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riginal Article pISSN 1226-7503 / eISSN 2383-7624 Psychoanalysis 2020;31(2):34-42 https://doi.org/10.18529/psychoanal.2020.31.2.34 Psychoanalytic Exploration of a Psychopathic Character: A Case of Villanelle in ‘Killing Eve’ Hyesoon Kim1 and Young Min Choi2 1Sky Mental Health Clinic, Seoul, Korea 2Department of Christian Counseling,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Seoul, Korea 사이코패스적 인물에 대한 정신분석적 탐구: ‘Killing Eve’의 Villanelle 김혜순1·최영민2 건대하늘정신건강의학과의원,1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기독상담센터2 Artistic creations such as films or dramas comprise projections of the human psychic world. One can observe those dynamic worlds through the lens of psychoanalysis and can experience by proxy the challenging therapeutic situations therein. Amongst those challenges, there lies the concept of psychopathy. A leading character named ‘Villanelle’ in BBC America drama ‘Killing Eve’ is one example of a female psychopath with a devilish charm. This naughty assassin manifests key characteristics of psychop- athy such as callousness, manipulation, lack of remorse and antisocial behavior. From the psychoanalytic perspective, Villanelle’s inability to form affectionate relationships stems chronically from her abused and abandoned history of early relations, apart from genetic factors, and it aggravates the derailment of her social life. Yet, her intriguing aspects exude from her incessant efforts to live a normal life and yearns for the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Eve, her counterpart character.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character, we also examined the psychology of modern times. Some people may share many aspects with the character Villanelle, such as egocentricity, lack of empathy, inner voidness, etc. These psychopathic traits can be revealed as asocial qualities in typical relationships, even if not an overt psychopath. Therapists should thus understand the psychopathic personality or trait as a contin- uum, caution against the countertransference of condemnation, and consider the psychopathology of contemporary people. Psychoanalysis 2020;31(2):34-42 KEY WORDS: Psychopath · Antisocial personality · Psychoanalytic theory · Drama. Received: August 16, 2019 Revised: April 6, 2020 Accepted: April 7, 2020 Address for correspondence: Young Min Choi, MD, PhD Department of Christian Counseling,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70 Baumero 31-gil, Seocho-gu, Seoul 06752, Korea Tel: +82-2-570-7372, Fax: +82-2-570-7379, E-mail: [email protected] 서 론 정신과적 교육에 사용하는 이점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루어 졌다(Fritz와 Poe 1979; Hyler와 Moore 1996). 이를 바탕으 TV나 영화 등의 영상 매체는 인간의 욕망과 환상을 투영 로 우리는 실제 임상에서 마주하기가 비교적 쉽지 않은 인 하여 허구의 세계를 창조하는 예술 수단으로, 현실과는 상당 물 혹은 집단에 대한 심리적 체험과 관찰을 대중적인 매체 한 유사성과 괴리를 동시에 가진다. 모든 예술적 결과물은 를 통해 시도해 볼 수 있다. 일례로 영상 매체의 극중 사이코 창조자의 총체적 정신 세계가 투사되기에 이를 관찰함으로 패스적 인물에 의해 야기되는 정서적 반응을 통해 그러한 써 그 내면의 우주와 무한한 정신의 역동성을 체험해 볼 수 분석이 이미 간접적으로 시도된 바가 있다(Cerny 등 2014). 있다. 이러한 일환에서 정신분석적 렌즈를 통해 예술 작품을 흥미로운 점은 사이코패스에 대한 정신의학의 연구와 실제 살펴보는 작업을 Freud(1916)가 시작하였으며, 상업 영화를 사례들이 천천히 축적되면서 이 집단의 이질성이 점차 드러 나는 동시에, 여러 대중 영상 매체에서도 그간 그들이 가상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의 인물로 끊임없이 등장해 왔다는 것이다. 또한 그 인물들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 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의 서사가 발전함에 따라 성별이나 연령을 불문하고 그 양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상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미치광이 혹은 은밀한 성도착자부 34 Copyright ⓒ 2020 Korean Association of Psychoanalysis H Kim and YM Choi 터 피도 눈물도 없는 잔혹한 엘리트 등 사이코패스적 인물 아버지 아래에서 성장하면서 어린 시절부터 폭력과 반사회 들이 광범위하게 보여주는 캐릭터성 추세의 흐름에는 시대 적 행동을 보인 과거력이 있다. 이로 인해 약 8세 시절 소년 의 변화와 대중의 현실적인 심리가 점차적으로 반영되고 있 원(Juvenile Delinquents Centre)에 수감되어 13세 무렵에 는 것으로도 보인다. 따라서 비교적 최신의 영상 매체에 등 다시 사회로 복귀하였으나, 5년만에(약 18세 무렵) 남자 성 장하는 그러한 인물의 정신 병리와 심리 상태 분석의 시도 인을 거세 및 살인하여 성인 교도소에 재수감된다. 거세 살 를 통해 현대 대중 심리의 이해를 도모해 볼 수 있겠다. 인의 대상은 학교의 프랑스어 선생님 Anna의 남편이었다. 본 논문은 드라마 <Killing Eve>의 등장인물 Villanelle을 통 Anna는 Villanelle이 소년원에서 사회로 복귀하였을 때에 하여 사이코패스적 인물의 성격 병리와 정신 역동에 대하여 유일하게 관심과 사랑을 준 사람으로, 영유아 시절 어머니가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현대 사회인의 부재했을 Villanelle에게는 아마도 최초의 소망하는 모성상 심리와 내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Killing Eve>는 2018~2019 에 가까운 인물이었을 것이다. Villanelle은 Anna를 비교적 년 BBC America에서 방영하였으며 2020년에 세 번째 시리 잘 따랐고 비싼 옷가지나 향수를 훔쳐 선물하는 등 나름의 즈 방영을 앞두고 있는 시즌제 드라마로, Luke Jennings의 방식으로 애정을 표현했으며, 후에는 더 나아가 Anna를 유 중편 소설 『Codename Villanelle』을 원작으로 하여 시즌 1은 혹하여 성적 관계를 맺고 비밀스러운 연인이 된다. 그러던 Phoebe Waller-Bridge가, 시즌 2는 Emerald Fennell이 각 중 어느 날 Villanelle은 Anna에게, Anna가 남편을 사랑하 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원작 소설이 아닌 각색된 드라마의 는 이유는 고작 페니스 때문이라는 말을 하고, 여기에 대해 시즌 1~2에 국한하여 그 내용을 살펴보겠다. Anna는 정말 그럴지도 모른다고 농담조로 대답을 한다. 이 를 문자 그대로 받아들인 Villanelle은 Anna의 남편을 거세 본 론 살인한 뒤 Anna에게 자신이 한 일을 기쁘게 알리지만 Anna 는 충격과 공포에 휩싸인다. 잔인한 범죄 행위에 대한 죄책 등장인물의 삶 감은 커녕 타인의 마음과 자신의 행동이 가져올 결과를 이 Villanelle은 러시아 태생의 20대 미혼 여성으로, 다수의 해하지 못하는 자기중심적인 관계 방식이다. 익명 의뢰인들로부터 청부 살인을 의뢰받아 유럽 전역을 주 살인 행위로 Villanelle은 18세에 다시 성인 교도소에 수감 활동 반경으로 하여 살아가는 암살범이다. 프랑스 파리에서 되지만, 약 3~4년 후 의문의 조직이 그의 남다른 반사회적 살고 있는 그의 특기는 최소 5개국어 이상의 언어 구사력이 과거력과 두드러지는 사이코패스적 특성에 주목하면서 서 며, 삶의 낙은 의뢰인들로부터 받은 거액의 금전으로 영위 류상으로 감옥에서 사망 처리가 된다. 그리고 약 21세에 세 하는 부유하고 화려한 의식주, 자유분방하고 일회적인 성생 상 밖으로 나와 일련의 훈련 과정을 거친 뒤 비로소 Vil- 활, 그리고 살인을 할 때에 죽어가는 피해자의 눈을 들여다 lanelle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암살 활동을 시작한다. 그는 보는 것이다. 비교적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보이는 관계를 의뢰인이 누구인지, 왜 암살을 해야 하는지 그다지 궁금해하 유지하는 유일한 사람은 의뢰를 전달해 주는 백발의 중년 남 지도 않으며 단지 보수만 후하다면 양심의 가책 없이 게임처 성 Konstantin뿐이다. 럼 자유롭게 살인을 한다. 의뢰를 받아 암살의 목표 대상이 그러던 중 영국 런던의 MI5 요원 Eve가 유럽에서 다발적 정해지면 그때부터 Villanelle은 배우가 되어 자신만의 시나 으로 관찰되는 유명 인사들의 살인 사건에 주목을 하면서 리오를 구성하고 변장을 한다. 그러고는 먹잇감을 궁지에 몰 범인의 성별과 특성을 직감적으로 포착하고 이를 추적하기 아넣는 사냥꾼처럼 타깃을 조종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살해 시작한다. 런던에서 남편과 평범한 생활을 하고 있던 40대 한다. 당사자도 알아차리지 못할 정도로 잠깐 스쳐 지나가는 (추정) 한국계 미국인 여성 Eve는 이 무법자를 잡겠다는 의 사이에 가늘고 긴 흉기로 대퇴 동맥을 찔러 출혈로 인한 사 지에 불타는 동시에 그의 대담성과 비범함에 감탄하며 점차 망을 유도하거나, 빈손으로 암살 대상의 파티에 잠입하여 독 자신도 모르게 빠져들고 몰두한다. 주사가 든 머리핀으로 살인을 하는 등 그의 암살 장면은 매 분석 대상인 Villanelle의 과거나 성장 배경에 대해 드라마 회마다 엔터테이닝 요소가 될 만큼 기발하고 예술적이기까 에서는 상세히 설명해 주지 않으나, 작품 내 등장하는 서류나 지 하다. 무엇보다도 Villanelle 자신이 이것을 업(job)이라 인물들 간의 대화를 통해 몇 가지 단서를 추정해 볼 수 있다. 생각하며 그 누구보다도 즐긴다. 본명은 Oksana Astankova로, 1993년도에 출생하여a 어린 하지만 이로 인해 그 꼬리의 단서를 또 다른 등장인물 Eve 시절 일찍이 어머니를 여의고 알코올 사용 장애가 의심되는 가 잡게 된다. 암살 미션 완수를 통해 일종의 성취감과 함께 a드라마 진행 시점상의 시대적 배경은 실제 현실과 동일하다. 은밀한 과시욕을 가지고 있던 Villanelle은 영국의 정부 요원 http://www.jkapa.org 35 Psychoanalytic Exploration of a Psychopathic Character 들이 자신을 쫓고 있으며, 그 선두를 여성이 지휘하고 있다는 어서 남들과는 조금 다르거나 혹은 그 의미 자체가 존재하지 사실을 알고는 흥분을 감추지 못한다. 더구나 이 여성, Eve는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Mahler(1963)의 분리개별화 과정에 Anna처럼 숱이 많고 굽이치는 검은 머리를 가진 Villanelle 서 공생 단계의 사회적 미소를 떠올려 볼 수 있다(Spitz 1965). 의 이상형이다. Villanelle은 점점 더 Eve의 관심을 끌고자 현 두 번째는 어떤 범죄나 해악까지는 아니더라도 사회적 통념 장에 일부러 Eve를 도발하는 듯한 흔적을 남겨놓거나, Eve 상 실행에 옮기기 쉽지 않은 장난을 이 주인공은 그것도 어 에게 선물을 보내기도 하며 나중에는 심지어 집에 찾아가기 린아이에게 망설임 없이 가볍게 한다는 것이다. Superego 까지 한다. Villanelle은 자신을 치밀하게 탐구하며 접근하 lacunae(Johnson 1949)의 일면이 엿보인다. 경쾌한 걸음걸 는, 뭔가 남들과 다른 Eve에 대해 자신과 정반대이면서도 이와 매력적이고 준수한 외양 등 생기 있는 여느 젊은이와 어딘가 닮았다고 느끼면서 강렬하게 이끌리고 Eve 또한 그 다르지 않은 Villanelle의 모습은 마치 천진난만한 어린아이 를 집요하게 추적하면서 관심, 공포, 분노, 감탄 등 복잡하고 처럼 개구지게 그려진다. 하지만 당시 그는 비엔나에서 러시 혼란스러운 느낌을 가진다. 비록 잔혹한 사이코패스지만 그 아 정치인에 대한 암살 의뢰를 완수하고 파리로 돌아오는 를 수단으로 이용하면서 비인간화를 가중시키는 사회적 구조 길이었다. 와 부조리로 인해 그 또한 그러한 상황에 처할 수밖에 없이 이 인물은 드라마 속에서도 ‘반사회적 사이코패스’라 일컬 되어버린 일종의 ‘피해자’라고 생각하여, Eve는 그를 회유하 어진다. 먼저 반사회적 인격 장애의 진단을 비추어 본다면, 려고도 노력한다. 하지만 둘 사이에 형성되는 관계는 상당히 Villanelle은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가학피학적이며, Villanelle은 끊임없이 Eve의 이드를 자극하 disorders, 5th edition(DSM-5)의 진단 기준에서 A-6(재정 고 종국에는 Eve가 Villanelle의 배를 칼로 찌르게 된다. 적 의무 등 지속적 무책임성 관련)을 제외한 다른 모든 기준 들을 만족시키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한다. 살인이나 폭력 등 사이코패스적 특성 의 범죄 행위를 일삼는 ‘반사회성’뿐만 아니라, 결정적으로 드라마의 첫 장면은 비엔나의 한 카페에서 아이스크림을 도덕이나 윤리 관념이라는 브레이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 먹고 있는 Villanelle의 모습으로 시작된다. 아이스크림을 음 에 고전적 개념의 ‘사이코패스’에 부합한다. 현재의 정신과 미하던 그는 건너편 다른 테이블에 자신과 마주보고 앉은 영역에서 사이코패스라는 진단명을 붙일 수 있는 어떤 정립 어린아이와 눈이 마주치자 입꼬리만 살짝 올려 다소 어색해 된 기준은 아직 없지만 그 특성의 수준을 평가하는 척도로 보이는 미소를 짓는다.
Details
-
File Typepdf
-
Upload Time-
-
Content LanguagesEnglish
-
Upload UserAnonymous/Not logged-in
-
File Pages9 Page
-
File S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