사업, 행사 위주 의 사업으로 획일화 되어 왔다고 본다. 또한 문화에 대한 평가 역량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문화 행정 역시 비전문적이며 장기적인 정책의 비전 없이 피상적으로 전개 되었음을 지적 할 수 있다. 이 중 특히 박물관의 현황과 관련하여 현재 지적되고 있는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 박물관의 특수성과 문화시설로서의 기능적 고려가 배제된 채 건립되는 경우 - 지속적인 연구/조사, 프로그램 개발의 부재 - 전문인력/ 행정인력의 부족 - 관례적 지원의 정착 - 평가제도의 미 정착, 지원대상의 형평성 미흡 - 박물관의 특성을 살려낼 수 있는 중장기 발전계획의 부재

이러한 문제점 중에서 지원과 관련되어 우선적으로 지원의 기준을 세울 수 있는 “평 가”제도의 도입과 실행을 지적하고 싶다. 박물관 평가의 결과는 공개적이어야 하며

91 집행기능 중심에서 기획기능중심으로 평가지표를 세울 필요가 있다. 공립박물관의 평가는 문화정책국에서 98년부터 시작하여 매년 말 공개하고 있는 <전국 공공문화 기반시설 운영 평가제도>가 하나의 범례가 될 수 있는데, 현재 전국 공공문화기반시 설 운영 평가제도는 중앙부서의 감독기능이 약화되어 실제로는 평가결과가 인센티브 조절에 한정되어 평가-운영 및 조직 개혁으로까지 이어지지 못한 한계에 봉착하고 있어, 어떤 의미에서는 통계수집 이외의 의미를 얻지 못하고 있고, 평가결과를 완전 히 공개하지 못하고 있는 것 등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서는 앞서 말한 “기획기능 중심”의 평가지표를 적극적으로 적용해야 하고, 평가 결 과를 완전히 공개하며 이 결과를 박물관 운영정책과 조직 인사에 반영하는 등 평가 제도의 활용 방안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사립박물관의 경우에는 이 평가결과를 토 대로 지역정부나 단체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기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조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지원 정책을 마 련해야 한다. 공공도서관, 공립박물관, 미술관, 문화의 집 등 공공문화기반시설 관련 예산항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건립 조성을 중심으로만 구성되어 있고 프로그램 이나 콘텐츠 개발 관련 예산은 책정되어 있지 않은 사실을 알 수 있다. 더구나 이러 한 실정 하에서 전문 인력의 교육과 훈련을 기대하는 것은 더더욱 어려운 일이다. 결국 하드웨어에만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실제 박물관을 움직이는 소프트웨어 (특히 인력과 콘텐츠)의 기획·개발·운영에 대한 정책적, 재정적 지원은 7~80년대와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셋째, 정부는 문화 관련 예산과 기금에 대한 통합적인 운영계획을 세워야 한다. 재 정이야말로 문화정책의 가장 실질적인 반영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재정정책의 수립 에는 문화전문가, 시민단체, 그리고 국민들이 참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지금껏 박물관/미술관/문예회관 등 공공문화기반시설 대부분의 조직운영과 인사관리 및 예 산집행 등의 기본적인 문화행정의 절차 자체가 문화적 가치를 생산하고 유통하며 수 용하는 과정의 주체인 문화전문인력과 문화향수자인 시민을 중심으로 짜여있지 못하 고 일반적인 행정시스템과 동일한 방식으로 짜여 있어 프로그램의 비전문성, 비효율 적 운영 등 많은 난점을 야기해 왔다. 따라서 기금의 편성과 운영의 과정을 투명하 게 공개하고 과정에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

넷째, 조직인력 체계를 시설의 기능과 성격에 맞게 개편하는 일은 직접적인 예산을

92 들이지 않고 박물관의 운영과 그 효율성을 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 하루빨리 개선돼 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반 행정직 공무원의 수를 줄이고 전문직 중심으로 조직구 조를 개편하여 조직과 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모든 시설 운영에 민간전문인들이 참여하는 운영위원회를 구성하도록 법적인 장치를 만들어야 한다. 이를 준수하지 않 을 경우 법적 제재를 가할 수 있도록 법률에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직운영구 조가 개선되면 이를 바탕으로 중장기 목표를 설정하고 공공성을 강화하면서 저비용 고효율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운영의 내실화에 힘써야 한다. 또한 운영 구성원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재교육을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한다. 조직의 구성과 운영을 세 부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박물관/미술관의 관장은 문화경영 전문가가 담당할 수 있 도록 하고 운영위원회나 부 관장제도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구성하여 다양한 박물관 전문 분야의 전공자들이 이 역할을 맡고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학예직 정원의 법 정비율 수립 및 의무화해야 한다. 국공립 박물관의 경우 사무국(관리과)에 속해 있는 교육기능을 학예실로 이전, 사무국은 시설관리, 경리회계 등의 지원업무만 담당토록 해야 한다. 또한 대부분 형식적으로 설치한 운영위원회를 정기화하고 기능을 강화해 야 하며, 회의록 등을 공개해야 한다.

다섯째, 정부투자기관 및 공기업의 기금지원을 유도하여야 한다. 외국에 비해 기업메 세나 활동이 저조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정부투자기관은 공공성과 기업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기 때문에 경영이익의 실현 범위 내에서 국민생활의 질적 향상과 공익증진 기여 책임이 있고, 기업메세나 활동의 기폭제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공기업들은 개발연대에 정부의 재정금융혜택을 받아 급성장했고, 이는 국민전체가 공동으로 뒷 받침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공기업들은 오늘날 국민경제향상에는 기여하고 있으나 이제는 비경제적 가치증진에도 기여해야 하므로 실현된 이익을 공공성의 명 제 하에서 문화예술 등 국민문화복지에 지원하도록 정부가 추진해야 한다. 방법상 정부투자기관의 문화예술활동 지원확대의 제도화를 위해 정부투자기관 경영평가 시 그 실적을 평가해야 한다. 즉 경영평가지표 중 종합경영효율성의 “책임경영 및 공익 성 제고를 위한 경영진의 노력”에 “국민문화향상 지원”을 공익성증진의 측정기준으 로 채택해야 한다. 이러한 평가지표의 개선은 ‘정부투자기관운영위원회’ 에서 채택하 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문화예술지원이 경영평가지표로 추가되기 위해서는 정부투자 기관운영위원회와 재정경제부 담당자 설득, 평가지표 확정의 순서를 거쳐야 할 것이 다. 실제 메세나 활동으로서 정부투자기관을 활용할 경우에도 투자기관별 특성을 살 려 가능한 기업을 먼저 선정하고, 관련 분야별 연관성을 감안하여 최대한 고유목적

93 에 가까운 기관의 투자를 이끌어내는 세심하고 중장기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여섯째, 재원확충을 위해 민간의 기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민간 기부의 활성화는 공공 박물관뿐 아니라 사립박물관의 경우 재 정 지원의 형태로 적극 활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지원의 첫째 유형은 박물관에 대 한 기부금을 개인 소득에서 공제한 후 과세하는 제도로서 사실상 정부가 직접 지원 해주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며 이것은 기부행위를 조장시키기 위하여, 기부자의 실질 기부금을 감면 소득세만큼 줄여줌으로써 정부가 감면소득세만큼 간접적으로 기부자 에게 보조해 주는 효과가 있게 된다. 둘째 유형은 기부자가 기부금 상당액에 대하여 납부한 소득세액만큼을 후에 국세당국이 기부를 받은 수혜기관에게 추가 지급해 주 는 정책으로써 영국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끝으로 여기에서 논의된 방안들은 대부분 문화관련 재원의 지원방안으로서 적합성에 만 초점을 둔 것이다. 따라서 관련 부처와 당국과의 의견조율과 입법과정을 거쳐야 하는 사항들이며 이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서는 관련 부처들의 합의를 도출해내는 정 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우선 각각의 대안에 대해 필요성을 파악하고, 정책적 논리 를 개발하며, 예상 가능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최선의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관련 법규의 개정과 행정적 합목적성을 감안한 추진 일정을 맞추어 단계적인 도입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4. 결어

우리나라는 1975년 8월 국립박물관분관을 국립지방박물관으로 개칭하고 지방문화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 1도 1국립박물관 체재를 구축해 나가기 시작하였다. 경제개발에 따른 매장문화재 발굴사업 전국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대학박물관도 급격히 늘어나게 되면서, 박물관제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1980년에 들어와서는 ‘ 80년대 새 문화정책 ’으로 대표되는데, 이것은 문화적 주체 성의 확립, 문화적 혜택의 복지적 분배, 문화시설의 사회교육 역할 제고, 창조적 문 화 역량의 제고와 문화 발전을 위한 지원체제 강화 등을 정책기조로 삼았다. 이 시 기의 문화정책에 대한 관심은 ‘ 제5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수정계획 ’ 에 문화부문 계획을 통합한 것과 1985년에 ‘ 문화발전 장기정책 구상(1986~2000)’ 을 통해 나타

94 난다. 즉, 경제개발에 따른 문화적 수요의 증가와 국가발전 전략의 한 부분으로서 문화체계를 이해하기 시작한 것을 의미한다. 이 시기의 정책목표는 민족문화주체성 의 확립, 문화향수 기회의 확대, 문화 창조력 제고, 문화의 국제화로 요약할 수 있 다. 특히 이 기간에 주목할 만한 것은 ‘지방문화중흥 5개년계획(1984~1988)’ 이 마련 되어 지방 문화 활동에 대한 지원과 시설확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 중 앙계획과의 연계 아래 추진되었고, 구체적인 문화시설 확충을 통해 지방문화 육성의 일환이자 근본적으로는 문화향수의 기회확장의 의미에서 박물관 건립이 추진되기 시 작했다. 이어서 정부는 하드웨어 중심의 문화시설 보급정책을 수행하면서 1984년에 박물관 법6) 을, 다음 해에는 박물관법시행령이 제정·공포하였다. 박물관 관련법은 공립 및 사립박물관의 설립을 촉진하게 되어, 이 시기에 경기도박물관을 비롯한 20여 개의 공립박물관이 설립되었다. 1990년에는 문화공보부에서 공보처가 분리되고 문화부서가 독립부처로서 산하에 박 물관업무를 전담하는 박물관과를 생활문화국 산하에 신설하게 된다. 이 시기에는 박 물관의 양적인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1998년에는 문화관광부의 발족과 더불 어, 창의적 문화복지국가 건설을 위한 10대 중점과제를 제시하였다. 2000년대 초반에는 하드웨어적 정책과 건립 외에 소프트웨어적인 접근이 활발히 시 도되어『국립지방박물관 중장기발전방안 연구』(2000),『문화기반시설 중장기 확충 및 발전방안 연구』(2001),『국립중앙박물관 중장기발전방안 연구』(2001),『박물관 미술관 중장기발전방안 연구』(2002)등이 국책 연구 사업으로 이루어진다.

정부 정책의 변화에서 보이듯, 우리나라 박물관은 아직 양적인 증가속도에 비해 그 내면적 연구의 진행은 이제 시작되고 있는 형편이라 할 수 있다. 문화향유에 대한 사회적 욕구가 급변하고 이에 따라 박물관의 기능과 역할이 변화를 요구받고 있는 시점에서 박물관의 운영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와 전략적 방안의 보다 심층적이고 다 각적인 연구는 매우 시급하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박물관의 지원정책은 박물관을 담당하고 있는 중앙정부 관련 부서, 관련 지방자치 단체, 박물관 현장의 시스템과 조직 구성원, 이용자는 물론 다른 정책들과의 관계 등으로 인하여 정책 입안에서부터 집행에 이르기까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것이 사 실이다. 바람직한 박물관 정책이 없이는 박물관의 발전과 이를 통한 국민들의 삶의

6) 박물관법은 1989년에 개정되었으나, 사회적 욕구의 변화에 비추어 미비점이 많았다. 등록요건·설립규제를 완화하고 지원제도를 강화해야 한다는 필요에 따라 정부는 1991년 11월 30일 <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 을 제정·공포했다.

95 질 향상과 질 높은 문화 향유는 불가능하다. 그 동안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박 물관은 정책 당국과 박물관계, 박물관학계의 부단한 노력으로 꾸준히 발전해 왔다. 그러나 아직도 국민들에게 바람직한 박물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은 것 또한 사실이다. 특히 앞으로 박물관학계 및 박물관계는 국가의 박물관 정책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관심을 가지고 바람직한 정책 입안과 집행에 적 극 참여함으로써 박물관 발전에 기여하고 전문가 집단으로서의 책임과 권한을 확보 해야 할 것이다. 박물관이 문화적 공공성을 확보하려면 단순히 그 숫자를 늘리는 것만으로는 부족하 다. 박물관을 확충하는 것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그 박물들의 기능을 강화하고, 활 용도를 높이기 위해 프로그램과 내용을 개발하고 또 그것을 운영할 전문 인력을 확 보하고 양성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재원이 필요하다. 박물관이 제 기능을 충실 히 이행하기 위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 글에서 제시한 방안들은 보편성, 효율 성과 함께 자율성을 바탕으로 행정부서의 적절한 역할과 법규와 제도 개선이 함께 수반될 때 비로소 좋은 성과를 가져올 것이다. 중앙정부와 관련 지방자치단체, 박물 관계는 물론 박물관의 주체인 국민들이 함께 참여하는 정책 개발과 집행을 통하여 박물관을 국가 발전과 국민 개개인의 삶의 질 향상의 핵심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문화체육부, ‘21세기 박물관 발전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연구’, 1997

박신의 외, 문화예술경영, 이론과 실제, 생각의나무, 2002

심광현 참여정부 문화예산 편성의 기본방향과 제도개선 과제 , 기획예산처․문화관 광부․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주최 ‘참여정부 국가재정 운용계획 수립을 위한 문 화․관광분야 정책토론회’ 자료집 2003

이난영 박물관학 ㈜삼화출판사 2008

최종호, ‘박물관 실무지침(1)’, 한국박물관협의회, 2000

96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6 『21세기를 향한 한국문화의 비전과 전략』 2000 『국립지방박물관 중장기발전방안 연구』 2001 『문화기반시설 중장기 확충 및 발전방안 연구』 2001 『국립중앙박물관 중장기발전방안 연구』 2002 『박물관 미술관 중장기발전방안 연구』

Hooper-Greenhill, E. 2011 Museums and their visitors. Routledge

Kotler, N. & Kotler, P., 2008 Museum Strategy and Marketing (2nd Ed.) John Wiley & Sons Inc

97

Session 2

[Support] Supports and Changes of Museum's Role in Society

[지원] 외부지원과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The American Alliance of Museums’ Museum Connect Program: A case study of government-funded, museum cultural exchange

미국 박물관 협회의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정부 지원 박물관 문화 교류 사례 연구

Megan E. Lantz(메간 이 랜스) Senior Manager, American Alliance of Museums(AAM국제프로그램부 부장)

The American Alliance of Museums’ Museum Connect Program: A case study of government-funded, museum cultural exchange

Megan E. Lantz

Introduction and Background

Since 1906, the American Alliance of Museums (AAM) has worked on behalf of museums around the globe—from art museums and cultural centers, to science centers and zoos—by developing standards and best practices; sharing knowledge around issues of importance to the field; and championing the vital role museums play as critical educational institutions, economic engines, and community anchors. Museums Connect is a program administered by AAM and fund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s Bureau of Educational and Cultural Affairs with a mission to build global communities through cross-cultural exchanges while also supporting U.S. foreign policy goals, such as youth empowerment,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disability rights awareness. For nearly ten years, this program has strengthened connections and cultural understanding between people in the United States and abroad through innovative projects facilitated by museums and executed by their communities in 26 U.S. states and 45 countries. Through Museums Connect, these communities have developed a broade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one another’s cultures. Furthermore, the participating museums and related arts, cultural, scientific and historical organizations have created replicable models for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that reach beyond their physical walls to engage directly with members of the community.

1. Using the Museums Connect program as a case study, this paper seeks to:

· Provide a concise overview of the government funding and advocacy landscape

101 for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 Examine the unique strengths of Museums Connect as a government-funded, cultural exchange program; · Provide an overview of the structure and application process for the Museums Connect grant program, including examples of three projects.

An Overview: Government Funding for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funding for museums and cultural organizations in the United States operates under a different model than in many other countries. Apart from the Smithsonian Institution, almost all museums in the U.S. are non-profit, tax-exempt organizations, and as such, incorporated in a part of the U.S. tax code that allows them benefits and protects them from certain federal tax burdens and expenditures. On average, American museums receive far less than 25 percent of their operating budgets from public funding, which includes a combination of state, municipal and federal funding streams. American museums, therefore, must generate their operating budgets from a complex combination of public funding, private grants, private donations, and revenue earned from some combination of admission fees, museum store sales, and income from publications, food services, and events. Museums must work hard to balance raising the revenue needed to maintain operations and collections, and adhering to mission-based services.

Historically, museums can access government funding in several ways, and the majority of that funding is available from federal agencies through a competitive, peer-reviewed, grant-making process. The Institute of Museum and Library Services (IMLS) is the only federal agency dedicated to supporting the nation’s museums, in addition to the support it provides to libraries. In recent years, IMLS has received between $30 and $35 million dollars to make available to the nation’s museums. That amount is determined by Congress during the annual appropriations process and is then made available to museums by IMLS through a series of competitive grants. Several other agencies, including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and the

102 Departments of State, Interior, Defense, and others, also provide some funds for museums in specific disciplines or programs in specific project area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vast majority of museum funding that is available from federal sources is for public programming, professional training, and collections management – not for capital or physical improvements, expansions, and other “bricks and mortar” repair. In short, the current general preference in Congress is for federal funds to support programming that directly serves the public, not for “keeping the doors open and the lights on.”

AAM’s legislative agenda supports current and increased funding through the federal funding streams, maintains museums’ tax exempt status, and monitors other complex regulatory policies that directly affect museum operations. AAM closely monitors these issues and communicates them directly with federal agencies and lawmakers; educates and mobilizes museum supporters and professionals about the policy process and issues; and encourages these stakeholders by giving them tools to contact agencies and lawmakers to advocate for their museums.

U.S. Department of State and AAM: A History of the Partnership

The American Alliance of Museums and Department of State’s Museums Connect grant is an example of a program through which government funding is made available to museums within the United States to partner with museums overseas for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AAM’s relationship with the U.S. Department of State is more than forty years old. From 1973 to 1977, the Foreign Museum Professionals Project, administered by the Alliance and funded by the Bureau of Educational and Cultural Affairs of the U.S. Department of State, sponsored approximately 20 international museum professionals who traveled together throughout the U.S. for a one-month period, visiting museums and meeting American colleagues. This brief exposure to a variety of institutions and their staff was designed to introduce non-U.S. museum professionals to American museums and their methods of working. Many of the visitors and their American counterparts, however, expressed an interest in a program that would provide the opportunity for substantive exchange and the

103 time to learn more about the participating institutions and their staff. In 1980, to respond to this need, AAM designed a pilot project, International Partnerships Among Museums (IPAM), to encourage integr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museums in the U.S. and their counterparts in other countries. Through IPAM, museums in the U.S. were partnered with museums abroad, and together they developed projects of interest to both institutions. Designated staff members then carried out project activities during month-long residencies at each museum. The program was designed to create long-term relationships between institutions, to increase U.S. citizens’ awareness of other cultures, and to provide citizens of other nations with a fuller understanding of life in the United States. From its inception through the final cycle in 2005-2007, IPAM made possible 245 global museum exchanges.

However, IPAM had limitations. The program only involved one person at each institution; there was no broader buy-in from the larger organizational culture. Additionally, many of the projects were research-based; the work was admired by a small subset of professionals but did not have a measurable impact in the museums involved, and often was completely unknown in the local communities. To broaden the scope and engagement of the stakeholders involved, as well as the impact of the projects, Museums and Community Collaborations Abroad was created in 2007, and in October 2012, the name was shortened to “Museums Connect,” the current name of this initiative.

Museums Connect

Museums Connect projects have several additional benefits that build upon the features of predecessor programs: · Museums Connect grants extend exchange projects beyond the walls of museums and into the communities they serve. The program brings together community members from diverse backgrounds to work on projects of mutual interest, breaking down stereotypes while emphasizing shared cultural values. Museums are challenged to better understand their audiences, act as civic partners with these groups, and work to integrate their needs into the activities of the

104 partnership. Community members are active participants in Museums Connect projects rather than passive audiences. While museum staff members create the framework for the project, it is their community members who actually execute the project activities. · Projects address compelling social issues that support U.S. foreign policy priorities (e.g., youth leadership, gender equality,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social inclusion) using the strategies museums employ to educate and inspire: asking important questions, collecting and preserving history while contemplating a better future, and telling powerful stories that provoke action and change. · Projects incorporate dynamic public outreach, public programming, and extensive communications plans, which promote the value and benefits of museums working collaboratively with and within their communities. These plans include project promotion through social media, traditional press, radio, television, local or tribal governments, schools, community events, and U.S. Embassy-sponsored activities, among other outlets. · Museums Connect grants require participants to create tangible outputs such as exhibitions that inspire local communities in the U.S. and abroad. · Museums Connect grants allow applicant museums to propose project formats that reflect their exchange goals, audiences and expertise, and showcase their unique collections and capabilities, rather than dictating a fixed exchange schedule and framework. · Museums Connect grants offer increased flexibility for travel, allowing for multiple museum staff participants with complimentary areas of expertise to collaborate on each project and for community members to also experience different cultures. By including more travel in the process, the program fosters richer and more sustained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ties.

Museums Connect utilizes a three-phase application process that extends over the course of a year or more to allow for sufficient lead time to identify a partner and generate project concepts. The three-phase process includes: 1) Museum Profile and Partnering, 2) Statement of Intent to Propose and Endorsement, and 3) Final Proposal.

105 Phase I- Profile and Partnering In Phase I, all U.S. and global museums interested in the program submit profiles through AAM’s website, which can then be publicly reviewed by potential museum partners. The profile provides basic information about the museum, its local communities, and its initial project ideas or interests. Museums may submit a profile year-round to express interest in applying; new submissions are posted on a regular basis. Once they have submitted a profile, museums then work to identify a partner. Partnerships must consist of at least one U.S. museum and at least one non-U.S. museum, and may be formed through existing relationships or through the museum's efforts to find a new partner from the submitted profiles on the Museums Connect website.

Phase II - Statement of Intent to Propose and Embassy Endorsement After museums have submitted profile forms and partnered, staff at the U.S. and non-U.S. museums work together to develop a 3-5 page “statement of intent to propose.” The statement describes the museums’ project idea and how it relates to the program’s themes, and outlines potential community partners, methods for engaging audiences and expected outcomes and outputs. The statements are nonbinding and are not subject to competitive review, but rather are used to receive feedback from Museums Connect staff before proceeding to Phase III. Museums Connect staff offers detailed feedback on every project concept to ensure the submission of strong final proposals. Also upon receipt of the statement, Museums Connect staff work with the U.S. embassy or consulate nearest the non-U.S. museum(s) to request endorsement for the project. Embassy staff acts as allies, helping with visa procurement, project promotion and communications as necessary. Endorsement is at the discretion of the post; projects that do not receive endorsement are not eligible to proceed to Phase III to be considered for an award.

Phase III - Final Proposal Successful final proposals clearly demonstrate how the project builds on the missions and strengths of the museum partners to pioneer a new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strengthens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of the participating countries. The

106 final proposal consists of a narrative describing the project, a communications plans, a calendar of activities, and a budget.

Awards are offered on an annual basis in amounts between $50,000 and $100,000, and require a 50 percent cost-share match of direct or indirect expenses. Projects must be mutually beneficial, address critical issues and themes, and include community and museum staff travel between participating countries. In addition to incorporating the required outcome of creating increased understanding between the U.S. community and the community abroad, projects addressing themes identified by Museums Connect receive additional consideration. AAM and the Department of State work closely to develop and update these themes on an annual basis, which include timely societal issues that also align with U.S. foreign policy goals.

An examination of several specific Museums Connect projects across the globe will demonstrate the unique features of this federally funded museum and cultural exchange program.

107 North-South: Art as a Tool to Mediate Political and Social Conflict: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Gyeonggi-Do, Korea and Sonoma County Museum, Santa Rosa, CA

Korean student participants working on their peace tree

Through North-South: Art as a Tool to Mediate Political and Social Conflict, the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in Korea and Sonoma County Museum in California collaborated with artists and high school students to tackle the human side of border conflicts in their communities. Near the Gyeonggi Museum, the Demilitarized Zone (DMZ) divides the Korean peninsula into two separate countries: North Korea and South Korea. In Southern California, territorial warfare between rival Norteño and Sureño (North and South) gangs terrorizes the area, particularly low-income neighborhoods in Santa Rosa and Salinas. While the situations in Korea and California differ vastly both in nature and scale, their effects on the people, particularly youth, living in their midst are similar in many ways. The museums developed North-South to allow youth affected by these conflicts to learn about the realities of one another's lives, reconsider their own situations from the perspectives

108 of their peers abroad, and create collaborative art reflecting their circumstances, identities, and communities.

The focal points around which both museums based their programs were the creation of collaborative “peace tree” sculpture projects, created using found and recycled objects to symbolize rebirth and renewal. Students from both groups were partnered with artists from the U.S. and from South Korea to build these sculptures—Seok Hyun Han in Korea, and Mario Uribe in Sonoma County. In preparation for creating the trees, representatives from the museums traveled with artists and students to visit forests in South Korea and in Northern California. The students traveled to the DMZ in Korea, to various art museums in California and Korea, and heard lectures from scholars, political leaders, and even the Santa Rosa Police Department’s anti-gang task force. Seok Hyun and Mario worked together across borders to design workshops and activities that would foster the creation of two very different sculpture projects reflecting the realities of conflict in Korea and California and sending a message of hope for the future. emPOWER Parents: Fostering Cross Cultural Networks between Families with Autism: Museo ICO Spain and Queens Museum of Art, NY

109 The Queens Museum community team for emPOWER Parents

In response to the growing need for the advanced development of autism programming in museums, schools, and other public institutions, as well as recent shifts in the way that autism is understood and treated, The Queens Museum of Art in New York and Museo ICO in Madrid, Spain collaborated on the project emPOWER Parents: Fostering Cross Cultural Networks between Families with Autism. The project’s main objective was to create and promote a bi-national network of parent advocates, giving parents the tools to effect institutionalized change in both countries around the ways in which autism is understood, and the opportunities that students with autism have within their local communities.

The emPOWER Parents project worked towards its objectives through two main initiatives. Project organizers created groups in each country comprised of parents,

110 educators, and museum staff who attended monthly workshops, participated in exchange visits between Spain and the U.S., and produced items for exhibition. The project also launched the website www.empowerparents.net, which created a network of parents, educators, social workers, museum professionals, and institutions interested in creating, sharing, and publicizing information related to autism resources available within museum environments. Through the website, users were empowered to create and connect with one another through discussion forums, learn about resources, and share information.

Participants came away from their engagement in emPOWER Parents with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resources available in both their and their counterparts’ countries; learned how to advocate for change in the perception and treatment of autism; were familiarized with strategies and best practices for working with children with ASD; made new friendships; and learned about one another’s cultures.

Girl Ambassadors for Human Rights: Corporación Parque por la Paz Villa Grimaldi, Santiago, Chile; Sri Lanka Plantation Workers' Museum, Paradeka, Sri Lanka; and The Matilda Joslyn Gage Foundation, Fayetteville, New York

Girl Ambassadors for Human Rights program participants in Chile

111 In an effort to inspire and equip a new generation of women activists, the International Coalition of Sites of Conscience and three of its member sites: Corporación Parque por la Paz Villa Grimaldi (Chile), Sri Lanka Plantation Workers’ Museum (Sri Lanka), and the Matilda Joslyn Gage Foundation (Fayetteville, NY) launched Girl Ambassadors for Human Rights in August 2102, a one-year exchange and leadership program for girls in Chile, Sri Lanka and New York.

Using as a launch pad the unique histories of women’s struggles for gender equality and human rights housed at the three sites, 45 15 to 17 year-old girls participated in a multifaceted learning exchange, equipping them with the knowledge, skills, and perspective to serve as global ambassadors and activists for human rights and gender equality. Participating girls examined parallels between gender issues across cultures; discussed questions of identity, experiences with gender-based discrimination and definitions of what it means to be free as a woman; explored the evolution of gender roles, particularly women and girls’ roles in social change; and studied the societal structures that create and sustain gender-based inequalities and violence. Interviews and reflections of their experiences were recorded and incorporated as part of an oral archive housed at each of the participating sites and made available to all of the Coalition’s 185 members, internationally. In addition, four girls, one community leader, and the site director from each community were selected to serve as travelling ambassadors, participating in exchange visits with the other sites, leading the international exchange between all participating girls and communicating to the broader group the reflections of their local Girl Ambassadors network.

As a result of their participation in Girl Ambassadors for Human Rights, the girls demonstrated an increased knowledge of historical women who changed their societies; developed leadership skills through mentorships with inspiring contemporary leaders; gained exposure to different cultural practices; acquired communications skills; increased their understanding of women’s and human rights, internationally; and expanded their awareness of young women's experiences around the world.

112 Conclusion

“The Girl Ambassadors for Human Rights program has indubitably changed my life. It has opened my eyes, helped me discover my passion, and pushed me to find my voice. . . Learning about gender inequality on a global scale impacted me tremendously; I knew I wanted to do everything I could to fight injustices in our society. I realiz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others and standing up for what I believe in.” –Leah, Girl Ambassador

An examination of the Museums Connect grant program underscores the unique federal funding landscape for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incredible outcomes that result from innovative programming that pairs the capacity and reach of the Department of State with the capabilities of museums as facilitators of both local and global community connections. Whether it’s using art to foster social change, encouraging more women to enter th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or supporting peacebuilding after community tragedies, Museums Connect projects foster collaboration and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nd transform communities and the institutions that serve them. Furthermore, they often go beyond the anticipated project outcomes to inspire and effect sustained change in the lives of the individual participants themselves: helping them to re-envision how they might make meaning and effect positive change in the world and in their home communities, and nurturing lasting relationships that span oceans and time zones. The American Alliance of Museums is proud to partner with the U.S. Department of State to conduct this innovative program, helping to underscore the pivotal role museums play in the world as community institutions by making a difference, one community at a time.

113 미국 박물관 협회의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 정부 지원 박물관 문화 교류 사례 연구

메간 이 랜스

도입 및 배경

1906년부터 미국박물관협회 (American Alliance of Museums: AAM)은 아트 박물관 에서부터 문화 센터, 과학 센터 및 동물원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의 다양한 박물관을 대표하여 관련 기준과 베스트 프랙티스를 정하고, 박물관 분야에서 중요한 사안에 대한 지식을 나누고, 중요 교육 기관이자 경제의 엔진, 커뮤니티의 중심으로서 박물 관의 역할을 대변하는 등 다양한 업무를 담당해왔다.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은 AAM 에서 주관하고 미 국무부 교육 문화국에서 재정 지원을 받아 다양한 문화 간에 글 로벌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청소년 권익 강화, 환경 지속 가능성 및 장애인 인권 의 식 향상 등 미국의 외교 정책 목표 달성을 지원하고자 하는 목표 하에 시행되었다. 거의 10년에 달하는 기간 동안 본 프로그램은 박물관에서 후원하고 미국의 26개 주 와 그 와 45개 국가의 커뮤니티에서 실행하는 다양한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미 국 및 해외의 국민들 간에 연계와 이해를 강화하는 데 기여해 왔다. 박물관 연계 프 로그램을 통해 이들 커뮤니티에서는 서로의 문화에 대해 이해와 지식을 폭을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 더 나아가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물관 및 예술, 문화, 과학 및 역사 등 관련 기관에서는 해당 분야에서 국제 협력을 위한 유사한 모델을 구축하여 물리 적인 장벽을 넘어 각 커뮤니티의 구성원들과 직접적으로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 할 수 있었다.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을 사례 연구 대상으로 삼아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 을 살펴보고자 한다.

· 미국 내 박물관에 대한 정부 재정 지원 및 지원 환경에 대한 간략한 설명

· 정부 지원 문화 교류 프로그램으로서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의 강점 설명;

· 세 가지 프로젝트 예시를 포함하여 박물관 연계 지원 프로그램의 개괄적 구조 와 신청 절차.

114 개요: 미국 내 박물관에 대한 정부의 재정 지원

미국의 박물관 및 문화 단체에 대한 정부의 재정 지원은 다른 많은 국가와는 다른 모델 하에 운영되고 있다. 스미소니언 협회를 제외하고 미국의 대부분의 박물관들은 비영리, 조세 감면 기관으로 세법 상 특정 연방 조세 부담 혹은 지출상의 혜택을 부 여 받거나 혹은 보호 받을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평균적으로 미국의 박물관에 대한 공공 기금 지원은 운영 예산의 25퍼센트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여기 에는 주, 자치 정부 및 연방 기금 지원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미국의 박물 관들은 공공 기금, 민간 기금 및 민간 기부 및 운영 수수료, 박물관 상점 매출, 출 판, 식음료 서비스 및 행사 수익 등 다양한 조합의 수익원을 통해 별도로 운영 예산 을 마련하여야만 한다. 이는 박물관 운영, 컬렉션 및 본래의 사명을 위한 서비스 비 용 등을 마련하기 위해 자체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의 미한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박물관에 대한 정부 지원에는 몇 가지 방식이 존재하는데 그 중 주요 방식은 상호 심사 경쟁 지원 절차에 따라 연방 기관의 예산 지원을 확보하 는 방식이다. 박물관도서관 서비스기구(Institute of Museum and Library Services: IMLS)는 미국 내 박물관과 더불어 도서관에 대한 지원들 담당하는 유일한 연방 기 구이다. 최근 몇 년 동안 IMLS 에서는 3천만 달러에서 3천 5백만 달러에 달하는 기금을 마련하여 미국 내 박물관에 대한 지원을 실시해 왔다. 이러한 지원 규모는 미 의회에서 매년 세입세출 규모 논의 시에 결정되며 이에 따라 경쟁 지원 절차를 거쳐 IMLS에서 박물관을 대상으로 지원을 실시하게 된다. 국립 예술기금 위원회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국립 인문재단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국립 과학재단 (National Science Foundation) 및 국무부, 내무부 및 국방 부와 기타 연방 단체 등을 포함한 많은 기관에서 특정 분야의 박물관 혹은 특정 프 로젝트를 진행하는 박물관을 대상으로 기금을 지원하는 경우도 있다. 한 가지 중요 한 점은 박물관에 대한 연방 기구로부터의 지원 중 대부분이 공공 프로그램, 전문 교육 및 컬렉션 관리를 위한 것으로 단지 자본이나 물리적 시설 개선, 확장 혹은 기 타 “물리적인 설비”의 보수 등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다시 말해 현재 미국 의회에서 연방 기금 지원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는 단지 “시설을 마련하고 가동” 하 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중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쪽에 보다 초 점을 맞추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115 AAM에서는 연방 정부의 기금 마련을 통해 현재 및 추가적인 재정 지원을 실시하 고, 박물관에 대한 면세 혜택을 유지하며 박물관 운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복잡 한 규제 정책을 모니터링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AAM에서는 이러 한 사안들을 면밀히 추적하여 이에 대해 연방 기구 및 의원들과 직접적으로 커뮤니 케이션을 실시하며 동시에 박물관 후원자 및 종사자들에게 정책 관련 절차 및 사안 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필요할 경우 이들을 동원하기도 한다. 또한 이들 관계자들 에게 각자의 박물관을 지원해 줄 수 있는 기구 및 의원들과의 연락 채널을 제공함 으로써 그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도 한다.

미 국무부와 박물관협회: 파트너쉽의 역사

미국 박물관협회 (AAM)와 국무부의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은 미국 내 박물관중 해 외 박물관과의 파트너쉽을 통해 문화 교류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박물관을 대상으로 한 정부 기금 지원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예이다. AAM과 미 국무부는 40년 이상의 협력 관계를 지속해 왔다. 1973년에서1977년 까지 박물관 협회가 진행하고 국무부 교육 문화국의 재정 지원을 받아 실시된 외국 박물관 전문가 프로젝트 (Foreign Museum Professionals Project)를 통해 약 20여 명의 해외 박물관 전문가들이 미국 전역을 약 한 달간 여행하며 박물관을 둘러보고 미국 연맹 담당자들과 만남의 시간 을 가졌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양한 기관과 그 직원들과의 짧은 만남을 통해 미 국 이외 지역의 박물관 전문가들에게 미국의 박물관과 그 운영 방식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프로젝트에 참가한 많은 방문객들과 그들과 만남을 가졌던 상대방들은 참 가 기관 및 그 직원들과의 장기간에 걸친 실질적인 교류를 통해 다양한 기관에 대 해 보다 자세하게 알아갈 수 있는 기회를 희망하였다. 이러한 바람에 대한 응답으로 AAM에서는 1980년 국제 박물관 파트너쉽 (International Partnerships Among Museums: IPAM)을 구축하여 미국 내 박물관과 해외 박물관 사이의 교류와 협업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IPAM를 통하여 미국 내 박물관들의 해외 박물관과 파트너쉽을 구축하고 양쪽 기관의 공통의 관심사에 대한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서로의 박물관에 상대방 측의 담당 직원이 수 개월 동안 상주하면서 프로젝트 활동 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박물관들 간에 장기적인 관계 형성과 미국 국민들 간에 타 문화에 대한 이해 강화 및 타 국가 국민들에게 미국의 생활에 대한 폭 넓은 이해의 기회 제공 등을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그 시작점에서부터 2005년에서 2007년 마지막 사이클까지 IPAM을 통해 전 세계245 박물관과의 교류가

116 이루어졌다.

그러나 IPAM에도 한계점은 있었다. 프로그램 상 각 기관별로 한 명의 개인만 참여 가 가능하였으며 보다 대규모 문화 기관으로부터의 폭 넓은 지원이 이루어 지지 못 했다. 또한 프로젝트의 대부분이 연구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진행된 업무의 대부분 이 소규모 박물관 직원들의 참가로 진행되어 참여한 박물관 전체에 대한 충분한 효 과로 이어지지 못했다. 해당 지역사회에도 거의 알려지지 못한 채 진행된 경우가 대 부분이었다. 프로젝트의 효과와 더불어 관련 참가자들의 범위와 참여를 확대하고자 2007년과 2012년 10월 해외 박물관 및 커뮤니티 협업 (Museums and Community Collaborations Abroad)사업이 진행되었으며 이후 그 이름이 “박물관 연계” (Museum Connect)라는 현재의 더 짧은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박물관 연계

박물관 연계 프로젝트는 이전의 프로그램에서 더 나아가 몇몇의 추가적인 이점을 가 지고 있다.

· 박물관 연계 지원을 통해 박물관의 물리적인 공간을 넘어 소속 커뮤니티로 프 로젝트를 확대하고 더욱 폭 넓게 교류할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커뮤니티 구성원들을 한데 묶어 공통의 관심사에 대한 프로젝트 작업이 가능 하게 해 주며 기존의 편견을 불식시키는 동시에 공동의 문화적 가치를 강조해 주 는 역할을 한다. 박물관에게는 관람객을 더 잘 이해하고 이들 그룹의 민간 파트너 가 될 수 있는 자극제의 역할을 하며 동시에 다양한 그룹의 니즈를 반영하여 파 트너쉽 활동에 통합시키는 작업이 가능하다. 커뮤니티 구성원들 역시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에 있어 단지 수동적인 관객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동참이 가 능하다. 박물관 직원들이 프로젝트의 기반을 마련한다면 이러한 프로젝트의 활동 을 실제 실행에 옮기는 것은 커뮤니티의 구성원 들이다.

· 프로젝트를 통해 박물관에서 직원들을 교육하고 영감을 주기 위해 사용하는 전 략을 통해 미국 외교 정책의 최우선 과제를 지원하는 중요한 사회적 이슈를 다룬 다 (예: 청소년 리더십, 양성 평등, 환경 지속 가능성, 사회적 포용성): 중요한 문 제들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역사를 수집하고 보존하는 한편 더 나은 미래를 고심 해 보고 행동과 변화를 촉구하는 강력한 스토리텔링을 선도 한다. · 프로젝트를 통해 다양한 사회 봉사, 공공 프로그램 및 광범위한 커뮤니케이션

117 계획을 수립하고 커뮤니티와 함께 혹은 커뮤니티 내에서의 박물관 업무의 가치 및 혜택을 확대한다. 이러한 계획으로는 소셜 미디어, 전통적인 언론, 라디오, 텔레 비전, 지역 및 부족 정부, 학교, 커뮤니티 이벤트 및 미국 대사관 후원 행사 등을 통한 프로젝트 홍보 등이 포함된다.

· 박물관 연계 기금 지원에서는 참가자들로 하여금 미국 및 해외에서 현지 커뮤 니티에 영감을 주는 전시 기획 등 실질적인 결과물을 창출하도록 장려한다. · 박물관 연계 기금 지원에서는, 일방적인 교류 스케줄 및 형식을 제시하기 보다 는 신청 박물관을 대상으로 각자의 교류 목표, 관람 계층 및 전문성을 반영하고 고유의 컬렉션 및 역량을 보여 줄 수 있는 프로젝트 형식을 제안하도록 장려한다.

· 박물관 연계 기금 지원에서는 유연한 출장 지원을 통해 각 프로젝트 마다 서로 상호 보완적인 전문성을 가진 다수의 박물관 직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동 시에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젝트 과정에 더 많은 여행 기회를 포함시킴으로써 프로그램을 통해 커뮤니티 간에 더욱 풍부하 고 지속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은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3 단계에 걸쳐 진행되며 충분한 준 비 기간을 두어 파트너를 모색하고 적절한 프로젝트 컨셉을 기획할 수 있도록 하였 다. 3 단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 박물관 프로필 및 파트너 모색2) 제안의 목 적 및 승인 내용 기술3) 최종 제안

1단계 – 프로필 및 파트너 모색 1단계에서는 프로그램에 관심이 있는 모든 미국 및 글로벌 박물관에서 AAM 웹사이 트를 통해 프로필을 제출하게 되며 제출된 프로필은 잠재적인 박물관 파트너들의 검 토를 거치게 된다. 프로필에는 제출 박물관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소속된 커뮤 니티 및 일차적인 프로젝트 아이디어 및 관심 분야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박물관 에서는 신청 시 관심 분야를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연간 프로필을 제출할 수 있으며 정기적으로 신규 프로필 제출도 가능하다. 일단 프로필이 제출되면 다음으로 박물관 은 파트너를 정해야 한다. 파트너쉽 구축에 있어서는 최소한 한 개의 미국 박물관과 한 개 이상의 미국 외 지역 박물관이 포함되어야 하며 기존의 파트너 관계를 활용 하거나 혹은 박물관 연계 웹사이트에 프로필을 제출한 대상 중 새로운 파트너를 찾 아 파트너쉽을 구축할 수도 있다.

118 2단계 – 제안의 의도 및 대사관 승인 내용 기술 박물관 프로필 양식 제출과 파트너 찾기를 완료하고 난 후 파트너쉽을 구축 한 미 국 및 미국 외 지역 박물관 직원들이 공동 작업을 통해 3-5페이지의 “제안 목적 기 술서”를 작성한다. 기술서에는 각 박물관의 프로젝트 아이디어와 프로그램 주제와의 관련성 등이 기술되어야 하며 또한 잠정적인 커뮤니티 파트너, 관객과의 참여 방식, 예상 결과 및 결과물 등을 개괄적으로 정리한다. 기술서의 내용은 구속력을 갖지 않 으며 경쟁 검토 내용으로 제출되지 않는다. 다만 3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박물관 연 계 프로그램 담당 직원들의 피드백을 받기 위한 자료로 활용된다. 박물관 연계 담당 직원들은 모든 프로젝트 컨셉마다 세부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최종 제안 시에 내실 있는 내용이 제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술서 제출과 동시에 박물관 연계 담당 직원들은 미국 이외 지역의 참가 박물관에서 가장 가까이에 있는 미국 대사관 혹은 영사관측에 해당 프로젝트의 승인을 요청한다. 대사관 직원은 프로그램의 동반자로 서 비자 발급, 프로젝트 홍보 및 필요한 커뮤니케이션 등을 지원한다. 승인 여부는 각 지역 별 재량이며 승인을 받지 못한 프로젝트의 경우 최종 승인을 획득하기 위 한 3단계 진입이 불가하다.

3단계 – 최종 제안 성공적인 최종 제안을 위해서는 프로젝트가 어떻게 박물관 파트너의 사명과 강점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국제 콜라보레이션을 구축하고 참여 국가의 국민들 간의 관계 를 강화할 수 있는지 그 기획의도를 분명히 보여 줄 수 있어야 한다. 최종 제안은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계획, 활동 계획서 및 예산 등을 포함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야 한다.

최종 기금 지원 규모는 연간 5만 달러에서 10만 달러 규모이며 직접 및 간접 비용 의 약 50퍼센트를 부담하게 된다. 승인 프로젝트는 상호 호혜적인 내용으로 핵심적 인 사안 혹은 주제를 다루며 참여 국가 간에 커뮤니티나 박물관 직원의 출장 및 여 행 일정을 포함하여야 한다. 미국 및 해외 커뮤니티 간에 이해 증진이라는 필수 결 과물 이외에도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에서 제시한 주제를 다루는 프로젝트의 경우 추 가적인 고려 사항의 적용을 받는다. AAM에서는 국무부의 밀접한 연계를 통해 이들 해당 주제를 매 년 개발 및 업데이트하며 여기에는 해당 시기의 사회적인 문제 중 미국의 외교 정책 목적과 궤도를 같이 하는 사안들이 포함될 수 있다.

119 전 세계에서 실시된 박물관 연계 일부 프로젝트에서는 연방 정부의 지원을 받는 문 화 교류 프로그램으로서의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만의 특성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남북: 정치 및 사회적 갈등 중재의 도구로서의 예술 : 한국 경기도의 경기도 미 술관과 캘리포니아 산타로사의 소모나 카운티 박물관

한국 학생들이 평화의 나무를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다.

남북 ( North-South):정치 및 사회적 갈등 중재를 위한 도구로서의 예술 프로젝트를 통해서 한국의 경기도 미술관과 캘리포니아 소모나 카운티 박물관의 공동 주관으로 예술가들 및 고등 학교 학생들이 참여하여 커뮤니티 내의 갈등을 인류적인 차원에서 다루고자 시도하였다. 경기도 미술관 근처에는 한반도를 남한과 북한으로 가르는 비 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DMZ) 가 자리잡고 있다. 캘리포니아 남부에는 특히 산타로사와 살리너스의 저소득 지역을 중심으로 라이벌 관계에 있는 남부 및 북부 ( Norteño 와 Sureño (North and South))의 갱들이 해당 지역을 공포에 몰아 넣고 있 다. 한국과 캘리포니아의 상황은 그 규모나 성격 면에서 다소 다르지만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그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은 여러 가지 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해당 박물관과 미술관에서는 남북 프로젝트를 통해 이러한 갈

120 등에 노출된 청소년들에게 각자의 삶의 현실을 깨닫고 외국의 상대방 청소년들의 시 각을 통해 본인들이 처한 상황을 다시 생각해 보고 본인들의 상황, 정체성과 커뮤니 티를 반영한 합동 예술작품 창작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두 개의 박물관이 실시한 본 프로그램에서는 협동 작업을 통해 재활용 소재를 가 지고 재탄생과 재생을 상징하는 “평화의 나무” 조형물을 제작하는 것을 핵심 목표 로 설정하였다. 양쪽 커뮤니티의 학생들은 미국 소모나 카운티의 마리오 우리베와 한국의 한 석현 작가와의 협동 작업을 통해 이들 조형물을 완성하였다. 평화의 나무 제작 준비 과정에서 박물관의 대표자들이 작가 및 학생들과 함께 한국 및 북부 캘 리포니아를 방문하였다. 학생들은 한국의 비무장지대를 방문하거나 한국과 캘리포니 아의 다양한 박물관을 관람하였으며 산타로사의 경찰청 갱 범죄 특별반을 방문하기 도 하였다. 한석현 및 마리오 작가는 양국을 오가며 워크샵을 기획하고 한국과 캘리 포니아의 갈등의 현실을 보여 주고 전 세계에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할 두 개의 매 우 다른 조형물 제작 프로젝트의 기획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학부모 권익 향상 (emPOWER Parents):다양한 문화권의 자폐 가족들 간에 네트워 크 강화 (Fostering Cross Cultural Networks between Families with Autism):스페인 ICO 박물관과 뉴욕 퀸즈 미술관

121 퀸즈 미술관 커뮤니티의 emPOWER Parents 팀

최근 자폐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자폐아를 대하는 태도에 있어 많은 변화와 더 불어 박물관, 학교 및 기타 공공 기관 내의 자폐 관련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 한 인식 증가에 따라 뉴욕 퀸즈 미술관과 스페인 마드리드의 ICO박물관이 공동으로 emPOWER Parents: 다양한 문화권의 자폐 가족들 간에 네트워크 강화 (Fostering Cross Cultural Networks between Families with Autism)프로젝트를 기획하였다. 본 프 로젝트는 양 국의 자폐아동 부모들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양 국 모두에서 자폐에 대한 이해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 자폐 학생들에게 해당 커뮤니티 내에서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emPOWER Parents 프로젝트는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크게 두 가지 방식을 채택 하였다. 프로젝트 조직위에서는 각 국가 별로 부모, 교육자 및 박물관 직원으로 그 룹을 구성하여 매 월 워크샵을 개최하고 스페인과 미국 간에 교환 방문 기회를 마

122 련하였으며 동시에 전시를 위한 아이템들을 기획하였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웹사이트www.empowerparents.net를 개설하여 이를 통해 학부모, 교육자, 사회 복지 사, 박물관 전문 직원 및 해당 박물관 환경 내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자폐에 대한 정 보를 구축, 공유 및 출판하는 데 관심을 가진 기관들 간에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 도록 하였다. 본 웹사이트는 사용자들이 토론의 장을 마련하여 상호 간에 네트워크 를 구축 및 강화하고, 활용 가능한 자원에 대해 배우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경로 를 제공하였다. emPOWER Parents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참가자들은 자국 및 상대방 국가 내에서 활용 가능한 자원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자폐에 대한 인식과 대 우를 변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배우고 ASD를 가진 아동들과 함께 공부하기 위한 전 략 및 우수 사례를 접할 수 있었으며 새로운 우정을 키우고 서로의 문화에 대해 배 울 수 있었다.

소녀 인권 대사: Corporación Parque por la Paz Villa Grimaldi, 칠레 산티아고; 스 리랑카, 플렌테이션 워커스 뮤지엄, 스리랑카 파라데카 및 마틸다 조슬린 게이지 재단, 뉴욕

소녀 인권 대사단 프로그램 칠레 참가자

123 새로운 세대의 여성 활동가에게 영감을 주고 그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 으로 양심회복을 위한 국제연합 (International Coalition of Sites of Conscience) 및 그 산하의 세 개 조직 ( Corporación Parque por la Paz Villa Grimaldi: 칠레), 스리 랑카 플렌테이션 워커스 뮤지엄 (스리랑카) 및 마틸다 죠슬린 게이지 재단 (뉴욕 페 이엇빌)에서는 2012년 8월 칠레, 스리랑카와 뉴욕의 소녀들이 참가하는 1년 기간의 문화 교류 및 리더쉽 프로그램인 소녀 인권 대사단을 창단하였다.

세 지역을 중심으로 한 양성 평등 및 인권을 위한 여성의 투쟁이라는 독특한 역사 적 운동을 기본으로 하여 15세에서 17세의 45명의 소녀들이 모여 다양한 학습 교류 활동을 통해 지식, 기술과 더불어 인권과 양성 평등을 위한 글로벌 대사이자 여성활 동가로서의 시각을 넓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소녀들은 다양한 문화권의 양성 관련 이슈에 대해 수평적인 비교 분석을 실시하고 성 차별과 관련한 정체성, 경험에 대해 논의하고 여성으로서 자유로워진다는 것은 무엇인지 토론해 보 고, 성 역할의 혁명, 특히 사회적 변화 속에서 여성이나 소녀로서의 역할의 변화를 탐구해 보고 성적 불평등이나 폭력을 생성하고 이를 지속시키는 사회 구조는 무엇인 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그들의 경험에 대한 인터뷰 및 사색들은 녹음 형태 로 각 참여 박물관에 음성 자료로 보관하여 국제 연합의 185개 회원 기관이 모두 열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네 명의 소녀들, 한 명의 커뮤니티 지도자 및 박물 관 디렉터 등을 선정하여 대사로서 각 지역을 여행하며 다른 박물관에 교환 방문 하는 등 모든 참가 소녀들 사이에 국제적인 교류의 기회를 마련하고 더 넓은 그룹 들과의 교류를 통해 현지의 소녀 대사단 (Girl Ambassadors)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소녀 인권 대사단 활동 참여는 참가 소녀들에게 본 프로젝트가 자신들이 속한 사회 의 변화를 이끌어 낸 여성들에 대해 배우고 영감을 주는 현재의 지도자들을 만나 멘토링을 통해 리더쉽 스킬을 습득하는 한 편 서로 다른 문화와 풍습에 대해 알아 가고,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배우며 국제적으로 여성 및 인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 세계의 젊은 여성들의 경험에 대한 인식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결론

“소녀 인권 대사단 프로그램은 의심할 여지 없이 나의 삶을 변화 시켰다. 프로그램 을 통해 새로운 세계에 눈을 뜨고 나의 열정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나 자신의 목소

124 리를 찾을 수 있었다. . . 전 세계적인 차원에서 성 불평등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 써 나 자신에게도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이제 내가 속한 사회의 불평등을 바로 잡 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하겠다는 확고한 신념을 갖게 되었다. 또한 내가 믿는 바를 다른 사람에게도 전파하고 이를 옹호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얼마 나 중요한지도 깨달을 수 있었다.” –리아, 소녀 대사

박물관 연계 기금 프로그램에 대한 조사를 통해 미국 내 박물관에 대한 연방 정부 의 지원 환경을 보다 잘 이해하고 국무부와 박물관의 역량이 한 데 합쳐져 지역 및 글로벌 커뮤니티의 연계 강화를 위한 촉매제로서의 혁신적인 본 프로그램을 통해 만 들어진 놀라운 결과물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더 많은 여성들이 사회 및 기술 분야에 참여하도록 독려하고 혹은 커뮤니티 내의 비극적 사 건 이후의 평화 구축을 위한 매개체로서의 역할 등 다양한 배경에서 예술을 활용하 는 등 박물관 연계 프로젝트는 다양한 문화간의 협업과 이해를 증진하고 커뮤니티와 그 안의 수 많은 기관들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더 나아 가, 많은 경우 이들 프로젝트를 통해 예상했던 결과를 훨씬 넘어서 개별적인 참가자 들에게 더 많은 영감을 주고 그들의 삶을 변화시켰으며 그들이 이 세계에서 의미를 만들어가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도록 지원하며, 바다를 건너 서로 다른 시간 대 간에도 지속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서로 도울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 다. 미국박물관협회는 미 국무부와의 파트너쉽을 통해 이와 같은 혁신적인 프로그램 을 진행하며 커뮤니티의 소속 기관으로서 매 커뮤니티마다 새로운 진보를 이끌어 나 가는데 있어서 박물관의 핵심적인 역할을 더욱 강화하는데 기여하게 된 것을 무엇보 다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바이다.

125

Session 2

[Support] Supports and Changes of Museum's Role in Society

[지원] 외부지원과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The Role of ICOM in Defining the Museum in Society

사회에서의 박물관을 정의하는 데 있어 국제박물관협의회의 역할

Raphael Roig (라파엘 로이) Senior Program Officer and Secretary of the Ethics Committee at ICOM (ICOM 본부 책임연구원)

Session 2

[Support] Supports and Changes of Museum's Role in Society

[지원] 외부지원과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Free admission Policy and the developing museum in China

무료 관람정책 및 발전중인 중국 박물관들

Wei Jun(웨이 준) Director of Guangdong Museum, China(중국 광저우박물관 관장)

Free admission Policy and the developing museum in China

Wei Jun

A museum, as a non-profit permanent institution, realizes its public function through autonomous education, research, acquisition, preservation and display based on its own mission and principle. While on the other hand, museum is also restrained by its social environment and the national policy, which is decisive in the development of museums. Museums in China have entered into a period of rapid development since the 21st century, as a consequence of being driven by the national policy.

Free admission Policy of Chinese Museums

Chinese government released the Notice of Free Admission to Museums and Memorial Halls in April, 2008, establishing the system with free admission to museums as the primary principle. That is, all public museums, memorial halls and patriotism education bases, pertaining to administrations of culture or cultural relics at all levels, have opened free to the public, except historical architectures and site museums.

It is common practice in most museums around the world to offer free entry or to charge only a symbolic fee for admission, for purpose of engaging more public in museums, disseminating knowledge and improving cultural refinement among citizens. The free admission policy of museum began when Musée Central des Arts decided to open free to the audience in 1793.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British government also put forward a plan to implement free admission policy in museums through three stages. Children and retirees visited free respectively in 1999 and 2000. In December 2001, more than ten state-owned national museums brought their admission charge to a halt and opened free to the public throughout the year except

131 for temporary exhibitions. In the United States, one out of three museums are free to visit, and sixteen Smithsonian museums in Washington have received visitors with no admission fee since their opening.

In China, museums had kept the admission fee at low price for a long time, the revenue of which supplemented the inadequate budget of museums. With the increasing state revenue and public interest in visiting museums in the 21st century, some of the local governments attempted in China began to subsidise the admission revenue for public benefits. The Zhanjiang Museum and Panyu Museum of Guangdong Province first declared their free admission policy in 2002. In the following year, fifteen municipal museums near the West Lake in Hangzhou City terminated their admission charges, receiving high praise from the public. The number of visitors reached 1.2 million in half a year, six times of that in the corresponding period. Subsequently, a few public museums at provincial level, such as Zhejiang Provincial Museum and Hubei Provincial Museum among others, followed similar approach and required no admission fee. Great social benefits that came with free admission drew continuous attention and provoked thinking among the government, public, media and even the museologist themselves, in terms of whether local museums shall open free to the public. In 2008, Chinese government decided to implement free admission policy in state-owned museums across the country and governments at all levels subsidized with a certain amount of maintenance fund. There were 1007 state-owned museums in China opening free to public at the end of 2008, which was approximately 38% of the total number of state-owned museums. By the end of 2013, the number had reached 2780, constituting approximately 79% of the total. Influenced by the free admission policy of state-owned museums, private museums have accelerated towards free entry too. Rather than being unique, the case of free admission Policy in China is rarely seen worldwide in terms of its scale and social impact. This policy boosts the number of museum visitors and enriches their constitution. The number of museum visitors across China jumped from 280 million in 2007 when there was no free admission to 410 million in 2010, and then reaching 600 million in 2013 (Table.1). During the seven year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policy, the number increases by 30% annually. Queuing only happened for

132 certain special exhibitions in a small number of museums, until after 2009 when visitors often have to queue to enter many provincial museums during holidays. The same trend is suggested in the number of museum visitors in Guangdong Province after 2009 (Table.2).

Year Museums Exhibitions Visitors (in millions) 2007 2400 7689 256.24 2008 2539 8480 285.67 2009 3020 14057 327.16 2010 3415 17297 406.80 2011 3589 16921 470.51 2012 3866 20115 564.01 2013 4165 18036 637.77 2014 4510 21170 717.74 Table.1: The change in the number of museums, exhibitions and visitors between 2007 and 2014.

Year Museums Visitors (in millions) 2007 153 12.00 2008 152 12.50 2009 160 20.08 2010 169 24.57 2011 188 27.61 2012 211 32.03 2013 223 35.27 Table.2: The change in the number of museums and visitors in Guangdong Province between 2008 and 2013

Since the free admission policy was carried out,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visitors and in social influence, growing input on cultural facilities and stronger confidence of Chinese government in supporting museum construction and education. Governments from central to local have made greater efforts in museum construction. A number of new museums were built and open while old museums were expanded and transformed, contributing to the increasing number of museums nationwide. 2539 museums in 2008 soared to 4510 registered museums in 2014. Growing in number, museum visitors also changed in their constitution. The majority were highly-educated visitors in the past, with teenagers and children taking up less than 30% of all museum visitors. In recent years, there are some changes in

133 the structure of museum visitors. Those from local communities form an important part of museum audience. Another change is the significant increase of group visitors. Family visitors also come intensively on weekends or during holidays, and repetitive visitors that drop in more than once in a year compose a larger proportion. The visitor study of Guangdong Museum from 2010 to 2013, taken as an example, shows that more than 60% visitors are local residents of Guangzhou and the rest mostly come from other parts of the Guangdong Province. Among these local residents, as many as 24% live in Tianhe District where the museum is situated and as farther away from the museum, the number of visitors declines, with 19% from Haizhu Distrcit, 15% from Yuexiu District and 13% from Baiyun District. The study also indicates that over two thirds of the audiences pay more than two visits to the museum per year, compared to the considerable proportion of travelling visitors with single visit before 2008(Guangdong Museum, 2014). The significant rise in the number of museums and visitors after free admission certainly has brought along with it a few problems. For instance, museums suffer from homogenization and some have not yet established a clear collection system. Others include overcrowded space and poor service in some of the museums, as well as a lack of preparation and coping strategies. Nevertheless, these problems appearing at the early stage of implementation have been gradually alleviated or solved with recent improvement.

New National Policy of Museums in China

With the general policy of free admission to museums, the demand for better museum service and function has never been greater, as the previous criteria and regulations no longer meet the need of current museums. Apart from more financial investment, the administrations of cultural relics in China also explore policy approaches to lead museums on the right track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easures are taken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ly, the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of museums kicks off. Parallel to the free admission policy to museums, the State Administration of Cultural

134 Heritage (SACH) launched a programme to assess and assign rankings to museums, establishing standards and providing guidance to future development. It aims to improve the quality and raise the level of museums in China. According to the Measures for Evaluating China’s Museums and Provisional Criteria for Evaluating Museums, a total number of 542 museums were graded in 2008 into three levels, which then accounts for 20.1% of all museums. Another group of museums were ranked in 2012, adding up to 730 museums rated above the third level. These included 96 first class museums, 226 second class museums and 408 third class museums, which in total is 17.5% of all museums in the same year.

Having ranked the first group of museums, SACH commissioned the Chinese Museums Association to evaluate some of the museums. From 2009 to 2014, four evaluations were undertaken on the first class museums and one on the second class and third class museums, the result and report of which were all published. This year, the evaluation focuses on the performance of private museums. The evaluation aims to establish a rational and systematic set of criteria as a general guide for museum, to eventually improve the quality of professional work in museums, create an open and competing motivation mechanism among museums, and manage museums in a dynamic and sustainable manner (Lu, 2013). It involv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museums, each including three primary indexes and thirteen secondary indexes, varied in proportions according to different extents of importance in museums (Table.3).

Ranking in the Ranking in All Primary Index Proportion Ranking Secondary Index Proportion Primary Index Secondary Index Exhibition and Education 24.5% 1 1 Exhibition and 13.5% 2 4 50% 1 Social Service Social Service Impact 9% 3 5 Visitor Statistics 3% 4 7 Collection Collection Management 15% 1 2 30% 2 Academic Research and Management and 15% 1 2 Research Science Technology Safety 8% 1 6 Human Resource 3% 2 7 Financial Management 3% 2 7 General Museum Regulation and 2% 4 10 Management and 20% 3 Development Strategy Facility Building and Environment 1.6% 5 11 Cooperate Governance 1.4% 6 12 |Structure Office Automation 1% 7 13 Table.3: The set of criteria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Chinese museums (Lu, 2013).

135 Secondly, the legislation of museums is enhanced. It was overdue for a long period time to legislate on museums in China, and articles related to museum management and collection spread widely in regulations on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relics. The Measures for Museum Management released in December 2005 by Ministry of Culture was the only regulation specially on museum management. As the free admission policy is introduced, museums develop rapidly in China.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he mission, function and nature of modern museums has also changed. All these add to the common understanding among the government, public and academia that China needs to accelerate the legislation and improve the managing system of museums. Chinese government officially issued Museum Regulations on March 20, 2015. The document consists of 6 chapters and 47 articles, covering the establishment, modification and termination of museums, museum management, social service and legal responsibilities among others. It is the first national legislative document of museums in China, becoming legal assurance for museum management and maintenance. Compared to the Measures for Museum Management, the ideas and measurements stated in Museum Regulations would fit better into the development of modern museums with changes in contents. For example, the new regulations value museum education and social service, emphasize the cooperate governance structure of museums, clarify fair principle applied to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museums, encouraging museums to develop creative products and start business that is in line with their objectives, and develop their own regulation and proficiency through guilds and organizations. Despite the gap with the legislation on museums in European and American countries, the release of Museum Regulations is undoubtedly a significant mark on the path to legislated museums in China.

Thirdly, museums are urged to develop more diversely. Based on the current structure, the system of museums in China is characterized by SACH as, “being led by national museums, framed by state-owned museums and supplemented by private museums”. State-owned museums is prominent in the structure of China’s museums, while private museums have developed dramatically since 2008 with their proportion in the total number of museums increased by 11%

136 in six years (Table.4).

Year Total Number of Museums in China State-owned Museum Private Museum Quantity Proportion Quantity Proportion 2008 2539 2278 89.7% 261 10.3% 2011 3589 3054 85.1% 535 14.9% 2014 4510 3528 78.2% 982 21.8% Table.4: The change in proportion of state-owned museums and private museums.

Classified according to subject, a majority of museums in China are still comprehensive and history museums, but those of other categories are gradually growing in proportion. The modification of structure of museums is in constant progress. In 2014, for example, 4510 museums across the country are comprised of 1840 history and memorial museums (40.8%), 1743 comprehensive museums (38.6%), 411 art museums (9.1%), 196 natural history and science museums (4.4%) and 320 thematic and other types of museums (7.1%).

The Developing Museums in China

The 21st century witnesses the rapid development of museums in China, the number of which has accumulated with more visitors and better services. Museum is becoming the space to present local history, culture and nature and also for cultural recreation. Chinese governments at every level do not only invest more on museum funds, but also hav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t role policy plays in leading museums. With the endeavor for nearly ten years, Chinese museums in development are altered in the following areas.

Developing more in quality rather than quantity is one of the changes that occur to Chinese museums. Ascending from 2000 in the year 2000 to 4510 in 2014, the number of museums in China goes up by 225.5% in fourteen years, with an average of 180 museums newly established every year. It may be foreseen that the number of museums, in the rise of museum construction, will continue to grow for a relatively long period in the future. Simultaneously, there is a full awareness by the government and the circle of cultural relics that museums in China still have a considerable gap with the advanced

137 museums in the world in terms of its competency in management and social services. Imbalanced development occurs among museums in different regions and in varied scales, as an example. Some local governments lay more emphasis on the architecture than the function of museum, more on its construction than maintenance. Due to insufficient fund and technique, medium and small museums are also faced with the difficulties in well preserving their collections. Problems as such are hindering further development of museums in China. Former director of SACH, Dr. Shan Jixiang, pointed out, “To adapt to current social development and meet the mental and cultural need of the public, museums should no longer concentrate only on the increase of their quantity, but the improvement of quality, which is fatal to them.”(Shan, 2013) Administrations of cultural relics have launched the evaluation of museum performance in recent years. Additionally, they introduced a series of policies to improve the display, education, collection management and conservation, public services and branding. Accompanied by the survey of movable cultural relics in museum collection and pilot projects, such as the intelligent museum and preventive conservation, these approaches aim to transform the extensive mode of museum development through national policies and therefore to keep museums in China on the right track of development.

Another change is that Chinese museums have derived from similar types to a variety of types. For a long time, state-owned museums that pertained to administrations of cultural relics dominate the structural system of Chinese museums. These museums are similar in type, of which comprehensive and history museums compose almost 90%. Since the beginning of this century, China has encouraged a diverse development in the museums. In addition to an increasing number of science, natural and ethnographic museums, new types of museums also turn into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more varied system, such as the site museums, community museums and ecomuseums. State-owned industry museums and private museums develop immensely, although museums pertaining to the cultural relics administrations are still dominant. There is rising awareness by various industries to preserve and collect cultural resources of their own. Post and telecommunications, finance, ocean, transportation,

138 energy, manufacture and customs among other industries have made greater efforts to establish their own featured museums. On the other hand, social capital from private enterprises and even individuals enters the field of museums, increasing the number of private museums. In 2014, private museums in China had expanded to 982, comprising 21.8% of all museums in the same period, since the first was established in Beijing in 1996. In the same year 2014, there were 67 private museums in Guangdong Province, taking up 26.3% of the museums in the province. The private museums in Guangdong, however, are mostly history and art museums, as illustrated in Table3 with 36% history museums, 30% art museums, 23% comprehensive museums, 3% natural and science museums and 8% other types of museums. Remarkable development of private museums is closely related to the recent introduction of supportive policies by Chinese governments. Seven administrations, including the State Admin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 jointly issued the Advice on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Private Museums in 2010, and subsequently introduced approaches for state-owned museums to provide assistance for private museums in 2013. Furthermore, the Museum Regulations in 2015 makes it explicit that private museums and state-owned museums receive the same preferential treatment. Local governments also provide more support to private museums. Guangdong government, for example, has set up special fund for private museums since 2014, offering 6 million RMB annually to subsidise the qualified private museums within the province. Shenzhen City put forward the Measures on Supporting Private Museums in Shenzhen in 2012 and local government of Bao’an District in Shenzhen also introduced the Incentive Measures for Private Museum Funding. Dongguan and Foshan among other cities in Guangdong, moreover, included in the general plan of urban construction and social development the support for private museums.

The third change is Chinese museums have gone beyond their buildings to a broader world. From past to present, it has to rely on the existing space of museums for exhibition, service, education and research to take place, by which it means that only when the public enter museums would they have the rights and opportunities to appreciate

139 collections, acquire knowledge and receive services. It is worth rethinking how to get museums to break through physical space, produce better social benefits and maximize their function to educate and provide public service.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modern technology, digital museum, virtual reality and AR technology have already drawn people extremely close to museums without physically moving. However, only by doing so would not make museums satisfactory. There are many attempts of Chinese museums to get rid of the restraints of the building, for purpose of offering service in a broader world. In 2004, Guangdong Museum took the lead to create a network of Guangdong Mobile Museum. Without any reward, it sent touring exhibitions to schools, communities, villages, barracks, islands and mountain areas. Over 500 exhibitions toured and over 15 million audiences benefited from them in ten years. Museums in Sichuan and Inner Mongolia among others also ran mobile museum projects in large scale, equipped with special vehicles for travelling exhibitions. Delivering resources to the audience is the new approach that museums need to adopt to serve the public. Another attempt was made by the Guangdong Museum in September this year, turning the 2000 m2 metro station into a ‘super museum’ that opens 16 hours a day and receives millions of visitors a month. It stages a three-month exhibition, Culture of Maritime Silk Road in Guangzhou, covering four sections and seven thematic segments. Three metro trains decorated with elements related to Maritime Silk Road make the exhibition and cultural service accessible for passengers. Although only a few cases have been mentioned above, it has become the common pursuit in China to bring museums to a broader world.

Reference

Guangdong Museum, 2014, Report of Visitor Studies in Guangdong Museum 2010-2013, Lingnan Art Publishing, Guangzhou. Lu Min, 2013, Thinking on the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Chinese Museums, Chinese Museums 2, 42-46. Shan, jixiang, 2013, Thinking on the growth from quantity to quality of museum construction, Museum Research 2, 23-24.

140 무료 관람정책 및 발전중인 중국 박물관들

웨이 준

박물관은 비영리 영구 기관으로써, 자율 학습, 연구, 보존 및 전시 등 박물관 고유의 사명과 원칙에 기반한 공공 기능을 실현하는 곳이다. 한편으로 박물관은 박물관 발 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국가 정책 및 사회적 환경에 의해 제약을 받기도 한다. 중국의 박물관들은 21세기 이후 매우 빠른 발전기에 접어들고 있으며, 이는 국가 정 책 주도로 인한 결과이다.

중국 박물관의 무료 입장 정책

중국 정부는 2008년 4월 박물관 및 기념관의 무료 입장 정책에 대한 안내문을 배포 하였으며, 박물관의 경우 무료 입장을 기본 원칙으로 수립하였다. 즉, 모든 공공 박 물관, 기념관 및 애국관련 교육 기관은 문화 또는 문화유적의 입장과 관계가 있는 경우, 역사적 유적지와 관련 박물관만 예외로 하여 민들에게 무료로 개방된다는 의 미이다. 전 세계 대부분의 박물관의 경우 더 많은 대중을 박물관으로 불러모아 지식을 전파 하고 국민들의 문화적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무료로 입장하거나 상징적인 금액의 입 장료만을 받는 것은 흔한 관행이다. 박물관의 무료 입장 정책은 프랑스 중앙 박물관 (Musée Central des Arts)이 무료로 대중들에게 개방하기로 했던 1793년부터 시작되 었다. 20세기 말 영국 정부는 또한 3단계로 박물관의 무료 입장 정책을 이행하기로 하였다. 1999년과 2000년에 각각 아동과 퇴직자들에게 무료로 박물관을 개방하였고, 2001년 12월에는 10여개의 국유 박물관들이 입장권 판매를 중단하였으며 임시 전시 회를 제외하면 연중 내내 대중들에게 무료로 박물관을 개방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박물관 3곳 중 하나가 무료로 개방하고 있으며, 워싱턴의 16개 스미스 소니언 박물 관의 경우 개장 이래 한번도 입장료를 받은 적이 없다. 중국의 경우 박물관은 오랫동안 낮은 가격으로 입장권을 받아 왔으며, 그 수익으로 박물관의 부족한 예산을 보충해왔다. 21세기 들어 국가 세입이 증가하고 대중의 박 물관 관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자, 중국 내 일부 지방 자치 정부들은 대중의 이익

141 을 위해 입장권 수익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기 시작했다. 광동성의 Zhanjiang 박물 관 및 Panyu 박물관은 처음으로 2002년 무료 입장 정책을 공시하였다. 그 다음 해, 항저우 시의 서호 근처 15개의 지방자치 박물관들은 입장료 부과를 중단하였으며, 대중들에게 큰 칭찬을 받았다. 반년 동안 관람객 수는 120명으로 증가하였으며, 이 는 동기대비 6배나 증가한 수치였다. 이에 따라 Zhejiang성 박물관이나 Hubei 성 박 물관 등 성 단위의 공공 박물관들이 유사한 정책을 실시하여 입장료를 받지 않기로 했다. 박물관 무료 입장에 따른 사회적 혜택은 상당하여 대중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 켰으며, 정부, 국민, 대중매체 및 박물관 직원들마저도 지역 박물관을 무료로 국민들 에게 개방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었다. 2008년, 중국 정부는 전국의 국유 박물관에 무료 입장 정책을 실시하기로 결정하였 고, 모든 단계의 정부에서 일정 금액의 유지보수 기금을 지원하기로 하였다. 2008년 말 중국 내 1,007개 국립박물관이 대중들에게 무료로 개방되었는데, 이는 총 국유 박물관의 약 38%에 달하는 수치이다. 2013년 말의 경우 이 무료 개방 국유 박물관 의 수가 2,780개로 증가하여, 전체 국유 박물관의 79%를 차지하게 되었다. 국유 박 물관의 무료 입장 정책에 힘입어, 사립 박물관들도 무료 개방을 가속화하기 시작했 다. 중국의 박물관 무료개방 정책은 독자적인 것이 아니지만, 이 정도 크기와 사회 적 영향을 가져다 준 경우는 전 세계적으로도 드문 경우이다. 박물관 무료 입장 정 책은 박물관 관람객 수를 증가시켰을 뿐 아니라 관람객의 구성도 더 다양해졌다. 중 국 내 박물관 관람객 수는 무료입장 정책이 없던 2007년 2억 8천만명에서 2010년 4 억 1천만명으로 증가했으며, 2013년에는 6억명으로 증가하였다 (표 1 참조). 무료 입 장 정책이 도입된 후 7년 동안 관람객 수는 매년 30%씩 증가하였다. 그 전에는 일 부 소수의 박물관에서 특별 전시회를 할 경우에만 줄을 서야 했으나, 2009년 이후에 는 관람객들이 휴일에 성급 박물관의 경우 종종 줄을 설 정도로 바뀌었다. 2009년 이후 광동 성에서도 동일한 흐름이 포착되었다(표2).

연도 박물관 전시회 관람객 수 (백만 단위) 2007 2400 7689 256.24 2008 2539 8480 285.67 2009 3020 14057 327.16 2010 3415 17297 406.80 2011 3589 16921 470.51 2012 3866 20115 564.01 2013 4165 18036 637.77 2014 4510 21170 717.74 표.1: 2007년에서 2014년 사이 박물관, 전시회, 관람객 수 변화

142 연도 박물관 관람객 수 (백만 단위) 2007 153 12.00 2008 152 12.50 2009 160 20.08 2010 169 24.57 2011 188 27.61 2012 211 32.03 2013 223 35.27 표.2: 2008년에서 2013년 사이 광동성 내 박물관 수 및 관람객 수 변화

무료 입장 정책을 실시한 후, 관람객 수와 박물관의 사회적 영향력이 급격히 증가하 였다. 문화 시설의 지원을 증가시켰고, 중국 정부의 박물관 건설 및 교육 지원에 대 한 자신감을 고취시켰다. 중앙부터 지방자치 정부에 이르기까지 박물관 건설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일부 신규 박물관을 건설했고, 구 박물관은 확장 및 개보수하여 전국 박물관 수를 증가시켰다. 2008년 2,539개였던 박물관 수가 2014년에는 등록 기 준 4,510개로 증가하였다. 증가하는 수와 함께, 박물관 관람객의 구성도 다양해졌다. 과거 박물관 관람객의 대다수는 교육수준이 높은 일반인이며 10대 또는 아동은 전 체 박물관 관람객의 30% 미만을 차지했다. 최근의 경우 박물관 관람객 구성에 변화 가 생겼다. 현지 지역사회의 시민들이 박물관 관람객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또 다른 변화는 집단 관람객의 수가 크게 증가한 것이다. 주말 또는 휴일에 가족 단위 관람객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연간 1회 이상 방문하는 재방문 관람객의 수도 더 큰 비율로 증가하였다. 광동성 박물관의 2010년에서 2013년 관람객 연구를 예로 들면, 60%의 관람객이 광 조우 시 현지 주민들이며, 나머지 대다수도 광동성 내 다른 도시에서 온 주민들이다. 이들 현지 주민들 중에는 박물관이 위치한 Tianhe구의 주민들이 24%를 차지하였고, 박물관에서 먼 곳으로 갈수록 관람객의 수가 줄어들어 19%는 Haizhu 지구에서, 15%는 Yuexiu 지구에서, 13%는 Baiyun지구에서 온 것으로 집계 되었다. 본 연구조 사 결과는 관람객의 약 3분의 2이상은 매년 박물관을 2번 이상 방문하며, 2008년 이 전에는 관람객의 상당 수가 1번만 방문했던 것과 큰 대조를 이룬다 (광동성 박물관, 2014년). 무료 입장 정책을 펼친 후 박물관 수와 관람객 수에 큰 폭의 증가가 있었으며, 이는 일부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했다. 예를 들면 박물관의 전시물이 비슷해지는 균질화 문제를 겪고 있으며, 일부는 분명한 수집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기타 문제 로는 박물관 내 과밀 공간 및 일부 박물관의 서비스 질 저하, 준비 및 대응 전략 미 흡 등을 들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문제들은 이행 초기에 발생하였으

143 며 점차 나아지고 있고, 최근에는 크게 개선되었다.

중국 박물관의 새로운 국가 정책

박물관 무료 입장이라는 일반 정책과 함께, 더 나은 박물관 서비스 및 기능에 대한 요구가 그 어느 때보다 더 커졌다. 이로 인해 기존의 기준이나 규정은 현대 박물관 의 수요에 더 이상 적합하지 않게 되었다. 재정 투자와 별개로, 중국 내 문화 유산 관리 당국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적절한 궤도 위로 박물관을 올려 놓을 정책 접근법을 찾고 있다.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조치들을 이행 중이다. 첫째, 박물관 분석 및 평가가 시작되었다. 박물관 무료 입장 정책과 병행하여, 중국 국립 문화유산 관리청 (SACH)는 박물관 표준을 수립하고 향후 발전을 위한 지침으로 삼기 위해 박물관을 분석 및 등급을 부여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목표는 중국 박물관의 품질 및 수 준을 높이는 것이다. 중국 박물관 평가 방법 및 박물관 평가 기준에 따르면, 2008년 총 54개 박물관이 3등급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전체 박물관 중 20.1%이다. 2012년 에는 730개의 박물관이 3등급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1급 박물관 96개, 2등급 박물관 226개, 3등급 박물관 408개가 포함된 수치로, 같은 해 전체 박물관 중 17.5%를 차지 한다. 일부 박물관들을 평가한 후, SACH는 중국 박물관 협회에게 박물관 평가 업무를 맡 겼다. 2009년에서 2014년까지 1등급 박물관에는 총 4개의 평가가, 2등급과 3등급 박 물관에는 각각 1개의 평가가 진행되었다. 해당 평가 결과는 모두 간행 및 공개 되었 다. 올해 박물관 평가는 사립 박물관 성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박물관 평가의 목 표는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기준을 수립하여 박물관 전체에 대한 가이드로 삼고, 결 과적으로는 박물관의 전문 업무의 품질을 높이며, 박물관 사이의 공개적 경쟁의 동 기부여 메커니즘을 제공하며, 역동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박물관을 관리하는 것이다 (Lu, 2013). 박물관 성과 평가를 위해 정성적 정량적 평가를 포함하고 있으 며, 각각 박물관 내에서 차지하는 중요도에 따라 다양한 반영비율을 가진 3개의 1차 지수 및 13개의 2차 지수를 포함한다 (표3).

144 1차 지표 비율 등급 2차 지표 비율 1차지표 등급 2차지표 등급 전시회 및 교육 24.5% 1 1

전시회 및 사회 서비스 13.5% 2 4 50% 1 사회 서비스 영향 9% 3 5 관람객 통계 3% 4 7 수집품 관리 15% 1 2 수집, 관리 및 연구 30% 2 학업적 연구 및 과학 기술 15% 1 2

안전 8% 1 6 인적 자원 3% 2 7 재정 관리 3% 2 7 일반 관리 박물관 규정 및 개발 및 시설 20% 3 전략 2% 4 10

건물 및 환경 1.6% 5 11 협조 체계 1.4% 6 12 사무 자동화 1% 7 13 표.3: 중국 박물관 성과 평가 기준표 (Lu, 2013).

둘째, 박물관 관련 법 제정을 개선하였다. 중국 박물관에 관련된 법률 제정은 오랜 시간 동안 지체되어 왔다. 박물관 관리 및 수집품 관련 규정은 문화 유산 보전 규정에 광범위하게 흩어져 있었다. 박물관 관리 방법을 문화부가 2005년 12월에 발표하였으며, 이것이 박물관 관리에 대한 유일한 규정이 되었다. 무료 입장 정책이 도입된 후, 박물관은 중국에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현대 박물관의 사명, 기능 및 특성에 대한 국제적 인식도 또한 변화하였다. 이 러한 배경에 더해 중국의 박물관 관리 시스템을 개선하고 신속히 법제화 해야 한다 는 점을 정부, 국민 및 학계가 이해하게 되었다,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2015년 3 월 20일 박물관 규정을 발표하였다. 해당 문서는 6개 장과 47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박물관의 설립, 변경 및 폐지, 박물관 관리, 사회적 서비스 및 법적 책임을 다루고 있다. 중국 박물관과 관련된 첫 국가적 법률 문서로써, 박물관 관리 및 유지보수에 대한 법적 근거가 되고 있다. 박물관 관리 방법과 비교할 때, 박물관 규정에 명시된 내용과 방안들은 현대 박물관 발전에 더 적합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예를 들어 새 로운 규정은 박물관 교육 및 사회적 서비스를 중시하고 있으며, 박물관 내 협력 구 조를 강조하고, 정부 및 비 정부 박물관에 적용되는 공정한 원칙을 명시하고, 박물 관의 창의적 상품 개발 및 박물관의 목적에 부합하는 사업 시작을 장려하고, 협회

145 및 조직을 통해 박물관 자체 규정 및 숙련도를 발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유럽 및 미 주의 박물관 관련 법제화와는 아직 격차가 남아 있지만, 박물관 규정의 배포는 두말 할 나위 없이 중국 박물관 관련 법률 제정의 중요한 단계임이 분명하다.

셋째, 박물관의 다양성이 강화되어야 한다. 현재의 구조를 기초로 볼 때, SACH는 중국 박물관의 시스템이 “국립 박물관이 주도하고, 국유 박물관이 틀을 잡으며, 사립 박물관에 보충되는” 구조라고 평가하였 다. 국유 박물관은 중국 박물관 구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립박물관은 2008년 이후 전체 박물관 대비 비중에서 극적인 변화를 이루어, 6년간 11% 증가하 였다 (표 4).

국유 박물관 사립 박물관 연도 중국 박물관 총 수 수 비율 수 비율 2008 2539 2278 89.7% 261 10.3% 2011 3589 3054 85.1% 535 14.9% 2014 4510 3528 78.2% 982 21.8% 표.4: 국유 박물관 및 사립 박물관 비율 변화

주제별로 분류할 때, 중국 박물관의 대다수는 아직 종합 및 역사 박물관이며, 기타 범주의 박물관도 그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박물관 구조의 변경은 점진적으로 꾸준히 진행 중이다. 2014년, 예를 들면 전국 4,510여개의 박물관은 1,840개 역사 및 기념 박물관 (40.8%), 1743개 종합 박물관 (38.6%), 411개 예술 박물관 (9.1%), 196 개 자연사 및 과학 박물관 (4.4%) 및 320개의 기타 테마 박물관 (7.1%)으로 구성되 어 있다.

중국 박물관의 발전

21세기에 들어 중국 박물관은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으며, 박물관의 수와 관람객 수 도 크게 증가하였으며 서비스도 개선되었다. 박물관은 현지의 역사, 문화, 자연을 대 표하는 공간일 뿐 아니라, 문화적 오락을 위한 곳이기도 하다. 중국 정부는 단지 박 물관 기금에만 투자하지 않고, 주요 박물관에 정책이 차지하는 중요한 역할에 대해 서도 인식하게 되었다. 지난 10년간의 꾸준한 노력 끝에, 중국 박물관은 다음 분야 에서 변화를 이루어 냈다.

146 수뿐 아니라 질까지 개선한 것이 중국 박물관에 일어난 변화 중 한가지이다. 2000년 2,00여개에서 2014년 4,510개에 이르기 까지, 중국 박물관의 수는 지난 14년간 225.5%증가하였으며, 평균 매년 180여개의 박물관이 새로 신설되었다. 박물관 건설 붐과 함께 박물관 수가 미래에도 장기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정부와 문화 유산 계는 중국 박물관이 관리 역량과 사회 서비스에 있어 세계 선진 박물관과 비 교 시 아직 상당한 격차가 있음을 잘 인식하고 있다.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정도로 박물관 내에서도 불균형적인 발전이 일어나고 있다. 일부 지방자치 정부들은 박물관 의 기능보다는 건축물에, 유지 보수보다는 건설에 더 힘을 쏟고 있다. 자금 및 기술 부족으로 중소형 박물관은 현재 수집품 보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 은 중국 박물관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 SACH의 전임 관장이었던 Shan Jixiang 박 사의 지적에 따르면, “사회적 발전을 따르고 대중의 정신적 문화적 수요에 부응하려 면, 박물관은 더 이상 수의 증가에만 집중해서는 안되며, 박물관 존립을 경정할 질 의 개선에 더욱 힘써야 한다 (Shan, 2013).” 문화 유산 관리청은 최근 박물관 성과 평가제도를 수립한 바 있다. 이에 더해 문화 유산 관리청은 박물관의 전시, 교육, 수 집관리 및 보존, 공공 서비스 및 브랜드 개선을 위한 일련의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박물관 수집물 중 이동 가능한 문화 유산에 대한 조사 및 지능형 박물관 및 예방적 보전 과 같은 시험 사업과 더불어, 이러한 방법론들은 국가 정책을 통한 박물관 개 발의 방향을 변화시키고 중국 박물관이 올바른 발전으로 나아가도록 만들고자 한다. 중국 박물관의 또 다른 변화는 비슷한 유형에서 다양한 유형으로 변화한다는 것이 다. 오랫동안 문화유산 관리청과 관련된 국유 박물관이 중국 박물관의 구조적 체계 를 점령해 왔다. 유형이 비슷한 종합 역사 박물관이 국유 박물관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21세기의 시작 이후, 중국은 박물관의 다양한 발전을 권장해 왔다. 과학, 자연, 민족 관련 박물관의 증가와 함께, 유적지, 지역사회, 환경 박물관 등 다양한 유형의 박물관들이 점점 중요한 구성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문화 유산 관리청과 관련된 박 물관이 아직 주류를 이루지만, 국유 산업 박물관 및 사립 박물관도 급속도로 발전 중이다. 다양한 산업에서 업종 별 문화적 자산을 보존하고 수집하자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 다. 우편 및 통신, 재무, 해양, 교통, 에너지, 생산 및 관습 등 다양한 산업계에서 특 색 있는 산업 별 박물관을 만들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민간 기업 및 개인들의 사회적 자산도 박물관 분야로 들어오면서 사립 박물관의 수를 증 가시키고 있다. 1996년 사립 박물관이 북경에 처음으로 등장한 이래, 2014년 중국 내 사립 박물관은 982곳으로 증가하여, 동기간 전체 박물관 중 21.8%를 차지하였다.

147 2014년, 광동성에는67개의 사립 박물관이 생겼으며, 해당 성 내 박물관 중26.3%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광동성 내 사립 박물관은 대부분 역사 및 예술 박물관으로, 표 3에서 알 수 있듯 36% 는 역사 박물관, 30%는 예술 박물관, 23%는 종합 박물관, 3%은 자연과학 박물관 및 8%는 기타 유형의 박물관이다. 사립 박물관의 괄목할 만 한 발전은 최근 중국 정부가 도입한 지원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문화 유 산 관리청을 포함, 7개의 관련 청에서 2010년 사립 박물관 발전 촉진 제언을 발행한 바 있으며, 이후 2014년 사립박물관 지원 제공을 위한 국유 박물관의 접근법을 도입 한 바 있다. 이에 더해, 2015년에는 박물관 규정이 발간 되어 사리 박물관과 국유 박물관이 동일한 특혜를 받는다고 명시한 바 있다. 현지 정부는 사립 박물관에 더 많은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광동성 정부의 경우 2014년 이후 사립박물관 건립을 위 한 특별 펀드를 만든 바 있다. 성 내 적격한 사립 박물관에게 연간 6백만 RMB를 지원하는 제도이다. Shenzhe 시는 2012년 Shenzhe사립 박물관 지원 방법을 수립하고 해당 시내 Bao’an 지구의 현지 정부는 사립박물관 자금 지원을 위한 인센티브를 도 입한 바 있다. 광동성 내 Dongguan 및 Foshan 시의 경우, 도심 건설 및 사회 발전 일반 계획에 사립 박물관 지원을 포함한 바 있다.

세 번째 변화는 박물관이 벽을 넘어 더 큰 세계로 나아간다는 점이다.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박물관의 공간은 전시, 서비스, 교육 및 연구를 위한 곳이었으며, 이는 곧 국민이 박물관에 들어와야지만 수집품을 감상하고, 지식을 습득 하고 서비스를 받는 권리와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뜻이었다. 박물관이 물리적 공간 을 넘어서서, 더 나은 사회적 혜택을 발생시키고 교육 기능을 극대화하고 공공 서비 스를 제공할 방법에 대해 생각할 필요가 있었다. 인터넷 및 현대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박물관, 가상 현실 및 AR 기술은 물리적 이동이 없이도 사람들을 박물관으 로 가깝게 이끌어 왔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중국 박물관이 건물의 제약을 없애고 더 큰 세계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를 거듭해왔다. 2004년, 광동성 박물관이 선두에 나서 광동성 이동 박물관 네트워크를 조직하였다. 별다른 보상 없이, 박물관은 학교, 지역사회, 마을, 막사, 도서 및 산간 지역으로 이동 전시 회를 보냈다. 약 500건의 이동 전시회를 가졌고 10년 동안 1500만명이 그 혜택을 입었다. Sichuan 성 및 내 몽고 지역 박물관은 대규모 이동 박물관 프로젝트를 실시 하였다. 전용 자동차를 이용, 이동식 전시회를 개최한 것이다. 관람객에게 전시회를 제공하는 것은 박물관이 더 나은 공공 서비스를 위해 채택할 필요가 있는 새로운 접근법이다.

148 또 다른 시도로써, 광동성 박물관은 올해 9월, 2000 m2 규모의 역을 ‘슈퍼 박물관’ 으로 변형시킨 뒤 하루 16시간 개방하고 한달 간 수 백만 명의 관람객을 맞이하였 다. ‘Guangzhou 해상 실크로드의 문화’라는 제목으로 3개월간의 전시회를 개최하였 으며, 4개의 구역으로 나눠 7개의 테마 전시회를 개최하였다. 3곳의 기차역을 해상 실크로드와 관련된 요소로 장식하고, 이용객들이 전시회와 문화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비록 상기에는 몇 가지 경우만 언급하였으나, 이제 중국 박물관들은 더 큰 세상으로 나아가고자 노력하고 있다.

Reference

Guangdong 박물관, 2014, 광동성 박물관 관람객 연구 보고서 2010-2013, Lingnan Art Publishing, Guangzhou. Lu Min, 2013, 중국 박물관 평가 및 분석에 대한 고찰, Chinese Museum 2, 42-46. Shan, jixiang, 2013, 박물관 건설의 질적 양적 성장에 대한 고찰, Museum Research 2, 23-24.

149

Session 2

[Support] Supports and Changes of Museum's Role in Society

[지원] 외부지원과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Changing Role of Museums in the 21th Century

21세기 박물관 역할의 변화

Park, Yoon-ok rosa (박윤옥) Part-time lecturer / Dong Yang University (동양대학교 외래교수)

Changing Role of Museums in the 21th Century

Park, Yoon-ok rosa

I. Introduction

As Graham Black said 10 years ago (Graham Black 2005: 1), museums are facing strong pressure of changes not only from the government or relevant institutions but also from audience and from the way of preserving and managing collection or heritage to disclosing them to the public. The strategic goals the government have for museums include expanding their role with public subsidiary by applying conditions to fulfill. The roles of museums include lifetime education, improved accessability for diverse audience groups, meeting the needs of community, support for community rebuilding project and improvement of quality and value in government-led public services. As choices for leisure time keep expanding, museums now have to compete with amusement parks like Disney Land or large-scale shopping malls. Under the situation, museums need to provide more active experiences and education, meeting the needs of audience along with quality services that outpass the experiences of other leisure time options and also need to respond to the needs of those who have been neglected in the society. In UK there have been extensive discussions on the role of arts, receiving subsidy from the society in addressing the issue of social exclusion. Social exclusion seems to emerge as the key factor in deciding subsidy support based on attention to the youth and the neglected (Selwood 2010: 8).1) As the case showed, museums are faced with growing demands for change from the society. Expectation on the role of museums in the 21st century includes: ensuring access for all intellectually, physically, socially, culturally and economically; cultural diversity; active support for the neighbourhood and community rebuilding; serving as a catalyst for social cohesion,

1) Scott, C., Dodd, J. and Sandell, R., 2014, 'User value of museums and galleries: a critical view of the literature,' https://www2.le.ac.uk/departments/museumstudies/rcmg/publications/cultural-value-of-museums (Date of access: 2015.09.09)

153 intermediary for social capital; active development of new audience; building essential learning community; offering venue for community gatherings; tourist attraction; profit creation; quality services and value provision (Black 2005: 4).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issue of social inclusion among many roles of museums. Looking at the diverse roles of museums stated above, it seems that museums take its presence as an agent implementing social changes. Instead of staying as a witness or bystanders, they are becoming a voice and power to shape the future of the society (Brown).2) Especially, since social inclusion is taking place gradually and in Korea where the society is already becoming a multicultural community with diverse ethnic groups in demographic, it seems the right timing to review the role of museums as a catalyst to facilitate social cohesion. Museums in Korea have longer than 100-year history. Considering that it took hundreds of years or even longer for museums in western society to come to establish current status, museums in Korea as well as the national economy have been developing quite fast. Museums, that have been growing along with the history, attempted to make remarkable changes since late 20th century. On physical front, it was about organizing interesting exhibitions, writing easy-to-understand exhibition articles and building facilities to ensure more convenient environments for visitors. However, more fundamentally, it was about expanding role of museums in the society. This may come from museums’ efforts to survive and attract audience in competition with amusement parks like Disney Land or big shopping malls like Lotte World. Whatever the reason was, the key is museums began to pay attention to and focus on audience, the members of the society and the users of their services. Museums pay attention to what audience want and need and take measures to deliver the best services. In other words, museums began to care and pay attention to what is the roles expected for them and which roles they can play for the society. With these agenda, museums in the western society are expanding their social roles and the scope. Museums seem to explore transformation into an agent to help provide solutions to various social issues. Under the title of social inclusion, they explored many paths. Social inclusion is such a complex issue that covers almost the entire

2) Clare Brown, 'Future of Museums: Social impact +UX+Phygital, http://www.museum-id.com/idea-detail.asp?id=283 (Date of access: 2015.09.09)

154 spectrum of the society including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and it is not possible to review all of them in this paper. So I would like to briefly review how far museums are expanding their roles in the society and what the achievement are in this attempt. And lastly, I would like to check what lessons we can learn from the attempts of museums.

II. Social Roles of Museums

As museums are responsible for preservation and protection of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of the communities they serve, they organize and run various programs for the community to participate. With these programs, museums can play a key role for community members to learn their identity and enrich their life.3) Looking at how museums came to be socially and culturally engaged, first the society began to rapidly change since 1960’s. Intelligence movement in the time of uncertainty, including students’ protest, call for human rights and growing awareness on environmental issues served as a chance to review the status and role of museums in society. 4) Redefining the roles of museums in society led to introduction of museology and museum movement to build proper environments for the change to come. Museums were required to identify demands of the society, recognize their role as the only channel to communicate with changing society and open its doors to the public while representing diverse cultures, existing in the society. Museums were not any more an exclusive space to display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ose with power. They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life of those who had been neglected and outcasted. As the daily life of people began to be brought back into museums, traditional roles of them also went through rapid changes. The changes were most evident in the western society where hierarchical system had been running for quite long. In Korea as the history is relatively shorter, museum of arts and archeology to display culture and history centered around royal family with many treasures excavated from tumulus and folk museum to show life of the public existed together and the trend was not very evident. On the other hand, more evident changes were found in museums in countries

3) Ambrose, T. and Paine, C. 2001, Museum Basics, London: Routledge, p.9. 4) Vergo, P.(ed) 1989, The New Museology, London: Reaktion.

155 around the world. As various museums like eco museum, community museum, outdoor museum and heritage center sprang up and people paid attention to the life and experiences of general public, cultural assets and natural environments of community under the title of social history, they began to play a bigger role in encouraging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Accordingly, most of regional museums formed close relations and were deeply involved with the community they served. This helped community members and visitors have better understanding and sense of ownership of museums. Museums need to stay flexible in responding to expectation and needs of the community. Many museums, especially community and regional museums started paying attention to the ever diversified communities and are set to be the platform for discussion of regional or national issues. As T. Sola pointed out museums need to adapt to changes and by doing so, they should help the public adapt to the changes.5) Now museums are ready and want to have impact in changing the way people think about themselves and their space.6) Moreover, as they help people strengthen their cultual identity, museums can ensure the society to pursuit changes without any exclusion and preserve its identity while seeking changes. In the end, museums should care and pay close attention to those neglected and underprivileged in the society. In a multicultural society, museums should understand needs of minorities. It is essential to grant equal opportunities for all groups to express their own culture that holds unique meanings to themselves and at the same time, understandable for others. 7)

III. What is Social Inclusion ?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DCMS) of UK defines social inclusion initiative as a project to encourage those who are underprivileged or at risk of being marginalized, especially due to disability, poverty, age, race or ethnic origin to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more in cultural activities of the community they live i n.8) This indicates the term, social inclusion is used as an opposite against social

5) Sola, T. 1992, p. 394. Park Yun Ok 2006 ‘Museums and CUltural Identity’, Museology Journal, Seoul: Korean Society of Museum Studies, p. 102. Op.Cit. 6) Tramposch, W.J. 1995, 'Of gateways and journeys: the museum of New Zealand Te Papa Tongarewa', ICOM News, 48,3, p. 6. 7) Spielbauer, J.K. 1986, V. Sofka (ed) Museology and Identity, ICOFOM Study Series10,Stockholm, p. 280.

156 exclusion. UK government defines social exclusion as a situation where people or certain region are in complex pain due to causes like employment, poor skill, low income, poor housing, high crime rate, poor health, poverty and home wrecking. 9) Lower educational achievement ultimately leads to low income and this again leads to poor housing and bad health, being the cause of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exclusion. 10) In the discourse on museums, it has not been long since the terms ‘social inclusion’ and ‘social exclusion’ began to be used. Social exclusion was adopted in the 1970’s to describe those forced out of the social protection system in France. Social exclusion was first used to describe social division with destruction of bonding of individuals, society and nation and since then, it has been used as a concept to understand disadvantage and inequality in the society and began to be used in political, academic and sociological arena to indicate marginalization of poverty.11) While poverty is more tied to tangible resources, especially income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with, social exclusion is a more comprehensive concept to define the process of being cut off entirely or partially from socioeconomic, pontificial and cultural system which determines social inclusion of individuals. 12) According to Dodd, the core of social inclusion lies in equality and many museums introduced new services, more equally accessible by audience, going beyond the boundary of their traditional role and realized systematic changes were required to meet the needs of diverse communities.13) In the end, social inclusion in museums is closely related to education, accessibility and equal opportunity.14) Whatever the cause was, according to D. Fleming, museums in UK attempted to improve accessibility and adopted new approaches to serve the entire community, in an effort to deliver value for investment. Worrying that the underprivileged might never visit museums, they introduced free ticket system to implement social inclusion more actively. In fact, the very target of social inclusion policy was the underprivileged. As

8) DCMS 1999, Arts and Sport; Policy Action Team 10; A report to the Social Exclusion Unit. RCMG, 2000, Museums and Social Inclusion, The GLLAM Report, p.11, op. cit. 9) Social Exclusion Unit, Cabinet Office, Dodd, J. 2002, ‘Interactivity and Social Inclusion’ Interactive Learning in Museums of Art and Design, RCMG, University of Leicester, p. 2. op. cit. 10) Dodd, J. 2002, 위의 논문, p. 2. 11) Dodd, J. and Sandell, R. 2001, INCLUDING MUSEUMS: perspectives on museums, galleries and social inclusion written and edited by Jocelyn Dodd and Richard Sandell, RCMG: University of Leicester, p. 8. 12) Walker, A.C.(ed) 1997, RCMG, 2001, Dodd, J. and Sandell, R. (eds), p. 9. op cit. 13) Dodd, J. 2002, op cit. 14) Sandell, R. 2000, RCMG, op cit.

157 social pressure was growing and the gap between have’s and have-not’s was expanding, especially in urban area, they made efforts to make sure museums to stay accessible by everyone. Museums have been implementing social inclusion policy in the long term, as well as working on the fundamental roles as an organization ran by public funding, like collection management, exhibition and education.15) With the high profile activities or plans, that are known as audience development, museums try to take a step closer to those not easily identified in audience profile. With this effort, museums identify cultural, financial, physical and intelligent barriers that block access by the public and try to fine solution to overcome the barriers. These efforts and approaches began to gain attention and more recently, social inclusion has become the main part of the role. Since museums can be the platform to culturally embrace the growing interest of the underprivileged due to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exclusion, they became the key organizations to contribute directly to social inclusion in the most extensive ways. There are many examples of museums influencing on issues of exclusion in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front. Among others, care for the physically disabled visitors is the leading case of social inclusion initiated by museums in the 20th century. According to J. Dodd and R. Sandell, museums participating in addressing these issues had fundamentally different view on their roles and objectives. For them, culture, arts and heritage were not something with intrinsic value. Instead they saw the value in relation with human including individuals, community and society. These museums clearly stated their commitment in mission statement or project objectives. The museums promoted tolerance, provided space for neglected community and ran programs to teach skills or improve self-confidence of those socially underprivileged.16) As R. Sandell pointed out17) the emergence of issues like how museums can affect the way people live and how they can have more fundamental impact on visitors life, instead of being a destination of just one-day field trip shows that their roles in society is getting wider and deeper.

15) Fleming, D. 2001, ‘THE POLITICS OF SOCIAL INCLUSION’, in Including Museums, Dodd, J. and Sandell, R. (eds), RCMG, pp.18-19 16) Dodd, J. and Sandell, R. 2001, op. cit., p. 13. 17) Sandell, R. 2000, in RCMG, op. cit..

158 IV. Museums and Social Inclusion

As new millennium began, Chris Smith, then minister of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UK said fight against social exclusion was one of the top priority of the government and museums played a key role in helping the government.18) More specifically, he believed museums did not have to juggle between the responsibility of preserving heritage for the next generation and the responsibility of serving the needs of society by meeting broader audience. However, there is argument that it is difficult to fine museums actually practicing the responsibility of social inclusion and several museum staff oppose taking the responsibility as they see social inclusion as the task of ‘social welfare.’19) As the society is becoming a complex multicultural one, argument on the expanded roles of museums will continue. As A. Newman and F. McLean pointed out museums are the key players in the discussion of creative and cultural Industry and have been known as essential part of national and regional economy. ‘The effect of Guggenheim Bilbao Museum’ as a driver of local rebuilding is a well-known cases to show the influence of museums. On the other hand, museums also are important channel to project the ambition and identity of a nation and sometimes they are even involved in a bidding for international events like the Olympics. All of these important functions of museums can offer the opportunities to strengthen social inclusion and cohesion or in contrast, undermine them. 20) It is true there is limitation to assess the impact of museums on society but it is also true that the impact is growing. Recent researches showed that museums can contribute to social inclusion at individual, community and social level.21) Individual participation in activities at museums can lead to positive outcome of improvement in self-confidence, self esteem and creativity. Participation at community level can help them enhance determination, self-confidence and skills to develop the community they live in, thereby facilitating social rebuilding and community empowerment. Lastly, by presenting inclusive community through collection and exhibition, museums can

18) Fleming, D. 2001, op. cit., p. 17. 19) Dodd, J. and Sandell, R. 2001, op.cit. 20) Newman, A. and McLean, F. 2004, Presumption, policy and practice: the use of museums and galleries as agents of social inclusion in Great Britain. 21) Sandell, R. 2003, Social inclusion, the museum and the dynamics of sectoral change, University of Leicester, museum and society, 1 (1), p. 45.

159 promote respect for each other among communities and challenge the stereotype. The role of museums in eliminating social exclusion and promoting social inclusion is inevitable in their fight against social disadvantage,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Museums are actively expanding their social roles, objectives and influence in partnership with many healthcare, welfare, social service and other institutes in many countries and struggle to deliver social benefits to those who have been neglected. 22) Museums proved the potential, as an agent of individuals, community and social change, to lead fight against poor health, high crime rate, low educational achievement and unemployment.23) The Gallery of Modern Art, Glasgow (GOMA), a national art museum developed many special exhibitions, events, educational programs and outreach projects to reflect and share Glasgow’s commitment to arts, public participation, social justice and equality. The Biennale program with the theme of ‘Modern Arts and Human Rights’, specially developed by the museum to introduce the best modern art to ever growing and expanding groups of audience, well reflected its response to social justice, the priority of the city committee. As he case indicates, museums’s experiment to develop new audience group and lay grounds for access, shattering social exclusion is still going on.24) Ideas of social inclusion have been driven by so many motivations around social equality, democratization and empowerment and these motivation also gave inspiration to museums that stayed outside of politics or were not interested in politics.25) The term social inclusion was introduced later but even before that, the concept and perception were there to reactivate social roles of museums since 1960’s. The related terms that were used at museums to indicate the concept of social inclusion include community empowerment, community participation, interdisciplinary community education strategy, cultural strategy, lifetime education and community rebuilding. The activities of social inclusion at museums are mostly tied to outreach, accessibility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ese are the key activities to reach out to isolated individuals and groups and this clearly resonates with the primary principle of social inclusion to

22) Sandell, R. 2003, op cit. pp. 45-6. 23) These are the 4 major indicators of social exclusion, highlighted by the UK government. (RCMG 2000) 24) The Gallery of Modern Art, Glasgow developed Sanctuary (2003), Rule of Thumb (2005), Blind Faith (2007) and sh[OUT] (2009) by 2010 and the project sh[OUT] in 2009 was about the life of lesbians, gays and transgenders. The program discontinued now. 25) Dodd, J. and Sandell, R. 2001, op. cit., p. 14

160 encourage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of those at risk of being neglected.26) For example, the objectives and commitment of Tyne & Wear Archives & Museums27)at the northeast UK lied in responding to the needs of the community. It was aimed to help people decide their own position in the world and understand their identity, and thereby enhance their self esteem and at the same time respect to others. Museums is capable of bringing positive changes to life and inspire and challenge people to find their own world and enter into new territory. Museums are the most powerful source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all members of the community, regardless of their age and backgrounds and competent agent for social and economic rebuilding.28) In other words, the roles of museums in social inclus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community engagement. The Network of European Museum Organizations (NEMO) also defined the core educational value of museums lied in encouraging engagement of economically and educationally underprivileged and included it in “Europe 2020” as one of the strategic goals of the initiative (Schmitt-Tegge 2011).29)

V. Education and Community Engagement

Education can empower people, giving the opportunity to strengthen ability, skills and confidence to join the society and with this role, it can serve as a powerful agent in fight against social exclusion. People can learn outside of classroom and it is an endless process of growth, moving out of the box in of our life. There is growing recognition that culture can play a key role in the process. The informal learning in various types can help people to take an important first step to expand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society. Museums provide unique learning environments. Collection of museums can be the trigger to get audience to be interested in exhibitions, interact with others, learn skills, motivate and have experiences of mathematics and reading. To this end, museums need to be stay relevant to these learning activities and adopt innovative and adventurous approaches. Museums encourage cohesion and participation

26) DCMS 2000, Centres for Social Change: Museums, Galleries and Archives for All, p. 9 27) Tyne & Wear Archives & Museums is a local public museum network of 12 museums, art gallery and archive in Tyne and wear in northeastern part of UK. 28) https://twmuseums.org.uk/about/about-us 29) Schmitt-Tegge, J. 2011, 'Online consultation on Europe's new culture policy,' NEMO Newsletter, 1/2011, http://www.ne-mo.org/fileadmin/Dateien/public/NEMONews/nemoNews_1-11www.pdf (Date of access: 2015.09.09)

161 of the community and assist lifetime education with new skills. They offer contents and access to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provide their facilities as a nurtural venue for all different activities to meet and interact. 30) When we say ‘education’ at museums, we generally think of museum class for children, museum college or lectures But museums are also responsible for preserving and developing culture of community. Especially they can offer ample opportunities to overcome social exclusion, combining learning and fun factors at museums. They can also encourage participation of institutions, especially marginalized groups in the community in museums programs. They can have people intrigued to get to know more about themselves, by knowing more about the community. Joining the process of putting together exhibition and touching the display directly can greatly boost self esteem, value and motivation of individuals. It can also encourage creativity and improve imagination, vocabulary and self expression. At the same time it helps improve self confidence and reduce experiences of social exclusion, thereby ensure people to be actively engaged in the society. For example, Woodhorn Museum and Northumberland Archives in Ashington, a mining village in northeast region of UK is playing a key role in preserving and succeeding the heritage of the community. It is not that coal mining was everything about the village. They have their own communities activities like football games, dove race, vegetable growing, music band and textile manufacturing. Now these community activities are being displayed at museums. Just as museums in Korea hold an event to experience food in the days of Korean War, the museum also organized an event to eat the food of war time or plant and distribute vegetable seeds. It also periodically holds exhibitions of painting created by members of a local painting group. Museums are not isolated organizations to deal with academic fields of history, archology and arts any more. They are also committed to learning and teaching the activities of our ancestors in their daily life and developing them into cultural activities and this will be the best way to attract local residents into the museums. In other words, museums are now taking the role of a community center. With these activities, museums can identify the needs and interest of residents of the community and this will make it easier for them to create a space everybody drop by any time just like a community center.

30) DCMS 2000,op. cit., p. 8.

162 When we say ‘Children’s Museum’ we often think of a place where children can touch and operate items on display just as the do on playground. However the Children’s Museum of Indianapolis in U.S. believed museums had the power to create remarkable learning experiences, turning around the life of children and their family, visiting the museum. It played its part as a catalyst to enable changes in the community it belongs to. More specifically, the museum expanded convenience facilities to ensure access and safety of audience and in doing so, it ran a public forum to listen to ideas and feedback from the community. It established the Children's Museum District Plan 2004 to reactivate children zone of the museum in partnership with the Near North Development Corporation for information change and invested USD 1 million to rejuvenate neighbourhood by repairing houses and renovating abandoned buildings and vacant lots. Also, as part of the opening exhibition ‘The Power of Children: Making a difference’ the museum implemented ‘Keep Indianapolis Beautiful’ to plant 60 trees in the neighborhood and with the program it was able to take part in the city forestation. (Photo 1). Along with these efforts, the museum distributed free membership for families to see 61% increase in family membership registration and 115% increase in number of visitors, compared to 2006. Overall membership (Access Pass membership) also grew 23% and number of visitors increased 17% compared to 2006 in total. More than 200 residents visited the Neighborhood Nights ran by the museum 4 times to enjoy performance, snack and special gifts. Other than that, various benefits for forster families and low income families were organized to improve their access to the museum and ensure as many residents as possible to enjoy the services. [Photo 1] Tree Planting Project of Children’s Museum of Indianapolis Museums can provide safe space for community activities. In fact, since museum is a place where people can come and go with no barriers, it can be a valuable place for the socially neglected or those with no outside contact in the society. There might be some restricted

163 area, not open to the public due to security reason, but most of the space in museums welcomes visitors and is open to visitors. The key principle of social inclusion is to encourage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of those at risk of being isolated from social services.31) Mark O’Neill said, in practicing social inclusion, museums should respect all visitors, whether they are existing or new visitors and provide appropriate access to them,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s, education level, capabilities and life experience s.32) According to Flamming, even though the term ‘social inclusion’ was not widely used in museums but since the early 80’s, as local history curators began to have growing influence, museums became the center of community and paid more attention to life of general public, instead of high profile figures.33) As museums began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life of general public and their daily goods were included in the collection, this led to changes in profile of museum visitors. Traditionally, museums were places for educated middle class. However, with changes in the contents of museum collection, for example, Newcastle Discovery Museum in the 90’s was able to attract working class visitors, who had never visited museums before. This change started with the exhibition, Great City, Working Lives in 1993 to show the history of working class who built the city, Newcastle together (Photo 2). People who were interested in the history of the city visited the museum along with family and friends to tell them their own story. As many of residents were related to the exhibition with diverse personal stories, the museum became an important venue to show the root of the community as well as many individuals. This offered precious opportunities for residents to find their identity and their position in the society and the world as part of social inclusion. [Photo 2] Newcastle Discovery Museum Working Lives These changes once again show experiences at museums should be closely tied to the

31) DCMS, 2000, op. cit., p. 9. 32) O’Neill, M. 2002, ‘The Good Enough Visitor’, in Sandell, R. (ed), Museums, Society, Inequality, London: Routledge, p. 24 33) Fleming 2001, op. cit, p. 17

164 audience. Museum exhibition needs to reflect cultural and social changes of the community and museums need to explore and express new history and culture that was never been displayed before. It is good news that more children became interested in local history and visit museums with their parents as the history of local community was included in the primary school curriculum in Korea. Museums should recognize the necessity to take advantage of the good opportunities and prepare exhibitions, activities and programs to respond to the needs and demand of children and parents. Well-organized plan before visiting museums by school teachers and cooperation with museums are also required. Many museums around the world are running various experience programs related to school curriculum. Substantial activities programs reflecting interest and needs of children and parents in partnership with local museums can offer good opportunities for children to have fun and educational experiences. National Museum of Australia has been running ‘Snapshots of Remote communities’34) program since 2003 for primary school students to explore unique history of their community and learn how the museum is operated. Students take pictures of persons, daily life, nature and historic events of their community and put together an exhibition with the photos (Photo 3). [Photo 3] Snapshots of Remote communities The project runs in line with school curriculum and offers an opportunity to run exhibition with the work of students on line and at a local museum for participating school.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students learn their identity and feel proud as a member of community and get to know more about the museum. Another example is ‘Coney Island History Project’ a non profit organization founded in 2004 to tell dynamic and legendary history and pay respect to today’s Coney Island. The organization has the mission to record, document and distribute verbal interview on history and provide access to historical heritage and documents through educational exhibition, events and web site. Under ‘History Project’ with focus on community

34) The program is based on the partnership between local museums under the guide of National Museum of Australia and primary schools of Austria.

165 engagement, students learn verbal history and programs are developed in cooperation with museums and other institutes (Photo 4). Under the public program started in 2005, stories about high profile historic figure who had great influence on the region, story of Coney Island and those who visited the famous amusement park or lived and worker in there and documents recording verbal history of the site were displayed. The organization ran a program to teach local history for students in the region along with exhibitions, performance, tour and other events. [Photo 4] ‘History Project of Coney Island Museums are also one of the most powerful cultural institutes with great potential as educational materials for social inclusion programs for the troubled youth or unemployed. Newcastle Discovery Museum launched a spray art project for the struggling teenagers, full of rebellious spirit between the age of 13-16 in 2000. Most of the teenagers had troubles with the government when they decorated metro station in the city or other public places with the spray design and eventually the project was handed over to the museum. The museum opened its head office at the community center at Byker and ran the project with the guidance of experts. With the project, the museum was engaged in ‘Street Fusion’ the giant local event led by the ‘Safer Newcastle Partnership.’ The event was designed to offer a chance for the youth in the community to share their opinion on the security issue. Teenagers joined the painting class led by Barry McNabb, an artist and developed art theme for the project and learned legal and safety issues of the community (Photo 5). The museum also hosted an event of creative writing, music and break dancing, culminated with the performance of Tyneside rap DJ, Mistasix. A staff of the project said ‘This short-term project will not be enough to prevent the teenagers from spraying paints here and there across the city but the key is opening a channel for communication. When they visited the museum as part of a school program, they never visited again but now they drop by the museum for a coffee and hang around for other activities.’35)

166 [Photo 5] Newcastle Metro Spray Art Project Under the Public Achievement (PA)36) from 2003 to 2006. museums in Northern Ireland and museums in Ireland Museum Association ran ‘Young Citizens in Museums’ project. PA is working on practical issues in which local youth deals with social issues of the community. These activities had positive impact on the public and change schools, community and society. The youth become the active citizens and at the same time, creators of the community they live in. The project supported network building between the museum and teenagers in the community. Teenagers completed ‘Action Projects’ with exhibition and other activities of the museum, based on the issues they felt important to themselves. Under PA, museum staff had a chance to get trained to be better engaged with teenagers and the community. Museum of London also ran the Inclusion Programme for the youth at risk of social exclusion at the age of 16-25 and juvenile criminals and the youth in long-term unemployment.37) Diverse groups of experts including artists, writers, actors and film producers joined the program to offer the youth a chance to realize joy of learning, improving skills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creasing creativity, self confidence and self respect, initiating motivating and developing basic and IT technologies (Photo 6). With the programme, the museum was able to have better access to the public and better reflecting diversity of the community while building a sustainable model to work with the audience in social exclusion.

35) Julie Nightingale ‘The people's show’ The Guardian, Wednesday 18 October 2000. 36) Public Achievement is a new education center where the youth and their coaches learn how to become an active member of a democratic society. 37) Implemented with lottery fund from 2005-2008. Currently it is expanded into Volunteer Inclusion Programme, a London Renaissance Project http://www.museumoflondon.org.uk/files/5213/7327/3815/MOLAnnualReport200506.pdf (Date of access : 2015.09.09.)

167 [Photo 6] Social Inclusion Programme of Museum of London As seen in these examples, museums represent one of the key cultural heritage of each community with their collection and offer valuable resources for life time education. They can play the pivotal role in driving social changes by encouraging engagement and empowerment of the public, so they can contribute to deciding their own position, getting educated to realize their potential, taking their social roles and eventually changing the society in the future. As proven in the cases of many other museums, collecting small items of citizens with special value and displaying them at local museum is a great way to boost citizens’ participation. If special memory and story are added with each item, it would be even better. Dorman Museum in Middlesboro in UK is already implementing the policy to encourage citizens’ participation in exhibition. the organized ‘Reminiscence Kit’ project to visit communities around with a box full of small items to remind of old days and listen to stories of senior citizens of each community (Photo 7). They have all different stories about the same item and sometime have collective memory. The project has become a successful event of the museum, gaining much attention of senior citizens. 38) The museum also intentionally left empty shelves and space at the exhibition site to encourag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an effort to promote the exhibition. A few years ago, when the museum put together a theme exhibition, <>, they collected stories of citizens World War II. Listening to diverse stories of people, audience can learn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have unforgettable memories of sharing personal stories of citizens they might even know in person. Museums need to be more active to work with local senior citizens to build ‘living history.’ With parents’ strong commitment to education of children, families in Korea often spend the entire weekend for educational or learning activities for children and parents’ cultural needs or desire

38) Along with Reminiscence Kot, Dorman Museum is also running special workshops for the adults with mental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and multicultural events for refugees and minority ethnic groups.

168 for leisure time after retirement tend to be neglected. Considering the social trend of early retirement timing and longer life expectance, it is a great idea to leverage museums as a channel to activate cultural activities of parents after retirement.

[Photo 7] Dorman Museum ‘Reminiscence Kits’

VI. Museums and Social Inclusion in Korea

Countries in Europe and America have been working on social inclusion initiatives to ensure members of communities to live together in harmony as many different ethnic groups and cultures became members of the society and as seen in the cases above, museums in the regions have made extensive efforts to implement the initiatives. In Korea, it is more recent, after 1990’s, the number of migrant workers and marriage migrants and their children increased. Refugees from North Korea, settling down in Korea is also growing due to economic hardship in the North. For Koreans who have been getting used to a racially homeogenous country, the change is quite new and unfamiliar, even causing fear. In a world that is rapidly globalized, social inclusion seems an urgent task for Korean to establish common identity among members with different backgrounds and ensure them to live as global citizen. Despite the long history of social inclusion policy, many countries in Europe are still struggling to deal with social conflict like 2005 French riot in Banlieu, outside of Paris and 2011 UK riots in London and Birmingham and given the situation, it seems not easy to overcome cultural difference and coexist in harmony, communicating as members of a society and respecting each other’s culture. The number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exceeded 1.5 million and this means 3 out of 100 population in Korea are aliens. The government has been introducing diverse

169 multiculture policies, including social inclusion programs for those who moved into Korea, such as migrant workers, marriage migrants, refugees, foreign professionals and Koreans from overseas. With these policies, the government supports those migrants to be the part of the society by having them complete the courses to lear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understand Korean society. During the program, visits to museums are included as a means to have direct experience and better understanding on Korean culture. Also as financial support for customized cultural welfare for artists and the underprivileged expanded, educational programs for prim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like ‘Saturday Culture and Dream’ and ‘Humanities on the Road’ also expanded with support of public funding. The initiatives to close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and metropolitan and non metropolitan areas, like ‘Moving Art Station’ is another example of outreach program like ‘Visiting Museums’ in witch artists served as a montor to run diverse experience programs for the residents in the culturally neglected regions like agricultural, fishery or mountain villages but museums and art galleries do not take the leadership in these programs. Instead, companies are leading programs like ‘Visiting Art Class’ to let the underprivileged children in local children center, foster facilities or multricultural families learn and get to know the beauty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This is the area where museums should play a bigger role to fulfill social responsibility. Going beyond of running exhibition class or art gallery class, museums should identify what they want and need in the programs for the underprivileged and leverage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of museums to meet the needs. As a publicly funded institution, it is the mission of museums to lead positive changes of the society. In the end, this will lead to growing number of audience by delivering greater satisfaction to visitors and benefits to the public. For museums running with public fund to survive, it is clear they should redefine their values, depending on political and social priorities (Kidd 2015).39) Thus even if there is unexpected obstacles, museums should take a step closer to the audience with many educational programs and experience activities and the fact that more museums join this trend, despite insufficient financial or human resources, is a welcoming news.

39) Kidd, J. 2015, 'Comparison of National Gallery to Disneyland touches a nerve', http://theconversation.com/comparison-of-national-gallery-to-disneyland-touches-a-nerve-46110 (Date of access: 2015.09.09)

170 VII. Conclusion

Examples of social inclusion activities museums can carry out include reminiscence therapy with senior citizens, preventing teenagers pregnancy in urban areas and working with juvenile criminals and even starting business with them. In running these activities, museums can build partnership with local culture centers, campaign to promote adult literacy, city farming, health and social work departments, women’s organizations, metal health departments, hospitals and universities.40) These programmes are not new to users, living in a society becoming more and more multicultural. With pending issues of declining birth rate, youth unemployment to lead to younger generation giving up major events in life, widening gap between haves and have-nots and increase in aged population, migrant work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social exclusion is set to be intensifying. Lack of communication or no communication at all between generations and communities can force many people at risk of social exclusion. Under the situation, museums has ample potential and responsibilities to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community they belong to and drive meaningful social changes.41) It is true that many museums have been serving as an agent for social reform and now they are perceived as an agent and activist to promote social inclusion and indirectly prevent social exclusion by offering broader access and participation. Running social outreach programmes and encouraging engagement of community, museums can facilitate community development and with various partnerships stated above, they can serve as an active channel to drive social change. In the ever changing society, it will be the key role of museums in the 21th century to help build cultural identity of communities to ensure members to better understand and respect with each other.

40) RCMG 2000, op.cit. 41) Sandell, R. (ed), 2002, op. cit,

171 Reference·Web site

Park Yun Ok, 2006, 「Museums and Cultural Identity」, 『Museology Journal』, Seoul: Korean Society of Museum Studies, Page 99-111

Black, G, 2005, The Engaging Museum: developing museums for visitor involvement, New York: Routledge. Clare Brown, 'Future of Museums: Social impact +UX+Phygital, http://www.museum-id.com/idea-detail.asp?id=283 (Date of access: 2015.09.09) DCMS, 1999, Policy Action Team 10, A Report to the Social Exclusion Unit - Arts and Sport, UK. DCMS, 2000, Centres for Social Change: Museums, Galleries and Archives for All. Fleming, D. 2001, ‘THE POLITICS OF SOCIAL INCLUSION’, Dodd and Sandell (eds), RCMG, Jocelyn Dodd and Richard Sandell(eds), 2001, INCLUDING MUSEUMS: perspectives on museums, galleries and social inclusion, RCMG, University of Leicester. Jocelyn Dodd, 2002, Interactive Learning in Museums of Art and Design, ‘Interactivity and Social Inclusion’, RCMG, University of Leicester. Julie Nightingale, 2000, The Guardian, ‘The people's show’ Wednesday 18 October. http://www.guardian.co.uk/society/2000/oct/18/guardiansocietysupplement4 (Date of access: 2009.04.10.) Kidd, J. 2015, 'Comparison of National Gallery to Disneyland touches a nerve', http://theconversation.com/comparison-of-national-gallery-to-disneyland-touches-a-nerve-46 110 (Date of access: 2015.09.09) Newman, A. and McLean, F. 2004, Presumption, policy and practice: the use of museums and galleries as agents of social inclusion in Great Britain.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10(2), 167-181. O’Neill, Mark, 2002: ‘The Good Enough Visitor’, in Sandell, Richard (ed), Museums, Society, Inequality London: Routledge, p. 24. RCMG (Research Centre for Museums and Galleries), 2000, Museums and Social

172 Inclusion: The GLLAM Report. Richard Sandell(ed), 2002, Museums, Society, Inequality, Abingdon: Routledge. Richard Sandell, 2003, Social inclusion, the museum and the dynamics of sectoral change, University of Leicester, museum and society, 1 (1). Schmitt-Tegge, J. 2011, 'Online consultation on Europe's new culture policy,' NEMO Newsletter, 1/2011, http://www.ne-mo.org/fileadmin/Dateien/public/NEMONews/nemoNews_1-11www.pdf (Date of access: 2015.09.09) Scott, C., Dodd, J. and Sandell, R., 2014, 'User value of museums and galleries: a critical view of the literature,' https://www2.le.ac.uk/departments/museumstudies/rcmg/publications/cultural-value-of-muse ums (Date of access: 2015.09.09) Spielbauer, J.K. 1986 ‘Introduction to identity’, in V. Sofka (ed) Museology a n d Identity, ICOFOM Study Series 10, Stockholm, (reprinted in 1995) Tramposch, W.J. 1995 'Of gateways and journeys: the museum of New Zealand Te Papa Tongarewa', ICOM News, 48, 3: pp. 6-9. Vergo, P. 1994 ‘The rhetoric of display’, in R. Miles and L. Zavala (eds) Towards the Museum of the Future, London and New York: Routl edge, pp. 149-159. Walker, A. C. (ed.) 1997 Britain Divided: The Growth of Social Exclusion in the 1980s and 1990s. Child Poverty Action Group, London.

The Children’s Museum, Indianapolis, available: http://www.childrensmuseum.org/ The Coney Island History Project, available: http://www.coneyislandhistory.org/ The Dorman Museum, available: http://www.dormanmuseum.co.uk/WWW2/index.html Gallery of Modern Art, Glasgow, available: http://www.glasgowmuseums.com/ The Museum of London, available: http://www.museumoflondon.org.uk/English/Learning/Community/Inclusion/ The National Museum of Austrailia in Acton, available:

173 http://www.nma.gov.au/index.html Public Achievement, available: http://www.publicachievement.com/Programmes.aspx Tyne & Wear Archives & Museums, Newcastle Discovery Museum, available: http://www.tyneandweararchives.org.uk/ Woodhorn Colliery Museum, available: http://www.experiencewoodhorn.com/welcome.htm

174 21세기 박물관 역할의 변화

박윤옥

I. 서론

이미 10년 전에 그레엄 블랙(Graham Black 2005: 1)이 말했듯이, 박물관은 정부 및 관련기관뿐만 아니라 관람객으로부터, 또한 컬렉션이나 유적지를 보호하고 관리하는 데서 그들이 보유하고 있는 자료를 대중에게 표출하는 방식에까지 거센 변화의 압력 을 받고 있다. 박물관에 대한 정부의 전략적 목표는 공공 보조금에 딸린 조건들을 통 해 박물관의 역할을 점차 확대시키도록 기대하고 있다. 그 역할에는 평생교육, 다양한 관람객을 위한 접근성 향상, 지역공동체의 필요 충족, 지역 재생 사업 지원, 정부주도 의 공공 서비스 부문의 품질 및 값어치 향상 등이 포함된다. 사람들이 여가시간을 보 내는데 늘어난 선택권과 함께 디즈니랜드와 같이 즐거움을 주는 놀이시설, 대형 쇼핑 몰 등과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박물관은 다른 여가 활동에서 맛보는 수준보다 더 높 은 고품질의 서비스와 함께 관람객의 요구에 부응한 보다 능동적이고 참여적인 경험 과 교육을 제공하고, 그동안 박물관에서 소외되고 배제되었다고 느낀 사람들의 필요 를 충족시켜야 하는 것이다. 영국의 경우, 지난 십여 년 이상 사회적 소외 문제를 타 파하는 방법과 사회에서 보조금을 받는 예술의 역할 등에 대해 많은 토론이 있어 왔 는데, 특히 사회적 배제에 관한 이슈는 젊은이들과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이 보조금을 지원하는 최고의 사안이 된 것으로 보인다(Selwood 2010: 8).1) 이렇듯 박물관은 사회 적으로 많은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21세기 박물관에 대한 사회의 기대를 살펴보면: 모두에게 지적으로, 물리적으로, 사회적으로, 문화적으로, 경제적으로 접근가능; 문화 다양성; 이웃과 공동체 재생을 주도적으로 지원; 사회화합의 촉매제, 사회자본의 중개 자; 새로운 관람객의 적극적 개발; 필수적 학습공동체; 공동체 모임 장소; 관광명소; 수입창출; 품질서비스 공급과 값어치의 모범 사례 등이다(Black 2005: 4). 이 글에서는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 중에서도 사회 포용에 관한 이슈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앞에서 열거한 박물관의 많은 역할 중에서 박물관은 사회 변화의 대행자로서 자리 잡

1) Scott, C., Dodd, J. and Sandell, R., 2014, 'User value of museums and galleries: a critical view of the literature,' https://www2.le.ac.uk/departments/museumstudies/rcmg/publications/cultural-value-of-museums (접속일: 2015.09.09)

175 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역사의 목격자나 방관자로서가 아니라 사회의 미래를 만드는 목소리이자 힘이 되어가고 있다(Brown).2) 특히, 사회 포용 분야는 발전이 더딜 뿐만 아니라, 민족적인 측면에서 이미 다문화사회로 들어선 우리나라에서는 사회통합으로 가는 박물관의 촉매제 역할을 점검해 볼 시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우리나라 박물관은 근대적 의미에서 백 년이라는 역사를 지니고 있다. 서양에서 박물관이 지금의 모습을 하기까지 걸린 수백 년이라는 시간을 생각하면 우리는 경제 에 있어서뿐만 아니라 박물관도 매우 단기간을 거쳐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인류의 삶과 함께 오랜 역사 속에서 서서히 발달해온 박물관은 특히 지 난 20세기 후반부터는 놀라운 변화를 꾀하고 있다. 외형적으로 보면 전시를 재미있게 구성하고, 설명문을 쉽게 쓰는 일로부터 관람객이 편하게 박물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모든 편의시설로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변화는 사회에서 의 박물관의 역할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다. 어찌 보면 이러한 변화는 오늘날 박물관이 디즈니랜드와 같은 놀이공원이나 롯데월드와 같은 거대 쇼핑몰과의 사이에 서 사람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경쟁으로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 것인가 하는 자구책에 서 나온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어떠한 이유에서든 중요한 점은 박물관이 사회의 구 성원이자 그들의 이용자인 관람객에게 초점을 맞추기 시작한 것이다. 관람객이 원하 는 것이 무엇인가,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가 등에 관심을 갖고 관람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된 것이다. 즉, 이 시대가 박 물관에 요구하는 것은 무엇이며, 박물관이 이 사회를 위해 해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인 가를 보다 진지하게 고민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고민은 서양의 박물관에서 그들의 사회적 역할과 범위를 한없이 확장시켜 나 가고 있는 모습으로 비춰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박물관이 사회의 많은 문제를 해결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에이전트의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들 은 사회 포용이라는 이름하에 많은 시도를 꾀하고 있다. 사회 포용이라는 이슈는 정 치, 경제, 문화 등 사회 전반에 걸친 매우 복잡한 주제로 이 글을 통해서 다 검토한다 는 일은 불가능하다. 다만 이 글을 통해서 박물관이 그들의 사회적 역할을 어디까지 확대해나가고 있는지, 과연 그러한 확대의 성과는 어떠한지, 우리가 그들에게서 취할 점이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2) Clare Brown, 'Future of Museums: Social impact +UX+Phygital, http://www.museum-id.com/idea-detail.asp?id=283 (접속일: 2015.09.09)

176 II.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

박물관은 그들이 봉사하고 있는 해당 지역사회의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을 보존하고 보전하는 책임을 맡고 있기 때문에 박물관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지역공동체가 박물관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박물관은 지역주민이 자신의 정체 성을 발견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그들의 삶을 풍요롭게 해 준다.3) 이러한 박물 관의 사회·문화적 역할이 오늘날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대략 1960년대부터 사회구조에 많은 변화가 급속도로 오기 시작했으며, 이때의 사회 불안으로 불붙은 새로운 지성운동인 학생들의 데모, 인권에 대한 요구, 환경에 대해 깨어가는 인식, 환경주의의 출현 등은 박물관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되 었다.4) 즉, 사회 속에서 박물관의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는 변화에 대해 올바 른 분위기를 만들어내기 위해 새로운 박물관학과 새로운 박물관 운동을 가져온 것이 다. 박물관은 사회의 요구를 알아야 하고, 변하는 사회와 의사소통하는 유일한 도구라 는 사실을 인식하고, 한 공동체 안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를 표현하면서 많은 대중 들에게 문을 넓게 열어야 했다. 이제 박물관은 더 이상 통치자 계급의 역사와 문화만 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그들에게 가려지고 무시되었던 보통 사람들의 삶을 들여다보게 된다. 이로 인해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생활이 박물관에서 살아나기 시작 하면서 박물관의 전통적인 역할은 급속도로 변화를 겪기 시작한다. 이 같은 모습은 오랫동안 계급사회가 이어져 내려온 서구 사회의 박물관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우리 나라에서는 비교적 짧은 역사 속에서 고분 출토물을 중심으로 한 왕조 중심의 문화와 역사를 다룬 고고미술박물관과 전통적인 삶을 보여주는 민속박물관이 거의 함께 공존 해왔기 때문에 그다지 명확히 드러나지는 않지만, 세계의 다른 많은 박물관에서는 그 러한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에코뮤지엄, 공동체박물관, 야외박물관, 헤리티지센터 등 다양한 형태의 박물관들이 생겨나고, 사회사(social history)라는 이름으로 보통사람들 의 삶과 경험, 지역사회의 문화유산 및 자연환경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지역공동체의 참여를 유도하게 된다. 이로써 대부분 지역박물관들은 그들이 봉사하는 지역사회와 더욱 친밀해지고 공동체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 이에 상응하여 지역주민들과 관람 객들은 박물관에 대해 보다 나은 이해와 주인의식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박물관은 공동체의 필요와 기대에 융통성 있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 여러 박물관 특 히 지방과 지역의 박물관은 점차 다양해지는 공동체에 주목하기 시작했고 지역이나

3) Ambrose, T. and Paine, C. 2001, Museum Basics, London: Routledge, p.9. 4) Vergo, P.(ed) 1989, The New Museology, London: Reaktion.

177 국가의 문제를 토론하는 장이 되기를 원한다. 솔라(T. Sola)가 지적했듯이, 박물관은 변화에 적응해야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사람들이 변화에 적응하도록 돕는 역할을 해 야만 한다.5) 이제 박물관이 원하는 것은 사람들이 자신들과 이 세상에서 자신들의 장 소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가이다.6) 더욱이 박물관은 사람 들의 문화정체성을 강화시켜줌으로써 배제됨 없이 사회가 변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하며 사회의 특성을 잃지 않고 변모하도록 도울 수 있다. 결국 박물관은 사회적으로 혜택을 받지 못하거나 소외당하는 공동체 사람들에게 많은 관심과 배려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문화 사회에서 박물관은 소수의 필요를 잘 인식하고 있어야만 한다. 모든 단체에게 주어지는 동등한 기회는 각기 자신들에게 의미 있고, 동시에 다른 이 들이 이해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으로 고유한 문화를 표현하기 위해 필수적이다.7)

III. 사회 포용이란?

영국의 문화부(DCMS: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는 사회포용 사업을 사회적으로 합당한 혜택을 받지 못하거나 주변화의 위험에 처한 사람들, 특히 장애나 빈곤, 연령, 인종 내지 민족적 태생으로 인한 그러한 사람들이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 역에서 문화 여가 활동에 참여하도록 장려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8) 여기에서 볼 수 있듯이, 사회 포용은 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의 상대적인 용어로 사용된다. 영국 정부는 사회적 배제를 사람이나 지역이 고용, 보잘 것 없는 기술, 낮은 수입, 열악한 주거, 높은 범죄 환경, 나쁜 건강, 빈곤, 가정 파괴 등의 문제로 복합적인 고통을 받는 상태라고 간단하게 설명한다.9) 낮은 교육 성취는 후에 낮은 수입으로 연결되고, 이는 열악한 주거 환경과 나쁜 건강으로 이끌어, 결국 이 모든 것이 정치적, 사회적, 문화 적 배제로 이르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10) 박물관 담론에서‘사회적 배제’와 ‘사회 포 용’이라는 용어는 비교적 짧은 역사를 지니고 있다. 사회적 배제는 1970년대 프랑스에 서 국가의 사회보장 보호 밖으로 떨어져 나온 사람들을 묘사하는데 쓰였다. 사회적 배제는 개인, 사회, 국가 간의 유대관계가 붕괴되는 사회 분열의 과정을 묘사하는데

5) Sola, T. 1992, p. 394. 박윤옥 2006 ‘박물관과 문화정체성’, 박물관학보, 서울: 한국박물관학회, p. 102. 재인 용. 6) Tramposch, W.J. 1995, 'Of gateways and journeys: the museum of New Zealand Te Papa Tongarewa', ICOM News, 48,3, p. 6. 7) Spielbauer, J.K. 1986, V. Sofka (ed) Museology and Identity, ICOFOM Study Series10,Stockholm, p. 280. 8) DCMS 1999, Arts and Sport; Policy Action Team 10; A report to the Social Exclusion Unit. RCMG, 2000, Museums and Social Inclusion, The GLLAM Report, p.11, 재인용. 9) Social Exclusion Unit, Cabinet Office, Dodd, J. 2002, ‘Interactivity and Social Inclusion’ Interactive Learning in Museums of Art and Design, RCMG, University of Leicester, p. 2. 재인용. 10) Dodd, J. 2002, 위의 논문, p. 2.

178 사용되었고, 이후로 사회적 배제는 불리한 입장과 불평등을 이해하는 개념으로 정치 적, 학문적, 사회학 영역에서 이전의 빈곤과 주변화를 가리키는 개념 대신 사용하게 되었다.11) 빈곤은 물질적 자원, 특히 사회생활에 참여하는데 필요한 수입 부족과 관련 되지만, 사회적 배제는 사회에서 한 인간의 사회 통합을 결정짓는 사회 경제, 정치, 문화 시스템으로부터 부분적이든 전체적이든 차단되는 동적 과정을 가리키는 종합적 인 해석이다.12) 도드(Dodd)가 밝히듯이, 사회 포용의 핵심은 평등에 뿌리를 두고 있으 며, 많은 박물관은 전통적인 역할을 넘어서 보다 평등한 박물관 서비스를 창안했고, 다양한 공동체의 필요를 채워주기 위해 제도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고 있다.13) 결국 박물관에서 사회 포용은 교육, 접근성, 평등한 기회 등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14) 동기가 어찌 되었든 플레밍(D. Fleming)에 따르면, 영국의 박물관은 접근성을 넓히고 자 노력했고, 결국 돈에 합당한 가치를 보장하기 위한 기능으로 공동체 전체에게 봉 사하는 새로운 태도를 보였다. 빈곤층이 박물관 방문을 단념하게 될 것을 우려해 무 료입장을 옹호하면서 사회 포용을 따뜻하게 끌어안았다. 그들의 사회 포용 정책의 목 표도 빈곤층이었다. 사회적 압박이 더욱 심해지고, 특히 도시에서 부자와 빈자,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의 차가 커짐에 따라, 누구나 박물관에 접근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애 써온 것은 사실이다. 공공재정으로 운영하는 박물관은 기본 기능인 컬렉션 관리, 전시, 교육은 물론이고 장기적으로 사회 포용 정책을 추구해온 것이다.15) 그래서 관람객 개 발로 알려진 다양한 활동이나 계획을 통해 박물관은 관람객 프로파일에 잘 나타나지 않은 그런 단체에 접근가능하게 되기를 노력하고 있다. 이런 방식으로 박물관은 문화 적, 재정적, 감성적, 물리적, 지적 접근 등을 저해하는 많은 장벽을 확인하고 이들을 극복할 방법을 찾고자 한다. 그런 접근방식은 점차 관심을 끌게 되었고 최근에는 전 문적으로 수용하는 일이 대세가 되었다.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차원의 배제로 처하 게 되는 불리한 입장에 대해 점차 늘어나는 인식과 관심을 문화적으로 포용할 수 있 는 박물관은 사회 포용의 폭넓은 개념에 가장 중요하고도 직접적으로 공헌하는 대표 기관이 되는 것이다. 박물관이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배제와 관련된 사회 문제에 영 향을 미친 예는 많다. 그 중에서도 육체적 장애를 지닌 이용자들에 대한 박물관의 사 회 포용은 20세기의 대표적인 역할로 꼽을 수 있다. 도드와 샌델(J. Dodd and R.

11) Dodd, J. and Sandell, R. 2001, INCLUDING MUSEUMS: perspectives on museums, galleries and social inclusion written and edited by Jocelyn Dodd and Richard Sandell, RCMG: University of Leicester, p. 8. 12) Walker, A.C.(ed) 1997, RCMG, 2001, Dodd, J. and Sandell, R. (eds), p. 9. 재인용. 13) Dodd, J. 2002, 앞의 논문. 14) Sandell, R. 2000, RCMG, 앞의 보고서. 15) Fleming, D. 2001, ‘THE POLITICS OF SOCIAL INCLUSION’, in Including Museums, Dodd, J. and Sandell, R. (eds), RCMG, pp.18-19

179 Sandell)에 의하면, 이러한 이슈에 참여하는 박물관은 그들의 역할과 목적을 근본적으 로 다른 방법으로 보고 있다. 그들에게 있어 문화, 예술, 유산은 본질적으로 가치 있 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개인, 공동체, 사회 등 인간과의 관계에서 존재하는 가치를 본 다. 그러한 박물관은 그들의 사회적 목표를 반영하는 사명선언문이나 프로젝트의 목 적에 이 같은 가치와 신념을 분명히 밝힌다. 즉, 박물관은 관용을 고취시키고, 소외된 공동체를 위해 장소 의식을 제공하고, 학교에서 탈락하거나 사회적으로 혜택을 받지 못하는 개인에게 기술이나 자신감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프로젝트를 추구한다.16) 샌델 (R. Sandell)이 밝히듯이,17) 박물관이 그들의 공동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사는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박물관에 하루 나들이를 넘 어 그들의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등에 대한 고민은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이 한 층 더 깊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IV. 박물관과 사회 포용

새천년이 시작되면서 영국 문화부 장관였던 크리스 스미스(Chris Smith)는 사회적 배 제와 싸우는 일은 정부의 최고 우선순위 중 하나이며, 박물관은 정부가 이 일을 하도 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피력했다.18)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박물관이 다음 세대를 위해 유물을 보호하고 보존하는 일과 보다 폭넓고 다양한 관람객들에게 봉사 함으로써 사회의 필요에 반응하는 일 사이에 공존하는 이중 책임으로 갈등할 필요가 없다고 보는 것이다. 하지만 박물관에서 사회포용의 모습을 찾아보기는 드물다고 보 는 일반적인 견해도 있고, 어떤 박물관인은 사회포용을 ‘사회복지 업무’로 보기 때문 에 사회적 포용 업무에 끌려들어가는 것을 저항하기도 한다.19) 보다 복잡한 다문화 사회로 되어갈수록 박물관의 확대된 사회적 역할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뉴먼과 맥린(A. Newman and F. McLean)이 지적하듯이, 박물관은 창 조산업과 문화산업(Creative and cultural Industry)을 논할 때에 주연이고, 국가 및 지 역 경제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알려져 왔으며, 지역 재생의 대리자로서 ‘구겐하임-빌 바오 박물관 효과’는 세계적으로 너무나 잘 알려져 있다. 다른 한편, 박물관은 국가의 야망과 정체성을 투영하는데 중요하며, 올림픽게임 같은 국제 행사를 주최하기 위한 입찰에 이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박물관의 이용은 사회 포용 및 화합 안건을 강화할

16) Dodd, J. and Sandell, R. 2001, 위의 보고서, p. 13. 17) Sandell, R. 2000, in RCMG, 앞의 보고서. 18) Fleming, D. 2001, 앞의 보고서, p. 17. 19) Dodd, J. and Sandell, R. 2001, 앞의 보고서.

180 수도 있고 상반될 수도 있을 것이다.20) 박물관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분명 그 영향력은 확대되어 가고 있다. 최근의 연구들은 박물관이 개인, 공동체, 사회적 수 준에서 사회 포용에 기여할 수 있다고 제시한다.21) 개인 수준에서는 박물관에 참여함 으로써 자존감, 자신감, 창의력 향상과 같은 긍정적인 성과를 낼 수 있다. 공동체 수 준에서 박물관은 자기 결정력을 늘리고 자신들의 삶을 조절하고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을 발달시키기 위해 자신감과 기술을 개발시키는 사회 재생, 공동체에 권한 부여 등의 촉매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컬렉션과 전시를 통해 포용적인 공동체 를 나타냄으로써 박물관은 관용과 공동체 간의 존경심을 촉진하고 고정관념에 도전할 만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런 식으로 사회적 배제를 차단하고 포용을 촉진하는 박물관의 역할은 사회적 불이익, 차별, 사회적 불평등의 면에서 이해된다. 많은 나라 에서 박물관은 건강, 복지, 사회서비스, 기타 단체와 파트너십을 맺어 그들의 사회적 역할, 목적, 영향력을 개발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혜택 받지 못하는 것과 관련해 그 동안의 사회적 성과를 전달하려고 한다.22) 박물관은 개인과 공동체, 사회 변화의 대리 자로서 좋지 못한 건강, 높은 범죄율, 낮은 교육 성취, 실업 등과 같은 문제와 싸울 수 있는 잠재력을 입증했다.23) 스코틀랜드의 글라스고우 현대미술관(the Gallery of Modern Art, Glasgow, GOMA)은 공립미술관으로써 예술성, 대중의 참여, 사회 정의 및 평등에 대한 글라스고우의 헌신을 반영하기 위해 특별한 전시와 행사, 교육, 관외 활동 프로젝트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현대미술과 인권’을 주제로 한 이 비엔날레 프 로그램은 시위원회의 우선순위인 사회 정의에 대한 반응이었고, 점점 늘어나고 갈수 록 다양해지는 관람객에게 최고의 현대 미술을 보여주고자 미술관이 개발한 것이다. 즉, 새로운 관람객을 개발하고 사회적 배제에서 벗어나 접근가능한 길을 만들기 위한 미술관의 실험은 지금도 계속되고 심화되고 있다.24) 이렇듯 사회 포용에 대한 생각은 사회 평등, 민주화, 권한 부여에 기초한 여러 동기에 의해 주도되며, 이러한 동기는 정치적으로 반대되거나 무관심한 가운데 포용 안건을 향해 일해 온 박물관인의 업무에 영감을 불어넣었다고 본다.25) 결국 사회 포용이라는

20) Newman, A. and McLean, F. 2004, Presumption, policy and practice: the use of museums and galleries as agents of social inclusion in Great Britain. 21) Sandell, R. 2003, Social inclusion, the museum and the dynamics of sectoral change, University of Leicester, museum and society, 1 (1), p. 45. 22) Sandell, R. 2003, 위의 논문. pp. 45-6. 23) 이러한 문제들은 사회적 배제의 4가지 주요 지표로 영국 정부가 강조한 것이다 (RCMG 2000) 24) 글라스고우 현대미술관은 2010년까지 Sanctuary (2003), Rule of Thumb (2005), Blind Faith (2007), sh[OUT] (2009)를 개발했으며, 2009년 프로젝트 sh[OUT]는 레즈비언과 게이, 성전환자 등의 삶을 주제로 하고 있다. 현재 이 프로그램은 중단되었다. 25) Dodd, J. and Sandell, R. 2001, 앞의 보고서, p. 14

181 용어는 후에 도입되었지만, 개념과 인식은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이미 1960년대부터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에 새 바람을 불러왔다고 볼 수 있다. 박물관에서 사용하는 사 회 포용을 언급하는 관련 용어를 살펴보면, 주로 공동체 능력 수립, 공동체 참여, 학 제간 공동체 학습 전략, 문화 전략, 평생 학습, 지역 재생 등이다. 따라서 박물관에서 의 사회 포용 업무는 관외 활동(outreach), 접근성, 교육부서의 업무와 가장 관련이 깊 다. 소외된 개인이나 단체에 대한 그 같은 활동은 중요하며, 사회 포용의 주요 원칙은 서비스 부문에서 배제되는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참여시키고 관련시키는 것이다.26) 예를 들어, 영국 북동부 지역에 있는 타인앤위어 박물관(Tyne & Wear Archives & Museums)27)의 목적과 신념은 지역의 필요에 응답하는 것이다. 사람들로 하여금 세상 에서 자신들의 자리를 결정하고, 자신들의 정체성을 이해하도록 도움으로써 자존감과 타인에 대한 존중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박물관은 이를 위해 사람들의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자신의 세계를 발견하고 새로운 지평선을 열도록 영감을 주고 도전 의식을 북돋아준다. 박물관은 공동체 모두에게 그들의 연령이나 배경에 관계없이 강 력한 교육 및 학습 자원이며, 사회적 경제적 재생의 에이전트로서의 역할을 한다.28) 다시 말해, 사회 포용과 관련된 박물관의 역할은 학습과 공동체 참여라는 실천방식으 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유럽박물관네트워크(The Network of European Museum Organisations, NEMO)에서도 경제적, 교육적으로 소외당한 사람들을 참여시키고자 하 는 박물관의 교육적 가치를 핵심으로 보고, 교육은 새로운 “유럽 2020(Europe 2020)” 전략 목표 중의 하나이다 (Schmitt-Tegge 2011).29)

V. 학습과 공동체 참여

학습은 사람들에게 사회에 종사할 수 있는 능력과 기술,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사회 적 배제에 맞서 싸우는 강력한 대리자가 될 수 있다. 학습은 교실 밖에서도 일어날 수 있고, 우리의 일상 경험에서 벗어나 자라나는 평생 과정이며, 문화 부문이 이에 크 게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비형식적인 학습은 사람들의 이 해와 의식을 넓히고 배움으로의 첫 발자국을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박물관은 특별한 사회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컬렉션이 시발점이 되어 사람들로 하여

26) DCMS 2000, Centres for Social Change: Museums, Galleries and Archives for All, p. 9 27) Tyne & Wear Archives & Museums은 영국 북동부 Tyne과 wear지역 내 12개 박물관과 미술관, 문서보관소 로 이루어진 지방공립박물관이다. 28) https://twmuseums.org.uk/about/about-us 29) Schmitt-Tegge, J. 2011, 'Online consultation on Europe's new culture policy,' NEMO Newsletter, 1/2011, http://www.ne-mo.org/fileadmin/Dateien/public/NEMONews/nemoNews_1-11www.pdf (접속일: 2015.09.09)

182 금 전시물과 전시에 관한 그들의 관심을 찾게 하며,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고, 기 술을 배우며, 동기를 유발시키고, 셈하기와 읽기 능력을 기르는 경험을 제공한다. 이 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박물관은 그들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여야 하고, 혁신적 이고 모험적인 방식으로 일해야 한다. 박물관은 새로운 기술로 사회 화합, 공동체 관 련과 참여를 불러일으키고, 평생 학습을 돕는 역할을 한다. 그들은 정보 기술에 내용 과 접근권을 제공하고 건물은 중립적인 만남의 장소로 이용되도록 장려함으로써 이 일을 할 수 있다고 본다.30) 우리는 박물관에서도 ‘교육’하면 대개 어린이들을 위한 박물관교실이나 박물관대학, 강연과 같은 활동을 연상하기 쉽다. 하지만 박물관은 그 지역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의무도 함께 지니고 있다. 특별히 박물관이 제공하는 즐거움과 학습을 결합하여 사회 적 배제를 극복하는데 많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그들이 봉사하는 공 동체 내의 특정 단체, 주변화 된 단체를 끌어 들일 수 있다. 공동체의 상황을 알아내 어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들을 보다 잘 이해하도록 하고 사회에 대한 그들의 관심을 좀 더 자극할 수 있다. 전시를 만드는데 참여하는 일, 즉 전시물을 손으로 만져보도록 하는 일은 개인의 자존감, 가치, 동기 등을 상당히 높여줄 수 있다. 또한 잠재되어 있 는 창의적인 능력을 끌어내주고, 상상력과 어휘력, 자기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에 완전히 참여할 수 있는 자신감을 주고 소외의 경험을 줄이 는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서, 영국 북동부 지역 애싱턴이라는 탄광마을에 있는 우 드혼박물관(Woodhorn Museum and Northumberland Archives)은 그 지역의 전통문화를 전승해 나가는데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 탄광지역이라고 해서 사람들이 석탄만 캐 고 살았던 것은 아니다. 그들 나름대로 축구라든가 비둘기 경주, 채소 기르기, 음악 밴드, 방직 공예 등 공동체 활동을 만들고 그것을 전통으로 발전시켜 왔다. 이제 그들 의 공동체 활동은 박물관을 통해 문화자원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6.25 음식 먹어보기 행사가 열리고 하는 것처럼, 이 박물관에서도 어려웠던 시절 혹은 전 쟁 시 음식을 먹어보기도 하고, 채소를 심어보고 그 씨를 나누어주는 행사를 열기도 한다. 또한 지역주민들로 구성된 그림동호회의 작품들을 박물관에서 정기적으로 전시 하기도 한다. 박물관이라고 해서 어려운 역사, 고고학, 미술 등 학문적인 영역만을 보 고 배우는 기관이 아니라, 우리 조상들이 일상생활에서 항상 하던 일을 배우고 문화 로 승화시키는 일은 박물관이라면 누구라도 할 수 있는 일이며, 결국 지역주민들을 박물관으로 끌어들이는 가장 손쉬운 길이 될 수 있다. 즉, 박물관이 지역주민센터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은 활동을 통해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요구와

30) DCMS 2000,앞의 보고서, p. 8.

183 그들의 관심이 무엇인지 알아낼 수 있으며, 박물관을 오며 가며 쉽게 드나들 수 있는 마을회관과 같이 만드는 계기가 될 것이다. 흔히 ‘어린이박물관’ 하면 어린이들이 전시물을 만져보고 작동하면서 배우는 마치 학 습놀이터와 같은 모습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미국 인디애나폴리스어린이박물관(The Children’s Museum of Indianapolis)의 경우, 그들은 박물관이 어린이와 가족의 삶을 바꿀만한 힘을 가진 놀라운 학습 경험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믿는 한편, 박물관이 위치한 지역사회에 변화를 가져오는 촉매제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게 을리 하지 않는다. 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단 관람객의 접근성과 안전을 향상시 키기 위한 편의 시설을 확장시키고, 이를 위해 대중 포럼을 주최해 지역공동체로부터 그들의 아이디어와 의견을 들을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2004년 어린이박물관지역 계획(The Children's Museum District Plan)을 세워 북부개발운영위원단(the Near North Development Corporation)과 협력하여 어린이 구역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서로의 노 력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고 협력한 결과, 2007년에 어린이박물관은 집수리, 공터와 버 려진 건물 습득 등을 포함하는 이웃 재활성화와 골목길 개선 활동에 백만달러를 투자 하게 된다. 또한 ‘어린이의 힘(The Power of Children: Making a difference)’이라는 전 시 개막식의 일부로 어린이박물관은 박물관 주변에 60그루의 나무를 심는 ‘인디애나 폴리스를 아름답게(Keep Indianapolis Beautiful)’라는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진행했으며, 이 나무심기는 도시를 푸르게 만드는데 일조했다(그림 1). 이 같은 박물관의 노력은 가족들에게 무료 멤버십을 제공하여 가족 등록은 2006년에 비해 61%가 늘어났고 박 물관 방문은 114%가 늘어났다. 멤버십(Access Pass membership)은 2006년에 비해 23%가 늘고, 방문은 17%가 늘어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0명이 넘는 주민들이 박물 관이 제공한 4번의 ‘이웃의 밤 (Neighborhood Nights)’ 행사에 참가해 공연, 간식, 특별 증정품을 즐겼다고 한 다. 이외에도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위탁가정, 저소득가정 등에 대한 혜택을 다양화하여 보다 많은 지역주민들이 박 물관의 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림 1] 인디애나폴리스어린이박물관의 나무심기 프로젝트 박물관은 안전한 공공장소를 필요로 하는 공동체 활동을 위한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184 사실 사람들이 아무런 어려움 없이 들어갈 수 있는 박물관 건물은 사회적으로 소외되 고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이 거의 없는 사람들에게는 가치 있는 환경이 될 수 있다. 비록 보안 문제와 관련해서 건물 사용자에게 특정 부분 제한이 있을 수 있지만, 대개 는 방문객을 환영하고 편안하게 느끼도록 만들 수 있다. 사회 포용의 주요 원칙은 서 비스 부문에서 배제되는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참여시키고 관련시키는 것이다.31) 마 크 오닐(Mark O’Neill)은 사회 포용을 실천하는 박물관은 기존이든 잠재적이든 모든 방문객을 똑 같은 존경심으로 대하고, 그들의 배경과 교육 수준, 능력과 삶의 경험에 알맞은 접근성을 제공한다고 말한다.32) 플레밍에 따르면, ‘사회 포용’이라는 용어가 박물관에서 널리 통용된 것은 아니지만, 1980년대 초 이후로 영국에서는 지역사(local history) 큐레이터의 영향력이 자라나면서 박물관이 보다 공동체 중심이 되고 특별한 사람들보다는 평범한 사람들의 삶에 관심이 늘어났다고 본다.33) 이렇게 박물관이 보 통 사람들의 삶에 관심을 갖게 되고, 그들의 일상적인 물건들이 박물관의 컬렉션으로 들어오면서 비롯된 한 가지 변화는 관람객의 구성에서도 보인다. 전통적으로 박물관 의 관람객은 주로 교육을 받은 중산계층이었다. 하지만 위와 같은 변화로 인해, 예를 들면, 1990년대 영국 뉴카슬의 디스커버리뮤지엄(Newcastle Discovery Museum)에 전 에는 박물관에 발걸음도 하지 않던 노동자 계층의 사람들이 찾아왔다. 이 박물관은 1993년 <<위대한 도시(Great City, 현재는 Working Lives)>>라는 전시를 통해 뉴카슬 이라는 도시를 형성한 노동자들의 역사를 보여줌으로써 가능하게 된 일이다(그림 2). 결국 이 도시의 역사에 흥미를 가진 사람들이 친척과 친구들을 데리고 박물관을 찾아와 전시 를 통해 자신들의 이야기를 들려주게 된 것이 다. 많은 지역주민들은 이런 저런 모습으로 전 시와 관계되어 있기 때문에 박물관은 개인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뿌리를 보여주는 중요한 역 할을 하고 있다. 이는 사회 포용의 입장에서 사람들이 참여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 고 이 세상에서 자기의 자리와 역할을 찾게 되 는 귀중한 기회가 되는 것이다. [그림 2] 디스커버리뮤지엄의 Working Lives전시

31) DCMS, 2000, 위의 보고서, p. 9. 32) O’Neill, M. 2002, ‘The Good Enough Visitor’, in Sandell, R. (ed), Museums, Society, Inequality, London: Routledge, p. 24 33) Fleming 2001, 앞의 보고서, p. 17

185 이러한 변화는 박물관 경험이 관람객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지역사회의 문화적, 사회적 변화가 박물관에 반영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박 물관은 전에는 전시에서 보여준 일이 없는 그러한 역사와 문화를 발굴하고 표현하도 록 시도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초등학교과정에 지역사회의 역사가 삽입되면서 지 역박물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부모와 함께 박물관을 찾는 어린이가 늘고 있다는 점은 박물관으로서는 아주 좋은 기회이다. 많은 박물관이 이에 잘 대처해야 할 필요 를 인식하고, 어린이와 부모, 학교의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전시와 활동 프로그램을 준비해야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학교 교사들의 짜임새 있는 박물관 견학계획과 박물관과의 협조가 요구되고 있다. 세계의 많은 박물관들은 학교의 교과과정과 관련 된 다양한 체험학습을 어린이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어린이와 부모들에게 인기 있는 체험학습이 지역박물관과의 협력으로 이루어진다면 보다 충실하고 학습과 연계된 경 험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호주국립박물관에서는 2003년부터 ‘외진 공동체 사진 (Snapshots of Remote communities)’34)이라는 교 육프로그램을 통해 초등학생들이 자신들의 공동 체에 대한 역사와 독특함을 발굴하고 박물관이 어떻게 일을 하는지 탐구하는 관외활동 프로젝 트를 시행하고 있다. 학생들은 그들이 살고 있 는 공동체의 인물, 일상생활, 자연의 특징, 역사 적인 사건 등을 사진으로 찍고 이를 이용해 전 시를 만들게 된다(그림 3). [그림 3] 외진 공동체 사진전 이 프로젝트는 교과과정에 바탕을 두고 참가하는 학교에게는 지역박물관과 온라인으 로 학생들의 작품을 전시할 기회를 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시야를 넓히고 학생으 로서 공동체의 일원으로 그들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키우고, 박물관에 대한 이해와 인 식이 높아질 것이다. 또 하나의 사례는 2004년 설립된 미국의 ‘코니 아일랜드 프로젝 트(The Coney Island History Project)’로 코니 아일랜드의 전설적이고 다채로운 과거에 대한 이해를 늘리고, 오늘날 코니 아일랜드 지역에 대해 감사하도록 하기 위한 비영 리기관이다. 미션은 구전 역사 인터뷰를 기록하고, 문서화하고, 나누고 교육적인 전시, 행사, 웹사이트를 통해 역사 유물과 문서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공동체 참 여를 강조하는 ‘역사 프로젝트(the History Project)’는 학생들에게 구전 역사 기술을 가르치고 지역 학교, 박물관, 기타 기관들과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그림 4).

34) 이 프로그램은 호주 국립박물관이 주도하는 지방박물관과 호주 초등학교 간의 파트너십이다.

186 2005년에 시작된 공공 프로그램은 역사적으로 훌륭하고 영향력 있는 인물들, 코니 아일랜드의 이야기, 유명한 놀이공원을 방문하거나 살고 일한 사람들의 이야기와 기억을 보전하는 구전 역사 문서 등을 전시했다. 이 센 터는 지역 학교 학생들과 지역역사 학습 프로그램을 계 속하면서 전시, 공연, 투어, 기타 행사를 제공한다. [그림 4] 코니 아일랜드 ‘역사 프로젝트’ 박물관은 또한 방황하는 청소년이라든가 오랫동안 실직 상태에 있는 젊은이들을 위한 사회 포용 프로그램도 제 공할 수 있는 무한한 학습 관련 자원을 지닌 가장 바람 직한 문화기관 중 하나이다. 뉴카슬 디스커버리박물관은 2000년에 13-16세의 반항심과 불만으로 가득 찬 많은 아이들과 스프레이 아트프로젝트를 시행했다. 대부분의 틴에이저들은 도시 전철 메트 로와 기타 공공장소를 자신들의 디자인으로 꾸미는 일을 하는데 있어서 정부 당국과 충돌을 겪었고, 결국 청소년 담당관을 통해 그 프로젝트가 박물관에 전해졌다. 그 단 체는 바이커(Byker)에 있는 마을 회관에 본부를 두고 전문가의 안내를 받아 의뢰 받 은 일을 해냈다. 이 일을 통해 ‘보다 안전한 뉴카슬 파트너십(the Safer Newcastle Partnership)’이 이끄는 대형 행사인 ‘거리 퓨전(Street Fusion)’에 박물관이 관여하게 되 었다. 이는 지역공동체의 안전 문제에 대해 젊은이들에게 의견을 내도록 해주기 위한 프로젝트이다. 청소년들은 화가인 배리 맥냅(Barry McNabb)의 지도를 받아 자신들의 미술 주제를 개발하고 법과 안전 문제를 배우게 되었다(그림 5). 또한 박물관에서는 타인지역의 랩 디제이인 미스태시스(Tyneside rap DJ, Mistasix)의 공연을 정점으로 창 작 글쓰기, 음악, 브레이크 댄스 등의 행사도 있었다. 이 프로젝트의 관계자는 말하기 를 ‘이 짧은 프로젝트로 청소년들이 여기저기 스프레이 물감을 뿌려대는 것을 막지는 못할 것이며, 요점은 대화의 통로를 여는 일이었다. 많은 아이들이 전에 학교에서 단 체로 박물관에 와 봤을 뿐이고 그 이후로는 다시 오지 않았는데, 이제 그들은 커피 한 잔 하러 박물관에 들르고 박물관에서 다른 일들을 하러 돌아다닌다고 한다.’35)

35) Julie Nightingale ‘The people's show’ The Guardian, Wednesday 18 October 2000.

187 [그림 5] 뉴카슬 메트로 스프레이 아트프 로젝트 2003년에서 2006년까지 공공의 업적 (Public Achievement, PA)36)는 북아일랜 드의 박물관과 아일랜드와 아일랜드 박물 관협회의 박물관이 협력하여 ‘박물관의 젊은 시민들(Young Citizens in Museums)’이라는 프로젝트를 실행했다. PA는 청소년들이 지역공동체의 사회 문제를 다루도록 하는 실제적인 일을 시행한다. 그들의 일은 대중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교, 공동체, 사회를 변화시킨다. 청 소년들은 자신들을 그들이 살고 있는 세상의 시민이자 공동 창조자이다. 이 프로젝트 는 지역 내에서 박물관과 십대들 간의 관계 형성을 지원했다. 십대들은 그들이 중요 하다고 느끼는 문제를 중심으로 박물관의 전시 및 기타 활동과 행사를 이용해 ‘액션 프로젝트(action projects)’ 완수했다. PA는 십대들과 공동체를 참여시키도록 박물관 직 원들을 훈련시키고 지원했다. 런던박물관(Museum of London) 또한 사회적 배제의 위 험에 처한 16-25세의 젊은이들, 특히 청소년 범죄자, 장기적인 실업 상태에 있는 청년 들을 위한 사회 포용 프로그램(The Inclusion Programme)을 제공했다.37) 이 프로그램 에 기여하는 사람들은 예술가, 작가, 배우, 영화제작자 등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 해 청소년 참가자들로 하여금 배움의 즐거움을 깨닫고, 의사소통의 기술과 협동하는 기술을 향상시키고, 독창성과 자신감, 자존감을 높이고, 동기를 유발시키고, 기본 기술 과 IT 기술을 개발시키는데 도움을 주었 다(그림 6). 물론 박물관은 접근성을 보 다 향상시키고, 지역공동체의 다양성을 더욱 잘 반영할 수 있게 되었으며, 사회 적으로 배제된 관람객들과 작업하는 성 공적이고 지속가능한 모델을 구축하게 되었다고 평가한다. [그림 6] 런던박물관의 사회 포용 프로 그램

36) Public Achievement는 청소년들과 그들의 코치들이 민주주의 사회에서 능동적인 시민이 되는 기술을 배우는 새로운 교육센터이다. 37) 2005-8년까지 복권기금을 통해 시행. 현재는 르네상스런던프로젝트인 Volunteer Inclusion Programme 으로 확대. http://www.museumoflondon.org.uk/files/5213/7327/3815/MOLAnnualReport200506.pdf (접속일: 2015.09.09.)

188 이렇듯 박물관은 그들 고유의 컬렉션으로 공동체에서 가장 중요한 문화 자원 중 하나 를 대표하고 있으며, 평생 학습을 위한 귀중한 자원을 제공한다. 그들은 세상에서 사 람들이 자신들의 자리를 결정하고, 자신들의 잠재력을 성취하기 위해 교육 받고, 사회 에서 완전한 역할을 하고, 미래에 사회를 변화시키는데 기여하도록 하기 위해 사람들 을 참여시키고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사회 변화를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 다. 이미 여러 박물관에서 실행하고 있듯이, 지역주민 개개인이 귀중히 여기는 물건들 을 모아서 전시하는 일은 주민들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좋은 방안이다. 더욱이 그 물건들에 얽혀있는 이야기들을 곁들인다면 금상첨화가 될 것이다. 영국 미들스버러에 있는 도먼박물관(Dorman Museum)은 지역주민들을 전시에 참여시키는 일을 정책적으 로 시행하고 있다. ‘회상의 도구(Reminiscence Kit)’라는 회상작업을 기획하여, 조그만 상자에 과거의 물건을 넣어 가지고 공동체를 방문하여 나이든 어른들로부터 물건에 얽힌 그들의 삶의 이야기를 수집하는 작업이다(그림 7). 똑같은 물건에 대해 개인마다 각기 다른 경험과 이야기가 흘러나오기도 하고 공동의 기억이 나오기도 하는데, 이는 공동체의 노인 세대에 많은 관심을 끌고 있으며 성공적인 박물관 활동으로 자리 잡고 있다.38) 또한 전시장에 빈 공간과 빈 진열장을 두어 지역주민들의 관심과 헌신을 끌 어들이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활성화 시키고 있다. 몇 년 전에도 <>라는 기획전시를 하면서 제2차세계대전 중의 주민들의 경험담을 수집해 함께 전시하곤 했 다.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생생한 역사 공부는 물론이요, 관람객이 알 수도 있는 사람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그들의 목소리로 듣는 일은 잊지 못할 경험 이 된다. 박물관은 지역의 노인들을 ‘살아있는 역사’로 활용하는 일에 적극적일 필요 가 있다. 우리나라는 교육이 입시위주로 되다 보니 주말이나 휴일의 가족활동까지도 아이들의 학교교육에 도움이 되는 활동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며, 정작 부모 자신들 의 문화적인 욕구나 자신들이 은퇴하고 나서의 문화 및 여가활동에 대해서는 대체로 뒷전인 경우가 많다. 은퇴는 빨라지고 평 균수명은 길어지는 오늘날 소외되어 가 는 고령의 부모세대를 위한 박물관의 활 동은 적극적으로 장려할만하다.

[그림 7] 도먼박물관의 ‘회상의 도구’ 프 로젝트

38) 도먼박물관에서는 노인들을 위한 회상작업 외에 학습장애과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성인들을 위한 특별한 워크숍, 난민과 소수민족공동체를 위한 다문화행사 등도 제공하고 있다.

189 VI. 한국의 박물관과 사회통합

유럽이나 아메리카의 많은 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유입되어 서로 다른 집단 간의 공존할 수 있는 사회통합 계획들이 추진되어왔으며, 박물관은 이러한 계획들을 실행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음을 보았다. 우리나라는 근래에 들어서, 즉 1990년대 이후로 이주 노동자들이 들어오고, 국제결혼에 따른 결혼 이주 여성들과 그들의 자녀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북한 경제난 등으로 인해 탈북자, 북한 새터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거의 5천년이라는 세월을 단일민족 국가라는 정 체성을 지니고 살아온 한국인들에게 이러한 상황은 매우 낯설고 두려움을 불러올 수 도 있다. 세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와중에 이 같은 상황에 처한 한국에서의 사회통합은 낯설고 이질적인 사회 구성원들이 정체성을 확립하고 국민 모두가 세계시 민의식을 갖고 더불어 살아가도록 하는 일이 최우선으로 보인다. 오랜 기간 동안 사 회통합정책을 시행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2005년 프랑스 파리의 외곽지역 방리유 (Banlieu)에서 일어난 폭동, 2011년 영국의 런던과 버밍엄 등지에서 일어난 청년들의 폭동 등 현재에도 유럽의 여러 나라가 겪고 있는 사회적 갈등과 대립의 문제를 볼 때, 민족이나 종교,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국가라는 한 사회의 일원으로 서로 소통 하고 문화다양성을 인정하며 공존한다는 일이 쉽지만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현재 한국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의 수는 150만 명을 넘었으며, 이는 국민 100명 가 운데 3명이 외국인인 셈이다. 정부에서는 다양한 다문화정책을 도입하고 있는데, 여기 에는 외국인근로자나 결혼이민자, 난민, 전문인력, 해외동포 등 국내 이주자들을 위한 사회통합프로그램도 포함되어 있다. 한국어와 한국문화 및 한국사회이해에 대한 교육 과정을 이수하여 사회의 일원으로 편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들은 교육과정 중에는 한국문화를 직접 만나고 체험하여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 의 도로 박물관 견학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예술가들과 소외계층에 대한 맞춤형 문화복 지의 재정적 기반이 늘어나면서 근래에 들어서는 국·공립박물관은 물론이고 사립박물 관에도 인력지원 및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길위의 인문학’ 등의 초·중·고생을 중심 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공적 자금이 많이 흘러들어가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문화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소외계층과 지역 간,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심화되고 있 는 문화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주로 농촌, 어촌, 산촌 등 문화적 기반이 취약하여 문화 를 접할 기회가 없는 사람들에게 예술가들이 멘토가 되어 다양한 문화예술 체험활동 을 실시하는 ‘움직이는 예술정거장’은 박물관의 관외서비스 프로그램인 ‘찾아가는 박 물관’과 같은 성격의 활동이지만 박물관·미술관이 주도적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190 실정이다. 오히려 기업에서는 ‘찾아가는 예술교실’ 등을 통해서 지역아동센터 및 양육 시설, 다문화가정센터 등 소외계층의 아이들을 위한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으로 우리 의 전통문화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알리고 있다. 이는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이 확대 되어야 할 부분으로 단순히 전시물교육, 미술관교육에서 벗어나, 소외계층을 위한 프 로그램이라면 그들이 무엇을 원하는가를 파악하고 원하는 바를 충족시키고, 이를 위 해 박물관이 지닌 유·무형자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공적인 자금 을 받는 박물관이 사회를 변화시키고 개선시키는데 맡은 바 사명을 다하는 것은 당연 할 일일 것이다. 이는 결국 박물관 방문객을 만족시키고 일반 대중에게 유익을 끼침 으로써 박물관 본연의 사회적 역할을 통해 관람객을 개발하는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공적 자금을 받는 박물관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정치적, 사회적 우선순위에 맞춰 자 신들의 가치를 재조정해야 한다는 사실을 분명하다(Kidd 2015).39) 따라서 예상치 못 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박물관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체험활동프 로그램을 통해 더 많은 관람객에게 다가가기 시작했다는 점은 많은 박물관들이 자원 및 인력에서 열악한 환경에 있는 점을 감안하면 특기할 만한 사항이다.

VII. 결론

박물관이 할 수 있는 사회포용 활동의 예로는 노인들과의 회상 요법에서부터 도심 지 역 10대들의 높은 임신율을 방지하는 일, 소년범과의 작업에서 심지어는 소규모 사업 시작 등을 꼽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을 하는 박물관의 파트너로는 지역문화센터, 성인 문맹률 낮추기 프로젝트, 도시 농장, 건강과 사회봉사 부서, 여성 단체, 정신건강부서, 병원, 대학 등이 있다.40) 이들은 다문화 사회로 들어선 한국에서 살고 있는 우리에게 도 낯설지 않게 들린다. 출생 감소, 삼포∙오포로 표현되는 청년 일자리 부족, 심해지 는 빈부 격차, 고령 인구 및 외국인 노동자, 다문화가정 증가 등으로 인해 지금까지 살펴본 사회적 배제의 문제들이 늘어날 태세에 있다. 세대 간, 공동체 간의 의사소통 의 부재 및 부족은 많은 사람들을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불리한 입장에 처하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박물관은 그들이 속한 각자의 공동체에 온전히 공헌하고 의미심장한 사회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잠재력과 의무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41) 지 금까지 많은 박물관들이 사회 개혁의 대리자로서의 기능을 해온 것은 사실이다. 오늘

39) Kidd, J. 2015, 'Comparison of National Gallery to Disneyland touches a nerve', http://theconversation.com/comparison-of-national-gallery-to-disneyland-touches-a-nerve-46110 (접속일: 2015.09.09) 40) RCMG 2000, 앞의 보고서. 41) Sandell, R. (ed), 2002, 앞의 책,

191 날에는 박물관이 관람객의 접근, 참여를 늘리면서 잠재적으로 박물관이 사회적 배제 를 예방하는 사회 포용의 에이전트로, 활동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자 리 잡아가고 있다. 박물관은 관외 프로그램을 통해 그리고 박물관에 참여를 격려함으 로써 공동체 개발을 용이하게 하며, 위와 같이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적극적인 사 회 변화의 도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계속되는 변화의 시 대에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도록 이끄는 모든 공동체의 문화정체성을 연마하도록 돕 는 일이 21세기 박물관의 중요한 역할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웹사이트

박윤옥, 2006, 「박물관과 문화정체성」, 『박물관학보』, 서울: 한국박물관학회, 99-111쪽.

Black, G, 2005, The Engaging Museum: developing museums for visitor involvement, New York: Routledge. Clare Brown, 'Future of Museums: Social impact +UX+Phygital, http://www.museum-id.com/idea-detail.asp?id=283 (접속일: 2015.09.09) DCMS, 1999, Policy Action Team 10, A Report to the Social Exclusion Unit - Arts and Sport, UK. DCMS, 2000, Centres for Social Change: Museums, Galleries and Archives for All. Fleming, D. 2001, ‘THE POLITICS OF SOCIAL INCLUSION’, Dodd and Sandell (eds), RCMG, Jocelyn Dodd and Richard Sandell(eds), 2001, INCLUDING MUSEUMS: perspectives on museums, galleries and social inclusion, RCMG, University of Leicester. Jocelyn Dodd, 2002, Interactive Learning in Museums of Art and Design, ‘Interactivity and Social Inclusion’, RCMG, University of Leicester. Julie Nightingale, 2000, The Guardian, ‘The people's show’ Wednesday 18 October. http://www.guardian.co.uk/society/2000/oct/18/guardiansocietysupplement4 (접속일: 2009.04.10.)

192 Kidd, J. 2015, 'Comparison of National Gallery to Disneyland touches a nerve', http://theconversation.com/comparison-of-national-gallery-to-disneyland-touches-a-nerve-46 110 (접속일: 2015.09.09) Newman, A. and McLean, F. 2004, Presumption, policy and practice: the use of museums and galleries as agents of social inclusion in Great Britain.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10(2), 167-181. O’Neill, Mark, 2002: ‘The Good Enough Visitor’, in Sandell, Richard (ed), Museums, Society, Inequality London: Routledge, p. 24. RCMG (Research Centre for Museums and Galleries), 2000, Museums and Social Inclusion: The GLLAM Report. Richard Sandell(ed), 2002, Museums, Society, Inequality, Abingdon: Routledge. Richard Sandell, 2003, Social inclusion, the museum and the dynamics of sectoral change, University of Leicester, museum and society, 1 (1). Schmitt-Tegge, J. 2011, 'Online consultation on Europe's new culture policy,' NEMO Newsletter, 1/2011, http://www.ne-mo.org/fileadmin/Dateien/public/NEMONews/nemoNews_1-11www.pdf (접속일: 2015.09.09) Scott, C., Dodd, J. and Sandell, R., 2014, 'User value of museums and galleries: a critical view of the literature,' https://www2.le.ac.uk/departments/museumstudies/rcmg/publications/cultural-value-of-muse ums (접속일: 2015.09.09) Spielbauer, J.K. 1986 ‘Introduction to identity’, in V. Sofka (ed) Museology a n d Identity, ICOFOM Study Series 10, Stockholm, (reprinted in 1995) Tramposch, W.J. 1995 'Of gateways and journeys: the museum of New Zealand Te Papa Tongarewa', ICOM News, 48, 3: pp. 6-9. Vergo, P. 1994 ‘The rhetoric of display’, in R. Miles and L. Zavala (eds) Towards the Museum of the Future, London and New York: Routl edge, pp. 149-159. Walker, A. C. (ed.) 1997 Britain Divided: The Growth of Social Exclusion in the 1980s and 1990s. Child Poverty Action Group, London.

The Children’s Museum, Indianapolis, available:

193 http://www.childrensmuseum.org/ The Coney Island History Project, available: http://www.coneyislandhistory.org/ The Dorman Museum, available: http://www.dormanmuseum.co.uk/WWW2/index.html Gallery of Modern Art, Glasgow, available: http://www.glasgowmuseums.com/ The Museum of London, available: http://www.museumoflondon.org.uk/English/Learning/Community/Inclusion/ The National Museum of Austrailia in Acton, available: http://www.nma.gov.au/index.html Public Achievement, available: http://www.publicachievement.com/Programmes.aspx Tyne & Wear Archives & Museums, Newcastle Discovery Museum, available: http://www.tyneandweararchives.org.uk/ Woodhorn Colliery Museum, available: http://www.experiencewoodhorn.com/welcome.htm

194 Session 2

[Support] Supports and Changes of Museum's Role in Society

[지원] 외부지원과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Museums and Communities: The Faro Convention

박물관과 커뮤니티: FARO 협약

Lièontine Meijer-van Mensch Deputy Director of Museum Europäscher Kulturen(베를린 유럽문화박물관 부관장)

Museums and Communities: The Faro Convention

Lièontine Meijer-van Mensch

This paper will reflect on the role of communities in museums. Special attention will be given to the principles introduced in Framework Convention on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for Society of the Council of Europe. Modern approaches in museums and other heritage institutions call for inclusive ways that are not only responsive and engaging, but most of all participatory. The assumption is that a high degree of involvement of individuals and groups, i.e. the communities of interest, contribute to a sustainable role of heritage in society. However, participation raises questions about control and ownership and involves questions about ‘who decides’ and ‘who participates’ in decision making processes. In the present Code of Ethics for Museums of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adopted in 2004) mention is made of communities of origin (also referred to as source communities) and contemporary communities. The concept of source community refers to the communities from which the collections have been derived, in the past as well as in the present. A contemporary community is both source community as well as constituent community. In this case constituent means that the community sees the museum as representing its interest. The community is actively involved in implementing this aim. This implies that the museum and heritage institution or initiative considers itself also representing that particular community. Museums in the first decade of the twenty first century show some fundamental changes, for example in the way they shape and use collections. Traditional institutional identities are increasingly being challenged by an international professional discourse emphasizing integral and integrated approaches. This has implications for the concept of communities. Museums are part of a cultural information landscape. There is an increased tendency to create networks of museums and other heritage initiatives; the distinction between

197 institutional and private initiatives is blurring as well as the distinction between in situ and ex situ. These tendencies ask for an integrated and integral perspective on heritage and on the concept of collecting. One of the key concepts of present day, more integrated developments is the notion of shared responsibility: a shared responsibility of museum staff, a shared responsibility of organizations and interest groups in networks of heritage communities, and a shared responsibility of museums and their source communities, constituent communities, actually all communities of practice. Around 2005 the concept of heritage community was introduced as a new concept to replace the concept of source community and to acknowledge the participatory dimension of the concept of community of practice.1) The concept was given legal status through the Framework Convention on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for Society (hereafter referred to as Faro Convention) of the Council of Europe. The convention was implemented by the Flemish Community of Belgium in its Erfgoeddecreet [Heritage Act] of 2008. The Flemish Act also adopted the concept of heritage community be it with a small – but relevant – amendment. In the Netherlands the concept was not adopted in the new Heritage Act of 2015. However, several Dutch heritage organizations have been inspired by the concept and are in the process of (re-)defining themselves as heritage communities.

In the Faro Convention a heritage community is defined as consisting “of people who value specific aspects of cultural heritage which they wish, within the framework of public action, to sustain and transmit to future generations”.2) According to art. 4, “people” refers to “everyone, alone or collectively” (Zagato 2015: 147). In the Flemish Heritage Act of 2008 “people” is replaced by “organisations and people”.3) The Act thus emphasises what is implicit in the Convention: the co-operation between a range of public, private and voluntary partners. As such, the Convention is one of the first texts of its level to pinpoint this principle (Steering Committee for Cultural Heritage and Landscape 2009: 5).

1) It should be noted that throughout this paper the concept of heritage community is used differently from the use in the United States context. 2) Section I, Article 2b. 3) Titel 1, Artikel 2 - 5°.

198 The UNESCO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2003) also speaks of “communities, groups and individuals” (art. 1). In his analysis of the Faro Convention vis-à-vis the 2003 UNESCO Convention, Lauso Zagato refers to the concept of community as addressed by the latter as “natural” community, i.e. “based on membership of an ethnic group, a territory and a history together” (Zagato 2015: 159). The concept of heritage community is based on a different principle. In the Preamble of the Faro Convention it is stated that “every person has a right to engage with the cultural heritage of their choice, ...” [emphasis added]. Reference is made to the 1948 United Nations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where is stated that “Everyone has the right freely to participate in the cultural life of the community, to enjoy the arts and to share in scientific advancement and its benefits .”4)

The importance of the Faro Convention is that for the first time, the right to cultural heritage is explicitly recognised in an international instrument as pertaining to the sphere of human rights (Zagato 2015: 142). In the context of this papers it is relevant that “the cultural life of the community” is replaced by “the cultural heritage of their choice”. The Convention aims to support people to organise themselves on the basis of this free choice. This agrees with one of the principles outlined in the Fribourg Declaration on Cultural Rights, holding the right to identify with the cultural community of a person’s own choice (Zagato 2015: 143).5) The declaration speaks of “cultural community” connoting “a group of persons who share references that constitute a common cultural identity that they intend to preserve and develop”.6) Such a community is perceived as open community: “Everyone is free to choose to identify or not to identify with one or several cultural communities, regardless of frontiers, and to modify such a choice. No one shall have a cultural identity imposed or be assimilated into a cultural community against one’s will”.7) It is a mode of collective aggregation that “highlights the constructed nature of each community, whose members, dispersed in a space that can be transnational or discontinuous,

4) Article 27-1. 5) Fribourg Declaration on Cultural Rights, 7 May 2007. 6) Article 2c. 7) Article 4.

199 constantly and voluntarily reaffirm their commitment” (Chiara Bortolotto, quoted in Zagato 2015: 159). The key is a deliberate, shared and purposive commitment, not necessarily based upon shared language, ethnicity or a common past: “A heritage community can thus be built up across territories and social groups. It is defined neither in terms of the place where the heritage is situated, nor in terms of the social status of its members, who may participate from elsewhere, even from a long way away” (Dolff-Bonekämper 2009: 71; also Explanatory Report8); Steering Committee for Cultural Heritage and Landscape 2009: 4; Thérond 2009). According to the Steering Committee for Cultural Heritage and Landscape9) such a shared commitment is “a living expression of local grassroots democracy” (2009: 4).

Connecting the concepts of heritage community and cultural identity, and the notion of territoriality (Ardell et al. 2015; Zagato 2015) is an unfortunate constraint in the recognition of the potential of the concept of heritage community. Examples in Flanders and the Netherlands show that the concept of heritage community is an useful tool in structuring engagement with thematic heritage fields. The Stichting Computer Erfgoed Nederland SCEN [Dutch Computer Heritage Foundation]10), founded in 2004, unites institutional and private collector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s well as academics with an historical interest in the field. A comparable initiative is the Stichting Mobiele Collectie Nederland MCN [Dutch Transport Heritage Foundation]11) uniting institutional and private collectors of transport heritage. This includes owners of, for example, an historical ship used as houseboat. Both SCEN and MCN function as heritage community involving different types of expertise and engagement of organisations and people that wish to sustain and transmit a specific category of heritage to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There might be tensions between professionals employed by heritage institutions (such as

8) http://conventions.coe.int/Treaty/en/Reports/Html/199.htm 9) In 2012, the committee is incorporated into the Steering Committee for Culture, Heritage and Landscape of the Council of Europe. 10) http://dutch-computer-heritage.com/ 11) http://www.mobiel-erfgoed.nl/. The Foundation is a cooperative of four sector organisations: Federatie Historische Automobiel- en Motorfietsclubs (FEHAC), Federatie Varend Erfgoed Nederland (FVEN), Historisch Railvervoer Nederland (HRN) en de Nationale Federatie Historische Luchtvaart (NFHL), each of them functioning as umbrella organisation of a large number of specialised groups, often dedicated to one particular car brand, or even one specific model, or type of ship.

200 curators of museums) and private collectors or owners of one historical object (car or ship), but in general it is accepted that expertise is complementary. Even though the concept of heritage community is much discussed and considered to be a source of inspiration, the term itself is not used by Dutch organisations such as SCEN and MCN, obviously since there is no supporting legal framework. In Flanders the term has been adopted by a variety of initiatives since it is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funding. Heritage communities can be very narrowly defined or very broad. In a country like Korea, with a strong heritage infrastructure, lot of private museums, private collectors and a large diaspora community, the concept of heritage community could be a fruitful and sustainable one!

References

Nicolas Adell, Regina F. Bendix, Chiara Bortolotto & Markus Tauschek eds., Between Imagined Communities and Communities of Practice. Göttingen Studies in Cultural Property 8 (Göttingen 2015). https://www.univerlag.uni-goettingen.de/bitstream/handle/3/isbn-978-3-86395-205-1/GSCP8 _adell.pdf?sequence=1&isAllowed=y Gabi Dolff-Bonekämper (2009) ‘The social and spatial frameworks - What is new in the Faro Convention?’, in: Robert Palmer et al., Heritage and Beyond (Council of Europe, Strasbourg) 69-74. https://www.coe.int/t/dg4/cultureheritage/heritage/identities/PatrimoineBD_en.pdf Steering Committee for Cultural Heritage and Landscape, Some pointers to help understand the Faro Convention. Benefits of the Council of Europe Convention on the Value of Heritage for Society. 2nd Plenary Session, Strasbourg, 12-13 May, 2009 http://www.coe.int/t/dg4/cultureheritage/heritage/Source/CDPATEP/Plenary_Session/CDPA TEP%20_2009_2_EN.pdf Daniel Thérond (2009) ‘Benefits and innovations of the Council of Europe Framework Convention on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for Society’, in: Heritage and Beyond (Council of Europe, Strasbourg) 9-11. https://www.coe.int/t/dg4/cultureheritage/heritage/identities/PatrimoineBD_en.pdf

201 Lauso Zagato, The notion of „heritage community” in the Council of Europe’s Faro Convention. Its impact on the European legal framework. In: Nicolas Adell, Regina F. Bendix, Chiara Bortolotto & Markus Tauschek eds., Between Imagined Communities and Communities of Practice. Göttingen Studies in Cultural Property 8 (Göttingen 2015) 141-168. https://www.univerlag.uni-goettingen.de/bitstream/handle/3/isbn-978-3-86395-205-1/GSCP8 _adell.pdf?sequence=1&isAllowed=y

202 박물관과 커뮤니티: FARO 협약

Lièontine Meijer-van Mensch

본 논문에서는 박물관에서의 커뮤니티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유럽 의회 문화유산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기본 협약 (Framework Convention on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for Society) 에 소개된 원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박물관 및 기타 문화 유산 관련 기관에 대한 현대적인 접근법은 단지 관심이나 반 응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무엇보다 참여를 촉구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 는 개인과 단체의 적극적인 참여, 즉 커뮤니티의 관심이 사회 내에서 문화 유산이 지속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한 다. 그러나 참여와 함께 통제나 주도권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으며 의사 결정 과정에 있어서도 ‘누가 결정권을 가질 것인가’ 및 ‘누가 참여 대상이 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국제박물관협의회의 박물관 윤리 강령 (2004년 제정)에 따르면 원 커뮤니티 (혹은 원천 커뮤니티) 및 현대 커뮤니티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 있다. 원천 커뮤니티란 과거 혹은 현재에 박물관의 컬렉션이 기원한 본래의 커뮤니티를 뜻한다. 근대 커뮤 니티란 원천 커뮤니티이자 동시에 주민 커뮤니티다. 이 경우 주민은 해당 커뮤니티 에서 박물관이 자신들의 이익을 대표하는 것으로 생각함을 의미한다. 커뮤니티는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이는 박물관 및 문화 유산 기관 혹은 사업 역시 특정 커뮤니티를 대변하게 됨을 의미한다. 21세기 첫 20년 동안 박물관에서는 근본적인 차원에서의 변화가 진행되어 왔으며 그 중 한가지로 컬렉션을 구축하고 활용하는 방식에 있어서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총체적이고 통합된 접근방식을 강조하는 국제적인 전문 담론으로 인해 전통적인 기 관의 정체성에 대한 도전이 계속되고 있다. 이는 커뮤니티의 개념에 대해서도 마찬 가지이다. 박물관이란 전체적인 문화적 정보라는 큰 그림의 일부이다. 박물관과 다른 문화 유 산 관련 기관 간에 네트워크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향 늘고 있는 가운데 공공 및 민 간 부문의 업무 경계가 모호해 지고 영역 내부와 외부 간의 구분 역시 점차 사라지 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문화 유산 및 컬렉션 구축의 개념에 있어서 총체적이

203 고 통합적인 시각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핵심 개념 중 하나인 통합적인 개발이란 공동의 책임 분담을 뜻한다. 다시 말 해 박물관 직원의 공동 책임, 문화 유산 커뮤니티 네트워크 상의 기관 및 이익 집단 간의 공동 책임 분담 그리고 박물관과 그 원천 커뮤니티, 주민 커뮤니티 및 모든 실 전 공동체와의 공동 책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2005년경 원천 커뮤니티의 개념을 대체하고 실천 공동체 의 참여적인 구조 인식을 위한 신 개념으로 문화 유산 커뮤니티의 개념이 도입되었다.12) 문화 유산 커뮤니티 개념은 유럽 의회의 문화유산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기본 협약 (이하 파로 협약)에 의거하여 법적인 지위를 부여 받게 되었다. 본 협약은 벨기에의 플랑드르 커뮤니티 에 의해 2008년 Erfgoeddecreet [문화 유산 법]에 따라 시행되었다. 플랑드르 법안 에서는 또한 약간의 필요한 개정을 거쳐 문화 유산 커뮤니티의 개념도 채택하였다. 네덜란드에서는 이러한 개념이 신 문화유산 법안에 의해 2015년에야 채택되었다. 그 러나 일부 네덜란드 문화 유산 기관에서는 본 개념에서 영감을 받아 이미 문화 유 산 커뮤니티로의 재정립을 위한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파로 협약에서는 문화 유산 커뮤니티를 “본인들이 원하는 특정 문화 유산을 정해진 공공 행동의 규범 하에서 소중히 보전하여 이를 유지하고 미래 세대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커뮤니티”13) 로 정의하고 있다. 협약 4조에 따르면, “사람들” 이란 “개인 혹은 집합적인 모든 사람”을 뜻한다. (자가토 2015: 147). 플랑드르 문화 유산 법 2008 에 서는 “사람들” 대신 “기관 및 사람”14) 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다. 본 법안에서는 협약 내용 중 암시적으로 표현되었던 공공, 민간 및 자발적인 파트너 들 간의 다양한 협력 부분을 더욱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본 협약은 광범위한 수준에 서 이러한 원칙을 기술하여 명시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문화 유산 및 유적지 운 영 위원회 2009: 5).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 보호 협약 (2003)에서는 또한 “커뮤니티, 그룹 및 개인” (1 조)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파로 협약과 2003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 보호 협약에 대한 일대 일의 분석에 있어서 라우소 자가토는 무형 문화유산 보호 협약에서 커뮤 니티의 개념을 “자연적인” 커뮤니티, 다시 말해 “인종, 영토나 공통의 역사 등을 기 반으로 자연적으로 형성된 커뮤니티”로 보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자카토 2015: 159).

12) 본 논문 전체에서 문화 유산 커뮤니티의 개념은 미국 내에서의 개념과는 다른 의미를 지닌다. 13) 섹션 I, 2b조. 14) 타이틀 1, 2 – 5조°.

204 문화 유산 커뮤니티는 이와는 다른 원칙에 기반한 것이다. 파로 협약의 서문에서는 “모든 사람은 자신들이 선택한 문화 유산에 속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라고 명시 하고 있다. 이는 1948 국제 연합 세계 인권 선언의 “모든 사람은 해당 커뮤니티의 문화 생활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15)라는 조항을 근거로 한 것 이다.

파로 협약은 문화 유산에 대한 권리를 인권이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국제 조약에 최 초로 명시적으로 언급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자가토 2015: 142). 본 논문과 관련해서는 “커뮤니티의 문화 생활”이 “본인이 선택한 문화 생활”로 대체되 어 표현되고 있다는 점이 의미가 깊다. 본 협약은 대중이 본인들의 자유 선택에 의 해서 스스로 문화적으로 조직화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개인이 선택한 문화적 커뮤니티의 정체성을 보유할 수 있는 권리를 명시한 문 화적 권리에 대한 프리부르 선언의 원칙과 일치한다 (자가토 2015: 143).16) 본 선언 에서는 “문화적 커뮤니티”를 “본인들이 보존하고 발전시키기를 원하는 공통의 문화 적인 정체성 구성하는 요소들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 이라고 설명한다.17) 이러 한 커뮤니티는 개방형 커뮤니티로 인식된다. 개방형 커뮤니티에서는 “모든 사람이 한 개 혹은 그 이상의 문화적 커뮤니티와 동일시 하거나 동일시 하지 않도록 아무 런 경계 없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누구도 문화적인 정체성을 강요 받거나 혹은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특정 문화적 커 뮤니티로 편입되도록 강요 받지 않는다”.18) 이는 "각 커뮤니티의 구조적인 특성을 강조”하는 “집단적인 통합 모드로 그 구성원들은 국가를 초월하며 불연속적인 공간 에 흩어져 지속적으로 동시에 자발적으로 스스로의 신념을 재확인 한다” (글라라 보 토로또, 자가토에 인용 2015: 159). 핵심은 꼭 언어, 인종 혹은 공통의 과거 역사를 공유하지 않더라도 목적의식이 있는 공동의 신념을 공유하고 있는가에 있다: “따라 서 문화 유산 커뮤니티 국경이나 사회적 그룹을 넘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해 당 문화 유산이 발생한 공간이나 그 심지어 아주 먼 곳을 포함한 어디에서든 해당 문화에 참여한 구성원들의 사회적인 지위 등에 따라 정의되는 것이 아니다” (돌프- 보네켐퍼 2009: 71; 설명 보고서19); 문화 유산 및 유적지 운영 위원회 2009: 4; 테롱 2009). 문화 유산 및 유적지 운영 위원회에 따르면20) 이와 같은 공통의 신념은 “현

15) 27-1조 16) 문화적 권리에 대한 프리브르 선언, 2007년 5월 7일 17) 2c조 18) 4조 19) http://conventions.coe.int/Treaty/en/Reports/Html/199.htm

205 지 풀뿌리 민주주의의 생생한 표현”이다 (2009: 4).

문화 유산과 문화적 정체성의 개념을 영토의 개념과 연관시키는 경우 (아델 외. 2015; 자가토 2015) 문화 유산 커뮤니티의 정체성 인식에 있어 많은 제약을 두는 것 이다. 네덜란드와 플랑드르의 예는 경우 문화 유산 커뮤니티의 개념이 테마별 문화 유산 분야에 대한 참여를 조직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2004년 설립된 네덜란드 컴퓨터 헤리티지 재단 (Stichting Computer Erfgoed Nederland: SCEN)21)은 해당 분야의 역사에 대한 관심으로 학계뿐 아니라 기관 및 개인 수집가 가 보유한 정보 및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한 데 모아 통합하였다. 네덜란드 교통 헤 리티지 재단 (Stichting Mobiele Collectie Nederland: MCN) 역시 기관 및 개인 수집 가들이 보유한 교통 관련 문화 역사에 대한 내용을 한 데 모았다.22) 여기에는 하우 스보트로 사용되었던 역사적인 선박 등의 대상이 포함되어 있다. SCEN 와 MCN 양 쪽 모두 서로 다른 전문성과 특정 주제의 문화 유산을 보존하고 전달하여 미래 세 대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바람을 공유한 기관 및 개인의 참여로 이루어진 문화 유산 커뮤니티로 기능하고 있다. 문화 유산 기관에 의해 고용된 전문가 (박물관의 큐레 이터)와 역사적 유물 (자동차 혹은 선박)의 민간 수집가 혹은 소유자 간에 긴장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대부분은 전문성을 통해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 졌다. 문화 유산 커뮤니티의 개념이 많은 기관 조직에 있어 영감을 주는 원천이 될 수 있 음에 대해 많은 논의와 고려가 이루어져 왔지만 이에 대한 명시적인 법적 토대가 없는 상황으로 SCEN이나 MCN등의 네덜란드 기관에 의해 그다지 그 용어 자체의 사용이 활발히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플랑드르에서는 이를 기금 마련의 중요한 선 결 과제로 지정하여 이에 대한 다양한 활동이 채택되어 왔다. 문화 유산 커뮤니티는 협의적으로 혹은 매우 폭 넓은 광의적으로도 정의가 가능하 다. 수 많은 민간 박물관, 민간 수집가 및 다원적인 커뮤니티 등 우수한 문화 유산 인프 라를 갖춘 한국과 같은 국가에서는 문화 유산 커뮤니티의 개념을 매우 유용하고 실 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20) 2012년 위원회가 유럽 의회의 문화, 유산 및 유적지 운영 위원회로 구성되었다. 21) http://dutch-computer-heritage.com/ 22) http://www.mobiel-erfgoed.nl/. 본 재단은 Federatie Historische Automobiel- en Motorfietsclubs (FEHAC), Federatie Varend Erfgoed Nederland (FVEN), Historisch Railvervoer Nederland (HRN) en de Nationale Federatie Historische Luchtvaart (NFHL) 등 네 개의 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설립되었으며 각 기관은 많은 경우 특정 자동차 브랜드, 특정 모델 혹은 선박 종류 등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수 많은 전문 그룹들의 우산 조직 (umbrella organisation)이다.

206 참고

니콜라 아델, 레지나 F. 벤딕스, 글라라 보토로또 & 마쿠스 타우첵 등., 상상의 커뮤 니티와 실천 커뮤니티. 괴팅겐 문화 유산 연구 8 (괴팅겐2015). https://www.univerlag.uni-goettingen.de/bitstream/handle/3/isbn-978-3-86395-205-1/GSCP8 _adell.pdf?sequence=1&isAllowed=y 가비 돌프-보네켐퍼 (2009) ‘사회 및 공간적인 토대- 파로 협약에 새로 도입된 개념’, in: 로버트 팔머 외., 문화 유산과 그 너머 (유럽의회, 스트라스부르그) 69-74. https://www.coe.int/t/dg4/cultureheritage/heritage/identities/PatrimoineBD_en.pdf 문화 유산 및 유적지 운영 위원회, 파로 협약 이해를 위한 중요 논점. 유럽 의회 문 화유산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기본 협약. 2차 청문회, 스트라스부르그, 12-13 May, 2009 http://www.coe.int/t/dg4/cultureheritage/heritage/Source/CDPATEP/Plenary_Session/CDPA TEP%20_2009_2_EN.pdf 다니엘 테롱 (2009) ‘유럽 의회 문화유산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기본 협약의 이점 및 혁신’, in: Heritage and Beyond (Council of Europe, Strasbourg) 9-11. https://www.coe.int/t/dg4/cultureheritage/heritage/identities/PatrimoineBD_en.pdf 라우소 자가토, 유럽의회의 파로 협약에 있어 “문화 유산 커뮤니티”의 개념. 유럽의 사법 체계에 있어서의 영향 In: 니콜라스 아델, 레지나 F. 벤딕, 글라라 보토로또 & 마쿠스 타우첵 외., 상상의 커뮤니티와 실천 커뮤니티. 괴팅겐 문화 유산 연구 8 (괴 팅겐 2015) 141-168. https://www.univerlag.uni-goettingen.de/bitstream/handle/3/isbn-978-3-86395-205-1/GSCP8 _adell.pdf?sequence=1&isAllowed=y

207

Session 2

[Support] Supports and Changes of Museum's Role in Society

[지원] 외부지원과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Reflections on the rationales and directions for public support of museums

박물관 공공지원의 근거와 방향에 대한 재성찰

Yang, Ji-yeon (양지연) Professor / Dongduk Women's University (동덕여자대학교 큐레이터학과 교수)

Reflections on the rationales and directions for public support of museums

Yang, Ji-yeon

I. Introduction

The Museum and Art Gallery Support Act, which was enacted advocating the willingness to promote museums at the national level stipulates that expense for nurturing national and public museums as well as private museums and expense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museums can be supported within budget amount.1) It means that the responsibility and rationale for public support for museums are stipulated in act. As such, public support for museums in our society is based on basic consensus and accordingly, the financial support from nation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for museums has been provided in various forms. The museums in Korea have been grown to the extent that the number of registered museums becomes over 1,000 and the number of museums per capita reached to the level of OECD average for the past 20 years. The growth is largely attributable to the public support. Public support is very active method in execution policy as taxpayer’s money is provided to institution or project directly. As such, the financial support through public fund becomes the center of controversy so this policy method requires sincere discussion on the philosophical rational and direction of support and exploration of effective method. However, the public support for museums in Korea has a tendency to be approached from the legitimacy perspective and the fundamental discussion on why public support is required for museums and what the expected effects are seems not to be sufficient. Accordingly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project are determined by short-term plans and conditions presenting a limitation to having a bigger picture. The public support shall be provided from the long-term and overall perspectiv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museums and we need more in-depth

211 discussion at this point. This paper looks at the legitimacy of the public support for museums and its theoretical basis within the scope of financial support directly given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presents the direction for public support for museums after looking at the current state of public support. First,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basis for public support are analyzed and major points regarding public support a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cept and definition of a museum. Based on this examination,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major policies to support museums and explore future-oriented direction to secure legitimacy and logical basis for public support.

II. Rationale for public support for museums

1. Concept of museums and purpose of public support

It is necessary to reconfirm the concept and attributes of a museum through definition of a museum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ICOM) to explore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public support for museums.

A museum is a non-profit, permanent institution in the service of society and development, open to the public, which acquires, conserves, researches, communicates and exhibits the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and its environment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study and enjoyment.1)

The definition, which was revised at the ICOM General Meeting in 2007, added the concept of “intangible” heritage expanding the boundary of heritage handled by museums. The functions of museums that can be identified from this definition, which has been revised reflecting the changes in our society, include acquisition,

1) “A museum is a non-profit, permanent institution in the service of society and its development, open to the public, which acquires, conserves, researches, communicates and exhibits the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and its environment for the purposes of education, study and enjoyment.” (Extracted as of Sept. 5, 2015 fromhttp://icom.museum/the-vision/museum-definition)

212 conservation, research, communication and exhibition. These are the most critical functions that should be executed by museums with their unique expertise. In addition, the definition clearly states openness, non-profit, and permanent characteristics as major attributes of museums and it is indicated that the ultimate direction of museums with these attributes and functions is to serve the society and contribute to social development. In other words,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public support for museums shall be set based on the definition, which can be applied to all museums commonly regardless of type of collection, scale, operating entity of museums. It means that the public support should be concentrated on making museums achieve its purpose of education, research and enjoyment and perform its social role by establishing environment where the unique attributes of museums (open, non-profit, permanent and public characteristics) can be maintained and realized and by making core functions (collection, preservation, research, communication and exhibition) professional.

2. Major point of public support for culture and art

There has been controversy over the legitimacy of support for culture and art with taxpayer’s money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The public support for culture and art has a long history but an attempt to discuss the legitimacy of the support began in earnest after the late 1960s. Not only the discussion on the pros and cons of the public support for culture and arts making the philosophical point of the support more acute and outstanding. Following arguments comprise the major point in the discussion on the legitimacy of public support for culture and art. First, culture and art are public goods, which means they are public asset or asset entrusted to the public. Public goods refer to goods that can be enjoyed by all people equally and the use of public goods by one person does not mean that the amount of goods is reduced for other people. This rationale can work if the products and activities of culture and art have such a characteristic. For example, cultural heritage itself can be public goods but enjoying cultural heritage in a museum can exclude the participation of people who cannot pay for the museum ticket.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of public goods can be

213 weaken if other people cannot enter or are disturbed by other people as many people consume a certain space in a museum(Frey, 2003). Second, culture and art, generally, are recognized to have characteristic of merit goods. Merit goods refer to goods for which a society determines that it is desirable to provide more than individual demand (Kim Hak-sil, 2001). Culture and art is recognized to be merit goods for which public support is resonable as they have many positive values including social integration, formation of identity among social members,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economic ripple effects. However, this rationale has a limitation to “provide” things that the government considers good without considering the preference and demand of consumers for culture and art and face opposition saying that not all merit goods need to b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without any condition (Frey, 2003).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perspectives on the social agreement regarding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Frey, 2003). It means that the level of social agreement on the actual contribution of museums to social integration, formation of identity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determines the value of museums. Third, there is a discussion on the culture and art and market principle. Culture and art area may cause “market failure”. It is hard for pure art, traditional art and non-profit culture, not industrialized culture and art, to survive in accordance with market principle. The inevitability of public support due to economic dilemma of creation and production cost of performing arts argued by Baumol and Bowen in early days (1966) serve as a major rationale for public support for culture and art even today (Kim Jeong-soo, 2008; Kim Hak-sil, 2001; Frey. 2003; Heilbrun , 2003). Museum generates relatively high fixed cost to provide service due to experts required to do research and operate and activities regarding collections. Museums have a characteristic of consuming a certain amount of fixed cost even though scale is small and cost cannot be saved much for larger museums. (Johnson, 2003). In addition, culture and art neglected in the market principle can be commercialized too much distorting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culture and art (Kim Jeong-soo, 2008). Considering the non-profit characteristic of museum, the limitation of this free market economy can be a major aspect for public support. However, in the meantime, many argue that public interference in culture and art may limit the

214 creativity and autonomy of culture and art activities opposing the public support for museums (Kim Hak-sil, 2001). Regardless of government, government support could bring about regulatory effects depending on the political inclination so government support serve as an element that limit free academical and artistic activities. It is argued that the government involvement could distort natural flow of culture and art and recognition of consumers so, culture and art should be controled by the market and autonomy of the art and culture industry (Banfield, 1992). In relation to this, there has been a discussion on the adverse effect of government support including weakening self-sufficiency. It is argued that the opportunity to secure self-sufficiency of culture and art is reduced with growing dependency on government support and room for diversification of financial resources becomes smaller with weakening legitimacy for private support. This is the adverse effect that can be caused easily when public support for museum becomes routine and allocation-oriented support or motivation or capacity to survive becomes weak without government support. Fourth, discussion is made from the perspective of income distribution equality. Consumption of culture and art should be open not only to wealthy class but also to all members of society and it is not right to not to enjoy culture and art as one cannot pay much. To prevent such a case, it is argued that public involvement is required (Frey, 2003). The policy to make people use national and public museums for free support this rationale.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issue of income distribution is a representative rationale for opposing public support for culture and art (Banfield, 1992). It is argued that consumption of culture and art is the area of individual choice and benefits and it is not reasonable to support for all people as people higher than middle class are mostly interested in consuming culture and art. In the end, it is argued that support for culture and art leads to inappropriate income distribution as the support goes from low-income level people to higher-income level people. For example, even though the ticket to museums is free, the support usually go to people who have been going to museums frequently and have the ability to pay for the ticket (Banfield, 1992; Hagg, 1992). This is the reason why museums should make an effort to secure diversity of visitors and development of new visitors not focusing only on the number of visitors. Fifth, there is a discussion by applying welfare perspective above to culture.

215 Beardsley (1992) presented the concept of “aesthetic welfare” and argued that aesthetic welfare is the major role of the government from educational perspective. According to him, “aesthetic wealth” of a society is the aggregation of heritage, which is valuable culturally and aesthetically and precondition to achieve “aesthetic welfare”. The level of aesthetic experience of social members in a certain period is aesthetic welfare and the condition under which aesthetic welfare is distributed with justice is “aesthetic justice”. He argued that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play a large role in executing policies that promote these aesthetic welfare and aesthetic justice (Beardsley, 1992). If this argument is applied to museums, the pubic support for museums becomes legitimate if museums accumulate cultural and aesthetic wealth (contents including collections) that can be enjoyed by social members and realize the aesthetic welfare and aesthetic justice that increase the number of members enjoying the wealth and their cultural capability. The arguments on the rationales for public support for culture and art worth to review sufficiently as they make us consider how to strengthen rationale for public support for museums. Support policy can move a step ahead by exploring rationale for public support for museums systematically moving away from approach that regards public support as duty. The implication on public support for museums drawn from major points regarding public support for culture and ar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atus of museum as public goods and merit goods should be strengthened and social consensus on it should be expanded. The fact that museums and their assets are public assets should be proved and value for social utilization should be created.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museums should disclose the area where market failure occurs systematically due to specific and non-profit characteristics of pure culture and art production and service. In addition, the role of museums to accumulate cultural wealth and increase the number and capacity of members to enjoy cultural wealth needs to be demonst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income distribution justice and cultural welfare. If museums want to solidify logical basis for public support, they should reflect and strengthen their identity, role and functions. In addition, they need to minimize the adverse effects of public support including reducing creativity and self-sufficiency of museums and explore ways to overcome these adverse effects.

216

III. Current state of public support for museums and exploration of direction

1. Review on the current state of public support for museums

1) Policy to expand museums and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public museums

Since the 1990s, there has been policy to expand museums at the center of museum policy at the national level. With the policy to expand museums with an aim to establish at least one public art gallery and public museum in cities and provinces in the region including one art gallery in a province and establishment of one regional national museum in a province, the regional imbalance in public and national museums has been reduced.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public museums”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s at the center of museum expansion policy. The project is to support 40% of establishment cost except for site purchase cost under the regional development special account to improve preservation, exhibition and enjoyment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2) The support project has been implemented for the past 20 years since 1996 contributing to quantitative expansion of public museums across the nation. The table 1 shows that the number of public museums has been grown very rapidly since 1995.

Growth of the Number of Registered Museums and Art Galleries (1995-2015) Classification 1995 2000 2005 2010 2015 National 17 25 31 30 39 Registered Public 19 30 108 289 332 Museum Private 33 84 155 251 336 University 71 81 64 85 102

2) According to <2013 Culture Art Policy White Paper>, a total of 222.4 billion won of support has been provided for the establishment of 133 museums from 1996 to late 2013. As of late 2012, 108 museums opened and 25 museums are under construction.

217 Total 140 220 358 655 809 National 1 1 1 1 1 Public 3 8 17 27 50 Registered Private 21 36 60 108 140 Art Gallery University 0 1 2 5 11 Total 25 46 80 141 202 Total 165 266 438 796 1,011 * Sourc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verview of National Cultural Infrastructure」, e-National Indicators,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640

Of course, the growth of the number of public museums is not only supported by the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With the full implementation of regional government system in 1995, the regional government faced the issue of boosting characteristics and vitalization of the region. Under this circumstance, regional governments started establishing museums as they recognized museums as the important cultural infrastructure to boost identity, quality of life and economy in the region (Yoon Tae-seok, 2015). However, at the same time, many public museums faced the issue of low operating performance and low utilization rate as many public museums were established with insufficient collections and operating plan. The table below shows that the average number of collections in public museums is less significantly than other types of museums.3) The support project with an aim to increase the number of museums caused the adverse effect of the growth in the number and size of public museums. Accordingl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dopted “pre-qualification system for the establishment of public museums” in 2012. The purpose of the system is to strengthen review on the collection acquisition plan, operating plan after establishment and financial plan from the establishment stage of the public museums. It is necessary to solidify the health of public museum establishment by operating this system well.

3) This issue is well identified in policy report where the current state of all public museums was conducted in 2011 (Park So-hyun et al., Survey on the Operating Status of Public Museums, 2011,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218

The Number of Registered Museum, Employees, Collections and Average Number of Visitors (as of Jan. 1, 2015) Number Average Number per Museum Operating Entity o f A n n u a l Employee Curator Collection Museums Visitors N a t i o n a l 39 45.77 7.92 44,103 508,808 Museum Public Museum 332 8.37 1.44 5,719 120,976 Private Museum 336 7.76 1.83 19,161 112,941 University 102 6.35 2.08 16,373 13,076 Museum Total 809 9.67 2.00 14,495 122,731 * Sourc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verview of National Cultural Infrastructure」, p. 25.

The Number of Registered Art Gallery, Employees, Collections and Average Number of Visitors (as of Jan. 1, 2015) Number Average Number per Museum Operating Entity of Art A n n u a l Employee Curator Collection Gallery Visitors National Art 1 219 26 7,460 2,356,821 Gallery Public Art 50 12.40 2.82 1,287 95,686 Gallery Private Art 140 6.76 1.54 1,669 40,108 Gallery University Art 11 7.00 1.36 422 9,660 Gallery Total 202 9.22 1.97 1,535 63,676 * Sourc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verview of National Cultural Infrastructure」, p. 27.

219 2)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national museums and art galleries

The oldest and representative government policy to support museums i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national museums. National museums belong to the central government for which establishment and operating budget are supported by national treasury. Operation of National Museum of Korea, 12 regional national museums,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National Hangeul Museum, and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ccounts for significant portion of the national museum support policy and the budget scale and appropriate usage need to be noted. For reference, as of 2015, a total of 133 billion operating budget (excluding labor coast) a year is allocated to national museums and art galleries that belong to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From the perspective that autonomy operating system of the national cultural institute should be strengthened,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was changed to responsible operating institution and to move further, the establishment of the corporation for the museum was discussed. Bu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ional responsibility to support national museums, the stable financial support is important.

2015 Budget for Operation of National Museums and Art Galleries that Belong to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excluding labor cost) (unit: 1 million won) National National National Regional National Folk Museum of National Museum of Museum of National Museum of Korean Hangeul Modern and Korea Museum (12) Korea Contemporary Museum, Contemporary History Art 30,290 23,017 16,679 13,507 11,952 38,093

* Source: ,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4. 12. Reorganized

220 3) Support for curator at private museums

One remarkable changes in policy to support museum is that financial support for private museums started in 2004. Private museums including Gansong Museum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Korean museums along with national and public museums and university museums. However, the private museums were recognized as an private cultural facility operated by individual, association and company becoming out of the scope of direct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s the need for policy suoport for private museums to promote museums in the 2000s from the academia and the filed, financial support for private museums started in 2004. The public support for private museum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make policy recognize private museums not as private property but as a public institution. It has been 10 years since the adoption of the system and now is the time for reviewing effectiveness of the system and checking the future direction. One of the groundbreaking approaches in public support for private museums, which were in poor condition with weak financial foundation, was the support for curator. The curator support project was implemented in 2007 to meet vitalize private museums, meet policy demand for nurturing professionals as well as national job creation policy. The project was operated by selecting private museums to be supported and supporting personnel among registered private museums and assigning one person assisting labor cost of the personnel. From 2012, the system became more specific by dividing support into two: one for curator and the other for educator.4) For registered private art galleries support for curator, educator and interns is provided.

4) In 2015, 19.25 million won and 17.5 million won are allocated for curators and educators for registered private museums under the plan that 1 personnel is supported for 110 museums.

221

Support for Personnel in Private Museums and Art Galleries (as of 2015) Target Project Led by Supporting Method Support for Korean Museum National Treasury + R e g i s t e r e d Curator Association Museum’s Mandatory Share Private Museum Support for Korean Museum National Treasury + Educator Association Museum’s Mandatory Share R e g i s t e r e d Support for National Treasury + Korean Art Museum Private Art Educator Museum’s Mandatory Share Association Gallery Support for Intern Full Support

* Sourc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eb Site http://www.mcst.go.kr, Korean Art Museum Association Web Site http://www.artmuseums.or.kr

The support for personnel can expect significant policy effect as more than 35% of registered private museums can get support for labor cost for two core personnel every year. However, it has a limitation to have long term plan and project implementation as most of the personnel is employed for short term less than 1 yea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institution/personnel recruitment and allocation and effect of boosting employment in museums. So far, the support provides financial support for individual museums rather than creating effects for making museums more vitalized and processional, strengthening capacity of personnel and creating job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uppor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support based on selection and concentration and museum evaluation to prevent support from being conventional.

4) Support for project in public and private museums

The public support for projects in private museums began in earnest as lottery fund supported exhibitions in private museums and art galleries in 2004. Recent project support is mostly concentrated on education sector. One of the representative projects currently being underway is the “Humanities on the Road”. The project is linked with the government policy to promote humanities so the museum project was adopted along with libraries. This year, the budget scale is larger than the first

222 project year and the support target expanded from private museums to public museums. About 3 billion won was allocated to 120 institutions in registered public and private university museums. The project is to support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contents of museum with humanities for the youth. The support for cultural education of private museums is mainly linked to the projects of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under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support for education project in private art galleries has been provided through various projects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supports of the institution including Gumdarak Saturday Cultural Program. In addition, Cultural education program support project for private art galleries is established newly to implement cultural education program implementation linked with “Day of Culture” this year. This project includes a art education program production utilizing collections of private art galleries. In the meantime, not only the support for establishment of public museums but also support for operation are explored based on the survey on the operation status of public museums conducted in 2011. The “DB project for collections in public museum” is intended to lay the foundation for registering collections in standard heritage system and making a DB by selecting 35 public museums. In fact, it is more like the support for personnel along with job training and consulting as the personnel to perform this work is supported. In addition, private museum development support projects including “online magazine issuance”, “Korean Artist Project”, and “museum festival” are implemented focusing on Korean Art Museum Association. The support for project of Korean Museum Association is also included. Korean Museum Association is a consultative body of museums specified in the Museum and Art Gallery Support Act. It is necessary to explore mid-to long-term ways to make consultative body for museums perform its own function in a professional and autonomy way. The support for projects lacks the consistency of budget characteristics and purpose of the support compared to establishment/expansion of museums and support for personnel. The support for projects is fragmented depending on the demand of the times. It is necessary to plan and support development project in accordance with long-term museum policy. Recently, the policy to support management and disclosure

223 of collections held by public and private museums and their utilization started recently. The support for more fundamental elements requires long-term investment.

2. Direction of public support for museum

1) Change in support policy paradigm for substantiality of museums.

The number of museums has been growing rapidly for the past 20 years to the extent that the number of museums increased by more than 6 times from 165 in 1995 to 1011 as of Jan. 2015. With the enactment of Museum and Art Gallery Support Act in 1991,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presented the vision to have 1,000 museums and art galleries. The vision has been realized for the past 20 years. As of late 2010, Korea ranked 9th grade in terms of the number of museums, and 8th and 1st in terms of the number of museums compared to population size in the world and Asia respectively5) . As such, it is clear that the era when the first priority of museum support policy is the expansion of museums has gone.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overall qualitative development of museum culture is not sufficient despite quantitative growth in museums (Kim Young-ho, 2013; Lee In-beom, 2003; Jeon Tae-il, 2008). Except for some national museums and art galleries, many face problems of lack of contents, lack of professionals and working environment and low utilization rate. In case of public and private museums, the financially stable operating foundation is weak and investment is not sufficient except for government support. The museum support policy in the future should establish the mid-to long0term direction based on 4 interrelated elements- contents, experts, visitor development and financial foundation- to make museums sustainable and permanent. Lack of contents is not only related to lack of number of collections. What is more important is to establish differentiated collections from the quality perspective, how to manage systematically and how to plan the collections as a usable public goods. To this end,

5) Master Plan on Museum Development (draf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2.

224 the securing of experts, capacity and activity of the professional experts are important. Now is the time to move from the hardware approach to allocate professional experts to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professional experts are capable of establishing, researching, planning and managing contents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In case of public museums for which financial investment is weak after establishment or private museums which cannot survive on their own without government support, involvement in and support for those institutions are required a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ng stage so that they can establish the fundamental financial foundation rather than providing one-off financial support. In particular, the direction of supporting private museums established by an individual should be established to nurture “small but strong museums” like small but strong company support policy. In terms of visitor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create community based on research on local community and visitors rather than focusing on one-off exhibition, education and promotion activities.

2) Strengthening the expertise of unique function of museums

Future museum support policy should focus on strengthening the expertise of unique function of museums to bring about qualitative changes in museum culture. First is about the collection. In case of private museums, collections are made at the individual or private level, so this is not the area for public interference and not influenced by public support. However, in case of national and public museums, collection activities have a meaning that nation/government plays the role of accumulating cultural wealth and cultural heritage of our society. As the collection of national and public museums, in particular, collection from purchase, is supports fully by the government budget, securing of budget, scale and appropriate use of the budget are core parts of public support for museums.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collections, securing budget for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collection based on collection policy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national policy to support museums. Next is to support preservation. The interest in and support for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is agreed to some extent securing the legitimacy of public support. It means that there is a social consensus to preserve valuable old heritage and

225 contemporary art works, whose value is not certain“ for the future generation (Hagg, 1992). If we can say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is reasonable, the cost of preservation and repair is high requiring technical expertise, for which public support can play a significant role. Not only the collections in national and private museums, but also collections in private museums are part of the cultural asset of a nation. Therefore, selective public support for the preservation of collections of private museums in public system like non-profit corporation can be considered. But this time also requires agreement on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the collection as public goods. The support for research is required to make unique function of museums professional. If museums secure unique expertise in the contents held, they can play their role in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Museum should be the place where knowledge is created based on humanity and its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and quality service to the public is possible based on th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R&D on the collections and their utilization. It is worth to support research conducted jointly by university and relevant researchers. If the knowledge contents held by each museum are networked in database, it could increase the social wealth in creative and knowledge based society. The project to support strengthening of capacity for research, planning and development of experts in museums should be in this direction.

3) Adoption of development-oriented evaluation to make public support accountable.

Evaluation system should take root to solidify the rationale for public support for museums and improve effect of support. Current evaluation on support for museums is based on support project. Along with evaluation on project implementation, evaluation on the long-term perspective of institution and capacity building based on consulting are required. Even though ”evaluation on the operation of cultural infrastructure“ was adopted in 1998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system has not been taken root appropriately serving as a stumbling block to secure accountability of public support and improve rationale for the public support. In recognition of this problem,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26 conducted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museum evaluation indicators as the first long-term museum policy announced in 2012 focusing on ”improvement of museum related systems including establishment, registration and evaluation certification“. 6) In 2014, pilot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some public museums in 2014 and for some private museums in 2015. Moreover, pre-evaluation, monitoring and consulting should be established firmly to make participation of experts in preparation for establishment, operation process and review on operation outcome effective. The virtuous circle should be in place under which museums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support based on evaluation, and strengthen their capability to prepare for such evaluation or make improvement in evaluation result with consulting support. This will lay the foundation for inducing external support including donation from private sector and sponsorships long with public support. To set the vision and direction of museum support policy, central entity where museum policy is established comprehensively and implemented in the long term based on discussion among policy makers, academia and people in the field is necessary.

IV. Conclusion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how to clarify rationale for public support for museums from what perspective and what the future-oriented direction of the public support is. To this end, the main points of the rationales for public support for culture and art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museum and major policies to support museums, currently underway, were looked at. It is considered that the focus of the public support should go in the direction of reflecting past support policies and strengthening museums’ unique attributes and functions to realize the qualitative growth after achieving quantitative growth of museums. It means the sustainable foundation for survival should be established by strengthening non-profit, public, permanent, professional aspects of museums. In the

6) Refer to <2913 Culture Art Policy White Paper>,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Art and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for the long-term museum policy announced in 2012 and refer to Kim Hye-in et, al. (2013) ,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for development of museum evaluation indicators.

227 era where the number of museums is 1,000, the vision for public support should make museums strengthen their capability to make social contributions in the creative economy and knowledge-based society.

Kim Young-ho (2013), “The Present Situation and Tasks for Art Museum in Korea-Focusing on Organization and Legislation”, paper book on contemporary art, Vol. 17, No. 2, Society of Contemporary Art Science, pp.113-145. Kim Jeong-soo (2008), “Reflection on Public Support for Arts: A Case Study on the Gyeonggi Cultural Foundation’s Arts Support”, The Journal of Cultural Policy, Vol.20,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pp.163-191 Kim Hak-sil (2001), “Legitimating Public Support for Culture and Art”,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17,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p.319-335 Kim Hye-in et, al. (2013) “Study on the Indicator Development and Criteria for Museum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Park So-hyun (2011), “Survey on the Operating Status of Public Museums”,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Yoon Tae-seok (2015), “100-years of Museum Looked through Institutions and Policies”, History of exhibition place of Korean art, Kimdaljin Museum, pp. 20-39. Lee In-beom (2003), “Art Gallery, Cultural Infrastructure that can be Never Neglected- Discussed in the policy to support ”self-sufficient“ art galleries, how to support self-sufficient art galleries, pp. 4-10. Jeon Tae-il (2008), “A Study on a New Support System for the Museums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s or the Privates, Vol. Journal of Museum Studies, Korean Society of Museum Studies, pp.179-189. Banfield, E. C. (1992). Art and the Public Interest. Public Policy and the Aesthetic Interest(Ed. R. A. Smith, R. Berman), (pp.29-39). I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Beardsley, M. C. (1992). Aesthetic Welfare, Aesthetic Justice, and Educational Policy. Public Policy and the Aesthetic Interest(Ed. R. A. Smith, R. Berman), (pp.40-51). IL:

228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Frey, B. S. (2003). Public support. A handbook of cultural economics(Ed. R. Towse), (pp. 389-398). MA: Edward Elgar Publishing Massachusetts. Haag, E. V. D. (1992). Should the Government Subsidize the Arts?. Public Policy and the Aesthetic Interest(Ed. R. A. Smith, R. Berman), (pp. 52-60). I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Heilbrun, J. (2003). Baumol's cost disease. A handbook of cultural economics(Ed. R. Towse), (pp. 91-101). MA: Edward Elgar Publishing Massachusetts. Johnson, P. S. (2003). Museums. A handbook of cultural economics(Ed. R. Towse), (pp. 315-320). MA: Edward Elgar Publishing Massachusetts.

229 박물관 공공지원의 근거와 방향에 대한 재성찰

양지연

I. 서론

국가적 차원에서 박물관 진흥 의지를 표방하고 1991년에 제정한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는 국가나 지자체가 국공립 박물관은 물론 사립 박물관을 육성하고 설립· 운영 경비를 예산 범위 내에서 보조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1) 박물관에 대한 공적 지원의 책임과 근거를 법에 명시하고 있는 셈이다. 그만큼 우리 사회에서 박물 관에 대한 공공지원은 기본적인 합의가 전제되어 있고, 이에 따라 박물관에 대한 국 가와 지자체의 재정 지원이 여러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현재 등록 박물관의 수가 1 천 개를 넘어서고 인구 당 박물관 수가 OECD 국가의 평균에 가까울 정도로 지난 20여 년간 이룬 한국 박물관의 성장은 이러한 공공지원에 힘입은 바 크다. 공공지원(public support)은 세금을 개인이나 기관/사업에 직접 제공하는 매우 적극적 인 정책 실현의 방법이다. 그만큼 공적 자금을 통한 재정지원은 논란의 초점이 되기 도 하며, 지원의 철학적 근거와 방향을 신중히 논의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살펴보아 야 하는 정책 수단이다. 그러나 이에 비해 우리나라의 박물관에 대한 공공지원은 당 위적으로 접근되어온 경향이 있으며, 박물관의 공공지원이 왜 필요하고, 왜 중요하 며, 어떤 부분에서 어떠한 효과를 기대해야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는 부족하 였다고 본다. 이에 따라 지원 사업의 설계와 운영 또한 단기적 계획과 상황에 좌우 되어 큰 그림을 그리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지속가능한 박물관 의 발전을 위해서는 공공지원 역시 장기적이고 근원적인 시각에서 방향성을 갖고 이 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좀 더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글에서는 중앙정부에 의한 직접적 재정지원을 범위로 하여, 박물관에 대한 공공

1)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제18조제1항에 따라 사립 박물관이나 사립 미술관 설립 계획의 승인을 받은 자에게 는 설립에 필요한 경비를, 등록한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대하여는 운영에 필요한 경비를 예산의 범위에서 각 각 보조할 수 있다.”(<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제24조 1항)

230 지원의 정당성과 이론적 근거를 재검토해보고, 공공지원의 현황을 검토한 뒤 박물관 공공지원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먼저 문화예술의 공적 지원 근거에 대한 이 론적 논의들을 분석하고, 박물관의 개념과 정의에 비추어 공공지원의 주요 논점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주요 박물관 지원정책을 검토해 보고, 공공지원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논리적 근거를 강화하기 위한 미래지향적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II. 박물관 공공지원의 근거

1. 박물관의 개념과 공공지원의 목적

박물관 공공지원의 목적과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국제박물관협의회(ICOM)에서 규 정한 박물관(museum)의 정의를 통해 박물관의 개념과 속성을 재확인 할 필요가 있 다.

박물관은 교육과 연구, 향유를 목적으로 인류와 그 환경의 유형, 무형의 유산을 수 집, 보존, 연구, 소통, 전시하여 사회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고, 공중에게 개방되는 비영리의 항구적 기관이다.2)

2007년 ICOM 총회에서 개정된 이 정의에는 ‘무형’(intangible) 유산의 개념이 추가되 어, 박물관이 다루는 유산의 외연을 보다 넓게 확장하고 있다. 사회 변화를 반영하 여 개정되어 온 이 정의에서 도출할 수 있는 박물관의 기능은 수집, 보존, 연구, 소 통, 전시이다. 이는 박물관이 고유의 전문성을 갖고 수행해야 하는 가장 핵심적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박물관의 주요 속성으로 공중에 대한 개방성, 비영리 성, 항구성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속성과 기능을 갖고 박물관이 궁극적으로 지 향하는 바는 사회에 봉사하고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시 환기하자면, 박물관 공공지원의 목적과 방향은 소장품의 종류, 규모, 설립운영 주체에 관계없이 박물관이라면 공통적인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이 정의에 비추어

2) “A museum is a non-profit, permanent institution in the service of society and its development, open to the public, which acquires, conserves, researches, communicates and exhibits the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and its environment for the purposes of education, study and enjoyment.” (.http://icom.museum/the-vision/museum-definition/에서 2015. 9. 5. 인출)

231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즉, 박물관 고유의 속성(공중에 대한 개방성, 비영리성, 항구 성, 공공성)을 유지하고 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핵심 기능(수집, 보존, 연 구, 소통, 전시)을 전문화함으로써 교육·연구·향유의 목적을 달성하고 사회적 역할을 온전히 수행해나가도록 하는데 공공지원의 쓰임새가 집중되어야 한다.

2. 문화예술에 대한 공적지원의 논점

문화예술을 세금으로 직접 지원하는 것의 정당성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논쟁이 있어 왔다. 문화예술에 대한 공공지원은 그 역사가 오래되었으나, 그 정당성 을 논의하는 시도는 1960년대 후반 이후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문화예술의 공적지 원을 찬성하는 논의 뿐 아니라 반대 논의도 팽팽하게 제기되어 옴으로써 지원의 철 학적 논점이 더욱 첨예하고 명료하게 부각된 측면이 있다. 다음과 같은 주장이 문화예술 공공지원 정당성 논의의 주요한 쟁점을 이룬다. 첫째 문화예술은 공공의 자산, 혹은 공공에 위탁된 자산이라는, ‘공공재’(public good)의 개념이다. 공공재는 모든 사람이 공평하게 향유할 수 있고, 한 사람이 이용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의 이용이 줄어들지 않는 재화를 말한다. 이는 물론 문화예술의 산물 과 활동이 위와 같은 성격을 지닐 때 근거로 작용할 수 있는 논리이다. 예를 들어, 문화재 자체는 공공재일 수 있지만, 박물관에서 문화재를 감상하는 것은 입장료를 지불할 수 없는 사람이 배제될 수도 있다. 또한 박물관의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는 사람이 많아 다른 사람은 입장할 수 없거나 관람에 방해를 받을 때도 공공재적 성 격이 약화될 것이다(Frey, 2003) 둘째, 문화예술은 일반적으로 ‘가치재’(merit good)의 성격을 인정받는다. 가치재란 개인이 구매하려는 수요보다 많은 양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회가 결정한 재화이다(김학실, 2001). 문화예술은 사회통합과 사회 구성원의 정체성 형성, 삶의 질 향상, 경제적 파급 효과 등 여러 긍정적인 가치로 인해 공적 지원이 합당한 가치 재로 인식된다. 그러나 이 논리는 문화예술에 대한 소비자의 취향과 요구의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정부가 좋다고 생각하는 것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는 근본적 한계 가 있고, 가치재라고 해서 무조건 정부가 지원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반박도 있다 (Frey, 2003). 또한 문화예술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합의 여부에 이르면 다양한 입장 이 존재한다(Frey, 2003). 즉, 박물관이 사회통합, 정체성 형성, 삶의 질 향상 등에 실제로 기여하는 바에 대한 사회적 동의가 어느 정도 있는가에 따라 박물관의 가치 재적 위상이 좌우된다고 본다.

232 셋째, 문화예술과 시장원리에 대한 논의이다. 문화예술 부분은 ‘시장실패’가 발생할 수 있는 분야이다. 산업화된 부문이 아닌 순수예술, 전통예술 분야, 비영리적 문화 부문은 시장원리에 따라서만은 존립하기 어렵다. 일찍이 보몰과 보웬(1966)이 공연 예술 생산/제작비의 경제적 딜레마를 들어 주장했던 공적 보조의 불가피성은 지금까 지도 문화예술 공공지원의 주요 근거로 작용한다(김정수, 2008; 김학실, 2001; Frey, 2003; Heilbrun, 2003). 박물관 역시 학예·운영 전문인력이 필요하고 소장품을 중심으 로 수행되는 활동으로 인해, 서비스의 제공에 상당히 높은 고정비용이 드는 분야이 다. 박물관은 규모가 크다고 비용이 절감되는 부분이 거의 없고, 규모가 작아도 일 정한 고정 비용이 소요되는 성격을 갖는다(Johnson, 2003). 또한 시장원리에 방임된 문화예술 부문은 자칫 과도한 상업화로 인해 문화예술의 생산과 유통, 소비에 있어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김정수, 2008). 박물관의 비영리성을 고려할 때, 이러한 자유 시장경제의 한계는 공공지원의 중요한 측면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한편, 문화예술에 대한 공적 개입이 문화예술 활동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 공공지원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많다(김학실, 2001). 어떤 정부이건 간에 정부 지원은 정치적 성향에 따른 규제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으므로 정부지원금은 학문적, 예술적 으로 자유롭고 엄정한 활동을 제약하는 요소가 된다는 것이다. 또한 정부의 개입으 로 인해 문화예술에 대한 자연스러운 취향의 흐름과 소비자들의 인식을 왜곡할 수 있으므로 시장/현장의 자율성에 맡겨야 한다는 입장을 들 수 있다(Banfield, 1992). 이와 관련하여 정부 지원으로 인해 문화예술의 자생성이 약화되는 역기능에 대해서 도 논의되어 왔다. 공적 지원으로 정부 의존성이 커져 자생력을 갖출 기회가 줄어들 고 민간 부분의 지원 명분을 약화시켜 재원을 다변화 할 여지를 줄인다는 것이다. 이는 박물관 공공지원이 관례적이고 분배적인 지원이 되거나 정부 지원이 없이는 존 립 동기나 역량이 현저히 떨어질 때 발생하기 쉬운 역작용이다. 넷째, 소득 분배의 형평성 차원에서 논의된다. 문화예술의 소비는 부유한 계층만이 아닌 모든 사회계층의 구성원에게 열려있어야 하며, 돈을 많이 지불할 수 없다고 문 화예술을 향유하지 못하는 것은 옳지 못하므로 이를 바로잡기 위해 공적 개입이 필 요하다는 것이다(Frey, 2003). 국공립 박물관의 무료입장 정책은 이와 같은 명분을 뒷받침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소득의 분배 문제는 문화예술 공공지원의 대표적인 반대 논리이기도 하다(Banfield, 1992). 문화예술의 소비는 개인적인 선택과 혜택의 영역이며, 주로 중산층 이상이 관심을 갖고 소비하는데, 모든 사람이 의무적 으로 지원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결국 문화예술을 지원하는 것은 소 득 수준이 낮은 사람들이 높은 사람들을 보조하는 방식이 되어 소득의 잘못된 재분

233 배가 일어나게 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박물관 입장료가 무료라 해도, 이는 이 미 박물관을 자주 찾고 입장료를 지불할 능력이 있는 사람들을 보조하는 셈이라는 것이다(Banfield, 1992; Hagg, 1992). 박물관이 단순 입장객 수가 아닌 관람객층의 다 양성과 새로운 관람객 개발에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이다. 다섯째, 위와 같은 복지적 관점을 문화에 적용한 논리이다. 비어즐리(Beardsley, 1992)는 ‘미적 복지’(aesthetic welfare)의 개념을 제시하고, 미적 복지가 교육적 차원 에서 중요한 정부의 역할이라고 주장하였다. 그에 의하면, 한 사회의 ‘미적 부’(aesthetic wealth)란 문화적/미적으로 가치있는 유산의 총합이고, ‘미적 복지’가 가 능해지는 전제 조건이다. 한 시기 사회 구성원들의 미적경험 수준이 미적 복지 (aesthetic welfare)이며, 미적복지가 정의롭게 분배되는 상태가 ‘미적 정의’(aesthetic justice)이다. 그는 이러한 미적 복지와 미적 정의를 촉진하는 정책을 수행하는데 있 어서는 교육적 기관이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Beardsley,, 1992). 이를 박물 관에 적용하면, 박물관은 사회 구성원들이 향유할 수 있는 문화적/미적 부(소장품 등 콘텐츠)을 축적하고 그것을 향유하는 구성원의 수와 그들의 문화 역량을 높이는 미 적 복지와 미적 정의를 실현함으로써 공공 지원의 타당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문화예술 공적 지원의 근거에 대한 위와 같은 논쟁은 박물관 공공지원의 논리적 근 거를 어떻게 강화할 것인가를 더 명확히 고민하게 하는 측면이 있어 충분히 검토할 가치가 있다. 공공지원을 당위적으로 접근하는데서 나아가 박물관 공공지원의 옹호 논리를 체계적으로 모색함으로써 지원정책이 한걸음 더 나아가는 계기가 될 수 있 다. 문화예술 공적 지원에 대한 주요 논점을 바탕으로 박물관 공공지원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먼저 박물관의 공공재, 가치재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하고 이에 대한 사회 적 공감대를 확대해야 한다. 박물관과 그 보유 자산이 공적 자산이라는 점을 입증하 고 사회적 활용 가치를 창출해 나가야 한다. 경제적 측면에서, 박물관은 순수문화예 술 제작 및 서비스 제공 비용의 특수성과 비영리성으로 인해 시장실패가 구조적으로 발생하는 부문을 보다 체계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 또한 소득 분배의 정의와 문화 복지의 측면에서 박물관은 문화적 부를 축적하고 이를 향유할 수 있는 구성원의 수 와 역량을 키우는 역할을 입증할 필요가 있다. 박물관이 공공지원의 논리적 근거를 공고히 하기 위해서는 이 점에 비추어 박물관의 정체성과 역할과 기능을 성찰하고 강화해 나가야 한다. 또한 공공지원이 문화 활동의 창의성과 자생력을 제한하는 역 기능을 최소화하며 극복해 나가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234 III. 박물관 공공지원의 현황과 방향 모색

1. 박물관 공공지원의 현황 검토

1) 박물관 확충정책과 공립박물관 건립 지원

1990년대 이후 지금까지 국가 단위의 박물관 정책의 중심에는 박물관 확충 정책이 있었다. 1도 1미술관 정책, 1도 1개 국립지방박물관 건립 등 광역 시도에 공립 미술 관과 국립 박물관을 최소 1개 이상 설치하는 박물관 확충 정책의 추진으로 국공립 박물관의 지역적 불균형이 완화되어 왔다. 문화부의 “공립박물관 건립 지원사업”은 박물관 확충 정책의 핵심이다. 이는 지역 문화유산의 보존, 전시 및 문화향유 증대 등을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건립하는 공립 박물관에 대하여 부지매입비를 제외한 총 건립비의 40%를 광역발전특별회계로 지원 하는 것이다.3) 1996년부터 근 20년간 이 지원사업이 시행되면서 전국에 공립 박물 관의 양적 확대에 큰 효과를 가져왔다. 아래 표를 보면 1995년 이후 특히 공립박물 관의 수가 매우 빠르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표 1> 등록 박물관·미술관의 증가(1995-2015) 구분 1995 2000 2005 2010 2015 국립 17 25 31 30 39 공립 19 30 108 289 332 등록 박물관 사립 33 84 155 251 336 대학 71 81 64 85 102 계 140 220 358 655 809 국립 1 1 1 1 1 공립 3 8 17 27 50 등록 미술관 사립 21 36 60 108 140 대학 0 1 2 5 11 계 25 46 80 141 202 총계 165 266 438 796 1,011 *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640

3) <2013 문화예술정책백서>에 의하면 1996년부터 2013년 말까지 총 133개관에 2,224억의 건립 지원이 이루 어졌다, 이 중 2012년 말 기준, 108관이 개관하였고 25관이 건립 중에 있다.

235 물론 공립박물관의 숫적 증가가 중앙정부의 건립 지원 사업에만 힘입은 것은 아니 다. 1995년 전면 시행된 지방자치제로 각 지역의 특성화와 활성화가 당면 과제가 되 었고, 여러 지자체들이 스스로 박물관을 지역의 정체성, 지역민의 삶의 질, 지역경제 활성화 등에 중요한 문화인프라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건립하기 시작하였다(윤태석, 2015). 그러나 한편, 소장품과 운영계획이 부실한 채 건립되는 공립박물관이 난립하 면서 많은 공립박물관들에서 운영 부진과 이용율 저조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아 래의 표를 보면, 공립박물관 미술관의 수에 비해 평균 소장자료 수가 다른 유형의 박물관보다 현저히 작은 것을 알 수 있다.4) 양적 확충에 목적을 둔 건립 지원사업 은 내실이 갖추어지지 않은 공립박물관들의 수와 크기의 증가만 가져온 역기능도 있 었다. 이에 따라 문화부는 2012년부터 ‘공립박물관 건립사업 사전평가제’를 도입하 였다. 이는 사전평가를 통해 공립박물관의 설립단계에서부터 소장품 수집 계획, 건립 후 운영계획, 재정계획 등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 제도를 잘 운용 하여 향후 공립박물관 건립의 내실을 기할 필요가 있다.

<표 2> 운영주체별 등록 박물관의 수와 인력, 소장품, 관람객 평균지표 현황(2015. 1. 1 기준) 박 물 관 1관당 평균 운영주체 수 직원 수 학예인력 수 소장자료 수 연관람인원 국립박물관 39 45.77 7.92 44,103 508,808 공립박물관 332 8.37 1.44 5,719 120,976 사립박물관 336 7.76 1.83 19,161 112,941 대학박물관 102 6.35 2.08 16,373 13,076 총 계 809 9.67 2.00 14,495 122,731 * 출처: 문화체육관광부(2015), 「2015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 p. 25.

4) 이러한 문제는 2011년 공립박물관의 실태를 전수 조사한 정책보고서에 잘 드러나 있다. (박소현 외, 공립박 물관 운영실태 조사연구, 201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36 <표 3> 운영주체별 등록 미술관의 수와 인력, 소장품, 관람객 평균지표 현황(2015. 1. 1 기준) 미 술 관 1관당 평균 운영주체 수 직원 수 학예인력 수 소장자료 수 연관람인원 국립미술관 1 219 26 7,460 2,356,821 공립미술관 50 12.40 2.82 1,287 95,686 사립미술관 140 6.76 1.54 1,669 40,108 대학미술관 11 7.00 1.36 422 9,660 총 계 202 9.22 1.97 1,535 63,676 * 출처: 문화체육관광부(2015), 「2015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 p. 27.

2) 국립박물관·미술관 건립 및 운영

정부의 가장 오래되고 대표적인 박물관 지원정책은 국립박물관의 건립과 운영이다. 국립박물관은 중앙정부 소속기관으로, 건립과 운영 예산을 전액 국고로 할당하여 직 영하고 있다. 문화부에 소속된 국립중앙박물관과 12개 지방국립박물관, 국립민속박물 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의 운영은 그 만큼 국가 박 물관 지원정책의 중요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예산규모와 적절한 활용을 주시 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2015년도 기준으로 보면, 한해 총 약 1천 3백 3십 억 원의 운영예산(인건비 제외)이 문화부 소속 국립박물관·미술관에 배정되었다. 국립문화기 관의 자율적 운영체제를 강화한다는 측면에서 2006년에 국립현대미술관이 책임운영 기관으로 전환되었고, 더 나아가 법인화하는 논의가 있지만, 국가의 국립미술관 지원 책무의 관점에서 안정적인 재정지원이 관건이 되고 있다.

<표 4>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국립 박물관미술관 2015년도 운영 예산(인건비 제외) (단위: 백만원) 국립중앙박 지방국립박 국립민속박 대한민국 역 국립한글박 국립현대미 물관 물관(12개소) 물관 사박물관 물관 술관 30,290 23,017 16,679 13,507 11,952 38,093 * 출처: <2015년도 예산기금 운용계획 개요>, 문화체육관광부, 2014. 12. 재정리

237 3) 사립박물관 인력배치지원

박물관 지원정책에서 특기할 만한 변화는 2004년 이후 사립박물관에 대한 재정지원 이 시작된 것이다. 사립박물관은 간송미술관을 비롯하여 국공립, 대학 박물관과 함께 우리나라 박물관 역사의 한 축을 이루어 왔다. 그러나 개인이나 협회, 기업 차원에 서 운영되는 사설 문화시설로 인식되어 정부의 직접지원에서는 벗어나있었다. 2000년대에 들어 박물관 진흥을 위해 사립박물관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이 학계와 현장에서 제기되면서 2004년부터 사립박물관 재정지원이 시행되었다. 정책적 차원에서 사립박물관을 사유재가 아닌 공적 기관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던 사립박물관 공공지원은 10여년이 지난 지금, 지원정책의 효과를 검토하고 미래 방향 을 점검해야 하는 시기에 이르렀다. 재정 기반이 취약하여 영세한 상태를 벗어나기 어려웠던 사립박물관들에 대한 지원 사업으로 가장 획기적으로 도입된 것이 학예인력 등 인력배치를 지원한 사업이다. 사립박물관의 활성화화와 전문인력 양성이라는 박물관 정책 수요를 충족하고 국가의 일자리 창출 정책과도 맞물려 2007년부터 ‘학예인력 지원사업’이 시행되었다. 등록 사립박물관 중 지원관과 지원인력을 선정하여 각 박물관에 1명을 배정하고 1년 단 위로 인건비를 보조하는 형태로 시행되었는데, 2012년부터는 전문인력의 세분화 요 구를 반영하여 학예인력과 교육인력으로 나누어 지원하고 있다.5) 등록 사립미술관에 대해서도 학예인력 및 에듀케이터 지원사업, 인턴지원 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표 5> 사립박물관·미술관 인력배치 지원사업(2015년 기준) 대상 사업 시행주체 지원방식 학예인력 배치지 (사)한국박물관협회 국고지원+박물관 의무부담 등록 사립박물 원 관 교육인력 배치지 (사)한국사립박물관협 국고지원+박물관 의무부담 원 회 등록 사립미술 에듀케이터 지원 (사)한국사립미술관협 국고지원+박물관 의무부담 관 인턴 지원 회 전액 지원 *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웹사이트 http://www.mcst.go.kr, 한국사립미술관협회 웹사이 트 http://www.artmuseums.or.kr

5) 2015년도 등록사립박물관 전문인력 지원사업은 학예인력 1,925백만원, 교육인력 1,750백만원이 예산으로 배정되어 각각 110개 박물관에 1명씩 배치 지원하는 계획으로 추진되었다.

238 전체 등록 사립박물관의 35%를 넘는 수의 기관이 매년 핵심 인력 2인의 인건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이 인력배치 지원은 적지 않은 정책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사업 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년 미만의 단기 채용이므로 박물관의 중장기적인 기획 이나 사업추진에 한계가 있으며, 기관/인력 선발 및 배치의 적절성, 박물관의 자발적 인 인력 고용 촉진 효과 등에 있어서는 재검토가 필요하다. 아직은 박물관의 활성화 와 전문화, 인력의 역량강화나 일자리 창출의 효과보다는 개인 설립 박물관들의 영 세한 재정을 보조하는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지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관례적인 지원이 되지 않도록 선택과 집중, 박물관 평가에 기반한 지원을 검토할 필 요가 있다.

4) 공사립박물관 사업지원

사립박물관 사업에 대한 공공지원은 2004년 복권기금으로 사립박물관미술관 전시를 지원하면서 본격화되었다. 최근의 사업지원은 주로 교육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사업은 2013년 하반기부터 시행된 박물관 ‘길위의 인문학’ 사업이다. 인문학 진흥이라는 정부 시책과 연동되어 도서관과 함께 박물관 사업이 도입되었다. 올해는 사업 첫 해보다 예산 규모가 늘고, 지원 대상을 사립박물관에서 시작하여 공립 박물관으로 참여기관을 확대하여 등록 공사립대학박물관 120개관 내 외에 30억 원이 배정되었다. 사업 내용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와 연계하여 박물 관 콘텐츠와 인문학이 접목된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하는 것이다. 사립미술관의 문화교육에 대한 지원사업은 주로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의 사업과 연계되어 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등 진흥원의 다양한 문화예술교 육지원 사업을 통해 사립미술관 교육사업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 왔다. 또한 올해 ‘문화가 있는 날’과 연계한 문화교육 프로그램 시행을 위해 사립미술관 문화교육 프 로그램 지원사업이 신설되었다. 여기에는 사립미술관 소장품 활용 온라인 미술감상 교육프로그램 제작 지원 사업도 소규모로 포함되었다. 한편, 2011년 이루어진 공립박물관의 운영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공립박물관에 대한 건립 뿐 아니라 운영 지원사업도 모색되고 있다. “공립박물관 소장품 DB화 사업”은 공립박물관 35개관을 선정하여 소장품을 표준유물시스템에 따라 등록, DB화하고 공 개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는 이러한 업무를 수행할 인력을 지원하 고, 지원 인력에 대한 직무교육 및 컨설팅 지원이 동반되는 인력배치 사업의 성격을 띤다.

239 또한 (사)사립미술관협회를 중심으로 한 “온라인매거진 발간”, “온라인 가상미술관구 축사업(Korean Artist Project)”, “뮤지엄 페스티발 개최” 등이 사립미술관 육성지원 사업으로 수행되고 있다. (사)한국박물관협회의 사업지원도 한 분야이다. (사)박물관 협회는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 명시된 박물관의 협의체이다. 모든 박물관/미술 관을 아우르는 네트워크의 구심체로서 박물관 협의체 본연의 기능을 전문적, 자율적 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장기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박물관 건립/확충이나 인력배치 지원에 비해 사업 지원은 상대적으로 예산의 성격과 지원 목적에 일관성이 미흡하고 그때그때의 요구에 따라 분절적으로 시행되는 경향 이 있다. 장기적인 박물관 정책에 따른 육성 사업이 기획되고 지원될 필요가 있다. 최근 공사립 박물관 소장품의 관리와 공개, 활용을 위한 지원 정책이 시작되고 있는 바, 이러한 근원적인 요소에 대한 지원은 특히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할 것이다.

2. 박물관 공공지원의 방향

1) 박물관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원정책 패러다임 전환

근 20년간 박물관의 수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 1995년 165개였던 박물관의 수는 2015년 1월 기준 1011개로 집계되어 6배 이상 증가하였다. 1991년 <박물관 및 미술 관 진흥법>을 제정하면서 문화부가 비전으로 내세웠던 박물관미술관 1000개 시대는 20년이 지난 지금 충분히 달성된 셈이다. 이미 2010년 말 기준으로 박물관 수는 세 계 9위, 인구대비 박물관 수가 세계 8위, 아시아 1위라고 하니,6) 이제 박물관의 확 충이 박물관 지원정책의 최우선 과제가 되어야 하는 시대는 지났음이 자명하다. 그러나 그 동안 박물관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박물관 문화 전반의 질적 발전은 미흡하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김영호, 2013; 이인범, 2003; 전태일, 2008). 일부 국 립박물관·미술관을 제외하면 박물관 콘텐츠 미흡, 전문인력의 부족과 직업적 여건 미비, 이용률 저조 등이 전반적인 문제로 나타난다. 공사립 박물관의 경우 재정적으 로 자율적·안정적 운영기반이 취약하고, 이에 대한 투자도 정부지원 외에는 여전히 미미하다. 향후 박물관의 지원정책은 박물관이 지속가능성을 갖고 항구적으로 존립하기 위한 이 네 가지의 상호연관된 측면 -콘텐츠, 전문인력, 관객개발, 재정기반-에서 중장기적 방향성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콘텐츠 부족은 단순히 소장품의 부족만을 의미하지는

6) 박물관 발전 종합계획(안), 문화체육관광부, 2012.

240 않는다. 소장품의 절대적인 수 이상으로 소장품 정책에 따라 어떻게 질적으로 차별 화된 소장품을 구축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활용 가능한 공공재로 기획하는 가의 문제가 더욱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인력의 확보와 역량, 활동 여건이 관건이다. 이제 전문인력을 ‘배치’하는 하드웨어적 접근을 넘어, 전문인력이 역량을 갖추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콘텐츠의 구축 및 연구, 기획, 관리를 담당할 수 있는 여 건을 조성하는 지원 정책이 고민되어야 한다. 건립 이후의 재정투자가 부실한 공립 박물관이나 공공지원 없이 자생적 존립이 어려운 사립박물관의 경우 단기적인 수혈 이 아닌 근본적인 재정기반을 마련하도록 설립, 운영 단계에서의 개입과 지원이 필 요하다. 특히 개인 설립 사립박물관에 대한 지원 방향을 특화하여 ‘강소기업’ 지원 전략과 같이, ‘작지만 강한 소규모 박물관’으로 육성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만 하다. 관객개발 역시, 단편적인 전시, 교육, 홍보 이상으로 지역사회와 관람객에 대한 연구 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커뮤니티를 형성해나가는 방향으로 강화될 필요가 있다.

2) 박물관 고유 기능의 전문성 강화

박물관 문화의 질적 변화를 위해서는 향후 박물관의 지원 정책이 박물관 고유 기능 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것에 집중되어야 한다. 먼저 수집의 측면이다. 사립박물관의 경우 수집이 개인이나 사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적 개입이 이루어질 영역 이 아니며, 공공지원에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그러나 국공립 박물관의 경우, 수집 행위는 사회의 문화적 부(cultural wealth)와 유산(cultural heritage)을 축적하는 국가/ 정부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국공립 박물관의 수집, 특히 구입을 통한 수집이 우리나라의 경우 전액 정부예산으로 이루어지므로, 수집 예산의 확보와 규모, 적절한 사용은 박물관 공공지원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수집정책에 의한 국공립 컬렉 션의 체계적인 구축과 지속적인 수집 예산의 확보, 소장품의 활용은 국가 박물관 지 원정책에 있어 일차적인 고려 대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다음은 보존에 대한 지원이다. 문화유산의 보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지는 어느 정도 합의된 것으로 공공지원의 정당성이 확보된다. 가치를 인정받은 옛 유물 뿐 아 니라 가치가 아직 불확실한 동시대 미술품이라 하더라도 미래 세대를 위해 보존하는 것이 합당한 것이라는 공감대가 사회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Hagg, 1992). 문화유산의 보존이 공공지원의 합당한 영역이라면, 보존·수복은 비용이 높고 기술적 전문성이 요구되어 이는 공공지원이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분야이다. 국공립 박물관 컬렉션은 물론, 넓은 의미에서 민간 박물관 영역의 컬렉션도 한 국가의 문화적 자산

241 의 총합이므로 비영리법인 등 공적 체제를 갖춘 사립박물관 컬렉션의 보존에 대해서 도 선별적인 공공지원을 고려할 만하다. 그러나 이때에도 공공재로서의 관리 및 활 용에 대한 합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연구에 대한 지원도 박물관의 고유 기능을 전문화하기 위해 필요하다. 박물관은 보유한 콘텐츠에 대한 고유의 전문성을 갖출 때 지식정보사회에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다. 박물관은 ‘인류와 그 환경의 유형·무형의 유산’을 바탕으로 한 지식 생산의 장이 되어야 하며, 대중에 대한 질 높은 서비스 역시 이를 바탕으로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소장품과 그 활용에 대한 연구개발(R&D) 지원이 필요하다. 박물관과 지역의 대학, 관련 연구자들의 산관학 연구도 지원할 만 하다. 각 박물관들이 보유한 지식 콘텐츠를 네트워킹하고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화 한다면 이 또한 창조사회, 지식사회에서 사회적 부를 확대하는 길일 것이다. 박물관 전문직의 연구, 기획, 개발 역량 강화를 위한 양성 사업도 이러한 차원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다.

3) 공공지원의 책무성을 위한 발전지향적 평가 도입

박물관 공공지원의 근거를 보다 확고히 하고 지원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평가 제도가 정착되어야 한다. 현재 박물관 지원에 대한 평가는 지원 사업에 대한 평가 중심이다. 공공지원을 위해, 사업 수행에 대한 평가 외에, 기관에 대한 중장기적 관 점의 평가와 컨설팅이 수반되는 기관 역량 강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1998년 처음 도 입된 문화부의 “문화기반시설 관리운영평가”이후 문화기관 평가가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어, 공공지원의 책무성을 확보하고 지원의 타당성을 제고하는데 큰 제약이 되고 있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서 문화부는 2012년 발표한 중장기 박물 관 정책의 첫 번째 추진과제로 “설립, 등록, 평가인증 등 박물관 제도 정비“를 표방 하고, 박물관 평가지표 개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7) 2014년에는 일부 공립박물관, 2015년에 일부 사립박물관을 대상으로 시범평가가 이루어졌다. 더 나아가 박물관의 설립준비, 운영과정, 운영성과 검토의 전 과정에서 전문가들의 참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전 평가와 모니터링, 컨설팅이 정착될 필 요가 있다. 공공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기관 평가를 통해 지원의 타당성을 증명하고, 이러한 평가를 준비하기 위해, 혹은 평가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컨설팅 지원으로 역 량을 강화하는 선순환적 시스템으로 이행해야 할 것이다. 이는 공공지원 뿐 아니라

7) 2012년 발표한 중장기 박물관 정책은 <2013 문화예술정책 백서>,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관광연구원 참고, 박물관 평가지표 개발에 대해서는 김혜인 외(2013), <박물관 평가인증 지표개발 및 기준 연구>, 한국문화관 광연구원 참조.

242 민간의 기부, 후원 등 다양한 외부 지원을 유도하기 위한 기반이 되기도 할 것이다. 이러한 박물관 지원정책의 비전과 방향 설정을 위해서는 정책입안자와 학계와 현장 전문가의 논의를 거쳐 박물관 정책을 종합적으로 수립하고 장기적으로 추진할 수 있 는 구심체가 필요하다.

IV. 나가면서

이 글에서는 박물관에 대한 공공지원이 어떠한 차원에서 근거를 명확히 해야하는지, 그리고 박물관 공공지원의 미래지향적 방향은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를 재검토 해보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 공공지원 정당성에 대한 논점을 박물관과 연관된 관점에서 분석하였고, 현재 수행되고 있는 주요 박물관 지원정책 사업을 살펴보았다. 박물관의 양적 성장 이후 질적 성장을 실현하는 시대로의 근본적 전환을 위해서는 그간의 지원정책을 성찰하고 박물관 본연의 속성과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공공 지원의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는 박물관의 비영리성, 공공성, 항 구성, 고유의 전문성을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존립 기반을 조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박물관 1000관 시대를 맞이하는 있는 지금, 창조경제·지식기반사회에서 박물관이 사 회와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공공지원의 비전이 되어야 할 것이다.

김영호(2013), “한국 미술관정책의 현황과 과제-조직과 법제를 중심으로”, 현대미술 학 논문집, 제17권 2호, 현대미술학회, pp.113-145. 김정수(2008), “문화예술 공적 지원에 대한 검토와 재성찰-경기문화재단의 문예진흥 지원사업 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Vol.20,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p.163-191 김학실(2001), “문화예술부문의 공적지원 정당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Vol.17, 충북대 학교 사회과학연구소, pp.319-335 김혜인 외(2013), 박물관 평가인증제도 평가지표 및 기준 개발연구,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박소현 외(2011), 공공박물관 운영실태 조사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윤태석(2015), “제도와 정책을 통해 본 박물관 100년”, 한국미술 전시공간의 역사, 김달진미 술자료박물관, pp. 20-39.

243 이인범(2003), “미술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문화인프라-이른바, ‘자립형미술관’ 지 원정책 논의에 부쳐”, 자립형미술관 지원, 어떻게 할 것인가, 자미넷 정책토론회 자 료집, pp. 4-10. 전태일(2008), “국공립·사립박물관의 새로운 지원 시스템”, 박물관학보, 제14권, 한국 박물관학회, pp.179-189. Banfield, E. C. (1992). Art and the Public Interest. Public Policy and the Aesthetic Interest(Ed. R. A. Smith, R. Berman), (pp.29-39). I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Beardsley, M. C. (1992). Aesthetic Welfare, Aesthetic Justice, and Educational Policy. Public Policy and the Aesthetic Interest(Ed. R. A. Smith, R. Berman), (pp. 40-51). I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Frey, B. S. (2003). Public support. A handbook of cultural economics(Ed. R. Towse), (pp. 389-398). MA: Edward Elgar Publishing Massachusetts. Haag, E. V. D. (1992). Should the Government Subsidize the Arts?. Public Policy and the Aesthetic Interest(Ed. R. A. Smith, R. Berman), (pp. 52-60). I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Heilbrun, J. (2003). Baumol's cost disease. A handbook of cultural economics(Ed. R. Towse), (pp. 91-101). MA: Edward Elgar Publishing Massachusetts. Johnson, P. S. (2003). Museums. A handbook of cultural economics(Ed. R. Towse), (pp. 315-320). MA: Edward Elgar Publishing Massachusetts.

244 Session 2

[Support] Supports and Changes of Museum's Role in Society

[지원] 외부지원과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Cultural Heritage and Public Awareness Centers: in context to Pakistan

문화 유산과 공공 인식 센터: 파키스탄의 사례

M. Akter Javed(모하메드 아크태르 자베드) Director General of the Pakistan Museum of Natural History (파키스탄 국립예술대학교 학과장)

Cultural Heritage and Public Awareness Centers: in context to Pakistan

M. Akter Javed

Introduction

Pakistan is a land of diverse culture, on global positioning it is a part of Indo-Pak subcontinent in Asia which was drifted from African continent and collided with Eurasian plate. In result of the collision the folding activity pushed up the crust to form great Himalaya and many other mountain ranges. Hence the second highest peak in the world K-2 Mountain is in Pakistan where as there are three sandy deserts namely Thal, Cholistan and Thar in Punjab and Sind Provence besides the rocky desert in Baluchistan Provence and planes in Punjab. Pakistan is adjacent to India in the east, to China in the North, to Afghanistan in the west, to Iran in the South West and to Arabian Sea in the South. The four rivers Jhelum, Chenab, Ravi and Sutlej fall in to Indus river that originate in north and reaches to Arabian Sea in the South. There are few well known ancient sites namely Mehrgarh, Mohenjo Daro and Harappa (Indus Civilizations), and Taxila (Gandhara Civilization), the traces of human living from prehistoric time are also found in Soan Valley, Rawalpindi and in Sanghao Caves, Mardan and that is further verified from Rohri Hills and in Thar Desert in Sind. The Neolithic cultural existence from 9th to 4th millennium BCE found in accordance to the dating of the evidence from excavations in Mehrgarh (Baluchistan), Kot Diji (Sind) and Rehman Dheri (Khyber Pakhtunkhwa). Came after urbanized civilizations of Indus Valley and Harappan those are nearly 3000 BCE contemporary to Egyptian and Mesopotamian civilizations. Gandhara grave culture, a prehistoric cemetery of 2nd millennium BCE discovered in Peshawar and Taxila regions and the civilization existed till 5th century CE. White Hans, Hindus, Muslims, Sikhs and christens ruled till 20th century and the cultural diversity of different periods/regimes is significantly visible from all preserved heritage.

247

Fig.1- Continental Drift. Fig.2- Mountain Rang Mapping. Fig. 3- Map of Indus Civilization.

Main Issues

Pakistan has five provinces namely Sind, Baluchistan, Punjab, Khyber Pukhton Khawa and Gilgit Bultistan where as there are eleven main ethnic-linguistic regions namely Sindhis, Baluchis, Brahuis, Saraikis, Punjabis, Potoharis, Pashtuns, Hindkowans, Chitralis, Baltis and Shinas, all carry different culture and tradition. The mother language of Pakistan is Urdu which is widely spoken and written in the country. The concept of collection, preservation and conservation of heritage was there in before Moughal Empire but it taxied in British Empire. The concept of collection was mainly a hobby of collectors before 1865 and it was a personal collection open to selective few guests of the collectors, the British Government established first Victoria Museum in Pakistan in 1865 at Karachi. In the beginning mostly ethnological collections were at display where as now there are many ethnological, archeological and natural history museums do exist and are open to public for awareness/education/research. Pakistan has 30 museums in different regions other than the universities museums/collections.

Fig. 4- Linguistic Regions of Pakistan. Fig. 5- Provinces of Pakistan Map

248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public awareness centers

National Museum of Pakistan, Karachi National Museum of Pakistan was established in 1950 in Frere Hall Building, Karachi (Sindh) by replacing the Victoria Museums. The Frere Hall Building was constructed in 1865 by the British Government. On the recommendation of advisory council, constituted by Government of Pakistan in 1950, the government wisely decided to construct new building for the national museum and increase the number of artifacts on display. The museum was shifted to its present premises in Burns Garden, Dr Zia ud Dine Road in 1970.

Fig. 6- Frere Hall Building. Fig. 7- National Museum Building, Karachi.

It started operating with the four galleries in 1970 and at present there are eleven galleries open to public. Mainly the galleries display Archeology, History, Manuscripts, Historical Records, Indus Civilization, Coins, Miniature Paintings, Islamic Art, Buddhism and Ethnology.

Fig. 8- Gandhara Art Gallery. Fig. 9- Islamic Art and Quran Gallery.

249 Museum, Karachi The palace was built in 1927 by Shivratan Chadraratan Mohatta in Karachi, The building was Purchased by department of culture to maintain it as an heritage of Pakistan and to carry out art and cultural activities. The museum displays history and regularly arranges exhibitions.

Fig. 10- Mohatta Palace Building. Fig. 11- Textile Exhibition.

Sindhology Museum Jamshoro The museum is established for associated study of Sindhology at Institute of Sindhology in Sindh University, Jamshoro. The galleries display artifacts/collections to represent the culture of Sindh and ethnic groups. Archeological material, wood work, thread work, metal work, leather work, pottery, jewelry, coins, arms, photographs, paintings, musical instruments and biography of prominent personalities are showcased in the respective galleries.

Fig. 12- Sindhology Building. Fig. 13- Exhibit Mir Court.

250 Sindh Museum, Hyderabad The museum was established in Hyderabad City to display Sindhi culture and ethnic groups of the region. The museum more or less duplicates the Sindhology Museum, Jamshoro.

Fig.14- Sindh Museum Building Entrance. Fig. 15- Exhibit Sindhi Dresses.

Fig. 16- Exhibit Sindhi House Interior. Fig. 17- Exhibit Sindhi Women Room.

Moenjodaro Museum, Larkana The Museum is located on site of Moenjodaro remains, a city of mounds (Ancient Indus Valley Civilization). Jewelry in gold/copper/clay, pottery, tools in copper/stone, toys in clay, statues in clay/stone including famous miniature sculpture of dancing girls made of metal and priest king were found during the excavation of site are displayed in the museum. Moenjo Daro was first visited by archeologists in 1911 and ancient site was excavated during 1920 to 1930. The habitants were skilled urban planners as it reveals from well planned street grid, control water, elaborated drainage system, water sealed pool, great number of wells and baths almost in every house. Artifacts like beads in gold, tools in copper and stone, seals and baked bricks

251 show the occupants were strong in economics and trade. The evidences of wheat and rice cultivation were also found.

Fig. 18- Building of Moenjo Daro Site Museum.

Fig. 19- Moenjo Daro City of Mounds. Fig. 20- Moenjo Daro Bathing Pool.

Fig. 21- Priest Head. Fig. 22- Dancing Girl.

252 Bahawalpur Museum, Bahawalpur Bahawalpur was an independent state since 1746 in subcontinent till the creation of Pakistan and the foundation stone of Bahawalpur City was laid in 1748 by the then ruler of state Nawab Bahawal Khan Abbasi. In 1947, Nawab of the state Lt. Gen. His Highness Sir Muhammad Sadiq Khan Abbasi decided and announced the merger of its state in Pakistan. It is now a part of Punjab province with all its historical importance. To record and display history and heritage of the area, the Punjab Government established Bahawalpur Museum in 1974-76. Bahawalpur is located in Cholistan Desert adjacent to Rajhistan Desert in East and Thar Desert in South. Its archeological importance is unique due to ancient abundant river Ghagar-Hakra Bed in Cholistan Desert. The communication/trade route between Moenjo Daro and Harappa (Indus Civilization) was through this piece of land. The museum displays history, archeology, pottery, currency, arms, folk heritage, art and belongings of rulers.

Fig. 23- Bahawalpur Museum Building. Fig. 24- Exhibit State coins.

Fig. 25- Exhibit Model of Noor Mahal. Fig. 26- Exhibit Car of Nawab.

Multan Museum Multan is the oldest city of world in Pakistan and is a sister city of Rome (Italy)

253 through an agreement. History of Multan is date back to 5000 BC a Non-Aryan Civilization and mythological it is of Noah’s time when his son settled here. During Achaemenid Empire 550 BC, this city was an extreme eastern end of Greece in west and named Rig Vida. Alexander the great captured Multan in 320 BC then came after Hindus and White Hans ruler of this city where as Hieum Tsang a famous pilgrim/traveler visited Multan when Buddhism was flourishing religion of the rulers. In that period the city was named Mulasthanpura and subsequently named as Multan. In 8th century it was captured by Muhammad Bin Qasim and remained under the control of many Muslim rulers including Mughals. In 1818 Ranjit Singh Mahraja of Lahore included it into his Rajdhani where as English captured Multan in 1849 and finally it became part of Pakistan in 1947. Multan Museum is established in Ghanta Ghar Building and displays History, Paintings, Pottery, Tiles, Coins and Textile.

Fig. 27- Ghanta Ghar Building Multan Museum. Fig. 28- Exhibit Multan Pottery.

Montgomery Museum, Sahiwal Sahiwal is a changed name of Montgomery City; hence the old name of city is now given to this museum. Montgomery Museum is a recent new addition which was inaugurated on 17th August, 2015. The museum is associated with the culture and heritage department of COMSATS University at Sahiwal campus. The museum displays history, pottery, textile, natural history and biography of important personalities.

254

Fig. 29- Exhibit Textile weaving Loom. Fig. 30- Exhibit Pottery, Sward and utensils.

Harappa Museum, Sahiwal Harappa was an ancient city of earlier known urban culture of Indus Valley Civilization in subcontinent. Indus Valley Civilization was the largest most of four ancient Civilizations Egypt, Mesopotamia, India and China. Since Indus Script is yet not been deciphered therefore knowledge about people of the valley is unknown. The name Harappan’s is given to any of the ancient people in Indus Valley Civilization 2500-2000 BC. The area of ancient valley covered west part of India and Pakistan and was larger than the size of Western Europe. Harappa and Moenjo Daro were two ancient cities of the valley (now in Pakistan) and both cities were excavated same time in 1920 by the two different teams of archeologists. Archeologists found the similarity in the two well planed urbanized ancient cities in respect of streets in grid, provision of well and bath in every house, water system, drainage system and artifacts like pottery, gold/silver/bronze/copper/stone jewelry, statues/toys/arms in metal, clay and stone. Sealed and pottery were baring the identical script too. Harappa museum displays the history and artifacts found during excavations.

255

Fig. 31- Map of Indus Civilization. Fig. 32- Harappa Museum Building.

Fig. 33- Exhibit Kirshana. Fig. 34- Exhibits Seals.

Lyallpur Museum Faisalabad Lyallpur Museum is also a new addition under the administrative control of District Government of Faisalabad City in Punjab. The city was founded by Sir James Loyal, Governor General of Punjab almost more than 100 years ago and named it Lyallpur, later in 1985 the name changed to Faisalabad. It is an industrial city and famous for fabric and textile products industry. The museum displays the history, regional archeology, textile and textile industry, pottery, jewelry, art and culture.

256

Fig. 35- Lyallpur Museum Building. Fig. 36- Exhibit Pottery.

Fig. 37- Exhibit Lacquer and Paper Mashie. Fig. 38- Exhibit Railway Trolley.

Lahore Museum, Lahore was established in 1849 by the British Government under the name of Jubilee Museum in Wazir Khan Baradari in Lahore City the capital of Punjab. The present building foundation stone was laid in 1890 by Prince Albert Victor and Bhai Ram Singh, the architect designed its building. Although the many antiquities were destroyed or suffered during partition of India and Pakistan but still the rich collection of Buddhist period is on display including statue of fasting Buddha. The archeological extensive explorations, excavations, collection, research and documentation richly added the valuable antiquities on display. National college of Arts and Punjab University helped in collection of rare pieces of Fine Arts/Islamic Arts those truly represent the region profile.

257

Fig. 39- Lahore Museum Building. Fig. 40- Fasting Buddha.

Taxila Museum, Taxila near Rawalpindi is a treasure of Gandhara Civilization and Art, the art that was to propagate Buddhism through beautifully carved or engraved images on stone, stucco, terracotta and bronze. Buddhism was a state religion here in 2nd century BC and flourished/prevailed for 1000 years, during this period Taxila, Swat and Charsada (Old Pushkalavati) were centers for culture, trade and learning. Alexander the Great was attracted to this area in 326 BC and left influence of Greek culture too. Gandhara Art depicted the stories of Buddha life, before birth (Jatakas) and future Buddha. Mahayana Buddhism, the vast kushan Empire ruled by Emperor Kanishka in 78 AD from Peshawar, patronized the Buddhist Art and hundreds of monasteries, stupas were built together with Greeks and Kushan towns sirkup and sirsukh both in Taxila. Gandhara Art flourished as trade and commerce grew with central asia and west via silk route. Taxila Museum is a site museum and all artifacts discovered from different sites which include stone sculptures, utensils, relic caskets, tools and architectural elements. Taxila Museum is a house of 24 stories of Buddha carved on stone and more than 1400 stone artifacts are in collection, half of which is documented in two volumes.

258

Fig. 41- Taxila Museum Building. Fig. 42- Stupa, Buddhist Civilization in Taxila.

Fig. 43- Standing Buddha. Fig. 44- Buddhist Gallery.

The Abbott Museum, Abbottabad Abbott Museum was established in 2008 in Town Hall, Abbottabad City by a well known archeologist Prof. Dr. Ihsan Ali, Vice Chancellor, Abdul Wali Khan University, Mardan. The museum displays archeology and ethnology of Khyber Pakhtonkhwa province (previously named as Northern Western Frontier Province, NWFP) in general and Abbottabad and Hazara in particular. The galleries of the museum are decorated with archeological artifacts discovered from pre-Buddha grave site Gankorineotek in Chitral District, armaments, ornaments, dresses, paintings of Buddha stories and photos of prominent personalities of the area.

259

Fig. 45- Building of Abbottabad Museum.

Hund Museum, Swabi Hund Museum was established by Archeology Department of Khyber Pakhtunkhwa (KPK) Province in 2009 at Swabi on the historical patch of land named in sarada inscription as Udabhandpura. Chinese pilgrim Xuanzang also known as Hiuen Tsung mentioned this historical place in his autobiography 644 CE wa-to-kia-han-cha. Prof. Dr. Ihsan Ali a well known archeologist initiated/supervised the project construction. Outside the museum building, there is a monumental Corinthian column constructed in the memories of Alexander the Great. The museum displays archeology and ethnology of the region.

Fig. 46- Building of Hund Museum, Swabi.

260 Mardan Museum, Mardan Mardan museum was first opened in 1991 and its display was mostly based on confiscated items n showcases were sponsored by where as Peshawar University provided the technical help. Antiquities found during exploration/excavations of sites at Hund Swabi and Safiabad Mardan were also displayed with the donated artifacts and total antiquities were 419 on display. Soon it was felt that existing museum building has become insufficient hosting place for the huge collection of antiquities. In 2002 the project was initiated by Prof. Dr. Ihsan Ali the then Director for new museum building to display the objects systematically. The present premises was completed with systematic display and inaugurated in 2008. The museum displays the material on Buddhism and architectural elements and history of the region.

Fig. 47- Building of Mardan Museum.

Saidu Sharif Museum, Swat The museum is located on main Saidu Sharif road, Swat. The original museum

261 building was constructed by DOAM with the contribution of Wali Swat and the Italian mission in 1958, the twin museum (Museo Naziolae d’Arte Orientale) in Rome was inaugurated same time. The museum displays huge collection from Buddhism sites in Swat. The present museum building was constructed in many phases and damaged due to earthquake in 2005 and bomb blast in 2009. Closed for renovation the museum was reopened in 2014. Since 30% of Buddhism sites are in Khyber Pakhtunkhwa province therefore a rich collection of antiquities from those sites are given prominent place in all museums of the province.

Fig. 48- Building of Swat Museum. Fig. 49- Buddhist Gallery Swat Museum.

Chitral Museum, Chitral Chitral is a valley of scenic beauty and unique culture. Chitral District has Budhism sites thus archeologically important too. The museum displays history, cultural artifacts and antiquities from Gandhara graves culture or prehistoric cemetery sites. The museum was opened in 2008 and decorated with showcases contains dresses, armament, ornaments, wooden effigies house hold objects and archeological antiquities.

262

Fig. 50- BUILDING OF Chitral Museum. Fig. 51- Exhibit Kalash Gallery.

Dir Museum, Chakdara The museum was formily inaugurated in 1979 and has a huge collection of more than 1441 objects of Gandhara Civilization those display the life story of Buddha from birth. Apart from Gandharan ssulptures the museum displays dresses, armaments, ornaments and history total all together 479 pieces in ethnology gallery.

Fig. 52- Building of Dir Museum. Fig. 53- Gandhara Art Gallery.

Poshkalavati Museum, Charsadda Pushkalavati Museum is a new project, the building of the museum is constructed but facing some structural problems for which a repair has to undergo. The name Pushkalavati is derived from two words Pushkala and Vati which respectively mean Lotus and City. Pushkalavati (a modern name Charsadda) was a capital of Gandhara and the legendary Hariti Devi and Panchika were born here and converted to Buddhism by Lord Buddha. The museum is on site of Ghani Dheri and displays archeological antiquities and ethnology of the region.

263 Fig. 54- Building of Pushkalavati Museum.

Bannu Museum, Bannu Bannu is located in Gomal Valley; the area has historic value as few Neolithic settlements and prehistoric sites were recorded here. The museum was opened in 2011 and displays the rich archeological evidence of the area and ethnology.

Fig. 55- Building of Bannu Museum. Fig. 56- Museum Gallery.

Peshawar Museum, Peshawar Peshawar Museum was built in the memory of Queen Victoria in 1906; Peshawar is a historical city and provincial capital of Khyber Pakhtunkhwa province of Pakistan. The museum is renowned for its rich collection of Gandhara Art. The collection of

264 14000 objects on Gandhara, Greco-Buddhist, Kushan, Parthian and Indo-Scythian life is housed. The galleries displays Buddhism sculptures, coins, manuscripts, ancient books, dresses, armaments, ornaments, art, Islamic art, early versions of the Holy Quran, paintings of Mughal and later periods, household materials, pottery and local and Persian crafts. Museum also displays the different tribes life including Kalash valley and Kalash effigies.

Fig. 57- Building of Peshawar Museum. Fig. 58- Standing Buddha.

Fig. 59- Visitors from Korea. Fig. 60- Gandhara Civilization Gallery.

Biographical Public Awareness Centers

Wazir Mansion Museum, Karachi was an official birth place of the father of nation Quaid-i-Azam Muhammad Ali Jinah in Kharadar, Karachi. The government announced it a protected

265 monument and maintains it as museum and archive.

Fig. 61- Building of Wazir Mansion. Fig. 62- Exhibit Quaid’s Bed Room.

Allama Iqbal Museum, Lahore Allama Iqbal was the national poet of Pakistan and his house Javed Manzil was taken by the Government in 1977 and converted in to museum and library. It is also tentative listed as UNESCO site. The museum was opened in 1984 for public.

Fig. 63- Building of Javed Manzil. Fig. 64- Exhibit Allama Iqbal’s Bed Room.

Heritage Public Awareness Centers

Shakir ALI Museum, Lahore Shakir Ali Museum was created on the sudden death of Shakir Ali a renowned painter and art teacher in 1975. National Council for the Arts managed to purchase his residence and converted it to an art museum and place of cultural activities for the educational help to students, teachers and general public. National Council for the Arts is responsible to keep it operational.

266

Fig. 65- Building of Shakir Ali Museum. Fig. 66- Museum Art Gallery.

Chughtai Museum, Lahore

Abdur Rehman Cghtai was a renowned artist of Pakistan, the Chughtai Museum was established in his memory and to hold art and cultural activities for the learning of students, teachers and general public.

Fig. 67- Chughtai Art.

Lok Virsa Museum, Islamabad Lok Virsa (National Institute of Folk and Traditional Heritage) creates awareness about culture by collecting, documenting, disseminating and projecting Folk and Traditional Heritage of Pakistan. Conducts surveys and documentation is the main focus of the institute and dissemination through displays and events management is the major function of the museum. Lok Virsa is a affiliated member of UNESCO, International Council of Music, The World Craft Council, Asian Cultural Center for

267 UNESCO and similar other world organizations.

Fig. 68- Building of . Fig. 69- Exhibit Women on Well.

Fig. 70- Drummer Performing. Fig. 71- Demonstration. Fig. 72- Exhibit Truck.

Science and Technology Public Awareness Centers

Pakistan Museum of Natural History, Islamabad Pakistan Museum of Natural History was established in 1976 as project of Pakistan Science Foundation, Federal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slamabad. Major responsibilities of the museum are to collect, identify, build reference storage and display the Flora, Fauna, Rocks, Minerals and Fossils of the country for research and education purposes. The museum is engaged in sever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to conduct research on projects of mutual interests. Museum is also a member of ICOM and a affiliated member of UNESCO.

268

Fig. 73- Building of Natural History Museum. Fig. 74- Exhibit Animal Diorama.

National Museum of Science and Technology, Lahore National Museum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established in 1965 to aware the public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and to encourage to think about how human kind and science and technology best relate to each other. The museum displays exhibits on basic sciences and applied sciences in its various galleries.

Fig. 75- Exhibit Engine. Fig. 76- Museum Gallery.

Pakistan Defense Public Awareness Centers

Maritime Museum, Air force Museum, Karachi and Armey Museum Rawalpindi The three museums respectively display the forces history, biography of heroes, early used artifacts and latest defense equipments and carriers.

269

Fig. 77- Maritime Museum Building. Fig. 78- Outdoor Exhibition.

Fig. 79- Ariel view of Pakistan Air Force Museum. Fig. 80- Exhibit Aircraft.

Fig. 81- Armey Museum Building. Fig. 82- Outdoor Exhibit.

Transport Public Awareness Center

Pakistan Railway Museum, Golra Sharif (Islamabad) Pakistan Railway Museum is established on a working century old Golra Sharif Junction Station near Islamabad on a main railway track laid from Peshawar to Karachi. The museum displays the British time steam engines and other communication artifacts related to railways. The museum was opened for public in

270 2003.

Fig. 83- Golra Sharif Museum Building. Fig. 84- Outdoor Exhibit.

Banking Public Awareness Center

State Bank of Pakistan Museum, Karachi State Bank Museum was established to preserve the heritage related to state banking and money and also to provide opportunity to the general public to learn about State Bank of Pakistan’s history, money, coins, monetary policies and its evolving role over a time. The museum has history of state bank gallery, governor’s gallery, coins gallery, currency gallery, stamps gallery and art gallery.

Fig. 85- State Bank Museum Building. Fig. 86- Exhibit Currency Gallery.

National Art Centers in Pakistan

Art Galleries There are a large number of public and private art galleries in Pakistan for the promotion of art, art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country. The Central Government

271 and Provinci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Arts Councils network in the country on district level for cultural activities in the field of performing and visual art and all councils have attached theaters/art galleries for art exhibitions and art education.

National Art Gallery, Islamabad

Fig. 87- Building of National Art Gallery Islamabad. Fig. 88- Exhibition Gallery.

Fig. 89- Exhibit Painting of Legendary Artist. Fig. 90- Exhibition

272 Fig. 91- Open Air Theater.

REFERENCE

Ihsan Ali, Abid Ur-Rehman and Mohammad Ashfaq, 2014. Pakistan: Archeological Museums. Note: All material and photos are used/down loaded for non commercial educational and general awareness purposes. Author acknowledge the original producers.

273 문화 유산과 공공 인식 센터: 파키스탄의 사례

모하메드 아크태르 자베드

도입

파키스탄은 다양한 문화의 땅이며, 세계 지도에서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떨어져 나와 유라시아 판과 충돌한 아시아의 인도-파키스탄 아대륙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다. 이 충돌의 결과 습곡 활동이 지각을 위로 밀어내서 히말라야 산맥과 다른 많은 산맥들 이 형성되었다. 이런 이유로 K-2산의 두 번째로 높은 봉우리가 파키스탄에 위치해 있으며, 탈(Thal) 사막과 촐리스탄(Cholistan) 사막 펀자브와 신드 지방의 타르(Thar) 사막을 포함하는 세 곳의 모래사막이 있고, 발루치스탄 지방에는 바위 사막이 있으 며, 펀자브 지방에는 평원이 있다. 파키스탄은 동쪽으로는 인도 북쪽으로는 중국 서쪽에는 아프가니스탄, 남서쪽에는 이란, 남쪽으로는 아라비아 해와 인접해 있다. 파키스탄의 네 개의 강인 젤룸 (Jhelum), 첸납(Chenab), 라비(Ravi)와 수틀레지(Sutlej)강은 인더스 강으로 흐르며, 인 더스 강은 북쪽에서 발원하여 남쪽의 아라비아 해로 흐른다. 인더스 문명에 속하는 메르가르(Mehrgarh), 모헨조다로(Mohenjo Daro)와 하라파(Harappa) 및 간다라 문명인 탁실라(Taxila)와 같은 몇몇 유명한 고대 유적지가 있으며, 선사시대부터 이어진 인 류의 삶의 궤적이 라왈핀디(Rawalpindi)의 소언(Soan) 계곡, 마단(Mardan)의 상하오 (Sanghao) 동굴과 로리(Rohri) 언덕과 신드(Sind)의 타르 사막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이 지역에는 기원전 9세기부터 4세기까지 신석기 시대가 존재했으며, 이는 발루치스 탄의 메흐가르 출토물, 콧 디지(신드 지역), 레흐만 데리(카이베르파크툰크와 지역)의 출토물 연대에 의해 밝혀졌다. 인더스 계곡과 하라판 도시 문명 이후에 들어선 문명 들은 기원전 3000년경으로 추정되며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같은 시기에 존재했다. 기원 전 2천년 경의 선사시대 묘지인 간다라(Gandhara) 장묘문화는 페샤와르 (Peshawar)와 Taxila(탁실라) 지역에서 발견 되었으며, 이 문명은 서기 5세기까지 존 재했다. 한족, 힌두교인, 무슬림, 시크교도 그리고 기독교도들이 20세기까지 이 지역 을 지배했고 각기 다른 지역과 정권의 문화적 다양성은 지금까지 발견되고 기록된 모든 문화유산 안에 뚜렷하게 드러나 있다.

274

그림. 1- 대륙 이동설. 그림. 2- 랑(Rang) 산맥 지도 그림. 3- 인더스 문명 지도.

주요 이슈

파키스탄에는 다섯 개의 지방이 있으며, 신드(Sind), 발루치스탄(Baluchistan), 펀잡 (Punjab), 카이베르파크툰크와(Khyber Pukhton Khawa)와 길기트발티스탄 (Gilgit Bultistan)주 이고, 이 지역들에는 신드 어, 발루치 어, 브라후이 어, 사라이키 어, 펀 자브 어, 포토하르어, 파슈툰어, 힌드코완 어, 취트랄리 어, 발티스 어, 시나 어를 포 함하는 11개의 주요 민족 언어 지역들이 있으며, 이 모든 언어에는 각기 다른 문화 와 전통이 담겨있다. 파키스탄의 모국어는 우르드 어 이며, 파키스탄 내에서 구어 및 문어로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다. 컬렉션과, 문화 유산의 보존 및 보호라는 개념 은 무굴 제국 이전에도 존재했으나, 대영 제국에서는 변화하였다. 컬렉션의 개념에 대해 말하면 1865년 이전에는 주로 수집가들의 취미였으며, 이러한 수집가들이 선별 적으로 초대한 손님들에게만 개인적인 컬렉션들을 공개하는 것이었고, 영국 정부는 1865년 카라치(Karachi)에 파키스탄 내 첫 번째 빅토리아 박물관을 건립했다. 초기에 는 거의 인종학 수집품들이 전시되었으며 현재는 많은 민족학, 고고학 및 자연사 박 물관들이 있고, 인식 제고와 교육 및 연구를 위해 대중에 공개되어 있다. 대학 박물 관들과 컬렉션을 제외하면 파키스탄의 각기 다른 지역에는 30개의 박물관들이 있다.

그림. 4- 언어로 구분한 파키스탄 지역. 그림. 5- 파키스탄 지도 상의 지방

275 고고학 및 역사적 공공 인식 센터

파키스탄 국립 박물관(National Museum of Pakistan), 카라치 파키스탄 국립 박물관은 빅토리아 박물관을 대체하여 카라치(신드)에 위치한 프리어 홀 건물 안에 1950년 건립되었다. 프리어 홀 건물은 영국 정부가 1865년 건축한 건 물이다. 1950년에 파키스탄 정부에 의해 구성된 자문 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파키스 탄 정부는 국립 박물관을 위한 새로운 건물을 건설하고 전시하는 공예품의 수를 늘 리는 것을 골자로 하는 현명한 결정을 내렸다. 이 박물관은 1970년에 현재의 위치인 Dr Zia ud Dine 길, 번스 가든(Burns Garden)으로 부지를 이전했다.

그림. 6- 프리어 홀 건물. 그림. 7- 국립 박물관 건물, 카라치(Karachi).

이 박물관은1970년에 네 개의 전시실을 운영했으며, 현재는 11개의 전시실이 대중에 공개되어 있다. 이 전시실들은 주로 고고학, 역사, 사본, 역사적 기록, 인더스 문명, 동전, 소형 그림, 이슬람 예술, 불교 작품 및 민족학에 대해서 전시하고 있다.

그림. 8- 간다라 미술관. 그림. 9- 이슬람 예술 및 코란 갤러리.

276 모하타 고궁 박물관(Mohatta Palace Museum), 카라치 이 궁전은 1927년에 시브라탄 카드라라탄 모하타(Shivratan Chadraratan Mohatta)가 카라치에 건립했다. 문화부는 이 건물을 파키스탄의 문화 유산으로 유지하고 예술과 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매입했다. 이 박물관은 역사에 대한 전시나 주기적으로 계획된 전시를 연다.

그림. 10- 모하타 고궁 박물관 건물. 그림. 11- 직물 전시.

신드학 박물관, 잠소로(Sindhology Museum, Jamshoro) 이 박물관은 신드학에 대한 공동 연구를 위해서 잠소로에 위치한 신드 대학 내 신 드학 연구소가 건설했다. 이 박물관의 전시실들은 신드 문화와 신드 민족에 대해 보 여주는 공예품이나 컬렉션을 전시한다. 고고학 자료, 나무 공예품, 실 공예품, 금속 공예품, 가죽 작품, 도자기, 보석, 동전, 무기, 사진, 그림, 악기와 유명 인사의 전기 가 각각의 전시실에서 전시되고 있다.

그림. 12- 신드학 박물관 건물. 그림. 13- 미르 법정 전시.

신드 박물관(Sindh Museum), 하이데라바드 이 박물관은 신드 문화와 이 지역의 민족에 관해 전시하기 위해 하이데라바드 시에 설립되었다. 이 박물관은 잠소로의 신드학 박물관과 거의 흡사하다.

277

그림.14- 신드 박물관 건물 입구. 그림. 15- 신드의 복장 전시.

그림. 16- 신드 가옥 인테리어 전시. 그림. 17- 신드 여성들의 방 전시.

모엔조다로 박물관, 라르카나(Larkana) 이 박물관은 돌 무더기로 만들어진 도시인 모엔조다로 유적지(고대 인더스 강 문명) 에 위치해 있다. 금속으로 만들어진 유명한 초소형 조각 작품인 ‘춤추는 소녀’와 ‘신 성한 왕’을 포함하여 금, 구리, 점토로 만들어진 보석과 구리나 돌로 만든 도구, 점 토로 만든 장난감, 점토나 돌로 만든 조각상 들이 이 유적지 출토 과정에서 발견 되 었고 이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모엔조다로는 1911년에 처음 고고학자들이 찾아냈 으며, 이 고대 유적지는 1920년에서 1930년 사이에 발굴되었다. 이 유적지에 거주하 던 사람들은 기술을 갖춘 도시 계획자들로 추정되며 이는 잘 계획된 도로망과, 물 관리, 정교한 배수 시스템, 물을 저장하는 저수지, 매우 많은 수의 우물이 존재하고 욕조가 거의 모든 집마다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금으로 된 구슬, 구 리와 돌로 만들어 진 도구, 도장과 구운 벽돌과 같은 유물들은 이 곳에 살던 사람들 이 경제와 무역에 뛰어났다는 점을 보여준다. 밀과 쌀을 경작했다는 증거도 발견되 었다.

278 그림. 18- 모엔조다로 유적 박물관 건물.

그림. 19- 모엔조다로 돌 더미 도시. 그림. 20- 모엔조다로 수영장.

그림. 21- 사제의 두상. 그림. 22- 춤추는 소녀.

바하왈푸르 박물관, 바하왈푸르(Bahawalpur) 바하왈푸르는 1746년부터 파키스탄이 건국되기 전까지 아대륙에 위치한 독립 국가 였으며, 1748년에 당시 국가의 통치자였던 나와브 바하왈 칸 압바시(Nawab Bahawal

279 Khan Abbasi)가 바하왈푸르 시의 초석을 세웠다. 1947년에, 장교이기도 한 무하마드 사디크 칸 압바시(Sir Muhammad Sadiq Khan Abbasi)경 각하와 귀족은 바하왈푸르 와 파키스탄의 통합을 결정하고 발표했다. 바하왈푸르 시는 현재 펀자브 지방에 속 해 있으며, 역사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 유산을 기록하 고 전시하기 위해서, 펀자브 정부는 바하왈푸르 박물관을 1974년부터 1976년에 걸쳐 건립했다. 바하왈푸르는 촐리스탄 사막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으로는 라지스탄 사막, 남쪽으로는 타르 사막에 인접해 있다. 이 도시의 고고학적 중요성은 독특하다고 할 수 있는데, 촐리스탄 사막 내에 위치한 고대의 풍부한 개거 하크라 강 바닥 때문이 다. 모엔조다로와 하라파 (인더스 문명) 사이의 통신 및 무역 경로는 이 도시를 지 나는 것이었다. 이 박물관은 역사, 고고학, 도자기, 화폐, 무기, 민간 문화유산, 예술 작품과, 통치자들의 유품 등을 전시하고 있다.

그림. 23- 바하왈푸르 박물관 건물. 그림. 24- 국가 동전 전시.

그림. 25- 누어 마할 모형 전시. 그림. 26- 나와브(귀족)의 자동차 전시.

물탄 박물관 물탄은 파키스탄의 도시 중 가장 오래된 도시이며, 로마 (이탈리아)와 자매 결연을 맺은 도시이기도 하다. 물탄의 역사는 기원 전 5000년 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비 아리안 문명이 존재했고, 노아의 시대 신화에 따르면 그의 아들이 이곳에 정착했다

280 고 한다. 기원 전 550년 아케메네스 제국 기간 동안, 이 도시는 서쪽의 그리스에게 는 극동 지역이었으며, 리그 비다(Rig Vida)라고 불렸다. 힌두교도와 한족들이 이 도 시를 지배한 이후 알렉산더 대왕은 기원전 320년에 이 도시를 점령했으며 유명한 순례자이자 여행자인 히에움 청(Hieum Tsang)은 이 지역의 통치자가 지정한 종교로 불교가 번성하던 시절에 물탄을 방문했다. 이 기간에, 이 도시의 이름은 물라스탄푸 라(Mulasthanpura)였으며 이후 물탄이라 이름 붙여졌다. 8세기에 무함마드 빈 콰심 (Muhammad Bin Qasim)이 이 도시를 점령했고 무굴을 비롯한 이슬람 지도자들에 의해 통치되었다. 1818년에 라호르의 란지트 싱 마흐라자(Ranjit Singh Mahraja)는 이 도시를 라즈다니(Rajdhani)에 포함시켰으며, 영국이 1849년 이 도시를 점령했고 마침내 1947년에 파키스탄에 속하게 되었다. 물탄 박물관은 간타가르 건물 안에 설 립되었으며, 역사, 회화, 도자기, 타일, 동전, 직물 등을 전시하고 있다.

그림. 27- 물탄 박물관 간타 가르(Ghanta Ghar) 건물. 그림. 28- 물탄 도자기 전시.

몽고메리 박물관, 사히왈 사히왈은 몽고메리 시에서 변경된 이름이며, 이 때문에 이 도시의 이전 이름이 박물 관에 붙여졌다. 몽고메리 박물관은 최근에 지어졌으며, 2015년 8월 17일에 개관했다. 이 박물관은 COMSATS 대학 사히왈 캠퍼스의 문화 및 유산 관련 부서와 협력하 고 있다. 이 박물관은 역사, 도자기, 직물, 자연사, 중요한 인물의 전기 등을 전시하 고 있다.

281

그림. 29- 직물 베틀 전시. 그림. 30- 도자기, 칼, 도구 전시.

하라파 박물관, 사히왈 하라파는 아대륙에 위치한 인더스 문명의 도시 문화라고 초기에 알려진 고대 도시이 다. 인더스 강 문명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인도, 중국을 포함한 사대 고대 문명 중 가장 규모가 컸다. 인더스 문명의 문서들이 아직 해독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인더스 문명 시기 사람들에 대한 지식은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하라판이라는 명칭은 기원 전 2500년과 2000년 사이 인더스 강 문명의 고대 사람들을 부르던 말 이었다. 이 고대 문명 지역은 인도의 서부 지역과 파키스탄을 아우르고 있으며, 서 유럽 전체 크기 보다 규모가 컸다. 하라파와 모엔조다로는 이 계곡에(현재는 파키스 탄) 위치한 두 개의 고대 문명이며, 이 두 도시들은 비슷한 시기인 1920년에 각기 다른 두 팀의 고고학자들에 의해 출토되었다. 고고학자들은 잘 계획된 고대 도시인 이 두 지역에 유사성이 있다는 점을 발견했는데, 이는 도로망, 모든 집에 우물과 욕 조가 있다는 점, 급수 설비, 배수 시설 및 도자기, 금/은/동/구리/돌로 만들어진 보석, 금속과 점토 및 돌로 만들어진 조각상, 장난감, 무기와 같은 유물에서 드러나 있다. 도장과 도자기에는 동일한 글씨가 들어가 있다. 하라파 박물관은 발굴 중 발견 된 역사 및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그림. 31- 인더스 문명 지도. 그림. 32- 하라파 박물관 건물.

282

그림. 33- 키르샤나(Kirshana) 전시. 그림. 34- 인장 전시.

리알푸르 박물관, 파이살라바드 리알푸르 박물관 또한 펀자브에 위치한 파이살라바드 시 지역 정부의 행정 관리 하 에서 새롭게 만들어졌다. 이 도시는 펀자브의 총독이었던 제임스 로얄(Sir James Loyal) 경이 거의 100년쯤 전에 만들었으며, 리알푸르라고 이름 붙여졌고, 이후 1985 년에 명칭을 파이살라바드로 변경하였다. 이 도시는 공업 도시로 천과 직물 제품 산 업으로 유명하다. 이 박물관은 역사, 지역 고고학, 직물, 직물 산업, 도자기, 보석, 예 술 작품과 문화를 전시하고 있다.

그림. 35 리알푸르 박물관 건물. 그림. 36- 도자기 전시.

그림. 37- 옻과 종이 모형 전시. 그림. 38- 철로 손수레 전시.

283 라호르 박물관, 라호르 라호르 박물관은 1849년 영국 정부가 건립하였으며, 명칭은 펀자브의 수도인 라호르 시에 위치한 와지르 칸 바라다리(Wazir Khan Baradari)의 기념 박물관이었다. 현재의 건물 초석은 1890년에 알버트 빅터(Albert Victor) 공작과 이 건물을 설계한 건축가 인 바이 람 싱(Bhai Ram Singh)이 놓았다. 비록 많은 유물이 인도와 파키스탄이 분 할되던 시기에 파괴되거나 손상되었지만, 이 박물관에는 여전히 불교 시기의 많은 컬렉션들이 전시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고행상이 포함되어 있다. 대규모의 고고학 탐 사, 발굴, 컬렉션, 연구, 기록은 가치 있는 유물들의 전시로 이어졌다. 국립 예술 대 학과 펀자브 대학교는 희귀한 미술 및 이슬람 예술 작품의 수집을 도왔으며, 이 작 품들은 이 지역의 특성을 정확히 보여준다.

그림. 39- 라호르 박물관 건물. 그림. 40- 고행상.

탁실라 박물관, 탁실라 라왈핀디 인근의 탁실라 박물관은 칸다라 문명과 예술의 보고이며, 아름답게 조각되 고 새겨진 돌과 치장벽토, 테라코타, 청동은 불교를 전파하기 위한 예술 작품들 이 었다. 불교는 기원전 2세기에 이 도시의 국교였으며, 1000년 동안 번성하며 널리 퍼 져있었고, 이 기간 동안 탁실라와 스와트, 차르사다 (이전의 푸시칼라바티)는 문화, 교역 및 배움의 중심지였다. 알렉산더 대왕은 기원전 326년에 이 도시에 왔으며 그 리스 문화의 영향을 남겼다. 간다라 예술은 탄생 이전(자카타스)부터 미래 부처까지 포함하는 부처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묘사했다. 대승 불교와 방대한 카니스카 (Kanishka) 제국이 서기 78년에 페샤와르부터 통치했던 쿠샨 제국은 불교 작품과 수 백 개의 사찰을 후원했으며, 그리스 인들, 쿠샨 마을, 탁실라의 실컵과 시르스쿠와 더불어 사리탑들이 세워졌다. 간드라 미술의 번성은 무역과 상업이 실크로드를 통해

284 중앙아시아와 서쪽에서 성장하면서 이루어졌다. 탁실라 박물관은 유적 박물관으로 모든 유물들은 각기 다른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이에는 돌로 된 조각, 기구, 유물 장식함, 도구, 건축학적 요소들이 포함된다. 탁실라 박물관은 돌 위에 조각된 부처의 24개의 설화를 전시하며, 1400개 이상의 돌로 된 유물들이 수집되어 있으며 이중 절 반은 복본으로 보관되고 있다.

그림. 41- 탁실라 박물관 건물. 그림. 42- 불탑, 탁실라의 불교 문명.

그림. 43- 불상. 그림. 44- 불교 미술관.

아보트 박물관, 아보타바드 아보트 박물관은 2008년에 아보트 시 시청 안에 세워졌으며, 이 박물관은 유명한 고 고학자이며 마르단에 위치한 압둘 왈리 칸 대학의 부총장이자 교수인 이흐산 알리 (Ihsan Ali) 박사가 건립했다. 이 박물관은 이전에는 북서 경계 지방(NWFP)이라고 불렸던 카이베르파크툰크와(Khyber Pakhtonkhwa) 지방 전반 및 특히 아보타바드와 하자라 지역의 고고학과 민족학을 전시한다. 이 박물관의 전시실에는 치트랄 지역에

285 위치한 부처 이전의 분묘지인 간코리네오텍(Gankorineotek)에서 발견 된 고고학 유물 들과 무기, 장식품, 옷, 부처 설화 그림과 이 지역 유명인들의 사진이 전시되어 있 다.

그림. 45- 아보타바드 박물관 건물.

훈드 박물관(Hund Museum), 스와비 훈드 박물관은 카이베르파크툰크와(KPK) 지방의 고고학 부서가 사라다(sarada) 비문 에 우다판드푸라(Udabhandpura)라고 이름 붙여진 역사적인 땅인 스와비에 2009년설 립했다. 히에운 청(Hiuen Tsung)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중국의 순례자 솬장(Xuanzang) 은 이 역사적인 지역을 서력기원 644년에 그의 자서전에서 와토키아한차 (wa-to-kia-han-cha)라고 언급한 바 있다. 유명한 고고학자이자 교수인 이흐산 알리 (Ihsan Ali) 박사가 이 박물관의 건설을 착수 및 감독했다. 박물관 건물 밖에는, 알렉 산더 대왕을 기리며 만들어진 기념비적인 코린트식의 기념비가 있다. 이 박물관은 이 지역의 고고학과 민족학 유물을 전시한다.

그림. 46- 스와비의 훈드 박물관 건물.

286 마르단 박물관, 마르단 마르단 박물관은 1991년에 처음 개관했으며, 전시물들은 대부분 압수 물품들이고, 공개 행사는 페샤와르 박물관의 후원을 받았으며 페샤와르 대학교가 기술적인 도움 을 주었다. 스와비의 훈드 및 마르단의 사피아바드의 유적 탐사 및 발굴 과정에서 발견된 유물들과 기증받은 유물들이 같이 전시되었으며, 전시되고 있는 전체 유물의 숫자는 419개에 달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서 이 박물관은 당시의 박물관 건물이 방 대한 유물들을 전시하기에는 부족하다고 느끼게 되었다. 2002년에 박물관 건축 프로 젝트가 유물들을 체계적으로 전시하기 위해서 당시 새로운 박물관 건물의 건축을 감 독하는 책임을 맡은 교수인 이흐산 알리(Ihsan Ali) 박사에 의해 시작되게 되었다. 현재의 부지는 유물들을 체계적으로 전시하도록 2008년에 완공되어 개관하였다. 이 박물관은 이 지역의 불교 자료와 고고학 유물 및 역사를 전시하고 있다.

그림. 47- 마르단 박물관 건물.

사이두 샤리프 박물관, 스와트 이 박물관은 스와트의 주요 사이두 사리프(Saidu Sharif)에 위치해 있다. 원래의 박물 관 건물은 DOAM이 1958년에 왈리 스와트(Wali Swat)와 이탈리아 사절단의 도움을

287 받아 건설했으며, 이 박물관의 로마에 위치한 쌍둥이 박물관(국립 동양 예술 박물관) 도 같은 시기에 개관했다. 이 박물관은 스와트의 불교 유적지에서 출토한 방대한 유 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현재의 박물관 건물은 많은 단계를 거쳐 건축되었으며, 2005 년의 지진과 2009년에 발생한 폭탄 폭발로 인해 손상되었다. 수리를 위해 문을 닫 았던 이 박물관은 2014년에 재 개장했다. 30퍼센트의 불교 유적지가 카이베르파크툰 크와 지방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 유적지에서 발굴한 방대한 유물 컬렉션은 이 지방 모든 박물관들 사이에서 이 박물관의 중요성을 더해주고 있다.

그림. 48- 스와트 박물관 건물. 그림. 49- 스와트 박물관의 불교 갤러리.

치트랄 박물관, 치트랄 치트랄은 아름다운 풍경과 독특한 문화를 가진 계곡이다. 치트랄 지역에는 불교 유 적지가 있으며, 따라서 고고학적인 중요성도 가지고 있는 지역이다. 이 박물관은 역 사, 문화 유적, 간다라 장묘 문화 및 선사시대 묘지 유적지의 유적을 전시하고 있다. 이 박물관은 2008년 개관했으며, 옷, 무기, 장식품, 나무로 된 인형과, 주택에서 발견 된 유물들 및 고고학적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그림. 50- 치트랄 박물관 건물. 그림. 51- 칼라시 갤러리 전시.

288 디르 박물관, 착다라 이 박물관은 1979년에 공식 개관하였으며 간다라 문명의 1441개 이상의 유물로 된 방대한 컬렉션을 가지고 있으며, 이 유물들은 부처의 탄생부터 시작한 일대기에 관 해 보여주고 있다. 간다라 문명의 조각품을 제외하고도 이 박물관은 민족학 전시장 에 전체 479점에 달하는 옷, 무기, 장식품, 역사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그림. 52- 디르 박물관 건물. 그림. 53- 간다라 미술관.

포시칼라바티(Poshkalavati) 박물관, 차르사다 포시칼라바티 박물관은 새로운 프로젝트로, 이 박물관 건물은 건축되었지만 수리가 필요한 일부 구조적인 문제가 발견된 상태이다. 포시칼라바티라는 명칭은 ‘포시칼라’ 와 ‘바티’라는 두 단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각각 연과 도시를 의미한다. 포시칼라바티 (현대의 명칭은 차르사다)는 간다라의 수도이며 전설직인 하리티 데비(Hariti Devi)와 판치카(Panchika)가 이곳에서 태어났으며 부처님에 의해 불교로 개종하였다. 이 박물 관은 가니 데리(Ghani Dheri)에 위치해 있으며, 이 지역의 고고학 유물과 민족학을 전시하고 있다.

그림. 54- 포시칼라바티 박물관 건물.

289 반누 박물관, 반누 반누는 고멀 계곡에 위치해 있으며, 이 지역은 일부 신석기시대 거주지와 선사시대 유적지로 기록된 역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곳이다. 이 박물관은 2011년 개관하였 으며, 이 지역과 민족학의 풍부한 고고학적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그림. 55- 반누 박물관 건물. 그림. 56- 박물관 갤러리.

페샤와르 박물관, 페샤와르 페샤와르 박물관은 1906년에 빅토리아 여왕을 기념하며 지어졌다. 폐샤와르는 역사 적인 도시이며 파키스탄의 카이베르파크툰크와 주 의 주도이다. 이 박물관은 풍부한 간다라 미술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14000개의 유물로 이루어진 컬렉션은 간다라, 그레코 불교, 쿠샨, 파르티아, 인도 스키타이의 생활상을 보여준다. 이 박물관의 전시실은 불교 조각상, 동전, 사본, 고대 서적, 옷, 무기, 장식품, 미술 품, 이슬람 미술, 신성한 코란의 초기 본, 무굴과 이후 시대의 그림, 가정 용품, 도자 기와 지역 및 페르시아의 공예품들을 전시하고 있다. 이 박물관은 또한 칼라시 계곡 과 칼라시 모형들을 포함하여 각기 다른 부족의 삶에 대해 전시하고 있다.

그림. 57- 폐샤와르 박물관 건물. 그림. 58- 불상.

290

그림. 59- 한국에서 온 방문객들. 그림. 60- 간다라 문명 미술관.

인물과 관련한 공공 인식 센터

와지르 맨션 박물관(Wazir Mansion Museum), 카라치 카라치의 카라다르에 위치한 와지르 맨션은 파키스탄의 국부인 콰이드 이 무함마드 알리 지나흐(Quaid-i-Azam Muhammad Ali Jinah)의 공식 출생지이다. 정부는 이 맨 션을 보호 기념물로 지정하였으며 지금까지 박물관과 기록관으로 유지 중이다.

그림. 61- 와지르 맨션 박물관 건물. 그림. 62- 콰이드(Quaid)의 침실 전시.

알라마 이크발 박물관(Allama Iqbal Museum), 라호르 알라마 이크발은 파키스탄의 국가 시인으로 그의 저택인 자이브 맨질은 1977년 정 부가 인수한 뒤 박물관과 도서관으로 변경되었다. 이 박물관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 산에 잠정 포함되어 있다. 이 박물관은 1984년에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291

그림. 63- 자이브드 맨질 건물. 그림. 64- 알라마 이크발의 침실 전시.

문화 유산 공공 인식 센터

샤키르 알리 박물관(Shakir ALI Museum), 라호르 샤키르 알리 박물관은 유명한 화가이자 미술 교육자였던 샤키르 알리(Shakir Ali)가 1975년 갑작스럽게 작고한 뒤 만들어졌다. 국립 예술 위원회가 그의 주택을 매입해 서 관리했으며 학생들과 교사 및 일반 대중에게 교육적인 도움을 주는 문화 활동을 위한 예술관이자 장소로 바꾸었다. 국립 예술 위원회가 이 박물관의 운영을 맡고 있 다.

그림. 65- 샤키르 알리 박물관 건물. 그림. 66- 박물관의 아트 갤러리.

추크타이 박물관(Chughtai Museum), 라호르 압둘 레흐만 추크타이(Abdur Rehman Chughtai)는 파키스탄의 유명한 예술가이며, 추 크타이 박물관은 그를 기리고, 학생들과 교사 및 일반 대중을 위한 예술 및 문화 활 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292

그림. 67- 추크타이의 작품.

로크 비르사 박물관(Lok Virsa Museum), 이슬라마바드 로크 비르사(국립 민속 전통유산 연구원)은 파키스탄의 민속 및 전통 문화유산을 수 집, 기록, 전파 및 보호하는 것을 통해 문화에 대한 인식을 제고한다.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기록하는 것이 이 연구원의 주된 업무이며, 전시와 행사 관리를 통해 이를 알리는 것이 이 박물관의 주된 역할이다. 로크 비르사는 유네스코, 국제 음악 위원 회, 세계 공예 위원회, 유네스코 아시아 문화 센터와 비슷한 여타 세계 기관에 소속 된 회원이다.

그림. 68- 로크 비르사 박물관 건물. 그림. 69- 우물가에 있는 여인들에 대한 전시.

그림. 70- 드럼 고수의 공연. 그림. 71- 직조 시범 그림. 72- 전시 트럭.

293 과학 기술 공공 인식 센터

파키스탄 자연사 박물관, 이슬라마바드 파키스탄 자연사 박물관은 1976년 이슬라마바드에 위치한 연방과학기술부 산하 파 키스탄 과학 재단의 프로젝트의 결과로 만들어졌다. 이 박물관의 주된 임무는 참고 문헌을 수집하고, 알아보며, 구축하여 보관하는 것이고, 연구와 교육 목적으로 파키 스탄의 동식물, 바위, 광물, 화석을 전시하는 것이다. 이 박물관은 공동의 이익을 가 진 프로젝트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몇몇 국가 및 국제적 협업에 참여하고 있다. 이 박물관은 또한 ICOM 회원이며 유네스코 소속 회원이다.

그림. 73- 자연사 박물관 건물. 그림. 74- 동물 모형 전시.

국립 과학 기술 박물관, 라호르 국립 과학 기술 박물관은 과학과 기술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제고하고 인류와 과학 기술이 어떻게 최상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지에 관해 고려하기 위해1965년에 건 립되었다. 이 박물관은 기초 과학 및 응용 과학에 대해 다양한 전시실에서 전시하고 있다.

그림. 75- 엔진 전시. 그림. 76- 박물관 전시장.

294 파키스탄 국방 공공 인식 센터 해양 박물관, 공군 박물관, 카라치/아르메이 박물관(Karachi and Armey Museum), 라왈핀디 이 세 개의 박물관은 각각 군 역사, 영웅 전기, 초기에 사용되었던 물품과, 최신 국 방 장비 및 운송 수단을 전시하고 있다.

그림. 77- 해양 박물관 건물. 그림. 78- 야외 전시.

그림. 79- 파키스탄 공군 박물관의 항공뷰. 그림. 80- 항공기 전시.

그림. 81- 아르메이 박물관 건물. 그림. 82- 야외 전시.

295 운송 공공 인식 센터

파키스탄 철도 박물관, 골라 샤리프 (이슬라마바드) 파키스탄 철도 박물관은 페샤와르와 카라치를 연결하는 주요 선로 위에 세워진100 년동안 운영된 이슬라마바드 인근의 골라 샤리프 분기 역에 세워졌다. 이 박물관은 영국 통치 시기 증기 엔진과 철도와 관련된 다른 통신 물품을 전시하고 있다. 이 박 물관은 대중을 위해 2003년에 개관하였다.

그림. 83- 골라 샤리프 박물관 건물. 그림. 84- 야외 전시.

은행 공공 인식 센터

파키스탄 국립은행 박물관, 카라치 국립은행 박물관은 국립 은행과 관련된 문화 유산을 보호하고 일반 대중이 파키스탄 국립은행의 역사와, 화폐, 동전, 통화 정책 그리고 시간에 따라 발전한 국립 은행의 역할에 대해 학습할 기회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 건립되었다. 이 박물관은 국립은행 역사 전시관, 역대 총재들 관련 전시관, 동전 전시관, 화폐 전시관, 도장 전시관 및 미술관을 가지고 있다.

그림. 85- 국립은행 박물관 건물. 그림. 86- 화폐 갤러리 전시.

296 파키스탄 국립 아트 센터

미술관들 예술 및 예술 교육과 문화의 증진을 위해서 파키스탄에는 많은 수의 공공 및 민간 미술관이 있다. 공연과 시각 예술 분야의 문화 활동을 위해서 중앙 정부와 지방 정 부들은 파키스탄에 지역 수준의 예술 위원회 네트워크를 만들었으며, 모든 위원회들 은 공연장, 미술 전시 및 예술 교육을 위한 미술관을 가지고 있다.

국립 미술관, 이슬라마바드

그림. 87- 이슬라마바드 국립 미술관 건물. 그림. 88- 미술관 전시회.

그림. 89- 유명 예술가들의 회화 작품 전시. 그림. 90- 전시

297 그림. 91- 옥외 공연장.

참고 문헌:

Ihsan Ali, Abid Ur-Rehman and Mohammad Ashfaq, 2014. 파키스탄: 고고학 박물관 들(Archeological Museums). 주석: 모든 자료와 사진은 비 상업적 교육 그리고 일반적인 인식과 관련한 목적을 가지고 사용 및 다운로드 되었습니다. 저자는 원저자들께 감사 드립니다.

298 Session 2

[Support] Supports and Changes of Museum's Role in Society

[지원] 외부지원과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The Dilemma and Resolution of Public Support Provided for Museums

뮤지엄에 대한 공적 지원제도의 딜레마와 해결과제

Kim, Chan-dong (김찬동) Director / Museum Headquaters,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경기문화재단 뮤지엄본부 본부장)

The Dilemma and Resolution of Public Support Provided for Museums

Kim, Chan-dong

1. Introduction

Public support for museum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types: financial support provided directly, or indirect support provided through institutional framework like tax benefits. Of course, in the case of national and public museums,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are the owners or the operating entities, so that they can receive government subsidies or local government expenditur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ompletely different view existing regarding the basis of support provided for private museums. Since private museums are owned by individuals, there is a concern that public funds invested in a private property might contribute to accumulating personal gains. However, it is inevitable that an appropriate level of support is provided from public resources when you take into consideration of the public functions of museums. Even in the case of public museums, the cases of receiving 100 percent public support have decreased gradually due to the logic of neoliberalism, making it necessary to increase the financial independence. This is why the logical validity of public support provided for private museums is getting weaker and weaker.

In fact, the reality of support provided for Korean museums is being conducted based on the arguments made above. In order to reduce maintenance costs that account for the biggest part of running a national and public art museum, efforts are made to avoid receiving all of the budget from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by carrying out restructuring and outsourcing managerial jobs. Also, national and public museums are turned into a separate foundation underneath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to raise part of the budget through their own

301 revenues. However, the budget that accounts for the largest part of operating a museum is the budget set aside for purchasing collections. In the case of national and public museums, the purchasing budget for collections is cut back first when there is a financial pressure, while personnel expenses are also reduced. Since business expenses are also being cut, there are many cases where some of the business expenses are paid through external collaboration, sponsorship and donation. As a result, the increasing trend is attracting exhibitions that catch the public fancy to generate profits, which in turn weakens the museum’s expertise and planning functions.

As for private museums, part of their budgets is supported by public funds based on the public interest considerations. The details of the support can be broadly divided into operating expenses, business expenses for exhibitions or education and personnel expenses for professionals like curators or educators. These supports are highly likely to come from public funds like the Korea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 instead of support from the government. However, these public supports only provide partial support and the organization receiving the support has to raise part of the budget on their own in principle. These support systems led to greatly increasing the activities of private museums with poor operating conditions. In the case of museums that failed to get any support or don’t need any support, they are able to operate freel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rivate museums that received the support, they followed the method of being evaluated on a strict evaluation index, which raised concerns about standard stereotyping. Also, recently museums have begun to emerge as playing the roles and functions as a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for local residents by receiving a variety of regional hub project budgets. As a result, private museums with excellent operation ability were able to overcome the difficulty of operating by just receiving the support fund.

In Korea, the support provided for private museums increased gradually starting from 2003, with issues raised over turning national and public museums into responsible organizations and corporations starting from 2008. However, there are still policy discussions that need to be completed. In order to stabilize the museum

302 system, it is necessary to first decide on a comprehensive museum support policy, which means where to put the priority when it comes to allocating national resources. Therefore, an in-depth study on the policy is essential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level of public support required for private museums or excessive privatization of national and public museums.

2. Public support for museums

Museum is a non-profit and permanent institution that serves for the society and social development. It is open to the public and a place for collecting, preserving, studying, promoting and exhibiting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s of humanity, as well as a place that provides the environment for education, learning and sharing1). The basis of public support for museums derives from the museum’s non-profit nature and the public interest of preserving, studying and promoting heritages of humanity set by the ICOM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As a repository of being responsible for heritages of humanity, from the birth of modern museum until now, the governments have been responsible for all of the operation for national and public museums and it had been considered natural for operating expenses to be paid by taxes. It is the same for private museums because aristocrats and wealthy people who operated museums considered it as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to run them without making profit and serve the public interest. However, we faced a turning point for the support policy in the public sector after the 1980s when being placed under neo-liberalism. To be specific, public support for the cultural and art fields was provided through the policy established in the early stages as part of the new deal policy in the 1930s, but it was implemented in full scale after the market failure theory in the 1960s. Since then, the justification and logic of public resources for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have been strengthened due to positive external effects. Besides direct financial support, the appropriate balance was established by promoting and regulating through laws and systems or setting up infrastructures. However, it was inevitable that changes were made the policy as the

1) ICOM’s articles of association adopted during the 21st general assembly held in Vienna, Austria in 2007.

303 field of art management quickly shifted towards a market-oriented one after the 1980s. As the museum management adopted a new management technique, changes took place in the precedent where the government paid for all of the budgets, so that part of the excessive operating expenses was raised by the museum on its own. As a result, the museum management changed into a high-quality service business like a tertiary industry, with internationally successful museums achieving business successes by showing excellent management ability. They include Guggenheim Museum Bilbao in Spain, Tate Modern Museum in UK, Le Musee du Louvre in France, MoMA (The Museum of Modern Art) in NY, US that implemented such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case of Guggenheim Museum Bilbao, it conducted the most aggressive management strategy that created a term, this term was ‘Bilbao Effect’.

Changes in the support provided for museums under the neoliberalism started with the UK’s years of Margaret Thatcher with the 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n 1979. The government support on art started with the , which was established in 1753 and opened in 1759. Since then, more than 220 years has passed when the Thatcher administration was inaugurated, with the level of support provided for art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serious issues when the government allocates budgets being more serious than before. The Thatcher administration adopted the currency principle in order to reduce inflation by cutting back on providing capital to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is policy aims to decrease spending from the government’s budget to reduce the payment out of the National Treasury for public services, which strives to hand over the public services ultimately to the private sector together with the newly adopted economic principle of neoliberalism. The public enterprises and public services were being sold off to the private sector primarily due to the reasons of increasing the value of capital and the efficiency of investment made to it. After the Thatcher administration began privatization in 1979, other western countries also followed the UK government for the same reasons. Between 1979 and 1980, the support provided to 41 organizations until now by the ACE (Art Council of England) was stopped as a result of cutting back the budget for the field of art. In order to make up for the amount cut in the

304 public subsidies for national art institutions, the Thatcher administration encouraged companies to make donations and acquired private funding by introducing a new system and changing the existing system, including giving incentives for private funding, changing the tax system and providing subsidies to corporate sponsored organizations like the Association for Business Sponsorship of the Art (ABSA). Through these efforts, the operating method of national and public museums changed, turning the directors of museums into a manager instead of a scholar. In order to find diverse profit-making businesses to increase its own revenues and strengthen its financial independence, museums came up with a new sponsorship like showcasing joint exhibitions with art sponsors like private companies. Besides the UK, similar phenomenon occurred in the US under the Ronald Regan administration where the budget was cut back for national museums.

It was no different in Korea. Even though there was no clear success case, it was necessary to take a business mindset when operating a museum. The issue of incorporating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cted as a starting point for applying a sliding scale for the government’s budget set aside for supporting museums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evaluation from a managerial viewpoint. Likewise, public museums ask for such management techniques and efforts are made to minimize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support budgets, so that public resources for private museums that are more difficult to operate are facing a serious crisis.

In Korea, the support provided to museums through public funding is in accordance with the Museum and Art Gallery Support Act. It is broadly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nancial support provided directly and the support provided through the system like tax benefits. In the case of national and public museums, government subsidies or local government expenditures are supported since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own or operating the museums, but there is a huge difference in the opinion regarding the basis of support provided for private museums. Since private museums are owned by individuals, there is a concern about public funds being invested on a private property and increasing personal gains. However, it is

305 inevitable that appropriate public resources are provided to support private museums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s of the public functions that they provide. Also, the cases of public museums paying for all of the budgets from public funding have been on a decrease according to the logic of neoliberalism.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need to increase financial independence, the logical validity of providing public resources to support private museums is getting weaker and weaker.

In order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museums and art galleries, the Korean government enacted the Museum and Art Gallery Support Act in 1992. Since then, the number of museums increased over the past twenty years to total to 944 museums2)(Table 1. based on 2014). As part of the policies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 2004,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museums and art galleries to meet the standards of OECD member countries by setting up the minimum number of goals.

According to a preliminary research conducted for the government’s museum development plan in 2004, if you compare the number of population per museum with other major OECD countries, it was found that 86,000 for Korea, 60,000 for the US, 46,000 for France, 37,000 for Japan and 20,000 for Germany (Table 2), which was used as a basis for setting up the minimum goals for establishing museums. Even though it was less than one museum per 40,000 population, which is the average population of OECD member countries, the Korean government set up the goal of establishing about 10 large-scale national museums and 16 museums in cities and provinces according to one museum per 50,000 population, with the following criteria for adjustment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3)

· Metropolitan city model: 1 museum+1 national museum+1 public art gallery per 50,000 population · Large city model (more than 500,000 population): 1 museum per 50,000 population

2)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verview of National Cultural Infrastructure, 2014. 3)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 A Study on the Minimum Standards Established for National Cultural Infrastructures, 2004)

306 · Provincial model: 1 museum+1 national museum+1 public art gallery per 50,000 population · Basic city model: 1 museum per 50,000 population · Basic gun model: 1 museum per local government · Rural area model: 1 site (multi-purpose cultural space) per local government

Table 1. Status of registered museums and art galleries

Classification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Total 511 579 630 655 694 740 754

1 museum per 93,933 83,949 77,376 77,123 72,046 67,573 66,605 population (persons)

Museum National 27 27 29 30 30 32 37

Public 225 255 282 289 312 326 328

Private 180 215 234 251 262 287 299

University 79 82 85 85 90 95 90

Total 115 128 131 141 146 171 190

1 art museum 417,39 per 379,740 372,115 358,267 326,797 292,421 264,316 1 population Art (persons) museum National 1 1 1 1 1 1 1

Public 24 27 25 27 28 39 47

Private 87 97 100 108 110 124 131

University 3 3 5 5 7 7 11

307 Table 2. Comparison with Major OECD Member Countries (1 museum per population)

Number of Number of 1 museum per Country Year population (A) museums (B) population (A/B)

US 2004 280 million persons 4,609 60,000 persons

France 2004 60 million persons 1,300 46,000 persons

Canada 2004 31 million persons 1,352 22,000 persons

Japan 2004 130 million persons 3,492 37,000 persons

Germany 2004 82 million persons 4,034 20,000 persons 48.6 million Korea 2007 562 86,000 persons persons

*Source: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 A Study on the Minimum Standards Established for National Cultural Infrastructures, 2004)

Based on these standards, the Korean government continued to support part of the construction expenses for public museums being established in each city and province. In 2015, 9.87 billion was spent on 8 public art galleries, while 9.06 billion won was provided for 10 public museums. In addition, the Korean government allocated and executed the budgets of 68 billion won and 38.8 billion won fo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of Korea, respectively to support operating and business expenses for national museums.

The support of public resources for private museums did not start the support for museums since the beginning of law enactment, but instead it began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of public museums and art galleries through providing the matching fund to local governments in 1996. In the beginning, the financial support for operating private museums wa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However, after private art museums inaugurated the Self-funded Art Museum Network (2003) and the Korean Art Museum Association (2005), the support for private art museums

308 began. At the beginning when the network was established under the name of self-funded art museum, it was questionable whether or not it was necessary to support public resources to private art museums that operate by investing their own money because they want to. However, the Self-funded Art Museum Network emphasizes the public functions played by private museums, while also stresses the public function of acting as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the public, thereby providing reasonable evidences for the necessity of the government to support private art museums. Later on, the Self-funded Art Museum Network was developed further to establish the Korean Art Museum Association, with the support of finances worth 3.6 billion won raised for the first time in the founding year through the lottery fund. In this case, the support was provided as part of the efforts to help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to enjoy cultural activities by supporting the business instead of the operation of private museums. Besides the lottery fund, finances were raised for private museums through the Korea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 and the local government support funds.

Besides the financial support mentioned above, the government’s support for private art museums also included indirect support provided through various institutional mechanisms like tax benefits as follows: exemption on inheritance tax or donation tax for properties given to registered art museums; exemption on acquisition tax, registration tax, property tax, integrated land tax, city planning tax and public facilities and fire equipment tax for registered art museums; discounts on educational electricity bills; exemption on farmland preservation charge, forest land preservation charge and substitute afforestation cost; deduction for donation; duty exemption on items recommended by the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at were imported by registered art museums for the purpose of exhibition; exemption on transfer income tax or special value-added tax in the case of registered art museums that operated for more than 3 years are transferring for the purpose of operation; and deduction of the whole amount in the case of a corporation operated by registered art museums uses the revenue raised from a profit-making business in a business related to the art museum. Recently, in order to acquire collections that need a lot of budgets more easily, there is a system in place where an individual or a company

309 can purchase the collection and donate it. In this case, tax benefits are provided for the amount donated. The support for private museums have made a huge development compared to the period when there was almost no support provided with a strong interference and regulation in place during the beginning of law enforcement.

The public support for private museums has continued to increase slowly every year, so that private museums that effectively fulfil their public functions with an excellent business mindset have a higher chance of receiving the public funding. As for support provided through the National Treasury or public funds, partial support was only provided for business expenses like the private art museum’s exhibition and education in the past, but recently support is provided for personnel expenses to hire professionals like curators and educators.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ng jobs for the young people, the support is provided to pay for the personnel expenses of interns.

In the case of the Gyeonggido private museum where I belong to, we receive public support through diverse channels. The source of funding can be broadly dived into the National Treasury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public funds from public foundations like the Arts Council Korea,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d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Also, support funds were provided from cities and provinces. In the case of National Treasury, it supports the museum’s curators and educators, the establishment of database for public museums and lectures on humanities as special projects, while also supporting the personnel expenses of 45 art museums and the personnel expenses for 110 educators and 61 interns through the Korea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 The amount of personnel expenses is around 1.2 million to 1.3 million per month. Also, it supports the festivals held at 65 art museums, as well as provide support for the museum’s education programs, on-line art appreciation programs and affiliated programs for the Day of Culture. In the case of support funds from the Gyeonggido Province Government, the matching fund is provided for cities and provinces at a ratio of 30 percent for cities and 70 percent for provinces.

310 They are expenses for exhibitions, educational programs and experiences that pay for 1.6 billion won to 75 museums, including 100 million won for restoring collections and conducting safety inspections and 1 billion won for personnel expenses to hire 65 professionals. Also, the personnel expenses for hiring a total of 155 curators are supported through the National Treasury and the Korea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 Likewise, in the case of Gyeonggido’s museums, they receive support from the public funds totaling to 13.8 billion won. (Table 3)

(Table 3) Status of Support Funds Received by Museums and Art Galleries in Gyeonggido

Support size Classification Number of Scale (1 Note support million won) cases Exhibition, education 75 cases 1,600 and experience Customized (private: Gyeonggi restoring collections 30% for cities, 70% for Province 75 cases 100 and conducting safety provinces Government inspections) Professionals (public 22 cases 1,000 and private museums) Support Museum 110 cases 2,000 National Treasury ing The Korean Korea Culture and Arts curator Art gallery 45 cases 700 Museum Promotion Fund s Association 35*2 Establishing public DB 1,000 persons Korean Private Humanities educators 120 cases 2,400 National Treasury Museums Educators 110 cases 2,000 Association Supporting educators 48 cases 660 Korea Culture and Arts Supporting interns 61 cases 600 Promotion Fund Saturday Dream Korea Arts & Culture 25 cases 800 Culture School Education Service The Korean Art On-line art appreciation Museum 4 cases 50 programs Korea Arts Association Affiliated programs for Management Service 40 cases 800 the Day of Culture Korea Culture and Arts Art museum festivals 65 sites Promotion Fund Total 13,800

311 A lot of funds have been invested in national and public museums and private museums, but it’s not sufficient enough to cover the budget required for actual operation. In fact, most of the support provided for private museums only covers part of the business expenses instead of the operating expenses. Compared to the period when there were negative views about investing public funds in private museums because of personal gains, it is a huge development and achievement, but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public functions of private museums, there is a still a long way to go. The critical factor in operating museums is acquiring high-quality collections and hiring outstanding people with expertise in relevant fields. This is currently an area of weakness for all museums including national and public museums. The value of the collections determines the museum’s status. In the case of Louvre, it owns the symbolic collection called Mona Lisa, while MoMA owns world-famous modern art collections that represent the history of modern art. Korea has made many efforts to transform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of Korea into a world-famous art museum, but the budget for purchasing collections is only around 6 billion won per year (based on 2015), which lacks behind greatly compared to world-famous art museums. It is still promising that the purchasing budget remains at around 20 percent of the total budget. Also,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of Korea does not own lots of famous collections that are known internationally because most of the major collections are by Korean artists. The situation is more serious for private museums that there are lots of places that only operate with the minimum number of collections required for registering as a museum. It is impossible to purchase valuable collections every year under such poor circumstances for operation. The situation is not much different for public museums run by local governments. If it is difficult to allocate the budget, the first thing that gets cut back is the budget required for purchasing collections. Also, the personnel expenses for the key personnel like curators or educators are allocated at a very low amount, making it difficult to hire highly qualified people and not providing any merits as a profession because of the poor working conditions. Recently, private museums were able to get some help with their personnel expenses from the National Treasury or public funds, but they still remain at around 1.2 million won to 1.3 million won per month, which is much

312 lower than 2 million won per month that highly educated people get as a minimum per month even if private museums pay for the remaining amount on their own.

However, the issue of providing support to museums should be fundamentally resolved by coming up with a well-balanced museum policy. The museum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in detail on top of the museum framework. This is because the philosophy of the policy needs to be circulated to individual museums and their employees at the bottom. In our case, the parent law of the museum policy is the Museum and Art Gallery Support Act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The part about the museum is administered by the Museum Policy Division a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but the art gallery policy is controlled by the Visual Arts and Design Division. The overall supervision is implemented by the Museum Policy Division as a matter of form, but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art museum policy is in a blind spot unlike museums. This is because the Visual Arts and Design Division that oversees the works related to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of Korea is easily accessible to the general support projects on art museum policy.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how ten years have already gone by without being able to resolve the issue of incorporating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of Korea and the director’s position has remained vacant for more than 8 months because of failing to elect the head.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it would be better to tackle the two areas by placing the Museum Team and the Art Museum Team under the Museum Policy Division. In the case of the Museum Policy Division, employees work there in the form of job rotation by appointing curatorial professionals from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o that they can discover policy tasks or develop support programs needed in the field. However, in the case of the Visual Arts and Design Division, there is no curatorial professional so that it is that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the art museum policy, as well as develop support programs for art museums that are needed in the field. Also, since there is a limit to acquiring expertise in museum in the case of a bureaucratic organization under the govern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museum policy more systematically by holding a museum policy committee at the national level to include people with expertise in relevant fields to participate in the

313 policy, while also essential to handle sensitive policy details like purchasing collections or recommending the director candidates.

The key to the museum policy include acquiring high-quality collections based on the perception of public value and social and cultural importance of museums, studying such collections and exhibiting them, and hiring professionals who can educate them. For this, it is necessary to have continuous and reasonable support from public funds, while also developing appropriate programs and hiring professionals who can promote them. If there is not enough support from public fund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ax system to encourage sponsorship and donation from companies or benefactors. Also, it is essential to get regular training and receive consulting on operation to learn about management knowledge and global trends. Most museums have a tendency to postpone or give up on owning important works because of lack of budget for purchasing collections. Also, in the case of professionals like curators, it is very difficult to provide a working condition where they can work continuously at one museum, which is important for career development and accumulating expertise. Besides the poor pay system, it is essential to offer a working condition where employees can work in a position that ensures job security, but most of the positions are contract basis for about two years excluding the permanent positions at national and public museums.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impossible to develop meaningful exhibitions or programs and accumulate expertis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acquire the budget for purchasing collection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and allow the channels of companies and conglomerates purchasing an art work and donating it as stipulated in the Museum and Art Gallery Support Act. During the prosperous period of Japan’s bubble economy, many entrepreneurs or wealthy people purchasing art works and donated them to Japanese art museums.

Another issue is the acquisition of professionals.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manage their qualifications by giving certificates to only those that are qualified to supply the demand properly, while also ensuring social security on the certificates. Actually, the acquisition of the certificate does not guarantee getting a job. Also, in

314 the case of certificate hold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help manage the career development and pay wages according to the grades of the qualification. Legally, the sufficient condition for registering a museum is hiring one professional as staff member, bu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professionals by making it mandatory to hire personnel required to fulfill essential functions of the museum, including curators and educator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secure a working condition that ensures job security, while also improving their working conditions so that remote rural area allowances are given to museums located in isolated areas that show good results but are unable to hire curatorial professionals.

As mentioned above, the recent trend of operating museums have quickly changed like running a large company. In the case of large-scale and world-famous art museums like Tate Modern and MoMA, they are mostly following these trends. More active museums are promoting exhibition spaces by exploring overseas branches to have collections without any space left in the storage. In addition, museums are widening the field of expensive cultural products that are more than just souvenirs by developing souvenirs that use collections from MoMA and operating a subsidiary that focus on publishing books. This is the case in Louvre or Guggenheim that set up branches in Dubai. In the case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of Korea, it benchmarks these museums. In order to benchmark them, responsibility management and incorporation of art museums are being conducted. Through these efforts,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creativity and autonomy of the private sector by avoiding the administration or the rigidity of national agencies, as well as maximize the profit structure. Also, it is possible to receive donations from companies and have a subsidiary for selling souvenirs or running restaurants.

In the case of large-scale museums at the international level, they have transformed into a huge cultural industry that changes regional culture to go beyond just promoting museums.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reas through a nation-wide cultural policy that encompasses the museum policy, and the representative paths taken by the western countries include the urban restoration

315 through museums and the construction of creative cities. This surpasses the primary functions of museums which preserve and exhibit the heritages of humanity, to expand and develop into a service industry for the visitors and the people. In this case, we can say that the public interest of the museum is maximized by strengthening its function as a place for lifelong education where the public can enjoy cultural activities.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inevitable to change the policy for national and public museum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about the support policy for private museums. Even though private museums might have been established based on personal interest and taste, since the function of a museum is based upon the premise of public interest and permanency, it is a space that fulfills many public functions that cannot be provided by the government. In addition, it promotes the regional economy when it is operated properly and ensures the value as a social asset that protects the region’s cultural pride and acquires its identity.

As local governments became well established, the development of local festivals and tourist industries are getting more important. However, there are concerns raised over budgets being wasted on similar festivals that eat and drink without any regional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strategy to integrate with the tourist industries by specializing the private museums located locally. There are not many private museums with specialized in regional characteristics, but it can be a blue ocean. This is because we can have private museums specializing in regional culture and history by adding story telling to it. It is necessary to discover the museum support policy that take all these factors into consideration because we can look forward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at the same time when there are more private museums with contents that specialize in regional characteristics.

316 3. Conclusion

We have looked at the status of support policy for museums and its future tasks. Under the changing environment, museums can no longer maintain the modern system of accumulating properties. This is because we have to compete with the market logic under the environment of neoliberalism, while also striving to become a producer of a new culture. However, since a museum has the characters of not seeking profits and pursuing permanency, there are tasks that need to be resolved to maintain them while also making changes. We are living in a period where it is difficult to ensure sustainability just by conducting studies and researches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archeology and holding exhibitions.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operate museums with a business mindset like managing a company without seeking profits, which makes the support policy on National Treasury and public funds provided for museums more complicated. According to social classe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making it a huge issue in the cultural policy that lean towards the highly educated and high-income groups. We cannot achieve actual results by providing partial support to the museum’s operational expenses or business expenses and then calculating and checking the amount later on like in the past. We need to take a new approach at the policy level by conducting investigations to find out the exact needs and discover market trends, including various issues like the appropriate amount for support, the support method and those being subject to the support. Also, other issues that include: whether or not to have an order of priority for the budget allocated for purchasing collections; whether or not to have the exhibition planning budget; whether or not to have an order of priority for payment to curators; how to tackle the problem of incorporating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of Korea in the public spheres; how to improve and manage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curators; and whether to appoint a Korean or a foreigner for the director’s posi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of Korea.

A policy is the process of deciding on the order of priority for executing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that are owned by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317 The support policy for museums is also similar to this in principle.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museums are regarded as the value of cultural industry and creative economy, it is clear as to where to place the order of priority for providing support. The priority has to be placed on producing high-quality exhibition contents, expanding convenience facilities for visitors and purchasing collections. However, even though it is important to purchase collections that require lots of resources, it is not easy for national and public museums to receive massive resour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a system where companies purchase art works and heritages and donate them to museums, while also purchasing valuable collections by raising money publicly, to enhance the people’s participation in museum policy and improve their interest and pride on museums. Under the situation where the value of a museum as a cultural capital has been verified, the support provided to museums by the government and society will continue to increase. This is the same for private museums that are experiencing management difficulties because an appropriate level of public resources is required to ensure the financial independence. For the time being,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ize through public support. However, there is a limit to getting the financial support to pay for the huge budget, which is why we have to strengthen the functions and roles of museums by providing indirect support like tax benefit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museum policy, the method of providing support has also changed and there is a huge difference in between how large-scale museums and smaller private museums are operated. They follow mostly the trend of market logic by strengthening the business mindset with a new corporate model, with the policy approach of understanding the industrial aspects standing out. There poses a policy dilemma, but no matter how big the changes are made,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rengthen the public resources based on market failure and positive external effect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art museums are permanent organizations that accumulate and study the culture of humanity without seeking any profit.

318 뮤지엄에 대한 공적 지원제도의 딜레마와 해결과제

김찬동

1. 들어가며

뮤지엄에 대한 공적지원은 크게 직접적인 재정적 지원과 세제혜택과 같은 제도 적 기반을 제공하는 간접지원으로 대별된다. 국.공립뮤지엄의 경우는 당연히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하거나 운영주체가 되어 국고나 지방비를 지원하지만, 사립뮤지 엄에 대한 지원의 근거를 놓고 상당한 이견이 상존하고 있다. 사립뮤지엄은 개인의 소유이기 때문에 사적재산에 공적자금이 투자되어 사적이익에 기여할 수 있음에 대 한 우려이다. 그러나 뮤지엄이 수행하는 공적기능을 감안할 때 적절한 공공재원의 지원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하지만 공공뮤지엄이라 하더라도 신자유주의적 논리에 따라 전액을 공공기금으로 충당하는 사례가 점차 줄어들고 있고, 재정자립도를 높여 야하는 정황에 놓여있음을 볼 때, 사립뮤지엄에 대한 공적지원의 논리적 타당성은 점점 더 위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한국에 있어서의 뮤지엄에 대한 지원의 현실은 위의 논점들을 기반으로 진 행되고 있다. 국공립미술관 운영에 가장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관리비의 문 제를 줄이기 위해 구조조정을 꾀하거나 관리직 인력의 아웃소싱을 기하는 등 과거 정부나 지자체가 전체 예산을 지원하던 구조로부터 탈피하고 있으며, 정부나 지방자 치단체 산하의 별도 재단의 성격으로 전환하여 일정부분의 재원을 자체 수익을 통해 충당케 하고 있다. 그러나 뮤지엄 운영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예산은 소장품 구입예산일 것이다. 국공립뮤지엄의 경우, 재정적인 압박으로 소장품 구입예 산은 우선적으로 삭감되며, 인건비 역시 삭감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업비의 경우도 축소되어 외부와의 협업이나 협찬,기부 등을 통해 사업비의 일부를 충당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국.공립뮤지엄의 경우, 수익구조를 창출하기 위해 점점 더 대 중적 기호에 부응하는 전시를 유치함으로써 뮤지엄 본연의 전문성과 기획기능이 약 화되는 경향이 늘고 있다. 사립뮤지엄의 경우, 그것이 가진 공공적 기능에 착안하여 공적기금이 예산의 일부 를 지원한다. 지원의 내용을 대별하면, 운영비, 전시나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사업비,

319 그리고 큐레이터나 에듀케이터와 같은 전문인력의 인건비 지원 등으로 대별할 수 있 다. 이러한 지원은 정부의 지원보다는 문예진흥기금과 같은 공공기금에 의존하는 경 향이 높다. 그러나 이러한 공적지원 역시 일부지원으로 수원단체의 일정금액의 자부 담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지원제도는 운영여건이 열악한 사립뮤지엄 의 활동을 크게 확대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지원을 받지 못하거나 지원이 필요없 는 뮤지엄들의 경우는 자유롭게 운영이 가능한 반면, 지원을 받는 사립뮤지엄들의 경우는 엄격한 평가지표에 따라 평가를 받는 방식을 취함으로 다소간 사업에 획일적 인 유형화의 우려가 있기는 하다. 또한 최근 뮤지엄이 지역주민들을 위한 평생교육 기관으로서의 위상과 기능이 부각되기 시작함으로써 다양한 지역거점 사업예산들이 투입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운영능력이 탁월한 사립뮤지엄들의 경우는 지원금만으로 도 운영의 어려움을 크게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의 경우, 2003년부터 사립뮤지엄에 대한 지원이 점진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 하였고 2008년부터 국공립뮤지엄의 책임기관화, 법인화의 논의가 시작되었다. 그러 나 아직도 만족할 만한 정책적 논의의 완결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뮤지엄 제도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종합적인 뮤지엄 지원정책이 선결되어야 한다. 지원정책 은 국가 자원의 배분에 있어 우선순위를 어디에 둘 것인가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공립의 과도한 민영화나 사립에 대한 공적지원을 위한 적절한 수위를 판단 하기 위한 면밀한 정책적 연구가 절실한 시점이다.

2. 뮤지엄에 대한 공적지원

뮤지엄은 사회와 사회적 발전을 수행하는 비영리적이며 항구적인 기관으로서, 대 중에게 열려있고, 인류의 유.무형 유산을 수집,보존,연구,전파 그리고 전시하는 곳이 며 교육과 학습 그리고 향유를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곳이다.1) 뮤지엄에 대한 공적 지원의 근거는 국제박물관위원회(ICOM)가 정한 뮤지엄의 비영리성과 인류유산을 보 존,연구,전파하는 공공성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뮤지엄은 인류의 유산을 책임지 는 정신의 보고로서 근대 뮤지엄의 탄생초기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국.공립뮤지엄 의 경우 국가가 모든 운영을 책임지며, 그 운영비 역시 세금으로 충당함을 당연한 것으로 여겨왔다. 사립뮤지엄의 경우 역시, 귀족들이나 부호들이 뮤지엄 운영을 자신 의 사회적 책무로 여겨 비영리성과 공공성을 기반으로 운영해왔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적 상황하에서 공공영역에 대한 지원정책의 일대 전환을 맞게되었

1) 2007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된 21차 총회 기간중 채택된 ICOM 정관 규정

320 다. 구체적으로 문화예술분야에 대한 공적지원은 1930년대 뉴딜정책의 일환으로 초 기단계의 지원정책이 수립되었지만 60년대 시장실패이론으로부터 구체화되기 시작하 였다. 이후로는 긍정적 외부효과 이론 등으로 문화예술에 대한 공적지원의 명분과 논리가 강화되기 시작하였다. 직접적인 재정지원뿐만 아니라 인프라를 구축하거나 법과 제도를 통한 활성화와 규제를 통해 적절한 균형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80년대 이후 예술경제학과 시장주도형으로 현장이 빠르게 전환되면서 정책의 기조도 불가피 한 변화를 맞을 수밖에 없게 되었다. 뮤지엄 운영역시 경영적 기법이 도입되며 모든 예산을 국가가 부담하던 전례에 큰 변화가 초래되었다. 과도한 운영비의 일부를 뮤 지엄 자체가 충당하는 구조로 전환된 것이다. 이로 인해 뮤지엄 운영은 3차 산업과 같이 양질의 서비스업처럼 변해가고 있으며, 국제적 성공을 거두고 있는 뮤지엄들은 모두 탁월한 경영능력을 발휘하여 경영적 성공을 거둔 곳들이다. 구겐하임미술관이 나 테이트모던, 프랑스의 루브르, 뉴욕의 MoMA등은 앞다투어 이러한 경영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빌바오의 구겐하임의 경우, ‘빌바오 효과(Bilbao Effect)’라는 용어까 지 만들어내며 가장 적극적인 경영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신자유주의적 상황에서 뮤지엄에 대한 지원의 변동은 1979년 IMF체제에 있던 영 국의 대처로부터 비롯되었다. 1753년 설립 1759년 문을 연 브리티쉬 뮤지엄(British Museum)에서 예술에 대한 국가의 지원이 시작되고 220년 이상의 시간이 지난 후 출범한 대처정부에서는 정부가 예산 분배상 고려하는 급박한 사안들에 따라 예술지 원을 조절하는 정도는 훨씬 심각해졌다. 대처정부는 공공과 민간부문 모두에서 자본 공급을 줄임으로써 인플레이션을 감소시키겠다는 이유로 통화주의 정책을 도입했다. 근본적으로는 정부예산의 지출을 줄여 공공서비스에 대한 국고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이며, 이와 함께 도입된 신자유주의 경제원칙과 함께 궁국적으로는 공공서비스 를 민간에 이양하기 위한 것이었다. 일차적으로 공기업과 공공 서비스를 그것들의 ‘자본의 가치와 투자의 효율성’을 증대한다는 이유로 민간부문에 매각하기 시작했다. 1979년 대처정부의 민영화를 시작한 이후 다른 서방국가도 같은 이유로 영국정부의 방식을 따랐다. 1979년에서 1980년에는 예술분야의 예산이 삭감됨에 따라 ACE(Art Council of England)는 그간 지원해오던 41개의 지원단체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였다. 대처정부는 국립예술기관들이 공공보조금의 삭감분을 보충하기 위해 민간기금 확보 에 따른 인센티브제 도입, 세제개편, 기업예술스폰서십연합(Association for Business Sponsorship of the Art / ABSA)과 같은 기업후원단체에 대한 보조금 지급 등, 새로 운 제도의 도입과 기존 제도의 개조를 통해 민간기급 확보와 기업의 기부 등을 유

321 도했다. 이에 따라 국공립뮤지엄의 운영방식이 변모하였다. 관장들이 학자로서보다는 경영자로서 변신했다. 자체수입을 늘리기 위한 다양한 수익사업을 강구, 재정자립도 를 늘리기 위해 민간기업과 같은 미술후원자들과 공동으로 기획하는 전시와 같은 새 로운 후원방식을 만들어 냈다. 영국뿐만 아니라 로널드 레이건 시대의 미국 역시 국 립미술관들에 대한 예산 경감에 따른 유사한 현상들이 일어났다.

국내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다. 아직 구체적인 성공사례를 가지고 있진 못하 지만, 운영에 있어 경영마인드 도입을 주문받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의 법인화 문제 를 필두로 지자체가 운영하는 뮤지엄의 경우도 점차 경영적 입장의 평가를 기초로 국가의 지원예산의 차등제가 적용되고 있다. 공공미술관의 경우도 이렇듯 경영적 기 술을 요구하며, 지원예산을 최소화하며 효율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상 대적으로 운영이 어려운 사립미술관에 대한 공공지원 역시 상당한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에 있어 뮤지엄에 대한 공적자금의 지원은 '박물관 및 미술관진흥법'에 의거 하고 있다. 크게 직접적인 재정적 지원과 세제혜택과 같은 제도적 기반을 제공하는 간접지원으로 대별된다. 국.공립뮤지엄의 경우는 당연히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소유 하거나 운영주체가 되어 국고나 지방비를 지원하지만, 사립뮤지엄에 대한 지원의 근 거를 놓고 상당한 이견이 상존하고 있다. 사립뮤지엄은 개인의 소유이기 때문에 사 적재산에 공적자금이 투자되어 사적이익을 가중시킬 수 있음에 대한 우려이다. 그러 나 사립뮤지엄들이 수행하는 공적기능을 감안할 때 적절한 공적자원의 지원이 불가 피한 실정이다. 또한 공공뮤지엄이라 하더라도 신자유주의적 논리에 따라 전액을 공 공기금으로 충당하는 사례가 점차 줄어들고 있고, 재정자립도를 높여야하는 정황에 놓여있음을 볼 때, 사립뮤지엄에 대한 공적지원의 논리적 타당성은 점점 더 위축되 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박물관미술관의 건립촉진과 운영활성화를 위해 1992년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을 제정하였다. 그로부터 20여년이 지나는 동안 뮤지엄의 수는 총 944개(표 1. 2014 기준)관에 이르고 있다 2) 2004년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정부는 OECD국가들을 기준으로 박물관과 미술관 건립의 최소목표치를 설정하여 건 립을 추진하였다.

2) 문화체육관광부「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2014.

322 2004년 정부의 뮤지엄 개발 계획을 위한 사전 연구에 따르면 OECD 주요국가 와 1 관 당 인구수를 비교하면, 한국 8.6만 명, 미국 6만 명, 프랑스 4.6만 명, 일본 3.7만 명, 독일 2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표2 ) 이를 근거로 박물관 건 립 최소 목표치를 설정한 바 있다. 박물관·미술관은 OECD 가입 국가들의 평균인 인구 4만 명당 1개소보다는 미달하지만, 인구 5만 명당 1개소를 기준으로 대형인 10 여개의 국립박물관과 16개 시·도립 미술관 건립을 목표로 설정하되, 지역 특성에 따 른 다음의 조정 기준 적용하였다.3) · 특별·광역시 모형: 인구 5만 명당 1개관+국립 박물관1개관+공립 미술관1개관 · 대도시 모형(인구 50만 이상): 인구 5만 명 당 1개관 · 도청소재지 모형: 인구 5만명 당 1개관+국립 박물관 1개관+공립 미술관1개관 · 기초시 모형: 인구 5만명당 1개관 · 기초군 모형: 기초자치단체당 1개관 · 낙후지역 모형: 기초자치단체당 1개소(복합문화공간)

표1. 등록 박물관/미술관 현황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박물관 계 511 579 630 655 694 740 754 - 1관당 인 93,933 83,949 77,376 77,123 72,046 67,573 66,605 구(명) 국립 27 27 29 30 30 32 37 공립 225 255 282 289 312 326 328 사립 180 215 234 251 262 287 299 대학 79 82 85 85 90 95 90 미술관 계 115 128 131 141 146 171 190 - 1관당 인 417,391 379,740 372,115 358,267 326,797 292,421 264,316 구(명) 국립 1 1 1 1 1 1 1 공립 24 27 25 27 28 39 47 사립 87 97 100 108 110 124 131 대학 3 3 5 5 7 7 11

3)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전국 문화기반시설 최소기준수립연구, 2004

323 표2 .OECD 주요국가 비교(1관 당 인구수) 국 가 연도 인구수(A) 박물관수(B) 1관당 인구수(A/B) 미국 2004 280 백만명 4,609 6 만명 프랑스 2004 60 백만명 1,300 4.6 만명 캐나다 2004 31 백만명 1,352 2.2 만명 일본 2004 130 백만명 3,492 3.7 만명 독일 2004 82 백만명 4,034 2 만명 한국 2007 48.6백만명 562 8.6만명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전국 문화기반시설 최소기준수립연구」, 2004)

이러한 기준에 입각하여 정부는 각 시도에 건립되는 공립뮤지엄의 건립비의 일부를 지속적으로 지원해 오고 있다. 2015년도의 경우, 공립미술관의 경우 8개 뮤지엄에 98.7억, 공립박물관의 경우 10개관에 90.6억을 지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립뮤지 엄에 대한 운영 및 사업비로 국립중앙박물관에 680억, 국립현대미술관에 388억의 예 산을 배정 집행하고 있다. 사립미술관에 대한 공적자원의 지원은 법제정 초기부터 뮤지엄에 대한 지원이 시작된 것은 아니며 1996년에 이르러서 공립미술관의 설립을 위한 지자체와의 매칭 지원 방식의 지원제도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사립미술관의 운영에 관한 재정지원 은 고려되지 않았었다. 그러다가 사립미술관들이 ‘자립형미술관네트워크(2003)’를 출 범시키고 ‘한국사립미술관협회(2005)’ 가 출범됨에 따라 사립뮤지엄에 대한 지원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자립형미술관’이란 호칭으로 네트워크를 결성하였을 때만 해도 자신이 좋아서 재신의 재산을 들여 운영하는 사립미술관들에 공적지원이 필요 한 것인가에 상당한 의문이 있었다. 하지만 자립형미술관네트워크는 사립미술관이 수행하는 공공적 기능을 강조하며, 국민의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공적 기능을 강조 함으로써 정부의 사립미술관지원에 대한 필요성과 대응논리의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 였다. 이후 자립형미술관네트워크를 발전시켜 사립미술관협회를 결성하고 그 해 처 음으로 복권기금을 통한 36억 원의 재원을 지원받기 시작하였다. 이 지원의 경우 사립미술관의 운영지원이 아닌 사업지원으로 소외계층들의 문화향유를 돕기 위한 맥락에서 지원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복권기금이외에 문예진흥기금, 지자체지원금 등 이 투입되기 시작하였다. 정부의 사립미술관에 대한 지원은 위에서 살펴본 재정지원 이외에 여러 가지 제 도적 장치를 통한 세제혜택 등의 간접지원이 병행되고 있다. 등록박물관에 출연하는 재산에 대한 상속세나 증여세의 면제, 등록미술관 시설에 대한 취득세,등록세,재산세, 종합토지세,도시계획세,소방공공시설세 면제, 교육용전력요금 할인,농지전용부담금,산 지전용부담금,대체조림비 면제, 기부금의 손비처리, 등록미술관이 전시를 목적으로

324 수입하는 물품으로 문화관광부장관의 추천을 받은 물품에 대한 관세감면, 3년이상 운영한 등록미술관이 미술관 운영을 목적으로 이전할 경우 양도소득세 또는 특별부 가세 면제, 등록미술관이 운영하는 법인이 당해 수익사업에서 발생한 소등을 미술관 과 관련된 사업에 사용할 경우 전액 손비처리 등등이 그것이다. 최근에는 많은 예산 이 필요한 소장품 확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민간이나 기업이 소장품을 구입하여 기증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이 경우 기부금에 대한 세제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사립뮤지엄에 대한 지원은 법제정 초기 간섭과 규제가 강하면서도 지원은 전무하던 시대에 비해 상당한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사립뮤지엄에 대한 공적지원은 매년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경영마인드를 가 지고 공공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사립뮤지엄들의 경우 공공기금의 수혜 가능성 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형편이기도 하다. 국고나 공공기금을 통한 지원에 있어 과거 에는 사립미술관의 전시나 교육 등 사업비의 일부를 지원해 왔지만, 최근에는 큐레 이터, 에듀케이터와 같은 전문인력의 인건비도 지원되고 있고, 청년층의 고용창출의 측면에서 인턴들의 인건비도 지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필자가 속해있는 경기도 사립뮤지엄의 경우, 다양한 채널의 공적 지원이 이루어지 고 있다. 펀딩 소스별로 대별하면 우선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원되는 국고와 한국 문화예술위원회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경영지원센터와 같은 공공재단의 공 적기금이 있다. 그리고 도와 시로부터 지급되는 도비와 시비가 있다. 국고의 경우 박물관 큐레이터지원, 공공박물관 DB구축, 에듀케이터 지원과 특별사업인 인문학강 좌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문예진흥기금의 경우 미술관 45 개처의 인건비와 에듀케 이터 110 명, 인턴 61 명에 대한 인건비를 지원하고 있다. 인건비의 수준은 대개 월 120~130만원 수준이다. 또한 65개소의 미술관 축제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뮤지엄 의 교육사업, 온라인 미술감상프로그램, ‘문화가 있는 날 ’연계 프로그램을 지원받고 있다. 경기도청의 지원금의 경우, 도비와 시비의 매칭방식의 지원을 하고 있는데 도 비30%, 시비70%의 비율로 전시,교육,체험을 위한 비용으로 75개관에 16억원, 소장 품 복원 및 안전점검에 1억, 전문인력 65명에 대한 인건비 10억등으로 구성되어 있 고 국고와 문예진흥기금을 통해 총 155명의 큐레이터의 인건비를 지원한다. 이상 과 같이 경기도의 뮤지엄의 경우 총 138억의 공적재원을 지원받고 있다.(표3)

325 (표3) 경기도박물관/미술관 지원금 수원현황 지원규모 구분 비고 지원건수 규모(백만원)

전시,교육.체험 75 건 1,600

경기도청 도비30%,시비70% 맞충형(사립:소장품복원 75 건 100 및 안전점검)

전문인력(공립,사립) 22 건 1,000

큐 레이 박물관 110 건 2,000 국고 한국박물관협회 터지원 미술관 45 건 700 문예진흥기금 공공 DB 구축 35*2명 1,000 길 위의 인문학 120건 2,400 국고 사립박물관협회 에듀케이터 110건 2,000 에듀케이터지원 48건 660 문예진흥기금 인턴지원 61건 600 꿈다락토요문화학교 25건 800 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온라인 미술감상프로그 사립미술관협회 4건 50 램 예술경지원센터 문화가 있는 날 연계프 40건 800 로그램 미술관축제 65개소 문예진흥기금 계 13,800

많은 재원이 국공립 및 사립미술관을 위해 투입되지만, 실질적 운영을 위한 충분 한 예산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사립미술관에 대한 지원역시 운 영비에 대한 지원보다는 사업비의 일부를 지원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사립뮤지엄 을 사적영역으로 간주하여 공적자금의 투입에 부정적 입장을 표방하던 시기와 비교 하면 큰 발전과 진보를 이룬 것은 사실이지만, 사립뮤지엄의 공적 기능을 감안할 때, 아직도 지원은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뮤지엄 운영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양질의 소장품확보와 이를 연구하는 학예인력의 전문성 확보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현재 국공립을 비롯하여 모든 뮤지엄의 가장 취약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소 장품의 가치는 뮤지엄의 위상을 결정한다. 루브르의 경우, 모나리자라는 상징적 소장 품을 소장하고 있고 MoMA의 경우, 현대미술사상 기념비적인 작품들로 엄청난 현대

326 미술품을 소장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국립현대미술관을 세계적인 미술관으로 변모 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그 기본이 되는 소장품의 구입예산은 연간 60억 원 (2015년도 기준) 정도에 불과하여 세계적 미술관으로서는 미미한 수준이다. 그나마 전체 예산의 20%선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긴 하다. 또한 우리의 국립헌대 미술관은 국내 작가들의 작품을 주종으로 하고 있어 국제무대에 내놓고 자랑할 만 한 소장품도 별로 없는 상황이다. 사립의 경우는 더욱 더 열악하다. 뮤지엄 등록에 필요한 최소한의 소장품으로 운영되는 곳도 허다한 실정이다. 열악한 운영여건 하에 서 매년 의미있는 소장품을 구입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자자체가 운영하는 공립뮤지엄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다. 예산형편이 어려울 경우 소장품 구입비는 최우선적으로 삭감되기 일쑤이다. 또한 뮤지엄의 핵심인력인 큐레이터나 에듀케이터들의 인건비가 너무 낮게 책정되어 있어 우수한 인력의 유입에 제한을 받 고 있으며, 그나마 근무조건이 열악하여 전문직종으로서의 특별한 매력이 없는 상황 이다. 그나마 최근 들어 국가나 공공기금이 이들의 인건비를 지원함으로써 사립뮤지 엄들의 숨통을 틔워주고 있다. 하지만 인건비 지급기준이 월 120-130만 원 정도에 그치고 있어 사립뮤지엄이 일부를 자부담한다 하더라도 고학력자들의 급여가 월 200 만원이 채 되지 않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원 문제의 근원적인 해결은 온전한 뮤지엄 정책을 통해 풀어야 한다. 뮤지엄 정책은 기본적으로 박물관학적 기틀 위에서 정교하게 수립되어야 한다. 이는 말단의 개별뮤지엄과 그 종사자들에게 정책의 철학이 실핏줄처럼 스며들고 순 환되어야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경우, 뮤지엄정책의 모법은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 법’과 그 시행령이다. 박물관에 관한 부분은 문화체육관광부의 박물관정책과에서 관 장하나 미술관정책은 시각예술디자인과에서 관장하는 이원화된 방식을 취하고 있다. 형식상 업무의 총괄은 박물관정책과에서 수행하지만, 미술관정책의 경우 박물관과 달리 약간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립현대미술관의 업무를 총 괄하는 시각예술디자인과에서 미술관정책을 일반적인 지원사업 수준으로 접근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의 법인화의 과제를 풀지 못하고 벌써 10년이 다 되 어가고 있으며, 국립현대미술관의 수장을 선발하는 일도 8개월 이상 지체되어 관장 이 공석으로 유지되고 있는 점 등은 그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해 결하기 위해서는 박물관정책과에 박물관팀과 미술관팀을 두어 두 영역을 해결하는 방안이 더 나을 수 있다. 박물관정책과에는 중앙박물관의 학예인력이 순환보직 형태 로 근무함으로써 현장에서 필요한 정책과제를 발굴하거나 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하고

327 있다. 하지만 시각예술디자인과의 경우 학예연구직이 없는 상황이어서 미술관정책은 물론 현장이 필요로 하는 미술관의 지원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정부의 관료조직이 뮤지엄에 관한 전문성을 가지기엔 한계가 있으므로 국가차 원의 뮤지엄정책위원회를 두어 전문성을 갖춘 인사들이 정책에 참여함으로써 좀더 체계화된 뮤지엄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며, 소장품의 구입이나 관장후보자의 추천 등 과 같은 민감한 정책사안들을 다루도록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뮤지엄 정책의 핵심은 뮤지엄의 공공적 가치와 사회문화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수준높은 소장작품의 확보, 그리고 이를 연구하고 전시를 기획하고, 교육하 는 전문인력의 확충으로 대별할 수 있다.이를 위해서는 공공기금의 지속적이며 적절 한 지원이 필요하며 적당한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이에 부응하는 전문인력을 확보하 는 일이다. 공공기금의 지원만으로 충당할 수 없는 경우, 기업이나 독지가의 후원이 나 기부를 적극화 할 수 있는 세제개선 등이 필요하다. 또한 운영과 관련한 경영적 지식이나 세계적 동향 등에 관한 정례적 교육과 운영 컨설팅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뮤지엄들이 소장품 구입예산이 부족하여 중요한 작품들의 소장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큐레이터 등 전문인력의 경우, 전문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경력 관리가 중요한데 한 뮤지엄에서 꾸준히 활동할 수 있는 여건이 매우 부족하다. 열악 한 보수체계보다도 안정적으로 업무를 지속할 수 있는 근무여건 제공이 필수적인데 국공립의 정규직을 제외하곤 대개 2년 정도의 계약직을 전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 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전문성은 담보되지 않을뿐더러 유의미한 전시와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집적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소장품구입 예산의 확보가 여의치 않은 상황임을 감안할 때 박물관및 미술관 진흥법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업 이나 재벌들이 작품을 구입하여 기증하는 통로를 좀 더 적극적으로 홍보하며 개방할 필요가 있다. 버블경제가 왕성하던 시절 일본의 기업가나 재벌들은 숱한 작품을 구 입하여 일본 미술관에 기증한 사례는 큰 참고가 될 것이다. 또한 전문인력의 확충문제이다. 정확한 인력수급을 판단하여 적정한 인원만이 자격 증을 획득할 수 있도록 자격관리를 철저를 기하며, 자격증에 대한 사회적 보장이 주 어져야한다. 실제 자격증의 소지여부가 직장을 구하는데 결정적 요소가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자격증 소지자의 경우 자격의 등급에 따른 급여의 차등과 경력관리에 도 움이 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일이 필요하다. 그리고 법적으로 뮤지엄 등록에 있 어 전문인력 1인을 고용하는 것으로 등록의 충분조건이 되고 있지만 큐레이터이외 에 에듀케이터 등과 같이 뮤지엄의 필수 기능에 필요한 인력을 의무적으로 고용토록

328 전문인력 확보 인원을 늘리도록 하는 방안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들 이 고용이 안정화될 수있는 근무여건을 확보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성과를 내 고 있지만 오지에 위치하여, 학예인력들을 구할 수 없는 곳에는 벽지수당 등 실질적 인 근무여건을 개선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 뮤지엄 운영의 동향은 거대기업의 그것과 같이 빠르게 변 모하고 있다. 테이트모던이나 모마와 같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형 미술관의 경우, 대부분 이러한 유형을 지향하고 있다. 좀 더 적극적으로는 해외 브랜치를 개척하여 수장고에서 놀리고 있는 작품이 없을 정도로 전시공간의 운영을 활성하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모마와 같이 소장품이나 미술품을 활용한 기념품개발, 도서의 발간등 사 업에 전념할 수 있는 자회사를 운영함으로써 기념품의 경우는 기념품의 수준을 넘어 고급 문화상품의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동 두바이에 브랜치를 개척하는 루브르나 구겐하임 역시 이와 다르지 않다. 우리의 경우 국립현대미술관이 이러한 모델들을 벤치마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미술관을 책임경영기관화, 법인화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가기관의 행정 즉 경직성을 탈피하고 민간의 창의성과 자율 성을 강화하며 수익구조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핵심내용이다. 기업으 로부터 기부를 받을 수 있고, 기념품판매나 레스토랑을 운영하는 자회사를 구성할 수 있다. 국제수준의 대규모 뮤지엄의 경우, 단순히 뮤지엄의 활성화 차원을 넘어서서 지역 의 문화를 바꾸어가는 거대한 문화산업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뮤지 엄 정책 차원을 넘어 국가의 문화정책차원으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인데, 뮤지엄을 통한 도시재생이나 창조도시의 건설 등은 서구의 경우 대표적인 노정이기 도하다. 이것은 뮤지엄이 단순히 인류의 유산을 보존하고 전시하는 1차적 기능을 넘 어서, 관객들과 국민들을 위한 서비스 산업으로까지 확대.발전되고 있는 것이라 할 수있다. 이 경우, 국민들의 문화향유와 평생교육의 장으로서의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뮤지엄의 공공성을 극대화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공립 뮤 지엄의 정책의 전환은 불가피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립뮤지엄의 지원 정책 역시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사립뮤지 엄이 단순히 개인의 취향과 관심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더라도, 뮤지엄의 기능은 이 미 공공성과 항구성을 전제로 하는 것이기 때문이며, 국가가 수행할 수 없는 숱한 공공적 기능을 대행하고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상적으로 운영될

329 경우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시키며,지역의 문화적 자부심과 정체성을 확보하는 사회 적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기 때문이다.

지역자치제가 정착되면서, 많은 지역축제나 관광산업 개발이 중시하고 있다. 그러 나 이렇다할 지역적 특성없이 먹고마시기의 천편일률적인 축제들이 허다하여 예산낭 비의 목소리가 높다. 지역의 사립뮤지엄을 특화시켜 관광산업과 연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지역에 특화된 사립뮤지엄이 그리 많지 않지만, 이 부분은 하나의 블루오 션일 수 있다. 지역문화와 역사를 기반으로한 사립뮤지엄에 스토리텔링을 가미하면 얼마든지 뮤지엄을 특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착안한 뮤지엄지원 정 책 발굴이 필요하다. 지역마다 특화된 콘텐츠를 가진 사립뮤지엄이 활성화될 때 지 역의 문화발전과 문화산업의 발전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나가며

뮤지엄의 지원정책의 현황과 향후 과제를 간단히 살펴보았다. 변화된 환경하에 서 뮤지엄은 더 이상 근대적 사유방식을 집적해가는 권위를 가진 제도일 수 없다. 신자유주의 환경하에서 시장논리와 경쟁하며, 새로운 문화 생산자로서의 위치를 찾 아 가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뮤지엄은 본질적으로 비영리성과 항구성을 속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유지하면서 변화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과거와 같이 인 문과 고고학적 차원의 조사와 연구,전시만으로는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시 기에 살고 있다. 비영리성을 지니면서도 기업과 같은 운영 및 경영마인드를 전제로 확대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뮤지엄에 대한 국고나 공공기금의 지원정책이 단순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사회계급에 따라 문화의 참여도가 달라지는 ,즉 문화정책의 대상이 되는 문화의 소비자가 비교적 고학력, 고소득층에 편중되는 경향이 생겨 문 화정책에 큰 과제가 되었다. 과거처럼 뮤지엄의 운영비나 사업비의 일부를 지원하고 나중에 정산이나 체크하는 방식으로는 아무런 실효를 거둘수 없다. 시장의 동향과 현장의 니즈를 명확히 조사하며 이를 정책적 차원에서 새롭게 접근해야한다. 지원금 액의 적정선에 대한 문제, 지원방식의 문제, 지원대상의 문제 등등.... 소장품구입비 에 우선순위를 둘 것인가. 전시기획비용에 둘 것인가 아니면 전문인력인 큐레이터들 에 대한 보수에 우선순위를 둘 것인가? 또 공적영역에 있어 국립현대미술관의 법인 화 문제는 어찌할 것이며, 큐레이터 자격증제도는 어떻게 개선, 지속할 것인가? 공

330 석중인 국립현대미술관장을 내국인으로 뽑을 것인가? 아니면 외국인으로 할 것인가? 정책이란 국가나 공공기관이 가지고 있는 인적.물적 자원에 대해 집행의 우선순위 를 어디에 둘 것인가를 결정하는 과정이기도하다. 뮤지엄에 대한 지원정책 역시 이 러한 원칙으로부터 벗어나 있지 못한 실정이다. 실제로 뮤지엄이 문화산업과 창조경 제의 가치로 간주되는 상황에서 지원의 우선순위는 어디에 어떻게 설정한 것인지가 다소 분명해진다. 양질의 전시콘텐츠 생산, 소장품구입과 관객편의시설의 확충 등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다. 하지만 많은 재원이 소요되는 소장품 구입이 중요하다하더라 도 국.공립뮤지엄이 막대한 재원을 확보하기가 그리 만만치 않을 것이다. 이를 위해 서 기업이 미술품이나 유물을 구입하여 뮤지엄에 기부하는 제도가 활성화되고 있고, 국민들의 성금을 모아 가치있는 소장품을 구입함으로 국민들의 뮤지엄에 대한 관심 도와 자긍심을 통해 뮤지엄 정책에 참여도를 높이는 방안이 강조되고 있다. 뮤지엄 이 가진 문화자본으로서의 가치가 점증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나 사회의 뮤지엄에 대한 지원 역시 증가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운영난에 허덕이는 사립뮤지엄의 경우 도 자생적 역량을 갖추기까지 공적지원이 적정수준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 다. 당분간 공적지원은 그 규모를 키워야할 것이다. 하지만 엄청난 예산이 필요한 재정적 지원은 한계에 이를 것이며, 세제혜택 등 간접지원 방식을 통해 그 기능과 역할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뮤지엄의 정책환경 변화에 따라 지원의 방법도 함께 변화하고 있고, 대규모 뮤지 엄과 군소 사립뮤지엄의 경우 운영방식의 차이가 점점 더 크게 벌어지고 있다. 새로 운 기업형 모델로 경영마인드를 강화하며 상당부분 시장논리를 따라가는 경향이 있 다. 이를 산업적 측면만으로 이해하고 접근하는 정책적 태도도 두드러져 보인다. 여 긴에 정책적 딜레마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변화되었다하더라도 미술관은 비 영리성을 기반으로 인류의 문화를 축적하고 연구하는 항구적인 기구임을 감안할 때, 시장실패(market failure)와 긍정적 외부효과에 따른 공적지원이 한층 더 강화되어야 한다.

331

Session 2

[Support] Supports and Changes of Museum's Role in Society

[지원] 외부지원과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The Social Function of Museums & Government Policy The case of National Museum of Ethiopia

박물관과 정부 정책의 사회적 기능

Lijalem Getaneh(리잘렘 가타네) Senior Education Officer at the National Museum of Ethiopia (에티오피아 박물관 관장)

Lucy Ardi 3.2 MA 4.4 MA

The Social Function of Museums & Government Policy

The case of National Museum of Ethiopia

Selam 3.3 MA

Lijalem Getaneh

1. Introduction

Ethiopia is an eastern African country that located in the horn of Africa with a total area of 1.2 million square kilometer. According to World Bank 2014 statistics, the total population of the country is around 96.96 million people with diversified cultures and traditions. Abyssinia is the former name of the country to represent the land of Habasha (burned face). Ethiopia currently has six neighboring African countries namely Eritrea in the north, Djibouti in the north east, Somalia in the

335 south east, Kenya in the south, South Sudan in the south west and Sudan in the north west. Ethiopia is one of the ancient countries of the world with three thousand years of history and state formation. It is the home of more than eighty nations, nationalities and peoples. There are also many religions like Judaism and some local traditional beliefs, but the dominant are Christianity and Islam. Ethiopia is an independent country that has never been colonized and preserves her sovereignty, dignity and rich culture. Our country Ethiopia is also a cradle of mankind where thirteen major hominid species out of fifteen in Africa are discovered from. It has very rich resources and collections of animal and hominid fossils discovered from rift areas of the country. In addition my home country has rich collections of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s of archaeological, historical, religious, linguistic and ethnographic objects. Our past ancestors retained and transferred countless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s as well as precious items from generations to generations. Ethiopia in the past had many mobile and permanent capitals. Axum, Lalibela, Gondar and the current capital Addis Ababa are some of the permanent capitals of Ethiopia which served as seat of the state for long. Currently Addis Ababa is the capital and a political center of many national, regional, continental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ike AU (African Union) and UN ECA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Africa).

2. Historical background and concepts of Museums 2.1 Definition of museum Museum is an institution that preserves and interprets the material evidence of the human race, human activity, and the natural world. It has a broad definition which is very difficult to give a single line definition. A museum is an institution that cares for (conserves) a collection of artifacts and other objects of artistic, cultural, historical, or scientific importance and makes them available for public viewing through exhibits that can be permanent or temporary. The word ‘museum’ may mean either the institution or the establishment or the place generally designed to select, study and display the material and intangible evidence

336 of man and his environment. The term museum has many professional definitions forwarded by variou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For example: ICOM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defined museum as “a non- profit permanent institution that serves people and their development in providing study, education and enjoyment by gaining, conserving, researching, communicating and exhibiting different items”. While the UK (United Kingdom) museum association understands museum as “an institution established to collect, document, preserve, exhibit and interpret tangible heritages and related evidences for the advantage of human beings”. The museum association (MA) in 1998 gave the following definition, “museums enable people to explore collections for inspiration, learning and enjoyment. They are institutions that collect, safeguard and make accessible artefacts and specimens which they hold in trust for society”. This definition includes art galleries with collections of works of art, as well as museums with historical collections of objects. Generally museums are places and custodians of human races and leftovers that keep or preserve memories, dreams and hopes of people globally.

2.2 The beginning of museums Museums have a long history, springing from what may be an innate human desire to collect and interpret and having visible origins in large collections built up by individuals and groups prior to the modern era. Early museums were established as a private collections of wealthy individuals, families or institutions of art and rare or precious natural objects and artifacts belonging to wealthy individuals, families or institutions. These were often displayed in so-called wonder rooms or cabinets of curiosities. But this idea developed and changed overtime. Museums have a long history going back to the 3rd century B.C., when the first known museum was opened in the University of Alexandria in Egypt. Over the years, however, the museum culture has spread to nearly every part of the world and today, it has become uncommon to find any country that does not have a museum, no matter how small it may be. This implies that the concept of museum has become a global concept that has survived until the 21st century. Now, let’s see the beginning of and development of museums. Before the emergence of modern museums different societies had different experiences and ways of

337 preserving heritage, precious items and collections. Temples, churches, private houses and galleries served as protection houses of heritage and used to keep valuable items (materials) prior to museums. For a long period of time collections and precious items were owned and preserved by private individuals. But the renaissance period contributed a lot in the awareness of people and brought big change in the field of humanities. During the renaissance age scholars began to appreciate achievements of the past mainly of Greek and Roman civilizations which later on contributed to the transformation of collections from private ownership to the public displays. Historically, 1583 AD was a time when private collections were displayed to the general public for the first time. During this time Florence in Italy was a pioneer in which the paintings of “the Medici family” were displayed in the upper part of Uffizi palace originally designed for office. This activity through time led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museums and consequently began to serve as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other contributing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museums is the French Bourgeois revolution that highly increased th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people in the preservation and display of items to the public. The idea of development of modern museums began in Europe during the 17th century AD. The first term of “Museum” was used in England at Oxford University in 1682 by a man called Elias Ashmole to refer to collections of strange, rare and exotic objects. Shortly after this and overtime, modern museums began to develop and expand everywhere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3. The purpose and function of museums

What are museums used for and why they are built for? Today Museums differ each other in their types, designs and forms. Accordingly their purposes, functions and activities also vary today. The traditional role of museums is to collect objects and materials of cultural, religious and historical importance, preserve them, conduct research and present them to the public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enjoyment. But today museums have countless functions and deliver many services to the users and the public in which they are founded.

338 Museums are security houses of global cultural property and serve the public through education by using its collections. They serve the public by imparting knowledge and developing the sense of identity and belongingness. Museums are very important places to understand cultural identity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Museums are appropriate institu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nation’s historic heritages. They are tools to create national consciousness and identity. It serves as a symbol of national identity and unity here by preserving real cultures of the people. Museums are vehicles for the sharing,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our inheritances. For example, virtual museums are used to present and interpret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s and also serve to communicate it’s to wider audiences. But, today the form and functions of museums vary in many cases over the centuries. They vary in terms of content, collection, size, purpose, aim, mission, ownership, service delivery, location, construction design, availability etc.

4. The role of museums

Museums have many pivotal role in which mainly built to serve the community at large. They play an increasing role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communities. They are instrumental in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and a nation at large. Museums can be places to shape and share community’s identity and bring different community groups together. Museums are institutions in which identities are expressed and shared. They provide a stimulating public space in which people can come together and get inspired. Cultural institutions are glues that bind communities together. Culture attracts many people to a place like good school and it creates an environment in which other industries, goods and services can grow. Today museums are catalysts for regeneration through the creation of new venues and civic spaces. They are resources for developing the skills and confidence of communities. Using their unique collections and services, museums are instruments to address social issues. They are striving to be places where all sections of the community can have a voice and be reflected in a museum’s collections and displays. Through volunteering programs, internships, apprenticeships and work placements they are serving to be a valuable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339 and specialist job skills. Therefore, they provide opportunities for community involvement and are open for participation of people in their activities as museums today are built to serve the people. Museums are used as places of preserving and conserving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s of societies. They act as leading centers of expertise and cultural preservation. Museums are also assistants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by facilitating opportunities for cultural events and activities. They increase the quality of education by offering various services; lending heritages and sharing historical objects to educational institutions. Additionally, Museums develop and enrich peoples’ lives by facilitating sense of identity and belongingness. All in all museums have many social and cultural benefits for public. Museums serve to explain cultural change and continuity for the people. Museums are part of overall development and redevelopment programs. Museums assist cultural development infrastructures working with libraries, theatre, cinema and concert halls. Museums generate foreign currency and attract financial supports from various countries. Museums attract financial investment and donations from external agencies like NGO, governmental and international grants. Museums are also tools in attracting investments and important to develop various social and economic infrastructures. They open the way to the establishment of business and service delivery institutions. They develop local economies and generate income to the local communities. They are magnets in attracting tourists and tourism which are serving as means of encouragement of local economy. It creates part-time, temporary and permanent job opportunities and hence it enhances level of employment. Through this it supports to strengthen economic development sustainability of a nation’s economy. Museums are institutions to develop a sense of local pride and belongingness. It helps to preserve traditional cultural values. It is an agent to show change and continuity of the local area and the community at large which helps people to search their real roots and origins. Museums serve as archives of the archaeologists, anthropologists, historians, linguists, paleoanthropologists and the like. Museums play key rol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attracting tourist market and hard currency. Museums play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public relations and publicity for the managing bodies. Museums help diverse people to live and coexist together. It

340 creates good relationship of people and motivates to work together.

5. Roles of traditional institu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useum concepts in Ethiopia

Ethiopia has many astonishing natural and manmade heritages. But the idea of collecting and preserving these objects in a museum began lately compared to the other world. Up until the end of Second World War, the country has no any modern institution built for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its rich heritages and treasures. Prior to the beginning and opening of modern museums in Ethiopia, traditional institutions such as churches, monasteries, mosques, palaces and nobility houses were the main protection and collection areas of valuable treasures and items. For example, until the present churches served as the protection houses of valuable and precious religious, historical as well as cultural treasures. As Christianity was a state religion in Ethiopia from the 4thc- 1974, many kings, royal families and noble men used to donate different items (gifts) for churches and monasteries. Hence, Churches and monasteries were depositories and protection houses of treasures and religious items. Clergies and loyal middle aged religious men were guardians of these important treasures at that time. However, they had no professional or modern knowledge and idea of conserving and protecting these valuable heritages and treasures. As a result, many of irreplaceable and precious items were destroyed or lost because of theft and unsafe protection. This, off course is because of lack of modern knowledge of documentation, conservation, display, security, well skilled professionality and techniques etc. The collections were not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The same shortage was reflected in other traditional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Even if traditional institutions were not well organized and had some limitations, they were bases for the foundation and idea of modern museums. They have irreplaceable role for the opening and development of museums. Traditional institutions in Ethiopia are owners of numerous heritages and small museums in the country particularly the Ethiopian Orthodox Church. Churches, monasteries and mosques served as safety houses and stores to safeguard these valuable treasures and heritages during the times

341 of war. Palaces were also sites of preservation of heritages. Many royal and ethnographic objects were kept in the treasuries of the palaces in Ethiopia and later on became the back bones for the emergence of museums and galleries in the country.

6. Historical background for the beginning of museums in Ethiopia

The idea or awareness of collecting and protecting heritages or antiquities in the country started after the battle of Adwa (1896). The victory of Adwa inspired the people to preserve and narrate their success and victory over the Italians. The Second World War highly assisted and inspired the country for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s that show the pride and rich history of the country to the new succeeding generations. Prior to the 1st half of the 20th century, Ethiopia had no well-organized museum. But the year1944 was the bas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Museum of Ethiopia which was founded by the late emperor Haile Selassie and members of the royal family. This was the first modern museum in the history of the country. After this, University museums, city museums and church museums began to flourish. Today there are many small and medium sized museums counted more than a hundred in the country.

7.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Museum of Ethiopia and its development

In Ethiopia the idea of collecting and preserving heritages in an organized way began lately. During the fascist invasion of Italy (1935-1941), the Emperor was abroad in Europe to appeal Ethiopia’s cause to the League of Nations. During his stay in Europe he travelled to many European countries which benefited him to grasp more knowledge about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and collecting heritages. After his return home and withdrawal of Italian troops, the emperor generated an idea of displays of antiquities and the first exhibition was opened to the public being inaugurated by the emperor and the display contained 206 various items and ceremonial costumes which were obtained from the emperor and the nobilities.

342 Afterwards, the display was transferred to the permanent exhibition and the first museum was opened in a single building as part of the National Library in1944. The emperor, then, initiated the nobilities and asked them to contribute items or antiquities to the museum which helped the museum to increase its collections. This was the first major activity taken by the emperor and his close associates.

The First Museum as part of National Library

The Ethio-French Cultural Agreement in 1952 played another pivotal ro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museum. The agreement was followed by the foundation of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then after French Archaeological Missions conducted archaeological excavation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which contributed a lot to the development of the museum. Soon after the discovery of many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findings from the northern part of Ethiopia, an archaeological museum was set up in 1955 with a small building being separated from the public library. In 1966 this museum gradually became a National Museum with an act when the Ethiopia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got attention and support from the Ethiopian government.

The First separate building of NME

343 The museum began to serve with another building which was built by the Italian Fascist troops in 1935 during five years occupation of Addis Ababa. The permanent exhibition of the museum was displayed in this building from 1966- 2001, which is currently serving as a temporary exhibition gallery for the museum.

The previous museum building

The museum gradually improved and developed, in the course of which it was transferred to the new building in 2001 where it is currently located. It is reorganized with new displays of paleontology and paleoanthropology section by exhibiting more ancient hominid fossils and animal remains collected from the rift valley areas of the country. Today, the museum has a large number of artefacts and fossils remains discovered from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The current building of NME

One of the major objectives of the museum is to present selected artifacts worthy of exhibition using the best display techniques available as a means of both education

344 and enjoyment for the general public.

8.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of Museums in Ethiopia

There are different criteria’s used to classify museums internationally. We can classify museums based on their nature of collections, their ownership, the area they serve, audience, purpose of foundation, exhibition display etc. Considering this,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museums in the country namely General, Archaeological, Geological, Ethnographic, Natural history, Art, Gardens, Parks and game reserves, Church, Postal, open air, and University museums. Many of these museums are run by the government and church but we have one museum that are owned and run privately. From these categories the National Museum of Ethiopia is grouped under general museum because of its function and collections that it holds in it. The national museum houses objects of paleoanthropological and paleontological, archaeological, historical, ethnographical and art works. Most of these museums are concentrated mainly in the city and provincial towns of the country; where some of these museums are not permanently open at all times; they deliver services to their customers when requested and visitors arrive. Many of these museums are very small and have no skilled man power and even proper budget. They have limited customers and visitors as well.

9. The current services of National Museum of Ethiopia

As I already tried to discuss, museums have many functions and deliver their services mainly to the general public. Likewise, presently the National Museum of Ethiopia is delivering many services to the public and customers in particular. Since its establishment the museum has been serving different customers on a daily basis. Today the permanent exhibi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Ethiopia has four different exhibition sections in a ground plus two floor building including its basement. Collection department, conservation department, laboratory department, documentation department and library are also found at the museum compound. It

345 has four different basic contents of exhibition sections which include: Paleoanthropological and Pre-historic section, Pre-Axumite period to the 20thC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section, Art section and the Ethnographic section. Museums exist solely to the service of the people without any profit and intend to educate and entertain visitors. Museums are changing and the areas of their focus is also transforming after passing through long period of development. Today museums are not only entertainment and educational places; they go beyond that. They are not only displaying objects but are also places of idea generating and researching centers behind the displayed objects. They serve as a forum for discussion of different aspects and problems of the society. People began to look in to their past using objects representing them in museums. Therefore they are no more places where simply objects as such are preserved but they are maximizing their service. In the modern and changing world museums have become centers where educational activities, developments and knowledge are disseminated. They are cores where the community addresses its problems. Considering these modern developments, currently the National Museum of Ethiopia in collaboration with ARCCH is delivering the following major services to the public. Ø NME arranges and books tour programs for groups and institutional mass visitors. It facilitates visiting date and time with a special request for group visitors, both locally and internationally. Especially school groups of all levels get priority /more attention. Ø It serves as a center of research, education excellence, information as well as entertainment. It is a home for KG to preparatory school students, higher institution students like colleges and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various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researchers. It is a reference and learning center for many people by looking at the real object on the display. Ø The museum facilitates coaching and mentoring services for apparent ship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Ø It also receives and collects feedbacks, comments and suggestions from different customers and visitors. Ø Collects heritage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and conducts necessary researches on heritages.

346 Ø Delivers reference, reading and internet services in the library of the museum for staff and non-staff members. Ø It organizes and displays temporary exhibitions using selected objects from the museum collection based on certain themes. It also exhibits in collaboration with other NGO’s and Governmental institutions, private exhibitors, regional museums and stakeholders. Ø It delivers lectures and panel discussions on various issues to the general public. Ø Documentary film shows are also presented regularly to visitors of the museum. Ø The museum gives various short term and long term trainings for its staff members and other museum professionals and personnel. It also avails long term educations and workshops to staff members. Ø The museum addresses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of the country such as peaceful coexistence, equality, representation, morality etc. It also facilitates job opportunity for employed and non-employed with long term and short term bases during field trips and travel exhibitions. Ø It introduces and supports the development program of the country to the general public. Ø Organizes travel (mobile) exhibitions in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for duration of two or three weeks in collaboration with regional cultural bureaus and other stakeholders. It also celebrates international museums day annually with the public through panel discussions, tours and travels to historical sites, free museum visits etc.

10. Legal Frame works and provisions regarding cultural heritage properties in Ethiopia and Authority for Research and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s (ARCCH)

As we know, the main objective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ratified by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is to identify and conserve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s of the world. At the general conference of UNESCO adopted on November 16/1972, a convention was issued on the protection of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It was aimed to halt the deterioration and damage of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s. Therefore Article number

347 4, 5, 6 and 7 of this convention mainly emphasizes 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protection of heritages in the world. Ethiopia also signed the 2003 UNESCO convention agreement which entitles as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2006. Hence, taking this in to consideration, Ethiopia declared the protection and conservation of heritages of the country which is included in the constitution. Policies, Proclamations and various acts are also issu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ARCCH as well. To give directions for the cultural centers and museums in Ethiopia and run their activities;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ssued a cultural policy in 1997. This policy helps to entertain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 towards museums and cultural institutions. It also helps to study, register and protect various cultures of Ethiopian nations, nationalities.

10.1 Legislations for the safeguarding of cultural heritages of Ethiopia In Ethiopia there were no written laws and declarations based on heritage objects until the mid of the 20th C. there was no mandated institutions to protect and preserve the national heritages of the country. Considering this gap, the government of Ethiopia ratified the first proclamation on heritage objects and cultural properties in 1966. That laid the base for the conservation and safeguarding of national heritages of the country. The 1994 constitution of Ethiopia states that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are responsible to protect the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s of the country. It is mentioned in article 41 no. 9 of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nd article 91 no. 2 on Cultural Objectives of the constitution. Therefore, it is supported by the constitution and a proclamation was ratified by the government in 1966 for the first time. Proclamation No. 229 of 1966 (published in the Negarit Gazeta No. 7 of 29 January 1966) was the first act of legislation which created the basis for safeguarding the cultural heritage by the State in Ethiopia. The cultural property which had to be protected was defined as "antiquity" which "shall mean any construction or any product of human activity, or any object of historical or archaeological interest, having its origin prior to 1850 E.C.". Therefore it excludes natural heritages before 1850.

348 In connection with the Proclamation No. 229 of 1966 there was issued "An Order to Provide for the Creation of an Ethiopian Antiquities Administration"(Order No. k5 of 1966 published in the Negarit Gazeta No. 17, 22 June1966) (App. 2). But this proclamation doesn’t mention the protection and conservation of cultural and intangible heritages. It focuses more on antiquity objects like buildings and monuments. This proclamation basically excludes other heritages of the country. The 1966 proclamation laid the base for the drafting and ratification of a new proclamation in 1989 and called as proclamation no. 36/1989. This proclamation also excluded intangible heritages of the country but better than the 1966 proclamation. The failure to include intangible heritages and other weaknesses led to the drafting and implementation of another proclamation number that what ARCCH is today guiding over. This proclamation was issued in June 2000 and called as proclamation no. 209/ 2000, which includes tangible, intangible,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s. But still lacks well implementation by the authority. Currently ARCCH as a federal institution endorsed more than twenty proclamations and directives to facilitate its work.

11. Rules, regulations and proclamations provided for National Museum of Ethiopia

As we know rules and regulations are essential tools to run the overall activities of an institution and govern its duties. As though, NME has various rules and regulations for governing and directing other small and medium sized museums in the country. Many museums in the world carry out their activities by formulating general policies and regulations. Unlike these the National Museum of Ethiopia has no an elaborately written policy which is also a similar problem for other museums in Ethiopia. There is no museum policy drawn and used in Ethiopia even today. But we have only policies at the Ministerial level; Tourism policy and Cultural policy. There are some guide lines, acts, directories and manuals by which museum activities such as collections, documentation, exhibition, disposal and purchasing of heritages are carried on. These guidelines and directives are used in Ethiopia as museum policies. There are also other guidelines where the museum has drafted and ratified.

349 NME as part of ARCCH has a legal document supported by proclamations of antiquities and heritage objects. NME was part of Ethiopian Antiquity administration which was established by Order No. 1966. This institution was an autonomous public authority. Proclamation No. 209/2000 of the research and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s on chapter two of no.15 mentions about the establishment of museums in the country. It states as “Any person, whose professional qualification has been certified by the Authority may establish a museum. The implementation and execution of same shall be determined by the regulation and directives to be issued”. Hence, NME ratified Ethiopian Museums’ directory and other directives to give permission for the establishment of museums in the country. It also produced No. 11/ 2013 directive of Museum establishment and professional competence assurance on October 2013.

References Temesgen Burka. 2004. The Role of Museums and Galleries in Ethiopia. MA thesis submitted to AAU. Ambrose and Paine. 1993. Museum Basics. Routledge, London. Research and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Proclamation. June 2000. Proclamation No. 209/2000. Page 1345. Addis Ababa. A Proclamation to Provide for the Study and Protection of Antiquities. October 1989. Proclamation No. 36/1989. Page 47. Addis Ababa. A Proclamation to provide for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Antiquities. January 1966. Proclamation No. 229/ 1966. Page 23. Addis Ababa. Running a Museum: A Practical Hand Book. 2004. ICOM. Ethiopian Antiquities Administration Order. June 1966. Proclamation No. 234/1966. Order No.45/1966. Page 85. Addis Ababa. A Proclamation to Ratify the Convention on the means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Ex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 October 2003. Proclamation No. 374/ 2003. Page 2426. Addis Ababa. Fliers and Brochures of National Museum of Ethiopia and Institute of Ethiopian Studies.

350 Session 2

[Support] Supports and Changes of Museum's Role in Society

[지원] 외부지원과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A Town Promoting Its Nature and Culture The Landscape, Nature, and Life of the Town as a “Living Museum”

자연과 문화를 홍보하는 마을 “살아있는 박물관”의 마을풍경, 자연 그리고 삶

Matsuoka Ichiroh(마수오카 이치로) Mayor of Higshikawa(히가시카와 정장)

A Town Promoting Its Nature and Culture The Landscape, Nature, and Life of the Town as a “Living Museum”

Matsuoka Ichiroh

Overview of the Town

The Town of Higashikawa is located in central Hokkaido and is a part of Japan's largest national park – Daisetsuzan National Park. The tallest mountain in Hokkaido, Mount Asahidake (2,291 m) is situated in Higashikawa. The town is located 10 minutes by car from Asahikawa Airport, 2 hours by car from Sapporo Station, and 2 hours by plane from Haneda Airport. Higashikawa is a small town with the population of about 8,000 people, and it is a place of delicious water, fresh air, and rich land. Each season in the Daisetsu Mountain range has its own beauty – you can enjoy alpine flowers in summer, colorful autumn leaves in autumn, and skiing in winter. There are plenty of seasonal plants and animals as well, making the Daisetsu Mountain range a “living museum” in itself. Even though the population of Japan has been falling, in 42 years the Town of Higashikawa has managed to keep its population at about 8,000 people, and is believed to be one of the liveliest places in Hokkaido.

353 Goals for the Town

We are representing urban and rural, as well as overpopulated and depopulated areas. The term “depopulation” was started to use in the 1960s, when people started to leave rural areas for rapidly developing cities. As a result, the population in rural areas h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many regions are facing a challenge to hold administrative levels constant. For example, schools have been integrated and shut down, stores have been closed, etc. According to the state, the region is not considered “depopulated”, but many areas are, indeed, sparsely populated. The Town of Higashikawa is not depopulated, but rural areas outside the central part of the town are sparsely populated. Since this is the age of rapid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development, we can actually consider the “sparsely depopulated” factor to be an advantage. We believe the Town of Higashikawa to be one of such places. The Town of Higashikawa is not underpopulated and not overcrowded – it is a place to enjoy a relaxed life surrounded by beautiful nature and a comfortable environment. Higashikawa is a place of just the right size, and we are aiming to stay that way. Located at the foot of Daisetsuzan Mountain range, the Town of Higashikawa is embracing its surroundings by being a place of culture, arts, and sports. Looking into the future, we are hoping for the town to become more and more like a “living museum”.

1. Declaring Higashikawa the Town of Photography The development of Hokkaido started in about 1870, therefore the history of Hokkaido is not very long. Majority of the culture and traditions came from the people of Japan’s central island Honshu, rather than for the people of Hokkaido to form their own culture. Shortly before the development of Hokkaido started, the first camera was invented in

354 Europe, therefore the history of Hokkaido and the history of camera are relatively close. When people started to leave rural areas for rapidly developing cities in the 1960s, it resulted in great income and population disparitie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and the population density in rural areas kept decreasing. In 1985, celebrating 90 years of resource development of the town, Higashikawa set a goal to become the center of photo culture and was declared the Town of Photography, aiming to share the beautiful land and culture through photography and international exchange, and promote peace and harmony. Since then, we have tried to make Higashikawa a place to take good pictures and raise healthy children, who would give a bright smile at the camera lens. Every year the town is holding the Higashikawa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and awarding photographers with the Higashikawa Awards. The town has been strongly influenced by Arles, a city in the south of France, which has a strong photography culture. Also, in November 2010, a Cultural Exchange Agreement was signed between Higashikawa and Yeongwol County in South Korea.

2. Declaring Higashikawa the Culture Capital of Photography Even though the overconcentration in the Tokyo area is a challenge rural areas are faced with, the Town of Higashikawa is using photo culture to connect with people locally and across the world, and was declared the Culture Capital of Photography in March 2014. Higashikawa’s yearly budget for developing photo culture is only about the same as that of the average Tokyo’s budget per person. However, the development of photo culture has been present in people’s lives for over 30 years now, which is far longer than in Tokyo. We are hopeful that more and more municipalities will recognize their unique strengths as well.

355 With Love of Culture and Art

1. “Your Chair” – a chair for a new born baby The birth of a child is a celebration not only for the family, but also for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ountry. However, due to wars and disasters, the number of orphans has been increasing worldwide. When an orphan girl in a book published in the USA was asked what is that she wanted the most, she said: “I want a family who loves me and a place I belong”. It is important for everybody to have “a place they belong”. “Your Chair” is a small gift to celebrate the birth of a child, and it’s our way of showing that “this is where they belong”. Each chair is a unique, hand-made piece, engraved with the name and birth date of the child. Seating a child in this chair and reading a book to the child can be a great starting point of learning. In Japan, fathers often don’t have much time to spend with their children, so spending quality time with children can be very precious. Each year there is a different chair design selected, and it is added to the town’s and Hokkaido Asahikawa Museum of Art’s collections.

2. The Gift of “My Chair” to Junior High School Students One of the thriving industries in our town is woodcrafting. All desks and chairs at our nursery school, elementary schools and junior high school are made of wood in our local studios. People put their heart, soul and hopes into making these desks and chairs. Environment during puberty greatly influences peoples’ lives. Each chair is engraved with a student’s name, and students use their chair until they graduate junior high school. Every year, under the guidance of craftsmen, students repair their desks and chairs. When students graduate, they receive the chair they had been using for 3 years as a gift. We hope that students keep using these chairs and they help them

356 remember their home town.

Facilities Devoted to Culture and Art 1. Higashikawa Culture Gallery Culture Gallery was founded in 1989, 4 years after Higashikawa was declared the Town of Photography. In recent years, the gallery has been focusing on organizing photo exhibitions, and it is one of the main venues for the Higashikawa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The gallery also holds the Higashikawa Awards Collection – a collection of works that have been donated by the Higashikawa Award winners.

2. Higashikawa Culture & Arts Exchange Centre (Former Higashikawa Elementary School) With the elementary school being relocated, the old building in the center of the town is being renovated to serve as a meeting-place for a wide variety of people, who share the love of culture and art. The renovation is planned to be completed in 2016. After the renovation is complete, there will be a display of Higashikawa artists’ works – Fujino Chizuko’s paintings and Matsuda Yoichi’s sculptures, as well as photo exhibitions, Daisetsuzan Cultural Archive, and Furniture Design Archive. The 2nd floor of the building will be turned into the Japanese Language School. There will be a cafe and accommodation furnished with local luxury furniture available. Also, it is planned to exhibit the modern works of Momose Hiroaki, as well as create gallery archives and a library.

3. The New Higashikawa Elementary School Children’s growth is heavily affected by their interactions with the environment, and stimulus at an early age is vital to the child’s development. The new Higashikawa

357 Elementary School has an area of 16 ha, and it is a multi-functional facility that is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people, nature, and culture. At the interaction lounge and school entrance we have displayed the internationally acclaimed sculptor Yasuda Kan’s works. We have also showcased a variety of local craftsmen works, and therefore hoping that it will help the children to fall in love with the art.

The school also includes a music room, outdoor baseball and soccer fields, an indoor volleyball court and other sports areas, hoping that it will all help us raise healthy future generations.

4. International Exchange Centre “Wa” In 2009, the centre was opened for 3-month long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 study programs, focusing on the people from Asian countries. We are having students from South Korea, Taiwan, China, Thailand, Indonesia, Vietnam, Russia, Jordan, Singapore and other places – more than 1,200 people in total.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accommodation facilities for the students, therefore we are in the process of enlarging them. The “Wa” in the name and logo of the centre symbolizes 3 different “wa” – the second part of the word “kaiwa” (会話, conversation), the “wa” (ring) part of the expression “yujo no wa” (友情の輪, a ring of friendship), and the second part of the word “heiwa” (平和, peace). We hope for the centre to embrace all these things. In the centre building we have displayed terracotta and other artworks, as well as the works of the former president of Tama Art University, Igarashi Takenobu.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students’ exchange, visit http://www.hokko.ac.jp/kyokufuku/jp/contact.html

358 5. Regional Community Park It is important to involve local community in developing the town into a pleasant place to live. We have designated meeting places for people in case there is an emergency (natural disaster, blackout, etc.), where they can access water pumps in case the underground water discharge is shut off. The local people truly appreciate these water pumps.

Specific Cultural Activities (including education and arts)

1. “Town of Photography” Higashikawa Awards Every year since 1985, when Higashikawa was declared the Town of Photography, we have awarded photographers, who have contributed to photo culture. The works are selected by Higashikawa-appointed nominators and assessed by a panel of judges. Higashikawa Culture Gallery maintains a collection of donated award-winners’ works. In recent years, the Overseas Photographer Award has been awarded by changing the target region every year. The panel of judges consists of photographers, curators and writers from Japan. So far there are two photographers from South Korea that have received the Overseas Photographer Award – Kim Su-nam in 1995 and Kim Nyung-man in 2005.

2. National High School Photo Competition “Shashin Koshien” “Shashin Koshien” has been held from 1994, and it is a national photography contest for high school photography clubs from all over Japan. The goal of the contest is to promote exchanges of students and spark their creativity through photography-related events. There are applications from more than 500 schools received every year, and for many school photography clubs the contest has become the main focus. One of the executive committee’s members is “Hokkaido Shimbun” (Hokkaido Newspaper), and there are many sponsors, such as photography and design-related universities,

359 NHK, and Canon.

3. 1st Intern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hoto Festival Exchange Celebrating 120 years of resource development and 30 years of promoting the culture of photography, we aim to use international exchange to open the town to the world. As a part of becoming the Culture Capital of Photography in March 2014, this year we organized the 1st Intern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hoto Festival Exchange, with the Hokko Gakuen school being the main venue. There were participants from Japan and 10 other countries and areas where the Town of Higashikawa has established international exchanges – South Korea, Vietnam, Taiwan, China, Canada, Thailand, Latvia, Uzbekistan, Indonesia, and Australia. There were 13 teams altogether. We hope that this festival will contribute to the dialogue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help form new friendships, and promote cross-cultural understanding.

Conclusion

We hope that the population decline problems will stop through the mentioned cultural facilities’ development and cultural activities. Also, we believe that by raising the cultural value of the town, we can maintain the town’s population. There would be many economic benefits for the town if people from both Japan and overseas felt the appeal of the town, came to visit, and consumed local products. As there is an expression “constant dropping wears away the stone”, we are continuing to organize cultural events to create a new power. We believe that this new power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regional development. The town development has started by making the scenery of the town look like an exhibition. This Yeongwol International Museum Forum is a very good motivation

360 for us to build the landscape, nature, and life of the town as a living museum. People from Canada have said the following about Higashikawa, the Town of Photography: I would like to develop the town as the below. “Scenic beauty makes for good photography.” “Warm hospitality makes for good memory.”

Brief Profiles of People Who Support Our Cultural Activities (INPO)

FUKUHARA Yoshiharu FUKUHARA Yoshiharu is an honorary chairman of Shiseido (cosmetics and toiletries company) and a curator of Tokyo Metropolitan Museum of Photography. The Town of Higashikawa had memorial exhibition of 20-year anniversary of the declaration of the “Town of Photography” in 2005 in cooperation with the Tokyo Metropolitan Museum of Photography.

ITO Genjiro ITO Genjiro is a CEO of Kamakura Shunjusha – a publishing company of the picture book “The Tale of The Deer Princess” (2015), a book in Latvian, English and Japanese. He donated the books to Latvia. He is also a professor at Seisa University.

SASAKI Masayuki SASAKI Masayuki is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leader of the emerging field of Creative Cities and Creative Tourism. He supports developing the agricultural community through creative networking.

MURASE Haruo MURASE Haruo is a chairman at Canon Marketing Japan Inc., which provides cameras and equipment to Japanese High School Students Photo Competition since the competition started in 1993. He supports the photo culture-related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competition.

361 TACHIKI Yoshihiro TACHIKI Yoshihiro is one of the leading photographers in Japan and also the judge for the Japanese High School Students Photo Competition since the competition started. He contributes to promoting photo culture to high school students.

MURATA Masatoshi MURATA Masatoshi is a chairman of Hokkaido Shimbun Press, which takes large share in Hokkaido. He supports promoting Japanese High School Students Photo Competition through the newspaper. The competition is known as one of the biggest cultural event in Hokkaido now.

SUGAWARA Hiroshi SUGAWARA Hiroshi is a film director, born in Sapporo. His passion is making films in Hokkaido. He is planning to make a film about Japanese High School Students Photo Competition.

ISODA Kenichi ISODA Kenichi is a former vice-governor of Hokkaido and the president of the Hokkaido Arts Foundation, as well as an advocator for the “Your Chair” project. He supports promoting furniture made of local wooden materials.

YASUDA Kan YASUDA Kan is a sculptor, born in Bibai in Hokkaido and based in Pietrasanta, Italy. He had a lecture-presentation in Higashikawa. His works are displayed in Higashikawa Elementary School.

ASABA Katsumi ASABA Katsumi is a designer and also one of the judges for Higashikawa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He designs posters and certificates for the festival.

FUJINO Chizuko (1937-2014) FUJINO Chizuko was an artist, born in Higashikawa. Her daughter fulfilled the

362 artist’s wish and donated her works to Higashikawa.

IGARASHI Takenobu IGARASHI Takenobu is a former president of Tama Art University, as well as a designer and sculptor. He donated his works to Higashikawa International Exchange Center.

ODA Noritsugu ODA Noritsugu is an honorary professor of Tokai University and an advisor for Higashikawa Furniture promotion. He contributes to promoting design culture featuring world famous chairs and commodities.

363 자연과 문화를 홍보하는 마을 “살아있는 박물관”의 마을풍경, 자연 그리고 삶

마수오카 이치로

마을 개괄

히가시카와 마을은 홋카이도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본 최대의 국립공원인 다이세쓰 산 국립공원에 속해있 다. 홋카이도에서 가장 높은 산인 아사히다케산(2,291 m) 이 히가시카와에 자리잡고 있다. 이 마을은 아사히카와 공항에서 차로 10분 떨어진 거리, 삿포로역에서는 차로 2시간, 그리고 하네다 공항에서는 비행기로 2시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히가시카와는 인구 8천 정도의 작은 마을이다. 또한 맛있는 물, 맑은 공기, 풍부한 토양으로도 유명하다. 다이세쓰산 산줄기는 각 계절의 아름다움 을 보여준다. 여름에는 알파인 꽃, 가을에는 화려한 낙엽, 그리 고 겨울에는 스키를 즐길 수 있다. 많은 계절 동식물들이 있어 ”다이 세쓰산” 산줄기는 그 자체로 살아있는 박물관이라 할 수 있다. 일본의 인구는 줄고 있지만, 42년만에 히가시카와 마을 은 그 인구를 8천명 선에서 유지하고 있으며 홋카이도에서 가장 생기 넘치는 곳 중 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마을의 목표

인구가 많은 지역과 적은 지역은 곧 도시와 시골지역을 뜻한다. ”depopulation(인구 감소)”이란 용어는 사람들이 시골을 떠나 도시로 가기 시작했던1960년대부터 사용되 기 시작했다. 그 결과, 시골지역 인구는 크게 감소했고 많은 지역에서는 그들의 행

364 정적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예를 들면, 학교가 통합되거나 폐교되고 상점들 이 문을 닫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통계에 따르면, 이 지역은”인구감소” 지역으로 보지 않 으나 많은 지역들은 사실 인구밀도가 희박한 상태이다. 히가시카와 마을은 인구감소 지역은 아니지만 마을 중 심부 외곽에 있는 시골 지역은 인구가 희박한 상황이다. 빠른 운송과 통신 네트워크 발전의 시대이기 때문에, ”인구가 희박”하다는 것이 오히려 장점이 될 수 있다. 히가 시카와 마을도 이러한 곳들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히가시카와 마을은 인구감소를 보이는 곳도 아니고, 인구가 과하게 밀집된 곳도 아 니다. 아름다운 자연과 편안한 환경에 둘러싸여 느긋한 삶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히가시카와는 딱 좋은 크기이며 우리는 이 상태를 계속 유지할 계획이다. 다이세쓰산 산맥 끝에 위치한 히가시카와 마을은 문화, 예술 그리고 스포츠를 위한 장소로서 좋은 배경을 끌어안고 있다. 미래에도 우 리는 이 마을이 더욱 더 ”살아있는 박물관”이 되기 를 희망한다.

1. 히가시카와를 사진마을로 선포 홋카이도의 발전은 1870년에 시작되었으므로 홋카이도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문 화와 전통이 홋카이도의 고유 문화로부터 왔다기 보다는 일본의 중추적인 섬이라고 할 수 있는 혼슈로부터 왔다고 할 수 있다. 홋카이도의 발전이 시작되기 직전에 최초의 카메라가 유럽에서 발명이 되어 홋카이 도의 역사와 카메라의 발달 시점이 비슷하다. 사람들이 1960년대에 시골을 떠나 도 시로 향하기 시작하자, 이는 도시와 시골지역 간의 큰 소득격차와 인구격차라는 결 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또한 시골지역의 인구밀도는 계속 감소했다. 1985년, 마을의 자원개발 90주년을 축하하며 히가시카와는 사진문화의 중심이 되겠 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사진마을이라 선포했다. 이는 사진과 국제교류를 통해 아름다 운 땅과 문화를 공유하고, 평화와 조화를 도모하겠다는 의지였다. 그 이후로, 우리는 히가시카와를 사진찍기 좋은 곳, 그리고 카메라 렌즈 앞에서 밝은 미소를 띄우는 아 이들을 건강하게 티울 수 있는 곳으로 만들고자 노력해오고 있다. 매년 이 마을은 히가시카와 세계사진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으며 사진작가들에게 히

365 가시카와 어워드를 수여하고 있다. 이 마을은 뚜렷한 사진문화를 자랑하는 프랑스 남부 도시인 아를(Arles)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2010년 11월에는 한국의 영월군과 문화교류협정을 체결한 바 있다.

2. 히가시카와를 사진문화의 수도로 선포 도쿄 지역으로 인구가 과도하게 집중되는 현상은 시골지역이 당면하고 있는 도전과제이다. 히가시카 와 마을은 지역 주민들과 세계를 연결하기 위해 사진문화를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2014년 3월에 이곳을 사진문화의 수도라고 선포했다. 히가시카와의 사진문화에 대한 연간 예산은 도쿄의 1인당 평균예산과 비슷한 수준이다. 그러나 사진문화의 발전은 30년 넘도록 지금까지 주민들의 삶 속에 존재하고 있다. 이는 도쿄의 사진문화보다 훨씬 오래된 것이다. 우리는 더 많은 지자체들이 자신만의 고유한 장점을 발견하기를 기대한다.

문화와 예술에 대한 사랑

1. “당신의 의자(Your Chair)” – 새로 태어난 아기를 위한 의자 아기의 탄생은 그 가족에게만 축하할 일이 아니 라 그 지역사회와 국가에게도 축하할 일이다. 그 러나 전쟁과 재난으로 인해 고아의 수가 전세계 적으로 증가했다. 미국에서 출판된 어떤 책에 이 런 이야기가 나온다. 한 고아소녀에게 가장 원하 는 것이 무엇이냐고 물었더니,”나를 사랑해주고 내가 속한 곳을 사랑해주는 가족이 있었으면 좋겠어요.”라고 답했다는 것이다. 이처 럼 ”내가 속한 곳”을 갖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일이다. “당신의 의자”는 아이 탄생을 축하하는 작은 선물이자, ”이곳은 이 아이가 속한 곳 입니다”라는 표현이기도 하다. 각각의 의자는 고유하고, 핸드메 이드로 제작되며, 그 아이의 이름과 생년월일이 새겨진다. 아이 를 이 의자에 앉히고 책을 읽어준다면 학습을 위한 멋진 출발점 이 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아버지들이 아이와 놀아줄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아이와 양질의 시간을 보내는 것은 매우 소중 할 수 있다.

366 매년 다양한 의자 디자인이 선택되며, 이는 우리 마을과 홋카이도 아사히카와 미술 박물관 컬렉션에 추가되고 있다.

2. 중학생들에게 주는 “나의 의자” 선물 우리 마을에서 번창하고 있는 산업 중 하나는 목공예 이다. 어린이집, 초등학교 그리고 중학교의 모든 책상 과 의자는 우리 지역 스튜디오에 있는 목재로 제작한 다. 자신의 마음과 영혼과 희망을 담아 책상과 의자를 만들고 있다. 사춘기 시절에 환경은 사람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각 의자에는 학생의 이름이 새겨지고 학생들은 중학교 졸업할 때까지 자신만의 의자를 사용한다. 매년 장인의 조언을 얻어 학생들은 자신의 책상과 의자를 고치기도 한다. 졸업할 때 그들은 3년 간 사용한 의자를 선물로 받는다. 우리는 이 학생들이 이 의자를 계속 사용했으면 좋겠고, 이 의자가 고향을 기억하는데 도움이 되길 소망한다.

문화예술 전용시설

1. 히가시카와 문화갤러리 문화 갤러리는 히가시카와가 사진의 마을로 선포되고 4년 후인 1989년에 건립되었 다. 최근 몇 년 간 이 갤러리는 주로 사진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이곳은 히가시카와 세계사진페스티 벌의 주요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히가시카와 어 워드 수상자들이 기부한 작품 컬렉션인 히가시카와 어워드 컬렉션도 열고 있다.

2. 히가시카와 문화예술 교류센터 (전 히가시카와 초등학교) 초등학교가 이전하면서 마을 중심에 있는 오래된 학교 건물을 리노베이션하여 문화 와 예술에 대한 애정을 공유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만남의 장소로 활용할 계획이다. 리노베이션은 2016년에 완료 예 정이다. 리노베이션이 완료되면, 후지노 치즈코(Fujino Chizuko)의 회화, 마츠다 요이치(Matsuda Yoichi)의 조각, 그리고 사진

367 전, 다이세쓰 문화 아카이브 및 가구디자인 아카이브 등 히가 시카와 미술가들의 작품 전시가 있을 것이다. 이 건물 2층은 일본어 학교로 변모하게 될 것이다. 그 지역에 서 만든 고급스러운 가구를 갖춘 카페와 숙소가 생길 것이다. 또한 모모세 히로아키(Momose Hiroaki)의 현대 작품을 전시 할 계획도 갖고 있으며, 갤러리 아카이브와 라이브러리도 갖 출 예정이다.

3. 새로운 히가시카와 초등학교 아이들의 성장은 환경과의 교류로부터 크 게 영향을 받으며, 어린 나이에 받는 자극 은 발달에 필수적이다. 새로운 히가시카와 초등학교는 16ha의 면적 위에 세워졌으며 사람, 자연 그리 고 문화의 중요성을 담은 다목적 시설 이다. 교류를 위한 라운지와 학교 입구를 보 면 세계적으로 유명한 조각가인 야수다 칸(Yasuda Kan)의 작 품들이 전시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그 지역의 다양한 장인들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아이들이 예술에 대한 애착을 갖게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학교는 음악실, 실외 야구장과 축구장, 실내 배구장 및 기타 스포츠 공간을 갖추고 있어, 아이들이 건강한 미래 세대로 자라나길 기대하고 있다.

4. 국제교류센터 “와(Wa)” 이 센터는 2009년에 아시아에서 온 사람들을 위해 3개월 코스의 일본어와 일본어 문화 스터디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개관했다. 현재 한국, 대만, 중국, 태국, 인도 네시아, 베트남, 러시아, 요르단, 싱가포르 등에서 온 총 1,200명 이상의 학생들이 공 부하고 있다. 그런데 학생들을 위한 충분한 숙소 시 설이 없어 이를 확대하기 위한 과정 중에 있다. 센터의 이름과 로고에 있는 “와(Wa)”는 3개의 각기 다른”와”를 의미한다. ”kaiwa”(대화)라는 단어의 뒷부 분, 또는 ”yujo no wa”(친구의 권리)란 단어의 ”wa” (권리) 부분이며 ”heiwa”(평화)라는 단어의 뒷부분에

368 서 가져온 것이다. 이 모든 의미를 포괄할 수 있는 센 터가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 센터 건물에서 우리는 타마예술대학교 전 총장, 이 가라시 타케노부의 작품과 더불어 테라코타와 기타 작 품들을 전시한 바 있다. 학생교류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이곳에서 확인 가능하다: http://www.hokko.ac.jp/kyokufuku/jp/contact.html

5. 지방의 커뮤니티 공원 마을을 살기에 좋은 곳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를 참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비상상황(자연재해, 정전 등)에 대 비하여 우리는 만남의 장소들을 지정했다. 지하수 배출이 멈추 는 경우 이러한 장소에서 사람들은 물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지역민들은 물 펌프에 대해 감사한 마음을 갖고 있다.

구체적인 문화활동 (교육, 예술 등)

1. “사진마을” 히가시카와 어워드 1985년에 히가시카와가 사진마을이라 선포되었을 때부 터 우리는 매년 사진문화 발전에 공헌한 사진작가들에 게 시상을 해오고 있다. 작품들은 시가시카와가 임명한 사람들이 선정하고 심사위원 패널이 평가한다. 시가시카 와 문화 갤러리는 어워드 수상자들이 기부한 작품 컬렉션을 관리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변화하고 있는 타겟지역에서 ‘해외 사진작가 어워드’를 시상하고 있다. 심사 위원 패널은 일본의 사진작가, 큐레이터, 작가들로 구성된다. 지금까지 두 명의 한국 작가가 ‘해외 사진작가 어워드’를 수상한 바 있다. 1995년에는 김수남, 2005년에는 김녕만이 상을 받았다.

2. 전국 고등학교 사진대회 “샤신 고시엔(Shashin Koshien)” “샤신 고시엔(Shashin Koshien)”은 1994년부터 개최되고 있으며 이는 일본 고등학교 사진 클럽들을 위한 전국 사진 콘테스트이다. 이 콘테스트의 목표는 사진 행사를 통 해 학생들의 교류를 증진하고 그들의 창의성을 촉진하기 위함이다. 500여 개의 학교

369 들이 매년 응시하고 있으며, 여러 학교 사진클럽들에 게 이 콘테스트가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 집행위원회 멤버로는 “홋카이도 신문”을 비롯하여 사진과 디자인 계열 대학교, NHK, 캐논 등 많은 후원자들이 있다.

3. 제1회 세계 고등학생 사진 페스티벌 자원개발 120주년 및 사진문화 증진 30주년을 기념하며 우리는 국제교류를 통해 세 계로 이 마을의 문을 열고자 한다. 2014년 3월, 사진 문화의 수도가 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올해 우리는 호코 가쿠엔(Hokko Gakuen) 학교에 서 제1차 세계 고등학교 사진 페스티벌을 개최했 다. 일본을 비롯하여 한국, 베트남, 대만, 중국, 캐나다, 태국, 라트비아,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 아, 호주 등 히가시카와 마을이 국제 교류를 맺은 국가와 지역에서 온 학생들이 참가했다. 우리는 고등학생들 간에 소통을 늘리고, 새로운 우정을 다지며,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데 이 페스티벌이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결론

우리는 위에서 언급한 문화시설 개발과 문화활동을 통해 인구감소를 멈출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이 마을의 문화적 가치를 드높임으로써 이 마을의 인구 수준을 유지 할 수 있을 거라 믿는다. 이 마을에 매력을 느낀 일본인과 외국인들이 방문하여 이 지역 상품을 소비한다면 많은 경제적 혜택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물방울이 계속 떨어지면 바위도 뚫는 다”는 말처럼 우리는 새로운 힘을 창출해내기 위해 계속해서 문화행사를 개최해나갈 것이다. 새로운 힘이 이 지역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 믿는다. 마을의 풍경을 전시장처럼 만드는 것으로부터 이 마을의 발전이 시작되었다. 따라서 영월국제박물관포럼은 마을의 풍경, 자연 그리고 삶의 모습을 살아있는 박물관처럼 구축할 수 있는 매우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370 캐나다인들이 사진마을 히가시카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는데, 나 또한 마을을 이런 생각으로 발전시키고 싶다. “풍경의 아름다움이 좋은 사진을 만든다.” “따뜻한 환대가 좋은 기억을 만든다.”

문화활동(INPO)을 지원해주시는 분들의 간략한 프로필

후쿠하라 요시하루(FUKUHARA Yoshiharu) 후쿠하라 요시하루는 시셰이도(화장품 기업)의 명예회장이며 도쿄 사진박물관의 큐 레이터이기도 하다. 히가시카와는 2005년에 도쿄 메트로폴리탄 사진박물관과의 협력 으로 “사진마을” 선포 20주년 기념 전시회를 개최한 바 있다.

이토 겐지로(ITO Genjiro) 이토 겐지로는 “사슴공주 이야기”(2015)라는 그림책 출판사인 카마쿠라 슌주샤 (Kamakura Shunjusha)의 CEO이다. 이 책은 일본어 버전 외에 라트비아어와 영어로 도 번역되었다. 이 그림책을 라트비아에 기부한 바 있으며 세이사 대학교의 교수이 기도 하다.

사사키 마사유키(SASAKI Masayuki) 사사키 마사유키는 창의적 도시와 창의적 관광이라는 떠오르는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알려진 리더이다. 창의적 네트워킹을 통해 농촌의 지역사회 발전을 지원하는 일을 한다.

무라세 하루오(MURASE Haruo) 무라세 하루오는 ‘캐논 마케팅 제팬’의 회장이다. 이 회사는 1993년부터 카메라와 카메라 장비를 일본 고등학생 사진대회에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 대회를 통해 고등 학생들을 위한 사진 문화 교육을 지원한다.

타치키 요시히로(TACHIKI Yoshihiro) 타치키 요시히로는 일본 최고의 사진작가 중 한 명이며 이 대회가 처음 시작될 때 부터 일본 고등학생 사진대회의 심사위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고등학생들에게 사진 문화를 홍보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371 무라타 마사토시(MURATA Masatoshi) 무라타 마사토시는 홋카이도에서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홋카이도 신문 출판사 회장이다. 신문을 통해 일본 고등학생 사진대회를 홍보함으로써 도움을 주고 있다. 이 대회는 현재 홋카이도 최대 규모의 문화 행사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수가와라 히로시(SUGAWARA Hiroshi) 수가와라 히로시는 삿포로 출신의 영화감독이다. 그는 홋카이도에서 영화를 만들겠 다는 열정을 갖고 있으며, 일본 고등학생 사진대회에 대한 영화도 만들 계획이다.

이소다 켄이치(ISODA Kenichi) 이소다 켄이치는 홋카이도의 전 부시장이며 현재는 홋카이도 예술재단 회장이다. 또 한 “당신의 의자”라는 프로젝트의 지지자이기도 하다. 그 지역에서 생산된 목재 자 재로 만든 가구의 홍보를 지원하고 있다.

야수다 칸(YASUDA Kan) 야수다 칸은 홋카이도 비바이(Bibai)에서 태어난 조각가이며 이탈리아 피에트라산타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히가시카와에서 강연발표를 한 바 있으며, 그의 작품은 히가시카와 초등학교에 전시되고 있다.

아사바 캇수미(ASABA Katsumi) 아사바 캇수미는 디자이너이며 히가시카와 세계사진페스티벌의 심사위원이다. 페스 티벌을 위한 포스터와 증서를 디자인하고 있다.

후지노 치즈코(FUJINO Chizuko) (1937-2014) 후지노 치즈코는 히가시카와에서 태어난 미술가이다. 딸도 미술가의 꿈을 이루어서 작품들을 히가시카와에 기증한 바 있다.

이가라시 타케노부(IGARASHI Takenobu) 이가라시 타케노부는 타마예술대학교의 전 총장이며 디자이너이자 조각가이다. 히가 시카와 국제교류센터에 작품들을 기증한 바 있다.

372 오다 노리츠구(ODA Noritsugu) 오다 노리츠구는 토카이대학교의 명예교수이며 히가시카와 가구 홍보 자문위원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의자와 생활용품을 주제로 하는 디자인 문화를 홍보하는 데 기여 하고 있다.

373

Session 2

[Support] Supports and Changes of Museum's Role in Society

[지원] 외부지원과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

Perspectives on Museums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박물관에 대한 관점과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개발

Gina V. Barte (지나 발태) Vice-President of the International Movement of Developing Managers(IMDM) (아시아 경영원 부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