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koica.go.kr

업 무 자 료

우즈베키스탄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건립 및 직업훈련 제도역량 공고화 지원사업 (2020-2024년/1,400만불)

기본계획

2019. 02월

우즈베키스탄 사무소 목 차

Ⅰ. 사업개요 ····································································································· 1 1. 사업개요서 ····························································································· 1 2. 사업대상지 지도 ···················································································· 5 3. 추진경과 ································································································ 6 4. 예비조사 개요 ······················································································· 6 5. PCP 개선사항 ························································································ 7

Ⅱ. 국내․외 정책부합성 분석 ··········································································· 8 1. 국제사회 (SDGs 해당여부 및 세부내역) ·············································· 8 2. 수원국 (관련 국가개발정책 및 전략 해당여부 및 세부내역) ············· 8 3. 우리정부 (CPS 중점협력분야 해당여부 및 세부내역) ························· 9 4. KOICA (분야별 중기전략 해당여부 및 세부내역) ······························· 10

Ⅲ. 사업추진 여건 분석 ················································································· 11 1. 문제/수요분석 및 해결방안 ································································· 11 2. 법‧제도적 여건 분석 ·············································································· 17 3. 사업대상지 분석 ···················································································· 19 4. 수혜자 분석 ··························································································· 22 5. 수원기관 분석 ······················································································· 23 6. 이해관계자 분석 ···················································································· 24 7. 유사사업 분석 ······················································································· 26 8. 협업가능성 분석 ···················································································· 27 9. 파트너 재원유치 가능성 분석 ······························································ 28 10. 국내 여건 분석 ·················································································· 29

Ⅳ. 사업 수행계획 ·························································································· 31 1. 사업목표 및 성과 ·················································································· 31 2. 사업논리모형 ························································································· 32 3. 사업수행 및 의사결정 체계 ·································································· 33 4. 참여자 간 업무분장 및 역할 ································································ 34 5. 활동별 세부수행계획 ············································································ 36 6. 추진일정 ································································································ 45

Ⅴ. 지속가능성 ······························································································ 46 1.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건립 ·································································· 46 2. 국가 자격검정제도 구축 ····································································· 47 3. 교원 연수센터 설립 ············································································ 48

Ⅵ. 성과관리 계획 ·························································································· 49 1. 지표 선정 ····························································································· 49 2. 사업 성과관리 ····················································································· 50

Ⅶ. 위험분석 및 대응방안 ············································································· 52 Ⅰ. 사업개요

1. 사업개요서

구 분 내 용

PCP 및  관계기관 PCP : (O) (O, X 중 표기) 핵 사전타당성  수총기관 공문 : (O) (O, X 중 표기) 심 조사  사전타당성조사 : (X) (O, X 중 표기)

검 국개위 의결 후 ▣ 사업 내용 변경 여부 : 미해당 (2020년 신규사업) 토 사업 변경여부 사 및 변경내용 항 ※계속사업만 작성

▣ 우즈베키스탄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건립 및 직업훈련 제도역량 공고화 사업명(국문) 지원사업

▣ Establishment of Vocational Trainng Center in and National 사업명(영문) Qualification System Primarily in Tashkent VTC in

대상국가 및 ▣ 우즈베키스탄 우르겐치시 및 타슈켄트시 지역

사 ▣ 구분 : 신규 사업기간/ 업 ▣ 기간 : 2020-2024년 총 사업예산 ▣ 총 사업예산 : 1,400만불 개 요 사업유형 ▣ ① 프로젝트

사업분야 ▣ ① 교육

▣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건립, 국가자격체계 도입 및 직업훈련 교사훈련센터 설립을 통해 우즈벡 직업훈련 질을 제고함으로써 양질의 산업인력을 사업 목적 배출하여 산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실업자에게 취업기회를 제공하여 지역주민들의 소득향상과 우즈베키스탄 경제사회 발전에 기여

- 1 - 구 분 내 용

▣ 수원국 요청서 접수 : 투자위원회 ShV-03/04-1-9750-26201(9.26)  기타 사항 수원국 - 2015년 KOICA-우즈벡 대외경제부(당시 수원총괄기관) 체결한 MOU 상, 수요 확인 KOICA 지원사업으로 기재 - 2017. 4. 10일자, 주재국 내 단계별 직업훈련원 건립 프로그램 내각령 상,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건립사업 (KOICA 지원) 포함

타당성 조사  시기 및 주체 : 2019. 1. 9 ~1. 19, KOICA 및 민간전문가 ※예비조사  민간전문가 참여 여부 : O / 조사결과 대외공개 가능 여부 : O 실시 이후 - 민간전문가 참여 인원 : 4명 작성

재외공관  사업 발굴단계 정보공유 : 주우즈베키스탄공화국대한민국대사관 사업계획 공유 -4408(2018.10.02./2020년도 우즈벡 신규후보프로젝트 사업 발굴)

▣ 연계사업 리스트 - (KOICA)우즈베키스탄 타쉬켄트 직업훈련원 건립사업(2007~2011/550만불) 연계・유사・중복 - (KOICA)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직업훈련교육 역량강화사업(2013~2017/640만불) 사업 해당여부 - (KOICA)우즈베키스탄 사흐리삽즈시 훈련센터 설립 및 직업훈련 역량 정 강화 컨설팅사업(2014~2018/850만불) 책 - (KOICA)우즈베키스탄 페르가나 직업훈련원 건립사업(2018~2022/890만불)

부 ▣ 국별협력전략(CPS)상 중점협력분야 해당 여부 : (O) 합 - 우즈벡 중점협력분야 (1) 교육 분야-직업교육훈련 질적향상 해당 성 ▣ 구체 국정과제 해당 여부 : O 99-3. 청년 일자리와 국익에 기여하는 개발원조 (5급 PAO 1인 투입) 99-4. 체계적․통합적․효율적 개발원조 추진 정책 연계성 ▣ SDGs 해당 목표(필수 기재사항) : 4 ▣ 기타 대외전략(신남방정책 등) 관련 여부 : (O) - 신북방정책 목표3(산업협력 고도화를 통한 신성장동력 창출), 과제9(4차 산업혁명 대응, 산업협력 강화) 및 목표4(인적/물적 교류 확대로 상호 이해 증진), 과제14(대학/청년/학술 단체 교류 활성화 및 인력 양성) 해당

협업 여부 ▣ 해당사항 없음

우리측 ▣ 우리측의 발전된 직업훈련 제도 및 시스템 전수를 통해 주재국 내 직 기대 효과 업훈련분야에서의 선도 위치 획득 및 양국 간 협력관계 증진에 기여

- 2 - 구 분 내 용

▣ 소요예산 : 296만불 (3,256백만원) ▪ 우르겐치 직훈원 (2급 1명, 3급 6명, 4급 1명, 5급 1명) 전문가 파견 ▪ 국가자격검정제도 (2급 1명, 3급 1명) ▪ 교원연수센터 (2급 1명, 3급 6명)

▣ 소요예산 : 586만불 (6,446백만원) 건축 ▪ 우르겐치 직훈원 건축 (3개동, 연면적 5,000㎡) ▪ 교원연수센터 건축(1개동, 연면적 300㎡)

사 ▣ 소요예산 : 340만불 (3,740백만원) 우리정부 ▪ 우르겐치 직훈원 (5개 공과 및 행정 기자재) 업 기자재 세 분담사항 ▪ 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 (관리 시스템 기자재) 부 ▪ 교원연수센터 (각 직훈원별 공과 보완 기자재) 내 ▣ 소요예산 : 111만불 (1,221백만원) 용 ▪ 우르겐치 직훈원 관리자급 (12명/2주) 연수 ▪ 우르겐치 직훈원 훈련교사 (10명/3개월) ▪ 국가자격검정제도 실무자 (5명/3개월) ▪ 교원연수센터 훈련교사 (10명/3개월)

▣ 소요예산 : 67만불 (737백만원) 행정비/기타 ▪프로젝트 관리, 평가, 물류비, 예비비 등

수원국 ▣ 부지 제공 및 기초 인프라 인입, 정지작업 등 착공 사전 제반 준비 분담사항 ▣ 건축 인허가, 물품 통관 및 면세 및 기타 행정지원

- 3 - 구 분 내 용

▣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개원 및 정상운영 산출물 ▣ 직훈 교사 대상 훈련 완료 (성별 분류) (OUTPUT) ▣ 교육과정 개발 완료 ▣ 자격검정시스템 시범 도입 및 자격증 발급

▣ 산업수요에 적합한 기술인력 양성 성 과 (OUTCOME) ▣ 직훈 교사 및 관리자 역량 강화 및 직훈 환경 향상 ▣ 자격검정시스템 운영

실적 및 목표치 성 성과 2025 목표치 측정산식 자료수집 방법 지표 2025 2026 2027 산출 근거 (또는 측정방법) 또는 자료출처 과

480 480 480 단기 직훈원 관 성과 지표 성과 입학생수 명 명 명 사업대상 인원 입학생 수 측정 수원기관통계 리 및 설명 ( 중기 직훈원 - 80% 85% 유사직훈원 경험 당해년도 졸업생수 수원기관통계 성과 졸업률 (타슈켄트직훈원) /입학생수)*100) 졸업생 장기 - - - 착수조사시 착수조사시 성과 소득 협의 예정 협의 예정 수원기관통계 증대

▣ 평가시점 ▪ 중간점검 : 기자재 설치 준비 시점 전후 및 매년 연차점검을 통해 실시 평가계획/ ▪ 종료평가 : 사업 완료 후 졸업생 첫 배출 단계인 2025년 실시 실적 ▣ 평가주체 : 자체평가 및 외부 전문인력을 통한 독립평가 실시 예정 ▣ 평가결과 : 해당없음

▣ 사업 종료 평가 후 평가결과에 따라 사후관리계획 수립 검토 사후관리 계획 ▣ 공과별 봉사단원 파견 통해 동 직훈원의 역량 강화 지속 지원

구속성/비구속성 ▣ 구속성 여부 : (X)

▣ (KOICA 담당자) - KOICA 본부(지역실장) : 우리측 · 김명진 실장/031-740-0513/[email protected] - KOICA 해외사무소(소장) : 담당자 · 손성일 소장/(+998) 90-904-5578 /[email protected]

▣ (수원국 수원기관 담당자) 수원국 - 노동고용관계부/Ms. Murodova Gulnora Sobirjonovna/국장/ 측 +99871 239-41-21/[email protected]

- 4 - 2. 사업대상지 지도

ㅇ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건립 대상지 : 우르겐치 - 수도 타슈켄트에서 960km 떨어진 곳에 위치, 항공 1시간 50분 소요 ㅇ 교사훈련센터 건립 대상지 : 타슈켄트 - 타슈켄트 직업훈련원 부지 내 건립

- 5 - 3. 추진경과 ㅇ 2018. 10월 PCP 접수 (10. 02) ㅇ 2019. 1월 예비조사 실시

4. 예비조사 개요 ㅇ (조사기간) 2019. 1. 9. (수) ~ 1. 19. (토) (한국 입출국일 기준) ㅇ (조사지역) 우즈베키스탄(타슈켄트, 우르겐치 등) ㅇ (조사목적) - 우즈베키스탄 해당분야 현황조사 - 사업대상지역의 사업실시여건 및 타당성 조사 - 수원기관(노동부, 우르겐치 지방)의 정책적 의지 확인 - 사업추진방안 수립 ㅇ (주요 면담자 및 방문지) - 1월 10 및 11일, 노동부 차관 및 직업훈련 국장 등 면담 - 1월 10일, 타슈켄트 직업훈련원 방문 및 부원장 면담 - 1월 11일, DVV (독일 원조기관) 방문 및 관계자 면담 - 1월 14일, 코레즘 주 주지사 및 우르겐치 시장, 노동부 고용센터장 면담 - 1월 14일,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건립 대상지 방문 - 1월 15일, 우르겐치 GM 공장, 자동차 정비소, 농기계 제작 회사 방문 ㅇ (조사단 구성) 총 6명

구 분 성 명 소속 및 직위 조사담당 임 무 손성일 사무소 소장 조사단장 - 예비조사 총괄(조사단장) - 현지 일정관리 및 조사 지원 KOICA 한송이 사무소 부소장 조사지원 - 보고서 품질관리 총괄 - 외부전문가 관리․지원 직업훈련 - 직업훈련 정책/제도 분야 조사 수행 김의경 한국기술교대 정책/제도 및 결과보고서 작성 등 직업훈련 - 직업훈련원 운영 방안 수립/공과 성호용 정화예술대학교 운영/공과 전문가 선정 및 결과보고서 작성 등 외부 -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사업대상지 전문가 조덕원 한미글로벌 건축전문가 확인 및 건축결과보고서 작성 등 - 우즈벡 기능자격 검정제도 구축 가 직업훈련 조행묵 공주대학교 능성 확인/시범 사업 방안 마련 및 자격제도 전문가 결과보고서 작성 등

- 6 - 5. PCP 개선사항 ㅇ 개발협력 파트너 재원유치 가능성 분석하여 내용 추가 ㅇ 사업대상지 선정 및 적절성 검토 결과 추가 ㅇ 조달관리 방안 검토 내용 추가 ㅇ 건축전문가 파견을 통한 건축 관련 구체 사업 계획 추가 ㅇ 건축, 전문가 파견 등 실제 사업투입내역의 단가에 따라 예산 조정

- 7 - Ⅱ. 국내․외 정책부합성 분석

1. 국제사회(SDGs 해당여부 및 세부내역)

ㅇ 당 사업은 SDG 4 모든 사람을 위한 포용적이고 형평성 있는 양질의 교육 보장 및 평생교육기회 증진(Ensure inclusive and equitable quality education and promote lifelong learning opportunities for all)에 해당하며, 5개 항의 세부목표에 부합함 - 4.3 2030년까지 직업기술교육훈련 분야에서 남녀평등 교육기회 부여 - 4.4 2030년까지 좋은 직업을 가질 수 있도록 직업기술교육훈련 기회의 지속적 확대 - 4.5 2030년까지 성불평등 해소 및 모든 교육 및 직업교육 단계에서 장애자, 원주민 어린이 등에게 균등한 교육기회 부여 - 4.b 개발도상국과 아프리카 국가 직업교육훈련, 고등교육, 기술자 교육 등의 지 속적 확대 - 4.c 2030년까지 개발도상국에 교사교육 강화 및 양질의 교사 공급 확대를 위한 국제협력 강화

2. 수원국(관련 국가개발정책 및 전략 해당여부 및 세부내역)

ㅇ 우즈베키스탄(이하 우즈벡 병기)은 국가개발의 기본방향으로 우즈베키스탄 개발 전략(Uzbekistan's Development Strategy for 2017 – 2021)을 선포하였으며, 동 전 략의 5개 핵심 분야 중 하나로 사회 개발 전략을 포함하고 있음. 사회개발 전략 은 “수입증대와 직업창출”, “여성의 사회정치 참여 확대 및 사회 안정망 증 진”, 생활여건 향상을 위한 주택건설, 도로 교통 현대화, 통신 및 사회 간접자 본 확충”, “교육 및 과학 분야 개발 청년 지원 정책”등으로, 당 사업과 관련 된 세부 전략은 다음과 같음. - 중등 및 고등교육 이수자에 대한 고용증대, 직업창출 및 실업자 축소를 위한 노 동시장 활성화 - 노동시장 수요에 부응한 교육훈련 기회 확충 및 개발 정책의 지속화 - 교육훈련 시설 확충, 재건축 및 유지관리, 교육훈련 장비 확충, 컴퓨터 및 교육 교·보재 확충 - 중등교육에서 학과목별 교육뿐만이 아니라 외국어, 컴퓨터 교육 강화

- 8 - - 전문 고등교육 기관의 교육내용을 시장 및 고용주의 요구에 부합토록 개선하고 수료생의 취업 확대 - 훈련 및 수업 수준을 국제 기준에 맞도록 개선하여 고등교육기관의 품질 향상 및 효과성 제고 - 전문 직업교육훈련 기관에서 기업화교육 강화 및 수료생의 창업 확충

ㅇ 우즈벡은 노동가능인구인 15-64세 인구계층이 전체인구의 70.3%, 중간연령이 27.1세로 향후 성장가능성이 높은 편이며, 비교적 높은 교육수준의 풍부한 노동 인력은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이를 바탕으로 중앙아시아 지역 내 전략적 입지 를 강화하기 위해 교육부문의 중요성을 인식, 투자를 확대 중에 있음

ㅇ 또한 우즈베키스탄 개발전략에서 산업구조 다변화 및 산업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제조업 부문 육성 추진, 경제·사회 기반 시설 확충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중 점 추진하고 있어, 이에 부응하는 기술인력 양성 노력이 시급함

ㅇ 2018년 8월 20일 발표된 대통령령 39213호에 의하면, 정부는 현재 각 부처별로 독립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각 직종별 직업훈련기관(예: 기술고등학교, 직업훈련 센터 등)을 노동부로 이관하여 직업훈련의 확대개편을 추진하고 있음. 또한 정부 는 타슈켄트 직업훈련원으로 하여금 훈련교사 재교육을 포함하여 모든 직업훈련 기관을 관리하도록 할 예정임

3. 우리정부(CPS 중점협력분야 해당여부 및 세부내역)

ㅇ 우리나라의 우즈베키스탄 국가협력전략은 우즈벡 개발전략 목표 달성을 지원하 기 위해 물 관리 및 보건의료시스템 개선, 전자정부 및 공공부문 역량강화를 통 한 효율성 제고를 포함하여 “인적자원 개발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지원 목표로 설정하였으며, 동 사업은 인적자원 개발에 해당하는 부분임. - 교육 분야의 지원 방향은 직업교육훈련의 질적 향상과 교육정보화 지원 사업으 로 선정한 바, 동 사업의 목표와 일치함.

ㅇ 따라서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설립 및 직업훈련제도 공고화 지원 사업은 우리나 라의 대 우즈베키스탄 국가협력전략과 일치하는 사업임

- 9 - 4. KOICA(분야별 중기전략 해당여부 및 세부내역)

ㅇ KOICA는 2017년 6월 KOICA 분야별 중기전략 2016∼2020을 수립․시행하고 있으 며, 선정된 10개 분야 중에 교육 분야 또한 포함되어 있음. 동 전략의 비전 및 미션은 아래와 같음. - VISION : 양질의 교육을 통한 포용적 발전 - MISSION : 개도국 교육시스템 강화 및 교육주체 참여 제고를 통해 모든 인간의 교육권 향상에 기여

ㅇ 동 사업은 교육 중기전략 중 전략목표 3. 미래역량 개발을 위한 직업기술교육에 해당함. - 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 및 교원연수센터 구축은 성과 1. 직업기술교육 시스템 강화에 해당함. -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건립은 성과 2. 기술교육 선도모델 구축에 해당함.

- 10 - Ⅲ. 사업추진 여건 분석

1. 문제/수요분석 및 해결 방안

가. 문제/수요분석

ㅇ 우즈벡 정부가 경제 발전에 노력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정부가 시행하거나 추진 중인 정책들은 직업기술교육훈련을 통해 양질의 기술 인력을 양성하여 고용률 향상과 산업발전 및 경제성장을 도모하는 데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음.

ㅇ 경제성장률 및 인구증가율을 고려할 때 매년 95만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어 야 하는 상황이며,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직업교육 강화를 통한 창업 확대 및 중소기업 역량강화를 추진 중임. 그러나 기술 분야 및 수준 별 시장수요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하기 때문에 지역별, 도시별 노동시 장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실업률이 감소하지 않 고 있음. - 우즈베키스탄 실업률은 2017년 7.20%, 1991년 ~ 2017년 평균 실업률은 7.83%를 나타냈으나 20% 이상의 잠재 실업률을 감안하면 실업률은 매우 높은 편임

ㅇ 우즈베키스탄은 2017년 11월 17일 대통령령에 의하여 산업체 기술수요에 부응 하도록 직업고등학교를 통‧폐합하여 개편하는 등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음. 이 에 따라 교육부 산하에 있던 직업고등학교 약 60개교를 노동부 산하로 편입하 는 한편, 한국형 직업훈련시스템과 자격제도를 접목하여 우즈벡 직업훈련 제도 를 개편함으로써, 우즈벡 산업현장에서의 일자리 창출과 생산성 향상에 적극 노력하고 있음.

ㅇ 이에, 노동부 산하로 편입된 직업고등학교 및 타 직업훈련 기관의 역량강화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특히 직업훈련 교사의 역량이 중시되고 있음. 현재 우즈벡에는 교원 선발 절차가 정립되어 있지 않고, 교사 재훈련도 형식적 으로 실시하는 데 그치고 있어, 교사 역량이 높지 않은 바, 이를 제고하기 위 한 방안이 시급한 실정임.

ㅇ 또한 한국의 자격제도를 우즈벡 자격검정제도에 적용하여 향후 국가기술자격을

- 11 - 정착화 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하고 있음. 타 국가의 제도보다도 한국의 직 업훈련제도가 우즈벡 국민의 정서에 부합하고, 국가기술자격제도가 합리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한국정부에 적극 협조를 요청함.

ㅇ 이러한 요청의 배경에는, KOICA 지원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3개의 직업훈련원 들이 우수한 기술 인력을 배출함을 물론, 90% 수준의 높은 취업률을 유지함으 로써, 우즈벡 정책 입안자들에게 양질의 직업훈련을 통하여 산업발전과 고용문 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음을 경험케 것이 그 원인인 것으로 보임.

ㅇ 또한 신규 직업훈련원 건립 대상지역인 우르겐츠 시(코레즘 주)는 목화재배 등 농업분야와 고대도시인 히바를 활용한 관광산업을 지역경제발전의 핵심 분야로 선정하고 투자유치를 추진 중에 있음. 그러나 관련 산업의 전문 기술인력 양성 은 전무한 상황으로, 인력양성에는 일정 기간이 필요함을 감안할 때, 훈련원 건립은 시급히 추진해야 하는 사업임. KOICA 훈련원들의 성공사례를 잘 알고 있는 주지사, 시장 등 지방정부 관계자들은 해당지역에 KOICA 훈련원의 조속 한 건립을 통하여 관련 기술인력이 양성되기를 희망하고 있음.

ㅇ 고용노동부는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건립을 통한 실업자 직업훈련뿐만이 아니라 산업수요에 부합하는 전문 직업기술교육의 강화, 교육기법의 개선 등으로 훈련 수료생의 취업률을 제고함으로서, 노동시장의 문제 해결을 기대하고 있음. 또 한 교원연수센터 건립 및 운영 최신 교수법 전수, 훈련계획 수립 등 훈련교사 의 역량강화를 기대하여, 우즈벡 전역의 직업훈련 기관의 품질 제고를 희망하 고 있음.

ㅇ 또한 산업기술의 분석 및 표준화를 통한 국가 기술자격검정제도의 구축과 동 제도의 운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해결되기를 바라고 있음 - 노동시장 진입자 평가의 종합적 접근 - 취업가능 표준 역량의 파악, 평가도구 개발 - 직원 평가 도구의 개발 - 직무분석 기법의 개발

- 12 - 나. 우즈베키스탄 현황 1) 사회문화적 특성 ㅇ 우즈베키스탄의 행정구역은 12개 주(viloyat), 1개 자치공화국(avtonom respublikasi), 1개의 특별시(shahar)로 구성됨.

ㅇ 우즈베키스탄 인구는 총 3,300만 명으로 그 중 코레즘 주 인구는 180만 명, 우 르겐치시 인구는 14만 명임.

( 표 Ⅲ-1 ) 우즈베키스탄 코레즘 주 인구 분포 (단위 : 명)

구 분 거주자(2018. 10. 1 기준) 계 33,085,236 Khorezm region 1,825,228 Urgench city 141,491 city 90,133 District: Bogot 159,972 Gurlan 144,734 Kushkupir 167,417 Urgench district 192,552 Khazorasp 242,235 Honka 181,731 Khiva district 141,506 165,250 Yangiarik 113,015 Yangibozor 85,192

* 자료 : 우즈베키스탄 노동부(현지 확보 자료)

ㅇ 1991년 이후, 로마 문자 차용, 의무교육의 단축 등을 시행하여 교육제도를 개 혁하였음. 학생 수가 전체인구의 약 절반을 차지하며, 문해율이 99% 이상으로 매우 높은 편임

ㅇ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 HDI)는 0.434로 186개국 중 105위 (2017)로 낮은 수준이나 2007년 184위에서 높은 향상을 이루었음

2) 경제 환경 ㅇ 우즈베키스탄 경제는 2016년 7.8%, 2017년 5.3%, 2018년 4.9%의 GDP 성장률을 보였으며, 2019년에는 5.0%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어 지난해에 비해

- 13 - 다소 감소하고 있음.

ㅇ 우즈베키스탄의 GDP 성장률은 중앙아시아 8개국 중 5위 수준임. 2018년 6.0%, 2019년 5.8%롤 예상되고 있는 아시아 국가의 성장률 예측과 비교하면 다소 낮 은 수준임. GDP 규모는 2017년 기준 49,000백만 달러임.

ㅇ 1인당 GDP는 2015년 6.2%, 2016년 6.0%, 2017년 3.7%, 2018년 3.9%의 성장률 을 보이고 있으며 2009년에는 4.0%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2017년 1인당 GDP 는 1,520불임.

(표 Ⅲ-2) 우즈베키스탄의 연도별 경제상황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GDP(백억 달러) 670.7 488.3 433 513.4 552.8 GDP 성장률 7.8 5.3 5.0 5.0 5.5 (불변가, %) 1인당 GDP 2,124 1,520 1,326 1,560 1,660

GDP 대비 10.5 24.3 19.2 21.7 22.3 정부부채 비율(%)

인플레이션(%) 8.0 12.5 19.2 14.9 12.6

* 2018년, 2019년, 2020년은 예측치 임 * 자료 : IMF –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18

3) 산업

ㅇ 1991년 독립이후, 자동차, 석유가스 화학, 기계제작, 건설자재, 철도 기계 제 작, 생활가전, 제약, 식료품 가공 산업 등 신규 사업을 창출하였음

ㅇ 기계제작 산업과 목재가공 산업은 독립이후, 각각 18.5배, 19.8배 증가하였으 며, 2014년 한 해에만 철강 산업 16.5%, 경공업 16.1%, 기계류 13.5%, 목재가 공 및 제지업 12.3%, 건축자재 10.7% 등 평균 이상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음. 산업의 현대화 및 기술개발, 생산 효율성 증대 조치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실 시로 2000- 2013 기간 중 노동생산성이 2.1배 증가하고 에너지 사용은 3.1배

- 14 - 감소하였음

ㅇ 2017년 기준으로 면화, 과일, 가축 등 농업분야의 생산이 GDP의 18.5%, 섬유, 식료가공, 기계제조, 건축, 화학, 광업 등 제조업이 34.4%, 서비스 분야가 47% 를 차지하고 있음

4) 고용 현황

ㅇ 2017년 12월 기준 고용자수는 13,500천명, 실업자 수는 837천명으로 실업률 7.2%를 나타내고 있음. 우즈베키스탄 실업률은 2016년 7.50%에서 2017년 7.20%로 소폭 감소하였으며, 1991년 ~ 2017년 평균 실업률은 7.83%를 나타냈 으나 20% 이상의 잠재 실업률을 감안하면 실업률은 매우 높은 편임

ㅇ 2018년 1월 - 11월 기간 중 고용노동부 산하 실업자 고용센터 방문자는 총 599,014명으로 실적을 살펴보면, 취업 241,079명, 직업훈련 18,812명, 사회적 일자리 342,539명, 실업상태 유지 13,196명임

(표 Ⅲ-3) 우즈베키스탄 고용센터 업무실적(2018년 1월 - 11월 기간 중) (단위 : 명) 사회적 지역 방문자 취업 직업훈련 실업상태 일자리 계 599,014 241,079 18,812 342,539 13,196 Karakalpak Republic 46,415 23,807 1,352 24,321 1,204 Andijan 73,250 27,989 1,812 44,155 2,106 Bukhara 27,802 14,782 1,535 12,039 1,619 Jizzakh 28,601 9,406 815 18,629 1,081 Kashkadarya 44,312 17,830 964 24,988 641 Navoi 22,650 10,188 652 10,332 720 Namangan 59,169 25,343 1,550 32,511 294 Samarkand 49,344 25,352 1,559 22,616 207 Surkhandarya 51,234 12,552 1,458 37,343 654 Syrdarya 17,761 7,528 321 10,304 188 Tashkent region 38,270 21,242 1,577 15,765 1,603 Ferghana 103,097 27,288 3,092 73,910 344 Khorezm 29,900 13,405 1,356 14,161 1,768 Tashkent city 7,254 4,367 762 1,465 767

* 자료 : 우즈베키스탄 노동부(현지 확보 자료)

- 15 - ㅇ 코이카 지원으로 설립·운영되고 있는 직업훈련원들은 실기 중심의 교육과 양 질의 시설 및 장비로 정부 및 지역사회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으며 우수한 기 능인력 양성을 통하여 지역사회 및 산업발전에 기여하고 있음

다. 사업선정 배경 (해결방안)

ㅇ 현재 우즈베키스탄에서는‘우즈베키스탄 5개년 개발 전략’을 비롯, 사회 전반 적인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이 중 많은 부분들이 산업 발전을 통해 경제 발전에 집중되고 있음. 이를 위해 필수라고 할 수 있는 기술인력 양성 및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 직업훈련시설(Vocational Training Provider)이 확대되어 야 하며, 정부는 기술교육의 품질관리를 위해 국가자격검정(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과 양질의 교원연수(ToT : Training of Trainer) 제도를 운영할 필 요가 있음.

ㅇ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높은 실업률 해소와 숙련된 기술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 해 각 주마다 최소 1개의 직업훈련센터를 설립하여 기능 인력을 양성하고자 계 획하고 있음. 이와 관련, 코레즘 주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건립은 지역 내 실습 위주의 직업훈련을 통해 양질의 산업인력을 배출하여 산업체의 경쟁력을 강화 하고, 실업자에게 취업기회를 제공하여 지역 산업 활성화를 통한 지역주민들의 소득향상에 기여하려는 목적에서 추진됨.

ㅇ 국가자격검정제도 도입을 통해 전국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직업훈련 을 표준화하고 품질을 제고할 수 있을 것임. 동 사업을 통해서 기 지원된 KOICA 직업훈련원의 공통 공과에 해당하는 자격체계 및 자격검정제도를 구축 할 수 있음. 노동부에서는 동 자격검정시험을 통과한 자격증 소유자가 정당한 대우를 받고 취업을 할 수 있도록 혜택을 줄 계획임.

ㅇ 시급히 요구되는 훈련교사의 역량강화는 KOICA 타슈켄트 직업훈련원 캠퍼스 내에 교원연수센터를 별도로 설립하여 추진하고자 함. 훈련교사에게 요구되는 교수법 및 교육이론 관련 교육(ToT in Pedagogy and Cross-Cutting)은 교원연수 센터에서 담당하고 실무와 관련되어 있는 기술역량 향상교육(ToT in Technology)은 5개 KOICA 훈련원에서 각 설치학과에 따라 각각 담당할 수 있 을 것임.

- 16 - ㅇ 동 직업훈련 관련제도 수립 지원사업은 최우수 사례로 평가받고 있는 KOICA 훈련원들이 지원종료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성과를 유지토록 하는 장치가 될 것 이며, 한국이 훈련시설, 훈련교사, 자격제도 등 직업훈련 전반에 필요한 하드웨 어와 소프트웨어를 지원함으로서 그 체제를 완성해 준다는 데에도 그 의미가 큰 사업임

2. 법‧제도적 여건 분석

가. 직업훈련 분야 현황 및 발전 전략

□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2017년 2월 7일 대통령령으로 “2017-2021 우즈베키스탄 5대 핵심 추진 방향”을 수립, 적용하고 있으며 동 계획에 교육과 직업훈련을 포함함으로써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

□ 교육품질향상을 국가발전의 핵심과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모든 사회구성원들에 게 양질의 직업교육훈련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경제발전을 도모하고 있음

□ 2018년 8월 20일 발표된 대통령령 39213호에 의하면,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현 재 직업훈련기관들을 고용노동부로 이관을 추진 중에 있으며, 1차로 60여개의 기술고등학교(Professional College)를 노동부로 이관할 예정임

□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직업훈련과 훈련실시, 자격검정, 훈련교사 등 직업 훈련 관련 법령의 제정 및 정비를 추진 중에 있으며, 훈련교사 관리를 포함한 직업 훈련의 전반적 관리 업무를 타슈켄트 직업훈련원에서 수행토록 할 예정임

□ 우즈베키스탄의 기술 및 직업 교육훈련 (TVET) 시스템은 2018년에 다양한 입 법 결의안을 채택하였으며, 국가 이해 관계자들은 TVET에 대한 새로운 비전과 제도적 장치, 거버넌스 및 조직을 요구하고 있음

□ 그러나 핵심 국가 이해 관계자와의 추가 협의가 필요하며, TVET 시스템의 전 반적인 아키텍처, 거버넌스 및 자금 지원, 자격, 품질보증 (QA) 및 노동 시장과 의 연계성. 특히 민간 부문과 산업체가 해야 할 역할이 필요함

□ 우즈벡의 경제성장과 사회복지를 위해서는 관련기술을 훈련하는 것이 중요하

- 17 - 며, 경제전망은 TVET 정책을 강화하고 포괄적인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기회 를 열어 주는 계기가 됨

나. 일반교육 현황

□ 우즈베키스탄은 1991년 소비에트 연방공화국으로부터 독립하면서부터 교육훈련 관련 법률을 제정하기 시작하였으며 미국을 비롯한 영국, 일본, 독일, 프랑스 같은 나라들의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1992년 교육법 제정 및 1997년 8월 수정 을 거쳐 완성하였음

□ 교육체계는 4-5-3-4제를 기본으로 중등 전반기 교육(초등 4 + 중등 전반기 5) 9년을 마치고 인문계와 직업기술교육계로 진학함

□ 우즈베키스탄은 정규학제에 의한 증등전문직업교육(SSVE: Secondary Specialized Vocational Education)을 의무교육으로 실시하고 있음. 중학교 졸업 이후, 학생 들은 인문계 고등학교(Academic Lyceum)와 직업고등학교(Vocational College)를 선택하여 지원함. 매년 약 55만 명이 고등학교를 졸업하며, 그중 약 10%만이 대학에 진학함. 대학진학자는 대부분 인문계 졸업생이며 나머지 고등학교 졸업 생은 노동시장에 진출함

□ 2017년 하반기(1학기)부터 시범적으로 중학교에서 2년 과정의 고등학교 과정을 추가로 제공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러한 시스템이 정착되면 11학년 과정의 초중 등교육시스템이 도입되는 것임

□ 이에 따라, 중학교 과정을 이수한 이후 인문계고등학교 또는 직업고등학교를 선택하는 것 이외에 기존의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과정을 이수할 수도 있 도록 하고, 고등학교 2학년 과정에서부터 이론수업과 함께 주 1-2일의 실습 직 업교육을 이수토록 함

□ 한편, 고용노동부가 실업자, 이직자, 이주노동자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직업 훈련은 양성 규모 부족으로 수요를 충당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 18 - 3. 사업대상지 분석

가. 코레즘 일반현황

□ 코레즘 주는 우즈베키스탄의 행정 구역으로, 우즈베키스탄 북서부 아무다리야 강 하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부하라 주와 카라칼파크스탄, 투르크메니스탄과 인 접해 있음. 코레즘 주는 10개 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도는 우르겐치시이며 주 요 도시로 히바, 쇼보트, 혼카가 있음

□ 코레즘 주를 경유하는 철도는 총연장 130km 이상에 달하며 총연장 2,000km에 달하는 포장도로가 코레즘 주를 경유함. 향후 물류이동에 용이할 것으로 보임

□ 코레즘 제국과 히바 칸국의 수도로 번영을 이룬 히바의 구 시가지는 유네스코 가 지정한 세계유산에 등록 우즈베키스탄의 대표적인 관광 자원으로 손꼽이고 있음

나. 코레즘 경제 및 산업 현황

□ 코레즘 주 총생산은 2015년 6조 1677억 숨, 2016년 6조7888억 숨, 2017년 8조 1552억 숨, 2018년 1월 - 9월 기간 중, 6조 6751억 숨 규모임

□ 산업생산, 소비재생산, 농업생산 등 모든 분야에서 지속적인 완만한 증가 추세 를 보이고 있음

(표 Ⅲ-4) 코레즘 지역의 주요 경제지표 (단위 : 10억숨) 2018 증가율 산업 2015 2016 2017 (1월 - 9월) (2017/2015) 지역총생산 6,167.7 6,778.8 8,155.2 7,675.1 109.7 산업생산 2,616.0 2,802.7 4,070,4 3,890.3 113.0 소비재 생산 1,764.5 1,671.2 2,374.3 2,664.5 103.9 농업생산 2,517.0 3,040,9 3,780.3 3,667.3 108.2 고정자본투자 1,343.4 1,375.4 1,950.7 2,052.7 134.3 건축분야 1,174.7 1,220.9 1,375.8 1,321.7 113.0 서비스분야 2,192.2 2,695.2 3,552.1 3,130.6 122.0

* 자료 : 우즈베키스탄 코레즘 주정부(현지 확보 자료)

- 19 - □ 우르겐치 시는 2017년 코레즘 주의 산업생산 29.1%, 소비재 생산 29.5%, 농업 및 어업 1.7%, 서비스업 47.0%, 수출 12.9%를 차지하고 있음

□ 산업 및 소비재의 경우, District와 우르겐치시가 전체의 각각 60.4%, 74%를 차지하고 있어 2개의 지역을 제외한 지역의 경제활동은 매우 낮은 것으 로 나타남.

□ 코레즘주의 2017년 1인당 GDP는 우르겐치시가 8,526.0천 숨으로 가장 높고 Hazorasp지역이 5,337.6천 숨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두 지역을 제외한 다 른 지역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음

□ 소비재 1인당 GDP도 우르겐치시와 Hazorasp지역이 높은 반면, 다른 지역은 상 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임.

□ 우르겐치시의 임업 및 어업 1인당 GDP는 최하위 수준으로 낮은 반면, 서비스 분야는 11,939.7천 숨으로 타 지역에 비하여 월등히 높게 나타나고 있음

(표 Ⅲ-5) 2017년 지역별 산업별 1인당 생산액 (단위 : 1,000 숨) 구분 산업 소비재 임업 및 어업 서비스업 계 2,273.1 1,325.9 2,111.2 1,983.6 Urgench City 8,526.0 5,020.3 459.5 11,939.7 Khiva City 825.8 540.4 - 1,108.3 Bogot District 1,246.3 373.9 2,390.6 1,101.5 Gurlan 1,294.4 271.2 2,757.4 1,337.6 Kushkupir 825.9 78.5 2,042.9 1,066.2 Urgench 761.0 1,014.9 2,411.6 1,331.2 Hazorasp 5,337.6 4,450.7 1,754.9 1,049.8 Honka 1,561.3 829.9 2,217.6 969.6 Khiva 613.7 210.6 1,622.0 1,609.0 Shovot 1,778.0 375.5 2,311.7 1,048.0 Yangiarik 1,228.6 120.6 2,723.7 1,329.5 Yangibozor 1,104.2 184.4 3,622.6 1,589.8

* 자료 : 우즈베키스탄 코레즘 주정부(현지 확보 자료)

- 20 - □ 코레즘주 고용센터 방문자는 29,900명으로 취업 13,405명, 직업훈련 1,358명, 사 회적 일자리 14,161명, 실업상태 1,768명임

□ 코레즘주의 기후는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로, 대표적인 농산물은 목화이지만 쌀 과 포도, 멜론, 박, 감자 등도 생산하고 있음. 공업은 목화 가공과 면실유 추출, 직물 관련 산업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음. 히바에서는 페르시아 융단이 생산 되는데 주로 수출용으로 생산됨.

□ 코레즘주 우르겐치에서 약 90km 떨어진 곳에 GM 자동차 공장이 있으며 (자동 차로 약 1시간 30분 소요) 약 1200명의 인력이 근무하고 있음. 본 공장은 한국 의 GM자동차 조립공장과 유사하며, 한국GM에 매년 연수생을 보내고 있음 자 동차 공장 시설은 전 자동화시스템구축과 한국 GM연수로 우수인력이 종사하고 있음.

다. 코레즘주 교육훈련 동향

□ 코레즘주에는 15개의 특수학교를 포함하여 총 536개의 인문계 중등학교가 있으며 졸업생 수는 2017/2018 학년도에 308,646명, 2018/2019 학년도에 339,646명임. 인문계 고등학교의 교사 수는 2017/2018 학년도에 21,401명, 2018/2019 학년도 에 27,978명임

□ 직업고등학교(Professional College)의 총 재학생 수는 61,771명이며 1,858명(실습 교사 수 : 661명)임. 직업고등학교 중 63개 교에 351개의 실습장이 설치되어 있 으나 (경공업 : 61실, 기초산업 50실, 건축분야 125실, 농업분야 28실, 서비스 분야 87실 등) 시설 및 장비 설치는 매우 열악한 상황임. 직업고등학교 졸업생 수는 2017/2018 학년도 27,176명, 2018/2019 학년도 27,078명임

□ 코레즘 주정부 자료에 의하면, 2019년 7월 현재, 총 27,176명의 직업고등학교 졸업자 중 24,487명이 취업하여 90.1%의 취업률을 보이고 있으나. 공공근로, 단 기 취업자를 모두 포함한 통계로 실제로 해당 직종에 취업한 졸업생은 극히 적 음

- 21 - (표 Ⅲ-6) 코레즘주 직업고등학교 졸업생 취업률(2019. 7월) (단위: 명) 구분 학교 수 졸업자수 취업자수 취업률(%) 계 86 27,176 24,487 90.1 Urgench City 8 1,978 1,831 92.6 Khiva City 8 2,811 2,392 85.1 Bogot District 7 2419 2317 95.8 Gurlan 7 1839 1609 87.5 Kushkupir 7 1783 1502 84.2 Urgench 13 4489 3753 93.6 Hazorasp 8 3798 3551 93.5 Honka 9 2512 2452 97.6 Khiva 8 2811 2392 85.1 Shovot 6 2224 2026 91.1 Yangiarik 6 1551 1375 88.7 Yangibozor 5 1008 955 94.7

* 자료 : 우즈베키스탄 코레즘 주정부(현지 확보 자료)

4. 수혜자 분석

가. 직업훈련원 학생

□ 직업훈련원 수료자는 훈련을 통해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이론 및 실기 역량을 갖추게 됨으로써 취업기회를 갖게 될 것이며 생활수준이 향상될 것임.

□ 또한, 기술자격제도를 통해 해당분야의 기술수준과 역량을 국가로부터 인정 받 음으로써 취업 시, 자신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음은 물론, 상응하 는 대우를 받을 수 있을 것임

□ 직업교육 이수자도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하여 자신의 능력을 증명함으로써 보다 나은 취업 기회를 갖게 될 것임

나. 직업훈련기관 (직업훈련원 및 직업훈련 고등학교)

□ 국가기술자격기준은 훈련내용과 방향을 제시할 것이며, 소속 훈련교사를 재교 육 프로그램에 참여케 함으로써 이들의 기술 전문성을 향상함과 함께 교직과정

- 22 - 이수를 통해 이들의 교수역량 향상, 교과과정의 개편 및 양질의 교재를 개발하 여 훈련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

□ 직업훈련 교사들에게 산학협력 기법 등의 교육을 통해 지역 산업체와의 협력 강화 및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지역 산업기술의 신속한 수요 파악과 교과 과정 반영이 가능해지고, 취업지원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음

다. 고용주

□ 직업훈련을 통해 산업 수요에 부합한 기능역량을 갖춘 인력을 확보할 수 있고 국가자격 소지자의 기술수준 검증이 가능하여 우수인력을 확보할 수 있음.

□ 우수인력의 확보에 따른 재교육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기업 기술 수준과 생산 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

5. 수원기관 분석

□ 고용노동부(이하 “노동부” 병기)는 훈련원 건립사업의 지속적 추진, 고등교육 부로부터의 기술 고등학교(Professional College) 인수 등 직업훈련의 규모가 대폭 확대되는 상황에서, 훈련시설의 확충, 자격검정 시스템 도입, 훈련교사 역 량 강화를 위한 재교육(TTC : Training of Trainer)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자 하지만,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경험이 부족한 상황임

□ 정책책임자를 비롯하여 관리자들은 역량개발 프로그램(초청연수)을 통하여 한 국의 직업훈련제도, 자격검정제도 및 교사양성제도 운영경험과 노하우를 체험 하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직업훈련 거버넌스의 체계화 및 훈련성과 향상을 이룩할 수 있을 것임

□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고위 및 실무 담당자들이 한국 전문가들의 지원으로 국가 제도로서의 기술 자격검정 및 교사재교육 시스템을 습득하고 노하우를 전수 받 음으로서 자국실정에 부합한 제도를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될 것임

□ 훈련교사 교육(Training of Trainer)을 담당할 교사 초청연수를 통하여 교과과정 개발방법, 교재개발기법 등 교직역량을 강화하고 이들이 교사 재훈련을 실시함

- 23 - 으로써 직업훈련교사들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기회를 갖게 될 것임

6. 이해관계자 분석

가. 고용노동부

□ 우즈베키스탄은 2017년 11월 17일 대통령령에 의하여 직업고등학교의 일반교육 전환(일부 유료화) 및 수학연한을 3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고, 전국의 1,500개 칼리지를 통폐합하여 각 부처에 편입시켰음.

□ 교육부에서 관리하던 기술교육분야 16개 직업고가 고용노동부 산하로 이관되었 으며, 이에, 노동부에서는 KOICA에서 지원한 직업훈련원 수준으로 동 직업고 교사들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협조를 구하고 있음

□ 노동부에서는 직업고등학교 졸업 후 미취업자나 취업 후 실직을 한 실업자의 재취업 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나, 기업체가 요구하는 실질적인 직업훈련 프로그 램을 시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임. 이러한 상황에서 당 사업은 직업훈련 프로 그램의 질적 향상은 물론, 향후 우즈벡의 직업훈련 교육에 좋은 롤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노동부는 직업훈련제도를 도입함으로써 국제적 수준에 부합하는 인력양성 체계 를 마련하고, 산업 및 경제발전 전략에 따른 인력수요에 부응할 수 있을 것임.

□ 정책책임자를 비롯하여 관리자들은 능력개발 프로그램(초청연수)에 의한 각 공 과별 연수를 받아 한국의 현장중심, 직업훈련제도, 국가 직무능력표준(NCS) 및 국가기술자격 검정제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직업훈련 정책, 법체계, 국가 자격제도 기준, 기술자격검정 절차 등을 망라한 전반적인 노하우를 체득하게 될 것임.

□ 따라서 본 사업을 통하여 우즈베키스탄의 기술교육훈련 수준의 향상과 교육훈 련시스템의 개편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우즈벡의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임

- 24 - 나. 고등교육부

□ 고등교육부는 범정부차원의 직업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중요한 행정부처로서 노 동부와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한 만큼 동 사업의 관계자들은 관련된 직업훈련 및 자격제도에 대한 한국 초청연수에 동참하게 됨으로써 충분한 능력개발 기회 를 갖게 될 것임

□ 또한 장기적인 측면에서 직업훈련제도가 건전하게 육성·발전된다면 그 동안 정형화되어 실시했던 고등교육부의 직업교육에도 일정부분의 제도가 개선됨으 로써 합리적인 인적자원개발의 틀을 갖추게 될 것이며, 고등교육부에서 관리하 고 있는 직업고등학교 출신들도 국가기술자격검정시험에 응시하여 자격증을 취 득하게 되고, 고용가능성(employability)을 향상시켜 인적자원의 효율적 배분효 과가 있을 것임

다. 직업훈련원 학생 및 직업고등학교 학생

□ 직업훈련생들은 자신의 현장중심, 실기중심 직업훈련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찾을 수 있고, 양질의 평생직업능력 개발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임

□ 직업고등학교 학생 또한 동 사업을 통하여 제도정착이 이루어 진 후 재직근로 자로서 계속적으로 직업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훈련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임

□ 본 직업훈련원에서 제공하는 기술 분야의 직업훈련을 통하여 무직자, 실직자 및 구직자 등 다양한 소외계층에게 기술교육을 제공하고, 일자리를 알선할 수 있으며, 교육훈련생은 자신의 역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회와 능력에 맞는 일 자리 확보 등의 수혜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우르겐치 지역특성에 맞는 훈련원 공과별 훈련과정을 신설하여 현장실무에 적 합한 직업교육을 실시하고 졸업생이 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회를 제 공함으로써, 산업체는 우수한 기능 인력을 확보하여 기업경쟁력 강화에 큰 도 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라. 고용주

- 25 - □ 고용주 입장에서는 지역에 직업훈련원이 설립되면 우수한 기술기능을 갖추고 있는 인적자원을 체계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근로자에 대한 현장실무와 접목 할 수 있는 세부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기업의 생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임

□ 지역특성에 맞는 직업훈련생을 배출하여 산업체의 생산효율성과 공정개선 등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시대변화에 따른 신기술 등이 도입될 때 직업 훈련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될 것이며, 고용주는 직업훈련을 통하여 현장실무에 필요한 기술 인력을 고용함으로써 생산제품의 질적인 향상을 이루게 될 것임. 또한, 동 직업훈련원 설립을 통하여 우르겐치 지역 내의 우수한 기능인력 확보 가 용이하며, 기업경쟁력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7. 유사사업 분석(현지, KOICA)

가. 타슈켄트 직업훈련원 건립사업

□ 타슈켄트 직업훈련원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50만불의 예산으로 우즈벡의 수도인 타쉬켄트에 건립하였으며, 본관, 실습동, 기숙사를 건축하였으며, 기숙 사의 수용규모는 100명임. 자동차정비, 전기·전자 및 IT공과를 지원하였으며, 교재는 4개 공과별로 이론과 실습을 현장에 적합하게 집필함

□ 타슈켄트 직업훈련원은 2012년 7월에 개원한 이래로 4개 공과별 90명, 연간 360명이 2회에 걸쳐 입학 및 졸업을 하고 있음. 현재까지 졸업생은 약 3,100명 으로 취업률은 94%에 달하고 있음. 그동안 KOICA 봉사단원 18명이 근무였으 며, 현재(2019년 1월) 3명이 자동차, 기계 및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봉사하고 있 음

나. 사마르칸트 직업훈련원 직업훈련교육 역량강화사업

□ 사마르칸트 직업훈련원의 경우 총 640만불이 소요되었으며, 2013년에 시작하여 2017년에 완공되었고, 본관, 실습동 및 기숙사(면적 4,800m2)시설이 완비되어 있음. 전기·전자, IT, 자동차 및 용접 등 4개 공과가 개설되었고, 초청 연수 및

- 26 - 전문가 파견을 진행하였음. 또한 공과 학생들에게 현장에 맞는 이론 및 실기교 재를 개발하여 사용함

□ 2016년 10월 개원 이래로 4개 공과별 60명씩 연간 240명이 2회에 걸쳐 입학 및 졸업하고 있으며, 최근 3기 입학생 정원 240명 중 225명이 지난 2018년 6월에 졸업을 하였고, 취업률은 약 90%에 달하고 있음

다. 사흐리삽즈시 훈련센터 설립 및 직업훈련 역량강화 컨설팅사업

□ 사흐리삽즈 직업훈련원은 2014년에 시작하여 2018년에 개원하였으며 총 사업비 850만불이 투입되어 본관, 실습동 및 기숙사(면적: 3,900m2)를 건축함

□ 2018년 7월에 직업훈련원을 임시 개원하여 1기 입학생 236명을 모집하였으며, 2018년 9월에 개원하였음. 5개 공과 총 정원 240명으로 전기, IT, 기계 등 3개 공과는 각 60명, 방적 및 봉제 2개 공과는 30명의 학생들이 연간 2회에 걸쳐 입학 및 졸업함

라. 페르가나 직업훈련원 건립사업

□ 페르가나 직업훈련원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페르가나에 직업훈련원을 건립 하는 사업으로 총 사업 규모는 890만불, 건축 연면적 5,000㎡이며, 본관, 실습 동 및 기숙사 등으로 구성됨

□ 현지 산업수요를 고려하여 전기, 자동차, IT, 미용 및 봉제 5개 공과를 선정하 였고, 연수생 초청 및 전문가 파견을 진행할 예정임. 현재 PMC기관이 선정되어 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8. 협업가능성 분석

가. DVV 독일지원사무소

□ 독일의 대외원조를 총괄하는 BMZ는 직업교육훈련 분야의 개발협력 추진을 위 한 기본방향을 제시한 전략문서를 작성하여 우즈벡 정부를 꾸준히 지원하고 있 으며, 또 다른 독일의 원조기관인 DVV는 성인교육에 치중하여 적극적인 지원

- 27 -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직업교육훈련도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초기 직업교육훈 련과 계속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지원으로 구성되어 있음. 직업교육훈련 사업 기획, 이행 및 평가 등의 과정을 통하여 성과를 얻고 있음

□ 독일지원 교사훈련센터(직업교육 교사양성센터)는 전국의 직업고등학교 대상 교사교육 및 성인교육을 실시하며, 교육내용으로 성인 및 교사교육을 위한 심 리학 및 교수법 등 1개월에 140시간으로 편성되어 있음. 교육지원은 단기, 중 기 및 장기로 나누어 교사교육을 지원하고 있으며 산업체 및 독일 자문관을 활 용함

□ DVV는 한국의 직업훈련원과 타 교육기관과의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 히 독일의 성인교육 시스템를 우즈벡에 도입하여 호응을 얻고 있어 코이카가 지원하는 직업훈련사업과 연관되는 부분이 있으며, 향후 상호 워크숍을 통하여 정보를 교류하고 협력을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함.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지원의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해 전반적인 교육 분야 및 개발협력의 핵심분야 부분을 협업하면 좋은 성과를 얻을 것으로 사료됨

나. 스위스 우즈벡협력사무소

□ 스위스는 우즈벡에 4단계로 기술교육을 지원과 3년을 4단계로 하여 12년 동안 기술교육을 지원하며, 페르가나지역 11개 센터와 사마르칸트 지역 1개의 직업 고등학교를 지원하고 있음. 산업체 고용형태와 사업주의 의지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과 우즈벡 교육부와의 인증관리시스템을 협력하고 있음. 또한 현지 기자재 업체의 교육지원과 스위스 기술전문가의 초빙교사 교육프로그램 및 모듈식 교 육으로 기술교육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사업을 진행 중임

□ 코이카 사업이 진행될 경우, 향후 교육과정개발 시 상호 협조체제를 구축하여 협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9. 파트너 재원유치 가능성 분석

□ 2016년 이후 우즈벡 정부는 과거 교육훈련 시스템을 변경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노동부 및 교육부 주도하에 교육 제도를 대대적으로 개혁할 계획

- 28 - 임. 특히 한국의 직업훈련교육 및 유럽국가 시스템도 장점을 살려 우즈벡에 도 입함으로써 학제개편 및 국가자격제도 등을 개혁하고자 하는 의지가 매우 높 음. 따라서 동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타 기관의 원조를 적극적으로 유치할 가 능성이 있음

□ 하지만 동 사업은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추진하는 핵심 사업 중 하나로 사업의 신속한 추진이 강조되고 있는 바, 타 원조 기관에 우선하여 한국 및 우즈벡 양 국의 참여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인 상황인 부분도 고려해야 함

10. 국내 여건 분석

가. 국내 사업수행기관 확보

□ 동 사업의 공과별 수준에 맞는 전문 훈련기관이 국내에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PMC기관 선정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됨

나. 전문가 풀 확보

□ 자동차공과의 인력풀은 전국 자동차과 폴리텍 교수, 전문대 교수 및 4년제 실 무에 능통한 교수 등과 자동차 기업체 임직원 등 정년을 마친 65세 이하의 인 력을 확보할 수 있음

□ 전기공과는 한국전력 및 이와 유사한 전기업체 임직원, 전국 교육기관 전문가 인력을 활용하며, 전국 각 도에 설치되어있는 정년퇴임 인력 및 관련 전기전자 분야 정년퇴직자를 대상으로 인력풀을 구성할 수 있음

□ 관광분야는 전국 관광학과 등에서 근무하는 교수를 대상으로 방학을 이용하여 인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자격은 관광분야에서 일정이상 근무한 경력을 가진 분을 대상으로 인력풀을 구성할 수 있음

□ 헤어는 각 대학의 미용관련 학과 교수와 일정기간 경력을 갖춘 전문가를 확보 할 수 있음

- 29 - □ 용접분야 또한 전국 직훈 교사 및 대학의 교수를 대상으로 인력풀을 만들어 현 지 여건과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전문가를 확보할 수 있음

- 30 - Ⅳ. 사업 수행계획

1. 사업목표(Impact) 및 성과(Outcome)

가. 사업목표

□ 직업훈련원 건립 및 우즈벡 직업훈련 제도 공고화 지원을 통해 우즈벡 직업훈 련 질을 제고함으로써 사업대상 지역의 취업대상자에게 취업기회를 제공하여 주민들의 소득을 향상하고, 양질의 산업인력을 배출하여 산업체의 경쟁력을 강 화함으로써 지역경제발전과 더불어 우즈베키스탄 경제사회 발전에 기여함

나. 성과

□ 성과 1. 우르겐치의 산업수요에 적합한 기술인력 양성

ㅇ 우르겐치 직업훈련원의 설립 목적은 지역의 산업발전에 뒷받침이 되는 직업훈 련원을 설립하여 수준 높은 훈련을 통하여 노동, 고용 및 사회적 안정을 제고 하고자 하는 것임

ㅇ 이를 통하여 시민들이 노동과 기업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노동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서 국가 고용보장을 실현하고 실질소득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

ㅇ 지역의 여건을 감안하여 자동차공과, 용접공과, 전기공과, 호텔서비스공과, 헤 어 및 미용공과를 설립하며, 각 공과의 특성을 고려하고, 산업수요에 맞게 교 과과정운영, 교재개발, 기자재지원 등을 지원함

□ 성과 2. 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 및 운영

ㅇ 우즈벡 정부는 한국의 기술자격 검정제도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 며, 노동부 차관 등 관계자들이 한국을 방문하여 관련 기관을 시찰하는 등, 한국의 자격검정시스템 도입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 이를 통해 우즈벡의 직업 훈련기준을 마련하고, 자격 취득과 산업체 취업 연계를 하고자 함

- 31 - ㅇ 노동부는 현 직업훈련제도를 재정비하는 차원에서 국가자격제도 수립은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 KOICA가 설립한 5개 직업훈련원에서 일정기간 교육 을 마친 학생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게 하고, 기술자격을 취득한 학생이 원 하는 직업을 찾을 수 있도록 혜택을 주는 제도를 마련하고자 함 [별지: 우즈 베키스탄 기술자격 제안방안]

□ 성과 3. 직업훈련 분야 교원 역량강화

ㅇ 우즈벡의 경우, 산업기술이 빈약하여 공업발전의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기능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우수교사 연수가 필수적임. 코이카 직업훈련원 및 직업고등학교의 직업훈련교사의 직무연수를 위하여 타슈켄트 직업훈련원 부지 내에 교원연수센터(TTC)를 설립하여 양질의 인력을 양성하고자 함.

ㅇ 우즈벡 수도인 타슈켄트 직업훈련원에 5개 직훈원 교사(약 150명) 연수와 더 불어 노동부 산하의 직업고등학교 교사의 연수를 실시하고자 함. 대상 과목으 로는 교육학, 교육방법론 등의 교육이론 교육과 인성 교육을 실시함.

ㅇ 연중 상시 교육을 실시하며, 본 교육을 이수하지 않으면 교사 자격을 상실하 게 되는 규정을 마련함. 또한 실습 교육으로는 코이카에서 지원한 5개 직훈원 에서 공과 특성에 따라 실시함.

2. 사업논리모형

사업목표 (Impact)

우즈벡 직업훈련 질을 제고함으로써 사업대상 지역의 취업대상자에게 취업기회를 제공하 여 주민들의 소득을 향상하고, 양질의 산업인력을 배출하여 산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함으 로써 지역경제발전과 더불어 우즈베키스탄 경제사회 발전에 기여함 é 성과 (Outcome)

1. 우르겐치 지역 산업수요에 적합한 기술인력 양성 2. 국가자격검정제도 운영을 통한 기술인력 품질관리 3. 교원연수 실시를 통한 직업훈련분야 교원 역량 강화 é

- 32 - 산출물 (Output)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개원 자격검정제도 시범 도입 및 직업훈련분야 교원 및 및 운영 자격증 발급 관리자 대상 훈련 완료

é 활동/Activities

1.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1-1. 시설 설계 및 시공 건립 1-2. 시설 내 기자재 설치

3-1. 자격검정제도 구축 2. 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 3-2. 자격검정제도 담당 실무자 국내초청 연수교육 및 자격증 발급 3-3. 자격검정위원회 평가

3-1. 교원연수(ToT manual) 모듈, 교사용지도서, 교수학 3. 직업훈련분야 교원 대상 습자료 개발 연수 실시 3-2. 교원 역량강화 연수 3-3. 교원 역량에 대한 사전/사후 평가

3. 사업수행 및 의사결정체계

(한국측) (우즈베키스탄측)

KOICA 본부 및 우즈베키스탄 사무소 노동부

PMC 및 기자재 공급업체 우르겐치시 CM,건축설계,감리,시공업체 (직업훈련원)

- 33 - 4. 참여자 간 업무분장 및 역할

가. 업무분장

기관명 역할

╺ 원조사업 대외창구 한국국제협력단 본부 ╺ 우즈베키스탄 사업 총괄

한국 우즈베키스탄 사무소 ╺ 사업 시행 및 관리

사업시행기관(PMC)/ ╺ 사업 수행 기자재 지원업체

노동부 ╺ 사업 관리 전담 및 총괄 우즈베키스탄 우르겐치 시 ╺ 사업시행 전담 및 업무 지원

나. 참여기관 역할분담(Responsibilities of Participants)

□ 한국국제협력단 본부 ㅇ 사업수행계획 확인 ㅇ 사업진행 관리 및 성과관리 ㅇ PMC 기관 선정(사업관리, 초청연수, 전문가파견, 설계지원) ㅇ 건축 CM 선정 및 관리 ㅇ 기자재 업체 선정 ㅇ 훈련장비 구매 (장비조달, 장비 설치ㆍ운영지원 등) ㅇ 수행 관계기관 총괄 관리 등

□ 한국국제협력단(우즈베키스탄 사무소) ㅇ 사업수행계획 수립 ㅇ 현지 사업 진행 관리 및 확인 ㅇ 설계/감리 업체 및 시공사 선정 ㅇ 연수생 선발 및 파견 지원 등 ㅇ 우즈베키스탄 측과 사업 진행 협의

□ PMC 기관

- 34 - ㅇ 사업 시행 관리 및 진행 ㅇ 기자재 세부사양 작성/입찰 지원 및 국내 검수 ㅇ 건축 스페이스프로그램 작성/설계·시공사 입찰 및 추진 지원 ㅇ 초청연수 실시 ㅇ 전문가 파견을 통한 직훈원 건립 컨설팅 (운영계획/교과과정 및 교재) 실시 ㅇ 사업 총괄보고/성과관리 ㅇ 실습장비 설치 교육 지원 ㅇ 건축 공사 협의 및 확인 ㅇ 교사훈련센터 사업관리 ㅇ 자격검증제도 구축 사업관리

□ 건축 업체(시공, 설계감리) ㅇ 건축 설계, 감리 및 공사 실시 ㅇ 건축 공사 점검협의 및 확인 ㅇ 사후관리

□ 기자재 납품 업체 ㅇ 장비 납품계획 수립 및 납품실시, 검수 통과 ㅇ 기자재 설치 및 관리 운영 지원 ㅇ 기자재 설치 관리 운영 지원: 장비업체 ㅇ 장비 설치 교육지원: 장비업체 ㅇ 실습장비 설치 교육 및 하자보수/유지보수 실시 ㅇ 장비 선적,운송(우르겐치 해당 훈련원까지): 장비업체

□ 우즈베키스탄 측 ㅇ 부지 및 인프라 제공 및 사업추진 행정 지원(면세 통관 등) ㅇ 연수 대상자 선발 ㅇ 기자재 국내운송, 설치, 운영 및 관리 협조 ㅇ 한국 전문가 파견 행정지원 및 안전 확보

다. 양국간 분담사항

- 35 - KOICA 우즈베키스탄

ㅇ 직업훈련원 건물 신축 (총5,000㎡) - 행정동, 기숙사 및 기타 신축 - 5개 공과 강의실 및 실습동 신축

ㅇ 타슈켄트 교원연수센터 설립 (300㎡) ㅇ 건축부지 제공, 부지 정지 및 인프라 연결, 건축 관련 인허가 ㅇ 기자재 지원 행정지원 - 호텔서비스, 자동차정비, 용접, 헤어뷰티, 전기 5개 공과기자재 지원 ㅇ 사업기자재 통관 및 - 행정사무용 비품 및 기타 기자재 지원 우즈베키스탄 내 운송 - 국가자격검정제도 운영을 위한 행정사무용 비 품 및 기자재 지원 ㅇ 한국전문가 우즈베키스탄 파견 - 교원연수센터 행정사무용 비품 및 기자재 지원 지원 및 행정편의 제공 ㅇ 전문가 파견 ㅇ 한국 초청연수 관련 적합 연수생 - 우르겐치 직훈사업 : 사업관리(PM), 추천 공과전문가, 성과관리전문가, PAO - 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 : TL, 제도 구축 전문가 ㅇ 현지 교사연수를 위한 공간 및 - 타슈켄트 교원연수센터 : 총괄, 부대시설, 인력 지원 ㅇ 한국 초청연수 - 직업훈련원 관리자 및 교사 - 국가자격검정제도 실무자 - 교원연수센터 훈련교사

5. 활동별 세부수행계획(건축/전문가/연수 등)

가. 전문가 파견 □ 전문가 투입 개요

총 전문가 인원 투입(M/M) 투입전문가 자격요건 투입 등급 (명) 국내 국외 (M/M) (필수) 직업훈련교육경력 15년 이상인자 (우대) 사업관리자 2급 • 직업훈련교사 1급 자격증소지자 1 2 9.5 11.5 (PM) 이상 • 국제기구 및 개발협력사업(특히 교육과정 개발) 참여 경력, 직업 교육훈련기관 설립 및 운영설계 PM 경력자

- 36 - 호텔 공 3급 1 1 5.5 6.5 서비스 (필수) 공과 직업훈련교육경력 10년 이상인자 과 자동차 3급 (우대) 1 1 5.5 6.5 별 용접 3급 • 직업훈련교사 자격증 소지자 1 1 5.5 6.5 전 헤어 • 국제기구 및 개발협력 사업(특히 교육과정개발 및 문 3급 1 1 5.5 6.5 뷰티 운영) 참여 경력 가 전기 3급 1 1 5.5 6.5 (필수) 성과관리 분야 경력 10년 이상인자 (우대) 3급 1 1 3 4 • 통계학 혹은 경제학 전공자, 혹은 교육 분야 성과 관리 개발협력사업 수행 경력자 전문가 (필수) 성과관리 분야 경력 7년 이상인자 (우대) 4급 1 1 3 4 • 통계학 혹은 경제학 전공자, 혹은 교육 분야 개발협력사업 수행 경력자 (필수) 만 20세 이상 34세 이하 대한민국 국민, 경력 프로젝트 7년 미만 실무전문가 5급 (우대) 1 1 7.5 8.5 (PAO) • 러시아어 능통자 우대 • 통계학 혹은 경제학 전공자 우대 (필수) 자격검정 제도 분야 경력 15년 이상인자 자격검정 2급 (우대) 제도 구축 1 2 8 10 이상 • 국제기구 및 개발협력사업(자격제도 개발) 참여 TL 경력, 자격검정제도 구축사업 PM 경력자 (필수) 자격검정제도 분야 경력 10년 이상인자 자격검정 1 2 4 6 (우대) 제도 구축 3급 • 국제기구 및 개발협력사업(자격제도 개발) 참여 전문가 1 2 4 6 경력, 자격검정제도 구축사업 PM 경력자 (필수) • 교육학(혹은 교육공학, HRD, 교육평가) 석사학위 교원연수 2급 이상 소지자로, 동 분야 경력 15년 이상인자 제도 구축 1 2 8 10 이상 • 교원연수 제도 구축 및 운영 경험자 TL (우대) • 개발도상국 직업훈련교사양성 기획 및 운영 경력자 (필수) • 교육학(혹은 교육공학, HRD, 교육평가) 석사학위 교원연수 3급 이상 소지자로, 동 분야 경력 10년 이상인자 교육이론 이상 • 교원연수 제도 구축 및 운영 경험자 1 2 4 6 전문가 (우대) • 개발도상국 직업훈련교사 양성사업 개발 및 운영 경력자 3급 1 2 4 6 (필수) 직업훈련원 실습 교사 경력 10년 이상자 교원연수 3급 (우대) 1 2 4 6 전문공과 3급 • 교육학(혹은 교육공학, HRD, 교육평가) 석사학위 1 2 4 6 전문가 3급 이상 소지자로, 동 분야 경력 10년 이상인자 1 2 4 6 • 개발도상국 직업훈련교사 양성사업 경력자 3급 1 2 4 6 합 계 19 30 98.5 128.5

- 37 - □ 전문가 파견 세부 계획 1)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건립 ㅇ 사업관리자(PM) - 인원 및 기간 : 1명, 국내 2M/M, 국외 9.5M/M - 주요 임무 : ․ 사업운영 총괄 ․ 훈련원 운영 제도 구축 ․ 직업훈련원 운영계획 수립 및 운영 ․ 직업훈련원 시설관리 자문 ․ 교육훈련장비 설치 및 운영 자문 ․ 교과과정 편성 및 교재개발 자문 ․ 시설관리 및 행정업무 종합지도 ․ 교재보완 자문 및 인쇄 관리 ․ 커리큘럼개발 관리 ․ 훈련원 운영 정보 전산화 교육 및 매뉴얼 협의 - - 전문가 자격 : ․ 직업훈련교사 1급 자격증 소지자 ․ 직업훈련기관에서 교육훈련행정 5년 이상 경험자 ․ 직업훈련기관에서 교육자로서 15년 이상 경력자 ․ 해외 직업훈련 프로젝트 사업 관리 경험자 ․ 영어로 문서 작성 및 업무 협의 가능자

ㅇ 기술공과 전문가: - 인원 및 기간 : 5명(5개 공과 각 1명), 국내 1M/M, 국외 5.5M/M - 주요 임무 : ·공과별 장비 작동 및 운용 교육 (장비 배치, 장비 시범 운용, 유지․보수 기법 등) ·공과별 훈련운영계획 및 운영방법 자문 ·공과별 교육과정 편성 및 관리 자문 ·공과별 커리큘럼 개발 및 교재 보완 자문 ·훈련시설관리 및 행정업무처리지도 ·훈련생 관리방법 지도 등 공과 운영에 필요한 사항 자문 - 전문가 자격 :

- 38 - ·직업훈련교사 자격증 소지자 ·직업훈련행정 3년 이상 경험자 ·직업훈련분야 10년 이상 경력자 ·해외 직업훈련 프로젝트 사업 경험자 ·영어로 문서 작성 및 업무 협의 가능자

ㅇ 성과관리 전문가 - 인원 및 기간 : 3급 1명, 4급 1명, 각 국내 1M/M, 국외 3M/M - 주요 임무 : ․ 성과지표 개발 및 기초환경 조사 ․ 성과관리 및 자문 ․ 사업 종료선 조사 및 성과 점검 - 전문가 자격 : ․ 성과관리 분야 경력 10년(3급), 7년(4급) 이상 ․ 통계학 혹은 경제학 전공자, 혹은 교육 분야 개발협력사업 수행 경력자

ㅇ 사업 실무지원 전문가(PAO) - 인원 및 기간 : 1명, 국내 1M/M, 국외 7.5M/M - 주요 임무 : ․ 사업진행 지원 ․ 성과관리 업무 지원 ․ 국내초청연수 운영 실무 - 전문가 자격 :만 20세 이상 34세 이하 대한민국 국민, 경력 7년 미만 * 우즈벡의 사용언어를 고려 ‘러시아어 구사자’ 우대

2) 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 ㅇ 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 TL(Team Leader) - 인원 및 기간 : 1명, 국내 2M/M, 국외 8M/M - 주요 임무 : ․ 국가자격검정제도 시스템 구축 및 매뉴얼개발 총괄 ․ 국가자격검정제도 운영계획 수립 및 관리 총괄 ․ 시설관리 총괄 - 전문가 자격 : ․ 국가자격검정제도 개발 및 운영 15년 이상 경력자 (NCS개발 참여 경력 등)

- 39 - ․ 직업훈련기관에서 교육훈련행정 5년 이상 경험자 ․ 해외 직업훈련 프로젝트 사업 경험자

ㅇ 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 전문가 - 임무: 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 실무 - 인원 및 기간: 2명, 국내 1M/M, 국외 4M/M - 주요 임무: ․ 국가자격검정제도 시스템 구축 및 매뉴얼개발 ․ 국가자격검정제도 세부계획 수립 및 실행 ․ 시설관리 - 전문가 자격 : ․ 국가자격검정제도 개발 및 운영 10년 이상 경력자 (NCS개발 참여 경력 등) ․ 직업훈련기관에서 교육훈련행정 5년 이상 경력자 ․ 해외 직업훈련 프로젝트 사업 관리 경험자

3) 교원연수제도 구축 ㅇ 교원연수제도 구축 TL(Team Leader) - 인원 및 기간: 1명, 국내 2M/M, 국외 8M/M - 주요 임무: ․ 교원연수 계획 수립 ․ 교원연수 매뉴얼개발 - 전문가 자격: ․ 교원연수 프로그램 실무 경험자 ․ 직업훈련교사 자격증 소유자 ․ 직업훈련기관에서 교육훈련행정 10년 이상 경험자 ․ 직업훈련기관에서 교육자로서 10년 이상 경력자 ․ 해외 직업훈련 교원연수 사업 경험자

ㅇ 교원연수 교육이론 전문가 - 인원 및 기간: 1명, 국내 1M/M, 국외 4M/M - 주요 임무: ․ 교원연수 교육이론 과목 교재개발 및 운영 ․ 교원연수 교육이론 프로그램 실무 ․ 교원연수 교육이론 과목 강의 및 평가

- 40 - - 전문가 자격: ․ 교원연수 교직 과목 실무 경험자 ․ 직업훈련교사 자격증 ․ 직업훈련기관 이상에서 교육자로서 교직과목 담당 5년 이상 경력자 ․ 해외 직업훈련 교사양성 사업 경험자

ㅇ 교원연수 전문공과 전문가 - 인원 및 기간: 5명, 국내 1M/M, 국외 4M/M - 주요 임무: ․ 교원연수 전문공과 교재개발 및 운영 ․ 교원연수 전문공과 프로그램 실무 ․ 교원연수 전문공과 과목 강의 및 평가 - 전문가 자격: ․ 직업훈련기관 이상에서 실습 교사 10년 이상 경력자 ․ 교원연수 전문공과 교육 실무 경험자 ․ 전문공과 교재 개발 및 매뉴얼 개발 ․ 직업훈련교사 자격증 ․ 해외 직업훈련 교사양성 사업 경험자

나. 초청연수 1)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건립 ㅇ 관리자 연수과정 운영 - 직업훈련원 관리자의 관리능력향상을 위하여 한국의 직업훈련제도 및 훈련관 리 방법 향상을 위한 연수 실시 ․ 대상 및 인원: 12명(노동부, 코레즘 주, 우르겐치시 직업훈련원 정책관리자) ․ 연수 기간: 2주 ․ 연수 대상자 자격: 영어로 학습이 가능하고 연수 후 센터 운영과 관련된 업 무에 종사할 관리자 - 연수 기본 방향 ․ 직업훈련 정책 및 관리능력 제고 ․ 현장 감각 제고를 위하여 산업체 및 유관기관 등 시찰 및 견학 ․ 관리자 연수로 운영경험이 풍부한 전문 직업훈련원 운영관리전문가에 의한 교육 실시 - 연수 주요 내용

- 41 - ․ 한국의 직업훈련 정책 및 제도 ․ 한국의 직업훈련 현황 ․ 직업훈련원 운영계획 수립 및 운영 ․ 직업훈련원 재정자립을 위한 수익모델 개발 ․ 조직 및 인사 관리 ․ 행정업무 처리방법 ․ 시설관리 및 생산실습 운영 방안 등

ㅇ 훈련 교사 연수과정 운영 - 연수내용은 착수협의 시 우즈베키스탄과 협의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연수를 실시하되, 훈련 장비를 활용한 교사의 실기지도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 실시. ․ 대상 및 인원 : 5개 공과 10명 (공과별 2명) ․ 연수기간 : 3개월 ․ 연수대상자 자격 : 훈련원의 해당 공과에 근무 예정 교사 (관련 교수능력 필수) - 연수 기본 방향 ․ 훈련 장비를 활용한 실기지도능력을 중심으로 연수 실시 ․ 교육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교육 실시 ․ 실습위주의 교육 - 연수 주요 내용 ․ 직종별 전공분야 이론 및 실습 ․ 직업훈련 교과과정 이해 ․ 훈련계획 수립 ․ 공과별 운영 및 교육계획 ․ 이론 및 실습지도 교수기법 ․ 공과별 훈련장비 운용, 유지, 보수 교육 ․ 공과별 교과과정 및 교재개발 ․ 실습재료 운영방법 ․ 직업훈련 실기 지도(강의법) 전수 ․ 취업 및 사후지도 방법

2) 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 ㅇ 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 실무자 연수 - 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 실무자의 역량 향상을 위하여 한국의 국가자격제도

- 42 - 구축 및 운영관리 방법 향상을 위한 연수 실시 ․ 대상 및 인원: 5명 (국가자격제도 구축 실무자) ․ 연수 기간: 3개월 ․ 연수 대상자 자격: 연수 후 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 업무 담당할 실무자 - 연수 기본 방향 ․ 국가자격검정제도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역량 강화 ․ 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 시범 공과별 유관 기관 방문 ․ 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을 위한 전반적인 운영 방법 - 연수 주요 내용 ․ 한국의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 운영 시스템 ․ 한국의 국가자격검정제도 현황 ․ 한국의 국가 자격증 발급 시스템 ․ 한국의 자격검정제도 운영 주관기관 및 산업체 방문 ․ 한국의 전문공과 자격증 발급 기준 및 교재, 실기능력 수준 등

3) 교원연수제도 구축 ㅇ 교원연수센터 훈련교사 연수 - 우즈베키스탄 직업훈련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들을 위한 교수법, 성인교육 학, 직업교육훈련 실습지도기법 등 교육이론 관련 교과목을 한국전문가와 우 즈벡 전문가 공동으로 개발하기 위한 연수를 운영함. ․ 대상 및 인원 : 10명 (교원연수센터 훈련교사) ․ 연수기간 : 3개월 ․ 연수 대상자 자격: 연수 후 교원연수센터에서 훈련교사 근무할 실무자 - 연수 기본 방향 ․ 교원연수를 위한 커리큘럼 개발 ․ 교원연수를 위한 교수법 교육 - 연수 주요 내용 ․ 한국의 교사양성 정책 및 제도 ․ 한국의 직업훈련 현황 및 교수 강의법 지도 ․ 교사양성 운영계획 수립 및 운영 지도 ․ 성인 교육학 ․ 교수법 및 교육평가 ․ 교‧보재 개발 방법 ․ 직업교육훈련 전문가 시스템

- 43 - ․ 한국 교원 양성 시스템 ․ 교사양성 구축 제도 ․ 교사양성 기관 견학 등

다.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및 교사양성센터 건축 ※ 상세내용 첨부 건축보고서 참조 ㅇ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건물 신축 (총 5,000㎡) - 5개 공과 강의실 및 실습동 신축 - 행정동, 기숙사 및 기타 신축

ㅇ 타슈켄트 교원연수센터 신축 (300㎡)

라. 기자재 제공 ㅇ 내역 -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호텔서비스, 자동차정비, 용접, 헤어뷰티, 전기 5개 공과 기자재 -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행정사무용 비품 및 기타 기자재 - 국가자격검정제도 운영을 위한 행정사무용 비품 및 기자재 - 교원연수센터 행정사무용 비품 및 기자재

ㅇ 지원방안 - 기자재 세부내용 선정은 각 공과의 특성과 교육여건에 맞게 한국 컨설턴트와 사업실시기관이 함께 조정 및 결정하며 각 장비는 훈련센터의 특성과 특별과 정 운영 및 생산실습을 감안하여 다음의 기본 원칙을 통해 선정 • 각 사업 구성 요소별 목적 달성에 적합한 장비 • 산업현장 중심의 장비 • 내구성이 있으며 유지 관리가 쉬운 장비 • 정기적인 부품교환/재료 구입이 필요한 장비는 현지조달을 고려하여 선정

ㅇ 최종 기자재 목록과 세부장비 규격 및 실습재료는 사업수행기간 중 PMC 기관 과 사업시행기관 상호 협의 후 수원국의 요구조건을 반영하여 선정

- 44 - 6. 추진일정

2020 2021 2022 2023 2024 주요활동구분 1st 2nd 3rd 4th 1st 2nd 3rd 4th 1st 2nd 3rd 4th 1st 2nd 3rd 4th 1st 2nd 3rd 4th ▣ 사업준비 - PMC 선정 ▣ 전문가파견 - 착수조사 - 운영계획 수립 - 기자재 계획 협의 - 커리큘럼 개발 - 기초선 조사 - 기술교육, 운영지도 - 개원 및 시범운영 - 운영단계 성과 점검 - 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 - 교원연수제도 구축 ▣ 초청 연수 - 직훈관리자 과정 - 직훈교사 과정 - 자격검정 실무자 - 교원양성 교사 ▣ 건축 (직훈/TTC센터) - 설계감리사 선정 - 설계 - 시공사 선정 - 시공 ▣기자재지원 - 사양서 작성 - 업체 선정 - 구매 및 운송 - 설치 및 교육 ▣ 착수보고 ◆ ▣ 중간보고 ▣ 종료보고 ◆ ▣개원식(직훈/TTC센터) ◆

- 45 - Ⅴ. 지속가능성

1.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건립

가. 건축 □ 현지 산업수요에 맞는 학과인 자동차공과, 용접공과, 전기공과, 호텔서비스공과, 헤어·미용과에 필한 교실과 실습실을 건립함. 건립은 각 공과별 특수성을 고 려하여 건축전문가가 교실 크기, 실습실 규모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설계하여 교육에 어려움이 없도록 함

나. 기자재 □ 각 공과별 기자재는 우르겐치 공과별 특성에 맞는 기자재를 지원하며, 사업기 간 내에는 파견전문가로 하여금 작동법, 소모품 교체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 고, 필요에 따라 한국에 교사연수를 통하여 기자재 유지보수가 될 수 있도록 함. 과제종료 후에는 장비의 노후화로 지속적으로 학생실습에 어려움이 예상되 므로 우즈벡 노동부와 직훈원에 그에 대한 예산을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장비운 영이 될 수 있도록 함

□ 특히 자동차공과의 경우 실습 후 실습장비의 손상이 심하므로 공과장 및 공과 교사의 철저한 관리감독이 요구되며, 과제종료 후에는 자체예산을 이용하여 유 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함

다. 전문가파견 □ 사업기간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전문가 파견을 통하여 기술전수 및 운영을 효율 적으로 할 수 있으나, 사업 종료 후에는 코이카 자문관 혹은 봉사단원을 통하 여 자문 역할을 주어,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제고시키도록 함

라. 교사연수 □ 연수는 사업기간 내에는 지속적으로 각 공과별 우수교사를 선발하여 연수를 실 시하고, 사업종료 후에도 일정기간 동안 각 공과별로 선발하여 연수를 실시하 며, 연수과정을 마친 우수교사는 각 공과별 전수교육을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 시함

- 46 - □ 사업종료 후에는 노동부 혹은 직훈 감독기관에서 자체적으로 각 공과별 우수교 사를 선발하여 해외연수나 자체연수를 실시하며, 직훈교사 및 관련 교사의 교 수법 및 전문기술교육을 제공하여 기술교육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함

마. 사업 종료 후 졸업생 취업 □ 사업 종료 후 졸업생 취업을 위해 아래의 지역 산업체 연계를 고려할 수 있음 ㅇ 코레즘 지역 GM자동차공장 - 우즈벡 GM자동차 조립공장(소형트럭 및 미니버스 생산)은 우르겐치에서 약 90km (차량으로 90분 소요) 떨어진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우르겐치 직업훈 련원의 졸업생이 취업하기에 좋은 위치임 - GM자동차 공장 총책임자에 의하면, 현재 연간 100명 정도의 인원을 모집하 는데 주로 생산라인 및 페인트 공정에 투입하고 있으며, 월 보수는 400-500 불 정도이며, 복리후생 등을 감안하면 실 급여액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함. 또한 자체 근무평정을 통하여 우수사원을 선발하는 등 성과급도 주고 있음 - 자동차 조립시설 중 용접 및 페인트 분야에서 인력수요가 있음을 확인함. 우 르겐치 직업훈련원의 자동차생산에 필요한 용접 및 생산기술 분야의 취업활 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직훈원 학생의 현장실습을 통하여 현 장을 익힌 후 취업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함

ㅇ 우르겐치 시내 GM자동차 서비스센터 - 우르겐치 시내에는 총 3개의 GM자동차 서비스센터가 있음. 현재 직업고등학 교 졸업생들을 채용하고 있으며, 매년 1개 센터에서 3∼5명(우르겐치 GM 서 비스 센터 전체는 15명 정도)의 인원을 선발함. 우르겐치 직업훈련원에 자동 차공과가 개설되면 본 GM 서비스센터에 취업이 용이할 것으로 사료됨, 뿐만 아니라 GM 서비스 센터 외에도 일반 정비업소가 산재되어 있어 본 직훈원이 설립되면 산업체가 요구하는 전문 기능 인력으로 취업이 가능함

2. 국가 자격검정제도 구축

가. 현황 파악 □ 현재의 우즈베키스탄의 자격제도는 체계화되어 있지 않으며 교육부 및 노동부 에서는 한국의 자격제도를 도입하여 우즈벡의 제도를 체계화 시켜줄 것을 희망 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사업종료 후에도 자격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 도록 요구함

- 47 - 나. 대책 □ 우선 1∼2개의 분야 공과에 대한 자격검정제도를 시범적으로 구축하며, 관련 학과를 중심으로 한국의 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하는 전문자격증 제도를 도입하 여 한국의 자격제도가 접목될 수 있도록 파일럿 프로젝트를 실시함

3. 교원 연수센터 설립

가. 현황 파악 □ 현재 우즈베키스탄 교육 제도 하에서 직업훈련 교사들의 재교육이 의무화되어 있음. 이에 따라 교원연수센터 설립 후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 능할 것임. 그러나 연수 참가를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에 대해 적절한 보 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연수 참가율이 하락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

나. 대책 □ 사업을 진행하면서 노동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하여, 직업훈련분야 교원들이 연 수에 참석할 때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에 대해 보전해주는 규정을 제도화할 수 있도록 함.

- 48 - Ⅵ. 성과관리 계획

1. 지표 선정

가. 우르겐치 직업훈련원 건립 □ 우르겐치 직업훈련원의 성과지표는 사업종료 이후에 졸업하는 학생수는 480명 (6개월과정 240명×연2회)이며 학생의 취업률은 2026년도에 80%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7년도에는 지역경제 성장과 산업활성화 등 여건을 고려하여 85%로 목표치를 잡았음.

실적 및 목표치 성과 2025 목표치 측정산식 자료수집 방법 지표 산출 근거 (또는 측정방법) 또는 자료출처 2025 2026 2027

직훈원 단기성 480 480 480 입학생 사업대상 인원 입학생 수 측정 수원기관통계 과 명 명 명 수 중기성 직훈원 유사직훈원 경험 (당해년도 졸업생수 - 80% 85% 수원기관통계 과 졸업률 (타슈켄트직훈원) /입학생수)*100) 졸업생 장기성 착수조사시 착수조사시 소득 - - - 수원기관통계 과 협의 예정 협의 예정 증대

나. 국가자격검정제도 구축 □ 국가기술자격 기준은 우즈벡 노동부와 협의하여 결정함. 우선 KOICA에서 지원 한 5개 훈련원의 개설공과에 대하여 1∼2개 종목에 대해 시범 운영이 필요함. 노동부의 협의를 거쳐 선정하고, 점차적으로 우즈벡 전 지역으로 확장하여 국 가기술자격제도를 정착시킴

성과 실적 및 목표치 2025 목표치 측정산식 자료수집 방법 지표 2025 2026 2027 산출 근거 (또는 측정방법) 또는 자료출처 자격종목 선정 응시생 120 120 사업대상 수원기관 단기성과 120명 기준표 (1-2개종목 수 명 명 종목 협의선정 시범운영) 직훈원 우즈벡노동부 (당해년도 합격자수 중기성과 졸업생 - 50% 60% 수원기관통계 기준 /응시생수)*100) 합격률

- 49 - 다. 교원연수센터 건립 □ 교원연수는 타슈켄트 직업훈련원에서 실시하며, 기 지원 5개 직업훈련원의 훈 련교사를 우선으로 하고, 직업고등학교 교사도 순차적으로 계획에 의거 연수를 실시함. 교수법, 교수학습방법론 및 교안작성법 등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며, 5 개 훈련원 교사 150명과 College교사(1350명 예정)를 연중 계획에 따라 실시함.

성과 실적 및 목표치 2025 목표치 측정산식 지표 2025 2026 2027 2028 2029 산출 근거 (또는 측정방법) 단기 훈련받은 5개 직훈원 교사 300명 300명 300명 300명 300명 사업대상 인원 성과 교원수 및 관련교사 통계 (당해년도 중기 직훈교사 5개직훈원 교사 90% 95% 95% 95% 95% 연수교사수 성과 수료율 및 기타 교사 /총교사수)*100) 장기 교사 착수조사시 착수조사시 - - - 성과 자질향상 협의 예정 협의 예정

2. 사업 성과관리

가. 기초선조사 □ KOICA 기초선 조사 가이드라인(2016년 개정본)을 참고하여 실시하되, 변화가 빠른 우즈베키스탄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의 중간 시점(2022년 3분기)에 실시 ㅇ 기본방향 - PMC 선정 후 착수조사 전후로 실시 - PDM 성과지표 보완하고, 보완된 성과지표를 기반으로 실시 - 기초선 조사 결과보고서 제출 - 이후 성과관리 전문가가 데이터 지속 축적 및 분석 실시

나. 사업 관리 및 성과 모니터링

□ 사업총괄책임자 및 성과관리 전문가를 통한 사업진행 상황 및 성과 실시간 모 니터링 필요 ㅇ 기본방향 - 우즈벡측과 합동으로 PDM에 기반한 모니터링 추진

- 50 - - 착수보고, 업무협의 등을 통해 사업추진 현황 점검

ㅇ 중간점검은 사업기간 중 1회 시행하며, 사업 중간성과를 측정하고, 문제점을 발 견하고 보완하여 사업진행 과정에 적절히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함 * 중간점검 외, PMC기관은 연차보고서 제출 요망

다. 종료선 조사 및 직업훈련원 운영단계 성과점검 ㅇ (종료선조사) 사업 산출 단계: 직업훈련원 개원 시점의 성과점검 - PDM에 제시된 성과지표 별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선 조사 결과와 비교 함으로써 동 사업의 성과를 파악함. - 성과관리 전문가는 사업 종료시점에 파견되어 사업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측 정함.

ㅇ 사업 운영 단계 : 직업훈련원 개원 및 교원연수센터 업무 시작 이후 분기별 PM 및 성과관리 전문가 파견을 통해 사업이 실질적으로 운영되는 시점에서의 성과를 모니터링함.

라. 사후평가 ㅇ 사업 종료 이후 2~4년 경과 후, 사업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사후평 가 실시 - 평가의 독립성 및 객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외부평가로 실시 - OECD DAC 5대 평가기준 (적절성, 효율성, 효과성, 영향력, 지속가능성)에 따 라 평가하되, 사후평가인 점을 고려하여 영향력 및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 추어 평가

마. 모니터링 및 평가 산출물 (보고서 등) ㅇ 최종보고서는 국문으로 발간하되, 현지 정부 기관이 참고자료로 사용 가능토록 주요 내용은 러시아어 요약본 첨부

- 51 - Ⅶ. 위험분석 및 대응방안

ㅇ 우즈벡은 사업 수행 요소마다 수행 절차가 많고 중국을 경유하는 물류 시스템으 로 각 진행 단계마다 업무 진행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확실한 업무 처리 제시(사업지연 방지) - 주정부/시정부/고용청의 사업 추진에 대한 관료적 절차로 사업 추진이 지연될 수 있음 - 관련기관 관계자들의 인사이동 등으로 사업에 대한 이해를 충분히 갖지 못한 인 사가 사업 추진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사업 추진에 차질이 발생 할 수 있음. - 지역 내에서 충분한 역량을 갖춘 직업훈련 교사의 확보에 애로가 존재할 수 있 음 - 지역 내에서 직업칼리지 개편 등에 필요한 투자를 확대하는 방향을 취할 경우 직업훈련 활성화에 필요한 투자가 제한될 수 있음 - 사업 추진 과정에서 노동부 본부 및 코레즘 주/우르겐치시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 - 노동부는 구인구직 서비스 행정 과정에서 구인구직 관련 기초 통계는 수집하고 있으나, 직업훈련의 성과에 대한 엄밀한 측정에 필요한 산업별, 직업별 세부 고 용 및 소득 통계 작성에 필요한 전문성이 취약한 상황으로, 이에 대한 개선 지 원이 필요함

ㅇ 환율 변동에 따른 사업계획차질 우려 - 우즈벡의 인플레이션이 위험이 있으니 환율변동에 따른 사업에 차질이 우려 되 므로 우즈벡 현지화를 기준으로 하면 어려움이 예상됨. 따라서 현지화와 한화 보다는 달러화를 사업비의 기준으로 할 필요 있음

ㅇ 기자재 납품 불량 - 국내검수 시 PMC 기관의 해당 공과 전문가에 의해 철저한 장비검수를 실시하여 양호한 기자재가 납품되도록 하고 중고품 여부 등을 확인하고, 부대 품을 잘 확 인하도록 함. 끝.

- 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