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TA-19078-SD ICT 표준 활용·개발 맵 Ver.2020 | SW·AI/방송·콘텐츠/차세대보안 분야 - 지능정보, 클라우드컴퓨팅, 실감방송·미디어, 실감형콘텐츠, 정보·물리보안, 융합보안 http://www.tta.or.kr

실감방송·미디어 AR 서비스 프레임워크 기술 지상파기반 UHDTV 재난방송 송수신 기술 위성기반 UHDTV 송수신 정합 기술 미디어사물 간 거래 및 고속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포맷 표준 미디어사물 간 거래를 위한 API 표준 후각 스크리닝 및 발향 재현 API 표준 VR 콘텐츠용 오감정보 표현 표준 실감형콘텐츠 (병행 | 추격/협력공략 | 표준특허전략⑦ | ~’22) (병행 | 지속/확산공략 | 표준특허전략⑩ | ~’21) (병행 | 지속/확산공략 | 표준특허전략⑪ | ~’20)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④ | ~’23)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④ | ~’23) (병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① | ~’22)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④ | ~’22) 하이브리드 라디오 서비스 기술 ETSI ISG ARF, JTC1 SC29 WG11, 3GPP ATSC TG3 ITU-R SG4/SG6, DVB TM-S2/CM-UHDTV JTC1 SC29 WG11 JTC1 SC29 WG11 JTC1 SC29 WG11 JTC1 SC29 WG11 기능성게임의 성과 측정 및 평가 절차 표준 아케이드 게임기기 운영 및 디지털 정산 표준 (병행 | 전략적수용 | 표준특허전략⑩ | ~’21) 80% 기술수준 | 표준수준 80%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80% 100%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100%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병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④ | ~’23)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④ | ~’22) ETSI Broadcast DAB, RadioDNS WT 고품질 파노라마 영상 기술보고서, 하이브리드기반 가상현실에서의 발향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가이드라인, 5th ed. Control information, 디지털 라디오 TTA | TTAR-07.0015, TTAK.KO-07.0121, TTA | 2018-1758, 지상파 UHDTV 재난경보방송 시나리오(기술보고서), 2019-0144, TTA | 2018-1764, HDRTV 표준화 및 기술개발 현황(기술보고서), 2018-1762, 8K 위성방송 서비스(기술보고서), TTAK.KO-07.0008/R9, JTC1 SC29 | ISO/IEC 23093-1 2nd ed., IoMT JTC1 SC29 | ISO/IEC 23093-1 2nd ed., IoMT TTA | TTAK.KO-10.1072, TTAK.KO-10.0511/R2, JTC1 SC29 | ISO/IEC 23005-2, ISO/IEC JTC1 SC35 WG1/SC29 WG11, W3C GSA 85% 기술수준 | 표준수준 85% 지상파 증강방송 송수신 정합 지상파 UHDTV 방송 송수신 정합, TTAK.KO-07.0127, 지상파 UHDTV 방송 송수신 디지털 위성방송 송수신 정합(개정), TTAK.KO-07.0122/R1, 초고선명(UHD) 디지털 위성방송 송수신 정합 Architecture, ISO/IEC 23093-2 2nd ed., IoMT Architecture, ISO/IEC 23093-2 2nd ed., IoMT 콘텐츠와 후각 인식 장치 간 상호 작용 참조 모델, TTAK.KO-10.0919-Part1/R1, 발향장치와 콘텐츠 상호연동 참조 모델 23005-3, 5th ed. Sensory information, ISO/IEC 23005-5, 5th ed. Data formats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미래방송미디어표준포럼 | NGNF-STD-021, 하이브리드 미래방송미디어표준포럼 | 몰입형 미디어 표준화 동향 분석보고서 ver.2.0, 몰입형 미디어 표준화 정합 KT-Skylife 위성방송 서비스 활성화 위원회 | 천리안 위성을 이용한 8K UHD 위성방송 실험 전송(기술보고서), 차세대 방송기술 표준화 동향 연구 Discovery and communication API, ISO/IEC 23093-3 Discovery and communication API, ISO/IEC 23093-3 (제1부 : 참조 모델의 구조), TTAK.KO-10.0919-Part2/R1, 발향장치와 콘텐츠 상호연동 참조 모델(제 2부 : 발향 API 함수), for interactive devices TTAK.KO-10.0919-Part3, 발향장치와 콘텐츠 상호연동 참조 모델(제 3부 : 향 코드), TTAK.KO-10.0919-Part1/R1, TTA | TTAK.KO-10.1106, 효과성 중심의 기능성게임 분류 방법, TTA | TTAK.KO-10.1028, 아케이드 게임 기기 디지털 라디오 룩업 규격 동향 분석보고서 ver.1.0 ATSC TG3 | ATSC 3.0, Advanced Emergency Information System (기술보고서), 8K UHD 위성방송 루프백 테스트 및 송출 파라미터 검증(기술보고서) 2nd, ed., IoMT Media data formats and API, 2nd, ed., IoMT Media data formats and API, ISO TC159 | ISO 9241-940, Evaluation of tactile and haptic interaction, ISO/IEC 23093-4, 2nd, ed. Reference software and ISO/IEC 23093-4, 2nd, ed. Reference software and 발향장치와 콘텐츠 상호연동 참조 모델(제 4부 :발향장치 설계 요구사항) TTAK.KO-10.1107, 기능성게임 충족 평가를 위한 기능적 요구사항 정산 시스템 프로세스, TTAK.KO-10.0781, 아케이드 RadioDNS | TS 101 499 V3.1.1, Hybrid Digital Radio ETSI ISG ARF | ETSI GR/ARF-001, ARF standards landscape, ETSI GR/ARF-002, Implementation Guide, A/331, Signaling, Delivery, Synchronization, and Error ITU-R SG6 | BT.[COLOURDIFF], Objective measure of colour fidelity, BT.2100-1, Image parameter values for high dynamic range ISO 9241-910, Framework for tactile and haptic interaction, ISO 9241-920, conformance conformance Gesture-based interfaces 게임기기 인증 요구사항, TTAK.KO-10.0782, 아케이드 (DAB, DRM, RadioDNS); Slideshow; User Application ARF use cases, ETSI GR/ARF-003, ARF Framework Architecture Protection, A/322, Physical Layer Protocol television for use in production and international program exchange JTC1 SC29 | ISO/IEC 23093-1, 1st ed. Architecture, ISO/IEC 23093-3, 1st ed. Media data formats and API Guidance on tactile and haptic interaction JTC1 SC35 | ISO/IEC 30113-5, across devices and methods - Part 5: Gesture Interface Markup 게임기기 운영관리 프로세스 Specification, TS 102 818 V3.1.1, Hybrid Digital Radio DVB | TS 101 154 v2.3.1, Specification for the use of Video and Audio Coding in Broadcasting Applications based on the MPEG-2 (DAB, DRM, RadioDNS); XML Specification for Service Language(GIML), ISO/IEC 30113-12, Part 12: Multi-point gestures Transport Stream, EN 302 307-2 v1.1.1, DVB; Second generation framing structure, channel coding and modulation systems for for common system actions, ISO/IEC 30113-11, Part 11: Single-point VR 과금 시스템 표준 and Programme Information (SPI), TS 103 270 V1.2.1, Broadcasting, Interactive Services, News Gathering and other broadband satellite applications; Part 2: DVB-S2 Extensions(DVB-S2X) 혼합현실 정보표시 제어 표준 콘텐츠 중심 사물인터넷 오감미디어 콘텐츠 RadioDNS Hybrid Radio; Hybrid Lookup for Radio 몰입형 미디어 방송 UHDTV gestures for common system actions, ISO/IEC 30113-1, (후행 | 추격/협력공략 | 표준특허전략① | ~’21) Services (병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⑥ | ~’23) Gesture-based interfaces across device EMV JTC1 SC24/SC29 WG11, OMA 초고선명(UHD) 70% 기술수준 | 표준수준 70% 지상파기반 UHDTV 모바일 응용서비스 기술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후·미각 게임 Contents Gaming STB TTA | TTAK.KO-10.1108, 가상현실 콘텐츠 상용 서비스 고색재현 TTA | 2018-2177, 스마트 POI를 위한 사용자 콘텐츠 포인트 클라우드 부호화 기술 (병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② | ~’21) 과금 시스템 UHDTV ATSC TG3, ISO TC204, TISA 정보서술체계- 제1부:요구사항 Server (병행 | 지속/확산공략 | 표준특허전략⑫ | ~’21) (WCG) 실감형혼합현실기술포럼 | IITF_02.0010/R1, VR 과금 및 기술수준 | 표준수준 JTC1 SC29 | ISO/IEC 23093-3, Internet of media JTC1 SC29 WG11 4K 90% 90% 통계 프레임워크 thingspart 3:Media data formats and API, ISO/IEC MV For U.S. Acquirers: Seven Guiding Principles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TTA | 2019-0142, 지상파 UHD 모바일방송 재난경보 21000-22, MPEG-21 User Description 2nd Edition, EMV | 서비스 요구사항, 2017-0883, 지상파 UHDTV 모바일방송 for EMV Readiness Coded ISO/IEC 21000-22, MPEG-21 User Description JTC1 SC29 | ISO/IEC 23090-5, UHDTV 재난경보서비스, 2019-0141, 초단파 하이브리드 라디오 Representation of Immersive Media Part5. Point Cloud 서비스 요구사항, 2017-0822, ATSC3.0 모바일 TPEG 서비스 IoMT 전자출판 콘텐츠 표현 기술 Coding, ISO/IEC 23090-9, Part 9: Geometry-based 햅틱콘텐츠 미래방송미디어표준포럼 | FBMF-STD-012, 지상파 (선행 | 지속/확산공략 | 표준특허전략⑩ | ~’23) point cloud compression Router HMD 고프레임률(HFR) VR 휴먼팩터 표준 UHD 모바일방송 TTA 서비스 요구사항, FBMF-STD-013, Game Server Payment Server 아케이드 게임 JTC1 SC34, W3C 지상파 UHDTV 모바일방송 재난경보서비스 요구사항, FBMF- (선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⑩ | ~’21)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STD-014, 초단파 하이브리드 라디오 서비스 요구사항 IEEE 3079/802/2048 MR/VR TTA | TTAK.KO-10.1102, EPUB DRM 상호 운용 기술 ISO TC204 | ISO/TS 21219, Traffic and Travel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실감형 비디오 부호화 기술 명세서: 전자책 대출 프로토콜, TTAK.KO-10.0905-Part3, VOD Information(TTI) via 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 TTA | TTAK.KO-10.1116, 안전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독서 장애인을 위한 전자책 접근성 가이드-제3부: 뷰어 기능 (병행 | 지속/확산공략 | 표준특허전략③ | ~’20) MBMS Generation 2 위한 주변감지 및 경고 시스템, TTAK.KO-10.1030/R1, 지침, TTAK.OT-10.0399, 전자책 EPUB 구조적 의미 JVET, JTC1 SC29 WG11 Gateway 양방향 서비스 Router 멀미 저감을 위한 머리장착형 영상장치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전자출판 표현을 위한 용어 규격, TTAK.KO-10.0905-Part1, 독서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제작 지침, TTAK.KO-10.1104, 가상현실 콘텐츠의 멀미 및 장애인을 위한 전자책 접근성 가이드 - 제1부: 저작 지침, HFC 피로도에 대한 평가 및 분석 프레임워크, TTAK,KO-10.1030, Server JVET | ISO/IEC 23090-3, Coded Representation of CMTS IP기반 방송장비 인터페이스 기술 AR 콘텐츠 TTAK.KO-10.0905-Part2, 독서 장애인을 위한 전자책 Immersive Media Part3. Network 1000 멀미 저감을 위한 머리장착형 영상장치 기반의 가상현실 콘텐츠 HDR Contents 접근성 가이드-제2부: 인증 기준 (병행 | 전략적수용 | 표준특허전략⑩ | ~’20) 제작 지침, TTAK.KO-10.0949, 머리장착형영상장치(HMD) Contents JTC1 SC29 | ISO/IEC 23094-1, General Video Coding 몰입형 오디오 RRA | KS X 6070-1, 전자책(EPUB) 3.0 개요, KS X 실감미디어 부호화 SMPTE TC-32NF, AMWA NMI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용어, TTAK.KO-10.0950, Storage –Part 1: Essential Video Coding 고휘도·고명암비 Server 6070-2, 전자책(EPUB) 출판 3.0, KS X 6070-3, 전자책 Service specific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75% 모바일전용 머리장착형영상장치(HMD)를 이용한 가상현실 웹기반 콘텐츠 플랫폼 (EPUB) 콘텐츠 문서 3.0, KS X 6070-4, 전자책(EPUB) 공개 Production Transmission (HDR) 장치 명세, TTAK.KO-10.0951, PC 및 콘솔 겸용 그래픽스 및 컴퓨팅 API 표준 platform Ancillary Data, 컨테이너 포맷 3.0, 전자책(EPUB) 미디어 SMPTE | ST 2110-40, ST 2110-10, 머리장착형영상장치(HMD)를 이용한 가상현실 장치 명세 (병행 | 지속/확산공략 | 표준특허전략⑩ | ~’20) 홀로그래픽 KS X 6070-5, System Timing and Definitions, 오버레이 3.0, 전자책(EPUB3.0)을 위한 CSS3 몰입형 비디오 부호화 기술 Cable ST 2110-20, Khronos Group Vulkan WG/OpenCL WG/SYCL WG KS X 6071, Uncompressed Active Video, ST 2110-21, Traffic Shaping 실감형혼합현실기술포럼 | IITF_02.0009/R1, 비디오 콘텐츠 안내서, KS X 6100, 한국전자책 표준문서형 정의(DTD),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② | ~’22) Video Modem Router 안전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주변감지 및 경고 시스템,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80% 콘텐츠 Router STB and Delivery Timing, ST 2110-30, PCM Digital Audio KS X 6080-1, 전자책(EPUB 3) 개요, KS X 6080-2, JTC1 SC29 WG11 Audio IITF_02.0008/R2, 멀미 저감을 위한 머리장착형 영상장치 Khronos Group | Vulkan 1.1, OpenCL 2.2, SYCL 1.2.1 전자책(EPUB) 출판물 3.0.1, KS X 6080-3, 전자책(EPUB)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지침, 가상현실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Data IITF_02.0012/R1, 콘텐츠 문서 3.0.1, KS X 6080-4, 전자책(EPUB) 공개 Acquisition Editing 콘텐츠의 멀미 및 피로도에 대한 평가 및 분석 프레임워크 JTC1 SC29 | ISO/IEC 23090-6, Coded 3D 가상 제품 표현 표준 연결된 이미지 미디어 포맷 Web Server 컨테이너 포맷 3.0.1, KS X 6080-5, 전자책(EPUB) 미디어 • Metadata Creation/ 인터랙티브 서비스 송수신 기술 케이블기반 In-band Full-Duplex 송수신 기술 IEEE | IEEE 3079, HMD based VR Sickness Reducing 오버레이 3.0.1, KS X 6080-6, 전자책(EPUB) 정규 Representation of Immersive Media - Part 6: Immersive UHD/HDR Video Encoding Transmission Service Provider (병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⑥ | ~’22) (병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① | ~’22)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⑩ | ~’20)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① | ~’20) Technology, IEEE 802.21, Network Enablers for 프래그먼트 식별자 Media Metrics, ISO/IEC 23090-7, Part 7: Immersive •360 Video •Immersive A/V & Mux Interactive Server Khronos Group, JTC1 SC24 JTC1 SC29 WG1 Media Metadata •3D Audio •Social video HbbTV, ATSC, W3C, CTA WAVE ITU-T SG9, SCTE, CableLabs seamless HMD based VR Content Service, IEEE 2048.1, Server W3C | EPUB 3.2, Requirements for CJK Text Layout and Standard for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85%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ETC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8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0% 비디오 휴먼팩터 디지털 가상화 Pagination 실감미디어 저장 및 처리기술 Device Taxonomy and Definitions Khronos Group | OpenXR 1.0, glTF 1.1 JTC1 SC29 | ISO/IEC19566-7, JPEG Linked Media Format(JLINK) TTA | TTAK.KO-07.0128/R3, 지상파 UHD IBB 서비스 TTA | 2018-2260, DOCSIS 3.1 케이블 모뎀 표준 분석 (기술보고서), 2018-1759, IP기반 차세대 케이블방송 몰입형 오디오 부호화 기술 완전입체 이미지 부호화 기술 실감미디어 저장포맷 기술 네트워크 기반 미디어 처리 기술 미래방송미디어표준포럼 | FBMF-STD-006, UHD IBB 서비스-파트2.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FBMF-STD-007, UHD IBB 서비스-파트3. 브라우저 브라우저내 콘텐츠 표현 기술 애플리케이션, FBMF-STD-008/R1, UHD IBB 서비스-파트4. 컴패니언 스크린, FBMF-STD-009, UHD IBB 서비스-파트5. 서비스 가이드 송수신 정합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② | ~’22)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② | ~’23)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② | ~’22) (병행 | 지속/확산공략 | 표준특허전략② | ~’20) 혼합현실 서비스 프레임워크 표준 비디오 휴먼 팩터 가이드라인 표준 디지털 홀로그램 정보 표현 표준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⑥ | ~’20) JTC1 SC29 WG11 ATSC | A/337, Application Signaling, A/228, Comanion Screen, A/344, Interative Content ITU-T SG9 | J.1109, Requirement for in-band full- W3C Web Platform WG/CSS WG, Khronos Group JTC1 SC29 WG1 JTC1 SC29 WG11 JTC1 SC29 WG11 duplex in HFC based network, J.fdx-fspec, Functional (선행 | 전략적수용 | 표준특허전략⑩ | ~’20)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⑪ | ~’21)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② | ~’21) 디지털 홀로그램 기술수준 | 표준수준 HbbTV Next(가칭), Application discovery over broadband 2.0, 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Operator Applications 기술수준 | 표준수준 90% 95%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HbbTV | TS102 796 v.1.5.1, specification for in-band full-duplex in HFC based JTC1 SC24 JTC1 SC29, IEC TC110 WG6/WG12 JTC1 SC29, IEC TC110 WG6 80% 80% specification JTC1 SC29 | ISO/IEC 23090-4, Coded network 70% 기술수준 | 표준수준 70%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0%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TTA | TTAE.OT-10.0384/R1, HTML 5.1, Plenoptic image JTC1 SC29 | ISO/IEC 23090-2, Coded Coded 디지털 가상객체 제어 Representation of Immersive Media Part4. Immersive JTC1 SG29 | ISO/IEC 21794-1, JTC1 SC29 | ISO/IEC 23090-8, W3C | Web Media API Snapshot 2019, Encrypted Media Extensions(EME) 2.0, Media Source Extensions(MSE) 2.0, Media Timed Event, Internet Media TTAE.OT-10.0410, CSS 스타일 속성 Representation of Immersive Media Part 2, Omni- CableLabs | CM-SP-PHYv3.1(I16), DOCSIS 3.1 TTA | TTAK.KO-10.1025, 3차원 영상 관찰 시의 조절력 측정 및 비교 방법, TTA | TTAK.KO-10.1025, 3차원 영상 관찰 시의 조절력 Audio Coding coding system(JPEG Pleno) Part1: Framework, Representation of Immersive Media Part 8: Network Subtitles and Captions 1.0(IMSC1), TV Control API TTA | TTAK.KO-10.1029, 혼합현실 콘텐츠 제공 장치의 좌표계 자동 보정 절차, TTAK.KO-10.0865, 실감형 인터랙티브 피트니스 directional Media Format, ISO/IEC 23090-10, Coded Physical Layer Specification, CM-SP-MULPIv3.1(I17), TTAR-10.0066, 머리장착형 영상장치 기반 3D 휴먼팩터(기술보고서) 측정 및 비교 방법, TTAK.KO-10.1022, 컬러 홀로그램의 W3C | HTML5.3, CSS Variables Level 1, CSS 2.2 ISO/IEC 21794-2, Part2: Light field coding Based Media Processing 콘텐츠 제공을 위한 S/W 시스템 참조모델, 실감형 인터랙티브 피트니스 콘텐츠 제공을 위한 H/W 시스템 참조모델 웹기반 사물인터넷 연동기술 웹기반 콘텐츠 데이터 연동기술 3GPP SA | WI 770024, Feature or Study Item: EVS Representation of Immersive Media Part 10, Carriage of CTA | Web Media API Snapshot 2019, Content Specification(CTA-5001-A), Web Media Application Developer Guidelines(CTA-5002), Device Playback TTAK.KO-10.0866, 복셀 크기 및 색상 측정 절차, TTAK.KO-10.0862, DOCSIS 3.1 MAC and Upper Layer Protocols Interface IEC TC110 | IEC 62629-12-2:2019, 3D display devices(ED1.0)-Part 12-2: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⑪ | ~’21) (병행 | 전략적수용 | 표준특허전략⑪ | ~’21) Codec Extension for Immersive Voice and Audio Services Point Cloud Date Capabilities Specification(CTA-5003) 실감형혼합현실기술포럼 | IMR_01.0001/R1, 실감형 인터랙티브 피트니스 콘텐츠 제공을 위한 S/W 시스템 참조모델, 디지털 홀로그램 콘텐츠 참조 모델, TTAK.KO-10.0871, Specification Measuring methods for stereoscopic displays using glasses - Motion blur, W3C WoT WG, OCF W3C RDF WG/JSON LD WG IMR_01.0002/R1, 실감형 인터랙티브 피트니스 콘텐츠 제공을 위한 H/W 시스템 참조모델, IEC 62629-13-1:2017, Part 13-1: Visual inspection methods for stereoscopic 디지털 홀로그래피 용어 정의, TTAK.KO-10.0872,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80% 70% 기술수준 | 표준수준 80% 디지털 가상화 요구사항 표준 모바일콘텐츠표준화포럼 | MCSF_01.0024/R1, 혼합현실 콘텐츠의 듀얼 좌표 자동 보정 displays using glasses-Ghost image, IEC 62629-22-1:2016, Part 22-1: 디지털 요철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램의 시야각 측정 방법, TTAR-10.0050, 홀로그램 화질 평가(기술보고서) TTA | 2019-P1116, 사물웹 아키텍처, 2019-P1117, TTA | TTAE.OT-10.0435, 소셜활동 게재, (병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⑥ | ~’22) Media context and control--Part 5: Data formats for interaction devices, Multimedia Measuring methods for autostereoscopic displays–Optical JTC1 SC29 | 23005-5, 23000-13, 사물웹 사물 기술, TTAK.KO-10.0771/R1, WoT를 위한 TTAE.OT-10.0422, 액티비티 스트림 코어 2.0, IEEE 2888 application format (MPEG-A)--Part 13: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format ISO TC159 | ISO 9241-333:2017,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IEC TC110 | IEC TR62629-41-1:2019, 3D Display devices (ED1.0)–Part 41-1: Generic introduction of RESTful API 지침 TTAE.OT-10.0419, 액티비티 스트림 용어 1.0 8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Router Computer graphics, image processing and environmental data representation--Mixed and augmented Part 333: Stereoscopic displays using glasses, ISO 9241-392:2015, Part 지능정보 신경망 표현 포맷(NNR) 표준 인공지능 위험 관리 체계 표준 머신러닝 프레임워크 표준 인공지능 경량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표준 JTC1 SC24 | 18039, holographic display, IEC 62629-1-2, Part 1-2: W3C | WoT Architecture, WoT Thing Description, WoT W3C | JSON LD 1.1, Activitypub, Webmention, Activity IEEE | P2888.1, Sensor Interface for Cyber and Physical reality (MAR) reference model 392: Ergonomic recommendations for the reduction of visual fatigue from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① | ~’21) (후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 | ~’22)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⑥ | ~’22)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⑥ | ~’21) stereoscopic images Generic-Terminology and letter symbols Scripting API, WoT Binding Templates Stream, JSON LD 1.0, XHTML + RDFa1.1 – Third Edition World JTC1 SC29 WG11/SC42, Khronos group JTC1 SC42 WG3 JTC1 SC42,ITU-T SG20 ITU-T SG20, JTC1 SC42 로봇 지능체계 및 평가방법 표준 로봇이동지능기반의 시맨틱 맵데이터표현 표준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8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0%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0% (병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① | ~’22) (후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① | ~’22) JTC1 SC29 | ISO/IEC 15938-17, Compression of neural networks JTC1 SC42 | ISO/IEC WD 23894, Artificial Intelligence TTA | 2017-847, 인공지능 윤리 가이드라인(기술보고서), TTA | 2016-011, 멀티 이동로봇 통신 성능평가 방법 Internet Service IEEE-ORA, ISO TC299 IEEE-RAS for multimedia content description and analysis – 2017-846, 인공지능 API 가이드라인(기술보고서), ITU-T SG20 | ITU-T Y.IoT-LISF, Lightweight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분류체계기반 데이터 관리 표준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리지 기능구조 표준 클라우드 스토리지 페더레이션 기능구조 표준 8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0%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0% JTC1 SC42 | ISO/IEC 23053, Framework for Artificial 2017-845, 인공지능 기술 가이드라인(기술보고서), intelligent software framework for IoT devices Provider Router 클라우드컴퓨팅 2017-844, 인공지능 개요(기술보고서), TTAR-10.0057, Router (병행 | 지속/확산공략 | 표준특허전략- | ~’20)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⑪ | ~’22) (후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⑥ | ~’22) TTA | TTAK.KO-10.1070-part1, 지능형 서비스 로봇 Intelligence(AI) Systems Using Machine Learning(ML) 스마트로봇표준포럼 | KOROS 1135:2018, 주행용 로봇 지능정보 기술 동향 - 제1부 : 인공지능 기술(기술보고서) JTC1 SC38 WG5 ITU-T SG13 ITU-T SG13, JTC1 SC38 온톨로지 – 제1부: 일반 사항, TTAK.KO-10.1070-part2, 지도 데이터 표현 지능형 서비스 로봇 온톨로지 – 제2부: 지능 프레임워크, JTC1 SC42 | ISO/IEC WD 23053, Framework for 클라우드 기반 머신러닝 서비스 표준 -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80%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70%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P2751, 3D Map Data Representation for TTAK.KO-10.1070-part3, 지능형 서비스 로봇 온톨로지– IEEE-RAS |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⑥ | ~’21) JTC1 SC38 | ISO/IEC FDIS 22624, Taxonomy based TTA | 2019-P0249, 클라우드 컴퓨팅 – 데이터 스토리지 페더레이션 개요 및 기능 요구사항, TTAE.OT-10.0426, Cloud Robotics and Automation, TTA | TTAE.IT-Y.3506,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리지의 기능요구사항, TTAK.KO-10.1042,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리지 제3부: 환경 온톨로지 IEEE 1873-2015, ITU-T SG13, JTC1 SC42 data handling for cloud services 클라우드 데이터 관리 인터페이스(개정) IEEE Standard for Robot Map Data Representation for 로봇지능 ITU-T SG13 | ITU-T Y.3172, Architectural framework 프레임워크 Server 지능형 for machine learning in future networks including 8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0% All@CLOUD포럼 | CCF.KO-1065/R1,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제공 서비스 요구사항 및 기능 구조, CCF.KO-1066/R1, 스마트로봇표준포럼 | KOROS 1129-1:2017, Navigation All@CLOUD포럼 | CCF.KO-1072,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리지 기능 요구사항 서비스 로봇 온톨로지-제1부 : 일반사항 IMT-2020 ITU-T SG13 | ITU-T Y.MLaaS-reqts, Cloud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제공 서비스 개념, 정의 및 유즈케이스 ITU-T SG13 | Y.csb-arch, Cloud computing-Functional architecture for cloud service brokerage, Y.3506, Cloud computingfunctional requirements for machine learning ITU-T SG13 | Y.dsf-arch, Cloud computing-Functional architecture of data storage federation, Y.3505, 분산 클라우드 기능 구조 및 요구사항 표준 엣지 컴퓨팅 개요 표준 빅데이터 참조 구조 표준 computing – Functional requirements for cloud service brokerage 소셜지능 as a service Cloud computing–Overview and functional requirements for data storage federation (병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⑤ | ~’23) (병행 | 추격/협력공략 | 표준특허전략① | ~’22) 사람과 로봇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식지능 평가 표준 사람이 로봇과 상호작용시 로봇을 신뢰할 수 있는 (후행 | 지속/확산공략 | 표준특허전략⑩ | ~’20)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종류 및 사용 표준 이동지능 ITU-T SG13, ETSI MEC ITU-T SG13/SG11, JTC1 SC38/SC41, ETSI MEC (병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① | ~’22) 로봇 윤리 평가 표준 JTC1 SC42 WG2, ITU-T SG13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 | ~’21) 60%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80% 기술수준 | 표준수준 70% JTC1 SC35, ISO TC299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② | ~’23) 80%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JTC1 SC38 WG5 인공지능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IEEE-SA TTA | TTAK.KO-10.0973, 빅데이터 프레임워크 –제2부: -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상호연동기술 TTA | TTAK.KO-10.1040, 분산 클라우드: 기능 구조 및 TTA | TTAR-01.0013,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환경에서 멀티액세스 에지 80% 기술수준 | 표준수준 80% 참조 아키텍처, TTAK.KO-10.0899-Part1, 빅데이터 JTC1 SC38 | ISO/IEC CDMA 19944:AMD1, Cloud 요구사항 TTA | TTAK.KO-10.0734, 제스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활용 기술 컴퓨팅(MEC) 지원 기술(기술보고서), 프레임워크 –제1부: 개요 및 정의, TTAK.KO-10.0705, services and devices : data flow, data categories and TTAK.KO-11.0242, -제2부: 제스처 정의 지침 제시, TTAK.KO-10.0685, 제스처 Model Process for Addressing Cloud Service Cloud Service IEEE-SA | P7000, 클라우드 기반 빅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 정의, data use 스마트팩토리 초저지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에지 시스템 참조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제1부: 프레임워크 제시, 2018-1725, Ethical Concerns During System Design, P7001, 아키텍처 TTAK.KO-10.0706, 클라우드 기반 빅데이터 서비스 참조 서비스로봇의 감정인식 성능평가, TTAK.KO-10.0989, Transparency of Autonomous Systems, Data P7002, AI Server 모델 클라우드 컴퓨팅 경량 가상화 방법 및 서비스 표준 JTC1 SC38 | ISO/IEC TR 23188, Cloud Computing– 휴먼 행동 및 제스처 인식 성능평가 방법 : 제1부–데이터베이스 Privacy Process, Algorithmic Bias Considerations, P7003, (후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① | ~’22) Edge Computing Landscape 기반 알고리즘 평가, TTAK.KO-10.0986, ADHD 아동 P7007, Ontological Standard for Ethically driven JTC1 SC42 | ISO/IEC 20547-5, Reference 빅데이터 ITU-T SG13 Internet of 선별을 위한 교육보조로봇 활용 행동 중심 검사 방법, Robotics and Automation Systems, P7008, Standard architecture – Standards roadmap, ISO/IEC 20547-2, JTC1 SC41 | ISO/IEC TR 30164 ED1, TTAK.KO-10.0916, 영상-음성을 이용한 사용자 인식 for Ethically Driven Nudging for Robotic, Intelligent and Use cases and derived technical considerations, ISO/IEC 데이터 공유 협약 프레임 워크 표준 80% 기술수준 | 표준수준 85% things(IoT)-Edge Computing 성능평가방법, TTAK.KO-10.0911, 복수의 깊이 카메라에 Autonomous Systems, Standard for Fail-Safe 위험관리 체계, 20547-3, Big data – Reference architecture–Reference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 | ~’22) ITU-T SG11 | Q.5001, Signalling requirements and P7009, Server ITU-T SG13 | Y.cccm-reqts, Cloud Computing– 의한 교실환경 내 다수 사용자 행동인식 성능 평가 방법, Design of Autonomous and Semi-Autonomous Systems, architecture, ISO/IEC 20547-1, Overview and JTC1 SC38 WG5 architecture of intelligent edge computing 거버넌스 application process Requirements for Containers and Micro-services TTAK.KO- 10.0813, 지능형 로봇의 얼굴 검출 및 식별 P7010, Wellbeing Metrics Standard for Ethical Artificial -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컴퓨팅 자원 소프트웨어 알고리듬 성능평가방법: 제5부 협조적 사용자 동적 얼굴을 머신러닝 Intelligence and Autonomous Systems JTC1 SC27 | ISO/IEC 20547-4, Big data–Reference (IaaS) 개발 환경 이용한 시스템 레벨 성능평가, TTAK.KO-10.0821, 다수 프레임워크 architecture – Privacy and security fabric JTC1 SC38 | ISO/IEC WD 23751, Data sharing (Saas) 콘텐츠 웹 서비스 금융 서비스 사용자 환경 하에서 음원 위치 인식 성능 시험, agreement(DSA) framework 컴퓨팅 자원 관리 모니터링 분산자원 관리 (PaaS) TTAK.KO- ITU-T SG13 | ITU-T Y.bd-arch, Big data–Reference 멀티 클라우드 개념 및 요구사항 표준 분산 클라우드 개념 및 고수준 요구사항 표준 10.0818, 스마트디바이스와 로봇 간의 인터페이스/서비스 - architecture 용어 및 정의, TTAK.KO-10.0816, 서비스 로봇 음성인식 인간과 로봇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협동을 위한 조작 지능 (병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⑥ | ~’22) (후행 | 지속/확산공략 | 표준특허전략⑩ | ~’22) LIDAR ITU-T SG13 ITU-T SG13, ETSI MEC 성능평가를 위한 API, TTAK.KO-10.0672, 지능형 로봇의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① | ~’23) 얼굴 검출 및 식별 알고리듬 성능평가방법: 제4부 영상 JTC1 SC35, ISO TC299 조작지능 인식지능 데이터 프로파일링 기반의 빅데이터 품질진단 표준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75%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 레벨 성능평가 클라우드 인프라 서버 표준 TTA | TTAK.KO-10.1040, 분산 클라우드: 개념, 정의 및 8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0% (후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⑥ | ~’20) TTA | TTAE.IT-Y.3506,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리지의 JTC1 SC35 | ISO/IEC DIS 30113-5, User interface – (후행 | 지속/확산공략 | 표준특허전략⑥ | ~’21) 기반기술 고수준 요구사항(개정), TTAK.KO-10.1040, 분산 클라우드: TTA | 2017-596, 인공지능 서비스의 성능 평가 항목 및 유통기술 관리기술 JTC1 SC32 WG2, ISO TC184 SC4 WG13 기능요구사항, TTAK.KO-10.1042, 클라우드 서비스 Gesture-based interfaces across devices and methods ITU-T SG13, OCP, JTC1 SC39 개념, 정의 및 고수준 요구사항 절차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0% 브로커리지 프레임워크, 분산 클라우드: - Part 5: Gesture Interface Markup Language(GIML), 신경망 표현 클라우드 기반 TTAK.KO-10.1040, 80% 기술수준 | 표준수준 80% 개념, 정의 및 고수준 요구사항 All@CLOUD포럼 | CCF.KO-1069, 분산 클라우드: ISO/IEC 30113-11:2017, Part 11: Single-point gestures 스마트로봇표준포럼 | KOROS 1141:2019, 로봇의 정적 · 포맷(NNR) 머신러닝 ISO TC184 | ISO 8000-81, Data quality assessment 개념, 정의 및 고수준 요구사항 for common system actions, 동적 접촉 물리량 측정 및 평가 방법 methods: Profiling 클라우드 컴퓨팅 물리 머신 기능 요구사항, 클라우드 인프라를 위한 마이크로 서버 하드웨어 기능 및 구조 버전 1.0 All@CLOUD포럼 | CCF.KO-1069, 분산 클라우드: 개념, ISO/IEC 30122-2:2017, TTA | 2019-P0175, TTAK.KO-10.1039, Distributed cloud 정의 및 고수준 요구사항, CCF.KO-1072, 클라우드 서비스 ITU-T SG13 | Y.ccdc-reqts, Voice commands-Part 2: Constructing and testing, ISO/ KATS | KS B ISOTS15066, 로봇 및 로봇 장치 - 협동로봇 지능정보 응용 지능형컴퓨팅기술포럼 | ICTF.KO-1005, 데이터센터 서버 전원 관리 인터페이스, ICTF.KO-1002, 스토리지 시스템 소비전력 효율측정 분류체계 및 요구사항, ICTF.KO-1001, 클라우드 인프라를 위한 마이크로서버 하드웨어 브로커리지 기능 요구사항 overview and high-level requirements IEC 30122-3:2017, Part 3: Translation and localization, 기능 및 구조 ISO TC299 | ISO/CD 18646-3, Robotics – 인공지능 개념 및 용어 정의 표준 ISO/IEC 30122-1:2016, Part 1: Framework and general ITU-T SG13 | Y.mc-reqts, Functional requirements ETSI MEC ISG | DGS/MEC-0009 API Principles, Performance criteria and related test methods for service ITU-T SG13 | Y.3507, Cloud computing-Functional requirements of physical machine General principles for Mobile Edge Service APIs, guidance, ISO/IEC 30122-4:2016, Part 4: Management robots - Part 3: Manipulation (병행 | 지속/확산공략 | 표준특허전략⑪ | ~’22) of cloud service partner for multi-cloud, Y.3508, Cloud of voice command registration, ISO/IEC 30113-1:2015, JTC1 SC42, ITU-T SG16 OCP | Twin Lakes 1S Server Design Specification V1.0, 2S Server Tioga Pass Specification v1.0, Big Basin-JBOG Specifications Rev1.0, Facebook Multi-Node Server Platform: Yosemite V2 Design Specification V1.0 computing-Overview and highlevel requirements of DGS/MEC-0010-1SysHosPlatfMgmnt, Mobile Edge IEEE-SA | IEEE P7001, Transparency of Autonomous Management, ETSI GS MEC-IEG 006 V1.1.1, Mobile Part 1: Framework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JTC1 SC39 | ISO/IEC AWI 23544, Application Platform Energy Effectiveness(APEE), ISO/IEC DIS 21836, Server Energy Effectiveness Metric, ISO/IEC PDTR 30133, Guidelines for resource efficient data Database distributed cloud, Y.3506, Cloud computing-Functional Systems, IEEE P7009, Standard for Fail-Safe Design of Edge Computing; Market Acceleration; MEC Metrics Best centres, ISO/IEC DIS 30134-6, Key performance indicators--Part 6: Energy Reuse Factor (ERF) requirements for cloud service brokerage Autonomous and Semi-Autonomous Systems JTC1 SC42 | ISO/IEC 22989, Artificial intelligence- Practice and Guidelines 기반기술 품질관리 Concepts and terminology 분산 컴퓨팅 분산 파일 가상화 분산DB 시스템 지능 생성/재구성을 위한 모듈간 상호운용성 표준 제스처 인터페이스 표준 (후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⑪ | ~’22)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⑪ | ~’21) 감성 기반 UI 표준 ISO TC299 JTC1 SC35 WG9 (병행 | 지속/확산공략| 표준특허전략⑨ | ~’21) AI Server JTC1 SC35, ITU-T SG16 ICT 기반 무인기 식별 및 인증 표준 비식별 데이터 보증 수준을 위한 요구사항 8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0%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실시간 동시통역 인간-로봇 감정교류를 학습분석 프레임워크 및 감성기반 융합보안 80% 기술수준 | 표준수준 80%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⑥ | ~’22)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⑥ | ~’20) TTA | TTAK.KO-10.0995, 시스템 공통기능을 위한 TTA | TTAK.KO-10.0600/R1, 개방형 로봇 소프트웨어 위한 소셜지능 데이터 수집 인터페이스 JTC1 SC17, ITU-T SG17, 3GPP JTC1 SC27, ITU-T SG17 싱글포인트 제스처, TTAK.KO-10.0734, 제스처 기반 사용자 JTC1 SC35 | ISO/IEC 30150-1, Affective computing 플랫폼-제1부: 정의 및 시스템구성, TTAK.KO-10.0420/R1, 인터페이스-제2부: 제스처 정의 지침, user interface-model and framework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차내망 침입탐지시스템 구현 방법 표준 개방형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제2부: 컴포넌트, TTAK.KO-10.0685, 제스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제1부: 프레임워크,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⑩ | ~’22) TTAK.KO-10.0808, 개방형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 평가, TTA | TTAR-12.0033, 드론 기반 서비스를 위한 보안 메시지 흐름, TTAK.KO-12.0317, 드론 기반 서비스를 위한 보안 요구사항, TTAK.KO-10.1058-Part4, TTA | TTAK.KO-12.0343, 비식별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TTAK.KO-08.0037, IPTV 셋톱 박스에서 멀티미디어 ITU-T SG16/SG17, SAE DSRC Committee, ISO TC22 SC31/SC32 TTAK.KO-10.0912, 개방형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제6부: 실시간 동시통역 표준 학습분석 프레임워크 및 데이터 수집 표준 빅데이터 환경을 위한 메타데이터 프레임워크 및 개념 모델 표준 사물인터넷 기반 저고도 무인항공기 관리 및 운영 시스템 –제4부: 경량 인증 절차 금융보안표준화협의회 | 비식별 데이터 보증 수준을 위한 요구사항, 금융 빅데이터 환경에서 비식별 처리를 위한 콘텐츠 제어를 위한 제스처 세트, 장치 추상화를 위한 공통 로봇 인터페이스 TTAK.KO-10.0499, 사물인터넷융합포럼 | IoTFS-0039-R1, 드론 기반 배달서비스를 위한 키 은닉 요구사항, IoTS-0079-R1, 드론 기반 배달서비스를 위한 보안 요구사항, 소프트웨어의 구조 및 기능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마우스 제스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병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② | ~’21) (선행 | 지속/확산공략 | 표준특허전략⑩ | ~’23)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⑩ | ~’20) 스마트로봇표준포럼 | KOROS 1106-1:2015, JTC1 SC35, ITU-T SG16 IMS Gobal, IEEE LTSC, JTC1 SC36 ITU-T SG13 IoTFS-0096, 드론 기반 배달서비스 프레임워크, IoTFS-0097, 드론 기반 배달서비스를 위한 보안 프로토콜 JTC1 SC27 | ISO/IEC 20889, Privacy enhancing data deidentification terminology and classification TTA | TTAE.IT-X.1373, ITS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안전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프로세스 ISO/IEC 30113-60, Gesture-based 서비스 로봇용 기계적 전기적 모듈화-제1부 : 일반사항, JTC1 SC35 | JTC1 SC17 | ISO/IEC 22460-2, ISO License and Drone Identity Module for Drone(Ultra Light Vehicle or Unmanned aircraft system–Part 2: Drone of techniques Methodologies for intrusion detection system on in-vehicle systems, security-related misbehaviour detection mechanism based on big data analysis for connected vehicles, interfaces across devices and methods—Part 60: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8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0% ITU-T SG17 | X.itssec-4, X.mdcv, KOROS 1067-6, 개방형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 제6부 identity module, ISO/IEC 22460-3, ISO License and Drone Identity Module for Drone(Ultra Light Vehicle or Unmanned aircraft system–Part 3:, Security requirements for vehicle accessible external devices, Secure software update capability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s Guideline of gestures for screen readers, 학습 활동 데이터 수집 프로파일 –IMS Caliper Analytics 1.1, 학습 활동 데이터 수집 프로파일 –Experience API NIST | Draft NIST SP 800-188, De-identifying Government Datasets, NISTIR 8053, De-identification X.itssec-3, X.1373, 장치 추상화를 위한 공통 로봇 인터페이스 ISO/IEC IMS KOREA | TTA | TTAE.IT-Y.3601, 빅데이터 교환 프레임워크 및 요구사항, TTAR-10.0085, 빅데이터 유통 체계 모델(기술보고서), ISO License and Drone Identity Module for Drone(Ultra Light Vehicle or Unmanned aircraft system–Part 1: Drone license User interface — ISO/IEC 22460-1, of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SAE | SAE J2945/5, Service Specific Permissions and Security Guidelines for Connected Vehicle Applications 30113-61, Part 61: Single-point gestures for screen JTC1 SC35 | ISO 23773-1, JTC1 SC36 | ISO 20748-3, Learning analytics interoperability -- Part 3: Guideline for data interoperability, ISO 20748-4, Part 4: Privacy TTAE.OT-10.0427, 데이터 카탈로그 어휘 ISO TC299 | ISO 22166-1, Modularity for service readers, Part 12: Multi-point gestures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 Part 1: General, ITU-T SG17 | X.uav-oid, Identification mechanism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using object identifiers ITU-T X.rdda, Requirements for data deidentification assurance, ITU-T X.fdip, ISO/IEC 30113-12, and data protection policies, ISO 20748-2, Part 2: System requirements, ISO 20748-1, Part 1: Reference model ITU-T SG13 | Y.bdm-sch, Big data - Metadata framework and conceptual model ITU-T SG17 | ISO TC22 | ISO/SAE AWI 21434, Road Vehicles-Cybersecurity engineering robots – Part1: General requirements for common system actions, ISO/IEC 30113-5, Part 5: ISO 23773-2, Part 2: Requirements and functional 3GPP | TR 22.825, Study on Remote Identification of Unmanned Aerial Systems Framework of deidentification Processing service for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IMS Caliper analytics 1.2, IMS Caliper analytics 1.1 ISO TC204 | ISO/AWI TS 21177, ITS- Secure vehicle interface-ITS-station security services for secure session establishment and authentication, ISO/AWI TS 21184, ITS Secure vehicle interface-Data dictionary Gesture markup language, Part 11: description, ISO 23773-3, Part 3: System Architecture IMS Global | W3C | Data Catalog Vocabulary(DCAT) Revised Edition, Dataset Exchange Use Cases and Requirements, Data Catalog ISO/IEC 30113-11, of vehicle-based information for C-ITS applications, ISO/AWI TS 21185, ITS Secure vehicle interface-Communication profiles for secure connection between an ITS-station and a vehicle Single-point gestures for common system actions IEEE LTSC | xAPI 1.0.3 Vocabulary(DCAT) 무인항공시스템 보안 핀테크 보안 V2X 통신 보안위협 및 보안 가이드라인 Router Router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⑩ | ~’21) 사물인터넷 보안 ITU-T SG17, SAE DSRC Committee, ISO TC204 WG16 정보·물리보안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TTA | TTAK.KO-12.0318, 차량의 군집 주행 서비스를 위한 차량 등록 절차, TTAE.IT-X.1373, ITS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안전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프로세스 5G 보안 가이드라인 IEEE | IEEE Std 1609.2-2016,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Security Services for Applications and Management Messages (병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⑥ | ~’25) Security guidelines for vehicular edge computing, security requirements for categorized data in V2X communication, security threats in connected vehicles, IT제품 보안성 평가기준 정보보호 관리체계 3GPP RAN, ITU-T SG13/SG17 ITU-T SG17 | X.itssec-5, X.srcd, X.stcv, X.itssec-2, Security guidelines for V2X communication systems, X.1373, Secure software update capability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s (병행 | 전략적수용 | 표준특허전략- | ~'20) (병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② | ~’21)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SAE | SAE J3061, Cybersecurity Guidebook for Cyber-Physical Vehicle Systems JTC1 SC27 WG3, CCRA, CCUF ISO TC307, JTC1 SC27, ITU-T SG17 TTA | TTAK.3G-22.261_R1(15.5.0), 5G 시스템 서비스 요구사항, TTAT.3G-38.523-2(R15-15.1.0), 3GPP-Radio Access Network; 5GS; User Equipment(UE) conformance specification; Part 2: Applicability of protocol test 80% 기술수준 | 표준수준 80%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100% cases(Release15) ISO TC22 SC32 WG11 | ISO/SAE AWI 21434, Road Vehicles-Cybersecurity engineering TTA | TTAK.KO-12.0344, 효과적인 정보보호 거버넌스를 위한 금융보안 조직체계 지침, 디지털 병원 정보보호 요구사항 – 표준과 규제간의 비교(기술보고서) ITU-R SG5 | M.2410-0, Minimum requirements related to technical performance for IMT-2020 radio interface(s), M.2083-0, IMT Vision-“Framework and overall objectives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IMT for 2020 and beyond” TTA | TTAK.KO-12.0316,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정보기술-보안기술-ISO/IEC 27001의 분야별 적용 - 요구사항, 정보기술-보안기술-ISO/IEC 27002에 기초한 통신조직을 개인정보보호 지침 RRA | KS X ISOIEC 27009, KS X ISOIEC 27011, ITU-T SG13 | Y.3102, Framework of the IMT-2020 network, Y.3300, Framework of software-defined networking 자율자동차 보안 위한 정보보호통제, KS X ISOIEC 27017, 정보기술-보안기술-ISO/IEC 27002에 기초한 클라우드 서비스 정보보호 통제 실무 지침 RRA | KS X ISOIEC 27009, 정보기술-보안기술-ISO/IEC ITU-T SG17 | X.5Gsec-t, Security framework based on trust relationship in 5G ecosystem, X.5Gsec-ecs, Security Framework for 5G Edge Computing Services, X.5Gsec-guide, Security guideline for 5G communication system JTC1 SC27 | ISO/IEC 27018, Code of practice for protection of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in public clouds acting as PII processors, ISO/IEC 27008, 27001의 분야별 적용 - 요구사항, KS X ISOIEC 27011, based on ITU-T X.805, X.5Gsec-q, Security guidelines for applying quantum-safe algorithms in 5G systems, X.SDSec, Guideline on software-defined security in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범례 온라인 배포판 Guidelines for the assessment of information security controls,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s--Overview and vocabulary, 스마트헬스 보안 정보기술-보안기술-ISO/IEC 27002에 기초한 통신조직을 위한 ISO/IEC 27000, ISO/IEC network, X.srnv, Security requirements of network virtualization, X.1038, Security requirements and reference architecture for SDN 27005, Information security risk management, ISO/IEC 27003,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s--Guidance, ISO/IEC 27019, Information security 보안 관리 정보보호통제, KS X ISOIEC 27003, 정보기술-보안기술- 3GPP RAN | TS 33.501, Security architecture and procedures for 5G system, TR 33.811, Study on the security aspects of 5G network slicing management V_15.0.0, controls for the energy utility industry, Competence requirements for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s professionals, 정보보호관리시스템 이행지침 ISO/IEC 27021, ISO/IEC 27007, 운영 서버 TTA홈페이지(http://www.tta.or.kr) Guidelines for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s auditing, ISO/IEC 27004,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Monitoring, measurement, analysis and ETSI | GS NFV-SEC 014, Network Functions Virtualisation(NFV) Release 3; NFV Security; Security Specification for MANO Components and Reference points, GS NFV-SEC 013, Network Functions Virtualisation(NFV) Release 3; IT보안인증사무국 | KECS-PP-0933-2019, 국가용 evaluation Security; Security Management and Monitoring specification 네트워크 접근통제 보호프로파일 V1.0, KECS- ITU-T SG17 | X.Supple.13, Supplement on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users’ guide for Recommendation ITU-T X.1051, X.1058, Code of practice for NGMN | Security Aspects of Network Capabilities Exposure in 5G PP-0905-2018, 국가용 데이터베이스 접근통제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rotection 5G PPP | 5G PPP Security Landscape 보호프로파일 V1.0, KECS-PP-0904-2018, 중점 표준화 항목(표준개발 대상) 자료마당 국가용 스마트폰 보안관리 보호프로파일 V1.0, KECS- 5G Network (표준화 특성 | 표준화 전략목표 | 표준특허전략 | 완료시점) 국가용 통합인증 보호프로파일 V1.0, PP-0822-2017, Target SDOs KECS-PP-0821-2017, 국가용 문서 암호화 보호프로파일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0% TTA간행물 V1.0, KECS-PP-0820-2017, 국가용 데이터베이스 사이버 위협 대응 보안관리/보안평가 5G 보안 인증기술 물리보안 진료정보 교류시 보안표준 모델, 의료기기 안전 및 보안 프레임워크 암호화 보호프로파일 V1.0, KECSPP-0819-2017, 암호기술 [관련표준 대응 리스트] (병행 | 전략적수용 | 표준특허전략⑪ | ~’22) 국가용 무선침입방지시스템 보호프로파일 V1.0, KECS- 스마트공장 보안 표준화기구 | 표준번호, 표준명 PP-0803-2017, 국가용 침입방지시스템 보호프로파일 Router ITU-T SG17, ISO TC215, IEEE PHD WG ICT표준 활용/개발 맵 V1.0, KECS-PP-0804-2017, 국가용 호스트 자료유출방지 80% 기술수준 | 표준수준 80% 보호프로파일 V1.0 TTA | TTAR-12.0027,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전자기록의 보안 Part V: 위험 평가 및 JTC1 SC27 | ISO/IEC 15408-1, Evaluation 결과(기술보고서), TTAR-12.0028, 의료기관내 무선 의료기기 활용서비스의 보안참조 criteria for IT security Part1: Introduction and general 모델(기술보고서), TTAR-12.0029, 개인정보의 비식별화(기술보고서), TTAR-12.0024, 모바일 model(Amendment), ISO/IEC 15408-2, Part2: Security 보안 관리 디바이스에서 전자건강기록의 보안-PART Ⅲ: 보안실무자들을 위한 지침(기술보고서), TTAR- 표준화 및 표준특허 전략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전자건강기록의 보안-PART Ⅳ: 보안 표준과 보안 기능(기술보고서), functional components(Amendment), ISO/IEC 15408- 운영 서버 12.0025, 3, Part3: Security assurance components(Amendment), TTAR-12.0026, 스마트의료 서비스 보안 위협(기술보고서), TTAK.KO-12.0305, 디지털 병원 ISO/IEC 15408-4, Part 4: Framework for 정보보호 요구사항, TTAR-12.0022,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전자건강기록의 보안-Part I: 요약 the specification of evaluation methods and (기술보고서), TTAR-12.0023,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전자건강기록의 보안 PART Ⅱ 개인정보(PHI) 표준화 특성 activities(Amendment), ISO/IEC 15408-5, Part 5: Pre- 보호체계(기술보고서) defined packages of security requirements(Amendment), ISO TC215 | ISO/AWI 80001-5-1, Cloud computing considerations for health information Methodology for IT security ISO/IEC 18045, 바이오인식 응용 서비스 systems security and privacy, ISO 17090-1, Public key infrastructure-Part 1: Overview of 선행: 선 표준화 후 기술개발/상용화 | 병행: 표준화/기술개발 동시 추진 | 후행: 선 기술개발/상용화 후 표준화 evaluation(Amendment), TR 22216, Introductory digital certificate services, ISO 25237, Pseudonymization, ISO 27799, Information security 블록체인기반 IoT 보안 프레임워크 표준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⑥ | ~’22) guidance on Evaluation for IT security(Amendment), management in health using ISO/IEC 27002, ISO 22696, Guidance for an identification JTC1 SC27/SC37, ITU-T SG17, ABC (병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⑦ | ~’22) ISO/IEC 19896-1, Competence requirements for and authentication framework of networked PHD, ISO/TR 11633-1, Information security ITU-T SG20, oneM2M SDS, IEEE-SA, FIDO Alliance 표준화 전략 표준특허 전략 information security testers and evaluators, ISO/IEC 능동형 사이버보안 침해정보 수집 및 보존 기술 암호 알고리즘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0% management for remote maintenance of medical devices and medical information systems 19896-3, Part 3: Knowledge, skills and effectiveness 차세대보안 기반 기술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0%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⑪ | ~’21) (후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⑦ | ~’22) -Part 1: Requirements and risk analysis requirements for CC evaluators, ISO/IEC 15446, Guide 바이오인식과 IC카드를 이용한 ITU-T SG20 | Q3/20 Y.IoT-rf-dlt, OID-based ITU-T SG17, JTC1 SC27, ETSI JTC1 SC27, IETF TTA | 2017-049, for the production of Protection Profiles and Security 접근제어용 개인확인시스템, TTAR-12.0034, 모바일장치의 Resolution framework for transaction of distributed ledger 차세대 공략 선도경쟁 공략 지속/확산 공략 표준채택 표준 중후기 및 R&D 초중기 전략 표준 및 R&D 중후기 전략 기술수준 | 표준수준 기술수준 | 표준수준 FIDO 및 응용기술 높음 Targets(Amendment) 95% 90% 95% 95% 위조 바이오인식 샘플탐지를 위한 시험평가지침, TTAR- assigned IoT resources, Q4/20 Y.BC-SON, Framework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⑪ | ~’22) IoT 통합보안 프레임워크 표준 for Information Technology TTA | 2016-1893, 퍼지 인증 프로토콜 –제2부: 퍼지 볼트와 HV-KEM 기반 퍼지 인증 프로토콜들, 12.0035, 바이오인식으로 강화된 일회용 식별인증 기술보고서 of blockchain-based self-organization networking in IoT CCRA | TTA | 2019-0136, Moving Target Defense 기반 능동형 FIDO Alliance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① | ~’22) ⑩ 표준 정합성 확보를 위한 특허 재설계 전략 Security Evaluation, Version 3.1, revision 5, Common TTAK.KO-12.0334, 패스워드 기반 키 유도 함수, TTAK.KO-12.0333, HMAC 기반 키 유도 함수, ID 관리 기술 PKI 기반 기기 인증 based environment 네트워크를 위한 보안 프레임워크, TTAK.KO-12.0294, RRA | KS X ISO/IEC30107-2, 생체인식 제시형 공격 OCF, oneM2M, ITU-T SG17 국제표준 후속/개정 표준 및 검토 ⑧ 표준안 공백분야 도출 전략 ⑪ 특허 권리범위 보완 전략 TTAK.KO-12.0332, HMAC 기반 결정론적 난수발생기, TTAK.KO-12.0331, 해시 함수 기반 결정론적 10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0% IEEE P2418 | P2418, the Frame work of Blockchain Methodology for Information Technology Security 사이버 침해사고 분석을 위한 네트워크 포렌식 분석 도구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⑩ | ~’24)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⑪ | ~’22) 탐지기술-파트2: 데이터포맷, KS X ISO/IEC30107-3, ⑨ 기출원 특허 권리범위 안정화 전략 ⑫ 특허풀 대응을 위한 지분확대 및 Evaluation, Version 3.1, revision 5, collaborative Protection 난수발생기, TTAK.KO-12.0330, 해시 함수 기반 메시지 인증 코드(HMAC), TTAK.KO-12.0329, 양자 키 분배, ITU-T SG17, ISO TC307, W3C IEEE 802, CAMP, ETSI, 3GPP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85% Use in IoT 선도가능 분야 시장확산 필요 분야 요구사항, TTAK.KO-12.0280, 사이버 침해 사고 분석을 FIDO Alliance | FIDO2, UAF 1.1(Universal Authentication 생체인식 제시형 공격 탐지기술-파트3: 성능시험방법, KS X 국 표 권리 유연성 확보 전략 Profile for Network Devices v2.0 TTAK.KO-12.0328-Part1, 퍼지 인증 프로토콜 –제1부: 일반 모델, TTAK.KO-12.0308, IBC(ID 기반 암호 TTA | TTAK.KO-12.0311, IoT 기기 간 접근제어 메커니즘 및 활용 예, TTAK.KO-12.0310, 위한 네트워크 데이터 수집 및 보존 도구 요구 사항, 2018-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0% 95%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Framework), U2F 1.2(Universal 2nd Factor) ISO/IEC19794-15, 손금인식 데이터 교환규격-파트15 시스템)를 이용한 인증 및 키 합의 프로토콜, TTAK.KO-12.0271, n비트 블록 암호 운영 모드 대규모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기기 종류에 따른 접근제어 절차, TTAK.KO-12.0320, 사물인터넷 내 준 개발 2127, Moving Target Defense 기반 능동형 서비스 보안 지침, TTA | TTAK.KO-12.0342, 클라우드 커넥티드 자동차 JTC1 SC27 | ISO/IEC 24745R1, Biometric Information 신규 표준화 RRA | n비트 블록 암호 운영 모드 –제2부: 블록 암호 LEA, 제3부: 블록 암호 ARIA, 제4부: 블록 암호 LEA, 제5부: TTA | 2019-P0168, 분산형 식별자들(Decentralized Identifiers (DIDs)), 2019-P0165, 식별관리시스템 보안 지침, TTAK.KO-12.0321,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도메인간 보안 요구사항 추격/협력 공략 전략적 수용 표준 및 R&D 초중기 전략 표준 초중기 및 R&D 중후기 전략 TTAK.KO-12.032, 공격 표면 평가를 위한 자산 상태 정보 보안 요구사항, TTAK.KO-06.0441, 협력 자율주행을 위한 Protection, ISO/IEC 17922, Telebiometric authentication 스마트공장 기기 상호 보안인증기술, 스마트공장 역 개 블록 암호 HIGHT, KS X 3262, 해시 함수 LSH 검증가능한 크리덴셜 데이터 모델 1.0(Verifiable Credentials Data Model 1.0) 사물인터넷융합포럼 | IoTFS-1051, oneM2M IPE 기반 사물인터넷 플랫폼간 보안 연동 선점 가능 분야 교환 포맷 차량 통신 요구사항 생체신호기반 텔레바이오 인증기술 framework using biometric hardware security module 정보보호 인증 기준 JTC1 SC27 | ISO/IEC 9797-2, Message authentication codes(MACs)-Part 2(WD): Mechanisms using 분산원장기술표준포럼 | 2019-P0168 분산형 식별자들(Decentralized Identifiers (DIDs)) 가이드라인, IoTFS-0149, 이종 IoT 플랫폼을 위한 보안 상호운용성 지원 접근 제어 프레임워크, 량 발 과제승인 ① 특허를 통한 표준 아이템 도출 전략 ITU-T SG17 | x.gcpie, Guidelines for Collection and 사물인터넷융합포럼 | 2017-0023, 시간 민감형 자동차 Conformance Test (병행 | 전략적수용 | 표준특허전략⑪ | ~’22) a dedicated hash-function, ISO/IEC 18033-3, Encryption algorithm–Part 3(DIS): Block ciphers, (병행 | 선도경쟁공략 | 표준특허전략② | ~’22) JTC1 SC37 | ISO/IEC I24709-1R1, IoTFS-0166, 사물인터넷 기기 인증 및 키 분배 프로토콜 다각화 협력 국제표준 ② 표준화 방향에 따른 출원 및 기고 전략 악성코드 분석 정보 공유 포맷 Preservation of Cyber Security Incident Evidence W3C | W3C Candidate Recommendation, Verifiable Credentials Data Model 1.0-Expressing 내부 네트워크 보안 요구사항, 2017-0010, 클라우드 커넥티드 IEC TC65 WG10, ISA 99, JTC1 SC27 ⑥ 표준 필수특허 설계 전략 ISO/IEC 29192-6, Lightweight, cryptography – Part 6(DIS): Message authentication codes(MACs), ISO TC215, ITU-T SG17, ABC for BioAPI Part1 revision, ISO/IEC 19794-15, Biometric OCF Security Specification v2.0.2 ③ 선출원 지위확보를 위한 긴급 출원 전략 (병행 | 차세대공략 | 표준특허전략② | ~’23) verifiable information on the Web, W3C Draft Report, Decentralized Identifiers(DIDs) 자동차 보안 요구사항 OCF | ⑦ 표준 관련 특허망 구축 전략 JTC1 SC27 | ISO/IEC 27035-3, Information security ISO/IEC 29192-7, Part 7(FDIS): Broadcast authentication protocol, ISO/IEC 29192-2, Part 2(FDIS): 기술수준 | 표준수준 data interchange format–Part 15: Palm crease image 70% 기술수준 | 표준수준 70% 필요 분야 수용/적용 분야 ④ 권리범위 확대 전략 ITU-T SG17, IEEE MMDEF, JTC1 SC27 v0.13-Data Model and Syntaxes 95% 100% oneM2M | TS-0003, Security solutions v3.10.2 incident management--Part 3: Guidelines for ICT Block ciphers, ISO/IEC 11770-4, Amendment 1(DAmd): Unbalanced password-authenticated key IEEE | IEEE Std. 1609.2-2016, Wireless Access in data, ISO/IEC 30106-1AMD1, Object oriented BioAPI TTA | TTAK.KO-12.0307-part1, 산업제어시스템 기초연구 ⑤ 다양한 실시예를 반영한 특허확보 전략 ITU-T SG17 | X.sct-dlt, Security threats of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d ledger 90% 기술수준 | 표준수준 95% incident response operations, ISO/IEC 27035-1:2016, agreement with identity-based cryptosystems(UPAKA-IBC), ISO/IEC 18033-6, Encryption algorithms Vehicular Environments-Security Services for Applications TTA | 2018-2251, 생체신호를 이용한 헬스케어 응용서비스 ―Part 1: Architecture―Amendment 1: Additional ITU-T SG17 | ITU-T X.1361(X.iotsec-2), Security framework for Internet of Things 보안요구사항-제1부: 개념 및 참조모델, TTAK.KO-12.0307 낮음 technologies, X.dlt-sec, Security considerations for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Part 1: Principles of incident management, ISO/IEC -Part 6: Homomorphic encryption, ISO/IEC 10118-3, Hash-functions–Part 3: Dedicated hash-functions, and Management Messages 기술보고서, TTAK.KO-12.0324, 개인인증용 생체신호 specifications and conformance statements based on the gateway model, ITU-T X.1362(X.iotsec-1), Simple encryption procedure for -part2, 산업제어시스템 보안요구사항-제2부: 현장장치 계층, 악성코드 속성 목록 및 특성 Key management–Part 4: Mechanisms based on weak secrets data in identity management Internet of things(IoT) environments TTA | TTAE.IT-X.1546, 27035-2:2016, Part 2: Guidelines to plan and prepare ISO/IEC 11770-4, U.S. DOT/NHTSA | Conformance test specifications for 정보보호 지침, TTAK.KO-12.0325, 생체신호 인증 알고리즘 ITU-T SG17 | X.1093, Telebiometric Access Control TTAK.KO-12.0307-part3, 산업제어시스템 보안요구사항 기획 국제 표준화 단계 채택 ISO TC307 | ISO/DTR 23244, 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Privacy ITU-T SG17 | X.1546, Malware attribute enumeration for incident response, ISO/IEC 27035:2011, Information IETF | RFC 8554, Leighton-Micali hash-based signatures, RFC 8349, ChaCha20 and Poly1305 for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WAVE)-802.11, 성능 시험 지침, TTAK.KO-12.0323, 개인인증용 심전도 및 with smart ID Card, X.1085, Telebiometric authentication IETF | draft-irtf-t2trg-iot-seccons-16, State-of-the-Art and Challenges for the -제3부: 제어 계층, TTAK.KO-12.0307-part4, 기초연구 실험 시작품 제품화 사업화 and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rotection considerations, ISO/NP DTR 23245, and characterization security incident management IETF protocols, RFC 8391, XMSS–eXtended Merkle Signature Scheme, RFC 8236, J-PAKE: Password- Test Suite Structure and Test Purposes 광용적맥파 특징점 데이터교환 포맷 framework using biometric hardware security module, Internet of Things Security 산업제어시스템 보안요구사항-제4부: 운영계층 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Security risks, threats and vulnerabilities, authenticated key exchange by juggling, RFC 8235, Schnorr non-interactive zero-Knowledge proof, Certificate Policy for Lightweight cryptography-Part 7: Broadcast General Series, IEEE MMDEF | MMDEF-B v1.0, Malware Metadata IETF | RFC 3227, Guidelines for Evidence Collection 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Overview of identity European Commission | ITU-T SG17 | X.1094, Telebiometric authentication X.1087, Technical and operational countermeasures for JTC1 SC27 | ISO/IEC 29192-7, IEC TC65 | IEC 62443-1, IEC 62443-2, RFC 8133, The security evaluated standardized password-authenticated key exchange(SESPAKE) ISO/NP TR 23246, Deployment and Operation of European Cooperative authentication protocols, Lightweight cryptography-Part 6: Message Policy & Procedure Series, System Series, 연구개발 출처 : KISTA Exchange Format Behavioral and Archiving management using 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using bio-signals telebiometric applications using mobile devices ISO/IEC 29192-6, IEC 62443-3, Protocol, RFC 8032, Edwards-curve digital signature algorithm(EdDSA)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C-ITS) authentication codes(MACs) IEC 62443-4, Component Series

* 본 자료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방송표준개발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과제(No. 2017-0-00059, ICT표준화 체계분석 및 전략연구) 연구결과로 발간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