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신정부 수립 100일 이후 경제 및 진출환경 전망 Contents
G lobal M arket Report 12-063 2012.10.05 이집트 신정부 수립 100일 이후 경제 및 진출환경 전망 CONTENTS 목 차 요 약 / 3 I. 2012 대선 이후 이집트 정세 / 4 1. 대선 이후 이집트 정세 / 4 2. 신정부의 외교정책 및 대외활동 / 8 3. 신정부의 당면과제 / 9 참고 1. 2012 이집트 대선 최종 결과 / 11 참고 2. 무르시 대통령 주요 경력 / 12 II. 신정부의 경제정책 분석 / 13 1. 주요 경제정책 방향 / 13 2. 대외경제협력 / 15 III. 대선 이후 이집트 경제 및 진출환경 전망 / 21 1. 이집트 경제 동향 / 21 2. 진출환경 전망 (무역, 투자, 지역개발) / 25 3. 현지 진출기업 및 바이어의 진출환경 전망 / 34 Ⅳ. 시사점 / 36 Global Market Report 12-063 요 약 □ 2012년 6월 24일 이집트 민주화 운동 이후 첫 대선 결과 발표. 무슬림형제단 출신의 무함마드 무르시 대통령 당선 □ 무르시 대통령은 7월 24일 히샴 칸딜 총리 지명과 함께 8월 2일 35개 부처 내각을 구성하여 발표. 8월 12일 이집트 군최고위원회(SCAF)가 6월에 발표한 임시헌법을 폐지하고 신 헌법선언, 군부 주요인사를 해임 등 군부에 분점된 정권을 신정부로 집중 - 향후 신 헌법제정과 하원선거 진행상황과 결과가 정세에 영향을 미칠 전망 □ 무르시 대통령은 사우디, 중국, 이란, EU, 미국 등 활발한 방문외교를 추진, 경제 재건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원을 확보 - 아프리카연맹, 이슬람협력기구, 아랍연맹 회의 참석을 통해 이집트 정부의 대외 위상을 재확립 □ 주요 경제정책으로는 ▲이슬람 금융 도입 및 보조금 제도 개혁을 통한 재정적자 완화, ▲해외투자유치와 자국 산업 육성을 통한 무역적자 해소, ▲실업 완화를 위한 노동법 개정 및 노동집약산업 육성,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특화 산업 개발 중심으로 추진 - 지역개발 및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로 카이로-알렉산드리아 고속철도 건설, 카이로 메트로 연장, 수에즈 산업단지 개발, 전력 인프라 확충, 담수화 플랜트, 항만 확장 프로젝트 등 추진을 계획 □ 민주화 운동 이후 수립된 첫 민주정부로 국제사회의 환영과 지원을 받고 있으며, 사우디 정부로부터 15억 달러, 8월 중국 방문시 양국 공동사업을 위한 7,000만 달러 무상원조를 받음 - 이집트 정부는 8월 IMF 총재 방문시 48억 달러의 차관을 공식 요청하였으며 현재 차관 제공 협상 중 □ 무르시 정부는 민주화 운동으로 악화된 치안 확보와 경제 재건에 주력하고자 하며, 산업 육성, FTA 체결, 투자환경 개선 등 대외개방 경제정책 가시화시 우리기업의 진출 기회로 작용할 전망 - 특히 정부 주도 프로젝트 추진시 자금 조달의 제약으로 민관합동투자(PPP) 방식이 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 3 Global Market Report 12-063 Ⅰ 2012 대선 이후 이집트 정세 1.
[Show full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