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kotra.or.kr

에티오피아

KOTRA 아디스아바바 무역관 작성

KOTRA COUNTRY REPORT - 목 차 -

I. 국가 일반

국가 개요 2 정치사회동향 4 한국과의 주요 이슈 16

II. 경제

경제지표 DB 25 경제동향 및 전망 25 주요 산업동향 28 지역무역협정 체결현황 54

III. 무역

수출입동향 55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58 수입규제제도 61 대한 수입규제동향 62 관세제도 62 주요 인증제도 67 지식재산권 68 통관절차 및 운송 69 시장 특성 73 바이어 발굴 75 상관습 및 거래 시 유의사항 75 주요 전시회 개최일정 76 수출 시 애로사항 78 Ⅳ. 투자

투자환경 79 외국인 투자동향 81 한국기업 투자동향 83 한국기업 진출현황 84 투자진출 성공실패사례 86 주요 투자법 내용 87 진출형태별 절차 92 투자입지여건 96 투자진출 시 애로사항 98 노무관리제도 98 조세제도 100 외환관리 및 자금조달 103

V. 비즈니스 참고정보

물가정보 105 이주정착 가이드 106 취항정보 116 출입국 및 비자제도 117 관광, 호텔, 식당, 통역 119 출장 시 유의 및 참고사항 124 유관기관 웹사이트 132 KOTRA 무역관 안내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자료원: CIA

1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I. 국가 일반

1. 국가 개요

가. 일반 현황

국명 에티오피아 연방 민주공화국 (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Ethiopia) 위치 아프리카 동북부 위치 110만 4,000㎢(경작 가능지: 68%, 삼림율: 3%) 면적 한반도의 5배 (남한의 11배) 연중 쾌적(고지대), 저지대(고온다습) - 고원지대는 Afro-Alpine 고산기후로 연중 기온변화가 적음(평균 16~22℃). - 저지대는 열대기후로 고온다습 - 우, 건기의 장단은 지역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4기로 분류 기후 - 온건기(Bega) 4~5월, 대우기(Kiremt) 6~9월, 냉건기(Meher) 10~1월, 소우기(Belg) 2~3월 - 연평균 강우량은 1,000~1,500㎜로 지역에 따라 편차가 심하며 우기에 집중 - 그러나 최근에는 이상기후로 인해 우기철에도 비가 오지 않아 심각한 가뭄을 초래 아디스 아바바(Addis Ababa: 새로운 꽃 New Flower 의 뜻) - 연평균 기온 20℃(우기에는 5~10℃), 위도 9° 수도 - 평균해발 2,355m 로, 수도로서는 세계 제3위 고도 - 면적: 530.14㎢(서울, 605.2㎢의 0.9배) 9,663만 명(2014년, CIA) 인구 - 연평균 증가율 2.6%(2014년)로 2016년에는 1억 명 예상(아프리카 제2의 인구대국) - 84%가 농촌인구, 간선도로에서 30㎞ 떨어진 고원 오지 지대에 많이 거주 주요 도시 아디스아바바(수도, 500만 명), 디르다와(특별시, 36만 명) 셈족(Semites)계와 햄족(Hamitic)계 후예로서 오로모족 35%, 암하라족 27%, 인종 구성 티그레이족 6% 등 약 80개 종족 - 암하릭어(공용어), 영어 및 기타 지역 부족어 언어 - 자음 33자 모음7자로 된 고유 표음문자 사용 에티오피아 정교(Orthodox) 50%, 회교 40% 이상, 기타 토착 종교. 종교 최근 회교인구 급증, 비공식 통계로는 50%에 달함 정부형태: 내각책임제 정부 형태 - 의회제도: 양원제(연방의회 117석, 인민의회 547석) - 주요정당: 에티오피아 인민혁명 민주전선(EPRDF) - 국가원수: 물라투 테숌(Mulatu Teshome) 대통령(2013년 10월 7일) 국가 원수 - 행정수반: 하일레마리암 데살렌() 총리(2012년 9월 21일) - 외교장관: 테드로스(Tedros Adhannon)

2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나. 경제지표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명목 GDP 26.8 30.5 42.2 44.3 52.9 58.2 62.3 (10억달러) 1인당 GDP 1,060 1,171 1,263 1,380 1,501 1,604 1,685 (PPP 기준, 달러) 실질 GDP 성장률 12.6 11.2 8.6 10.5 9.9 8.7 6.3 (%) 수출 2,479 3,029 3,258 2,967 3,260 2,858 3,037 (FOB, 백만 달러) 수입 7,365 8,329 10,547 12,093 14,597 13,404 14,233 (FOB, 백만 달러) 총 채 (억달러) 74 83 105 121 146 134 142 외환보유액 28 30 33 30 33 29 30 (억 달러) 화폐 비르(Birr)이며 통화코드는 ETB, US$ 1 = 20.44 ETB(2015년 6월 기준) 주1: IMF 등 국제기구가 발표하는 통계는 에티오피아 당국이 발표하는 통계와 상이함 본 보고서 본문에서 인용되는 통계가 위 표와 상이한 것은 에티오피아 당국이 발표하는 자료를 인용한 데 주로 기인함 주2: 2015년은 예상치, 2016년은 추정치 자료원: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2015년 12월)

다. 한-에티오피아

수교(1963년 12월 23일) 한국대사관 개설(1965년) 체결협정 경제·기술협정(1992년) 문화협정(1998년) 무역협정(2003년) 한국의 대에티오피아 수출: 1억 5,500만 달러(2014년) / 증가율: +124% 교역규모 한국의 대에티오피아 수입: 5,500만 달러(2014년) / 증가율: + 65% 우리나라 수출: 건설중장비 및 부품, 의약품, 염화 비닐수지, 석유화학제품 등 교역품 우리나라 수입: 커피, 참깨, 가죽 등 에티오피아 진출 한국 기업 수: 총 12개사(2015년 12월 기준) 투자교류 - 투자금액: 457만 7,000달러(1996~2014년 누계) - 투자분야: 건설, 의료서비스, 제약, 섬유, 가발, 프로젝트 오피스 등 약 450명(2014년) 교민 명성병원, KOICA 봉사단, NGO, 개인사업자 및 대사관 직원, 정부파견 공무원으로 구 성 자료원: 외교부, 한국수출입은행, KITA

3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2. 정치·사회동향

가. 최근 정치 및 사회동향

2015년 5월 24일에 치러진 총선 결과, 집권 연립여당이 547석 중 또다시 546석을 차지했다. 2015년 10월 초에는 하일레마리암 데살렌 총리가 재신임 됐으며 정부 부처 개각이 이루어져 24개 부처에서 총 26개 부처로 확대 됐다. 한편 2014년 5월에는 에티오피아의 최대 종족인 오로미아 주요 대학을 중심으로 아디스아바바시 개발을 위한 마스터 플랜에 반대해 주요 커다란 반발이 있었으며 2015년 12월 초에도 오 로미아 주요도시에서 심각한 수준의 소요사태가 발생, 치안이 다소 불안한 상황이다

에티오피아 정부의 유엔 평화유지군 소말리아 파병에 반발한 소말리아 측의 테러 위협이 종종 있으나, 에 티오피아 정부 측에서 경계 수위를 높여 아직 큰 테러는 없었다. 2014년 월드컵 최종 예선전 나이지리아 와의 경기 당시, 소말리아 측의 테러 위협이 있었으나 내부 자폭 수준에 그쳤다

2012년 8월 20일, 1991년 사회주의 정부 붕괴 후 20여 년간 집권당 에티오피아 인민혁명 민주전선 (Ethiopian People's Revolutionary Democratic Front: EPRDF)을 이끌어오던 멜레스(Meles Zenawi) 수상이 벨기에의 한 병원에서 뇌종양으로 서거했다. 서거 전 몇 달간 언론에 모습을 보이지 않아 건강에 대 한 각종 추측이 이어졌으며, 8월 21일 언론을 통해 사망소식이 들려오자 에티오피아 전체가 술렁이고 국 내외에서 추모행렬이 이어졌다.

멜레스(Meles) 전 수상은 장기집권을 하는 과정에서 국내외에서 독재자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80여 개의 종족으로 구성됐고 에티오피아 정교와 이슬람이 공존하는 에티오피아에 지난 20년간 정치적 안정을 가져왔다. 또한 지금도 진행되는 소말리아 내전, 2011년 남수단과 북수단 분리 이후의 혼란한 과정에서 동부아프리카 질서 유지자의 역할을 해왔을 뿐만 아니라 국가 역량을 결집해 지난 10년간 연평균 10% 이 상의 경제개발을 이루어 내는 등 에티오피아가 최빈국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 받 고 있다.

성 명 멜레스 제나위(Meles Zenawi)

- 1955-2012(향년57세) 출 생 - 티그라이주(Tigray) 출생

- 아디스아바바 General Wingate 고등학교 졸업(1972) 학 력 - 아디스아바바 의과대 2년중퇴(1974.10) · 멩기스투 정권타도를 위한 Tigray 인민해방전선(TPLF) 가담 - 1974-1979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TPLF) 단원 - 1979-1983 TPLF 중앙위원 주요경력 - 1983-1989 TPLF 정치국원 - 1989-1991 TPLF 의장겸 에티오피아인민혁명민주전선(EPRDF) 의장

4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 1991-1995 에티오피아 과도정부 대통령 겸 국회의장 - 1995 에티오피아 연방민주공화국 초대 총리 - 2000 제2대 총리 - 2005 제3대 총리 - 2010-2012.8 제4대 총리 가족관계 부인 및 3자녀 취 미 독서, 음악 감상, 수영 방한기록 1998.10.(공식방한), 2010.11.(G20정상회의), 2011.11.(공식방한) - G20 등에서 아프리카를 대변하는 역할 수행 - NEPAD 정상급이행위원회 의장(2007.-2012.8.) · NEPAD(New Partnership for Africa's Development)는 아프리카에 대한 AU 의 경 특기사항 제개발 계획으로, 빈곤 탈피ㆍ지속가능한 발전ㆍ세계 경제에의 통합ㆍ여성 지위 강화 등 을 목표로 함 - 유엔 기후변화 재정담당 고위급 패널 공동의장직 수행

IMF 는 에티오피아를 아프리카 내 석유 미보유국 가운데 경제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국가 중 하나로 인정 했고, 실제로 에티오피아는 1991년 이전의 멩기스투 사회주의 정권시절과 비교할 때 극빈층 감소가 뚜렷 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2014년 6월 옥스퍼드 대학 연구에 따르면 에티오피아는 니제르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빈곤한 국가로 평가됐다.

멜레스(Meles) 수상에 이어 부수상 겸 외교부장관이었던 하일레마리암 데살레(Hailemariam Desalegn) 의 집권여당 EPRDF 와 국회의 승인을 통해 수상으로 2012년 9월 21일 취임했다. 에티오피아의 주요 종 족이 함께 참여하는 집권 연립여당에서 멜레스(Meles) 수상을 배출한 Tigray 와, 에티오피아 인구의 30% 정도를 각각 점하는 Amhara, Oromo 에 비해 비교적 세력이 약한 Southern Nations, Nationalities and People's Region(SNNPR) 출신의 하일레마리암(Hailemariam) 신임 수상에 순조롭게 권력이양이 이뤄질 지에 대해 일부 회의적인 시각이 있었으나 하일레마리암(Hailemaiam) 수상은 3개의 부수상직을 신설하고 연립여당에 참여하는 주요 종족 인사를 부수상에 임명하는 등 주요 보직을 고르게 배정하는 한편, 각 부처 장관을 소폭 교체하는 선에서 내각 개편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멜레스(Meles) 전 수상과 그의 권력 배경인 Tigray 출신 인사들을 주축으로 한 정부의 정치·경제 정책노선 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IMF, World Bank 등은 에티오피아 정부에 국영기업 민영화, 경제개방, 시장경 제제도 확대 등의 정책 추진을 권고해 왔으나 멜레스(Meles) 전 수상이 강력히 추진한 국가 주도형 경제개 발정책을 현 총리도 지속하고 있는 중이다. 한편, 미국도 세력이 강한 Tigray 또는 Amahara 출신이 정권 장악을 시도할 경우에 발생 가능한 국가 분열을 우려해 소수 인종 출신인 Hailemariam Desalegn 신임 수 상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2015년 10월 초에는 하일레마리암 데살렌 총리가 재신임됐다.

나. 정치동향

에티오피아에서 오로모해방전선(OLF) 등은 에리트리아 분리 독립 허용, 종족에 근거한 지방 분권주의 채 택 및소수 종족인 티그레이족의 권력 집중 등에 반발해, 대정부 무력 투쟁을 전개 중이다. 현정권의 경제정 책에 대한국민들의 불만이 표출, 2005년 제3차 총선에서 수도를 비롯한 대도시에서 야당이 선전하고, 특 히 수도에서야당이 압승을 거뒀다. 91년부터 멜레스(Meles) 정권의 장기집권과 소수 티그레이족에 대한 편중정책이 여타지역의 불만과 상대적 빈곤감 증대에 따른 민심 이반이 총선에 반영된 결과였다. 2010년

5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10월에는 에티오피아정부와 오가덴 민족해방전선 (ONLF: Ogaden National Liberation Front)간 평화협 정이 체결됐다.

- ONLF: 오가덴 지역에서 소말리아계 민족국가 독립을 주장하고 있는 가장 큰 반군단체로, 종족에 근거한 지방 분권주의 채택 및 소수 종족인 티그레이족의 권력 집중 등에 반발해 대정부 무력투쟁을 전개해오고 있는 단체이다. 오가덴 지역은 천연가스 등 자원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5년 6월 8일 반정부 시위에 이어 10월 10일 야당 측의 정부출범식 등원거부, 이에 따른 정부측의 해 당의원특권면제 박탈 등에 대한 야당 및 대학생들의 반정부 활동으로 정국이 매우 불안정했었다. 2007년 12월 국경지대에서 발생한 양국 군의 소규모 충돌은 이 지역이 여전히 전시 상태임을 말해주고 있으며 2008년 2월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 간 국경지역분쟁은 해결기미가 보이지 않는 교착 상태에 머물러 있 다. 2011년1월에서 6월까지 아디스아바바와 지방 도시에서 발생한 반정부 시위과정에서 경찰 등 보안국 의 발포로 50명이상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당했으며, 1만명 이상의 야당인사 및 시위 혐의자가 체포 됐다.

다. 정치약사

에티오피아는 2000년 이상의 오랜 시간에 걸쳐 자생적으로 형성된 고유 문자와 토착문화, 톡득한 농경 유 산 및 활발한 대외무역을 통해 국가체제를 이룩해 왔다. 특히 유럽의 아프리카 식민지와 시도에 저항하며 성공한 유일한 국가로 여타 아프리카 국가와는 다른 역사를 지니고 있다.

1차 세계대전 이전 (~1900년대)

- 고대 에티오피아 왕국 설립 · ‘에티오피아’란 태양에 그을린 얼굴의 땅(Land of the Burnt Faces)이라는 의미 BC 800-500년경 · 에티오피아 전설에 의하면 시바여왕과 솔로몬왕 사이에 태어난 메넬리크1세 (Menelik I)가 초대 황제 - 악숨(AXUM) 왕조시대 · 아프리카 유일의 토착 문자인 게에즈 문자 발명 AD 1-13세기경 · 악숨 왕국은 아라비아 반도의 영향과 지중해 국가들과의 교역을 통해 발전 악숨 문명은 급속한 발전에 따른 과소비와 그에 따른 환경 악화 및 7세기 신흥 이슬람세 력 등의 요인으로 세력 축소 - 봉건왕조 형태의 국가시대 · 준 독립상태의 지방귀족이 활약했던 시기, 교리상의 차이로 서구 기독교 문화와 AD 6세기-1930년대 단절된 문화형성 이들 간 계속된 내전으로 소규모 단위의 세력으로 분열화 · 서구 기독교 문화와 단절된 문화 형성

유럽의 에티오피아 침략(1882 – 1973)

1882. - 이탈리아, 現 에리트리아 지역에 현지관리청 설치 및 식민지 진출 개시 - 이탈리아, Ucciali 조약체결을 통해 에리트리아 지역 사실상 식민지화 1889. - 에티오피아 요하네스(Yohannes)국왕을 전사시킨 후 수도 Asmara 에 입성, 에 리트리아 지역을 사실상 식민지화(Ucciali 조약)

6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 메넬리크 2세(Menelik II)7), 아드와(Adwa) 전투에서 이탈리아 군 격퇴 · 동 전투의 승리로 에티오피아는 1950년대까지 독립 유지 1896.3.1. · 메넬릭 2세, 아디스아바바 북쪽 아도와(Adowa) 전투에서 이탈리아 격퇴하고 에 티오피아는 독립을 유지했으나, 에리트리아는 에티오피아로부터 분리, 이탈리아 식민지화(Addis Ababa 조약) 1935.10. 이탈리아, 에티오피아 침공 - 영국군 이탈리아군 공격, 에리트리아 접수 1941.4. · 셀라시에 황제 아디스아바바 입성, 이탈리아 점령 종식(1941.5) 1944. 영국-에티오피아 협정 체결로 에티오피아는 이탈리아로부터 완전 해방 - 에리트리아, 에티오피아로 강제 합병 · 에리트리아 분리 항쟁 시작 1962. - 아프리카단결기구(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OAU) 발족 · 아디스아바바에 본부 소재 · 상기 기구는 현 아프리카 연합(African Union, AU)의 모체 1964. -1973. 에티오피아-소말리아 간 오가덴 국경 분쟁

군부집권 이후 (~1989년- 공산주의)

과도정부(Transitional )수립 (민주주의 이후)

에티오피아연방민주공화국 수립

라. 정치제도 개요

연방제 공화국으로 총리 실권의 내각책임제로 수도 아디스아바바, 디르다와 특별시와 9개 주로 구성된 연 방 공화국으로 구성돼 있다.

ㅇ 9개주 + 2개 행정도시 (수도 Addis Ababa 및 Dire Dawa)로 구성된 연방 민주공화국 - Tigray / Afar / Amhara / / Somali / Benishangul – Gumuz / Southern Nations, Nationalities and People's Region(SNNPR) / Gambela / Harar / Addis Ababa(metropolitan) / Dire Dawa (행정시)

ㅇ 의회는 양원제로 인민의회 및 연방의회로 구성되나, 인민 의회가 실세

ㅇ 국가 원수는 대통령이며, 실질적 국정 권한은 행정부 수반인 총리가 갖는 의원 내각제 연방제 공화국으 로 총리 실권의 내각책임제로 수도 아디스아바바, 디르다와 특별시와 9개 주로 구성된 연방 공화국으로 구 성돼 있다.

7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마. 의회

인민의회(the House of Peoples‘ Representative): 하원

ㅇ 구성 및 선출방법 - 인구비에 따라 선출, 단 소수인종 배려 - 총 547석 (집권 연립여당이 546석 차지) · 의석 구성: Oromo 주 총 의석수의 1/3, Amhara 주 및 SNNPR 각각 1/4, Tigray 주 7% - 임기 5년

ㅇ 주요 권한 - 대통령 지명, 추천(상·하원 합동회의에서 ⅔ 찬성) - 총리임명 - 각종 각료 및 연방재판관 임명 승인 - 입법권 - 전쟁 선포권 - 예산 승인권

ㅇ 원내 조직: 의장 및 9개 상임위 - 각 위원회당 13명 위원 - 의장: Abadula Gemeda

연방의회(the House of Federation): 상원

ㅇ 구성 및 임기 - 종족대표로 구성되며 각 종족은 적어도 종족당 최소한 1명 연방의회 대표권 보유

ㅇ 각 종족은 인구 100만 명당 추가 1명씩 대표권 보유 - 현 의원 수 108명 - 임기 5년

ㅇ 선출방법: 각 State Council 이 선출

ㅇ 주요 권한 - 헌법 해석권 - 각 종족의 분리독립 등 자결권 문제에 관한 결정권 - 각 States 간 분쟁해결

ㅇ 원내 조직: 의장 및 3개 위원회 - 의장: Hon. Ato. Degefe Bula Wakjera

8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바. 행정부

대통령

ㅇ 국가원수(상징적, 의전적) - 인민의회가 후보를 지명하고 양원 합동회의에서 2/3이상 찬성으로 선출 - 임기 6년(3선 불가)

ㅇ 주요 권한 - 양원 합동회의 개회 - 법률공포 - 총리가 추천한 대사 및 특별사절의 임명 - 외국 사절 및 대사 신임장 접수 - 사면

성 명 물라투 테숌 (Mulatu Teshome)

- 1955년(58세) 출 생 - 아르조(Arjo) 출생

- 1982 베이징대학교 국제관계 및 정치 (International Relation and Political Science) 학사 학 력 - 1988 베이징대학교 국제법 (International Law) 석사 - 1991 베이징대학교 국제법 (International Law) 박사 - 2001~2002 농림부 장관 - 2002~2006 하원의원 주요 경력 - 2006~2013 주 터키 대사 - 2013.10.7 대통령 임명 - 그외: 주 중국 대사, 주 일본 대사, 경제개발부 차관 가족관계 부인과 1남 특기사항 영어, 암하릭어, 중국어, 프랑스어, 오로모어 구사

총리

- 행정부 수반, 각료회의 의장, 국군의 최고 사령관으로 국정 실권 행사 - 인민의회에 대해 책임을 지며 인민의회 임기와 동일 - 인민의회가 의회 내 다수당 대표를 임명

9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ㅇ 주요 권한 - 각료 임명 제청권 - 전반적 내정, 외교정책 이행 관장 - 연방 최고법원장 및 최고법원 판사, 검찰청장 임명 제청권

성 명 하일레마리암 데살렌 (Hailemariam Desalegn)

- 1965.7.19.(48세) 출 생 - 월라이타州(Wolayita) 生

- 1988 아디스아바바 대학 토목공학 학사 학 력 - 핀란드 템페레(Tempere) 기술대학 공학 석사 - 미국 아주사태평양(Azusa Pacific) 대학 리더십 석사 - 1989.~2000. 에티오피아 아바민치 대학 강사 - 2001.~2006. 남부민족인민지역주(SNNPR) 주지사 * Southern Nations, Nationalities and People‘s Region(SNNPR) - 2005.~ 하원 의원 - 2006.~2008. 총리 특별보좌관(사회시민단체 분야) 주요경력 - 2008.~2010.9. 정부대변인 - 2010.9.15.~ 에티오피아인민혁명민주전선(EPRDF)의장 - 2010.10.~2012.9. 부총리 겸 외교장관 - 2012.8.~2012.9. 총리권한대행 - 2012.9.21.~ 총리 가족관계 부인과 3녀 방한경력 없음 - 수자원 분야 전문가(에티오피아 아바민치(Arba Minch)대학 물기술연구소 12년간 재 직) 특기사항 - 하와사대학 및 월라이타 소도대학 이사장 - 에티오피아철도회사, 해운운송회사 이사장

각료회의

- 각료회의는 총리, 부총리, 연방정부 각료 및 법률에 의해 지정된 연방 공무원으로 구성 - 총리에게 책임을 짐

ㅇ 권한 및 기능 - 인민의회에서 채택된 법률 및 결정을 집행 - 연방예산안 작성 - 재정, 금융정책 집행 및 중앙은행 관리 - 경제사회 정책과 전략의 수립 및 집행

10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 외교정책의 수립 및 집행 통제

주요 각료 리스트

총리 Hailemariam Desalegn 부총리 외교부 Dr. Tewodros Adhanom 농림부 Tefera Deribew 세무부 Melaku Fenta 국방부 Siraj Fegesa 교육부 Shiferaw Shigute 부총리 겸 정보통신부 Dr. 국무부 Dr. Shiferaw Tekelemariam 재무부 Sufian Ahmed 보건부 Dr. kesetebirhan Admassu 법무부 Getachew Ambaye 노동부 Abdulfetah Abdulahi 광물자원부 Sinknesh Ejigu * 여성 과학기술부 Demitu Hambessa 상무부 Kebede Chane 교통부 Workneh Gebeyehu 부총리 겸 공무부 Muktar Kedir 수력자원부 Alemayehu Tegenu 산업부 Ahmed Abetew 문화관광부 Amin Abdulkadir 여성청소년부 Zenebu Tadesse * 여성 도시개발부 Mekuria Haile

헌법

ㅇ 멩기스투 정권을 무너뜨리고 집권한 멜레스(Meles) 정부는 94.12. 종족자치에 입각한 연방주의 및 내 각책임제를 근간으로 하는 신헌법을 제정 - 상기 신헌법은 94.12.8 제헌의회에서 확정

사법부

- 사법권은 연방 최고법원에 속함. - 인민의회는 2/3 찬성으로 필요지역에 연방 고등법원 또는 1심법원 설치 가능 - 인민의회는 총리의 지명으로 연방 최고법원장 및 부법원장 임명

11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주요 정당

정당 세부내용 - Ethiopian People's Revolutionary Democratic Front: EPRDF 에티오피아 인민혁명 · 멩게스투 사회주의 정권 타도한 에티오피아 주요 정치 세력 민주전선 · 현재 Hailemariam Desalegn 총리를 비롯, 의회의 약 99% 차지 - Coalition for Unity and Democracy: CU) · 2004년 연합정당으로 결성된 후, 2005년 총선에서 109석 차지, 제1야당 지위 확 통일민주연합 보 · 노동자 권익, 인권, 종족간 민주권리, 토지소유권 보장, 연방제 고수, 평화적 수단 통한 항구 접근 등의 정책 공약 - United Ethiopian Democratic Front: UEDF · 2003년 14개 정당 연합체로 결성, 2005년 총선에서 52석 확보, 제2야당 자리매 연합 에티오피아 김 민주전선 · 종족 기반 정당으로 주로 남부 및 중부지역 지지, 해외동포 중심 · 정책적 합의점은 불분명함 (헌법개정, 토지국유 폐지 등 주장) - Ethiopia Federal Democratic Unity Forum, 에티오피아 연방 · 2008년 8개 정당 연합결성 민주연합포럼 · Negasso Gidada 전 대통령 등이 소속이나, 입지 많이 약해짐.

사. 대외관계

대에리트리아 관계(국경분쟁)

1993년 에리트리아가 에티오피아로부터 분리 독립한 직후 3~4년간은 우호협력 관계 유지하고 있었다. 하 지만, 1997년 11월 에리트리아의 신통화(Nacfa)도입에 따른 경제적 갈등이 국경분쟁과 전쟁으로 확대 됐 다. 에티오피아 측에게는 신통화 도입이 양국간 역사적 연계를 부인하고, 그 전의 양국 공동통화 연합의 파 괴를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 심적인 유대관계가 급속하게 냉각됐다. 에티오피아 측은 이에 대응해 양 국 간 교역결제 수단으로 달러와 같은 국제통화만을 인정해, 달러가 부족하고, 에티오피아로부터 생필품을 많이수입해야 하는 에리트리아 경제에 커다란 타격 초래했다.

결국, 1998년 5월 국경분쟁이 시작돼, 2000년 6월까지 7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 2000년 12월 Algier 평화협정이 서명되고, 이에 따라 에리트리아-에티오피아 국경위원회(EEBC)설치, 임시안전지대(TSZ) 설치, 유엔평화유지군(United Nations Mission in Ethiopia and Eritrea: UNMEE) 국경배치 등의 후속조치가 단행됐다. 이후, 2002년 4월 13일 국경획정(Delimitation) 결정에서 EEBC 는 Badme 읍을 에리트리아령 에편입시키는 결정을 내렸다. 이제 에티오피아 측은 이 결정을 부당하고 불법적(unjust and illegal)이라고 불복하며, Badme 의 양도, 국경선표시(Demarcation) 작업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 하며, 국경획정 재협상 을요구하고 있다. 이에 에리트리아는 EEBC 의 “최종적이며, 구속력 있는”(final and binding) EEBC 의 결 정을에티오피아가 즉각 수용하고, 국경선표시 작업을 조속히 완료할 것을 촉구했다.

멜레스(Meles) 총리는 2004년 11월 상기 국경위원회 결정의 원칙적 수용 등 신평화원칙 5개항(①평화적 수단에 의한 국경분쟁 해결, ②양국관계 정상화를 위해 대화를 통한 분쟁의 근원 해결, ③국경위 결정의 원 칙적수용, ④국경위에 대한 책임이행 및 현장 연락담당관 지명, ⑤국경위 결정 이행 위한 대화 개시)을 제

12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의하고국제기구 및 각국의 지지를 요청했다. 이에, AU 집행위원장, EU 의장국 및 UN 사무총장, 독일, 오 스트리아, 영국, 프랑스 및 일본 등은 상기 결의의 환영을 발표했다. 그러나 에리트리아는 상기 신평화원칙 5개 항 제의를 공식 거부하고 국경선 획정작업을 즉각 시행할 것을 촉구했다.

양국은 2004년 12월 이래 Temporary Security Zone(TSZ)부근에 병력을 계속 증강시켜왔으며, 2005년 3월 초에는 에티오피아 병력 16만 명(민병대 포함), 에리트리아 병력 12만5000명이 TSZ 부근에 대치해 긴장이 고조됐다.

2005년 3월 군사조정위원회(케냐)에서 에리트리아 3만 명, 에티오피아 4만 명을 국경지역에서 철수하기 로합의, 긴장이 다소 완화됐으나 2005년 10월 4일 에리트리아는 유엔평화유지군(UNMEE) 헬리콥터의 TSZ 비행금지 조치와 10월 6일 차량의 야간 도로 통행금지 조치를 연이어 취함으로써, UNMEE 의국경감 시활동이 60%이상 제약되는 상황에서, 양국 병력이 대규모 국경으로 이동해 긴장 고조됐다.

2005년 11월 23일 유엔안보이사회는 에리트리아가 헬리콥터 비행 등 UNMEE 의 활동을 제약하는 조치 를 즉각철회하지 않으면 제재조치를 검토하겠다는 요지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에, 에리트리아 측은 이 제의를거부하고 안보리에 대해 에티오피아에게 EEBC 결정을 존중하도록 압력을 가라고 촉구한 데 이어, 12월 7일에는 에리트리아 주둔 UNMEE 요원들 중 캐나다, 러시아, 미국 및 유럽 국적인 사람들에게 추방 을 명령해, 사태를더욱 악화됐다. 이 같은 에리트리아의 반응은 미국 등 서방측이 에티오피아가 EEBC 의 국경획정 결정을수용하지 않는 데 대해서는 비난을 하거나 압력을 행사하지 않고, 자국의 UNMEE 감시활 동 제약조치만비난하며 철회하라고 요구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2008년 2월 21일 UN 대표부 보고에 의하면, 에리트리아측은 에티오피아-에리트리아 간 경계 획정 (demarcation)이 완료돼 Alagier 합의가 이미 이행된 것으로 보고, 더 이상 유엔 평화유지군의 주둔은 필 요가 없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에리트리아의 활동 제약으로 양국 간 국경지대에 배치돼 있던 유엔평 화유지군(UNMEE)의 임무가 2008년 7월 공식 종료됐으며, 양국 군대의 직접 대치로 긴장 상태가 지속되 고 있다.

그 후, 국제 중재 재판소는 2009년 8월 에티오피아-에리트리아 간 국경분쟁 피해규모를 에티오피아는 1 억 7400만 달러, 에리트리아는 1억6140만 달러로 판정했다. 이로 인해, 에리트리아는 에티오피아에 1260만달러를 지불해야 하나 에티오피아는 이 액수에 이의를 제기한 상태이다. 2014년 5월에 집계된 에 티오피아 거주 에리트리아 난민은 약 9만3000명으로, 일 평균 70명, 월 평균 70명가량이 에티오피아로 망명을 오고 있다.

대유럽 관계

1991년 멜레스 집권 이래 친서방 정책 노선을 취함에 따라 유럽의 에티오피아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으며, 과거 Horn of Africa 지역에 대한 영국,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들의 역사적 관계로 인해 에티오피아는 주 요 공여대상국의 하나이다. 에티오피아는 2005년 5월 총선을 시작으로 외국의 선거 참관을 허용하며, 유 럽 연합(EU)의 선거참관단을 받아들이는 등, 최근 유럽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영국은 2004 년 설립한 아프리카 위원회를 통해 멜레스 총리를 아프리카 주요 신세대 지도자로 인정해 왔으며, 또한 EU 는 에티오피아 총선 이후 정국 안정을 위해 적극 노력 중이다.

13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에티오피아는 EU-ACP(African, Caribbean and Pacific Group of States) 간의 Rome 협정에 따라 EU 로부터총 20억 유로의 원조를 받을 예정으로, EU 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에티오피아에 약 7억 유로 를 지원할계획이다. 유럽국가 중에는 EU 와 별도로 영국, 이탈리아 등이 개별 국가차원에서도 ODA 를 적 극 지원하고있으며, 최근 계속 ODA 를 늘리고 있는 추세이다. 영국은 2006~2010년 사이에 4억 파운드 를 지원할 예정으로, 유럽국가 중 최대 지원국이며,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최근, 2014년 들어서는 이탈리아의 무역사절단 방문, 노르웨이의 인프라 투자 등 유럽 국가들의 무역 및 투자 움직임이 늘고 있다.

대미 관계

멩기스투 공산주의 정권을 무너뜨리고 집권한 멜레스 정권은 냉전종식과 함께 빈곤퇴치 및 경제개발을 위 해친서방 정책을 취했으며, 특히 대미 관계를 중시, 1991년 이래 양국관계가 지속적으로 확대 발전하고 있다. 냉전종식 후 미국의 대에티오피아 정책은 Horn of Africa 지역의 안정 증진이라는 차원에서 수립되 고 있어, 멜레스(Meles) 정부의 민주화 조치 및 시장경제체제 도입을 근간으로 하는 경제 개혁 조치를 긍 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국가 중 에티오피아는 미국의 최대 원조 수혜국가이다. 미국은 에티오피아를 아프리 카위기대응군(African Crisis Response Force)훈련 대상국으로 지정, 98년부터 훈련을 시작했다. 2002 년 12월 멜레스 총리는 미국을 방문했었고 Rumsfeld 미 국방장관 에티오피아 방문해 양국 간 대테러 대 처 방안협의했다. 이라크전쟁 발발 시 에티오피아는 미국에 영공통과권 및 기지 사용을 허용했다.

대러시아 관계

러시아는 구소련 시절 멩기스투 정권의 최대 지원국으로 그 관계가 긴밀했으나, 멜레스 정권 등장 이후 초 기에는양국 관계 냉각됐다. 구소련이 해체되고 러시아 연방이 수립되면서 관계가 회복돼 2001년 멜레스 (Meles) 총리가 러시아를 방문한 바 있고, 2002년에는 러시아 총리가 에티오피아를 방문했으며, 최근 러 시아국방차관이 에티오피아를 방문하는 등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멩기스투 정권 당시 구소련의 군사차관 등을 포함해 에티오피아의 대러시아 외채는 60억 달러에 육박했으 나, 1999년 48억 달러를 삭감한 이후, 러시아가 파리클럽의 회원국으로 가입 하면서 2005년 4월 11억 달러에 달하는 채무를 감면해 줌으로써 현재 1억6000만 달러 정도로 크게 축소됐다.

대수단 관계

EPRDF 의 대멩기스투 정권 무력투쟁 시 수단 측의 지원을 받은바 있어 멜레스 정권과 수단과의 관계는 초 기에는 우호적이었으나, 1995년 6월 아프리카단결기구(OAU) 정상회의 참석차 아디스 아바바를 방문한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 암살기도 사건에 수단 내 과격 단체가 관여한 혐의 등으로 양국 관계는 악화됐다. 양국은 상대방 영토 내 반정부군을 은밀히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비난해 왔으나, 1999년 11월 수단 대통 령의 에티오피아 방문을 계기로 양국은 다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91년 이후 양국 간 공동위원회를 계속 개최하고 있으며, 접경지대 주민들은 상호 협력 하에 지역발전을 위 한 공동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현재 에티오피아는 수단 Darfur 지역 위기상황 해결을 위해 수단 정부 및

14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국제사회와 협력관계 유지하고 있다. 2012년 9월 수단과 남수단 사이의 공조협정 (Cooperation Agreement)와 2013년 3월 본 협정 이행 합의를 끌어 내는 등의 중재 역할을 하고 있다. 2013년 12월 남수단 내전에 대해 AU 와 IGAD 의장국가로서 중재에 나서고 있고, 2014년 4월, 수단정부와 에티오피아 국방부 간 합동군을 조직해 국경을 강화하고 있다.

대소말리아 관계

OAU 및 정부간 개발기구(Inter-Governmental Authority on Development: IGAD)는 에티오피아 정부 에 소말리아 문제해결 노력을 위임했으나, 에티오피아는 소말리아 내 강력한 정부가 수립되는 것을 희망하 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 1997.1. 에티오피아 Sodere 회의 시 26개 정파가 참여, 구국위원회 설립 - 2003.9. 소말리아 평화회의 기술위원회 멤버로 활동

2001년 1월 소말리아 지역을 방문한 소말리아 국회의장단에 대한 소말리아 반정부 단체의 공격을 에티오 피아정부가 지원했다는 소말리아 측 주장으로 인해 에티오피아-소말리아 정부관계 악화됐다. 2001년 9월 미국에 대한 테러공격 이후 에티오피아는 소말리아 내 테러단체의 활동과 관련해 미국과 긴밀히 협조하고 있다. 소말리아의 분열 상태가 테러리스트와 극단주의자들의 온상이 돼 에티오피아에 대한 위협이 되고 있 다고 판단되고 있으며 에티오피아는 현재까지 IGAD 주관 소말리아 평화회의에 적극 참여 중이다.

2006년 12월 에티오피아가 소말리아 과도 정부와 반군 사이의 내전에 개입할 것을 공식 선언. 소말리아 에 주둔하던 에티오피아 군인들과 현지 저항 세력 사이에 무력 충돌이 일어났다. 특히 2007년 11월에 에 티오피아 군인 몇 명이 모가디슈의 거리에서 숨진 채 발견된 이후 에티오피아 군인에 의한 민간인 처형이 크게 증가했다. 2009년 1월 에티오피아 군의 소말리아 철수 직후 소말리아 과도 정부의 거점도시가 이슬 람 강경 무장세력에 함락되는 등 소말리아 전 지역을 이들이 통제하게 됐다.

2013년 8월에는 소말리아 지역의 정치적 안정을 위해 소말리아 수도인 Mogadishu 와 Kasmayo 지역 세 력 간 대화를 개최해 Jubbah 소말리 정부와 Jubbaland 협정에 관한 중재를 끌어냈다.

2014년 1월 에티오피아 정부 측에서는 아프리카 연합(AU) 평화유지군에 4395명을 파견했고, 이에 반발 해 소말리아 알샤밥 측에서는 테러를 시도하기도 하고, 지하드를 촉구하기도 했다. 2014년 6월에는 소말 리아와 에티오피아 국경 지역에서 교전이 벌어져 약 74명의 알샤밥이 사살됐다.

대중국 관계

중국은 70년대 초 에티오피아와 외교관계를 수립했으나, 멩기스투 군사정권이 구소련과 매우 가까워91년 까지는 에티오피아와 관계가 긴밀하지 못했던 상황이다. 91년 멩기스투 정권이 축출된 이후 중국과 에티 오피아 간 관계가 긴밀해지기 시작해, 95년에는 멜레스 총리가 중국을 방문했으며, 96년에는 장쩌민 주석 에티오피아 방문했다. 2002년 1월에는 당가선 외교부장이 에티오피아를 방문, 양국 경제기술협력협정 서 명했다.

중국인은 현재 주재국에 약 3000명 정도가 거주 또는 체재하고 있으며, 주로 주재국 인프라 건설에 참여 하는 건설회사에서 활동하는 등 최근 중국의 에티오피아 진출 활발하다. 중국의 대에티오피아 투자도 활발

15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해지고 있으며, 2000만 달러 규모의 방직공장 합작투자, 900만 달러 규모의 의약품 제조 공장 투자를 이 행했다.

2003년 12월 Wen Jiabao 중국 총리가 제2차 중국-아프리카 포럼에 참석, 2004~2006년 아디스아바바 플랜을채택하는 등 양국은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2006년과 2009년 베이징에서 중국-아 프리카포럼이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2010년 Chen Deming 중국 통상부 장관이 방문해 멜레스 총리를 만 나 무역확대와 경제 협력을 위한 회담을 가졌다. 2013년 말에는 시진핑 중국 주석이 방문하고, 2014년 5 월에는 리커창 총리가 방문하는 등, 중국-에티오피아 협력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3. 한국과의 주요 이슈

가. 개관

에티오피아는 6.25 전쟁 시 유엔군의 일원으로 1개 대대병력, 총 6037명(파병을 위한 훈련 또는 대기 중 인 병력 포함)을 파병했으며, 그 후 양국은 1963년 수교를 거쳐 지속적으로 우호관계 유지하고 있다. 1974~91년간 멩기스투 공산정권은 친북 일변도 정책으로 기울었으나, 한국전 참전 이후 지속돼 온 우호 협력관계로 인해 한국과의 외교 관계는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1991년 Meles 총리가 멩기스투 정 권을 축출하고 집권한 후 양국 관계는 정상을 회복했으며, 1998년 멜레스 총리의 방한 이래 더욱 더 강화 됐다.

- 98년 문화협정 체결 - 99년 스포츠교류협정 체결 - 2003년 4월 무역협정 발효

2011년 7월에는 이명박 대통령이 에티오피아를 방문했고, 2011년 11월에는 멜레스 총리가 방한해, 한- 에티오피아 간 관계가 강화되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국제무대에서 우리나라를 계속 지지해 오고 있는 편이 며, 특히 우리나라를 경제개발의 모델로 인식하고, 개발 Know-how 를 전수받기 위한 인적자원 훈련과 우 리업체의 투자진출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 2012년 4월, 주 한국 에티오피아 대사관 개설 - 2013년 6월, 에티오피아 경제포럼 개최 (서울 플라자호텔) - 2013년 7월, 강창희 국회의장 방문 - 2013년 12월, 한-에티오피아 친선협회 국회의원 방문

나. 우리나라와의 관계

외교관계수립 1963.12.23. 수교 (북한과는 1957.6.5.) 주요 협정체결 경제·기술협정(’92), 문화협정(’98), 무역협정(’03)

16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한-에티오피아 약사

수교일: 1963년 12월 23일

에티오피아 한국

20세기 ~ 21세기 한국전 참전 -Selassie 황제 근위대 6,037명

1950

-122명 사망, 536명 부상 1953

한-에티오피아 수교 1963

주 에티오피아한국대사관 개설

1965

Selassie 황제 방한

1968

강원춘천 한국참전 파병 기념탑건립 주대한민국 에티오피아 대사관 개설 Seyoum 외교장관 방한

1992

17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KOICA 에티오피아 사무소개설

Tamrat 국방장관 방한 이시영 외무차관방문(대통령 특사)

1995

멜레스제나위(Meles) 총리 방한

1998

국회 통상통위 대표단 방문 안효승 외무장관 특사 방문

2003

2004 강원춘천-에티오피아 자매결연 체결

이태식 외교차관(정부특사)방문

2005

18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에티오피아 한국참전기념관 설립

2007

Meles 총리 2차방한(G20정상회의)

2010

KOTRA 아디스아바바 무역관 개설

김성환 외교장관 방문

2011 Meles 총리 3차방한

이명박 대통령 국빈 방문

김관용 경북도지사 방문

2012

김성환 외교장관 2차방문

19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Tedros 외교장관 방한 : 수교 50주년 기념행사 주재

Abadula 하원의장 방한

Muktar 총무처장관 방한 : 새마을운동 발상지 방문

김성환 외교장관 3차 방문 2013 Fegessa 국방장관 방한

Alemayehu 수자원에너지장관방한

Demitu 과학기술장관방한

20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Abadula 하원의장 2차방한 Debretsion 정보통신장관방한

2014

김낙회 관세청장 방문 -싱글윈도우 사업 논의

Ahmed 산업장관방한 한-에티오피아 섬유산업 협력방안논의 이상진 산업부국장, 섬유산업협회성기학회장 방문 (민관합동 아프리카 사절단) 한-에티오피아 비즈니스 포럼 개최

Demitu 과학기술장관2차방한 Mulatu 대통령방한(제7차세계물포럼) 2015

김경환 국토부 차관 방문 -기업인 간담회 개최

21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다. 주요 인사 교류

1992년 11월 Seyoum 외교장관 1995년 5월 이시영 외무차관(대통령특사자격) 1995년 11월 Tamrat 국방장관 1997년10월 Haile 건설장관 1998년 10월 Meles Zenawi 총리(세윰 장관 수행) 2002년 7월 Petros 하원 부의장 2003년 5월 국회 통외통위(조웅규, 유흥수, 김용갑 의원) 2003년 7월 안효승 외무장관 특사 2005년 6월 이태식 외교차관(정부특사) 2007년 5월 Yilala 기획개발장관 2009년 4월 IPU 총회 대표단 (김효석, 이재선, 진영, 박영아 의원) 2009년 11월 Seyoum 외교장관(제2차 한-아포럼) 2010년 2월 이용준 외교부 차관보 2010년 4월 Tekeda 외교부 차관 2010년 6월 박영준 국무차장 2010년 9월 Sufian Ahmed 재경부장관(KOAFEC) 2010년 11월 Meles 총리 (G20정상회의) 김은석에너지자원대사(경제사절단)조윤선국회의원(법무연수원 세미나) 2011년 1월 김재신 차관보(AU 정상회의옵서버대표단) 2011년 4월 김성환 외교통상부장관, KOTRA 아디스아바바 무역관 개설(4월12일) 2011년 6월 Yaekob 통상차관 2011년 7월 이명박 대통령(국빈방문) 2011년 11월 멜리스 총리(국빈방문) 2012년 1월 김봉현 외교부 조정관 (AU 정상회의) 2012년 3월 김관용 경북도지사 2012년 6월 Abay 티그라이주지사 2012년 9월 김성환 외교장관 2012년 10월 Berhane 외교장관,Sufian 재무장관 2013년 1월 김성환 외교장관, 박병석 국회부의장 2013년 6월 Tedros 외교장관, Abadula 하원의장 2013년 7월 Mutar 부총리겸 총무처 장관, Fegessa 국방장관 2013년 7월 강창희 국회의장 2013년 9월 김관용 경북도지사 2013년 12월 한-에티오피아 친선협회 국회의원 (김춘진, 홍일표, 한기호, 김용익 의원)

22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라. 경제관계

경제, 기술협력 관계

1967 - 1974년간(셀라시에 황제시기)

- 교사, 도시계획관, 정원사 등 파견, 기술 훈련생(2명) 방한 초청 - 의약품 원조(7,500불 상당) 및 왁신 20만 CC 원조 - 한국촌 국민학교 건립지원(18,800불)

1975 - 1990년간(사회주의정권 시기)

ㅇ 매년 정부 및 민간차원에서 약 35만 달러 상당의 무상원조 - 경운기, 양수기, 재봉기, 트럭, 미니버스, 승용차, TV, 군복, 의약품 및 구호품

ㅇ 매년 평균 3명 기술 훈련생 초청 훈련 - 농업훈련, 가공식품, 자동차정비, 농업용수 관리분야 등

ㅇ 한국 의약품 수출입협회 의약품 3800불 상당 지원

ㅇ 1986년 1월 양국 간 합의에 따라 1986~1989년 4개년간 매년 50만 달러씩 200만 달러 제공

1991 - 2013년간

ㅇ KOICA 지역사무소 설립(95.6.) - 아프리카 지역 최초, 사하라 이남 사무소 - 1991`2004년간 총 814만 달러 지원(연평균 58만 달러) - 연수생 212명, 전문가 14명, 의료단 3명, 태권도 사범 2명, 봉사단 36명, 협력요원 22명, 협력의사 5명

ㅇ KOTRA 아디스아바바 KBC 설립 (2011.4.)

ㅇ 2012년 무상원조 총 740만불 지원 - 티그라이주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역량강화 사업 ▲아디스아바바시 결핵예방 및 퇴치사업 ▲아르시농촌 개발사업 ▲아드와시 중학교 건립사업 ▲경제개발계획 세부실행전략수립사업 - 2012년 유상원조 7,840만불 지원 승인 (술루타-게브레구라차 송전 사업) - 양국 간 최초 EDCF 지원 사업이자 우리가 아프리카에 지원한 최대 규모 사업

ㅇ 주요 민간원조 - 한국전참전용사후원회, 한국선명회, UNICEF 한국위원회, 한국 월드비젼, 한국로터리 클럽 등에서 소규 모공장 건설, 보건소 건립, 물자지원 등 제공

ㅇ 개발경험 공유 - 새마을운동 관련 프로젝트 지원 (2010~2013년 현재)

23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 총 76명 파견. 2013년 현재 25명 활동 중 - 한도테, 테베소, 아둘랄라, 마이멕텐, 아디스알름 등 5곳 사업 진행 중 - KSP 사업 (2014년 1월 종료 보고회)

마. 협정 체결(문화관계 포함)

일자 협정 내용 1968.12. 의료협력 협정 1992.11. 경제과학 기술협력협정 1996. 3. 봉사단파견 협정 1998.10.26. 문화협력 협정 2002. 6 .3. 무역 협정 - EDCF 협정 2011.7.8. - 과학 및 기술 협력 협정(2012.6.13. 발효) - 무상원조기본협정 주: 한-에티오피아 투자보호협정 논의 중

바. 재외국민 현황

2014년 6월 기준 에티오피아 전체 거주 재외국민 약 400명이다.

- 경남기업 33명, KOICA 75 명(봉사자 포함), 명성병원 46명, 선교사 38명, 기타 자영업 종사자 33명 등 - 현재 에티오피아에는 현지 유학생이 없고, 교민사회도 규모가 작은 편임.

24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Ⅱ. 경제

1. 경제지표 DB

지표 단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경제성장률 (GDP) % 11.2 8.6 10.5 6.7 7.0 6.7 1인당 GDP (PPP 기준) US$ 1,171 1,263 1,380 1,456 1,534 1,619 명목 GDP(NORMINAL GDP) US$십억 30.5 42.2 45.6 49.6 51.4 53.2 대내 정부부채/GDP (GOVT DEBT) % 44.3 40.4 44.6 49.9 51.0 54.8 경제 소비자물가상승률 (INFLATION) % - 22.9 8.1 7.5 6.7 7.5 민간소비/GDP % 5.0 7.6 9.6 7.4 7.3 6.5 (Private Consumption) 인구(Population) 백만 89.4 91.7 94.1 96.5 98.9 101.4 수출실적 (Export of Goods) US$백만 3,029 3,258 3,616 3,603 3,637 3,969 수입실적 (Import of Goods) US$백만 8,329 10,547 10,640 11,119 10,766 11,809 무역수지 (Trade Balance) US$백만 -5,300 -7,289 -7,023 -7,516 -7,129 -7,840 경상수지 US$백만 -783 -2,985 -2,080 -2,665 -3,309 -4,036 대외 (Current Account Balance) 경제 총 외채 (Total Debt) US$억 86.0 104.7 125.6 156.2 158.2 174.7 외환보유고 US$억 31.0 32.7 33.7 34·9 35.9 36.2 (Total International Reserves) 이자율 (Lending Interest Rate) % 16.0 14.5 12.0 11.0 11.5 13.0 환율 (Exchange Rate)(av) US$ 16.9 17.7 18.9 19.8 21.6 23.3 자료원: EIU Country Report(2014. 4월), ’13년 예상치, ’14-‘16년 추정치

2. 경제동향 및 전망

가. 주요 경제지표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명목 GDP (10억달러) 26.8 30.5 42.2 45.6 49.6 51.4 53.2 1인당 GDP(PPP 기준, 달러) 1,060 1,171 1,263 1,380 1,456 1,534 1,619 실질 GDP 성장률(%) 12.6 11.2 8.6 10.5 6.7 7.0 6.7 수출(FOB, 백만 달러) 2,479 3,029 3,258 3,616 3,603 3,637 3,969 수입(FOB, 백만 달러) 7,365 8,329 10,547 10,640 11,119 10,766 11,809 총외채 (억달러) 73.5 86.0 104.7 125.6 156.2 158.2 174.7 경상수지(억 달러) -4.3 -7.8 -29.9 -20.8 -26.7 -33.1 -40.4 외환보유액(억 달러) 27.7 31.0 32.7 33.7 34·9 35.9 36.2 자료원: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 2015.4월, 2013년 예상치, ’14-’16년 추정치

25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나. 경제 개관

에티오피아는 Sub-Sahara 아프리카 국가 중 두 번째 인구대국이지만 2014년 기준 1인당 국민소득 517 달러로 세계 최빈국(LDCS)에 속해 있어 (옥스퍼드 대학 연구에 따르면 니제르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빈곤한 국가) 경제가 전반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1991년 공산정권을 무너뜨리고 집권한 Meles 정부는 1992년 신경제정책을 채택하여 1992년 사회주의 계획경제에서 시장 경제로 전환되면서 본격적인 경제성 장을 시작하였다. 공기업사유화, 적극적인 해외투자유치 노력 등 시장경제체제를 도입하고 서방과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최근 각종 인프라 투자 및 해외 기업 유치로 경제가 어느 정도 활성 화를 띄는 양상이다.

2002년 이후 빈곤감축전략(Poverty Reduction Strategy)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발전 및 빈곤감축 프로 그램(Sustainable Development and Poverty Reduction Program, SDPR)’과 ‘빈곤퇴치를 위한 개발 가 속 및 지속계획(Plan for Accelerated and Sustained Development to End Poverty, PASDEP)’ 프로그 램을 완료하였다. 2015년 ‘성장과 구조변환계획(Growth and Transformation Plan, GTP)’을 완료할 예 정이며, 이후 GTP 2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여전히 유통 및 물류 체계가 미흡하고, 외환 및 금융 시스템이 약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1인당 국민소득 517달러 (2014년)의 세계 최빈국이지만 최근 10년간 약 11%의 높은경제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높은 경제성장률에도 불구하고, 에티오피아의 1인당 국민소득(Atlas method)은 550달러로 OECD DAC 은 에티오피아를 ODA 수원국 목록에서 최빈국으로 분류하고 있다.

경제성장률(GDP)

2014년 에티오피아의 명목 GDP 는 548억 달러이며, 실질 GDP 성장률은 9.9%로 사하라이남 개도국들 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에티오피아 GDP 및 성장률 추이: 2005-2014년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세계은행 (http://data.worldbank.org)

26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물가상승률

에디오피아는 2008년 국제 식품가격 및 유가 상승 등으로 물가상승률이 44.4%를 기록했으나, 세계경제 침체로 인한 식료품 및 원유 가격 하락,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정부의 재정 및 통화정책 시행 등에 힘 입어 2009년8% 대로 하락하였다. 2011년에는 가뭄에 따른 농업 생산량 악화와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으로 인해인플레이션이 30%대로 상승하였으나, 국내식량 증산으로 2013년 9.있다. 2011년에는 유가 등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 에티오피아 정부의 인프라 사업 추진을 위한 중앙은행으로부터의 차입에 의한 유동 성 증가 등으로 물가상승이 더욱 증가하여 2011년 11월에는 약 40%까지 이르렀으나, 2013년 초에는 정부의 통화량 억제로10% 초반대로 안정화되는 추세이다. 에리트리아와의 국경분쟁이 2000년 12 평화 협정 체결과 함께 일단락된 이후 원조 공여국들은 에티오피아에 대한 원조를 점차 증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01년 공적 개발원조(ODA)가 약11억 달러에 달하였으나, 매년 대폭 증가하여 2005년에는 20억 달러, 2008년 에는 33억 달러에 달하는 등 외국 및 국제기구의 원조가 증가 추세이다.

한편 아프리카 2위의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국으로서 에티오피아 통계청에 따르면 2013년 약 40억 달 러 정도의 외국인직접투자가 이뤄졌으며, 주로, 제조업, 농축산업, 컨설팅 그리고 건설업에 집중되고 있다. 에티오피아 최대 투자국은 터키로 주로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제조업에 투자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중 국이 제조업과 인프라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2013년 통계로 약 150억 달러 정도의 무역량에서 수입액이 116억 달러를 차지 할 정도로 수입에 의존하 고 있으며, 아직도 신용장 개설, 통관 등 수출입 절차가 복잡하고 외환 거래가 어려워 무역금융이 활발히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다. 커피, 원피 등 1차 산품이 주요 수출품이며, 공산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경제구조로 인해 만성적인 무역적자를 보이고 있다. 금, 동, 아연 등 광물자원이 비교적 풍부하고, 천 연가스전도2곳(매장량 4조 입방피트)이 발견되었으며, 석유매장 가능 지역도 5곳(오가덴, 아바이강, 메켈 레, 감벨라, 남부 지구대)이나 되어, 최근 에티오피아 자원개발에 대한 외국 업체의 관심 점증되고 있다.

2014년 명목 GDP 는 456억 달러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고, 실질 GDP 는 6.7%로 전년대비 소폭 감소 하였다. 경상수지는 ‘12년 -73억 달러, ‘13년 -71억 달러, ‘14년 -76억 달러로 지속적인 적자를 보이고 있 어 외환부족 현상이 가중되었다.

다. 경제 동향 및 전망

세계은행 에티오피아 사무소는 에티오피아가 지난 10년간 이룬 연평균 경제성장률 7~8%를 유지하기 위 해서는 현재의 국가 주도 경제, 농업에 의존한 성장에서 탈피해 민간부분 강화와 산업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인프라 개발사업의 축소, 조정을 통해 민간산업과 비즈니스의 금융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음을 권고했다.

에티오피아는 지난 10여 년간 강력한 국가 주도의 경제발전 정책을 통해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경제성장을 이룬 국가 가운데 하나로 자리매김한 하였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최근 5년간 농업 생산 증가를 기반으로 연 경제성장률 10% 내외의 높은 성장세를 보여왔다.

그러나 에티오피아의 성장은 서비스산업과 농업에 의존해 왔다. 수출도 커피·화훼·가축 등 농축산물에 집 중돼 있고, 산업은 GDP 의 약 10% 정도만을 점하고 있다. 이에, 세계은행의 에티오피아 사무소장 Mr. Guang Z. Chen 은 “에티오피아가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국가경제에서 산업의 비중을 확대해야만 한

27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다. 소수의 자원 부국을 제외하고는 에티오피와 같이 농업 등 1차 산업이 GDP 의 50% 이상을 점한 국가 가 중간소득국가의 지위에 도달한 사례가 없다. 에티오피아의 산업은 GDP 에서의 비중이 10% 정도에서 정체돼 왔다.”며 산업 발전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세계은행 추산에 따르면 에티오피아는 국가 주도로 추진하는 전력산업과 철도·도로 등의 운송분야에 2011/12 회계연도 에티오피아 GDP 인 330억 달러의 19%를 투자하면서 과도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고 지적했다. 이에 반해, 민간부분에 대한 금융은 GDP 의 14%에 불과해 동부아프리카 국가 평균 23%에 크게 미달하는 실정으로, 민간부문이 크게 위축되었다. 에티오피아에서 2012년 7월 이전 5년간 민간소비 는 GDP 의 85%에서 77%로 감소했고, 1987년부터 2011년 중 총투자는 16.4%에서 25.5%로 증가했 다. 즉, 총투자 가운데 공공부분의 투자 비중은 증가한 반면, 민간부문의 비중은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 나이지리아 다음의 인구 대국 에티오피아는 2010년 총연장 5만㎞의 도로를 2015년까지13 만6000㎞로 확대하고 2020년까지 5000㎞의 철도 건설을 목표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에티오피 아에서는 현재 운행 중인 철도가 없을 정도로 인프라가 부족해, 인프라 투자비용 조달을 위해 BRICS 국가 에 접근을 강화하고 있다.

한편, 에티오피아는 철도·전력·통신·금융산업의 대부분을 정부 또는 국영기업이 독점 운영하고, 외국기업에 개방하지 않았다. 항공, 해운 등 운송 및 물류분야도 정부기업이 독과점하는 경우가 많아 극히 제한적인 경 쟁이 이뤄지고 있다. 금융 및 외환이 정부사업에 우선 배정됨에 따라 에티오피아 민간기업은 금융조달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수입업체는 수입을 위한 외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2014년 6월 공무원 임금 35-39% 인상을 결정했다. 또한 내년 회계연도 예산을 전년 도 대비 약 360 % 증액했다. 이는 지난 2011년 공무원 임금 인상 당시 약 40%에 육박했던 인플레이션 을 감안한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따라 에티오피아 주택임차료도 지난 2014년 상반기 동안 약 30-40% 정도 상승하였고, 생활 물가도 점점 상승 중이다.

2015년에는 환율절상 및 댐, 도로 등 대규모 인프라 투자 집중으로 인한 외환부족현상이 지속될 것이고,’ 15년 총선을 대비한 경제개발계획(GTP) 달성 노력 박차로 대내외 교역이 활발해질 전망이다.

자료원: 에티오피아 Fortune, 코트라 아디스아바바 무역관 종합

3. 주요 산업동향

가. 개요

에티오피아 국가개발 및 산업발전정책

에티오피아 정부는 1991년 사회주의체제 붕괴 이후 제조업 활성화를 위해 1990년대 중반 이후 국영기업 민영화를 추진했으며 2010년 현재까지 소규모 상업, 서비스업 위주로 260여 개 기업이 민영화됐고, 정부 는 현재 약 80개 기업을 소유하고 있다. 민영화에는 외국기업의 참가가 허용되며, 민영화 주관기관은 Privatization and Public Enterprises Supervising Agency(PPESA)이다. 에티오피아의 제조업은 GDP

28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성장의 18.5%를차지하고 있으며 2003~2013년에는 연간 10.4%의 높은 성장률을 시현했다. (재정경제 개발부 2014년 발표자료)

과거 제조업분야 부진은 투자제한 등 정부의 과도한 규제, 열악한 사회간접자본 시설 등에 기인한 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정부는 외환경매제 도입, 투자 촉진법 제정 등으로 적극적인 투자 유인책을 채택했다. 또한 중국을 비롯한 국가들의 공격적인 인프라 투자로 투자 리스크가 줄어들고 있으며, 정부 차원에서 제조업 공단을 마련해 투자를 유치하는 등 투자 유인책이 늘어나고 있다. 에티오피아 정부의 우선 육성 제조업은 가죽산업, 면 기반 섬유산업, 낙농제품, 화훼제품, 천연음료 생산 등이다.

컨설팅 기업 Ernst&Young 2014년 보고서에 의하면 에티오피아는 동아프리카에서 가장 투자 매력도가 높으며, 향후 아프리카에서 나이지리아, 남아공, 앙골라에 이어 4위 국가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ㅇ 국가개발계획: 2002년부터 국가개발계획 수립, 시행 - SDPRP(Sustainable Development and Poverty Reduction Programme/2002년 3월-2005년 5월) - PASDEP(Plan for Accelerated and Sustained Development to End Poverty/2005년 6월-2009년 10월)

ㅇ 국가개발목표 및 전략 Growth and Transformation Plan (GTP) - GTP I (2010년 11월-2015년 11월): 2015년까지 완료 - GTP II (2015년 12월-2020년 12월): 2016년부터 시작

ㅇ 목표 - 경제성장을 통한 국민의 경제적 삶의 질 제고 - 최저개발국(LDC)에서 2025년까지 중진국으로 도약 - 매년 두자리수 경제성장률 유지

에티오피아의 산업별 발전전략

에티오피아의 농업기반 경제 - 농업이 전체 GDP 의 약 40%, 전체 수출 90%, 전체 고용의 85% 담당 - 풍부한 원자재(면화 / Hides & Skins / 커피, 콩, 오일 종자 등) - 넓은 미개척 농지 및 풍부한 수자원, 기후 등 우수한 농업 여건 - 1.14 million s/km 의 국토 면적에서 7360만 헥타르가 경작 가능 면적 - 1800만 헥타르를 경작, 호수, 강을 이용한 관개가능면적은 1000만 헥타르에 달하나 3%만이 관개시설 이용한 경작 - 풍부한 인력(인구의 85%가 농업 인구)

에티오피아의 우선 육성산업 - 농업과 연계한 산업 발전 농축산업 - 국내외 대규모 민간 영농 투자 유치를 통한 농지 확대 - 품종 개량 및 다변화, 관개 경작기술 개선을 통한 생산성 제고 - 농산물 거래 활성화, 농산품 상품화 - 제조업 발전을 위한 원자재 생산 (면, 피혁 제품 등)

29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 자국 내 1차 산품 부가가치 제고, 수출 - 우선 육성 제조업: 섬유산업, 가죽산업, 농산물 가공산업 - 토지, 저임 노동력, 원자재 자급 가능, 비교우위보유 - 수출 및 수입대체효과, 고용창출분야

국가발전을 위한 국가인프라 건설 - 철도 및 도로, 공항, 통신, 전력, 수자원 개발 - 대학, 직업훈련원 확충을 통한 인력 양성 - 병원, 의료시설 확충을 통한 국민 보건 향상

GTP II 시행에 따른 제조업 육성

ㅇ 산업단지 개발계획 - 산업단지 개발 위한 독립기관 IPDC(Industrial Parks Development Corporation) 설립 - UNIDO/ World Bank 등의 지원을 받아 전국 11개 지역에 산업단지 건설 중

주요 공단 정보

No. 공단이름 크기(Hectare) 주요 산업 완공시기 1 Addis Industry Village 8.7 Apparel 완료 2 Bole-Lemi I 156 Apparel 완료 3 Bole-Lemi II 186 Textile, Apparel 2017 4 Kilinto 337 음식가공, 의료, 가구, 전자 2017 5 Hawassa 300 Textile, Apparel 2016 6 Dire Dawa 1500 Textile, Apparel, 기계조립 2016 7 Kombolcha 700 Textile, Apparel, 음식가공 2016 8 Mekelle 1000 Textile, Apparel, 음식가공 2016 9 Adama 2000 Textile, Apparel, 기계조립 2016 10 Bahir Dar 1000 Textile, Apparel, 음식가공 2017 11 500 Textile, Apparel, 음식가공 2017

30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ㅇ 산업공단 특징 - 월 임대료: $1.5~2.0/sqm - 넓고 현대식 공장부지(외부에서는 넓고 좋은 시설의 공장부지 찾기 쉽지 않음) - 전력, 수도시설 등 인프라 잘 갖춰짐 - 공단별 산업 클러스터 조성해 동종 기업 및 관련 기업 모여 시너지 높임 - 통관절차 생략: 공단 안에 세관 있어 직접 수입물품 공단까지 가져와서 통관 진행 - Tax holiday 연장: 업종마다 Tax holiday 기간 다르나 보통 2~9년까지 받음 - 공단 내 기업 동종 공단 밖 기업보다 Tax holiday 추가 2년 더 받음

국가 전반의 대규모 인프라 건설사업 추진

에티오피아는 2002년부터 국가발전종합계획을 수립, 국가발전을 추진하고 있으며, SDPRP(2002년 3월- 2005년 5월), PASDEP(2005년 6월-2009년 10월)을 거쳐 현재 GTP(2010년 11월-2015년11월)에 따 라 도로, 철도, 전력, ICT 등 분야별로 인프라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GTP 는 2015년까지의 부문별 수요 예측을 통해 달성 목표를 정했고, 에티오피아 정부는 이에 따라 인프라 건설에 매년 약 50억 달러를 투자 하고 있다.

에티오피아의 인프라 건설을 위한 부문별 비용 (US$ 백만/년) 부문 Capital expenditure Operation and maintenance 총 소요액 정보통신기술 72 139 211

31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전력 3,105 276 3,380 수송 248 149 398 WSS 846 355 1,201 관개 6 — 6 합계 4,277 919 5,196 자료원: Briceño-Garmendia & others 2008 as cited in World Bank , 2011 (2013년 9월 확인)

인프라 건설사업에 에티오피아 자체 재원과 함께 국제 개발기관, 외국 정부의 유무상 원조를 활용하고 있 다.

인프라 건설 자금 조달 외부기관 World Bank, European Union, ADB, NDF, BADEA, OFID, Japan, Germany, U.K., Ireland Saudi Fund for Development, the Kuwait Fund China EX-IM Bank

2011년 World bank 보고에 따르면 인프라 개발을 위한 에티오피아 예산은 GDP 의 42% 수준으로 사하 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 가운데 최고 수준이다.

국가별 에티오피아 인프라 투자 비교

자료원: Briceño-Garmendia and others 2008 as cited in World Bank, 2011

중국과 이탈리아 기업들이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수주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에티오피아 최대 기업인 미 드록(MIDROC)과 중국의 시노히드로(Synohydro) 그룹이 대형 건설 프로젝트 수주에 우위를 점하고 있다. 댐 건설에 있어서는 이탈리아의 Salini 가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중국의 시노히드로 그룹은 2002년2 억2600만 달러 규모의 Tekeze 댐 공사를 수주하는가 하면 2004년에는 에티오피아 국방부 산하의 Lalibela Engineering 과 1억 달러 규모의 합작회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이 밖에 중국계 기업들은 아디스 아바바에서 진행되는 다수의 도로, 건설, 주택, 수도, 통신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다.

32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중국기업의 에티오피아 국가인프라 건설 참여현황

지난 10년간 에티오피아의 중국, 인도, 터키 등 신흥국과의 경제협력 크게 증가 특히 중국과는 교역, 투자 및 인프라 프로젝트의 파이낸싱, 시공에서 크게 성장 국-에티오피아 교역: 2002년 1억 달러 → 2006년 7억 달러 → 2010년 10억 달러 국기업의 에티오피아 투자: 투자신고 812건 완료 191건, 중국산업공단 건설 중 기업의 에티오피아 인프라건설 프로젝트 참여 티오피아의 전력 관련 프로젝트 대부분 참여 주금액은 발전 프로젝트 약 17억 달러, 송전 프로젝트 3억5000만 달러 신망 확대 및 개선: 2006년 3개의 중국기업(ZTE/Huawei/Chines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Construction)은 15억 달러 규모의 통신망 프로젝트에 참여 13년 8월 중국기업 ZTE/Huawei, 에티오피아 4G 네트워크 망 프로젝트 수주 로 건설: 10개의 중국기업이 에티오피아 도로건설 프로젝트의 60%에 달하는 프로젝트 시행 13년 9월, 중국 기업 Sino Hydro 사가 바흐다르와 제나웬즈 지역을 잇는 91km 도로 개발 프로젝트 수주 (Sino Hydro 사는 현재까지 에티오피아에 약 900km 도로 건설)

한국 기업 에티오피아시장 진출 현황 (기간: 1992. 9. 18. – 2015. 9. 16.)

투자 종류별

시작단계 진행단계 준비단계 투자종류 고용 고용 총 프로젝트 수 프로젝트 수 프로젝트 수 투자액 프로젝트 수 (정규직) (비정규직) 합작투자 1 9 US$2.6mil. 180 120 1 11 100% 5 30 US$16.4mil. 5,524 332 6 41 직접투자 총 계 6 39 US$19.0mil. 5,704 452 7 52

산업 분야별

시작단계 진행단계 준비단계 산업분야 고용 고용 총 프로젝트 수 프로젝트 수 프로젝트 수 투자액 프로젝트 수 -정규직 -비정규직 농업 2 2

제조업 1 9 US$3.9mil 4,370 153 4 14 교육 1 3 $157,500 23 8 4

보건 2 2 1.8mil 762 0 4 5 호텔/식당 2 75,200 20 10 2

관광업 1 67,500 8 16 1

부동산컨설팅 2 18 2.7mil 235 111 20 중장비임대 건설업 4 10.4mil 286 154 4

33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총계 6 39 19.0mil 5,704 452 7 52 자료원: 에티오피아 투자청(2015. 12.)

나. 주요 산업별 동향

1) 1차 산업 - 농림수산식품 - 농축산업

산업 개요

농축산업 현황

- 농축산업의 전체 GDP 비중 감소 추세: 2005년 47.1% → 2013년 43% - 농축산업의 부문별 비중(2013년): 농업 77%, 축산업 23%, 수산업(내륙) 0.01% - 농축산업 잠재력: 경작가능 면적 8,500만 ha 중 1,600만 ha 가(19%) 만이 경지로 이용됨. 나머지는 목 초지로 방치됨 (경작 가능 면적: 국토의 68%) - 주요 생산 수출품: 커피, 참깨, 콩, 오일 종자, 꽃

정부의 수출품목 다변화 노력에 힘입어 커피 수출액의 전체 수출액 비중은 2000년대 초 54.8%대에서 2011년42.9%까지 감소

에티오피아 커피 및 화훼 작물 수출

커피는 에티오피아 제1의 수출작물임 - 에티오피아의 커피 수출 비중은 90년대 말 70%대에 달했으나, 이후 정부의 커피 의존도 축소 및 수출 품목 다변화 노력으로 커피 수출 비중은 지속 감소, 2011년 42.9%를 차지 ㆍ농림부 산하에 Ethiopian Coffee and Tea Authority 를 편입시켜 커피 생산을 관리하고 국가차원의 마 케팅을 실시하는 는 한편, 차와 향신료, 목화 등으로 수출품 다변화 추진 화훼작물은 우수한 자연조건을 바탕으로 네덜란드, 독일, 인도 그리고 이스라엘의 투자로 새로운 수출 작 물로 각광 받고 있다. - 정부 수출목적 원예산업에 각종 세금 혜택과 토지 장기 임차 등의 인센티브 제공 - 에티오피아 화훼작물 수출 2005년 US$ 13 mil. → 2010년 US$ 170 mil. 성장

시장 동향

2015년 농축산업은 GDP 비중 43%, 수출의 80%, 고용의 85%를 점해 에티오피아 경제에서 가장 큰 비 중 차지하고 있다. 총 경작가능 면적 8천5백만 ha 중 1천6백만 ha 가(19%) 경지로 이용되고 있으며 나머 지는 초지로이용(경작가능지: 국토의 68%)되고 있으나, 매년 식량부족에 시달리고 있으며, 국내 식량자급 률은 10% 전후이다.

농산물 수출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커피는 국제시장에서의 가격변동성이 크고, 매년 작황에 따라 생 산량의 차이가 커, 안정적인 외환확보가 어려워 다른 작물의 비중을 높이는 노력을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에티오피아 상품거래소(Ethiopian Commodity Exchange, ECX)의 개설로 품질관리에 힘써, 전반적인 농 작물의 필질이 개선되고 있다. 농업부문의 생산량 증대 가능성은 크나, 우기철의 지속적 변동에 따른 강수

34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량 예측 곤란으로관개시설 확장, 경작기술 개선이 시급하며, 또한 적당한 가격 유인책 등을 통한 농업에 대 한 투자가 필요하다. 외국기업의 농업분야에 대한 투자 시 토지 리스 등의 유인책이 주어지기는 하지만, 관 개시설 개발 등에 대한 투자는 외국 투자자의 몫으로 남겨져 있다.

시장 전망

에티오피아 정부는 농업 우선 경제 발전 및 식량 자급을 위해 농업개발에 중점을 둔 개발정책 추진하고 있 다. 2009년부터 국내외 기업의 대규모 기업농 투자 장려를 위해 농업부(Ministry of Agriculture)에 농업 투자지원국을 신설, 총 7백만 에이커의 토지를 장기 저리로 인도,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기업에 임대해줌 으로써, 면, 쌀 등 재배를 위한 대규모 농장을 설립했다. 이 부서를 통해 생산성, 고용, 기술 이전, 외환보유 고 등의 인센티브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에티오피아 정부는 개발정책 의 최우선 순위에 농가공 산업을 두어 농축산업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농산물 거래 활성화(Subsistence → Commercial) 위해 2009년 선물거래소 ECX (Ethiopia Commodity Exchange) 개설 통해 커피, 참깨, 곡물 등 거래

에티오피아의 농업개발 목표

목표 2010 2015 곡물생산 위한 총 경작 면적(백만 헥타르) 11.25 12.17 Cereal 생산 (백만 헥타르) 9.1 9.6 Cereal 생산성 (qt/헥타르) 17 22 자료원: 에티오피아 농업부 (2013년 8월)

농축산업에 대한 국내외 기업의 투자 확대, 정부의 인센티브 제공, 국제적 수요확대 등으로 농축산업의 성 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진출 전략

- 유망분야: 기업형 낙농업(소, 양), 기업형 농장 (커피, 차, 사탕수수, 원예, 향신료, 목화)

잠재 경작 면적 No. 작물 면적(헥타르) 지역 1 쌀 280,000 SNNPR, Oromiya, Amhara, Benshangul, Gumuz, Somali 2 원예 763,300 SNNPR, Oromiya, Amhara, Diredawa 3 커피 426,000 SNNPR, Oromiya, Amhara, Gambella 4 차 150,000 SNNPR, Oromiya, Amhara, Gambella Tigray, SNNPR, Oromiya, Amhara, Benshangul, Gumuz, 5 목화 3,000,810 Gambella, Afar, Somali 6 고무 200,000 SNNPR, Gambella 7 팜오일 450,000 SNNPR, Oromiya, Gambella Total 5,207,110

자료원: 에티오피아 투자청 투자 가이드(2015)

35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글로벌 프렌차이즈 KFC 에서 양계업 포함해 현지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 아직 국내 기업 중에서는 농축산 업에 진출할 사례가 없다. 내수 및 수출시장 잠재력 크나, 현지의 전기부족(정전), 관개시설 부족, 비료/사 료 부족(수입 의존) 등 기본적인 인프라 문제로 진출이 쉽지 않다. 과거 ‘이랜드’ 에서 토지임대를 통해 현 지 목화농장 사업을 고려 했으나, 여러 문제점들에 봉착, 투자를 재고하게 됐다. 장기적 시장 가능성을 보 고, 작은 규모로 시작해 확대해 가는 전략으로 접근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2) 1차 산업 – 광물/에너지 - 광산업 (자원개발)

산업 개요

에티오피아의 광업은 GDP 에 약 3% 기여하는 규모로 작다. 주요 광물자원은 Gold, Tantalum, Phosphorus, Iron, Salt, Potash, Soda ash, Gemstones, Coal 및 건축용 석재 등이다. 금은 에티오피아 에서 가장 중요한 광물자원이자 수출품목으로, 약 2,500여년 전부터 그 역사가 시작된다. 최근 조사에 따 르면 에티오피아 전체 면적인 120만 평방킬로미터 중 50% 국토에서 금이 발굴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 고 있고, 그 매장량은 약500톤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2012년에는 12톤을 생산했으나 에티오피아 정부는 40톤으로 생산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음으로 중요한 품목은 탄탈룸으로 중국기업 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생산량의 약 80%가 중국으로 수출돼 중국의 휴대전화 등의 제조에 사용하 고 있다.

에티오피아 광물 매장량

연번 광물 종류 단위 확인 매장량 지역 Primary 1 톤 520.00 All Ethiopia Gold 2 Iron 백만 톤 32.50 Bikilal, Western Ethiopia 3 Diatomite 백만 톤 36,602.00 In different parts of the Rift Valley 4 Potash 백만 톤 200.00 Afar region, Northern Ethiopia 5 Phosphate 백만 톤 181.08 Bikilal, Western Ethiopia 6 Soda Ash 백만 톤 460.00 Ziway in the Rift Valley 7 Natural Gas ㎥ 118 billion Calub 76 billion, Hilala 46 billion ㎥ Hydroelectri 8 ㎿ 45,000.00 Aluto-Langano & Tendaho in the Rift Valley city Delbi &Moye, Western Ethiopia, Yayu, Western 9 Coal 백만 톤 80.00 Ethiopia 주: 최근 Dallol (Afar Regional State) 지역에서 10억 톤의 potash 매장량 발견 자료원: 에티오피아 광물부, Bloomberg 등 뉴스매체(2013년 9월)

시장 동향

에티오피아는 2014년까지 중국, 남아공, 영국, 미국, 캐나다 등 외국기업에 250여 건의 광물 탐사 및 생산 라이선스를 부여했다. 무분별한 자원재발을 우려해, 에티오피아의 광물부는 새로운 라이선스 발급을 중지 하고 기존에 발급한 라이선스의 이행 여부를 모니터링 하기도 한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1997년 레가 뎀비

36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Lega Dembi)에서 발견된 금광 채굴권을 미드록 그룹에게 매각됐다. 2007년에는 인도 기업인 Sainik Coal Mining 가 비료의 주원료인 탄산칼륨을 비롯, 마그네슘과 칼슘 광산의 채굴권을 획득하는 등 자원개 발에 대한 외국 업체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또한 2013년 8월 인도의 광업회사 May Flower 가 에티오피 아 남서부 지역의 석탄 광산에 1억1천6백만불 가량의 투자를 발표했다.

라이선스를 획득한 기업에 의한 생산

총생산액 연번 연도 광물 종류 단위 생산량 (백만달러) Gold ㎏ 3,907.00 Marble 톤 99.34 1 2009/10 114 Tantalum ㎏ 202 Pumice 톤 728 Gold ㎏ 4,376.00 Marble ㎥ 131 2 2010/11 175 Tantalum 톤 187 Pumice 톤 240 Gold ㎏ 3,984.00 Marble ㎥ 538 3 2011/12 199 Tantalum 톤 136 Pumice(and others) 톤 2.6 자료원: Ministry of Mines, Ethiopia (2013년 9월)

개인에 의한 소규모 광물 생산

총생산액 연번 연도 광물 종류 단위 생산량 (백만달러) Gold ㎏ 2,865.89 Gem Stones ㎏ 3,104.64 1 2009/10 102 Tantalum 톤 65.3 Platinum ㎏ 0.64 Gold ㎏ 7,296.30 Gem Stones ㎏ 17,146.28 2 2010/11 334 Tantalum 톤 123.5 Platinum ㎏ 0.64 Gold ㎏ 8,327.73 Gem Stones ㎏ 16,523.32 3 2011/12 455 Tantalum 톤 158.3 Platinum ㎏ 0.35 자료원: Ministry of Mines, Ethiopia

37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시장 전망

ㅇ 석유 채굴 가능성

에티오피아 석유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한다. 주로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수입하며, 2014년 수입액만 약 US$ 2,316 Mil. 으로 2014년 에티오피아 국가 총 수입액의 약 15.7%를 차지해 금액기준 가장 수입이 큰 제품으로 자체 유전개발의 필요성이 높다. 석유매장 가능성이 있는 지역은 현재 5곳(오가덴, 아바이강, 메켈레, 감벨라, 남부 지구대)에 이른다. 2005년 말레이시아의 Petronas 사는 4년 계약, 최고 25년 연장 을 조건으로 에티오피아 동남부 소말리 지역의 석유 탐사권, 서부 감벨라 지역의 탐사권도 획득했으나, 2011년 중 탐사를 포기하고 철수했고, 중국기업 등이 탐사 지속하고 있다. 2008년 White Nile 사는 서남 부 omo 와 Chew 지역의 탐사를 시작했다. 또한 영국의 Tullow 사는 2013년 12월 남부 Omo 지역의 Tultule-1 공구 탐사를 중지하고, 다른 가능성이 보이고 있는 Sabisa-1 공구에서 2014년부터 채굴을 시도 중이다.

ㅇ 천연가스 개발

천연가스전도 2곳(매장량 4조 입방피트)이 발견됐다. 에티오피아 서남부의 ogaden 지역에서는 오래 전 천연가스가 매장된 것으로 밝혀졌으나 기술 및 재정적 이유로 장기간 개발 지연됐다. 말레이시아의 Petronas 사가 장기간의 협의 끝에 2007년 채굴 계약을 성사시켰고, 가스 파이프라인과 정제 시설을 포 함해 총 19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추진했으나, 2011년 탐사를 포기했다가 시장조사, 타당성 조사는 2012년에 다시 시행됐다. 에티오피아 동부 Kalub 와 Hilla 지역에 4.7 triilion cubic feet 의 천연가스 매 장을 확인했으며 에티오피아 동부와 지부티를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이 2017년에 완공될 예정이지만 (총 길이 800km). 에티오피아 정부의 자금 및 보안 등의 문제로 프로젝트가 지연되고 있다.

진출 전략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 타 국가들과 다르게 지하지원이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적극적으 로 자원개발 시, 분명 큰 잠재력이 있는 시장이다. 에티오피아 정부도 만성적인 무역적자 및 외환부족 문제 를 해결하고자 수출산업에 적극적인 투자 및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자원개발이 그 한 축이 될 것으로 보인 다. 다만, 여러 외국계 기업이 진출했다가 실패하고 철수했듯이, Risk 가 매우 높은 투자산업이니, 투자 전 디테일한 사전 사업 타당성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중국 정부의 지원을 업은 중국기업들만이 적극적으로 자원개발 시장에 뛰어들고 있고, 또한 성과를 내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시장의 가능성을 보고, 한국정부 / 기업들이 관심을 기울일 산업이다.

3) 2차 제조업 – 섬유/패션 - 피혁산업

산업 개요

비식품제조업 가운데 에티오피아에서의 원자재 조달이 가능한 피혁산업, 면 기반 섬유산업 (합성섬유는 100% 수입)의 비중이 크다. 특히, 에티오피아의 가죽은 가죽 완제품 이전 단계에서 해외로 수출됐으나 에 티오피아 정부는 국내에서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품목에 따라 가죽의 경우 일정 가공 단계를 거친 제 품의 수출을 허가하고 있고, 의류, 신발 제조 등 가공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아프리카 1위, 세계 10위의

38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가축 보유하고 있으며, 우수한 품질의 소, 양, 염소 가죽 생산 하고 있다. 피혁 관련 “Red hari Ethiopian Sheep Skin", “Bati Genuine Goat” 같은 현지 브랜드가 유명하다.

시장 동향

에티오피아의 전체 가축 개체 수는 2014년 기준 소 5억 3천 9백만 / 양 2억 5천 5백만 / 염소 2억 4천 6 십만 마리 정도로 파악된다. 피혁산업의 원자재가 되는 가축의 개체수가 풍부해 피혁제조산업의 잠재력이 높다. 따라서, 모든 피혁 원자재는 에티오피아에서 자체 조달하지만, 생산에 필요한 화학원료 및 부자재는 90% 이상 외국에서 수입한다.

분야별 기업 현황 (2014 기준)

분 야 기업 수 생 산 량 기 타 연간 소 5백만, 양 8.1백 피혁 원자재 多 하이드 / 스킨 생산 만, 염소 7.5백만 마리 27 연간 하이드 5,760 s/f, 아디스아바바 주변 위치 Tannery (7개 외국계) 스킨 101,600 s/f 생산 총 7000여명 고용 창출 신발제조 18 - 가죽/의류 완제품 19 -

에티오피아의 가죽 제품은 국제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유럽, 미국 등으로 수출 하고 있다. 가죽은 피혁산업 전체 수출의 76% 차지하고 있다. 에티오피아 정부의 완제품 수출 장려 정책으로 최근 완제품 수출 증가하 고 있으며 중국, 유럽 등 외국인 투자기업 진출 활발하다.

시장 전망

에티오피아 정부는 많은 가축 개체 수를 바탕으로 섬유·농산물 가공산업과 함께 피혁산업을 국가 전략산업 으로 육성하고 있다. 피혁산업 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피혁산업개발원 (Leather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을 설립해 기술 개발 및 산업합리화를 추진하고 있다. 인도에서 피혁산업기술, 경 영기법을 도입 및 중국, 유럽 기업의 투자유치를 적극 추진 중이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GTP 를 통해 피혁 산업에서 연간 5억 달러 수출을 목표로 하고, 피혁산업에 필요한 수입 부자재, 화학제품 등에 대해 감세 혜 택을 주고 있다.

ㅇ Mojo 피혁산업단지 조성

에티오피아 산업부는 수도 아디스아바바에서 120㎞에 있는 Mojo 지역에 피혁산업단지 조성을 진행 중인 데, 이 클러스터에는 아디스아바바 등 에티오피아 각지에 소재하는 각종 피혁 관련 원자재·완제품 제조업 체 및 신규 국내외 투자업체가 입주할 예정이다. Mojo 는 아디스아바바-지부티 도로의 선상에 있고, 아디 스아바바 수출입 화물의 90% 이상이 처리되는 내륙항구가 있어, 산업단지 조성에 매우 유리한 환경을 제 공한다. 여타 산업단지와 같이 내/외국인 투자기업 유치를 위해 많은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39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진출 전략

에티오피아 피혁산업은 가장 중요한 가축의 개체수가 많고, 그 품질이 좋아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춰,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다. 그 동안 한국과의 무역은 피혁 원자재 수출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최근 에티오피아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유인정책 및 부가가치를 높이는 전략으로 단순히 피혁을 수입하는 무역업의 단계를 넘어, 적극적으로 현지투자를 통한 진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피혁산업단지 Mojo 뿐 아니라, 아디스아바바 내 Bole-Remi I 산업공단에도 이미 다수의 중국계 가죽기업 이 입주해 생산을 하고 있다. 국내 몇몇 중소기업들도 현지 투자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 실질적으로 생산투자가 진행된 것은 없다. 산업 클러스터 혹은 기타 산업단지 등 과거와 다르게 외국인투자자의 요구 에 맞춘 투자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바, 관련 기업들의 적극적인 현지 진출전략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4) 2차 제조업 – 섬유/패션 - 섬유산업

산업 개요

에티오피아 정부는 섬유 부문에서 공장신설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민영화를 위해 외국 자본 유치에 적 극 노력중이다. AGOA(African Growth and Opportunity Act, 2000년 발효)를 활용, 섬유제품의 대미 수출에 많은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에티오피아의 섬유산업은 과거 내수시장 위주의 산업구조를 갖고 있었 으나 정부의 외국인 투자유치 인센티브 확대 등으로 외국인 투자가 증가, 수출산업화로 넘어가는 전환기에 있다. 터키의 섬유산업 대기업인 AYKA 가 에티오피아 수도인 아디스아바바로 생산기지를 옮긴 것을 필두 로 터키의 섬유기업50여 개가 에티오피아로 생산기지를 옮겨왔으며, 의류 리테일 분야 글로벌 기업인 스 웨덴의 H&M 도 이미 에티오피아에 사무소를 개소했고, 중장기적으로 공급 생산공장을 에티오피아로 옮길 계획이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전국 11개 도시에 수출용 산업공단을 조성 중이며, 2015년 완공된 Bole-Lemi I 산업 단지는156ha 부지에 20개 공장건물이 지어졌고, 이미 다수의 섬유기업이 입주해 생산을 시작했다. 또한 Bole-Lemi II 산업단지도 공사 진행 중이다. 제2 도시인 하와사에는 섬유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해 현재 공 단 건설 진행 중이며, 많은 투자 인센티브를 통해 외국기업 투자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산업 동향

섬유산업은 에티오피아 전체 GDP 의 1.6%, 산업 생산의 12.4% 차지하며, 생산 미화 470백만 달러, 수 출2,320만 달러, 3만 명 고용했다. 연간 생산량은 Yarn 3,700만 톤, Woven fabric 88백만 미터, Knitted fabric 3,000만 kg, Kintted garment 6,200만 개, Woven garment 1,800만 개이다.

업체 수: Ginning 12개, Integrated Textile Mills 12개, Spinning 2개, Weaving/Knitting 9개, Dying/Printing 3개, Blanket Factory 4,Garment Factory 41개(총 83개) 에티오피아 섬유산업의 특징 에티오피아에서 생산되는 면을 소재로 한 제품을 생산, 내수 판매 주력 일부 수출 기업 CM & CMT 생산 최근에 투자한 외국기업은 수입 원자재 및 기계를 활용, 해외 수출 확대 추진. 합성 섬유, 부자재, Chemical, 기계류 전량 수입에 의존.

40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저가의 중국 섬유, 의류의 수입으로 내수 시장 경쟁 심화 자료원: The Reporter(weekly Ethiopian newspaper), 에티오피아 피혁산업개발원

산업 전망

에티오피아 섬유산업의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다. 많은 글로벌 기업이 현지진출을 타진하고, 이미 다수의 중국, 터키 기업들이 들어와 생산을 진행 중이다. 에티오피아 정부도 많은 고용창출 효과를 내며, 수출 산 업화에 효과적인 산업이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최우선순위로 섬유산업 육성을 지정했다.

자료원: McKinsey Survey of Chief Procurement Officers (Jan./Feb. 2015)

섬유산업 경쟁력 면에서도 유리해, 향후 베트남 등 아시아에 생산기지를 둔 기업들이 점차 에티오피아로 몰려들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 섬유회사 2곳 (BM Garment, ShinTS)이 Bole-Remi I 공단에 입주해 생산 을 시작했으며, 영원무역을 비롯한 다수의 섬유회사들도 진출을 위한 준비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

진출 전략

분명 에티오피아가 섬유산업 생산기지로서 매력적인 곳이긴 하나, 아프리카 최빈국 중 한곳으로 분류되는 만큼, 여러 제반 환경이 좋지만은 않다. 그래서 기 진출한 기업들도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현지에 성공적으 로 정착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기 진출기업들의 사례분석을 통해 시행착오를 줄이는 것이 관건 으로 보여진다.

41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에티오피아 섬유산업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 면세 (EU, USA, 한국 등) - 낮은 생산성 - 낮은 인건비 (에티오피아$70 / 베트남 $250) - 높은 물류비 (베트남 10배) - 빠른 교육 습득능력 - 대중교통 부족 - 정치 / 경제적 안정 & 치안 좋음 - 높은 생활비 - 좋은 자연환경 (물/기후) - 원부자재 현지공급 부족 - 섬유산업 육성에 대한 정부의 강한 의지 - 정부의 관료제 - 낮은 전기세 / 수도세 - 잦은 정전 / 높은 인터넷 비용

Opportunity Treat - 아시아 지역의 인건비 상승 - 잦은 결근 / 시간준수 안됨 - 풍부한 노동인력 - TPP / FTA 따른 아시아 생산국가와 가격경쟁 - 미주/유럽 주문량 증가 - 명확한 규제/법규 (야근, 해고, 설비반입 등) - 정부의 수출산업 드라이브 정책 - 대정부 업무지연: One-stop Service 필요 - 마지막 유망 생산기지 - 만성적 무역 불균형에 따른 외환부족

SHINTS 현지 투자진출 시 겪은 문제점 사례

Bole-Remi I 공단 완공 지연 - 2014년 6월까지 완공을 목표했으나, 실질적으로 2015년 7월 완공 - 메인 공장을 에티오피아로 이전 결정을 한 상황에서, 건설 지연으로 많은 계획 차질 발생

정전에 따른 생산 지연 - 과거보다 전력상황 개선됐으나, 아직도 잦은 정전 발생. - 사전 예고가 아닌, 갑작스런 정전 / 정전 시간 예측 불가해 생산 차질 발생

만성적 관료제에 따른 신속한 공단 내 문제 해결 지연 - 공단 내 불편사항 / 문제점들을 보고해도, 결정권자에게 보고 및 처리까지 시간 오래 걸림

5) 건설/인프라/플랜트 - 도로건설

산업 개요

모든 도로관련 업무는 Ethiopian Roads Authority 에서 총괄 하며, 노동력 이동, 토지 및 자원 개발, 농산 물 상품화를 통한 성장 촉진을 위해 1997년부터 국가 도로건설계획을 수립, 추진하고 있다.

42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Road sector Development Program(RSDP) 정책 & 주요 파트너

단계 기간 진행상황 Phase I 1997-2002 완료 Phase II 2003-2007 완료 Phase III 2008-2010 완료 Phase IV 2011- 2015 완료 Phase V 2016 – 2020 진행중

- 주요 사업 파트너 리스트 : World Bank, EU, AfDB, BADEA, OFID, Saudi Fund, Japan, China, S. Korea, Kuwait Fund, Abu Dhabi Fund, Germany, NDF, U.K., Ireland, the Road Fund - 재원 비중 : 자체 조달자금 79%(US$ 8.22Bil.) / 해외 지원자금 21%(US$ 2.19Bil.) - 시공업체 참여 비중 : 외국 건설사 58%(US$ 4.27Bil.) / 현지 건설사 42%(US$ 3.10Bil.) - 컨설팅업체 참여 비중 : 외국 업체 38%(US$ 0.11Bil.) / 현지 업체 62%(US$ 0.17Bil.)

2011년 World Bank 는 에티오피아는 매년 GDP 의 3%를 도로 건설에 투입했으며 이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20년간 도로 개발에서 269%라는 고속 성장 시현했다. 간선도로의 업그레이드, 확충 에 중점을 두었으며 총 도로 네트워크는 매년 4.2% 성장, RSDP III 가 종료된 2010년 6월까지 총 도로 길 이는 RSDP 를 시작했던 1997년의 22,243km 에서 48,793km 로 연장됐다. 에티오피아 도로의 면적, 인 구대비 길이로서는11,000 km2 당 44.4 km, 인구 1천명당 0.58 km 이다. 그러나 에티오피아 전역의 30% 만이 현대적 도로수송체계가 이용 가능해, 에티오피아 정부는 도로건설에 관련해 지속적인 추진 계획을 발 표하고 있다.

도로 건설에 관해현재 터키, 인도, 브라질, 러시아 등의 정부로부터의 투자도 논의되고 있다. 2015년 통계 기준 에티오피아의 총 도로연장은 110,414km 이며, 이는 10년 전과 비교 시, 5배 가까이 증가된 수치이 다.

Type 1997년 2015년 성장률(%) 아스팔트 3,708 km 13,551 km 265 비포장 도로 12,162 km 14,055 km 16 Total Federal 15,870 km 27,606 km 74 지방도로 10,680 km 30,641 km 187 국도 - 46,810 km ++ 시내도로 NA 5,357 km - Total 26,550 km 110,414 km - 자료원: Ethiopian Roads Authority, 2015 10월

시장 동향

Ethiopian Roads Authority 는 GTP II 의 일환으로 다양한 도로건설 프로젝트를 진행/계획 중이다.

43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신규 고속도로 건설 프로젝트

구간 Lane 길이 진행상황 참고사항 Addis – Adama 6차선 완료 GTP-I 중점사업

Modjo - Hawassa 4차선 건설 진행중 GTP-II 중점사업

Adama – Awash – Miesso 4차선 202km 예정 GTP-II 중점사업 Miesso – Dire Dawa 4차선 160km F/S 진행중 GTP-II 중점사업 Awash – Semera – Elidar – Djibouti 4차선 533km 예정 GTP-II 중점사업 Addis – Jimma 4차선 345km 예정 GTP-II 중점사업 자료원: Ethiopian Roads Authority, 2015 10월

교통량이 많은 아디스아바바 중심으로 지부티 항구, 지방 대도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도 건설이 진행 중이 다. 한국 수출입은행 의 EDCF 자금으로 Modjo - Hawassa 고속도로의 4개 구간 중 3번째 구간인 Meki- Zeway 37km 구간을 대우건설에서 건설 예정이다.

시장 전망

앞서 언급 됐듯이, 향후 고속도로를 포함한 많은 도로보수/건설 프로젝트들이 발주 예정이다.

GTP II 세부 목표

연간 목표 항목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총 도로 연결(km) 110,414 127,000 147,000 167,000 187,000 204,000 국토대비 도로길이 (km/1000km2) 100.40 115.50 133.80 152.10 169.80 185.70 인구대비 도로길이 (km/1000명) 1.30 1.40 1.60 1.70 1.90 2.00 평균 도로 접근시간 (시간) 1.70 1.40 1.20 1.10 1.00 0.90 5km 이상 도로 떨어진 인구비율(%) 36.60 31.50 26.20 21.80 18.30 15.60 포장도로 비중 (%) 70 72 74 76 78 80 자료원: Ethiopian Roads Authority, 2015년 10월

44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에티오피아 고속도로 건설 프로젝트 계획도

진출 전략

한국 업체 참여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 사업타당성 검토(Feasibility Study) 컨설팅 : 많은 한국 업체들이 참여해 진행 중 - 설계/감리 컨설팅 : 아직 진출업체 없으며, 진출 위해 많은 한국 기업 타진 중 - 건설 : 현재 경남기업만이 시공 경험 있으며, 2016 대우건설 고속도로 건설 시작 예정

현재까지는 한국 수출입은행에서 EDCF 자금 지원 통한 에티오피아 도로건설 사업 지원 프로젝트에 한국 기업들이 몰리는 상황이다.

- Modjo - Hawassa 프로젝트의 ‘Meki-Zeway’ 구간 EDCF 자금으로 진행 및 시공업체 선정 진행중 - Miesso – Dire Dawa 프로젝트의 경우, 한국 기업에서 F/S 진행중 - Gore-Tepi, Jimma-Agaro-Dedessa River, Mukature-Alemketema 구간 EDCF 자금 지원 논의

향후 대부분 프로젝트 들이 정부자금이나 국제기금(World Bank, AFDB 등) 통해 계속적으로 진행 예정으 로 이 프로젝트 참여 기회를 보는 것도 필요함.

도로건설 입찰/계약 관련 정보

- BOQ(금액 및 물량명세서) / Design and Build / Quality & Cost Based Selection(QCBS) 계약 선호 - Open Competitive Bidding (경쟁입찰) 방식이며, Financer 의 입찰 가이드라인 적용 - 대규모 사업의 경우, ‘Pre-qualification’ 적용 및 ‘FIDIC’ 계약약관 준수

45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6) 건설/인프라/플랜트 - 철도건설

산업 개요

100여년 전 지부티와 에티오피아 간 791km 의 디젤연료 열차 선로 개설됐었으나, 현재는 일부만 남아있 다. 지난 50년간 화물 및 여객 운송에서 95% 이상 도로를 이용했으며, 철도의 역할 미미했었으며, 구간 연결문제, 높은 운송비용, 낮은 품질 등이 주요 문제점이었다. 장기적인 철도 인프라 건설을 목적으로 2007년 Ethiopia Railway Corp. (ERC) 설립했고, 단기적으로 에티오피아 내 각 구간 연결 및 장기적으로 주변국까지 철도 연결을 계획하고 있다.

시장 동향

The National Railway Network of Ethiopia (NRNE): 에티오피아 전역을 연결하는 5,060km 의 8개의 철도를 건설 하는 중이다. 8개 철도 가운데 지금은 운행하지 않는 지부티-에티오피아 철도(Chemin de Fer Djibouti-Ethiopien, CDE) 프로젝트는 2011년 하반기 중국과 자금 제공에 합의, 2012년 착수됐다. 나머지 7개 노선은 상업적 타당성 검증을 위한 Feasibility Study 중이다.

에티오피아의 철도건설계획 (Route)

번호 철도 노선 길이(KM) Route 1 Addis Ababa – Modjo – Awash - DireDawa - Dewanle 656 Modjo – Shashemene – Arbaminch – Konso - Moyale Route 2 905 Including Shashemene - Hawasa and Konso - Weyto Addis Ababa – Ijaji – Jimma – Guraferda - Dima including Jimma - Route 3 Bedele 740 (direct to Boma with further extension to south Sudan) Route 4 Ijaji – Nekemet – Assosa - Kumruk 460 Route 5 Awash – Kombolcha – Mekele - Shire 757

46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Route 6 Fenoteselam – Bahirdar – Wereta – Weldia – Semera - Elidar 734 Route 7 Wereta – Azezo - metema 244 Route 8 Adama – indeto - Gasera 248 자료원: Ethiopian Railways Corporation, (2015년 5월 확인)

Addis Ababa Light Rail Transit Project (LRT): 아디스아바바 내 2개의 경철도 건설 프로젝트로, 총 길이 34.2km 를 2015년 9월 완공돼 운행 중이다. 총 4억7500만 달러가 소요된 프로젝트로 중국 CREC 사가 건설했으며, 중국으로부터 41대의 트램이 도입됐다.

아디스아바바 LRT 연결망

시장 전망

GTP I 을 통해 아디스-지부티 구간은 대부분 완공했으나 다른 구간들은 재원부족 등의 이유로 많이 지연되 고 있다. 1단계 사업 건설 및 2단계 사업타당성 검토, 설계/감리, 건설 등에서 향후 참가 기회가 있을 것으 로 보인다.

에티오피아의 철도건설계획(Phase I&II)

길이 구분 번호 철도노선 진행상황 (KM) Route 1 Addis Ababa–Djibouti 765 94% 완공 Route 6 Mekele–Weldya/Hara Gebeya-Semera-Tadjourah Port 626 건설 진행 중 1단계 Route 3 Addis Ababa–Ijaji-Jimma-Dima Including Jimma-Bedele 365.7 설계 진행 중 Route 5 Awash- Kombolcha-Hara Gebeya 375 건설 진행 중

47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Route 2 Mojo-Shashemene-Arbaminich-Weyto 556 설계 진행 중 Route 3 Jimma- Guraferda- Dima- Directed to Boma 371

Route 4 Ejaji- Nekemte-Asossa- Kummruk 460

Route 5 Mekele- Shire 201 2단계 Route 6 Fwnoteselam- Bahirdar- Wereta- Weldai 460

Route 7 Wereta- Azezo- Metema 244

Route 8 Adama- Indeto- Gasera- Ginir 248

자료원: ERC, Profile and Project Portfolio Summary (2015년 10월)

진출 전략

에티오피아 정부 및 ERC 에서도 한국정부/기업의 사업참여를 독려하고 있지만, 에티오피아 철도사업의 가 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재원 마련이다. 사업타당성 검토 컨설팅, 설계/감리 사업은 건설에 비해 규모가 작 기 때문에, 개별 기업 차원에서 입찰참여 및 한국 관련기관 재원 지원 통한 사업 참여가 가능하나, 결국 주 프로젝트 건설에 시공사로서 참가하기 위해서는 한국정부 차원에서의 EDCF 자금 같은 금융지원이 뒷받침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7) 건설/인프라/플랜트 – 정보통신(ICT) 인프라 건설

산업 개요

에티오피아의 정보통신서비스는 아프리카 타 국가와 비교해서도 매우 낙후된 상황이다. 정보통신 사업을 국영기업인 Ethio Telecom (ETC)가 독점, 시장자유화를 통한 경쟁 도입이 부재하다.

ICT 인프라 국가별 벤치마킹

구분 단위 에티오피아 기타 저소득국 GSM coverage % population 9.9 48.2 International bandwidth Mbps/capita 0.3 5.8 Internet subscribers/100 people 0 0.1 Landline subscribers/100 people 1 0.8 Mobile phone subscribers/100 people 1.6 15.1 Price of monthly mobile basket 3.37 11.12 9.9 Price of monthly fixed line basket 2 13.58 — Price of 20-hour Internet package 14.85 67.95 11 Price of a 3-minute call to United States 3.33 2.59 2 Price of inter-Africa telephone calls, mean 1.27 0.72 n.a. 자료원: Briceño-Garmendia and others 2008 as cited in World Bank, 2011

ICT 서비스의 가격은 여타 아프리카 국가와 비교해 국제전화를 제외하고는 매우 저렴한 편이며, 낮은 서비 스 이용료는 고가의 국제전화 이용료가 보조하는 실정이다. 에티오피아의 정보통신 서비스 이용료는 비경 쟁 시장구조로 인해 비용 구조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정보통신 산업 확대, 효율화를 통한 ICT 산

48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업의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국영기업 ETC 가 독점하고 있는 시장에 신규 통신사업자의 진입을 허용해, 경쟁 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타겟 구분 2010 2015 유선라인 전화가입자(백만 명) 1 3.05 유선라인 전화 밀도(%) 1.36 3.4 휴대폰 전화 가입자(백만 명) 6.52 40 휴대 전화 커버리지(%) 8.7 45 인터넷 서비스 가입률(%) 0.187 3.69 이동통신 전화 서비스 가입률 (%) 50미만 90 자료원: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ic Development, 2015

시장 동향

2006년 에티오피아 통신공사(Ethiopia Telecommunication Corp. ETC)는 3개 중국기업(ZTE, Huawei, Chines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Construction Corporation)과 15억 달러의 통신망 업그레 이드 계약을 통해 통신망 확대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13년 8월 중국의 ZTE 와 Huawei 의 4G 네트워크 개통 계약을 체결해, 서비스 도입했다.

추진성과(2007년 → 2010년) Mobile service: 1.5백만 → 7백만 Land line telephone service: 1백만 → 4백만 Fiber optic network: 4천 km → 10,000 km

시장 전망

ICT 산업의 경우, 일반 통신시장은 ETC 독점으로 진출이 불가하고, 인프라 건설 사업의 경우도 중국 업체 들과의 경쟁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유망한 시장으로 보긴 힘들다. 하지만, 우리 기업의 경쟁력을 살린 틈새 시장의 경우, 많은 시장 잠재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한국 국가관세종합정보망운영연합회(CUPIA) 의 관세청 Single Windows 사업이 좋은 예시가 될 수 있다. 한국의 선진화된 ICT Software 시스템을 현 지에 도입하는 사업을 지속적으로 개발 시 향후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에티오피아 관세청 Single Window 전자 시스템 구축사업

한국 국가관세종합정보망운영연합회(CUPIA)에서 에티오피아 관세청(ERCA)의 Single Window 시스템 구축사업 진행 중이다. 2016년 2월 정식 계약을 맺고 진행 예정이며, 총 4년 6개월 프로젝트로, 한국의 선진화된 관세·통관 시스템을 도입, 에티오피아 현지 상황에 맞게 설치·운용 예정이다.

그 중 가장 유망한 프로젝트가 ‘에티오피아 정부 E-Government 구축사업‘ 이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정보 통신부(MCIT) 전자정부 시스템 구축 위한 기본전략 수립 완료했다.

- 사업명: Ethiopian e-Government Implementation Strategic Plan 2020 - 사업기간: 1단계 2011~1015 / 2단계 2016~2020

49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 현재상황: 1단계 사업 마감 및 2단계 세부 실행계획 수립 (컨설팅사 : KPMG) - 2단계 사업목표 ‘E-Government Vision 2020’ - 전자정부 도입 통한 경제성장 기여 및 국민에 쉽고 빠르고 효율적인 정부 서비스 제공

진출 전략

에티오피아 정부 차원에서 ICT 산업 발전 지원 및 전자정부 구축에 장기적으로 계획 및 실행 진행 중이며, 이미 1단계 전자정부사업 끝나고 2단계 사업 진행예정이나 한국기업의 프로젝트 관심 및 참여 미미한 상 황이다. 한국의 강한 ICT 인프라 및 기술력을 바탕으로 PPP(Private Public Partnership) 통한 에티오피아 정부와 전자정부 구축 사업기회 찾아볼 수 있으며,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한국 정부의 EDCF 자금지원 같 은 도움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8) 인프라 건설산업 – 전력 인프라 건설

산업 개요

에티오피아는 나일강의 발원지로 나일강 전체 유량의 85%를 소유하고 있어 수력 발전에 있어 큰 잠재력 을 갖고 있다. 콩고에 이어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큰 수력발전 잠재력(약 45,000MW)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 4.4% 정도 만이 개발됐다. 또한 지열발전의 잠재력은 약 5,000MW 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 발 전량이 약2,000MW 정도로, 전체의 33%만이 전력소비가 가능하다. 이중 1,980MW 는 수력발전에 의 존하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전력 생산 능력 확충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나 여타 저소득국가 대비 전력 생산 에서 뒤져있다.

전력생산인프라, 능력, 접근도 등 벤치마킹

구분 에티오피아 기타 저소득국 현재 전력생산 능력 MW/mil. people 9.8 24.4 전력소비 kWh/capita 33.6 99.5 정전 빈도 day/year 44.2 40.6 기업의 자가 발전기 의존도 % consumption 6.9 17.7 정전으로 인한 기업 손실 % sales 0.9 6.1 전력 접근도 % population 33 15.4 도시 전력 접근도 % population 86 71 농어촌 전력 접근도 % population 2 12 전력 접근도 증가율 % population/year 0.4 1.4 Revenue collection % billings 96.5 88.2 Distribution losses % production 22 22.1 Cost recovery % total cost 46 90 Total hidden costs % 132.7 121.2 as % of revenue Power tariff 10.27 5.0 – 10.0 (residential at 75 kWh)

50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구분 에티오피아 기타 저소득국 Power tariff (commercial at 900 kWh) 8.26 11.73 Power tariff (industrial at 50,000 kWh) 4.76 11.39 자료원: Briceño-Garmendia and others 2008 as cited in World Bank, 2011

에티오피아 정부는 2005년부터 25개년 에너지 종합계획을 수립, 전기 생산능력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매 년20-25%의 전력 신규 수요가 발생, 장기 전력 수요예측을 기반으로 수력,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확대할 계획이다.

시장 동향

향후 산업화 및 전기사용 인구 증가로 인한 폭발적 전기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전기생산량 증대에 많은 노 력을 기울이고 있다. AfDB, ADF, EC, UN 그리고 이탈리아, 덴마크 등이 자금을 제공, 각종 전력 증강사 업 추진 중이다.

전력 수요 예측

최근 완공된 Tekeze 와 Gilgel GibeⅡ를 포함해 모두 열 곳의 수력 발전소에서 총 1382.6MW 의 전기를 생산할수 있으며, 2427MW 의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네 곳의 수력 발전소가 공사 중에 있고, 2864MW 의 전기를생산할 수 있는 여섯 군데의 수력 발전소가 건설 준비 상태이다. 에티오피아는 현재 지부티와 수 단, 예멘 등에 전력을 수출 중이며, World Bank 와 AfDB 의 지원으로 케냐 등과 함께 동아프리카 전력망 (East African Electricity Highway Project)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수력발전 외에도 지열발전 등의 개발을 추진함으로써 동아프리카의 Green Energy Hub 가 돼가고 있다.

시장 전망

에티오피아 정부는 향후 전력량 생산에 많은 노력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51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에너지 산업 GTP II 계획

Sector/ Indicator 단위 2015년 2020년 전기 공급률 % 60 90 전기 생산량 MW 2,267 17,346 전력선 연결 총 길이 Km 12,825 21,728 전기 사용 인구 만명 2,455 6,955 연간 1인당 전기사용량 GWS 86 1269 자료원 : National Planning Commission (2015년 9월) 전력생산량 확대 계획 - 현재 2,2670 MW 전기 생산능력을 2020년까지 17,346MW 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GTP I 에서부터 진행중인 르네상스 댐 프로젝트(6000MW), Gilgel-gibe III 프로젝트 (1,870MW), Genale- Dawa III 프로젝트 (254MW) 등이 2020년까지 완공 예정이다.

송전시설 확대 계획 - 전력 생산량에 맞게 송배전선, 변전소 설치 등 인프라 건설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송배전선 건설 : 1992 3,578㎞ → 2011 10,913㎞ → 2015 12,825㎞ - 변전소: 1992 82개 → 2010 138개 → 2015 200개

진출 전략

에티오피아 전력 인프라 건설시장은 수력 / 지력 발전소 건설 같은 대형 프로젝트들은 중국, 이탈리아 회사 들이 선점한 상황이고, 상당부분 사업이 진행돼 있다. 더구나 각국 정부의 금융지원을 포함해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기업의 참여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보다는 전력 송배전선 건설, 변전소 건설 등의 프로젝트가 향후 더욱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이미, 2013년 ‘술루타-게브레 구라차 전력망 구축 사업’에 대우인터네셔널, 효성 컨소시움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효성 EDCF 송배전 전력선 건설 프로젝트

2013년 12월 에티오피아 ‘술루타-게브레 구라차 전력망 구축사업’ (Sululta-Gebreguracha Power Transmission Project)을 수출입은행이 EDCF 자금 $ 70mil. 을 지원하고, 효성과 대우인터내셔널이 컨소 시엄을 구성해 사업권을 낙찰 받아 현재 프로젝트 진행 중이다.

내용 - 게브레구라차, 술루타, 찬초 지역 송변전망 구축 - 400kV 송전선 1회선(212.9km)설치, 송전선(3km) 및 변전소 신설 - 230kV 송전선(21.6km) 및 변전소 신설 - 아디스아바바 순환 송전망(술루타~레케타포) 송전선(21km) 신설

향후 이와 같은 많은 전력 송배전 인프라사업 프로젝트들이 예상되는 바, 현지 사업진출 이력 및 기술력 등 에서 강점이 있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관심과 진출이 요망된다.

52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9) 기타 산업

의료산업

에티오피아 의료시장(제약 / 의료기기)은 연간 1.5조 규모이고, 연평균 성장률이 10%를 상회할 정도로 잠재력이 매우 큰 시장이다. 다른 아프리카 국가와 다르게 현지 식약청 FMAHCA 의 제품등록 절차가 까다 롭고, 의약품의 경우, EU GMP / 미국 FDA 승인을 요구해 진입장벽이 높다. 전체의 70% 이상이 공공시 장(보건부 구매청, 각 지방정부 보건국, 대형 국립병원 입찰)이며, 민간시장은 아직 작으며, 현지 제조공장 이 거의 없어 대부분 수입에 의존한다.

우리 기업의 진출 전략은 공공시장의 주요 수입 의약품 위주로 현지 업체와 파트너십으로 진출을 타진하고, 중장기적으로 현지 제조시설을 설립해 내수시장 / 주변국 수출시장을 노리는 것도 좋은 전략이다. 다만, 만 성적인 외환부족 문제, 작은 내수시장, 공공입찰 위주의 정부 의존도가 큰 시장구조는 현지 투자 시 문제점 이 될 수 있어 검토해야 할 사안이다.

환경산업

에티오피아는 저개발국 특성 상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다. 하지만 세계기후변화 회의 등 환경문 제에 최근 아프리카 대표부로서 역할을 담당하며, 그 인식의 폭을 넓히고 있다. 현지에서도 폐수처리, 쓰레 기처리 문제가 큰 사회적인 이슈로 부각되며, 환경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분위기에 따라 국제기준의 쓰레기 처리 법안 등이 제정되며, 환경산업에 대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미 ‘Waste to Energy’ 사업으로 쓰레기를 태워 에너지로 재활용하는 프로젝트가 에티오피아 전력청에 의해 진행되고 있으며, 식약청에서도 의료폐기물 등 위험폐기물의 별도 처리 의무규정 등을 제정해서 시행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유해폐기물 처리사업, 폐수처리 재처리 사업 등이 유망한 사업으로 예상되는 바, 한국 기업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관광산업

에티오피아는 초대기독교 국가이면서 동시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독립국가 중 하나이다. 이러한 덕분에 세계 최고(最古) 화석인 LUCY 를 비롯해 모세의 법궤가 보관돼있다고 믿어지는 교회까지 다양한 관광자원 을 갖고 있다. 아직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아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에티오피아 관광산업의 잠재력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2010년 선거 이후, 정치적 안정성이 개선되면서 관광객의 수가 증가했 다.

2010년 기준으로 해외 관광객은 약 100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 특히, 에티오피아 정교의 교회들이 많이 있는 북부 지역의 관광객 수가 증가했다. 또한 남부 지방에는 아프리카 특유의 자연 및 원시 종족들을 볼 수 있고, 지형 또한 해저 200m 부터 해발 4500m 까지 다양해 많은 볼거리를 선사해준다. 그리고 아프리 카연합(African Union)과 UN 아프리카협력기구 (UN Economic Commission to Africa) 본부가 위치해 있고, 에티오피아 항공이 아프리카의 62개 지역을 연결해 줌으로써 관광의 기회를 더 열어준다.

금융/통신산업

53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에티오피아는 정책적으로 금융 및 통신 산업은 외국인 투자를 허용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국영 통신회사 Ethio Telecom 이 통신시장을 독점하고 있고, 은행도 현지은행 만 20여 개가 있고, 외국은행은 없다.

4. 지역무역협정 체결현황

2005년 터키와 투자보장협정을 체결하는 등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한 제도적 법적 기반 조성에 적극 노력 하고 있다. 에리트리아, 이탈리아, 그리스, 이스라엘, 스위스, 중국, 카타르, 튀니지, 터키, 프랑스, 영국 등 30여개국 과 투자 보장협정 체결했다. 이중과세방지협정은 97년에 이탈리아, 쿠웨이트 등 국가와 최초로 체결하였고, 2005년도에도 터키와 이중과세방지협정을 체결하였으며,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 화국, 영국 등 20여개 국과 협정을 체결했다.

동남아프리카경제공동체(Common Market for Eastern and Southern Africa, COMESA) 가입 무기를 제외한 모든 교역 원칙(유럽) (Everything But Arms, EBA) 가입: 저개발국가에 유럽으로의 무역 에 대해 무관세, 쿼터 제외를 보장한 원칙 아프리카 성장기회법(미국)(African Growth and Opportunity Acts, AGOA) 가입: 사하라 이남 아프리 카 국가에 대해 미국 시장에의 진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법

54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Ⅲ. 무역

1. 수출입동향

가. 교역일반

에티오피아의 최대 수출품목은 커피로, 거의 매년 전체 수출의 절반이상 차지했으나 최근 국제 커피가격 하락으로 수출 규제가 강화되었다. 남부 KAFFA 지역에서 생산되는 원두커피인 Arabica 가 유명하다. 그 외 동물가죽, oil seed(7.2%), pulse(5.0%) 등을 수출하고 있으며, 섬유와 사탕수수, 금 등 광물자원 등 도 수출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농산품 등 1차산품이 주요 수출품목이다.

연도별 수출입 현황 (단위: US$ 백만)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수 출 2,479 3,029 3,258 3,616 3,603 3,637 수 입 7,365 8,329 10,547 10,640 11,119 10,766 자료원: EIU (2015년 2월)

나. 수출동향

최대 수출품목은 커피이고, 1차 산업 품목 위주의 수출은 지속될 전망이다. 남부 카파(Kaffa)지역에서 생 산되는 원두커피인 Arabica 가 유명하며 그 외 채유종실, 가죽, 콩 순으로 수출액이 크다. 커피의 교역 의 존도에서 벗어나기 위해 육성한 수출품목 역시 1차 산업 품목(채유종실, 면화, 꽃, 가죽 등) 유럽으로의 접 근성 향상 및 정부의 지원 정책으로 화훼산업 수출이 급성장하였다. 정부의 수출품목 다변화 노력에 힘입 어 커피 수출액의 전체 수출액 비중은 90년대 말 70%대에서 2010년 26%까지 감소하였다.

상위 5개 수출국 및 수출품목

국가명 수출액(억달러)

1 중국 4.6 2 소말리아 3.3 3 독일 2.2 4 사우디아라비아 1.9 5 네덜란드 1.8

품목 (HS code) 수출액(억 달러)

1 커피 (09011100) 7.8 2 장미 (06031100) 1.6 3 강낭콩.완두콩 (07133300) 1.5 4 금(반가공) (71081300) 1.4 5 축우 (01022910) 1.1 자료원 : 에티오피아 관세청 통계

55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연도별 주요 국가 수출 비중(%)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1 독일(11.9) 독일(12.3) 중국(11.5) 소말리아(12.8) 중국(15) 2 중국(10.6) 중국(11.0) 독일(11.1) 중국(12.4) 소말리아(11) 3 소말리아(10.1) 소말리아(9.4) 소말리아(9.3) 독일(7.3) 독일(7) 사우디아라비아 4 네덜란드(6.9) 네덜란드(7.0) 네덜란드(7.2) 사우디아라비아(7) (6.9) 자료원: 에티오피아 관세청 통계, 아디스아바바 무역관 자체 분석 (2015년 4월)

품목별 수출 현황 (단위: US$ 백만, %) 전년비 증감량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 커피류 424.2 524.2 375.9 528.3 841.8 59 채유종실 187.4 219 356.1 358.5 326.6 -9 가죽류 89.6 99.2 75.3 56.4 103.8 84 콩류 70.3 144.5 90.7 130.1 137.9 6 축산물 15.5 20.9 26.6 34 63.3 86 농산물 16.2 12.8 12.1 31.47 31.5 0 동물 36.8 40.8 52.7 90.7 147.9 63 chat 92.8 108.2 138.7 209.5 238.3 14 금 97.0 78.8 97.8 281.4 461.7 64 화훼 63.6 111.8 130.7 170.2 175.3 3 기타 91.7 105.7 91.3 112.5 219.1 95 총계 1,185.1 1,465.9 1,447.9 2,003.1 2,747.1 37 자료원: 에티오피아 관세청 (2014년 6월 확인)

지역별 수출 현황

유럽과 북미 지역으로의 주요 수출품목은 커피, 화훼, 가죽 등임 독일과 일본으로는 커피, 섬유, 금 등을 주로 수출함 이탈리아로는 가죽제품 수출 증가 추세, 수출품목을 다변화하면서 최근에는 네덜란드와 독일 등지로 화훼 수출도 증가 추세 아시아와 중동 지역으로의 수출 품목은 다양 중국에는 커피와 채유종실을 포함한 여러 품목을 수출함 중동지역에는 농산물과 기타 축산물을 주로 수출함 에티오피아의 아프리카 교역 중 약 88%가 인접3개국(소말리아, 수단, 지부티)으로의 수출 약용식물인 케트, 가축, 커피, 기타 농산물 등 수출

56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다. 수입동향

대부분의 공산품이 수입 대상 품목이다. 주요 수입품목은 식품, 석유 등 에너지, 차량, 통신 및 컴퓨터 장비 등이며 제조업 기반이 취약해 주요 공산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품목별 수입현황 (단위: US$ 백만, %) 전년비 증감량 구 분 2009 2010 2011 2012 2013 (%) 원유 1,209 1,517 1,467 2,282 1,105 -51.6 기타식용유 202 219 326 385 358 -6.9 기타곡물 100 52 175 150 304 102.5 덤프차 56 105 140 261 252 -3.3 의료용품 240 225 222 148 223 50.2 의약품 2 2 3 96 163 68.8 밀 제품 218 248 222 175 160 -8.4 운송용차 48 92 84 97 144 48.0 중형차 36 142 75 92 126 37.3 철근 114 47 130 261 124 -52.5 합계 7,623 8,327 8,758 11,659 10,955 -6.1 자료원: 에디오피아 국세청 (2014.6.)

2013년 기준 에티오피아의 주요 수입 국가는 중국(27%), 인도(11%), 사우디 아라비아(8%) 순 이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소비재를, 중동국가에서는 석유를 주로 수입, 중국에서는 주로 의류와 섬유, 원자재, 통 신기, 전자제품 등을 수입, 사우디아라비아와 UAE 에서는 석유 및 석유제품의 수입하고 있다.

주요 수입품목

에티오피아의 주 수입품목은 소비재이고 자본재가 그 뒤를 잇고 있다. 석유 및 석유 화학제품, 식품, 전자 제품, 의약품, 기계 등이다.

주요교역상대국

주요 수출국은 소말리아 12.8%, 중국 12.4%, 독일 7.3%, 네덜란드 7.2%, 사우디아라비아 6.4% 이며, 주로 커피, 참깨, 기타 작물류, 금, 화훼 등을 수출한다. 주요 수입국은 중국 27.3%, 인도 10.9%, 사우디 아라비아8.4%, 일본 4.7%, 미국 4.6%이다.

57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2.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가. 교역일반

2014년 기준 대 에티오피아 수출 규모는 약 1만5천5백만 달러로 2013년 대비 65% 증가하였고, 수입은 약 5천5백만 달러로 123% 증가하였다. 수입의 꾸준한 증가는 에티오피아 정부의 수출에 초점을 맞춘 정 책의 결과이며, 대부분 농축산물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수출의 감소는 국가가 수입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고, 르네상스댐 건설 등 인프라 투자로 인한 외환 부족으로 L/C 개설에서 어려움을 겪 고 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2014년 대에티오피아 수출은 약 155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60% 증가하였고, 수입 또한 약 55백만 달러 로 99% 증가 하여 역대 최대 교역량을 보였다. 우리나라의 에티오피아에 대한 수출은 건설중장비, 의약품, 석유화학제품 등 상위 6개 제품군이 6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에티오피아로부터의 수입은 1차산품 으로 양 국간 교역은 상호 보완적이며 수입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한-에티오피아 연도별 교역 동향 (단위: US$ 천, %) 수출 수입 수지 년도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2000 19,233 -28.8 697 -9.5 18,536 2001 21,055 9.5 939 34.7 20,116 2002 18,002 -14.5 1,088 15.9 16,914 2003 18,855 4.7 2,348 115.7 16,508 2004 19,086 1.2 1,286 -45.2 17,800 2005 35,655 86.8 17,393 1,252.9 18,261 2006 63,012 76.7 2,644 -84.8 60,368 2007 73,248 16.2 4,931 86.5 68,317 2008 93,975 28.3 3,859 -21.8 90,117 2009 79,823 -15.1 14,796 283.5 65,027 2010 50,499 -36.7 11,722 -20.8 38,777 2011 106,904 111.7 19,730 68.3 87,174 2012 107,911 0.9 24,662 25.0 83,250 2013 93,782 -13.1 24,802 0.6 68,980 2014 154,698 65 55,220 123 99,478 2015(3월) 26,496 21.6 8,112 -12.1 18,384 자료원: KOTIS 무역통계 (2015.3.)

나. 수출동향

우리나라의 에티오피아에 대한 수출은 기존에도 많은 수출이 이루어진 의약품 및 건설중장비, 그리고 합성 수지와 석유화학제품 및 원료 등을 포함한 화학제품이 주를 이루고, 승용차 등 자동차 및 산업기계, 섬유제 품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이는 이전과 같이 에티오피아 전 국토적인 인프라 건설에 따른 수요에 따른 것

58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으로 볼 수 있다. 2015년 완료 예정인 경제개발 5개년 계획 (GTP)에 맞춰 도로, 철도, 주택, 댐 등의 건설 수요가 많음을 보여주고 있다. 유압식 변압기는 최근 건설중인 신규 변전소 설치 프로젝트의 영향으로 파 악된다. 또한 에티오피아의 전반적인 소득 수준 증가와 한국 차 수요 진작 등으로 인한 승용차, 섬유제품 등의 수출도 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전자제품 등 제3국에서 생산 에티오피아 수출되고 있는 제품은 통 계에 반영되지 않는다.

ㅇ 주요 수출품목 합성수지, 의약품, 정밀화학제품 및 원료, 건설중장비, 자동차, 석유화학제품, 화물자동차, 산업기계 등

한-에티오피아 10대 품목별 수출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품목코드 MTI 품목명 2014년 2015년 3월 증가율(%) 1 226200 의약품 19,146 6,444 -29.5 2 725190 기타건설중장비 19,575 6,385 220.1 8 214007 염화비닐수지 12,407 1,753 -54.6 4 214004 플리프로필렌 6,451 1,525 14.6 5 741200 화물자동차 3,732 1,034 39.7 6 849920 기타중전(Heavy electronic) 2,078 1,033 0.0 7 725130 건설중장비부품 4,678 893 -47.5 8 228900 기타정밀화학원료 11,234 778 -46.9 9 814720 초음파영상진단기 617 527 425.4 10 219000 기타석유화학제품 10,584 432 -87.9 합계 154,710 26,496 -21.4

자료원: KOTIS 무역통계 (2015.3.)

다. 수입동향

수입은 에티오피아의 주요 수출품목인 커피가 57%의 증가율을 보이며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참깨와 수 수, 강낭콩 등 곡물의 신규 수입의 영향으로 전체 수입 금액이 124% 증가했다. 하지만 커피와 참깨 2개 품목의 비중이 전체 수입금액의 98%를 이룰 정도로 매우 편중되어있다.

한-에티오피아 10대 품목별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품목코드 MTI 품목명 2014년 2015년 3월 증가율(%) 1 015110 커피 29,646 4,606 -19.0 2 011520 참깨 24,624 2,862 -14.6 3 441201 코트 및 자켓 0 436 0.0 4 023900 기타축산물부산불 417 106 25.7 5 512900 기타 신발 38 43 129.5 6 850090 기타 전선 17 13 0.0 7 032100 수목류 27 13 4.4 8 014400 향신료 0 9 0.0

59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순위 품목코드 MTI 품목명 2014년 2015년 3월 증가율(%) 9 331900 기타가죽 205 7 -34.7 10 012201 장미 19 7 -22.2 합계 55,220 22,647 -12.1

자료원: KOTIS 무역통계 (2015.3.)

라. 에티오피아 수출 여건 및 유망 분야

수출 여건

에티오피아는 ① 농축산업 생산 증대, 농산물 상품화, ② 농축산업 특성을 기반으로 한 산업 기반 구축, ③ 사회경제 개발에 필요한 도로, 철도, 전력, ITC 등 인프라 확충을 추진하고 있다. 상품 수지 적자 극복을 위 한 수출 및 수입대체 산업 육성하고 있으며, 비교 우위 산업에 대한 자본재 수입관세 면제, 금융 지원 등 다 양한 인센티브 부여를 통해 신규 투자 촉진, 섬유, 피혁, 농산물 가공, 금속 가공, 플라스틱 산업 등을 위주 로 한 신규 투자 지속 증가 하고 있다. 2000년 대 초부터 시작된 지속적인 경제 성장에 따른 소비자 구매 력 제고되었다.

수출 유망 분야

ㅇ 건설장비 및 건축자재

에티오피아 정부의 경제개발 계획(GTP)에 따라 많은 인프라 건설이 진행 중이며, 우리나라의 대에티오피 아 수출 품목 중 가장 비중이 큰 품목 중 하나이고, 또한 지난 3년간 에티오피아의 전체 수입액이 약 124% 증가하였다.

ㅇ 의약품, 백신, 의료기기 등

우리나라의 대에티오피아 수출 품목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이면서 동시에 지난 3년간 에티오 피아 전체 수입액이 약 11% 성장하였다. 에티오피아 소득 수준 향상에 따라 더 큰 성장이 있을 것이라 기 대된다.

ㅇ 자동차 부품

지난 3년간 시장규모는 약 70% 성장하였고, 아직 일본 도요타가 90% 이상의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나, 우리차의 비중도 점차 높아지는 편이다. 하지만 그 성장을 더디게 하고 있는 것이 자동차 부품의 부족현상 이다. 따라서 한국차에 대한 선호도와 함께 자동차 부품이 공급이 원할 히 된다면 큰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60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3. 수입규제제도

가. 개요

에티오피아의 관세정책은 산업보호보다는 세수입을 목적으로 한 성격이 강하다. 관세는 0%에서 35%까 지 차이가 있으며 평균 관세율은 17%이다. 관세율은 줄어드는 추세이나 자동차와 같은 일부 품목은 여전 히 높다. 수출 위주의 제조업 투자에 대해서는 무관세 혜택을 주기도 한다. 통상 15%에 이르는 부가가치 세와 별도의 소비세가 수입 품목에 부과된다. 부가가치세는 품목과 서비스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동일하다. 소비세는 최소 10%(직물 및 전자제품)에서부터 200%(자동차)까지 부과된다.

나. 수입 금지품목

무역부(Ministry of Trade)는 수출입 상품에 대한 수출입 제한 및 금지 권한을 가지고 있다.

아래의 품목은 항시적인 수출 금지 품목에 속함 ㅇ 중고 의류 ㅇ 정상적인 은행 절차를 통하지 않고 판매를 목적으로 들여오는 상품

하기 품목은 정부기관, 기업이 수입을 독점 ㅇ 에티오피아 통신공사: 통신기기 ㅇ 국방부: 무기류 ㅇ 에티오피아 담배공사: 담배 ㅇ 에티오피아 석유공사: 오일 ㅇ 전자기기: 모든 전자기기 수입은 영수증 등을 동봉하여야 함 ㅇ 성인물, 약물, 무선통신기기(무전기, 워키토키 등)은 수입 제한 ㅇ 가솔린, 디젤을 수입 Oil Libya 등 전국적 주유소 체인 기업에 공급

다. 수입관련서류

공통양식

상업송장(Commercial Invoice) 사본 생산자 송장(Manufacturer Invoice) 사본 선하증권(B/L) 견적송장(Proma Invoice) 수입업자 등록 허가증 보험 증서

특수양식

식품 및 의약품: 공인 인증기관(FMHCA) 발행 등록 및 허가서 참고: Food, Medicine and Health Care Administration & Control Authority of Ethiopia 식물류 및 비료(살충제 포함): 에티오피아 농림부 허가서

61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유전자변형 농산물에 대해서는 “에티오피아 농산물 안전에 관한 성명 NO.655/2009” 참고

“에티오피아 농산물 안전에 관한 성명 NO. 655/2009” (Proclamation NO. 655/2009; A Regulatory Framework for Biosafty in Ethiopia)

유전자조작 농산물(Modified organisms)의 수입을 엄격하게 규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법으로 2009 년 9월 9일부터 시행되었다. 농산물 수입뿐 아니라 이로 인한 사람, 동물 그리고 생태계의 부작용을 우려 하는 차원에서 제정된 법인만큼 세부 조항은 국제 기준보다 더 까다롭다. 이는 에티오피아에 옥수수, 콩, 면화와 같은 비가공 농산물을 수출하려는 국가(또는 기업)에게 큰 무역장벽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4. 대한 수입규제동향

한국에 대한 특별한 수입규제 항목은 없다.

5. 관세제도

가. 최신동향

에티오피아 직물 수입 관세 35%에서 20%로 낮춤

에티오피아 정부는 자국의 풍부한 면 생산 잠재력과 저렴하고 풍부한 젊은 노동력을 바탕으로 섬유산업 개 발을 장려하고 있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현재 추진하는 경제개발계획 “성장과 변환 계획(Growth and Transformation Plan, GTP)”이 종료되는 2015년까지 섬유분야 수출을 10억 달러 수준으로 끌어올린다 는 계획이다. 이는 2010년의 수출액 2300만 달러의 약 네 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정부는 목표달성을 위해 섬유 제조업 관련 분야 지원을 위한 여러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그 예로, 2012년 5월에는 스위스의 CHT-Bazema Group 과 Textile Colour AG, 터키의 Rose Chemicals 등 해외 세 곳의 화학품 제조사들 은 섬유 화학물질 수입에서 향후 5년 안에 에티오피아 국내 화학품 제조공장을 설립한다는 조건으로 면세 혜택을 부여 받은 바 있다.

최근 에티오피아 정부는 섬유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목적으로 에티오피아 섬유 및 의류 제조업체에 대한 수 입원자재, 기계 등 수입 관련 새로운 관세율 등을 발표하였다. 에티오피아 재정경제개발부(MoFED)에 따 르면 의류 제조업체들은 2012년 12월 28일부터 직물을 수입함에 있어 기존 35%였던 수입관세 대신에 20%만 부과되었다. 또한, 섬유 및 의류 업체들은 에티오피아에서 생산되지 않는 기계 부품을 무관세로 수 입할 수 있게 되었다. 재정경제개발부와 산업부, 섬유산업개발원 소속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회는 이러 한 인센티브가 적용되는 품목 대부분을 이미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정부는 제조업체에 과세해 온 10%의 소비세는 면제하지 않았으나, 앞으로는 업체별로 제품을 판매한 후 판매세로 지불하게 될 것이다.

62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에티오피아 섬유의류협회(ETGAMA)는 기존의 세금 정책이 해당 분야 업체의 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왔음을 이유로 35%의 수입관세를 15%까지 낮춰줄 것과 소비세 면제를 건의한 바 있다. 정부는 이 러한 혜택이 제조업체에 충분히 돌아갈 수 있게 하기 위해 단순 수입상들이 직물 원단을 수입해 국내에서 추가 공정 없이 판매하는 경우에는 판매가를 원단 가격의 130% 이상이 되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이러한 가격조정 기준은 섬유산업개발원의 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봉제업체별 관세 혜택 부여에 대한 타당성 여부 를 평가할 것이다.

자료원: Fortune 지, ETGAMA 발표 관련 자료

나.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관세면제

투자분야에 따라 최소 자본금을 투자한 투자자는 신규 기업 설립, 또는 기존 기업의 확장 또는 개선을 위해 필요한 기계 및 장비에 대한 수입관세를 면제 받을 수 있다. 에티오피아 내에서 경쟁력 있는 가격, 품질의 제품이 생산되는 자본재와 건축자재의 경우 무관세 수입 금지 가능, 투자 허가를 받은 사업은 아래와 같이 필요한 기계 및 장비의 수입에 대해 관세를 면제받을 수 있다.

관세면제 대상 기계 및 장비

구 분 내 용 처녀농지 조성을 위한 농업기계 및 농로 건설을 위한 중토 이동장비 토지 조성 또는 정지에서 작물 수확까지 운영, 농업 상품의 분리 또는 세척을 위해 농업 투자사업 필요한 장비 농공산업을 위해 필요한 생산 기계 및 장비 기계 및 장비 가격의 15% 이하의 예비 부품 상품 및 부대용품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기계 및 장비, 해당 기계 및 장비 제조 투자사업 가격의 15%까지의 예비 부품, 공장 건물 건설을 위해 필요한 철골 구조 및 재료 건설공사, 건설기계 임대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건설기계 및 장비, 해당 건설기계 건설 투자사업 및 장비 가격의 15%까지의 예비 부품 호텔 및 관광 공원 및 사적지에 소재한 특급호텔과 산장에서 주방업무와 세탁서비스를 위해 필 서비스업 요한 내구재는 투자위원회 규정에 따라 승인을 받아야 함. 다양한 수준의 교육기관에 대해서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가 지정한 실험 교육 서비스 사업 실 장비, 교육서비스와 기숙학교에서 주방업무와 세탁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장비 보건부(Ministry of Health)가 지정한 실험실 장비, 공공의료 서비스를 위해 필요 공공의료 한 장비와 환자에게 숙식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주방업무와 서비스 투자사업 세탁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내구재 내륙 수로로 승객과 상품 수송을 위한 선박 및 소형 선박, 20인승 까지의 항공기, 운송 및 보관 항공을 위한 기타 장비 및 부대용품 서비스에 대한 투자 상품을 운송하기 위한 창고, 크레인 및 차량내부에 설치되는 서비스 및 공기냉각 장비와 장비가격의 15%까지의 예비부품 엔지니어링 및 기술자 엔지니어링, 기술 자문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측량, 설계, 사진 측량, 지도제작 및 문 기타 장비와 부대용품 서비스에 대한 투자

63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구 분 내 용 폐기물처리 서비스에 고체 또는 액체 폐기물을 들어 올리고 운송하는데 필요한 차량 및 부대용품, 그 가 대한 투자활동 격의 15%까지의 예비부품 발전 및 석유정제에 발전, 송전 및 배전과 석유 정제를 위해 필요한 기계 및 장비와 부대용품, 그 가격 대한 투자 의 15%까지의 예비부품 공업단지 설립에 공업단지 설립을 위해 필요한 기계 및 장비, 공업단지의 건물 건설을 위해 직접적 대한 투자 으로 사용되는 장비 및 재료 통신 서비스에 통신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내구성 있는 기계 및 장비와 그 가격의 15%까지의 예 대한 투자사업 비 부품 연구개발(R&D)에 대한 연구개발(R&D) 목적으로 필요한 내구성 있는 기계 및 장비 투자사업 자료원: 에티오피아 투자공사(www.ethioninvestment.org)

한편, 관세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없는 투자 분야는 다음과 같다.

호텔(특급호텔 제외), 모텔, 커피숍, 바, 나이트클럽 및 식당(국제적이고 특화된 식당 제외) / 도매, 소매 및 수입거래 / 유지보수 서비스 / 상업영 도로 운송 및 차량서비스 / 우편 및 운송 서비스 / 부동산 개발 / 경 영관리 컨설팅 서비스 / 광고 서비스 / 영화 촬영 및 유사활동 /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 서비스 / 극장 및 영화관 운영 / 통관 서비스 / 세탁 서비스 / 여행사, 부대 무역 및 티켓 판매서비스 / 복권사업과 기타 유사 사업

관세 면제를 받기 위해서 면세신청서와 함께 다음의 서류를 에티오피아 투자청에 제출해야 한다.

송장: 장비 목록이 포함되고 수신인에는 투자자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어야 함. 선하증권: 수신인과 화물 인수자가 투자자의 이름과 같아야 함. 화물 인수자가 현지은행 또는 기타 다른 기 업의 지시에 따르도록 된 경우, 선하증권은 투자자 앞으로 배서되어 있어야 함. 송장 및 선하증권에 변경 또는 정정 내용이 있는 경우, 정확하게 증명되어야 함.

에티오피아 투자청 관할지역 밖에서 투자허가를 받은 투자자는 해당 지역의 투자 관련기관에 수입관세 면 제를 신청하여야 하며, 해당 기관이 인센티브 수혜 적합성을 확인 한 후 에티오피아 투자청에 관련 내용과 신청서를 모두 송부하면 에티오피아 투자청이 10일 이내에 결정 내용을 통보한다.

연구 및 훈련에 대한 지출

기존 기업이 개선 또는 확장하기 위하여 연구 및 훈련 계획에 따라 지출을 한 경우, 해당 지출은 과세소득 에서 공제가 가능하다.

감가상각비

감가상각비는 투자자가 정액법 또는 정률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선택한 감가상각비 계 산방법은 해당 기업이 지속되는 동안 계속 사용됨.

64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다. 한시적인 관세면제

보세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경우(최대 90일) 수출을 통해 무역수지를 개선시키거나 고용유발 효과가 큰 제조업 투자

라. 투자 인센티브

관세 환급

수출 제품 제조에 사용되는 원자재 수입에 대해서는 100% 환급된다.

정부 Loan

에티오피아 개발은행에서는 농업, 농가공, 제조업, 산업재, 광업 분야에 대해서 투자금액의 최대 70%까지 Loan 을 해준다. 이에 대한 이율은 연 8.5%이고, 5년간의 유예기간을 두고, 최대 20년에 걸쳐 상환할 수 있다.

마. 세관 연락정보

세관의 통관 일수는 이전 최고 40일에서 최고 21일로 줄어들었다

Ethiopian Revenues and Customs Authority

P.O. Box 2559,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2-9887 Fax: +251-11-662-9818 이메일: [email protected]

바. 에티오피아의 중고차(신차도 동일) 수입관세

배기량 1000~1300㏄ 가솔린 자동차 관세 35%, Excise Tax 30%, VAT 15%, 기타 Sur Tax 등 13% 배기량 1300~1800㏄ 가솔린 자동차 관세 35%, Excise Tax 60%, VAT 15%, 기타 Sur Tax 등 13% 관세 35%, Excise Tax 100%, VAT 15%, 기타 Sur Tax 등 배기량 3000㏄ 이상의 가솔린 자동차 13% 배기량 1300㏄ 이하의 디젤 자동차 관세 35%, Excise Tax 30%, VAT 15%, 기타 Sur Tax 등 13% 배기량 1300~1500㏄ 디젤 자동차 관세 35%, Excise Tax 60%, VAT 15%, 기타 Sur Tax 등 13% 화물자동차 관세 10%, Excise Tax 0%, VAT 15%, Withholding tax 3% 15인 이상의 승합자동차(디젤) 관세 10%, Excise Tax 0%, VAT 15%, Withholding tax 3%

65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사. 세금 계산법

세후가격 = 원가+보험료+운송료 세후가격 * 관세 = A (세후가격+A) * Exciese Tax = B (세후가격+A+B) * 부가가치세 = C (세후가격+A+B+C) * SURTAX = D 세후가격 * With Holding Tax = E 총 지불금액 = A+B+C+D+E

아. 관세 세부 내용

세금 종류

에티오피아로 수입되는 품목에 대해서는 다음의 5가지 세금이 부과된다.

ㅇ 수입 관세 (Custom Duty) ㅇ Excise Tax ㅇ 부가가치세 (VAT) ㅇ 물품세 (Surtax) ㅇ WHT (With Holding Tax)

수입 관세 (Custom Duty)

0%, 5%, 10%, 20%, 30%, 35%의 6가지 세율이 적용되며 CIF 가격에 적용된다. 원자재, 반제품, 생 산용 제품 및 공공을 위한 제품(버스 등) 등에는 세율이 비교적 작은 편 (0~10% 혹은 반제품의 경우 20%)이다. 하지만 개별 소비 목적의 소비재 혹은 완성재의 경우 세율이 높다. 대부분의 경우 소비재에는 최고 세율인 35%가 적용된다.

Excise Tax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보편적인 세금 종류로서 주로 사치재, 가격 비탄력적인 재화, 유해물품 등에 부과된 다. 가령, 음료, 주류, 담배, 향수, 카메라, 의류, 시계 등이 이에 해당하며, 세율은 10, 20, 30, 33, 40, 50, 60, 75, 80, 100%가 적용된다. 이 세금은 정부의 주요 세수가 되기도 한다. 또한 이 제품군은 수입품이 든 현지 생산이든 관계없이 세금이 부과된다. Excise Tax 의 계산법은 현지 생산의 경우 생산비용에 세율 을 곱한 값이고, 수입품의 경우 (CIF+수입관세)에 세율을 곱한 값이다.

부가가치세 (VAT)

부가가치세는 모든 수입품목에 적용되며 일률적으로 15%가 적용된다. 세금 액수는 (CIF+수입관세 +Excise Tax)의 15%에 해당한다. 또한 법령에 의해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품목이 존재한다.

66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Surtax

수입품목에 대해 10%의 세금을 부과한다. 이 세금의 목적은 에티오피아 정부의 가격보조 정책에서 비롯 되었다. 기본 생활비 수준이 올라가는 것에 대해, 정부에서 저소득층에 대한 가격보조 정책, 즉, 식비 수준 을 낮추기 위해서 필요한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재정된 세목이다. 금액은 (CIF+수입관세+Excise Tax+ VAT)의 10% 이다.

Withholding Tax

수입품목에 대해서는 3%, 기타 소비에 대해서는 2%가 부과된다. 이 세금은 소득세에 대한 보증 역할을 한다.

6. 주요 인증제도

가. 표준 관련 인증 내용 및 기관

인증내용

품질인증서(Product Certification) 몇 가지 예외 품목을 제외하고는 품질인증서를 요구하지 않음 식 ‧ 의약품, 건축자재, 화학약품, 직물 등의 품목은 품질인증서가 필수

테스트(Testing) 및 적합성 평가(Conformity Assessment) 에티오피아품질표준관리청(The Quality and Standard Authority of Ethiopia)에서 시행함

승인 또는 인가(Accreditation) 승인 및 인가는 의료(보건), 식품, 건설과 같은 특정 분야에만 한정됨 현재 QASE 로부터 인증을 받은 한 개 기관(Ethiopian Management System Certification Body)이 운 영 중으로 농업과 수산업 분야에서 ISO 9001 인증 획득

관련 기관

에티오피아품질표준관리청(The Quality and Standard Authority of Ethiopia, QSAE) 1970년에 설립된 에티오피아 정부 기관으로 수출입 품목에 대한 규제를 담당 수입품 안정성 테스트(Testing) 및 적합성 평가(Conformity Assessment)도 담당 QSAE 는 아래의 모든 국제표준기구의 멤버로서 국제표준규정을 준수함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Legal Metrology (OIML)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 African Reg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ARSO)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67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적합성 평가의 경우, 수입 품목에 따라 아래의 기관을 이용할 수도 있다 Building Design Enterprise Addis Ababa University Faculty of Technology Ethiopian Health and Nutrition Research Institute.

나. 라벨 및 마킹 요구사항

모든 수입 상품에는 분명하고 서류와 대조 가능하도록 라벨 및 마킹이 되어 있어야 한다. 라벨 및 마킹과 관련한 규정은 아래의 에티오피아 품질표준관리청(Quality and Standards Authority of Ethiopia, QSAE)에서 담당하고 있다.

Quality and Standards Authority of Ethiopia (QSAE)

points of contact: Director General P. O. Box 231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46-0569 Fax: +251-11-646-0880 E-mail: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http://www.qsae.org

7. 지식재산권

가. 개요

2003년부터 에티오피아 정부는 에티오피아 지적재산권 관리소(Ethiopi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EIPO)를 설립하고 상표, 판권, 기타 지적재산권 관련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현재 관광 및 서비스 분야에 서 사용되고 있는 상표 등에는 법적 권한이 주어지지 않은 것들이 많이 있다.

에티오피아는 아직 세계지적재산권보호기구(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를 비롯 하여 여러 지적 재산권 관련 기구 가입 및 조항 서명이 되어있지 않다. 하지만 정부는 2015년 까지 Berne convention 과 Madrid protocol 에 가입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에티오피아에서 지적재산권에 대한 보호는 매우 어렵다. 세계적인 표준보다는 국내 또는 지역법에 의해 보 호가 되는 경우가 많음. 따라서 지적재산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관련 법안을 먼저 살펴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68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8. 통관절차 및 운송제도

가. 최신 통관 동향

에티오피아는 2012년 1월부터 정부령으로 수입물품 운송. 통관에서 복합운송 시스템(Multimodal Transportation System) 이용을 의무화하고, 과거 운송담당 국영기업 Ethiopian Shipping Lines(선사), Dry Port Services Enterprise(내륙항 관리기관), Maritime & Transit Services 3개를 Ethiopian Shipping and Logistics Enterprise(ESLE)로 통합, ESLE 을 독점 복합 운송업체로 지정해 해상운송과 내 륙운송을 전담했었다. 그러나 새로운 시스템 도입 후 실행과정에서 많은 차질이 발생, 에티오피아의 수출 입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인근국 지부티 항에 3만 개 이상의 컨테이너 적체현상이 발생하는 등 수출입 운송·통관에 큰 지장을 초래했다.

과거 에티오피아의 수입업체는 원칙적으로 Ethiopia Shipping Line 의 해상운송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제약이 있으나, 수입물품이 지부티에 도착한 이후에는 보관 및 에티오피아로의 내륙 운송 등의 서비스는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12년 1월 신제도가 도입되면서 에티오피아 수입업체는 ESLE 와 1개의 복합운송 계약을 체결하게 됐고, 최종 도착항을 에티오피아 내륙의 Dry Port 로 지정하면서 ESLE 는 선상, 내륙운송 등 전 과정을 담당하게 된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기존에 운영하던 Mojo 와 Semera 이외에 6월부터는 Dire Dawa, Mekelle, Moyale, Woreta 등을 추가 국내 여섯 곳의 내륙항(Dry Port)을 수입 물품의 최종 목적지로 지정한다. 선박이 지부 티에 도착한 이후 별도 절차 없이 물품을 지부티항에서 국내 내륙항으로 곧바로 들여올 수 있어 외화 소비 를 절감시키고 수입절차 간소화를 기대했으나 기존에 지부티 항에 도착한 물류를 소비자들이 통관 에이전 트를 통해 개별적으로 운송해오던 것을 통합된 한 기관에서 관리하게 되면서 시스템 과부하로 적체량 증가 현상이 일어난다.

2012년 1월 도입 복합운송시스템

목적: 지부티 항 등에서의 창고비 등 절감을 통한 외환 절약 및 수송 합리화 복합운송업체: 국영업체 ESLE(Ethiopian Shipping and Logistics Enterprise) 독점. Ethiopian Shipping Lines(ESL), Dry Port Services Enterprise(DPSE), Maritime & Transit Services(MTS)를 통합, ESLE 설 치 복합운송 대상물품: 정부 물품과 에티오피아 내 상업은행(민간 은행 포함)에 L/C 를 개설해 수입하는 물품 *주) 대부분의 수입물품이 대상 내용: 1개의 복합운송업체(ESLE)와 운송·통관계약을 체결하고 최종 도착지는 에티오피아의 국세청 (Ethiopian Revenues and customs Authority)가 지정한 에티오피아 내의 Dry port 로 제한

2012년 11월에는 Hailemariam 수상이 참석한 경제인회의에서 새로운 시스템에 대해 다수의 업체가 불 만을 제기했으며 ESLSE 에서는 컨테이너가 Mojo 항에 적체된 335개 업체에 우선적으로 리스트를 발표한 바 있다. 11월 기준으로 약 5600개 컨테이너가 Mojo 항에, 2만2000개가 지부티항에 적체된 것으로 파 악된다.

그러나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불만 제기가 계속 되면서 에티오피아 정부는 하나로 통합된 기관을 Shipping, Logistic, Supportive, Terminal 등 네 개의 기관으로 분리하는 것, 그리고 Terminal 과

69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Logistic 부분은 민간기업에서 관리하는 방안을 포함해 DP World 등 해외 해상서비스 업체, 컨설팅 기업 을 포함 국내외 관계자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현지 언론에서는 이러한 방안이 채택될 경우 분야별로 독 립된 운영으로 지금보다는 효율적인 수출입 통관이 가능할 것이나 통관업체 관계자는 단시간 내에 잦은 시 스템 변경으로 혼란이 가중될 수 있고 외환사정 악화로 인한 원활한 외환배정의 문제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어 큰 개선은 어려울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자료원: Addis Zemen, Capital, Ethiopian Shipping Lines

나. 대리인(Agent) 및 배급사(Distributor) 선정

현지 시장의 효율적 접근을 위해 현지 대리인 및 배급사를 두는 것이 효과적이다. 수입업은 에티오피아인 에게만 허용되며, 수입상 또는 해외기업의 현지 에이전트는 무역부(Ministry of Trade)로부터 수입 라이선 스를 획득, 공식 수입상 또는 에이전트로 등록하고 에티오피아아 중앙은행에서 외환거래 허가를 받아야 수 입이 가능 하다.

외국환 부족으로 수입을 위한 외화 확보에 2-3주의 기간 필요 정부, 국영기업에서 사용하는 장비 및 물품과 프로젝트 입찰, 의약품 등은 대부분 국내, 해외기업이 참가하 는 경쟁 입찰을 통해 구매가 이루어지며 외국기업은 현지 에이전트 또는 사무소를 통해 입찰 참가

정부 물품 구매 재정개발부(Ministry of Finance & Economic Development) 중앙 구매공사에서 구매

전력, 도로 등 국가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에너지부, 교통운송부 등에서 경쟁 입찰을 통해 건설업체, 공급업체 선정

건설용 중장비, 섬유기계 등 자본재의 경우 수입상이 자기 명의로 수입할 경우 수입관세 이외의 별도의 Sur-tax 가 부과되므로 수입상은 구매자(End user)가 있을 경우 구매자 명의로 수입을 하는 것이 관행이다.

수입에서부터 소비자에 대한 상품의 일반적 유통은 특유의 독특한 채널은 통해 이루어지는데, 수입상 또는 현지 에이전트에 의해 통관 절차를 거친 수입품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노천 시장인 아디스아바바의 Merkato 의 도매상에서 1차로 판매되고, 다음으로 소매상, 소규모 벤더를 거쳐 최종 소비자에게 이른다. 수입상은 아디스아바바 인근에 대형 창고를 보유하고 Merkato 의 도매상의 주문에 따라 제품 공급하고 지 방 소매상은 Merkato 의 도매상에게 제품 구매한다.

내륙국 에티오피아는 대부분의 상품의 수출입은 인근국 지부티에 소재한 항구를 거쳐 이루어지고 있으나, 최근 에티오피아 정부는 지부티 항의 항구 이용료 등 부대비용 인상에 대해 대응하고, 수입 절차의 간소화, 신속화를 위하여 수도 아디스아바바 등 전국에 4-5개의 Dry port 를 건설하고 있다.

에티오피아에는 화물 운송용 철도가 없어 지부티 항에서 아디스아바바, 기타 내륙운송을 트럭을 이용, 지 방으로 제품 운송한다. 2011년 11월 에티오피아는 중국정부와 아디스아바바와 지부티항을 연결하는 철도 건설을 위한 파이낸싱에 합의한 바 있으며 2012년 철도 건설 시작 예정이다.

70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에티오피아 기업이 L/C 거래를 할 경우 L/C 를 개설하는 에티오피아 은행은 수입업자에게 에티오피아 독점 국영선사 Ethiopian Shipping Line(ESL)을 이용할 것을 권유하고 있으며, ESL 을 이용한 운송료는 외환으 로 지급하며, 고가이다. 미화 5,000달러 미만까지 T/T 지급이 가능하고, 5천불은 이상은 L/C 를 개설해야 한다.

다. 지사 설립

절차: 지사 설립을 위해서는 아래 서류 필요 모회사의 사업자 등록증 사본 사업 분야와 관련한 기관 및 협회 등록증 사본 모회사 이사회의 지사 설립 공문 및 에티오피아 내 유사한 권한을 가진 기관의 공문 (문서는 사업 내용, 모 회사로부터 권한을 부여 받은 결정권자, 총자본금 등을 포함) 법률 및 사무처리 위임장 공인 은행으로부터 발행된 재무정보문서(Financial Reference) 에티오피아 내 지사 설립을 알리는 현지 신문 공고

관련 주요기관 Ethiopian Investment Agency (EIA) Ethiopian Revenue and Customs Authority (ERCA)

세계은행 보고서 “에티오피아에서 비즈니스 하기” (World Bank's Doing Business in Ethiopia report) http://www.doingbusiness.org/ExploreTopics/StartingBusiness/MoreDetails.aspx?economyId=66

라. 프랜차이즈

외국기업에 의한 현지 프랜차이즈 운영 사례는 없다. 시설 미비, 표준화 된 유통망 부재, 외환 비용 등이 프 랜차이즈 사업의 걸림돌로 꼽힌다.

마. 합작투자(Joint Venture) 및 라이센싱(Lisencing)

에티오피아 정부는 합작 형태의 투자 유입을 장려하고 있다. 에티오피아 정부가 장려하는 합작투자 분야는 다음과 같다.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 전수 및 이전, 국내 외화 유입을 촉진하고 및 무역수지를 개선시 킬 수 있는 사업 분야, 현지주민 고용 등 국내 자원을 극대화 하는 사업 (제조업 등), 사업간 연계를 활용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사업 분야이다.

바. 정부조달

경매입찰 방식의 정부 조달 사업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허가를 받아야 한다. 에티오피아 재정경제부는 2010년 중앙조달부서를 설립, 정부 조달과 관련한 모든 절차를 관리하고 있다. 에티오피아에서는 행정 절 차와 의사결정 지연으로 인해 조달 사업 참가 기업들은 참여에 방해를 받거나 재정적 손실에 노출되는 경 우가 많다.

71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사. 전자상거래(E-commerce)

에티오피아에서의 전자상거래 사업은 아직 초기 단계임 신용카드 사용은 드물고 인터넷 또한 매우 느리고 불안정함 Seacom 케이블망 연결 이후 인터넷 환경은 점차 개선되고 있다

에티오피아 전자상거래 관련 사이트

에티오피아 상업 거래소 (http://www.ecx.com.et) Ethio Gift (http://www.ethiogift.com Ethio-Market (http://www.ethiomarket.com) Genuine Leather Craft (http://www.genuineleathercraft.com) 제멘(Zemen) 은행 (http://www.zemenbank.com)

아. 제품광고 및 프로모션(Promotion)

정부 소유의 대중매체(방송, 라디오, 신문)와 출판물을 이용한 광고가 효과적 아디스아바바 상공회의소는 매년 2월 대규모의 국제상품박람회 개최 제품광고 및 프로모션과 관련 기관은 아래와 같음

에티오피아 상공회의소

Addis Ababa Chamber of Commerce and Sectoral Associations P.O. Box 2458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2-8120 Fax: +251-11-551-1479 이메일: [email protected] http://www.addischamber.com

Ethiopian Chamber of Commerce and Sectoral Associations Tel: +251-011-551-8240 Fax: +251-011-551-7699 E-mail: [email protected] http://www.ethiopianchamber.com

국영 매체

Ethiopian News Agency P.O. Box 530 Tel: +251-11-155-0011 Fax: +251-11-155-1609 E-mail: [email protected] or [email protected]

72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Ethiopian Radio and Television Agency P.O. Box 1020/5544 Tel: +251-11-550-5483 / 553-6566 Fax: +251-11-550-5174 E-mail: [email protected] http://www.erta.gov.et

광고 대행

Horizon Ethiopia P.O. Box 26782/100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18-4045 이메일: [email protected]

Afro Link Studio P.O. Box 1126, Code 111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1-1085 이메일: [email protected]

B.T. Digital Advert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3-1717 Fax: +251-11-662-6545 이메일: [email protected]

현지 뉴스 및 언론매체

Addis Business P.O. Box 2458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1-8882 이메일: [email protected]

The Ethiopian Herald P.O. Box 30701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2-5457 Fax: +251-11-156-9862 이메일: [email protected] http://www.ethpress.gov.et

자. 가격설정

관세(0-35%, 평균 17%), 부가세(15%), 특별 소비세, 운송 비용 및 현지화(Birr) 환율 등을 반영, 가격 결정된다. 수입품목의 가격은 아래와 같은 세금이 더해 책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73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관세 (HS 코드에 의한 분류 기준) 15%의 부가가치세 2%의 원천징수세 총 10%의 누진소득세 및 소비세

9. 시장 특성

오랜 기간 독립을 유지해 온 아프리카의 몇 안 되는 국가인 만큼 자존심이 매우 강하다. 그렇기 때문에 역 사나 정치적 성향에 관한 대화를 나눌 때에는 특히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성과 이름으로 구 성되어 있는 경우와 달리 에티오피아인들의 이름은 (본인이름)-(아버지 이름)-(할아버지 이름)로 구성되어 있다. (Mr.는 Ato 라고 부른다.)

기타 참고 사항

ㅇ 언어 지역별로 언어가 상이하나 비즈니스 상에서는 영어가 널리 쓰이고 있다.

ㅇ 복장 비즈니스 미팅에서는 서구식 정장이 권장된다

ㅇ 약속 유선 또는 이메일을 통해 미리 약속을 정하고 만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약속 날짜 며칠 전 일정을 확인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ㅇ 선물 초대를 받았을 경우 지참하는 것을 권장한다.

ㅇ 인사 악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74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10. 바이어 발굴

www.kotra.or.kr 의 해외시장조사부분의 바이어 찾기 서비스를 이용하기 바란다.

바이어 찾기 서비스는 고객요청에 따라 전세계 해외 무역관에서 해당 품목을 취급하는 바이어 정보를 유료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특징 - KOTRA 의 바이어 찾기 서비스는 고객의뢰 시점에 해외 무역관에서 바이어를 접촉, 발굴하여 KOTRA 수출전문위원과 고객이 공동으로 확인 후 고객이 거래알선을 추진하는 서비스입니다. - 정보내용은 고객의뢰 품목 현지시장 핵심 포인트, 시장동향 요약, 관심 바이어(1개사 이상)및 잠재 바이 어(3개사 이상)로 구성됩니다. 유의사항(중요) - 이 서비스는 국내생산제품의 바이어 발굴인 경우 가능하며 제품에 대한 영문카탈로그 혹은 영문 홈페이 지를 보유한 경우에 이용가능하오니 이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모든 조사는 현지 무역관의 사전검토 후 진행되며 사전검토 및 조사 중 다음과 같은 사유로 조사가 거절 될 수 있습니다. 1)해당 국가의 직, 간접적인 수입제한 품목인 경우 2)해당 국가의 시장성이 미약하거나 거래의사를 가진 바이어가 거의 없는 경우 3)해당 무역관의 지사화 품목인 경우 4) 3개월 내 동일품목으로 조사가 기 진행된 경우 이 서비스는 정확한 바이어 정보전달을 위한 것으로 바이어의 한국으로부터 수입을 보장하는 서비스는 아님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KOTRA 사업안내1600-7119

11. 상관습 및 거래 시 유의사항

가. 일반

에티오피아인들은 처음에는 공적으로 대하나 친해질수록 사적 관계로 가는 경향이 있다. 에티오피아인들 의 이름은 (본인 이름)-(아버지 이름)-(할아버지 이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식적으로도 존칭 +이름(First Name)을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즈니스 석상에서 부르는 존칭

남자: Ato(아토, 영어의 Mr.와 동일) 여자: 기혼자는 Woizero(워이저로, 영어의 Mrs.와 동일) 미혼자는 Woizerit(워이저릿, 영어의 Ms.와 동일) 예를 들어, 남자의 경우에는 ‘A to + (본인 이름)’이라 부르는 게 일반적임

75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공무원을 대할 때

에티오피아의 공권력은 매우 강하므로 최대한 존중해야 함 절차나 개인의 권리를 주장하기보다는 공무원의 말을 듣는 것이 더 현명함 해당 공무원을 자극할 경우, 일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음

팁(Tip) 제도

호텔과 주요 고급식당의 경우, 10%의 봉사료와 15%의 부가세가 포함 팁 문화가 크게 자리 잡은 것은 아니나 통상 0.5-2% 정도 지불

12. 주요 전시회 개최일정

전시회나 무역 관련 이벤트는 아래 사이트에서 검색이 가능하다. http://www.export.gov/tradeevents/index.asp http://www.export.gov/ethiopia/ http://www.addischamber.com/aaccsa/tradefair/ http://www.addisexhibitioncenter.com

개최 기간 전시회명 주 최 자 장 소 전시 품목

City Government of Addis Addis Ababa 1월15일 5th Micro and Small Ababa Micro and Small Exhibition N/A ~1월19일 Enterprises Fair Enterprise Development Center Bureau

Addis Ababa 1월23일 Century General Trading Construction World Exhibition N/A ~1월27일 PLC Center Addis Ababa City Addis Ababa 2월1일 Administration Technical Educational Fair Exhibition N/A ~2월5일 & Vocational Education & Center Training (TVET) Agency Addis Ababa 2월3일 Inland Revenue and Custom’s Week Exhibition N/A ~2월8일 Customs Authority Center

Addis Ababa Chamber of Addis Ababa 2월20일 18th Addis Chamber Commerce & Sectoral Exhibition N/A ~2월26일 International Trade Fair Association Center

76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개최 기간 전시회명 주 최 자 장 소 전시 품목

Addis Ababa 3월5일 10th International Ed Stelar PLC Exhibition N/A ~3월9일 Automotive Trade Fair Center 1st Ethio Chamber Ethiopia Chamber of Addis Ababa 3월12일 Education Development Commerce & Sectoral Exhibition N/A ~3월17일 Trade Fair & Forum Association Center 1st International Textile, Addis Ababa 3월21일 Adika Communication and Design and Fashion Expo Exhibition N/A ~3월25일 Events PLC in Ethiopia Center Addis Ababa 3월28일 6th Session Ethio Poultry Expo Team for Service Exhibition N/A ~3월30일 Expo Co.Ltd (SUDAN) Center

Addis Ababa 3월28일 2nd Ethiopia Water ODC (Ohad Development Exhibition N/A ~3월30일 Exhibition Commuinications) Center Addis Ababa 3월29일 Century General Trading Easter Bazzar & Exhibition Exhibition N/A ~4월19일 PLC Center Addis Ababa Chamber of Addis Ababa 4월24일 3rd Tourism and Travel Commerce & Sectoral Exhibition N/A ~4월28일 International Trade Fair Association Center City Government of Addis Addis Ababa 5월2일 Ababa Administration Addis Expo Exhibition N/A ~5월6일 (Trade & Investment Center Bureau) Addis Ababa 5월14일 Ethiopian Development ODC (Ohad Development Exhibition N/A ~5월18일 Week Commuinications) Center Ethiopia Chamber of Addis Ababa 5월20일 Industry Week Exhibition Commerce & Sectoral Exhibition N/A ~5월25일 Association Center Ministry of Addis Ababa 6월5일 7th ICT Exhibition, Communication & Exhibition N/A ~6월9일 Bazzar & Conference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 (MCIT)

77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개최 기간 전시회명 주 최 자 장 소 전시 품목

Ethiopian Horticulture Addis Ababa 6월11일 Ethiopia Flora Expo Producer Exporters Exhibition N/A ~6월15일 Associations Center Addis Ababa Chamber of Addis Ababa 6월19일 7th AGRIFEX Addis Commerce & Sectoral Exhibition N/A ~6월23일 Chamber Trade Fair Association Center

Addis Ababa 6월19일 MRT Advertising and Children Fair Exhibition N/A ~6월23일 Promotion Center Addis Ababa 7월16일 Expo – World Book Fair 서적 및 출 N/A Exhibition ~7월26일 & Media Expo 판물 Center

Addis Ababa 10월24일 Ladin Fair Congress 건축장비 및 Addis Build Exhibition ~10월27일 Organization 설비 Center

13. 수출 시 애로사항

가. 수출 시 애로사항

1인당 미화 365달러의 낮은 소득으로 가격이 중요한 시장이며, 중고가 소비재의 경우 시장이 제한적이다. 자본재의 경우 투자 기업(End user)이 직접 생산설비 신설, 확충에 사용할 경우 Sur-tax 가 면제되지만 수 입상 명의로 수입할 경우 고율의 Sur-tax 가 부과되므로 수입상의 재고 보유가 어려워 구매 물량이 제한적 이다.

2003년 에티오피아 지적재산권 관리소(Ethiopi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EIPO)가 설치되어 지적 재산권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나, 관광 및 서비스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표 등에는 법적 권한이 주 어지지 않은 것들이 많이 있다.

내륙국 에티오피아는 상품 수출입은 홍해에 인접한 지부티에 소재한 항구를 거쳐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부 티에서 수도 아디스아바바 등 내륙으로의 운송은 트럭을 활용하고 있고 L/C 를 통한 수입의 경우 수입업자 는 에티오피아 독점 국영선사 Ethiopian Shipping Line(ESL)를 이용해야 하므로 고가의 운임, 통관 및 운 송기간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78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Ⅳ. 투자

1. 투자환경

가. 에티오피아 투자환경

지리적 이점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의 뿔에 위치해 있으며, 북쪽에 에리트레아, 동쪽에 지부티와 소말리아, 남쪽에 케 냐, 서쪽에 수단과 남수단에 국경을 접하고 있다. 동아프리카 지구대가 지나간다. 전체 면적은 1,127,127km²이며 세계에서 27번째로 큰 나라이다. 볼리비아와 크기가 비슷하며 알래스카 주의 3분의 2에 해당한다. 에티오피아의 주요 부분이 아프리카의 뿔에 해당하며 아프리카 전체의 가장 동쪽 부분에 해 당한다.

ㅇ 국가 성장 계획 (Growth and Transformation Plan, GTP)

GTP 는 2010년 11월에 발표된 5개년 단위의 투자 유치 계획으로 GDP 기준 연 평균 최저 11%(최대 14.9%) 성장을 제시하였다. 거시경제 안정, 국가 인프라 건설, 농업과 제조업 분야의 생산 증가를 주요 내 용으로 하고 있다.

유휴 농지 개발, 농산물 상품화, 농산물 가공을 통한 생산 증대 섬유/직물, 가죽 제품, 농산물 가공 산업 육성 면, 가죽 등 국내 생산 원자재 부가가치 확대 수출산업 및 수출대체 산업 육성 전력, 도로, 철도, 통신 등 인프라 확대

외국인 투자 유치를 통한 농업, 제조업을 육성하고 있다. 2009년부터 농업단지에 대한 민간투자를 장려, 정부 소유 토지의 장기 임차를 통해 대규모 상업 농장 조성 추진되었으며, 농업, 제조업(섬유, 피혁, 농산물 가공, 화훼 등) 외국인 투자유치 인센티브 강화했다.

에티오피아 외국인투자유치 인센티브

토지 - 정부와 협의를 통해 저렴한 가격으로 리스 가능 - 토지는 국가소유 최대 99년까지 리스 허용 조세 - 기업 설립을 위한 기계, 장비, 공장 건설자재 등 100% 면세 수입 - 외국인 근로자에 대하여 소득세 2년간 면제 - 수출 실적에 따라 2-7년간 소득세 면제 - 수출용 원자재 무관세 수입 (내수용 직물, 의류는 35% 관세 부과) 금융 - 에티오피아 개발은행, 신규 투자에 대하여 총 투자액의 70%까지 융자

79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 이자율 7.5%, 5년 거치 후 상환

에티오피아 투자 관련 유의사항

ㅇ 에티오피아 정부는 경제개혁과 경제자유화 추진

- 1994년 이래 약 260개의 공공기업을 민영화한 바 있으며, 민영화 지속 추진 중 - 주요 분야는 호텔, 상점, 식당, 음료수, 면화, 섬유 등 - 대부분의 공기업 민영화 과정에 외국인도 참가 가능 - 2010년 이후 IMF 의 권고 및 조치로 에티오피아의 투자제도는 크게 개선되었음. - 에티오피아 투자청(Ethiopian Investment Agency, EIA)은 “one-stop shop"을 개설, 외국인 투자기업 지원 - 은행, 보험, 항공운송 등 주재국 국적인 및 국내 투자가들에게만 허용되는 분야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 외 국인 투자 가능 - 통신, 전력 등 공공재는 정부 기업 독점 - 인력 부족, 법조인의 상거래 관련 경험 부족으로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사법시스템의 개혁 - 상사분쟁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시스템 도입 - 아디스아바바 상공회의소의 중재를 통해 분쟁의 신속한 해결 가능. - 복잡한 정부 행정서비스 절차, 통관 지연 등 정부 서비스 개선 추진

ㅇ 외국인 투자기업의 기업 활동을 위한 생산 요소

- 모든 토지는 국가소유로 매매가 불가능하며, 다만 국가는 기업, 개인에게 99년까지 장기로 리스를 하고 있으며, 리스 권리는 매매가 가능 - 토지 개인소유 불허, 리스 방식 99년까지 장기 임대 - 전력, 통신, 도로 등 공공 인프라 확대, 개선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전력은 공급이 부족하고, 통신 인 프라 낙후, 도로 부족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임. - 기업의 금융 접근 제한 - 인구의 36%에 이르는 문맹률 등으로 숙련 인력, 관리 인력 부족

ㅇ 시장 접근

- AGOA, EBA 를 통해 미국 및 EU 에 대한 무관세 수출 - COMESA(동남 아프리카경제공동체)를 통해 동남 아프리카 국가 시장 접근 용이 - 2011년 말에는 중국은 에티오피아에 대한 무관세 수출 자격 부여 - 에티오피아의 빠른 경제성장에 따른 내수시장 확대

나. 세계무역기구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가입 심사

에티오피아는 2003년부터 WTO 가입 심사 절차를 밟고 있다. 2006년과 2007년에 걸쳐 무역규정에 관 한 각서와 첫 번째 질의 응답서를 제출하였고 2008년 5월에 첫 번째 가입작업심사를 거쳤다. 2009년 3월 에 두 번째 질의 응답서를 제출했다. 2014년까지 가입을 완료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

80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2. 외국인 투자동향

가. 투자현황 일반

에티오피아 투자청 집계에 따르면 1992-2014년 간 외국인 직접투자는 총 6,016개의 투자 프로젝트(22 억 불규모)를 승인, 이 중 2,038개(33.9%)가 제조업 분야에서 이뤄졌고, 나머지 중 1,199개(19.9%)는 농업, 광업분야에서 이뤄졌다. 투자건 수는 모두 714,325개의 정규 일자리와 1,140,708개의 비정규직 일자리를 창출했다. 외국인투자 희망분야는 주로 건설, 식료품(맥주 및 음료수, 낙농), 가죽, 면화, 소규모 차량조립 및농업분야로 사우디,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등이 최대 투자국이다. 국내 투자는 에티오피아 최대 기업인 Midroc 사, EFFORT 사, Sunshine 사 등에 의해 주도되고 있고, 호텔사업, 항구 개발사업에 중점 투자되었다.지난 8년간 약 255개의 공공기업을 민영화하고, 동 작업을 계속 추진하고 있으나, 민영 화가 당초 계획보다 많이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ㅇ 토지 개인소유 불허, 은행제도의 폐쇄성 등 투자 걸림돌 ㅇ 1993.1. 노동법을 개정하여 결사권, 단체 교섭권 등을 규정하여, 파업 등 단체행동은 적으나, 분쟁발 생 경우재판절차 지연, 융통성 없는 규정 해석 등으로 외국인 투자가의 불평을 사고 있는 상황 ㅇ 1992.8.~2011.7. 기간 중 6,951건 350억 달러의 투자 신고 (825,077명의 정규직, 1,272,556명 임시직 고용 창출). - 투자신고 실적 가운데 제조업 2,334건 183억 달러, 농업 1,674건 93억 달러 - 2011.7.까지 투자가 이루어진 건은 1,973건 113억 달러임. - 에티오피아의 제1의 투자가는 사우디계 사업가인 Al Amoudi 의 Midroc 로, 호텔사업, 제조업 등에 다 양하게 투자

에티오피아에 진출한 주요 글로벌 기업

운송 및 기계: Boeing, John Deere, GM, Ford, Federal Express, Caterpillar, Toyota 생활소비재: Coca-cola, Pepsi, Proctor & Gamble, 3M 전자통신: Samsung, LG, Microsoft, Xerox, Cisco 식음료: Heineken, Diagio, BGI Castel, Bavaria 기타: Sheraton, Hilton, Navistar, Cargill 등

나. 섬유산업 및 피혁산업 외국인 투자 현황

섬유. 피혁산업 개요

에티오피아의 농업과 연계한, 농업 중심의 국가발전계획(GTP)에서 제조업에서는 수출 확대 및 수입대체, 고용 창출, 제조업 기반 구축을 위해 우선 육성하려는 분야로 에티오피아가 우수한 자연조건 및 풍부한 저 임 노동력, 면과 가죽 등의 원자재 확보 잠재력 등에서 비교 우위를 갖고 있는 분야이다.

GTP 수출목표 (2010 → 2015) 섬유 미화 2천320만 달러 → 10억 달러 (2015) 에티오피아는 GTP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섬유산업의 경우 2015년까지 16억 달러의 투자가 필요, 외국인 투자인센티브를 강화하고 있다.

81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섬유산업

ㅇ 섬유산업 진출 여건 - 면 생산에 적합한 미개척 토지와 기후, 260만 헥타르(파키스탄 면적에 버금)의 면 생산 적격지 중 5% 만을 활용 중 - 저렴한 토지 비용: 0 - 3 USD/m2로 60-80년간 Lease 가능(토지는 국가 소유) - Bole-Lemi 산업단지 내: 공장임차- 1.62 USD/m2, 토지임대- 0.54 USD/m2 - 인도, 터키, 에티오피아 기업의 면 재배 확대 - 저렴한 노동력 및 전력: 월 임금 40-50불 / 6 US cents/kwH - 국가 인프라 확대: 도로 및 철도 확장, 댐 건설 등 - 2013년 말 1차 완공을 목표로 섬유수출공단 조성중

ㅇ 시장 접근 여건 - 미국(African Growth and Opportunity Act), EU(Everything but Arms)에 대한 무관세 수출 - 내수시장 성장 (인구 연 2.6% 증가, 연 10% 이상의 경제성장)

SWOT 분석: 에티오피아 섬유의류산업

강점 약점 - 풍부한 저임 노동력 - 토지 등 잠재능력의 저조한 활용 - 넓은 토지, 양호한 기후 조건을 - 낮은 또는 중간 수준의 기술 - 기반으로 한 면 생산 잠재력 - 관리, 구매, 마케팅 스킬 부족 - 낮은 생산 코스트 - 숙련 인력 부족, 훈련 시설 제한 - FDI 에 대한 우호적 정책 환경 - 밸류 체인 전 과정에 걸친 우수한 - Agoa, Eba 등을 통한 미국, 유럽 - 품질의 원자재 적시 공급의 어려움 - 시장에 대한 관세 면제 혜택 - 품질 기준, 디자인에 대한 낮은 지식 - EU, 중동, 미국 시장에 대한 - 비용 분석, 비용 통제에 대한 인식, - 용이한 접근 - 인센티브 부재 기회 위기 - 경쟁 심화 - 섬유의류 생산을 아시아에서 - 열악한 인프라 - 아프리카로 이전하려는 미국, 유럽 - 내륙국가의 한계 - 수출업체의 관심 증대 - 소규모 저개발 섬유의류산업 - 내수시장 확대 - 현지 원자재, 기계 부품산업 부재 - LDC(Least Developed Country)로서의 지위 - 효율적 지원기관, 산업 부족

섬유산업 외국인 투자현황 1992-2011.2월 197건, 약 8.6억 달러 투자 신고 2008년 이후 FDI 131건 7.8억 달러

주요 투자기업 Ayka Addis Textile: 터키 기업. 1일 20톤의 Spinning 능력 보유(1억 달러 투자) CLC Industries Plc: 인도 투자 기업. 2,500 헥타르의 토지에 면을 재배,

82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2011.12월부터 수확, 70백만 달러 투자 규모의 방직공장에서 Yarn 생산 예정 Spintex India: 인도 기업. 1일 100톤의 yarn 생산공장 및 5만 헥타르의 면 재배농장 개설 예정

다. 최근동향

2013년 6월 27일 미국은 Ethiopian Airlines 앞으로 1.3억 달러 규모의 금융 지원을 승인하였다. 미국 수 출입은행은 Ethiopian Airlines 앞으로 보잉사의 장거리 항공기와 GE-90엔진 등의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1.3억 달러 규모의 금융 지원을 승인하였고, 이를 통해 미국의 항공기 및 항공기 엔진제조 관련 산업에 약 700여 개의 일자리를 지원하게 될 것으로 추산된다. 이번 거래는 미 수출입은행 Fred P. Hochberg 총재 의 에티오피아 방문 중에 승인되었으며, 에티오피아의 수도인 Addis Ababa 에서 일주일 동안 에티오피아 과 남아공에서의 사업 개발을 위한 미국 수출입은행과 에티오피아 정부 및 기업 지도자들과의 회의가 개최 되었다.

3. 한국기업 투자동향

가. 개요

우리기업의 에티오피아 투자 진출은 아직 미미한 편이다. 우리나라 기업은 1996년부터 2012년 말까지 15건, 4,284천 달러 되었으며 투자금액은 2,017천 달러 이다. 투자 분야는 기계 및 장비 임대, 제조업에 집중되어 있고, 대부분 100만 달러 미만의 소규모 투자되었다.

한국의 대에티오피아 투자현황 (단위: 건, 개, US$ 천) 연도 신고건수 신규법인수 신고금액 투자금액 Total 37 11 11,352 4,578 1996 1 1 500 125 1997 1 - 500 402 2001 1 1 800 611 2002 2 - 1,200 749 2007 2 - 1,000 - 2011 3 2 183 130 2012 1 1 101 101 2013 1 1 900 91 2014 25 5 6,168 2,369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2015.4.)

83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한국의 대에티오피아 업종별 투자현황 (단위: 건, 개, US$ 천) 업종 신고건수 신고법인수 신고금액 송금횟수 투자금액 합계 15 8 5,934 21 2,959 제조업 6 4 2,583 6 721 도매 및 소매업 4 2 351 4 351 부동산업 및 임대업 3 1 2,000 8 1,360 보건업 및 사회복지 2 1 1,000 3 527 서비스업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2014.12.)

4. 한국기업 진출현황

경남기업

8개 도로공사 완료(총 2억 9천만불), AfDB 및 WB 주관 3개 도로 건설 프로젝트 진행중, 현지인 1만여 명 고용

진출국가 에티오피아 진출지역 아디스아바바 회사명(국문) 경남기업㈜ 회사명(영문) Keangnam Enterprises, LTD. 주소 P.O.Box 2351, Addis Ababa, Ethiopia 전화 (251-11)663-7610 팩스 (251-11)663-7614 e-mail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kne.co.kr 해외대표 정철진 상무 진출형태 지점 진출년도 1997 업종 건설업 취급분야 종합건설업(토목,건축,플랜트 외) 투자금액(천 USD) 150,000,000 연간매출(천 USD) 100,000,000 종업원(한국) 46 종업원(외국) 10,000 모기업명 ㈜경남기업 모기업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답십리 경남기업 모기업전화번호 (02)2210-0500

㈜에스디에티오피아

진출국가 에티오피아 진출지역 아디스아바바 회사명(국문) ㈜에스디에티오피아 회사명(영문) Standard Diagnostics, Inc. Ethiopia 주소 Nifassilk Lafto, Kebele05, Adot multiplex 1st floor, Addis Ababa, Ethiopia 전화 (251-923)787-751 팩스 - e-mail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standardia.com

84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진출국가 에티오피아 진출지역 아디스아바바 해외대표 이성기 진출형태 연락사무소 진출년도 2011 업종 제조업 취급분야 화약·의약(각종 질병 진단시약 생산) 투자금액(천 USD) 300 연간매출(천 USD) 10,000 종업원(한국) 1 종업원(외국) 2 모기업명 Standard Diagnotics, Inc. 모기업주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하갈동 136-68 모기업전화번호 (031)899-2865

명성개발

2004년 명성병원 건립(527만 불 투자), 2012년 명성 의과대학 개교, 현재 VIP 병동 건립사업 추진 중이 다. 명성병원(MCM, 명성크리스천메디컬센터): 명성교회(1980년 설립)가 2004.11.25. 에티오피아에 개 원한 병원으로 현지에서 “Korea Hospital”이라 불리고, 참전용사 포함 현지인들에게 의료혜택을 제공하며 초기 한국 이미지 제고에 기여했다. 의과대학 설립하여 현지 의료진 양성 중이다.

진출국가 에티오피아 진출지역 아디스아바바 명성메디컬센터 Myungsung Medical Center Addis 회사명(국문) 회사명(영문) 아디스아바바 Ababa, Ethiopia 주소 Bole Kiffle Ketema, Kebele 11, Addis Ababa, Ethiopia P.O.Box 15478 (251-11)629-2963, 전화 팩스 (251-11)629-2795 (251-11)629-5420~27 e-mail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mcmet.org 해외대표 김철수 진출형태 서비스법인 진출년도 2004 업종 취급분야 종합병원

투자금액(천 USD) 25,000 연간매출(천 USD) 3,306 종업원(한국) 31 종업원(외국) 331 모기업명 명성교회 모기업주소 서울 강동구 명일동 모기업전화번호 (02)440-9000

섬유업체 BM Ethiopia Garment & Textile S.C.사 진출(2010년) 의류제품(병원 유니폼, 교복 등) 생산 착수(2010.12.27.) 현지인 1천여명 고용 자본: 13백만 미불 (에티오피아 정부와 합작, 정부지분 17%)

LG 전자 현지기업 METRO PLC 에 부품공급과 기술지원 중 10.11월 LG TV 조립생산 라인 신설 (연 72천대의 TV 생산)

85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LG 희망마을 CSR 활동 중

엔젤산업 가발 현지 생산공장 운영 2014년 6월 현재 현지인 700여명 고용

우암 광복합 가공지선 (중국 기업 프로젝트의 sub-contractor)

효성 전력망 구축 사업 (EDCF)

혜산 ST 철근 제조 공장 (사전 작업)

신티에스 의류제조 (볼레-레미 산업단지)

5. 투자진출 성공·실패사례

가. 성공사례

경남기업

- 아디스아바바 공항 활주로: 3,000만 달러(완료) - 아와시-게와네 구간 도로: 2,900만 달러(완료) - 모조-아와시 구간 도로: 3,900만 달러(완료) - 히르나-쿨르비 구간 도로: 2,500만 달러(완료) - 호사나-소도 구간 도로: 2,460만 달러(완료) - 아제조-겐테 구간 도로(진행 중) - 겐테-메테마 구간 도로(진행 중) - 암보-게도 구간 도로(진행 중) - 짐마-봉가 구간 도로(진행 중) - 봉가-미잔 구간 도로(진행 중) - 알라바-훔보 구간 도로: 5,000만 달러(진행 중) - 아포스토-이르바모다 구간 도로: 7,000만 달러(진행 중)

경남기업 에티오피아 지사[Keangnam Enterprises limited(Eth. Branch)]

- 주소: P.O Box 2351, Sheger Building 7F, Bole Medhanialem Road, Addis Ababa, Ethiopia - 전화: +251-116-637-611

86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 팩스: +251-116-637-614 - E-Mail: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www.kne.co.kr - 해외대표: 정철진 상무 - 진출년도: 1997년 - 진출형태: 지사 - 업종: 건설·공사업 - 취급분야: 토목, 건축, 플랜트, 설계 - 종업원수: 8/43명(지사/현장) - 모기업명: 경남기업㈜, 서울시 동대문구 답십리 5동 530-17 대아레저빌딩 - 2003년 10월 1일 건설장비 임대 영업허가 취득 - 현지진출 외국계 건설기업 중 최대 수주량 - 현재 7개 장거리도로 개보수공사(총4억 2천 5백만 달러) 진행중 - 현지인건설인력 9,991명 고용(1997년 이래 총 6개의 도로공사 완료)

명성개발

- 명성병원건립(2004년11월 준공): 650만 달러 투자 - 명성병원(MCM, 명성크리스천메디컬센터)

명성교회(1980년 설립)가 2004년 11월 25일 에티오피아에 개원한 병원으로 현지에서 “Korea Hospital” 이라 불리고, 참전용사 포함 현지인들에게 의료혜택을 제공하며 초기 한국 이미지 제고에 기여했다.

6. 주요 투자법 내용

가. 개요

에티오피아 정부는 경제개발을 정책목표의 최우선으로 두고 유리한 투자환경 조성을 위해 투자사무소를 1996년 6월 투자청으로 격상시키면서 투자규정을 개선하는 등 꾸준히 불합리한 관행과 규정을 시정하려 노력하고 있다. 2002년 7월 및 2003년 2월 투자법을 개정하여 외국인투자 유치를 위해 투자 행정체계의 투명성 및 효율성을 제고하였다. 사하라 이남에서 두 번째의 인구대국이고 자원이 풍부하여 시장으로서의 잠재력이 풍부하며, 특히 미국, 세계은행 등이 에티오피아에 대해 원조를 강화하고 있어 사회간접자본 확 충을 위한 투자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외국인 투자를 희망하는 분야는 주로 건설, 식료품(맥주 및 음 료수, 낙동 등). 가죽, 면화, 소규모 차량 조립 및 농업분야 등이며, 최대 투자국은 중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등이다.

나. 투자법

에티오피아는 1992년에 최초로 제정한 이래 1996년에 1차 개정을 하였고, 2002년 7월에는 투자법을 개 정 발표하였으며, 2003년 2월에는 동 시행령에서는 국내 투자자의 독점 투자분야가 지정되었다.

87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투자법 주요 개정내용

순수 외국인 투자 초기 자본금 하한선이 현금 50만 달러에서 10만 달러로, 국내투자가 및 기업들과 합작 투자 시 동 하한선이 6만 달러로 조정되었다. 순수 외국인 컨설팅 및 출판서비스 분야 투자 시에는 동 하한 선은 5만 달러에 불과하다. 이윤이나 배당금을 재투자하거나 생산품의 75%를 수출하는 경우에는 초기자 본금 기탁 불요하며 외국인 투자가는 은행, 보험, 항공운송 등 국내 투자가들에게만 허용되는 분야를 제외 한 모든 분야에 투자 가능하다. 그러나, 폐쇄적 은행제도, 토지 등 개인 소유 불허 등 제도적으로 문제가 많 을 뿐 아니라, 과거 멩기스투 공산정권의 영향 등으로 정부⋅국민들의 자본주의 자유경쟁 보장의식이 결여 되어 있어 투자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다. 투자 관련기관

투자위원회

산업부(Ministry Industry) 장관이 투자위원회 (Investment Board)의 의장이 되며, 위원들은 정부와 민간 부분에서 선출된다. 투자위원회의 주요 권한과 의무는 다음과 같다.

투자법(Investment Proclamation)의 실행 및 관련 정책 결정 등 투자 인센티브 수정안, 신규 및 추가 인센티브 제출 등 에티오피아 투자청의 결정에 대한 투자자의 항의에 대해 결정 에티오피아 투자청의 서비스 요금 결정, 연간 사업계획 및 예산 승인 등 수시로 발행된 지침을 투자자들에게 공식적으로 통지 등

에티오피아 투자청

연방정부가 번거로운 행정절차를 지양하고 투자자들을 위한 원스톱 숍(one-stop shop)으로서 역할을 수 행하도록 별도의 기관으로 에티오피아 투자청(Ethiopian Investment Authority: EIA)을 설립된다.

에티오피아 투자청의 주요업무는 다음과 같음. 투자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 제공 투자 신청 접수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투자허가 승인 및 발급 신규 설립 기업의 사업등록 서비스 제공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노동허가증 발급 외국인 투자자의 신규 설립 및 확장 사업을 위한 영업허가 발급 연방 및 지역정부의 관련법에 따라 외국인 투자자의 토지 취득 지원 다른 기관이 수행하는 서비스 이용지원(전력 및 전화 서비스, 비자연장 요청 등) 기타 사전 및 사후 투자승인 서비스 제공

에티오피아 투자청은 외국인 투자자, 국내 투자자로 간주되는 외국인, 연방정부에서 영업허가를 발급 받으 면서 에티오티아 투자청에서 투자허가를 받아야 하는 국내 투자자, 국내 및 외국인 투자자에 의한 합작투 자를 관할하고 있다. 원스톱숍 서비스로서 에티오피아 투자청이 발급한 영업허가 및 노동허가증의 갱신과 주요 등록에 대한 변경은 해당 부분의 기관에서 담당하고 있다.

88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지역 투자 사무소

에티오피아 투자청과 별도로 지역의 행정기관 차원에서도 개별적으로 지역 투자사무소가 설립되어 있다. 외국인 투자자는 에티오피아 투자청에 투자허가를 신청하면 되고, 사업허가 및 등록을 취득한 외국인 투자 자는 투자 예정지역의 투자사무소(Investment Bureau) 접촉 가능하다. 지역 투자사무소는 토지와 공공설 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외국인 투자자들은 면허 취득, 토지 임대 및 공공 서비스를 이용 을 위한 절차들을 면제 받음으로써 사업 착수기간 및 비용을 축소시킬 수 있다.

라. 외국인투자 우대정책

개요

인센티브 종류 에티오피아 정부는 투자를 장려하기 위하여 행정절차를 개선하고 인센티브를 마련해 왔는데, 투자사업의 종류 및 소재지 등을 고려하여 다음의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소득세 면제 수입상품에 대한 관세 면제 면세기간 동안 발생한 손실의 이월 과세소득에 조사 및 훈련에 대한 지출 공제 수출상품 제조용 수입 원료 및 부품에 대해 관세 환급 정액법과 정률법 중에서 감가상각법 선택 가능 수출 상품에 대한 관세 면제

인센티브 수혜대상

개척자 투자활동(Pioneer Investment Activities) 관개농업 보증, 개량종사의 생산 농공산업 기초 공업용 및 농업용 화학 물질과 제품의 제조 펄프, 정제석유, 유리 및 유리제품의 제조 직물의 제조, 인조섬유의 제조 염기성 철 및 강의 제조: 금속의 주물, 단조, 압착 등과 제품의 제조 기계, 장비, 기구 및 관련 제품의 제조와 차량 부품의 제조 자동차 기계류, 부품 및 관련 제품의 제조 폐기물 및 폐품의 재활용 전력의 생산, 수집 및 배전 통신서비스 연구 및 개발(R&D) 고등, 일반 중등 수준의 기술·직업 중등 교육 병원 및 진단센터 (아디스아바바 제외) 방위산업 공업단지

89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촉진 투자활동(Promoted Investment Activities) 천수답 농업 축산, 기타 농식품 및 음료 제조/ 저장업 가정용 기기의 제조 직물 품목, 편물 및 기타 직물의 제조, 가죽의 무두질, 가죽상품 및 물품의 제조 목제품의 제조, 종이 및 종이 상품의 제조 페인트 및 유향수지의 제조 위생 및 위생시설 상품의 제조 고무 및 플라스틱 상품의 제조 점토 및 도자기 상품, 석회 및 회반죽의 제조 금속으로 제작된 다른 상품 및 물품의 제조 특급 호텔 서비스 식물, 야채, 과일 또는 화초를 위한 냉장 창고 및 곡식 저장고 시설 항공 운수 서비스 및 전문적인 상업적 일반 항공 서비스 유치원 및 초등교육 병원 및 진단센터(아디스 아바바 제외), 의료 센터 및 전문병원

면세 특권만 받을 수 있는 투자활동 (Investment Activities Eligible for Duty-free Privilege Only) 건설계약 원도급계약 건설도급계약 도로도급계약 우물 착정 및 기타 용수 관련된 건설 도급계약 전문건설 도급계약 전기 기계 공사 도장 및 도배 공사 위생설비 설치 목공사 및 금속 공사 조경공사 건설 기계 및 장비의 대여 국립공원 및 관광객 야영지의 관리 사무소 호수 및 강 수송을 포함한 내륙 수운 엔지니어링 및 기타 기술 자문 서비스 하수 및 쓰레기 처리 담배 제품의 제조(아디스 아바바 제외) 베이커리 제품의 제조(아디스 아바바 제외) 카아오, 초콜릿, 설탕 과자의 제조(아디스 아바바 제외) 프리텐션, 고압 강화 시멘트 콘트리트 파이프를 제외한 시멘트. 콘트리트 및 회반죽 물품의 제조(아디스 아 바바 제외) 채석장이 아닌 곳에서 대리석, 화강암 및 석회암의 절단, 성형가공(아디스 아바바 제외) 1~3성급 호텔(아디스 아바바 제외) 병원(아디스 아바바 제외) 진단센터 (아디스 아바바 제외)

90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의료 센터 전문 병원

인센티브 내용

투자위원회가 정한 제조, 농업활동 또는 농업제품 생산에 투자하는 경우, 다음에 해당하면 5년 간 소득세 를 면제 받을 수 있다. 제품의 최소 50%를 수출하는 경우, 제품의 최소 75%를 생산 투입재로 수출자에 게 공급하는 경우, 투자위원회가 정한 제조, 농업활동 또는 농업제품 생산에 투자하는 경우, 제품의 50% 이하를 수출하거나 생산품을 국내시장에만 공급하면 2년간 소득세를 면제 받을 수 있다. 투자위원회가 정 한 제조, 농업활동 또는 농업제품 생산에 투자하고 있는 기존 기업이 확장 및 개선을 위해 추가 투자를 하 는 경우, 제품의 최소 50%를 수출하고 생산량을 25% 증가시키면 2년간 소득세를 면제 받을 수 있다.

신규 기업을 설립하거나 기존 기업을 확장 또는 개선하는 개척자 및 촉진 투자활동의 경우 아래 표에 따라 소득세 면제와 손실 이월 인센티브가 부여되며, 소득세 면제기간은 영업 개시일부터 시작하고 손실 이월은 소득세 면제기간 동안 발생한 손실을 소득세 면제 기간 종료 이후로 이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투자사업별 소득세 면제 및 손실 이월기간

소득세 면제기간 손실이월 사업형태 사업소재지 개척자 촉진 개척자 촉진 아디스아바바/나자레스(Nazareth)및 두 도시를 연결하는 신규 3년 1년 3년 3년 주 고속도로의 15㎞ 반경내 인근 감벨라, 베니샨굴-구무즈, 남부 오모(South Omo), 아파르 신규 5년 3년 5년 4년 및 소말리의 일부 지역 등 경제적으로 저개발된 지역 신규 기타지역 4년 2년 5년 3년 확장/개선 모든지역 2년 1년 - - 재투자사업 모든지역 1년 1년 - - 자료원: 에티오피아 투자청(www.ethioinvest.org) (2013년 투자가이드 기준) 광업 및 석유사업 운영과 탐사의 경우, 10년까지 손실 이월을 할 수 있다.

투자 허가가 발급되는 시점에 소득세 면제혜택 수혜여부가 결정 되더라도 투자자는 이 인센티브를 받기 위 해 다음의 서류를 제출하여 신청하여야 한다. 에티오피아 투자청은 해당 사업이 원래 계획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확인한 후 소득세 면제를 승인하고 있다.

소득세 면제 신청서(에티오피아 투자청의 신청양식) 영업허가 사업등록증명 건물, 기계, 장비 및 기타 품목을 위한 사업 지출 정보 근로자 급여 지급액 수입기계 및 장비 신고서

91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7. 진출형태별 절차

가. 투자자의 종류

국내투자자

국내 투자자는 다음과 같다.

ㅇ 에티오피아인 ㅇ 에티오피아에 영주하는 외국인 ㅇ 정부기업 또는 공기업 ㅇ 관련법에 따라 설립된 협동조합 ㅇ 에티오피아 출생이면서 국내투자자로 간주되기를 원하는 외국인

에티오피아에 영주하는 외국인과 에티오피아 출생인 외국인은 국내투자자로 인정을 받기 위해서 관련 서 류를 제출하여 신청하여야 하며, 신청서류 검토 후 에티오피아에 대한 투자에서 발생한 이익을 외화로 해 외로 이전하지 않겠다는 동의서에 서명을 하여야 국내투자자로 인정하는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외국인 투자자

외국인 투자자는 다음과 같다.

ㅇ 에티오피아에 외국자본을 투자한 외국인 ㅇ 외국인투자자가 소유한 기업 ㅇ 해외에 영주하면서 외국인투자자로 취급 받기를 원하는 에티오피아인 ㅇ 외국인과 국내 투자자 사이의 합작투자

나. 투자형태

외국인 투자는 다음 중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ㅇ 단독 투자 ㅇ국내 투자자 또는 정부와의 합작투자

다. 투자 허가

에티오피아 투자를 위해서는 하기와 같은 최소 투자금액이 요구된다.

ㅇ 단독 투자: 200,000 달러 ㅇ현지인과 합작투자 (JV): 150,000 달러 ㅇ 건축 및 엔지니어링 단독 투자: 100,000 달러 ㅇ 건축 및 엔지니어링 합작 투자: 50,000 달러

92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투자허가 대상

다음의 경우에 해당하는 투자자들은 투자허가가 필요하다.

ㅇ 외국인투자자 ㅇ 국내 투자자로 간주되는 외국인, 단 에티오피아 출생인 경우 제외 ㅇ 연방 정부 기관에서 사업허가를 받아야 하고 인센티브 수혜자격이 있는 국내투자자 ㅇ 국내 및 외국인투자자가 합작투자를 하는 경우

투자허가 기관

에티오피아 투자청(EIA)이 외국인투자자 및 일부 국내 투자자 앞으로 투자허가를 발급하는 업무를 담당하 고 있다. 에티오피아 투자청의 관할권 이외의 분야에서는 지역 투자사무소가 국내 투자자들의 각 지역에 대한 투자를 위한 투자허가를 발급한다. 에티오피아 투자청 앞으로 제출된 투자신청은 투자요건 충족 여부 를 확인한 후 일련의 기준에 따라 평가되며, 투자가 승인되면 인센티브와 함께 투자허가가 즉시 발급된다.

투자허가 신청서류

투자허가를 받기 위해 에티오피아 투자청 또는 지역 투자사무소에서 투자신청서 양식을 구하여 작성한 후, 다음의 서류와 함께 2부를 제출한다.

ㅇ 투자 조사/개요 ㅇ 필요 시 사업 환경 영향 조사 ㅇ 신청자가 기업인 경우, 정관 및 설립 증명 ㅇ 수입관세 및 세금 면제 인센티브를 받기 위해서는 기계 및 장비의 종류와 수량이 기재된 송장 및 목록 ㅇ 신청자가 사업용 토지를 취득한 경우, 토지 임차권을 확인하는 원본 서류(지적도, 토지임차 계약서 등) ㅇ 필요한 토지 규모 및 건물의 예비 계획/개요 ㅇ 기존 회사를 확장 또는 개선하는 경우, 외부 감사인 또는 영업허가를 발급한 정부기관이 증명하는 동 회사의 자본금 및 갱신된 영업허가 ㅇ 기술이전 계약을 수반하는 경우, 동 계약의 초안 서류 ㅇ 대리인을 통해 신청서가 서명되어 제출된 경우, 위임장

신청자가 국내 투자자로 간주되는 외국인인 경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에티오피아 투자청에서 발급한 증명 서를 추가로 제출해야 한다. 외국인 투자자는 다음의 서류를 추가로 제출한다.

ㅇ 개인 투자자의 경우, 투자활동에 착수할 수 있는 재정능력 및 사업경험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 는 공인 법률기관의 서류 증명 ㅇ 신규 기업 설립의 경우, 정관 초안 ㅇ 지점 설립 또는 외국기업 참여의 경우, 해당 외국기업 소재국의 법적 설립 증명(증명 은 공증 받은 정 관 또는 유사 서류 사본), 투자 목적 및 자본금을 기술한 이사회 의사록 등의 의사결정 문서, 에티오피아 대 리인 앞 위임장(인근 에티오피아 대사관, 외교부 및 공증사무소가 원본 증명)

93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투자허가 발급

모든 서류를 접수한 후, 에티오피아 법을 준수하여 투자한다는 것을 보장하고 허가 수수료를 납부하면 10 일 이내에 투자허가가 발급되며, 동시에 인센티브 수혜자격이 있는 투자는 투자자에게 서면으로 통지된다. 또한 적절한 사업 지원 및 후속 조치를 위해 해당 정부기관으로부터도 투자허가가 통지된다. 투자허가가 다른 사람에게 이전되거나 내용에 변동이 있을 경우, 관련 투자기관에 해당 사실 내용을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신규 설립 또는 영업 중인 회사에게 상표명을 부여하고자 할 경우, 관련 기관에서 상표명 등 록 증명서를 사전에 취득해야 한다.

투자허가 갱신

투자허가는 발급일로부터 1년간 유효하며, 사업이 운영되지 못하는 충분한 사유가 있는 경우 투자자의 요 청에 따라 갱신수수료를 납부하면 투자허가가 연간 갱신될 수 있다. 그러나 투자자는 에티오피아 투자청의 양식에 따라 6개월 마다 사업진행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투자허가 및 갱신수수료

투자허가 및 갱신을 위해 납부해야 하는 수수료는 아래 표와 같다

투자허가 및 갱신 수수료 (단위: 비르(birr)) 신규 사업 확장 사업 사업 자본금 허가 갱신 허가 갱신 0~500,000 400 200 200 100 500,000~1,000,000 500 250 250 125 1.000,000~5,000,000 600 300 300 150 5,000,000초과 700 350 350 175 자료원: 에티오피아 투자청(www.ethioinvest.org) (2013년 9월 확인)

라. 사업등록

외국인 투자자는 에티오피아 투자청의 원스톱 숍 서비스의 지원을 받아 사업등록을 할 수 있다. 신청자는 신청서를 작성하여 사업 조사/개요 및 기타 상세 정보와 함께 다음의 등록절차를 거쳐야 한다.

단독 소유권의 등록

신청자가 외국인투자자인 경우, 다음의 서류를 2부 제출해야 한다.

ㅇ 신청서 (양식작성) ㅇ 신청서에 대리인이 서명한 경우, 위임장 ㅇ 투자자의 최근 여권 크기의 사진 ㅇ 투자자의 여권 사본

94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주식회사의 등록

신청자가 주식회사인 경우, 해당 기업의 소재국 또는 인근 국가에 있는 에티오피아 대사관, 외교부 및 아디 스 아바바 행정부의 공증사무소 등 정부기구가 원본으로 증명한 다음의 서류들을 제출해야 한다.

ㅇ 회사의 정관 초안 ㅇ 외국인투자자가 개인인 경우, 최근 여권 크기의 사진 및 신분 확인을 위한 여권사본 ㅇ 외국인투자자가 기업인 경우, 해외 등록 및 법인격 보유를 확인하는 증명, 정관 또는 유사 서류의 사본, 의결기구의 의사록에 따른 합작투자의 활동 계획 및 자본금 금액, 에티오피아 대리인 앞 위임장

회사 설립 시 현물로 납입되는 자산이 있는 경우, 자산 목록이 관련 서류와 각 자산의 가치평가 근거를 기 술한 상세 보고서와 함께 제출되어야 한다. 에티오피아 투자청이 관련 법과 규정에 따라 정관 초안의 적법 성을 평가한 후, 서류의 승인 요청서를 아디스아바바 행정부의 공증사무소로 송부한다. 투자자가 공증인 앞에서 해당 서류에 서명하면 에티오피아 투자청 앞으로 서류가 송부된다.

주식 액면가 또는 공모로 납입된 자본금의 최소 1/4이 해당 기업의 계좌에 입금되어야 하며, 이를 증명하 는 은행의 확인서가 제출 되어야 한다. 에티오치아 투자청이 투자자의 비용으로 회사의 설립을 관보를 통 해 발표하여 제3자에게 회사 설립 사실을 공지하며, 그 다음으로 관보의 안내문 사본과 함께 다음의 서류 가 제출되어야 한다.

ㅇ 사업등록 신청서(양식 작성)및 서명된 위임장 ㅇ 회사의 정관 ㅇ 회사의 투자설명서 ㅇ 서명된 주주회의록 ㅇ 주식의 각 종류별 주식증서 사본

외국 투자기업설립절차

ㅇ 에티오피아 투자청(Ethiopian Investment Agency)의 현지투자 절차, 인센티브 등 정보 입수 및 현지 투자 라이선스 발급 ㅇ 무역부(Ministry of Trade)에 사업자 등록 ㅇ 에티오피아 국세청(Revenue & Customs Authority)에 신고, 납세번호 발급

투자 진출 시 고려사항

낮은 생산 요소 비용(노동력, 토지, 전력), 최 저개발국(Least Developed Country) 지위를 활용한 미국 및 EU 무관세 수출(미국 → AGOA, EU → EBA), 내수시장 확대 등 긍정적인 면과 함께 내륙 국가로서의 물 류 문제(장기간의 운송, 높은 물류 비용), 현지 원자재 조달의 어려움, 숙련 인력 부족 등에 대한 검토 필요 하다.

95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8. 투자입지여건

가. 에티오피아 투자 여건

투자 여건

ㅇ 환경적 아프리카 2위 인구대국(88백만명), 아프리카 4위 경제 규모 2001 - 2010 연평균 GDP 성장률: 8.4%(세계 5위) Sub-Sahara 국가 중 두 번째로 빠른 성장 2011-15 연평균 GDP 8.1% 성장 전망 (세계 3위, IMF) 주요 국제기구 소재지(AU, UNECA 등) 2010 Doing Business Report(WB, IFC) Sub Sahara Africa 9위, 세계 107위 (러시아 120, 브라질 129, 인도133)

ㅇ 지역적 동부 아프리카 지역 선도국이자 진출 거점 EU 및 중동 시장으로 수출 유리 국토(경작가능면적 68%)의 19%만을 경작(농업 잠재력 풍부)

ㅇ 산업적 농업이 제1 산업(GDP 의 45%, 고용의 85%, 수출품목의 90%) 값싼 인건비, 넓은 미개발 농지 및 미국 AGOA, EU EBA 등으로 노동집약적 섬유, 가죽, 농산물 가공 산업 유망 정부의 강력한 개발정책으로 국가 인프라, 건설 산업 유망

Doing business 2013 보고서 (World Bank and the IFC)

96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185 개 조사대상 국가 가운데 에티오피아는 127위 차하였으며, 조사항목별 순위는 다음과 같다.

Ease of Doing Business - 127 Starting a Business - 163 Dealing with Construction Permits - 53 Registering Property - 112 Getting Credit - 104 Protecting Investors - 128 Paying Taxes - 103 Trading Across Borders - 161 Enforcing Contracts - 50 Resolving Insolvency - 117

나. 수출전용 공단 건설

지난 10년간 연평균 국내 총생산(GDP) 성장률 8.4%를 기록하는 등 높은 경제성장을 이어오는 에티오피 아는 국가개발계획(GTP; Growth & Transformation Plan, 2011~2015년)에 따라 에티오피아가 비교우 위를 갖는 섬유, 피혁, 농산물 가공산업 등의 수출산업화를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파키스탄에 버금가 미개발 면 재배 농지를 기반으로 향후 면 재배 확대를 통해 섬유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코자 하며, 한국 기업의 에티오피아에 대한 섬유 및 봉제 산업 투자를 적극 권장하 고 있다. 최근에는 주요 요충지에 산업단지를 선정·개발을 서두르며, 산업단지에 따라서는 중국, 인도, 터 키 등 에티오피아에 이미 활발히 진출하는 주요 투자국가에 배정하였다.

에티오피아 산업부(Ministry of Industry)는 아디스아바바 인근의 Bole Lemi 지역의 156헥타르에 상당하 는 부지에 해외 투자업체가 입주할 에티오피아에는 최초로 수출전용 산업공단을 조성하는데, 주로 섬유산 업 업체를 대상으로 하며 2013년 말까지 미화 약 5500만 달러를 투자, 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2013년 말에 종료되는 1차 공단 조성 내역

건설기간: 2013년 말 2013년 1월까지 건설될 공장은 5개로 입주업체에 임대 예정 - 10,000 s/m 규모 2개: 입주업체 정해짐 - 5,000 s/m 규모 3개: 입주업체 미정 * 에티오피아 정부와 직접 공장 부지를 매입, 건축 협상 가능 기타 사무동 4개, 전력, 통신, 상하수도 등 건설

에티오피아 정부는 Bole Lemi 외에도 Dire Dawa, Kombolcha, Amhara Regional State; Shinelle, Somali Regional State; Hawassa, Southern Regional State, Akaki Kality 등의 지역에도 산업단지 조 성을 계획하며5130헥타르 부지를 확보한 상태이다. 이곳 산업단지들은 향후 발족할 Ethiopian Industrial Zones Development Corporation (EIZDC)에서 관리하게 된다.

97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우리나라와 에티오피아 정부는 2011년 양국 정상의 교환 방문, 양국 간 산업협력협정 체결한 바 있으며, 2012년 7월에는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에 있는 KOTRA 아디스아바바 Korea Business Center 에 한-에 섬유협력센터를 개설하였다. 2013년 말까지 진행된 섬유산업협력 프로그램에는 우리나라의 생 산기술연구원, 섬유산업연합회, KOTRA 와 에티오피아의 산업부, 에티오피아 섬유산업개발원이 함께 참여 하였고, 섬유기술 이전, 우리 섬유기업 유치 등을 포함한다.

9. 투자진출 시 애로사항

가. 투자진출 시 애로사항

에티오피아에서는 토지는 국가 소유로 99년까지 개인, 기업에게 리스하고 있으며, 통신, 전력, 항공, 해운 운송 등을 국가가 독점하고 있고, 금융산업의 상당 부분도 국가가 소유운영 하는 등 공공부문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민간부문에 대한 정부 개입도 심한 편이다. 복잡한 행정절차, 빈번히 변경되는 기업 관련 법령의 개정에 의한 기업활동의 불확실성 등은 기업 활동을 저해하는 요인이다.

저임금 노동자, 토지, 전력 등의 생산 요소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우수한 숙련인력 및 관리인 력이 부족하고, 내수 위주 제조업으로 인하여 관리인력의 비용 통제, 절감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대한 인식 은 부족한 편이다. 제조업은 산업별로 밸류 체인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우수한 품질의 원자재, 부품 등의 현지 조달이 어렵고, 효율적 현지지원 기관이 부족한 것도 투자 진출의 장애요인이다. 내륙국가, 그리고 수출입 물량 부족으로 인해 해외에서의 원자재 조달, 해외 수출 관련 물류 비용이 높은 편이고, 장 기간의 운송기간을 요한다.

10. 노무관리제도

가. 개요

에디오피아의 노동력은 저렴하고 풍부하나 숙련인력을 구하기는 쉽지 않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1993년 1 월 노동법을 개정하여 결사권, 단체교섭권 등을 규정하였다. 파업 등 단체행동은 적으나, 분쟁 발생시 재판 절차 지연, 규정의 엄격한 해석 등으로 외국인 투자가들의 불만을 초래하고 있다.

나. 노동력 및 임금 현황

에티오피아의 임금은 저렴한 편으로 민간 기업의 임금은 직종, 시장 상황에 따라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단 순 노무직의 경우 2013년 기준 하루 30-40비르(birr)(약 2달러)정도이다. 기술·직업훈련학교, 공과대학들 은 매년 비즈니스, 경영, 법, 공학, 경제학, 회계 및 기술분야의 인재들을 다수 양성하고 있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대학의 수용 능력을 학부 및 대학원 수준에서 확대하여 왔고, 사립대학의 수도 증가 추세에 있다. 대졸자 사무직, 숙련 노동력에 속하는 근로자들은 영어 구사 가능하다.

98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신입 대졸자의 임금은 일반적으로 교육 수준에 따라서 월 3,600비르(birr) (약 200 달러)에서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숙련 노동자에게 지급되는 임금은 고용주와 피고용인 간의 계약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에티오 피아에는 법적으로 정해진 최저임금이 존재하지 않는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2014년 6월에 공무원임금을 약 35-39% 인상하기로 발표했다.)

에티오피아 근로자들에 적용되는 초과근무수당은 하기와 같다.

오후 6 ~ 10시: 시간 당 수당의 1.25배 오후 10 ~ 익일 오전 6시: 시간 당 수당의 1.5배 주중 휴일: 시간 당 수당의 2배 공휴일: 시간 당 수당의 2.5배 최대 OT 시간: 일 2시간, 월 20시간, 연 100시간

다. 노동허가증

외국인 투자자는 사업의 운영을 위해 필요한 적격의 외국인 전문가 및 경영자를 고용할 수 있으며, 투자자 는 고위 외국인 경영진을 고용하기 위해서 투자청의 승인을 받을 필요는 없다. 외국인을 고용하는 투자자 는 일정 기간 내에 에티오피아인을 훈련시켜 외국 직원을 에티오피아인으로 대체시켜야 할 책임이 있으나, 에티오피아 투자청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외국인 투자자는 제한 없이 외국인을 최고 경영자로 고용할 수 있다.

외국인을 고용하기 위해 투자자는 신청양식을 작성하고, 다음 서류를 첨부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ㅇ 신청서 ㅇ 해당 외국인의 교육 및 전문 자격증 ㅇ 향후 에티오피아인을 배치 또는 고용하여 외국인 근로자를 대체하겠다는 증명

에티오피아 투자청이 이러한 정보를 모두 접수하여 법령에 따라 검토한 후 투자자가 200비르(birr)를 납부 하면 노동허가증을 발급한다. 투자자의 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경우 그 이유가 서면으로 통보된다.

라. 외국계기업의 노무관리제도 및 현지인 고용 시 노동법

정부는 산업 발전과 노동자 보호를 위해 노사문제에 대하여 기업가와 노동자의 이익에 대하여 균형적 시각 을 갖고 있으며, 에티오피아에서는 여러 개의 노동조합의 연계된 대규모의 노동분쟁은 없었으며, 개별기업 에서도 노사 관계가 큰 이슈가 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에티오피아 정부가 최근 도입한 관련 제도는 다음과 같다.

ㅇ 노동자의 고용과 해고 관련 규제 폐지 ㅇ 공공의 이익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노동조합 조직, 활동 합법화

1997년 전국적 노동 조직인 에티오피아노동조합연맹(Confederation of Ethiopian Trade Unions: CETU) 재인가되었다. 2004년 발효된 새로운 노동법은 친 기업적으로 평가되며, 이는 국내외 기업의 투자

99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확대를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 에티오피아 정부의 정책을 반영하고 있다. 1998년 에티오피아 정부는 에티 오피아 기업가 협회(Ethiopian Employers’ Association: EEA)의 설립을 허가, CETU 에 대응할 수 있는 사용자 단체가 설립됨으로써 사용자 및 노동자 단체, 정부로 대표되는 3각 체제를 구축하였다.

마. 국제규약

에티오피아는 국제노동기구(ILO)의 8가지 조약을 모두 법제화했다. 하지만 아직 노동 시장의 발전이 더디 고, 고용 체계가 정교화되어 있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파업은 할 수 있지만, 법적은 규정이 복잡 하여 합법적인 파업은 어려운 편이다.

11. 조세제도

가. 개요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2009~2010 세계경쟁력 보고서에 따르면, 에티오피아는 총 133개국 중에 서 과세 규모 및 효과 부분은 77위, 세율 부분은 26위 등으로 조세제도는 비교적 양호한 편으로 파악되고 있다. 에티오피아에서 부과되는 주요 세금들로는 법인소득세, 개인소득세, 매출세, 부가가치세, 물품세, 인 지세, 원천징수세, 특허세, 배당세 등이 있다.

법인 소득세

법인은 모든 과세대상 사업소득에 대해 30%의 소득세를 납부해야 하며, 법인 이외의 다른 납부자들은 < 표>와 같이 과세 대상 소득에 대해서 소득 구간별로 10~35%의 세율이 적용된다.

법인 이외의 과세 사업 소득에 대한 소득 구간별 세율

연간 사업소득 (비르(birr)) 세율(%) 0~1,800 0 1,801~7,800 10 7,801~16,800 15 16,801~28,200 20 28,201~42,600 25 42,601~60,000 30 60,000초과 35 자료원: 아디스아바바 상공회의소(www.addisschamber.com)

개인소득세

과세소득에는 고용, 사업 및 개인 활동, 비거주자의 기업활동, 에티오피아 소재 항시적 기관에 속한 동산, 부동산 및 부속물 등에서 발생한 소득이 포함된다. 근로소득이 있는 개인에게는 아래 표와 같이 소득 구간 별로 10~35%의 한계 세율이 부과되며, 매달 150비르(birr)까지는 소득세가 면제된다.

100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개인소득세 소득 구간별 세율

월 소득 (비르(birr)) 세율(%) 공제액(비르(birr)) 0~150 0 0 151~650 10 15 651~1,400 15 47.5 1,401~2,350 20 117.5 2,351~3,550 25 235 3,551~5,000 30 412.5 5,000초과 35 662.5 자료원: www.bds-ethiopia.net

계산 예시. (소득 20,000 Birr)

따라서, 소득이 20,000 Birr 인 A 씨가 내야 하는 개인 소득세는 다음과 같다.

(소득구간 1) 0+ (소득구간 2) +50 (소득구간 3) +112.5 (소득구간 4) +190 (소득구간 5) +300 (소득구간 6) +435 (소득구간 7) +(20000-5000)*0.35 = 6337.5 Birr

또 다른 계산방법은 공제액을 이용하는 것이다.

A 씨의 소득은 20,000 Birr 로 누진세율에서 최고 세율이 적용되는 구간에 해당하기 때문에, 20,000 * 0.35 = 7,000 Birr 의 세금이 적용되고, 이중 662.5 Birr 가 세금공제 금액에 해당 되므로, 7,000 – 662.5 = 6337.5 Birr 가 됨.

고용계약에 따라 제공되는 교통수당, 의료비, 여행경비 및 보험료는 총소득 대비 적정한 수준인 경우에 공 제가 가능하다. 외국인은 에티오피아 국내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해서 개인소득세가 부과된다.

ㅇ 매출세 매출세 납부 대상자는 연간 과세대상 총 거래금액이 500,000비르(birr) 미만으로 부가가치세 납세자로 등 록할 필요가 없음. 매출세율은 건설, 곡물 제분, 트랙터, 콤바인 수확 서비스 제공에 대해서는 2%, 기타 서 비스 부분에 대해서는 10%임. 매출세 계산근거는 상품 공급 및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총 매출액이며, 일 부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해서는 매출세가 면제됨.

101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ㅇ 부가가치세 부가가치세는 판매세를 대체하며 도입된 세금으로, 매출액이 연간 500,000비르(birr) 이상인 기업에게 부 과되고 거래건 별로 15%의 세율이 적용됨. 그러나 모든 수출 상품 및 기본서비스에 대해서는 부가가치세 가 면제됨.

다음의 사업자는 연간 총매출액에 관계없이 부가가치세 납세자로 등록해야 함. - 주식회사, 유한회사 및 국영기업 - 가죽 및 가죽제품 제조업자 - 신발공장 - 컴퓨터 및 관련 상품 공급업자 - 전자제품, 냉장고, TV 등 공급업자 - 수입업자 - 밀가루 생산업자 - 플라스틱 및 플라스틱 제품 생산업자 - 보석상인

다음의 상품 및 서비스는 부가가치세 면제대상임. - 금융서비스 - 수출상품 생산용 원료 수입 - 국내판매 및 수출상품용 원료 및 포장재료 - 의료서비스 - 사람에게 사용하는 의약품 - 서적, 전기, 등유, 용수, 교육, 우유, 빵, 운송 서비스, 우편 서비스, 면허 및 증명 수수료, 중고가옥, 비료, 살충제, 개량종자 및 묘목, 수출 상품

ㅇ 물품세 물품세는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해외에서 수입되는 품목 중 19개에 대해 부과되며, 상품에 따라 10~100% 의 세율이 적용됨. 물품세의 계산 근거는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의 경우 생산비용이고, 수입상품의 경우는 CIF(Cost, Insurance & Freight)금액임. 물품세는 국내 생산상품에 대해서는 생산일로부터 3일 이내에 납 부하여야 하며, 수입 상품에 대해서는 세관 통관 시 납부하여야 함.

ㅇ 인지세 인지세는 특정 법률 문서에 대해 부과되는데, 문서의 종류에 따라 평가액 기준이 낮은 경우에는 0.5~2%, 평가액 기준이 어느 수준 이상인 경우는 5~350 비르(birr)가 부과됨. 인지세 부과대상 문서로는 정관, 수 여 증서, 채권, 창고 증권, 계약서, 담보, 단체협약, 고용계약서, 임대차계약서(재임대차 및 유사권리 이전 포함), 공증, 위임장, 부동산 권리증서 등이 있다.

ㅇ 원천징수세 원천징수세는 상품 수입에 대해 부과되는데, CIF 금액의 3%로 정해져 있다. 단, 법인, 정부기관, 민간 비영 리기관 및 비정부기구(NGO)에 대해서는 총 납부금액의 2%가 원천징수세로 부과됨.

ㅇ 특허세 2462746853041323 에티오피아는 특허권을 인정하고 있으며, 로열티를 받는 경우 5%의 특허세를 납부하여야 함.

102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ㅇ 배당세 배당을 받은 주주는 배당액의 10%를 배당세로 납부하여야 함.

12. 외환관리 및 자금조달

가. 자금송금

외국인 투자자는 승인된 투자와 관련하여 다음의 자금을 송금일의 환율에 따라 태환 가능한 외국환으로 에 티오피아 외부로 송금할 권리가 있다.

ㅇ 투자에서 발생한 이윤 및 배당금 ㅇ 해외 대출에 대한 원리금 및 이자 지급 ㅇ 기술이전 또는 관리 협정과 관련된 지급 ㅇ기업의 인도 및 청산에 따른 수익 ㅇ 주식 또는 기업의 부분적인 소유권을 국내 투자자에게 인도함에 따라 발생하는 수익 ㅇ 외국인투자자에게 지급되는 보상금

외국인 근로자들은 태환 가능한 외국환으로 월급 및 기타 고용에서 발생하는 지급액을 에티오피아의 외국 환 규정 및 지침에 의거하여 해외로 송금할 수 있다.

나. 자금조달

에티오피아의 금융부분은 주로 은행, 보험 및 마이크로 금융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영 및 민간은행 기타 금융기관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중앙은행으로 National Bank of Ethiopia(NBE)가 있으며, 상업은행 업무는 3개의 국영은행, 12개의 민간 상업은행이 수행하고 있다.

국영은행: Commercial Bank of Ethiopia(에티오피아 최대 상업은행)및 Construction and Business Bank(CBB), Development Bank of Ethiopia(DBE) 상업은행: Dashen, Wagagen, Abyssinia, Awash, United 등

다. 외화 대출 및 이용

외국인 투자자는 투자 자본금, 외채 내역과 함께 투자자금 공급자 또는 외국 파트너의 신용을 National Bank of Ethiopia(NBE)에 등록하여야 한다. 투자와 관련된 거래에 대하여 외국인 투자자는 National Bank of Ethiopia(NBE)의 지침에 의거하여 권한을 이임 받은 국내은행에 외화 계좌를 개설하고 이를 운 용할 수 있다.

외환거래는 에티오피아 중앙은행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현지화의 외화 교환은 자유롭지 않다. 에티오피아 투자법령은 외국인 투자기업의 이윤, 배당금, 투자 원금 및 해외차입금에 대한 이자, 기술수입료 등의 해외 송금을 법적으로 보장하고 있으나, 외국기업의 해외송금은 에티오피아의 외환 보유 부족으로 인해 상당 기 간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에티오피아 중앙은행은 2008년부터 우선 순위를 정하여 외환을 배정하고 있으

103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며, 건설, 운송, 통신 등 국가 주도 성장산업, 프로젝트, 그리고 수출기업에게 우선 배정하고 있다. 다수의 외국인 투자기업, 특히 내수기업의 경우 장비 및 부품 수입을 위한 외환 확보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으며, 외환의 적시 확보를 위해서는 최소 수입 6-9개월 전에 외환거래를 신청해야 한다.

은행은 신규투자 등에 있어서 100% 담보를 요구하고 있고 이는 기업의 신규, 증설 투자에 장애가 되고 있 다. 특히 2010년 말 이후 시작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에티오피아 중앙은행은 상업은행의 한도 이상 대출 을 제한하고 있으며, 상업은행 여신의 27%를 국가인프라 사업 등 추진을 위한 정부발행 국공채 매입을 의 무화하고 있어 민간 자금시장 경색이 심화되고 있다. 다만, 수출산업 및 수입 대체산업에 투자하는 외국인 투자기업의 경우 정책자금으로 2013년 시중금리 15%보다 낮은 연리 8.5% - 9.5%로 투자금액의 70% 까지 대출이 가능하며, 수출을 위한 원자재 구매에서 현지 금융이 가능하다.

104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Ⅴ. Business 참고정보

1. 물가정보 (2014년 6월 기준. 단위: USD, US$ 1 = Birr 19.66) 구분 항목 가격(USD) 쌀 1kg 4.6 계란 10개 2 쇠고기 등심 1kg 5.8 돼지고기 등심 1kg 14 우유 1L 1.8 식품류 식용류 1L 7 생수 1L 0.4 맥주 (하이네켄 355ml, 6팩) 10.8 담배 1갑 (말보로 라이트) 1.7 햄버거 (맥도날드 빅맥) 없음 김치찌개 1인분 6 의료 보험료 (4인가족, 치과제외 Full Cover, 1년) - 의료비 병원 진료비 (의료보험 X, 몸살감기 내과초진) 5.2 병원 진료비 (의료보험 ㅇ, 몸살감기 내과조친) - 중형 승용차 (2000cc 신차, 오토, 에어컨포함 기본사양) 63267.2 무연 휘발유 1L 1.1 차량관련 자동차 등록비 29 자동차 보험료(2000cc 신차, 운전경력10년, 대인/대물커버, 1년) 439 도심 1시간 주차료 0.06 지하철 기본요금 (1구간) - 교통비 시내버스 기본요금 0.08 택시 기본요금 협의 시내전화 요금 (3분) 0.005 국제전화 요금 (3분, 한국으로 걸 때) 1.2 통신 휴대전화 요금 (월 표준 1분) 0.04 인터넷 월 사용료 (ADSL 기준) 369 주택 아파트 월 임차료 (방 3개, semi-furnished, 시내, 중상급) 1000 외국인학교 초등 1년 수업료 (중상급) 16550 교육 외국인학교 중등 1년 수업료 (중상급) 18790 외국인학교 고등 1년 수업료 (중상급) 19610 특급호텔(5성급) 1박 (싱글, 세금포함) 480 숙박 중급호텔(3성급) 1박 (싱글, 세금포함) 100 대졸 초임 (중상급 대졸, 영어구사, 외국인회사 초임 월급여) 200 생산직 초임 (학력무관 월 급여 초임) 40 임금/노무 매니저급 급여 (인사담당 5년 경력 과장급 월 급여) 500 주당 법정 근무시간 48시간

105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구분 항목 가격(USD) 출산 휴가 일수 90일 연간 국경일수 13일 주5일 근무 여부 미 시행 세탁요금 드라이크리닝 (정장 1벌 기준) 3 주: 에티오피아 정부의 공무원 임금 인상으로 인플레이션 예상됨. 2011년 공무원 임금 인상 당시 약 39%의 인플레이션이 있었음.

2. 이주정착 가이드

가. 일반 현황

에티오피아 인구는 2012년 현재 인구가 9,173만 명(연평균 증가율 2.9%)으로 아프리카에서 나이지리아 (1억3천만 명)에 이어 제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도시 인구는 전체인구의 약 17%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의 인구증가율이 지속될 경우 2015년 1억 명을 돌파할 것으로 추산되기 때문에, 인구증가율 감소를 통해 경제성장 및 개발과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부상하였다. 에티오피아는 인종의 박물관이라 고 불릴 정도로 다양한 종족 (약 80여개로 추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약 80개 이상의 종족 중에 가장 큰 부 족은 오로모족(Oromo)으로 전체 인구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15세기경에 남부아프리카로부터 이주해온 민족으로 현재 에티오피아 중부와 남부에 걸쳐서 거주하고 있다. 반면 북부와 서부에 거주하고 있는 암하라족(Amhara)와 티그라이족(Tigray)도 전체 인구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에 있는 공화국이며 수도는 아디스 아바바이다. 정식 명칭은 에티오피아 연방 민주 공화국이다. 1931년 이전에는 '아비시니아'라 불렀다.

에티오피아의 사회환경은 과거 20년간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온 바, 약 과반수의 인구가 빈곤 상태에 있으 며 만성적인 식량부족 현실을 겪고 있는 상태이다. Meles 정부는 이러한 열악한 사회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해 신경제 및 개발정책을 수립 중이며, 또한 국제기구 및 외국의 지원⋅협력 하에 HIV/AIDS 및 말라리아 등 질병퇴치를 위해 적극 노력 중이다.

나. 부문별 현황

교육

성인문맹률(2009): 57.3% (여성 문맹률: 64.9%) 초등학교 취학률(2009): 83.0% 교육 기관 대학교: 23개(Addis Ababa 대학교가 최고 교육기관) 대학 및 전문학교: 24개, 직업 및 기술학교: 17개 교원 양성소: 13개 가장 심각한 교육문제는 교육시설의 부족인 바, 학교당 평균 학생수가 7,000명에 달함.

106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보건

에티오피아에서 랑가노(Langano) 호수를 제외하면 모든 강과 호수에서 빌하르츠(Bilharzia)병의 발병 가 능성이 있다. 아디스 아바바 이외의 지역에서 특히 음식을 익혀먹고 물은 끓여 먹도록 해야 한다. 수영은 금물이다. 이 지역이야말로 세계의 NGO 의 전문가들이 '극도로 오염된 수질'이라고 칭한 곳이다. 말라리 아는 고지대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이 지역 저지대에서는 만연되어 있는 질병이므로 예방약을 복용하 는 것이 좋다. 한국과는 다른 종류의 말라리아균이 서식하므로, 한국보다는 현지에서 약을 구입하는 것이 낫다. 이 곳에서 야채식을 먹는 것은 간 디스토마에 걸릴 위험이 있으므로 또한 주의해야 한다

평균수명(2010): 55.8세(남 53.6세, 여 58.8세) 사하라이남아프리카 평균수명: 47세 www.Indexmundi.com(국가개황 전문 통계 사이트) 보건 시설: 인구의 46%만 혜택 주요 질병: 수인성 질환(장티푸스, 세균성 설사 등), 호흡기 질환, 말라리아(연평균 4~5백만 명 발병), AIDS/HIV(15~49세 인구의 3.8% 감염) 등 에티오피아 보건부는 현재 사회보험을 도입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인구 및 빈곤

2012년 현재 인구 9,173만 명으로 연평균 2.9%의 높은 인구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가임 여성 1인당 평균6.02명을 출산 유아 사망율(2012): 6.8% 2013년 9월 UNICEF 가 지정한 영아사망률 목표치에 도달하여 UN 의 새천년계획(MIlllenium Development Goal, MDG) 달성 인구의 절반이 절대빈곤 상태 5세 이하 어린이 47%가 영양실조

문화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적 전통을 자랑하며 문화전통은 3,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에티오피아’란 ‘태양에 그을린 얼굴의 땅(Land of the Burnt Faces)’이라는 의미로, 전설에 의하면 시바여왕과 솔로몬왕 사이에 태어난 메넬릭(Menelik) 1세가 초대 황제이다. 현존 발견 최고 인류화석(약 300만 년전으로 추정) Lucy 가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되었다. 에티오피아는 오랜 문화적 전통으로 많은 문화유산을 갖고 있으며, 특히 기독교 문명이 일찍 전래되어 인구의 약 절반이 에티오피아 정교회(Ethiopian Orthodox Church) 신자이고 Lalibela 교회(거대한 돌을 깍아 만든 교회), Axum Obelisk, Gondar 고성 등 고대 기독교 문명 유산 다수 존재한다. 또한 이슬람교도 일찍 전래되어 이슬람 4대 성지 중 한 곳이 에티오피아에 있으며 무 슬림 인구가 40% 이상으로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언어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인 암하릭(Amharic)어는 아프리카 국가 언어 중 유일하게 고유문자를 보유하고 있다. 에티오피아에서는 암하릭어(Amharic)가 공식 공용어이긴 하나 쓰이는 언어는 티그리냐, 오모리냐, 셈어 (Semitic), 햄어(Hamitic), 나일제어(Nilotic)등을 비롯, 이 나라에 있는 민족 수만큼이나 다양하다. 영어는

107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중학교 수준의 학교에서부터 교육언어로 채택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사용된다. 아랍어 또한 동부와 서부 에서 통용된다.

언론

ㅇ 신문

The Ethiopian Herald P.O. Box 30701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2-5457 Fax: +251-11-156-9862 이메일: [email protected] http://www.ethpress.gov.et

Addis Zemen (Daily Amharic newspaper) P.O. Box 30145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2-5444/911 247 304 Fax: +251-11-156-9862 이메일: [email protected] http://www.ethpress.gov.et

Capital (weekly) P.O. Box 95 Code 111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18-3253 / +251-11-651-3375 Fax: +251-11-618-5206 이메일: [email protected] http://www.capitalethiopia.com

Fortune (weekly) P.O. Box 1110, Code 259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416-3020 Fax: +251-11-662-3727 이메일: [email protected] http://www.addisfortune.com

Press Digest (weekly) P.O. Box 12719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111-2154 Fax: +251-11-551-3523 이메일: [email protected] http://www.Press-digest.info

Sub Saharan Informer (weekly) P.O. Box 22178 Code 100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15-1800 Fax: +251-11-552-6722 E-mail: [email protected] http://www.ssinformer.com

The Daily Monitor P.O. Box 4502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156-0199/156-0794/911 082 412 Fax: +251-11-156-0515 E-mail: [email protected] http://www.theafricamonitor.com

108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The Reporter (weekly) P.O Box 7023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1-6188/116 646 189Fax: +251-11-661-6189 이메일: [email protected] http://www.ethiopianreporter.com

ㅇ 정부 언론기관

Ethiopian News Agency P.O. Box 530 Tel: +251-11-155-0011/111 563 931 Fax: +251-11-155-1609 E-mail:[email protected] or [email protected] http://www.ena.gov.et

Ethiopian Radio and Television Agency P.O. Box 1020/5544 Tel: +251-11-550-5483 / 553-6566 Fax: +251-11-550-5174 E-mail: [email protected] http://www.erta.gov.et

Radio Fana Addis Ababa, Ethiopia P.O. Box 30702 Tel: +251-11-551-6777 Fax: +251-11-551-5039 E-mail: [email protected] http://www.radiofana.com

Walta Information and Public Relation Center S.C P.O. Box 12918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467-0303 Fax: +251-11-467-0302 E-mail: [email protected] http://www.waltainfo.com

ㅇ 광고 에이전시

Horizon Ethiopia P.O. Box 26782/100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18-4045 이메일:[email protected] http://www.addisconnexion.com

Afro link Studio P.O. Box 1126, Code 111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1-1085 이메일: [email protected] http://www.afrolinkstudio.com

B.T. Digital Advert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3-1717 Fax: +251-11-662-6545 이메일: [email protected] http://www.btadvert.com

109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Cactus Advertising P.O. Box 579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2-3888 Fax: +251-11-661-5100 이메일: [email protected]

Lion Advertising P.O. Box 5372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2-7835 / 552-7836 Fax: +251-11-551-2499 이메일: [email protected]

Mono 2000 PLC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3-3060 Fax: +251-11-663-3061 Mob: +251-91-121-2091 이메일: [email protected]

Zeleman Productions P.O. Box: 17629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3-2800/01/02/03/04 Mobile: +251-91-124-5627 Fax: 251-11-662-6238 E-mail:[email protected] www.zelemanproductions.com

금융기관

ㅇ 중앙 및 국영은행

National Bank of Ethiopia (NBE) (중앙은행) P.O. Box 555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1-7430 Fax: +251-11-551-4588 이메일: [email protected] http://www.nbe.gov.et

Construction and Business Bank P.O. Box 348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12 300 Fax: + +251-115 515 103 E-mail: [email protected] http://www.cbb.com.et

Development Bank of Ethiopia P.O. Box 190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1-1188 Fax: +251-11-551-1606 E-mail: [email protected] http://www.dbe.com.et

110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Commercial Bank of Ethiopia (국영 상업은행) P.O. Box 255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1-5000 Fax: +251-111-237 958 E-mail: [email protected] http://www.combanketh.et

ㅇ 민간은행

Awash International Bank P.O. Box 12638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1-4482/661-3023 Fax: +251-11-661-4477 이메일: [email protected] http://www.awash-international-bank.com

Bank of Abyssinia P.O. Box 12947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1-4130 Fax: +251-11-551-0409 이메일:[email protected] http://www.bankofabyssinia.com

Dashen Bank P.O. Box 12752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4-661380 E-mail: [email protected] http://www.dashenbanksc.com

Lion International Bank S.C P.O. Box 27026 Code 100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2-6000 Fax: +251-11-662 5999 이메일: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http://www.anbesabank.com

Nib International Bank P.O. Box 2439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0-3288/550-3304 Fax: +251-11-550-4349 이메일: [email protected] http://www.nibbank-et.com

United Bank P.O. Box 19963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465-5222/465-5272 Fax: +251-11-465-5243 이메일: [email protected] http://www.unitedbank.com.et

111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Wegagen Bank P.O. Box 1018 Addis Ababa, Ethiopia Tel:+251-11-552-3800/552-3526 Fax:+251-11-552-3520/552-3521 E-mail: [email protected] http://www.wegagenbank.com.et

Zemen Bank S.C P.O. Box 1212Addis Ababa, Ethiopia Tel:+251-11-552-3800/552-3526 Fax:+251-11-552-3520/552-3521 이메일:[email protected] http://www.zemenbank.com

Berhan International Bank P.O. Box 387/111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 116 185 732 http://www.berhan-bank.com Bunna International Bank P.O. Box 387/111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 111 554783 이메일:[email protected] http://www.bunnabanksc.com

Oromia International Bank Tel: :+251 115 572 113 이메일: [email protected] www.Orointbank.com

Cooperative Bank of Oromia Tel: :+251 115 522 759 http://www.coopbankoromia.com.et

기타

ㅇ 국제 기구

World Bank http://www.worldbank.org

Doing Business in Ethiopia report: www.doingbusiness.org/data/Exploreeconomies/ethiopia

African Development Bank http://www.afdb.org

112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African Union http://www.au.int

UN Economic Commisions for Africa (UNECA) http://www.uneca.org

ㅇ 전자거래(e-Commerce)

Ethiopian Commodity Exchange http://www.ecx.com.et

Ethio Gift http://www.ethiogift.com

Ethio-Market http://www.ethiomarket.com

Ethiopian Airlines http://www.ethiopianairlines.com

Genuine Leather Craft http://www.genuineleathercraft.com

ㅇ 기타 주요 사이트

비즈니스 사이트 www.2merkato.com

African Growth and Opportunity Act http://www.trade.gov/agoa/

Common Market for Eastern and Southern Africa http://www.comesa.int

Official Portal of Tourism in Ethiopia http://www.ethiopia.gov.et

Ethio-Jobs http://www.ethiojobs.net

113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다. 언론 자유

2005.6월 및 11월 등 대규모 부정선거 규탄 반정부 시위 이후 다수 민영 신문을 폐간시키는 등 문제점을 노출하였으며, 2011년 들어 테러 방지라는 명목으로 언론인을 탄압하고 있다는 국제사회의 비판이 증가하 고 있다.

라. 국내 교통

버스

아디스아바바를 거점으로 국내 주요지역으로 가는 국내항공편 이용 가능하다. 주요 대중교통수단으로는 택시와 미니버스(승합차 형태)가 있다. 시외버스는 터미널에서 집합해 출발을 한다. 시외버스터미널은 일 반적으로 시장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장거리 버스의 출발시간은 아침 6시이다. 단거리 버스는 오후 2시까 지 한 시간에 한 대, 두 시간에 한 대 꼴로 출발한다. 버스 요금은 이동거리 100km 당 15Birr 정도를 계산 하면 된다. 티켓 예약은 전날 가능하며, 자신이 탈 버스를 찾아 '버스 도우미(승차권 걷는 사람)'에게 직접 돈을 주고 예약 티켓을 받아오면 된다. 장거리 이동 시 버스가 중간도시에 멈춰 하룻밤을 묵어가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다음날도 버스가 새벽 6시에 출발하기에 시간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Ethiopia 시외버스 운행시간

Addis Ababa <-> Dessie : 11시간 Addis Ababa <-> Bahar Dar : 2days Addis Ababa <-> Lalibela : 2days Addis Ababa <-> Dire Dawa : 10시간 Addis Ababa <-> Harar : 9시간 Addis Ababa <-> Jimma : 9시간 Addis Ababa <-> Arba Minch : 12시간 Addis Ababa <-> Awasa : 4시간 Addis Ababa <-> Mekele : 2days

기차

에티오피아에는 Addis Ababa 와 Djibouti 를 연결하는 딱 하나의 철길이 있고, 나머지 노선은 현재 건설/ 보수 중이다. 이 철길은 Addis Ababa 를 출발, Nazret 과 Awash 에 간이역을 가지고 있으며, Dire Dawa 에 종착역을 가지고 있다. Dire Dawa 에서는 일주일에 3번 Djibouti 로 가는 기차가 출발한다.

Ethiopia 기차 운행 시간

Addis Ababa <->Nazret : 2.5시간 Addis Ababa <-> Awash : 6시간 Addis Ababa <-> Dire Dawa: 12시간

114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버스와 기차를 제외하고도 대중교통으로는 Mini Bus 와 랜드쿠르져 그리고 화물트럭 등이 더 있다. Mini Bus 는200km 이내의 가까운 도시를 연결하고 있으며, 요금은 일반버스의 약 2배 가량이다. 랜드쿠르져는 200km 이상의 장거리를 달리는 사설 대중교통으로 이 역시 버스비의 약 2배이다. (Maximum 7명 랜드 쿠르져 한 대에10명이 탄다.) 화물트럭은 도시 간을 이동하는 화물트럭을 얻어 타는 것으로 정규적인 운항 이 있는 것은 아니다. 요금은 버스비의 1.5배가량으로 타기 전, 운전사와 먼저 흥정을 해야 한다.

마. 통신

국제전화의 경우, 한국은 1분 당 약 10.5 ETB (약 US$ 0.6)가 들고, 팩스 등도 통용된다. 또한 외국에서 에티오피아로 전화를 걸 경우, 국가번호는 251, 아디스아바바 지역 번호는 01, 핸드폰 앞자리는 09 이다. 국제전화와 팩스를 보내고 싶을 경우에는 아디스 아바바의 텔레커뮤니케이션 센터를 이용해야 한다. 3분 통화를 기준으로 유럽 (영국 기준)은 US$6.25, 미국으로는 US$8, 호주로는 US$9.75가 든다. 외국에서 에티오피아로 전화를 걸 경우 에티오피아의 국가 번호는 251, 아디스 아바바의 지역 번호는 01이다.

에티오피아의 통신 사업은 국영기업인 Ethio Telecom(ET)가 독점하고 있다. 심(SIM) 카드를 이용한 선불 휴대폰은 공항 및 현지에서 구입 가능하다. 심카드는 2G 와 3G 모두 가능한데, 현재 3G 네트워크는 최대 용량에 도달하여 생산을 중단한 상태이다. 2008년부터 Ethio Telecom 을 통해 고속인터넷 사용 가능한 데 회사에 신청서와 정해진 수수료 지불 (사용료는 200~250버(birr))하고 인터넷 통신 기기는 시내 컴퓨 터 매장에서 약 2,000 비르(birr)에 구입 가능하다. 이외에 주요 호텔과 대도시의 인터넷 카페를 통해 이용 가능하나 비싼 편이다.

인터넷 사용환경

ㅇ 모뎀 서비스 속도: 약 31.2~54.6 Kbps(컴퓨터 성능에 따라 다름) 가입비(보증금, 연결수수료 포함): Birr 595(US$ 60) 사용료 주간(08:00~20:00): 7센트/분 야간(20:00~08:00), 공휴일(토, 일 포함): 4센트/분

※ 문의: Ethiopian Telecommunication Corporation(www.ethionet.et)

ㅇ 전용회선 서비스 속도: 512 Kbps ~ 4 Mbps 가입비(보증금, 연결수수료 포함, 설치비 별도) 512Kbps: 월 사용료: 950 birr 1 Mbps: 월 사용료: 1,700 birr 2 Mbps: 월 사용료: 3,075 birr 4 Mbps: 월 사용료: 5,550 birr 설치방법: 아래 전용회선 설치 전문회사에 문의 System Technology (Tel.: 0114-663632) Information Technology Support Center (Tel.: 0115-507150)

115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ㅇ CDMA USB 스틱 형태의 인터넷 모뎀 이론상 서비스 최대 속도: 19.2KB/s 요금: 0.04~0.10 Birr / 분 (피크 시간과 사용량에 따라 다름)

ㅇ EVDO USB 스틱 형태의 인터넷 모뎀 이론상 서비스 최대 속도: 0.39MB/s 월 이용 요금: 300 Birr (1G), 500 Birr (2G), 700 Birr (4G)

3. 취항정보

에티오피아 항공은 2013.6월부터 홍콩을 경유하는 아디스아바바-인천 노선을 신설하였으며, 그 외에도 두 바이, 케냐, 방콕 등을 경유하는 노선도 있다.

노선 편명 출발시간 도착시간 경유지 운항요일 인천-아디스아바바 ET 609 20:50 06:25 홍콩 화, 목, 토 아디스아바바-인천 ET 608 22:50 19:30 홍콩 월, 수, 금 자료원: 에티오피아 항공

에티오피아에 출항하는 항공사 및 주요 노선은 아래와 같다.

Ethiopian Airline (Tel.: 0116-656666 / 612222): 아프리카 13개 및 유럽‧중동‧아시아 38개 도시(로 마, 두바이, 젯다, 북경, 홍콩 방콕 등) Lufthansa (Tel.: 0115-515666 / 515675): 프랑크푸르트, 카이로 등 Kenya Airway (Tel.: 0115-513018): 나이로비 Emirate Airway (Tel: 0115-181818): 두바이 Egypt Air (Tel: 0111-564494/ 564493/ 564495): 이집트 Turkish Airlines (Tel: 0116-627781 / 627782/ 627783): 터키 Yemenia (Tel: 0115-515076): 예멘 Saudi Arabian Airways (Tel: 0115-512769): 사우디아라비아 Qatar (Tel: 0115-544638): 카타르 Gulf Air (Tel: 0115-505933): 바레인

힐튼호텔을 비롯한 주요 호텔에서는 공항셔틀을 제공하기도 하며, 공항 출국장에는 주요 호텔의 상설 사무 소가 설치되어 있다.

렌트카의 경우 아래의 업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Abyssinian Tours & Travel: 0115-519293 Rainbow Travel: 0113-717944 / 717940

116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Lalibela Tour & Travel Agency: 0115-158600 / 533799

공항에서 택시를 이용할 경우 택시 창구에서 이용 가능하며 아디스아바바 각 지역별 가격표가 정해져 있다.

4. 출입국 및 비자제도

항공 입국 시 무 비자로 2개 국제공항(Bole, Diredawa)에 도착 후 이민국에서 1~3개월 유효한 비자를 발 급한다. 육로 입국 시에는 반드시 사전에 에티오피아 해외 주재 공관에서 비자를 발급 받아야 한다(미소지 시 입국 거부됨). 특히 케냐에서 육로로 국경도시(Moyale)를 통해 에티오피아로 입국하고자 하는 우리 배 낭 여행객들은 반드시 사전에 케냐 주재 에티오피아 대사관에서 비자를 발급 받아야 한다.

입국 시 아디스아바바 공항에서 입국비자 발급 가능 2002.4.1.부로 주한에티오피아 대사관은 폐쇄되었으나 2012.4. 주한에티오피아 대사관 개설 육로 입국 시에는 인근국(케냐, 수단, 지부티) 소재 대사관에 사전신청 가능

비자 종류 관광비자: 최초 1개월 발급 가능하며 2회 추가 연장 가능 관광비자로는 최대 6개월 체류 가능

수수료는 약$20 (연장 시 추가 수수료 약 $10 비즈니스(공용 및 상용) 비자: 관광비자와 동일

기타 비자 신청 시 알아두어야 할 사항

일반 기업인 입국 - 현지기업 초청: 해당 기업이 사전에 이민국에 신청, 공항에서 비자 발급 - 초청 없이 단독으로 입국: 공항에서 관광비자를 받을 수 있다

일반 체류인(자영업 또는 현지 취업을 원하는 경우) - 관광비자로 입국 후, 에티오피아 노동부에 노동허가(Work Permit) 신청

비자신청 구비서류

- 신청서 2매 - 여권원본(만료6개월 이상) - 여권 사본 2매 - 신분증 사본 2매 (운전면허증 제외) - 여권 사진 2매 - 서류 (항공권, 일정표, 영문 초청장 등) - 비즈니스 및 관광비자 구비 서류 동일

117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황열병 (입국시 WHO 카드 지참)

접종장소: 국립인천공항 검역소 (인천공항 2층(민원실 / 해외여행 질병정보 센터) 전화번호 및 업무시간: (032)740-2701, 2702 / 09:00-12:00, 13:00-17:30 접종시기 및 비용 등: 출국 10일전 / 29,600원 (카드발급 포함) 주의사항: 여권지참 / 영문성명(대ㆍ소문자 / 띄어쓰기 구별)

황열병 예방접종 카드 소지

WHO 에서는 에티오피아를 황열병 발병 지역으로 표시하고 있으나 에티오피아는 이를 부인하고 있어 에 티오피아를 입국할 때 황열병 접종카드를 소지하지 않아도 아무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에티오피 아에서 다른 나라로 이동 시 황열병 접종카드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으니 반드시 황열병 접종카드를 소지하 는 것이 좋다. 특히, 인근 케냐에서는 에티오피아에서 들어오는 외국 사람들에게 반드시 황열병 접종 카드 를 확인하고 카드가 없을 시 입국을 거부하거나 혹은 많은 금액의 벌금을 부여하는 경우도 있다.

세관: 아래 품목은 무관세로 소지 가능 - 담배(20팩 ) - 2리터 이하의 알코올 또는 와인 - 전자제품(휴대용 라디오, 노트북, 또는 비전문가용 카메라 각 1개)

118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5. 관광, 호텔, 식당, 통역

관 광

에티오피아는 오랜 문화적 전통으로 많은 문화유산을 갖고 있으며, 특히 고대 기독교문명 유산 다수 산재 해 있다. Lalibela 교회(거대한 돌을 깎아 만든 교회), Axum Obelisk, Gondar 고성 등

곤다르 파실라다스 왕의 궁전

고산지대는 크게 건기와 우기로 기후가 구분되며, 건기 시에는 고산기후로 늘 청명, 쾌적하다. 2013 months of sunshine’을 관광 캐치 프레이즈로 사용하고 있다. 오랜 전쟁과 가난으로 관광기반 시설이 제 대로 갖춰지지 않아 급속한 관광객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우나 풍부한 문화유산과 뛰어난 자연경관 등으로 관광 잠재력은 크며, 최근 평화회복 및 정치안정으로 관광객 수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다.

1991 이래 매년 평균 20% 관광객 수 증가 1991: 8만 명 → 1995: 14만5천 명 → 2004: 21만 명 → 2010: 50만 명

특히 2005년 4월 1930년대 이탈리아 침공 시 약탈당한 Axum Obelisk 를 반환 받은 것을 계기로 관광산 업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정부도 약탈 및 반출된 문화재 반환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으며 UNESCO 이사국 및 세계문화유산위원회 등 관련 국제기구에 대한 적극적 진출을 위해 노력 중이다.

아디스 아바바

국립박물관 시내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최초의 인류로 추정되는 “Lucy"의 유골화석(1974년 발견, 약 320만년 추 정), 역대 에티오피아 황제의 관 등 다수의 주요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관람시간은 월-일(08:30-17:00), 기타 공휴일(크리스마스 등)은 휴관함

119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아디스 아바바 대학 박물관 Selassie 황제의 궁전으로 사용된 곳으로, 에티오피아 민속박물관 및 전통 회화 전시실을 보유하고 있다. 관람시간은 월-일08: 30-17:00 이며 기타 공휴일은 휴관함

세인트 죠지 교회 및 박물관 1930년 Selassie 황제가 대관식을 올렸던 에티오피아 정교 교회로 그리스, 아르메니아, 인디아 미술가가 그린 실내벽화로 유명함. 관람시간은 월-일 08:30-17:30이며 기타 공휴일(크리스마스 등)에는 휴관함

삼위일체 교회(Trinity Cathedral) 로마네스크 양식의 웅장한 교회로 Selassie 황제가 이탈리아에 대항해 싸운 에티오피아 용사들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움. 내부에 다수의 벽화 및 황제의 용상을 소장하고 있으며, 한국전 참전 에티오피아 군인의 유해 가 안치되어 있다. 관람시간은 월-일 08:00-12:00, 14:00-17:00 이며 기타 공휴일(크리스마스 등)은 휴 관함

지방

Debra Zeit 아디스인들의 주말 휴양지로서 Bishoftu, Hora 등 호수가 소재하며, 인근에 휴화산인 Mt. Zuqualla 가 있 다. 아디스 아바바에서 남쪽으로 약 70Km 거리에 위치함

Langano 호수 물빛이 황토색이나 수질이 깨끗하여 에티오피아내에서 유일하게 수영할 수 있는 호수로 알려져 있으며, 인 근에 Abita-Shala 호수 국립공원이 있음. 주말을 이용하여 외국인들이 많이 이용하며 수영, 낚시, 캠핑, 보 트타기, 승마 등을 즐길 수 있다. 아디스 아바바에서 남쪽으로 약 210Km 에 위치함

Bahar Dar 암하라주의 수도로서 청나일강의 수원지인 Tana 호수와 Blue Nile 폭포(낙폭 약50m) 및 기독교 순례지 등으로 유명함. 아디스 아바바에서 북쪽으로 약 450Km 떨어져 있으며 항공기를 통해 이동 가능함

Bahar Dar

120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Axum 에티오피아 고대 수도로서 시바 여왕의 유적지이며, 에티오피아인들이 십계명 법궤(Ark of Covenant)가 보관되어 있다고 믿고 있는 St. Mary of Zion 교회가 있음. 여자는 St. Mary of Zion 교회를 포함하여 동 교회부지 내 박물관에 입장할 수 없다. 아디스 아바바에서 북쪽으로 약 700Km 지점에 위치하고 있음.

Bahar Dar

관광 시 유의사항

물, 음식, 휴대용 버너 등은 따로 준비하는 것이 좋음 유명 역사 관광지에서는 사진 및 비디오 촬영은 원칙적으로 금지 촬영을 위해서는 입장료 외 촬영료를 별도로 지불해야 하는 경우가 많음 관광지 인근 현지인을 촬영할 때에는 미리 동의를 구해야 함. 대부분 지역에서는 사전에 말라리아 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음 말라리아 약은 위험지역 출발 2일전 1알, 7일후 1알, 14일후 1알 복용 호텔에서 나갈 때는 문을 꼭 잠그고, 여권 및 귀중품은 잘 간수하여야 함.

나. 호텔

고급

쉐라톤 호텔(Tel.: +251-11-5171717 / Fax.: +251-11-5172727) Single: US$ 220-375(조식, 세금 및 봉사료 25% 비포함) Double: US$ 250-420 Junior Suite: US$ 875 부대시설: 사우나, 수영장, 나이트클럽, 식당(뷔페, 이탈리아, 프랑스)

힐튼호텔(Tel.: +251-11-518400 / Fax.: +251-11-5510064) Single: US$ 195(조식, 세금 및 봉사료 25% 비포함) Executive Single: US$ 220 Double: US$225

121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부대시설: 사우나, 수영장, 테니스장, 헬스룸, 식당(뷔페, 양식)

Intercontinental Hotel (Tel:+251-115-180-444, Fax: +251-115-540090) Presidential Suit: $ 506 ($ 506) VIP Suit: $ 353 ($ 318) Twin Suit: $ 172 ($ 155) King Delux Rooms: $ 172 ($ 155) Junior Suit: $ 200 ($ 180) 부대시설: 헬스클럽 홈페이지: www.intercontinentaladdis.com.et ()는 KOTRA Corporate Rate 임

중급

Jupiter 호텔(Tel: +251-115-527333) Standard Suit: $ 125 ($ 100) King Delux Rooms: $ 145 ($ 120) Junior Suit $ 200 Executive Suit: $ 275 ($ 200) 부대시설: 식당(뷔페, 양식) www.jupiterinternationalhotel.com ( )는 KOTRA Corporate Rate 임

BOLE Ambassador 호텔(Tel: +251-116-188284/81) Standard Suit: $ 120 ($ 80) Twin suit: $ 140 ($ 95) King Deluxe Rooms: $ 150 ($ 100) King Suit: $ 170 ($ 120) Executive Suit: $ 200 ($ 140) ( )는 KOTRA Corporate Rate 임

Dagim Millennium 호텔(Tel: 0113-720300~05) Single: US$ 55(조식, 세금 및 봉사료 25% 포함) Double(Standard): US$69 Twin: US$ 95 Semi suit: US$115 부대시설: 식당(뷔페, 양식)

기혼호텔(Tel: 0115-513222 / Fax: 0115-505150) 정부운영 호텔로 지방 관광지에도 있으나 시설이 낙후되어 있다 Single: US$73(조식, 세금 및 봉사료 25% 비포함) Double: US$110 부대시설: 수영장, 나이트클럽, 식당(현지식)

122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글로벌호텔(Tel: 0114-664766 / 663906 / Fax: 0114-664723) 2001년 8월 완공되어 객실이 깨끗하고 요금이 저렴함. Single: US$73(조식, 봉사료, 부가세, 사우나 포함) Double: US$91 부대시설: 사우나, 식당(양식, 현지식)

하급

King's Hotel(Tel.: 0113-711300 / Fax.: 0113-710744) Single: Birr 351(약 $40, 조식, 봉사료, 부가세 포함) Double: Birr 450(약 $50) 부대시설: 식당(양식)

Crown Hotel(Tel.: 0114-341444 / 341046 / Fax.: 0114-341428) 125-220 Birr(약 $14~25)

다. 식당

한국식당

Arirang Korean Restaurant(Tel.: 0113 -204606) Rainbow Korean Restaurant(Tel.: 0911-457790, 0116 - 637964) 대장금(Tel. 0910-568860)

(현지)주요 식당

호텔 이외의 외국인을 상대하는 현지 음식점의 경우, 2인 식사기준 $30-50 정도로, 대체로 한국보다 저렴 한 편이지만, 신선한 재료 부족 등의 문제로 전체적으로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니다.

쉐라톤 호텔(Tel: 0115-17 17 17 호텔 대표전화) 뷔페식당(Summerfields), 프랑스식당(Les Arcades), 이탈리아식당(Stagioni), 인도식당 (Shaheen)

힐튼 호텔(Tel. :0115-17 00 00 호텔 대표전화) Jacaranda Restaurant, Kaffa House/Pizzeria, Gazebo(야외식당)

Le Grand Reve(벨기에 식당, Tel.: 0116-62 19 29 / 0912-49 88 78)

Zaika(인도식당, Tel. :0114-67 40 00)

Datang(대당, 중국식당, Tel.: 0116-29 98 88)

Yod Abyssinia (에티오피아 식당, Bole 점과 Sarbet 점 두 곳이 있다. 번호는 같음. Tel.: 0911-47 94 78)

123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6. 출장 시 유의 및 참고사항

가. 기후 특성

에티오피아의 기후는 다양한 지형에 따라 달라진다. 중앙 분지는 비교적 온화한 기후를 보이고 최저기온 5.5°C 최고 기온 26°C 에 이른다. 기온의 다양성은 저지대에서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사막과 홍 해근처 지역은 더위가 극에 달아 기온이 60°C 에 이르는 일도 있다. 6월과 9월 사이, 강수량이 부쩍 늘어 나는 우기가 이어지고 중앙 분지 지역에는 12월과 2월 사이 땅을 적실 정도의 가벼운 우기를 맞는다. 이 지역 연평균 강수량은 48인치정도이고 오가덴(Ogaden)지역은 4인치도 채 되지 않는다. 반면 에티오피아 의 서부 지역은 연평균 강수량이 거의 80 inch 에 달한다. 에티오피아는 고원지대는 Afro-Alpine 고산기 후로 연중 기온변화가적다(평균 16℃- 22℃). 저지대는 열대기후로 고온 다습하다. 우기와 건기의 장단은 지역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4기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강수량에 따른 에티오피아의 연중 시기별 분류

분류명 현지어 시기 온건기 Bega 4월-5월 대우기 Kiremt 6월-9월 냉건기 Meher 10월-1월 소우기 Belg 2월-3월

연평균 강우량은 1,000-1,500㎜ 이나, 지역에 따라 편차가 극심하며, 대부분 강우량이 6-9월 우기에 집중 되어 있다. 최근에는 이상기후로 인해 건기철에도 비가 오는 등 농사 주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에티오피아 평균기온

아디스아바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균기온 15 16 17 17 18 16 15 15 16 16 15 14

나. 출장 시 복장

의류는 대부분 춘추복으로 준비하도록 하며, 하복은 약간만 준비하면 된다. 일교차가 크므로 스웨터 및 얇 은 내의도 필요하다. 또한 내의, 양말 등은 현지에서 구하기 쉽지 않으므로 가급적 충분히 가져오는 것이 좋다. 건기 때는 매우 건조한 만큼 보습제 및 기타 화장품도 필요하다.

다. 지리

면적은 1,127,000 스퀘어 미터임 대부분의 작물은 서부의 평야(블루 나일 지대)와 고지대에서 재배 동부 해안과 수단이 인접한 서부 지역은 기온이 40℃에 이르기도 함 벌목으로 인한 산림 파괴가 심각하며 토지부식이 크게 나타나고 있음

124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라. 시차

에티오피아의 시차는 GMT+3 (섬머 타임은 없음) KST-6으로 한국의 오후 6시는 현지의 오후 12시 전통적으로 하루 24시간제가 아닌, 12시간제 사용 (일출시인 06시를 0시로, 일몰시인 18시를 다시 0시로 함) 최근 공공기관과 은행에서는 24시간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마. 근무시간

은행 월∼금: 현금 ㆍ 수표업무 08:00 - 16:00 토: 현금 ㆍ 수표업무 08:00 - 11:30

우체국

우편 배달 시간은 대체로 늦은 편이지만 아디스 아바바의 우편 체계는 대체로 믿을 만하다. 우체국의 직원 들은 개인적으로 외국인에게 자국의 옛 우표를 팔아 이익을 남기기도 한다. 월∼금: 08:00 - 16:00 토: 08:00 - 12:00(등기 및 소포는 16:00까지 처리)

수도국, 전기국 및 전화국 월∼금: 08:30 - 17:30 토: 08:00 - 11:00

일반 기업 근무시간은 보통 오전 8:30(또는 9:00)에서 오후 5:00(또는 5:30) 점심시간은 오후 12:00부터 오후 2:00 사이로, 각 기업마다 상이

바. 도량형

도량형: 사회 관행적으로 미터법(Metric System) 사용

길이: 센티미터, 미터, 킬로미터 무게: 그램, 킬로그램, 톤 부피: 입방센티미터, 입방미터, 리터 넓이: 평방미터

전기규격

전기 및 전압 220V 또는 240V/ 50Hz 이다. 한국은 60Hz 으로 국내용으로 제작된 전기, 전자 제품은 고장 나기 쉽다. 또한 전압이 불안정하여 전자제품 사용시 유의하여야 한다.

125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전자제품 TV 및 Video 방식: PAL 방식(유럽방식) 한국전자제품은 사용 가능하나, 정밀 오디오제품 등 전압변동에 민감한 제품은 전압안정기(AVR)와 전원 자동 차단기 등을 준비

정전이 자주 되므로 특히 컴퓨터 보호를 위해서는 UPS 구입이 필수 TV, VTR 등은 PAL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멀티시스템 기기 필요

사. 화폐단위

에티오피아의 통화단위는 birr(비르)이며 1birr 는 한화로 60원 정도이다. 외환 암시장이 존재하여 최대 10%까지 환전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아디스아바바의 Mercato 와 Piazza 지역에서는 환전하지 말 것을 권유한다. 환전 시 사기를 당하거나 소매치기를 당하는 일이 빈번히 일어나기 때문이다.

아. 환율

US$ 1 = Birr 19.7215 (2014.7.30 기준)

자. 환전

에티오피아내의 외화 사용은 금지되며, 여행객의 경우 현지화로 환전 후 사용 환전 가능 장소 공항 환전소 월-토까지 주요 호텔(힐튼 및 쉐라톤 등) 내 입주하고 있는 은행 Traveller's check 의 경우 쉐라톤 호텔 환전소 및 Commercial Bank of Ethiopia 의 외국환 전용 취급점 (아디스아바바에서 1곳)에 환전이 가능하며, 국내에서 Traverller's check 를 발급받을 당시 받은 영수증 등 지참 필요

차. 공휴일 및 기타 휴일 (2014년)

에티오피아는 율리우스력을 따르기 때문에 1년은 30일로 이루어진 12개월과 5, 6일밖에 없는 13번째 달 로 이루어진다. 한 해의 시작은 9월 11일이며 율리우스력은 일반 그레고리안력의 해보다 7년 반정도 뒤지 게 된다. 따라서 에티오피아의 축제일은 다른 나라와는 다르며 이슬람력에 따라 수시로 그 날짜가 바뀌는 축제일이 있다.

날짜 휴일명(영문) 비고 1월 7일 크리스마스 에티오피아력 1월 13일(14일) 모하메드 탄생일 매년 다름 1월 19일 예수공현일(Ephiphany) 에티오피아력 3월 2일 아드와 전승 기념일(Victory of Adwa)

4월 18일 성금요일(Good Friday) 에티오피아력 4월 20일 부활절(Ethiopian Easter) 에티오피아력 5월 1일 국제 노동절(International Labor Day)

126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5월 5일 애국자 승리일(Patriot's Victory Day)

5월 28일 민주정권 수립일(Downfall of the Derg)

7월 28일* 라마단 종료일(Id Al Feitr) 매년 다름 9월 11일 신년(New Year) 에티오피아력 9월 27일 참십자가 발견일(Meskel Day)

10월 04일* 메카순례 시작 익일(Eid Al Adeha) 매년 다름 * 표시는 음력 기준, 매년 날짜가 바뀜

출장 지양 기간 (기후 및 풍습 관련)

대우기(6월~9월) 수도인 아디스아바바를 이외의 저지대 지역은 비가 많이 옴 특히, 밤과 새벽에는 기온이 0℃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도 있다

금식(Fasting) 제도 에티오피아 정교 (무슬림 및 개신교 제외) 특유의 금식 제도 종교행사 금식기간(장 기간)과 평소 금식기간(매주 수요일과 금요일)이 있다 일부 젊은 세대나 환자는 금식기간을 지키지 않기도 함 이 기간 중에는 육류, 치즈, 버터, 달걀, 우유 등을 먹지 않음(생선 제외)

주요 금식기간 관련 종교기념일

부활절(Easter) Fasting: 부활 55일전부터 부활절까지 크리스마스(X-mas) Fasting: 크리스마스 45~50일전부터 크리스마스까지 Tsege Fasting: 10.19. - 11.16. (27일) Fisleta Fasting(for St. Mary): 8.7. - 22. (16일) Desiples Fasting(or Senae Fasting): 6.19. - 7.24. (35일) 평상시 금식기간: 매주 수요일 및 금요일 - 오전(기상 시)부터 12:00까지는 아무것(물 포함)도 먹지 않음 - 오후에는 육류(우유와 달걀, 치즈 포함, 생선은 가능)를 제외한 식사를 함

카. 여행시 유의사항

치안

아디스아바바는 전반적으로 치안이 안정되어 있다.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간 전쟁 후 상당량의 총기가 수도 및 지방에 광범위하게 유포 되어 있다. 거주 한인 및 여행객의 사건·사고 피해 사례 발생하고 있다. 건 수는 적으나 최근 소매치기, 강도, 총격사건 등으로 인한 피해 발생했다. 특히, 지방은 경찰력 부재 등으로 수도보다 치안이 불안하다.

아디스아바바는 전반적으로 치안이 안정되어 있지만,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간 전쟁 후 국경 지대 및 수 단 등과의 국경 지대는 아직 위험한 상태이다. 거주 한인 및 여행객의 사건·사고 피해 사례가 종종 발생하

127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고 있다. 건수는 적으나 최근 소매치기, 강도 등으로 인한 피해도 발생했고, 특히, 지방 및 국경지대는 경찰 력 부재 등으로 치안이 불안하다.

또한 수도 등 대도시에서는 도둑과 소매치기를 조심해야 한다. 이들은 길거리에서 집단적으로 행동하기 때 문에 상대하기가 더욱 어렵다. 자주 사용하는 수법은 침을 뱉고 닦아주는 척 하며 소매치기, 어깨를 부딪히 고 시비를 걸며 그 사이에 물건을 훔치는 이들, 물건을 파는 척하며 다른 손으로 주머니를 뒤지는 행위 등 이다. 도시를 벗어난 지방에는 무장 강도들이 출몰하는 경우도 있다.

체재 시 유의사항

ㅇ 현지 치안 관련 '마르카토'라고 불리는 시장 주변에는 주간에도 소매치기가 많이 있다. 소매치기는 외국인을 상대로 보통 2-3인이 1개 조가 되어 범행 야간에는 인적이 드문 곳의 방문을 자제하고, 특히 도보 이동을 삼가 지방에 차량으로 여행시 가급적 현지인 또는 다른 차량과 함께 동행

ㅇ 신용카드 사용 관련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신용카드(Master 혹은 VISA)를 준비하는 것이 용이 호텔과 몇몇 현대식 상점을 제외하고는 (신용)카드 지불 불가 현지 상점 및 여행사에서 결재 후에는 반드시 인터넷에서 금액을 재확인 (실제보다 많은 금액이 청구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함) 현금 인출 시 카드는 'PLUS' 표시가 있는 것만 사용 가능 ATM 은 시내에도 많으나 호텔 또는 은행에 있는 것을 사용하도록 권장 은행 ATM 에서 현금을 찾을 때는 여권 사본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ㅇ 체류 및 거주 관련 체류일 90일 이상인 경우 주에티오피아 한국대사관에 재외국민등록을 해야 함 공과금 및 통신 요금 등은 귀국 1-2달 전에 미리 정리하는 것이 중요 ID 카드 신청(에티오피아의 합법적으로 거주하는 사람에 한 해 신청 가능) 모든 증명서의 기본이므로 도착 후 즉시 신청 필요 신청 구비서류: 사진 3매(반명함판 또는 명함판), 여권사본 에티오피아 이민국에서 담당하고 대략 1주 소요

ㅇ 여권 분실 시 대처 사항 지역 경찰서에 신고를 하고 경찰 리포트를 반드시 받아야 함 경찰 리포트는 보통 암하릭으로 작성이 되며, 아디스아바바 스타디움 근처에서 영어로 번역 공증(장당 25Birr)을 한 후 다시 한국대사관에서 영사확인($4)을 받아두는 것이 좋음 경찰에 신고한 후 에티오피아 이민국(Immigration office)에 분실 신고를 하여야 향후 불합리한 조치를 받 지 않음. 즉시 신고를 안하고 비자 만료기간이 지나면 주재국 법정에서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경찰서와 이민국 절차가 완료되면 주에티오피아 대사관에서 여권 재발급 신청할 것 여권 재발급은 신청 후 약2~3주가 소요되며, 여권을 발급받으면 에티오피아 이민국(Immigration office) 에서 다시 비자를 받아야 문제없이 출국할 수 있다

128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ㅇ 날치기, 강도, 절도 및 폭행사고 수도 아디스아바바에는 주ㆍ야간에 소매치기, 날치기, 정차 중인 자동차에 강도난입 등 존재 여성 혼자 대중교통 및 숙박업소 이용 시 성희롱, 성폭행 등을 당하는 사건도 발생 야간 도보 시 마취제로 의식을 잃게 하고 금전피해와 상해를 가하는 범죄가 급증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인신매매가 성행하고 있는 등 생활범죄가 증가 추세 현지인이 중국인으로 오해, 놀리거나 위협하는 경우에는 맞대응 자제

ㅇ 교통사고 에티오피아는 세계에서 자동차당 교통사고 피해자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임. 도로는 유지보수ㆍ표지판ㆍ야간조명 부실과 불시에 사람과 동물이 도로에 진입하므로 교통사고 위험이 있 다. 야간에 지방도로 여행은 무장강도, 도로를 활보 중인 행인과 동물들로 매우 위험 외국인이 자동차사고를 낼 경우에 현지인들의 군중 심리로 폭행사고 발생 가능

ㅇ 테러 및 피랍 사고 종교적 문제와 주변국가와의 분쟁으로 테러 위협이 항상 존재, 대중이 밀집하는 장소는 가급적 방문자제 참 조 2011.5. 중부지역에서 ‘오로모해방전선'이 에티오피아 정부군을 공격, 13명 사망 2011.3. 남부 아센다보 지역의 과격 무슬림들이 지역교회 69개소 방화 2010.4. 소말리지역 Warder zone 의 Danot town 에서 영국인 1명 피살 2009.12. 소말리지역 Kbri Dehare 시의 2개 호텔에서 폭탄테러 발생하여 2명 사망, 9명 부상 ㅇ 질병 사고 사고ㆍ질병 발생시 비행 편 후송 서비스인 MEDEVAC 을 이용할 수 있으며 4만달러 이상 소요되나, 여행 객들은 사전에 동 서비스를 포함한 의료보험 가입 가능 황열병은 사전에 예방주사를 맞고 에티오피아 여행 필요 에티오피아의 저지대 여행의 경우 말라리아 예방약 복용 필요 일류 호텔 또는 소수의 고급 식당 등을 제외하고는 가급적 야채는 먹는 것을 자제 급성 수인성설사ㆍ콜레라ㆍ장티푸스가 발생하고 있는 바, 설사 또는 감기 등 이상 증세가 있을 경우 신속 하게 풍토병 전문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함.

ㅇ 전쟁 에리트리아와의 국경문제로 전쟁 후 현재까지 국경지대에 각각 10만명 병력배치 및 긴장상태 소말리아 내전에 개입(2006.12월-2009.1월)후 소말리아 반군세력으로부터 에티오피아 가 테러대상으로 지목 받아 테러 위협 존재

풍속, 습관, 위생(건강) 등

수도인 아디스아바바는 해발 약 2,500미터의 고원지대로 일부에게는 호흡 곤란, 시력 저하, 어지럼증 등 의 고산증세를 유발할 수도 있다 위생문제로 인해 채소와 고기를 날 것으로 먹는 것은 권장하지 않음 말라리아 발생 가능 지역이며 현지에서는 처방전을 받은 후 약 구입 가능 이외에도 파상풍, A 및 B 형 간염, 장티푸스, 광견병 예방접종을 권장 현지에서 약을 구하기가 힘든 만큼, 응급 치료약은 가져오는 것을 권장

129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아디스 아바바 주요병원

명성병원: 0116-292963 Swedish Clinic: 0113-710768 Blue and White: 0116-616229

파. 긴급 시 연락처

전화 거는 방법

일반 전화 이용 시: 보통 전화번호는 지역 번호와 전화번호가 모두 포함된 번호를 사용하므로 그대로 누르 면 됨 (예: 011-517-1717 (지역번호-국번-전화번호) Cell Phone 이용 시: 지역번호 + 국번 +전화번호만으로 다이얼링 에티오피아에서 국제전화 사용 방법 (예: 서울) - 00 + 국가번호 (82) + 지역번호 (2) + 전화번호

대사관 주소: P.O. Box 2047 Addis Ababa, Ethiopia 연락처 전화: (251-113) 728111, 728112, 728113, 728114 팩스: (251-113) 728115, (251-113) 728116 홈페이지: http://eth.mofat.go.kr/kor/af/eth/main/index.jsp 근무시간 월요일-금요일: 09:00∼12:00, 13:30∼17:00 휴무일: 에티오피아 휴일 및 한국의 3대 절기(삼일절, 광복절, 개천절)

아디스아바바 무역관(KOTRA 무역관) 주소: P.O. Box 5629 Addis Ababa, Ethiopia 연락처 전화: (251-11) 3204305, 3204319, 3204391 팩스: (251-11) 3204396 근무시간 월요일-금요일: 08:00∼12:00, 13:00∼17:00 휴무일: 에티오피아 휴일 및 한국의 4대 공휴일(삼일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KOICA 사무소 주소: P.O.Box 5652, Addis Ababa(old Airport Area) 연락처: 0113-720340, 720341(전화), 0113-720338(팩스)

명성병원 주소: P.O.BOX 15478, Addis Ababa 연락처: 0116-284828(전화) / 0116-292795(팩스)

130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경찰 긴급상황: 911 Information: 0115-526302 연방경찰: 0115-512744 아디스아바바 경찰: 0111-559122 교통경찰: 0116-628085~7 / 0115-528222

소방서 본부(Giorgis Area): 912, 0111-567004 Kera Area: 0114-663420~1 Meselemia Area: 0112-134239 / 0112-769146 Addis Gomma Area: 0114-425563~4 Akaki Area: 0114-340096 Megenaga Area: 0116-630373

긴급 의료지원 Red Cross(907), St. Gabriel 병원(0116-617622), 명성병원(0116-294602

외국인이 이용할만한 의료기관 St. Gabriel 병원: 0116-613622 Swedish Clinic: 0113-710768(스웨덴 의사가 운영, 진료비가 고가임) Hayatt 병원: 0116-624488 Brass hospital: 0116-620093(부인과, 소아과 전문병원)

치과 외국인이 이용 가능한 현지 치과가 없음 명성병원: 0116-284828

자동차 수리 orbis 정비공장(벤츠, Tel: 0111-516211 / 507975, Fax.: 0115-512412) TGT(현대, Tel: 0114-169003 / 0116-623723~4) Paul Rise & Sons(Ethiopia) Ltd. (쌍용, Tel.: 0111-550233) 전기 및 배터리 부문(IDRIS AHMED, Tel.: 0111-564321 / 0111-559971)

기타 전화 고장 (Tel: 966 / 0113-726666 / 0113-726266) 수도 고장 (Tel: 958(평일) / 0111-550442) 전기 고장(Tel: 905 / 0116-543719 / 0116-543720)

131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7. 유관기관 웹사이트

가. 에티오피아 정부 기관 및 국영기업

중앙 및 지방 정부기관, 산하단체

Ministry of Trade P.O. Box 704 Addis Ababa, Ethiopia Tel: + 251-11-551-8085 Fax: +251-11-551-5411 홈페이지: www.mot.gov.et

Ministry of Industry P.O. Box 6945 Addis Ababa, Ethiopia Tel: + 251-11-550-8925 Fax: +251-11-553-4969 홈페이지: www.moin.gov.et

Ministry of Agriculture P.O. Box 63247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46-0746 Fax: +251-11-646-0651 홈페이지: www.moa.gov.et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ic Development P.O. Box 1037 or 1905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155-2400/+251-11-122-6698 Fax: +251-11-155-3844 홈페이지: www.mofed.gov.et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Ethiopia P.O. Box 393 Addis Ababa Tel: +251-11-551-7345 Fax: +251-11-551-430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mfa.gov.et

Ethiopian Revenues and Customs Authority P.O. Box 2559 Addis Ababa, Ethiopia Tel: +251-662-9887 Fax: +251-11-662-9818 홈페이지: www.erca.gov.et

132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Ministry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P.O. Box 1028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0-3973 Fax: +251-11-550-3974 홈페이지: www.mcit.gov.et

Ministry of Health P.O. Box 1234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1-7011 Fax:-+ 251-11-551-9366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moh.gov.et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P.O. Box 1907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15-6711: Fax: +251-11-551-2889 홈페이지: www.moct.gov.et

Ministry of Mines P.O. Box 486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46-3166 Fax: +251-11-646-3364 홈페이지: www.mom.gov.et

Ministry of Transport P.O. Box 1238 Addis Ababa, Ethiopia Tel: + 251-11-551-6166 Fax: +251-11-551-5665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motr.gov.et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 Box 249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466-1867 Fax: +251-11-466-0241 홈페이지: www.most.gov.et

Ministry of Urban Development and Housing P.O. Box 24134 Code 100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3-1688 Fax. +251-11-554-1268 홈페이지: www.mwud.gov.et

133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Ministry of Water, Irrigation and Energy P.O. Box 5744 and 5673,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1-1111 Fax: +251-11-661-071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mowr.gov.et

Ethiopian Investment Commission P.O. Box 2313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1-0033 Fax: +251-11-551-4396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investethiopia.gov.et

Privatization and Public Enterprises Supervising Agency (PPESA) P.O. Box 11835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2-2616 Fax: +251-11-553-6629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ppesa.gov.et

Ethiopian Roads Authority P.O.Box 177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15-6603 Fax: 251-11-554-4434 홈페이지: www.era.gov.et

Ethiopian Railway Corporation P.O. Box: 27558/100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1-5833 Fax: 251-11-618-9065 홈페이지: www.erc.gov.et

Ethiopian Mapping Agency P.O. Box 597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1-8445

Fax: +251-11-551-5189 Ethiopian Standards Agency (ESA) P. O. Box 231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46-2633 Fax: +251-11-646-1294 이메일: [email protected]

134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홈페이지: www.ethiostandards.org

Ethiopian Institute of Agricultural Research (EIAR) P.O. Box 2003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46-2633 Fax: +251-11-646-1294 홈페이지: www.eiar.gov.et

Ethiopian Insurance Corporation P.O. Box 2545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1-6521 Fax: +251-11-551-7499 이메일: [email protected]

Addis Ababa City Administration P.O. Box 356 or 2445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155-8109 Fax: +251-11-155-1295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addisababacity.gov.et

Addis Ababa Administration Transport Authority P.O. Box 8639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1-4690 Fax. +251-11-661-4702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aata.gov.et

Addis Ababa City Finance and Economic Development Bureau P.O. Box 205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155-2680 Fax: +251-11-155-1685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aabofed.gov.et

Addis Ababa Master Plan (AAMP) P.O.Box:23683(Code 100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62-2743

135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독점 국영기업

Maritime and Transit Services Enterprise P.O.Box: 1186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10-666 Fax: +251-115-514-097/518-197 이메일: [email protected]

Ethiopian Airlines P.O.Box: 1755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178-407 / 8907 / 8165 / 8529 Fax: +251-116-611-474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thiopianairlines.com

Ethio Telecom P.O.Box: 1047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1-574-345 Fax: +251-115-515-777 홈페이지: www.ethiotelecom.et

Ethiopian Electric Power (EEP) P.O.Box: 1233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80-777 Fax: +251-01-1-56-00-28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epco.gov.et

Ethiopian Electric Utility (EEU) P.O.Box: 1233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1-560-441 Fax: +251-111-560-028 홈페이지: www.eeu.gov.et

Ethiopian Shipping Lines P.O.Box: 2572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18-280/ +251-115-514-204 Fax: +251-115-519-525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thiopianshippinglines.com.et

136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나. 민간 기관

상공회의소 및 민간 단체

Addis Ababa Chamber of Commerce and Sectoral Associations P.O.Box: 2458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1-055 Fax: +251-115-511-479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addischamber.com

Ethiopian Chamber of Commerce and Sectoral Associations P.O.Box: 517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14-005 Fax: +251-115-517-699 홈페이지: www.ethiopianchamber.com

Association of Ethiopia Microfinance Institution P.O.Box: 338, Code 111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72-190, +251-115-572-202 Fax: +251-115-572-198 홈페이지: www.aemfi-ethiopia.org

Ethiopian Lawyers Association P.O.Box: 70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30-122 Fax: +251-115-152-047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thiopian-bar.org

Ethiopia Economics Association P.O.Box: 34282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6-453-200 Fax: +251-116-453-02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eaecon.org

Ethiopian Medical Association Tel: +251-115-521-776/+251-115-547-982 Fax: +251-115-151-005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maethiopia.org

137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Ethiopian Information Technology Professionals Association P.O.Box: 2409 Addis Ababa, Ethiopia Tel: +251-911-240-963 홈페이지: www.eitpa.org.et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of Ethiopia P.O.Box: 22171 Code 100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8-591-359/58 Fax: +251-115-525-631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thiopian-construction.org

Horticulture Producer Exporters Association Tel: +251-116-636-750 Fax: +251-116-636-753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hpea.org.et

Leather Industries Association P.O.Box: 12898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156-144/ 506-043 Fax: +251-115-508-935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lia-aalf.com

비즈니스 컨설팅

Ernst & Young P.O.Box: 24875, Code 1000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04-933 Fax: +251-115-504-932 홈페이지: www.ey.com

HST Consulting P.O.Box: 25701, Addis Ababa, Ethiopia Tel: +251-115-524-666/56 Fax: +251-115-528-384 이메일: [email protected]

Precise consult International Tel: +251-116-631-080 이메일: -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138 / 139

에티오피아 국가정보

8. KOTRA 무역관 안내

아디스아바바 무역관(KOTRA 무역관) 주소: P.O. Box 5629 Addis Ababa, Ethiopia 연락처 전화: (251-11) 3204305, 3204319, 3204391 팩스: (251-11) 3204396 근무시간 월요일-금요일: 08:00∼12:00, 13:00∼17:00 휴무일: 에티오피아 휴일 및 한국의 4대 공휴일(삼일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무역관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무역관 홈페이지 참고 http://www.kotra.or.kr/KBC/addisababa/KTMIUI010M.html

무역관 약도

아디스아바바 무역관은 Bole International Airport 또는 시내 세라톤 호텔, 힐튼 호텔, 인터컨티넨탈 호텔 등에서 택시 및 승용차로 약 40분~1시간 거리. (현재 시내 경전철 공사로 교통체증 심화) 버스 및 미니버 스도 있으나 택시 이용을 권장한다. 에티오피아 택시는 contract taxi 라고 불리며, 미터기가 없어서 타기 전에 흥정을 해야 한다. 공항에서 아디스아바바 무역관 사무실까지는 현지화 150~250 Birr(미화 약 8~15불 가량) 정도를 지불하면 적당하다.

139 /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