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시민정보사회추진을 위한 종합연구 A complex Study on Developing a Civil Information Society for the 21st Century

1998. 5. 25.

주관연구기관() 사 새문명아카데미 정보통신부

-1- 제출문

정보통신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21 세기 시민정보사회추진을 위한 종합프로젝트에 관한 연구 ” 의 최종 연구개발 결과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1998년월 5 25 일

주관연구기관:( 사 ) 새문명아카데미 연구책임자: 송한식 참여연구원: 성경륭 박석 홍만표

-2- 요약문

1. 제목 21세기 시민정보사회 추진을 위한 종합 프로젝트에 관한 연구

2. 연구의 목적 및 중요성

정보사회로의 전환은 한 산업부문이나 정부정책의 문제만이 아니라 사회전체의 총체적인 변 혁이다.,, 정보화의 추진은 정부 기업 시민사회의 모든 분야에 걸쳐 있는 과제이고 , 특히 그 성과를 내는데 있어서 민간의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사회의 총체적 변화를 위하여 민간의 광범한 참여를 추진력으로 하는 정보화에 관하여 시민 정보사회의 이름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그 동안 정보화의 진전과 함께 정보사회에 관한 패러다임도 변화하고 있는 바, 기술 중심적 인 관점,, 미래를 예측하는 관점에 바탕을 둔 논의에서 나아가 그 동안 정보사회에 관한 선 진국의 논의 성과를 반영하고 보다 바람직한 사회를 의도적으로 창조한다는 관점에서 시민 정보사회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시민과 민간의 입장에서 정보산업과 정보사회의 비전을 제시하고,21 세기정보사회의 사회적 근본이 되는 새로운 가치와 규범을 모색하고, 정보통신공간에서의 시민적 참여와 교 육의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오늘의 현실-- 경제적 불황과 대량실업 을 해결하는 전향적 대안으로서의 기초적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것이다. 정보화의 진척에 따라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21 다가올 세기의 정보사회의 미래상으로서 새로운 한국적 정보사 회론을 연구하고,21 보다 바람직한 세기의 비전으로서의 시민정보사회에 관한 이론적 연구 와 정보화 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탐구하며, 민간의 참여를 위한 시민정보사회의 선도적 네트워크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3- 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본 연구는 먼저 한국에서의 정보사회에 관한 기존 이론을 검토하고 그 이론들이 현재의 시 대적 변화에 비추어 대단히 진부한 것임을 밝힌다. 변화한 현실과 전망에 비추어 새로운 정 보사회론의 관점을 확립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시민정보사회론을 정립한다 정보사회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 그리고 시민을 중심에 두는 패러다임으로서의 시민정보사회론을 확립하며, 시민정보사회의 가장 근원적인 기반으로서 시민정보사회의 윤리,. 가치규범을 논의한다 이러 한 전망을 전제로 하여 시민정보사회에 관한 구체적 현실로서 다양한 분야의 시민정보운동 의 현실을 연구하고,, 미래에 대한 전망으로서 보다 바람직한 시민정보사회의 가능성을 검토 한다. 이러한 새로운 정보사회론과 시민정보사회론을 관점으로 하여 외국의 정보화 전략을 검토하 며 한국의 정보화 전략에 관한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을 논의한다. 이러한 연구내용들을 다른 각도에서 보면 정보사회에서의 시민사회란 무엇이며, 정보통신공 간에서의 민주적 합리적 의사 소통의 공간, 참여의 장이 될 수 있는 조건들은 무엇인가 하 는 것들이 논의의 주제가 된다. 또한 시민과 민간의 참여가 국가 사회적인 에너지로 활성화 될 수 있는 조건들은 무엇이며,() 새로운 사회와 과거의 사회 산업사회 의 진정한 차이는 무엇 인가 하는 것들이 계속적인 문제의식으로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정보사회와 시민정보사회론에 입각하여 국가사회 전체의 정보화 전략을 구현하는 정책적 제언을 제시한다.

4. 연구결과

가서론.

시민정보사회의 연구의 필요성,, 문제의식 논의의 순서를 밝힌다 .

나. 정보사회와 시민정보사회

-4- 1) 기존이론과 정보사회의 상 기존의 정보화에 관한 이론들은 크게 두 범주로 나눌 수 있는 바, 단절론과 연속론이 그것 이다. 단절론의 범주로 정보생산론,, 정보소비론 기술경제 패러다임 , 후기산업사회론 ,, 정보사회론 통제혁명론을들수있고연속론의범주로산업경제론자본주의산업사회론지배양식론을,, 들수있다.

2) 정보기술의 변화과정과 기존이론의 연대기 정보기술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면 메인프레임시대,,, 개인용 컴퓨터의 시대 네트워크의 시대 사이버스페이스의 시대로 나눌 수 있다. 위의 정보사회에 관한 모든 이론들은 대부분이 네트워크 시대에 나온 것들이며 심지어는 개 인용 컴퓨터가 출현하기 이전에 나온 것도 다수 있는 바. 시대적으로 대단히 진부한 이론들 이다.. 새로운 정보사회의 이론이 정립되어야 한다

3) 정보사회의 전망의 변화와 새로운 정보사회론 그 동안 각국의 정보화 정책은 산업의 정보화,,, 정보의 산업화 네트워크화 정보고속도로의 활용,,, 사이버스페이스의 전개 등을 묵시적인 패러다임으로 하고 있는 바 뉴질랜드 노르웨 이,,,, 핀란드 캐나다 독일 미국 등의 정책패러다임은 이러한 단계적 차이가 있다 . 가장 발전된 정보사회의 이론은 사이버스페이스를 중심에 두는 이론이며, 이러한 관점은 한 국에서는 아직 충분히 제기되지 않고 있다., 정보사회란 사이버스페이스사회이며 정보화란 사이버스페이스로의 이주().移住 이다

4) 자연공간과 시민정보사회 정보사회를 사이버스페이스사회로 규정하면, 시민정보사회에 관한 관점도 두 가지로 나누어 진다.( 하나는 자연공간 현실의 물리적 공간 ) 을 중심으로 시민정보사회를 보는 관점이며 , 다 른 하나는 사이버스페이스를 중심으로 시민정보사회를 보는 관점이다. 자연공간에서의 시민() 및 시민사회 은 몇 가지 의미가 있는 바 ,, 시민사회 시민참여와 연대 , 제3. 섹터를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시민정보사회는 시민사회의 정보화로서의 시민정보사회 , 사회적 연대로서의 시민정보사회,3 제 섹터로서의 시민정보사회가 있다 .

-5- 5) 사이버스페이스와 시민정보사회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기존의 의미에서의 시민은 존재하지 않으며 네티즌(Netizen) 이 있을 뿐이다.(Netizen), 네티즌 은 국가 기업 등에 관한 시민사회의 시민의 개념이라기 보다는 세 대나 직업과 연관되어 있다. 즉 , 네티즌 (Netizen) 과 시티즌 (Citizen) 은 무관하다 . 따라서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시민정보사회는 전혀 다른 관점, 즉 시민은 사이버스페이스에 서의 인간, 사이버스페이스의 주민 - 사이버시티즌 (Cyber Citizen)- 으로 규정하고 시민정보사 회를 논의해야 한다. 사이버스페이스를 중심에 두면 시민정보사회는 사이버공동체로서의 시민정보사회의 문제가 제기된다. 다른 한편 현실의 정보화에 대한 비판과 그 지양으로서의 시민 정보사회가 가능 하며바람직한정보사회를시민정보사회라고할수있다,.

다.ㆍ 시민정보사회의 윤리 가치규범

1)시민정보사회의 기초 : 사이버시티즌의 정체성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인간은 육체적 인간이 아니라,. 기호ㆍ 상징으로 나타난다 사이버스페이 스에서의 인간-- 사이버시민 의 정체성은 자신에 관한 정보로서 규정된다 . 이러한 개개인에 관한 정보가 한편에서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인간의 정체성을 형성하지만 그 반대측면에 서는 프라이버시 문제를 제기한다.

2) 프라이버시와 자율의 사회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필연적으로 개개인에 관한 정보들이 측적된다.( 이것은 자연공간에서 개인에 관한 정보는 대화가 끝남으로써 사라지는 것과는 다르다). 이러한 개인정보를 보호 하는 문제가 프라이버시문제이다.,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위한 제도로서 시장규제모델 정부규 제모델,, 자율규제모델이 제기되고 있는 바 결론적으로 자율규제모델이 불가피한 것으로 인 정되고 있다.

-6- 이것은 사이버스페이스사회가 자율사회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말한다.( 정부 규제나 시장 원리로 작동할 수 없다). 그러나 자율규제모델의 경우, 정부에 의한 프라이버시 침해의 문제는 해결할 수 없으며 여 기에 시민단체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3) 지적재산권과 연대의 사회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인간() 주민 의 문제 이외에 사물에 대한 문제로 대두하는 것이 지적재산 권의 문제이다. 왜냐하면 사이버스페이스는 디지털의 세계이고 일체의 사물도 디지털의 모 습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지적재산권의 보호에 관한 구체적인 규범들이 세계적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중요한 것은 지적재산권에 관한 공유를 사회적으로 얼마나 확 장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공유의 범위가 확장될수록 지적인 발전도 빨라질 수 있다 여기에 시민사회단체들에 의한 지식정보의 공유의 문화를 발전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4) 시민정보사회의 윤리와 도덕의 정체성 사이버스페이스사회는 자율의 사회이고 따라서 윤리도덕이 사회적 기초가 된다. 현재 논의 되고 있는 것은 인터넷에서의 윤리이다. 나아가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윤리도덕이 자연공간 ()현실공간 에서의 윤리도덕의 연장선상에서 논의될 수 있는가 ? 전혀 새로운 윤리도덕의 문 제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윤리도덕의 확립이야말로 새로운 정보사회 시민정보사회 의가능성을결정하는것이다.

라. 시민정보운동의 현실과 시민정보사회

정보화와 연관되어 시민이 주체가 되어 일어나고 있는 운동-, 정부 기업이 주체가 아닌 제반 운동-. 은 정보사회로의 이행에 있어서 또 하나의 축이다

1) 시민정보운동의 개념과 분류 시민정보운동은 시민운동의 정보화,, 시민정보운동 사이버커뮤니티운동으로 나눌 수 있다 .

-7- 2) 시민운동의 정보화 근대산업사회 이후 이제까지 자연공간에서 일어나고 있는 시민운동들이 정보기술을 도입함 으로써 좀더 활성화할 수 있다는 기대들이 시민운동의 정보화의 주요한 논점이다. 실제 현 실에서의 시민운동의 정보화 사례와 현황을 조사하면 하나의 특징이 발견된다. 그것은 정보 기술을 통한 시민의 참여와 시민운동의 활성화는 예상보다 부정적이라는 것이다. 그렇지만 참여가 저조함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시민운동단체들이 사이버스페이스에 홈페이지를 개설하 는 등의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는 것이다.

3) 시민정보운동 시민정보운동은 시민운동의 정보화를 지원하거나 사이버스페이스() 또는 정보사회 에서 새로 이 제기되는 문제들에 대한 운동이다. 시민운동의 정보화는 시민들의 참여율이 저조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원하는 시민정보운동이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사이버스페이스의 새로운 가치관,. 이념들을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민정보운동은 인적 기술적 재정적 부족 때문에 충분한 활동을 하지 못하거나 상업망에 잠식당하고 있다.

4) 사이버 커뮤니티 운동 시민정보운동과는 달리 사이버스페이스 자체에서 새로운 공동체,, 새로운 질서 새로운 시스 템을시도하는운동들이있다지역사회를중심으로하는시민네트워킹운동들은대단히활. 발했으나 현재에는 상업망과의 경쟁문제가 제기되고 상업망에 굴복 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새로운 질서를 추구하는 정치운동이 있는 바, 이는 기존의 국가질서와 는 다른 세계를 구축하려는 시도이다.() 그 외에 사이버스페이스에 새로운 현실 가상현실 을 실현하는 운동이 있으며,. 이것은 게임의 세계와 지역화폐 공동체를 들 수 있다 지역화폐공 동체는 그것이 현실과는 다른 경제체제를 모색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5) 공공영역의 장래 시민운동,, 시민정보운동의 현실에서 볼 때 공공영역과 공론의 장은 근대산업사회 내지 자본 주의초기의 개념이며,. 쇠퇴하고 있는 개념이라고 해야 할이다 공론의 장과 공공영역을 새로 이 구축하기 위해서는 근대산업사회와는 다른 시도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새로 운 사회의 중요한 과제이다.

-8- 6) 전자민주주의의 현실과 방향 시민정보운동의 현실에서 볼 때,. 전자민주주의의 몇 가지 방향이 제시될 수 있다 하나는 충 분한 정보를 시민에게 제공함으로써 시민의 참여를 강화하는 것, 시민정보운동을 지원하는 것,,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직접투표와 같은 제도를 마련하는 것 그대민주주의와는 다른 새로운 민주주의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새로운 사회가 과거와는 다른 사회라면 새로운 민주주의를 모색하는 것은 실질적인 성과와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길이다.

마. 국가의 정보화 전략과 시민정보사회

1) 사이버스페이스 패러다임 이제까지 시민정보사회와 관련한 검토, 정보화 정책의 결과들은 정보사회에 관한 기존의 패 러다임을 벗어나 좀더 깊은 정보사회() 사이버스페이스사회 에 관한 천착이 필요하다는 것이 다... 그것은 사이버스페이스사회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그것은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사이버스페이스는 두 가지 구조를 띠고 있는 바, 하나는 기술적 구조이고 다른 하나는 인식 론적 구조이다.,,, 사이버스페이스는 기술적으로 네트워크 기술기판 전송계층 베이러서비스 플랫폼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인식론적으로 데이터베이스 레벨 시스템 레벨 사이버 현실의 레벨로 구성되어 있다. 시민정보사회에 관한 대부분의 논의들은 사이버스페이스가 막연하게 커뮤니케이션 공간이라 고 가정하는 함정에 빠져있다. 그러나 사이버스페이스는 커뮤니케이션공간이 아니라 데이터 베이스 공간이다. 사이버스페이스 그 자체는 결코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지 않는다는 것 이다. 이처럼 사이버스페이스의 본질을 통찰하는 것이야말로 정보화 정책의 결정적 요소이다.

-9- 2) 미국의 정보화 전략 미국은 기축통화 달러,,,, 세계 공용어인 언어 정보기술의 우위 창조의 문화 민주주의의 힘 등 미국적 자산을 기반으로 하여 사이버스페이스의 기술적 구조와 인식론적 구조 전반에 걸 쳐 전 세계에 압도적 우월성과 리더십을 행사하고 있다. 전자정부는 데이터베이스 레벨의 핵심적인 정보화 전략이며, 전사상거래는 시스템 레벨의 핵심적인 전략이다. 이 모든 면에 걸쳐서 미국은 착실하게 세계적 헤게모니에서 앞서 나가 고있다. 이에 따라 세계전체의 정치 경제적 시스템에서 근본적인 변혁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3) 한국의 정보 전략과 시민정보사회 시스템 한국의 정보화 전략은 미국이 추진하는 세계정보화의 과정에서 낙오되지 않는 것이 제1 차적 인 과제라고 할 것이다. 이것은 글로벌 스탠다드 (global standard) 에 적응하는 것이기도 하 다. 한국의 과제는 글로벌 스탠다드에 적용하면서 어떻게 한국적인 고유성을 사회적 에너지 로 조직화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것이 정보화에 있어서 한국적 전략의 문제이며 이것이 있을 때에만21 세기를 기약할 수 있다 . 이러한 한국적 정보화 전략이 시민 정보사회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즉 정부부문 , 시장 부문은 미국적 세계정보화과정에 낙오되지 않는다는 목표를 설정하지만, 시민사회 부문에 있어서는 한국적인 모델을 설계해야 하며,. 오히려 시민사회부문에서 성과를 내야 한다

4) 시민정보사회시스템 한국적 정보화 모델로서 시민정보사회시스템의 핵심은 사회의 기반이 되는 정보화로서 교육 시스템의 대대적인 개혁과 정보화가 핵심이 되고 다른 한편에서는 한국적인 지적재산권의 공유기반을 확립하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인적 지적 기반을 튼튼히 하는 길이다 이러한 기반 위에 공론의 장과 정책공동체를 형성함으로써 한국에서의 민주주의적 발전과 국민적 통합,. 민간의 창조적 에너지를 활성화 시켜야 한다 한편 제3 섹터와 지역화폐공동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시장 밖에서 국가적 경쟁력을 고양시키 는 전략을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10- 이것은 국가와 시장의 근원을 강화하는 전략이며, 이러한 근원과 기반을 강화하는 전략 없 이는 일반적 정보화 정책만으로는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없다.

바. 정책적 제언

1) 한국사회와 한국시민사회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회가 오늘날과 같은 상황에 이른 근본적 원인은 지금까지의 사회시스템이 이제는 진 부해졌다는 것이다.. 구체적 현실에서 최대의 문제는 실업문제이고 경제회복의 문제이다 이 러한 총체적 위기를 정보화를 통하여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실업문제는 모든 국민 개개인에게 정보화에 참여하는 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이야말로 중요한 가능성이다.( 이제까지 없던 정보화에 대한 동기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 해결의 출구는 시민사회를 활성화하는 것, 시민사회의 에너지를 대변환의 에너지로 고양하는 것이 다.

2) 시민정보사회 지도자 네트워크 한국적 정보화 전략의 핵심은 정보를 추진하는 민간주체 내지 시민주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한국적 정보화를 추진하는 민간주체를 시민정보사회 지도자 네트워크라고 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주체는 시민정보운동단체는 물론 각계각층의 민간인-,,, 지식인 학생 교사 자영업자 , 기업종사자,- 종교인 등 광범위한 풀을 형성할 수 있다 . 이러한 시민정보사회 지도자 네트워 크의모델로서미국의사이버맨해튼프로젝트상가포르의파이어니어클럽을들수있다,.

3) 시민정보화운동과 실업문제의 해결 시민정보운동은 실업문제의 해결과 연결될 수 있다. 실업문제와 정보화를 결합하면 노동시 장-- 노동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만남 을 사이버스페이스로 이주하는 문제가 된다 . 이것은 수 십 만 내지100 만에 이르는 한국의 인적자원들의 개인홈페이지를 만드는 운동으로 가능하 다.. 인터넷은 데이터베이스 공간이다 그리고 노동시장은 인적 자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공 간에서의 검색의 문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런 운동은 정부 기업 시민사회가 연대할 수 있 는 시민정보운동의 핵심이 된다.

-11- 4) 교육개혁과 지적 공유제도의 창설 새로운 시대에 있어 경제회복과 실업문제의 해결은 한국국민 전체에 대한 지식기술을 향상 시키는 것에서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모든 사람이 가르치고 모든 사람이 배우는 학습 사회를 건설해야 한다. 학습사회의 건설은 개개인이 어떠한 방법으로 학습하든 그 과정을 묻지 않고 학습의 성취도를 사회에서 평가해주는 인증제도(Accreditation system) 를 발전시 키는 것에 달려 있다.. 이것은 다른 한편으로는 지적 공유제도를 창설하는 것이다 공유하는 지적기반을 확장하는 것이야말로 새로운 사회가 발전하는 길이다.

5)제 3 섹터의 활성화와 지역화폐 공동체 앞으로의 실업문제는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에 의하여 완전히 해소될 수 없다. 시민운동 내 지 제3 섹터는 한국의 실업인구를 흡수하는 부문으로도 대단히 유용할 것이다. 한국에도 광 범한 제3. 섹터가 형성되어가고 있다 수많은 분야에서 다양한 대의 ()大義 를 세우고 사회적으 로 기여하는 이러한 비영리부문에 다수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는 매카니즘을 창조해야 한다. 제3 섹터가 다수의 조직이 연계하는 지역화폐공동체로 발전된다면 비영리부문은 시장부문의 발전에일익을담당하는기초가될수있다.

6) 정책공동체와 시민적 에너지의 정치적 통합 지식정보사회에서 시민운동은 단순히 시민의 참여만을 호소하는 것으로 발전하지 않는다. 시민들의 참여와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그것이 지식화 되고 정책화될 수 있는 정치적 매카니즘을 창조해야 한다.() 오늘날 정보공간 사이버스페이스 에서는 정책에 관련된 모든 데 이터와 지식을 다수의 지식인과 시민들이 공유하고 함께 대안을 창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가능성이 실현될 때, 시민들의 창조적 아이디어와 참여가 국민적 에너지로 피어나 국가사회발전의원동력이될수있다.

-12- 5. 활용에 대한 건의

본 연구는 우선 정보사회에 관한 기존의 이론들이 기술적 사회적 발전에 따라 이미 진부한 것이 되었다고 평가하고 새로운 정보사회론을 정립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정보화를 추진 하거나 정보화에 관련된 모든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나름의 정보사회에 관한 상()像 을 가 지고 있다., 이러한 무의식적인 정보사회의 상 그리고 의식적 목표로서의 정보사회에 관련하 여본연구가정책패러다임에관한자료로서활용될수있을것이다. 본 연구는 정보사회와 시민사회를 종합하는 관점의 모색이었고 실험이었다. 한편에서는 정 부가 정보화 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시민 내지 민간의 에너지를 종합하고 동원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 조건들을 검토하는 데 있어 기초적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제까지 국가와 기업 중심적인 정보화에서 시민사회를 포함하는 정보화로 발전되어야 하고 그러한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시민운동에 있어서도 과거의 시민운동을 벗어나 국가적 경쟁의 시대에 시민운동 과 정부가 협력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시민운동 특히 시민정보운동을 창출하는데 본 연구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통신공간이 민주적 합리적 의사소통의 공간, 참여의 장이 될 수 있는 시민참여문화를 형성하고,21 본 연구를 계기로 세기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시민정보사회 지도자 네트워크 가형성되는촉매로활용될수있을것이다.

6. 기대효과

본 연구는 시민정보사회 개념과 새로운 패러다임에 관한 논의를 사회적, 기술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전개함으로써, 향후 발전된 이론체계의 확립을 위한 발판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 이며,21 특히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세기의 사회발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논의를 광범 위하게 확산시키게 될 것이다.

-13- 둘째, 선진국의 시민정보네트워크 추진논리와 사례를 분석하고 우리사회에 있어서 시민정보 사회 추진의 의미와 필요성을 집어봄으로써 시민정보사회종합 추진을 위한 정책입안 및 방 향설정에 보탬이 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정책적 이슈들은 시민정보사회를 추진하기 위한 각 주제들, 특 히 그 중에서도 정책결정 및 집행자들에게 방향감각이나 전략선택 등의 측면에서 도움을 줄 수있을것이다. 넷째, 정보사회에서의 국가경쟁력은 그 국가가 보유하는 인적 자원의 창의성을 발휘하게 하 는 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시민정보사회 네트워크 구축과정 속에서 전문가와 시민, 차세대 등을 망라함으로써 한국사회의 인적자원의 능력향상과 정보사회발전의 기반이 되는 참여를 통한 시민정보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게 한다.

-14- Summary

1. Title A Study on Developing a Civil Information Society for the 21st Century

2. Objective and Importance of Research

The processes moving toward an information society accompany an overall social transformation that affects almost all the sectors of society, including the government, private firms, and civil society. However, many discussions and policy proposals made until far often lack such a comprehensive view, ignoring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civil society.

Considering this academic and practical negligence, our research focusesonanew vision of a civil information society that emerges slowly but firmly with increasing informational empowering of individual citizens and networking among them. We believe that a true civil information society will be formed only if the majority of citizens, informationally empoweredand networked, participate actively and play a central role in building such a new society.

3. Contents and Scope of the Research

Basedonthepurposestatedabove,ourresearchwillexploreanewvisionofa civil information society and build a new theory about it.

More specifically, we will study a variety of issues related to the emergence of a new cyberspace society: identity of cyber-citizen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ethical and legal problems.

-15- Furthermore, we are going to study many important changes that are occurring in a society: informational empowering and networking of civil society, civil movement for equal sharing of information, cyber-community movement, and movement for cyber-democracy. In addition, we will study what kinds of information strategies are pursued by leading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Germany for transforming a social structure and improving competitive capability.

After reviewing all these changes and strategic efforts, we will suggest our own view of a civil information society on the one hand and our own policy recommendation on the other.

4.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of our research can be summarized in four categories. (1) An information society is composed of an information cyber-space and a real social space. A civil information society is then conceptualized as a special type of information society that tries to increase a〃〃〃〃 public and moral nature of information cyber-space and to informatize a really existing civil society which is one important component of a real social space.

(2) It is almost impossible for any information cyber-space to regulate itself. It has a closeaffinitytoanarchy.Whatisworse,outsideactorssuchas the national government have no other effective methods to control it. An information cyber-space, therefore, requires a strong moral foundation that puts special emphasis on privac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internet ethics.

-16- (3) Civil information movement (or information movement for civil society) represents an effort to change a real social space toward a more informationally empowered and interconnected civil society which can then increase its ability to monitor and challenge both governmental and private market sectors. Our study found that many such attempts have been made worldwide until recently. Unfortunately, however, it turned out that diverse applications of information technology have failed to increase citizen involvement in civil society movement significantly.

(4) Considering both the urgency of laying a strong moral foundation for an information cyber-space and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civil society in an information age, the task of building a civil information society should be one of the top national priorities. If not, a rapidly developing information space will be highly likely to have a weak moral foundation and hence suppress many invaluable potentials of civil society to monitor and correct for many possible abuses committed by the government and private firms. This suggestion is also true when we take into account that our own national society and market are penetrated, without any effective protective tools, companies and organizations of the leading countries that even try to impose their own information standards on other countries including ours.

5. Suggestions for Practical Use

To develop a civil information society contributes greatly to overcoming current economic hardships in that it can revive a nascent civil society and help organizing the Third sector (so called non-profit voluntary sector) which is one component of civil society. From this perspective, we suggest five recommendations for future national information policy: (1) building networks mong leaders of civil society, (2) national educational reform and development of knowledge-sharing system, (3) supporting informational civil movement, (4) supporting the efforts of the Third sector to organize itself through diverse information networks, networks, and finally (5) constructing policy community where all important governmental and civlil leaders can share ideas and information.

-17- 6. Expectations

It is expected that our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for the leaders of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to review the current policies and practices designed to prepare for an information age from a perspective of a civil information society. It is also expected that our new approach creating a civil information society helps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resurrection by helping to strengthen information cyber-space and the Third Sector both of which are the backbones of the national political community and market economy.

-18-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Information Society and CiviI Information Society Section 1 Existing Theories and Images of Information Society Section 2 Changes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Chronology of Theoretical Development Section 3 New Views of Information Society Section 4 Real Social Space and Civil Information Society Section 5 Cyber-Space and Civil Information Society Section 6 Major Issues in Civil Information Society

Chapter 3 Norms and Ethics of Civil Information Society Section 1 Moral Principles of Cyper-Space Society Section 2 Foundation of Civil Information Society: Identity of Cyber-Citizens Section 3 Privacy and Autonomy Section 4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Social Solidarity Section 5 Ethics and Morality of Civil Information Society

Chapter 4 Reality of Civil Information Movement and Civil Information Society Section 1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ivil Information Movement Section 2 Informatization of Civil Movement Section 3 Experiments of Civil Information Movement Section 4 Movement for Cyber-Community

-19- Section 5 The Future of Public Sphere Section 6 The Reality of Tele-Domocracy Section 7 The Prospects of Civil Information Society

Chapter 5 Information Strategy of Civil Information Society Section 1 Cyber-Space Paradigm Section 2 Information Strategy of the U.S.A. Section 3 Changes in Global Governance in the Information Age Section 4 The Linkage between Information Strategy of Korea and Civil Information Society

Chapter 6 Policy Recommendations Section 1 Major Tasks of the Korean Civil Society Section 2 Creating Networks among Leaders of Civil Information Society Section 3 Linking Civil Information Movement with Unemployment Issue Section 4 Redesigning Educational Reform and Creating a National System of Knowledge-Sharing Section 5 Revitalizing the Third Sector and Creating Local Monetary Community Section 6 Building National Policy Community for wide Civic Participation

Attachment 1. Sample examination on On-line Community and Network 2. Directory of Civil-Society Organizations on Internet and PC Communication 3. Overview Report of Civil Information Society 4. Survey and Research on Consciousness of Civil-Society Organizations for Infomation Society 5. Present Condition of Civil Information Movement in Cyberspace

-20- 목차

제1 장서론

제2 장 정보사회와 시민정보사회 제1 절 기존이론과 정보사회의 상 제2 절 정보기술의 변화과정과 기존이론의 연대기 제3 절 정보사회 전망의 변화와 새로운 정보사회론 제4 절 자연공간과 시민정보사회 제5 절 사이버스페이스와 시민정보사회 제6 절 시민정보사회의 논점

제3ㆍ 장 시민정보사회의 윤리 가치규범 제1: 절 시민정보사회의 기초 사이버시티즌의 정체성 제2 절 프라이버시와 자율의 사회 제3 절 지적재산권과 연대의 사회 제4 절 시민정보사회의윤리와 도덕의 정체성

제4 장 시민정보운동의 현실과 시민정보사회 제1 절 시민정보운동의 의미와 분류 제2 절 시민운동의 정보화 제3 절 시민정보운동 제4 절 사이버커뮤니티 운동 제53 절공공영역과제 섹터의장래 제6 절 전자민주주의의 현실 제7 절 시민정보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

-21- 제5 장 국가의 정보화 전략과 시민정보사회 제1 절 사이버스페이스 패러다임 제2 절 미국의 정보화 전략 제3 절 정보화와 세계 시스템의 변동 제4 절 한국의 정보화 전략과 시민정보사회 시스템

제장정책적제언6 제1 절 한국사회와 시민사회의 현황과 과제 제2 절 시민정보사회 지도자 네트워크 제3 절 시민정보운동과 실업문제 제4 절 교육개혁과 지적 공유제도의 창설 제53 절 제 섹터의 활성화와 지역화폐공동체 제6 절 정책공동체와 시민적 에너지의 통합 제7 절 국가전략과 암묵적 가정에 관하여

보론 1. 온라인 공동체 및 네트워크 사례조사 2.인터넷ㆍ PC 통신상의 시민사회단체 디렉토리 3.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 실험개요 및 경과보고 4. 시민사회단체의 정보화의식 및 커뮤니티 형성에 관한 설문조사 5.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국내외 시민정보운동 현황

-22- 제1 장서론

제1 절 시민정보사회의 문제의식

시민정보사회라는 개념은 이제까지 제기된 일이 없다. 그런데 시민정보사회라는 이름으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 것은 이에 관련된 새로운 문제의식이 생성되었기 때문이다.

1.정보사회에로의 변화과정에서 많은 사람 ( 시민 ) 의 참여가 결정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이 인 식되었기 때문이다.. 정보화 한 사회의 어떤 특정부문에 한정된 변화가 아니다 또한 어떤 특 정부문만이정보화된다고해도전혀상과나효율이나타날수없는것이다가령하나의. 기업만이 완벽하게 정보화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모든 기업이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전혀 무의미한 것이다.PC 마찬가지로 통신에 다만 몇 사람이 가입되었다면 그것은 PC 통신으로서 는 무의미한 것이다. 결국 정보화란 얼마나 많은 사람이 참여하느냐 하는 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된다. 그렇다면 정보화의 성패는 다수 시민의 참여에 의하여 좌우되는 것이 라고할수있다정보사회로의전환은사회전체의총체적변화이기때문에정보사회의본. 질은 시민정보사회라고 할 수 있다.

2. 정보사회에 관해 논의함에 있어 기술변화에 따른 미래사회의 예측의 차원이 아니라, 의도 적으로 보다 바람직한 사회를 창조할 것인가 하는 비전을 문제의식으로 제기할 수 있다. 이 러한 관점에 설 때 특정 계층이나 집단이나 부문이 아니라 시민이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현 실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거나 보다 나은 사회를 실현하는 것 이 중요해진다. 이 것은 기술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보다 나은 미래사회를 창조하는 문제가 된다. 이러한 경우 시민은 새로운 사회() 정보사회 를 창조하는 주체이기도 하고 새로운 사회의 가치기준이 되기도 한다. 특정 계층이나 집단이 아니라 일반시민의 참여와 일반시민에게 혜택이 돌아가 는사회야말로보다나은사회라고할수있기때문이다따라서시민정보사회야말로정보. 사회의 본질적인 가치의 문제가 된다.

-23- 3. 오늘날 정보사회에 관한 중요한 목표로 되어 있는 것이 세계시장에서의 국가경쟁력, 기업 경쟁력이다. 그런데 과거와는 달리 오늘날에는 국가경쟁력이나 기업경쟁력은 일반시민( 또는 국민). 전체가 연관된 문제로 되었다 과거에는 특정 기업의 경쟁력은 그 기업의 노동자 숙 련,,, 자본투자 경영능력 기술 등과 같이 주로 그 기업의 내부적인 요소에 의하여 결정되었 다.. 산업사회에서는 이러한 관점이 타당했다 그러나 오늘날에 있어서 한 기업의 경쟁력은 그 기업 자체만이 아니라 그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전체라는 환경적 요소에 의하여 더 욱 근본적으로 규정받게 되었다. 여기에 바로 기업의 경쟁력과 함께 국가경쟁력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사회전체의 정보화가 부진하고 정보소외자가 많은 경우 정부나 대기업 등에서 부분적으로 경쟁력을 제고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경쟁력이 있다고 하더라고 급격히 소진 된다. 가령 한 사회의 교육수준이 열등하여 경영자나 근로자가 정보화에 애로가 있다면 그 기업이 개별적으로 노력하더라도 경쟁력을 제고하는데 넘을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런 점 에서 국가경쟁력 또는 기업경쟁력은 시민정보사회라는 광범위한 사회적 풀(Pool) 이 제대로 형성되는 경우에 더욱 첨단적인 경쟁력이 가능한 것이 된다. 이런 점에서도 시민정보사회의 논의는정보사회의현실적인내용이라고할수있다.

4.위의 문제의식과는 다른 관점으로 국가부문 , 시장부문 ( 기업부문 ) 과는 구별되는 사회영역 으로서 시민사회를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민정보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은 이러한 시민사회를 정보화하는 문제가 된다. 아주 단순화시켜 말한다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시민 운동은 영역이 있는 바 이러한 시민운동이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더욱 앞 서가면서 사회에 기여하는 것을 시민정보사회의 문제의식으로 규정할 수 있다. 근대사회와 민주주의의 발달이 일정한 단계에 이르면 시민사회가 튼튼해지고 이러한 시민사회의 참여와 비판과 주도에 의하여 사회전체가 발전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어떤 사회가 정보화한다는 것은그사회의중심축이라고할수있는시민사회의정보화를빼놓고생각할수없는것이 다. 하버마스 (Jurgen Harbermas) 의 이론을 빌린다면 공공영역 (public sphere) 의 정보화를 시 민정보사회의 문제라고 규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정부로부터도 독립적으로 당파적인 경제 세력으로부터 자율성을 누리는 공론의 장으로서 합리적 논쟁의 장, 시민이 참여하여 만드는 여론형성의 장을 정보화는 문제라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 서는 경우 시민정보사회는 그 사회의 소통적 이성이 살아 숨쉬는 장을 만드는 문제가 된다., 즉 산업사회에 있어서 시민사 회의 발전된 형태인 정보사회에 있어서의 새로운 시민사회를 어떻게 발전시키고 창조할 것 인가 하는 문제가 시민정보사회의 문제가 된다.

-24- 5. 시민정보사회에 대한 또다른 문제의식으로서 경제적인 생활인으로서의 시민을 발전시키 는 문제,.( 또는 한 사회의 문화부문을 발전시키는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한 사회 또는 국 가) 의 경제적 발전이나 경제적 내용은 생활인으로 나타나는 일반시민들의 수준에 의하여 규 정을 받는다. 이처럼 인간의 삶의 중심으로 전혀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점을 고찰 할 필요가 있다.,, 정보사회로의 변화가 단순히 기술적인 차원만이 아니라 사회체제 국가 그 리고 인간의 삶의 세계를 전반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일 수도 있다. 정보사회는 인간의 의식 과 일상생활 전체를 바꾸어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개척으로서 시민정보사 회를 자리매김할 수 있다., 인간 개개인의 삶이보다 지식화 하고 문화화하는 문제가 시민정 보사회의 문제로 되는 것이다. 이것은 철학적으로 말하면 인간의 삶의 질이 더욱 고도화하 는 것,, 문화적이고 정신적인 가치를 찾게 되는 것이지만 기술적으로 말하면 개개인의 삶이 정보사회에 참여하는 것,. 정보사회의 혜택을 향유하는 문제가 되는 것이다

제2 절 논의의 순서

1. 본 연구의 위와 같은 문제의식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논의하기로 한다. 우선 시민정보 사회에 관한 논의는 당장 정보사회에 관한 논의와 시민 또는 시민사회에 관한 논의를 필요 로 한다. 시민정보사회는 정보사회에 관한 논의이고 시민 내지 시민사회에 관한 논의이기 때문이다.1 그리하여 제 장에서는 정보사회에 관하여 논의하고 이를 전제로 시민정보사회를 규정하기로한다정보사회에관해서는많은패러다임을있는바현시점에서그러한패러. 다임을 검토한다. 기존의 정보사회에 관한 이론들은 모두 다 인터넷이 등장하기 전인 1980 년대 또는 그보다 훨씬 전에 형성된 논의들이다. 현재의 시점에서 정보사회를 전망 할 때 핵심적인 개념은 사이버스페이스라는 것을 밝힌다. 사이버스페이스를 중심개념으로 정보사 회를 설정할 때,(,) 정보사회는 사이버스페이스와 자연공간 현실공간 물리적 공간 이라는 두 개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사회이다.

-25- 이렇게 정보사회를 규정하면 시민정보사회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시민정보사회와 자연공 간에서의 시민정보사회라는 두 개의 측면이 제기된다. 자연공간에서의 시민정보사회는 산업 사회에서의 시민계층이 중심이 된다. 그렇지만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시민정보사회에서는 시민사회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네티즌이 존재할 뿐이다 .) 이렇게 볼 때 , 사이버스페이 스에서의 시민정보사회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사회를 창조하는 문제가 된다.

2. 사이버스페이스사회에서의 시민정보사회의 기초는 디지털 정보로서 구성되는 사이버시민 의 정체성이다., 사이버스페이스는 자율적 질서에 의하여 형성될 수밖에 없는 바 그것은 윤 리도덕에 기초하는 사회이다.,, 그 윤리도덕에는 프라이버시 지적재산권 인터넷 윤리 등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시민정보사회에서의 도덕 윤리의 정체성 기존 도덕의 연장인가 새로운 도 덕의 형성인가 하는 문제를 논의한다.

3.자연공간을 전제로 하는 시민정보사회의 모습은 시민정보운동이다 . 시민정보운동은 시민 사회의 정보화,, 시민정보운동 사이버커뮤니티 운동으로 구성된다 . 이 각각의 운동들에 대해 정보기술이 시민의 참여를 크게 증대시켰는가 하는 점에 관해서 현실적 조사와 사례를 논의 한다.,? 아울러 정보사회에서의 공공영역의 활성화 공론의장을 형성할 수 있는가 정보기술은 그에 관하여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점을 논의한다.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전자민주 주의의 현실과 전망을 논의한다.

4.국가의 정보화 전략과 시민정보사회의 관계를 논의한다 . 그것은 시민정보사회를 국가의 정보화정책과 관련하여 논의하는 것이다. 그 사례로서 미국의 정보화 전략의 본질을 규명하 며 그것이 세계의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가를 살핀다. 전자정부와 전자상거래는 세계적 질 서를 재편하는데 정보화가 제기한 중대한 주제들이다. 미국의 정보화전략이 한국에게도 글 로벌 스탠다드(global standard) 를 부과하고 있다면 , 한국은 이러한 글로벌 스탠다드에 적응 하면서 동시에 한국적인 정보화 전략으로서 어떠한 전략을 택해야 하는가를 논의한다. 시민 정보사회를 형성하는 정보화 전략과 더불어 새로운 정보화 전략으로서의 중요성을 검토한 다. 시민정보사회를 형성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사회를 어떻게 재설계하는 것이며, 정보화는 국가사회를 어떻게 재창조하는 것인가를 밝힌다.

-26- 5. 시민정보사회를 발전시키는 것과 오늘날 경제불황을 극복하는 것과의 관계를 논의한다. 오늘의 경제불황과 실업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시민정보사회의 전략이 하나의 길의 될 수 있 는가를 검토한다.3, 구체적으로 시민운동을 활성화하고 제 섹터를 강화하는 것 시민정보사회 지도자 네트워크의 결성,,,3 교육개혁과 지적공유제도의 창설 시민운동의 지원 제 섹터에 대 한 지원과 지역화폐공동체의 구성, 정책공동체의 구성과 시민적 에너지를 활성화하는 방향 으로 정보화 정책의 한 기둥을 설정하는 것 등에 대해여 정책적 제언을 제시한다.

-27- 제2 장 정보사회의 시민정보사회

제1() 절 기존이론과 정보사회의 상 象

정보사회가 무엇인가 하는 논의는 다른 학문적 주제에 대한 논의와는 다른 점이 있다. 우선 정보사회에 관한 논의는 직접적으로 국가의 정보화정책의 비전과 방향을 결정한다. 정보화 정책을 추진하는 정책입안자나 그에게 이론을 제공하는 사람들에게는 나름대로 정보사회에 대한 상(:image)象 이 있다 . 정보사회에 대한 논의는 정보사회의 상을 제공하고 그에 따라 정 보화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다른 학문적 주제와는 다르다. 가령 정보사회는‘’ 더 많은 정보 가 유통하는 사회라는 상을 가지고 있다면 정보의 생성을 촉 진하는 방향으로 나가게 될 것이다. 한편 정보사회란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기존산업의 생산 성을 높이는 것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면 기존산업에 정보기술을 도입하는 것이 주된 정 책방향이 될 것이다. 또한 정보사회란 정보산업이 산업구조에서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는 것 이라고 이해한다면 정책은 정보산업을 지원ㆍ 육성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다. 이들을 모 두 정보사회라고 생각하더라도 그 우선 순위() 투자의 배정비율 는 이들에 대한 이해에 의하 여 정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정보사회에 관한 논의는 정보화정책과 직접 연관된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정 보화 사회로의 전환이 개인의 경제,, 사회 문화 활동에 큰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한 국가의 경제,,, 사회 문화 교육등 사회전반에 걸친 변환을 동반한다 . 따라서 , 정보사회론은 기존의 현상을 분석하는 것만이 아니라 국가와 사회가 나아갈 비전을 설정하는 문제이다. 그런데 이 점에 있어서도 정보사회에 관한 논의는 다른 학문적 논의와는 다른 점이 있다. 다른 학 문에서는 이론적 논의가 우선하고 정책은 이론적 논의에 바탕을 두고 결정된다. 가령 신케 인즈학파나 시카고학파와 같은 이론적 바탕이 있고 그에 기초하여 정책이 결정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정보화의 진전을 보면 이것은 정반대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정보화의 진전 그 자체가 기술적 선도에 의하여 시작된 것이며, 따라서 이론이 충분히 정립되기도 전에 기술 적 가능성을 전제로 정보화정책이 먼저 시행된다.(timelag) 그리고 어느 정도의 타임래그 가 있은 뒤에 학문적인 이론의 정립이 이루어진다.

-28- 이제까지 한국의 정보사회에 관한 논의는 서구의 정보사회에 관한 논의들을 받아들이는 수 준이었다. 서구의 정보사회에 관한 이론들이 수입되어 정보화정책의 바탕으로 제공되어 왔 다고 할 수 있다.1020 정보사회에 관한 기존의 논의들이 이미 년 년이 된 과거의 논의들이 라는 사실이 간과된 채 서구적 권위를 가진 이론이 학문적으로 포장된 이론으로 받아들여지 고 있는 것이다., 그 결과 우리는 정보화 물결을 뒤따르고만 있으며 서구의 ( 특히 미국의 ) 정보화 이론과 기술에 독점적으로 지배당하는 현실을 초래하고 있다. 컴퓨터 응용프로그램 은 모두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운영체제의 프로그램 코드(code) 를 따라야 만하고 , 개인이 사용하고 있는PCS 휴대전화 단말기 마다 미국 퀼컴 (Qualcomm)社 에 로열티를 지불 하고 것이다. 이러한 독점적 지배는 과거에 산유국이 석유라는 천연자원으로 지배력을 행사 하는것보다더견고하게여겨진다. 결국 우리의 논의도 정보사회에 관한 서구적 논의- 우리에게 받아들여져 정보사회에 관한 유일한 논의인 것처럼 인식되는 이론들-. 에서 시작할 수밖에 없다 정보사회에 관한 논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단절론적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연속론적 관점이다 정보화의 진전이 지금까지의 현실상황과는 단절된 전혀 다른 것으로 진행된다는 관점과 현 실의 생활공간을 정보화로서 연속적으로 확장해간다는 관점이다.1)

1.단절론 ( 긍정론 )

가. 정보생산론 정보생산론은 경제적 생산의 측면에서 보아 지식산업(knowledge-based industry) 이 GNP 나 노동력에서 중대한 비중을 차지하는 사회가 정보사회라는 것이다. 포라 (Porat) 는 1967 년 정 보부문의 생산규모가 전체GNP 의 46.1% 를 차지한다는 연구로서 이러한 비중의 변화야말로 정보사회로 규정하였다.

1) 이러한 분류는 강상현‘’(),‘ 정보통신혁명과 한국사회 한나래 간 권태환 조형제 편 정보사회의 이 해’( 미래미디어 간 ), 전석호 ‘ 정보사회론 ’( 나남출판 ) 을 비롯한 다른 국내의 논의에서의 기준을 그 대로 따르고,. 최근의 논문과 책의 논의를 추가하였다

-29- 일본의 경우1970 년 정보관련 종사자가 전체노동인구의 35%, 전체 GNP 부가가치 대비 29.9%이던 것이 1980 년에는 40% 와 36.3% 로 증가하였다는 것이다 . 드러커(Drucker,1968) 는 미국이 2000 년대 초기에 제조업노동자의 비중이 10% 이하로 감소 할 것으로 예견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산업자본가나 산업프롤레타리아의 계급적 구성을 가 지는 자본주의와는 질적으로 전혀 다른 사회로 이행한다고 규정한다. 정보생산론의 입장에서 본 정보사회란 지식산업,GNP 정보산업이 전체 와 노동력에서 차지 하는 비중의 증대에 따라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고 이러한 변화는 과거의 산업사회와는 질적 으로 전혀 다른 사회로 이행을 야기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정보사회란 결국 산업구조 고용구조의 변화이며,. 이러한 변화는 질적인 변화가 된다 이러한 관점을 가진 학자로서 매 치럽(Machlup), 포라 (Porat), 드락카 (Drucker), 존셔 (Jonscher), 쉐멘트 (Schement), 일본의 우 메자오(),(Koma-tsuzaki),(Ohira).挴槕忠夫 고마츠자키 오히라 를 들 수있다 여기서, 정보사회에 대한 이해를 기술적 발전에 맞추어 가고 있는 사람은 드러커(1993) 이다 . 그는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를 지식사회(knowledge society) 라고 표현하고 지식이 경제적 부 의 유일한 자원이 되었으며,. 노동의 양식도 지식노동으로 바뀌었다는 것을 고찰하고 있다 그는 지식의 생산성과 교육의 향상을 정보사회의 중요한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비슷한 맥 락으로 써로우(Lester C. Thurow, 1997) 는 정보사회에서는 과거 자연물 ( 철강 , 석유 ) 을 대상 으로 하던 것에서 지금은 인공적 지능을 산업의 활동공간으로 삼는 인공지능형 산업 (man-made brainpower industry)의 시대로 규정하고 정보사회의 지식 정보 분야를 산업의 활동 대상으로 보고 있다.( 이들은 정보사회가 지금까지와는 다른 사회라고 주장한다는 점 에서 단절론으로 분류할 수 있고, 경제적 생산에 논의가 치중되는 점에서 정보생산론으로 분류하였지만,.) 그것이 그들의 주장을 대변할 만큼 큰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나. 정보소비론 일본정보통신경제연구소(RITE) 는 전체 가계비 지출에 대한 정보관련 활동비의 비율로서 ‘ 정 보율’,,,,‘ 의 개념을 도입하고 정보량 정보장비율 통신주체 수준 정보계수등을 종합한 정보화 지수’. 개념을 개발하여 정보사회를 구축하였다

-30- 그리하여1 인당 국민소득 4000 달러 이상 , 서비스노동자가 전체 노동자의 50% 이상 , 대학생 수가 해당연령 인구의50% 이상 , 정보율이 35% 이상인 사회가 정보사회라고 규정하였다 . 이 러한 정보소비론의 논의는 정보사회를 경제적 생산의 측면만이 아니라 소비의 측면에까지 확장하여 구체적으로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논의들과 다르다. 이러한 관점에 서는 경우 정보사회는 우리의 소비생활-- 즉 우리의 삶 에까지 변화를 야기하 는 사회이고,. 따라서 산업사회와는 질적으로 다른 사회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보사회 는 물질적인 소비보다는 지식과 정보의 소비(, 영화 음악 , 컴퓨터게임 ,, 책 소프트웨어 , 온라 인 상의 여가생활 등). 가 훨씬 큰 비중을 차지하고 증가하는 사회임을 말한다 이렇게 보면 정보사회란 소비생활을 포함한 우리의 삶의 변화라는 정보사회의 상을 그리게 될 것이다.

다. 기술경제 패러다임론 슘페터 이론에 근거하여 정보사회란 자본주의5, 차 파동의 상승국면에 해당하고 급속한 기 술혁신이 산업부문에서의 비용하락과 가격면에서의 인플레 억제 효과를 가져오며, 그것이 나아가 사회제도적인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자본주의는 철강산업과 포드주의의 대량생 산 패러다임 기간(1930~ 1980) 인 4 차파동을 거쳐 오늘날 극소전자공학 ( 정보통신기술 ) 이 핵 심이 되는5. 차파동기에 이르고 있다는 것이다 페레즈(Perez) 프리먼 (Freeman) 등의 학자가 이러한 관점에 서 있다 . 정보사회의 상 (象 ) 은 기술적 혁신이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며 동시에 사회제도적인 변화에까지 이르는 거대한 이노베이션의 모습이다.

라. 탈산업사회론 다니엘 벨(Bell) 은 상품생산경제에서 서비스경제로 전환되는 경제영역에서의 변화를 지적하 고,ㆍ 그에 따라 직업분포에서는 전문 기술직 종사자들이 새로운 엘리트층을 형성함으로써 사회는 보다 합리적인 사회로 전환된다고 보고 있다.,ㆍ 또한 사회는 컴퓨팅 지식 정보 및 그 와 연관된 과학과 공학의 복합체에 의하여 제반 사회문제에 대해서 보다 합리적 대안이 창 출되고 관리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지식정보와 합리성에 의하여 규정되는 새로 운 사회,. 산업사회의 이후 모습이다 그리고 이러한 탈산업사회가 정보사회라는 관점이다 .

-31- 이러한관점에서보면정보사회의이미지는근대의정치적힘이나자본적힘에의하여규정, 되는 사회가 아니라,, 지적기술 과학적 공학적 대안들에 의하여 대단히 합리적으로 관리되는 사회로서의 이미지를 갖는다. 앞에서 살펴본 드러커의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와 써로우의 인 공지능 공간에서의 산업이라는 관점도 정보사회가 산업사회에서 벗어나는 사회라는 관점에 서 탈산업사회론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탈산업사회는 post-industrial 을 번역한 것으로 산업사회 이후란 뜻으로 후기산업사회란 표현은 여전히 산업사회임을 뜻하는 것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마. 정보사회론 벨의 기본입장을 이어받은 정보사회론은 정보통신기술에 의하여 사회전반이 구조적이고도 질적인 변화를 상정하고,. 대단히 유토피아적인 변화를 전망한다 그리고 이러한 견해는 대중 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여 사실 오늘날 정보사회에 대한 이미지에 압도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해야 할 것이며, 일종의 이데올로기로서 또는 하나의 커다란 추진세력으로서 작용하고 있다. 토플러(Toffler) 는 농업혁명 산업혁명 정보혁명으로 인류 역사를 구분한다 . 산업사회가 농업 사회와 다르듯이 정보사회가 산업사회와 다르다는 것이다. 그는 경제분야만이 아니라 사회 의 모든 분야가 질적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여러 가지를 열거하고 있다. 토플러는 정치에 있 어서 민주주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탈대중화 사회로 전망한다. 정보사회론자로서 네이스비트 (Naisbitt)는 중앙집권적인 대의민주제가 분권적인 참여민주제로 전환한다고 역설하고, 지역 경제는 국제경제로 통합된다고 보고 있다.(F.Williams) 윌리엄스 는 커뮤니케이션 혁명에 의 해여가생활정치교통보건노동교육등의변화가일어나고그것을제의르네상스로, ,,,,, 2 묘사한다.() 마스다 슈지增田朱二 는 정보사업자와 이용자가 동시에 정보의 생산자이자 소비 자가 되는 시너지 경제(synergetic economy) 를 이야기한다 . 정보사회론과 관련해서는 그외에도 디자드(Dizard), 마틴 (Martin), 프랑스의 노라와 밍크 (Nora & Minc),영국의포레스트 (Forester) 등을들수있다 . 이들의 정보사회의 상은 일반적으로 여러 분야의 기술적 가능성들을 모자이크한 것이다. 가 령 기술적으로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므로 재택근무,, 원격재판 원격치료등을 정보사회의 상으로 그린다.

-32- 또한 전자투표에 의한 직접민주주의를 묘사한다. 이러한 정보사회의 상은 대중적인 인기는 끌고있지만 기술적 가능성들의 모자이크이기 때문에 전체를 체계화하고 포괄하는 정보사회 의 상을 그릴 수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코스타리카 (CostaRica) 에서는 1998 년의 선거를 온라인으로 실시하려다가 그만 두었는데(Edupage, l feb 98) 이유는 패배한 정당이 온라인 투표를 문제삼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이는 전자투표가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 현실적인 실 현이 쉽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금과 같이 임기가 정해진 선거에서는 특히나 한계가 있 다. 가령 전자투표, 직접민주주의를 주장하지만 근대적 국회나 대통령 수상 정당 등의 정치구조 가 그대로인지,. 다른 대안에 의하여 대체될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대체안을 구체적으로 제시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가령 전자투표는 기존의 투표와는 달리 항시 가능하다 . 그렇다면 전자투표에 의한 지지도가50% 이하에 이르면 현직의 대통령이 그 직을 그만두어야 하는지 에 대해서는 누구도 밝히지 못하고 있다.

바. 통제혁명론 베니거(Beniger) 는 정보사회로의 질적인 전환이라는 사회구조적인 변화를 인정하면서도 그 1.차적인 동인을 체제의 통제위기에서 찾는다 통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매개로서 통제기술 이 발전하였고 새로운 통제기술이 출현하였다는 것이다.(Spencer) 스펜서 의 유기체설에 입 각하면 어떤 체계에 있어서든 전문화나 분화가 심화될수록 그에 따라 기능들을 조정해야 하 는 요구가 증대한다. 이러한 체계적 요구에 대응하여 등장한 것이 정보기술이라고 보는 것 이다.ㆍ 통제혁명론의 이러한 사회체제는 물질 처리체계와 정보처리 전달체계라는 하부체계 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관점에 서면 정보사회는 앞에서 말한 여러 가지 모습으로 질적으로 전환된 사회이지 만,(control). 정보사회의 핵심적 모습은 통제 의 측면이다 정보사회란 고도의 기술로 통제가 이루어지는 사회인 것이다.

사. 정보양식론 포스터(Poster) 는 전자커뮤니케이션이 기존의 말이나 글과는 질적으로 전혀 다른 새로운 언 어적 경험을 창출함으로써 사회적 관계에 근본적인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본다.

-33- 정보양식이란 대면적 말하기나 문자를 통한 글쓰기와는 상이한 전자언어적 경험에 의해 매 개되는 새로운 사회관계이다. 전자언어가 세계에 대한 주체의 관계를 재구성하며 그러한 과정에서 오늘날의 지배양식은 전자언어에 의한 문화적 경험 즉,. 새로운 언어경험 속에 있다 정보양식에 있어서의 주체란 더 이상 시공간의 특정지점에 위치하여 자신의 선택지를 합리적으로 결정하는 존재가 아니 다. 이제 주체는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다중화 되고 컴퓨터통신 및 컴퓨터 회의 등을 통해 분산되며TV 광고에 의해 탈상황화되어 반복인식된다 . 현대의 지배양식은 전자언어를 통한 주체 또는 사회적 관계의 재구성 과정 속에서 담론의 형태로 실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정보양식론의 관점은 정보사회에 대하여 언어경험, 정보양식 등의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고 이러한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를 규정한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개념에 의하여 분석되는 새로운 사회() 정보사회 의 상이 추상적이고 다분히 철학적이라는 것이다 . 그것이 구체적으로 기존의 제도나 경제나 문화를 어떠한 구조로 변화하게 될 것인지 구체적인 전망을 제공하지 는않는다.

2.연속론 ( 비판론 )

가. 산업경제론 쉬멘트(Schment) 는 정보사회라고 할지라도 자본주의가 여전히 동기부여자 ( 이윤동기 ) 로 , 그 리고 산업주의는 여전한 조직화의 원리로 남아 있다고 한다. 다만 정보에 의존하고 정보화 를 지향하고 있다는데 그 차이가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자본주의는 이윤동기에 입각한 하 나의 경제질서인 바,, 그 과정에서 규모의 경제원리가 작동하고 그에 따른 기업의 성장은 통 제의 위기를 가져왔으며 그 해결책으로 보다 많은 정보와 그것을 처리할 수 있는 기술혁신 ()정보혁명 이 필요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 말하자면 정보혁명은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기 법인 것이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하여 정보사회는 전혀 새로운 사회가 아니고 자본주의 사회이며 산업사회의 연속이다. 단지 경제부문에 있어서 정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정보상품 및 서비스의 상품화가 진전된 산업화 사회라는 것이다.

-34- 이러한 관점에 서면 정보사회란 산업사회,. 자본주의사회일 뿐이다

나. 자본주의 산업사회론 마르크스주의적 사회비판 이론에 기반하여 정보사회를 보는 관점이다. 자본축적의 과정에서 체제의 안정화와 정당화를 중심에 두고 정보사회를 보는 것이다. 여기에는 도구주의적 관점 과 구조주의적 관점이 있다.

1) 도구주의적 관점 쉴러(Schiller), 간햄 (Garnham), 로빈스와 웹스터 (Robins & Webster) 가 이러한 관점에 서 있다.() 도구주의적 관점에서는 국가 정부 가 바로 세계적인 규모로 진행되는 다국적 기업의 자본축적과정에 효율성을 부여해주는 정책적 지원기관이자 도구로서 본다. 자본축적 욕구와 정보통기술 사이의 관계가(1) 기존 소비시장의 침체에 따라 정보상품 및 서비스를 새로운 시장 영역으로 확대시키고(2) 마케팅 차원에서 소비자 대상의 전자채널에 대한 접근권과 통 제권을 확대하며,(3) 경제 영역에서의 생산성 제고 및 통제를 강화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이 관점에서 정보사회는 포드주의적 관계를 지속,, 강화시키는 것이며 정보사회란 바로 훈련 사회(disciplinary society) 인 것이다 .

2) 구조주의적 관점 마틀라르(Mattlelart), 모스코와 허만 (Mosco &Herman), 슬랙 (Slack) 이 이런 관점에 있다 . 구 조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정보기술의 발전은 다국적 기업의 이윤 욕구와 초강대국의 정치적 통제 욕구의 상호작용의 결과이고 이윤극대화와 시장확대 갈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지배계 급 간의 내부균열과 갈등, 노동조합 , 소수집단 반대세력의 저항 ,,,, 정치 경제 기술 이데올로 기, 환경 등 상호연관된 다양한 층위 간의 접합에 의하여 재구성되는 사회가 정보사회이다. 이 관점에서는 정보사회는 사회의 실체적인 현상이 아니라 하나의 이데올로기적 현상으로 본다.

다. 지배양식론

-35- 쉴즈와 사마라지바(Schields & Samarajiva) 모잘리스 (Mouzalis), 갠디 (Gandy), 리욘 (Lyon), 플라허티(Flaherty) 등의 관점이다 . 이들의 개념인 지배력 (Force of Domination) 은 지배수단 을 갖고 있는 이들이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게 정치적 동의나 복종을 끌어내는 양식과 연관 되어 있다. 그리하여 정보사회에 대해서도 정보통신기술이 지배와 피지배 관계에 개입하는 방식이 주제가 된다. 기술은 지배의 유지나 강화를 위한 새로운 지배양식으로 의미를 가지며 정보기술은 감시와 통제를 강화하는 것이고 기존의 불평등관계를 심화시키는 것이다. 지배력의 원천을 기업자 본에 한정하지 않고 보다 다원화하여,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은 보다 광범위한 사회영역에 대 한 통제와 감시의 기술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푸코 (Facult) 의 입장에 서 있기도 하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정보사회란 감시사회(surveillance society) 이다 . 말하자면 사회전반이 위계적이고 훈육적인 원형감옥처럼 되는 것이며,(remotesensing) 원격감지 전자식 원형 감 옥(electronic panopticism) 이야말로 정보사회의 본질이다 . 정보사회의 이름은 실제는 산업사 회가 감시사회로 되어 것을 은폐하는 그릇된 명칭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3. 기존 정보사회론의 종합

위의 정보사회론들은 다음과 같이 종합할 수 있다. 첫째, 단절론의 입장에 서서 정보사회에 관하여 질적인 변화를 주장하는 관점이라고 하더라 도 그 내용에 있어서는GNP 에 있어서의 정보산업 , 지식산업 , 서비스업등의 비중의 변화 , 소 비생활이나 조직양식,. 작업방식 등에 있어서의 변화를 말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연속론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여전히 자본주의사회이고 여전히 산업사회라는 것에 대해 반 대할 논거는 없다는 것이다. 굳이 차이가 있다면 실체적으로는 동일한 현상을 서로 인정하 고 그에 대한 평가만을 달리할 뿐이다. 둘째, 연속론의 입장에 서서 정보사회에 관하여 질적인 변화를 부정하는 관점도 그내용에 있어서는 위의 변동사실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사회의 또 다른 측면을 강조한다는 것 이다.,,, 자본의 힘이 더욱 강화되는 경향 불평등이 심화되는 경향 통제가 강화되는 경향 감 시사회의 위험성 등이 그것이다.

-36- 이 두 가지 견해는 결코 서로 모순되는 것이 아니다.. 다만 평가가 모순될 뿐이다 가령 자본 의 힘이 강화되는 경향에 대하여 단절론의 입장은 그것을 근대국가의 쇠퇴라는 관점에서 긍 정적으로 평가하고(),. 토플러의 권력이동이 그것이다 연속론은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지식정 보의 힘이 강화되는 것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동일한 현상을 서로 다르게 평가한다.( 단절 론의 입장에서는 전혀 새로운 사회의 징표로 보는 반면, 연속론적인 견지에서는 불평등의 심화와 감시의 위험성으로 본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위의 이론들이 대부분 낡은 이론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정보사회 의 피상적인 규정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어느 경우에나 긍정적 가능성이나 부정적 위험성은 상존한다중요한점은시대의진행에따라이런가능성의폭과위험성의깊이가더욱확대. 되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 정보사회에 관한 이론에서 중심이 되고 있는 자본주의 산업사회의 기준이 이제 는 이미 낡았다는 것이다.,, 자본주의냐 아니냐 산업사회냐 아니냐 하는 문제는 이제는 적절 한 주제가 아니다. 분명히 경제의 성격이 변화하고 있으며 사회시스템의 모든 차원에서 세 계적 경쟁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국의 경우 막연하게 정보화나 세계화의 전망 에 의존하다가 이미 변질된 경제적 변화의 양식에 의해 기습을 당한 셈이다. 그리하여 중요 한 것은 자본주의나 산업사회와 같은 낡은 이데올로기적 준거로서 논쟁하는 것이 아니라 이 미 현실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격변의 중심에 있는 사회적 변화의 요소, 달라지고 있는 시스 템의요소가무엇인가하는것이다. 이제 위의 이론들이 정보기술과 정보화의 단계에 비추어 도대체 어떤 기술을 보고로서 상상 력을 발휘하였던가 하는 점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제2 절 정보기술의 변화과정과 기존이론의 연대기

1. 정보기술과 정보화의 단계

-37- 정보화가 새로운 사회의 주요한 문제로 제기된 것은 원초적으로 컴퓨터의 등장이었다. 그리 하여 컴퓨터의 발전과 그에 연관된 통신기술 등 기타 기술의 발전과정을 다음과 같이 네 단 계로 구분할 수 있다.

가.1: 정보기술 제 단계 메인 프레임 시대 정보화의11950 단계는 년대 말부터 비롯된 메인프레임 (MainFrame) 의 시대로 하나의 컴퓨 터를수십명수백명이공유하던시기이다이시기에는일부대기업과대학에서거대한.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교육하는 정도였다. 이 경우 컴퓨터는 보통사람들은 접해볼 수도 없는 거대한 크기와 고가()高價 의 기계였다 . 이 시기의 컴퓨터는 입력을 하기 위하여 펀칭카드를 이용해야 했다.

나.2: 정보기술 제 단계 개인용 컴퓨터의 시대 제2 단계는 1980 년대에 출연한 개인용 컴퓨터 (PC) 의 시대로 컴퓨터와 사람이 1 대 1 로 대응하 던 시대이다. IBM PC 가 등장한 것은 1982 년이었다 . 이 무렵 선진국에서는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기 시작했고 메인프레임 시대에는 불가능하였던 것이 가능하였다. 이 시기의 정보화 는 개인의 용도에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였다.BASIC 개인이 계산용 프로그램을 으 로실행해볼수있었고개인의문서를편집하고보관할수있었다,.

다.3: 정보기술 제 단계 네트워크의 시대 제31990 단계는 년에 급부상한 네트워크의 시대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컴퓨터가 연결 된 시대이다..4 인터넷이 정보사회의 상징이 된 것은 바로 이 시기다 미국 국방성에서 단 대 의 컴퓨터를 연결한 알파넷(ARPANET) 실험을 한 것은 1969 년으로 개인용 PC 가 등장하기 전이었다. 통신규약 TCP/IP 가 개발된 것은 1975 년이었고 , 1986 년에 5 대의 슈퍼컴퓨터를 연 결한NSFNET 이 구축되고 56Kbps 속도로 미국전역을 연결하는 백본 (Backbone) 망이 구축된 것은1986 년이었다 . World Wide Web 은 1989 년 3 월에 시작된 프로젝트였고 , 하이퍼텍스트 프로젝트가 시작된 것은1990 년 말이었으며 , Mosaic 이 제작 , 공표된 것은 1993 년 6 월이었다 . 인터넷 상용서비스(BARRNet, SURANet) 가 시작된 것은 1993 년이었고 , Netscape 사가 설립 된것은1994 년이었다이후인터넷은가히폭발적이라할만큼전세계대중에게일반화된 . 것이다.

-38- 이 시기에 이르러 정보화는 범사회적인 이슈가 되었고 국가의 주요 정책 대상이 되었다. 미 국정부에서대통령고어를리더로한NPR(National Performance Review) 이성립한것은 1993년 3 월이었고 , 유럽연합에서 유럽과 범세계정보사회 보고서 ( 일명 Bangemann 보고서 ) 가 발표된 것은1994 년 7 월 경이었으며 , 일본에서 고도정보통신사회 추진본부가 수상직속으로 설치된 것은1994 년 말이었고 , 한국에서 체신부가 정보통신부로 개편된 것도 1994 년 12 월 23일이었다 .

라.4: 정보기술 제 단계 사이버 스페이스 시대 제4.,,, 단계는 지금 시작되고 있는 시기이다 정보초고속도로 무관세 전자상거래 전자정부 차 세대인터넷 등이 그 제4. 단계의 상징적 내용이 될 것이다 이 시기는 정보기술과 정보화 정 책이 일상 생활양식과 사회구조를 사회 자체를 구조적으로 변혁하는 시기이다. 전세계가 컴 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하나로 연결되고, 이렇게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가 하나의 새로운 사회경제적 공간-- 사이버스페이스 를 열고 있는 시기이다 . 정보사회를 앞서서 추진하면서 동시에 전세계 정보화의 절대적인 헤게모니를 가지고 있는 미국의 정보화 정책은 정보초고속도로와 차세대 인터넷을 통하여 새로운 공간 즉, 사이버스 페이스를 전제로 정치 경제 사회를 재창조하는 방향으로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 새로운 단계는 이제까지의 모든 단계를 서막으로 하고 새로운 출발의 단계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이 새로운 단계가 어떤 것인지 이제까지의 정보화를 서막으로 하는 새로 운 단계가 무엇인지, 그것이 과연 전혀 새로운 단계인가 하는 것은 앞으로 논의되어야 할 문제이다., 그렇지만 전세계가 하나의 사이버 스페이스로 통일되고 그 속에서 정해진 규칙과 코드(code) 를 따라야 하는 것으로 변하고 있다 . ( 당분간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코드를 모두 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세계적으로 통일되는 무관세 전자상거래 등이 논의되는 시기 는 단순히 인터넷이 대중적 관심으로서의 인터넷 활용시기와는 구별되어야 할 것이다. 차세 대인터넷이 등장하는 경우 이 구별은 더욱 확실해 질 것이다.

-39- 2. 토플러의 정보사회론의 근거

대중적으로 그리고 전문가에까지 정보사회의 이미지를 각인시킨 가장 대표적인 저서가 토플 러의<>The Third Wave 일 것이다 . 이 책은 1980 년에 출판되었다 . 말하자면 당시는 컴퓨 터의 제2.IBMPC1982 단계가 시작하기 전이다 개인용 컴퓨터로서 가 등장한 것은 년인 것 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IBMPC 말하자면 토플러는 를 보기전에 정보사회의 전망을 상상력 으로 구사한 것이다. 물론 토플러는 그 책에서 미니컴퓨터를 언급하고 있지만 그의 통찰력 은 대단한 것이었다. 그러나 토플러가 제3. 의 물결로 야기하는 핵심기술은 오늘날의 정보기술이 아니다 그는 물 론 컴퓨터와 전자공학이 주요한 산업중의 하나라고 말하고 있다. 토플러는 가장 중요한 기 술로 태양에너지와 그 밖의 대체에너지,,, 우주산업 해저산업 유전자산업을 들고 있다 . 말하 자면 토플러가 말하는 제3 의 물결이란 대체에너지 ,,,, 전자공학 우주산업 해저산업 유전자산 업이 일으키는 물결인 셈이다.3 실제로 토플러가 말하는 제 의 물결은 이러한 산업기술들을 보고 상상력을 발휘한 다양한 기술적 가능성의 모자이크이다. 이 중에서 정보기술을 제외한 다른 기술들-, 우주산업 해저산업 , 유전자산업 , 대체에너지 - 등이 사회구조를 변혁할 정도의 어떤위력을발휘하고있는것은아니다. 개인용PC 가 보급된 상태도 아니고 , 네트워크의 모습이 어떤 것인지 상상력을 동원하여 새 로운 변화의 물결을 통찰하였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인터넷은 전혀 상상 할 수 없었던 사 람의 상상적 추론들에 우리의 정보사회론이 매여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 말하자면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보사회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개념과 비전은 인터넷이 사람들에게 알 려지기15 년 전에 쓰여진 책을 근거로 하는데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

3. 기존 이론의 연대기

국내 정보사회에 관한 책에서 보편적으로 해설하고 있는 책들이 출판된 연도를 보자. 이 책 들은 모두 인터넷이 등장한 제3 기 이전에 해외 학자들이 컴퓨터를 보면서 상상력을 발휘하 고 그 당시의 틀로 일정한 범주를 정해 분석,. 비평한 책들이다

-40- 정보사회를 탈산업사회론과 관련하여 제시하는Daniel Bell 의 저서 <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A Venture in Social Forecasting>은 1973 년도에 출판된 책이다 . 당시는 인터넷은 고사하고 개인용 컴퓨터(PC) 도 보편화되기 전이었다 .< The Social Framework of the Information Society>는 1979 년에 출판된 것이다 .

-41- S. Komatsuzaki : An Economic Impact of Infomattization. 1986 D. Lyon : The Electronic Eye : The Rise of Surveillance Society. 1986 J. Martin : Telematic Society. 1981 V. Mosco & A. Herman:Radical Social Theory & the Communication Revolution. 1981 J.Naisbitt Megatrends. 1984 S.Nora & N. Minc : The Computerization of Society. 1980 G Ohira : Economic Analysis of Information Activities in Japan. 1987 C. Perez : Structural Changes and Assimilation of the New Technology. 1986 M. Poster : The Mode of Information. 1990 J. R. Schement & L. Lievrouw : The Information Society in California 1983 : The Third Vision : Capitalism and the Industial Origins of the Information Society. 1987 H. I Schiller : Critical Research in the Information Age. 1983 J. D. Slack : Surveying the Impacts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1984 F. Webster & K. Robins : Information Technology. 1986 R. C. Thurow, The Future of Capitalism,NicholasBrealeyPublishing,London, 1996 F. Williams : The Communications Revolution. 1982 P. Schields & R. Samarajiva : Competing Frameworks for Research on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Society. 1993

이제까지 수많은 정보사회에 관한 이론들은 모두다1970 년대 또는 1980 년대에 출판된 책이 다.1, 그것은 정보기술 단계 즉 메인프레임 시대의 책이거나 제 2PC 단계 개인용 가 등장하 던 시대의 책이다. 인터넷이 등장하기 이전의 시대에 쓰여진 책이라는 점에서는 단 하나의 예외도 없다. 물론 당시로서는 첨단시설을 직접 견학하고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에 대하여 본질적인 맥락을 잡은 경우 그 통찰은 시간을 뛰어넘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이후에 중대한 발전이새로이이루어졌으며그발전이더욱본질적인것일수도있으며이러한경우과거, 의 통찰은 진부한 것일 뿐이다. ( 미국 국회의 기술평가국 (Technology Assesment Office) 에 서도WorldWideWeb 으로 인터넷의 활용이 대중화되는 것을 보고 정보기술에 대한 그들 의 보고서를 수정하지 않으면 안되었다는 것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42- 제3 절 정보사회 전망의 변화와 새로운 정보사회론

1. 정책으로 나타난 정보화 개념

앞에서와 같이 정보사회에 관한 학문적 이론은 현실에 비하여 대단히 진부한 것이다. 이러 한 진부한 이론에 입각한 경우 정보화 정책은 항상 선진국에 비하여 뒤떨어지고 변화하는 세계현실을 따라가지 못한다.. 이것은 정보화라는 분야의 독특한 성격에 기인하는 것이다 정보화의 분야에 있어서는 이론보다 정책이 앞서가고 있다. 그리하여 정보사회의 현실과 전 망에 관한 논의에 있어서는 기존의 이론보다 각국의 정책을 살펴보고 그 정책의 패러다임이 되어 있는 정보사회의 상()象 을 살펴보는 것이 오히려 유익하다 .

오늘날 세계의 선진국가들은 거의 예외없이 정보화를 추진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 한 정보화 정책들은 그 국가에서 최고의 두뇌와 경험이 집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이 정보사회에 관한 앞의 이론들에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그로부터 더 나아 가 직접 현실에 부딪치며 새로운 사고를 추구하고 그 단계에서 필요한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이들 정책보고서들은 기존의 이론보다 앞서가는 비전을 설정하고 있다. 각국이 자국의 최고의 지혜를 모아 정보화정책을 설정한 것을 살펴보면 정보사회에 대한 개 념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고 있다.. 이것은 정보화정책에 대한 현실적인 개념들이다

가. 산업의 정보화

기존의 산업에 컴퓨터를 활용하고 업무를 전산처리하는 것 자체가 정보사회라는 이미지를 주는 것이다.. 이것은 사무자동화 공장자동화로 표현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의미에서 전 산화,. 자동화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산업의 정보화는 정보사회의 가장 기본적 인 개념이다.

-43- 컴퓨터가 도입되는 경우 가장 우선적으로 상정되는 것은 이제까지 수작업으로 하던 데이터 처리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이다. 이것이 데이터처리를 중심으로 업무를 재규정 함으로써 사무자동화에 이른다. 나아가 공장의 작업에까지 컴퓨터를 도입함으로써 공장자동 화에 이르는 것이다. 실제로 지금까지도 정부의 정보화는 많은 경우 컴퓨터에 의한 데이터 의집적이용유통제공등과같은것을말한다말하자면전산화인것이다실제현실에ㆍㆍㆍ .. 서는 전산화야말로 여전히 정보화의 중요한 개념인 것이다. 여기서 전산화란 컴퓨터를 이용 한 정보화(informaionalize) 를 뜻한다 . 산업의 정보화와 다음에 언급하는 정보의 산업화를 새 로운 경제에로의 이동으로 보는 것이다.(Davis and Davidson, 1991).

나., 정보의 산업화 정보통신산업의 발전

정보화에 따라 기존의 산업에 새로운 산업이 추가된다.. 이것이 정보통신산업이다 산업의 정 보화에 필요한 것은 컴퓨터이고 이 컴퓨터를 생산하는 산업은 초기에는 대단한 비중을 가지 지 않았다. 그런데 산업의 정보화가 진행되면서 정보의 생성과 유통부문에 대한 수요가 증 대하고 그것이 정보통신산업부문 자체의 비중을 증대시키게 된다. 실제 앞에서 본 대부분의 학자들-,, 매치럽 포라 드러커 등의 정보생산론 , 일본정보통신연구소의 정보소비론 , 페레즈 (Perez)프리먼 (Freeman) 등의 기술경제패러다임 , 다니엘 벨의 탈산업사회론 , 토플러 , 네이 스비트,- 노라와 밍크의 정보사회론 은 사실은 정보의 산업화를 두고 이론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정보통신산업부문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하드웨어 산업 소프트웨어 산업 , 정보통신 서비 스 산업,(contents) 컨텐츠 산업 등 기타산업으로 나눌수 있다 . 이러한 정보통신산업은 통신 서비스,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만 보더라도 1995 년의 세계시장규모가 약 1 조 7 천억 달러에 이 르고 있다. 미국에서는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대단히 중대한 산업분야로 등장하였다. 1996 년 미국의 경우 소프트웨어산업의 임금은 전체평균임금의 두배, 연간수익은 1,028 억달러에 이르 렀다(Edupage 3 June 97). 이러한 점에서 정보화는 바로 모든 업무 , 모든 작업 , 모든 제조 - 인간사회의모든행동과사상을컴퓨터소프트웨어로전환시키는과정이라고할수있다-. 이처럼 정보통신산업과 그에 관련된 기타 서비스업의 발전이야말로 정보사회의 주된 내용이 다.

-44- 다. 네트워크화 (networking)

산업의 정보화와 정보의 산업화는 나아가 인간의 조직,, 사업은 작동방식 정부 등의 조직양 식 등에 중대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그것은 기존의 피라미드 조직 관료제적 구조 개인 과 전체의 관계 등에서 형성되었던 조직과 사회의 구조를 네트워크 적 연결로 변혁하게 되 었다.. 이것이 정보화의 또 하나의 과정이다 원래 네트워크는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하여 통합하는 것이었다. 컴퓨터의 연결이 중간 업 무를 생략하거나 축약하여 직접 연결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그와 관련된 사람과 업무가 함 께 변화를 일으키는 과정이 정보화과정이다. 기업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크화 과정은 조직의 리엔지니어링과 다운사이징으로 나타난다. 그리하여 정보화의 진척에 따라서 산업계는 조직 의 재편성과 노동자의 대량해고가 일어난다. 이러한 과정은 ‘ 노동의 종말 ’(Jeremy Refkin) 이 라 부를 정도로 거대한 변화의 과정이었다. 이것은 다른 한편에서는 정보의 산업화와 관련 하여 기존 제조업 등의 고용인구 비율의 축소를 가져왔다. 다른 한편 정부에서도 정보화는 정부조직의 혁신으로 나타나고 있다., 오늘날 영국 뉴질랜드 등을 거쳐 일본 , 한국에까지 이 르고 있는 정부혁신의 기반에는 조직양식의 네트워크화와 연관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직과 사회구조의 변화는 세계화와 동시에 진행되면서 세계의 경제적 경쟁을‘ 시스 템 경쟁’. 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네트워크화 한다는 것은 단순한 조직의 변화만이 아니라 사 회전체의 구조적 변화에 미치고 있으며 그에 부합되는 제도의 변화를 수반하고 있는 것이 다..,,, 동시에 그것은 법제적 변화를 수반한다 정보산업 통신산업 방송 오락 등에 관한 법률 적 규제의 틀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국가 인력의 교 육수준을 높이고 사회의 지식화를 진척시켜야 하고 이를 위한 제도적 변혁이 필요해진다. 그리하여 경제사회 전반의 규제와 지원에 관한 틀(framework) 을 바꾸어야 하는 것이다 . 이 러한 변화의 핵심적 요소는 사회를 네크워크화 하는 것이다. 과거의 근대적 사회는 개개인 들이 점처럼 흩어진 사회였고,. 이러한 개인들을 피라미드적으로 조직하는 사회였다 새로운 사회는 이 두 가지를 지양하여 사회전체를 네트워크로 재편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정보사회는 네트워크 사회이다. 정보화정책은 조직과 사회를 네트워크로 재 창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내용이 바로 정보사회라는 것이다

-45- 라. 정보고속도로의 활용

조직과 사회의 네트워크화가 진척되면서 여기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정보화의 중심적 이슈 로 제기된 것이 정보고속도로의 추진이다. 정보고속도로는 이제까지 전화선에 의지하거나 부분적으로 진행되던 네트워킹을 사회전반으로 확산시키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정보고속도로는 사회의 정보화를 모두 포괄하는 새로운 이정표이다. 인터넷의 등장과 이용 자의 폭발적인 증대는 정보고속도로의 필요성을 모든 사람들에게 간단하게 인식시켜 주는 것이었다. 정보고속도로에 대한 이미지는 산업화 과정에서 고속도로의 이미지에 비교되는 것이다. 정 보고속도로(information highway, information superhighway) 라는 이름 자체가 산업화 과정 에서의 사회간접자본으로서의 고속도로에 비유되는 것이다. 이렇게 정보고속도로가 핵심적 인 개념이 되면서 정보사회의 이미지는 정보고속도로를 기반구조로 하여 구축되는 사회라는 이미지를 가지게 된다.? 정보사회란 무엇인가 그것은 정보고속도로에 의하여 연결된 사회라 는것이된다.

마. 사이버스페이스 (Cyberspace) 의 전개

이제까지 정보사회는 현실사회에 새로운 기술(IT) 정보기술 이 추가되고 그 기술에 의하여 사회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었다.,, 산업의 정보화와 정보의 산업화 네크워킹 정보고속도로 등은 모두 새로운 기술이 주는 충격에 따른 현실공간의 변화를 뜻하며 그렇게 하여 현실이 바로 정보사회의 개념이었다.‘’,‘ 정보화의 대상이며 무대는 현실 공간 이고 현실의 물리적 공 간’ 이고 , 그에 대응하여 짝을 이루는 쌍대정보 공간 (information dual space) 이 생겨난 것이 다. 정보사회는 현실의 물리적 공간과 쌍대정보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예를 들면 한 대학교와 그 대학의 교수는 현실의 물리적 공간이다. 그 대학의 교수들이 각자가 전자 메일을 가지고 서로 통신하는 정보공간이 생긴다면 그것은 그 대학에 대응하는 쌍대 정보 공간이다. 정보화된 대학은 바로 현실의 대학과 전자메일의 정보쌍대공간이 결합한 것을 말 한다. 그런데 정보화의 과정에서 전혀 새로운 차원이 제기되었으나 그것은‘’‘ 현실공간 현실의 물리 적 공간’‘’ 과 쌍을 이루는 것이 아닌 것으로써 스스로의 정보공간인 사이버스페이스 가 등장 한 것이다.( 이하 현실공간 , 현실의 물리적 공간을 ‘ 자연공간 ’ 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

-46- 사이버스페이스는 인터넷의 등장에 의하여 정보사회를 의미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제기되었 다. 앞에서 예를 든 대학교의 교수가 전자 메일을 가지고서 다른 대학의 교수들과 함께 토 론 그룹을 형성하여 하나의 새로운 사회 공간을 형성한다면 그것은 현실의 물리적 공간과 상관없이 생겨난 사이버스페이스가 되는 것이다.A 더구나 라는 교수가 여러개의 전자메일 을 가지고 곳곳의 그룹에 참여한다면,A 현실 공간의 라는 교수는 곳곳의 가상의 자신을 만 들어 놓고 행동하게 되는 것이다. 원래 사이버스페이스는William Gibson 이 1984 년에 출판한 SF 소설 Neuromancer 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그것은 모든 사람을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정보원과 기계에 연결시키는 글로벌 컴퓨터 네트워크”, 라는 당시로서는 대단히 혁신적인 이미지를 새로운 용어로 표현한 것이었 다.10 그것은 거의 년 후에 인터넷이 출현함으로써 SF 소설의 소재에서 중요한 현실로 등장 하게 되었다.(). 인터넷은 네트워크를 가시적可視的 인 공간의 모습으로 체현하여 주었다 처 음에 텍스트 위주로 시작되었을 때도 하나의 그러했지만,, 멀티미디어적인 성격이 가미되자 인터넷 공간은 그야말로 새로운 하나의 공간으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이제 인간은 기금까 지 수천년 동안 살아온 자연공간() 자연공간 이외에 인간이 인공적으로 창조한 또 하나의 공 간() 사이버스페이스 에서 자신의 육체와 상관없는 가상의 자신을 창조할 수 있게 되었다 . 사이버스페이스는 현실의 자연공간과 완전히 다른 또 하나의 특징이 있다. 그것은 디지털공 간이라는 점이다.. 현실의 자연공간은 아날로그적 공간이다 이에 대하여 사이버스페이스는 디지털의 공간이다. 이 세상의 무엇이든지간에 디지털화하면 즉시 사이버스페이스로 이주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인간사회는 처음으로 두 개의 공간 아날로그 공간과 디지털 공간 자연 공간과 사이버스페이스를 가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사이버스페이스는 인류가 새로이 발견한 ()‘’실제로는 발명한 거대한 신대륙 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 이에 따라 정보사회의 전망도 달라지게 되었다. 현실의 자연공간이 아니라 사이버스페이스 야말로 정보사회의 본질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될 때 이제까지 정보사회로 규정되었던 자연 공간에서의 변화는 사이버스페이스라는 본질의 현상에 불과한 것이 된다. 사이버스페이스는 컴퓨터네트워크인터넷정보고속도로가종합적으로창조하는공간이라고할수있다,,, .

-47- 이러한 관점에 서면 정보사회는 사이버스페이스와 리얼스페이스() 현실의 자연공간 가 결합된 사회이며,. 사이버스페이스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회이다 우리는 여기서 정보사회에 대한 지 극히 간단한 개념정의를 세울 수 있다. 정보사회란 무엇인가?. 그것은 사이버스페이스사회이다 아래와 같이 정보사회란 실제의 자 연공간(real space) 과 가상의 사이버스페이스 (virtual cyber space) 의 두 개의 공간으로 이루 어지는 사회이다.? 정보화란 무엇인가 그것은 사이버스페이스를 창조하는 과정이며 , 사이버 스페이스로 이주()移住 하는 과정이다 . 정보화란 간단히 사이버스페이스로의 이주 (emigration to cyberspace)인 것이다 .

이상5 가지의 정보화에대한 패러다임이 각국의 정보화에 관한 정책보고서에 구체적으로 어 떻게 드러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2. 각 국의 정보화 정책 보고서와 정보사회 패러다임

가. 뉴질랜드

뉴질랜드에서는 뉴질랜드 미래 트러스트(New Zealand Futures Trust) 에서 뉴질랜드 정보화 비전으로서 임팩트2001(IMPACT2001) 을 제시하고 있다 . 2) IMPACT2001의 제목은< 정보기술이 어떻게 뉴질랜드를 변화시킬 것인가 How Information Technology will change New Zealand>이다 .

2) http://www.govt.nz

-48- 이 제목에서 보다시피IMPACT2001 의 관점은 정보기술이 변화시키는 사회가 바로 정보사 회라는 관점에서 있다. 임팩트 2001 의 홈페이지 중에서 일부를 인용해본다 .

『뉴질랜드는 다양한 지식노동자들로 구성된 지식사회로 급속히 변모하고 있다. 이들 노동 자들의 전문적인 기술은 지속적인 갱신이 요구되며 따라서 양질의 교육시스템은 필수적이 다중략.(… ) 본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제공할 것이다. ㆍ어떤IT 의 발전이 삶에 주된 영향을 줄 것인가 ? ㆍ우리의 노동과 교육은 어떻게 바뀔 것인가? ㆍIT의 발전이 통신 , 레크레이션 , 오락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 ㆍ모두가 이익을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러한 개인의 삶과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정보기술과 지식사회,ㆍ 뉴질랜드의 교육 노 동ㆍㆍㆍ 교통 의료 오락에 미칠 영향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정보기술(IT) 이 노동 , 교육 , 교통 , 오락 등 사회의 각 분야에 미치는 변화를 정보사 회로 규정하고 있다는 것을 드러낸다. 간단히 말하면 이 보고서에 있어서 정보사회란 정보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우리가 앞에서 설정한 것 중의‘’‘’ 산업의 정보화 네트워킹 을 정보사회의 개념으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 이것은 우리가 이론적으로 정보사회를 논의하고 있지만 뉴질랜드의 실제현실에 있어서는 정 보기술을 받아들여 사회의 여러분야를 변화시키는 것,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것으로 정보사 회를 파악하는 것이 현실적 정책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뉴질랜드 정부에서는 각료들 의활동연설문정부출판물정책내용등을끊임없이소개하고있으면서국민에게책임과,,,, 신뢰를 보여주는데 정보화 기술(interact) 을 활용하고 있다 . 1994 년 12 월 impact2001 의 보고 서3)에 따르면, 지식사회 (knowledge society) 의 출현과 지식사회에 대한 정부의 대응을 언급 하고 있으며,.21 많은 부분을 교육 부문에 할애하고 있다 자라나는 어린이들이 세기를 준비 할수있도록하는데역점을두고있다.

3) http://www.executive.govt.nz/minister/williamson/s971220.htm

-49- 나. 노르웨이

노르웨이에서는 노르웨이 정보기술위원회(State Secretary Committee for IT) 에서 정부에 정보화 정책보고서를 제출하였다(1996). 이 보고서의 제목은 < The Norwegian Way to the Information Society-bit by bit>이다 .4) 이 보고서 역시 뉴질랜드와 마찬가지로 정보기술이 인간의 삶과 사회를 변화시킨다는 것이며, 정보기술이 변화시키는 사회의 모습이 바로 정보 사회라는 관점에 서 있다.. 이 보고서의 목차는 주요항목을 보면 다음과 같다 1)정보기술이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다 . 2) 정보사회를 향한 노르웨이의 길 추진현황 3) 노르웨이에서 정보기술의 보다 나은 활용을 위하여 이 중3. 항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ㆍ미래를위한협력 ㆍ정보화의 촉진방안 ㆍ법제도적인 측면() 게임의 룰의 결정 ㆍ교육(, 사용의 학습 학습을 위한 사용 ) ㆍ디지털공간에서의 노르웨이 언어와 문화 ㆍ노동: 작업장에서의 정보기술 ㆍ정보사회와 공공부문(public secter) ㆍ더 나은 보건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노르웨이 정부는 보다 안전하고,, 공정하고 실업이 없고 , 보다 나은 삶의 질을 확보하는 것 을 목표로 삼는다고 한다.,, 이를 위하여 노르웨이 정부는 생산성의 증대 부의 공정한 분배 사회에 대한 적극적 참여를 통한 개인의 잠재능력과 지식을 제공하도록 노력한다는 것이다.

노르웨이 정부의 정보화 정책의 패러다임 역시 뉴질랜드와 마찬가지로 정보기술을 어떻게 활용하여 개인의 삶과 사회를 발전시킬 것인가 하는 관점에 서 있다. 즉 정보사회의 패러다 임은 정보기술이 사회의 공공부문,,,, 노동 교육 의료 법제도적인 측면 등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4) http://odin.dep.no/it/it-way

-50- 다만 독특한 점이 있다면 디지털 공간(digital space) 에서 노르웨이의 언어와 문화를 지키겠 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디지털 매체와 통신시스템에서 노르웨이어로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가 제공되어야 하고 당국자는 노르웨이어로 된 컨텐트 제작에 초점을 맞추도록 하는 것을 정책으로 삼고 있다. 결국 노르웨이의 정보사회에 대한 개념은 앞에서 뉴질랜드와 마찬가지로‘’ 산업의 정보화 그리 고‘’ 네트워킹을주요한내용으로한다고할수있다 .

다핀란드.

핀란드는 재무부(Ministry of Finance) 에서 1996 년에 정보사회를 향한 핀란드의 길 (Finlan d′ s Way to the Information Society)를 제시하였다 .5) 그 내용은 정보사회를 위한 전략, 그 구현내용과 진행상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핀란드는 정보화 비전을 다음 두 가지로 간명하게 요약하고 있다. 1)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하는 고도정보사회의 실현 2) 정보 및 통신기술의 세계적인 경쟁력 확보 그리고 그 전략으로서(1) 정보사회에로의 쇄신 (2) 정보산업의 발전 (3) 연구 , 노하우 , 정보기 반의 발전 등의 필요조건의 확보를 들고 있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① 민간부문과 공공부문 쇄신의 도구로서 정보기술과 정보네트워크의 활용 ② 정보산업을 경제행위의 중요한 부문으로 부각 ③ 정보 및 통신기술 전문가의 우대 ④ 모든 사람에게 정보사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기본적인 사용기술과 활용기회의 부여 ⑤ 핀란드 정보기반이 모든 부문에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경쟁력을 갖도록 유도

이러한 기본정책의 이면에 자리잡고 있는 정보사회에 관한 패러다임은 앞의 뉴질랜드나 노 르웨이와는 다르다.

5) http://www.ncb.gov.sg/nii/96scanl/finland.html

-51- 우선 핀란드에서는 정보사회를 네트워킹에 기초를 두는 사회로 규정한다. 이것은 단순히 정 보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변화가 아니라 어떤 구체적 내용을 가진 사회- 네트워킹에 기초하 는 사회-. 라는 것이다 여기에 더하여 정보통신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을 정보화 정책의 두 개 의 주요한 내용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한가지 더 한다면 이를 위하여 연구 노우하 우,. 정보기반의 발전 등이 추가될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앞에서 열거한 것 중에 ‘ 산업의 정 보화’‘ 정보의 산업화 ’ 그리고 ‘ 네트워킹 ’ 을 정보사회의 내용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 핀란드 의 정책비전은 상당히 명확한 현실적 추세를 규정하고 있다. 그것은 새로운 사회의 방향으 로서 네트워크 경제(Networked Economy) 와 정보사회 (Information Society) 를 들고 있으며 , 현재의 매우 중요한 트렌드로서 두 가지를 들고 있는 바, 모든 타입의 정보를 디지털화 (digital presentation)하는 것과 정보네트워크 (information network) 의 발전을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핀란드의 정보화정책의 패러다임은 네트워크사회이며 그것은 사이버스페이스를 지 향하고있다고할수있다.

라캐나다.

캐나다는 정보고속도로 자문위원회(Information Highway Advisory Council) 에서 정보사회 의 구현계획을 발표하였다.6) 이 보고서는 정보사회에 대한 아주 간명하게 종합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것은 이제까지의 정보사회에 대한 다양하고 부분적인 접근들이 모두다 정보고 속도로 중심으로 종합된다는 것이다.1)2)3) 이 보고서의 목차는 배경 정보고속도로구축 정보 내용의 증가4) 정보고속도로의 사회경제적 편익 5) 정부의 이행증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 다시 말하면 정보화 정책의 모든 문제들이 정보고속도로라는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재구성되 는 것이다.. 이들의 목록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 정보고속도로의 구축 통신과 정보서비스의 제공에 있어서 전화사업자와 케이블사업자들의 완전경쟁을 허용하는 통합구현정책,(, 경쟁환경 조성 통합정책 소유권 규칙들의 조화 ,), 해외통신정책 신규서비스 개발의 활성화(,, 멀티미디어를 위한 고도위성 서비스 범세계적 이동위성정책 새로운 무선 광 대역 서비스,, 개인통신 서비스 디지털 털레비전과 라디오 ) 정보고속도로의 연구개발촉진 ( 과 학기술전략,),(, 캐나다 학술연구전산망 전산망간의 상호연동 개선된 표준대책 표준결정에 산 업계 참여)

6) http://info.ic.gc.ca/info-highway

-52- 2) 정보내용의 증가 캐나다 내에서 진행중인 문화적인 교류 육성, 경제성과 고용창출의 기회를 반영할 수 있는 캐나다의 문화적 정보내용을 담은 포괄적인 전략의 개발, 캐나다의 멀티미디어 개발자들에 대한 자본금 지원 촉진,( 정보내용 및 정보산업 발전 멀티미디어 개발자들에 대한 자금 지원 , 수출개발전략,),,, 교육을 위한 정보내용 캐나다 정보내용의 디지털화 저작권 보호 정보내용 창안자와 신기술. 3) 정보고속도로의 사회경제적 편익 모든 캐나다인들이 필수적인 통신서비스에 적절히 접근할 수 있도록 정책개발, 캐나다의 전 자 상거래를 촉진할 수 있는 대책,, 전자상거래 기반조성 지식산업에 대한 자금 지원 확대 , 정보화에 따른 실직자들의 구제프로그램,, 평생교육환경의 구축 캐나다 학생과 교사들에 대 한 정보기술 제공,. 통합 건강정보망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입법 . 4) 정부의 이해증진 빠르고 용이한 접근,,, 정부주도의 전자 상거래 정부의 효율성 향상 공통전자정보기반구조

이처럼 캐나다의 정보화 정책은 정보고속도로를 중심으로 하여 재구성되는 것을 볼 수있다. 가령 교육의 정보화,, 의료의 정보화 노동의 정보화 등의 문제는 모두 정보고속도로의 사회 경제적 편익을 어떻게 활용하느냐 하는 문제가 되는 것이다. 산업의 정보화 역시 정보고속 도로의 경제적 편익을 활용하는 문제이다. 정보산업의 발전문제는 정보고속도로에서의 정보 내용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된다. 나아가 정보산업의 하드웨어적인 측면은 정보고속도로 구 축의 항목이 된다., 한편 정보화에 따른 법제도적인 정비 규제틀의 변혁 등의 문제도 모두 정보고속도로의 사회경제적 편익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정부가 취해야 할 조치가 되는 것이 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정보사회는 간단하게 정의될 수 있다. 그것은 정보고속도로에 기반하 는 사회인 것이다. 정보화란 정보고속도로를 구축하는 과정이고 정보고속도로의 정보내용을 증대시키는 과정이고 정보고속도로의 사회경제적 편익을 활용하는 문제인 것이다.

-53- 마독일.

독일 연방경제부는1996 년 INFO 2000( 독일의 정보사회로 가는 길 :Deutschlands Weg in die Informationsgesellschaft)를 제시하였다 .7) 이 내용은 정보화 정책에 관하여 이를 정보고속도 로로 간명화하기 이전까지의 패러다임을 상세하게 보여준다. 그 내용의 목차를 보는 것은 이러한 패러다임에서 어떠한 정책적 이슈들이 제기되는가 하는 것을 보는데 유익하다.

독일의 정책 보고서는 정보사회의 개념을 두 가지 관점에서 규정한다. 하나는 정보기술의 충격에 의하여 변혁된 사회이고 다른 하나는 아직은 과도적인 단계이기 때문에 앞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라는 점이다.,, 앞에서 제시한 내용들을 보면 산업의 정보화 정보의 산업화 네트워킹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정책패러다임은 독일의 연방정부의 정보화 정책 목표로서 제시된 다음12 가지 목록 에서 잘 드러난다.

1)경제적 발전 : 정보사회로의 기술적 경제적 변혁은 독일을 현대화하고 미래에도 투자대 상국가로서의 위상을 견지할 수 있는 기회로 이용되어야 한다. 정보사회로의 변동은 새로운 시장의 발전을 촉진시키고,, 독일경제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며 새로운 고용을 창출하는데 기 여하여야 한다. 특히 중소기업들에게도 추가적인 성장과 고용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정보화정책목표 2)법적 제도적 변혁 : 법적인 규제환경과 질서정책의 여건을 개선 정비하여 시장참여자가 혁신과 투자를 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기반을 제공하여야 하며, 시장의 경쟁적 질서 속에 서 기업활동의 자율성이 확대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전기통신분야에서의 추가적인 자 유화와 새로운 정보통신서비스 제공 및 이용을 위한 국가적으로 통합된 법적 환경조건이 핵 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1… 이와 관련된 추진계획의 위의 추진계획 항

7) http://www.bmwi-info2000.de/gip/programme/info2000/info2000-e.html

-54- 3)민관협력에 의한 문제점의 해결 : 산업계 및 사회 각계각층의 구성원들의 의견을 광범위 하게 수렴하여 정보사회로 이행되어 가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인식하여야 하 고,, 이와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과시하여야 하며 모든 관계자들이 필요 한 조치를 취하도록 자극하여야 한다. 또한 독일 연방정부의 목표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수 용성을 제고시키고, 정보사회로의 전환과정에서 수반되는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다. …위추진계획2 항참조 4)시민의 참여 , 교육분야 : 연령 또는 학력에 관계없이 모든 국민들이 개인생활 , 사회생활 , 문화생활,, 정치생활 직장생활 등의 활동분야에서 정보통신기술의 도입으로 가능해지는 새로 운 발전에 참여할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는 모든 사람들에게 참여의 기 회를 공평하게 보장하여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데 반해 일부 사람들은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지 못하는 사회로 이행되어 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정 보사회로의 이행은 사회공동체 및 사회적 문화적 측면을 고려한 이용자 중심의 정보통신기 간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국공립 교육기관 뿐만 아니라 사립 교육기관의 교육 그리고 모든 차원의 교육이 특별한 과제와 의미를 갖는다.3… 위 추진계획 항 참조 5)연구개발 : 독일사회가 정보사회로 순조롭게 전환되기 위해서 연구와 기술개발이 필수적 이다. 정보기술분야의 연구개발 지원을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지속할 계획이다. 또한 기초지 식을 혁신적 기반기술로 전환시키고 미래지향적 응용분야의 개발을 강화하며 연구소ㆍ 대학 ㆍ…기업간의 협동체제를 굳건히 할 예정이다.4 위 추진계획 항 참조 6)민간주도 : 현대적이고 안전성 있는 정보통신기반의 구축과 확장은 주로 민간부문의 투 자의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민간부문은 현재의 수요와 미래에 기대되는 수요에 기초하여 투자를 행한다. 민간부문 투자자들 사이의 경쟁은 기술진보를 유발하여 투자자 자신은 물론 이용자에게도 이익이 돌아간다. 7)공공행정분야의 정보화 : 시민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행정을 시행하기 위해서 , 그리고 베 를린과 본에 분산되어 있는 연방정부 부처간 업무기능의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실현하기 위 해서 첨단정보기술이 제공하는 가능성을 최대한 활용할 것이다.5… 추진계획 항 참조

-55- 8)자연친화적 접근 : 첨단정보기술을 산업분야와 여러 가지 응용분야에 도입할 때에는 자 연적 생존기반을 보존하고 자연 친화적 경제성장을 바라는 공공의 이익이 최대한 반영되어 야한다. 9)시민들의 권익보호 : 첨단 정보기술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근로자 , 소비자 , 공 급자,.,, 이용자 등의 다양한 권리와 이익이 충분히 보장되어야 한다 데이터보호 노동관계법 소비자 보호,, 청소년 보호 지적재산권 보호 , 정보통신시스템의 보안 , 범죄행위의 예방 등이 이에 포함된다.1… 위 추진계획 항 참조 10)정보접근 방법 개선 : 첨정보통신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구축하고 확정함으로써 최신 연 구개발의 결과에 대한 정보,,, 그리고 시장 생산 경제활동 등의 정보에 접근하는 방법이 개 선되어야 한다. 11)유럽과의 연계 : 유럽의 정보사회로 가는 길을 구체화하기 위한 유럽연합의 추진방안과 각 회원국들의 국가적 차원의 추진방안이 조화되고 상호 보완적이어야 한다.… 위 추진계획 8항참조 12)현재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정보사회에 대한 실행계획 (Initiative) 들은 서로 연계 성을 가져야 한다. 연계성의 목표는 1995.2.25-26 브뤼셀에서 개최된 G7 정보사회 각료회의 에서 채택한 원칙이 개별국가 유럽연합 그리고 국제적 차원에서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정보사회로의 전화하는 과정에는 많은 과제들이 제기된다. 독일의 INFO 2000 은 이러한 과 제들은 거의 모두 망라하고 있다., 기존 산업의 정보화에 따른 규제틀의 변경 정보산업에 대 한 새로운 질서환경의 창조,, 교육기관에서의 미디어 활용능력의 제고 원격작업 등 새로이 나타난 현상에 대한 질서정립,, 행정개혁 초고속 연구교육통신망의 구축 등 이런 모든 것들 이 그것이다. 우리는 독일의 정책비전에서 정보기술의 적용에 의한 현실의 변화의 목록들을 볼 수있다. 그것은 경제질서, 경제구조 ,,,, 교육 노동 행정 연구개발 등 광범위한 변화인 것이다 . 현실에 서의 이러한 광범한 변화를 일컬어 정보사회에로의 변화라고 하는 것이다.

-56- 결국 독일은 정보화가 현실사회의 전반에 걸친 변화라는 관점에 서 있다. 그것은 산업의 정 보화,, 정보의 산업화 네트워킹과 그에 따른 제도변화 등을 포괄하는 것이다 . 이러한 정보사 회에 대한 패러다임에 대해 독일보고서는 정보사회에 대한 관점을 명시적으로 제시하고 있 다.

「일반적인 예측에 의하면 첨단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야기된 기술적 혁신과 경제적 변 혁은 그 크기와 범위 그리고 이로부터 결과되는 영향에 있어서 인류사회가 농경사회에서 산 업사회로 이행되었을 때와 비유될 수 있다고 한다.‘ 정보고속도로 ’ 나 ‘ 멀티미디어 ’ 와 같은 개념 들은 고도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의 변동을 특징적으로 표현해 주고 있다. ‘’정보사회 라는 개념은 ‘’ 정보 라는 자원을 바탕으로 하는 생산방법과 지식집약적인 상품이 주 도적인 역할을 하는 하나의 경제적 사회공동체적 형태를 의미한다., 정보사회는 기술분야 산 업분야,, 근로환경 환경분야 등에서의 발전 및 변동에 의해서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

정보사회로 발전하는 기반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의 급격한 기술적 진보이다. ㆍ디지털 형식의 정보생산,,( 정보저장 정보가공 마이크로 전자 ,, 광전자 컴퓨터 기술 , 소프트 웨어) ㆍ대량의 데이터를 고도의 기능을 가진 통신망(,, 광대역케이블 위성통신망 이동통신망형식의 정보고속도로) 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전송 ㆍ전송시설(ISDN) 예를 들면 을 최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의 압축 . ㆍ이용자 중심적인 인간- 기계 연결장치의 개발

바미국.

정보사회에로의 변화에 있어 가장 앞서가고 있는 미국의 정보사회의 비전은 어떠한가? 그것 은 미국 국가정보화 자문위원회 최종보고서(A Final Report of the United States Advisory Council on the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에 잘 나타나 있다 . 이 보고서는 ″ 기회 의국가(A Nation of Opportunity)″ 라는이름으로제출되었다 . 8)

8) hpp://www.benton.org/Library/KickStart/nation.home.html

-57- 이 보고서의 특징은 독일과 비교할 때 대단히 간명한 관점에 서 있다. 그 이유는 캐나다와 같이 정보사회의 대한 관점을 정보고속도로를 중심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보고서 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정보고속도로 위의 미국 2) 미국인의 삶과 직업에 미치는 영향 3) 대중적 접근성의 확보 4) 정보고속도로의 규칙 5) 중요한 역할

이 보고서는 자문위원회의 비전(Council′「 s vision) 이라는 제목의 항에서 오늘날 미국은 기록된 역사중 가장 거대한 혁명 중의 하나인 정보화시대(Information Age) 의 한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정보고속도로는 교육과 경제적 풍요 그리고 삶의 질에서 수많은 혜택을 가 능하게 해 주는 기반을 제공하여 준다」 고 하였다.

이어서 이 자문위원회의 비전은 국가의 기본적인 목표로5.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정보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이 미국의 모든 국민들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방안 을 모색해야 한다., 즉 이러한 놀랄만한 자원이 미국의 제도적 기틀이나 , 우리의 다양한 문 화적 가치,. 그리고 평등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용되어야 한다 둘째,, 미국의 온라인 시스템의 통합을 통해 더욱 강력한 공동체 그리고 더욱 강력한 국가공 동체 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정보고속도로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모든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시켜야 한다., 정보고속도로는 단지 선택된 소수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광범위한 경제 적,,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적 능력에 한계를 가진 모든 세대의 모든 개개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이 되어야 한다. 즉 정보고속도로는 접근가능 성이 있어야 하며,, 이용하기 쉽고 그리고 심지어 가장 낙후된 지역 혹은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에서도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58- 넷째,,, 정보고속도로의 구축을 위해 민간 부문 모든 계층의 정부 그리고 각 개인들이 책임 을공유해야한다. 다섯째,, 정보고속도로의 전개를 통해 나타날 서비스 상품 그리고 공개적인 자유경쟁 시장을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우리의 세계적 리더십(world leadership) 을 유지해야 한다 . 연구개발은 이러한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어서 동 위원회의 권고내용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 미국인의 삶과 직업에 미치는 영향 ①②전자상거래 교육 및 평생학습 ③ 비상관리와 공공안전 ④⑤ 보건 정부정보와 서비스

2) 대중적 접근성의 확보 ①②정보고속도로의 전개 보편적 접근과 서비스 ③ 정부의 역할

3) 정보고속도로의 규칙 ①②③④지적 재산권 프라이버시 보안 언론의 자유

4) 각 주체의 역할 ① 민간부문이 구축자가 되어야 한다. ② 공동체들은 정보고속도로에 대한 접근과 교육의 중요한 핵심이다. ③ 정부는 촉매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④ 모든 개인들도 책임을 공유해야 한다.

이상의 보고서는 정보사회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 있으며, 동시에 정보사회에 무엇 이 중요하지 않는지를 보여준다. 독일의 비전과 비교할 때 미국의 비전은 한걸음 앞선 것이 며 정보사회에 대한 차원에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미국의 비전에서 정보사회란‘’.‘AmericaOnthe 정보고속도로 위의 사회 이다 그것은 Information Superhighway’라는 표현이 보여주는 것도 이와 같은 것이다 . 그것은 정보기술 의 충격이 만들어내는 사회라는 관점과는 다른 것이다.

-59- 정보기술의 핵심적 표현이 정보고속도로인 것이다. 그리고 정보고속도로를 기반으로 하여 하나의 새로운 사회가 재창조될 때 그 목표와 그 내용이 무엇인가 하는 것을 보여준다. 그 목표는 그 사회의 가치를 한층 더 높은 차원에서 실현하는 것이며,, 더욱 강력한 공동체이고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는 것이며,, 모든 주체가 책임을 공유하는 것이며 세계적 리더십을 유 지하는 것이다.() 이것은 정보사회가 세계사회를 무대로 한층 더 높은 차원에서 자신 사회 을 재창조하는 것임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의 재창조에서 중요한 것은 개개인의 직업과 삶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분야( 전자상거래 ,,,,) 교육 안전 보건 정부 를 재규정하는 것이며 , 그것은 모든 사람들은 참여 (Ensuring Access for All)에 의해서 가능하며 ( 정보고속도로의 전개 , 보편적 접근과 서비스 , 정부의역할), 이새로운사회에서는새로운질서가필요한바그질서의핵심은지적재산 권,,, 프라이버시 보안 언론자유라는 것이다 . 한편 이러한 새로운 사회를 구축하는데 각 주체 -,민간 공동체 , 정부 , 개인 - 의 역할이 규정된다 . 이러한 미국의 정보사회론은 기존의 관념과 비교할 필요가 있다.‘ 우선 정보사회는 산업의 정 보화,’ 정보의 산업화 의 차원이 아니며 , 정보기술을 수용하기 위하여 제도의 일부를 변혁하 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것은 우리의 경제생활 전자상거래 지적생활 교육 사회질서 (),(),()안전 건강 보건 국가 정부 의 성격 등 사회전반을 정보고속도로의 기반위에 재창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정보고속도로 위에 재창조되는 사회 그것은 바로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인 것 이다. 또한 이 정보사회론은 하나의 산업분야,, 정부 등의 분야에서 일어나는 혁신이 아니라 모든 국민의 참여에 의해서,. 모든 국민에서 보장하는 것에 의해서 가능하다는 것이다 왜 대중적 접근성의 확보가 정보사회의 비전에서 다른 세 가지 범주와 동등한 범주로 자리매김되는가 하는 문제가 그것이다. 그것은 일반시민 나아가 국민전체의 참여와 국민전체의 변화를 통하 여 형성되는 새로운 사회인 것이다. 또한 새로운 사회의 질서에 있어서도 과거와는 그 중요성이 달라진다. 과거에는 중요하지 않았던 요소들이 질서의 내용을 구성하고 과거의 중요한 질서였던 것은 의미를 상실하는 것 이다.,,, 그러한 중요한 질서의 내용이 질서의 내용이 지적 재산권 프라이버시 보안 언론의 자유와같은것이다.

-60- 이러한 새로운 사회를 창조하는 주체도 과거의 변화와는 다르다.,, 과거에는 기업가 노동자 정부관료 등이 중요했을 것이다., 또는 혁명가 권력자가 중요했는지도 모른다 . 그러나 새로 운 사회를 창조함에는 민간부문이 주도해야 하고, 공동체 단위로 접근해야 하며 그 방식은 교육이고, 정부는 촉매 (catalyst) 의 역할을 해야 하며 , 모든 개개인이 책임을 분담해야 한다 . 개개인이 책임을 분담하는 것은 사회적 개인은 윤리와 역할이 과거와는 달라진다는 것을 의 미하는 것이다. 이제 새로운 정보사회를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라는 이름으로 살펴보자.

3.새로운 정보사회론 : 사이버스페이스 사회

가. 정보화의 비전

미국의 정보화 비전에 있어서‘ 정보고속도로 위의 미국 (America On the Information Superhighway)’이라는 것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 것일까 ? 상식적인 관점에서 보면 그것은 고속도로라는 사회간접자본에 기반하여 형성되는 사회라는 비유일 것이다. 그러나 정보고속 도로는 고속도로와 같이 물질적인 것이 아니다. 정보고속도로는 물질적인 고속도로에 비유 하는 것은 사실은 적절한 비유가 아니다. 정보고속도로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은 인간과 인 간간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이다. 그것은 고속도로보다 전화망에 비유하는 것이 적절한 것이 다.. 요사이로 말하면 그것은 인터넷공간에 가장 유사한 개념이다 정보고속도로는 인간사회 에 물질적 현실과는 별도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물질적 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우리는 사이버 스페이스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사이버스페이스 (cyberspace)는 통신망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이다 . 그리하여 정보고속도로에 의하여 형성되 는 커뮤니케이션 공간이 바로 사이버스페이스인 것이다. 미국의 정보화비전에서는 명백하고 표현되고 있지 않지만 정보고속도로 위의 사회라는 것은 사실은 사이버스페이스에 기반하는 사회, 사이버스페이스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새로운 사회 라는 의미이다. 그리하여 우리가 이제까지의 논의를 한걸음 진전시키면 단순하지만 지극히 혁명적인 정보사회의 개념을 얻는다. 그것은 정보사회란 바로 사이버스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 사이버스페이스와 리얼스페이스의 결합인 것이다 이것이 정보사회의 새로운 개 념이라고할수있다.

-61- 실제 미국의 정보화 비전은 사실 이러한 관점에 접근해 있다. 미국인의 삶과 직업에 미치는 영향으로서 들고 있는 내용들은 모두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일어나는 일들의 현실에서의 영향 인 것이다., 전자상거래 교육과 평생학습 , 비상관리와 공공안전 ,, 보건 정부정보화 서비스 등 은 모두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일어나는 일이거나 사이버스페이스에 기반을 두는 일이다. 말 하자면 정보고속도로에 의하여 전국의 의료망을 통합한다면 그것은 전국의 의료에 연관된 사이버스페이스가 생겨나는 것이다. 대중적 접근성을 확보한다는 말은 모든 미국인이 사이버스페이스에 참여한다는 것이다. 사 이버스페이스에 대한 참여야말로 정보사회의 일차적인 요건인 것이다. 정보고속도로의 규칙 이라는 것은 사실은 현실공간(real-space) 이 아닌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규칙인 것이다 . 지 적 재산권,,, 프라이버스 보안 언론의 자유 등은 모두 현실공간에서의 규칙이 아니라 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규칙인 것이다. 이처럼 미국의 정보화 비전은 사실은 사이버스페이스를 구 축하고,, 사이버스페이스를 작동하게 하고 세계적 범위로 확장된 사이버스페이스에서 미국의 리더십을 확립하겠다는 것이다. 여기에 정보사회의 핵심적 본질이 바로 사이버스페이스라는 것이 드러난다. 이처럼 사이버스페이스를 본질로 하는 정보사회라면 정보화정책의 핵심은 지극히 간단하게 규정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사이버스페이스에로의 이주정책移住政策 이야말로 정보화정책 이라는 것이다., 현실공간에서 일어나는 일을 사이버스페이스로 옮기는 것 현실에서는 없었 던 일을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창조하는 것,, 이러한 사이버스페이스를 건설하는 것 이것이 바 로 정보화 정책인 것이다. 정보사회가 사이버스페이스사회이고, 정보화가 사이버스페이스라는 하나의 사회공간을 건설 하고 그러한 공간으로 이주하는 것이라면, 정보사회에 대한 담론이나 정보화정책은 전혀 다 른 의미를 가지게 된다. 우선 정보화란 산업의 정보화와 같이 자연공간에서의 산업의 효율 성이나 생산성의 문제가 아니라,. 새로운 공간으로 산업을 이주시키는 것이다 또한 정보의 산업화와 같이 특정한 새로운 산업이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공간을 건설하는 산업 이 발생한다. 고용구조에 있어서의 변화도 사이버스페이스에 거주하는 사람과 자연공간에 남아 있는 사람의 문제이다. 통제위기의 문제나 감시사회의 문제는 사이버스페이스사회가 과연 어떤 질서와 어떤 성격을 가지게 될 것인가 하는 문제인 것이다. 다른 한편 새로운 문 제들이 제기된다.,,,, 사이버스페이스와 자연공간의 관계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권력 질서 법 윤리 등의 문제이다.

-62- 나아가 전혀 새로운 하나의 사회공간이 등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에 자연공간에서 모든 사회적 범주들이 전부다 새로운 규정,. 새로운 창조의 대상이 된다 미국의 정책보고서에서 재창조(reinvent) 의 개념이 계속 등장하는 것도 , NPR 이 National Performance Review 에서 National Partnership for Reinventing Government로 변경한 것도 이런 이념의 변화가 있었 기 때문이다.

나. 사이버스페이스의 개념

사이버스페이스에는 여러 가지 정의가 가능하다.‘ 가장 평범하게 세계의 모든 지역 , 누구와 도디지털화된것이라면모든종류의국경없는교류를가능하게하는공간이라고할수있’ 다.9) 사이버스페이스가 네트워크사회에서 발전된 것을 감안한다면‘ 컴퓨터를 매개로 한 커 뮤니케이션 공간(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space)’ 이라고 할 수 있다 . 구체적으로 는PC 통신과 인터넷으로 대표될 수 있고 , 최근 들어 거의 모든 PC 통신이 인터넷으로 통합 되고있기때문에사이버스페이스는결국인터넷에의하여대표된다고할수있다실제로. 사이버스페이스를 하나의 공간으로 인식 할 수 있도록 한 것은 하나의 공간으로 눈에 보이 게(可視性 ) 한 인터넷이 결정적 이다 . 인터넷이야말로 네트워크의 개념에서 공간 (space) 의 개념으로 발전된 계기가 된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네트워크를 본질로 하는 것이므로 인터넷 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계금융체제를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역시 사이버스페이 스에 포함된다고 해야 할 것이다. 가상대학이라고 소개되는 것도 대학을 포함하는 새로운 사이버스페이스로 보아야 할 것이다.10)

9) 전자신문 1996.9.22 10)사이버스페이스의 개념은 지금의 대학이라는 실제 물리적 공간과 비교해 보자. 지금의 대학은 학생들이 대학교에 지식을 찾아서 몰려든 장소의 개념이다., 그리고 졸업장과 학위를 수여한 다.,, 졸업생은 졸업장 성적증명서 학위증 등으로 대학에서 공부한 것을 증명하고 다른 사람들 도 그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정보화가 진전되면서 이제는 학생들이 지식을 찾아 몰려드는 것 이 아니라,.18-22 지식이 온라인 통신망을 타고서 학생을 찾아간다 학생들도 세 세의 일정 연 령이 아니라 누구라도 가능하며 평생교육 및 학습의 가상의 공간이 된다. 구태여 성적증명서 학위증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교과목 코스를 이수하고 공부한 성과물이나 업적을 축적해서 그것을 증거로 삼거나 온라인 상으로 요구자에게 자신의 능력을 직접 보여주는 방법이 나오 게 될 것이다., 이것은 기존의 대학이라는 물리적 공간과 물리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을 전산 화한 상대적 정보공간(dual information space) 의 범위를 넘어서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이들을 모두 조합하면서 새로운 관습(custom) 이 생겨나는 것을 보여준다 . 참고문헌: Noam, Eli M.,〃 Electronics and Dim Future of the University, Science, vol.270. October 13.1995 98. 247-249 Ives, Blake & Sirka L. Jarvenpaa,〃 Will The internet Revolutionize Business Education and Research?〃 , Sloan Management Review, Spring 1996.

-63- 사이버스페이스는「 전세계적인 정보처리 시스템에 담겨있는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공간상 에 가시화시켜 놓은 것이다.,(multiple 이 공간은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서 유지되며 다자간 user)의완벽한공존과상호작용을가능하게해주며인간의모든감각기관감을통해입 , (5 ) 력과 출력을 가능하게 해준다. 현실 또는 가상현실에 대한 시뮬레이션도 가능하게 하고 원 력자료 수집 및 통제도 허용한다.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지적 생산물과 환경과도 아무 거리낌없이상호는교신을할수있고또통합도가능하다,」11) 사이버스페이스는 전자공간,, 전자정보공간 가상공간 등 여러 가지 이름이 있다 . 사이버스페 이스가 하나의 공간(space) 으로서 규정되게 된 것은 앞에서 본대로 인터넷에 의한 가시적 성격을 가지의 된 것 때문이지만,. 여기에 더하여 다른 두 가지 요소가 있다 하나는 멀티미 디어의 발전에 의하여 텍스트만이 아니라 음성, 동화상 등이 디지털화하여 전달될 수 있게 됨으로써 실제로 공간적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사회경제적인 여러 가지 행위,, 거래 관계들이 컴퓨터네트워크에서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 사회경제적인 관 계들이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이야 말로 바로 사이버스페이스가 단순히 기술적 차원을 넘어 정치,, 경제 사회적인 공간으로서 의의를 가지게 된 이유이다 .

다. 사이버스페이스의 성격

사이버스페이스는 현실의 자연공간과는 전혀 다른 공간이다. 우선 가장 기본적인 차이로 현 실의 자연공간은 아날로그 공간이지만 사이버스페이스는 디지털 공간이다. 디지털화하는 것 이야말로 사이버스페이스에 유통되기 위한 조건이다. 그 외에도 사이버스페이스는 자연공간 과는 다른 여러 가지 성격이 있다.. 이러한 성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1) 하원규 등 저:, 전자공간시대의 정보통신 정책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64- 1)사이버스페이스는 디지털 세계이다 . ㆍ사이버스페이스는 디지털화된 정보가 생성,, 전송 이용되는 공간이다 . ㆍ디지털화에 비용이 소요되나, 디지털화된 세계에서는 자연공간에 비하여 경제활동의 비용 이 감소한다. ㆍ디지털 세계에서는 분리독립된 개체는 소멸하고 개인적 아이덴티티는 항상적이지 않다. 인간은 물리적 존재() 아날로그 존재 로서 나타날 수 없기 때문이다 . ㆍ소유권,, 계약 권리와 의무 등 현실의 법이론체계가 갖는 전제들이 제약 , 변화된다 . ㆍ디지털 공간이기 때문에 물리적 폭력과 강제력은 가능하지 않다. 반면,,, 접속차단 코드 표준 정보제약 등에 의한 새로운 강제력이 유효하다 .

2)사이버스페이스는 시간 , 거리 , 방향 , 영토가 없는 전체공간이다 . ㆍ사람과 사고의 만남() 접속 에 시공간적 간격이 없다 . ㆍ국가의 배타적 경계선인 국경이 가능하지 않다(). 물리적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ㆍ전 세계가 하나의 공간으로 나타난다.. 개인도 기업도 바로 세계전체를 무대로 한다 ㆍ세계적 금융,. 다국적 생산체제가 본격화한다 ㆍ경제적으로 사업적으로 규모의 경제,. 범위의 경제에서 연결의 경제로 경제성이 변화한다 ㆍ인간의조직기관등이수평화하며고전적피라미드체계가해체된다,. ㆍ정보전달의 즉각적이다.. 과거 소수가 독점하던 정보가 용이하게 다수에게 전파된다 ㆍ사이버스페이스를 형성하는 어떤 요소를 규정(,,) 창조 적용 실현 하는 것은 바로 전세계 ( 전 체공간). 를 규정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사이버스페이스의 지배권은 본질적으로 세계적 지배 권이다.

3) 사이버스페이스는 고도로 연결되어 있지만 파편으로 흩어진 무수한 모나트의 세계이다. (highly connected yet deeply frgmented society).

-65- ㆍ현실의 자연공간에서는 거리가 존재하므로 나와 가까이 앉은 사람이 있으나 사이버스페이 스에는 거리가 없으므로 모든 사람과의 사이에 거리가 없다… 거리가 없다는 것은 가까이도 멀리도 있지 않으며,. 존재하지도 존재하지 않지도 않다는 것이다 ㆍ사이버스페이스에서 다른 모든 인간은 내가 인식함으로써 존재한다. ㆍ개인이 인식하는 범위는 포괄적 의미의 문해력(literacy) 에 의하여 규정된다 . ㆍ컴퓨터등정보기기,H/W,S/W 를다룰수있는능력 (ComputerLiteracy), 지식정보이해 능력(Knowledge Literacy) 은 자신의 사이버스페이스를 확장하는 일차적 요소이다 . ㆍㆍ언어는 곧 세계이다.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는 언어 문자에 관한 능력이 결정적인 변수이 다. 개인은 물론이고 국가의 차원에서는 국가의 언어권이 미치는 범위와 영향력에 의해 사 이버스페이스의 크기가 결정된다는 의미이다. ㆍ누가, 무엇이 어디에 있는가를 아는 것 즉 , Know-Where 에 관한 정보가 사이버스페이스 의 범위를 결정한다.

4)사이버스페이스의 사회체제적 범주들은 하나의 컨텐츠 ,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변화한다 . ㆍ모든 것이 디지털이므로 화폐이든 법률이든 디지털의 형태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ㆍ화폐이든 법률이든 정보로 이행한다. ㆍ사이버스페이스는 모든 것이 동등한 형태이다. 사회적 범주들도 마찬가지다 .,, 문자 음성 영상,,, 화폐 법률 권력 등이 모두다 동등한 디지털 형태라는 것이다 . ㆍ사회체제 적인 요소들,,, 하부구조 상부구조 이데올로기 ,, 정당성 가치 등 모든 것은 디지 털 형태를 취하거나 그것과의 관계로서 나타난다.

5)사이버스페이스에의 인간 ( 또는 조직 , 공동체 , 국가 ) 의 참여는 평등하지 않다 . ㆍ개개인은 지식정보능력,. 기타 능력에 따라서 사이버스페이스에 참여한다 ㆍ현실의 자연공간에는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아무런 조건 없이 소속하게 되지만, 사이버 스페이스는 인위적() 기술적 공간이므로 여기에 참여하는데는 인위적 조건들이 있다 .

-66- ㆍ국력,, 권력 자본은 여전히 사이버스페이스에 참여하고 영향력을 발휘하는데 중요한 요소 이다.(,,) 따라서 인간 조직 공동체 국가 을 자동적으로 평등하게 만들 수 없다 . ㆍ사이버스페이스의 불평등과 인위성 때문에 사이버스페이스의 헤게모니는 더욱 다양화하고 치열해진다. ㆍ모든 인간(, 조직 공동체 , 국가 ) 에게 보편적 혜택을 주기 위해서는 인위적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성격을 가진 사이버스페이스를 구축하고 이러한 또 하나의 사회공간으로 이주하 는 것이 정보화이다. 이렇게 정보사회를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로 규정할 때 정보화에 대한 가장 좋은 예는 사이버 서점‘ 아마존 (amazon)’ 이다 . ( 윈도우 95 라는 컴퓨터 운영 체제는 사이 버스페이스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들이 따라야 할 규칙이 되었다. 지금은 이러한 규칙을 마이 크로 소프트사가 독점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것은 과거 군사적 강대국의 영향력과 유 사하다고할수있다이것은사이버스페이스에숨겨진큰문제점이다..)

‘’아마존 은 사이버스페이스에 존재하는 서점이다 . 현실공간에는 서점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 이서점의내용의수백만권에대한책의데이터베이스와그것을검색할수있는인터넷 홈페이지 그리고 주문과 신용카드에 의한 대금결재의 과정이다. 그 주문 받는 책을 어떻게 수집하여 주문자에게 배달시키는가 하는 것은 부수적인 일이다. 이 아마존이라는 서점에서 는 현실공간에서의 서점- 진열된 책 ,,, 매장 점원 서점공간 , 손님의 왕래 - 의 요소들은 완전히 부수적이거나 아예 없다. 아마존이라는 서점과 현실공간의 서점은 정확히 반대의 모습을 하 고 있다. 아마존에서는 현실공간의 서점에서 본질적인 요소는 전혀 본질적인 것이 아니며 부수적이거나 아예 존재하지도 않는다.- 반대로 현실공간에서 일어나는 일 주문 받은 책을 수집하여 주문자에게 배달하는 일- 은 전혀 본질적인 것이 아니며 그야말로 부수적인 일이 다.(). 이와 같은 전도顚倒 가 바로 정보사회인 것이다 그리고 그 본질적 요소는 사이버스페 이스인 것이다.- 전자상거래는 경제적인 분야에서 바로 이러한 대전환 리얼스페이스에서 사 이버스페이스로-. 이 일어나는 과정을 만드는 것이다

-67- 그러나 사이버스페이스와 현실의 자연공간은 분리된 공간이 아니다., 다만 현실의 물리적 자 연공간에 종속되거나 쌍을 이룬 정보 공간(dual space) 으로 국한되지 않고 , 사이버스페이스 는 가상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자유롭게 형성된다. 두 개의 공간의 관계 적 구조에서 오 늘의 현실이 형성된다.. 이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그리고 오늘날 현실의 격변은 여기에서 야 기되는 것이다.

제4 절 자연공간과 시민정보사회

시티즌(citizen), 네티즌 (netizen), 사이버시티즌 (cybercitizen)

새로운 정보사회는 현실의 자연공간과 사이버스페이스라는 두 개의 사회공간으로 구성되는 사회이다. 더욱 정확히 말하면 사이버스페이스라는 인공적 두뇌 공간 (man-made-brain space)이라는 두뇌와 자연공간 (natural space) 이라는 몸으로 구성되는 사회이다 . 이러한 정보사회에서 인간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자연공간에서의 인간은 이제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인간이다.. 그것은 몸을 가진 개개인인 것이다 이에 대하여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인간은 하나의 기호이다.(ID),. 구체적으로는 아이디 전자메일의 주소와 같은 형태이다 사이 버스페이스에서의 인간은 육체가 아니라 하나의 관념,(). 추상 적인 주체主體 로 나타난다 근대사회 이후로 자연공간에서의 인간 개개인에 대하여 시민이라는 개념이 형성되어 왔다. 도시화와 산업화에 의하여 개개의 인간에 대하여 시티즌(citizen) 이라는 개념이 형성되어 왔 다.(netizen) 이에 대하여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인간 개개인의 시민은 네티즌 으로 불리워진 다. 이러한 두 개의 개념을 결합하여 사이버시티즌 (cybercitizen) 이라는 개념을 제기하는 경 우도 있다. 12) 얼마 지나지 않아서, 십년 이내에 지금의 인터넷 사용자들은 모두 사이버스페 이스의시민(Citizens of cyber-space) 이될것이다 . 13)

12) http://www.yankelovich.com 13) 사이버스페이스의 시민이란 무엇인가?, 예를 들어보자 지하철을 타고서 출퇴근하는 사람을 생 각해 보자. 그는 지하철의 기술적인 문제나 지하철 통제시스템이나 철로공사등 물리적이고 기 술적인 문제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 그가 사용하는 지하철은 기술적인 문제나 물리적인 구조를 떠나서 이미 생활의 한 영역이 되었다., 그가 관심있는 것은 오로지 몇시에 지하철이 오고 목 적지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가 하는 것이다.,TV, 이것은 우리생활의 전화 냉장고등도 마찬 가지이다. 이것을 우리는 탈매개화 현상(disintermediation) 이라고 부른다 . 인터넷의 접속과 사용이 지금의 지하철이나 전화처럼 탈매개화 된다면, 그때는 지금의 물리적 생활공간과는 다른 새로운 생활 공간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 공간에 생기고, 지금의 물리적 생활공간이 그것의 한 부분으로 포함될 것이다.“”, 우리는 이것을 사이버스페이스 라고 부르고 그곳의 생활시민들을 ‘ 사 이버시민’ 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Wakabayashi, 1997, 요약 ) Wakabayashi, Ippei,〃〃 From Internet User to Cyberspace Citizen, Educom Review July/August. 1997.

-68- 시티즌과 네티즌은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 자연공간에서 시티즌이 사이버스페이스로 이주하 여 네티즌이 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 정보화에 참여하는 것 사이버스페이스에 뛰어드는 사 람을 시민(netizen) 으로 표현하기보다는 오히려 세대나 직업과 연관시켜 표현하는 것이 낫 다. 14)얀켈로비치사가1995 년 6 월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온라인 네트워크의 사용자는 나이가 젊고 남성이며 교육수준이 높고 독신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 르면30 세 이하의 성인은 전체 인구의 26% 인데 비하여 네트워크 사용자의 경우 30 세 이하 의 성인이38% 를 차지함으로써 젊을수록 네트워크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성인 가운데 남성의 비율이48% 인데 비하여 네트워크 사용자 가운데 남성의 비율은 57%로 나타났다 . 전체성인의 19% 가 대학졸업의 학력을 가지고 있는데 비하여 네트워크 사 용자의33% 가 대학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다 . 전체성인 25% 가 독신자인데 대하여 네트워크사용자는39% 가 독신이었다 . 15)

14) 기술의 변화와 세대간의 차이를 가르는 경우가 많다.TV 예를 들면 태어났을 때부터 가 존재 하는 세대와,, 자라면서 어른이 되면서 TV 가 새로 등장한 세대간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 마 찬가지로 지금의 인터넷과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생활도 태어나면서 자연스럽게 경험하는 세 대,( 그것은 Don Tapscott 는 Net Generation 이라고 표현한다 . ) 와 새로운 기술환경을 흡수하는 세대간은 큰 차이가 있다. Tapscott 는 Net Generation 이 하나의 큰 세력 적인 변화의 힘을 형 성하고 있으며,,,, 기존의 세대 학부모 교사 기성 정치인은 그것을 이해하는데 주력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Tapscott, Don, Growing up Digital: The Rise of Net Generation, McGraw Hill, 1997. 15) http://www.yankelovich.com

-69- 한편 한국의 경우 한겨레신문1997 년 10 월 설문 조사에 따르며 인터넷의 주이용 층은 20 대 남자 대학() 원 생이며 대졸학력을 가진 20,30 대 대 직장인이다 .16) 우리 나라의 직종별 인터넷의 이용현황을 보면 전체는 인터넷 이용자 중에서32.53% 가 학 생이다. 그 다음이 컴퓨터관련 종사자가 24.46% 이다 . 그뒤로 현격하게 비율이 떨어져 제조 업종사자가7.84% 이며 , 서어비스업이 4.60% 이고 공무인 군인은 3.22% 교육관련종사자의 경 우도3.22% 이다 . 17) 이것은 인터넷, PC 통신 , 네트워크의 이용자가 시민 (citizen) 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는 것 을 말하는 것이며 오히려 세대,. 직업 등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사이버스페이스에의 참여는 증대될 것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인터넷 이용자수가 연평 균 약51% 씩 증가하고 있다고 하며 , 1997 년의 경우 250 만 명으로 추정하고 2002 년에는 1,900만 명에 이를 것이며 현재의 전화수요에 육박할 것으로 보고 있다 . 18) 한편1997 년 현재 세계 인터넷 이용자수를 보면 세계전체가 9,575 만 명으로 추정되고 그 중 미국이4,870 만 명으로서 전체의 50% 를 상회하고 있다 . 유럽이 2,732 만명 , 일본이 325 만 명 , 기타세계가845 만 명이다 . 세계인터넷 이용자수가 2000 년에는 약 2 억 명에 이를 것으로 본 다. 다른 조사기관에서는 가령 IDC 사의 경우 1997 년말 현재 벌써 인터넷 이용자수가 1 억 5 천만으로 추정하며2000 년에는 10 억 명에 이를 것으로 본다 . 이것은 전세계의 정보화가 사 실은 미국이 반을 차지하는 세계이고 미국과 유럽이80% 를 차지하는 세계인 것이다 . 세계 사이버스페이스의 반은 미국의 공간이고80% 가 미국과 유럽의 공간이라는 것이다 . 19) 이러한 사실들은 두 가지를 말하고 있다. 첫째,. 오늘날 정보화 그리고 사이버스페이스는 미국과 유럽의 공간이다 둘째,, 비록 오늘날 한국의 경우 그 이용자층이 학생 컴퓨터관련자에 국한되어 시민이 참여 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사이버스페이스가 우리사회의 지극히 작은 부분적인 공간이라는 것을 말하는 것도 아니고, 전망이 없는 공간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더더욱 잘못 이라는 것이다.

16) news.hani.co.kr/report/res.html 17) 매일경제신문 97.8.19 18) 정보통신부 홈페이지: 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인터넷 비즈니스 발전대책 19) European Information Technology Observatory 97. EITO, 1997

-70- 정반대로 오늘날은 사이버스페이스에 얼마나 참여하는가에 의하여 선진국과 후진국, 발전과 전락, 세계적 헤게모니와 주변부 사회인가를 좌우하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이것은 앞으로 전자상거래가 보편화하면 더욱 현저하게 드러날 것이다. 여기에 시민정보사회의 진정한 문 제가 있다., 시민이 보편적으로 사이버스페이스로 이주할 때 그리하여 사이버시티즌 (cybercitizen)이라고 할 수 있을 때에 진정한 정보사회가 가능한 것이다 . 사이버스페이스가 두뇌이고 자연공간이 몸이라면,. 우리의 경우 두뇌가 없는 인간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르게 말 하면 미국은 전세계의 몸을 지배하는 세계전체의 두뇌가 되고 있는 것이다. 바로 여기에 진 정한 시민정보사회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주제들은 앞으로 더욱 세밀하게 논의 될 것이다 이에 대하여 실제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는 자연공간에서의 시민을 중심에 두고 이와 관 련하여 정보사회를 논의하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정보사회와 관련하여 시민이 논의의 주제가 되는 것은 자연공간에서의 시민이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활동하는 것에 관한 것이었다.( 이것은 주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자연공 간에서의), 시민사회의 변화 그리고 그것이 민주주의의 발전에 대해 갖는 의미와 같은 것이 다.? 이것은 시민운동에서 정보기술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정보화에 따라 시민운동이 어 떻게 달라지는가 등의 문제들을 주제로 한다. 이에 대하여 전혀 다른 차원에서 시민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그것은 정보화에 있어서 일반 대중의 참여라는 문제이다. 정보화를 진척시키는 것은 소수가 아니라 다수의 대중이 정보화에 참여하는 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그리하여 시민정보 사회라고 할 때에는 이러 한 다수대중의 참여라는 문제의식이 제기되는 것이다., 이것은 위의 시민사회 시민운동 등의 문제의식과 직접 연관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염두에 두고 우선 자연공간에서의 시민을 전제로 하여 시민정보사회를 논의하기로 한다.-, 이것은 근대사회에서 형성된 시민 국가 시장과는 다른 측면을 형성하는 시민이며 이러한 시민이 정보사회의 등장에 따라 어떠한 위상에 있으며 어떻게 문제를 제기 하는가 하는 관점이다.

1. 시민사회 정보화로서의 시민정보사회

-71- 가. 근대 계몽사상가의 시민사회 개념과 새로운 정보사회의 관점

시민은 시민사회의 개념과 함께 논의되어 왔다. 시민사회의 개념은 근대사회 이후의 사회구 조를 분석하고 바람직한 사회상을 정립하는데 연관되어 있다. 시민사회의 개념은 역사적으 로 오랜 과정을 거쳐 변화되어 왔으며 나중에는 정반대의 개념에까지 이른다. 시민사회는 로크,, 흡스 루쏘 등의 이론에서부터 시작하여 최근의 하버마스에 이르기까지 다 양한 관점에서 논의되어 왔다. 원래 시민사회는 근대 계몽사상가들에 의하여 자연사회에 대 비되는 개념으로 성립하였다. 이것은 서구사상의 오랜 전통에 바탕을 깔았던 아리스토텔레 스에서까지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국가와 시민사회 시민사회와 정치사회 를 동일한 것으로 보았다. 이것이 근대초기의 계몽사상가들에게 그대로 연결되어 인간의 원 래 본성에 기초한 자연사회에 대하여 인간들이 인위적으로 만들어 놓은 정치사회를 대비한 것이었다. 이러한 패러다임을 그대로 연장하여 오늘에 적용한다면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자 연공간에 대하여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인간사회를 시민사회라고 재규정 할 수도 있을 것이 다. 사이버스페이스사회야 말로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공간이 아니라 인간이 인위적으로 창 조한 공간(man-made-space) 이고 인위적으로 창조한 사회이기 때문이다 . 근대계몽사상가들에 있어서 자연사회는 국가가 성립하기 이전에 자연적 개인들로 구성되는 사회이다. 로크는 이러한 자연사회에서 모든 사람들은 평등하게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 고 생각하였다. 사람은 생명 (lives), 자유 (liberties), 재산 (estates) 에 관한 권리를 갖고 있으 며,(property). 로크는이세가지를포괄하여소유 라고불렀다 이렇게 규정할 때,, 인간은 사회적으로 소유의 총체로 규정되며 한 마디로 말하면 인간은 소 유적 개인(possessive individual) 이다 . 이러한 소유적 개인들이 상호 동의하여 계약을 맺어 국가를 성립시킨다. 이렇게 국가가 성립하고 국가에 의하여 규정되는 사회가 시민사회 내지 문명사회인 것이다. 우리가 이러한 추론을 그대로 연장한다면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 대하여도 유용한 시사를 준다. 즉 근대이후에 자연공간에 기초를 두고서 성립한 국가와 시민사회와 마찬가지로 사이 버공간에 기초한 사회를 새로운 시민사회 내지 문명사회로 규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72- 그러나, 자연공간에서의 시민사회와 사이버 공간에서의 시민사회는 서로 다른 점이 많다. 자 연공간에서의 사회는 로크가 말한대로 소유적 개인이다. 이에 대하여 사이버공간에 기초한 사회는소유적개인이될수없다왜냐하면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인간은육체를가진존. 재가 아니고 하나의 기호이며,. 하나의 관계로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사이버스페이 스 사회에서는 개인은 소유적 존재가 아니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추상적 주체이며 그가 진정 누구인가에 의하여 규정되는 것이다. 사이버 스페이스 사회에서 개인이 누구인가 하는 것에 대한 내용은 여러 가지 정보로 규정된다. 물론 이러한 정보에서 그가 어떤 소유물을 가지고 있다는 것도 그 내용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그가 철학자라든가 컴퓨터 공학 자라든가 예술가라든가 하는 것보다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는 근대계몽사상가들이 찾았던 전혀 새로운 세계와 같이 사이버공간에서 네티즌 (netizen)이 전혀 새로운 세계를 규정하는 것이 된다 . 그리고 이러한 점은 앞으로 사이버스 페이스가 확장되고 자연공간에 대한 대체가 진행되면서 더욱 분명한 과제로 제기될 것이다.

나. 헤겔의 시민사회와 정보사회

헤겔(Hegel) 이 볼 때 , 계몽사상가들이 말하는 자연사회라는 것은 순전한 허구였다 . 개인은 사회를 떠나 또는 사회 이전에 독립하여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모든 존재물의 외관상 자존()自存 은 환상이다 . 존재물은 자존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와의 관계로서 존재하는 것이 다.. 그리하여진리는전체성에있다헤겔은이러한진리로서의전체를절대 ()絶對 라고불렀 다.(). 절대는 정신적精神的 이다 물질적인 것은 항상 변화하는 것이고 부분적인 것이기 때문 에 절대일 수 없기 때문이다.() 정신적인 절대야말로 일체를 포괄하고 자신의 외화外化 로서 일체를 산출한다. 사회란 국가라는 것도 이러한 절대정신과의 관계에서 규정되며 정신의 한 형태라는 것이다. 이러한 철학에서 헤켈은 사회를 시민사회와 국가로 구분하였다. 계몽사상가들이 자연이라고 하는것은헤겔이볼때사실은시민사회를의미하는것이었다여기서계몽사상가들의패. 러다임은 역전된다.. 동시에 시민사회는 정반대의 것을 의미하게 된다 즉 계몽사상가들에게 있어서 시민사회는 국가사회 내지 정치사회() 인위적 사회 를 의미하는데 비하여 헤겔에게 있어서 시민사회는 사회에서 국가가 아닌 영역-- 즉 경제적 영역 을 의미한 것이 된다 .

-73- 헤겔의 시민사회(bürgerlich Gesellschaft) 는 경제적 분야를 의미한다 . 즉 욕망과 노동과 재 산에 의하여 경제적 관계를 맺고 있는 개인들로 구성된 세계이다. 시민사회에서 각 개인들 은 욕구의 총체로서 사적 이익을 추구한다.‘ 시민사회란 본질적으로 주관적 욕구와 우연적 만 족의 영역’. 이다 그것은 결국 갖가지 대립과 무절제와 빈곤을 수반하는 참상과 윤리적 퇴폐 를 드러내게 된다.. 또한 시민사회에서 인간은 본질적으로 불평등한 존재이다 그들은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 결과 분배는 불평등하게 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시민사회는 독자적으로 존립할 수 없고 더 높은 단계에서 그것을 완성시키는‘’ 국가 를 필요로 한다.()(). 헤겔에게 있어서 국가는 인륜적人倫的 이념의 현실태 現實態 이다 헤겔이 국가를 찬양하고 국가주의자가 된 것은 이러한 패러다임에 기초하는 것이다. 우리는 헤겔의 관점에서 두 개의 공간-- 자연공간과 사이버공간 으로 이루어지는 정보사회를 논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버스페이스는 오히려 헤겔의 국가에 비유될 수 있다 그리고 자연공간에서의 사회를 시민사회로 비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연공간은 사이버스페이스에 의하여 지도되어야 하고 완성될 수 있는 것이 된다. 실제 현실도 그러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 현실에서의 모든 일들은 점차 사이버스페이스에 의하여 주도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사실은 선진국과 후진국의 차이이다 앞으로 자연공간 은 사이버스페이스의 식민지가 될 것이다. 이러한 점 역시 정보사회가 진척되면 더욱 분명 해질 것이다. 모든 중요한 결정들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이루어지고 자연공간에서는 그 결 과로서 모든 일들이 일어나게 될 것이다. 마치 아마존 서점과 같이 일체의 사회적 결정들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이루어지고 자연공간에서는 다만 책이 물리적으로 배달되는 일만 남게 되는 것과 같다. 나아가 앞으로 세계 모든 지역들에서 사이버스페이스에 참여가 적은 지역 들() 국가들 은 사실상 세계 사이버스페이스의 식민지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될 것이다.

다., 하버마스의 시민사회 공공영역과 정보사회

하버마스(J. Habermas) 는 < 공공영역의 구조변화 > 저서를 통해 시민사회와 공공영역에 대 하여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였다.‘’ 그는 근대사회를 국가의 공적권위영역 과 시민사회 및 공 공영역(public sphere) 로 이루어진 ‘ 사적 영역 ’ 으로 구분한다 .

-74- 여기에서 시민사회가 상품교환과 사회적 노동의 영역인 부르조아 소가족 공간을 의미한다 면, 공공영역은 초개인적으로 구조화된 사회적 개인간의 행위와 의사소통영역을 의미한다. 하버마스는 후기에 이러한 구분을 다시‘’ 체계와 생활세계 의 모델로 바꾼다 . 사회를 화폐를 매개로 하는 사적인 경제체계 및 공적인 행정체계로 구성되는‘’, 체계 와 사회화를 담당하는 사적영역 및 담론적 공론형성을 담당하는 공공영역으로 구성되는‘’ 생활세계 로 구조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근대화가 진행되면서 체제의 복잡성과 강제성의 증대 자본주의화와 관료제 화)‘’. 에 의해 생활세계가 위협당하는 현상을 생활세계의 식민화 로 개념화한다 이러한 하버마 스의 모델은 코헨과 아라토(Cohen & Arato) 에 의해서 3 분 모델로 재구성된다 . 즉 , 국가 ( 정 치ㆍ 행정체계)- 경제 ( 시장체계 )- 시민사회로 구성되는 것이다 . 우리는 이러한 명쾌한 모델로 하버마스의 시민사회를 논의하기로 한다. 하버마스의 시민사회 논의에서 문제의식으로 제기된 것은 공공영역(publicsphere) 의 개념이 다.() 공공영역은「 정부로부터 독립적이고 정부의 자금지원을 받기는 하지만 또한 당파적인 경제세력으로부터 자율성을 누리는 공론()公論 의 장으로서 , 합리적인 논쟁 - 이해관계에 결부 되지 않고‘’‘’ 위장 또는 조작 되지 않은 토론 - 에 일반 시민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으며 동 시에 그들에 의해 검열을 받는 영역이다. 여론이 형성되는 곳은 바로 이러한 공공영역에서 이다.」20) 하버마스는 헤겔 이래 독일의 전통에 기초하여 사회가 합리적 이성에 기초할 때 가장 바람 직하다는 가치관을 무의식적으로 가지고 있다.- 사회가 바람직하기 위해서는 합리적 토론 이 해관계에 의하여 왜곡되지 않는 토론-. 의 장이야말로 필수적인 것이다 여기에 하버마스의 문제의식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의식은 오늘날 한국에서도 광범하게 수입되어 시민사회에 관 한담론을지배하고있다이러한문제의식에설때시민사회의문제는바로이러한공공영. 역을 재건하는 문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공영역의 문제를 정보사회와 관련시켜보면 시민사회내 공론을 활성화시켜 민주화 를 진척시키는 것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여기에 기여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된다. 간 단히 생각하면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정보ㆍ 의사소통을 통한 시민사회의 민주화( 공 공영역의확대에기여할수있을것으로판단될수있다).

20) Robert C. Holub : Jürgen Habermas :Critic in the Public Sphere p.2-8 1991

-75-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통해 시민사회가 자율적인 공공영역으로 만들어져 가는 것은 민주화의 발전과 나아가 국가와 시장부분-- 사회의 다른 두 영역 의 지배력에 대한 강력한 규제력을 형성할 수 있고 나아가 사회전체의 발전을 견인해 낼수 있게 되는 것이다. 컴퓨터 매개 통신(CMC :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이 쇠퇴하는 공공영역에 대하여 용이 하게 의사소통을 증대시키고 매스콤과는 다른 올바른 공론을 형성하는 장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는 것이다. 그것은 다분히 독일적인 문제의식이다. 미국에서는 이와같은 문제의식으로 정보사회에 접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시민정보사회에 대하여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또 하나의 주제가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사이버스페이스는 공론의 장이 될 것이다 사이버스페 이스를 공론의 장으로서의 가능성을 논의하는 것은 사이버스페이스의 정치적인 차원, 정치 적 민주화의 차원으로 규정하는 것이 된다. 분명히 사이버스페이스의 이러한 가능성을 가지 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논의는 계속될 것이다

라. 시민사회에 기초한 시민정보사회에 관한 주제

현재의 상태에서 위의 시민사회를 전제로 할 때, 시민정보사회의 주요한 주제는 다음과 같 은것이될것이다. 첫째,,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공론 여론의 장을 형성하는 문제는 언론의 차원 , 사이버스페이스 에서의 언론의 문제가 있다. 이것은 다른 한편으로는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는 매스콤과 다르게 공론이 형성될 수 있는가, 새로운 공론은 어떠한 형식이 될 것이며 되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공론의 장을 형성하는 것은 한 걸음 더 나아가면 국가 정책의 결 정에 있어서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정책 공동체(policy community) 를 형성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된다. 이것은 오늘날 정책이 과거와는 달리 국민의 자발적 협력과 정책에 대한 지지 를 끌어내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부각된다. 문민정부에서의 개혁의 실패는 바로 이 러한 정책지지층을 형성하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정보사회에서 정책지지층을 형성하는 과정으로서 제반정책의 입안과정에 권한 있는 소수에 한정되지 않은 다수의 참여 가 중요한 문제가 되는 것이다., 즉 사이버스페이스가 이러한 참여와 지지와 협력에 어떠한 기능을 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76- 이것은 다른 한편에서는 민관합동의 문제이다. 미국의 경우 정보화정책은 민관합동으로 이 상적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 일방적인 국가주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민간의 지지 협력이 없는 상태에서 충분한 효과를 거두었다고 할 없다. 셋째,, 정보화 그리고 사이버스페이스가 시민운동에 어떠한 기능을 하는가 정보기술이 시민 운동의 발전에 기여하며 시민운동단체가 정보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는가, 반대로 사이버스페이스사회에서는 시민운동이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가 있 다.

2.사회적 연대 (Social Solidarity) 로서의 시민정보사회

실천적 현실에서 시민정보사회의 주제가 제기되는 것은 사이버스페이스() 내지 정보화 에 대 한 시민의 참여의 문제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사이버스페이스에 참여할 때 대중이 정보화 할 때). 야 말로 정보화의 성과가 드러나는 것이다 그리하여 시민의 참여는 정보화의 성패를 결정하는 것이다. 오늘날 미국이 전세계 정보화를 리드 하는 것은 단적으로 세계 인터넷 인 구의50% 를 차지한다는 사실에 기초하는 것이다 . 이런 점에서 보면 정보화 정책은 다수 시민-- 여기에서는 시민과 민간이 같은 의미 가 된다 의 참여와 협력, 정부와 시민이 합동으로 정보화를 추진하는 것을 기조로 해야 한다는 것이 다.. 이 점이 산업사회에서 경제개발정책과 다른 점이다 산업사회에서의 경제개발정책은 한 국에서의 예와 같이 정부가 몇몇 거대기업을 육성하는 것으로 대단한 성과를 올릴 수 있었 다.. 그러나 정보화는 이와 다르다 이런 점에서 시민정보사회의 문제는 바로 시민 (, 즉 민간 국민). 참여의 문제이다 미국의 경우 정보화가 정부주도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정부는 역할에 있어서도 항상 민 간의 협력을 전제로 하고,,, 또한 정보화의 방향도 항상 시민 민간 모든 미국 국민의 참여를 지향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미국의 정보화정책의 모든 면에서 나타난다 가령 전 자정부에 관한 미국의 시각의 발전을 살펴보기로 하자. 전자정부에 관한 최초의 보고서(Reengineering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는 정보기 술이 정부조직을Reengineering 한다는 관점에 서 있다 . 그것은 과거의 시스템과 기능을 자 동화(automate)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재창조 (reinvention) 하는 것이다 .

-77- 이에 대해 미국 부통령 앨 고어는‘Access America’ 서문에서 1993 년 당시의 정보화의 관점 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21)

「The idea of reengineering through technology is critical. We didn't want toautomate the old, worn processes of government. Information technology (IT) was and is the great enabler for reinvention. It allows us to rethink, in fundamental ways, how people work and we serve customers.」

3년이 지난 후 1996 년 Access America 를 계획함에 있어서는 초기계획의 대성공과 기술의 드라마틱한 발전이라는 두 가지 이유로 더욱 대담한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더욱 대담한 계획을 세우는데 영향을 미친 기술적 발전의 가장 큰 변화는 인터넷의 폭발적 인 사용과 가능성의 증대를 들었다. (The biggest change of all is the explosive use and capacity of Internet).그것은 Reengineering 의 개념을 넘어 모든 미국인들에게 향상된 정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에서ACCESS America 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 (This Report named′′ ACCESS America because it calls for service improvements that will affect all America)엘 고어는 다음 세기의 미국의 비전을 이렇게 제시하고 있다 .

「Taken together, the recommendations here paint a picture of the kind of government we should have as we begin the next century. It will be a government where all Americans have the opportunity to get services electronically and where, aided by technology, the productivity of government operations will be soaring.」

미국정부가 설정하고 있는 새로운 정보사회의 비전은 모든 미국 국민들이 어디에 있건 전자 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한다는 것이다.( 미국정부가 전자공간 사이버스페 이스) 에서 완전하게 이루어져 모든 국민이 항상적으로 access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21) http://www.gits.fed.gov/htm/intro.htm

-78- 이것은 다른 말로 하면 모든 국민을 전자공간() 사이버스페이스 에 참여시킨다는 것이며 ( 그렇 지 않으면access 라고 할 수 없다 . ) 미국을 사이버스페이스사회로 만든다는 것이다 . 이것이 Reengineering과 ACCESS 의 차이이다 . 이러한 면에서 미국의 실용주의는 잘 나타난다. 미국은 정보화정책에서 묵시적인 세 개의 지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나는 사이버스페이스를 앞서서 구축해 나감으로써 전 세계 사이버스페이스의 헤게모니를 장악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헤게모니는 미국의 관점에서는 리 더십(leadership) 으로 표현된다 . ( 보고서 A Nation of Opportunity 에서 World Leadership 을 유지하는 것을 주요한 목표로 한다.) 둘째 , 시민 내지 전국민을 사이버스페이스로 이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것은 정부의 관점에서는 전국민에 대한 전자서비스를 지향하는 것으로 표현된다., 셋째 민간과의 협력 , 오히려 민간주도를 지향한다는 것이다 . 그리하여 정보화의 정책에 있어서 민간이 이니시어티브를 가지고 정부의 부처가 한 구성원으로 참여하는 경우 도많다그예로사이버맨해튼프로젝트. (Cyber Manhttan Project) 를들수있다 . 이 프로젝트는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 핵무기로 비유될 수 있는 보안 암호(security) 에 관 한 국가적인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사이버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국가정보인프라와 미 국 기업의 사이버 환경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프로젝트의 수행기관은 산업계,, 학계 정부 등이 통합되고 있으며 정부는 연방수사국 (FBI) 법무성 국방성 정보부 (CIA)에너지성 국방정보국 등 여러기관이 IPTF(Infrastructure Protection Task Force) 를 구성하여 참여한다.. 그렇지만 정부는 어떠한 권한이나 권력도 행사하지 않는다 이러한 점을 계획서에서는 정부의 참여(Government Participation) 와 정부의 권리포기선언 (IPTF Disclaimer)에서 밝히고 있다 .

「IPTF는 프로젝트 경영팀에 대한 참가고문으로 활동하고 정부와의 관계를 조율한다. … 이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 경영팀과 정부간에는 어떠한 계약관계나 이권등을 설정하거나 암시 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IPTF 의 역할은 집행규칙 13010 에 열거된 활동기능에 국한된다 .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다른 참여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상업적인 제품이 나서비스에대하여IPTF 가승인하는것을의미하는것은아니다 . …」

-79- 이처럼 미국의 정보화 정책과 민과 관의 연대가 당연하고 그 연대를 위한 관행과 문화와 기 법들이 창조되어 왔다. 바로 이러한 점이 미국의 정보화가 다른 나라보다 성과를 발휘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이유이다. 이상과 같이 미국의 정보화를 관통하고 있는 정신은 시민 그리고 국민의 참여와 국민에 대 한 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정부의 정책방향, 민과 관이 함께 참여하고 나아가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촉매가 되는 민간 연대의 풍토,. 전 사회분야의 연대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것이야말로 정보사회의 한 성격을 보여주는 것으로 시민/ 민간의 참여와 주도가 없으면 결 코 정보화는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민간의 연대로서의 시민정 보사회의 의미가 있다.. 시민정보사회란 바로 민간의 연대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3.제 3 섹터 (The Third Sector) 로서의 시민정보사회

가.3 리프킨의 제 섹터와 시민사회의 경제적 성격

하버마스의 이론적 논의의 귀착점은 시민사회의 논의는 국가()() 정치행정체계 경제 시장체계 그리고 시민사회로 구분되고,. 이러한 삼분법으로 구성되는 사회모델이다 이러한 이론적 모델에서 내려지는 결론과는 무관하게 미국에서는 국가나 시장과는 다른 제3 섹터가 미국사회의 형성ㆍ 유지와 정보화에 있어서도 중대한 시사를 주고 있다.3 여기서 제 섹터라는 것은 비영리법인,, 자선 자원봉사활동 , 사회운동 ㆍ 시민운동을 포함하는 모든 비영 리적 활동에 종사하는 사람들과 분야를 의미한다.GNP 미국에서는 의 구성에서 정부부문이 14%,기업부문이 80%, 제 3 섹터가 6% 를 차지한다 . 또한 제 3 섹터는 총고용의 9% 를 차지한 다.9% 완전히 고용된 인구가 이지만 직업을 가지고 비영리적 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고 려한다면제섹터는위고용비중만으로평가할수는없다3. 이것은 정보화의 장기적 전망-- 노동의 문제 과도 연계되어 시민정보사회의 중요한 주제를 제기한다. 하버마스가 시민사회에 대하여 공론의 장을 주요한 문제로 제기하였다면,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kin) 은 그의 저서<> The End of Work 에서 동일하게 사회를 국가 , 시 장,3 제 섹터로 3 분하면서도 제 3 섹터의 본질적 성격을 비영리적 활동 , 비영리적 조직으로 규 정한다.

-80- 시민사회가 경제() 시장체계 와 다른 성격이 있다면 그것은 분명히 비영리적 활동과 조직을 의미하는 것이다.. 바로 이 점이야말로 시민사회의 본질적 성격인 것이다 제레미 리프킨은 이러한 제3. 섹터를 시민사회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리프킨에게는 시민사회보다는 국가도 시 장도 아닌 비영리적 부문이야말로 사회적으로 중요하다. 우리가 말하는 시민운동의 영역도 이러한 관점에서는 제3.3 섹터에 해당한다 그리하여 제 섹터에 관한 논의도 시민정보사회의 문제로 설정한다. 독일을 중심으로 한 시민사회의 논의가 시민의 정치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면 제3 섹 터에 관한 논의는 시민의 경제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고 할 것이다.( 국가 정치행정체 계), 경제 ( 시장체계 ) 와 구별되는 시민사회란 바로 비영리적 법인이나 비영리적 활동을 의미 하기 때문이다.

나.3 노동의 종언과 제 섹터의 문제

이러한 제3, 섹터는 그것이 비시장의 영역 시장을 넘어선 영역이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중요 하다.3 또한 제 섹터는 시장에서는 불가능한 고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 정보사회의 중요한 하나의 결과는 흔히‘ 노동의 종말 ’‘ 노동자 없는 사회 ’ 라고 말해진다 . 1950 년대에 미국은 전체노동력의33% 가 제조부문에 고용되어 있었다 . 이 수치는 1960 년대에 30%로 , 1980 년대에는 20% 떨어졌으며 1990 년대에는 17% 미만에 이른다 . 드락카는 2000 년대 초기에는 제조부문의 고용이12% 이하로 떨어질 것이라 추정한다 . 전 (前 ) 국제기계협회 회장 이었던 윈피싱어(William Winpisinger) 는 향후 30 년 이내에 세계 전체 수요에 필요한 모든 재화를생산하는데있어서현세계노동력의단지2% 만필요하게될것이라고했다 . 22) 이러한 노동의 전망에 대하여 의견을 달리할 수 있으나 전세계적인 현상으로서 만연되고 있 는 실업문제를 단기적으로 해결한다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높은 고용을 자랑하는 미국의 장래도 언제까지 밝은 기조를 유지하리라 기대할 수 없다는 예측이 오히려 우세하다. 그렇 다면 정보사회에 있어서는 노동과 고용에 있어서도 오히려 전혀 다른 패러다임에 입각하지 않으면 안된다.

22) 제레미 리프킨:‘ 노동의 종말 ’ 이영호 역 , 민음사 간 p27

-81- 완전고용이나 높은 고용을 목표로 한다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문명의 문제를 제기한다.( 노동이 사라진다면 시장이 상당한 비율의 인구에게 직업과 소득을 제공 할 수 없다면). 그것은 우리의 문명을 바꾸게 될 것이다 프랑스의 철학자 장 오니뮈스는 고 대 그리이스에서는 생산보다 문화ㆍ 예술이 중시되던 사회였다고 한다. 미래의 문명도 이와 같이 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 장 오니뮈스 저 ‘ 노동이 사라지면 ’ 중앙일보 1997.9.25) 프랑스 의 비비안 포레스테(Vivian Foreste) 는 국가가 고용을 창출한다는 공약은 허구라고 주장하 며 노동이 소멸되는 시대에 대비해야 한다고 한다. 23) 정보사회와 노동의 종말이라는 문제에 대하여 제레미 리프킨이 제시한 새로운 대안이 제3 섹 터의 강화이다. 갤럽 (Gallup) 의 여론조사에 의하면 이미 미국에서는 서비스 제공이나 이념 실천을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조직이140 만 개 이상 있다 . 미국의 재무성은 비영리조직을 ‘ 순 수익의어떠한부분도개별주주나개인의이익으로귀속되지않는조직으로정의한다이것’. 은 비영리조직이란 바로 이윤이 배당되지 않는 조직이라는 의미이다.3 그러나 이러한 제 섹 터는 실업자와 앞으로 많아질 파트타임 근로자들을 비롯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고용을 창출 할 수 있는 분야이다.() 이것은 시장에서는 생산되지 않는 이윤성이 없기 때문에 서비스와 재화의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3 이러한 점에서 제 섹터의 문제는 정보사회에서의 새로운 경 제구조를 형성하게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3 그리하여 제 섹터적인 패러다임을 시민정보사 회의한측면이될수있다.

제5 절 사이버스페이스와 시민정보사회

앞에서 자연공간(/) 근대사회 산업사회 에 기초를 둔 시민과 시민정보사회를 논의하였다 . 그런 데 정보사회는 앞에서 정의한 대로 또 하나의 공간, 사이버스페이스가 등장한 것이 그 본질 적 성격이다. 그리하여 사이버스페이스를 전제로 하는 시민정보사회를 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사이버스페이스를 전제로 하면 앞에서 본 국가(),() 정치행정체계 경제 시장체계 에 대한 시민 사회의 규정은 그 의미를 상실한다.

23)Vivian Foreste 저 경제적 공포 , 김주경 역 , 동문선

-82-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기존의 국가,. 기존의 시장은 의미가 없다 동시에 시민이나 시민사회 도 이러한 것과 관련하여 규정될 수 없다. 그렇다면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시민이란 무엇인 가?. 여기에는 세 가지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이것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의 시민 -Cybercitizen이라고할수도있을것이다 . - 을정의하는것이다 . 첫째,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시민은 단순한 네티즌과 구별하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그것 은 네티즌의 개념이 단순히 사이버스페이스에 이주() 참여 한 사람이라는 의미라면 , 시민 (cybercitizen)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사회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도덕성 , 사회성을 가진 사람 이라는 의미이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 다른 사람과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필요 하고 요구되는 어떠한 도덕성 내지 윤리성을 가진 인간이며, 더 나아가 사회적 관계에 필요 한 어떤 정신적 요소를 가진 인간이 사이버시민이 라는 것이다. 이것은 자연공간에서 단순 한 개인과 시민의 구별과 같은 의미이다. 이러한 점에서 시민정보사회에 관한 논의는 사이 버스페이스에서 공동체를 형성하는 문제이기도 하고 정보사회에서 도덕,, 윤리 법의 문제이 기도 하다. 둘째, 비판적 이상주의로서의 시민정보사회와 시민 앞에서 본대로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시민을 규정하는 것은 동시에 정보사회를 규정하는 것이 다., 이렇게 볼 때 시민정보사회에 대한 관점은 현실 () 자연공간 에 대한 비판과 그에 기초한 이상주의로서의 정보사회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가치관을 개입시키지 않고 정보사회가 어떻 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나 예측은 성립하지 않는다. 가치관을 개입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것 은 사실은 기존의 가치관-. 가령 사이버스페이스에서도 자본주의는 당연하다 물질주의는 당 연하다-. 을 무의식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가 가치관을 먼저 논의하는 것은 당연하며 이렇게 가치관과 관련하여 시민과 정보사회를 논의할 때, 당연히 그 가치관 을 기준으로 비판과 이상주의가 개입된다. 현실에 대한 비판과 그것의 해결을 위한 가치관 으로서의 이상주의가 시민과 시민정보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이 된다. 이러한 비판적 이상주 의는 현실() 자연공간 과 사이버스페이스의 관계에서 시민정보사회를 보는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바람직한 정보사회 비전으로서의 시민정보사회와 시민

-83- 정보사회에 관한 대부분의 논의는 현재의 사회구조에 단지 고도의 정보통신기술이 결합된 형태의 미래상을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많은 학문적 논의에서는 대체로 사회과학적 상상 력이 부족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나 정보사회에 대한 논의는 항상 사회과학적 상상력이야 말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사이버스페이스에 대한 통찰 자체도 사회과학자의 저서가 아니 라 소설가의 소설에서 나왔다. 그리고 그 통찰은 인간이 달에 가게될 것이라는 쥴 베르너의 통찰과 같이 현실화되고 있다.( 앞에서 이전에 가령 인터넷이 등장하기 이전에 ) 저술된 것이지 만 지금까지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 지금도 그 이론들 속에 있는 것 은 그들의 사회과학적 상상력과 통찰력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시민정보사회에 관한 규정도 사회적 혁신이 부재 한 기술혁명, 기술혁신이 가져오는 사회적 변화의 차원을 넘어 보다 바람직한 사회에 대한 통찰이야말로 주요한 과제인 것이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시민과 시민정보사회에 관한 논 의는 바로 이러한 보다 바람직한 사회,21 세기 비전으로서 정보사회에 관한 논의인 것이다 . 이하 이러한 시민정보사회론을 논의한다.

1.사이버공동체 (Cyber Community) 로서의 시민정보사회

가. 사이버공동체의 경우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시민과 시민정보사회를 논의하는 것은 그 전제로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공동체() 사회 가 형성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달려 있다 . 만일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공동체 가 형성될 수 없다면 우리는 정보사회에 대하여 자연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단순한 기술로 논의해야 할 것이다. 사이버스페이스가 또 하나의 새로운 사회적 공간이라고 한다면 이 새 로운 공간에서 사람들의 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되며, 그러한 공동체 와 인간() 사이버시민 은 어떻게 규정되는가 하는 것이다 . 영어로Community 는우리말로공동체로도지역사회로도될수있다이것은산업혁명이전 . 의 전통사회에서는 마을단위의 지역사회가 바로 공동체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의 공동 체() 지역사회 는 산업사회 등장 이후 도시화와 산업노동의 보편화에 따라 계속 쇠퇴되어 왔 다.

-84- 또 다른 한편에서는 국민국가의 강화에 의하여 마을공동체가 쇠퇴해 왔다. 이렇게 공동체가 쇠퇴하면서 자연공간을 중심에 두지 않고 시간적인 공유( 한때의 시간을 같은 공간에서 함께 보냈다는 것) 에 의한 인간적 유대가 형성되어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또한 근대 사회의현실이다지연학연혈연등과같은것이그것이다실제우리사회는이러한지연.,, . , 학연,. 혈연에 의한 유대가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컴퓨터를 매개로한 커뮤니케이션(CMC) 에 기초한 사이버스페이스에서 만나는 사 람들에 의하여 새로운 유형의 공동체가 형성될수 있는가 하는 것이 한 주제이다. 전자공간 에서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토론을 통해 형성하는 인간적 관계망에서 비롯된 사회적 집합 체가바로이런공동체라고할수있다. (Rheingold 1993). 자연공간에서는서로떨어져있 는 사람들을 연합시키는 인간의 공동체가 가능한가 하는 것은 앞에서 본 시민사회적 관점에 서도 중대한 것이다. 일단 공동체를 형성한다면 그것은 공론의 장으로서도 성공적일 수 있 기 때문이다. 현재 이와 관련하여 연구될 수 있는 분야는PC 통신업체나 시민운동의 차원에서 만들어진 통신공간에 모인 네티즌들이 하나의 공동체적 의식이나 행동을 보여줄 수 있는가 하는 문제 로 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차원은 지역정보화 내지 지역사회 정보망에 기초하여 모인 네 티즌들이 그 지역을 기반으로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는가 즉, 공동체적 의식과 행동 을 보여주고 있는가 하는 문제가 된다.

나. 가상공동체 (Virtual Community) 의 경우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은 실제로는 두 가지 차원의 문제이 다. 하나는 자연공간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이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만남을 통하여 공동체 를 형성할 수 있는가 하는 것으로서 바로 앞에서 말한 경우이다. 이와는 달리 다른 하나의 경우에는 완전히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가상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경우이다. 이것은 현실의 세계가 아니라 가상의 세계에서 만드는 가상의 공동체를 말한다.web 게임의 세계가 바로 그런 것이다.web 게임에서는 가상의 시나리오에 따라 참여자들이 가상의 공동체를 형성한 다. 그 공동체는 국가일 수도 있고 국가와 국가가 가상의 전쟁을 벌이는 지구가 무대일 수 도 있고,. 여러 가지 방식으로 살아가는 하나의 가상사회를 만들 수도 있다

-85- 우리는 이런web 게임에서 형성되는 그야 말로 가상의 공동체를 가상공동체 (Virtaual Community)라고 부르며 이를 사이버공동체와 구별하기로 한다 . 가상공동체에서는 게임 시 나리오에 따라 달라지지만 가상의 정부와 가상의 경제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나의 가상사회 가 형성된다. 가상공동체와 앞에서 말한 사이버공동체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보이나, 사이버스페이스 세계에서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오히려 가상공동체에서 회원간의 교류는 더원활하게이루어진다고해야할것이다가령국가를건설하고동맹을체결하고전쟁을. 벌이는 가상공동체에 참여한 네티즌은 가상공동체에서 게임을 벌이는 동안 적이나 동지로서 게임을 통하여 친숙해 질 수 있다. 그리하여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은 오히려 가상공동체가 더욱 쉽다고 할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그 목적이 엔터테인먼트에 있기 때문에 현실성이 완전히 결여되어 있다. 이에 비하여 사이버공동체는 대체로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고 이용하는 것에서 출반하기 때문에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보다는 정보를 이 용하는 것으로 끝나고 상호간의 교류나 유대감은2. 차적인 것으로 되기 쉽다

게임으로서의 가상공동체는 단순히 오락에 불과할 뿐이라고 상정하고 사회적 의미는 없다고 규정하는 것은 속단일 수도 있다. 실제로 시민들이 사이버스페이스를 통하여 공동체를 형성 하는 노력의 경우에는 가상성(Virtuality) 은 스며들게 마련이다 . 우선 공동체의 구성원은 익명성에서 출발하고 그 아이덴티티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규정되 는 것이며 그에 따라 관념적이고 추상적이다. 이러한 점에서 오락을 통한 가상공동체와 본 질적으로 다른 것은 아니다. 다른 한편 가상공동체 (Virtual Community) 의 경우에는 게임을 통하여 참가자간에 유대가 깊어질 뿐만 아니라 굳이 가상세계와 현실세계의 구별이 크게 중 요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인식된 세계상을 가지는 것이며 가상공동체 역 시 하나의 인식된 세계관이다. 앞으로 사이버스페이스 사회가 진척되면 가상과 현실을 완전 히 구별하는 것보다 가상과 현실을 어떻게 종합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중심적 문제로 될 것 이다.() 사이버스페이스 이전의 사회 자연공간의 사회 에서도 모든 사람들의 인식은 완전히 객 관적현실에기반에기반하고있는것은아니다. 시민정보사회를 형성하는데 있어서도 공유하는 가상적인 요소가 네티즌의 공동체 적 유대감 형성하는데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하나의 요소가 될 것이다.

-86- 어떠한 요소의 가상세계를 공유하는 사회를 만들 것인가가 실제로는 미래 정보사회에서 주 요한 이슈가 될 것이다.. 이것은 동시에 현실세계가 점차 가상화하는 것과 맞물려 있다 이런 점에서 가상공동체(Virtual Community) 역시 시민정보사회의 중요한 주제가 될 것이다 . 이 것은 동시에 문명의 문제가 되기도 한다.

2. 비판적 이상주의로서의 시민정보사회

()자연공간에서의 시민의 관점에 설 때 , 정보사회에 대한 비판적 관점은 주요한 측면을 구 성한다.. 시민은 국가나 자본에 대한 개념이다 그렇다면 국가나 자본에 의하여 추동되고 시 민이 배제되는 정보사회에 대해서 비판적 관점에 성립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것은 한 편에 있어서는 가치지향의 문제를 제기한다.? 무엇을 위한 정보화인가 바람직한 정보사회란 무엇인가 하는 주제야 말로 시민적 주체의 관점에서 제기되는 문제인 것이다. 이것은 정보 사회에 대한 이상주의적 관점이다. 그리하여 시민정보사회는 정보사회에 관하여 시민주체 적인 관점에서 비판적 이상주의로 정립된다. 정보사회에 관한 많은 비판이 있으며 앞에서 본 기존 이론에서도 정보사회에 관한 연속론은 모두 이러한 비판적 관점이다. 이러한 비판적 관점은 인간의 삶과 사회에 관한 가치의 전제 들이 문제가 된다.? 실제 인간의 삶에서 정보화란 무엇인가 산업사회에서의 가정의 지출은 주로 내구소비재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텔레비젼 라디 오, 전축 , 녹음기 , 카메라 , VTR, 피아노 , 냉장고 , 세탁기 , 자동차 등과 같은 것이다 . 산업사회 에서의 인간의 삶은 바로 이와 같은 내구재를 구입하고 소비하는 과정 그리고 기타 물질적 상품들에 대한 지출이 증대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인간의 삶은 이러한 물질적 상품들을 소비하는 시간들로 나타난다. 이에 대하여 정보사회에서는 여가와 오락 ,,,, 교육 의료 레저 서비스 등에 대한 지출이 늘어나는 것이다.

「정보자본주의는 여가와 오락,, 교육 의료 등 주로 정신적인 재생산과 관련된 문화와 서비 스 상품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거대 언론 매체와 방송사는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정보와 오락의 독점적인 시장을 형성한다. 이런 상황에서 대부분의 일상인들은 자 신들의 일과 생활을 자동화된 정보 통제체제에 저당잡히게 된다.

-87- 직장에서는 포디즘적인 규율과 노동과정의 통제체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소비와 일상생활 에서는 독점화된 오락과 레저 및 대중문화의 지배를 받게 되는 것이다. 문화와 오락이 상품 화되고 기계가 가정으로 진출하는 포디즘의 완성 단계에서는 일상생활의 소외와 물신성이 더욱 강화된다. 기계가 일상생활의 주요한 동반자가 되면 포디즘이 생산에 몰고온 변혁에 버금가는 변화가 일상생활에서 일어난다.… 이들 새로운 생활수단은 새로운 의사소통 환경 을 조성하고 이데올로기와 아이디어가 생각하는 방식과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과 갖가 지 사건을 전달하고 평가하는 미디어인 것이다.」 「정보사회에서는‘‘ 개인적인 정보의 상업적 정치적인 전유 와 사회적 지식에 대한 상업적 정 치적 전유’. 가 이루어진다 일상생활과 생활세계에 대한 통제와 감시는 정보가 단순히 객관적 인 사실에 관한 물질적인 실체가 아니라 사회적 관계임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24)

정보화는 또 다른 차원에서 문제를 야기한다.,, 지역간 계층간 성별 등의 차이에 따른 정보 격차의 문제이다. 산업사회에서의 불평등한 계층구조에 지식정보라는 또 하나의 격차가 더 해진다는 것은 사회적 불평등에 심각한 우려를 야기하는 것이다. 산업사회적인 패러다임에서는 이러한 모든 비판에 대한 일반적인 대답은 국가이다. 국가가 빈곤층에 대하여 더 많은 복지비용을 지출하고, 정책에서 보편적 서비스의 원칙을 확고히 지키며, 지역 정보화 등과 같이 국가에 의한 공공적 정부투자를 강화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식적인 대안은 그러나 정보사회에서 언어에 그칠 수도 있다. 많은 경우 이러한 정보화 정 책이 전시행정, 실질적으로는 별로 혜택이 되지 않는 정책으로 끝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국 가와 행정의 관료주의는 소명감에 기한 행동들과 동일한 결과를 산출하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모든 비판과 함께 이상주의는 정보화의 근원적인 방향에 대한 가치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것은 구체적인 방법이나 정책으로 대안을 제시할 수는 없지만 가치로서는 중요한 것이다.

24) 백욱인.,, 시민사회 정보사회 소비사회 : 새문명 포럼의 발표논문

-88- 「과연 사이버스페이스는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고 해방을 전개할 가능성과 잠재력을 갖고 있는가?? 만약에 갖고 있다면 그러한 잠재력의 근거와 원천은 무엇인가 사이버스페이스가 자유주의의 다원론적 공간으로 부상하는 이유는(1) 전세계적 전달범위 (2) 값싼 비용 (3) 검열 없는 자기주장(4) 다른 사용자와의 쌍방향 통신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 사이버 스페이스는‘ 규제받지 않는 자유로운 자아정체성 (uncensored identity)’ 을 촉진한다 . 이것은 리 버럴리즘과 아나키즘의 부활을 촉진하는 모태로 작용한다. 사이버스페이스의 탈중심화 (decentralization) 효과는 개체의 권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개인주의의 성장을 도모한다. 사 이버스페이스는 성과 계급,, 직업 인종의 구분이 무력화되는 익명성의 세계이기도 하다 … 사 이버스페이스에서는 현실세계와 달리 위계화된 공간구조를 유지하기 힘들다. 공간에 대한 배타적인 소유권이 네트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25)

3.바람직한 정보사회 , 비전으로서의 시민정보사회

이제까지 정보사회에 관한 논의는 많은 경우 정보사회에 관한 그 모습이 구체적으로 보여지 지 않는다.. 이것은 당연한 것이기도 하다 자연공간을 전제로 하여 정보사회를 규정한다면 그 변화는 구체적인 모습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가령 정보사회를 토플러나 다니엘 벨의 모습대로 지식정보산업에 많은 인구가 고용되는 사회, 지식정보에 의하여 대부분의 가치들 이 창출되는 사회라고 규정한다고 하더라도, 그에 대한 비판이 지적하듯이 본질적으로 오늘 날의 사회와 달라지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정보사회를 정보기술의 활용을 통하여 한 사회 내 성찰성(reflexvity) 이 높아지고 의사소통이 증가하며 , 조직운영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사회 라고 하더라도 이러한 추상이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을 나타내는 가 하는 것은 명백하지 않 다. 그렇지만 우리가 사이버스페이스의 관점에 서면 모든 것이 달라진다. 당장 기존의 자연공간 사회() 근대사회 에서 통용되는 논리들이 어느정도 유효성을 가지는가 하는 문제부터 제기되 는 것이다. 따라서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는 어떠한 사회인가가 아니라 어떠한 사회가 가능한 가,.. 어떠한 사회를 만들 것인가 하는 문제가 된다 인류의 상상력의 문제가 되는 것이다 만 일 미래의 정보사회에서도 자본주의의 이윤의 논리는 당연하고 산업사회적인 논리는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모든 학자 모든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한다면 - 이러한 일반적인 생각 그 자체에 의하여 미래의 정보사회는 자본주의나 산업사회적인 논리를 여전히 가지게 될 것 이다. 왜냐하면 그러한 논리에 벗어나서 행동하는 사람이나 기술적 발명들은 사회에서 배제 될 것이기 때문이다.

25) 백욱인 위 논문

-89- 반대로 우리가 미래를 창조한다는 관점, 새로운 정보사회는 인간이 창조한다는 관점에 선다 면 상황은 달라진다., 기술적 가능성들 새로운 기술적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 , 자연공간에서 의 사회적 논리,,, 현재의 사이버스페이스의 가능성 인간성의 가능성과 한계 이 모든 것들이 새로운 창조를 위한 재료가 되는 것이다. 과제는 이러한 재료를 가지고 어떠한 사회를 창조 할 것인가 하는 문제인 것이다. 그리하여 사이버스페이스를 전제로 시민과 시민정보사회를 논의하는 것은 바로 바람직한 정 보사회,. 비전으로서의 시민정보사회를 창조하는 문제인 것이다 시민정보사회란 무엇인가?, 그것은 바람직한 정보사회 비전으로서의 정보사회이다 .

제6 절 시민정보사회의 논점

우리는 앞에서 시민정보사회에 관한 여러 측면을 살펴보았다.. 이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연공간에 기초에 시민정보사회

1) 시민사회 정보화로서의 시민정보사회 2)사회적 연대 (Social Solidarity) 로서의 시민정보사회 3)제 3 섹터 (The Third Sector) 로서의 시민정보사회

2. 사이버스페이스에 기초한 시민정보사회

1)사이버공동체 (Cyber-Community) 로서의 시민정보사회 2) 비판적 이상주의로서의 시민정보사회

-90- 3)바람직한 정보사회 , 비전으로서의 시민정보사회

이제 시민의 개념과 시민정보사회의 개념을 종합적으로 규정할 때가 되었다.( 자연공간 근대 사회)(),() 에서의 시민은 국가 정치행정체계 경제 시장체계 와 구분되는 사회의 또 다른 하나의 부문의구성원이라는것이다이러한부문을정치적인측면에서는시민사회라고할수있다.. 그리고 경제적인 관점에서는 제3. 섹터라고 할 수 있다 정책적인 관점에서는 민간주체라고 할수있다. 이러한 주체와 가치지향을 중심에 둔 정보사회가 시민정보사회이다. 정보사회에 관한 논의 에 그것을 추진하는 주체와 그것이 지향해야 할 가치기준을 중심적 관점으로 설정하는 것이 시민정보사회이다.

한편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이와 시민과 연관된 개념-,- 가령 사이버 국가 사이버시장 등 자 체가 정립되지 않는다.. 그것은 존재한 것이 아니라 창조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이버시티즌은이미존재하는것을규정하는것이아니라창조되어야할그무엇이다그. 리하여 시민과 시민정보사회는 사이버스페이스사회에서 시민, 시민사회는 어떠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왜냐하면 시민과 시민사회를 새로이 규정하는 것은 국가 그리고 경제를 새 로이 규정하는 것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사이버스페이스를 전제로 하는 시민과 시민정보사회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 다. 시민정보사회란 바람직한 정보사회이다.. 그것은 정보화가 지향해야 할 비전이다 정보화가 창조해야 할 사회적 비전 그것이 시민정보사회인 것이다. 사이버시민은 이러한 바람직한 정 보사회를 향한 인간의 상()象 이며 ,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사회적 인간이다 . 여기에서는 가장 근원적인 질문이 제기된다.. 사회의 기초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이다 전혀 새로운 공간에서 사회를 창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다른 물질적인 것보다 사이버스페 이스에서는 물질( 즉 , 아날로그 ) 은 존재하지 않는다 - 인간의 정체성 (identity), 사회적 기초로서 의 윤리도덕의 문제가 제기된다.,. 이것은 정보사회에서의 윤리 가치관의 문제이기도 하다

-91- 여기에 또 하나 시간적 측면이 개입된다. 시민정보사회는 자연공간사회에서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의 논제이다.() 오직 자연공간만 있는 사회 근대사회 에서 사이버스페이 스에 기초하는 사회로의 이행과정에서 등장하는 인간과 사회의 문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시민정보사회의 논의가 발전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로 떠 빨리 이행할 수 있을 것인가?() 그리고 바람직한 정보사회 사이버스페이스사회 란 무엇인가? 그러한 사회를 어떻게 창조할 수 있는가 하는 주제들이 추가되는 것이다. 여기에 더하여 현실에 있어서는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서의 경쟁과 이익의 문제가 있다.. 이것은 다른 말로 하면 정보화전략의 문제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시민정보사회에 관한 논점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1)시민정보사회의 윤리 , 규범 , 법 2) 시민정보운동의 현실과 시민정보사회 3) 시민정보사회와 정보화 전략 4) 정책적 제안

-92- 제장참고문헌2

권태환 조형제 편,「 정보사회의 이해 」 미래미디어 전석호 저,「 정보사회론 」 강상현 저,「 정보통신혁명과 한국사회 」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저「」Being digital 백욱인 역 , 박영률 출판사 데이비 론펠트 저,,「」 정보지배사회가 오고 있다 홍석기 역 자작나무 M.이센 카트시 저 ,「」 디지털시대의 법제이론 , 김유정 역 , 나남출판

Edupage 1 Feb 98, New York Times 30,Jan 98) (Edupage 3 June 97, New York Times 3 June 97). Mitchell.W.J.“City of Bits : Space.Place and the Infobahn”MIT Press, 1995 David, Stan, and Bill Davidson,〃〃 2020 Vision,(경제이동 ) , Simon and Shuster, 1991, ( 지 식공작소, 1993). Beniger, J. (1996)“The Control Revolution: Technological and Economic Origins of the Information Society“Harvard Univ. Press Dizard W.P.“The Coming of Information Age”New York, Longman, 1984 Drucker P.F.“The Age of Discontinuity”. New York, Harper & Row, 1968 DruckerP. F.“Post-Capital Society”, Harper Business, 1993 Forester T.“High-Tesh Society:The Story of Information Technology Revolution“, Oxford:Basil Blackwell, 1987 Freemann C.〃〃 The Case of Technology Determinism.. in R. Finnegan. G. Salaman, & K. Tomson (eds),“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New economics Paradigm,”in H. Schoette (ed),“Strategic Issues in Information Technology: Intenationals for Decision-Makers”Berkshire: Perhamon. 1987 Gandy.Jr O.H.“The Surveillance Society:Information Tchnology & Bureaucratic Social Control,〃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9, no.3. 1989 N. Garnham,“Communication Technology and Policy”in M. Gurevitch & levy M.R (eds), Mass Communication Review Yearbook, 6. 1985

-93- Johnsher C.,“Information Resources and Economic Productivity” nformation Economics & Policy, 1983 Komatsuzaki S.,“An Economic Impact of Infomattization”, Keio Communication Review, 7. Lash, S. & Urry, J.(1987),“The End of Organized Capitalism. Cambridge: Polity Press. 1986 Lyon D.“The Electronic Eye : The Rise of Surveillance Society”, Cambridge:Polity press. Machlup. J.(1962).,“The Production & Distribution of Knowledge in the United State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6 Martin J.“Telematic Society :A Challenge for Tommorow”,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1 Mosco V. & Herman A.,“Radical Social Theory & the Communication Revolution”in E. G. McAnany et al. (eds), Communications and social Structure. New York: Praeger.1981 Naisbitt J.“Megatrends, Ten New Directions Transforming Our Lives”, New York: Warner Books. 1984 Nora S. & Minc N.“The Computerization of Society”, MIT Press. 1980 OhiraG“EconomicAnalysisofInformation Activities in Japan”Keio Communication Review,8. 1987 Perez C.“Structural Changes and Assimilation of the New Technologies in the Economic and Social System”in C. Freeman (ed.), Design, Innovation and Long Cycles in Economic Development. London: Frnaces Pinter. 1986 Poster M.“Foucault, Marxism and HIstory”, Cambridge:Politiy Press.“TheModeof Information”Cambridge: Polity Press. 1990 Schement J. R. & L. Lievrouw“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Society in the United States: Competing Vision”in J. l. Salvaggio (ed.), The Information Society in California .1983 “The Third Vision : Capitalism and the Industial Origins of the Information Society”1987

-94- Schiller H. I“Critical Research in the Information Ag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3,no.3. 1983 Slack J. D.“Surveying the Impacts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Dervin B. & M. J. Voigt (eds), Progress in communication Sciences, V. Norwood, NJ: Ablex..1984 F. Webster & K. Robins“Information Technology :A Luddite Analysis” Norwood, NJ: Ablex. 1986 R. C. Thurow,“The Future of Capitalism”, Nicholas Brealey Publishing, London, 1996 F. Williams“The Communications Revolution”beverly Hills: Sage. 1982 P. Schields & R. Samarajiva“Competing Frameworks for Research on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Society: Toward a Synthesis...... ”Communication Yesrbook, 16. 1993

-95- 제3ㆍ 장 시민정보사회의 윤리 가치규범

사이버스페이스를 기초로 정보사회를 본다면 정보사회() 사이버스페이스사회 와 시민정보사회 를 구분할 필요는 없다., 자연공간에서는 국가 시장과 시민사회는 명확하게 구분된다 . 그러 나 사이버스페이스는 디지털의 세계이고 디지털의 세계에서는 국가, 시장과 구분되는 시민 사회는 존재하지 않는다.,, 아예 국가 시장 시민사회 전체가 서로 구분되지 않는 것이다 . 나 아가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기존의 사회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므로 정보사회나 시민정보사 회나 모두 새로운 하나의 사회를 창조하는 문제가 된다.

제1: 절 시민정보사회의 기초 사이버시티즌의 정체성

1.상징 ( 기호 ) 으로서의 인간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인간은 육체적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모든 정보들과 마 찬가지로 하나의 기호,.PCID. 상징으로 나타난다 우선 통신에서 인간은 로 나타난다 전자메 일 주소는 그 개인에 대한 또 다른 기호가 될 것이다. 우리는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 인 간을 특정하기 위하여 개인의 신상명세가 공식적으로 등록되고 본인에 의하여 자유롭게 변 경될 수 있는 그러한 사회를 상상할 수 있다.PC 물론 이것은 오늘날에도 통신에서 간단한 양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것이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인간이다 「전자공간에서는 다양한 전자메일 주소와 별칭으로 네티즌의 신상명세가 등록된다. 따라서 네티즌의 신상명세는 현실공간보다 자유롭게 변경가능하며 조작 가능하다. 네티즌은 수시로 전자메일과 뉴스그룹을 활용하여 현실공간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업무를 시공의 제약을 벗 어나서 수행한다. 이상의 두가지 변혁은 전통적인 집회장의 규율에 일대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26) 사이버스페이스는 지리적 사실을 부정한다.(). 본질적으로 반反 공간적이다 특정네티즌이 어 디에 있는지 알 수도 없고 알 필요도 없으며 찾아낼 수도 없다.

26) W. J. Michell : City of Bits

-96- 전자공간상의 주소는 한 장소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단순히 접속코드로서 관련된 저장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네트워크상의 어디쯤에 있는 어떤 컴퓨터에 위치하는지를 나타 낸다.. 사이버스페이스는 마을이나 도시와 같은 노출가능성을 제거한다 개인은이와같이나타나기때문에실제로표현된개인이반드시인간일필요도없으며ID , 한 사람일 필요도 없다.ID 특정 개인을 상징하는 가 인간이 아니라 하나의 소프트웨어일 수 도 있다. 가령 어떤 기업 고객들의 질문이나 의견을 처리하는 자로 등장한 사람이 실제로는 사람이 아니고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그 기업에 관해 질문을 하 면 그것을 처리하고 답을 보내는ID 는 사람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겠지만 , 실제로는 다만 하 나의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다. 그 소프트웨어는 해당 질문에 대한 다른 고객이나 직원의 대 답을 검색하고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이처럼 소프트웨어가 개성을 가진 사람처 럼 보일 수도 있다. 그리하여 인간과 소프트웨어가 구별되지 않는 세계가 사이버스페이스의 세계인 것이다. 반대로 한 개인이 다양한 인격과 개성을 가진 여러 사람처럼 나타날 수도 있다. 여러개의 ID와 전자주소를 가지고 나타나는 것이다 . 심지어 필요하다면 전혀 다른 개성을 창조할 수 도 있다.. 그것은 게임의 세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가령 우주전쟁의 위대한 전사로 자신의 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것은 가상적 정체성 (Virtual identity) 이라고 할 수 있다 . 한편 성격적 이유나 기타 필요에 의하여 자신의 성별을 바꾸어 남자가 여자로, 여자가 남자 로 나타날 수도 있고,. 어른이 아이로 아이가 어른으로 나타날수도 있다 이것은 허구적 정체 성(fictional identity) 이라고할수있다 . 만일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경제적 거래를 하려고 한다면 개인은 자신의ID 나 개성보다 신용 카드의 번호로서 나타날 것이다. 왜냐하면 신용카드 번호가 없으면 거래가 불가능하기 때문 이다. 이것은 반대로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상품을 판매하려고 하는 사람들에게도 마찬가지이 다. 고객이 남자인가 여자인가 어떤 개성인가 육체를 가졌는 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유효 한 신용카드번호야 말로 고객인 것이다. 이처럼 익명성 내지 조작성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개인이 육체가 아니라 상징() 기호 으로서 나타나기 때문에 당연한 것이자 동시에 혁명적인 것이다.

-97- 2.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인간의 의식

이와같이육체가떠나상징기호으로나타나는익명과조작의공간에서인간은어떠한의() 식을 가지게 되는 것일까? 이와 관련하여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사회적 존재감의 정도에 따라 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이론화한‘ 사회존재감 모델 (social presence theory)’ 이 있다 . 이 이론에서는 비디오와 같이 존재감이 높은 채널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상호관심, 채 널통제,, 피드백 대응성과 같이 바람직한 관계가 형성되는데 비해 존재감이 낮게 채널을 통 한 커뮤니케이션에서는 비사교적이고 비인격적이며, 둔감하고 차가운 관계가 형성된다는 것 이다. 27) 다른 이론으로‘ 사회적 맥락단서 결손 모델 (reduced social context cue model)’ 에서 도 사회적 맥락단서가 약한 경우 인간은 자기중심적이고 비규범적으로 된다는 것이다. 이러 한이론은우리가상식적으로상상할수있고경험할수있는것에대한이론화이다가령. 인터넷이나PC 통신에서 상대방이 누군지 모르고 바둑을 두는데 바둑이 불리해진 상대방이 접속을 끊고 나가버렸는데 이쪽은 그것도 모르고 상대방의 다음 착수를 기다리는 낭패를 당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이론은 대면적 관계에서만 인격적이고 규범적이며 친밀한 관계가 형성된다는 자연공간 중심의 관점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비대면적 관계라 할지라도 문자적 기호(text) 를 통해서 정 서나 감정이 교류되고 대면적 관계 못지 않게 인격성과 신뢰형성이 가능하다는 주장이 제기 되고 있다., 즉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인간관계가 반드시 비인격적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

우선 대면적 신체적 접촉에서 정당한 이유없이 많은 것을 잃는 사람들에게는 다른 사람과의 인격적 접촉에 있어서 사이버스페이스는 유리한 공간이다. 신체적 콤플렉스가 있는 사람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사회적 맥락단서의 결여가 오히려 더 안심하고 자신을 드러낼 수 있 게 한다., 장애자 못생긴 여자 등의 예를 들지 않더라도 이 세상에 신체적 사회적 콤플렉스 가 없는 인간은 없다. 상징을 통한 인간관계의 형성은 자연공간에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인 간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단서의 결여는 관계형성에 그만큼 시간이 많이 요구되거나 관계 가1 회성으로 끝나버릴 수도 있지만 관계형성에 다른 요인이 작용함으로써 자연공간과는 다 른 관계가 형성된다고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27) Argle M.′′ Social Interaction , London :Metheun, 1969

-98- 대면적 관계에서 중요한 외모나,, 지역 사회경제적 지위 등의 외부적 요인들의 중요성이 사 라지고,,, 취미 기호 사회적 태도 ,, 이념 사고방식 , 가치관 - 어떤 점에서는 진정으로 그가 누구 인가-. 등의 요소들이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이것은 정서나 신뢰의 차원에서도 마 찬가지이다., 오랫동안 만나지 못하는 부부 사이에 애정이 깊어질 수 있으며 자신을 전혀 모 르는 카운셀러를 믿고 솔직하게 자신의 본모습을 보이는 것과 같다. 최근 확산되고 있는 컴 퓨터를 이용한 인터뷰시스템(CAPI :Computer-assisted personal interviewing) 의 정확도가 면접조사에 의한 조사보다 오히려 높다는 비교연구결과도 있다. 요컨대 친밀감이나 개인적 관계의 발전이 더 이상 대면적 접촉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디어의 특성이나 이를 수용하는 사람들의 상황이나 사용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새로운 인격적 관계 의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참여자의 사회적 특성이나 컴퓨터 문화에 대한 태도 커뮤 니케이션의 강도와 빈도,, 컴퓨터를 다룰 수 있는 기술적 능력 컴퓨터 네트워크 자체의 체계 적 특성 등 다양한 요인들이 여기에 개입한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자라나는 세대들, 어렸을 때부터 사이버스페이스에 익숙하고 게임을 통 하여 가상공간(vitualspace) 이 중대한 인식공간이 되고 있다 . 28) 새로운 세대에게 있어서는 사이버스페이스가 반드시 비인격적 관계로 한정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도 정상적인 사회공 간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사실 컴퓨터가 새로운 미디어이며 커뮤니케이션의 수용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지금 상 황에서 컴퓨터 매개 인간관계에 대한 일반적 결론은 매우 조심스러운 것이다. 분명한 것은 컴퓨터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바깥에서 보는 것보다 컴퓨터 공간에서 따뜻함과 포근함을 느끼고 있으며 자신들의 대안적 정체성의 탐구에 몰두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가능케하는것이미디어로서컴퓨터가지린속성임은물론이다.」29) 그리하여 사이버스페이스가 본질적으로 자연공간보다 인간관계에 있어 비인격적이거나 열등 하다는 전제를 가져서는 안된다.

28) Tapscott,〃〃 Growing up digital 1998 29) 김선업. 컴퓨터 - 매개 인간관계의 사회심리 논단 4 권 3 호 97.2.24)

-99- 또한 그런 이유로 사이버스페이스에 대하여 자연공간을 기준으로 인격성을 확보하려고 노력 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사이버스페이스는 자연공간과는 다만 다른 공간일 뿐이다 그 차 이성은 교류의 방식이 다르다는 것이다. 육체가 아니라 상징 ()()()象徵ㆍㆍ 사유 思惟 정신 精神 으로 교류한 다는 것이다. 이것은 한편에 있어서는 분명히 보다 올바른 인간관계가 가능한 공간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도덕,, 윤리 법의 차원에서도 사이버스페이스를 열등한 공간으로 규정하고 여기에 서의폐해병리에중점을두고규제하는것은잘못이라고할수있다자연공간에서도범ㆍ . 죄가 발생하는 것과 같이 사이버스페이스에서도 범죄가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범 죄가 자연공간의 전부가 아니듯이 범죄가 사이버스페이스의 전부는 아닌 것이다. 이처럼 사이버스페이스는 자연공간과는 전혀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면서 동시에 사회를 형성하는 사회적 공간이 될 수 있다. 자연공간과 마찬가지로 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다.. 오히려 자연공간의 도시공동체보다 더욱 우월한 공동체 될 수 있다 설사 우리가 원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미 세계는 그러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그 공동체의 질서 를 형성하는 기초는 무엇인가?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인간의 사회적 심리의 문제가 사이버 스페이스 사회의 가능성에 관한 문제라면, 이것은 사이버스페이스의 관점에서 보는 시민정 보사회의 기초에 관한 문제이다.

3.시민정보사회의 기초 : 시민의 사이버 정체성 (Cyber Identity)

사이버스페이스에 기반하는 시민정보사회를 형성한다고 한다면 그것의 기초는 그곳의 주민 (인간 , 시민 ) 의 정체성 (Identity) 이 규정되어야 한다 . 이것은 자연공간에서 주민등록증이 사회 의 기초가 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물질적 모양의 카드 아날로그 를 주민등록증으로 만드는 것은 전혀 필요하지 않다. 개개인이 자신이 사회에 대하여 전하고 싶은 신상명세를 사이버스페이스() 컴퓨터 에 등록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 전자메일을 보낼 때자신의signature file 을뒤에첨부하는것이그예이다 . signature file 에자신의소개를 넣는 것이다.) 누구나 상대방을 알고 싶으면 컴퓨터를 통하여 바로 확인할 수 있다 .

-100- 이러한 확인은 자연공간사회에서는 경찰의 검문에서 이미 이루어지고 있는 일이다., 즉 경찰 이 어떤 사람을 검문할 때, 주민등록증을 확인하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주민등록 번호로그사람의전과를조회하고지명수배여부를확인하는것과다를바없다이처럼. 자연공간사회에서는 네거티브한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즉 어떤 사람의 신분이 의심나거나 나쁜 사람이 아닌가를 의심하는 경우이다. 그렇지만 정반대로 본인이 본인임을 증명할 필요 가 있거나, 자신이 그 나라의 국민이라든가 신용상태가 어떠하다든가 기타 여러 가지 이류 로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홍보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그 스스로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증명하는 수고를 해야 한다. 가령 관청에 어떤 요구를 하거나 은행에 융자를 받거나 계약이 나 기타 중요한 채무를 질 때에 주민등록등본이나 인감증명서를 발부 받아 제출해야 하는 것과 같다. 그리하여 주민등록사무는 국가의 중요한 업무가 되어 있고 동시에 국민에게 많 은 불편을 주고 있다.. 이것은 근대산업사회에서 나타난 특별한 현상이다 이에 대하여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개개인의 아이덴티티를 사회에 제시하는 것 자체가 바로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 참여하는 기초가 된다. 가령 스웨덴에서는 1996 년에 모든 국민이 최 소1, 개의 인터넷 전자우편 주소를 갖게 하고 이것의 이용을 위해서 공공장소에 인터넷 전 자우편을 체크할 수 있는 단말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이것은 전국민을 사이버 스페이스를 이주하는 기초로서 개개인의 아이덴티티의 한 요소인 전자우편주소를 부여하는 것이다. 나아가 인터넷 개인 홈페이지야말로 개개인의 아이덴티티를 제시하는 가장 기본적 인 방법이다. 개인 홈페이지는 젊은 컴퓨터세대들에게는 당연하게 여겨지는 자신의 소개방 식이 되고 있다. 30) 핀란드에서는 모든 가정이 개인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30)“~” 우리집에 놀러와 “.”방명록에 글 좀 써줘 요즘 미팅이나 각종 동호회 모임에서98 학번 신입생들이 자주하는 이야기다 . 자기 집에 놀러오라 고 초대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여기서 집이란 인터넷 개인 홈페이지를 뜻한다 컴퓨터가 보편화되고 인터넷 이용자가 늘어나면서 고등학교에서부터 컴퓨터를 써왔던98 학번 새 내기들에게서 새롭게 볼 수 있는 풍경이다. 물론 홈페이지 제작붐은 인터넷을 잘 다룰 줄 아는 모든 대학생들에게 해당되는 이야기이지만 특히 새내기들 가운데서 그 열기가 높은 까닭은 각종 미팅이나 모임이 많은1 학년 시절 홈페 이지를 갖고 있으면 확실한 자기PR 이 가능하다는 이점 때문 . 홈페이지를 가지지 못한 동기 들의 부러움의 눈초리를 한꺼번에 받으며 그 자리의 주인공으로 단번에 급부상할 수 있는 것. 게다가 게시판을 만들거나E-Mail 로 연결해 두어 친구들과 약속을 하거나 편지를 대신하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신입생들이 만드는 홈페이지 가운데에는 단순히 자신을 소개하는 수준을 뛰어넘어 자신 의 전공이나 취미를 반영하는 테마를 가진 홈페이지가 있을 뿐 아니라,CD 수준의 음악파일을 올려놓은 홈페이지도 많다. 이런 움직임으로 인해 각 대학의 컴퓨터실에는 자신의 홈페이지를 만들면서 땀을 흘리고 있는 신입생들의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가 하면 친구들의 홈페이지를 일일이 돌아다니면서 방명록에 재미있는 글을 써주는 신입생들도 많아지고 있다. 서울대1() 학년 임영식 국 기계공학과 은 친구의 도움을 받아 홈페이지를 함께 만들어 보았는데 미 팅에서 홈페이지 주소를 적어주니 눈길이 나한테만 쏠렸다“. 고 자랑했다 (스포츠 신문 98.4.16./ 전호웅 홍익대 명예기자 )

-101- 근대 이전의 마을 공동체 사회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의심받거나 증명해야 할 필요가 없었다. 마을 공동체에서는 모든 사람이 다른 모든 사람의 아이덴티티를 이미 알고 있다.. 마을 사람은 그 마을 사람을 전부 알고 있는 것이다 아이덴티티를 서로 알고 있다는 것이야말로 마을공동체의 요소이고 동시에 자율적 질서의 기반이다. 마을 공동체에서는 서 로가 서로() 아이덴티티 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신뢰에 기반한 공동체적 유대감을 형성한다 . 동시에 모든 개인은 다른 모든 사람들이 자신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함부로 나쁜 행동을 하지 못한다.. 자신의 공동체적 구성원으로서 자격을 상실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공동체 구성원 모두에게 투명한 아이덴티티는 근대 이전의 사회에서는 당연한 것이었고 그 것이야말로 공동체적 사회의 기초였다. 동양의 유교문명에서는 개인의 아이덴티티가 투명한 상태에서 공동체적 유대를 건설하는 것이 도덕의 기본이기도 했다. 자신에 대하여 다른 모 든 사람이 알고 있다는 것이야말로 도덕적 행위의 전부라는 것이다.「 공자가 혼자 있을 때 도 삼가 조심하고 모든 사람이 알고 있는 것처럼 행동하라()愼其獨 」 라고 표현하는 도덕적 계명은 유교문명의 기초였다. 이것은 근대산업사회와는 전혀 다른 도덕이며 사회가 전혀 다 른 기반위에 성립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사이버스페이스사회는 어떤 점에서는 다시 한바퀴 선회하여 근대사회와 전혀 새로운 기초 위에 놓이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근대사회로 전환하여 도시화를 거치면서 개인은 모든 다른 개인에게 타인이 되었다. 그리고 아이덴티티를 보장하는 업무는 국가의 업무가 된 것이다. 이것을 통하여 국가는 개개인을 장악하는 권력의 기초가 되었다.

-102- 물론 근대이전의 사회에서도 주민등록과 유사한 제도가 있었으나 그것은 국가적 필요가 아 니라 신분제적 필요 때문이었다.. 따라서 근대의 주민등록업무와는 그 성격이 전혀 다르다 현재의 정보화 정책에 있어서 주민등록업무를 국가가 전산화하고, 전자주민등록증을 만들려 고 하는 관점은 근대사회() 산업사회 적인 마인드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정보기술만을 도입하 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화마인드는 전산화를 정보화와 동일하게 생각하는 진부한 정보사회 론에 기초한데서 연유한다. 또한 사이버스페이스 사회가 정보사회라는 인식에 이르지 못한 것이다. 정보사회() 사이버스페이스사회 는 투명성을 사회원리로 한다 . 이것은 자신의 아이덴티티가 투 명하게 사회에 공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아이덴티티의 투명성이야말로 새로 운 윤리의 기초이다. 아이덴티티의 투명성은 한편에서는 아이덴티티에 관해서 국가의 개입 을 불필요하게 만들고(),() 주민등록업무가 필요하지 않고 다른 한편에서는 신기독愼其獨 의 원 리가 작용함으로써 사회질서가 자율(:self-regulation)自葎 에 기초할 수 있게 해 준다 . 이것 을 기술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간단하다., 개개인들이 자신의 홈페이지를 만들거나 통신회사 의 인명 데이터베이스에 개개인이 참여하는 것이다. 실제로는 여러 가지 방식이 동시에 이 루어질 것이다. 물론 개개인이 자신의 아이덴티티에 관한 신상명세서를 등록하는 것은 개개 인의 자유의사이다. 원하지 않는 사람은 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그렇지만 그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근대적 방식으로- 주민등록증으로 -.스스로 증명해야 하는 부담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와같이 자신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투명 성이야말로 사이버스페이스에 기초한 시민정보사회에서의 시민의 요건이다. 사이버시티즌의 요건이 바로 아이덴티티의 투명성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가 근대사회와 본질적으로 어떻게 다른가 하는 것을 시사 하는 것이다. 첫째,. 국가의 업무가 달라진다 근대국가의 많은 업무들이 주민등록업무와 마찬가지로 불필 요해진다. 이것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는 국가의 기능이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 이다. 둘째,., 정보화의 추진전략의 핵심주체의 의미를 보여준다 즉 정보화는 모든 국민을 한꺼번 에 정보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사람과 뜻을 가진 사람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도자 집단,. 선도계층에 의하여 열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선도집단을 형성하지 못한다면 정보화는 성과를거둘수없다.

-103- 세째,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본질이 근대사회와는 전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이버스 페이스사회는 투명성의 원리에 기초하는 사회이며, 사회적 질서는 자율의 원리에 기초하는 것이다.(). 사회적 도덕의 가장 근원적인 기초는 신기독愼其獨 의 원리이다 이것은 투명한 사 회에서 당연하게 도출되는 결론이다. 이러한 결론은 앞으로 계속 재검토될 것이다.

이러한 투명한 아이덴티티에 대하여 개개인들이 스스로 등록한 신상정보를 믿을수 있는가 하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새로운 사회원리로서 자율의 원리를 부정하는 것이다... 개개인은 자연공간에서도 자신을 과장한다 따라서 허위내용을 등록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는 허위내용으로 인해 신뢰가 상실되는 불이익을 부담하게 될 것이다. 사이버스페 이스 시대는 신뢰를 국가에 의지할 수 있는 시대가 아니다. 이러한 점은 프라이버시 문제를 논의하면서 재론될 것이다. 개개인에게 자신의 신상명세를 등록할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도 제기될 수 있 다. 이것은 한편에서는 정보화가 그러한 동기를 유발하고 시민의 자발성에 기초하여야 성과 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을 말한다. 새로운 사회는 시민의 자발성을 일으키는 동기부여를 필요 로한다. 이러한 아이덴티티의 투명성이 자유를 제한한다거나,. 불필요하다고 보는 관점도 가능하다 그러나 그러한 반론은 투명한 사회가 이미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소치에 불과하 다. 정보사회에 있어서 이미 개인의 아이덴티티 문제는 개인이 원하지 않더라도 너무나도 풍부하고 사회적으로 저장되고 있다.-- 그리하여 개인의 아이덴티티에 관한 정보 개인정보 의 문제가 정보사회의 가장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개인의 프라이 버시 보호에 관한 문제이다.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문제는 개개인이 정작 자신이 사회를 향하여 알리고자 하는 정보는 배제된 채, 알리고 싶지 않은 정보가 노출되는 위험이 많아졌 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질서에서 자율적 기초는 아직 마련되지 못한 채,. 반대로 개개인 인권을 침해하는 상황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104- 제2 절 프라이버시와 자율의 사회

1. 사이버 시민의 정체성과 프라이버시의 문제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특징은 디지털화한 데이터들이 축적된다는 것이다. 자연공간에서는 누군가에게 자신을 소개할 때 그 말들은 음성과 함께 사라진다. 그러나 사이버스페이스에서 는 개인의 사고와 행동이 모두 디지털화하여 자료로서 어디엔가 축적된다. 사이버시민의 정 체성도 자신이 스스로를 소개한 것은 물론 자신의 모든 사고와 행동은 어디에선가 데이터로 서 축적된다. 그리고 이렇게 축적된 개인에 관한 자료들이 모두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이것은 반대로 사이버스페이스 정체성을 형성하는 내용들이 모두 개인의 프라이버시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프라이버시는 정체성의 이면 ().裏面 이다 정체성이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시민권,, 참여권 사회적 참여를 보장하는 권리의 기초라고 한다면 , 프라이버시는 그 에따른개개인에대한정보가사회적으로악용될수있는위험사회적으로개인이통제되, 고 감시당할 수 있는 위험의 문제이다.ㆍ 개인에 대한 동일한 정보가 시민권과 감시 악용의 위험양측면을가지고있는것이다.

「현대의 감시는 군대,, 기업 정부 부서와 같은 특별한 기관에서 시작되었으나 이제는 생활 의 모든 면에 영향을 주고 있다. 나는 이것을 최근 영국에서 캐나다로 이사하면서 몸소 뼈 저리게 느꼈다. 나와 나의 가족은 우리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들이 전자적인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기 전에는 캐나다 사회에 완전히 참여할 수가 없었다. 이것은 여행에 지친 우리 가족 이 토론토 국제공항에 내려서 고용과 이민관계를 주관하는 출입국관리사무소 검열대 앞에 줄 서 있을 때부터 시작되었다. 우리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들이 목적지인 온타리오 주의 킹 스턴으로 떠나기 전에 컴퓨터에 입력되어야만 했다., 킹스턴에 정착하자마자 의료보험카드 사회보장번호,, 은행카드 또 대학의 신분증을 받았다 . 그것들 하나하나가 다 컴퓨터의 데이 터베이스에 저장된 개인적인 정보였다. 우리는 이러한 것들 없이는 고용될 수 없거나 질병 이나 사고에 대한 혜택을 받을 수 없거나 또는 은행에서 돈을 인출할 수도 없었다.

-105- 우리가 아무리 자전거를 타기를 즐긴다 해도 자동차 없이 돌아다닌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 다.. 그래서 우리는 운전면허증을 받아야 했다 이것 또한 컴퓨터에 의한 기록들을 연결하는 작업이었다., 놀랍게 도착하고 얼마 안되어서 우리는 개인용 광고물 즉 한사람 한사람별로 그 잠재 구매력조사를 한 결과에 따라 결정된 광고우편물을 받기 시작했다. 이 것은 우리 에대한자료를갖고있는또다른컴퓨터들이또다시우리에대한기본적인자료들을전 화국으로부터 수집,.」 판매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의 한 아이스크림 회사가 생일을 맞은 사람들에게 아이스크림을 무료로 제공하는 전 략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생일을 맞아 무료로 아이스크림을 요구하는 사람들의 명단을 작성 하여 이를 유통회사에 팔았다. 그런 일이 있은 후 얼마 되지 않아 그 아이스크림을 먹은 사 람들은 우편함에서 징병소집 통지서를 발견하고 깜짝 놀랐다. 그 유통회사가 자료를 징병국 에 팔아 넘겼으며,.」 징병국이 그 자료를 국방부에 넘겼던 것이다 31)

이것이 정보사회에 있어서 개인에 관한 정보의 양 측면이다. 한 측면은 개개인이 사회적 구 성원으로의 자격을 인정하는 기초이다. 그리고 다른 한 측면에서는 개인이 상업적으로 그리 고 권력적으로 노출되고 통제되고 이용되는 위험을 야기하는 것이다. 자신이 거래하는 은행이나 전화회사가 어느날 자신의 거래기록이나 통화기록 모두를 다른 회사에 넘기거나 수사당국에 넘긴다고 생각해 보자. 그 사람은 자신이 기억하지 못하는 행 동들까지 다른 사람이 알고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가정 담당의사가 자신의 의료기록 정보 를 보험회사에 넘긴다고 생각해 보자. 자신만의 비밀을 가질 수 없는 사회는 무서운 사회이다.

2.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규제의 방법

프라이버시의 보호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다. 그러나 학문적인 많은 논의가 있다고 하 더라도 실제 현실에서 중요한 것은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방안,. 방식이라고 할 것이다

31)DavidLyon:TheRiseofSuveillanceSocirtyp.4.16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간 )

-106- 이에 대해 논의되고 있는 것은 크게 시장규제모델,, 정부규제모델 자율규제모델이다 . 실제로 어떠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실제적 대안은 여기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이하 는 미국에서 현재 논의되고 있는 프라이버시 보호의 모델이다. 32)

가. 시장규제 모델

시장규제모델에 있어서는 시장에 맡겨두면 시장의 원리에 의하여 개인정보가 보호될 수 있 을 가능성에 관한 논의이다. 시장모델이 있어서는 기업이 사생활을 보호하는 동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일단 고객의 개인정보를 노출시키는 회사에 대해서 아무런 법적 제재조 치를 취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고객은 기업의 강력한 사생활 보호정책에 대해서 호감 을느낄수있고반대로기업의사생활침해에대해서거부감을느낄수있다가령전화회. 사가 잠재적인 신규고객에게 연락을 취할 목적으로 고객 통화기록을 활용하지 않을 것임을 전국적으로 홍보하고 회사가 정책적으로 그 약속을 지킨다고 가정하자. 말하자면 기업이 사 생활 보호정책을 시장전략의 일환으로 삼아 그 회사의 이미지를 제고하고 신뢰를 얻는다는 것이다.. 이렇게 할 경우 그 기업의 매출은 증대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가장 알려진 예가 스위스 은행산업이다. 스위스 은행은 고객의 신상정보에 관한 비밀을 철저히 보장해 준다는 확고한 평판으로 전세계로부터 거액의 비밀예금을 유치할 수 있었다는 것은 널리 알 려진 사실이다. 다른 경제이론과 마찬가지로 시장이 완전하다면 시장 자체가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경향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개인정보의 보호에 관하여 고객들의 신뢰를 획득하지 못하는 회사는 고객들로부터 버림받아 도태될 것이다. 그러나 현실의 시장은 완전하지 않다. 우선 독점적 기업의 경우나 과점적 기업의 경우 프라 이버시의 보호정도에 관한 결정권이 독과점 기업에게 맡겨져 있다. 프라이버시는 완전하게 보호되거나 완전하게 악용되는 것이 아니라 보호의 수준이나 정도 면에서 지극히 다양할 것 이다. 이러한 다양한 수준에 대한 결정을 독과점기업이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32) 이하 한국전산원 NCA VII-XE-97041 Privacy and Self-Regulation in the Information Ages 참조

-107- 다른 한편 경쟁적, 시장이라고 하더라도 고객은 기업에 비하여 자신의 정보를 통제할 수 있 는 능력이 없다., 개인은 자신에 관한 정보가 어디에 축적되고 있는지 어떠한 내용과 형식으 로 축적되고 이용되는지조차 알 길이 없다. 그것을 알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필요하고 비 용을 조달한다 하더라도 기술적 난관이 놓여있다. 그리하여 기업은 우월한 위치에서 실제의 현실과 다르게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고 홍보할 수 있고 또 그렇게 믿게 할 수 있다. 또는 개인정보의 이용을 특정 분야로 한정하는 정책을 취하거나, 수익과 위험을 계산하여 개인정 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시장이 잘 작동된다 하더라도 그 보호의 정도가 순수하게 개인들이 요구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개인은 그렇게 결정된 여러 수 준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을 뿐이다. 기업의 관점에서는 개인의 상품구매나 서비스 이용 이 오로지 가인정보보호의 수준에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가격 품질 등 다양한 요소 가 있다.- 개인정보보호의 수준이 경쟁에 의하여 무한하게 증대된다고 할 수 없다. 다른 어 떠한 경쟁이업도 따라잡을 수 없는 확고한 핵심기술을 가진 기입- 정보사회에서 경쟁력을 가진 기업은 대체로 이런 기업이다-, 은 기술과 품질 내지 서비스의 질 등에 의한 시장전략 을 채택하고 개인정보보호는 다만 작은 하나의 고려사항에 불과한 것이 될 수도 있다. 설사 개개의 기업이 어떤 시점에서 개인정보보호에 진력한다고 하더라도 고객이 기업의 정 책에 관해 배우는데는 실제로 비용이 소요되고 기업이 이런 정책을 계속 실제로 지켜나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고객은 트릭을 써서 기업이 자신이 내세운 정 책을 준수하는지 감시할 수 있다. 가령 일부러 고객이 자신의 이름을 틀리게 써서 그 효과 를 관측하는 것이다. 이 경우 기업은 기존의 기술로도 고객의 주소와 실제이름을 비교검색 하여 정확한 이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고객이 이것을 확인하는데는 비용이 소요된 다.. 한편 기업은 해당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자체시장개척에 사용하거나 제3. 자에게 대가를 받고 판매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그리하여 기업은 고객의 정보를 남용할 동기를 항상 가지고 있는 것이다.. 된다 고객이 기업을 상대로 교섭을 하거나 기업의 행동을 통제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다. 분산된 개개인이 교섭을 위한 집단을 형성하고 기업을 상대로 교섭을 벌이는 것은 비용상으로도 현실성이 없다. 이와같이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시장규제모델은 실패라고 해야 할 것이다. 시장 모델은 사실 산업사회적인 모델이다.

-108- 우리는 산업사회적인 사고방식을 그대로 정보사회에, 그리고 자연공간에서의 사고방식을 사 이버스페이스에 그대로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산업사회에서는 프라이버시문제가 제기되지 않았다.. 프라이버시는 재화나 용역과 같은 시장상품이 아니다 시장의 원리는 상품 특히 물 질적 상품의 가격에 의한 자동조절작용이나 경쟁의 원리이다., 프라이버시는 상품도 아니며 가격을 가진 것도 아니기 때문에 자동조절작용이나 경쟁의 원리가 적용될 수 없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결론이라고 할 것이다.

나. 정부규제모델

프라이버시에 대한 정부규제모델의 시장질서가 개인의 사생활보호와는 대체로 또는 전적으 로 무관하다고 가정한다. 대신에 개인의 사생활권은 법의 제장과 법의 집행에 의하여 보호 된다.,,. 사생활에 관한 법규는 법률 행정규칙 법원의 판결 등 정부에 의하여 제정된다 정부 기관은 이를 감시하고 침해를 받은 시민은 소송을 제기하여 처벌을 받게 하거나 금전적 보 상을 받아낸다.. 간단히 말하면 정부가 권력에 의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것이다 우선 정부의 관리들이 순수하게 공익을 추구하는 정열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자. 입법과 집행을 담당한 자들은 유능하고 정통하며 프라이버시 보호라는 공동선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한다고 가정하자. 이렇게 가정하더라도 프라이버시 보호는 정부 및 납세자에게 행정비용을 부담하게 하고 기업은 준수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정부의 비용에는 사생활 관련 법규를 입안하고 집행하고 구체적인 사안에 비하여 규제를 하고 이에 대한 많은 소송을 처 리하는 비용을 포함한다. 기업은 정부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이 필요하고 그 것을 위한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여기에는 다시 규제의 정확성의 문제가 있다 규제가 너무 광범하거나 반대로 너무 협소하거나,. 법규의 문자를 어떻게 해석하느냐 등의 문제가 있다 법규가 엄격하면 기업들은 법규를 위배하여 이익을 얻으려는 동기가 증대될 것이다. 반대로 법규가 느슨하면 프라이버시의 보호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것이다. 또한 법규의 경직성의 문제가 있다.. 기술의 변화나 현실의 변화에 의해 법규를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하더라도 그것을 바꾸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109- 이제까지는 정부 공무원들이 유능하고 공공의 이익을 위해 노력한다고 가정했었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은 완전하지 않다.. 정부의 주변에는 정치과정에 영향력을 미치는 세력들이 있다 실제에 있어서는 공무원에게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더 많은 로비를 하는 세력에 유 리하게 법규가 규정되거나 집행되는 경향을 가지게 된다.(,) 기업과 일반시민 소비자 고객 으 로 나누어 본다면 기업의 세력이 일반시민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 은 일반적이다.

다. 자율규제의 모델

프라이버시에 관한 자율규제모델은 업계가 자율적으로 프라이버시의 보호에 관한 규약을 제 정하는 것이다. 가령 금융기관에서 자율적으로 고객의 신상정보를 보호하는 규약을 제정하 고 이를 업계 스스로 지키도록 하는 것이다.3 더 확장하여 권분립의 각 단계 -,, 입법 행정 사 법-. 에 대응하는 형태로 자율적인 규제를 할 수 있다 입법의 단계에서 자율규제란 앞에서 말한대로 업계가 스스로 프라이버시보호의 규약을 제정하는 것이다. 집행의 단계에서는 업 계가 제정한 규약을 지키는 것을 업계에 가입한 각 기관 또는 업계 자체가 이를 지키도록 조직을 가동하고 교육을 하는 것이다. 사업의 단계에서 자율적 규제는 업계 스스로 규약을 위반한 기업에 대하여 벌칙을 부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업계가 자율적으로 제정한 규약을 정부에서 일부 받아들여 법규화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사법적 강제력을 가 지게 되기도 한다. 자율규제에 관한 기본적인 동기는 업계가 스스로 규제하지 않는 경우에는 결국 정부가 법률 적으로 규제를 가하게 된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업계는 정부의 경직적이고 타율적인 규제를 당하기 전에 그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스로 자율적인 규제에 나서게 된다는 것이다. 우선 자율규제는 스스로는 아무런 규제가 없는 시장규제에 비하여 프라이버시보호의 장치를 제공한다. 자율규제에는 업계가 보유한 전문지식의 총체를 기반으로 하여 정립될 수 있다. 업계는 회원사들에게 개인정보보호의 중요성에 관한 윤리의식을 주입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개별회원사들이 힘을 합하여 단독으로는 제공할 수 없는 공동의 이익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업계 전반의 평판을 개선하고 업계 전체에 통용되는 표준을 자율적으로 확 립할수있게되는것이다.

-110- 업계는 고객정보의 사용법 및 판매방법에 관한 방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개인 정보보호 와 관련한 관행과 그 비용,. 효율성 등에 관하여 많은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규제가 시행될 경우에도 가장 적은 비용으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도 알고 있다. 자율규제의 경우 각 회원사들 소속의 직원들에 직업교육의 일환으로 프라이버시 보호의 규약들이 학습 될 수 있다. 업계의 회원사들은 자신들 내부에서 상호간에 인정하는 공정성을 기반하여 자 율규제에 참여하게 된다. 그들은 정당한 규칙을 세우고 자신들이 만든 윤리적 신념에 긍지 를가지고그것을어기는것에대해서는법규보다양심의가책으로더욱자극을줄수있 다. 인터넷 상거래의 경우 고객들은 상거래의 보안이 취약하면 개인정보노출을 꺼리게 된다 는 것을 업계는 알고 있다. 따라서 그러한 우려를 경감시키는 상거래 규약을 확립하고 이것 을 소비자와 직원에게 교육하고 구매자들에게 자신들이 규약을 준수한다는 사실을 주지시키 려고 하는 것이다. 내부적으로 이 규약을 어긴 회원사에 대해서는 자체 징계를 하거나 혹은 업계에서 축출할 수 도 있다. 정보사회에서는 네트워크의 외부효과가 경제성의 기초이므로 업계에서 축출되는 것,. 네트워크에서 쫓겨나는 것은 치명적인 처벌이 된다 이러한 자율규제의 모델에 대한 비판도 가능하다., 우선 자율규제는 공동의 전문지식 공동의 규범, 공동의 평판과 기술표준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업계 전체가 일종의 카르텔과 같은 성 격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자율규제가 업계의 카르텔의 위험성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 지 를 판단하기란 용이하지 않다., 카르텔의 요소 카르텔을 유지하는 요인 등은 개인정보에 관 한 공동의 규약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업계의 전문지식에 대해서도 비판이 가능하 다. 업계의 전문지식은 동시에 업계 자신의 이익을 확장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개별 회원사는 공동의 전문기술을 형성하는데는 덜 참여하고 그 혜택만 누리려고 할지도 모 른다. 업계의 공동체적 규범이나 윤리적 신념 등이 이익 앞에서 과연 어느정도 효과가 있을 것인가 하는 의심이 가능하다. 규약은 업계 전체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개개인에 게는정부의규제나큰차이가없다고느낄수도있다.

라.: 결론 자율규제의 모델

-111-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여러 모델 중에서 자율규제의 모델이 가장 우월하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자율규제의 모델이 가장 완벽하기 때문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시장모델이나 정부모델 이 유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우선 시장모델은 앞에서 말한대로 아무런 공동의 규제없이 스스로 프라이버시를 지키려는 동기를 시장이 제공할 만한 메카니즘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시장의 원리나 경쟁은 결코 이 러한 메카니즘을 창출하지 않는다., 모든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거나 프 라이버시보호를 경쟁전략으로 채택할 아무런 논리적 현실적 근거가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프라이버시 보호의 문제는 시장이 개인정보를 이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제기되는 것이 다. 이점은 정부규제모델도 마찬가지이다. 정부가 모든 것을 해결해 준다는 사고방식은 낡은 산 업사회,. 근대사회적인 사고방식이다 정보사회에 있어서의 복잡성과 기술성은 정부의 행정기 능으로 그 위험성을 제거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오늘날 정부의 공무원은 실제 업계의 정보 를 다루는 개별기업들보다 그 분야의 지식에 있어서는 현저하게 열세에 있다. 동시에 관료 제는 이러하게 복잡하고 기술적인 위험에 대처하는 데는 경직된 조직이다. 그리하여 결론적으로 정부에 의한 법규적 규제를 배경으로 한 자율규제의 모델이 가장 바람 직한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실제에 있어서는 자율적인 규제 매카니즘이 작동하지 않는다 면 거의 정보사회 자체가 성립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모종의 완벽한 제도를 채택하여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nirvana fallacy) 을 버린다면 자율규제의 모델을 채택할 수밖에 없는 것이 정보사회의 현실인 것이다. 이 경우 법규에 의한 정부의 규제는 자율규제 에 대한 압력으로서 의미를 갖게 된다.

마. 자율규제의 기본 규범과 사례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기본 규범에 대하서 미국의 연방 사생(Federal Privacy Act), 산 업에서의적정한집행규약(Code of Good Practice for the industry), 유럽영국등의사생 활 보호법에 구체되어 있는 법률에서는 대체로 다음 규범들이 포함되어있다.

-112- ㆍ개인 데이터 기록 보관 시스템을 비공개로 운영해서는 안된다. ㆍ개인에게는 기록될 자신의 신상정보 내용과 그 용도를 결정할 수 있는 수단이 반드시 제 공되어야 한다. ㆍ개인에게는 특정 목적에 제공된 자신의 신상정보가 자신의 동의없이 또다른 목적에 사용 되거나 제공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다. ㆍ특정한 개인정보를 제3. 자에게 공개할 때는 반드시 그 한도를 설정하여야 한다 ㆍ개인이 제기한 신상정보 변경 요구가 거부당했을 경우,, 그는 이의서를 제출할 수 있으며 이의서를 이후 해당 기록에 포함시켜 정보를 공개할 때마다 함께 공개해야 된다. ㆍ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개인의 신상 데이터를 작성,, 유지 사용 또는 유포하는 기관에서는 반드시 해당 데이터가 필요한 목적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신뢰도를 지니고 있음을 보증해야 하며, 데이터의 남용을 막기 위하여 납득할만한 예방조치를 반드시 취해야 한다. ㆍ개인에게는 기각된 요청 또는 확인되지 않은 의무 위반 주장에 대하여 재검토를 유구할 수 있는 수단이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내용들이 현재까지 프라이버시 보호의 기본적인 규범으로 포함되는 것들이다. 실제 자율규제의사례로서네델란드를들수있다네델란드의회에서는. 1988 년데이터보호법 (Data Protection Act : DPA)을 제정하였다 . 법률에 따르면 , 업체 및 직업 부문별 기구들은 행동 규약을 입안하여 기록관리소(Dutch Registration Chamber) 에 제출해 승인을 얻을 수 있는데,. 이 때 데이터 제공자들과 협의를 거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는 지도 및 감독을 번 갈아 사용하는 접근방식의 일환으로서, 법률에서는 특정 부문에서 자율규제가 결여된 것으 로 판단될 경우, 포고 (Decree) 에 의해 정부에게 부문별 사생활침해규제조치 (privacy regulation)를 발포할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 이렇게 하여 1990 년 1 월부터 1995 년 1 월까지 5 개년 간DPA 하에서 50,000 건 이상의 개인데이터 파일이 등록되었다 . 이러한 의무적인 자율규제의 결과에 대한 한 평가는「 대체로 실망스럽다. 적어도 많은 수 의 사람들이 혹은 모두가 이것을 껍데기뿐인 의무에 불과하다고 보아 무시하고 있다」 는 것 이다. 그렇지만 긍정적인 결과로서 직업별 및 업체별 조직들이 규제모델을 개발하고, 운영차 원에서 자율규제를 의한 정보 및 지원을 제공하고 있는 점을 들고 있다. 그리고 자율규제가 가장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들이 필요하다고 한다.

-113- ㆍ비밀준수 서약의 전통 위에서 자율규제를 실시할 수 있는 경우. ㆍ자율규제 규칙이 내부적 지침이나 절차의 역할을 갖는 경우 ㆍ자율규제 규칙이 마케팅 툴로도 수용될 수 있는 경우

3. 프라이버시에 대한 사이버스페이스사회의 성격

가. 프라이버시에 대한 자율규제와 시민단체

프라이버시의 문제는 사이버스페이스 사회() 정보사회 의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다 . 우선 지적 할 수 있는 것은 자발적인 시민단체의 필요성이다. 위의 시장규제도델,, 정부규제모델 자율규제모델에서 사실상 빠져 있는 논점이 정부 자신에 의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이용하거나 약용하는 위험성이다. 사실 정보 사회에 있어서 프 라이버시를 악용하고 규율사회(disciplinary society) 감시국가 (surveillancd state) 의 위험성 을 제기하는 것은 오히려 국가자신인 것이다., 이런 점에서 시장규제모델 정부규제모델은 명 백히 정부에 의한 프라이버시의 침해--. 그것도 가장 위험한 가능성 에 대한 대책은 아니다 결국 프라이버시의 보호에 관해서는 시장규제모델이나 정부규제모델은 현실성이 없으며 유 일한 대안은 자율규제모델이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는 서구 선진국에서 일반적인 합의에 이 르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앞에서 본대로 문제는 자율규제모델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그 사례도 만족할 만 하지 않다. 나아가 자율규제모델도 정보에 의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해 서는 전혀 논의로 되어 있다. 정부에 의한 프라이버시 침해를 민주주의로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은 용이하지만 반대로 정보사회가 감시사회의 위험성이 있다는 입장에서는 민주주의가 문제를해결할수있는것은아니다.

여기에 시민사회의 역할이 필요하다. 자율규제를 한다고 하더라도 자율규제의 취약성을 보 완하고 감시하며 평가하는 집단으로서 비영리적 시민의 자발적인 결사의 기능이 크게 요청 된다고 할 것이다.

-114-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하여 시민운동 조직이 결성되어 기업의 자율규제가 허구나 빈껍데기로 머물지않게감시해야한다다른한편시민운동조직은정부에의한프라이버시침해에대. 해서도 유일한 견제ㆍ 감시의 장치이다. 여기에 정보사회에 있어서 시민운동의 중요성이 증 대되는 이유가 있다. 프라이버시와 관련한 시민조직은 업계와 고객 사이의 전문지식의 격차를 완화할 수 있다. 업계는 개인정보의 수집ㆍ 이용에 관한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자율규제는 이러한 업계 의 지식에 기초하여 자율적으로 규제하는 것을 유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풍부한 지 식이 업계의 이익으로 귀착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한다. 네델란드의 사례는 자율규 제의 결과가 실망스러우며 개개의 회사들은 그러한 규약을 빈껍데기 로 만들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위험성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감시하고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집단은 시 민단체 뿐만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물론 정부조직도 이에 관여할 것이다 그러나 정보조직 의 관료주의를 보충해야 할 필요성이 여전히 있으며, 또한 정부 자체에 대한 문제제기와 필 요성이있는것이다. 나아가 앞에서 본대로 자율규제의 여러 가지 취약점- 가령 업계가 사실상 카르텔화할 위험 성, 업계의 종사자들 개개인이 자신이나 회사와 상관없는 타율적인 규제로 느끼거나, 개개 직원에 대한 교육의 형식화 등등- 에 관하여 시민조직이 이를 보완하고 나아가 사회전체를 주도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지 않다면 자율규제란 사실상 시장에 대한 자유방임과 아무런 차이가 없다.., 시장모델과 자율규제모델의 유일한 차이점은 정부규제의 위협이다 즉 자율규 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정부가 강제적으로 규제한다고 위협하거나 법규에 의하여 자율규제 --의무규제 를 부과하는 것이다 . 그러나 이러한 위협이나 의무부과가 구체적으로 자율규제에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하리라는 보장은 없다. 자율규제는 완전히 형식화할 가능성이 상존하 는 것이다.. 네델란드의 사례가 보여주는 것이 바로 자율규제의 형식화이다 이러한 위헙과 불완전성을 보완하고 나아가 오히려 일체의 주도권을 자생적인 시민단체에 기대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리하여 자율규제는 시민단체와 함께 작동할 때 그 내용적 충실성과 실효성 을기대할수있는것이다.

나. 프라이버시 문제와 사이버스페이스사회의 성격

-115- 프라이버시의 문제는 사이버스페이스사회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여러 가지 시사를 준다. 첫째,()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는 근대사회 자연공간사회 에서는 문제되지 않았던 전혀 새로 운 문제를 제기한다.. 프라이버시 문제는 근대사회에서는 별로 중대한 문제가 아니었다 자연 공간에서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것은 개인의 가정집에 무단 침입하거나 엿보거나 도청을 하는 것과 같이 물리적 공간적 행동이다. 이에 대하여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의 프라이버 시문제는 개인의 정체성() 사이버정체성 의 반대측면인 것이다 . 개인에 관한 디지털 정보의 문 제인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문제는 과거에는 없던 문제이다 둘째, 과거에 없던 문제로서 새로이 제기된 문제가 사회적 가치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비 중을 차지하게 된다. 개인적 정체성과 프라이버시의 문제는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기초이 다.‘’ 따라서 이 문제는 근대사회에서 개인의 자유권 에 비교될 수 있을 만큼 중대한 사회적 가치,. 이념에 관한 문제이다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는 자유권은 무의미하다 . 왜냐하면 디 지털세계에서 자유에 대한 침해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가령 디지털 세계에서는 신체란 존재하지 않으며 존재하지 않는 신체를 구속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인의 신체적 자유권에 비유될 만큼 중요한 것이 사이버스페이스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문제이다. 그리고 프라이버시 보호는 신체적 자유를 보장하는 것보다 더 어려운 문제가 된다. 이처럼 사회적 가치,. 이념에서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이다 셋째, 새로이 제기되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식도 과거와는 전혀 다르게 된다. 과거의 해결방 식은 시장의 원리나 국가의 규제였다. 그러나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는 이 두 가지의 해 결방식이 통하지 않는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제기되는 문제에 대하여 시장의 원리는 적용 할 수 없으며,. 국가의 능력도 한계에 부딪친다 또 많은 경우 시장과 국가 그 자체가 문제의 근원이 되는 경우가 많다. 프라이버시에 문제도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가능성이 많은 것이 바로 국가이고 시장의 기업인 것이다.-- 그리하여 해결의 방식 새로운 질서의 원리 는 대체로 ‘’자율의 원리 에 의존하는 것이 유일한 대안이며 , 자율의 원리가 작동하도록 어떻게 사회적 메카니즘을 창출하는가 하는 문제인 것이다.

-116-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문제에 대해서, 자율규제와 시민사회는 불가분 하게 연관되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프라이버시 문제는 근대사회에 자연 공간에서는 크게 문제되지 않았던 것으로서, 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사회적 가치와 이념의 근본적인 변화를 동반하는 것으로서 국가와 시장이 지킬 수 있는 자율의 원리가 유일한 대안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제 사이버스페이스 또 하나의 커다란 이슈인 지적재산권의 문제에 대해서 살펴보 기로 한다.

제3 절 지적재산권과 연대의 사회

1. 사이버스페이스와 지적재산권

근대사회가 성립하면서 로크는 자연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논의에서 그의 논의를 전개시켰다. 자연사회에서는 모든 사람들은 평등하게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 였다. 사람은 생명 (lives), 자유 (property), 재산 (estates) 에 관한 권리를 갖고 있으며 , 로크는 이 세 가지를 포괄하여 소유(property) 라고 불렀다 . 이렇게 규정할 때 , 인간은 사회적으로 소유의 총체로 규정되며, 한 마디로 말하면 인간은 소유적 개인 (possessive individual) 이다 .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인간에 대해서도 우리는 같은 사고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사이버 스페이스에서도 소유권 내지 재산권(property) 영어로는 동일하게 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 는 것은 이제까지의 사고방식에서는 지극히 당연한 일이라 할 것이다. 그런데 이 새로운 재 산권의 대상은‘’. 디지털화한 것 이다 왜냐하면 사이버스페이스는 디지털공간이기 때문에 그 공간에서 생성되고 유통되고 소유되는 것은 디지털화한 정보나 상품, 또는 재산이기 때문이 다.(,) 여기에 재산권의 대상도 과거의 물리적 재산 동산 부동산 등 보다 디지털 재산이 중심 이 된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새로운 재산권이 지적재산권 (Intellectual Propoorty) 이다. 이것은 과거의 저작권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나 다른 재산권보다 오늘날에는 가장 중요한 재산권으로 등장하고 있다.

-117- 원래 소유권을 보호하는 제도로서 저작권은 과거에는 주요한 문제가 아니었다. 우리가 자동 차를 소유하거나 주택을 소유하는 것은 모든 사람들에게 중대한 문제였으며, 그것에 대한 침해-- 가령 절도나 사기 도 중요한 범죄였다 . 이에 대해 저작권은 학문을 하는 사람들이나 저술가들이‘’ 지적인 표현물 을 보호하는 것이었으며 사회의 지엽적인 문제였다 . 그것이 이제 는 정반대로 되어 지적재산권이야말로 모든 재산권의 중심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사이버 스페이스에서는 모든 저작물,. 지적인 산물은 디지털로 표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과거와 없 이 어문()語文 저작물로서 서적 , 음악 저작물로서 레코드 , 영상 저작물로서 필름이나 녹화 테이프와 같이 물리적 형태는 전혀 중요한 것이 아니게 되었다. 이것들은 사이버스페이스에 서 하나의 형식-- 파일 로서 표현되게 되었다 . 여기에 더하여 더욱 일반적인 지적 재산권으로 서 광범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가 출현하게 되었으며 , 이것 역시 동일한 디지털 형태를 가 지고 있어 같이 취급되게 되었다. 현실에 있어서 지적소유권은 자연공간에서의 무형의 재산권과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재산권 이포괄되어규정되고있다문제되고있는지적재산권을분류해보면.

자연공간에서의 지적재산권: 산업재산권 분류 공개여부 특징 재산권인정 관련법 공개 특허출원 특허법 물물() 고도의창작() 발명 기 공개 실용신안출원 실용신안법 술 공개 고안 특허출원 특허법 제조방법 비공개 영업비밀 부정경쟁방지법 디 상품디자인 공개 의장등록 의장법 자 창작성 인 포스터ㆍ공개 팜플렛 저작권법 상품 상표 상표등록 상표법 명 공개 칭 서비스 서비스표 서비스등록 상표법 상호 주지성 사용 부정경쟁방지법 반도체회로배치설계도 독창성 반도체칩보호법

-118- 다음의【】 표1. 과 같다

분류 특징 관련법 저작물 (/////어문 음악 연극 미술 건축 사 창작성 저작권법 진영상도형// 컴퓨터프로그램) 저작인접물( 실연 / 음악 / 방송 ) 저작권법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컴퓨터프로그램 창작성 저작권법 캐릭터 창작성 저작권법 유명인의 초상 민법. 저작권법 소재의 선택과 배열의 데이터베이스 저작권법 창작성 컴퓨터결과물(/) 그래픽 번역 ? 멀티미디어 제작물 ? 인터넷 도메인네임 디지털화권 권리관리정보 【】표2 지적소유권과 지적재산권 분류 이외에 등록되지 않은 디자인,, 점포의 디자인 등록되지 않은 상표 ,() 등도 주지성周知性 을 가질 때에는 부정경쟁방지법에 의해 보호됨.(/) 고객명부 비밀성 영업비밀 도 부정경쟁방지법 에의해보호됨 영업매뉴얼() 문서 도 창작성이 있을 때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됨

<>자연공간 또는 사이버스페이스

위의 표33)에서 바로 드러나는 지적재산권의 새로운 경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33) 전산원NCAVII-RER-97084[ 정보사회의 지적재산권 개념 재정립 ] 의 표를 고침

-119- 자연공간에서 물체나 행동이나 이름과 연관되어 형성되는 지적재산권은 근대사회 이후로 보 호되어 온 지적재산권이다. 이에 대해 정보사회() 사이버스페이스사회 에서 새로이 등장하고 중요한 지적재산권이 된 것 은 모두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디지털화와 연관되어 더욱 중요해지게 된 것이다. 가령 동일 한 논문이라고 하더라도 인쇄와 연관된 저작권으로 규율될 때에는 그렇게 중요한 것이 아니 었다.,, 그것이 디지털세계가 열리면서 생산 전파 복제가 대단히 용이해지고 대량화 될 수 있으면서 대단히 중요해지게 된 것이다. 한편 정보사회에서 지적재산권은 기술적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다. 위에서 보는대로 기술적 발전에 따라 전혀 새로운 지적재산권이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

2.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소유권과 사회적 발전

사이버스페이스에서 디지털화한 지적재산권은 자연공간에서의 소유의 대상물과는 전적으로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서적의 경우 서적에 담긴 내용 시 소설 논문… 그자체는 무형의 것이고 물체가 아니다.() 그렇지만 그것이 담긴 그릇 매체 에 의하여 그것은 물체가 된다.. 이렇게 물체화됨으로써 소유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소유권이란 배타적 지배권 이다. 어떠한 사람이 소유하면 그 때문에 다른 사람은 바로 그것 자체는 소유할 수 없고 이 러한 사실 때문에 배타적 지배가 가능하게 된다. 서적은 그책을 어떤 한 사람이 구입하여 소유하면 다른 사람은 바로 그 책을 구입할 수도 소유할 수도 없다.( 마치 주택을 어떤 한 사람이 소유하면 다른 사람은 그 주택을 소유할 수 없듯이). 따라서 다른 사람이 책을 사는 것은 동일한 내용이라도 또 하나의 책을 사는 것이다.. 여기에 출판업이 가능하게 된다 말하 자면 자연공간에 연장성()延長性 을 가진 물체는 그 성질 때문에 소유에 있어서 배제성 ( 다른 사람이소유할수없음을가질수있게한다). 이에 대하여 동일한 책() 내용 이라고 하더라도 일단 디지털화하면 배타적 지배는 더 이상 가 능하지 않다. 인터넷에서 디지털화된 논문은 수백 명 수천 명이 동시에 소유할 수 있다. 무 한한 복제가 가능하다. 그렇게 복제가 되고서도 최초의 소유자의 소유에 아무런 영향을 미 치지 않는다.

-120- 이처럼 사이버스페이스는 자연공간과는 그 소유의 환경이 다르다. 본질적으로 사이버스페이 스는 배타적 지배가 불가능하며 배제성이 없다. 그리하여 사이버스페이스에서 디지털화된 저작물에 대한 소유권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법률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다른 사람들의 행동 을 제한하지 않으면 안된다.. 법률적 강제가 아니면 소유권은 성립할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이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소유권의 본질이다. 사이버스페이스와 디지털제품의 성격은 소유권이 적절하지 않으나 자연공간에서의 법률에 의하여 소유권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여기에 사이 버스페이스 사회의 지적재산권의 본질이 있다. 이렇게 법률을 통하여 소유권을 설정하는 데 대한 이론이 여러 가지로 제기될 수 있다. 이 것을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의 경우를 갖고 논의해 보면 다음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1)유인효과이론 : 소프트웨어 소유를 통한 이득은 유능한 연구자들로 하여금 새로운 소프 트웨어를 개발하려는 유인(incentives) 을 준다 . 2)기업비밀교환이론 : 만약 소프트웨어를 저작권 등으로 보호하지 않는다면 기업비밀로서 보호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연구자들이 그들의 발견과 발명을 공표하지 않게 만들 것이다. 3)기대효과 이론 : 유용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사람들을 부유하게 해줌으로써 , 저작권법은 사회적자원을미래에공헌을많이할수있는사람들에게효율적으로배분하는효과를가 져올 것이다. 34) 그외에 여러 가지 이유를 설정할 수 있다. 가령 어떤 사람의 창작물을 그 사람의 소유로 인 정하는 것은 자연적 정의라고 할 수도 있고, 사회적 문화적 발전에 공헌한 사람에게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는 논리도 가능하다. 이런 이론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다만 한 가지로 환원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지적소 유권의 대상으로 하여 보호하지 않으면 연구자들이 지적 창조물을 창조하지 않게 된다는 것 이다. 실제로 어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1 년의 기간동안 연 1500 명의 인원으로 1 억 5 천만 원의 비용을 투입하여 개발하였는데 그에 대한 대가는 없고 단지 몇분만에 간단하게 복제하 는 것이 허용된다면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따라서 사회의 발전 을 위하여 지적 소유권은 철저하게 보호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34) 박정순 정보통신문화와 도덕의 정체성 문제 http://www.icec.or.kt

-121- 그런데 이러한 논리를 철저하게 추구해보면 즉, 자연공간에서의 물체에 대한 소유의 법제를 그대로 사이버스페이스에 적용한다면, 그 목적과는 반대로 사이버스페이스의 발전은 기대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사이버스페이스의 발전 곧 사회의 발전 을 위하여 지적재산권을 보호하 는 것이 필요한데도 불구하고 그 결과가 정반대로 사이버스페이스의 발전을 가로막게 될 것 이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일체가 디지털화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사이버스페이스에서 만나는 모든 것은 누군가의 창작물이고 따라서 누군가의 소유물인 것이다. 그 어떠한 것도 우리는 대가를지불하지않고서는이용할수없게될것이다오직이용할수있는것은그창작물. 의주인저작권자등이무료로이용할수있다고표시한것만을그에게감사하며이용할() 수 있을 뿐이다., 이렇게 될 때 사이버스페이스에 참여한 사람들은 모든 행동에서 그것이 무 료로 제공된 것인가를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설사 무료로 제공되었다고 하더라도 그것 을 복제하거나 그것을 가공하여 새로운 디지털 제품을 만들어내는 것은 다시 금지된다. 그 리하여 모든 사람들은 사이버스페이스에 참여하는 모든 행동들에 대하여 대가를 지불할 의 사와 능력을 가지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다수의 사람들에게 사이버스페이스의 참여를 가 로막게 될 것이다. 다른 한편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새로운 지적 창조물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사이버스페이스 의 다른 자료들과 지식들을 필요로 한다. 이 자료와 지식들이 얼마만큼 무료로 제공되고 공 유되는가에 의하여 사이버스페이스의 발전이 좌우된다. 가령 어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그 단계에 이르기까지 지적 발전과 아이디어의 개발을 위해서 누구나 혼자서 개별적 으로 단계를 밟아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모든 사람들에게 뉴턴의 법칙부터 스스로 발견하여 양자역학에 이르기지 스스로 개발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부담을 주는 것과 같다. 실제 일류의 발전은 공유하는 지식의 확장에 의하여 다음 세대, 다음의 사람들은 더 높은 수준에서 도전할 수 있어 왔다. 물론 지적 재산권의 원칙도 아이디어의 표현 (the expression of ideas)만을 보호하지 그 아이디어 자체는 보호하지 않는다 . 또한 자연의 법칙들과 수학적 공식들에 대해서는 지적 재산권이 인정되지 않는다. 저작권의 보호는 표현에는 미치지만 사 상ㆍㆍ 절차 운용방법 또는 수학적 개념에는 미치지 않는다.( 세계지적소유권기구 저작권 조약 제조2).

-122- 그러나 지식의 공유가 사회발전의 원동력이라는 것은 이런 기초적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러 사람들에 의하여 더 높은 수준의 창조들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더 높은 수준의 지식 정보의 공유가 확장되면 될수록 좋은 것이다. 여기서 사이버스페이스 사회 소유권의 본질이 있다. 사회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적 재산권은 더 많이 보호되면 보호될수록 좋다.( 그 결과 지식정보 및 지적 재산권의 공유를 작게 하면 할수록 좋다). 그렇지만 동시에 사회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적 재산권은 전혀 보호하지 않고 지식정보의 공유가 확정되면 확장될수록 좋다. 이것은 모순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동일한 문 제의 반대의 측면이다.‘’ 다시 말하면 사회발전을 위해 연구자들의 동기 를 더 많이 자극하기 위해서 지적 재산권을 철저히 보호하면 할수록 좋다.( 지적재산권의 공유를 적게하면 할수 록 좋다). 그렇지만 사회발전을 위해 ‘ 연구자들이 더 용이하게 연구하고 더 높은 수준의 창조 성을 발휘하게 하기 위해서는’, 지식정보 지적재산권의 공유를 확장하면 할수록 좋다 .(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지 않으면 않을수록 좋다). 결국 어느 수준의 지적 창조물에 대해서는 지적 재산권을 철저하게 보호해야 하지만, 어느 수준의 지적 창조물에 대해서는 사회적 공유를 확장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해답이다. 구체 적으로는 지적 재산권의 보호와 지적 재산의 사회적 공유를 동시에 확장하는 것이 좋은 것 이다. 이러한 매카니즘을 어떻게 창조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사이버스페이스 사회 발전의 관건인 것이다. 이것은 자연공간과 사이버스페이스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다. 자연 공간에서는 공유의 가능성이 별로 없다.. 대부분의 소유물은 배재적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공유의 가능성이 무한하게 열려있다.() 모든 소유물 디지털 이 비배제적 이기 때문이다.

3. 지적재산권 보호의 확대

사이버스페이스는 본질적으로 세계적이기 때문에 현실에서는 지적 재산권에 관해서도 서구 주도에 의한 세계적 규범을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지적 재산권 규범의 내용은 근대적 마인 드에 기초하여 지적 재산권의 공유보다는 지적 재산권의 보호를 지향하는 것은 당연한 경향 이다. 저작권과 관련하여 약100 여년 전에 베른조약이 있는 후에 1996 년 12 월 2 일부터 12 월 20 일 까지 세계지적소유권기구(WIPO) 저작권조약이 성립되었다 .

-123- 여기에서 저작권은 표현에만 미치며 아이디어에는 미치지 않는다고(2) 제 조 명시되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보호하는 저작물의 종류가 확대되어 컴퓨터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규 정이 추가되고 배포권,, 대여권 공중전달권이 규정되고 기술조치에 관한 보호의무 , 권리관리 정보에 관한 의무 등이 규정되었다.. 지적 재산권에 관한 보호가 계속 확장되고 있는 것이다 새로이 추가된 데이타베이스에 대하여‘’ 내용의 선택과 배열 로 인하여 지적 창작물이 되는 자 료 또는 기타 소재의 편집물은 그 형태에 관계없이 지적 창작물로서 보호된다. 이 보호는 당해 자료 또는 기타 소재 그 자체에는 미치지 아니하며, 그 편집물에 수록된 자료나 소재 에 존속하는 저작권에도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제 5 조 ) 로 규정하고 있다 . 데이터베이스는 ‘’그 소재의 선택과 배열 에 창작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 최소한도의 요건이다 . 이에 관해 미국의Feist 판결에서는 전화번화부는 수집한 전화번호의 선택에 창작적인 기준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배열도 알파벳순이라고 하는 극히 평범한 방법이므로 창작적인 저작물로 볼 없 으므로 저작권이 성립할 수 없다고 판결하였다. 이것은 전화번호부를 만드는데 많은 투자가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창작성이 인정되지 않으면 저작권이 성립할 수 없다는 없는 판결이 다. 그외 새로운 기술에 의하여 성립하는 새로운 저작물에 대하여 이를 보호할 것인가 하는 문 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컴퓨터 결과물 (Computer Output) 로서 예컨대 컴퓨터 그래픽 , 컴퓨터 번역,, 컴퓨터 작곡 자동작성된 프로그램 , 자동작성된 데이터베이스 등에 관하여 여기에 저 작권이 인정될 것인가,. 저작물에 해당된다면 누가 저작권자인가 하는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제작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논의가 제기된다., 멀티미디어 제작물은 텍스트 그림,, 사진 영상 및 소리 등을 하나로 묶은 집합체이다 . 이것을 기존의 저작물의 하나로 영 상저작물로 분류할 것인가,,3 편집저작물로 볼 것인가 전혀 새로운 제 의 저작물로 볼 것인 가, 그 각각을 구성하고 있는 저작물로 분리하여 보호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외에 저작물 등의 정보를 디지털방식으로 전자매체에 고정하는 최초의 제작자에 관하여 이를 디지털화권으로 규정하여 저작권의 하나의 보호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에 대해 보수청구권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견해가 있는가 하면 전자출판까지 포괄하여 출판권자로 보 호할 것인가 하는 문제도 제기된다.

-124-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빌게이츠는 전 세계의 유명박물관 미술관 등의 작품에 대한 디지털화권 리를 사들이고 있는 바, 디지털화권이 권리로서 보호된다면 세계의 유명한 미술과 박문관의 예술품에 대한 디지털화권의 권리를 빌게이츠가 독점하게 될 것이다. 한편 인터넷과PC 통신의 발전과 관련하여 인터넷 도메인 네임과 기업명에 대한 분쟁사례가 많이 생겨나고 있다.(ISP) 한국의 인터넷 서비스 전문업체 인 넥스텔사 (http://www.nextel.com)가 InterNIC 에 등록하여 사용하고 있는 도메인명에 대하여 미국의 넥스텔사(http://www.nextel.com) 사가 자신의 회사 상표명이라는 이유로 사용중지통지를 하 였고, 관할법원이 미국인데다 소송과정의 부담으로 결국 도메인 네임을 다른 것으로 바꾸기 로결정하고말았다.35) 전자게시판의 운영과 관련하여 저작권 침해가 통신망을 통하여 일어난 경우 전자게시판 운 영자나 통신망 사업자가 책임을 져야 하는 문제도 제기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보광미디어 가 나우누리를 상대로 한 소송에서CD-ROM 속도 증가 프로그램이 나우누리를 통해 불법복 제 배포된데 대하여 소송을 제기하였으나 판결에선 이 문제는 다루지 않았고, 미국 판례는 책임을 인정한 판례와 부정한 판례가 모두 있다. 한편 위 국제조약은 저작권을 보호하는‘’ 기술조치 에 대해서도 보호의무를 규정하고 있는 바 , 조약체약국은 복제방지장치를 무력화시키는 기술회피행위를 금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법적 규제를 하여야 한다는 내용(11) 제 조 이 있다 . 이것은 저작자가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조치를 파괴하거나 회피하는 기술들에 대하여 규제를 함으로써 저작권을 보호하는 것이 다. 또한 위 조약은 권리관리정보에 관해 규정하고 있는 바,‘ 권리관리정보란 저작물의 이용 허락 에 필요한 정보들’ 로서 저작권의 소유자와 그 소유자가 제시한 이용허락에 관한 정보들을 모아놓은것이라고할수있다이러한권리관리정보에대해서.1) 권리관리정보를권한없이 제거하거나 변경하는 것2) 권한없이 제거되거나 변경된 것을 알면서 저작물이나 그 복제물 을 권한없이 배포하는 것 등에 관하여 금지하고 법적 구제조치를 위한 것을 규정하고 있다. (12)법제 조 이상의 내용들이 현재 국제사회에서 지적 재산권의 보호를 확장하고 있는 경향들이다. 지적 재산권의 보호와 관련하여 세계는 상당히 신속하게 광범하게 그 보호를 규범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35) 월간 인터넷1996.11 정진섭 : 인터넷 도메인 네임과 상표권 분쟁 실태

-125- 이것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첫 번째의 경향, 지적 재산권을 보호함으로써 사회발전을 추구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지적 재산권의 공유를 확산함으로써 사회발전을 추구한다는 경 향은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것은 서구의 주류적인 마인드에 있어서는 전혀 논외의 사 항이라고할수있다지적재산권공유에대한지향은오히려이러한방향을비사회적인. 경향으로 규정하고 있다.

4. 지적재산권 공유의 현실과 방안

지적재산권을공유하는사상으로들수있는것은GNU 라고불리는하나의움직임으로 GNU는 Gnu's Not 의 약자로서 FSF( Foundation) 에서 수행한 project 의 이름이다.FSF 는 소프트웨어 , 사용자 , 그리고 개발자의 더 나은 발전을 위해서 소프트웨어 는 상용보다는 공개로서 배포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FSF 는 민간재단으로서 비싼 UNIX 나 WINDOW NT등의 운영체제를 대체할 수 있는 공개소프트웨어 를 무료로 배포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많은 사용자들이 그 혜택을 입고 있다.GNU 이 재단의 정신은 선언문에 나타나 있다. 이 선언문은 앞에서 지적 재산권을 보호해야 한다는 논리를 정면으로 반박하 고있다. 「GNU는 유닉스와 완벽하게 호환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며 사용가능한 모든 이가 무료 로 사용하도록 작성한 것이다.… 어떤 프로그램을 좋아한다면 당연히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 들과 함께 나누는 것이 황금율(. 대우받고자 하는 대로 대우하라」 이라고 생각한다 소프트 웨어를 판매하는 사람들은 사용자를 각각 구분하고 그들 위에 군림하며 사용자 서로가 프로 그램을 공유하는 것을 막고자 한다. 나는 이런 식으로 사용자간의 결속이 깨지는 것을 거부 한다. 나는 올바른 양심으로 비공개 협정이나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협약에 서명할 수 없다. ... ‘?’프로그래머들의 밥줄이 끊기지 않을까 나는 모든 사람이 프로그래머가 될 필요는 없다고 답하고 싶다.… 프로그래머가 생계에 지 장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진정한 이유는, 지금과 같은 정도는 아니겠지만 여전히 프로그래 밍으로 돈을 벌 방법들이 있기 때문이다. 프로그램 복사를 제한하는 것이 소프트웨어 사업 의 유일한 기본방침은 아니다. 소프트웨어 사업은 지금까지 흔하지는 않았던 조직체계로 전 환해 나갈 길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여러가지 사업을 한데 묶어 조직화하는 방법은 무 궁무진한 것이다.」36)

36)Linux Guide 미리내 익스프레스ㆍ 머드넷 공저 P.41

-126- 지적 재산권의 공유에 관한 이러한 주장은 현실적 체제에 대한 도전으로서는 별로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서구주도의 세계에서 지적 재산권을 철저하게 보호하는 것은 이미 강대국이 정한 추세이며 이것을 번복할 수 있는 힘은 누구에게도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같은 서구에 서이와같은주장과단체가있다는것은의미있는일이다그것은지적재산권의공유의. 필요성 때문이다. 지적 재산권의 소유권화에 동시에 지적 재산권의 공유도 함께 발전시켜야 한다.. 그래야만 사회전체가 더 빨리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지금 부족한 것은 지 적 재산권의 공유의 메카니즘을 현실화 시키는 것이다. 지적 재산권의 공유의 메카니즘을 창조할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다른 국가나 지역과 지적으로 경쟁할 수 있는 유력한 힘이 된다. 그리고 그 힘은 이러한 공유를 지향하는 세력과 집단들의 광범한 연대를 형성하고 그 연대를 현실적 힘으로-.-. 공유는 힘을 만든다 발휘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지적 창작물의 이용허락 체제에 관한 집중관리제도이다. 오늘날과 같이 지식 정보가 폭발하는 사회에서 지적 창작물의 이용허락에 관한 복잡한 상황에서 수많은 사람에 게 수많은 사람이 허락을 얻어낸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것이다. 그리하여 허락의 비용 때문에 허락을 받지 못하여 포기하거나 불법이용 하는 것이 또 하나의 현실이다. 이에 관한 효율적인 허락체제가 집중관리제도이다.78ㆍ 우리 저작권법 조는 저작권의 대리 중개 또는 신탁관리를 업으로 하고자 할 때에는 일정자격을 갖춘자가 신고 또는 허가를 통하여 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며99 조 100 조 등에서는 신고나 허가없이 신탁관리업을 행할 경우 형사처벌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현재의 집중관리제도는 음악저작권을 관리하는 한국음 악저작권협회’. 와 같은 예가 있으며 일종의 협회로서 가능하다 이와는 다른 관점에서 집중관 리제도를 원래의 취지대로 저작권자는 편리하게 그 대가를 받고 이용자도 편리하고 저렴하 게저작권을이용할수있는방식으로발전시킬수있다이런점에서신고나허가제도를. 포함하여 발전적인 재검토를 필요로 한다.

지적 재산권의 공유에 관한 제3 의 방법은 위와 같이 저작권 공유체제를 형성하고 이용자에 대해서는 무료로 이용하게 하고 저작권에 대해서는 대중의 이용횟수에 비례하여 국가가 대 가를 지불하는 제도이다. 이것은 가장 발전된 지적 재산권의 공유시스템으로서 세 가지의 정점이 있다.

-127- 첫째, 이 경우 대중이나 기타 자신의 발전을 위해서 타인의 창작물을 습득해야 하는 사람에 게 완전히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소프트웨어의 발전에 있어서 상당한 수준에 이 르기까지의 소스들이 무료공개 된다면 프로그래머들은 처음부터 출발하지 않고‘ 거인의 등에 올라타고’. 바로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 둘째, 자신의 저작물에 국가에 위탁하는 저작자도 상업성이 명확하지 않은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경우에도 지적재산권의 보호를 받는다고 해도 상업적으로 성공하는 확률은 극히 희박하다. 이러한 상업화에 이르는 캐즘 (chasm) 을 어느 정도의 수입으로 극복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이에 대한 국가의 부담은 별로 크지 않다고 해야 할 것이다 상업적인 대가가 아니므 로 반드시 저작자에게 고가의 대가를 지불할 필요가 없으며 상업적인 대성공을 거둔 경우에 도 보상에 대한 상한선을 설정할 수 있다.( 물론 리스크를 무릅쓰고 대성공을 바라고 상업 화할 것인가 아니면 대가는 크지 않지만 안전하게 국가에 위탁할 것인가는 저작자가 스스로 결정할 일이다. )

5. 지식정보의 공유정신과 시민정보사회 지도자 네트워크

지적 재산권에 관한 논의는 마치 지적 재산권의 보호에 관한 논의가 전부인 것처럼 인식되 고 있다. 그러나 실제의 현실에 있어서는 오히려 정반대로 지적 재산권의 공유, 사회의 지적 인 연대,. 지적 공유의 인프라 등이 더욱 결정적인 문제이다 이 점이 자연공간과 사이버스페 이스의 다른 점이다.() 자연공간사회 근대산업사회 에 있어서는 소유권을 확립하고 경쟁적 시 장을 형성하는 것으로 경제적 질서는 완결된다. 그러나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는 그것만 으로는 부족하다. 지적 재산권 자체가 비배제성을 가지고 있으며 지적 기술적 발전 자체가 공유와 연대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만일 공유와 연대의 문화가 형성되지 않으면 소유와 경쟁만으로는 결코 사회적 발전에 이르지 못한다. 미국 정보화의 발전의 지적 재산권의 보 호 때문이 아니라 미국 특유의 공유와 연대의 문화 때문이었다. 표면적으로는 미국등에서 주도하는 세계의 정보화의 과정에서 지적 재산권의 보호가 주된 이슈가되어왔다.

-128- 이러한 국제적 압력으로 우리나라도 외국상표의 도용,ㆍ 소프트웨어의 복제에 대하여 경찰 검찰이 공권력을 동원하여 대대적인 단속이나 지속적인 적발이 있었다. 그리하여 마치 정보 화나 사회발전에 있어서 우리 국민에게 지적 재산권의 보호에 대한 법의식을 심는 것이 가 장 중요한 일인 것처럼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미국 등에서는 지식정보의 공유의 정신 공유 의 문화, 다양한 주체간의 네트워킹 연대 등은 문화적으로 형성되어있어서 이에 대해서는 정부나 사회가 특별한 노력이 필요없기 때문에 지적 재산권의 보호에만 주된 이슈가 되어 있는 것이다. 지적 재산권의 보호가 사회발전의 추동력이 되는 것은 이러한 공유와 연대의 문화를 바탕으로 할 때인 것이다.. 그리나 우리는 이러한 측면은 완전히 간과하고 있다 정보사회의 발전에 있어서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꼽히는 미국의 실리콘밸리의 경우도 그 성 공요인은 이러한 기업간의 연대,. 지적 분업과 공유 메카니즘이었다 「실리콘밸리에는 전문 벤처기업의 효율적인 개발과 생산을 뒷받침하는 기업간 네트워크가 풍부하게 형성되어 있다. 하이테크 산업을 지지하는 다양한 기업군이 집적되어 있는 실리콘 밸리의 벤처기업들은 자신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핵심부분문을 담당하고 나머지는 기업간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결하고 있다. 전문 벤처기업들은 원재료의 공급부터 제품의 설계에 이 르기까지 필요한 모든 부분을 공급받을 수 있다. 벤처기업들은 기업간 네트워크를 활용함으 로써①② 부품이나 설비를 신속하고 저렴하게 조달하고, 빠른 시간내에 신제품과 차별화된 제품을 공급하며,.③ 수요와 기술의 빠른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기업간 제휴 및 기술의 융합을 통한 신기술개발과 신제품 개발이 실리콘밸리의 발전을 이끄 는 원동력이다. 벤치기업들은 시장수요에 대응한 개발테마에 대하여 다양한 전문기술을 가 진 기업들이 순발력 있게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제휴관계를 가짐으로써 새로운 제품을 개발 한다. 개발테마를 보면 소프트웨어와 인터넷 등 정보통신에 관한 기업간 네트워크의 형성이 두드러진것을알수있다.」37)

「무엇보다 미국의 정보화 모델에서 가장 인상적인 점은 지적 자산과 정보를 공유하려는 정 신과 자율적인 경쟁의 원리를 조화시킬 수 있는 경제적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성공 했다는 것이다.」 예컨대 실리콘 밸리의 성공요인을 분석한 많은

37) 한종희,: 복득규 미국 첨단산업을 주도하는 실리콘밸리 , 삼성경제연구소

-129- 보고서들은 공통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된 기업간 네트워크, 기업과 대학의 유기적인 산악협 력체제,, 수월한 교육과 원활한 인재공급 정부의 적절한 지원 및 인프라 구축등을 주요한 성 공요인으로 꼽고 있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애플이나 마이크로소프트 그리고 네스케이프에 이르기까지 모험자본으로 출발하여 단시일내에 엄청나게 급성장한 기업들이 생겨날 수 있었 던 것이다. 정보에 대한 보편적 접근과 시장원리의 효과적 결합이라는 엘 고어 부통령의 정 보화 원칙 천명은 이런 배경에 바탕을 두고 있다.」 38)

소프트웨어에서 첨단기술에 이르기까지 한 사람의 고독한 작업에 의하여 큰 발전이 이루어 지는 시대는 지났다., 오늘날 지식정보의 폭발 기술의 혁신등은 다양한 분야와 여러 사람들 의 지식기술의 공유와 결합의 결과인 것이다. 소프트웨어의 원천이 되는 아이디어는 컴퓨터 사이언스나 프로그래머가 아니라 전혀 다른 분야-- 사회의 모든 분야 에서 나오며 프로그래 머는 이것을 디지털세계에 작동하는 형식을 부과할 뿐이다. 그런데 이러한 공유와 연대의 문화가 우리에게는 바탕으로 깔려 있지 않다.

여기에 시민정보사회의 네트워크의 필요성이 있다. 지식기술의 공유와 연대의 분야에 있어 서는 국가나 시장이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국가의 본질은 법과 권력에 의한 강제력이다 자율성과 자발성은 법이나 권력에 의하여 생성시키지 못한다. 다른 한편 시장은 소유와 경 쟁의 영역이다.. 경쟁이 공유와 연대의 결과를 산출하지 않는다 경쟁은 공유와 연대와는 정 반대의 개념인 것이다. 이런점에서사이버스페이스의전부라고도할수있는지식정보의차원지적재산권의차, 원에서 공유와 연대의 메카니즘을 발전시키는 것은 정보사회를 이끄는 선도적 시민들의 네 트워크가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것을 우리는 시민정보사회의 지도자 네트워크라고 표현하 고자 한다. 이러한 공유와 연대의 메카니즘을 창조하는 방안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앞에서 제시 된 것만 해도GNU 와 같은 프리웨어를 이념으로 하는 시민운동 , 지적 재산권의 집중관리제 도, 상업화를 포기한 지적 재산권의 무료이용과 보상지불시스템 등은 모두 선도적 시민운동 에 의하여 자발적 자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뒤의 메카니즘에는 국가의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그렇다고 하여 국가가 이러한 역할을 한다면 즉시 국가를 상대로 한 자금수혜를 받기 위한 투쟁의 장으로 변해 버릴 것이다.

38) 박형준 정보화의 문명사적 의미와 국가전략의 방향p.45 박영률 출판사

-130- 소유와 경쟁이 아닌 공유와 연대를 바탕으로 하는 시민정보사회는 자발성과 자율성을 그 동 인으로 한다. 행동의 동기로서 자율성과 자발성은 시민정보사회의 윤리와 도덕으로 자리잡 고 있는 것이다. 이제 자연공간과 사회와 구분되는 시민정보사회의 원리와 도덕의 정체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제5 절 시민정보사회의 윤리와 도덕의 정체성

1. 사이버스페이스사회와 윤리의 사회체제적 위상

사이버스페이스는 자연공간과 본질적으로 다른 사회적 공간이다. 인류는 이제까지 자연공간 에서 살아왔다.-- 그런데 이제 전혀 다른 새로운 공간 사이버스페이스 이 인간 삶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는 우선 사회구성원부터 자연공간과 다르다 자연공간 에서는 인간이 태어남으로써 사회 구성원이 된다. 그러나 사이버스페이스의 구성원은 개인 에 관한 정보가 디지털 형태로 등록되거나 제시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하여 사이버스페이 스에서는 개인에 관한 정보가 증대한 비중을 차지할 수밖에 없다.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시민은 자신에 관한 정보를 공시() 알수 있는 상태로 제시함 해야 사이버시민의 자격을 가지 며, 동시에 대단히 많은 개인 정보를 취급할 수 있는 윤리적 태도가 형성되어야 한다. 자신 에 관한 정보가 남용되기를 바라지 않는다면 당연히 다른 사람에 관한 정보를 남용하지 않 아야 한다.- 그리하여 사이버스페이스사회에서는 사이버시민에 관한 정보 아이덴티티와 프라 이버시-. 를 취급하는 것부터 윤리의 문제가 된다 프라이버시에 관한 윤리야말로 사이버스페 이스 사회의 윤리적 기초이다. 반대로 이것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가장 밑바탕에 윤리적 기초가 없으면 아예 성립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자연공간에서 윤리는 시장경쟁 계약법률권력등의요소에의하여부차적인것이될수있다,, .

-131- 이에 대하여 사이버스페이스는 사회의 성립 자체가 윤리-- 프라이버시에 관한 윤리 위에 성 립하는 것이며,. 윤리가 형성되지 않으면 사회자체가 성립할 수 없다 프라이버시에 관한 자 율적 규제의 원리도 바로 윤리가 사회의 기초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회의 성립을 윤리 이 외에 국가권력이나 시장원칙에 의존할 수 없다는 것이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특징이다.

이렇게 사회를 구성하는 개개인에 관한 아이덴티티는 프라이버시의 윤리와 함께 정립됨으로 써 사회구성원에 대한 문제가 해결된다. 이는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주체에 관한 문제가 해결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주체와 사물과의 관계의 문제는 바로 지적 재산권에 관 한 문제로 제기된다. 사이버스페이스를 구성하는 모든 컨텐츠는 모두 동등하고 동질적인 성 격--. 디지털 정보라는 점 을 가진다 이것에 대한 사회적 관계는 그것이 누군가의 창조물이라 는 점이다.--. 자연공간은 신의 선물 또는 자연의 선물 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다 자연공간에 도 인간의 창조물이 있고 그것이 문화와 문명을 구성하는 것이지만, 인간의 창조물은 거대 한 자연의 창조물(), 즉 자연 그 자체 을 변형 가공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 그렇지만 사이버스 페이스에는 오직 인간의 창조물만이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기초적인 관계는 지적재산권의 문제이다. 지적재산권은 보호되어야 하며 동시에 모든 사람이 공유하고 대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자유재()自由財 가 많아져야 한다 . 인터넷공간이 확장될 수 있었던 것은 수많은 사람들 이 자신의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그 홈페이지에 게시된 모든 켄텐츠를 자유재로서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 제공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기본적인 법원칙은 인간의 창작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만 지적 재산권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그외의 것은 지적 재산권의 대상이 아니라 자유 재라는 것이다. 이처럼 지적 재산권의 보호와 지식정보의 공유 내지 자유재의 확장이야말로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최초의 질서이다., 이러한 질서의 이면에는 지적 재산권 지식정보의 공유에 대한 윤리적 기초가 형성되어야 한다. 그것은 타인의 창작물에 대하여 그 권리를 인 정하는 것이며 동시에 인류전체의 지적 창조물을 확장하고 공유를 넓혀 가는 태도이다. 이 러한 지적 재산권에 관한 질서 역시 개개인의 윤리적 기초위에서 사이버스페이스 사회가 형 성,. 발전하는 것이다

-132- 이러한 논의에 대하여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는 자연공간에서의 국가, 경제적 질서 위에 성립 하는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이 주장은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라 관점의 차이다 자연 공간에 기초하여 사이버스페이스가 성립한다는 것, 자연공간에서의 인간사회에 기초하여 사 이버스페이스가 성립한다는 것은 부정될 수 없다. 그러나 이것이 사이버스페이스 사회가 자 연공간으로 환원되거나,. 자연공간에서의 사회로 환원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즉,( 자연공간 또는 그 사회 ) 에 의하여 사이버스페이스의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 다.-,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를 해명하면서 최초로 부딪치는 문제 인간의 아이덴티티 프라이버 시,- 지적재산권 등의 문제는 자연공간에서의 그것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 그리고 자연공간 에서의 그것들과 다른 점을 논의하는 것이 바로 사이버스페이스 사회, 바로 정보사회 그리 고 시민정보사회의 문제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자연공간과 달리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윤리는 다른 모든 사회체제적 요소보다 더욱 극본적인 요소이다. 이는 모든 사회체제적 범주의 기반에 윤리의 문제가 있다는 것이 다. 그러고 그 윤리는 자연공간에서의 그것과는 주제와 성격을 달리한다.- 이제까지 윤리학 즉,- 자연공간사회의 윤리학 의 제일 첫머리에 프라이버시문제가 제기되지는 않았다 . 그리고 많은 윤리학의 주제 가운데 프라이버시는 주요한 문제가 아니었다. 한편 지적 재산권에 대 해서도 그것은 자연공간에서의 법률 문제인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지적 재산권의 보호는 법률적인 문제이다.- 그러나 이 법률은 전혀 새로운 문제에 대하여 인류가 이제까지 보지 못 했던 대상에 대하여-.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윤리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불과하다 사이버 스페이스의시민개개인에게이법률이윤리적태도로반영되지않으면전혀기능할수없 다.. 그것은 두 가지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하나는 전혀 효력을 발휘할 수 없는 법률이 되거 나,(). 아니면 사이버스페이스 사회 자체를 고사枯死 시키게 될 것이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시민들이 지적 재산권을 마구 침해하기 시작하면 그 누구도 그것을 막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른 한편 사이버스페이스의 모든 행동을 일일이 규제한다면 아이버스페이스 자체가 성립할 수없게된다. 한국에서의‘7.3’ 이야기 베타판 프로그램이 불법적으로 통신망에 올려져 수천명이 다운받은 사건이 그 예이다. 이렇게 될 경우 관련된 모든 사람들을 처벌하는 것은 곤란한 문제이다.

-133- 그리고 그 제공자를 처벌하거나 배상하도록 하는 문제 역시 윤리적 법적 문제로서 논쟁중이 다.( 결국 이 사건은 이야기 7.3 의 저작권자가 법률적인 문제로 삼지 않아 종료되는 것으로 결말지어졌다). 이처럼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윤리는 사회의 기초이고 사회의 성립을 좌우하는 요소이다. 그것은 사이버스페이스의 성격이 자율의 사회이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2. 인터넷 윤리 그리고 법

가. 인터넷에서의 행위에 대한 법률적 규제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기초로서 윤리의 문제는 먼저 개인의 아이덴티티,, 프라이버시 지적 재산권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여기에 더하여 사이버스페이스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인터 넷 공간에서의 윤리가 사이버스에이스에서의 인간행위에 관해서 포괄적인 문제라고 할 것이 다.. 인터넷 공간은 인간에게 처음으로 열려진 상소한 공간이다 그러나 인터넷에서 윤리의 문제가 본격적으로 제기되는 것은 역시 사이버스페이스로서의 인 터넷 공간이 자연공간과는 다른 특성에서 비롯되는 데서 연유한다. 인터넷 공간에서 윤리의 문제가 제기되는 상징적인 문제들을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은 가치들을 위협하는 행위들이 가능하고일어나고있음을알수있다이러한문제들에대해서는윤리의문제를넘어서법. 률적 문제로 먼저 제기되었다. ㆍ국가의 안전보장(,, 폭탄을 만드는 법 마약의 제조방법 테러활동을 선동하는 내용 ) ㆍ미성년자 보호(,, 포르노 폭력 악질적인 판매행위 ) ㆍ인격적 보호() 인종간의 증오나 차별을 부채질하는 것 ㆍ경제적 안전성(, 사기 크레디트 카드의 위조를 교시하거나 그 방법을 알리는 것 ) ㆍ정보의 안전성() 악질적인 해킹 ㆍ명예,(,) 신용의 보호 중상모략 위법 광고 ㆍ프라이버시의 보호( 개인정보의 부정사용 , 전자적인 해러스먼트 (harassment) ㆍ지적소유권 보호

-134- 이러한 문제들을 포함하여 인터넷상의 개인의 행위에 대한 법률적인 규제를 대하여 많은 논 의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최근에 가장 큰 이슈로 제기되었던 것이 미 국의 통신품위법(CDA) 의 제정과 그 위헌판결이라고 할 것이다 . 통신품위법 (Communications Decency Act)은 미국의 통신법 (Telecommunications Act of 1996) 중에서 통신품위법으로 명명된 제5(TitleV) 장 에 관련된 것이다 . 이 조항에서 문제된 것은 위의 문 제들 중 음란과 폭력에 관한 것으로 그 조문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제장5 (Title V) 음란과폭력 (obscenity and violence)

ㆍ인터넷이나 온라인 서비스 등 전기통신장치를 사용하여 고의로18 세 미만의 미성년자에게 음란한(obsence) 또는 품위없는 (indecent) 비평 , 요구 , 제안 , 건의 , 비유 또는 자료를 전송 (transmission)하거나 전시 (display) 하는 행위 ㆍ사회통념상의 기준(contemporary community standards) 에서 판단할 때 명백하게 불쾌한 (patently offensive)성행위나 성기를 묘사 , 서술한 내용을 고의로 18 세 미만의 미성년자에 게 전송하거나 전시하는 행위.39)

39) Title V : obscenity and violence

Section 223, (a) Whoever (1) in interstate or foreign communications (B) by means of a telecommunications device knowingly (i) makes, creates, or solicits, and (ii) initiates the transmission of, any comment, request, suggestion, proposal, image, or other communication which is obscene or indecent knowing that the recipient of the communication is under 18 years of age, regardless of whether the maker of such communication placed the call or initiated the communication ;... (2) knowingly permits any telecommunications facility under his control to be used for any activity prohibited by paragraph (1) with the intent that it be for such activity, shall be fined under Title 18, or imprisoned not more than twoyears,orboth.

Section 223, (d) Whoever (l) in interstate or foreign communications knowingly (A) uses an interactive computer service to send to a specific person or persons under 18 years of age, or (B) uses any interactive computer service to display in a manner available to a personunder 18 years of age, any comment, request, suggestion, proposal, image or other communication that, in context, depicts or describes in terms patently offensive as measured by contemporary community standards, sexual or excretory activities or organs,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 of such service placed the call or initiated the communication ; or (2) knowingly permits any telecommunications facility under. such person' s control to be used for an activity prohibited by paragraph (1) with the intent that it be used for such activity, shall be fined under Title 18, or imprisoned not more than two years, or both.

-135- 위 법령이 입법예고되자마자 격렬한 찬반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그 법안은 인터넷 상에서 검열을 허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의회 및 연방정부와 이에 대항하는 온라인 사 업자, 통신사업자 , 미국시민자유연밥 (ACLU :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중심의 시민 단체, 언론단체 , 미국 도서관협회 (ALA:American Lib-rary Association) 등의 민간단체들과 싸움이 되었다., 이들의 주장은 자유통신주의자 라고 할 수 있는 바 표현의 자유는 누구도 침해할 수 없는 권리이다., 그리고 의회에 로비하고 인터넷을 통해 푸른 리본을 내걸자는 운 동이 전개되었다. 이들의 대안은 음란자료의 차단기능을 갖는 소프트웨어의 개발 등 기술적 인 방법, 가정에서는 미성년자의 관리자인 부모에게 역할을 위임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199621년 월 일 위 통신법의 개정안이 상하양원을 통과하고 28 월 일 클린턴 대통령이 서명 하였으며 바로 미국시민자유연합(ACLU) 가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 연방지방법원에 위헌 소송이 제기되었다.6 월 12 일 위 재판부 일부조항에 위헌결정을 하였으며 미법무부가 대법 원에 상고하여1997626 년 월 일 미대법원은 최종적으로 통신품위법의 일부조항이 수정헌법 제1. 조에 위반한다고 판결하였다 판결의 요지는 통신품위법의 품위없는 전송(indecent transmission) 과 명백하게 불쾌한 전시 (patently offensive display)조항은 미국 수정헌법 제 1 조에 의해 보호되는 표현의 자유 (the freedom of speech)를 위반한다는 것이다 . 이것은 통신품위법 상에 위의 제 223 조 (a)(l)(B) 항 이 위헌 조항인‘ 품위없는 (indecent)’ 제외한 나머지 음란한 (obscene) 은 여전히 유효한 조항이 고, 제 223 조 (d)(1) 항은 ‘ 명백하게 불쾌한 (patently offensive)’ 이라는 문언이 다른 문언과 불 리할 수 없는(no separate reference) 의미를 가지므로 그 조항 전체가 위헌이 된다 .

-136- 이 판결에 대하여 클린턴 대통령은1997 년 7 월 16 일 인터넷 진흥책을 발표하면서 한 가지 정책방향을 천명하였다.‘ 그것은 인터넷에서의 외설정보를 법적으로 규제하지 않고 민간의 자 주규제로 맡긴다’.ㆍㆍ 는 기본방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기술 현행법의 적용 어버이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하였다. 40) 이것은 인터넷 공간의 행위에 대하여 따로이 법률적으로 강력하게 규제하는 것보다는 인터 넷 공간을 원칙적으로 자유의 공간으로 발전시키고, ㆍ문제들에 대하여 기술적으로 대처하거나 ㆍ현행법을 적용하거나 ㆍ참여와 자율에 의해서 대처한다는 것이다. 인터넷 공간에서의 행위에 대한 법률적 규제는 각국에서 합의된 원칙에 이르고 있지 않다. 현재까지 인터넷 공간에서의 행위에 대하여 자연공간과는 다르게 더욱 강력하게 규제해야 한다는 합의에 이른 바도 없다. 다만 대체로 일반화된 원칙이 있다면 자연공간에서 위법적 인 행위는 사이버스페이스앞에서도 위법이라는 원칙 즉, 오프라인에서 위법은 온라인에서도 위법이라는 것이다.(What is illegal offline remains illagal online). 이것은 위의 클린턴 정부 의 노선 즉,. 현행법을 적용하는 노선과 동일한 것이다 그렇지만 인터넷 공간,PC 통신공간에서는 자연공간과는 다른 형식으로 법률적 문제가 제기 된다. 그리하여 인터넷 공간에서의 정보유통의 룰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리를 참고할 수 있다.. 이것은 일본정부에 제출된 인터넷 룰에 관한 보고서의 요약이다

1) 자기 책임의 원칙 발신자는 공연성()公然演 을 가지는 통신에서의 정보 발신에 수반하는 책임과 위험을 충분히 인식하고 이용해야 하고,. 그 자각을 높이기 위한 정보 사회 교육이 필요하다

40) 인터넷 위의 정보유통 룰에 관한 보고서 (일본 ; http://www.mpt.go.jp/pressrelease/japanese/new/980105j601.html)

-137- 또, 수신자에 있어서도 인터넷 상의 정보 중에는 신뢰성이 낮거나 범죄성이 있는 것이 있다 는 것을 자각하고 자기 방위의 노력이 필요하다.

2) 위법의 정보 발신에 대한 현행법의 적용 오프라인으로 위법인 것은 온라인에서도 위법이고, 위법의 정보 유통에 대하여는 우선 현행 법의 적용으로 대응해야 한다. 나아가 새로운 법적 조치를 강구하는 것은 인터넷의 진전을 지켜보면서,, 표현의 자유 프라이버시의 보호 , 청소년 보호등 다른 이익의 보호와 조화를 도 모하면서 앞으로 그 바람직한 상태를 검토해 갈 필요가 있다.

3) 제공자의 자주적 대응 제공자에게는 정보 유통의 룰 형성에 기여해야 할 책무가 있다. 그러나 이용자가 위법 또는 유해한 컨텐트를 발신하고 있는 경우, 제공자가 법적으로 어떠한 책임이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 법률에 의한 제공자의 책임을 규정하는 것은 해외의 동향을 주시하면서 신중히 검토 해야 하고, 우선은 제공자 (provider) 의 자주적 대응에 기대하는 것이 적절하다 . 이용자의 컨 텐트에 문제가 있을 때는 발신자에게의 주의 환기,, 삭제 이용 정지 및 계약 해제등이 조치 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4)발신자 정보 명시 ( 익명성의 제한의 검토 ) 공연성()公然性 을 가지는 통신에 있어서는 , 통신의 비밀로서 보호해야 하는 이익과 해당 통 신에 따라서 피해를 받는 사람을 구제하는 이익과의 비교 형량에 따르고, 일정한 요건의 아 래 적절한 절차로 발신자를 특정하는 정보를 명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

5) 수신자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수단의 활용 필터링 기술의 활용 및 보급을 위한 시책을 추진해야 한다. 표현의 자유를 배려하고 어디까 지나 수신자의 자유 의사에 근거하고 진척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전자 메일의 수신 거 부 기능의 도입을 진척시켜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138- 6) 불평 처리 창구의 명확화 제공자에 따르는 불평 처리 창구의 명확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불평 처리 핫라인의 창설이 나 각 전문 기관의 불평 접수 창구와의 제휴등을 진척시켜 나가는 것도 과제이다.

7) 금후의 동향등을 입각했던 검토의 추진 인터넷 상의 정보유통 룰의 바람직한 상태에 관하여는,, 우리 나라뿐만 아니라 제 외국에 있 어서도 다양한 논의가 있으며,. 아직도 확정된 내용은 없는 상황이다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 하다.

사이버스페이스의 행위에 대한 법률적 규제는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 이제까지의 결론이다. 이것은 반대로 말하면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는 자율의 원리, 자기책임의 원리 위에 성립한다 는 것이다.,, 자연공간과 다른 점은 정보의 발신자 수신자 제공자와 같이 주체가 분화된다는 것이다.,, 발신자 수신자 제공자 모두 자율적으로 자기책임으로 행동해야 하고 그러한 경우 에만 사이버스페이스 사회가 발전할 수 있다. 법률적으로는 현재까지 자연공간에서 위법인 것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도 위법이라고 본다. 사이버스페이스는 자연공간과는 달리 정보가 공연성()公然性 을 가진다 ., 즉 다른 모든 사람들이 알 수 있는 상황에 있게 되므로 더욱 그 것이 위험하거나 유해하다면 사회전체() 사이버스페이스 전체 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 그럼에도 이에 대하여 자연공간보다 더욱 강력한 규제, 금지는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 통신 품위법에 대한 위헌판결의 결론이고,. 일반적인 결론이라고 할 것이다

나., 인터넷 윤리 사이버스페이스 윤리

인터넷 공간에서의 위법성에 관한 문제에 있어서의 위와 같은 결론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윤리의 중요성을 증대시킨다. 법률적인 규제금지가 아니라 개개인의 자율과 책임에 맡겨진 다는 것은 그만큼 윤리의 중요성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유해하고 위험한 특정적인 행동이 아니라 네티즌의 모든 행위와 관련된 윤리의 차원에 이르 면 수많은 논의들이 있으나 위 수준의 합의도 존재하지 않는다.

-139- 사이버스페이스는 전혀 새로운 공간이고 이 공간에서의 행위들은 전혀 새로운 환경에서 이 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인터넷 공간(, 즉 사이버스페이스 ) 에서의 윤리강령이나 덕목에 관하여 합의된 내용 은 없다.,, 사이버스페이스 자체는 거리 영토 방향이 없는 전체공간이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세계적이지만,. 세계 전체의 차원에서 합의된 윤리가 현재로서는 없는 것이다 정보통신국제 연합회가 각 국가나 집단 회원들의 윤리강령들을 종합하여 새로운 윤리강령을 만들려고 했 으나 그 윤리강령들이‘’ 너무나 다양하여 그러한 노력을 포기하고 말았다 .41) 정보통신 일반에 관한 윤리나 인터넷PC 통신공간에서의 윤리적 합의가 없다는 것은 아직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윤리의 본질에 대하여 아무런 해명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것은 다음에 인용하는 몇 가지 윤리강령들을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다. 이들 윤리 들을 뒷받침하는 공통의 가치체계를 발견하기 어렵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산하에‘’,‘ 정보통신윤리위원회 가 설치되었는바 건전정 보문화창달을 위한 대책을 강구’‘ 하고 정보사회의 역기능에 대한 대책 ’ 을 마련하고 ,‘ 정보사 회의 윤리규범을 제시’1995. 하기 위해서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에 의거 년 설립되었다 정보 통신윤리위원회는‘’‘’. 정보통신윤리강령 과 정보윤리심의 기준 을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 과같다.

정보통신 윤리강령

정보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간과 공간의 장벽이 무너지고 세계가 하나되는 시대를 맞고 있 다. 우리 모두를 정보시대의 주인이 되어 유익한 정보를 서로 나누고 인류의 행복과 높은 이상이 실현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할 책임이 있다.

모든 정보는 정확하고 성실하게 활용되어야 하며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고 삶의 품위를 높이 는 데 이용되어야 한다. 개인의 창의력과 조직의 능률을 향상시키며 나라의 발전과 민족문 화의 창조적 계승을 도모하고 세계가 더불어 번영하는 데 이바지하도록 정보 문화를 가꾸어 나가야 한다.

41) Jacques Berleur,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Information Processing' s Framework for Computer Ethics'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vo1.2 (1996) pp.128--256

-140- 우리는 정보의 제공과 활용에 있어 서로의 인권을 존중하고 나라의 법질서를 준수하며 국민 정서에 맞는 미풍양속을 바로 세우는 시민 의식 형성에 앞장선다. 바른 언어를 사용하고 공 중도덕을 지킴으로써 정보질서를 확립하고 국가의 기밀이나 개인의 사생활과 지적 재산권은 보호하되 유용한 정보는 함께 나누는 마음가짐이 새로운 가치관으로 뿌리내리도록 노력한 다. 아울러 모든 개인과 지역에 정보의 공개와 활용의 혜택이 골고루 돌아가도록 힘씀으로 써밝고정의로운사회를이룩하는데최선을다한다.

우리는 정보시대를 살아가는 민주 시민으로서 건전한 윤리가 정보사회의 기반을 이루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으고 이 뜻이 실현되도록 성실하게 노력할 것을 다짐한다. (1995 년 6 월 7 일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정보윤리심의 지침 ㆍㆍㆍ최소규제의 원칙 공정성의 원칙 비밀보호의 원칙

불건전정보의 심의기준 1.반국가적 내용 2. 인권침해 내용 3. 인명경시 내용 4. 법과 질서의 존엄성 저해 내용 5. 공개금지를 어긴 내용6. 성 , 음담패설 내용 7. 위화감 조성 내용 8. 비과학적 생활태도 조장 내용9. 공중도덕과 사회윤리 저해 내용 10. 국민정서에 반하는 내용 11. 신앙의 자유에 반 하는 내용12. 저작권 위배 내용 13. 의약 등의 오용 , 남용 조장 내용 14. 불건전 오락물 등 의 내용 등15. 출처불명등의 광고내용 .

컴퓨터 윤리의 십계명42)

1. 컴퓨터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마라 2.다른 사람의 컴퓨터 작업을 방해하지 마라 . 3.다른 사람의 파일에 접근하지 마라 .

42) The Computer Ethics Institute,“The Ten Commandments for Computer Ethics.” URL= http://www.fau.edu/rinaldi/net/ten,html.

-141- 4. 컴퓨터를 사용하여 도둑질하지 마라 5.컴퓨터를사용하여거짓증언하지마라 . 6.지불하지 않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거나 복사하지 마라 . 7.허가 없이 다른 사람의 컴퓨터 자원을 사용하지 마라 . 8.다른사람의 지적인 산출물을 자기 것처럼 하지 마라 . 9.당신이 만들고 있는 프로그램의 사회적 결과를 생각하라 . 10 사려가 있고 남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라

네티즌의 권리 선언(The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Netizens)43)

인터넷은 협동적이고 비상업적인 방식으로 구축된 인간 통신의 혁명을 대표한다는 것을 인 식하면서 다음과 같은 네티즌 권리를 선언한다. 1.네티즌은 무상의 혹은 저렴한 비용으로 보편적 접근 (access) 의 권리를 갖는다 . 2. 네티즌은 아무런 보복이 공포 없이 지식의 교환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자적 표현의 자유 를갖는다. 3.네티즌은 검열되지 않는 표현의 자유를 갖는다 . 4.네티즌은 광범위하게 분산된 정보에 대해서 접근할 권리를 갖는다 . 5. 네티즌은 지식과 정보에 대한 보편적이고도 동일한 접근의 권리를 갖는다. 6.네티즌은 다른 사람들의 사상을 그 장점에 따라 고려한다 . 7.네티즌은 동일한 질적 시간그것 접속 (connection) 의 권리를 갖는다 . 8.네티즌에게는 공식적 대변인이 없다 . 9.네티즌은 공공적인 민중적 목적과 참여를 지지한다 . 10. 네티즌은 자발적 공헌을 함과 동시에 다른 사람으로부터 무상으로 주어진 공헌을 통해 이익을 취하지 않는다. 11. 네티즌은 개인적이고 상업적인 목적으로 통신망을 사용하려는 사람들로부터 공공적인 목적을 수호해야 한다.

43)Michael Hauben and Ronda Hauben 의 netbook, On the History and Impact of the Net 에 서 인용. Last Modified. 6/12/96. URL= http://www.columbia.edu/ ~rh120/netizen-rights txt http://www.columbia.edu/cu/netizens/0090.html

-142- 네티켓의 기본적 규칙 Virginia Shea,「」 Netiquette: Core Rules of Netiquette 44)

규칙1. 인간과 통신하고 있음을 생각하라 . 규칙2. 실생활과 동일한 행동 기준을 온라인에서도 준수하라 . 규칙3.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위치를 자각하라 . ()자신이 접속하고 있는 곳에 문화에 어울리게 행동하라 규칙4. 다른 사람의 시간과 대역폭 (bandwidth) 을 존중하라 . 규칙5. 온라인에서도 자신의 모습이 근사하게 보이도록 행동하라 . 규칙6. 전문적 지식을 공유하라 . 규칙7. 격정적인 상호반응이 억제되도록 하라 .( 논쟁은 절제된 감정아래 행하라 ) 규칙8. 다른 사람의 사생활을 존중하라 . 규칙9. 당신의힘을남용하지마라 . 규칙10 다른 사람의 실수를 용서하라 .( 주 : 영어원문 )

미국 컴퓨터기기협회(ACM) 윤리강령45)

1.일반적인 도덕적 명법 . (ACM협회 회원으로 나는… ) 1.1.사회와 인간의 복지에 공헌한다 . 1.2.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 . 1.3.정직하고 신뢰 받도록 행동한다 . 1.4.공정하고 차별이 없도록 행동한다 . 1.5.저작권과 특허권을 포함한 재산권을 존중한다 . 1.6.다른 사람의 사생활을 존중한다 . 1.7.비밀성을 보호한다 . 2.보다 상세한 전문직업적 책임들 . (ACM협회 회원으로 나는… ) 2.1. 전문적 작업 과정과 결과 모두에 있어서 최선의 품질을 이루도록 노력한다.

44) http://www.in.on.ca/tutorial/netiquette.html 45) “ACM Code of Ethics and Professional Conduct,”Communication of the ACM, vo1.36(1993), pp.105-105. URL=http://web.mit.edu/ethics/www/ codes/ACMcode.htm

-143- 2.2.전문적 능력을 획득하고 유지하라 . 2.3.전문적 작업과 관련된 법규들을 숙지하고 존중하라 . 2.4.적절한 전문적 재훈련을 수용하여 실행하라 . 2.5. 컴퓨터 시스템과 그 영향에 대해서 포괄적이고도 상세한 평가를 주라. 2.6.계약과 합의 , 그리고 할당된 책임을 존중하라 . 2.7.컴퓨터 사용과 그 결과에 대한 공공적 이해를 증진하라 . 2.8.그렇게 하도록 허가되었을 때만 컴퓨터에 통신 자원에 접근하라 . 3. 조직의리더쉽관련조항 (ACM협회 회원과 조직의 지도자로서 나는… ) 3.1.단위 조직 회원들의 사회적 책임을 명시하라 . 3.2. 직업활동의 질과 효율성 그리고 존엄성이 향상되도록 인적 물적 자원을 운영하라. 3.3. 조직이 소유한 컴퓨터와 통신 자원의 적절하고도 허가된 사용을 숙지하고 지원하라. 3.4. 컴퓨터 시스템의 요구조건을 평가하고 설계할 때 시스템 사용자와 그 시스템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필요가 명백하게 알려질 수 있도록 보장하라. 나중에 그 시스템은 그러한 요 구조건을 충족한다는 것이 확인되어야 한다. 3.5.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자와 그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존엄성을 보호하는 방침들을 상세 히규정하고그것들이실시될수있도록한다. 3.6. 조직의 회원들이 컴퓨터 시스템의 원칙과 한계를 숙지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

4.윤리강령의 준수 . (ACM협회 회원으로 나는… ) 4.1.이 강령의 원칙들을 지지하고 준수한다 . 4.2.이 강령의 위반은 협회회원 자격과 모순된다 .

3. 사이버스페이스사회의 도덕의 정체성

가. 자연공간의 윤리와 사이버스페이스의 윤리

정보사회 내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의 윤리도덕은 위의 윤리강령이나 네티켓에서 보다 시피 어떤 통일된 가치체계를 발견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위의 윤리강령 등은 사이버스페이 스 사회에서의 윤리도덕의 본질적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다.

-144- 한국의 정보통신윤리강령이나 불건전 정보 심의기준을 보면 그것은 자연공간() 근대사회 에서 의 도덕기준과 질적인 차이를 발견하기 어렵다. 과거의 국민교육헌장이나 영화나 신문의 심 의 기준과 비교해서 질적인 차이를 갖고 있지 않다. 이로보아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윤리도 자연공간사회에서의 윤리와 본질적인 차이가 없으며 그 연속에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컴퓨터윤리의 십계명을 보면 일상의 업무나 생활에 컴퓨터라는 기계가 도입됨 으로써 일어나는 특별한 상황을 전제하고 그에서 일어나는 구체적인 행위들에 있어서의 윤 리적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컴퓨터윤리는 완전하게 자연공간에서의 윤리이다 컴퓨터 윤리가 전제하고 있는 상황은() 사이버스페이스가 아니라 자연공간에 컴퓨터가 배치 되었을 때 인간이 컴퓨터를 사용하는 환경이다.10 이런 점에서 컴퓨터 윤리 계명은 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윤리가 아니다.10 따라서 컴퓨터 윤리 계명도 기존의 도덕과 연속적인 것이 라고할수있다. 한편 네티즌의 권리선언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 모든 개인이 새로운 권리를 가지게 되 었으며,. 네트워크는 어떤 서비스가 아니라 권리라는 철학에 입각하고 있다 ‘네트는 서비스가 아니라 권리이다 .(TheNetisnotaService,itisaRight.)’ 이것이 네티 즌의 권리선언이 입각하고 있는 관점이고 철학이다. 네티켓의 기본규칙도 사이버스페이스를 전제로 하여 실천적으로 필요한 윤리, 에티켓을 모 색하고 있다. 이것은 사이버스페이스라는 상황을 전제하고 그렇게 했을 때 중요해지는 윤리 적 덕목을 구체적으로 열거하고 있는 것이다.1 인간과 통신하고 있음을 생각하라는 규칙 은 자연공간에서는 마주보며 이야기하는 것이 당연한 상황인데 반해 전혀 그렇지 않은 사이버 스페이스의 본질적 차이로 인해 가장 최초의 규칙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2 규칙 역시 마찬가지이다.3 규칙 은 사이버스페이스의 세계성 ( 전체성 ) 에서 도축되는 덕목이다 .4 규칙 는 사이버스페이스가 전체와 전일적으로 연대되어 있다는 상황,(,) 자신의 공간적 시간적 기술적 점유는 다른 모든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나오는 덕목이다.5 규칙 는 사이버스페 이스에서의 매 순간 순간의 행동이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것임을 자각하라는 것이 다.6 규칙 에서 전문적 지식을 공유하라는 것도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를 형성하는데 특히 중 요하다고 생각되는 공유의 정신을 말하고 있다.7 규칙 에서 규칙 10 까지도 모두 사이버스페 이스의 특유한 성격을 전제로 도출되는 덕목들이다.

-145- 미국 컴퓨터기기협회(ACM) 의 윤리강령은 위의 일반적 상황에 더하여 전문가로서 , 조직과의 관계에서의 사이버스페이스 윤리를 모색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위 각각에서 제시되는 윤리덕목,, 기준 윤리강령 등은 자연공간에서의 윤 리덕목의 연장에서부터 사이버스페이스라는 전혀 다른 공간을 전제로 하는 새로운 도덕의 모색이 함께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나., 기존의 도덕의 활용 새로운 도덕의 수립

정보사회가 산업사회와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하는 관점에 서면 윤리에 있어서도 전혀 새로 운 윤리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다. 한편 인간으로서의 보편성에 기초한다면 산업 사회와 정보사회가 여하히 다르다 하더라도 보편적인 도덕체계에서 도출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렇게 언뜻 다르게 보이는 관점이라 하더라도 구체적으로 접근하면 내용적으로 새 로운 문제들이 제기된다. 인간으로서의 보편성과 보편적인 도덕체계를 구체적인 이론으로 설정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새로운 도덕이라고 하더라도 새로운 도덕 의 본질적 내용이 무엇이며 그 근거는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산업사회와 정보사회의 불연속성을 강조하는 입장은‘ 문화지체 이론 (cultural lag theory)' 에 의존한다. 문화지체 이론에 따르면 한 사회의 가치와 규범적 변화는 그 사회의 기술적 변화보다 지체된다. 그래서 정보사회의 급속한 기술발전에 따른 도덕적 혹은 정책적 공백상 태(moral or policy vacuum) 가 존재한다 . 이러한 도덕적 정책적 공백상태는 컴퓨터가 도입 되던 초기단계에서 소프트웨어의 소유권에 대한 정책의 부재로 말미암아 도덕적 혼란상태를 야기시킨 것이 단적인 예가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기존의 윤리적 개념과 학설들을 적용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특히 기존의 윤리적 개념과 학설들은 컴퓨터 도입으로 야기되는 개 념적 혼란(conceptual muddles) 을 해결해 줄 수 없다 , 이러한 개념적 문제는 컴퓨터가 도입 된초기단계만이아니라현재까지논란의대상이되고있다.… 그러나 새로운 정보통신윤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컴퓨터로 말미암은 공백 상태는 기존의 규칙과 관습들이 완전히 무관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146- 새로운 방침과 정책의 설정은 기존의 규칙과 원칙과 가치들의 확장 혹은 변형으로도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개인의 존엄성과 자율성 , 권리 , 책임 , 자유와 평등과 사회복지 등의전 통적 개념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이다.」46) 컴퓨터 윤리학의 태동은1970 년대 중반 월터 매너 (Walter Maner) 에 의해서 시작된다 . 그는 ‘’컴퓨터 윤리학 이라는 말을 최초로 사용했는데 그것은 철학적 윤리학설을 컴퓨터 기술에 의 해서 창조되고 변형되고 더욱 심화된 윤리적 문제들에 적용하는 것을 의미했다. 47)그는 컴 퓨터 윤리학은 컴퓨터 기술이 아니었으면 결코 나타날 수 없는 윤리적 문제들을 다루는 분 야라고 주장한다. 1990년대 중반에 들어 컴퓨터 윤리학의 제 2 세대가 태동한다 . 그들은 ‘ 칸트와 벤담의 인쇄기 술과 산업기술에 의해서 변화된 새로운 혁명적 세계에 대한 대응으로서 그들의 윤리학을 발 전시키게 되었다고 한다., 즉 그들의 윤리학은 합리적이고 계산적 능력을 갖춘 서구적 개인 의 개념을 바탕으로 전개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텔레커뮤니케이션과 가상현실 (virtual reality)그리고 원격진료와 교육 그리고 심지어 사이버섹스 (cybersex) 까지 가능한 정 보통신사회가 도래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사회를 인도하고 새로운 사회에서의 결정과정에 참 조가 되는 새롭고도 강력한 윤리체계가 등장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48) 이러한 제2 세대 컴퓨터 윤리학은 전지구적 정보윤리학 (global information ethics) 이라 부르 기도 한다. 49)

어느 관점에서든지 간에 부딪치는 주제는 동일하다. 기존도덕에서의 가치는 여전히 유효하 고 그것을 활용하는 것이 정보사회의 윤리학이라는 관점이든, 기존도덕에서는 답을 얻을 수 없고 전혀 새로운 도덕을 수립해야 한다는 입장에서든 간에, 부딪치는 과제는 정보사회의 윤리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기존도덕의 입장에서도 정보사회의 윤리는 무엇인가 다른 점 을 제시하는 것이 될 것이고,. 새로운 도덕을 수입하는 입장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두 가지 관점에서 제출되는 덕목들의 차이와 관련하여 계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리라 본다.

46) 정보통신문화와 도덕의 정체성 문제: 박정순 http://www.icec.or.kr 47) Simon Rogers,“The Ethics of Computing: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URL=http://idun.unl.ac.uk:80/~ 11sadlerc/src/ETHrog.html (1996) 48) Krystyna Gorniak-Kocikowska,“The Computer Revolution and the Problem of Global Ethics,”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vo1.2 (1996), pp.177-190. 49) Terrell Ward Bynum and Simon Rogerson,“Global Information Ethics,”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vo1.2 (1996), pp.131~ 135.

-147- 앞에서 본대로 우리의 정보통신윤리강령과 심의기준 그리고 네티켓과ACM 의 윤리강령 , 네 티즌의 권리선언의 배경을 이루는 가치체계가 논의의 기준이 되는 것이다.

다. 사이버스페이스사회의 윤리와 가치체계

우리는 기존의 도덕윤리들과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도덕윤리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관점 에 선다.. 그것은 자연공간과 사이버스페이스의 차이만큼 차이가 있다 이것은 인간의 보편 성,. 보편적 윤리체계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것이다 인간의 보편성이나 보편적 윤리체계가 있다고 가정하더라도 한 시대의 인간성,. 윤리체계는 다를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근대사회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는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 것은 우선 윤리적 강조점이 다른 것이며 그 강조점이 다르다는 것이야말로 본질적인 차이이 다.. 가령 자유라는 가치는 근대적 이념이다 자유라는 이념은 근대이전에는 강조되지 않았 다.???? 그렇다면 자유는 인간적 본질인가 아닌가 자유는 보편적 윤리체계인가 아닌가 바로 이러한 점에서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자연공간과 사이버스페이스의 차이에 의하여 가치체계 의 본질적인 차이를 야기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그러면 무엇이 새로운 이념이고 윤리 덕목인가 하는 것에 대하여 당장 합의된 결론이 나온다는 것을 기대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사이버스페이스의 성격에 의하여 강조될 수 밖에 없는 윤리덕목들을 제시하는 것은 가능하 다.. 다음 몇 가지의 점이 지적될 수있다 50)

1) 지식사회와 지식인적 인간상 우선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는 지식사회이고 모든 인간에게 지식인적인 성격을 부과한다. 이 것은 근대사회가 상업사회이고 모든 인간에게 상인적 성격을 부과했던 것과 다른 점이다. 이것은 사이버스페이스 자체가 지식기술에 의하여 성립하는 것이며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유 통되고 행위되는 모든 것은 지식과 연관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물 질도 지식의 형태로 재구성되어 나타난다. 이처럼 지식사회와 지식인의 상이 사이버스페이 스의 출발점이다.

50) 추병완 교수는 본 프로젝트의 심포지움 발제논문‘ 정보사회의 윤리규범 확립과 그 사회적 기 능’1)2)3)()4) 에서 정보사회 시민적 덕성에 관하여 자율성 연관성 초월성 도덕감 책임성을 들고 있다.

-148- 2) 사회적 마인드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는 다른 모든 사람으로부터 분리되고 독립된 주체로서의 개인의 개념보 다는,. 다른 모든 사람들과 함께 함으로써 의미를 가진다는 점이 중요하다 사이버스페이스에 서의 윤리적 요구는 사회성을 형성하기 위하여 익명성을 극복해야 한다는 것에서 연원한다. 인간과 통신하고 있음을 생각하고,, 다른 사람의 사생활을 존중하고 다른 사람의 실수를 용 서하라는 것으로 끝나는 네티켓의 모든 규칙은 모두 이러한 요구와 필요에서 연원하는 것이 다. 근대사회는 개개인이 분리독립된 주체로 정립되고 나머지는 그러한 주체간의 계약으로 성립한다.-- 이에 대하여 사이버스페이스는 그러한 계약을 넘어 계약과는 무관하게 개개인이 사회속의 개인이라는 것,. 사회에 대한 진실한 마음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익명성을 넘어설 수 있는‘’. 사회에 대한 진실한 마음 이 필요하다

3) 신뢰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신뢰가 형성되어야 한다. 신뢰의 형성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를 형성 하기 위한 기초이다.‘ 인터넷상의 룰에 관한 일본의 정책보고서에서 정보의 수신자도 인터넷 상의 정보 중에는 신뢰성이 낮거나 범죄성을 갖는 것이 있다는 것을 자각하고 자기 방위의 노력이 필요하다’. 라고 표현하고 있다 여기에서 자기책임의 원칙을 도출하고 있으나 , 더 나 아가 사이버공간에서-- 익명의 바다에서 신뢰를 형성되지 않으면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는 거 짓의 바다에 떨어지는 위험을 모든 사람이 안게된다.. 그러한 사회는 성립할 수 없다 이 점 에 있어서 자연공간은 다르다., 자연공간에서도 신뢰는 중요하나 상호간의 얼굴과 몸을 마주 보는 관계에서 신뢰에 관한 기초적인 감성이 전달된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이러한 것이 없으며 개개인의 아이덴티티는 그에 관한 디지털정보에 의존한다. 그리하여 신뢰가 바로 자 연공간보다 더욱 중요하고 필요한 가치가 되는 것이다.

4) 연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는 공유와 연대가 더욱 중요해진다. 자연공간과 근대사회에서는 연 대보다는 경쟁이, 공유보다는 개인적 소유가 더욱 발전적인 결과를 창출하는 것이 사회적 원리였다.

-149- 이에 대하여 사이버스페이스 사회() 정보사회 는 지식사회이고 창조성의 사회인 바 , 지식의 발 전과 창조성의 발휘는 공유와 연대의 확장에 의하여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인간과 인간의 관계는 더욱 진실한 유대가 요구되는 것이다. 공유와 연대는 유대를 향한 진실한 마 음이 있을 때 일반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점은 자연공간의 근대사회와 다른 점이다 연 대를 향한 진실하고 따뜻한 마음의 중요성이 별로 강조될 필요가 없었다. 오히려 계산적이 고 합리적인 마인드가 더욱 중요했다.- 이에 대해 사이버스페이스 사회 지식과 창조가 모든 것을 좌우하는 사회-. 에서는 진실한 연대를 향한 따뜻한 마음이 필요하다 바로 이것이 또 하나의 윤리적 덕목으로서 요구되는 것이다., 여기에서의 연대성은 상호성 호혜성 (reciprocity)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초고속정보통신기반은 우리가 낯모르는 사람과 통신하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정보기술의 발달이 우리에게 제공하는 새로운 삶의 여건이다 정보는 서로 나눔으 로써 질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가치를 얻는다.. 그것은 타인과 더불어 산다는 공동체의식이다 사람들은 여러 사회적 규범 가운데 중요한 것의 하나가 상호성()(normof 호혜성 규범 reciprocity)이다 . 심리학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긍정적 상호성 규범은 협동상황에서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주며, 대인관계에서 상호성 규범에 따른 행동전략은 사람들을 협동하도록 이 끈다.」51)

5) 책임성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다른 사람들에게 위험이나 유해함을 미치지 않는데 대하여 자신의 책 임감을 통찰할 것이 요구된다. 동시에 다른 사람들로부터 오는 위험이나 유해함에 대하여도 스스로의 책임으로 방위해야 한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이것은 사이버페이스 사회가 국가와 같이 막아주고 지원해줄 수 있는 공간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자연공간의 근대 사회와는 다르다. 근대사회에서는 많은 사회적 위험들을 방어하는 것이 국가의 책임이었고, 그리하여 국가의 권력이 강화되고 국가를 통제하기 위하여 민주주의가 강조되었다. 그러나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는 자연공간보다 아나키(anarchy) 적 성격이 강하다 . 여기에 자신의 책 임성이 중요해지는 것이다.

51) 이석제:,: 시민정보사회와 사회적 윤리 가치규범의 이동 본 프로젝트 세미나 발제논문

-150- 6) 자율성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프라이버시의 침해에 대해서는 자율규제의 모델이 가장 나은 대안으 로 합의점에 이르고 있음을 거론한 바 있다. 이것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는 시장원리에 의해서 자동조정되는 가능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국가규제에 의해서 사회질서가 형성될 수 도 없음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질서의 기초는 개개인의 자율성 에있다자율성은다른사람과의관계에서스스로를억제하고다른사람을고려하는덕목. 이다. 인간이 자신을 억제하는 것은 인류사회에서 항상 중요한 덕목으로 간주되어 왔다. 다 만 근대사회에 이르러서 이러한 덕목은 별로 중요하게 인정되지 않았다.( 오히려 이기심 , 욕 망이 당연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는 그동안 외면되어온 이런 덕목 이 사회적 질서의 기초로 돌아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자율의 이면이 국가의 개입이다 사 이버공간에서의 정보유통에 대하여 검열하는 것은 자연공간에서의 국가개입에 대한 사고방 식에서 연유한다.. 여기에 반대가 있는 것은 당연하다 52)

7) 지식의 윤리 사이버스페이스는 자연공간과 달리 인위적인 공간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공간에 참여하는 것 자체에 지식이 필요하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모든 행위자체가 지식의 기초 위에서 가 능하다. 가령 채팅을 한다고 해도 그 채팅에 관한 부호나 컴퓨터에 관한 지식을 배우지 않 으면 안된다. 자연공간의 행위에서는 인간이 어느정도 본능적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옳고 그름을 알기 위해서는 지식이 있어야 한다. 다량의 이메일을 전송하는 것이 왜 나쁜가 하는 것은 그것이 컴퓨터에 어떤 기능장애를 일으키는가 에대한간단한지식이라도있어야알수있는것이다이러한점에서사이버스페이스의윤. 리는 지식과 교육의 기초 위에서 형성되는 윤리인 것이다.

52) 정보통신윤리위원회의 윤리헌장과 불건전정보심의기준에 대하여 심각한 비판이 있었다.< 정 보통신 검열철폐를 위한 시민연대> 는 정보통신검열백서를 발간하여,“ 정보기본권 ( 정보접근권 , 표현의 자유,)”“/ 프라이버시 을 보장하라 정부는 통신상의 검열 감시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 ”“ 위 헌적 정보통신위원회는 즉각 해체하라”“ 모든 정보통신서비스 업체는 검열 / 감시행위를 즉각 중 단하라”. 고 주장하고 있다<>『』 정보통신 검열철폐를 위한 시민연대 , 정보통신검열백서 (1996, 11. 20). Internet e-mail. [email protected]

-151- 이러한 윤리들을 포괄하는 가치체계는 무엇일까? 이러한 윤리적 가치체계는 근대사회와는 다른 것이다. 이러한 윤리적 가치체계와 가장 가까운 체계를 찾는다면 오히려 동양의 유교 적 가치체계라고 할 수 있다.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규정으로서 지식사회와 지식인적 인간상은 동양의 유 교적 가치체계에서 지향해야 할 목표사회로 설정하고 있는 문()文儒 과 유 () 의 개념과 가까 운 것이다.() 문文 을 위하여 일생을 바친 공자의 이상사회는 지식사회라고 할 수 있다. 또 한 공자가 설정한 인간상으로서의 유()儒像 는 상인이나 전사가 아닌 지식인상 () 이었으며 유 는 아마도 인류 최초의 지식인집단이었을 것이다. 앞에서 말한 사회적 마인드,() 개인주의가 아니라 사회 다른 사람 를 향한 진실한 마음은 유교 의 덕목에서 충()忠 의 덕목과 같은 것이다 . 충은 일반적으로 임금에 대한 충성으로 인식되지 만실제로는국가라는전체사회에대한진실한마음중심이되는마음,(忠中心 은 과 이합 쳐진 글자이다). 인 것이다 또 하나의 덕목으로서 신뢰는 유교의 덕목에서 신()信 과 같은 것이다 . 연대의 가치관,, 인간적 유대를 향한 따뜻한 마음 다른 사람의 실수를 용서하고 다른 사람과 함께 하려는 마음은 유교덕목에서 인()仁二人 과 같은 것이다 . 인이란 두사람 ( ) 이란 뜻이다 . 인간은다른사람과의관계에서인간이될수있다는것이다. 책임성은 유교적 덕목에서 의()義 와 같은 의미이다 . 의는 수오지심 ( 羞惡之心 ) 이라고 말해지 는 바,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입히거나 자신이 허술하여 다른 사람을 악한자로 만드는 것을 부끄러워하는 마음이며,(). 이러한 부끄러움의 이면이 바로 의義 인 것이다 자율은 유교덕목 에서 예()禮克己復禮 이다 . 극기복례 ( ) 라고 표현되듯이 자신을 억제하여 예로 돌아가는 것이 다.(). 자율적인 행동이 바로 예禮 이다 지식의 윤리는 유교덕목에서 지()智 에 해당한다 . 윤리의 기초에는 지식과 그것을 위한 교육 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 유교문명의 사회관이고 정치관이고 교육관이다. 그리하여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윤리는 유교문명의 윤리에서 유추하는 것이 가장 뚜렷한 가치체계를 세울 수 있다. 그것은 문 (文儒忠信仁義禮 ), 유 ( ), 충 ( ), 신 ( ), 인 ( ), 의 ( ). 예 ( ), 지 ()智 의 가치체계이다 . 이렇게 사이버스페이스의 윤리적 가치체계가 유교적 가치체계와 가까운 사회적 근거는 가능 하다..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는 두 가지 점에서 근대사회와 대조적이다 첫째는 상인적 기업가 적 사회에 대해 지식인과 지식사회라는 것이다.

-152- 둘째는 개인주의적 사회에 대하여 공동체적 가치관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근대사회 와의 이러한 차이점은 동시에 유교문명과 동일한 점이기도 하다 유교문명은 지식인과 지식 사회였고 공동체적 가치관에 서 있었다.

제장요약3

시민정보사회는 근원적으로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이다.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 개개인은 그 아이덴티티에서부터 자연공간사회와 다르다.( 개개인은 자신의 정보를 등록하는 것 또는 공시하는 것). 에 의하여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주민이 된다 이러한 개인정보의 공시는 그 반대 의 측면으로 프라이버시 문제를 야기한다. 프라이버시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해결방식은 자율적 규제의 모델이다. 사이버스페이스는 사회는 근원적으로 국가,,, 권력 경제 법률보다는 개개인의 자율에 기초하 는 사회이다.-, 그것은 사이버스페이스의 본질적 특징 분할할 수 없는 세계 성 그에 따른 근대국가의 기능약화,- 인위적 디지털 공간 에서 연유하는 것이다 . 이것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가 자율의 사회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국가의 권력적 통치 시장의 경쟁의 원리에 의하여 성립한 근대사회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그리하여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는 자율사회 이고, 자율사회는 국가나 시장의 원리가 아니라 윤리에 기초하여야 성립할 수 있다. 이런 점 에서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윤리야말로 사회형성의 기초이다. 이러한 윤리는 근대사회의 윤리의 연장선에서 연역되기 보다는 새로운 도덕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그 새로운 도덕의 가치체계로서 중요한 것이 있다면 지식사회와 지식인적 인간상 사 회적 마인드,,, 신뢰 연대 책임성 ,, 자율 지식의 윤리 등을 들 수 있다 . 이것은 체계화는 유교 적윤리관문유충신인의예지가가장가까운것이,(),().(),(),(),(),(),()文儒忠信仁義禮智 라고할수있다.

시민정보사회를 사이버스페이스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새로운 하나의 사회라는 점을 인식한 다면 시민정보사회론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이론과 동일하다고 할 것이다. 이 경우 사이 버스페이스 사회의 구성원이 바로 사이버시민(cybercitizen) 이고 , 사이버스페이스의 윤리가 새로운 사이버시민의 윤리이다.

-153- 제3 장 참고문헌

한국전산원 NCA VII-XE-97041“Privacy and Self-Regulation in the Information Ages” 전산원, NCAVII-RER-97084「 정보사회의 지적재산권 개념 재정립 」 박정순,“ 정보통신문화와 도덕의 정체성 문제 ”http://www.icec.or kr 이석재, 류승호 (1997).“ 온라인상의 폭력물ㆍ 음란정보 유통 규제방안 ”. 정보화정책이슈 , 97-05,한국전산원 . 이석재,,, 류승호 원현옥 정희태 (1997).“ 정보사회의 네티켓과 정보이용윤리 정립방안 ” 한국전산원. 이석재, 조주은 (1996).“ 정보화와 삶의 질 ”. 한국전산원 연구보고서 (NCA VII-RER-9698). 양유석(1997).“ 정보화와 사회의 윤리문제 ”.「」 과학사상 가을 , 93-109. 방석호,“ 미국의 1996 년 통신법 분석 ” 한국전산원 “”미국 연방대법원의 통신품위법 위헌판결 현황 한국전산원 한국정보보호센터,“ 국내외 정보보호관련 법제도 현황 ”1996. 허영민/,“ 신양균 정보화사회에 있어서 프라이버시보호에 대한 법적 고찰 ” 전북대 법학연구 제 16집 , 1989 박순백,“ 정보화사회에 있어서 개인정보의 법적보호에 관한 연구 ”, 경희대 박사학위논문 , 1993. 8. 김용군,“ 정보공개와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연구 ”, 성균관대 박사학위 논문 , 1995, 2. 고세일,“ 컴퓨터범죄의 유형과 방지대책에 관한 연구 ”, 국회 도서관보 제 28 권 6 호 . “’96정보보호 심포지움 ”, 한국정보보호센터 , pp. 99-104, 1996. 홍기융 외,“ 전산망 정보보호 - 접근통제기술 ”, 한국정보보호센터 , pp. 219-224, 1996. 한세억,『』 정보사회의 규범과 윤리정착에 관한 연구 ( 서울 : 한국정보문화센타 , 1995), 황경식,“ 산업사회ㆍㆍ 윤리 정보사회 ,” 한국사회 ㆍ 윤리학회 발표논문 (1997. 2) 정진섭/ 황희철 ,「」 국제지적재산권법 육법사 , 1995. 김대영,“ 컴퓨터프로그램의 법적 보호에 관한 EC 지침 ”, 계간 저작권 제 32 호 . 김진희,“ 초고속 정보통신망과 저작권 ”, 계간저작권 제 29 호 .

-154- 김행남//,“ 김홍수 정상기 정보통신망의 발달과 지적재산법의 대응 - 저자권법을 중심으로 ”, 계간 저작권 제39 호 . 박성호,“ 정보의 디지털화에 따른 저작재산권의 대응방안 ”, 계간 저작권 제 35 호 . 박영길,“WIPO 의 국제심포지엄 보고 ”, 계간 저작권 제 30 호 . 배대헌,“ 가상공간과 지적재산권의 보호 ”, 창작과 권리 제 6 호 (1997 년 봄호 ). 이진우,“ 멀티미디어 시대의 집중관리제도의 문제점 ”, 계간 저작권 제 36 호 . 정상조,“ 멀티미디어산업과 미국의 저작권법 ”, 계간 저작권 제 25 호 . 정진섭,“ 정보통신망의 발전과 저작권환경의 변화 ”, 계간 저작권 제 31 호 . ,“가상공간에서 좌충우돌하는 현실세계의법 ”, Internet 1996. 11. 최경수,“WIPO 저작권조약 및 실연ㆍ 음반조약 해설 ”, 계간 저작권 제 37 호 . 제 38 호 문화체육부,“ 세계지적재산권기구 (WIPO) 저작권 조약 및 실연ㆍ 음반조약 해설 ”, 1997. 1. 川浦康至1995“미디어로서의 컴퓨터 커뮤니케이션 ”, 川崎賢一 , 외 . 정보교류의 사회학 , 한국정 보문화센터() 역 佐藤薰,マルチメヂイア 現代 の 知的創作物人門 , 1996. 吉山奇正弘,マルチメヂイアと 法制度 ,다이아몬드사 , 1997 佐野禾念,ソフトウェアと 知的財産權 , 岩波書店 , 1997. 松田政行,マルチメヂイア 技術 と 知的財産權 , パテント 1997. 4 W. J. Michell“City of Bits” David Lyon,“The Rise of Suveillance Society” p.4. 16한국전자통신연구소 간 ) Argyle,M.1969“SocialInteraction”,London:Metheun Baym, N. K. 1995“The Emergence of Community in CMC”, Steve G. John ed., CyberSociety, London: Sage Kiesler, S, J. Siegel, and T. W. McGuire, 1984“Social Aspects of Computer-Mediated Coomunication”, American Psycholigist 39 Rheingold, H, 1993“The Virtual Community, Reading”, MA: Addison-Wesley Spears, Rand M. Lea, 1994,“Panacea or Panoption?“Communication Research 21 Spears,RandM.Lea,1995“LiveatFirst Byte?”in J. Wood and S.Duck eds. Understuded Relationships, London : Sage Sproull and Kiesler 1986“Reducing social context cues: electronic mail inoranizational communication”,Management Science 32 Zuboff,1988,“IntheAgeoftheSmartMachine:TheFutureofWorkandPower”New York : Basic Book

-155- J. Hillis Miller,“The Ethics of Reading”(Columbia University Press, 1986) Deborah G. Johnson,“Computers”Lawrence C. Becker (ed.), Encyclopedia ofEthics“(New York : Garland Publishing, Inc., 1992), James H. Moor,“What is Computer Ethics,”Metaphilosphy, vo1.16 (1985) Deborah G. Johnson and Helen Nissenbaum (eds.),“Computers, Ethics and Social” Values Englewood Cliffs, New Jersey, 1995,“Introduction: What is Computer Ethics?” Simon Rogers,“The Ethics of Computing: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URL = http://idun.unl.ac.uk:80/~ 11sadlerc/src/ETHrog.html (1996) Deborah G. Jonhson, “Computer Ethics”(Englewood Cliffs: Prantice-Hall, 1985) Arnold P. Lutzker, “Copyrights and Trademarks for Media Professionals", Focal Press, 1997. Drahos,“APhilosopyofIntellectualProperty”,Dartmouth,1996. Gregory A. Stobbs, “Software Patents”, John Wiley & Sons, Inc., 1995. Henry H. Perritt, “Law and the Information Superhighway”, John Wiley & Sons, Inc., 1996. Jonathan Rosenoer, “CyberLaw”, Springer, 1996. M. Ethan katsh, “Law in a Digital World”Oxford University Press, 1995. Paul Goldstein, “Copyright's Highway", Hill & Wang, 1994. Peter Wayner,“Digital Copyright Protection”, 1997. Stephen Fishman, “Software Development”, Nolo Press, 1994 Susan Cotter, “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Law(European Jurisdiction)”, John Wiley & Sons, Inc., 1995. Axelord, R. (1984).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NY: Basic Books. Boyle, J. (1996). “Shamans software, and spleens: Law and the construction of the information society”. Boston: Harvard University Press. DarleyJ.M.,&Latane,B.(1970).“Norms and normative behavior: Field studies of social interdependence”. In J. Maculay & L. Berkowitz (Eds.), Altruism and helping behavior: Social psychological studies of som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NY: Academic Press. Goulder. A. W. (1960). “The norm of reciprocity: A preliminary statement”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5, 161-178. Kollock, P (1997). “Design principles for online communities”. The Internet and Society: Harvard Conference Procedings, Cambridge, MA.

-156- Komorita, S. S., Parks, C. D., & Hulbert, L. G. (1992).“Reciprocity and the induction of cooperation in social dilemma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607-617. Law, S. A. & Keltner, B. (1996).“Civic networks: Social benefits of on-line communities. InR.H.Anderson,T.K.Bikson.S.A.Law.,&B.M.Mitchell. Uniuersal access to e-mail: Feasibility and societal implications. RAND. Lee. Suk-Jae (1995).“The instigating and inhibition effects of social norms on aggression in competitive and cooperative situations”.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at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Lee, Suk-Jae & Tedeschi, J. T. (1996).“Effects of norms norm-violations on inhibition and disinhibition of aggression“.Aggressive Behavior. 22. 17-25. Nemeth, C. (1970).“Bargaining and reciprocity”. Psychological Bulletin, 74, 297-308. Options for promoting privacy on the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1997.4) http://www.iitf.nist.gov /ipc/privacy.html Ostrom, E (1990).“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rivacy Framework for Smart Card Applications (1996. 7). http://infoweb.magi.com/~ privcan//pubs/smcard.html Shaffer, L. S. (1983).“Toward Pepitone's vision of a normative social psychology: What is social norm?”The Journal of Mind and Behavior, 4. 275-294. Sherif. M. (1965).“The psychology of social norms”. NY: Octagon Books, Inc. Sherif.M.&Sherif,C.W.(1964).Reference group: Exploration into conformity and deviation of adolescents.NY:HarperandRow,Pub.

-157- 제4 장 시민정보운동의 현실과 시민정보사회

제1 절 시민정보운동의 의미와 분류

시민의 개념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자연공간에서의 시민이고 다른 하나는 사이버스페이스 에서의 시민이다. 전자는 시민사회의 시민 (citizen) 이고 , 후자는 사이버시민 (cybercitizen) 이 다. 전자는 근대사회에 있어 경제적으로는 중산층으로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계층적 개념일 수 있으며,3(, 시장에 대하여 비영리적으로 활동하는 제 섹터일 수도 있고 국가 시장에 대한 시민의 경제적 개념), 정치적으로는 공론을 형성하는 시민사회의 구성원일 수도 있으며 , 사 회운동의 차원에서 시민운동의 주요성원일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자연공간에서 근대사 회를 전제로 규정되는 시민의 개념이다. 이에 대하여 사이버시민은 단순한 네티즌에 대한 개념이다. 사이버시민은 앞에서 본대로 네티즌과 비교하여 앞에서 말한 아이덴티티, 프라이 버시,, 지적재산권 기타 사이버스페이스의 윤리를 갖춘 개념이다 . 이렇게 볼 때 정보사회의 시민운동 역시 두 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자연공간에 서의 시민운동이고 다른 하나는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를 형성하는 시민운동이다. 이제까지 일반적으로 상정되는 시민운동은 자연공간에서의 시민운동이다. 그러나 정보사회의 진척과 사이버스페이스의 등장에 의하여 사이버스페이스사회를 형성하는 시민운동도 등장하고 있 다. 이두 가지를 합하여 정보사회의 시민운동을 시민정보운동의 개념으로 포괄하기로 한다.

이러한 시민정보운동은 자세하게 다음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시민운동의 정보화 : 이제까지 자연공간 ( 근대사회 ) 에서의 시민운동에 정보기술을 활용함 으로써 시민운동을 더욱 발전시키거나 시민운동을 촉진하는 것이다. 현재까지의 시민운동은 이러한 문제의식이 주요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정보기술이 시민운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 가, 시민사회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가 등의 문제 의식이 나오게 된다. 이것은 경 제적 분야에 비교하면 산업의 정보화와 같은 위상을 가진다.

-158- 2)시민정보운동 : 정보화와 관련된 시민운동이다 . 기존의 시민운동에 대하여 정보기술의 도입을도와주는것자체가목적이될수있다나아가정보사회에의하여야기되는시민적. 문제,, 정보격차를 해소한다던가 정부에 대하여 정보공개를 요구한다던가 , 프라이버시를 보 호한다던가,. 지적재산권의 공유와 프리웨어를 주장하는 것과 같은 시민운동이다 이것은 경 제적 분야에 비교하면 정보의 산업화와 같은 위상에 해당한다. 정보화 이전에는 존재할 수 없는 운동이며 정보사회가 도래함으로써 발생한 운동이다. 3) 사이버커뮤니티 운동 ㆍ시민 네트워킹 운동:. 자연공간을 전제로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공동체를 만드는 운동이다 그 관점은 시민을 네트워크 화하여 공동체로 조직하거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시민을 결합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자연공간의 근접성을 기반으로 하여 지역정보화운동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지 않고도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공동으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다. 이것은 다른 한편으로는 국가주의적 개입을 벗어나고, 자본적 동기나 상업적인 동기가 아닌 비영리적 동 기에 기초하여 사이버 공동체를 형성하는 운동이기도 하다. 이 범주에는 사이버스페이스에 서의 시민에의 혜택과 시민의 참여와 유대가 주요한 문제의식이다. ㆍ사이버 커뮤니티 운동: 사이버스페이스를 하나의 전혀 다른 공간으로 인식하고 여기에서 공동체를 형성하는 운동이다.() 이것은 한편에서는 자연공간 근대사회 적인 간섭이나 규제를 거부하고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전혀 다른 질서를 가진 사이버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 주체 일 수 있고,. 사이버스페이스의 독립을 외치는 정치적인 운동일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사 이버스페이스가 자연공간() 근대사회 과는 전혀 다른 또 하나의 세계라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는 점이 다른 시민정보운동과 다르다. 여기에는 정치적 성격이 없이 순수한 가상공동체 (virtual community)를 형성하는 경우 , 게임의 세계에서 게임을 통하여 형성되는 가상공동체 까지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정치적이 아니라 인간 인식의 차원에 서 있다 ㆍ사이버 경제공동체 운동: 사이버커뮤니티 운동이 정치적이라면 사이버경제공동체 운동은 경제적이다. 이것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전혀 새로운 하나의 경제적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 이다. 그렇지만 그것은 가상의 공동체가 아니라 현실적인 경제시스템을 작동시킨 다는 점에 서 가상공동체(virtual community) 와 다르다 . 예로서 지역화폐 (local money) 를 작동시키는 공동체가 그것이다.

-159- 여기에서는 현실의 화폐와는 다른 지역화폐(local money) 를 통하여 현실의 시장과는 다른 시장,. 현실의 자본주의와는 다른 경제체제를 형성한다

이상의5. 가지 유형으로 시민정보운동을 고찰하기로 한다 앞의 세 가지 유형의 시민정보운 동-,(),- 시민운동의 정보화 시민정보운동 좁은 의미 커뮤니티 네트워크 운동 은 자연공간과 자 연공간에서의 시민사회를 전제로 하는 시민정보운동이다.- 이에 대하여 뒤의 두 가지 사이버 커뮤니티 운동, 사이버경제공동체운동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를 전제로 하여 사이버시티즌을 형성하고사이버스페이스사회를형성하는운동이라고할수있다뒤의두가지운동은자. 연공간() 근대사회 과는 전혀 다른 체제 , 전혀 다른 질서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운동이 다.

제2 절 시민운동의 정보화

1. 시민운동 정보화의 패러다임

자연공간에서 활동하고 있던 시민운동단체가 정보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정보화를 통하여 시 민운동을 더욱 발전시키고자 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제기될 수 있는 문제의식이다. 학문적 실천적으로 본질적으로는 대부분의 시민운동이 정보화에 관하여 이와 같은 패러다임에 입각 해 있다. 가령 컴퓨터매개통신 (CMC) 을 통하여 시민단체의 내외부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활성 화시킴으로써 시민운동을 더욱 발전시킨다던가, 정보사회를 맞아 시민사회의 역할을 높인다 던가, 국내의 시민사회의 시대적 발전과정에서 현 단계의 시민운동과 정보화를 결합한다는 가 하는 관점들이 일반적으로 제기된다.() 이 경우 당연한 전제는 자연공간 근대사회 의 시민 사회,.19 내지 시민운동과 정보화를 결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을 명백하게 제시하여 세기적인 이상과21 세기적인 기술의 접합을 주제로 삼기도 한다 . 「본질적으로 정보사회는 근대성(modernity) 안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기든스 (Anthony Giddnes)의 주장은 커다란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

-160- 비록19 세기 철학자들이 제시한 개혁 프로그램들은 20 세기를 넘기지 못하고 익사했지만 그 들이 투구했던 이상은 여전히 포기될 수 없는 것들이다. … 기술적 관점을 넘어() 정보화 의 사회적 정의를 내린다면 정보화는 정보기술을 통하여 한 사 회내 성찰성(reflexivity) 이 높아지고 , 의사소통이 증가하며 , 조직운영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현상 혹은 그러한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정보화를 이렇게 정의한다 면, 그것은 전산실이나 전자계산소에서 추진할 수 있는 기술적 업무가 아니라는 사실이 분 명해진다.,. 정보화는 사회구조의 개혁이며 사회조직의 혁신이다 컴퓨터나 컴퓨터 네트워크 와 같은 정보기술은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53) 이러한 패러다임이 시민운동의 정보화를 뒷받침하고 있는 일반적인 관점이다. 이것은 하버 마스(Harbermas) 나 기든스 (Giddnes) 의 패러다임을 시민운동의 이론적 밑받침으로 하고 있 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인터넷 공간이나PC 통신 공간은 자연공간에서의 시민단체와 시민운 동에얼마나도움을줄수있는가정보기술이시민단체와시민운동을어떻게변화시킬것? 인가?? 정보기술이 시민사회의 형성과 발전에 어떠한 기능을 할 것인가 정보기술에 의하여 좀더 나은 시민사회가 형성 발전될 것인가 하는 문제들이 주제가 된다. 그러면 실제에 있어 서 시민운동의 정보화 현황은 어떠한가?

2. 시민운동 정보화의 현황

가.(1) 시민사회 정보화의 사례와 현황

한국의 대표적인 시민운동단체로 꼽히고 있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실련 의 홈페이지 (http://www.ccej.or.kr)를 보자 . 이 홈페이지는 언제 개설되었는지 표시되고 있지 않으나 현재 첫 화면에『 이 페이지는 현재 수정작업중입니다.98 년 초에 정상 운영될 예정입니 다.』 라는 알림이 있으나 , 1998 년 초가 아니라 1998 년 4 월 중순까지 정상 운영되지 않고 있 다. 이 페이지를 개설한 이 후 1998411 년 월 일까지 3,598 번의 방문이 있었다고 표시되고 있 다.

53) 윤영민:19 세기 이상과 21 세기의 기술의 접합은 환상인가 ? 크리스찬 아카데미 심포지엄 논 문

-161- 홈페이지의 항목은 경제정의연구소,,,, 해외네트워크 국내네트워크 한국의 창 게시판으로 되 어있다.‘ 경제정의연구소에는 한국기업의 사회적 성과의 평가 ’ 라는 단 한 개의 논문이 게재 되어있다게시판에는올린글을볼수있는가능이에러.(error), 로나타나며자료실리스트 에서는기능을테스트하는4. 개의글이올라있을뿐단한개의게시물도없다 참여민주사회시민연대( 참여연대 ) 의 홈페이지 (http://www.koreanet.org/~pspd) 는 참여연대 에 대해서,, 뉴스 연중기획 ( 작은 권리찾기 ), 자료실 네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974 년 월19 일 이후 총 4,743 명이 방문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 뉴스에는 최근 (98.3.27) 에 올려진 글(-). 삼성그룹 삼성자동차에 대한 위장출자 밝혀져 경제민주화 위원회 이 있다 게시판은 설 치되지 않았고 방명록에180 년 동안 약 여명의 글이 올라와 있다 ( 이 중에는 사법적 사건과 관련된 장문의 글도 있다). 환경운동연합(http:www.kfem.or.kr) 의 홈페이지는 단체소개 , 활동내용 , 환경정보 , 게시판 , 녹색에너지 경영진단,, 환경정보 가이드 환경을 지키는 사람들의 항목으로 구성되어있다 . 환 경운동연합의 홈페이지는 특이하게도LG-CALTEX 정유회사 , yahoo Korea 회사의 광고가 게재되고 있다.‘ 환경을 지키는 사람들 ’ 은 ( 재 ) 한국환경 민간단체진흥회의 사업비로 제작되 었는 바, 환경관련 인사들의 인덱스 (index) 이다 . 환경정보에는 1 년의 기간동안 8,153 명이 방 문하였는데 너무 느리게 뜨기 때문에 그 사람들이 얼마나 환경정보에 실제로 들어갔는지 의 심스럽다.100 게시판에는 개의 게시물이 올라있는데 자료는 찾는 게시물들이 많았다 . 한국YMCA 홈페이지 (http://www.ymca.or.kr) 는 역사 , 주요활동 , 지역 YMCA, 시민정치네 트워크의 항목이 있다. 첫 화면에는 그 외 많은 항목들을 개설하고 있지만 아직 전혀 내용 이 올라있지 않다. 이 홈페이지에는 약 1 년 동안 4,838 회의 방문자가 있었으며 , 자유게시판 에는22 개의 글이 올라 있다 . 이 홈페이지는 시민정치네트워크를 개설하여 논문과 토론주제 등을 제기하고 있으며,16 약 개의 분야에 관하여 토론방 ( 게시판 ) 를 만들어 토론을 유도하고 있지만 약91 개월 동안 전혀 글이 게시되지 않았거나 다만 개의 글이 게시된 것에 불과하 다. 한국여성단체연합의 홈페이지(http://www.women21.or.kr)/,/,/ 는 가족 육아 교육 여성학 노동 농민,/,/ 복지 건강 문화 생활공동체 ,/,,,/, 성 인권 정치 종교 영화 통일 환경 등 많은 분야에 걸 쳐서 그 각각의 항에 대하여 정책자료라는 이름으로 상당한 논문을 올려놓고,, 상담소 소개 관련홈페이지를 소개하고 있다.

-162- 토론마당에는 약10 개월에 걸쳐 38 개의 회원의 글이 올라 있으며 , 그 조회횟수도 각각 수십 회가 되고 있다.

이상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시민단체들의 홈페이지의 상태를 보면 대체로 홈페이지 들은 시민단체 자신에 대한 소개의 차원에 머물러 있다. 오직 여성단체연합만이 많은 종류 의 글과 논문을 게시하고 있으며,. 일종의 데이타베이스의 기능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소 개에 대하여 시민들의 참여는 저조한 편이다.YMCA 의 경우 토론방 ( 게시판 ) 을 개설한지 9 개월동안각분야의주제에대하여글을올린시민이전혀없거나기껏한개의글이올라 와 있다는 것은 인상적이다., 환경운동연합의 경우는 게시판이 없는 바 방명록에 상당한 글 이 올라있으나 이것은 토론방의 기능은 아니다. 한국여성단체연합의 경우 회원들의 상당한 참여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공론이 형성되고 있 는 경우는 없다고 결론지어야 할 것이다. 시민사회의 공론의 장은 그 이론의 풍성함에 비하 여 현실에 있어서는 전혀 실질적인 근거를 발견할 수 없다. 위의 각 단체들은 자연공간에서 는 대단히 많은 활동을 하는 대표적인 단체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론의 장으로서의 시민참여는 전혀 없다고 결론지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은 실제로 시민운동 단체가 당면하는 현실이다. 경제정의실천연합의 홈페이지가 대단히 부실한 상태로 방치되고 있는 것은 시민단체 자신이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시민의 참여에 별로 기대하고 있지 않다는 것 을단적으로보여주는예이다.

세계로 눈을 돌려 가장 유명한 환경단체라고 할 수 있는 그린피스(Greenpeace; http://www.greenpeace.org)의홈페이지를보면 [Search] [Toxics| Nuclear||||| Ocean Duping Atmosphere Forests Oceans Genetic Engineering] [Archives ||Marine National Offices | Hot Page] [Supporters | Information | Mail|| Chat] [Site Statistics Other sites]등의항목으로구성되어있다각항목은환경의 . 세부분야에 대하여 주장,, 캠페인 보도기사 등을 제시하고 있으며 , 많은 데이타베이스와 메 일링리스트,.. 그리고 채팅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한편 게시판 기능은 보이지 않는다 그린피 스의 홈페이지를 통해서는 메일링리스트와 채팅기능이 어느 정도 활성화되어 있으며 그것이 그린피스의 활동에 얼마나 많은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는가에 관한 명확한 통계를 찾을 수는 없다.

-163- 세계의 수많은 시민단체 가운데 임의의 한 단체로 America's Crisis Pregnancy Helpline(http://www.thehelpline.org)를 살펴보자 . 이 단체는 예상하지 못한 임신을 한 여 성을 도와주는 것을 주요한 임무(mission) 로 하고 있으며 그와 관련하여 교육 ,,, 가정 부모 여성문제를 활동내용으로 한다. 이 홈페이지는 Resources Available/ The Helpline Mission and Statement of Principles/Frequently Asked Question/Help by Becoming an Area Coordinator/Volunteer Application/Related Internet Sites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단체는 제공할 수 있는 자원을 열거하고 있는 바 그 내용은 상 세하고 구체적이다. 위험한 임신을 한 여성을 위한 센터 ,,,, 지원그룹 카운셀링 정보제공 양 육을 위한 집,,, 직업교육 법률구조 의료적 보살핌 ,, 종교조직 낙태후 부조 ,, 공적혜택 전국연 락망,, 가족계획 가정폭력상담과 부조 , 등이 지원할 수 있는 자원이다 . 이 단체는 사이버스페 이스를 구체적인 행동을 연결하는 정보교류와 만남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홈 페이지에서의 시민들의 참여는 구체적인 행동- 부조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부조를 요청하거 나 도움을 주려는 사람이 연결하거나-. 과 연관된 만남이 되고 있다 세계의 시민단체들에 있어서도 홈페이지를 통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끌어내고 있다는 근거를발견할수없다여기에서적극적인참여라는것은시민들이자신의의견을관련단. 체에 글로 올리거나 토론을 벌이는 것이며, 또한 사이버스페이스를 통하여 시민단체들에 가 입하고 활동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홈페이지 공간이 이용되지는 않음을 잠정적 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그러면 사이버스페이스가 시민들의 참여와 토론의 공간, 공론의 장으로서 별로 의미가 없는 것인가?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공론의 장을 형성한다는 것은 다만 이론에 불과한 것인가?

현재의 뉴스그룹과PC 통신공간 , 인터넷 홈페이지에도 시민단체가 아닌 상업적인 공간을 살 펴보면전혀다른결론에이를수있다. 뉴스그룹으로서 나우콤의 많은 뉴스그룹(news.nowcom.co.kr) 가운데에서 정치적인 분야에 관한 뉴스그룹(han.politics) 의 사례이다 .【】 표 2

-164- 【】표2 제목 보낸사람 보낸날짜 www.geocities.com이 열렸네요 ssHong( 홍석식 ) 98-01-30 sss 노경문 98-01-17 Read this... get angry!!! kozilla 97-12-27 RE)하루라도 빨리 금리를 인하해야 산다 guppy@hanmai.... 98-04-09 RE)KBS아부가 지나치다 Kyungsu Kim 98-01-07 IMF금리 30% 대 유지요구 ... 나라 말아먹는군요 Deyon Kim 98-01-19 Horror of a hungry country ghn Byeong-Gil 98-04-13 Form Broadcast to Netcast Seong M. Won 97-12-02 혼자서모든일을할수는없다 shinsongsun 98-04-01 한심한영화수입 Hur,JoonHoi 97-11-28 한심한나라미국 Ahn,BeongGil 98-03-25 한심한 고립정치국가 일본섬 Dannty 09-01-24 한나라당 의원들.... 고스톱판 벌이다 ... 박재현 98-03-12 한국국민들이 바보가 아니라 너무 착해서 dfdsh 98-01-07 하이텔에 보니 삼성이 일차부도 내었다는... Mr.Youn 97-12-05 하도 어이가 없어서 RHI KYU CHER 98-03-14 ......

이 뉴스그룹은 정치적인 분야인데도 불구하고 총 합계2,636 개의 게시물이 올라와 있다 . 여 기에서 표명된 의견들은 많은 경우 감성적인 표현이 사용되고 있다. 가령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위의[]. 하도 어이가 없어서 의 내용이다

어이가 없어서 한번 써봅니다. 일부 몰지각한 국회의원들의 고스톱 한판, 그것도 의원회관에서 고스톱이 국민오락이라 국 민대표들이 한판 벌인 것인지… 그런데 국회의원 욕하기 전에 이런 양반들을 국회에 보낸 국민들의 수준을 먼저 비판해야 할것같은데… 그야말로 서민들이 오늘 내일하며 살아가는 지금 이게 무슨 비극인가 취하지 않고는 하루도 살기 힘든 이 현실을 언제나 벗어날 것인가

-165- 그렇지만 장문의 논리 정연한 토론이 주장과 반박의 형태로 게시되기도 한다. 다음은 한국 의 금리율에 관한 논쟁이다. 한 쪽은 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이고 다른 쪽은 즉시 금리를 내리지 않으면 경제가 붕괴한다는 주장이다.[ 참고서류 참조 ]

정부.. 경제개혁을 위해 고금리를 유지해야 ? 번호 (14010) 사용자 (ID(seokjeff) 이름( 석진욱 ) 시간 (98/03/30) 조회 (363) 줄수 (128)

언론보도를 통해 정부는IMF 와 15% 선까지의 금리인하를 적극 추진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 그러나 이는 정말 지금 행해서는 안됩니다.15% 이 시점에서 의 금리인하는 수많은 중소기 업을 더 빨리 도산시키고 재벌개혁을 완전 후퇴시키며, 물가폭등을 유도할 뿐 아니라 외국 자본의 이탈을 가속화시키는 정책이 됩니다.15% 한국의 신용은 를 용인할 수 있는 신용이 아닙니다. (1)RP2%근거 정부가 금리를 가까이 내리자마자 단 하루 , 정부가 RP 금리를 실제로 내리 는 날만1.85 포인트 상승했을 뿐 그 전후를 기하여 주가는 지속적으로 하락 , 현재 부동의 마지노선이라 여겼던 주가지수가490 선 밑으로 내려 앉았습니다 . (근거 2)......

이에 대한 반대 토론문으로 올라온 글은 아래와 같다.

조성욱님이 요즘 나오는 금리인하의 논리에 대해 잘 정리해 주셨네요. 안그래도 하나씩 반 박하고자 하던 부분이었습니다.

1. 고금리를 보고 외국자본이 들어오지는 않는다는 논리에 대해

개인적으로 참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인데요.? 왜 외국자본이 빠져나가는 것은 생각하지 않 는지 모르겠습니다. 외국자본이 빠져나간다는 것 , 그것은 한국이 다시 98 년 12 월로 되돌아 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요.10… 월부터 시작된 외환위기 때 한국은 지금 보유하고 있 는 외환 보유고240 억 달러 보다 100 억 달러 가량이 많은 310 억 달러 정도의 외환보유고가 있었습니다.IMF 그러나 한국은 에 구제금융을 요청하지 않으면 안되었습니다 .,20 단 억 불 규모의 외국자본 유출에 말이죠.

-166- 나.(2) 시민사회 정보화의 사례와 현황

한편 상업적인 사이버스페이스공간을 검토해보면 전혀 다른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PC 통 신공간에서는 많은 토론이 이루어지고 많은 참여가 이루어진다.. 간단한 다음 예를 보자 탤런트 김희선이 일본기자와 인터뷰를 하면서 자신의 사치함을 과시했다는 기사가 실리자 이것을 본 네티즌들이 집중토론,. 성토가 일어났다 다음은 그 내용의 하나이다 . 이래와 같은 기사의 제목에 대하여 단지2141 일만에 개의 글이 게시판에 올라왔다 .

제목:JJ-★ 김희선日 월간지 인터뷰 국제적 망신

141 화류공자 JMGY4 98/04/11 12 9 답장:?? 너희들은 안그러냐 140 ORENG ALL 98/04/11 15 14 그래도 같은 편도 많구나! 139 KYM7619 ALL 98/04/11 21 28 [이런 ...!] 이런 문둥이 같은 xxx.. 138 데스티노 ALL 98/04/11 6 21 흠... 김희선 ... 그대도 별수없군요 ... 137 화류공자 ALL 98/04/11 22 67 이런 쥑일x 같으니 ... 휴 ...... 136 JMGY4 ALL 98/04/11 20 39 너희들은 안그러냐?? 135 토나우도 ALL 98/04/11 13 23 니나 잘해( 이잉 ~~~~~~~) 134 YSR007 ALL 98/04/11 3 91 김희선의 죄상을 알고싶은 분들... 133 AHNHYC ALL 98/04/11 10 25 나 참.. 천랸 .. 모하는 짓인지 .. 132 외인부대 ALL 98/04/11 13 38 김희선 너.. 이 X 131 YSR007 GZZWB19 98/04/11 2 49 답장:? 김희선은 무엇을 했는가 130 일본정벌 ALL 98/04/11 17 61 4!가지없는 년 129 가요사랑 ALL 98/04/11 11 72 음... 걘 원래 그래요 ... 128 GZZWB19 ALL 98/04/11 3 79 김희선은 무엇을 했는가? 127 김한솔 ALL 98/04/11 4 72 어쩜 이럴 수가 있던가!

그중에서한글의내용을임의로뽑아서보면다음과같다.

번호:122/139 토론자 : 해맑은날 수신자 :ALL 토론일시 :98/04/11 16:21 길이 :7 줄

-167- 제목: 돈으로 치장된 모습 , 그걸 자랑이라고 ...

얼굴이 예쁜 만큼 생각에도 깊이가 있다면 그녀, 과연 일본 잡지 인터뷰에서 그런 발언을 할 수 있었을까요. 자신의 부를 있게 해준 사람들이 누구인가 한번이라도 생각했다면 얼마 나 좋았을까요. 도시락을 못 싸다니는 아이들이 늘어나는 우리의 현실 앞에서 그녀의 망언 은 우리들에게 너무도 큰 충격입니다. 그녀 제발 정신 차리고 깊이 반성하기를 바라마지 않 습니다.. 공개적인 사과 그건 필수겠지요

실제로 연예계에서는PC 통신의 여론을 대단히 두려워하여 기사가 나온 날 바로 해명하는 민첩함을 보였다. 이러한 해명에도 불구하고 단 이틀만에 이와 같은 많은 글들이 실린 것이 다.

연예계와 같이 흥미 있는 주제가 아닌 경우에는 상황이 달라진다.PC 통신공간의 역사동호 회를 보면 자기소개를 한 회원이1,101 명이다 . 자기소개를 할 정도의 회원 가운데 매월 역 사동호회를 찾아 머문 시간을 보면 최고47 시간에서 최하 2 시간을 머문사람이 총 63 명이 다.

사용순위 logname 한글ID 이용자이름 사용시간 ------1 B339 비AND 김기태 47:16:24 2 KJH1999 김문 김정훈 41:42:58 3 BEMARINE 안윤영 40:38:01 4 JONG17 소종 27:15:30 5 NET75 진연정 24;36:18 6 INDIA307 권혜정 19:08:38 7 MCGYVER3 김효지 17:29:23 8 BMM76 윤형진 14:12:58 9 KESCO002 기아 기아전자( 주 ) 13:48:49 10 ELSA777 임상묵 13:13;05 11 HUHJA 허정균 13:12:31 12 REDDEVL 태대대로 유승균 13:06:31 13 CONTACT5 올리브 한승이 12:33:52 14 GALGU 이승주 11:06:47 15 NEWSINYW 신용원 10:57:40

-168- 그리고855 번부터 2235 번까지는 회원으로 가입한 후 전혀 들어오지 않았다 .

855 VVSF5DS8 이성수 0:00:00 ...... 2235 CHO082I 최경룡 0:00:00

이것은PC 통신공간에 비하여 인터넷 공간이 토론과 참여와 모임에 있어서 불리하다는 것을 말하는 것인가?.PC 그렇게 볼 수는 없다 통신에서의 통신회사와 동일한 기능을 지향하는 인터넷 홈페이지의 경우에는PC 통신과 같이 토론 , 참여 , 모임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 다음은 신비로(http://www.shinbiro.com) 의 홈페이지에서의 토론과 동호회의 모습이다 . 우선 신비로의 많은 게시판 중에서 문화ㆍㆍ 예술 영화에 관련된 주제에 관하여1 년 동안 1,348 개 의게시물이올라와있다.

번호게시자날짜조회크기제목 1348 j7287 98/04/08 58☞★ 1영화 자료가 이곳에 ( 동영상 , 포스터 , 대본 ) 1347 _offoff 98/04/03 142 1K영화연구소 ‘ 오만볼트 ’ 1342 choidydy 98/03/28 664☞ 1영화 자료가 있는 곳 ! 1341 sarahseo 98/03/28 130 1K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하여 1340 sesil 98/03/26 281 1K CGV강변 11 영화축제 소식 (3/28~4/2) 1339 pause17 98/03/25 359☞ 2제임스 카메론 .. 1338 greencom 98/03/25 674 1K타이타닉 14 주 1 위 ! 역사상 최고의 영화 ! 1337 bugok 98/03/24 432 1K타이타닉 아카데미시상 11 개 부문 석권 1332 nhs2000 98/03/22 180 16K소설 바이너리코드의 연재를 시작합니다 . 1331 plucky 98/03/20 242 1K수필 1 1330 yryun 98/03/19 706☞ 1 영화 스크립트 있는 곳 1329 pinoc 98/03/13 198 1K서울국제독립영화제 연장상영 (3/14,15) 1328 sesil 98/03/13 652☞ 1 ‘화이트데이 ’ 올나이트 심야상영 ‘ 긴급소식 (3/13~14)

-169- 1327 camplus 98/03/13 1420☞ 4타이타닉 .. 그 영화 이후 ... 1326 sesil 98/03/12/ 639☞ 3신인탤런트 손영준 “ 저 차인표 안 닮았어요 ?”( 일간스포츠 퍼옴)

한편 신비로의25 개의 동호회 중에서 ‘ 주부동호회 미즈 ’ 의 게시판에는 다음과 같이 많은 글 들이 올라오고 있다.

번호게시자날짜조회크기제목 165 kimyesuk 98/03/25 15☞ 1 재활용의 수요일 아침 164 cityhntr 98/03/24 26☞ 3왠지 일이 밀릴거 같은 느낌의 화요일 ... 162 _miz 98/03/23 37☞ 4 3월 28 일만남과그이후 161 uslee 98/03/23 23☞ 2 결혼식장의 학생 160 cityhntr 98/03/16 29☞ 2그럼 다음 모임들 중에 골라서 모이는 건 어떨까요 ? 159 cityhntr 98/03/14 26☞ 2 [번개소모임오실수있는분들 ] ... 158 cityhntr 98/03/11 33☞ 4어려운 가운데도 모이는 동호회가 ... 157 uslee 98/03/09 27☞ 2영화 one night stand 156 cityhntr 98/03/03 21 1K 엊저녁 이야기 155 jskhim 98/03/02 32☞ 1 경제의활성화에따른서로다른이념 154 _miz 09/02/23 35☞ 2봄맞이 ... 153 _miz 98/02/19 34☞ 2 거품이야기 152 _miz 98/02/16 29☞ 1 월요일 아침인사 151 ymkg 98/02/14 47☞ 2 신세대 엄마 아찌를 위한 사이트 150 kimyesuk 98/02/14 35☞ 3 우리의 발렌타인 날

현재의 인터넷 인구와PC 통신 인구를 비교한다면 토론과 참여에 있어서 인터넷과 PC 통신 간에 있어서 커다란 차이가 있다고 할 수는 없다., 따라서 대중의 참여와 토론 공론을 형성 하는 문제는 시민운동() 비영리단체 에서 주도할 것인가 상업적 공간 () 영리단체 에서 가능한 일인가로 제기된다. 그리고 비영리 시민운동이 주도할 때 과연 얼마만큼 자본을 투입할 수 있으며 얼마나 많은 사람을 모이게 할 수 있는가. 또한 그 장의 형식을 홈페이지로 할 것인 가ISP 업체로 할 것인가 등등의 문제가 된다 .

나.(3) 시민사회 정보화 사례와 현황

-170- 인터넷공간에서의 시민의 참여와 공론의 장의 형성에 대한 위와 같은 많은 한계에도 불구하 고 시민사회단체들이 인터넷공간에 홈페이지를 개설하는 개수에 있어서는 상당수에 이르고 있다.1998485 국내에서의 홈페이지 개설현황을 살펴보면 년 월 현재 총 합계 약 개의 홈페 이지가 개설되어 있다.54)

54) 다음 홈페이지 주소는 시민단체 내지 제3 섹터로서 운동성을 가진 홈페이지를 검색한 것이 다. 이것은 아직 써치엔진에서는 파악되지 않고 있으며 단체 상호간에 링크된 것을 추적한 것 이다.( 가나다 순임 ) 518민중항쟁 http://www.518.org 6월 민주항쟁 홈페이지 http://www.youthcom.co.kr/610 CPNet http://air.cpnet.or.kr KBS노동조합 http://kbsunion.com/ MBC노동조합 http://www.interpia.net/~mbcunion/ NOT_BAD http://wind.cse.inha.ac.kr/notbad/nb.htm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http://ncck.peacenet.or.kr PeaceNet http://peacenet.or.kr/index1.htm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http://www.ccej.or.kr 광주시민연대 http://www.ik.co.kr/kcs/index.html 국제엠네스티 서울대학교 그룹 http://bora.dacom.co.kr/~portico/aiindex.htm 국제연대정책정보센타 http://kpd.sing-kr.org/~picis 국회환경포럼 http://www.green.co.kr/fcongress.html 그린네트 http://web.or.kr/event/greenet/gn_home.htm 기독교아시아연구원 http://ccas.peacenet.or.kr 기독청년의료인회 http://dioxin.peacenet.or.kr/ 나라사랑청년회 http://www.lovekorea.net/ 노동정보화사업단 http://kpd.sing-kr.org/tgli/ 노동정책연구소 http://kpd.sing-kr.org/~iwr/ 녹색교통운동 http://pepple.kfem.or.kr/enviro/traffic 녹색연합(Green-Korea) http://soback.kornet.nm.kr/~baedal 대우조선 노동조합 http://home.taegu.net/~jo32ha/ 또하나의 문화 http://www.ifp.or.kr/tomoon/intro.html 미술연합 http://www.krart.org 민주노총 http://www.kctu.org 민주노총 전북지역본부 http://www.hoya.com/Bbs/BBs8/kctu/home.htm 반핵평화포럼 http://antinuke.org/ 복지와 정보 http://www.iWorld.net/~jtjang 부산정보연대 PIN http://164.125.56.102/pin/ 불교환경교육원 http://www.jts.or.kr 사이버민회( 크리스챤아카데미 ) http://ifp.or.kr/academy 사이버파티 http://cyberparty.or.kr 사회복지정보원 http://welfare.or.kr 새시대청년공동체 http://bora.dacom.co.kr/~chngdch/ 서울영상집단 http://www.ifp.or.kr/culture/visualcol/seyo.html 서원대학교 평교수협의회 http://dragon.seowon.ac.kr/~pyong/welcome.htm 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 http://consumer.peacenet.or.kr 숭실대학교노동조합 http://members.iworld.net/ssunion/ 시민사회인터넷 http://www.ifp.or.kr 얼터너티브 http://www.alt-kr.org 여성노동자회협의회 http://www.kwwnet.org 여성민우회 http://www.womenlink.or.kr 여성의 전화 http://hotline.peacenet.or.kr/kindex.html 외국인노동자대책협의회 http://kpd.sing-kr.org/jcmk/

-171- 우리민족서로돕기 http://www.ksm.org 인권운동사랑방 http://interpia.net/~rights/index.html 인터넷반민특위‘ 겨레의 거울 ’ http://banmin.ifp.or.kr/ 일하는 여성 http://www.kwwnet.org 자주평화통일 민족회의 http://koreanet.grmk.co.kr/~kncr 전국과학기술노동조합 http://kstu.kaist.ac.kr 전국귀농운동본부 http://www.maf.go.kr 정보민주주의를 위한 네트워크 사업단 http://inp.or.kr 정보연대 SING http://www.sing-kr.org 정신대대책협의회 http://witness.peacenet.or.kr 지속가능한 개발 네트워크 한국본부(KSDN) http://www.ksdn.or.kr 진보정치연합 http://www.chollian.net/~dream3/jinbo.html 참여민주사회시민연대( 참여연대 ) http://www.koreanet.org/~pspd 천주교정의 구현사제단 http://kor.inp.or.kr/CPAJ/ 청년정보문화센타 http://www.koreanet.org/~inc 크리스챤아카데미( 사이버민회 ) http://ifp.or.kr/academy/ 통신연대 http://spic.cpnet.or.kr/ 페미넷 http://www.feminet.or..kr/bodytop.html 평등의 전화 http://www.kwwnet.org/line 푸른누리 http://www.green.co.kr 학술단체협의회 http://ssn.sing-kr.org/group/hdh/hdh.htm 한국여성의 전화 http://hotline.peacenet.or.kr 한국YMCA http://www.ymca.or.kr 한국과학기술청년회 http://kpd.sing-kr.ong/komsat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http://ncck.peacenet.or.kr 한국기독여성네트워크 http://maria.peacenet.or.kr 한국노동사회연구소 http://bora.dacom.co.kr/~klsi/kindex.htm 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 http://www.interpia.net/~labor95/ 한국노총 http://blue.nowcom.co.kr/~fktuedps/ 한국노총 부천지역본부 http://www.chollian.net/~sjeje/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http://www.shinbiro.com/~hcy1 한국민간단체네트워크 http://www.koreanet.org 한국사회과학연구소 http://ssn.sing-kr.org/group/kssi/kssi/html 한국여성노동자회협의회 http://www.kwwnet.org 한국여성단체연합 http://www.womam21.or.kr 한국여성민우회 http://www.www.womenlink.or.kr 한국여성정보원. 한국여성정치연구소 http://www.feminet.or.kr 현대중공업 노동조합 http://blue.nowcom.co.kr/~hhium/ 환경동아리인 C.R. http://plazal.snu.ac.kr/~ecotus 환경운동연합 http://www.kfem.or.kr 홍사단 http://www.blue.co.kr/bworld/or/yka.htm

-172- 한편 세계 각국의 시민단체가 홈페이지를 개설하는 수는 매우 놀랄 만하다. (http://www.idealist.org)

환경 Community 소비자보호 범죄와 안전 재난구호 교육 가족 592 1688 78 95 39 1481 317

세계의 뉴스그룹의 현황은 더욱 많다. 가령 환경에 관련된 뉴스그룹만 해도 66,055 개에 달 한다.(http://www.dejanews.com)

한편 이렇게 사이버페이스에 그룹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업적인 부가네트워크를 운영하는 경 우가 있고,. 비상업적인 부가네트워크를 운영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비상업적인 부가네 트워크는 대부분 정보운동단체들이 제공하는 호스트컴퓨터를 사용한다. 실제에 있어서는 대 부분의 시민사회단체가 홈페이지를 개설하거나 운영하는 능력이 없어 시민정보단체들이 개 설해 주고 있으며,update 개설이 된 경우에도 의 능력이 없어 다시 시민정보단체에 의존하 는 경우가 많다. 시민사회단체가 정보공간을 활용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사이버스페이스에 자신의 단체를 개설하는 것-PC 통신공간이나 인터넷 공간에 CUG 를 만들거나 홈페이지를 만들어 운영해야 한다.. 이것은 사이버스페이스에 단체를 등록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상황 은 위와 같다. 한국의 경우 이러한 점이 현실에 있어서는 지극히 취약한 상황에 있다.

-173- 사이버스페이스에서 토론이나 공론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시민운동의 정보화, 정보기 술을 도입한 시민운동단체에 의해서가 아니라,. 전혀 다른 공간이 그런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것은 뉴스그룹과 상업공간이다. 뉴스그룹에서는 여러 가지 주제에 대하여 활발한 의견과 토론이 올라오고 있다.. 그 내용은 감성적이고 간단한 단문의 형식이 많다 물론 그 중에는 논리적이고 장문의 논문을 통한 논쟁의 경우도 있다. 그러나 사회 국가적인 문제에 대하여 이론을 동원하고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논쟁적 논문이 교류된다고 것은 대단히 기대 하기 힘들다. 그것은 그러한 논문을 작성하는 것 자체가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는 연구 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뉴스그룹에서의 공론의 형성은 실제로는 많은 대중의 참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무시되고 있다. 뉴스그룹에서 사회적 이슈가 제기되어 국가적 정책적으로 논란이 된 경우는 거의 없다. 다른 한편 상업적 공간-, 하이텔 천리안 등 통신업체 - 에서 형성되는 공론은 흥미를 바탕으 로 한 감성적인 내용이 대부분이다.., 그 가장 단적인 내용이 연예계에 관한 것이다 연예계 대중문화의 경우에는PC 통신에 의하여 훌륭하게 공론 (?) 이 형성되고 그것이 현실사회에 중 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령 가수가 어떤 외국 노래를 표절했다든가 위와 같이 탈렌트 가 사적으로 잘못된 행동을 했다든가 하는 경우, 곧바로 다수의 네티즌으로부터 질타를 당 하고 가수나 탈렌트로서의 생명을 위협받는 정도이다., 그리하여 연예계 대중문화의 스타들 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공론(?) 에 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 이와 같은 공론의 형성 이 국가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로 시민사회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가는 현재로서는 부정 적이다.

3. 잠정적 결론

시민운동의 정보화에 관하여 그 문제 의식을 다음 몇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시민운동단체들이 정보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시민단체들이 발전할 수 있는가? 둘째, 시민운동단체들이 정보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조직의 관리를 정보화할 수 있는가? 셋째,, 정보사회의 도래에 따라 시민사회 시민운동이 크게 발전할 수 있는가 ?

-174- 넷째, 정보사회의 도래에 의하여 과거의 신문방송 그리고 시민단체에 의하여 형성되던 공론 을 사이버스페이스를 바탕으로 활발하게 형성할 수 있는가? 다섯째, 사이버스페이스에서 형성된 공론이 국가사회의 정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가? 그 리하여 근대적 민주주의에서 전자민주주의로 전환하는가? 현재까지는 이 모든 문제의식에 대하여 잠정적으로는 부정적인 결론에 이르게 한다. 첫째, 시민운동단체들이 정보기술을 활용함으로써 회원의 가입을 증대시키고, 회비의 수입 을 늘리는 것과 같은 발전을 이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PC 통신에서나 인터넷 공간에서나 회원으로 가입할 정도로 적극적인 시민의 참여는 보이지 않는다. 그것은 가장 활동적인 시민단체에 있어서도 사이버스페이스 상에서 시민의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 에서 근거를 발견할 수 있다. 둘째, 시민단체들이 정보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조직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게 되었다는 근거도 없다. 시민단체들의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조직을 관리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이것은 기 업들이 인트라넷 등을 이용하여 조직을 네트워크화하는 방향으로 대대적으로 개편한 것 과 는 대조적이다., 시민단체들의 조직관리는 주로 자연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보기술 을 이용하여 효율을 높일만한 분야나 필요가 있는지 의심스럽다. 셋째,, 정보사회의 도래에 의하여 시민운동 시민사회가 크게 발전하리라는 추상적인 가능성 은 현실에서는 전혀 검증되지 않고 있다. 추상적으로는 정보화에 의하여 시민의 커뮤니케이 션이 증대되고 시민의 힘이 증대될 것으로 가정할 수 있으나 현실에서는 그러한 경향이 발 견되지 않는다. 오늘날 복잡한 사회에서 광범한 문제들에 대하여 시민들 공통의 마인드가 형성될 가능성도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는 공통의 이슈가 만들어질 가능성도 보이 지않는다. 넷째,? 정보화에 의하여 시민사회의 공론형성이 촉진되고 있는가 여기에 대해서도 잠정적 결론은 부정적이다. 시민단체들이 사이버스페이스를 통하여 공론을 일으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시민사회의 참여는 부정적이다. 사이버스페이스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 은 시민(citizen) 이 아니라 네티즌이다 . 이들의 관심사는 시민 사회적인 공론이 아니다 . 한편 시민사회라고 할 수 있는 계층이 사이버스페이스에 대대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참여하고 있는 계층도 공론 형성에 대한 동기를 가지고 있지 않다.

-175- 뉴스그룹에서는 사회 정치적인 주제에 대하여 많은 글들이 올라오고 있으나 그것이 공론으 로 어떤 결론에 이르고 있는 것은 아니며, 그것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나 기관들에 대하여 약간의 자료가 되는 수준일 뿐이다. 다섯째,,? 사이버스페이스의 공론이 국가 사회적으로 정책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 이에 대 해서도 부정적이다.. 뉴스그룹에서 제시되는 주장이나 의견들은 거의 무시되고 있다 매스콤 에서도 뉴스그룹에서의 의견이나 주장이 공론으로 반영되고 있지 않으며 그럴 필요를 느끼 지 않고 있다., 이 점은 젊은 세대들의 대량적인 참여에 의하여 연예계 대중문화에 대하여 공론(?) 이 형성되고 그것이 그 분야에 중대한 때로는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과는 대조 적이다. 시민운동, 시민사회와 정보화에 관련하여 과거와 달라진 중대한 변화가 있다면 그것은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 관련된 분야가 아니라 전혀 다른 분야라고 할 것이다. 그 하나는 독재나 억압과 같이 전 국민적인 저항을 불러일으키는 이슈에 대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사이버스 페이스에서의 정보의 유통,- 공론의 형성 독재자가 사이버스페이스를 파괴하지 못하는 경우 -.이 현실사회와 국가에 중대한 민중의 힘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이버스페이스가 완벽하지 않은 러시아의 경우에 입증되었고, 그외 많은 억압적인 국가에서는 사이버스페이 스(PC 통신 , 인터넷 ) 자체를 억압하고 있다 . 다른 하나는 세계적인 힘을 동원하는 경우이다. 문민정부시절의 노동법 파동이나 정신대 문 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정한 국내에서의 문제에 대하여 전세계적인 지원을 받는 경우, 인 터넷 공간은 대단히 유력한 공간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사이버스페이스의 세계성에 관련된 기능에 있어서는 그것이 유효하게 작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 많은 시민단체,? 사회단체들이 왜 인터넷 홈페이지를 만드는가 그 목적은 시민사회 의 공론의 형성이나 시민운동의 확산과 같은 차원이 아니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사회 적인 데이타베이스라고 해야 할 것이다. 홈페이지를 만드는 것 자체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자신의 단체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의미를 가진다 가령 석사학위 논문을 쓰기 위하여 환경관련 자료를 찾는 대학원생에게는 환경단체의 홈페이지가 그러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홈페이지를 찾게 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실망하고 말지만 ). 이런 점에서 인터넷 공간 그 자체가 데이타베이스라는 점은 충분히 인식되지 않고 있으며, 활용되지 않고 있다. 이것이 데이타베이스라면 시민단체가 그러한 성격에 맞추기에는 능력 의 한계가 있으며 동시에 그러한 동기에 응할 유인도 많지 않다.

-176- 그러면 상업적인PC 통신회사의 사이버공간에서 연예계나 대중문화의 스타들에 대하여 공론 (?)이 형성되고 그 공론이 위력을 발휘하고 있는데 국가 사회적인 공론은 왜 형성되지 않고 (),뉴스그룹처럼 공론형성을 위한 참여가 있더라도 그 의견들이 왜 국가 사회적인 위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일까?. 이것이 하나의 문제의식으로 제기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상황은 아직 충분히 정보화가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인가? 아니면 사이버스 페이스의 성격,? 정보사회의 성격 때문인가 이러한 문제 역시 새로운 문제의식으로 제기된 다.

제3 절 시민정보운동

1. 시민정보운동의 개념과 분야

시민운동의 정보화는 자연공간에서 이미 형성되어 있거나 생성중인 시민단체들이 정보기술 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또는 정보기술이 이런 시민단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문제 의식이었다., 이에 대해 시민운동의 정보화 자체를 지원하거나 자연공간에서의 지역사회를 사이버스페이스를 통하여 공동체화하거나, 정보사회 자체가 제기하여 문제에 대한 시민운동 이 예상될 수 있다.. 이것을 좁은 의미의 시민정보운동이라고 하자 이러한 시민정보운동은 정보사회 내지 사이버스페이스의 등장에 의하여 생성되는 시민운동이다. 말하자면 정보기술 이나 사이버스페이스의 등장하지 않았다면 생성될 수 없는 시민운동이다. 이런 점에서 시민 정보운동은 시민운동의 정보화와는 다르다.() 다른 한편 어디까지나 자연공간 현실사회 에서 의 시민들의 결합을 전제로 하고, 자연공간에서의 단체이며 운동이라는 점에서 다음에서 말 하는 사이버커뮤니티와는 다른 것이다. 시민정보운동은 우선 앞에서 말한 시민운동의 정보화를 지원하는 운동에서 시작된다.

-177- 이것은 산업의 정보화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정보의 산업화, 정보산업이 하나의 산업부문이 되는 것과 같은 논리이다., 시민사회단체들이 정보기술을 활용하고 정보화를 통하여 시민운 동을 발전시키려고 할 때,, 지적 기술적으로 많은 애로를 느끼게 되고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도우는 것이 하나의 시민운동이 되는 것이다. 가령 국가적 상업적 정보화에 대항하여 비영 리적이고 시민운동 차원의 독립적 네트워크를 추진하거나, 그밖에 시민단체에서 제기하는 제반 이슈들을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전파하거나,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제반 시민단체들의 연 대를 추진하는 운동들이 시민정보운동의 한 차원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민정보운동은 정보사회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하여 이를 시민 운 동적 차원에서 저항하고 해결하는 분야이다.‘ 이런 점에서 시민정보운동은 정보화라는 사회 적 변화가 가져오는 사회적 모순에 맞서 싸우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운동’‘ 평등한 전자적 사 회관계를형성하는시민운동이라고할수있다’. 「전자적 사회관계는 현실사회를 기반으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현실사회의 모순 및 제반의 제도를 일정 정도 반영한다.. 그러나 전자적 사회관계는 그 자체로 새로운 사회를 형성한다 그것이 사이버스페이스이다. 그렇기 때문에 평등한 전자적 사회관계의 수립이라는 정보운동 의 목표를 달성하려면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 즉 일반시민은 가상공간에 누구나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가 라는 현실 사회내에서의 접근과 사이버스페이스에서 모든 사람 은 평등한 권리를 갖고 있는가 라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접근이다.」55)여기에는 정보인프 라에 대한 공적접근권(Public Access), 프라이버시의 문제 , 디지털 소통과 표현의 자유 , 정 보의 공유와 알권리,, 정보민주화 운동 정보화 교육 등이 그것이다 .

2. 시민정보운동의 사례와 현황

시민정보운동은 우선 현실사회의 시민운동단체들이 인터넷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 는 것을 기초적인 활동목표로 삼는다. 현실의 시민사회단체들의 사이버스페이스에 대한 운 동공간으로서의 인식이 낙후하고, 정보기술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데다 재정적으로 도 어렵기 때문에 시민운동단체를 사이버스페이스로 이주시키는 것은 자연스럽게 정보운동 단체들의 사업이 된다.

55)‘: 김형준 본 프로젝트의 1 차 워크샾 발제논문 : 시민사회운동의 정보화 , 그 현황과 문제점

-178- Peacenet(http://www.peacenet.or.kr)은 1966 년 두명의 헌신적인 활동가에 의해 시작되어 지금까지 많은 시민단체, 민간단체의 웹사이트를 구축해주고 그 운영을 지원해 왔다 . 256K 전용선과5PPP. 개의 모뎀포트를 통한 접속도 제공한다 피스넷은 자원봉사자를 활용하고 있 으며 지역사회전산망과 교육정보화운동으로도 나아가고 있다. 피스넷이 구축한 홈페이지는 영어로 제공하는 것이 많이 있으며 이것은 사이버스페이스의 세계성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종군위안부 홈페이지는 세계적으로 반향을 불러일으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Peacenet 이 지금까지 구축한 홈페이지는 다음과 같다.

ㆍ북한동포를 위한 국제금식의 날 한국위원회(http://fasting.peacent.or.kr) ㆍ지뢰금지한국캠페인(Korea Campaign for Ban Landmine)(http://landmine.peacenet.or.kr) ㆍ한국여성의 전화( 여성에 대한 폭력신고 : Korea Women's Hot Line) (http://hotline.peacenet.or.kr) ㆍ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http://witness.peacenet.or.kr) (Korean Council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ㆍ우리민족서로 돕기운동(http://hunger.peacenet.or.kr) ㆍ기독청년의료인회의 다이옥신(dioxin) 홈페이지 (http://dioxin.peacenet.or.kr) ㆍ녹색정보마당( 서울특별시 녹색시민위원회 )(http://econews.peacenet.or.kr) ㆍ한국걸스카우투연맹(http://scout.peacenet.or.kr) ㆍ연린출산교실(http://childbirth.peacenet.or.kr) ㆍ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http://consumer.peacenet.or.kr) ㆍ한국카토릭스카우트(http://cscout.peacenet.or.kr) ㆍ환경사랑 생명사랑(http://keeper.peacenet.or.kr)

[에큐메니컬 네트워크 Ecumenical Network]

ㆍ남북나눔운동(http://sharing.peacenet.or.kr)/ 기독교아시아연구원 (Christian Center for Asian Studies)((http://ccas.peacenet.or.kr)/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http://ncck.peacenet.or.kr)/대한성공회 (The Anglican Church of Korea)(http://anck.peacenet.or.kr)/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The Christian Institute for the Study of Justice and Development((http://cisjd.peacenet.or.kr)/한국기독여성네트워크 (Korean Chris-tian Womens Network)(http://maria.peacenet.or.kr)/한국성경연구원 (Center for the Study of the Bible in Korea)((http://www.peacenet.or.kr/Bible)민중신학연구소 (Institute of Minjung Theology)((http://.peacenet.or.kr/minjung)

-179- peacenet과 같이 시민정보운동단체로 시민사회인터넷 (http://ifp.or.kr : Internet For the People)이 있다 . 시민사회인터넷은 256K 전용선을 갖추고 환경운동연합 , 녹색교통운동 , 또 하나의 문화,,, 간디학교 교육민회 여성신문사 , 남북 어린이 어깨동무 , 인터넷 반민특위 , 두 밀분교 소모임,, 자전거 소모임 인터넷과 사회 소모임 ,, 인터넷 교육 머드 게임 소모임 , 여성 소모임,, 그림 소모임 인터넷 매거진 ‘’,,, 이음 서울영상집단 대중문화연구 맥브라이드 라운 드 테이블의 홈페이지를 구축하고 가칭 시민정보화협의회를 추진한다. 자료로서 진보정보목 록을 올리고 있다.. 시민사회인터넷은 그 목적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ㆍ시민사회 인터넷은 환경,,, 여성 문화 교육 등 우리사회의 전반적인 문제와 지금까지 매체 에서 소외되어 왔던 이슈들에 대한 대안을 공론화하는 장입니다. ㆍ시민사회인터넷은적극적인교육지원으로이들문제들을고민하고있는흩어진시민단 체 및 소모임, 개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말을 직접 세상에 알릴 수 있도록 돕고자 합 니다. ㆍ시민사회 인터넷은 이렇게 외쳐진 말들의 메아리를 엮어 새로운 단체, 개인들 간의 연결 고리를 만듦으로서 시민사회의 형성에 보탬이 되고자 합니다. ㆍ시민사회 인터넷은 우리문제에 근거한 담론 형성 및 정보 축적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인 터넷에 의한 문화 식민지화를 극복하고자 합니다. ㆍ시민사회 인터넷은 새롭게 다가오는 정보 시대가 소수를 위한 것이 아니어야함을 분명히 하며, 정보 접근과 배분에 대한 대안을 형성해 나가기 위해 노력하고자 합니다.

한편 정보연대(SING : Social Information Networking Group:http://www.sing-kr.org)은 1994년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정보운동단체로 출발하였으며 시민사회단체들의 홈페이지를 구축해 주고 자문해 주며,, 정보운동에 관련된 전자잡지를 발간하고 사이버스페이스의 문제 들에 대한 캠페인을 벌이기도 한다.

-180- SING의 활동사를 스스로 기술한 것을 보면 ,「 민주노총 공식 홈페이지 제작 / 성남 외노협 침탈 폭로 웹페이지 제작/ Korea Progressive Directory / Social Science Network / 해커 구속 사태 대응// 전국 대학생 정보운동 포럼 개최 노동법과 안기부법 철회를 위한 통신 지원단/ 정보통신 검열 철폐를 위한 시민연대 / VideoMove / 전자주민카드 저지를 위한 공대위/ 맥브라이드 회의 / DAGA / Interdoc 회의 등등 . 이제는 4 분의 고문을 모시고 , 400 명 가까이 되는 메일링리스트의 토론그룹을 운영하고, 4000 명이상이 사용하는 New KIDS 비비에스를 운영하고 있다.,19 그리고 의 멤버들이 탄탄하게 움직이고 있는 어엿한 단체로서 발돋음하고 있는 느낌이다.」 (http://www.sing-kr.org/About/History/simulahistory.html)

이러한 단체 이외에 한국시민네트워크협의회(CPNET: Korea Council for People's network: http://www.cpnet.or.kr)는 한국에서 APC 의 기능을 하겠다는 목표로 조직되었으 나 아직 큰 발전이 없으며,SING,KSDN( 멤버로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네트워 크:http://www.ksdn.or.kr), 참세상 (http://www.truenet.co.kr), 시민사회인터넷이 참가하고 있다.(KoreaNGONetwork) 또 다른 시민정보운동단체로서 한국민간단체네트워크 는 청년 정보문화센터, 민족회의 , 참여연대의 홈페이지를 구축하고 , 웹진 (Web zine) WAVE 를 창간 하여 홈페이지를 올리고 있다.

이러한 정보운동단체들이 어떠한 이념이나 목표를 가지고 있는가에 대하여 공통의 관점으로 요약할수는없다.SING 은정보운동에대한스스로의강령을제시하고있으며그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별첨자료 참조 ) 이러한 SING 의 강령은 특징적인 관점을 부각하고 있 다는 점에서 참조할 만 하다.

ㆍ정보연대는 정보의 상품화를 반대하며,. 정보에 대한 평등한 접근을 주장한다 ㆍ정보연대는 정보의 배타적, 독점적 소유에 반대하며 정보가 자유롭게 소통될 수 있는 사 회체제를 고민한다. ㆍ정보,,, 지식은 공유되고 소통될 수 있을 때 더욱 생산적이 되며 현대의 고도의 과학기술 에 기반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정보, 지식의 저장 ,,, 변환 복제 유통을 용이하게 함으로 써,. 소통의 물적 기반을 이미 완성하고 있다 ㆍ그러나 현재 거대 다국적 기업은 자신의 독점적 이익의 관철과 권력의 재 생산을 위해 지 적재산권의 전세계적 수용을 강요하고 있다.

-181- 지적재산권은 후발업체에 대한 폭력적인 착취에 기반한 거대 다국적 기업의 이익만을 보장 할 뿐이며,. 중복투자에 의한 사회적 낭비와 비효율을 양산하고 있다 정보연대는 정보 상품 화의 법적 근거이며,‘’ 기실 다국적 기업의 이익만을 대표 할 뿐인 지적재산권 에 대해서 그 철폐를 주장한다. 또한 이에 대해 정보 생산자 네트워크의 철학적 표현인 ‘Copyleft’ 운동을 전면적으로 벌여나갈 것을 제안한다. ㆍ정보의 독점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정보격차를 심화시키고 있다. ㆍ정보의 독점은 개인간,, 계층간의 정보격차와 함께 빈부의 불평등을 재생산하고 있으며 사 회의 일반적 통제 기제로 쓰여지고 있다. 하지만 쌍방향적 네트워크의 발달은 직접민주주의 와 수평적 권력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통신 공간은 정부정책의 수립과 국민의견 수렴 및의사결정에있어직접민주주의의단초가될수있다. ㆍ공적인 정보는 완전하게 공개되어야 하며,. 사적인 정보는 절대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ㆍ정보에 대한 접근권은 인간의 기본권으로서 보장되어야 하며,, 어떠한 정치적 경제적 이유 에 의해서도 정보에 대한 접근은 제한될 수 없다., 정보연대는 행정 및 입법 사법 정보는 공 개되어야 하며,‘’ 국민의 알 권리 로서 조건 없이 완전 충족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 ㆍ정보연대는 정보 및 정보처리기술에 대한 평등한 접근의 권리를 주장한다. ㆍ정보연대는 기존의 일대다의 일방향적 정보유통을 담당한 매체에 대하여, 쌍방향적 소통 과연대그에기반한수평적권력의가능성을보여주는인터네트를주목한다,. ㆍ다국적기업 및 기술선진국들의 이익에 의해 통제되고 있는 세계정보 흐름의 질서는 전지 구적 협력의 차원에서 재편되어야 한다. ㆍ우리는 우리의 외침이 하나의 감성적인 외침일 뿐일 것을 항상 경계하며, 대안적 질서를 스스로 구축할 수 있음을 보이려 한다. 1995. 12. 30.

세계적차원에서시민정보운동의네트워크로서들수있는것은APC(Associa-tionfor Progressive Communications ; http://www.apc.org)이다 . 1990 년이후그린넷 (GreenNet), IGC(Institute for Global Communication)등 세계의 진보운동적 단체들의 네 트워크가 컨소시엄 형태로 조직된 것이다.APC 는 자발적 운동단체나 개인에서 서버구축을 지원하기도 하고 상업적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와 동등한 서비스를 저렴한 비용에 제공하고 있다.APC 그리하여 세계의 차원에서 정보운동단체들은 이러한 네트워크를 살펴 보는 것으로 많은 부분을 이해할 수 있다.APC 의 멤버는 다음과 같이 전세계로 연결되어 있다.

-182- Argentina--wamani http://www.wamani.apc.org

Australia, Pacific Islands, Southeast Asia ; Pegasus Networks http://www.peg.apc.org

Belgium ; Knooppunt http://www.knooppunt.be

Brazil, South America : AlterNex http://www.ax.apc.org

Canada ; web http://community.web.net http://www.web.net

Colombia : ColNodo http://www.colnodo.org.co/

Czech Repubic : Econnect http://www.ecn.cz

Denmark : Inform http://www.inform.dk

Ecuador : Ecuanex http://www.ecuanex.apc.org

Germany : ComLink http://www.comlink.apc.org

Hungary : Green Spider

-183- http://www.zpok.hu

Mexico : LaNeta http://www.laneta.apc.org

Netherlands : Antenna http://www.antenna.apc.org

New Zealand : PlaNet http://www.planet.org.nz

Nicaragua, Central America : Nicarao http://nicarao.apc.org.ni

The Nordic and Baltic States : NordNet http://nn.apc.org

Russia,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 GlasNet http://www.glas.apc.org gopher://glas.apc.org

South Africa : SangoNet http://wn.apc.org/sangonet.html

Spain : Ipanex (Ipanex is a federation of nodes integrated by:) http://www.ix.apc.org http://www.pangea.org http://nodo50.ix.apc.org http://www.eusnet.org http://www.xarxaneta.org

Ukraine : GLUK

-184- http://www.gluk.apc.org/

United Kingdom : GreenNet http://www.gn.apc.org

United States of America : Institute for Global Communications (IGC) PeaceNet/EcoNet/ConflictNet/LaborNet/WomensNet http://www.igc.apc.org

Uruguay : Chasque http://www.chasque.apc.org

이렇게 전세계적인 네트워크의 구성은 다음그림과 같다. (http://www.apc.org/apcmap.html)

-185- -186- APC는 진보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바 , 국경없는 행동 (Action Without Borders) 이라는 단체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전세계의 시민사회단체들의 홈페이지를 소개하고 있는 바, 많은 홈페이지가 등록되고 있어 전세계의 시민사회단체들의 홈페이지를 찾을 수 있다. 가령 환경 에 관련되는 홈페이지( 즉 시민사회단체 ) 만도 무려 592 개의 홈페이지가 나오고 community 와 관련되는 시민사회단체들의 홈페이지들은1,688 개가 나오며 , 교육에 관련된 홈페이지 ( 시 민사회단체)1,481 도 개에 이른다 .

그외에 EXECOM(The Executive Committee of Non-Governmental Organ-zations Associated with The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은 NGO GLOBAL NETWORK라는 제목으로 홈페이지 (http://www.ngo.org) 를 만들고 중립적인 입 장에서 전세계NGO 들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 현재 (98 년 4 월 중순 ) 이 홈페이지에서는「 미국에서 매12 초마다 한 여성이 성폭력을 당하고 있으며 이중 50% 의 여성이 임신하고 있다.6 매 시간마다 미국에서 한 여성이 살해당하고 있다 . 미국에서 병원응 급실을 찾는 가장 첫 번째 이유는 가정폭력이다..」 등의 캠페인 구호를 올리고 있다 이 사이 트의 목적은UN 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NGO 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세계 NGO 들에게 UN 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HandsNet(http://www.handsnet.org)은 시민사회단체들에게 완전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단체이다. 여기에서는 상호작용의 포럼과 인적 서비스의 조 직, 정보와 자원의 교환 등에 있어서 완전한 네트워크환경을 제공하고 , 약 5,000 개의 공익단 체와 인적 서비스 조직이 링크되어 있다. 이 단체는 weekly digest 라는 이름으로 전자잡지 를 내며,, 복지조사 예산ㆍㆍ 조세 정책 ,,, 건강 주택 법률서비스 등에 관한 포럼을 사이버공간 에서 계속한다.

3. 국내 정보운동의 현실

위의APC 나 ‘ 국경없는 행동 ’ 등 시민사회단체의 디렉토리나 서치엔진 , 리스트 등에 한국의 정보운동단체나 시민사회단체의 이름은 잘 보이지 않는다. 실제 한국의 정보운동은 대단히 취약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187- 지금의 취약한 상황과 관련하여 문제와 대안에 있어서 실천적으로 활동하는 사람의 안목은 현실적인 의미를 갖는다.. 다음은 한 정보운동가의 현실에 대한 분석과 대안이다 56) 첫째, 하드웨어 차원에서 민간그룹들이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부분은 네트워크 전 용선이용에 대한 부담감이다. 1996 년까지 정통부가 한국일보사를 통해 민간단체들에게 인 터넷 전용선을 무료로 임대해 주었으나 금년 초부터 이것이 종결됨으로써 심대한 타격을 입 은바 있다. 둘째, 몇몇 그룹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민간그룹의 경우 기술적인 지원이 취약하 여 지속적으로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설비를 개선, 확장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 다. 기술적인 능력이 있는 엔지니어들의 사회적 관심의 부재와 사회활동 그룹의 기술적인 능력의 빈곤이라는 갭의 문제이다. 셋째, 민간그룹의 정보생산능력의 취약성은 대부분의 민간그룹들이 활동에 참여하면서 가장 먼저 깨닫게 되는 문제이다. 그간 국내 민간그룹들은 이미 대중매체 등을 통하여 사회적으 로 공론화되고 있는 문제들을 뒤따라가는 방식으로 활동해 온 것이 대부분이어서 대안그룹 으로서의 독자적인 정보와 의견을 수립하고 가공하는 일을 상대적으로 소홀히 해 온 것이 사실이다. 넷째, 정보사회 속에서 민간운동은 시급히 대중매체 시대의 시민운동방식을 탈피할 것을 요 청받고 있다. 대중매체란 컴퓨터시스템으로 말한다면 중앙집중화된 메임프레인 컴퓨터와 소 비자인 단말기로 비유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정보사회에서는 중앙에 대한 공격이나 비판의 형태가 아니라 대응네트워크의 창출을 통해서 비판이나 공격이 이루어지고 또 그 자체가 하나의 힘을 형성하는 기반이 된다. 다섯째, 해외의 경우 네트워크 자원의 활용이 주로 메시지의 교류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 에 반하여 우리의 경우에는 자신의 기여와 참여 없이 완전가공식품을 소비하려는 다수 정보 소비대중이라는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이런 까닭에 현재 정보네트워크들을 통해 이루어지 는 의견교환은 주로 기술적인 관심사에 대한 질의와 응답,, 취미 오락적인데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보다 진지한 의견들을 나누는 경우에도 다분히 감정섞인 언사에 지나지 않는 경 우가 많다.

56) 전응휘(peacenet 대표 ): 시민정보사회 네트워크 형성의 요건 , 형식과 사회적 기여도 : 본 프 로젝트의2 차 워크샾 발제 논문

-188- 여섯째, 그간 인터넷을 시민사회의 정보교류채널로 활용한 성공적인 사례들은 대부분 글로 컬한 사회적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인터넷 커뮤니티가 특정지역에 한정되지 않는 시공간을 초월한 네트워크라는 점과 관련되어 있는 것이지만, 이 미 세계화되고 있는 오늘의 세계에서 거의 대부분의 국지적인 문제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세 계적인 차원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과도 관련되는 것이다.

제4(CyberCommunity) 절 사이버 커뮤니티 운동

1. 사이버커뮤니티 운동의 개념과 분류

시민정보운동의 또 다른 하나의 분야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공동체를 형성하는 운동이다. 이것은 새로이 열려진 공간에서 인간의 전자적 만남, 정보의 공유 등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공동체, 하나의 사회를 형성하는 운동이다 . 이러한 운동을 사이버커뮤니티 (Cyber Community)운동의 범주로 규정하자 이러한 사이버커뮤니티 운동은 그 성격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자연공간에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시민네트워킹 운동 2)사이버스페이스를 자연공간과는 전혀 다른 또 하나의 세계로 규정하고 이 세계에 새로운 질서를 주장하는 사이버커뮤니티 정치운동 3)웹게임과 같은 차원에서 사이버스페이스를 현실공간 ( 자연공간 ) 과 무관한 하나의 가상적 사회( 공동체 ) 로 형성하는 버츄얼커뮤니티 (Virtual Community) 의 운동 위의 각 운동들은 현실공간() 자연공간 과의 관계에 있어서 정도의 차이가 있다 . 자연공간으 로서의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시민네트워킹 운동은 가장 현실공간에 밀착해 있다. 이것 은 어떤 면에서는 지역사회의 정보화운동이며, 지역사회의 주민들이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함께정보를공유하고이용하는운동이다여기에서는한걸음더나아가정보기술의도움. 으로 지역사회의 공동체적 유대감을 높이고 나아가 사이버커뮤니티를 지향하고 있다.

-189- 두 번째의 사이버커뮤니티의 정치운동은 다분히 이념적인 운동이며, 사이버스페이스가 현실 공간, 근대사회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사회적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리하여 사이버스페이스를 새로운 세계공간, 기준의 근대적 질서와 체제와는 다른 새로운 세계의 가 능성을 추구하며 그것이 정치적으로 이념적으로 표현된다. 세 번째의 버츄얼커뮤니티 운동은 현실공간() 자연공간 과의 관계성이 가장 희박하다 . 가상의 세계에서 하나의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다. 이것은 현실과의 관계를 완전히 단절하여 그야말 로 픽션(fiction) 의 세계 , 허구의 세계를 만드는 컴퓨터 게임 , 웹게임의 세계와 비교하여 이 해할 수 있다. 그렇지만 사회적으로 컴퓨터게임이나 웹게임을 논의하는 것이 아니라, 게임 의 세계화와 현실세계와의 관계에서Virtual Community 의 가능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 Virtual Community의 특징적인 점은 그 공동체에서만 작동하는 새로운 화폐 (Money) 가 도 입되는 가상의 경제공동체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2.시민네트워킹 (Civic Networking) 운동

가. 지역사회의 정보화

시민네트워킹(Civic Networking) 운동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여 시민들의 지역공동체를 사이버스페이스를통하여발전시키는운동이다이것은지역정보화운동이라고할수있다.. 이것은‘ 전자네트워크가 분리된 세계가 아니라 물리적 세계에 대한 신경체계’. 로 이해한다 여기에서는 정보사회를 네트워크로 이해하는 패러다임이 전제된다.,「 즉 대면적 접촉은 관 계를 공고히 하고 세계관을 공유하는데 필수적이고 인터넷은 이러한 대면관계의 전후를 촉 진시켜주는 매개역할을 하는데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기술의 이점은 새로운 공공체를 창조 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강화시키는데 이점이 있다는 것이다.」57) 이런 관점에서 시민정보운동은 소위 시민네트워킹(civic networking) 으로 지칭되며 그 중심 에는 프리넷,, 커뮤니티 컴퓨터 센터 공공적 접근네트워크 등의 운동사업들이 제기되며 , 정 부에서 추진하는 지역정보화사업과 일맥 상통한다 할 것이다.

57) 류승호1: 차 워크샾 발제논문 서구 시민네트워크의 현황과 사회적 의미

-190- 시민네트워킹은 면대면(face to face) 의 지역적 유대를 전제로 하고 정보네트워크를 형성함 으로써 커뮤니케이션을 고양하고 지역사회를 하나의 공동체로 만드는 운동이다. 다른 관점 에서 보면 정보화에 있어서 낙후한 지방의 시민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발전시킨다는 의미 도있다.58)

소위‘(civicnetworking)’ 시민네트워킹 로 지칭되는 운동의 내용으로 프리넷 , 커뮤니티 컴퓨 터센터또는공공적접근네트워크같은시스템을들수있다더글러스슐러,.Doughlas Schuler는 500,000 명 이상의 사람들이 미국과 해외에 존재하는 수백개의 커뮤니티 네트워 크의 정기적인 사용자라고 추정하고 있는데 이들 대부분은 학교나 대학,,, 지방정부 도서관 공공조직같은 지역의 다양한 단체들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사이버스페이스에 연결하여 하나의 커뮤니티화한다는 것이다.(E-mail) 그래서 이들은 서로 이메일 을 주고 받고 소외층 들에게 경제적 기회를 주고 지역의 의사 결정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이러한 시민의 네트워킹에 대한 근거는 공동체 정보시스템이 다양한 공동체의 요소를 묶고, 지방정부의 정보에 접근을 제공하며,. 공공교육과 사회적 평등을 촉진시킨다 이로써 시민네 트워크는‘ 공동체에서의 인간커뮤니케이션과 상호작용을 진전시키고 확장되는 것이 전자적 커뮤니케이션과 정보의 도구에 의해 촉진되는 과정’. 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이것을 좀더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은 항목을 시민네트워크의 성격에 포함시킬 수 있다.

1)공동체의 구성원을 서로 단결시키며 , 그리고 공유된 문제에 대한 논쟁과 사고 (思考 ) 그리 고 결정을 촉진시키는 것 2) 공동체의 요구와 문제에 관한 커뮤니케이션과 정보를 적시에 조직화하는 것 3)공동체 활동가와 지도자 , 후원자 , 서비스제공자를 포함하여 시민의 광범위한 참여를 지속 시키는 것

58) 이하 본 프로젝트의1‘ 차 워크샾에서의 류승호 발제논문 서구 시민네트워크의 현황과 사회 적의미를 요약한다.

-191- 4)모든 공동체의 구성원을 포함하는 것 , 특히 저임금주민과 장애인을 포함하는 것 5) 무료이거나또는저렴한가격에이용할수있는기본서비스를제공하는것 6)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지역문화나 지역관계망에 대한 것을 대표하는 것

이렇듯 커뮤니티네트워크는 다양한 부문에서 시민사회를 촉진하는 효과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나. 프리넷의 유래와 성격

지역사회정보망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여 중앙의 컴퓨터와 전화선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들의 네트워크이다. 이 전자네트워크는 주민들에게 지역사회의 정보를 제공해주 고 주민 상호간의 전자적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는 컴퓨서브 어메리카 온라인등 대규모 통신서비스 제공업체에 접속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주요 대상으로 지역사회 주민들에 게 교육,, 문화 경제적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커뮤니티 컴퓨터 네트워크의 역할에 중심을 둔 다. 시민네트워크로서 지역사회 정보망의 지배적 유형인 프리넷은1984 년 미국 오하이오주 클 리브랜드의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대(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의 가정의학과 톰 그룬드너 교수가 건강에 관한 정보를 주민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컴퓨터 네트워 크의 효과를 검증하려고 시작한데서부터 출발한다.‘ 이 시스템은 초기에 세인트 실리콘 병 원과 정보약국’ 이라고 명명된 BBS 를 개설하고 건강이나 의료와 관련된 질문이 올라오면 24 시간 이내에 대답해주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그 실험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장거리 전 화회사인AT&T 와 지역전화회사인 오하이오 벨로부터 시스템의 확장에 필요한 재정적인 지원을 받아1986 년 7 월 최초의 프리넷이 클리브랜드에 구축되었다 . 현재 이 시스템은 다 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클리블랜드지역과 그 주변인구 중160,000 만 여 명이 등록한 상태이다.. 그룬트너는 시민네트워크의 정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파한다

「평등한 정보시대를 향한 미국의 진보는 우리가 인터넷에 의존하도록 만든 사람들의 수에 의해 측정될 수 없다.. 오히려 그 반대이다 평등한 정보시대의 진보는 우리가 지역의 자원을 이용하고 지역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우리가 만든 지역시스템의 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192- 우리의 진보는 파리대학의 카드목록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들의 수에 의해서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아이들의 학교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공동체에서 가장 최 근에 있었던 전염성 병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어느만큼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느냐에 의해 측정된다.(Grundner, 1994:125).」59)

클리브랜드의 성공에서 확신을 얻는 클리브랜드 프리넷의 설립자들은 프리넷을 전국에 확산 시키려는 의지를 갖고1989 년에 NPTN(National Public Telecomputing Network) 이라는 비영리조직을 구성하였다.NPTN 이후에 은 프리넷 발전의 중심 역할을 하면서 새로운 프리 넷 설립의 지원과 각 지역 프리넷간의 전자우편 서비스,, 전문적인 정보 및 프로그램 제공 로비나 홍보 등의 역할을 수행해 오고 있다. 1996 년 7 월 현재 NPTN 에는 10 개국 , 70 개의 프리넷이 가입하여 운영되고 있다.4517 국가별로는 미국이 개로 가장 많고 캐나다가 개로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다. 지역유형별로 보면 도시 (Metro) 지역이 57 개 , 시골 (Rural) 지역이 7,개 학교내에 설치된 것이 7 개이다 . 그리고 프리넷을 준비하기 위한 조직위원회가 구성되 어 있는 지역까지 합하면NPTN 의 가입회원수는 도시 지역 96 개 , 시골 지역 17 개 등 모두 113개에 이르고 있다 . 프리넷의 이용자들은 모뎀과 일반 전화선을 이용하여 중앙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으며, 학 교나 직장 등에 인터넷 계정을 가지고 있거나 상업적 온라인 서비스에 계정을 가지고 있는 이용자들은telnet 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도 있다 . 최근에는 WWW(World Wide Web) 를 통 해서도 접속할 수 있는데, 아직은 모든 프리넷이 WWW 서비스를 지원하지 못하고 있으며 , 접속되는 프리넷이라 하더라도 극히 제한된 서비스만을 제공할 뿐이다. 대부분의 프리넷은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대에 의해 개발된 텍스트형 인터페이스의FreePort II 라는 S/W 를 이 용하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59) Grundner, T.,"Seizing the Infosphere : Toward the Formation of a Corporation for public Cybercasting." Paper presented at DIAC '94 conference of the Computer Professional for Social Responsibility, Cambridge, Massachusetts, 1994. Cited in Doheny-Farina, The Wired Neighborhood) (London, S. "Community Computer Networks : Building Electronic Greenbelts", http://www.west.net/~insight.london/networks.htm)

-193-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대부분의 프리넷은 재정적으로 매우 빠듯하게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사 용상의 제한을 두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11 따라서 거의 모든 프리넷이 인당 일 접속시간을 30분에서 1 시간으로 제한하고 있으며 , 인터넷의 접속도 대역폭을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를 제공되지 않는다. 프리넷은 대부분 자원봉사조직으로서 후원자들의 기부금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점이 향후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중의 하나이 다. 주민들은 돈 , 장비 , 서비스를 기부할 수 있고 IP(Information Provider: 정보제공자 ) 가 될수도있다프리넷은회원제를운영하고있는데회원과비회원간의구분은없으나회비. 를 내는 정기회원은 정기총회에서 투표권을 갖는다. NPTN은 이외에도 Free-Net 의 발전을 위하여 미국내 시골 지역에 대한 지원을 계획중에 있는데초기단계로서30 개지역에시스템을구축할예정이다미국정보통신청 . (NTIA) 의 요청으로10 개 지역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하였는데 비용은 한 지역당 $15,000정도가 소요되었다 . 가장 큰 지역 싸이트는 Ohio 의 Portsmouth 로서 인구 22,000 명이며가장작은지역은, Nevada 의 Wells 로서인구 1,256 명인지역이다 . NPTN 은시골 지역에 대한 지원을 계속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며 이것이Free-Net 을 성공으로 이끌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Ameritech Foundation 의 지원으로 추진중 인 이 사업은 이미Wisconsin, Illinois, Michigan 등의 지역에 두 번째 단계로서 10 개 시스 템을 구축하기 시작하였으며,Indiana10 마지막 단계로서 에 개의 싸이트를 구축할 예정이 다.

나.:6 지역사회네트워크의 지배적 유형 개 사례

The Public Electronic Network(PEN), Santa Monica, CA The Seattle Community Network(SCN), Seatle, WA The Playing to Win Network(PTN), Boston, MA LatinoNet, Sanfrancisco, CA The Blacksburg Electronic Village(BEV), Blacksburg, VA (Law & Keltner, 1995) Boulder Community Network(BCN), Boulder(김종철 , 1997)

-194- ▶PEN :위치 - 산타모니카 / 시작 : 1998 2 월 / 등록자수 6,700 명 (1995 년 현재 ) 장비-/: 민간부문의 공여 운용예산 시부담 주요목적-, 정치과정을 촉진하고 정부서비스의 공개를 증진 공동체의 대화를 촉진 당면문제-, 적정한 이용 가이드라인의 설정 시공무원의 상호과정 참여의 문제 ▶SCN:위치 - 시애틀 / 시작 :19945 월 / 등록자수 :3,500 장비-/: 민간부문의 공여 운용예산 기금모금과 자원봉사 주요목표- 공동체 건설과 사회적 지지망을 확보하고 공동체온라인 구축 당면문제-, 자원봉사자 조직을 계속 운영하기 민간부문 공여를 통한 기금 증대 ▶PTN :위치 - 뉴튼 / 시작 : 1993.11 월 / 등록자수 : 56 개 공익단체 장비-/:NSF 공익단체에 의한 구매 운용예산 공여 주요목표-/ 공익지원네트워크의 창출 저임금지역에 기술이용증진 당면문제-/ 공동의 목표와 목적의 조직 공익예산 자원의 물색 ▶LatinoNet :위치 - 샌프란시스코 / 시작 : 1994. 12 / 등록자 수 : 80 개 공익단체 장비-/: 민간부문의 공여 운용예산 등록자와 사용자 요금 주요목표- 공동체건설과 공익조직의 활성화 및 정치적 인식의 제고 당면문제-, 새로운 기술사용에 대한 저항 혜택에 대한 공익단체들의 회의 ▶BEV :위치 - 브랙스버그 , VA / 시작: 1993. 10 월 / 등록자수 : 10,000 장비-/ 대학의 인프라와 민간부문의 공여 운용예산: 대학지원 및 도서관 설립서비스센터의 공여 주요목표-, 공동체건설과 사회적 지지망의 확보 도시서비스배달 체제의 향상 당면문제-/ 벨앨틀란틱으로부터 장비요청 자원봉사자의 확보

다. Law & Keltner 의 연구결과

시민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이메일과 온라인서비스와 관련된 주요 혜택은4 가지의 범주로 정리할 수 있다.

ㆍ상호대인관계와 지역공동체 그리고 사회통합의 촉진

-195- PEN:전자회의 ( 종교 , 부랑자문제 등 ) / 커뮤니티 BBS( 지진안전정보 등 ) SCN:전자회의 ( 환경문제 등 ) / 커뮤니티 BBS( 여성유권자동맹 , 미국시민자유단체 ) 지역포럼 , 확산프로그램() 장애인시민동맹 등 PTN:확산프로그램 (‘ 이중고 ’ 에 대한 대화방 ) LatinoNet:전자회의 / 커뮤니티 BBS( 주요사건일지 토론 등 ) BEV:전자회의 / 커뮤니티 BBS( 블랙버그에 대하여 등 ) 확산프로그램 ( 노인 페이지 등 )

ㆍ교육과 고용기회, 건강과 지역사건에 대한 정보에 시민의 접근이 용이 PEN: 공공도서관 목록 온라인 SCN:공공도서관 목록 온라인 / WWW 이용 / 제한된 텔렛의 사용 PTN : FTP 와 텔렛 기 능이용/WWW LatinoNet:아메리카 온라인의 이용 /WWW 이용 /FTP 와 텔렛 기능 고용정보홍보 및 훈련계획알림,/ 장학기회의 알림 공익단체 육성방 뉴스와 이벤트 등 BEV : WWW이용 / FTP 와 텔렛 기능 / 마을 메일 / 교육센터 / 건강센터 / 버지니아의 타지역 소식 ㆍ커뮤니케이션과 정보제공기능의 결합에 의한 조직의 형성과 재구조화를 촉진 LatinoNet and PTN의 1 차 목표는 공익단체조직간의 연결로 이러한 조직형성 촉진의 대표적 사례( 정 보망을 통한 잠재적 협력자들의 확보등)

PTN : 공익단체 종사자 지원 유관기관과의 커뮤니케이션 증대 LatinoNet : 공익단체 종사자 지원 유관기관과의 커뮤니케이션 증대 공여와 기록의 보존

ㆍ정부서비스 제공 이를 통한 지방에 대한 인식제고 및 정치과정에의 참여증진 PEN :시공무원과 담당부서와의 전자대화시정부서비스의 안내 / 온라인 비용지불 및 면허 갱신

-196- SCM :전자적 마을모임 / “ 주지사에게 묻는다 ” 란 개설하여 온라인 질의응답방 개설 PTN :전자적 마을모임 / 상하원의원들에게 이메일보내기 LatinoNet :전자적마을모임 / “ 정책문제방 ” BEV : 상하원의원들에게 이메일보내기 시공무원과의 전자대화 온라인 비용지불 및 면허갱신

라. 한국의 지역네트워크

이렇듯 커뮤니티 네트워크는 현실의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이룰 때 정보기술의 해체적 성격보다는 합의와 발전을 위한 공헌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커뮤니티 네트워크 가 지역단체들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통해 발전하고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지역관련의 구 체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수도 늘리고 지역발전에도 직접 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미국 BCN(Boulder Community Network) 의 정보접근사례를 한번 보도록 하자 . BCN은 웹상의 많은 링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웹이용자들은 BCN 으로 들어와 자신의 검색방향으로 서핑한다.(Public 이러한 과정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정보는 공공정보양식 Information Format)으로 나타났다 . 여기에는 YWCA 나 보울더 사회서비스부서의 직업소개 와 직업훈련 프로그램 같은 고용과 관련된 서비스가 포함되어있다. 여기에서 자신과 맞는 정보가 있으면 그것은 웹에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이제 전화로 개인적인 접촉이 시작된 다., 즉 웹은 자신의 요구에 대한 최종목적지의 의미보다는 조력자이자 길 안내자의 역할을 한다. 이것은 다른 정보접근에서도 비슷하다 . 상위 10 개중 5 개가 -2( 위 영화스케줄 ),3( 위 날 씨),5( 위 콘서트 ),6( 위 문화예술 ),8( 위 오락 )- 가 콜로라도의 매일신문에서 제공되는 지역정보 의 내용들이다. 각각의 내용들은 시간과 장소 그리고 비용과 같은 짧은 내용들이 한 문단 정도씩의 내용으로 모두 채워져 있다.4 다음 위는 상호커뮤니케이션이다 . 여기에는 관련 소 프트웨어에 대한 문의에서부터 지역 및 중앙정부의 상하의원에게 보내는 청원이나 요구들도 있다.7 위는 시티뉴스 ,9 위는 지역의 고용과 지역산업 증진과 관련된 ‘ 보울더지역 사업리포 트이다’.

-197- 그런데 서구의 경우와는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지역에 관련된 정보이용이 그리 활발하지 못 하다. 그 이유는 네트워크의 성격 자체 때문이라기 보다는 중앙과 지방간의 격차- 중앙에 대 한 동경과 모방의 요구-, 지역에서의 시민운동 발전단계 , 그리고 주거와 생활권역이 안정됨 으로써 올 수 있는 지역에 대한 고정적 관심의 차이가 이러한 네트워크 상에서의 지역정보 참여에대한차이를가져왔다고할수있을것이다결국지역정보네트워크에대한지역주. 민의 참여활성화는 지역의 시민운동 등 지역적인 시민운동과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이다. 미국, 캐나다 등의 지역사회 정보망은 민간 주도의 공동체 운동인데 대하여 우리나라의 경 우 지역정보화가 정부 중심의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수단이라는 측면이 강하다. 1996년 당시의 지역정보망에 관하여 보면 ( 한상진교수 연구 ), 우리나라에서 지역사회 정보 망은1994 년부터 정보통신부 ( 당시 체신부 ) 가 설립한 지역정보센터에 의해 본격적으로 도입 되었지만, 최초의 것은 지역정보화 정책과는 무관하게 민간에서 1993 년에 설립한 인디텔 (INDITEL : INchon Database &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system)이다 . 인디텔은 1993년 3 월 인하대의 교수들이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기초 연구를 수행한 다음,5 그해 월 에 인천직할시,,, 교육청 인하대 인천일보 , 인천상공회의소 , 경기은행 등이 참여하여 인천정 보통신센터를 창립함으로써7. 월에 개통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사회 정보망이 지역에 뿌리를 둔 민간기관이 중심이 되어 구축되었다는 점은 이를 통한 지역사회의 발전 가능성에 비추어볼 때 고무적인 사실이다.5 인디텔은 인천에 연고를 둔 기관들이 현금 천만 원과 현 물자산15 억 천만 원의 기금을 출연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 정보의 제공은 인천일보를 중심 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중앙정부의 지역정보센터 사업은 농어촌 컴퓨터 교실, 농림수산 종합정보망 등 기존의 정부주도형 지역정보화 정책에서 벗어나,,, 지방자치단체 대학 기타 민간기관들이 지역정보 화 추진협의회를 구성하여 지역사회 정보망을 운영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정보 화 정책기조의 선회는 민간주도의 공공적인 지역사회 정보망의 운영과 이를 통한 새로운 공 동체의 형성에 유리한 환경으로 작용하리라 기대된다. 지역정보센터는 한국정보문화센터와 한국통신이 주관하여 초기의 재원과 기술을 지원하고 있는데, 이러한 지역사회 정보망들은 한국통신의 패킷데이타통신망인HITEL-P 에서 가동되고 있다 .

-198- 1996년 HINET-P 의 지역사회 정보망은 36 개인데 , 중앙정부에 의해 육성된 지역정보센터 정보망은 강화의 마리텔,, 의정부 양주의 의양텔 , 원주의 치악마을 , 강릉의 삼청텔 , 청주의 체인스(CHAINS),,,,, 태안의 태안텔 청양의 칠갑텔 논산의 논산텔 진안의 마이텔 익산의 마 한텔,(KIS),,(HINTS),, 군산의 키스 김제의 김제넷 해남의 힌츠 순천의 팔마텔 목포의 마인 스(MAINS), 장성의 장성골 , 함평의 히트 (HIT), 나주의 닌스 (NINS), 영덕의 이스텔 , 구미의 구미텔,(ADRIC),,,(KCTEL), 안동의 애드릭 경주의 경주텔 밀양의 미리텔 거창의 케이시텔 산청의 천왕봉,, 양산의 양산텔 제주의 삼다텔 등 27. 개가 있다 그밖에 지방자치단체가 설립 한 정보망으로는 경남도청의 경남광장,, 진주시청의 진주시종합안내 강원도청의 강원행정정 보 등3, 개가 있으며 지방공공기관의 정보망으로는 한국통신 부산지역본부의 부산텔이 유일 하다. 한편 민간기관이 운영하는 정보망은 인디텔 말고도 강원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키델 (KITEL),전북의 전북 PC 통신 , 광주전남의 케이시넷 (KCNET), 대구경북의 티케이넷 (TKNET)등이 5 개가 있다 .60)

1998년 4 월 현재 열린 정부의 지역정보망은 전북네트 , TK-NET, KITEL, 제주네트 , 인천 지역정보로 구성되어 있다.TK-NET 이 중 전북네트와 은 서비스개선 관계로 일시 중지 상 태에 있다. 제주지역 종합정보망 (CHEJU-NET) 는 1. 도정종합정보안내 2. 관광종합정보안내 3.감귤종합정보안내 11. 제주대학교 ( 학술정보 ) 12. 도교육청 ( 이어도텔포 )13. 제주지방경찰청 14.남제주군정 안내 15. 지역정보센터 ( 삼다텔 ) 의 메뉴로 운영중이다 . 현재 지역정보망에서 특기할만한 점은 과거 강원지역의 상업정보망이었던KITEL 이 서울로 진출하면서 전국에 걸쳐서 무료의 종합지역정보망을 개설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역키텔의 이름으로61. 서울 62. 부산 63. 인천 64. 대구 65. 대전 66. 광주 67. 울산 68. 강원 69. 경기 70. 경남71. 경북 72. 전남 73. 전북 74. 충남 75. 충북 76. 제주 등 전국에 걸쳐 정보망을 설정하고 서 울,,, 부산 인천 등 도시의 경우에는 다시 모든 구 (25), 개 구 각 도의 경우에는 도내의 각 시 와 군(18) 가령 강원도의 경우 개 시와 군 에 걸쳐 모두 정보망을 개설하였다 .

60)http://allim.moi.go.kr/~trige/html/intro/52-1.htm 의 한상진 [ 지역사회 정보망을 통한 공동 체 형성]

-199- 국민주회사를 표방하는 이러한KITEL 의 노력은 각 지역에서 자발적으로 이러한 지역정보 망을 운영할 사람을 구하여 정보망의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는 바 그 결과가 주목된다.

마. 시민네트워킹의 미래

시민네트워킹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현재의 공공 서비스 이외에 상업적 서비스의 도 입이필요한것에대한논쟁이있다서비스이용자의입장에서볼때가령. Free-Net 상에 서의 상업적 서비스의 제공은 가치 있을 수 있으나 여기에는 두 가지의 문제가 있다.1) 상 업적 서비스가 등장하면 커뮤니티 네트워크의 원래 의도인 공공성과 상호작용성 및 시민참 여의 가능성이 줄어든다.2) 상업서비스로 될 경우 원래의 대규모 ISP 들과의 차별성이 사라 져 지역정보네트워크의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 특히 현재의 지역사회 네트워크가 지역정보 화 주민참여를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그 근거에는 이용요금의 차이가 크게 작용 한다. 사실 상용서비스와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이용요금이 모두 동일하게 저렴해진다면 많 은 사람들이 상용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이용은 상용서비스업체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상용서비스와의 차별화와 그에 기반한 지역정보제공과 지역주민참여가상용서비스와상호보완하에발전해갈수있는것이다. 시민네트워킹의 장래는 이와 같이 상업적인 통신서비스와 관계에 달려 있다. 시민네트워킹 의 내용 자체가 상업적인 통신회사의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른 한편 상업적인 서비스 가 투자와 이윤동기에 의하여 훨씬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물론 시민들의 인적 물적 참여에 의해 상업적 서비스를 능가할 수도 있다. 여하튼 시민네트워킹은 상업적인 통신서비스와 경쟁관계에 있게 된다. 상업서비스와 현저한 차별성을 구현하는 것이 쉬운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결국 이용요금의 문제에 귀 착된다.-KITEL 상업망이 충분히 저렴해지는 경우 한국의 의 경우 상업망임에도 완전 무료 이다- 민간적 재원조달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 그 장래가 불투명하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렇 다고 재원을 국가에 의존하게 되면 시민네트워킹의 활력을 잃기 쉽다.

-200- 북미를 비롯한 전세계 프리넷 운동을 주도해왔던 미국의NPTN 이 1996 년 파산하고 대다수 의 지역사회 전산망들이 재정적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는 사실은 시민네트워킹의 미래가 밝 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3. 사이버커뮤니티의 정치운동

지역정보화() 시민네트워킹 운동과는 달리 인터넷에 의하여 열려진 사이버스페이스를 하나의 사회적 공간으로 인식하고 이러한 사회적 공간의 질서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둘러싼 논쟁과 운동이 또 하나의 시민정보운동의 영역이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질서를 어떤 법칙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인류가 지금처럼 창조해 가는 질서이 다.. 이러한 질서ㆍ 체제에 대하여 서로 다른 이념과 세력들이 격돌한다 현재로서는 자연공간 ()현실공간 의 질서가 사이버스페이스에 미치는 영향이 압도적이라고 할 것이다 . 우선 국가는 본질적으로 아나키적인 사이버스페이스에 국가의 규제틀을 적용하고 이러한 규제틀을 개발 하는 경향을 가진다.() 사이버스페이스에 대하여 자연공간의 국가가 권력을 적용하려는 것은 당연한 경향이라고 할 것이다. 한편 현실공간의 자본은 이윤의 원천이 되는 또 하나의 경제 적 공간으로서 사이버스페이스를 이용하는 것도 당연한 경향이라고 할 것이다. 인터넷의 상 업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이제까지 무료로 제공되었던 각종 서비스가 점차로 유료화 되는 것도 이러한 경향이며,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상거래 질서를 도입하려는 현재의 경향은 사이버스페이스를 현실공간보다 더욱 효율적인 상업공간으로 만드는 것이다. 사이버스페이스에 대하여 국가권력과 자본의 이러한 경향에 대하여 현실의 시민사회단체는 먼저 정치적으로 사이버스페이스를 현실의 국가권력으로부터 자유로운 공간으로 확보하려는 운동으로 나타나고 있다.SING.SING 이것은 앞에서 소개한 과 같은 이념적 기조가 아니다 의 이념적 기조는 자연공간() 현실공간 을 기반으로 하는 - 현실의 경제 사회적인 세력관계 , 계 급관계,-, 국가관계의 분석에 기초한 것이라면 여기서 말하는 경향은 사이버스페이스와 자연 공간( 현실공간 ) 을 완전히 구별하는 관점이다 . 이러한 관점에 선 시민사회단체로는 GNU, EFF, CPSR을들수있다 .

가. FSF()

-201- FSF는 이름 그대로 소프트웨어는 상용보다는 무료로 공개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는 단 체이다.(http://www.gnu.org) 이것은 현재 사이버스페이스의 질서로 근대사회의 소유권 개 념의 연장과 확장으로서 지적소유권, 지적재산권에 대하여 정반대의 사이버스페이스 질서와 이념을 주장하는 것이다. 이 재단을 설립한 은 그 이념의 실천으로 상용프 로그램을 공개용으로 만드는 작업을 시작했다.GNU 그 결과 프로그램들이며 이 프로그램 들은 모든 사람들이 마음대로 복사하거나 수정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에게 배포할 수 있다. 이 재단은 물론Richard Stallman 혼자 이룩한 것이 아니며 알려지지 않은 많은 사람들의 노력에 의하여 이룩된 것이다. 한마디로 지적재산권 (copyright) 에 대하여 이들은 copyleft 로 표현한다. 이들의 정신은GNU 선언문 (The GNU Manifest) 에 나타나 있다 .

GNU선언문 (The GNU Manifest)

GNU란 무엇인가 ? GNU 는 유닉스와 완벽하게 호환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며 사용 가능 한 모든 이가 무료로 사용하도록 작성한 것이다., 몇몇 다른 자원자들의 도움이 있었으며 많은 시간적,.… 경제적 지원 및 프로그램과 장비가 절실히 필요한 상태이다

어떤 프로그램을 좋아한다면 당연한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 나누는 것이 황금률이 라고 생각한다., 소프트웨어를 판매하는 사람들은 사용자를 각각 구분하고 그들 위에 군림 하며,. 사용자 서로가 프로그램을 공유하는 것을 막고자 한다 나는 이런 식으로 사용자간의 결속이 깨지는 것을 거부한다. 나는 올바른 양심으로 비공개협정이나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협약에 서명할 수 없다. 여러 해 동안 인공지능 연구소에서 일하면서 그러한 경향과 다른 박정한 일들에 저항해 보았지만 결국에는 그들의 승리로 끝나고 말았다. 내 의지에 역행하 는 그런 일들이 일어나는 연구소에 나는 더 이상 머무를 수 없었다. 내가 계속해서 명예를 손상시키지 않고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상업용 소프트웨어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을 해 나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개 소프트웨어 본체를 만들 결심을 했다. …

올바른 질문은‘?’ 금전적인 보상이 줄어들더라도 사람들이 프로그래밍을 하게 될까 라는 것 이다.. 내 경험에 의하면 그렇게 할 것이다 십년 이상 동안 세계 정상급 프로그래머들이 인 공지능 연구소에서 일했지만 그들이 받은 보수는 다른 어떤 곳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적은 것이었다. 그들은 명성이나 감사 같은 다양한 종류의 비금전적인 보상을 받았다. 창의력은 그 자체 안에 보상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202- 이 재단의 가장 유명한 소프트웨어는 리눅스(Linux) 라는 PC 용 운영체제이다 . 이것은 고가 의UNIX, 윈도우 NT 를 대체하는 운영체제로서 많은 네티즌 , 컴퓨터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다. 현재 이 사이트에서는 이와 관련한 많은 소프트웨어들이 공개되고 있다.61)

이러한 프리 소프트웨어의 운동은 앞의 한국의SING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많은 나라의 정보 운동단체와 네트즌들에 혜택을 주며 동시에 호응을 얻고 있다. 최근에는 마이크로소프트사 와 네스케이스사의 경쟁에서 밀린 네스케이프사가 네스케이프의 소스를 공개하겠다고 나섬 으로써 중요한 계기를 맞고 있다. 네스케이프 사는 그 외에 웹서버 소프트웨어 패키지인 슈 트스폿(SuiteSpot) 을 리눅스 환경에 사용할 수 있도록 소스코드를 공개했다 . 다음은 1998 년 415월 일자 정보통신신문의 기사이다 .

61) GNU is a tool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Makefiles. /cfengine, a site configuration engine /Checker is a package that works with GCC to detect memory use errors in a program. /GNU FAQ (Frequently Asked Questions). /GNU C Library. /DJGPP, GCC, G++, and GNU utilities for DOS. /FiascoistheGNUreplacementforSPSS.(Weplantochangethenameofthispackage in its next release.) /GCC, the GNU C Compiler. /The GIMP, the GNU Image Manipulation Program, is like Photoshop only better. /GNU ,theGNUtext editor. /GNU Enscript converts ASCII files to Postscript for printing. /GNUscape Navigator, a Web browser that runs under GNU Emacs. /GNU Ghostscript, an interpreter for the PostScript language. /GNUstep and the GNUstep Base Library. /gpc, GNU Pascal. /GRG, the GNU Report Generator. /Guile, the GNU extensibility library. / (GNU zip), the file compression program that replaces compress. /The HURD, the kernel of the GNU system. /JACAL, a symbolic mathematics system. /Java programs that have been contributed to the GNU Project. /libtool makes it easy to develop and maintain shared libraries. /GNU Make, which is used for controling the recompilation of parts of your program based on which sourcefileshaveyou changed. /GNU , a visual file manager and shell. /GNU Nana, a package for programming and testing debugging assertions. /Ncurses, a package for displaying and updating text on text-only terminals. /Octave, is a high-level interactive language primarily intended for numerical computations. /, software for the plotting of scientific data and the drawing of vector graphics. /Stow, a software installation support utility. /, an non-interactive web-mirroring utility. /XaoS, a real-time fractal zoomer

-203- 「리눅스대중화길열렸다 그 동안 설치의 어려움과 애플리케이션 부족으로 일부 프로그래머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리눅스(PC 용 유닉스 ) 가 일반 기업에서도 쉽게 수용할 수 있게 됐다 . 지난 11 일 관련업계 및 외신에 따르면 네스케이프가 자사의 웹 서버 소프트웨어(SW) 패키지인 ‘ 스위트스폿 (Suite-Spot)’을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소스코드를 공개하는 한편 국제리눅스 협회나 일반기업들이 스위트스폿을 이용해 리눅스 환경에서 인터넷 및 인트라넷을 구축하는 것을 적극 지원할 계획임을 밝혔다.PC 에서 유닉스의 강력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리눅 스는 그 동안 이를 기반으로 한 범용 애플리케이션이 없어 일부 프로그래머나 마니아들만이 사용해왔으나 넷스케이프의 이번 결정으로 일반 기업들도 리눅스를 사용해 인터넷 및 인트 라넷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대중화의 기반이 마련됐다. 특히 리눅스코리아가 리눅스의 유 지 보수 사업을 벌임에 따라 국내에서도 리눅스 보급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적으 로 리눅스 사용자는 약5PC 백만 명으로 추산되며 국내에서는 통신 하이텔과 나우누리 리눅 스 동호회 회원을 중심으로 약5. 만 명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리눅스 코리아에서는『 리눅스는 뛰어난 기능과 저렴한 가격이 장점이며 윈도NT 를 구입할 경우 NT자체뿐 아니라 SQL 서버 및 메시징 서버에 대한 추가비용을 지불해야 하지만 리눅스 는 운용체계(OS) 자체에 그러한 기능이 포함돼 있다』 고 리눅스의 장점을 설명했다 . 한 사 장은 또‘ 저렴한 가격으로 웹 서버를 구축하려는 기업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을 것’ 이라며 앞으로 리눅스 사용자가 급속히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넷스케이프가 리눅스용 개 발의지원을약속한스위트스폿은웹서버메일서버메시징서버등웹과인트라넷환‘’ ,, 경을 구축하기 위한 각종SW 들을 모아놓은 스위트의 일종으로 이번에 넷스케이프가 리눅 스용 개발을 지원키로 함에 따라 고가의OS 인 유닉스를 구입하는 대신 공개용 프로그램인 리눅스를 이용해서도 인터넷 및 인트라넷의 구축이 가능하게 됐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응용 프로그램 개발도 활발해져 리눅스 사용자들이 급속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전경원 -

지적재산권의 문제는 사이버스페이스의 질서에 핵심적인 문제이다. 물론 지적재산권이 폐지 될 수는 없지만 반대로 시민운동의 차원에서 프리 소프트웨어 운동이 얼마나 성과를 거둘 수 있는가에 의하여 정보사회의 체제적 성격이 변화하게 될 것이다.FSF 이러한 점에서 는 정보사회의 성격을 결정하는 중대한 요소가 되고 있다.

나. EFF(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204- 미국의 통신품위법과 관련하여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자유를 주장하며 통신품위법에 대하여 위헌심판을 구하고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이에 대한 항의운동을 벌인 단체가 EFF(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 http://www.eff.org)이다 . EFF 가 활동가발로우 (J. P. Barlow) 가 작 성한‘’ 사이버스페이스 독립선언문 은 이 단체의 정신과 그들이 지향하는 사이버스페이스의 새로운 질서에 대한 관점이 드러나 있다.

사이버스페이스 독립선언문 (A DECLARATION OF THE INDEPENDENCE OF CYBERSPACE)

산업사회의 정부여!, 강철과 육체 기계와 물질의 세계속에서 자라난 넌덜머리나는 거인이여 ! 우리는 마음의 새로운 고향-.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왔다 이제 미래를 위하여, 나는 당신에게 이제 낡은 껍질을 짊어지고 여기를 총총히 떠날 것을 명한다., 당신은 우리들에게 환영받지 못하고 있으며 우리가 모여 있는 이곳에는 통치권을 가지고있지않다. 우리는 이곳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선거를 통해 정부를 만들고 있지 않으며, 앞으로도 그런 것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정부의 권력이 아니라 자유 그 자체에서 연유하 는 위대한 권위를 가지고 당신에게 말하는 것이다. 우리는 선언한다. 우리가 서 있는 전지구에 걸친 사회적 공간은 당신들이 둘러 씌우려 하는 압제로부터 독립한다는 것을! 당신들은 우리를 지배할 도덕적 권리가 없다. 또한 우리는 당신들을 두려워할 이유가 없으 며,. 당신들은 그 두려움을 강제할 방법도 가지고 있지 않다 정부의 정당한 권력은 피치자의 동의로부터 연유하는 것이다. 그러나 당신은 우리들의 동의 를 간청하지도 않았고 부여받지도 않았다.. 우리는 당신을 초청하지 않았다 당신은 우리를 모르고,. 우리의 세계를 모른다 사이버스페이스는 당신들의 영토안에 있지 않다. 공공건설 프로젝트처럼,. 사이버스페이스를 지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 말라 당신은 할 수 없 다. 사이버스페이스는 우리들의 자연스러운 행동의 집합에 의해서 그 스스로 성장해 온 것이다. 정신은 우리의 거대한 모임과 대화에 간여해서도 안되고, 시장바닥의 천박한 부유함과 같은 것을 창조하려고 해서도 안된다. 당신은 우리의 문화도,, 우리의 윤리도 모르며 우리의 불문율에 의한 질서도 모른다 . 당신이 법률로 강요하는 것보다 더욱 조화로운 질서가 우리의 불문율에 의해 우리들 사회에서 이루 어지고 있다.

-205- 당신은당신만이풀수있는문제가우리들사이에있다고주장한다당신은그러한주장을. 우리의 영토에 침입하는 구실로 삼고 있다. 그러나이들문제들의대부분은실재하지않는것이다만약거기에구체적인갈등이있고. 잘못이 있다면,. 우리는 우리들의 방법으로 그것을 규정하고 해결할 것이다 우리는 우리들 자신의 사회계약(Social Contract) 을 형성하고 있다 . 우리 사회의 질서는 당 신들의 세계가 아니라 우리들 세계의 조건에 따라 형성될 것이다. 우리의 세계는 당신들의 그것과는 다르다. 사이버스페이스는, 우리들 커뮤니케이션 거미줄의 물결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과 관계와 사상 그 자체들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들의 세계는 어디에나 있으며 동시에 아무 데도 없는 세계이다. 그것은 육체가 사는 곳 에존재하는것은아니다. 우리는 출신성분,,, 군사력 경제력 인종에 따른 편견이나 특권에서 벗어나 모든 이가 공정하 게참여할수있는세계를창조하고있다. 우리는 누구나 자기의 신념을 말할 수 있는 세계를 창조하고 있다. 개인의 신념이 개별적이 라는 이유만으로 침묵하거나 동조하도록 강요당할 두려움이 없는, 그런 세계를 우리는 창조 하고 있다. 소유,, 표현 정체성 ,, 운동 그리고 사회적 합의에 관한 당신들의 법적 개념이 우리들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것들은 물질적인 것에 기초하고 있으나 여기에 그런 물질적인 것은 없 다. 우리의 정체성은 당신들과는 달리 육체적 껍질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우리는 육체적 강제에 의한 질서를 가지지 않는다.,, 우리는 윤리로부터 계몽된 자율로부터 그리고 공익으 로부터 우리의 질서가 나타날 것이라고 믿는다. 우리의 정체성은 당신들의 사법권적 권력 저편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들이 만들어내는 문화 에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유일한 법은 황금률(Golden Rule) 이다 . 우리는 그 기초 위에 우리들 특유의 사회적 해법을 창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결코 당신들이 부과하려고 하는 해법들은 받아들일수 없다. 미국에서 오늘 당신들은 원격통신개혁법(Telecommunications Reform Act.) 이라는 하나의 법을 만들었다.,,, 그것은 당신들 자신의 헌법을 거부하는 것이고 제퍼슨 워싱턴 밀 메디슨 토크빌,. 그리고 브랜다이스의 위대한 꿈을 모욕하는 것이다 이 꿈들은 우리들 사이에서 다 시금 탄생해야 한다.

-206- 당신들의 낡은 정보산업은 전세계를 통해 오직 자신의 목소리만을 보장하는 법을 만들어 자 신의 이익을 항구화하려 하고 있다. 이 법은 인간의 사유와 사상도 한낱 산업생산물에 불과하다고 선언한다. 그러나 우리의 세 계에서는 인간의 마음이 창조하는 것은 무엇이나 전혀 비용을 들이지 않고 얼마든지 재생산 될 수 있으며 무한정하게 분배될 수 있다. 인간의 사상을 전지구적으로 전달하는데에는 당신들의 공장과 같은 것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증가하는 적대감과 식민지적 수법들은 자유와 자치를 절규했던 과거와 같은 사람들과 같은 입장으로 몰아 넣고 있다.. 그들은 무지한 권력의 지배를 거부했었다 우리는 비록 현실세계에서 육체에 대한 정신들의 지배를 승인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우리의 세계<> 사이버스페이스 에서는 당신들의 지배로부터 해방되었음을 선포한다 ., 우리의 사유 우리의사상은이혹성구석구석으로번져나가결국에는그누구도우리를구속할수없게 될것이다. 우리는 사이버스페이스에 마음의 문명을 창조하고자 합니다. 그것은 국가 정부가 만든 문명 보다 더욱 인간적이고 정의로운 문명이 될 것입니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운동이 미국의 통신품위법의 위헌판결을 이끌어내었다는 것이다. 실제 사이버스페이스의 질서에 대하여 어떠한 가치관과 이념을 적용해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현 재로서는 아무런 기준이 없다. 이러한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사이버스페이스의 질서와 가치 관을 형성하는 것은 사이버스페이스에 대한 이론과 이념을 앞서서 개발하고 사이버시민들의 호응을 받아내는 세력의 사이버스페이스의 질서와 이념을 선도한다는 것이다. 위의 사이버스페이스 독립선언문은 다음과 같은 이념적 좌표를 제시하였으며 그것은 네티즌 에게 호응을 얻었고 위헌판결을 통하여 하나의 이념으로 자리잡았다는 것이다.

1)사이버스페이스는 현실사회 ( 산업사회 ) 와는 전혀 다른 세계이다 . 2)사이버스페이스는 현실세계의 권력을 배제한다 . 3)사이버스페이스는 육체 , 물질의 세계가 아니라 정신 , 사유의 세계이다 . 4)사이버스페이스는 출신성분 ,,, 군사력 경제력 인종에 따른 편견이나 특권에서 벗

-207- 어나 모든 이가 공정하게 참여할 수 있는 세계를 창조하고 있다. 5)사이버스페이스는 스스로의 새로운 사회계약 (Social Contract) 을 형성하고 있다 . 6)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윤리로부터 , 계몽된 자율로부터 , 그리고 공익으로부터 우리의 질서 가 나타날 것이라고 믿는다. 7)사이버스페이스에 마음의 문명을 창조하고자 한다 . 그것은 국가 정부가 만든 문명보다 더 욱 인간적이고 정의로운 문명이 될 것이다.

사이버스페이스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과거의 이념이나 가치관과는 다른 새로운 시야이다. 그리고 이 새로운 시야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사고방식을 형성해가는 새로운 세대들에게 점 차 익숙한 것이 되어가고 있다. EFF는 1990 년로터스사 (Lotus Development Corp.) 의미첼케이포 (Mitchell Kapor) 와위 의 발로우에 의해 설립되었다., 샌프란시스코와 워싱턴에 지부를 두고 있으며 시민적 자유 의 보호와 법적 권리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민적 자유에 대한 백서를 작성하 고 정보소통의 원칙에 있어서 네티즌의 이해를 대변하고 정보소통의 자유, 프라이버시 보 호,, 정보에 대한 공적 접근 정보공개를 주장하며 이에 관한 법률이나 정책을 지지하는 활 동을 벌인다. EFF는 인터넷의 개방성을 옹호하며 공동체적 성격을 활성화하는 각종의 이슈들을 제기하고 사업을 진행한다. 블루리본 (Blue Ribbon) 운동과 골든 키 (Golden Key) 캠페인을 벌였는바 , 블루리본운동은FBI 에서 추진하는 반테러법안 중 공중의 승인없이 국가적으로 무선도청 (wiretap)을 가능하게 하려는 시도에 대한 반대운동이다 . 이것은 프라이버시 보호의 차원이 다.

다. CPSR(Computer Professional for Social Responsibility)

CPSR(http://www.cpsr.org)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컴퓨터 기술의 사회적 책임 (Social Responsibility)를 고민하는 컴퓨터 전문가들의 모임이다 . CPSR 의 목적은 미국의 대중과 정책입안자들에게 정보기술의 영향력,, 전망 문제점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사회 적책임의차원에서보다바람직한정보사회의발전을추구하는것이다.

-208- 「테크놀로지는 미래를 추진하는 힘이다. 그 방향키는 우리 모두에게 달려있 다」:Technology is driving the future; the steering is up to us.) 라는 슬로건이 CPSR 의 정신을 잘 표현하고 있다.,(OnePlanet,OneNet) 하나의 혹성 하나의 네트 가 인터넷 질서에 대한1997~ 1998 의 CPSR 의 캠페인 내용이다 . 이 캠페인의 가치 기준은 다음과 같이 7 가지 로제시되고있다.

1)다만 하나의 네트가 있다 (There is only one Net). 2)네트는 모든 사람들에게 유효하게 열려있어야 한다 . 3)대중은 커뮤니케이션의 권리가 있다 . 4)대중은 프라이버시의 권리가 있다 . 5)대중은 네트의 관리인 (steward) 이지 소유자가 아니다 . 6)어떠한 개인도 , 조익도 정부도 네트를 지배해서는 안된다 . 7)네트는 인간의 다양성을 반영해야 하지 , 그것을 동질화해서는 안된다 .

이 단체는 제록스 연구소(Xerox Palo Alto Research Center) 의 컴퓨터 네트워크내에 개설 된 토론그룹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동안의 구체적인 행동과 활동에 관해서 보면 미국의 국가정보기반(NII) 과 관련하여 그것을 단순히 국가경쟁력의 강화라는 목적에서 재단되어서 는 안되며 민주주의적 가치를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여론형성 정책결정에 영향력 행사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사이버스페이스를 커뮤니티의 차원에서 보고 있 으며, 그리하여 대중의 보편적 접근 (Universal Access) 무료 혹은 저비용으로 접근하는 서 비스와 매카니즘의 구축을 위해 활동한다. 또한 국가에 대하여 프라이버시 보호와 시민적 자유를 위하여 활동하고 있는 바, 전화나 전자우편의 암호화에 있어서 관련하여 정부는 도 청이 가능한Clipper Chip 과 관련하여 인터넷상에서 활발한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 그외 작 업장에서 컴퓨터 사용에 관하여 직업병,, 자동화와 실업문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시스템 설 계와 노동자 참여문제 등에 관하여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4.버추얼 커뮤니티 (Virtual Community)

-209- 자연공간에 익숙한 사람은 웹게임이 제공하는 가상현실과 실제 현실과의 차이는 너무나 당 연하여 그것은 존재하는 것과 존재하지 않는 것,,(nonfiction) 실재와 허구 넌픽션 과 픽션 (fiction)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 이러한 사고방식은 당연하고 옳은 것이기는 하지만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다.‘’. 우선 인간이 알고 느끼는 현실이라는 것은 사실은 인식된 현실이다 그 리고‘’ 인식 이라는 것은 사실은 가상적인 것이다 . 반대로 게임의 세계에서 제시되는 가상현 실에서도 실제로 그것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실재적이다., 웹게임에서 아군과 적군 동맹국으 로 나누어 우주전쟁을 벌인다 하더라도 이때 아군,, 적군 동맹군을 구성하는 것은 실재적인 인간(). 게임에 참여하는 인간 인 것이다 그리고 게임으로서의 우주전쟁은 여기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인식 의 한 요소가 된다 . 가령 게임을 같이 했던 사람이 만나 친해져 안드로메다 우주전쟁에 동맹군으로 참여했던 동지라고 말할 때, 어느 것이 가상이고 어느 것이 현실인 가? 우주전쟁에 동맹군으로 참여했던 동지는 가상이기도 하고 현실이기도 하다. 게임으로서 의 우주전쟁에 참여하여 동지가 되었던 것 그 자체(, 즉 게임을 같이 했던 것 자체 ) 는 현실 적인 것이고, 다만 그 우주전쟁이 실제의 전쟁이 아니라 게임으로서의 전쟁이라는 점에서 가상적이다. 과거 월남전에 참여하여 함께 싸웠던 동지인 경우에도 현재에 있어서의 월남전 쟁은 기억에만 남아 있는 것이고 현실이 아니다. 기억에 남아 있는 월남전쟁과 기억에 남아 있는 우주전쟁() 게임 의 차이는 본질적인 것이 아니다 . 그것은 모두 기억이고 , 그것을 계기로 알게 되고 친구가 되었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것이다. 여기에 앞으로의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문명의 새로운 문제가 제기된다. 사이버스페이스는 나중에는 결국 기억으로 되는 가상현실들을 무수히 제공한다. 그것은 모두 인간에게 있어서 는‘’ 인식 의 차원을 구성한다 . 가상현실과 실제현실의 엄격한 구별이 점차 인간의 인식에서 희미해지는 것이다. 모든 인간의 인식과 기억에 있어서 가상현실적인 사건과 실제현실에서 의 사건의 차이가 점차 줄어드는 것이다. 그것들은 모두 인간관계를 창출하고 모두 공유의 인식이 되고 모두 기억으로서 인간관계의 역사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게임의 가상현실의 차원에서 실제현실을 도입하는 문제, 반대로 실제현실에 가상현실적인 차원을 도입하는 문제가 앞으로의 인간문명에 중대한 성격을 부여하게 될 것 이다. 그것이 어떻게 발전하고 그 결과가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현재의 단계에서는 가상현실과 실제현실의 관계 그것의 조합 다중의 현실 등의 문제 가제기되고있는것은명백하다.

-210- 이와 같이 단순히 인간인식의 차원만이 아니라 현실자체가 점차 가상화하고 있다. 금융과 부가 그것이다. 오늘날 금융자산과 금융적 부는 점차 실재적인 모습이 사라지고 기호화하고 추상화하고 가치가 격변하여 가상화하고 있다. 국제금융체제에서 투기가가 수백억 달러를 소유하고 관리한다고 할 때, 그 가치는 세계경제와 국가경제의 변화에 따라 폭락할 수도 있 는 지극히 가변적인 것이다. 그리고 그것들은 수많은 컴퓨터 상의 정보자료로 변화하고 있 다.., 다른 한편 가상현실이 점차 현실의 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제까지 가상현실은 소설 영 화 등에 한정되었다.- 영화 타이타닉과 같이 세계적 히트를 하면 그것은 가상의 스토리이다 -.‘’그것과 관련하여 수많은 문화상품들이 뒤따라 거래되는 것이다 영화 로마의 휴일 에서 오 드리 햅번이 아이스크림을 산 가게가 관광명소가 된 것은 가상현실이 현실화하는 것이다. 앞으로의 세대들이 성장하면서 웹게임이 보편화하게 되면 이것의 영향은 더욱 커질 것이다. 더 나아가 우리의 현실() 실제현실 그 자체가 수많은 가상현실적인 요소들에 의하여 풍부한 의미가 주어지고 그 의미들이 인간관계와 사회관계들을 결정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것들은 한편으로는 철학적으로 중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게임산업에서 중대한 이 슈가 되지만, 동시에 사회체제적인 차원에서 그리고 문명의 차원에서 중대한 주제가 된다. 이러한 점에서 가상공동체(Virtual Community) 는 앞으로의 세계에서 중대한 의미를 가진 다. 여기에서 게임적 성격과는 상관없이-- 게임적 성격이 가미되던 되지 않던 상관없이 가상공동 체 형성의 문제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중요한 하나의 요소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기초적 인 논의를 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게임적 요소가 없이 단순히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공동체 를 형성하는 기법의 하나로 가상성을 도입하는 경우에도 이것을 버츄얼 커뮤니티에 포함시 키기로 한다.( 동시에 순전한 게임의 세계는 배제한다 )

한편 이것과는 정반대로 가장 현실적인 기반위에서 출발하지만 사회체제-- 경제체제 에 있어 서 현실경제와는 전혀 다른 매카니즘을 형성하는 공동체가 실험되고 있다. 이것은 Local Money를 이용하는 경제적 공동체이다 . 이 경우 현실의 시장 경제적성격 , 현실의 화폐매카 니즘이 배제되는 새로운 경제시스템의 공동체이다.

-211- 이것은 시장경제라기 보다는 선물경제(gift economy) 이다 . 우리는 이러한 경제공동체의 분 야도 버츄얼 커뮤니티로 포함시키기로 한다.

가.(VirtualCommunity) 버츄얼 커뮤니티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최근에 나타난 그래픽환경의 가상세계,MUD 나 인터넷 채팅 등에서 나아가 텍스트베이스를 넘어서 사이버스페이스에23 차원 또는 차원적 영상표현을 추가한 그러한 세계에서 인간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문제가 버츄얼 커뮤니티의 문제이다. 게임의 세계에서와 같이 버츄얼 커뮤니티에 필수적인 요소들로서 지속적인 정체성, 세련된 의례절차,,,, 화폐시스템을 갖춘 내부경제 재산권 공동체의 역사를 기록하는 풍부한 문서들 일관된 공간감각,, 우발적인 상호작용 적당한 수준의 위험 등이 거론된다 . 이러한버츄얼커뮤니티로서는Worlds Away 를대표적인예로들수있다 . (http://www.worldsaway.com) WorldsAway는 게임보다는 덜 인상적인 2 차원 그래픽이지만 활력있고 정교한 사회시스템을 성공적으로 만들었다. 버츄얼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요소로서 다음의 요소들을 든다.62)

1)협동의 기반 (The Bedrock of Cooreration)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참여자의 협동의 기반은 다음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 다. 첫째,. 두 개인의 미래에 다시 만날 개연성이 있어야 한다 지금의 만남이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유일한 경우 혹은 마지막 경우라면 이기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유혹은 그만큼 클 것이다. 다시 말해 성공적인 공동체는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해야 한 다. 둘째,. 개개인이 서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62) 이하Peter Kollock 의 Design Principles for Online Communities /1997 년도 한국사회학 회추계 특별심포지움 참조

-212- 셋째, 개인들이 다른 사람이 과거에 어떻게 행동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만 한 다., 정체성이 알려져 있지 않거나 불안정할 경우 그리고 예전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억이나 기록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개개인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질 필요가 없을 것이기 때문 에 이기적으로 행동하도록 동기화된다. 어떤 사람의 정체성이나 역사에 대해 알고 있다면 사람들은 적절한 방식으로 반응할 수 있다. 개인들과 그들의 행위에 대한 정보가 집단 성원 들 간에 공유될 경우, 이것 역시 사회적 정보와 통제의 핵심 원천이 되는 명성 (reputation) 을 발전시키게 된다. 버츄얼 공동체는 제도적 기억 (institutional memory), 즉 , 집단의 사건 과 역사에 대한 지속적인 기록을 구성원들에게 제공해야 한다.63)

2)성공적인 공동체의 설계원칙 (Design Principles of Successful Communities) 첫째 집단경계(group boundaries) 가 명확히 정의되어야 한다 . 그렇게 함으로써 누가 공유 자원들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명확히 분별할 수 있으며, 갱니들이 집단에 들어와 그 자원을 사용만 하고 집단에 기여하지 않은 채 떠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둘째, 공유자원 (collective resources) 의 사용을 통제하는 규칙들이 개인적인 욕구나 조건들 과 잘 조화를 이루고 있어야 한다. 모든 집단에 있어 자신들의 행위를 통제하는 규범 및 규 칙들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규칙들에 영향을 받은 대부분의 개인들이 그것들을 바꾸는데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성원의 행동을 감독 (monitor) 하고 제재하는 (sanction) 체계를 필요로 한다 . 그렇지만 외적 권위 보다는 공동체 성원들 자신에 의해 감독이 수행될 때 가장 잘 작동한다. 어느 정 도의 갈등은 불가피하며 저비용의 갈등해결 매카니즘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64)

3)물리적인 세계를 가상적인 세계로 가져오기 (Bringing the Physical into the Virtual) [ 결 핍,,, 위험 장애 어려움 ,, 도전 아파트 , 대용화폐 ] 현실과는 달리 버츄얼 커뮤니티는 결핍 (scarcity)ㆍㆍ위험 (risk) 장애 (constraints) ㆍ 어려움 (difficulties) ㆍ 도전 (challenge) 이 없는 세계 를설계할수있다.

63) Robert Axelrod 1984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64) Elinor Ostrom 1990 Governing the Commons :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213- 그러나 그렇게 설계되어서는 오히려 버츄얼 커뮤니티는 생명력을 상실한다. WorldsAway 공동체로부터의 교훈은 결핍과 위험이 흥미 있고 매력적인 세계에 결정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이다. 적당한 수준의 위험은 신뢰 (trust) 의 발전에 필수불가결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위험 을관리하는한방식으로집단(group) 과동아리 (club) 의형성을촉진한다 . 또한 스스로 환경을 변화시키고 개조할 수 있는 능력, 물건이나 재화를 교환할 수 있는 능 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야 한다.WorldsAway 공동체에서는 자신이 단장하는 아파트와 대용 화폐들이 인기가 있다.

4) 버츄얼 커뮤니티를 움직이는데 필요한 원칙 ㆍ양질의 토론을 촉진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라. ㆍ게시되는 글의 길이에 제한을 두지 마라. ㆍ이야기하기 좋아하는 사람과 개성있는 사람들을 당신 시스템의 전면에 배치하라. ㆍ사용자들이 자기 자신의 분쟁을 해결하도록 하라. ㆍ제도적 기억을 제공하라. ㆍ연속성을 촉진하라. ㆍ특수집단의 호스트가 되라. ㆍ어린이들에게 장소를 제공하라. ㆍ사용자들이 위기에 맞서게 하라.65)

이상은 서구에서 버츄얼 커뮤니티를 통하여 인간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 사이버스페이스 에서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가상적인 하나의 세계를 형성하는 버츄얼 커뮤니티를 활 용하는 연구와 실험들에서의 교훈이다. 버츄얼 커뮤니티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도 자연공간 ()근대사회 에서의 사고방식으로 공동체를 형성하려는 운동 - 현실 공간적인 사고방식에 다만 정보기술을 추가하는 방법-. 에 대하여 전혀 다른 시야를 제공한다 앞으로의 정보사회에 있 어서 사회적인 변혁은 이 분야의 연구와 실험들이 결정적인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65) Mike Goodwin 1994 Nine Principles for Making Virtual Communities

-214- 나. 지역화폐 공동체 (Local Money Community)

버츄얼 커뮤니티는 가상적 세계를 가져와 이를 공유함으로써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현실세계와는 다른 경제시스템 화폐시스템 을 구축함으로써 공동체를 형성하는 운동이 있다. 이러한 공동체를 포괄적으로 지역화폐 공동체라고 부르기 로 한다., 버츄얼 커뮤니티에서 대용화폐는 가상적인 것이지만 지역화폐 공동체의 지역화폐 (Local Money)는 실제의 재화나 용역을 교환하는데 사용되는 화폐라는 점에서 현실적인 화폐이다. 그렇지만 그 화폐는 지역화폐 공동체 내에서만 통용되는 화폐라는 점에서 현실의 화폐와는 다르다. 또한 지역화폐는 중앙은행에서 발행되는 화폐가 아니라 개개인이 구좌를 통하여 발행하는 화폐라는 점에서도 다르다. 지역화폐로서 가장 성공적인 공동체를 형성한 것은 캐나다의 모목스밸리에서1983 년 개발 된LETS(Local Exchange Trading System) 이다 . 여기에서는 지역화폐를 이용한 교환망을 전 지역사회에 통용시켰으며,20 이 시스템의 성공에 따라 북미대륙에 약 개의 비슷한 체계 가 생겨났다., 이러한 지역화폐공동체는 전세계로 퍼져 조직이 설립되었으며 영국에서는 1991년 7 개에서 1993 년에는 150 개의 조직으로 급속히 확산되었다 . 현재는 사이버스페이스 가 전개됨으로써 지역화폐공동체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발전하고 있다.

1) 지역화폐 개념 지역화폐(Local Money) 는 가상통화 (Virtual Currency) 라고도 불린다 . 지역화폐공동체는 자 체 통화를 사용하는 화폐체계이다. 물물교환은 돈을 사용하지 않고 상품과 서비스를 교환하 는 바, 서로 간에 상대방이 원하는 물건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교환은 가능하지 않다. 화폐 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여 서로가 원하지 않는 물건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일단 물건 을 화폐와 교환하고 제3. 자를 만나 다시 화폐를 물건과 교환할 수 있다 그런데 현실의 화폐 는 그 양이 제한되어 있다. 이에 대해 지역화폐는 개개인이 구좌를 가지고 있으며 개개인이 무한정하게화폐를발행하고사용할수있다개인이화폐를많이발행하면자신의구좌에. 마이너스(-) 금액이 증가할 뿐이다 .

-215- 현실에도 기업을 하는 사람들은 잔고가 마이너스(-) 인 경우가 대단히 많다 . 이런 화폐시스 템을 채택하면 두 가지가 달라진다.. 첫째는 은행 등과 같은 금융기관이 필요없다 둘째는 개 개인이(-) 잔고가 무한정 늘어나지 않는 다른 장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마이너스 (-) 잔 고가 모든 사람이 무한정 늘어나지 않게 하는 매카니즘은 자율의 원리이다. 그리하여 모든 문제는 이러한 자율의 원리가 작동하게 하는 것이다. 자율의 매카니즘은 공동체성,(),. 화폐의 지역성 내부성 투명성이다 지역화폐는 그 공동체를 형성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유통되는 화폐이다. 따라서 지역화폐는 공동체의 외부로 나갈 수 없다.(), 사이버스페이스 공동체이든 현실의 공동체이든 서로 마찬가지이다 공동체 외부의 사 람과의 교환이나 거래에서는 지역화폐가 통용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공동체 구성원 개개인 이 어떤 사람인지 서로가 서로에게 충분한 정보가 제공된다. 내가 누구인지 모든 사람이 알 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자율의 장치를 작동시키는 공동체적 매카니즘이다 그리고 물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은 현실에서의 가격과 같다.

대표적인 지역화폐인LETS 는 다음과 같은 성격을 가진다 . ▶자기발행(Readily available) : 구좌의 상황 ( 잔고 ) 과 상관없이 화폐를 사용할 수 있다 . (+) 잔고가 없는 거래를 하면(-) 잔고가 늘어날 뿐이다 . ▶동의:. 상대방과 거래하는 것에 대하여 동의할 때 거래가 이루어진다 거래시에 서로간의 구좌상태는 항상 알 수 있다. ▶무이자(Interest Free) : 계정이 + 이든 - 이든 이자는 없다 . ▶지역성(Stays Local) : 화폐는 공동체 외부로 나갈 수 없다 . 외부거래에서는 지역화폐를 사용할 수 없다. ▶정보공개(): 투명성 모든 사람의 구좌와 거래는 공개되어야 한다 .66)

2) 지역화폐 시스템 계정자의 신용한계 공식적인 신용한계는 없다. 정보가 공개되지 않는 익명의 개인은 책임을지지 않을 수도 있 겠지만 공개된 개인을 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다. 모든 회원은 다른 회원들에게 자신들이 계정균형도와 거래내역을 제공한다.

66) http://www.communities.org.uk/lets/lets8.htm

-216- 모든 회원은 거래하기 전에 상대의 정보를 참고한다. 상대가 신용할만한 가치에 있어서 확 신이 서지 않으면 거래를 거부할 수도 있으며, 현실의 현금을 함께 사용하는 거래를 이용할 수도 있다..LETS 따라서 신용한계를 두지 않는다 어떤 사람이 를 통해 아무런 서비스를 제 공하지 않고 받기만 해서 수백만 원의 거래를 했다면 주목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런데 수천 건 이상의 거래를 해서 수백만원이 잔액이 있다면 위험이 들하다고 보여질 것이다. 회원이 500명 정도 되는 작은 시스템에서 커다란 마이너스 (-) 잔액을 가진 사람과 , 커다란 플러스 (+) 잔액을 가진 사람들에게 쏟아지는 관심을 보면 놀랄 것이다. 개인적인 행동과 계정의 균형 은 그 사람과 거래를 해야할지 말아야 할지를 결정할 때 고려되는 사항이다.67)

3) 지역화폐공동체의 성공요소 지역화폐 공동체의 성공요소로서 다음과 같은5. 가지가 제시되고 있다

(1)지역성 (Stay Local) 지리적으로 가까운 멤버들사이에 더 많은 교역이 일어나고 남용이 쉽게 방지된다. (2)견고한 핵심그룹 (A Solid Core Group) 지역공동체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을 가지고 공동체를 관리할 수 있는 열성적인 핵심그룹이 있어야 한다. (3)유효성 (Be Efficient) 정확한 기록,, 디렉토리의 확보 계정과 뉴스레터의 정기적인 배포 (4)친밀성 (Keep People In Touch) 교환은 우정이 있는 관계와 만남에 기초한다. 정기적인 사회적 교역적 이벤트를 조직해야 한다. (5)넓은 조합 (Broad Cross-Section) 호혜적 교환은 사람들이 서로 다른 기술과 관심을 넓게 가지고 있을 때에 일어난다. 좋은 Cross-Section이야말로 매력이다 .

67) 잡지[ 지금 여기 ] 1998. 1-2 p. 49 미내사 출판

-217- 지역화폐 공동체는 경제가 불황기일 때 사회적으로 대단히 큰 기여를 할 수 있다.2 실제로 차대전 전 오스트리아에서는 지역화폐공동체와 유사한‘’ 사회신용 운동이 있었다 . 침체된 경 제는 비공식적인 자급자족망에서부터 수백의 상업적인 물물교환망까지 생기게 한다. 미국의 경우에도 이런 자급자족망이나 물물교환이1991 년에는 크게 성장하여 450 조직에서 24 만 클라인트들 사이에59 억불의 교역이 있었다고 보고 되었으며 2 년 후에는 두배인 100 억달 러로 증가하였다.68)

제53 절 공공영역과 제 섹터의 장래

1. 시민정보운동의 위상

이제까지 시민정보운동을 검토하였다., 그것은 다양한 범위에 걸쳐 있는 바 이를 다시 나누 어 보면 다음과 같다. 1)시민운동의 정보화 2)시민정보운동 3)사이버커뮤니티 운동 (/시민네트워킹 사이버스페이스 정치운동 / 버츄얼커뮤니티 ) 그러면 정보화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의 증가에 의해 시민사회가 형성되고 시민운동은 활성화 하고 지구적 시민사회가 출현하고 있는가? 어떤 학자들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웹사이트의 증가,PC 통신의 동아리의 증가 , 지역정보네트워크의 출현 , 뉴스그룹의 증대 , 등을 열거하고 시민운동의 활성화,. 지구적 시민사회가 형성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리기도 한다 그러나 우 리의 검토에서 내려지는 대체적인 결론은 반대로 부정적이다. 자연공간에서의 시민운동단체들이 정보화기술을 이용하여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공공여 론을 형성하고 회원을 모집하고 재정을 조달하는데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실패하고 있다. 특 별한 이슈() 가령 국가에 저항하는 경우 가 세계화하는 경우에만 성공적이다 .

68) 위‘’ 지금 여기

-218- 이에 비하여 상업망에서의 네티즌들은 연예 오락분야에서 대중적 스타에 대한 공론을 형성 하고 있으며 그 공론은 대중적 스타들에게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차원과 비교하면 시민운동의 정보화와 공론의 형성과 그 영향력의 증대라는 것은 실패라고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시민정보운동은 많은 운동가들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술적 재정적 난관에 봉착한다. 상업망이 개입하지 않는 이윤 없는 사업의 경우에만 운동의 영역이 열려 있으나 시민운동으 로서의 많은 참여를 획득한다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다. 사이버커뮤니티 운동에서 시민네트워킹은 정보화의 초기단계에 있어서는 많은 발전과 기여 를 하게 되나 바로 상업망과의 경쟁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업망과의 차별성과 비 용의 저렴성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사이버스페이스의 정치운동이나 버츄얼 커뮤 니티는전혀새로운세계를열어가는것이나소수의선구적인수준에서벗어날수있는가 는역사적인문제이며현재로서가능성을예단할수없다. 우리가 근대 서구사회의 관점에서 안정된 중산층이 시민사회를 형성하고 그 시민사회가 사 회의 안정적 바탕이 되며, 다수 시민의 참여에 의하여 공론이 형성되고 사회적 실천이 이루 어지며, 그에 의하여 국가와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이 제기된다면, 그에 대하 여부정적이라고해야할것이다정보기술은이러한가능성을크게확장하는새로운지평. 을열수있다는기대에대해서도부정적으로평가된다. 물론 현재로서는 몇 가지 예외적인 경우가 있으며, 그것의 가능성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 인가 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 첫째, 한 국가에서의 시민운동의 이슈가 세계화하여 세계의 시민운동의 여론의 힘을 동원하 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두 가지 제약이 있다 하나는 국가권력에 저항하는 이슈와 같이 이슈 자체가 선동성이 있는 경우이다.( 한국의 노동법 파동 ). 다른 하나는 네티즌들이 용이하 게동조할수있는관심사나이슈의경우통신품위법의경우이다(). 둘째, 오늘날 연예 오락분야의 대중적 스타에 대한 젊은 네티즌들의 여론형성과 그 여론의 연예 오락계에 대한 영향력과 같이 시민세력이 형성되고 공론이 강력하게 형성될 수 있지 않을까? 현재의 자라나는 세대들이 어른이 되면 국가 사회적 이슈에 대해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까? 이것은 섯불리 판단할 수 없지만 세대의 문제가 아니라 내용의 문제로 보 인다.

-219- 저절로 흥미가 동하는 연예오락분야와 정치 사회적인 분야는 다르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왜 이런 결론에 이르게 되는가?,, 분명히 정보사회의 발전 정보기술의 발달 사이 버스페이스의 전개는 시민사회와 시민운동단체들의 커뮤니케이션에 획기적인 가능성을 열어 놓은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이러한 가능성이 왜 현실화되지 않고 시민의 참여율이나 공론 의형성을촉진하지않는것인가? 또한 시민사회의 형성이나 시민운동의 활성화에 커다란 진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공간에 왜 수많은 웹사이트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것인가?

2.공공영역 진부화 (陳腐化 )

정보사회에서도 근대사회,100 년도 넘은 서구근대사회를 모델로 하는 가치관과 분석개념을 사용하여 시민사회와 시민운동을 논의하는 경향이 있다. 그 전형적인 예가 공공영역 (Public Sphere)에 대한 이론이다 . 이 이론은 19 세기 중반의 서구근대사회에서의 현상이 정보사회 에서 재현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공공영역은 정부로부터 독립적이고 당파적인 경제세력으로부터도 자율성을 누리는 공론의 장으로서 일반시민이 참여하는 합리적인 논쟁으로 여론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론은 이해관계에 결부되지 않고 위장 또는 조작되지 않은 토론이 형성되리라는 것이다. 이러한 공론의 장과 시민사회는19 세기 중반에 서구근대사회에서 형성되었다가 쇠퇴한 것이다 . 공 공영역도 정확하게 말하면‘’. 부르주아 공공영역 이다 「하버마스에 의하면 부르주아 공공영역은18 세기 영국에서 팽창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핵 심적인 특징으로 출현하게 되었다고 한다. 결정적으로 신흥자본가들은 교회와 국가에 대하 여 투쟁하고 그로부터 독립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부를 축적하게 된다. 과거의 공적 생 활은 성직자와 왕실에 의해 지배되었는데 신흥 자본가들은 부를 축적함에 따라 이러한 우세 를 잠식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신흥자본가들은 교양 (letters) 의 세계 - 극장 , 예술 , 카페 , 소 설,, 비평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면서 귀족들에 대한 의존성을 줄이고 전통적인 권력으로 부터 분리된 비판의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나타난 것이다. 또 다른 방향으로 시장이 성장한 결과‘’ 언론자유 와 의회개혁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기 시작 하였다.

-220- 자본주의가 확장되고 공고화됨에 따라 국가로부터 더 많은 자율성이 확보 되었고, 국가의 변화에 대한 요구도 확대되었다. 의회개혁을 위한 투쟁은 필연적으로 언론의 자율을 신장시 키기 위한 투쟁이었다. 이와 더불어 국가로부터 독립적인 신문사를 설립하려는 투쟁이 지속 되었고 성공하였다. 이러한 발전의 결말로서19 세기 중반 ‘ 부르주아 공공영역 ’ 이 형성되었는데 그 주요특징은 공개적 논쟁,,, 비판적 검토 완전한 보도 확장된 접근성 , 국가통제로부터 뿐만 아니라 조야 한 경제적 이해관계로부터의 행위자의 자율성 등이다.」69) 그러나 이러한 부르주아 공공영역은 그 이후로 쇠퇴하였다. 첫째로 자본주의의 확대 때문이 다. 자본주의가 국가를 인수하게 자본주의 국가가 탄생함으로써 자본은 더 이상 국가에 비 판적인 공공영역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었다., 자본은 의회의원들에 대한 사적인 관계 정당 과 두뇌집단에 대한 자금지원, 의회와 여론에 대한 조직화된 이해들의 체계적인 로비 등으 로 그 방법을 바꾸었다. 둘째로 매스커뮤니케이션의 발전이다. 매스콤이 강화되면서 토론을 통한 공공여론의 반영보 다는 스스로 여론을 형성하는 것이 일상적인 일이 되었다. 그 여론은 매스콤의 영향력에 의 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합리적이지만 지루한 토론의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럴 여유도 없게 되었다. 매일매일의 기사와 칼럼과 편집과 마찬가지의 일상적인 업무가 되었다. 정보사회로 전환하면서 가장 중대한 변화는 종래의 의미에서의 부르주아 시민사회 자체의 붕괴라고 할 수 있다.18 세기에서 19 세기 중반에 이르는 서구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시민사 회의 중심은 부르주아,. 중산층이라는 경제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 오늘날 이러한 의미의 시민사회는 존재하지 않는다.-, 어떠한 의미에서든 새로운 시민계층 가령 중소기업자 자영업 자,- 교수와 교사 등 어떠한 개념으로 규정하든 은 과거와는 달리 계층적 경제적으로는 동질 적이지 않다. 나아가 과거의 의미로서의 자본가나 프로레타리아 계층 자체도 급속하게 분해 되고 있다. 말하자면 과거의 의미에서의 부르주아 시민계층은 현재로서는 존재하지 않게 되 었다. 정보사회는 이처럼 계층을 분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제반 이슈 정책들이 대단 히 전문적인 성격을 가지게 만들었다.1819 그것은 세기 내지 세기와 같이 교양을 가지고 논 의하고 토론할 수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니게 되었다.

69)Frank Webster [Theories of the Information Society] 조동기 역 pp173-174 사회비평사 간

-221- 물론 새로운 시민들도 의견을 표명할 수 있으나 그 의견이 정책과 연결될 수 없다. 그리고 시민들의 여론은 오히려 여론조사를 통하여() 그 의사만 있다면 더 정확히 알 수 있다 . 한편 정책과 연결되거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견은 전문지식에 기초하여 논문의 형식이 되거나 많은 비용을 투자하는 프로젝트가 되어야 하는데 비용을 받지 않고 이러한 코스트를 지불할 동기가 없게 되었다.( 전문지식인이 정치적으로 등용될 것을 기대하여 이런 코스트를 지불하 는 동기는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보기술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이 증대되었다고 하여 공공영역이 형성되고 공론이 형성될 수 있다고 기대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할 것이다. 여기에 역설이 있 다. 현실적으로는 분명히 18 세기나 19 세기 보다 모든 사람들의 리터러시 (Literacy) 가 과거와 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증대되었고, 역시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풍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100 년 전의 사람들은 문자해독능력도 정보도 형편없었다 . 오늘날 두드러진 현 상은 그 정보적 내용의 관점에서 공공영역이 가지고 있는 가능성과 실제로 현실화하는 공론 의 엄청난 격차이다. 「정보사회의 발전이 정부와 가정 사이에 위치하면서 공공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삶의 영역, 이른바 시민사회를 확장시켜 줌으로써 정보기술이 가지고 있는 민주적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는 점에 대해서 우리는 동의할 수 있다., 게시판 빠르고 값싼 통신 , 그리 고 켐코더의 적절한 활용은 정보의 교환을 확장시키고 용이하게 해주며 토론과 논쟁을 촉진 시키는데 크게 기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정보시대의 우뚝 높은 고지들 정부기 관, 초국적기업 그리고 국제적 미디어 복합체에 의해 지배되는 국제통신망-, 과 비교할 때 누가 이런 발전을 더 많은 정보관리, 더 많은 정보의 상품화 그리고 공공영역의 지속적 쇠 퇴를 몰고 오는 끊임없는 파도에 대항하는 투쟁으로 보겠는가?」70) 결론적으로 상식과 교양과 토론에 의하여 형성되는 시민사회의 공공영역은 이제는 진부한 것이되었다그주체도사라졌고그지원자도등을돌렸고그동기도소멸하였다.. 따라서 오늘날 시민사회,. 시민운동 전혀 다른 패러다임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된다

70) 위 Frank Webster p.222

-222- 제6 절 전자민주주의의 현실

1. 시민정보운동과 정보사회의 정치

시민정보운동은 정보사회의 정치와 연관되어있다. 시민정보운동은 정보사회의 정치적 발전 을 지향하고 있으며, 이런 점에서 시민정보운동은 그 자체가 정보사회의 정치적 측면을 구 성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가령 시민정보운동이 시민의 차원에서 정치에 더 많이 참여하는 운동이고,() 전자민주주의가 기존의 민주주의 근대의 대의민주주의 보다 정치적 과정에 시민 의 더 많은 참여를 실현하는 개념이라면, 시민정보운동과 전자민주주의는 동일한 것을 다른 주체가보는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전자민주주의의 문제는 바로 시민정보운동과 같은 것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 이다. 시민정보운동의 관점에서는 시민정보운동의 발전이 바로 전자민주주의의 발전이며, 전자민주주의는 다만 국가적 제도적 모색이라는 점에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전 자민주주의의 관점에서도 반대로 시민정보운동은 전자민주주의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시민정보운동이 더 넓은 범주인가, 전자민주주의가 더 넓은 범주인가 하는 것은 순전히 각 각의 궁국적 목표나 시야에 의하여 좌우될 것이다. 시민정보운동이 전자민주주의를 넘어 더 큰 민주주의,() 아예 민주주의를 넘어서 완전히 새로운 정치질서 가령 아나키즘 를 추구한다 면, 전자민주주의의 발전은 시민정보운동의 다만 한 부분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반대로 전 자민주주의의 시야가 시민정보운동을 포함하여 더욱 근본적이고 제도적인 발전을 추구한다 면 시민정보운동과 전자민주주의가 어느 것이 더 큰 범주인가 하는 것은 그 각각이 이념적 범위에 있어 주관적으로 어느 것이 더 큰가 하는 문제이고, 객관적으로 결정될 수 없는 것 이다. 이러한 점에서 전자민주주의의 발전과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도 논의되어야 할 주제이 다.

2. 정보사회에서의 정치적 변화의 가능성

-223- 새로운 기술을 정치사회적으로 응용할 때, 그 기술적 가능성의 차원에서 바라보면 많은 상 상력을 자극하고 그 상상력들은 실현하려는 노력이 일어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정 보기술이 시민운동이나 정치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상상력과 그 실현을 지향하는 노력들이 일어나고있다그현실화는상상력의범위와실천을통한검증이라는두가지요소에의해. 결정된다. 이 경우 실천의 노력들이 크다고 해도 원천적으로 상상력의 범위가 작다면 그 결 과는 작을 것이다.. 상상하지 못하는 것은 실천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반대로 상상력의 범 위가 크다고 해도 실천의 노력이나 방법이 발견되지 않거나, 실천을 통한 검증의 결과 그것 이다만기술적상상력일뿐비현실적인것으로밝혀지면그결과역시작을수밖에없다. 비행선이 처음 출현했을 때, 어떤 역사학자는 수십년 후의 도시를 그림으로 예언하면서 도 시의 상공에 비행선이 둥둥 떠 다니는 것을 그리고 사람들이 비행선을 타고 출퇴근할 것으 로 예상했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비현실적인 상상력의 경우이다 우리나라에서 금속활자가 처음으로 만들어졌어도 근대적인 책이 대량으로 만들어지지는 않았다. 기술이 사회적으로 제약당한 예이다. 텔레비젼이 처음 등장했을 때도 다수의 정치이론가들은 텔레비젼이 정치 적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시민들의 정치교육이 대단히 향상되고 출마자들 의 텔레비젼 토론과 유권자들과의 많은 커뮤니케이션에 의하여 정치적 긴장을 줄이고 더욱 완전한 민주주의가 실현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텔레비젼은 이러한 가능성을 실현시 키지 못했다. 텔레비전은 선거운동광고가 방영되었고 출마자들은 감성적인 호소를 하는 것 이 주요한 전략이 되어 정치와 선거가 연예화 되는 길을 걸었다. 인터넷의 출현을 이러한 텔레비젼에 비유하는 학자도 있다. 1996 년 미국에서 12,000 명을 상 대로 한 조사의 결과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팩스나 전화 같은 전통적인 방식의 접촉을 선호 하고 있으며, 사이버민주주의 (cyberdemocracy) 는 헛바람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71) 사이버스페이스의 등장이 어떠한 변화를 초래할 것인가, 그리고 어떠한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는 다만 예측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열려진 가능성과 상상력에 더 해야 할 인간적 사회적 창조의 문제이다. 이러한 점에서 정보기술과 사이버스페이스에 대하 여 열려진 기술적 가능성,, 그에 기초한 상상력 그리고 그것을 실현하려는 제도적 혁식과 창 조적 실천이 결정할 것이다.

71) 캘리포니 산타바바라 대학Bruce Bimber 교수 , 1997.10.28 자 뉴욕타임스의 웹사이트

-224- 기술적 가능성,, 상상력 그리고 실험들은 이러한 제도적 혁신과 창조적 실천의 범위와 폭을 결정한다는 의미에서 중요한 것이다.

3. 전자민주주의와 정보사회 정치의 전망

정보사회의 정치적 변화에 대하여 크게는 대의민주주의에서 전자민주주의로 발전한다는 전 자민주주의론과,, 민주주의를 초월하는 정치체제가 실현된다는 것으로 나눌 수 있고 전자민 주주의론도 두 개의 흐름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하여 정보사회의 정치적 미래에 관한 이론 과실험들은크게세가지로나눌수있다. 첫 번째의 전망은, 새로이 열려진 전자민주주의가 근대사회의 대의제 민주주의를 대체하여 직접민주주의로 발전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근대사회의 정치체제를 변혁하는 근본적인 변혁이라고 할 것이다.Toffler,Naisbitt, 마스다 ,TedBecker 등의 주장이다 . 정보사회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은 정치교육과 정치결사의 새로운 형태가 가능하게 하고, 정보기 술에 의해 모든 시민들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므로 시민회의,, 시민의 직접입법 중대사안에 대하여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전자투표 등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라고 한다. 새 로운 사회는 대의제 민주주의로는 관리될 수 없으며, 대의제 민주주의를 취할 수밖에 없었 던 여러 가지 장애들이 제거된다고 한다., 정보의 공유 전반적인 교육수준의 상승 , 쌍방향적 인커뮤니케이션등에의하여대표자에의한대의제는불필요하게된다는것이다또는산. 업사회,, 근대사회가 물질적 욕망의 추구와 이기적 사회인데 대하여 정보사회는 자기실현과 지적 문화적 가치들에 더 많은 우선 순위를 두는 사회이기 때문에 직접 민주주의가 가능하 다고 본다. 두 번째의 전망은,, 직접민주주의는 비현실적인 상상력이고 시민의 토론의 기회와 시민들의 정치의식이 향상되고 시민참여가 증대된다는 것이다. 나아가 직접민주주의는 바람직하지 않 으며 오히려 민주주의의 퇴보를 가져올 수도 있다는 관점에서 직접 민주주의의 전망에 회의 적이다.Elstein,Gitlin,Malbin,Pool 등이 이러한 관점이다 . 이러한 관점에서는 정보기술은 다른 시민들과 토론의 기회를 제공하는 바,, 시민들의 의사소통이 활성화되고 더 많은 정치 참여가 이루어져 대의민주주의의 많은 문제점들이 보완된다는 것이다.

-225- 이러한 관점은 공식적인 틀, 제도적인 변화가 아니라 내용적이고 질적인 개선이 이루어진다 는 것이다. 이 관점에서는 제도로서는 대의제 민주주의가 직접 민주주의보다 오히려 바람직 하며, 직접 민주주의는 비현실적이거나 독재의 가면이라고 보는 점에서 대의제 민주주의와 직접민주주의에 대한 신념이 서로 다르다. 세 번째의 전망은,, 정보사회 사이버스페이스의 등장 등은 근대사회와는 전혀 다른 사회를 형성하고따라서정치체제에있어서도기존의근대적민주주의를초월하는전혀새로운정 치체제로 이행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세계사회의 형성에 의하여 근대국가의 기능과 위상이 변화하고 있으며,, 정치권력과 자본 지식의 역관계가 변화하고 있으며 , 나아가 사이버스페이 스라는 새로운 사회공간의 등장에 의하여 사회자체가 재창조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근대의 영토국가,, 주권국가 국민국가에서 작동하는 근대적 민주주의 자체가 시대에 뒤진 진부한 것이고,. 전혀 새로운 정치체제가 등장한다는 것이다 그 새로운 정치체제가 어떠한 모습을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극단적으로는 아나키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 한예로 초국가간 정부 네트워크(transnational government network) 전망을 들 수 있다 . 국가(state) 가 기능적으로 분화되고 ( 사법부 , 질서 유지기관 , 실행기관 , 입법기관 ), 그것이 세 계적으로 상대 기관과 서로 연결되어 정부를 초월하는 초정부적(transgovernmental) 차원 에서 새로운 네트워크가 형성된다.(State) 이것을 국가 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분화되는 (disaggregating)것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 「 이러한 초정부적 네트워크는 영토적 경계선보 다는 더욱 정치적이면서 그리고 전문성에 결집에 의존하게 될 것입니다.」 정보기술이 지구 를 바꿈에 따라,21 정부간 네트워크가 정보시대의 통치정부가 될 것이며「 이것이 세기의 국제적 구조의 청사진이 될 것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72) 이렇게 될 때, 대의제 민주주의인가 직접 민주주의인가 하는 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게 된 다., 능력의 성격이 다양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권력자의 선출방식도 다양한 방식이 될 수 있다.

72) Anne-Marie Slaughter, "The Real New World Order," Foreign Affairs Sep/Oct 97

-226- 그러나 이러한 전자민주주의의 현실도 위의 시민사회의 현실과 마찬가지로 낡은19 세기적인 패러다임에 정보기술을 덮어 씌운 것에 불과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민의 참여나 민주주의 의 새로운 발전이 있다고 하기에는 무성한 논의와는 별도로 현실의 증거는 발견하기 어렵 다.- 현실이 보여주는 이러한 역설 정보기술에 의한 풍부한 기술적 가능성과 사회적 실현사 이의 엄청난 간격-, 에는 무엇인가 정보사회에 대하여 그리고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 대하여 근본적 오해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제7 절 시민정보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

1.사이버스페이스의 본질 : 데이터베이스공간

서구 근대의19 세기 사회를 모델로 삼고 있는 시민사회론이나 공공영역의 모델이 진부한 것이 되었다면 새로운 패러다임은 무엇에서 시작해야 하는 것일까? 정보사회라면 사이버스 페이스에서부터 시작하지 않으면 안된다. 사이버스페이스란 무엇인? 이제까지 시민사회와 시민운동이 무의식적으로 가정한 것은 사이 버스페이스가 커뮤니케이션 공간이라는 것이다. 정보기술과 사이버스페이스의 등장에 의하 여 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이 획기적으로 증대하였으므로 공공영역이 활성화하고 시민사회도 발전할 것이라는 가정이다.. 이러한 가정에 대하여 우리는 부정적인 결론을 내렸다 그렇다 면 그것은 사이버스페이스가 커뮤니케이션공간이라는 가정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사이버스페이스의 본질을 좀더 정밀하게 규명하지 않으면 안된다 사이버스페이스 에 대해 좀더 깊이 그 본질을 천착하면 그것이 데이터베이스 공간이라는 점이 발견된다. 그 리하여 우리는 사이버스페이스를 데이타베이스 공간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사이버스페이스는 데이타베이스(database) 공간이다 . 사이버스페이스는 수많은 데이타들이 널려있는 공간이고 그러한 데이타를 검색할 수 있는 공간이다. 수많은 홈페이지들은 그 각 각이 데이타이다.PC 그 외에 통신에 올라있는 모든 글들 모든 컨텐츠는 하나같이 네티즌의 검색을 기다리는 데이터이다.

-227- 이런 점에서 사이버스페이스는 전세계에 걸쳐있는 방대한 데이터베이스의 공간인 것이다. 커뮤니케이션은 이런 데이터베이스에 자신의 데이터를 추가하고 다른 사람들이 올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는 것이다., 즉 커뮤니케이션은 데이터베이스에 자료를 올리고 검색하는 관 계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것이 자연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과 다른 점이다 자연공간에서는 대화가 커뮤니케이션이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대화를 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추가하 고 검색하는 방식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다. 이처럼 커뮤니케이션이 데이터베이스형식 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사이버스페이스라는 공간의 특징인 것이다. 이점에서 정보기술이 공 공영역을 활성화시킬 것이라는 기대는 커뮤니케이션의 형식을 오해한 것이었다. 우리는 전 세계의 수많은 홈페이지가 있지만 그것이 우리에 대한 대화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것은 마치 만원버스나 지하철에서 우리 주변에 앉아있거나 서 있는 사람이 아무리 가까이 있고 아무리 많이 있어도 커뮤니케이션 공간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정확하지 못한 것이다.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서는 동기(motive) 가 필요하다 . 사이버스페이 스가 자동적으로 그러한 동기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이런 점에서 보면 시민단체가 자신의 홈페이지를 만드는 것은 자신의 단체를 세계 데이타베 이스() 사이버스페이스 에 등록하는 행위이다 . 이처럼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등록하는 것 으로 시민의 참여가 증대하고 시민사회가 발전할 수 있다고 기대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문제는 참여의 동기이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동기로서 현재까지 가장 강력한 것은 이윤 동기와 흥미동기이다. 사이버스페이스를 통하여 이윤을 얻겠다는 동기는 바로 전자상거래에 까지 이어지는 사이버스페이스를 상업화하는 과정에서 보여진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또 다른 동기는 흥미이다. 오락이나 대중스타와 관련된 연예오락에 관한 동호회에 수많은 네티 즌들이 참여하는 것,(mania) 그외 특정한 분야의 매니아 들이 열성적으로 동호회를 결성하는 것,. 등에서 나타난다 사이버스페이스가 데이터베이스의 공간이라는 것은 사이버스페이스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공간은 다음의 기능들을 데이터베이스형 식으로 변경시키고 그리하여 자연공간에서 사이버스페이스로 이주할 수 있게 한다.( 여기에 서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컴퓨터에 소프트웨어로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만을 말하는 것이 아 니며,. 인터넷공간 자체가 데이터베이스라는 관점임 실제로 하이퍼텍스트 등 하이퍼미디어는 데이터베이스 구조임)

-228- 1)커뮤니케이션 … 커뮤니케이션의 당사자와 그 전달하려는 메시지가 축적되고 공유되고 검 색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짐 2)연구 … 연구자료를 추가하고 공유하고 검색하는 형식으로 3)유통 … 수요공급자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추가하고 공유하고 검색하 는형식으로 4)거래… 수요공급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와 검색을 통한 만남 , 거래소프트웨어를 통한 계속적인 연결의 형식으로 5)오락 … 설계된 버츄얼커뮤니티의 각종 자료들을 데이터베이스로 제공하고 그 활용에 다 수의 네티즌들이 참여하는 형식 6)전자정부 … 정부의 각종 정보들을 모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7)채팅 , 뉴스그룹 등 … 모두 동기적인 또는 비동기적인 커뮤니케이션이나 그 형식은 참여 자의 만남 자체가 데이터베이스의 축적,, 공유 검색의 형식으로 이루어짐 .

이처럼 자연공간() 현실사회 에서는 전혀 다른 모든 행위나 사회적 관계가 모조리 데이터베이 스의 형식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사이버스페이스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다.

2.시민운동의 조건과 의의 : 사회 재설계 (Society Redisign)

이렇게 사이버스페이스를 데이터베이스공간으로 규정하면 시민운동, 시민사회 등의 문제에 서 한 가지 의문, 즉 시민들의 참여나 공론의 형성에 있어서는 별로 성과가 없는데도 불구 하고 왜 시민사회단체들이 엄청나게 많은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사이버스페이스에 참여하는 가 하는 문제에 대답이 주어진다. 그것은 커뮤니케이션을 기다리며 데이터베이스에 자기단 체의 아이덴티티를 등록하는 행위인 것이다. 이것은 수많은 개개인들이 아무런 목적 없이 ()뚜렷한 동기 없이 자신의 개인 홈페이지를 만드는 것과 동일한 이유인 것이다 .

-229- 그렇지만 이러한 시민단체들에 시민들이 참여하고, 시민단체들이 상호연대하는 데에는 동기 가 부여되어야 한다., 동기의 문제가 해결될 때 시민사회의 발전 공공영역의 활성화에 대한 정보기술() 사이버스페이스 의 가능성이 현실화하는 것이다 . 이러한 동기의 문제는 다시 두 개의 문제로 나누어진다. 첫째,, 시민운동 공공영역에 참여하는 개개인에 대한 동기의 문제이다 . 물론 이 동기에는 단 순히 사회를 위하여 봉사하고자 하는 자아실현의 동기가 있다. 이런 점에서 봉사를 주된 목 적으로 하는 제3. 섹터가 성장할 수 있는 심리적 유인이 광범하게 있다 그렇지만 공론을 형 성하는 문제는 단순히 봉사의 차원이 아니다. 자신의 의견 표명과 참여가 실효를 거둔다든 가 그러한 행동에 대한 사회적 평판이 제고된다든가 성공적인 기여에 대하여 보상이 주어진 다든가 하는 차원에서 동기가 검토되지 않으면 안된다. 둘째,, 시민운동 공공영역에 대한 참가가 국가 사회적으로 실효성이 있어야 한다 . 단순히 광 야의 외침에 불과하다면 여기에 참여하는 시민의 수는 적을 수 밖에 없다. 이것은 독재국가 에서의 저항적 시민운동,. 민중운동과는 다르다 저항하고 순교하는 것은 위대한 행위로 사 회적평판을받으며그것이동기가될수있다그렇지만시민운동은그렇게사회적으로커. 다란 주목을 받는 경우가 항상 적인 것은 아니다. 여기에 시민들의 참여를 실효성 있게 시스템이 필요하다. 시민사회의 의견이 구체화하고 정 책화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시스템을 창조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시민사회,. 시민운동의 활성화를 추진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그 필요성은 이제까지 민주주의의 발전, 사회의 민주화라는 당위론 적인 설명이 대부분이었 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있어서는 전혀 다른 관점에서 시민사회 시민운동 시민의 참여가 필 요하다.( 그 이유는 세계적 경쟁 사이버스페이스는 본질적으로 단계적이다 ) 에서 한 국가가 뒤떨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국민전체의 창조성을 결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시민의 참여, 민주주의의 발전은 바로 이런 시민의 창조성을 발휘하게 하고 종합하게 하는데 반드 시 필요한 것이다.() 산업사회에서와 같이 국가 정부 가 지도하고 대중이 동원되는 시스템에 서는 시민사회의 발전이나 시민의 참여는 중요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서의 힘은 대중이‘’ 동원 되는데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 시민 개개인 , 단체 개개의 자발적인 참여와 창조성이 발휘되는데서 나오는 것이다. 미국의 정보화가 급진전되고 일본을 비롯한 다른 대부분의 국가가 정보화에서 미국과 경쟁할 수 없는 이유의 하나가 여기에 있다.

-230- 이런 점에서 시민운동의 활성화와 시민의 참여는 시민사회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정부와 국 가의 차원에서 대단히 긴요한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전체가 유기적으로 창조성을 발휘 하고 종합될 수 있는 사회시스템을 재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보화란 사회에 정보기술을 적용하는 차원이 아니라 사회를 재설계(Society Redesign) 하는 것이다 . 미국의 정보화에서 정부의 정보화를 국가의 재창조(Reinvent of Government) 라고 명명하는 것도 이처럼 정보 화가 국가사회 전체를 재구성하는 것임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사이버커뮤니티 운동은 이러한 사회의 재설계를 근원적인 차원에서 추구하는 운동들이다. 그러나 그것은 현 재로서는 실험적 차원에 있으며 무한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지금으로서 어떤 방향을 찾아 내기는 어렵다.,, 비록 이처럼 근본적인 차원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시민사회 시민 참여의 문 제도 사회전체를 재설계하는 차원에 서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사회 재설계의 요소로서 단순한 공론의 장을 형성하는 것을 넘어서 정책공동체와 제3. 섹터의 문제를 거론하게 된다

3.제장의소결론 4

정보사회로의 전환에 의하여 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이 증대함으로써 시민사회, 시민운동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실제로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시민단체들의 많은 홈페이지가 만 들어지고PC 통신공간에서 많은 CUG 가 만들어지며 , 시민단체들은 사이버스페이스를 통하 여 세계적인 행동을 촉발하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시민운동에 시민들의 참여가 증대하였다는 증거는 없으며,19 세기식의 시민사회가 형성된다는 증거도 없다 . 그 이유는 사이버스페이스의 본질이 커뮤니케이션 공간이 아니라( 그것은 다만 가능성일 뿐 이다). 데이터베이스 공간이라는 점에 있다 데이터베이스 공간을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 실 현하기 위해서는 참여동기,. 실효성 있는 시스템을 창조해내지 않으면 안된다 정보사회에서 사회전체의 발전은 이러한 동기의 부여, 시스템의 재창조를 통하여 사회전체의 창조성을 발 휘시키고 유기적으로 종합하는데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단순히 과거의 공공영역과 공론의 장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는 부족하다. 정치적으로는 공론의 장을 정책적으로 현실화시킬 수 있는 매카니즘이 필요하 다.

-231- 경제적으로는 시장체계를 건전하게 발전시킬 수 있는 광범한 제3 섹터가 형성되는 것이 고용 ㆍㆍ기술발전 사회안정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그리하여 정보사회의 국가사회시스템은 광범한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시민사회의 발전과 제3 섹터의 발전을 바탕으로 그 위에 정치적 통 합과 경제적 연대를 형성하고 이것이 정부와 시장에서 최종적으로 종합되는 시스템을 창조 해야 한다. 그리하여 시민정보사회의 문제는 사회전체의 시스템 재설계의 문제로 전환된다. 그것은 또한 국가의 정보화전략의 문제이기도 하다.

-232- 제4 장 참고문헌

「」사이버공간, 사이버문화 , 홍성태 엮음 , 문화과학사 1996 윤영민(1996). “ 컴퓨터 네트워크와 시민정보흐름의 새로운 가능성 ” 글로벌 정보네트웍사회 의 의미와 전망 학술세미나 발표자료,,.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서울 임현경(1996). “PC 통신을 통한 가상공동체의 형성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 통신동호회 사 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청구 논문 . 마크 세스 본체크, 1997.「」 브로드캐스트에서 넷캐스트로 . 커뮤니케이션 북스 , 원성묵 옳 김 이용석, 1997. ‘ 전자민주주의의 대두와 발전방향 ’, 정보화저널 이관민, 1997. ‘ 인터넷의 이용확장이 전자민주주의를 구현할 것인가 ?’ 매일경제 제5 회 정보통신논문현상공모 당선작 원성묵, 1997. ‘2010 전자민주주의 ’, 커뮤니케이션북스 ‘ 브로드캐스트에서 넷캐스트로 ’ p.319~ 320 황종성, 1996. ‘ 전자민주주의의 이상과 전자정부의 발전방향 ’; 한국전산원 p2. 지역정보화사업 평가와 추진방안 한국전산원 1997, 9 http://ncalib.nca.or.kr/HTML/1997/97016/f97016.htm 김형민, “ 인터넷과 지역정보시스템 : Free-Net 과 CAP 사례를 중심으로 ” http://forum.nca.or.kr/cgi-bin/bbs_view?path=/user1/BBS/trend/docs/nondan/ &content=20&format=/user1/BBS/trend/srch/view.html 한상진,“ 지역사회 정보망을 통한 공동체의 형성”, http://allim.moi.go.kr/~trige/html/intro/52-1.htm 허운나,“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방식 ”「」 정보화저널 제 411997 권 호 http://forum.nca.or.kr/journal/97/1-rp3f.htm 한유경, “2010 년 교육 환경의 변화 ”,「」 정보화 저널 제 4 권 2 호 1997 http://forum.nca.or.kr/journal/97/2-rp3f.htm 전응휘,“ 네트워크를 통한 세계민간운동의 연대 - 현황과 과제 ”,1997,97 전국환경활동가 워크숍 자료집 전응휘, “ 정보통신 문제와 시민운동 - 정보화시대 시민운동의 과제 ” 전응휘 1997 서울 YMCA 실무자 교육 자료집 전응휘“ 지역정보화의 과제와 제안 ” 1997, 홍성 YMCA 지역정보화 세미나 발제문 The Association for Progressive Communication: A Cooperative Effort to Meet the Information Needs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 A Case Study Prepared for the Harvard-CIESIN Project on Global Environmental Change Information Policy" written by Susamme Sallin, February 14, 1994 http://fftp.ciesin.org/kiosk/publications/94-0010.txt

-233- Communications as Engagement - A Communication Strategy for Revitalization The Millenium Report to the Rockfeller Foundation Community - arianism - Community and Communitarianism; Concept and contexts written by Greg Smith http://www.communities.org.uk/greg/gsum.htm Progressive Networks - http://www.gn.apc.org/peopleinaction/networks.html APC - http://www.apc.org IDRC/Pan Asia Network - http://www.PanAsia.org.sg/homepage.htm Figallo, 1995, "The WELL:A Regionally Based On-Line Community on the Internet", Public Access to the Internet, ed by Kahin, B and Keller,J.MIP Press Putnam,R. "The Strange Disapperance of Civic American" The American Prospect, No 24 Grundner, T., "Seizing the Infosphere : Toward the Formation of a Corporation for Public Cybercasting." Paper presented at DIAC '94 conference of the Computer Professional for Social Responsibility, Cambridge, Massachusetts, 1994. Cited in Doheny-Farina, The Wired Neighborhood) London, Scott. 1993. "Electronic Democracy - A Literature Survey." Kettering Foundation Report. McChesney, R. 1996. "The Internet and U.S. Communication Policy-Making in Historical and Critical Perspective." Journal of Communication, 46(1), 98-124 Steven Clift, 1997. "Democracies Online", Presentation, Home Page -http://freenet.msp.mn.us/people/clift Beraghel, Hal, "Digital Politics," Communication of the ACM October 1996, Vo1.39, NO.10

-234- 제5 장 국가의 정보화 전략과 시민정보사회

제1 절 사이버스페이스 패러다임

1. 사이버스페이스 사회

정보사회는 커뮤니케이션을 증대시키고 그에 따라 사회가 변화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 었다. 그리하여 시민사회와 시민운동에 관한 논의도 커뮤니케이션의 증대가 시민의 참여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 것이다. 그러나 정보사회가 커뮤니케이션을 증대시킨 다는 것을 명확 하지 않다.- 그것은 기존의 커뮤니케이션을 새로운 방식으로 데이타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대체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정보 사회에 대하여 좀더 깊은 천착 ()穿鑿 을 필요 로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아래 그림과 같이 우리는 앞에서 정보사회를 현실의 물리적 자연공간과 가상의 사이버스페 이스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정보사회의 정의는 사이버스페이스 사회가 무엇인가 하는 점에 서 시작하고 끝난다. 여기서 사이버스페이스의 정의를 정보사회라는 광의의 뜻으로 사용해 도좋을것이다따라서사이버스페이스사회가어떤모습일것인가는우선상상력의범위. 부터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상상력은 정보사회의 궁극적인 모습을 예상하는 것이 다.(). 이러한 상상이 틀렸다고 하더라도 넓혀진 상상력은 우리의 이성理性 을 확장시킨다 이 렇게 확장된 이성을 기초로 하여 정보사회의 현실을 재검토하는 것이다.

-235- 사이버스페이스 사회() 정보사회 는 궁극적으로 어떤 모습을 하게 될까 ? 사이버스페이스까지 확장되지 않고, 현실 공간에만 대응시킨 정보사회에 관한 논의들과 비교하여 현실공간을 사 이버스페이스에 포함시키는 미래는 어떻게 달라지는 것일까? 사이버스페이스가 인간사회의 주된 사회적 공간이 되고 자연공간이 부수적인 공간이 되는 사회가 정보사회의 궁극적 모습 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한 정보사회가 과연 어떠한 사회인가 하는 것은 아직은 상상력 특히 기술적 가능성을 확장한 상상력-. 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 가령 앞에서 든 예와 같이‘’ 아마존 과 같은 사이버서점의 경우를 살펴보자 . 사이버스페이스 의 가상서점인 아마존은 전세계에서 접속할 수 있다. 일반 독자는 검색과 주문을 할 수 있 고 선택한 책에 대하여 대금지불을 신용카드로서 결제할 수 있다. 주문과 대금지불 후 항공 우편을 통하여 책이 배달된다. 이 수준에서 가상서점은 자연공간에서의 서점이 필요하지 않 다. 모든책을자신의창고에적재할필요도없으며주문에응할수있도록각출판사를네 트워크로 묶기만 하면 된다. 이처럼 자연공간의 서점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데이터베이스 공간으로 이주한다. 만약 여기서 더 나아가 책내용 그 자체가 디지털화하고 종이 값과 프린 트 및 제본비용이 충분히 저렴하다면 책을 항공우편으로 우송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사이 버스페이스에서 책의 내용을 그대로 단 몇초만에 전송하는 것으로 끝날 것이다. 이렇게 되 면 가상서점에서는 주문에 응하고 주문 받은 책을 수집하여 항공우편으로 전송하는 사람은 필요없을것이다소프트웨어가주문을받고내용을전송하는등모든일을해줄수있., 을것이다. 여기에는 사회적 문제가 제기된다. 책을 산 사람은 그 즉시 그 책의 내용을 수많은 사람에 게 무한정하게 전송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게 된다.. 여기에 두 가지 대안이 있다 하나는 지적재산권에 관한 법을 적용하여 계속 처벌하거나, 아니면 그에 대한 윤리가 형성되거나 하는 것이다.- 이 점에 관하여 앞에서 지적재산권과 윤리의 문제를 다룬 바가 있다. 아니면 경제체제가 바뀌어 책의 배포를 무료화하고 책의 저자는 국가나 다른 방법을 통하여 대가를 받는 것이다.. 이것은 현실의 경제체제가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사이버스페이스의 성격 때문에 현실의 경제체제-- 자본주의 자를 변혁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 이와 같이 사이버스페이스에 대한 상상력도 현실의 정치ㆍㆍ 경제 사회체제를 전제로 하느냐, 체제 자체의 변혁도 가정하느냐에 따라서 전혀 달라진다.

-236- 그리하여 사이버스페이스 사회() 정보사회 에 대한 전망은 현재로서는 예측과 상상력의 차원 이혼재되어있다여기에서는몇가지예측대단히많은사회적조건을사상.- ()捨象 한예측 -.을 살펴보고자 한다 73)

가. 집중에서 분산으로 (Focused/Fragmented)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자신의 실제 모습을 출현시키는 대신에 자신이 사용하는ID 와 패스 워드를 제시한다.-,, 따라서 사이버스페이스 상의 커뮤니케이션 공간 주식정보 토론그룹 음란 물 사이트 등-ID.‘’ 마다 여러 가지의 다른 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자연공간에서는 나 라 는 육체적인 정체성으로 집중되어 있지만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내가 사용하는ID 와 패스 워드로 분산되어 나타난다. 또한 네트워크 상에서 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상호간에 서로의 신상명세를 쉽게 조작하여 실체를 숨길 수 있다. 또 전자공간 상에서 네티즌들은 자신의 특 정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대리인을 생성하고,.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소프트웨 어대리인은전자공간상에서쉼없이위임된일을수행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에이전트(programmed agents) 는 접수되는 전자메일의 발신주소를 검사하여 불필요한 항목을 삭제하고 나머지는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한다. 보다 지능을 갖 춘 에이전트는 자동적으로 다른 에이전트들과 접촉해서 일정을 조정하고 편리한 시간에 필 요한 회합을 주선한다., 또 다른 에이전트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주식시장을 감시하고 일정 하게 프로그램된 전략에 따라 팔고 사고를 계속한다. 이외에도 유선 뉴스 서비스 검색 및 관련 뉴스 추천 에이전트도 있다. 보다 악의적으로 생성된 에이전트 중에는 디지탈 고속도 로와 샛길을 배회하다가 상대방의 파일을 손상시키고 가치 있는 정보를 약탈하고 경쟁 에이 전트를 제거하고 혹은 그 자신을 무한히 복사해서 시스템을 망쳐버릴 수도 있다. 우리 미래 의 로봇은 주요 도시를 철커덕거리며 다니는 금속제가 아니고, 네트워크상을 소리 없이 다 니는 소프트 사이보그이다.ID 이처럼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나 자신의 존재가 수많은 와 에 이전트로 분산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73) 이하W. J. Mitchell 의 City of Bits 에서 사이버스페이스사회에 대한 논의를 주로하고 사이 버스페이스사회에 관한 다른 논의들을 종합한다.

-237- 나. 동시성에서 비동시성으로 (Synchronous/Asynchronous)

저녁 식사 테이블이나 전통적인 세미나와 미팅룸에서 서로 얼굴을 마주하고 행해지는 사람 들의 대화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모두가 일치된 시간에 동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참석 자들은 모두 같은 장소에 오고,, 모든 사람들은 그들이 말하는 것을 듣고 보통은 즉각적으 로 반응한다. 전화와 라디오는 정보를 공간적으로 전파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이 동시성의 조건을 변경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편지와 우편체제,, 팩스기계 가정용 자동응답기 , 음성사서함들을 이용하면 비동시성 으로 의사를 전달할 수 있다. 사이버스페이스 네트워크 전자메일 그리고 전자게시판 등도 비동시성으로 작동할 수 있다. 비동기식 모드에서는 정보가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시차를 두고 전달되고 응답도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이루어진다. 이처럼 사이버스페이스는 자연공 간의 동시성을 시간과 공간적인 비동시성으로 확장하였다. 동시성의 확보가 항상 바람직하지는 않다. 보통우편 서비스의 지나친 배달지연이 해악이라 고 생각할 수 있지만,. 잘 조절된 비동시성은 그 나름대로의 장점을 갖고 있다 우리는 예기 치 않은 상대로부터 예기치 않은 의사소통 요구가 얼마나 불편한지 알고 있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전자적 비동시성은 도시생활과 도시양식에 급격한 영향을 줄 것이다. 실제로 일어나는 이벤트(events) 와 임의적인 시간에 옮겨진 재생사이의 구별은 매우 어려워 지거나 혹은 불가능하다.. 어떤 순간에 어떠한 일이라도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포럼이 이루어질 때,, 참석자들은 회합을 위해 직접 참가하는 대신 사전 조정되지 않은 게 시판 혹은 전자메일 메시지를 통해 임의의 시간에 접속하여 공간적으로 산재된 참석자들과 의 토론을 무한정 지속하게 될 것이다.. 이상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의 특징적 모습을 보았다 사이버스페이스는 자연공간의 공간성이 반공간성으로,, 형체성이 무형성으로 바뀌고 집중에 서 분산으로 동시성의 제약이 비동시성으로 바뀐다. 또한 접촉 대신에 네트워크상의 연결 (connection)로서 이루어진다 . 이제 사이버스페이스의 구체적인 실현 모습을 몇 가지 예로서 살펴보고자 한다.

-238- 사이버스페이스의 비동시성은 인생의 경험에까지 확장된다. 카네기 멜른 대학의 연구진들은 거대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살아있는 동안의 감각적인 경험은 저장할 수 있을것으로보고있다그렇게되면손자들이할아버지의인생경험을검색해볼수있게. 된다. 일년 5,842 시간 동안 시각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1,000, 15 년후에는 100 년치를 저장하는데$50 이면 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74)

2. 사이버스페이스의 사회경제적 성격

가. 극장에서 오락인프라로 (Theaters/ Entertainment Infrastructure)

전통적인 오락산업은 오락정보의 생산자와 유통자, 그리고 소비자들을 한 곳에 모아둘 수 있어야 하였다. 그러나 방송매체가 발달되면서 이러한 필요성은 점차 희박해지기 시작한다. 관중은 반드시 한곳에 모여져 있어야 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었고 배우나 가수 역시 반드시 관중 앞에 서지 않아도 멀리서 자신의 예술행위를 전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전통적인 오락산업의 형태가 완전히 바뀌어 나갈 것을 예고하고 있다.,, 배우와 가수 무대 그리고 관중들간의 공간적인 관계는 완전히 사라질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생산과 유통의 법칙을 새로이 형성한다. 전통적인 오락산업에서는 관중에서 다가가는 비용은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사이버스페이스의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달은 청중에게 배우나 가수가 다가설 수 있는 비용을 저렴하게 함으로써 매우 적은 예산으로도 얼마든지 자신의 예술활동을 생산하 고 유통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매우 특수한 취미를 가진 다양한 관중들과 이러 한관중들의욕구를충족시켜줄수있는특수하고도엄청나게다양한각종오락산업의발 달이 가능해지게 될 것이다. 점차 오락정보의 생산자와 소비자의 뚜렷한 구분은 사라져 갈 것이다.. 조만간 세계 전체가 전자무대가 될 것이다

나. 학교는 가상캠퍼스로 (Schoolhouses /Virtual Campuses)

74) Edupage, 22 June 1997

-239- 선생님이 말하면 학생들은 그 주변에 모여 앉아 듣고 대답을 하는 모습, 이것은 지금까지의 전형적인 학교의 모습이었다.. 이것은 대학도 마찬가지이다 현대의 대학은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수많은 강의실,,, 연구실 실험실 예술디자인 스튜디오 , 도서관 등의 건물들이 대학에 병설되어 있으며, 이들 건물들은 연결통로를 통하여 대부분이 서로 연결되 게 되어있다. 디지털 통신이 시작되자 몇몇 대학들은 대학 내에서의 네트워크의 유용성을 발전시켜 나가 기 시작하였다. 1960 년대의 다트마우스 대학 (Dartmouth), 1980 년대의 MIT 대학은 그 대표 적인 선구자들이었으며, 1990 년대에 들어서 대학 내에서의 네트워크 구성과 이용은 일상적 인일이되어버렸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인터넷은 대학간의 정보교류는 물론 세계와의 정보교류를 빠른 시간내에 달성하게 해 줌으로써 전통적인 대학교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뒤흔들어 놓기 시작 하였다. 온라인 학술회의가 등장하고 게시판은 전자게시판으로 대체되기 시작하였으며, 학 생들을 가르치거나 학자들간 지식을 나누고 공유하는 방법은 근본적으로 달라지기 시작하였 다..- 실험실조차도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 천체물리학을 위한 하바드 스미드소니언 센터에서는 컴퓨터관측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옥상에 설치된 천체망원경이 강 의실의 컴퓨터와 연결되어 옥상의 천체망원경을 조작하면서 원하는 천체에 대한 관측을 가 능하게 하고 있다.(LehighUniv) 리하이대학 의 한 교수는 수백마일 떨어진 OakRidge 국 립 실험실의 전자현미경을 인터넷을 통해 학교내의 맥킨토시 컴퓨터에 연결시켜서 사용하고 있다.75)

다. 감옥은 전자감시 프로그램 체제로 (Prisons/Electronics Supervision)

감옥은 병원과 같이 죄수들을 사회로부터 격리시켜 일정한 장소내에 구금하고 이들을 교화 시켜 나가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곳이다. 그러나 현대 전자기술은 전통적인 감옥의 기능 을 상당히 바꾸어 나가고 있다. 전자감시프로그램체제에서는 범법자들이 전자장치를 몸에 부축하도록 하여 이 장치로부터의 신호가 전화기의 모뎀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집에서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움직이게 허용하고 이 거리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교도소에 감금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한다.

75)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23.MAY,1997

-240- 더구나 이 전자장치가 죄수들의 행동을 밀접히 감시할 수 있게 하고 탈법행위를 할 때에는 수면제 등의 약물을 이 전자장치로부터 주입하게 한다든가 하여 범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까지 하고 있다.. 감옥은 더 이상 높은 담이나 망루를 만들 필요가 없어지게 되었다

라. 인간이 만든 법에서 전자부호화된 조건절로 (Human Laws/ Coded Conditionals)

사이버스페이스에서 활용 하는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의 개발에서는 프로그램 코드(CODE) 가 법이다.,PC,ATM 비디오 게임이나 의 이용 채팅룸 이용 등은 모두 프로그램으로 구축 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프로그램들이 따라야 할 규칙은 자연공간의 법과 같은 역할을 한 다.( 지금은 이러한 규칙이 대부분 원도우 운영체제에 의해서 정해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프 로그램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에서 명확하고 엄격하게 기술적 수준에서 이것은 모든 소프트웨어의 조건절(, 코드화된 규칙 만약 어떤 조건을 만족시키면 그때 어떠한 행동이 가 능하다). 의 문제이다 만약 당신이 ATM 현금 지급기를 사용하는데 있어 조건에 맞는 비밀번 호나 코드를 누르지 않으면()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당혹스러운 일을 당할 것이고 , 이 용에서 배제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연습도 불가하고 항변할 수도 없고 아첨을 떨거나 뇌 물을 주는 것도 통하지 않는다. 가능한 상호작용은 공식적으로 천명된 규칙에 의해 한계가 지워진다. 코드의 통제는 곧 힘이다. 사이버 공간 속의 시민에게 있어 컴퓨터 코드는 의도가 행해지고 계획이 실현되는 매개물이며,. 정치적 논쟁의 중요한 초점이 되고 있다

마. 이웃사촌에서 MUD 친구들로 (Neighorhoods/MUDs)

사이버스페이스에서MUD 를 어슬렁거리는 것은 마치 자연 공간에서 도시교외나 아웃마을을 돌아다니는 것과 같은 것으로 비유할 수 있다. 돌아다니는 MUD(Multiple-User-Dungeons)로 알려진 소프트웨어 구조물은 1980 년대 초기 이후 엄청 나게 많은 접속시간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것들은 종종 매우 크고 정교하게 만들어 온라 인 상에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역할수행게임(interactive-roll-playing-game) 을 위한 환경 을 제공하고,. 또 모든 인터넷 상에 흩어져 있는 매우 많은 참여자들을 끝어들인다

-241- 역사적으로 볼 때 사이버스페이스는 도시의 출현과 비슷하다. 도시에는 특징 있는 다양한 장소와 가볼 곳이 생겨나고 이들 장소를 연결하는 광범위하고 복잡한 도로망과 교통체계가 있다. 마찬가지로 사이버스페이스에서도 이러한 네트워크를 갖추고서 인간의 감각을 대신해 줄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서 사회 문화적 풍족성을 갖는 도시가 형성되는 것이다. 사이버스 페이스에서도 도시 계획은 바로 연결공간을 창조하는 것이 된다., 즉 공간의 창시자가 되는 것이다.

바. 선거정치로부터 전자여론으로 (Electoral Polics/ Electronic Polls)

사이버시대에는 전자장치와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정치적 구조물들 이 대체되어 갈 것이다 . 초기에는국회가점차가상화해갈것이다국회의사당에함께모여서토론하는것이아니. 라 대의원들이 컴퓨터 단말기로 연결되어 그들의 의견을 개진하게 된다. 이것은 그렇게 실 현하기 어려운 일이 아니다. 미국의 의사당은 이미 투표를 전산처리하는 시스템을 완비하여 가동하고 있고,TV. 그 진행과정이 케이블 로 방송되고 있다 코스타리카에서는 인터넷으로 대통령선거를 테스트해보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를 철회하였는데 그 이유는 선거에서 패배한 당이 인터넷 선거 테스트가 패배의 이유라고 하여 문제를 일으킬 소지 때 문으로 추측되었다. 그러나 정치에서는 그들이 함께 모이는가 아닌가 하는 문제보다 더 중요한 일이 있다. 누가 파워를 가지고 있느냐,. 그가 누구의 이익을 더 많이 대변하느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전통 적인 선거제도는 이런 과정을 탐색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우선 작동사 이클이 너무 느리다.,24 즉~ 년마다 한번씩 치러지는 선거는 사실피드백이 너무 느리다 . 그 리고 선거에서는 논쟁의 초점이 불투명하다. 비용이 많이 들어서 이 사이클을 한번 더 돌린 다는 것은 현실적이지 못하다. 하지만 사이버 정치는 이런 문제점들을 많이 해소시킨다. 메사츄세츠 공과대학에서는 학생 회장 선거에 온라인 투표제도를 적용하여서 호평을 받았다. 투표자의 신상을 비밀로 처리할 수 있는 암호화 기술이 개발된다면 전자투표는 더욱 더 빨리 보급될 것이다. (Mitchell,1997,p,153)정치에전자적인피드백을하는다른방법도있다 .

-242- 예를 들면, 미국에서는 대통령에게 자신의 의견 [email protected]. 으로 보낼 수 있다.. 이러한 제안제도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다 전통적인 정치는 모두 지엽말단적이다. 그러나 사이버 정치는 전혀 그렇지 않고 오히려 개 방적/. 전체적이다 사이버공간은 정치제도와 정치과정을 근본부터 변화시킬 잠재력이 있다. 사이버공간은 지리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시민들이 서로 의사소통하고 연합하게 만드는 방법 을 찾아준다.. 이슈를 형성하고 가다듬을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 그리고 의사결정과 피드 백을 더 빠른 속도로 가능하게 만들어 준다.

사. 추방으로부터 시스템관리자의 블랙리스트로 (Banishment/Sysop Blacklist)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권력자가 육체적인 구속으로 권력을 행사하지 못한다. 따라서 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권력은 폭력(violence) 을 행사하는 방법으로 권력을 행사하지 못한다 . 대신 에 사이버스페이스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제한하는 방법을 택한다. 전통사회 에서 정치범은 감옥에 수감되거나 추방되었다. 그러나 사이버시대의 정치범은 감옥에 갇히 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로부터 추방을 받는다. 즉 그의 명단이 시스템 운영자의 블랙리스 트에 등재되면 시삽은 그의 네트워크 접속권을 박탈하거나 제한한다. 사이버시대에 네트워 크상에 자신의 정보를 등재할 수 없는 사람은 곧 감옥에 갇힌 것이나 마찬가지가 된다. 더 이상새로운정보를만들어낼수없는사람은죽은사람이나다름없기때문이다. 언어() 또는 음성 폭력 또한 중요한 문제이다 . 사이버공간에서는 언어폭력을 일삼는 사람에 대해서 육체적인 벌을 가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언어 폭력자들이 난무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또 어떤 사람이 시스템 운영자에 반기를 들었다면 그는 네트워크 접속권을 박탈당할 위험을 무릅써야 한다., 즉 시삽의 독재가 등장할 개연성도 있다 .

아. 아날로그 경제에서 디지털 경제로 (Economics 101 / Economics 0 & 1)

산업혁명 이후에는 영국의 맨체스터나 미국의 피츠버그와 같은 산업도시가 생겨났다. 그러 나 사이버스페이스에서 경제적 추진력은 정보사업이다.,, 디지털 정보를 생산하고 가공하고 분배하고 소비하는 경제가 되는 것이다.

-243- 미래사회에서는1, 2, 3 차 산업은 내용이 완전히 바뀌게 될 것이다 . 정보사회에서 1 차산업은 데이터의 수집과 저장(stored data) 을 의미한다 . 2 차산업은 원자료 (raw data) 를 가공하여 정 보(information) 로 바꾸는 산업이다 . 3 차산업은 정보 브로커 산업이 될 것이다 . 지금 이것은 이미 실현되고 있다. 인터넷상에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는 온라인으로 상점을 개설하여 판 매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농부들이 수확물을 시장에 내다팔기 위해 기차에 선적했던 것처럼,1 정보의 차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데이터를 정보통신망 (Net). 에 선적할 것이다 정보상품의 생산자들은 통신망에서 원자료 공급자들을 찾아내어 그것으로 가공품을 만든 후 통신망에다 다시 선적하게 된다. 판매자나 전문 컨설턴트들은 변화가 거리에도 상점을 차리 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상의 주소지에다 상점을 차린다. 이런 형태의 상업이 크게 붐을 일으킬 것이다.

자. 물질상품으로부터 지적재산권으로 (Tangible Goods/Intellectual Property)

경제가 디지털 경제로 바뀌면서0/1 비트로 된 지적저작물이 값을 가지게 된다 . 따라서 사이 버스페이스 정보사회에서는 재산권의 의미와 대상이 크게 달라진다. 재산권은 자본주의의 핵심적인 권리이다. 그런데 이 재산권의 대상이 물질상품으로부터 지적재산권과 특허권으로 옮겨진다., 인쇄된 책 비디오테이프에 담긴 영화 , 인터넷 온라인으로 전송되는 각종 소프트 웨어가 모두 지적재산권의 대상이 된다. 전통사회에서는 구매하는 물건에 대하여 가격을 부과하였다. 그러나 전자 문건이나 데이터 거래에 있어서는 물건내용에 대하여 가격이 매겨지는 것이 아니라 사용시간에 가격을 부과 한다.,(:ACM 대학에서 사용하는 온라인 책이나 전자저널의 구독권 전자도서관 이용권 예 의 디지털 도서관1 년 사용료는 $89,000 이다 .) 각종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연간 사용권 (licence)을 구매해야 한다 . 그러나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지적상품에 대한 거래방식은 새롭 게개발되어야할것이다.

차. 물류로부터 정보흐름으로 (Moving Material/Processing Bits)

정보사회 주창자들이 공통적으로 범하는 오류가 있다. 사이버공간상에서의 경제행위는 사이 버공간 내에서 독자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생각하는 것이다.

-244- 그러나 전자정보는 그것이 물질세계와 밀접히 연결될 때 비로소 가치를 갖는 경우가 대부분 이다., 즉 사이버공간에서의 데이터 접속은 그것들이 농업수확물 , 공장생산물 등과 연결되거 나 조직관리와 공공기관 등과 연결될 때 진정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정보화는 경제행위를 분권화() 분산화 시키는 동시에 집권화 (). 집중화 시킨다 정보 네트워크를 통해서 관리자들은 세계도처에다 공장을 만들어서 분산시켜 놓고 세계곳곳의 시장에 공급한 다. 사이버스페이스 경제에서 분권화는 촉진되고 자본의 자유로운 흐름은 극대화 될 것이 다. 그런 한편 물건의 생산은 원자재의 획득 용이성과 연결될 수 밖에 없으므로 그런 곳으 로 집중하는 것도 가속화 될 것이다. 특히 정보네트워크 역시 인구 밀집지역에서 먼저 구축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집권화 집중화 는 분권화 분산화 와 동시에 강 화될 것이다.() 위의 여러 상상들은 기술적 가능성에 기초하고 오늘의 현실 근대사회 에 관한 문제들의 대체안으로서 사회적 상상력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나오는 상상력이다. 가령 근대 의 감옥에 대하여 정보기술을 적용하여 변화시킨다면 전자감시프로그램 체제와 같은 상상력 이나올수있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관한 이러한 상상에서 빠지기 쉬운 함정은 기술적 가능성과 사회적 현 실성을 혼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함정을 피하기 위해서는 사이버스페이스의 구조적 본질에 대해서 살펴보지 않으면 안된다.

3. 사이버스페이스의 구조적 본질

앞에서 말한대로 정보사회에 대한 상상력의 한계는 두 가지 함정이 있다. 첫째는 기술적 상 상력에 있어서의 오해이다. 인터넷 공간은 커뮤니케이션에서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인터넷 공간은 기술적으로 커뮤니케이션 공간이 라고 말하는 것은 부적절한 것이다. 인터넷 공간은 데이터 ( 내지 정보 ) 가 진열 (display) 되어 있는 것이지 데이터 상호간에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둘째로 사회적 상상 력이 현재의 사회() 근대사회 를 전제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 예를 들면 주민등록증 제도 자 체의 역사성을 무시하고 여기에 정보기술을 적용시키면 전자주민등록증의 상상력이 나오는 것이다.

-245- 이러한 점에서 사이버스페이스의 본질에 대하여 좀더 깊은 천착을 필요로 한다. 사이버스페 이스의 기본적인 성격은 그것이 인간에게 주어진 자연으로서의 자연공간() 자연공간 이 아니 라 인위적 공간, 인공적 공간 (artificial, man-made space) 이라는 것이다 . 그것은 인간이 만 든 공간이다.. 정확히는 역사적 현재에 전세계 인류가 만들고 있는 공간이다 이 공간은 우선 기술적으로 만들어지는 공간이다. 따라서 아무런 비용이나 노력없이 그냥 주어지는 공간이 아니다.(). 다음으로 사이버스페이스는 인식認識 의 공간이다 우리 육체가 움직이는 공간이 아니라 인간의 인식에서 형성되는 공간이다.. 그리고 인식의 방식도 자연공간과는 다르다 디 지털화된 정보자료들이 바탕이 되는- 말하자면 일체의 것을 데이터베이스의 형식을 통하여 재구성하는 인식의 공간인 것이다., 그리하여 사이버스페이스는 크게 두 개의 층 기술의 층 과 인식의 층이 있다.. 이것을 세분하면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가. 사이버스페이스의 기술적 구조 : [Technological Structure]76)

1)네트워크기술기판 (Network Technology Substrate) 사이버스페이스는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일종의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가 형성되려면 우선 상호연결의 기술세트가 구성되어야 한다.,,, 가령 구리선 광섬유 마이크로웨이브 무선 등으 로 연결되지 않으면 안된다.( 통신링크 ). 또한 이러한 연결은 단순히 선만으로 이루어지는 것 이 아니라,,ATM,, 패킷 스위치 스위치 회로 스위치 축적 교환스위치 , 광 파장 분할 멀티플 랙서,.,, 등등의 통신용 스위치에 의하여 접합되어야 한다 기타 스위칭 라우팅 네트워크 관리 감독의 매카니즘이 포함된다. 사이버스페이스는 바로 이러한 물리적 기술적 기반위에 성립 하는 것이다. 이 기반은 가공되지 않는 비트의 전송 연결물 (raw bit carrying fabric) 이다 .

76) 사이버스페이스의 기술적 구조에 관해서는<-NII>( 인터넷 그 이후 의 비전 한국전자통신연구 원)] 에서 미국 컴퓨터과학통신위원회의 관점에서는 전송계층 위에 미들웨어 서비스 계층과 어 플리케이션 계층이 있는 것으로 규정한다. 본고에서는 이 두계층을 모두 합하여 플랫폼 계층 으로 처리하였다.-- 이와 같은 사이버스페이스의 기술적 구조 또는 네트워크의 구조 에 대해서 는<>(),, 전자공간시대의 정보통신정책학 하원규 저 에서는 네트워크 기관 플랫폼 컨텐트 세 개 의 계층으로 나누고 있으며,21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개최한 세기 정보화사회의 준비라는 제목의 토론회에서는 물리기반망,,,, 응용서비스망 정보시스템 정보자원 제도 등을 정보화 요소 라는 이름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외 NRC 의 Marjory S, Blumenthal 의 IEEE Computer, Jan 1997 vo1.30, No.1 "Unprdictable Certainty: The Internet and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e"에 있는 Data Network Architecture 도 유사한 논의를 하고 있다 .

-246- 2)베어러 서비스 (Bearer Service) 계층 이 계층은 네트워크에서의 기술적 발전을 위하여 기술기판과 상위의 전송계층 이상의 계층 을 분리하고 비트를 단순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계층에서는 비트를 전송하는 것이고 비 트는 다만 비트일 뿐이다.( 이 점 그 상위의 전송계층에서는 특정한 양식으로 포맷된 비트열 이라는 것과 구별된다). 여기에서의 비트의 형태는 네트워크안에서와 교환기 및 라우터 안 에서 구현되는 표준이다.IP 가령 프로토콜과 같은 것이 이 계층에 속한다 .IP 프로토콜은 아 래의 네트워크 기술기판의 어떤 특정 기술에 종속되지 않도록 신중하게 정의된 것이다. 그 렇게 함으로써 다양한 기술혁신이 가능하게 된다.IP 또한 프로토콜은 전송계층 이상의 상위 의 서비스들이 아래의 네트워크 기술기판을 고려하지 않고 오직IP 프로토콜만 받아들이면 되도록 한다.,,,, 파일 시스템 지원 프라이버시 보호 인증 기타 보안기능 원격 컴퓨터 액세스 서비스네임서버네트워크디렉토리의서비스등이포함,,

3)전송계층 (Transport Layer) 이것은 베어러 서비스를 어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한 엔드-- 투 엔드 공급서비스로 변환시켜주 는 기능을 한다.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표준이 여기에 포함된다. 비트 열(bitstream),,,,, 은 음성 비디오 텍스트 팩스 그래픽 이미지 같은 트래픽 형태로 차별 화 된다. 이러한 서로 다른 유형의 트래픽간의 공통요소는 그것이 모두 디지털 열이라는 것 이고 디지털 네트워크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는 점이다. 베어러 서비스와의 차이는 전송계층 은 네트워크와 엔드 노드에서 실현될 수 있는 서비스를 정의한다는 점이다. 결국 팩스 비디 오 오디오 텍스트 등과 연관된 전송서비스 및 표시표준이 여기에 속한다.

4)플랫폼 (Platform) 본래의 의미는 연단,, 무대 정거장의 승차장 등인데 , 컴퓨터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하드웨어 나 소프트웨어를 가리켜서 플랫폼이라고 한다.(ICchip) 컴퓨터는 최 하위층인 집적 회로 칩 수준의 하드웨어 층, 그 다음 층인 펌웨어 (firmware) 와 운영 체제 (OS) 의 층 그리고 최상층 인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층으로 구성되는 계층화된 장치이다 .( 때로는 최하위층만을 플 랫폼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우리는 전부 플랫폼으로 규정한다.

-247- 이렇게 규정함으로써 사이버스페이스의 기술적 계층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계층은 하드웨 어적 기준으로 메인 프레임,PC,, 개인용 전화기 테레비젼 등으로 나눌 수 있고 , 소프트웨어 적 기준으로 파일 시스템 지원,,,, 프라이버시 보호 인증 기타 보안기능 원격 컴퓨터 액세스 서비스,, 네임 서버 네트워크 디렉토리 서비스 , 전자화폐 등을 의미하는 미들웨어 (middleware),전자우편 , 항공예약 시스템 , 신용카드 인증처리 등을 포함하여 더 나아가 사 이버스페이스를 유통하는 모든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컨텐츠(application & contents)로 나눌 수 있다 . 어플리케이션과 컨텐츠는 일반사용자들이 알고 접하는 소프트웨 어의 최상위계층이다.

나.:EpistemeStructure 인식론적 구조 77)

1)데이터베이스 레벨 (Database Level) 이 수준은 기술적 차원이 끝나고 인식론적 관심에서 볼 때 사이버스페이스에 대한 가장 기 초적인 수준이다. 물론 일반적 의미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비유 이다.,, 엄밀히 말하면 사이버스페이스를 구성하고 있는 컨텐츠들은 데이터 정보 지식를 모 두 포함한다. 데이터는 사실 (fact) 을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전달될 수 있도록 표현된 것 (type+storage representation)이다 . 정보 (information) 는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데이터로부터 가공되고 종합된 의미 있는 데이터(data+program dedicated) 이고 , 지식 (knowledge)은 문제해결에 기여하는 것으로써 이해 (comprehension) 하고 분석 , 적용 , 평가 할수있는정보(information+solution) 이다이러한것들이축적되고진열되어있는것으로 . 인식되는 수준이 데이터베이스 레벨이다.

77) 사이버스페이스가 사회적 공간으로서 본질이 무엇인가에 관하여 본격적인 주제로 논의되고 있지 않으며 다만 막연하게 모든 논의의 암묵적 전제로-- 논자에 따라 서로 다른 전제 되어있 다. 가령 커뮤니케이션공간으로 보거나 커뮤니티로 보는 것 등이 그것이다. 만일 커뮤니케이 션공간으로 본다면 커뮤니케이션이론이 적용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공 간이건 커뮤니티이건 간에 그 본질적 형식은 데이터베이스를 형식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커 뮤니티,, 또는 시스템을 형식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커뮤니티라는 점이 더욱 본질적으로 규 정한다.

-248- 2)시스템 레벨 (System Level) 이 수준은 사이버스페이스의 여러 가지 프로그램() 내지 소프트웨어 들을 통하여 사실적 법률 적으로 유효한 인간관계,. 사회관계를 형성하는 수준이다 데이터베이스 수준은 개개인이 그 데이터() 내지 정보 를 이용하거나 추가하거나 검색하는 것으로 다만 개인적 행위에 지나지 않는다., 즉 사회적 수준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개인적 수준이다 . 이에 대하여 어떤 프로그램 ()내지 소프트웨어 들은 법률적으로 유효한 행위를 구성하거나 계속적인 인간관계 ( 내지 사회 관계) 를 구성하게 된다 ., 전자화폐 각종 예약 및 결제시스템 ,,,EDI 계약시스템 선거시스템 등이 이 수준이다. 이 수준은 사이버스페이스 고유의 형식으로 사회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며, 그런 의미에서 이미 사이버스페이스는 이미 사회경제적 공간이 된다. 시스템 레벨의 특 이한 점은 자연공간과는 달리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인간이 사회관계를 맺는 것 자체가 이 러한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며 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다른 시스템을 개 발하지 않는 한).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는 없다는 것이다

3)사이버 리얼리티 레벨 (Cyber Reality Level) 이 수준은 사이버스페이스 상에서 하나의 가상적 현실을 형성하는 수준이다. 게임에서 가장 앞서 있는 것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도 그 한 예이다 . 아직 완전하게 사이버스페이 스에서 자연공간과 유사한 수준의 현실적 공간이 형성되지는 않고 있다. 그렇지만 가상현실 은 이미 그 길을 열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게임이 아니라 실제적인 인간관계 사회관계 공동체관계를 형성하는 커뮤니티의 실험들이 이러한 것을 지향하고 있다.

4)리터러시 (Literacy) 사이버스페이스 자체는 아니라 하더라도 사이버스페이스에 참여하는 인간 역시 중요한 사이 버스페이스의 구성요소이다. 자연공간과는 달리 사이버스페이스는 모든 사람이 저절로 참여 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사이버스페이스에 참여하려면 인간은 일정한 능력 안정한 자격을 가져야 한다.( 자연공간에 있어서는 공간에 존재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공간에 존재하지 않 으면 죽은 것이다). 그렇지만 사이버스페이스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은 우선 컴퓨터를 사용할수있어야한다이것을컴퓨터문해력. (Computer literacy) 라고할수있다 .

-249- 그외 사이버스페이스의 컨텐츠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으로 포괄하여 언어적 문해력 (Language literacy)이 필요하다 . 또한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개인은 자연공간에서의 사람의 만남과는 다르게 어느 정도의 지적인 능력(Knowledge literacy) 이 필요하다 .

사이버스페이스는 위와 같이 몇 개의 계층적 구조를 가진 인위적이고 기술적인 공간이다. 이러한 계층적 구조는 사이버스페이스를 구축하는 것에 있어서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왜냐 하면 각 계층에 걸쳐서 그것을 구축하는 산업(), 정보산업 그것의 표준을 지배하려하는 경쟁 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것이 바로 오늘날 정보화의 본질적인 모습이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이러한 사이버스페이스의 사회적 관계,() 사회시스템은 기존의 현실공간 자연공간 의 그것과는 전혀 다른 논리성,. 법칙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정보사회에 사회적 시스템의 변화를 야기하는 본질적 이유를 바로 이것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정보사회 그 리고 정보화의 과정은 크게 두 가지 중요한 분야가 제기된다. 하나는 사이버스페이스를 구 축하는 과정에 있어서 경제적 경쟁의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사이버스페이스가 등장함으로 써 야기되는 사회시스템의 변혁의 문제이다.

4. 사이버스페이스 패러다임과 시민정보사회

가. 데이터베이스 레벨의 사회적 변화

사이버스페이스의 인식론적 구조로서 데이터베이스 레벨은 단순히 데이터를 축적하고 검색 하는 차원이 아니다. 데이터베이스를 매개로 하는 일체의 사회관계의 재구성이 이 수준에 속한다.()‘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주체 사이버시티즌 와 그 정체성의 모습들이 앞에서 집중에 서 분산으로(Focused/Fragmented)' 에서 묘사되고 있는 모습이다 .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 서는 모든 인간은 데이터( 그리고 정보 ) 를 처리하는 자 (information processor) 이다 . 그리고 그것은 자연인으로서의 하나의 개인으로 집중되지 않고 다양한 모습으로 분산될 수 있는 것 이다. ‘ 동시성에서 비동시성으로 (Synchronous/Asynchronous)’ 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는 인간관계의 시간적 형식을 보여준다.

-250- 인간관계는 자연공간에서와 같이 동시성() 서로 같은 시간에 만남 이 일상적 형식이 아니라 , 비동시적인 데이터() 정보 의 교류관계가 인간관계의 일반적인 모습인 것이다 . 그리하여 데이 터베이스 레벨에서 정보사회의 일반적인 모습은 데이터() 정보 를 매개로 하는 인간관계의 형 성이 주요한 형식들이다. 이것은 경제에서도 시장과 특히 유통의 차원에서 거대한 혁명을 의미한다. 거대시장에서 개 별 고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개별 고객의 요구와 주문에 응하는 대량고객시장(mass customization)으로 바뀌는 것이다 . 데이터 레벨에서의 변화는 정치에서도 정치지도자의 선출이나 여론의 형성에서 근본적인 변 화의 길을 열어준다. ‘ 선거정치에서 전자여론으로 (electorial politics/electronic polls)’ 으로 의 변화가 이것을 의미한다.. 우선 선거는 일정한 시간대에 모든 사람이 투표하는 행위이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비동시성은 어떤 정치지도자에 대한 지지를 이러한 동시적 투표가 아 니라, 비동시적인 지지표시와 지지의 철회들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변혁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기적인 선거는 필요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정치지도자의 충원방식도 근본적으 로 변혁된다. 여론도 마찬가지로 매스콤의 방식이 아니라 모든 시민이 자신의 의견을 개진 할 수 있으며, 시민에게 의견개진을 하게 하는 동기와 이러한 수많은 의견들을 종합하는 방 식의 문제가 된다.. 문제는 이러한 가능성을 어떻게 정치제도화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그것 은 민주주의의 체제의 변혁을 의미하고 동시에 인간의 정치적 동기를 재규정하는 것을 의미 한다.

나. 시스템 레벨의 사회적 변화

단순히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인간이 만나는 것을 넘어서‘ 다수의 인간을 지속적인 관계 속으로 편성’ 하는 것이 시스템이다 . ‘ 학교에서 가상 캠퍼스로 (Schoolhouses /Virtual Campus)'의 변화는 이러한 시스템의 변화를 의미한다 . 이제까지 학교는 학교건물 ( 캠퍼스 ) 이 라는 물리적 공간이 시스템의 중심적 요소였다. 정보사회에서는 가상서점이 책의 진열공간 ()즉 서점 이 필요없는 것과 같이 학교라는 시스템에서도 학교건물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 은아니다.

-251- ‘감옥은 전자감시프로그램 체제로 (Prisons/Electronic Supervision)' 의 변화 , ’ 추방으로부터 시스템관리자의 블랙리스트로(Banishment/ Sysop Blacklist)’ 의 변화 , ‘ 물류로부터 정보흐름 으로(Moving Material/Processing Bits)’ 의 변화들은 모두 물리적 공간의 필요성을 소멸시키 거나 감소시키고 이것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시스템으로 대체하는 변화를 본질로 한다. 이에 따라 아날로그적인 물질들 보다 그것과 연관된 디지털화된 컨텐츠들이 더욱 중요하고 결정적인 사회적 의미를 갖게 되는 경향이 생겨난다. 아날로그 경제로부터 디지털 경제로(Economics 101/Economics 0 and 1) 로의 변화 , 상품 소유권으로부터 지적재산권으로(Tangible Goods/Intellectual Property)’ 의 변화 , 인간이 만 든 법률에서 전자부호화된 법으로(Human Laws/Coded Conditionals) 의 변화 등은 모두 이 러한 시스템의 변화 내지 그에 따른 사회적 가치의 변화를 의미한다.

다. 사이버 현실 수준의 사회적 변화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인간관계, 사이버스페이스에서 다수의 인간관계를 지속적으 로 조직하는 시스템의 변화를 넘어서면, 사이버스페이스 세계 자체가 현실의 한 요소가 되 고 나아가 가장 기초가 되는 기반을 형성하는 현실이 된다. 이것은 사이버스페이스에 또 하 나의 현실(cyber reality) 을 창조하는 것이다 . 그것은 인간의 인식을 통하여 구성하는 현실 에서 중대한 비중을 차지하는 현실이 된다. 인간의 인식으로 구성하는 현실은 상당한 정도로 공간적 이미지를 포함한다. 이것은 인간의 인식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눈()眼 에 의한 인식이기 때문이다 . 그리하여 사이버 현실 역 시 공간적 이미지가 중요한 요소이다. 아직 이런 단계로까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는 발전되 어 있지 않다. 그렇지만 앞에서 말한 ‘ 이웃사촌에서 MUD 친구들로 (Neighborhood/MUDs)’ 의 변화, 극장에서 가상오락으로 (Theaters/Entertainment Infrastructure) 의 변화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근대사회로 들어오면서 물리적 공간에서의 이웃의 개념은 많이 퇴색하였다. 사이버 스페이스 사회에서는 이웃보다는 다수의 사람이 참가하는 게임공간에서의 친구들이 이웃보 다 더 가까운 사이가 될 지도 모른다.(VirtualReality) 게임의 가상현실 은 현실세계와 유사 한 충분한 체험과 기억과 그에 연계된 인간관계를 형성시킨다.

-252- 연예오락의 분야도 마찬가지이다. 근대이전의 사회에서 연예는 물리적 공간인 극장에서 보 이는 것이었다. 텔레비젼방송은 만들어진 무대 위의 테레비젼 쇼와 드라마의 세계를 제시하 였다.. 오늘날 쇼와 드라마는 우리의 인식에서 현실의 한 요소이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무 대마저 필요없게 되었으며 배우마저 반드시 실존인물일 필요가 없게 만들고 있다. 이와 같 은 사이버현실은 경제ㆍ 정치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사이버 경제공동체가 현실의 시장보다 더욱더현실이되고사이버공화국이현실의국가보다더욱중요해질수있다.

라정보화.

정보화는 현실 사회의 예상() 또는 비전 으로서의 궁극적인 정보사회 ( 사이버스페이스사회 ) 로 나아가는 의도적인 전환과정이다.(,) 그리하여 정보화는 근대사회 자연공간 현실공간 와 정보 사회() 사이버스페이스사회 와의 접합점이고 접합하는 과정이다 . 정보화의 과정도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인공적인 공간으로서의 사이버스페이스를 인위적ㆍ 기술적으로 구축하는 과정이다. 실제 지금까지의 정보화 과정은 사이버스페이스를 구축하는 과정-,,, 네트워크기술기판의 구축 베어러서비스의 규정 전송계층의 건설 플랫폼의 확산-, 에 집중되어 있었고 지금도 이 분야가 정보화의 주요한 과제들이다 . 둘째,. 인식공간으로서의 사이버스페이스를 사회적으로 창조하는 과정이다 이것은 기술적인 문제를 포함하여 사이버스페이스를 더욱 풍요하게 하고, 사회적 공간으로 만들면서 그와 함 께 현실사회의 제도적 문화적 체제적 요소들을 변혁하는 과정이다. 사이버스페이스의 멀티 미디어화,,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사회적 법률적 관계를 형성하는 시스템의 창조 현실의 정치 경제시스템의 변화 등이 모두 여기에 속한다. 이런 측면에서는 정보화는 단순히 경제나 사 회에 정보기술을 적용하는 차원이 아니라 사회 전체를 새로이 창조하는 사회재설계(Society Redesign)내지 사회재창조 (Reinventing of Society) 의 문제가 된다 . 정보화에 대한 방향의식,, 정보사회에 대한 비전의 차이가 현실의 정보화전략 정보화정책에 큰 차이를 만든다. 정보사회에 대한 가장 깊은 인식과 통찰은 역시 정보사회 선진국인 미국 이라고해야할것이다.

-253- 미국이 이제까지 추구해 온 정보화전략은 다른 국가에서는 상상하지 못했던 상상력과 통찰 을 담고 있다.( 이것은 제 2 절에서 다시 다루고자 한다 .) 가령 다음과 같은 내용이 그것이다 .

미국의 컴퓨터 기술에 관한 저널Communications of the ACM 에서는 1995 년 11 월부터 전자마을(digital village) 이란 고정 column 을 할당하고 있다 .

1. (처녀 항해 ), Hal Berghel, Communications of the ACM November 1995/ vol. 38, No. 14 Hal Berghel은 University of Arkansas 컴퓨터사이언스 교수 , http://www.acm.org/~hlb에서볼수있다 .

내용: 더 나은 사회를 위해서 기술을 활용하고 사이버 공간에서 정보와 사이버 공간상의 여러 가 지 도구( 전자메일 등 ) 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digital village’ 란 칼럼을 신설하였 다. (1) A new Digital Era(새로운 디지털 시대 ) 사이버스페이스와 사이버미디어 시대인 디지털 시대를 맞고 있다. 사이버스페이스는 무한히 뻗을 수 있고, 임의적으로 얼마든지 확장할 수 있는 연속적인 시 공간(space-time continuum) 이다 . 지금까지 계산기술의 발달은 문제 풀기에 국한되어 있었지만,, 지금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파일들, 디지털화 된 여러 가지 자원들을 묶어서 공통의 사회 구조를 구축할 수 있게 된 것 이다. (2)전자 마을 (digital village) 의 특성 a.실시간 멤버십을 가진다 (Real-time membership) : 사람간의 직접 접촉에 의한 다른 사 회적 조직(social organization) 과 달리 , 전자마을은 어떤 특별한 기반 구조 (infrastructure) 가 필요 없다., 전자마을에 소속되거나 탈퇴하는 것이 자유롭고 충동적이며 다이내믹한 멤 버십에 기초를 두고서 독특한 지속적인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다. 조직적인 행위 (organizational behavior)가 아니라 네트워킹 ( 연결망 형성 ) 에서 작동한다 .

-254- b.자생적이고 자율적이다 (Self-organizing and self administered) : 흥미와 관심이 바뀜에 따라서 구성 멤버십이 끊임없이 변한다. 전자마을의 관리가 계속적으 로 변하고, 무정부적 (anarchic) 이며 , 따라서 지극히 민주적이며 , 바깥사람이 보기에는 전자 마을을 통솔하는 규칙이 계속적으로 바뀐다. c.동태적이다 (Dynamic) : 구성원이 바뀌고 흥미가 변함에 따라 초점 ( 또는 구심점 : Focus, point of convergence)이 계속 변하고 이것이 전자마을의 활력소가 된다 . d.집중형이다 (Focused) : 초점은 계속 변한다 . 관심에 따라서 구성원들이나 흥미의 초점이 합치했다가도 분산된다. e.상호 응답식이다 (Interactive) : 네트워크 게임이나 머드 (mudding) 게임처럼 전자마을은 상호응답식이다. f.전세계적이다 (global) : 전자마을은 지역적으로 국한되지 않는다 . 정보흐름과 네트워킹이 자유롭기때문이다인터넷에접속하는사람은누구나전자마을의구성원이될수있다.. g.참여적이다 (participatory) : 전자마을 공동체의 참여적인 특성은 , 컴퓨터나 프로그램과 응 답식으로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상상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서로간의 참여가 이루어 지는 사회이다.

제2 절 미국의 정보화 전략

1. 미국의 자산

미국의 정보화전략은 미국만이 가지고 있는 특수한 자산이라는 배경을 염두에 두고 이해해 야 한다. 미국은 다른 국가들이 전혀 가질 수 없는 엄청난 자산을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자 산을 배경으로 하여 정보화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의 정보화 전략과 시민정보사 회를 추진하는데 중요한 참고사항이 된다.. 미국의 자산은 다음과 같이 열거할 수 있다

-255- 1)기축통화 달러 (dollar)… 세뇨리지 (seigniorage) 미국의 화폐 달러는 전세계의 기축통화이다. 다시 말하면 미국은 세계의 기축통화를 발행할 수 있는 유일한 권리를 가진 국가이다.(seigniorag 세계전체에 대하여 유일하게 세뇨리지 e)78) 특권을 보유한 국가이다.. 따라서 미국은 자국의 달러가 부족할 위험도 없다 마치 우리 나라에서 우리나라 돈이 부족할 염려가 없는 것과 같다. 이것은 미국은 다른 나라들과는 달리 외환이 부족할 위험이 없다는 것을 말한다. 간단히 말 해서 외환위기가 있을 수 없는 국가이다. 미국은 자신의 달러로서 다른 국가의 통화와 교환 할 수 있고,.() 다른 나라의 실물자산을 취득할 수 있다 우리는 그리고 다른 나라도 오직 우리 가 취득한 달러로서만 다른 나라의 화폐를 얻을 수 있고 다른 나라의 실물자산을 취득할 수 있다. 이는 미국이 어떤 산업분야에서 외국과 관계를 맺고 경제적으로 비용을 지출할 때 특 별한 제한이나 한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정보산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달러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 통용되는 유일한 화폐가 될 것이다. 만일 유럽이 단일화폐를 창출하고, 아시아권이 단일화폐를 만들게 되는 날이 온다면 이들의 지역경제는 지금의 미국경제처럼 세계화될 것이다.. 이것은 정보사회에서 가능한 일이다 이 것이 우리의 정보화 전략에 주는 의미는 매우 크다.

2) 세계공용어로서의 영어 영어는 달러와 마찬가지로 세계의 공용어이다. 자연공간에서 언어는 다만 두 사람이 만나서 대화를 하거나 문서를 작성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언어는 모든 기 계들과 인간의 매개물이고,( 데이터 그리고 정보 ) 의 기반이며 사라지지 않고 계속 축적된다 . 기계를 작동시키는 명령어,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가 영어라는 것은 사이버스페이스 세 계를 창조하는 소재가 영어라는 것을 의미한다. 자연공간에서는 영어를 모르고 살아갈 수 있지만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영어를 알지 못하면 살아가지(). 참여하지 못한다

78) 세뇨리지(seigniorage) : 금 은 동 지금 (地金 ) 으로 화폐를 주조해 정부가 얻는 이익을 말하 며 이는 원래 영주(seignior) 가 화폐주조를 통하여 동주조비용을 충당한 후 이익을 얻을 수 있었고 그 이익분을seigniorage 라고 부른데 연유한다 . 오늘날 대다수 정부는 이러한 화폐주조 이익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한국가의 정부가 불환지폐를 발행해 거의 무상으로 실물자산에 대한 권리를 취득한다는 의미에서, 그리고 국제 적으로 기축통화국이 무이자부 통화발행을 통해 해외로부터의 실물자산을 취득한다는 의미에 서 이러한 이익을 일종의 세뇨리지로 파악할 수 있다.

-256- 나아가 인터넷 정보의90% 이상이 영어이다 . 네델란드나 프랑스 등 몇몇 국가가 인터넷에 자국어 병용을 의무화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프랑스에서는 인터넷상에서 외국어 ( 영어 ) 로 표현된 내용은 반드시 불어로도 표현해 두어야 하는 것을 법으로 정하고 있다.) 한자()漢子 는 영어와는 다른 표의문자이며 , 수천 년간 음성언어로서가 아니라 문자로서 중 국을 통일해 왔다. 만일 컴퓨터의 프로그램과 사이버스페이스의 언어로서 한자가 자리잡게 된다면 그때는 한자문명권이 중심이 될 것이다.( 현재로서 비관적이지만 역사는 길고 인구 의 비중은 중대한 것이다.) 사이버스페이스는 우선 언어의 영역에서 헤게모니가 결정된다 . 이 또한 우리의 정보화 전략에 시사하는 의미는 매우 크다.

3) 정보기술의 우위 정보기술에 있어서 미국의 압도적 우위는 말할 나위가 없다. 이것은 단순한 무형의 기술을 넘어서물질적모습을나타난다전세계에깔려있는대형호스트컴퓨터중절반이넘는.1 천11 만대를 미국이 보유하고 있다 . 전세계 PC 컴퓨터의 운영체제는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 사가 지배하고 있으며 일체의 소프트웨어는 마이크로소프트 운영체제에 맞추어야 하며, 세 계표준이 되려면 마이크로소프트에 의하여 선택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보기술의 우위는 과거 산업경제에서의 천연자연에 의한 우위, 영토의 크기에 의한 우위,. 인구에 의한 우위와 다를 바 없다 과거의 우위는 자연적 조건에 의한 것이었다 . 그러 나 지금의 정보기술에 의한 우위는 인공적인 것이다. 인공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 우위 는 자연적인 것 이상으로 견고한 우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정보화 전략은 이러한 정보기술에서 우위를 갖추는데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4) 창조의 문화 미국의 문화적 자산은 창조성이다. 미국의 문화는 상상력과 창조성에 사회적 가치를 가장 많이 부여하는 국가이다. 많은 국가에서 현실과 동떨어진 상상력과 창조성에 비난이 가해지 지만 미국은 그렇지 않다. 미국에서는 어떤 사람이 엉뚱한 상상력과 창조성에 진력하여 나 온 결과물이 전혀 사회 경제적으로 무의미하다고 하더라도 이웃에서는 그것을 받아들이고 소비하여 준다.

-257- 단지 창조적이라는 이유만으로 미국 벤처기업들의 성공확률은 다른 나라와 같이 지극히 낮 다. 그렇지만 실패에 비난을 가하지 않고 격려하기 때문에 벤처기업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타나며,. 따라서 엄청난 성공자들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여기서 다루고 있는 사이버스페이스는 그 속성상 동태적이고 창조적이다. 혼돈속에 서 새로움이 출현하는 것과 같다. 우리의 사이버스페이스 구축전략과 시민정보사회의 추진 도 이러한 창조성의 발휘가 동태적이고 자발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 다.

5) 민주주의의 힘 미국의 민주주의는 다른 국가에서는 가치와 이상으로만 보여진다. 그러나 미국의 민주주의 는 힘을 만드는 방법이다.. 앞에서 미국의 자산으로서 창조성의 문화를 들었다 창조성의 원 천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결합이고 다른 하나는 다수의 도전이다 창조성은 일반적으로 연 결되지 않는 두 개를 연결하는 아이디어에서 발생한다. 그리고 창조성은 수많은 사람들이 도전할 때 수많은 엉터리 아이디어 속에서 튀어나오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과 다수의 도전 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미국의 민주주의이다. 민주주의는 여러 사람간의 협동과 결합을 일 상적인 일로 만든다.( 반드시 권위자나 권력자가 없어도 협력이 가능하다 .) 민주주의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도전의 동기를 준다. 도전하여 성공하는 사람이 전체를 리드 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민주주의이다.. 이처럼 민주주의는 힘의 원천이다 시민정보사회의 의미도 이러한 연대와 다수의 도전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으로서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시민정보사회의 진정한 과제는 시민의 연대와 도전을 힘으로 만들 수 있는 가 하는 것이다.

2. 미국의 정보화 전략의 핵심

미국의 정보화 전략은 정보사회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를 구축하는 것이라는 통찰에 입각해 있다.(AlGore) 미국의 부통령 앨 고어 는 아직 네트워크나 인터넷이 대중에게는 알려지지도 않았던 시점( 보편적 인터넷 브라우저를 제공한 Netscape 사가 설립된 것은 1993 년 6 월 ) 이었 던1993 년 9 월 , 당시 일본경제에 추월당해 불황속에 허덕이던 미국의 희망을 제시하면서 'Action Agenda'를 발표하였다 .

-258- 그것은 정보초고속 도로의 건설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고어는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 「지금이야말로 행동할 때이다.21 정보초고속도로는 미국을 세기의 최강국으로 만들 것이 다. 미국 기업은 이를 통해 국제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국제시장에서 승리하고 국민에게 일 자리를 주고 경제성장을 실현할 것이다. ……」79) 앞에서 살펴본 미국의 자산을 염두해 둔다면 정보초고속도로에 의하여 전세계에 걸친 사이 버스페이스라는 신대륙의 창조를 역설한 셈이다. 창조성이 발휘되는 민주주의 공간을 정보 기술과 영어라는 언어, 그리고 달러라는 세계 기축통화 위에 신대륙을 건설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자연공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달러 ,,, 영어 기술 창조 의 문화,. 민주주의의 힘이 강력하게 나타난다 사이버스페이스 그 자체가 달러의 세계 , 영어 의 세계,,, 기술의 세계 창조의 세계 민주주의 가 힘이 되는 세계이기 때문이다 . 이것이 미 국의 정보화 전략의 핵심이고 동시에 전부이다. 우선 미국은 사이버스페이스의 기술적 구조에 집중하였다. 정보초고속도로를 궁극으로 하는 네트워크기술판의 여러 기술들, 베어러 서비스계층과 전송계층을 형성하는 여러 종류의 프 로토콜,, 표준의 제정에서 압도적 우위 플랫폼을 형성하는 컴퓨터와 운영체제의 미국에 의 한 지배 등 모든 면에서 미국이 앞서 나가고 세계적 표준을 장악하는 것이었다. 소프트웨어 에서 미국의 압도적 우위는 이러한 기술적 구조에서 전세계의 사이버스페이스를 미국이 혼 자 창조하고 다른 국가들은 소비자로 만든다. 이 과정에서 세계경제는 급격하게 구조적 변 동을 일으켰다. 정보화 분야에서 전세계 시장을 석권함으로써 미국 혼자 호황을 누리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충격이 가장 먼저 나타난 것은 세계금융체제이다. 세계금융체제는 과거의 경 제시스템이 아니라 전혀 새로운 시스템이다. 그것은 금융을 비롯한 모든 경제정보가 모든 사람( 이해관계와 관심을 가진 모든 사람 ) 에게 리얼타임 (real time) 으로 전파되고 매일 수천 억 달러에 이르는 거래들이 이루어지는 거대한 경제공간이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이 공간은 완전히 정보화되어 있으며,( 투자결정은 소프트웨어 가령 주가의 일정한 하락에 이르면 자동 적으로 판매하는Stop Loss 같은 일종의 Agent Software 같은 것 ) 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지 는것이다.

79) 박태견 저<>p.20 앨고어 정보초고속도로 길벗

-259- 일반인들의 컴퓨터 사용은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프로그램 코드에 지배를 받고, 모든 컴퓨터 사용자들은 그들이 프로그램한 대로 따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활용하는 대부분의 기술은 인텔사의 디자인을 따르고 있다. 공장에서 제품을 설계하는 데 사용하는CAD 프로그램이나 제조 공정에 활용하는 CAM 프로그램의 소프트웨어는 공장의 생산활동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미국에서 세 번째로 큰 제조업 분야가 되 었고,1 연간 수입만도 천억 달러를 넘고 있으며 , 소프트웨어 산업이 미국 경제의 주요한 추 진력이되고있다.80)그러나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모두 사이버스페이스의 암호기술에 실려서 전송되어 공급되고 있다.. 미국에서 개발된 암호기술은 미국 밖으로 개방되고 있지 않다 따 라서 우리나라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소프트웨어는 암호기술로서 보호받지 못하면서 수입 되는 소프트웨어는 암호기술로서 보호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사이버스페이스에 의한 현 실공간의 지배를 보여주는 예이다.

현재는 이러한 기술적 구조를 넘어서 인식의 구조를 창조해 내고 있다. 이제 기술적으로 사 이버스페이스를 구축하는 것과 함께 앞에서 말한 정보화의 또 하나의 측면, 인식론적 차원 의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를 창조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 레벨의 전자정부 시스템 레벨의 전자상거래가 그것이다.

3.전자정부 : 데이터베이스 레벨의 정보화 전략

가. 진행과정 이론에비하여정책이앞서가고정책에비하여기술혁신이앞서가는것이정보사회의특징 이다. 미국은 이미 1993 년에 NPR(National Performance Review) 에서 전자 정부의 계획 안으로'Reengineering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를 제출하였다 . 이 계획안을 실 행하기 위한 작업반GITS(Government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가 설립되고 1996 년에 중간보고서GITS Working Group Accomplishment Report 가 제출되었으며 실행계획 의 그 동안의 진행과정과 성과를 설명하고 있고, 동위원회는 1997 년 2 월에 정부혁신활동의 중간평가이자21 세기를 향한 새로운 개혁안으로서 'ACCESS America' 를 발표하였다 .

80) New York Times, 3 June 97

-260- 미국 전자정부계획 중에서 국제무역정보시스템을(1993 년 최초 계획안인 'Reengineering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해당항목에서 ) 살펴보자 . 「…무역 자료 정보 요구사항도 점차 커지고 있다. 예를 들면 , 1986 년 한 해상운송업자가 선하증권(B/L) 과 적하목록을 전자적으로 받기 시작했으나 , 1993 년 현재 전체의 76% 에 해 당하는 운송업자들이 전체 해상수입 선박톤수의80% 에 대해 전자적으로 선하증권을 발행 한다.1984 또한 년에는 해상운송 주선인들과 수입업자가 전체 세관 자료 입력의 8% 를 차 지했으나1993 년 현재 ACS(Automated Commercial System) 에 입력되는 자료의 93% 를 1,324개 업체의 해상운송 주선인들과 수입업자들이 제공한다 . 이들은 화물반출 , 관세납부 , 수입자 정보 갱신, 기타 기능 수행에 ACS 를 활용한다 . 현재 ACS 는 8 억 5 천 5 백만 건의 무 역기록을 보유하며 매일35 억 천만 건의 정보요청을 받고 일일 60 만 건의 거래를 처리한 다.」 이런 상황 속에서 미국은 모든 국제무역 정보의 수집과 보급을 위한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통합적인 국가EDI 정책의 수립 및 전세계적인 EDI 정책과 표준을 설정하는데 미국 의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 세계표준을 지배하기 위해 ) 'Re-engineering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계획을 수립한 것이다 . 그리하여 1994 년 4 월 재무부에서 국제무역 데이터시스템의 개발을 시작하고1995 년에는 기관간의 정보교환이나 공유에 방해가 될 수 있는 법률적 문제와 국제무역을 위한 표준정보, 현행 시스템의 목록을 정리하고 1996 년에는 시스템 개발활동을 전개한다. 1997 년에 이르면 북미무역자동화 시범 프로젝트를 통하여 국 제무역데이터시스템을 구체화하고,,, 캐나다 미국 멕시코 등이 합동으로 자동화 프로토타입 을 운영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처럼 미국의 전자정부 계획에서 국제무역 정보시스템 구축은 무역에 관련된 일체의 과정 을 전자공간에서 완전하게 재구축하고() 전자공간으로 이주시키고 일체의 정보를 수집 정리 하는 것이다. 이러한 미국 전자정부의 과정을 본다면 한국에서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던 한국의 외채상황과 외환보유잔고에 대한 종합적 정보를 미국의 투자자들이 먼저 알고 있었다고 해서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닌 것이다.( 한국은 IMF 구제금융을 받은 한 달 뒤에야 민간기업까지 합친 외채총액을 불완전하게나마 추계할 수 있었다)

-261- 나에서로. 'Reengineering ACCESS ’

전자정부에 대한 미국의 시각()視角 이 발전되는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최초의 보고서 는 정보기술이 정보조직을Reengineering 한다는 관점에 서 있다 . 그것은 과거의 시스템과 기능을 자동화(automate)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재창조 (reinvention) 하는 것이다 . 이에 대해 미국 부통령 앨 고어는'ACCESS America 서문에서 1993 년 당시의 정보화의 관점에 대해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The idea of reengineering through technology is critical. We didn't want toautomate the old, worn processes of government. Information technology (IT) was and is the great enabler for reinvention. It allows us to rethink, in fundamental ways, how people work and how we serve customers.」 3년이 지난 후 1996 년 'ACCESS America’ 를 계획함에 있어서는 초기계획의 대성공과 기 술의 드라마틱한 발전이라는 두 가지 이유로 더욱 대담한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고 한다. 이 러한 더욱 대담한 계획을 세우는데 영향을 미친 기술적 발전의 가장 큰 변화는 인터넷의 폭 발적인 사용과 그 잠재적 가능성의 증대를 들고 있다. 그것은 Reengineering 의 개념을 넘 어, 모든 미국인들에게 보다 향상된 정부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ACCESS America' 라고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This Report named 'ACCESS America' because it calls for service improvements that will affect all America) 엘 고어는 다음 세기의 미국의 비전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Taken together, the recommendations here paint a picture of the kind of government we should have as we begin the next century. It will be a government where all Americans have the opportunity to get services electronically and where, aided by technology, the productivity of government operations will be soaring.」81)

81) http://www.gits.fed.gov/htm/intro.htm

-262- 다. 미국 전자정부개혁안이 갖는 의미

전자정부혁신의 최종보고서이고21 세기를 향한 새로운 계획안인 'ACCESS America’ 는 총 18개의 항목으로 되어있다 .

○전자정부구현항목 정부서비스의 공공접근(Public's Access) 의 향상 , 통합된 전자급부이체 (Electronic Benefits Transfer)의 전국적 구현 , 전자자금 이체를 통한 연방지불 , 국민에 대한 환경정보의 제공 , 비즈니스를 위한 환경ㆍㆍ 안전 보건지원 자원의 전자적 구축, 정부간 무선 공공안전 네트워 크 구성, 형사사법분야에서의 전자적 공동체 구축 , 사용자 세금 색인 (Employer Tax Filing) 및 신고의 단순화,, 보다 실용적이고 빠른 국제무역데이타의 제공 수출지원 전자센터의 창 립,,, 정부거래과정의 전자상거래 도입 정부간 정보사업의 확대 전세계적인 정보기술 경험의 공유의 향상

○전자정부 지원매카니즘의 항목 프라이버시와 보안의 보장,,, 정부서비스 정보기반 통합 정보기술 조달 개선 연방 공무원의 생산성 향상, 정보기술 학습의 증진

위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이것이 기존의 정부 기능을 단순히 정보기술로 효율화시킨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국제무역정보를 구축하고 사업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은 기존의 근대적 정 부 기능이 아니다. 기존의 정부는 무역에 관련된 규제와 허가와 세금에 관한 권한을 행사한 다. 사업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설령 그런 기능이 있다 하더라도 부수적인 것일 뿐이 다.. 반면 전자정부는 정반대이다 사업자들에게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서비스를 제공하 는 것이 전자정부의 주된 기능이고 규제,, 허가 세금 등의 일은 EDI 와 연계되어 처리되는 부수적인 업무가 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전자정부의 과제로 설정하고 있는 분야가 거의 전부 기존의 정부에는 없던 기능들이라는 점이 드러난다.

-263- 전자정부란 기존의 정부가 아니라‘’. 새로운 기능을 가지는 새로운 정부 인 것이다 정보서비 스의 공공접근(Public's Access) 의 향상 , 국민에 대한 환경정보의 제공 , 비즈니스를 위한 환 경ㆍㆍ 안전 보건지원 자원의 전자적 구축,, 정부간 무선 공공안전 네트워크 구성 보다 실용적 이고 빠른 국제무역데이타의 제공,,, 수출지원 전자센터의 창립 정부간 정보사업의 확대 전 세계적인 정보기술 경험의 공유의 향상,, 프라이버시와 보안의 보장 정보기술 학습의 증진 등 모든 항목들이 사실은 전혀 새로운 기능들이다. 다른 기능들도 기존의 것과는 전혀 차원 을 달리하고 있다.(EBT) 전자급부이체 같은 것도 과거의 정부의 급부와는 전혀 차원이 다 르다. 이처럼 전자정부는 국가의 기능을 변화시키고 있다., 새로운 정부 새로운 국가는 과거와는 기능과 목적이 다른 정부이고 국가인 것이다. 다른 점의 핵심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데이 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정부기능을 재규정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전자정부는 정부 의reengineering 이고재창조 (reinvention) 라할수있다이점은정보사회후진국의전자정 . 부 계획안에서 충분히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4.전자상거래 : 시스템 레벨의 정보화 전략

가.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디지털 시장

미국은 사이버스페이스의 등장에 따라서 세계경제시스템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는 것을 통찰하고 그것을 적극적으로 구현하는 방향으로 세계경제질서를 개편해왔다. 경제 시스템의 변화에 대한 통찰은‘ 사이버스페이스의 본질은 디지털공간이고 디지털공간은 시장 을변화시킨다는요점으로집약될수있다’. 사이버스페이스는 디지털 공간이다., 정보화는 일체의 것을 디지털화하는 것이며 디지털화하 면 무엇이든지 정보처리,, 가공 전송이 가능해진다 . 그리고 이것이 시장과 경제를 크게 변화 시키는 것이다. 각국의 국가정보기반과 글로벌정보기반(GII) 의 발전에 따라 이를 구성하는 디지털기기와 망 은 사회,, 경제공동체의 세계적인 통합을 가속시키고 그 결과 경쟁과 선택을 주 특징으로 하는 완전히 다른 형태의 시장을 출현시키고 있다.

-264- 디지털화로의 이행에 따라 시장과 시장형성에 있어 정부 개입에 대한 지금까지의 기본적인 가정도 변화된다. 이제 정책결정자들은 정부 개입에 대한 의존성을 제한하고 민간부문이 소 비자의 요구에 반응하도록 장려하는 새로운 정책틀을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디지털화에 따 라 시장은 지역적 의존성이 줄어들고, 소비자에게는 전자상거래 등에 의한 세계적인 선택의 기회가 열리며, 생산자에게는 시장의 세계적인 확대라는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 주고 있다. 결국 디지털시대는 세계적 차원에서의 경쟁시대가 된다. 이것은 과거의 시장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디지털 시장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디지털화는 시장간의 구분을 흐리게 한다. ○낡은 규제의 가정들은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소비자 보호를 위해서는 다른 도구가 필요하다. ○기존의 기업이 시장의 흐름에 역행할 수 있다. ○전통적인 규제가 경제적 성장에 크게 장애가 될 수도 있다. ○규제는 빠르게 움직이는 시장에 가해지면 안된다.. 그러한 규제는 유해하다

결국 세계적인 디지털 공동 시장은GII 를 통해 출현하고 있다 . GII 는 전자적인 기술을 통한 상품과 서비스의 국제적 교역을 가능케 하는 세계적, 디지털 공동 시장 (common market) 의 기초가 될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정보사회 선진국과 세계적 기업들은 민 족,, 국가 지역적 장벽을 무너뜨리고 있다 .

사이버스페이스에 의해 세계적 디지털 공동시장이 진척됨에 따라 법제 차원에서도 큰 변화 가 일어나고 있다. 미국의 CSPP(Computer Systems Policy Project) 가 작성한 ‘ Public Policy Project in the Information Age - Digitization and Compettion을살펴보면이러 한 변화 상황에 대한 언급이 등장한다. 미국에서 새로운 법정신의 원칙은 사이버스페이스의 출현과 그 특성을 근본적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점에 기초를 두고 있다., 재산권 개인권리 , 기타 법적 이슈에 대한 전통적인 생각은 새로운 정보기반구조에 계속 유효하다고 본다. 그 러나 미래의 법적 틀에서는 개인과 재산의 권리를 다루는 전통적인 법률적 기초의 많은 가 정들이 사이버스페이스의 특성 상 거래와 통신이 물리적인 형태와 지역에 근거하지 않고 발 생하는 차이점으로 인해 상당부분 변화하게 될 것이다.

-265- 이러한 법정신을 구현하는 하나의 원칙은 일반적으로 규정할 수 있는 법률의 특정 부문에 대한 규정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특이하거나 특정한 부문보다는 보편적인 법개념에 의 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더 현명하다고 본다. 독점금지법과 같이 특정 산업이나 기술 용어 를 사용하지 않는 법률이 변화하는 환경에 빠르게 적용될 수 있고 기술과 산업에 대해 중립 적이라는 것이다.

다. 전자상거래와 새로운 세계단일시장의 등장

미국 정부는 정보화에 따른 경제시스템 변화의 핵심을 전자상거래라고 보고 이를 세계적으 로 촉진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인터넷상의 전자상거래를 촉진하기 위해 여러 부서가 참여 한 특별작업반을 구성하여8 개월간 작업한 끝에 19961211‘ 년 월 일에 미국의 범세계적 전 자상거래의 기본틀(A Framework For Global Electronic Commerce)' 의 초안을 발표 하였 다.1997717 이 초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년 월 일 발표한 최종 보고서를 발표하였으며 월678 일부터 월 일까지 독일 본 (Bonn) 에서 개최된 범세계 정보망에 관한 유럽 각료회의의 (European ministerial conference on Global Information Networks)에서 최종 보고서를 발 표하였는데 이 보고서는 사이버스페이스의 등장에 따른 세계경제시스템의 변화에 대해 아래 와같이표현하고있다.

「산업혁명 이후 최초로 전세계를 하나로 묶는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앞으로의 세계경제시 스템은 현재까지의 경제질서와는 다른 형태로 진행되어야 한다.」

미국은GII 가 아직 초기단계에 있으나 이미 우리 생활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10 향후 년간GII 의 발전은 거리와 시간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세계 공동체로서의 생활상의 변 화를 경험하게 될 것으로 본다. 미국이 인터넷을 중심으로 사이버스페이스와 그에 따른 경 제 및 상거래의 변화를 보는 관점은 아래와 같다.( 위 Framework 에서 ) 「인터넷이라는 신종 매체만큼 우리 생활의 전자화에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는 것도 없을 것 이다.

-266- 한때 과학과 학계를 위한 도구로만 사용되었던 인터넷은 이제는 어느 곳에서나 접속할 수 있는 일상생활도구로 떠오르고 있다.,, 인터넷은 정부 생활 사회를 새롭게 변화시키고 있다 . 인터넷은 전통적인 비즈니스와 경제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새로운 상업적인 관계가 형성되고, 기업과 소비자 모두 전자화된 시장에 참여하여 이익을 거두고 있다. 기업가들은 인터넷으로 연결된 전세계의 소비자 네트워크에 보다 적은 비용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됨으로 써 보다 쉽게 새로운 사업을 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기술은 서비스의 국제적인 교역 에 있어 근본적인 영향을 미친다.,(,,,), 소프트웨어 오락물 영화 비디오 게임 음악 레코드 정 보서비스(DB),,,,( 전자신문 기술정보 특허 재무서비스 전문서비스 경영과 기술 컨설팅 ,, 회계 건축설계,, 법률 서비스 여행 서비스 등 ) 와 관련된 국제 교역은 지난 10 년 간 빠른 속도로 성장했으며,400. 미국에서 수출되는 액수만 해도 억 불을 넘어섰다 온라인 거래형태가 증가 함에 따라GII 는 거래비용을 급격히 감소시키고 , 새로운 유형의 상거래를 용이하게 함으로 써상거래를혁신시킬잠재력을갖게되었다인터넷은소매와직접마케팅에도많은변화. 를 가져왔다. 소비자는 집에서 전세계의 소매상과 제조업자로부터 여러 가지 다양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TV 제품과 조립방법 등을 그들의 컴퓨터나 를 통하여 직접 볼 수도 있 고,.…」 주문은물론대금지불까지도할수있게되었다

이러한 이론을 넘어 실제의 현실상황은 미국의 우월성을 더욱더 압도적으로 보여준다. 앞에서 말한대로 미국은 전세계에 깔려 있는 대형 호스트 컴퓨터 중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인터넷 정보는90% 가 영어로 표현된다 . 인터넷 인구의 50% 가 미국인이다 . 현재 사이버스 페이스에서 개설한 사이버 쇼핑몰은25 만 개로 일본이나 유럽의 10 배 규모이다 . 이처럼 미 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증가하자, 유럽 연합은 미국이 인터넷을 세계화하고 민영 화한다는 명분으로 실질적으로 인터넷과 인터넷도메인 네임관리에서 관할권을 독점하고 있 다고 반발하고 있다.82) 지불시스템을 형성하게 될 신용카드는 거의 전부가 미국의 것이다. 인터넷 보안기술은 미국이 완전하게 독점하고 기술수출은 금지되고 있다. 인터넷 상거래에 서는 비행기로 상품을 배달하는 항공배송체제가 필수적이다. 전세계 항공수송망을 갖춘 DHL,페더럴 익스프레스 (FedEX) 등도 미국업체이다 . 세계무역은 물론 앞으로 정부조달체계 도 전자상거래속에 흡수될 것이다.83)

82) Edupage3. March 1998, Financial 27 Feb 98 83) 동아일보 1998.4.17.

-267- ○정부는 전자상거래에 대한 부적절한 제한은 하지 않아야 한다. ○민간 부문이 주도한다. ○정부의 개입이 필요한 경우, 개입은 예측 가능하며 일관성 있는 최소한의 원칙 단순한 상거래의 법적 환경을 구축하는 데에 초점을 두는 것이어야 한다. ○정부는 인터넷의 독특한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는 전세계를 기반으로 활성화되어야 한다. ○관세/: 세금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상품의 거래에 대한 무관세 협정 ○전자지불방식:. 향후 기술의 선호도 및 확산은 불확실함 따라서 정부가 선택하기보다는 시장기능을 활용하고 규제를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 ○기술규범: 정부차원의 선택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시장의 기능을 최대한 이슈와 새로운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질서의 방향 ○사생활 보호,: 불건전정보 정부차원의 규제는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업계 자체의 규제가 바람직함. 가정에서는 자체 규제가 가능함 ○지적재산권 보호 관련 협정의 필요성 ○보안유지: 전세계적인 협정이 필요 【】표5 전자상거래의 세계적 Framework

-268- 라. 전자상거래와 경제시스템의 변화

○ 전자지불시스템과 전자화폐의 확산 현재의 전자상거래가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하고 그에 대한 세계질서가 완비될 즈음에는 세 계의 경제체제는 사이버스페이스의 특성에 기초한 경제체제로 크게 변화되어 있을 것이다. 전자상거래에 대하여 관세와 세금을 부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미국의 입장이고 이 주장 은 결국 관철될 것이다. 이렇게 되면 경제분야로서는 국가를 초월하는 최초의 예가 될 것이 다. 만일 전자상거래가 전체 상거래 비중의 50% 를 차지한다면 그것은 경제의 50% 가 근대 국가를 초월하는 사이버스페이스의 세계체제가 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사이버스페이스 경제체제를 전자지불시스템(Electronic Payment Systems) 과 전자화폐 (Electronic Money)에 기초한다 . 미국 , 유럽을 비롯 세계 각국에서는 이러한 전자지불시스템 과 전자화폐가 갖는 국제적ㆍ 체제적 의미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

○ 전자상거래 단일규약과 기술표준화 움직임 전자상거래에 관한 법적인 현안은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단일의 거래규약(UCC : Uniform Commercial Code)를 만들고 있는 부분이다 . 이는 물리공간의 국가의 틀을 넘어 사이버스 페이스의 세계공간으로 이주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지적재산권의 보호 저작권 고유데이터 베이스 보호,, 특허 상표와 도메인명 ), 프라이버시 , 보안에 관한 사이버스페이스 상의 세계 법이 만들어질 것이다. 미국은 전자상거래에 관한 시장접근 관련 이슈 (Market Access Issue)로서 우선 디지털 네트워크 발전의 방해를 제거하고 나아가 요금의 저렴화와 대역폭 의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종국적으로 전세계에 걸친 국가를 초월하는 경제적 사이버스페이 스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기술적으로 완전한 종주국을 추구한다는 것이다.(Content) 컨텐트 에관해서도미국은컨텐츠에대한규제해외컨텐트할당량광고규제반대의입장이며,, 부정방지 규제에 있어서도 그들 중심의 세계적 기준을 마련한다는 입장에 서 있다. 기술표준(Technical Standard) 이야말로 사이버스페이스의 기반이 되는 규칙이다 . 그것은 기 술인 동시에 법이다. 전자화폐 , 보안 , 공중키 인증기관 (public key certificate Hierachy), 전 자판권 관리시스템,, 비디오 데이터 컨퍼런스 디지털 자료의 교환 등에 관한 기술적 표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들 분야에 있어서 미국은 민간부문들의 조직들이 자발적인 표준의 제정 을 지원하고 촉진하도록 하고 있다.

-269- ○전자상거래 제도의 확립이 갖는 의미 결국 전자상거래가 세계적 차원에서 발전하고 제도적으로 확립된다는 것은 다음의 세 가지 의미가 있다. ○개별국가,. 근대국가를 초월하는 세계경제체제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새로이 형성되는 세계경제체제는 현실의 물리공간이 아니라 사이버스페이스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현재는 세계경제체제의 형성과 세계의 경제적 사이버스페이스의 형성의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세계경제체제의 내부적 질서가 어떠한 내용이 될 것인가에 대해서 현재로서는 시장질서를 갖고 지적재산권을 보호한다는 것 이외에는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그것은 앞의 두 가지 특징-, 국가를 초월하는 체제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체제 - 에서 많은 변 화가 제기될 것이다.

제3 절 정보화와 세계 시스템의 변동

정보화는 단순한 기술적 변화가 아니라 세계의 정치ㆍㆍ 경제 사회 시스템의 변혁을 야기하고 있다. 그리하여 오늘날 세계의 정치경제적 변혁의 매카니즘은 과거와는 전혀 달라졌다. 근원 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근본적 동인이자 변화의 속도를 결정하는 요소는 정보화의 측면이다. 정보화의 본질은 사이버스페이스로의 이행이며, 사이버스페이스가 구축되고 전개되면서 현 실공간에 충격을 가하고 현실공간을 변혁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화의 동인에 충격을 받아 변화의 폭과 깊이를 결정하는 측면이 정치와 경제이다. 오늘의 세계의 구조는 세 개의 부문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부문은 정보화이고 다른 하나의 부문은 정치이며 나머지 하나의 부문은 경제이다. 정보화의 부문은 사이버스페이스 라는 새로운 사회공간을 구축하고 확장해 가고 있다. 정치와 경제는 현실의 자연공간과 사 이버스페이스에 걸쳐 있다.

-270- 정보화와 정치가 만나는 지점에 전자정부와 전자민주주의 등이 창조되고 있으며, 정보화가 경제가 만나는 지점에 전자상거래와 전자화폐가 창조되고 있다. 한편 정보화와 만나지 않는 지점,‘’. 정치와 경제가 만나는 지점에는 파괴되는 현실 이 있다 이 지점은 낡은 지점으로서 과거의 질서와 이익이 파괴되고 있는 것이다., 그 지점의 양 측면 즉 정보화와 사이버스페이 스를 벗어난 정치의 지점에 제조업과 노동이 쇠퇴하고 있다.‘ 이 양 측면 모두 파괴되는 현 실’. 이다 한편 이러한 파괴되는 현실의 반대쪽에 ‘ 창조되는 현실 ’ 이 있다 . 그것은 사이버스페 이스의 깊숙한 곳이며 정보화와 정치가 만나는 사이버스페이스의 깊숙한 곳에 사이버세계권 력이 창조되고 있다. 그리고 정보화와 경제가 만나는 사이버스페이스의 깊숙한 곳에 세계금 융체제가 창조되고 있다. 파괴되는 현실과 창조되는 현실의 양쪽에서 파괴를 통하여 성장하 는 새로운 세계주체들이 있으니 바로 그것이 세계기업이고 세계적 기구() 국제기구 들이며 그 국제기구들을 실제로 움직이는 세계적 헤게모니이다. 지난 수년간 새로이 형성된 정치 경제 적 변동의 매카니즘이 바로 이러한 새로운 매카니즘인 것이다.

-271- 【】그림1 사이버스페이스와 정치 경제적 매카니즘

제4 절 한국의 정보화 전략과 시민정보화 시스템

1. 한국의 상황

한국은 정보화에 있어서 미국이 가지고 있는 자산을 단 하나도 가지고 있지 않다. 한국은 외환의 부족을 염려하지 않아도 되는 기축통화국이 아니라 반대로 외환위기로 경제전체가 급속히 악화된 상태에 있다. 한국은 세계공용어와 같은 영어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인도나 필리핀과 같이 영어에 익숙하지도 않다.

-272- 한국은 정보기술을 포함해서만이 아니라 모든 기술면에서 미국과 비교하여 불리한 상태에 있다. 한국은 창조성을 다양하게 발휘하고 존경받는 창조의 문화를 가지고 있지 않다. 한국 은 독재의 터널을 이제 막 통과하였으며 민주주의는 가치이고 이상일지는 몰라도 그것을 사 회적 국가적 힘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매카니즘을 확립하지 못했다. 따라서 한국은 미국형 의 정보화전략을 답습하는 것은 소극적으로 정보화에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으나 그 성과는 불확실하다. 그 단적인 예가 문민정보 이전부터 전사회가 떠들썩하게 추 진한 정보화의 실제 경과이다. 그러나 비록 경제정책의 실패에서 기인한다 하더라도 정보화 가 그것을 구제하지 못했으며 결과적으로IMF 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아야 하는 참담한 것이 었다.? 그렇다면 한국의 자산은 무엇인가 한국은 특별하게 유리한 자산은 없다 . 다만 다른 국가들과비교해서상대적으로새로운사회의기반이될수있는여건을몇가지들수있 다. ㆍ교육열과 인적자원 ㆍ작은 국가 ㆍ개혁의 문화 그러나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중요한 점은 우리는 미국과 다른 다는 것이다.. 미국의 자산으로 들었던 것을 우리는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정보화 전 략은 여기에서 출발해야 한다.

2.미국형 정보화 전략에의 적응 : 글로벌 스탠다드 (global standard)

한국은 이제까지 미국형의 정보화전략을 수용해 왔다. 그리고 현재에 있어서는 더욱 강도 높게 미국형의 전략은 글로벌스탠다드라는 위용을 갖고 우리에게 다가와 있다. 우리 사회 전반을 미국형의 표준으로 바꾸어야 하는 상황이다. 이것은 역사적 추세로서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미국의 방향이 세계적 대세이고 여기에 뒤떨어지는 것은 정보화에서 바로 낙후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가령 다음과 같은 정보화의 과제들이 그렇다

1) 정보화 추진 정책과제

-273- (1)경제분야 정보화 ○네트워크 경제를 통한 전자상거래로 고비용 저효율 구조 개선 ○물류정보 공동활용으로 물류지원의 활용 극대화 ○금융정보화를 통한 금융기관의 경영 효율화 (2)행정분야의 정보화 (3)교육ㆍ 문화분야의 컨텐츠 , S/W 분야 육성 (4)민간의 정보인프라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 확대 (5)정보화 촉진과 정보통신기술 도입의 역기능 방지를 위한 법적 대응

2) 정보통신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1)정보통신 기술개발 지원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확대와 지원의 우선순위 조정 (2)정보통신기술 교육기회 확충으로 양질의 전문인력 확보 (3)정보통신 벤처기업 육성 ○벤처캐피탈 지원으로 벤처기업의 자금력 강화 ○벤처기업에 대한 다양한 창업지원체제 구축 (4)수출금융 지원 강화로 조기에 해외시장 확보 (5)통신서비스 산업 경쟁체제 정착을 위한 제도 보완 (6)방송산업 구조개편 및 통신 ㆍ 방송 융합촉진 ○방송정책 기능 통합으로 일관성 있는 정책추진 ○방송법개정으로방송산업구조개편84)

위와 같은 정보화의 항목들은 그 자체로서는 옳다. 그것은 미국형의 정보화전략에서 거론되 는 모든 항목들을 열거한 것이다. 중요한 점은 위와 같이 정보화의 관점은 미국형의 정보화 전략들을 열거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한국이 미국형의 정보화 전략을 그대로 시행하 고있는것은아니다. 첫째, 미국은 연방국가로서 정보화 정책을 국가가 주도하는데 분명한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한국과 같이 완전한 국가주도가 아니다.

84)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개최한 토론자료‘21 세기 정보화사회의 준비

-274- 둘째미국은민간과시장에서일어나는정보화의과정에국가는촉매역할을하고있다, . 따라서 한국이 미국형의 정보화전략을 채택한다고 해서 미국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 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이 한국에서는 성과를 거두 지 못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오히려 미국에서는 성공했는데 한국에서는 성공하지 못하 는 것이 더 많다고 해야 할 것이다. 가령 미국과 같이 벤처기업을 활성화한다는 항목을 정 할수는있지만미국의엔젤캐피탈(Angel Capital) 을한국에서만들수는없다한국의벤 . 처 육성은 정부가 재정자금으로 관료의 선택에 의하여 지원하게 된다. 그렇다면 한국에서도 미국과 같은 이유로 벤처기업이 활성화되는 것은 아니다. 한국에서는 한국적인 이유로 동인 이 창조되어 벤처기업이 활성화되거나,. 아니면 요란한 구호로 끝나게 될 가능성이 많다

그리하여 한국에서의 정보화 전략은 이와 같이 미국의 정보화전략을 수용하면서 동시에 한 국 나름의 독특한 정보화 전략을 개최하지 않으면 안된다. 미국형의 정보화전략에 보완적으 로 추진해야 할 한국적 정보화 전략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그것을 포괄하여 시민 정보사회 정보화 전략이라고 이름 붙일 수 있다. 정보화 전략으로서 시민정보사회는 사회의 세 부문-, 국가 시장 , 시민사회 (3)- 제 섹터 에서 시 민사회(3 제 섹터 ) 를 강화하는 것이다 . 시민사회 (3 제 섹터 ) 를 강화하는 것은 국가에 대해서는 정치적 통합과 단결, 국민에너지의 결집을 가져오고 경제적으로는 비시장적 부문을 활성화 시킴으로써 시장을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3. 교육시스템의 개혁과 지적재산권의 공유베이스

한국의 정보화전략, 시민정보사회 전략을 논의하는데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분야를 꼽는 다 면 교육분야이다.. 물론 미국에서도 교육은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작은 나라이면서 교육열 이 높은 나라로서의 한국적 정보화전략을 모색한다면 그 첫 번째는 교육분야의 개혁이 될 것이다. 정보사회의 근원적 힘은 모든 국민의 교육수준, 사회의 지식 인프라 (knowledge infrastructure)가 어느 정도의 수준인가에 의하여 규정된다 . 이러한 점에서 시민정보 사회의 기초도 교육에 있다 할 것이다.

-275- 교육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도 가장 근원적인 리터러시(Literacy) 를 규정하는 것이다 . 사이버스페이스는 인공적 사회공간이고 여기에 참여하고 발전시키는 근원은 참여하는 사람 -사이버시티즌 - 의 지적 능력 (Literacy) 이고 그것이 바로 교육수준이다 . 그리하여 교육은 정 치만이 아니라 경제의 핵심적이고 결정적인 요소로 등장하였다.

가. 부의 원천으로서 지식과 교육

지금까지 산업사회 또는 과도기까지는 기업의 입장에서 부()富 나 가치의 창출은 자원이나 자본에 달려있었다. 기업은 자원과 자본을 노동과 결합시켜서 효율적으로 경영하여 부의 증 대를 높였다. 그러나 정보화와 지식화의 사회에서는 지식을 적용하거나 지식을 가치로 전환 하는 것이 가치와 부의 근원이 되었다. 기업이 특정한 산업부문의 지식을 독점적으로 보유 하여고유한기술로서확보하지않으면그기업은곧다른경쟁자를만나게되고그들은, 비슷한 경쟁자가 되어 버린다.() 그러나 기업이 핵심적인 기술 지식 을 독점적으로 보유하고 있으면 다른 경쟁기업이 쉽사리 그 지식을 스스로 개발하거나 획득하지 못하며 경쟁의 상대 가되지못한다. Leonard-Barton은 기업의 경쟁력을 세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 부수적 능력 (Supplementaly capability)과 제품 생산에 필요한 능력 (Enabling capability) 및 핵심능력 (Core capability) 으로 나누고 있다. 이 중 부수적 능력은 제품이나 서비스 여러 가지 부가적 요소를 추가함 으로써 경쟁에서 우위를 가지는 능력을 말하고,‘ 필요한 능력 ’ 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생산에 보조적으로 필요한 능력(). 제품 성능 시험 능력과 같은 것 을 말한다 이 두 가지는 경쟁기업 이 짧은 기간 안에 흉내낼 수 있으며 곧 경쟁우위의 효과는 사라지고 평준화되어 버린다. 그러나 핵심 능력은 경쟁기업이 쉽사리 흉내내지 못하는 것으로서 경쟁우위의 핵심적 요소 가 된다.‘(). 그런데 이 핵심적 요소는 바로 지식 또는 기술 에서 나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 는 사회와 국가 또는 정보사회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과거에는 자본과 노동력을 투입하면 제품을 생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생산요소에서 교육이 관련된 것은 노동력이었다.. 노동력에 요구되는 교육수준은 단순하였다 단순한 작업을 반복 할 수 있고 지시를 알아들을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자본과 지식이 생 산의 주 요소가 되었다.

-276- 그러나 자본을 조달하는 것과 지식을 조달하는 것은 다르다. 자본은 이자를 지급하면 그 조 달이 항상 가능하지만, 지식은 상당히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지 않으면 조달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지식이 더 결정적인 요소가 되었다 생산요소로서 지식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지식노동력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기술 (Technology)의 형태이다 . 기술의 형태로서 지식에 대한 문헌상의 대표적인 사례는 Chaparral제철회사이다 . Chaparral 제철소는 당초에 25~ 50 만 톤의 용량으로 설계된 전기 로를 구입하여60~ 100 만 톤의 생산능력을 발휘하고 있다 . 당초에 8 인치 두께의 강철판을 롤링할 수 있는 설비를 개조하여14 인치 두께의 강철판도 롤링하고 있어서 롤링 설비를 공 급한 벤더가 그 기술을 역수입하고자 하는 형편이다. (Leonard-Barton, 1995). 이것은 모 두 지식 집약형의 기술 덕분이다. 제조업에서 경쟁의 영역이 제조 (manufacturing) 자체에서 엔지니어링으로 옮겨졌고, 엔지니어링은 모두 지식 집약의 노하우이다 . (Jaikumar, 1992) 지식노동력과 기술은 근본적으로 사회 전체의 교육수준과 지적 수준에 달려있고, 그것은 좁 게는 해당 산업계의 기술 수준과 지식 노동력 수준에 달려 있으며, 경쟁력 차원에서 보면 그 기업만이 고유하게 확보하는 있는 지식노동력 수준과 기술 수준에 달려 있다. 따라서 기 업은 사회 전체의 공공의 교육 수준을 높이고, 동종 산업계 전체의 지식과 기술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바란다. 기업은 교육 부문에 대해서 특정한 지식 또는 기술 능력을 가진 사 람을 요구하는 수요자로서 교육에 영향을 미친다. 동시에 기업은 스스로 자신의 기업이 독 점적으로 배타적으로 보유한 지식 수준과 기술 수준을 높이도록 투자를 하지 않으면 안된 다. 지식이 생산의 주요소가 되었다는 것은 바로 기업이 자체의 연구 개발과 내부교육에 대 한 투자가 기업의 경쟁력과 이익 창출에 첫 번째 과제(task) 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 다.(Stone, 1991). 지식과 교육이 중요해지고 , 또 기업의 이에 대한 투자는 바로 기업과 교 육간의 뚜렷했던 구분의 경계선이 무너지는 첫 번째 이유이다. 우리가 여기서 논의하고 있는 사이버스페이스 정보사회도 국가의 부()富 의 창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원 지식과 교육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사이버스페이 스 사회를 추구하는 정보화 정책과 전략은 지식의 교류와 교육기회의 확대에 기여하여 국가 와사회라는공동체의지적능력에의한경쟁력강화에기여하여야할것이다.

-277- 나. 지식의 역류

과거에는 사람들이 지식을 찾아서 몰려 들었으나 지금은 정보화의 진전으로 지식이 사람을 찾아 흐르고 있다.(Noam,. 1995). 지식의 흐름은 중요한 내용이고 목표이다 . 이것은 기업과 교육과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기업은 특정 분야에서 독창적인 지식을 개발하고 창출하여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 부 문에서는 그것을 획득하여 가르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교육기관에서 기업으로 지식이 흐르는 것이 아니라 기업에서 교육기관으로 지식이 흐르는 지식의 역류현상이 나타나고 있 다. 교육 부문은 전문지식과 기술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다른 기관() 기업이나 연구소 에 비해서 분명한 전문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가르치고자 하는 교육내용의 원천을 교육기관이 보유 하지 못하고서는 전문성을 가질 수 없다. 가르치는 내용에서의 전문성을 가지지 못한다면 이것은 지금의 대학과 같은 고등 교육기관 존재자체를 위협하는 결과이다. 만일 기초적 학 습능력을 배양해 주는 것으로 교육의 목표를 낮추어 잡는다면 이것은 교육기관이 교육에서 책임기관이 아니라 보조기관 내지는 주변기관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앞으로는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대학과 기업의 지식의 교류가 활발히 이뤄지고, 가르치고 현장의 일을 경 험하는 것이 병행되는 의과대학의 형태() 치료하는 경험과 가르치는 일이 함께 공존하는 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Rada and Schoening, 1997). 이는 일하는 것과 공부하는 것이 동시 에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Tapscott, 1996). 이러한 현상은 다시 한번 기업과 교육간의 무 경계성 현상을 확인하는 것이며, 정보화전략은 이러한 지식의 교류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다. 학습자이면서 교육 기관이 된 지식 기업

경제적 고도 성장은 지식 기업(knowledge-based business) 으로부터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DavisandBotkin,1994).

-278- 지식을 상품에 투자한 지식상품을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것이 지식기업이다., 예를 들면 타이 어 압력을 알려주는 타이어,,, 기온에 따라 시원해지거나 따뜻하게 해주는 의복 젖으면 색깔 이 변하는 기저귀 등을 우리는 스마트 상품 또는 지식상품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지식 상품 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업은 제품에 관한 기술과 고객의 요구에 관한 자료(data) 들로부터 의 미 있는 정보(information) 를 추출하고 , 그것을 지식으로 전환하는 학습이 끊임없이 필요하 다. 학습과정이 추가되지 않는 기업의 가치 창출은 금방 컴퓨터화 되어버리고 핵심 경쟁력 에서 밀려나게 된다.(Data) 이를 위해서 정보화 사회는 자료 의 수집과 축적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한 기업이 이러한 지식 상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소비자를 교육시켜 야한다대표적인예로서마이크로소프트.(MS). 사를들수있다마이크로소프트사는자사의 소프트웨어를 판매하기 위해서는 자사의 소프트웨어를 소비자들이 공부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으로 셀프스터디 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도 제공 하고 있다. 이제 MS 사나 Oracle 사의 제품에 대한 학습은 대학의 컴퓨터 관련 전공분야의 중요한 공부내용이 되었다. 이것은 기업이 교육의 원천을 공급하는 예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기업이 스스로 소비자에 대한 교육기관의 구실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예이기도 하다. 기업은 교육기관이 될 뿐만 아니라 스스로 평가기관이 되기도 한다. 학교의 성적 증명서나 학위증 못지 않게 사회적으로 신뢰를 받는 평가기관으로서 능력 인증서를 발행하고 있다. TOEIC점수나 컴퓨터 사용능력 검정 시험 대표적인 예이다 . 최근에 LG 전자는 컴퓨터 사용 능력에대한교육프로그램을마련하고검정능력시험을시행하여능력인증자격을발행, 하고 있다. 여기서의 자격증은 MS 나 Oracle 등 주요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 공급업자가 인 증하므로 신뢰를 받고 있는 것이다.

라. 정보사회에서의 교육변화 사례

○네트워크 학교 정보화 사회에서의 무경계성은 교육도 학교라는 공간적인 건물 안으로 국한시키지 않는다. 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는 교육자원을 동원하여 세계 곳곳의 학습자를 끌어들여서 교육을 행 할수있게되었다.

-279- 한 예로서Chronicle of Higher Education(23, May 97) 에 따르면 , 미국의 Lehigh 대학의 한 교수는학생들에게수백마일떨어져있는Oak Ridge 국립실험실의전자현미경을인터넷 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는 교육 자원이 학교라는 건물안으로 국한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이제 학교는 건물이 아니라 네트워크망이 되었다. 분야별로 전문화된 팀이 모여서 교육을 담당하고,. 그러한 팀이 정보화된 가상의 공간에 모인 것이 학교가 되었다 미국의 국립 기 술학교는 이러한 예이다. 정보화 사회에서의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기업이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실제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Motorola 대학이나 , Hewlette-Packard 대학 , Sun Microsystems대학 , McDonald 대학 , McGrawHill 대학 등이 인터넷 상에서 교육 프 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실제로 학점 인정 학생을 등록 받아서 교육을 하고 있으며 그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특히Motorola 대학은 학위 수여를 목적으로 하는 대학이 아니라 , 기업에서의 훈련과 교육 및 컨설팅을 주로 하는 교육기관이다. 이는 인턴 사원의 훈련이나 장차의 일자리를 찾으려 는 사람에게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업과 경영에 관련된 품질 엔지니어링 경 영,, 재무관리 리더십 등에 관한 책을 출판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

○대학과 기업의 결합 기업과 대학이 결합하는 사례와 대학과 기업 및 정부가 결합한 교육 프로그램의 예를 찾을 수 있다. 특히 하이테크 기술에 대한 대학 졸업자들의 수요가 늘어나고 현재의 교육 결과에 대해서 만족하지 못하는 기업들이 대학이나 전문학교, 직업 훈련기관과 결연을 직접 맺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기업 현장에서 필요한 것을 강의실에서 가르칠 수 있도록 병행시키 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산업계에 필요한 것을 학계에 보조를 맞추는 일이 기 업에게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한 예로서 Information Week(2 Feb. 1998) 에 따르면 , 미국 의FedEx 사는 멤피스 대학의 경영대학과 공동으로 정보기술과 기업의 정보시스템에 필요 한 내용을 커리큘럼에 반영하고 있다., 대학과 기업의 동반 프로그램의 대표적 사례로서 Oracle Academic Initiative프로그램은 약 40 개 대학에 하이텍 기술 훈련을 지원하고 있다 . 대학과 기업이 결합하는 사례는 정보화 사회에서의 무경계성과 동태성 및 가상성에 힘입어 더욱 많이 나타나고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280- 하나의 기업과 하나의 대학이 아니라, 기업의 한 부분과 대학의 한 커리큘럼이 결합하고 그 것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실제 공간과 가상의 공간에서 학습자에게 접속하게 될 것으로 보 인다.

○대학과 기업, 정부의 결합 미국의 국립기술대학(National Technological University) 은 대학과 기업 및 정부가 공동으 로 운영하면서 직장에 있는 경영자들,, 전문기술인 공학기술자들에게 대학원 교육과 평생 교 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의 국립기술대학은 이 대학은 1997930 년 월 일 현재 세계 곳곳에1,000 곳과 미국 내에는 900 여 장소에 위성 수신 시설을 설치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1996~ 1997 학년도에는 기술 및 경영에 관련되는 500 여 교과목을 개설하여 22,000시간의 강의를 직장에 있는 사람들에게 서비스하였다 . 1,300 여명이 이 대학의 학위 프 로그램(Academic Credit Course) 에 학점을 취득하기 위하여 등록하고 있으며 , 110,000 명이 고급 기술경영 프로그램(ATMP: Advanced Technology and Management Program) 의 단기 과정에 등록하고 있다. 국립기술대학에 개설되는 교과목들은 기업의 교육 수요와 대학원 학위취득에 적합하도록 정 해지고 있다. 등록하려는 학생들은 국립기술대학의 위성네트워크에 가입한 기업이나 대학에 소속하여 있어야 한다. 기업이나 대학이 국립기술대학에 가입하려면 위성통신을 받을 수 있 는 안테나와,, 복수의 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리시버를 설치한 후 각 사이트에 기술책임자 를 정한 후,, 비디오 시설 교실 및 회의실 등 필요한 시설을 하면 된다 . 기업과 정부가 결합 하는 사례도 있다.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사와 빌게이츠는 Gates Library Foudation 을 마 련하였다. (Edupage, 24 June 1997) 누구나 인터넷도서관 정보를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취지로 하였다. (Edupage, 26 Feb, 1998) 일차적으로 알라바마주가 270 만 불의 수혜 를받았다.

마. 교육개혁과 지적재산권의 공유베이스

정보사회의 가장 근원적인 차원은 교육이다. 또한 교육은 급변하고 있으며 그것은 위에서 말한대로 대학과 기업의 관계의 변화,. 교육방식의 변화가 보여주는 대로이다

-281- 이제 대학이 전문지식의 소유자이던 시대는 끝났다., 오히려 기업이 더 많은 전문지식 더 높 은 수준의 지식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의 위상과 의미도 달라지고 있다.? 대학이란 무엇인가 대학의 새로운 의미는 ‘’.지적재산권의 공유베이스 라는 것이다 대학이 가지고 있는 지식은 적어도 개인적으로 귀속 되는 지적재산권이 아닌 지식들을 보유한다.. 바로 이 점에서 대학의 새로운 의미가 있다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 특정한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특별한 지식들은 대부분이 지적 재산권으로 규정되는 것들이다. 이에 대하여 대학의 지식들은 모든 사람들이 지적재산권과 상관없이 배울 수 있는 지식인 것이다.‘’ 정보사회에서는 이러한 지적재산의 공유베이스 를 확장하는 것이 정치,, 경제 국가 경쟁력 , 기업경쟁력 , 창조력 , 벤처산업 등의 근원이 된다 . 더 많은 지식,-- 더 높은 지식을 공유할 수 있을 때 누구나 배울 수 있을 때 더욱 높은 수준 의창조력과더욱높은수준의지적재산권이창출될수있는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정보사회에서는 기존의 교육시스템은 전면적으로 개혁되어야 한다., 언제 어 디서,, 어떠한 방법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관없으며 교육에 대한 일체의 규제는 폐 지하여야 한다. 그 대신에 모든 분야에 걸쳐 모든 학습자가 자신이 학습한 것을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인증제도를 창조하여야 한다. 미국에서도 대학의 인가 설립 등의 방식으 로 교육체제를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평가 인증 공인 등의 방식으로 교육체제를 형성한 다. 가령 대학에 대해서도 허가 (Authorization); 인가 (Approval), 공인 (Accreditation) 등의 제도로 교육시스템이 형성되어 있다. 정보사회로의 길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교육 시스템을 개혁하는 것과 지적재산권의 공유베이스를 확장하는 것이다.

4. 공론의 장과 정책공동체

시민사회와 공공영역의 개념은 국가 정책적인 결정들에 대하여 그것이 시민의 건전한 상식 과 교양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는19 세기적 민주주의와 연관되어있다 . 그러나 오늘날 정 보사회에 있어서의 정책사안들은 복잡하고 전문적이다. 시민들의 의견은 여론을 형성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그대로 정책으로 전환될 수는 없다. 이러한 의미에서 일반시민이 형성하는 공론이라는 것은 그 자체로는 실제적인 의미가 없다.

-282- 그러한 공론을 구현할 수 있는 전문적 정책적 대안이 제시되지 않으면 안된다. 단순한 공론 은 여론조사로 더욱 정확히 파악되는 것이다. 이처럼 시민사회의 여론과 국가정책과의 연결 이 결정적인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는 과거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문제이다 정책을 결정하는 문제와 시민운동을 분리해 버리면 시민운동은 결국 항의와 저항에 불과하 게 된다.. 다른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풍부한 정보와 열려진 기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시 민운동과 시민사회가 형성되지 않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시민들의 의견은 실현될 가능성이 별로 없기 때문에 시민운동은 소수의 활동가의 목소리로 떨어지게 된다. 다른 한편 정부의 입장에서도 정책화에는 많은 연구와 창조적인 대안이 요구된다. 그렇지만 정부는 시간과 자 원의 결핍에서 해방되기 어렵다. 따라서 시민들의 많은 요구와 다양한 목소리를 정부의 정 책으로 수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새로이 대두된 문제- 정책의 전문성 - 에 대하여 미국에서는 씽크탱크 (think tank) 라는 제도가 발전되어 왔다.19 이것은 세기와는 달라진 상황에 대한 대응의 한 예이다 . 씽크탱크 는 민간의 차원에서 정책적 투입을 일으키는 집단이다. 「1993년 3 월 클린턴 집권 초기 어느날 ,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 백악관 기자실에 당시 대통 령의 오른팔로 알려진 대변인 조지 스테파노풀로스라는 약관30 세의 청년이 청바지 차림으 로20~ 30 대 다른 비서관들과 함께 나타났다 . 마치 한국의 여느 대학 총학생회 사무실 같 은 분위기였다.‘ 기자는 순간 도대체 저들이 국사를 논할 경륜이 있단 말인가 . 더군다나 대 통령마저 시골뜨기 주지사 경력이 고작인 애숭이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그들‘’ 애숭이 들은 뉴스 브리핑 후 일문일답을 하면서 핵문제를 비롯 , 국내외 현안에 대해 기발한 아이디어를 쏟아 내놓았다.‘ 그들은 스스로 우리는 매일 아침 브루킹스를 비롯 한CSIS, 카네기 등 싱크탱크와 각계 각층의 정보를 듣고 국정현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합 니다’. 라고 했다 워싱턴의 ‘’ 큰 손 이 싱크탱크임을 시사하는 대목이었다 .」85) 정보사회에서의 시민운동은 이와 같은 전문적인 지식조직 내지 연구조직과의 관계에서 위상 을 가지지 않으면 기능하기 어렵다.

85) 정서환,p.8 세계를 움직이는 미국의 싱크탱크 도서출판 모색

-283- 이러한 전문적인 지식조직 내지 연구조직에 의하여 정책으로 현실화하는 매카니즘을 갖추지 않으면 시민운동의 목소리는 저항의 작은 목소리로 끝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시민의 참 여동기가 소멸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동기의 소진이 풍부한 정보와 커뮤니케이션의 열려있 는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시민의 참여가 저조한 하나의 이유이다. 싱크탱크는 미국식의 제도이다. 그러나 정보사회에 있어서는 어떠한 형태로든지 미국의 싱 크탱크와 같은 기능을 하는 사회적 국가적 시스템을 갖추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정책화 의 기능을 하는 조직 내지 네트워크를 포괄적으로 정책공동체(Policy Community) 라는 이 름으로부를수있다정책공동체의실례는다음독일의사례를들수있다..

○독일 비디오텍스 정책공동체 사례 독일의 통신분야에서는1840 년대 전보 서비스가 도입된 이래 , 1870 년대에는 전화가 , 1920 년대에는 라디오가, 1930 년대에는 텔레비젼이 보급되어 왔다 . 이러한 과정속에서 독일의 통 신정책은 PTT(post, telegraph, and telephone administration), DIHT(Deucher Industrie und Handelstag각 연방정부 산업통상실들의 정점조직 ), ZEVI( 설비생산자들의 정점조직 ) 의 삼각형에서 운영되어 왔는데,PTT 이 중에서 가 주도권을 가지고 코포라티즘적 방식으로 정 책을 운영하였다. 그러나 1970 년 중반부터 시작된 비디어텍스 도입정책에 있어서는 이전과 는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PTT 여러 가지 이유로 가 정책과정을 주도하지 못하게 된 것이 다.PTT 가 비디오텍스 공급정책의 전반적인 과정을 통제할 수 없게 되자 , 정책과정 운영방 식을 수직적 통제에서 수평적 협동으로 바꾸었다. 먼저 비디오텍스 공급에 관련된 이해관계 자들을 하나의 정책공동체로 만들었다. 여기에는 PTT, DIHT, ZEVI 외에 BDI( 정보공급사 업자 협회), DPV/DBB( 노조 ), BANKS( 정보소비자협회 ), Simens( 관련대기업 ) 등 이해관계가 긴밀한 약40 여 개의 조직이 포함되었다 . 그리고 PTT 는 정책공동체 내에서 자신의 역할을 정책과정의 주도에서 정책공동체 성원들 사이에 토론을 유도하는 것으로 바꾸었다. 토론에 서 성원들의 논쟁점에 대하여 합의하면,. 이 합의 내용을 정책으로 결정하여 집행하였다 86)

86) 한국전산원NCA VII-RER-9679 미래 정보사회의 공공행정모델

-284- 정책공동체는 정부-. 민간이 협력하는 정책의사결정체제라고 할 수 있다 정부와 민간부문에 고용된 전문가들은 장기간의 교육으로 체계화된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어떤 분 야에 오랜 경험으로 축적된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정부만이 아니라 민간도 이론적 실 천적으로 그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은 상황의 변화와 미래에 대한 대안들을 모색하고 있 게 된다. 이러한 양 부문이 문제와 지식정보를 공유하면서 함께 정책을 결정하는 프로세스 를 설계할 수 있다.. 이것이 정책공동체 또는 정책네트워크이다 이 때 민간으로서 참여하는 조직이나 개인이 미국식의 싱크탱크이든, 일정분야의 민간조직이나 기업에 종사하는 전문가 의 네트워크이든,. 또는 완전히 분산된 개인이든 상관없다 어떠한 방식이든 사이버스페이스 에서 문제와 지식정보를 공유하는 관계이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공동체는 국가사회에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 정책공동체는 국가와 시민사회의 협동을 전제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민간의 전문가는 바로 시민사회이다- 정부가 정책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계속적으로 시민사회의 협동을 지지 를끌어낼수있다. 둘째, 정책공동체는 정부와 시민사회의 전문가들이 항상 문제를 예측하고 대안을 준비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대응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셋째, 정책공동체는 민간 전문가의 정책결정에의 참여는 시민사회와 국민의 선호를 전달하 기 때문에 민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정책결정과정에 참가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협조자이면서 감독자가 되 어 능률성을 높이고 정책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문제의 현장에 있는 사람과 전문가의 의견 지식 노하우가 반영된다 여섯째, 정책적 대안이 항상적으로 준비되고 토론되고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기 때문에 각 개인,. 각 분야에서의 창조성이 발휘될 수 있다

정보사회의 시민운동이 활성화되고 국가전체의 발전에 귀결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정책공동 체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것은 미국식의 싱크탱크 조직이든 개개인에 대하여 정부가 일정한 대가를 지급하고 네트워크로 조직하든 그 구체적인 매카니즘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정부와 시민사회 협력이라는 시너지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285- 이것은 시민사회의 입장에서만이 아니라 국가와 정부의 입장에서도 중요한 것이다. 국가의 민주주의의 향상이 아니라 민주주의의 향상이 국가의 힘으로 나타날 수 있는 매카니즘이 중 요한 것이다. 오늘날 지식사회에 있어서는 국가사회 전체의 창의성을 고양하는 것이 국가 전체의 발전과 결부되어 있다. 행정과 관료만의 창의성에 그쳐서는 오늘날 세계적 경쟁에서 뒤떨어지게 마련이다., 이런 점에서 시민사회 전체 국민 전체의 창의성을 발휘하게 하는 시 스템의 설계야말로 결정적인 문제이다. 여기에 시민정보사회의 창조 그리고 시민사회의 새 로운 중요성이 있다. 이렇게 될 때 시민사회는 참여의 동기와 지혜를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5.제 3 섹터와 LM 커뮤니티

가.3 제 섹터의 활성화 시민단체와 시민사회의 장래에 관하여 상반된 견해가 가능하다. 어느 경우에나 정보사회의 발전과 사이버스페이스의 등장에 따라 공공영역이 분화된다는 것이 전제가 된다. 이 경우 그것은 복수의 공론장(multiple public sphere) 이라고도 한다 . 공론장이 복수가 되고 그 사 이에 연대(solidarity) 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공론장과 시민사회가 분해되어 파편화하 는 것이 된다. 하버마스도 복수의 공론장은 파편화 (fragmentation) 될 수 있다는 것을 지적 한다. 이에 대하여 다수의 것으로 분화되지만 그 연대가 형성된다면 그것은 다양화 (diversification)된다고 해야 한다는 것이다 .

가령 다음과 같은 단체를 보자

열린출산준비교실(http://childbirth.peacenet.or.kr)

열린 출산준비교실은1996 년 10 월 임상에서 조산사로 활동해온 3 명의 출산준비 교육자를 주축으로 시작되었으며,, 전통적인 라마즈 분만법외에 임신과 출산에 대한 일반적 지식 운 동,.,1 남편준비 및 출산준비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년이 지난 현재 출산준비 교육자는 다섯 식구로 늘었고3. 명의 자문의원이 동참하고 있습니다

-286- 먼저 출산준비 교육의 역사를 살펴보면, 1933 년 영국의 의사인 GrantlyDick Read 가 그의 저서‘’ 공포감 없는 출산 을 통하여 공포와 불안이 긴장을 일으키고 긴장은 동통을 유발시키 거나 증폭시킨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그는 출산준비 교육을 통하여 임부가 긴장을 불고 이완함으로 출산을 도울 수 있음을 보여 주었습니다.

이와 유사한 예로서 미국의 경우Crisis pregnancy 에 관련된 단체들이 전국에 걸쳐 수백개 가 있으며 이 단체들은 전미국에 걸쳐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87) 위의 열린출산교실과 같은 단체는 대단히 특수하고 전문적인 영역에 있어서 봉사하는 단체 라고할수있다앞으로의시민단체와시민운동의한모습이이러한방향을지향하고있음. 은 명백하다. 그런데 이러한 단체와 그 활동은 시민단체이고 시민운동이라고 부르는 것이 적절한 것인가,?ㆍ 비영리 봉사단체라고 부르는 것이 적절한가 바로 이점에서 시민단체 시민 사회와 비영리단체ㆍ 제3 섹터는 그 실체에 있어서 같은 것을 다른 관점과 다른 가치지향에서 이름붙인 것이 된다.

시민사회와 제3(),()3. 섹터는 국가영역 행정체계 시장영역 경제체계 과는 다른 제 의 영역이다 이 제3 의 영역을 정치적으로 보면 합리적 토론을 통하여 공론을 형성하는 장이라고 할 수 있다.3 시민사회와 공공영역의 패러다임은 바로 이 국가도 시장도 아닌 제 의 영역을 정치적 으로 규정한 것이다.3 이에 대하여 제 의 영역을 경제적으로 보면 비권력적 비영리적 영역이 라고 할 수 있다.3 제 섹터는 권력을 장악하고 행사하는 것도 아니고 이윤을 추구하는 것도 아닌 집단이나 행위들의 집합을 말하는 것이다.3, 그렇지만 시민사회와 제 섹터 시민단체와 비영리단체는 분명히 다음 두 가지 점에서 구별된다. 첫째,3 시민단체는 정치지향성을 가지는데 대하여 제 섹터는 시장에서 제공되지 않는 서비스 를 제공하는 비영리적 활동이라는 경제적 성격을 가진다. 둘째,3 시민사회가 공론의 형성을 주요한 성격으로 한다면 제 섹터는 자원봉사를 주된 성격 으로 한다. 앞으로의 시민사회(3 제 섹터 ) 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가갈 지 지금 예단할 수는 없다 . 그렇지만 적어도19 세기적인 공론의 장 , 공공영역은 아니라는 것이다 . 다른 한편 정보사회의 진행에 따라서 노동의 종말이 현실적 의미가 더해지게 되면 제3. 섹터의 중요성은 더해갈 것이다

87) http://www.w-cpc.org)(http://www.crisispregnancy.com

-287- 「()3미국의 경우 제 부문은 이미 사회에 널리 침투해 있다 . 공동체 활동은 사회서비스 , 건 강,,,, 교육과 연구 예술 종교 변호활동 등 전 범위에서 수행되고 있다 . 공동체 서비스 조직 은 고령자,, 장애자 정신병자 - 불우아동 , 무주택자와 빈민들을 지원하고 있다 . 자원봉사자들 이 낡은 아파트를 보수하고 저소득층용 새주택을 세우고 있다. 수만명의 미국인 자원봉사들 이 공동병원에서 에이즈 환자를 포함한 환자들을 돌보고 있다. 수천명의 양부모로 봉사하거 나 혹은 고아원과 자매결연을 맞고 있다. 가출소년 또는 고민이 있는 소년들에 대한 카운셀 링의 제공이나 문맹 퇴치운동을 위한 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도 많다. 주간 혹은 방과 후 탁아센터에서는 가난한 아이들에게 급식도 제공한다. 점점 많은 미국인들이 위기센터에 자원봉사자로 활동하면서 강도 및 강간 피해자와 부인 아동 학대의 피해자들을 돕고 있다. 수 천명의 사람들이 공공보호소에서 자원 봉사를 하고 있고 필요한 의류품을 제공하고 있 다. 많은 미국인들이 알코올 혹은 약물 중독자의 갱생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다., 변호사 회계사,, 의사 경영자 등 전문가들이 자발적 조직을 지원하고 있다 . 수백만 명의 미국인들이 자원 재생활동,,, 에너지 절약활동 반공해 운동 동물보호 등 환경보호운동에 자발적으로 참 가하고 있다. 불만처리와 대중의 인식과 법률 개선을 위한 조직에 참가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수십만명의 미국인들이 지역극장 성가대 합창단 등 예술활동에 참가하고 있다 자원 봉사자들은 소방업무,, 치안업무 재난구조 등 흔히 시정활동을 보조한다 .」 미국 경제활동행위의 구설을GNP 구성으로 보면 기업부문이 80%, 정부부문이 14% 임에 비하여 제36% 부문이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 또한 제 3 부문은 총고용의 9% 를 차지하고 있 다.,,. 이 부문의 피고용자는 건설 전기 수송 또는 섬유나 의류산업보다 더 많다 제3 부문의 자산은 현재 연방정부의 약 1/2 에 해당된다 . 1980 년대 초반 예일 대학교의 경제 학자 루드니(Gabriel Rudney) 에 의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자발적 조직들의 지출이 7 개국 만 제외한 나머지 국가의GNP 보다 더 많다고 한다 . 제 3 섹터는 총고용과 총수익면에서 정 부부문의 절반밖에 안되지만 최근에 정부나 사적부문보다2 배나 더 급속하게 성장해 왔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3 미국경제에서 제 섹터가 나머지 두 부문을 침식하고 있으며 대부분 국가의GNP 를 능가하고 있다 .』88)

88) 위 제레미 리프킨 노동의 종말 p.316

-288- 이러한 점에서 제3 섹터의 성장은 시민사회의 새로운 모습이고 새로운 사회의 한 모습이라 고 해야 할 것이다.3 또한 시민사회와 시민운동에 있어서도 이러한 제 섹터를 종합하여 재규 정해야 할 것이다.

나.LM 커뮤니티의 활성화 제3.3 섹터는 그 자체가 비영리와 봉사를 지향하는 가치있는 영역이다 이와 함께 제 섹터를 경제적으로 보면 전혀 다른 중대한 의의를 가진다.3 제 섹터는 시장메카니즘에서 제공할 수 없는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이다. 이것은 다음 두가지로 인간사회에서 가히 가장 중대한부문이라고할수있다. 첫째, 시장에서는 해택을 받을 수 없는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시장체제에서는 살아 갈 수 없는 사람을 사회가 부조하는 것일 뿐 아니라, 그렇게 함으로써 사회를 안정시키고 시장을 가능하게 한다.3 제 섹터가 없거나 약하면 시장질서가 자체가 약자의 저항으로 치안 을유지할수없게될것이다. 둘째,,,, 아직 시장에 진출할 수 없는 상품 서비스 기술 등이 성장하고 마침내 시장성 이윤 성을 갖추게 뒷받침하는 영역이다.( 어떠한 사업 상품이나 서비스의 생산 ), 도 원가 기술수준 등의 이유로 시장에서는 아직 이윤성을 바랄 수 없는 상태가 상당기간 계속된다. 이것은 상 품이나 서비스가 시장에 나가기 전에 캐즘(Chasm) 에 빠져있는 상태이다 . 이런 상태의 재화 나서비스를생산가능하게하는것이제섹터이다3.

이러한 제3 섹터의 경제적 성격에 대하여 상호부조적인 지역화폐 (Local Money) 에 의하여 비시장적인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사례가 증대되고 있다. 앞에서 이야기한 지역화폐 공동체 이다.. 그 사례와 현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89)

지역화폐 공동체의 사례

89)HereNow System 대표 이원규 본 프로젝트의 포럼 발제문

-289- ○호주 1990년대 초 지역화폐공동체가 34 개에서 200 여개로 확장 모든 레츠 지역통화체계의83% 가 개인에 의해 세워졌고 17% 가 단체에 의해 설립되었다 . 그 중 많은 숫자가 정부기관에 의해 설립되었다.(CommunityCenter) 주의회는 구민회관 에 레츠시스템을 세우라고 보조금을 지급한다. 호주는 주정부가 지역화폐공동체를 설립하는 것 을보조금을지급하여적극지원하고있다.

○영국 1992년 5 개의시스템에서 1994 년말약 275 개 , 1996 년말 350 개이상현재약 , 600 여 개가 활동하고 있다. 웨스트 요크셔의 칼더데일 레츠의 예: 회원들의 실제 레츠머니 사용결과를 보면 69% 가 가 정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였고, 43% 가 상품구매에 , 24% 가 교육을 받는 기구로 , 17% 가 사업에 활용하였다. 처음에 중산층과 녹색주의자들에 의해서 시작되었으며 지금은 점차 더 넓은 계층의 사람들 이 참여하고 있으며,. 저임금계층의 참여와 실업자 흡수에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 30개 주에 200 여개의 지역화폐 공동체가 운영되고 있다 . 이타카 머니를 사용하는 뉴욕주에 서는 아예 지역화폐를 인쇄하여 유통시키고 있다.1,400 이타카 머니는 여 종류의 물품 및 서비스 리스트를 게시하고 있으며 경제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외에도 미국에서는 상업적 물물교환 네트워크(Commercial Bater Network) 이 약 1,000 여 개가 있으며 그들의 총거래액은 연200 억 달러에 달한다 .

6.결론 : 시민정보화 시스템

우리는 이제까지 시민정보사회가 근대사회에서의 패러다임( 더욱 정확히 말하면 독일적 관 점), 즉 시민사회의 활성화 , 시민운동 , 공론의 장 형성이라는 관점에서만 볼 것이 아니라 좀 더 넓은 시야에서 제3, 섹터 교육 등을 포함하는 사회시스템의 관점에서 보았다 .

-290- 이렇게 시야를 넓혀서 사회시스템의 관점에서 시민정보사회를 볼 때, 그 구성 요소 그리고 활성화해야 할 분야,. 외국의 사례들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 걸쳐 있다

1) 교육의 변혁과 지적재산권 공유베이스의 확장 2) 시민운동의 활성화와 정책공동체의 형성 3)제 3 섹터의 활성화와 LM 커뮤니티의 활성화

이렇게 보면 시민정보사회는 위와 같이3, 가지 분야 여섯가지 요소들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3)’.( 이 분야 모두가 종합되어 시민사회 제 섹터 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시민사회 제 3)섹터 를 기반으로 하여 그 위에 국가와 시장이 발전하는 것이다 . 시민사회 (3) 제 섹터 가 중심 이며 이것이 튼튼하지 못하면 국가도 시장도 발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그림 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291- 제5 장 참고문헌

몬덴 야수히로, 「」신도요타 시스템 (송한식 , 홍성찬 역 ), 기아경제연구소 , 1994. 송회식,, 송한식 「」교육대개혁 ,도서출판 모색 , 1994 마스오 사브로, 「」정보화 사회의 인재 육성 1991, 주식회사 코리아 컴퓨터 Edupage, 3 March 1998, Financial Times 27 Feb, 1998 Edupage, 26 Feb 1998, AP 25 Feb. 1998 Edupage 24 June 1997, New York Times 24 June 1997 Edupage 24 June 1997, Business Week 23 June, 1997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23, May 97 Albernathy, W. J. and K. Wayne, "Limits of the Learning Curve," Harvard Business review,Sep-Nov.1974,p.55 Aronowitz, Stanley & William DiFazio, "Jobless Future", University of Minnesota, 1994 Avishai, Bernard, "What is Business's Social Compact?" Harvard Business Review, January/February 1994, pp.38-48 Bridges, William, 『』Job Shifts ,NicholasBrealy,London,1995. Buffa, Elwood S., "Modern Production" Operations Management, 7/e, John Wiley & Sons. 1983. Capdevielle, P. and D. Alvarez,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Trends in Productivity and Labor Costs,"Monthly Labor Review, December 1981, pp. 14-20. Dove, Rick, "Agile Machines and Agile Production,"Production, September 1995. Dove, Rick,"On Cells at kelsy-Hayes,"Production, Fenbruary 1995. Drucker, Peter F. Post-Capitalist Society, New York: Harper Business, 1993.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 이재규 역 ) , 한국경제신문사 , 1993. Iacocca Institute, "21st Century Manufacturing Enterprise Strategy,"report, 1991. Jaikumar, R., "Postindustrial Manufacturing,"Harvard Business Review, November-December 1986. Kendick, J. W., "Productivity Trends in the United States,"Princeton Univeristy Press, N. J., and Bureau of Labor Statistics.(Buffa, 1983, p18에서 재인용 ) Kidd, Paul T., Agile Manufacturing: forging new Frontiers, Addison Wesley, 1994. Leonard-Barton, Dorothy, "Wellsprings of Knowledge: Building and Sustaining the Sources of Innovati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5.

-292- Levine, Arthur, "How The Academic Profession Is Changing,"Daedalus, Fall 97 v.126 Marshal,Ray and Marc Tucker, "Thinking for a Living: Education and the Wealth of nations", New York, Basic Books, 1992 Noam,EliM.,"ElectronicsandDimFutureoftheUniversity,"Science, Vo1. 270, October 13 1995, pp.247-249. Rifkin, Jeremy, "The End of Work",「」노동의 종말 이영호 옳김 , 민음사 , 1996) Rada,Roy and James R. Schoening, "Educational Technology Standards," Communications of the ACM, September 1997/Vol. 40, No. 9 Schoderbek, Peter P., Charles G. Schoderbek, and Asterios G. Kefalas, "Managment Systems: Conceptual Considerations", 4tt ed., BPI IRWIN, 1990 Snider, James H., "Education Wars: The Battle over Information Age Technology," The futurist, May-June 1996. Stone, Nan,"Does Business Have Any Business in Educ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March-April 1991. Tapscott, Don, The Digital Economy, McGraw Hill, 1996, Mitchell W.J. City of Bits : Space, Place and the Infobahn. The MIT Press 1995 Brian Kahin (Editor), Charles Nesson (Editor). "Borders in Cyberspace : Information Policy and the Glob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published 1997 Steven E. Miller. "Civilizing Cyberspace : Policy, Power,and the Information Superhighway", 1995 Brian D. Loader."The Govermance of Cyberspace : Politics, Technology and Global Restructuring", 1997 David Holmes (Editor). "Virtual Politics : Identity and Community in Cyberspace (Politics and Culture)," 1998 Mary Price Lee "100 Best Careers in Crime Fighting : Law Enforcement, Criminal Justice, Private Security, and Cyberspace Crime Detection", 1998 Edward A. Cavazos, Gavino Morin. "Cyberspace and the Law ; Your Rights and Duties in the On-line World", 1994 M. Ethan Katsh. "Law in a Digit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Inc Peter W. Huber. "Law and Disorder in Cyberspace : Abolish the Fcc and Let Common Law Rule the Telecosm", 1997

-293- 기타자료

Information Week, 2 Feb. 1998, http://www.informationweek.com LG전자 교육 프로그램 : http://www.lge.co.kr McDonalds Hamburg University : http://www.mcdonalds.com/a_careers/careershamuniv/ McGraw Hill University: http://www.mhonlinelearning.com/ Motorola Univerity: http://www.mot.com/MU/email.html National Technology University: http://www.ntu.edu/ Oracle Education: http://education.oracle.com/education http://skylab2.oracle.com:8000/htm/home.htm

-294- 제6 장 정책적 제언

제1 절 한국사회와 시민사회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회는1997 년 12 월 IMF 구제금융을 받게 된 것을 기점으로 하여 심각한 경제적 불황 과 대량실업의 상태로 접어들었다. 1998 년 4 월 말 통계청의 조사에 의하면 실업자수는 137명 등으로 발표되었지만 금융연구원 보고서에 의하면 현재 실질적 실업자는400 만 명 에 이르는 것으로 추계되고 있다.90) 이렇게 된 근본 원인은 이제까지의 사회시스템이 정보사회라는 시대적 현실에 비교할 때 너 무 진부해졌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미국이 주도하는 전세계적인 정보화의 과정에서 변화한 세계경제시스템에제대로적응하지못했다고할수있다그리하여한국은지금총체적위. 기에 처해있다.. 현실의 최대의 문제는 경제회복의 문제이고 실업문제이다

90) 한국일보4/29 자 [ 금융硏 , 실질적 실업인구 400 만 돌파 추정 ]

금융위기로 초래된 기업 및 개인사업체들의 부도사태와 이로 인한 실직 및 수요감소 등으로 실 질적인 실업상태에 빠져 있는 인구가 이미4. 백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통화공급확대와 재정적자가 제약돼있는 국제통화기금(IMF) 체제 아래서 실업대책에 필요 한 재원마련은10 조원을 넘기 어려울 전망이다 . 따라서 임금삭감을 병행하는 대응책을 마련,33 시행할 경우 올해안에 최대 만명의 실업자를 구 제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됐다. 29일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 (IMF) 사태 이후 활동을 중단한 개인사업자 , 구직활 동을 포기한 실망실업자 및 명예조기퇴직자 등 정부의 실업률 통계에서 제외되는 부분을 감 안할 경우 실질적으로 소득을 창출하지 못하는 인구가 경제활동인구의20% 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원 관계자들은 통계청의 실업률 통계로는 지난3138 월말 현재 실업자가 백 만명이나 전반적 인 수요감소로 활동을 중단한 뒤 취업시도를 하지 않고 있는 개인사업자, 취업하지 않고 있는 명예퇴직자,, 근로시간 단축으로 실질적인 실업상태에 있는 근로자 고용의 질이 낮은 서비스 산업의 단순 노동직 취업자, 대학졸업자중 구직난으로 취업을 포기한 대학원 진학자 등은 실 질적인 실업상태라고 말했다. 한편 일주일 노동시간이17 시간에 못미치는 불완전 취업자는 40 만 여명 , 일시휴직자는 15 만 여 명,3040 구직활동을 포기한 실망실업자와 매년 만~ 만 명에 달하는 신규 노동력중 취업을 포 기한 사람들을 포함한 비경제활동인구 증가분은72 만 여명에 각각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 이 관계자들은 이같이 노동시장에서 정상적인 소득창출 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는 인구는 경제활 동인구의20% 에 이른다며 경제활동인구가 2 선 1 백만 명 수준임을 감안할 때 실질적인 실업 상태의 인구는4.… 백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고 말했다

-295- 오늘의 한국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단순한 경제정책적 접근, 국가주도적인 방식으로 는 부족하다., 산업사회에 있어서는 경제정책적 접근 국가주도적인 접근법이 당연한 것이었 다. 그러나 오늘의 정보사회에 있어서는 경제정책만으로 그리고 국가정책만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미국이1990 년 초기의 불황기에서 벗어난 것은 정보화에 대한 투자와 민간의 에너지를 활 성화한 것이었다. 그 구체적인 방식은 달리한다고 하더라도 우리의 경우에도 정보화를 통한 경제의 회복, 시민의 참여와 민간의 에너지를 활성화하는 것에 의해서만 사회를 국가사회를 재생시킬 수 있다. 이 두 가지 가운데 어느 하나라도 부족하면 국가사회의 재생은 가능하지 않다. 국가주도에 의한 정보화 투자를 많이 한다 하더라도 그것이 시민과 민간의 에너지와 창조성을 활성화하지 못한다면 별다른 성과를 거둘 수 없을 것이다. 반대로 시민과 민간의 에너지가 발휘된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정보화를 중심축으로 하여 전략적으로 종합되지 않으 면에너지는소산될것이다. 이제까지 시민운동은 군사문화와 권위적 정권에 대한 요구와 저항의 성격이 강하였다. 그러 나 현재로서는 정부가 시민사회가 힘을 합친다고 하더라도 난국을 돌파하기 어렵다. 그리하 여 가장 중대한 문제는 정부와 시민사회, 민간단체가 협력하는 매카니즘을 창조하는 문제이 다. 또한 현재로서는 실업문제의 해결은 바로 경제회복의 문제이고 경제회복의 문제는 사실 상 우리 사회를 재창조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실업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한다고 하더라도 그 것은 우리사회를 정보사회로 재창조하는 문제와 같은 문제라는 점에서 사회 전반적인 문제 이고 시민정보사회의 문제라는 것이다.

제2 절 시민정보사회 지도자 네트워크

정보화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거론되는 정책들-, 정보산업을 육성하고 기술개발을 지원하며 , 벤처산업을 육성하고…-. 더욱 구체화하고 효과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296- 이러한 국가 주도적인 정책 이외에 시민사회, 민간단체들이 자생적이고 창조적으로 에너지 를 발휘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야 한다.. 미국은 결코 국가 주도적인 정책이 아니다 한국 은 미국식 정책패러다임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면서 정작 미국에서 가장 핵심적인 민간 중심 적 패러다임은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 지난 시절 문민정부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것이 국가 주도적이었으며 민간의 에너지와 창조성과 지지를 끌어내지 못했기 때문에 실패 한 전례는 반성되지 않고 있다.91)미국의 민간주도의 많은 정보화 프로젝트들이 있는 바 그 중의 한 예로 맨해튼 사이버 프로젝트를 고찰하는 것은 도움이 된다.

1.해외의 사례 : 맨해튼 사이버 프로젝트 (Manhattan Cyber Project)

91) 정보사회의 사이버스페이스,(Cyberage) 또는 사이버시대 에서는 민간의 자발적인 참여와 자 율적인 사용이 번창하여야 한다.. 이것을 우리는 프랑스의 사례에서 알 수 있다 프랑스에서는 과거에,IBM 당시에 이 세계의 컴퓨터와 통신시장을 지배하는 추세에 대응하여 , 정부가 투자 를 주도하여 마이크로컴퓨터의 개발에 역점을 두었다., 그러나 현재 프랑스 제품 마이크로 컴 퓨터는 세계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미국의 빌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사 나 스티브존 스() 애플사 와 같은 자발적인 발전이 일어나지 못한 때문으로 볼 수 있다 . 이것은 프랑스의Minitel 에서도알수있다 . Minitel 은정부의통신회사에서 투자하여 터미널을 무료로 보급하여 활용하기 시작하여 세계에서 비디오텍스(Videotex) 로서는 크게 성공하였다 . 그러나, 미국과 유럽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홍수에 밀려서 지금은 전화요금 청구서를 처리 하는 정도의 수준으로 전락하였다. 시라크 대통령은 1996 년 12 월 처음으로 컴퓨터 마우스로 인터넷을 접속해 보고는“”. 앵글로 섹슨족의 네트워크 라고 평가가 절하했다 그 때문인지 프랑 스에서는 인터넷에 대한 규제가 매우 심하다. 프랑스에 있는 사이트에서는 반드시 불어로 표 현하거나 병행해야 한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제는 사용을 위축시키고 결과적으로 사이 버시대에 뒤쳐지는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Noam, 1997).

정보사회에서는 정보환경을 되도록 많은 사람이 자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물론 음란물이나 개인 프라이버시 문제 때문에 규제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으나 이것은 어디까지 나 사용자의 문제이지 이것을 기술적으로 규제하기는 어려움에 틀림없다. 더구나 이러한 규제 때문에 사용이 위축되어서는 안된다. 미국의 통신품위법 (Communication Decency Act) 이 통 과되었지만1997 년 6 월 대법원에서 위헌결정으로 기각한 것도 결국은 인터넷에서 표현의 자 유스러움을 보장해야 한다는 편에 선 것이다., 인터넷에서 사용을 규제한다면 그것은 그 내용 (contents)보다는 사용자 개인이나 물리적인 재산 (tangible property) 에 규제를 가하는 방법 을 택해야 할 것이다.(Noam, 1997) Noam, Eli M., "Why internet will be Regulated", Educom Review, September / October

-297- 사이버스페이스가 경제사회적인 공간으로 기능이 확대되어 감에 따라 결정적으로 중요해지 는 분야가 있다., 그것은 사이버스페이스 자체의 유지와 파괴 그리고 사이버스페이스의 통 제권과 관련된 분야이다. 이는 사이버스페이스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담보하는 보안 및 암호 의 분야로서 이른바 사이버스페이스의 핵기술에 비유되고 있다.ㆍ 이들 분야에서 미국은 민 관 합동으로 맨하탄 사이버 프로젝트(Manhattan Cyber Project) 를 대규모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사이버 위협 (cyber threat) 을 방지하기 위한 정부민간의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문제가 제기되었고 기업과 학계를 대표한 경영팀(Management Team) 이 1997 년 5 월 초순에 형성되 어 맨하탄 사이버 프로젝트로 발족, 미국 정부도 1997 년 8 월 활동에 참가하였다 . 이 프로젝트의 내용은 다음과 같은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ㆍㆍㆍㆍ프로젝트의 기원(Project Origin) 임무규정 (Mission Statment) 임무 (Mission) 과제 (Tasks)ㆍㆍㆍ참여대상 (Target Audience) 주요일정 (Schedule) 이정표 (Milestone To Data) ㆍㆍㆍ조직(Organization) 자금조달 (Funding) 수행사업 (Outreach Events) ㆍ 상황실 시설 (War Room Facility)ㆍㆍ수행팀 기준 (Outreach Team Criteria) 정부참여 (Government Participation)ㆍㆍ정부의 지원 권한없음 (IPTF Disclaimer) ㆍ 사이버스페이스 조사교육센터 (CYREC:Cyberspace Research & Education Center) ㆍ사이버스페이스 보안 정상회의 (Security in Cyberspace Summit)ㆍ예상결과 (Anticipated Outcom)/ How Can You Help ㆍ추가정보(More Information)

맨하탄 사이버 프로젝트는 단순히 해킹(Hacking) 등과 같은 침해에 대응하는 보안을 위한 프로젝트 즉, 단순한 방화벽 (firewall) 이나 암호 등에 관한 기술개발의 문제는 아니다 . 협의 의 보안문제에 관련된 수행분과팀은 전체15 개의 팀 중에서 2 개 정도에 불과하다 . 오히려 이 프로젝트는 사이버스페이스페이스의 취약성(vulnera-bilities), 위협 (threat), 침투성 (penetration)에 대한 범국민적인 대응으로서 궁극적으로 사이버스페이스의 세계통제권 확 보를 위한 성격을 더 강하게 갖는다., 즉 사이버스페이스를 하나의 경제사회공간으로서 설 정하고 이 속에서의 안전성과 질서(rule), 성숙성을 확보하는 것으로써 사이버스페이스를 완 성된 경제 사회적 공간으로 건설하겠다는 것이다.(mission) 그리하여 이프로젝트의 사명 은 미국의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사람(people), 기술 (technoology), 과정 (process) 의 유효성 (availability)과 효과성 (effectiveness) 을 증진하는 것이라고 선언하고 있다 .

-298- 15개 수행분과팀의 과제를 살펴보면 안전 (Generic Security), 조사 (Investigation), 위험평가 (Risk Assessment),위협대책 (Threat), 관련자료 수집분석 (Incident Data), Anti-Virus, 경쟁 력있는 지식(competitive Intelligence), 보안암호(Cryptography), 전자상거래 (Electronic Commerce),방화벽 (Firewall), 윤리 (Ethics), 정보전쟁(InfoWar), 법률 (Legal) Year2000, 청소 년프로그램(Youth Program) 등이 있다 . 이들 분과를 보면 이 프로젝트가 얼마나 방대한 영 역에 걸쳐 수행되고 있는가를 짐작할 수 있다.ㆍ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민간기업 민 간단체는 American Bankers Association,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T&T, Booz-Allen & Hamilton, BTG, Chase Manhatten, Citibank, First Union Bank, Hurwitz Group, Microsoft, RAND Corporation, U.S. Airway, United Airlines, University of Florida, University of Maryland등 50 여 개가 넘고 있다 . 한편 이제 현실의 물리공간이 사이버스페이스로부터 위협(Cyber Threat) 받는 일도 심각한 일이 되고 있다. 현실의 물리공간의 시설로서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지켜야 할 주요기관 (Critical Infrastructure Area)으로는 원격통신 , 전력 시스템 , 가스와 오일의 수송저장시설 , 금융과 재정,, 운송 수자원 공급시스템 , 긴급서비스 , 생명구호 정부서비스 등을 선정하고 있 다. 중요한 점은 이 맨해튼 사이버 프로젝트가 민간의 발의로 시작되었으며, 정부는 단순히 한 멤버로 참가하고 있다는 것이다.(FBI), 이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정부기관은 연방수사국 법무 성, 국방성 , 정보부 (CIA), 국가안전국 (NSI), 에너지성 , 국방정보국 (DISA), National Communication System등 9 개 기관이며 이들의 통합기관인 IPTF(Infrastructure Protection Task Force)를 구성한다 . 그렇지만 IPTF 는 이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지원하 지만 결코 어떠한 권위나 권력을 행사하지 않는다. 동시에 이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개개인 의 민간단체에 대하여 어떠한 특혜를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도 아니다.(IPTF Disclaimer)

2. 시민정보사회 지도자 네트워크

-299- 한국에서도 맨해튼 사이버 프로젝트와 같은 시민과 민간이 중심이 되고 정부부처가 참여하 고 지원하는 국가적인 프로젝트가 제기되어야 한다. 이제까지 추진되어온 한국의 정보화 과 정은 이러한 시민중심의 추진주체가 충분히 형성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다. 한국은 그 동안 정보화 분야에서 많은 단체,. 개인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가령 한국에서의 개 인 홈페이지는 거의10,000 개에 육박하고 있다 . 이러한 개인 홈페이지는 아무런 이윤동기 는 없으며 이해관계나 정치적 동기에 의한 것도 아니다. 이러한 시민적 에너지는 지금 현재 는전혀활용되지못하고있다. 이와 같이 정보화에 선도적인 관심과 능력을 가진 시민들로 지도자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한 다. 여기에는 교수 ,,,,,(),, 교사 대학생 자영업자 지식인 공무원 개인 시민단체 정보운동단체 , 중소기업 등 광범한 참여가 가능한 인적자원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지도자네트워크를 시 민정보사회 지도자 네트워크’. 라고 부르기로 하자 이러한 시민정보사회 지도자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은 시민사회가 주도가 되어야 한다. 정 부는 지도자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동기를 제공할 수는 있으나 정부가 주도가 되어서는 안 된다. 정부가 주도하는 즉시 그것은 민간적 자발성을 상실하게 되고 정부로부터 혜택을 받 으려는 방식으로 변질될 것이다., 다른 한편 이러한 지도자 네트워크가 형성될 때 정부가 참여하는 방식도 미국의 맨해튼 사이버 프로젝트와 같은 방식이 되어야 한다., 즉 정부는 각 부처별로 단위 기관별로 참여하되 지도자 네트워크에서 어떠한 주도권을 행사하거나 감 독하려고 해서는 안될 것이다. 설사 재정적인 지원을 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이유로 감독 권이나 주도권을 행사해서는 안된다. 정부가 재정적 지원을 하는 경우 올바른 사용을 하는 제도적 장치는 투명성이다. 지도자 네트워크의 재정계획과 지출내용을 인터넷을 통하여 모 든사람이알수있게공시하는것으로충분하다만일제정이잘못사용된다면재정계획과. 지출내용을 근거로 시민사회와 지식인 사회에서 비판이 제기될 것이며, 이러한 비판에는 물 론 정부의 부처나 개인() 공무원 도 비판자의 입장에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것이다 . 사이 버스페이스에서의 투명성이야말로 자율적 행동,. 자동적 감독의 장치인 것이다 이하 아래에 서는 시민정보사회 지도자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사업들을 제시한 것이다. 그것은 전체를 요 약하면 이제까지 논의해 온 시민정보사회를 발전시키는 것이다.

-300- 제3 절 시민정보운동과 실업대책

시민정보사회지도자네트워크가할수있고해야할가장큰문제는실업문제의해결에시 민적 에너지를 동원하는 것이다. 현재의 실업문제는 단순한 경제적 문제가 아니라 국가사회 전체의 문제이고 동시에 인간의 삶의 문제이다., 정부가 아닌 시민 지도자 네트워크가 실업 문제에대하여할수있는일은다음몇가지로나누어말할수있다. 1)노동시장의 사이버스페이스로의 이전 2)교육시장의 창출 3)()지적知的 공유제도의 창출 4)제 3 섹터의 활성화 5)지역화폐공동체의 형성

우선 실업문제의 가장 근본적인 출발점은 노동시장-- 구인과 구직의 만남 을 사이버스페이스 로 옮기는 것이다., 현재 각 통신회사 별 각 홈페이지별로 구인과 구직의 정보들이 모여지 고 있다. 사이버스페이스 공간에서 고용에 관한 정보들이 교류되고 이를 통하여 구인구직을 연결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노동부 등 공식적 기관에서 하는 직장의 알선도 실 제로는 실직자로부터 등록을 받고 이것을 컴퓨터 처리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구인구직의 과 정에서 구인구직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검색하여 구인구직을 연결하는 업무가 공식적인 공무원이나 보조원에게 맡겨질 때 그 효율성이나 적합성의 한계는 명백한 것이다. 다수의 사람들과 조직이, 나아가서는 구인구직을 하는 개개인들이 직접 검색할 수 있는 정보유통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런 점에서 인터넷 공간이야말로 이러한 가장 효율적인 노동시장-- 구인구직의 연결 을 창 조하는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인터넷공간이란 앞에서 본 것처럼 본질적으로 데이터베 이스 공간이다. 구인구직에 관한 상세한 정보들이 데이터베이스화해야 한다 . 약 100 만 명의 개인이나 기업이 개별적 홈페이지를 작성하고 그것을 데이터베이스로 하여 다수의 시민 에 이전트들이 이를 검색하여 상호 연결하는 일을 한다면 그100 만 명에 대해서는 가장 효율적 인노동시장이될것이다.

-301- 이러한일은정부기관이나상업적인직업알선기업들이모두해낼수있는일이아니다시. 민단체,, 대학생 실업자 자신이 이러한 일에 익숙하게 되어야 한다 .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1)구인구직에 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키워드 (Keyword) 가 표준화되어야 한다. 이것은 각 산업별 분류 ,,, 직업별 분류 직무별 분류 가능별 분류를 통합하는 표준 고 용분류가 작성되어야 한다. 이 분류표의 개념들이 모두 홈페이지를 작성하고 검색하는 키워 드가 되는 것이다. 2)인터넷 서비스업체와 시민단체간의 결합과 이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10 몇 만 또는100 만의 구인구직용 홈페이지를 개설하려면 이를 수용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확보 해야 하는 바, 그 개수는 크게 문제되지 않지만 그러한 운동에 호스트 컴퓨터를 지원할 업 체에 유인이 주어져야 한다. 3)위와 같은 물적 기반이 제공되면 직접 홈페이지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다수의 대학 생 블론티어가 지원하여야 한다. 이것은 단순한 호소나 설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 니며,,, 이러한 블런티어에 대한 언론의 홍보 사회봉사학점의 인정문제 이러한 운동에 참가 하면서 발전하게 될 컴퓨터와 인터넷의 능력에 대한 공인자격의 부여 등의 유인조치가 취해 져야 한다. 4)이렇게 대규모의 홈페이지를 만드는 것은 수많은 사람들 ( 실직자 ) 과 대학생 블런티어 등과 의 접촉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접촉과정에서 컴퓨터와 정보기술 정보화 지식을 학습하는 과정이 된다. 이러한 학습과정이야말로 한국의 정보화 과정을 촉진하는 일이 될 것이다. 대 량실업의 상황은 어떠한 경우에도 제공되기 어려운 정보화에 대한 학습과 사이버스페이스에 대한 참여의 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5)이렇게 만들어진 홈페이지 데이터를 검색하고 구인구직을 연결하는 에이전트를 봉사로 하 는 시민단체,, 개인 대학생그룹 등을 육성하여야 한다 . 이것은 그러한 개인에 대한 사회적 유인을 제공하거나 제도적 유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처럼 노동시장 자체를 인터넷 공간으로 옮기는 것은 실업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대책이고 이를 통한 효율적인 노동시장을 창조하는 것 이외에도 한국에서의 정보화에 획기적인 발전 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정보화의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은 인터넷 인구라고 할 것이다

-302- 한국에서는 인터넷 인구가1998 년 현재 약 100 만으로 추산되는 바 , 미국은 현재 5,800 만으로 추산된다.. 이와 같은 엄청난 차이가 바로 정보화 수준의 차이인 것이다 노동시장을 인터넷 공간으로 옮기는 것은 이러한 정보화인구를 급속히 상승시키는 것이다. 직장을 구해야 하는 상황이야말로 이러한 정보화의 동기를 제공하는 유력한 기회인 것이다., 핀란드 노르웨이 등 에서는 이미 노동시장을 포함하여 많은 분야가 사이버스페이스로 이주하였다.

제4 절 교육개혁과 지적 공유제도의 창설

고용문제는 경제가 어느 정도 회복된다고 하여 바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왜냐하면 정 보화에 의하여 제조업 등 기존의 모든 산업에서 고용규모가 급속하게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 다., 경제가 회복되는 것은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은 점점 더 적 은 고용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업문제 고용의 문제는 제조업시장과 같은 전통적인 산업 이외에 다른 시장을 창출해내야 한다. 고용의 문제는 전통적인 산업사회와는 다른 시장을 창출하는 문제이다. 한국에서는 이와 같은 새로운 산업으로서 교육시장이 유력하다. 정보화에 의하여 교육분야 는 엄청난 가능성이 열려지고 있다. 대학은 물론 심지어는 학점과 학위제도 자체도 낡은 것 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92)으나 기존의 제도적 틀에 묶여서 교육시장이 활성화되지 못 하고 있다. 교육시장이 고용을 흡수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은 교육공급자가 무한하고 교육 수요자가 무한하다는 점에 있다.- 모든 사람은 모든 실직자들은 - 무엇인가 가르칠 수 있는 능력과 자격 이 있으며,.. 모든 사람은 평생을 통하여 배워야 한다 이것이 학습사회의 새로운 기반이다 이러한 교육시장을 활성화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조건은 네 가지이다.

92) 학점과목과 학년제의 폐지 아마도 전통적 교육이 들어낼 최악의 발명품은 학년과 학위제도일 것이다... 전문적 지식을 요하 는 미시적인 전공분야에서 학위를 딴다는 극도로 자기파괴적인 것처럼 보인다.21 세기에 들어 서면 인공지능을 채택한 똑똑한 기계,, 전문적으로 설계된 시스템 그리고 가장 거대한 기억저 장소가 이‘’ 박사학위 를 취득하는데 가장 적합하지 않을까 ? 인간이라면 추론과 판단 , 비판적 분석, 그리고 사물과 개념간의 연결고리를 찾아내어 보다 엄밀하고 복합적인 상호 연관된 학 문을 해야 하는 것이다.(Joseph N. Pelton ; Cyberspace vs University : An Irresistible Force Meets an Immovable Object : Futurist 1996.11-12,새문명 Road 1998.5-6)

-303- 첫째,. 기존의 대학을 중심으로 하는 모든 규제들은 해제되어야 한다 대학만이 아니라 어떠 한 방식으로든 학습을 받은 것은 정당하게 평가받을 수 있는 매카니즘을 창조해야 한다. 둘째, 학습을 한 방법에 상관없이 그 지적 기술적 성취를 인정받을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평가제도,. 공인제도를 지속적으로 창조해야 한다 이미 민간부문에서 많은 자격증이나 능력 시험들이 창조되고 있다. 이러한 자격과 능력평가들이 세분화하여 창조하고 공시되는 것이 야말로 사회를 재창조하는 과정이다. 셋째,. 교육코스가 세분화하여 계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특정한 분야의 기술적인 교육코 스를 비롯하여 인간의 심성개발에 이르는 교육코스에까지 수많은 교육코스들이 가능하다. 이러한 교육코스에 비교하면 대학에서의 학점제 학년제 강의식 교육코스는 참으로 진부한 것이다. 넷째, 수많은 교육자와 학습자가 공동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국가사회 전체가 공유하 는 지적 자원을 확충해야 한다. 이것은 민간 내지 시민이 참여하는 지적 공유제도를 창설하 는 것이다. 이러한 지적 공유제도는 기술혁신에 있어서도 다수의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의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혁신을 이룩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이상의 문제는 단순히 실업의 문제만은 아니다., 그것은 교육시스템을 재창조하는 것이며 우리사회가 발전할 수 있는 인적 지적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운동을 하 는데있어참여는중대하지만정부가할수있는아니다.

제53 절 제 섹터의 활성화와 지역화폐 공동체

실업문제의 해결은 영리적인 사업,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에 의해서는 완전히 해소될 수 없 다. 다시 말하면 과거의 산업 사회적인 관점에 입각한 실업대책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 다.3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시민운동 내지 제 섹터는 실업을 흡수하고 고용을 창출하는 중요 한부문이라고할수있다나아가제섹터는인간이다만이기적인목적이아닌다른목적.3 , 삶의 의미,, 사회에 대한 봉사 사회적 가치에 대한 헌신 등을 동기로 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병리를해결하고인간사회를정신적으로발전시키는부문이라고할수있다.

-304- 그 동안 경제성장과 근대적인 가치관에 함몰되어 제3 섹터는 완전히 무시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도 광범한 제3 섹터가 자라나고 있다 . 1997 년에 시민단체가 대략적으로 파악한 한 국의 시민단체 내지 제33,500 섹터만 해도 약 여개 단체가 있으며 여기에 관계하는 회원은 상당한 수이다.270,YMCA 가령 새마을 운동 중앙본부는 회원을 만 명으로 잡고 있으며 는 회원을64,000 명으로 잡고 있다 .93) 지금까지는 제3 섹터는 오히려 더 많은 인구는 관변단체 에 소속하여 기생적인 측면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3 그렇지만 그들도 여전히 제 섹터인 것 은확실하고비영리적목적으로사회적인일을하는것이다앞으로는이러한제섹터를활.3 성화하는 것이 고용문제나 사회적 의식의 변화에도 결정적으로 중요한 문제이다. 제3.3- 섹터는 적은 비용으로도 많은 고용을 흡수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 섹터의 대부분은 관 변단체가 아닌 경우에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희생과 재정의 충당이라는 부문이 있기 때문에 동일한 고용량을 창출하는데 영리적 기업과 같은 비용이 소요되지는 않는다.3 동시에 제 섹 터는 영리적 활동이 아니기 때문에 사회의식에서의 이기성을 순화시킬 수 있으며,3 제 섹터 의 인구가 많아지는 것이 바로 사회적 의식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3 섹터와 연계하여 지역화폐 공동체를 활성화시킨다면 고용창출에서 획기적인 변 화가 가능하다. 지역화폐 (Local Money) 는 시장에서는 생산되거나 유통될 수 없는 재화나 서비스의 생산유통을 가능하게 한다. 왜냐하면 반드시 영리성을 기준으로 생산유통되는 것 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것이야말로 고용을 창출하는 것이다 앞으로 줄어드는 시장고용을 보완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비시장부문-3 바로 제 섹터와 그것을 하나의 비시장 매카니즘으 로창조하는것이다.

93) 경실련에서 펴낸[] 한국민간단체 총람 에서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 한국의 제 3 섹터 에대한자료라고할수있다이. 자료에는 상근자와 회원이 명확하게 표현되지 않은 단체가 많으며 전체적 통계도 잡을 수 없다.

-305- 제6 절 정책공동체와 시민적 에너지의 통합

지식정보사회에서 시민운동은 단순히 시민의 참여만을 호소하는 것으로 되지 않는다. 시민 들의참여와시민들의의견을반영하여그것이지식화되고정책화될수있는정치적매카 니즘을 창조해야 한다.() 오늘날 정보공간 사이버스페이스 에서는 정책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 와 지식을 다수의 지식인과 시민들이 공유하고 함께 대안을 창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 한 가능성을 실제 정책의 입안과 시행에 반영해야 한다., 그렇게 될 때 시민들의 창조적 아 이디어와참여가국민적에너지로피어나국가사회발전의원동력이될수있다동시에이. 것은정치적갈등을통합하는매카니즘도될수있다. 본 연구는 앞에서 정책공동체의 구상이 시민운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필요한 보완물이라는 점을 논의하였다. 만일 정책공동체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시민운동을 활성화할 수 없고, 시 민운동을 활성화하지 못한다면, 정보화나 경제회복에 있어서 시민적 에너지를 끌어낼 수 없 다., 이러한 점에서 정책공동체의 형성은 공론의 장 공공영역의 형성 그것을 통한 국민의식 의 통합과 시민적 에너지의 활성화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정책공동체의 형성을 위한 조건은 무엇보다도 먼저 사이버스페이스에 정책과 관련된 일체의 데이터와 정보가 공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공개와 함께 이러한 데이터와 정보에 기반하여 제시되는 전문적인 방책과 시민적인 의견에 대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보 상제도를 시행하는 것이다. 이것은 정부의 관점에서는 정책에 있어서 민간의 창의성을 살리 는 것이기도하다.

제7 절 국가전략의 암묵적 가정에 관하여

국가전략과 정책을 설정함에 있어 입안자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암묵적 가정이 있다. 그 것은 너무나 상식적이고 보편적인 신념이기 때문에 의심할 필요도 없고 심지어 의식하지도 않는 것이다., 가령 경제성장이 중요하다고 할 때 경제를 성장시키려면 자본의 투자가 많아 야 한다는 것들이 그것이다. 그런데 오늘의 시대는 바로 이와 같이 의심하거나 의식할 필요 가 없는 가정들이 붕괴되는 시대이다.

-306- 경제가 성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그것을 위해서는 경제를 국가가 주도하고 지원하여 더 많은 자본을 투자하고 수출을 늘리는 것이 길이다. 이와 같은 가정들이 이제는 성립할 수 없는 가정이 되었다.,, 다른 한편 시민사회나 시민운동에 있어서는 대의를 위하여 정치 정부 기업에 대하여 요구하고 비판하고 저항하는 것이 시민운동이라는 가정도 붕괴되고 있다. 새 로운 시대는 경제성장보다는 고용이 더욱 중대한 시대이다. 경제회복이나 고용은 자본의 투 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국가가 주도한다고 하여 경제성장이나 고용회복이나 기술개 발이나 창의성이 발휘되는 것이 아니다. 시민사회 내지 민간의 에너지와 창조성을 발휘하게 하지 않으면 아무 것도 이루어질 수 없다. 모든 정책적 노력들은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없 거나 자원의 낭비로 끝날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암묵적 가정이 전복되는 것은 오늘의 시대가 사이버스페이스 사회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이버스페이스 사회 즉 정보사회 에서는 국가주도적인 노력이 별로 효과를 거두 지 못한다. 국가의 경제성장이라는 것이 국민생활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일체의 것 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일어나며 자연공간() 현실공간 은 그에 부수적이고 종속적인 것이 된 다. 사이버스페이스 사회에서 중요한 것은 우선 사이버스페이스를 어떻게 구축하고 얼마나 발전시키는가?( 이것은 다른 말로 하면 세계의 사이버스페이스에 대한 헤게모니를 얼마나 장 악할 수 있는가라는 말이다), 지식정보가 얼마나 사이버스페이스에 축적되는가 , 사회는 사이 버스페이스를 통하여 얼마만큼 유기적으로 재창조되는가,. 하는 것에 의하여 좌우된다 모든 사회적 힘들이 여기에서 나오는 것이다. 위에서 제시한 정책적 제안들은 이를 위한 가장 기 초적인 매카니즘을 구축하는 항목들이다. 위의 논의와 제안들의 핵심은 정부,, 기업 시민사회가 얼마만큼 유기적으로 연대할 수 있는 가에 의하여 모든 것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국가적 차원에서 모든 부문이 협력 연대 창의 성의 교류를 이룩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점은 아직도 충분히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여전히 산업사회적 사고방식 경제학적 사고방식이 우리사회의 모든 부문을 지배하고 있다.

-307- 보론

1. 온라인 공동체 및 네트워크 사례조사

1) 머리말 정보기술의 발전은 시간과 공간에 대한 지금까지의 고정된 관념을 근본적으로 뒤흔들고 있 다. 사이버 세계와 현실의 세계를 엄격히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었으며, 동시에 컴퓨 터를 매개로 한 커뮤니케이션(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CMC) 을 통한 사회적 진보가현실적으로가능하게되었다고할수있다. 본 프로젝트와 관련,1 지난 년 간 자료수집과 온라인 상의 분석 , 면담을 통해 1 년간에 걸쳐 진행된‘’ 온라인 공동체 및 네트워크의 사례조사 는 일반적으로 사이버스페이스를 활용하는 방식과 기술,1 그리고 여러 형태로 나타나는 사이버커뮤니티의 현황에 대한 차적인 조사로 서 민간부문의 온라인 상의 잠재력을 엿볼 수 있는 조사보고서이다. 온라인 상의 공동체 및 네트워크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다양한 분화와 발전상을 보일 것이라 기대된다.

2) 시민네트워크 현재 우리나라의 시민사회단체는 대략10,000 개 정도가 있다 . 1997 년 시민의 신문사에서 발행한 한국민간단체 총람에 소개되어 있는 시민사회단체는7,000 여개이지만 교육부 산하 학술단체들이 대부분 누락되었으며, 그외에도 조사되지 않은 시민사회단체들이 상당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중에서 극히 일부분의 시민사회단체와 정보운동을 표방하고 있는 몇 안되는 시민사회단체 만이4CUG,, 대 통신망과 인터넷에 단체포럼 내지는 동호회 홈페이지 등을 만들어서 네트 워크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국제활동을 위한 국제연대 , 국제 홍보의 문제는 PC 통신 보다는 인터넷을 중심으로 풀어야 하는 문제이지만 여러 가지 장애들(, 비용 인력 , 일무 등의 문제.) 그리고 가장 중요한 문제는 시민사회단체들의 정보화 마인드 로 인해서 어려움을 겪 고있는상태이다시민사회의정보화가그만큼뒤떨어져있다고할수있다.. 하지만1997 년 이후의 정보네트워크독립운동과 그의 결실로 등장한 시민네트워크 협의회, 진보네트워크센터의 활동,. 그리고 사회단체망 구축을 위한 움직임 등은 주목할만 하다

-308- 그 중 시민네트워크협의회는 통신장비의 부족으로 결국 실패하였지만 우리나라 최초로 정보 네트워크의 독립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며 최근의 진보네트워크센터건설 을 위한 활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①시민네트워크협의회(Korea Council for People'Networks, CPNet)

정보화의 물결속에서 시민들 개인이나 집단에게 있어서 정보능력을 키우고, 사회의 각 영역 이나 집단사이에서 정보불평등을 해소하는 것,, 그리고 정보가 공공선을 위하여 생산되고 갇혀진 정보가 열려져 자유롭게 흐를 수 있는 시민적 삶의 기반을 구축하는 것은 당면하고 중요한 시대적 과제가 되고 있다., 또한 민주화문제 ,, 통일 지구환경문제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인 문제들을 자발적인 시민의 참여를 통하여 해결하고 시민들 자신이 사회적 통합력 과 조정능력을 발휘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한 과제들을 효과적으로 해 결해 나가기 위해서는 시민들이나 사회단체들 간에 서로 다양성을 존중하는 가운데 의사를 소통하고 상호접근성과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시킬 수 있는 정보네트워크의 구축과 그를 통 하여 사회단체간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About CPNet, http://www.cpnet.or.kr/about.html)

CPNET은 위와 같은 사회인식을 바탕으로 출발하고 있다 . 지금까지 4 대 통신망과 인터넷에 홈페이지를 만들어서 자체 자료를 조금 올려놓는 수준에서 벗어나 시민사회단체들이 공동의 네트워크를 만든다는 것이다. 이들은 지난 1996 년 8 월 서울 맥브라이드 라운드 테이블 (http://people.kfem.or.kr/macbride)이후 세계 최대의 NGO 네트워크인 APC 에 참여하는 것을목표로해서수차례의토론을거쳐서1997 년 3 월 CPNET 을창립하였다 . 인터넷을 통해서 전세계 시민단체와 신속하게 연결된다는 측면에서 국제연대의 가능성과 활 동의 효율성이 이뤄지고,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가짐으로서 외부로부터의 간섭과 통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는 점이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CPNET의 조직룰은 ‘ 네트워크 ’ 이다 . 네트워크는 어느 특정단체에 소속되는 것이 아니라 여 러 단체들이 활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단체는 네트워크의 운동기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럴 때 네트워크는 개방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1)

1) CPNET의 활동목표는 1) 사회운동의 지원 2) 국내외 정보네트워크간의 협력 강화 3) 공공정보의 확대4) 사회 영역 및 지방 사이의 상호 접근성 증진 5) 시민사회 정보불평등의 해소 6) 정보표현과 이용에 대한 자유 증진7) 시민정보능력의 향상 등 사회운동의 네트워크 역량강화와 시민사회 정 보화 운동을 추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1) 사회운동에 대한 네트워크 및 정보교류 서비스로 메일링리스트와 뉴스서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소통과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단체나 모임에 웹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북한동포돕기 인터넷 홈페이지 (http://love.cpnet.or.kr), 통신연대(http://spic.cpnet.or.kr) 등은 CPNET 웹서버를 통해서 지원되는 것이다 . 2)기술지원모임을 통해서 사회운동 정보화를 지원하고 있으며 , 정보를 활용하고 공유하기 위한 핸드북을 제작하고 있다.3) 해외 정보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국제협력을 위해서 APC(Association for Progressive Communications)와 같은 국제적 사회행동 네트워크 ( 뒤에서 살펴보게 될 지역정보망과 사이버커뮤니티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에 대한 지원을 시도하려고 한다. 시민공동체네트워크는 지역개발전략보다는 지역공동체전략에 근거하고 있다. 결국CPNET 은 정부와 상업망에 의존하지 않는 독립네트워크들을 많이 만들어서 네트워크

-309- 연대를 통해‘NGO 를 위한 ISP’ 를 만들고 , 시민사회의 정보네트워크들간의 온라인망 구성을 주된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e-mail(사무국 ) : [email protected] news : news://news.cpnet.or.kr Home-Page : http://www.cpnet.or.kr

-310- 아래는CPNET 에 참여한 주요단체에 대한 간략한 소개이다 .

ⓐ시민사회인터넷(http://people.kfem.or.kr): 환경 , 여성 , 문화 교육 등의 전반적인 문제와 지금까지 대중매체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던 이슈들에 대해서 대안을 제시하고 공론화하는 것을 주된 활동으로 하고 있다. ⓑ정보연대SING (Social Information Networking Group- http://www.sing org.kr) : 정 보를 매개로 대안적인 사회체제를 고민하는 모임이다. 아직 우리들에게 생소하게 들리는 정 보운동이라는 개념을 처음 사용한 단체이기도 하다. 이들은 네트워크화된 주체들의 수평적 권력에 의해 유지되는 상호협력적인 사회체제를 지향하고 있다. 작년 겨울 노동법과 관련한 총파업을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세계에 알리는 활동을 함으로써 일반에게도 알려진 단체이 다. ⓒ지속가능한 개발 네트워크 한국본부(KSDN: Korea Sustainable Development Network)(http://www.ksdn.or.kr): 1992년 리우환경회의 (UNCED) 에서 향후 세계의 개발방향 으로 제시된 지속가능한 개발을 실현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이에 관련된 정보들의 원활한 교류를 위하여 유엔개발계획(UNDP) 이 전세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제환경정보네트워크 이다.T1 급 전용회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 이를 통해서 CPNET 논의가 시작되었다 .

-311- ⓓ참세상(http://www.truenet.co.kr/cham, telnet://red.ruenet.co.kr, 01410→참세상 ): 바른 통신공동체와 더불어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참세상은 진보네트워크 (Progressive Network, 사회 진보를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통신공동체에서 담 아낸다.), 시민네트워크 (Civic Network, 시민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 시민 스스로 노 력으로 의견을 모으고 해결책을 찾고 행동으로 나서는 일에 함께 하는 것), 자치네트워크 (Autonomous Network,이용자들 스스로가 책임지고 직접 운영하는 네트워크 ) 를 지향한다 . 최근에 참세상을 운영하고 있는 바른 통신은 참세상의 운영권과 장비일체를 진보 네트워크 센터에 증여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진보네트워크센터건설2)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②사회단체망(Korea NGOs Forum Net)

사회단체망은( 주 )KITEL 에서 제공하고 있는 BBS 서비스인데 , 우선 3000 여개의 사회단체들 이 포럼을 개설하고 점차 독자적인 망으로 발전시킨다는 계획하에 추진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사회단체망은 시민사회단체가 직접 참여하고 스스로 계획하고 추진해 나가는 과 정을 통해서만 가능하다.4 그리고 그것은 대 통신망이라는 거대 상업망을 통해서는 추진하 기가 힘들다.,, 실재로 하이텔은 온라인 정책회의 참세상의 통신연대 나우누리의 단체포럼 등등의 단체망과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활동이 매우 미약하거나 일부의 단체만이 활동 하는 상태이다.

2)참고로 진보네트워크센터는 사회단체활동가 및 개인들에게 네트워크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상업적인 네트워크서비스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이다 . 참세상에서 통신장비일체를 제공함으로써 시민사회단체의 독립적인 네트워크로써의 진보네트워크센터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312- 사회단체망이 힘든 이유는() 주 키텔에서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1) 통신이용료가 통신이용자 의 목적에 비해 매우 높다는 점2) 타통신망에 포럼이 개설된 단체들의 대부분이 폐쇄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온라인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3) 단체 실무진 뿐만 아니라 일반회원들의 정보통신사용에 대한 실무능력이 미비하다는 점4) 온라인을 통한 새로 운 사업기획물이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는 점5) 통신망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관점 이정리되어있지않다는점3) 6)사회단체들이 주로 사회문제에 대한 문제제기 및 문제의 원인, 문제발생의 책임등을 제기하는 사회비판세력이라는 특성 때문에 정부 또는 정권, 행정 당국으로부터 탄압의 대상이 되거나 간섭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 4)7)인터넷상의 국제연대활동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BBS 활동 조차 어려운 상태에서 인터넷을 활용한다는 것이현실적으로힘든점등이있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 주 키텔은 1) 각 단체 회원들이 평생 사용할 수 있는 무료 ID 를 제공하 고2) 사회단체포럼은 공개를 원칙으로 하며 3) 사회단체 실무자 및 회원들의 교육을 지원하 며4) 사회단체활동을 촉진시키는 온라인 기획활동 활성화를 위해서 온라인 신문(), 잡지 이벤 트성 행사 등에 대한 홍보공간을 확대하고5) 통신망 사용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확대하기 위해서 정기적인sympo 를 추진하여 정보사회의 허와 실을 규명 , 인식확대를 꾀하며 6) 정부 의 간섭으로부터 자유롭기 위해서 사회단체망의 주체를 형성,, 추진 및 관리 운영 등의 권 한을 부여하며7) 인터넷 웹 BBS 를 통한 국제연대를 위해서 BBS 의 내용이 인터넷상의 웹 BBS로 동시에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동중이며 사회단체망을 인터넷상의 독자적인 사 이트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한다.

③그린넷(Green Net) 운동 (http://web.or.kr/event/greenet/gn_home.htm)

3) 시민사회단체들의 대부분이 정보의DB 화에 대한 부담을 안고 있다고 한다 . 통신공간을 활용하고 참여한다는 것은 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DB 화를 얼마나 해내느냐의 문제로 고민하게 되고,, 그에 따른 재정적 인적 자원의 문제 정보의 빈약으로 인한 단체의 이미지 등을 우려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고는 사람간의 교류의 장이라는 보다 큰 틀로의 규정을 중심으로 정보까지도 공유할 수 있는 장이라는 인식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른바 커뮤니티로서의 규정을 말하는 것이다. 4) 그래서 시민사회단체 일부에서는 위에서 살펴보았던 시민사회단체들이 공동의 독립된 네트워크를 만든다는 정보네트워크 독립운동을 전개했던 것이다. 따라서 현재 키텔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회단체망이 기존 통신망에 비해 보다 자유롭고 활발한 활동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정부의 간섭으로부터의 자유를 이루어 내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313- 우리사회의 정보문화를 올바로 정착시키기 위한 기초를 닦기 위해서 한국일보사 주도로 실 시되는 캠페인이다., 단계별로 진행되는데 현재 진행하고 있는 첫단계는 모든 사람이 소외 되지 않고 정보화의 혜택을 누리는 환경을 만드는 시기이다., 열린정보센터 만들기 멀티미 디어도서관 구축,. 미디어교육을 통해 열린 정보사회의 기반만들기를 실시하고 있다 그린넷 캠페인의 최종단계는「」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 한민족네트워크 의 구축이다 하지만 작 년 하반기에 떠들썩하게 진행했던 것에 비해 올해는 별 진전없이 정체된 상태로 보인다.

아래는 열린정보센터에 참여하는 것으로 선정된20 개 기관 및 단체이다 . 정보통신부는 이들 기관 및 단체에 대해서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지원하며 사용료를 대폭 할 인해 주고 있는데,1 년 단위로 재계약을 하고 있다 . ▶연구기관-, 서강대미디어연구소 한국청소년개발원 ▶공공기관-,, 한국관광공사 농협중앙회 국립중앙도서관 , 한국소비자보호원 , 한국여성개발원 한국정보문화센터 ▶정부지원단체-, 농림수산정보센터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한국소비자연맹 한국교육개발원 ▶사회단체- 한국 YMCA 전국연맹 (www.ymca.or.kr), 한국여성단체연합 , 대한 YMCA 연합회 , 환경운동연합,,,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산하 경제정의 연구소 한국여성민우회 한국교육소프 트웨어진흥센터 ▶그린넷운동 주도기관- 한국일보사

아래는 정보통신부와 한국일보사의 지원으로 구축된 공공DB 의 목록이다 . ▶강원지역종합정보: 강원정보센터 (www.kitel.co.kr) 강원도지역의 종합적인 정보 ▶유럽도서정기간행물목록: 넥서스컨설팅 (www.infomine.co.kr.7000) 유럽간행물 , 출판물 정 보 ▶공사설계/ 견적비용산정 : 무영정보통신 (www.mooyoung.co.kr:7000) 건축 / 건설현장의 정보 , 건설시장의 첨단기술 도입과 적용정보 ▶통일북한정보: 북한연구소 (www.nks.or.kr) 북한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 , 통일의식을 고취 시키는 정보

-314- ▶사업아이디어: 서일경제연구소 (www.seoil.co.kr) 소자본 사업 / 부업 정보 , 중소기업 창업정 보,, 신규사업정보국내외산업동향및경기전망정보 ▶여성종합정보: 여성개발원 (www.kwominet.or.kr) 여성관련법에 대한 국내외 자료와 정보 ▶국제운송물류정보: 운송신문사 (kpt.logiscom.co.kr) 정확한 운송루트와 연계수송의 정보 ▶전남종합정보: 전남대학교 (ctis.kwangju.net) 전라남도의 지역정보 ▶국내정기간행물 목록: 청림출판 (www.moohan.co.kr) 94 년말 공보처에 등록된 잡지를 기 준으로 월간, 격월간 , 반년간 , 연간 등 총 3,250 여 종의 간행물과 2,900 여 지사들이 제공하 고있는정보 ▶기독교종합정보: 크리스찬헤럴드 (www.kp.co.kr) 올바른 기독교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정 보 ▶자가진단 및 의약정보: 토미스 (www.tomis.co.kr: 9400) 의료정보 ▶청소년문화정보: 청소년문화아카데미 (www.ksdn.or.kr) 청소년 문화프로그램 개발지원 정 보, 청소년 문화활동 참여기회 정보 ▶광고종합정보: 한국광고데이타 (www.addb.co.kr:8080) 광고산업에 대한 토탈 마케팅 기초 데이타상품광고에대한기획및관리광고관련연구및학습광고주관련정보,,, ▶노동부정보: 한국노동연구원 (ns.kli.re.kr) 노동 통계의 세부자료 ▶금융상품정보: 한국데이타정보 (www.kvan.co.kr:7000) 각 금융기관의 상품정보 및 전략정 보 ▶국내 유통DB 목록 : 한국무역시장정보 (www.ktmi.co.kr) 국내 개발 , 유통 DB 의 정보형태 , 내용 등의 종합정보 ▶장애인재활종합정보: 한국장애인재활협회 (www.ksrd.or.kr) 정부의 재활행정과 기관 , 시 설, 운영의 정보 ▶기술금융정보: 한국종합기술금융 (www.moses.webi.co.kr) 종합 기술금융정보 ▶출판정보서비스: 한국출판정보통신 (www.bnk.net) 출판유통정보 , 도서정보 , 출판사의 홍 보

-315- ▶시민환경정보: 환경운동연합 (www.kfem.or.kr) 환경과 자원의 효율적 관리정보

④기타 사이버 시민운동 사례

ⓐ한국진보디렉토리(KPD, Korea Progressive Directory)(http://kpd.sing-kr.org): 정보연 대SING 에서 운영하는 한국의 진보적인 사회단체들의 인덱스이다 . 여기서는 주제별 분류 , 사이트 설명,. 중요한 이슈소개등을 하고 있다 ⓑ자원봉사전산망(VT-Net)(http://bbs.vtnet.org/) : 사회복지의 종합정보 , 종합포럼을 제공 하는 우리나라 최대의 사회복지전산망이다.DB 사회복지신문과 문헌 를 비롯하여 사회복지시 책과 프로그램,DB(),,, 자원봉사자 및 기관 온라인 접수 각 지역별 직능별 대학별 포럼 등의 정보 서비스와 교류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지난7 월부터는 Telnet(telnet://210.118.55.7) 으로도 서비스 하고 있다. ⓒ온라인정책협의회:ONFORUMIP 하이텔에 이라는 로 참여하고 있으며 시민운동단체들이 모여서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고 일반인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협의체이다. 현재 경제정의 실천시민연합,,,, 기독교윤리실천운동 나라정책연구회 노동인권회관 한국여성 정치연구소,,,, 환경운동연합 홍사단 한국불교환경교육원 교통문화운동본부 , 생활협동조합중 앙회가 활동하고 있으며,. 각 단체에서 해당분야의 정책자료 및 토론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진보통신연대모임( 통신연대 )(http://spic.cpnet.or.kr/): 참세상에 개설되어 있으며 , 각 사회 영역이나 통신공간에서 정보통신운동을 하는 개인과 단체들의 연대모임이다. 통신연대는 정 보통신운동에 대한 논의와 소통의 공간, 바람직한 연대활동의 네트워크를 실험하고 실현하 는 모델을 지향하고 있다. 매월 월례포럼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이나 각 분야의 사회운동 또는 통신공간의 개인이나 단체들과의 연대는 교육 교재보급 및 지속적인 교육사업, 통신연 대 소식지,. 메일링리스트등을 활용하여 진행하고 있다 특히 메일링리스트 ([email protected])는 인터넷 메일을 이용하는 것으로 매우 유용한 소통수단으로 사 용하고 있다.12. 현재 각 통신망에서 활동하고 있는 개 단체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노동연구포럼: 나우누리 GO LABOR ▶노동정보화사업단 :GO TGLI

-316- ▶바른통신을위한모임하이텔:GOBARUN ▶얼터너티브:GOALT 나우누리 ▶인터내셔널MARX : 하이텔 GO MARX ▶정보연대 씽 : http://sing.sing-kr.org ▶지식인연대 영상정보통신팀:GOSDP 참세상 ▶찬우물:GOCW 나우누리 ▶참세상: 참세상 ▶한과청 인터넷모임 : http://kpd.sing-kr.org/komsat ▶현대철학동호회:GOPT 천리안 ▶희망터:GOPP 천리안 ⓔWomen21(http://www.women21.or.kr/):여성단체연합이 개설한 Women21 은 한국여성 운동네트워크로써,32 전국의 개 회원단체가 공동참여하여 가족 /,,/,, 여아 노동 성 인권 정치 평 화/, 통일 환경 등 10 개 분야로 나누어 여성부문 전반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사이버 민회(http://ns.ifp.or.kr/academy/index/html): 사이버 민회는 크리스챤 아카데미 에서 구성한 일상적으로 생활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대화의 장이다. 그것은 정치적 사회적 이슈에 대하여 시민들의 의견을 조직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통로라고 할 수 있다. 지난 대 통령선거시에는‘97 한국디지탈 대통령 선거권 ’ 이라는 메뉴를 개설하고 대화할 수 있는 장 을 마련하고자 하였다.‘97’ 이곳에 방문한 사람들의 수는 한국디지탈 대통령선거전 이라는 메뉴가 개설된 지난7 월 11 일 이후 66,000 여명이나 되는 것으로 볼 때 상당한 관심을 모 은 것으로 보인다. ⓖ→환경운동연합(KFEM)(http://www.kfem.or.kr,01410 kfem): 환경과 자원의 효율적 관리 정보를 위한 환경관련DB 인 시민환경정보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주요사안 , 테마환경 등의 내용이 있다. ⓗ한국민간단체네트워크(Korea NGO Network)(http://koreanet.grmk.co.kr) :1996 년 4 월 , 청년정보문화센타에서 서버를 구입하고 설치하면서 개통되었다., 청년정보문화센타 참여민 주사회시민연대(), 참여연대 전국 교직원 노동조합 (), 전교조 자주평화통일 민족회의 ( 민족회 의)4 등의 개 단체를 주축으로 해서 한국의 모든 민간단체들의 정보서비스와 네트워크를 통 한 연대활동을 목표로 한다.

-317- 현재Korea NGO Network 사업에 참가하는 한국 민간단체들의 최신 소식지로 ‘WAVE’ 를 발간하고 있으며,() 한국의 모든 민간단체들의 소식 간행물 등 을 전달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 다. ⓘ경제정의 실천시민연합(Citizens'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http://www.ccej.or.kr): 현재 수정작업 중이라서 볼 수가 없기 때문에 구체적인 현황을 알 수 없음. 하지만 조직의 방대함과 재정력으로 자체적인 국내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베 트남의 경실련을 통한 국제연대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산하의 경제정의 연구소는 정보통신 부가 주관하고 한국일보사가 주도하는 그린넷캠페인의 열린정보센타 대상기관으로 선정되어 초고속국가망을 지원받고 있다.

3) 지역정보망과 사이버커뮤니티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지역에서의 새로운 공동체 형성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지 역사회는 새롭게 발흥하는 가상공동체와 쇠퇴해 가는 실재 공동체의 접점으로서 정보사회에 서의새로운공동체의가능성을실험할수있는사회적장소이다. ( 한상진 , 1997) 따라서 본조사의 대상은 지역사회의 현안을 수용하면서 정보교류와 의사소통의 공간을 제공 해 주는「」 지역정보망 으로 한정하고자 한다. 지역정보망은 전적으로 가상공간에서만 이루 어지는 것이 아니라 실재의 지역사회의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지역사회와 사이버커뮤 니티의 관계에 대해서는 학자들간의 의견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여기서는 한국통신의 하이 넷-36. 피에서 가동되고 있는 지역정보망 개를 중심으로 현황을 파악하기로 한다

4)교육 , 학술네트워크 ⓐ사회과학네트워크(Social Science Network)(http://ssn.sing-kr.org): 학술단체협의회 (http://kpd.sing-kr.org/ssn/group/hdh),한국사회과학연구소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http://bora.dacom.co.kr/~ klsi/kindex.html)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서로 간의 정보교류와 사회변혁의 실천을 위해서 전자공간을 활용한다는 관점이다. 하지만 실재로는 거의 관리가 되지 않고 있다. 연구결과물이 올라와 있지 않기 때문에 학술네트워크로서의 기능이 미비한 편이다.

-318- 현재 한국사회과학연구소에서 발행하는 월간 흐름 (http://kpd.sing-kr.org/ssn/group/kssi/tr/tr.html), 서울대학원신문 (http://kpd.sing-kr.org/graduate)이개설되어있으며월간사회평론길 , , 연세과학등이연 결되어 있다. ⓑ사회복지 정보원(Welfare-Net, Korea)(http://welfare.or.kr): 1996 년 4 월 사회복지 인터 넷 서버를 구축하고 사회과학 및 사회복지분야의 자료를DB 로 제공하고 있다 . 그리고 Online Conference Center로 구상하고 있는 ‘ 가상복지센타 ’ 는 동호회나 전문포럼 , 가상오 피스를 갖고 싶은 단체,, 온라인 수업을 희망하는 교수들에게 가상오피스와 뉴스그룹 메일 링리스트,,ftp, 웹 서비스 온라인 교실 ,,,,CGI 게시판 자료실 토론실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컨 설팅도 해준다. 참고로 Online Conference Center 는 속도와 다단계토론기능의 지원이 효 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뉴스서버 를 활용해서 구축하고 있다 . 즉 뉴스그룹이 최적의 Conferencing System이라는판단을하고있는것같다 . ⓒ(사 ) 북한문제조사연구소 (http://www.koreascope.org): 남북한의 실상을 객관적으로 소개하 는 것을 목적으로1997 년 6 월에 개통했다 . 주요내용은 ‘ 오늘의 한국 ’‘ 북한의 실상 ’‘ 통일정 책’‘ 한반도 이슈 ’‘ 최근 북한소식 ’‘ 스코프마당 ’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 그중에서 ‘ 최근 북한소 식’ 은 탈북자들의 증언을 토대로 소개하고 있으며 일주일에 한번씩 새로운 북한소식을 업데 이트한다. ⓓ삼성경제연구소(http://www.seri-samsung.org): 연구소 소개 , 연구결과 소개 및 홍보를 위해서 사이트를 운영한다. 얼마전 국내에서 최초로 연구결과물을 웹상에 공개하기로 해서 주목을 받기도 했다.. 연구결과 및 경제통계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의 사회학(NET SOCIOLOGY)(http://soback.kornet.nm.kr/ kccc): 사회학자 백욱 인 교수의 홈페이지이다.. 사회과학 논문을 비롯해서 인터넷 관련 글이 상당수 올라와 있다 사회학 분야는 인터넷에서 흔한 주제가 아니다. 그리고 이 사이트는 인터넷이 가져온 사회 적 현상을 직접 다룬다는 점에서 여타의 사이트와는 차별성을 갖고 있다. 다만 이곳이 개인 사이트라는 점이 조금 아쉬운 편이다. 개인사이트는 이런저런 이유로 본인도 지속적으로 운 영하기가 힘들지만 다른 사람들의 참여가 적기 때문에 활성화 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 이다. ⓕ한국정치(Korea politics)(www.koreanpolitics.com): 정치에 관련한 일반적인 사이트들은 재야운동이나 시민운동, 그리고 정부기관 주도의 관점에서 풀어나가는 사이트가 대부분이라 고 할 수 있다. 이 사이트는 정치 그 자체의 학문적 접근이나 중립적인 시각의 내용을 가지 고 있으며,. 한국의 정치적 특징을 비교적 객관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외국인들을 위해 한국 의 국회,, 정당 정부가 가지고 있는 일의 영역 , 조직 등 교과서처럼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319- ⓖLG PRESS NET(http://www.lgpress.org): LG그룹에서 새롭게 홈페이지를 단장하면서 운영하기 시작한 언론관련 전문사이트이다.DBcenter 인터넷 정보망을 이용하여 를 만들었 으며 세부적인 분류서비스(3 천여개 ) 를 제공하고 있다 . ⓗ에듀넷(EDUNET)(http://edunet.nmc.nm.kr): 멀티미디어 온라인 교육의 시도로 시작한 대표적인 사이트이다.,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을 비롯한 교육관련 주요단체가 참여하고 있 기 때문에 내용도 매우 다양하다. 국내 교육관련 사이트 중 가장 많고 다양한 내용을 다루 고 있다. 갱신도 빠르며 지속적으로 자료의 추가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다. 초등학교부 터 일반인의 평생교육까지 다루고 있다. 또한 앞으로 이루어지게 될 가상학교 등을 대비한 준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멀티미디어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예정이라고 한다. ⓘ전자도서관(DIGITAL Library)(http://www.dlibrary.or.kr): 정보통신부의 정보화 지원사 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술진흥재단 ,, 국회도서관 한국과학기술 원 과학도서관,5 과기처 산하 연구개발정보센터 등 개 참여기관의 정보를 한 도서관의 정보 처럼 검색할 수 있도록5, 개 기관의 정보목록 및 본문 데이터 형식 검색도구를 통일했으며 각 도서관을TI 급 (1,544Mbps) 회선으로 연결해 놓았다 . 지난 11 월에 개관하였다 . ⓙ~한국사회학회(http://taeback.kornet.nm.kr/ ksa): 학회지 ‘ 한국사회학 ’ 을 서비스하고 있 으며, 자체 사이트를 통해서 회원들 간의 커뮤니티를 이룰려고 많은 시도를 하고 있다. 전 자게시판, 전자포럼 , Mailing List, 대화방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 ⓚ한국경제연구원(KERI(http://www.kfke.re.kr): 민간부문의 경제적 시각을 대변하는 한국 의 대표적 정책연구기관인 한국경제연구원의 홈페이지이다. ⓛ한국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http://www.kiep.go.kr): 국제경제 , 주요지역정보를 서비스 한다. ⓜ한국금융연구원(http://www.kif.re.kr): 주요경제지표 , 경제관련 사이트 소개로구성되어 있 다.

-320- 4) 종교

ⓐ평화마을(PeaceNet)(http://www.peacenet.or.kr): 인터넷과 네트워크가 개인과 사회를 발전시키는 유용한 도구라고 인식하고 인터넷 공동체를 지향한다.( 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기 사연) 이 지원하고 있으며 사이버 공간에서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고 그를 통해서 현실의 평 화를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5 현재 단체별로 개의 사이트가 개설되어 있으며 , 에큐메니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현재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있는 시민사회단체 ●한국 여성의 전화(Violence against Women in Korea) ●한국정신대문제 대책협의회(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ese Soldiers) ●우리민족서로 돕기운동(Made in Hungry/Made in Korea) ●기독청년의료인회(Dioxin-the worst chemical compound) ●서울시 녹색서울시민위원회(EcoNews) 이들 사이트는 시민사회단체의 네트워크를 추진하기 위해서PeaceNet 이 무료로 개설해준 일반 시민단체들의 홈페이지이다.. 계속해서 참가단체가 늘어날 전망이다 ⓑ에큐메니칼 네트워크(Ecumenical Network) (http://www.peacent.or.kr/index2.htm): 사이버 공간에서 한국 에큐메니칼 운동의 네트워 크 형성을 목적으로 에큐메니칼 단체들이 홈페이지를 유치하고 제작하고 있으며 앞으로 에 큐메니칼 메일링 리스트,. 에큐메니칼 정보은행 등을 운영할 예정이다 기독교아시아연구원 이PeaceNet 을 통해 추진하고 있으며 , 현재 기독교아시아연구원 (ccas.peacenet.or.kr), 한 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 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www.peacenet.or.kr/cjsjd), 민중신학연 구소,,(),, 한국기독여성운동 네트워크 한국기독학생연합 한기연 기독교 환경운동 연대 외국인 노동자 선교,, 한국성경연구원 성경페다고지 등이 연결되어 있거나 웹페이지를 제작中 이다 . ⓒ꽃동네(http://www.kkottongnae.or.kr): 회원가입 및 입소안내 , 자원봉사를 위한 정보등 이있다. ⓓ~한국 인터넷 선교회(http://soback.kornet.nm.kr/ christia): 인터넷상에서의 선교를 위한 사이트이다. 설교 및 교회안내 등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 자료실 토론실 대화방 등을 운영한다.

-321- 5) 유즈넷

①유즈넷이란?

유즈넷은한마디로세계에서가장큰게시판이고토론의장이라고할수있다유즈넷은관. 심이나 토픽에 의해서 체계적으로 나누어진 뉴스그룹(newsgroup) 으로 구성되어 있다 . 현재 약20,000 개의 뉴스그룹5)이 활동하고 있으며, 한글로 제공되는 한글뉴스그룹6)의수는

5) 1. news.newusers.questions 뉴스그룹에 올라와 있는 뉴스그룹의 총수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 Stella Nemeth의 답변을 참조했다 . Stella Nemeth 는 뉴스그룹의 리스트를 가져올 수 있는 웹상의 몇 개의 장소를 소개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For newsgroups (www.-dejanews.com) or (www.ii.com/internet/messaging/newsgroups/)orsearches (www.search-.com) For software (www.download.com) and (www.webster-image.com/iis/PCsHelpPage/-index.htm) NNQ Info (www.geocities.com/ResearchTriangle/8211/) 뉴스그룹을 제공하는ISP 는 그쪽 서버에서 유용한 뉴스그룹만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뉴스그룹의 총수를 파악하기는 상당히 어렵다.ISP 방법이 있다면 각 에게 물어보는 것이 가장 정확할 것이다. 국내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최대의 뉴스서버인 news.kreonet.re.kr(연구망뉴스서버 ) 에서 다운로드되는 뉴스그룹은 2 만개가 넘는다 . 또 한가지 Mark Moraes의 설명에 따르면 news.list 라는 뉴스그룹에 정기적으로 올라오는 “List of Active Newsgroups"라는 글에 적힌 뉴스그룹들을 흔히 뉴스그룹이라고 인정한다고 한다 . 6)한국자원연구원 서상용박사가 정리한 한글뉴스그룹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han.announce모든 한국 유즈넷 독자에게 알리는 공고문 (Moderated) han.answers han.*요점정리 (FAQ) 및 주요기사 모음 . (Moderated) han.binaries.photo사진 파일 han.comp.database 데이터베이스 설계 , 구축 및 응용 . han.comp.hangul컴퓨터에서의 한글사용 han.comp.internet 인터넷과 TCP/IP 프로토콜 관련 han.comp.lang.c C언어에 관한 토론 . han.comp.lang.c++ C++ 언어에 관한 토론 . han.comp.lang fortran Fortran 언어에 관한 토론.han.comp.lang.java Java 언어에 관한 토론 . han.comp.lang.misc그밖의 프로그래밍 언어에 관한 토론 . han.comp.mail인터넷 메일 사용 / 설치 이야기 . han.comp.misc기타 컴퓨터 기술 / 전산학 관련 이야기 . han.comp.os.freebsd FreeBSD운영체제에 관한 정보 . han.comp.os.linux LINUX 에 관한 정보 . han.comp.os.misc기타 OS 에 대한 정보 . han.comp.os.unix Unix및 유사 OS 전반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 han.comp.os.winnt Windows NT에 대한 정보 및 토론그룹 han.comp.questions컴퓨터 기술 / 전산학 분야의 질문과 대답 . han.comp.security컴퓨터 / 네트웍 보안 , 취약점 , 대책 이야기 . han.comp.sys.cray CRAY시스템에 관한 정보 .han.comp.sys.hp HP 시스템에 관한 정보 . han.comp.sys.ibmpc IBM-PC와 호환기종 ,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 주변기기 . han.comp.sys.mac MACINTOSH에관한정보 . han.comp.sys.misc DEC,IBM RS6000,NC,NetPC,PDA등 기타 시스템에 대한 정보 . han.comp.sys.sgi SGI시스템에 관한 정보 . han.comp.sys.sun SUN 시스템에 관한 정보 . han.comp.www.authoring홈페이지 제작 . han.comp.www.info 웹페이지 정보 알림 . han.comp.www.browsers브라우저에 관한 정보 , han.comp.www.misc 웹과 관련된 정보 . han.comp.www.servers웹서버에 대한 정보 , 토론 han.misc.forsale 삽니다 , 팝니다 . han.misc.jobs한국내 구인 / 구직안내 및 정보 han.misc.misc 기타 잡다한 이야기 / 소식 . han.net.announce국내 네트웍관련 발표 및 KRNIC 제공정보 . (Moderated) han.net.hana하나망에 관한 소식 . han.net.kornet KORNET: 한국인터넷에 관한 소식 .

-322- 91개이다 .

han.net.kren KREN:교육 전산망에 관한 소식 . han.net.nuri NURINET 에 관한 소식 . han.net.kreonet KREONET:연구 전산망에 관한 소식 . han.net.misc국내의 기타망 , BBS 에 관한 소식 . han.net.services국내 인터넷 관련 서비스 정보 / 토론 . han.news.admin뉴스서버 관리자들의 토론 / 정보 설치관리 , 배급 . han.news.groups한글 뉴스그룹의 생성 / 삭제 / 변경 토론 / 투표제안 . han.news.net-abuse한글 뉴스그룹에 잘못 게시된 글에 대한 정보 .(Moderate) han.news.stats뉴스서버 일일보고서 및 각종 통계 .(Moderate) han.news.users뉴스읽기 , 쓰기에 관한 질문과 답 , 토론 . han.politics한국에서의 정치 , 정치현안 . han.rec.artrock 아트락을 사랑하는 팬들 . han.rec.baduk바둑 이야기 han.rec.books 모든 종류의 책과 출판물 이야기 han.rec food먹거리 , 마실거리에 대한 모든 이야기 . han.rec games전자오락과 컴퓨터게임 이야기 han.rec.humor 농담 한마디 , 재미있는 이야기 . han.rec manhwa만화와 만화영화 이야기 .han.rec.misc 오락 , 연예 , 취미 스포츠 이야기들 . han.rec movie영화와 비디오 이야기 .han.rec.music 음악과 음반에 대한 이야기 . han.rec photo사진과 사진술 .han.rec.sf 과학소설과 판타지 이야기 . han.rec sports.baseball야구 이야기 han.rec.sports.basketball 농구 이야기 han.rec sports.football축구 이야기 han.rec.sports.golf 골프 이야기 . han.rec sports.misc기타 운동에 관한 이야기 han.rec.sports.tennis 테니스 이야기 han.rec sport.volleyball배구 이야기 han.rec.tv TV 이야기 . han.school.elementary초등학생들의 대화방 han.school.high 고등학생들의 대화방 . han.school.middle중학생들의 대화방 han.school.pta 학부형과 교사들의 대화방 han.sci.astro우주와 천문학 관련 이야기 . han.sci.dentistry치과학 일반 , 일반인들의 치과 상담에 관한 그룹 han.sci.earth지구과학 , 지질 , 기상 관련 이야기 . han.sci.med 우리나라의 의료인과 의학자의 정보 교환 han.sci.masc그 외 자연과학 , 공학 , 인문사회등 학술적 주제들 . han.soc.culture.chejudo제주도 사람들과 문화 han.soc.culture.chollado 전라도 사람들과 문화 han.soc.culture.chungchongdo 충청도 사람들과 문화han.soc.culture.kangwondo 강원도 사람들과 문화 han.soc.culture.kyonggido경기도 사람들과 문화 han.soc.culture.kyongsangdo 경상도 사람들과 문화 han.soc.culture.seoul서울 사람들과 문화 han.soc.movements 한국에서의 사회운동 han.soc.religion.christianity.protestant기독교 ( 개신교 ) 에 대한 토론의 장 han.soc.religion.misc 기타 종교 이야기 han.test뉴스 포스팅 시험중입니다 . 하나 둘 셋 ... -이들 중 han.announce, han.answers, han.net.announce, han.news.netabuse, han.news.stats는 중재되는 그룹이며 나머지는 모두 자유토론그룹이다. 그리고 han.binaries.photo 를 제외한 모든 그룹에선 사진이나 그림,, 동영상 음악화일 등의 이진화일의 포스팅이 금지되어 있다 .

-323- 유즈넷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Mark Moraes 의 글을 일부분 인용하고자 한다 . Mark Morae는 많은 사람들이 유즈넷에 대한 잘못된 선입관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유지넷 의 미래에 대한 의미있는 질문을 던진다.“ 유지넷이 완전한 민주주인가 ? 아니면 중앙정부와 같은 거대한 자산을 가진 집단이 통제하는 시대가 올 것인가? Mark Moraes 의 글은 news.mic, news.admin.mics, news.answers, news.-newusers.announce 등의 뉴스그룹에서 원문7)을볼수있다. ▶유즈넷은organization( 조직 ) 아니다 . 어떤 사람이나 그룹() 기관 도 유즈넷에 대한 통제력을 가지지 못한다 . 간혹 유즈넷과 뉴스그 룹을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어느 특정 뉴스그룹이 없어지더라도 유 즈넷은 계속된다. ▶유즈넷은democracy( 민주주의 ) 가 아니다 . 유즈넷을 관장하는 사람이나 그룹() 기관 은 없다 . 즉 유즈넷 ‘’ 정부 란 없다 . 유즈넷은 민주주의 가아니다물론전제주의도아니며어떠한주의도될수없다.. ▶유즈넷은fair( 공정 ) 한 것이 아니다 . 만일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행동을 다른사람이 하였을 경우 누가 그를 막을 것인가? ▶유즈넷은right( 권리 ) 가 아니다 . 일부 유즈넷 사용자들은 자기가 원하면 무엇이든, 어떤 방법으로든 언론의 자유를 누릴 권 리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해당 컴퓨터의 소유자가 이를 막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내 컴퓨터가 타인의 말하는 자유에 이용되지 않기를 결심하였다면 이는 나의 권리인 것이다.“ 출판의 자유 ” 란 그를 소유한 사람의 권리이다 . ▶유즈넷은public utility( 공익사업 ) 이 아니다 . 유즈넷 싸이트중 일부는 정부 또는 공공단체의 지원을 받는 곳이 있으나 대부분 싸이트는 그렇지 않다., 유즈넷은 정부가 정책적인 지원을 하지 않으며 그에 대한 통제도 거의 가하지 않는다.

7)‘What is Usenet' 참조

-324- ▶유즈넷은academic network( 학술망 ) 이 아니다 . 많은 유즈넷 싸이트들이 대학이나 여러 연구소와 관련되어 있다. 유즈넷이 처음에 미국의 두 대학간 아이디어 및 정보교환을 시작으로 발전되었음도 사실이다. 그러나 세월이 지남에 따라 유즈넷의 성격이 바뀌었다.. 오늘날 유즈넷 싸이트의 대부분은 상업망에 속한다 ▶유즈넷은 광고매체, 인터넷 , UUPC 네트워크 , 미국 , UNIX, ASCII 네트워크 , 소프트웨어 등 이아니다.

②뉴스그룹만들기와 미래의 유즈넷

위에서 언급된 내용들을 살펴보면,. 유즈넷은 엄밀한 의미에서 민주주의가 아니다 그러나 유즈넷에는 민주주의의 성격을 그대로 따르는 한가지가 있다.. 뉴스그룹만들기 이다 새로운뉴스그룹이널리전파되려면그를만들자고제안한사람또는팀이뉴스그룹생성 지침을 따라야 하는데, 그 지침 중에는 공개 투표를 통과하는 것이 있다 . UUNET 의 David Lawrence가 작성한 지침서8)를 보면 뉴스그룹을 만드는 과정을“”“”“” 토론 투표 및 결과 로 구분하였는데, 최종적으로 적용되는 규칙은 100 과 2/3 이다 . 즉 새로운 뉴스그룹을 만들려면 찬성표가 반대표보다100 표 이상 많아야 하고 또 찬성표가 총 투표수의 2/3 를 초과해야 하 는것등이다. 뉴스그룹 만들기 과정이 민주주의의가 성공한 대표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왜 냐하면 한번 결정된 것이 아무런 강제력을 동원하지 않고서도 지켜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뉴스그룹 만들기가 민주주의화한“” 미래의 유즈넷 을 실현시키는데 있어서 하 나의 초석인 것이다. ▶유즈넷 신조1: 사회적 유즈넷

8) 새로운 뉴스그룹을 만드는 방법은news.answers 라는 뉴스그룹에 주기적으로 올라오는 “How To Create A New Newsgroup"이라는 제목의 기사에 수록되어 있다 . 이것은 하나의 안내지침이며, 이를 따름으로써 뉴스그룹이 만들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들어진 그룹이 널리 전파될 수 있다.

-325- 컴퓨터통신을 해보지 않은 사람들은 사교술이 무엇인지 잘 모를 수 있습니다. 배워야할 사 교술중 하나는 당신과 다른 견해를 갖는 사람이 있다는 것에서 나아가 당신의 견해를 위협 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입니다. 역으로 당신의 견해가 다른 사람에게는 위협적인 것으로 비 쳐질 수 있습니다.. 이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얼굴을 마주대고 얘기할 때와는 달리 당신의 생각을 감출 필요는 없읍니다. 전세계의 모든 사람이 당신의 동료는 아니지만 그들 과 의미있는 대화는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을 할 수 없는 사람이야말로 사교술이 부족 한 사람입니다. (Nick Szabo) ▶유즈넷 신조2: 혼란스런 유즈넷 혼란스럽다는 것은 당신을 괴롭히는 것들과 함께 더불어 살아야함은 뜻한다.( 작자 미상 )

-326- 2.인터넷ㆍ PC 통신상의 시민사회단체 디렉토리

1)평화마을 (PeaceNet)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종합 http://www.peacenet.or.kr/ 평화마을(PeaceNet) 은 인터넷과 네트워크가 개인과 사회를 발전시키는 유용한 도구라는 인식으로 형성된 인터넷 공동체이다. 사이버 공간에서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고 그를 통해서 현실의 평화를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Issue Sites로 7 개의 사이트 , 그외 5 개 사이트가 연결되어 있으며 , 에큐메니칼 네트워 크를 구축하고 있다. Issue Site ●KOREA COALITION FOR A WORLDWIDE DAY OF FASTING FOR Web NORTH KOREA (북한동포를 위한 국제금식의 날 한국위원회 ) 현황 ●Korea Campaign TO BAN LANDMINES (한국 대인지뢰 대책회의 []KCBL ) ●Violence against Women in Korea (한국 여성의 전화 )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ese Soldiers (한국정신대문제 대책협의회 ) ●Korea Sharing Movement Homepage (우리민족서로 돕기운동 ) ●Dioxin-the worst chemical compound (기독교의료인회 ) ●EcoNews (서울시 녹색서울시민위원회 )

2) 한국정신대문제 대책협의회 주소: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 2 가 35 번지 기사연빌딩 101 호 Tel : 02-365-4016 Fax: 02-365-4017 공동대표:( 이효재 전 이화여대 교수 ),( 윤정옥 전 이화여대 교수 ), 김희원 회원단체:, 한국여성단체연합 한국교회여성연합회 ,,, 한국여성의 전화 한국여성민우회 한국 여신학자협의회,, 여성교회 아시아여성신학교육원 , 새세상을여는 천주교여성공동체 , 기독여 민회,,KNCC,,, 카톨릭여성복지위원회 여성위원회 불교인권위원회여성위원회 두레방 이화민 주동우회,,,,() 정신대연구회 여대생대표자협의회 한국불교여성연합회 한국기독교장로회 기장 여신도회전국연합회,, 기장전국여교역자협의회 감리교여선교회작가회의전국연합회 , 대한예수 교장로회() 통합 전국여교역자연합회 , 민족문학 여성위원

-327-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정치 http://witness.peacenet.or.kr/ [email protected] PeaceNet 1997127年月 日일본군 “ 위안부 ” 문제를 국제사회에 알리기 위해서 관련 인터넷 Web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역사적 사실 및 관련 당사 현황 자들의 증언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1997年月 1 27 日 이후 51,299 visited

3) 우리민족서로 돕기운동본부 주소:39 서울 중구 삼각동 Tel: 02-734-7070 Fax: 02-734-8770 고 문:,,(,) 김수환 추기경 강석주 스님 강원용 목사 크리스찬아카데미 원장 상임대표:( 서영훈 공선련 대표 ,KBS)( 전 사장 송월주 조계종 총무원장 ) 최창무( 천주교서울대교구 주교 ) 김준곤목사 ( 한국대학생선교회 CCC 총재 )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정치 http://hunger.peacenet.or.kr/ [email protected] PeaceNet 자체 발간물과 관련 자료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북한관련 내외신기사를 검색할 Web 수 있도록 주요언론사를 연결해 놓고 있다. 북한동포돕기를 위한 캠페인을 통 현황 해서 온라인 모금을 추진중이다. 1997年月 5 15 日이후 18,702 visited

4)기독교청년의료인회 ( 기청의 ) 주소:202 서울시 서대문구 기사연빌딩 호 Tel 02-363-7194 Fax 02-362-5160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정치 http://dioxin.peacenet.or.kr/ [email protected] PeaceNet Web 인류최악의 독극물 다이옥신에 대한 각종의 자료를 제공한다. 현황 1997年月日 6 3이후 5,603 visited

5) 녹색서울시민위원회

-328- 주소:1319 서울시 중구 태평로 가 번지 서울시 서소문 별관 층 Tel: 3707-9696 Fax: 778-0312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환경 천리안 greeneco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http://econews.peacenet.or.kr/ PeaceNet 격주로 발간하는“” 녹색정보마당 의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 여기에 게제되어 있는 Web 현황 각종의환경정보를검색할수있게했다자료는. 1997 년 10 월 27 일제호까지 8 올려져 있다.

6)한국에큐메니칼 네트워크 (Ecumenical Network, EcuNet) 운영단체: 기독교아시아연구원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종교 http://www.peacenet.or.kr/index2.htm PeaceNet 사이버 공간에서 한국 에큐메니칼 운동의 네트워크 형성을 목적으로 에큐메니칼 단체들의 홈페이지를 유치하고 제작하고 있으며 앞으로 에큐메니칼 메일링 리스트, 에큐메니칼 정보은행 등을 운영할 예정이다. 기독교아시아연구원이 PeaceNet 을 통 Web 해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기독교아시아연구원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NCC), 기독 현황 교사회문제연구원,, 민중신학연구소 한국기독여성 운동 네트워크 , 한국기독학생연합 (),한기연 기독교 환경운동 연대 , 외국인 노동자 선교 , 한국성경연구원 , 성경 페다고 지 등이 연결되어 있거나 웹페이지를 제작中 이다.

7)기독교아시아연구원 (Christian Center for Asian Studies, CCAS)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종교 http://ccas.peacenet.or.kr/ [email protected] Peacenet→ EcuNet Web 제3,, 세계 신학자료 정보사회자료 기독교 커뮤니케이션자료 등이 올려져 있으며 한 현황 국에큐메니칼네트워크진척상태를볼수있다. 1995年月日 8 1 개설 .

-329- 8)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The Christian Institute for the Study of Justice and Development)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종합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PeaceNet→ Ec http://www.peacenet.or.kr/cisjd/ [email protected] uNet 자체발간한 출판물을 소개하고 있으며,10 자료관리시스템을 운영하면서 지난 여 Web 년간 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 및 기독교운동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데 현황 이타베이스로 구축해서 자료를 검색할 수 있도록 했다.

9)그린넷 (Green Net) 운영: 한국일보사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사회 http://web.or.kr/event/greenet/gn_home.htm 정보문화를 올바로 정착시키기 위해서 그 기초를 닦는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 되고있다단계별로진행되는데현재진행하고있는첫단계는모든사람이소., 외되지 않고 정보화의 혜택을 누리는 환경을 만드는 시기이다. 열린 정보센터 만 Web 들기,, 멀티미디어도서관 구축 미디어교육을 통해 열린 정보사회의 기반만들기를 현황 실시하고 있다.( 그린넷 캠페인의 최종단계는「 글로벌 코리안 네트워크 한민족네 트워크)」 의 구축이다 . 하지만 1996 년 하반기에 떠들썩하게 진행했던 것에 비해 1997년 이후로는 별 진전없이 정체된 상태로 보인다 .

10)환경운동연합 (KFEM) 주소:251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하동 번지 Tel: 02-735-7000 Fax: 02-730-1240 대표: 이세중 (1935 년 생 ) 사무총장 : 최열 (1949 년 생 )

-330-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분류 시민환경정보 01410->kfem 환경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G-Net/ http://www.kfem.or.kr/ [email protected] 시민사회인터넷 환경과 자원의 효율적 관리정보를 위한 환경관련DB 인 시민환경정보를 서비 Web 현황 스하고 있으며 주요사안,. 테마환경 등의 내용이 있다

11)북한연구소 (Institute of North Korea Studies) 주소: 서울시 동대문구 장안동 431-4 Tel: 248-2932-7 Fax: 249-9571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학술() 정치 통일- 북한정보 01410->2.HiTEL정보체계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http://www.nks..or.kr Green Net Web 현황 북한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국내 최대의 북한관계 자료와 공산권 및 통일관계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민간차원에서의 북한자료센타이다.

12)넥서스컨설팅 (KTB)- 유럽도서 , 정기간행물정보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학술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http://www.infomine.co.kr:7000/ Green Net Web 현황 KTB는 기업에 금융지원 및 비금융서비스 업체이다 . 공공 DB 로서 유럽도서 , 장 기간행물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13)한국노동연구원 (Korea Labor Institute)

-331-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노동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http://ns.kli.re.kr/ Green Net Web 노동정보,. 노동통계의 세부자료 제공 현황 1997年月日 1 1개설 .

14) (사 ) 한국여성단체연합 주소: 서울시 중구 장충동 1 가 38-84 여성평화의 집 2 층 Tel: 02-273-9635 Fax: 02-273-9539 대표:, 지은희 상임대표 한명희 공동대표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여성 나우누리 Women21 천리안/:KWAU 하이텔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http://www.Women21.or.kr/ 한국여성단체연합의Women21 은 한국여성운동네트워크로써 , 전국의 28 개 회원 Web 단체가 공동참여하여 가족/,,/,,/, 여아 노동 성 인권 정치 평화 통일 환경 등 10 개 현황 분야로 나누어 여성부문 전반의 정보를 제공한다. 홈페이지가 별도로 구축되어 있는 회원단체는 한국여성민우회,,, 한국여성노동자회협의회 한국 여성의 전화 대구여성회 등이 있다.

15) 한국여성민우회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 1 가 38-84 여성평화의 집 1 층 (100-391) Tel: 02-269-5763, 277-7883 Fax: 02-269-5766

-332-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여성 나우누리 womenlink 상호연 인터넷도메인 E-mail 결망 women http://www.womenlink.or.kr/ [email protected] 21 Web 여성관련 정보로써 요리, 여성관련법 ,,,,, 성 환경 노동 복지 창업 등 다양한 자료 현황 를 제공하고 있다.

16) CP NET Member Net:정보연대 SING(Social Information Networking Group), 지속가능한 개발 네트워크(Sustainable Development Network), 참세상 시민사회인터넷 , YMCA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종합 한국독립네트워크운동(KAPC) 참세상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http://www.cpnet.or.kr/ [email protected] 정보네트워크의 구축과 시민사회단체간의 협력을 위해서 창립했으며, 정보연대 Web SING(Social Information Networking Group), 지속가능한 개발 네트워크 한국 현황 본부(Korea Sustainable Development network), 참세상 (TrueNet), 시민 사회인 터넷(Internet For People), 서울 Y.M.C.A 등이 참여하고 있다 .

17) 시민사회인터넷 주소: 서울시 관악구 신림 1 동 1578-3 Tel: 851-4453 Fax 839-9190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종합 http://people.kfem.or.kr/ [email protected] cpnet 환경,,, 여성 문화 교육 등의 분야에 대해 , 그리고 지금까지 기존매체에서 소외되 Web 어 왔던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그리고 한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현황 사회운동들과 정보에 관련된 자료를 정리하는 사이트인 진보정보목록 (NIE: the Nonprofit in Information Era)을 운영하고 있다 .

-333- 18)진보운동과 정보에 관한 자료 (NIE: the Noprofit in Information Era) 운영:,. 시민사회인터넷과 열린마을의 도움으로 금혜정 박근덕이 만들고 운영함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시민사회인 종합 http://ns.ifp.or.kr/nie/index.html [email protected] 터넷 한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회운동들과 정보에 관련된 자료를 정리하는 곳이다. 노 Wed 동인권여성교육사회문화매체환경정책정치정보운동등에대한자료를분류////////// 현황 하고 올리고 있다.

19)지속가능한 개발 네트워크 한국본부 (Korea Sustainable Development Network, KSDN) Tel: 3673-0921, 4 Fax: 3673-0925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환경 http://www.ksdn.or.kr/ [email protected] cpnet KSDN은 1992 년 리우환경회의 (UNCED) 에서 향후 세계의 개발방향으로 제시된 지속가능한 개발을 실현하는 것을 돕고 이에 관련된 정보들의 원활한 교류를 위 Web 하여 유엔개발계획(UNDP) 이 전세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제환경정보네트워크 현황 이다.YMCA 한국에서는 한국 전국연맹이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국내의 환경과 개발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0)크리스챤아카데미 ( 사이버 민회 )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종합 상호연결 인터넷도메인 E-mail 망 시민사회 http://ns.ifp.or.kr/academy/index.html [email protected] 인터넷 Web 주로 크리스챤아카데미의 활동과 관련한 자료를 주제별로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현황 시민사회정보포럼을 준비중이다. 작년대선때는 사이버대선을 실시해서 관심을 모 으기도 했다.

-334- 21)참세상 (Truenet) 참여단체:,, 과학기술노동조합 노동정보화사업단 전국산재추방단체연합 ,, 노동자뉴스제작단 한국민주청년단체협의회,, 진보정치연합 한국여성노동자회협의회 , 인권운동사랑방 , 노동정책 정보센터,,,,, 빈민지역주민운동통신모임[] 새누리 야학통신모임 반핵평화회 과천시민포럼 대전충남노동시민사회단체연대모임 민주와진보를 위한 지식인연대,, 사회복지포럼[] 반디 문화비평저널[] 오늘예감,2 제 대학포럼 , 한국국제문화연구회 , 청년네트워크 [] 미래 , THINC21,공간이음 , 한총련 , 대학 YMCA, 21 세기진보학생연합 , 자치운동네트워크 , 통신연 대등등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종합 참세상 0140→참세상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http://www.truenet.co.kr/ [email protected] cpnet 참세상은 진보네트워크(Progressive Network), 시민네트워크 (Civic net-work), Web 자치네트워크(Autonomous Network) 를 지향하며 1993 년 8 월에 만들어진 PC 통신 현황 서비스이다.‘’ 웹페이지에서는 참세상 소개와 가입안내 및 웹진 스키조 가 게제되어 있다. 최근에 참세상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통신장비 일체를 진보네트워크센터 에 기증함으로써 시민사회단체의 독립네트워크운동을 촉진시켰다.

22)통신연대 (Solidarity for Progressive Information acd Communications, SPIC) 주소: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1578-3 우성빌딩 5 층 Tel: 02-855-1913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종합 통신연대 참세상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http://spic.cpnet.or.kr/ [email protected] 참세상 Web 통신연대 소식지만 올려놓은 상태,, 국제연대활동을 의식하고 대부분 영문으로 현황 홈페이지를 구성하였다.

-335- 23)한국여성개발원 (02-365-0070 교환 502, 506)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여성 여성종합정보 0140→ 2. HiTEL정보세계 현황 여성법률정보,, 여성관련문헌정보 여성계동향정보를 제공한다 .

24)자원봉사전만망 (VT-Net) 운영단체:/,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삼성복지재단 삼성사회봉사단 Tel:한국사회복지협의회 자원봉사정보안내센터 02-713-2553~ 4 System운영 02-259-7821, 7895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학술 자원봉사전산망(VT-Net) 01410→ vtnet ()사회복지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http://bbs.vtnet.org/ [email protected] 사회복지의 종합정보, 종합포럼을 제공하는 우리나라 최대의 사회 복지전산 망이다.DB, 사회복지신문과 문헌 를 비롯하여 사회복지시책과 프로그램 자원 Web 현 봉사자 및 기관DB ( 온라인 접수 ), 각 지역별 , 직능별 , 대학별 포럼 등의 정보 황 서비스와 교류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97 년 7 월부터는 Telnet(telnet://210.118.55.7)으로도 서비스하고 있다 .

25)사회복지 정보원 (Welfare-Net, Korea) 주소: 서울시 동작구 대방동 391-191 Tel: 02-822-2643, 3448-3197

-336-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학술( 사 http://welfare.or.kr/ [email protected] 회복지) 1996년 4 월 사회복지 인터넷 서버 (http://welfare.or.kr/) 를 구축하고 사회복지 분야의 자료를DB 로 제공하고 있다 . 그리고 Online Conference Center 로 구상 하고 있는‘’ 가상복지센타 는 동호회나 전문포럼 , 가상오피스를 갖고 싶은 단체 , Web 온라인 수업을 희망하는 교수들에게 가상오피스와 뉴스그룹,,ftp, 웹 서비스 온 현황 라인 교실,,,CGI 게시판 자료실 토론실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컨설팅도 해준다 . 참고로Online Conference Center 는 속도와 다단계토론기능의 지원이 효율적 으로 이루어지는‘’ 뉴스서버 를 활용해서 구축하고 있다 . 즉 뉴스그룹이 최적의 Conferencing System이라는 판단이다 .

26) (사 ) 북한문제조사연구소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통일 북한마당(go nk) 하이텔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http://www.koreascope.org/ 남북한의 실상을 객관적으로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1997 년 6 월에 인터넷 사이트“ 코리아스코프 ” 를 개통했다 . 주요내용은 ‘ 오늘의 한국 ’‘ 북한실상 ’‘ 통 Web 일정책’‘ 한반도 이슈 ’‘ 최근 북한소식 ’‘ 스코프마당 ’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 그 현황 중에서‘’ 최근 북한소식 은 탈북자들이 증언을 토대로 소개하고 있으며 꾸준히 새로운 북한소식을 업데이트한다.

27)성공회대학교 가상복지관 (CWC: Cyber Welfare Center) Tel: 02-610-4114, Fax: 02-683-8858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http://blue.skhu.ac.kr/cwc/ 사회복지 [email protected] index.html 아동 및 노인복지 분야의 자료와 자원봉사 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상담실 Web 을 운영한다.. 그리고 성공회대학교 교수들의 강좌도 마련되어 있다 자료는 비 현황 교적 꾸준하게 업데이트가 되고 있다.

-337- 28)사이버파티 (cyberparty)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정치 http://www.cyberparty.or.kr/ [email protected] 1996년 7 월 국회전자민주주의연구회 ( 회장 : 강경식 ) 주도로 PC 통신 , 인터넷 등 전 자공간상에 개설되어 활동을 시작., 국회전자민주주의연구회 국가경영전략연구원 Web 이 참여하고 있으며,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정치과정에 국민들의 참여를 현황 촉진시키기 위한 목적., 정치메일링리스트 제공 수요정책 간담회 자료제공 , 정치 관련웹사이트분류제공.

29)서울 YMCA 청소년쉼터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사회복지 http://members.iWorld.net/yshelter/ [email protected] 청소년쉼터는1992 년 10 월 서울 YMCA 에서 문화체육부의 지원을 받아 가출문제 Web 를 가지고 있는 청소년들을 돕기 위해 개설한 프로그램이다. Web 사이트는 1996 현황 년4. 월에개설되었으나관리가되지않고있다

30) 청소년 광장 운영단체: 서울특별시 청소년사업관 Tel: 02-798-0325

분류 인터넷도메인 상호연결망 사회복지 http://www.metro.seoul.kr/kor/kidspage/mainkid-fr-kr.html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청소년사업관에서 제공하는 각종 청소년 프로그램 정보와 청소년을 Web 위한 강좌,, 강습 정보 청소년 지금 (),, 통계현황 청소년의 의식구조 청소년 단체 현황 및 수련시설,“”,KidPage 서울청소년프로그램 종합정보지 월간 푸른소식 국내외 링크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31)얼터너티브 (ALTERNATIVE)

-338-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사회 얼터너티브 나우누리 altnuri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http://www.alt-kr.org/ [email protected] 얼터너티브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서 진보운동의 새로운 대안을 마련하고자 Web 현황 1996年月 2 15 日창립한 통신네트워크운동 단체이다 . 주로 정치문제에 대한 회 원들의글을중심으로구성되어있다.

31) (사 ) 한국사회학회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304-28 한국사회과학도서관 5 층 Tel: 02-739-3427 Fax: 02-720-7170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학술 http://taeback.kornet.nm.kr/~ksa [email protected] Web 현황 1996年에 개설 . 전자포럼 , 메일링리스트 운영 .

32)정보연대 SING(Social Information Networking Group)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우성빌딩5 층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종합 상호연 인터넷도메인 E-mail 결망 http://www.sing-kr.org president:[email protected] cpNet 정보를 매개로 대안적인 사회체제를 고민하는 모임이다. 1996.6.25 부터 서비스 시 Web 작. 최초로 정보운동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기도 함 . 1996 년 겨울 노동법과 관련한 현황 총파업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세계에 알리는 활동을 함으로써 일반에게도 잘 알 려진 단체이다.

-339- 33)한국 YWCA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사회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http://www.ymca.or.kr/ [email protected] 1997年月日 5 7개설하여 게시판과 메일링리스트만 운영하고 있으며 강릉 , 거창 , Web 광양,,,,, 남원 대구 부천 서울 청주지부와 전국연맹의 홈페이지를 제작하고 연결 현황 해 놓고 있다. 아직은 대부분 작업 중이고 서울지부와 전국연맹의 홈페이지만 그 럭저럭갖추어져있다주로단체소개중심으로이루어져있다..

34)서울 YMCA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http://www.ymca.or.kr/seouly/index.htm 한국YMCA Web 현황 부서 및 강남// 서초 동대문 / 서대문 // 송파 영등포지회의 활동 소개

35) 사회과학네트워크(Social Science Network) 전화: 02-598-3928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학술 http://ssn.sing-kr.org [email protected] KPD 사회과학네트워크는 학술단체협의회,, 한국사회과학연구소 한국노동사회 연구소 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서로간의 정보교류와 사회변혁의 실천을 위해서 전자 Web 현황 공간을 활용한다는 취지에서 출발하고 있다. 하지만 처음 홈페이지를 만든 이후 전혀관리가되지않고있다.

36) 학술단체 협의회 공동대표:( 강정구 동국대 교수 ,, 사회학 한국산업사회학회 )( 김대환 인하대 교수 ,, 경제학 한 국사회경제학회)( 김진균 서울대 교수 ,, 사회학 서울사회과학연구소 )( 박진도 충남대 교수 , 경 제학,)(,)(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안병욱 가톨릭대 교수 국 사학 한국역사연구회 이이화 역사 문제연구소 소장)( 최장집 고려대 교수 ,, 정치학 한국정치연구회 )

-340- 참여단체:, 문학예술연구소 민족문학사연구소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 서울사회과학연구소 , 역 사문제연구소,, 역사학연구소 한국공간환경학회 ,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 한국사회경제학회 , 한국사회언론연구회, 한국산업사회학회 ,,,, 한국여성연구회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정치연구회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종합 onforum 하이텔 시민운동단체들이 모여서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고 일반인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협의체이다., 현재 경제정의 실천시민연합 기독교윤리 실천운 Web 동,,, 나라정책연구회 노동인권회관 한국여성정치연구소 ,,, 환경운동연합 홍사단 현황 불교환경교육원,, 교통문화운동본부 생활협동조합중앙회가 참여하고 있으며 , 각 단체에서 해당분야의 정책자료 및 토론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37)한국진보디렉토리 (KPD, Korea progressive Directory) 전화: 02-598-3928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학술 http://kpd.sing-kr.org/ssn/group/hdh/html SSN 단체소개,, 활동계획 학단협 회보를 제공한다 . 그러나 처음 개설된 이후 지금까 Web 현황 지전혀관리를하지못하고있다.

38)민주노총 (KCTU)

분류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종합 http://kpd.sing-kr.org webmaster:[email protected] SING Web 한국의 진보적인 사회단체들의 인덱스이다.,, 여기서는 주제별 분류 사이트 설명 현황 중요한 이슈소개등을 하고 있다.sing. 정보연대 에서 제공

-341- 39) 온라인정책협의회 전화: 02-598-3928

분류 IP사업명 소속통신업체 ID 노동 인터넷도메인 E-mail 상호연결망 http://kpd.sing-kr.org/kctu/index.html KPD(한국진보디렉토리 ) 민주노총(KCTU) 에 대한 소개 (,,, 연혁 방침 목적 주요활동 ),, 공식 문서 한국의 노동 Web 법 관련 기사와 기본적인 정보와 사회배경들,,, 기구 활동 등을 소개하고 있다 . 다 현황 른 노동관련 기구들과 한국의 진보디렉토리가 링크되어 있다.

-342- 3.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 실험개요 및 경과 보고

1)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 실험개요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 실험을 위한 방법론: 21세기 시민정보사회 추진을 위한 주체의 형성 , 정보화 마인드의 고양 , 정보의 공유와 의사 소통이 작동하는Virtual Community 의 운용 및 형성 가능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1998 년 3 월14302 일~ 월 일까지개월간실시한바있다본실험은당초포인트캐스트등의푸 . 시기술 응용과 대용량의 전용선 설비를 활용해서 진행될 필요성이 있었으나, 절대적 시간 및 예산의 부족으로 계획을 변경, 인터넷상의 홈페이지를 통한 BBS 와 채팅기술 , Wed-CT 를 이용한 사이버대학의 운용,E-Mail 그룹과 홈페이지 그룹의 적절한 연계를 중심으로 시 민정보사회 커뮤니티(NETOPIA) 일명 실험을 전개하게 되었다 . ▶실험대상: 대학교수 ,,, 대학생 직장인 정보통신 관련자 등 개인을 중심으로 모집하되 단체 도 가능하다. ▶실험목적: -.참여자의 정보화 마인드가 실험을 통해 변화되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사회적 쟁점의 부각과 활발한 토론 등을 통해 여론 선도그룹으로의 발전 가능성, 그에 따 른 각종 필요조건을 검토한다. -,참여자에게 일정한 정보를 전달 그에 따른 일정한 행위가 유도될 수 있는 지 여부를 조사 한다. -,가상공동체에서의 신뢰 지식정보의 축적과 이용에 참여자의 신뢰도 및 참여도를 조사한 다. -.사이버 커뮤니티의 형성 가능성을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실험방법: -.실험 참가자는 광고와 교섭을 통해 이원적으로 모집한다 -실험은 인터넷 홈페이지 (http://netopia.kitel.co.kr) 와 PC 통신 키텔에 ‘ 메거진 새문명 로드 ’ 와‘’‘’ 교육정보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교육정보통신 방을 개설해서 이원적으로 진행한다 .

-343- -PC인터넷과 통신으로 접근하는 참가자를 대상으로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에 대한 모니터 를2. 단계를 실시한다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 형성에 있어서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는 현실적인 접근 가능성이 크 지 않은 까닭에 본 실험과 연관되어 별도의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실험경과 ①참가자등록: 총 123 명 (netopia.color.co.kr/manage.html) - 참가자 목록 별첨 ㆍ매일경제광고:35 명 ㆍ참가권유메일: 1,100 명에게 메일 발송 , 이 중 50 명 가입 ㆍ기타(, 검색 소개 ):38 명 ②매뉴얼발송:117 총 부발송 ③게시판() 네토피아 초기화면 참고 ㆍ사회전략연구포럼:IMF 와 한국경제 / 김대중 정부의 경제정책 등 다수 ㆍ밀레니엄포럼:/ 정보화 시대의 진보적 과제와 실천원리 고대 동양으로부터의 진보적 권 유,/ 화폐의 비밀 새로운 문명사회로의 접근 / 전지구적인 새로운 윤리와 가치관의 모색 /20 세기 학습서-20 미래인이 보는 세기 등 다수 ㆍ신과학포럼:21 세기의 연금술 - 상온핵융합 / 반중력의 과학 /Teleportation 그리고 인공기상 조절 공학/- 우주공간에 대한 새로운 관점 에너지공간 등 다수 ㆍ미래명상포럼:/// 새로운 세계관고 인생관 올바른 명상의 태도 관법명상 바라보기를 응용한 삶의기술등등다수 ㆍ휴먼뱅크:/ 인물 소개 관련 분야 소개 ㆍ경제통계: 시의성 있는 경제통계 자료 업데이트 ㆍ책소개//: 기사소개 현장정보 주간경제동향 / 정보통신뉴스 등 다수 ㆍ자기소개의 장 ㆍ자유게시판/ 묻고답하기 ㆍ이슈토론: 노사정 합의문 등 ③홈페이지 그룹 ㆍ개인홈페이지소개 게시판을 통해 자신이 홈페이지를 소개하고 링크 ④E-mail Group 현황

-344- ㆍEdupage발송월일월일월일월일월일총차발송 :313,320,327,44,412 5 ㆍ주간정세동향 발송:3 월 16,3 일 월 22,3 일 월 28,4 일 월 7 일 총 4 차 발송 ⑤전화모니터:1 차 -3 월 2 일부터 3 월 10 일 2-42차월일부터월 410 일 네토피아 컨텐츠, 요구사항 등 접수 ⑥설문조사 ㆍ1차설문조사 ㆍ2차 설문조사 : 설문조사 전문사이트 QSS(www.survey.co.kr) 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시범 서비스를 이용 ⑦대화방 ㆍ제차채팅월1(312) 일 ㆍ제차채팅월2(319) 일 ⑧정보사랑대회 ㆍ~제1 차 정보사랑대회 (2/23 3/1) ㆍ~제2 차 정보사랑대회 (3/30 4/6) ⑨오프라인 모임 : 5월 16 일부터 17 일 양일간 사이버명상센터 참가자 20 명이 충주호에서 수련 및 오프라인 모임을 가짐 ⑩참고자료

ㆍ매뉴얼 도움말

▶시민정보사회란 무엇인가 이제까지 정보사회에 관한 접근은 거의 전부가 시민의 차원이 아니라 국가의 차원 또는 민 간기업의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본 커뮤니티에서는 시민이라는 정보 사회의 주체를 명확히 함으로써 정보사회를 보는 전혀 새로운 관점에서 출발하고자 합니다.

▶커뮤니티() 사이버 커뮤니티 란 무엇인가

-345- 사이버 커뮤니티() 네트워크 란 지식정보로 연결되는 사람들의 관계망입니다 . 이러한 관계망 이 하나의 조직으로 행동하는 것은 각 구성원이 자신의 아이디어와 리더십으로 관계망의 여 러 사람들의 뜻을 모을 수 있을 때입니다. 따라서 이 관계망의 리더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는것이특징입니다그렇지만모든구성원은신뢰와유대감을가지고있으며이를기초로. 하나의공동체가될수있는것입니다그런의미에서우리는네트워크공동체를실현하고. 자합니다. ▶21세기 시민정보사회추진을 위한 종합 프로젝트는 무엇인가 1997년도 정보통신연구관리단 정책연구과제 중 하나로 ( 사 ) 새문명아카데미가 수행하는 연 구 주제명입니다.21 세기 시민정보사회추진을 위한 종합 프로젝트는 시민을 주체로 , 정보사 회와 시민사회를 접근시키는 관점에 서서 정보기술이 사회 전체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무 엇이며 상업적 이윤이나 흥미위주의 동기가 아닌 사회적, 공공적 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가 능성이 있는가를 모색하고, 시민정보사회의 정치 ,,,, 경제 교육 문화 윤리가치관의 이론적 연 구를 한 축으로 하고, 이에 관한 종합적 접근을 구체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지식정보의 공급 과상호공유지적교류를시민정보사회커뮤니티실험과정에서진행하게됩니다,.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 실험은 무엇인가 21세기 시민정보사회추진을 위한 종합 프로젝트의 한 축으로 진행되는 새로운 실험입니다. 각계각층의 일반 시민과 각 분야별 전문가를 주된 참가자로 해서 인터넷 공간에서의 BBS 와WebCT 를 이용한 사이버대학의 운용을 시도함으로써 시민정보사회를 이끌어갈 새로운 리더그룹의 발굴과Virtual Community 의 형성 , 무료로 공유 가능한 지식정보의 축적 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에서는 다음의 문제의식에 초점을 두고 진행될 것입니다. ⓐ정보사회가 아닌 시민정보사회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제기 ⓑ정보기술의 사회적 효과,,,, 특히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각 분야에서 정보기술의 사회공 익적 활용의 중시 ⓒ부분적 접근이 아닌 종합적 접근 ⓓ정보사회의Virtual Community 에서 동양적 신뢰의 작동형식과 가능성의 검증 ⓔ흥미위주,,, 기능위주가 아닌 인문 사회 과학적 지식정보의 공급과 그 유용도의 측정

-346- ㆍ본 실험의 취지와 특징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는 본격적인 Virtual Community ‘FUTURE VISION NETWORK' 를 준비하는 첫단계 실험입니다.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는 사이버스페이스(PC) 인터넷과 통신 에서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 는 실험입니다., 우리는 새로운 사회 새로운 공동체가 사이버스페이스에서 형성될 수 있는 지, 또 이러한 Virtual Community 가 우리사회의 Opinion Group 으로 성장할 수 있는지에 관한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IMF 시대에 들어간 한국 사회는 심각한 곤경에 처해있으며 서로 단결하고 지혜를 모아야 할 때입니다.,, 매스콤을 통한 대국민홍보를 넘어 쌍방향적 교류와 지식 의견을 모아 보다 심도깊은 단결을 이루기 위해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지적교류와 정보공유를 통한 신뢰의 형 성가능성,. 그리고 투명한 공동체의 전형을 형성하기 위한 최초의 실험입니다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는 현실공간에 이루어지는 동창회,, 향후회 친목회 등과는 달리 사 이버스페이스를 주 활동무대로 하는 새로운 만남의 장입니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언제 어디에서든지 필요에 따라 새로운 사람과 새로운 정보를 만나실 수 있습니다 .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는 인터넷상의E-mail 을 통하여 작동되는 공동체입니다 .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는 젊은 매니아들의 전유물인PC 통신의 동호회와는 달리 , 시민사 회를 인터넷공간에서 실험적으로 구현하는 것으로서, 대학생 이상의 지성인이 참가하는 지 적,. 문화적 공동체입니다 ▶매스미디어의 일방적 대량전달방식이 아니라, 구체적인 삶에서 서로 간의 협력과 연대를 도모하고, 나아가 한국사회 전체를 이끌어가는 여론형성과 뉴 비전의 공동체를 준비하는 것 입니다.

ㆍ네토피아로의 안내

▶인터넷에 접속하셔서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 주소(http://netopia.kitel.co.kr) 를 입력하시면 다음의 화면이 등장합니다.

-347- ●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NETOPIA) Content Map

ㆍAbout NETOPIA: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와 ‘21 세기 시민정보사회 추진을 위한 종합프로 젝트’. 를 소개합니다 ㆍFellowship(등록 ) : 참가자 등록 , 참가자 매뉴얼 ㆍGroup : E-mail Group/Hompage Group ㆍ설문조사: 커뮤니티 실험의 결과로 반영될 각종 운영 및 참가자 정보를 입력하시는 란입 니다.4 전체 회 개제될 예정입니다 . ㆍ사회전략연구포럼:, 사회의 변화와 개혁 그리고 위기로부터의 탈출을 모색하는 논의의 장 입니다./ 상황인식과 판단을 도와주는 기본자료를 제공하며 주제 제기 자유토론실이 마련되 어 있습니다. ㆍ밀레니엄포럼:21 세기의 비전과 새로운 사회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장입니다 . 다양한 측면에서21 세기의 문제를 풀어나가는 7 가지 이야기를 기본자료로 제공하며 주제제 기/. 자유토론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ㆍ신과학포럼: 물질과학 중심의 현대과학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과학기술의 연구현황 과 전망이 흥미진진하게 소개됩니다. 최근 각광받는 Venture Capital 을 추구하는 분들은 이 곳에서 무궁무진한 아이디어의 원천을 얻어보십시오.

-348- ㆍ미래명상포럼:, 영성과 깨달음 종교와 수행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소개됨과 아울러 자 기발견측정을 할 수 있는 재미있는 조사가 펼쳐집니다.. 한 번 도전해 보세요 사이버명상센 터// 주제제기 자유토론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 ㆍ가상대학(Web CT) : Web C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상대학을 설립하고 Web CT 사용 방법 소개 및 다양한 강좌를 개설했습니다. ㆍ만남과 친교(Salon) : NETOPIA 구성원들이 서로 신뢰하고 친밀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자신을 드러내고 지식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자세, 그리고 새로운 만남의 윤리 등이 필요 합니다. 이곳에서는 자기소개의 장 ///E-mail/ 자유게시판 묻고답하기 택배서비스 대화실 등의 다양한 메뉴를 소개합니다. ㆍCyber X party :사이버 유머 , 정치에 대한 풍자나 정치현안에 대한 의견개진 및 여론조 사를 실시합니다. ㆍInfo Together :국가정책 / 연구기관정보 원문서비스 , 인터넷 여행 , 휴먼뱅크 , 경제통계 , 신 문잡지기사,, 책소개 구전정보 , 현장정보 ㆍHOT Secret :주간 정세동향 , 연 800 만 원에 배포되는 정 재계,70 언론 및 산업계의 페이지에 달하는 고급동향정보지의 요약본 , 전문을 제공받고자 하시는 분은 방문상담을 해주십시오.

ㆍEdupage 초기화면

-349- ㆍ새문명로드 초기화면

-350- 2)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 실험분석 ①참가자의 분포도

②참가자의 주제별 관심도

-351- 200명은 1 차 모니터에서 제시된 참가메뉴의 대부분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 특히 정세동 향에 관한 고급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이메일 그룹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 다.2 개월 간 제공된 정보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으나 이는 다 양한 정보공유와 참가자의 관심에 기초하기 보다는 상업적 정보와 흥미위주의 오락 서비스 와는 달리 인문,,, 사회 과학 국가정책 등에 관한 지식정보의 보급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참 가자의 만족도가 평가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참가자는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 참가를 통 해 정보화의 가능성과 유용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보였다는 응답이 전체 참가자 가운데 32%라는 비중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 이는 인터넷과 통신 상의 커뮤니티의 형성 가능성 과 일반 시민들에게 보다 용이한 접근성과 저렴한 비용이 보장된다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③참가자 정보화 마인드 조사 정보화와 사이버공간의 확대에 대해서는 현재의 사회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데 도움 이 된다는 응답이 전체 응답자107 명 중 52.3%, 궁극적으로 사이버사회라는 새로운 사고와 시스템을 낳을 것이라는 응답은25.2% 거창한 구호 이상의 의미는 없다는 대답이 11.2%, 효율성보다 부정적인 측면이 많다가11.2% 기타 무응답이 4.7% 의 순으로 나타났다 . ( 아래 참조)

-352- 통신공간에서의 만남에 대한 질의에 대해서는70.1% 신뢰가 형성되고 관심사가 같다면 온 라인상에서도 친밀한 관계가 가능하다고 응답했고, 20.6% 가 많은 사람들을 자유롭게 만날 수 있어 좋지만 일시적인 수준이라고 응답했다.( 아래참조 )

한국사회의 정보화를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정보화를 전산화로 오해하는 마인드의 극복과 정보사회윤리에 대한 의식개혁이라는 응답률이35.6% 정보초고속도로망의 확대와 기업의 CALS,행정전산화와 각 가정별 PC 1 대당 보급이 라는 응답률이 14%, 선진정보와 기술의 도입 및 소프트웨어 개발이28.4%, 교육정보화와 교육개혁이 11.8%, 정보사회 지도자의 발 굴과 훈련, 전자민주주의의 도입과 시민사회단체의 정보화 촉진이 각기 5.4%, 4.8% 로 나타 났다.( 아래 참조 )

-353- 위의 응답을 보면 참가자의 특성 상 교수와 정보통신업 종사자, 그리고 인문사회학 연구자 의 비중이 높은 관계로 사이버 커뮤니티의 가능성과 관련된 신뢰도 형성에 대해 높은 지지 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국가정보화를 위해 필요로 되는 부분 가운데 정보화 마인드 의 부재와 관련된 의식개혁의 비중과 교육정보화의 필요성, 소프트웨어를 비롯한 컨덴츠개 발의 중요성에 대한 응답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④일반 인터넷 이용자 온라인 설문조사와의 비교

ⓐ조사배경 본 기관은 위 실험이 기초적인 단계에 불과하기 때문에, 실험에 참가하지 않는 일반 인터넷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별도로 외부에 의뢰,. 실시하게 되었다

ⓑ조사설계 -:자료수집방법 인터넷 웹페이지의 설문지 (CGI) 를 이용한 자발적 설문조사 -조사대상자 : QSS(Questionnaire & Survey System) 사이트 (http://www-.survery.co.kr)방문자 -조사인원 : 298 명 ( 사이버커뮤니티 형성 가능성 ) / 241 명 ( 인터넷 이용현황 조사 ) -조사기간 : 1998. 4. 5-5. 5(1 개월 간 ) -:()조사자 사 새문명아카데미 -조사분석자 : OTTAS Communications

ⓒ조사결과

▶1“차 설문 사이버 커뮤니티의 형성 가능성 ”

-354- 1. 현재 이용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매체

2.정보화 , 사이버공간의 확대에 대한 견해

-355- 3. 통신공간에서의 만남에 대한 견해

4. 한국사회의 정보화를 위해 가장 시급한 것

-356- 5. 참여하고 있거나 자주 방문하는 사이버커뮤니티가 있는가

▶2‘차 설문 인터넷 이용현황 ’

1.일일 평균 인터넷 사용할 때 2. 인터넷을 사용하는 용도

-357- 3.인터넷을 주로 사용하는 장소 4. 인터넷 사용에 지출되는 월 평균비용

5.인터넷 커뮤니티 또는 BBS 에 참여 6. 인터넷 이용에서 위법 또는 유해한 정보 하면서 제공받은 정보에 대한 만족도 에 대해 불쾌함을 느꼈는지 여부

-358- 7. 위법 또는 유해정보에 대한 바람직한 8. 정보화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 담당자 대응책 순위

3)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 실험관련 후속 프로젝트의 계획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를 실험하고, 그 형성 및 발전의 가능성을 정확하게 도출해내기 위해 서 실험의 준비기간이 충실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실험기간 자체도 최소1 년이상의 기간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프로젝트에서 시도한 위 실험의 경과를 통해서 보다 효과적 이고 정밀한 실험 데이타의 수집과 측정, 시민정보사회의 바람직한 모델의 수립과 비전의 제시를 위한 후속 실험 프로젝트의 추진이 매우 긴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후속 실험 프로젝 트는 다음의 형식과 내용으로 시도해볼 수 있다. 21세기 시민정보사회 추진을 위한 종합 프로젝트와 관련 전개된 실험의 연장선상에서 후속 프로젝트는 무엇보다 과연 새로운 커뮤니티를 구성할 수 있는가?, 즉 산업사회에서의 시민 사회형성과 대비하여 정보사회에서의 새로운 시민사회 형성이 가능한가? 국가민간기금을 정 보화사회에서 어떻게 의미있게 배분할 것인가? 새로운 커뮤니티 구성을 어떤 기준으로 판단 할 것인가?,, 에 관한 사회학적 기술적 실제적 접근을 발전시켜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

-359- ①후속네트워크실험준비

ⓐKOREA PIONEER NETWORK 2000 전문학회와 사회단체,(),, 볼런티어와의 새로운 결합 한국사회전략네트워크 연구와 실천 지적 전문성과 대중적 헌신성의 결합,,, 세대와 지역간의 교류와 연대 학습과 수양 비당파성과 공 익성,(),. 민간휴먼네트워크 씽크탱크 차세대인력발굴과 양성 ⓑ네트워크 실험 대상 단체 ㆍ사회운동의 리엔지니어링: 지속가능한 운동을 위하여 활동가의 재생산구조를 지적 재생산 과 경제적 재생산으로 구축 ㆍ네트워크 발족 취지문 ㆍ네트워크 정관:,,( 명칭 사업 조직 회원의 자격과 구성 ),, 운영방식 재정 -학술단체총연합회 / 학술단체협의회 (web site :social science network) -(100)공공정책연구회 회원 명 -열린사회문화연구소 (200 명 ) -21세기 한국연구소 (200 명 ) -(150)법과 사회이론 연구회 명 -()100한국학술연구원 한국학 명 -한국한문학회 (418 명 ) -도산아카데미연구원 (450 명 ) -(80)낙성대경제연구소 명 -서울사회경제연구소 (114 명 ) -(150)한국정치연구회 명 -(200)한국사회과학 연구소 명 -(90)한국사회언론연구회 명 -‘계간 전통과 현대 ’ 팀 -한국아나키스트협회 -:볼런티어 각 대학 정보통신동아리 -:()실무주관기관 사 새문명아카데미

ⓒ네트워크의 지향

-360- ㆍ최소500 명 -1,000 명 이상을 구성원으로 인터넷 웹 상에서 사이버커뮤니티를 가동시킨다. ㆍ통일시대의 한국사회개혁과 발전을 위한 근본적 대안을 연구주제로 하는 학술 세미나와 국내외 학술회의와의 교류를 통해 인문, 사회과학과 동양학과 자연과학의 각 학문별 학제간 의접근연구를활성화하여한국지성계의담론과의식의변화를도모한다,. ㆍ지적생산의 담지자,,,, 전문학회와 사회개혁의 실천자 사회단체 차세대 주자 볼런티어와의 새로운 결합을 통해 전문성과 대중성, 세대와 지역간의 경계를 넘어 한국사회전략네트워크 를 구축,,. 경제적 재생산까지 창출할 수 있는 사이버커뮤니티 사이버연대를 확장한다 ㆍ사이버커뮤니티와 사이버연대의 활성화를 정당,,,, 기업 행정 언론 교육 등 한국사회 전 방 면에서의 대개혁을 추진함으로써 팍스 아시아나 네트워크의 중추국이자21 세기형 새로운 사 회모델을 창조하는데 기여한다.

ⓓ네트워크의 운영관리 ㆍ네트워크는 각 회원이 갖고 있거나 수집할 수 있는 지식과 정보의 공유를 조직의 제1 운 영원리로 한다. -네트워크 중앙사무국은 회원 전체가 지식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이 원활 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상의 지원과 각종 사업의 실무를 지원하는 업무를 담 당한다. ㆍ죽순형 리더십: 네트워크의 제 사업에 관한 리더십은 각 회원이 특정한 아젠다나 아이템 을 제안하고, 그에 대한 회원들의 동조를 얻어 사업을 구체화하고 지도해가는 새로운 리더 십을 조직의 제2. 운영원리로 한다 ㆍ네트워크는 지연, 학연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인맥의 장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조직의 제 3.21KNOW-HOW운영원리로 한다 세기의 시대를 준비하는 휴먼 네트워크로서 전근대적 인맥에서 보다 합리적인 인맥을 창조,. 확대해간다 ㆍ네트워크는 비당파성을 기본으로 고형물의 조직이 아니라, 새로운 네트워크를 계속적으로 생성시켜낼 수 있는 메타조직으로서의 기능을 조직의 제4. 운영원리로 한다

-361- ⓔ네트워크의 사업 ㆍ참가단체 및 개인회원은 자신의 레쥬메(), 이력서 포함 를 제출하고 네트워크 상에서 공유할 수 있는 저서와 논문,,DB 각종 자료들을 디스켓상으로 제출 전문분야 별로 학술 를 준비해 가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단체는 학회보 를 비롯 회원명단 사업실적 등이 이에 해당한 다. ㆍ참여단체 중 학회의 전문영역별로,, 학회 성원들은 각자의 전공 혹은 관심영역 별로 한국 사회개혁과 국정운영 아젠다 중에서 분과별, 연구주제별로 가능한 소모임을 구성하고 매월 1,회 연구세미나를 개최 연구 및 토의주제를 네트워크 상에 게시해 나간다 . ㆍ참여단체의 학술행사 및 주요실천사업을 네트워크 상에서 공지하고, 네트워크 회원들의 행사지원 및 참여를 통해 그 성과를 다시 네트워크 상에서 게시하는 과정을 축적해간다. ㆍ네트워크의 준비기1 년 동안은 전문학회를 중심으로 학제간 접근을 시도할 수 있는 학술 사업의주제를다음과같이결정하고이의추진을위해주력하며사회단체쪽의여론조사, 및요구사항등을반영할수있는공청회를지속적으로병행한다. 예:100 차기정부의 국정운영 아젠다 ㆍ위의 연구결과를 정리, 인터넷 상에 게시하고 네트워크를 대표하는 최고수준의 정책연구 지를 발간한다. ㆍ사회단체는 사업에 요구되는 각종 지식정보 및 전문가를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접촉할 수 있고,,, 사회개혁의 각종 현안과 관련된 문제제기를 지속적으로 축적 여론의 형성과 홍보 대 안의 모색에 주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자체 네트워크를 전체 네트워크 속에서 집중적으로 구성해간다. ㆍ대학생 볼런티어는 전문학회, 정년퇴직교수 및 사회저명인사 회원을 대상으로 인터넷 실 무지원 및 각종 사업에의 자원봉사,. 중앙사무국과의 유기적 연관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대 학생 볼런티어는 동아리를 중심으로 활동할 수도 있고, 별도의 동아리를 전체 네트워크 속 에서 만들어갈 수도 있다. ㆍ연구성과의 축적과 네트워크의 확장,, 회원의 확대 사이버커뮤니티의 활성화에 따라 , 네트 워크로부터 한국사회를 움직이는 언론의 보도자료 및 정책의 원천,, 한국사회의 비전 새로운 사조의 출발점 등이 되도록 한다., 즉 정부와 사회를 움직이는 지적 원천이 되고 , 동시에 사 이버커뮤니티의 모범적 사례를 통해 지적ㆍ 도덕적으로 새로운 권위를 형성해간다.

-362- ⓕ사이버네트워크의 기술적 운영 ㆍ쌍방향의 사이버커뮤니케이션이 인터넷과PC 통신을 결합하여 작동시키며 , 중장기적으로 독립네트워크 초고속통신망을 확보하도록 한다. ㆍ푸시기술을 응용한( 예 : CASTWIRE) 독립적인 에뮬레이터를 참여 회원 전원이 자신의 PC 에 설치하고,PC,CUG 이 에뮬레이터를 통해 인터넷과 통신 와 동호회 등을 결합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ㆍ참여회원은 전원E-MAIL 을 보유하도록 하고 , 이메일을 일상적으로도 사용하도록 한다 . ㆍ인터넷114 등을 위시 , 이메일 다량보유업체와 제휴하여 네트워크의 활동준비기 1 년간 , 홍 보팀을 실무주관기관과 볼런티어를 주축으로 구성하여 매월11(10) 회씩 만명 혹은 만 명 의 E-MAIL보유자에게 전파한다 . ㆍ네트워크의 활동무대, 웹 및 통신 상에서의 주요제목 -학술 DB/ 환경 DB/ 부정부패사례 DB/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소식 / 각종 교육 및 실무훈련 / 학습자 료 및 수양/DBLINK/ 인명 각 주제별 전문가 DB 와 최신논문 , 기고문 / 회원동정 / 문화이벤트 / 국내학술회의/ 국제학술회의 /// 소모임들 대전보팅 사회지도층 정보 ( 회원들의 참여로 모든 정 보를 수집,) 축적하고 공시함 -:/(커뮤니케이션 광장 통신망의 주제 시론과 시평 언론과의 특약 추진 가능한 부분 )/ 아크로폴 리스(,)/( 학문적 토론을 위한 근본적 새로운 문제제기의 장 사이버 칼리지 대학생들을 향한 강 의)/ 사이버파티 ( 국정과 사회현실에 대한 여론광장 ): 여론조사와 보팅 (VOTING), 채팅

ⓖ중장기 네트워크 발전방안 ㆍ인터넷과 통신에서 멀티미디어 기능을 추가하여 향후 인터넷 전문방송사업을 준비해간다. ㆍ네트워크에 기재된 학술 및 고급지식정보(, 사진 그림 포함 ) 에 대해서는 회원 , 비회원의 사 용실적에 따라 이용료를 지불하도록 추진한다.

-363- -,네트워크 운영자금을 조성 회원들의 회비수입과 정부보조금 , 기부금 등으로 이용료 지불 에 대한 재원을 관리한다. ㆍ사이버스페이스에서 한국,, 일본 중국 3 국 간의 지식인과 사회단체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네트워크를 구축함과 동시에,. 이를 주축으로 동양문명과 서양문명의 교류를 추진한다 이 속 에서 전 세계적으로 지적소유권의 공유,, 우수논문과 작품 우수연구자 및 운동가에 대한 포 상과 인력양성을 위한 기금조성사업을 추진해간다. ㆍ전 세계의 정보초고속도로를 위시한 정보통신부문의 기술적, 사업적 주도권은 미국에 있 다.., 이를 추월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나 정보인프라의 지식정보 특히 새로운 국가 발전전략과 사회모델에 관한 지적생산자로서 동양문명의 르네상스가 개척되면 정보통신혁명 의주요한S/W 는팍스아시아나네트워크로집중될수있는것이다 . ㆍ시민경제공동체를 추진한다. -직업과 특기 (,,,), 의사 변호사 세무사 은행 등 를 발휘 회원 상호간에 생활상의 편의를 적극 적으로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사이버커뮤니티에서의 완전한 신뢰를 형성 커뮤니티의 윤리를 확립한다 -.회원 상호간 거래에서 있어서 할인제를 도입한다 -(),실험적으로 회원 상호간의 거래는 시장의 화폐를 배제한 무료로 비과세 처리될것임 하고 사이버상에서는 사이버솔리드() 연대매체 에 의한 거래를 지향한다 . 사이버솔리드는 호혜와 평 등의 새로운 경제질서를 실험하는 주요한 매체이자, 현금이 아닌 방식으로의 각종 포상 과 지원의 기준으로 작동하게 될 것이다. 이 실험을 촉진하고 지원할 수 있는 기금을 축적 하고 매년 년말에 결제하는 정산방식을 채택하도록 한다. ㆍ서구의NEW CIVILIZATION NETWORK 과 연계하고 , 한 , 일 중 3 국의 시민사회 네트워 크를 구성하여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영어로의 번역사업을 활성화함으로써 미국과 유럽의 뜻있는 지성인 및 일반시민과 연계할 수 있도록 사이버스페이스를 가장 중요한 전략적 공간 으로 설정한다.

-364- 4. 시민사회단체의 정보화 인식 및 커뮤니티 형성에 관한 설문조사

1) 조사개요

①조사배경 21세기 시민정보사회 추진에 있어서 민간부문의 에너지를 최대로 결집하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 시민사회단체의 능동적인 역할이 요구된다.,,, 종교 환경 문화 학술 등 다양한 영역에 서 활동하는 전국10,000 여 개에 달하는 시민사회단체 가운데 대표적인 표본단체 35 곳을 선정하여 각 단체의 정보화 현황과 정보화의 과제, 정보화에 대한 마인드 조사를 실시함으 로써 시민정보사회로 전환하는데 있어서 국가정보화정책에 반영할 필요성으로 준비되었다.

②조사목적 -시민사회단체 전반의 정보통신시설 현황과 그를 이용하는 활동가들의 정보화 마인드 간의 연관성을 파악한다. -,시민사회단체 간의 정보공유와 교류를 촉진 강화하는 커뮤니티의 형성 가능성 여부를 확 인한다.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의 정보통신 이용실태와 문제점을 파악 시민정보사회 촉진을 위한 국가정보화정책의 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서 제공한다. -시민사회단체가 시민정보사회 추진에 있어 적극적인 핵심주체로 기여하기 위한 제반 여건 을 조사, 정보화교육과 시설공유와 상호 연관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한다.

③조사설계 -:자료수집방법 인터넷 홈페이지의 설문지 (CGI),1:1 팩스이용을 보조로 한 대면조사 -:조사대상자 국내 시민사회단체 ,, 학술단체 종교단체에서 1 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상근 활 동가

-365- 시민사회단체 총19 개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경제정의실천운동연합 /YMCA/()// 사 시민사회네트 참여연대 크리스찬 아카데미//()/// 도산아카데미연구원 사 불교환경교육원 여성민우회 민주노동자총연맹 시민정보문 화센터/SING///YMCA/21 정보연대 통신연대 매체비평 세기 프론티어// 전국교직원노조 민족예술인총연합 / 우리민족서로 돕기운동본부/21 세기진보학생연합

학술단체 총8 개

공공정책연구회/// 여성정치연구소 나라정책연구소 전자민주주의연구원 / 국회전자민주주의 연구회(Cyber Party)/( 사 ) 새문명아카데미 / 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 노동경제연구원 총 8 개 단체

종교단체 총3 개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KSCF)/(PAX)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 가톨릭대학생협의회

-:3282조사인원 개 단체 총 명 -조사기간 : 1998. 5.3-5.15(13 일간 ) -:조사자 사단법인 새문명아카데미

④조사방법론 -조사대상과 조사내용이 갖는 구체성과 특수성을 감안하여 조사대상 단체를 방문, 활동가와 의1:1 대면조사를 진행한다 . -각 단체의 특수성과 정보화 이용실태의 엄밀성을 위하여 각 단체 내의 전산담당을 비롯,1 년 이상의 활동경력이 있는 상근자 전원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단,,, 부득이한 경우 각 단체의 연령별 성별 근속년수별로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를 실시한 다. -조사의 신뢰성을 기하기 위하여 대면조사와 서면응답 대상자로 선정된 활동가들에게 전화 를 통한 응답확인,1:1 팩스를 통한 설문지 사전 배부등을 거쳐 최종적으로 대면조사를 실 시한다.

2) 조사결과

-366- ▶시민사회단체의 인터넷/ 통신 이용자 현황과 수준

1. 연령별 20-25세미만 7.3% 25-30 세미만 41.2% 30-35 세미만 33.3% 35-20 세미만 8.5% 40-507.3%502.4%세미만 세이상

2. 성별 남자45% 여자 55%

3. PC통신과인터넷중주로이용하는것 PC통신 71.3% 인터넷 30.5% 둘다 8%

4. 인터넷 사용경력 6개월 -1 년 이하 34% 1-2 년 이하 22% 2-3 년 이하 13% 3 년 이상 10% 없음 21%

5. PC통신 사용경력 6개월 -1 년이하 9%1-2 년이하 23%2-3 년이하 27%3 년이상 34% 없음 7%

6. 이메일 보유여부 있음( 단체 이메일 포함 ) 58% 없음 42%

7.인터넷 및 통신에서 주로 이용하는 기능 (2 개 중복선택 ) 이메일과 파일주고받기 67% 정보검색 48% 통신동호회 운영 33% 홈페이지 관리를 통한 홍보 23%

8. 업무처리에서 정보통신이 차지하는 비중 10%이내 35.4% /2-30% 22.3% /3-40% 21.2% /4-50% 13.4% 6-70%1.2%/7-80%2.4%/8-90%3.7%/9-100%2.2%

-367- ▶시민사회단체의 정보통신설비 현황

9. 인터넷 전용선 여부와 설비용량 있음35.7% (T1 급 14% 256K 7% 128K 4% 56K 41% 9.8K 14% 무응답 20%) 없음 64.3%

10. 네트워크 유지보수와 연간 소요되는 경비 자체 전산실 담당자43% 외부용역 9% 외부지원 ( 기업체 포함 ) 8% 잘모름 40% 200만원이하 32% 2-300 만원 10% 4-500 만원이상 7% 잘모름 47%

11.단체 내부의 PC 보급률 1인 1 대 49% 1-2 인당 1 대 24% 2-3 인당 1 대 10% 기타 17%

12. 인트라넷 설치여부와 활용도 설치20% 미설치 80%

13.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색엔진 yahoo와 yahoo korea 37% 심마니 19% altavista 9% 기타25% (infoseek/lycos/navigator/ 가치네 / 정보탐정 ) 무응답 10%

▶시민사회단체의 정보화 인식

14.정보화 , 사이버공간의 확대에 대한 귀하의 의견 거창한 구호 이상의 의미는 없다. 2.4% 현재의 사회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도움이 된다. 39% 효율성보다 부정적인 측면이 많다. 4.9% 궁극적으로 사이버사회라는 새로운 사고와 시스템을 낳을 것이다. 42.7% 무응답 11%

-368- 15. 통신공간에서 만남에 대한 견해 데이터베이스로의 의미가 강하므로 만남의 의미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7.3% 직접 만나지 않은 사람과 통신공간에서 만나는 것은 어색() 혹은 신뢰감이 없어서 채팅등은 하지 않는다. 7.3% 많은 사람들을 자유롭게 만날 수 있어 좋지만 일시적인 수준이다. 23.2% 신뢰가 형성되고 관심사가 같다면 온라인 상에서도 친밀한 관계가 가능하다. 42.5% 오프라인 모임이 병행되어야만 친밀함을 형성할 수 있다. 17.3% 대면관계보다 더 높은 차원의 친밀한 공동체 형성이 가능하다. 2.4%

16. 정보통신공간의 활용에서 가장 주안점을 두는 것 일반 시민에 대한 홍보와 참여 유도 46.3% 타단체및지역간의정보네트워크로서활용30.5% 시민사회의 정보공유와 알 권리의 확대 7.3% 인문,, 사회과학 시민운동의 각종 자료의 DB11.2% 화 기타 4.7%

17. 정보화를 통해 얻는 이점 네티즌회원및자원봉사자확보7.3% 국내외 자료검색 및 업무의 효율성 68.2% 국제NGO 와의 정보교류 및 연대활동 21.2% IP계약에따른수입 1.2% 기타 2.1%

18.정보화가사회에미치는영향개중복선택 (2 ) 정보집중을 통한 부익부 빈익빈의 심화 30.5% 전 세계적 이슈에 대한 국제연대와 세계시민운동의 부상 65.8% 정보규제와 프라이버시의 침해로 인한 감시체제 강화 43.9% 일반시민의 정보접근권 확대로 인한 전통적인 국가권력과 언론의 무력화 촉진 43.9% 기타 8.5%

-369- 19. 시민사회의 공공목적에 인터넷을 활용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필수요건(2 개 중복선택 ) 네트워크 전용선 이용에 대한 부담해소 39% 기술적 능력이 있는 엔지니어와의 결합 22% 일반 시민 대상의 정보생산력 확대와 유통의 활성화, 공공정보의 공개촉구 운동 58.5% 전통적인 대중매체시대의 운동방식 탈피( 지역 네트워킹을 통한 중앙여론의 형성과 사회변화 유도) 45.2% 멀티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언어의 활용 2.4% 해외 지식자원이나 전문인사들이 협조의뢰 4.9% 기타 2.4%

20.한국사회의 정보화를 위해 가장 시급한 것 (2 개 중복 선택 ) 정보화를 전산화로 오해하는 마인드의 극복과 정보사회윤리에 대한 의식개혁 48.8% 전자민주주의의 도입과 시민사회단체의 정보화 촉진 18.3% 교육정보화 교육개혁 18.3% 정보사회 지도자의 발굴과 훈련 13.4% 선진정보화기술의 도입 및 각종 소프트웨어의 개발 8.5% 정보초고속도로망의 전국적 확대와 각 가정별PC 1 대씩의 보급 14.6%

21. 정보화와 정보민주화에 대한 견해 정보화는 근대시민사회를 변혁하고 정보민주화는 정보화의 주체형성을 위한 핵심요건이다. 59.8% 정보화는 전산화가 핵심이고 정보민주화는 정보공유가 핵심이다. 12.2% 정보화는 국가의 화두이고 정보민주화는 시민운동의 화두이어야 한다. 9.8% 정보과가 일정 수준으로 확산되면 정보민주화는 자연적으로 이루어진다. 4.9% 기타 13.3%

22. 시민사회단체는 정보민주화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는 지적에 대한 견해 오해에 기인하거나 잘못된 지적이다. 2.4% 아직 정보화도 부족한데 어떻게 정보민주화까지 나갈 수 있단 말인가 17.1% 사실 시민사회단체는 정보민주화나 정보운동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 44.2% 공감이다정보화마인드에관해선시민사회단체도일반수준과다를바없이낮다. 33.5%

-370- 기타 2.8%

23. 정보사회에 대한 이론이나 학계의 수준에 대한 견해 학술단체의 연구현황을 보면 전자주민카드나 표현의 자유, 정보공개에 관한 제대로 된 이론 이 없다. 7.3% 한국의 정보사회론은 대개 미디어나 문화에 치중되는 경향이 많다. 34.3% 그다지 관심이 없어 잘 모으겠다. 7.3%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정보사회에 대한 진보적 견해가 한국의 학계에서 제대로 나오지 못 하고 있다. 47.7% 기타 3.4%

24. 환경운동과 정보화에 대한 견해 환경운동단체는 타 시민단체에 비해서 정보화에 앞서고 있다. 6.1% 환경운동단체는 정보화에 환경적 접근을 이론적,.(, 실천적으로 못하고 있다 리사이클링 반 도체산업) 29.3% 환경운동단체의주관심사가정보화일수는없다부차적인일이다..11% 환경운동단체와 정보운동단체 간의 유기적 연대와 교류가 활발해질 필요성이 크다. 37.8% 기타 7.8% 무응답 8%

-371- 3) 시민사회단체 설문결과 도표

▶ㆍ시민사회단체 인터넷 통신 이용자 현황과 수준

-372- -373- ▶시민사회단체의 정보통신설비 현황

-374- -375- ▶시민사회단체의 정보화의식

-376- -377- -378- -379- -380- ㆍ별첨1: 네토피아 매뉴얼 1 부 ㆍ별첨2 : 네토피아 참가자 명부 및 E-mail group list ㆍ별첨3: 시민사회단체 설문조사 문항

-381- 5.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국내외 시민정보운동 현황

정보화와 시민운동의 현황을 보면 정보화운동을 연구, 실천하는 그룹과 시민운동 그룹이 상 호 분리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 시민정보운동의 경우만 해도 일선에서 활동하는 사람과 하 드웨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정보운동정책을 연구하는 사람 간에 괴리가 심각하다., 즉 시스템과 하드웨어에 관한 발전 속도에 비해 컨텐츠의 개발은 미약한 수준이다. 정책연구를 비롯한 학문적 발전을 시민정보운동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보화사회의 여러 담론과 이를 검증하거나 실현해가는 시민운동의 역량과 비전이 상호간에 결합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 제일 것이다. 본 장에서는 위의 과제를 전제로 해서 국내외 시민정보운동의 몇 가지 사례 검토를 요약해 보고자 한다.

①기존의 시민사회단체들은 인터넷과 정보화사회의 기법을 이용해서 선전하고 캠페인을 벌 이는 유형이다.,, 그 대표적 사례로서 여성단체연합 경실련 환경운동연합의 홈페이지를 보면 다양한 캠페인성 정보를 확인해볼 수 있다. 가장 특이한 형태는PEACENET 으로 , 시민사회에서 자체적으로 서버를 확보할 수 없는 작 은 단체,. 중요한 캠페인에 대해 홈페이지를 대신 관리해주고 있다 정신대 사이트가 대표적 인 것으로 영문 홈페이지로서 정신대 운동을 전 세계에 알리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볼 수 있 다. 반면 다른 시민단체의 홈페이지는 영역작업이 뒤따르지 못해 세계시민운동의 접근에서 아직기본적인한계를안고있다고볼수있다.

자료1. 한국여성단체연합 2.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3. 환경운동연합 4. PeaceNet

②시민사회인터넷운동 즉,IFP 의 홈페이지다 . 여기서는 대안학교로서의 간디학교 , 녹색교통 운동 등 여러 개의 작은 단체나 운동들을 온라인 상에서 지원하고 있다. 이외에도 시민사회 네트,CPNET 등도 시민사회단체가 인터넷에 쉽게 접촉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활동을 하 고 있다., 즉 정보화사회 자체를 운동의 주제로 삼는 새로운 시민단체가 태동하는 움직임의 한 단면인 것이다.

-382- 자료 5. Internet For the People 6. 시민사회네트 7. CPNET

③NIE의 경우는 정보화에 관련된 여러 가지의 교육 ,,,, 여성 인권 노인 환경의 주제들에 관 한 자료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전자라이브러리 사이트이고,21 새문명아카데미가 세기 시민정 보사회 추진과 관련해서 실험 운영하고 있는 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 홈페이지NETOPIA 가 있다. 자료 8. NIE: the Nonprofit in Information Era 9.시민정보사회 커뮤니티 : NETOPIA

④프랑스의 핵실험에 반대해서 반대성명을 내고 반핵 캠페인을 벌인 것으로 유명해진 개인 홈페이지이다. 한 사람의 의지로 시작된 이것은 미국의 사회운동과도 결합되고 전 세계의 웹사이트들과 연결되면서 프랑스 핵실험 반대운동을 세계적으로 조직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개인과 작은 단체들이 정보사회의 이기를 이용해서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전세계적 캠페인을 전개한 좋은 사례가 되고 있다. 자료 10. French Nuclear Testing Boycott

⑤RAN CAMPAIGNS이라는 열대우림행동네트워크를 보면 초기화면 두 번째 링크항목에 미 스비시 캠페인이 있다. 이 홈페이지에서는 미스비시 회사가 원시림을 벌목하는 것에 대항해 서 이 캠페인에 동조하는 여러 단체들과 함께 미스비시 회사에 엄청난 양의 항의 팩스를 보 내 업무를 마비시키기까지 했다.‘ 결국 미스비시가 손을 들고 앞으로는 열대우림을 파괴하 지 않겠고, 앞으로 만일 문제가 있을 시는 시민단체와 함께 협력해서 진행하겠다.’ 는 내용의 합의각서를 랜단체와 미스비시 회사간에 작성하게 되었다. 비록 단 세사람이 시작한 일이었 지만 미스비시와 같은 굴지의 기업조차도 인터넷상의 새로운 운동앞에서 굴복시킨 대표적 사례라고할수있다. 자료 11. RAN CAMPAIGNS 12. 미스비시 회사와 체결한 환경협정

⑥APC는 미국의 진보적 통신운동을 전개하는 5 만 개의 단체가 접속하고 있어 세계에서 가 장 큰 규모의 네트워크를 자랑한다. IGC 는 peacenet, labornet, womennet 등 사회운동사이 트들과연결해서수만개의단체들수백만명의네티즌이접속하여운동을전개하는연대, 기구의 성격을 갖고 있다. 이들과 같이 사이버스페이스를 무대로 활동하는 새로운 세계시민 운동의 활약은 앞으로 더욱 강화될 것이다.

-383- 자료 13. Association for Progressive Communicarions 14. Institute for Global Communications

⑦CPSR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컴퓨터 전문가들이 사회적 책임을 어떻게 질 수 있으며, 어 떻게 사회적 운동에 참여할 것인가를 고민하며 시작된 운동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세계의 환경단체를 종합적으로 연결해서 대단히 많은 정보를 집결시키고 있는 웹사이트 EnviroLink가 있다 . 이와 같은 기존의 단체가 자신을 선전하는 것이 아니라 연대구조에서 자신의 활동중심으로 잡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ㆍ 그 대표적인 것이 아시아 태평양 환경네 트워크이다. 이 홈페이지는 아시아와 태평양의 주요 과제들의 해결을 위한 캠페인을 집중적 으로 활용한다. 자료 15. Computer Professionals for Social Responsibility 16. The online environmental community 17. @prenet

⑧세계시민정보운동의 대표격으로 손꼽혀온 것이 블루리본 캠페인이다.EFF 가 중심이 되어 통신 상의 정보 검열에 대항하는 운동을 범 세계적으로 진행하게 되었는데, 이 홈페이지를 보면 관련 켐페인 웹사이트를 친절하게 링크시켜 놓고 있다. 물론 이러한 영향 하에 한국의 시민정보운동에서도 정보검열이나 원천적 접속 차단 등에 대한 항의와 반대운동이 본격화되 기도 했다. 전세계적으로 정보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걸맞는 투명한 정보시스템이 정착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시민정보운동의 역할이 사이버스페이스 상에서 계속 발전해갈 수 있 도록 다양한 지원책과 격려가 보장되는 것은 유익할 것이다. 자료18. 블루리본 홈페이지 19. EFF 홈페이지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