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2) : 156~185. 2012 Kor. J. Env. Eco. 26(2) : 156~185. 2012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1a

윤종학2*․김중현2․김선유2․박찬호2․이병윤2

Vertical Distribution of Vascular in Osaek valley, Seoraksan National Park by Temperature Gradient1a

Jong-Hak Yun2*, Jung-Hyun Kim2, Sun-Yu Kim2, Chan-Ho Park2, Byoung-Yoon Lee2

요 약

설악산 오색계곡의 고도별 온도변화에 따른 관속식물의 수직분포 및 분포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오색교(325m)에서 대청봉(1,708m)까지 해발 100m단위로 등분하여 14개 구간에 대한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2010년 6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4과 279속 397종 5아종 45변종 2품종 총 449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해발 500m(WI=79.0℃․month)를 경계로 관속식물의 출현종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DCA방법에 의한 구간 간의 식물종 분포의 유사도는 고도에 따른 온도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제1축(Eig.=0.70)에 대하여 해발 500m(WI=79.0), 900m(WI=63.6), 1,400m(WI=44.8), 1,600m(WI=38.2)를 경계로 5개 그룹으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한편, 제2축 (Eig.=0.27)에 대하여 해발 1,100m를 경계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따라서 고도에 따른 구간 간의 관속식물 분포의 유사성 및 상이성을 확인함으로써, 관속식물 종들의 고도별 생존분포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식물종의 분포가 변화하는 것은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종은 생육지역의 온도에 따라 생존에 필수적인 호적범위 내에서 분포하므로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은 현재 식물종의 분포변화를 변경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어: 분포변화, DCA, 호적범위, 기후변화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vertical distribution on Osaek valley of Mt. Seorak by temperature change, vascular plants of fourteen areas with 100-meter-high difference were surveyed from the Osaekgyo(345m alt.) to the Daecheongbong(1708m alt.). A total of 449 taxa belonging to 94 families, 279 genera, 397 species, 5 subspecies, 45 varieties, and 2 forma were vegetated on survey areas. Around 500 m high did species diversity of vascular plants decrease rapidly. The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DCA) divided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to five groups; areas below 500m alt., 500~900m alt., 900~1400m alt., 1,400~1,600m alt., and areas above 1,600m alt.. These results showed that vegetation of vascular plants on investigated areas has high correlation with climate elements of temperature. Vascular plants should be crowded within their own optimal ranges of vegetation. Climate change would result in shift of these distribution ranges, and thus vegetation shift will be happened accordingly. KEY WORDS: DISTRIBUTION CHANGE, DCA, OPTIMAL RANGE, CLIMATE CHANGE

1 접수 2012년 3월 23일, 수정(1차: 2012년 4월 23일), 게재확정 2012년 4월 24일 Received 23 March 2012; Revised(1st: 23 April 2012); Accepted 24 April 2012 2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Plants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404-708), Korea a 이 논문은 2011년도 기후변화 적응 생물다양성 관리 연구 조성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email protected])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157

서 론 청봉 정상부근에는 눈잣나무군락이 분포하는 아한대 상록 침엽수림의 식생대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오색계곡(오색 설악산은 백두대간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행정구역상 강 -대청봉)은 해발에 따른 식생대와 온도와의 연관성을 확인 원도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속초시에 걸쳐 있으며, 지리적 할 수 있는 지역으로 판단되어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으로 북위 38°05'25"∼38°12'35", 동경 128°18'06"∼ 본 연구에서는 조사지역의 해발고에 따른 식물종의 온도 128°30'43" 사이에 위치한다. 설악산은 1970년에 국립공원 적 분포범위를 파악함과 동시에, 조사구간 간 식물 종조성 으로 지정되었으며, 1982년에 UNESCO로부터 생물권보전 의 유사 관계 및 분포변화를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식 지역으로 지정되어 생물자원의 보전 및 학술적 가치가 매우 물종의 분포적 특성파악과 산림식생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 높은 지역이다. 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설악산은 식물구계지리학상 중부아구(Lee and Yim, 1978)에 속하며 참나무속(Quercus), 단풍나무속(Acer), 서 재료 및 방법 어나무속(Carpinus) 등을 우점종으로 하는 냉온대 낙엽활 엽수림대를 형성하고 있다. 고해발 지역에는 분비나무 1. 조사지역 (Abies nephrolepis), 눈잣나무(Pinus pumila) 등의 아한대 상록침엽수종으로 고산대림을 형성하고 있다. 설악산의 식 오색계곡(오색∼대청봉)은 강원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 물상은 Chung and Lee(1959)에 의해 579분류군이 발표되 위치하며, 오색교(해발 345m)에서 대청봉(해발 1,708m)에 었고, 그 후, Chung and Lee(1963), Ministry of Education 이르는 지역을 조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Figure 1). 이 지 (1967), Lee and Yoo(1984), Lee and Oh(1984), Yim and 역은 대청봉에서 발원한 계류가 남쪽으로 흘러내려 설악폭 Baik(1985), Kangwon-do Office of Education(1991), 포를 경유하여 계곡을 형성하고 있다. 조사지역의 기후요인 Hong(2001) 등에 의하여 보고 된 바 있다. 최근 보고된 설 은 본 조사지역과 가장 가까운 오색관측소의 기후 자료를 악산 일대의 식물상 연구보고서(Hong et al., 2010)에서는 토대로 하여 확인한 결과, 과거 10년간(2001∼2010년) 연 1984년부터 2010년까지 조사를 통하여 994분류군을 제시 평균기온 10.4℃, 연평균강수량 1,531mm를 나타내고 있다 하였다. 식물군락에 대한 연구로는 Song et al.(198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Figure 1). Takeda et al.(1994) 등은 신갈나무군락의 식생구조에 대하 여 보고하였으며, Song and Nakanishi(1985), Song(1991) 2. 조사 및 분석방법 등은 분비나무군락, 눈잣나무군락 등의 아고산대 산림식생 에 대하여 보고하였다. 본 조사지역인 오색교(345m)에서 대청봉(1,708m)에 이 Yim and Baek(1985)은 설악산 수목 215종의 수직분포 르는 지역을 대상으로 해발 100m 단위로 등분하여 선상조 에 대하여 졸참나무는 해발 180~800m, 신갈나무는 해발 사를 통해 14개 구간(section)에 출현하는 관속식물에 대하 170~1,700m, 분비나무는 해발 860~1,660m, 눈잣나무는 여 2010년 6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총 4회 현지조사를 실 해발 1,590~1,700m에서 분포하고 있음을 보고 한 바 있다. 시하여 구간별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식물의 동정은 Yun(2011)은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하여 설악산 식물군 Chung(1957), Lee(1980; 2003), Lee(1996a; 1996b), 락을 4개 군락으로 구분하여 졸참나무-서어나무군락은 해 Lee(1996; 2006), Oh(2006), Korean Fern Society(2005) 발 40~1,095m, 신갈나무-피나무군락은 775~1,450m, 분비 등의 식물도감으로 주로 이용하였다. 학명과 국명은 Flora 나무-사스래나무군락은 1,505~1,703m, 눈잣나무군락은 of Korea Editorial Committee(2007)의 The genera of 1,563~1,684m에서 분포하며 식물군락에 대한 특징을 밝힌 Vascular Plants of Korea에 준하였으며, 조사된 소산식물 바 있다. 중 식재된 분류군은 국명 뒤에 (재)표시를 하였다. 작성된 식물종이 동일 산지 내에서 해발고에 따른 수직적인 분포 소산식물을 기초로 한국 고유종, 구계학적 특정식물 목록은 적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기후요인 중에서 온도에 대 Ministry of Environment(2005; 2006; 2009)에 따라 작성하 한 고유한 호적범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Yim, 1977a). 였고, 기후변화 생물지표 관속식물은 Lee et al.(2010), 귀화 또한, 경사가 급한 사면 지역일수록 식물의 분포와 온도와 식물은 Park(2009), 생활형에는 Raunkiaer(1934)에 따라 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용이하다(Yun et al., 2010). 오색계 분류하였다. 곡(오색∼대청봉)은 설악산의 다른 지역에 비하여 경사가 기후요인 중에서 식물분포와 상관관계가 큰 온량지수 급하며 신갈나무 군락, 신갈나무-분비나무군락이 분포하는 (Warmth Index: WI)를 계산하기 위해 오색 관측소의 기상 냉온대 활엽수림 및 침활혼효림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대 자료(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를 이용 158 윤종학․김중현․김선유․박찬호․이병윤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2) 2012

Figure 1. An investigated course from Osaekgyo(Bridge) to Daecheongbong(Peak) and a climate diagram of survey areas. Monthly mea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were calculated from past seven years long data (2001~2010)

하였다. Kira(1948)에 따라 기온 저감율 -0.55℃/100m를 적 본 조사지역(오색교∼대청봉)내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용하여 월평균 5℃이상인 달의 온도 값에서 5℃를 뺀 값 양치식물 9과 12속 19종 1변종 20분류군, 나자식물은 4과 을 적산하여 온량지수(WI)를 계산하였다. 또한, 조사지역 6속 9종 9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72과 206속 에 분포하는 식물종의 고도별 분포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292종 4아종 37변종 1품종 334분류군, 단자엽식물은 9과 100m구간별 식물목록 자료를 이용하여 DCA에 의한 ordination 55속 77종 1아종 7변종 1품종 86분류군으로 구성되어 총 분석(Hill and Gauch, 1980)을 실시하여 구간 간 식물 종구 94과 279속 397종 5아종 45변종 2품종 총 449분류군으로 성의 유사정도와 분포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사되었다(Table 1).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881분류군 (Korean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결과 및 고찰 Society of Korea, 2007)의 9.2%에 해당되며, Hong et al.(2010)의 설악산일대 식물상 연구에서 보고된 994분류 1. 관속식물상의 분류 군의 45.1%에 해당된다. 조사된 관속식물 중 종다양성이

Table 1.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Osaekgyo(Bridge) to Daecheongbong(Peak), Seoraksan National Park

Taxa Fam. Gen. Sp. Subsp. Var. For. Total Pteridophyta 9 12 19 - 1 - 20 Gymnospermae 4 6 9 - - - 9 Angiospermae Dicotyledoneae 72 206 292 4 37 1 334 Monocotyledoneae 9 55 77 1 7 1 86 Total 94 279 397 5 45 2 449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159

Table 2. Major families of vascular plants vegetated in Osaekgyo(Bridge) to Daecheongbong(Peak), Seoraksan National Park

Family Taxa(No.) Ratio(%) Family Taxa(No.) Ratio(%) Asteraceae 58 13.0 Ranunculaceae 15 3.3 Poaceae 38 8.5 Polygonaceae 14 3.1 29 6.5 Fabaceae 14 3.1 Liliaceae 20 4.5 Violaceae 11 2.4 Cyperaceae 15 3.3 Brassicaceae 11 2.4

Table 3. Korean endemic plants investigated in Osaekgyo(Bridge) to Daecheongbong(Peak), Seoraksan National Park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Ranunculaceae Clematis fusca var. coreana (H. Lév.) Nakai 요강나물 Fumariaceae Corydalis maculata B. U. Oh & Y. S. Kim 점현호색 Violaceae Viola diamantiaca Nakai 금강제비꽃 Rosaceae Filipendula glaberrima (Nakai) Nakai 터리풀 hakusanensis Makino 산오이풀 Apiaceae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등대시호 Lamiaceae Salvia chanroenica Nakai 참배암차즈기 Valerianaceae Patrinia saniculifolia Hemsl. 금마타리 Asteraceae Saussurea diamantica Nakai 금강분취 Sinosenecio koreanus (Kom.) B. Nord 국화방망이 Cyperaceae Carex erythrobasis H. Lév. & Vaniot 한라사초 Carex lasiolepis Franch. 난사초 Liliaceae Smilacina bicolor Nakai 자주솜대

높은 상위 10개과는 국화과(58분류군)⋅화본과(38분류군)⋅ 의 28분류군, I등급에 전나무⋅잣나무⋅투구꽃⋅금낭화⋅ 장미과(29분류군)⋅백합과(20분류군)⋅사초과(15분류군) 가는잎쐐기풀⋅가래나무⋅굴참나무⋅물오리나무⋅박달 ⋅미나리아재비과(15분류군)⋅마디풀과(14분류군)⋅콩과 나무⋅범꼬리 등의 22분류군이 조사되었다(Table 4). 귀화 (14분류군)⋅제비꽃과(11분류군)⋅십자화과(11분류군) 순 식물은 좀명아주⋅털비름⋅말뱅이나물⋅나도닭의덩굴⋅ 으로 전체 소산식물 449분류군의 50.1%에 해당된다(Table 애기수영⋅소리쟁이⋅다닥냉이⋅개소시랑개비⋅토끼풀⋅ 2). 본 지역에서 확인된 한국고유종은 요강나물⋅점현호색 달맞이꽃⋅애기땅빈대⋅미국실새삼⋅미국가막사리 등의 ⋅금강제비꽃⋅터리풀⋅산오이풀⋅등대시호⋅참배암차 12과 27속 31종 1변종의 32분류군(Table 5)으로 조사지역 즈기⋅금마타리⋅금강분취⋅국화방망이⋅한라사초⋅난 내 분포하는 449분류군의 7.1%에 해당하며, Park(2009)에 사초⋅자주솜대 등 10과 12속 12종 1변종의 13분류군이 의해 집계된 국내 외래식물 286분류군의 11.2%에 해당된 확인되었다(Table 3). 다. 또한, 환경부에서 선정한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 100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84분류군으로 집계되었으 종 중 가래고사리, 분비나무, 눈잣나무, 주목, 바람꽃, 사스 며 등급별 평가점수에 의하면 총 201점이 산출되었다. 이 래피나무, 만병총, 땃두릅나무, 댕댕이덩나무 총 9분류군이 중 V등급에 눈잣나무⋅눈측백⋅땃두릅나무⋅등대시호⋅ 조사되었다. 국화방망이⋅자주솜대 등의 6분류군, IV등급에 바람꽃⋅ 회리바람꽃⋅점현호색⋅덤불오리나무⋅도깨비부채⋅덤 2. 고도별 관속식물상 불조팝나무⋅꽃개회나무⋅금강분취⋅연영초 등의 9분류 군, III등급에 분비나무⋅등칡⋅흰진범⋅거제수나무⋅금 고도에 따른 식물군락 분포 유형은 해발 약 600~900m에 강제비꽃⋅꽃황새냉이⋅만병초⋅산앵도나무⋅산오이풀 서 신갈나무군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목층에는 신갈나 등의 19분류군, II등급에 가래고사리⋅퍼진고사리⋅주목⋅ 무가 우점하고 아교목층에는 신갈나무⋅생강나무⋅당단풍 매발톱나무⋅난티나무⋅동자꽃⋅백작약⋅노랑제비꽃 등 나무⋅쪽동백나무⋅함박꽃나무, 관목층에는 철쭉⋅미역 160 윤종학․김중현․김선유․박찬호․이병윤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2) 2012

Table 4. The list of 5th to 1st degree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in Osaekgyo(Bridge) to Daecheongbong (Peak), Seoraksan National Park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amily name Scientific name / Korean name Degree Pinaceae Pinus pumila (Pall.) Regel 눈잣나무 Ⅴ Cupressaceae Thuja koraiensis Nakai 눈측백 Ⅴ Araliaceae Oplopanax elatus (Nakai) Nakai 땃두릅나무 Ⅴ Apiaceae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등대시호 Ⅴ Asteraceae Sinosenecio koreanus (Kom.) B. Nord 국화방망이 Ⅴ Liliaceae Smilacina bicolor Nakai 자주솜대 Ⅴ Ranunculaceae Anemone narcissiflora L. 바람꽃 Ⅳ Anemoneref lexa Stephan 회리바람꽃 Ⅳ Fumariaceae Corydalis maculata B. U. Oh & Y. S. Kim 점현호색 Ⅳ Betulaceae Alnus mandshurica (Callier ex C. K. Schneid.) Hand.-Mazz. 덤불오리나무 Ⅳ Saxifragaceae Rodgersia podophylla A. Gray 도깨비부채 Ⅳ Rosaceae Spiraea miyabei Koidz. 덤불조팝나무 Ⅳ Oleaceae Syringa wolfii C. K. Schneid. 꽃개회나무 Ⅳ Asteraceae Saussurea diamantica Nakai 금강분취 Ⅳ Liliaceae Trillium tschonoskii Maxim. 연영초 Ⅳ Pinaceae 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분비나무 Ⅲ Aristolochiaceae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등칡 Ⅲ Ranunculaceae Aconitum longecassidatum Nakai 흰진범 Ⅲ Betulaceae Betula costata Trautv. 거제수나무 Ⅲ Violaceae Viola diamantiaca Nakai 금강제비꽃 Ⅲ Brassicaceae Cardamine amaraeformis Nakai 꽃황새냉이 Ⅲ Ericaceae Rhododendron brachycarpum D. Don ex G. Don 만병초 Ⅲ Vacciniumhirtum var. koreanum (Nakai) Kitam. 산앵도나무 Ⅲ Rosaceae Sanguisorba hakusanensis Makino 산오이풀 Ⅲ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 쉬땅나무 Ⅲ Spiraea fritschiana C. K. Schneid. 참조팝나무 Ⅲ Aceraceae Acer komarovii Pojark. 시닥나무 Ⅲ Solanaceae Scopolia japonica Maxim. 미치광이풀 Ⅲ Lamiaceae Salvia chanroenica Nakai 참배암차즈기 Ⅲ Oleaceae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Maxim.) H. Hara 개회나무 Ⅲ Scrophulariaceae Scrophularia koraiensis Nakai 토현삼 Ⅲ Rubiaceae Asperula odorata L. 선갈퀴 Ⅲ Caprifoliaceae Lonicera caerulea subsp. edulis (Turcz. ex Herder) Hultén 댕댕이나무 Ⅲ Asteraceae Parasenecio adenostyloides (Franch. & Sav. ex Maxim.) H. Koyama 게박쥐나물 Ⅲ Thelypteridaceae Phegopteris connectilis (Michx.)Watt 가래고사리 Ⅱ Dryopteridaceae Dryopteris expansa (C.Presl) Fraser-Jenk. & Jermy 퍼진고사리 Ⅱ Taxaceae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주목 Ⅱ Berberidaceae Berberis amurensis Rupr. 매발톱나무 Ⅱ Ulmaceae Ulmus laciniata (Trautv.) Mayr 난티나무 Ⅱ Caryophyllaceae Lychnis cognata Maxim. 동자꽃 Ⅱ Paeoniaceae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백작약 Ⅱ Violaceae Viola orientalis (Maxim.) W. Becker 노랑제비꽃 Ⅱ Saxifragaceae Chrysosplenium pilosum Maxim. 털괭이눈 Ⅱ Rosaceae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Maxim.) H. Hara 눈개승마 Ⅱ Potentilla dickinsii Franch. & Sav. 돌양지꽃 Ⅱ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161

(Table 4. Continued)

Family name Scientific name / Korean name Degree Onagraceae Circaea alpina L. 쥐털이슬 Ⅱ Aceraceae Acer triflorum Kom. 복자기 Ⅱ Rutaceae Phellodendron amurense Rupr. 황벽나무 Ⅱ Geraniaceae Geranium dahuricum DC. 산쥐손이 Ⅱ Apiaceae Angelica tenuissima Nakai 고본 Ⅱ Bupleurum longeradiatum Turcz. 개시호 Ⅱ Gentianaceae Swertia tetrapetala Pall. 네귀쓴풀 Ⅱ Diervillaceae Weigela florida (Bunge) A. DC. 붉은병꽃나무 Ⅱ Caprifoliaceae Lonicera maximowiczii (Rupr.) Regel 홍괴불나무 Ⅱ Valerianaceae Patrinia saniculifolia Hemsl. 금마타리 Ⅱ Asteraceae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곰취 Ⅱ Parasenecio auriculatus var. kamtschaticus (Maxim.) H. Koyama 나래박쥐나물 Ⅱ Poaceae Melica nutans L. 왕쌀새 Ⅱ Liliaceae Clintonia udensis Trautv. & C. A. Mey. 나도옥잠화 Ⅱ Disporum ovale Ohwi 금강애기나리 Ⅱ Maianthemum bifolium (L.) F. W. Schmidt 두루미꽃 Ⅱ Veratrum patulum Loes. 박새 Ⅱ Pinaceae Abies holophylla Maxim. 전나무 Ⅰ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잣나무 Ⅰ Ranunculaceae Aconitum jaluense Kom. 투구꽃 Ⅰ Fumariaceae Dicentra spectabilis (L.) Lem. 금낭화 Ⅰ Urticaceae Urtica angustifolia Fisch. ex Hornem. 가는잎쐐기풀 Ⅰ Juglandaceae Juglans mandshurica Maxim. 가래나무 Ⅰ Fagaceae Quercus variabilis Blume 굴참나무 Ⅰ Betulaceae Alnus hirsuta Turcz. ex Rupr. 물오리나무 Ⅰ Betula schmidtii Regel 박달나무 Ⅰ Polygonaceae Polygonum manshuriense Petrov ex Kom. 범꼬리 Ⅰ Tiliaceae Tilia amurensis Rupr. 피나무 Ⅰ Grossulariaceae Ribes mandshuricum (Maxim.) Kom. 까치밥나무 Ⅰ Crassulaceae Hylotelephium verticillatum (L.) H. Ohba 세잎꿩의비름 Ⅰ Celastraceae Euonymus macropterus Rupr. 나래회나무 Ⅰ Balsaminaceae Impatiens noli-tangere L. 노랑물봉선 Ⅰ Asclepiadaceae Tylophora floribunda Miq. 왜박주가리 Ⅰ Lamiaceae Scutellaria strigillosa Hemsl. 참골무꽃 Ⅰ Oleaceae Fraxinus mandshurica Rupr. 들메나무 Ⅰ Caprifoliaceae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올괴불나무 Ⅰ Poaceae Diarrhena mandshurica Maxim. 껍질용수염풀 Ⅰ Liliaceae Erythronium japonicum Decne. 얼레지 Ⅰ Orchidaceae Platanthera metabifolia F. Maek. 제비난초 Ⅰ

줄나무⋅국수나무⋅조록싸리 등이 혼생하여 분포한다. 초 로 구성되어있다. 관목층에 진달래⋅철쭉⋅조록싸리⋅나 본층에는 맑은대쑥⋅노루오줌⋅대사초⋅실새풀⋅둥굴레⋅ 래회나무 등이, 초본층에 대사초⋅둥굴레⋅송이풀⋅노루 큰까치수염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해발 약 900~1,300m에 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발 약 1,300m~1,600m에는 신 는 신갈나무-당단풍나무군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목층 갈나무-사스래나무군락을 형성하며, 교목층에 신갈나무⋅ 에는 신갈나무가 우점한 가운데 전나무⋅피나무 등이 혼생 사스래나무가 혼생하며, 아교목층에 당단풍나무⋅함박꽃 하며, 아교목층에 당단풍나무⋅함박꽃나무⋅전나무 등으 나무가 우점한 가운데 분비나무⋅마가목이 혼생한다. 관목 162 윤종학․김중현․김선유․박찬호․이병윤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2) 2012

Table 5.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vestigated in Osaekgyo(Bridge) to Daecheongbong(Peak), Seoraksan National Park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Chenopodiaceae Chenopodium ficifolium Sm. 좀명아주 Amaranthaceae Amaranthus retroflexus L. 털비름 Caryophyllaceae Vaccaria hispanica (Mill.) Rauschert 말뱅이나물 Polygonaceae Fallopia convolvulus (L.) Á. Löve 나도닭의덩굴 Fallopia dumetorum (L.) Holub 닭의덩굴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Brassicaceae Lepidium apetalum Willd. 다닥냉이 Rosaceae Potentilla supina L. 개소시랑개비 Fabaceae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Onagraceae Oenothera odorata Jacq. 달맞이꽃 Euphorbiaceae Euphorbia supina Raf. 애기땅빈대 Convolvulaceae Cuscuta pentagona Engelm. 미국실새삼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Carduus crispus L. 지느러미엉겅퀴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Erigeron annuus (L.)Pers. 개망초 Galinsoga ciliata (Rafin.)S. F. Blake 털별꽃아재비 Rudbeckia hirta var. pulcherrima Farw. 원추천인국 Senecio vulgaris L. 개쑥갓 Sonchus asper (L.) Hill 큰방가지똥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Taraxacum laevigatum DC. 붉은씨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F. H. Wigg. 서양민들레 Poaceae Bromusri gidus Roth 긴까락빕새귀리 Bromus tectorum L. 털빕새귀리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미국개기장 Poa pratensis L. 왕포아풀

Table 6. The list of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CBIS) investigated in Osaekgyo(Bridge) to Daecheongbong(Peak), Seoraksan National Park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Thelypteridaceae Phegopteris connectilis (Michx.) Wallt 가래고사리 Pinaceae 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분비나무 Pinus pumila (Pall.) Regel 눈잣나무 Taxaceae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주목 Ranunculaceae Anemone narcissiflora L. 바람꽃 Betulaceae Betula ermanii Cham 사스래나무 Ericaceae Rhododendron brachycarpum D. Don ex G. Don 만병초 Araliaceae Oplopanax septemlobus (Nakai) Nakai 땃두릅나무 Caprifoliaceae Lonicera caerulea subsp. edulis (Turcz. ex Herder) Hultén 댕댕이나무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163

층에는 철쭉⋅시닥나무⋅붉은병꽃나무 등이, 초본층에는 나무(I등급)의 8분류군을 확인하였으며, 귀화식물은 털비 투구꽃⋅노루오줌⋅눈개승마⋅대사초 등이 군락을 형성한 름⋅나도닭의덩굴⋅애기수영⋅다닥냉이⋅개소시랑개비⋅ 다. 해발 약 1,700m 정상부근에는 눈잣나무가 우점하며, 달맞이꽃⋅미국실새삼⋅돼지풀⋅미국쑥부쟁이⋅오리새⋅ 분비나무⋅눈측백이 혼생하여 군락을 형성한다. 또한, 국가 털빕새귀리 등의 27분류군이 관찰되었다. Raunkiaer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 분비나무는 1,000m부터, 사스래 (1934)의 생활형 중에서 반지중식물(H)과 일년생식물(Th) 나무는 1,100m부터 관찰 되었으며, 가래고사리, 눈잣나무, 은 이 구간에서 56%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로 도로 주변 주목, 바람꽃, 만병초, 땃두릅나무, 댕댕이덩굴은 및 개간지에서 생육하는 식물종이 조사되었다. 1,600~1,700m 구간에서 관찰되었다. 조사지역내에 분포하 2) 해발 400∼500m 는 식물종의 고도에 따른 분포를 분석하기 위해 해발 100m 단위로 나누어 구간내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의 종 다양성에 57과 124속 140종 14변종 1품종 총 155분류군이 확인되 대하여 제시하였다(Table 7, Appendix 1). 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점현호색(IV등급)⋅등칡 (III등급)⋅전나무(I등급)⋅금낭화(I등급)⋅가래나무(I등 1) 해발 300∼400m 급)⋅굴참나무(I등급)⋅물오리나무(I등급)⋅박달나무(I등 68과 166속 200종 1아종 22변종 총 223분류군이 확인되 급)⋅피나무(I등급)⋅제비난초(I등급)의 10분류군이 확인 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등칡(III등급)⋅참조팝나무 되었다. 고유종은 점현호색의 1분류군을 확인하였으며, 귀 (III등급)⋅가래나무(I등급)⋅굴참나무(I등급)⋅물오리나 화식물은 말뱅이나물⋅닭의덩굴⋅달맞이꽃⋅애기땅빈대⋅ 무(I등급)⋅왜박주가리(I등급)⋅참골무꽃(I등급)⋅올괴불 돼지풀⋅미국쑥부쟁이⋅미국가막사리⋅지느러미엉겅퀴⋅ 망초⋅털별꽃아재비⋅원추천인국⋅큰방가지똥⋅서양민

Table 7. Vascular plants distributed by 100m altitude differences of survey areas(Osaekgyo(Bridge)∼ Daecheongbong(Peak))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Alt. (×100m) ------4567891011121314151617 Fam. 68 57 27 26 35 47 51 45 24 34 34 27 31 43 Gen. 166 124 32 35 48 79 89 78 39 58 58 49 57 80 Sp. 200 140 36 35 45 86 109 87 44 58 58 52 61 85 Taxa Subsp.1 1112 11113 Var.22142377128377457 For. 1 1 1 1 1 Total 223 155 38 38 54 94 123 98 47 66 66 57 67 96 Ⅰ 682119109644565 Specially Ⅱ 11267756681120 designated Ⅲ 21 13576355659 plant Ⅳ 1 31 214 Ⅴ 11 124 Total 8 10 3 3 6 20 28 24 14 15 15 22 25 42 Endemic plants 1 12123222236 Naturalized plants 27 14 1 2 5 5 2 Ph 55 47 21 14 24 38 42 39 24 20 20 21 21 31 Ch146 1 11 222115 H 6636101114273430101616151930 Life form G 24244 1111192921101515182327 Th59383148135199131 HH54 1143 441 2 Tree 55 47 21 14 24 38 42 39 24 20 20 21 21 31 Herb 168 108 17 24 30 56 81 59 23 46 46 36 46 65 Ph: phanerophytes, Ch: chamaephyes, H: hemicryptophytes, G: geophytes, Th: therophytes, HH: hydrophytes and helophytes 164 윤종학․김중현․김선유․박찬호․이병윤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2) 2012

들레⋅왕포아풀의 1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조사구간은 현호색(IV등급)⋅도깨비부채(IV등급)⋅덤불조팝나무(IV 오색에서 대청봉에 이르는 초입구간으로 산림의 자연 상태 등급)⋅흰진범(III등급)⋅거제수나무(III등급)⋅금강제비 가 심하게 훼손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꽃(III등급)⋅꽃황새냉이(III등급)⋅참조팝나무(III등급)⋅ 시닥나무(III등급)⋅미치광이풀(III등급)⋅난티나무(II등급)⋅ 3) 해발 500∼600m 동자꽃(II등급)⋅털괭이눈(II등급)⋅쥐털이슬(II등급)⋅복 27과 32속 36종 2변종 총 3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 자기(II등급)⋅금강애기나리(II등급)⋅박새(II등급)⋅전나 구계학적 특정식물로 노랑제비꽃(II등급)⋅잣나무(I등급) 무(I등급)⋅잣나무(I등급)⋅투구꽃(I등급)⋅가는잎쐐기풀 ⋅금낭화(I등급)의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해발 500m를 경 (I등급)⋅피나무(I등급)⋅까치밥나무(I등급)⋅세잎꿩의비 계로 식물종의 출현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 조사구간은 름(I등급)⋅나래회나무(I등급)⋅노랑물봉선(I등급)⋅껍질 다른 구간에 비해 가장 적은 3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조 용수염풀(I등급)의 28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고유종은 점현 사지역의 전체 소산식물 8.5%의 식물종이 분포하는 구간이 호색⋅금강제비꽃⋅터리풀⋅자주솜대의 4분류군이 확인 다. 되었다. 해발 1,000m를 경계로 서어나무⋅노린재나무⋅박 쥐나무는 그 이상의 고해발 지역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거 4) 해발 600∼700m 제수나무⋅시닥나무 등이 이 구간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였 26과 35속 35종 3변종 총 3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 다. 이 구간은 다른 구간에 비해 풍부한 식물종이 생육하며 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참배암차즈기(III등급)⋅노랑제비 12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조사지역의 전체 소산식물 꽃(II등급)⋅잣나무(I등급)의 3분류군, 고유종은 참배암차 27.6%의 식물종이 분포하는 구간이다. 즈기의 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이 조사구간은 다른 구간에 비해 가장 적은 3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해발 500~600m 8) 해발 1,000∼1,100m 구간과 더불어 식물 종다양성이 빈약한 구간이다. 45과 78속 87종 2아종 8변종 1품종 총 98분류군이 확인 되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 국화방망이(V등급)⋅ 5) 해발 700∼800m 도깨비부채(IV등급)⋅분비나무(III등급)⋅거제수나무(III 35과 48속 45종 1아종 7변종 1품종 총 54분류군이 확인 등급)⋅시닥나무(III등급)⋅미치광이풀(III등급)⋅참배암 되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 등칡(III등급)⋅참조팝 차즈기(III등급)⋅개회나무(III등급)⋅퍼진고사리(II등급)⋅ 나무(III등급)⋅참배암차즈기(III등급)⋅노랑제비꽃(II등 난티나무(II등급)⋅털괭이눈(II등급)⋅복자기(II등급)⋅붉 급)⋅금마타리(II등급)⋅피나무(I등급)의 6분류군, 고유종 은병꽃나무(II등급)⋅나래박쥐나물(II등급)⋅두루미꽃(II 은 2분류군으로 참배암차즈기⋅금마타리가 관찰되었다. 느 등급)⋅전나무(I등급)⋅잣나무(I등급)⋅투구꽃(I등급)⋅박 릅나무⋅쪽동백나무 등은 이 구간까지 관찰되었다. 달나무(I등급)⋅피나무(I등급)⋅까치박달(I등급)⋅나래회 나무(I등급)⋅노랑물봉선(I등급)⋅껍질용수염풀(I등급)의 6) 해발 800∼900m 2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고유종은 터리풀⋅참배암차즈기⋅ 47과 79속 86종 1아종 7변종 총 94분류군이 확인되었으 국화방망이의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구간까지 생강나 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 등칡(III등급)⋅산앵도나무 무⋅고광나무⋅층층나무 등이 관찰되었다. 또한, 이 구간 (III등급)⋅쉬땅나무(III등급)⋅참조팝나무(III등급)⋅미치 부터 분비나무⋅두루미꽃 등이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광이풀(III등급)⋅난티나무(II등급)⋅노랑제비꽃(II등급)⋅ 복자기(II등급)⋅황벽나무(II등급)⋅붉은병꽃나무(II등급)⋅ 9) 해발 1,100∼1,200m 금마타리(II등급)⋅투구꽃(I등급)⋅금낭화(I등급)⋅가는잎 24과 39속 44종 3변종 총 4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 쐐기풀(I등급)⋅굴참나무(I등급)⋅피나무(I등급)⋅나래회 구계학적 특정식물로 분비나무(III등급)⋅산앵도나무(III등 나무(I등급)⋅노랑물봉선(I등급)⋅들메나무(I등급)⋅껍질 급)⋅참조팝나무(III등급)⋅난티나무(II등급)⋅돌양지꽃(II 용수염풀(I등급)의 20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고유종은 1분 등급)⋅붉은병꽃나무(II등급)⋅금마타리(II등급)⋅금강애 류군의 금마타리가 관찰되었다. 굴참나무⋅붉나무 등은 이 기나리(II등급)⋅전나무(I등급)⋅잣나무(I등급)⋅투구꽃(I 구간까지 관찰되었다. 등급)⋅피나무(I등급)⋅나래회나무(I등급)⋅얼레지(I등급) 의 14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고유종은 금마타리⋅난사초의 7) 해발 900∼1,000m 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토끼풀⋅서양민들레 51과 89속 109종 1아종 12변종 1품종 123분류군이 확인 의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개박달나무⋅사스래나무⋅얼레 되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 자주솜대(Ⅴ등급)⋅점 지 등은 이 구간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165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등대시호(V등급)⋅자주솜대 10) 해발 1,200∼1,300m (Ⅴ등급)⋅회리바람꽃(IV등급)⋅분비나무(III등급)⋅흰진 35과 55속 60종 1아종 8변종 총 69분류군을 확인하였다. 범(III등급)⋅시닥나무(III등급)⋅토현삼(III등급)⋅게박쥐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 분비나무(III등급)⋅산앵도나무 나물(III등급)⋅백작약(II등급)⋅눈개승마(II등급)⋅쥐털이 (III등급)⋅쉬땅나무(III등급)⋅시닥나무(III등급)⋅참배암 슬(II등급)⋅개시호(II등급)⋅붉은병꽃나무(II등급)⋅홍괴 차즈기(III등급)⋅백작약(II등급)⋅노랑제비꽃(II등급)⋅붉 불나무(II등급)⋅나래박쥐나물(II등급)⋅왕쌀새(II등급)⋅ 은병꽃나무(II등급)⋅금마타리(II등급)⋅두루미꽃(II등급)⋅ 나도옥잠화(II등급)⋅두루미꽃(II등급)⋅박새(II등급)⋅잣 전나무(I등급)⋅잣나무(I등급)⋅피나무(II등급)⋅나래회나 나무(I등급)⋅투구꽃(I등급)⋅피나무(I등급)⋅나래회나무 무(I등급)⋅얼레지(I등급)의 15분류군, 고유종에는 3분류군 (I등급)⋅노랑물봉선(I등급)⋅얼레지(I등급)의 25분류군이 으로 참배암차즈기⋅금마타리⋅난사초가 확인되었다. 이 확인되었다. 고유종은 요강나물⋅터리풀⋅등대시호⋅자 구간까지 까치박달⋅다릅나무⋅고로쇠나무⋅만주고로쇠 주솜대의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구간까지 피나무⋅붉 ⋅물푸레나무⋅조록싸리가 관찰되었다. 은병꽃나무⋅함박꽃나무 등이 관찰되었다.

11) 해발 1,300∼1,400m 14) 해발 1,600∼1,700m 34과 58속 58종 1아종 7변종 총 6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43과 80속 85종 3아종 7변종 1품종 총 96분류군이 확인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 분비나무(III등급)⋅쉬땅나무(III 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눈잣나무(V등급)⋅눈 등급)⋅참조팝나무(III등급)⋅시닥나무(III등급)⋅게박쥐 측백(V등급)⋅땃두릅나무(V등급)⋅자주솜대(Ⅴ등급)⋅ 나물(III등급)⋅노랑제비꽃(II등급)⋅눈개승마(II등급)⋅붉 바람꽃(IV등급)⋅덤불오리나무(IV등급)⋅꽃개회나무(IV 은병꽃나무(II등급)⋅금마타리(II등급)⋅금강애기나리(II 등급)⋅연영초(IV등급)⋅분비나무(III등급)⋅만병초(III등 등급)⋅두루미꽃(II등급)⋅잣나무(I등급)⋅투구꽃(I등급)⋅ 급)⋅산앵도나무(III등급)⋅산오이풀(III등급)⋅참조팝나 피나무(I등급)⋅나래회나무(I등급)의 15분류군이 확인되었 무(III등급)⋅시닥나무(III등급)⋅선갈퀴(III등급)⋅토현삼 다. 고유종은 금마타리⋅난사초의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II등급)⋅댕댕이나무(III등급)⋅가래고사리(II등급)⋅주 귀화식물로 좀명아주⋅달맞이꽃⋅미국쑥부쟁이⋅미국가 목(II등급)⋅매발톱나무(II등급)⋅동자꽃(II등급)⋅백작약 막사리⋅서양민들레의 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구간부터 (II등급)⋅노랑제비꽃(II등급)⋅돌양지꽃(II등급)⋅산쥐손 마가목⋅눈개승마⋅게박쥐나물이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이(II등급)⋅고본(II등급)⋅개시호(II등급)⋅네귀쓴풀(II등 급)⋅홍괴불나무(II등급)⋅금마타리(II등급)⋅곰취(II등급)⋅ 12) 해발 1,400∼1,500m 나래박쥐나물(II등급)⋅왕쌀새(II등급)⋅나도옥잠화(II등 27과 49속 52종 1아종 4변종 총 57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급)⋅금강애기나리(II등급)⋅두루미꽃(II등급)⋅박새(II등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자주솜대(Ⅴ등급)⋅꽃개회나 급)⋅잣나무(I등급)⋅물오리나무(I등급)⋅범꼬리(I등급)⋅ 무(IV등급)⋅금강분취(IV등급)⋅분비나무(III등급)⋅흰진 나래회나무(I등급)⋅얼레지(I등급)의 42분류군으로 다른 범(III등급)⋅거제수나무(III등급)⋅참조팝나무(II등급)⋅ 구간에 비하여 가장 많은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확인되 시닥나무(II등급)⋅게박쥐나물(III등급)⋅눈개승마(II등급)⋅ 었다. 고유종은 7분류군으로 요강나물⋅터리풀⋅산오이풀⋅ 돌양지꽃(II등급)⋅붉은병꽃나무(II등급)⋅금마타리(II등 금마타리⋅한라사초⋅난사초⋅자주솜대가 확인되었다. 급)⋅나도옥잠화(II등급)⋅금강애기나리(II등급)⋅두루미 귀화식물에는 2분류군의 개소시랑개비⋅토끼풀이 관찰되 꽃(II등급)⋅박새(II등급)⋅잣나무(I등급)⋅투구꽃(I등급)⋅ 었다. 이 구간에서만 눈잣나무⋅눈측백⋅주목⋅만병초⋅ 피나무(I등급)⋅나래회나무(I등급)⋅껍질용수염풀(I등급) 산오이풀이 관측되었다. 의 2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고유종에는 금마타리⋅금강분 취⋅자주솜대의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거제수나무⋅팥배 3. 주요식물의 수직분포와 온량지수 나무⋅참회나무⋅피나무 등의 식물종은 이 구간을 끝으로 그 이상의 고해발 지역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구간부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주요식물종의 수직분포에 따른 해 터 털진달래⋅인가목⋅꽃개회나무⋅나도옥잠화 등이 관찰 발과 온도적 분포범위를 알아보기 위해 기온 저감율 -0.5 되기 시작하였다. 5℃/100m(Kira, 1948)를 적용하여 온량지수(Warmth Index: WI)를 계산하였다. 13) 해발 1,500∼1,600m 31과 57속 61종 1아종 5변종 총 67분류군을 확인하였다. 1) 목본식물 166 윤종학․김중현․김선유․박찬호․이병윤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2) 2012

한반도에 분포하는 식물 지리적 분포와 기후요인과의 상 의 냉온대 및 난온대 낙엽식물종군의 분포역 WI=50~100의 관관계에 대하여 Yim and Kira (1975; 1976)와 분포범위에서 분포하면서, 고해발 지역까지 분포하는 신갈 Yim(1977a; 1977b)의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나무는 해발 300m~1,700m (WI=44.1-93.5), 함박꽃나무⋅ Yim(1977a)은 한반도 93개 지역에서 조사된 목본식물 50 피나무는 해발 1,500m이하 (WI=38.2이상)에서 분포범위 종에 대하여 온량지수(Warmth index: WI)구배에 따른 분 를 나타내었다. 포역과 호적범위를 계산하여 아고산 식물종군(WI=30-7 조록싸리⋅고로쇠나무는 해발 1,300m를 분포 상한선으 0℃·month), 냉온대 식물종군(WI=50~90℃·month), 난온 로 하여 분포하였으며, 생강나무⋅고광나무는 해발 1,100m 대 낙엽식물종군(WI=80~100℃·month), 난온대 상록식물 이하 (WI=55.9이상)에서 분포하였다. 또한, 해발 1,000m이 종군(WI=100~120℃·month), 4개의 종군으로 구분하였다. 하(WI=59.8이상)에 느릅나무⋅졸참나무⋅굴참나무⋅서 본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종 중에서 난온대 상록식물 어나무⋅쪽동백나무⋅붉나무가 분포하고 있으며, 서어나 종군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난온대 상록식물종군을 제외한 무는 해발 1,000m이하(WI=59.8이상), 굴참나무⋅붉나무 대부분의 목본식물들은 Yim(1977a)이 보고한 온량지수 는 해발 900m이하(WI=63.6이상), 느릅나무⋅쪽동백나무 (WI) 구배에 따른 분포범위 내에서 분포하였다. 본 조사지 는 해발 800m이하(WI=67.5이상), 졸참나무는 해발 600m 역에서 분비나무⋅눈잣나무⋅눈측백⋅주목⋅개박달나무 이하(WI=75.2이상)에서 분포하였다(Figure 2). ⋅거제수나무⋅사스래나무⋅까치박달⋅마가목⋅시닥나 2) 초본식물 무⋅꽃개회나무는 해발 800m이상 (WI=67.5이하)의 고해 발 지역에 분포하였다. 이들 중에 까치박달은 해발 조사지역내에서 해발고에 따른 뚜렷한 분포 양상을 보이 800~1,300m(WI=48.2~67.5)⋅거제수나무⋅시닥나무는 는 초본식물을 대상으로 온량지수의 호적범위를 조사하였 해발 900m이상 (WI=63.6이하), 분비나무는 해발 1,000m 다(Figure 3). 특히, Yim(1977a)이 목본식물을 대상으로 제 이상 (WI=59.8이하), 개박달나무⋅사스래나무는 해발 시한 온량지수(WI) 30~70℃·month의 호적범위를 나타내 1,100m이상 (WI=55.9이하)⋅마가목은 해발 1,300m이상 는 아고산 목본 식물종군과 유사한 분포역을 보이는 초본 (WI=48.2이하), 꽃개회나무는 해발 1,400m이상 (WI=44.8 식물종으로 동자꽃⋅눈개승마⋅산오이풀⋅나래박쥐나물 이하), 눈잣나무⋅눈측백⋅주목은 해발 1,600m이상 ⋅금강애기나리⋅얼레지 등이 조사되었다. 이들 초본 식물 (WI=38.2이하)에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수종간의 분포적 종들의 분포 고도 및 온량지수를 세분하여 살펴보면, 두메 차이를 보였으나 Yim(1977a)의 아고산 식물종군의 분포 하한 고들빼기는 해발 800m이상 (WI=67.5이하), 동자꽃⋅터리 선인 WI=70℃·month이하에서 분포를 나타냈다. Yim(1977a) 풀⋅송이풀⋅모시대⋅금강애기나리⋅자주솜대⋅박새는

Figure 2. The vertical distribution and WI(Warmth Figure 3. The vertical distribution and WI(Warmth Index) Index) of tree species by altitude differences of herbal species by altitude differences in in survey areas survey areas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167

900m이상 (WI=63.6이하), 나래박쥐나물⋅국화방망이⋅ 되어 배치되었으며, 특히 해발 500m를 경계로 해발고에 따 두루미꽃은 해발 1,000m이상 (WI=59.8이하)에서 분포함 른 식물종의 분포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제2축(Eig.=0.29) 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난사초⋅얼레지는 해발 1,100m이상 에 대하여 Group H4내에서 해발 1,600m를 경계로 구간 (WI=55.9이하), 여로는 해발 1,200m이상 (WI=52.1이하), stand는 상하로 크게 분산, 배치되어 해발(온도)이외의 다른 눈개승마⋅게박쥐나물은 1,300~1,600m(WI=38.2~48.2), 환경요인이 구간간의 종조성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나도옥잠화는 해발 1,400m이상(WI=71.0이하)에서 분포하 을 나타내고 있다. 초본식물의 경우 해발 500m이하에서 귀 며, 금강분취는 해발 1,400~1,500m(WI=41.5~44.8)에서 분 화식물의 이입이 관찰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인간간섭으로 포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해발에 분포하면서 좁은 분포역 인해 해발 500m를 경계로 종조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 을 갖는 등대시호는 해발 1,500~1,600m(WI=38.2~41.5), 중에 하나라고 판단된다. 개시호는 해발 1,500m이상 (WI=41.5이하)에서 분포하고 초본·목본식물(Figure 4-C) 449분류군 14개구간에 대한 있으며, 바람꽃⋅숲개별꽃⋅산오이풀⋅네귀쓴풀은 해발 1,600m이상 (WI=38.2이하)의 분포를 나타냈다(Figure 3).

4. 조사구간의 식물종 분포 유사성 분석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종의 고도에 따른 분포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DCA기법을 이용하여 ordination 분석 (Hill, 1979)을 실시하였다. 목본식물(Figure 4-A), 초본식 물(Figure 4-B) 그리고 초본·목본식물(Figure4-C)의 DCA ordination분석을 통해 해발 100m구간(section)의 stand가 가까이 분포하는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구간 간 식물 종구성 의 분포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었다. 목본식물(Figure 4-A), 초본식물(Figure 4-B), 초본·목본식물(Figure 4-B)의 구간 stand의 배치는 제1축에 대하여 왼쪽의 낮은 스코어 부위에 저해발 구간이, 오른쪽 높은 스코어 부위에 고해발 구간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유추하여 볼 때, 제1축은 다른 환경적인 요소를 감안하고서라도 온도 변화 가 고도별 식물분포 양상에 크게 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사지역에서 생육이 확인된 목본식물 114분류군의 14 개 구간의 식물종 분포 유사성을 분석한 결과 제1축과 제2 축의 DCA ordination(Figure 4-A)에서 제1축(Eig.=0.58)에 대하여 각 구간간의 종조성에 대한 유사정도가 클수록 구간 stand가 서로 가깝게 배치되어 5개 Group(T1∼5)으로 구분 되었으며, 해발 500m(WI=79.0), 1,100m(WI=55.9), 1,400m(WI=44.8), 1,600m(WI=38.2)를 경계로 분포변화 를 나타내었다. 제2축(Eig.=0.22)에 대하여 Group T2에서 해발 800m를 경계로 상하로 분리되어 배치됨으로써 식물 분포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eigenvalue가 0.13으로 비교 적 낮지만 제2축에 대하여 동일 Group내에서 해발(온도) 이외에 다른 환경요인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본식물 335분류군의 14개 구간(section)은 제1축과 제2 축의 DCA ordination(Figure 4-B)에서 제1축(Eig.=0.77)에 대하여 구간stand는 해발 500m(WI=79.0), 900m(WI=63.6), Figure 4. Ordination diagram of the 14 sections for plant 1,200m(WI=52.1)를 경계로 4개 Group(H1∼5)으로 구분 distribution using the DCA method 168 윤종학․김중현․김선유․박찬호․이병윤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2) 2012

제1축과 제2축의 DCA ordination(Figure 4-C)에서 제1축 Seorak, Gangwon-do. Kor. J. Env. Eco. 24: 436-486. (in (Eig.=0.70)에 대하여 구간stand는 5개 Group(TH1∼5)으 Korean with English summary) 로 구분되며, 해발 500m(WI=79.0), 900m(WI=63.6), Kangwon-do Office of Education(1991) Nature of 1,400m(WI=44.8), 1,600m(WI=38.2)를 경계로 식물종의 Kangwon(Plant). Chuncheon, 443pp. (in Korean) 분포변화를 나타냈다. 제2축(Eig.=0.27)에 대해서는 Group Kira, T.(1948) On the altitudinal arrangement of climatic zones in TH3에서 해발 1,100m를 경계로 상하로 분리, 배치되어 분 Japan. Kanti-Nogaku 2: 147-173. (in Japanese) 포변화를 나타내었다. 초본·목본식물의 DCA분석 ordination Korea Fern Society(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의 배치는 초본식물의 분포변화(Figure 4-B)와 유사하며, Geobook, Seoul, 399pp. (in Korean) 이 지역의 해발고에 따른 식물분포의 변화는 목본식물보다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1) Climatological stand normals of Korea. 초본식물의 분포와 관계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본 조사지역에 대한 식물종의 분포는 일차적으로 고도에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따라 온도 영향을 받으며, 목본식물(Figure 4-A)의 경우 해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534pp. (in Korean) 발 700m 지역에서, 초본식물(Figure 4-B)은 해발 1,600m지 Lee, B.Y., G.H. Nam, J.H. Yun, G.Y. Cho, J.S. Lee, J.H. Kim, T.S. 역, 초본·목본식물(Figure 4-C)의 경우 해발 1,100m지역을 Park, K.G. Kim and K.H. Oh(2010) Biological indicators to 경계로 고도에 따른 온도 영향 이외에 인간간섭, 지형, 강수 monitor responses against climate change in Korea. Korean J. 량, 습도, 사면방향, 사면정도, 토양 등의 이차적인 다양한 Pl. Taxon 40(4): 202-207. 환경요인이 기인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Lee, T.B. and J.D. Yoo(1984) Endemic and Rare plants. In: Report 식물종은 온도에 따른 고유한 내성범위를 가지고 분포하 of the academic survey of Mt. Sorak. Kangwon Province, 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은 현재 식물종의 분포 Chuncheon, pp. 169-191. (in Korean) 의 이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식물군락의 종조 Lee, T.B.(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성 변화 및 식물종 다양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990pp. (in Korean) 또한, 환경부에서 선정한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 100종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중 설악산의 오색교~ 대청봉 코스에 생육하는 가래고사리, Seoul, 914pp., 910pp. (in Korean) 분비나무, 눈잣나무, 주목, 바람꽃, 사스래피나무, 만병총, Lee, W.C. and Y.J. Yim(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 땃두릅나무, 댕댕이덩나무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분 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 103-107. (in Korean) 포 변화를 관찰을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자원의 보전 및 관리에 있어 식물의 생태 환경적 특징을 파악하여 식물 Lee, W.T.(1996a)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1,688pp. (in Korean) 자원의 효율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Lee, W.T.(1996b)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624pp. (in Korean) 인용문헌 Lee, Y.N. and Y.J. Oh(1984) An investigation for diversity of flora on Mt. Sorak. In: Report of the academic survey of Mt. Sorak. Chung, T.H. and I.K. Lee(1959) The flora of Mt. Solak I. Bull. Kangwon Province, Chuncheon, pp. 192-215. (in Korean) Kyunghee Univ. 2: 289-354. (in Korean) Lee, Y.N.(1996)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1236pp. (in Chung, T.H. and W.T. Lee(1963) The flora of Mt. Sulak. Bull. Korean) Sungkyunkwan Univ. 8: 269-285. (in Korea) Lee, Y.N.(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Gyohaksa, Seoul, Chung, T.H.(1957) Korean Flora. Vol. I, II. Shinjisa, Seoul, 507pp., 974pp, 885pp. (in Korean) 1,025pp. (in Korean) Ministry of Education(1967) SULAKSAN. Report of the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2007) The genera of Vascular Academic Survey of Mt. SULAK, Seoul, 230pp. (in Korean)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1,482pp. Ministry of Environment(2005) Endemic species of Korea. Hill, M.O. and H.G. Gauch(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 Ministry of Environment, pp. 325-417. (in Korean) ysis, an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Vegtatio. 43: 47-58. Ministry of Environment(2006) A guide to the Third National Hong, M.P.(2001) Flora. In: Nature resource investigation of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pp. 114-155. (in Korean) Seoraksan National Park. National Park Authority, Seoul, pp. 19-38, pp. 325-354. (in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2009) http://www.me.go.kr/ Hong, M.P., H.J. Lee, Y.M. Chun and B.R. Hong(2010) Flora of Mt. Oh, Y.C.(2006)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1, Monocotyledoneae, Cyperaceae. Ministry of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169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757pp. Yim, Y.J. and T. Kira(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in Korean)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Park, S.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 77-88.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575pp. (in Korean) Yim, Y.J. and T. Kira(1976)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Raunkiaer, C.(1934) The life form of plants and stistical plant geog-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 Distribution of climatic hu- raphy: Being the collected papers of C. Raunkiaer. Clarendon midity/aridity. J. Ecol. 25: 157-164. Press, Oxford. Yim, Y.J.(1977a)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Song, J.S. and S. Nakanishi(1985) On the pinus pumila scrub of Mt. the Korean Peninsula. I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Sulak, Korea. Jap. J. Ecol. 35: 537-541. thermal gradient. Jap. J. Ecol. 27: 177-189. Song, J.S.(1988)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mixed coniferous Yim, Y.J.(1977b)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and deciduous broad- forests in South Korea. Hikobia 10: the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 145-156. (in Japanese with English summary) 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ap. J. Ecol. 27: 177-189. Song, J.S.(1991) Phytosociology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s in Yun, J.H.(2011)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Korea. I. Syntaxonomical Interpretation. Ecol. Res. 6: 1-19. species composition of forest community in Korea and Japan around the East Sea. Kor. J. Env. Eco. 25: 327-357. (in Korean Takeda, Y., S. Nakanishi and D. Choe(1994) Phytosociological with English summary) study on natural summer-green forests in Korea. Ecol. Res. 9: 21-32. Yun, J.H., J.H. Kim, K.H. Oh and B.Y. Lee(2010) Vertical dis- 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Jungsanri, Mt. Jiri by temperature Yim, Y.J. and S.D. Baik(1985) The vegetation of Mt. Seolag. gradient. Kor. J. Env. Eco. 24: 680-707. (in Korean with Chung-Ang University Press, Seoul, 199pp. (in Korean) English summary) 170 윤종학․김중현․김선유․박찬호․이병윤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2) 2012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171 172 윤종학․김중현․김선유․박찬호․이병윤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2) 2012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173 174 윤종학․김중현․김선유․박찬호․이병윤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2) 2012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175 176 윤종학․김중현․김선유․박찬호․이병윤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2) 2012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177 178 윤종학․김중현․김선유․박찬호․이병윤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2) 2012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179 180 윤종학․김중현․김선유․박찬호․이병윤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2) 2012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181 182 윤종학․김중현․김선유․박찬호․이병윤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2) 2012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183 184 윤종학․김중현․김선유․박찬호․이병윤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2) 2012 설악산국립공원 오색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분포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