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Spot Issue

It Spot Issue

[ Spot❘2016-06 ] 2016 ICT Spot Issue Ⅰ. 브렉시트 선언과 ICT산업 영향 Ⅱ. 스마트폰 카메라의 진화, 3D카메라 <CP Issue> IMS2016을 통해 살펴보는 전파기술의 최신 동향 목 차 ICT SPOT ISSUE 2016-06 Ⅰ. 브렉시트 선언과 ICT산업 영향 ································· 1 1. Brexit 발표 후 경제 지표 변화 ································································· 2 2. 미국 금융위기 사례를 통한 Brexit 영향 검토 ··········································· 5 3. Brexit의 ICT산업 파급효과 ········································································· 6 4. 정책적 시사점 ··························································································· 11 Ⅱ. 스마트폰 카메라의 진화, 3D카메라 ························ 12 1. 3D로 진화하는 스마트폰 카메라 ··························································· 13 2. 스마트폰용 3D 카메라 기술 개요 및 개발 동향 ···································· 15 3. 맺음말 ······································································································· 23 <CP Issue> IMS2016을 통해 살펴보는 전파기술의 최신 동향 1. IMS2016 개요 ························································································ 26 2. 이동전화: 탄생과 소멸 ············································································· 31 3. mm-Wave: 미래로 연결되는 관문 ·························································· 35 4. GaN: 고전력 반도체 혁신 ······································································ 41 5. 패러다임 이동: SW기반 플랫폼 ······························································· 47 6. 시사점과 제언 ··························································································· 49 Institute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Promotion ICT Spot Issue ❙ 2016-06 Ⅰ. Brexit 선언과 ICT산업 영향 IITP - KISDI 공동 작성 IITP 이승민 책임 / KISDI 나성현 실장 1. Brexit 발표 후 경제 지표 변화 2. 미국 금융위기 사례를 통한 Brexit 영향검토 3. Brexit의 ICT산업 파급효과 4. 정책적 시사점 ICT Spot Issue Institute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Promotion ICT SPOT ISSUE Ⅰ. Brexit 선언과 ICT산업 영향 1 Brexit 발표 후 경제 지표 변화 o Brexit 발표 이후 일주일 만에 국제 금융시장은 안정세 회복 ○ 국제 금융시장은 주가 급락 등 우려가 제기 되었으나, 각 국 정책 당국의 빠른 대응으로 대체로 Breixt(6월 24일) 이전 수준을 회복 [그림 I-1] 주요 국제 금융시장 증시 추이 자료: S&P Capital, 2016.6. ○ 반면, 환율은 원화, 위안화는 이전 수준으로 복귀했으나, 엔화, 달러 가치는 상승하 였고, 파운드 및 유로화는 가치 하락세가 지속 [그림 I-2] Brexit 전후의 주요국가 환율 변화 자료: 한국은행, 외환은행, 2016.7. 2 ICT SPOT ISSUE Ⅰ. Brexit 선언과 ICT산업 영향 o 영국의 경우, 재투표, 분리 독립 요구 등이 표출되고 브렉소더스(Breixt + Exodus, 브렉시트 후 기업 탈출)에 따른 불확실성이 증가 ○ 금융을 중심으로 한 외국계 기업은 물론, 보다폰 등 영국 기업들마저 본사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Economist는 EU 탈퇴시, 금융시장 위축 등에 따라 영국의 실질GDP 6% 감소를 전망(´20년 기준) o Brexit로 회복세를 보이던 EU 경제의 위축, 세계 경제 성장률 하향 조정 예상 ○ 주요 전망 기관들은 유로존 1% 내외, 미국과 일본 0.5% 내외, 세계 경제 0.2% 내외의 부정적 영향을 예상 <표 I-1> Brexit 이후 세계 및 주요 국가별 경제 성장률 조정 지역 전망기관 전망 지역 전망기관 전망 미즈호종합 IMF 3.2%(‘16.4월 전망) 0.3~0.8%p 감소 일본 연구소 세계 모건스탠리 2.7~2.8%(3%에서 하향) 모건스탠리 0.34~1.11%p 감소(‘18년) 골드만삭스 올해 3.1%(3.2%에서 하향) OECD 1.1%p 감소(2018년) 0.4%p (1년간) 미국 도이치방크 유로존 올해 1.5%(2.0%에서 1.5%p 감소(3년간) 골드만삭스 하향조정) 자료: 국제무역연구원 재인용 ○ IMF에 따르면, Brexit 충격은 영국과 금융, 무역연계가 높은 EU 국가(아일랜드, 네덜란드 등)를 중심으로 영향이 집중될 전망 ※ Brexit로 인해 ‘18년 EU 국가는 0.2∼0.5%p 하락, 여타 국가는 0∼0.2%p 경제성장률 하락 예상되며, 아일랜드, 네덜란드, 벨기에는 최대 규모의 경제적 손실 발생 예상(IMF) ‒ EU 주변국은 0.2~0.5% 하락이 예상되는 반면, 영국과의 교류 비중이 높지 않은 여타 국가(한국 포함)의 경제적 영향은 0~0.2% 수준 예상 [그림 I-3] 주요 지역/권역별 ‘18년 경제 성장 영향 분석 자료: IMF, 2016. 6 3 ICT SPOT ISSUE Ⅰ. Brexit 선언과 ICT산업 영향 2 미국 금융위기 사례를 통한 Brexit 영향 검토 o 미국 금융위기 이후 ICT 저성장, G2 영향력 확대 등 ICT 경쟁환경이 변화 ○ (단기) 미국 금융위기는 실물경제로 전이되면서 국제 교역 등이 큰 폭으로 감소 ‒ 미국은 국내 ICT수출의 13.2%, 주요 기업 매출은 18.5%를 차지했으며, 리만사태로 인해 ‘09년 세계 ICT 교역 및 국내 수출은 각각 15.0%, 7.8% 감소 ‒ 특히 월간 ICT수출은 두 자릿수 이하로 크게 급감하는 등 실물경제의 상당한 충격 발생 ※ 월별 ICT수출 증감률(%) : (‘08.9월) 9.2 → (10월) -8.5 → (11월) -32.6 → (12월) -39.2 [그림 I-4] 미국의 ICT 매출·수출 비중과 금융위기 이후 경제 지표(‘09) 변화 < ‘09년 주요기업 매출/ ICT수출 지역별 비중 > < 주요 경제 지표 성장률(’09년) > 자료: S&P Capital, 한국은행, UN Comtrade 등, 주) 삼성전자, LG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 (장기) 세계 ICT 교역은 본격적인 저성장 국면에 진입하였고, G2 영향력이 확대 ‒ 미국 금융위기 쇼크는 유럽 재정위기, 미국, 유럽 등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으로 세계 ICT 교역은 1% 대의 저성장 ※ 세계 ICT교역 증가율(UNComtrade, %) : (‘03~’08) 12.1 → (‘09) -15.0 → (’10~‘15) 1.5 ‒ 반도체, 디스플레이 패널 등 주력 품목은 세계 시장 침체 및 둔화 [그림 I-5] 미국 금융위기 이후 5년간 경제 지표 및 ICT 주요 품목 세계 시장 연평균성장률 세계시장 성장률 품목 비고 ‘03~’07 ⇨ ‘10~’15 ICT전체 8.8 ⇨ 1.3 반도체 10.2 ⇨ 2.2 저성장 디스플레이 32.0 ⇨ -4.3 SW 6.3 ⇨ 4.5 ‘16~’20년 스마트폰 - ⇨ 29.5 1.8%성장 < 주요 경제지표 연평균증감률(‘10~’15)> < 주요 품목 세계시장 성장률 비교 > 자료: S&P Capital, 2016.6. 4 ICT SPOT ISSUE Ⅰ. Brexit 선언과 ICT산업 영향 ‒ 세계적인 ICT저성장, 보호 무역 강화 등으로 거대 내수 시장 및 막대한 자본을 보유하고 있는 G2의 ICT시장 지배력이 강화되는 등 ICT 경쟁이 환경 변화 ※ G2의 세계 ICT 매출 점유율 (S&P Capital, %) : (‘10) 34.6 → (’15) 44.1 [그림 I-6] 세계 ICT 성장률 추이 및 세계 ICT기업 매출 비교 글로벌 ICT 13,659개 기준 < 세계 ICT성장률 > < 세계 ICT 매출 비교(G2 vs G2 이외) > 자료: Gartner, S&P Capital, 2016. o 미국 금융위기로 세계 ICT시장은 ‘08~’12년 연평균2.6%p 감소 효과 발생 ○ (세계 ICT) 금융위기로 인해 ‘09년 –4.8% 감소, ’08~‘12년 1.9%의 저성장에 진입했으며, ‒ 금융위기 이전인 ‘08.3분기에 전망한 세계 ICT시장(’08~‘12년)을 전망치와 현시점 ’16.3분기 에서 바라본 세계 ICT시장(‘08~’12년) 규모 간 2.6%의 간격 발생 ○ (국내 ICT수출) ‘09년 -7.8% 감소, ’08~’12년 4%대 성장 기록 ‒ ‘08~’12년 국내 ICT수출은 세계 ICT교역에 비해 선전했으나, 미국 금융위기 전후의 5년을 비교하면 ‘03~’07년 14.4%에서 ‘08~’12년 4.3%로 10.1%p 하락 ※ 세계 ICT 성장률(Gartner) : (‘03~’07년) 8.8% → (‘08~’12) 1.9% ※ 국내 ICT 수출 증가율(IITP) : (‘03~’07년) 14.4% → (‘08~’12) 4.3% ※ 세계 ICT 교역(UN Comtrade) : (‘03~’07년) 14.0% → (‘08~’12) 2.5% <표 I-2> 미국 금융위기 ICT영향 분석 단기(’08~‘09년) 장기(‘08~’12년) 구분 예상* 실제 비고 예상* 실제 비고 세계 ICT시장 5.2% -4.8% -10.1%p 4.5% 1.9% -2.6%p 국내 ICT수출 - -7.8% - - 4.3% (참고) 세계ICT교역 - -15.0% - - 2.5% - 자료: UN Comtrade, IITP, 2016. 5 ICT SPOT ISSUE Ⅰ. Brexit 선언과 ICT산업 영향 3 Brexit의 ICT산업 파급 효과 o (세계 ICT) HW보다는 SW 및 서비스 분야에 Brexit 여파가 집중될 전망 ○ (SW) 영국은 금융 및 서비스업이 발달한 국가로 세계 SW 시장에서 미국에 이은 세계 2위 시장 ※ ’16년 국가별 SW 시장규모(억불, Gartner) : (미국) 5,645억불, (영국) 1,123억불, (일본) 1,121억 불, (독일) 543억불, (프랑스) 403억불, (캐나다) 307억불 순 ‒ 영국 SW시장은 미국, 영국계 업체가 장악하고 있어 이들 업체를 중심으로 부정적 영향이 예상 ※ ‘15년 영국 시장 SW 매출 상위 기업 : Capita(영, 54.8억불) IBM(미, 51.6억불), MS(미, 37.5억불), HP(미, 32.7억불), BT(영, 31.1억불), 액센츄어(미, 29억불), 타타(인도, 28.0억불), 기타(삼성 SDS (2.4억불, 영국 내 0.2% 비중, 유럽본사가 영국에 위치)) 등 ○ (HW) 영국 HW 시장은 세계 시장에서 3.9% 수준으로 높지 않고, ITA 협정 무관세적용, 2년 유예기간 존재 등으로 국제 ICT 교역에 제한적 영향이 전망 ※ 영국의 세계 시장 비중(Gartner) : (SW) 9.0%, (HW) 3.9%, (서비스) 3.2% ※ 영국이 EU탈퇴가 확정될 경우 ITA 회원국 자격을 상실하나, 무난한 재가입이 예상 o (국내 ICT) 영국과 직접 거래관계에 있는 ICT HW 수출 부문의 영향 예상 ○ Brexit는 영국과의 직접적 거래관계(對영수출, 투자) 및 글로벌 시장을 매개(환율 변동, 경기둔화)로 우리나라 ICT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표 I-3> 2015년 주요 지역별/품목별 수출액 반도체 휴대폰 디스플레이 전체 지역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5.4 2.0 0.1 11.4 영국 (47.4)* 8.9 (17.5) △36.4 (0.9) △32.0 [0.7]** △18.1 15.8 12.1 17.8 101.5 EU (15.6) △10.9 (11.9) △47.1 (17.5) △44.1 [5.9] △23.8 405.7 117.5 247.7 939.8 중국 (43.2) 5.4 (12.5) 37.2 (26.4) △2.4 [54.4] 3.8 33.1 66.2 1.8 164.6 미국 (20.1) 14.8 (40.2) △11.5 (1.1) 6.8 [9.5] △2.6 일본 17.6 △6.9 11.2 △27.7 1.1 △36.5 51.5 △16.7 (34.2) (21.7) (2.1) [3.0] 28.7 43.6 12.3 120.2 베트남 (23.9) 2.9 (36.3) 85.2 (10.2) 173.6 [7.0] 40.0 자료: IITP, 2016. * ( )안은 각 품목이 국가별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 [ ]안은 각 국가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6 ICT SPOT ISSUE Ⅰ. Brexit 선언과 ICT산업 영향 ○ Brexit의 영향이 가시화 될 경우, 그 영향은 ICT HW 수출에서 집중될 전망 ※ 경기둔화 등 세계 경제 여건의 변화는 SW, 콘텐츠 등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나, 수출비중, 소비에 있어서의 대체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그 영향이 제조업만큼 크지는 않을 것 ‒ 또한, 전체 ICT 수출에서 영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0.7%인 반면, 중국은 54.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중국 관련 이슈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EU는 중국의 최대 교역국으로 EU 경기 불확실성 증대는 중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어느 정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위안화 약세 - 對미수출 증가’ 등으로 그 영향이 상쇄될 전망(대외경제정책연구원) ※ 2015년 기준 중국의 對 EU수출은 중국 총수출의 15.6%, 수입은 12.5% 차지 【참고】 Brexit (6.24일) 전 후 ICT수출 동향 ○ 1일기준 ICT수출은 6~7억불 수출 등 평소와 같은 흐름을 이어가고 있고, 영국 및 EU 지역 수출도 1일 기준 전년 동기대비 증가 회복 등 영향 없음 < ICT 전체 일별수출액> < 對EU ICT 일별 수출액> < 對영국 ICT 일별 수출액> (1) 단기적 영향 : 對영수출‧투자, 환율 변동 ○ (對영수출) 영국으로의 수출 비중(0.7%)이 높지 않음에 따라, 영국 경제의 성장둔화가 ICT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 `15년 기준, 對영 ICT 수출은 11.4억 달러로 전체 ICT 수출액 1,728.7억 달러의 0.7% 수준 ※ `15년 기준 對EU ICT 수출은 101.5억 달러로 전체 ICT 수출의 5.9% 수준 ○ Brexit의 여파는 단기적으로는 영국에 한정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주로 휴대폰, TV 등 완제품을 중심으로 수출 감소 이슈 발생 가능성이 존재 ‒ 주요 수출 품목 중 반도체, 디스플레이 패널은 부품 산업 특성 상 유럽과 연관성이 낮고, 휴대폰은 보조금 제도, 임대 요금제 등으로 수요 하락이 제한적일 전망 7 ICT SPOT ISSUE Ⅰ.

View Full Text

Details

  • File Type
    pdf
  • Upload Time
    -
  • Content Languages
    English
  • Upload User
    Anonymous/Not logged-in
  • File Pages
    56 Page
  • File Size
    -

Download

Channel Download Status
Express Download Enable

Copyright

We respect the copyright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all users. All uploaded documents are either original works of the uploader or authorized works of the rightful owners.

  • Not to be reproduced or distributed without explicit permission.
  • Not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outside of approved use cases.
  • Not used to infringe on the rights of the original creators.
  • If you believe any content infringes your copyright, please contact us immediately.

Support

For help with questions, suggestions, or problems, please contac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