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 23일

2018년 8월 23일

2019년 12월 10일

2

Analyst 2020년에도 신인 두 팀이 고성장 견인할 전망 김현용 02 3779 8955 2020년 동사 투어모객수와 음반판매량(한일합산)은 각각 122만명(YoY +32%), 460만 [email protected] 장(YoY +16%)으로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ITZY와 스트레이키즈 두 팀이 모객 증가분의 79%, 음반판매 증가분의 63%를 차지하며 성장을 이끌 것으로 전망한 다. 그 결과 2020년 동사 실적도 매출액 1,745억원(YoY +15.1%), 영업이익 479억원 (YoY +16.0%)으로 시장 초과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하반기부터는 Buy (maintain) 글로벌 프로젝트 신인그룹이 가세하며 비유기적 성장도 추가 가능한 구조로 판단된다.

4분기 14% 증익 & 1분기 트와이스와 출격

동사 4분기 영업이익은 113억원(YoY +14.1%)으로 보이그룹 중심의 컴백 실적과

일부 이연된 트와이스 돔투어 실적이 반영되며, 피어그룹 대비 실적 차별화가 지속될

상회 부합 하회 전망이다. 이어지는 1분기에는 걸그룹 두 팀을 중심으로 컴백이 집중되며 활동량 증가 ● 세는 견조하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업황도 연초 BTS, , Black Pink 컴백과 빅뱅의 전역 완료에 따른 케이팝 재도약이 확실시된다. 특히 ITZY는 1분기 중 두 번째 Stock Data 앨범발매와 연이은 아레나 투어까지 점쳐지는 상황이다. KOSDAQ (12/9) 627.86 pt 시가총액 7,702 억원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3만원으로 엔터주 최선호주 유지 발행주식수 35,495 천주 52 주 최고가/최저가 33,150 / 16,950 원 동사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 TP 3만원으로 각각 기존을 유지한다. JYP를 엔터주 탑픽으로 90 일 일평균거래대금 102.2 억원 지속하는 이유는 1) 유기 성장만으로도 신인 두 팀을 중심으로 20~30%대 활동량 증가가 외국인 지분율 10.4% 예상되고, 2) 하반기 글로벌 프로젝트 신인그룹 데뷔가 기대되며, 3) 케이팝 업황도 연초 배당수익률(19.12E) 0.6% BPS(19.12E) 4,560 원 부터 TOP3의 컴백과 빅뱅 전역으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KOSDAQ 대비 상대수익률 1 개월 2.5% 6 개월 -5.3% Financial Data 12 개월 -20.6% (십억원) 2017 2018 2019E 2020E 2021E 주주구성 박진영 외 4 인 18.4% 매출액 102.2 124.8 151.6 174.5 189.1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7.0% 영업이익 19.5 28.7 41.3 47.9 51.0

자사주 외 1 인 6.8% 세전계속사업손익 21.1 30.2 42.3 46.2 49.9 순이익 16.4 24.3 34.6 38.1 41.1 Stock Price EPS (원) 513 736 1,051 1,157 1,248 증감률 (%) 91.3 43.6 42.7 10.1 7.9 PER (x) 26.8 41.1 20.7 18.8 17.5 PBR (x) 5.6 8.4 4.8 4.0 3.3 EV/EBITDA (x) 19.6 33.7 16.5 14.6 13.0 영업이익률 (%) 19.0 23.0 27.2 27.4 27.0 EBITDA 마진 (%) 21.8 24.0 28.1 28.0 27.5 ROE (%) 21.4 22.5 24.0 20.8 18.9 부채비율 (%) 45.1 24.5 22.5 19.9 17.8 주: IFRS 연결 기준 자료: JYP En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기업분석 / JYP Ent.

2019년 케이팝 투어모객수와 한일합산 음반판매량은 각각 685만명(YoY +1.0%), 3,060만명(YoY +9.5%)으로 예상된다. 투어의 경우 일본 모객수가 336만명(YoY - 20.2%)으로 급감하는 악조건 속에서도 BTS를 중심으로 아시아외 모객수가 173만명 (YoY +94.4%)으로 급증하며 전년 이상의 성적을 기록할 전망이다. 한편, 음반시장의 경우 일본시장 판매량이 전년비 60만장 가량 감소하였음에도 국내 시장이 빅4 기획사 의 선방과 2선 기획사들의 대표 아티스트들이 흥행하며 전체 9%대 성장을 이끌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높아진 베이스와 일본시장 침체에도 양대 활동지표는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된다.

기획사별로 올해의 성적은 대박을 친 빅히트에 이어 JYP가 고성장을 동반한 레벨업에 성공했고, SM은 양대아티스트 활동량 감소로 인한 역신장, YG는 블랙핑크 흥행에도 불 구하고 빅뱅 부재로 인한 활동량 급감에서 크게 반등하지 못한 모습이다. JYP는 최근 3년간 투어/음반 평균 M/S가 13~15% 수준으로 직전 3년 대비 5~7%p 급증했다.

(만명) Japan Asia ex-Japan (%) (만명) 빅히트 SM YG JYP 900 Non-Asia YoY(우) 100 350

800 300 80 700 250 600 60 200 500 40 400 150

300 20 100 200 0 50 100 0 0 -2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E 2020E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E 2020E

자료: 각 사,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각 사,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만장) 한국 일본 YoY(우) (%) (만장) 빅히트 SM YG JYP 3,500 60 1,000

3,000 50 800 2,500 40 2,000 600 30 1,500 400 20 1,000 200 500 10

0 0 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E 2020E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E 2020E

자료: 각 사, 가온차트, 오리콘차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각 사, 가온차트, 오리콘차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 기업분석 / JYP Ent.

2020년 케이팝 투어모객수와 한일합산 음반판매량은 각각 805만명(YoY +17%), 3,200만장(YoY +5%)으로 예상된다. 양대 활동지표 모두 역사적 고점을 경신하는 그 림이며, 연초부터 BTS, 블랙핑크, 트와이스 등 Top 3 아티스트의 컴백이 예정되어 있 어 케이팝 모멘텀은 그 어느 때보다 강할 전망이다. 투어모객수는 BTS가 입대전 화력 을 집중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점, JYP(신인 두 팀)와 YG(블랙핑크, 빅뱅)가 30만명 씩 증가가 예상되는 점이 반영되었다. SM은 EXO의 순차적 입대 공백과 도쿄올림픽 시 행전인 상반기 일본공연 빈도 저하를 감안하면 역신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음반은 전년만큼은 아니지만 5%에 가까운 성장흐름은 이어갈 전망이다. 빅4 가운데 SM을 제외한 3사가 각각 50~100만장씩 판매량이 증가하며 시장 성장을 견인할 전망 이다. 한편, SM은 EXO의 순차적 공백과 샤이니 전역이 하반기인 점을 고려하면 2년 연속 판매량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이다.

투어모객수 19/20 음반판매량 19/20 2018 2019E 2020E 2018 2019E 2020E (만명) Growth (만장) Growth Market 678 685 805 17% Market 2,794 3,060 3,200 5%

SM 293 211 193 -8% SM 660 612 500 -18%

TVXQ 121 65 60 -7% TVXQ 30 27 40 48% EXO 52 40 15 -62% EXO 254 296 100 -66% NCT 3 22 30 37% NCT 111 76 100 32% SHINee 44 23 8 -65% SHINee 104 16 20 26% SJ 35 20 40 102% SJ 49 67 80 20% JYP 70 93 122 32% JYP 434 398 460 16%

GOT7 24 31 40 30% 87 69 80 16%

Twice 18 42 40 -6% Twice 277 236 240 2%

Stray Kids - 7 20 203% 34 54 65 21%

ITZY - 2 12 500% ITZY - 12 40 240%

2PM 20 1 - n/a 2PM 5 - - n/a

Day6 8 8 10 20% 13 13 15 12%

YG 59 67 100 49% YG 110 126 180 42%

Black Pink 15 37 45 21% Black Pink 30 63 80 27%

iKON 31 19 23 22% iKON 36 9 20 130%

Winner 13 11 12 7% Winner 29 24 30 24%

Big Hit 89 162 240 48% Big Hit 637 825 930 13%

BTS 89 162 240 48% BTS 637 782 850 9% 자료: 각 사, 가온차트, 오리콘차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기업분석 / JYP Ent.

2020년 JYP의 핵심활동지표인 투어모객수와 음반판매량(한일합산)은 각각 122만명 (YoY +32%), 460만장(YoY +16%)으로 전망된다. GOT7과 트와이스를 중심으로 5 개팀(2PM은 군입대 공백기)의 기존 편제 하에서도 20~30% 수준의 전년비 성장률이 예상된다. 2019년의 경우 투어가 93만명으로 30% 이상 성장한 한편 음반이 8% 가량 역신장한 혼조세의 결과가 예상되지만, 실적은 투어, 해외음원, 유튜브 등 핵심활동 급 증 영향으로 40%의 이익증가율이 기대된다.

2020년 투어모객수는 122만명(YoY +32%)이 예상되며, GOT7, ITZY, 스트레이키즈 가 고르게 약 10만명씩 모객수가 순증하며 성장을 견인할 전망이다. GOT7은 중국인 멤버 잭슨의 단독 공연 개최 가능성이 부각되며 내년 모객성장이 예상된다. 그리고 스 트레이키즈와 ITZY의 경우 올해 글로벌 쇼케이스(국내 콘서트 포함)를 무리없이 소화 했고, 내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아레나 투어를 계획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트와이스는 글 로벌 투어에서의 스케일 업은 쉽지 않다고 판단하여 전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한 다.

2020년 음반판매량은 460만장(YoY +16%)으로 전년도의 역신장세(YoY -8%)에서 벗어나 견조한 성장률로의 회귀가 예상된다. 약 60만장의 판매 증가분에서 가장 크게 기여하는 아티스트는 ITZY(28만장 증가)일 것으로 기대되며, 뒤를 이어 GOT7과 스 트레이키즈가 각각 10만장씩 전년비 판매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트와이스는 2019년 판매량이 약 40만장 감소한 기저효과로 2020년에는 추가 하락은 제한적일 것 으로 예상한다.

투어모객수 19/20 음반판매량 19/20 2018 2019E 2020E 2018 2019E 2020E (만명) Growth (만장) Growth JYP 70 93 122 32% JYP 434 398 460 16%

GOT7 24 31 40 30% GOT7 87 69 80 16%

Twice 18 42 40 -6% Twice 277 236 240 2%

Stray Kids 0 7 20 203% Stray Kids 34 54 65 21%

ITZY - 2 12 500% ITZY - 12 40 240%

2PM 20 1 0 - 2PM 5 - - n/a

Day6 8 8 10 20% Day6 13 13 15 12%

기타 0 2 - - 기타 18 14 20 40% 자료: JYP, 가온차트, 오리콘차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 기업분석 / JYP Ent.

니지프로젝트와 프로젝트 C 등 글로벌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2020년 하반기에는 비유 기적 성장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니지프로젝트는 일본인으로 구성된 걸그룹 프로젝트로 소니와의 합작 프로젝트다. 7~8월 10여 회차에 걸쳐 일본/미국에서 의 오디션을 완료한 상태이며, 이르면 내년 1분기 데뷔준비조(20명) 선발을 위한 방송 오디션과 함께 본격 추진을 개시한다. 선발된 데뷔준비조는 한국에서 수개월간의 전문 트레이닝을 거친 후 다시 하반기 중 2차 최종방송 오디션을 통해 데뷔조를 확정하게 된 다. 2020년 4분기께 데뷔가 가능할 전망이다.

한편, 프로젝트 C는 18세 이상으로 구성된 중국향 보이그룹으로 하반기 데뷔를 목표로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14세급의 보이스토리에 더해 완성형 프로젝트 C까지 가세 하며 글로벌 아티스트 라인업도 한층 단단해질 전망이다.

2019. 7~8月 1Q20 시즌1 방송 3Q20 시즌2 방송 2020. 11~12月

글로벌 한국에서 데뷔 오디션 3~6개월 준비 일본/미국 종료 20名의 트레이닝 최종 16회차 데뷔준비조 데뷔조 데뷔 오디션 실시 선발 선발

자료: JYP, Sony,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5 기업분석 / JYP Ent.

트와이스의 2019년 활동량은 음반판매량 236만장(YoY -41만장), 투어모객수 42만 명(YoY +24만명)으로 예상된다. 일본 돔투어를 포함하여 글로벌 투어까지 소화하며 투어는 명실상부 걸그룹 탑임을 확인했고, 왠만한 보이그룹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을만 큼 급성장했다. 음반의 경우 전년 7장에서 올해 6장으로 발매가 1장 줄어든 점을 감안 시 앨범당 판매량은 견조하게 유지된 것으로 판단된다. 2020년에는 음반과 투어 모두 올해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물리적으로 낼 수 있는 앨범수의 최대치에 근접한 상황, 글로벌 아레나급 투어를 소화하기에는 조금 이른 상황으로 판단하는 점을 반영했다.

반면, GOT7은 내년에 한 단계 레벨업이 가능한 상황으로 판단된다. 올해 3월 데뷔한 유닛 JUS2가 시장에 안착했고 내년에는 잭슨의 중국활동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2020년 활동량은 음반판매량 80만장(YoY +16%), 공연모객수 40만명 (YoY +30%)으로 경쟁그룹(EXO, 샤이니, 슈퍼주니어) 가운데 유일하게 왕성한 활동 이 가능한 슈퍼주니어와 대등한 수준이 예상된다.

음반 투어 유튜브 (pt) 2016 2017 2018 2019E 2020E 500 42만명 40만명 450 400 350 277만장 300 236만장 240만장 250 171만장 18만명 200 150 100 60만장 5만명 50 15억뷰 13억뷰 15억뷰 10억뷰 0 3억뷰 트와이스 블랙핑크 트와이스 블랙핑크 트와이스 블랙핑크 2016 2017 2018 2019E 2020E 음반 투어 유튜브

자료: JYP, 가온차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JYP, YG, 가온차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만장) GOT7 SHINee SJ (만명) GOT7 SHINee SJ 120 70

100 60

50 80 40 60 30 40 20

20 10

0 0 2016 2017 2018 2019E 2020E 2016 2017 2018 2019E 2020E

자료: 각 사, 가온차트, 오리콘차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각 사,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6 기업분석 / JYP Ent.

내년에 트와이스가 6년차로 접어드는 가운데 동사 입장에서는 ITZY를 빠르게 글로벌 아티스트로 육성하는 것이 절실한 상황이다. 올해 2월 디지털싱글 달라달라로 데뷔한 ITZY의 데뷔연도 성적은 음반(1장) 12만장, 투어(글로벌 쇼케이스) 2만명, 유튜브 조 회수 2.9억뷰이다. 이는 탑티어 걸그룹의 올해 음반당 판매량이 트와이스가 40만장, 블 랙핑크가 30만장, 레드벨벳이 15만장임을 감안하면 고무적인 수치다. 연간 유튜브 조 회수는 블랙핑크(29억뷰), 트와이스(13억뷰)와 비교하면 한참 아래지만 레드벨벳(3억 뷰)에 버금간다. 2020년 ITZY의 투어모객수는 12만명(아레나 투어 개시), 앨범판매량 은 40만장으로 레드벨벳을 정량에서 근소하게 앞지를 것으로 예상한다.

스트레이키즈는 앨범당 20만장 이상을 꾸준히 판매하고 있어, 글로벌 투어가 본격화되 는 2020년부터는 위너, 아이콘을 넘어 NCT에 근접하는 정량이 예상된다. 2020년 스 트레이키즈의 투어모객수는 20만명, 앨범판매량은 65만장 이상이 예상되며, 이는 위너 와 아이콘을 큰 폭으로 넘어서는 수준에 해당한다.

(pt) 2016 2017 2018 2019E 2020E 160 60만장 140 120 100 80 28만장 2만명 60 1.4만명 12만장 10만장 40 2.9억뷰 3.3억뷰 2.7억뷰 1.4억뷰 20 0 음반 투어 YTB 음반 투어 YTB 음반 투어 YTB 음반 투어 YTB ITZY 레드벨벳 ITZY 레드벨벳 ITZY 레드벨벳

ITZY(2019) 레드벨벳(2015) 트와이스(2016) 블랙핑크 음반 투어 유튜브

자료: 각 사, 가온차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JYP, SM, 가온차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만장) 스트레이키즈 NCT Winner iKON (만명) 스트레이키즈 NCT Winner iKON 120 50

40 90

30 60 20

30 10

0 0 2016 2017 2018 2019E 2020E 2016 2017 2018 2019E 2020E

자료: 각 사, 가온차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각 사,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7 기업분석 / JYP Ent.

동사 4분기 음반 판매량은 국내 기준 64만장(YoY -32.4%)로 다소 주춤할 것으로 예 상된다. 동분기 GOT7 신보가 약 30만장을 기여할 전망이고, 스트레이키즈의 12월 컴 백앨범과 트와이스 고정 판매량이 각각 나머지를 거의 절반씩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일본 판매량은 트와이스 정규2집이 20만장 가까이 팔린 것으로 추정된다.

2020년 동사 국내 판매량은 340만장(YoY +26.9%)으로 전년비 70만장 증가가 예상 된다. 트와이스가 올해와 비슷한 판매량이 유지되는 가운데 증가분은 ITZY(+28만장), 스트레이키즈(+11만장), GOT7(+11만장)이 전부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1분기 는 트와이스와 ITZY의 동시 컴백이 점쳐지는 상황으로 앨범판매에 있어 강력한 모멘 텀이 확실시된다.

(천장) JYP 점유율(우) (%) 1,000 25 900 800 20 700 600 15 500 400 10 300 200 5 100 0 0 1Q16 2Q16 3Q16 4Q16 1Q17 2Q17 3Q17 4Q17 1Q18 2Q18 3Q18 4Q18 1Q19 2Q19 3Q19 4Q19E

자료: 가온차트, JY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만장) 트와이스 GOT7 스트레이키즈 ITZY (%) 트와이스 GOT7 스트레이키즈 2PM 기타 160 100.0

140 80.0 120

100 60.0 80

60 40.0

40 20.0 20

0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E 2020E 0.0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E 2020E

자료: 가온차트, JY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가온차트, JY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8 기업분석 / JYP Ent.

4분기 발매한 트와이스 정규2집 &TWICE의 최종 판매량은 아직 집계 전이지만, 초동 판매량 12만장을 감안시 20만장에 육박하는 수준은 가능할 전망이다. 올해 동사 일본 판매량은 130~135만장(트와이스 120~125만장)으로 전년비 10만장 가량 감소가 예 상된다.

2020년 일본판매 성장의 관건은 ITZY의 성패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트 와이스가 2020년까지 전성기의 폼을 유지하는 동안, 후배 그룹인 ITZY가 일본에서 안 착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ITZY는 현재 1분기 중 앨범 발매와 상반기 중 아레나 투어 발표가능성이 높아, 2020년 동사 일본판매량은 보수적으로 전년비 동등한 수준을 추정 하지만 업사이드는 열려 있다고 판단한다.

(천장) JYP 점유율(우) (%) 700 60

600 50

500 40 400 30 300 20 200

100 10

0 0 1Q18 2Q18 3Q18 4Q18 1Q19 2Q19 3Q19 4Q19

자료: 오리콘차트, JY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RIAJ, JY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오리콘차트, JY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9 기업분석 / JYP Ent.

동사 4분기 공연모객은 23만명(YoY +15.3%)으로 빅4 기획사 가운데 유일한 모객 성 장을 기록할 전망이다. 동분기 트와이스가 10만명, GOT7이 7만명 가까이 모객하였으 며, 신인 ITZY가 4만명(4Q19 2만명, 1Q20 2만명) 규모의 글로벌 쇼케이스에 돌입했 다. 올해 동사 모객수는 93만명으로 전년비 30%대 고성장에 성공했다. 이는 트와이스 가 돔투어를 포함 42만명으로 보이그룹 수준으로 성장하며 투어 원천이 다변화된 점에 기인한다.

2020년은 현재 Top 2에 신인인 ITZY와 스트레이키즈가 각각 아레나 투어를 계획 중 으로 투어 원천은 더욱 다변화되며 볼륨은 업그레이드가 확실시된다. 내년말께는 니지 프로젝트 데뷔, 2PM 전역이 예정되어 있어 비유기적 성장도 재개가 가능한 구조라고 판단된다.

(천명) JYP 점유율(우) (%) 1,000 16

900 14 800 12 700 600 10 500 8

400 6 300 4 200 100 2 0 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E

자료: JY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천명) GOT7 Twice 2PM Day6 스트레이키즈 Twice 2PM GOT7 ITZY 기타 600 100%

500 80%

400 60% 300

40% 200

100 20%

0 0% 2009 2011 2013 2015 2017 201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E 2020E

자료: JY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JY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0 기업분석 / JYP Ent.

동사 4분기 실적은 매출액 404억원(YoY +11.3%), 영업이익 113억원(YoY +14.1%) 으로 세자리수의 견조한 이익을 유지하며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실적흐름을 이어갈 전 망이다. 앨범은 다소 주춤할 전망이나 투어가 15% 전년비 성장하고, 트와이스 돔투어 실적 일부가 이연된 효과로 호실적이 예상된다. 세부적으로는 콘서트 매출액이 75억원 (YoY +60%), 음반/음원 매출액이 157억원(YoY +10%)으로 성장을 견인할 전망이 다.

2020년 동사 실적은 매출액 1,745억원(YoY +15.1%), 영업이익 479억원(YoY +16.0%)으로 높아진 베이스에도 불구하고, 10% 중반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유지할 전망이다. 이는 투어 모객수가 122만명(YoY +32%), 음반 판매량이 460만장(YoY +16%)으로 고성장하는 점에 기인한다. 양대 활동지표에서 트와이스의 2020년 성장률 은 각각 -6%, +2%에 불과하다. 그만큼 트와이스 외 아티스트만으로도 전사가 고성장 할 만큼 모든 아티스트 라인업의 경쟁력 증가가 확실시된다는 의미다.

(억원) 2017 2018 2019E 2020E 1Q18 2Q18 3Q18 4Q18 1Q19 2Q19 3Q19 4Q19E

매출액 1,022 1,248 1,516 1,745 230 316 339 363 264 392 456 404

% YoY 38.8% 22.1% 21.5% 15.1% 5.0% 10.9% 93.7% 5.8% 14.8% 23.9% 34.5% 11.3%

% QoQ -32.9% 37.4% 7.3% 7.1% -27.3% 48.3% 16.3% -11.4%

음반/음원 341 480 561 593 95 106 136 143 105 139 160 157

매니지먼트 416 463 590 736 91 143 96 133 82 145 171 192

콘서트 100 169 243 339 11 71 40 47 21 47 100 75

광고 168 178 194 215 46 45 39 48 29 53 46 66

출연 148 115 152 182 34 26 17 38 32 45 25 50

기타 265 306 355 416 45 67 107 87 77 108 125 45

매출원가 630 687 795 917 133 163 187 203 142 221 222 210

매출총이익 392 562 721 828 97 153 152 160 122 171 234 194

매출총이익률 (%) 38.4% 45.0% 47.6% 47.5% 42.2% 48.4% 44.8% 44.1% 46.2% 43.6% 51.2% 48.0%

영업이익 195 287 413 479 14 91 85 99 58 94 148 113

% YoY 41.3% 47.2% 43.9% 16.0% -63.2% 31.9% 672.7% 30.3% 314.3% 3.3% 74.1% 14.1%

% QoQ -81.6% 550.0% -6.6% 16.5% -41.4% 62.1% 57.4% 23.6%

영업이익률 (%) 19.1% 23.0% 27.2% 27.4% 6.1% 28.8% 25.1% 27.3% 22.0% 24.0% 32.4% 28.0% 주: IFRS 연결 기준 자료: JYP,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1 기업분석 / JYP Ent.

동사에 대해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3만원으로 각각 기존을 유지한다. JYP를 엔 터주 탑픽으로 지속하는 이유는 1) 유기 성장만으로도 신인 두 팀을 중심으로 20~30% 대 활동량 증가가 예상되고, 2) 하반기 글로벌 프로젝트 신인그룹 데뷔가 기대되며, 3) 케이팝 업황도 연초부터 TOP3의 컴백과 빅뱅 전역으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기 때문 이다.

현재 동사는 2018년 하반기에서 2019년 초에 걸친 밸류에이션 최고점에서 40% 가량 하락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올해 상반기 YG 사태로 인한 엔터주 투자심리 급락과 높아진 베이스로 인한 추가 성장 기대감 저하로 주가는 큰 폭의 조정을 거친 것으로 판 단된다. 현주가는 P/E 18배에 불과해 1) 2020년 산업 고성장과 연초 1군 아티스트 대 거 컴백에 따른 모멘텀, 2) 동사 자체적으로 신인 두 팀을 중심으로 다시금 이익 고성 장이 확실시되는 점을 감안시 매력적이라는 판단이다.

(원) 40.0X 30.0X 20.0X 10.0X 50,000 45,000 40,000 35,000 30,000 25,000 20,000 15,000 10,000 5,000 0 13/01 13/07 14/01 14/07 15/01 15/07 16/01 16/07 17/01 17/07 18/01 18/07 19/01 19/07 자료: JYP En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원) 9.00X 6.00X 4.00X 1.00X 50,000 45,000 40,000 35,000 30,000 25,000 20,000 15,000 10,000 5,000 0 13/01 13/07 14/01 14/07 15/01 15/07 16/01 16/07 17/01 17/07 18/01 18/07 19/01 19/07 자료: JYP En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2 기업분석 / JYP Ent.

(%) 빅히트 SM YG JYP 35

30

25

20

15

10

5

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E 2020E

자료: 각 사, 가온차트, 오리콘차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 빅히트 SM YG JYP CJ ENM 14

12

10

8

6

4

2

0 2016 2017 2018 2019 자료: 각 사, 가온차트, 오리콘차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 빅히트 SM YG JYP 60

50

40

30

20

10

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E 2020E

자료: 각 사, 가온차트, 오리콘차트,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3 기업분석 / JYP Ent.

JYP Ent. (035900)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십억원) 2017 2018 2019E 2020E 2021E (십억원) 2017 2018 2019E 2020E 2021E 유동자산 58.4 82.6 112.3 131.8 153.4 매출액 102.2 124.8 151.6 174.5 189.1 현금 및 현금성자산 25.4 45.0 49.4 65.0 82.9 매출원가 63.0 68.7 79.5 91.7 101.2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10.9 13.3 17.6 19.5 21.1 매출총이익 39.3 56.2 72.1 82.8 87.9 재고자산 1.7 1.5 2.3 2.5 2.8 판매비 및 관리비 19.8 27.4 30.8 34.9 36.9 기타유동자산 20.5 22.8 43.0 44.8 46.6 영업이익 19.5 28.7 41.3 47.9 51.0 비유동자산 66.0 76.7 89.4 105.3 122.1 (EBITDA) 22.3 29.9 41.5 48.9 52.0 관계기업투자등 2.9 0.5 0.5 0.5 0.5 금융손익 -0.2 0.6 0.7 0.7 0.7 유형자산 24.7 36.5 48.1 63.1 79.0 이자비용 0.0 0.0 0.0 0.0 0.0 무형자산 29.1 29.1 29.5 29.8 30.2 관계기업등 투자손익 -0.9 -0.3 0.0 0.0 0.0 자산총계 124.4 159.3 201.8 237.1 275.5 기타영업외손익 2.7 1.1 1.7 0.6 0.6 유동부채 34.8 30.8 36.5 38.8 41.0 세전계속사업이익 21.1 30.2 42.3 46.2 49.9 매입채무 및 기타재무 11.6 9.2 12.5 13.8 15.0 계속사업법인세비용 4.7 5.9 7.7 8.1 8.8 단기금융부채 0.0 0.0 0.0 0.0 0.0 계속사업이익 16.4 24.3 34.6 38.1 41.1 기타유동부채 23.2 21.7 24.0 25.0 26.0 중단사업이익 0.0 0.0 0.0 0.0 0.0 비유동부채 3.8 0.5 0.5 0.6 0.6 당기순이익 16.4 24.3 34.6 38.1 41.1 장기금융부채 0.1 0.3 0.3 0.3 0.3 지배주주 16.2 23.8 34.6 38.1 41.1 기타비유동부채 3.8 0.3 0.3 0.3 0.3 총포괄이익 16.2 24.4 34.6 38.1 41.1 부채총계 38.7 31.4 37.1 39.4 41.5 매출총이익률 (%) 38.4 45.0 47.6 47.5 46.5 지배주주지분 84.9 126.8 161.4 194.4 230.6 영업이익률 (%) 19.0 23.0 27.2 27.4 27.0 자본금 17.3 17.9 17.9 17.9 17.9 EBITDA마진률 (%) 21.8 24.0 28.1 28.0 27.5 자본잉여금 55.0 70.5 75.0 75.0 75.0 당기순이익률 (%) 16.0 19.4 23.4 21.8 21.7 이익잉여금 26.8 48.3 78.9 111.9 148.1 ROA (%) 15.3 16.8 19.2 16.9 15.7 비지배주주지분(연결) 0.9 1.1 3.3 3.3 3.3 ROE (%) 21.4 22.5 24.0 20.8 18.9 자본총계 85.8 128.0 164.7 197.7 233.9 ROIC (%) 40.4 41.9 44.8 41.7 38.0

현금흐름표 주요 투자지표 (십억원) 2017 2018 2019E 2020E 2021E 2017 2018 2019E 2020E 2021E 영업활동 현금흐름 27.1 22.4 32.1 38.9 42.6 투자지표 (x) 당기순이익(손실) 16.4 24.3 34.6 38.1 41.1 P/E 26.8 41.1 20.7 18.8 17.5 비현금수익비용가감 8.8 10.1 1.6 1.9 2.4 P/B 5.6 8.4 4.8 4.0 3.3 유형자산감가상각비 0.3 0.9 1.4 1.6 2.1 EV/EBITDA 19.6 33.7 16.5 14.6 13.0 무형자산상각비 2.6 0.3 0.3 0.3 0.3 P/CF 18.8 30.6 21.3 19.7 18.1 기타현금수익비용 -1.4 -0.5 -0.1 0.0 0.0 배당수익률 (%) n/a 0.4 0.6 0.6 0.6 영업활동 자산부채변동 5.3 -4.4 -2.6 -0.1 0.1 성장성 (%)

매출채권 감소(증가) -3.3 -3.1 -4.7 -1.8 -1.6 매출액 38.8 22.1 18.1 15.1 8.4 재고자산 감소(증가) -0.3 0.2 -0.8 -0.2 -0.2 영업이익 40.9 47.7 38.5 16.0 6.5 매입채무 증가(감소) 4.4 -2.4 3.3 1.3 1.2 세전이익 61.2 43.3 39.9 9.2 8.0 기타자산, 부채변동 4.5 1.0 -0.4 0.7 0.7 당기순이익 92.0 48.3 42.3 10.1 7.9 투자활동 현금 -28.7 -13.7 -33.8 -19.3 -20.7 EPS 91.3 43.6 42.7 10.1 7.9 유형자산처분(취득) -24.8 -12.8 -12.9 -16.6 -18.0 안정성 (%)

무형자산 감소(증가) -0.7 -0.3 -0.6 -0.6 -0.6 부채비율 45.1 24.5 22.5 19.9 17.8 투자자산 감소(증가) -1.7 -2.3 -20.6 -1.5 -1.6 유동비율 167.7 267.9 307.7 339.8 374.3 기타투자활동 -1.4 1.7 0.3 -0.5 -0.5 순차입금/자기자본(x) -46.1 -47.4 -52.0 -52.0 -52.3 재무활동 현금 2.5 10.5 5.9 -4.0 -4.0 영업이익/금융비용(x) n/a n/a n/a n/a n/a 차입금의 증가(감소) 0.0 0.0 0.0 0.0 0.0 총차입금 (십억원) 0 0 0 0 0 자본의 증가(감소) 2.5 3.5 -4.0 -4.0 -4.0 순차입금 (십억원) -39 -61 -86 -103 -122 배당금의 지급 0.0 0.0 4.0 4.0 4.0 주당지표(원)

기타재무활동 0.0 7.0 9.9 0.0 0.0 EPS 513 736 1,051 1,157 1,248 현금의 증가 0.5 19.6 4.4 15.7 17.9 BPS 2,452 3,587 4,560 5,493 6,515 기초현금 24.8 25.4 45.0 49.4 65.0 CFPS 732 989 1,021 1,102 1,201 기말현금 25.4 45.0 49.4 65.0 82.9 DPS n/a 122 120 120 120

주: IFRS 연결 기준 자료: JYP Ent.,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4 기업분석 / JYP Ent.

JYP Ent. 목표주가 추이 투자의견 변동내역

(원) 괴리율(%) 괴리율(%) 주가 목표주가 투자 목표 투자 목표 50,000 일시 일시 의견 가격 최고 최저 평균 의견 가격 최고 최저 평균 대비 대비 대비 대비 대비 대비 40,000 2019.04.22 변경 김현용 2019.04.22 Buy 43,000 -26.6 -38.2 2019.07.08 Buy 34,000 -32.2 -39.8 30,000 2019.08.16 Buy 30,000

20,000

10,000

0 17/12 18/06 18/12 19/06 19/12

Compliance Notice

본 자료에 기재된 내용들은 작성자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작성자: 김현용) 본 자료는 고객의 증권투자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 리서치본부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나, 당사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라며 유가증권 투자 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최종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자료는 당사의 저작물로서 모든 저작권은 당사에게 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될 수 없습니다. _ 동 자료는 제공시점 현재 기관투자가 또는 제 3 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_ 동 자료의 추천종목은 전일 기준 현재당사에서 1% 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_ 동 자료의 추천종목은 전일 기준 현재 당사의 조사분석 담당자 및 그 배우자 등 관련자가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_ 동 자료의 추천종목에 해당하는 회사는 당사와 계열회사 관계에 있지 않습니다.

투자등급 및 적용 기준 구분 투자등급 guide line 투자등급 적용기준 투자의견 비고 (투자기간 6~12 개월) (향후 12 개월) 비율 Sector 시가총액 대비 Overweight (비중확대) (업종) 업종 비중 기준 Neutral (중립) 투자등급 3 단계 Underweight (비중축소) Company 절대수익률 기준 Buy (매수) +15% 이상 기대 94.6% 2018년 10월 25일부터 당사 투자등급 적용기준이 (기업) 투자등급 3 단계 Hold (보유) -15% ~ +15% 기대 5.4% 기존 ±20%에서 ±15%로 변경 Sell (매도) -15% 이하 기대 합계 100.0% 투자의견 비율은 2018. 10. 1 ~ 2019. 9. 30 당사 리서치센터의 의견공표 종목들의 맨마지막 공표의견을 기준으로 한 투자등급별 비중임 (최근 1 년간 누적 기준. 분기별 갱신)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