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035420.KS) 전 사업부문 높은 매출 성장세 지속

Company Comment │ 2021. 4. 30

광고, 커머스, 콘텐츠, 핀테크, 클라우드 등 주요 사업의 높은 성장세는 ※ESG Index/Event는 3페이지 참조 2021년에도 부각될 전망 Buy (유지) 목표주가 550,000원 (유지) 매출 성장 먼저, 다음엔 영업이익 성장 현재가 (’21/04/29) 366,500원 네이버에 대한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550,000원 유지. 광고, 커머스, 업종 인터넷 KOSPI / KOSDAQ 3,174.07 / 990.69 콘텐츠, 핀테크 등 전 사업 부문 고른 매출 성장이 2021년에도 두드러질 시가총액(보통주) 60,202.5십억원 전망. 다만, 스톡옵션 관련 비용 증가에 따라 영업이익률 둔화가 우려되나, 발행주식수(보통주) 164.3백만주 매출의 고성장으로 2022년 이후 영업이익은 회복세를 보일 것 52주 최고가(’21/03/18) 403,500원 최저가(’20/04/29) 197,500원 평균거래대금 일 십억원 커머스는 스마트스토어의 1분기 거래대금이 53% y-y 성장하며 이커머스 (60 ) 343.5 배당수익률(2021E) 0.10%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8월 중 이마트와의 장보기 서비스가 확대되 외국인지분율 56.9% 고, 브랜드스토어와 라이브커머스의 성과로 거래대금 성장 지속될 전망. 상 주요주주 반기 중 일본 내 스마트스토어 진출로 글로벌 성과도 기대 국민연금공단 10.0% BlackRock Fund Advisors 외 13 5.0% 인 서치플랫폼은 지난해 상반기 코로나19 영향으로 부진했던 광고 시장이 회 주가상승률 3개월 6개월 12개월 복되고 있고 기저효과에 따른 성장세가 두드러짐. 성과형 광고가 고성장하 절대수익률 (%) 6.9 22.8 85.6 고 있는 가운데, 2분기 중 온라인에도 이를 도입할 예정 상대수익률 (%p) 0.2 -10.0 13.9 2020 2021E 2022F 2023F 웹툰은 5월 중 왓패드 인수를 마무리짓고 하반기 중 의미있는 성장을 보일 매출액 5,304 6,683 7,793 8,739 증감률 -19.6 26.0 16.6 12.1 전망. 아직 비즈니스모델이 많지 않은 왓패드를 통해 수익성 확보가 기대 영업이익 1,215 1,304 1,599 1,872 됨. 지난해 소폭 주춤했던 일본 라인망가 역시 리뉴얼과 연재형 콘텐츠 추 증감률 71.1 7.3 22.6 17.1 가로 하반기부터는 의미있는 매출 성장 기대 영업이익률 22.9 19.5 20.5 21.4 (지배지분)순이익 1,002 16,342 1,653 1,926 EPS 6,097 99,486 10,063 11,722 증감률 기대치를 충족한 1분기 실적 기록 72.3 1,531.7 -89.9 16.5 PER 48.0 3.7 36.4 31.3 네이버는 1분기 매출액 1.499조원(+29.8% y-y, -0.9% q-q), 영업이익 PBR 6.5 2.6 2.4 2.3 2,888억원(-1.0% y-y, -10.8% q-q)을 기록해, 영업이익 당사 추정치 EV/EBITDA 27.9 32.5 27.2 23.5 ROE 15.2 107.0 6.9 7.5 2,811억원 및 컨센서스 2,949억원을 충족. 광고, 커머스, 웹툰, 클라우드 부채비율 106.1 34.1 35.1 35.5 등 주요 사업의 매출 성장은 양호한 반면, 임직원 대상으로 부여한 스톡옵 순차입금 -1,166 -2,603 -2,738 -3,191 션 관련 비용이 증가하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역성장을 기록. 2분기 단위: 십억원, %, 원, 배 주: EPS, PER, PBR, ROE는 지배지분 기준 이후에도 관련 비용은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영업이익률은 둔화될 전망 자료: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전망

NAVER 1분기 실적 Review(K-IFRS 연결) (단위: 십억원, %) 1Q21P 1Q20 2Q20 3Q20 4Q20 2Q21F 발표치 y-y q-q 당사추정 컨센서스 매출액 1,155 1,276 1,361 1,513 1,499 29.8 -0.9 1,468 1,487 1,619 영업이익 291.8 308.1 291.7 323.8 288.8 -1.0 -10.8 281.1 294.9 306.7 영업이익률 25.3 24.1 21.4 21.4 19.3 - - 19.2 19.8 18.9 Analyst 안재민 세전이익 420.1 289.3 361.6 550.4 16,540 3,837 2,905 399.0 1,055 418.1 02)768-7647, [email protected] (지배)순이익 184.8 147.3 245.5 415.7 15,310 8,185 3,583 281.6 709.2 309.2 주: LINE이 연결 기준에서 제외된 실적으로 2020년 1분기 이후 소급 적용, IFRS 연결기준 자료: FnGuide,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전망 NAVER www.nhqv.com

Summary

네이버는 1999년 6월 설립되어 2008년 6월 코스피에 상장된 온라인 광고 및 콘텐츠 사업자. 2020년 매출액은 5조 3,041억원(+21.8% y-y)이며 매출 비중은 서치플랫폼 약 52.8%, 커머스 약 20.5%, 핀테크 12.8%, 콘텐츠 및 기타 약 13.9% 등으로 구성. 핀테크 및 콘텐츠 영역에서 공격적인 사업 확장 통한 외형 성장 진행 중

Share price drivers/Earnings Momentum Downside Risk

Ÿ 높은 검색광고 점유율 기반으로 한 쇼핑 및 페이와의 Ÿ 상대적으로 광고 경기에 덜 민감한 편이나, 경기 둔화 사업 시너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음

Ÿ 네이버파이낸셜을 통한 핀테크 사업 확대 Ÿ 미국의 반독점법 통과 가능성 및 한국의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규제 Ÿ 네이버웹툰의 성공적인 글로벌 확장에 따른 매출 성장

Cross valuations (단위: 배, %) Historical valuations (단위: 배, %)

PER PBR ROE Company Valuations 2019 2020 2021E 2022F 2023F 2021E 2022F 2021E 2022F 2021E 2022F Alphabet 28.5 26.0 6.2 5.2 23.0 21.1 PER 52.7 48.0 3.7 36.4 31.3 Facebook 25.1 21.3 5.7 4.4 24.8 22.7 PBR 5.3 6.5 2.6 2.4 2.3 Amazon 71.6 51.6 12.7 9.7 24.3 25.0 PSR 4.7 9.1 9.0 7.7 6.9 Tencent 34.4 27.9 6.1 5.0 19.2 19.2 ROE 10.6 15.2 107.0 6.9 7.5 Baidu 27.9 21.7 2.3 2.0 10.0 10.9 ROIC 24.7 52.5 47.2 59.7 65.3 자료: Bloomberg,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자료: Bloomberg,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Historical Key financials (단위: 십억원, %)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매출액 1,799 2,312 2,758 3,254 4,023 4,678 5,587 6,593 5,304 영업이익 521 524 758 830 1,102 1,179 943 710 1,215 영업이익률(%) 29.0 22.7 27.5 25.5 27.4 25.2 16.9 10.8 22.9 세전이익 549 457 659 823 1,132 1,196 1,112 867 1,634 순이익 544 1,895 452 517 759 770 628 397 845 지배지분순이익 546 1,897 454 519 749 773 649 583 1,002 EBITDA 628 656 902 986 1,265 1,385 1,204 1,208 1,711 CAPEX 280 380 271 121 154 472 535 436 759 Free Cash Flow 315 248 565 731 1,010 468 438 921 688 EPS(원) 2,269 9,085 2,757 3,147 4,546 4,689 3,937 3,538 6,097 BPS(원) 7,881 8,927 10,897 12,890 21,811 28,895 31,795 35,223 44,850 DPS(원) 123 147 156 220 226 289 314 376 402 순차입금 -1,060 -626 -1,008 -1,392 -3,017 -3,186 -2,614 -2,696 -1,166 ROE(%) 57.6 112.7 27.8 26.5 26.2 18.5 13.0 10.6 15.2 ROIC(%) 111.7 49.7 73.7 82.9 164.0 145.3 52.9 24.7 52.5 배당성향(%) 4.9 1.2 5.1 6.2 4.3 5.5 7.1 9.4 5.9 배당수익률(%) 0.3 0.1 0.1 0.2 0.1 0.2 0.3 0.2 0.1 순차입금 비율(%) -55.7 -42.4 -56.1 -61.3 -73.1 -60.1 -43.9 -41.5 -14.1 주: 2020년은 사업 제외를 반영한 수치임 자료: NAVER,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2 NAVER www.nhqv.com

ESG Index & Event

본 ESG 분석부분은 유료 리서치 서비스 계약을 통해 제공될 예정으로 전체 내용이 공개되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당사 고객은 홈페이지(www.nhqv.com)에서 본 조사분석자료의 전체 내용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3 NAVER www.nhqv.com

낮아진 기대치를 네이버는 1분기 매출액 1.499조원(+29.8% y-y, -0.9% q-q), 영업이익 2,888억원 충족한 1분기 실적 (-1.0% y-y, -10.8% q-q)을 기록해, 영업이익 당사 추정치 2,811억원 및 컨센서 스 2,949억원을 충족하였다. 광고, 커머스, 웹툰, 클라우드 등 주요 사업의 매출 성 장은 양호한 반면, 임직원 대상으로 부여한 스톡옵션 관련 비용이 증가하며 영업이 익은 전년동기대비 감소하였다.

디스플레이광고 매출은 1,830억원(+46.4% y-y, -10.6% q-q)으로 성과형 광고인 스마트채널의 광고 매출이 성장하고 있고, 지난해 상반기 코로나19로 인한 광고 둔 화 영향에 따른 기저효과로 큰 폭으로 성장하였다. 지난해 2.6% 성장에 그친 검색 광고도 1분기 매출액 5,69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9.6% 성장하며 커머스 사업 성 장과 검색 광고 개편 효과가 맞물리며 다시 성장세로 돌아섰다.

커머스 매출은 3,244억원(+40.3% y-y, +2.4% q-q)으로 1분기가 온라인 쇼핑 비 수기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장세를 보였으며, 2020년 영업흑자로 전환한 핀테크 사업은 2,095억원(+52.2% y-y, +4.2% q-q)을 기록하였다. 네이버 쇼핑 결제대금 뿐만 아니라, 외부 제휴 사이트의 결제 비중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어 긍정적이 다.

콘텐츠 매출은 1,308억원(+40.0% y-y, -5.9% q-q)을 기록하였다. 5월 중 왓패드 인수가 마무리되면 하반기 중 연결 기준 실적에 편입될 예정이며 거래대금 및 매출 액 성장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 일본도 라인망가의 리뉴얼과 연재형 콘텐츠 확 대로 실적 성장률이 회복 구간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한다.

영업이익은 2,888억원으로 영업이익률 19.3%로 부진하였는데 인건비와 마케팅 비 용 증가 때문이다. 네이버는 지난해부터 임직원들에 대한 보상의 일환으로 스톡옵 션을 부여하였는데 2021년에도 111.4만주(4,039억원)를 부여하였고, 올해 7월에는 3년간 1천만원 상당의 자사주를 지급하는 스톡그랜트 프로그램을 도입하기로 결정 하였다. 이로 인한 인건비 증가가 당분간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한다. 1분기 중 발생 한 주식보상비용은 709억원이며, 2020년 814억원에서 2021년 2,987억원으로 증 가할 것으로 추정한다. 마케팅 비용은 1,710억원(+86.1% y-y, -6.9% q-q)을 기록 하였다.

당기순이익은 15.3조원을 기록하였는데, LINE의 경영통합이 마무리되면서 네이버 가 보유한 A Holdings의 지분가치가 17.9조원으로 산정되었고 이와 관련된 영업외 수익이 14.9조원이 반영되었으나 이는 현금 유출입이 없는 일회성 수익이며 이를 제외하면 4,100억원 수준이다.

4 NAVER www.nhqv.com

표 1. NAVER 실적 전망 (IFRS 연결) (단위: 십억원, 원, 배, %)

2020 2021E 2022F 2023F 매출액 - 수정 후 5,304 6,683 7,793 8,739 - 수정 전 - 6,585 7,629 8,567 - 변동률 - 1.5 2.1 2.0 영업이익 - 수정 후 1,215 1,304 1,599 1,872 - 수정 전 - 1,326 1,598 1,871 - 변동률 - -1.7 0.1 0.1 영업이익률(수정 후) 22.9 19.5 20.5 21.4 EBITDA 1,711 1,800 2,145 2,463 (지배지분)순이익 1,002 16,342 1,653 1,926 EPS - 수정 후 6,097 99,486 10,063 11,722 - 수정 전 - 8,124 9,792 11,448 - 변동률 - 1,124.6 2.8 2.4 PER 48.0 3.7 36.4 31.3 PBR 6.5 2.6 2.4 2.3 EV/EBITDA 27.9 32.5 27.2 23.5 ROE 15.2 107.0 6.9 7.5 주: EPS, PER, PBR, ROE는 지배지분 기준 자료: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전망

표2. NAVER 분기별 매출 추이 및 전망 (단위: 십억원, %)

1Q20 2Q20 3Q20 4Q20 1Q21P 2Q21F 3Q21F 4Q21F 2020 2021E 2022F 매출액 1,154.7 1,276.0 1,360.8 1,512.6 1,499.1 1,619.0 1,703.7 1,861.6 5,304.1 6,683.3 7,792.6 서치플랫폼 644.7 678.2 710.1 770.2 752.7 755.2 781.5 817.2 2,803.1 3,106.7 3,392.5 디스플레이광고 125.1 150.5 168.1 204.8 183.0 210.3 226.4 228.3 648.5 848.0 1,032.0 검색광고 519.6 527.6 542.0 565.4 569.7 545.0 555.1 588.9 2,154.7 2,258.6 2,360.5 핀테크 137.6 164.7 174.0 201.1 209.5 240.8 252.6 292.3 677.5 995.2 1,220.2 커머스 231.2 256.2 285.4 316.8 324.4 389.0 412.0 476.3 1,089.7 1,601.7 1,993.7 콘텐츠 93.4 112.9 115.0 138.9 130.8 144.2 158.4 168.8 460.2 602.2 733.2 클라우드 47.7 64.1 76.3 85.6 81.7 89.7 99.2 107.0 273.7 377.6 453.1 영업비용 862.9 968.0 1,069.1 1,188.9 1,210.2 1,312.3 1,377.7 1,479.5 4,088.8 5,379.7 6,193.8 개발/운영 282.9 289.7 311.7 312.4 374.3 400.1 412.5 413.6 1,196.6 1,600.4 1,749.0 파트너 377.2 427.5 457.0 534.9 510.0 569.5 596.8 667.2 1,796.6 2,343.5 2,765.2 인프라 110.9 136.1 144.8 157.9 155.0 153.8 164.0 167.6 549.8 640.3 734.3 마케팅비용 91.9 114.7 155.6 183.7 171.0 188.9 204.4 231.1 545.9 795.5 945.4 영업이익 291.8 308.1 291.7 323.8 288.8 306.7 326.0 382.1 1,215.3 1,303.7 1,598.8 영업이익률 25.3 24.1 21.4 21.4 19.3 18.9 19.1 20.5 22.9 19.5 20.5 세전이익 420.1 289.3 361.6 550.4 16,539.6 418.1 449.9 508.5 1,621.4 17,916.0 2,137.7 순이익 184.8 147.3 245.5 415.7 15,310.5 309.2 335.7 386.5 993.2 16,341.8 1,653.0 주: LINE이 연결 기준에서 제외된 실적으로 2020년 1분기 이후 소급 적용 자료: 네이버,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전망

5 NAVER www.nhqv.com

표3. Sum of the Parts Valuation을 적용한 목표주가는 550,000원 적정가치(십억원) 주당가치(원) 비고 네이버 광고 - ① 31,067 189,126 광고 사업 NOPAT 1,553 Target PER 20.0 2021년 스마트스토어 거래대금 24.8조원에 Target GMV 배수 1.0배 네이버 쇼핑 - ② 32,129 195,595 및 기타 쇼핑 거래대금 10.5조원에 Target GMV 배수 0.7배 적용 합병 - ③ 14,317 87,156 합병 Z Holdings 기업 가치 43.8조원에 네이버 지분 32.7% 반영 2021년 거래대금 37.9조원에 Target GMV 배수 0.15배 적용. 네이버 파이낸셜 - ④ 3,975 24,199 네이버 지분 70% 반영 네이버 웹툰 - ⑤ 8,731 53,152 2021년 예상 거래대금 1.1조원에 Target GMV 배수 8배 적용 합산가치 (①+②+③+④+⑤) 90,218 549,228 자료: NH 투자증권 리서치본부

그림1. 3월 1일 출범된 New Z Holdings

소프트뱅크 NAVER

50% 50% Z Holdings A Holdings (일반주주) 65.3% 34.7% New Z Holdings 100% 100%

야후재팬 LINE Successor

자료: Z홀딩스,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그림2. 네이버, 신세계, 이마트 지분 구조

0.24% 0.16% 1,500억원 1,000억원

신세계 이마트 2.96% NAVER 1,500억원

60.95%→54.08% 1,000억원

6.85% 1,000억원 신세계인터내셔날

자료: 각사,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6 NAVER www.nhqv.com

그림3. 글로벌 통합을 위한 네이버 웹툰의 변화

네이버

33% 67% LINE

Webtoon Entertainment

100% 100% 70% 30% Watong Entertainment 네이버웹툰 LINE Digital Frontier (중국) (한국) (일본)

자료: 네이버,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그림4. 아직 비즈니스 모델이 많지 않은 ‘

자료: Wattpad,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7 NAVER www.nhqv.com

1Q21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내용 정리

1) 사업현황 - 국내 및 글로벌 상장의 속도를 높이기 위한 투자 협력의 성과가 있었음. 1분기 중 왓패드 인수, 하이브와의 협력에 이어 대한항공, 신세계/이마트와의 협업 진 행.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나타나고 있는 신선식품 영역을 시작으로 이용자에게 혁신적인 구매 경험을 제공할 것. SME 및 브랜드에게 다양한 판매채널을 제공 하며 완벽한 커머스 채널로 성장할 것. Z홀딩스와의 경영통합 완료와 스마트스토 어 출시로 일본 시장 공략 예정. 스페인 리세일 플랫폼인 왈라팝과 인도네시아 미디어 사업자인 엠텍 전략적 투자 집행

- 검색: AI기술 강화와 인플루언서 검색 확대 등 다양한 선택 폭 확장. 메인 개편 과 탭서치에 인플루언서를 추가하고 인플루언서를 위한 검색 키워드 강화로 커 버리지 15% 확대. 콘텐츠 소비량 확대 중. 네이버 블로그의 신규 개설 수 지난 해 대비 30% 이상 성장. 이들 대부분이 20대로 구성되며 일상을 구성하는 트렌 디한 매체로 다시 부각되고 있음

- 4월 스마트스토어 40% 증가한 45만개. 월평균 신규판매자 3.3만개. 1분기 스마 트스토어 거래액 53% y-y 성장. 브랜드스토어 가파르게 성장. 현재 320개 입 점. 네이버 광고와 쇼핑라이브 등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블로그와 톡톡을 통해 네 이버의 다양한 서비스와 솔루션을 만들고 있음. 고도화된 툴을 확대하여 브랜드 사에 긍정적인 커머스 협력으로 자리잡고 있음

- 쇼핑라이브 1.7억뷰. 170만명 구매. 거래액 3배 이상 성장. 1억원 이상 판매자 거래액 성장. 주1회 판매자수 2배 이상 증가. 전체 거래액 중 SME 고객 증가. 쇼핑라이브는 향후 인플루언서, 플러스 멤버십과 함께 하여 새로운 온라인 마케 팅 툴로 활용할 것

- 사업자 성장에 따라 단계별 툴도 다양화할 것. 머천트 솔루션 개발에 주력. 고객 관리, 정산, 금융, 데이터분석, 물류, 마케팅 솔루션 등 전방위로 확대할 것. 사업 자들이 필요로 하는 세무, 노무 등 전문가 상담과 연결할 것. 판매자의 성장 지 원에 집중하고 효용이 큰 솔루션의 수익화에 노력할 것. 선순환구조를 만들어 SME와 브랜드가 함께 성장할 것

- 네이버페이: 거래대금 8.4조원. 30% y-y 성장. 외부 제휴사로 확장되고 있음. 넥 슨, 삼성화재 등 대형 가맹점 추가하여 온라인 제휴몰은 35% 증가한 6.5만개로 성장. 대한항공, 신세계 등 대형 업체들과 제휴를 강화할 예정. 생태계 확대와 함께 자체적으로 핀테크 사업도 확대할 것. 대출 지원이 가능한 판매자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후불결제 서비스의 베타테스트를 진행하며 판매와 구매 까지 연결하는 valuechain 확충하여 포트폴리오의 완성도를 높여갈 것

8 NAVER www.nhqv.com

- 네이버웹툰: 왓패드 인수로 전체 가입자 1.6억명 확보. 왓패드는 5월 인수 마무 리 예정. 네이버웹툰과 시너지를 내기 위해 준비 중. 풍부한 콘텐츠의 힘으로 1 분기 MAU 400만명 증가한 9,400만명 기록. AI기술 및 분석 추천을 통해 콘텐 츠를 확대하고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여 아마추어 창작자들이 프로로 성장할 수 있게 지원. 스토리텔링 허들을 낮춰 추가 IP를 확보하고 2차 저작권 시장도 확 대할 것. 인수가 마무리되는 5월부터는 파급력 있는 콘텐츠를 양사 플랫폼에 동 시에 론칭할 것. 왓패드에서 진행중인 2차 저작권도 확장하고, 창작자와 플랫폼 간의 합리적인 수익 배분하고, 네이버웹툰과의 시너지를 통해 세계 최대 글로벌 창작 플랫폼으로 만들어나갈 것

- 클라우드: 매출 고성장. B2B 부문 전년대비 2배 성장. B2B 고객 수는 공공영역 에서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10배 이상 성장하여 양적 성장 중. 의료 부분에서도 안암고려대학교 병원에서 클라우드 시스템 공급. 의료정보시스템과 핵심시스템 을 클라우드로 이전한 사례임. 아시아 최대 규모의 세종 각 IDC센터 기공식 진 행. 내부 서비스 개선, 첨단 B2B 서비스 구축을 통해 클라우드 매출 성장 기대. 공공, 금융, 의료 영역에 맞게 클라우드 시장을 이끌어나가고 버티컬 서비스를 확장하여 B2C 시장도 공략

- ESG: 2월 2040 카본 네거티브를 위한 환경 전담조직 설립. 단계별 재생에너지 로드맵을 구축. 환경 솔루션 확대로 파트너십 확대 예정. 윤리 경영 실천을 위해 공정 거래 자율준수협의회를 만듬. 5억달러 규모 지속가능 채권을 발행하였는데, 친환경 데이터센터 구축 및 재생에너지에 활용할 계획

- 주식보상 프로그램 도입 등 인재 역량을 강화하고 보상체계를 확대해 우수인력 을 확보하고, 글로벌 성장을 가속화할 것

- 비용 - 개발/운영비: 7월 시행할 스탁그랜트의 1분기 비용도 반영되어 있음 - 인프라: 서버 인프라 지속 투자에 따라 감가상각비 증가 - 마케팅: 네이버페이 프로모션 확대하였으나, 웹툰 글로벌 마케팅 비용은 감소

- 지속가능 외화채권 5억달러 발행. S&P와 무디스에서 각각 A3, A- 등급 획득. 우수한 신용등급을 기반으로 자금조달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에도 활용할 계획

9 NAVER www.nhqv.com

2) Q&A 정리 1. 디스플레이 광고 성장율이 유지되고 있는데, 올해 가이던스 및 확장 계획?

- 디스플레이 광고의 성장은 성과형 광고에 기인하고 있음. 올해도 좋은 성장률 기 대. PC는 성과형 광고가 도입되어 있지 않은데 2분기 중 도입할 계획. 연말까지 지면 확대도 예상되어 있어 연간으로는 20% 이상 성장할 것으로 기대

2. 신세계/이마트 사업 진행 상황?

- 신세계와 신선식품, 물류, 명품 부분에서 협의 중. 이 중 신선식품과 관련한 물 류에 대해서 가장 먼저 8월 중 시작할 예정이며. 추가적인 부분은 상반기 중에 공유할 것

3. 네이버 웹툰 일본 상황?

- 일본 라인망가는 플랫폼과 콘텐츠의 프로덕트 안정화를 진행 중. 콘텐츠 충성도 를 높여 결제 가입자 증가 중. 40% 이상 증가. 거래액은 20% 이상 성장 중. 일 본 망가 시장 1위 탈환을 위해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할 예정이며, 콘텐츠 소비 량을 확대하는 데 집중하고 있음. 라인망가의 연계형 콘텐츠 비중을 하반기에는 2배 정도 확대할 예정

4. 스톡옵션 발행과 관련하여 2월과 7월 두 번 발행하셨는데, 관련하여 비용 증가?

- 709억원 중 상당부분은 2020년에 부여한 것이며, 2월에 부여한 비용은 50억원 정도 됨. 7월에 부여하기로 되어 있는 스톡옵션은 160억원 정도 예상

5. 현재 회사의 우선순위는 무엇인가?

- 아직 검색광고의 매출이 50%를 차지하고 있으나 연간으로 보면 50% 밑으로 줄 어들 것이며, 콘텐츠, 핀테크, 클라우드 등 신사업 매출 비중이 성장할 전망. 새 로운 영역에서의 성장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음. 과거 라인을 연결했 을 때 35%까지 해외 매출 비중이 커졌는데, 장기적으로 라인을 제외하더라도 이 정도 비중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함

10 NAVER www.nhqv.com

6. 장기적으로 스마트스토어와 브랜드스토어의 GMV 비중과 두 사업의 수수료율 차이?

- 스마트스토어를 운영한지 5년이 지나면서 이미 큰 사업자로 성장하여 브랜드가 된 업체들이 생겨났으며, 기존의 대형 브랜드 사도 늘어나고 있음. 고유한 브랜 드를 잘 보여주고 자사몰과 같이 자유로움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 브랜드 스 토어의 목적임. 브랜드스토어를 통해 오프라인고객과 자체 자사몰과 차이를 데 이터로 보고 싶어하는 수요가 있음. 신제품 출시나 제품을 알리고 싶은 마케팅 솔루션에 대한 니즈가 강해서 네이버 쇼핑라이브나 네이버의 다양한 툴을 함께 사용하는 수요가 많아 종합 컨설팅 형태로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 중. 브랜드사의 입점 문의가 많아지고 있고 실험 형태의 마케팅도 많아지고 있어 거래대금 성장 은 지속될 것. 5~8년 내에 스마트스토어와 동일한 비중으로 성장할 전망

7. 스마트스토어 성장률이 조금 둔화되었는데, 2분기 전망? 25조원 가이던스에 대 한 달성 전망?

- 1월 설연휴가 있어서 소폭 둔화되었는데, 2분기는 다시 좋아지고 있음. 25조원 가이던스는 가능하지 않을까 예상 중. 스마트스토어 뿐만 아니라 장보기, 라이브 커머스 등 하반기에 새로 시작할 정기배송 등 스마트스토어를 활용한 버티컬 서 비스 확장에서 성장 나타날 것

8. 스마트스토어의 강점인 카테고리는 무엇인가?

- 코로나19 영향으로 스포츠, 레져, 가구, 인테리어의 카테고리가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패션, 의류는 1분기 중 떨어짐. 2분기 들어 외부활동이 늘어나면 서 패션, 의류의 성장은 조금씩 회복 중

11 NAVER www.nhqv.com

9. 웹툰 사업 관련 전략 및 외부 투자 가능성?

- 5월 이후 이용자 트래픽 증가와 파급력 있는 콘텐츠를 론칭할 예정. 양사의 인 기 콘텐츠인 웹툰, 웹소설 뿐만 아니라 현재 왓패드에서 준비하고 있는 10여종 의 2차 저작물도 공개될 수 있을 것

- 왓패드는 광고가 대부분 수익 모델인데 웹툰에 고도화되어 있는 부분을 적용하 여 수익화에도 신경 쓸 것

- 글로벌 투자자와의 시너지가 있다면 언제든지 검토하겠지만 현재는 고려한 바 없음

10. 글로벌 사업 중 스노우, 제페토 이외 새로운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 것이 있 나?

- 글로벌 콘텐츠 사업은 1) 웹툰/웹소설, 2) 스노우/제페토, 3)하이브와 함께 하고 있는 부분 등 3개 축을 중심으로 확장해나갈 것

11. 메타버스 산업의 성장에 주목하고 있는 부분이 있나?

- 로블록스 상장 이후 제페토가 부각받고 있음. 글로벌 가입자 2억명 수준. 올해는 게임성에 집중할 예정이며, 유니티 기반의 게임을 출시할 것이고 아이템 뿐만 아 니라 게임을 제작할 수 있는 사용자 참여 플랫폼으로 확장해 나갈 것

12. 주식보상 비용, 마케팅 비용이 많이 늘어날 것 같은데, 전체적인 가이던스?

- 개발/운영비는 주식보상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소폭 증가에 그칠 것

- 마케팅비용은 매출액대비 10%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데, 올해도 이 정도 수준은 유지될 전망

12 NAVER www.nhqv.com

13. Z홀딩스 지분 인식과 관련된 구체적인 로직과 Z홀딩스 주가하락에 따라 향후 에 비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지?

- Z홀딩스 지분 65%에 대한 가치를 3월 초 Z홀딩스 주가를 감안하여 17조원 정 도 인식하였고 이에 라인의 순자산가액 2조원을 차감하여 14.9조원이 반영

- Z홀딩스 지분은 연말에 주가와 기업가치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반영될 예정

14. 브랜드 검색광고의 초기 반응과 브랜드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 상품이 어 떻게 확장될 예정인가?

- 광고주들과 함께 반응을 체크하고 있으며 서비스 안정화에 주력하고 있음. 브랜 드스토어와 연결시켜 쇼핑향으로 성과를 업그레이드 할 예정

15. 최근 네이버 앱의 업데이트 이후 선물하기가 등장하였는데, 선물하기 시장에 진입을 본격적으로 하는 것인가?

- 선물하기는 네이버 쇼핑에 이미 있었고, 계절적으로 설날이나 추석과 같이 선물 이 늘어나는 시기를 공략하고 소비자들이 사용해본 것에 대해 공유하지는 측면 에서 선물하기에 대한 기능을 개선함. 네이버의 각종 페이포인트나 멤버십 선물 하기와 같은 디지털 콘텐츠 선물의 요구도 많아져 용도를 다양화해 각종 경우에 맞는 선물 추천을 강화하여 선물샵 강화를 준비 중

- 브랜드스토어의 전용 상품과 전용 선물하기를 만드는 제안도 들어오고 있음. 신 세계와는 럭셔리 상품을 의논 중이나 아직은 검토하고 있지 않으나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백화점에서 선물을 사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오픈해서 이야기 진행 할 것

16. 스마트스토어 GMV와 네이버페이의 GMV 갭이 7조원 정도 있는데, 어떤 상품 때문인가?

- 네이버페이는 다양한 외부제휴사가 있고 확장되고 있음. 온오프라인 154만개 중 스마트스토어를 제외하면 다양한 외부 쇼핑몰, 콘텐츠 사업자 등 이들 결제 업체 들이며 이들의 결제액은 지속 증가할 것

13 NAVER www.nhqv.com

17. 1분기 검색광고 성장률이 10%로 가속화 되었는데, 올해 추가적인 성장이 기대 되나?

- 지난해 코로나19 기저효과가 있었고, 검색 광고 품질 개선의 영향도 있었음. 신 규 상품에 대한 여러가지 준비를 하고 있어 좋은 성장률을 내지 않을까 기대

18. 네이버파이낸셜이 2020년 이미 흑자를 전환했는데, 올해 중점하고 있는 영역 과 상장 시기?

- 쇼핑 성장과 함께 결제액과 결제 사용자의 성장을 제일 중요시하고 있음

- 금융은 빠른 정산, 소상공인 대출, 후불결제 등 서비스 강화로 독자적으로 잘 할 수 있는 영역에 집중하고 규모를 키워나가고 데이터를 확보할 것. 공격적으로 서 비스를 확대하는 전략을 진행할 것

- 아직 상장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없음

14 NAVER www.nhqv.com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 Valuation / Profitability / Stability (십억원) 2020/12A 2021/12E 2022/12F 2023/12F 2020/12A 2021/12E 2022/12F 2023/12F 매출액 5,304 6,683 7,793 8,739 PER(X) 48.0 3.7 36.4 31.3 증감률 (%) -19.6 26.0 16.6 12.1 PBR(X) 6.5 2.6 2.4 2.3 매출원가 0.0 0.0 0.0 0.0 PCR(X) 26.5 3.3 26.9 23.6 매출총이익 5,304 6,683 7,793 8,739 PSR(X) 9.1 9.0 7.7 6.9 Gross 마진 (%) 100.0 100.0 100.0 100.0 EV/EBITDA(X) 27.9 32.5 27.2 23.5 판매비와 일반관리비 4,089 5,380 6,194 6,867 EV/EBIT(X) 39.3 44.9 36.5 30.9 영업이익 1,215 1,304 1,599 1,872 EPS(W) 6,097 99,486 10,063 11,722 증감률 (%) 71.1 7.3 22.6 17.1 BPS(W) 44,850 141,031 150,665 161,913 OP 마진 (%) 22.9 19.5 20.5 21.4 SPS(W) 32,274 40,687 47,440 53,204 EBITDA 1,711 1,801 2,145 2,463 자기자본이익률(ROE, %) 15.2 107.0 6.9 7.5 영업외손익 418.2 16,613 538.9 623.8 총자산이익률(ROA, %) 5.8 66.3 4.9 5.4 금융수익(비용) 378.1 210.9 197.7 197.7 투하자본이익률 (ROIC, %) 52.5 47.2 59.7 65.3 기타영업외손익 -75.5 16,001 -120.1 -120.2 배당수익률(%) 0.1 0.1 0.1 0.1 종속, 관계기업관련손익 115.6 400.6 461.3 546.3 배당성향(%) 5.9 0.3 4.3 4.0 세전계속사업이익 1,634 17,916 2,138 2,496 총현금배당금(십억원) 59.3 55.7 70.5 77.9 법인세비용 492.5 1,641 484.3 569.9 보통주 주당배당금(W) 402 376 476 526 계속사업이익 1,141 16,275 1,654 1,926 순부채(현금)/자기자본(%) -14.1 -10.8 -10.7 -11.6 당기순이익 845.0 16,346 1,654 1,926 총부채/ 자기자본(%) 106.1 34.1 35.1 35.5 증감률 (%) 113.0 1,834.4 -89.9 16.4 이자발생부채 726.9 1,789 1,905 2,030 Net 마진 (%) 15.9 244.6 21.2 22.0 유동비율(%) 133.3 199.7 195.4 199.2 지배주주지분 순이익 1,002 16,342 1,653 1,926 총발행주식수(mn) 164 164 164 164 비지배주주지분 순이익 -157.1 4.3 0.4 0.5 액면가(W) 100 100 100 100 기타포괄이익 221.2 0.0 0.0 0.0 주가(W) 292,500 366,500 366,500 366,500 총포괄이익 1,066 16,346 1,654 1,926 시가총액(십억원) 48,047 60,203 60,203 60,203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CASH FLOW STATEMENT (십억원) 2020/12A 2021/12E 2022/12F 2023/12F (십억원) 2020/12A 2021/12E 2022/12F 2023/12F 현금및현금성자산 1,600 4,045 4,224 4,726 영업활동 현금흐름 1,447 20,612 2,084 2,310 매출채권 985.1 1,078 1,189 1,295 당기순이익 845.0 16,346 1,654 1,926 유동자산 10,545 7,257 7,803 8,663 + 유/무형자산상각비 495.3 496.8 546.1 591.0 유형자산 1,685 1,814 1,926 2,027 + 종속, 관계기업관련손익 -216.0 -400.6 -461.3 -546.3 투자자산 4,347 22,755 24,459 26,107 + 외화환산손실(이익) 20.2 0.0 0.0 0.0 비유동자산 6,470 25,007 26,828 28,583 Gross Cash Flow 1,815 18,098 2,237 2,554 자산총계 17,014 32,264 34,631 37,246 - 운전자본의증가(감소) 227.1 4,169 346.0 339.5 단기성부채 629.6 1,008 1,094 1,186 투자활동 현금흐름 -2,503 -18,689 -1,977 -1,875 매입채무 0.0 0.0 0.0 0.0 + 유형자산 감소 9.0 0.0 0.0 0.0 유동부채 7,912 3,633 3,993 4,349 - 유형자산 증가(CAPEX) -759.4 -600.0 -630.0 -661.5 장기성부채 242.8 932.2 974.2 1,018 + 투자자산의매각(취득) -802.7 -18,008 -1,243 -1,102 장기충당부채 462.1 483.8 533.6 581.3 Free Cash Flow 687.8 20,012 1,454 1,649 비유동부채 847.4 4,572 4,996 5,407 Net Cash Flow -1,056 1,923 107.0 435.5 부채총계 8,759 8,205 8,990 9,756 재무활동현금흐름 1,192 521.1 72.3 66.4 자본금 16.5 16.5 16.5 16.5 자기자본 증가 218.0 -472.2 0.0 0.0 자본잉여금 1,793 1,321 1,321 1,321 부채증감 974.0 993.3 72.3 66.4 이익잉여금 6,655 22,843 24,425 26,273 현금의증가 -2,140 2,444 179.3 502.0 비지배주주지분 887.9 892.2 892.6 893.2 기말현금 및 현금성자산 1,600 4,045 4,224 4,726 자본총계 8,255 24,059 25,641 27,490 기말 순부채(순현금) -1,166 -2,603 -2,738 -3,191

15 NAVER www.nhqv.com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변경내역 NAVER(035420.KS) 괴리율 (%) 제시일자 투자의견 목표가 평균 최저/최고 2021.03.02 Buy 550,000원(12개월) - - (원) 종가 목표주가(12M) 2020.10.20 Buy 450,000원(12개월) -30.8% -11.6% 600,000 400,000원(12개월) 2020.07.30 Buy -22.9% -15.3% 500,000 2020.06.07 Buy 330,000원(12개월) -18.4% -9.4% 400,000 2020.05.18 Buy 280,000원(12개월) -17.7% -13.9% 300,000 2020.04.23 Buy 250,000원(12개월) -16.6% -12.2% 2020.03.06 Buy 240,000원(12개월) -31.3% -24.2% 200,000 2020.01.31 Buy 250,000원(12개월) -26.7% -23.8% 100,000 2019.11.18 Buy 240,000원(12개월) -25.2% -20.2% 0 2019.11.03 Buy 225,000원(12개월) -26.5% -20.0% '19.4 '19.8 '19.12 '20.4 '20.8 '20.12 2019.10.01 Buy 190,000원(12개월) -18.6% -12.1%

종목 투자등급(Stock Ratings) 및 투자등급 분포 고지 1. 투자등급(Ratings): 목표주가 제시일 현재가 기준으로 향후 12개월간 종목의 목표수익률에 따라 l Buy: 15% 초과 l Hold: -15% ~ 15% l Sell: -15% 미만

2. 당사의 한국 내 상장기업에 대한 투자의견 분포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1년 4월 23일기준) l 투자의견 분포 Buy Hold Sell 70.2% 29.3% 0.5% - 당사의 개별 기업에 대한 투자의견은 변경되는 주기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당사는 투자의견 비율을 주간 단위로 집계하여 기재하고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Compliance Notice

l 당사는 자료 작성일 현재 ‘NAVER’의 발행주식 등을 1% 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l 당사는 'NAVER' (을)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W의 발행회사 및 LP(유동성공급자)임을 알려드립니다. l 당사는 동 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l 동 자료의 금융투자분석사와 배우자는 자료 작성일 현재 동 자료상에 언급된 기업들의 금융투자상품 및 권리를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l 동 자료에 게시된 내용들은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고지 사항 본 조사분석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 리서치본부의 금융투자분석사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를 바탕으로 최선을 다해 분석한 결과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투자자의 투자판단을 위해 작성된 것이며 어떠한 경우에도 주식 등 금융투자상품 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를 판단하기 위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조사분석자료는 당사의 저작물로서 모든 지적 재산권은 당사에 귀속되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