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두기*

*본 책자에 기술된 각국별 기관 또는 사업자의 명칭은 공식 영문명을 원칙으로 작성하였으나, 해당 영문명이 없을 시에는 현지어로 작성하였습니다.

*본 책자에 기술된 환율은 기관 또는 사업자의 현지 환율 공시 여부에 따라 미 달러 및 각국 현지 환율을 혼용하여 작성하였으므로 환율 변동 폭을 고려해주시기 바랍니다.

*통계표 및 도표 내의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세부 항목의 합이 전체 합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본 책자에 대한 내용 중 오류가 발견되었거나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을 때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으로 해당 내용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EUROPE I 유럽Ⅰ

Contents

네덜란드 NETHERLANDS 007 독일 GERMANY 161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008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162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029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189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061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219

노르웨이 NORWAY 067 러시아 RUSSIA 225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068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226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083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244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110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275

덴마크 DENMARK 117 루마니아 ROMANIA 283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118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284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134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300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155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326

스웨덴 SWEDEN 333 스페인 SPAIN 439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334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440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345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458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378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498

스위스 SWITZERLAND 385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386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405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432

네덜란드 NETHERLANDS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 8 1. 정책 및 규제 기관 2. 정책 및 규제 3. 산업구조 및 특징 4. 산업 주요 이슈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29 1. 소프트웨어 2. 인터넷서비스 3. 통신 4. 디지털콘텐츠 5. 방송스마트미디어 6. 정보보호 7. 클라우드 컴퓨팅 8. 사물인터넷 9. IT스마트융합 10. 전파위성 11. 디바이스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 61 1. 유망품목 도출 2. 유망제품 선정 3. 유망제품 유통구조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Ⅰ • •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Overview

정보통신방송 주요 기관

경제기후정책부(Ministry of Economic Affairs and Climate Policy)

역할 ‐ 통신 분야를 포함한 국가산업 및 경 제 전반의 정책 수립을 담당함

경제부 장관 이사회 농업 담당 장관 자원 부서 다른 서비스, Agency, 자치 행정 당국 사무 국장

경제 정책 분석 광산 감독 담당 사무국 운영 사무국 재무경제국 조직도 소비자 시장 당국 커뮤니케이션부 법무부

에너지, 통신, 일반음식조사 및 내부조직관리 부사무국장 농업, 자연 총국 경쟁 총국 기업혁신총국 소비자제품안정청 일반경제정책 공공조달 전문센터 Actal 비서실 운영 관리 유럽 및 국제 담당 전파통신 Agency ICT 실행 서비스 기업 Agency

정보통신방송 주요 정책

Open Government 2016~2017

‐ 네덜란드 정부는 빠르게 진보하는 ICT 시대에 발맞추어 민주주의의 발전 및 정부 행정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정 부가 수집한 각종 데이터를 기업 및 시민 들이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Open Government 2016~2017' 안을 제시함

정보통신(ICT) 디지털 어젠다 2011~2015

‐ 정보통신(ICT) 디지털 어젠다 2011~2015에는 인터넷 트래픽과 인터넷 속도 관리, 모바일 인터넷 수요에 대응 하는 주파수 문제, 정보통신(ICT) 인프라를 위한 기금 마련, 사이버범죄에 대한 대응 등을 포함하고 있음

스마트 산업(Smart Industry)

‐ 스마트 산업(Smart Industry)은 2014년 네덜란드 상공회의소, 경제부 등 공동작성한 것으로 ICT를 통해 제조 업의 생산과정을 디지털화하여 기계와 기계, 공장과 공장, 소지바와 기업의 연결을 실현함

8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한국과의 협력 현황 드

‐ 과기정통부, 제2회 한-EU 공동연구 컨퍼런스 개최(2017.11) 정부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네덜란드 현지 콘텐츠 배급사와 상호협약체결(2017.11) ‐ 방송통신위원회 김석진 상임위원 네덜란드 미디어위원회 방문(2017.9)

‐ 이지팜, 네덜란드 비스콘 본사와 수경재배 자동화 시설 총판 계약협약 체결 (2017.10) 기업 ‐ 현대자동차, 암스테르담에서 카셰어링 서비스 개시(2017.10) ‐ 건국대학교, 네덜란드 대학과 공동으로 리빙랩 프로젝트 시작(2017.9)

| 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 정책 및 규제 기관

경제기후정책부(Ministry of Economic Affairs and Climate Policy)

네덜란드 경제기후정책부 장관 프로필 경제기후정책부(Ministry of Economic Affairs and Climate Policy)는 통신 분야를 포함한 지속적 성명 에릭위브 인 국가산업 및 경제 전반의 정책 수립을 담당함 (Eric Wiebes) 직급 장관 전신은 1877년 설립된 수자원무역산업부(Ministry of Water, Trade and Industry)이며 이후 경제노 주요경력 및 학력 동부(Ministry of Economic Affairs and Labor), 1990년~ 경영학석사(MBA), INSEAD, 경제농업혁신부(EL&I), 경제부(Ministry of 1991년 퐁텐블루 Economic Affairs) 등으로 개명되었으며, 2017년 2017.10.2. 경제기후정책부 장관 ~ 현재 10월 지금의 경제기후정책부로 되면서 기후정책 분 Rutte-Asscher정부에서 2014.2 재무장관 야도 포함하게 됨 암스테르담 지방지부의 멤버로 에너지통신청(Directorate General for Energy 2010. 교통, 인프라, 대기질 및 ICTdp 대한 책임 and Telecommunications, DGET)에서 통신 관련 경제부합류, ICT운영관리, 2004. 집행기관 및 외부 부서 제구성 정책 입안 및 법안 작성을 담당함. 에너지 & 통신국 책임 內 통신시장부와 정보통신(ICT)부에서 통신 관련 국 가 정책 및 규제를 총괄하며 경제부 산하 전파관리청 이 국가 주파수 자원을 관리함 소비자 ·시장 당국(Authority for Consumers and Markets, ACM: 舊 우정통신청)은 통신 관련 사업자간 분쟁처리 및 사업면허 교부 등의 업무를 담당함

그림 1.1 네덜란드 경제부(Ministry of Economic Affairs) 조직도

경제부 장관 이사회 농업 담당 장관 자원 부서 다른 서비스, Agency, 자치 행정 당국 사무 국장

광산 감독 담당 경제 정책 분석 사무국 운영 사무국 재무경제국 소비자 시장 당국 커뮤니케이션부 법무부

일반음식조사 및 에너지, 통신, 기업혁신총국 내부조직관리 부사무국장 농업, 자연 총국 경쟁 총국 소비자제품안정청 일반경제정책 공공조달 Actal 비서실 운영 관리 유럽 및 국제 담당 전파통신 Agency ICT 실행 서비스 기업 Agency

출처 : 네덜란드 경제부 홈페이지 (www.government.nl/ministries/ministry-of-economic-affairs)

10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소비자 시장 당국(ACM) 드

네덜란드 통신시장의 자유화의 부분으로 독립적인 감독당국인 우정통신청(OPTA, Post and Telecommunications Authority)가 네덜란드 교통 수로부(Dutch Ministry of Traffic and Waterways)에 의해 1997년에 설립되었음 당시 우정통신청(OPTA)의 책임은 다음과 같음

 현행법 준수를 확신

 분쟁 중재

 전화 번호 시리즈 할당

 통신서비스에 대한 허가 및 면허 부여 OPTA는 주로 통신법(Telecommunications Act), 우편법 및 관련된 유럽 및 하위 규 제 등의 법규제를 강화함. OPTA에 대한 정치적 책임은 경제기후정책부 장관에게 귀속 되어 있지만, 역할과 권한에 있어서는 독립적인 지위를 행사 OPTA는 네덜란드 통신부문에서 주요한 정부 변화의 부분으로 2013년 4월에 소비자 · 시장 당국(Authority for Consumers and Markets, ACM)에 흡수됨. ACM은 또한 일 반적인 경쟁에 대한 규제를 담당하던 네덜란드 경쟁당국(NMa)도 흡수함 소비자 ·시장 당국(ACM)은 소비자 보호, 산업별 규제 및 경쟁 감독에 중점을 둔 부서가 있는 3인 위원회에 의해 관리됨. 이들은 중앙법률부서, 수석 경제학자 사무실, 국제전략 및 의사소통을 담당하는 기업업무부서에 의해 보완됨

미디어위원회(CvdM)

미디어위원회(CvdM, Commission for the Media)는 1987년 4월 발효된 네덜란드 방 송법인 미디어법(Mediawet)에 근거하여 1988년 1월 설립된 독립 미디어 규제기관임 미디어위원회(CvdM)의 주 역할은 미디어법에 근거해 방송 시장 관리를 감독함. 공영 방 송사, 상업 방송사 및 케이블 방송사의 미디어법 준수 여부 등을 감독하며, 라디오 및 TV 콘텐츠, 광고 등의 모니터링 역할도 수행함 미디어위원회(CvdM)는 방송시간 및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감독, 법무, 재정 감독 분과 로 구성됨

| 1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1.2 네덜란드 미디어위원회(CvdM) 조직도

미디어위원회(CvdM)

위원회 사무관

경영팀

연구 및 액세스 집행 정책 및 이행 외부 업무 및 자문 시설 업무

출처: 미디어위원회(CvdM)

12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2. 정책 및 규제 드

1) 정책

Open Government 2016~2017

네덜란드 정부는 빠르게 진보하는 ICT 시대에 발맞추어 민주주의의 발전 및 정부 행정 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정부가 수집한 각종 데이터를 기업 및 시민들이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Open Government 2016~2017’안을 제시함 이를 위해 네덜란드 정부는 ①전국적 Open Data 구축을 위한 각 부처 간 협력, ② Stuiveling Open Data 상 수여를 통한 창의적 데이터 활용 장려, ③데이터 재사용을 위한 Groningen 지역 프로젝트, ④데이터 생산 장려, ⑤Open Government를 위한 금 전적 지원, ⑥지방 정부 당국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정보 표준화, ⑦전문 성 강화를 위한 공공·민간 협력, ⑧자유로운 정보 교환을 위한 불필요 격식 제거, ⑨ Open Government 전문가 센터 운영 등 9가지의 액션 플랜을 세움

정보통신(ICT) 디지털 어젠다 2011~2015

2011년 5월, 네덜란드 정부는 정보통신(ICT) 디지털 어젠다 2011~2015(Digital Agenda- ICT for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를 발표, 2011년 12월 10개 의 주요 프로그램을 포함한 실행 어젠다를 의회에 제출함 네덜란드 경제 성장과 혁신에 기여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유럽연합(EU)의 디지털 어젠다를 어떻게 실현할지에 대해 유럽연합(EU) 국가 중 최초로 국가 차원에서 수립된 계획임 정보통신(ICT) 디지털 어젠다 2011~2015에는 인터넷 트래픽과 인터넷 속도 관리, 모 바일 인터넷 수요에 대응하는 주파수 문제, 정보통신(ICT) 인프라를 위한 기금 마련, 사 이버범죄에 대한 대응 등을 포함하고 있음 유럽연합(EU) 디지털 어젠다, 새로운 기업 정책, 9개 선도 부문(물류, 생명과학, 에너지 등)과 긴밀한 관계가 있음

| 1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표 1.1 정보통신(ICT) 디지털 어젠다 2011~2015 주요 내용 항목 세부 내용

‐ 감독, 면허부여 등과 관련된 정부와 기업 사이에 오고가는 정보들을 전자적으로 다루어 기업들 을 위한 규제 부담을 감소 ‐ 기업들이 정부와 온라인을 통해서 거래를 행할 수 있는 일반적 권리를 부여 ‐ 정부당국과 기업들이 서로의 정보통신(ICT) 표준 및 국제표준을 따르는 등 정보통신(ICT) 표준 화의 발전을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 ‐ 경제 성장과 생산성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2012년부터 ‘생산성과 클 라우드 컴퓨팅’ 프로그램을 실행 기업 지원 ‐ 기업들이 정부의 유용한 데이터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등 오픈 데이터 프로그램을 통해 성장과 혁신을 도모 ‐ 국내외의 전자상거래 및 온라인 콘텐츠 유통 활성화를 위해 여러 장벽들을 제거해 기업들이 유 럽 디지털 시장에서 더욱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 ‐ 네덜란드 경제의 중요 엔진인 중소기업들이 ‘경쟁과 혁신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전 자상거래에서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독려 ‐ 정보통신(ICT) 부문에서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 ‐ 창조, 농업음식, 물류 등 주요 부문에서 정보통신(ICT)을 활용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증진시킴 ‐ 정부는 효율적인 시장을 구축하여 경쟁을 기반으로 기업들이 차세대 네트워크에 투자할 수 있 는 환경 조성, 2012년 모바일 브로드밴드용 주파수 경매 계획 추진, 차세대 네트워크 구축 및 초고속/ 개방 지역 정부를 위한 가이드라인과 노하우를 공유 인프라 구축 ‐ 정부는 물리적 인프라(케이블, 안테나) 구축, 네트워크 접속, 인터넷 접속(망 중립성) 정책을 추 진하여 경쟁을 활성화하고 자유롭고 개방된 인터넷 접속을 촉진 ‐ 봇넷(Botnet)으로부터의 컴퓨터 보호 비용에 대해 효율적 방법 모색 ‐ 통신사업자에게 서비스 손실에 대한 보고 의무를 부여하여 네트워크 품질을 보호 ‐ 정부는 사업자들이 안전한 정보통신(ICT) 제품과 서비스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도록 감독 디지털 보안 강화 ‐ 웹사이트 방문 시 남겨진 개인 기록 쿠키에 대한 관리 및 개인정보 손실에 대한 보고 의무 등을 통해 개인 사생활을 보호 ‐ 관련 프로그램과 홍보를 통해 안전한 온라인 거래를 증진시킴 ‐ 경제 성장과 혁신을 위해 필요한 디지털에 숙련된 충분한 노동력 부족이 예상되어 기업, 정부, 학교 등에서 eSkills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보통신(ICT) 전공 학생을 확대하여 산업현장과 연계 연구 및 교육 시키며, 디지털 전문성 표준을 설정 ‐ 타 부문에서의 정보통신(ICT) 연구에 대한 투자를 통해 더 많은 기회와 높은 수익을 창출 출처: 네덜란드 경제부

스마트 산업 (Smart Industry)

스마트 산업은 ICT를 통해 제조업의 생산과정을 디지털화하는 산업으로 기계간의 스마 트한 연결을 구현하고, 공장과 공장, 더 나아가 소비자와 기업의 연결을 실현함 스마트 산업은 스마트 운영을 위해 생산기술, 디지털화, 네트워크 구축의 포괄적인 접근 으로 진행됨. 소비자들에게 스마트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함 2014년 발행된 네덜란드 스마트 산업의 영향보고서(Smart Industry, Dutch industry fit for the future)는 네덜란드 상공회의소, 경제부, 네덜란드 산업 및 고용주연합

14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VNO-NCW), 네덜란드 응용과학연구소가 공동작성함 드 같은 해 스마트 산업 실행 어젠다(Smart Industry Action Agenda)를 통해 다음의 3개 핵심분야에 초점 둔 계획을 발표함

 기존 지식의 자산화: 지식을 축적하고 이를 활용해 사업화하기 위한 프로젝트임

 현장실험실(field lab)활성화: 지식기관과 기업이 협업하는 현장실험실을 중심으로 스마트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자 함

 ICT강화: 스마트산업의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 ICT 및 기초지식과 기술이 튼튼해야 함을 의미하며 새로운 기술에 대한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임 산업 내 디지털화의 가속화로 네덜란드의 산업 경쟁력이 제고될 것이며, 실행 어젠다를 통해 네덜란드는 기업에게 스마트 산업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제공할 것. 또한 이를 통해 기업들과 스마트 산업의 연관성을 2014년 14%에서 2018년 40%까지 향상시키고자 함 스마트 산업 실행 어젠다는 농식품, 유통, 화학, 하이테크 분야 등 네덜란드의 선도 산업 부문(Top Sector)에 집중

 네덜란드는 자국의 9개 선도부문(Top Sector)를 2011년에 선정했으며, 하이테크, 원예, 건강과학, 화학, 에너지, 농업&식량, 물, 물류, 창의산업(creative industry)을 뽑음

 2014년 기준 네덜란드 선도부문에 포함된 회사는 32만 개로 집계되고 있으며, 140 만 명이 이 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파악됨 스마트 산업 정책은 3개의 Action line과 14개의 세부 Action Agenda를 중심으로 네 텔란드형 스마트국가를 육성하고자 함

표 1.2 스마트 산업 주요 내용 구분 Action Agenda 세부 내용

‐ 네덜란드 상공회의소주도의 산업정보를 각계 계층에 전파 네덜란드를 ‐ 스마트산업 관련 토론회 및 대회를 개최하고, 기업성공 가능성을 예측 스마트 산업의 국가로 해 주거나(Online potential scan),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을 통해 기업들을 지원 Action ‐ 정부는 기업이 고객과의 관계 확대와 새로운 가치사슬을 적용해 혁신 Line1(기술,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함 지식 상업화) ‐ 기업의 스마트산업과의 연관률을 2014년 14%에서 2018년 40%까 사업가 육성 지 높임 ‐ 정부는 스마트 산업관련 정보안내데스크를 개설, 포털과 앱을 통해 실 시간 뉴스와 법령 등을 제공, 중소기업에는 고급데이터 분석시스템 제 공, 클라우드 환경구축, 오픈데이터 등을 제공

| 1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구분 Action Agenda 세부 내용

‐ 2015년 첫 10개의 필드랩(Field Labs)을 개관했고 각 필드랩은 지역 초기 필드랩 목표 기업들과 협력하거나 기존 네트워크를 이용해 필드랩별 지정된 산업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함 Action Line 2 ‐ 2017년에 운영 중인 필드랩은 총 29개이며 2017년 5개 신규 필드랩 (산업생태계 중기 필드랩 목표 구축) 이 개관할 예정이고, 향후 지속적으로 필드랩을 설립할 계획임 ‐ 필드랩의 활동, 결과, 영향, 인지도 확산 등에 대한 정부의 평가를 진 지식 교류 모니터링 행하고 정책담 당자와 일반 대중과의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진행 할 것임 ‐ 필드랩 간 &D 협업을 촉진시키고, 그 외에도 국제사회와 네덜란드 필드랩에 대한 의 긴밀한 조율이 있을 것임 R&D 강화 ‐ 다양한 분야의 필드랩 간 R&D교류, 연구프로그램에 대한 투자, 국제 지식 정보네트워크 구축 등이 실행될 것임 ‐ R&D 의제 설정의 목표는 현재까지 뒤처진 스마트산업분야들을 개발 스마트산업 시키는 것임. 해당분야의 신기술 개발을 유도하고, 기술들이 가져올 R&D 의제 설정 윤리적 사회적 문제점들에 대해 논의할 것임 기업 내 ‐ 정부는 기업의 공동노동협의(CAO) 체결을 통해 직원들이 더 좋은 근 인적자본 개발 무환경을 가지도록 만들어 기업의 혁신을 유도함 ‐ 지역+산업+노동시장을 연계하기 위해서 지역중심지(필드랩) 형성은 산학연계 필수적임 위한 지역단위 ‐ 필드랩에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한 e-learning 프로그램을 제공해 노동 노력 MBO(기술학교)와 HBO(직업대학)에서 노동시장이 원하는 인재를 유 Action Line 3 (Skills) 연하게 양성할 수 있도록 계획 (지식, 기술, ‐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신기술들의 교육을 위해 근로자들에게 평생학습 제약없는 정보통신기반 을 제공함: HBO(직업대학)에서 박사학위 교육프로그램 제공 및 교육 학습 강화) 활성화를 위한 실험환경 조성 계획 등이 있음 Social ‐ 유망한 기술들을 관련 기업에 연계시켜 기업 간 효율적 협력을 유도해 Innovation Social Innovation을 실현함 ‐ 수집된 빅데이터 정보들의 신뢰도를 높이고, 정보 이용률을 높여 기업 들의 최적 생산과 효율화를 유도함 빅데이터 ‐ 정보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산업데이터안전소(Industrial data safe Big trust houses), 정보가공자 인증, 사이버보안 및 데이터 공유기술 개발을 정보통신 촉진시킬 것임 기술(ICT) ‐ 정보와 소프트웨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지식정보 교류 플랫폼 골조 SW 개발계획 (Hyper connectivity), 정보처리상호운용(Interoperability) 분야의 연구를 지원함 ‐ 세계 정보통신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정부는 ① 사이버 보안구축 워크숍, ② 사이버보안 기준선 선정, ③ 경제스파이 방지법 보안 과 대응방법을 교육할 것임

출처: smartindustry.nl의 자료를 인용한 KOTRA의 해외시장뉴스‘필드랩 중심으로 펼쳐지는 네덜란드 4차 산업혁명’에서 인용

16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2) 규제 드

통신 규제 기관 우정통신청(現 소비자 시장 당국, ACM)은 2009년부터 중점을 두는 규 제 영역을 규정함

표 1.3 소비자·시장 당국(ACM, 舊 우정통신청, OPTA)의 규제 영역 주요 전략 중점 과제

사업자의 위반 행위 차단 ‐ 사업자들이 자율적으로 규제 사항을 준수할 수 있도록 지원 ‐ 광네트워크 인프라의 중요성이 점점 커짐에 따라 KPN을 비롯한 통신사들의 광 네트워 광 네트워크 투자 촉진 크 투자 촉진 기업용 시장의 경쟁 촉진 ‐ 지배적 사업자인 KPN의 네트워크 도매 거래에 개입 유럽 內 통신 합리적인 ‐ 유럽연합(EU) 차원의 유럽 內 이동전화 로밍 요금 규제 통신 요금 감독 인터넷 안전 보장 ‐ 소비자 보호를 위한 사업자의 정보보호 의무 강화, 스팸 금지, 사이버 범죄 예방 등 스팸 텔레마케팅 규제 ‐ 2009년 7월부터, 모든 텔레마케팅 전화 등록제 시행 유료 정보 서비스 남용 ‐ 유료 정보 서비스 등록제 시행 및 관리 감독 강화 금지 출처 : 경제기후정책부

주파수 연장

2014년 10월 경제부는 로컬 통신 사업자인 KPN, Vodafone, T-Mobile의 2,100MHz 에서 3G 모바일 라이선스를 연장함 규제기관인 Agentschap Telecom에 의하면, 2016년 12월 31일에 만료될 예정인 라 이선스는 2020년 12월 31일까지 향후 4년 더 연장됨 네덜란드의 2015년 4월 현재 2,100MHz 스펙트럼 할당 상태는 다음과 같음

표 1.4 2,100MHz 스펙트럼 할당 현황(2020년까지 이용 가능) 구분 블록1 블록2 블록3 블록4 블록5 블록6

사업자 Vodafone KPN T-Mobile KPN Vodafone T-Mobile 업링크 1,920.3 1,934.9 1,934.9 1,949.7 1,949.7 1,959.7 1,959.7 1,964.7 1,964.7 1,969.7 1,969.7 1,979.7 다운링크 2,110.3 2,124.9 2,124.9 2,139.7 2,139.7 2,149.7 2,149.7 2,154.7 2,154.7 2,159.7 2,159.7 2,169.7 총대역폭 14.6 14.8 10 5 5 10 명목대역폭 15 15 10 5 5 10 출처 : 경제기후정책부

| 1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주파수 경매

2012년 10월 31일, 네덜란드 주파수 관리청(Agentschap Telecom, AT)은 차세대 무 선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주파수 경매를 개시함 해당 주파수 대역으로는 800MHz, 900MHz, 1,800MHz, 1,900MHz, 2,100MHz, 2,600MHz 등 6개 대역이며, 2×5MHz, 1×5MHz로 나뉘어 있음 해당 주파수 경매는 비공개로 진행됨. 상기 대역들의 최저 경매 가격은 58만 5,000유로 (75만 6,800만 달러)부터 3,500만 유로(4,530만 달러)까지 다양하며, 이번 경매를 통해 할당될 대역의 유효기간은 2013년 1월부터 2030년까지임(1,900MHz, 2,100MHz는 제외) 이번 주파수 경매는 총 8개의 라이선스 구간으로 분류되어 진행되며, 8개 구간 중 A1 및 B는 800MHz, C 900MHz, D 1,800MHz, E 2,100MHz, F 1,900MHz, G 및 H 2,600MHz 대역임. A1 및 B구간의 최저 경매 가격은 3,500만 유로로 상기 8개 구간 중 가장 높음 이번 경매를 통해 중장기 주파수의 가용성 및 예측가능성을 제고하고, 사업자 전략에 따 른 주파수 확보와 공평한 주파수 분배를 위하여 신규 사업자에 대한 낮은 진입 장벽, 효 율적인 주파수 대역 조합을 위한 CCA방식과 차가입찰방식(Second Price Rule)을 통 한 적정금액의 입찰 유도 등의 정책을 채택함 2012년 10월 31일부터 개시된 경매는 185라운드를 거쳐 45일간 진행되었으며, 2012 년 12월 14일에 경매가 종료됨

표 1.5 2012년 주파수경매 결과 대역 및 대역폭(MHz) 총 낙찰가 낙찰 구분 800MHz 900MHz 1,800MHz 1,900MHz 2,100MHz 2,600MHz (유로) 면허수 FDD FDD FDD FDD FDD FDD Vodafone 2x10 2x10 2x20 - 2x5 - 13억 8,080만 9 KPN 2x10 2x10 2x20 - 2x5 30 13억 5,185만 15 T-Mobile - 3x10 2x30 4.9+9.7 - 25 9억 1,068만 15 Tele2 2x10 - - - - - 1억 6,081만 2 합계 2x30 2x35 2x70 4.9+9.7 2x10 55 38억 414만 41 출처 : 경제기후정책부

기존 MNO인 Vodafone, KPN, T-Mobile과 MVNO 사업 중인 신규사업자 Tele2 등 4개 사업자에게 주파수 대역이 할당됨

18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케이블 TV 서비스 사업자인 Ziggo와 UPC의 합작 사업자인 Ziggo4는 경매에 참여하였 드 으나 주파수 확보에는 실패함 경매의 총 수익은 38억 414만 유로이며, Vodafone이 800MHz, 900MHz, 1,800MHz, 2,100MHz 대역에서 13억 8,080만 유로, KPN이 800MHz, 900MHz, 1,800MHz, 2,100MHz, 2,600MHz 대역에서 13억 5,185만 유로, T-Mobile이 900MHz, 1,800MHz, 1,900MHz 대역에서 9억 1,068만 유로, Tele2가 800MHz 대 역에서 1억 6,081만 유로 등의 낙찰가를 지불함

스펙트럼 재조정

2017년 2월 MNO들은 LTE사용을 위해 그들의 3G스펙트럼 할당을 이용하기 시작함. KPN은 800MH와 1800MHz밴드의 기존 사업을 보완하면서 LTE용 2100MHZ와 2600MHz 대역에 양도를 실시함 Ziggo는 2016년 말 LTE용 3G 스펙트럼 테스트를 시작했으며, 현재 800MHz, 1800MHz, 2600MHz 대역을 사용함 LTE용 900MHz와 1800MHz 대역을 적용하는 T-Mobile Netherlands은 2100MHz 대역에서 스펙트럼을 추가함

2100MHz 대역 면허 연장

2014년 말 KPN, Vodafone, T-Mobile은 2100MHz 대역에서 3G 모바일 라이선스를 연장했으며, 2016년 12월 31일의 양도 만기일은 2020년 12월 31일까지 연장되엇음

통신법(Telecommunicatiewet)

유럽위원회(EC)의 통신 시장의 민영화 추세에 맞추어 네덜란드에서는 1990년대부터 통 신 서비스 민영화 정책이 시행되었으며 1998년 1월에 완료됨

| 1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표 1.6 네덜란드 통신 시장의 민영화 과정 연도 내용

‐ 통신 기업 KPN의 공기업화 1989 ‐ 터미널 장비 및 부가 서비스 시장 민영화 1993 ‐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및 임대 회선의 재판매 민영화 1994 ‐ KPN의 부분적 민영화(지분 30% 매각) ‐ KPN과 Libertel에 이동통신 서비스 라이선스 발급 1995 ‐ KPN 지분 25% 추가 매각 1996 ‐ 통신 인프라 및 모든 통신 서비스의 민영화(유선 전화 제외) ‐ 유선통신 서비스의 민영화 1997 ‐ 독립 규제기관인 우정통신청(現 소비자 시장 당국, ACM) 설립 1998 ‐ 2개의 추가 이동통신 라이선스 발급

출처 : 경제기후정책부

네덜란드 정부는 자국 통신 서비스 민영화를 위해 1996년 잠정법안을 도입해 위성, 케 이블 등 대체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및 신규 유선 통신망의 개발을 허용함 1996년 제정된 잠정법안은 1998년 12월에 통신법(Telecommunicatiewet 1998)으 로 대체됨. 이를 통해 네덜란드 통신 네트워크 및 서비스 시장을 개방하여, 주파수나 자 원의 유효성에 의한 제한외에는 사업자 수에 제한을 두지 않음 네덜란드 통신법에는 사업자 등록, 전파관리 정책, 번호 관리 정책, 상호접속 및 특별 접 속, 개방형 통신망 제공(Open Network Provision, ONP), 보편적 서비스 의무, 정보 보호 등 통신 시장의 전반적인 규제가 명시됨 네덜란드 통신법의 목적은 통신 시장의 진입 장벽 제거와 관련 규제의 최소화를 통해 통 신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임

표 1.7 통신법의 주요 내용 구분 내용

‐ 등록제: 음성 전화, 임대회선, 케이블, 모바일 진입장벽 ‐ 주파수 할당: 모바일 사업 분야 제한 ‐ 제한 없음(단, 통신 사업 분야의 회계 분리) 주파수 할당 ‐ 모바일/WLL: 선착순 및 경매 방식 번호 관리 ‐ 1999년 1월부터 번호 이동제 시행 보편적 서비스 ‐ 지배적 사업자 KPN의 보편적 서비스 의무 출처 : 경제기후정책부

20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2004년 5월 19일, 유럽연합(EU)의 전자통신 분야에 대한 ‘2002년 통신규제 패키지’를 드 자국 통신법에도 적용하여 통신법을 개정하고 적용함 2004년 개정된 전자통신법은 개방형 통신망 제공(ONP) 분쟁 각령, 번호 이동 각령, 보 편적 서비스 각령, 전용선・전화 서비스 각령 등 각종 각령을 통해 개정 이전의 전기 통신 법을 보완하고 있음 2004년 개정된 통신법(Telecommunicatiewet 2004)에는 ‘전자통신’의 광범위한 개 념 도입, 기술 중립적인 규제 실시 및 우정통신청의 권한 범위 확대, 유럽연합(EU) 통신 법에 기반한 시장 지배적 사업자(Significant Market Player, SMP)의 재정, 경쟁 규제 정책에 따른 소비자 보호법 보완, 우정통신청(現 소비자 시장 당국, ACM) 스팸 정보 방 지 대책 등이 추가됨 2004년 통신법 개정으로 우정통신청(現 소비자 시장 당국, ACM)은 시장의 공정 경쟁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할 시 기업에 강제 조치를 부과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됨 2006년 3월에는 통신법에 근거하여 인터넷 안전 및 소비자 보호를 위한 ‘스팸 금지 및 인터넷 안전 정책’이 발표됨. 이에, 스팸에 대한 벌금을 최대 50만 유로로 책정하고, 2009년 10월부터는 기업 대상 스팸까지 규제하여 사실상 모든 스팸 정보 배포 행위를 전면적으로 금지시킴 2007년 2월에는 소유주(property owners)는 적어도 10년 동안 활동하지 않는 케이블 사의 철수요구를 할 수 있는 명시적인 권리를 갖도록 개정함 2012년 6월에는 유럽집행위원회(EC)의 지침을 포함하고, 쿠키 이용과 관련 요구사항, 망 중립성, 보안문제, 보편적 서비스, 소비자 보호 조치 등을 담고 있는 통신법 수정안이 발효되어 2013년 1월부터 시행됨 2015년 3월에는 통신법 제11.7조(a)항의 쿠키(cookie) 관련 규정에 대한 개정안이 발 효됨 트래킹 쿠키(tracking cookies)의 설치에 있어 웹사이트들의 허가 방식에 통일성을 주 기 위한 것으로, 트래킹 쿠키와 기능적 쿠키 간의 차이를 두고 웹사이트 사용자들의 사생 활을 보호하고자 규제를 강화하는데 목적을 둠 신설된 예외규정은 정보서비스 제공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기능적 쿠키 및 인터넷 사용 자의 사생활에 영향이 전혀 없는 쿠키들은 사전 고지 동의를 받을 필요가 없으며, 한편 트래킹 쿠키의 경우에는 반드시 설치 이전에 웹사이트 사용자로부터 동의를 받아야 함

개인정보보호법

2015년 5월 네덜란드 상원을 통과한 개인정보 유출 통지에 관한 법률(Bill on

| 2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Notification of data leaks)은 2016년 1월 1일부터 발효됨 심각한 개인정보유출 사고 발생, 개인정보 유출과 관련된 심각한 위험 감지, 개인정보보 호에 있어 부정적 결과가 예측될 경우 데이터 콘트롤러는 이 사실을 개인정보감독당국 (College Bescherming Persoonsgegevens, CBP)에 즉시 알려야 함 또한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당사자의 프라이버시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경우 기업은 당사자에게도 알려야 하지만 데이터가 암호화 되어 있을 경우는 통지의무가 없음 개인정보감독당국(CBP)은 사건의 심각성에 따라 2만 250유로에서 81만 유로까지 행정 벌금을 부과할 수 있으며, 최대 벌금이 적절한 처벌로 간주되지 않을 경우 이전 회계연도 기준 해당기업의 연간 순매출액의 10%까지 과태료 부과할 수 있음 네덜란드 정부는 EU의 일반 데이터보호 규칙 제정을 기다릴 수 없어 별도로 법률을 제 정하였으며, 본 법률은 EU 법률이 발효될 때까지 한시적으로 적용함(EU 규칙 발효시기 를 2018년 이후로 예상함)

망 중립성 법안

2011년 6월, 네덜란드 하원 의회는 유럽 최초로 망 중립성(Net Neutrality) 법안을 통 과시켰으며, 2012년 5월 상원의 인준을 받았고, 법안의 효력은 2013년 1월부터 발생됨 소비자 시장 당국(ACM)은 2015년 1월 망 중립성 위반에 대해 Vodafone과 KPN에 벌 금을 부과함 KPN이 무료 Wi-Fi 핫스팟에서 VoIP 형태를 포함한 특정 서비스를 차단한 것에 대해 25만 유로(28만 3,508달러) 벌금을 부과함 규제당국은 Vodafone이 특정계획을 가지고 HBO와 함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접속과 관 련된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무료로 제공했기 때문에 20만 유로(22만 6,798달러)를 부과함 네덜란드 규제하에 인터넷 제공자는 특정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차단할 수 없고, 인 터넷을 통해 특정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 접속에 대해 다른 비율의 요금을 부과할 수 없 기 때문임

수정된 망 중립성 법안

2016년 10월, 네덜란드 상원은 통신법(Telecommunications Act)의 개정안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수정된 망 중립성 법(Net Neutrality Law)을 통과시킴 이 법은 통신사와 ISP가 모든 인터넷 트래픽을 동일하게 취급하며, 다른 서비스 보다 특 정 서비스를 선호할 수 없도록 보장함. 비방자들은 이 법이 개방 인터넷 규칙에 의해 정 의된대로 네트워크 중립성에 대한 EU 규제의 의도를 훨씬 뛰어 넘는다고 주장함

22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미디어법(Mediawet) 드

네덜란드 방송에 관한 기본 법규로는 1998년에 제정된 미디어법이 있음. 미디어 규제감 독 기관인 미디어위원회(CdvM)의 설치와 권한, 공영 방송의 임무, 방송 단체의 설치와 규제, 상업 방송 면허, 케이블 TV 사업자 관련 의무 등을 명시함 2005년 2월의 미디어법 개정은 공영방송사인 NPO의 기업 지배구조 효율화를 위한 조 직개편을 주요 골자로 함 가장 최근에 이루어진 미디어법 개정은 2008년 2월로, 공영방송의 임무에 인터넷, 디지 털 전문 채널, 모바일 TV 전용 방송 콘텐츠 서비스의 제공 관련 법안을 주요 내용으로 다루고 있음 네덜란드는 2008년 말 신규 방송법인 미디어법 2008(Mediawet 2008)을 정식 채택하 여 2009년 1월 1일부터 발효한 바 있음 미디어법 2008의 주요 내용은 공영 방송국, 상업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방송 제작사 규제, 방송 서비스 라이선스, 콘텐츠 규제 등이 있음 1987년 4월 발효된 기존 미디어법이 수차례 개정되어 오면서 기존 법안의 재정리 및 네 덜란드 방송 전반 정책의 재구조화의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 법안 개정의 배경임 기존 미디어법과 개정된 미디어법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음 공영 방송 서비스의 주 서비스 영역(TV)과 부 서비스 영역(TV 外 미디어)의 구분을 없애 고 공영 방송사에 언제 어디서든지 TV뿐만 아니라 디지털 채널, 웹사이트 등 모든 멀티 미디어 채널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의무를 부여함 기존의 미디어법의 아날로그 방송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면 새로운 미디어법은 디지털 방 송이 기준임 네덜란드 방송사에만 초점이 맞추어졌던 상업 방송의 스폰서십 및 광고에 대한 규제를 룩셈부르크 기반의 상업 방송 사업자(RTL 등)로 확대해 자국 방송사의 경쟁력을 높임

방송 라이선스

미디어위원회(CdvM)는 미디어법(Mediawet 2008)에 근거해 공영 방송사 및 상업 방송 사업자로 구분, 중앙(National)/지역(Regional)/지방(Local) 단위로 라이선스를 발급함

표 1.8 방송 라이선스 기간 구분 기간 중앙 공영 방송사 ‐ 10년(기존 5년, 2000년 미디어법 개정) 지역 공영 방송사, 지방 공영 방송사 ‐ 5년 상업 방송사(라디오, TV, 케이블) 출처 : 미디어위원회(CvdM)

| 2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네덜란드 공영 방송사 NPO(Nederlandse Publieke Omroep)는 3개의 TV 채널과 5 개의 라디오 채널을 보유하고 있으며, 단순히 프로그램 송출 기능을 하고 방송 프로그램 을 제작하는 방송 제작사는 별도로 운영됨

그림 1.4 네덜란드 공영 방송사와 방송 제작사의 관계

콘텐츠 수급

방송 제작사 공영 방송사(NPO)

프로그램 제작 프로그램 편성 및 송출

5년마다 심사

출처: 미디어위원회(CvdM)

미디어법에 근거해 방송 제작사들이 공영 방송사에 콘텐츠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공영 방 송사의 심사 및 교육문화과학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미디어위원회(CdvM)는 공영 방 송 콘텐츠 규제를 담당함

표 1.9 공영 방송사의 콘텐츠 규제 구분 내용 ‐ 각 방송제작사들의 방송시간 할당은 미디어법에 근거해 한 이익집단을 대표하는 프로그램 편성 기준 방송제작사의 구성원 수에 따라 결정 ‐ 정보 프로그램 25%, 문화 프로그램 25%,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 25%, 교육 프 공영 방송 프로그램 쿼터제 로그램 5%, 기타 자유 프로그램 20% 지역 공영 방송사 ‐ 지역 관련 프로그램 50% 이상 방영 의무 광고 ‐ 1년 기준 10% 이하, 1일 기준 15% 이하 출처 : 미디어위원회(CvdM)

표 1.10 방송사 소유권 규제 구분 내용 ‐ 민영 방송사의 일간 신문사 지분 소유 최대 25%, 지역 신문사 지분 소유 미디어 교차 소유 제한 최대 50% ‐ 지역 방송의 동 지역 라디오 방송사의 지분 소유 최대 50% 외국인 지분 참여 ‐ 제한 없음 정치 집단 참여 제한 ‐ 관련 조항 없음 출처 : 미디어위원회(CvdM)

24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3. 산업구조 및 특징 드

전체 기업 중 ICT 업종의 비중 5.4%

네덜란드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ICT 업종으로 구분되는 기업은 전체 기 업 중 5.4%로 약 7만개이며, 이는 2007년 4.2%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한 수치임. 2015년에 신규 생성된 ICT기업은 7800개임 ICT(활용)이 기업 커뮤니티에서 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것은 적어도 25%에 해당함 2015년 기준 ICT 소비 규모는 약 470억 유로이며, ICT제품은 117억 유로, ICT서비스 는 356억 유로에 해당함. 또한 ICT 투자는 약 230억 유로로 소프트웨어, 미디어, 클라 우드 서비스, 게임 등이 포함됨 ICT 수출은 약 285억 유로 규모(이 중 58%는 재수출함)이며, 수입은 약 500억 유로 규 모임

2015년, ICT 업종 구인 건 약 1만 1,000개 발생

2015년 4분기 기준 ICT 업종에서 전년 대비 3,000개 이상의 일자리가 신규로 창출되어 약 1만 1,000개의 일자리에서 구인 건이 발생함. 2015년 말 ICT 산업의 구인 건은 전체 일자리 구인 건 중 8%를 차지함. 이는 2005년 초 5%를 차지하였던 것에 비해 3%p 증 가한 수치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ICT 산업 종사자

네덜란드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네덜란드의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에서 ICT 산 업 종사자로 분류되는 인구는 약 35만 6,000명으로 집계되었음. 이는 전년도 33만 6,000명으로 집계된 인구에 비해 크게 증가한 수치임. 네덜란드의 ICT 산업 종사자는 2012년 이래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2014년도 기준 ICT 산업 종사자 비중은 전년대비 0.1%p 증가하여 전체 노동 인구의 4.1%를 차지함. ICT 산업 종사자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고용되는 영역은 에너지 업종과 금융 기관인 것으로 나타남 2015년 기준 ICT 산업 종사자들의 평균 연령의 경우, 지난 10년간 중년층 종사자의 비 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2005년 45세 이상 ICT 산업 종사자 비중은 26%였던 것에 비해 2015년은 39%인 것으로 집계됨

| 2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4. 산업 주요 이슈

네덜란드 정부, 범죄 예방을 위해 빅데이터 활용

2016년 네덜란드 정부는 사회안전법무부 장관 Van Der Steur의 제안에 따라 안전하고 자유로운 네덜란드 사회 구축을 위하여 치안 유지에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하기로 함. 네 덜란드 정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빅데이터를 사용하여 범죄자들의 범행 양상을 파악한 후 예방 조치를 취함으로써 네덜란드의 치안 수준을 높일 계획임 빅데이터 정보 수집을 위해 네덜란드 정부는 시민의 사생활을 충분히 보장하기로 하였으 며,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처리 과정에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함. 또한 정부는 빅데이터 분석으로 인해 개인정보 오남용 문제 등 법적 문제가 발생할 경우를 대 비해 관리 및 감독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증가시킬 계획임

네덜란드, 글로벌 다국적 기술기업들 위치함

소프트웨어, 핀테크, 의료기술(medtech), 우주, 스마트에너지, 공유기술, 3D 프린팅 등과 같은 네덜란드 기술 산업의 주요 강점은 글로벌 혁신의 전반적인 방향과 완벽하게 일치함 오라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IBM, 시스코, 인텔, 링크드인, 애플, 세일즈포스, 버라이 즈, 넷플릭스, 우버 등 다국적 기술 대기업은 모두 네텔란드의 기술 생태계를 최대한 활 용하기 이해 네덜란드에 매장을 개설함 또한 네덜란드는 글로벌 게임업계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기업들에게도 인기 있는 장소로, 게릴라 게임(Guerrilla Games), 퍼펙트 월드(Perfect World), 퀵서이(Kixeve), 액티비 전 블리자드(Activision Blizzard) 등과 같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게임 회사들의 본거지임 또한 유럽에서 가장 큰 보안 클러스터(Security Cluster)와 가장 발전된 데이터 센서 시 장을 보유하고 있어 IT비지니스 운영에 용이함

정부 업무의 디지털화 추진

네덜란드 정부는 2017년부터 주요 정부 관련 업무들을 디지털화 할 것을 계획하고 있 음. 이에 따라 네덜란드 시민들은 차량 주차 허가증, 세금 납부 등의 각종 민원 업무들을 온라인을 통해서 처리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됨

26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드

1) 정부 간 협력

과기정통부, 제2회 한-EU 공동연구 컨퍼런스 개최(2017.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월 20~22일 간 2017 한-EU 공동연구 R&D 글로벌 컨퍼런스 를 개최함 컨퍼런스는 1차(‘16~’17년) 한-EU 공동연구사업 성과 및 5G, 인공지능 등의 글로벌 기 술 동향을 공유하기 위하여 개최됨 EU회원국인 네덜란드, 스페인, 이탈리아 등 주한 EU 대사관의 상무관들이 참석하여 각 국의 RD전략과 국제협력 추진계획 소개함 한국과 EU는 2차 공동연구 사업을 위해 2018년~2020년 3년간 5G분야에 각국이 54억 원 투자, 클라우드와 IoT, AI에 각 27억원씩 총 160억원을 지원할 계획임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네덜란드 현지 콘텐츠 배급사와 콘텐츠 상호 협약 체결(2017.11)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현지 콘텐츠 배급사인 오프 더펜스(Off the Fence)와 콘텐츠 상호 협약을 체결함 협약을 통해 양측은 글로벌 콘텐츠 협력체계를 구축해 국제 방송산업 발전을 위해 공동 으로 협력해 나가기로 합의함 또한 KCA는 세계 최대 다큐 전문영화제인 암스테르담 국제 다큐멘터리영화제(IDFA)에서 국내 다큐멘터리의 해외시장 진출과 투자유치를 지원하기 위해 국내 다큐멘터리 기획안을 유럽 등 해외 방송사, 투자사, 배급사에 소개하는 ‘피칭 포럼’등의 행사를 개최하였음

방송통신위원회 김석진 상임위원, 네덜란드 방문(2017.9)

방송통신위원회 김석진 상임위원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되는 국제방송장비전 시회(International Broadcasting Convention: IBC)를 참관 및 네덜란드 미디어위원 회(CvdM) 등을 방문하여 양국의 정책경험을 공유하고 향후 교류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 획임

| 2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기업 진출 및 협력

이지팜, 네덜란드 비스콘 본사에서 수경재배 자동화 시설 총판 계약을 위한 협약 체결(2017.10)

IT기술을 농업에 접목하는 AgTech(Agriculture+Technology)분야 국내 선도기업인 이지팜과 글로벌 자동화시스템 기업 비스콘그룹(Viscon Group)은 네덜란드 비스콘 본 사에서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하고 양사의 제품과 서비스를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제공하 기로 합의함 이번 총판 계약 체결을 통해 이지팜은 수경재배 자동화 시설 및 서비스를 국내 사용자들 에게 단독으로 출시할 수 있게 됨

현대자동차, 암스테르담에서 카셰어링 서비스 개시(2017.10)

현대자동차는 2017년 10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아이오닉 일렉트릭(전기차)를 활 용한 카셰어링 서비스 개시함 아이오닉 전기차는 완충시 주행거리는 280km이며, 암스테르담-로테르담(80km), 암스 테르담-네이 메헨(120km), 암스테르담-아인트호벤(125km) 등 네덜란드 전역 운행 가 능함 암스테르담 내 기존업체들(Car2go, GreenWheels 등)과 차별전략은 바로 ‘이동식 급속 충전 서비스’이며 아이오닉 전기차는 총 100대로 관련 웹/앱으로 근처에 있는 전기차를 찾고 예약하여 사용가능함

건국대학교, 네덜란드 대학과 공동으로 리빙랩 프로젝트 시작(2017.9)

건국대학교는 네덜란드 대학과 공동으로 사회적 이슈를 연구하고, 해결책을 찾는 글로벌 산학연계 학술 프로그램인 ‘리빙랩(Living Lab)’ ㅍ로젝트를 시작함 이를 위해 전공 관련 산업체 전문가를 겸임교수로 초빙하는 등 gkrtf 교류, 산업체 현장 실습을 활발하게 진행함

삼성 SUHD TV, 네덜란드 매체 평가 7년 연속 1위(2016.07)

네덜란드 소비자 연맹지 ‘콘수멘텐본드’는 2016년 출시된 TV 49 제품을 매장에서 직접 구매하고 평가한 후 삼성 퀀텀닷 SUHD TV 2개 모델을 공동 1위로 선정하였음

28 | 유럽Ⅰ 네덜란드

Ⅱ • • 네 정보통신방송 품목현황 덜 란 Overview 드

2016년 네덜란드 정보통신방송 주요지표 (단위: 천 명 / 천 회선 / 천 가구, 2016년 기준)

지표 네덜란드 보급률(%) 한국 보급률(%)

유선통신 가입회선 6,801 40.28% 28,036 56.10% 이동통신 가입자 21,941 192.95% 61,296 122.65%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7,119 42.16% 20,556 41.13% TV 보급대수 7,451 96.5% 18,310 97.50% 케이블 TV 가입가구 4,693 60.78% 7,470 39.78% 위성 TV 가입가구 298 3.86% 2,298 12.24% 지상파 디지털 방송 가입가구 1,944 25.18% 3,680 19.60% IPTV 가입가구 2,108 27.31% 8,514 45.34%

출처: ITU(2017), Digital TV Research(2017)

네덜란드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네덜란드 소프트웨어 산업 매출액 증가: 2017’ 1분기 ▲ 8%p 시장 동향 ‐ 소프트웨어 시장 하위부문 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67%), 시스템 소프트웨어(33%) 주요 ‐ GX Software: 6년 연속 가트너의 Magic Quadrant에 등재 소프트웨어 사업자 ‐ TOPdesk: 노르웨이 진출 및 가트너와 파트너십 체결

‐ 증가하는 온라인 쇼핑  가장 인기 있는 품목: 의류, 스포츠 제품(52%), 여행, 숙박(47.6%) 시장 동향 ‐ 2017년 상반기 매출액 증가율 비교  네덜란드 웹사이트 매출액 18.1%, EU국가 웹사이트매출액:19.4% 주요 인터넷서비스 ‐ bol.com: 온라인 유통시장 점유율 1위 사업자

‐ 이동통신 가입자 수, 보급률: 2016’ 2,194만 명, 129.95% 시장 동향 ‐ 고정 광대역 가입자 수: 2016’ 711만 명 ‐ 네덜란드 정부, 5G 이동통신망 도입에 적극적 주요 ‐ 주요 이동통신사업자: HSPA, LTE 인프라 중점, 5G 준비 통신 사업자 ‐ KPN: 2015년 2분기 네덜란드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 1위 기록

‐ 네덜란드 게임시장 매출규모: 2016’ 약 4억 8,475만 유로 시장 동향 ‐ 디지털음악 시장 규모  2013’ 8,000만 유로 → 2017’ 1억 4,600만 유로(▲ 82.5%) 주요 ‐ T-Mobile: 무제한 스트리밍 음원 서비스 중단 디지털콘텐츠 사업자 ‐ 네덜란드 게임의 절반은 기능성 게임으로 선두주자임

| 2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 2010년부터 2016년까지 네덜란드 방영 TV 프로그램 수 약 70여 개 수준 시장 동향 ‐ IPTV 가입자 수: 2016’ 210만 8,000가구(▲ 6.68%) ‐ OTT/스트리밍 시장 증가: Netflix, Amazone Prime Video

‐ T-Mobile: OTT 서비스 KNIPPR를 위해 Ericsson 플랫폼 사용 주요 ‐ SBS: Avere Systems를 통해 스토리지 인프라 확충 사업자 방송스마트미디어 ‐ OTT/스트리밍 시장: Netflix, Amazone Prime Video 시장 진입

‐ ITU 2017년 글로벌 사이버보안지수: 15위 시장 동향 ‐ 2016’1분기: 네덜란드 IT보안은 IT시장의 10% 차지

주요 ‐ EclecticIQ: 딜로이트의 'FAST50 Rising Star 상' 수상 정보보호 사업자 ‐ 산업사이버 보안 Applied Risk: 산업 자동화와 공정 제어부문 보안업체

‐ 네덜란드, 클라우드 시장 수요 : 2016’ 23% 증가 시장 동향 ‐ 네덜란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용자 비중: 2017’ 46%

주요 ‐ Oracle: 암스테르담에 새로운 클라우드 영업 센터 설립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자 ‐ Zoho: 클라우드 컴퓨팅 회사 Zoho는 암스테르담에 데이터센터 오픈

‐ 100명당 사물인터넷 장치 보유량: 2015’ 24.7대 시장 동향 ‐ M2M 연결  2016’ 3,382,000개 (전년대비 21.6%▲ 주요 ‐ KPN: 2017’ 9월, KPN Things로 기업고객 대상 IoT서비스 출시 사물인터넷 사업자

‐ 네덜란드, 인공지능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을 앞서가는 선진국 시장 동향 ‐ 핀테크 시장 총 거래가치: 2017’ 214억 3,900만 달러 ‐ 스마트팜(Smart Farm) 선진국으로 ICT융합 과제 진행 ‐ &Samhoud Media: 세계 최초 VR 전용 영화관 개관 주요 ‐ Additive Industries: 금속 3D 프린팅으로 중소기업혁신 Top 100에서 2위 사업자 IT스마트융합 ‐ Adyen: 핀테크 기업으로 전 세계 250여개 결제수단 연동

‐ 전파관리청이 네덜란드의 전파 관리 담당 시장 동향 ‐ 대기오염과 온실가스를 측정하는 위성장비 Tropomi 발사 계획 ‐ 네덜란드 우주: 인공위성을 이용한 정밀 농업 전파위성

‐ 네덜란드 스마트폰 보급률: 2016’ 81%(▲ 6%p) 시장 동향 ‐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규모, 조사기관 모두 급격한 성장 전망

주요 ‐ 삼성전자: 네덜란드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 디바이스 사업자 ‐ 애플: 리퍼폰 보상, 네덜란드 법원에서 패소

30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1. 소프트웨어 드

1) 시장 동향 및 전망

네덜란드 응용 소프트웨어 시장은 소비자용·상업용·산업용·개발용 등 다양한 분야에 걸 쳐 지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애플리 케이션 시장도 함께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소프트웨어 산업

소프트웨어 산업은 최근 몇 년 동안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이 부문 매출액은 2016년 1분기 대비 2017년 1분기에 8% 증가함. 하위부문에서 IT보안과 가상화 솔루션 은 13%이상 가장 큰 증가를 보임 네덜란드는 정부 서비스를 디지털화하려하며, 2017년 현재, 시민과 민간부문은 주차허 가, 주소 변경, 세금 환급 신청 등과 같은 정부 관련 모든 문제를 온라인으로 처리할 것 으로 기대됨. 네덜란드 정부는 정부내에서 오픈 표준과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장려함 지역 소프트웨어 개발은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과 고객 제품에 중점을 두며, 네덜란드 소프트웨어의 수출은 네덜란드어 사용으로 인해 제약 존재함. 네덜란드의 수많은 소프트 웨어 스타트업은 향후 몇 년에 걸쳐 자신들의 소프트웨어 수출을 증가시키기 위해 준비 하고 있음 현재 소프트웨어 시장은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가장 큰 공급원은 유럽제품이며, 그 뒤를 이어 미국회사들의 제품이 공급됨 전체 시장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67%)와 시스템 소프트웨어(33%)로 나뉘며, Windows는 기업시장에서 표준 소프트웨어로 위치하고 있으며, 비록 MacOSx의 사용 도 디자인 부문과 같은 데서 중요하게 사용됨 끊김없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대한 증가하는 필요성과 함께 상업시장은 또한 중요한 사 용가가 되고 있음. 최근에는 중소기업 시장이 ICT공급자들에게는 매력적인 새로운 시장 으로 나타나고 있음 특히, 표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소프트웨어, 클라우드기반 소프웨어, 네트 워킹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보안 제품, 증강·가상현실, AI 등과 같은 영역에 시장 기회가 존재함

| 3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GX Software, 6년 연속 가트너의 Magic Quadrant에 등재

네덜란드의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기업인 GX GX Software Software는 2016년 9월 가트너가 발표하는 웹 콘 텐츠 관리 부문 매직 쿼드런트(Magic Quadrant for Web Content Management)에 6년 연속 등재 됨. 가트너의 매직 쿼드런트는 해당 기업 비전의 완 전성과 실행 능력을 평가하며, 총 18개의 업체들을 시장의 리더, 도전자, 틈새 플레이어로서 지정함 홈페이지 www.gxsoftware.com 1995년, Nijmegen, GX Software는 고객이 자사의 제품을 구매한 후에 설립 Gelderland 도 고객 경험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비전을 갖추고 있 CEO Willem Rossieau 음. 또한 단순히 신규 고객 확보에만 중점을 둔 마케 업종 소프트웨어 팅 소프트웨어를 넘어서 디지털 채널을 통해 고객과 의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함 GX Software의 Magic Quadrant 등재는 Nationale-Nederlanden 보험사, KPN 통 신사 등 고객 충성도가 높은 회사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음을 보여주는 사례임

TOPdesk, 노르웨이 진출 TOPdesk 2016년 10월, 네덜란드의 소프트웨어 기업인 TOPdesk 는 노르웨이의 수도 오슬로에 새로이 지사를 설립함. 이번 에 진출하게 된 노르웨이는 TOPdesk의 10번째 진출국임 노르웨이 지사는 인근 덴마크 지사와 긴밀한 협력을 홈페이지 www.topdesk.com 통해 운영될 계획이며, TOPdesk의 국제화 및 성장 설립 1993년, Delft CEO Wolter Smit 에 큰 디딤돌이 될 것으로 전망됨 업종 소프트웨어

TOPdesk, 가트너와 파트너십 체결

2016년 1월 1일, 네덜란드의 소프트웨어 기업인 TOPdesk는 세계 유수의 정보기술 연 구 및 자문 회사인 가트너(Gartner)와 파트너십을 체결함 TOPdesk는 북미 시장을 장악하려는 목표에 따라 2015년 1월 1일 미국에 지사를 설립 한 바 있음. 이번 파트너십은 북미 시장 장악 목표를 위한 TOPdesk 전략의 일안이며 향 후 북미 시장 선도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됨

32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2. 인터넷서비스 드

1) 시장 동향 및 전망

네덜란드 인구 81%, 매일 인터넷 접속

네덜란드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네덜란드 인구의 약 81%가 매일 인터넷에 접 속하는 것으로 집계됨. 이는 2013년 기준 78%의 인구가 매일 인터넷에 접속했던 것에 비해 약 3%p 증가한 수치임

증가하는 네덜란드 온라인 쇼핑

최근 네덜란드 통계청의 발표에 의하면, 2017년 온라인 구매는 전체적으로 모든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7년 가장 인기 있는 품목은 의류 또는 스포츠 제품이 52%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여행 및 숙박(47.6%), 이벤트 티켓 (44.9%), 가정용품 및 전자제품(34.9%) 순으로 나타남

그림 2.1 소비자의 구매 중 온라인 구매 비중 (단위 : %)

출처 : 네덜란드 통계청(www.cbs.nl)

다른 EU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네덜란드에서도 온라인 구매가 전년동기 대비 계속 증가 하고 있는 가운데 네덜란드는 2017년 상반기에 온라인 구매액이 전년동기 대비 18.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3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2.2 온라인 구매(전년대비 변화율) (단위 : %)

출처 : 네덜란드 통계청(www.cbs.nl)

2) 주요 기업 현황

네덜란드 온라인 시장 경쟁구도

네덜란드의 온라인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차 bol.com 지하는 업체는 bol.com임. 도서, 전자제품, 장난감 등을 판매하는 bol.com은 2015년 기준 업계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7.6%의 점유율을 차

지하였으며, 2016년에 들어서는 시장 점유율 9.4% 홈페이지 www.bol.com 를 기록하며 선두의 입지를 굳힘 설립 1999년 3월, 위트레흐트 시장 점유율 2위를 차지하는 업체는 coolblue로 업종 온라인 유통, 소매업 2015년 기준 4.7%의 시장 점유율로 업계 4위에 머 제품 도서, 전자제품, 게임 등 물렀지만, 이듬해 2.5%p 상승하여 7.2%의 시장 점 유율을 기록하며 업계 2위를 차지함. 최근 coolblue는 웹사이트와 물류 개선에 노력중임 온라인 의류 및 신발 사업을 주력으로 하며 다양한 브랜드의 상품을 취급하는 Wehkamp 는 2015년 기준 6.6%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업계 2위까지 올랐지만, 2016년 성장 세가 다소 주춤하여 6.3%의 시장 점유율로 업계 3위를 기록함

34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표 2.1 네덜란드 온라인 유통시장의 점유율 추이 (단위 : %) 드 온라인 판매업체 명 2014 2015 2016

Bol.com 6.3 7.6 9.4 Coolblue 3.3 4.7 7.2 Wehkamp 7.2 6.6 6.3 Zalando 5.5 5.2 5.3 AH.nl - - 5.2 3rd Party Merchants 1.9 2.2 2.1 H&M 2.1 2.1 2.1 App Store 1.7 1.9 1.9 Media Markt/Saturn 1.8 1.8 1.8 Hema 1.8 1.7 1.6 Kruidvat 1.5 1.6 1.6 출처 : euromonitor.com

| 3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3. 통신

1) 시장 동향 및 전망

이동통신

국제전기통신연합 ITU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네덜란드의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2016년 기준 전년 대비 약 113만 명 증가한 2,194만 명으로 집계됨. 2016년 기준 네덜 란드의 이동통신 보급률은 전체 인구를 상회하는 수준인 129.95%임

그림 2.3 네덜란드 이동통신 가입자 수 및 보급률 (단위 : 천 명, %)

출처 : ITU(2017)

브로드밴드

네덜란드는 유럽에서 선도적인 브로드밴드 국가 중 하나로, 우수한 크로스 플랫폼 인프 라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브로드밴드 보급률을 가진 국가 중 하나임 ITU에 따르면, 네덜란드의 유선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는 2016년 기준 약 711만 명에 이르며 이는 전체 인구의 약 42.16% 수준임

36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그림 2.4 네덜란드 유선브로드밴드 가입자 수와 보급률 (단위 : 천 명, %) 드

출처 : ITU(2017)

또한 네덜란드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특히 2015년 케이블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는 320 만 명으로 집계되어 최초로 DSL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를 넘은 것으로 나타남 두 가지 브로드밴드 인프라가 거의 모든 가정에 출시되었는데, KPN의 DSL(Digital Subscriber Line) 네트워크는 모든 가정의 99%에 이름 또한 케이블 네트워크는 주요 사업자 UPC Netherland와 Ziggo에 의해 그리고 지역 케이블 사업자가 소유한 케이블 네트워크는 모든 가정의 95%에 달함

5G

네덜란드 정부는 5G 이동통신망 도입에 상당히 적극적인 태도를 취함. 2016년 6월에 네덜란드 북부 흐로닝언(Groningen) 지역은 5G 기술 및 서비스개발을 위한 테스트베드로 지정됨. 수많은 사업자, 학계, 정부기관이 그곳에서 모여 5G는 플랫 폼(물류, 헬스케어, 환경, 에너지, 자율주행차 등) 으로서 제공되는 시나리오를 연구함 특히 이 지역의 5G 프로젝트를 ‘5Groningen’이라고 명명하며 향후에도 농업, 유통 및 물류, 헬스케어, 환경, 에너지 등 여러 분야에 5G 기술을 적용할 것을 목표로 함 네덜란드 경제부는 5Groningen 프로젝트를 시행하기 위해 주요 통신사업자인 KPN, Vodaphone을 비롯하여 화웨이, Ericsson, 흐로닝언 대학교(the University of Groningen) 등 10여 개의 기업 및 기관과 파트너십을 체결함 또한 네덜란드 경제부는 2017년 통신 분야에서 고객의 수요에 따라 5G 기술을 적시에 도입할 수 있도록 모바일 네트워크 사업자들의 새로운 라이선스 발급과 관련된 세부 조 건들을 설정하였음

| 3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네덜란드 내 5G 기술 및 서비스의 상용화는 머지않은 것으로 전망되며, 추후 유럽 내 5G 기술 및 서비스를 선도할 것으로 평가됨 주요 이동통신사업자들의 5G연구 플랫폼은 향후 예상되는 5G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미 래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위한 테스트 베드로 역할을 함

2) 주요 기업 현황

네덜란드의 주요 이동통신사업자로 KPN, Vodafone Netherlands, T-Mobile Netherlands와 MVNO와 재판매 사업자들이 있으며, 이동통신시장은 주요 3개 사업자 들간의 경쟁이 활발함. 주요 이동통신사업자들은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기초로 HSPA와 LTE 인프라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5G에 대해서도 준비 중 2015년 2분기 기준 네덜란드 이동통신 시장점유율은 KPN(34.0%)이 1위이며, 그 뒤를 이 어 Vodafone(28%), T-Mobile(20%)를 점유하고 있으며, MVNO들이 18.0%를 차지함

그림 2.5 네덜란드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2015.2분기)

출처 : BuddeComm(2017.2.)

T-Mobile

T-mobile은 2017년 1월에 2G서비스를 2020년까지 중지하겠다고 발표했으나, 900MHz 대역의 자산은 3G와 LTE 사용을 위해 재배포됨 2016년 1월 T-Mobile은 LTE-A 네트워크를 출시함. 2016년 하반기에 ‘4G For Home’솔루션을 출시하여 LTE 시그널을 모뎀을 통해 Wi-Fi 연결로 전환하여 느린 유 선연결을 한 가정에 브로드밴드를 제공함

38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KPN, LTE-M 서비스 준비 드

2016년 12월에 KPN은 자산의 LoRa IoT네트워크에 보완을 위해 시범 LTE-M서비스 를 위해 Ericsson, Qualcomm과 함께 팀을 구성함

Tele2 Netherlands

Tele2 Netherlands는 2016년 3월까지 LTE를 지리적 커버리지의 99%를 제공함

| 3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4. 디지털콘텐츠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6년 게임시장 매출규모 전세계 19위, 약 4억 8,475만 유로

네덜란드는 유럽에서 가장 활성화된 게임시장을 갖고 있으며, 이에 대해 네덜란드 교육 기관은 적극적으로 게임산업인력 양산에 힘쏟음. 네덜란드 인터넷 사용자 중 약 43%가 온라인 게임 이용자이고, 일인당 연간 137 유로를 사용 기능성게임(serious game)은 네덜란드 게임산업의 매우 중요한 분야로, 오락성게임 (entertainment game)분야는 해외게임 회사들의 시장 점유율이 높250음 네덜란드 게임산업은 SNS 플랫폼, 인터넷망, 무선통신(3G+)의 발전과 함께 모바일기기 로 확산 중이며,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다중 이용자게임(massive multiplayer online games: MMOGs)도 성장 중

지속적으로 성장 중인 네덜란드 디지털음악 시장

시장조사기관 Statista에 따르면, 네덜란드의 디지털음악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임. 디지털음악 시장은 큰 성장세를 보여 2015년 기준 1억 800만 유로(약 1억 1,434 만 달러)에 이름. 네덜란드 디지털음악 시장은 향후에도 스마트 디바이스 보급 증가에 따 라 꾸준히 성장세를 보여 2017년에는 1억 4,600만 유로(약 1억 5,457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임

그림 2.6 네덜란드 디지털음악 시장 규모 (단위 : 백만 유로)

146 127 108 80 86

2013 2014 2015 2016 2017

출처 : Statista

40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2) 주요 기업 현황 드

T-Mobile, 무제한 스트리밍 음원 서비스 중단

2016년 12월, 네덜란드의 주요 통신사 T-Mobile은 네덜란드의 소비자·시장 규제 당국 으로부터 고객의 데이터 용량을 소모하지 않는 무제한 스트리밍 음원 서비스를 중단하도 록 지시받음 소비자·시장 규제 당국에 따르면, T-Mobile의 무제한 스트리밍 음원 서비스는 다른 경 쟁사들과의 공정 경쟁을 침해하는 행위로, 네덜란드의 망 중립성 규율(net neutrality rules)에 위배되는 서비스임 2016년 10월 서비스 개시 이후 2개월간 무제한 스트리밍 음원 서비스를 제공한 T-Mobile은 강제로 고객들에게 사용한 음원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도 록 하거나 막대한 벌금을 지불해야 함. 이와 관련하여 T-Mobile 측은 규제 당국과 법적 공방을 계속하고 있음

주요 게임회사들

Spil game은 네덜란드 최대의 온라인 게임플랫폼이며, 한 달에 1억 3,000만 번의 방문 수를 기록함 Real Networks사가 2006년에 인수한 Zylom사는 단순게임(casual game)시장에서 강자이며, Ranji사는 기능성게임(serious game) 시장에서 강자임. 또한 Triumph Studios 사의 Overlord게임, Guerilla Games사의 Killzone이 오락게임(entertainment game) 분야에서 성공함 네덜란드 게임의 절반은 기능성게임으로, 수치상으로는 오락성게임 더 많이 보이지만, 네덜란드는 전통적으로 기능성게임의 선도주자임. 네덜란드 앱스토어 10위안에 드는 기 능성 게임은 GameOven사의 Fingle, Gamistry사의 Munch time이 있음 기능성 게임은 훈련이나 시뮬레이션 채용 마케팅과 같은 여러 산업에서 사용되며, 특히 의료분야와 교육분야에서 더 활성화됨. 채용 및 교육용 게임분야에서는 Ranji Serious Games, IJsfontein, Grendel Games사가 유명함. 또한 Vstep, Esemble사는 재난대 응훈련 시뮬레이션 분야에서 평판이 높음 게임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기업을 홍보하는 광고성게임(Advergames)도 기능성게임 범 주 안에 포함되며, 광고성게임 분야에서는 Little Chicken Game Studio와 Sticky Studios가 유명함

| 4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5. 방송스마트미디어

1) 시장 동향 및 전망

방송콘텐츠

온라인 종합 비디오콘텐츠 유통 업체 The Vore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6년까지 매 년 네덜란드에서 방영되는 TV 프로그램 수는 70여 개를 웃도는 수준임. 네덜란드의 TV 프로그램 수는 수년간 큰 변화가 없었지만, 최근 드라마 시리즈 Penoza와 Zwarte Tulp의 성공으로 네덜란드의 방송콘텐츠 수준이 높아졌다고 평가됨

방송

미디어 시장조사기관인 Digital TV Research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네덜란드의 전체 가구 중 TV 보유가구 비율은 96.5%로 이는 전년 97.4%에 비해 0.9% 감소함. 네덜란드 TV 보유가구 수는 2016년 745만 1,000가구에 해당함

특히, 네덜란드의 유료 TV 방송 가입의 경우 IPTV 가입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IPTV 가입자의 경우 2011년 66만 8,000명에 불과하였으나 2016년에 이르러서는 210 만 8,000명에 달할 정도로 가입자 수가 증가함

표 2.2 네덜란드 유료 TV 방송 가입자 추이 (단위 : 천 명)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위성 TV 395 374 384 399 373 276 케이블 TV 3,258 3,472 3,662 3,822 3,865 4,022 IPTV 668 1,100 1,434 1,683 1,976 2,108 출처 : Digital TV Research (2017)

방송통신융합

시장 조사업체 PwC에 따르면, Netflix는 2016년 말 기준 가입자가 190만 명에 이르렀 으며, OTT/스트리밍 시장에서 큰 증가를 견인 Netflix는 KPN과 파트너십을 통해 KPN의 플랫폼에서 자산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음

42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또한 Amazon은 아마존 프라임(Amazon Prime) 서비스를 2017년에 네덜란드 시장에 드 서 개시하며, Netflix와 지역 OTT들과 경쟁을 시작함

2) 주요 기업 현황

T-Mobile, OTT 서비스 KNIPPR를 위해 Ericsson 플랫폼 사용

2016년 네덜란드의 주요 통신 사업자 T-Mobile은 OTT서비스인 ‘KNIPPR’ 개시를 위 해 스웨덴 통신 업체 Ericsson의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을 사용하기로 함 이번 계약을 통해 향후 수년간 Ericsson은 콘텐츠 관리 및 준비, 디지털 권한 관리, 콘텐 츠 전송 네트워크(CDN, Content Delivery Networks) 등 수준높은 온라인 비디오 서 비스를 제공하게 됨

그림 2.7 새로운 OTT 서비스, KNIPPR

출처 : www.knippr.nl

SBS, Avere Systems를 통해 스토리지 인프라 확충

2016년 3월, 네덜란드의 민영 방송사 SBS는 시청자들의 고품질 방송 수요가 빠르게 증 가함에 따라 기업용 스토리지 제공업체인 Avere Systems의 스토리지 인프라를 사용하 기로 함. SBS는 이번 스토리지 인프라 확충을 통해서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 로 대량의 방송 콘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됨

| 4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Amazone Prime 서비스, 네덜란드에서 2017년 11월에 개시

Amazon은 Amazon Prime서비스를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인 Prime video를 네덜란 드에서 개시함. Amazone Prime은 유료 구독 서비스로 사용자에게 2일간 무료배송, 비 디오/음악 스트리밍 및 기타 혜택을 월별 또는 연간 요금으로 제공함 Prime Video는 수천 개의 TV쇼와 시리즈를 포함하고 있으며, The walking dead, Mr. robot, American Gods 등과 같은 히트시리즈도 포함하고 있음

44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6. 정보보호 드

1) 시장 동향 및 전망

ITU 2017년 글로벌 사이버보안지수, 네덜란드 세계 15위

네덜란드는 ITU의 2017년 글로벌 사이버보안 지수(GCI) 순위 15위로서 선도 단계에 해당함. 네덜란드는 국가 수준에서 사이버 보안 발전을 측정하기 위해 매년 측정기준 (metrics)을 사용하며 ‘Cyber Security Assessment Netherlands’ 보고서에 요약됨

네덜란드 정부, 사이버 보안 강화 노력

최근 한 보고서(Why West Holand is the Hotspot for Cyber Security, 2017.8)에 의하면 2016년 1분기 네덜란드 IT시장은 240억 유로 정도이며, IT보안은 IT시장의 10%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정부의 최근 보고서(Cyber Security Assessment Netherlands 2017, 2017.8.)에 의 하면, 개인과 조직의 디지털 복원력은 증가하는 위협에 대해 뒤지고 있음. 특히 IoT의 성장으로 인해 사이버보안 위협도 존재하며 많은 기기들은 보안 업데이트 되지 않은 취 약성을 갖고 있으며, 이들 디바이스들은 DDoS 공격을 수행하는데 악용될 수 있음. 최근 몇 년동안 보안 및 법무부 예산의 더 많은 자금이 네덜란드의 사이버보안강화를 위해 할 당되었음

민간 기업, 사이버공격에 의한 ICT사고 21%

통계청에 의하면, 2016년 10인이상 종업원을 가진 민간사업체 중 50%는 수시로 ICT 사고를 직면하며, 사이버 공격에 의한 ICT사고는 21%정도에 해당함. ICT사고는 산업부 문별로 차이를 보이는데, 금융, 에너지 부문이 사이버 공격의 영향이 가장 크며, 호텔, 음 식점이 상대적으로 낮음

| 4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2.8 ICT사고에 대한 기업(10인 이상) 점유율(2016) (단위: %)

출처 : 네덜란드 통계청(www.cbs.nl)

2) 주요 기업 현황

EclecticIQ, 딜로이트의 ‘FAST50 Rising Star 상’ 수상

2016년 네덜란드의 주요 IT 보안 업체인 EclecticIQ EclecticIQ 는 딜로이트가 수여하는 ‘FAST50 Rising Star 상’을 수상함 EclecticIQ는 자사의 혁신적 플랫폼인 ‘EclecticIQ 홈페이지 www.eclecticIQ.com Threat Intelligence Platform’을 시장에 출시함으 설립 2014년, Amsterdam 로써 정보보호 분야에서 높은 발전 가능성을 보임 CEO Joep Gommers 고객의 자원에 관련된 위협에 집중함으로써 사이버 업종 Threat intelligence Analysis 위협 상대와의 싸움을 복원하는 것임

Applied Risk, 산업 사이버 보안

CyberSecurity Ventures가 2017년 2분기에 발표 Applied Risk 한 글로벌 Cybersecurity 500기업에서 301위로, Applied Risk사는 나타나는 사이버 위협에 대해 산 업영역의 중요한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되었음 홈페이지 applied-risk.com 산업 자동화와 공정 제어부문의 주요 사이버 보안 업 설립 Amsterdam 체로서 가장 큰 목표는 가장 진보된 산업 제어시스템 CEO Auke Huistra (Industrial Control System, ICS) 보안 서비스 및 업종 산업 사이버 보안 기술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임

46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Fortune 선정 500대 기업에서 중소기업에 이르기까지 핵심 인프라를 조달, 구축, 통합 드 및 관리하는데 필요한 서비스와 솔루션을 제공함

나스닥, BWise 솔루션으로 Gartner의 Magic Quadrant 등재

네덜란드의 대표적인 정보보호 업체 BWise의 솔루션 BWise 을 사용하는 나스닥이 2016년 Gartner가 발표하는 운영 리스크 관리 솔루션 부문 매직 쿼드런트(Magic Quadrant for Operational Risk Management 홈페이지 www.bwise.com Solutions)에서 리더로 선정됨. Gartner의 매직 쿼드 설립 1994년, Rosmalen 런트는 해당 기업 비전의 완전성과 실행 능력을 평가 CEO Jonathan Deeks 하며, 전 세계적으로 해당 분야의 14개의 기업을 평가 업종 IT Governance, 하여 매직 쿼드런트를 선정함 Risk&Compliance 이번 나스닥의 매직 쿼드런트 등재를 계기로 BWise 는 엄격한 정보보호가 요구되는 금융서비스 분야에서 자사 솔루션의 전문성을 인정받음 또한, CyberSecurity Ventures가 2017년 2분기에 발표한 글로벌 Cybersecurity 500 기업에서 144위를 차지했음

| 4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7. 클라우드 컴퓨팅

1) 시장 동향 및 전망

네덜란드, 클라우드 시장 지속적 성장

네덜란드의 클라우드 시장은 고성장 단계로, IaaS 부문은 2016년 23%의 수요 증가를 보임. PaaS 부문은 2016년에 34% 증가해 전체 네덜란드 IT부문 성장에 영향을 미침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용률 증가

네덜란드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네덜란드 전체 인구의 거의 절반이 파일을 저 장하기 위해 클라우드를 이용하며, 이는 전년대비 매우 높은 사용률에 해당함 2017년 12세 이상 네덜란드인에 의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용률은 46%에 해당함. 청소년들의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은 나이든 사람들보다 3배 이상 더 사용하고 있음. 또 한 고학력사람들이 저학력보다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을 약 2배 정도 더 많이 하는 것으 로 나타남. 또한 여자들 보다 남자들이 약간 더 많이 사용함

그림 2.9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용률(12세 이상) (단위 : %)

출처 : BuddeComme(2017.2)

주로 대다수의 사용자들은(약 90%) 사진을 저장하기 위해 클라우드를 사용함. 또한 10 명 중 6명 정도는 문서, 스프레드시트, 프리젠테이션도 또한 종종 저장함. 클라우드 컴퓨 팅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임 또한 2016년 네덜란드(16세~74세)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사용은 전체 43%로 EU 평균 26%에 비해 높으며, 스웨덴(45%)에 이어 2순위에 해당함

48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2) 주요 기업 현황 드

네덜란드 클라우드 컴퓨팅 회사들 IaaS에 집중

네덜란드의 클라우드 컴퓨팅 회사들은 중소기업 고객 부문에서 주로 경쟁력을 갖고 있으 며, PaaS 보급에 대한 제약으로 인해 IaaS에 주로 집중함

CTP, 암스테르담에 지사 개소하여 EMEA 시장 확장

보스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 회사인 Cloud Technolgoy Partners (CTP)가 암스테르담에 사무실을 개소하며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에 기반을 고 객들을 지원함 CTP의 확장은 EMEA의 주요 파트너인 Amazon Web Services, Microsoft, Google 및 Rackspace의 급속한 성장에 대한 반응으로 클라우드 채택이 세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CTP는 네덜란드와 영국에 위치한 지사에서 클라우드로 이동하는 유럽 ·중동아프 리카(EMEA) 지역 기업을 지원할 수 있음

클라우드 컴퓨팅 회사 Zoho, 암스테르담에 데이터센터 오픈

클라우드 회사는 증가하는 고객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유럽에서의 사업 영역을 확대하 고 있음. 클라우드 기반 기업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는 Zoho는 암스테르담에 새로 운 데이터 센터를 개소하는 것을 2016년 7월에 발표함. 이는 아일랜드 더블린에 또 다 른 데이터 센터와 함께 유럽으로 확장의 일부에 해당함. Zoho는 Zoho Corp.의 사업부 로 본사는 캘리포니아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도에 국제 본부, 오스틴, 런던, 요코하마, 베 이징에 지사를 두고 있음 암스테르담의 AMS-IX(Amsterdam Internet Exchange)는 세계에서 가장 앞선 데이 터 전송허브로서 많은 새로운 데이터 센터가 인근에 건설되어 있음

Oracle, 암스테르담에 새로운 클라우드 영업 센터 설립

Oracle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Nieuwevaart 지역에 오래된 창고 부지를 새로운 클라 우드 영업 센터 부지로 지정하고 입주를 준비하고 있음. 새로운 클라우드 영업 센터는 2017년 완공을 목표로 동년 6월까지 450여 명의 직원들이 입주하여 근무할 계획임

| 4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8. 사물인터넷

1) 시장 동향 및 전망

네덜란드 사물인터넷 시장은 주요 통신 사업자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임. 특 히 Vodafone Netherlands와 T-Mobile Netherlands 등은 모기업의 사물인터넷 기 술을 활용하여 양질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출시할 것이 예상됨. 반면, 기타 통신 사업자 들은 사물인터넷 서비스 향상을 위해 글로벌 사업자들과의 전략적 제휴가 요구될 전망임

사이버위협에 대한 사물인터넷 시장 규제 준비

네덜란드는 공식적으로 사물인터넷 시장을 규제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음. 2017년 6 월 네덜란드 하원은 정부에 사이버 위협에 노출된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재하는 방안을 요구하고 하원 자체적으로 공식 사물인터넷 위원회를 조직함 또한 네덜란드 표준화기구(NEN)는 국제 포럼 등에서 네덜란드를 대표하기 위한 ‘사물인 터넷 위원회’를 설립하는 중

네덜란드, M2M연결

시장조사기관 Buddecomm의 자료에 의하면, M2M 연결은 2016년 3,382,000개로 전년 2,781,000개 대비 약 21.6% 증가함

그림 2.10 네덜란드 M2M 연결 개수 (단위 : 천 개)

출처 : BuddeComm(2017.2)

50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네덜란드 스마트홈 시장, 빠르게 성장 중 드

시장조사기관 Statista에 따르면, 네덜란드에서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홈 시 장은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7년 기준 시장 규모가 2억 2,400만 달러 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이는 2021년까지 39.8%의 연평균 성장률로 꾸준히 상승하여 2021년에 이르러서는 시장 규모가 8억 5,6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됨

2) 주요 기업 현황

KPN, 네덜란드 내 로라망 기반 IoT 전국망 구축 완료

2016년 7월, 네덜란드의 대표적인 통신사 KPN이 LoRa 저전력 광대역 네트워크(Long Range Wide Area Network, LPWAN) 기반으로 사물인터넷 전국망 구축을 완료함. 이러한 확산은 단일 네트워크에 IoT 연결을 위한 지원을 개선하게 됨. KPN은 헤이그와 로테르담에 망 구축을 시작하였으며, 총 8개월 만에 사물인터넷 전용 전국망을 갖추게 되었음 KPN이 적용한 LoRa 기술은 사물의 데이터가 수집될 때만 전력을 사용하므로 배터리 하나로 최장 15년까지 작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도 낮아서 많은 장치 연결이 필요한 산업시설에 특히 중요함

KPN, KPN Things 브랜드하에 기업 고객을 위한 IoT서비스

2017년 9월, 네덜란드 통신사업자 KPN은 KPN Things 배너하에 기업고객을 위한 IoT 서비스를 출시함. KPN Things는 IoT장비, 네트워크, 데이터, 컨설팅 서비스를 포함하여, 월정액제의 플 랫폼과 함께 KPN의 다양한 IoT네트워크(LoRa/M2M)기반하에 안전하고 준비된 IoT솔 루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T-Mobile Netherlands, NB-IoT 허브 설립

T-Mobile Netherlands는 NB-IoT 시연, 워크숍,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T-Mobile의 네트워크가 있는 185개 소기업을 수용하는 De Gruyter 공장이 위치한 Den Bosch에 NB-IoT 허브를 설립함 Den Bosch 허브는 암스테르담에 T-Mobile의 이전에 개시한 NB-IoT 허브를 따르고 있음

| 5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T-Mobile Netherlands, 상업용 NB-IoT 종단간 시스템 출시

T-Mobile Netherlands은 2016년 10월에 상업용 협대역 IoT(NB-IoT) 종단 시스템을 유럽에서 첫 번째로 출시함 Schiphol 공항과 주변을 포함한 암스테르담, 아인트호벤, 로테르담, 헤이그 등에서 시 작하며, 900MHz 대역의 스펙트럼을 사용함. 사업자는 아른헴(Arnhem), 베스트(Best), 델프트(Delft), 덴 보쉬(Den Bosch) 등으로 NB-IoT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확장해 나감

52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9. IT스마트융합 드

1) 시장 동향 및 전망

인공지능

네덜란드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을 앞서가는 선진국으로 불림. 인공지능 로 봇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네덜란드는 초·중·고교 단계에서부터 이공계에 대한 관심을 키워 인공지능 분야의 인재를 육성하며, 일부 고등학교에서는 델프트공대의 로봇 ‘나오 튜터’를 수업에 활용하기도 함 네덜란드 정부, 기관 및 연구소에서는 로봇 분야 선두주자를 자임하며 인공지능 로봇 분 야에 막대한 투자를 함. 네덜란드 델프트공대 내 로보밸리에서는 1억 유로(약 1억 500 만 달러) 규모로 조성하고 있는 로봇 투자 펀드에 EU자금을 유치할 계획임

가상현실

마케팅·컨설팅 업체 Ipsos가 2016년 9월에 시행한 VR 현황 조사에 따르면, 네덜란드의 VR에 대한 인기는 날로 커지고 있음. VR에 친숙한 네덜란드 소비자 비율은 65%를 넘었 으며, 최소한 1번 이상 VR 제품을 체험해본 소비자의 비율도 약 20%에 달함 Ipsos의 연령별 VR 제품 사용자 비율 조사 결과, 18~34세의 젊은 층 인구가 29%로 VR 제품 사용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35~54세 인구가 20%, 55세 이상 인구는 11%로 그 뒤를 이었음 또한 조사 대상자의 10%는 이미 VR 안경을 보유하고 있음. 이들의 44%는 VR 안경을 유튜브나 앱을 통한 VR 동영상 시청을 목적으로 사용하며, 24%는 VR 게임, 17%는 가 상 여행, 12%는 VR 영화 시청, 11%는 마케팅 용도로 사용한다고 밝힘

스마트팜(Smart Farm)

농업선진국인 네덜란드는 ICT융합기반의 스마트팜이 발전되어 있는데, 파프리카 수확 로봇의 경우 센서를 통해 열매의 성숙도와 질, 3차원 위치 파악이 필요함. 현재 2015년 부터 2018년까지 관련된 후속과제들이 계속 진행 중임

핀테크

시장조사기관 Statista에 따르면, 네덜란드 핀테크 시장의 총 거래 규모는 2017년 기준

| 5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14억 3,9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이는 2021년까지 16.2%의 연평균 성장률로 꾸준히 성장하여 2021년에는 390억 3,7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됨 네덜란드 핀테크 영역에서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디지털 결제 분야이며, 디지 털 결제 분야는 2017년 기준 210억 3,800만 달러의 거래 규모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됨 다국적 회계법인 EY의 2017년 핀테크 적용률조사(the Fintech Adoption Index)에 의하면 전 세계 20개국 조사 대상국의 핀테크 적용률은 33%이고, 네덜란드는 27%임 반면, Capgemini사의 소비자금융분야 설문조사에 의하면 네덜란드 소비자들의 1%만 이 핀테크 서비스를 실제 사용하고, 33%의 소비자들은 핀테크기업을 몰랐고, 25%의 소 비자들은 핀테크로 인한 부가가치를 인정하지 않음. 18%의 소비자는 기존은행들의 금 융서비스에 대한 신뢰가 크고, 92% 소비자는 주거래은행을 바꾸지 않을 것으로 답변함 네덜란드의 금융시장은 강한 전통적인 금융인프라와 금융감독법이 존재하는데 2015년 에 최초로 은행허가권이 핀테크기업 Bunq사에 발급됨 2016년 6월 네덜란드 중앙은행(DNB)와 금융시장감독원(AFM)은 Innovation Hub라 는 이니셔티브를 통해 금융회사들에 혁신의 장을 조성하고 임시 은행허가권을 도입함. 기업들은 이를 이용하여 은행허가권 없이도 상업화 단계이전의 핀테크기업들이 금융상 품을 실험할 수 있음

표 2.3 네덜란드 핀테크 50대기업 24sessions Bux Fixico MatchingLink Otly! AcceptEmail Capayable FRISS MijnGeldzaken.nl Owlin AdviceRobo Colline Crowdfund Geldvoorelkaar.nl Mollie Quantoz Adyen Counter POS GUTS.tickets MultiSafepay Seedrs AET Europe CrossLEnd I/O Digital Multisense Simpled Card Backbase Cybersprint IKnowFirst NBWM SRXP Billink Davinci InnoValor/ReadID Newgen Payments Storecove Blanco Dimebox Instantor AB ngCompliance Symetrics BrightPensioen Equidam InsureAPP Ockto B.V. Synechron Buckaroo Five Degrees Kontomatik Openclains Trefi 자료원: financieel-management.nl

54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2) 주요 기업 현황 드

&Samhoud Media, 세계 최초 VR 전용 영화관 개관

네덜란드의 콘텐츠 기업 샘하우드 미디어(&Samhoud Media)는 2016년 3월 암스테르 담에서 세계 최초로 VR 전용 영화관(VR Cinema)을 개관함. VR 전용 영화관에서는 움 직이는 회전의자에 삼성전자의 갤럭시S6를 탑재한 기어VR, 독일의 젠하우저 헤드폰 HD201 수십 세트가 준비되어 있음. 영화관 티켓은 12.5유로(약 13.16달러)이며, 약 30 분 동안 VR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음

금속 3D 프린팅 업체 Additive Industries, 네덜란드 중소기업 혁신 Top 100에서 2위 차지

Additive Industries는 금속 3D 프린터인 MetalFAB1과 응용프로그램 개발 툴은 완제 품뿐 아니라 시제품 생산에도 사용되며, 이를 통해 신속하고 저렴하게 제품 생산을 할 수 있게 됨. 즉, 금속 3D프린팅 보편화 실현 및 사용자들의 신제품 개발 용이성이 향상되어 신규 사업가들은 제품 대량 생산을 결정하기 전에 금속 3D프린팅으로 시제품 생산이 가 능하게 됨 MetalFAB1은 이미 항공우주산업, 자동차 산업 첨단기술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음. 또한 2017년 11월, 네덜란드 KAAK그룹은 MetalFAB1을 활용해 생산한 제과, 제빵 장비를 전 세계 제과제빵업체에게 판매함

벤츠, 네덜란드에서 자율주행 버스 시험 운행 성공

2016년 7월, 벤츠는 네덜란드 스히폴(Schiphol)국제공항에서 하를럼(Haarlem) 지역 까지 약 12마일 구간에서 시험 운행을 성공적으로 마침. 이를 통해 벤츠는 레이더 장치 를 활용한 인지기술 등 자율주행을 위한 기술 전반을 검증하였음 이번 네덜란드 프로젝트 전문가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해 기존 자동차 기술 관련 법안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함

핀테크기업, Adyen사는 전세계 250여개의 Adyen 결제수단연동

네덜란드의 대표 핀테크 기업 Adyen사는 전 세계 홈페이지 www.adyen.com 250여개의 결제수단과 연동해 어디서도 돈을 받을 설립 2006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함. CEO Pieter van der Does 업종 결제

| 5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Adyen사는 2015년 3억 5,000만 달러, 2016년 7억 2,000만 달러 매출을 기록했고, 2017년 10억 달러 매출을 목표로 함. Adyen사는 최근 KPMG의 글로벌 핀테크 100대 기업에서 20위를 기록함

Accerion, 센서를 통해 자유로운 이동을 하는 무선로봇

Accerion사는 ‘Super eyes’라 불리는 센서를 통해 주변의 도움 없이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무선로봇(Unconstrained Robotics BV)을 개발함. 센서를 탑재한 무선 로봇은 빌딩 안팎으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함 Accerion은 이 제품을 통해 네덜란드 중소기업 혁신 Top 100에서 9위를 차지함

그림 2.11 Accerion의 자유이동 무선로봇

출처 : Accerion

56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10. 전파위성 드

1) 시장 동향 및 전망

전파관리청이 네덜란드의 전파 관리를 담당

네덜란드의 전파관리는 경제부 산하의 전파관리청(Radio Communications Agency) 이 담당함. 전파관리청은 네덜란드의 주파수를 개발, 할당 및 모니터링 등 주파수 운영의 전반적인 부분을 담당하며, 주파수 감독관리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함 또한 인접 국가들과의 주파수 정책 및 운영을 조율하며, 국제 주파수 기관의 정책을 반영 하여 네덜란드의 주파수 운영을 담당함

네덜란드 위성 Tropomi

네덜란드는 대기오염과 온실가스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위성 장비인 Tropomi를 2017 년 상반기에 발사 Tropomi의 총 생산비용은 1억 3,300만 유로(약 1억 3,990만 달러)로 추산됨. 그 중 8,900만 유로(약 9,350만 달러)를 네덜란드 정부가 투자하였고, 나머지 예산은 유럽우 주국(ESA, European Space Agency)에 의해 조달되었음. Tropomi는 네덜란드 자체 전문 기술을 사용하여 개발 및 건설됨

그림 2.12 위성장비 Tropomi

출처 : 경제부

| 5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네덜란드, 갈릴레오 프로젝트에서 큰 역할 담당

네덜란드의 경제부에 의하면, 네덜란드는 유럽의 항공우주 분야 협력 프로젝트인 ‘갈릴 레오’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함. 갈릴레오 프로젝트는 미국식 GPS의 유럽 버전으로, 2017년부터 시행될 예정임 네덜란드의 기업 Dutch Space는 인공위성 Doresa en Milena에 태양 전지판 기술을 제공하였음

그림 2.13 갈릴레오 프로젝트

출처 : 경제부

NL Space, 인공위성을 이용한 농업

농식품 산업에서 선도적인 네덜란드는 인공위성 기술을 사용하여 작물 데이터를 수집하 여 완전히 새로운 차원으로 농업을 하고 있음 네덜란드 정부는 농민들이 농작물을 보다 면밀히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하는 이러한 ‘정밀 농업(precision farming)’에 140만 유로를 투자함 인공위성 자료에 기반하여 네덜란드 회사들은 최적의 수확을 위한 주어진 땅의 구역에서 농업적 수요를 확인할 수 있으며, GPS제어장비의 도입으로 농업은 정밀 과학이 되었음 네덜란드 NL Space는 우주, 인공위성 기술 및 과학을 기반으로 농식품, 수자원, 기후 및 환경 등 다양한 부문에서 응용함

58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11. 디바이스 드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6년 네덜란드 스마트폰 보급률 80%

시장조사기관 BuddeComm에 따르면, 2016년 말 네덜란드의 13세 이상 인구 중 스마 트폰 보급률은 81%로 2015년 75%에 대비하여 6%p 증가함 네덜란드 스마트폰 보급률은 2012년 전체 인구의 43%에 불과하였지만, 꾸준히 증가하 여 5년만에 스마트폰 이용자가 약 2배 증가함

그림 2.14 네덜란드 전체 인구 대비 스마트폰 이용자 비율 (단위 : %)

76 80 65

52 43

2012 2013 2014 2015 2016

출처 : Statista

네덜란드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급격한 성장 전망

네덜란드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규모는 조사기관별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향후 수년 이내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시장조사기관 Juniper Research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이 2013년 13억 달러에서 2018년 190억 달러 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또한, ICT분야 시장조사기관 Gartner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헬스케어, 피트니스 디 바이스만으로도 시장 규모가 2016년 5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내다 봄 BI Intelligence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출하량이 2014년 1억 대에서 2018년 3억대에 이를 것이라고 발표함

| 5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삼성전자, 2017년 네덜란드 스마트폰 점유율 1위

Statistica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삼성 스마트폰이 네덜란드에서 스마트폰 점유율 41%를 차지하며 선두를 유지함. 그 뒤로 애플이 시장 점유율 32%를 차지하면서 2위, 화 웨이가 6%, 소니 5%, LG 4%, 마이크로소프트 3%로 그 뒤를 따름

그림 2.15 2017년 네덜란드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출처 : Statista

애플 리퍼폰 보상, 네덜란드 법원에서 패소

2016년 애플은 자사 품질 보증 정책에 따라 부수어진 아이폰을 새 제품이 아닌 리퍼폰 으로 보상한 점에 대해서 한 네덜란드 여성으로부터 소송이 제기됨. 암스테르담에서 있 었던 이번 법원의 판결 결과 애플은 소송에서 패소하였음 이에 법원은 구매 계약 건을 무효화하였으며 애플에게 2014년 12월에 구입한 후 9개월 간 사용한 아이폰에 대해 799유로(약 840달러)를 환불할 것을 명령함. 또한 애플은 구매 가격 및 이자 환불과 더불어 소송에 들었던 모든 법률 비용까지 지불하라는 명령을 받음 결함 있는 아이폰을 수리 후 재사용되는 부품으로 만든 리퍼폰으로 보상하는 애플의 품 질 보증 정책은 다른 나라에서도 시행되는 정책이며, 특별한 상황에서만 새 제품으로 보 상하는 정책은 애플에게 어려움이 따름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덜란드 법원은 애플에게 새로운 제품으로 보상할 것을 강요하며 품 질 보증 정책을 변경할 것을 요구함 네덜란드 법원은 법원의 판결에 대해 애플이 항소할지 여부를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애 플은 과거 판결을 뒤집기 위해 모든 수단과 노력을 다한 전례가 있음. 이 사건에 대해 애 플은 공식적으로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음

60 | 유럽Ⅰ 네덜란드

Ⅲ • • 네 유망제품 진출전략 덜 란 Overview 드

유망품목 도출

유망품목 선정 - ‘IT스마트융합’

‐ 선정 사유 1. 네덜란드 농산물 수출규모 및 비중 글로벌 2위  네덜란드의 농산물 수출규모는 1,120억 6,100만 달러로 글로벌 2위 규모임 ‐ 선정 사유 2. 네덜란드 경작면적 비중, 국토 면적 대비 상대적으로 넓어  네덜란드의 국토면적은 한국보다 좁지만 경작면적은 20헥타르 더 넒음 ‐ 선정 사유 3. 자동화·규모화 진행 중인 네덜란드 농업  네덜란드 농업은 적은 노동으로도 넓은 경작지를 관리 할 수 있는 농업의 자동화·규모화가 진행 중임

유망제품 선정 ‐ 시설원예 관리 시스템  네덜란드는 세계 원예작물의 24%를 점유하고 있으며 대규모 온도, 습도, 광량, 이산화탄소량 등을 관리 할 수 있어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 ‐ 자동 수확 로봇  적은 인력으로 넓은 경작지를 관리해야 하므로 자동 수확 로봇이 필요함 ‐ 농작물 지리 정보 시스템  토양·환경 등 관련 자료와 위성 영상, 지리정보시스템 분석 기술을 통해 농작물의 재배 적지 구분도, 토양특성, 성분분석, 기후정보 등을 제공함

유망제품 유통구조 현지 진출 기업 사례

수출기업

스마트팜 제품 스마트팜 소프트웨어 스마트팜 제품 제조업체 개발업체 유통업체 ‐ 애그리포트(Agriport) A7 내 열병합발전 기 등의 스마트팜 시설 적용 ‐ 프리바(Priva), 축적된 생육정보를 바탕으 최종 수요처(농업 종사자, 농기구 대여 업체, 농업 연구기관 등) 로 토털 농업 솔루션 제공 ‐ 유통하는 업체는 크게 스마트팜 제품 제조업체, 스마트팜 소 프트웨어 개발업체, 스마트팜 제품 유통업체로 구분됨 ‐ 최종 수요처는 농업 종사자, 농기구 대여 업체, 농업 연구기관 등이 있으며 수출기업에서 직접 최종 수요처로 제품을 공급하 는 경우도 있음

유망제품 홍보 방법

‐ 농업, 원예업, 스마트팜 관련 네덜란드 내 전시회 참가

| 6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 유망품목 도출

선정 사유 1. 네덜란드 농산물 수출규모 및 비중 글로벌 2위

2015년 세계 무역 기구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네덜란드의 농산물 수출규모는 1,120억 6,100만 달러로 1,822억 3,500만 달러인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임. 글로벌에서 차지하는 네덜란드의 농산물 수출 비중은 6.3%를 차지함

표 3.1 글로벌 농산물 수출규모 및 비중 (단위: 백만 달러, %) 국가 미국 네덜란드 독일 브라질 프랑스 수출규모 182,235 112,061 100,777 87,890 81,187 비중 10.3 6.3 5.7 5.0 4.6

출처 : 세계무역기구 선정 사유 2. 네덜란드 경작면적 비중, 국토 면적 대비 상대적으로 넓어

2015년 네덜란드 농업 경제 리포트 자료에 의하면 네덜란드의 국토면적은 한국과 비교 했을 시 절반 이하로 나타나지만 경작면적은 183만 9,000 헥타르로 약 20만 헥타르 정 도 면적이 넓음

표 3.2 2014년 한국·네덜란드 경작면적 비교 (단위: 헥타르, 가구) 국토면적 경작면적 농가 수 농가당 경작면적 한국 99,720 15,961 1,120,776 1.4 네덜란드 41,543 18,390 65,507 28.0

출처 : 네덜란드농업경제리포트 선정 사유 3. 자동화·규모화 진행 중인 네덜란드 농업

Eurostat이 발표한 네덜란드 농가 수, 농가당 경작지, 농업 노동인구 추이를 분석해 보 았을 때, 1990년부터 2013년 까지 농가 수와 농업 노동인구는 점차 감소추세를 보이지 만 농가당 경작지의 면적은 계속해서 증가 추세를 보임. 따라서 네덜란드의 농업은 적은 노동으로도 넓은 경작지를 관리 할 수 있는 농업의 자동화·규모화가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됨

표 3.3 네덜란드 농가 수, 농가당 경작지, 농업 노동인구 추이 (단위: 헥타르, 명) 년도 1990년 1997년 2005년 2013년 농가 수 124,800 107,920 81,830 67,480 농가당 경작지 16.1 18.6 23.9 27.4 농업 노동인구 225,020 208,660 173,930 153,310

출처 : Eurostat

62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2. 유망제품 선정 드

시설원예 관리 시스템

네덜란드는 세계 원예작물의 24%를 점유하고 있으며 대규모 온도, 습도, 광량, 이산화탄소량 등을 관리 할 수 있어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

[ 시설원예 관리 시스템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자동 수확 로봇

적은 인력으로 넓은 경작지를 관리해야 하므로 자동 수확 로봇이 필요함

[ 자동 수확 로봇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농작물 지리 정보 시스템

토양·환경 등 관련 자료와 위성 영상, 지리정보시스템 분석 기술을 통해 농작물의 재배 적지 구분도, 토양특성, 성분분석, 기후정보 등을 제공함

[ 농작물 지리 정보 시스템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 6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3. 유망제품 유통구조

네덜란드의 유망제품으로 선정한 스마트팜 관련 제품을 현지 시장 내에 유통하는 업체는 크게 스마트팜 제품 제조업체, 스마트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스마트팜 제품 유통업체 로 구분됨 스마트팜 제품 제조업체는 직접 스마트팜과 관련된 제품을 제조하며 자사의 제품과 호환 하여 사용하거나 제품군을 확장하기 위해 타 스마트팜 제품을 취급하는 경우도 있음 스마트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는 스마트팜 하드웨어에 들어갈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업체이며 소프트웨어를 적용할 하드웨어를 직접 생산하기도 함 스마트팜 제품 유통업체는 관련 기기들을 직접 생산하지 않고 현지 또는 해외로부터 제 품을 공급 받아 유통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임. 소프트웨어일 경우 SI 업체 또는 리셀러, 하드웨어일 경우 도·소매 업체 등이 있음 최종 수요처는 농업 종사자, 농기구 대여 업체, 농업 연구기관 등이 있으며 수출기업에서 직접 최종 수요처로 제품을 공급하는 경우도 있음

그림 3.1 네덜란드 스마트팜 관련 제품 유통 구조

수출기업

스마트팜 제품 스마트팜 소프트웨어 스마트팜 제품 제조업체 개발업체 유통업체

최종 수요처(농업 종사자, 농기구 대여 업체, 농업 연구기관 등)

64 | 유럽Ⅰ 네덜란드

네 덜 란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드

애그리포트(Agriport) A7 내 열병합발전기 등의 스마트팜 시설 적용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북쪽으로 차로 30분 거리인 노르트홀란트주 미덴메이르에 위 치한 애그리포트 A7은 대규모 첨단 유리온실 단지임. 2만 헥타르 넓이의 간척지에 조성 된 애그리포트 A7은 유리온실용 부지만 1,000헥타르 규모임 총 10곳의 농가가 입주해 있으며 1곳당 보통 50~100헥타르 규모의 유리온실을 짓고 대 규모로 농작물을 재배하고 있음. 이 중 파프리카·토마토 재배 농가인 바렌제 DC의 외관 은 10m 높이의 유리벽으로 둘러쌓여 있으며 전체 규모는 축구장의 약 65배인 47 헥타 르임 10헥타르 넓이의 온실 4곳이 밭 전자 모양으로 구성돼 있으며 나머지 7헥타르에는 스마 트팜 시설인 열병합발전기, 양액원수 저수조 등이 설치되어 있음. 온실 곳곳에 각종 감지 기가 설치되어 있어 온실 내부의 온도, 습도, 조명과 작물의 수분, 영양분 상태를 파악하 여 이를 바탕으로 제어기가 작물이 생육하기 최적의 조건을 유지해 생산성을 높임. 온실 에서 재배되는 작물은 파프리카와 토마토 두 가지로 연간 6,600톤을 생산하고 있음

프리바(Priva), 축적된 생육정보를 바탕으로 토털 농업 솔루션 제공

네덜란드의 스마트팜 기업인 프리바는 스마트 팜 기기를 설치하는 사업 비중보다 그들이 보유하고 있는 농작물의 생육 정보를 바탕으로 IoT를 접목한 토털 농업 솔루션을 제공 하는 사업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프리바는 여러 농장의 정보를 모으지 않고 자신들의 설비를 갖춘 한 개 농장만을 대상으 로 수년 간 축적한 생육정보를 갖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재배 메뉴얼을 만들어 자신들 의 설비와 패키지로 판매하고 있음 프리바는 온실환경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만들고 시설원예 관련 프로그램과 기자재를 패 키지로 공급함. 프리바 컨트롤박스 안에는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측정하는 센 서가 들어 있음

| 6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농업, 원예업, 스마트팜 관련 네덜란드 내 전시회 참가

네덜란드 현지에서 열리는 농업, 원예업, 스마트팜 관련 전시회를 참가하여 현지 바이어 와 접촉하거나 최근 시장의 동향을 파악 할 수 있음 전시회의 예로 2018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농업혁신 전시회와 2018 네덜란드 농업 박람 회가 있음.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농업혁신전시회는 2018년 6월 20일부터 21일까지 2 일간 개최되며 전년도 기준 약 85여 곳의 업체가 참여함. 네덜란드 농업 박람회는 2017 년도 기준으로 네덜란드 업체만 참여하였으며 정확한 전시회 일정은 아직 나오지 않음

표 3.4 2018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농업혁신 전시회 2018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농업혁신 2018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농업혁신 명칭 전시회 전시회 주최자 정보 일시 2018년 6월 20일~21일 (2일간) Organizer : 산업분야 농업, 임업, 축산 Turret Media 최초개최연도 2014년 ADDRESS : Jaarbeursplein 3521 AL Utrecht 참가국 수 65개국 TEL : +31-88 602 56 69 주요참가국 네덜란드, 독일, 영국, 스위스, 벨기에 등 E-MAIL : [email protected] 전년도 참가 업체수 약 84개 업체 Website : 전년도 참관객수 약 2,565명 https://www.b2match.eu/gfia2017 출처 : 2018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농업혁신 전시회

표 3.5 2018 네덜란드 농업 박람회 명칭 2018 네덜란드 농업 박람회 2018 네덜란드 농업 박람회 주최자 정보 일시 - 산업분야 농업.임업.축산 Organizer : WTC Expo BV 최초개최연도 2001년 ADDRESS : 참가국 수 1개 Heliconweg 52, 8914 AT Leeuwarden TEL : +31 (0) 58 - 2941 500 주요참가국 네덜란드 E-MAIL : [email protected] 전년도 참가 업체수 약 50여 곳 Website : www.wtcexpo.nl 전년도 참관객수 약 2만 5,000명

출처 : 2018 네덜란드 농업 박람회

66 | 노르웨이 NORWAY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 68 1. 정책 및 규제 기관 2. 정책 및 규제 3. 산업구조 및 특징 4. 산업 주요 이슈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83 1. 소프트웨어 2. 인터넷서비스 3. 통신 4. 디지털콘텐츠 5. 방송스마트미디어 6. 정보보호 7. 클라우드 컴퓨팅 8. 사물인터넷 9. IT스마트융합 10. 전파위성 11. 디바이스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 110 1. 유망품목 도출 2. 유망제품 선정 3. 유망제품 유통구조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Ⅰ • •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Overview

정보통신방송 주요 기관

교통통신부(SD)

역할 ‐ 통신, 미디어 정책 총괄, 관련 법안 입안, 산하 규제기관 감독 등의 업무를 담당함

교통통신부(SD) 문화부(KUD)

주파수 감독 조직도 감독 감독

통신위원회(NKom) 미디어청(NMA)

정보통신방송 주요 정책

2015~2016 주파수 전략

‐ 통신위원회(NKom)는 2015~2016년간 수행 할 주파수 전략을 발표함. 이 전략은 사용자를 위한 전략으로, 주 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혁신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임

e-노르웨이 디지털 전략

‐ 정보통신(ICT)기술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해 정보화 사회를 구축하고 개인, 기업, 정부 등 사회 구성원의 만족도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사안에 초점을 두는 전략임

NFC 도시 프로젝트

‐ NFC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Tromsø를 NFC 도시로 지정해 NFC 솔루션의 적용 분야를 발굴 및 확대하 기 위한 프로젝트임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계획

‐ 2017년을 기점으로 FM 라디오 방송을 전면 중단하고 디지털 방식의 라디오 표준을 전면 적용할 계획임 ‐ 계획에 따라 노르웨이 FM 라디오 방송은 2017년 1월 11일을 기점으로 디지털 방송 기술인 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로 대체됨

한국과의 협력 현황

‐ 해수부, 노르웨이 통상산업수산부와 '제4차 해운협력회의' 진행(2017.09) 정부 ‐ 홍문종 미방위원장, 노르웨이 의원들과 ICT 창조경제 의견교환(2014. 09) ‐ 한-노르웨이, U헬스케어 활성화 협력키로(2011.09) ‐ CJ CGV, 노르웨이-프랑스에 잇따라 4D 체험 영화관 개관(2017.03) ‐ 삼성전자, 릴레함메르 동계 유스올림픽서 기어VR 체험 마케팅(2016.02) 기업 ‐ NHN엔터, 국제 표준 보안인증 획득으로 보안 강화(2015.06) ‐ 해외 IT 기업들, LGU+ LTE 벤치마킹위해 한국 방문(2013.10)

68 | 유럽Ⅰ 노르웨이

1. 정책 및 규제 기관 노 노르웨이 교통통신부(SD) 장관 프로필 노르웨이의 정보통신(ICT), 및 방송 규제 정책은 교통통신 르 부(SD, Ministry of Transport and Communications) 웨 성명 케틸 솔비크-올센 이 (Ketil Solvik-Olsen) 가 총괄하며, 정보통신(ICT) 규제는 통신위원회(NKom, 직급 장관 Norwegian Communications Authority), 방송부문 규 제는 미디어청(NMA, Norwegian Media Authority)이 주요경력 및 학력 담당함 Hanken School of 학력 Economics 경영학 학사 2013 ~ 현재 교통통신부 장관 Standing Committee on 교통통신부(SD, Ministry of Transport and 2011 ~ 2013 Finance and Economic Affairs 부회장 Communications) Energy and Environment 2009 ~ 2011 Committee 임원 교통통신부(SD, Ministry of Transport and Communications)는 노르웨이의 통신과 우편, 교 통 행정을 총괄하는 중앙정부부처임. 교통통신부(SD) 산하기관 통신규제기구 통신위원 회(NKom)는 교통통신부(SD)에 업무를 보고함 1860년 출범한 체신부(Ministry of Postal Affairs)가 교통통신부(SD)의 전신기구이며, 1946년에 통신과 교통행정 기능을 통합한 교통통신부(SD)를 설립함 사무국장 산하의 5개 부서가 실무를 담당하며, 이 중 민간항공, 우편서비스, 통신국 (Department of Civil Aviation, Postal Services and Telecommunications)이 통 신행정을 책임짐

그림 1.1 노르웨이 교통통신부(SD) 조직도

장관

사무국장

입안, 행정, 경제국 민간항공, 우편 교통국 도로, 철도국 언론, 정보국 서비스, 통신국

민간항공과

우편서비스, 통신과

우편통신청

출처 : 교통통신부(SD)

| 6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통신위원회(NKom, Norwegian Communications Authority)

노르웨이 통신위원회(NKom) 통신위원회(NKom, Norwegian Communications 사무총장 프로필 Authority)는 통신과 우편을 규제, 감독하는 자율 기 성명 Elisabeth 구로서 교통통신부(SD) 산하에 소속됨. 전신인 통신 Aarsæther 청(NTA, Norwegian Telecommunications 직급 사무총장 Authority)은 1987년 설립되었으며, 1997년 우편 주요경력 업무가 추가되며 우편통신청(NPT, Norwegian Post

Nokom 근무 and Telecommunications Authority)으로 변경되 2004 ~ 현재 부사무총장 역임 었다가, 2015년 1월부터 통신위원회(NKom)로 공식 명칭을 변경함 교통통신부(SD) 산하기관으로 교통통신부 장관에게 업무보고를 함. 통신위원회(NKom) 예산은 매년 국회에서 심의하며, 필요 예산을 통신 사업자 등 주파수 사용자, 장비 및 단 말 사업자, 우편 사업자 등으로부터 징수함

그림 1.2 노르웨이 통신위원회(NKom) 조직도

통신위원회 회장

통신위원회 부회장

주파수 관리 네트워크 서비스 시장 행정

출처 : 통신위원회(NKom)

70 | 유럽Ⅰ 노르웨이

미디어청(NMA, Norwegian Media Authority)

노르웨이 미디어청(NMA) 사무총장 프로필 미디어청(NMA, Norwegian Media Authority)은 노 방송, 영화, 신문 등 미디어 전반을 감독, 규제하는 르 성명 Mari Velsand 독립행정기구로서 문화부(KUD) 소관임. 미디어청 웨 직급 사무총장 (NMA)은 2005년 영화등급위원회(Norwegian 이 Board of Film Classification), 미디어소유청 주요경력 (Norwegian Media Owner Authority), 대중매체 2017.9 미디어청 사무총장 임명 청(Mass Media Authority) 등을 통합하여 출범한 2014 ~ 2017.9 Amedia CEO 기관임 2012 ~ 2013 Tun Media CEO 2012 ~ 2008 AS Nation 편집장 노르웨이 정부의 미디어 정책과 규제를 수립하며, 정 보제공 및 자문 등의 활동을 함

그림 1.3 노르웨이 미디어청(NMA) 조직도

문화부(KUD)

미디어청(NMA) 청장

라이선싱 보조금, 연구 소비자 보호 행정

출처 : 미디어청(NMA)

| 7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정책 및 규제

1) 정책

2015~2016 주파수 전략

통신위원회(Nkom)는 2015~2016년간 수행할 주파수 전략을 발표함 주파수 라이선스는 일반 라이선스 또는 개별 라이선스(스펙트럼 라이선스 또는 전송기 라이선스)로 구분됨 2012년 1월, 통신위원회(NKom)는 2012~2014년간 수행할 신규 주파수 전략을 발표함 상기 전략에는 추가 발행될 라이선스 만기를 25년 혹은 그 이상으로 확장하는 사안이 추가됨 통신위원회(NKom)는 이러한 결정을 통해 사업자들에게 장기적인 인프라 투자 의무를 부여할 수 있게 되었다고 언급하였으며, 同 라이선스는 기존과 동일하게 특정 기술에 제 한을 두지 않는다고 밝힘 한편, 노르웨이 주파수 전략은 사용자를 위한 전략으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 하며, 혁신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임

e-노르웨이 디지털 전략

e-노르웨이 디지털 전략(e-Norway The Digital Leap)은 노르웨이 근대화부(Ministry of Modernization, 現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Reform and Church Affairs)가 2005년 6월 입안한 포괄적인 정보통신(ICT) 행동 계획임 2005년 6월 발표된 유럽연합(EU)의 정보화 전략 i2010(European Information Society 2010)을 기본 틀로 함 정보화 전략 i2010은 ①유럽 내의 정보/미디어 분야에서 공통의 구조 확립 ②정보통신 (ICT) 연구개발과 투자를 촉진하여 경제 성장과 고용 확대 ③행정서비스와 삶의 질 향상 을 위한 정보사회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함 노르웨이 정부는 2000년에 e-노르웨이 1.0, 2.0, 3.0을, 그리고 2002년에 ‘e-노르웨이 2005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이들 선행 계획은 정부 및 공공기관이 개별적으로 수행함 반면, e-노르웨이 디지털 전략은 정보통신(ICT) 기술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해 정보화 사 회를 구축하고 개인, 기업, 정부 등 사회 구성원의 만족도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사안 에 초점을 둠. e-노르웨이 디지털 전략은 개인, 기업 및 산업, 공공부문 등 3개 분야에서 추진함

72 | 유럽Ⅰ 노르웨이

표 1.1 e-노르웨이 디지털 전략의 분야 및 세부목표 분야 세부목표 노 ‐ 2007년까지 모든 국민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제도 마련 ‐ 2007년까지 모든 공식 웹사이트 중 80%가 Norge.no의 접근성에 관한 품질 기준을 충족 르 케 함 웨 ‐ 2008년까지 교육, 직업훈련에 있어 디지털 기술이 중심이 되게 함 개인 이 ‐ 2007년까지 영화, 문학, 박물관 등 문화 콘텐츠 및 시설에 대한 디지털적 접근(영상, 음성) 을 가능케 하는 제도 마련 ‐ 2009년까지 문화유산, 각종 지식 및 정보, 교육기관, 공공부분에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제도 마련 ‐ 2008년까지 가장 자주 사용되는 15가지의 공식문서 중 75%를 전자문서화 함 ‐ 2008년까지 70% 이상의 기업들이 공공디지털 서비스에 대해 매우 만족 또는 만족할 수 있도록 함 기업 및 산업 ‐ 2005년까지 지역정보를 관할하는 모든 정부기관과 지방정부는 데이터를 업데이트해야 함 ‐ 2007년까지 모든 공공기관은 전자입찰에 관한 전략과 목표를 수립해야 함 ‐ 2010년까지 연구개발 예산을 GNP의 3%로 인상 ‐ 2009년까지 정부기관간의 통상적 연락은 전자적(Electronically)인 방법으로 함 ‐ 2009년까지 공공부분의 정보통신(ICT) 및 정보시스템은 공개표준을 사용해야 함 공공부문 ‐ 2006년까지 행정데이터와 문서 교환 표준을 확립 ‐ 2008년까지 모든 공시계산서는 전자화할 수 있어야 하며 공통의 UI를 사용 출처: e-노르웨이 디지털 전략

NFC 도시 프로젝트

노르웨이 교육연구부(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MER) 소속인 조사위원 회(Research Council of Norway)가 진행하는 NFC 도시 프로젝트(NFC City Project)는 NFC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Tromsø를 NFC 도시로 지정해 NFC 솔 루션의 적용 분야를 발굴 및 확대하기 위한 프로젝트임 同 프로젝트는 9개의 세부 프로젝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비스 제공사, SI 기업, 이동통 신 서비스 제공사, 리서치 기관 등 9개의 파트너사가 참가함 NFC의 주요 기능은 지급, 접근/통제, 개인정보 저장/교환, 콘텐츠 소비 등으로, 상기 프 로젝트에서는 NFC 솔루션을 탑재한 삼성전자의 ‘S5230’ 디바이스를 사용함 2011년 7월 1일, 同 NFC 도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노르웨이 통신 사업자 Telenor는 금융기업 DnB Nor와 카드사 Master Card 및 기타 카드사와 협력해 3개월간 수도 Oslo에서 모바일 결제 시스템(M-Payment System) 시범 서비스 ‘Tap2Pay’를 진행함 이번 시범 서비스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의 가능성 및 효율성을 점검하고 잠재적인 문제 점 발굴 및 보완 대책을 강구하기 위해 추진됨 통신 사업자 , 금융기업 DnB NOR, Master Card, 결제 솔루션 제공사 Teller, Nets, Giesecke & Devrient 등의 협력으로 Oslo 內 카페 ‘Kaffebrenneriet’와 ‘Vita

| 7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and Deli de Luca’에서 시범 서비스를 진행함 2013년 3월, 통신 사업자 Telenor와 Telco, 금융기업 DnB NOR는 2013년 말까지 NFC 결제 서비스를 상용화 할 방침이라고 발표함 Telenor와 DnB는 50:50으로 조인트벤처 TSM Nordic을 설립했으며, 이를 통해 2013 년 11월 NFC SIM 카드와 보안 요소를 담은 NFC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출시함 정부는 2012년 9월부터 2013년 5월까지 University of Tromsø에서 NFC 멀티 시범 서비스를 진행하며, 同 테스트에는 삼성전자의 Galaxy S3 디바이스를 활용함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계획

노르웨이는 2017년을 기점으로 FM 라디오 방송을 전면 중단하고 디지털 방식의 라디오 표준을 전면 적용할 계획임 계획에 따라 노르웨이 FM 라디오 방송은 2017년 1월 11일을 기점으로 디지털 방송 기 술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로 대체됨 현재 노르웨이는 22개의 국영 채널을 유럽 방송 표준인 DAB 방식으로 송출하고 있으며 FM 라디오용 채널은 5개뿐임 노르웨이는 2007년 9월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 방송 전환을 개시하여 2009년 12월 아 날로그 방송을 완전히 종료함. 전국을 12개 지역으로 분류하였으며, 2007년 9월 1일 수 도 Oslo 등 3개 지역에서 디지털 지상파 방송을 개시함 지상파 디지털 방송 수신 커버리지는 2007년 11월 남부 지역으로 확대되었으며 2008 년 11월에는 전국망이 구축됨 2006년 6월, 정부는 NTV(Norges Televijon)에 유효기간 15년의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송 사업권을 부여하였으며, 2009년 12월을 기한으로 전국 가구 커버리지 95%, 마을 커버리지 70%를 의무화함 2009년 12월, NTV는 지상파 디지털 TV 커버리지 가구 98%, 마을 87%를 달성, 이를 위해 약 2억 6,000만 달러를 투자한 바 있음 한편, NTV에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송 사업권을 부여할 당시 노르웨이 국회는 음영 지 역에 거주하는 5% 가구에 대해 나머지 95%와 같은 비용으로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를 의무화함 2009년 12월 기준 음영지역 거주 가구 5% 중 대부분은 위성을 통해 디지털 방송을 시 청하고 있으나, 위성 음역 지역에 거주하는 6,000여 가구는 25개 TV 채널, 15개 라디오 채널 중 3개의 TV 채널과 12개의 라디오 채널만 시청 가능함

74 | 유럽Ⅰ 노르웨이

2) 규제

통신 규제철폐와 Telenor 민영화 노 르 노르웨이 정부는 1994년부터 단계적으로 통신시장 규제철폐를 시작하여 1998년 마무 웨 리함. 이로 인해 통신서비스 전 영역에서 신규 사업자 진입이 가능해졌으며, 2000년부 이 터 Telenor가 보유한 통신 인프라의 가입자 선로 세분화(Local Loop Unbundling, LLU)가 의무화되는 등 시장 경쟁체제에 돌입함 Telenor는 1855년 설립되어 약 150년간 노르웨이 통신 시장을 독점해온 국영 기업으 로 유럽, 중동부 유럽, 아시아 등 12개국에서 유무선 통신과 브로드밴드, 유료 TV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 노르웨이 정부는 통신 시장 규제철폐를 개시한 1994년 Telenor를 국영기업에서 공사 로 전환, 2000년과 2006년 2차례에 걸쳐 Telenor의 주식을 Oslo 증권시장과 미국 NASDAQ에 상장하여 부분 민영화를 추진, 2013년 8월 노르웨이 정부의 Telenor 지분 율은 53.97%임

주파수 경매

통신위원회(NKom)는 2007년 11월 2.6GHz 주파수 경매를 통해 5개 사업자를 선정함. 상기 주파수의 라이선스 유효기간은 2008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이며, 선정된 사 업자는 Telenor, TeliaSonera의 자회사 NetCom, Craig Wireless Systems, Arctic Wireless, Hafslund Telekom 등임 Arctic Wireless와 Hafslund Telekom은 지역 사업권을, 나머지 3개 社는 전국 라이선 스를 취득하였으며, 총 경매금액은 약 4,200만 달러임 주파수 라이선스를 취득한 사업자들은 기술중립성 원칙에 따라 UMTS, WiMAX 등 자 사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주파수를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음 통신위원회(NKom)는 상기 경매와 동시에 모바일 브로드밴드용 2,010~2,025MHz 대 역 주파수 경매도 추진함. 同 주파수는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 여러 유럽 국가에 WiMAX 사업권을 보유하고 있는 Inquam Broadband에 할당됨 통신위원회(NKom)는 상기 주파수 경매에 1,920~1,980MHz 및 2,110~2,170MHz 대 역 2×4.8MHz 블록 2개와 2×5.0MHz 블록 7개 등 총 9개 블록을 입찰할 예정임. 同 주파수 라이선스는 기술에 관계없이 활용될 수 있으며, 20년 만기임 통신위원회(NKom)는 2012년 11월 5일 해당 주파수 경매에 대한 규제 수립을 완료하 며, 11월 13일 테스트 경매를 수행한 후 11월 19일 해당 주파수 경매를 완료함.

| 7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1GHz 주파수 대역을 획득한 사업자로는 TeliaSonera, Telenor, Mobile Norway 등 3개 사업자임 통신위원회(NKom)는 2013년 5월 20일, 800MHz, 900MHz 및 1,800MHz 대역에 대 한 주파수 경매 일정을 발표한 뒤 같은 해 12월 6일, 해당 대역 경매 결과를 발표함 1,800MHz 주파수 대역과 900MHz 주파수 대역에서는 각각 2×20MHz 폭과 2×15MHz 폭을 할당키로 했으며, 800MHz 대역에서는 2×10MHz 폭을 할당할 계획 을 공지함 이 주파수 경매에서는 Telenor, TeliaSonera 및 Telco Data가 신규 주파수를 취득하 였으며, 노르웨이 3위 통신사인 Tele2 Norge는 주파수 획득에 실패함. 800MHz 및 900MHz 주파수 대역이 모두 할당되었으며, 1,800MHz 주파수 대역 가운데 3개의 2×5MHz 블록이 남아 있다고 발표함 2015년 7월, 통신위원회(NKom)는 판매되지 않은 1,800MHz 주파수의 경매 일정을 발표함 통신위원회(NKom)는 900MHz 주파수의 경매 계획을 발표함. 현재 TeliaSonera와 Telenor에 할당되어 있는 900MHz는 라이선스는 2017년 12월 31일에 만기될 예정임

표 1.2 노르웨이 통신위원회(NKom)의 주파수 경매 결과(2013년 실시) 사업자 할당 주파수

Telenor Norway ‐ 2×10MHz(800MHz) ‐ 2×5MHz(900MHz Band) TeliaSonera ‐ 2×10MHz(1,800MHz Band)

‐ 2×10MHz(800MHz) Telco Data ‐ 2×5MHz(900MHz Band) ‐ 2×20MHz(1,800MHz Band) 출처:TeleGeography

로밍 의무화

통신위원회(NKom)는 2007년 9월 노르웨이 최대 통신사업자 Telenor에 경쟁사들에게 이동통신 로밍을 제공할 것을 명령하며, 2007년 10월까지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하 루에 약 1만 8,000달러의 벌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공표함 이에 앞서 스웨덴의 통신사업자 Tele2는 Network Norway와 공동으로 노르웨이 제3의 이동통신사를 설립, 2009년 초까지 인구 대비 서비스 커버리지 30% 구축 방침을 발표했 으며 당시 Tele2는 TeliaSonera의 자회사 NetCom과 로밍 계약을 체결한 상태였음

76 | 유럽Ⅰ 노르웨이

통신위원회(NKom)의 로밍 의무화 조치는 신규 사업자의 시장 진입을 원활하게 하여 시 장 경쟁을 촉진할 목적으로 도입됨 노 르 공영방송 재원 웨 노르웨이 공영방송 NRK의 주요 재원은 시청료 수입으로 전체 수입의 90% 이상을 시청 이 료로 충당함 TV 시청료는 매년 국회 예산심의에서 논의 및 결정, 시청료는 매년 인상되고 있으며 2013년 TV 시청료는 약 2,689크로네(약 312달러)임 NRK의 광고방송은 금지되어 있으나, 스포츠 중계 등 한정적 범위 내에서의 협찬이 허 용됨. 또한, 2000년 1월 방송법이 개정되어 문자방송(Teletext)은 공공서비스가 아니라 고 명기됨에 따라 문자방송을 통한 광고와 인터넷 홈페이지 광고가 인정됨

공영방송 역할과 의무

공영방송 NRK의 역할과 의무에 대한 논의를 거쳐 2005년 방송법이 일부 개정됨 NRK가 운영하는 TV 및 라디오 채널은 공공서비스로써 지상파, 위성, 케이블 등 모든 플랫폼을 통해 방송되어야 하며, 문자방송과 인터넷, 그밖의 미디어 플랫폼으로 서비스 를 제공해야 함 방송내용 규제로는 노르웨이의 소수 민족의 언어를 상용한 방송과 노르웨이 전통음악 방 송 등이 의무화됨

| 7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3. 산업구조 및 특징

ICT 무역 수지 악화

노르웨이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노르웨이의 정보통신 상품의 무역 적자는 2009년에서 2010년까지 11 % 증가했으며 2010년에는 210억 크로네(약 24억 달러)로 증가함. 적자 의 주요 요인 중 하나는 통신 장비의 교역에 의한 것임 2010년 통신 장비 무역 적자는 39% 증가함. 컴퓨터 및 관련 장비에서 ICT 무역 적자가 가장 많았으며 ICT 제품의 수출은 총 168억 크로네(약 19억 달러), 수입은 379억 크로 네(약 44억 달러)였음

그림 1.4 노르웨이 ICT 제품의 수입, 수출액 (단위: 백만 크로네)

출처 : 노르웨이 통계청(2013) ‐ 표 1.3 노르웨이 ICT제품 수입 및 수출 (단위: 백만 크로네) 수입 구분 2008 2009 2010 2011 2012 통신장비 8,155 7,928 9,193 9,788 10,709 전자부품 2,241 1,878 2,035 1,995 1,704 컴퓨터 및 관련장비 15,117 13,367 14,014 14,860 15,316 오디오 및 비디오장비 8,492 8,059 8,364 7,203 6,915 기타 ICT 제품 1,654 1,780 1,229 1,381 1,266 총 합계 35,659 33,013 34,834 35,226 35,909 수출 구분 2008 2009 2010 2011 2012 통신장비 4,448 4,374 4,649 4,047 2,321 전자부품 3,056 2,685 2,406 1,057 916 컴퓨터 및 관련장비 2,185 2,178 2,418 2,327 2,303 오디오 및 비디오장비 1,108 1,170 1,046 1,119 1,140 기타 ICT 제품 920 681 755 727 755 총 합계 11,717 11,088 11,274 9,276 7,434 출처: 노르웨이 통계청(2013)

78 | 유럽Ⅰ 노르웨이

4. 산업 주요 이슈 노 잠재력이 큰 노르웨이 ICT시장 규모 르 웨 EU가 스타트업 생태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만든 플랫폼인 스타트업 유럽 파트너십 이 (Startup Europe Partnership)에 따르면, 2016년 기준 10만 명당 0.85배의 규모 확 대, GDP의 0.18%가 규모 확대에 투자되었고 자본 확충의 규모나 그 횟수 모두 아직 투 자 초기 단계임. 노르웨이의 ICT규모 확장 생태계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거대한 잠 재력을 가지고 있음 규모 확장에 사용가능한 총 자본금의 40%이상이 주식시장에서 나옴. 이 수치는 북 유럽 뿐만 아니라 유럽에서 가장 높은 비율임 현재 노르웨이 생태계는 포르투갈과 같은 다른 성장 중인 유럽 생태계와 비교하여 규모 가 비슷함. 그러나 핀란드와도 비슷한 점을 가지고 있는데 두 나라 모두 작은 규모의 기 업, 2천만 달러 미만의 자본을 소유하고 있는 회사가 지배하고 있음. 즉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회사의 기반이 크다는 것을 의미함 실제로 노르웨이에서는 1,000만 달러 미만의 자본을 확보하고 있는 영세기업이 전체 기 업수의 76%를 차지하는 반면, 중소기업(자금 조달에 2,000~5,000만 달러를 지원하는 규모)과 대기업(1억 달러 이상)은 각각 전체 기업수의 9%, 2%를 차지함 하지만 전체 자본의 비율로 따지면 87%의 영세기업이 총 자본의 46%를 차지하고 있음. 이 수치는 소규모 기업 집단이 노르웨이의 실질적인 성장을 주도하고 있음을 보여줌

그림 1.5 노르웨이 자본상태에 따른 기업 비율 (단위: 백만 달러)

출처 : Startup Europe Partnership (2016)

| 7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1.6 노르웨이 총자본 차지비율 (단위: 백만 달러)

출처 : Startup Europe Partnership(2016)

80 | 유럽Ⅰ 노르웨이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노 1) 정부 간 협력 르 웨 해수부, 노르웨이 통상산업수산부와 '제4차 해운협력회의' 진행(2017.09) 이

해양수산부는 2017년 9월 1일 오슬로에서 노르웨이 통상산업수산부와 '제4차 해운 협 력회의'를 개최하고, ▲ 해운산업 정보 교환 ▲ 녹색 해운(Green Shipping) 관련 액화 천연가스(LNG) 추진 선박 연관산업 육성 ▲ 한-노르웨이 북극항로 공동연구 성과 공유 및 후속 협력 방안 등 주요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함

홍문종 미방위원장, 노르웨이 의원들과 ICT 창조경제 의견교환(2014. 09)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홍문종 위원장이 18일 오전 11시 국회의사당에서 린다 C. 호프스타드 헬레랜드(Linda C. Hofstad Helleland) 노르웨이 의회 교통통신상 임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방한단의 예방을 받고 한국의 정보통신기술(ICT)산업을 기반 으로 하고 있는 창조경제 추진 정책에 대해 논의함

2) 기업 진출 및 협력

CJ CGV, 노르웨이-프랑스에 잇따라 4D 체험 영화관 개관(2017.03)

CJ CGV 자회사인 CJ포디플렉스가 노르웨이와 프랑스에 '오감체험특별관' 4DX를 개관함 CJ 4D플렉스는 노르웨이 1위 극장 사업자 '노르디스크 필름 키노'와 손잡고 오슬로 중 심지의 노르디스크 링겐 시네마에 140석 규모의 첫 4DX 상영관을 개관함. 노르디스크 는 덴마크와 노르웨이에 총 39개 극장을 운영하고 있음

삼성전자, 릴레함메르 동계 유스올림픽서 기어VR 체험 마케팅(2016.02)

삼성전자는 노르웨이에서 열리는 ‘2016 릴레함메르 유스 동계 올림픽’개막식을 가상현 실 헤드셋인 ‘기어 VR’을 통해 실시간으로 중계함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함꼐 개막식, 성화점화, 선수단 입장 등의 장면을 VR 콘텐츠 로 제작함. 릴레함메르 주요 장소에서 기어 VR을 체험할 수 있는 ‘삼성 갤럭시 스튜디 오’도 운영함

| 8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NHN엔터, 국제 표준 보안인증 획득으로 보안 강화(2015.06)

NHN엔터테인먼트는 DNV GL로부터 정보보호관리체계 국제 표준인 ISO27001 인증 을 획득하고 ISO29100에 대한 검증을 통과함. 성남 판교 NHN엔터테인먼트 사옥에서 정우진 NHN엔터 대표와 주한 노르웨이 대사 톨비요른 홀테, DNV GL 안인균 원장 등 이 참석한 가운데 개인정보 프레임워크 국제 표준인 ISO29100과 정보보호 국제 표준인 ISO27001에 대한 인증 수여식이 진행됨 이번 인증은 다양한 모바일, 온라인 게임을 운영하고, 간편결제를 포함한 핀테크 사업 진 출을 천명한 NHN엔터가 보다 안정된 정보보호관리체계를 갖추고 있다는 것을 국제적 인 공인기관으로부터 인증 받았다는 의미를 지님

해외 IT 기업들, LGU+ LTE 벤치마킹위해 한국 방문(2013.10)

노르웨이 이동통신업체인 텔레노어(Telenor)를 비롯한 엘샵(Elkjøp), 비엔 뱅크(BN Bank)등 현지 주요 IT기업 대표로 구성된 노르웨이 사절단이 LG유플러스의 LTE 기술 및 자사 IPTV ‘U+tv G’ 의 앞선 서비슬르 벤치마킹 하기 위해 LG유플러스 본사를 방문함 텔레노어의 경영진과 노르웨이의 주요 IT기업의 전략 및 네트워크 담당 핵심임원들이 LG유플러스를 방문해 LTE 망구축 노하우, ALL-IP기반의 VoLTE 서비스 운영 등에 대 해 벤치마킹 했으며 U+tv G 서비스 운영노하우에 대해서도 논의함

82 | 유럽Ⅰ 노르웨이

Ⅱ • • 정보통신방송 품목현황

Overview

2016년 노르웨이 정보통신방송 주요지표 (단위: 천 명 / 천 회선 / 천 가구, 2016년 기준) 노 지표 노르웨이 보급률(%) 한국 보급률(%) 르 웨 유선통신 가입회선 866 16.63% 28,035 56.10% 이 이동통신 가입자 5,718 110.07% 61,295 122.65%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2,097 40.37% 20,556 41.13% TV 보급대수 2,275 97.00% 18,310 97.50% 케이블 TV 가입가구 870 38.20% 7,470 40.08% 위성 TV 가입가구 535 23.50% 2,280 12.5% 지상파 디지털 방송 가입가구 2,275 100% 18,237 99.6% IPTV 가입가구 548 24.10% 8,514 46.5%

출처: ITU(2017), Digital TV Research(2017)

노르웨이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시장 동향 ‐ 2016’ 노르웨이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 632억 5,200만 크로네(▲8.9%)

주요 ‐ 중국업체, 오페라 통째로 인수하려다 실패 소프트웨어 사업자 ‐ 오페라, PC브라우저에 모바일DNA 담아…'네온' 공개

‐ 2016’ 기준 노르웨이의 인터넷 보급률은 98% 시장 동향 ‐ 노르웨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장은 인터넷, 스마트폰, 태블릿 PC 보급에 따라 성숙단계에 진입

주요 ‐ Google: 노르웨이 검색 및 포털 시장의 약 70%를 점유, 사실상 시장을 독점 인터넷서비스 사업자

‐ 2016‘ 유선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는 209만 7,000회선, 보급률은 40.37% 시장 동향 ‐ 노르웨이 2020’부터 5G 상용화

주요 ‐ 2015’ 2월, 노르웨이 공정거래위원회는 TeliaSonera의 노르웨이 통신사업자 통신 사업자 Tele2 인수를 승인

시장 동향 ‐ 노르웨이 콘텐츠 시장은 2012~2017’까지 연평균 2.7% 성장할 것으로 전망

‐ 노르웨이 기반의 스트리밍 서비스 사업자 WiMP는 Telenor(노르웨이 통신사 주요 업자)와 제휴를 하여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음반매장인 사업자 디지털콘텐츠 Platekompaniet와 제휴를 맺어 고객기반을 확대

| 8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 지상파, 위성 방송, 케이블 방송과 같은 기존 방송 매체 외에도 IPTV와 모바일 시장 동향 TV 등의 등장으로 콘텐츠 접근 경로의 다양화

주요 ‐ NRK의 nett-TV보다 Netflix를 더 선호 방송스마트미디어 사업자 ‐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의 노르웨이 시장 진출

‐ 2015’ 8월 말, 노르웨이 외교부(UD) 컴퓨터 시스템이 트로이 바이러스 공격을 시장 동향 받음

주요 ‐ LG전자 노르웨이에서 개인정보 관리체계 국제인증 획득예정 정보보호 사업자

‐ 주요 통신 사업자인 Telenor Norway와 TeliaSonera Norway 등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 시장 동향 ‐ Telenor Norway는 데이터센터를 통해서 IaaS 서비스 중심으로 제공하고 있 었으나, 최근 SaaS 서비스까지 사업을 확장

주요 ‐ IT기업 오페라 소프트웨어(Opera Software)가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을 줄여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자 주는 애플리케이션 '오페라 맥스(Opera max)'의 베타테스트 시행

‐ 노르웨이 사물인터넷의 주요 사업은 이동통신 사업자인 Telenor Norway, 시장 동향 NetCom 등이 주도

주요 ‐ Telenor, 노르웨이 국가 전용 IoT 네트워크 구축계획 사물인터넷 사업자 ‐ ETRI, IoT용 OS '나노큐플러스' 해외서 인기

‐ 핀테크는 노르웨이에서 가장 인기있는 분야 중 하나이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총 인구 중 95%가 인터넷에 접속가능 하고 6%만이 현금결제를 이용하는최고 시장 동향 의 디지털 인프라를 갖춘 노르웨이는 핀테크의 완벽한 시험장으로 평가 받고 있음

주요 ‐ 2016, 노르웨이 통신회사 Telenor는 인터넷에서 기술 개발과 인공 지능 기술 IT스마트융합 사업자 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발표

‐ 교통신위원회(NKom)의 주파수 관리팀에서 사업자 및 주파수 라이선스 할당 및 시장 동향 관리를 담당함

주요 ‐ Telenor, 새로운 통신위성 토르(Thor)의 성공적 발사 완료 전파위성 사업자

시장 동향 ‐ 2015’ 기준, 노르웨이 국민 10 명 중 8 명이 스마트폰을 사용

주요 ‐ 노르웨이 시장에서 가장 인기있는 휴대 전화는 애플 아이폰7, 판매량 순위를 보 디바이스 사업자 면 애플과 삼성이 스마트폰 시장을 지배

84 | 유럽Ⅰ 노르웨이

1. 소프트웨어 노 1) 시장 동향 및 전망 르 웨 2016년 노르웨이 소프트웨어 시장 8.9% 성장 이

2017 Barnes Reports의 보고서에 의하면, 2016년 노르웨이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632억 5,200만 크로네 규모로 전년 대비 8.9% 성장하고, 2017년에는 9.7% 성장한 693억 8,800만 크로네, 2018년에는 10.0% 성장한 762억 9,400만 크로네에 달할 전망

그림 2.1 노르웨이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 추이 (단위: 백만 크로네)

출처: Barnes Reports(2017)

영역별로는 매출 비중 기준으로 패키지소프트웨어가 77.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최 대 시장이고, 애플리케이션 PC소프트웨어가 9.1%로 2위, 기업용 PC소프트웨어가 7.6%의 비중으로 3위를 차지함

2018년 노르웨이 IT서비스 산업 122억 달러 전망

2018년 노르웨이 IT 서비스 산업은 122억 달러에 달할 전망으로, 2013년 이후 35.6% 의 성장이 기대되며, 2013년에서 2018년까지 연평균 6.4%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소프트웨어 시장은 전통적으로 동 시장을 견인해 왔던 생산성 증대 및 효율성 향상 관련 시스템 및 솔루션에서 빅데이터 등의 데이터 분석 솔루션으로 시장이 진화될 전망임

| 8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브랜드 파워를 중시하는 경향

소프트웨어 시장은 자국 소프트웨어 보다는 HP, IBM 등의 해외 업체에 높은 의존도를 보 이고, 또한 브랜드 파워를 중시하고 있어 국내 중소기업의 단독 진입은 쉽지 않을 전망임 국내 기업이 노르웨이 IT 시장 진입을 하기 위해서는 현지 모바일 단말 등을 공급하고 있는 국내 대기업과의 협력 진출이 바람직함

그림 2.2 노르웨이 IT 시장 전망 (단위: 백만 크로네)

12.2 11.5 10.8 10.2 9.6 9.0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출처: Barnes Reports(2017)

2) 주요 기업 현황

중국업체, 오페라 소프트웨어 통째로 인수하려다 실패

2016년 7월, 중국 게임·보안업체 컨소시엄이 노르웨이 소프트웨어 업체인 오페라를 통 째로 인수하려다가 실패함 중국 업체들이 12억 달러에 오페라를 인수하려고 했으나 정해진 기간 안에 규제 당국의 승인을 얻지 못해 무산되었음. 중국 컨소시엄은 게임 개발 회사 쿤룬, 모바일 보안 회사 치후360 등으로 구성, 자금은 투자사들이 조달하는 형태였음 이번 인수 실패는 미국에서 사생활 우려가 제기된 탓으로 미국에서 오페라 일부 제품에 대한 사생활 침해 조사가 1년 이상 지속될 수도 있어 인수를 계획한 시기를 넘길 것으로 전망돼 중국 컨소시엄이 인수를 포기함 중국업체들은 오페라를 인수하는 대신에 규제 영향을 덜 받는 일부 사업부만 사기로 하 고 협상중임. 이에 따라 인수 규모는 12억달러에서 6억달러로 줄었음 중국 컨소시엄이 인수 협상을 벌이고 있는 대상은 휴대폰, PC용 브라우저, 성능, 사생활

86 | 유럽Ⅰ 노르웨이

앱 사업과 이들 사업과 연관된 기술 라이선스임. 오페라 중국내 합작법인인 엔호라이즌 지분도 이번 협상 대상에 포함됨. 반면 광고, 마케팅, TV 운영, 게임 관련 앱 사업은 구 매하지 않기로 했음 노 르

웨 오페라, PC브라우저에 모바일DNA 담아…'네온' 공개 이 2017년, 웹 브라우저 개발회사 오페라소프트웨어가 실험적 아이디어를 선보일 새 데스 크톱 브라우저 '오페라 네온(Neon)'을 공개했음. 이를 통해 오페라 정식판에 담길 신기 능을 빠르게 선보일 계획임 지난해 무료 가상사설망(VPN) 서비스와 광고 차단기(ad-blocker)를 품어 눈길을 끌었 던 데스크톱 브라우저가 지금보다 더 빨리 혁신할 수 있을지 주목됨

그림 2.3 오페라 소프트웨어

출처 : 오페라 홈페이지

| 8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인터넷서비스

1) 시장 동향 및 전망

노르웨이 인터넷 보급률 지속적 상승세

시장조사업체인 Buddecomm 보고서에 의하면, 2016년 기준 노르웨이의 인터넷 보급 률은 98%, 인터넷 이용자수는 508만명을 기록함 노르웨이의 인터넷 서비스 시장은 자국의 포털 사이트들이 Top 10 순위권을 차지한 가 운데 노르웨이 로컬 사업자들과 글로벌 사업자들 간의 경쟁이 지속될 전망임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노르웨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장은 인터넷, 스마트폰, 태블릿 PC 보급에 따라 성 숙단계에 진입함. 노르웨이의 Facebook 이용률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2014년 1월 기 준 인구 대비 61.1%(전 세계 평균 16.5%)임 노르웨이는 다른 국가와 비교해서 인터넷 Top 10 웹사이트 중 5개가 자국의 웹사이트 임. 특히, FINN은 노르웨이의 대표적 구인 및 소비자 직거래 포털 사이트로 2015년 11 월 시점 노르웨이 Top 10 웹사이트에서 5위를 차지함

그림 2.4 노르웨이 인터넷 보급률 추이

출처 : BuddeComm(2017)

88 | 유럽Ⅰ 노르웨이

휴대폰/스마폰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비중 EU 1위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조사업체인 yStat.com이 2017년 6월에 발표한 글로벌 모바일 커 노 머스 시장 보고서에 의하면, 노르웨이 인터넷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인터넷 접 르 속 단말은 휴대폰과 스마트폰임 웨 특히 노르웨이는 휴대폰과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인터넷 접속 비중이 87%로 조사되어, 이 EU 28개국 평균 수준인 65%를 훨씬 상회함은 물론이고, EU 28개국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됨

표 2.1 노르웨이 인터넷 접속 단말 이용 비중 순위(2016년) 인터넷 접속 단말 이용 비중 노르웨이 유럽평귱 휴대폰/스마트폰 87% 65% 노트북/넷북 82% 52% 태블릿PC 64% 36% 데스크틉PC 32% 44% 스마트TV 30% 12% 기타 21% 9% 출처 : yStats.com(2017)

2) 주요 기업 현황

주요 검색 엔진 및 포털 서비스

노르웨이의 주요 인기 웹사이트는 Facebook, Google, YouTube 등 글로벌 사이트가 차지하고 있으며, Verdens Gang 등 노르웨이의 포털 사이트 등도 순위권에 포함됨

표 2.2 노르웨이 TOP 10 웹사이트(2015.11) 순위 사업자명 웹사이트 주소 1 Google Norway www.google.fi 2 FacebookGoogle www.google.com 3 Facebook www.facebook.com 4 YouTube www.youtube.com 5 FINN www.finn.no 6 Verdens Gang www.vg.no 7 Dagbladet www.dagbladet.no 8 Wikipedia www.Wikipedia.com 9 Nrk www.Nrk.no 10 Aftenposten www.aftenposten.no 출처 : Alexa(www.alexa.com)

| 8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Google은 노르웨이 검색 및 포털 시장의 약 70%를 점유, 사실상 시장을 독점하고 있음

연령별 SNS 이용비율

SNS 연령별 사용율을 살펴보면 16-24세의 이용이 90%를 웃돌며 가장 빈번했고, 25-44세의 90% 정도가 이용함. 또한 남녀 사용율을 비교해보면 여성의 SNS 이용이 높 은 비율을 보임

그림 2.5 연령별 SNS 이용비율

출처 : 노르웨이 통계청(2016)

90 | 유럽Ⅰ 노르웨이

3. 통신 노 1) 시장 동향 및 전망 르 웨 이동통신 이

ITU 조사에 따르면 2016년 노르웨이의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전년 대비 약 0.07% 증가 한 571만 8,000명으로 보급률은 110.07%임 노르웨이 이동통신 시장은 사업자간 인수 합병(M&A)를 거치면서, 자체 네트워크를 보유한 Telenor Norway(이하 Telenor), TeliaSonera Norway(이하, Telia) 2개 MNO 사업자와 그외 증소 가상이동통신망사업 자(MVNO)로 구성됨 Buddecomm 보고서에 의하면 2016년 6월말 기준 Telenor가 점유율 50.7%로 1위이 며, Telia 36.5%, Phonero 3.8%로 집계

그림 2.6 노르웨이 이동통신 가입자 수 추이 (단위: 천 명)

출처: ITU(2017)

브로드밴드

ITU 자료에 의하면, 2016년말 노르웨 이의 유선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는 209만 7,000회선, 보급률은 40.37%를 기록함

| 9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2.7 노르웨이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 추이 (단위: 천 회선)

출처 : ITU(2017)

Buddecomm 자료에 의하면, 2016년 6월기준 브로드밴드 가입자수는 209만 2,000명 이며, 광통신(Fiber)방식 69만 1,000명, DSL 65만 3,000명, 케이블 모뎀 방식 가입자 가 63만 9,000명으로 집계

5G

노르웨이 1위의 이동통신 사업자인 Telenor는 노르웨이에서 5G 망을 최초로 서비스하 는 업체가 될것이라고 발표함. Telenor는 5세대 통신을 테스트하기 위해 추가적인 주 파수대역의 사용을 국가 통신위원회에서 허가 받았음. 상용화는 2020년 부터 시작될 것 으로 예상함 이와 관련 Telenor는 2017년 11월 Kongsberg를 5G 테스트베드 지역으로 발표하고, 자율주행 버스, 드론, 응급 통신, eHealth 등의 5G 기반의 신규 서비스에 대한 5G 기반 신규 서비스에 대한 테스트를 본격 진행할 계획이라고 발표함 2017년 3월, 5세대 모바일 네트워크 (5G)시연을 위해 Telenor는 로봇 수술과 무인운 전 차량을 이용하여 5G기술을 노르웨이 땅에서 처음으로 테스트했음. 이 기술은 Fornebu에서 시연되었으며 Huawei와 협력하여 노르웨이에서 처음으로 시연됨 모바일 제조업체는 Telenor와 협력하여 2020년 노르웨이에서 정식으로 출시되기 전에 5G망의 테스트 및 개발을 추진중임 언론, 노르웨이의 통신위원회(NKom, Norwegian Communications Authority)및 교통부 장관 Ketil Solvik-Olsen은 디지털 모바일 인프라 및 디지털 서비스 측면에서 5G 서비스가 무엇을 제공 할 것인지 직접 확인하였음

92 | 유럽Ⅰ 노르웨이

2) 주요 기업 현황

노르웨이 주요 이동통신 사업자 현황 노 르 Telenor Norway는 GSM 기반의 2G, UMTS/HSPA/WCDMA 기반의 3G, LTE 상용 웨 서비스를 제공함. 2015년 Telenor Norway의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감소추이를 보이 이 고 있으며, 2016년 6월 가입자수 기준 시장 점유율은 50.7%로 1위를 차지함 TeliaSonera Norway의 이동통신 자회사는 NetCom과 MVNO 서비스를 제공하는 Chess Communications가 있으며, GSM 기반의 2G, UMTS/HSPA/WCDMA 기반의 3G, LTE 상용 서비스를 제공함. TeliaSonera Norway는 2000년에 노르웨이 이통사인 NetCom을 인수, 노르웨이 이동통신 시장에 진출함. NetCom은 2009년 12월 노르웨 이 Oslo 지역에 LTE 상용 서비스를 개시함 2015년 2월 5일, 노르웨이 공정거래위원회는 TeliaSonera의 노르웨이 통신사업자 Tele2 인수를 승인함. TeliaSonera가 Tele2를 인수하면서 Tele2의 자회사였던 Network Norway의 가입자가 Ice.net으로 매각됨 2016년 11월에는 TeliaSonera가 Phonero까지 인수하면서, 이통시장 구조가 Telenor와 TeliaSonera의 양강구도로 정리됨

그림 2.8 2016년 6월 노르웨이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

출처 : BuddeComm(2017)

| 9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4. 디지털콘텐츠

1) 시장 동향 및 전망

포화상태의 노르웨이 콘텐츠 시장

유럽지역 국가의 경우 이미 콘텐츠 시장이 포화상태를 나타내고 있어, 대부분 5% 이하 의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음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발표에 따르면 노르웨이 콘텐츠 시장은 2012년에서 2017년까지 연평균 2.7%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MMORPG류의 온라인 게임 시장이 2000년 중반부터 활성화되어 왔으며, 이 외에도 오 락성 및 도박성이 농후한 온라인 포커게임도 노르웨이 남성들 사이에 인기임 노르웨이는 인구 460만 명의 작은 나라로, 내수 시장 규모가 작기 때문에 다수의 온라인 게임 관련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으로 눈을 돌리며 적극적으로 시장을 개척 중임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로 모바일 게임 시장 확대도 기대되나 노르웨이 국민 특성을 고려 한 게임 개발이 관건임

그림 2.9 노르웨이 디지털 콘텐츠 성장 전망 추이 (단위: 백만 달러)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94 | 유럽Ⅰ 노르웨이

2) 주요 기업 현황

노르웨이 오일펀드, 포켓몬 고로 1억 3,500만 달러 획득 노 르 세계 최대 규모의 국부펀드인 노르웨이의 오일펀드는 모바일 게임인 포켓몬 고 웨 (Pokemon Go)가 출시된 이래로 닌텐도 주식으로부터 1억 3,500만 크로네(약 1,500 이 만 달러)를 획득함 오일펀드는 1998년부터 닌텐도 주식에 투자하기 시작함. Dagens Næringsliv에 따르 면 이 펀드는 닌텐도의 0.73 %를 소유하고 있음. 총 소유 주식 수는 26억 6,000만 달러 에 달함. 닌텐도의 주식은 게임이 몇 주 전에 공개 된 이후 가치가 두 배로 상승함

노르웨이 기반의 스트리밍 서비스 사업자, WiMP

노르웨이 기반의 스트리밍 서비스 사업자 WiMP도 WiMP 2011년도에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포르투갈에서 35만 명 이상의 유료가입자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짐 WiMP는 노르웨이 ISP 업체인 Canal Digital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TV 가입과 함께 번들 상품으로 많 이 판매되었고, 2012년에 독일과 아일랜드에도 서 비스를 개시함 홈페이지 www.wimpmusic.com 설립 2010년 2월 WiMP는 Telenor(노르웨이 통신사업자)와 제휴를 개발자 Aspiro AS 하여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음반매장 업종 스트리밍 뮤직 서비스 인 Platekompaniet와 제휴를 맺어 고객기반을 확 대하고 있음

| 9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5. 방송스마트미디어

1) 시장 동향 및 전망

방송콘텐츠

방송 시장은 지상파, 위성 방송, 케이블 방송과 같은 기존 방송 매체 이 외에도 IPTV와 모바일 TV 등의 등장으로 콘텐츠 접근 경로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특히 FTTH 기반의 IPTV 서비스 가입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2014년 Top 10 인기 프로그램 대부분이 NRK1을 통해 방영되었으며, ‘KVELDEN FØR KVELDEN(The Night Before the Night)’가 1위를 차지함. 2014년 노르웨이 시청률 Top 10 프로그램에는 리얼리티 쇼, 스포츠 이벤트, 버라이어티쇼, 코미디, 노크 쇼 등 다양한 장르들이 존재함

표 2.3 노르웨이 시청 점유율 순위 Top 10(2014) 순위 채널 프로그램 시청 점유율(%)

KVELDEN FØR KVELDEN 1 NRK1 37.2 (The Night Before the Night) EUROVISION SONG CONTEST 2014: FINALE 2 NRK1 31.3 (Eurovision Song Contest 2014 - Final) 3 NRK1 MESTERNES MESTER(Eternal Glory) 27.6 4 NRK1 NYTT PA NYTT(Have I Got News for You) 29 5 TV2 FARMEN(The Farm) 27.5 JULEKONSERT MED INGEBJØRG BRATLAND 6 NRK1 26.8 (Christmas Concert) 7 NRK1 IDRETTSGALLA 2014(Sports Gala 2014) 26.1 8 NRK1 IDRETT ER BLOD, SVETTE OG HUMOR 25.3 9 NRK1 STJERNEKAMP(The Ultimate Entertainer) 25.2 10 NRK1 SKAVLAN 23.7

출처 : EurodataTV Worldwide(2015)

방송

NRK1은 노르웨이에서 시청 점유율 1위 채널로 2014년 노르웨이 방송 채널 점유율 중 28.2%를 차지했으며, 이어서 TV2(20.7%), TVNORGE(7.8%) 등이 뒤를 이음

96 | 유럽Ⅰ 노르웨이

그림 2.10 노르웨이 방송 채널 점유율(2014)

노 르 웨 이

출처 : EurodataTV Worldwide(2015)

노르웨이는 유료 TV 서비스 시장이 발달된 국가로 앞으로도 다채널화, HD화, VOD 등 고부가 서비스 활성화를 통한 시장 확대가 기대되며, 지상파 방송 대비 위성 TV와 케이 블 TV의 시장 영향력 강화와 함께 FTTH 기반 IPTV 서비스 가입자의 증가로 인한 VOD 시장의 두드러진 성장이 예상됨

방송통신융합

노르웨이 통계청에 의하면, 2016년 9월기준 16세에서 79세 사이 인구의 29%가 스마트 TV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함. 이들 중 80%는 스마트 TV를 사용하여 VOD 서비스 에서 비디오 콘텐츠를 스트리밍함 스마트 TV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연결 한 사람들 중 63%가 인터넷 스트리밍 TV를 시청 하는 데 사용함. 이런 현상은 조사그룹의 나이가 어려질수록 두드러지는데, 16~24세의 40%는 스마트 TV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연결했지만 75-79세의 시청자는 6%에 불과함 16세에서 79세 사이 인구의 50%가 VOD 서비스에서 영화와 TV 시리즈를 스트리밍했 음. 69%는 VOD 서비스에서 비디오를 시청했고, 64%는 온라인 라디오 방송국이나 음 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음악을 들었음

| 9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Telenor, 케이블 디지털 전환 완료 선언

2017년 9월 18일 Telenor Norway가 케이블 아날로그 서비스를 종료하고 디지털 케이 블서비스로의 전환을 완료했다고 발표함. 동사는 아날로그 신호 종료를 통해, 보다 개선된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여건이 마련되었다고 디지털 전환 완성의 의미를 설명함

Telenor, Netflix와 글로벌 시장 제휴 체결

2017년 3월 Telenor Norway가 Netflix와 제휴를 발표하고, 노르웨이를 포함해 Telenor가 진출한 전세계 13개 시장에서 양사가 협력하기로 함. 구체적으로는 Telenor 케이블 셋탑박스에 Netflix 서비스를 통합하고, Telenor 가입자 청구서에 Netflix 요금 청구를 통합하는 방안이 포함됨

NRK의 nett-TV보다 Netflix를 더 선호하는 사람들

NRK의 연례 조사에 따르면, 한 달에 한 번 이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46%는 넷플릭스가 최상의 서비스라고 생각함. 19%는 NRK의 nett-TV를 선호함. 8% 는 TV 2 Sumo, 7%는 HBO Nordic을 선호함 반면, NRK가 노르웨이 콘텐츠를 위해 최고라고 믿으며, 조사에서 10 명 중 7명은 라이 선스 비용으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함 NRK는 노르웨이 콘텐츠와 관련하여 Netflix와의 경쟁을 강화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상황임. NRK와 Netflix가 "Lily Hammer"와 공동 작업을 하면서 갈등을 겪었지만 앞으 로는 더 많은 협력을 기대하고 있음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의 노르웨이 시장 진출

2016년 12월,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가 노르웨이에서 런칭함. 현재는 넷플릭스가 관련시장을 지배하고 있음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는 이미 종영된 시리즈와 영화등의 풍부한을 제공한다고 밝혔으 며, 넷플릭스와 마찬가지로 그들은 자체적으로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음 이 서비스는 웹 브라우저와 Android 및 iOS 모두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스트 리밍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전화, 노트북 또는 태블릿에 콘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오프라인 옵션을 제공함

98 | 유럽Ⅰ 노르웨이

6. 정보보호 노 1) 시장 동향 및 전망 르 웨 정보통신(ICT) 시장의 확대로 인해 정보보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시장 이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특히, 초고속 인터넷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정보보안 관련 솔 루션 및 장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유럽 모바일 결제 보급률 Top5 국가에 포함

yStats.com이 2017년 3월에 발표한 전세계 모바일 결제 보고서에 의하면, 노르웨이는 모바일 결제 이용자 보급률이 87%로 유럽에서 모바일 결제 보급률이 가장 높은 5개국 중에 포함 유럽 모바일 결제 보급률 1~3위는 터키(91%), 덴마크(89%), 노르웨이(87%)이고, 4위 이스라엘(87%)에 이어, 스웨덴이 5위를 차지함

그림 2.11 유럽 모바일 결제 보급률 Top10 국가

출처 : yStats.com(2017)

| 9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모바일 지갑을 활용한 모바일 결제 순위 세계 2위

yStats.com이 2017년 3월에 발표한 모바일 결제 시장 보고서에 의하면, 노르웨이는 중 국에 이어 모바일 지갑(Wallet)을 활용한 모바일 결제 이용 순위 2위 국가로 집계됨 2016년 8월 기준 노르웨이 모바일 커머스 이용자의 42%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의 모바일 결제 앱을 활용해 결제한다고 응답, 47%로 나타난 중국에 이어 2위를 기록함

노르웨이 사이버 공격 증가

2015년 10월, 노르웨이 국가안보국(NSM, National Security Agency)은 2015년 상 반기 보고서를 발표하며 노르웨이의 사이버 공격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고 밝힘. 2015년 8월 말, 노르웨이 외교부(UD) 컴퓨터 시스템이 트로이 바이러스 공격을 받음 사이버 공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4년 7월에는 노르웨이의 DNB, Danske 은행과 항공사 및 보험회사 등 8개 회사의 웹 사이트 및 결제 시스템을 대상으 로 광범위한 사이버 공격이 발생함. 2012년 노르웨이의 사이버 공격 발생 건수는 2011 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함(Norway Post, 2013.09) 2011년 11월, 국가안보국(NSM)은 해커 집단의 소행으로 피해를 입은 기업이 최소 10 군데에 이르며, 관련 산업 기밀 정보가 모두 해외로 유출되었다고 밝힘. 해커들은 특정인 을 타깃으로 악성코드를 보유한 이메일을 발송해 기업 내부 시스템 권한을 얻으려고 시 도함. 해커들은 기업 환경에 맞춰 각각 다른 공격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안티바이러스 프 로그램을 회피하여 각종 문서 및 산업 차트, ID 패스워드 등에 접근함 노르웨이 석유・국방 기업 DB가 2011년 11월,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유출됨. 정부 관계 자들은 사이버 공격의 범위가 발표한 자료보다 많을 것으로 보이며, 사업자들은 계약 협 상 중에 사고가 발생했다고 언급함 노르웨이의 각 정부기관과 기업 등을 중심으로 사이버 공격에 인한 데이터 유출 피해가 심각하여 정부는 정보보안 관련 정책을 보강할 가능성이 높고, 데이터 유출 피해방지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투자가 활성화될 전망임. 특히, 정보보안 관련 최신 정보를 수집하 는 노르웨이 컴퓨터 응급대응팀(NorCERT)은 타 국가의 유사 기관과 함께 사이버 공격 대응 강화를 위한 정보보안 기술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임

100 | 유럽Ⅰ 노르웨이

2) 주요 기업 현황

LG전자 노르웨이에서 개인정보 관리체계 국제인증 획득예정 노 르 LG전자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해 관리적·기술적 조치와 기존 산업 보안을 함께 수행하 웨 고 있음. 해외 법인에서도 개인정보보호 가이드에 맞게 적용되고 있는데, 개인정보보호 이 보험에 가입했으며 국내외 인증을 획득하고 있음 특히, LG전자는 노르웨이의 인증기관인 DNV로부터 개인정보 관리체계와 관련한 국제 인증을 획득할 예정임. 해외 기업 및 공공기관 고객들에게 안전하다는 신뢰를 줄 수 있게 된 것임. 이는 글로벌 활동을 위한 것으로, 물류 통관 절차 생략 및 비용 절감 등의 효과 를 꾀할 수 있음 LG전자는 개인정보 기술적 보호조치를 위해 PC·데이터베이스(DB) 등 개인정보 점검, DB 개인정보 암호화, 망 분리 및 시스템 접근 통제 등을 수행하고 있음. 또, 사전에 취약 점을 발견해 조치하는 역량 평가를 실시함

| 10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7. 클라우드 컴퓨팅

1) 시장 동향 및 전망

클라우드

노르웨이는 다른 노르딕 국가들과 더불어 유럽 지역의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을 주도하고 있음 주요 통신 사업자인 Telenor Norway와 TeliaSonera Norway 등이 클라우드 서비스 를 제공함. Telenor Norway는 데이터센터를 통해서 IaaS 서비스 중심으로 제공하고 있었으나, 최근 SaaS 서비스까지 사업을 확장하고 있음 TeliaSonera Norway의 모기업인 TeliaSonera는 2013년 4월 London에서 개최된 Telco Cloud World Forum에서 클라우드 솔루션 사업자인 AppDirect와 파트너십을 체결함. 상기 협력으로 TeliaSonera는 전 세계 17개 국가에 클라우드 관련 서비스를 제 공할 예정이며, 네트워크를 노르웨이에서 네팔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힘 시장조사기관인 EDB ErgoGroup은 2011년 노르웨이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 비중이 2010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힘. 또한 해당기관은 同 기간 노르웨이의 민영 사 업자와 국영 사업자의 35%가 SaaS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 었으며, 이는 2010년 14% 대비 21%p 증가한 수치라고 밝힘 노르웨이에서는 SaaS 클라우드 서비스의 사용 비중은 35%로 PaaS나 IaaS의 사용률을 상회하며, PaaS와 IaaS를 사용하고 있는 기업은 각각 14%와 13%로 조사됨. 대부분의 민영 사업자가 클라우드 컴퓨팅을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국영 사업자의 클라우드 채택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노르웨이의 클라우드 시장은 SaaS 서비스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민영 사업 자와 국영 사업자의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비중도 높아질 전망이어서 클라우드 관련 법 안 및 규제가 조속히 마련될 것으로 보임. 이미 글로벌 사업자들이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 어, 시장 장벽은 높으나 클라우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사업자들의 해당 시장 진출은 긍 정적임

102 | 유럽Ⅰ 노르웨이

2) 주요 기업 현황

제3세계에 모바일 인터넷을 보급하려는 오페라 노 르 웹 브라우저 '오페라 브라우저'로 유명한 노르웨이의 IT기업 오페라 소프트웨어(Opera 웨 Software)가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을 줄여주는 애플리케이션 '오페라 맥스(Opera 이 max)'의 베타테스트를 2014년 개시함 스마트폰에 오페라 맥스를 설치한 후 웹브라우저로 특정 홈페이지의 URL을 입력하면, 노르웨이에 위치한 오페라 클라우드 서버에서 해당 홈페이지에 존재하는 이미지, 음성, 동영상 등 패킷 데이터 용량을 압축한 후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압축된 이미지, 음성, 동 영상을 전달함. 이미지, 음성, 동영상의 품질은 낮아지지만,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을 최 대 1.5배까지 절감할 수 있음 오페라 맥스의 목표는 명확함. 데이터 요금이 비싼 선진국이나 데이터 통신의 품질이 떨 어지는 제3세계 국가에 보급돼, 데이터 요금 부담을 줄여주고 데이터 통신 속도를 한층 빠르게 해주는 것임. 데이터 요금이 저렴하고, 데이터 통신 속도가 빠른 국내의 사용자에 겐 오페라 맥스가 그다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음. 하지만 제3세계 국가의 사용자에겐 그 효용성이 상당할 것으로 보임

디지털 보안 전문업체 젬알토, 노르웨이 국가결제 네트워크와 계약 체결

디지털 보안 전문업체인 젬알토가 2016년, 노르웨이 국가결제 네트워크인 뱅크악셉트 (BankAxept)와 계약을 맺었음. 이로써 모든 현지 은행들은 하나의 관리 허브를 통해 서 로 연결돼 간편하고 안전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음 젬알토는 클라우드 기반의 턴키 솔루션 앨리니스 트러스티드 서비스 허브(TSH, Allynis Trusted Service Hub)를 뱅크악셉트 플랫폼과 함께 제공함으로써 뱅크악셉트 결제 네 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은행들간에 끊김 없는 원스톱 상호연결성을 촉진함 TSH는 소비자들의 안락한 여정을 실현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요소로 뱅크악셉트의 자 체 토큰화 서버와 연결되고 뱅크악셉트 네트워크 기반의 다양한 모바일 지갑 애플리케이 션과 완벽히 호환됨으로써 소비자의 결제인증을 발급해 실시간으로 안전하게 소비자 단 말기에 로딩함

| 10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8. 사물인터넷

1) 시장 동향 및 전망

노르웨이 사물인터넷의 주요 사업은 이동통신 사업자인 Telenor Norway, NetCom 등 이 주도 하고 있음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는 사물통신용 SIM카드

통신위원회(NKom)에 따르면, 사물통신용 SIM 카드는 2011년 이후 급격한 증가세를 보 여, 2014년 해당 용도의 SIM은 108만 6,000개로 2013년 대비 11만 1,000개 증가함

Telenor, Netcom의 관련시장 주도

Telenor Norway는 2000년부터 M2M 솔루션 관련 연구・개발을 실시했으며, 자사의 이 동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기업 전용 M2M 솔루션을 제공함. 2013년 9월 시점 해당 서비 스는 유통, 운송, 보안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약 50만 가입회선을 확보함 특히 Telenor Norway는 사물통신 서비스를 중장기 전략의 핵심 서비스로 지정했기 때 문에 향후 해당 분야의 투자가 확대될 전망임 TeliaSonera Norway의 NetCom은 2013년 9월 기준 LTE, HSPA+, HSDPA, UMTS, GSM, GPRS, EDGE 기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물통신 서비스를 제공함 NetCom의 사물통신 서비스는 원격 제어, 텔레매틱스, 자산관리, 원격 모니터링, 모바 일 결제 등이 있음

그림 2.12 노르웨이 사물통신용 SIM카드 증가 추이 (단위: 천 개)

1,200 1,080 990 1,000 810 800 620 600 510 410 400 380 200

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출처 : 통신위원회(NKom)

104 | 유럽Ⅰ 노르웨이

2) 주요 기업 현황

Telenor, 2017년 IoT의 해로 선포 노 르 Telenor는 2017년을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사물과 chat봇 인터넷이 주 웨 류가 되는 해로 발표함 이 센서 기술, IoT 서비스 제공 플랫폼 및 서비스 그 자체부터 근본적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이르기까지 IoT 시스템의 혁신적인 선구자 될것이라고 밝힘. 기업, 소비자 및 정 부가 제조, 교통, 유틸리티 및 농업과 같은 여러 분야에 걸쳐 물리적 세계에서 상호 작용 하도록 변화할 것임

Telenor, 노르웨이 국가 전용 IoT 네트워크 구축계획

2016년 기준, 노르웨이 통신업체 텔레 노어는 국가 전용 네트워크를 만들 계획임. 이 차 세대 IoT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여러 노르웨이 도시에서 사용가능함. 프로젝트의 첫 시 행은 StartupLab과 협력하여 오슬로에 위치함 이 프로젝의 주된 목적은 국가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노르웨이에서 신생 기업의 일자리 창출을 촉진하는 것임 텔레노어는 신생 업체와 학생들이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테스트하기 위해 IoT 네 트워크에 비용없이 액세스 할 수 있다고 밝혔음

ETRI, IoT용 OS '나노큐플러스' 해외서 인기

국내 연구진이 자체 개발한 초소형 IoT(사물인터넷) 운영체제인 ‘나노큐플러스’가 국내 민 간 기업을 통해 인도에 이어, 북유럽 노르웨이 시장까지 진출하며 큰 성과를 거두고 있음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누리텔레콤의 원격검침 상용제품에 ‘나노큐플러스’와 최 신 무선통신 기술을 탑재해, 2016년 말 수주한 노르웨이 국제 프로젝트(SORIA Project)에 대규모 현장 검증을 지원하기 시작했다고 밝힘 누리텔레콤이 수주한 금액은 800억 원 규모로 원격검친 단말기 74만대 규모임

| 10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9. IT스마트융합

1) 시장 동향 및 전망

핀테크

핀테크는 노르웨이에서 가장 인기있는 분야 중 하나이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세계는 미래의 핀테크 회사를 찾기 위해 노르웨이를 찾고 있음 2015년 기준 활발히 투자가 이루어졌으며 관련 업계에서 당분간 속도가 느려질 조짐이 보이지 않음. 핀테크 회사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투자를 원하는 관련 소프트 웨어 회사들 또한 증가 추세임 총 인구 중 95%가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고 6%만이 현금결제를 이용하는 최고의 디지털 인프라를 갖춘 노르웨이는 핀테크의 완벽한 시험장으로 평가받고 있음. ICT Norway , Fintech Mundi 및 Fintech Factory와 같은 주요 업체가 있음

그림 2.13 노르웨이 핀테크 관련 기업

출처 : hernaes(2016)

106 | 유럽Ⅰ 노르웨이

2) 주요 기업 현황

Telenor의 노르웨이 AI 기술지원 노 르 2016년 기준, 노르웨이 통신회사 Telenor는 인터넷에서 기술 개발과 인공 지능 기술을 웨 촉진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발표했음 이 인공 지능 분야에서 중요한 역량을 구축해야하며 노르웨이어 신생 기업에게 성공에 필요 한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차원에서 트론헤임의 노르웨이 과학기술 대학교(NTNU)와 첨 단 분석 기술을 통합한 AI 및 빅데이터 연구실을 지원하겠다고 밝힘 이를 위해 주요 연구 기관인 SINTEF와 공동으로 노르웨이 트론 드 하임의 NTNU에서 인공 지능과 빅 데이터에 초점을 맞춘 실험실을 설립할 계획임 NTNU의 Telenor AI Lab은 인공 지능과 대용량 데이터 내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혁신 프로그램을 운영 할 예정임. 이 연구소는 대형 데이터 세트에서 구조와 숨겨진 지식을 식별하여 기계가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연구할 예정임 인공 지능 분야에서 국제적인 입지를 굳히기 위해 노르웨이 기업을 지원하고 연구소는 업계, 연구 기관, 학계 및 신생 기업과 긴밀히 협력 할 예정임

| 10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0. 전파위성

1) 시장 동향 및 전망

노르웨이의 주파수 관리는 우편통신청(NPT)에서 관할함. 우편통신청(NPT) 예산은 매 년 국회에서 심의하며, 필요 예산을 통신 사업자 등 주파수 사용자, 장비 및 단말 사업자, 우편 사업자 등으로부터 징수함 2015년 1월 우편통신청은 통신위원회(NKom)으로 명칭을 변경함. 통신위원회(NKom) 의 주파수 관리팀에서 사업자 및 주파수 라이선스 할당 및 관리를 담당함

텔레노어, Cobham과 차세대 위성지원 사업위해 안테나 계약 체결

2017년, 노르웨이의 Telenor Satellite와 Cobham 은 차세대 고효율 위성(THS) 서비 스인 THOR 7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SAILOR Ka-Band 안테나 시스템 공급 계약을 체결했음 노르웨이 베르겐(Bergen)에 소재한 Cobham의 파트너 사 Pyxisat는 인도, 설치 및 유 지 보수 서비스를 계약의 일부로 Telenor에 제공하기로 함 THOR 7은 북해, 홍해, 발틱해, 북대서양, 페르시아만 및 지중해 전역의 고속 해상 초고 속 통신망을 제공함. Cobham과의 계약을 통해 Telenor는 THOR 7의 고성능 및 신뢰 성을 확보 할 수 있게되었으며, 현재 해외, 해운 및 초고속 구간에 걸친 다양한 사용자입 장에서 가장 진보 된 Ka-Band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함

주파수 할당

2015년 7월, 통신위원회(NKom)는 900MHz 주파수의 경매 계획을 발표함. 현재 TeliaSonera와 Telenor에 할당되어 있는 900MHz는 라이선스는 2017년 12월 31일 에 만기될 예정임

텔레노어, 새로운 통신위성 토르(Thor)의 성공적 발사 완료

2015년 4월 26일 텔레노어사의 새로운 통신위성 THOR 7이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성공 적으로 발사됨. 새로운 위성은 유럽에서 통신용량을 확장할 계획임

108 | 유럽Ⅰ 노르웨이

11. 디바이스 노 1) 시장 동향 및 전망 르 웨 애플, 노르웨이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마트폰 이

2015년 기준, 노르웨이 국민 10명 중 8명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3G 휴대 전화를 사용 하는 비율이 28.5%, 약 59.3%가 4G를 지원하는 스마트폰을 사용함. 2G 휴대폰의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므며 현재 점유율은 12.2%로 점점 낮아지는 추세임 Telia Norway에 의하면, 2016년 10월 기준 노르웨이 시장에서 가장 높은 판매량을 기 록한 스마트폰은 애플 아이폰7이며, 애플과 삼성이 스마트폰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표 2.4 노르웨이 스마트폰 판매량 순위 Top 10(2016.10) 순위 프로그램 제조사

1 아이폰 7 애플 2 아이폰 6S 애플 3 갤럭시 S7 엣지 삼성 4 갤럭시 S7 삼성 5 아이폰 7 플러스 애플 6 아이폰 SE 애플 7 아이폰 5S 애플 8 아이폰 6S 플러스 애플 9 엑스페리아 E5 소니 10 갤럭시 A3 삼성

출처 : Fiercewireless(2017)

| 10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Ⅲ • • 유망제품 진출전략

Overview

유망품목 도출

유망품목 선정 - ‘정보보호’

‐ 선정 사유 1. 노르웨이, 현금 없는 사회 추진  IT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노르웨이는 덴마크, 스웨덴 등 스칸디나비아 국가들과 함께 전 세계 전자화폐를 선도하 고 있음  전자화폐의 결제 안전성을 구현하기 위해 결제보안 솔루션의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됨 ‐ 선정 사유 2. 노르웨이 內 사이버 공격 증가  노르웨이 內 사이버 공격 건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사이버 보안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임 ‐ 선정 사유 3. 세계적인 디지털 인프라 보유  최고의 디지털 인프라를 갖춘 노르웨이는 핀테크의 완벽한 시험장으로 평가받고 있음  핀테크 이용률의 증가에 따른 개인정보. 결제정보 등의 데이터베이스 보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유망제품 선정 ‐ 결제 보안 솔루션  전자상거래 이용 급증과 함께 결제 보안 솔루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됨 ‐ 바이오인식 솔루션  결제보안, 보안 인증 등 안전한 핀테크 사용 환경 구축을 위한 바이오인식 솔루션의 수요 증가 전망 ‐ DB 암호화 솔루션  결제정보, 신용정보 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DB 암호화 솔루션의 수요 증가 전망

유망제품 유통구조 현지 진출 기업 사례 수출기업 ‐ 유니셈, 노르웨이 ZWIPE사와 전략적 파 Developer Distributor 트너 계약 체결  2015년 2월 유니셈은 자회사 한국스마 결제 솔루션 Reseller Agent 개발업체 트아이디와 함께 노르웨이 스와이프 (ZWIPE)사와 지문인식카드 제조·영업 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 계약을 체결함 최종 수요처(정부기관, 은행, 이동통신사업자 등)  신용카드, 출입증, 신분증 등을 지문인식 ‐ 리셀러(Reseller) 및 에이전트(Agent)를 통해 제품을 수출할 카드로 대체해 전자결제, 신원확인, 출입 수 있음 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하는 사업 ‐ 현지 결제 솔루션 개발업체와의 파트너 관계 구축을 통한 진 을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밝힘 출이 가능함 ‐ 최종 수요처: 정부기관, 은행. 이동통신사업자 등

유망제품 홍보 방법

‐ 유럽 내 관련 전시회 참가  ICT Spring Europe 2018  hi - Scandinavia's Technology & Industry Expo 2019

110 | 유럽Ⅰ 노르웨이

1. 유망품목 도출 노 선정 사유 1. 노르웨이, 현금 없는 사회 추진 르 웨 IT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노르웨이는 덴마크, 스웨덴 등 스칸디나비아 국가들과 함께 전 이 세계 전자화폐를 선도하고 있음 특히 노르웨이는 핀테크 산업에 대한 활발히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임. 핀테크 회사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투자를 원하는 관련 소프트웨어 회사들 또한 증가 추세임 금융기관과 통신사업자의 협력을 통한 많은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 에 따라 효율성, 간편성의 장점을 가진 전자화폐의 결제 안전성을 구현하기 위해 결제보 안 솔루션의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됨

선정 사유 2. 노르웨이 內 사이버 공격 증가

2014년 7월 노르웨이의 DNB, Danske 은행과 항공사 및 보험회사 등 8개 회사의 웹 사이트 및 결제 시스템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사이버 공격이 발생함 2012년 노르웨이의 사이버 공격 발생 건수는 2011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노르 웨이 內 사이버 공격 건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사이버 보안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 가할 것으로 보임

선정 사유 3. 세계적인 디지털 인프라 보유

총 인구 중 95%가 인터넷에 접속가능 하고 6% 만이 현금결제를 이용하는 최고의 디지 털 인프라를 갖춘 노르웨이는 핀테크의 완벽한 시험장으로 평가받고 있음 이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장의 확대와 핀테크 이용률의 증가에 따른 개인정보. 결제정보 등의 데이터베이스 보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11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유망제품 선정

결제 보안 솔루션

➀ 카드 및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됨 ➁ 가상 번호 생성 등 모바일 결제 시 발생할 수 있는 유출을 사전에 예방하는 기능 제공 ➂ 전자상거래 이용 급증과 함께 해당 솔루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됨 [ 결제 보안 솔루션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바이오인식 솔루션

➀ 홍채, 얼굴 인식 등의 바이오 기술과 IoT 기술을 접목한 자동 인식 및 정보데이터 분석 기능 제공 ➁ 결제보안, 보안 인증 등 안전한 핀테크 사용 환경 구축을 위한 바이오인식 솔루션의 수요 증가가 전망됨 [ 바이오인식 솔루션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DB 암호화 솔루션

➀ 핀테크 활용 확대에 따라 기관들과의 데이터베이스 연계에 기반을 둔 신용평가 등이 이뤄질 전망임 ➁ 결제정보, 신용정보 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DB 암호화 솔루션의 수요 증가가 전망됨 [ DB 암호화 솔루션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112 | 유럽Ⅰ 노르웨이

3. 유망제품 유통구조 노 노르웨이 핀테크 관련 보안 소프트웨어 시장에 진출하는 방법은 크게 직접 진출 및 간접 르 진출 방식이 존재함. 직접 진출 방식은 노르웨이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여 제품을 판매하 웨 는 것을 의미하며, 간접 진출 방식은 노르웨이 현지 파트너사를 발굴하여 수입·유통업체 이 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품을 판매함 그러나 현지 법인 설립의 초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에 투자 리 스크가 클 수 있음. 또한, 해당 시장에 대한 정보가 중요하므로 초기 시장 진출 시 현지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현지 파트너사와 관계를 구축하여 협업하는 것이 바람직함 또한 노르웨이 결제 솔루션을 개발하는 현지 업체와 파트너 관계를 구축하여 기술협력 등의 방식을 통해 해당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음 보안 소프트웨어의 유통 구조는 크게 리셀러(Reseller) 및 에이전트(Agent)를 통해 제품 을 수출할 수 있음. 리셀러 및 에이전트는 주로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VAD 업체, SI 업체가 존재함. SI 업체의 경우, 제품 컨설팅에서 설치 및 유통까지 담당함 보안 소프트웨어의 최종 수요처로는 정부기관 및 은행, 이동통신 사업자 등이 있음. 정부 기관과 은행은 다수의 개인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곳으로 사이버 공격의 주 표적 대상임

그림 3.1 노르웨이 핀테크 관련 보안 소프트웨어 유통 구조

수출기업

Developer Distributor

결제 솔루션 Reseller Agent 개발업체

최종 수요처(정부기관, 은행, 이동통신사업자 등)

출처 : 통신위원회(NKom)

| 11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유니셈, 노르웨이 ZWIPE사와 전략적 파트너 계약 체결

2015년 2월 유니셈은 자회사 한국스마트아이디와 함께 노르웨이 스와이프(ZWIPE)사 와 지문인식카드 제조·영업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 계약을 체결함 양사는 향후 신용카드, 출입증, 신분증 등을 지문인식카드로 대체해 전자결제, 신원확인, 출입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하는 사업을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밝힘 또한 향후 지문센서를 장착한 지문·공개 키 기반구조(PKI) 인증 카드를 공급해 스마트폰 보다 간편하게 카드에 설치된 지문센서 만으로 간단히 본인 인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 록 할 계획임 양사는 지문인식카드 공급과 PKI기술을 적용한 유심(USIM), 근거리무선통신(NFC) 스 마트카드, 스마트폰 TEE(Trusted Execution Environment)·지문인증 등의 솔루션·서 비스 운영센터 인프라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에게 편의성과 보안성이 한층 강화된 인증서 비스를 제공하며 사물인터넷과 핀테크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 할 예정임

그림 3.2 유니셈, ZWIPE와 파트너 계약 체결

출처 : 유니셈

114 | 유럽Ⅰ 노르웨이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노 유럽 내 관련 전시회 참가 르 웨 룩셈브루크에서 매년 개최되는 ‘ICT Spring Europe’은 전세계 핀테크 흐름을 한자리 이 에서 볼 수 있는 세계 최대의 핀테크 국제 박람회임 2016년 7회째를 맞은 同 박람회에 한국 등 72개국에서 500개의 기업과 6,000명의 참 가자가 참여함 한편 덴마크에서는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기술·산업 박람회인 ‘hi-Scandinavia's Technology & Industry Expo’가 개최됨

표 3.1 ICT Spring Europe 2018 명칭 ICT Spring Europe 2018 ICT Spring Europe 2018 주최자 정보 일시 2018년 5월 15일~16일 (2일간) Organizer : 산업분야 핀테크, 우주, 미래산업 Farvest Group ADDRESS : 최초개최연도 2010년 European Convention Center 참가국 수 72개국 Luxembourg 4, Place de l'Europe L-1499 Luxembourg 주요참가국 노르웨이, 스웨덴, 미국, 일본, 중국, 한국 등 TEL : +352-26-27-69-1 E-MAIL : [email protected] 전년도 참가 업체 수 500여 곳 Website : http://www.ictspring.com/ 전년도 참관객수 약 6,000명 출처 : ICT Spring Europe

표 3.2 Hi Tech & Industry Scandinavia 2019 hi-Scandinavia's Technology & 명칭 Hi Tech & Industry Scandinavia 2019 Industry Expo 2019 주최자 정보 일시 2019년 10월 1일~3일 (3일간) Organizer : 산업분야 산업일반 hi the technology- and industry exhibition 최초개최연도 1963년 ADDRESS : Vardevej 1 7400 Herning 전년도 참가 업체 수 615여 곳 TEL : +45-99-26-99-94 E-MAIL : [email protected] 전년도 참관객수 16,819명 Website : http://www.hi-industri.dk/ 출처 : www.hiindustryexpo.com

| 115

덴마크 DENMARK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 118 1. 정책 및 규제 기관 2. 정책 및 규제 3. 산업구조 및 특징 4. 산업 주요 이슈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134 1. 소프트웨어 2. 인터넷서비스 3. 통신 4. 디지털콘텐츠 5. 방송스마트미디어 6. 정보보호 7. 클라우드 컴퓨팅 8. 사물인터넷 9. IT스마트융합 10. 전파위성 11. 디바이스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 155 1. 유망품목 도출 2. 유망제품 선정 3. 유망제품 유통구조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Ⅰ • •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Overview

정보통신방송 주요 기관

덴마크기업청(Danish Business Agency, DBA)

‐ 통신인프라 확대, 정보통신(ICT) 사업자 및 사업 규제와 감독, 통신 주파수 할당, 유럽연합(EU)의 역할 통신정책에 의거한 통신 규제 조정 및 정책 제안

경영진

기업 솔루션 및 디지털화 기업 개발 및 규제

디지털 행정 국가 기업 개발 고객 서비스 지역개발 및 EU구조기금 고객 경험 관리 농어촌 개발 조직도 우주계획 및 도시개발 Virk 포털 및 디지털 혁신 데이터 디지털경제 IT・디지털 커뮤니케이션 기업 규제 회계 및 감사 규제 개선 통신 및 개인정보 EU 및 국제업무

행정부

디지털청(Agency for Digitisation )

‐ NemID(디지털 서명), borger.dk(덴마크 국민 포털) 및 NemKonto(공공혜택 수혜자를 위한 은행 역할 계좌) 등을 비롯한 여러 국가 디지털 서비스 솔루션을 운영

조직도

118 | 유럽Ⅰ 덴마크

정보통신방송 주요 정책

디지털 전략 2016-2020

‐ 2001년부터 공공부문의 디지털화를 추구해온 덴마크 정부는 2016년 디지털 전략 2016-2020을 세우고 중앙 정부 및 지방정부, 공공행정기관, 학교 등이 참여하는 공공부문의 디지털화 노력의 가속화와 산업계와의 상호작 용을 위한 프레임 워크를 설정 ‐ 이 전략의 3대 목표는 용이한 사용과 고품질, 성장에의 도움, 보안과 신뢰의 향상 등임

디지털 복지 전략 2016-2020 덴 ‐ 새로운 디지털 전략에 따라 복지 분야 정책추진을 위한 전략을 수립 마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의료 및 복지부문의 이니셔티브를 추진하여, 인구고령화, 만성질환자 증가, 재정자원 제 크 한과 같은 사회적 문제에 대응하고자 함

한국과의 협력 현황

‐ 한-덴마크, 차세대 해상통신시스템 공동시험(2017.11) ‐ 한-덴마크, e내비게이션 컨퍼런스 개최(2017.06) 정부 ‐ 한-덴마크, 과기공동위 개최(2017.04) ‐ 복지부, 보건의료산업분야에 대한 덴마크와의 협력 강화(2016.10)

‐ 덴마크 투자청 Tech/IT 담당 내한, 한국 IT 관련 기업들 순방(2017.11) ‐ 바이오빌, 스마트팜 사업으로 덴마크 ‘포시텔’과 협력(2017.05) 기업 ‐ KT, 해양수산부와 덴마크 해사청 주관 컨퍼런스 참석, 공공안전통신망 소개 (2017.06)

| 11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 정책 및 규제 기관

덴마크의 정보통신방송 정책 및 규제 기관은 크게 시장 규제 및 도메인 관리를 담당하는 덴마크기업청(DBA, Danish Business Agency)과 디지털청(Digitisation Agency)으 로 나뉨

덴마크기업청(DBA, Danish Business Agency)

통신 부문은 이전에 과학기술혁신부(Ministry of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MSTI) 산하 IT 통신청(National IT and Telecom Agency, NITA)에서 규제했음 동 기관은 2002년 초 덴마크국립정보서비스(Danish State Information Service)와 국가통신청(National Telecom Agency)이 통합, IT정부전략의 중심영역에서 이니셔 티브를 개발하고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출범함 2011년 말 IT통신청(NITA)이 폐지되고 그 기능이 산업성장부(Ministry of Business Affairs and Growh), 국방부(Ministry of Defense), 재정부(Ministry of Finance), 내무경제부(Ministry of Interior and Economy)로 이관됨 2012년 초 IT통신청(NITA), 덴마크무역기업청(Danish Commerce and Companies Agency), 기업건설당국(Enterprise and Construction Authority)의 통합으로 탄생한 덴마크기업청(Danish Business Authority, DBA)이 NITA의 핵심 임무를 담당함 동 기관은 덴마크의 경쟁력과 기업 유치 매력도를 제고하여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에 기 여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정보통신(ICT) 관련 목표는 혁신, 기업가정신 및 창의 력을 자극하고 세계 수준의 ICT 인프라를 보장함으로써 덴마크의 모든 성장환경을 개선 해 전국적으로 균등한 성장 기회를 제공하는 것임 이와 관련하여 동 기관은 통신인프라 확대, 정보통신(ICT) 사업자 및 사업 규제와 감독, 통신 주파수 할당, 유럽연합(EU)의 통신정책에 의거한 통신 규제 조정 및 정책 제안 등 을 담당함

120 | 유럽Ⅰ 덴마크

표 1.1 덴마크기업청(DBA) 주요 업무 및 내용 주요 업무 세부 내용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기 위해 통신 부문을 규제하여 기업과 개인 모두 합리적인 가격과 광범위한 선택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함. 이를 위해 통신시장에서의 경쟁 상황 분석, 가격 책정모델 구상, 상호접속계약에 관한 결정을 내림 경쟁 규제 ‐ 정기적으로 통신시장에서의 경쟁상황 분석 수행 ‐ 상호접속료 산정을 위해 장기증분비용(LRAIC) 모형 채택 ‐ 거래조건에 대한 상호접속협약 체결 덴 최상위 인터넷 도메인 관리 및 덴마크 정부의 광대역 정책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마 있음 크 ‐ .dk 최상위 도메인 관리 : 덴마크인터넷포럼(Danish internet forum, DIFO)은 .dk 최상위 도 도메인 규제 메인(.dk)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을 짐. DIFO는 전문인터넷 사업과 함께 기업 및 소비자 등 덴마 크 인터넷 사회의 주체들을 대표하는 협회로써 구성됨. ‐ DBA는 DIFO의 .dk도메인 관리가 도메인법(Domain Act)에 따라 수행되는지 여부를 감독함. DIFO의 행정은 도메인 법에 따라 2009년 6월 DBA가 발행한 등록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함 ‘출처 : 덴마크 기업청(DBA)(2017.12)

그림 1.1 덴마크기업청(DBA) 조직도

경영진

기업 솔루션 및 디지털화 기업 개발 및 규제

디지털 행정 국가 기업 개발 고객 서비스 지역개발 및 EU구조기금 고객 경험 관리 농어촌 개발 Virk 포털 및 디지털 혁신 우주계획 및 도시개발 데이터 디지털경제 IT・디지털 커뮤니케이션 기업 규제 회계 및 감사 규제 개선 통신 및 개인정보 EU 및 국제업무

행정부

출처 : 덴마크 기업청 홈페이지(www.danishbusinessauthority.dk)

| 12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디지털청(Agency for Digitisation)

디지털청(Danish Agency for digitisation, Digitaliseringsstyrelsen)은 덴마크 복지 사회를 현대화하기 위한 디지털화 프로세스를 2020년까지 가속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재무부 산하에 2011년 설립되었으며 정부의 디지털 어젠다 구현 및 공공부문의 기술 보 급을 담당함 이에 따라 NemID(디지털 서명), borger.dk(덴마크 국민 포털) 및 NemKonto(공공혜 택 수혜자를 위한 은행계좌) 등을 비롯한 여러 국가 디지털 서비스 솔루션을 운영함 2015년 중반 규제당국은 지역 차원에서 네 개의 북유럽 통신 규제기관들과 협력 협정을 체결하여 핀란드(FICORA), 아이슬란드(PTA), 노르웨이(Nkom) 및 스웨덴(PTS)과 함 께 유럽위원회(EC)의 디지털단일시장 구상, 스펙트럼 현안(ITU가 2015년 11월 모바일 광대역 사용을 위해 할당한 700MHz대역의 사용 관리 등) 등 각국 공통사안들에 대해 협력을 합의함 동 국가의 시장에 공통으로 진출한 일부 통신사들이 있고 시장 그 자체가 유사하며 비슷 한 수준의 모바일 및 광대역 보급률을 보유하고 있어 이러한 협력을 구상하게 됨

그림 1.2 덴마크디지털청(Agency for Digitisation) 조직도

출처 : 덴마크 디지털청 홈페이지(www.digst.dk)

122 | 유럽Ⅰ 덴마크

덴마크 문화·궁전청(Danish Agency for Culture and Palaces, Slots-og Kulturstyrelsen)

덴마크의 방송사업 관련 행정은 문화부 소관으로, 문화·궁전청은 문화부의 정책을 수행 하는 산하 기관임 2016년 1월 1일부터 덴마크 문화청(Danish Agency for Culture)과 궁전 및 문화재청 (Agency for Palaces and Cultural Properties)의 합병으로 설립됨

덴마크 문화청은 덴마크 문화부가 문화예술 진흥 및 국제교류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 덴 하여 2012년 1월 분산되어 있던 문화예술 지원기관을 통합하여 출범시킨 기구임 마 크 미디어 분야에서는 라디오·텔레비전 위원회(Danish Radio and Television Board, Radio-og tv-navnet)를 관할하고, 방송 면허 관리 및 지역 라디오 및 TV제작 자금 지 원을 포함하여 라디오 및 TV 분야에서 여러 관리 및 감독 업무를 담당

라디오·텔레비전 위원회(Danish Radio and Television Board, Radio-og tv-navnet)

라디오·텔레비전 위원회(Danish Radio and Television Board, Radio-og tv-navnet)는 덴마크 방송법 시행을 감독하는 독립적 규제당국으로 10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방송사업자에 대한 면허 교부, 개인 및 공공방송사의 법적 의무 이행 감독, 비 영리 지역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국에 대한 보조금 관리 등을 담당함

◯1 법률, 재무, ◯2 행정, 비즈니스, ◯3 미디어, 문화 분야의 전문가 7명을 문화부 장관이 임 명하고 덴마크 시청자협회합동포럼이 1명을 임명함 2013년 6월 라디오 및 TV법이 개정됨에 따라 2명의 위원을 추가로 임명하게 되어 1명 은 덴마크 재판관연맹이, 나머지 1명은 문화부 장관이 특별형법으로 임명함 이 두 위원은 인종, 성별, 종교, 국적 차별 및 테러를 선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규칙에 기 초하여 결정을 내릴 때만 참여하며 덴마크 재판관연맹이 지명한 위원장이 의장을 맡고 문화부 장관이 임명한 위원은 부위원장을 맡음. 현재 구성된 위원회의 임기는 2020년 12월 31일까지임

| 12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정책 및 규제

1) 정책

디지털전략2016~2020(Digital Strategy 2016-2020)

2001년부터 공공부문의 디지털화를 추구해온 덴마크 정부는 2016년 5월 ‘디지털 전략 2016~2020’을 세우고 중앙정부 및 지역, 지방정부, 공공행정기관, 공립학교, 대학교 등 의 주체들이 참여하는 덴마크 공공 부문의 디지털화 노력과 기업 및 산업과의 상호작용 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설정함 공공부문의 디지털화는 가치와 성장을 창출하고 효율성을 제고하고 덴마크 국민의 디지 털사회에 대한 신뢰를 보장해야 하며 3대 목표는 다음과 같음

표 1.2 디지털전략2016~2020 3대 목표 목표 주요 내용

‐ 덴마크 국민의 생활에 공공부문의 디지털화가 실제 가치를 창출해야 함 ‐ 공공부문은 고품질의 디지털 서비스 및 디지털 복지 솔루션을 제공해야 함 디지털 솔루션은 사용이 용이하고 ‐ 디지털화는 생활을 간편하게 하고 공공서비스의 질을 개선해야 함 신속하며 고품질을 보장해야 함 ‐ 당국은 개인 및 기업을 위해 더 효과적으로 협력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공유 해야 함 ‐ 디지털화는 기업 운영을 용이하게 하며 2020년까지 행정 부담 감축 목표액 30 억 크로네 달성에 기여해야 함 ‐ 행정당국은 자동 기업보고를 통해 기업들이 공공기관에 보고해야 하는 행정 부 공공부문의 디지털화는 성장에 담을 제거해야 함 좋은 환경을 제공해야 함 ‐ 기업을 겨냥한 모든 솔루션을 Virk.dk 포털에 통합 ‐ 기업계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와 혁신의 기반을 형성할 수 있는 더 많은 공공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함 ‐ 덴마크인들이 상호간 그리고 공공부문에서 갖고 있는 신뢰는 덴마크 복지의 기 초이며 디지털 사회에서 이러한 안보 의식을 지켜야 함 ‐ 이를 위해 공공부문의 정보보안을 향상시키고 개인과 기업의 디지털 역량을 향 보안과 신뢰에 항상 상시킬 것임 초점을 맞춰야 함 ‐ 공공부문을 위한 디지털 인프라는 사회에 필수적이며 견고해야 하며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함 ‐ 디지털화에 준비가 된 개인과 디지털 솔루션을 사용할 수 없거나 접근할 수 없 는 개인들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포괄적인 사회를 구축해야 함

출처: 디지털청(Agency for Digitisation) (2016.05)

124 | 유럽Ⅰ 덴마크

표 1.3 3대 목표별 이니셔티브와 주요 내용 3대 목표 세부 목표 이니셔티브

‐ 개인과 기업을 위해 사용자 친화적이고 연계된 서비스 제공 (예 : 이혼, 사업 창업 등을 위해 보다 쉽고 간단한 자가신고 경로 제공) ‐ 자가신고 솔루션, 인프라 구성요소 및 포털의 신규 솔루션을 개발 하거나 추가 개발 시 당국과 합의된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함 ‐ 개인과 기업은 공공당국이 보유하고 있는 자신에 관한 정보가 무엇 인지 알 수 있어야 하며 당국은 개인 및 기업에 중요한 정보를 적극 사용자 친화적, 간단한 덴 적으로 알려야 함 디지털 공공부문 마 ‐ NemID, NemLog-in, Digital Post 등에서 문제 발생 시 사용자 크 지원 개선. 다수의 공통된 공공 부문 지원 프로그램을 통합하고 사 용자들의 문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디지털 솔루션 개선에 사용 ‐ 디지털 액세스가 있는 개인과 기업은 일부 물리적으로만 관리할 수 있는 서한을 제외하고 공공기관으로부터 모든 서한을 디지털로 받 게 됨

‐ 법률과 규제는 디지털 시대에 맞게 조정되어야 하며 부문 간 법적 디지털 솔루션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문 간 공통 법적 현안을 수집, 심사 및 우 사용이 용이하고 선순위를 매기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해결책을 마련 신속하며 고품질을 데이터 활용 개선 및 ‐ 기초데이터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임금 및 급여 데이터뿐만 아니 보장해야 함 사례 처리 가속화 라 맞춤형 데이터 추출과 같은 공동솔루션 및 서비스 등 신규 기초 데이터 사업을 추진 ‐ 부정확한 지급과 사기를 막기 위해 증거 중심의 간단한 통제 과정, 콘셉트의 조화, 높은 데이터 품질 및 정부 간 협력 증진

‐ 다양한 복지 이슈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시민들에게 보다 일관된 경 로를 만드는 방법을 제안. 이를 통해 다양한 복지 분야에서 쉽고 일 관된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접근법에 대한 시범 테스트 진행 예정 ‐ 사회복지사업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방공공서비스분야에서 보다 균일하고 체계적인 문서화 작업을 디지털 방식으로 지원 일관성 있고 개선된 ‐ 약 8개의 디지털 복지 솔루션을 분석하고 2020년 이전에 구속력 복지 서비스 있는 결정을 내려 약 4개의 솔루션 도입 ‐ 2018년까지 시립초·중등학교에서의 교육에 ICT 적용 효과 조사, 2019년까지 모든 고등학교 필기시험이 디지털로 진행되며 2020 년에 시험을 치르는 모든 초등 및 중등학교 필기시험 역시 디지털 로 진행

‐ 공공부문은 회계데이터 전송 등 당국과 기업간 데이터 재사용 및 자동화를 더욱 활발히 해야 함 ‐ EU공공조달지침 도입에 따라 2018년 10월까지 디지털입찰절차 공공부문의 디지털화는 비즈니스 커뮤니티를 를 도입하여 기업들이 응찰할 수 있도록 NemID-NemLog-in, 성장에 좋은 환경을 위한 더 나은 NemHandel, Virk.dk 및 암호화 구성 요소 등의 향후 버전과의 제공해야 함 프레임워크 상호 운용성과 같은 표준이나 기술 등의 사용 가능성을 분석하고 최적의 사용방법을 연구 ‐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을 위해 일반정보보호규정 (GDPR)도입에 따라 업데이트된 법률 가이드라인을 마련

| 12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3대 목표 세부 목표 이니셔티브

‐ 공공부문데이터의 상업적 이용 등을 포함하여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해 오픈데이터DK, 덴마크 지역 및 덴마크기업청(DBA)을 포함한 성장 동력으로서의 공공부문 파트너십을 수립할 예정 공공부문 데이터 ‐ 스마트 시티를 위한 공공부문 파트너십을 통해 스마트 시티 솔루션 의 상업적 잠재력을 지원하고 도시개발에서 스마트 디지털 솔루션 및 데이터 사용을 촉진

공공부문의 디지털화는 ‐ 지형, 기후 및 수질에 관한 자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성장에 좋은 환경을 효과적인 행정에 기여 제공해야 함 ‐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은 스마트 에너지 관리를 위한 데이터 중심 의 의사 결정 지원 및 도구에 대한 수요를 창출함. 이에 따라 에너 효율적인 공익사업 지 소비에 대한 양질의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노력 ‐ 효과적인 인프라 유지보수를 위해 당국과 기업간 지하 인프라에 대 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플랫폼 마련 ‐ 폐기물 관련 양질의 데이터를 통해 지방 정부가 폐기물 처리 계획 을 수립, 시행, 평가할 수 있도록 함

‐ 정보 보안은 중앙, 지방정부에 의해 더 잘 관리되어야 함. 따라서 모든 공공당국은 ISO27001에 명시된 원칙을 준수해야 함 공공부문의 데이터 ‐ 공공부문에서 안전한 정보 교환을 위해 공통의 공공부문 표준을 수 보호 립하여 배포 ‐ 디지털 신원 및 권리의 올바른 할당을 통해 시스템 및 데이터에 대 한 액세스 보안 강화

‐ NemID, NemLog-in 및 Digital Post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사 용자 친화적이고 안전하며 당국, 개인 및 기업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함 보안과 신뢰에 항상 강력한 디지털 인프라 ‐ 디지털 솔루션의 사용 증가에 따라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보다 안 초점을 맞춰야 함 전한 식별 솔루션에 대한 필요성이 커져 아동 및 청소년, 특히 NemID가 없는 12~15세 그룹을 위한 ID솔루션 개발을 위해 분석 을 진행

‐ 당국 간 데이터 공유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설정하기 위해 공공부문 IT 아키텍처를 개발, 특히 데이터 표준화 및 개선 작업에서 이러한 아키텍처를 사용할 예정 모두를 위한 디지털화 ‐ 공공부문 주요 IT인프라 시스템 운영에 대한 협력이 강화되고 상호 의존성을 구체화함. 당국 및 기타 이해 관계자가 현재 운영 상태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공공부문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이 개발 될 예정

출처 : 디지털청(Agency for digitisation)(2016.05)

126 | 유럽Ⅰ 덴마크

신전자정부 전략 2016~2020(New e-Government Strategy 2016-2020)

덴마크 정부는 2016년 6월 2011~2015년 현 정부의 전자정부전략(e-Government Strategy 2011-2015)에서 이미 달성한 결과를 기반으로 새로운 전자정부 전략을 수립함 동 전략은 2020년까지 공공부문의 디지털화에 대한 새로운 목표를 세워 20~40억 크로 네(약 3억~6억 달러)를 절약한다는 방침

덴마크 중앙정부와 지역 및 지자체 간의 공동 협력을 통해 덴마크 시민과 공공부문 간 디 덴 지털 커뮤니케이션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함 마 크 동 전략의 3대 원칙은 ◯1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공공 부문, ◯2 공공 서비스는 시민과 기업 을 위한 가치 창출, ◯3 기업 성장을 지원하는 공공 디지털화임 공공 행정절차의 자동화, 시민과 기업을 위한 사용자 경험 개선, 디지털 복지, 데이터 공 유, 일관성 있는 디지털 공공 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와 같은 세부 목표가 설정됨. 데이터 보호, IT 인프라 솔루션, IT 프로젝트 관리, 공용 디지털화 공동 작업 관리 등도 포함됨

디지털 복지 전략 2016~2020(Strategy for Digital Welfare 2016-2020)

새로운 디지털 전략 2016-2020에 따른 복지 분야 정책 추진을 위한 전략. 즉 디지털 기 술을 활용하여 의료 및 복지 부문 전략을 추진하기 위한 전략 임 덴마크의 인구 고령화, 만성질환자의 증가, 재정자원의 제한과 같은 사회적 문제에 대응 하여 공공서비스의 효율화를 디지털 기술과 신기술을 통해 구현하고자 함 디지털 전략 2016-2020에 포함되어 있는 복지 분야 이니셔티브는 아래와 같음

표 1.4 복지 분야 디지털 전략 2016-2020 디지털 복지 솔루션의 보급: 디지털 이니셔티브 3.3 보건 및 사회보장 분야에서 효과적인 디지털 솔루션 보급을 향상하고 가속화 하는 것 (예: 임신 여성에 대한 원격 진료) 디지털 교육: 교육 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 활용을 발전시키는 것. 중등학교의 필기시험을 디지털 디지털 이니셔티브 3.4 방식으로 실시. IT 인프라를 표준화하여 학교 디지털 플랫폼 및 디지털 교육 보조장치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 출처: 디지털청

이와 관련하여 우선 2019년 말까지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 대해 원격진료를 시행하 려고 계획. 이를 위해 덴마크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협약을 맺고 공동의 보건 의료 시 스템을 개발할 것임

| 12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3. 산업구조 및 특징

2016년 덴마크 정보통신 산업, 2015년 대비 1.3% 하락

덴마크 통계청(Statistic Denmark)가 집계한 자료에 의하면, 2016년 덴마크 정보통신 산업 GDP 규모는 약 820억 크로네(약 135억 달러) 정도로 전년 대비 1.3% 하락한 것으 로 집계됨(2015년의 경우 2014년 대비 7.1% 성장) 총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꾸준히 5% 대의 비중을 차 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덴마크 GDP에서 가장 큰 부문을 차지하는 것은 교육, 행정, 건강서비스 부문이며, 그 뒤를 무역 및 수송 부분이 차지하고 있음

IT 디자인 및 개발 부문, 컴퓨터 서비스 부문 매출 중 가장 높은 비중 차지(수출 제외)

한편 2015년 덴마크의 컴퓨터 서비스 부문 중 가장 높은 매출 비중을 차지하는 부문은 239억 3천만 크로네(약 39억 6천만 달러)인 IT 디자인 및 개발 부문이며, 다음으로 183 억 1천만 크로네(약 20억 3,000만 달러)의 소프트웨어 부문이 차지하고 있음. 이 두 분 야 이외에는 하드웨어 컨설팅 서비스 부문과 시스템/소프트웨어 컨설팅 서비스 부문이 차지하고 있음

표 1.5 덴마크 산업별 GDP 동향 (단위 백만 크로네) 2015년 2016년 구분 GDP 성장률 GDP 비중 성장률 농업, 수산, 목축 23,189 -33.4% 22,751 1% -1.9% 광업 25,975 -34.2% 20,941 1% -19.4% 제조업 250,684 7.0% 273,159 15% 9.0% 시설서비스 39,162 0.7% 37,933 2% -3.1% 건설 81,504 4.3% 86,459 5% 6.1% 무역 및 수송 367,017 3.2% 355,455 20% -3.2% 정보통신 83,111 7.1% 81,993 5% -1.3% 금융 100,054 4.7% 98,181 6% -1.9% 부동산 38,818 -0.5% 41,947 2% 8.1% 주거 123,097 2.5% 125,979 7% 2.3% 비즈니스서비스 153,507 7.0% 163,718 9% 6.7% 행정, 교육, 건강 397,096 1.7% 400,374 23% 0.8% 예술, 오락 및 기타 서비스 58,838 2.5% 60,994 3% 3.7% 계 1,742,052 2.2% 1,769,884 100% 1.6% 출처: 덴마크 통계청

128 | 유럽Ⅰ 덴마크

4. 산업 주요 이슈

덴마크, 화폐 생산 중단으로 ‘Cashless 국가’ 지향

덴마크 중앙은행은 2016년 12월 31일부로 화폐(동전과 지폐 모두) 생산 기능을 외국기 업으로 아웃소싱할 계획을 발표. 이는 신규 화폐 발행에 대한 수요 감소와 수익성 악화에 따른 결정이라고 밝힘 덴 마 덴마크 내 전체 거래에서 현금 거래 비중은 20%에 불과하고 점차 줄어드는 추세. 이에 크 따라 스웨덴, 노르웨이에 이어 덴마크까지 화폐 발행을 해외에 위탁함으로써 스칸디나비 아 국가 모두에서 화폐 생산을 중단하게 됨 한편, 덴마크 중앙은행은 전자화폐(Digital Currency)도입 가능성을 검토한다고 밝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e-크로네 화폐 도입을 검토 중임을 밝힘

덴마크,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MADE 설립

독일과 같은 플랫폼 인더스트리 4.0과 같은 범국가적 기관이 부재한 상황에서 민간의 산 업과 연구기관 네트워크 주도록 MADE(덴마크 제조업 아카데미, Manufacturing Academy oif Denmark)를 설립. 2016년 말 덴마크 정부 투자기관인 Innovation Fund, 49개 기업, 5개 대학 및 3개 연구기관, DI가 자금을 지원 틈새시장에 최적화된 중소기업을 맞춤형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공유할 계획으로 2017~2019년간 약 30여 개의 디지털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 현재 약 100여개의 기 업과 14개의 대학 및 연구기관 뿐만 아니라 11개의 외국 기관이 멤버로 가입

그림 1.3 덴마크 MADE 9개 연구기술 분야

출처: MADE

| 12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덴마크 ICT, 지속가능발전목표(SDG) 지향 높은 점수

2017년 10월 CSR Europe과 Huawei가 주도한 ‘제3차 지속가능성과 혁신 컨퍼런스’ 에서 ICT와 SDG 간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어, ICT의 발전으로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 목 표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 Huawei의 ‘EU ICT Sustainable Goals Benchmark: Harnessing the ICTs to Advance Sustainable Development’ 보고서에서 SDG 달성을 위한 EU 국가들의 ICT 부문 성숙도와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산정한 지수에서 스웨덴, 덴마크, 영국, 독 일, 프랑스가 높은 점수를 얻음. 반면에 폴란드, 불가리아, 키프로스, 루마니아가 가장 낮 은 점수를 획득

덴마크, 데이터 혁신 평가에서 1위 차지

EU의 데이터혁신센터(Center for Data Innovation)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덴마 크는 데이터 혁신에 관해 100점 만점에 71.14점을 기록하여 핀란드, 네덜란드, 스웨덴, 영국을 제치고 1위를 기록 북유럽 국가들은 대부분 높은 점수를 기록했고, 덴마크는 ‘정보의 자유’ 부문에서는 9위 에 불과했지만, 오픈데이터(4위)를 비롯한 기타 데이터 지표 부문에서 매우 높은 성과를 기록. 한편 불가리아, 키프로스, 헝가리, 크로아티아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

표 1.6 데이터혁신센터 혁신지수 순위 순위 국가 점수 순위 국가 점수 1 덴마크 71.14 15 리투아니아 43.69 2 핀란드 69.36 16 포르투갈 39.06 3 네덜란드 65.82 17 슬로베니아 37.42 4 스웨덴 64.95 18 라트비아 37.22 5 영국 63.47 19 슬로바키아 35.2 6 에스토니아 61.11 20 폴란드 32.68 7 오스트리아 53.07 21 이탈리아 31.29 8 아일랜드 49.62 22 체코 30.8 9 몰타 48.66 23 루마니아 30.6 10 벨기에 47.91 24 그리스 28.68 11 프랑스 46.96 25 크로아티아 28.1 12 스페인 45.48 26 헝가리 27.46 13 독일 44.94 27 불가리아 26.95 14 룩셈부르크 44.47 28 사이프러스 26.88 출처: CPH Post

130 | 유럽Ⅰ 덴마크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1) 정부 간 협력

한-덴마크, 차세대 해상통신시스템 공동시험(2017.11)

한국의 해양수산부는 부산 수영만 해역에서 덴마크 해사청과 함께 차세대 해상 통신시스 덴 템 실해역 시험을 진행. 양국은 운항관리 체계에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한 ‘e-내비게이션’ 마 크 과 위성, LTE 등 통신매체와 상관없이 끊김없이 통신을 주고받을 수 있는 ‘국제정보공유 체계’(마리타임 클라우드) 성능을 시험 지금까지 운항 중인 외국선박에 항행 안전정보를 제공하려면 선박에 탑재된 아날로그 통 신장비를 이용해 문자, 음성, 팩스를 보내야 해 선박 국적이나 통신매체에 따른 제약이 있었음. 이번 e-내비게이션과 국제정보공유체계가 도입되면 이런 제약 없이 표준화된 항행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이 가능해 짐

그림 1.4 국제정보공유체계

출처: 해양수산부

한-덴마크, 공동으로 e내비게이션 컨퍼런스 개최(2017.06)

한국 해양수산부와 국제항로표지협회(IALA), 덴마크 해사청은 공동으로 2016년 6월 제 주에서 ‘제1차 아시아-태평양 지역 e내비게이션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 e네비게이션은 국제해사기구(IMO)가 해상안전과 해운 효율 증진을 위해 2020년부터 도입하고자 하는 차세대 해상교통안전 종합관리 시스템으로 선박 운항기술에 첨단 정보 통신기술을 융합하여 장비를 통합/표준화 하는 시스템임

| 13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이번 컨퍼런스에는 유럽과 아태지역 24개국에서 약 250여 명이 참석하여 동 분야의 국 제기술개발 동향을 공유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논의

한-덴마크, 과기공동위 개최(2017.04)

한-덴마크 과학기술·고등교육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2012년)을 계기로 공동연구 활성 화 등을 위한 과기공동위원회를 2017년 4월 덴마크에서 개최. 한국측에서는 미래부와 NRF, NST, 항우연, 부산대 등이, 덴마크에서는 과학고등교육청, 덴마크혁신기금, 주한 덴마크 대사 등이 참석 이번 회를 계기로 양국은 공동연구 기반 강화를 위해 연구자 교류를 추진하고, 한국과 덴 마크 간 기술협력 수요 발굴 등의 후속 조치를 이행하기로 합의. 아울러 양국간 무인기 관 련 정책 및 연구개발 현황을 논의하고 양국기업 및 연구기관 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

농정원, 덴마크와 인력양성 등 업무 협약(2017.03)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농정원)은 2017년 3월 덴마크 농업식품위원회(SEGES, The Danish Agricultural and Food Council)와 농업 전문인력 양성과 스마트팜 등 농업 발전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 두 기관은 이번 협약에 따라 양국간의 농업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해외연수 프로그램 공동개발, 정보교류, 농업 ICT 모델화 및 확산사업 등에 관해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계획

복지부, 덴마크 총리 방한을 계기로 보건의료산업 분야에 대한 협력 강화(2016.10)

보건복지부는 2016년 10월 덴마크의 라스무센 총리와 보건분야에서의 협력을 약속. 덴 마크 총리의 방한을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만성질환자에 대한 대처방안, 디지털 보건 의료체계 등 고령화 사회와 관련이 있는 보건 이슈에 대한 발표와 양국간 긴밀한 협조체 계 마련에 대해 논의 이날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덴마크 보건부는 건강보험 분야 정보교류, 품질평가 및 의약 품 가격, 전문기술에 대한 공유, 인력교류, 세미나 개최 등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

132 | 유럽Ⅰ 덴마크

2) 기업 진출 및 협력

덴마크 투자청 IT/Tech 담당, 방한(2017.11)

덴마크 투자청의 크리스텐슨 IT/Tech 담당이 한국을 방문하여 SK 텔레콤, LG 유플러 스, 네이버, 한국사물인터넷협회, 한국투자파트너스 같은 국내 주요 IT 관련 기업 및 벤 처캐피털 회사들과 미팅을 진행 덴 이는 한국 IT 기업과 기관들의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음향 등과 관련된 사업현황 파악 마 뿐만 아니라 향후 이해관계자들 간의 협력 및 협업 분야를 확대해 나가기 위한 목적 크

LS 전선, 덴마크에 초고압 케이블 공급(2017.05)

LS전선의 베트남 생산법인이 LS전선아시아는 덴마크 국영 에너지 회사인 동에너지 (DONG Energy)사에 1,007만 달러(약 113억 원) 규모의 초고압케이블을 공급한다고 밝힘

바이오빌, 스마트팜 사업으로 덴마크 ‘Poshtel’과 협력(2017.09)

바이오빌은 웰빙엔터테인먼드의 주요 사업인 스마트팜 사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 해 덴마크의 컨테이너형 호텔 사업 체인인 ‘Poshtel’을 유치할 계획. 바이오빌은 Poshtel에 제공하는 음식을 모두 스마트팜에서 제조한 안전하고 건강한 음식재료를 제 공할 예정

KT, 공공안전통신 기술 확산을 위해 이네비게이션 컨퍼런스 참석(2017.06)

KT는 제주에서 해양수산부와 덴마크 해사청이 주관하는 차세대 해양안전 컨퍼런스에 에릭슨엘지, AM 텔레콤과 함께 부스를 마련하고 공공안전통신망 기술을 소개. 이번 컨 퍼런스에 참가하는 국내 통신사는 KT가 유일. KT는 초고소해상통신망(LTE-M)을 비롯 하여 공공안전통신망 사업을 수행하면서 개발한 다양한 기술을 선보임

| 13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Ⅱ • • 정보통신방송 품목현황

Overview

2016년 덴마크 정보통신방송 주요지표 (단위: 천 명 / 천 회선 / 천 가구, 2016년 기준)

지표 덴마크 보급률(%) 한국 보급률(%)

유선통신 가입회선 1,557 27.40% 28,036 56.10 이동통신 가입자 6,985 122.89% 61,295 122.65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2,430 42.75% 20,556 41.13 TV 보급대수 2,510 97.0% 18,310 97.5 케이블 TV 가입가구 1,393 55.5% 7,397 40.4 위성 TV 가입가구 149 5.9% 2,280 12.5 지상파 디지털 방송 가입가구 2,470 98.4% 18,237 99.6 IPTV 가입가구 454 18.1% 8,514 46.5

출처: ITU(2017), Digital TV Research(2017)

덴마크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덴마크 IT 서비스 시장 규모: ‘16년 약 285억 달러 시장 동향 ‐ 덴마크 IT 부문 지출 최대 지출은 공공 부문

주요 ‐ 덴마크를 비롯한 북유럽 4개국, 소프트웨어 개발자 부족현상 지속 소프트웨어 사업자

‐ 덴마크 인터넷 사용자 비율 세계 최고 수준 시장 동향 ‐ 주요 포털 및 검색 사이트, 글로벌 인터넷 기업 위주 ‐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세: ‘16년 약 170억 달러 수준

주요 ‐ Google, Apple에 이어 덴마크에 데이터 센터 건립 예정 인터넷서비스 사업자

‐ 이동통신 가입자 수 : ‘16년 698만 회선, 122.9%(ITU, 2017) 시장 동향 ‐ 브로드밴드 보급률 : ‘16년 약 243만 회선, 42.8%(ITU, 2017)

‐ TDC: Huawei와 협력으로 광네트워크 개선 주요 ‐ Telia와 Telenor; Nokia에 네트워크 사업 위탁 사업자 통신 ‐ TDC: 5개 사모펀드 컨소시엄에 매각 제의

134 | 유럽Ⅰ 덴마크

Overview

덴마크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덴마크 인터넷 이용률 : '16년 약 97%(ITU, 2017)) 시장 동향 ‐ 덴마크 디지털 콘텐츠 시장 매출 '20년 약 7억 2,530만 달러 전망 ‐ 디지털 음악 시장, 전체 음악시장 매출의 79.4% 차지

주요 ‐ YouTube: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 보임 디지털콘텐츠 사업자 덴 마 크

‐ 덴마크 방송 플랫폼에 대한 플랫폼 형태와 상관없이 규제는 동일하나 콘텐츠에 대한 규제는 수파수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제한 없음 시장 동향 ‐ 방송시장은 공영방송인 DR과 상업방송인 TV2가 가장 높은 점유율 ‐ IPTV 보급률; '16년 현재 약 18.1%

주요 ‐ 젊은층을 중심으로 기존의 일반적인 공영방송 시청률은 하락하면서 VOD 서비 방송스마트미디어 사업자 스 시장 확대

‐ 덴마크, ‘18년 새로운 사이버 보안 전략 발표 예정 시장 동향 ‐ 러시아의 사이버 위협에 대응, 스웨덴과 국방부문 사이버 협력 강화

‐ 덴마크, 디지털 뱅킹 확대와 더불어 카드 사기도 증가 주요 ‐ 덴마크 Nordic Financial CERT 설립으로 은행, 보험, 연기금 등과 협업 예정 사업자 정보보호 ‐ 덴마크 해운회사 절반 이상이 사이버 범죄 공격 받음

‐ 산업계와 기업계의 협업으로 MADE 설립과 함께 산업용 로봇 및 3D 관련 기술 개발 추진 시장 동향 ‐ 드론 시장 확대와 정부의 정책적 지원 확대 ‐ 스마트 헬스케어 추진에 따라 원격진료 실행 예정

주요 ‐ 유니버설 로봇; 경량 협업 로봇 개발로 연평균 75% 성장 IT스마트융합 사업자 ‐ 코펜하겐 대학, 3D 기술로 병원 내 환자 맞춤형 식사 제작 연구

| 13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 소프트웨어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6년 덴마크 IT 부문 시장 규모, 1,724억 6,400만 크로네(약 285억 3,408만 달러)

덴마크 통계청에 따르면 정보통신 부문 매출은 IT 개발 부문, 소프트웨어 부문, 소프트 웨어 컨설팅 부문이 큰 부문을 차지하면서, 2016년 총 매출은 약 1,724억 6,400만 크 로네로 2015년의 1,694억 1,400만 크로네(약 280억 달러)대비 약 1.8% 성장한 것으로 나타남

그림 2.1 덴마크 IT 시장 매출규모 및 성장률 (단위 : 백만 크로네, %)

출처 : 덴마크 통계청

덴마크 공공부문, IT 지출 최대 소비자

덴마크 IT 부문 지출을 보면 공공부문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며 총 지출의 약 25~30% 를 차지하고 있으며, 금융부문이 15%, 제조업 15%, 도매 및 소매가 10%, 나머지 부문 이 약 20~35%를 차지함 향후, 덴마크 정부의 ICT 전략과 복지부문의 의료서비스를 네트워크화 할 예정이어서 의 료부문의 IT 지출과 아웃소싱의 발전에 따른 데이터 센터 부분의 성장이 예상되고 있음

136 | 유럽Ⅰ 덴마크

2) 주요 기업 현황

덴마크를 비롯한 북유럽 4국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부족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등 북유럽 국가들은 최근 외국인 투자가 확대되고 있 으며, 성장 촉진을 위한 정부정책으로 기술 개발자들의 인력이 크게 부족할 전망 노동시장 분석에 관한 지수인 Hays Skill Index 2016에 따르면, 고급 노동력 수요와 공 덴 급이 심각한 불일치를 보인다고 지적. 덴마크는 2030년까지 약 1만 9,000여 명의 IT 전 마 문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측 크 이와 더불어 덴마크에는 IBM, Microsoft, Uber 등 수많은 글로벌 대기업들이 R&D 시 설을 설립하거나 확정하고 있기 때문에 상황은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힘

| 13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인터넷서비스

1) 시장 동향 및 전망

주요 검색 엔진 및 포털 사이트

덴마크 인터넷 사용자는 약 550만 명으로 약 98% 정도의 보급률을 보이고 있음. 덴마크 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인터넷 웹사이트는 Google, YouTube, Facebook 등 글로벌 서비스 업체들임

표 2.1 덴마크 Top 10 웹사이트(2018.1) 순위 사업자명 웹사이트 설명

1 Google.dk 검색엔진 2 Youtube.com 오락 서비스 3 Facebook.com 소셜 네트워크 4 Google.com 검색엔진 5 Reddit.com 소셜 뉴스 서비스 6 Wikipedia.ort 인터넷 백과사전 7 Twitch.tv 온라인 방송 8 Dr.dk 뉴스 및 방소 포털 9 Live.com 검색엔진 10 netflix.com 스트리밍 서비스 출처: Alexa(2018.01)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세

덴마크의 2016년 전자상거래 매출은 약 1,030억 크로네(약 170억 달러) 규모로 전체 소매 매출의 약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됨. 이중 모바일 거래는 전체 전자상거래액 의 약 2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전자상거래 규모는 정부의 강력한 디지털 정책에 따라 향후 매년 약 16% 정도씩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138 | 유럽Ⅰ 덴마크

그림 2.2 덴마크 전자상거래 규모 (단위: 십억 크로네)

덴 마 크

출처: E-COMMERCE DENMARK 2013-2016

덴마크 전자상거래 형태를 보면, 약 80%의 국민이 1인당 연간 약 16,000 크로네 정도 를 지출하고 있으며, 그 중 31%는 국외 쇼핑몰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 13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동향

Google 데이터 센터 신설 계획

2017년 7월 Apple이 데이터 센터를 건립한 인근에 Google도 데이터 센터 건립을 위한 부지를 매입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 Apple은 데이터 센터를 짓기 위해 약 9억 5,000만 달러를 지출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으며, 동 데이터 센터는 2019년부터 운영을 시작할 예정 Apple에 이어 Google도 덴마크에 데이터센터를 건립하게 된다면, 이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큰 데이터 센터를 보유하는 곳 중의 하나가 될 전망. 덴마크의 에너지 장관은 덴마 크가 유럽 내에서 가장 낮은 전력 가격과 친환경적인 에너지, 그리고 전력 공급의 안정성 을 보이고 있는 점이 데이터 센터 건립을 유치할 수 있게 된 이유라고 설명 한편 Apple과 Google 이외에도 재생가능 에너지 이용과 낮은 에너지 가격을 이용하려 는 회사들이 덴마크에 데이터 센터를 건립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임. 그 중에 Facebook도 미국 이외에 덴마크에 세 번째 데이터 센터를 건립할 예정인 것으로 보도됨

140 | 유럽Ⅰ 덴마크

3. 통신

1) 시장 동향 및 전망

이동통신

ITU 보고서에 의하면 덴마크의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2016년 698만 5,000명 정도로 덴 보급률은 약 122.9%를 기록. 이는 2012년 보급률에서 역대 최고를 기록한 후 점차 하 마 크 락하는 추세

그림 2.3 덴마크 이동통신 가입자 수 및 가입률 변동 추이 (단위 : 천명, %)

출처 : ITU(2017)

TDC, 시장 점유율 부동의 1위 고수

덴마크의 현지 이동 통신사인 TDC는 2016년 시장 점유율 39%로 꾸준히 점유율 1위를 고수하여 왔으며, Telenor Denmark, Telia, H3가 그 뒤를 따르고 있음 위의 주요 사업자 외에도 소수의 MVNO 사업자 및 재판매업자가 존재. 2006년 주요한 사업자 중의 하나였던 Telmore를 TDC가 인수하였고, Telia는 2007년 초에 debitel 인수를 통해 저가형 부문에 진출하였음. Telia와 Telenor는 LTE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합 작사인 TT-Netværket을 운영 중

| 14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2.4 덴마크 이동통신 사업자 시장 점유율(2016) (단위 : %)

출처 : BuddeComm(2017)

브로드밴드

덴마크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광대역 보급률을 가진 국가 중의 하나이며, 광대역의 커버 리지를 높이기 위해 강력한 정책을 추진. 2020년까지 전국 모든 지역에서 100Mb/s 속 도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며, 1Gb/s의 FTTP 서비스를 광범위하게 제공하도록 노력 할 예정. 주요 통신사 외에도 전력회사들의 네트워크에 대한 투자를 지속되고 있으며, 이 들의 투자는 광섬유 인프라 및 모바일 브로드밴드에 집중되고 있음 ITU 자료에 의하면 2016년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는 243만 회선에 이르고 있으며, 보급 률은 42.8%를 보이고 있음. 이는 2015년의 240만 회선에 비해 약 1% 정도 증가한 것임

그림 2.5 덴마크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변동 추이 (단위 : 천명, %)

출처 : ITU(2017)

142 | 유럽Ⅰ 덴마크

모바일 브로드밴드 성장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의 양은 2006년 이후 그게 증가하였으며, 가입자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 2016년 현재 모든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77%는 LTE 네트워 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덴마크 정부도 2007년 이후 모바일 데이터 통신에 대한 개발을 언급

덴 그림 2.6 덴마크 모바일 브로드밴드 가입자 변동 추이 (단위 : 천명, %) 마 크

출처 : BuddecComm(2017)

| 14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TDC, 광네트워크 서비스 확대 발전

2010년 2.5GHz 주파수를 할당 받은 TDC는 코펜 TDC 그룹 하겐 등 덴마크의 6개 도시에서 LTE 서비스를 시작. Ericsson은 TDC와 LTE 장비 공급에 관한 계약을 체결 2016년 1월 덴마크 최대 통신사인 TDC는 Huawei 홈페이지 www.comba-telecom.com 와 TDC 광네트워크를 개선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 설립 1882 했다고 밝힘. 이번 개선 작업은 2017년 말까지 진행 대표자 Pernille Erenbjerg 될 것이며, 브로드밴드의 속도를 1Gb/s로 업그레이 업종 통신업, 네트워크사업 등 드할 계획 2016년 6월 1Gb/s 서비스를 시험하였으며, 이번 업그레이드로 TDC는 덴마크에서 기 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첫 번째 통신 사업자가가 될 것임

Telia와 Telenor, Nokia에게 네트워크 사업 위탁(2017.08)

Telia와 Telenor는 덴마크에서의 모바일 네트워크 사업을 위탁하기 위해 Nokia와 계 약을 맺고 기존 약 4,000여 곳의 모바일 사이트를 Nokia에게 이전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으로 Nokia는 네트워크 수용 능력을 확대하고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할 예정

144 | 유럽Ⅰ 덴마크

4. 디지털콘텐츠

1) 시장 동향 및 전망

덴마크 인터넷 이용률, 2016년 96.97% 기록

ITU에 따르면 2016년 덴마크의 인터넷 이용률은 전체 인구의 약 97%로 세계 최고 수준 덴 인 것으로 나타남. 유럽 내에서도 두 번째로 높은 광대역 보급률과 2016년 말 전국적인 마 크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통해 세계적인 인터넷 이용률을 달성

표 2.2 덴마크 인터넷 이용률 추이 연도 2001 2005 2009 2013 2016

이용률(%) 42.96 82.74 86.84 94.63 96.97 출처 : ITU(2017)

덴마크, 2020년 디지털 콘텐츠 매출 7억 2,530만 달러 전망

Statista 자료에 의하면 덴마크의 디지털 콘텐츠 시장은 매년 5~7%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2017년 약 5억 7,480만 달러에서 2022년 7억 2,530만 달러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 가장 큰 시장은 VOD 매출로 2017년 3억 3,421만 달러에서 2018년 3억 5,290만 달 러, 2022년 3억 9,680만 달러로 증가 예상

표 2.3 덴마크 디지털 콘텐츠 시장 전망 구분 2017년 2018년 2022년

VOD 334.2 352.9 396.8 Digital Music 91.0 96.6 118.7 Video Games 100.3 108.5 140.1 e-Publishing 49.3 53.9 69.7 계 574.8 611.9 725.3 출처: Statista

디지털 음악

덴마크의 디지털 음악 시장에 대한 IFPI Denmark(국제음반산업협회 덴마크지부)의 보 고서에 의하면, 2016년 덴마크 음악산업은 총 매출이 전년대비 9% 증가한 4억 9,400만

| 14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크로네(약 7,080만 달러)를 기록하였고, 이 중에서 스트리밍 서비스에 의한 매출은 약 3 억 9,200만 크로네를 기록해, 전체 음악 시장 매출의 79.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남 이는 전년에 비해 약 21.3%가 증가한 수치로 스트리밍이 증가하면서 다운로드 매출은 15% 감소하였고, CD 판매 수익은 49.7% 감소했음

그림 2.7 덴마크 음악시장 스트리밍 서비스 매출 비중

출처: IFPI Denmark(2017)

YouTube,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가장 많이 선택되는 애플리케이션

IFPI Denmark 조사에 의하면 YouTube는 덴마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음악 스트 리밍 서비스로 나타났는데,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16세 이상 성인의 약 59%는 YouTube를 통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YouTube는 음반회사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비용에 약 1,100만 크로네를 지급 한 것으로 나타나, 나머지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 Spotify, YouSee, Apple Music이 3 억 8,100만 크로네를 지급한 것과 대비되어 덴마크 음반시장에서 논란이 되고 있음

그림 2.8 덴마크 음악시장 스트리밍 서비스 Top 5 업체

출처: IFPI Denmark(2017)

146 | 유럽Ⅰ 덴마크

5. 방송스마트미디어

1) 시장 동향 및 전망

방송 규제

덴마크 방송산업은 방송법(Radio and Television Act, 2014)과 저작권법에 따라 규제 덴 를 받고 있음. 방송법은 일반적인 방송과 다른 전자 매체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규제 마 크 방송 플팻폼에 대해서는 동일한 규제를 하고 있으나, 콘텐츠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방송 과 VOD의 규제가 다름. VOD의 경우 충분히 고지한다면 청소년에 유해한 방송 콘텐츠 의 경우 규제하지 않지만, 일반적인 방송의 경우 이러한 콘텐츠를 방송할 수 없음. 따라 서 콘텐츠나 광고에 대해서는 전통적인 플랫폼을 통하지 않는다면 방송법이 아닌 전자상 거래법이나 마케팅에 관한 법률에 의해 규제를 받음

표 2.4 덴마크 방송 라이선스 구분 방송 라이선스 등록사항 규제 및 의무

 방송 라이선스는 단일의  RTB 입찰 Gatekeeper 에게 주어짐 전통적인 플랫폼 또는 방송 라이선스  DEA 의 주파수 라이선스  독립적으로 제작되는 뉴스의 연간 주파수 사용 플랫폼 도 획득해야 함 시간 , 프러덕션의 일정부분은 스 칸디나비안 소유 기타 전자 매체 /케이블 불필요 RTB 등록  콘텐츠에 대한 규제 없음 /위성 방송 출처: ICLG

방송사

덴마크 방송 시장에서는 기존 DR(Denmark Radio) DR(Danish Broadcasting Corp.) 와 TV2의 공영 방송사가 운영하는 공공 채널이 평균 절반 이상의 시청률을 보이고 있음. DR은 공영 방송 사로서 광고를 내보내지 않고, TV2는 광고를 내보내 는 상업 방송사임. 이 두 회사 외에도 Discovery 홈페이지 https://www.dr.dk 설립 1925 Communication, Disney, MTB Network 등 다양 Maria Rørbye 대표자 한 해외 채널이 있으며, 이들은 공공 서비스 의무를 Rønn(사무총장) 업종 국영 TV, 라디오 등 지지 않음

| 14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2.9 덴마크 방송 채널 점유율 추이

출처: Nordicom(2017)

IPTV

덴마크의 IPTV 보급은 케이블 TV 가입자에 비해 그 숫자는 적지만 매년 약 5% 이상 늘 어나고 있으며, 2016년 현재 약 45만 4,000 가입자를 확보해 TV 보급 가구의 약 18.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2.10 덴마크 IPTV 가입자 수 및 보급률 (단위: 천명, %)

출처: Digital TV Research(2017)

148 | 유럽Ⅰ 덴마크

스트리밍 서비스

덴마크에서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방식의 TV 시청시간은 꾸준히 감소하는 하 면, VOD 서비스, 특히 스트리밍 서비스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 중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트리밍 서비스는 YouTube로 2015년에 이어 2016년에도 주간단위로 거의 48%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음

덴 그림 2.11 덴마크 방송 스트리밍 서비스 톱 5 마 크

출처 : Nordicom(2017)

| 14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6. 정보보호

1) 시장 동향 및 전망

덴마크, 새로운 사이버보안 전략 발표 예정

2014년 사이버 보안 전략을 발표하여 체계적인 사이버 보안에 관한 정책을 마련했던 덴 마크는 향후 2018~2020년간 적용할 새로운 사이버 보안 전략을 2018년 초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힘 새로운 전략은 디지털청(Agency for Digitalization) 주도로 작성되고 있으며, 전 공공 분야에 걸친 유연한 정보보안체계 마련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이와 관련 덴마크 정부는 추가로 1억 크로네를 사이버 보안 전략에 추가로 투입할 예정 한편 덴마크의 사이버보안 담당기관은 국방정보본부(Defense Intelligence Service)의 산하기관으로 2012년 설립된 사이버보안센터(Center for Cyber Security)로 2014년 GovCert와 통합됨. 내부에 통신부문, 네트워크 부문, 정책부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또한 사이버 범죄 관련하여서는 경찰청의 국가 사이버범죄 수사국(National Cyber Crime Center)에서 담당

그림 2.12 덴마크 사이버 보안 센터 조직 구조

출처: Center for Cyber Security

덴마크 국방부, 사이버 위협에 대응 스웨덴과 협력 강화

2017년 4월, 덴마크의 사이버보안센터 보고서에 의하면 덴마크 국방부와 외무부에서 2015년 이후 여러 건의 사이버 공격이 있었으며, 이러한 사이버 스파이 활동은 러시아 정부와 연결되어 있음을 비난. 그러나 이러한 사이버 스파이 활동으로 일부 피해를 입었

150 | 유럽Ⅰ 덴마크

지만, 심각한 기밀정보 유출은 없다면서 덴마크 내 사이버 보안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 이와 관련 2017년 8월 양국의 국방장관들은 러시아의 작전에 대응하기 위해 양국 간 군 사 사이버 보안에 대한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힘

2) 주요 기업 현황 덴 마 덴마크, 디지털 뱅킹 급증과 함께 카드 사기 증가 크 덴마크는 디지털 뱅킹 시스템이 잘 되어 있는 북유럽 국가 중의 하나이면서 이와 동시에 사이버 범죄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 최근 데이터에 의하면 2016년 신용카드 사기가 거 의 60%나 급증하였다고 밝힘 덴마크 경찰 데이터에 의하면 2016년 카드 사기로 약 1억 500만 크로네(약 1,800만 달 러)의 손실이 발생하였고, 온라인 사기는 2009년에 비해 2016년에는 300% 증가한 것 으로 나타났다고 밝힘

덴마크 Danske Bank, Nordic Financial CERT 덴마크의 은행, 보험, 연금, 데이터 센터 등 협업 지원

덴마크의 Danske Bank, DnB, 노르웨이 Nordea 은행이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2017년 4월 설립한 Nordic Financial CERT와 덴마크의 금융기관들을 초대하여 사이 버 공격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이번 모임을 계기로 향후 공식적인 협회를 설립하여 2017년 여름 Nordic Financial CERT 정식 회원으로 가입하는 절차를 가지게 될 것으로 예상

덴마크 해운회사 중 절반 이상이 사이버 범죄 공격을 받음

Seatrade Maritime News는 해운회사 경영진들에 대한 해운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덴 마크 해운회사 대다수(69%)가 사이버 범죄로 공격을 받았다고 밝힘 이에 대비하기 위해 결과적으로 덴마크의 해운사들은 2018년 IT 관련 예산을 증가시킨 바 있다고 밝힘. 계속 성장하는 해운산업 부문에서 오래된 선박의 연결 능력 증대시키고 사이버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장비를 갖추기 위해서 IOT 기술을 이용하고자 함

| 15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7. IT스마트융합

1) 시장동향 및 전망

산업용 로봇 기술과 3D 기술

덴마크가 4차 산업 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민간 산업계와 연구기관 네트워크 주도로 MADE(Manufacturing Academy of Denmark)를 설립한 이후 중소기업에 맞춤형의 기술을 개발하고 공유하는 시스템을 전개 이 시스템에서는 특히 로복 기술과 3D 관련 기술 개발을 중점적으로 개발하고 있음. 이 는 덴마크의 산업 특성상 조선관련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면서 스마트 로봇과 로봇 소프 트웨어 개발에 힘을 쏟고 있음. 결과적으로 자동차 제조국을 제외하면 로봇 밀집도가 전 세계에서 최고 수준을 달성할 전망 덴마크 정부는 중소기업들의 3D 프린팅 기술 개발과 지원을 위해 2017년 DTI(Danish Technological Institute) 내 3D 프린팅 센터를 개소하여, 금속 물질 관련 기술 활용 확대를 추진

표 2.5 덴마크 MADE 추진 주요 프로젝트 현황 분야 프로젝트명 세부내용 관련기업 수행대학완료예정 ‐ 로봇 손이 집어 올릭 쉽게 로봇손에 닿는 접촉 Tema(방산), Cheaper 점(Feeding Part)을 용이하게 하는 프로젝트 Danish 2017. Feeding SDU ‐ 로봇 손 활용 영역을 제조업 전반으로 확대하 Crown(도축업·육가 9. 1 for Robots 기 위한 프로젝트 동), Danfoss(펌프) ‐ 중소기업이 생산라인에 사용할 수 있는 로봇을 Robot 고를 수 있도록 로봇 손, 피더(로봇 손이 닿는 Aalborg 2017. None Library 접촉점), 센서, 캐처(로봇 손에서 실제로 잡는 Univ. 9. 1 로봇 부분) 등을 개발해 라이브러리화하는 프로젝트 ‐ 도실장(Slaughter House) 조명에서도 사용 2017. Light Project Danish Crown DTU 가능한 로봇 시스템 개발 11. 1 Mului Function ‐ 다양한 작업에 사용될 수 있도록 로봇이 보다 2018. RoboTools SDU Sensors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센서 개발 9. 30 ‐ 육류를 집어 올려 가장 적합하게 처리할 수 있 Gripa(로봇), Simulation 는 방식을 계산하는 로봇 개발(아무런 자국이 2018. Tema, Danish DTU Tools 남지 않게 추운 환경에서도 작업할 수 있는 것 12. 31 Crown 이 관건) ‐ 500sq 이상의 윈드밀 블레이드 3D 스캔 프로 Siemens Quality 젝트 2018. 3D Wind Power DTU Control ‐ 블레이드 표면에 구멍을 비롯해 아무런 이상이 1 .15 (풍력터빈) 없도록 하기 위한 프로젝트 출처: MADE

152 | 유럽Ⅰ 덴마크

덴마크, 인공지능을 통한 기업경영 기술 개발

덴마크 응용인공지능센터(DCAKI) 산하의 Alexandra Institute가 2017년 11월 개소 한 가운데, 덴마크에서는 인공지능을 통해 기업들이 고객이탈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는 지원 기술을 개발할 예정 Alexandra Institute는 산업계의 요구에 초점을 맞추고 덴마크가 세계 최고의 AI 기술 국가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목표를 설정. 이를 위해 산업계의 요구사항에 적극 대 덴 응하여 덴마크 기업들이 데이터 중심의 경영 조직으로 변모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 마 전문가와 협업할 수 있는 방안에 도움을 주고자 함 크

덴마크, 드론 시장 확대와 정책적 지원

덴마크의 고등교육과학부는 드론시장의 잠재력에 주목하여 전문가용 드론 산업 육성을 위한 6가지 목표를 제시하고, 정부 각 부처는 실행을 위한 이니셔티브를 실행 6가지 목표는 ▲R&D 강화 ▲테스트시설 확충 ▲공공부문 내 드론의 상용 확대 및 장려 ▲드론 개발 및 활용에 대한 교육 강화 ▲국제 표준화 작업에의 참여 강화 ▲덴마크 전문 가용 드론 연구의 국제화 추진 등임 한편 덴마크 내 드론 시장은 확대되고 있지만, 제조기반 시설이 없어 현재까지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완구용 드론의 경우,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전문가용 드론의 경우, 미국에서의 주로 수입하고 있음

스마트 헬스케어

덴마크 정부는 디지털 기술을 통한 노인 복지 확대를 위해 스마트 헬스케어를 디지털 전 략의 일환으로 추진 중임 고령화로 인해 늘어나는 예산 부담, 치료비용의 증가, 환자의 병원에 대한 기대 수준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덴마크 정부는 보건 관련 IT 인프라와 대형 헬스케어 병원에 약 25억 유로를 투자하여 스마트 헬스케어 환경을 조성해 나가고 있음 특히 디지털 복지의 추진으로 ICT 기술을 이용하는 원격진료 시스템을 실천하기 위해 총 1,100만 유로의 국가 예산을 투입한 바 있으며, 2019년부터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원격진료를 시행할 예정

| 15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Universal Robots, 연평균 75% 성장

오덴세에 위치한 SDU(South Denmark University)에 세계 최대 선사인 Maersk사가 1,200만 달러를 기부하여 대학 내 MMMI(Maersk Mc-Kinney Moller Institute)를 설 립하여 로봇 전문가 과정을 개설했음. 이곳에서 교육 받은 3인이 Universal Robots社 를 설립하여 경량협업 로봇(cobot; collaborative robot)을 개발했음. 대기업뿐만 아니 라 중소기업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로봇을 제작·판매해 인기가 높음 2008년에 덴마크 정부의 성장기금을 투자 받아 급속히 성장하기 시작했고, 2010년 이 후 전 세계를 대상으로 로봇 판매를 개시함. 2015년에는 미국 Teradyne社에 매각되었 지만, 생산시설은 덴마크에 남겨놓음. 2017년 6월 기준으로 연평균 약 75%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2016년 매출은 약 9,447만 달러를 기록

코펜하겐 대학, 3D 프린팅 기술로 환자음식 제조 개발추진

코펜하겐 대학의 식품과학부는 3D 주방 기술을 사용하여 추방에서 환자별 맞춤 식사 제 작을 연구 중이라고 밝힘 주문형 식사는 환자의 필요한 영양 및 에너지 함량을 정확하게 맞추면서도 맛에 대해서 도 맞춤형으로 조리가 가능할 전망

154 | 유럽Ⅰ 덴마크

Ⅲ • • 유망제품 진출전략

Overview

유망품목 도출

유망품목 선정 - ‘IT스마트융합’

‐ 선정 사유 1. 덴마크 ICT 인프라 환경 성장 가속화  2016년 덴마크 인터넷 이용률은 21.9%로 2013년 대비 9.4%p 증가하였으며, 덴마크 정부는 ICT 산업을 집중 적으로 육성할 계획임 ‐ 선정 사유 2. IT융합 산업 발전 가능성 高 덴  덴마크 IT 산업은 이제 발전하는 초기 단계로 IT 산업 자체에 진출하기에는 시장이 작음. 따라서 덴마크 內 유망 마 산업을 파악한 후 이와 연계한 IT융합 산업에 진출할 필요가 있음 크 ‐ 선정 사유 3. 덴마크 수자원 발전, 정부의 집중적 투자 예상  덴마크는 연평균 4,343㎥의 높은 강수량을 보이고 있고, 4,020km에 달하는 메콩강 유역의 36%(1,463km)가 덴마크를 통과

유망제품 선정

‐ 스마트 워터 그리드  냉난방수자원 생산 및 분배 시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ICT 기술을 접목한 첨단 수자원 관리 인프라 시스템임 ‐ 스마트 워터 미터  스마트 워터 미터는 사용한 누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물의 양을 측정하여 물 부족 및 낭비를 방지하고자 함 ‐ 물 재난 정보 시스템  실시간 데이터 축적 및 물 재난 예측모형 등을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질오염 및 가뭄을 대비할 수 있음

유망제품 유통구조 현지 진출 기업 사례

수출기업

한국 정부기관 현지 건설업체 SI업체 ‐ 한국전력, 덴마크 전력공사(EDL)와 기술 전수 및 변전소 현대화 사업을 위한 양해 각서(MOU) 체결 ‐ 서부발전, 인니· 덴마크를 성장거점으로 최종수요처(정부기관, 건설업체 등) ‐ 한국 정부기관, 현지 건설업체, SI업체를 통해 최종 수요처에 전달 가능 ‐ 최종 수요처 : 정부기관, 건설업체 등

유망제품 홍보 방법

‐ 덴마크 ICT Expo 2018 참가 ‐ Laobuild 2018 참가 ‐ 정부 지원 프로그램 참가 ‐ 태국, 베트남 등 주변국 박람회 참가

| 15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 유망품목 도출

선정 사유 1. 덴마크 ICT 인프라 환경 성장 가속화 ITU의 자료에 의하면 2016년 덴마크의 인터넷 이용률은 21.9%임. 이는 2013년 인터 넷 이용률(12.5%)과 비교했을 때 9.4%p 증가한 것으로 단기간 내 급성장을 이뤄냄 또한, 덴마크 정부가 적극적으로 ICT 인프라 구축에 나선 결과 덴마크 내 무선통신 인프 라망이 확대되어 덴마크 전체 인구의 85%가 휴대폰을 사용 중임. 덴마크 정부는 2030 년까지 ICT 산업 발전 및 혁신, 인프라 구축, 정보보안 강화 등을 목표로 ICT 산업을 집 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임

선정 사유 2. IT융합 산업 발전 가능성 高 덴마크 IT 산업은 직접 제조 및 개발하기 보다는 해외로부터 수입하는 경우가 많음. 특 히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부문에서 중국의 의존도가 높은 편임 또한, 덴마크 IT 산업은 이제 발전하기 시작한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IT 산업 자체에 진 출하기에는 시장이 작음. 따라서 덴마크 內 유망 산업을 파악한 후 이와 연계한 IT융합 산업에 진출할 필요가 있음. 특히 중국, 태국, 베트남 등 덴마크 인접 국가가 진출하지 않 은 산업을 발굴한다면 초기 시장을 선점할 수 있음

선정 사유 3. 덴마크 수자원 발전, 정부의 집중적 투자 예상 덴마크는 연평균 4,343㎥의 높은 강수량을 보이고 있고, 4,020km에 달하는 메콩강 유 역의 36%(1,463km)가 덴마크를 통과하고 있어 구릉성 지대를 이용한 수력발전이 국가 핵심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음 덴마크에서 생산되는 전력의 3분의 2는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등으로 수출되고 있어 전력산업은 덴마크의 3대 수출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2016년 6월 기준 가동 중인 프로젝트는 31건(설비용량 1,855MW)이며, 건설 중인 프 로젝트는 44건임(설비용량 2,854MW)

그림 3.1 덴마크 수력발전소 현황(2016년 6월 기준)

출처 : KOTRA(2017)

156 | 유럽Ⅰ 덴마크

2. 유망제품 선정

스마트 워터 그리드

➀ 수자원 생산 및 분배 시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ICT 기술을 접목한 첨단 수자원 관리 인프라 시스템임 ➁ 물 수요 및 공급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지역 및 시간적 불균형을 덴 해소하는 역할을 함 마 [ 스마트 워터 그리드 ] 크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차량 스마트 워터 미터

➀ 물 소비량을 관리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주로 가정 내에서 사용됨 ➁ 스마트 워터 미터는 사용한 누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물의 양을 측정하여 물 부족 및 낭비를 방지하고자 함

[ 스마트 워터 미터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물 재난 정보 시스템

➀ ICT 기술을 적용하여 사전 모니터링 및 조기 예방 조치를 취해 물 재난의 피해를 최소화함 ➁ 실시간 데이터 축적 및 물 재난 예측모형 등을 기반으로 운영되며, 수질오염 및 가뭄을 대비할 수 있음 [ 물 재난 정보 시스템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 15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3. 유망제품 유통구조

덴마크 내 수자원 관리 시스템을 수출하기 위한 경로를 파악함. 주요 유통 경로는 크게 ①우리나라 정부기관과의 협력, ②현지 건설업체와 파트너쉽을 체결하여 정부기관 입찰 참여, ③SI업체를 통해 제품 공급하는 경우가 존재함 덴마크의 수자원 관리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대부분 해 외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임. 중국, 태국, 베트남 등 덴마크의 수입 의존국보다 우리나라 의 소프트웨어 품질 및 기술이 뛰어나기 때문에 이를 강점으로 내세워 해당 시장을 공략 한다면 충분히 승산 있을 것으로 보임 그러나 수자원 관리 시스템 자체가 댐 건설과 같은 인프라 구축 시 필요한 솔루션으로 직 접 진출보다 우리나라 정부기관을 통해 덴마크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현지 건설업체 또 는 SI 업체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현지 업체를 통해 진출할 수 있음 최종 수요처는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덴마크 정부기관 또는 현지 건설업체가 될 수 있으 며, 덴마크 정부가 수력발전 산업에 투자를 늘리고 있어 덴마크 정부의 수요가 향후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그림 3.2 덴마크 수자원 관리 시스템 유통구조

수출기업

한국 정부기관 현지 건설업체 SI업체

최종수요처(정부기관, 건설업체 등)

158 | 유럽Ⅰ 덴마크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한국전력, 덴마크 전력공사(EDL)와 양해각서 체결

2017년 7월 한국전력은 덴마크 전력공사(EDL)와 기술전수 및 변전소 현대화 사업을 위 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함 덴마크전력공사는 한국전력과의 MOU 체결을 계기로 변전소 GIS화는 물론 변전소 자동 덴 마 화시스템 구축을 통해 국내 송변전 기자재 업체 동반진출 효과도 기대하고 있음 크 또한, 덴마크 기술진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변전소 운영과 관련 선진 전력기술 전파 계 획에 있음. 덴마크전력공사 기술진에게 국내연수 기회를 제공하고, 한전 변전소에서 철 거한 노후기자재를 활용해 변전설비 교육관 구축을 지원할 계획 향후 덴마크 노후변전소 현대화사업 타당성 조사도 함께 시행하기로 하는 등 상생협력 모델을 구축해 나갈 예정

서부발전, 인니· 덴마크를 성장거점으로

한국 서부발전은 현재 인도네시아 덴마크 사우디 인도 등 4개국에서 약 2300MW의 발 전설비를 건설·운영 중. 그동안 구축한 현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인도네시아와 덴마크를 성장거점지역으로 삼아 본격적으로 해외 발전사업에 진출 할 방침임 덴마크에서는 팍세지역에 건설 중인 수력발전소(410MW)의 성공사례를 기반으로 메콩 강 본류의 대규모 신규 수력사업(728MW)을 확대 추진 중에 있음

그림 3.3 덴마크 세남노이 수력발전소 건설현장

출처 : 내일신문(2017)

| 15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정부 지원 프로그램 참가

제품 특성 상 덴마크 현지에 직접 진출하는 것보다 한국 정부의 지원을 받거나 현지 파트 너사를 발굴하여 간접적으로 진출하는 것이 유리 2017년 11월 한국 외교부는 기획재정부, 국무조정실과 합동으로 덴마크 비엔티안에서 ‘제1차 한-덴마크 ODA통합정책협의회’를 개최해 유·무상 원조사업 현황 및 향후 계획 을 논의함 우리 정부는 덴마크와 기 체결(’16.12)한 국가협력전략(CPS: Country Partnership Strategy)의 일환으로 지원 총액의 70%를 중점협력분야에 투자할 예정인데 그 중 하나 가 물관리 및 에너지 분야임. 따라서 이러한 정부 지원 프로그램에 참가하여 진출할 경 우, 중소기업은 진출 비용 및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임

직·간접적인 홍보 방안 활용 – 현지 및 주변국 박람회 참가

2016년 최초로 개최된 ‘Lao ICT Expo’가 2018년 1월24~28일 개최될 예정임. 동 박 람회는 로컬 ICT 산업과 시장의 성장을 지원하는 덴마크 최대의 광범위한 ICT 전시회, 컨퍼런스 및 서밋임 2017년부터 개최된 ‘Laobuild’ 박람회는 덴마크 첫 건설·건축 박람회로서 2018년에는 6월7~9일 개최 예정임. 향후 수력발전 및 ICT 융합 사업 기회를 탐색해볼 수 있을 것으 로 보임 베트남, 태국 등 메콩강 유역국가 중 덴마크와 사업 기회가 많은 국가에서 개최되는 규모 가 더 큰 박람회를 통해 동반 진출 기회를 탐색해 볼 수도 있음

표 3.1 2018 덴마크 ICT 엑스포 2018 명칭 Laos ICT Expo 2018 2018 덴마크 ICT 엑스포 일시 2018년 1월 24일~28일 (5일 간) 클라우드, 사이버보안, IoT, 스타트업, 산업분야 Organizer : 우정통신부(MPT), 의료기술, 핀테크 등 덴마크ICT무역협회(LICA) 최초개최연도 2016년 TEL : +856 20 5884 8356 참가국 수 - E-MAIL : [email protected] / 주요참가국 - [email protected] 전년도 참가 업체수 120개 참여 기업 Website : www.ictexpo2018.la/ 전년도 참관객수 - 명 출처 : 덴마크 ICT 엑스포 2018

160 | 독일 GERMANY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 162 1. 정책 및 규제 기관 2. 정책 및 규제 3. 산업구조 및 특징 4. 산업 주요 이슈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189 1. 소프트웨어 2. 인터넷서비스 3. 통신 4. 디지털콘텐츠 5. 방송스마트미디어 6. 정보보호 7. 클라우드 컴퓨팅 8. 사물인터넷 9. IT스마트융합 10. 전파위성 11. 디바이스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 219 1. 유망품목 도출 2. 유망제품 선정 3. 유망제품 유통구조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Ⅰ • •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Overview

정보통신방송 주요 기관

연방경제에너지부(BMWi)

‐ 연방경제에너지부(BMWi)의 주요 역할은 독일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 및 경쟁 사회 기반 제공, 고 역할 용창출 및 경제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신기술 및 기술 혁신을 추진하는 것임

조직도

정보통신방송 주요 정책

디지털 어젠다 2014~2017

‐ 독일 연방정부는 경제 및 혁신 정책의 중요한 요소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꼽고 있으며 이를 위해 디지털 어 젠다를 책정함. ‘디지털 어젠다 2014~2017’은 경제에너지부(Economic Affairs and Energy), 내무부 (Interior), 교통디지털인프라부(Transport and Digital Infrastructure) 등 관련 3개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임

첨단기술전략 2020

‐ 독일 정부는 기존 첨단기술전략 2006~2010(High-Tech Strategy, 2006~2010)을 평가하고 향후 10년간 연 방정부 차원의 연구개발 방향을 담은 ‘첨단기술전략 2020(High-Tech Strategy 2020 for Germany)’을 2010년 7월에 추가 발표함 ‐ 첨단기술전략 2020은 전 세계적으로 경제 위기를 겪으며 지식경쟁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기후 변화, 식량 공 급 부족, 한정된 에너지 자원 등에 관한 당면 과제 연구 및 신기술 개발 등을 통해 해결책을 도출한다는 방침임

디지털 독일 2015

‐ 독일 연방정부는 ‘디지털 독일 2015(Digital Germany 2015)’를 새로운 국가정보화 전략으로 제시함 ‐ 디지털 독일 2015의 추진목표는 2013년까지 연방정부의 에너지 소비 40% 감축, 2015년 까지 3만 개의 새로 운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 활성화 및 국가경쟁력 강화를 추진함

162 | 유럽Ⅰ 독일

한국과의 협력 현황

‐ 한·독 경제공동위원회를 통해 상호 호혜적 협력 방안 논의(2017.01) 정부 ‐ 한국블록체인학회, 한·독 블록체인&핀테크 심포지엄 개최(2017.01) ‐ 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독 스마트 제조기술 국제협력행사 개최(2016.11)

‐ 대경대, BMW와 세계 최초 산학협력 MOU(2016.11) 기업 ‐ 부경대 LED센터, 독일 물리기술연과 방폭 분야 기술협력(2016.07) ‐ LG 독일 폭스바겐과 배터리 협력 모색(2016.07)

독 일

| 16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 정책 및 규제 기관

연방경제에너지부(BMWi)

독일 연방경제에너지부(BMWi) 장관 독일의 경제 및 기술, 에너지 총괄부처이며 2002년 10월 프로필 연방경제기술부(Bundesministerium fur Wirtschaft 성명 브리짓 지프리스 und Technologie, BMWi)와 연방사회노동부가 통합되 (Brigitte Zypries) 어, 연방경제노동부(Bundesministerium fur Wirtschaft 직급 장관 und Arbeit, BMWA)가 신설됨 주요경력 및 학력 이후 2005년 11월 기존의 연방경제노동부를 다시 1977 기센대학교 법학 이전 부처로 개편하면서 연방경제 기술부(BMWi)가 2017.01~현재 연방경제에너지부 장관 2014.01~현재 항공우주연구센터 조정관 재발족됨. 2013년 12월 17일 연방경제기술부에서 2005~현재 연방하원 의원 연방경제에너지부로 변경되었으며 새로운 장관도 같 2009 연방법무부 장관 이 임명됨 2002 연방내무부 차관 연방경제에너지부(BMWi)의 주요 역할은 독일 경제 의 지속적인 성장 및 경쟁 사회 기반 제공, 고용창출 및 경제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신기술 및 기술 혁신을 추진하는 것임 재발족 후 전기통신 기술정책과 관련해서는 산업정책 총국(제VI국)에서만 관여하고 있 었으나, 2007년 6월 기술 정책 강화를 목표로 재편이 진행되어 새롭게 기술정책 총국 (제VII국)이 설립됨 재편 이후 산업정책 총국은 전기통신 규제정책 부문을, 기술 정책 총국은 전기통신 기술 정책 부문을 담당하고 있음

그림 1.1 독일 연방경제에너지부(BMWi) 조직도

출처 : 연방경제에너지부

164 | 유럽Ⅰ 독일

연방미디어청(die medienanstalten)

독일의 연방미디어청은 미디어법에 의해 설립된 독립 규제감독기관임. 독일 전국의 총 16개 州 가운데 14개 州에서 주 미디어청을 운영하며, 이들 각 州의 미디어청을 총괄하 고 전국적인 문제에 관한 관리 및 감독을 진행하는 기관임 베를린과 브란덴부르크, 함부르크와 슐레스비히홀슈타인 州는 공동으로 미디어청을 운 영하고 있으며 주요 업무는 민영 방송국 인가, 프로그램 관리 감독 및 디지털화 등 최신 기술 도입 및 보급과 관련한 지원, 시민이 프로그램 제작에 참여하는 오픈 채널 시설 운 영 등을 담당함

표 1.1 연방미디어청 내 조직 및 설명

조직명 설명 독 ‐ 14개 미디어청 법적 고문 대표 첨석 일 미디어청 고문단 회의 ‐ 미디어청 위원의 권익 보호 ‐ 미디어청장단 회의 회장이 미디어청 연합회장 역할 수행 ‐ 각 미디어청의 최고 의사결정자인 청장들의 회의 청장단 회의 ‐ 주간 방송협정에 따른 미디어 정책, 규제 등 의사 결정 ‐ 각 미디어청장과 의사결정위원회장 회의 총회 ‐ 연 2회 개최 인가감독위원회 ‐ 민영 방송 인허가 및 프로그램 감독 청소년 미디어 보호 위원회 ‐ 유해 콘텐츠 규제 담당 ‐ 6명의 방송 및 법률 전문가와 6명의 미디어청 대표가 활동함 미디어집중조사위원회 ‐ 주로 시장 독점에 대한 조사와 규제를 담당함 출처 : 연방교육연구부

그림 1.2 독일 연방경제에너지부 조직도

연방경제에너지부 장관(Sigmar Gabriel)

청소년 미디어 미디어 집중 미디어청 고문단 회의 청장단 회의 총회 인가감독위원회 보호위원회 조사 위원회

기술위원회

출처 : 연방경제에너지부

| 16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정책 및 규제

1) 정책

디지털 어젠더 2014~2017(Digital Agenda 2014~2017)

2014년 8월, 독일 연방정부는 ‘디지털 어젠다 2014~2017(Digital Agenda 2014~2017)’를 새로운 국가정보화 전략으로 의결함 독일 연방정부는 경제 및 혁신 정책의 중요한 요소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꼽고 있 으며 이를 위해 디지털 어젠다를 책정함. ‘디지털 어젠다 2014~2017’은 경제에너지부 (Economic Affairs and Energy), 내무부(Interior), 교통디지털인프라부(Transport and Digital Infrastructure) 등 관련 3개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임

표 1.2 디지털 어젠다 2014~2017 액션 디지털 인프라 디지털 경제와 디지털 일자리 혁신적인 행정 사회의 디지털 환경 조성 교육, 과학, 연구, 문화 및 미디어 사회와 경제에서 보호 및 신뢰 구축 디지털 의제의 유럽 및 국제적 측면

특히 디지털 인프라 측면에서, FTTH와 초고속 이동통신을 활용하여 2018년까지 50Mbps급 이상의 전국적 초고속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함.현재는 독일 가구 중 약 64%만이 50Mbps급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 가능한 상황임. 독일 정부는 디지 털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재원 중 일부는 이동통신 주파수 경매를 통해 확보할 계획임

첨단기술전략 2020(High-Tech Strategy 2020 for Germany)

독일 정부는 기존 첨단기술전략 2006~2010(High-Tech Strategy, 2006~2010)을 평 가하고 향후 10년간 연방정부 차원의 연구개발 방향을 담은 ‘첨단기술전략 2020(High-Tech Strategy 2020 for Germany)’을 2010년 7월에 추가 발표함 첨단기술전략 2020은 전 세계적으로 경제 위기를 겪으며 지식경쟁이 가속화되는 상황 에서 기후 변화, 식량 공급 부족, 한정된 에너지 자원 등에 관한 당면 과제 연구 및 신기

166 | 유럽Ⅰ 독일

술 개발 등을 통해 해결책을 도출한다는 방침임 독일 정부의 첨단기술전략 2020 분야 예산 지출은 2012년 총 48억 6,000만 유로를 기 록, 2011년 45억 4,000만 유로 대비 7% 증가함. 또한, 독일 정부는 첨단기술전략 2020 전략 실행을 위해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약 270억 유로를 소요할 예정이라고 밝힘

표 1.3 첨단기술전략 2020의 10대 미래 프로젝트 예산 편성 내역 프로그램 지원규모

無이산화탄소, 에너지 효율 도시 5억 6,000만 유로 석유 대체용 후속 원자재 개발 5억 7,000만 유로 스마트형 에너지 공급 구조 37억 유로 맞춤형 의료 3억 7,000만 유로 독 질병 예방과 영양 개선을 통한 건강 증진 9,000만 유로 일 고령 인구의 자립도 증진 3억 500만 유로 지속성장 모빌리티 21억 9,000만 유로 인터넷 베이스 경제 관련 서비스 3억 유로 산업 4.0 2억 유로 보안 6,000만 유로 출처 : 연방교육연구부

첨단기술전략 2020 예산은 정부 관할 연방부처의 예산과 특별예산인 에너지 및 기후보 호 펀드(Energie und Klimafonds, EKF) 자금으로 충당함. 첨단기술전략 2020 소요 예산은 정부차원의 교육 및 연구 분야 예산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연방경제기술 부(BMWi) 역시 관련 재정지원의 약 50%를 담당함 에너지 및 기후보호펀드(EKF)의 자금은 탄소배출권 판매 수익에 따라 좌우변동이 큰 편 임. 한편, 독일은 2006년 8월 ‘아이디어・혁신・성장’을 강조하는 첨단기술전략 2006~2010을 수립하고 4년에 걸쳐 성공적으로 수행함 첨단기술전략 2006~2010의 결과로 독일 기업들의 연구개발 관련 투자가 2005 년~2008년 사이 매년 19% 정도 증가하였으며(2008년 기준 74억 유로의 연구개발 투 자액), 同 기간 중 연구인력 또한 33만 3,000명으로 2004년 대비 약 12% 증가한 것으 로 나타남 첨단기술전략 2006~2010에 이어 2010년 7월부터 시행한 첨단기술전략 2020에서는 기존 첨단기술전략의 17대 중점기술개발 분야를 압축하여 총 5대 중점기술개발 분야를 선정하고 이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정책을 제시함

| 16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표 1.4 첨단기술전략 2020의 ‘기후변화・에너지’ 분야 지원 프로그램 프로그램 내용

연방경제기술부(BMWi)에서 주관하는 에너지기술 연구프로그램으로 제6차 에너지기술 연구프로그램 2011년 부터 제6차 프로그램 시작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연방정부 기초연구 및 응용연구의 연계를 중점적으로 관리하며 지속가능한 수자원 프로그램 관리, 자원 및 에너지 효율성 등 글로벌 과제에 대한 연구 지원 재생가능 에너지의 보급 확산 과정에서 Bridge 기술을 활용한 원자력 기술 원자력 기술 경쟁력 제고 프로그램 연구개발 지원 Bridge 기술 연구 기존 화석에서 화학 원료를 추출하는 기술개발 지원 아프리카 기후변화 대응 지원센터 기후변화 대응 기술 이전을 위한 센터 운영 지원 기후 시스템 연구 기후변화 모델링 및 시나리오 연구 지원 대기권 밖에서의 지구 기후변화 지구의 기후변화 상태 측정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지원 관찰 신에너지 개발, 자원절약형 산업공정 개발, 산업계의 새로운 재생가능 바이오경제 프레임워크 프로그램 에너지 개발, 신약 개발, 안정적 식품공급, 재생가능 에너지원 대체 등이 주요 연구 개발 분야에 해당 출처 : 연방교육연구부

표 1.5 첨단기술전략 2020의 ‘보건・영양’ 분야 지원 프로그램 프로그램 내용

신규 보건 연구 2010년부터 지속적으로 연구 지원 맞춤형 의료 연구 환자의 개별 상황에 맞는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구개발 지원 전염성 질환 연구 전염성 질환 연구에 중점을 둔 보건연구센터 설립 및 확대 예방의학 강화 예방의학기술 연구 지원 영양공급 연구 인체와 식품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및 기능성 식품개발 지원 게놈 연구 질병 예방 및 진단, 치료를 위한 게놈 연구 지원 보건 산업 의료기술 및 관련 서비스 개발, 헬스산업 확대에 필요한 연구 지원 노화 연구 노화에 따른 질병 발생 연구 지원 출처 : 연방교육연구부

168 | 표 1.6 첨단기술전략 2020의 ‘이동성’ 분야 지원 프로그램 프로그램 내용

이동성 및 교통기술 연구 전기자동차 도입에 필요한 물류, 교통 시스템 연구 지원 전기자동차 충전 기술, 정보통신(ICT) 기기를 활용한 서비스, 연료전지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 분야 연구개발 지원 차세대 이동성 연구 철도수송 및 물류, 전기자동차 등을 포함한 차세대 이동성 기술 연구 지원 항공기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기체 제조 기술, 대체 연료 개발 등을 항공운송 연구 지원 선박제조기술, 해상운송기술, 해양환경기술, 해상운송 모니터링 기술 등을 해양운송 마스터플랜 연구 포함한 연구 지원 저소음 철도운송 기술 연구 철도 소음 절감을 위한 기술개발 연구 지원

출처 : 연방교육연구부

표 1.7 첨단기술전략 2020의 ‘보안’ 분야 지원 프로그램 프로그램 내용

보안 솔루션 연구 새로운 보안 문화 확대 및 신규 보안 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 지원 보안 당국과 사설 인프라 서비스 업체의 협력을 통한 보안 분야 연구체계 보안 연구 체계 확립 확립 지원 위협요소에 대한 사전 경보체계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 시스템 연구 조기 경보체계 연구 지원 보안기술 시장 경쟁력 강화 연구 보안기술 상품 및 서비스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 지원

출처 : 연방교육연구부

표 1.8 첨단기술전략 2020의 정보통신(ICT) 분야 지원 프로그램 프로그램 내용 초고속 브로드밴드, 디지털 정보 보안 및 교육, 에너지, 이동성에 관한 연방정부 정보통신(ICT) 전략 2010 인텔리전트 네트워크 구축 등의 연구개발 지원 프로젝트 개발 스마트 그리드, 클라우드 컴퓨팅, 새로운 비주얼 기술, 디지털 사회의 보안 IT Summit 등으로 IT Summit 확대 IT 보안 연구 인터넷 범죄 예방, 중요 인프라 보호 등 포함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액션 프로그램 클라우드 컴퓨팅에 관한 모델링, 메커니즘 개발 및 표준화 연구 지원 스마트 그리드 전기자동차와의 연계, 스마트 홈 등 연구 지원 인텔리전트 기기 산업공정용, 의료용, 홈 네트워킹 등에 관한 자동화기기 개발 지원 전자정보 인식 전자식 ID카드 등 정보 인식 기술 개발 지원 임베디드 시스템 국가 로드맵 작성 국가차원의 임베디드 시스템 연구개발 로드맵 작성 지원 커뮤니케이션 인프라 2012년까지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 위성통신 글로벌 수준에 맞는 위성통신 관련 기술 강화 및 개발 지원 정보통신(ICT) 전문인력 양성 대학의 정보통신(ICT) 인력 양성 지원, 해외 유학 및 기술 훈련 지원 인터넷 관련 이슈 인터넷 공간에서의 지적 재산권에 대한 사회, 문화, 법적 이슈 연구 지원 출처 : 연방교육연구부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독일제조 2025 內 정보통신산업 10대 핵심 산업으로 선정

위의 5대 기술개발 분야에 집중 지원하는 동시에 기술혁신 환경 조성을 위한 제도 개선 을 추진함

표 1.9 기술혁신 환경 조성 및 제도 개선’ 주요 내용 구분 내용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에서의 첨단기술 분야 기업가 정신 촉진을 통하여 창업기업을 위한 환경개선 창업을 활성화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제고를 위하여 공공 연구기관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중소기업 R&D 지원 R&D 투자를 확대 기술혁신 단계에서의 자금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 개선 및 벤처캐피탈 벤처캐피탈 등 혁신금융 강화 활성화 민간 기술혁신 촉진 및 확산, 시장창출을 위하여 기술혁신 제품의 공공구매 표준화 확대 민간 기술혁신 촉진 및 확산, 시장창출을 위하여 기술혁신 제품의 공공구매 기술혁신 제품 중심 공공구매 확대 직업교육 및 훈련 기회를 확대하여 국가 전체의 노동 역량제고를 위한 전문 최고 수준의 인력양성 인력 양성 추진 출처 : 연망교육연구부

한편, 연방경제기술부(BMWi)는 첨단기술전략 2020의 일환으로 총 10개 프로젝트를 진 행한다고 밝혔으며, 2012년 3월 기준 추진 중인 프로젝트는 4개로 ‘에너지 공급의 지능 적인 전환(Intelligent Conversion of Energy Supply)’, ‘에너지 절약 차량 (Sustainable Mobility)’, ‘경제 분야의 인터넷 기반 서비스(Internet-based Services for The Economy)’, ‘산업 4.0(Industry 4.0)’ 등임 동 계획은 에너지 혁명 및 독일 경제・사회의 디지털 가속화 등을 목표로 하며, 이를 달성 해 독일 경제 성장 및 혁신 강화를 이루고자 함. 에너지 공급의 지능적인 전환 프로젝트 는 연방정부의 새로운 에너지 연구에 관한 프로그램으로, 에너지 변환을 가속화하는 메 모리 및 네트워크 분야를 주로 다룸 에너지 절약 차량 프로젝트는 전기 자동차와 같은 최신 기술 및 절차에 초점을 두고 있으 며, 경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 이동 기술들에 대해 연구함 경제 분야의 인터넷 기반 서비스 프로젝트는 클라우드 컴퓨팅 및 그리드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경제 및 과학 분야의 협업을 통해 진행되며, 인터넷을 통한 고품질 서비스 제공 을 목표로 함 산업 4.0은 독일의 네 번째 산업 혁명으로 인터넷의 가치 네트워크(Value Network)에

170 | 유럽Ⅰ 독일

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통제 최적화를 골자로 하며, 인터넷의 활용이 급증하고 있는 시 대에 자원 보존 및 에너지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추진함

디지털 독일 2015(Digital Germany 2015)

2010년 11월 독일 연방정부는 ‘디지털 독일 2015(Digital Germany 2015)’를 새로운 국가정보화 전략으로 제시함. 디지털 독일 2015의 추진목표는 2013년까지 연방정부의 에너지 소비 40% 감축, 2015년 까지 3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 활성화 및 국가경쟁력 강화를 추진함. 디지털 독일 2015는 연방경제기술부(BMWi)를 중심으로 관련 부처들이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임

표 1.10 디지털 독일 2015의 주요 추진전략 독 프로그램 내용 일 ‐ 새로운 연방정부 이니셔티브 및 펀딩 프로그램을 통해 중소 IT 기업 지원 확대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 ‐ 미래를 위한 정보통신(ICT) 기반의 에너지 시스템 개발, 그린 IT를 통한 부족한 자원의 효율적 사용, 신기술에 대한 투자 및 개발을 통한 지속가능 한 경제성장 기반 마련 ‐ 차세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사용자의 정보 접근성 강화 및 보급 확대 미래 네트워크 구축 ‐ 2014년까지 전 세대의 75%에 50Mbps 이상의 브로드밴드 망 접속 실 현이 목표 ‐ 새로운 ID 카드, 전자 ID, De-Mail, 온라인 뱅킹, 전자문서 등에 대한 기 술보완 및 규제・정책 등을 검토하여 모든 국민, 기업, 정부를 위한 디지털 신뢰 가능하고 안전한 공간에서의 보안 및 신뢰 증진 디지털 사회 구현 ‐ De-Mail은 인터넷 상에서 전송되는 메일이나 문서의 법적 구속력 및 비 밀을 보장하는 독일의 새로운 전자우편 제도임 ‐ 서비스 인터넷(Internet of Services), 사물통신, 클라우드 컴퓨팅, 3차 디지털 미래를 위한 연구개발 원 기술 등 새로운 정보통신(ICT)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추진 교육・미디어 분야 디지털 역량 강화 ‐ 디지털 기술의 효과적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 및 미디어 기술 홍보 ‐ e-Health, 그린 IT, 공공서비스에 대한 개방・참여・소통 가능한 전자정 사회변화에 따른 디지털 솔루션 제시 부(e-Government) 구현 등 사회변화에 따른 정부정책과 기술환경 개선 을 위한 업무 추진 출처 : 연방교육연구부

브로드밴드 전략

2009년 2월 독일 정부는 제2차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브로드밴드 전략’을 발표하고, 전국 브로드밴드 망 정비 계획을 승인함. 독일 정부가 2009년 2월 발표한 브로드밴드 전략의 목표는 3단계로 구성됨

| 17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단계는 2010년까지 독일의 전 가정이 브로드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커버리지 100% 를 달성하는 것으로, 1단계에서 브로드밴드는 384Kbps~1Mbps 속도를 지원하는 초고 속 브로드밴드로 정의됨. 이후 2~3단계는 2014년까지 독일 가정 內 브로드밴드 보급률 75%, 2018년 10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 단계의 속도는 50Mbps를 상정하 고 있음

표 1.11 독일의 브로드밴드 전략 목표 단계 완료 연도 목표

2010년까지 브로드밴드 접속이 불가능한 브로드밴드 제로 지역 해소 1단계 2010년 (커버리지 100%) ※ 독일에서는 약 2%에 해당하는 73만 세대가 브로드밴드 제로 지역에 거주함 2단계 2014년 전 세대의 75%에 속도 50Mbps 이상의 브로드밴드 망 접속 실현(보급률 75%) 3단계 2018년 전 세대에 속도 50Mbps 이상의 브로드밴드 망 접속 실현(보급률 100%) 출처 : 연방교육연구부

독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브로드밴드 전략의 특징은 국가 예산 지원을 최대한 줄이고 민관의 긴밀한 협조 하에 브로드밴드 보급을 시장에 맡긴다는 것임 독일 정부는 유선 브로드밴드 구축 비용의 70%가 굴착 비용이라고 지적하며, 사업자들 이 협조해 인프라를 공유한다면 수년간 약 30억 유로 정도를 절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또한, 독일 정부는 하수도와 같이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공공 인프라를 개방하며, 사업 자들이 각자의 네트워크 구축 계획을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사업자들을 최대한 지원할 예정임. 독일 정부는 기본적으로 브로드밴드 구축을 시장 에 맡긴다는 전략이지만 정부의 경제적인 지원이 필요한 지역에는 지원금을 투입한다는 방침임 독일 정부는 이를 위해 총 1억 8,000만 유로를 확보한 상태이며, 사업자가 커버리지 확 보에 실패할 경우 즉시 추가 지원금을 확보한다는 계획임. 지원금은 2차 경기부양책과 연안 및 농업 구조 개선책(Improvement of Coastal and Agricultural Structures, GAK), 그리고 지역 경제 구조 개선책(Improving Regional Economic Structures, GRW)에 할당된 예산으로 충당함 독일 정부는 브로드밴드 전략을 완성하는 데 최대 약 500억 유로의 투자비용이 소요될 것이며, 약 25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독일 정부는 비도심 지역의 커버리지를 위해 무선 브로드밴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며, 정부는 이를 위해 유휴 무선 주파수 배분에 주목함. 이에 따라 2010년 5월

172 | 유럽Ⅰ 독일

900MHz GSM 주파수와 디지털 전환으로 활용 가능한 800MHz 아날로그 TV 주파수에 대한 경매를 실시했으며, 800MHz 대역의 경매가는 최저가가 5억 7,100만 유로에 달하 는 등 고대역 주파수인 2.6GHz보다 고가에 진행됨

표 1.12 독일의 브로드밴드 기본 방침 및 주요 전략 브로드밴드 전략 실현을 위한 독일 정부의 기본 방침

‐ 인프라 구축을 위해 사업자 간, 사업자-정부 간 시너지 극대화 ‐ 무선 브로드밴드 주파수 경매 실시 ‐ 성장과 혁신을 위한 규제 마련 ‐ 필요한 자금 지원 브로드밴드 보급을 위한 주요 전략

‐ 브로드밴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솔루션 연구 ‐ 광 네트워크와 4G 모바일 브로드밴드 네트워크 구축 확대 독 ‐ 비도심 및 지방 지역의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 1GHz 이하의 저주파수 활용 일 ‐ 인터넷 이용자 증가에 따른 IP 주소 수요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IPv6 도입 출처 : 연방교육연구부

클라우드 전략

2011년 9월, 독일 연방경제기술부(BMWi)는 독일 경제 분야의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을 위해 산학연 협력을 통한 ‘클라우드 컴퓨팅 프로그램’과 ‘신뢰 기반 클라우드 기술 프로 그램’을 개시함 클라우드 컴퓨팅 프로그램은 클라우드 시장 잠재력, 이노베이션을 촉진하는 체제의 조건 수립, 국제적인 클라우드 산업 개발 촉진, 관련 분야 지식 공유 등 4개의 사안을 달성하 기 위해 추진됨 신뢰 기반 클라우드 기술 프로그램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활용에 관한 것으로, 혁신 개발 및 테스트, 법적 규제를 따르는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제작 등을 목표로 함 해당 프로그램들은 클라우드 기본 기술 개발,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의료용 애플리케이 션, 공공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 등 4개 분야의 성장을 위해 추진됨 해당 프로그램들은 2015년 초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연방경제기술부(BMWi) 와 민관 파트너 사업자들은 각각 5,000만 유로를 투자, 총 투자금은 1억 유로에 달함

Digital Bavaria

바이에른 州는 2013년 1월 23일, 산업의 디지털화를 목표로 디지털 산업정책인 ‘Digital Bavaria’ 정책을 발표, 해당 정책을 통해 디지털화로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 17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새로운 혁신적인 응용기술 개발을 통해 신제품과 서비스 창출을 목표로 함 바이에른 州는 인구 1만 명당 IT 관련 기업 3.52개로 독일에서 1위를 차지하며 소프트 웨어 분야 창업 기업이 많은 지역임. Digital Bavaria를 통해서 데이터와 인터넷 보안에 중점을 두며, 인터넷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가로채는 피싱 공격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 키 보드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함 해당 프로젝트는 키보드로 입력 시 바로 정보가 암호화되어 웹서버로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추진하며, Imbus AG, Applied Security, TU Muenchen 등이 참여함 또한, 데이터 보안(스마트 카드 도용 및 오용 방지)을 강화하기 위해 스마트카드 내장 정 보 정확성과 안정성을 테스트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개발 중이며, 해당 프로젝트에는 Giesecke&Devrient GmbH, Validas AG, TU Muenchen이 참여함

2) 규제

통신법

‘1996년 통신법(Telekommunikationsgesetz, TKG)’은 독일 통신 분야의 기본법으로 서 전파 관리의 기본 내용 및 통신 시장 경쟁 활성화를 위한 규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표 1.13 독일 통신법의 목적 독일 통신법의 목적

‐ 이용자들의 이익 보호 ‐ 도심과 비도심 지역에 상관없이 동등 경쟁 확보 ‐ 전국에 기본적인 통신 서비스를 합리적 가격에 제공 ‐ 공공기관의 통신 서비스 도입 촉진 ‐ 효율적이고 방송과의 상호 간섭이 없는 주파수 이용 ‐ 국민 안전 보장 출처: 연방경제기술부(BMWi)

174 | 유럽Ⅰ 독일

표 1.14 독일 통신법의 면허 범위 규정 구분 내용

Class1 ‐ 무선 및 모바일 서비스 Class2 ‐ 위성 서비스 Class3 ‐ Class1, Class2와 겹치지 않는 주파수 內 공공 통신 서비스 Class4 ‐ 개별 운영되는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음성 통신 서비스 출처: BMI(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1996년 통신법’은 2002년 유럽연합(EU)이 발표한 전기통신 서비스 규정을 적용하여 2004년 6월 전면 개정되어 ‘2004년 통신법’이 발표됨 ‘2004년 통신법’에는 전기통신 시장 참여를 위한 면허 제도의 폐지 및 주파수 거래 도입 등 규제 완화책이 담겨 있음 독 일

표 1.15 2004년 통신법 구성 2004년 통신법 구성 ‐ 제1장 일반적 규정 ‐ 제7장 통신 비밀, 데이터 보호, 공공 안전 ‐ 제2장 시장 규제 ‐ 제8장 규제감독기관 ‐ 제3장 소비자 보호 ‐ 제9장 공공 과제 ‐ 제4장 방송 전송 ‐ 제10장 벌칙 및 벌금 규정 ‐ 제5장 주파수, 번호, 선로부설권 대여 ‐ 제11장 이행 및 최종 규정 ‐ 제6장 유니버셜 서비스

‘2004년 통신법’에 의거하여 2005년 7월 정보통신(ICT) 부문의 규제감독을 담당하는 독립기관인 연방통신청(Bundesnetzagentur)을 출범함. 특히, ‘2004년 통신법’은 경쟁 촉진을 목적으로 면허 의무를 폐지함으로써 사업자들의 시장 진입을 용이하게 함 이에 따라 통신 사업자는 사업의 개시, 변경, 종료 및 회사의 변경 사항들에 대해 연방통 신청(Bundesnetzagentur)에 서면으로 즉각 보고만 하면 되는 것으로 변경됨 2007년 2월에는 ‘2004년 통신법’의 일부가 개정되어, 제9조 ‘신규 시장’이 추가된 ‘2007년 통신법’이 발표됨 이 조항은 새로운 인프라에 대한 혁신 및 투자 촉진이 목적으로, 원칙적으로 신규 시장에 통신 규제 적용을 배제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독일 정부는 2012년 5월 9일 개정된 통신법을 발효, 해당 규제에 추가된 내용은 유선통 신과 브로드밴드를 이용하는 고객의 권리를 보장하는 사안이 주를 이루며, 주요 항목들 은 다음과 같음

| 17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표 1.16 통신법 개정 추가 내용 통신법 개정 추가 규제 내용

‐ 고객이 서비스 제공 사업자 교체를 원할 때 최대 1달 안에 기존 서비스를 중단해야 하며, 기존 고객의 번호는 1일 내에 이동되어야 함 ‐ 유선통신과 브로드밴드 사업자들은 자사가 출시한 한 가지 이상의 요금제를 최소 12개월 동안 제공해야 함 ‐ 고객이 유선통신 서비스를 사용하기 전, 전화 요금에 대해 공지해야 함(2012년 8월부터 적용)

텔레미디어법

텔레미디어법은 1997년 제정된 멀티미디어법이 2003년 텔레서비스와 미디어 서비스를 통합한 ‘텔레미디어(Telemedien)’ 개념을 도입하면서 2007년 1월 텔레미디어법으로 계승됨 텔레서비스란 문자, 영상, 음성 등 결합 가능한 데이터의 개별적인 이용에 제공되는 것으 로,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해 전송되는 모든 전자적 정보 서비스 및 통신 서비스를 의 미함. 단, 기존의 전기통신, 방송, 출판은 제외함 멀티미디어법(Telemediengesetz, TMG)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자와 정보 제공 사 업자의 정보 및 데이터 송수신 자체에 주목하고 있으며, ‘텔레서비스’에 관한 규제를 정 리한 법임. 멀티미디어법은 아래의 세 개의 법률로 구성됨

표 1.17 멀티미디어법의 구성 법률 주요 내용

텔레서비스 이용 ‐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정의 및 책임 범위 규정 관련 법률(TDG) 텔레서비스의 데이터 ‐ 서비스 이용과 관련한 이용자의 개인적인 데이터 보호법 관련 규정 제시 보호 관련 법률(TDDSG) 디지털 서명 관련 ‐ 네트워크상 거래와 관련한 디지털 서명에 대한 규정 법률(Signaturgesets) ‐ 개인과 서명을 인증하는 인증기관에 대한 상세 규정

멀티미디어법의 실행으로 관련 법 개정도 진행되어, 인터넷 등에 의한 반사회적 정보 유 통에 대해 기존 법률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함 이에 따라 형법(Strafgesetzbuch, StGB), 청소년에 유해한 문서의 유포에 관한 법률 (Gesetz über die Verbreitung jugendgefährdender Schriften, GjS), 저작권법 (Urheberrechtsgesetz, UrhG), 가격표시법(Preisangaben und Preisklauselgesetz, PrAKG), 가격표시규칙(Preisangabenverordnung, PAngV) 등 관련 법 개정안이

176 | 유럽Ⅰ 독일

1997년 8월부터 실행됨 이후, 2003년 텔레서비스와 미디어 서비스를 통합한 ‘텔레미디어(Telemedien)’ 개념 이 도입되었으며, 2007년 1월에는 이러한 멀티미디어법을 구성하는 상기의 3개의 법률 이 일체화되어 ‘텔레미디어법(TMG)’이 됨

표 1.18 텔레미디어법의 추가 규정 텔레미디어법의 주요 추가 규정

‐ 스팸에 대한 규정 ‐ 텔레미디어 서비스의 불법 콘텐츠에 대한 제공 사업자의 책임 ‐ 텔레미디어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 대한 데이터 보호에 관한 규정

독 면허제도 일 유럽연합(EU)의 면허 규정(2002년) 제3조 2항에 근거하여 2003년 7월 전기통신 분야 에 대한 사업 면허 취득 의무가 폐지됨. 이후, ‘2004년 통신법’ 제6조에 근거하여 서면 보고 제도가 도입됨. 단, 이동통신 사업자는 개별 주파수 이용권을 취득해야 함

4G 주파수 경매

연방통신청(Bundesnetzagentur)은 LTE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2010년 5월 800MHz 대역을 포함한 4G LTE 모바일 주파수 경매를 마감함 이를 통해 1.8GHz, 2GHz, 2.6GHz 대역과 2008년 11월 완료된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으로 유휴 상태인 800MHz 대역의 경매가 진행됨. 800MHz 대역의 경매가는 최저 가가 5억 7,100만 유로(약 9억 910만 달러)에 달하는 등 고대역 주파수인 2.6GHz 보다 고가에 진행됨 800MHz 대역은 미국이 2008년 경매를 실시한 700MHz와 유사해 고대역 주파수에 비 해 적은 인프라 구축으로 신호 전송이 가능하고 모바일 커버리지가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음. 이 때문에 시골 등 지방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모바일 브로드밴드 서 비스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주파수 대역임 2010년 5월 19일 발표된 유럽의 새로운 디지털 전환 일정에 따르면, 유럽 통신 발전을 위한 5개년 계획에서 800MHz 대역은 유럽 전 지역으로의 브로드밴드 커버리지 확대에 있어 중점적 역할을 할 것으로 주목받고 있음 2015년 6월, 독일 연방통신청은 2016년 이용기간이 만료되는 4개 대역 700MHz(60MHz), 900MHz(70MHz), 1.5GHz(40MHz), 1.8GHz(100MHz) 주파수

| 17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총 270MHz 폭을 이동통신용으로 할당하기 위해 상위 3개 통신 사업자를 대상으로 경 매를 실시함. 총 낙찰가는 50억 유로(약 53억 3,400만 달러) 이상에 달함 독일 정부는 특정 사업자로의 주파수 쏠림에 따른 경쟁 왜곡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각 사업자별로 주파수 보유량을 균등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이용기간이 만료되는 주파수 전 량을 회수해 기존 사업자에 재 할당 없이 경매에 붙임 또한, 독일에서 핵심 대역으로 분류되는 900MHz 대역에서는 사업자별 최대 30MHz 폭 으로 할당 총량을 제한하는 경매규칙을 적용함

신규 이동전화 접속료

2012년 11월 16일, 연방통신청(Bundesnetzagentur)은 신규 이동전화 접속료 관련 계 획을 발표함. 상기 계획 발표에 따라, 독일 4개 이동통신 사업자인 T-Mobile, Vodafone D2, E-Plus, O2 등은 2012년 12월 1일부터 분당 1.85유로 센트(약 0.02달 러)의 균일 요금을 적용해야 함 상기 계획 발표 이전, 독일 4개 이동통신 사업자는 분당 약 3.36유로 센트(약 0.04달러) 의 통화 요금을 부과해 왔음 연방통신청은 4개 이동통신 사업자가 각각 독일 內 음성통화, SMS, 데이터 서비스 수요 의 25%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서비스를 공급한다는 전제 하에 균일 요금으로 부과될 금액을 책정하였다고 발표함 연방통신청은 독일 통신법에 따른 규제적 목표를 따르기 위해 유럽집행위원회(EC)가 이 전에 이동전화 접속료와 관련하여 권고한 내용을 적용하지 않고, 신규 이동통신전화 균 일요금을 책정했다고 발표함 연방통신청은 데이터 트래픽 양의 지속적인 증가 및 음성통화 트래픽의 하락 예상에 따 라, 상기 계획을 발표했다고 언급함. 향후 음성통화 트래픽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비 중이 낮아질 전망이며, 이에 따라 통화 요금이 인하되는 추세임

표 1.19 신규 이동전화 접속료 관련 계획 개요 항목 세부사항

적용 사업자 ‐ T-Mobile, Vodafone D2, E-Plus, O2 등 4개 적용 사항 ‐ 2012년 12월 1일부터 분당 1.85유로 센트의 균일 요금 적용 적용 배경 ‐ 데이터 트래픽 양의 지속적인 증가 및 음성통화 트래픽 하락 예상 비고 ‐ 유럽집행위원회(EC)의 이동전화 접속료 관련 권고 미적용 출처: 연방통신청(Bundesnetzagentur)

178 | 유럽Ⅰ 독일

기타

독일은 통신시장 경쟁 촉진을 위해 1998년 유럽 최초로 가입자망 공동 활용(Local Loop Unbundling, LLU) 제도를 도입함 2009년 3월 연방통신청은 Deutsche Telekom이 LLU 사업자들에게 부과하는 월 요금 을 10.50유로(약 11.2달러)에서 10.20유로(약 12달러)로 인하한다고 발표했으며, 이 요 금은 2011년 3월까지 유지됨. VoIP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에 특 별히 라이선스를 취득할 필요가 없으며, 관계청에 통보만 하면 됨 구글은 독일 주요 20개 도시에서 제공해온 스트리트 뷰 서비스를 포기함. 구글이 2007 년부터 제공하기 시작한 인터넷 사진 서비스 ‘스트리트 뷰’는 사생활 침해 및 범죄 노출 위험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어 옴 독일에서 구글은 얼굴이나 차량번호 등을 뿌옇게 처리한 뒤 정보를 제공해 왔지만 자기 독 정보가 과도하게 노출됐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언제든 구글에 영상정보 삭제 요청을 할 일 수 있음. 구글은 거주 건물이 스트리트 뷰에 공개되는 것을 거부하는 약 25만 명의 주민 요구를 언제든지 들어주기로 독일 법원과 합의함 따라서, 2011년 4월 구글은 최신 상태의 온라인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운행해 온 구글 자동차를 독일에서 더 이상 운영하지 않겠다고 발표함 한편, 2013년 4월, 독일 정보보호 당국은 Google에게 개인정보 무단 취득에 대한 문제 로 유럽 규제당국이 부과한 14만 5,000유로(약 15만 4,700달러)의 과징금을 부과함 이에, 독일 함부르크 市의 정보보호 감독관인 Johannes Caspar는 현행법에 따른 벌금 액수는 구글과 같은 대기업의 무단 정보 수집을 막기에는 부족하며, 법 개정이 없는 한 언제든지 다시 악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힘

방송 관련 기본법

독일은 나치 시대에 방송이 국가 권력에 의해 이용된 것을 반성하며, 전후 서독에서는 중 앙집권형 방송 제도를 폐지하고, 각 州에 방송정책과 관련한 권한을 부여함 1990년 동서독 통일 이후 40년간 다른 체제에서 제공되던 방송이 1992년 1월 통합된 이후, 구 서독의 방송 제도를 기초로 동서독의 서로 다른 제도를 통일시킴 이에 따라 방송 사업은 기본법에 의해 州 관할로 규정됨. 단, 송신 설비(케이블 TV 설비 및 방송 위성, 통신 위성 등을 포함)와 관련해서는 전기통신 분야로 구분되어 통신법이 적용됨 방송법제는 州별로 다르고, 공영방송을 규정하는 ‘州 공영방송법’, 민영방송을 규정하는 ‘州 민영방송법’ 규정에 따라 州 내의 방송 사업을 규정하고 있음. 각기 다른 州 간의 방 송제도 조화를 위해 공통 원칙을 정해 놓은 협정이 제정되어 있음

| 17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독일 기본법 제5조에서는 표현의 자유, 알 권리, 방송 및 필름에 의한 보도의 자유 등 국 민의 기본 권리와 방송 보도의 자유 확보를 보장하고 있음 또한, 방송과 관련하여 방송의 州 전속 권한 부여, 국가 권력으로부터의 방송 독립, 공영 방송의 기본적 방송 임무 등의 원칙을 제시하고 있음

州 공영방송법

독일 제1 공영방송인 ARD 및 ARD 산하의 각 州 방송협회, 제2의 공영방송인 ZDF에 대해 각 州가 제정한 ‘州 공영방송법’ 또는 ‘ARD/ZDF에 관한 州 간 협정’이 적용됨. 단, 방송 사업자의 사업 지역이 복수의 州에 걸쳐 있는 경우, ‘州 공영방송법’이 아닌 州간 협 정에 따름 州 공영방송법과 州간 협정 모두 각 방송 사업자의 설립, 업무, 방송 프로그램, 조직, 직 원의 권한, 재무, 감사 등을 규정하고 있음 2009년 ARD는 12차 방송국가 협약개정을 통해 공영방송 온라인 서비스의 성격과 운영 원칙을 규정하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정하고 이의 준수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도구로 3단계 검사(Dreistufentest)를 도입함 3단계 검사(Dreistufentest)의 기준은 첫째, 온라인 서비스가 민주적・사회적・문화적 요 구에 상응하는지의 여부, 둘째, 온라인 서비스가 언론 영역의 경쟁에 영향을 미치는 지의 여부, 셋째, 온라인 서비스 운영예산의 타당성임 특히 3단계 검사(Dreistufentest)에서 쟁점이 된 주요 검사 항목은 ‘공영방송 콘텐츠의 온라인 서비스 가능 기간’으로 12차 방송국가협약개정안에서 각 방송프로그램 성격에 따라 웹사이트에 게시할 수 있는 기간을 규정함 3단계 검사를 거쳐 규정을 위반하는 공영방송 웹사이트상의 모든 콘텐츠는 삭제하도록 제재함

州 민영방송법

민영 방송의 인허가 및 프로그램 콘텐츠 등과 관련한 제도 및 州 미디어청에 대해 규정하 고 있음

방송 및 텔레미디어 州간 협정(Staatsvertrag fur Rundfunk und Telemedien, RStV)

1991년 제정된 법으로 각 州의 방송법 공통 원칙을 제시하고 있으며, 원래는 州간 방송 협정이었으나, 2007년 인터넷 서비스를 포함한 규정이 추가되면서 명칭이 변경됨 제1장은 프로그램 원칙 등 일반 규칙, 제2장은 공영 방송의 임무 규정, 제3장은 민영 방

180 | 유럽Ⅰ 독일

송의 인가, 감독, 소유규제, 제5장에서는 플랫폼 사업자에 대한 규제를 담고 있음 독일은 1990년대 중반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관련해 방송주권(콘텐츠)을 소유하고 있는 州들과 통신주권(기술)을 소유하고 있는 연방 간에 제도 수립 권한을 두고 경쟁이 진행됨 논의 결과, 연방에서는 텔레서비스(Teledienste), 그리고 州에서는 미디어 서비스 (Mediendienste)라는 개념을 사용해, 연방에서는 경제적 측면, 州에서는 콘텐츠 측면을 강조함 각 州에서 제정하는 멀티미디어 질서는 대중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분야(유료 TV, Pay-Per-View, 전자신문, 홈쇼핑, VOD)의 규제에 초점을 맞추게 됨 연방은 개별 가입을 기초로 한 데이터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이메일, 화상회의, 텔레뱅 킹 등의 서비스들을 위한 법제를 마련하게 됨 미디어와 방송 서비스 분류 기준은 전적으로 내용을 중심으로 하며, 기술적인 전송 경로 는 서비스 분류 기준에 고려되지 않는 것이 특징임. 즉, 모바일 TV나 IPTV 서비스도 제 독 공되는 콘텐츠에 따라 방송이 될 수도 있고 미디어 서비스가 될 수도 있음 일 텔레서비스나 미디어 서비스는 허가와 신고의 의무가 없어 시장 진입이 자유로우며, 여 타 규제에 있어서도 비교적 가볍게 적용을 받음 2003년 연방과 州 정부는 텔레서비스와 미디어 서비스를 통합한 ‘텔레미디어 (Telemedien)’ 개념을 도입하고, 2004년 미디어 서비스와 텔레서비스를 위한 경제 관 련 규정들을 연방의 ‘텔레미디어법(TMG)’으로 통합하기로 합의함 이후 2007년 인터넷 서비스를 포함한 규정이 추가되면서 현재의 명칭으로 개정법이 탄생함

표 1.20 2007년 개정법에 명시된 주요 정보통신(ICT)·방송 융합 서비스의 영역 영역 서비스 예 ‐ 인터넷 쇼핑몰 ‐ 경매 사이트 ‐ 검색 서비스, 웹 메일 서비스 ‐ 정보 서비스(날씨, 교통 등) 텔레미디어 ‐ 팟캐스팅 ‐ 포털 사이트 ‐ 개인 홈페이지나 개인 블로그 ‐ 방송 ‐ 실시간 스트리밍 ‐ 웹 라디오 통신 ‐ VoIP 출처: ARD

미디어 소유 규제

독일은 1997년 방송 사업자에 대한 지분 참여 제한 방식을 폐지하고, 방송 시장 전체를 대상으로 시청자 점유율 제한 방식을 도입함 기존에는 방송사 소유 지분을 최대 49.9%로 제한했던 반면, 방송 사업 자격을 갖춘 기업

| 18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에게 텔레비전 채널에 무제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100%의 지분 소유까지 가능 하게 함. 그러나 수평적, 수직적, 혼합적 결합을 규제하는 별도의 규정은 두지 않음 그러나 독일 기본법에 보장된 다양한 여론 형성과 의견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하여 민영 방송에 투자하는 개인 혹은 법인은 전국적으로 시청 점유율의 30% 이상을 점유하지 못 하도록 제한함 한 방송 사업자가 시청 점유율 상한선인 30%를 초과하게 되면 해당 방송사는 추가적인 채널에 대한 면허나 추가적인 지분참여가 허용되지 않음 이를 감독하고 실행하는 미디어집중조사위원회(KEK)는 민영 방송사의 소유 현황과 시 청 점유율 등을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최소한 3년에 한 번씩 정기 보고서를 제출함 또한, 미디어집중조사위원회(KEK)는 여론의 다양성 보장을 위한 규제 방법론의 개선 등 을 모색함

표 1.21 독일의 미디어 소유 규제 현황 근거법 주요 내용

‐ 방송 사업자의 방송사 설립 자유화 ‐ 독점 규제기준은 전국 시청률 상한선 30% 州간 협정 ‐ 독점 규제를 미디어집중조사위원회가 담당 (RStV) ‐ 소유할 수 있는 방송사 수의 제한 없음 ‐ 외국인 소유 제한 없음

출처: 미디어집중조사위원회(KEK)

수신료 제도

독일 정부는 수신료를 공영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 요금 또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출자부담금으로 규정하며, 미디어집중조사위원회(KEK)의 심의를 거쳐 각 州의 州간 협정에 따라 결정, 배분함. 수신료의 징수는 수신료징수센터(Gebuhreneinzugszentrale, GEZ)가 일괄 진행함 수신료는 기본요금(라디오 요금)과 TV 요금이 있으며, 수신료 수입 전체의 2%가 민영 방송을 감독하는 각 州의 州 미디어청 운영 자금으로 사용됨. 남은 수신료는 제1 공영 방 송인 ARD에 약 60%, 제2 공영 방송인 ZDF에 약 30%가 배분됨 공영 방송의 주요 재원은 수신료와 광고 수입으로, ARD와 ZDF 모두 수신료 수입이 재 원의 8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음 2009년 1월부터는 인터넷 접속을 통해 방송 수신이 가능한 PC와 방송 수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 소유자에게도 수신료를 징수하는 것이 가능해짐. 단, 기존의 TV 및 라디오를 보유하고 있 는 가구 및 기업의 경우, PC나 모바일 단말은 제2 수신기로 설정되어 징수 대상이 되지 않음

182 | 유럽Ⅰ 독일

3. 산업구조 및 특징

2016년 독일 ICT 산업 매출, 1,500억 유로 이상으로 전망 독일 내 ICT 산업은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2010~2015년간 13만 건의 새로운 일자 리를 창출함. 그러나 지속적인 매출 성장에도 독일 ICT 시장은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개 별 업체의 마진이 낮고, 소수 대기업들의 영향력이 매우 큼 글로벌 통계 포털인 Statista의 자료에 의하면 2011년 독일 ICT 산업 매출은 근래 5년 간 꾸준히 성장해 2016년 기준 1,500억 유로를 돌파한 것으로 추산됨. 분야별 매출 비 중은 2016년 기준으로 통신 서비스(31%), IT 서비스(24%), IT 하드웨어(15%), 소프트 웨어(13%), 통신기기(7%), 소비가전(6%), 통신인프라(4%) 순으로 파악됨

그림 1.3 2011~2016년 독일 ICT 산업 매출 (단위: 십억 유로) 독 일

※ 2016년은 전망치임 출처 : Statista

표 1.22 독일 ICT 분야 강점·약점 분야 내용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른 빠른 제품 혁신 강점 구매 결정에 영향을 주는 추가 서비스 특정 고객의 의존성이 없음 제품 혁신에 대한 압박과 투자비용이 높음 약점 제품 호환성으로 인해 경쟁업체와의 차별화되기 어려움 과도한 경쟁과 가격경쟁에 대한 압박

표 1.23 독일 ICT 분야 지표 2013~2015년 ICT 분야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연평균 성장률 ICT 부가 가치 성장률 3.4% 3.9% 4.0% 2.3% ※ 2016, 2017년은 전망치임 출처 : IHS, Atradius

| 18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4. 산업 주요 이슈

비트코인에 대한 글로벌 공동 규제 모색

독일 재무부는 2018년 4월 아르헨티나에서 개최되는 G20 회의에서 비트코인에 대한 세 계 공동 규제를 논의하자는 프랑스의 제안에 환영 의사를 표명했음. 독일 정부는 가상화 폐의 투기적 위험과 금융시스템 교란 가능성을 국제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임

독일, 제조업 분야에 ICT 혁신

독일은 자국 글로벌 기업의 ICT 기반 제조 혁신을 촉진하고, 이를 서비스 분야로까지 확 산시킬 계획임. 즉, IoT, 사이버물리시스템(CPS), 센서 등의 ICT를 접목해 모든 생산공 정, 조달 및 물류,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취지임

맞춤형 대량생산 시대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추구

스마트 팩토리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맞춤형 소량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생산 라인 을 모듈로 구성해 제품 생산에 필요한 모듈을 조립식으로 붙이고 필요 없는 모듈은 즉각 이동시켜 라인에서 제외시키는 방식임 독일은 2011년 인더스트리 4.0을 통해 스마트 팩토리 확산을 지향해 왔지만 비용 등의 문제로 인해 중소기업의 호응은 크지 않았음. 이에 따라 독일은 스마트 팩토리 확산 계획 을 민간주도에서 정부주도로 바꾸고 독일 연방교육연구부와 연방경제기술부 지원 하에 4가지 프로젝트를 추진 중임. ‘인더스트리 4.0’에서 ‘플랫폼 인더스트리 4.0’으로 정책 을 변경함

표 1.24 독일 제조업 주요 정책 구분 정책

추진배경 경제성장, 일자리 창출, 기후변화, 고령화 대응 기본정책 하이테크 전략 2020 핵심사업 인더스트리 4.0 촉진 인프라 플랫폼 인더스트리 4.0 주요 추진 과제 유무선 ICT를 활용한 스마트 공장 구현 정부 예산 약 2억 유로

출처 : 연방교육연구부

184 | 유럽Ⅰ 독일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1) 정부 간 협력

주독 한국대사관, 4차 산업혁명 관련 한독 비즈니스 네트워킹 행사 개최(2017.11)

주독 한국대사관은 한국과 독일의 최신 ICT 기술혁신 트렌드와 양국간 협력 기회를 논 의하는 비즈니스 네트워킹 행사를 베를린에서 개최했음. 동 행사에는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 위원인 박종오 교수가 기조연설자로 나섰고 독일 정부부처 및 각종 경제 산업단체 전문가들도 참석했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독일 대표단과 4차 산업혁명 협력 논의(2017.09) 독 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영민 장관은 독일 제조업 혁신전략인 ‘인더스트리 4.0’의 주창자 인 헤닝 카거만 등 독일 대표단과 만나 양국간 정보공유, 기술 및 인재교류를 포함한 4차 산업혁명 협력 방안을 논의했음. 여의도에서 열린 이 면담에는 독일 연방경제에너지부 부국장인 마커스 헤스와 플랫폼 인더스트리 4.0 사무총장인 헤닝 반틴 등 관계부처 관계 자들이 동석했음

한·독 경제공동위원회를 통해 상호 호혜적 협력 방안 논의(2017.01)

서울 정부청사에서 양국 관계부처 관계자 15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0차 한·독일 경제 공동위원회’가 개최됨. 이번 경제공동위원회에서 양국간 교역 및 투자 협력 확대 방안과 함께 제조업, 중소기업, 신재생에너지, ICT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함

한국블록체인학회, 한·독 블록체인&핀테크 심포지엄 개최(2017.01)

한국블록체인학회는 한국 블록체인 및 핀테크 관련 ICT 기업들과 독일 금융 및 산학 관 계자들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독 블록체인&핀테크 심포지엄’을 개최함. 이를 통 해 독일의 선진 금융산업과 한국의 ICT기업들의 교류가 강화될 전망임

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독 스마트 제조기술 국제협력행사 개최(2016.11)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은 독일 암베르크와 렘고에서 ‘한·독 스마트 제조기술 국제협력 행사’를 개최함. SK텔레콤, 엠디에스테크놀러지 등 국내 기업과 프라운호퍼 연구소, 지 멘스, 칼스루에 독일의 연구소와 기업 등이 참여함

| 18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이번 행사를 통해 양국의 스마트공장 테스트베드를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로 연결해 양국의 스마트공장을 연동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함

K-ICT 본투글로벌센터, 독일 제약회사 바이엘과 협약 체결(2016.08)

K-ICT 본투글로벌센터는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 바이엘코리아와 ‘국내 헬스케어 스타트 업 육성 및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함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바이엘은 본투글로벌센터가 지원하는 헬스케어 스타트업의 비즈 니스 모델링 및 해외 진출에 필요한 마케팅, 세일즈, 파이낸스 등 실무에 도움이 될 수 있 는 멘토링 및 컨설팅을 올해 말까지 지원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독일 드레스덴 공대와 포괄협력협정(2016.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복합소재기술연구소와 독일 드레스덴 공과대학(DTU)은 차 세대 복합소재 공동연구와 인력 교류를 위한 포괄 협력협정(MOU)을 체결함 협력협정 체결을 통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복합소재분야 선진국인 독일과 국제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차세대 자동차와 항공기용 CFRP 부품개발 및 공동연구 과제 도출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함

한국전자부품연구원-BMW ‘자동차+IT융합기술’ 교류협력 MOU 체결(2015.10)

2015년 10월 한국전자부품연구원(KETI)과 독일 자동차 회사 BMW가 ‘자동차+IT 융합 기술 교류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함. 협력 내용은 KETI가 강점을 보유한 자동차 IT, 사물 인터넷(IoT), 부품 센서 등 기술을 BMW와 교류・협력하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함

박근혜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총리와 정상 회담(2014.03)

2014년 3월 박근혜 대통령은 독일 국빈 방문으로 앙겔라 메르켈 총리와 정상 회담을 가 짐. 회담에 이어서 한독 산업기술협력 포럼 개최 및 산업부와 독일 경제에너지부 간에 기 술협력 MOU를 체결함

한국전자통신연구원-Fraunhofer HHI 공동연구 투자의향서 체결(2014.03)

2014년 3월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독일 Fraunhofer HHI가 독일 드레스덴에서 차세 대 ICT 공동연구를 위한 1:1 비율의 매칭 펀드 조성에 관한 투자의향서를 체결함

186 | 유럽Ⅰ 독일

2) 기업 진출 및 협력

유진로봇, 독일 밀레로부터 520억 원 투자 유치(2017.12)

국내의 유명 로봇 전문 기업인 유진로봇이 독일 프리미엄 가전업체 밀레로부터 유상증자 를 통해 52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음. 유진로봇은 로봇 청소기 ‘아이클래보’를 주력으로 2016년 한 해에만 603억 원의 매출을 올렸고, 그 가운데 80%를 수출에서 확보했음. 밀레는 이번 투자로 유진로봇의 지분 51%를 확보했으나 경영권은 행사하지 않을 것으 로 전해짐. 양사는 2012년부터 협력관계를 이어왔고, 밀레는 이번 투자 이전에도 유상 증자에 참여해 유진로봇의 지분 11%를 이미 보유하고 있었음.

LG, 디지털 지도 업체 히어와 자율주행 관련 기술 공동 개발 (2017.12) 독 독일 완성차 3사가 공동 인수한 고정밀 지도 업체 히어(HERE)가 LG 전자와 공동으로 일 자율주행차 핵심 기술 개발을 추진함. LG전자는 차량용 통신모듈 분야에서 2013년 이 후 5년 연속 세계 1위를 달리고 있으며, 히어는 도로의 모든 지형지물을 cm 단위까지 3 차원 디지털 지도로 표시하는 기술력을 갖췄음.

삼성, 벤츠와 협력 강화(2017.10)

메르세데스 벤츠가 신규 전기차 등 차세대 프로젝트의 주요 파트너로 삼성을 지목했음. 삼성 SDI는 벤츠의 모기업인 다임러에 전기차용 배터리를 이미 공급 중이며, 삼성전자는 3억 달 러 규모의 오토모티브 혁신펀드를 조성해 미래형 자동차의 다양한 기술을 확보해갈 계획임.

포스텍,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다분야 협력 추진(2017.05)

포스텍(포항공대)이 다양한 첨단기술의 상용화를 목표로 프라운호퍼연구소와 상호양해 각서(MOU)를 체결했음. 양 기관의 협력 분야는 IoT, AI, 스마트 센서, 자율주행, 첨단 신소재 등 다양한 첨단기술을 포괄함.

대경대, BMW와 세계 최초 산학협력 MOU(2016.11)

대경대학교는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는 사회 맞춤형 교과과정 운영을 위해BMW와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BMW 독일 본사와의 수차례 협의 끝에 이뤄졌으며, 세계 최초로 대학과 MOU를 체결한 사례임. BMW는 대학과 공동으로 교과과정을 운영해 맞춤형 인재를 육성하고 취업까지 연계할 수 있도록 협력할 방침임

| 18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부경대 LED센터, 독일 물리기술연과 방폭 분야 기술협력(2016.07)

부경대 LED-해양 융합기술 연구센터는 독일 물리기술연구원(PTB)과 독일 PTB에서 방 폭 분야 기술 교류 협력 양해각서(MOU)를 교환함 MOU에 따라 LED융합센터와 PTB는 기관 보유 방폭 분야 연구 결과물을 공유하고, 관 련 기술과 장비를 상호 활용할 계획임

LG 독일 폭스바겐과 배터리 협력 모색(2016.07)

독일 완성차 업체 폭스바겐은 LG화학과 전기차 배터리 업체와 협력 방안을 검토함. 배 터리 생산 공장 공동 투자와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공동 개발 등을 진행할 것으로 전망됨

삼성 독일 완성차 업체와 협력관계 구축(2016.05)

삼성은 메르세데스 벤츠와 BMW 등 주요 독일 완성차 업체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 며 스마트카 시장에서 영역을 넓혀가고 있음 벤츠는 삼성 기어 VR과 기어 360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마트포투 카브리오의 가상 테스 트 드라이빙 콘텐츠와 GLS 스포츠실용차(SUV) 홍보 동영상을 제공할 계획임. BMW는 삼성SDI의 배터리를 적용하여 주행거리를 기존 1회 충전 기준 132㎞에서 183㎞로 늘린 2017년형 i3를 출시한다고 밝힘

SKT, 독일 도이치텔레콤과 파트너쉽 체결(2016.02)

SKT은 독일 도이치텔레콤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콩그레스 2016에 서 파트너십을 체결함 이번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플랫폼 영역에서 공동사업 기회 모색, R&D 영역에서 기술 표준화 선도 등 긴밀한 협력을 추진하기로 함

삼성전자-악셀 슈프링어, ‘디지털 미디어 관련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2015.09)

2015년 9월 삼성전자는 독일 최대 신문・잡지 그룹 악셀 슈프링어와 ‘디지털 미디어 관 련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함. 양 사는 협력의 첫 제품으로 ‘업데이(Upday)’라는 이름 의 뉴스 모바일 앱을 출시함

188 | 유럽Ⅰ 독일

Ⅱ • • 정보통신방송 품목현황

Overview

2016년 독일 정보통신방송 주요지표 (단위: 천 명 / 천 회선 / 천 가구, 2016년 기준)

지표 독일 보급률(%) 한국 보급률(%)

유선통신 가입회선 44,310 53.74% 28,035 56.10% 이동통신 가입자 94,432 114.53% 61,295 122.65%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31,377 38.05% 20,555 41.13% TV 보급대수 37,178 97.00% 18,780 97.50% 케이블 TV 가입가구 16,173 43.05% 7,470 40.80% 위성 TV 가입가구 17,325 46.6% 2,298 12.60% 지상파 디지털 방송 시청가구 4,494 12.10% 3,680 20.10% IPTV 가입가구 3,272 8.8% 8,514 46.50% 독 일 출처: ITU(2017), Digital TV Research(2017)

독일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독일 소프트웨어 산업 규모  2016’ 446억 5,200만 유로 → 2017’ 485억 4,400만 유로(▲ 8.7%) 시장 동향 ‐ 독일은 유럽 전체 소프트웨어 시장의 25% 가량을 차지하는 유럽 최대의 소프 트웨어 시장이고, 그 규모는 최근 수 년간 연평균 8% 내외의 성장을 지속 ‐ SAP: 독일 하이델베르크와 미국 실리콘밸리 팔로알토에서 앱하우스 운영 주요 ‐ Oracle: 클라우드 기반 인터넷 성능 및 도메인 네임 시스템 솔루션 기업인 딘 사업자 소프트웨어 (Dyn) 인수

‐ 독일 인터넷 산업 매출: 2015’ 726억 유로 → 2019‘ 1,140억 유로(▲ 12%) 시장 동향 ‐ 독일 인터넷 사용률: 2015’ 87.6% 주요 인터넷서비스 ‐ Google: 독일 웹사이트 점유율 및 브라우저(Chrome) 사용률 1위 사업자

‐ 독일 통신 산업 매출: 2016’ 567억 유로 시장 동향 ‐ 독일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 2016‘ 3,137만 7,178명 ‐ : 독일 브로드밴드 시장의 선두 사업자 주요 ‐ Vodafone D2: 2G, 3G, LTE 상용 서비스와 다양한 이동통신 부가서비스를 사업자 제공 통신 ‐ Telefonica: O2와 E-Plus를 통합해 독일 최대의 이동통신 사업자

시장 동향 ‐ 독일 디지털 콘텐츠 시장 규모: 2020’ 57억 1,462만 달러 전망 ‐ Fox Mobile Distribution GmbH: 모바일 콘텐츠 및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서 주요 비스를 제공하는 선도적 기업 사업자 ‐ teNeues Verlag GmbH & Co KG: 주로 캘린더를 발행하는 국제 출판사이며 디지털콘텐츠 E-Book형태로 라이프 스타일, 디자인, 건축 등에 관련된 책도 출판함

| 18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독일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시장 동향 ‐ 독일 전체 TV 가구 수: 2014’ 3,911만 8,000 명

‐ 지상파 TV: ARD(공영), ZDF(공영), RTL, ProSiebenSat.1 Media 주요 ‐ 케이블 TV: KDG, Unitymedia Kabel BW 사업자 방송스마트미디어 ‐ 위성 TV: ARD Digital, , arenaSAT

시장 동향 ‐ 독일 정보보안 시장 규모: 2015’ 310억 유로

주요 ‐ 정보보안 대기업 : ATIS systems, Draeger Safety, AVIRA 등 정보보호 사업자 ‐ 정보보안 중소기업: AirRobot, BALTECH, Dermalog 등

시장 동향 ‐ 독일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규모: 2016’ 201억 유로 전망

주요 ‐ O2: 유・무선 네트워크를 활용해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자 ‐ Amazon Web Service: 프랑크푸르트에 인터넷 데이터센터 구축

시장 동향 ‐ 독일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2019’ 374억 유로 전망

‐ Deutsche Telekom: Telit Wireless Solutions와 제휴하여 각종 사물통신 솔루션의 개발 추진 주요 ‐ O2: 신규 스마트 사물통신 플랫폼을 발표했으며 기업을 대상으로 원격 모니터 사업자 링 서비스를 제공 사물인터넷 ‐ Audi: Car to X, 긴급제동시스템, 파일럿 파킹

시장 동향 ‐ 독일 빅데이터 시장 규모: 2020‘ 37억 4,500만 유로 전망

‐ Exasol: EXASolution을 통해 데이터 저장, 데이터 마이닝, 빅데이터, 웹 분석 주요 ‐ Concept Laser: 금,은,동,티타늄 등 금속 레이져 소결 공정 가능한 3D 프린터 사업자 IT스마트융합 ‐ Mediamarket: NFC방식을 통한 비접촉식 신용카드 결제와 모바일 결제시스템

‐ 비군사용 전파관리를 담당하는 주요 기관은 연방경제기술부(BMWi)와 연방통 신청 시장 동향 ‐ 연방경제기술부 內 제4국인 산업정책총국(Industrial Policy, DG IV)이 주파수 정책을, 제7국인 기술정책총국(Technology Policy, DG VII)이 표준화를 담당

‐ Telefonica, Deutsche Telekom, Vodafone: 2016년 이용기간이 만료되는 주요 4개 대역 주파수를 이동통신용으로 할당하기 위해 상위 3개 통신 사업자를 대 사업자 전파위성 상으로 경매를 실시

‐ 독일 IT 하드웨어 생산 지수: 2010‘ 100 → 2016‘ 11월 70 시장 동향 ‐ 독일 스마트폰 사용자 수: 2021’ 6,190만 명 전망 주요 ‐ 2017년 기준 벤더별 독일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디바이스 사업자 ‐ 삼성 44.41%(1위), 애플 30.19%(2위), 화웨이 7.12%(3위)

190 | 유럽Ⅰ 독일

1. 소프트웨어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7년 독일 소프트웨어 산업 규모 60조 원 돌파

Barnes Reports에 따르면 독일의 소프트웨어 산업 규모는 2017년 판매액 기준 485억 4,400만 유로(약 62조 원)로 전년 대비 8.7%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 같은 성장세 는 2018년에도 지속될 전망임 독일 소프트웨어 업계는 최근 수 년간 연평균 8% 내외의 성장을 지속해왔으나, 그 기간 동안 관련 종사자 수와 업체 수는 오히려 감소했음 독 일 그림 2.1 독일 소프트웨어 산업 규모 추이 (단위: 백만 유로)

※ 2017~2018년은 전망치임 출처 : Barnes Reports 2017

독일은 유럽 소프트웨어 시장의 25%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유럽 최대의 소프트웨어 시 장이고, 관련 종사자 1인당 연매출로도 영국과 프랑스를 앞서며 미국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음

| 19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2.2 2017년 국가별 소프트웨어 산업 비교

출처 : Barnes Reports 2017

2) 주요 기업 현황

독일 수출 증가에 따른 경제 회복으로, 독일 기업들은 인접 지역 시장에 대한 투자를 재 개하기 시작했으며 효율성 향상 및 글로벌 공급 체인 구축을 위한 비즈니스 소프트웨어 에 투자 의사를 보이고 있는데, 대표적인 소프트웨어가 ERP 및 SCM 솔루션임 독일 기업의 소프트웨어 소비는 ERP, CRM, 재무관리 및 정보 관리 등의 어플리케이션 이 60% 가량을 차지하며, 데이터베이스 및 시스템 유지 보수와 같은 미들웨어 분야는 전체의 40% 정도를 차지함 독일 소프트웨어 시장은 SAP, Oracle 및 Microsoft 등으로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 소 소프트웨어 기업은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을 피할 수 있는 틈새시장을 공략 중임. 현재 300개의 소프트웨어 기업이 SME를 대상으로 ERP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있으며, 주요 소프트웨어 플레이어는 Sage, Infor Global Solutions 등이 있음 중국 Lenovo 산하 Enterprise Product Group(EPG)은 독일 시장 진입에 가장 적극적 인 해외 기업 중의 하나로 영국과 더불어 독일을 타깃 시장으로 선정하여 글로벌 기업인 EMC와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함께 독일 시장을 공략 중임

192 | 유럽Ⅰ 독일

표 2.1 독일 내 주요 소프트웨어 업체 활동 기업 이름 설립년도 설명

마이크로소프트는 독일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 하고 있음. 2017년 전사적자원관리(ERP)와 고객관계관리(CRM)를 통합한 인공지능(AI) 기반의 클라우드 Microsoft 1975년 애플리케이션 ‘Dynamics 365’를 출시함.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Dynamics 365는 영업, 마케팅, 제조, 물류, 회계 등 기업경영의 전 프로세스에서 AI의 장점을 활용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제공할 수 있음 SAP은 글로벌 기업용 소프트웨어(SW) 기업이며 독일 SAP 1972년 하이델베르크와 미국 실리콘밸리 팔로알토에서 앱하우스를 운영하고 있음 2009년 썬마이크로시스템즈를 인수하면서부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SW)를 취급하기 시작했음. 최근 클라우드 기반 Oracle 1977년 인터넷 성능 및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솔루션 기업인 독 딘(Dyn)을 인수함 일 영국의 가장 큰 소프트웨어 기업인 Sage는 독일 Exact Software Sage 1981년 Deutschland를 인수하며 독일 Payroll 소프트웨어 시장에 진출함 출처 : 각 업체 홈페이지

| 19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인터넷서비스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9년 독일 인터넷 산업 매출, 1,140억 유로 전망

글로벌 리서치 기관 Arthur D. Little의 자료에 의하면 2015년 독일 인터넷 산업 매출 은 726억 유로(771억 8,133만 달러)로 집계되며 2019년에는 연평균 12%로 성장하여 1,140억 유로(1,211억 9,382만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됨

그림 2.3 독일 인터넷 산업 매출 규모 추이 (단위: 십억 유로)

출처 : Arthur D. Little

글로벌 ICT 기관인 ITU의 자료에 의하면 독일의 인터넷 이용자 비율은 2011년 81.27%에서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해 2016년에는 89.65%에 달함 글로벌 리서치 업체 Buddecomm에 따르면, 독일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비율은 스마트 폰 확산을 배경으로 근래 10여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6년에는 3G와 LTE 합산 기 준으로 이미 80%를 넘어섰음

194 | 유럽Ⅰ 독일

그림 2.4 독일 인터넷 이용률 추이

출처 : ITU(2017)

독 그림 2.5 독일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 추이 일

출처 : Buddecomm(2017)

2) 주요 기업 현황

Google, 독일 내 웹사이트 중 가장 선호

독일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웹사이트는 글로벌 검색엔진인 Google이며, 동영상 사이 트로는 Youtube, 쇼핑 사이트로는 Amazon과 Ebay, SNS 사이트로는 Facebook, VK 등이 각각 수위를 달리고 있음

| 19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표 2.2 독일 웹사이트 TOP 10 순위 사업자명 웹사이트

1 Google Google.de 2 Youtube Youtube.com 3 Google Google.com 4 Amazon Amazon.de 5 Facebook Facebook.com 6 Ebay Ebay.de 7 Wikipedia Wikipedia.org 8 VK vk.com 9 Ebay Ebay-kleinanzeigen.de 10 OK ok.ru 출처 : Alexa

독일 내 브라우저 점유율 1위, Chrome

글로벌 통계 사이트 Statcounter에 따르면, 브라우저별 독일 시장 점유율은 2017년 기 준으로 Chrome이 37.57%로 1위를 기록했고, Firefox와 Safari가 각각 21.98%와 17.7%로 뒤를 이었음 Microsoft 브라우저는 Internet Explore와 Edge를 합해 10% 가량의 점유율을 나타냈고, 삼성 브라우저는 5% 수준으로 5위에 오름

표 2.3 독일 브라우저 시장 점유율 순위 브라우저 명 점유율

1 Chrome 37.57% 2 Firefox 21.98% 3 Safari 17.7% 4 Internet Explorer 7.12% 5 Samsung Internet 5.37% 6 Edge 3.69% 7 Opera 2.45% 8 Android Browser 1.94% 9 Sony PS4 0.41% 10 기타 1.78% 출처 : Statcounter

196 | 유럽Ⅰ 독일

3. 통신

1) 시장 동향 및 전망

글로벌 리서치 업체 Buddecomm에 따르면 독일 통신 산업 매출은 2005년에 673억 유 로로 최고 매출을 기록함. 2015년 독일 통신 산업 총매출은 574억 유로였고 2016년도 매출은 567억 유로로 추산됨

이동통신

최근 스마트폰 보급률 증가와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질 향상으로 인해 이동통신 서비스 가 유선통신 서비스를 대체하는 양상이며, 향후 VoIP 등의 대체 유선통신 서비스의 성 독 장률도 점차 감소될 것으로 전망됨. 또한 독일 기반의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LTE 사업에 일 주력하고 있어 향후 초고속 모바일 인터넷 시대로 진입할 전망임

브로드밴드

독일 브로드밴드는 대부분 DSL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HFC 케이블 네트워크, FTTB, FTTH 기반의 브로드밴드 서비스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2016년 기준 DSL 방 식이 전체 브로드밴드의 7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됨

그림 2.6 2010~2016 독일 통신 산업 매출 추이 (단위: 십억 유로)

출처 : Buddecomm(2017)

| 19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글로벌 ICT 기관인 ITU의 자료에 의하면 독일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는 2012년 2,795만 6,700회선에서 5년간 계속 성장하여 2016년 3,137만 7,178회선으로 증가함

그림 2.7 독일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 추이

출처 : ITU(2017)

독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브로드밴드 전략의 특징은 국가 예산 지원을 최대한 줄이고 민관의 긴밀한 협조 하에 브로드밴드 보급을 시장에 맡김. 그러나 정부의 경제적인 지원 이 필요한 지역에는 지원금을 투입한다는 방침임. 독일 정부는 브로드밴드 전략을 완성 하는 데 최대 약 500억 유로의 투자비용이 소요될 것이며, 약 25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브로드밴드5G

독일 주요 자동차 업체인 BMW, 아우디, 다임러 등은 LTE 통신의 진화와 차세대 5G 네 트워크를 기반의 통신 수단을 연구하기 위해 ‘5G 자동차 협회’를 구성함. 5G 자동차 협 회에는 자동차 업체 뿐만 아니라 에릭슨, 화웨이, 인텔, 노키아, 퀄컴 등도 참여함 2016년 독일 연방통신위원회(Federal Network Agency)는 5G 주파수 제공에 대한 가 이드 라인을 발표함. 2020년 말까지 UMTS 주파수를 사용하며 추가 주파수 범위는 5G의 선구자 밴드로 식별함. 또한 고성능 디지털 인프라의 확장을 위해 초기에 제공할 예정임

198 | 유럽Ⅰ 독일

2) 주요 기업 현황

브로드밴드독일 이동통신 시장, 절대강자 없는 3파전 지속

독일 이동통신 시장은 Telefonica Deutschland(O2), Deutsche Telekom(T-Mobile), Vodafone D2 등 3대 사업자를 중심으로 형성됨. 글로벌 이동통신 사업자인 Telefonica는 E-Plus 인수를 발판으로 2014년부터 시장 1위로 부상했으나, Vodafone과 T-Mobile 역 시 3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업자간 격차는 미미함.

그림 2.8 2016년 독일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 현황

독 일

출처 : Buddecomm(2017)

표 2.4 독일 주요 통신 업체 정보 로고 기업명 관련 정보 ‐ 이동통신 서비스 브랜드 ‘T-Mobile’을 통해 GSM 기반의 2G, UMTS/HSDPA 기반의 3G, LTE 상용 서비스와 다양한 이동통신 Deutsche Telekom 부가서비스를 제공함 ‐ 독일 브로드밴드 시장의 선두 사업자로 2014년 12월 현재 xDSL,FTTx 기반의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제공함 ‐ GSM/EDGE 기반의 2G, UMTS/HSDPA 기반의 3G LTE 상용 서비스와 다양한 이동통신 부가서비스를 제공함 Vodafone D2 ‐ Vodafone D2는 경쟁 사업자인 Deutsche Telekom의 xDSL 네 트워크를 임대해 DSL, VDSL 기반의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제공함 ‐ 스페인 기반의 이동통신 사업자인 Telefonica는 2006년 이후로 O2라는 브랜드를 통해 GPRS, EDGE 기반의 2G, UMTS, HSPA+ 기반의 3G, LTE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Telefonica ‐ 독일 이동통신 사업부문인 O2와 E-Plus를 통합해 약 38%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 독일 최대의 이동통신 사업자로 등극함 ‐ Telefonica Deutschland는 합병 이후 네트워크 통합작업을 진행 하고 있으며 LTE 네트워크 구축을 확대 중임 출처 : 각 기업 홈페이지

| 19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4. 디지털콘텐츠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20년 독일 디지털콘텐츠 매출, 57억 1,462만 달러 전망

글로벌 통계 기관 Statista의 자료에 의하면 2015년 독일 디지털콘텐츠 매출은 비디오 부분 3억 7,131만 달러, 음악 부분 6억 998만 달러, 게임 부분 14억 9,963만 달러, E-Publishing 부분 6억 9,364만 달러로 총 31억 7,456억 으로 조사됨 2020년 독일 디지털콘텐츠 매출은 비디오 부분 7억 2,078만 달러, 음악 부분 10억 4,404만 달러, 게임 부분 22억 5,219만 달러, E-Publishing 부분 16억 9,761만 달러 로 총 57억 1,462억 달러로 전망됨. 향후 5년간 가장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는 E-Publishing 부분이며 성장이 둔화되는 분야는 음악인 것으로 조사됨 독일은 FTTH 등의 고속 인프라의 지속적인 확대로 온라인 디지털 미디어 시장 역시 성 장이 지속될 전망이나 글로벌 공급자들이 현지 유통망에 대해 높은 장악력을 보이고 있 기 때문에 명확한 콘텐츠 차별화가 담보 되지 않을 경우 신규 사업자의 시장 진입은 어려 울 전망임

그림 2.9 2015~2020 독일 디지털콘텐츠 매출 전망 (단위: 백만 달러)

█ 비디오 █ 음악 █ 게임 █ E-Publishing

※ 2016~2020년은 전망치임 출처 : Statista

200 | 유럽Ⅰ 독일

2) 주요 기업 현황

독일 디지털 콘텐츠 시장에는 모든 영역을 아우르는 디즈니를 비롯하여 Marvel, Pixar 및 Lucasfilm 등의 글로벌 사업자가 포진하고 있음. 이들 기업은 콘텐츠 공급자이면서 온라인 유통 시장의 부분 소유주로 자사의 음악, 도서 등의 공급을 늘리면서 시장에서 공 급자 파워를 확대해 나가고 있음 유럽의 3대 메이저 시장인 독일의 음악시장은 영국에 버금갈 정도로 많은 업체들이 진출 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음. 아마존(Amazon), 아이튠즈(iTunes), 유튜브(YouTube), 스포티파이(Spotify) 등과 같은 다수의 글로벌기업들과 독일 내 로컬 음악 서비스업체들 이 경쟁하고 있음 표 2.5 독일 디지털콘텐츠 관련 주요 기업 정보 분류 기업명 관련 정보 독 일 ‐ 2천여 종의 다운로드 게임 및 1천여 종의 앱 서비스를 제공, 현재 모바일 Fox Mobile 콘텐츠 및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도적 기업으로서의 Distribution 지위에 오름 GmbH ‐ Fox 브랜드 게임 외, Electronic Arts, Glu Mobile, I-play, Digital Chocolate 등으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아 서비스 함 ‐ 2000년 설립된 온라인 게임 서비스/퍼블리셔로 유럽 내 3위 규모이며, MMO 게임퍼블리셔로서는 최상급 수준임. PC Client games, Gamigo AG 게임 browser games 등의 서비스와 더 불어 B2C 플랫폼을 개발해 사내 포 트폴리오에 있는 모든 게임의 통합적 지원 결제 시스템을 제공함 ‐ 2005년 설립된 온라인 게임 퍼블리셔 및 D2C 플랫폼 서비스업체로 브 라우저 게임및 클라이언트 게임을 유통, 판매함. 대표작 은 론칭 즉시 온라인 및 리테일 스토어에서 판매 1위를 기록함 GmbH ‐ 전 세계 게임개발자 및 퍼블리셔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최근 연간 약 2백개의 새로운 상품을 런칭. 러시아의 Kaliningrad에 게임 개발 스튜디 오를 보유하고 유럽시장을 타깃으로 업무협력 관계 유지하고 있음 ‐ 1969넌 프로듀서 만프레드 아이처(Manfred Eicher)에 의해 뮌헨에 설 립된 이래 재즈 음악을 중심으로 1천장 이상의 다양한 장르의 앨범 제작. 케이스 자렛(KeithJarrett), 폴 블레이(Paul Bley), 잔 가바렉(Jan ECM Garbarek), 칙 코리아(Chick Corea), 팻 메시니(Pat Metheny) 등 재 즈와 즉흥 음악으로 초기에 명성을 획득함 ‐ 디지털 비즈니스의 일환으로, 앨범과 싱글 트랙을 Amazon, iTunes 등 에 공급 중 음악 ‐ 1986년, 현 CEO이자 최대주주인 Michael Haentjes에 의해 영화음악 을 취급하는 우편주문 회사로 설립 후 독일 최대의 인디 음반사로 성장함 ‐ 1998년에서 2001년 사이 세계 시장으로 빠르게 비즈니스를 확장디지 Edel Music 털 음원 배급을 위해 아티스트들의 음악과 뮤직 비디오 콘텐츠를 iTunes, Napster, FNAC, Beatport, Nokia Music Services 등 주요 음원 판매서비스 사이트에 제공하며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도 활 발하게 활동함 teNeues ‐ teNeues Verlag는 독일에 본사를 두고 뉴욕, 런던, 파리, 뮌헨 등에 지 E-Publi Verlag 사를 두고 주로 캘린더를 발행하는 국제 출판사임. 캘린더 외에도, shing GmbH & teNeues는 또한 E-Book형태로 라이프 스타일, 디자인, 건축 등에 관 Co KG 련된 책도 출판함 출처 : 각 기업 홈페이지

| 20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5. 방송스마트미디어

1) 시장 동향 및 전망

방송콘텐츠

독일 내 스포츠는 2015년에도 여전히 최고의 방송 콘텐츠로 평가됨. 2014년 브라질 월 드컵을 통해 독일 방송 역사상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한 스포츠 콘텐츠는 2015년에도 두 드러진 시청률을 선보임. ZDF가 중계한 2014년 월드컵 준결승전은 87.6%의 시청률을, ARD가 중계 한 결승전은 86.2%를 기록함. 2015년에 ZDF가 중계한 FC바이에른뮌헨 과 FC바르셀로나의 UEFA챔피언스리그 준결승전이 1,346만 명의 시청자와 43.2%의 시청률로 최고의 스포츠 중계로 기록됨 독일 방송의 약점으로 지적되는 자국산 콘텐츠의 부진은 2015년에도 지속됨. 을 제외하고 독일에서 자체 제작된 방송 콘텐츠의 시청률은 저조함. 대신 해외 방송 콘텐츠 혹은 해외 방송포맷을 구입하여 제작된 프로그램의 인기 가 높음. 현재 공영방송인 ARD와 ZDF에서는 자체제작이 활성화되었지만, 민영방민영 방송사 그룹인 RTL과 Sat.1의 인기 프로그램들은 주로 해외에서 수입한 것들임

표 2.6 2015년 독일 시청률 상위 방송 프로그램 순위 방송사 프로그램 장르 시정차(백만 명)

1 ARD Tatort 드라마 13.69 2 ZDF Fußball Live Übertragung 스포츠 13.46 3 ARD Fußball Live Übertragung 스포츠 12.88 4 RTL Fußball Live Übertragung 스포츠 12.69 5 ARD Sportschau 스포츠 10.17 6 ARD Brennpunkt 뉴스/시사 9.70 7 ZDF Heute-Journal 뉴스/시사 9.69 8 RTL Boxen 스포츠 8.91 9 ZDF Tod eines Mädchen Folge 2 TV영화 8.08 10 ZDF James Bond Skyfall 영화 7.88 출처 : AGF/GFK Fernsehforschung(2016)

202 | 유럽Ⅰ 독일

방송

2016년 기준 독일의 TV 보유가구 수는 3,717만 8,000가구이며, 이 가운데 지상파 직 접수신 가구는 449만 4,000가구, 무료 위성 수신 가구는 1468만 5,000가구, 유료방송 수신 가구는 2208만 4,000가구임 통계포털 Statista에 따르면 독일인들의 일평균 TV시청 시간은 2000년 190분에서 점 점 증가해 2011년 225분으로 최고치를 기록했고,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5년 동안에는 221~223분 사이를 유지하고 있음. 인터넷 이용이 활발한 젊은 연령층은 일평 균 TV 시청 시간이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14~29세 연령층의 경우는 2016년 기준 119분에 불과함

표 2.7 독일 방송 가입자 현황 (단위: 천 가구) 독 분류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일 전체 TV 가구 수 36,710 37,030 37,104 37,178 지상파 직접수신 3,809 4,381 4,355 4,494 디지털 무료 위성 14,978 14,960 14,842 14,685 디지털 유료 위성 2,019 2,259 2,449 2,640 케이블 16,593 16,108 16,140 16,173 IPTV 1,872 2,444 3,117 3,272 유료 방송 총계 20,484 20,811 21,706 22,084 출처 : Digital TV Research(2017)

방송통신융합

독일은 온라인 동영상(OTT) 서비스 이용률은 유럽 선진국 내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에 이른 것으로 평가됨.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의뢰를 받아 온라인 설문업체 마크로밀 엠브레인이 해외 주요 6개국 시민 각 2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 진행한 OTT 이 용률 조사에 따르면, 독일의 OTT 이용률은 무려 97.6%로 프랑스(78%)와 미국(89.8%) 을 압도했고 영국(94.1%)보다도 높음 베를린 소재 시장조사업체 Goldmedia에 따르면, 사업자별 독일 OTT 시장점유율은 2017년 봄 기준으로 Amazon Prime이 47%로 1위를 달리고 있으며 Netflix는 약 500 만 명의 독일 내 가입자를 확보해 시장점유율 20%로 2위를 기록했음

| 20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독일 지상파 방송 사업자에는 공영 방송인 ARD 및 ZDF와 민영 방송인 RTL 및 ProSiebenSat.1 Media 등이 있음. 독일에서 1개 州 또는 복수의 州에서 케이블망을 운 영하는 대형 케이블 사업자로는 KDG, Unitymedia Kabel BW 등 2개 社가 있으며, 이 들 대형 사업자로부터 망을 임대해 방송사업을 운영하는 다수의 소규모 사업자들이 있음 독일 위성 방송은 SES Astra 위성을 통해 공영 방송사와 민영 방송사가 함께 무료 방송 을 제공하고 있으며, 유료 위성 방송 사업자에는 Sky Deutschland 및 arenaSAT 등이 있음 독일은 공영 방송과 민영 방송이 공존하고 있으며 ZDF, ARD 등 주요 지상파 채널들의 시장 비중이 높음. 2016년 기준 독일 TV 채널별 시장 점유율은 ZDF가 13%로 가장 높 고, ARD Dritte와 ARD가 각각 12.1%로 뒤를 따르고 있음

표 2.8 독일 방송 플랫폼별 주요 사업자 구분 주요 사업자

지상파 TV ARD(공영), ZDF(공영), RTL, ProSiebenSat.1 Media 케이블 TV KDG, Unitymedia Kabel BW 위성 TV ARD Digital, Sky Deutschland, arenaSAT 출처 : AGF/GFK Fernsehforschung(2016)

표 2.9 2016년 독일 주요 TV 채널 시청 점유율 순위 사업자 점유율

1 ZDF 13% 2 ARD Dritte 12.1% 3 ARD 12.1% 4 RTL 9.7% 5 SAT.1 7.3% 6 VOX 5.2% 7 Prosieben 5% 8 Kabel Eins 3.8% 9 RTL II 3.5% 10 TV-Rest 2.7% 11 기타 25.6% 출처 : Statista

204 | 유럽Ⅰ 독일

6. 정보보호

1) 시장 동향 및 전망

독일 리서치 기관인 Germany Trade Invest의 자료에 의하면 2008년 정보보안 산업 규모는 200억 유로(212억 9,698만 달러) 규모에서 2015년 310억 유로(330억 1,032 만 달러)로 증가 할 것으로 전망함

그림 2.10 독일 정보 보안 산업 시장 규모 추이 (단위: 십억 유로)

독 일

※ 2015년은 추정치임 출처 : Germany Trade Invest

독일 IT 보안시장 매출 중 78%는 컨설팅, 구현 및 유지 보수 등 서비스 분야의 매출이 며, 나머지가 액세스 관리, 종단 보안(Access security), 네트워크 보안 등 특수 애플리 케이션 매출임 독일의 정보보호 시장은 인터넷 뱅킹, e-Commerce 등의 서비스 이용 증가와 기업의 정보보호 시스템 및 인프라의 수요 증가, 독일 정부의 전자정부 정책 등으로 인해 지속적 으로 성장하고 있음 Bitkom에 따르면, 2013년 전문가 및 산업계 종사자 중 약 33%가 IT 보안을 중요 테마 로 꼽았으나 2014년에는 대폭 증가한 57%가 중요 테마로 선정함. 또한 독일 IT 보안법 시행에 따라 향후 수년간 각 기업이 사용하는 IT 보안기술의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위한 대규모 투자가 예상됨

| 20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Bitkom은 IT 보안법이 적용되는 독일 내 기업이 2,000여 개를 웃돌 것으로 분석하며, 보안기술에 대한 독일 기업들의 투자규모가 연간 11억 유로에 달할 것으로 관측함. 이번 IT 보안법에 포함되지 않은 일반기업 중 40% 이상이 향후 7년 안에 자사 내 IT보안 서 비스 도입을 희망하거나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답변해 향후 독일 IT 보안시장 전 망을 밝게 함 독일 내 주요 정보보안 업체 중 AVIRA는 antivir 라는 백신 프로그램을 개발했으며 무 료버전, 프로버전, 인터넷 시큐리티 제품이 있음. 여러 공신력있는 테스트에서 상위권을 유지중임 바이에른 州는 Digital Bararia를 통해서 데이터와 인터넷 보안에 중점을 두며, 인터넷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가로채는 피싱 공격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 키보드 개발 프로젝트 를 추진함 해당 프로젝트는 키보드로 입력 시 바로 정보가 암호화되어 웹서버로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추진하며, Imbus AG, Applied Security, TU Muenchen 등이 참여함 또한, 데이터 보안(스마트 카드 도용 및 오용 방지)을 강화하기 위해 스마트카드 내장 정 보 정확성과 안정성을 테스트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개발 중이며, 해당 프로젝트에는 Giesecke&Devrient GmbH, Validas AG, TU Muenchen이 참여함

표 2.10 독일 내 주요 정보보안 업체 분류 업체명

대기업 Giesecke ATIS systems Draeger Safety AVIRA HAVERKAMP egosecure & Devrient

중소기업 Cognitec AirRobot BALTECH Dermalog Securition InnoTec DATA Systems

206 | 유럽Ⅰ 독일

7. 클라우드 컴퓨팅

1) 시장 동향 및 전망

글로벌 통계 포털 Statista의 자료에 의하면, 독일 클라우드 컴퓨팅 매출은 2012년 53억 유로(56억 5,879만 달러)이며 2016년 201억 유로(214억 6,000만 달러)규모로 전망됨

그림 2.11 독일 클라우드 컴퓨팅 매출 규모 추이 (단위: 십억 유로)

독 일

※ 2016년은 추정치임 출처 : Statista

독일 기업들의 클라우드 컴퓨팅 이용률은 2015년을 기점으로 이미 50%를 넘어선 것으 로 파악됨.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2018년 5월부터 시행되는 범 유럽 데이터 보호 규정인 GDPR에 대비해 제반 준비에 나서고 있는데, 예를 들어 Microsoft는 Azure 이용자의 데이터가 미국 등으로 유출될 위험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독일 내에 데이터센터 2개를 신설했음

그림 2.12 독일 기업들의 클라우드 컴퓨팅 이용률 추이 (단위: %)

출처 : Statista

| 20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독일 클라우드 시장은 주요 통신 사업자들과 네트워킹 솔루션 제공 사업자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강화하고, 독일 정부의 클라우드 활성화 정책으로 클라우드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음 특히, 기업들의 SaaS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 선호로 독일 클라우드 시장은 SaaS 서비스 에 대한 수요가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분석되며, 개인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클라우드 시스템 개발이 주요 이슈가 될 전망임

표 2.11 독일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주요 기업 로고 기업 내용

‐ T-System이라는 기업 서비스 전담 사업체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전 문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SaaS, IaaS 기반의 서비스를 중점적으로 제공함 ‐ SaaS 서비스의 경우 2013년 10월 기준 Microsoft Office 솔루션을 비롯한 총 Deutsche 10개의 소프트웨어를 지원함 Telekom ‐ Deutsche Telekom의 IaaS 서비스인 ‘HiDrive Pro’는 데이터센터를 통한 데이 터 스토리지, 파일 공유, 데이터 백업, 가상 서버 제공 등의 서비스를 지원함SAP 와 공동으로 클라우드 기반 물류 솔루션을 제공하기로 합의함 ‐ 모기업인 Vodafone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으로 비즈니스 솔루션 등으로 구성된 기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비즈니스 솔루션은 고객이 문자, 음성,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비즈니스 공유 플 Vodafone 랜, 브로드밴드 서비스, 콘택트 센터 솔루션, M2M, Office 365 등으로 구성됨 D2 ‐ Office 365는 25GB 메일박스, 달력, 전화번호, 업무, 문서 공유 등의 서비스를 포함하며, 사업자 규모로 구분된 요금제를 통해 제공되는 토탈 패키지 서비스임 ‐ Vodafone D2는 비즈니스 서비스로 클라우드 서비스, 비디오 회의, 웹&도메인,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함 ‐ 자사가 보유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활용해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를 제공하고 있음 ‐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라우드 서버, 클라우드 백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안성, 접속성, 이동성에 중점을 둠 O2 ‐ 클라우드 서버는 IaaS 기반의 서비스로 데이터 스토리지, 가상 서버, 클라우드 기 반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함 ‐ 또한, 클라우드 백업 서비스는 데이터 암호화를 통해 보안성을 갖춘 백업 서비스 로, 데이터 보안이 필요한 기업을 중심으로 제공됨 ‐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인터넷 데이터센터(Internet Data Center, IDC) 구축을 발 표함 Amazon ‐ AWS는 유럽지역에 아일랜드에 이어 두 번째 IDC를 확보함에 따라 유럽 내 클라 Web 우드 서비스를 유연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임 Services ‐ 한편, 독일 언론매체 Tagesspiegel은 AWS뿐만 아니라 Oracle 역시 독일에 2 개의 데이터 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보도함 출처 : TechNode

208 | 유럽Ⅰ 독일

8. 사물인터넷

1) 시장 동향 및 전망

영국 기계전문 연구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2015년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의 수는 총 140억 대 규모로 확대될 전망임. 독일 Fraunhofer 연구소 내 마이크로 시스템 및 고 체 기술공학분야 대표인 쿠터에 따르면, 2023년에는 대략 380억 대가 될 것으로 전망함 독일 시장 내 디지털화 및 사물 인터넷과 연계된 신제품의 개발이 중요한 테마로 떠오름 에 따라 소비자 시각에서는 제품의 편의성과 IT 보안화가 중요함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협회에 따르면 Industrie 4.0 계획 아래에서 2025년까지 IT-커뮤

니케이션 산업은 1077억 유로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 수치는 독일의 가장 활성화 독 된 시장인 기계, 자동차, 전기 및 전자, 화학산업 시장 규모를 크게 웃도는 규모임 일 글로벌 리서치 기관인 MicroMarketMonitor의 자료에 의하면 2014년 독일 사물인터 넷 시장 규모는 126억 달러임. 2019년 독일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374억 달러 규모 로 성장 할 것으로 전망됨

그림 2.13 독일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추이 (단위: 십억 달러)

※ 2019년은 추정치임 출처 : MicroMarketMonitor

독일 정부는 2022년까지 핵에너지 사용을 중단한다는 당국의 결정에 따라, 국가 에너지 수요를 공급할 재생에너지 및 스마트 미터기 대체 사업 관련 투자를 확충할 전망임. 그러 나, 소비자에게는 스마트 그리드와 스마트 미터라는 개념 인지 부족과 낮은 에너지 절감 효과로 스마트 미터기를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둔화될 우려가 있어 독일 정부는 이를 보 완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

| 20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독일 사물통신 시장은 Deusche Telekom, O2, Vodafone D2 등 통신 사업자들을 중 심으로 형성됨. 독일 자동차 제조업체인 Benz와 Audi도 자동차와 사물인터넷을 접목하 여 관련 기술과 제품을 개발 중임

표 2.12 독일 사물인터넷 관련 주요 기업 로고 기업 내용 ‐ Deutsche Telekom의 자회사인 T-Mobile과 공동으로 이탈리아의 Telit Wireless Solutions와 제휴하여 각종 사물통신 솔루션의 개발을 추진함. 주요 개발 영역은 텔레매 틱스, 운송, 내비게이션, 스마트 계량기, 자동판매기, 보안 서비스 등임 Deutsche ‐ 중국의 통신 장비 사업자인 Huawei와도 사물통신 관련 양해각서를 체결, T-Mobile은 Telekom 사물통신 통신 모듈용 SIM 카드를 통한 사물통신 애플리케이션 활용에 주력함 ‐ Deutsche Telekom과 China Mobile은 커넥티드 카 서비스 및 기술 개발을 위한 5:5 조인트벤처 설립에 합의했음 ‐ EDGE, HSPA+, HSDPA, UMTS, GSM, GPRS, LTE 기반의 사물통신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으며, 원격 모니터링, 텔레매틱스, T-Health 등을 제공함 Vodafone ‐ Vodafone D2의 모기업인 Vodafone은 주요 사물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자동 D2 차, 전자기기, 에너지 및 유틸리티, 의료, 제조, 공공 서비스 등이 있음 ‐ 기업 전용 서비스인 Office 365를 통해 클라우드, 비디오 회의, 웹&도메인, 위치기반 서 비스 등을 제공함 ‐ 자사의 HSPA+, HSDPA, UMTS, EDGE, GPRS, GSM, LTE 기술 기반의 사물통신 서비스를 제공함 ‐ O2의 모기업인 Telefonica는 Telefonica Digital Hub를 구축하기 위해 Telefonica Digital이라는 부서를 만들고 4대 핵심 영역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음 O2 ‐ 4대 핵심 영역은 제품 개발 및 혁신, 파트너십 및 벤처 캐피털, 신규 디지털 서비스, 신규 비즈니스 진출 등임 ‐ 독일 시장에서 신규 스마트 사물통신 플랫폼을 발표했으며 기업을 대상으로 원격 모니터 링 서비스를 제공함 ‐ 무인차 상용화를 위해 주력 중이며 자동차가 자율적으로 판단해 주행하고, 신호등이 보 이거나 자전거가 나타날 경우 운전자가 직접 운전대를 잡도록 하는 기술을 구현하는데 집중하고 있음 ‐ 교통 정체 시 차량이 스스로 다른 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 자동 주행하는 기능을 Mercedes S-클래스 모델에 탑재함 Benz ‐ 노키아와 자동차 부품업체 콘티넨탈, 마그네티 마렐리가 협력 계약을 맺어 자율 주행차가 도로와 주변 정보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 정보와 카메라, 센서 등을 공급할 예정임 ‐ 자동차 간 소통 프로젝트 Car to X 추진 중, 운전자가 살피기 어려운 정보를 제공해 갑자 기 나타나는 보행자나 차에 대해 대비하게 하며, GPS 정보와 신호체계, 교통 혼잡을 판 단해 효율적 운행 경로를 제공함 ‐ 아우디 Car to X는 블루투스 스마트폰으로 UMTS 모듈과 연결돼 4G LTE와 접속되며,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어 전방의 위험 상황을 신속히 전달받을 수 있음 ‐ 긴급제동시스템(AEB : Active Emergency Breaking) 은 65㎞/h 이상에서 위급 상황 Audi 이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풀 브레이킹을 실행함 ‐ 파일럿 파킹은 좁은 지역에서 주차 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고려한 완전 자동 주차 기 능을 지원함 출처 : TechNode

210 | 유럽Ⅰ 독일

9. IT스마트융합

1) 시장 동향 및 전망

글로벌 통계 포털 Statista의 자료에 의하면 2015년 독일 빅데이터 시장 규모는 13억 9,900만 유로(14억 9,300만 달러) 규모에서 2020년에는 두 배 이상 증가하여 37억 4,500만 유로(39억 9,8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그림 2.14 독일 빅데이터 시장 규모 전망 (단위: 백만 유로)

독 일

출처 : Statista

독일 빅데이터 시장은 초기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세계 5위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 며, 이미 다수의 글로벌 사업자들과 높은 기술력을 보유한 독일 기반의 소프트웨어 사업 자들이 해당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해 시장이 과열되는 양상임 독일 소프트웨어 사업자들은 빅데이터를 유망 시장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에 해당 시 장 진출과 빅데이터 관련 제품 및 솔루션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 독일은 유럽 소프트웨어 시장을 주도하는 주요 국가라는 입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글로벌 소프트웨어 및 빅데 이터 솔루션 제공 사업자들은 독일 사업부를 기반으로 유럽에서 사업을 전개함 독일 정부는 빅데이터 시장 규제 법안 및 국가 전략을 수립할 가능성이 높으며, 정보통신 (ICT) 시장 고도화의 일환으로 빅데이터 보급에도 주력할 것으로 전망됨

| 21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표 2.13 독일 빅데이터 관련 기업 정보 업체 설립시기 업종 서비스

주력 상품인 EXASolution을 통해 데이터 저장, 데이터 Exasol 2000년 소프트웨어 마이닝, 빅데이터, 웹 분석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및 기술 솔루션, SAP AG 1976년 소프트웨어 분석 서비스 등을 제공함 독일 소프트웨어 기업인Soft AG에 2011년 인수되었으며주력 상품인 Big Memory를 통해 속도가 Terracotta 2003년 솔루션 느린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머신 메모리로 끌어올려 신속하고 예측 가능한 엑세스를 지원함 출처 : 각 사 홈페이지

표 2.14 독일 3D 프린터 관련 기업 정보 업체 설립연도 홈페이지 비고 금,은,동,티타늄 등 금속 레이져 소결 Concept 공정 가능한 3D 프린터 생산하며 2000 www.concept-laser.de Laser 우주항공 산업분야 수요 증가로 미국시장에서 크게 성공 독일 3D 프린트 분야 선도 기업 EOS 1989 www.eos.info GE Aviation 으로부터 3D 프린터 100대 주문 독일 대표 화학 기업 Evonik 2007 www.evonik.com 적층 가공용 소재 생산 1999년 설립되었으며 2013년 매출 ExOne 1999 www.exone.com 38% 증가 됬으며 총 29대 판매 Fabbster 2011 redesign.fabbster.com 가정용 3D 프린터 생산 German 다양한 분야 응용 가능한 3D 프린터 2010 www.germanreprap.com RepRap 생산 판매 Innovation Dreve Group 자회사, - www.innovation-meditech.de MediTech 의료기기/기구 관련 제품 생산 Multec 2011 www.multec.de 3D 프린터 제조 및 판매 SLM 2010 stage.slm-solutions.com 적층가공산업 분야 선도기업 Solutions 독일 전통 공작기계 제조기업이며 Trumpf 1923 www.trumpf.com 새로이 적층가공산업에 뛰어듬 3D 프린터/시스템 제조 올해 4월, Voxeljet 1999 www.voxeljet.de 미국 투자 결정, 공장건설 출처 : 3druck.com

212 | 유럽Ⅰ 독일

표 2.15 독일 핀테크 관련 기업 정보 업체 설립시기 업종 서비스

Mediamarket 1979년 NFC(근거리무선통신) 방식을 통한 비접촉식 신용카드 결제와 모바일 결제시스템을 도입할 전자제품 유통 계획이며 독일 전역에 있는 417개 지점에 약 Saturn 1961년 3,500대의 신개념 결제시스템을 구축해 2015년 가을부터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임

베를린에 위치한 지점 약 100곳과 함부르크에서 EDEKA 1898년 슈퍼마켓 체인 스마트폰 앱 결제시스템을 구축해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독일 전역에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임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비접촉식 결제시스템 Aldi Sued 1913년 슈퍼마켓 체인 테스트를 계획 중임

출처 : 각 사 홈페이지 독 일

| 21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0. 전파위성

1) 시장 동향 및 전망

독일의 주파수 계획과 할당은 연방국방부(BMVg), 연방경제기술부(BMWi), 연방통신청 (Bundesnetzagentur) 등의 기관이 관할함. 독일의 주파수 관리 체계는 이용 형태에 따 라 크게 군사용과 민간용으로 구분되며, 군사용 주파수는 연방국방부(BMVg)가, 민간용 주파수는 연방통신청(Bundesnetzagentur)이 관리함 독일의 비군사용 전파관리를 담당하는 주요 기관은 연방경제기술부(BMWi)와 연방통신 청임. 연방경제기술부 內 제4국인 산업정책총국(Industrial Policy, DG IV)이 주파수 정책을, 제7국인 기술정책총국(Technology Policy, DG VII)이 표준화를 담당함 연방통신청은 공공 안전 및 방송용을 포함한 주파수 할당, 주파수 이용에 관한 업무 등을 담당함. 상기 기관은 총리가 임명하는 청장과 2인의 부청장 아래 9개의 결정위원회 (Ruling Chamber), 1개의 자문위원회(Advisory Council) 및 7개의 규제 부서로 조직 됨. 결정위원회는 9개의 결정위원회로 조직되어 있으며, 이중 결정위원회 1이 주파수 할

당을 담당함 구분 내용 연방통신청의 7개 규제부 중에서, 규제부 2가 주 주파수 관리팀 주파수 감시 파수 이용의 개념 수립, 수요 파악, 주파수 할당 주파수 할당 주파수 할당과 지정 조절 등 전반적인 주파수 관리를 담당하며, 규제부 2 정책팀 주파수 관련 정책 마련 주파수 이용료 산정 모델 개발 주파수 사용 는 주파수 관리팀, 주파수 할당 정책팀, 주파수 효율적인 전파 감시 시스템 계획팀 사용 계획팀으로 구성됨 구축

표 2.16 용도에 따른 주파수 할당 담당 기관 주요부처 역할

민간용 주파수 연방통신청(Bundesnetzagentur) 연방국방부(BMVg) 및 연방국방군 전기통신시스템・정보시스템청(NARFA GE)이 군사용 주파수 주파수 관리 및 할당 민간용 및 군사용 주파수 연방통신청과 정보시스템청의 협의 하에 연방통신청이 할당 연방미디어청(die medienanstalten)과 연방통신청의 협의 하에 연방통신청이 방송용 주파수 할당 공공안전용 주파수 내무부(BMI)의 위임 하에 연방통신청이 할당 항공·항해·항만 사업용 주파수 각 업무를 관장하는 기관의 승인 하에 연방통신청이 할당 출처: 연방통신청

214 | 유럽Ⅰ 독일

2) 주요 기업 현황

2010년 5월 연방통신청(Bundesnetzagentur)은 독일의 주요 통신사업자들을 대상으로 800MHz, 1.8GHz, 2GHz 및 2.6GHz 대역 주파수 경매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Deutsche Telekom, Vodafone, Telefonica(O2) 및 E-Plus가 주파수를 획득함 2010년 경매는 2009년 12월 10일에 발표된 대통령령을 근간으로 시행됨. 이 경매를 통해 독일 정부는 총 41개 주파수 블록(Block)을 할당하였으며, 이를 통해 총 43억 8,500만 유로 규모의 수익을 확보함 Deutsche Telekom은 해당 경매에 약 13억 유로, Vodafone이 14억 유로, Telefonica 가 13억 7,800만 유로, E-Plus가 2억 8,360만 유로를 투자함 2015년 6월, 독일 연방통신청은 2016년 이용기간이 만료되는 4개 대역 700MHz(60MHz), 900MHz(70MHz), 1.5GHz(40MHz), 1.8GHz(100MHz) 주파수 총 270MHz 폭을 이동통 독 일 신용으로 할당하기 위해 상위 3개 통신 사업자를 대상으로 경매를 실시함 독일 정부는 특정 사업자로의 주파수 쏠림에 따른 경쟁 왜곡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각 사업자별로 주파수 보유량을 균등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이용기간이 만료되는 주파수 전 량을 회수해 기존 사업자에 재할당 없이 경매에 부침. 또한, 독일에서 핵심 대역으로 분 류되는 900MHz 대역에서는 사업자별 최대 30MHz폭으로 할당 총량을 제한하는 경매 규칙을 적용함. 총 낙찰가는 50억 유로 이상에 달함

표 2.17 2015년 독일 주파수 경매 결과 700MHz 900MHz 1,500MHz 1,800MHz Total 주요부처 가격 Amount 가격 Amount 가격 Amount 가격 Amount 가격 Amount (백만 유로) (MHz) (백만 유로) (MHz) (백만 유로) (MHz) (백만 유로) (MHz) (백만 유로) (MHz) Telefonica 333,244 20 385,478 20 0 0 479,516 20 119,824 60 Deutsche 338,216 20 545,104 30 163,897 20 744,939 30 179,216 100 Telekom Vodafone 328,985 20 415,105 20 165,758 20 118,099 50 209,084 110 2,405,44 Total 100,045 60 134,569 70 329,655 40 100 508,124 270 9 출처: 연방통신청

| 21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1. 디바이스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0년 독일의 IT 하드웨어 생산 지수를 100 |2014~2016 독일 IT 하드웨어 현황 및 전망| 으로 가정했을 때 2015년 IT 하드웨어 지수는 (단위: 백만 달러) 76이며 2016년도 3분기에는 71로 더욱 감소 분류 2014 2015 2016 함. 2016년 11월 IT 하드웨어 생산 지수는 70 IT 하드웨어 200,730 171,090 179,800 으로 조사되어 전년도 생산 지수에 비해 낮은 시장규모 22,500 22,800 23,310 수치임. 이를 통해 독일 내 IT 하드웨어 생산량 ※2016년은 전망치임 이 이전보다 감소하였다는 것을 알 수있음

그림 2.15 독일 IT 하드웨어 생산 지수 (2010년=100)

출처 : Bitkom(2017)

글로벌 통계 포털인 Statista의 자료에 의하면, 2016년 독일 스마트폰 사용자 수는 4,920만 명이며 점차 증가하여 2021년에는 독일 내 6,190만 명이 스마트폰을 사용 할 것으로 전망됨

216 | 유럽Ⅰ 독일

그림 2.16 독일 스마트폰 사용자 수 전망 (단위: 백만 명)

출처 : Statista 독 일 2) 주요 기업 현황

글로벌 통계사이트 StatCounter에 의하면 2017년 독일 모바일폰 시장 점유율은 삼성 이 44.41%, 애플이 30.19%로 각각 1, 2위를 나타냈고, 중국 벤더 화웨이는 7.12%로 3 위를 기록 중임. 삼성은 2014년부터 4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해왔고, 애플은 2013년을 기점으로 삼성에 추월을 허용한 후 한때 20% 중반대까지 시장 점유율이 떨어 졌으나 2015년부터는 30% 내외를 유지함

그림 2.17 2017년 독일 모바일폰 시장 점유율 (단위: %)

출처 : StatConter

| 21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독일 기업들의 하드웨어 생산량 감소와 별개로, 독일의 컨슈머 IT 상품 시장은 스마트폰 확산이 본격화된 2010년을 기점으로 대폭 성장했고, 2014년부터는 매년 4/4분기 판매 액만으로도 55억 유로 이상이 유지되고 있음

그림 2.18 독일 컨슈머 IT 상품 판매액 추이 (단위: 백만 유로)

출처 : Statista

218 | 유럽Ⅰ 독일

Ⅲ • • 유망제품 진출전략

Overview

유망품목 도출

빅데이터 키워드 분석 유망품목 선정 - '사물인터넷‘

‐ 선정 사유 1. 독일 에너지전환 정책 시행으로 효율적 에너지 사용 유도  에너지전환(Energiewen  de) 정책’을 시행하여 에너지 정책과 규제방식 변화를 통해 절전 환경 구축 ‐ 선정 사유 2. 독일 전기세 및 추가부담금, 타 유럽 국가에 비해 높아  2016‘ 중국 웨어러블 기기 시장 규모 28억 8,000억 달러 전망 ‐ 선정 사유 3. 독일 스마트 계량기 단계적 보급  2017년부터 2032년까지 총 4,400만 대의 스마트 계량기가 단계적으로 보급될 예정

유망제품 선정 독 ‐ 스마트 계량기(Smart meter) 일  기존의 계량기와 IoT기술을 접목하여 효율적인 전기 관리 가능 ‐ 스마트 LED 조명(Smart LED Light)  조명 내 인식 센서를 결합해 각종 정보 제공 ‐ 스마트 플러그(Smart Plug)  고가의 전기세로 인해 전기 사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스마트 플러그의 수요 증가 전망

유망제품 유통구조 현지 진출 기업 사례

수출기업

사물인터넷 인터넷 쇼핑몰 전자제품 유통업체 솔루션 업체 플랫폼 ‐ 삼성전자, 독일 조명건축박람회서 고효율 스마트 LED 신제품 공개 전자제품 판매업체 리셀러 ‐ LG전자, 독일서 ‘모바일 메신저로 제어’ 스마트 조명 공개

최종수요처

‐ 전자제품 유통업체, 사물인터넷 솔루션 업체, 인터넷 쇼핑몰 플랫폼을 통해 제품 유통

유망제품 홍보 방법

‐ 직접 제품 체험 할 수 있는 ‐ 가전 기기 관련 전시회 참가 프로모션 기회 마련

| 21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 유망품목 도출

IT 산업 10대 트랜드, 사물인터넷 선정

IT 산업 조사 전문업체 가트너에서 2017년 IT 산업 10대 트렌드로 사물인터넷을 선정 함. 특히 독일 시장 내에서 전기 관련 사물인터넷 제품이 인기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

선정 사유 1. 독일 에너지전환 정책 시행으로 효율적 에너지 사용 유도

1970년대부터 원전 폐지와 신재생에너지 확대 기조를 유지해온 독일 정부는 2009년 전 체 에너지시스템 전환을 목표로 ‘에너지전환(Energiewende) 정책’을 시행하여 에너지 정책과 규제방식의 변화를 통해 효율적 에너지 사용을 유도함

표 3.1 독일 에너지전환 원칙 신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 효율성 제고

‐ 화력 발전소의 구조조정 ‐ 스마트 그리드 및 저장 장치 ‐ 신재생에너지 확대 및 기존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통합 ‐ 에너지고효율 빌딩 확대 가속화 ‐ 에너지 효율성을 위한 유럽식 계획안 마련 ‐ 풍력을 중심 에너지원으로 설정 ‐ 효율적 조달 ‐ 전력망 확대 ‐ 비용 효율성 제고 출처 : Craig Morris, Energy Transition: the German Energiewende, Heinrich Boll Stiftung, 2015

선정 사유 2. 독일 전기세 및 추가부담금, 타 유럽 국가에 비해 높아

유럽 통계 기관인 Eurostat 자료에 의하면, 2015년 기준 독일 가정용 전기세 추가부담 금 및 세금 비중은 51.6%로 유럽 국가 내 2위, 산업용 전기세 추가부담금 및 세금 비중 은 45.5%로 1위를 차지함

선정 사유 3. 독일 스마트 계량기 단계적 보급

독일 정부는 2016년에서 2026년까지 스마트 계랑기 관련 인프라(첨단 센서, 통신, 배전 망 소프트웨어, 배터리 축전 등)에 총 236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2017년부터 2032 년까지 총 4,400만 대의 스마트 계량기가 단계적으로 보급될 예정임 스마트 미터기 보급으로 독일 내 전력 소비자가 언제, 어디서 얼마나 많은 전기를 사용하 는지 확인이 가능하며 에너지 소요량을 최적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또한 전기 공 급업체가 소비 패턴에 맞는 맞춤형 전기요금 체계 운용이 가능해짐

220 | 유럽Ⅰ 독일

2. 유망제품 선정

스마트 계량기(Smart meter)

➀ 기존의 계량기와 IoT기술을 접목하여 효율적인 전기 관리 가능 ➁ 독일 내 2017년부터 2032년까지 총 4400만 대의 스마트 계량기가 단계적으로 보급될 예정임

[ 스마트 계량기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독 일

스마트 LED 조명(Smart LED Light)

➀ 일반 LED 조명보다 전기 소모가 적고 밝기가 밝아 효율적인 조명 사용 ➁ 조명 내 인식 센서를 결합해 각종 정보 제공

[ 스마트 LED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스마트 플러그(Smart Plug)

➀ 고가의 전기세로 인해 전기 사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스마트 플러그의 수요 증가 전망

[ 스마트 플러그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 22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3. 유망제품 유통구조

유망 품목으로 선정한 전기 관련 사물인터넷 제품에 대한 독일 시장 내 유통구조를 조사 함. 독일 시장 내 유통 경로는 크게 전자제품 유통업체, 사물인터넷 솔루션 업체, 인터넷 쇼핑몰 플랫폼으로 나누어짐 전자제품 유통업체는 직접 사물인터넷 관련 제품을 생산하거나 수입하여 현지 시장에 유 통하며 제품 수입 방법으로 직수입 하여 유통하거나 OEM 또는 ODM 방식으로 수입 후 직접 판매하거나 판매업체를 통해 제품을 판매함 사물인터넷 솔루션 업체는 직접 사물인터넷 관련 제품을 생산하지는 않지만 제품 안의 솔루션을 개발하여 사물인터넷 제품에 적용하는 업체임. 사물인터넷 관련 제품을 수입하 여 자사의 솔루션을 적용하여 직접 판매하지 않고 중간 전자제품 판매업체를 통함 인터넷 쇼핑몰 플랫폼은 B2B, B2C로 나누어지며 B2B의 경우 독일 내 유통업체가 구매 하여 현지 고객들에게 재판매하는 방식이며 B2C의 경우 수출업체가 직접 현지 고객들 에게 물건을 배송, 판매함

그림 3.1 독일 전기 관련 사물인터넷 제품 유통 구조

수출기업

사물인터넷 인터넷 쇼핑몰 전자제품 유통업체 솔루션 업체 플랫폼

전자제품 판매업체 리셀러

최종수요처

222 | 유럽Ⅰ 독일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사물인터넷 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저전력 광역 무선통신기술(Long Range Wide Area Network) 모듈을 내장한 제품이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으며, 향후 사물인터넷 통신에 사 용되는 저전력 광역 무선통신 기술 모듈을 내장한 제품의 수요가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함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제품 가운데 스마트폰 앱과 연동돼 사용 가능한 센서, 각자 콘 센트구별로 설정이 가능한 멀티 탭, 냉난방 및 공기청정기능이 통합된 제품, 자동으로 필 요한 양의 세제 투입이 가능한 스마트 세탁기 등이 큰 주목을 받고 있음

삼성전자, 독일 조명건축박람회서 고효율 스마트 LED 신제품 공개 독 일 삼성전자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조명건축박람회 2016’에서 고효율, 고품질 조 명용 발광다이오드(LED) 스마트 모듈과 칩 스케일 패키지(CSP:Chip Scale Package) 신제품을 선보임 스마트 조명 모듈은 LED와 센서,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각종 정보를 유무선 통신으로 전 달할 수 있는 제품임. 이 모듈과 동작 인식 센서를 결합해 백화점에 적용할 경우 쇼핑객 흐름을 분석해 마케팅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주차장에 적용하면 빈자리 정보를 고객 에게 제공할 수 있음

LG전자, 독일서 ‘모바일 메신저로 제어’ 스마트 조명 공개

LG전자는 독일 ‘조명건축박람회 2014’에서 모바일 메신저 ‘라인’으로 제어하는 스마트 조명기술을 세계 최초로 공개함. 가전과 대화하는 개념인 ‘홈챗(homechat)’ 기술을 조 명에 적용함. ‘라인’을 통해 사용자가 외부에서 메신저로 조명을 점등·소등 할 수 있고 현재 조명 상태 를 점검할 수 있음. LG전자는 ‘LG 라이팅(lighting)’을 브랜드로 내걸고 ‘진정한 스마트 조명(simply smart in lighting)’을 주제로 에너지 절감 기술, 스마트 기술 등을 선보임

| 22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제품 사용방법 및 정보 관련 영상 제작

고객들에게 사물인터넷을 접목한 제품이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현지 시장의 언어 통해 제품의 사용방법과 정보를 영상으로 제작하여 고객들에게 홍보 할 수 있음

그림 3.2 스마트홈 업체 FIBARO社의 제품 홍보 영상

출처 : YouTube

가전 기기 관련 전시회 참가

독일 베를린 국제 가전 및 멀티미디어 전시회는 프리미엄 소비자가전의 선두지역인 유럽 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의 가전 및 멀티미디어 전문 박람회임. 유럽 유력바이어 및 중동, 아프리카 바이어 대거 방문하여 글로벌 바이어들에게 제품을 홍보 할 수 있는 기회임

표 3.2 2018 독일 베를린 국제 가전 및 멀티미디어 박람회 명칭 2018 독일 베를린 국제 가전 및 멀티미디어 박람회 2018 독일 베를린 일시 2018년 8월 31일~9월 5일 (6일간) 국제 가전 및 멀티미디어 박람회 방송.통신 , 인터넷.IT.텔레커뮤니케이션 , 산업분야 Organizer : 컴퓨터.PC주변기기, 전기.전자 Messe Berlin GmbH 최초개최연도 1924년 ADDRESS : 참가국 수 48개국 Messedamm 22, 14055 Berlin, 주요참가국 독일,한국,미국,네덜란드,홍콩,중국 등 Germany 전년도 1,800여 개 TEL : (49-30) 3038 2329 참가 업체수 E-MAIL : [email protected] 전년도 Website : www.ifa-berlin.de 약 253,000명 참관객수 출처 : www.ifa-berlin.de

224 | 러시아 RUSSIA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 226 1. 정책 및 규제 기관 2. 정책 및 규제 3. 산업구조 및 특징 4. 산업 주요 이슈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244 1. 소프트웨어 2. 인터넷서비스 3. 통신 4. 디지털콘텐츠 5. 방송스마트미디어 6. 정보보호 7. 클라우드 컴퓨팅 8. 사물인터넷 9. IT스마트융합 10. 전파위성 11. 디바이스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 275 1. 유망품목 도출 2. 유망제품 선정 3. 유망제품 유통구조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Ⅰ • •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Overview

정보통신방송 주요 기관

통신매스컴부(MinComSvyaz)

‐ 2008년 6월 발표된 ‘러시아 연방 통신 및 매스컴부 출범에 관한 정부 결의’에 근거하여 정보기술, 역할 통신(전파 주파수 포함), 우정, 매스컴 등 분야에 대한 규제를 실시함

통신매스컴부 (MinComSvyaz) 전자정부개발부 입법부

산업프로젝트부 국제협력부

정보기술개발부 법무부 조직도 조직개발부 대량정보정책부

외부 커뮤니케이션부 재정부

주파수 규제부 인프라프로젝트부

정보 프로젝트부 정보협력부

정보통신방송 주요 정책

러시아 개혁 전략 2020(Russian Innovations Strategy 2020)

‐ 러시아는 세계 흐름에 맞춰 기후, 교육, 과학, 사회 등 다양한 분야의 개혁을 통해 생태계를 조성하여 세계 변화 에 대응하기 위해 ‘러시아 개혁 전략 2020(Russian Innovations Strategy 2020)을 발표함 ‐ 러시아는 R&D 투자 및 혁신 기술 개발 등을 통해 2020년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러시아의 하이테크 제품 비중을 5~10%로 늘리는 것을 비롯하여 GDP 대비 R&D 지출 비중을 2.3~3.0%까지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러시아 4차 산업혁명 전략

‐ 4차 산업혁명 대비 프로그램 ‘2035 National Technological Initiative(NTI)'을 수립함. ‐ 2015년 6월 러시아의 경제 현대화와 혁신을 위한 정부 상임 위원회가 열려 NTI(New Technological Initiative) 로드맵의 역할을 정하고, 그의 발전과 수행을 위한 Working Group이 설정됨

한국과의 협력 현황

‐ 경기도, 한·러 기업간 자율주행 관련 MOU 체결(2017.9) 정부 ‐ 보건복지부, ICT 기반 보건의료분야 협력 강화(2017.9) ‐ 한-러, ‘유라시아 기술혁신 파트너십’ 개최(2016.12)

‐ 분당서울대병원, 러시아에 병원시스템 수출(2017.9) 기업 ‐ KG이니시스·KG모빌리언스, 2017 러시아 진출 확대 계획(2016.12)

226 | 유럽Ⅰ 러시아

1. 정책 및 규제 기관

통신매스컴부(MinComSvyaz Rossii, Ministry of Telecom and Mass Communications of Russian Federation)

러시아 통신매스컴부 통신매스컴부(MinComSvyaz Rossii, Ministry of (MinComSvyaz) 장관 프로필 Telecom and Mass Communications of 성명 Nikolay Nikiforov Russian Federation)는 러시아의 정보통신(ICT)· 방송·우편 정책 기관으로 2008년 5월에 출범함 직급 장관 전신은 1917년 설립된 우편전보 인민위원회 주요경력 (People’s Commissariat for Posts and 2012.05~현재 통신매스컴부 장관 Telegraphs)이며, 1946년 통신부(Ministry of 타타르스탄 커뮤니케이션 - 부총리 Communications)로 개편됨. 통신부는 다시 1999 타타르스탄 정보기술센터 년 통신정보부(Ministry of Communications and - 이사 Informatics)로 개편되었으며, 통신정보부는 2004 년 정부 개혁 실시 후 정보기술통신부(Ministry for 러 시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Communications)로 개편됨 아 2008년 5월, Medvedev 정권 출범 후 정보기술통신부(Ministry for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Communications)는 문화매스컴부(Ministry of Culture and Mass Communications)와 통합하여 통신매스컴부(MinComSvyaz)로 개편됨. 2008 년 6월 발표된 ‘러시아 연방 통신 및 매스컴부 출범에 관한 정부 결의’에 근거하여 정보 기술, 통신(전파 주파수 포함), 우정, 매스컴 등 분야에 대한 규제를 실시함 2009년 5월, 매스미디어통신문화유산보호관리국(Russian Federal Supervision of Mass Media, Communications and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Rossvyazokhrankultura)으로부터 매스컴 관련 규제 기능이 이관됨에 따라 관련 역할 이 강화됨

| 22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1.1 러시아 통신매스컴부(MinComSvyaz) 조직도

통신매스컴부 (MinComSvyaz)

전자정부개발부 입법부

산업프로젝트부 국제협력부

정보기술개발부 법무부

조직개발부 대량정보정책부

외부 커뮤니케이션부 재정부

주파수 규제부 인프라프로젝트부

정보 프로젝트부 정보협력부

출처 : 러시아 통신매스컴부 홈페이지(minsvyaz.ru)

228 | 유럽Ⅰ 러시아

통신정보기술매스컴관리국(ROSKOMNADZOR, Federal Service for Supervision of Communications,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ss Media)

러시아 통신정보기술매스컴관리국 통신정보기술매스컴관리국(ROSKOMNADZOR, (ROSKOMNADZOR) 장관 프로필 Federal Service for Supervision of 성명 Alexander Communications, Information Technology Zharov and Mass Media)은 러시아의 정보통신(ICT) 방송 직급 장관 규제기관으로 해당 기관의 전신기구인 러시아 연방 주요경력 및 학력 매스미디어통신문화유산보호관리국(Federal 첼랴빈스크 국립 의학 1987년 아카데미 Supervision of Mass Media, Communications RANEPA(러시아연방 and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2006년 대통령실 소속 국가행정 러시아 아카데미 법학과 Rossvyazokhrankultura)은 2007년 3월 문화재 관 통신정보기술매스컴 2012.05~현재 관리국 장관 리기구와 통신 규제기구를 통폐합함 2008 통신매스컴부 부총리 2008년 6월 매스미디어통신문화유산보호관리국 언론 서비스 및 정보, 2007~2008 프로토콜부 임원 (Rossvyazokhrankultura)의 문화재 관리 기능을 VGTRK(전러시아 국립 2006~2007 텔레비전 및 라디오회사) 문화부로 이전하고 통신매스미디어관리국(Federal 임원 러 2004~2006 러시아 정부 언론담당 비서 Service for Supervision of Communications 시 1999~2004 보건부 언론담당 비서 and Mass Media)으로 개편함 아 2008년 12월 3일, 대통령 1715호령(Decree No. 1715)에 의거 통신정보기술매스컴관리국(ROSKOMNADZOR)이 출범함 2009년 3월 16일 발표된 러시아 연방정부 228호령에 따라 통신매스컴부 (MinComSvyaz)에 소속되었으며 미디어, 통신, 정보기술, 개인정보 관련 입법 및 전파 주파수 규제를 담당함

그림 1.2 러시아 통신정보기술매스컴관리국(ROSKOMNADZOR) 조직도

통신정보기술매스컴관리국 (ROSKOMNADZOR) 전파관리소

매스컴 사업허가 통신사업허가 매스컴 규제팀 통신규제팀 관리팀 관리팀

개인정보 및 관리 법률지원팀 정보기술관리팀 보호실

출처 : 러시아 통신정보기술매스컴관리국 홈페이지(rkn.gov.ru)

| 22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정책 및 규제

1) 정책

정보사회 2011~2020

2010년 10월 러시아 정부는 정보사회 2011~2020을 승인, 해당 정책의 주요 목표는 국 민생활 수준 향상, 기업발전 환경 개선에 있으며,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됨

표 1.1 러시아 정보사회 2011~2020 프로그램 프로그램 내용 전자국가 및 국정의 효율성 제고 정보통신(ICT) 및 러시아 기술 시장 발전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디지털 격차 극복과 정보사회 기본 인프라 구축 정보사회의 안전 보장 디지털 콘텐츠 개발과 콘텐츠의 전자화 출처 : 러시아 통신매스컴부 홈페이지(minsvyaz.ru)

정보사회 2011~2020에 투입되는 정부예산은 연간 1,231억 루블(약 20억 달러)로 평가 되고 있으며, 그 중 러시아 자국 사업에 연간 31억 루블(약 5,200만 달러)을 책정함 또한, 해당 프로그램에 할당되는 지자체 자금은 연간 약 500억 루블(약 8억 5,000만 달 러)이며, 프로그램 개발자들은 정부지출 외에 프로그램 구현에 소요되는 비용을 연간 2,000억 루블(약 34억 달러)로 산출함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구현될 경우, 2020년 러시아는 IT 경쟁력지수 부문 세계 10대 강 국, 전자정부 준비지수 및 네트워크 지수 부문 세계 20대 강국에 편입될 것으로 전망됨 2015년까지 PC 보급률을 75%까지 달성하고, 정보통신(ICT) 관련 생산자와 제공자의 비율을 50%로 향상시킬 계획임

표 1.2 러시아 정보사회 2011~2020 목표 및 시행방안 정보사회 2011~2020 목표 및 시행방안 전자 서비스의 품질 향상 엔지니어링 재구축 시민들을 위한 정부 서비스 구축 인프라 구축 확대 ▶ 불필요한 인증 관리 제거 통합 기능 확대 의사 결정 효율 확대 정보 시스템 개발 출처 : 러시아 통신매스컴부 홈페이지(minsvyaz.ru)

230 | 유럽Ⅰ 러시아

러시아 개혁 전략 2020(Russian Innovations Strategy 2020)

러시아 인구의 23% 이상이 대학을 졸업할 정도로 러시아 사람들은 높은 학력을 유지하 고 있지만 교육 수준의 질은 점차 낮아지고 있음. 또한, 러시아의 GDP 대비 R&D 지출 규모는 글로벌 10위 안에 들지만 과학기술 관련 인력 규모는 미국, 중국, 일본에 뒤쳐짐 러시아는 지난 10년간 테크노파크 및 인큐베이터 200곳 설립 등 인프라 개발에 투자하 였지만 활용도는 낮은 편임. 이에 러시아는 세계 흐름에 맞춰 기후, 교육, 과학, 사회 등 다양한 분야의 개혁을 통해 생태계를 조성하여 세계 변화에 대응하고자 함. 이에 따라 러 시아는 ‘러시아 개혁 전략 2020(Russian Innovations Strategy 2020)을 발표함 러시아는 R&D 투자 및 혁신 기술 개발 등을 통해 2020년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러시아 의 하이테크 제품 비중을 5~10%로 늘리는 것을 비롯하여 GDP 대비 R&D 지출 비중을 2.4%까지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표 1.3 러시아 연도별 목표 수치 목표 성과 2010 2016 2020 러 혁신 산업 기술 개발(건) 854 1,500 2,500 시 GDP 대비 혁신 지출 비용 비중(%) 1.4 2.0 2.5 아 전체 R&D 개발 장비 중 최첨단 하이테크 장비 비중(%) 45.0 65.0 85.0 혁신 상품 수입 비중(%) 7.0 12.0 15.0 나노기술 관련 상품 시장 규모(십억 유로) 3 8.7 15 기술 혁신 관련 기업 비중(%) 8.0 15.0 25.0 혁신 중소기업 수(개) 600 2,000 4,000 러시아의 글로벌 정보 사회 개발 순위(위) - - 18 자사 웹사이트 보유한 기업 및 기관 비중(%) 29.0 75.0 80.0 인터넷 접근률 26.0 75.0 90.0 온라인을 통한 정부 서비스 이용 가능 인구 비중(%) 10.0 50.0 60.0 GDP 대비 R&D 내부 지출 비중(%) 1.3 1.5 2.4

출처 : Tekes

러시아 4차 산업혁명 전략

2014년 12월 푸틴 대통령은 4차 산업혁명 관련 계획을 직접으로 언급함. 2015년 4차 산업혁명 대비 프로그램 ‘2035 National Technological Initiative(NTI)'을 수립함. 향후 10~15년간 세계 경제구조를 결정지을 새 기술 산업에서, 러시아의 경쟁력을 확보 하기 위한 조건 형성을 목적으로 승인된 장기간 패키지 프로그램을 수립

| 23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러시아 정부는 4차 산업혁명 대비를 위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함. 2015년 5월 'Foresight Fleet'에서 600명 이상의 과학자, 기술 연구원, 벤처 투자자, 교육부 대표자, 제조업계 CEO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새 기술의 대두와 유망 한 산업에 대해 논의함 2015년 6월 러시아의 경제 현대화와 혁신을 위한 정부 상임 위원회가 열려 NTI(New Technological Initiative) 로드맵의 역할을 정하고, 그의 발전과 수행을 위한 Working Group이 설정됨

표 1.4 New Technological Initiative 로드맵 산업명

스마트 시스템이 장착된 자동차 개발 AutoNet 스마트카 ‐ 화물과 승객운송을 위한 로봇화 장비의 국내 생산 프로모션 ‐ 2020년까지 스마트 자동차 시장 지분 0.05% ‐ 소형 무인(원격조종) 항공기 및 시스템의 개발과 발전 AeroNet 무인항공기 및 시스템 ‐ 2035년까지 관련 산업에서의 러시아의 리딩포지션 확보 스마트' 에너지 시스템을 위한 ‐ 2035년까지 세계시장에서의 관련 분야 러시아 회사들의 총 EnergyNet 장비, 소프트웨어 가동 및 서비스 연 수익 400억 달러 목표 제공 ‐ 세계시장의 러시아 지분 확대 ‐ 2035년까지 경쟁력 있는 국내기업 육성 NeuroNet 사람과 기계 간의 소통 수단 ‐ 2035년까지 2.5%의 글로벌시장 지분 획득 ‐ 세계 해양산업의 유망한 분야에서 러시아 비즈니스의 리딩포지 션 확보 MariNet 해양 '스마트' 시스템 ‐ E-Navigation, 해양자원탐사와 혁신적 조선업 ‐ 세계 E-Navigation시장에서의 러시아 지분 12% ‐ 보안된 소통채널과 같은 다양한 보안 분야 발전, 고급 보안 기 새 브랜드의 SafeNet 술과 애플리케이션 개발, 생체인증시스템 개인 보안 시스템 ‐ 3~5%의 세계시장에서의 러시아 관련 회사 지분 '스마트'·자동화된 식료품 산업 ‐ 개인 맞춤형 영양공급, 게놈공학, 대체 원료 등 FoodNet 솔루션(생산부터 소비까지) 및 ‐ 5~15%의 관련 분야 러시아 회사의 세계시장 지분 확보 생물공학 분산 재정 시스템과 ‐ 분산원장(공유원장) 시스템, '스마트' 계약서, 'Crowd' 기술 발 FinNet 개인화 재정 서비스 네트워크 전 등 출처 : www.nti2035.ru, www.rvc.ru, Kotra 재인용

232 | 유럽Ⅰ 러시아

2) 규제

통신법

러시아의 통신 기본법은 2003년 7월 발표한 ‘통신법 2003(Telecommunications Law 2003)’이 있으며, 해당 법은 2004년 1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함 해당 법은 주파수 할당, 상호 접속, 사업권 발급 원칙 및 목적, 보편적 서비스 기금의 설 립 등에 대해 규정하였고, 여러 차례 개정 작업을 거쳐 2010년 개정된 법안이 현행법임 2010년 개정판에서는 IT 사업자들의 세금 우대, 전자 정의(Electronic Justice), Skolkovo 혁신 센터의 세금 문제, 개인 데이터 수집 및 처리 방법 등에 대한 규제가 개정됨 1995년에 발표 실시된 ‘러시아 연방정부 정보・정보화・정보보안법(Federal Law on Information, Informatization, and the Protection of Information)’은 정보처리, 정보 기술의 활용, 국가 및 개인정보 보호 등에 대해 규정함

사업허가제도 러 ‘통신법 2003’(2003년 7월 개정판)은 통신 서비스 사업권 신청, 경매, 비용 등에 대해서 시 도 규정함 아 신청 사업자는 주무 기관에 통신 서비스 유형, 구축 예정인 통신망 유형, 서비스 지역, 사 업 계획 및 기간 등의 내용을 포함한 신청서를 제출해야 함 경매를 통해 사업권을 발급하며 러시아 연방정부에서 경매 규정을 제정하고 통신 주무부 처에서 경매 방식을 정하는 것은 다음과 같음 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대역이 필요하나, 국가주파수위원회(The State Radio Frequencies Commission)가 지역별로 제한된 통신 사업자에게만 주파 수 대역을 할당하기로 한 경우 ②특정 지역의 공중통신망 자원(번호자원 포함)이 제한되어 있고, 통신 주무 부처에서 해 당 지역의 통신 사업자 수를 제한하는 경우 통신 서비스 사업권의 유효 기간은 3년부터 25년까지 다양하며, 신청 기간, 통신 서비스 유형, 주파수 사용 기한 등 상황에 따라 유효 기간이 달라짐

| 23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외국인 투자 제한법’ 실시

2008년 5월 7일부터 Vladimir Vladimirovich Putin 대통령이 승인한 ‘외국인 투자 제한법(On the Procedure for Foreign Investment in Companies of Strategic Importance for the Defense and National Security of the Russian Federation, No. 57- FZ)’이 실시됨 ‘외국인 투자 제한법’은 시장 투명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러시아 국내 시장 진입 장벽도 높이는 효과를 도모하고자 함 同 법은 외국인 투자자가 처음으로 러시아 시장 진출 시 특별 허가를 받아야 하는 42개 업종을 신규로 지정함 외국인 투자자의 러시아 국내 전략 산업 기업 투자 지분 비율을 제한, 천연자원 관련 개 발 기업의 지분 비율은 5% 이내, 기타 전략 산업 기업의 지분 비율은 업종에 따라 25~50% 이내로 제한함 러시아 통신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외국인 투자자의 경우, 러시아 기업과 반드시 합자기 업을 설립해야 하며, 설립된 합자기업의 외국인 투자자의 지분 비율은 49%를 초과할 수 없도록 제한함 ‘외국인 투자 제한법’ 제5조항은 ‘자연 독점 형태의 유선 통신사업’과 ‘러시아 영토의 절 반 이상을 커버하는 방송 사업’을 전략 산업으로 분류하며, 러시아 3대 이동통신 사업자 인 MTS, MegaFon, VimpelCom 모두 전략 산업 기업으로 지정함

표 1.5 정보통신(ICT)・방송 산업의 외국인 투자제한 정책 내용

‐ 정보보호 시스템 및 방송 전송 암호화 시스템의 연구와 생산은 사업 허가제 적용 ‐ 러시아 전체 가구의 절반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과 TV 중계방송 제한 ‐ 러시아 ‘경쟁보호법’ 제23조항의 규정에 따라 통신 서비스 분야의 외국인 투자 제한 ‐ 러시아 국내에서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인터넷 서비스 제외) ‐ 5개 혹은 5개 이상 러시아 연방 주체를 커버하는 통신 서비스 ‐ 연방 內 대도시를 커버하는 통신 서비스 출처: 출판매스컴청(Rospechat)

234 | 유럽Ⅰ 러시아

3. 산업구조 및 특징

2017년 러시아 IT 시장 규모

2017년 러시아 IT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약 10% 성장한 185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 로 추정됨

표 1.6 러시아 2016년 IT시장 규모 추이 (단위: 억 달러) 2013 2014 2015 2016 2017

시장규모 330 280 178 170 185 전년대비 성장률 -1% -16% -39% -3% 10% 출처 : IDC 인용 러시아 소프트웨어 개발자 연합(Russoft)

2016년 러시아 통신시장 규모

러시아 소프트웨어 개발자 연합인 Russoft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6년 러시아의 러 모바일 서비스 시장 규모는 8,800억 루블로 전년대비 0.3% 감소한 수치임. 2016년 러 시 시아 통신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6% 증가한 1조 6,880억 달러 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아 추산함

표 1.7 러시아 2016년 통신시장 규모 (단위: 억 루블) 시장규모 전년대비 성장률

Mobile Service 8,800 -0.3% Telecommunication Market 16,880 1.6% 출처 : 러시아 소프트웨어 개발자 연합(Russoft)

2016년 러시아 IT 시장 Iaas, Saas 강세

러시아 소프트웨어 개발자 연합인 Russoft가 발표한 자료를 살펴보면, 2014년 러시아 의 컴퓨터 게임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975억 루블로 전년 대비 13.7% 성장함. ERP와 IT 서비스 분야는 성장세가 멈췄지만, IaaS, SaaS는 강세를 나타냄

| 23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표 1.8 2016년 분야별 러시아 IT 시장 규모 분야 2016년 시장 규모 전년 대비 성장률 자료원

컴퓨터 게임 SW 975억 루블 13.7% J’son&Partners ERP 6억 3,272만 달러 -1.1% IDC IT 서비스 42억 7,000만 달러 -5.3% IDC IaaS 80억 7,000만 루블 37% SAP, Forrester SaaS 137억 9,000만 루블 48% SAP. Forrester 출처 : 러시아 소프트웨어 개발자 연합(Russoft)

236 | 유럽Ⅰ 러시아

4. 산업 주요 이슈

러 모바일앱 시장, 지속적인 성장

러시아에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된 시점은 유럽 등 선진국에 비해서 다소 뒤처졌으 나, 이후 소비자들의 반응이 폭발적으로 증가해 현재는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수준과 애 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시장규모에서 세계 상위 10개국 중 하나로 성장함 러시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시장은 스마트폰 보급율이 60%에 그쳐 향후 성장 잠재력 이 높은 편임. Mail.ru 등 제작업체들도 신제품 개발과 세계시장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 서는 등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음. 또 미국, 중국 등지의 다국적 기업들도 우수한 러시아 인력 채용 및 러시아 업체와 제휴를 통해 신제품을 공동개발하 는 등 러시아 시장 진출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임 현재 러시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가 70%, Ios가 20%를 점유하 고 있음. 러시아 정부는 정보 보안 및 시장의 건강한 생태계 유지 목적으로 현재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안드로이드와 iOS 운영체제의 점유율을 낮추고 Sailfish나 러 Tizen과 같은 비주류 운영체제의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시행할 예정임 시 아 러시아 유저의 데이터 보호 조치 강화 예정

러시아 정부는 2015년 9월 개인 데이터 수집 및 사용, 저장에 대한 규제를 강화한지 1 년이 채 안된 시점에서 지난 2016년 7월, 러시아 정부는 유저의 데이터를 엄격하게 관 리하기 위한 추가 조치를 고려중이라고 밝힘 러시아 이동통신 및 인터넷 규제 당국은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 2016에서 러 시아 유저들의 데이터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감시하기 위한 ‘현지 빅데이터 운영사업자’ 를 만들 것을 제안함. 빅데이터 사업자는 공공-민간 부문의 파트너십을 맺어 선정할 것 이라 밝힘 러시아는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규제를 도입한 이후로 600개 기업을 대상으로 해당 규 제를 준수하고 있는지 조사하기 시작했으며, 그 중 4개社가 규제를 어긴 것이 밝혀짐. 러 시아 정부는 2016년 말까지 기업 900개 이상을 조사함

러시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관심 높아

러시아 소프트웨어 개발자 연합(Russoft)에 따르면, 2015년 이후 러시아인들 사이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이는 러시아인들의 건강 인식 증대뿐만 아니

| 23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라 애플워치와 삼성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출시됨과 동시에 관심이 증가함 러시아의 대표적인 온라인 쇼핑사업자인 Yandex.Market에 의하면, 러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브랜드는 샤오미(Xiaomi), 애플, 삼성, 소니(Sony)라고 함. 브랜드별 인기 제 품은 샤오미의 MiBand 3와 애플의 ‘Watch 3’, 소니의 ‘SmartWatch 3’임

그림 1.3 러시아 내 인기있는 웨어러블 제품

샤오미 미밴드 애플 Watch 3 소니 SmartWatch 3

출처 : 각 사 홈페이지

238 | 유럽Ⅰ 러시아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1) 정부 간 협력

경기도, 한·러 기업간 자율주행 관련 MOU 체결(2017.9)

경기도는 러시아 실리콘밸리인 모스크바 스콜코보 혁신센터에서 한·러 자율주행 기술 협력 MOU를 체결했다고 발표. 경기도내 스타트업 (주)프로센스와 Lanit-Tercom가 자율주행 소 프트웨어 기술을 공동개발하고. 경기도와 스콜코보재단이 판교제로시티와 스콜코보 혁신센터 내 저속 자율주행시험 지원 및 공동 프로젝트 이행을 위한 행정적 지원을 하기로 상호 합의함

보건복지부, ICT 기반 보건의료분야 협력 강화(2017.9)

한국과 러시아가 정보통신기술(ICT)에 기반해 양국 간 보건의료분야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함.

이로써 양국 보건부는 보건의료 협력을 위한 면담을 갖고 한·러 보건부 간 ‘의료인 연수 러 협력’ 의향서를 체결함. 이로써 양국 간 공식 채널을 통해 연수생을 체계적으로 관리·운 시 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러시아 환자 유치 채널을 강화하게 됨 아

한-러, ‘유라시아 기술혁신 파트너십’ 개최(2016.12)

코트라(KOTRA)는 국내 스타트업의 유라시아 시장 개척 및 한-러 기업 간 기술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유라시아 기술혁신’ 파트너십을 개최함 이는 주러시아대사관과 한러과학기술협력센터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바이오, IT, 정밀제조 분야 등의 스타트업이 참여함

단국대, ‘2016 동북아 신기술 산학포럼’ 개최(2016.12)

단국대는 러시아 업체인 가리니 테크놀로지(Garini Technologies)와 공동으로 ‘2016 동북아 신기술 산학포럼’을 개최함 이번 포럼 주제는 러시아 의학 및 농업 분야의 바이오 기술과 드론에 대한 것으로 교육 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연구재단, 한국무역협회 등이 참석함 단국대는 가리니 테크놀로지스와 산학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여 신기술 개발 및 협력 에 나설 계획임

| 23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제6차 한국-흑해경제협력기구 정보통신 협력 워크숍 개최(2016.11)

외교부와 행정자치부는 지난 2016년 11월 흑해경제협력기구(BSEC)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정보통신 협력 워크숍을 개최할 것이라고 발표함 흑해경제협력기구에는 러시아를 비롯한 터키, 알바니아, 아르메니아 등 12개국으로 구 성됨. 한국 정부는 전자정부 협력사절단을 파견하여 한국의 전자정부 및 ICT 기술을 알 릴 예정임

한국무역협회, 유라시아 경제포럼 2016 개최(2016.11)

한국무역협회, 산업통상자원부, 유라시아경제위원회 주최로 지난 11월 9일 ‘유라시아 경제포럼 2016: 한-EAEU 협력 가능성과 미래’를 개최함. 유라시아 경제연합(EAEU)에 는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 5개국으로 구성됨 러시아의 경우, 경제개발부 국장이 러시아의 주요 육성 산업 및 한-러 협력에 대해 발표 를 진행할 예정임. 이번 포럼에서 현지 진출 및 협력에 대한 정보를 서로 공유 가능함

보건복지부-러 캄차트카 주정부와 주립병원 건설 MOU 체결(2016.09)

보건복지부는 러시아 순방을 통해 러시아 캄차트카 주립 병원을 건설하기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함. 해당 MOU는 1억 7,000만 달러 규모이며, 캄차트카 주립병원의 현 대화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임 또한, 보건복지부는 러시아 극동개발부 및 보건부와도 ICT 기반의 의료기술 협력 MOU 를 체결함. 국내 e-health 시스템과 같은 의료 ICT 기술을 러시아에 적극 활용하기로 함

경기과학기술진흥원, 러 IT Park와 첨단기술 협력 체결(2016.09)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은 2016년 9월, 러시아 타타르스탄의 아이티파크(IT Park)와 IT 스 타트업 육성 및 기술협력과 시장 개척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함 아이티파크는 타타르스탄에 위치한 산업기술단지로 150여 개의 IT 기업이 입주해 있음. 이번 협약을 통해 경기도와 러시아 타타르스탄의 기술 협력이 확대될 것이라 기대함

한-러, 과학기술 협력 강화에 나서(2016.08)

미래창조과학부는 러시아 과학부와 제12차 한-러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개최함. 이는 양국 간 과학기술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1990년 과학기술협력협정을 체결한 이

240 | 유럽Ⅰ 러시아

후로 양국 교대로 공동위를 운영하고 있음 이번 위원회를 통해 양국 간 신규 공동연구사업, 연구기관 및 대학 간 협력 방안 등에 대 한 논의가 이루어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러시아 정보전송문제연구소(IITP)와 뇌·컴퓨터 인터페이 스 연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러시아 모스크바물리기술대학(MIPT)과 인공지능 분야 연구를 함께 진행하기로 함

울주군, 러시아·벨라루스와 기술협력 체결(2016.06)

울산시 울주군 국제협력단은 지난 2016년 6월, 레이저 기술 및 금속소재 관련 기술 교 류를 위해 러시아와 벨라루스를 방문함 국제협력단은 러시아 모스크바 젤레노그라드 기술센터, 벨라루스 민스크 국립벨라루스 기술이전센터와 기술 교류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함국제협력단은 이번 기술 협력을 통 해 실질적인 기술 교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힘

러 경기도와 경기과학기술진흥원, 러시아 스콜코보재단과 공동으로 ‘한-러 과학기술 포럼’ 시 개최(2015.11) 아 이번 포럼은 지난 2015년 6월 도내 ICT(정보통신기술) 기업의 러시아 시장 진출과 기술 교류를 위해 경기과기원과 러시아 스콜코보 테크노파크 간 업무협약에 따른 후속 행사임

경기과학기술진흥원, 러시아 스콜코보 테크노파크와 경기 지역 ICT 기업의 러시 진출 관련 업무 협약 체결(2015.06)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이 러시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스콜코보 테크노파크(Skolkovo Technopark)와 손잡고 경기도 내 1만여 개 ICT 기업의 러시아 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협약을 체결함 스콜코보 테크노파크는 모스크바 외곽에 위치해 있으며, 우주, 의료, 에너지, IT, 원자력 분야를 중심으로 기술 상용화 및 첨단 과학기술기반 경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조성 된 첨단산업기술단지로 현재 약 1,000개 기업 및 연구소, 대학 등이 입주함

| 24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기업 진출 및 협력

분당서울대병원, 러시아에 병원시스템 수출(2017.9)

국내 의료기관이 ‘의료 융·복합 클러스터 모델’ 병원 시스템을 외국에 이식하는 첫 사례 임. 분당서울대병원은 병원 시스템 수출을 위해 최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최된 동방경제포럼(Eastern Economic Forum)에서 모스크바시 국제의료클러스터재단과 양해각서를 체결함. 앞으로 모스크바시 스콜코보 특구 내에 한국형 첨단병원 설립을 본 격 추진할 계획임

KG이니시스·KG모빌리언스, 2017 러시아 진출 확대 계획(2016.12)

KG이니시스·KG모빌리언스는 지난 2016년 4월 BAK International과 러시아 및 카자 흐스탄의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 약 800만 달러의 핀테크 솔루션 구축 계약을 체결 한 데 이어 지난 12월 BAK International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여 러시아 및 중앙아 시아로의 진출을 확대하기로 나섬 KG이니시스·KG모빌리언스는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비대면 전자결제 서비스를 비롯 한 한국의 모바일 게임, 인터넷뱅킹 솔루션 등을 제공하기로 함

네오위즈, 러시아에 ‘블레스’ 게임 정식 서비스 출시(2016.12)

네오위즈게임즈는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인 블레스(Bless)를 러시아에 정식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임. 네오위즈게임즈의 러시아 현지 공식 퍼블리셔는 101XP임 101XP는 약 30여 종의 게임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500만 명 이상의 게임 유저를 보유 하고 있는 유통사임. 블레스 게임은 101XP에서 시행한 시범 테스트에서 좋은 평가를 받 아 정식 서비스를 런칭하게 됨

한컴, 러시아에 오피스 SW 공급 예정(2016.11)

한글과컴퓨터는 러시아 IT 기업인 아스비스와 협력하여 해외 PC용 사무 소프트웨어인 ‘씽크프리 네오’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힘 2016년 12월 러시아 현지 소비자 시장 공략에 나설 예정이며 2019년까지 기업 및 정부 대상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임

242 | 유럽Ⅰ 러시아

솔트웍스, 러시아 모스크바 건강검진센터 설립 MOU 체결(2016.11)

솔트웍스는 국방 및 의료 IT 기업으로 2016년 12월 스펙 합병을 통해 코넥스에서 코스 닥 시장으로 이전 상장함. 솔트웍스는 상장 이후로 국방 및 의료 IT 분야의 해외 진출에 적극적으로 진출할 계획임 실제로 솔트웍스는 러시아 모스크바의 건강검진센터를 설립하기 위한 MOU를 체결하여 2017년부터 의료 IT 분야의 해외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됨

삼성페이, 러시아에서도 서비스 출시 예정(2016.10)

삼성전자는 지난 2016년 10월에 개최된 금융 컨퍼런스 ‘머니20/20’에서 2016년 내 러 시아, 태국, 말레이시아에서 삼성페이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힘 3개국이 추가되면서 삼성페이 서비스가 이용되는 국가는 한국, 미국. 중국을 비롯해 총 10개국으로 늘어남. 삼성전자는 이뿐만 아니라 2017년 초 미국에 마스터카드의 디지털 결제 솔루션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함

러 GS홈쇼핑, 러시아 국영 통신사 로스텔레콤과 러시아 진출을 위한 합작 홈쇼핑 설립 계약 시 체결(2015.07) 아

합작 홈쇼핑사는 총 자본금 2,000만 달러로서 설립되며 이 중 GS홈쇼핑이 40%(800만 달러), 로스텔레콤이 60%(1200만 달러)를 투자함 GS홈쇼핑은 러시아 진출을 위해 5년간 시장조사를 실시한 후 사업성을 확인했고 가장 강력한 사업 파트너의 협력을 이끌어냈다고 평가함

| 24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Ⅱ • • 정보통신방송 품목현황

Overview

2016년 러시아 정보통신방송 주요지표 (단위: 천 명 / 천 회선 / 천 가구, 2016년 기준)

지표 러시아 보급률(%) 한국 보급률(%)

유선통신 가입회선 32,276 22.77% 28,035 56.10% 이동통신 가입자 231,393 163.26% 61,295 122.65%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27,589 19.47% 20,555 41.13% TV 보급대수 55,089 97.00% 18,310 97.50% 케이블 TV 가입가구 17,904 32.50% 7,470 40.80% 위성 TV 가입가구 16,527 30.00% 2,208 12.50% 지상파 디지털 방송 가입가구 36,634 66.50% 18,237 99.60% IPTV 가입가구 6,060 11.00% 8,514 46.50%

출처: ITU(2017), Digital TV Research(2017)

러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2016년 러시아 소프트웨어 매출액 전년 대비 120억 달러 기록 시장 동향 ‐ 러시아 소프트웨어 기업의 내수 판매액은 44억 달러, 전년대비 21% 증가

주요 ‐ IBM & MS: 러시아, 보안 문제로 미국 소프트웨어 사용 중단 선언 소프트웨어 사업자

‐ 러시아 인터넷 이용률 시장 동향  2015’ 70.10% → 2016’ 76.41%(▼ 6.31%p) ‐ 러시아 SNS 이용자 수: 2017’ 7,051만 명 주요 ‐ 브콘탁테(VKontakte), 얀덱스(Yandex) 등 러시아 지역 사업자들의 영향력이 인터넷서비스 사업자 큰 편임

‐ 러시아 이동통신 가입자 수 ‐ 2015’ 2억 2,728만 명→ 2016’ 2억 3,193만 명(▲ 1.8%) 시장 동향 ‐ 러시아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 ‐ 2014’ 2,688만 1,000 회선→ 2016’ 2,758만 9,000회선(▲ 2.6%) 주요 ‐ MegaFon: 2016’ 러시아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29.9%) 1위. 2위 사업자에서 통신 사업자 1위 업체로 등극

‐ 2016년 온라인 게임 매출 567억 루블 달성. 모바일 게임이 강세를 나타냄 시장 동향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시장은 2018년 약 5억 7000만 달러 규모 전망 주요 ‐ Playrix: 러시아 현지 게임 개발업체로 모바일 게임 앱 1위 등극 디지털콘텐츠 사업자

244 | 유럽Ⅰ 러시아

러시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러시아 TV 보유 가구 수: 2016’ 5,503만 9,000 가구(▲ 0.1%) ‐ 러시아 디지털 TV 시청 가구 수 시장 동향 ‐ 2015’ 3,153만 4,000 가구 → 2016’ 3,663만 4,000 가구(▲ 16.2%) ‐ 러시아 IPTV 보유 가구 수 : 2016’ 606만 가구(▲ 10.1%) ‐ 지상파 TV: Pervy Kanal, VGTRK, NTV, CTC, TNT, RenTV, Domashny 등 주요 ‐ 케이블 TV: Mostelcom, Stream TV, Akado, ER Telecom 등 방송스마트미디어 사업자 ‐ 위성 TV: NTV Plus, Tricolor TV, Viva TV, Platforma HD, Orion Express 등

‐ 정보보안, 2018년까지 전체 IT 시장의 40% 예상 시장 동향 ‐ 러시아, 사이버 보안 역량 세계 9위

주요 ‐ 카스퍼스키랩: 1997년에 러시아 모스크바에 설립된 기업으로 현재 200여개 국 정보보호 사업자 가에서 25만 개의 기업들을 고객으로 보유

‐ 러시아 클라우드 시장 규모 시장 동향  2016’ 205억 루블 → 2018’ 317억 루블(▲ 25.0%) ‐ IaaS분야가 약 20억, SaaS분야가 185억을 차지

주요 ‐ 셀렉텔: 2008년에 모스크바에 설립되었으며, 모스크바, 상트 페테르부르크, 레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자 닌 그라드 지역 등지에 여섯 개의 데이터 센터를 운영 러 시 ‐ 러시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시장 동향 아  2018년까지 9억 8,000만 달러 성장 전망

주요 ‐ 러시아 내 사물 인터넷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은 미 사물인터넷 사업자 국의 PTC와 독일의 SAP사

‐ 러시아 로봇 시장: 러시아 GDP의 10.9% 점유 시장 동향 ‐ 러시아 인공지능 관련 사이트 가입자 순위 4위

‐ Yaskawa: 일본 기업이 점유율 1위 차지 주요 ‐ Android Technics & ECOINVENT: 전문 서비스용 로봇 시장 주요 기업 사업자 IT스마트융합 ‐ XTURION & RBOT: 개인 서비스용 로봇 시장 주요 기업

‐ 통신매스컴부(MinComSvyaz)와 통신정보기술매스컴관리국 (ROSK-OMNADZOR)이 러시아 주파수 관리 시장 동향 ‐ 2016’ 9~12월까지 신규 우주발사체 3기 발사 전파위성 ‐ 러시아 연방우주청, GLONASS 위성 대체 계획

시장 동향 ‐ 러시아 스마트폰 판매 대수: 2016’ 2,640만 대 (▲ 4.4%)

주요 ‐ 스마트 워치는 러시아 기업인 Suunto가 시장 23%를 차지함 디바이스 사업자

| 24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 소프트웨어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6년 러시아 소프트웨어 기업 3,200개

러시아 소프트웨어 개발자 연합(Russoft)이 발표한 ‘2016 Export of Russian Software Development Industry’ 보고서에 의하면, 2014년 소프트웨어에 종사하는 기업 수는 최소 3,200곳인 것으로 집계됨 한편, 소프트웨어 수출입 경험이 있는 기업은 3,200곳 중 2,000곳으로 전체 소프트웨어 기업의 60%에 해당하는 수치임. 또한, 2016년 러시아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수는 약 47 만 명 수준인 것으로 파악됨

표 2.1 2016년 러시아 내 소프트웨어 기업 및 개발자 규모 구분 규모

러시아 소프트웨어 기업 수 3,200 개 러시아 소프트웨어 수출입 기업 수 2,000 개 소프트웨어 개발자 수 46.5~47.5만 명 출처 : 러시아 소프트웨어 개발자 연합(Russoft)(2016)

2016년 러시아 소프트웨어 매출액 120억 달러 기록

소프트웨어에 종사하는 러시아 기업을 대상으로 매출 규모에 대해 설문한 결과, 2016년 기준 러시아 소프트웨어 기업의 내수 판매액은 44억 달러로 전년 대비 21% 증가한 규모 임. 러시아 소프트웨어 기업의 누적 매출액도 120억 달러로 전년 대비 16% 증가함 러시아 소프트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 서비스 수출액은 2016년 76억 달러를 기록했으 며 이는 전년 대비 13.0%가 증가한 수치임

표 2.2 2016년 러시아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 시장 규모 구 분 달러 루블 러시아 소프트웨어 기업의 누적 매출액 120억 달러 (+16%) 8,020억 루블 (+27%) 소프트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 서비스 수출액 76억 달러 (+13%) - 러시아 소프트웨어 기업의 내수 판매액 44억 달러 (+21%) 2,940억 루블 (+34%) 출처 : 러시아 소프트웨어 개발자 연합(Russoft)(2016)

246 | 유럽Ⅰ 러시아

2) 주요 기업 현황

러시아, 미국 SW를 오픈 소스 기반의 현지 SW로 대체 계획

지난 2016년 10월, 러시아 정부는 정보보안 문제를 언급하면서 미국 소프트웨어 사용을 중단하고 현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내용의 법안 초안을 발의함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 러시아 대통령의 명령에 따라 60만 대의 시스템 상에 서 마이크로소프트의 Outlook and Exchange를 삭제 조치를 취한 뒤, 러시아 현지 에 이전시가 해외에서 만들어진 미들웨어 및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러시아 의 소프트웨어 제품을 구입하는 것을 금지함 이는 러시아 현지 소프트웨어 업체 대부분 IBM의 ‘WebSphere’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의 ‘ASP.net’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임

그림 2.1 IBM & Microsoft 소프트웨어

러 시 아

출처 : 각 사 홈페이지

러시아, 소프트웨어 보안 문제 상 미국 SW 사용 중단 조치

러시아의 IT 전문 유통업체인 Lanit는 2015년까지 Lanit IBM과 파트너십을 맺어 IBM 플랫폼을 사용하여 소 홈페이지 www.lanit.ru 프트웨어 제품을 제공함. 그러나 IBM 플랫폼이 적용 설립년도 1989년 된 러시아 정부 사이트인 ‘zakupki.gov.ru’이 보안 전화번호 +7 495 967 6650 IT 소프트웨어 솔루션 개발 및 상 취약점이 발견되어 러시아 정부는 미국 소프트웨 주력 제품 공급 어 사용 중단 조치를 취한 것으로 밝혀짐 또한, 러시아 현지 소프트웨어 업체가 해외 파트너 업체에게 제공하는 라이선스 비용이 증 가함에 따라 소프트웨어 제품 비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우려하여 가해진 조치임 이미 일부 러시아 지역 행정부는 오라클(Oracle)에서 무료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로 바꿔서 사용하고 있다고 함

| 24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인터넷서비스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6년 러시아 인터넷 이용률 76.41%

2016년 기준 ITU 조사에 의하면 러시아의 인터넷 이용률은 76.41%를 기록함. 러시아 의 인터넷 이용률은 지속으로 증가세를 나타내왔음

그림 2.2 러시아 인터넷 이용률 추이(2012~2016)

출처 : ITU(2017)

2022년 러시아 SNS 이용자 수 7,590만 명 전망

글로벌 통계 기관인 Statista는 2016년 러시아의 SNS 이용자는 총 6,904만 명으로 예 측했으며, 2017년에는 전년 대비 147만 명 증가한 7,051만 명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함. 러시아의 인터넷 이용률은 다소 주춤한 경향을 보인 반면, 러시아 SNS 이용자 수는 2022년까지 7,590만 명으로 증가하여 꾸준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그림 2.3 러시아 SNS 이용자 추이 (단위: 백만 명)

80 73.53 74.78 75.48 75.9 70.51 72.32 66.85 69.04 60

40

20

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 2017~2022년도 값은 추정치임 출처 : Statista

248 | 유럽Ⅰ 러시아

2) 주요 기업 현황

러시아 현지 사이트 다수 랭킹

인터넷 서비스 시장은 타 국가에 비해 브콘탁테(VKontakte), 얀덱스(Yandex) 등 러시 아 지역 사업자들의 영향력이 큰 편이며, 이러한 추세는 향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정 부의 인터넷 콘텐츠 검열 강화로 글로벌 사업자들의 시장 점유율 확대는 쉽지 않을 것으 로 보임

표 2.3 러시아 TOP 10 웹사이트 순위 사업자명 웹사이트 1 VKontakte Vk.com 2 Google Google.ru 3 Youtube Youtube.com 4 Yandex Yandex.ru 5 Mail.ru Mail.ru 6 Ok Ok.ru 7 Google Google.com 러 8 Avito Avito.ru 시 9 Aliexpress Aliexpress.com 아 10 Wikipedia Wikipedia.org 출처 : Alexa(www.alexa.com)

Instagram, 글로벌 SNS 가운데 1위 Vkontakte 러시아는 타 국가에 비해 러시아 자국 SNS을 주로 사 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그 가운데 강세를 나타내는 글 홈페이지 vk.com 설립년도 2006년 로벌 SNS는 Instagrma임. 2017년 12월 기준, 전화번호 - Instagram은 717만 4,182명이 이용중임. 2위 SNS는 주력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Facebook으로 220만 3,302명의 이용자 수를 보유함

표 2.4 러시아 SNS 이용자 수 (2017년 12월 기준) 순위 SNS 사용자 수 1 Instagram 7,174,182 2 Facebook 2,203,302 3 Twitter 232,634 4 my World 64,733 5 LiveJournal 9,954 출처 : Brand Analystic(2017)

| 24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3. 통신

1) 시장 동향 및 전망

이동통신

ITU에 따르면, 2016년 러시아의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전년 대비 1.8% 증가한 2억 3,193만 8,088명임. 보급률은 163.26%로 러시아 이동통신 시장은 포화상태에 이르렀 지만, LTE 서비스가 2019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임 또한, 시장조사기관인 ABI Research는 중국, 브라질, 인도, 러시아 등 BRICs 국가들이 2018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나란히 ‘7대 스마트폰 강국’으로 발돋움할 것으로 내다봄. 해당 기관은 2013년 스마트폰 시장에서 11위를 차지했던 러시아가 2018년에 는 세계 7위로 등극하면서 거대 스마트폰 시장으로 변모할 것으로 예상함

그림 2.4 러시아 이동통신 가입자 수 및 보급률 추이 (단위: 천 명)

출처 : ITU(2017)

브로드밴드

ITU에 따르면, 2016년 러시아의 고정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는 전년 대비 2.6% 증가 한 2,758만 9,000회선, 보급률은 19.47%를 기록함 러시아 브로드밴드 사업자들의 FTTH 및 FTTB 기술 관련 투자가 증가하고 있음. FTTH 및 FTTB 보급률은 xDSL 보급률을 넘어섰으며, FTTH의 높은 구축 비용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브로드밴드 서비스 테스트의 대부분이 FTTH와 FTTB 방식을 이용하고 있어 향 후 러시아 브로드밴드 시장 內 발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250 | 유럽Ⅰ 러시아

그림 2.5 러시아 고정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 및 보급률 추이 (단위: 천 회선)

출처 : ITU(2017)

5G

러시아는 2018년 개최 예정인 월드컵을 앞두고 5G 상용화 준비에 나섬. 2014년 러시아 이동통신업체인 메가폰(MegaFon)과 중국 화웨이(Huawei)는 5G 네트워크 구축과 관련 된 협력 체결을 맺음. 메가폰은 러시아 내 최초로 5G 기술 개발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임 러 시 그림 2.6 메가폰-화웨이 5G MOU 체결 아

출처 : Hi-tech.mail.ru

러시아의 또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인 MTS 역시 2015년 에릭슨(Ericsson)과 IoT 및 5G 기술 개발 및 도입에 대한 MOU를 체결함. 양 사는 2018년 월드컵 개최 기간 동안 5G 상용화를 목표로 2016년 기술 테스트를 시연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함 또한, MTS는 2016년 삼성전자와 5G를 비롯한 네트워크 기술 공동 개발을 목표로 한 MOU를 체결함. MTS와 삼성전자 양사는 5G 상용화 이전까지 4.5G ‘LTE-Advanced Pro’ 개발을 위해 기술 협력을 맺었으며, 2018년 월드컵 기간 동안 인터넷 표준 환경 설 정 테스트도 진행할 예정임

| 25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MTS, 러시아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 1위

2016년 6월 기준 러시아의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은 MegaFon으로 시장점유 율 29.9%를 차지함. 2014년 대비 0.1%p 증가하였으며, MTS와 비슷한 비중을 보이며 경쟁 중임. 메가폰은 오랫동안 러시아 내 2위 이동통신 사업자로 1992년에 설립되었으 며, 러시아 전역을 커버하는 최초의 GSM 900/1800 서비스를 제공함. 2위는 MTS로 29.6%의 점유율을 기록함. 이는 전년 대비 0.4%p 감소했으며, 2015년 1 위에서 2016년 2위로 하락함. MTS는 1993년에 설립된 업체로 2015년까지 러시아 최 대 이동통신 사업자였음 VEON은 러시아 내 3위 업체로 2016년 23.0%의 점유율을 기록함. 전년대비 1.0%p 감소함

러시아, ‘Tele2’ 4번째 이동통신사업자

러시아의 주요 이동통신 사업자는 MTS, MegaFon, VEON으로 3대 업체가 러시아 시 장을 주도해왔으나, 2014년 ‘Tele2’이라는 4번째 이동통신 사업자가 등장함 Tele2는 2014년 러시아의 국영 이동통신 사업자인 Rostelecom을 비롯한 소규모 이동 통신 사업자인 23개사가 통합되어 설립됨. 4번째 이동통신 사업자의 등장으로 인해 러 시아 이동통신 시장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됨

그림 2.7 러시아 가입자 수 기준,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

출처 : AC&M Consulting

252 | 유럽Ⅰ 러시아

4. 디지털콘텐츠

1) 시장 동향 및 전망

러시아, 2016년 온라인 게임 매출 567억 루블 달성

시장조사 전문 기관인 yStat.com의 자료에 의하면, 2016년 러시아의 게임 매출 규모는 전년 대비 9% 성장한 567억 루블(8억 5,670만 유로)에 달함 러시아 게임 시장은 2014년 이후 가파른 성장세는 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지속적인 성 장세를 유지하고 있음. 러시아는 PC게임이 온라인 게임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최근 모바일 게임도 강세를 나타내고 있음.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 이 보편화되면서 모바일 게임 이용도 덩달아 증가함

그림 2.8 2016년 러시아 온라인 게임 시장 규모

러 시 아

출처 : yStats.com(2017)

러시아, 모바일 앱시장 지속 성장

시장조사기관 J’Son & Partner Consulting에 따르면, 러시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시장 은 2018년 약 5억 70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러시아 모바일 앱 시장의 약 70%는 게임 관련 앱이 차지하고 있으며, SNS, 내비게이션, 음악 등도 확대되는 추세임 스마트폰의 본격 보급 시점이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 비해 늦었지만, 현재는 세계 상위 10개국 가운데 하나로 성장함. 러시아 모바일 OS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가 70%, IOS가 20% 점유하고 있음

| 25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2.9 러시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시장 규모

출처 : J’son & Partner Consulting, KOTRA 재인용(2016)

2) 주요 기업 현황

러시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게임분야로 나타 남. 러시아 이용자들은 Strategy 게임과 Role Playing 게임을 선호. 반면 Casual, Puzzle 등은 타 국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인기가 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러시아 모바일 게임 업체 Playrix 인기

모바일 앱 통계 전문 사이트인 앱애니(Appannie)의 발표 자료를 살펴본 결과, 러시아 모바엘 게임 업체 Playrix가 1위를 차지함 . Playrix는 2004년 러시아 볼로그다 (Vologda)에 설립됨 PC용 캐주얼 게임 개발을 시작으로 2011년 본격적으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용 F2P (부분유료화, Free-To-Play) 게임을 제작함. 대표적인 모바일 게임은 ‘Sky Charms’, ‘Fishdom’, ‘Township’, ‘Garden Scapes’가 있음

러시아 모바일 게임 시장, 중화권 게임 인기

러시아에서 중화권 게임의 인기가 두드러지게 나타 Vkontakte

남. 2017년 2월 6일 애플 앱스토어 기준으로 모바일 홈페이지 vk.com 게임 매출 규모 1위는 Last Empire-War Z인 것으 설립년도 2006년 로 파악됨. 해당 게임의 개발사는 im30로 중국에 본 전화번호 - 사를 두고 있음 주력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254 | 유럽Ⅰ 러시아

또한 3위는 legacy of Discord-Furious Wings 라는 게임이 차지했으며, 개발사는 YOUZU GAMES HONG KONG LIMITED이며, 홍콩에 위치해 있음 구글플레이에서도 마찬가지로 4위에 중국 게임인 Clash of Kings가 진입해있으며, 개 발사는 Elex Wireless임. 러시아는 중국과 공산주의 국가로 우호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 해왔으며, 비슷한 사회문화를 지니고 있어 양국 간 영향을 주고받은 것으로 파악됨

표 2.5 러시아 인기 모바일 게임 매출 TOP5(2017.02.06. 기준) 애플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구글플레이 순위 게임명 개발사 국가 게임명 개발사 국가

1 Last Empire-War Z im30 중국 Clash Royale Supercell 핀란드 2 Clash Royale Supercell 핀란드 Vikings: War of Clans Plarium LLC 이스라엘 YOUZU Legacy of GAMES Game of War – Fire 3 Discord-Furious 홍콩 Machine Zone 미국 HONGKONG Age Wings LIMITED 4 Garden Scapes Playrix Games 러시아 Clash of Kings Elex Wireless 중국 러 5 Vikings: War of Clans Plarium LLC 이스라엘 Castle Clash IGG.COM 싱가포르 시 출처 : Appannie(2017) 아

| 25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5. 방송스마트미디어

1) 시장 동향 및 전망

방송콘텐츠

시장 조사 기관인 Digital TV Research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러시아 디지털 TV 시 청 가구는 전년 대비 16.2% 증가한 3,663만 4,000가구임. 보급률은 66.5%로 전년 대 비 9.2%p 증가함

그림 2.10 러시아 디지털 TV 시청가구 수 및 보급률 추이 (단위: 천 가구)

출처 : Digital TV Research(2017)

방송

시장 조사 기관인 Digital TV Research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러시아 TV 보유 가구 는 전년 대비 0.1% 증가한 5,508만 9,000가구임. 보급률은 97.0%로 전년과 동일한 수 치임

256 | 유럽Ⅰ 러시아

그림 2.11 러시아 TV 보유 가구 수 추이 (단위: 천 가구)

출처 : Digital TV Research(2017)

시장 조사 기관인 Digital TV Research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러시아 유료 디지털 위 성 TV 가입 가구는 전년 대비 4.6% 증가한 1,652만 7,000가구임. 보급률은 30.0%로 전년 대비 1.3%p 성장함 러 시 그림 2.12 러시아 유료 디지털 위성 TV 가입 가구 수 추이 (단위: 천 가구) 아

출처 : Digital TV Research(2017)

방송통신융합

2016년 기준 러시아 IPTV 가입 가구 수는 전년 대비 10.1% 증가한 606만 가구, 보급 률은 11.0%로 전년 대비 1.0%p 증가한 수치임

| 25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2.13 러시아 IPTV 가입 가구 수 추이 (단위: 천 가구)

출처 : Digital TV Research(2017)

2) 주요 기업 현황

러시아 지상파 TV 사업자로는 국영인 Pervy Kanal(Первый канал, Channel One)과 VGTRK(The All-Rusian State TV and Radio Company, 구 RTR), 민영 방 송 사업자인 NTV, CTC(STS), TNT, RenTV 등이 있음 러시아의 지상파 TV는 연방통합기업(Federal State Unitary Enterprise, FSUE)의 방 송 전송망을 통해 제공되며, 연방통합기업(FSUE)의 TV 시청자 도달률은 90.9%임 Pervy Kanal은 러시아의 국영방송 사업자로 1991년 12월 27일 설립되었으며 Channel One이라고도 함. VGTRK(The All-Russian State TV and Radio Company)는 러시아 100% 국영 방송 사업자로 5개의 TV 방송국, 2개의 글로벌 네트 워크 5개의 라디오 방송국 및 80개 이상의 지역에 TV 및 라디오 네트워크를 소유하고 있음. NTV는 러시아 최초의 민영 TV 방송 사업자로 1993년 설립되었으며, 주요 수익 원은 광고임 대표적인 케이블 TV 사업자로는 Mostelecom, Stream TV, Akado, ER Telecom 등 임. Mostelecom은 Moscow Cable Television으로 1994년부터 서비스를 개시하여 1997년 5월 Mostelecom으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러시아 최대의 케이블 TV 사업자임 Stream TV는 러시아 주요 통신 사업자인 Comstar UTS가 2009년 2월부터 소유하고 있는 Comstar UTS의 산하 케이블 TV 사업자임. 1995년 CCTV(ComCor-TV)로 설립 되었으며, 2005년 Akado로 회사명을 변경함 급격하게 위성 TV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사업자 규모로는 Tricolor TV가 최대 사업 자임. 대표적인 위성 TV 사업자는 NTV Plus, Tricolor TV, Viva TV, Platforma HD, Orion Express 등임. NTV Plus는 1996년 9월 방송 서비스를 개시하였으며, 2001년

258 | 유럽Ⅰ 러시아

1월 Gazprom Media Holdings가 NTV의 지분 46%를 인수한 이후 모기업인 NTV와 함께 Gazprom Media의 자회사가 됨. Tricolor TV는 2005년 11월부터 방송 서비스 를 개시함

표 2.6 러시아 방송 플랫폼별 주요 사업자 구분 주요 사업자

국영: Pervy Kanal(Channel One), VGTRK 지상파 TV 민영: NTV, CTC(STS), TNT, RenTV, Domashny 등 케이블 TV Mostelecom, Stream TV, Akado, ER Telecom 등 위성 TV NTV Plus, Tricolor TV, Viva TV, Platforma HD, Orion Express 등

러 시 아

| 25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6. 정보보호

1) 시장 동향 및 전망

정보보안, 2018년까지 전체 IT 시장의 40% 예상 지식정보 보안산업이 주요 산업이 될 것

러시아 컨설팅 업체인 J’son & Partners Consulting에 따르면, 러시아의 정보보안 시 장규모는 2014년 기준 7%를 차지하였으나 2018년까지 40%까지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 로 예상함. 정보보안 서비스 중에서도 네트워크 시스템 기반의 정보보안산업인 지식정보 보안산업이 주요 산업이 될 것으로 전망하며, 주요 고객도 정부․금융․에너지 기업들에서 중소 서비스 및 무역기업 등으로 확대될 전망인 것으로 파악됨

러시아 정보보안 시장 네트워크 보안 및 안티바이러스 위주

러시아 정보보호 시장 규모는 2014년 전년 대비 13% 상승한 510억 루블(약 8억 5,762 만 달러)로 집계됨. 이는 러시아 IT 시장의 7%를 차지하는 규모임. 세부 분야로는 네트 워크 보안 및 안티바이러스 분야가 전체의 79%를 차지함

사이버 보안 역량, 러시아 세계 9위, 시장진입단계

인도의 소프트웨어산업 정책기구인 NASSCOM의 러시아 주요 사이버 공격 2016년 보고서1)에 따르면, 사이버 보안 생태계, 인프 순위 사이버 공격명 비중 라, 사이버보안 대응기관 및 업체, 산업 구조 체계 등 1 Trojan 20.8% 을 고려했을 때, 러시아의 사이버 보안 역량은 미국, Obfuscators & 2 Injectors 7.3% 네덜란드, 캐나다, 이스라엘, 영국, 독일, 호주, 중국 3 Browser Modifiers 7.0% 다음인 세계 9위인 것으로 조사되었음. 또한 호주, 중 출처: 2016 Trends in Cybersecurity, MS 국, 인도, 브라질과 함께 시장 진입 단계에 도입한 것 으로 파악됨

1) Growing Cyber Security Industry, NASSCOM, 2016

260 | 유럽Ⅰ 러시아

그림 2.14 러시아 정보보안 분야별 점유율 (단위: %)

출처 : NASSCOM(2016)

그림 2.15 Cyber Security Capability Assessment

러 시 아

출처 : NASSCOM(2016)

2) 주요 기업 현황

카스퍼스키랩, 세계 28위의 글로벌 사이버 보안기업

멀웨어 및 안티바이러스 솔루션 전문

카스퍼스키랩은 1997년에 러시아 모스크바에 설립된 기업으로 현재 200여개 국가에 서 25만 개의 기업들을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는 대형 글로벌 사이버 보안업체임. 전 세 계적으로 약 3억 명의 유저들이 카스퍼스키랩의 보안 솔루션을 이용하고 있음

| 26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017년 12월 카스퍼스키랩은 자체 탐지 기술로 확인된 신종 악성 파일이 한해동안 매일 36만 개가 탐지되고 있다고 밝힘혔다. 이는 2016년보다 11.5% 늘어난 수치로, 매일 탐 지되는 악성 파일의 수는 2015년에 다소 감소했다가 2년 연속으로 증가하고 있음 Cyber Security Ventures이 선정한 ‘2016년 사이버 보안 기업 순위’에서 카스퍼스 키랩이 28위에 올랐음. 카스퍼스키랩은 멀웨어 안티바이러스 솔루션 전문으로 유일하게 500위 순위에 든 러시아 기업임

2016년 ‘최우수 엔드포인트 보안솔루션’ 선정

최근에는 독립 IT보안 연구기관인 AV-TEST에서 시행하는 2016년 결산 평가에서 ‘카 스퍼스키 엔드포인트 시큐리티 포 비즈니스’가 최우수 보호 및 최우수 편의성 부문을 수상했음2)

그림 2.16 AV-TEST에서 성과를 인정받은 카스퍼스키랩의 보안솔루션

출처 : 카스퍼스키랩

2) 카스퍼스키랩, AV-TEST서 엔드포인트 보안 우수성 입증, EBN, 2017

262 | 유럽Ⅰ 러시아

7. 클라우드 컴퓨팅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6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규모 약 205억 루블

International Research Journal의 러시아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 보고서3)에 따르면, 러시아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2016년 약 205억 루블(약 3억 4,595만 달러)이며 IaaS분 야가 약 20억, SaaS분야가 185억을 차지하고 있음. 이후 2018년까지 평균 25%씩 성장 하여 2018년에는 317억 루블(약 5억 3,800만 달러)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함

러시아, 클라우드 컴퓨팅 정책 평가에서 17위 기록

소프트웨어 얼라이언스 (BSA, The Software Alliance)가 세계 각국의 클라우드 컴퓨 팅 정책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2016 BSA 글로벌 클라우드 컴퓨팅 스코어카드’에서 러

시아가 총 24개국 중 17위를 차지함. 이 평가는 전세계 IT시장의 80%를 차지하는 총 러 24개 IT 강국의 클라우드 컴퓨팅 준비상황을 평가한 결과임.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7 시 개 정책 분야에 대한 각국의 강점과 약점을 기준으로 순위가 매겨짐 아 전반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정책의 국제적 공조 도모나 자유무역 정책을 활성화하는 국가들은 찾아보기 어려웠다는 평가가 있음. 특히 중국과 러시아는 클라우드 컴퓨팅 업 체들의 국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새로운 규제 정책을 도입한 것으로 파악됨4)

그림 2.17 러시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규모 (단위: 십억 루블)

출처 : International Research Journal, 2016

3) Analysis of Cloud Computing Segment in Russia, International Research Journal, 2016 4) 2016 BSA GLOBAL CLOUD COMPUTING SCORECARD, 2016, The Software Alliance

| 26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표 2.7 BSA Global Cloud Computing Score 순위 국가 점수 순위변동

1 일본 84.8 - 2 미국 82.4 ▲ 1 3 독일 82.0 ▲ 1 12 한국 75.5 ▼ 4 13 말레이시아 69.7 - 14 남아공 61.3 ▲ 6 15 멕시코 60.8 - 16 아르헨티나 58.0 - 17 러시아 56.4 ▼ 1 18 인도 56.1 ▼ 1 출처 : The software Alliance(BSA)(2016)

2) 주요 기업 현황

러시아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기관, 전체 IT기업의 31%

러시아 스콜코보 혁신센터는 러시아 정부가 IT 스타트업 및 기술기업 진출 도모를 위해 투자하는 센터로, 스콜코보 혁신센터 내 IT기업은 2015년 기준 451개 기업이 입주해 있음 이 중 B2B, B2C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이 140개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세부 적으로는 B2B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이 72개사, B2C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이 68개사임5)

소프트라인, 러시아 내 대형 IT기업, 러시아 내 가장 큰 SaaS 배급업체

러시아 내 대형 IT 기업인 소프트라인은 1993년 모스크바에 설립되었으며, 2015년 기 준, 러시아에서 내 규모 1위의 IT 배급기업이자 ‘최고의 BI 솔루션 배급업체’ 3위에 선 정된 기업임. 또한 러시아 내 5대 SaaS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로도 선정되었음6)

5) Skolkovo Foundation: Information Technology Cluster, 2015 6) The largest SaaS providers in Russia 2015, CNews Analystics, 2015

264 | 유럽Ⅰ 러시아

셀렉텔 社, 주요 서비스 서버 임대 및 클라우드 서비스 2015년 클라우드 기반 호스팅 솔루션 출시

러시아 내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또 다른 업체 중 하나는 셀렉텔임. 셀렉텔은 2008년에 모스크바에 설립되었으며, 모스크바, 상트 페테르부르크, 레닌 그라드 지역 등지에 여섯 개의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고 있음. IKS 컨설팅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셀렉텔은 러시아에서 다섯 번째로 큰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있음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는 가상 서버 임대, 클라우드 서비스 및 광섬유 임대이며, 특히 2015년에는 클라우드 기반의 호스팅 솔루션인 ‘Virtual Private Cloud’와 ‘vScale’를 출시함7)

그림 2.18 소프트라인 & 셀렉텔

러 시 출처 : 각 사 홈페이지 아

7) Selectel Unveils New Cloud Hosting Brand: Vscale, GAWKWIRE(IT전문뉴스사이트), 2015.08

| 26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8. 사물인터넷

1) 시장 동향 및 전망

러시아 사물인터넷 시장, 2015년 5억 2,700만 달러 규모

러시아 컨설팅 업체인 J’son & Partners Consulting에 따르면8), 2015년 러시아 사물 인터넷 시장 규모는 연결기기 대수 기준으로 750만 대이며 이는 5억 2,700만 달러로 산 정됨. 2018년 추정 규모는 약 9억 8,000만 달러이며, 현재 러시아 인터넷 시장 규모는 전 세계 규모의 0.35%에 불과하지만 전문가들에 따르면 연결기기 대수가 3,300만 대까 지 달성할 것으로 전망함

사물인터넷, 노동생산성 증대 처방책 될 것으로 기대

러시아의 최근 2년간의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성장을 기록하는 원인은 정부 의 지속적인 관심에 있음. 러시아의 노동생산성은 미국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 이며, IoT 기술을 적극 도입할 경우, 생산성이 3~5배 증가해 현재의 미국과 비슷한 수준 혹은 그 이상의 생산성을 낼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이에 모스크바 시의회는 2016~2017년 IT사업에 총 1,940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됨

기술수준은 아직 초기단계

러시아의 사물인터넷 기술 수준은 미국과 유럽 대비 낮은 것으로 파악됨. 사물 인터넷 중 에서도 보급률이 높은 스마트 미터링(Smart Metering)의 경우, 전력사용량과 조명 밝 기 등을 측정하는 기기가 러시아에서는 법적 절차 문제로 상용되지 않고 있음. 스마트 홈 분야 또한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평가이며, 스마트 시티 수준의 범위까지는 러시아 정 부의 주도로 모스크바 및 일부 대도시에서 서비스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8) Global and Russian M2M/IoT Market: Structure, Dynamics, Successful Strategies, JASON.TV, 2015.07

266 | 유럽Ⅰ 러시아

그림 2.19 러시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단위: 백만 대, 백만 달러)

980

527

335

49 75 93

2013 2015 2020 ▪연결기기 대수 (단위: 백만 대) ▪금액 (단위:맥만 달러)

그림 2.20 러시아 교통부분 사물인터넷 활용 사례

러 시 아

출처 : J’son & Partners Consulting(2015)

2) 주요 기업 현황

세계 IoT 선두기업들이 높은 시장 점유율 차지

러시아 내 사물 인터넷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은 미국의 PTC 와 독일의 SAP사임. 이들은 각각 시장의 25%와 24%를 차지하고 있으며, 여섯 번째로 높은 시장점유율(5%)을 차지하고 있는 Digi Device Cloud사는 말레이시아 기업으로 선진국 기업들이 주도하는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 것이 주목할 만한 점임

| 26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한국기업 중에서는 가스보일러 3사 진출 준비 중

국내 기업 중에는 경동나비엔, 귀뚜라미, 린나이코리아가 2016년 2월 개최된 ‘아쿠아 썸 모스크바 2016’에 참가하였음. 이들은 사물인터넷 기술을 응용한 보일러 스마트톡, 사용자의 거주환경을 고려한 자동조절 등 신기술이 적용된 보일러 제품을 선보이며 현지 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음9)

그림 2.21 PTC & SAP

출처 : 각 사 홈페이지

그림 2.22 러시아 사물인터넷 주요기업 시장 점유율 (단위: 십억 루블)

출처 : J’son & Partners Consulting

9) Qompass Media, 2016

268 | 유럽Ⅰ 러시아

9. IT스마트융합

1) 시장 동향 및 전망

러시아 로봇시장, 우주/원자력/군사 분야에 치우친 개발, 전문서비스용 로봇 시장 유망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의 ‘러시아 로봇시장 조사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의 로봇시장 은 우주, 원자력, 군사 분야에 치우친 개발로 특수 로봇 분야가 발달되어 있으며, 로봇 청 소기 등 B2C용 로봇 시장에 상품을 구현한 경험은 전무한 상태임10) 그러나 전문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러시아의 에너지자원 중심 경제 구조의 영향으로 인 프라, 물류, 광업, 군사, 의료, 교육 등 특수용 로봇의 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됨 특히 러시아 국내 총생산(GDP)의 10.9%를 차지하고 수출 매출의 71.6%를 차지하는 광 업 분야의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활용도가 높을 것이며, 인프라용 로봇은 파이프라인 검 사로봇, 원자로 진단 및 유지 보수, 인프라 모니터링용 드론, 공공부문 청소 로봇 등에 수 요가 있을 전망임 러 시 러시아 인공지능 관련 사이트 가입자 순위 4위 아

러시아 인공지능 관련 사이트인 ‘RUSSIA.AI’의 기사에 따르면, 각 국가별 인공지능 시 장 규모를 추정하는 지표로 데이터마이닝 사이트인 ‘Kaggle’ 가입자 수를 파악한 결과, 2016년 기준 러시아가 미국, 인도, 중국에 이어 4위에 올랐음

2) 주요 기업 현황

러시아 제조용 로봇시장 다국적 기업 위주, 日 Yaskawa 점유율 1위

러시아의 제조용 로봇시장의 주요 시장 참가 기업은 다국적 기업 위주임. 제조용 로봇 시장 선두주자인 일본의 Yaskawa가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스위스의 공장 자동화 및 교통 시스템 업체인 ABB, 일본 자동차 생산 로봇 제작 업체인 FANUC, 독 일 제조용 로봇 및 시스템 제조업체인 KUKA가 빅 4를 형성하고 있음. 그 밖에 Comau, Reiss, Staubli, Nachi-Fujikoshi, Thyssen, Kawasaki, Durr 등의 업체가 선두그룹 을 형성하고 있음11)

10) 러시아 로봇 신흥시장 조사분석 보고서, 한국로봇산업진흥원, 2016 11) 자동화 시스템과 로봇 공학 시장에서의 러시아의 혁신 잠재력, RVC(러시아로봇연구기관), 2015

| 26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전문 서비스용 로봇시장 주요 기업 - Android Technics, ECOINVENT

전문 서비스용 로봇 시장 분야에는 인간형 로봇 개발 업체인 Android Technics와 직업 교육시스템 개발업체인 ECOINVENT가 주요 기업임. 그 밖에 수술 로봇 제조, 가정용 청소로봇 제조업체인 Intuitive Surgical과 iRobot이 있음

개인 서비스용 로봇시장 주요 기업 - XTURION, RBOT 등

개인 서비스용 로봇 시장 분야에서는 출입 감시 모바일 로봇 플랫폼 제작업체인 XTURION과 표정인식 로봇 시스템 개발업체인 Alpha Smart Systems, 대화형 이동 다기능 단말기 로봇인 RBOT 등이 있음

표 2.8 러시아 로봇시장 분야별 대표 업체 분야 기업명 내용

Yaskawa 일본 로봇 전기모터 제조업체 스위스-스웨덴 산업지주회사 제조용 로봇 ABB 공장 자동화 및 교통시스템 개발업체 Android Technics 인간형 로봇 개발 및 생산 ECOINVENT 초중고 직업학교를 위한 교육시스템 개발, 생산, 공급 전문 서비스용 로봇 XTURION 출입 감시 모바일 로봇 플랫폼 Alpha Smart Systems 표정 인식 로봇 시스템 개인서비스용 로봇 RBOT 대화형 이동 다기능 단말기 로봇 출처 : 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

270 | 유럽Ⅰ 러시아

10. 전파위성

1) 시장 동향 및 전망

통신매스컴부, 통신정보기술매스컴관리국 전파 관리 역할 담당

러시아의 통신매스컴부(MinComSvyaz)와 통신정보기술매스컴관리국(ROSK- OMNADZOR) 이 대부분의 주파수 관리를 담당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라디오 주파수 정부위원회(SRFC) 등을 통해서 국방부 등 관계 부서와 협업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음 실질적인 업무는 통신정보기술매스컴관리국(ROSK-OMNADZOR)의 산하기관인 국가 전파국(General Radio Frequency Centre, GRFC)과 국가전파국(GRFC)의 7개 지역 지방 전파관리센터(Radio Frequency Center, RFC)가 담당함

러시아 정부, ‘러시아 연방 주파수 배치‘ 발표, 신규 통신 기술도입에 영향력 미침

러시아는 군대에서 대량의 주파수 자원을 확보하고 있어 신규 통신 기술 도입에 많은 영 러 향력을 미치며, 일례로 3G 주파수 할당 시 모스크바 지역은 해당 주파수가 군용으로 사 시 용되고 있어 통신 사업자들은 2007년 3G사업권을 획득하였으나 2009년에 정식으로 아 3G망 구축 허가를 받음

그림 2.23 러시아 전파관리 담당기관

출처 : 통신정보기술매스컴관리국(ROSKOMNADZOR)

| 27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016년 9월부터 12월까지 신규 우주발사체 3기 발사

Roscosmos에서 발표한 러시아 우주개발 프로그램에 따라 9월부터 12월까지 바이카누 르 우주기지에서 3번의 발사가 진행됨. 9월 23일에 소유즈 MS-02를 탑재한 우주 발사 체 소유즈-FG가, 10월 20일에 화물선 프로그래스 MS-04를 탑재한 우주발사체 소유즈 -U가, 11월 16일에 소유즈 MS-03을 탑재한 소유즈-FG가 발사되었음

표 2.9 러시아 우주개발사체 발사개획 연도 내용

2016.09 소유즈 MS-02를 탑재한 우주발사체 소유즈-FG 2016.10 화물선 프로그래스 MS-04를 탑재한 우주발사체 소유즈-U 2016.11 소유즈 MS-03을 탑재한 소유즈-FG 출처: ROSCOSMOS

그림 2.24 소유즈 MS

출처 : 각 사 홈페이지

러시아 연방청의 GLONASS 위성 대체 계획

러시아 언론인 스푸트니크(Sputniknews.com)에 따르면, 러시아연방우주청 (ROSCOSMOS)은 2017년 4기의 GLONASS 항법 위성 발사 계획임. 또 새로운 위성들 은 오작동하는 위성을 대체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발사 될 것이라고 보도됨 GLONASS는 러시아 범지구 위성항법시스템으로 1976년 시작됨. 소련 붕괴 이후 러시 아 경제난으로 프로젝트에 차질이 있었으나 2001년 이후 인도 정부와 합작으로 다시 복 구함. 2011년 10월 전세계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함. 현재 퀄컴, 브로드컴, NXP 등 글로 벌 IT 기업들이 GLNAA를 활용하고 있음

272 | 유럽Ⅰ 러시아

11. 디바이스

1) 시장 동향 및 전망

러시아 스마트폰

J’son & Partners Consulting에 따르면, 2016년 러시아 스마트폰 판매 대수는 약 2,640만 대로 이는 전년 대비 4.4% 성장한 수치임. 또한, 모바일 기기 가운데 스마트폰 비중은 전년대비 5%p 증가한 71%에 달한 것으로 나타남

그림 2.25 러시아 스마트폰 판매 대수 (단위: 백만 대)

러 시 아

출처 : J’son & Partners Consulting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심도 증가

웨어러블 기기의 증가는 러시아 시장 내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보급률 증가에 따라 관 련 산업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관심도 증가한 것으로 파악됨 또한 소득 증가로 인한 잠재 고객층 확대도 시장 확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됨. 따 라서 현재는 세계 전체 평균수준에 비해 걸음마 단계에 있으나 전문가들은 경제 및 환율 상황이 안정된다면 시장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내다봄

러시아 VR/AR 시장 인프라 개발 활발

러시아의 VR/AR 시장의 인프라는 미국과 유럽 대비 크지는 않으나, 최근 개발 단계에 서 급격한 성장을 이룸. 관련 기업들의 성공사례가 증가하고 있고, 출시를 앞두고 있는

| 27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기업들도 다수 있는 것으로 파악됨. 모스크바 교통관리 센터에서는 효과적인 수도 교통 관리를 위해 가상 이미지 프로젝트를 도입

2) 주요 기업 현황

Fitbit, Suunto社, 러시아 시장 내 선두기업

스포츠/피트니스 분야에서는 미국의 Fitbit사가 러시아 전체 시장의 12%를 차지하고 있 으며, Espada, Jawbon, Sony가 뒤를 잇고 있음. 스마트 워치의 경우, 러시아 기업인 Suunto가 시장의 23%를 차지하고 있으며 Samsung, Sony사가 뒤를 잇고 있음

그림 2.26 Suunto 스마트 워치

출처 : Suunto 홈페이지

삼성, 러시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알카텔社와 경쟁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15년 4분기 러시아 휴대폰 시장 점유율 11.0%를 기록하여 1위를 차지하였으나 피쳐폰과 함께 추산하였을 때 전년 동기 대비 시장 점유율이 28.3% 줄어들면서 알카텔 원터치에 이어 2위로 밀려나게 됨 또한 스마트폰 점유율의 경우, 인도의 샤오미라고 불리는 마이크로맥스가 366.7%에 달 하는 성장률을 보이며 3위에 올라있으며 점유율 8.9%로 삼성전자를 2.1%p 차이로 바짝 뒤쫓고 있음12)

12) 삼성, 러시아 스마트폰 시장 1위 간신히 지켜...피쳐폰 포함하면 1위 자리 내줘, 뉴스줌, 2016

274 | 유럽Ⅰ 러시아

Ⅲ • • 유망제품 진출전략

Overview

유망품목 도출

빅데이터 키워드 분석 유망품목 선정 - ‘사물인터넷’

‐ 선정 사유 1.러시아 농업 분야에 집중 투자  석유산업 성장 정체로 인해 농업 분야 투자 계획 발표 ‐ 선정 사유 2. 러시아 농업 생산량 증가 전망  농업용 장비 생산 규모 증가 및 귀리 생산량도 2017년 1억 1,100톤 전망 ‐ 선정 사유 3. 러시아 사물인터넷 시장 증가 전망  2018년 러시아 사물인터넷 시장은 9억 8,000만 달러까지 성장할 전망

유망제품 선정

‐ 환경제어시스템  센서를 통해 온실, 토양 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농작물에 알맞은 환경을 조성함 ‐ 농업용 로봇  인간을 대신하여 농작물 수확, 청소 및 사료 공급 등과 같은 반복적인 작업에 주로 사용됨 ‐ 농업용 드론 러  일본이 해당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주로 농약 살포, 농작물 상태 관리 등에 적용됨 시 아 유망제품 유통구조 현지 진출 기업 사례

수출기업

Distributor

농업용 디바이스 스마트팜 관련 현지 ‐ CT, 무인 차량 제어 시스템으로 수확기기 전문 제조업체 솔루션 개발업체 이동통신업체 및 기타 장비 발달 ‐ JFE Engineering·Hokko, 러시아 사할 최종수요처(정부기관, 농식품 관련 기업, 개인 농가 등) 린 내 스마트 농업 개발

‐ 농업용 디바이스 전문 제조업체, 솔루션 제조업체, 현지 이동 통신업체를 통해 진출 가능 ‐ 최종 수요처: 정부기관, 농식품 관련 민간기업, 개인 농가 등

유망제품 홍보 방법

‐ ‘러시아 통합 시스템’ 및 ‘2017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스마트 팜’ 전시회 참가

| 27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 유망품목 도출

선정 사유 1. 러시아, 농업 분야에 집중 투자

러시아는 석유·가스 산업에 강한 국가였지만, 저유가 상태가 지속되면서 석유 산업이 아 닌 농업에 눈을 돌리기 시작함. 러시아 정부는 우주, IT, 재생 에너지와 함께 농업을 러 시아 경제 성장을 이끌 주요 분야로 선정함 실례로 2016년 기준 러시아의 밀 수출량은 미국을 넘어선 상태임. 그러나 러시아 농업 은 1991년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농업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였음. 따라서 러 시아 농업 기술 상태는 현재 낙후되어 있기 때문에 농업 장비 제조업체, 농업 관련 기술 개발업체 등이 호황을 누릴 것으로 예측됨

선정 사유 2. 러시아 농업 생산량 증가 전망

러시아가 농업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계획을 밝힌 이후 러시아 정부는 2016년 1~6 월 상반기 동안 트랙터, 수확용 기계 등 농업용 장비 대수를 2015년 대비 35% 이상 생 산했다고 밝힘. 2015년 러시아의 귀리 생산량은 1억 500만 톤에 달했으며, 2017년까 지 1억 1,100톤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 예측함

그림 3.1 러시아의 귀리 생산량 (백만 톤)

112 111 111 110 109 108 107 106 105 105 104 103 102 2015 2017

출처 : Agribusiness service

276 | 유럽Ⅰ 러시아

선정 사유 3. 러시아 사물인터넷 시장 증가 전망

러시아 컨설팅 업체인 J’son & Partners Consulting 사물인터넷 유망품목 선정 이유 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5년 러시아의 사물인터 1. 러시아 농업 분야에 집중 투자 넷 시장 규모는 연결기기 대수 기준 750만 대이며, 5 석유산업 성장 정체로 인해 농업 분야 투자 계획 발표 억 2,700만 달러에 달함 2. 러시아 농업 생산량 증가 전망 농업용 장비 생산 규모 증가 및 귀리 아직까지 러시아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전 세계의 생산량도 2017년 1억 1,100톤 전망 0.35%에 불과하지만 향후 사물인터넷 연결기기 대수 3. 러시아 사물인터넷 시장 증가 전망 2018년 러시아 사물인터넷 시장은 9억 는 3,300만 대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함. 이에 따라 8,000만 달러까지 성장할 전망 2018년 러시아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9억 8,000만 달 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임

러 시 아

| 27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유망제품 선정

환경제어시스템

➀ 센서를 통해 온실, 토양 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농작물에 알맞은 환경을 조성함 ➁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며, 농작물 생산 관리 기능까지 가능함 [ 환경제어시스템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농업용 로봇

➀ 인간을 대신하여 농작물 수확, 청소 및 사료 공급 등과 같은 반복적인 작업에 주로 사용됨

[ 농업용 로봇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농업용 드론

➀ 토양·환경 등 관련 자료와 위성 영상, 지리정보시스템 분석 기술을 통해 농작물의 재배 적지 구분도, 토양특성, 성분분석, 기후정보 등을 제공함 [ 농업용 드론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278 | 유럽Ⅰ 러시아

3. 유망제품 유통구조

러시아 스마트 팜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농업용 디바이스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전 문 수입 유통업체와 계약을 맺어 제품을 공급하는 방식이 있음. 또 다른 진출 방식은 전 문 수입 유통업체를 통하지 않고 현지 파트너사를 발굴하여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것임 농업용 로봇, 드론, 제어 시스템 등 하드웨어를 제조하는 현지 전문 제조업체와 협업하여 러시아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음. 현지 파트너사와 관계를 형성하게 되면 정부 입찰에도 참 여할 수 있기 때문에 현지 바이어를 발굴하는 것이 중요함 스마트팜 관련 솔루션 개발업체는 하드웨어에 탑재될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전문 업체 로 제품 개발에 협력 관계를 유지하여 재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보임. 현지 이동통신업체 는 농가에 인터넷 망을 설치하는 역할을 하며, 직접 환경제어시스템을 생산하기도 함. 따 라서 현지 이동통신업체에서도 제품에 대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파악됨 스마트 팜 디바이스의 최종 수요처로는 정부기관 및 농식품 관련 민간기업, 개인 농가 등이 있음. 최근 러시아의 농업 분야 육성 및 집중 투자할 것을 발표함에 따라 스마트 팜 디바이스의 수요는 향후 늘어날 것으로 보임 러 시 아 그림 3.2 러시아 스마트 팜 디바이스 유통 구조

수출기업

Distributor

농업용 디바이스 스마트팜 관련 현지 전문 제조업체 솔루션 개발업체 이동통신업체

최종수요처(정부기관, 농식품 관련 기업, 개인 농가 등)

| 27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CT, 무인 차량 제어 시스템으로 수확기기 및 기타 장비 발달

러시아 농업 기기 사업자인 CT(Cognitive Technologies)는 농기구 개발을 위해 무인 차량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는 러시아의 최대 트럭 생산 업체 KAMAZ와 협력하고 있음 KAMAZ 트럭 기술을 통해 카메라와 컴퓨터가 가상 터널을 생성하여 차량이 어디로 가 야되는지를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음. 이를 농기구에 적용하여 수확기기 및 기타 장비 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그림 3.3 CT & KAMAZ

출처 : 각 사 홈페이지

JFE Engineering·Hokko, 러시아 사할린 내 스마트 농업 개발

일본 대기업인 JFE Engineering과 Hokko는 러시아 사할린 지역 내 스마트 농업을 발 전시키기 위해 사할린 지역 니콜라이 보리 소프(Nikolay Borisov) 농무부 장관에게 의 견을 제안함 이 두 기업의 제안은 사할린 온실 단지인 Teplichny의 재건축에 참여하고 스마트 농업 기술을 러시아 현지에 소개하는 것임. JFE Engineering은 온실 농업 전문 기업으로 농 작물 생산에 소비되는 에너지와 비용을 절약하는 가스 엔진을 개발함 가스 매장량이 풍부한 사할린 지역에 JFE의 가스 엔진 기술이 적용되면 이전 수확량의 3 배인 1년에 최대 150톤의 토마토와 115톤의 양상추 수확이 가능함

280 | 유럽Ⅰ 러시아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러시아 통합 시스템’ 전시회 및 ‘2018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스마트 팜’ 전시회 참가

스마트 팜 디바이스와 관련된 러시아 전시회는 크게 ‘러시아 통합 시스템(Integrated Systems Russia)’와 ‘2018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스마트 팜’ 전시회인 것으로 파악됨 러시아 통합 시스템 전시회는 러시아의 유일한 국제 B2B 전시회로, 사물인터넷, IT 융 합 분야의 스마트 LED 조명, 디스플레이, 디지털 사이니지, 환경제어시스템, 스마트 홈 기기 등을 다루고 있음 해당 전시회는 2012년도 이후 매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개최되고 있음. 참가국은 러시 아, 일본, 중국, 독일 등을 비롯한 25개국임. 계됨

표 3.1 러시아 통합 시스템 전시회 러시아 통합 시스템 전시회 정보 명칭 러시아 통합 시스템 전시회 일시 2018년 10월 24일~10월 26일(2일간) Organizer : MIDEXPO ADDRESS : 러 산업분야 인터넷, IT, 텔레커뮤니케이션, 자동화, 로봇 Bld. 20B, 7, Bagrationovsky proezd, 시 최초개최연도 2012년 Moscow, 121087 아 E-MAIL : [email protected] 참가국 수 25개국 Website : www.midexpo.ru 주요참가국 러시아, 일본, 중국, 독일, 영국 등 출처 : 러시아 통합 시스템 전시회(www.isrussia.ru)

또 다른 전시회로 2018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스마트 팜이 있음. 이 전시회는 2016 년에 처음 개최됨. 러시아가 농업 분야 발전 계획을 발표하면서 만들어진 전시회인 것으 로 파악됨. 전년도에 처음 개최된 전시회인 만큼 참가국이나 업체가 많지 않지만 향후 참 가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임

표 3.2 2017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스마트 팜 2017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스마트 팜 정보 명칭 2018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스마트 팜

일시 2018년 12월 5~6일(2일간) Organizer : PRIMEXPO ADDRESS : 산업분야 IT, 자동화, 로봇, 농업, 임업, 축산 190000, Russia, St. Petersburg, 최초개최연도 2016년 Yakubovich st., 24A E-MAIL : [email protected] 출처 : 글로벌 전시 포털(www.gep.or.kr) Website : -

| 281

루마니아 ROMANIA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 284 1. 정책 및 규제 기관 2. 정책 및 규제 3. 산업구조 및 특징 4. 산업 주요 이슈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300 1. 소프트웨어 2. 인터넷서비스 3. 통신 4. 디지털콘텐츠 5. 방송스마트미디어 6. 클라우드 컴퓨팅 7. 사물인터넷 8. IT스마트융합 9. 디바이스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 326 1. 유망품목 도출 2. 유망제품 선정 3. 유망제품 유통구조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Ⅰ • •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Overview

정보통신방송 주요 기관

정보사회통신부(MCSI)

‐ 정보사회통신부(MCSI, Ministry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ociety)는 루마니아 역할 의 정보통신(ICT) 산업을 총괄하는 정부 부처임

조직도

정보통신방송 주요 정책

브로드밴드 개발 전략 2009~2015

‐ 전국 브로드밴드 확대를 위한 전략으로 ‘브로드밴드 개발 전략 2009~2015(Government Strategy for Development of Broadband Electronic Communications Range in Romania 2009~2015)를 채택함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계획

‐ 루마니아 의회는 2009년 10월에 루마니아의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계획을 공식 승인함. 루마니아 정부는 디 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을 2015년에 완료할 계획임

루마니아 디지털 어젠다 2020

‐ 정보사회통신부(MCSI)는 ‘유럽 디지털 어젠다 2020(Digital Agenda for Europe 2020)’을 차용해 ‘루마니아 디지털 어젠다 2020(Digital Agenda for Romania 2020)’을 수립함

한국과의 협력 현황

‐ 정보화진흥원, 루마니아 국가 사이버보안 인프라 구축 상호협력 추진(2017.11) ‐ 한국생산성본부, 루마니아 기업환경통상부와 양해각서 체결(2017.11) 정부 ‐ 정보화진흥원, 한국-루마니아 ICT 데이 개최(2016.11) ‐ 중진공 동유럽 교두보 루마니아 中企 진출 나선다(2016.10) ‐ 제8차 한-루마니아 고위급 정책협의회 개최(2015.03)

‐ LG엔시스, 콜롬비아・루마니아에 IT 전략 컨설팅 제공(2015.11) 기업 ‐ 한·루마니아, 전자무역 분야로 협력 확대(2015.05) ‐ 타이드, 루마니아 AMI 구축사업 수주(2015.02)

284 | 유럽Ⅰ 루마니아

1. 정책 및 규제 기관

정보사회통신부(MCSI)

루마니아 정보사회통신부(MCSI) 장관 정보사회통신부(MCSI, Ministry of Communications 프로필 and Information Society)는 루마니아의 정보통신 성명 어거스틴 쟈누 (ICT) 산업을 총괄하는 정부 부처임 (Augustin Jianu) 직급 장관 루마니아 정부는 1999년 통신부(Ministry of Communication)를 폐지하고, 국가정보 통신청 주요경력 및 학력 (ANCI, National Agency for Communication Politehnica 대학 자동화 및 1977 정보학 and Information)을 새롭게 출범시킴 사이버 보안 사고 대응 2014.01~현재 센터 2001년 1월 국가정보통신청(ANCI)을 대체하는 정보

2012.08~201 정보사회부 통신 기술부(MCIT, Ministry of Communication 4.05 and Information Technology)가 출범했으며, 2008 년 12월 정보통신기술부(MCIT)를 대체하는 정보사 회통신부(MCSI)가 새롭게 출범함 정보사회통신부(MCSI)는 전자통신, 우편 서비스 및 정보기술, 정보사회 서비스 부문의 정책 입안, 전략 책정 및 정책 실현에 필요한 규제 마련을 담당함. ICT 산업발전을 통한 GDP 3% 성장을 목표로 디지털 어젠다 2020을 추진 중임 루 마 그림 1.1 루마니아 정보사회통신부(MCSI) 조직도 니 아

출처 : 정보사회통신부(MCSI)

| 28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국가통신관리규제청(ANCOM)

국가통신관리규제청(ANCOM, National Authority for Management and Regulator in Communications)은 2009년 기존의 정보통신 및 주파수 관리 기관을 통합하여 출범함 1990년 이전 루마니아의 우편 통신 업무를 관장하던 운수교통부는 1997년 주파수, 전 파기술 및 우편, 통신 부문을 관리 감독하는 IGC(Inspectorate General for Communications)로 분리됨 2002년 3월, IGC는 정보통신기술부(MCSI) 산하에 편입되며 IGCTI(Inspectorate General for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로 명칭이 변경됨 이와 별도로 2002년 루마니아는 유럽연합(EU) 가입 준비 단계로 전자통신 시장 규제, 경쟁촉진을 위해 국가통신사무국(ANRC, National Authority for Regulator in Communications)을 설립함 이후 수차례의 구조조정 후 2009년 3월 국가통신사무국(ANRC)의 후신 국가통신정보 기술청(ANRCTI)과 IGCTI의 통합으로 국가통신관리규제청(ANCOM)이 탄생함 국가통 신관리규제청(ANCOM)은 주로 전자통신 부문의 라이선스 발 급, 통신 및 방송 주파수 관리 및 시장 규제, 관리 감독을 담당하고 있음

그림 1.2 루마니아 국가통신관리규제청(ANCOM) 조직도

출처 : 국가통신관리규제청(ANCOM)

286 | 유럽Ⅰ 루마니아

국가시청각위원회(CNA)

국가시청각위원회(CNA, National Audiovisual Council)는 1992년 설립된 루마니아 의 방송 규제 기관으로 주로 방송 콘텐츠에 대한 규제를 담당함 국가시청각위원회(CNA)는 국회가 임명하는 11명의 위원으로 구성이 되는데, 11명의 위 원은 상원 3명, 하원 3명, 대통령 2명, 정부가 3명을 추천하여 구성되며, 임기는 6년임 매주 2회 위원회가 개최되어 방송 회의를 실시하며, 회의는 언론 및 관련 당사자들에게 개방되어 있음 주요 업무는 방송 라이선스 발급, 방송 프로그램 내용 규제 및 심의, 방송 콘텐츠 저작권 침해 심의 등을 담당함

그림 1.3 루마니아 국가시청각위원회(CNA) 조직도

루 마 니 아 출처 : 국가시청각위원회(CNA)

| 28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정책 및 규제

1) 정책

브로드밴드 개발 전략 2009~2015

루마니아는 2009년에 전국 브로드밴드 확대를 위한 전략으로 ‘브로드밴드 개발 전략 2009~2015(Government Strategy for Development of Broadband Electronic Communications Range in Romania 2009~2015)를 채택함 루마니아 정부는 정보통신(ICT) 기술 활용을 통한 지식 기반 경제 개발, 경제 성장, 고용 창출을 기본 목표로 하고 있는 유럽연합(EU)의 ‘리스본 전략(Lisbon Strategy)’ 수행의 일환으로 同 전략을 마련함 정부는 同 전략 추진 목적을 국가 개발 불균형 해소, 신규 고용 기회 창출, 효율성 향상 및 경쟁력 발전선도, 엔터테인먼트 및 문화생활에 새로운 기회 제공으로 삼고 있음 루마니아 정부는 同 전략 시행을 위해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최소 1Mbps의 속도로 지원 하는 것을 추구하며, 2015년 말까지 브로드밴드를 통한 모든 디지털 콘텐츠 및 응용 프 로그램 이용 환경을 마련한다는 방침임 특히 속도 면에서 정부와 가구 등 각각 최소 4Mbps와 1Mbps 속도를 지원하는 것을 목 표로 설정함. 상기 전략의 궁극적인 목표는 2015년까지 브로드밴드 커버리지 100%를 달성하는 것임. 또한, 가정뿐만 아니라 정부와 기업의 온라인 서비스 확대에도 주력하고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 지원과 브로드밴드 서비스가 구축되지 않고 있는 지역에 브로드 밴드 보급 확대를 추진함 상세 전략으로는 공공기관의 브로드밴드 접속, 공공 도메인 사용, 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 구현 지원, 중소기업의 서비스 접근 지원, 콘텐츠 및 응용 프로그램 개발, 소비자 교육 등 을 제시하고 있음 표 1.1 루마니아 브로드밴드 개발 전략 2009~2015 주요 분야 전략 개인 기업 정부 ‐ 정부 컴퓨터 보급 확대 브로드밴드 ‐ 컴퓨터 보급 확대 ‐ 기업 컴퓨터 보급 확대 ‐ 공공건물의 브로드밴드 접속 ‐ 브로드밴드 인구 보급률 확대 ‐ 기업 브로드밴드 보급률 확대 접속 확대 ‐ 기업 웹사이트 보급률 확대 ‐ 온라인 서비스 이용 인구 확대 ‐ 전자 행정 서비스 콘텐츠 ‐ e-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 전자학습 이용자 확대 ‐ 공공 문서의 온라인 양식 지원 이용기업 비중 확대 ‐ 직원들의 컴퓨터와 인터넷 기타 ‐ 디지털 문맹률 퇴치 ‐ 디지털 문맹 퇴치 이용 경험 확대 출처 : 정보사회통신부(MCSI)

288 | 유럽Ⅰ 루마니아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계획

루마니아 의회는 2009년 10월에 루마니아의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계획을 공식 승인 함. 루마니아 정부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을 2015년에 완료할 계획임 루마니아 정보사회통신부(MCSI)는 2009년 8월부터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의 준비 작업으로 공영 방송 채널인 TVR1과 TVR2에게 디지털 방송 라이선스를 발급했으며, 2009년 12월에는 4개 전국 방송 채널에 디지털 방송 라이선스를 추가로 발급함 TVR1과 TVR2는 무료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가시청각위원회(CNA)의 규 정에 따라 전국 방송으로 공영 방송사와 민영 방송사의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을 재방송 해야 할 의무를 가짐 정보사회통신부(MCSI) 장관은 디지털 방송 전환 계획을 위해 통신 장비 사업자로 ZTE 를 선정, 2011년 8월 디지털 지상파 TV 신호를 위한 생산라인을 구축한다고 발표함 2012년 9월 정보사회통신부(MCSI)는 2012년 말까지 15개 채널이 디지털 방송 서비 스를 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同 계획에는 약 1,000~2,000만 유로의 자금이 투자될 계획임을 밝힘 정보사회통신부(MCSI)는 15개 채널 중 UHF(Ultra High Frequency) 4개 채널과 VHF(Very High Frequency) 1개 채널은 DVB-2 기술을 이용해 디지털 방송을 송출할 것을 권고했으며, 2015년까지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함

2013년 6월 국가통신관리규제청(ANCOM)은 2015년 말까지 5개의 디지털 지상파 라 루 이 선스를 발급, 이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계약의 일부임을 밝힘 마 니 루마니아 디지털 어젠다 2020 아

정보사회통신부(MCSI)는 ‘유럽 디지털 어젠다 2020(Digital Agenda for Europe 2020)’을 차용해 ‘루마니아 디지털 어젠다 2020(Digital Agenda for Romania 2020)’을 수립함 정보사회통신부(MCSI)가 유럽 디지털 어젠다 2020으로부터 차용한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정보통신(ICT) 분야 민관협력(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 촉진 - 정보통신(ICT) 분야 신규 e-인프라스트럭처 개발, 브로드밴드 기반 차세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개발 - 루마니아가 진출 가능한 분야 탐색 - 기타 분야 에너지 소비 감소 위한 정보통신(ICT) 분야 잠재력 평가

| 28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 루마니아에 전자정부 서비스 시행 - 도심과 비도심 지역 간의 디지털 격차 완화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민간부문 지원

정보사회통신부(MCSI)는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브로드밴드, 온라인 서비스 접속, 전자 정부, e-비즈니스, 전자결제 시스템 분야에 초점을 맞춰 개발을 촉진할 계획임 정보사회통신부(MCSI)는 2014년 7월 발표를 통해, 디지털 어젠다 2020의 성과를 바탕 으로 GDP 3% 상승을 이루겠다는 목표를 제시함

루마니아 산업통상자원부, Start-Up Nation 프로그램 실시

2017년 상반기 루마니아의 스타트업 매출은 3,840만 유로를 기록해 전년 동기 1100만 유로 대비 3배 이상 증가함 스타트업 정부 지원과 관련해 루마니아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2017년 6월 15일, 기업 들을 후원하는 가장 야심찬 계획으로 Start-Up Nation 프로그램을 실시함 이 프로그램은 몇 가지 기준을 충족시키는 신규 기업에 한해 4만3900유로까지 지원해 주고 있음 프로그램의 목적은 2017년 1만 개의 새로운 스타트업 기업들의 투자유치를 지원하는 것과 적어도 1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으로 예산은 정부 예산 및 EU기금을 통해 3억7300만 유로가 책정됨

2) 규제

통신 규제 정책

루마니아 통신법은 1996년에 최초로 제정되었으며, 2002년 루마니아의 유럽연합(EU) 가입을 위한 준비 단계로 유럽집행위원회(EC)의 전자통신 부문에 대한 지침을 반영하여 개정됨 이에 따라 2002년 통신법 No.591 조항을 통해 루마니아 통신 시장의 자유화 규정이 최 초로 법제화되며 시장 경쟁이 활성화되기 시작함 2003년에는 루마니아 통신 시장 자유화 및 발전을 목적으로 일부 조항들이 추가되 었으 며, 이후 지속적으로 부분 개정되고 있음. 이 중 가장 두드러지는 개정은 2008년 10월 제정된 유선통신과 이동통신 시장의 번호 이동성 제도로, 이는 루마니아 이동통신 시장

290 | 유럽Ⅰ 루마니아

의 경쟁 활성화에 기여함 루마니아는 2007년 초 유럽연합(EU) 가입 후 유럽연합(EU)의 통신 지침을 반영하여 경 쟁 및 투자 확대, 컨버전스 구현, 저가 요금 실현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2009년 3월에는 기존에 통신과 주파수, 우편 규제 등으로 역할이 분담되어 있던 국가통 신 정보기술청(ANRCTI)과 IGCTI를 통합하여 독립 규제 기관으로 국가통신관리규제청 (ANCOM)을 출범시킴 그러나 유럽집행위원회(EC)는 2009년 1월에 이어 2010년 5월 두 번째로 루마니아 정부 에 통신 관련 규제 기관의 비독립성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해명과 시정을 요구한 바 있음

주파수 경매 역사

2012년 7월 2일, 루마니아 국가통신관리규제청(ANCOM)은 800MHz, 900MHz, 1,800MHz, 2,600MHz 등 4개 주파수 대역에 대한 경매 프로세스 계획을 발표함 2012년 9월 25일, 국가통신관리규제청(ANCOM)은 전체의 85%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총 6억 8,614만 유로에 할당했다고 발표함

표 1.2 루마니아 2012 주파수 경매 프로세스 날짜 세부일정 입찰된 주파수

 15년 만기 라이선스 루 2012.07.12 ‐ 주파수 경매 지원서 제출 (유효기간: 2014.04.06~2029) ~2012.08.13 마 ‐ 800MHz 대역 5MHz×42 니 ‐ 800MHz 대역 6 ‐ 지원서 검토 아 2012.08.20~ ‐ 900MHz 대역 7 ‐ 참가 기업 명단 발표 ‐ 1,800MHz 대역 15 ‐ 2,600MHz 대역 14 2012.09.10~ ‐ 주파수 경매 개시 ‐ 2,600MHz 대역 15MHz×3  1년 3개월 만기 라이선스 (유효기간: 2013~2014) 2012.10 ‐ 주파수 경매 결과 발표 ‐ 900MHz 대역 2.5MHz×10 ‐ 1,800MHz 대역 5MHz×6

출처: 국가통신관리규제청(ANCOM)

이 주파수 경매에 참여한 사업자는 Cosmote Romania, , , 2K Telecom, RCS&RDS 등 5개 사업자임 Cosmote Romania는 800MHz 대역 1개 블록, 900MHz 대역 2개 블록, 1,800MHz 대역 5개 블록, 2,600MHz 대역 2개 블록을 1억 7,988만 유로에 할당받았으며, 할당 받

| 29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은 주파수는 2014년부터 2029년까지 사용 가능함 Orange Romania는 2014년부터 2029년까지 사용 가능한 800MHz 대역 1개 블록, 900MHz 대역 2개 블록, 1,800MHz 대역 4개 블록, 2,600MHz 대역 4개 블록을 할당 받았으며, 추가로 2013년 1월부터 2014년 4월 5일까지 사용 가능한 900MHz 5개 블 록, 1,800MHz 대역 3개 블록을 할당 받음 Vodafone Romania는 2014년부터 2029년까지 사용 가능한 800MHz 2개 블록, 900MHz 대역 2개 블록, 1,800MHz 대역 6개 블록, 2,600MHz 대역 15MHz, 2013년 1월부터 2014년 4월 5일까지 사용 가능한 900MHz 대역 5개 블록, 1,800MHz 대역 3 개 블록을 할당 받음 WiMAX 사업자인 2K Telecom은 660만 유로에 2,600MHz 대역 15MHz×2 블록을, 케이블 사업자인 RCS&RDS(Romania Cable Systems)는 4,000만 유로에 900MHz 대역 1개 블록을 할당 받았으며, 2개 대역 모두 2013년부터 2029년까지 사용 가능함 2012년 11월 14일, 국가통신관리규제청(ANCOM)은 루마니아 통신 사업자들이 900MHz, 1,800MHz 대역에서 LTE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허가한다고 발표함. 이에 따라 Orange Romania, Vodafone Romania, Cosmote Romania는 해당 대역 에서 LTE 서비스를 제공함

사업자 간 상호접속요율(Mobile Termination Rates) 인하 규제

2009년 1월 당시 통신 규제 기관이던 국가통신사무국(ANRC)은 루마니아의 양대 이동 통신 사업자인 Orange Romania와 Vodafone Romania에 상호접속요율(Mobile Termination Rates)을 0.0503 유로로 21.4% 인하하도록 요청함 당시 Cosmote Romania, RCS&RDS, Telemobil에는 이러한 규정이 적용되지 않았으 나, 2010년 7월 국가통신관리규제청(ANCOM)은 Cosmote Romania와 Telemobil에 는 Orange Romania, Vodafone Romania와 유사한 수준으로의 인하를, RCS&RDS 에는 소폭 높은 0.0567 유로를 허가한다는 조정안을 마련함

900MHz 및 1,800MHz 무선 브로드밴드 서비스용으로 개방

2010년 2월 국가통신관리규제청(ANCOM)은 당초 2G(GSM) 서비스 전용으로 할당된 900MHz 및 1,800MHz 대역을 통해 3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가함 900MHz 및 1,800MHz 대역의 개방은 인구밀도가 낮고 브로드밴드 서비스 보급이 미 흡한 지방 지역 및 루마니아 전체의 브로드밴드 보급률 확대에 기여함

292 | 유럽Ⅰ 루마니아

이동통신 상호접속료(Mobile Interconnection Rates) 인하

2012년 9월, 국가통신관리규제청(ANCOM)은 2012년 9월부터 이동통신 상호접속료를 24% 인하, 분당 30.7 유로를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힘 국가통신관리규제청(ANCOM)은 2012년 3월에도 이동통신 상호접속료를 19~30% 인 하한 바 있으며, 이번 인하로 루마니아는 2003년 대비 70% 감소한 상호접속료를 적용함

이동통신 통화료 및 EU 역내 로밍요금 인하

2014년 1월 1일부터 이동통신 요금이 분당 0.067유로에서 0.015유로로 77% 인하됐으 며 2014년 7월부터는 유럽 내에서의 로밍 비용도 평균 25% 인하됨

방송 규제 정책

루마니아의 방송시장은 정보사회통신부(MCSI)가 정보통신(ICT) 및 방송 산업의 정책을 총괄, 국가시청각위원회(CNA)가 방송 프로그램 규제, 국가통신관리규제청(ANCOM)이 방송 주파수 할당 및 방송 재전송(유료방송) 부문의 규제를 담당하고 있음 루마니아의 방송 및 미디어 관련법은 1992년에 제정된 제504호 시청각법(Law No. 504 Audiovisual Law)을 기본으로 하고 있음. 제504호 시청각법에는 루마니아의 방송 서비스, 방송 프로그램, 내용, 광고 등에 관한 규정이 명시되어 있음 루 同 법은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총 11차례에 걸쳐 개정되었으며, 2012년 11월 기준 마 적용되는 제504호 시청각법은 2009년 11월 개정판임 니 아 방송 콘텐츠 규제

2006년 4월 승인을 받은 국가시청각위원회(CNA)의 방송 콘텐츠에 관한 관리 규칙이 방송 프로그램 및 콘텐츠 규제에 적용되고 있음 방송 콘텐츠에 관한 규제령에는 방송 프로그램 중 교육, 문화, 오락, 예술, 유럽연합(EU) 국가 프로그램의 비중 등에 관한 규정 및 아동 보호 규정 등이 명시되어 있음

| 29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3. 산업구조 및 특징

ICT 산업 신흥국 루마니아

루마니아는 중·동부 유럽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IT 시장 중 하나로서 유선 통신, 이 동 전화 통신, 인터넷 및 IT를 포함한 모든 정보 통신 기술 하위 분야에서 높은 발전을 이룸. 특히 지난 15년 간 규제가 철폐 및 현대화됨 루마니아 내 IT 전문가는 약 6만 4,000명이며, IT 전문가의 1,000명 당 인구 밀도는 전 세계 기준 6위를 차지함. Microsoft社는 루마니아가 동유럽 국가들 중 두 번째로 큰 소 프트웨어 생산국이 될 것으로 전망함

2015년 루마니아 IT 시장 규모, 13억 5,000만 달러

루마니아 국가통신관리규제청(ANCOM)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루마니아 IT 시장은 2010년 38억 7,800만 레이(약 9억 1,700만 달러)에서 2015년에는 57억 700만 달러 (약 13억 5,000만 달러)로 5년 간 약 48% 증가함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분야는 하드웨어이며 다음으로 PC, 서비스, 소프트웨 어 순서임. 2015년 기준 하드웨어는 시장의 54%, 소프트웨어는 22%, 서비스시장은 24%를 차지함

표 1.3 루마니아 IT 시장 동향 (단위: 백만 레이)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IT 시장규모 3,878 4,395 4,623 5,100 5,356 5,707 하드웨어 2,327 2,527 2,635 2,830 2,903 3,042 PC 1,885 2,096 2,158 2,287 2,343 2,572 소프트웨어 601 835 925 1,066 1,178 1,296 서비스 950 1,033 1,063 1,203 1,275 1,370

출처: 국가통신관리규제청(ANCOM)

2017 IT 산업 규모, GDP 10% 이상 차지할 것으로 전망

루마니아 소프트웨어 서비스 산업 협회(ANIS, Association in the Software and Services Industry)의 자료에 의하면, 2017년 루마니아 IT 산업 규모는 전체 GDP 중 약 1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함. 이 중 3%는 소프트웨어 시장이 차지할 것으로 예 상함

294 | 유럽Ⅰ 루마니아

4. 산업 주요 이슈

ICT 산업 바탕으로 EU 내 성장률 1위

루마니아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도 2/4분기 경제성장률이 예상을 뛰어넘어 6%를 기 록함. 이와 같은 성장률은 최근 4년 간 루마니아 경제성장률 중 가장 높은 수치이며 지난 2016년도 2/4분기 유럽연합(EU)의 28개 회원국 중 가장 높음 루마니아의 고성장은 부가세 인하에 따른 소비 증대와 기업의 투자지출 확대로 인한 것 으로 확인됨. 특히 루마니아는 IT, 소프트웨어와 같은 기술집약 산업 집중 육성과 주요 글로벌 기업의 유치에 힘입어 향후 수년간 지속적으로 EU 평균을 상회하는 3.5% 대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됨

다국적 ICT 기업, 루마니아 내 서비스센터 운영

루마니아는 다국적 ICT 회사들의 유럽지역 요충지로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Oracle, Ericsson, HP, IBM, Amazon, Siemens, Boeing 등의 많은 다국적 ICT 기업 들이 全세계 또는 유럽지역 ICT 서비스센터를 루마니아에 두고 운영 중임

표 1.4 루마니아 내 주요 다국적 기업 (단위: 명, 백만 유로) 주요 다국적 기업 근로자 수(2015년 기준) 2015년 매출액 루 마 Oracle 3,043 176.53 니 Ericsson Romania 2,798 148.14 아 HP Global e-business Operation 2,363 65.00 IBM Romania 2,172 167.51 Xerox Business Services 1,945 27.84 Endava Romania 1,381 48.94 Luxoft Professional 1,326 50.01 Ubisoft 1,220 32.98 Atos IT Solutions and Services 1,219 45.06 Gameloft Romania 1,181 23.12 Stefanini 1,152 30.95 Softvision 1,104 26.52 Huawei Technologies 1,101 204.50 Metro Systems Romania 781 30.50 Bitdefender 708 87.07

출처: 각 업체 홈페이지

| 29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루마니아, 스타트업 창업 시장 급부상

최근 부쿠레슈티에서는 디지털 컨슈머와 혁신 수용자들을 위한 시장이 급부상하고 있음. 그 예로 Bitdefender, Gameloft, King과 같은 지속적인 혁신을 추구하는 기업들이 생 겨났으며 Microsoft, HP 및 Oracle과 같은 메이저 IT 회사들이 스타트업 분야의 발전 을 돕고 있음 루마니아의 낮은 생활비와 비교적 높은 임금 역시 스타트업 열풍의 배경이라 할 수 있으 며 루마니아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사업가가 돼 부쿠레슈티, 클루즈 나포카, 티미쇼아 라, 이아쉬를 중심으로 기술허브를 구축해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제품을 개발 중임 가장 성공적인 루마니아의 스타트업 분야는 비디오 광고기술분야로 클루즈 나포카 출신 의 젊은 사업가가 개발한 LiveRail은 마케터와 출판사를 웹 및 모바일을 통해 연결하고 있음. 이 기술은 2014년 페이스북으로부터 약 4억 달러에 인수됨 이 밖의 다른 대표적인 루마니아의 스타트업 회사로는 Vector Watch가 있으며 2015 년 처음으로 개발된 스마트 워치는 미국 Fibit 사가 매입 후 2017년 시장에 출시됨

296 | 유럽Ⅰ 루마니아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1) 정부 간 협력

KISA, 루마니아 국가 사이버보안 인프라 구축 위한 상호협력 추진(2017.11)

한국인터넷진흥원은 루마니아 국립정보연구원(ICI)과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침해사고 위협정보 공유 등 루마니아 국가 사이버보안 인프라 구축을 위해 상호협력을 추진한다고 밝힘 양 기관은 이번 MoU를 기반으로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센터 및 사이버 훈련장 구축 관 련 자문, 침해사고 정보 공유하기로 협의함 한편 KISA는 올해 9월부터 루마니아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센터 구축 관련 타당성 조사 (F/S)를 진행하고 있음. 루마니아 ICI는 타당성 조사 이후 진행될 본 사업에 KISA의 참 여를 희망하고 있음

한국생산성본부(KPC)는 루마니아 기업환경통상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2017.11)

한국생산성본부(KPC)는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에서 루마니아 기업환경통상부와 생산성 분야 교류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함 루 KPC 대표단의 이번 루마니아 방문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시행하는 경제발전경험 마 공유사업(KSP)을 통해 지난 9월 루마니아 공무원 연수단이 KPC를 방문한 것을 계기로 니 루마니아 정부 측 요청으로 이뤄짐 아 향후 KPC는 루마니아 생산성본부 설립을 지원하는 등 양국 간 생산성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해 긴밀히 협력할 예정임

정보화진흥원, 한국-루마니아 ICT 데이 개최(2016.11)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11월 15일부터 16일까지 양일간 루마니아 부쿠 레슈티에서 한국과 루마니아의 ICT 협력 확대를 위한 한-루마니아 ICT 데이(DAY)를 개최함 이번 행사에는 루마니아 통신정보사회부 카르멘 엘리안(Carmen Elian) 차관, 국립정보 연구소 데세벌 포페스쿠 원장을 비롯해 KT, LGNSys 등 양국 기업관계자 80여명이 참 석, 2014년 개소한 한-루마니아 ICT협력센터(ITCC)의 3년 동안의 운영 성과를 공유함

| 29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중진공 동유럽 교두보 루마니아 中企 진출 나선다(2016.10)

중소기업진흥공단은 ‘루마니아 투자진출 설명회’ 및 ‘한-루마니아 중소기업 파트너쉽 매 칭상담회’에 참가할 기업을 모집함 루마니아 사절단은 IT, 육류가공 및 판매, 식품유통, 가구제조 및 유통 분야 민간기업과 신재생에너지, 농식품유통, 가구, IT 분야의 공공클러스터 사업단으로 구성됨

제8차 한-루마니아 고위급 정책협의회 개최(2015.03)

외교부 조태용 1차관은 루마니아 외교 차관과 ‘제8차 한-루마니아 고위급 정책협의회’ 를 개최함.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내실화, 인프라ㆍIT, 에너지 등 실질협력 증진, 지역 및 국제정세 등에 대해 폭넓은 의견을 교환함

미래창조과학부와 정보사회통신부, ‘한-루마니아 IT 협력 의향서’ 서명(2014.07)

이 의향서에 따라, 한국정보화진흥원(NIA)과 루마니아 국립정보연구서(ICI)간 한-루 IT 협력센터를 부카레스트에 설치함. 향후 3년간 총 200만 달러(양측 각각 100만 달러) 규 모로 루마니아의 정보화 프로젝트, 시범사업들을 기획, 추진키로 결정함

2) 기업 진출 및 협력

LG엔시스, 콜롬비아・루마니아에 IT 전략 컨설팅 제공(2015.11)

LG엔시스가 미래창조과학부가 지원하고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추진하는 ‘해외 IT협력센 터’ 사업을 수주함. 본 사업을 통해 LG엔시스는 콜롬비아와 루마니아에 빅데이터, 정보 보안, 전자도서관 등 IT 인프라 구축을 위한 진단 및 전략수립 등의 IT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함

한·루마니아, 전자무역 분야로 협력 확대(2015.05)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루마니아 경제통상관광부와 제8차 한·루마니아 산업협력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협의함. 이어 한국무역정보통신 (KT-NET)과 루마니아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인 시베코(SIVECO)는 전자무역시스템 구축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함 이에 따라 앞으로 양국 간 무역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됐으며, 한국형 전자무역시스템을 루마니아에 수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

298 | 유럽Ⅰ 루마니아

타이드, 루마니아 AMI 구축사업 수주(2015.02)

타이드는 최근 동유럽 유력 전력사 엘렉트리카 S.A.가 발주한 루마니아 지역 3,000가구 대상 스마트그리드 AMI 구축사업을 수주함. 유럽형 방식에서 탈피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최대 1.5㎞까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집합장치(DCU) 등 통신처리 기술 이 높게 평가 받음. 타이드는 2014년 현지 테스트를 거쳐 사업자로 최종 선정돼 루마니아 아드쥬드, 판치우 지역에 각각 1,000·2,000세대용 AMI를 구축함. 루마니아 정부가 국가 전체 AMI 구축 사업을 단계별로 진행할 계획이어서 추가 수주도 유리할 전망임

루 마 니 아

| 29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Ⅱ • • 정보통신방송 품목현황

Overview

2016년 루마니아 정보통신방송 주요지표 (단위: 천 명 / 천 회선 / 천 가구, 2016년 기준)

지표 루마니아 보급률(%) 한국 보급률(%)

유선통신 가입회선 4,110 19.10% 28,035 56.1% 이동통신 가입자 22,900 106.43% 61,295 122.6%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4,448 20.68% 20,555 41.1% TV 보급대수 7,401 96.00% 18,780 97.50% 케이블 TV 가입가구 4,722 63.80% 73.97 40.4% 위성 TV 가입가구 2,420 32.70% 2,280 12.5% 지상파 디지털 방송 가입가구 4,707 63.60% 18,237 99.6% IPTV 가입가구 96 1.3% 8,514 46.5%

출처: ITU(2017), Digital TV Research(2017)

루마니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2019‘ 루마니아 소프트웨어 IT 서비스 규모, 54억 9,500만 유로 시장 동향 ‐ 2019‘ 루마니아 소프트웨어 IT 서비스 시장 해외 매출 점유율 73.1% 차지

주요 ‐ OSF Global Services: 연 매출 7,500만 달러, 인원 400명 소프트웨어 사업자 ‐ GECAD Group: 연 매출 7,500만 달러, 인원 380명

‐ 2016‘ 루마니아 인터넷 보급률 56.3% 시장 동향 ‐ 루마니아 인터넷 연결 속도, 글로벌 17위, 유럽 10위

주요 ‐ Google: 루마니아 내 인기 사이트 1위 인터넷서비스 사업자 ‐ RCS and RDS: 루마니아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1위

‐ 2016‘ 루마니아 모바일 가입자 수 2,290만 명 시장 동향 ‐ 루마니아 Alba Iulia 최초 5G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주요 ‐ 루마니아 주요 통신 사업자: RCS&RDS, Romtelecom, UPC Romania 통신 사업자

‐ 2021‘ 루마니아 디지털 음악 시장 300만 달러 전망 시장 동향 ‐ 2021‘ ePublishing 부분 3,200만 달러 규모 전망

주요 ‐ 루마니아 인기 어플리케이션, 소셜·커뮤니케이션 분야 디지털콘텐츠 사업자

300 | 유럽Ⅰ 루마니아

Overview

루마니아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2021‘ 루마니아 TV 보유가구수 754만 7,000가구 전망 시장 동향 ‐ 2021‘ 루마니아 IPTV 가입가구 수 26만 4,000가구 전망

‐ 지상파 TV: TVR, PRO TV, Antena, , Prima TV ‐ 케이블 TV: RCS&RDS, UPC Romania 주요 ‐ 위성 TV: RCS&RDS, UPC Romania, 사업자 Communications, AKTA TV, Boom TV 방송스마트미디어 ‐ IPTV: Telekom Romania Communications

‐ 2017년 현재 루마니아 기업의 클라우드 사용은 7% 정도로 유럽권에서 가장 낮 은 클라우드 비중을 보이고 있음 시장 동향 ‐ 2020’ 루마니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1억 3,150만 달러 전망 ‐ 루마니아 클라우드 시장, 무선통신, 소매업, 전자금융 시스템 등의 분야 성장 클라우드 컴퓨팅 전망

‐ 2015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5억 8,500만 달러 시장 동향 ‐ 제조, 운송, 유틸리티 및 소비자 부문 중심 성장 전망 ‐ Vodafone Romania, NB-IoT 필드 테스트 완료(2017.12) 사물인터넷

‐ 2021‘ 루마니아 핀테크 시장 73억 6,900만 달러 전망 루 시장 동향 ‐ 핀테크 시장 호황 이유: EU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 이노베이션 허브, 마 IT스마트융합 테크 허브, 인적 자원, 성장 시기 니

‐ 2021‘ 루마니아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1,300만 달러 규모 전망 아 ‐ 2021‘ 루마니아 스마트폰 사용자 1,012만 명 전망 시장 동향 ‐ 루마니아 PC시장은 태블릿이 주도, 2011년 이후 연평균 75% 증가, 디바이스 ‐ 2016년 말까지 855만 대가 판매될 것으로 전망됨

| 30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 소프트웨어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7년 루마니아 소프트웨어 시장은 4,095백만 규모 형성

ANIS Romania에서 발간한 ‘Software & IT Services in Romania 2017’에 따르면, 2017년 소프트웨어 시장 매출은 4,095백만 유로에 달할 전망임 또한, 상위 50개 소프트웨어 기업의 매출이 전체 시장의 60%를 차지하는 편중된 양상을 보임 종사자는 2017년 9만 명으로 일인당 생산성은 2013년 35,000유로에서 2017년 45,000유로로 증가할 전망임

그림 2.1 루마니아 소프트웨어 시장 전망(2013 ~ 2020)

출처 : 국가시청각위원회(CNA)

2019년 루마니아 소프트웨어 IT 서비스 규모, 54억 9,500만 유로

루마니아 소프트웨어 관련 기관인 ANIS의 자료에 의하면, 루마니아 소프트웨어 IT 서비 스 규모는 2012년 18억 7,700만 유로 규모에서 2016년 36억 1,600만 달러로 약 두 배 가량 성장함. 2019년 루마니아 소프트웨어 IT 서비스 규모는 54억 9,500만 달러가 될 것으로 예측함

302 | 유럽Ⅰ 루마니아

그림 2.2 루마니아 소프트웨어 IT 서비스 (단위: 백만 유로)

출처 : ANIS

2012년도 루마니아 소프트웨어 IT 서비스 시장의 매출은 국내 매출과 해외매출의 비중 이 비슷한 수준임. 그러나 2016년도 기준으로 국내 매출 28.6% 해외매출 71.4%로 두 배 이상 격차가 벌어짐. 향후 2017~2019년 전망 또한 같은 추세로 소프트웨어 IT 서비 스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표 2.1 루마니아 소프트웨어 IT 서비스 시장 (단위: 백만 유로)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루

국내 매출 867 897 953 997 1,036 1,154 1,314 1,482 마 (점유율) (46.1%) (41.6%) (37.4%) (32.3%) (28.6%) (27.4%) (27.1%) (26.9%) 니 해외 매출 1,010 1,255 1,595 2,095 2,580 3,057 3,520 4,013 아 (점유율) (53.9%) (58.4%) (62.6%) (67.7%) (71.4%) (72.6%) (72.9%) (73.1%) 국내 매출 - 4% 6% 4% 5% 11% 14% 13% 전년대비 성장률(%) 해외 매출 - 24% 27% 31% 23% 18% 15% 14% 전년대비 성장률(%) ※ 2017~2019년도는 전망치임 출처 : ANIS

| 30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글로벌 Datafox가 선정한 루마니아 내 주요 소프트웨어 기업에 대해 조사하였음. 주요 기업 대부분이 루마니아 수도인 부카레스크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매출액 규모는 최저 114만 달러에서 최대 7,500만 달러임

표 2.2 루마니아 내 주요 소프트웨어 기업 기업명 매출액 인원 설명

A/B 테스트, 온라인 설문 조사, 트래픽 세분화 및 웹 개인화에 114만 달러 30명 사용할 수 있는 CRO 소프트웨어 기업임 Marketizator

1,900만 달러 380명 35개 국가에 기업, 금융, 은행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음 TotalSoft

3,500만 달러 180명 클라우드 통합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업체임 4PSA 고유의 리눅스 메일 서버 기술을 기반으로 통합 전자 메일, 700만 달러 40명 Axigen 일정 및 협업 플랫폼을 제공함 e-commerce, 벤쳐 캐피탈, 핀테크 관련 소프트웨어를 7,500만 달러 380명 GECAD Group 제공함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해 데이터 인터그레이션, CRM, 3,500만 달러 180명 INNOBYTE e-commerce, 클라우드 기술 컨설팅을 제공하는 기업임

7,500만 달러 400명 통합 클라우드 기술로 기업들에게 클라우드 컨설팅을 지원함 OSF Global Services 모바일 앱, 온라인 미디어, 웹 사이트와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140만 달러 7명 개발하는 기업임 QuestDome 비즈니스 관리를 위한 가장 발전된 소프트웨어 솔루션 600만 달러 180명 Wizrom 제공하고 있음

140만 달러 7명 와이어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음 WireframeSketcher

700만 달러 40명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및 디자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AMIQ

900만 달러 180명 SaaS, 정보 기술, 소프트웨어 개발 및 디자인 제공 업체임 SOFTWIN 소프트웨어 개발, 클라우드 서비스, e-commerce 솔루션을 700만 달러 100명 제공함 Zitec 출처 : Euromonitor

304 | 유럽Ⅰ 루마니아

GE, 루마니아 수도 부쿠레슈티에 소프트웨어 센터 신설

GE는 2017년 8월 30일 루마니아의 수도 부쿠레슈티에 위치한 GE Power의 Grid Software Solutions (SWS) 센터 인재 채용을 시작했으며, 향후 수 년 동안 계속 숙련된 IT 전문가를 고용할 계획임 현재 SWS에 지원 가능한 직무영역은 기술 리더십, 소프트웨어 통합 및 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등이며 중간 실무급부터 고위직까지 직책도 다양함 SWS 센터는 2011년 글로벌 차원의 Grid Solutions 센터 설립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탄 생했으며, GE Power의 Grid Solutions는 약 80개국에 1만 9,000명 이상의 인력들이 전 세계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 GE의 Grid Solutions 비즈니스는 전력 회사가 전력 생산 시점에서 소비 시점까지 전력 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망의 신뢰성, 효율성, 탄력성을 극대화하 는 가치를 제공 현재 GE Grid Software Solutions 센터에서는 130명의 전문가들이 팀을 이루어 통합, 소프트웨어 개발, 테스트 등의 프로젝트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기술 지원 서비스를 제공 중임

루 마 니 아

| 30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인터넷서비스

1) 시장 동향 및 전망

루마니아 인터넷 보급률, 56.3%로 저조

글로벌 통계 기관인 ITU의 자료에 의하면 루마니아 인터넷 보급률은 2011년 기준 40% 에서 2016년 56.3%로 16.3%p 증가하였으나 보급률은 저조한 수준임. 2016년 기준으 로 루마니아 인터넷 사용자 수는 약 1,117만 8,000명으로 추정됨

그림 2.3 루마니아 인터넷 보급률 추이 (단위: %)

출처 : ITU(2017)

루마니아 인터넷 연결 속도, 글로벌 17위, 유럽 10위

Akamai社가 발표한 인턴엣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4/4분기 기준 루마니아 인터 넷 연결속도는 16.1Mbps로 글로벌 17위, 유럽 국가 내 10위를 차지함

306 | 유럽Ⅰ 루마니아

표 2.3 유럽 IPv4 인터넷 평균 연결 속도 순위 순위 글로벌순위 국가명 평균 인터넷 속도(Mbps)

1 2 노르웨이 23.6 2 3 스웨덴 22.8 3 5 스위스 21.2 4 6 덴마크 20.7 5 7 핀란드 20.6 6 10 네덜란드 17.6 7 13 체코 17.3 8 15 라트비아 17.2 9 16 영국 16.3 10 17 루마니아 16.1 출처 : Akamai

2) 주요 기업 현황

루마니아 내 Google 가장 인기 높아

Alexa의 자료에 의하면, 루마니아 내 가장 인기있는 사이트는 Google인 것으로 확인 됨. Youtube, Facebook과 같은 글로벌 인기 사이트 외에 중고물품 거래 사이트 Olx, 루 웹캠 사이트 Bangacoms, 온라인 쇼핑몰 Emag, 파일공유 사이트 Filelist 등이 있음 마 니 표 2.4 루마니아 웹사이트 TOP 10 아 순위 사업자명 웹사이트

1 Google Google.ro 2 Youtube Youtube.com 3 Google Google.com 4 Facebook Facebook.com 5 Yahoo Yahoo.com 6 Olx Olx.ro 7 Wikipedia Wikipedia.org 8 Bongacams Bongacams.com 9 Emag.ro Emag.ro 10 Filelist.ro Filelist.ro 출처 : Alexa

| 30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루마니아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글로벌 리서치 기관인 ISP Quick List에서 루마니아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를 조사한 결과, 총 11개의 업체가 확인되었으며 가장 점유율이 높은 업체는 RCS and RDS社임

표 2.5 루마니아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사업자명 웹사이트

GTS Telecom www.gtstelecom.ro iNES Telecom www.ines.ro Lifenet www.lifenet.ro MetroNet www.metronet-telecom.ro NetVision www.netvisiontelecom.ro Plus Telecom www.plustelecom.ro RCS and RDS www.rcs-rds.ro Romtelecom www.romtelecom.ro Skynet www.skynet-telecom.ro Synco Telecom www.synco.ro UPC Romania www.upc.ro

출처 : ISP Quick List

루마니아,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를 통한 뉴스 소비 활발

2017년 11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최근 발간한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17 한국' 보고 서에 따르면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 미디어를 통해 뉴스 소비가 가장 활발한 국가는 칠레(44%)임 그외 말레이시아(38%), 헝가리(37%), 아르헨티나(37%), 싱가포르(35%), 루마 니아(33%) 등 남미, 동남아, 동유럽 국가들이 높은 비중을 차지함

308 | 유럽Ⅰ 루마니아

3. 통신

1) 시장 동향 및 전망

이동통신

글로벌 통계기관인 ITU의 자료에 의하면 루마니아 모바일 가입자 수는 2012년 이후 지 속 증가하였으나 2015년 2,312만 명에서 2016년도 2,290만 명으로 감소하고 점유율 도 107.1%에서 106.4%로 0.7% 감소

그림 2.4 루마니아 이동통신 가입자 추이 (단위: 천 명)

루 마 니 아 출처 : ITU(2017)

브로드밴드

루마니아의 브로드밴드 시장에는 케이블 TV, 마이크로 LAN,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무선 및 광섬유가 포함됨. 루마니아 광섬유 분야는 최근 유럽에서 가장 유망한 시장이 되 었으며 2016년 중반 고정식 브로드밴드 회선의 약 94%가 광섬유 기반임. 루마니아는 가장 높은 FttP 보급률을 보이고 있으며 2016년 11월 평균 브로드밴드 다운로드 속도는 100Mb/s를 기록함

| 30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2.5 루마니아 유선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추이 (단위: 천 회선)

출처 : ITU(2017)

표 2.6 루마니아 유선인터넷 속도별 가입자 비율(2011-2016) 단위:Mbps 연도 < 2 2-10 10-30 30-100 100

2011 2.2% 32.8% 20.0% 29.0% 16.0% 2012 2.0% 24.7% 26.5% 27.9% 18.9% 2013 0.8% 18.8% 24.6% 31.0% 24.7% 2014 0.8% 15.3% 24.2% 10.9% 48.6% 2015 0.9% 12.8% 20.2% 14.4% 51.7% 2016(9월) 0.6% 12.3% 17.7% 13.4% 55.9% 출처 : BuddeComm(2017)

5G

루마니아의 통신 장관은 2018년 루마니아에 첫번째 스마트 도시를 건설할 예정임. 2016년 9월 Alba Iulia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를 계획 중이며 루마니아 최초로 5G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Alba Iulia를 스마트 시티로 선택한 이유는 장기간에 걸쳐 발전 계획을 가지고 있던 도 시이며 EU자금 지원율이 높고 스마트 이송 시스템을 준비 중이기 때문임

310 | 유럽Ⅰ 루마니아

2) 주요 기업 현황

루마니아 주요 통신사, 브로드밴드 서비스 확충

루마니아 주요 통신 사업자로는 RCS&RDS, Romtelecom, UPC Romania 등이 있음. 1993년에 설립된 RCS&RDS는 루마니아의 케이블 브로드밴드 사업자로, 케이블 방송, VoIP, 3G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1992년에 설립된 UPC Romania는 DTH 위성 방송과 케이블 기반의 브로드밴드를 제 공하는 사업자로, 2005년에 Astral Telecom을 인수하면서 브로드밴드 네트워크를 확 대함. Romtelecom은 2005년 5월 ‘ClickNet’이라는 브랜드로 DSL 서비스를 출시하 며 루마니아 브로드밴드 시장에 진입함 Romtelecom은 다이얼 업, ADSL, VDSL, FTTx 기반의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제공하 며 유선 인프라 구축이 어려운 지방 지역 및 미개발 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커버 리지를 확대함 브로드밴드 서비스는 100Mbps 속도를 지원하는 Net Power, Play Net(50Mbps), Surf Net(2Mbps)으로 구성되어 있음. 한편, 동일한 브로드밴드 서비스에도 불구하고 가입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다른 기반의 기술로 서비스가 제공되어 속도가 일정하지 않음 루마니아의 브로드밴드 시장은 아직 성숙도가 낮고, 사업자들 간에 경쟁이 활발하여 시 장의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루마니아의 브로드밴드 시장은 정부의 브로드 밴드 개발 전략 2009~2015 정책과 함께 사업자들의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활용한 다양 루 마 한 결합상품 개발로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임 니 아 2020년 루마니아 5G 상용화 전망

루마니아 시장의 주요 통신 사업자들은 2020년까지 5G 기술을 구현으로 IoT시장을 성 장 시킬 것으로 전망함. Vodafone Romania의 CTO인 Catalin Buliga는 루마니아는 이미 4G plus 범위에 있으며, Vodafone Romania의 고객은 이미 Supernet 4G plus 로 향상된 서비스를 경험하고 있다고 전함 루마니아 주요 통신사인 Telekom Romania의 CTO인 Timos Tsokanis에 따르면 5G 구현은 하룻밤 사이에 발생하지 않으며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며 그에 따라 적극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힘 루마니아 오렌지 품질 및 효율성 관리 책임자인 Mihai Tudor는 5G가 2020년 경 루마 니아 내에 상용화 될 것으로 전망함

| 31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Vodafone Romania, LTE-A Supernet 4.5G 개시

루마니아 제2통신사 Vodafone Romania는 LTE-A 서비스인 Supernet 4.5G를 개시 한다고 밝힘(2017.10) 해당 서비스는 업그레이드된 네트워크 보안 및 넓어진 주파수대역으로 최적화된 비디오 스트리밍를 제공할 수 있음 동 서비스 제공으로 가입자는 이론적으로 800Mbps 속도로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함 현재 삼성 갤럭시 S8 단말은 최대 500Mbps의 속도 지원이 가능하나 2018년 초에는 800Mbps 지원이 가능할 전망임

글로벌 네트워크 기업 Ericsson, RCS&RDS와 IoT/5G 사업 파트너십 체결

스웨덴 네트워크 장비 회사 Ericsson은 루마니아 통신사 RCS&RDS와 IoT와 5G 구현 에 관한 파트너십을 체결함 (2017.11) Ericsson는 본 파트너십이 RCS&RDS와 협력하여 루마니아 IoT 및 5G 서비스를 개척 하는 것임을 언급함 이를 위해 Ericsson은 우선 5G 구현이 가능한 NB-IoT 기지국 장비를 RCS&RDS 네트 워크에 구축하며 초기에는 수도 부쿠레슈티에 집중하는 예정으로 2017년 12월 본 프로 젝트를 개시할 계획이라고 밝힘

Telekom Romania, 자사 모바일 엔터티를 단일조직으로 통합

Telekom Romania는 여러 개로 흩어진 자사 모바일 조직을 Telekom Romania Mobile Communications SA로 통합함(2017.12) 이로써 Telemobil SA(2009년 취득, 이미 Telekom으로 통합), 단말 유통사 Germanos Telecom Romania SA 및 Sunlight Romania Filiala Bucuresti SRL(Germanos Telecom 자회사) 등이 단일 조직으로 통합됨

RCS&RDS, 중국 화훼이와 자사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1.5Gbps 다운로드 테스트 완료

Romania 통신사 RCS&RDS (Digi)는 중국 네트워크 장비 제조기업 화웨이와 자사 모 바일 네트워크에서 1.5Gbps의 다운로드 속도를 달성했다고 밝힘(2017.11) 본 테스트는 5개의 주파수 결합, 256 QAM radio 모듈레이션 및 4×4 MIMO 기능을 제공하는 특별한 단말을 사용하여 실험실에서 실시됨 1.52Gbps 다운로드 속도는 테스트에 사용된 100MHz 주파수 대역 중 80MHz로 달성 되었으며 Huawei HiSilicon Hi1381 칩셋이 사용됨

312 | 유럽Ⅰ 루마니아

4. 디지털콘텐츠

1) 시장 동향 및 전망

디지털 음악 시장, 2021년 300만 달러 전망

루마니아 디지털 음악 시장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6.6%로 성장하여 2021 년 시장 규모는 300만 달러 규모로 전망됨 이 중 음악 스트리밍 부분이 전체 시장의 3분의 2를 차지하며 사용자 수는 2017년 10.9%에서 13.1%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음악 다운로드 시장은 동 기간 동안 2.0%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이며 2021년 음악 다운로드 시장 규모는 100만 달러로 예상됨. 음악 다운로드 사용자 수는 4.5%에서 2021년에는 5.1%로 0.6%p의 낮은 성장이 전망됨

2021년 1,5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VOD 시장

루마니아 내 Vod(Video-on-Demand) 부분은 2017년에서 2021년까지 연평균 11.7%의 성장률을 보이며 1,500만 달러 규모에서 2,3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됨. 사용자 수는 5.2%에서 7.0%로 1.8%p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루 이 중 Video Streaming 부분은 2017년 기준 1,300만 달러 규모로 VOD 시장의 대부 마 분을 차지함 니 아 ePublishing 부분 2021년 3,200만 달러 규모 전망

ePublishing 부분 루마니아 시장 규모는 2017년에서 2021년까지 11.8%의 연평균 성 장률로 2,000만 달러에서 3,200만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사용자 수는 5.6% 규 모에서 9.2%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됨 ePublishing 부분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ePaper는 2017년 기준으로 1,400만 달러 규모로 시장의 70%를 차지함

| 31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루마니아 인기 어플리케이션, 소셜·커뮤니케이션 분야

2017년 1월 기준 글로벌 통계 사이트인 SimilarWeb 내 루마니아 내 어플리케이션 순 위를 조사한 결과, Google play store 기준 다운로드 순위 상위권 어플리케이션은 주로 Messenger, Facebook, WhatsApp와 같은 소셜, 커뮤니케이션 종류들임 Apple App Store 기준 다운로드 순위 상위권 어플리케이션은 또한 소셜, 커뮤니케이션 들이 대부분이며 게임과 쇼핑 관련 어플리케이션도 확인됨

표 2.7 루마니아 Goolgle play store 기준 애플리케이션 TOP 10(2017.1) 순위 어플리케이션 카테고리 1 Messenger 커뮤니케이션 2 Facebook 소셜 3 WhatsApp Messenger 커뮤니케이션 4 Instagram 소셜 5 Ali Express Shopping App 쇼핑 6 S Photo Editior–Collage Maker 포토그래피 7 8 Ball Pool 게임 8 OLX.ro - Anunturi gratuite 쇼핑 9 Snapchat 소셜 10 Toy Blast 게임 출처 : SimilarWeb

표 2.8 루마니아 Apple App Store 기준 애플리케이션 TOP 10(2017.1) 순위 어플리케이션 카테고리 1 WhatsApp Messenger 커뮤니케이션 2 Driving Zone Germany 게임 3 YouTube 비디오 4 Messenger 커뮤니케이션 5 Facebook 소셜 6 Sweet Jelly Candy 게임 7 Snapchat 소셜 8 Instagram 소셜 9 Google Maps 네비게이션 10 OLX.ro - Anunturi gratuite 쇼핑

출처 : SimilarWeb

314 | 유럽Ⅰ 루마니아

5. 방송스마트미디어

1) 시장 동향 및 전망

방송콘텐츠

현재 루마니아 방송시장은 다음과 같은 주요 3가지 특징 및 트렌드 변화를 보이고 있음 첫 번째) 전반적인 산업의 디지털화로 젊은 세대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콘텐츠를 즐기는 것을 더 선호하기 때문에 TV와 디지털 플랫폼 모두에서 콘텐츠가 시청자의 관심을 끌 수 있어야 함 소위 세컨드 스크린(Second Screen)에서 시청되는 TV 프로그램의 좋은 사례로 채널 ‘Kanal D 루마니아’ 버전의 오락 프로그램인 <마이 스타일 록스(My Style Rocks)>가 있으며 매우 활발히 온라인과 소셜 미디어 활동을 하는 젊은 시청자를 겨냥하고 있음 두 번째) 지난 2-3년 동안 루마니아에서 낮 시간대 프로그램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면서 이 시간대 프로그램의 경쟁력 및 투자가 중요해짐. 10년 전 Kanal D가 방송을 시작했을 때 낮 시간대 방송에 대한 투자는 Kanal D가 유일했으나 이와 비교하면 많은 변화가 일어남 세 번째) 지난 몇 년 동안 현지 제작물이 더 늘어나고 영화 방영은 줄어들고 있음. 루마니 아에는 60개의 채널에서 많은 TV 콘텐츠가 제공되다 보니, 주요 채널들은 루마니아 현 루 지 제작을 통한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음. 이렇게 현지에서 제작된 TV 콘텐츠는 소셜 미 마 디어 등을 통한 프로그램의 홍보에도 유리함 니 아 2014년 루마니아 드라마 시장에서는 자국에서 제작된 드라마와 터키, 인도의 드라마 콘 텐츠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 미국 드라마 콘텐츠도 지속적으로 제공됨 특히 TVR과 National TV는 한국의 사극 드라마 콘텐츠를 즐겨 편성하는 채널로 알려 져 있으며, 대형 미디어 그룹 Antena의 라이프스타일 채널인 Euforia TV는 ‘투윅스’, ‘굿닥터’, ‘청담동 앨리스’, ‘상어’, ‘비밀’, ‘예쁜남자’, ‘총리와 나’, ‘별에서 온 그대’ 등 을 방영함

방송

루마니아는 Linear TV 서비스의 소비가 여전히 증가하고 있는 몇 안되는 국가 중 하나임 루마니아 내 시장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하루 TV 시청시간은 3시간 안팎이지만, 루마니아인들은 하루 평균 5시간 이상 TV를 시청하는 것으로 조사되며 심지어 17%의

| 31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사람들은 주말마다 7시간 이상 TV를 시청하며, 34%의 사람들은 평균 4~6시간 정도 TV를 시청함 2016년 기준 루마니아 TV시장 규모는 3억8000만 유로를 기록했으며 전체 전자제품 시 장은 약 30% 성장했고 TV시장은 26.7% 성장함 양적인 측면으로 보면 2016년에는 당초 120만 대의 TV가 판매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이를 넘어서 총 140만 대의 TV가 판매됨 2016년 루마니아에서 팔린 TV들 중 약 35%는 smart TV였고 이는 전체 TV시장의 60%를 차지함 루마니아는 케이블 TV와 위성 TV 사업자들뿐만 아니라 IPTV와 기타 플랫폼을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시장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며, 사업자들의 브로드밴드 서비 스를 기반으로 한 결합형 서비스가 더욱 확대되어 가격 경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 루마니아의 IPTV 시장은 iNES가 유일하게 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나 2009년 12월 루마 니아 최대 유선통신 사업자인 Telekom Romania Communications이 IPTV 서비스 를 출시하고 2014년 새로운 IPTV 플랫폼을 출범하면서 시장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음

316 | 유럽Ⅰ 루마니아

2) 주요 기업 현황

방송 주요 사업자 정보

지상파 사업자 TVR, Pro TV, Antena3과 케이블, 위성 TV 사업자 RCS&RDS, UPC 루마니아, 위성 TV와 IPTV 사업자 Telekom Romania Communications 등이 루마 니아 TV 방송 서비스 업계의 주요 사업자임

표 2.9 루마니아 방송 플랫폼별 주요 사업자 구분 주요 사업자

국영: TVR 지상파 TV 민영: PRO TV, Antena, Kanal D, Prima TV 케이블 TV RCS&RDS, UPC Romania 위성 TV RCS&RDS, UPC Romania, Telekom Romania Communications, AKTA TV, Boom TV IPTV Telekom Romania Communications 출처 : MTM London 2016

루마니아 방송 시장에서는 지상파 사업자인 TVR, Pro TV, Antena3을 위시하여 케이 블과 위성 TV 사업자인 RCS&RDS, UPC, 위성 TV와 IPTV 업체인 Telekom Romania Communications 등이 방송 콘텐츠를 제공함 루 TVR(Televiziunea Romana)은 뉴스, 시사 프로그램 및 자체 제작한 영화, 드라마, 다 마 큐 멘터리에서 대형 스포츠 이벤트까지 다양한 종합 편성 프로그램을 제공함 니 PRO TV는 대표 채널인 PRO TV를 통해 해외의 인기 방송 프로그램과 자체 제작한 뉴 아 스, 오락, 드라마, 영화 등을 방영하고 있으며, 해외 프로그램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임

| 31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6. 클라우드 컴퓨팅

1) 시장 동향 및 전망

루마니아 클라우드 사용은 유럽에서 가장 낮은 7% 수준

eurostat(ec.europa.eu/eurostat) 통계에 따르면, 루마니아 기업의 클라우드 사용은 7% 정도로 북유럽 핀란드, 스웨덴, 덴마크의 기업이 각각 57%, 48%, 42% 정도가 되는 것에 비하면 유럽권에서 가장 낮은 클라우드 사용 비중을 보이고 있음

2020년 루마니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1억 3,150만 달러 전망

글로벌 리서치 기관인 IDC의 자료에 의하면 루마니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은 전체 IT 시장의 7.3%를 차지하고 있음.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25.5%로 성장하여 2020년 루마니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은 1억 3,150만 달러 규모로 전망됨 루마니아 내 가장 성장 잠재력이 높은 분야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솔루션임. IDC의 자료에 따르면 클라우드 라이선스는 향후 4년 간 루마니아의 소프트웨어 솔루션 판매의 15%를 차지함. 특히 기업용 클라우드 솔루션은 연간 16~30% 성장할 전망으로 다른 유럽 선진국가들의 성장과 비슷한 수준임

무선통신, 소매업, 전자금융 시스템 등의 분야 성장 전망

루마니아 내 공공부문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사업은 거의 모든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되 기 때문에 규모가 비교적 작은 편임. 그러나 민간에서는 유틸리티, 무선통신, 소매업, 전 자금융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며 실제로도 그 사용 빈도가 점차 증가함 루마니아에서 클라우드 기술이 적용되는 빈도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낮은 편임. 서유럽 이나 미국과 비교하면 클라우드 기술에 대한 루마니아 내 수요는 비교적 적음 그러나 IT분야 시장정보 전문 업체인 IDC는 루마니아 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의 규모 는 일반 IT 시장보다 적어도 다섯 배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중소기업 수가 증가함에 따라 클라우드 모델과 같이 IT 솔루션에 대한 월간 구독료를 지 불하는 장점이 있으며 중소기업 및 공공 부문에서 클라우드 솔루션 사용이 증가 할 것으 로 예상됨

318 | 유럽Ⅰ 루마니아

7. 사물인터넷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5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5억 8,500만 달러

웨어러블 장치 및 모션 감지기에서 다양한 산업에 특정한 하드웨어 장치에 이르는 루마 니아 내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5억 8,500만 달러임. 루마니아 사물인터넷 시장 가치 는 2016년에만 약 20% 성장이 예상되며 매년 성장하여 2019년에는 시장 규모는 12억 유로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루마니아 사물인터넷 시장 내 기업들은 2016년에 연결 구성 요소와 사물인터넷 플랫폼 전용으로 약 1억 2,300만 유로가 할당 되었으며, 사물인터넷 솔루션은 2015년에 총 5 억 8,500만 유로 규모의 프로젝트에 사용됨 루마니아 사물인터넷 프로젝트 규모는 2016년에 6억 9,000만 유로가 될 것으로 예상되 며 이 중 1억 4,200만 유로는 연결 구성 요소와 사물인터넷 플랫폼 관련임. 사물인터넷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 중 Vodafone Romania에 따르면 루마니아 사물인터넷 시장이 곧 수천 개의 프로젝트에 도달하게 될 것으로 전망함 특히 통신 회사에서 사용하는 사물인터넷 시장의 M2M(Machine-to-Machine) 부문은

2015년 말까지 2,000~3,000만 유로 규모가 예상됨. M2M 분야 솔루션은 향후 5년 동 루 안 중요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 마 루마니아 사물인터넷 프로젝트는 2013년 이후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며 다른 이웃 니 국가와 비교할 때 루마니아의 사물인터넷 시장은 체코와 동일한 수준으로 헝가리보다 아 50% 규모가 더 크지만 폴란드 시장의 3분의 1임

제조, 운송, 유틸리티 및 소비자 부문 중심 성장 전망

글로벌 리서치 회사인 IDC Romania에 따르면, 2018년까지 루마니아의 IoT 시장은 제 조, 운송, 유틸리티 및 소비자 부문에서 가장 높은 지출 분야를 중심으로 두 배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또한 공공 부문, 건강 관리 및 소매업과 같은 다른 분야에서도 기술 수준 이 높아져 사물인터넷이 적용될 것으로 예상됨 루마니아 고객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사물인터넷의 보안이며 향후 개발되는 사물인터넷 관련 제품들은 보안면에서 안전하다는 것을 고객들에게 인지 시켜야 할 것임

| 31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Vodafone Romania, NB-IoT 필드 테스트 완료(2017.12)

Vodafone Romania는 OMV Petrom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NB-IoT 기술에 대한 필 드 및 연구실에서의 테스트를 완료함 해당 테스트는 OMV Petrom의 데이터 센터에 연결된 오일/가스 산업 특화된 장비에 대한 연동 및 원격 감시 등을 Vodafone의 상용 모바일 네트워크상에서 시행한 것임

피트니스 웨어러블 업체 Fitbit, 루마니아에 유럽 최대 R&D 센터 설립

미국 피트니스 웨어러블 업체인 Fitbit이 루마니아의 Vector Watch 인수에 이어 루마 니아의 수도 부쿠레슈티에 연구개발(R&D) 센터를 설립 Fitbit은 지난 2017년 1월, 한 번 충전 후 30일 동안 사용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 스마 트워치를 개발한 스타트업 Vector Watch를 인수했으며, 부쿠레슈티는 Vector Watch 의 본거지임 루마니아 Fitbit R&D 팀은 Vector Watch의 기존 인력 30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 으며, Vector Watch의 전직 CTO였던 Andrei Pitis가 Fitbit의 기술 담당 부사장으로 영입되어 R&D센터를 이끌게 될 전망임 Fitbit은 루마니아에서 이미 약 100 명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디자이너, 제품 관리자 등을 고용하고 있으며, 펌웨어 엔지니어, iOS 및 Android 개발자, 제품 관리자 및 UX 디자이너 등 신규 채용대상 인력 을 적극적으로 물색 중임

글로벌 IT 기업들의 R&D 센터 다수 존재

Fitbit 외에도 Adobe, SAP, Ixia, NXP, Bitdefender 등 다양한 기술 업체들이 루마니 아에 R&D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 풍부한 인력풀 ▲ 개발자에 대한 면세 혜택 ▲서유 럽의 절반 수준인 생활비 등을 대표적인 장점으로 지목함

320 | 유럽Ⅰ 루마니아

8. IT스마트융합

1) 시장 동향 및 전망

핀테크

글로벌 통계기관인 Statista의 자료에 의하면, 루마니아 내 핀테크 시장은 2017년 기준 37억 3,100만 달러 규모로 추산됨. 핀테크 시장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18.6%로 성장하여 2021년에 73억 6,9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루마니아 핀테크 시장의 디지털 결제 부분 규모는 2017년 기준 37억 1,500만 달러로 핀테크 시장의 99% 이상을 차지함. 2021년 루마니아 핀테크 산업관련 잠재 고객 수는 약 1억 1,500만 명에 다다를 것으로 전망됨

표 2.10 루마니아 핀테크 시장 호황 이유 루마니아는 중동부 유럽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있는 아웃소싱 대상 중 한 곳이며 EU에서 가장 빠르게 2015년 EU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였음. 루마니아는 IT, 컨택센터, 리서치 프로그램 성장하는 국가 등을 위한 아웃소싱 허브임 루마니아의 어려웠던 과거로 인해 자급자족과 탄력성이 강화 된 기업 문화를 가지고 있음. 이노베이션 허브 루마니아는 경제 발전을 중심으로 지속 가능하며 포괄적인 성장 중임 테크 허브 Forbes에 따르면 루마니아는 기술 근로자가 많고 IT 전문가가 6만 4,000명에 달함 루 루마니아는 젊은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으며 영어뿐만 아니라 독일어, 프랑스어 및 마 인적 자원 이탈리아어도 능통함. 많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미국 및 유럽 은행을 위해 니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면서 경험을 쌓은 상태임 아 동유럽 및 유럽 fintech는 지금까지 사이버 보안 및 빅데이터에 중점을 두었으나 향후 성장 시기 다른 방향으로도 핀테크 산업 발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출처 : Kuarix

루마니아는 다양한 핀테크 기업이 있으며, Garanti Bank Romania는 Allevo의 오픈소 스 플랫폼인 FinTP를 페이먼트 처리를 위한 서비스로 채택한 바 있음

| 32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표 2.11 루마니아 내 주요 핀테크 기업 기업명 주요 사업 분야

오픈소스 기반 뱅킹 뱅킹 Allevo

파이낸싱 모바일 솔루션 기업 재무 ExigeApp

기업 재무 기업 재무 Smart Bill

SME를 위한 인보이스 SW 크라우드 펀딩 Crestem Idei

기업 재무 크라우드 펀딩 Kazuu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사이버 머니, 블록체인 BTCXchange

크라우드 펀딩 파이낸싱 Extra Finance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파이낸싱 LOXON

크라우드 펀딩 지불처리 mobilPay Wallet

비트코인 익스체인지 트레이딩 및 투자 Swiss Capital 출처: FintechStartupsCo(https://fintechstartups.co/startups/country/60-romania)

322 | 유럽Ⅰ 루마니아

9. 디바이스

1) 시장 동향 및 전망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2021년 1,300만 달러 규모 전망

글로벌 통계 기관 Statista의 자료에 의하면, 루마니아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은 2017 년 기준 800만 달러 규모에서 2021년까지 연평균 12.5%로 성장하여 2021년에는 1,300만 달러 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사용자 수는 2017년 2.4%에서 2021년에 4.3%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루마니아 스마트폰 사용자, 2021년 1,012만 명 전망

2016년 기준 루마니아 스마트폰 사용자 수는 793만 명으로 확인되었으며 매년 늘어나 2021년에는 1,012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루마니아 내 OS 시스템 점유율은 2010년 기준 Symbian OS가 45%로 1위를 차지하였으나 2016년에는 Android가 76.61%로 1위이며 iOS가 15.5%로 2위, Windows Phone이 3.94%로 3위를 차지함

그림 2.6 루마니아 스마트폰 사용자 수 전망 (단위: 백만 명) 루 마 니 아

출처 : Statista

| 32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표 2.12 루마니아 스마트폰 OS 점유율 (단위: %) Windows Black Sony 연도 Android iOS Series 40 SymbianOS Samsung unknown Phone Berry OS Ericsson 2010 7.78 21.93 0 0 45 4.28 6.82 0.99 11.07 2011 29.36 23.74 0.37 0 32.03 3.44 3.45 1.06 4.24 2012 40.82 22.27 1.01 8.63 16.79 2.63 3.29 0.74 1.49 2013 50.36 20.2 2.5 11.48 6.2 2.88 3.04 0.8 0.63 2014 65.67 17.44 4.55 5.73 2.06 1.27 1.19 0.71 0.22 2015 71.94 17.34 4.23 2.37 0.79 0.59 0.69 0.8 0.06 2016 76.61 15.5 3.94 1.1 0.25 0.66 0.36 0.33 0.03 출처 : Statista

루마니아, 저가형 태블릿 수요 급증

루마니아 PC시장은 태블릿이 주도하면서 2011년 이후 연평균 75% 증가, 2016년 말까 지 855만 대가 판매될 것으로 전망됨. 루마니아는 2016년 말부터 2017년까지 PC 교체가 집중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신규 및 교체 수요는 태블릿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임 태블릿의 운영체제는 88%가 Android로 루마니아 자체 브랜드인 Utok, Allview에서도 사용되어 시장을 선도하며 상대적으로 Apple 제품은 고가로 인기가 하락하면서 iOS 점 유율은 6% 수준 대임 PC제품 판매는 전문 소매업체를 통한 유통채널이 전체 시장의 61%를 차지하는데, 20% 에 못 미치는 하이퍼마켓에 비해 강력한 브랜드이미지,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 및 A/S 등의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임 현지에서 저가형 PC를 선호함에 따라 인도, 중국 및 루마니아 저가 태블릿 등이 혼재되 면서 소매업체들 간 가격 경쟁도 심화될 것이고, 중장기적으로는 스마트폰의 보급과 기 술 진보에 따라 PC 시장 판도가 크게 변화될 것으로 전망됨

324 | 유럽Ⅰ 루마니아

2) 주요 기업 현황

삼성, 루마니아 스마트폰 시장 장악

StatCounter에 따르면, 2017년 11월 기준 삼성은 루마니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47.9%를 기록해 이집트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 같은 기간 46.3% 대비 1.6% 정도 증가한 수치임 애플은 2017년 11월 16.8%의 점유율을 기록해 삼성에 이어 2위를 기록했으며 전년 동 기간 대비 1.9% 상승함. 한편 화훼이의 상대적 점유율은 삼성에 비해 많이 낮은 11.0% 를 기록하고 있음 전반적으로 루마니아 스마트폰 시장은 지난 1년간 벤더 간 점유율의 급격한 변화는 일어 나고 있지 않아 삼성의 주도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임

그림 2.7 2017년 11월 루마니아 스마트폰 시장 제조사 별 점유율

루 마 니 아

출처 : StatCounter

| 32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Ⅲ • • 유망제품 진출전략

Overview

유망품목 도출

유망품목 선정 - '소프트웨어‘

‐ 선정 사유 1. 소프트웨어·IT 서비스 시장 유망  루마니아 소프트웨어와 IT 서비스 분야 중심의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분석됨 ‐ 선정 사유 2. 2019년 의료기기 시장 규모 5억 9,080만 달러 전망  루마니아 의료기기 시장의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연평균 2.3%로 성장하여 2014년 5억 2,710만 달러에서 2019년 5억 9,08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선정 사유 3. 첨단 의료기기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 수요 증가  루마니아 의료기기분야의 수입 증가율은 9.3%이며, 수입의존도는 90% 수준에 육박함

유망제품 선정 ‐ 전자 의료 기록(EMR)  기존에 종이차트에 기록했던 인적사항 ,병력, 건강상태, 진찰, 입·퇴원기록 등 환자의 모든 정보를 전산화하여 입력, 관리, 저장함 ‐ 의료 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PACS)  CT,MRI 같은 디지털 의료 영상 장비를 사용하여 획득된 의료 영상 이미지를 저장하고 판독결과와 진료기록이 추가할 수 있음 ‐ 처방 전달시스템(OCS)  병원의 진료업무, 진료지원부서 업무 및 간호업무를 유기적으로 연계시킨 병원 정보시스템임

유망제품 유통구조 현지 진출 기업 사례

수출기업

의료기기 의료기기 SI업체 수입업체 제조업체 ‐ 메디칼스탠다드, 루마니아 내 PACS 시장 진출

최종수요처(병원, 의료 담당 정부기관 등)

‐ 의료기기 수입업체, 의료기기 제조업체, SI 업체 ‐ 최종 수요처: 병원, 의료담당 정부기관 등

유망제품 홍보 방법

‐ 루마니아 내 의료 관련 전시회 참가

326 | 유럽Ⅰ 루마니아

1. 유망품목 도출

선정 사유 1. 소프트웨어·IT 서비스 시장 유망

글로벌 리서치 기관인 BMI에 의하면, 루마니아 IT 시장은 향후 서비스와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며, IT 시장에서 하드웨어가 차지하는 비 중은 점점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이는 루마니아 IT 시장이 초창기에서 성숙기로 접어드 는 것으로 소프트웨어와 IT 서비스 분야 중심의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분석됨 루마니아 정부 등 공공 부문과 기업에서의 IT 투자는 더욱 활성화 되며 향후 IT 시장 확 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 소프트웨어 솔루션, 유지·보수, 서비스분야의 투자가 신규 하드웨어 제품이나 서버 구매에 들어가는 예산보다 많음

선정 사유 2. 2019년 의료기기 시장 규모 5억 9,080만 달러 전망

글로벌 리서치 기관인 BMI에 따르면 루마니아 전체 인구 중 고령자 비율이 17.3%이며, 이와 함께 기대수명도 증가하고 있어 의료 시스템 및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 루마니아 의료기기 시장의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연평균 2.3%로 성장하여 2014년 5억 2,710만 달러에서 2019년 5억 9,08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선정 사유 3. 첨단 의료기기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 수요 증가 루 마 루마니아는 병원시설 낙후로 현대화, 개보수가 시급하며, 첨단장비가 거의 없어 의료기 니 기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음. 또한 현지에서 현대화된 의료기기를 생산하지 못하기 때문 아 에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품목임. 루마니아 의료기기분야의 수입 증가율은 9.3%이 며, 수입의존도는 90% 수준에 육박함 최근 경제 성장세 지속 및 가처분소득 증가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세가 지속되 고, 공공 의료분야뿐 아니라 민간의료 분야에서도 투자를 강화하는 추세임. 루마니아 최 대 민간 의료기업 MedLife는 2017년 말까지 최소 2,500만 유로를 신규 투자해 신규 클 리닉 시설들이 오픈됨에 따라 의료기기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이러한 첨단 의료기기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병원 내에서 첨단 의료기기를 운영시 사용 할 소프트웨어의 수요 또한 높아질 것으로 보임

| 32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유망제품 선정

전자 의료 기록(EMR)

➀ 기존에 종이차트에 기록했던 인적사항 ,병력, 건강상태, 진찰, 입·퇴원기록 등 환자의 모든 정보를 전산화하여 입력, 관리, 저장함

[ 전자 의료 기옥(EMR)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의료 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PACS)

➀ CT,MRI 같은 디지털 의료 영상 장비를 사용하여 획득된 의료 영상 이미지를 저장하고 판독결과와 진료기록이 추가할 수 있음 ➁ 네트워크를 통해서 병원 내·외로 전송 가능 [ 의료 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PACS)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처방 전달시스템(OCS)

➀ 병원의 진료업무, 진료지원부서 업무 및 간호업무를 유기적으로 연계시킨 병원 정보시스템임 ➁ 의료진이 쉽고 빠르게 처방을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과 각종 검사결과의 신속한 조회 기능과 환자 진료정보를 제공함 [ 처방 전달시스템(OCS)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328 | 유럽Ⅰ 루마니아

3. 유망제품 유통구조

루마니아 내 의료용 소프트웨어를 수출하기 위해 현지 시장의 유통구조를 파악함. 루마 니아 내 의료 소프트웨어를 취급하는 기업은 크게 의료기기 수입업체, 의료기기 제조업 체, SI 업체로 분류됨 의료기기 제조업체는 의료기기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현지 업체로, 현지 의료기기 제조 업체와 파트너쉽을 통하여 자사의 시스템 및 솔루션을 하드웨어 제조업체에 납품할 수 있음. 그러나 루마니아 내 의료기기 제조업체의 비중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파악됨 의료기기 수입업체는 해외로부터 의료기기를 직수입하여 현지 시장에 제품을 유통함. 루 마니아에서는 자체적으로 의료기기 관련 장비, 시스템을 제조할 수 있는 업체가 많지 않 은 상황이기 때문에 의료기기 수입업체의 유효성이 더 높을 것으로 사료됨 SI업체는 시스템 통합업체로 현지 SI업체와 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의료 시스템 및 솔루 션을 납품하여 현지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음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최종수요처는 현지 시장 내 병원, 의료 담당 정부기관 등으로 파악 됨. 특히 루마니아는 유럽 기금에서 의료시설 개설 관련하여 지원을 받고 있기 때문에 정 부기관 쪽의 수요가 더 높을 것으로 전망됨

그림 3.1 루마니아 의료용 소프트웨어 유통 구조 루 마

수출기업 니 아

의료기기 의료기기 SI업체 수입업체 제조업체

최종수요처(병원, 의료 담당 정부기관 등)

| 32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메디칼스탠다드, 루마니아 내 PACS 시장 진출

의료영상저장정보시스템(PACS) 전문기업 메디칼스탠다드는 2016년 유럽 루마니아 시 메리아 지역 병원에 ‘PACSPLUS’를 공급함. 루마니아는 최근 병원정보화가 진행되면서 기존 아날로그 X-ray에서 디지털 X-ray 도입이 활발해져 PACS 구축 또한 확대되고 있 는 추세임 해당 병원이 도입하는 PACSPLUS는 세계 표준 규격인 다이콤(DICOM) 방식의 서버와 웹 서버를 통해 의료영상을 제공함. 메디칼스탠다드는 이번 PACS 공급을 계기로 향후 동유럽시장 진출 교두보를 확보했다고 평가함 최근 이란,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베트남, 탄자니아, 모잠비크 등에서 연이어 PACS 공급계약을 수주해 해외시장 수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메디칼스탠다드는 국내 병의원 및 공공기관 약 1,400곳을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약 3,200곳에 자사 PACS 시스템을 구 축함

그림 3.2 메디칼스텐다드 로고

출처 : 메디칼스텐다드

330 | 유럽Ⅰ 루마니아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루마니아 내 의료 관련 전시회 참가

유망제품으로 선정한 의료용 소프트웨어를 홍보하는 방법으로 루마니아 내 의료 관련 전 시회 참가가 있음.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국제 의료기기 박람회를 통해 의료·제약 분야의 전문가들이 만날 수 있음 부쿠레슈티 국제 의료기기 박람회는 2017년 기준 4월 6일에서 8일까지 3일간 개최되며 전년도 기준 약 53개 업체가 참가 하였으며 4,000여 명이 참관함

표 3.1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국제 의료기기 박람회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국제 의료기기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국제 의료기기 명칭 박람회 박람회 정보 일시 2018년 4월 19일~21일 (3일간) Organizer : 전기 의학, 제약, 안과 및 광학 부품, 의료 산업분야 ROMEXPO SA 서비스, 의료 IT 분야 ADDRESS : 최초개최연도 1991년 Marasti Blvd, nr. 65-67 PO Box 참가국 수 12개국 32-33, code 011465, Bucharest-Romania 주요참가국 오스트리아, 독일, 헝가리, 터키, 중국 등 E-MAIL : romexpo.ro 전년도 참가 업체 수 약 53개 업체 Website : www.gessmexico.com 전년도 참관객수 약 4,000여 명 루 출처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국제 의료기기 박람회 마 니 그림 3.3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국제 의료기기 박람회 사진 아

출처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국제 의료기기 박람회

| 331

스웨덴 SWEDEN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 334 1. 정책 및 규제 기관 2. 정책 및 규제 3. 산업구조 및 특징 4. 산업 주요 이슈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345 1. 소프트웨어 2. 인터넷서비스 3. 통신 4. 디지털콘텐츠 5. 방송스마트미디어 6. 정보보호 7. 클라우드 컴퓨팅 8. 사물인터넷 9. IT스마트융합 10. 전파위성 11. 디바이스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 378 1. 유망품목 도출 2. 유망제품 선정 3. 유망제품 유통구조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Ⅰ • •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Overview

정보통신방송 주요 기관

기업혁신부(Ministry of Enterprise and Innovation)

‐ 기업혁신부(Ministry of Enterprise and Innovation)는 1969년 설립된 정부 부처로 ICT 관련 역할 정책뿐 아니라 주거 및 도시 개발, 국영 기업, 산업 정책, 농촌 문제, 지역 성장, 사후 이슈 및 인프 라와 관련된 문제를 담당함

조직도

정보통신방송 주요 정책

산업화 전략(2016)

‐ 2016년 4월 22일 Mikael Damberg 기업혁신부 장관이 ICT 산업과 관련한 스웨덴 산업화를 위한 새로운 전략 을 발표함 ‐ 산업화 전략의 4가지 중점 분야 : 인더스트리 4.0, 지속가능 생산, 산업기술 향상, 테스트베드 스웨덴

브로드밴드 정책 (2020)

‐ 스웨덴 광대역 정책의 목표는 세계적인 수준의 광대역을 보유하는 것임 ‐ 2020년까지 90% 이상의 스웨덴 가정과 회사의 인터넷 속도를 100Mbps로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임

라디오TV법

‐ 스웨덴 방송 사업자 면허를 관리하고 요금, 방송 프로그램, 방송 광고 등을 규제함 ‐ 법안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TV와 Pay-per-view TV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도 보장하고 있음

한국과의 협력 현황

‐ 경기혁신센터, 스웨덴 스타트업 해외 진출 협업 합의(2017.02) 정부 ‐ 미래부, 스웨덴 기업혁신부와 혁신 세미나 개최(2015.11) ‐ 미래부, 스웨덴 교육연구부와 과학기술 공동위원회 개최(2015.06)

‐ ‘아미코젠’, 스웨덴 ‘바이오웍스테크놀로지스’ 지분 매입(2017.11) 기업 ‐ 오퍼스원, 스웨덴 90년 전통 우산 전문제조사 달라나스와 제휴(2017.03) ‐ 스웨덴 볼보車, LG전자와 ‘미래차’ 기술개발 협력 논의(2016.11)

334 | 유럽Ⅰ 스웨덴

1. 정책 및 규제 기관

기업혁신부(Ministry of Enterprise and Innovation)

기업혁신부 장관 프로필 기업혁신부(Ministry of Enterprise and Innovation) 는 1969년 설립된 정부 부처로 ICT 관련 정책뿐 아 성명 Mikael Damberg 니라 주거 및 도시 개발, 국영 기업, 산업 정책, 농촌

직급 기업혁신부 장관 문제, 지역 성장, 사후 이슈 및 인프라와 관련된 문제 를 담당함 주요경력 및 학력 2000 스톡홀름대학교 기업혁신부(Ministry of Enterprise and Innovation) 2014 - 현재 기업혁신부 장관 의 전신은 1969년 설립된 산업부(Ministry of 스웨덴 의회 내 사회민주당 2012~2014 대표 Industry)이며 1991년 기업에너지통신부(Ministry 2002~2014 스웨덴 국회의원 of Enterprise, Energy and Communications)로 1999~2003 스웨덴 사회민주청년동맹 대표 명칭이 변경되었음. 일자리 창출과 지속 가능한 성장 을 위한 혁신을 꾀하기 위해 2015년 1월 1일부로 기 업혁신부로 명칭을 변경함. 2017년 7월말 인프라 차관이 기존 Anna Johansson에서 Tomas Eneroth로 교체

그림 1.1 기업혁신부 조직도

스 웨 덴

출처: 스웨덴 정부 공식 사이트(www.government.se)

| 33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표 1.1 기업혁신부 차관 프로필 주택도시개발 정보통신 차관 인프라 차관 농촌 차관

Peter Tomas Sven-Erik 성명 Eriksson Eneroth Bucht

룰레로(Luleå) 학력 - - 기술대학교

주택도시개발 2016 - 현재 2017.7 -현재 인프라 차관 2014 - 현재 농촌 차관 정보통신 차관 유럽연합의회 스웨덴 2014 - 2016 2014~2017.7 2010 - 2014 스웨덴 국회의원 회원 사회민주당 대표 주요경력 하파란다 사회적보험 2012 - 2014 스웨덴 국회의원 2010- 2014 2003 - 2010 집행위원회 위원회 위원 위원장 HSB Norr 행정 2002 - 2011 녹색당 대변인 1994~ 스웨덴 국회의원 2000 - 2002 관리자

336 | 유럽Ⅰ 스웨덴

스웨덴 우편통신국(Swedish Post and Telecom Authority)

스웨덴 우편통신국(Swedish Post and Telecom Authority)은 1992년 설립된 정부 산 하기관으로 ICT 관련 정책 개발 및 규제를 담당함 상기 기관은 스웨덴어로 Post och Telestyrelsen이라고 불리며 약자로는 PTS로 지칭 되고 있음. 스웨덴 우편통신국(PTS)의 임무는 통신시장이 잘 기능하도록 하고 스웨덴 국 민이 효율적인 통신 서비스를 받도록 하는 데 있으며, 시장에서 건강한 경쟁이 가능하도 록 감독하는 것임 스웨덴 우편통신국(PTS)은 1994년 설립되어 스웨덴의 우편 및 통신 분야를 맡고 있으 며 기업에너지통신부의 관리 아래 있지만 높은 수준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받고 있음 스웨덴 우편통신국(PTS)은 통신 사업자의 준수사항을 감독하며, 관련 법안에 따라 위반 사항에 대한 벌금 부과, 통신 및 방송 주파수 관리 등의 업무를 맡고 있음

스웨덴 언론방송당국(Swedish Press and Broadcasting Authority)

스웨덴 언론방송당국(MPRT, Myndigheten för press, radio och tv)은 스웨덴의 방송 규제 기관임. 라디오·텔레비전 방송, 주문형 서비스 및 텔레텍스를 관리하며 신문, 사업 허가, 요금, 라디오 및 TV 등록료에 대한 언론 보조금을 결정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음 또한 출판물 발행 의사결정기구이며 라디오와 TV 프로그램을 모니터링하고 전파함. 이 기관은 스웨덴 라디오 및 텔레비전 법을 포함하여 의회의 법률에 의해 운영됨 이 기관에는 약 35명의 직원이 있으며, 기관 내에는 스웨덴 방송위원회(the Swedish Broadcasting Commission)와 언론보조위원회(the Press Subsidies Council)라는 두 개의 독립적인 의사결정기구가 있음

스웨덴 언론방송당국은 2016년 1월 1일 문화부 산하 언론보조위원회(Press Subsidies 스 Council)를 흡수해 조직을 기존 라디오·TV 조직과 언론보조 조직의 두 개로 구분해 운 웨 영 중임 덴

| 33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정책 및 규제

1) 정책

산업화 전략

2016년 4월 22일 Mikael Damberg 기업혁신부 장관이 ICT 산업과 관련해 스웨덴 산 업화를 위한 새로운 전략을 발표함. 산업화를 위한 정부의 새로운 전략은 기업의 변화를 꾀하고 경쟁력을 위한 역량을 갖추게 만드는 것임. 특히 산업화의 4가지 중점분야를 선 정하여 적극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힘

표 1.2 스웨덴 산업화 전략의 4가지 중점 분야 중점분야 내용

인더스트리 4.0 스웨덴 산업 분야의 기업들은 디지털 변환을 이끌고 디지털화의 잠재력을 개발해야 함 자원 효율성 증대, 환경 고려, 지속가능한 생산은 산업 부문의 가치 창출, 일자리 창출 및 지속가능 생산 경쟁력에 기여함 산업기술 향상 기술공급 시스템은 산업 부문의 요구와 장기적인 발전을 촉진함 스웨덴에서 생산된 서비스와 상품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는 연구개발 분야에서 테스트베드 스웨덴 연구를 주도함 출처: 스웨덴 기업혁신부 홈페이지

브로드밴드 정책

스웨덴 광대역 정책의 목표는 세계적인 수준의 광대역을 보유하는 것임. 모든 가정과 기 업들이 브로드밴드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와 전자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 회를 가지게 하는 것이 목표임 이는 2020년까지 90% 이상의 스웨덴 가정과 회사의 인터넷 속도를 100Mbps로 끌어올 리겠다는 의미로, 2015년까지 전체의 40% 가정과 회사에 100Mbps의 인터넷을 제공함

방송 정책

스웨덴 언론방송당국은 ‘개정 라디오TV법’에 의거해 스웨덴 방송 사업자 면허를 관리하 고 요금, 방송 프로그램, 방송 광고 등을 규제함. 개정 법안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TV 와 Pay-per-view TV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도 보장하고 있음

338 | 유럽Ⅰ 스웨덴

2) 규제

스웨덴 우편통신국(PTS), 새로운 브로드밴드 규제 발표

스웨덴 우편통신국(PTS)은 브로드밴드 시장의 경쟁을 촉진하고 소비자 선택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통신사들이 기간사업자인 TeliaSonera의 유선 인프라 네트워크에 접속 할 수 있는 새로운 규제안을 발표함 대안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들이 TeliaSonera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권 한을 구매하도록 하고, 자신들 고유의 통신 장비를 갖출 수 있도록 함 대안적인 통신사들이 TeliaSonera로부터 프리 패키지 상품을 도매로 구매해 소비자들에 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이 경우에는 고유의 통신 장비 소유 권한을 부여하지는 않음

이동전화 접속료(MTR, Mobile Termination Rates) 인하

2015년 6월 스웨덴 우편통신국(PTS)은 이동전화 접속료를 기존의 분당 0.09크로네에 서 분당 0.0757크로네로 인하한다고 밝힘 요금 인하는 EU와의 상담을 통해 도출된 것이며 비용 산정을 통해 산출된 것임. 인하된 요금을 적용받는 이동통신사는 TeliaSonera, Tele2, Telenor, 3 Sweden, Lycamobile, TD, Net1과 Ventelo임 한편 2013년 6월 스웨덴 우편통신국(PTS)은 이동전화 접속료를 0.15크로네에서 0.09 크로네로 인하한 바 있음

통신 정책

스웨덴의 통신 정책과 규제는 기업에너지통신부와 산하기관인 스웨덴 우편통신국(PTS) 스 이 담당하고 있음. 스웨덴 통신시장은 2003년 7월에 제정된 전자통신법(Act on 웨 Electronic Communications)의 규제를 받음 덴

라디오 및 텔레비전 법률

스웨덴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에 적용되는 법률로, 정부 혹은 스웨덴 언론방송당국이 부여하는 지상파 네트워크에 라디오와 텔레비전 전파를 보내기 위해 요구되는 라이선스 를 규정함. 방송 내용에 관한 규정도 포함하고 있음. 스웨덴 라디오 및 텔레비전 법률은 광고, 후원, 작품 속 광고 및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방송의 접근성을 증진시키는 것과 도 관련이 있음

| 33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지상파 방송 법규

스웨덴 언론방송당국(Swedish Press and Broadcasting Authority)은 지상파 라디오 및 TV 방송은 형식, 주제, 그리고 방송 시간의 관점에서 매체가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 려해야 한다는 조항을 강조함. 이 조항은 폭력, 성행위 및 약물과 같은 주제를 포함하거 나 다루는 프로그램들에 해당되며 방송사는 이에 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함 범죄를 유도한다고 간주되는 프로그램은 방영이 허용되지 않으며, 특정 피부색, 국적, 동 성애, 종교인들에게 불쾌감을 주며 성별과 관련하여 불쾌감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방영 또한 금지하고 있음

전자 커뮤니케이션법

2003년 제정된 스웨덴 전자 커뮤니케이션법은 전자 커뮤니케이션 네크워크 서비스에 적용됨. 이 법률은 개인과 당국이 전자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선택, 가격, 품질의 관점 에서 가능한 한 최대의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전자 커뮤니케이션을 안전하고 효과적으 로 이용하게 하는 것이 목적임

340 | 유럽Ⅰ 스웨덴

3. 산업구조 및 특징

ICT 관련 기업 스톡홀름에 집중

스웨덴은 ICT 부문에 적극적으로 투자해 왔으며, 그 덕분에 ICT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 고 있음. 스웨덴 IT 및 텔레콤 산업과 관련한 조사 자료에 따르면, 2011년 말 기준 스웨 덴 내에서 약 20만 명이 ICT 업계에 종사하고 있으며 매출액은 700억 유로(약 756억 1,422만 달러)를 기록함 ICT 관련 기업은 스웨덴 전 지역에 분포해 있지만 스톡홀름에 가장 많이 집중되어 있음. ICT 관련 인력 중 50% 가까이가 스톡홀름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으로 고텐부르크 (Gothenburg) 지역이 18%, 말뫼룬드(Malmö-Lund)와 린셰핑(Linköping) 지역이 각 각 5%씩 차지하며 3위를 기록함. 따라서 스웨덴 정부는 관련 인력들을 전국에 적절히 분포시켜 지역 간의 격차가 벌어지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임

스웨덴 ICT 관련 제품 수출입 현황

2015년 세계은행은 스웨덴에 수출입되는 제품 중 ICT 관련 제품이 차지하는 비율을 발표함 스웨덴의 ICT 관련 제품 수입률은 2014년 9.89%로 2013년 9.67%에 비해 0.22%p 증 가함. ICT 관련 제품 수출률은 2014년 6.92%로 전년 대비 1.9%p 증가함

스웨덴 ICT 시장, 스위스 기업 선호

스웨덴 시장에 스위스 기업의 진출은 다른 나라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장벽이 낮음. 그 이유는 스웨덴과 스위스는 사고방식, 사업구조를 공유할 뿐 아니라 스웨덴 내에서 스위 스 브랜드가 강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임. 스웨덴의 많은 중소기업들은 자본 및 기타 성장 스 웨 요인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스위스 기업들 또한 스웨덴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 덴 는 추세임 특히 스웨덴 ICT 시장은 이동성, 클라우드 서비스, 빅데이터, 소셜 기능과 관련해 스위 스 기업을 선호함. 스웨덴 정부는 2014년부터 전자정부 및 E-health 솔루션을 위해 예 산을 증액시키고 정책을 개혁하고 있음

| 34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4. 산업 주요 이슈

스웨덴, 핀란드와 동반자적 관계 촉구

ICT 산업 발전 과정은 하드웨어 시장에서 소프트웨어 시장을 거쳐 개인 소비자를 대상 으로 한 서비스 시장으로 진화하고 있는 추세임. 서비스 시장으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핀 란드가 스웨덴보다 한발 늦으면서 밀려난 것으로 분석됨 한편 스웨덴, 핀란드 ICT 업계 관계자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ICT 분야에서 선전하고 있 는 스웨덴 에릭슨과 핀란드 노키아가 경쟁 관계에서 벗어나 동반자 관계를 구축해 나가 며 세계시장을 함께 공략해야 한다고 주장함. 이를 위해 양국 간 협력을 촉구하는 분위기 가 지속되고 있음

스웨덴 IT 부문, 소프트웨어 시장이 주도

스웨덴 IT 산업은 사회의 발전에 많은 영향력을 줌. 스웨덴에는 IT 및 통신 부문에서 성공 을 거둔 회사가 많으며 그들의 혁신 능력은 뛰어남. 그러나 스웨덴 ICT 관련 3만 4,000여 기업 대부분이 10만 유로(약 10만 8,135달러) 이하의 매출을 기록하는 소규모임 스웨덴의 IT 부문은 대부분 소프트웨어 시장이 주도하고 있으며 통신, 비즈니스 시스템 및 통신, 응용 소프트웨어를 위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전문으로 하고 있음 프랑스의 전기통신 관련 기업 Albatel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스웨덴의 소프트웨어 제품 및 IT 서비스 부문이 IT 분야에서 전체 매출의 32%를 차지하며 매출액은 2005~2009년간 32.5% 증가함 한편 스웨덴 전체 노동력의 약 3.9%가 IT 부문에 종사하고 있으며 경기 불황에도 불구 하고 스웨덴 IT 산업은 영향을 받지 않음. 스웨덴 기업들은 IT 제품 및 서비스가 미래의 생존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며 이를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IT 솔루션은 비즈니스를 보다 효과적이고 환경친화적으로 만들 수 있는 핵심 요소이므 로 많은 기업들이 IT 솔루션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실정임. 특히 스웨덴은 환경친 화적인 솔루션을 중점적으로 개발하고 있음

342 | 유럽Ⅰ 스웨덴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1) 정부 간 협력

경기혁신센터, 스웨덴 스타트업 해외 진출 협업 합의(2017.02)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는 2017년 2월 스웨덴의 웁살라혁신센터(UIC)와 양측 스타트업 들의 상호 해외 진출에 협업하기로 합의함. 웁살라혁신센터는 세계적인 비즈니스 인큐베 이터로 스웨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 UIC는 우주항공, 바이오, 정보기술(IT) 등 다 양한 분야의 우수 스타트업들을 육성해오고 있음

미래부, 스웨덴 기업혁신부와 혁신세미나 개최(2015.11)

미래창조과학부와 스웨덴 기업혁신부는 2015년 11월 한-스웨덴 혁신세미나를 개최함. 혁신세미나는 한-스웨덴 양국 혁신 시스템 간의 연계성 및 개방성 증진을 위해 미래부와 스웨덴 기업혁신부가 공동 주최하며, 올해를 계기로 매년 번갈아 개최하는 방안도 함께 논의함

미래부, 스웨덴 교육연구부와 과학기술 공동위원회 개최(2015.06)

미래창조과학부는 2015년 6월 스웨덴 교육연구부와 제2차 한-스웨덴 과학기술 공동위 원회를 개최해 양국 대표단 간에 과학기술 정책 및 협력 현황을 상호 공유하고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 등 신규 협력사업 추진에 합의함. 향후 양국 학생 및 연구자가 공학, ICT, 생명공학 분야 등의 공동연구에 참여하도록 하는 창의적 글로벌 인재 양성 프로그램 추 진을 위해 교류협력 LOI(KAIST-왕립공대, KAIST-Lund대)를 체결함 스 웨 2) 기업 진출 및 협력 덴

‘아미코젠’, 스웨덴 ‘바이오웍스테크놀로지스’ 지분 매입(2017.11)

국내 산업바이오 전문기업아미코젠이 스웨덴의 생명공학기업 바이오 웍스 테크놀로지 (Bio-Works Technologies AB) 주식 101만7000주를 취득하기로 결정했다고 2017년 11월 22일 발표

| 34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오퍼스원, 스웨덴 90년 전통 우산 전문제조업체 달라나스와 제휴(2017.03)

세계 최초로 스마트 우산을 만들어낸 한국의 스타트업 오퍼스원이 스웨덴 90년 전통을 자랑하는 우산 전문제조업체 ‘달라나스’와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및 핀란드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2017년 스웨덴의 웁살라에서 유통판매 계약을 체결함 오퍼스원은 2017년 2월 27일부터 3월 2일까지 스페인의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모바 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7에 삼성전자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에 선정되기도 함 또한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와 KT로부터 행사에 필요한 항공권, 호텔비용 등 일부를 제 공받아 본 행사에 참가함

스웨덴 볼보車, LG전자와 ‘미래차’ 기술개발 협력 논의(2016.11)

볼보자동차그룹 최고경영자가 LG전자와 미래자동차 개발을 위해 협력 방안을 논의함 2016년 한국을 방문한 볼보자동차그룹 CEO는 LG전자 자동차부품(VC) 사업본부가 위 치한 인천을 방문해 관계자들과 면담을 나눔. 2016년 기준 볼보자동차그룹은 1회 충전 주행거리가 500km에 달하는 전기차를 개발 중에 있음 또한 볼보자동차그룹은 2017년부터 스웨덴에서 ‘드라이브 미’ 프로젝트를 시작할 계획 임. 해당 프로젝트의 목표는 스웨덴 내에서 100대의 자율주행차를 운행하는 것임 사무엘손 볼보자동차그룹 CEO는 고성능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개발을 추진 중이며 해당 개 발을 추진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보유한 한국 기업들과 협업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함 LG전자는 제너럴모터스(GM)의 전기차인 볼트EV에 구동모터와 배터리 등 핵심 부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미래차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력을 갖추고 있음. 볼보자동차그룹은 핵 심 기술력을 보유한 LG전자와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핵심기술을 공동 개발하기 위 한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밝힘

344 | 유럽Ⅰ 스웨덴

Ⅱ • • 정보통신방송 품목현황

Overview

2016년 스웨덴 정보통신방송 주요지표 (단위: 천 명 / 천 회선 / 천 가구, 2016년 기준)

지표 스웨덴 보급률(%) 한국 보급률(%)

유선통신 가입회선 3,328 34.10% 28,035 56.10% 이동통신 가입자 12,362 126.67% 61,295 122.65%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3,540 36.28% 20,556 41.13% TV 보급대수 4,761 97.80% 18,310 97.50% 케이블 TV 가입가구 2,247 47.20% 7,470 40.08% 위성 TV 가입가구 550 11.60% 2,280 12.5% 지상파 디지털 방송 가입가구 3,256 68.40% 18,237 99.6% IPTV 가입가구 1,080 22.70% 8,514 46.5%

출처: ITU(2017), Digital TV Research(2017)

스웨덴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스웨덴 소프트웨어 시장규모 시장 동향  2015’ 604억 5,800만크로네 → 2016’ 655억 9,700만크로네 ‐ 스웨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매출 : 2018’ 42억 6,000만 달러 전망 주요 ‐ Microsoft: 스웨덴 신생기업 Pickit에 투자 소프트웨어 사업자 ‐ 에릭슨: 스웨덴 본사 인원 감축 후 소프트웨어 R&D 집중

‐ 스웨덴 인터넷 보급률 시장 동향  2015’ 97% → 2016‘ 98(▲1.%p) 주요 ‐ 스웨덴 페이스북 이용자 수 : 2020’ 534만 명 전망 인터넷서비스 사업자 ‐ SNS 보급률: 2020’ 70.5%로 증가 예측 스 ‐ 스웨덴 휴대폰 사용 수 : 2016’ 1,236만 2,000건 웨 시장 동향 ‐ 스웨덴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 : 2016’ 354만회선 덴 ‐ 스웨덴 스톡홀름, 5G를 이용할 수 있는 최초의 도시 중 하나 주요 ‐ KT, 스웨덴 이동통신사 텔리아소네라(Teliasonera)와 협력 통신 사업자 ‐ Telenor: Tele2와 5G 네트워크 공동 구축 계약에 합의

‐ 스웨덴 게임산업 매출 : 2016’ 3억 7,200만 달러 시장 동향 ‐ 스웨덴 음반시장 규모 : 2016’ 상반기 5억 4,730만 크로네 ‐ 프로젝트 팬더: 스웨덴 음악업체 아스피로 인수 주요 ‐ 스튜디오 도마: 스웨덴 소프트웨어 기업과 MOU 체결 사업자 ‐ Microsoft: 스웨덴 게임업체 Mojang 인수 디지털콘텐츠 ‐ 스마일게이트: 스웨덴 게임 개발사에 480억 원 투자

| 34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Overview

스웨덴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스웨덴 채널 SVT1, 가장 높은 시청률 시장 동향 ‐ 스웨덴 VOD 분야 수익 : 2017’ 2억 4,100만 달러 전망

주요 ‐ Discovery: 스웨덴에 OTT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개시 방송스마트미디어 사업자 ‐ Netflix: 2012년 10월 스웨덴 시장 상륙

‐ 스웨덴 대중매체 웹사이트에 DDos 공격 시장 동향 ‐ 스웨덴 정부 웹사이트, DDos 공격에 노출 ‐ 스웨덴 군대, 사이버 공격에 노출

주요 ‐ 나스닥, 스웨덴 사이버 보안 실패로 벌금 560만 유로 정보보호 사업자 ‐ 스웨덴 보안회사 Cryptzone: 미국으로 본사 이전

‐ 스웨덴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공공기관과 기업을 중심으로 도입되고 있음 시장 동향 ‐ 스웨덴의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기업 위주로 도입될 전망

주요 ‐ Microsoft: Midroc에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자 ‐ Amazon: 스톡홀름에 지사 설립

‐ 북유럽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 2020’ 1억 4,500만 달러 전망 시장 동향 ‐ 스웨덴의 제조업체 77%가 IoT 솔루션을 도입했거나 2년 이내에 도입할 예정 ‐ Yanzi: 세계 최대 규모 ‘IPSO IoT 챌린지 대회 2014’에서 2위 수상 주요 ‐ 에릭슨: Network Software 16B 출시 사업자 사물인터넷 ‐ Thingsquare: 세계 최초로 IoT 전문 교육 프로그램 시작

‐ 스웨덴 핀테크 시장 거래액 : 2017’ 167억 6,600만 달러 전망 시장 동향 ‐ 스웨덴, 금속 3D 프린팅 연구 주력 ‐ GE: 아르캠(Arcam)과 SLM솔루션(SLM Solution) 인수 주요 ‐ Siemens: 스웨덴에 금속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시설 설립 사업자 IT스마트융합 ‐ Arcam: 우주항공 및 의료기기 시장 진출

‐ 스웨덴의 주파수 관리는 스웨덴 우편통신국이 담당 ‐ 스웨덴 우편통신국, 2017’ 5G 주파수 분배 시도 시장 동향 ‐ 중국, 스웨덴에 단독 위성기지국 확보 전파위성 ‐ 스웨덴, 2019’ 인공위성 매트(Mats) 발사 예정

시장 동향 ‐ 스웨덴 스마트폰 이용률 2016’ 85% 기록

주요 ‐ 스웨덴 웨어러블 카메라 제조사 내러티브, 재정 위기 디바이스 사업자 ‐ 화웨이(Huawei) 스마트폰, 스웨덴 시장에서 435% 성장

346 | 유럽Ⅰ 스웨덴

1. 소프트웨어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6년 스웨덴 소프트웨어 시장 8.5% 성장

2017 Barnes Reports의 보고서에 의하면, 2016년 스웨덴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655억 9,700만 크로나(약 73억7,000만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8.5% 성장하고, 2017 년에는 9.3% 성장한 716억 9,100만 크로나(약 80억 5,500만 달러), 2018년에는 9.5% 성장한 785억 3,000만 크로나(약 88억 2,400만 달러)에 달할 전망

그림 2.1 스웨덴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 추이 (단위: 백만 크로나)

출처: Barnes Reports(2017)

영역별로는 매출 비중 기준으로 패키지소프트웨어가 77.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최 대 시장이고, 애플리케이션 PC소프트웨어가 9.1%, 기업용 PC소프트웨어가 7.6%의 비 스 중을 차지하는 3위 시장으로 집계됨 웨 덴

스웨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매출 2018년 42억 6,000만 달러 전망

시장조사기관 conlumino의 조사에 따르면, 스웨덴의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부문의 2013년 매출은 33억 4,000만 달러로 2012년 대비 7% 증가함. 2018년에는 2013년 대비 27.43% 증가한 42억 6,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ERP, CRM, 회계 관리 시스템 및 정보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기업용 소프트웨어가 스웨덴 전체 기업용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0% 정도인 것으로 파악됨. 나머지 40% 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과 시스템 관리 도구 등 미들웨어 SW가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짐

| 34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2.2 스웨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부문 매출 (단위: 십억 달러)

출처: BMI

2) 주요 기업 현황

Microsoft, 스웨덴 신생기업 Pickit에 투자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2017년 3월 스웨덴 소프트웨어 벤처기업인 Pickit에 460만 달러를 투자했다고 발표함 Pickit은 Microsoft Office 및 Windows10에 이미지 제공자나 사진작가가 제공한 사 진, 일러스트레이션 및 삽화를 추가하고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 가능한 콘텐츠에 저작권 제한이 없음을 보장함 2013년 설립된 Pickit은 스웨덴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Microsoft의 본사와 가까운 곳 에 위치함

에릭슨, 스웨덴 본사 인원 감축 후 소프트웨어 R&D 집중

통신장비 제조업체 에릭슨이 스웨덴 본사에서 2,200명 규모의 인력 감축을 진행함. 에 릭슨은 오는 2017년까지 90억 크로나(약 10억 1,806만 달러)의 비용을 절감하겠다고 밝힘 에릭슨이 2015년 공개한 2014년 4/4분기 순이익은 42억 크로나(약 4억 7,509만 달러) 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5% 급감했기 때문임 에릭슨은 2012년 휴대폰 사업에서 철수한 이후 통신장비 사업에 집중해 세계 최대 통신 장비 업체로 거듭났지만 미국에서 AT&T와 버라이즌 등 미국 토종 통신장비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밀려남 에릭슨은 인력을 감원하는 대신 남은 역량을 소프트웨어 R&D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힘

348 | 유럽Ⅰ 스웨덴

2. 인터넷서비스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6년 스웨덴 인터넷 보급률 전년 대비 1%p 상승

시장조사기관 Buddecomm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스웨덴의 인터넷 보급률은 98%이며, 이는 2015년 97%보다 1%p 증가한 수준임 스웨덴의 인터넷 보급률은 2010년 91%를 기록한 이후 매년 1%p씩 지속적으로 증가하 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그림 2.3 스웨덴 인터넷 보급률 추이 (2010~2016)

출처: BuddeComm(2017)

휴대폰/스마트폰이 핵심 인터넷 접속 단말 스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조사업체인 yStat.com이 2017년 6월에 발표한 글로벌 모바일 커 웨 머스 시장 보고서에 의하면, 스웨덴 인터넷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인터넷 접속 덴 단말은 휴대폰과 스마트폰임 스웨덴 인터넷 이용자들의 79%가 휴대폰과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어, EU 전체 평균인 65%를 상회하는 것으로 조사됨

| 34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표 2.1 스웨덴 인터넷 접속 단말 이용 비중 순위(2016년) 인터넷 접속 단말 이용 비중 스웨덴 유럽평귱

휴대폰/스마트폰 79% 65% 노트북/넷북 65% 52% 태블릿PC 46% 36% 데스크톱PC 40% 44% 스마트TV 25% 12% 기타 6% 9%

출처 : yStats.com(2017)

주요 검색 엔진 및 포털 사이트

스웨덴의 주요 웹사이트에는 Google, Facebook, 스웨덴 포털 사이트 YouTube, Yahoo 등 글로벌 웹사이트와 Aftonbladet, Blocket Aftonbladet, Blocket과 같은 스웨덴 자국 웹사이 트가 있음. 전반적으로 검색엔진 및 SNS 등과 같은 서비스는 글로벌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 되어 있음

표 2.2 스웨덴 Top 10 웹사이트 (2017.03) 순위 사업자명 사이트 주소

1 Google Sweden www.google.se 2 Youtube www.youtube.com 3 Google www.google.com 4 Facebook www.facebook.com 5 Reddit www.reddit.com 6 Wikipedia www.wikipedia.org 7 Aftonbladet www.aftonbladet.se 8 Live www.live.com 9 Twitch www.twitch.tv 10 Blocket www.blocket.se

출처: Alexa(2017.03)

스웨덴 자국 웹사이트로는 스웨덴에서 발간되는 타블로이드 신문 홈페이지인 Aftonbladet, 구인구직 직업정보 사이트인 Blocket이 있음

350 | 유럽Ⅰ 스웨덴

Aftonbladet은 1830년 발간을 시작한 스웨덴의 타블로이드 신문으로 북유럽에서 구독 자 규모가 가장 큰 신문 중에 하나로 인정받고 있음. 1994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Aftonbladet 홈페이지는 스웨덴 자국 웹사이트 중에서 방문 횟수가 가장 많으며 Aftonbladet의 주요 기사들은 인터넷을 통해 확인 가능함 Blocket은 스웨덴 최대의 구인구직 정보 웹사이트로 지역별로 다양한 구인구직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인터넷 서비스 전망

2015년 기준 90.6%라는 높은 인터넷 보급률과 고도로 발달한 초고속 인터넷 인프라 및 ICT 환경에 힘입어 향후 인터넷 서비스 발달과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됨

2) 주요 기업 현황

스웨덴 페이스북 이용자 수, 2020년 534만 명 전망

스웨덴의 주요 SNS에는 글로벌 SNS인 Facebook, Twitter 등이 있으며, 특히 Facebook은 스웨덴 SNS 시장에서 가장 높은 이용률을 나타내는 서비스임 글로벌 통계 사이트 Statista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페이스북 이용자 수는 511만 명을 기록했으며, 향후 점차 증가하여 2020년 534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그림 2.4 스웨덴 페이스북 이용자 수 전망 (2015~2020) (단위: 백만 명)

스 웨 덴

출처: Statista

| 35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스웨덴 SNS 보급률, 2020년 70.5%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시장조사기관인 eMarketer에 따르면, 스웨덴은 유럽 내에서도 SNS 이용이 활발한 국 가 중 하나임. 2016년 SNS 보급률은 68.9%로 전년 대비 0.6%p 증가한 수치임. 스웨덴 의 SNS 보급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에는 70.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그림 2.5 스웨덴 SNS 보급률 추이 (2014~2020)

출처: eMarketer(2017)

352 | 유럽Ⅰ 스웨덴

3. 통신

1) 시장 동향 및 전망

이동통신

스웨덴 이동통신 시장은 TeliaSonera, Tele2, Telenor, Hi3G가 시장을 점유하고 있 음. 스웨덴 우편통신국(PTS)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1위 사업자인 TeliaSonera는 35.7%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Tele2가 27.3%, Telenor가 17.2%, Hi3G가 13.0%의 점유율로 뒤를 잇고 있음 TeliaSonera는 전년도 37.2%에 비해 1.5%p 하락한 35.7%의 점유율을 기록했으나 2 위 사업자인 Tele2보다 8.4%p 앞서며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함. Tele2는 전년도 27.4%에 비해 0.1%p 하락한 27.3%의 점유율로 2위를 기록했고, Hi3G는 전년도 12.4%에서 0.6%p 상승하여 13%를 기록함

그림 2.6 스웨덴 이동통신 시장점유율 (2015)

스 웨 출처: PTS 덴

ITU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말 스웨덴의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1,236만 2,000명으로 보급율이 122.65%인 것으로 집계됨

| 35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2.7 스웨덴 휴대폰 사용자 수 변동 추이(2010~2016) (단위: 천 명)

출처: ITU(2017)

브로드밴드

스웨덴의 유선 브로드밴드 시장에서는 TeliaSonera와 Telenor, Tele2 등과 같은 통신 사와 케이블방송사인 Com Hem이 주요 플레이어임 시장조사업체인 Buddecomm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말 기준 유선브로드밴드 시장 에서는 TeliaSonera가 37.7%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2위인 Com Hem이 18.8%, 3위 Telenor는 18.3%, Tele2가 2%로 4위 이고, 기타 군소 사업자들의 비중이 23.2%로 집계됨 ITU 자료에 의하면, 2016년 기준 스웨덴의 유선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는 354만 900 회선, 보급률은 36.28%로 집계됨.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스웨덴의 유선 브로드밴드 가입 수의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은 2.8%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임

그림 2.8 스웨덴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 추이(2010~2016) (단위: 천회선)

출처: ITU(2017)

354 | 유럽Ⅰ 스웨덴

5G

스웨덴 통신규제기관인 PTS가 2017년 4월 5G 이동통신용 주파수로 3.5GHz 대역에서 100~200MHz, 26GHz의 고주파수 대역에서 1,000MHz 분량의 주파수를 5G용으로 허 용할 것이고, 테스트를 거쳐 2020년부터 본격적인 상용 서비스가 개시될 것으로 전망함 스웨덴 1위 이통통신사이자 북유럽 최대 통신 사업자인 TeliaSonera와 글로벌 통신업 체인 에릭슨이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2018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초고속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2016년 1월 발표함

2) 주요 기업 현황

KT, 스웨덴 이동통신사 텔리아소네라(Teliasonera)와 협력

KT는 2015년 5월 텔리아소네라(Teliasonera) CEO와 5G를 비롯한 사물인터넷(IoT) 협력 방안을 논의함 텔리아소네라는 스웨덴에 본사를 두고 북유럽과 중앙아시아 17개국에 통신 서비스를 제 공하는 스웨덴 및 북유럽 최대 이동통신 사업자임. 한편 텔리아소네라는 2009년 스웨덴 의 스톡홀름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세계 최초로 LTE 서비스를 제공한 업체임 텔리아소네라 CEO는 5G 시대를 맞아 신규 사업 준비 및 미래사업 구상을 위해 한국을 방문함. 텔리아소네라 관계자들은 2015년 5월 21일 KT LTE 이노베이션 센터를 방문 했으며 KT 회장과 5G에 기반을 둔 IoT 사업에 대해 논의함 양사는 5G, 사물인터넷 등 미래사업을 선도할 수 있는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함. 또 한 KT와 벤처기업 육성 및 교류를 위한 협의도 진행함

스 그림 2.9 텔리아소네라 CEO와 KT 회장 웨 덴

출처: 코리아타임즈(www.koreatimes.co.kr)

| 35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Telenor, Tele2와 5G 네트워크 공동 구축 계약에 합의

스웨덴의 2, 3위 이동통신 사업자인 Telenor와 Tele2가 2016년 12월 전국 5G 네트워 크 공동 구축 계약에 합의함. 양사가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목표는 2020년부터 5G 기술 을 자사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것임 한편 Tele2와 Telenor는 2009년 Net4Mobility를 설립하였고 4G 전국망을 공동으로 구축하고 운영했음. 이 파트너십을 통해 양사는 스웨덴 국민의 99%를 커버하며 4G 전 국망을 구축함

356 | 유럽Ⅰ 스웨덴

4. 디지털콘텐츠

1) 시장 동향 및 전망

스웨덴 게임산업 규모, 2016년 3억 7,270만 달러

게임 전문 시장조사업체인 Newzoo 조사에 의하면, 2016년 스웨덴 게임 산업 시장 매 출 규모는 3억 7,27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 증가했으며, 스웨덴 게임시장이 매출 규모 순으로 전세계 26위라고 집계 스웨덴 게이머 규모는 420만 명 수준이며, 분야별로는 콘솔게임 매출 규모가 2억 100만 달러(매출 비중 54%), 모바일 게임 9,370만 달러(25%), PC게임 7,770만 달러(21%)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됨

그림 2.10 스웨덴 게임산업 영역별 매출 (2016)

21% ■ PC게임

54% ■ 모바일게임 ■ 콘솔게입 25%

출처: Newzoo(2017) 스 웨 2016년 상반기 스웨덴 음반시장 규모 5억 4,730만 크로네 덴 국제음반산업협회(IFPI)에 따르면 2016년 상반기 스웨덴 음반시장 규모는 5억 4,730만 크로네(약 6,219만 달러)를 기록함. 음반시장에서 디지털 스트리밍은 4억 6,970만 크로 네(약 5,337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2016년 상반기 기준 음반시장 매출의 85.8%를 차지 함. 스트리밍과 다운로드를 합한 디지털 음악시장은 전체 음악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7.7%로 나타나 디지털 음악의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됨 또한 2016년 상반기 기준 디지털 스트리밍 매출은 전년 대비 9.6% 증가하였음. 디지털 음악시장에서 스트리밍 음원의 급격한 성장과 다운로드 음원의 감소와 함께 실물 앨범 CD 판매량이 전년 대비 약 5.9% 하락하여 전체 매출의 8.1%를 차지함

| 35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2.11 2016년 상반기 스웨덴 음반시장 매출 비중

출처: IFPI(2016)

디지털콘텐츠 전망

스웨덴의 게임시장은 콘솔, 모바일, PC가 고루 발달했으며 향후 게임시장 확대 여력이 충분한 것으로 평가됨 Mojang, King, Dice 등 유명 게임 개발사들이 소재해 유럽에서도 수준급의 게임 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음. 또한 ICT 인프라 확대, ICT 분야 투자 확대에 따라 향후 게임시 장이 성장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함 스웨덴은 세계 최대의 스트리밍 음원 서비스 업체인 Spotify가 벤처기업으로 사업을 시 작해 성장한 곳으로, Spotify를 비롯한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들의 시장 확대로 스트리밍 음원이 초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에도 스트리밍 시장을 중심으로 디지털 음악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Spotify는 2015년 1월을 기준으로 6,000만 명의 유저와 1,500만 명의 유료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2014년 매출 20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보다 두 배의 성과를 거두는 등 세계 최대의 음원 스트리밍 업체로서의 역량을 확고히 하고 있음

2) 주요 기업 현황

프로젝트 팬더, 스웨덴 음악업체 아스피로 인수

미국 유명 힙합가수 제이지 소유의 회사 프로젝트 팬더가 2015년 3월 스웨덴 음악업체 아스피로(Aspiro)를 인수한 후 2015년 4월 아스피로가 설립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타 이달(Tidal)을 차례로 인수함 제이지는 아스피로의 지분 90%를 5,400만 달러에 인수했으며 칸예 웨스트 등 동료 아

358 | 유럽Ⅰ 스웨덴

티스트들을 공동 소유주로 끌어들임. 아티스트들이 직접 사업에 뛰어들어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임

스튜디오 도마, 스웨덴 소프트웨어 기업과 MOU 체결

게임 사운드 개발업체 스튜디오 도마는 스웨덴의 엘리아스 소프트웨어 AB(Elias Software AB)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게임 오디오 기술의 교류 협력 및 수준 높은 문화기술 구축을 도모할 예정임 이 업무협약은 2017년 2월 27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 컨벤션센터(Moscone Convention Center)에서 열린 GDC(Game Developer Conference) 2017에서 체 결된 것임 GDC는 매년 약 450개국 2만 8,000여 명이 참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게임 관련 행사 로 전 세계 게임 개발자 및 관련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게임 관련 신기술과 신제품 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

Microsoft, 스웨덴 게임업체 Mojang 인수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2014년 9월 마인크래프트(Minecraft)를 개발한 스웨덴 의 대형 게임업체 모장(Mojang)을 25억 달러에 인수했다고 공식 발표함. 마인크래프트 는 스웨덴의 인디 개발자인 Markus Persson에 의해 개발되어 PC와 콘솔 게임기를 통 틀어 6,000만 개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하였음

스마일게이트, 스웨덴 게임 개발사에 480억 원 투자

2016년 12월 FPS게임 ‘크로스파이어’를 개발한 한국 게임업체 스마일게이트가 스웨덴 스 개발·퍼블리싱 기업 스타브리즈(Starbreeze)에 4,000만 달러를 투자했다고 밝힘. 스마 웨 일게이트는 스타브리즈를 통해 유럽을 공략할 계획임 덴

| 35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5. 방송스마트미디어

1) 시장 동향 및 전망

방송 콘텐츠

스웨덴의 채널별 시청자 점유율을 살펴보면, 2015년 기준 SVT1이 24.3%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가운데 TV4가 20.2%로 뒤를 잇고 있으며, 그 외 SVT2, TV3, Kanal5 등의 군소 채널들이 한 자릿수 점유율을 보이고 있음 시청률 상위 10개 방송 채널 중 SVT1, SVT2, SVTB(BARNKANALEN) 3개 방송사는 공영 방송사이며, 나머지 7개 채널은 모두 민영 방송사임 유료 방송 채널은 TV4, TV3, Kanal5, Sjuan, TV8, Kanal9의 6개 채널이며, 나머지 5 개 채널은 공중파를 이용하는 무료 채널임 채널의 성격별로 보면 SVTB(BARNKANALEN)만이 어린이를 위한 전용 방송 채널이며 나머지 9개 채널은 종합 방송 채널임

그림 2.12 스웨덴 채널별 시청 점유율 (2015)

출처: Eurodata TV Worldwide

방송

SVT(Sveriges Television)는 스웨덴의 공영방송으로 SVT1, SVT2, SVT24, SVT BARNKANALEN, Kunskapskanalen, SVT World를 산하 채널로 보유하고 있음 SVT1은 디지털 지상파 1번으로 24시간 방송되는 종합 채널이며, SVT2는 문화 채널,

360 | 유럽Ⅰ 스웨덴

SVT24는 디지털 지상파 98번으로 SVT BARNKANALEN와 채널을 공유하며 오후 8시 에서 오전 5시 30분까지 방송되는 뉴스 전문 채널임 SVT BARNKANALEN는 SVT24와 채널을 공유해 오전 5시 30분부터 오후 8시까지 방 송되는 어린이 전문 채널이며, Kunskapskanalen은 디지털 지상파 99번 다큐멘터리 채널로 오전 9시에서 오전 1시까지 방송됨 TV4 Group은 스웨덴 최대의 민영 방송사 그룹으로 TV4, Sjuan, TV12 등의 채널을 보유하고 있음 TV4와 Sjuan은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을 주로 방영하며, 이외에도 TV4 Group은 TV4 Film(영화), TV4 Sport(스포츠), TV4 Fakta(다큐멘터리) 등 방송 장르별로 특화 된 채널을 보유하고 있음

방송통신 융합

글로벌 통계 기관 Statista에 따르면 2017년 스웨덴의 Video-on-Demand(VOD) 부 문의 수익은 2억 4,1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또한 2017년 1인당 평균 VOD 관련 지출 금액은 95.25달러로 예측됨 VOD 매출은 2017~2021년 사이 연평균 3.8%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1년에는 2억 8,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VOD 분야에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항목은 비디오 스트리밍(SVoD)이며, 2017 년 비디오 스트리밍 시장규모는 1억 6,400만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됨 한편 VOD 부문의 사용자 침투율은 2017년 31.5%를 기록했으며 2021년에는 32.3%에 이를 전망임

스 2) 주요 기업 현황 웨 덴 Discovery, 스웨덴에 OTT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개시

디스커버리 커뮤니케이션즈(Discovery Communications)는 2015년 7월 스웨덴을 포 함한 여러 유럽 국가에 해당 기업의 최상위 OTT 서비스인 Dplay를 개시함. 따라서 스 웨덴 및 유럽 국가에서 서비스 이용자들은 대중매체 및 연예 기획사의 라이브 스포츠 및 논픽션 TV 프로그램을 모바일 기기에서 시청할 수 있음 220개의 시장에서 평균 10개의 채널을 보유하고 있는 Discovery는 시장 점유율을 높 이고 새로운 시장과 플랫폼을 확장하고 시청자를 늘리기 위해 콘텐츠, 형식 및 IP에 적 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음

| 36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디스커버리는 2014년 노르웨이에서 처음으로 Dplay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2015년 더 많은 시장에 진출해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임. Discovery Networks International의 최고경영자(CEO)는 2017년까지 100만 명의 가입자를 확보할 것이라는 목표를 밝혔음

Netflix, 2012년 10월 스웨덴 시장 상륙

세계 최대 동영상 스트리밍 업체인 넷플릭스(Netflix)가 스웨덴 시장에서 영화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시함 스웨덴 전역에서 스마트 TV, 게임 콘솔, 컴퓨터, 태블릿, 휴대폰으로 영화 및 TV 프로그 램을 시청할 수 있게 됨. 신규 가입자는 한 달간 무료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이후에는 매월 79크로나(11.75달러)를 지불하면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음

362 | 유럽Ⅰ 스웨덴

6. 정보보호

1) 시장 동향 및 전망

신용카드가 주요 온라인 결제 수단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조사업체인 yStat.com이 2017년 9월에 발표한 글로벌 결제 시장 보고서에 의하면, 2016년 4사분기 기준 스웨덴의 온라인 쇼핑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결 제수단은 인보이스(invoice)가 1위(37%), 직불카드/신용카드가 2위(35%), 은행 계좌 즉시 결제가 3위(20%)로 조사됨

표 2.3 스웨덴 온라인 쇼핑 이용자 선호 결제 수단(2016.4Q) 순위 결제수단 선호도

1 온라인 인보이스(invoice) 37% 2 직불카드/신용카드 35% 3 은행계좌 즉시결제 20% 4 페이팔/페이슨(Payson) 등 5% 5 배송시 현금결제 1% 6 기타 1% 출처: yStats.com(2017)

yStat.com이 2017년 3월말에 발표한 보고서에서는 2016년 2사분기 기준으로 온라인 및 모바일 커머스 시장에서 신용카드가 가장 선호되고 실제로도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결 제 수단으로 조사됨 스 웨 표 2.4 스웨덴 온라인 쇼핑 이용자 선호 결제 수단(2016.2Q) 덴 결제수단 온라인 쇼핑 모바일 쇼핑

형태 이용 선호 이용 선호 카드 82% 39% 73% 40% 인보이스 54% 24% 41% 23% 계좌이체 50% 23% 32% 18% 페이팔/페이슨 등 16% 9% 15% 12% 출처: yStats.com(2017)

| 36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다양한 결제 수단 지원이 온라인 쇼핑 결제의 주요 고려사항

yStat.com이 2017년 8월에 발표한 글로벌 모바일 결제 시장 보고서에 의하면, 2016년 4사분기 기준 스웨덴의 온라인 쇼핑 이용자들은 결제시 다양한 결제 수단 지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됨 특히 이용자 1/3이 모바일 결제 앱 ‘스위시(Swish)’ 또는 기타 모바일 결제 솔루션 지원 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지목함

표 2.5 스웨덴 온라인 쇼핑 이용자 결제시 주요 고려 사항(2016.4Q) 순위 결제수단 선호도

1 다양한 결제수단 지원 78% 2 직불카드/신용카드 결제 지원 70% 3 별도 등록 미요구 59% 4 은행을 통한 즉시 결제 지원 52% 5 인보이스를 통한 결제 지원 48% 6 모바일 결제 앱 ‘스위시(Swish)’ /기타 모바일 솔루션 지원 33% 출처: yStats.com(2017)

유럽 모바일 결제 보급률 Top5 국가에 포함

yStats.com이 2017년 3월에 발표한 전세계 모바일 결제 보고서에 의하면, 스웨덴은 모 바일 결제 이용자 보급률이 86%로 유럽에서 모바일 결제 보급률이 가장 높은 5개국 중 에 포함 유럽 모바일 결제 보급률 1~3위는 터키(91%), 덴마크(89%), 노르웨이(87%)이고, 4위 이스라엘(87%)에 이어, 스웨덴이 5위를 차지함

364 | 유럽Ⅰ 스웨덴

그림 2.13 유럽 모바일 결제 보급률 Top10 국가

출처 : yStats.com(2017)

스웨덴 모바일 결제 솔루션 시장, Swish와 Paypal 주도 yStats.com이 2017년 3월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모바일 결제 솔루션 시장은 Swish와 Paypal이 선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2016년 2사분기 기준으로 스웨덴 인터넷 이용자 중에서 절반 이상이 Swish와 Paypal 이 어떤 서비스인지 인식하고 있으며, 37%가 실제 이용해 본 것으로 응답함

그림 2.14 스웨덴 모바일 결제 솔루션 인지도 및 이용 현황

스 웨 덴

출처 : yStats.com(2017)

| 36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스웨덴 대중매체 웹사이트에 DDos 공격

스웨덴의 상위 대중매체 웹사이트들이 2016년 3월 19일 고위 정치인들에 의해 ‘언론의 자유에 대한 공격’이라고 명명되는 사이버 공격을 받음 해커들은 분산 서비스 거부(Distribute Denial of Service), 즉 디도스(DDos) 공격을 사용하여 대중매체 웹사이트를 비롯하여 스웨덴 현지 신문사 Dagens Nyheter, Svenska Dagbladet, Expressen, Aftonbladet, Dagens Industri, Sydsvenskan, Helsingborgs Dagblad 등이 공격에 노출됨. 디도스는 해커들과 사이버 범죄자들이 웹 사이트의 서버를 차단하여 오프라인 상태로 만들기 위해 자주 사용됨

스웨덴 정부 웹사이트, DDos 공격에 노출

2016년 3월 스웨덴 정부 웹사이트가 DDos 공격을 받아 모든 시스템이 중단되었음 해당 공격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트위터에서 익명의 유저에 의해 예견되었음. 다수 의 트래픽이 러시아에서 나온 것으로 확인됨. 최근 수년간 러시아와 스웨덴 사이의 긴장 감이 증대되었으며, 이로 인해 스웨덴 군대를 전략적 위치로 이전시키고 북대서양조약기 구와의 협력을 증대시켰음

사이버 공격에 노출된 스웨덴 군대

현지 언론에 따르면, 스웨덴 군대는 최근 심각한 사이버 공격에 노출되어 군사 훈련에 사 용된 IT 시스템을 폐쇄할 것이라고 밝힘 스웨덴군 대변인 필립스 사이먼은 Caxcis IT 시스템이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고 현지 언 론이 전함 공격을 받은 이후 즉시 시스템을 중단했지만 공격이 언제 발생했는지, 지원 시스템이 중 단됐는지, 공격의 배후에 누가 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음

2) 주요 기업 현황

나스닥, 스웨덴 사이버 보안 실패로 벌금 560만 유로

2016년 12월 스웨덴의 규제감시단은 나스닥에게 사이버 위험관리 실패에 책임을 묻고 총 560만 유로(602만 달러)에 달하는 벌금을 부과함 스웨덴 금융감독청은 나스닥 클리어링(NASDAQ Clearing)과 나스닥 스톡홀름 (Nasdaq Stockholm)의 아웃소싱 사이버 보안업체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지 못해 서비

366 | 유럽Ⅰ 스웨덴

스 품질을 평가하지 못했다고 밝힘 나스닥 클리어링은 2,500만 크로네(약 293만 달러), 나스닥 스톡홀름은 3,000만 크로 네(약 352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음 규제 당국은 나스닥 클리어링과 나스닥 스톡홀름이 의사결정을 내릴 때 위험관리에 충분 한 근거가 없었으며 지역상황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발표함. 또한 두 회사는 사이버 공격 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한 비상계획을 세워놓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스웨덴 보안회사 Cryptzone, 미국으로 본사 이전

2015년 9월 스웨덴의 IT 보안업체 크립존(Cryptzone)이 뉴햄프셔에 본사를 둔 보안 소 프트웨어 공급업체인 하이 소프트웨어(HiSoftware)를 인수함. 인수가 완료된 후 본사를 스웨덴에서 매사추세츠주 월섬으로 이전함 하지만 연구개발센터는 스웨덴에 남겨둘 계획임. 또한 하이소프트웨어의 CEO는 크립존 의 공동 CEO가 되었다고 발표함 암호화 및 ID 및 액세스 관리 전문업체 크립존은 기업의 정보 자산, 기업 응용 프로그램 을 비롯한 기타 네트워크 리소스를 보호하는 기술을 설계함 크립존은 JPMorgan Chase, AIG 및 Proctor & Gamble과 같은 글로벌 기업부터 국토 안보부, 국방장관실 및 미국 국무부와 같은 미국 정부기관까지 700여 기업들의 보안을 관리하고 있음

스 웨 덴

| 36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7. 클라우드 컴퓨팅

1) 시장 동향 및 전망

스웨덴의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은 SaaS(Software as a Service) 시장의 한 부분으로 출 발해 기업의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에 따라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임

스웨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현황

스웨덴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공공기관과 기업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도입되고 있음. 또한 스웨덴의 ICT 관련 기업들은 빅데이터를 활용해 비즈니스 혁신과 기업 경쟁력 향상을 꾀하고 있음 통신업체인 Ericsson,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인 Spotify, 자동차 제조사인 Volvo 등이 자사 기업역량 강화에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있음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전망

스웨덴의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은 업무 효율을 높이고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비용을 감소 시키기 위해 기업 위주로 도입될 전망임 스웨덴 기업들은 경기 불황에 대비해 기업의 ICT 분야에 투입되는 비용을 절약하고자 하며,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비용 절감과 업무 효율 증대가 가능한 클라우드 서 비스를 도입하고 있음 ‘European Horizon 2020 이니셔티브’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을 주요 혁신 분야로 지정 하고 있으며, 스웨덴은 유럽 내에서의 ICT 역량이 뛰어난 국가로 빅데이터를 기업과 시 장에 도입하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전망됨 스웨덴 정부는 EIT ICT 랩을 통해 빅데이터 개발을 위한 협력 파트너십을 구축함. 스웨 덴의 ICT 관련 기업들은 빅데이터를 자사 업무영역에 적합하게 효율적으로 도입하기 위 해 다양한 방안을 탐색 중임

368 | 유럽Ⅰ 스웨덴

2) 주요 기업 현황

Microsoft, Midroc에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

스웨덴에 본사를 둔 글로벌 자산 개발업체인 Midroc은 2013년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인 오피스 365를 도입함 Midroc은 세계 최초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도입한 16개의 기업 중 하나가 됨. 3,200명에 달하는 직원들이 출장 중이나 외부에서도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업무 효율성 및 처리 속도가 신장됨

Amazon, 스톡홀름에 지사 설립

2015년 12월 Amazon Web Services(AWS)는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에 지부를 설립 했으며 핀란드 지사를 추가적으로 설립할 계획임 AWS는 글로벌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업체이며 Airbnb 및 Uber와 같은 신생기 업 창설을 이끌었음 과거 북유럽 국가 사람들은 스타트업들만 클라우드를 이용하고 대기업 혹은 보안을 중시 하는 기업들은 발전 및 테스트 환경에 더 신경을 쓰기 때문에 AWS를 이용하지 않는다는 인식이 팽배했음. 하지만 스웨덴의 대기업들은 중요한 업무를 다루기 위해 AWS를 많이 이용하는 추세임 실제로 최근에는 전통적인 비기술 부문의 기업들이 그들의 인프라를 아마존 클라우드 서 비스로 이동시키고 있는 추세로 유틸리티, 금융 서비스, 석유, 가스 및 운송 부문을 포함 하고 있음

스 웨 덴

| 36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8. 사물인터넷

1) 시장 동향 및 전망

북유럽 사물인터넷 시장 현황

Technavio의 시장조사 분석에 따르면 북유럽의 IoT(Internet of Things) 시장규모가 2020년 1억 4,5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무선 셀룰러 기술의 지속적인 향상과 혁신, 향상된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 낮은 하드웨어 비용은 시장 성장의 원인으로 꼽힘 2015년 스웨덴은 20억 달러가 넘는 시장 가치로 북유럽 지역의 IoT 시장을 장악함. 4G 네트워크의 대규모 배치, 스마트 미터의 배치, 그리고 스마트시티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 인 투자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발전이 시장 규모를 확대시키는 주요한 원인임 2015년 북유럽 지역에서는 소비자 가전제품이 IoT 시장을 장악했음. TV, 냉장고, 전자 레인지, 보안 카메라 및 식기 세척기와 같은 스마트 연결 장치와 일반 가정에서 셀룰러 광대역 네트워크 이용 수의 증가가 IoT 시장을 더욱 성장시킬 것으로 전망됨

스웨덴 사물인터넷 시장 전망

Telenor Connexion의 2015년 보고서에 따르면 스웨덴의 제조업체 77%가 IoT 솔루 션을 도입했거나 2년 이내에 도입할 예정임. 원격조정장치부터 커넥티드 자판기 혹은 안 전 경보기와 같은 장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응용 프로그램이 있음 스웨덴에는 이미 900만 개의 온라인 장치가 있으며 2017년까지 2,300만 개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됨. 북유럽 국가에서는 온라인 상품과 서비스 시장의 발전이 빠르게 진행되 고 있음. 스웨덴의 IoT 시장은 2017년까지 약 20억 유로의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됨. 커넥티드 카 및 소비재가 북유럽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연간 각각 47%, 42%의 성장률을 보일 것임 한편 기업들이 IoT에 투자하는 이유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61%의 기업 관계자들이 개선된 상품이나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라고 답했으며 그 다음으로 36%가 비용 절감을 위해서라고 답변함. 또한 34%의 관계자들이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기 위 해서라고 응답함

370 | 유럽Ⅰ 스웨덴

2) 주요 기업 현황

Yanzi, 세계 최대 규모 ‘IPSO IoT 챌린지 대회 2014’에서 2위 수상

스웨덴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Yanzi Networks는 Yanzi 2014년 세계 최대 규모의 IoT 대회인 ‘IPSO IoT 챌린지 대회 2014’에서 2위를 수상함. Yanzi는 IoT 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플랫

폼으로 Intel과 파트너십을 맺었으며 Intel의 IoT 연 홈페이지 www.yanzi.se 구소 중 하나에 속함 설립 2009년, 스웨덴 스톡홀름 Yanzi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비디오 카메라, 온 업종 소프트웨어 플랫폼 도 및 습도 센서, 에너지 모니터의 모니터링과 플러 그 앤드 플레이를 이용한 데이터 포인트를 제공함

에릭슨, Network Software 16B 출시

에릭슨은 IoT 활용을 가속화하기 위해 2015년 ‘Network Software 16B’를 출시함. 해 당 소프트웨어는 60%의 비용 절감, 10년 이상의 배터리 수명, 7배 향상된 커버리지와 IoT의 다양성을 위한 최적화를 지원함

Thingsquare, 세계 최초로 IoT 전문 교육 프로그램 시작

스웨덴에 본사를 둔 소프트웨어 플랫폼 띵스퀘어 Thingsquare (Thingsuare)가 2013년 세계 최초로 IoT 전문 교 육 프로그램을 시작함 스 이 프로그램은 IT 의사결정자와 개발자를 대상으로 홈페이지 www.thingsquare.com 웨 하며, 사물인터넷을 비즈니스에 적용할 수 있는 방 설립 2012년, 스웨덴 스톡홀름 덴 Adam Dunkels, 법과 세계 최상급의 사물인터넷 제품을 빠르게 개발 창립자 Fredrik Österlind, Roger Bergdahl 하는 방법을 배우려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함 업종 소프트웨어 플랫폼 한편 교육 내용으로는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개념, 기술,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가 있음. 인터넷과 마 찬가지로 Things of Internet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므로 오픈 소스를 집중적으로 학습함

| 37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9. IT스마트융합

1) 시장 동향 및 전망

핀테크

Satista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도 스웨덴 핀테크 시장의 총 거래액(Transaction Value)은 약 167억 6,6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핀테크 시장의 총 거래액은 2021년까지 연평균 20%씩 증가하여 약 347억 5,400만 달러를 기록할 전망임 스웨덴 핀테크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디지털 결제’이며, 2017년 디 지털 결제는 약 164억 5,300만 달러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보임 개인금융 분야의 경우 2017년 1억 7,900만 달러 수준에 불과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연평 균 성장률이 87.8%로 2021년에 들어서는 22억 2,200만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한편 기업금융 분야는 2017년 1억 3,400만 달러 수준으로 2021년까지 연평균 78.3% 씩 꾸준히 상승하여 13억 5,800만 달러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보임

스웨덴, 금속 3D 프린팅 연구 주력

스웨덴의 연구기관 세 곳이 금속 3D 프린팅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공동연구를 진행하기 로 협의함. 스웨덴 예테보리의 차머스기술대학교, 트롤헤탄의 서전문대학교, Swerea의 연구진들이 스웨덴 금속 및 엔지니어링 산업 전반에 걸친 3D 프린팅 연구 및 교육을 위 한 연구실을 설립함 2016년 스웨덴 서부지방 트롤헤탄(Trollhättan)에서 회의가 열렸으며 세 연구기관은 금속 3D 프린팅의 전국적 사용 확대에 초점을 맞추어 회의를 진행해 나감. 세 연구진은 3D 프린팅이 자원을 절약하고 환경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것에 적극적인 동 의를 표함

372 | 유럽Ⅰ 스웨덴

2) 주요 기업 현황

GE, 아르캠(Arcam)과 SLM솔루션(SLM Solution) 인수

2016년 9월, 미국의 최대 제조업체 제너럴 일렉트 GE(General Electric) 릭(GE)이 제조업 혁신을 위해 유럽 3D 프린터 업체 두 곳을 인수한다고 밝힘 GE가 인수하는 회사는 스웨덴의 아르캠(Arcam)과 홈페이지 www.ge.com 독일의 SLM솔루션(SLM Solution)으로 3D 금속 프 설립 1878년, 미국 린터 분야에서 세계적 회사임. 이번 인수 건은 3D 설립자 토머스 에디슨 프린팅 업계 내 역대 최대 규모임 업종 인프라

Siemens, 스웨덴에 금속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시설 설립

2016년 2월, 독일에 본사를 둔 유럽 최대의 엔지니 Siemens 어링 회사 지멘스가 스웨덴 핀스판(Finspång) 지역 에 새로운 금속 3D 프린팅 설비를 가동하면서 첨가

제 제조에 대한 투자를 강화함 홈페이지 www.siemens.com 이 시설은 금속 3D 프린터를 이용해 부품을 대량 생 설립 1847, 독일 Werner von Siemens, 산하는 곳이며, 지멘스의 금속 3D 프린팅 산업 생산 설립자 Johann Georg Halske 에 대한 첫 번째 진출 사례임. 이 시설을 설립하기 업종 엔지니어링 위해 지멘스는 약 2,600만 달러를 투자함

Arcam, 우주항공 및 의료기기 시장 진출 스 스웨덴의 3D 프린터 제조업체 아르캠의 CEO는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비행기 및 엔 웨 진 제조와 의료기기 시장에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하고 있음 덴 아르캠은 전자 빔 용융 기술을 활용하는 3D 프린터를 만들어 금속 파우더를 레이어별로 소결시켜 정형외과 임플란트와 우주항공 산업재료 부품을 만들어냈음 GE는 2020년까지 아르캠의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제트 엔진에 10만 개 이상의 부품을 조달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미국의 엔진 제조업체 또한 3D 프린터를 이용해 기계를 생 산할 방침이라고 발표함

| 37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0. 전파위성

1) 시장 동향 및 전망

스웨덴 우편통신국(PTS)이 주파수 관리 담당

스웨덴의 주파수 관리는 스웨덴 우편통신국(PTS)이 담당함. 스웨덴 우편통신국(PTS)은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배분하며 사회에 최대한의 이익을 제공하는 역할을 함 2016년 10월 31일, 스웨덴 우편통신국(PTS)은 700㎒ 대역 주파수 경매 실시를 한 달 앞두고 국가 보안정책상의 이유로 취소하기로 결정함. 또한 2014년 발표한 계획(2017 년 4월부터 700㎒ 대역 방송 주파수를 모바일 광대역 용도로 활용)을 수정하여 2018년 5월까지 동 대역 주파수의 지상파 TV 방송용 이용을 연장함 스웨덴 정부는 안정적인 광대역 시스템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경매를 취소했 으며 연구가 끝난 뒤 700㎒ 대역 주파수 할당(경매)에 대한 논의를 재개할 것이라고 밝힘

스웨덴 우편집중국, 2017년 5G 주파수 분배 시도

스웨덴 우편통신국(PTS)은 2017년 5G 주파수 분배를 시도할 계획임 스웨덴 우편통신국(PTS)은 3.4~3.6GHz 대역에서 100~200MHz의 주파수를 제공하고 5G를 테스트하기 위해 26GHz 대역에서 최대 1000MHz를 제공할 계획임. 장기 허가를 부여하는 테스트 라이센스를 얻는 것은 2020년부터 상업적인 5G 주파수 분배를 허용하 는 것을 의미함 스웨덴의 Telia와 Ericsson은 15GHz 대역에서 800MHz의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5G 테스트를 시행했으며, Ericsson은 5G 시험에서 10GBps 이상의 속도를 달성함

중국, 스웨덴에 단독 위성기지국 확보

중국이 북극권을 커버할 수 있는 첫 해외 지상 위성기지국을 확보함. 중국은 2016년 12 월 스웨덴의 키루나에 위치한 세계 최대의 위성센터에 중국 위성 원격탐지 북극 지상수 신소를 설립함. 이 수신소는 중국이 처음으로 해외에 단독으로 확보한 위성기지국임

스웨덴 인공위성

스웨덴 국립우주국(National Space Board)은 스웨덴 위성 프로젝트 7건에 자금을 지 원했으며, 대부분은 국제적 협력을 통해 수행됨. 스웨덴 위성으로는 Viking, Freja,

374 | 유럽Ⅰ 스웨덴

Astrid 1, Astrid 2, Odin, Prisma, Mats가 있음 스웨덴은 2019년 인공위성 ‘매트(Mats)’를 발사할 예정임. 매트는 대기 파동, 특히 고도 50~100㎞ 구간의 중간권(mesosphere)을 조사할 예정임

표 2.6 스웨덴 인공위성 매트(Mats) 발사 2019년 발사 예정 임무 대기 파동, 중간권(mesosphere) 조사 프리즈마(Prisma) 발사 2010년 6월 임무 종결 2011년 임무 비행, 랑데부 및 우주 모터 기술 형성 시연 오딘(Odin) 발사 2001년 2월 협력국 캐나다, 핀란드, 프랑스 임무 별 형성 및 초기 태양계를 연구, 오존층의 파괴와 지구 온난화 연구 아스트리드 2(Astrid 2) 발사 1998년 12월 임무 종결 1999년 7월 임무 오로라 지역의 전기장과 자기장의 고해상도 측정 아스트리드 1(Astrid 1) 발사 1995년 1월 임무 종결 1995년 3월 임무 중성 입자 현상에 중점을 둔 플라즈마 주변부 조사 프레자(Freja) 스 발사 1992년 10월 웨 임무 종결 1996년 10월 덴 협력국 독일 임무 높은 전리층 및 낮은 자기권 고해상도 측정 바이킹(Viking) 발사 1986년 2월 임무 종결 1987년 5월 임무 플라즈마 물리학 및 오로라 현상 조사 출처: 스웨덴 국립우주국

| 37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1. 디바이스

1) 시장 동향 및 전망

스웨덴, 스마트폰 이용률 2016년 85% 기록

글로벌 통계 기관 Statista에 따르면 스웨덴 내 스마트폰 이용률은 2016년 85%를 기록 함. 이 수치는 2015년 83% 대비 2%p 증가한 것임. 스마트폰 이용률은 2012~2016년 간 연평균 8.5%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증가함

그림 2.15 스웨덴 스마트폰 이용률

83% 85% 75%

63%

51%

2013 2014 2015 2016 2017

출처: Statista

스웨덴 데스크탑·휴대폰·태블릿PC 점유율 현황

StatCounter가 발표한 2016년 5월 기준 스웨덴의 데스크탑, 휴대폰, 태블릿 PC의 점 유율을 살펴보면 데스크탑이 59.41%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휴대 폰이 30.43%를 기록하며 두 번째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함. 태블릿은 가장 낮은 점유율 을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 대비 0.76%p 하락한 수치임

376 | 유럽Ⅰ 스웨덴

그림 2.16 스웨덴 데스크탑·휴대폰·태블릿PC 점유율 (2016.05)

10.16%

▪Desktop 30.43% 59.41% ▪Mobile ▪Tablet

출처: StatCounter

2) 주요 기업 현황

스웨덴 웨어러블 카메라 제조사 내러티브, 재정 위기

스웨덴의 웨어러블 카메라 제조사인 내러티브(Narrative)가 2016년 7월 재정 위기로 인 해 회사를 ‘재개편’할 방침이라고 밝힘. 개편을 진행하면 많은 직원들이 일자리를 잃을 것 이며, 이는 내러티브가 투자자 혹은 회사나 자산 일부를 인수할 사람을 찾아야 함을 뜻함 위기는 내러티브가 Clip2라는 웨어러블 카메라를 대량 생산하면서 자금이 바닥났기 때 문에 발생한 것으로 추측됨 회사 개편을 하면 스웨덴의 하드웨어 스타트업 내러티브가 파산 신청을 하지 않아도 되 므로 사업을 다시 일으킬 수 있는 시간이 있음. 하지만 현재 투자자인 LDV Capital, Creandum 및 Passion Capital는 자본을 더 이상 투입하지 않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내러티브의 미래는 불확실함

스 화웨이(Huawei) 스마트폰, 스웨덴 시장에서 435% 성장 웨 덴 IDC에 따르면, 2016년 5월 기준 화웨이가 세계 3위의 디바이스 제조업체로 선정됨. 또 한 2015년 1/4분기와 2016년 1/4분기를 비교했을 때 화웨이는 스웨덴에서 435%라는 매우 높은 성장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남. 2016년 1/4분기 화웨이의 시장 점유율은 스웨 덴에서 5.4%에 이름 특히 화웨이의 스마트폰 Honor는 북유럽 지역에서 효과적인 성장을 기록함. 스웨덴 435%, 덴마크 118%, 핀란드 512%, 노르웨이 82%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함 스웨덴 및 북유럽 국가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마트폰 모델은 P8 Lite임. 2016년 1/4분 기에 시장의 27%를 차지하는 상위 10대 디바이스 중 1위를 차지함

| 37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Ⅲ • • 유망제품 진출전략

Overview

유망품목 도출

빅데이터 키워드 분석 유망품목 선정 - ‘정보보호’

‐ 선정 사유 1. 스웨덴 주요 웹사이트, 사이버 공격에 무방비하게 노출  스웨덴의 주요 웹사이트 및 시스템이 2016년 차례로 사이버 공격을 받음 ‐ 선정 사유 2. 스웨덴 ICT 정책 중 ‘Good Everyday Security’ 강조  해당 정책은 ICT 관련 정보보안 정책으로 보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임 ‐ 선정 사유 3. 현금 없는 사회 추진, 보안 시스템 시장 성장 가능성 증대  온라인 및 모바일 중심의 금융 거래가 확대되면서 보안도 한층 더 중요해질 전망임

유망제품 선정 ‐ 결제보안 솔루션  스웨덴 핀테크 시장은 연평균 20%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결제보안 솔루션의 전망은 밝음 ‐ 메일보안 솔루션  스팸메일, 피싱 등으로부터 메일을 관리하며 메일을 안전하게 발송하고 중요한 자료의 유출을 막는 기능임 ‐ 문서보안 솔루션  스웨덴 내 사이버 테러 및 공격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꾸준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

유망제품 유통구조 현지 진출 기업 사례

수출기업

Developer Distributor

보안 솔루션 결제 솔루션 ‐ 지란소프트EU, 스웨덴 법인 설립 SI 업체 VAD 업체 개발업체 개발업체 ‐ 펜타시큐리티, 암호화 솔루션 스웨덴 시장 진출 ‐ SK(주) C&C와 에릭슨, 융합 보안 서비스 최종 수요처(정부기관, 기업, 일반 소비자 등) 영역 협력 계획

‐ 스웨덴 보안 솔루션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방식은 현지법인 설립 및 온라인 수출이라는 직접적인 방식과, 솔루션 개발업 체 및 현지 전문 수입·유통업체를 통해 제품을 납품하는 간접 적인 방식이 있음

유망제품 홍보 방법

‐ Nordic IT Security 참가 ‐ 코드게이트 참가

378 | 유럽Ⅰ 스웨덴

1. 유망품목 도출

선정 사유 1. 스웨덴 주요 웹사이트, 사이버 공격에 무방비하게 노출

스웨덴의 상위 대중매체 웹사이트, 스웨덴 정부 웹사이트, 스웨덴의 군대 등이 2016년 차례로 사이버 공격을 받음. 해커들은 분산 서비스 거부(Distribute Denial of Service), 즉 디도스(DDos) 공격을 사용하여 대중매체 웹사이트와 스웨덴 정부의 공식 웹사이트를 공격함 또한 스웨덴 군대가 군사 훈련에 사용하는 IT 시스템이 불시에 사이버 공격을 받음. DDos는 해커들과 사이버 범죄자들이 웹사이트의 서버를 차단하여 오프라인 상태로 만 들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것으로, 배후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수의 트래픽이 러시아에 서 나온 것으로 확인됨

선정 사유 2. 스웨덴 ICT 정책 중 ‘Good Everyday Security’ 강조

스웨덴의 ICT 정책인 ‘ICT for Everyone’에서 가장 강조하는 부문 중 하나로 ‘Good Everyday Security’가 있음. 해당 정책은 ICT 관련 정보보안 정책으로 인터넷 사용률 과 브로드밴드 가입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대두되는 보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임 스웨덴 우편통신국(PTS)은 모든 스웨덴 국민들이 정보보안의 혜택을 누려야 한다는 것 을 강조하며, 국민들이 정보보안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며 관련 기업들이 합리적인 가 격으로 시스템 및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밝힘

선정 사유 3. 현금 없는 사회 추진, 보안 시스템 시장 성장 가능성 증대

스웨덴은 현금 없는 사회로 빠르게 변화 중임. 2013~2016년간 무인현금인출기(ATM) 스 가 1,850개에서 1,745개로 100개 이상 감소함 웨 스웨덴 관계자에 따르면 2030년 스웨덴은 현금 없는 사회가 될 것으로 예측함. 2007년 덴 부터 대중교통의 현금 결제를 금지하는 등 스웨덴에서 전체 소비의 80%가 카드 결제로 이루어지고 있음. 소비자 입장에서 카드 결제가 편리함과 안전함을 모두 충족하기 때문임 현금 없는 사회에서는 온라인 및 모바일 중심의 금융 거래가 확대되면서 보안도 한층 더 중요해질 전망임. 비현금 지급수단은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상존하기 때문임. 또한 현금 없는 사회 추진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므로 차세대 결제 시스템은 생체 인식 기능 등 을 활용하여 보안 기능이 한층 강화된 시스템 개발을 필요로 할 것으로 예측됨

| 37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유망제품 선정

결제보안 솔루션

➀ 카드 복제를 예방하고 부정 사용 등을 최소화해 최적의 핀테크 결제환경을 제공함 ➁ 스웨덴 핀테크 시장은 연평균 20%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결제보안 솔루션의 전망은 밝음 [ 결제보안 솔루션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메일보안 솔루션

➀ 스팸메일, 피싱 등으로부터 메일을 관리하며 메일을 안전하게 발송하고 중요한 자료의 유출을 막는 기능임

[ 메일보안 솔루션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문서보안 솔루션

➀ 디지털 정보의 불법적 또는 무분별한 사용 및 변경, 유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함 ➁ 스웨덴 내 사이버 테러 및 공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꾸준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 [ 문서보안 솔루션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380 | 유럽Ⅰ 스웨덴

3. 유망제품 유통구조

스웨덴 보안 솔루션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방식은 크게 현지법인 설립 및 온라인 수출이 라는 직접적인 방식과, 솔루션 개발업체와 현지 전문 수입·유통업체를 통해 제품을 납품 하는 간접적인 방식이 있음 현지 법인 혹은 지사를 설립하는 방식은 많은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함. 또한 온라인 수 출은 현지에서 홍보가 크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판매에 어려움이 따름. 따라서 초기 시 장 진출 시 현지 네크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현지 파트너사와 관계를 구축하여 협업하는 것이 바람직함 간접적인 유통 방식으로는 현지 전문 수입·유통업체와 총판 계약을 맺는 방식이 있음. 즉 현지 SI업체 또는 VAD업체와 총판 계약을 맺어 해당 업체가 스웨덴 시장에 해당 제 품을 판매하도록 일임하는 것임. 이 경우 해당 솔루션의 A/S 및 교육 등 지원 정책이 파 트너 계약에 중요 조건으로 작용함 또 다른 방법으로는 스웨덴 보안 솔루션 및 결제 솔루션을 개발하는 현지 업체와 파트너 십을 맺어서 기술협력 등의 방식을 통해 해당 시장에 진출하는 것임. 특히 스웨덴 시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수출 경험이 전무한 기업의 경우 현지 업체를 적극 활용하는 것 이 유리함

그림 3.1 스웨덴 보안 솔루션 유통구조

수출기업

Developer Distributor 스 웨 보안 솔루션 결제 솔루션 SI 업체 VAD 업체 덴 개발업체 개발업체

최종 수요처(정부기관, 기업, 일반 소비자 등)

| 38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지란소프트EU, 스웨덴 법인 설립

지란지교시큐리티는 지란지교소프트의 보안사업본부가 2014년 1월 분사한 후 생겨난 보안업체로 2003년 일본에 진출한 이후 세계 시장 곳곳에 진출을 시도하고 있음 스웨덴을 거점으로 유럽, 미국, 싱가포르·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시장으로 의 진출을 시도하고 있음. 이를 위해 2016년 스웨덴 법인인 지란소프트EU를, 미국 법인인 지란소프트 INC를, 그리고 싱가포르 법인인 지란소프트아시아퍼시픽을 각각 설립함

펜타시큐리티, 암호화 솔루션 스웨덴 시장 진출

펜타시큐리티시스템은 MySQL과 마리아DB 암호화 솔루션 ‘마이디아모’를 2013년 3월 개인 사용자에게는 무료로 공개하고 기업 사용자에게는 비용을 받는 제한적 프리웨어로 해외시장을 공략해 60개국에 성공적으로 진출함 대부분의 국내 보안 기업은 해외 지사나 총판을 활용해 수출함. 2014년 펜타시큐리티는 익숙한 판매 방식을 버리고 의외의 전략을 시도한 덕분에 ‘마이디아모’는 1년 만에 스웨 덴, 노르웨이, 덴마크, 미국 등 세계 60개국에 진출함. 이는 국내 보안 업계 중에서도 최다국 진출 기록이며, 전체 다운로드 수는 3,600여 건에 달함

SK(주) C&C와 에릭슨, 융합 보안 서비스 영역 협력 계획

2015년 8월 SK(주) C&C와 에릭슨은 융합 보안 서비스 영역을 양사 모두가 기술적 강 점을 지니고 있는 분야로 꼽고 구체적인 협력 계획을 세우기로 합의함. SK(주) C&C의 보안 전문 자회사 ‘인포섹’이 보유한 정보보안 솔루션과 에릭슨의 네트워크 보안 기술을 결합해 해외 고객들을 대상으로 융합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임

그림 3.2 SK(주) C&C와 에릭슨 협력

출처: 헤럴드경제

382 | 유럽Ⅰ 스웨덴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Nordic IT Security 참가

Nordic IT Security는 2014년부터 매년 스웨덴 스톡홀 Nordic IT Security 정보 름의 Stockholmsmässa (Stockholm International Organizer : Copperberg AB Fairs)에서 개최되는 북유럽 최대의 정보보호 컨퍼런스 ADDRESS : 임. 올해는 11월 7일에 개최되며, 2016년 기준 총 75개 Mässvägen 1, Älvsjö, Stockholm, Sweden 업체가 참여했으며 참관객 수는 약 1,500명이었음 TEL : +46 8651 1090 박람회에서는 비즈니스 전략, 컴플라이언스, 리스크 E-MAIL : [email protected] Website : www.nordicitsecurity.com 및 거버넌스 프로세스를 조정하는 통합 보안 아키텍 쳐 프레임워크 구축과 클라우드 환경 등의 보안 이슈 를 이해하는 영역을 다룸

표 3.1 Nordic IT Security 명칭 Nordic IT Security 일시 2018년 11월 5일 (1일간) 최초 개최연도 2014년 주요 참가국 북유럽 국가 출처: www.nordicitsecurity.com

스 웨 덴

| 383

스위스 SWITZERLAND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 386 1. 정책 및 규제 기관 2. 정책 및 규제 3. 산업구조 및 특징 4. 산업 주요 이슈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405 1. 소프트웨어 2. 인터넷서비스 3. 통신 4. 디지털콘텐츠 5. 방송스마트미디어 6. 정보보호 7. 클라우드 컴퓨팅 8. 사물인터넷 9. IT스마트융합 10. 전파위성 11. 디바이스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 432 1. 유망품목 도출 2. 유망제품 선정 3. 유망제품 유통구조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Ⅰ • •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Overview

정보통신방송 주요 기관

정보통신(ICT)・방송 주무 기관

‐ 환경・교통・에너지 및 통신부(DETEC): 스위스 방송통신 및 정보통신(ICT) 정책 총괄 부처 ‐ 연방통신위원회(ComCom): 스위스의 정보통신(ICT)・방송 분야 독립 규제기관으로 부문특정 규 역할 제기관에 해당 ‐ 연방미디어위원회(FMEC): 스위스의 미디어 분야 독립적인 전문 위원회

스위스 의회

연방평의회 정부 기관 자문 연방미디어위원회 (FMEC) 정부 부처 조직도 환경・교통・에너지 및 통신부 (DETEC)

정부 기관 규제 기관 연방통신국 지시를 주고, 연방통신위원회 (OFCOM) 업무를 위임 (ComCom)

정보통신방송 주요 정책

전자정부 계획

‐ 정부의 전자정부 정책의 주요 목적은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하여 기업 행정 프로세스의 개선, 기업 활동 및 거래 프로세스 개선 지원, 정부기관의 행정 서비스 및 프로세스 개선임

디지털 스위스 전략

‐ 2016년 4월 발표된 디지털 스위스 전략을 통해 디지털화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활용하여 스위스가 혁신적이며 미래지향적인 비즈니스와 연구의 장소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함

정보사회 형성

‐ 정보기술 및 통신기술의 보급 증대를 통해 더 나은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추진함

한국과의 협력 현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차관, 스위스 교육연구혁신청(SERI) 청장과 과학기술 협력 방안 에 대해 면담(2017.11) 정부 ‐ 핀테크지원센터, 취리히투자진흥원과 MOU 체결(2017.9) ‐ 스위스연방통신위원회 위원들 한국 방문(2016.10) ‐ 랩지노믹스, 스위스 인공지능 분자진단기업과 협력(2017.10) 기업 ‐ 솔고바이오, 해외 사업 ‘순항’, ‐ 스위스에 임플란트 신제품 수주(2016.12)

386 | 유럽Ⅰ 스위스

1. 정책 및 규제 기관

스위스의 정보통신 분야의 정책 및 규제는 환경・교통・에너지 및 통신부(DETEC), 연방 통신위원회(ComCom)가 담당하고, 방송 분야의 정책 및 규제는 연방미디어위원회 (FMEC)가 담당함

환경・교통・에너지 및 통신부(DETEC, Federal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Transport, Energy and Communications)

스위스 환경・교통・에너지 및 환경・교통・에너지 및 통신부(DETEC)는 통신, 환경, 통신부(DETEC) 사무총장 프로필 에너지, 도로, 교통 및 항공 등의 사회 인프라 전반에 성명 Toni Eder 걸친 정책 및 규제를 수립함 직급 환경・교통・에너지 및 1997년 교통・통신・에너지부(EVED, Federal 통신부 사무총장 Department of Transport, Communications 주요경력 및 학력 and Energy)가 담당 업무에 환경 부문을 포함시키 ETH 취리히 면서 명칭이 변경됨. 1948년 우편・건설부로 설립, - 산업 공학 대학원 석사 ・ ・ 1963년 교통・통신・에너지부, 1979년 교통・통신・에 2016~현재 환경 교통 에너지 및 통신부 사무총장 너지부를 거쳐 1997년 환경・교통・에너지 및 통신부 연방운송부(FOT) 인프라 2006~? 부문 부국장 (DETEC)로 변경됨 연방운송부(FOT) 2005.06~2006 건설 부문 부국장 총 7개의 분야를 나누어 개별국(Office)에서 담당 업 2001~2005 연방운송부(FOT) AlpTransit 부문 국장 무를 수행하며, 환경・교통・에너지 및 통신부 (DETEC)는 이들 국(Office)들이 하나의 통일된 비 전을 가지고 정책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 정보통신(ICT)・방송 분야는 연방통신국(OFCOM, Federal Office of Communications) 에서 해당 업무를 담당함 연방통신국(OFCOM)은 정보통신기술・방송 부문의 정책 수립 및 시행, 보편적 서비스 보장, 통신 번호 할당, 라디오 및 TV 수신요금 부과, 주파수 계획, 배치 등의 업무를 담 당함. 연방통신국의 권한은 스위스의 통신법(TCA, Law on Telecommunications)과 스 방송법(RTVA, Law on Radio and Television)에 근거함 위 스

| 38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1.1 스위스 환경・교통・에너지 및 통신부(DETEC) 조직도

출처: 환경・교통・에너지 및 통신부(DETEC)

388 | 유럽Ⅰ 스위스

연방통신위원회(ComCom,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스위스 연방통신위원회(ComCom) 1997년 4월 통신법(TCA, Law on Telecommunication) 위원장 프로필 에 의해 설립된 독립 규제기관임. 소속 위원은 스위스 성명 Stephan Netzle 연방평의회(Federal Council)가 지목하는 7명으로

직급 연방통신위원회 구성되나, 연방평의회, 환경・교통・에너지 및 통신부 위원장 (DETEC) 등으로부터 행정 관련 독립성을 유지함

주요경력 및 학력 주요 역할은 주파수 라이선스 발급, 보편적 서비스의

1991 버지니아 대학 법학 박사 라이선스 발급, 시장 경쟁 촉진, 통신번호 할당 계획 ~현재 연방통신위원회 위원장 승인, 통신 시장 규제, 행정적 제재의 결정 및 소비자 Netzle Rechtsanwälte 보호 등임. 규제와 관련된 결정의 수행을 연방통신국 2009~현재 /TIMES 변호사 (OFCOM)에게 위임하고, 사후규제 중심의 통신 정 2002~2008 WENGER PLATTNER 책을 추진함 1999~2002 Andersen Legal 매니징 파트너 통신 분야의 부문특정 경쟁당국으로서 경쟁의 일반 적 양상 또는 시장지배에 관한 문제를 연방경쟁위원 회(Federal Competition Commission)에게 자문을 구함

그림 1.2 스위스 통신 부문 규제기관 간 조직도

출처 : 연방통신위원회(ComCom) 스 위 스

| 38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연방미디어위원회(FMEC, Federal Media Commission)

방송 분야 정책 및 규제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2012년 11월 연방평의회(Federal Council)에 의해 지정된 독립적인 전문위원회임 1998년 11월의 정부행정법(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Act)에 근거하여 설립 됨. 연방미디어위원회(FMEC)를 생성함으로써, 연방평의회는 스위스 미디어 분야 발전 에 책임을 짐 자문역할을 통해 미래 스위스 미디어 전망을 형성하기 위한 지속적인 솔루션에 공헌함. 소셜 커뮤니케이션 발전 등과 같은 미디어에 대해 당국에게 자문을 하고, 스위스 미디어 시스템의 미래 형성에 기여하는 역할임 연방미디어위원회는 연방평의회에 의해 지명된 15명의 멤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3 년 중반부터 운영됨. 구성원은 정부행정에 대한 외부전문가들이며, 연구소, 협회를 대표 함. 사무국장은 연방통신국(OFCOM)에 의해 행정적으로 지명되며, 위원회의 의무실행 을 지원하고 조언함 1년에 6개 총회 세션을 위해 미팅함. 임시 워킹그룹에서 특정 주제에 관한 작업을 하고, 총회 세션 외에 다른 활동들도 수행함

390 | 유럽Ⅰ 스위스

2. 정책 및 규제

1) 정책

전자정부 계획

스위스 정부는 2007년 전자정부 계획(e-Government)을 발표하고 2013년부터 본격적 으로 전자정부 관련 정책을 시행, 스위스 IT 분야의 성장과 신기술 보급을 추진함 스위스 연방 정보 전략기관인 ISB(Das Informatikstrategieorgan Bund)는 Kanton 및 그밖에 지방자치단체와 더불어 연방, 지방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행정업무를 전산화하 는 전자정부(e-Government) 프로젝트를 시행함 전자정부 정책의 주요 목적은 정보통신(ICT)을 활용하여 기업 행정 프로세스의 개선, 기 업 활동 및 거래 프로세스 개선 지원, 정부기관의 행정 서비스 및 프로세스 개선임 정부는 전자정부 정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7개 원칙을 제시함

표 1.1 전자정부 계획의 원칙 세부 내용

‐ 서비스 및 과정 지향: 복합적인 솔루션을 통해서 정책을 추진하며, 정부 데이터 및 문건을 전자화함 ‐ 집중 및 우선순위: 특정 타깃 그룹을 정하고 우선순위를 정하여 정책을 추진함 ‐ 투명성: 해당 참여 그룹 등의 책임 및 결정과정을 명확하게 정의내리며, 정보의 투명성을 전제로 함 ‐ 연방주의를 기반으로 혁신 추구 ‐ 다중 사용 및 공개표준: 한 번 개발하면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공개표준(Open Standard)을 기본으로 함 ‐ 보편적 접근의 가능성 ‐ 정책 및 운영 결정권자를 지원 출처: 스위스 통신법(TCA) 제2조 6항

연방통신국(OFCOM)은 2013년 6월 전자정부 계획 로드맵을 발표한 이후 관련 정책을 추진 중임 스 위 스

| 39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표 1.2 스위스 전자정부 로드맵(1) 번호 프로젝트명 프로젝트 기관 2013 2014 2015 2016

중개단계 실현단계 A1.02 급여 데이터 전송 시스템 Swissdec (10~80% 구축) (80% 이상) A1.05 공개 입찰 처리 Simap.Ch A1.06 건축 허가 신청 BPUK A1.07 공공문서 및 절차 결정 사본 등록 FOJ A1.12 주소 변경 및 출발과 도착 알림 시스템 VSED A1.13 전자 투표 연방정부 2025년까지 구축 예정 A1.14 스위스 geo-포털 e-geo.ch A1.18 eMISTAR FOJ A1.19 전자 부동산 시스템 eGRIS A1.20 ePolice Harm, Police IT A1.21 소비자 보호 포털 FOPH 컨셉트 시범 A1.22 e-Consultation 구축 연방정부 서비스 (계획 미정) 구축 A2.01 포털 세무 스위스 연방 세무국 Swiss Tax A2.02 개인 세금 환급/순익 2017년까지 80% 이하 완료 예정 Conference Swiss Tax A2.03 세금 정산 기한 연장 Conference A2.04 차량용 서비스 교통국 2017년까지 80% 이하 완료 예정 A2.05 주차비 지불 신청 SCI A2.10 업무 관련 승인 Seco A2.11 고문 지원 서비스 FDFA A2.12 국제 항공기 방문 인증 서비스 FOCA 출처: 연방통신국(OFCOM)

392 | 유럽Ⅰ 스위스

표 1.3 스위스 전자정부 로드맵(2) 번호 프로젝트명 프로젝트 기관 2013 2014 2015 2016

B1.06 e-Government 건축 FITSU B1.08 기업 급여 데이터 표준화 스위스협회 B1.10 e-geo 인프라스트럭처 조직 개편 e-geo.ch Workgroup B1.12 아이템 데이터 표준화 eCH B1.13 eCH eCH 협회 B1.14 전자정부 지도 FITSU B1.15 전자정부 인프라스트럭처 조직 구축 FOJ B2.06 운영 ID 서비스 eCH 개시 B2.08 전자 음성 결제 서비스 FAA 2018년까지 80% 이하 완료 예정 준비 2017년까지 80% 이하 B2.12 오픈 정부 데이터 FITSU 컨셉트 완료 예정 B2.13 공공행정 기관 첨부 사용 서비스 Seco 2018년까지 80% 이하 완료 B2.14 클라우드 컴퓨팅 전략 FITSU 예정 B2.15 전자 ID 인식 FedPol B2.16 데이터 교환 MinPublic Health 준비 출처: 연방통신국(OFCOM)

스위스 연방정부는 2015년 11월 우선순위로 정해진 59개 프로젝트 중 27개(45%)가 완 료되었으며, 남은 32개 프로젝트(55%)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음. 또한 2019년까지 구현 할 새로운 전자정부 계획에 다음 내용들이 포함된다고 발표함

표 1.4 스위스 연방정부가 새로 발표한 전자정부 계획(2015.11) 세부 내용

‐ 포털 내 도시, 주, 연방정부 각 단위에 모두 통일된 서비스 등록 절차 마련 (2019) ‐ 국내 및 국제적으로 유효한 전자 신분증(eID), (2019) 스 위 ‐ 자동 거주 이동 등록/수정 서비스 (2019) 스 ‐ 전국 3분의 2 이상의 주에서 전자 투표 시행 (2019) ‐ 부가가치세 자동집계체계 마련 (2019) ‐ 공공기관 간 법률 데이터베이스 체계적 이전 (2019) 출처: 스위스 전자정부 포털

| 39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정보사회 형성

환경・교통・에너지 및 통신부(DETEC)는 스위스를 경제 강국 및 높은 삶의 질을 보유한 국가로 거듭나도록 하기 위해 전략 2012년(Strategy 2012)을 발표함. 정보사회 형성이 포함된 전략 2012년은 2030년까지 추진되며, 2015년까지 상기 계획과 관련된 규제 수 립을 완료할 예정임 이 중 정보통신(ICT) 부문 계획으로 정보사회 형성(Playing a Part In Shaping The Information Society)을 주요 전략으로 수립함. 정보사회 형성 계획은 정보 및 통신 기 술의 보급 증대를 통한 나은 환경 구축을 골자로 함 구체적으로, 고주파수 대역 네트워크 인프라의 개방을 통한 통신시장 경쟁 활성화, 더욱 발전된 애플리케이션 지원을 통한 법적, 조직적, 기술적, 보안 등에 관한 장벽 초월, 글로 벌 환경의 규제 개발을 통한 안전하고 최적화된 인터넷 서비스 보급의 세계화, 민주주의 및 공공의 이익을 근거로 한 미디어 다양성 확대 등을 목표로 함

디지털 스위스 전략

스위스 정부는 2016년 4월에 디지털 스위스 전략(Digital Switzerland Strategy)을 발 표하고 이어 5월에는 관련 실행전략도 발표함. 동 전략은 연방 이사회(Federal Council)의 2012년 3월 9일 발표된 스위스 정보사회에 대한 전략에 우선함 전략의 핵심은 디지털화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활용하여 스위스가 매력적인 곳으로 자리 매김을 하고, 혁신적이며 미래지향적인 비즈니스와 연구의 장소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임. 그러므로 디지털 스위스 전략은 입법계획 2015-2019에서 연방이사회의 척 도에 해당함 스위스 정부의 디지털 정책은 사람을 스위스의 번영하고 민주적인 정보지식사회의 중심 에 두고 있음. 연방 헌법에 따라 공동 복지, 삶의 질 및 지속가능한 개발이 향상됨. 지역 간의 유대관계와 문화적 다양성을 촉진하고 디지털 세계에서 국내 및 국제 보안 및 안정 성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함. 스위스는 국내 및 국제 수준에서 디지털 영역에 평등한 기회 를 적극적으로 장려함 동 전략의 원칙은 다음과 같음

 디지털 발전 지원: 연방 이사회는 경제사회의 디지털 발전이 범위를 중요하다고 생각 하며, 정치기관과 당국은 디지털 변환을 용이하게 하고 필요할 때마다 이를 지원함 구조적 변화에 적극적으로 해결: 연방이사회는 디지털화로 인한 신속하고 포괄적인 구조 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반할 책임이 있음. 연방 이사회는 기존구조의 디지털 전환이 모 든 차원에서 재고하고 기존 형태의 공존과 경제활동에 도전해야한다는 것을 알고 있음

394 | 유럽Ⅰ 스위스

 네트워크화로 연결된 전환 프로세스 생성: 구조적 전환과 관련된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전환과정이 교차부문, 학제간 및 네트워크가 되어야 함. 모든 이해관 계자와의 디지털화에 관한 국가차원의 영구적인 대화를 위한 좋은 전제조건임 동 전략의 핵심 목표는 △ 디지털 세계에서 혁신, 성장, 번영, △ 지속가능한 발전에 공 헌, △ 투명성과 보안, △ 평등한 기회와 모든 사람들의 참여임 동 전략의 실행영역과 전략적 목표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표 1.5 디지털 스위스 전략 실행영역과 전략적 목표 요약 실행 영역 전략적 목표

디지털 경제  디지털 경제, 공유경제에 대한 경제적 기본  일관성 있고 미래지향적인 데이터 정책  국가 데이터 인프라 스트럭처 데이터와 디지털 콘텐츠  디지털 콘텐츠 접속  자신의 데이테에 대한 제어  모든 스위스의 지방차지지역에서 고속 브로드밴드 구축을 위해 시장을 역동적으로 만듦  혁신적인 물류서비스가 전자상거래에 가능하도록 함 인프라와 환경  미래 에너지 공급  지능, 네트워크된 차별없는 이동성  안전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개인정보 관리 전자정부와  시민사회와 경제에 대한 공식 거래를 위한 디지털 선택 전자헬스(e-health)  2007년 전략을 업데이트하고 EU의 실행과 연결에 참여 정치적 참여의 새로운  디지털 환경에서 민주적인 의사결정과 의견 형성 형태  전자적인 수단에 의해 생사된 정치적 권한  스위스는 디지털화에 적합함 지식기반 사회의 개발  새로운 교육 및 훈련 기회들: 향상된 연구 및 혁신  문화 유산과 디지털 문화의 생산에 모두를 위한 전자적인 접속  사이버 위험으로부터 연방의 구조와 처리의 방어 보안과 신뢰  데이터 처리 및 데이터 보안  어린이 및 젊은 세대 보호  글로벌 사이버 보안과 인터넷 거버넌스  중요한 인터넷 자원의 사용 스위스의 국제적 위치  ICT를 사용하여 지속가능한 글로벌 발전 스  가상 국제 경제 분야에서의 기회 활용 위 스

| 39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규제

통신 정책

스위스 통신 분야의 근간이 되는 스위스 통신법(TCA, Law on Telecommunication ) 은 1997년 4월 30일 개정되어 10월 20일부터 발효됨 총 12개의 장(Chapter)으로 구성되고, 각 장에서는 통신 서비스, 무선통신 서비스, 통신 서비스의 주소, 통신 장비, 세금, 통신 분야의 정보보호 및 연방통신위원회(ComCom)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음 통신 시장에서 유효한 경쟁이 발생하고 있을 시에는 정책 당국의 시장 개입을 최소화해 야 한다는 원칙을 담고 있으며, 국민 및 통신 사업자들에게 효율적인 비용과 고품질의 서 비스 제공을 목표로 함 통신법(TCA)은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포함함 ①해외의 통신 사업자는 국제적인 의무를 준수한다는 조건으로 스위스 내에서 외국인 법 (Foreign Law)에 적용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스 위스 내에서의 서비스 제공이 금지됨, ②통신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공에 있어서 통신 사 업자는 서비스 가격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해야 하며, 자사의 통신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 보를 제공해야 함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업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요구됨

표 1.6 스위스 통신 서비스 사업자 요건 세부 내용

‐ 해당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 보유 ‐ 통신법(TCA)을 비롯한 이에 상응하는 법안 및 규제 준수 ‐ 산업에서 보장하고 있는 스위스의 노동법과 근로 환경의 준수 ‐ 해당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충분한 수의 구성원 출처: 스위스 통신법(TCA) 제2조 6항

시장 지배적 통신 사업자는 다른 통신 사업자들에게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인프라를 투 명성과 비차별성을 근간으로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음. 지배적 통신 사업자들은 개별적 인 접속 서비스의 제공 조건 및 가격을 공개하며, 지배적 통신 사업자는 라디오 및 텔레 비전 프로그램 서비스 방송과 관련한 접속을 보장할 필요는 없음

396 | 유럽Ⅰ 스위스

상호접속(Interconnection)

연방통신위원회(ComCom)는 2006년 통신 시장의 공정경쟁 환경 조성을 위해 통신법 개정을 통하여 가입자 선로 공동 활용제도(LLU, Local Loop Unbundling)를 도입, 2007년 4월부터 시행함 가입자 선로 공동 활용제도(LLU)와 관련하여 시장 지배적 사업자와 경쟁 사업자 간의 상 호 접속료에 대한 합의가 협상 시작 후 3개월 이내에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연방통신위 원회(ComCom)가 강제 조정할 수 있음 상호접속료는 다른 유럽 국가들과 비교하여 높은 수준임. 2008년 유럽연합 보고서에 따 르면, 유선통신 상호접속료는 1분당 1.01 유로(약 1.08 달러)로 유럽연합(EU) 평균보다 17.4% 높은 수준이며, 이동통신 상호접속료는 1분당 15.05 유로(약 16.1 달러)로 유럽 연합(EU) 평균보다 32% 높음 2011년 12월, 연방통신위원회(ComCom)는 상호접속료를 7% 인하한다고 발표, 이로 인해 상호접속료는 한 달에 15.50 스위스 프랑(약 15.4 달러)으로 조정됨

서비스 속도 및 가격

2013년 12월 19일, 연방통신위원회(ComCom)는 2012년과 2013년도 유선 통신 라스 트마일(가입자 회선)에 대한 언번들링 제공 가격을 인하할 것으로 발표함. Swisscom의 교환 및 케이블 덕트는 타 서비스 사업자에 대해 더욱 낮아질 것이나 상호 접속료는 상당 기간 현재 상태로 남을 전망임 연방통신위원회(ComCom)는 2011년 12월 최저 데이터 전송 속도 및 데이터 서비스 최고 가격에 대한 새로운 제재를 발표함 상기 규제에는 기존 데이터 최저 속도인 600kbps에서 1Mbps로 향상, 기존 데이터 서 비스 최고가인 월 69 스위스 프랑(약 74.68 달러)에서 55 스위스 프랑(약 54.6 달러)(부 가세 비포함)으로 인하 등이 포함됨. 상기 제재는 보편적 서비스 라이선스(Universal Service Licence)를 보유하고 있는 스위스 최대 통신 사업자 Swisscom에 적용되며, 2012년 3월부터 발효됨 스 2014년 11월, 스위스 연방 평의회(Federal Council)는 보편적 서비스 하에 최저 브로 위 드밴드 속력을 2배인 2Mbps 다운로드, 200kbps 업로드를 승인함 스

| 39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이동통신, 특히 5G에 대비한 추가적인 주파수 할당 계획

스위스에서 5G기술의 출시가 가능하도록 새로운 주파수대역이 이동통신 부문에 할당되 어야만 함. 이러한 내용은 국가 주파수 할당계획(National Frequency Allocation Plan, NEAP)에 대한 변경이 승인된 2017년 11월 8일에 연방의회에 의해 결정됨 2015 세계 전파 컨퍼런스(2015 World Radio Conference)의 결정을 이행하면서, 방 송용이던 694-790MHz 범위의 주파수 사용을 변경하여 브로드밴드 모바일 전파 활용 을 위해 지정될 것임 또한 추가적인 주파수 대역에서 모바일 전파 주파수의 사용을 가능하게 전략적인 조치가 취해짐. 연방의회의 이러한 조치를 통해 기존의 무선 전파 인프라를 확장하기 위한 조건 을 만들며, 새로운 5G기술의 도입을 위해 길을 열어 놓음. 새로운 주파수는 ComCom 에 의해 2018년에 할당될 것임

5G 주파수에 대한 라이선스 비용 축소 예정

2017년 11월 발표에 의하면 연방 이사회는 5G에 사용될 이동통신 무선 주파수에 대한 라이선스 비용을 줄일 예정임. 연방위원회는 이에 따라 전기통신부문의 요금에 대한 조 례를 수정했음 조례 개정의 결과로 3GHz범위의 이동무선 주파수에 대한 라이선스 비용은 국제적으로 관습적인 수준으로 설정됨. 이는 2019년 이후 미래 5G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신속한 도 입, 즉 구축 및 운영에 매우 중요함. 현재 연방통신위원회(ComCom)은 해당 주파수 할 당을 준비하고 있으며, 연방의회가 채택한 수정된 조례는 2018년 1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함

디지털 시대의 저작권법(Copyright Act) 채택

2017년 11월 발표에 의하면 연방 이사회(Federal Council)는 디지털 시대의 저작원법 을 채택함. 연방 이사회는 저작권법 개정을 통해 불법 복제된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단호 한 접근 방식을 취함으로써 창조적인 예술가와 문화 산업의 권리와 이익을 강화하고자 함 또한 동시에 불법적인 제안을 이용하는 소비자는 범죄로 취급하지 않는다는 원칙은 지지 됨. 법안 초안은 연방 법무부(Federal Department of Justice and Police, FDJP)가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합의한 타협안에 기반을 둠

398 | 유럽Ⅰ 스위스

방송 규제

스위스의 방송 시장은 2006년 3월 제정된 연방라디오・TV법(RTVA, Federal Act 24 March 2006 on Radio and Television) 및 2007년 3월 제정된 라디오・TV법 시행령 (RTVO, Ordinance of 9 March 2007 on Radio and Television)을 준수함 연방라디오・TV법(RTVA)은 총 10개의 장(Chapter)으로, 라디오・TV법 시행령(RTVO) 은 총 8개의 장(Chapter)으로 구성되어 있음 연방라디오・TV법(RTVA)은 프로그램 서비스의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전송 및 기술적 과정, 프로그램 서비스 수신, 다양성 보장 및 프로그램 서비스 질의 측정 및 독립 라디오 텔레비전 불만 접수청(Independent Complaints Authority for Radio and Television)의 역할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함 연방라디오・TV법(RTVA)에서는 방송 프로그램 콘텐츠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들 을 요구하고 있음 ①모든 방송 프로그램은 인간의 존엄성을 포함한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를 존중해야 하 며, 차별적 또는 인종 차별적인 내용을 포함한 콘텐츠의 제공을 금지함, ②정보를 포함하 고 있는 콘텐츠는 반드시 사실만을 제공해야 하며, 해당 사건들을 공정하게 보도하여 시 청자들이 자신의 의견을 균형적으로 형성하는 데 기여해야 함, ③라이선스를 획득한 방 송 프로그램 사업자들은 그들이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사건 및 의견들을 다양 하게 다루어 방송 콘텐츠의 다양성을 보장해야 함 방송광고 편성은 하루 편성시간의 15% 이상 혹은 한 시간 방송을 기준으로 60분의 20% 를 넘어서는 안 되며, 기타 예외사항은 연방통신위원회(ComCom)가 정함 라디오・TV법 시행령(RTVO)에서는 스위스 방송 사업자들의 편성쿼터제를 규제하고 있 으며, 여기에서는 스위스와 유럽 지역과 관련한 콘텐츠의 편성 비율 및 스위스와 유럽지 역 독립제작사들의 제작 콘텐츠의 편성 비율을 규정함 방송 사업자들은 스위스 또는 유럽과 관련한 내용의 콘텐츠를 전체 방송 시간의 50% 이 상 편성해야 할 의무를 지니며, 스위스 또는 유럽의 독립제작사들이 제작한 프로그램으 로 전체 방송 시간의 10% 이상을 편성하거나 프로그램 제작비용의 10% 이상을 이에 지 출해야 함 스 위 스

| 39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3. 산업구조 및 특징

디지털 스위스 지수, 2017년 12월 현재 45%

스위스의 디지털에서 디지털화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인 digital.swiss 웹사이트가 2016년 9월에 공식적으로 오픈함. 이러한 온라인 플랫폼은 스위스의 디지 털 수준을 지수와 스코어카드를 사용해서 측정하며, 디지털화, 프로젝트, 이벤트 등에 대 한 개요도 제공함 2017년 12월 현재 디지털 스위스 지수는 45%이며, 영역별로는 기초인프라가 99%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국제 경쟁력(77%), ICT 산업(73%)가 뒤따르며, 디지털 신원 (23%), 헬스(24%), 법적규범 및 법률(26%), 보안(27%)로 낮은 편에 속함 ICT산업부문은 급성장하고 있으며 수출 잠재력은 여전히 존재함. ICT산업은 다양한 부 문의 ICT직원들이 있는 전문분야와 핵심부문 자체로 구성됨 스위스에서 ICT 산업부문은 2017년 12월 기준 ICT하드웨어 및 판매를 제외한 고용 및 창출 부문에서 스위스 경제의 원동력이며, ICT분야에서의 성장은 여러 분야에 걸쳐 이 루어지므로 전체 경제와 모든 부문에 혜택을 줌. 구체적으로 ICT전문영역에서 고용은 92%, 총부가가치는 91%, IT서비스에서의 고용은 76%, ICT서비스 수출에 대한 동향은 64%, 통신영역에서 고용은 58%이고, ICT하드웨어 판매에서 고용은 35%로 나타남

그림 1.3 디지털 스위스 스코어보드

출처 : digital.swiss/en

400 | 유럽Ⅰ 스위스

4. 산업 주요 이슈

2017년 스위스 IT시장 규모 194억 스위스 프랑(CHF) 전망

일반적으로 스위스 IT시장은 성장하고 있으며 스위스 정보통신조직협회(Swiss Association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s and Organization, Swico)에 의 하면 2016년 IT산업은 190억 스위스 프랑(CHF)에 도달하여 2015년 183억 스위스 프 랑에서 7억 스위스 프랑으로 증가함. 또한 2017년말까지 IT 시장은 194억 스위스 프 랑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 Swico에 의하면, 소프트웨어 사업의 매출 성장률은 2016년 4.8%며, 2017년에는 4.7% 로 전망함. IT서비스 사업은 2016년 2.8%, 2017년에는 3.1%로 전망함. 2016년 하드 웨어 매출이 2.6% 증가한 것은 기기의 평균 가격이 높아 졌기 때문이며, 또한 2016년 클라이언트 사업(PC/노트북/태블릿)에서만 5%하락하여 210만 단위로 줄었고, 2017년 에도 계속 감소할 것으로 예측함 Maastricht School of Management(MSM)에 따르면 2017년부터 스위스 기업들이 ICT부문에서 더 많이 투자할 것으로 전망함. 이러한 증가는 디지털화와 사물인터넷 (IoT)와 직접 연결됨. MSM연구는 디지털화와 관련된 지출이 성장세의 주요 요인으로 보고 있으며, 따라서 2017년부터 이러한 지출은 35% 증가할 것임 스위스 ICT인력은 2024년까지 25,000명이 부족할 것으로 보이며, 소프트웨어 개발에 서 채워지지 않은 IT부문 공석은 이미 48%에 달함 스위스는 2016년 네트워크 준비지수에서 7위이지만, ICT기술 사용에 대한 약점 중 하 나는 스위스 정부의 디지털화부문으로 정부의 ICT기술 사용은 43위에 해당함. 또한 xUpery의 최신 연구에 의하면 스위스 전자정부는 구현 및 조화에서 중간단계에 머물러 있음. 특히 인터넷 투표와 사용자 친화적인 전자신분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 IFZ와 Swisscom의 싱크탱크 e-foresight가 실시한 또 다른 보고서에 의하면, 스위스 는 e-banking 분야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 설문조사에서 금융기관 중 26%만이 개인화된 홈페이지를 제공하며, 8%만 회계 소프트 웨어 솔루션을 제공하며, 고객들에게 이러한 솔루션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에도 불구하 스 위 고 어떤 은행도 고객에게 디지털 금융 지원(digital finance assistant)을 제공할 준비가 스 되어 있지 않음

| 40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1) 정부 간 협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 스위스 교육연구혁신청(SERI) 청장과 면담(2017.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은 스위스 교육연구혁신청(SERI) 청장과 면담을 갖고 과학기술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은 양국의 혁신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 생명과학 등 첨단기술 분야에 대한 공동연구 투자 확대와 연구자 교류 활성화 추진을 제안. 스위 스 교육연구혁신청 청장은 장기적인 과학기술 협력 프로그램 구축을 희망함. 양측은 상호 제안한 사항을 추진하기로 합의, 2018년 차기 과기공동위에서 세부 사항 논의하기로 함

핀테크지원센터, 취리히투자진흥원과 MOU 체결(2017.9)

금융위원회 산하 핀테크지원센터는 2017년 9월 13일 스위스 취리히투자진흥원과 핀테 크분야 MOU를 체결함 핀테크지원센터는 한국의 핀테크 스타트업을 취리히투자진흥원에 소개하고, 양국의 금 융업 혁신촉진, 핀테크 기업지원 등을 협력할 계획이며, 이번 MOU체결로 스위스와도 핀테크 분야 협력의 교두보를 마련함

스위스연방통신위원회, 한국 방문(2016.10)

스위스 정부의 통신관련 규제 기관인 연방통신위원회(ComCom)는 스위스 연방 통신청 부청장을 동반하여 6명의 통신위 위원들이 10월 20~21일 이틀동안 study trip으로 한 국을 방문함 프로그램은 미래창조과학부, 한국 방송통신위원회, SKT, KT, 삼성전자 방문 및 전문가 와의 면담으로 이뤄졌으며, 규제 및 기술 영역이 집중 토의 되었고, LTE, 5G가 논의의 중점이었음. 연방통신위원회 위원들은 한국의 발전한 ICT 문화를 접하고 경험했으며, 다가올 기술적, 보안적 문제들도 토의함 연방통신위원회 위원들의 이번 방문 지원은 스위스 무역투자청 한국사무소에서 주관되 어 진행되었음

402 | 유럽Ⅰ 스위스

한국-스위스 정상회담 후, ICT·바이오헬스 협력 MOU 체결(2016.07)

박근혜 대통령은 7월 13일 청와대에서 암만 스위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정상회담 직후 두 정상이 지켜보는 가운데 한국의 미래창조과학부와 스위스 환경교통에너지통신 부는 ICT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함 5G 등 이동통신 주파수 관리, 브로드밴드,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의 분야에서 창업기업을 서로 지원하고 연구사업과 기술사업화를 공동 추진하기로 함 또한 바이오헬스 선도 국가인 스위스와 공공·민간 분야 전문가 및 기관 간 교류 협력을 주 내용으로 하는 2건의 보건의료 협력 MOU도 체결함

미래창조과학부와 고려대학교, ‘사물인터넷 소트프웨어 보안 국제공동연구센터’ 11월 19일 개소(2015.11)

이번 IoT 소프트웨어 보안 국제공동연구센터 개소는 미래부의 ‘IoT 소프트웨어 보안 취 약점 자동분석 기술 개발’ 연구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것이며, 우리나라(고려대, 한국인터넷진흥원), 미국(카네기멜론대), 영국(옥스포드대), 스위스(취리히 연방 공과대) 등 4개국이 공동 참여함

미래창조과학부, 2014년도 한-스위스 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신규과제 선정결과로 빅데이터 3개 분야 선정(2015.10)

한-스위스 이노베이션 프로그램(Korea-Swiss Innovation Program)은 한-스위스 정 부가 양국 간 전력분야의 공동연구를 확대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프로그램임 빅데이터 관련 연구 분야는 1)한국과학기술원의 확률 그래프 모델을 통한 빅데이터 기반 통계적 학습 및 추론 기술연구, 2)서울대학교의 빅데이터 컴퓨팅을 위한 고성능 및 저전 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특성에 맞는 자원 관리 시스템 연구, 3)한국과학기술원의 빅데이터를 이용한 최적의 다공성 물질 개발 분야임

스위스 환경교통에너지통신부 장관 미래부 방문(2015.07) 스 위 스위스 환경교통에너지통신부 로이타르크 장관은 양국간 정보통신기술(ICT) 주요 전략 스 공유 및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자 미래부에 방문하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과 만남

| 40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기업 진출 및 협력

랩지노믹스, 스위스 인공지능 분자진단기업과 협력(2017.10)

분자 진단 헬스케어 전문기업 랩지노믹스가 스위스의 인공지능(AI) 기반 분자진단 전문 기업인 소피아 제네틱스와 전략적 파트너관계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함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높은 수준의 분자진단 서비스와 인공지능 기반의 BI(Business Intelligence) 플랫폼을 개발하고 공동 마케팅을 통해 분자진단 서비스를 각국 시장에 공급할 계획

피플앤테크놀러지, 인도어플러스 솔루션 스위스 고급요양원확산(2017.4)

㈜피플앤테크놀러지의 인도어플러스솔루션(IndoorPlus+Real time location and smart sensing)이 스위스 시온 위치한 고급 요양원인 EMS Gravelone에 전층 확산이 결정되어 2017년 4월 11일부터 배치될 것임. 2017년 3월에 1층의 특정구역에 1주일 동안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확산이 결정됨

피앤에스테크놀러지, ‘PS클라우드’ 스위스로 수출길 열려(2017.01)

소프트웨어 업체인 피앤에스테크놀러지는 2016년 7월 출력 과정의 시스템화로 실사 출 력 작업 전반에 걸친 생산성을 극대화해주는 일종의 ‘인공지능 시스템’인 PS 클라우드를 출시함 최근 디지털커팅기 제조업체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스위스의 ‘Z’ 업체의 책임자가 PS클 라우드 시스템을 확인하고, 해외 시장을 겨냥해 본격적으로 유통해 보고 싶다는 의사를 타진해 왔다고 전함. 빠르면 올해 상반기 내에 공식적으로 제휴 계약을 체결하고 PS클라 우드 시스템을 공급할 예정임

솔고바이오, 해외 사업 ‘순항’, 스위스에 임플란트 신제품 수주(2016.12)

메디컬케어 업체인 솔고바이오는 미국, 스위스, 브라질 등 해외 거래처에 정형외과 임플 란트 신제품을 수주했다고 밝힘. 총 수주 규모는 약 50만불이며 스위스에서는 기존 거래 업체에 임플란트 신제품을 추가 공급하게 됨

404 | 유럽Ⅰ 스위스

Ⅱ • • 정보통신방송 품목현황

Overview

2016년 스위스 정보통신방송 주요지표 (단위: 천 명 / 천 회선 / 천 가구, 2016년 기준)

지표 스위스 보급률(%) 한국 보급률(%)

유선통신 가입회선 4,029 48.43% 28,036 56.10% 이동통신 가입자 11,283 135.62% 61,296 122.65%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3,850 46.27% 20,556 41.13% TV 보급대수 4,122 98.0% 18,310 97.50% 케이블 TV 가입가구 2,432 57.82% 7,470 39.78% 위성 TV 가입가구 173 4.12% 2,298 12.24% 지상파 디지털 방송 가입가구 759 18.04% 3,680 19.60% IPTV 가입가구 1,390 33.04% 8,514 45.34%

출처: ITU(2017), Digital TV Research(2017)

스위스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스위스 소프트웨어 시장: 2017년 8.4%성장, 2018년 14.2% 성장 전망 시장 동향 ‐ 스위스 소프트웨어 산업: 매출의 8.2%를 R&D에 투자 ‐ Olympe SA: 2017 Top 100 최고 스위스 스타트업에 선정, 웹기반 플랫폼 주요 ‐ ProtonMail: 세계 최대 보안 전자 메일 서비스 오픈 소스 라이선스 버전 2.0 사업자 소프트웨어 출시

‐ 2017’ 1분기: 스위스 인터넷 보급률 성인인구의 90% 시장 동향 ‐ 2017‘ 스위스 인구의 2/3가 지난 3개월 동안 적어도 1회 이상 공유경제를 구 매함 ‐ 2016년말 모바일 지불에 대한 급격한 성장: NFC기술, QR코드, 블루투스 등 주요 여러 기술의 모바일 지불앱 개발 사업자 인터넷서비스 ‐ Digitec: 2016’ 7억 400만 CHF 매출로 스위스 최대 규모 온라인상점

‐ 스위스 이동통신 가입 건수: 2016’ 1,128만 3,000 건 시장 동향 ‐ 스위스 브로드밴드 가구 보급률: 2016’ 50.15% (OECD국가중 1위) ‐ : 2016년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 57.7%, 브로드밴드 시장 점유율: 주요 51.3% 스 사업자 통신 ‐ Swisscom: Ericsson과 손잡고 2020년 5G 세대 개막 계획 위 스 ‐ 스위스 디지털콘텐츠 시장 규모 시장 동향  2017’ 173억 4,500만 달러(▲ 1.8%) ‐ 스위스 디지털 음악 시장 규모: 2017’ 5,400만 달러 주요 디지털콘텐츠 ‐ Rakuten: getAbstract 통해 스위스 디지털콘텐츠시장 투자 사업자

| 40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Overview

스위스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시장 동향 ‐ 스위스 TV 보유 가구 수: 2016’ 412만 2,000가구(▲ 1만가구)

주요 ‐ 2016년 디지털 TV시장 점유율 방송스마트미디어 사업자 ‐ Swisscom(36.3%), UPC(30.7%) 순

‐ 스위스, ITU 2017년 글로벌 사이버보안지수 세계 31위 시장 동향 ‐ 스위스 정부, 정보보안 관심 증대

‐ Sophos: MSP대상으로 간소화된 새 관리 플랫폼 출시 주요 ‐ Kudelski Security: 스위스 사이버 퓨전 센터 오픈 사업자 정보보호 ‐ 탈레스 선정:스타트업 암호화 분야 전문 InPher, 생체인식기술 Biowatch ,

‐ 스위스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선호 시장 동향 ‐ 2015‘ 1,400여개 이상의 데이터센터가 존재, 꾸준히 증가함

주요 ‐ Veem: 포브스 글로벌 100대 프라이빗 클라우드 기업 중 27위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자 ‐ 스위스 스타트업 Procivis, 블록체인 기반 전자정부 플랫폼 출시

‐ 스위스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시장 동향  2015’ 28억 달러 → 2020’ 59억 달러(▲ 110.7%) ‐ 스위스 스마트홈 시장: 2017년 매출 1억 8,600만 달러 규모 ‐ Swisscom, 스위스 최초 사물인터넷 전용 저전력 네트워크 설립 주요 ‐ WISeKey, IoT플랫폼으로 중국 IoT시장 진출 사업자 사물인터넷 ‐ Swiss post, 물류체계에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도입

시장 동향 ‐ 스위스 핀테크 시장 거래액: 2017’ 174억 7,400만 달러

‐ Xzpo: KPMG 2017글로벌 핀테크 기업 100 중에서 34순위, 디지털화폐 주요 ‐ NVIDIA: 스위스 AI 연구소와 연구 협력 진행 사업자 IT스마트융합 ‐ Stratasys: 스위스 ETH 취리히에 3D프린터 공급

‐ 연방통신국(OFCOM), 주파수 관리 담당 시장 동향 ‐ 스위스 위성 TV, 독자적 플랫폼 없어 독일·이탈리아 위성 이용 ‐ Swisscom, 네덜란드 위성 업체 SES와 계약 전파위성

‐ 스위스 모바일 시장, iOS와 Android가 98% 이상 점령 시장 동향 ‐ 스위스 커넥티드 하드웨어 시장  2017’ 3억 2,300만 달러 → 2021’ 8억 5,200만 달러 디바이스

406 | 유럽Ⅰ 스위스

1. 소프트웨어

1) 시장 동향 및 전망

스위스 소프트웨어 산업, 2017년 8.4% 성장

스위스 ICT분야 기업들의 연합회인 ICTSwitzerland의 자료(Swiss Software Industry Survey 2017, 2017.10.31.)에 의하면, 스위스 소프트웨어 산업의 예측되는 성장은 2017년 8.4%이며, 2018년에는 14.2%로 전망함 2017년 대비 2018년 매출 성장은 표준SW제작 영역이 14.2%에서 23.3%로 9.1%성장 을 예측하며 가장 큰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측함 소프트웨어 개발, 고객화, 관리는 소프트웨어 산업 수익의 2/3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또한 소프트웨어 산업은 R&D에 매출의 8.2%를 투자함.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율은 표준 SW 제작(SaaS포함)영역이 15.5%로 가장 높고, 고객 맞춤형 SW제작은 10.8%로 그 뒤를 따름 스위스 SW 활동영역별 매출은 컨설팅 영역이 27.2%로 가장 크며, 고객맞춤형 SW제작 (22.8%), SaaS를 포함한 표준 SW제작(21.8%)가 뒤를 따르며, 이러한 3영역이 매출의 70%이상을 차지함 또한 소프트웨어 인력도 상당히 확대되어 2017년 예측되는 인력은 5.9% 증가, 2018년 에는 11.3%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2017년 기준 각 영역별 고용 비율을 보면, 고객맞춤 형 SW제작이 32%, 표준 SW제작영역이 31.1%이며, 거의 SW 분야 종사자들 중 3명중 1명이 두 영역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그림 2.1 스위스 SW 활동영역별 매출 및 고용 비율 (단위: %)

스 위 스

출처 : Swiss Software Industry Survey(2017)

| 40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스타트업 Olympe SA, 웹기반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체 Olympe SA는 모든 영역의 비즈니스에 Olympe SA 영향을 주고 있는 디지털화와 소프트웨어 개발분야 에서 사용자가 코드없이 시각적툴과 인공지능에 의 해 지원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 할 수 있도록 웹기반 플랫폼을 출시하였음. 2017년 Top 100-Best 홈페이지 www.olympe.ch 설립 2015년, 로잔 Swiss Startups 중 81위에 올라감 창립자 Laurent Chatelanat Olympe의 제품은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에서 팀원 업종 디지털화 및 SW개발 들이 분산된 소프트웨어를 수분 내에 개발할 수 있도 록 하며, 시각적인 사고와 인공지능 둘 다를 결합함. 개발자와 비개발자 모두 실시간으로 처음부터 실제적인 것(real-thing)을 조립하기 위 해 협력할 수 있음 이들 제품은 블렉체임, 모바일앱, 인공지능, IoT, 분산 시스템, 고객맞춤형 시스템 등에 사용되며, 활용되는 산업분야는 금융, 에너지, 소비재, 전자정부, 헬스케어, 제조, 기술, 통신, 미디어 등 다양함

ProtonMail, 세계 최대 보안 전자 메일 서비스 오픈 소스 라이선스 버전 2.0 출시

전자 메일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분야의 선두 주자인 ProtonMail은 2015년 8월 새롭 게 업데이트한 보안 이메일 서비스 ProtonMail 버전 2.0을 공개함. ProtonMail 버전 2.0은 기존 웹메일 방식을 이용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면서 개인정보도 보호할 수 있는 이메일 서비스로, snapchat과 같이 사용자가 정한 일정시간이 지나면 메시지 자동 삭제되어 보안성이 높음 이번 업데이트의 가장 큰 특징은 인터페이스 기술을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 전환했다는 것임.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2013년부터 스위스 정부가 적극 추진해 온 정책이기도 함

408 | 유럽Ⅰ 스위스

2. 인터넷서비스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7년 1분기 스위스 인터넷 사용자, 성인 인구의 90%

스위스 통계청의 2017년 11월 자료에 의하면, 스위스 성인인구의 인터넷 사용률은 2017년 1분기 90%이며, 2014년에는 84%에 불과했음. 또한 전체 인터넷 사용자가 온 라인을 사용하는 시간이 한 시간 증가함 이번 인터넷 상승에서 특히 65세 이상 사람들의 인터넷 사용자 수가 두드러짐. 65세에 서 74세 인구 중 인터넷 사용률은 2014년에는 62%에서 2017년 77%로 크게 상승함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모바일 인터넷이 가정 내 유선인터넷 접속과 병행하여 발전함. 모바일 접속에 연결된 가구의 비율은 2014년 60%에서 2017년 78% 로 증가함 2017년 스위스 인구의 2/3가 지난 3개월 동안 적어도 1회 구매함(2014년 56%와 비 교). 또한 스위스 인구의 1/4이 숙박이나 교통 등과 같은 공유경제에 참여함. 개인 교통 과 관련하여 인구의 8%가 전문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했으며, 11%는 소셜네트워크 등과 같은 비전문 사이트나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함. 이러한 사용자의 대다수는 15세~44세임 전문플랫폼을 통한 영화 및 음악 다운로드 비율은 음악다운로드의 경우 2014년 42%에 서 2017년 48%, 영화 및 비디오의 경우 2014년 50%에서 2017년 58%로 증가함

주요 검색 엔진 및 포털 사이트

표 2.1 스위스 Top 10 웹사이트 (2017.12) 순위 사업자명 사이트 주소 1 Google Switzerland www.google.ch 2 YouTube www.youtube.com 3 Google www.google.com 4 Facebook www.facebook.com 스 5 Wikipedia www.wikipedia.org 위 Bluewin www.bluewin.ch 스 7 Yahoo www.yahoo.com 8 Live Live.com 9 Reddit www.reddit.com 10 Blick www.blick.ch 출처: Alexa(2017.12)

| 40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2016년 스위스 모바일 지불 급격한 성장

스위스의 경우 모바일 지불은 늦게 출발했으나 2016년말 현재 급격한 성장을 보임. 은행은 그들의 신용카드에 NFC기술을 장착하여 접촉없이 지불이 가능하도록 하고, 대량 판매점들 은 QR코드, 블루투스, NFC 등 다른 기술을 사용하는 자신만의 모바일 앱을 개발해 옴 현재 대형사업자들이 스위스 시장에 진입하였는데, 2016년 7월 애플페이(apple pay) 가 스위스에 도착했으며, 삼성과 구글도 뒤따를 것임. 스위스 거래자들은 이미 모바일 결제를 선호하는 NFC 지원단말기를 갖고 있으며, 스마 트폰 지불 프로젝트인 Twint와 Paymit는 2016년 중반에 발표되어 다국적기업과 경쟁 하고 2017년부터 스위스에 제공

2016년 Digitec, 7억 스위스프랑(CHF) 매출로 최대 규모 온라인 상점 등극

전자상거래 전문지 E-commerce Europe에 의하면, 2016년 온라인 상점 Digitec.ch 는 매출 7억 400만 CHF를 달성하여 스위스 최대 온라인 상점으로 등극함 스위스의 다른 인기있는 온라인 상점은 Zalando, Amazon(독일), Nespresso 및 Brack임. 또한 LeShop, Microspot, Coop, Nettoshop 및 Exlibris도 뒤를 이어 온라 인 스위스 매장 중 상위 10 위에 랭크됨 2017년 2월 기준 이들 스위스의 Top 5 온라인 상점의 수입이 Top 5 스위스 오프라인 쇼핑센터 수입을 넘어섬

그림 2.2 스위스 Top 10 온라인 상점 (단위 : 백만 스위스 프랑)

출처: E-commerce Europe(2017.2)

410 | 유럽Ⅰ 스위스

3. 통신

1) 시장 동향 및 전망

이동통신

ITU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스위스의 이동통신 가입 수는 1,128만 3,000건이며 보급률은 135.62%로, 모바일시장은 포화상태에 이른 것으로 분석

그림 2.3 스위스 이동통신 가입 수 및 보급률 (단위 : 천 건, %)

출처 : ITU(2017)

스위스의 Swisscom은 LTE망을 2012년 11월말에 출시하였고, Sunrise, Salt는 201 년 봄에 LTE를 출시함. 연방통신위원회(ComCom)에 의하면 LTE/4G 커버리지는 2016년 말 Swisscom은 99%, Sunrise는 99.4%, Salt는 96%에 달함

브로드밴드

OECD에 의하면 가구 100명당 브로드밴드 보급률은 2016년 기준 50.15%로 OECD국 가 중 1위에 해당함. 구성은 DSL이 25.0%, 케이블이 14.8%, 광섬유(Fibre)가 9,6%, 기 타 0.8로 아직 DSL 구성이 큼 스 위 브로드밴드 시장은 이동통신 사업자인 Swisscom과 Sunrise, 케이블 사업자인 UPC 등 스 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음 연방통신위원회(ComCom)에 따르면, 2016년 12월 기준 Swisscom은 브로드밴드 시 장 점유율은 51.3%를 차지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고, UPC가 19.3%, 그 외 케이블이 12.2%, Sunrise가 9.6%의 점유율을 보이며 그 뒤를 잇고 있음

| 41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2.4 스위스 브로드밴드 시장 점유율 (2016. 12) (단위 : %)

출처: ComCom annual report 2016

2017년 스위스의 통신 산업이 모바일 시장으로 집중되는 경향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브 로드밴드 가입 건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ComCom에 따르면, 스위스의 브 로드밴드 가입 건수는 2017년 2분기 기준으로 398만 2,000건으로 집계됨. 2017년 2 분기 기준 가입자 중 통신사 기반 브로드밴드 가입은 68.7%, 케이블사 기반 브로드밴드 가입은 약 31.3%에 해당함

그림 2.5 스위스 브로드밴드 가입 수 추이 (단위 : 천 건)

출처: ComCom(2017.6.)

5G

연방통신위원회(ComCom)의 2016년 보고서에 의하면, 최근 5G 서비스 도입을 위한 주요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투자 및 연구가 활발함 스위스의 사물인터넷을 비롯한 ICT 산업 수준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5G가 도입된다 면 향후 인공지능, VR 등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도입을 가능하게 하여 스위스의 디지털 비즈니스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됨

412 | 유럽Ⅰ 스위스

2) 주요 기업 현황

Swisscom, 2016년 시장 점유율 압도적 1위

스위스의 주요 이동통신 사업자로는 Swisscom, Sunrise, Salt 등이 있으며, 2016년 스 위스 이동통신 1, 2위 사업자는 각각 Swisscom (57.7%)과 Sunrise (25.9%)이며, 두 기업이 2016년 기준 전체 이동통신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함

그림 2.6 2016년 스위스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 (단위 : %)

출처 : ComCom annual report 2016

Salt Mobile의 경우 2015년 2월 프랑스의 NJJ Capital이 2015년 2월에 Orange Switzerland를 인수하여 브랜드 명이 Orange Switzerland에서 Salt Mobile로 변경된 이후 업계 시장 점유율 3위를 유지함 2016년 봄에 Swisscom은 Ericsson과 파트너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1Gbit/s의 데이 터 전송률에 도달했으며, 이 서비스를 시장에 2017년 초에 선보임

Swisscom, Ericsson과 손잡고 2020년 5G 세대 Ericsson 개막 계획 스 2016년 6월, 스위스의 이동통신 사업자인 위 Swisscom과 스웨덴 기반 통신장비 사업자인 스 Ericsson이 스위스의 관련 연구기관 EPFL(École 홈페이지 www.ericsson.com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과 함께 설립 1876년, 스톡홀름 창립자 라르스 마그누스 에릭슨 5G 개발에 착수했다고 발표 업종 통신업

| 41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이니셔티브 ‘5G for Switzerland’는 스위스와 유럽 내 경쟁력을 갖추려는 Ericsson의 ‘5G for Europe’ 프로램의 일부이며, 스마트교통 및 가상현실(VR)을 포함한 여러 분야 와 관련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 할 것임. Swisscom은 2020년까지 상용 5G 기반 서비스 출시를 예상함. Swisscom은 새로운 5G 기술이 5Gbps혁신적인 데이터 처 리 수준과 5밀리 초(ms) 미만대의 대기시간으로 세계적인 솔루션을 제공 할 것이라고 보도

414 | 유럽Ⅰ 스위스

4. 디지털콘텐츠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7년 스위스 디지털콘텐츠 시장, 173억 4,500만 달러

브로드밴드 보급 확대에 따른 디지털 부문의 콘텐츠 수요가 증가하고, 모바일 인터넷 보 급률이 2012년 35%에서 2017년 77%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모바일 관련 콘텐츠 시장이 성장중임. 2017년까지 연평균 1.8% 성장한 173억 4,500만 달러의 시장 규모를 기록할 전망임 향후 콘텐츠 시장은 모바일 인터넷 시장의 성장세가 계속 이어지고 있고 전문정보 시장 이 안정화되어 지식정보 시장이 2017년까지 연평균 5.5%씩 성장하여 55억 2,500만 달 러로 확대될 전망임. 또한 자국의 발달된 디자인 산업에 힘입어 캐릭터, 게임, 애니메이 션 시장이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표 2.2 스위스 콘텐츠 시장규모 및 전망 추이 (단위: 백만 달러) 2012~2017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CAGR 출판 4,970 4,845 4,722 4,727 4,683 4,641 -1.4% 만화 176 171 169 167 165 164 -1.4% 음악 904 900 900 900 903 906 0.0% 게임 367 378 388 397 405 411 2.3% 영화 625 641 656 673 691 707 2.5% 애니메이션 111 115 119 123 127 132 3.5% 방송 3,888 3,947 3,999 4,045 4,097 4,130 1.2% 광고 4,749 4,724 4,772 4,833 4,909 4,994 1.0% 캐릭터・ 435 444 453 460 468 476 1.8% 라이선스 지식정보 4,226 4,540 4,833 5,055 5,277 5,525 5.5% 스 산술합계 20,451 20,705 21,061 21,380 21,725 22,086 1.6% 위 합계 15,840 16,158 16,495 16,760 17,033 17,345 1.8% 스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 41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디지털 음악

스위스의 디지털 음악 시장은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발달해 있으며, 오프라인 음악 시장 에 비해 시장 규모가 큼. Statista에 의하면, 스위스 디지털 음악부문의 매출은 2017년 5,4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이 중 특히 음악 다운로드 부문의 시장 규모는 2017년에 2,8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스위스의 주요 음악 스트리밍 사업자는 Spotify, Deezer, Qobuz 등으로 음악 산업이 안정적인 성장함에 따라 디지털 음악 시장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보임

디지털 미디어

시장 통계 서비스 Statista의 자료에 의하면 스위스의 디지털 미디어 시장매출은 2017 년 4억 1,600만 달러에 달함. 가장 시장 규모가 큰 영역은 비디오 게임영역으로 2017년 시장 규모는 1억 6,600만 달러에 해당함

2) 주요 기업 현황

2016년 Rakuten, getAbstract 통해 스위스 디지털콘텐츠시장 투자

일본 최대 온라인 쇼핑업체 Rakuten이 2016년 8월 getAbstract AG 디지털 콘텐츠의 세계적인 선도 기업인 getAbstract AG의 소수 지분을 인수하기로 합의함. 이 투자를 통해 getAbstract는 국제적인 확장을 위한 기반을 얻게 됨 홈페이지 www.getabstract.com getAbstract는 비즈니스 전문가가 보다 나은 의사 설립 1999, 스위스 루체른 Patrick Brigger, Thomas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선도적인 온라인 미디어 창립자 Bergen 회사로, 중요 비즈니스 지식을 전문적으로 압축하고, 업종 온라인 미디어 중요도가 낮은 지식 정보를 걸러 내는 중요한 큐레이 션 서비스를 제공함 getAbstract 요약 라이브러리에는 1만 4,000여 개의 비즈니스 서적과 기사, 비디오 회 담 및 경제 보고서가 포함됨. Fortune 선정 100대 기업 중 3 분의 1 이상이 getAbstract를 사용하여 직원들이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을 내리고 비즈니스 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지원함

416 | 유럽Ⅰ 스위스

5. 방송스마트미디어

1) 시장 동향 및 전망

방송

스위스 방송 시장은 지상파 TV, 케이블 TV로 구분됨. 지상파 TV 사업자는 공영 방송사 인 SRG SSR이 유일하며, 케이블 TV 사업자로는 upc Cablecom이 있음 지상파 TV 사업자인 SRG SSR은 제공 언어별로 RTS, SRF, RTR, RSI 4개의 자회사를 두어 자회사의 총 8개 채널을 통해서 방송 서비스를 하고 있음. RTS는 프랑스어, RSI는 이탈리아어, SRF는 독일어 전용 채널임 케이블 TV 시장에는 약 300개 이상의 케이블 TV 사업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 요 사업자로는 upc Cablecom이 있음. upc Cablecom은 스위스 전체 케이블 TV 시장 에서 약 5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미디어 시장조사기관인 Digitial TV Research에 따르면, 2016년 스위스의 TV 보유가 구 수는 412만 2,000가구로 전체 스위스 가구대비 TV보유가구는 98%에 해당함 2016년 기준 스위스의 유료 IPTV 가입 가구의 비율은 전체 TV보유가구의 33.7%로 3 가구 중 1가구에 해당하며,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2020년에 이르러서는 전체의 40%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표 2.3 스위스 유료 TV 방송 가입자 추이 (단위: 천 명)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위성 TV 7 8 8 8 8 8 케이블 TV 900 994 1,098 1,188 1,259 1,362 IPTV 608 829 1,034 1,192 1,306 1,390 출처: Digital TV Research(2017)

방송통신융합 스 위 먼저 스위스 IPTV 시장은 Swisscom, Sunrise 등의 통신 사업자, 케이블 사업자, 인터 스 넷 서비스 제공 사업자(ISP)를 중심으로 형성됨 연방통신위원회(ComCom)에 의하면, 2016년 모든 케이블 TV 사업자들의 디지털 TV 시장 점유는 아직 거의 60%에 해당함. 그러나 각 사업자로 보면 Swisscom이 2015년에 UPC를 능가하며 시장 점유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Swisscom은 2015년과 2016년 사

| 41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이 거의 11%의 성장을 보임. 또한 2012년에 시장진입한 Sunrise의 경우도 4%의 시장 점유를 차지하며 약 22% 성장률을 보임 반면 케이블 사업자들은 전체적으로 2016년에 8만명 이상의 고객이 감소되었는데 이는 3% 이상 감소한 것에 해당함. UPC는 약 5만명 이상의 고객이 감소하였으며 이는 거의 4% 감소하며 시장점유가 30.7%로 떨어짐. 반면 케이블 사업자 중 Quickline은 17,000 명의 고객을 얻으며 9.3%까지 증가된 시장점유를 보임 스위스 모바일 TV 시장은 이동통신 사업자 Swisscom, Sunrise, Orange Switzerland(Salt Mobile)를 중심으로 형성됨 모바일 TV 시장 선도 기업 Swisscom은 이용자들이 자사의 TV 서비스를 모바일 디바 이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Swisscom TV’를 제공하고 있음

표 2.4 Swisscom TV 2.0 plus 모바일 Swisscom TV 2.0 plus 모바일 특징 모바일 화면

‐ 170개 이상의 채널 ‐ 프로그램의 7일간 Replay 무제한 동시 녹화 ‐ 개인화 기반의 TV 가이드 서비스 ‐ Swisscom TV 2.0 plus의 원격 제어

출처: Swisscom

VOD 분야의 경우, 시장 조사 기관 Statista의 발표에 따르면 2017년 스위스의 동 분야 수익은 7,1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스위스의 VOD 분야는 연평균 성장률 14.2%로 계속 성장해, 2021년에는 총 VOD 시장의 규모가 1억 2,1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됨 한편 스위스 VOD 분야에서 가장 두드러진 항목은 Video Streaming(SVoD)이며, 2017년 SVoD 시장 규모는 5,2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됨

2) 주요 기업 현황

Swisscom, 2016년 디지털 TV 시장 점유율 1위

스위스의 주요 디지털TV 사업자로는 Swisscom, UPC 등이 있으며, 2016년 스위스 디 지털TV 1, 2위 사업자는 각각 Swisscom (36.3%)과 UPC(30.7%)이며, 두 기업이 2016년 기준 전체 디지털TV 시장의 60% 이상을 점유함

418 | 유럽Ⅰ 스위스

그림 2.7 스위스 디지털 TV 시장 점유율 (단위 : %)

출처 : ComCom annual report 2016

2016년 Swisscom, 스위스 최초 Ultra HD 서비스 도입

2016년 4월, IPTV 플랫폼 Swisscom TV가 스위스에서 처음으로 UHD를 시작한다고 밝힘. 이로 인해 공개 TV 채널인 SF zwei2016을 통해 유로 2016 축구 컵의 라이브 경 기를 UHD 수준으로 내보낼 수 있게 됨 UHD 채널을 즐기기 위해서는 새로운 UHD TV 셋탑박스와 40Mbps의 최소 인터넷 대 역폭이 필요함. 셋탑박스와 함께 UHD 품질의 영화 및 다큐멘터리가 포함된 VOD (video-on-demand) 섹션도 제공됨. 또한 곧 UHD에서 YouTube 콘텐츠를 스트리밍 할 수 있게 될 것이며 통합 VLC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자체 제작한 비디오를 초 고해 상도로 감상할 수 있음

그림 2.8 Swisscom의 UHD 전용 셋탑세트

스 위 스

출처: Swisscom

| 41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6. 정보보호

1) 시장 동향 및 전망

ITU 2017년 글로벌 사이버보안지수, 스위스 세계 31위

스위스는 ITU의 2017년 글로벌 사이버보안 지수(GCI) 순위 18위로서 선도국가에 해당함

스위스 정부, 정보보안 관심 증대

사이버 보안을 담당하는 기관은 연방국방부(DDPS), 연방외교부(FDFA, Federal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연방법무부(FDJP, Federal Department of Justice and Police) 등이 있음 사이버 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자국의 정보보안 기술 수준을 증진하기 위해 법체계를 재정 비하는 등 스위스 정부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 스위스 연방의회는 국가 사이버보안 전 략(National Strategy for Switzerland's Protection Against Cyber Risks)을 2012 년 6월에 통과시킴. 상기 전략은 사이버 공격 및 범죄에 대한 대처 방안과 관련 전략 등의 내용을 수록함. 연방의회는 모든 대책들이 2017년 말까지 이행될 것이라고 밝힘

스위스 인터넷 사용자 3명중 1명 보안소프트웨어 없거나 무시

스위스 통계청의 2017년 11월 자료에 의하면, 인터넷 사용자 중 3명중 1명은 보안 소프 트웨가 없거나 무시하고 있다고 답하였으며, 이러한 비율은 201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 고 있음. 이러한 증가는 걱정스러운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역설적으로 바이러스 때문에 인터넷 사용자가 직면한 보안 문제는 감소하였음 한편으로, 2010년 이후 사용자에 의한 보안 작업 위임이 증가하였는데, 2017년 응답자 의 12%는 보안 작업을 다른 구성원에 위임한 것으로 나타남

420 | 유럽Ⅰ 스위스

2) 주요 기업 현황

2016년 Sophos, MSP대상으로 간소화된 새 관리 플랫폼 출시

글로벌 보안 소프트웨어 회사인 Sophos는 관리 서 Sophos 비스 제공 업체(MSP)가 고객을 위한 보안 관리를 최 대한 단순화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새 플랫폼 및 파트 너 프로그램을 발표함 홈페이지 www.sophos.com 설립 영국 잉글랜드, 애빙던 Sophos MSP connect partner 프로그램은 소포스 업종 네트워크 보안 센트럴 (Sophos Central)이라는 중앙 집중화된 플 랫폼을 이용해 MSP가 모든 고객 엔드 포인트, 서버, 네트워크, 웹 및 이메일의 보안 솔루션을 관리 할 수 있도록 함 또한 Sophos측은 보안 하트 비트 (Security Heartbeat) 기술 도입을 통해 사건에 정보 를 공유하고 사건에 자동 대응함으로써 MSP가 세계 정상급 보안 관리 서비스를 보다 효 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고 밝힘

2015년 Kudelski Security, 스위스 사이버 퓨전 센터 오픈

2015년 1월 6일, 스위스 기반 ICT 기업 그룹인 Kudelski Group의 사이버 보안 담당 자 회사 Kudelski Security가 늘 차세대 Cyber Fusion Center 보안 운영 센터를 첫 운영함 사이버 퓨전 센터 (Cyber Fusion Center)는 사이버 위협 및 공격에 대한 연중 무휴로 강력한 보호를 원하는 기업에게 맞춤식 관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함. 전 세계적으로 20년 이상 Kudelski Group의 전문 기술 확보 사업을 활용하여 맞춤형 관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힘

Thales, 사이버 보안 프로그램에 스위스 스타트업체 2곳 선정

스위스 스타트업 정보 플랫폼(startuprticker.ch)의 2017년 10월 발표에 의하면, 프랑 스의 방산 및 보안 관련 다국적 기업인 Thales가 파리에 위치한 세계에서 가장 큰 스타 트업 캠퍼스인 STATION F에 6개월간의 사이버보안 프로그램에 조인할 9개의 스타트 스 업체를 선정함. 이중 스위스 스타트업은 2개로 암호화 분야 전문인 Inpher와 생체인식 위 기술 분야의 Biowatch임 스 Inpher는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과 기계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보안 및 유용성의 결합을 향상시킴 Biowatch는 정맥인식을 기반으로 현재의 인증방법의 대안 솔루션으로 웨어러블 생체 인식 기술을 개발함

| 42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7. 클라우드 컴퓨팅

1) 시장 동향 및 전망

프라이빗 클라우드 선호

스위스는 Cushman & Wakefield에 의해 발표된 2016년 데이터센터 위험지수 (Datacenter Risk Index)에서 데이터 센터 부지 기준 세계에서 3번째로 안전한 지역에 선정되었음 또한 많은 회사들이 스위스가 제공하는 이익으로 인해 호스팅 위치로 스위스를 채택함. 또한 데이터 프라이버시 및 보안 이슈에 대해서도 스위스는 낮은 환경적인 위험을 가진 정치적으로 안정된 나라이며 중립적인 나라임. 2015년 스위스에 1,400여개 이상의 데 이터 센터가 있으며,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특히 스위스 회사는 퍼블릭 및 하이브르드 클라우드 모델을 통해 비즈니스가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유지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호함

스위스 자국의 클라우드 사용으로 이동

스위스 클라우드 서비스의 정확한 시장 규모는 보고되지 않고 있으나, Experton Group이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152개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가 있는 것으로 밝 혀짐 스위스 클라우드 시장은 IBM, Virtual Network 등 글로벌 클라우드 전문 사업자와 Swisscom, Interoute Communications 등 통신 사업자를 중심으로 형성됨 IT 전문 저널 ICTSwitzerland에 의하면, 2013년 미국 NSA의 국가 감시 프로그램인 PRISM이 폭로된 이후 스위스 서비스 업계가 활황을 맞고 있음. 스위스의 개인정보보호 법과 데이터보호 규칙 덕분에 클라우드 제공 환경의 최적화가 이뤄지고 있으며,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자국 클라우드로의 이동도 증가 중임

422 | 유럽Ⅰ 스위스

2) 주요 기업 현황

Veem, Forbes 100대 클라우드 기업 중 27위

Forbes가 2017년 7월에 발표한 2017 세계 최고 프 Veem 라이빗 클라우드 100개 기업중 스위스 Baar에 기반 을 둔 Veem이 27위로 선정됨 Veem은 사고 발생시 중요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 홈페이지 veeam.com 록 회사를 도와줌. 이 회사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설립 2006, 스위스 Baar Andrei Baranov, Peter 클라우드에 저장된 앱과 데이터를 약 15분내에 다시 co-CEO McKay 업종 프라이빗 클라우드 갖고 올 수 있음. Veem은 현재 24만 2,000명 이상 의 고객과 협력함

스타트업 Procivis, 블록체인 기반 전자정부 플랫폼 출시

2017년 1월, 스위스 블록체인 스타트업 Procivis는 Procivis 자체적으로 개발한 전자정부 플랫폼(eGovernment -as-a-service)를 출시함. 동 플랫폼은 전자정부의 절 차 및 서비스 디지털화와 전 세계 온라인 공공 서비스 제공을 돕는 블록체인 기반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임 홈페이지 www.procivis.ch 설립 2016, 에스토니아 스위스의 베른(Bern)에서 개최된 Microsoft의 공공 창립자 nexussquared 대표 Daniel 부문 디지털화 행사에서 Procivis측은 전자정부 플 Grassinger 업종 클라우드 컴퓨팅 랫폼(eGovernment-as-a-service)를 시연함. 대표 적 프로그램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해 변조 방지 신 원을 제공하고, 이 신원을 이용해 스마트폰으로 투표하는 전자 투표 응용 프로그램임 전자 투표 이외에도 동 플랫폼은 세금 신고, 토지 등록 및 상업적 사업 등록과 같은 많은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가 만든 앱 스토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 었음. Procivis는 현재 플랫폼의 나머지 부분을 개발하기 위해 벤처 자금을 모으고 있다 고 밝힘 스 위 스

| 42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8. 사물인터넷

1) 시장 동향 및 전망

스위스 2019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59억 달러로 전망

시장 조사 기업인 IDC의 보고서에 따르면, 스위스의 2015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세계적 수준인 28억 달러로 추정됨. 이후 점차 성장하여 2019년에 이르러서는 110.7% 증가하여 59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그림 2.9 스위스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변동 전망 (단위 : 억 달러)

출처 : IDC

또 글로벌 컨설팅 전문기업 Accenture가 2일 발표한 ‘산업 IoT로 승리하는 법 (Winning with the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20 개국의 네트워크 수준, 금융 및 정부 정책, 연구개발(R&D), 테크놀로지 업체 및 기술 수 준 등을 기준으로 평가한 사물인터넷 구현 순위 2위에 스위스가 랭크되기도 함

스위스 스마트홈 시장, 2017년 매출 1억 8,600만 달러

시장조사기관 statista의 최근 자료에 의하면 스위스의 스마트홈 시장은 2017년에 1억 8,600만 달러에 달함 또한, 2017년~2022년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은 25.5%로, 2022년에는 매출이 5억 8 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스마트홈의 가구 보급률은 2017년 11.1%이며, 2022년까지 28%까지 전망됨. 또한 설 치된 스마트홈 당 평균 매출은 현재 152.56달러에 해당함

424 | 유럽Ⅰ 스위스

2) 주요 기업 현황

스위스 사물인터넷 시장은 Swisscom, Sunrise, Orange Switzerland 등의 통신 사업 자를 중심으로 형성됨

Swisscom, 스위스 최초 사물인터넷 전용 저전력 네트워크 설립

2016년 Swisscom은 소량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전기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설계된 저전력 네트워크를 설립할 것이라고 밝힘. Swisscom은 사물인터넷 전용 네트워크를 추 가로 설립한 스위스 최초의 공급 업체가 될 예정임 저전력 네트워크는 비면허 SRD 대역에서 작동하며 최대 0.5 와트의 정보를 전송하고, 2017년 3월까지 스위스 전역에서 이용가능하도록 확장할 예정임

스위스 기반 WISeKey, IoT플랫폼으로 중국IoT시장 진출

2017년 11월 제네바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정보보호기업 WISeKey사는 IoT 회사 HopeRun과 파트너를 맺고 Jiangu HopeRun Software사를 통해 중국 IoT시장에 WiseKeyIoT 플랫폼을 출시함 중국시장에 안전한 IoT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WISeKey의 IoT 보안 프레임워크인 WISeKeyIot를 HopeRun사의 임베디드 제품, 서비스, 솔루션과 결합함

IoT 스타트업 Loriot의 두드러진 성장

사물인터넷 전문 스타트업체인 Loriot은 2015년 설 Loriot 립이후 상당한 성장을 이루어왔으며, 현재는 100개국 6천명 이상의 고객에서 서비스를 제공함. 발렌시아, 부다페스트, 텔아비브에 사무소를 개소한 이후, 홈페이지 www.loriot.io Loriot은 현재 핵심비지니스와 고객 서비스를 확대하 설립 2015, 스위스 기 위해 스위스 Thalwil에 위치한 본사에 팀을 확장함 업종 LoRaWAN기술 중점 스 Loriot은 에너지 효율적이고 종합적인 통신 프로토 위 콜인 LoRaWAN기술에 주요 중점을 두고 있으며, Loriot의 제품은 은행 등급 보안으로 스 보호되는 플랫폼에 센서 데이터의 수집 및 전달을 용이하게 함. Loriot 자체에서 개발한 인프라에서 모든 종류의 IoT 사용 사례를 구현하기 위해 센서데이터를 사용하거나 분석 할 수 있음. IBM, Microsoft, Hewlett Packard, STM 및 기타 기술회사는 이미 Loriot 의 기술력을 활용하고 있음

| 42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9. IT스마트융합

1) 시장동향 및 전망

핀테크

시장조사기관 Statista의 2016년 발표에 따르면, 2017년도 스위스 핀테크 시장의 총 거 래액(Transaction Value)은 약 174억 7,4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됨. 핀테크 시 장의 총 거래액은 2021년까지 15.5%의 연평균 성장률로 증가하여 약 310억 6,900만 달러를 기록할 전망임 스위스 핀테크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디지털 결제’이며, 2017년 디 지털 결제는 약 171억 7,500만 달러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보임 개인 금융 분야의 경우, 2017년 2억 3,500만 달러 수준에 불과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2021년에는 22억 7,600만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기업 금융 분야는 2017년 6,300만 달러에서 2021년 8억 1,700만 달러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보임 또한 스위스의 핀테크 잠재적 소비자는 2015년 700만 명으로 나타났으며 2017년에는 730만 명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스마트 그리드

스위스는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소에서 벗어나기 위해 재생 에너지와 효율에 중점을 둔 전략 틀 안에서 스마트 그리드를 목표로 삼고 있음. 2015년 4월 연방 에너지 사무소 (SFOE)는 지능형 전력망을 명확하고 명확하게 정의하고 완료하기 위해 취할 단계를 제 시하는 ‘스마트 그리드 로드맵’을 발표함 2050년까지의 전략에 근거하여, 스위스 에너지 소비량은 2020년에 213TWh로 기준 연도 2000년 대비 16% 감소할 것임. 전력 소비량은 59TWh로 유지 되다가 2050년에 는 53TWh로 감소할 것임 또한 향후 5년 동안, 재생 가능 에너지와 효율에 대한 인센티브 메커니즘은 점차적으로 CO2에 대한 세금과 전력에 대한 세금을 포함하는 ‘소비자 안내 시스템’으로 대체 될 것임

426 | 유럽Ⅰ 스위스

2) 주요 기업 현황

Xapo, 2017 글로벌 핀테크 기업 34위

스위스의 핀테크 기업 Xapo는 KPMG의 2017 글로 Xapo 벌 핀테크 기업 100에서 34순위로, Xapo는 사용자 가 비트코인을 구입, 교환, 관리, 저장, 배포할 수 있

도록 함 홈페이지 www.xapo.com 제품 Xapo Wallet은 일일지출을 관리, 유지하는 방 CEO Wences Casares 설립 2014, 스위스 법이며, Xapo Vault는 모든 저장된 비트코인을 안 업종 디지털 화폐(비트코인) 전하게 보관함. 이것은 Xapo Wallet이 무료 수수 료, 국경간 출입, 시의 적절성을 가지며, 직접적으로 세계최초의 비트코인 직불카드인 Xapo 직불카드에 직접 연결 될 수 있기 때문에 대상 그룹에게는 매력적임. 저장된 데이터는 외부 드라이브 및 용지와 함께 보안, 암호화, 분 리, 백업된 상태로 유지됨

스타트업 Veezoo AI기술로 금융데이터 분석 Veezoo

취리히에 위치한 스위스 기반 스타트업 Veezoo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하여 금융회사가 그들의 재무 데이터를 연구하고 최상의 데이터 시각화를 찾 홈페이지 www.veezoo.com CEO Marcos Monteiro 아 복잡한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함 설립 2015, 스위스 업종 AI기술 금융데이터분석 NVIDIA, 스위스 AI 연구소와 연구 협력 진행

컴퓨터용 그래픽 처리 장치와 멀티미디어 장치를 개발, 제조하는 글로벌 기업 NVIDIA 는 스위스의 인공지능 연구소인 Dalle Molle Institute for Artificial Intelligence와 독일의 인공지능 연구소인 DFKI와 함께 인공지능분야 협력연구를 진행한다고 밝힘 스위스의 인공지능 연구소 Dalle Molle Institute for Artificial Intelligence와 독일의 인공지능 연구소 DFKI는 딥 러닝 분야에 있어서 유럽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기관임. 스 위 NVIDIA는 자사의 제품인 DGX-1 AI 슈퍼컴퓨터를 지원할 예정임 스

| 42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Stratasys, 스위스 ETH 취리히에 3D프린터 공급

2015년 글로벌 3D 프린터 업체 Stratasys는 스위스 취리히에 위치한 스위스 기술 연구 소 ETH 취리히에 3D프린터를 공급하기로 함. Stratasys는 전문가용 제품인 uPrint SE Plus를 공급할 예정이며 공급한 3D프린터는 연구소의n학생들이 기술 디자인, CAD에 대해 연구할 때 사용될 예정임

428 | 유럽Ⅰ 스위스

10. 전파위성

1) 시장동향 및 전망

연방통신국(OFCOM), 주파수 관리 담당

스위스의 통신과 방송 관련 전파관리 체계는 환경・교통・에너지 및 통신부(DETEC)와 연 방통신위원회(ComCom)가 담당함 연방통신위원회(ComCom)는 주파수 라이선스 발급, 보편적 서비스의 라이선스 발급, 시장 경쟁 촉진, 통신번호 할당 계획 승인 등의 역할을 수행함. 환경・교통・에너지 및 통 신부(DETEC) 산하 연방통신국(OFCOM)은 정보통신 관련 규제를 담당하며 주파수 계 획, 통신 번호 할당, 통신 부문 정책 수립 및 시행 등을 진행함

스위스 위성 TV, 독자적 플랫폼 없어 독일·이탈리아 위성 이용

스위스에는 위성 TV를 제공하는 독자적인 플랫폼 사업자가 없으며, 대신 인접국가인 독 일의 Sky Deutschland, Canal Sat 및 이탈리아의 등의 플랫폼을 이용함. 산악지형 등 지리적 특성으로 지상파와 케이블 TV 접근성의 한계가 아직 남아있기 때문 에 향후 자국의 위성 TV 플랫폼 사업자가 서비스를 개시할 경우 그 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됨

Swisscom, 네덜란드 위성 업체 SES와 계약

2014년 10월, 스위스의 네트워크 사업자인 Swisscom이 네덜란드 위성 업체 SES의 Astra Connec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SES와 계약을 맺었다고 밝힘 Astra Connect 서비스는 SES Techcom Services가 위성을 통해 제공하는 브로드밴드 연결망임. 서비스에 사용되는 위성은 ASTRA 2E이며, Ka 밴드 용량을 사용하고 오지 포함 어디서나 위성신호를 받을 수 있으므로 지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음. 최고 다운로드 속도는 20 Mbit/s, 최고 업로드 속도는 2 Mbit/s 정도임 스 위 스

| 42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2.10 ASTRA 2E 커버리지 맵

출처: SES Techcom Services

430 | 유럽Ⅰ 스위스

11. 디바이스

1) 시장동향 및 전망

스위스 모바일 시장, iOS와 Android가 98% 이상 점령

Statcounter에 의하면 스위스의 2017년 11월 기준 모바일 운영체제 시장점유율은 iOS와 안드로이드가 각각 54.22%, 44.36%로 전체 모바일 운영체제 시장의 98.58%를 차지함

그림 2.11 스위스 모바일 운영체제 시장 점유율(2017년 12월)

출처: StatCounter(2017)

스위스 커넥티드 하드웨어 시장 지속적으로 성장

Statista의 자료에 의하면,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인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로 대표되는 커넥티드 하드웨어 시장은 스위스 내에서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임 2017년 스위스 커넥티드 하드웨어 시장은 3억 2,300만 달러 규모일 것으로 전망됨. 이 는 27.5%의 연평균 성장률로 꾸준히 상승하여 2021년에는 8억 5,200만 달러 수준까지 스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위 스 특히 커넥티드 하드웨어 시장에서 커넥티드 카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여, 보급률이 2017년 8.4%에서 2021년에 이르러서는 35.4%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 43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Ⅲ • • 유망제품 진출전략

Overview

유망품목 도출

유망품목 선정 - ‘IT스마트융합’

‐ 선정 사유 1. 스위스 인구 고령화 가속화 전망  스위스의 65세 이상 인구 2045년 279만 명까지 증가 예상 ‐ 선정 사유 2. 스위스, AAL 프로그램 적극 지원  스위스 연방정부는 AAL 프로그램을 적극 지원하여 노인의 독립적인 생활을 장려하고 가족 및 간병인의 부담을 덜어주고자 함 ‐ 선정 사유 3. 스위스 정부, 헬스케어에 2020년까지 7억 유로 투자  스위스 정부는 바이오제약 산업 육성을 위해 헬스케어 부문에 2020년까지 7억 유로 투자할 전망

유망제품 선정

‐ 재활 로봇  가정 내에서 환자의 생체 및 질병 정보를 수집하여 의료 기관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의료진이 데이터를 바탕 으로 진단 및 조치를 취함 ‐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 가정 내에서 환자의 생체 및 질병 정보를 수집하여 의료 기관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의료진이 데이터를 바탕 으로 진단 및 조치를 취함 ‐ 위치 추적 시스템  고령자가 위급한 상황에 놓였을 경우,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경비원 혹은 병원에 호출할 수 있도록 지원함

유망제품 유통구조 현지 진출 기업 사례

수출기업

하드웨어 의료기기 SI업체 제조업체 수입업체 ‐ 한국-스위스, 헬스케어 협력 강화 ‐ 한국-스위스 스마트 헬스케어 협력 MOU 최종수요처(병원, 재활 기관, 일반소비자 등) 체결

‐ 하드웨어 제조업체, 의료기기 수입업체, SI업체를 통해 의료 기기 및 시스템을 수출할 수 있음 ‐ 최종 수요처는 병원, 재활기관과 일반 소비자가 있으며, 특히 노인의 수요가 높을 것으로 보임

유망제품 홍보 방법

‐ 스위스 취리히 의료기기 박람회 ‐ 2019 스위스 바젤 제약‧화학‧생명공학 산업 전시회 참가

432 | 유럽Ⅰ 스위스

1. 유망품목 도출

선정 사유 1. 스위스 인구 고령화 가속화 전망

스위스 연방 통계청(FSO, Federal Statistical Office)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5 년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17.9%로 약 150만 명이며, 2030년에 220만 명, 2045년에는 270만 명까지 증가할 전망임. 또한, 2060년에는 80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 체 인구의 11%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봄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반면, 노인 부양 인구는 점점 감소하고 있어 스위스 정부는 헬 스케어 산업 발전 및 보험을 통해 노인 고령화에 대비하고자 함

선정 사유 2. 스위스, AAL 프로그램 적극 지원

스위스 연방정부는 2008년부터 관리가 필요한 노인들이 자가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함으 로써 가족 또는 간병인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AAL 프로그램을 적극 지원하고 있음 스위스 연방교육혁신청에 따르면, 현재까지 스위스의 대학을 포함한 연구기관(39%), 중 소기업(39%), 최종 사용 단체(21%), 대기업(1%)에서 AAL 프로그램에 활발히 참여중임. 2008~2015년 사이 스위스에서 참여한 프로젝트 건수는 70 여 건으로 전체 유럽 21개 참여국 중 4위를 기록함

선정 사유 3. 스위스 정부, 헬스케어에 2020년까지 7억 유로 투자

스위스는 자국 대표 제약기업인 Novartis 및 Roche를 필두로 2015년 기준 세계 제약 시장 12%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제약산업 및 스마트 헬스케어 강국임. 여기에 스위스 정 부의 바이오제약산업 R&D에 대한 공격적인 지원에 힘입어 동 분야는 스위스에서 가장 큰 성장을 보이고 있는 산업 중 하나임 당국은 2020년까지 스위스 연방 정부와 EU를 통해 스마트케어 분야에 7억 유로(약 7억 4,200만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혀 앞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됨 스 위 스

| 43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유망제품 선정

재활 로봇

➀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노인부양부담 증가 및 노인 케어 인력 부족 등 사회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재활 로봇이 주목받고 있음 ➁ 재활 로봇은 병원 및 재활 기관에서 사용되며, 사람 대신 환자의 재활을 도와줌 [ 재활 로봇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➀ 이동이 불편한 고령 환자를 위한 시스템임 ➁ 가정 내에서 환자의 생체 및 질병 정보를 수집하여 의료 기관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의료진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단 및 조치를 취함 [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위치 추적 시스템

➀ 혼자 사는 독거 노인에게 필요한 위치 추적 시스템임 ➁ 고령자가 위급한 상황에 놓였을 경우,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경비원 혹은 병원에 호출할 수 있도록 지원함

[ 위치 추적 시스템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434 | 유럽Ⅰ 스위스

3. 유망제품 유통구조

스위스에 의료 기기 및 시스템을 수출할 수 있는 경로는 크게 하드웨어 제조업체, 의료기 기 수입업체, SI업체 3가지로 구분됨 하드웨어 제조업체는 의료기기 하드웨어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현지업체로, 국내 의료 소프트웨어만 전문적으로 개발한 업체는 현지 하드웨어 제조업체와 파트너쉽을 맺어 자 사의 시스템 및 솔루션을 하드웨어 제조업체에 납품하여 의료기기 하드웨어에 의료 시스 템을 내장시킬 수 있음 의료기기 수입업체는 해외로부터 의료기기를 수입하는 업체로, 재활 로봇, 의료용 스마 트 디바이스 등 다양한 제품군을 수입 및 유통하고 있음. 국내 하드웨어의 경우 기술력은 높지만 스위스보다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품질 대비 저렴한 가격대를 강조하여 홍보하 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음 SI업체는 소프트웨어 전문 유통업체로, 현지 SI업체와 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의료 시스 템 및 솔루션을 납품하여 현지 시장에 진출함 의료 기기 및 시스템의 최종 수요처는 병원, 재활 기관, 일반 소비자가 있으며, 일반 소비 자의 경우 노인의 수요가 높을 것으로 보임

그림 3.1 스위스 의료 시스템 유통 구조

수출기업

하드웨어 의료기기 SI업체 제조업체 수입업체

최종수요처(병원, 재활 기관, 일반소비자 등)

스 위 스

| 43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피플앤테크놀러지, 인도어플러스 솔루션 스위스 고급요양원확산(2017.4)

㈜피플앤테크놀러지의 인도어플러스솔루션(IndoorPlus+Real time location and smart sensing)이 스위스 시온 위치한 고급 요양원인 EMS Gravelone에 전층 확산이 결정되어 2017년 4월 11일부터 배치하기로 결정됨

한국-스위스, 헬스케어 협력 강화

지난 2016년 7월, 한국 보건복지부와 스위스 정부는 양국 간 ICT 헬스케어 협력을 강화 할 것이라고 밝힘 요한 슈나이더 암만(Johann Niklaus Schneider-Ammann) 스위스 대통령은 ‘제3회 한‧스위스 생명과학 심포지엄’에 직접 참석하였으며, 암만 대통령은 한국의 우수한 ICT 기술을 헬스케어 부문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발표함.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 역시 스위스와 보건의료 이니셔티브를 구성하여 민관 협력을 확대하고, 보건의료 협력 방안을 모색해나갈 것이라고 함

그림 3.2 한국-스위스 헬스케어 협력

출처: 아주경제

436 | 유럽Ⅰ 스위스

한국-스위스 스마트 헬스케어 협력 MOU 체결

박근혜 대통령과 암만 대통령은 지난 2016년 7월, 정상회담을 개최하였으며, 양국간 ICT, 보건의료 분야에 대한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함. 특히 바이오 헬스 강국인 스위스 와 보건의료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여 양국간 의료기기 개발 및 기술 사업화를 강 화하기로 함 또한, 연세대와 스위스 바젤대는 신약 개발 및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두뇌교류에 서로 합의하여 민간협력도 확대해나갈 방침임

스 위 스

| 43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스위스 의료기기 및 보건 산업 관련 전시회 참가

스위스의 의료기기 및 보건 산업 관련 전시회는 총 2건으로 ‘스위스 취리히 의료기기 박 람회’와 ‘2019 스위스 바젤 제약‧화학‧생명공학 산업 전시회’임. 두 전시회 모두 2년마다 개최되어 각각 2018년, 2019년도에 진행될 예정임 스위스 취리히 의료기기 박람회는 1948년부터 개최된 역사가 깊은 스위스의 대표적인 박람회이며, 한 달 동안 진행됨. 우리나라를 제외한 8개국에 한정되어 박람회가 운영되 기 때문에 현지 파트너사를 발굴하여 해당 박람회에 참석할 수 있음 2019 스위스 바젤 제약‧화학‧생명공학 산업 전시회는 바이오 산업에 특화된 것으로 스위스 취 리히 의료기기 박람회보다 다양한 국가가 참가하지만, 규모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편임

표 3.1 스위스 취리히 의료기기 박람회 명칭 스위스 취리히 의료기기 박람회 스위스 취리히 의료기기 박람회 정보 일시 2018년 10월 1일~31일 (1개월 간) Organizer : 산업분야 의료기기, 약품, 위생, 건강, 복지, 실버산업 등 Exhibit & More AG, 최초개최연도 1948년 Mr. Heinz Salzgeber 참가국 수 8개국 ADDRESS : Bruggacherstrasse 26, CH-8117 주요참가국 스위스, 독일, 프랑스, 미국, 일본, 오스트리아 등 Faellanden, Switzerland 전년도 449개 TEL : 41 44 806 3377 참가 업체수 E-MAIL : [email protected] 전년도 Website : www.ifas-messe.ch 약 25,000명 참관객수 출처 : 스위스 취리히 의료기기 박람회

표 3.2 2019 스위스 바젤 제약‧화학‧생명공학 산업 전시회 명칭 2019 스위스 바젤 제약‧화학‧생명공학 산업 전시회 2019 스위스 바젤 제약‧화학‧생명공학 산업 전시회 정보 일시 2019년 9월 24일~27일 (3일 간)

산업분야 의료기기, 약품, 위생, 환경, 생태, 화학 Organizer : 최초개최연도 1995년 MCH Swiss Exhibition (Basel)AG, 참가국 수 15개국 Mr. Dominique Farner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벨기에, 오스트리아, ADDRESS : 주요참가국 MCH Swiss Exhibition (Basel)AG 4005 미국 등 Basel,Schweiz 전년도 398개 TEL : 41 058 200 20 20 참가 업체수 E-MAIL : [email protected] 전년도 약 17,000명 Website : www.ilmac.ch 참관객수 출처 : 2019 스위스 바젤 제약‧화학‧생명공학 산업 전시회

438 | 스페인 SPAIN

Ⅰ.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 440 1. 정책 및 규제 기관 2. 정책 및 규제 3. 산업구조 및 특징 4. 산업 주요 이슈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Ⅱ.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458 1. 소프트웨어 2. 인터넷서비스 3. 통신 4. 디지털콘텐츠 5. 방송스마트미디어 6. 정보보호 7. 클라우드 컴퓨팅 8. 사물인터넷 9. IT스마트융합 10. 전파위성 11. 디바이스

Ⅲ. 유망제품 진출전략 ・ 498 1. 유망품목 도출 2. 유망제품 선정 3. 유망제품 유통구조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Ⅰ • • 정보통신방송 산업 동향

Overview

정보통신방송 주요 기관

에너지디지털관광부(Ministry of Energy, Tourism and the Digital Agenda)

‐ 스페인 에너지관광디지털부는 스페인의 정보통신(ICT)·방송 정책을 총괄하는 부서로 12개 정부부 역할 처 가운데 하나이며, 에너지, 정보사회 및 디지털 어젠다, 중소기업, 관광 분야와 관련된 정책 입안 및 수행 담당함

에너지관광디지털부 장관 Mr. Alvaro Nadal Belda 내각장관 Mrs. Raquel Gonzalez Pena 기술부 에너지부 국무장관 Mr. Daniel Navia Simon 프로그램 조정 및 실행

정보사회 및 디지털어젠다 국무장관 정보사회서비스 이동통신 규제 조직도 Mr. Jose Mana Lassalle Ruiz 관광부 국무장관 정보사회 콘텐츠 네트워킹 및 이동통신 사업자 Mrs. Matilde Pastora Asian Gonzalez 이동통신 및 기술총국 주파수 계획 및 관리 에너지관광디지털국 Mr. Pablo Garcia-Manzano Jimenez de Andrade 이동통신 조사

이동통신 고객 관리

국가시장경쟁위원회(CNMC, The National Commission for Markets and Competition)

‐ 스페인 중앙 정부가 아닌 의회 소속의 독립 시장 규제 기관으로 스페인의 전기, 천연자원, 정보 역할 통신(ICT), 미디어, 교통·우정 부문 등 전 방위 생산 부문에 걸쳐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 구현 을 위한 시장의 연구·분석 및 규제를 담당함

위원장 이사회

부위원장 이사회비서실 법률자문실

조직도 총비서실 경쟁 촉진부 내부규제부 경쟁국 에너지국 통신/미디어국 교통/우정국 ▪인적자원/경제 ▪연구국 ▪산업에너지국 ▪전기에너지국 ▪전자통신규제국 ▪항공운임규제국 문화자원 관리국 ▪공공자원/규제 ▪정보사회국 ▪천연가스국 ▪저자통신시장분 ▪도로교통국 ▪통계/문서관리국 안보국 ▪서비스국 ▪가격정책/경제 ▪석국 ▪우정산업국 ▪ICT 시스템국 ▪경제분석국 ▪노동조합국 금융규제국 ▪전자통신기술국 ▪시장분석국 ▪감사국 ▪에너지시장국 ▪미디어국

440 | 유럽Ⅰ 스페인

정보통신방송 주요 정책

스페인 디지털 전환 계획(Digital Transformation Plan)

‐ 2015-2020년에 걸쳐 내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스페인 행정의 생산성 및 효율성 증가, 일반 행정의 디지털 전 환 심화, ICT 서비스 제공 시 효율성 제고, 지식, 데이터, 정보 등 스마트 기업관리 실행, 기업 보안 및 e-서비스 전략 개발이라는 5대 핵심목표 설정함

스페인 디지털 어젠다(Spain Digital Agenda)

‐ 스페인 경제 부흥 및 디지털 사회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로 초고속 인터넷망 구축, 새로운 통신법(Ley General de Telecomunicaciones) 제정, 디지털 콘텐츠 개발, 저작권법(Ley de Propiedad Intelectual) 연 구, 전자행정 ‐ (e-Administration) 강화, 디지털 어젠다 모니터링이라는 핵심 6대 목표 설정함

한국과의 협력 현황

‐ 한-스페인 과학기술 협력 채널 마련(2017.10) 정부 ‐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의원 및 LH관계자 스페인 스마트 도시 견학(2017.11) ‐ 한-스페인 ICT신기술분야 협력 MOU 체결(2017.03) ‐ 한국 ICT기업들, 스페인 MWC2017에서 ‘사회공유가치창출’기술 선보여(2017.02) ‐ 삼성전자, 스페인 기업과 난독증 진단 앱 개발(2016.12) 기업 ‐ ㈜스마트박스-스페인 Xtem社, IoT 택배 및 체크인 서비스 공급 계약 체결 (2016.10)

스 페 인

| 44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 정책 및 규제 기관

에너지관광디지털부(Ministry of Energy, Tourism and the Digital Agenda)

스페인 에너지관광디지털부 국무장관 스페인 에너지관광디지털부는 스페인의 정보통신 프로필 (ICT)·방송 정책을 총괄하는 부서로 12개 정부부처

성명 José María 가운데 하나임 Lassalle Ruiz 1931년 농업무역산업부가 설립된 이후 총 12번의 직급 국무장관 개편을 거쳐 2011년 산업에너지관광부가 출범했으 주요경력 며, 6년 만에 2017년 1월 19일 부로 현행 에너지관 정보사회 및 디지털어젠다 광디지털부가 새로 출범함 2016.12~현재 국무장관 2011.12~2016.11 문화부 국무장관 에너지관광디지털부는 에너지, 정보사회 및 디지털 칸타브리아(Cantaria) 2004~2012 부국장 어젠다, 중소기업, 관광 분야와 관련된 정책 입안 및 레이 후안 카를로스 2008~2011 (Rey Juan Carlos) 수행 담당함 대학교 법철학과 교수 레이 후안 카를로스 에너지관광디지털부는 크게 에너지, 정보사회 및 디 2006~2008 (Rey Juan Carlos) 대학교 이념사학 교수 지털어젠다, 관광 3개 부서와 에너지관광디지털국으 산파블로(San Pablo- 로 구성됨. 정보사회 및 디지털어젠다부는 다시 5개 2003~2006 CEU) 대학교 비교정치체제 교수 의 부서로 이루어져 있음 외교부 산하 2003~2004 캐롤라이나 재단 (Carolina Foundation) 이자벨 메이저 2002~2003 (Isabel Major) 대학 부회장

그림 1.1 스페인 에너지관광디지털부 조직도

에너지관광디지털부 장관 Mr. Alvaro Nadal Belda 내각장관 Mrs. Raquel Gonzalez Pena 기술부 에너지부 국무장관 Mr. Daniel Navia Simon 프로그램 조정 및 실행

정보사회 및 디지털아젠다 국무장관 정보사회서비스 이동통신 규제 Mr. Jose Mana Lassalle Ruiz 관광부 국무장관 정보사회 콘텐츠 네트워킹 및 이동통신 사업자 Mrs. Matilde Pastora Asian Gonzalez 이동통신 및 기술총국 주파수 계획 및 관리 에너지관광디지털국 Mr. Pablo Garcia-Manzano Jimenez de Andrade 이동통신 조사

이동통신 고객 관리

출처 : 스페인 에너지관광디지털부 홈페이지(www.minetad.gob.es)

442 | 유럽Ⅰ 스페인

국가시장경쟁위원회(CNMC, The National Commission for Markets and Competition)

국가시장경쟁위원회(CNMC)는 스페인 전 산업 분야의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 성하기 위해 설립된 시장 규제 기관임 국가시장경쟁위원회(CNMC)는 국가시장경쟁위원회 설립을 승인하는 법령 제3호(Ley 3/2013)에 의거하여 2013년 10월 7일 설립됨 국가시장경쟁위원회(CNMC)는 기존의 각 산업 분야 규제 기구들인 국가경쟁위원회 (CNC), 국가에너지위원회(CNE), 항공 도로교통규제위원회(CRFA), 국가우정산업위원회 (CNSP), 국가 통신시장위원회(CMT)의 기능과 역할을 모두 취합한 포괄적 규제 기구임 스페인 중앙 정부가 아닌 의회 소속의 독립 시장 규제 기관으로 스페인의 전기, 천연자 원, 정보통신(ICT), 미디어, 교통·우정 부문 등 전 방위 생산 부문에 걸쳐 공정하고 자유 로운 경쟁 구현을 위한 시장의 연구·분석 및 규제를 담당함 국가시장경쟁위원회(CNMC)는 2개 부서와 6개국으로 구성됨

그림 1.2 스페인 국가시장경쟁위원회(CNMC) 조직도

위원장 이사회

부위원장 이사회비서실

법률자문실

총비서실 경쟁 촉진부 내부규제부 경쟁국 에너지국 통신/미디어국 교통/우정국 ▪인적자원/경제 ▪연구국 ▪산업에너지국 ▪전기에너지국 ▪전자통신규제국 ▪항공운임규제국 문화자원 관리국 ▪공공자원/규제 ▪정보사회국 ▪천연가스국 ▪저자통신시장분 ▪도로교통국 ▪통계/문서관리국 안보국 ▪서비스국 ▪가격정책/경제 ▪석국 ▪우정산업국 ▪ICT 시스템국 ▪경제분석국 ▪노동조합국 금융규제국 ▪전자통신기술국 ▪시장분석국 ▪감사국 ▪에너지시장국 ▪미디어국

출처 : 스페인 국가시장경쟁위원회 홈페이지(www.cnmc.es)

스 페 인

| 44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정책 및 규제

1) 정책

스페인 디지털 전환 계획(Digital Transformation Plan)

2015년 10월, 스페인 재정부, 행정부 및 前산업에너지관광부(現 에너지관광디지털부)는 ‘공공기관 및 일반 행정을 위한 디지털 전환 계획(Digital Transformation Plan for the General Administration and Public Agencies)’을 발표함 해당 전략은 2015-2020년 기간 동안 달성하고자 하며, 5대 전략적 목표는 다음과 같음

표 1.1 스페인 디지털 전환 계획 주요 5대 전략 목표 전략 목표

내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스페인 행정의 생산성 및 효율성 증가 일반 행정의 디지털 전환 심화 ICT 서비스 제공 시 효율성 제고 지식, 데이터, 정보 등 스마트 기업관리 실행 기업 보안 및 e-서비스 전략 개발 출처 : 스페인 에너지관광디지털부 홈페이지(www.minetad.gob.es)

행정 부문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14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 음과 같음

표 1.2 14가지 주요 제공 서비스 주요 서비스 내용

통합형 이동통신 서비스 공고 내용 관리 관리형 보안 서비스 급여 관리 ICT 인프라 호스팅 서비스 통합형 인적자원관리 서비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서비스(SARA 클라우드) 경제·제정 관리 서비스 통합형 이메일 서비스 전자서명 생성 및 검증 서비스 멀티채널 시민 서비스 전자 문서 및 전자 파일 관리 서비스 레지스트리 서비스 관리 전자 아카이브 서비스 출처 : 스페인 에너지관광디지털부 홈페이지(www.minetad.gob.es)

444 | 유럽Ⅰ 스페인

스페인 디지털 어젠다(Spain Digital Agenda)

2013년 2월, 現에너지관광디지털부(前산업에너지관광부)는 정부의 ‘스페인 디지털 어 젠다(Spain Digital Agenda)’를 발표함 스페인 디지털 어젠다는 향후 2년에 걸쳐 약 31억 7,400만 유로(약 34억 712만 달러) 의 수익을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되며, 스페인 경제 부흥 및 디지털 사회 구축을 위한 구 체적인 목표를 제시함 또한, 2020년까지 브로드밴드 구축을 통한 디지털 경제 성장을 천명할 유럽 디지털 어 젠다(Digital Agenda for Europe)의 목표에도 부응할 것으로 기대됨 스페인 디지털 어젠다의 목표 중 하나인 ‘디지털 경제(Digital Economy)’구현을 통해 장기적으로 800억 유로(약 858억 달러)의 경기 부양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함 이와 함께 3만 개 기업에서 44만 5,000명의 일자리 창출로 스페인 GDP의 5.7% 기여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함 스페인 디지털 어젠다는 106개의 실행 계획과 6대 주요 전략 목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6대 주요 전략 목표는 다음과 같음

표 1.3 디지털 어젠다 6대 주요 전략 목표 전략 목표 내용

‐ 유럽 디지털 어젠다 제시 목표와 동일한 전 국민 30Mbps 이상의 초고속 인터 초고속 인터넷망 구축 넷 접속 커버리지 확보 새로운 통신법(Ley General de ‐ 보다 자유롭고 경쟁력을 갖춘 효율적 통신 시장 촉진을 위해 행정 절차상의 장 Telecomunicaciones) 제정 벽 제거 ‐ 저작권법 간소화를 포함해 교육적 요소, R&D, 공공 민간 부문 간 협력 등을 감 디지털 콘텐츠 개발 안한 종합적 계획 제안 저작권법(Ley de Propiedad ‐ 인터넷의 글로벌 속성과 디지털 단일 시장 이행 필요성을 고려한 저작권법 연 Intelectual) 연구 구 시행 전자행정 ‐ 전자서명 등 디지털 서비스 이용 촉진, 전자상거래 기회 극대화, 온라인 신뢰 (e-Administration) 강화 및 안전 보장 ‐ The National Observatory of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디지털 어젠다 모니터링 Society(ONTSI)를 통해 스페인 디지털 어젠다의 각 목표를 분석하여 정기적 으로 준수 여부를 모니터링 출처 : 스페인 에너지관광디지털부 홈페이지(www.minetad.gob.es)

스 페 인

| 44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스페인 디지털 어젠다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음

표 1.4 디지털 어젠다 세부사항 내용 세부 사항

‐ 신규 일반 통신법 초안과 그 이후의 규정 개발 통신 및 초고속 네트워크 계획 ‐ 초고속 네트워크의 국가 전략 ‐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한 계획 ‐ 정보통신(ICT) 사용 촉진을 위한 포괄적인 프로그램 구축 중소기업과 전자상거래를 위한 ‐ 전자상거래 촉진을 위한 프로그램 구축 정보통신(ICT) 계획 ‐ 전자결제 승인 프로그램 구축 ‐ 정보통신(ICT) 관련 훈련 및 교육 과정 구축 ‐ 스페인어 디지털콘텐츠의 수출 및 국제화 디지털 콘텐츠 산업을 위한 ‐ 공공 부문의 정보 재사용 종합적인 계획 ‐ 디지털 콘텐츠 관련 연구 개발 ‐ 디지털 콘텐츠 관련 교육 및 교육과정 구축 ‐ 혁신적 기술 발달 프로그램 개발 기술 사업자를 위한 국제화 계획 ‐ 기술 사업자를 위한 국제화 추진 ‐ 인식 제고 조치 또는 지속적인 논의 ‐ 국민과 기업에 초점을 맞춘 공공 서비스로의 이동 ‐ 국민과 기업에 의한 공공 전자 서비스 사용 확대 중앙 정부 전자 관리 계획 ‐ 신규 전자 행정 모델 구축 ‐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 확대 ‐ 사회 복지와 건강 관련 프로그램 구축 디지털 공공 서비스 계획 ‐ 디지털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구축 ‐ 디지털 행정을 위한 프로그램 구축 ‐ 신뢰 서비스 시장 개발 ‐ 고문기관으로의 국가통신기술연구소(INTECO) 지원 ‐ 기업과 행정 기관들의 긍정적인 사례 채용 디지털 부문에서의 신뢰 구축 계획 ‐ 사용자와 소비자의 문화 인식 및 교육 ‐ 정보통신(ICT)의 신뢰를 위한 개발 및 연구 ‐ 전문가 교육 ‐ 비즈니스 연구 및 개발 프로그램 구축 ‐ 수요 지향적 연구 개발 활동 촉진을 위한 프로그램 구축 ‐ 필수 지원 기술 관련 프로그램 구축 정보통신(ICT)의 개발 계획 ‐ 벤처 캐피탈 투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구축 ‐ 연구 개발 운영 시스템 탑재 ‐ 스마트 그리드와 스마트 시티를 위한 프로그램 구축 ‐ 미래 산업을 위한 교육 조정 출처 : 스페인 에너지관광디지털부 홈페이지(www.minetad.gob.es)

446 | 유럽Ⅰ 스페인

2) 규제

통신법

스페인은 1987년 통신법(Ley de Ordenación de Telecomunicaciones, LOT)을 최 초로 제정했으며, 1992년 통신 시장에 대한 규정과 통신 자유화를 위한 유럽집행위원회 (EC)의 권고안을 수용한 자유화 정책을 기반으로 개정함. 통신법(LOT)은 음성전화・전 신 서비스 등 기본서비스(Beater Services)에 대한 Telefónica의 독점권을 인정하면서, 유럽집행위원회(EC)에서 요구하는 통신시장 자유화를 위해 시외・국제전화서비스 2위 사업자인 Retevisión에 대한 사업권 부여를 골자로 함 스페인 국회에서 1997년과 1998년에 제정된 통신개방법과 일반통신법(Ley General de Telecomunicaciones)은 스페인 통신 시장의 자유화를 위한 법률적 기반을 제공함. 통신개방법을 통해서 1996년 통신시장위원회(CMT)가 설립되고, 1998년 제2의 통신 사업자인 Retevisión이 설립되면서 시외・국제 음성전화 서비스 제공이 시작됨 스페인 정부는 1995년 Telefónica의 보유 지분을 21%로 줄이고 1997년 잔여 지분을 대부분 매각해 민영화 했으며 해외 사업 지분 역시 전량 매각함. 이로써 1924년에 설립 된 스페인의 대표 통신 사업자인 Telefónica의 통신 시장 독점 시대가 막을 내림

경쟁 촉진 제도

인프라를 보유한 모든 사업자는 법이 정한 바에 따라 인프라 임차를 원하는 모든 사업자 들에게 동등한 조건으로 이를 임대할 의무를 짐. 아울러 시장 점유율 25%이상의 사업자 는 각 주(州)에 하나 이상의 상호접속포인트(Interconnection Access Point)를 의무적 으로 배치해야 함. 경제부(Ministerio de Economía y Competitividad)산하의 SDC (서비스경쟁국)는 포괄적으로 반경쟁적 행위를 조사하고 제재를 선고할 수 있으며, 이 결 정에 불복할 때 대법원에 항소할 수 있음

주파수 경매

산업에너지관광부(MINETUR)가 2011년 7월 800MHz, 900MHz, 2.6GHz 대역 총 270MHz의 4G 주파수 경매를 시작했으며, 2011년 8월 1일 완료함

스 페 인

| 44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표 1.5 주파수 경매 현황 주요 내용

‐ 6억 6,831만 유로에 800MHz 대역 2×5MHz 블록 2개, 900MHz 대역 2×5MHz 블록 Telefónica 1개 및 2.6GHz 대역 2×10MHz 블록 2개 등 총 70MHz를 획득 ‐ 5억 1,759만 유로에 800MHz 대역 2×10MHz 블록, 2.6GHz 대역 2×20MHz 블록 등 Vodafone Spain 총 60MHz를 획득 Orange ‐ 4억 3,704만 유로에 800MHz 대역 20MHz, 2.6GHz 대역 40MHz 등 총 60MHz를 획득 Jazztel ‐ 603만 유로에 3개 지역 한정 2.6GHz 대역 20MHz를 획득 ‐ 242만 유로에 2.6GHz 대역 20MHz를 획득 ONO ‐ 1,330만 유로에 9개 지역 한정 2.6GHz 대역 20MHz 주파수를 획득 Telecom Castilla la ‐ 약 60만 유로에 Castilla la 라만차 지역 한정 2.6GHz 대역 20MHz를 획득 Mancha R Cable ‐ 102만 유로에 갈리시아 지역 한정 2.6GHz 대역에서 20MHz 획득 ‐ 약 71만 유로에 아스투리아스 지역 한정 2.6GHz 대역 20MHz 주파수를 획득

스페인 3대 주요 통신사를 제외하고 나머지 6곳의 통신사(Jazztel, Euskaltel, ONO, Telecom Castilla la Mancha, R Cable, TeleCable)들도 경매에 참여하여 각 통신사 별로 주파수(각각 20MHz 블록)를 구입함 스페인 정부는 2016년 3월 잔여 2.6GHz 대역 및 3.5GHz 대역의 추가 스펙트럼 경매 를 진행함 스페인 정부는 LTE 서비스에 적합한 800MHz 대역을 사용하고 있던 방송사들에게 2014년 10월까지 통신사에게 양보할 것을 요구했으나 방송사의 로비 때문에 장시간 지 체되었음. 따라서 동 주파수 대역 라이센스를 획득하는데 16억 유로를 지불한 Telefónica, Vodafone, Orange는 2015년 4월경에야 동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 게 됨 정부는 통신사들에게 2018년 3월까지 동 대역대에서 4G 서비스를 전국적으로 실시할 것을 요구했었으나 통신사들은 방송사들로부터의 대역 이관이 늦어진 점을 들어 2018 년 여름까지로 기한을 연장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음

방송 규제 법률

스페인의 방송 관련 법규는 공공 방송을 규제하는 ‘2006년 공공 TV 라디오법’, 상업 TV 방송 도입을 허용한 ‘1998년 상업 TV법’, Hispasat 위성의 이용 원칙을 정한 ‘1992년 위성 방송법’, 케이블 TV 규제를 정한 ‘1995년 케이블 TV법’, 2005년 7월 정령에 의한 ‘디지털 지상파 방송에 관한 전국 기술 계획’등이 있음

448 | 유럽Ⅰ 스페인

방송 시장 규제는 산업에너지관광부(MINETUR) 산하의 통신시장위원회(CMT)가 담당 함. 2006년 제정된 ‘공공 TV 라디오법’은 의회와 독립 규제기관이 공영 방송 RTVE를 감독하도록 정하고 있으며, 정부는 독립 규제기관 설립을 포함한 새로운 방송법 제정을 추진함 2010년 4월 민영방송사가 보유한 디지털 TV 채널의 재판매와 임대 허용을 골자로 하는 미디어 통신법(Ley General de la Comunicación Audiovisual)이 제정되고, 2012년 에는 공립・국영 방송사의 통신서비스 방법의 유연화를 골자로 하는 방송법이 개정됨 2009년 RTVE의 광고수익 취득 금지를 골자로 하는 방송시장 재정 조달법 및 국가시장 경쟁위원회(CNMC) 설립을 승인하는 법령 제3호가 제정됨. 이로 인해 방송 시장의 규 제・감독 권한이 통신시장위원회(CMT)에서 국가시장경쟁위원회(CNMC)로 이관되었음 CNMC는 정부로부터 독립돼 의회 감독 하에 있으며 통신, 방송뿐만 아니라 항공, 철도, 우편사업 등을 소관하는 기관으로, 자유 경쟁을 촉진하고 소비자 이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또 카탈루냐와 안달루시아, 나바라 등 각 자치주는 방송에 대한 독자 규제 감독기관인 시청각평의회(Consejo Audiovisual)가 있음

방송 프로그램 규제

2010년에 만들어진 방송법은 미성년자의 건전한 성장을 저해하는 프로그램을 규제해 포르노와 폭력을 포함한 프로그램이 제거됨. 광고방송은 프로그램 홍보를 포함해 1시간 당 20분까지로 규정돼 있음

미디어 통신법

‘미디어 통신법(Ley General de la Comunicación Audiovisual)’은 민영방송사가 보 유한 디지털 TV 채널의 재판매와 임대를 허용함. 2010년 4월,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 을 앞두고 기존 방송사의 전환 비용 마련을 위해 허가함 기존 방송법은 방송서비스를 공공 필수재로 인식해 주파수 재판매를 금지했으나 ‘2009 시청각법률’은 방송을 선택적으로 수용 가능한 매체로 인정하고 재판매를 허용하게 됨. 그러나 한 방송사가 재판매 혹은 임대 가능한 디지털 채널 용량은 50%로 제한함

스 페 인

| 44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디지털 TV법 개정

스페인 정부는 유럽집행위원회(EC)의 제재를 피하기 위해 1999년 9월 12일 디지털 TV 법을 개정하였으며, 신규 법안은 위성 채널(Canal Satellite) 지원시스템인 Simulcrypt Decorder의 사용을 금지하는 규칙을 철회하여 Via Digital Multicrypt System과 병 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 당시의 디지털 TV 개정법은 자유경쟁을 보장하고 기술적 요구조건을 확정하기 위해 통 신시장위원회(CMT)의 권한을 강화하였으나, 현재 스페인 방송 시장의 감독 및 규제는 국가시장경쟁위원회(CNMC)에서 담당하고 있음

지적재산권법 개정

스페인 정부는 2014년 10월 스페인의 지적재산권법(Ley de Propiedad Intelectual) 에 대한 개정안을 승인했으며, 2015년 1월부터 발효됨. 2014년 10월의 개정안은 다수 집권당인 국민당(Partido Popular)의 단독 투표로 국회의 비준을 받았으며, 이번 개정 안의 아래의 표와 같음 해당 개정안은 스페인의 인터넷 표절 금지법을 강화한 측면은 있으나, Google은 저작권 료를 내지 않기 위해 2015년부터 스페인 Google에 뉴스를 게재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발표함

표 1.6 지적재산권법 개정안 주요 내용

‐ Google News, Menéame 등 온라인 뉴스 제공 웹사이트들이 ‘스페인 일간지 편집자 연합(Asociación de Editores de Diarios Españoles, AEDE)’에 저작권이 등록된 기사를 게재할 경우 반드시 저작권료를 지불해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3만~30만 유로의 벌금 징수 ‐ 온라인상의 콘텐츠 불법복제 예방 및 근절을 위해 웹사이트의 지적재산권법 위반 시 벌금액을 최대 60만 유로로 상향 조정 ‐ 단, ‘스페인 저작자 및 편집자 총회(Sociedad General de Autores y Editores)’와 같은 저작권 관련 공공기관 의 경우 지적재산권법 위반 시 최대 벌금액을 80만 유로, 혹은 전년도 저작권료 수입의 2%를 징수 ‐ 국가 예산으로 집행하는 개인적・비상업적 콘텐츠 복제에 대한 저작권료 인하 ‐ 대학의 도서관리기구인 CEDRO에 대한 교재 및 문서 이용료 지불 의무 강화 ‐ 기존 산업계에 통용되던 저작권료 요금 체계 조정

450 | 유럽Ⅰ 스페인

실제 스페인 출판업계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해당 개정안이 스페인의 출판 산업에 실질적 으로 큰 손해를 입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Google등 글로벌 어그리게이터 보다 로컬 영세 어그리게이터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새로운 저작권법에 의해 징수되는 저작권료는 약 1,000만 유로(약 1,090만 달러)에 달하는 데 영세 어그리게이터들에게 상대적으로 더 많은 비율이 징수 되었으며, 스페인의 Google News 중단으로 인한 인터넷 트래픽 감소율은 평균 6%이 지만, 영세 퍼블리셔 사이트의 경우 감소율이 14%나 되는 것으로 나타남 Google 등 글로벌 애그리게이터 및 로컬 어그리게이터들의 서비스 중단은 오리지널 퍼 블리셔들의 트래픽 감소 및 광고 매출 감소로 이어졌으며, 이는 인지도 낮은 영세 퍼블리 셔들의 시장 확대 및 새로운 경쟁자들의 시장 진입에도 걸림돌로 작용함 ComScore의 자료에 근거한 2015년 1/4분기 스페인 디지털 신문 트래픽 분석 데이터 에 따르면, Google News 및 다른 어그리게이터의 스페인 시장 철수로 인해 84개에 달 하는 스페인 온라인 신문 사이트의 방문자 수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스페인 온라인 출판 종사자들은 로컬 영세 퍼블리셔들을 보호하면서 온라인 출판 산업을 혁신할 수 있는 보다 합법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이 시급하다고 지적함

스 페 인

| 45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3. 산업구조 및 특징

스페인 ICT 산업 2015~2019년 연평균 성장률 0.4% 전망

스페인의 ICT 산업은 제조업 경쟁력 약화 및 서비스 부문 수요 위축 등으로 2013년 매 출액 749억 유로까지 감소했다가 최근 2년간 IT제품 유통 및 SW서비스 부문의 수요 증 가로 2015년 825억 유로 기록 IDC컨설팅은 그간 급성장한 전자통신 서비스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경쟁사 간의 첨 예한 가격경쟁으로 인해 전체적인 산업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분석하면서 2015~2019 년 스페인 ICT 산업의 연평균 성장률을 0.4%로 전망함

표 1.7 2010~2015 스페인 부문별 ICT 매출액 추이 (단위: 백만 유로)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제조 4,220 4,013 2,433 2,378 2,941 3,383 서비스 82,187 80,550 74,942 72,544 73,621 79,081 유통 15,950 15,723 14,125 14,179 15,927 17,747 SW서비스 27,110 27,679 26,895 26,913 28,478 32,655 전자통신 39,128 37,148 33,923 31,452 29,215 26,597 총합 86,408 84,563 77,375 74,922 76,561 82,464 출처 : 스페인 국가 전자통신정보사회 연구소(ONTSI), 코트라 재인용(2017.2) *주 : 제조(전자부품, 인쇄회로기판, 컴퓨터, 통신장비, 기타 전자제품 소비재), 유통(각종 IT 관련 제품 판매), SW서비스(컴퓨터 프로그램 개발, 시스템 관리, 컨설팅, 호스팅, 데이터 처리, 보수/유지 서비스 등), 전자통신(유무선 전화 및 인터넷 서비스 등)

2015년 스페인 ICT 수출입, 여전히 수입이 수출을 크게 앞서

2015년 스페인 ICT 수입액은 193억 5,000만 유로로, 수출 130억 3,000만 유로를 크 게 앞섬. 수입은 2012년 대비 26.8% 증가, 수출은 2012년 대비 40.5% 증가함

452 | 유럽Ⅰ 스페인

그림 1.3 2010~2015 스페인 ICT 수출입 추이 (단위 : 백만 유로)

출처 : 스페인 경제경쟁력부, ONTSI, KOTRA 재인용(2017.02)

스 페 인

| 45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4. 산업 주요 이슈

2018~2020 5G 국가계획(Plan Nacional 5G 2018-2020) 발표

2017년 12월 에너지관광디지털부는 디지털 어젠다의 일환으로 5G기술개발 촉진을 위 한 ‘2018~2020 5G 국가 계획(Plan Nacional 5G 2018-2020)’을 발표함 스페인 정부는 동 계획을 통해 5G 기술을 디지털 전환의 초석으로 삼고 있으며 자동차 제조, 의학, 교통 및 공공 부문의 5G 기술 도입으로 2025년까지 1억 4,600만 유로의 경 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추산 특히 고대역 주파수 대역폭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 제공을 촉진하고 커넥티드 카, 스마트 교통 등 IoT, 전원 지역 디지털화를 가속화 할 것임 스페인 정부는 동 계획에 따라 내년 초 5G 3.6GHz(3,600 MHz-3,800 MHz) 및 1.5GHz(1 452-1 492 MHz) 주파수 대역 경매를 실시하고 인프라 및 산업 도입 관련 시범 사업에 통신사, 기업, 연구소 등 관련 주체들의 지원을 요청할 예정임

디지털부,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전문가 그룹 구성

2017년 11월 디지털부는 9인으로 구성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전문가 그룹을 구성 했다고 발표함 동 그룹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가 공공 및 민간부문, 사회 전체에 미칠 사회적, 법적, 윤 리적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마련할 목적으로 출범했으며 이를 바 탕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백서를 발간할 계획임 행정부는 동 백서의 제언을 참고하여 공공부문의 데이터 활용에 대한 윤리강령과 민간 부문의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모범관행규약을 마련할 예정

454 | 유럽Ⅰ 스페인

5. 한국과의 협력 현황

1) 정부 간 협력

한-스페인 과학기술 협력 채널 마련(2017.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페인 경제산업경쟁력부와 2017년10월19일 마드리드에서 제1 차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개최함 양국은 1976년 과학기술협력협정을 체결했으며 최근 차관급 회담에서 과학기술 분야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위해 과기공동위 개최에 합의함 미생물 세포공장 개발, 경량소재기술 개발, 가속기 연구장치 공동개발, 사이버보안 등에 협력하고 인력을 교류하기로 함

한-스페인, ICT신기술분야 MOU 체결(2017.03)

최재유 미래창조과학부 제2차관은 2017년 2월 스페인에서 개최된 '모바일 월드 콩그레 스(MWC) 2017' 참석 계기, 스페인 에너지관광디지털부 차관과 5G, 사이버보안 등 ICT 신기술 분야에서 인적 교류와 기관 간 협력을 도모하는 MOU를 체결함 최 차관은 MWC 장관회의 패널로 참가하여 스마트 시티 조성 방안을 주제로 의견 교환, 스페인 에너지관광디지털부 차관의 양자면담에서는 양국 간 ICT 협력 강화를 위한 분야 별 주요 의제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함

방송통신심의위, 카탈루냐 시청각이사회와 MOU 체결(2016.04)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스페인 카탈루냐 시청각이사회외 건전한 방송통신 환경 조성 및 시청자 권익보호를 위한 MOU를 체결함. 정보 교류, 업무 협력 체계 구축, 인적 교류, 국 제회의 개최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방통위, 스페인 정보보호국(AEPD) 방문하여 개인정보보호, 빅데이터 등 협력 강화 방안 논의(2016.02)

방송통신위원회 김재홍 부위원장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이동통신 국제전시 회인 ‘MWC 2016’ 참가하기에 앞서 스페인 정보보호국(AEPD)를 방문함 스 김재홍 부위원장은 스페인 정보보호국(AEPD)과 개인정보보호, 빅데이터, 위치정보산업 페 육성 등에 대한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 인

| 45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기업 진출 및 협력

한국 ICT기업들, 스페인 MWC2017에서 '사회공유가치창출'(2017.03)

MWC 2017에 참석하는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이 스페인 바로셀로나 현지에서 사회적 공유 가치를 실현하는 기술을 선보임 삼성전자는 이번 MWC 2017서 저시력자의 시각보조 솔루션 '릴루미노', VR·AR를 활 용한 가상 스크린으로 게임 등 PC·스마트폰의 일부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는 '모니터리 스' 등을 선보였으며 KT는 로밍데이터를 활용, 감염병 오염지역 방문자를 확인해 검역 에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게이트’ 솔루션을 내놓음

삼성전자, 스페인 사회적 기업과 난독증 진단 앱 개발(2016.12)

삼성전자는 스페인의 사회적 기업인 체인지 디슬렉시아(Change Dyslexia)와 난독증 진단 앱인 ‘디텍티브(Dytective)’를 개발함 이는 난독증 위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앱으로 15분 동안 게임 형식의 언어 테스트 를 진행한 후 어린이의 난독증 위험을 진단할 수 있음

㈜스마트박스-스페인 Xtem社, IoT 택배 및 체크인 서비스 공급 계약 체결(2016.10)

㈜스마트박스는 스페인 Xtem社에 IoT 택배 및 체크인 서비스를 공급하기로 함. 이는 3 년 간 300달러 규모의 공급 계약으로 ㈜스마트박스의 호텔 출입 시스템을 스페인 현지 통신 사업자를 통해 보급하기로 함

KT, 카탈루냐 주정부와 MoU 체결(2016.02)

KT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6에서 스페인 카탈루냐 주정부와 KT의 기기와 이 등 기가 솔루션 활용 방안에 대한 협력 관계를 체결함 KT와 카탈루냐 주정부는 인터넷 환경이 열악한 지역을 대상으로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기가 솔루션을 제공하기로 함

삼성전자, 모바일 결제 삼성페이, Telefónica와 협의 중임(2015.11)

삼성전자는 한국과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결제 솔루션 삼성페이를 2016년 상반 기 중 전 세계 주요 지역으로 확대하기 위해 China Mobile, Telefónica, Vodafone 등 과 협의 중이라고 밝힘

456 | 유럽Ⅰ 스페인

삼성전자, Telefónica를 통해 스페인에서 셋톱프리 IPTV 서비스 개시(2015.09)

삼성전자는 자사 스마트 TV에 텔레포니카 IPTV 서비스 ‘무비스타 플러스(Movistar)’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무비스타 플러스’가 제공하는 119개 방송 채널과 30개 오디 오 채널, 프로그램 가이드 등을 바로 즐길 수 있는 셋톱프리(Set top ) 서비스 제공 을 개시함

삼성전자, Telefónica와 IoT 기반 스마트홈 분야에서 파트너십 제휴 체결(2015.06)

스페인 통신사 Telefónica의 스마트홈 플랫폼인 ‘Thinking Things’에 삼성전자 가전 기기와 스마트홈용 센서 기술을 공급하기로 함

아리랑 TV, 스페인 공영방송사 RTVE와 방송교류 협정 체결(2015.03)

한국국제방송교류재단에서 운영하는 아리랑 TV와 스페인 공영방송 RTVE는 스페인의 축구와 도시, 한국의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을 연계해 소개하는 프로그램을 공동 제작 해 한국과 스페인을 포함한 전 세계에 방송할 계획임

삼성 테크윈, 유럽 홈 시큐리티 서비스업체 시큐리타스 다이렉트와 스마트홈용 시큐리티 카메라 약 50만 대 공급 계약 체결(2015.01)

시큐리타스 다이렉트는 유럽계 홈 시큐리티 서비스업체로서 스페인과 프랑스 및 중남미 에서 주로 활동하고 있으며, 삼성 테크윈과의 이번 계약을 통해 스페인 1위 통신사 Telefónica에 영상 감시 카메라를 공급할 예정임

스 페 인

| 45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Ⅱ • • 정보통신방송 품목현황

Overview

2016년 스페인 정보통신방송 주요지표 (단위: 천 명 / 천 회선 / 천 가구, 2016년 기준)

지표 스페인 보급률(%) 한국 보급률(%)

유선통신 가입회선 19,557 41.3% 28,035 56.10 이동통신 가입자 51,943 109.7% 61,295 122.65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13,941 29.5% 20,555 41.13 TV 보급대수 17,978 98.0% 18,310 97.5 케이블 TV 가입가구 1,578 8.8% 7,397 40.4 위성 TV 가입가구 1,152 6.4% 2,280 12.5 지상파 디지털 방송 가입가구 17,978 100% 18,237 99.6 IPTV 가입가구 3,700 20.6% 8,514 46.5

출처: ITU(2017), Digital TV Research(2017)

스페인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소프트웨어업계, 2010~2015년 ICT산업 중 가장 큰 성장 시장 동향 ‐ 소프트웨어 패키지 기업이 시장을 주도

주요 ‐ First Derivatives, 스페인 소프트웨어 회사 인수 소프트웨어 사업자 ‐ GFT, 스페인 내 전문 컨설턴트 500명 고용 계획

‐ 스페인 인터넷 이용률 시장 동향  2015’ 78.7% → 2016’ 80.6%(▲ 1.9%p) ‐ 스페인, Google, YouTube 등 글로벌 사이트를 가장 많이 이용 주요 ‐ MS·Facebook, 미국-스페인 잇는 해저 케이블 완공 인터넷서비스 사업자 ‐ Twitter 이용 감소, 신흥 SNS 인기

‐ 스페인 이동통신 가입자 수: 2016’ 5,194만 3,000명(▲ 1.7%) 시장 동향 ‐ 스페인 브로드밴드 가입 회선 수: 2016’ 1,394만 1,000회선(▲ 3.1%) 주요 ‐ ZTE, 스페인 Telefónica와 ‘5G 기반 테스트’ 성공 통신 사업자 ‐ Vodafone Spain, DOCSIS3.1 기술 적용 위해 Huawei와 제휴

‐ 비디오게임업계 대대적 정부지원 가시화 시장 동향 ‐ 앱 기반 및 브라우저 캐주얼 소셜 모바일 게임 전망 밝아 ‐ 스페인 정부 ‘디지털 부가세’ 제도 재도입

주요 ‐ 스페인 무료 모바일 게임, 캐주얼 게임이 대세 디지털콘텐츠 사업자 ‐ Electronic Arts(EA): FIFA17, 스페인 라리가의 공식 비디오 게임 계약

458 | 유럽Ⅰ 스페인

Overview

스페인 정보통신방송 품목 동향

‐ 대기업의 스페인 방송시장 과점화 양상 시장 동향 ‐ IPTV 보급률 2015년 대비 4.2%p 증가 주요 ‐ RTVE, 인터넷 기반 양방향 서비스, 가상현실 기술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송스마트미디어 사업자 ‐ 아리랑 TV, 스페인 RTVE와 방송 교류 협정 체결

‐ 2016년 스페인 사이버보안 사고 2015년에 비해 2배 증가 시장 동향 ‐ 스페인 사이버보안기업 매출 규모는 12억 유로 ‐ 스페인 정부, 사이버 공격 미신고 대기업들에 벌금 부과 계획 ‐ 사이버보안회사 Continuum Security, 150만 유로 자금 확보 주요 ‐ 스페인 정부, 페이스북 ‘개인정보 무단수집’ 과징금 부과 정보보호 사업자 ‐ 스페인국립사이버보안청(INCIBE), 11차 국제정보보안회의 개최

‐ 글로벌기업들이 스페인 클라우드 시장의 75% 차지 시장 동향 ‐ 클라우드 컴퓨팅 관리 및 규제는 미비 ‐ 스페인 기업 내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보급률 3.9%p 증가 주요 ‐ Gigas, 스페인어 클라우드 서비스로 빠르게 성장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자 ‐ Telefónica, Netsia, 마드리드에서 RAN슬라이싱 실시

‐ 2017년 스페인 스마트홈 시장 매출 2억 9,600만 달러 전망 시장 동향 ‐ 스페인 정부, 스마트 도시 구현에 대규모 예산 투입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스페인 에너지기술 협력 양해각서 체결 주요 ‐ Telefónica, 스마트 시티 개발에 적극적 행보 사업자 사물인터넷 ‐ Orange, 스페인에서 새로운 스마트홈 보안 서비스 개발 예정

‐ 2016년 스페인 빅데이터 및 애널리틱스 시장 규모 1억 9,100만 유로 시장 동향 ‐ 스페인 정부, 빅데이터 분야 촉진 ‐ 스페인, 독자적인 핀테크 시장 형성 ‐ 산탄데르 은행, 핀테크 개발 위해 스타트업 적극적 지원 주요 ‐ 스페인 내 빅데이터 주요 기업 : BEEVA, Paradigma, Synergic Partners, IT스마트융합 사업자 CAPSiDE, Pragsis, PowerData, GMV 등

‐ 스페인 위성통신 매출액: 시장 동향  2008’ 7억 3,300만 달러 → 2013’ 5억 5,000만 달러 ‐ 스페인 최대 위성통신 사업자 Hispasat 주요 ‐ Hispasat와 Media Broadcast Satellite 중동 4K 콘텐츠 서비스 계약 전파위성 사업자 ‐ Hispasat. RTVE와 협업 통해 스페인 전역에서 4K HDR방송 테스트

‐ 스페인, 모바일폰 중 스마트폰 비중 유럽 내 1위 시장 동향 ‐ 2020년 스페인 태블릿 보급률 63.8% 전망 스 주요 ‐ 샤오미(Xiaomi), 스페인 마드리드에 2개의 오프라인 스토어 문 열어 페 디바이스 사업자 ‐ 웨어러블 디바이스, 최근 3년간 480.3% 판매 성장 인

| 45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 소프트웨어

1) 시장 동향 및 전망

소프트웨어업계, 2010~2015년 ICT 산업 중 가장 큰 성장

스페인의 소프트웨어 서비스(컴퓨터 프로그램 개발, 시스템 관리, 컨설팅, 호스팅, 데이 터 처리, 보수/유지 서비스 등) 매출액은 2010~2015 사이 20.5% 성장해 ICT산업 부문 중 가장 큰 성장세를 보였음 SW서비스 하위 부문의 매출 비중을 보면 IT컨설팅(29.4%), 프로그래밍(23.0%), 음향영 상서비스(13.0%) 순으로 나타남 또한 2010~2015년 사이 ICT산업에서 기업 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부문 또한 SW서비 스로 23.6%의 증가율을 보임

표 2.1 2010~2015 스페인 ICT 부문별 기업 수 추이 (단위: 개)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제조 858 865 855 874 907 934 서비스 18,000 18,801 18,665 19,387 20,465 21,590 유통 2,382 2,495 2,502 2,662 2,809 2,884 SW서비스 12,164 12,617 12,409 13,035 13,975 15,032 전자통신 3,454 3,689 3,754 3,690 3,681 3,674 총합 18,858 19,666 19,520 20,261 21,372 22,524 출처 : Barnes Reports(2015.12)

소프트웨어 패키지 기업이 우세

Barnes report의 2017년 예상 소프트웨어 품목별 기업 수, 매출, 고용에 따르면 소프 트웨어 패키지 품목이 타 품목에 비해 월등히 우세하며 응용컴퓨터SW, 기업용 컴퓨터 SW, 교육용 컴퓨터SW가 그 뒤를 따름

460 | 유럽Ⅰ 스페인

표 2.2 스페인 소프트웨어 품목별 기업 수, 매출액, 고용 2017년 전망 매출액 구분 기업 수 고용 (백만 달러) SW 패키지 2820 14361 36716 응용 컴퓨터 SW 152 1680.8 5859 기업용 컴퓨터 SW 185 1406.4 6882 교육용 컴퓨터 SW 86 187.2 1446 가정용 엔터테인먼트 SW 20 702.5 303 운영체제 SW 37 121.1 521 발행사의 컴퓨터 SW 64 23.8 606 유틸리티 컴퓨터 SW 16 10.2 287 워드 프로세싱 SW 8 1.3 27 출처 : Barnes Reports(2015.12)

2) 주요 기업 현황

First Derivatives, 스페인 소프트웨어 회사 인수

금융 소프트웨어 및 컨설팅 그룹인 First Derivatives는 Telco 분석 소프트웨어의 비상 장 기업인 스페인의 Telconomics를 250만 유로에 인수함 마드리드에 본사를 둔 Telconomics는 통신회사 네트워크 사업자를 대상으로 분석 컨 설팅을 제공하기 위해 2009년에 설립되었으며 네트워크 개발 전략과 같은 중요한 활동 을 수행하는 플랫폼인 INTEF 소프트웨어가 First Derivatives의 'Kx Telco Solutions Suite'에 포함될 예정임 이는 금번 계약이 Kx 기술로 통신사업자 시장을 겨냥하는 그룹의 지속적인 전략의 연장 선상에 있음을 의미함 2016년 12월 31일까지 Telconomics는 80만 유로의 매출과 30만 유로의 수익을 창출 함. Telconomics가 제공하는 제품, 도메인 전문 기술 및 고객 컨택트는 First Derivatives의 데이터 과학, 머신 러닝 및 엔지니어링 리소스로 보안되며 상당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 제공

GFT, 스페인 내 전문 컨설턴트 500명 고용 계획

독일의 대표적인 IT 기업인 GFT는 2016년 스페인의 디지털 변환(Digital Transformation) 스 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500명의 정보기술 컨설턴트(Technological Consultant)고용할 페 인

| 46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계획이라고 지난 2016년 2월에 발표함 GFT는 마드리드(Madrid)와 바르셀로나(Barcelona)에 위치한 GFT 센터 성장이 지속 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두 센터를 중심으로 400명의 전문 컨설턴트를 고용 할 계획이라고 밝힘 나머지 100명은 스페인의 알리칸테(Alicante), 레리다(Lleida), 발렌시아(Valencia), 사라고사(Zaragoza.)에서 고용될 것임 2015년 GFT 스페인 내 직원은 총 1,800명으로 40% 증가한 수치를 기록하며 40% 증 가했다고 밝히며, 스페인 디지털 변화 프로젝트 수요에 맞춰 인력을 강화해나가기로 함

462 | 유럽Ⅰ 스페인

2. 인터넷서비스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6년 스페인 인터넷 이용률 80.6% 기록

스페인 통계청(INE)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6년 스페인 인터넷 이용률은 80.6%로 전년 대비 1.9%p 증가하여 처음으로 80.0%를 넘어섬 또한, 인터넷 이용자를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 빈도를 확인한 결과, 스페인 인터넷 이용자 중 최소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인터넷을 이용한다는 응답 비율이 76.5%에 달함 한편, 최근 3개월 간 온라인 쇼핑을 해 본 적이 있는 응답자는 전체 인터넷 이용자 중 34.9%인 것으로 집계됨. 이는 2014년 대비 7.4%p 증가한 수치로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표 2.3 2016년 스페인 인터넷 이용률 구분 2014 2015 2016

인터넷 이용률 76.2% 78.7% 80.6% 최소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인터넷 이용한 비중 71.2% 74.7% 76.5% 온라인 쇼핑 이용률 27.5% 32.1% 34.9%

출처 : 스페인 통계청(INE) (2017)

인터넷 이용자 中 70.2%는 온라인 뉴스 구독 위해 인터넷 이용

인터넷 이용자에게 인터넷을 이용하는 목적에 대해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70.2%가 온 라인 뉴스를 구독하기 위해 인터넷을 주로 이용한다고 함 그 다음으로 66.5%가 상품 및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인터넷을 이용하며 근소한 차이로 64.8%는 교육 관련 정보를 검색한다고 응답함 이 외에도 건강 및 여행 관련 정보 검색,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인터넷 통화 등을 이용하 기 위해 인터넷을 활용한다는 응답이 있었음

스 페 인

| 46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2.1 스페인 인터넷 이용 목적

논문, 학술자료 등 62.1% 전문지식 검색

SNS 활동 64.1%

교육 관련 정보 64.8% 검색

상품 및 서비스 66.5% 정보 검색

온라인 뉴스 구독 70.2%

58.0% 60.0% 62.0% 64.0% 66.0% 68.0% 70.0% 72.0%

출처 : 스페인 통계청(INE) (2017)

Google, 유튜브 등 글로벌 사이트 대다수

Alexa 통계 사이트에 따르면, 2017년 12월 기준 스페인의 방문 횟수 기준 Top 10 웹 사이트로는 Google(Google), YouTube(Youtube), Facebook(Facebook) 등 글로벌 웹사이트가 대부분이며 로컬 티지털 언론인 Okdiario, Hola도 순위에 오름

표 2.4 스페인 TOP 10 웹사이트 순위 사업자명 웹사이트

1 Google Google.es 2 Google Google.com 3 Youtube Youtube.com 4 Facebook Facebook.com 5 Amazon Amazon.es 6 Live Live.com 7 Twitter Twitter.com 8 Wikipedia Wikipedia.org 9 Okdiario Okdiario.com 10 Hola Hola.com 출처 : Alexa(www.alexa.com), (2017.12)

464 | 유럽Ⅰ 스페인

2) 주요 기업 현황

MS·Facebook, 미국-스페인 잇는 해저 케이블 완공

Microsoft는 2017년 9월 Facebook 및 인프라 업체 Telxius와 공동으로 진행한 프로 젝트 대서양 횡단 해저 케이블 Marea(조류라는 뜻의 스페인어)를 완공함 2016년 8월 착공된 총 6,600km 케이블의 전송속도는 160테라dps이며 7,100만개의 HD 동영상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규모를 자랑함 Microsoft는 클라우드 및 온라인 서비스(Bing, Office 365, Skype, xbox live, Microsoft Azure 등)에 대한 빠르고 안정적인 제공, Facebook은 WhatsApp, Messenger, Facebook, Instagram 등 데이터 집약형 서비스 지원을 위해 Marea를 구 축함. Marea를 이용하면 향후 양사는 다른 통신사와 통신회선을 공유하지 않아도 됨 수심 5km 이상 해저에 설치된 케이블은 버지니아주에 위치한 버지니아 비치와 스페인 빌바오를 연결한 뒤, 빌바오에서 유럽, 아프리카, 중동아시아의 허브와 연결되며 이후 파 리, 프랑크푸르트, 암스테르담, 런던 등 유럽의 다른 주요 허브에 접속하는 광섬유 네트 워크와 연결됨

그림 2.2 완공된 Marea 케이블 지도

출처 : Microsoft Blog

Twitter, Tuenti, 스페인 내 이용 감소 추세

Twitter에 따르면, 2014년 1월 기준 스페인의 Twitter 이용자 수는 750만 명을 기록함 스 페 Tuenti는 2012년까지 Facebook에 이어 2위를 차지할 만큼 인기 있는 SNS였으나, 인

| 46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013년 이후 SNS 이용자 수가 급격히 감소함. 이에 따라 2010년부터 Tuenti Móvil 브 랜드를 런칭하여 이동통신 서비스에 주력하고 있음 시장조사기관 GlobalWebIndex에 따르면, Tuenti의 가입자 수는 2014년 하반기 6개 월 동안 74% 감소함

스페인 내 신흥 SNS 인기 – Instagram, Reddit, Pinterest 등

기존의 SNS 이 외에도 Instagram, Reddit, Pinterest, Tumblr(Yahoo) 등의 SNS가 신흥 SNS로 각광받고 있음

그림 2.3 스페인 내 신흥 SNS

출처 : 각 사 홈페이지

위챗, 가입자 증가율 379%로 가장 높아

가입자 기반 증가율 상위 주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징 앱으로는 WeChat(379%), Twitter와 연계된 Vine(105%), Snapchat(54%), WhatsApp(35%) 등이 있음

466 | 유럽Ⅰ 스페인

3. 통신

1) 시장 동향 및 전망

이동통신

ITU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6년 스페인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5,194만 3,000명 을 기록, 전년대비 1.7% 증가함

그림 2.4 스페인 이동통신 가입자 수 및 보급률 추이 (단위: 명, %)

출처 : ITU(2017)

경쟁업체인 Vodafone과 Orange가 바짝 뒤쫓아 오고는 있지만 Telefónica Móviles (Movistar)은 여전히 모바일 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Mósmóvil의 Yoigo 는 로밍 계약과 추가 투자 약정을 통해 Telefónica가 소유하고 있었지만 시장 점유율은 8%대에 머무르고 있음.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시장은 2014년까지 견조한 성장 세를 보였으나 2015년 3.3%p 감소, 2016년에는 1.7% 감소한 후 제자리걸음 중

스 페 인

| 46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표 2.5 스페인 이동통신사 시장 점유율 변화 추이 년도 Vodafone Movistar Orange Yoigo. Másmóvil MVNOs

2012 26.60% 36.40% 21.30% 6.30% 8.90% 2013 23.60% 34.00% 22.80% 6.70% 12.80% 2014 22.60% 31.70% 22.80% 6.70% 13.40% 2015 25.40% 30.70% 27.10% 6.50% 10.10% 2016 25.70% 29.90% 27.60% 8.30% 8.40% 2017.07 25.40% 29.90% 27.20% 8.80% 8.50% 출처 : Buddecomm(2017.06)

브로드밴드

2016년 스페인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는 전년 대비 3.1% 증가한 1,394만 1,000회선 을 기록했으며 보급률은 29.5%로 전년 대비 0.8%p 상승함

그림 2.5 스페인 고정 브로드밴드 가입회선 수 및 보급률 추이 (단위 : 회선, %)

출처 : ITU(2017)

최근 몇 분기동안 스페인의 브로드밴드 시장은 2017년 중반 광섬유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가 처음으로 DSL 가입자를 앞서는 등 광섬유 보급률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스페인 당국은 2017년 통신사업자 Telefónica가 일부 해저 케이블 도매 대가를 35%까 지 줄이도록 규제했는데, 2017년까지 EU평균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브로드밴드 보급률 이 2018년까지는 동 조치로 인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468 | 유럽Ⅰ 스페인

그림 2.6 브로드밴드 기술별 보급률 (단위: 명)

*2017년(e)는 전망치 출처 : Buddecomm(2017)

Telefónica는 광섬유 인프라에 많은 투자를 계속하고 있으며 최근 Vodafone Spain과 체결한 접속 계약은 Vodafone의 지상 수신 범위(footprint)를 현저히 증가시킴 또한 스페인 규제당국은 Movistar에게 자체 ADSL2+ 인프라를 다른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게 도매 조건으로 제공하도록 강제함 Vodafone은 현재 네트워크의 대부분에서 1Gb/s의 전송율을 달성하고 있으며 케이블 부문에서는 케이블모뎀 기술표준인 DOSCIS3.1 기술(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에 투자함

2018~2020 5G국가계획(Plan Nacional 5G 2018-2020)

2017년 12월 에너지관광디지털부는 디지털 어젠다의 일환으로 ‘2018~2020 5G 국가 계획(Plan Nacional 5G 2018-2020)’을 발표함 동 계획에 따르면 5G를 위한 첫 번째 주파수 대역(3.6Ghz, 1.5Ghz)에 대한 경매를 2018년 초 실시할 예정이며 모든 이해당사자들과의 협의를 통해 현재 디지털지상파방 송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700Mhz 대역의 통신사 이관에 대한 일정을 포함한 국가 로드 스 맵을 2018년 6월 30일까지 구상할 계획임 페 인

| 46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ZTE, 스페인 Telefónica와 ‘5G 기반 테스트’ 성공

2017년 11월 중국 주요 통신설비사 ZTE는 스페인 통신업체 Telefónica와 최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5G통신기반 제1차 테스트'를 실시함 ZTE는 스페인 1위 통신사에 5G통신 솔루션 제공함으로써 스페인, 유럽 통신시장 진출 에 포석을 마련하게 되었음 이번 테스트로 두 회사는 5G통신 부문에서 협력 범위를 넓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장기적 으로 다양한 사업에서 기술, 인재, 자본 등을 공유할 계획임 소식통에 따르면 ZTE는 이번 1차실험을 위해서 Telefónica에 '5G 플렉스하울 (Flexhaul) 솔루션'을 제공했는데, 이 기술은 '초저 지연시간'을 바탕으로 하는 유연한 대용량 전송을 지원하고, SDN(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자 원 조정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로 알려짐

Vodafone Spain, DOCSIS3.1 기술 적용 위해 Huawei와 제휴

Vodafone Spain은 DOCSIS3.1(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 기술을 적용하여 HFC 케이블 네트워크를 통해 대칭형 고속 1Gbps 광대역 서비스를 제 공하고 동시에 케이블 및 FTTH 용 통합 플랫폼을 사용하여 추가 광섬유를 활용할 예정 이며 이를 위해 Huawei와 제휴를 맺음 Huawei는 2016년 2월 스페인에서 최초로 DOCSIS3.1 테스트를 실시하고 네트워크 엣지(network edge)에 더 많은 기능을 분산시킴으로써 동일한 플랫폼에서 FTTH 및 케 이블 기술을 공존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분산형 CCAP(DCCAP)기술을 발표함

470 | 유럽Ⅰ 스페인

4. 디지털콘텐츠

1) 시장 동향 및 전망

비디오게임 업계 대대적 정부 지원 가시화

스페인 비디오게임협회(AEVI)의 조사에 따르면, 스페인 국민의 42%에 해당하는 1,500 만 명이 비디오게임 유저이며 주당 평균 6.2시간을 게임에 할애해 주변 유럽국인 포르투 갈이나 이탈리아보다도 높은 수치를기록함 이러한 관심을 반영하듯 2017년 두 번째로 개최된 스페인 최대 규모의 바르셀로나 게임 스 월드(Barcelona Games World)박람회는 전년 대비 11% 늘어난 13만5000명의 방 문객을 유치함 스페인은 유럽 4위 규모의 비디오게임산업 보유국이지만 전체 중 71%의 게임 스튜디오 가 1~10명 이하의 직원으로 운영되며 그중 45%는 5명 이하의 직원으로 이루어진 소규 모 기업임. 또한 전체 기업 중 63%는 5년 이내, 그중 22%는 최근 2년 이내 설립된 신생 기업임 스페인 비디오게임개발협회(DEV) 관계자에 따르면, 매년 수많은 초소형 기업이 생겨나 지만, 그에 못지않게 많은 신생기업이 얼마 버티지 못하고 폐업하고 있어 질적 성장은 크 게 뒤떨어지는 상황임 따라서 스페인 정부는 2017년 3월 '2020 문화계획 어젠다(Plan Cultura 2020)'를 발 표하며 앞으로 비디오게임을 우선 산업으로 지정해 국내기업의 개발 활동 및 외국기업 유치에 적극 나서기로 했으며 구체적 지원방식은 논의 중이나 게임 개발을 위한 보조금 지급, 외국기업에 대한 조세 인센티브, 기업 투자비용 환급 등이 주를 이룰 전망

앱 기반 및 브라우저 캐주얼 소셜 모바일 게임 전망 밝아

스페인 내 스마트폰 사용 증가, 모바일 및 온라인 결제 시스템 대중화, 초고속 인터넷 보 급 등에 따라 앱 기반 및 브라우저 캐주얼 및 소셜 모바일 게임 매출 규모가 2016년 2억 7,600만 유로에서 2020년 315만 유로로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됨 PC 및 콘솔 게임의 온라인 소액결제는 2016년 1억 2,700만 유로에서 2020년에 1억 6,800만 유로로 증가할 전망

스 페 인

| 47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표 2.6 2015~2020년 스페인 캐주얼/소셜 게임 매출 현황 및 전망 (단위 : 백만 유로) 구분 2015 2016e 2017f 2018f 2019f 2020f

앱 219 228 238 248 258 268 캐주얼/소셜 게임 브라우저 48 48 48 47 47 47 디지털 70 79 89 99 109 117 콘솔 체감형 356 355 354 353 352 351 온라인 소액 결제 32 38 44 50 56 62 디지털 19 19 20 20 20 19 PC 체감형 18 17 16 15 14 13 온라인 소액 결제 85 89 93 98 102 106 출처 : PwC(2016.10), yStats.com(2017) 재인용 주 : 2016년은 추산치, 2017~2020년은 전망치 - 캐주얼/소셜 게임 매출 : 태블릿 및 휴대전화에서의 앱 기반 게임 및 캐주얼 잠재 고객을 겨냥한 브라우저 기반 게임에 대한 소비자 지출 및 게임 앱 구매, 구독 서비스, 게임 내 가상 아이템 구매 등 매출 - 콘솔 게임 매출 : 게임 콘솔(가정 또는 핸드 헬드)에서 게임, 게임 판매, 디지털 게임 판매, 추가 다운로드 가능한 콘텐츠 및 가입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유형의 게임과 관련된 매출 - PC 게임 매출 : 매장 판매, 디지털 다운로드 스토어(예 : Steam, Origin) 및 다운로드 가능한 추가 콘텐츠를 포함한 PC게임 판매와 관련된 매출

스페인 정부, ‘디지털 부가세’ 제도 재도입

‘디지털 부가세’ 제도는 서적, 영화, 음반 등 각종 문화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거나 재생 이 가능한 각종 첨단기기 판매에 별도의 요금을 부과해 거둬들인 수익을 디지털 콘텐츠 제작자에게 보상금 형태로 분배하는 것이 주목적임 스페인에서는 디지털 콘텐츠가 범람하기 시작한 2000년도 중반 이후부터 해당 제도가 운영되기 시작했으나 요금 부과 대상자에 대한 형평성 과 적용의 복잡성 문제로 시행이 중단된 바 있으나 저작권 보호제도를 강력히 촉구하는 EU의 정책기조와 현지 저작권 보 호단체의 압박으로 인해 2017년 8월부로 다시 시행하게 됨 이번에 개정된 방식은 디지털 부과세 또는 디지털 콘텐츠 사용 요금을 정부가 아닌 문화 콘텐츠 관리단체 연합이 설립한 법인을 중심으로 관계자들이 주고받는 형태임. 즉, 제 조·유통기업이 분기마다 부과 대상이 되는 제품의 리스트를 해당 법인을 통해 제출하면 콘텐츠 관리기업은 이를 토대로 청구서를 작성해 법인을 통해 각 제조·유통기업에 금액 을 청구하는 방식임

472 | 유럽Ⅰ 스페인

디지털 음악 산업 2020년 매출 1억 7,300만 유로 전망

스페인 디지털 음악 산업의 매출은 2009년 3,600만 유로에서 2015년 7,400만 유로로 2배 이상 성장함 그 중 디지털 음악 다운로드 매출은 2016년~2020년 사이 반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 는 반면 음악 스트리밍 부문은 2020년까지 1억 6,700만 유로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그림 2.7 스페인 디지털 음악 산업 매출 규모 현황 및 전망 (단위: 백만 유로)

출처 : Statista(2017)

비디오 스트리밍(SVoD) 시장 연평균 15.1% 성장 전망

스페인 내 비디오 스트리밍(SVoD) 부문의 2017년 매출은 9,200만 달러로 예상됨. 2017년부터 2022년까지 매출 성장률은 연간 15.1%로 전망, 시장 규모는 2022년 1억 8,5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사용자 수는 2017년 280만 명에서 2022년 520 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

스 페 인

| 47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그림 2.8 스페인 SVoD 시장 매출 규모 전망 (단위: 백만 달러)

출처 : Statista(2017.09)

2016년 스페인 인터넷 광고 시장 규모 18억 9,910만 달러

2016년 스페인의 인터넷 광고 시장 규모는 18억 9,910만 달러로 추정되며 그 중 검색 광고가 9억 6,520만 달러로 약 51%를 차지하고 있음 모바일 광고는 현재 위의 인터넷 광고 하위 부문마다 조금씩 포함되어 있으나 독립된 하 나의 부문으로서 성장할 전망 스페인은 48%의 인구가 소셜 미디어를 하고 있으며 하루에 평균 1.6시간을 소셜 플랫폼 에서 보내고 그 중 41%가 소셜 플랫폼에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접속하고 있어 2020 년에는 모바일 광고 시장 규모가 총 9억 6,2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표 2.7 스페인 인터넷 광고 시장 규모 전망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6 2020 연평균 성장률

디스플레이 광고 363 553.2 11.11% 비디오 광고 116.1 412.3 32.27% 검색 광고 935.2 1137.1 4.18% 소셜 미디어 광고 319.7 275.9 -3.62% 온라인 안내 광고 135.2 152.2 3.02% 출처 : Internetlivestats.com, Internetworldstats.com, ITU, Digital IN 2016 WeAreSocial,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2015–2019, PwC, Ovum, Global Rev Gen 재인용

474 | 유럽Ⅰ 스페인

2) 주요 기업 현황

스페인 무료 모바일게임, 캐주얼 게임이 대세

앱 마켓 분석업체 App Annie의 스페인 iOS, 안드로이드 무료 게임 순위를 보면 대부분이 퍼즐이나 캐주얼 게임 등으로 RPG, 액션 등의 대작 게임으로 이루어진 한국과는 사뭇 다름

그림 2.9 스페인 iOS, 안드로이드 무료 게임 순위

*왼쪽이 iOS, 오른쪽이 안드로이드 출처 : App Annie, 한경닷컴(2017.11)

Electronic Arts(EA) FIFA17, 스페인 라리가의 공식 비디오 게임 계약

1982년에 설립된 세계적 규모의 게임 개발 및 유통업 Electronic Arts(EA) 체인 Electronic Arts(EA)가 대표게임인 FIFA시리즈 의 17년도 버전을 스페인 축구 1부 리그인 라리가(La Liga)의 공식 비디오 게임으로 계약함. Electronic 홈페이지 www.ea.com Arts(EA)는 게임 내의 국가와 팀을 구성하는 선수 및 설립 1982년 경기장에 대한 운영권을 독점적으로 가진 회사임 전화번호 - 그 동안 영국과 독일에 비해 게임 내 운영되는 규모가 업종 비디오게임 제작 상대적으로 작았던 스페인에게는 리그가 공식 비디오 스 게임으로 계약을 하게 되면서 그 규모를 키우게 됨. 이 페 는 자국 내 EA게임 수요증가를 기대하게하는 요소임 인

| 47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5. 방송스마트미디어

1) 시장 동향 및 전망

대기업의 스페인 방송 시장 과점화 양상

규제감독기관 CNMC(시장경쟁위원회)에 따르면 2015년 4분기(10~12월) 기준 지상파 디지털방송이 TV방송 전체 시청 점유율의 80.7%를 차지해 케이블TV와 IPTV, 위성방 송 점유율을 압도함 스페인의 지상파디지털TV는 2005년 방송을 시작해 2010년 4월2일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의 이행이 완료되었으며 디지털화에 발맞춰 채널수가 증가해 전국 단위 의 무료 방송은 30개 이상에 달함 공영방송 RTVE(스페인방송협회)는 전국 단위의 7개 채널을 무료로 방송하고 있음. 또 국내 17개 자치주 중 12개주에는 주가 운영하는 자체 방송국이 있음. 도시 단위의 공영 방송과 지방 상업방송도 있음 2014년 지상파디지털방송의 면허 부여 절차 문제가 불거지면서 9개의 채널이 폐쇄됐으 나 정부가 다시 채널 증가를 도모할 목적으로 2015년 4월부터 사업자 모집·입찰을 실시 해 같은 해 10월 6개 사업자에 면허를 부여함 이 중 4곳은 신규 사업자였지만 나머지 2곳은 기존의 대형 방송사인 Mediaset España 와 Atresmedia였기 때문에 대기업 2개사에 의한 방송시장 과점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 졌으며 지상파 TV광고 시장의 경우도 합병을 통해 규모를 키운 Mediaset España와 Atresmedia 2개사가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게다가 스페인 및 중남미 최대 통신사업자 Telefónica는 2015년 4월 국내 최대 유료 위 성 플랫폼인 Canal+를 인수, 같은 해 7월 Canal+와 이미 소유하고 있던 IPTV인 Movistar를 통합해 명칭을 Movistar+로 바꿈. 'Movistar+'의 계약건수는 2015년말 기준으로 387만 건이며 유료방송시장의 70%를 차지해 독점적 지위를 가지고 있음

IPTV 보급률 2015년 대비 4.2%p 증가

유료 TV 가입 가구 수는 2016년 589만 가구로 보급률 32.8%를 기록했으며 가구 수로 는 전년 대비 51만4,000가구, 보급률로는 전년 대비 3.0%p 증가함 유료TV 중 IPTV 가입자 증가는 통신사업자의 패키지 서비스 강화에 따른 것으로 2014년 보급률 10.3%에서 2015년 16.4%로 6.1%p 증가한 후 2016년 20.6%로 4.2%p 증가함

476 | 유럽Ⅰ 스페인

IPTV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업자는 Telefónica, Orange, Vodafone España 등 임. IPTV를 제공하던 브로드밴드 사업자 Jazztel은 2010년 5월에 서비스를 중단함

표 2.8 스페인 IPTV 가입가구 수 및 보급률 추이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IPTV 가입 가구 854 913 787 817 1,850 (단위 : 천) IPTV 보급률 4.6% 4.8% 10.3% 16.4% 20.6% 출처 : Digital TV Research(2017)

유료 TV 중 케이블TV의 경우 2016년 보급률이 전년 대비 소폭 상승(1.3%p)했으며 유 료 위성TV의 경우 2.5%p 감소함

표 2.9 스페인 케이블 TV 및 유료 위성TV 가입가구 수 및 보급률 추이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케이블 TV 가입 가구 1,267 1,142 1,141 1,346 1,578 (단위 : 천) 케이블 TV 보급률 7.5% 6.7% 6.3% 7.5% 8.8% 위성 TV 가입 가구 1,720 1,621 1,553 1,071 613 (단위 : 천) 위성 TV 보급률 10.1% 9.5% 8.6% 5.9% 3.4% 출처 : Digital TV Research(2017)

2) 주요 기업 현황

RTVE, 인터넷 기반 양방향 서비스, 가상현실 기술 이용한 서비스 제공

공공방송 RTVE는 2013년 9월 TV방송과 인터넷을 융합한 유럽형 하이브리드 캐스트인 HbbTV서비스를 'Bóton Rojo(빨간 버튼)'이라는 명칭으로 시작함. 뉴스와 정보를 TV 화면에서 인터넷을 통해 시청·이용 가능하며, 9만 시간에 이르는 방송 아카이브의 온디 맨드(On-demand) 및 캐치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 또 RTVE는 방송과 동시에 프 로그램을 제공하는 무료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를 원칙적으로 4개 채널에서 실시함 RTVE는 2016년에 VR(가상현실)기술을 이용한 프로그램 제작에 나섬. 시청자가 가상 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미니 프로그램을 제작,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용으로 개발한 전용 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료로 제공하고 있음 페 인

| 47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2개 자치주가 운영하는 공영방송국은 모두 TV프로그램 방송과 동시에 인터넷으로 무 료 배포하는 서비스를 실시 중임

아리랑 TV, 스페인 RTVE와 방송 교류 협정 체결

아리랑 TV는 스페인의 최대 방송사업자이자 공영방송사인 RTVE와 방송 교류협정을 2015년에 체결함. 양국 방송시장의 주요현안과 프로그램의 공동제작을 논의하고, 스페 인의 스포츠와 도시에 대한민국의 창조경제의 핵심 분야인 ICT융합 기술 결합을 소개하 는 프로그램으로 공동제작하여 한국과 스페인을 포함한 전 세계에 방송 계획임

그림 2.10 아리랑 TV, 스페인 RTVE와 방송 교류 협정 체결

출처 : 아리랑 TV

478 | 유럽Ⅰ 스페인

6. 정보보호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6년 스페인 사이버보안 사고 2015년에 비해 2배 증가

스페인은 미국, 영국 다음으로 사이버 공격을 많이 받는 국가로, 2016년 스페인의 사이 버 공격은 약 11만 5,000건을 기록해 2015년 5만 건에 비해 2배나 증가함 2017년 10월 기준 11만 3,000건을 기록해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2017년 약 13만 5,000건에 이를 것으로 추산 스페인 국립사이버보안청(Instituto Nacional de Ciberseguridad, INCIBE)은 2017 년 10월까지 등록된 11만 3,000건의 사이버 사건 중 700건이 주요 사업자들과 관련이 있다고 강조함. 이 수치는 2015년에는 470건, 2015년에는 132건, 2014년에는 62건에 불과했음 국립사이버보안청(INCIBE) 산하 보안 및 산업을 위한 컴퓨터응급대응팀(CERTSI)에 따 르면 가장 일반적인 사이버공격 형태는 봇(Bot: 컴퓨터를 해커가 제어할 수 있도록 컴퓨 터를 감염시키는 프로그램)과 개인정보 유출이며 마드리드, 그 다음으로는 바르셀로나, 말라가 순으로 사이버공격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남

스페인 사이버보안기업 매출 규모는 12억 유로

2017년 10월 스페인 국립사이버보안청(INCIBE)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스페인 사이 버보안 시장 매출 규모는 연간 12억 유로에 달하며 향후 4년간 약 11~13% 증가할 것이 라고 전망 또한 스페인 사이버보안 기업들이 해외로 수출한 기술 및 서비스 총액은 2억 9,000만 유로로 주요 수출국은 프랑스, 포르투갈, 독일, 이탈리아 등 유럽국가들이며 스페인어권 남미국가들도 잠재력 있는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음 스페인 국립사이버보안청(INCIBE)은 ‘Cybersecurity Summer BootCamp’ 등과 같 은 이니셔티브를 통해 유럽 내 사이버보안 분야에 있어 리더십을 발휘하고 역할을 증대 해나갈 방침

스페인 정부, 사이버 공격 미신고 대기업들에 벌금 부과 계획 스 페 스페인 정부는 EU의 네트워크 및 정보보안에 관한 지침(NIS Directive)에 따라, 또 인

| 47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017년 5월과 6월 WannaCry 및 Petya 바이러스에 의한 대규모 사이버공격이 발생하 는 등 사이버 범죄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됨에 따라 정부 당국이 사이버 공격을 보고하지 않는 기업에 벌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는 법의 초안을 마련함 동 법안에 따르면 교통, 전기과 같은 필수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과 디지털 서비스 제 공 기업들이 주요 사이버 공격에 대해 당국에 즉시 통보하지 않을 시 벌금을 부과하고 기 업이 사이버 공격을 피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에도 조치를 취할 계획 동 초안에서 행정부는 국가적 필수서비스 제공 기업의 보안 시스템에 대한 감사를 수행 하고 발견된 결함 수정 및 보안 요구사항이 충족되도록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 속력 있는 지시를 강제할 권한을 갖게 됨

스페인 정부의 정보보안 관련 기관

국립사이버보안청(INCIBE)은 스페인 국내외 사이버 보안 관련 프로젝트 개발 및 관련 분 야 혁신을 통한 정보사회 구축을 목적으로 공공기관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사이버 보안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사이버 보안 교육 실시 및 보안 전문가 양성을 중점적으로 수행함 Red.es는 現에너지관광디지털부(前산업에너지관광부) 산하 정보사회통신부(SETSI) 소 속 공기업으로 ICT 관련 민간 분야, 지방자치단체, 지방 공공기관 등과 공조를 통해 정 보사회 구축을 위한 특정 프로젝트들의 수행을 목적으로 함 정보보호국(AEPD)은 1993년 3월 법령 제 428호(Ley 428/1993)에 의해 설립되었으 며, 스페인 국민의 개인정보뿐만 아니라 개인정보 권한 관련 규제를 수립함. 정보보호국 (AEPD)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음

표 2.10 2014년 스페인 사이버 범죄 분야별 발생 건수 정보보호국(AEPD)의 주요 역할

정보의 활동에 대한 인식 및 개인 데이터 보호 관리 사이버 범죄 신고 접수 정보보호 감사 및 제재 절차 국제기관과의 협력 인터넷에서의 개인 데이터, 비디오 모니터링 실시

출처 : 스페인 정보보호국(AEPD)

480 | 유럽Ⅰ 스페인

2) 주요 기업 현황

사이버보안회사 Continuum Security, 150만 유로 자금 확보

2017년 12월 5일 스페인 사이버보안업체 Continuum 컨티넘 시큐리티(Continuum Security) Security는 고객들이 이 보안 설계 활동을 자동화하 고 확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업계 최고의 위협모델링

(Threat Modeling) 플랫폼을 개발한 회사로 150만 홈페이지 https://www.continuumsecurity. net/ 유로의 투자를 받아 국제 성장 전략을 강화할 계획이 설립 - 라고 발표함 전화번호 +34 974 032 183 업종 통합 위협 모델링 플랫폼, 사이버보안 최근 가트너(Gartner)의 하이프 사이클(Hype Cycle) 보고서에서 응용 보안 요구사항 및 위협 관리 부문에 서 좋은 평을 받는 등 크게 주목받고 있는 스타트업임 2016년 개발자 및 보안 분석가가 응용 프로그램 설계 시 소프트웨어 취약성을 줄이고 완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업용 솔루션 인 IriusRisk를 출시함. 이 투자의 결과로 Continuum Security는 2018 년에 IriusRisk 2.0을 출시 할 예정임

스페인 정부, Facebook ‘개인정보 무단수집’ 과징금 부과

2017년 9월 스페인 정부가 Facebook이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을 위반했다며 120 만 유로(약 16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함 AEPD에 따르면 Facebook은 종교, 성별, 개인적 취향, 검색 기록 등 무단 수집한 개인 정보를 인터넷 타깃 광고에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Facebook이 사생활 관련 공지문을 모호하게 표현하고, 여러 경로를 거쳐야만 해당 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고 지적했으며 Facebook이 일부 사용자의 개인정보 삭제 요청에도 불구하고 수개월 동안 보관하며 광고에 활용하는 등 법률을 위반했다고 판단함 Facebook은 유럽의 데이터 보호 관련 법률을 준수했다며 이번 처분에 불복해 법원에 제소하겠다고 밝힘

스페인국립사이버보안청(INCIBE), 제11차 국제정보보안회의 개최

스페인국립사이버보안청(INCIBE)은 2017년 10월 24~25일 제11차 국제정보보안회의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Security, ENISE)를 개최함으로써 행사 기 스 간 중 개최된 비즈니스 미팅을 통해 잠재적 바이어들에게 스페인 보안기업의 상품과 서 페 비스를 홍보함 인

| 48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7. 클라우드 컴퓨팅

1) 시장 동향 및 전망

글로벌기업들이 스페인 클라우드 시장의 75% 차지

스페인에서의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은 2016년 대비 약 23% 성장했으며 전통적인 IT 인 프라에 대한 지출이 클라우드 기반 모델로 크게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 여러 연구에 따르 면 2015~2020년의 복합 연평균 성장률은 21.9%에 이르러 2015년 시장가치 5억 1,270만 유로에서 2020년 10억 유로에 이를 것으로 보임 Microsoft, Google, Amazon Web Services, IBM, Salesforce는 현재 스페인의 클라 우드 기반 서비스 시장 75%를 차지함. Dropbox, Box와 같은 기업들도 기업 사용자가 아닌 개인 사용자들 사이에서 많이 쓰임 스페인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은 주로 IaaS서비스와 SaaS 서비스를 제공하며 B2B 고 객을 위한 PaaS 서비스 업체들도 존재함. B2C 시장은 치열한 경쟁과 자신들이 제공하 는 무료 클라우드 서비스를 유지하고 현금화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외국 기업들의 경쟁우위로 인해 스페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주력하고 있지는 않음

표 2.11 스페인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업체명 주요 서비스

Telefónica에서 분사한 회사로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솔루션을 Acens 제공하여 호스팅뿐만 아니라 컴퓨터 처리 능력 제공 Arsys 클라우드 서버, 클라우드 응용 프로그램, 컴퓨터 처리 능력 및 호스팅 서비스 제공 Hostalia 클라우드 서버와 컴퓨터 처리 능력을 호스팅과 함께 제공 Gigas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및 클라우드 기반 가상 사설 서버 제공 ABServer DataCenter 가상 사설 서버, 가상 데이터 센터 및 호스팅 서비스 제공 출처 :www.gettingthedealthrough.com

클라우드 컴퓨팅 관리 및 규제는 미비

스페인에서는 B2C 또는 B2B와 같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관리 또는 규제하는 특정 규정이 없고 클라우드 컴퓨팅이 다른 유형의 전자통신 및 정보 전송과 함께 번들로 제공되므로 모든 일반적인 규정이 적용됨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페인 행정부는 공공부문의 유럽 클라우드 시장을 활성화하는 것을

482 | 유럽Ⅰ 스페인

목표로 하는 유럽 클라우드 파트너십(European Cloud Partnership, ECP)의 운영이 사회 멤버로서 유럽 클라우드 시스템 구현에 깊이 관여하고 있음

스페인 기업 내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보급

국가정보사회통신연구소(ONTSI)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종업원 10명 이상 고용 기업 의 19.3%가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구입했다고 응답해 전년에 비해 3.9%p 증가했으며 종업원 10명 이하의 영세기업의 경우 7.2%로 전년 대비 2.1%p 증가 영세기업의 경우 조사 대상 서비스 중 가장 사용도가 높은 서비스는 이메일(89.8%)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57.5%)로 나타났으며 이메일 서비스 구매는 전년 대비 36.7%p 증가 해 가장 큰 성장률을 보였고 오피스 소프트웨어도 전년 대비 13.9%p, 고객정보 처리 응 용 소프트웨어도 16.7%p 증가함 중소기업 및 대기업의 경우에는 이메일 및 파일 저장이 각각 68.8%, 66.2%로 가장 사용 도가 높았으며 가장 큰 증가폭을 보인 서비스는 오피스 소프트웨어로 전년대비 12.6% 증가함

그림 2.11 2015~2016스페인 기업 규모별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구입 분야 (단위 : %)

100 89.8 90 80 66.9 68.8 68.2 68.7 70 66.2 61.8 60 57.5 53.1 51.1 52.750.4 50 37.5 40 37.3

30 24.9 23.4 23.4 25.1 20.6 23.1 22.4 20.1 21.1 18.9 17.8 17.3 20 14.1 10 6.7 0 이메일 파일 저장 기업용 데이터베이스 오피스 소프트웨어 고객 정보 처리 응용 자사 소프트웨어 재무회계 소프트웨어 서버 소프트웨어 컴퓨터 처리 능력 응용 프로그램 ▪중소기업 및 대기업(2015년) ▪중소기업 및 대기업(2016년) ▪영세기업(2015년) ▪영세기업(2016년)

출처 : 국가정보사회통신연구소(ONTSI), 2017

스 페 인

| 48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스페인 주요 통신 사업자인 Telefónica, Orange, Vodafone España 등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Gigas, 스페인어 클라우드 서비스로 빠르게 성장

Gigas는 5명의 통신 전문가가 2011년에 설립한 회 Gigas 사로 2012년 매출 40만 2,000유로에서 2016년 570만 유로로 5년 새 약 14배나 증가함 특히 매출의 약 50%를 남미에서 올리고 있으며 150 개 개국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홈페이지 https://gigas.com/ 설립 2011 동 기업의 성공비결은 스페인에서 스페인어로 된 클 전화번호 - 라우드 서비스가 없고 몇몇 글로벌 대기업의 전화상 업종 웹서비스, 클라우드컴퓨팅 담과 같은 고객지원서비스 없이 영어로 된 서비스가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함. 게다가 당시에는 Microsoft, Google, Amazon 모두 스페인에 데이터센터가 없었기 때문에 차별성을 둘 수 있었음 동 기업은 파이낸셜 타임즈(FT) 1000대 기업 중 유럽 유망기업 126개 리스트에 올랐으 며 유럽위원회는 동 기업을 스페인어 퍼블릭 블라우드 사업자 5개 중 하나로 선정함

Telefónica, Netsia, 마드리드에서 RAN슬라이싱 실시

Telefónica는 미국업체인 Netsia의 가상 LTE RAN 플랫폼을 마드리드의 글로벌 네트 워크 연구소에 성공적으로 통합함 두 회사는 RAN 수준에서 서로 다른 고객들에게 서로 다른 성능, 대기시간 및 무선 리소 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슬라이스로 세분화할 수 있는 사설 LTE 네트워크를 효과적으 로 재현해냄

484 | 유럽Ⅰ 스페인

8. 사물인터넷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7년 스페인 스마트홈 시장 매출 2억 9,600만 달러 전망

Statista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7년 스페인의 스마트홈 시장 매출은 2억 9,600만 달러에 달하며 2017~2022년 연평균 성장률(CAGR)은 35.2%로 2022년 13억3,8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또한 스마트홈 가구 보급률은 2017년 4.5%에서 2022년 19.7%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그림 2.12 2017~2022 스마트홈 분야별 매출 전망 (단위: 백만 달러)

1,500 1,338

1,141

1,000 928

696

500 472 296 184

0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Total 컨트롤 및 연결성 컴포트 및 조명 보안 홈 엔터테이먼트 에너지 관리 스마트 어플라이언스

출처 : Statista(2017.10)

그림 2.13 2016년 스마트홈 IoT 어플라이언스/디바이스별 사용 비중

20%

17.5% 16% 15% 13% 12.5% 12% 11% 10% 9%

7.5%

5%

2.5%

0% 가전기기 음향/엔터테인먼트커넥티드 디바이스 온도조정장치/ 감시시스템 (세탁기, 냉장고) 장비 탑재 차량 스마트 에너지 (보안 시스템) 절약 시스템 스 페 출처 : Statista(2017) 인

| 48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스페인 정부, 스마트 도시 구현에 대규모 예산 투입

스페인 정부는 스페인 디지털 어젠다의 일환으로 국가 스마트시티 계획(Plan Nacional de Ciudades Inteligentes)을 추진함 2015년 6월 발표된 스마트시티 계획 2차 개정안에는 총 1억 8,800만 유로의 예산 투입 과 함께 스마트시티 자문위원회(consejo asesor)구성안을 포함하는 등 스마트 도시 구 현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음 바르셀로나의 경우 스페인에서 인구가 두 번째로 많은 도시로서 정보기술 통합이 활성화 되어 있고 모바일 솔루션 보급률이 높으며 운송 분야의 디지털화가 특히 발달한 도시임 스페인 정부는 바르셀로나의 이러한 특성을 살려 전기플러그인 및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 한 보조금을 최대 7,000유로까지 제공하고 가로등을 LED전구로 교체함으로써 공공조 명의 에너지 소비량의 30%가 감소함 스페인 산업부는 LIVE 프로젝트를 통해 카탈루냐 에너지 연구소, 닛산-르노, 지멘스, 도 요타, Altran 등 유수기업들과 민관공동으로 도시 및 대도시의 전기 이동성 증대를 위한 협력의 장으로 바르셀로나를 선택, 전기자동차 혁신 허브로 삼음 또한 마드리드의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에는 약 1,470만 유로(약 1,582만 달러)가 투자 되어 스마트 서비스와 이동성 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임. 마드리드는 ‘Intelligent Madrid(MiNT)’라 불리는 혁신 기술 플랫폼을 사용, 공공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시 민들로 하여금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해 주정부와 실시간으로 의사 소통할 수 있게 함

그림 2.14 마드리드 스마트 시티

출처 : Urban Hub

486 | 유럽Ⅰ 스페인

2) 주요 기업 현황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스페인 에너지기술 협력 양해각서 체결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은 2017년 11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스페인 R&D 전담기관 산 업기술센터(CDTI)와 한-스페인 에너지 기술협력 양해각서(MOU) 체결 이번 MOU는 한-스페인 에너지분야 협력관계 형성 및 국제공동연구 추진을 위해 체결 된 것으로 △스마트그리드(AMI, Inverter, ESS 등) △신재생(태양광, 풍력)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협력 추진을 골자로 함 양 기관은 이번 MOU의 이행을 위해 차년도 국제공동연구 공고(Joint Call)를 위한 일정 및 협력분야에 대한 내용을 논의하고 향후 스페인과의 스마트에너지 R&D 및 실증 협력 을 통해 국내기업의 해외진출과 국가 에너지전환을 지속 지원할 방침

Telefónica, 스마트 시티 개발에 적극적 행보

세계적 모바일 및 광대역제공업체인 Telefónica는 스페인의 주요 도시에서 스마트 시티 와 관련한 다양한 이니셔티브와 시범사업을 선보이며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음 Telefónica는 기존에 이미 설치된, 혹은 설치가 용이한 인프라와 IoT기술을 사용해 신 속하게 효율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시민행정 분야로 주차, 가로등, 쓰레기 수거, 환경, 교 통 및 관광의 6가지 핵심분야를 선정함 Telefónica는 CARTO 플랫폼을 사용하여 개방형 및 개인용 데이터 소스에서 수집한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 및 시각화를 제공하여 자사 스마트시티 이니셔티브 전반에 사용 2017년 1월에는 NEC, Easy Global Market, Orange 및 iMec과 함께 개방적이고 상 호운영 가능한 스마트시티 구현을 가능케 하는 컨텍스트 정보 관리(Context Information Management)에 관한 새로운 유럽 전기통신표준협회(ETSI) 산업규격 그 룹(ISG)을 만듦 컨텍스트 정보 관리 산업규격그룹(ISG CIM)은 공통 컨텍스트 정보 관리 API 및 통합 데 이터 모델에 대한 사양 개발에 중점을 둘 것이며 스마트 도시의 개방성과 상호 운용성을 촉진하고, 벤더 종속(Vendor-locking)을 피하며 사업자, 기업가, IoT 제공자, 시당국 및 시민들에게 이익을 주는 더 강력한 생태계를 구축을 최종 목표로 함

스 페 인

| 48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Orange, 스페인에서 새로운 스마트홈 보안 서비스 개발 예정

Orange는 보안시스템 전문업체인 Tyco와 ‘Smart Security’라는 새로운 보안 서비스 를 개발하기로 합의함 스페인은 Orange Group이 진출한 국가 중 스마트홈 및 IoT 전용 사업 부문에서 이러 한 성격의 서비스를 개시한 첫 번째 국가가 될 것임 Orange Spain은 이후 조명, 가전제품 관리, 홈 오토메이션, 에너지 절약 및 효율 관리, 원격 지원 등과 같은 새로운 영역에서의 내수 활동을 확대할 방침임 Orange 내부 조사에 따르면 Orange 서비스 가입 가정 중 40% 이상이 Smart Home 과 관련된 새로운 서비스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보안서 비스에 가입한 가정은 8%에 불과한데, 그 이유는 현재 시장에서 가장 잘 알려진 업체들 이 제공하는 서비스들의 단가가 너무 높기 때문으로 나타남 ‘Smart Security’는 월 29.95유로의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보안 무선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보안서비스 제공으로 시장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지 관심이 주목됨

488 | 유럽Ⅰ 스페인

9. IT스마트융합

1) 시장 동향 및 전망

2016년 스페인 빅데이터 및 애널리틱스 시장 규모 1억 9,100만 유로

컨설팅 기업 IDC에 따르면 2016년 빅데이터 및 애널리틱스 시장 규모는 1억 9,100만 유로로 1억 1,000만 유로를 기록한 전년에 비해 6.3% 증가함 빅데이터 솔루션에 대한 수요 증가는 기업들의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 인식 및 관심 증가 를 반영한 것으로 빅데이터 관련 기업들에게는 호재로 작용하고 있음 Oracle, SAP, IBM, SAS, Microsoft가 스페인 빅데이터 시장 점유율 58%를 차지하며 주도하고 있으나 버티컬 솔루션이나 전문 솔루션 등에 특화된 업체들도 점점 성장하는 추세임 SAP의 경우 매출이 18%나 성장했으며 Oracle과 Microsoft는 약 9.3%로 성장률 두 자 리 수에 근접했으며 IBM과 SAS는 각각 6.9%, 4.8% 감소함

스페인 정부, 빅데이터 분야 촉진

스페인 정부는 스페인 디지털 어젠다 프로젝트를 통해서 빅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높여 각 조직 내의 의사결정 시 최적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추진할 것이라고 밝힘 스페인 정부는 관련 국제기구와의 협력으로 빅데이터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고, 빅데이터 솔루션 개발 증진과 지능형 데이터 프로세싱 활성화 전략을 꾀할 계획임 스페인 디지털 어젠다에서 2014년 추진한 빅 데이터 관련 프로젝트 및 관련 지원 액수 는 아래와 같음

표 2.12 2014년 스페인 빅데이터 지원 사업 추진 결과 구분 관련 프로젝트 수 승인 프로젝트 수 예산 지원액 참여기업 수

2,593만 2,569만 빅데이터 210 52 48개 6,000유로 9,000유로 1억 8,503만 1억 8,173만 총합 1,171 295 296개 4,000유로 9,000유로

비중 18% 17.6% 14% 14% 16% 스

출처: Agenda Digital Espana 페 인

| 48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스페인, 독자적인 핀테크 시장 형성

스페인의 핀테크 생태계는 지난 몇 년간 꾸준히 성장해 2013년 불과 50개의 금융 스타 트업에서 2017년에는 300개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산됨. 이 급속한 성장세는 2018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 스타트업의 수적 성장뿐 아니라 영업가치 면에서 봤을 때도 폭발적인 성장을 했는데 영 업가치 상으로 2014년 3,500만 유로에서 2016년 2억 600만 유로로 증가하여 불과 2 년 만에 600% 성장을 달성함 스페인 핀테크인슈어테크협회(Asociación Española de Fintech e Insurtech – Aefi) 는 스페인 핀테크 기업이 2017년 한 해에 창출할 고용만해도 10,000개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음. 이는 실업 문제, 특히 청년 실업률이 38%에 달하는 스페인 경제에서 무시할 수 없는 경제 효과로 볼 수 있음

2) 주요 기업 현황

Banco Santander, 핀테크 개발 위해 스타트업 적극적 지원

스페인에서 핀테크 개발에 가장 적극적인 기업은 업 산탄데르 은행(Banco Santander) 계 1위 Banco Santander로, InnoVentures라는 캐피털 펀드 운용을 통해 2017년 10월 기준 약 15

개의 핀테크 관련 스타트업을 개발 초기 단계부터 지 http://www.santander.co 홈페이지 m/ 원하고 있음 설립 1857년 동 은행이 지원하는 스타트업은 모두 외국 기업으로, 전화번호 -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스타트업은 이스라엘 기업인 업종 은행업 PayKey(http://www.paykey.com)임. 동 회사는 WhatsApp이나 Facebook, Twitter 등 기존의 SNS 서비스를 통해 유저간 빠르고 간단 한 결제를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중임 해당 기술은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P2P 키보드 소프트웨어로 해당 앱이 사용자의 은행과 연동돼 안전하고 간편한 결제가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주목적으로, Banco Santander 는 지난 2016년 11월부터 타 캐피털 벤처와 함께 총 600만 달러를 투자함

스페인 내 빅데이터 주요 기업

스페인 내 빅데이터 주요 기업으로는 BEEVA, Paradigma, Synergic Partners, CAPSiDE, Pragsis, PowerData, GMV 등이 있음. 주 사업 내용은 아래와 같음

490 | 유럽Ⅰ 스페인

표 2.13 스페인 내 빅데이터 주요 기업 정보 기업명 홈페이지 내용

‐ Big Data, Open Business 및 Enterprise www.beeva.com Cloud 서비스 제품이 주력임 BEEVA

‐ 비즈니스 기술 및 웹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www.paradigmatecnologico.com 개발이 주력임 Paradigma

‐ 전략 및 기술 컨설팅 회사로 데이터 관리, 데이 www.synergicpartners.com 터 거버넌스 및 분석을 전문으로 함 Synergic Partners

‐ 컨설팅 및 통합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경험 엔지 capside.com 니어의 Big Data 교육을 제공함 CAPSiDE

www.pragsis.com ‐ Bidoop이라는 자사 빅데이터 솔루션을 제공함 Pragsis

www.powerdata.es ‐ 조직 데이터 관리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함 PowerData

‐ 항공, 우주, 국방, 보안, 보건, 운송, 통신 및 정 www.gmv.com/es 보 기술 분야에서 빅 데이터 기술을 사용하여 다 GMV 양한 분야를 개발함

출처 : Agenda Digital Espana

스 페 인

| 49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10. 전파위성

1) 시장 동향 및 전망

스페인 위성통신 매출 5억 달러대 안정세 유지 전망

글로벌 통계 기관 Statista의 자료에 의하면 스페인 위성통신 매출액은 2008년 7억 3,300만 달러 규모에서 감소하여 2013년 5억 5,000만 달러 규모로 조사됨

그림 2.15 스페인 위성통신 매출액 전망 추이 (단위: 백만 달러)

※2014~2020년도는 전망치임 출처 : Statista

스페인 최대 위성통신 사업자 Hispasat

스페인 통신위성 사업자인 Hispasat은 스페인 업계 1위 기업으로 2015년 2,800만 유 로 상당의 판매 수익을 올림 1992년 처음으로 인공위성을 발사(Hispasat 1A)했으며 2004년 Amazonas1 위성을 발사해 미국 시장에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2017년 9월까지 Amazonas 위성 시리즈를 5세대까지 런칭함

492 | 유럽Ⅰ 스페인

그림 2.16 2015년 스페인 10대 위성통신서비스 기업 판매 수익 (단위: 백만 유로)

Hispasat Canarias SL 105.99 Hispasat SA 87.86 Servicios Audiovisuales Overon SL 67.58 Hisdesat Servicios Estrategicos SA 61.31 Telefonica Servicios Audiovisuales SA 58.11 Hispamar Exterior SL 52.1 Satlink SL 46.54 Skylogic Espana SI 1.93 R1 Television SL 0.86 900 Telecom SL 0.54 0 20 40 60 80 100 120 Sales value in million euros

출처 : Statista(2017)

스 페 인

| 49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 주요 기업 현황

Hispasat와 Media Broadcast Satellite 중동 4K 콘텐츠 서비스 계약

2017년 9월 스페인 통신위성 사업자인 Hispasat와 Media Broadcast Satellite는 유 럽, 북아프리카 및 중동 지역에서 4K 콘텐츠 배포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협의함 동 협약에 따라 양사는 4K 콘텐츠 제공업체에게 최대한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는 플 랫폼을 통해 시청각 시장에 대한 상용 서비스를 확장하게 됨 새로운 플랫폼은 지역의 시청각 콘텐츠 배포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유럽과 북아프리카의 고품질의 커버리지와 함께 Hispasat 인공위성과 Media Braodcast Satellite의 독일에 위치한 위성기지의 기능을 결합함

그림 2.17 독일 Usingen에 위치한 Media Broadcast Satellite사의 위성기지

출처 : Panorama Audiovisual(2017)

Hispasat. RTVE와 협업 통해 스페인 전역에서 4K HDR방송 테스트

위성통신 사업자 Hispasat는 2017년 7월 첫 주 스페인에서 4K HDR(High Dynmic Range)기술을 통한 라이브 TV방송 서비스를 개시함 RTVE와의 협업을 통해 2017년 7월 마드리드 왕국에서 열리는 근위병 교대식을 방송으 로 내보냄. Hispasat 측은 Ateme, Loewe, LG, Dolby, Cellnex, Al는 스페인 전역에 서 방송 서비스를 개척하기 위해 Abacanto, Grass Valley, Crosspoint, EVS, Moncada y Lorenzo, Canon, Huri를 비롯한 수많은 업체들이 Hispasat RTVE 과의 협업 프로젝트에 동참했다고 설명

494 | 유럽Ⅰ 스페인

11. 디바이스

1) 시장 동향 및 전망

스페인, 모바일폰 중 스마트폰 비중 유럽 내 1위

스페인 내 휴대전화기 통신라인 수는 2011년 5,259만 개로 정점을 찍었으며, 최근 5년 간 소폭 하락해 2016년 2분기 5,118만 개를 기록함 인구 대비 보급률은 2000년 대 이후 가파르게 상승해 2011년 112.7%까지 기록했으나, 이후 소폭 하락해 2016년 2분기 110.2%에 머무름 스페인 내에서 사용되는 휴대전화기 중 스마트폰 비중은 2015년 기준 87%로 유럽서 가 장 높은 수치를 보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스마트폰 OS는 안드로이드(84%), iOS(12%), 윈도우(3%), 심비안 (1%) 순으로 나타남. 브랜드/모델별 시장점유율(2016년 3Q, 수량기준)은 화웨이 P8 Lite(7.4%), 삼성 갤럭시 J5(6.8%), 화웨이 P6 Lite(4.7%), 삼성 갤럭시 J3 (4.3%), BQ Aquaris E5s(3.3%) 순이었음

그림 2.18 2016년 3분기 스페인 스마트폰 모델 시장 점유율 (단위:%)

Huawei P8 Lite 7.4

Samsung Galaxy J5 6.8

Huawei P9 Lite 4.7

Samsung Galaxy (2016) 4.3

BQ Aquaris E5s 3.3

BQ Aquaris X5 2.6

LG K8 2.2

LG K10 2

Samsung Galaxy A5 (2016) 1.9

Xiaomi Redmi Note 3 1.7

출처 : Kantar Worldpanel, Kotra 재인용(2017.02) 스 페 인

| 495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2020년 스페인 태블릿 보급률 63.8% 전망

Statista에 따르면 2014년 스페인 내 태블릿 보급률은 47%에서 2015년 51.2%로 3.8%p 증가했으며 2016년 보급률은 55.3%, 2017년 보급률은 59%에 달할 것으로 전망함 데스크톱PC나 노트북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 부담이 적고 경량으로 휴대성이 좋아 웹 서핑이나 비디오 감상, 간단한 문서 작성 등 소수의 기능만 필요한 유저에게 인기몰이를 하고 있음 2015년 판매 수량 기준으로 주요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은 Apple(24%), 삼성(16.2%), Lenovo(중국, 5.4%), Asus(대만, 3.4%), Huawei(중국, 3.1%), 기타(47.9%)로 나타남

그림 2.19 2014~2020 스페인 태블릿 보급률 (단위 : %)

80%

70% 63.8% 62% 63% 59% 60% 55.3% 51.2% 50% 47%

40%

30%

20%

10%

0%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출처 : Statista(2017)

496 | 유럽Ⅰ 스페인

2) 주요 기업 현황

샤오미(Xiaomi), 스페인 마드리드에 2개의 오프라인 스토어 문 열어

중국의 첨단기술기업 중 하나인 Xiaomi는 2017년 11월 스페인 마드리드에 공식 리셀 러를 통해 2개의 상점을 오픈함. Mi Home이라 불리는 이 오프라인 스토어들의 개업일 에는 개장 전부터 수백 명이 줄을 서는 등 높은 관심을 보였음 Xiaomi 측은 수년간 스페인에서 온라인에서만 판매되었던 Xiaomi 제품에 대한 관심이 스페인 내에서 높아지고 충실한 고객층이 생기면서 스페인에 오프라인 매장을 개설하게 되었다면서 샤오미의 서유럽 시장 진출 첫 걸음에 불과하다고 발표함

웨어러블 디바이스, 최근 3년간 480.3% 판매 성장

스페인에서 2014년~2017년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수요가 480.3% 증가하여 2억 유로 에 달하는 시장을 형성 2014~2017년 품목별 판매 증가율은 스마트 웨어러블이 무려 751.1%, 디지털 스포츠 워치가 380%, 스포츠밴드가 267.3% 순으로 나타남 미국, 중국, 한국 등 다양한 국적의 기업에서 판매하는 제품이 현지 시장을 점유하고 있 으며 1위는 미국계 기업인 Fitbit사로 12.2%를 차지했으며 상위 10대 기업 중 엘지전자 가 유일하게 8위(4.8%)에 올랐음

표 2.14 22016~2017 주요 기업별 웨어러블 전자기기 시장 점유율 시장점유율(%) 기업명 취급품목 2016 2017(전망)

Fitbit 스포츠용 모니터링 밴드 및 스마트워치 12.6 12.2 Garmin 스포츠밴드, GPS 스마트워치 14.8 12.1 Xiaomi 스포츠밴드, 스마트워치 8.5 11.8 Polar Electro 스포츠용 모니터링 밴드 및 스마트워치 11.9 11.3 Sony 스포츠용 모니터링 밴드 및 스마트워치 9.4 9.0 Misfit 스마트워치, 피트니스 밴드 7.1 7.7 Ihealth lab 스포츠·건강 모니터링 밴드 6.0 5.3 LG Electronics 스마트워치, 스포츠·건강 모니터링 밴드 4.3 4.8 Fossil 아날로그·디지털 스포츠워치, 스마트워치 2.0 3.0 스 Quatrotec Electronica 스포츠밴드, 스마트워치 3.0 2.9 페 출처: 유로모니터, Kotra 재인용(2017.9) 인

| 497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Ⅲ • • 유망제품 진출전략

Overview

유망품목 도출

유망품목 선정 - ‘사물인터넷’

‐ 선정 사유 1. EU의 에너지 정책, 유럽의 스마트홈 중요성 부각  스페인 스마트홈 이용 가구 수, 2020년까지 119만 가구 증가 예상 ‐ 선정 사유 2. 스마트홈 인지도 조사, 에너지 절약과 안전/보안이 핵심  설문조사의 스페인 응답자들은 에너지 절약과 안전/보안을 스마트홈의 장점으로 생각 ‐ 선정 사유 3. 스페인 정부, 스마트 시티와 스마트 그리드 건설에 투자  말라가 스마트 시티와 마드리드 스마트 시티 건설에 투자

유망제품 선정

‐ 스마트홈용 시큐리티 카메라  무선으로 작동하고,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을 이용해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함 ‐ 스마트 플러그  실시간 전력 사용량과 금액 표시 기능 탑재, 대기전력 차단을 통한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음 ‐ 스마트 화재경보기  무선으로 연동되고, 화재 발생 시 관계자에게 속보 전달 및 소방서 신고 기능이 탑재됨

유망제품 유통구조 현지 진출 기업 사례

수출기업

HW전문 HW전문 SI업체 제조업체 유통업체

(온라인) Reseller VAR ‐ 오프라인 한화테크윈, 2018년 스페인에서 새로운 버티컬 솔루션 출시 예정 최종 수요처(일반 소비자, 일반기업 등) ‐ HW전문 제조, 유통업체는 재판매자와 온라인을 통해 판매가 가능, 소프트웨어는 재판매자 및 온라인 직거래를 통해 판매 가능 ‐ 최종 수요처: 일반 기업, 일반 소비자 등

유망제품 홍보 방법

‐ MWC 2018 참여  스마트홈 기기 및 사물 인터 넷, 모바일 등 다양한 스마트 ‐ 스마트홈 기기 사용자들에 홈 분야 제품 박람회 대한 동영상 광고제작을 통 ‐ 마드리드 프랜차이즈 박람회 한 홍보  스마트홈 기기, IT, 텔레커뮤 니케이션 관련 제품 박람회

498 | 유럽Ⅰ 스페인

1. 유망품목 도출

선정 사유 1. EU의 에너지정책, 스마트홈 중요성 부각시켜

EU 에너지연합에 따르면, 에너지 연구혁신 프로그램인 R&I 관련 조치 4개 과제 중 하나 로 스마트 시티,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홈 기기 및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한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소비자들의 참여 촉진을 발표함. 또한, 스페인의 디지털 어젠다와 같은 정부 정 책에 힘입어 스페인 내 스마트홈에 대한 인식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음. 이에, Statista는 스페인의 스마트홈 이용 가구 수가 2015년 16만 가구에서 2020년 135만 가구로 119 만 가구 증가할 전망이라고 밝힘

선정 사유 2. 스마트홈 매력도 조사, 에너지 절약이 핵심

독일의 전자기기 및 자동차 부품회사인 보쉬가 2016년 7, 8월에 거쳐 스마트홈에 대한 매력도 조사를 실시함. 스마트홈 매력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스페인 응답자 중 70%가 스마트홈의 가장 큰 매력은 에너지 절약이라고 답변함. 그 뒤를 이어 안전(62%), 보안 (59%)이 중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자동화57%, 편리성 35%, 기타 4%로 집계됨

그림 3.1 스마트홈에 대한 매력도 조사(복수 응답 가능) (단위 : %)

출처 : 보쉬

스 페 인

| 499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선정 사유 3. 스페인 스마트 시티, 스마트 그리드 건설 투자

스페인 에너지관광디지털부는 디지털 어젠다의 정책 중 ICT분야 개발정책의 세부사항 으로 스페인의 스마트 시티, 스마트 그리드 건설 프로그램 육성을 계획함. 스페인에서 점 유율이 가장 높은 전력회사인 Endesa의 주도로 2010년 말라가 스마트 시티를 건설하 고, 일반 계량기를 스마트 계량기로 2018년 12월까지 100% 교체할 예정이며, 20%의 에너지 절약 효과를 기대 중임. 또한, 2014년 IBM의 스마트 도시 기술을 개발하는 스페 인 기업인 INSA와 협력 체결을 맺고, 마드리드의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에 약 1,470만 유로(약 1,582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임

500 | 유럽Ⅰ 스페인

2. 유망제품 선정

스마트홈용 시큐리티 카메라

➀ 무선으로 작동하며,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구성됨 ➁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통해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함

[ 시큐리티 카메라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스마트 플러그

➀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제어 기능과 스케줄 관리 기능이 탑재됨 ➁ 실시간 전기 사용량, 금액 표시 기능과 대기전력 차단을 통한 에너지 절약이 가능함 ➂ 중국, 일본, 미국, 한국 기업들이 시장에서 강세를 보임 [ 스마트 플러그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스마트 화재경보기

➀ 자동 화재경보기가 무선으로 연동되고, 화재 발생시 스마트폰으로 관계자에 음성문자 전달 및 소방 서에 신고가 가능함 ➁ 연기와 일산화탄소 감지도 가능하며, 위급상황이 아닐 경우, 빛으로 경고하는 알람 기능이 탑재됨 [ 스마트 화재경보기 ]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제품 ·········································································· ☑  현지 수요량이 급증하고 있는 제품 ························································································ ☑  현지 진출 경쟁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낮은 제품 ······································································ ☐

스 페 인

| 501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3. 유망제품 유통구조

스페인 내 스마트홈 기기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수출하기 위해 해당시장의 유통구조를 파악함. 스페인 내 스마트홈 기기를 유통할 수 있는 경로는 크게 하드웨어 제조 및 유통 업체, SI업체가 있음 소프트웨어 수출기업은 현지 하드웨어 전문 제조업체와 파트너 관계를 맺어 하드웨어에 필요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음. 현지 하드웨어 전문 제조업체는 온라인을 통해 최종 수 요처에게 제품을 공급하거나 리셀러를 통해 제품을 납품할 수 있음. 또한 현지 SI업체에 게 솔루션을 공급하는 방식이 존재하며, SI업체는 주로 온라인을 통해 거래하는 경우가 많음 하드웨어 수출기업의 경우, 하드웨어 전문 유통업체를 통해 자사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 음. 현지 유통업체는 리셀러에게 제품을 납품하는 경우가 많음. 리셀러는 대부분 오프라 인 거래를 통해 백화점, 멀티샵과 같은 대형 매장에 판매함 최종 수요처는 일반 소비자, 일반 기업이 있음. 정부의 스마트 시티, 스마트 그리드 건설 정책도 기업들의 주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정부의 입찰을 받기보다는 기업과의 거래가 주 를 이룸

그림 3.2 스페인 스마트홈 기기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유통구조

수출기업

HW전문 HW전문 SI업체 제조업체 유통업체

(온라인) Reseller VAR 오프라인

최종 수요처(일반 소비자, 일반기업 등)

502 | 유럽Ⅰ 스페인

4. 현지 진출 기업 사례

한화테크윈, 2018년 스페인에서 새로운 버티컬 솔루션 출시

보안시스템, IT솔루션 등을 제조하는 한화테크윈이 2018년 출시될 새로운 버티컬 솔루 션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 신제폼의 대역폭 50% 저감기술, 비디오 인코딩 등 특장정에 대해 설명함 한화테크윈은 스페인 및 포르투갈에서 IP CCTV의 매출 성장에 힘입어 CCTV 매출이 4.5%나 증가했으며 이로 인해 유럽 전체에서 6% 증가함 한화테크윈의 스페인 내 주력 상품은 ‘Step Program'으로 프로젝트, 기술, 마케팅을 지 원하며 스페인 및 포르투갈 매출의 31%가 이 제품과 관련되어 있음 한화테크윈의 보안 카메라 브랜드 ‘Wisenet'는 기본 솔루션에서부터 하이엔드 제품까지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는데 그 중 ’Q series‘는 높은 가성비로 스페인 및 포르투 갈 시장의 Wisenet 브랜드 매출의 40%를 차지함

그림 3.3 한화테크윈, 2018년 신제품 설명회

출처 : Interempress(2017.10)

스 페 인

| 503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5. 유망제품 홍보 방법

MWC(Mobile World Congress)2018 참가

매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Mobile World Congress(MWC)가 2017년에는 2월 27일부터 3월 2일까지 4일간 진행됨. 2017년 MWC에는 100여개의 한국의 중소기 업들이 참가했으며, 모바일 이외에 스마트홈 기기, 인공지능 로봇 청소기, 증강현실 (AR), 가상현실(VR), 하드웨어 기반 보안 솔루션 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한국 중소기업 들이 참가해 중소기업들의 스마트기술을 선보임 MWC 2018은 2018년 현지시각으로 2월 26일부터 3월 1일까지 4일간 바르셀로나에서 진행

표 3.1 MWC 2018 일정 및 내용 명칭 Mobile World Congress 일시 2018년 2월 26일~3월 01일(4일간) 산업분야 모바일, 인터넷, IT, 텔레커뮤니케이션, 자동화, 로봇 최초개최연도 2006년 주요참가국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등 전년도 참가 업체 수 2,300개 전년도 참관객수 10만 8,000명 출처 : MWC(www.mobileworldcongress.com)

스마트홈 기기 사용 동영상 및 광고 제작

스마트홈 기기의 경우, 소비자들이 실제 사용 시 느낄 수 있는 만족감이 제품 구매할 때 중요하게 고려됨. 실제 스마트홈에 대한 설문조사 항목들에 있어서도 스마트홈에서 느낄 수 있는 매력도, 장점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함. 이에 스마트홈 기기를 경험한 사용자들을 바탕으로 한 동영상 광고 제작이 효과적일 것으로 파악됨. SKT의 경우, 각 제품별로 스 마트홈 기기의 사용자들에 대한 동영상을 제작하여 YouTube에 광고로 활용하는 사례 가 있음

504 | 국가별 정보통신방송 현황 2017

일쇄일 : 2017년 12월 발행일 : 2017년 12월 발행인 : 윤종록 발행처 :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27872)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정통로 10 TEL : 043-931-5000 문의처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글로벌협력팀 E-mail : [email protected] 인쇄처 : 한국나눔복지연합회 Tel : 02-2279-9240

<<비매품>>

본 보고서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무단전재 및 재배포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금지되어 있습니다. 본문 내용 중 문의사항이나 개선할 사항에 대해서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으로 연락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2017 NIPA. All Right Reserved. Printed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