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Market Report 17-035

Global Market Report

이란 민영화 현황과 시사점 CONTENT S

목 차

Ⅰ. 민영화 추진 개요 / 3

3 1. 개요 4 2. 민영화 추진 배경 5 3. 민영화 추진 기관 및 절차

Ⅱ. 민영화 추진 현황 / 7

7 1. 이란 정부의 민영화 정책 10 2. 민영화 추진 현황 13 3. 산업별 주요 민영화 대상 기업

Ⅲ. 민영화 전망 및 시사점 / 14

14 1. 민영화 추진 전망 17 2. 민영화 추진에 따른 이란 경제 전망 19 3. 한국기업의 진출가능성

Ⅳ. 부록 / 20

20 1. 이란 민영화 유관기관 리스트 21 2. 민영화 추진 중인 중・대형 기업 명단 25 3. 산업별 주요 민영화 대상 기업 정보 Ⅰ 민영화 추진 개요

1. 개요

□ 이란 경제·산업 구조

○ 중동의 자원부국으로 대부분의 재정을 석유·가스 수입원으로 마련하는 이란은 그 동안 에너지산업 발전에 투자를 집중한 반면, 제조업을 위시한 비석유산업의 발전 및 투자가 여타 지역에 비해 더딘 편임

○ 또한, 정부가 대다수의 주요 산업을 독점하여 전체 산업에서 국영기업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월등하나, 국영기업의 비효율적인 운영과 낮은 노동생산성으로 인해 국가 경제기반이 취약함은 물론 막대한 재정 부담을 일으켜 국가발전에 제약으로 작용함

□ 이란 민영화 필요성 대두

○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이란 정부는 비효율적인 국영기업의 민영화를 통해 민간기업의 경제활동 참여 활성화를 유도하여, 이란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외국인 투자유치 유인책으로 활용코자 노력중임

□ 이란 민영화 추진

○ 1990년부터 시작된 민영화 초기에는, 부실기업 위주의 형식적이고 소극적인 민영화로 인해 정부 내부 및 노동단체의 강력한 반발을 일으켰으며 큰 실효를 거두지 못함

○ 그러나, 21세기 들어 WTO를 중심으로 한 세계경제 구도에 편입하기 위한 조건으로 민영화가 필수적인 요소임을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우량, 기간산업을 포함하는 대대적인 민영화 개편작업을 통해 민간부분의 역할 확대 및 내・외국인 투자를 독려하고 있음

○ 이에 최근 민영화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이란의 상황을 살펴보면서, 우리기업의 진출방안을 모색하여 기회를 활용할 필요가 있음

- 3 - 2. 민영화 추진 배경

□ 자국인의 해외투자 자본유출 급증

○ 이란 내국인의 해외투자로 유출되는 막대한 양의 자본은 심각한 국부 유출로 간주되고 있음

○ 이는 투자환경의 불안정성, 각종 기업규제 및 규정의 불명확성, 은행․보험 등 부실한 금융업 인프라, 높은 세금 등으로 인함

□ 민영화, 경제개발 계획 추진위한 필수 요소

○ 석유기반 경제구조 탈피 및 자립경제 구축을 추진하는 이란은 정부의 지배를 받는 국영기업 체제로는 기업의 효율성 및 경쟁력 있는 노동력 확보가 어렵다는 현실을 인식하고 있음

○ 경제개발을 위해서는 경쟁을 유도할 수 있는 분위기와 높은 생산성 및 효율성이 도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경제활동 참여가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공유하고 있음

□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 활성화 절실

○ 이란은 제6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2016년 3월~2021년 3월)의 성공을 위해서는 외국인직접투자가 절실한 상황임

□ 국영기업의 비효율성으로 재정적자 부담 가중

○ 석유·가스 등 천연자원으로 얻은 수입은 중요한 재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막대한 부가 국영기업의 부실 및 비효율적 운영으로 누출, 지속적인 재정누수가 발생하고 있는 사실에 경각심이 고조됨

- 4 - 3. 민영화 추진 기관 및 절차

○ 이란 민영화 추진 기관

- 이란민영화기구(IPO)는 제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민영화 촉진을 위해 2001년 설립

- 매년 약 20%의 국영기업 민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 기존 민영화 완수 일정은 14년(이란력 기준)까지였으나 민영화의 복잡성으로 인해 현재 완수 기한은 매년 이란의회에 의해 연장되고 있음

※ 이란 민영화기구( Privatization Organization) - (설립근거) 제3차 5개년 경제사회개발계획 15조항 - (설립일) 2001년 1월 - (주무기관) 경제재정부 - (홈페이지) www.ipo.ir - 민영화대상 기업 정보/입찰 정보 확인 가능 - (전화번호) +98 21 880 83640 - (팩스) +98 21 880 85622

○ 이란의 민영화 절차

- 민영화는 주식시장 지분상장 또는 입찰을 통한 지분 일부·완전 매각 방식 등을 통해 진행

- 매각가능 공기업을 매각위원회에서 승인하면, 이란민영화기구가 판매방식 관련 세부사항을 결정, 매각위원회 승인을 거쳐 최종 매각리스트에 등재

- 마케팅 진행 및 매수희망자에 기업 가치평가 레포트, 방문허가 등 제공

- 증권거래소 시장 또는 입찰 통해 주식을 매각, 이란투자청의 허가 발급을 통해 매각 절차가 완료됨

- 인수자가 기업 개선 시 인센티브 제공

- 5 - <이란 민영화 절차>

* SOE (State Owned Enterprise) : 공기업, 국유지분 우위기업

- 6 - Ⅱ 민영화 추진 현황

1. 이란 정부의 민영화 정책

□ 민영화 추진 초기 단계

○ 이란-이라크 전쟁(’80~’88) 이후 라프산자니 정부(’89~’97)는 시장경제 시스템 도입하면서, 세계은행 및 IMF 권고에 따라 민영화 정책을 채택

- 79년 이슬람혁명 이후, 정부는 대다수 산업 및 서비스 분야를 장악

- 1990년부터 민영화가 시작되었으나, 2005년까지 민영화된 대다수 기업들은 부실기업으로서 민영화의 실질적인 효과는 없던 것으로 알려짐

- (제1차·2차 5개년 경제사회개발계획(1991~1996, 1996~2001)) 공기업 생산성 제고 및 민간부문 경제활동 활성화 등 사회경제 재건립 추진

○ (2002년 외국인투자보장법 개정) 정부는 민영화 성공을 위해 외국인 직접투자가 절실함을 인식, 외국인투자유치를 위한 법적 토대 마련

- 2002년 5월 외국인 투자보장법(FIPPA) 개정 및 유권해석을 통해 외국인투자 분야 및 지분 한도를 확대, 외국인 투자유치를 적극 추진

- 이란 헌법 81조에 따르면 '무역, 산업, 농업, 광업, 서비스업 분야는 외국인에게 양도를 금한다'라고 명시하여 원천적으로 외국인의 주요 산업 소유를 금지하고 있으나, 헌법수호위원회는 '주재국(이란)과 법적 계약을 체결한 이란 주재 외국 투자회사는 헌법 81조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해석하여 외국기업의 진출을 허용하면서 특정 자원 개발을 제외한 일반 산업 투자분야에 대해 외국인의 100% 지분 취득을 인정

○ (2005년 헌법 수정안) 국가의 공기업 지분 80%매각 의무 부여하여 최대 20%의 지분만을 보유하도록 규정, 단, 헌법 44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부문 제외

- 7 - □ 신민영화 계획 추진 단계

○ 2006년 7월, 대대적인 새로운 민영화 계획 발표

- 기존 민영화 정책의 실질적인 효과가 없었다고 파악됨에 따라, 2005년 이후 적극적으로 민영화 논의 시작

- 2006년 7월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하메네이가 새로운 민영화 계획을 발표하면서 민영화는 새로운 전기를 맞음

- 정부는 기업을 지배하지 않고, 단지 감시·감독 역할만 할 것을 강조

- 새로운 민영화 계획의 골자는 다음과 같음

▪ 국가 경제발전의 가속화 ▪ 사회정의 확립을 위한 대중의 기업 소유기반 마련 ▪ 기업의 효율성 및 인적․물적 생산성 증대 ▪ 국가경제 경쟁력 향상 ▪ 정부의 기업운영에 따른 재정, 행정적 부담 최소화

○ 제3차·4차 5개년 경제사회개발계획(2001.03.~2006.03., 2006.03.~2011.03.)

- 제3차·4차 5개년 경제사회개발계획에 민영화 프로그램 추진 및 국가 보유 공기업 지분 매각 내용 포함

○ 우량․기간전략 산업을 포함한 총체적 민영화 추진

- 다음과 같은 기간산업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민영화를 추진함

▪ Oil & Gas 회사(NIOC 등 upstream 관련 회사 제외) ▪ 은행(중앙은행 등 일부 국책은행 제외), 보험(Central Insurance 등 정책담당 보험회사 제외) ▪ 항공 및 선박 회사(C.I.O 및 P&S Org. 제외) ▪ 우편 및 통신회사(母기업 제외) 등

- 8 - ○ The law of the Enforcing of General policies of Article 44 of the Constitution 법제화(’08.1.28)

▪ 민간 및 민관부문의 국가경제 기여 확대 ▪ 정부의 경제활동 관리역할 축소 ▪ 기업 효율성 및 물적·인적자원·기술 효과성 개선 ▪ 국가경제 경쟁력 제고

□ 최근 민영화 진행상황

- 매년 20% 정도의 국영기업 민영화를 목표로 함

- 제 5차 5개년 개발계획(2011.03.~2016.03.) 기간, 국영기업의 민영화 정책 추진에 주력했으나, 개발계획 마지막 해까지 기존 계획 미 완수

- 기존 민영화 완수 일정은 14년(이란력 기준)까지였으나 민영화의 복잡성으로 인해 현재 완수 기한은 매년 이란의회에 의해 연장되고 있음

- 추가적으로 이란 제6차 5개년 개발계획(2016.03.~2021.03.)은 암묵적으로 민영화 기한을 개발계획 시행일로부터 3년으로 설정하여, 민영화 완수 기한도 암묵적으로 2020년 3월로 연장되었다고 볼 수 있음

- 로하니 정부에 들어 민영화 가속화, 11대 로하니 정부(‘13.9.23~’17.3.20)에 민영화된 기업 규모 및 개수는 각 34%, 33%를 차지 * 출처 : IPO 관계자

- IPO에 따르면, 민영화된 산업 부문은 석유화학부문(32.2%), 금속부문 (13.4%), 전력(12.8%), 텔레커뮤니케이션(9.1%), 정유석유(9%), 광업 (7.5%), 은행업(4.1%) 순

* 출처 : Investment Opportunities in Privatization

- 9 - 2. 민영화 추진 현황

□ 민영화 완료 기업 및 현황

○ 연도별 민영화 실적은 다음과 같으며, 2001년 민영화 시작 이래 민영화 실적 금액은 총 106,917 백만 달러 (1,430,804 십억 리알)에 달함

- 새로운 민영화 계획 발표 이후 민영화 실적 급격히 증가

- 로하니 정부 첫해에 민영화 실적 전년대비 71% 상승

<연도별 민영화 실적>

년도 Million $US Billion Rials 2001 115 201 2002 404 3,215 2003 1,480 12,254 2004 823 7,177 2005 92 826 2006 3,707 34,090 2007 15,415 143,459 2008 8,165 78,167 2009 25,723 255,096 2010 5,912 61,100 2011 11,721 128,483 2012 10,618 130,172 2013 18,166 445,078 2014 2,015 51,477 2015 1,234 37,338 2016 1,327 42,671 합계 106,917 1,430,804 * 자료원 : IPO 홈페이지

- 10 - ○ 이란의 민영화는 대부분, 각 산업 관련 지주회사를 통해 진행됨

- 현재까지 민영화가 완료된 국영 기업은 860여 개 사이며, IPO 관계자에 따르면 민영화대상 기업 중 337개사가 17~18년에 민영화 계획이라 함

- 기관별 민영화 기업 수를 살펴보면, IPO(320개사, 37%), IDRO (Industries Development and Renovation Org.)(154개사, 17.9%)와 SATKAB(105개사, 12.2%) 광공업성 산하 IMDRO(Mines Development and Renovation Org.)(91개사, 10.6%)가 78%로 대다수를 차지

<기관별 민영화 추진 현황>

* 자료원 : IPO 홈페이지

- 11 - <연도별·모기업별 민영화 기업 수> 연 도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합 모기업 계 11 50 69 157 49 38 88 49 30 114 67 50 0 40 48 0 IPO 320 11 36 35 86 28 18 15 11 10 12 6 1 3 48 IDRO 154 5 13 16 8 5 25 13 11 26 19 8 5 INDUSTRIAL ESTATES CO. 1 1 IMIDRO 91 3 7 7 2 4 10 7 8 17 7 7 12 SATKAB 105 5 11 42 5 9 27 1 3 1 1 NPC 44 3 1 2 6 4 13 4 5 6 ASSC 6 1 1 1 1 1 1 GTC 11 1 3 4 2 1 TCI 7 3 3 1 RMTO 2 2 TAVANIR 25 2 1 1 9 6 5 1 NIORC 12 1 1 2 4 4 GOVERNMENT 14 2 5 3 3 1 PMO 1 1 MEDU 1 1 IIDCYA 1 1 WRM 23 2 12 6 3 RAI 12 1 8 2 1 CDTIC 0 MIN.Y OF SCIENCE 1 1 HEALTH MINISTRY 1 1 UDRC 15 4 7 4 NIGC 1 1 MEFA 3 1 1 1 Iran AIR 3 1 1 1 NIOC 3 2 1 ITSR 1 1 RMTO 1 1 ICHTO 1 1

* 자료원 : IPO 홈페이지

- 12 - 3. 산업별 주요 민영화 대상 기업

□ 산업별 주요 민영화 대상 기업(이란민영화기구 공시)

○ 각 기업별 재무정보는 Investment Opportunities in Privatization (IPO발간) 에서 확인 가능

- 기업별 주요정보는 첨부3 참조

- 주요 민영화대상 기업은 부문별로 살펴보면, 석유화학(Damavand Petrochemical Company 등), 농업(Sugarcane & Affiliated Industries Development Company 등), 금속(Iran Alumina Company 등), 석유가스 (Kermanshah Oil Refining Company 등) 등이 있음

<산업별 주요 민영화 대상 기업> 산업 부문 기업명 Damavand Petrochemical Company Dehloran Sepehr Petrochemical Complex 석유화학 Hegmataneh Petrochemical Company Hamedan Ibn Sina Petrochemical Company Sugarcane & Affiliated Industries Development Company Moghan Agro-industrial and Animal Husbandry Company Sefid Rood Livestock and Agricultural Company 농업 Pars Melli Agro Industry & Livestock Company Iran Silkworm Rearing Company Agricultural Support Services Company Iran Alumina Company Esfarayen Industrial Complex 금속 Luleh Gostar Esfarayen Company Shahr-e-Babak Copper Complex Steel Company Machine Sazi Foundry Company 기계 Machine Sazi Tabriz Company Kermanshah Oil Refining Company 석유·가스 Bahman Geno Company National Iranian Drilling Company Manjil Green Electricity Power Production Company 전력 Iran Insulator Company 건설 Iran Urban Development & Housing Company 서비스 Soil Mechanic &Technical Laboratory Company * 출처 : Investment Opportunities in Privatization

- 13 - III 민영화 전망 및 시사점

1. 민영화 추진 전망 (SWOT 분석)

□ 장점

○ 이란 정부는 민영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 부여

- 대출을 통하여 이란 국영기업 주식 구매 시 대출 상환기간 30% 연장

- 계약 기간에 비례한 대출금리 삭감

- 법인 소득세 면제

: 이란 법인 소득세의 경우 연 25%로 고정되어 있으나, 병원 또는 호텔 건설업, 광업 및 서비스를 포함한 특정 산업에 투자하는 외국인 투자자의 경우 소득세 납부 면제

- 개인 소득세 면제

: 이란 부통령실 전략계획관리국에서 발표한 이란 저개발지역에서 근무 시 해당 현지 및 외국인에 대해서는 소득세 50% 면제

○ 정부의 강력한 민영화 추진 의지

- 로하니 재집권에 따라 이란정부는 경제·외교 등 정책 추진동력 확보

- “투자 및 사업환경 개선, 민영화 확대”는 로하니 주요 공약으로 로하니 정부는 강력한 민영화 추진 의지를 보이고 있어, 개방속도 가속화 및 대외투자 유치 확대 등 기존정책이 강화될 전망

- 이란 경제개발 및 효율성 증진을 위한 민영화 추진은 불가피

- 뿐만 아니라, IPO는 매년 민영화 대상기업 및 주식상장 비율을 고시하는 등 민간에 정보를 적극적으로 공개하며 민영화 추진 중

- 14 - □ 약점

○ 국영기업 인수 시 인센티브 제공에도 불구, 애로사항 잔재

- IPO 규정 준수 (직원 해고 금지 등)

- 대출 시 대출금 납부 완료까지 회사 자기자본비율 유지

- 대출금 납부 시까지 IPO 관리 감독 하에 정기회의 개최

○ 투자환경 개선 필요

- 이란정부의 실질적인 투자보장책 미비, 경직된 노동환경 등의 문제

- 상기 연유로, 외국인 투자유치 실적 역시 매우 낮은 상황임

- 또한, 민영화된 기업 중 우량기업들은 또 다른 정부유관 투자회사들 에 매각되어 민영화의 실효성에 의문

□ 기회

○ 이란 정부가 산업 부문별 투자유치 위한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다양한 산업에서 투자 기회 존재하며, 이란 정부의 산업별 투자유치 정책방향은 하기와 같음

- (자동차부품) 이란기업과 외국기업간의 합작투자 확대 및 자동차 부품제조 협력 증진

- (철강) 기술 이전, 인력 교류 등 철강산업 분야 기술 증진 주력

- (석유화학) 100억대 프로젝트 외국인 투자 유치 및 석유화학 공장 건립

- (가전제품) 국내생산 지원 및 강화,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

- (의료) 다국적 의료·제약업체 투자 유치 및 현지기업과의 합작 확대

- 15 - ○ 이란 국영기업 인수 시 다양한 긍정적 측면과 혜택이 있음

- 외부금융 접근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통한 투자 확대 가능성이 있음. 이란 현지 은행 대출 등 금융조달이 용이해짐

- 이란현지 인건비가 매우 저렴하여 저비용, 우수 노동력 고용 가능

- 신재생에너지, 오일·가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직접 진출이 가능 하며 이란 정부의 재정 지원 등 혜택 존재

□ 위협

○ 정치적 리스크

- 이란은 로하니 대통령 임기 동안 (‘13.8∼’17.6) 서방과의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핵합의 성사(’16.01.17) 및 경제제재 해제 등의 괄목할만한 성과 거양

- 하지만, 이란의 불안정한 정치·경제적 환경, 핵 활동 및 대미 관계는 외국인 투자가들의 이란시장 진입에 큰 장애 요인 역할

- 따라서, 외국인 투자가들의 입장에서 이란은 항상 정치,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국가로 인식되어 투자위험이 큰 국가로 분류. 이란인들 역시 이란에 투자하기보다 해외투자를 선호, 국부의 해외유출이 심각한 상황

<민영화 추진전망 SWOT 분석>

- 16 - 2. 민영화 추진에 따른 이란 경제 전망

□ 신산업 활성화

○ 석유·가스 의존 경제에서 탈피

- 석유, 가스 등 천연자원이 풍부한 이란은 경제 구조가 에너지 산업에 집중되어 경제성장 구가

- 비석유 산업부문에 대한 관심이 적었으나, 석유중심 성장구조를 탈피하고 산업구조, 재정수입 등의 석유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다양한 산업 육성을 추진

○ 유가하락에 따른 영향

- 최근 수년간의 유가하락으로 인해 국가경쟁력이 저하될 것을 우려, 신산업활성화 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민영화를 통해 보다 다양한 산업의 육성을 목표로 설정

○ 석유/비석유 부문 격차 축소 및 경제성장 가속화 기대

- 작년 이란 GDP 성장률은 석유부문 포함 12.5%(총 1,785억 달러 규모)이나 비석유부문 경제성장률은 3.3%를 기록

- 향후 이란의 비석유부문 강화를 통해 석유부문과 비석유부문 간의 성장률 격차가 좁혀지고 신산업이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

□ 전반적인 경제 환경 개선

○ 국가의 기간산업 독점에 따른 문제점 해소

- 공기업의 비능률과 적자 문제 해소가 예상되며 민간경제 참여 확대에 따라 효율성 증대 및 재정 압박 감소

- 공기업의 산업 독점이 해소됨에 따라 기존의 관료주의와 부패 문제가 척결될 것으로 전망

- 17 - ○ 경제 선순환 구조 형성

- 로하니 대통령은 변화를 갈망하는 국민의 신임을 얻어 재임에 성공. 이란이 당면한 경제문제, 국제적 고립 및 핵합의 불안정성 해결, 對미 관계 개선에 주력할 것으로 기대

- 이러한 정책에 힘입어 민영화 확대와 더불어 투자·사업 환경이 개선되어 이란의 개방 속도가 가속화되고 외국인직접투자 유치가 확대되는 등 전반적인 경제·무역 환경이 개선될 전망

- 대이란 교역·투자 환경 개선으로 인해 이란의 가계 구매력 증대, 리얄화 가치 안정화 등 이란의 전반적인 경제 환경이 개선되고 이는 더 많은 교역과 FDI를 유발하는 선순환 예상

○ 주식거래시장의 효율화

- 테헤란 주식거래소 및 여타 주식거래소는 고질적인 정보제한 정책, 부당한 법적규제 등으로 인해 민영화라는 큰 프로젝트를 수행할 능력이 부족한 상황

- 새로운 환경에 맞춰 조직개편 및 선진시스템 도입이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예측

□ 민영화 추진 과정에서 진통 예상되나 민영화 정책은 지속될 전망

○ 민영화 추진과정에서 초기 진통 예상

- 민영화 시 수반되는 노동자 대량해고, 인플레이션 상승 등 다소의 진통 불가피

- 민영화 시 구조조정이 상시적으로 발생, 일자리 감소할 수 있고 가격 인상 발생 가능성도 존재

○ 민영화 정책은 지속될 전망

- 민영화에 대한 필요성 및 시대적인 요청에 따라 민영화 정책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기존의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한 제도 보완을 통해 보다 실질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

- 18 - 3. 한국기업의 진출 가능성

□ 한국기업의 투자진출 기회 증가

○ 진행 또는 계획 중인 현지 진출, 투자에 큰 변수 없을 전망

- 민영화 추진성과는 미흡한 부분이 있으나, 민영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범국가적 차원에서 공감하고 있으며, 서방국가들과의 관계개선 주력 후 적극적인 민영화를 전개할 것으로 전망

○ 향후 한국기업의 투자진출 기회 증가 예상

- 한국기업들은 이란의 정치·제도 안정화 여부 관찰 및 지속적인 관심 투자대상 업체 접촉과 교류를 통해 향후 이란 직접 투자기회 모색 필요

- 민영화 대상 국영기업 중 시장성과 수익성이 유망한 공기업을 물색, 이란시장 투자진출 방안 강구 필요성 증대

- 관련 프로젝트 경험이 있고 정부 담당부서와 네트워크 관계가 있는 현지 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입찰에 참가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예상

□ 대이란 교역 확대 전망

○ 민영화로 대표되는 시장의 효율성 증진 및 신산업 육성에 대한 이란 정부의 관심은 한국기업의 진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

- 대이란 수출, 원유 수입 등 양국 간 경제교류는 지속적으로 확대 전망

○ 기존 공기업 조달시장에 납품하던 우리기업의 전략변화 필요

- 현지 파트너사 활용 : 현지의 경우 정보 접근이 제한적이므로 홈페이지나 자료를 통한 정보 획득에 한계가 있음. 따라서 신규 파트너사 물색을 통한 관계 기관(OIETAI 등) 또는 담당자 면담 등 필요

- 19 - IV 부록

첨부 1. 이란 민영화 유관기관 리스트

기관명 담당업무 사이트 OIETAI (Organization for 이란투자청 http://www.investinir Investment Economic and 외국인투자자에 법적보호 제공 an.ir/en/home technical Assistance of Iran) Ministry of Economic 경제·금융 정책 수립 및 외국인직접투자 담당, http://english.mefa.ir Affiars and Finance 조세 정책 시행, 은행 및 보험기관 총괄 SEO (Securities & 투자자 권리 보호 및 공정한 시장을 위한 http://en.seo.ir/ Exchange Organization) 규제·감독 기관 TSE 이란 최대 증권거래소 http://new.tse.ir/en/ (Tehran Stock Exchange) 시장 투명성 제고 및 국내외 투자자 유치 이란 유가증권 장외 시장 IFB SEO 감독 하, 중개인 및 회원의 활동을 http://en.ifb.ir/ (Iran Fara Bourse) 통제하는 자체 규제기관 역할 수행

- 20 - 첨부 2. 2016-2017년 민영화 추진 중인 중 대형 기업 명단

순 지배 기업명 산업부문 주주 번 비율 1 Damavand Petrochemical Co. 100 Petrochemical NPC Hegmataneh Petrochemical 2 32 Petrochemical NPC Industries Co. 3 Ibne Sina Petrochemical Co. 20 Petrochemical NPC Dehloran Sepehr 4 10 Petrochemical NPC Petrochemical Co. Oil & Gas 5 National Iranian Drilling Co. 100 NIOC Fields Oil & Gas 6 Bahman Geno Oil Refining Co. 20 NIORDC Fields Oil & Gas 7 Kermanshah Oil Refining Co. 100 NIORDC Fields Oil & Gas 8 Fuel Stations 0 NIORDC Fields Agricultural Agricultural Support Services Services 9 100 Agricultural Co. Specialized Holding Co. 10 Iran Silkworm Rearing Co. 100 Agricultural Agri Park Co. Sefidrud Agricultural & Animal 11 100 Agricultural Agri Park Co. Husbandry Co. Moghan Agro Industrial & 12 100 Agricultural Agri Park Co. Animal Husbandry Co. Pars Agro Industrial & Animal 13 40 Agricultural Agri Park Co. Husbandry Co. Sugarcane & Affiliated Ministry of 14 20 Agricultural Industries Development Co. Agricultural Jihad Iran Alumina (Jajarm Alumina) 15 100 Basic Metals IMMIDRO Co. Luleh Gostar Esfarayen 16 100 Basic Metals IDRO Co.(LGECO) 17 Esfarayen Industrial Complex 100 Basic Metals IDRO

- 21 - Azerbaijan Steel Co. along 100+ 18 with Development Plan of Basic Metals IMMIDRO 65 Miyaneh Steel. Shar-e-Babak Copper 19 100 Basic Metals IMMIDRO Complex Power 20 Iran Insulator Co. 6/40 SATKAB Generation Manjil Green Electricity Power Power 21 100 TAVANIR Generation Co. Generation Atrin Development Wind Power 22 35 IDRO Turbines Co. Generation Iranian Power Development Power 23 0 IDRO Turbine Co. (ITCO) Generation Koohrang Hydroelectric Power Power 24 100 TAVANIR Plant Generation Power Thermal Power 25 Yazd Power Generation Co. 100 Generation Plants Holding Shahid Rajaee Power Power Thermal Power 26 100 Generation Co. Generation Plants Holding Zahedan Power Generation Power Thermal Power 27 100 Co. Generation Plants Holding Power Thermal Power 28 Loshan Power Generation Co. 100 Generation Plants Holding Shahid Mofatteh Power Power Thermal Power 29 100 Generation Co. Generation Plants Holding Shazand Power Generation Power Thermal Power 30 100 Co. Generation Plants Holding Power Thermal Power 31 Fars Power Generation Co. 100 Generation Plants Holding Power Thermal Power 32 Shahrood Power Generation Co. 100 Generation Plants Holding Power Thermal Power 33 Khorasan Power Generation Co. 100 Generation Plants Holding Power Thermal Power 34 Azarbaijan Power Generation Co. 100 Generation Plants Holding Power Thermal Power 35 Tehran Power Generation Co. 100 Generation Plants Holding

- 22 - Shahid Salimi Power Power Thermal Power 36 100 Generation Co. Generation Plants Holding Esfahan Power Generation Power Thermal Power 37 100 Co. Generation Plants Holding Power Thermal Power 38 Ramin Power Generation Co. 100 Generation Plants Holding Bandar Abbas Power Power Thermal Power 39 100 Generation Co. Generation Plants Holding Azerbaijan Power Generation Power 40 40 TAVANIR Management Co. Generation Khorasan Power Generation Power 41 40 TAVANIR Management Co. Generation Zahedan Power Generation Power 42 40 TAVANIR Management Co. Generation Shahrood Power Generation Power 43 40 TAVANIR Management Co. Generation Fars Power Generation Power 44 40 TAVANIR Management Co. Generation Looshan Power Generation Power 45 40 TAVANIR Management Co. Generation Power 46 Power Generation Co. 40 TAVANIR Generation Power 47 Kerman Power Generation Co. 40 TAVANIR Generation Power 48 Bistoon Power Generation Co. 40 TAVANIR Generation Power 49 Shirvan Power Generation Co. 40 TAVANIR Generation Power 50 Zagros Power Generation Co. 40 TAVANIR Generation Persian Gulf Power Generation Power 51 40 TAVANIR Co. Generation Power 52 Zarand Power Plant 100 TAVANIR Generation Power 53 Iranshahr Gas Power Plant 100 TAVANIR Generation

- 23 - Iranian Urban Iran Urban Development & Development & 54 Construction Housing Co. 20/82 Revitalization Corporation. Iranian Urban Samen Urban Development Development & 55 40 Construction & Housing Co. Revitalization Corporation. Iranian Urban East Urban Development & Development & 56 30 Construction Housing Co. Revitalization Corporation. Iranian Urban Fars Urban Development & Development & 57 0 Construction Housing Co. Revitalization Corporation. Iranian Urban Golestan Urban Development Development & 58 Construction & Housing Co. 16/15 Revitalization Corporation. Iranian Urban South Region Urban Development & 59 0 Construction Development & Housing Co. Revitalization Corporation. Iran Rolling Commercial 60 96/5 Services IMMIDRO Development Services Co Governmental Grain & Trading Services Trading 61 0 Services Companies (14 districts) Corporation of Iran (G.T.C) 62 Danesh Baft Alborz 40 Services IDRO 63 Darya Danesh Co. 0 Services IDRO Technical & Ministry of Roads Soil Mechanic Technical 64 100 Engineering and Laboratory Co. Services Transportation Cultural Heritage, Iran Tourism Development Handicrafts and 65 100 Tourism Corporation Co. Tourism Organization

- 24 - 첨부 3. 산업별 주요 민영화 대상 기업 정보

Damavand Petrochemical Company

업종 석유화학 설립일 1999년 주주 NPC (100%) Petrochemical Phase 2, Pars Energy Special Economic 위치 Zone, Assaluyeh, Booshehr Province 종업원 수 89 (permanent: 19, official: 7, temporary: 63) 자본금 US$ 423 부채 US$ 886,987,112 (debts to PC: US$ 531,914,894) 순이익 US$ 5,412 이익잉여금 US$ (254,710)

Dehloran Sepehr Petrochemical Complex

업종 석유화학 설립일 2011년 Oil Pension Fund Investment Company (89/97%), NPC 주주 (10%), Others (0.3%) 15 km south east of Dehloran, Dehloran–Andimeshk Rd., 위치 next to 2 Towers installations, Ilam Province 종업원 수 11 (contractual: 8 – permanent & temporary: 3) 자본금 US$ 338,261 부채 US$ 2,980,076 (debts to parent company: 1,887,494) 순이익 US$ (16,913) 이익잉여금 US$ (91,330)

- 25 - Damavand Petrochemical Company

업종 석유화학 설립일 2002년 NPC (32%), Alaghbandian Family (56.7%), Industry 주주 Generally Company (IGS)(10%), other shareholders (1.3%) 위치 10 Km Northeast of Hamedan, Hamedan province 종업원 수 166 자본금 US$ 2,536,955 부채 US$ 50,536,143 (Loans: US$ 32,371,545) 순이익 US$ (169,130) 이익잉여금 US$ (947,130)

Hamedan Ibn Sina Petrochemical Company

업종 석유화학 설립일 2012년 주주 NPC (20%), Hami Foulad Iranian Co. (77%), Others (3%) 위치 No. 39, Honarestan St., Hamedan Province 종업원 수 9 (contracting: 7, temporary: 2) US$ 3,382,607 (new capital in process of registration: 자본금 US$ 13,530,426) 부채 296,655 US$ (other accounts & notes payable: US$ 270,609) 순이익 US$ 35,517 이익잉여금 US$ 46,680

- 26 - Sugarcane & Affiliated Industries Development Company

업종 농업 설립일 1990년 Bank Saderat Iran (40%), Bank Melli Iran (30%), 주주 Ministry of Agricultural Jihad(20%), Ayandeh Pouya Development & Plan Management Co. (10%) No. 88, second twelve yard, lower than Niyayesh 위치 crossroad, Seoul St., Tehran. (Subsidiary companies are located at Khoozestan Province) 종업원 수 The main company: 282, Group: 8,411 자본금 US$ 386,665,765 부채 US$ 918,276,224 (Long-term Loans: US$ 603,795,284) 순이익 US$ 48,506,579 이익잉여금 US$ 152,724,690

Moghan Agro-industrial and Animal Husbandry Company

업종 농업 설립일 1975년 주주 Agri- Park Co. (100%) 위치 Pars Abad, Ardebil Province 종업원 수 882 자본금 US$ 107,634,543 부채 US$ 23,001,725 (Trade accounts & notes payable: US$ 8,591,821) 순이익 US$ 778,000 이익잉여금 US$ (744,173)

- 27 - Sefid Rood Livestock and Agricultural Company

업종 농업 설립일 1969년 Agricultural, Livestock and Natural Resources 주주 Production Company (100%) 위치 Rasht, Gilan Province 종업원 수 185 자본금 US$ 102,053,242 부채 US$ 4,228,258 (Tax reverse: US$ 1,623,651) 순이익 US$169,130 이익잉여금 US$ (4,329,736)

Pars Melli Agro Industry & Livestock Company

업종 농업 설립일 1988년 National Development Investment Co. (40%), Moghan 주주 Agro Industrial &Animal Husbandry Co. (40%), Ayandeh Pooya Planning Management & Development Co. (20%) 위치 Pars Abad, Ardebil Province 종업원 수 207 (productive: 86, administrative: 70, services: 51) 자본금 US$ 5,513,649 US$ 12,820,079 (Dividend payable: US$ 5,648,953, loans: 부채 US$ 1,894,260) 순이익 US$ 2,604,607 이익잉여금 US$ 4,566,519

- 28 - Iran Silkworm Rearing Company

업종 농업 설립일 1979년 Agricultural, Livestock and Natural Resources Production 주주 Co. (100%) Main centre of the company is located at Gilan Province, Rasht city. But its branches and farms are in Anzali, 위치 Astaneh Ashrafiyeh, Lahijan, Langrud, Some’eh Sara, Fooman, Sari, Qaem Shahr, Torbat Heidarieh, Natanz, Shelman and Kasa. 종업원 수 57 (permanent: 53, contractual: 2, contracting: 2) 자본금 US$ 10,993,472 부채 US$ 23,745,899 (Short-term Loans: US$ 17,521,902) 순이익 US$ (1,251,564) 이익잉여금 US$ (15,492,338)

Agricultural Support Services Company

업종 농업 설립일 1994년 주주 Agricultural Services Specialized Holding Company (100%) 위치 No. 1, 4 Alley, Gandi Street, Tehran 1,722 (921 permanent staff, 301 contractual staff and 종업원 수 500 companies staff) 자본금 US$ 37,952,846 부채 US$ 777,255,353 (Short-term Loans: US$ 503,027,433) 순이익 US$ (13,158,340) 이익잉여금 US$(10,283,124)

- 29 - Iran Alumina Company

업종 금속 산업 설립일 1999년 주주 IMIDRO (100%) 위치 Jajarm, North Khorasan Province 종업원 수 1,546 (contractual:1,540, official: 6) 자본금 US$ 67,652,133 부채 US$ 206,034,570 (Loans: US$ 74,315,868) 순이익 US$ 14,037,818 이익잉여금 US$ 6,257,822

Esfarayen Industrial Complex

업종 금속 산업 설립일 1992년 주주 IDRO (100%) 위치 Esfarayen City, North Khorasan Province 829 (permanent & contractual: 695, daily-paid workers: 11, 종업원 수 service companies: 123) 자본금 US$ 45,935,798 US$ 142,170,957(Loans: US$ 94,408,551, debts to 부채 IDRO:US$ 4,904,780) 순이익 (US$ 1,961,912) 이익잉여금 (US$ 21,207,252)

- 30 - Luleh Gostar Esfarayen Company

업종 금속 산업 설립일 1991년 주주 IDRO (100%) 위치 Esfarayen City, North Khorasan Province 종업원 수 642 (administrative: 61, supporting: 257, production: 324) 자본금 US$ 61,191,354 부채 US$ 58,654,399 (Debts to parent company: US$ 24,117,985) 순이익 (US$ 1,725,129) 이익잉여금 (US$ 30,747,894)

Shahr-e-Babak Copper Complex

업종 금속 산업 설립일 1991년 주주 IMIDRO (100%) 위치 Shahrbabak city, Kerman Province The Company has no official & contractual staffs and its operation has 종업원 수 been done through officer staffs of IMMIDRO 자본금 US$ 169,130 부채 US$ 1,319,217(Long-term trade & non-trade payable: US$ 947,130) 순이익 (US$ 69,682) 이익잉여금 (US$ 293,272)

- 31 - Azerbaijan Steel Company

업종 금속 산업 설립일 2000년 주주 IMIDRO(100%) 위치 Miyaneh Township, East Azerbaijan Province 종업원 수 542(permanent:187, contractual:44, temporary: 286, contracting: 25) 자본금 US$ 11,839,123 부채 US$ 105,909,414(Loans: US$ 78,882,387) 순이익 (US$ 16,067,382) 이익잉여금 (US$ 100,936,982)

Machine Sazi Foundry Company

업종 기계 산업 설립일 2005년 주주 IDRO (100%) Gharamalek Industrial Zone, Tabriz city, East Azerbaijan 위치 Province 종업원 수 319 (158 permanent staff & 161 contractual staff) 자본금 US$ 3,805,432 부채 US$ 14,545,209 (Trade & nontrade payables: US$ 9,505,125) 순이익 (US$ 1,082,434) 이익잉여금 (US$ 10,519,907)

- 32 - Machine Sazi Tabriz Company

업종 기계 산업 설립일 1966년 주주 IDRO (100%) 위치 Gharamalek industrial City, Tabriz, East Azarbaijan Province 843 (422 permanent staff, 306 contractual staff and 115 종업원 수 personnel of services companies) 자본금 US$ 56,726,313 US$ 24,794,507 (Trade and non-trade payable accounts: US$ 부채 19,652,945- debts to IDRO: US$ 10,553,733) 순이익 (US$ 1,589,825) 이익잉여금 (US$ 20,566,248)

Kermanshah Oil Refining Company

업종 석유 가스 산업 설립일 1968년 주주 NIORDC (60%) – Justice Share (40%) 위치 Kermanshah City, Kermanshah Province 378 (general staff:84, manufacturing section:260, finance and 종업원 수 administrative affairs:34) 자본금 US$ 4,566,519 US$ 222,981,429 (Trade & non-trade accounts payable: US$ 부채 164,225,552) 순이익 (US$ 55,271,792) 이익잉여금 (US$ 32,946,589)

- 33 - Bahman Geno Company

업종 석유 가스 산업 설립일 2008 년 Oil Refining Industries Development Co. (20%), Modabber Mining & 주주 Industrial Development Co. (79.92%), Others (0.08%) 위치 Bandar Abbas, Hormozgan Province 종업원 수 10 자본금 US$1,420,695 부채 US$ 81,486,994 (Debts to Oil Refining Industries Development Co: US$ 48,774,000) 순이익 (US$ 33,826) 이익잉여금 (US$ 473,565)

National Iranian Drilling Company

업종 석유 가스 산업 설립일 1979년 주주 NIOC (100%) 위치 Ahvaz City 16,280(permanent:4,219, contractual:570 , contracting: 3,688, services 종업원 수 companies: 7,803) 자본금 US$ 155,836,688 부채 US$ 1,412,035,314 (Trade and non-trade payables: US$ 1,123,600,447) 순이익 (US$ 134,458,614) 이익잉여금 (US$ 151,946,690)

- 34 - Manjil Green Electricity Power Production Company

업종 발전 산업 설립일 2008년 주주 TAVANIR (100%) 위치 Manjil city, Gilan Province 종업원 수 63(contractual) 자본금 US$ 10,147,820 부채 US$ 5,310,692 (Debts to TAVANIR: US$ 4,532,693) 순이익 US$ 372,087 이익잉여금 (US$ 913,304)

Iran Insulator Company

업종 발전 산업 설립일 1974년 Media Tejarat Pooya Co. (54/54%), SATKAB Co. (36/18%), 주주 Others (9/28%) Kaveh Industrial Zone, Saveh, Markazi Province- Central 위치 Office: No.4, Niloofar Alley, South Bahar St., Tehran 종업원 수 200 (permanent: 2, contracting: 198) 자본금 US$ 7,779,995 부채 US$ 8,896,255(Other accounts payable: US$ 3,179,650) 순이익 (US$ 710,347) 이익잉여금 (US$ 2,604,607)

- 35 - Iran Urban Development & Housing Company

업종 건설 산업 설립일 1998년 Iran Building Investment Co. (41.22%), Toos Omid Amin Investment Co. 주주 (31.24%), Urban Development & Revitalization Org. (20.82%), Askariye Credit Institution (6.29%), Others (0.43%) 위치 Tehran 종업원 수 83 자본금 US$ 3,726,279 부채 US$ 8,896,255(Other accounts payable: US$ 3,179,650) 순이익 (US$ 710,347) 이익잉여금 (US$ 2,604,607)

Soil Mechnic & Technical Laboratory Company

업종 서비스 산업 설립일 1983년 주주 Ministry of Road and Urban Development (100%) 위치 Tehran 종업원 수 2,462 (permanent:505, contractual:1,957) 자본금 US$ 6,494,605 부채 US$ 29,665,460(Non-trade payables: US$ 13,158,340) 순이익 US$ 608,869 이익잉여금 US$ 10,147,820

- 36 - 2017년 KOTRA 발간자료 목록

□ GMR (Global Market Report)

번 호 제 목 번호부여일 17-001 트럼프 시대의 미국 공공인프라 시장 2017.1 17-002 2017년 1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 2017.1 17-003 2017년 주목해야 할 세계의 주요 정치 통상 일정 2017.1 17-004 호주 화장품시장 현황과 우리기업 진출전략 2017.1 17-005 트럼프 취임사에 대한 주요국 반응조사 2017.1 17-006 2016년 하반기 對韓 수입규제 동향과 2017년 전망 2017.2 17-007 미 트럼프 TPP 탈퇴 서명에 대한 TPP 가입국 반응 조사 2017.2 17-008 미·일 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한·일 경제 및 수출 여건 분석 2017.2 17-009 TPP 무산이 베트남 섬유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전략 2017.3 17-010 2017년 2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 2017.3 17-011 미국이 바라본 한미FTA 발효 5주년 효과 및 활용사례 2017.3 17-012 중동지역 온라인 유통시장 현황 및 진출방안 2017.3 17-013 CIS지역 온라인 유통시장 현황 및 진출방안 2017.3 17-014 4차 산업혁명시대, 첨단제품 개발 트렌드와 시사점 2017.3 17-015 2018년도 미국 대통령 예산안과 대한국 영향 분석 2017.4 17-016 유럽 주요국 화장품 시장 동향과 우리기업 진출전략 2017.4 유라시아경제연합 (EAEU) 및 역외 CIS지역 국가별 공공조달시장 17-017 2017.4 진출전략 17-018 트럼프 취임 100일과 미 통상, 경제정책 평가 및 주요국 대응현황 2017.4 17-019 미국의 바이아메리칸 정책 분석 및 향후 우리기업의 대응 방향 2017.5 17-020 한-ASEAN FTA 발효 10주년 활용성공사례 및 개선방안 2017.5 17-021 인도 자동차 & 부품 시장 현황 및 진출방안 2017.5 17-022 동남아 온라인 유통시장 현황 및 진출방안 2017.6 17-023 중남미 주요국 화장품 시장 동향과 우리기업 진출전략 2017.6 17-024 아프리카 소비재 시장 동향 및 우리기업 진출방안 2017.6 17-025 주요국 수출투자 리스크 관리 및 시장 다변화 전략 2017.6 17-026 2017년 3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 2017.7 17-027 2017년 상반기 대한 수입규제 동향과 하반기 전망 2017.7 17-028 러시아 화장품 시장 동향과 우리기업 진출전략 2017.7 17-029 중동 주요국 화장품 시장 동향과 우리기업 진출전략 2017.7 17-030 일본 시니어 시장 현황 및 우리기업 진출방안 2017.7 17-031 주요국의 대미 경협 활동 분석에 따른 의제 제안과 시사점 2017.8 17-032 중국 온라인 쇼핑시장 진출방식 제언 2017.8 17-033 소셜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미국 시장 진출 전략 2017.9 17-034 2017년 4분기 KOTRA 수출선행지수 2017.9 17-035 이란 민영화 현황과 시사점 2017.10 17-036 무역사기 유형별 대표사례 및 대응책 2017.10

□ GSR (Global Strategy Report)

번 호 제 목 번호부여일 17-001 트럼프노믹스 주요정책 특징 및 대응방안 2017.1 17-002 러시아 극동지역 개발현황과 한국의 협력방안 2017.3 新통상시대 중남미 주요국 다각화 정책과 시사점: 트럼프노믹스에 17-003 2017.3 대한 중남미 주요국의 정책과 기회요인 17-004 우리 기업의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분석과 시사점 2017.4 17-005 저성장 시대 일본기업의 성장전략 분석과 시사점 2017.4 17-006 4차 산업혁명시대, 우리기업의 현지화 전략 2017.5 중동 주요국의 국가지속가능발전전략 이행과 활용전략: 사우디 17-007 2017.6 비전 2030과 이집트 SDS 2030 17-008 일본 서비스기업의 對아세안 진출전략 분석과 시사점 2017.6 메르코수르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주요국 진출 전략과 시사점: 17-009 2017.7 브라질, 아르헨티나 사례를 중심으로 17-010 EU 디지털 단일시장 전략의 평가와 시사점 2017.8 17-011 유라시아 주요 국가의 경제현황과 경기개선 요인 2017.9

□ KOTRA자료

번 호 제 목 번호부여일 17-001 2016 프랜차이즈 해외진출 사례집 2017.1 17-002 ICT 해외진출 성공사례집 2017.1 17-003 잘나가는 우리기업 해외투자 성공기 2017.1 17-004 2016 외국인투자옴부즈만 연차보고서 2017.2 17-005 2017 해외진출종합핸드북 2017.2 17-006 지사화 우수사례집 2017.3 17-007 2016 서비스업 해외진출 성공사례집 2017.3

- 38 - 17-008 2017 만화로 보는 지재권 생존기 2017.3 17-009 이란 진출 종합가이드북 2017 2017.3 17-010 Foreign Investment Ombudsman Annual Report 2016 2017.3 17-011 2016 IP-DESK 백서 2017.3 17-012 미국 新행정부 출범에 따른 한국의 투자유치 대응전략 2017.3 17-013 2016 글로벌 CSR 성과보고서 2017.3 17-016 코트라 차이나하이웨이 사업 성과분석 및 우수사례집 2017.4 17-017 정상외교경제활용 백서 2013-2016 2017.4 17-018 2016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Machinery Parts 2017.4 17-019 2016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Automobile Parts 2017.4 2016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Shipbuilding & 17-020 2017.4 Offshore Plants 17-021 2016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Aerospace 2017.4 17-022 2016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Parmaceuticals 2017.4 17-023 2016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Food and Beverage 2017.4 17-024 2016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Medical Device 2017.4 17-025 2016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Display 2017.4 17-026 2016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ICT 2017.4 17-027 2016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Semiconductors 2017.4 2016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New Renewable 17-028 2017.4 Energy 17-029 2016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Petrochemical 2017.4 17-030 2016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Fine Chemicals 2017.4 2016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Logistics and 17-031 2017.4 Distribution 17-032 2016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Real Estate 2017.4 17-033 2016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Tourism & Leisure 2017.4 17-034 2016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M&A 2017.4 17-035 SEOUL FOOD 2017 디렉토리 2017.4 17-036 의료기기 산업동향과 투자유치 방안 2017.4 17-037 권역별·분야별 서비스 해외진출 전략 로드맵 2017.5 17-038 수출바우처사업 활용가이드 2017.5 17-039 Invest KOREA 2016년도 연차보고서 2017.6 17-040 2017 KOTRA 외국인투자기업 성공사례집 2017.6 17-041 SEOUL FOOD 2017 결과보고서 2017.6 17-042 2016 KOTRA 지속가능경영&인권경영 보고서 2017.6

- 39 - 2016 KOTRA Sustainability and Human Rights Management 17-043 2017.6 Report 17-044 전력기자재 산업 현황 및 글로벌 밸류체인 진출전략 2017.7 17-045 자동차부품 산업 현황 및 글로벌 밸류체인 진출전략 2017.7 17-046 의료기기 산업 현황 및 글로벌 밸류체인 진출전략 2017.7 17-047 패션 산업 현황 및 글로벌 밸류체인 진출전략 2017.7 17-048 화장품 산업 현황 및 글로벌 밸류체인 진출전략 2017.7 17-049 교육 서비스 산업 현황 및 글로벌 밸류체인 진출전략 2017.7 캐릭터 라이선싱 산업현황 및 글로벌 밸류체인 진출전략 : 제1편 17-050 2017.7 중국 17-051 AI/IoT 산업 현황 및 글로벌 밸류체인 진출전략 2017.7 17-052 항공부품 산업 현황 및 글로벌 밸류체인 진출전략 2017.7 17-053 모바일부품 산업 현황 및 글로벌 밸류체인 진출전략 2017.7 17-054 조선기자재 산업 현황 및 글로벌 밸류체인 진출전략 2017.7 17-055 지식재산권 산업 현황 및 글로벌 밸류체인 진출전략 2017.7 17-056 물류서비스 산업 현황 및 글로벌 밸류체인 진출전략 2017.7 17-057 2017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Aerospace 2017.7 17-058 2017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Auto Parts 2017.7 17-059 2017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Biopharmaceutical 2017.7 17-060 2017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Cultural Contents 2017.7 17-061 2017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Display 2017.7 17-062 2017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Fashion & Beauty 2017.7 17-063 2017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Food & Beverage 2017.7 2017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Information & 17-064 2017.7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17-065 2017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Logistics 2017.7 2017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New & Renewable 17-066 2017.7 Energy 17-067 2017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Offshore Plant 2017.7 17-068 2017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Parts and Materials 2017.7 2017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Private Equity & 17-069 2017.7 Venture Capital 17-070 2017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Real Estate 2017.7 17-071 2017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Semiconductor 2017.7 17-072 2017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Specialty Chemicals 2017.7 17-073 2017 Investment Opportunities in Korea : Tourism & Leisure 2017.7 17-074 캐나다 4차 산업혁명 기술도입 및 개발동향 2017.7

- 40 - 17-075 외국인투자가이드 2017 2017.7 17-076 Doing Business in Korea 2017 2017.7 17-077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투자유치 전략수립에 관한 연구 2017.7 Labor Law Guide for Foreign Investors (September 2017 17-078 2017.8 Edition) 17-079 수출,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2017.8 17-080 Invest KOREA Annual Report 2016 2017.8 17-081 2017 外国人投資ガイド 2017.9 17-082 2017 外商投资指南 2017.9 17-083 수출바우처사업 활용가이드 (개정판) 2017.9 17-084 글로벌 화장품 산업 트렌드 동향과 우리기업의 진출전략 2017.9 17-085 중국 위조상품 유통분석 : 화장품편 2017.10 17-086 주요국 투자유치 인센티브 제도조사 2017.10 17-087 알기쉬운 브라질 세무 가이드 2017.10

□ 설명회자료

번 호 제 목 번호부여일 17-001 2017 세계시장 진출전략 설명회 2017.1 17-002 2017 中美시장 진출확대 설명회 2017.1 17-003 이란 KSP 투자진출 세미나 2017.1 17-004 쿠바 KSP 투자진출 세미나 2017.2 17-005 (매칭페어) 제1차 한류콘텐츠 간접광고(PPL)활용 상담회 2017.2 KOTRA 해외수주협의회 제27차 수요포럼 : 북미 인프라 시장 17-006 2017.2 진출전략 및 대응방안 17-007 2017 유엔조달플라자(UN Procurement Plaza 2017) 2017.2 17-008 2017 아세안 시장 진출 설명회 2017.2 2017 GBMP 보건의료 프로젝트 설명회 (Global Healthcare 17-009 2017.3 Project Plaza 2017) 17-010 GBMP 2017 글로벌 공공조달 의료기기 시장진출 설명회 2017.3 17-011 케냐 KSP 투자진출 세미나 2017.3 17-012 국제 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멕시코 진출전략 세미나 2017.3 17-013 러시아 KSP 투자진출 세미나 2017.3 17-014 2017 세계 유통시장 진출 쇼케이스 전략설명회 2017.3 17-015 2017 유라시아 진출 세미나 2017.4 17-016 2017 국내복귀기업대상 경영지원세미나 2017.4

- 41 - 17-017 Global Animation Market Trend and Strategy 2017.4 17-018 우즈베키스탄 KSP 섬유산업 투자진출 세미나 2017.4 17-019 Global Project Plaza 2017 2017.4 중국시장진출의 초석, 홍콩 활용방안 (Hong Kong: Your Gateway 17-020 2017.4 to China) 17-021 Latin Business Week 중남미 진출전략 설명회 2017.5 17-022 중국 소비재 수출환경 변화 및 진출전략 설명회 2017.6 우리 수출의 한계,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 KOTRA 창립 55주년 17-023 2017.6 기념 중소기업 글로벌 비즈니스 포럼 KOTRA 해외수주협의회 제28차 수요포럼 : 해외 노후 인프라 17-024 2017.7 개선·해체 시장 현황 및 진출방안 17-025 2016/17년 산업·무역·투자 KSP 결과공유 세미나 2017.7 17-026 (매칭페어) 제2차 한류콘텐츠 간접광고(PPL)활용 상담회 2017.7 17-027 중국 동북 바이어, 이런 제품 찾는다 2017.8 17-028 해외 수입규제 및 비관세장벽 대응전략 세미나 2017.9 Novo Nordisk와 함께하는 글로벌 협력 컨퍼런스 : Global 17-029 2017.9 Alliance Project with Novo Nordisk 17-030 2017 글로벌 화장품 트렌드 포럼 2017.9 KOTRA 해외수주협의회 제29차 수요포럼 : 엔지니어링산업 17-031 2017.10 해외진출 역량 강화 방안

□ KOCHI자료

번 호 제 목 번호부여일 17-001 2016년 대중 수출 평가와 2017년 전망 2017.1 17-002 2017 차이나 비즈니스 트렌드 2017.2 17-003 미중 통상관계 전망과 시사점 2017.3 2017년 중국의 경제정책과 진출 시사점: 전인대(3/5~15일) 17-004 2017.4 <정부업무보고>를 중심으로 17-005 중국 환경산업 현황 및 외자기업 진출사례 2017.5 17-006 2017 홍콩 신정부 출범으로 보는 중-홍콩 경제관계 현황 및 전망 2017.5 17-007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추진 동향과 시사점 2017.5 17-008 중국 화장품, 식품 수출 핸드북 2017.6 17-009 2017 중국진출 한국기업 경영실태 조사 2017.6 17-010 KOTRA 중국지역 마케터 100인에 물었다 2017.6 17-011 2016 북한 대외무역 동향 2017.7 17-012 한중 경제관계 중장기 변화 추세와 과제 2017.8

- 42 - □ GIP (Global Issue Paper)

번 호 제 목 번호부여일 17-001 미국의 對수단 경제제재 해제 및 향후전망 2017.1 17-002 미국의 국경조정세 도입 동향과 우리 경제, 산업에 미치는 영향 2017.2 미국 국별 무역장벽보고서(NTE)의 한·중·일 무역·투자 장벽 분석 17-003 2017.4 및 시사점 美 통상정책 변화에 따른 독일 자동차 업계 동향과 우리에게 주는 17-004 2017.6 시사점 일본-EU EPA 합의의 주요내용, 현지반응 및 영향 : 기업 시각을 17-005 2017.9 중심으로

- 43 - 작성자

◈ 전략시장진출지원단 남다현 ◈ 전략시장진출지원단 신재훈 ◈ 테헤란무역관 박재영

Global Market Report 17-035

이란 민영화 현황과 시사점

발 행 인 ❚ 김재홍 발 행 처 ❚ KOTRA 발 행 일 ❚ 2017년 10월 16일 주 소 ❚ 서울시 서초구 헌릉로 13 (06792) 전 화 ❚ 02) 1600-7119(대표) 홈페이지 ❚ www.kotra.or.kr 문 의 처 ❚ 전략시장진출지원단 (02-3460-3386)

ISBN : 979-11-6097-380-8 (95320)

Copyright ⓒ 2017 by KOTRA. All rights reserved. 이 책의 저작권은 KOTRA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에 의해 한국 내에서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이란 민영화 현황과 시사점

Global Market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