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생물종목록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원생동물 (Protozoa)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발간사 2010년 제 10차 생물다양성협약 총회에서 생물자원을 활용하여 발생되는 이익을 공유하기 위한 국제적 지침인 나고야 의정서가 채택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생물자원의 이용 및 관리에 대한 국제적 환경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생물자원을 둘러싼 국가 간의 총성 없는 전쟁에서 미리 준비하여 좋은 위치를 선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의 주권 영역 내에 살고 있는 모든 생물종의 명세를 상세하게 파악 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과학적인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리라 생각 합니다. 다시 말하면 무한한 잠재적 이용가치를 지닌 국가 생물자원에 대한 종목록을 최우선 적으로 파악하는 것입니다. 2012년에는 국가차원에서 생물다양성을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관리하며 아울러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한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으며, 2013년부터 시행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 법률은 정부가 국가 생물다양성 전략을 정기적으로 수립하고 국내에서 서식하는 생물종의 학명, 국내 분포 현황 등을 포함한 국가 생물종 목록을 구축하도록 의무화 하고 있습니다.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이미 선제적 으로 국가 생물종 목록 구축의 중요성과 시급성을 인지하고 2008년부터 국가 생물자원 인벤토리 구축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을 통해 국립생물자원관은 그동안 기존의 자생생물과 새로 연구 발굴된 생물종을 재검토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왔으며, 그 결과 2011년도에 관속식물 4,338 분류군, 선태류 903 분류군 및 척추동물 1,884 분류군을 대상으로 3권의 ‘국가생물종목록집’을 시범 발간한 바가 있습니다. 2012년에는 곤충과 무척추동물을 대상으로 내 외부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국가생물종 목록집 5권을 추가로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2012년에 추가로 발간되는 국가생물종목록집은 한반도에 서식하는 자생생물의 존재를 확인하는데 큰 의의가 있으며, 생물자원 연구를 위한 참고 자료와 생물자원의 정보원으로, 그리고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 정보로 널리 활용되길 바라며, 우리나라 생물자원 및 생물 다양성 분야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합니다. 그동안 종목록 구축을 위해 노고를 아끼지 않으신 많은 연구자들과 감수를 맡아주신 전문가 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12년 12월 국립생물자원관장 이 상 팔 - i - 일러두기 국가생물종목록 원생동물편에서는 우리나라에는 출현하였거나 출현하는 것으로 알 려진 원생동물 1,573분류군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한국산 원생동물 종목록은 우리나라 에 출현하는 것으로 보고한 문헌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으며, 각 종에 대한 원기재문과 최초기록문헌을 제시하였다. 종목록의 분류체계는 섬모충류는 Lynn (2008)의 분류체계 를 따랐고 종속영양 편모류를 비롯한 다른 분류군은 Lee et al. (2000)의 분류체계를 따랐으며, 과(family) 보다 낮은 분류계급에서는 알파벳순으로 정리하였다. 국명이 제 안되지 않는 경우에는 ‘[국명없음]’으로 표기하였다.
Details
-
File Typepdf
-
Upload Time-
-
Content LanguagesEnglish
-
Upload UserAnonymous/Not logged-in
-
File Pages349 Page
-
File S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