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watch Report 08 V3.Hwp

Infowatch Report 08 V3.Hwp

뉴미디어뉴미디어 InfoInfo WatchWatch 08-03 2008.2008. 9.9. = 알림 = ◈ 『뉴미디어 Info Watch』는 (주)유플러스연구소(소장 김원제)와 공동작업을 통해 작성된 보고서로, 저작권은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에 있습니다. 『뉴미디어 Info Watch 08-03』은 2008년 7월부터 9월까지 뉴미디어제작정보시스템(www.mediaguide.or.kr)에 제공된 동향정보의 요약정리본입니다. ◈ 담당자 : KBI 정보사업팀 정진규 차장(02-3219-5442) (주)유플러스연구소 박정환 팀장(02-322-6538) < 목 차 > Ⅰ. 미디어 콘텐츠 및 서비스 동향 ········································ 1 1. 사용자 중심으로 진화하는 지식제공 서비스 ······················· 3 2. IPTV의 대항마로 부상하는 웹 서비스: 주스트, OTT ········· 9 3. 모바일을 중심으로 한 뮤직콘텐츠 서비스 각광 ··············· 13 Ⅱ. 정책 동향 ·············································································· 17 1. 방향을 달리하는 유럽과 미국의 콘텐츠 규제정책 ············ 19 2. 공공성과 편의성을 고려한 정책 확산 ································· 24 Ⅲ. 산업 및 시장 동향 ····························································· 29 1. 전통미디어 기업의 미래 생존전략 ······································ 31 2. 웹브라우저 시장 전쟁, 재점화(再點火) ······························ 39 3. 비디오게임시장의 새로운 트렌드, 체감형 게임 부상 ·········· 44 Ⅳ. 미디어기업 동향 ·································································· 49 1. 소비자의 감성을 사로잡는 미디어기업의 차별화 전략 ···· 51 2. 미디어기업이 직면한 위기상황과 대응전략 ······················· 56 3. 경계를 허무는 미디어기업의 영역 확장전략 ····················· 61 Ⅴ. 기술 동향 ·············································································· 65 1. 테크놀로지 발전으로 현실화되는 가상과 현실의 결합 ···· 67 2. 편의성을 고려한 이용자 중심의 기술 구현 ······················· 71 3. 합법화된 기술로 이룩한 콘텐츠의 개방과 공유 ··············· 76 Ⅵ. 소비 동향 및 트렌드 ························································· 79 1. TV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는 미디어 소비 트렌드 ·········· 81 2. 새로운 콘텐츠 소비행태의 부상(浮上) ······························· 86 3. 미디어 시장에서 디지털의 영향력 증대 ····························· 92 Contents Ⅰ. 미디어 콘텐츠 및 서비스 동향 1. 사용자 중심으로 진화하는 지식제공 서비스 □ 웹 2.0을 기반으로 한 집단지성의 진화 양상 □ 동영상 지식공유 전문사이트 ‘하우투비디오’의 급부상 □ 맞춤형 뉴스제공, SNS와의 결합으로 서비스 범위 확장 □ 인공지능형 검색엔진 ‘인사이츠 포 서치’의 등장 □ 사용자 중심의 다양한 인공지능형 서비스 개발 전망 2. IPTV의 대항마로 부상하는 웹 서비스 : 주스트, OTT □ IPTV와 불가피하게 중첩되는 웹 서비스의 영역 □ 콘텐츠 질(quality)과 저작권을 모두 담보한 주스트의 선전 □ 광고 없고 간편한 ‘OTT(Over the top) 서비스’ 등장 □ IPTV사업자의 현실적인 대응방안은? 3. 모바일을 중심으로 한 뮤직콘텐츠 서비스 각광 □ 세계 온라인 음악시장의 성장의 핵(核), 모바일 음악시장 □ 세계 최대의 휴대폰업체 노키아의 모바일 음악시장 진출 □ MS의‘준(zune)’, 애플의 아이튠즈에 재도전 □ 모바일 음악시장의 미래 성장 방향 Ⅰ. 미디어 콘텐츠 및 서비스 동향 Ⅰ. 미디어 콘텐츠 및 서비스 동향 1. 사용자 중심으로 진화하는 지식제공 서비스 □ 웹 2.0을 기반으로 한 집단지성의 진화 양상 디지털미디어와 아날로그미디어의 가장 큰 차이점은 상호작용성(interactive)에 있다. 일방향적 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던 방식에서 양방향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다양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진화는 개방과 참여, 공유의 웹 2.0의 태동을 불러일으켰 고, 사람들로 하여금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을 배가시켰다. 사람들은 상호간의 자유로 운 지식공유를 통해 집단적 지성능력을 배양했으며, 웹은 이러한 집단지성의 핵심도구로 활용됐 다. 웹 2.0에서는 누구나 지식을 생산할 수도 전달할 수도 있기 때문에 지식의 확산이 활발하게 이뤄진다. 또한 수용자 개개인의 취향과 니즈에 맞는 정보와 지식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집단지 성의 진화를 가져올 수 있다. 예컨대, UCC가 처음 등장했을 때에는 단순 재가공이나 오락성 위 주의 콘텐츠가 대부분이었으나 최근 들어 지식을 공유하는 콘텐츠가 급증하면서 새로운 지식제 공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밖에도 개인의 취향과 니즈에 부합하는 뉴스제공이나 검색 서비스 제공은 한 차원 진화된 지식제공 서비스의 양상을 나타낸다. □ 동영상 지식공유 전문사이트 ‘하우투비디오’의 급부상 UCC가 처음 등장했을 때에는 오락성 위주의 기존 프로그램 재가공 혹은 패러디가 대부분이었 다. 이는 저작권침해나 수익모델 파괴 등의 부작용을 양산했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오락성 외 에 교육, 매뉴얼, 어드바이스와 같은 지식관련 콘텐츠가 다수 제작되면서 UCC의 새로운 성장가 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실제로 2008년 4월 23일자 뉴욕타임즈 기사에서는 급증하는 지식공유 사이트를 집중조명하며 새롭게 진화하는 지식서비스를 소개했다. 예컨대 25년 전 미국 홈비디오 시장에서 인기를 끌었던 제인폰다의 미용체조 비디오가 웹으로 옮겨오면서 다시 인기를 얻고 있 는 사례를 들 수 있다. 이처럼 이용자 간의 지식공유는 기존의 텍스트 위주의 방식에서 동영상 을 통한 방식으로 한 차원 진화해나가고 있다. ※ 파이브미닛라이프비디오피아의 하우투비디오 클립과 원더하우투에서 ‘Tennis’로 검색된 목록 하우투비디오 전문사이트들은 DIY(Do-It-Yourself)팁 또는 혼자 하는 법, 요리와 뷰티 어드 - 3 - 뉴미디어 Info Watch 3/4분기 동향분석 바이스, 스포츠와 음악교본서 등 잡다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새로운 지식공유 서비스는 소소 한 주제부터 풍자와 유머가 곁들어진 심각하고 난해한 주제들까지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대 부분 비디오클립들은 몇 분 이내의 분량이며 대부분은 이용자들이 요청했던 교육적인 설명 또는 지침서의 형태이다. 이 같은 하우투비디오의 인기를 방증하듯 지난 2년 동안 원더하우투(WonderHowTo.com), 비 디오저그(VideoJug), 하우캐스트(Howcast), 엑스퍼트 빌리지(Expert Village), 파이브 미닛 라 이프 비디오피아(5min Life Videopia) 등과 같은 지식공유 전문사이트가 생겨났으며, 많은 투자 자들은 수백만 달러를 투자해왔다. 그 중에서 하우캐스트와 엑스퍼트빌리지는 대표적인 지식공유 전문사이트로 꼽힌다. 하우캐스 트(Howcast)는 구글, 유튜브에서 근무했던 제이슨 리에브만, 다니엘 블랙맨, 산제이 라만 등이 함께 창업한 사이트이며, 이들은 유튜브보다 좀 더 세련되고, 고급화된 지식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 높은 수준의 동영상 콘텐츠는 이용자, 동영상제작자, 콘텐츠 배급자, 그리고 광고주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하우캐스트는 튜더인베스트먼트(Tudor Investment Corp.) 주도 아래 연속 8백만 달러를 자금조달 받았으며, 유튜브 채널을 이미 확보했다. 또한 뉴스와 영화 비 디오클립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이캐스트폰(Vcast phone)을 위해 마이스페이스, 버라이존과 배급 계약을 체결하기도 해 수익모델 확보에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 다른 하우투비디오 사이트인 엑스퍼트 빌리지(Expert Village)는 2007년 LA 디맨드미디어 (Demand Media)에 의해 인수됐는데, CEO인 리처드 로젠블래트 역시 전 마이스페이스의 모회 사 회장이었다. 엑스퍼트 빌리지는 마이스페이스판 신채널에 매주 10~20개의 하우투(How-to) 비디오를 추가해 나가고 있다. 수백 명의 독립 비디오 프로듀서들이 9만개의 하우투비디오를 제 작했고, 1만2천개를 새로 만들어 내고 있다. ※ 하우캐스트와 엑스퍼트빌리지 사이트의 메인페이지 최근 웹 2.0을 기반으로 한 지식공유 동영상 사이트들이 각광을 받으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 델이 대두되고 있다. 동영상을 중심으로 한 차원 진화된 지식공유 방식은 집단지성의 확장을 주 도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욱 폭 넓은 주제와 콘텐츠로 전개되어 나갈 전망이다. □ 맞춤형 뉴스제공, SNS와의 결합으로 서비스 범위 확장 웹 2.0의 등장으로 지식공유의 폭이 한 층 넓어진 가운데, 개개인의 취향과 니즈에 맞는 정보 제공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미 블로그와 미니홈피로 RSS(Really Simple Syndication)와 같 은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고, e메일로도 개인별 취향에 맞는 뉴스가 제공되는 서비스도 활성화되어 있다. - 4 - Ⅰ. 미디어 콘텐츠 및 서비스 동향 여기에 세계적인 일간지 NYT는 7월 21일 소셜네트워크(SNS)업체 링크드인(Linkedin)과의 파트너십을 공식발표하면서 새로운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를 오픈했다. 이 서비스는 뉴욕타임 스의 웹사이트 뉴욕타임스닷컴의 비즈니스와 테크놀로지 섹션에서 링크드인 가입자를 대상으로 개인별 맞춤화된 기사와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링크드인 가입자의 직업 및 전문분야 등 공개 정보를 기반으로 개개인의 관심분야와 전문분야에 해당되는 뉴스와 광고를 제공한다. 뉴욕 타임스닷컴의 이용자 역시 해당 뉴스 페이지에 걸려있는 링크드인 툴을 이용해 링크드인 네트워 크 안에서 기사를 공유하거나 댓글을 주고받을 수 있다. ※ 뉴욕타임스닷컴에서 제공되는 링크드인 서비스 링크드인의 경우 25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뉴욕타임스의 경우 17만 명 독자와 방 문객들이 매달 뉴욕타임스닷컴을 방문하고 있다. 뉴욕타임스닷컴의 광고주는 이번 서비스를 통 해 더욱 많은 이용자에게 광고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누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파트 너십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 뉴욕타임스와 링크드인 양사는 가입자의 희망에 따라 이 서비스를 선택하거나 거부할 수 있는 옵트아웃(Opt-Out) 시스템을 사용해 가입자의 의사를 존중하고 있다. NYT의 이번 맞춤형 뉴스서비스는 가장 유망한 서비스 분야인 SNS와의 결합이라는 측면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SNS인 링크드인은 가입자가 자신의 프로필을 기반으로 다양한 인맥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를 주로 제공하고 있는데, 때문에 링크드인에서 가입자가 기입해 야하는 프로필은 現직업, 직장, 전공 등으로 다양하다. 또한 링크드인은 취업과 채용을 원하는 사람들을 타깃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했기 때문에 가입자는 일반적으로 이력서에 기본적으로 기입 해야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사이트에서는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통해 구직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실제로 링크드인에 가입된 전문 인력은 2천3백만명 이상이며, 2009년에는 7천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링크드인 가입자들은 170여개 분야에 종사하고 있고, 이들의 국적은 150 여개에 달한다. 연평균 소득 역시 10만 9천 달러로 가입자들의 비용지불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링크드인이 이처럼 가입자의 다양한 정보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뉴욕타임스는 직업 혹은 전 공에 맞추어 뉴스 및 광고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링크드인 역시 추가로 높은 광고수익을 얻을 수 있는 등 언론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특히 링크드인의 가입자들은 사이트 이용 목적이 명확하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다. 또한, 링크드인의 온라인광고 클릭비율이 다른 사이트 에 비해 월등히 높다는 점에서 이번 제휴가 양사에게 실질적 이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5 - 뉴미디어 Info Watch 3/4분기 동향분석 □ 인공지능형 검색엔진 ‘인사이츠 포 서치’의 등장 2008년 7월 말 기준 미국 검색시장의 62%를 지배하고 있는 구글이 특정 키워드의 검색 추이 를 시간과 지역별로 분석해서 보여주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2008년 8월 7일 최초 공개된 이 서비스는 ‘인사이츠 포 서치(Insights for Search)’로 명명되었다. 인사이츠 포 서치는 특정 키워드가 전 세계의 어느 지역에서 가장 많이 검색되었는지를 세계 지도에 표시해 주는데, 각 지역별 검색 빈도를 막대그래프 형식으로 나타내어 비교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특정 키워드의 검색량 변화 추이를 시간대별로 보여주는 그래프도 제공하고 있다. ※ Insights for Search의 메인 화면(左)과 검색결과 화면(右) 예를 들어 ‘Olympic'이라는 단어가 언제 어느 지역에서 가장 많이 검색되었는지 궁금하다면, 인사이츠 포 서치의 검색창에 ‘Olympic’이라는 단어를 넣으면 검색량의 시간적 변화 추이와 지 역별 검색 빈도의 차이를 쉽고 빠르게 알아볼 수 있다. 이 밖에도 인사이츠 포 서치는 이와 함께 해당 키워드가 어떤 어구들과 섞여서 검색되었는지 도 보여준다. 예컨대 ‘Seoul’이라는 키워드를 이 사이트의 검색창에 넣으면 해당 검색어의 검색 빈도에 대한 지역별, 시간별 추이를 비교할 수 있는 데이터와 함께 ‘Bush arrives in Seoul, anti-US protest fizzles’, ‘Thousands protest in Seoul against US beef’ 등 그 검색어가 어떤 어구들과 조합되어 검색되었는지에 대한 데이터까지 제공된다. 연관 어구들 역시 가장 많이 검 색된 빈도에 따라 순위별로 표시되며, 그것이 검색 키워드와 함께 조합되어 검색된 시간도 그래 프 상에 표시되고 연관 어구를 클릭하면 링크된 해당 자료들이 노출되게 된다. ※ Insights for Search에서 Seoul을 검색한 후 연관 어구를 클릭하면 나타나는 링크된 자료화면들 - 6 - Ⅰ. 미디어 콘텐츠 및 서비스 동향 사실상 인사이츠 포 서치는 2년 전 이미 서비스 되었던 구글 트렌스(Google Trends)와 매우 유사한 서비스이다. 구글 트렌스 역시 키워드의 검색빈도 추이를 시간과 지역별로 비교하여 제 공했었다. 하지만 검색빈도를 비교해서 보기 어려웠으며, 이용자가 원하는 카데고리를 자유롭게 제공할 수 없었다. 이에 인사이츠 포 서치는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검색빈도를 세계지도에 표시하고, 검색 카테고리를 이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하도록 개선했다. 예컨대 인사이츠 포 서치에 서 ‘사과’가 어떤 지역에서 가장 많이 검색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검색창에 ‘apple’을 넣고 카테고리를 shopping이나 food & drink에 설정하면 되고, ‘애플 컴퓨터’에 관심있는 이용자는 카 테고리를 computer로 설정하면 되는 방식이다. 인사이츠 포 서치에서 제공되는 카테고리는 기본 유목과 세부적인 하위유목으로 구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검색결과에 보다 근접한 결과들을 얻어 낼 수 있게 된다.

View Full Text

Details

  • File Type
    pdf
  • Upload Time
    -
  • Content Languages
    English
  • Upload User
    Anonymous/Not logged-in
  • File Pages
    94 Page
  • File Size
    -

Download

Channel Download Status
Express Download Enable

Copyright

We respect the copyright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all users. All uploaded documents are either original works of the uploader or authorized works of the rightful owners.

  • Not to be reproduced or distributed without explicit permission.
  • Not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outside of approved use cases.
  • Not used to infringe on the rights of the original creators.
  • If you believe any content infringes your copyright, please contact us immediately.

Support

For help with questions, suggestions, or problems, please contac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