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정책현안 커뮤니케이션 강화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for Nuclear Policy Issue
Total Page:16
File Type:pdf, Size:1020Kb
KAERI/RR-4388/2018 2010-0026115 보안과제( ),일반과제 (○ ) /공개 (○ ),비공개 ( ) 원자력 정책현안 커뮤니케이션 강화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for Nuclear Policy Issue 한국원자력연구원 제 출 문 한국원자력연구원장 귀하 이 보고서를 “원자력 정책현안 커뮤니케이션 강화” 의 연구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년 10월 2일 주 관 연 구 기 관 명 한국원자력연구원 주 관 연 구 책 임 자 윤성원 연 구 원 임채영 양맹호 문기환 김현준 이만기 정환삼 김승수 이병욱 류재수 이영우 이건희 김연종 - 1 - 보고서 요약서 해 당 단 계 2017.07.01 과 제 고 유 번 호 2010-0026115 단계구분 최종 연 구 기 간 2018.08.31 중 사 업 명 자체연구개발사업 연 구 사 업 명 세 부 과 제 명 대 과 제 명 연 구 과 제 명 세 부 과 제 명 원자력 정책현안 커뮤니케이션 강화 해 당 단 계 총 13명 정부 100,000 천원 해 당 단 계 참 여 내부 13명 기업 천원 연 구 비 연 구 원 수 외부 명 계 100,000 천원 연 구 책 임 자 윤 성 원 총연구기간 총 13명 정부 100,000 천원 참 여 내부 13명 총 연구비 기업 천원 연 구 원 수 외부 명 계 100,000 천원 연구기관명 및 한국원자력연구원 국제협력부 참 여 기 업 명 소 속 부 서 명 글로벌전략연구실 국 제 공 동 연 구 상대국명 : 상대국 연구기관명 : 위 탁 연 구 연구기관명 : 연구책임자 : 요약(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개조식500 자 이내로 작성합니다.) 보 고 서 면 수 244p. - 본 연구는 최근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국내· 외 원자력 정책 및 기술 현안을 분석하여 브리프리포트로 발간함으로써, 원자력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국민 수용성 증진에 기여하고, 이를 통해 원자력 정책 현안 관련 국민,, 정부 연구기관 사이의 합의 형성 및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목적으로 수행됨. - 2017년 7 월부터 2018 년 8 월까지 총 9 편의 원자력 정책 Brief Report를 작성하여 국회,, 정부 부처 대학,, 연구기관 세종시립도서관 등에 배포하였으며, 우리 연구원 홈페이지와 한국원자력학회 홈페이지 를 통해서도 Brief Report를 열람할 수 있게 하여 이용자가 손쉽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 - 원자력 정책 Brief Report 원고 작성에 있어 저자와 독자, 편집위원이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우리 연구원 내ㆍ 외부의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원고의 질을 높임으로써 원자력 관련 올바른 정보 제공에 기여하고, 각계각층이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했음. - 원자력 기술의 다학제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원자력정책 이슈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수렴과 이를 반영한 집필 작업이 쉽지 않기 때문에 향우 우리 연구연의 지속적인 원자력 정책 Brief Report 발간이 원자력 관련 의사소통의 창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한글 원자력,, 정책현안 브리프리포트, 커뮤니케이션, 대중수용 색 인 어 (각 5 개 이상 ) 영어 - 3 - 요 약 문 Ⅰ. 제 목 원자력 정책현안 커뮤니케이션 강화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국내· 외의 원자력 정책 현안에 대한 원자력 정책 브리프 리포트(Brief Report) 를 작성하 여 국내 원자력계의 여론주도층, 원자력관련 전문가 및 일반국민들에게 제공 ○ 원자력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 중 알려져야 할 필요가 있는 정보와 원자력 연구개발 활동 에 대한 다양한 정보의 작성 및 배포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국내· 외 원자력에 대한 정책 환경 및 기술 환경 등을 분석, 정리한 ‘원자력정책 브리프 리포트’ 의 작성 및 배포 ○ 원자력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 중 일반 대중에 알려져야 할 필요가 있는 정보와 원자력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작성하여 제공 ○ 올바른 원자력정보의 제공을 위해 이메일 등 다양한 배포 대상을 발굴하며, 다른 기관들 의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정보제공 기회를 확대 Ⅳ. 연구개발결과 (2017년도 ) - 4호 ‘독일의 탈원전 정책과 시사점’ - 5호 ‘일본의 원전 재가동과 안전성 강화’ - 6호 ‘영국의 원전 건설과 시사점’ (2018년도 ) - 1호 ‘프랑스의 에너지전환법 제정과 향후 전망’ - 2호 ‘미국의 에너지 자원과 원자력 진흥시책’ - 5 - - 3호 ‘ 중국의 원자력 정책 및 연구개발 현황’ - 4호 ‘ 중국의 원자력 수출 정책 및 동향’ - 5호 ‘ 원자력 해체산업 고도화 과제’ 호 사우디 원자력정책 및 국제협력 현황 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원자력계의 주요 정책 현안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 및 지식 공유로 여론 주도층의 공 감대 형성 및 국민 수용성 증대에 기여 ○ 원자력 정책 Think Tank로서의 연구원 위상 제고 및 연구원의 대외 홍보실적 자료로 제공 - 6 - SUMMARY Ⅰ. Project Titl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for Nuclear Policy Issue Ⅱ. Objective and Importance of the Project ○ It is aimed to prepare the Brief Report of Nuclear Policy on domestic and foreign nuclear policy issues and to provide it to the public opinion leaders, nuclear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in the domestic nuclear energy industry. ○ We need to provide the public with the right information on nuclear energy. Therefore, we are going to create and distribute various information about nuclear energy policy information and nuclear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Ⅲ. Scope and Contents of Project ○ To publish and distribute of Nuclear Policy Brief Report, which analyzes nuclear energy policies and nuclear technologies in domestic and foreign nuclear environment. ○ To provide correct information about the nuclear energy trends and the nuclear R&D activity. ○ To increase the number of subscribers and expand opportunities to provide the right information on nuclear power through the homepage of other organizations. - 7 - Ⅳ. Result of Project (2017) - No. 4. 'Anti-nuclear Policy and Implications of Germany' - No. 5. 'Restarting nuclear power plants and strengthening safety in Japan' - No. 6.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 and implications of UK' (2018) - No. 1. 'Establishment of Energy Conversion Law and Future Prospect in France' - No. 2. 'Energy Resources and Nuclear Promotion Measures in US ' - No. 3. 'Status of Nuclear Policy and Nuclear R&D Activities in China' - No. 4. 'Export Policy and Trends of Nuclear Industry in China' - No. 5. 'Measures to Enhancement of Nuclear Decommissioning Industry’ - No. 6. 'Saudi Nuclear Policy and Internatioal Cooperation of Status’ Ⅴ. Proposal for Applications ○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a common consensus among public opinion leaders and increasing public acceptance through more accurate information and knowledge sharing on major policy issues in nuclear energy, which are becoming a recent issue. ○ As the Think Tank of Nuclear Energy Policy, this products can increase the status of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KAERI). And it can be provided as materials for public relations performance of KAERI. - 8 - CONTENTS SUMMARY ········································································································································ 7 Chapter 1. Introduction ············································································································· 13 Chapter 2. Main Contents of Nuclear Policy Brief Report for 2017 and 2018 ······························································································································································17 Chapter 3. Conclusion ············································································································· 31 Appendix ······································································································································· 35 [Appendix 1] Anti-nuclear Policy and Implications of Germany ········································ 37 [Appendix 2]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 and implications of UK ··················· 55 [Appendix 3] Restarting nuclear power plants and strengthening safety in Japan ····· 79 [Appendix 4] Establishment of Energy Conversion Law and Future Prospect in France ·························································································································································· 103 [Appendix 5] Energy Resources and Nuclear Promotion Measures in US ·················· 127 [Appendix 6] Status of Nuclear Policy and Nuclear R&D Activities in China ············· 151 [Appendix 7] Export Policy and Trends of Nuclear Industry in China ·························· 175 [Appendix 8] Measures to Enhancement of Nuclear Decommissioning Industry ······· 195 [Appendix 9] Saudi Nuclear Policy and Internatioal Cooperation of Status ·················· 219 Bibliographic information Sheet ························································································ 244 - 9 - 목 차 요약문 ················································································································································· 5 제1장 서 론 ···································································································································· 13 제2장 2017년 및 2018년 원자력정책 브리프 리포트 주요 내용 ······································ 17 제3장 결론 ······································································································································ 31 부 록 ················································································································································ 35 [부록 1] 독일의 탈원전 정책과 시사점 ···························································································· 37 [부록 2] 영국의 원전 건설과 시사점 ······························································································· 55 [부록 3] 일본의 원전 재가동과 안전성 강화 ··················································································· 79 [부록 4] 프랑스의 에너지전환법 제정과 향후 전망 ······································································ 103 [부록 5] 미국의 에너지 자원과 원자력 진흥시책 ·········································································· 127 [부록 6] 중국의 원자력 정책 및 연구개발 현황 ··········································································· 151 [부록 7] 중국의 원자력 수출 정책 및 동향 ·················································································· 175 [부록 8] 원자력 해체산업 고도화 과제 ························································································· 195 [부록 9] 사우디 원자력 정책 및 국제협력 현황 ··········································································· 219 서지정보양식 ··································································································································· 243 - 10 - 표 목차 표 1.2017 년 및 2018 년 원자력정책 브리프 리포트 발간 현황 및 주요 내용 ············································· 19 - 11 - - 12 - 제1장 서 론 - 13 - 제1장 서 론 최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신기후변화 체제의 출범에 따라 전 지구적인 에너지 이용 패러 다임의 변화가 일어나면서, 기후변화 대응 차원에서 원자력의 역할은 재조명될 것이며 이를 잘 활용한다면 원자력 부흥의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원자력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 부족 및 방사선에 대한 공포 등이 존재하고 있으며 반 원자력 활동으로 인해 원전 확대 및 원자력 연구개발 추 진에 있어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2017년 5월에 새로이 출범한 정부는 환경단체들의 강력한 요구로 탈원전에 대해 강한 의욕을 보이고 있는 바, 이에 원자력의 지속적인 이용 환경 조성을 위한 원자력 정 책 및 연구개발의 수용성 증진의 일환으로 원자력 이슈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이 필요 한 상황이다. 본 과제는 원자력의 정책 및 기술 환경을 일관되고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한 원자력 정 책 브리프 리포트를 발간하여 원자력계와 여론주도층, 일반 국민들에게 제공함으로서 원 자력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원고는 원자력 관련 현안 조사 시작으로 저자를 섭외하여 초안을 작성하고, 편집위원회 와 우리 연구원 내 각 분야별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완성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저자와 편집위원, 각 부서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원고의 질을 향상 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원자력 기술의 특성 상 사용하게 되는 어려운 용어를 알기 쉬운 단어로 설명하고,. 그래픽으로 표현하여 다양한 독자층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20176년 월부터 20188년 월까지 발간된 총 9 편의 원자력정책 브리프 리포트는 정부 부처, 국회 , 대학 , 산업체 , 유관 기관뿐만 아니라 지역 도서관 등에 각 편당 약 700부가 우편 발송되었으며,. 일부 언론의 보도 자료로 소개되었다 또한 우리 연구원과 원자력학 회 홈페이지를 통해 전자파일을 공개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원자력 정책 자료에 접근 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의 수단을 다양화 하였다. - 15 - - 16 - 제2장 2017년 및 2018년 원자력정책 브리프 리포트 주요 내용 - 17 - 제2 장 2017년 및 2018년 원자력정책 브리프 리포트 주요내용 표 1. 2017년 및 2018년 원자력정책 브리프 리포트 발간 현황 및 주요 내용 ◯ 2017년 4호 : 독일의 탈원전 정책과 시사점 -주요 내용 :독일의 탈원전 정책의 변화 과정인「 2000년 탈 원전 선언, 2010 년 보류 , 2011 년 복귀」 와 그 배경을 살펴보 고,.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을 도출함 ◯ 2017년 5호 : 영국의 원전 건설과 시사점 -:주요 내용 에너지 안보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신규 원 전 건설을 추진 중인 영국의 에너지 및 원자력 정책 변화 과 정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을 도출함. ◯ 2017년 6호 : 일본의 원전 재가동과 안전성 강화 -주요 내용 :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 가동을 중단한 일본의 원전 재가동을 위한 안전성 강화를 ‘기술적 안전’‘’ 과 사회적 안심 의 측면에서 분석함. ◯ 2018년 1호 : 프랑스의 에너지전환법 제정과 향후 전망 -주요 내용 :원자력발전 의존도가 75%에 달하는 프랑스의 원전 비중 축소를 담고 있는 에너지전환법 시행의 배경과 향 후 실행 가능성을 평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