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Composite Deprivation Index for Korea: the Correlation with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Development of Composite Deprivation Index for Korea: the Correlation with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J Prev Med Public Health 2009;42(6):392-402 DOI: 10.3961/jpmph.2009.42.6.392 신호성, 이수형, 추장민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1) Development of Composite Deprivation Index for Korea: The Correlation with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Hosung Shin, Suehyung Lee, Jang Min Chu1)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orea Environment Institute1)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paper were to develop the rural areas,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al variation of the composite deprivation index (CDI) for the sub-district (Eup- CDI was the highest in metropolitan areas (8.9 - 353.7) and Myen-Dong) levels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exclusion the lowest was in the rural areas (26.8 - 209.7). The extent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DI and the and relative differences of deprivation increased with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SMR). urbanization. Compared to the Townsend and Carstairs Methods : The paper calculated the age adjusted SMR index, the CDI better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and we included five dimensions of social exclusion for rural deprivation. The correlation with the SMR was CDI; unemployment, poverty, housing, labor and social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direction of the CDI effects network. The proxy variables of the five dimensions were on the SMR was in accordance with that of the previous the proportion of unemployed males, the percent of studies. recipients receiving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Conclusions : The study findings indicated mortality benefits,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under the minimum inequalitie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DI. Despite the housing standard, the proportion of people with a low social attempt to improve deprivation measures, further research class and the proportion of single-parent household. All the is warranted for the consensus development of a variables were standardized using geometric transformation deprivation index. and then we summed up them for a single index. The paper utilized the 2004-2006 National Death Registry data, the J Prev Med Public Health 2009;42(6):392-402 2003-2006 national residents’registration data, the 2005 Population Census data and the 2005-2006 means-tested Key words : Composite Deprivation Index, Deprivation, benefit recipients’data. Mortality, Social exclusion, Socioeconomic Results : The figures were 115.6, 105.8 and 105.1 for the factors CDI of metropolitan areas (big cities), middle size cities and 서론 개발된 underprivileged score [1], Townsend 표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 Index [2], Carstairs Index [3], Index of 아 국내의 대부분의 연구들은 Townsend 지 최근 의료, 환경, 도시개발 등 각 분야에 Multiple Deprivation (IMD) [4], 뉴질랜드에 수또는Carstairs 지수 등을 변형하여 사용 서 지역사회의 결핍상태의 측면에서 다양 서 개발된 NZDep Index of Deprivation [5], 하는 수준이다 [2,7-10]. 한 문제와 현상을 설명하고 연관관계를 그리고 캐나다에서 개발된 지역결핍지표 Carstairs 지수를 변형하여 물질적 결핍과 추적하는 연구조사가 증가하고 있다. 이 [6]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위의 지표 표준화사망비(standardized mortality ratio, 에 따라 지역사회의 결핍상태를 측정하기 들을 이용하여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SMR)와의 관계를 살펴본 Son [7]의연구 위하여 다양한 지표들이 개발되어 사용되 지역주민들의 건강간의 관계를 연구한 연 에서는‘과잉밀집도’,‘남자실업률’ ,‘낮 고있다. 그 가운에 특히 지역사회의 결핍 구가 몇몇 있다. 하지만 지역사회의 결핍 은 사회계급의 가장’등의 지표는 Carstairs 상태를 측정하는 다양한 지표들이 개발되 지표와 관련된 연구는 아직 탐색수준이며 등 [3]이 제안한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였 어 왔으며, 대표적인 지표로는 영국에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지역사회의 결핍지 으나‘자동차 소유’는 가용자료의 한계로 Townsend 등 [2]이 제안한‘무가옥 소유와 접수 : 2009년 7월 6일, 채택 : 2009년 9월 25일 본 연구는 환경부 수탁연구과제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 수행한 것임. 책임저자 : 신호성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68번지, 전화 : 02-380-8391, 팩스 : 02-380-4533, E-mail : [email protected]) 표준화사망비와 지역결핍지수의 상관관계 393 거주시설의 부재’로 대치하여 사용한 바 측정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보고된 바 차원으로 측정하였다. 반면, Bradshaw 등 있다. Lee [10]는 Son 이 사용한 변형된 있다 [15]. [20]은 사회적 배제를 수입 혹은 자원, 노 Carstairs 지수를 이용하여 지역의 물질적 본 연구는 대표적인 지역사회 결핍지수 동시장, 서비스, 사회적 관계로 구분하여 결핍지수와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계를 등의 공통점과 다차원적인 결핍상태에 주 영국사회의 사회적 배제 정도를 측정하였 살펴보았다. Sim [11] 또한 Son이 사용한 목하는‘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를 다. 영국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배제 연구 Carstairs 지수를 이용하여 지역의 물질적 근간으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부합하는 통 는 2000년에 들어와 유럽연합 내 국가들간 결핍수준과 뇌혈관질환 사망의 관련성을 합결핍지수(Composite Deprivation Index, 에서도 활발하게 연구되었으며 Atkinson 살펴보았다. 그 외에 물질적 결핍수준을 본 연구에서 산출한 지역결핍지수는 이하 등 [21]은 유럽연합의 사회적 배제 지표를 포함한 사회경제적 요인과 대사증후군과 통합결핍지수로 명명함)를 개발하고자 하 경제, 교육, 고용, 건강, 주거, 사회적 참여 의 관계를 분석한 Kim [9]은 영국에서 개 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 주로 인용되 6가지 영역을 제시하여 측정하였다. 발한 Carstairs 지수와 관상동맥 심질환과 었던 Townsend 지수와 Carstairs 지수와 비 Kim 등 [17]은 사회적 배제를“사회구조 관련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교육척도를 교하고 통합결핍지수가 지역의 결핍수준 적으로 다양한 기회의 박탈 혹은 공동체 병용하여‘남성 실업률’,‘육체노동가구 을 잘 설명해 주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주 에 대한 사회적 연계의 결핍으로 정상적 의 비율’그리고 ‘고등학교 졸업비율’로 요한 건강결과인 표준화사망비와의 상관 인 사회경제적 활동에 참여하지 못함으로 구성된 지수를 사용하였다. Jeong 등 [8]은 관계를 고찰하였다. 써 인간이 기본적인 권리를 박탈당한 상 기존의 Townsend 지수 항목 중‘자동차가 통합결핍지수는 사회적 배제의 개념에 태”로 규정하고 국제비교가 가능하면서 없는 가구의 분율’을‘낮은 사회계급의 가 기반한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배제는 물 도 한국사회 상황을 반영하는 사회적 배 장의 분율’로 대치하여 지역의 물질적 결 질적 결핍의 정태적인 상황에 초점을 두 제 영역으로 빈곤, 노동, 실업, 주거, 교육, 핍수준과 표준화사망비의 관계를 살펴보 는 전통적 의미의 빈곤과는 달리 물질적 건강, 사회적 연계, 사회서비스 등을 제안 았다. 물론 기존의 물질결핍지수를 그대 결핍이 일어나게 된 원인과 과정에 초점 한바있다. 이처럼 사회적 배제의 영역은 로 원용하여 저소득계층과 사회경제적 결 을 맞춘 개념이다 [16]. 따라서 관심대상 크게 물질적 결핍과 사회적 결핍으로 구 핍관계를 살펴본 연구 [12]나 주성분분석 계층은 경제적으로 취약한 소득 빈곤계층 성된다. 일반적으로 물질적 결핍이 사회 기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Townsend 지수와 뿐만 아니라 근로, 주거, 의료, 교육 등 다 생활의 일부로서 사용 가능한 재화나 편 Carstairs 지수의 지표를 재구성하여 5세미 양한 사회적 환경에서 한시적으로 혹은 리성의 정도와 관련되어 있다면 사회적 만 아동의 심각한 사고(fatal injury)와사회 장기적으로 배제되고 있는 계층까지 포괄 결핍은 개인이 가족이나 직장, 지역사회 경제적 지위 관계를 연구한 Kim [13] 의연 한다. 그리고 정책적 측면에서 기존의 결 와의 맺는 관계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라 구도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가용자료 과로서 초래된 빈곤에 대한 완화정책에서 할수있다. 의 한계로 시/군/군 수준에서 기존 지표를 더 나아가 예방과 결과의 중요성을 동시 국내외 선행연구 [17-21] 를 바탕으로 사 변형하여 사용한 것이다. 에 강조한다 [17]. 하지만 사회적 배제는 회적 배제 영역에서 다루고 있는 주 배제 국내 연구에서 많이 인용되는 Townsend 논의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국가와 사회 영역과 각 영역의 세부 지표를 분류해 보 지수나 Carstairs 지수는 영국의 실정에 맞 의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는 형태로 면 배제 영역은 크게 1) 소득빈곤의 사회 게 개발된 물질결핍지수인 관계로 우리나 존재하며, 관련 연구자도 그 개념을 다양 적배제, 2) 노동의 사회적 배제, 3) 의료의 라 실정에 맞지 않은 부분이 있다. 한 조작적 정의로 규정하여 사용하고 있 사회적 배제, 4) 교육의 사회적 배제, 5) 주 Townsend 지수와 같은 물질결핍지수는 건 다 [16]. 이 때문에 사회적 배제라는 개념 거의 사회적 배제, 6) 사회적 관계의 사회 강수준과의 상관관계가 도시와 농촌에서 은 일정한 범주의 단일한 의미로 정의되 적 배제로 나눌 수 있다. 각 영역의 세부지 다르게 나타나 [14] 농촌지역의 특성을 잘 고 있지 못하다 [17]. 표는 소득빈곤과의 사회적 배제 영역의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 사회적 배제를 포괄적으로 측정한 대표 경우 빈곤율, 소득, 수입, 소비행위 등의 지 특히 농촌에서의 물질결핍지수와 건강수 적인 연구인 Robinson과 Oppenheim [18]의 표가, 노동과의 사회적 배제 영역에는 고 준의 차이는 사회취약층(deprived popul- 연구는 영국의 사회적 배제를 크게 실업, 용률, 실업률, 저임금근로자 비율, 비정규 ation)이 농촌지역의 경우 넓은 지역에 흩 저기술(교육), 건강하지 못함, 열악한 주거, 직비율, 노사조직률, 근로빈곤층 비율 등 어져 있기 때문에 도시지역에서 물질결핍 높은 범죄율, 가정 파탄, 빈곤(저소득)의 7 의 지표가 포함되며 의료의 사회적 배제 지수를 측정하는 지역단위 수준에서는 측 가지 영역으로 분류한 후 이 7가지 영역의 영역에는 기대여명, 주관적 건강상태, 의 정되기가 어렵다는 의견이 있으며 [15], 결 지표를 이용하여 영국사회의 사회적 배제 료욕구 미충족, 진료 대기시간 등의 지표 핍지수 구성요소 가운데 자동차소유 여부 정도를 측정하였다. Burchardt 등 [19]은사 가 포함된다. 교육과의 사회적 배제 영역 는 이동거리가 크고 공공교통수단이 발달 회적 배제를 소비행위, 저축행위, 생산행 에는 저학력 비율, 학업중퇴자율, 학생들 하지 못한 농촌지역에서 물질적 결핍을 위, 정치적 행위, 사회적 행위 등의 5가지 의 문자해독수준 등의 지표가 포함되며 394 신호성·이수형·추장민. Table 1. Indicators of deprivation index 의 없는 이유를 대부분이 자기집을 소유 Indicator UPA Townsend Carstairs IMD NZDep2001 Canada 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Unemployment ○ ○ ○ ○ ○ ○ 도시에서의 전세, 월세의 종류는 다양하 Poverty ○ ○ 며가격차이또한매우크므로단순히가 Mean household income ○ Elderly living alone who received ○ ○ ○ 옥 소유여부로 물질적 결핍정도를 측정하 Pension/public assistance benefit Education ○ ○ 는 것은 무리가 있다. 하지만 주택구조 및 Qualification ○ ○ 주거환경 지표는 지역의 결핍정도를 나타 No car ○ ○ ○ Owned home ○ ○ ○ 내는 대표적인 지표이기 때문에 최저주거 Overcrowded household ○ ○ ○ ○ ○ Living environment ○ 기준미달 지표를 적용하였다. Low social class ○ 최저주거기준은 2000년 처음으로 마련 Unskilled occupation ○ Changed address ○ ○ 되어 2004년 건설교통부 공고로 법제화 되 Communication ○ Ethnic minority ○ 었다 [24]. 최저주거기준은 시설기준, 방수 Child under five years ○ 기준, 구조·성능·환경기준으로 구성되 Divorce/separation ○ SIngle parent ○ ○ ○ 며 시설기준에는 주택에 갖추어야할 최소 Percentage of people living alone ○ Poor health and disability ○ 한의 시설기준으로 부엌, 화장실, 목욕시 Crime rate ○ 설을 포함한다. 방수와 면적 기준은 가구 UPA: underprivileged score, IMD: index of multiple deprivation, NZDep2001: NZDep index of deprivation 2001. 원 수를 고려하며 구조·성능·환경기준 주거와의 사회적 배제 영역에는 최저주거 일반적으로 실업과 빈곤은 그 사회의 물 으로 주택의 물리적 구조와 생활에 필요 기준 미달가구수, 임대료 연체 가구수, 쪽 질적 결핍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한 설비 및 주변환경, 자연재해에 대한 위 방거주 인구수 등의 지표가 포함된다. 사 의 하나이다 [2,3,6]. 실업은 15-64세인구 험 등이 고려된다 [24]. 본 연구에서 적용 회적 관계와의 사회적 배제 영역에는 가 중 구직상태에 있으면서 신체적으로 일을 한 최저주거 기준 지표는 인구주택 총조 족과 친구의 부재, 사회적 활동의 제한, 선 할 수 있는 사람 비율로 정의하였으며, 빈 사 전수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산출하였 거만 참여하고 모든 활동에 참여하지 않 곤에 대한 프락시로는 조사대상 지역의 고 법에 공시된 최소거주기준의 침실분리 은 사회적 이탈 등의 지표가 포함된다.

View Full Text

Details

  • File Type
    pdf
  • Upload Time
    -
  • Content Languages
    English
  • Upload User
    Anonymous/Not logged-in
  • File Pages
    11 Page
  • File Size
    -

Download

Channel Download Status
Express Download Enable

Copyright

We respect the copyright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all users. All uploaded documents are either original works of the uploader or authorized works of the rightful owners.

  • Not to be reproduced or distributed without explicit permission.
  • Not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outside of approved use cases.
  • Not used to infringe on the rights of the original creators.
  • If you believe any content infringes your copyright, please contact us immediately.

Support

For help with questions, suggestions, or problems, please contac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