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2015.11.15, Bi-Weekly, No. 176

▣ 투자•프로젝트 Focus 필리핀 지식재산권 보호 정책 및 동향 - 2015 스페셜 301조 보고서에서 최고 성과를 낸 국가로 평가

▣ 투자 단신 기지전환개발청, 민간업체에 수빅-클락-딸락 고속도로 운영권 이양 C-5 Link Expressway 프로젝트, 올해 준공 계획 필리핀 전력공사, 디젤발전소-수력발전소 전환에 4억 페소 지출 계획 따알 호수 도로, 지역 관광업 촉진 신한은행, 필리핀 마닐라 지점 개점 일본 대기업 Marubeni, 필리핀 시장 확장 계획 아시아계 투자회사, 클락에 1억5000만 달러 투자

▣ 주간 경제 동향

▣ 투자진출 A to Z 필리핀으로 화장품 수출할 때 필요한 서류가 무엇인가요?

▣ 안내사항 해외 무역/투자/프로젝트 심층정보 보기 - KOTRA 무역투자 정보포탈(Globalwindow.org)안내

▣ 필리핀 인프라 프로젝트 현황

▣ 주요 경제 지표

▣ 해외투자진출 관련 정보서비스 안내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지난 호 보기 OIS(해외진출정보시스템) 및 ‘필리핀 비즈니스 클럽(온라인카페)’ 운영 한국투자기업지원센터 법률/세무 고문 무료 상담 해외투자․프로젝트 심층정보 보고 - 무역투자 정보포탈(Global Window) 안내 전문자료 보기 (KOTRA 마닐라 무역관 발간) - 필리핀 투자프로젝트뉴스 모음집 (2015.1) - 필리핀 투자실무가이드 2011 전면개정판 (2011.12월) - 필리핀 노동법 핵심정리(2011.3) - 필리핀 광물자원 개발투자 가이드(2010.11) - 필리핀 IPP(독립/민자발전) 프로젝트 진출가이드 (2010.5) - 필리핀 RE(재생에너지)/CDM 프로젝트 진출가이드 (2009.10) - ADB 프로젝트 진출가이드 (2009.9)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투자•프로젝트 Focus 필리핀 지식재산권 보호 정책 및 동향 - 2015 스페셜 301조 보고서에서 최고 성과를 낸 국가로 평가 -

□ 필리핀 지식재산권 개요

○ 필리핀은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 가입국이며 2002년 저작권협약(WIPO Copyright Treaty)과 공연 및 음반협약(WIPO Performances and Phonograms Treaty)에도 가입하였음.

○ 필리핀은 지식재산권 관련 국내법 개정 및 단속이 미비하고 사법제도가 제대로 운용되지 않고 있는 국가로 인식되어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스페셜301조에 의거 2006년 필리핀을 지식재산권 우선 감시대상국으로 지정했지만, 필리핀 정부의 개선 노력을 인정받아서 2014년 5월 감시대상국에서 제외되었음. - 2015년 스페셜301조 보고서는 필리핀이 범정부 차원의 지식재산권 보호 노력으로 최고의 성과를 냈다고 평가함. * 스페셜301조 : 지식재산권과 관련하여 공정하지 못한 관행 철폐를 목적으로 제정된 미국의 통상법 조항인 종합무역법(Omnibus Trade Act) 182조

□ 필리핀이 가입한 지식재산권 관련 국제 협약 현황

○ 필리핀은 다음과 같은 지식재산권 관련 국제 협약에 가입함.

조약명 내용 저작권 존속시간(50년), 조약 가입국 국민의 내국인 대우, 베른협약 최소한의 보호, 무방식 주의, 소급보호 규정 로마협약 저작물을 실연 혹은 배포하는 저작인접권자의 보호방안 최혜국대우 원칙, 컴퓨터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반도체, 무역 관련 지식재산권 협약(TRIPs) 집적회로, 영업비밀 등도 보호 대상으로 추가 WIPO 저작권협약 및 WIPO 공연 저작권을 인터넷으로 전파되는 문화예술 작품까지 확대 적용 및 음반협약

□ 지식재산권 관련 법률 현황

○ 필리핀 지식재산권법(공화국법 제8293호)은 지식재산권 관련 규정과 필리핀 지식재산권청(IPOPHL)의 기능과 권한을 설정하였음. - 보호 영역은 특허권, 실용신안권, 산업디자인권, 상표권, 저작권으로 분류함.

○ 2013년 필리핀 정부는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를 위해 수정법안(공화국법 제10372호)을 발효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필리핀 지식재산권 수정안 주요 내용>

① 지식재산청 조직 확장으로 저작권 보호 강화 ㅇ 6개국에 저작권국을 추가하여 총 7개국으로 확장 - IPO 6개국 : 법무, 특허, 상표등록, 서류‧정보‧기술 이전, 정보관리서비스, 행정

② 지식재산청 권한 강화 ㅇ 지식재산 단속기관인 경찰, 국가수사국, 세관 등 공권력에 단속을 요청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 ㅇ 지식재산권 침해 현장이나 사업장에 방문 단속이 가능한 권한을 부여 ㅇ 저작권 신탁관리 관련 조항이 삽입되고, 지식재산청에 인가권을 부여

자료원 : 필리핀 지식재산청(IPOPHL), 한국저작권위원회 필리핀 사무소

○ 기타 법률은 다음과 같음.

법률 내용 인터넷이나 기타 통신 네트워크 사용으로 저작권 보호대상 자료(녹음 음원이나 전자상거래법 음반, 혹은 작품의 정보 등)를 불법 복제 또는 무단복사, 재생, 배포 또는 유통, 수입하는 행위를 규제 광디스크의 수입, 수출, 생산을 담당하는 법으로 복제에 관련된 도구와 재료 규제 광매체법 - 국제 통용 식별코드 시스템 도입으로 식별코드를 모든 디스크에 삽입하여 디스크 제조, 복제 등의 출처 추적 가능 캠코딩금지법 극장과 기타 전시 시설에서 무단 시청각 녹음 행위 규제 정부 출자의 연구 개발 행위로부터 발생한 지식재산권의 소유권, 관리, 사용, 기술이전법 상용화에 대한 법적 근거를 제공

○ 필리핀 지식재산권법은 저작권 침해 행위를 다른 권한보다 강하게 처벌함.

<지식재산권법 처벌내용>

처벌 내용(징역 혹은 벌금) 위반 행위 징역 벌금 특허권 침해 6개월~3년 10만 페소(약 2117달러)~30만 페소(약 6353달러) (실용신안, 디자인권 포함) 상표권 침해 2년~3년 5만 페소(약 1,058달러)~20만 페소(약 4,235달러) 1차 1년~3년 5만 페소(약 1,058달러)~15만 페소(약 3,176달러) 저작권 침해 2차 3년~6년 15만 페소(약 3,176달러)~50만 페소(약 1만588달러) 광매체법 위반 3년~6년 최대 150만 페소(약 3만1841 달러) 캠코딩 금지법 위반 6개월~6년 5만 페소(약 1,058달러)~7만5000 페소(약 1,592달러)

자료원 : 필리핀 지식재산청(IPOPHL)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특허권

○ 외국인 특허 등록 건수는 2013년까지 꾸준히 상승하였으며 전체 등록 건수에서 외국인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특허 등록 동향> (단위 : 건, %) 년도 외국인 증감률 내국인 합계 증감률 2011 1,125 6.3 26 1,151 6.2 2012 1,386 23.2 18 1,404 22.0 2013 2,039 47.1 29 2,068 47.3 2014 1,999 -2.0 23 2,022 -2.2 2015 5월 1,727 22 1,749 자료원 : 필리핀 지식재산청(IPOPHL)

○ 관련 기관 및 부서 : 지식재산청 특허국(Bureau of Patents)

○ 특허요건 - 이미 알려지지 않은 신기술, 현 산업 문제에 대한 기술적 해결책 - 인간 활동 범위 내 - 선행기술과 다르더라도 그 기술로부터 쉽게 생각해 낼 수 없는 것

○ 특허범주 - 상품(기계, 장치, *제조물품성, 물질구성, 미생물) - 방법(사용방법, 제조방법, 비유기성 방법, 미생물학적 방법) - 컴퓨터 관련 발명 * 제조물품성 : 디자인 특허권을 인정받기 위해선 반드시 표현되는 물품

○ 보호 기간 : 20년(이후 지식재산청 공표로 특허 공유)

○ 신청방법 및 제출서류 ‧ 지식재산청 1층 AFHRDSB(Administrative, Financial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Services Bureau)의 Receiving Section/Counter 방문 신청 신청방법 방문 ‧ 주소 : 28 Upper McKinley Road, McKinley Hill Town Center Fort Bonifacio, Taguig City 1634, 출원서 출원인, 대리인, 발명(고안)의 명칭 등 ‧ 발명의 상세한 설명 명세서 제출서류 ‧ 청구범위 : 특허발명의 보호범위 도면 필요한 경우 기술구성을 도시하여 발명을 명확히 표현 요약서 발명을 요약정리(기술 정보로 활용) ※ 출원서를 제외한 나머지 서류는 4부 제출 필요 ※ 양식은 IPOPHL 홈페이지 http://www.ipophil.gov.ph/index.php/services/patents/forms 다운로드 가능 자료원 : 필리핀 지식재산청(IPOPHL)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심사 절차 및 내용

절차 내용

‧ 서식의 필수 사항 기재 여부, 기간의 준수여부, 증명서 첨부 여부, 수수료 납부 여부 등 절차상의 흠결을 점검하는 심사 ‧ 특허 신청에 있어 신청일자가 중요한데 이는 필리핀이 한국과 같이 방식심사 *선출원주의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임. * 선출원주의 : 발명이 이루어진 시기와 관계없이 특허청에 먼저 출원한 발명에 권리를 부여

출원 후 1년 6개월이 지나면 자동으로 그 기술 내용을 특허청이 공보의 출원공개 형태로 일반인에게 공개하게 됨.

‧ 특허 요건을 심사 ‧ 출원자는 공표 후 6개월 안에 실체심사가 요구하는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실체심사 미제출 시 출원 포기로 간주함. ‧ 심사관이 거절이유를 발견하면 이를 출원인에게 통보하고 출원인의 보정서 제출 후 다시 심사하게 됨.

- 해당 출원이 특허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심사관은 특허 부여를 결정 결정 및 거절 - 보정서 심사 후 거절 이유가 해결되지 않으면 특허 부여를 거절

특허 부여 후 6개월 안에 IPO 공보 형태로 공개되며 이에 관심 있는 일반인은 공개 명세서와 도면을 조사할 수 있음

- 모든 출원 신청자는 최후 특허 거절 통지 후 2개월 안에 특허청장에게 재심사를 요구할 수 있음 재심사 청구 - 출원 신청자는 거절결정불복심판을 청구할 수 있으며 결과에 불복 시 대법원에 청구할 수 있음.

자료원 : 필리핀 지식재산청(IPOPHL)

□ 상표권

○ 외국인 상표권 등록건수는 2014년까지 꾸준히 상승하였음.

<상표권 등록 동향> (단위 : 건, %) 년도 외국인 증감률 내국인 합계 증감률 2011 7,057 14.1 6,504 13,561 12.2 2012 7,641 8.3 7,369 15,010 10.7 2013 8,040 5.2 6,645 14,685 -2.2 2014 11,197 39.3 8,287 19,484 32.7 2015 5월 6,375 4,709 11,084 자료원 : 필리핀 지식재산청(IPOPHL)

○ 관련기관 및 부서 : 지식재산청 상표국(Bureau of Trademarks)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상표 등록 제한 사유 제한 사유 예 “DURABLE” for shoes(품질 표시) 성질 표시 “A LITER” for cooking oil(수량표시) 등 “BOLPENS” for pencils 잘못된 정보 전달 “COLA” for alcoholic beverages 특정 종류의 상품에 관용적으로 쓰일 경우 ”CAFFE” for coffee 선량한 풍속에 어긋나거나 공공의 질서를 해칠 “PRO-TERRORISM” for clothing. 우려가 있을 경우 이름, 초상화, 지도, 국기 및 기타 정치적 상징 포함 Manny Pacquiao 사진을 상표로 사용 식별력 없는 형태와 색상 포함, 다른 등록 상표와 유사 자료원 : 필리핀 지식재산청(IPOPHL)

○ 보호기간 - 상표권의 보호기간은 설정등록이 있는 날로부터 10년이며 10년마다 그 기간을 갱신할 수 있음. - 갱신을 위해 다음 서류를 제출해야 함.(미제출 시 등록 취소) a. 등록 후 처음 3년 동안 실제 상표 사용 증빙(예: 라벨, 브로슈어 등) b. 등록 후 5년 후에 실제 상표 사용 증빙(1년 안에 제출)

○ IPO는 웹사이트를 통해 TMview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TMview는 상표를 출원하기 전 출원 상표의 특징을 전 세계 2530만 개의 상표와 비교하여 유사한 상표가 있는지 검색할 수 있는 프로그램임.(무료이며 24시간 검색이 가능) - 아세안(ASEAN)이 공동 출시한 아세안 온라인 TMview로 ASEAN 상표 관련 자료를 이용할 수 있음.

○ 신청방법 및 제출서류 ‧ 지식재산청 1층 AFHRDSB(Administrative, Financial and Human Resource 신청방법 방문 Development Services Bureau)의 Receiving Section/Counter 방문 신청 제출서류 출원서 출원인, 대리인, 상표 디자인 등 자료원 : 필리핀 지식재산청(IPOPHL)

□ 저작권

○ 저작권 등록건수는 2013년 소폭 상승하였음.

<저작권 접수 및 등록 동향> (단위 : 건, %) 년도 접수 증감률 등록 증감률 2012 616 609 2013 714 15.9 648 6.4 2014 652 -8.7 616 -4.9 2015 5월 210 193 자료원 : 필리핀 지식재산청(IPO)

○ 관련 기관 및 부서 - 국립도서관 - 지식재산청 저작권국(Bureau of Copyright and Other Related Rights)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종류 및 보호기간 정의 저작물을 창조한 저작권자의 권리 저작재산권 보호기간 저작자 사후 50년 저작물을 문화콘텐츠의 형태로 복제, 배포 과정에 관계하는 자의 권리 정의 저작인접권 실연자(공연하는 사람), 음반제작자, 방송사업자가 이에 포함 보호기간 실연자 사후 50년 정의 저작자나 예술가가 자신의 작품에 가지는 부권(the right of paternity) 저작인격권 보호기간 저작자 사후 50년 자료원 : 필리핀 지식재산청(IPO), 한국저작권위원회 필리핀 사무소

○ 저작권 비보호 대상 - 아이디어, 절차, 제도, 방법이나 운영, 개념, 원칙, 발견 또는 단순한 데이터 - 당해 일자의 뉴스나 언론정보의 성격을 가진 그 밖의 일반적인 사실에 대한 뉴스 - 입법, 행정, 사법부의 공적인 문서와 그 공식 번역물 - 필리핀 정부 저작물

○ 신청방법 및 제출서류 ‧ 국립도서관 Copy Right Section 신청방법 ‧ 주소: 5/F East Wing, NLP Building, T.M. Kalaw Avenue, , Philippines ‧ 홈페이지 : http://web.nlp.gov.ph/nlp/?q=node/646 ‧ 출원서 양식 사본 2부 ‧ 작품 사본 2부. 제출서류 ‧ 작품이 도서(사본), 노래(CD), 그림‧디자인(사진을 찍어 CD에 파일 저장), 창작 장식물(기술적인 디자인의 설명서) 제출 ‧ 공술서 지식재산청 1층 AFHRDSB(Administrative, Financial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신청방법 Services Bureau)의 Receiving Section/Counter 방문 신청 ‧ 출원서 양식 사본(2부) 제출서류 ‧ 원작품 사본 2부 혹은 저작물의 사본이 포함된 CD나 플래시 드라이브 디스크 자료원 : 필리핀 국립도서관, 필리핀 지식재산청(IPOPHL), 한국저작권위원회 필리핀 사무소

□ 지식재산권 침해 및 단속 담당 기관

○ 지식재산권 침해 시, 법원에 침해 소송(민사 또는 형사)을 제기하거나 지식재산청 법무국(BLA)에 행정 소송을 제기할 수 있음.

<지식재산권 피해 관련 담당 기관> 구분 기관 조치사항 ‧ 처분금지 가처분 행정조치 지식재산청 법무국 ‧ 잠정적 금지 명령 사법조치 소재지 지방법원 ‧ 민/형사 사건 심리 및 판결 ‧ 필리핀 국가 수사국(NBI) 지식재산권부(Intellectual Property Right Division) ‧ 필리핀 경찰청(PNP) 사이버범죄팀(Anti-Cybercrime Group) 피해신고기관 ‧ 필리핀 경찰청(PNP) 사기/경제범죄팀(Anti-Fraud and Commercial Crime Div.) ‧ 광매체위원회(Optical Media Board) 자료원 : 한국저작권위원회 필리핀 사무소, 필리핀 지식재산청(IPOPHL)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2014년 1월부터 11월까지 저작권 침해 담당 정부기관은 약 2억8271만 달러 가치의 저작권 침해 물품을 압수하였음. - 압수된 물품은 모조품(시계, 핸드폰 등 디바이스 등), 해적판 CD, DVD, 책, 의약품, 디자이너 가방, 신발 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함.

<정부기관별 압수 물품 금액(2014년 1월~11월)> (단위 : 천 달러)

부문 금액 NBI(국가조사국) 17,551 PNP(필리핀 국가경찰) 3,659 OMB(광매체 위원회) 16,371 BOC(관세청) 45,851 FDA(식품의약청) 579 기관 합동(NBI, IPOPHL, BOC) 198,706 합계 282,717

자료원 : 필리핀 지식재산청(IPO)

□ 법적 분쟁 사례

○ 한국저작권위원회 필리핀 사무소가 발간한 저작권보호가이드북에서 다음과 같이 지식재산권 관련 법적 분쟁 사례를 소개함.

<지식재산권 법적 분쟁 사례>

사례 1 비디오 저작물 침해 증명에 대한 소송 항소인 Sony Music Entertainment (Phils), Inc. and IFPI (Southeast Asia), Ltd. Solid Laguna Corporation and Hon. Judge Dolores L. Espanol of The Regional Trial 피항소인 Court, Branch 90, Dasmarias, Cavite Sony Music Entertainment (Phils), Inc.(이하, 항소인)은 필리핀 국가수사국에 Solid Laguna Corporation(이하, 피항소인)이 비디오규제위원회)의 허가 및 승인 없이 Sony Videogram을 CD로 복제한 뒤 판매, 배포하여 항소인의 저작권을 위반하고 있다 항의함. 카비테 지방법원은 저작권법의 위반 가능성에 대해 수색영장을 발부하였고, 그 후 피항소인들의 물품들을 압류함. 피항소인은 자사가 비디오규제위원회로부터 CD 사실관계 제조 및 판매 권한을 부여받았다는 증명서를 제출하였고 해당 지방법원의 수색 영장 철회와 압류된 물품의 반환을 신청함. 이에 지방법원은 피항소인이 CD 제조 및 판매에 대해 권한이 없다는 주장은 항소인의 주장일 뿐이며 위반 또한 명확하지 않고, 비디오규제위원회로부터 피항소인은 이미 권한을 부여받은 부분이 증명되었으므로 발부된 수색 영장들은 항소인의 상당한 증거부족으로 인해 취하함. 그러나 항소인은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해 항소를 제기함.

법원은 저작권 침해 사건의 경우 수색 영장을 적용하는 부분에 있어 증거나 관련 판결요지 서류가 유죄의 여부를 충분히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불법 복제 마스터 테이프의 존재 여부부터 밝혀져야 한다 강조함. 결과적으로 해당 항소는 기각됨.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사례 2 저작권 등록증명서와 저작물 소유권에 관한 소송 원고인 Manly Sportswear Manufacturing, Inc. 피고인 Dadodette Enterprise and Hermes Sports Center

Manly Sportswear Manufacturing, Inc.(이하, 원고인)은 필리핀 국립도서관에 그들의 상표가 이미 등록되어 있으나, Dadodette Enterprise과 Hermes Sports Center(이하, 피고인)들은 원고인의 등록 상표 Manly를 그들의 상품에 함께 삽입해왔으며 이것은 사실관계 저작물에 대한 침해라고 주장함. 하지만 법원에서는 Manly라는 상표는 이미 시장에 보편화 되어있는 상품 문자로서 이는 저작권법 제172항에 포함되지 않는 저작물이라 보고, 원고인에 대한 주장을 무효로 판결 내림.

법원에서는 원고인의 저작물이 이미 여러 브랜드들의 상표나 마크로 시장에 판결요지 보편화 되어있으며 이는 원저작물에 대한 소유권이 인정될 수 없기 때문에 본 저작권에 대한 유효성은 저작권 등록 증명서만으로는 인정될 수 없다 판결함.

자료원 : 한국저작권위원회 필리핀 사무소

□ 시사점

○ 필리핀은 오랫동안 지식재산권 보호 기반이 취약한 국가로 인식되었지만 최근 지식재산권 보호에 관한 정부의 정책 수립으로 스페셜 301조 보고서는 필리핀을 가장 높은 성과를 이룬 국가로 평가함.

○ 하지만 여전히 법적 소송 기간이 길고 그에 따른 중재 위주로 갈등을 해소하고 있으므로 사전에 지식재산권 침해를 당하지 않도록 관련 법규 및 절차를 숙지해야 함.

자료원 : 필리핀 지식재산청(IPOPHL), 한국저작권위원회 필리핀 사무소, 필리핀 국립도서관, 마닐라 무역관 자료 종합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투자 단신

기지전환개발청, 민간업체에 수빅-클락-딸락 고속도로 운영권 이양

□ 11월 5일 필리핀 기지전환개발청(BCDA)은 Manila North Tollways Corp(MNTC)에 수빅-클락-딸락 고속도로(SCTEX, Subic-Clark-Tarlac Expressway)의 운영권을 이양하였음. ○ 기지전환개발청 관계자는 MNTC와 체결한 28년 운영‧유지보수 계약 동안 2,750억 페소(약 58억 6120만 달러)의 수익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 전체 수익 중 절반인 1,370억 페소(약 29억1994만 달러)는 BCDA에게 배당되며 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일본국제협력기구(JICA)에서 빌린 250억 페소(약 5억3283만 달러)를 갚는 데 사용하고 나머지는 정부의 차기 프로젝트를 위한 펀드 조성에 사용될 예정임. ○ 10월 아키노 대통령은 98km의 SCTEX의 관리, 운영, 유지보수 권한을 MNTC에 부여하는 계약을 승인 하였음. - MNTC는 올해 1월 SCTEX 관리, 운영, 유지보수 계약을 수주하였음. - 2011년 BCDA와 MNTC는 관련 계약 체결에 대하여 논의하였지만, 대통령 비서실은 투명성과 공정 경쟁을 도모하기 위해 가격 재협상을 요청하였음. - 이에 MNTC는 35억 페소(약 7억4597만 달러)의 현금 선지급(12% 부가세 포함)과 BCDA와 수익의 50:50 분배를 제시하며 최종 계약을 체결함. ○ MNTC는 Metro Pacific Investments Corp의 자회사 Metro Pacific Tollways Corp(MPTC)의 북부 지역 운영사이며 MPTC는 필리핀 최대 규모 고속도로 운영사로 필리핀 유료고속도로의 60% (마닐라-카비테 고속도로 등)를 운영하고 있음.

(Phil Star 11.6.)

C-5 Link Expressway 프로젝트, 올해 준공 계획

□ Metro Pacific Investments Corp.은 내년에 마닐라-카비테 고속도로(Manila Cavite Expressway)와 메트로 마닐라의 C-5 도로를 연결하는 8km 유료고속도로를 건설할 계획임. ○ 관계자는 C-5 Link Expressway 프로젝트로 알려진 동 프로젝트는 2019년까지 진행하는 90억 페소 (약 1억9056만 달러) 규모의 Cavitex 확장 프로젝트의 시작이며 현재 동사는 유료도로 규제 위원회 (Toll Regulatory Board)와 동 프로젝트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밝힘. - 관계자는 올해 말에 공사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힘. - 또한, 동사는 2016년 1분기까지 20억 페소(약 4,234만 달러)가 소요되는 프로젝트 초기 단계를 위한 증자를 논의 중이며 동사의 최대 주주인 Metro Pacific Investment에서 재원을 조달할 계획임.

(Inquirer 11.9.)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필리핀 전력공사, 디젤발전소-하이브리드발전소 전환에 4억 페소 지출 계획

□ 공기업인 필리핀 전력 공사(Napocor, National Power Corp)는 2017-2020 재생에너지 프로그램의 하나로 낙후 지역의 21개 독립형 디젤 소형 발전소를 하이브리드 발전소로 전환하는 사업에 4 억 페소(약 852만 달러)를 지출할 계획임. ○ 이 프로그램에서 전력공사는 2017년 568메가와트 규모의 하이브리드발전소 건립에 1억1360만 페소(약 242만 달러), 2018년 392메가와트 발전소에 7,840만 페소(약 168만 달러), 2019년 568 메가와트 발전소에 1억1360만 페소(약 242만 달러), 2020년 654메가와트 발전소에 1억2480만 페소(약 266만 달러)를 지출할 계획임. ○ 전력공사 관계자는 21곳의 후보지역을 선정하였다고 밝힘. - 2017년 일로일로(Iloilo)의 알마그로(Almagro)와 사마르(Samar)의 니노 아일랜드(Sto. Niño Islands), 세부(Cebu)의 니노 아일랜드(Sto. Niño Islands)와 둥 아일랜드(Doong Island), 빌리란 (Biliran)의 마리피피 아일랜드(Maripipi Island)에 있는 디젤발전소가 전환될 계획임. - 2018년 술루(Sulu)의 루우크 아일랜드(Luuk Island), 롬블론(Romblon)의 반톤(Banton)과 컨셉시옹 아일랜드(Concepcion Island), 사마르(Samar)의 타갈푸란 아일랜드(Tagapul-an Island), 타위타위 (Tawi-Tawi)의 발림빙 아일랜드(Balimbing Island) - 2019년 세부(Cebu)의 구인타칸(Guintarcan), 사마르(Samar)의 산빈센떼(San Vicente), 타위타위 (Tawi-Tawi)의 신탕카이 아일랜드(Sintangkay Island), 잠보앙가(Zamboanga)의 사콜 아일랜드 (Sacol Island), 퀘존(Quezon)의 조말리그 아일랜드(Jomalig Island) - 2020년 남부 레이떼(Southern Leyte)의 리마와사 아일랜드(Limawasa Island), 타위타위 (Tawi-Tawi)의 마눅망카우 아일랜드(Manuk-Mangkaw Island), 사랑가니(Sarangani)의 발룻 아일 랜드(Balut Island), 수리가오(Surigao)의 힉돕 아일랜드(Hikdop Island), 이사벨라(Isabela)의 팔라난 (Palanan)에 있는 디젤발전소가 전환될 계획임.

(Phil Star 11.5.)

따알 호수 도로, 지역 관광업 촉진

□ 바탕가스(Batangas)의 아곤실로 타운(Agoncillo town)에 위치한 4.6km 따알(Taal) 호수 순환도로 완공으로 칼라바르손 지역의 광관업을 촉진하고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됨. ○ 필리핀 관광부(DOT)와 공공사업도로부(DPWH)는 공식적으로 7700만 페소(약 162만9800 달러) 가치의 순환도로를 아곤실로 지방 정부에 이양하였음. - 관계자는 순환도로 완공으로 투자자들이 로럴(Laurel), 탈리사이(Talisay), 아곤실로(Agoncillo), 산 니콜라스(San Nicolas), 산타 테레시타(Sta.Teresita), 알리타그타그(Alitagtag) 지역을 눈여겨 볼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힘. ○ 아르곤실로 도로 프로젝트는 122.9km 길이의 바탕가스 도로 프로젝트의 하나로 정부의 관광업 부흥 프로그램 하에 진행되었음. ○ 또한, 정부는 따알 호수 개발청의 설립을 추진하여 호수와 주변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예정이라고 밝힘. ○ 따알 호수 순환도로는 2019년에 모든 구간이 완공될 계획이며 바탕가스의 주요 관광 명소인 따알 화산 지역을 지날 예정임.

(Manila Times 11.9.)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신한은행, 필리핀 마닐라 지점 개점

□ 신한은행은 11월 4일 마닐라의 신 금융중심지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에 신한은행 78번째 해외 네트워크인 마닐라 지점을 개점했다고 5일 밝힘. ○ 마닐라 지점 개점은 2014년 필리핀 금융시장 재개방 이후 한국계 은행의 첫 진출 사례임. ○ 한국 기업과 교민들은 물론 필리핀 현지 기업과 다국적 기업 등을 대상으로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임.

(국내일간지종합 11.6.)

일본 대기업 Marubeni, 필리핀 시장 확장 계획

□ 일본 대기업 종합상사 Marubeni가 필리핀에서 100% 지분 기업 설립으로 사업 확장을 계획하고 있음. ○ 기업 관계자는 필리핀 국내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신규 자동차 브랜드를 유통하기 위해 필리핀에 새로운 그룹 설립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힘. - 또한, 현재 일본 자동차 시장은 축소되고 있으며, 동사는 새로운 시장을 찾고 있다고 밝힘. ○ 아세안 자동차 협회(ASEAN Automotive Federation)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필리핀의 자동차 판매량은 아세안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베트남과 싱가포르가 그 뒤를 차지함. - 9월 기준 자동차 판매량은 206,284대로 작년 동기대비 21.5% 상승하였음. ○ 현재, 동사는 상용차 제조 및 조립업체 Hino Motors Philippines Corp.에 20%의 지분을 소유하는 방식으로 필리핀 자동차 산업에 진출해 있음.

(Phil Star 11.9.)

아시아계 투자회사, 클락에 1억5000만 달러 투자

□ ADM Capital와 BPE Asia Real Estate가 클락 자유무역항 지역에 다섯 개의 오피스 타워 건축을 위해 1억5000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임. ○ 두 회사는 사모투자전문회사로 홍콩에 기반을 두고 있음. - 이 프로젝트는 필리핀의 부동산 개발 분야에서 가장 큰 외국인 투자이며, 이로 인해 클락 자유 무역항 지역은 새로운 오피스 및 물류 중심지가 될 것으로 기대됨. - 두 회사는 공동성명에서 클락의 Global Gateway Logistics City(GGLC) 내에 A등급 오피스 건물과 인프라를 건설 계획에 자금을 댈 것으로 밝힘. - 두 회사는 현재 중부 루존에 전체면적 14만2000 sp의 오피스 빌딩 건설에 재원을 제공하는 컨소시엄을 주도하고 있음. ○ 동 프로젝트로 GGLC 부지에 첫 번째 오피스 건물이 건설될 예정이며 580만 sq 규모의 오피스, 물류, 공업, 소매, 호텔 공간을 제공할 예정임. - 현재 KGL Investment Co.(KGLI)은 ADM Capital과 BPE Asia.의 재원을 받아서 GGLC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번 달 준공을 시작할 계획임.

(Phil Star 11.9.)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주간 경제 동향

▣ 필리핀, 3분기에 굶주림 상황 악화

◦ 필리핀의 비자발적 굶주림이 3/4분기 15.7%로 금년 들어 처음으로 악화된 것으로 조사 - 필리핀 Social Weather Stations(SWS)가 9월 2일부터 5일까지 전국 12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비자발적 굶주림이 이전 분기 12.7%에서 15.7%로 나타나 총 350만 가구가 비자발적 굶주림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 - 비자발적 굶주림 상황은 2014년 3/4분기에 22.0%에서 4/4분기 17.2%, 2015년 1/4분기 13.5%, 2/4분기 12.7%로 계속 개선되다가 3/4분기에 15.7%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나

◦ 필리핀의 굶주림은 과거 3개월 동안 비자발적으로 한 번이라고 굶은 적이 있는 경우를 뜻해 - 굶주림에는 과거 3개월 동안 단지 1회 또는 몇 차례만 굶은 것을 경험한 “온건한 굶주림”은 310만 가구에 해당하는 14.1%로 조사되었으며 항상 또는 자주 굶는 “심각한 굶주림”은 36만 1000가구에 해당하는 1.6%로 조사되어 - 전국적으로 온건한 굶주림은 이전 분기 10.8%에서 3.3%가 증가하였으며 심각한 굶주림은 1.9%에서 0.3%가 감소하여 심각한 굶주림 상황은 개선된 것으로 조사

▣ 필리핀 Lazada, 크리스마스 시즌 겨냥 할인판매

◦ 필리핀의 최대 온라인 소매업체인 Lazada는 크리스마스 시즌을 겨냥한 할인판매를 11월 11일부터 12월 12일까지 실시한다고 발표 - 이번 세일기간 동안 최대 95%까지 할인을 하는 Lazada는 1개월간의 세일을 통해 방문객 수 증가뿐만 아니라 필리핀에서의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 - Lazada는 작년 세일기간 동안 평일의 10배가 높은 판매를 기록하였다며 이번 세일에도 높은 판매실적을 기대

◦ 필리핀 Lazada는 작년 세일에는 10만 개의 상품을 판매하였으나 금년 세일기간에는 열 배가 많은 100만 개의 상품을 판매할 것이라고 밝혀 - 필리핀 Lazada는 남동아시아 6개 국가 온라인 시장 중에서 필리핀이 가장 높은 성장을 기록하는 시장성이 좋은 국가라고 평가하고 적극적인 마케팅을 전개할 것이라고 밝혀 - 필리핀은 남동아시아 국가들 중에서 인도네시아에 이어 2번째로 큰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 필리핀 공항, 개인화물 비닐포장 사업 때 아닌 호황

◦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NAIA)의 실탄심기(Bullet Planting) 논란으로 공항의 개인화물 비닐포장 사업이 호황을 맞고 있어 - 공항 승객을 대상으로 강탈을 목적으로 하였던 아니던 스캔들이 발생하자 많은 항공 승객들이 도난과 개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짐을 비닐로 포장하기 시작 - 제3공항에서는 짐의 크기와 상관이 없이 비닐로 감싸주는데 1개 당 160페소를 받고 있으며, 비닐 포장 비즈니스는 제1공항에서 처음 시작되었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철수되었다고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실탄심기 논란이 최근에 분출되면서 NAIA 제3공항의 비닐포장 사업은 수익성이 높아지고 있어 - 제3공항 국제선 또는 국내선 항공 이용객들은 비닐포장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데 익명의 공항 관계자는 사취에 관한 뉴스가 나오자 승객들은 비닐포장을 하는 것이 안전하다며 자기 짐 보호에 돈을 쓰고 있다고 밝혀 - 일부 해외거주노동자(OFW)는 비용절감을 위하여 공항에 들어오기 전에 짐을 포장용 테이프로 싸서 오기도 하는 실정 - 한편 공항 운송보안 관리는 탑승지역에서 몇 미터 떨어진 공항 최종 보안체크에서 대부분 실탄이 발견되고 있다며 화물 짐의 비닐포장 실효성에 의문을 표시

▣ 필리핀 해외거주노동자, 실탄심기에 송금 없는 날로 항의

◦ 필리핀 해외거주노동자 그룹 대표는 2일 공항에서의 실탄심기모략에 대응하기 위하여 송금 없는 날을 실시하겠다고 발표 - 니노이아키노국제공항(NAIA)에서 출국 또는 입국자 짐에 기내용이던 화물용이던 운반이 금지된 실탄을 집어넣은 후 봐주는 대가로 뇌물을 요구하는 스캔들이 발생하자 이와 같이 대응 - 실탄심기에 대한 아키노정부의 조치가 없는 것에 대응하기 위하여 해외거주노동자들이 투쟁하는 방법으로 무 송금 날을 정하겠다고 발표

◦ 해외거주노동자 단체는 지난 8월 세관에서 해외거주노동자들이 귀국할 때 가져오는 선물용 박스 (Balikbayan)를 무작위 개봉 검사하는 것에 항의하기 위하여 송금 없는 날을 추진한 바 있어 - 해외거주노동자 단체는 송금 없는 날이었던 8월 28일에 약 30억 페소가 필리핀으로 송금되지 않았다고 주장 - 한편 대통령실 대변인은 실탄심기 문제를 흔히 일어나는 일이 아니지만 가볍게 여기지 않는다며 교통통신부가 공항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금주 중 보고할 것이라고 밝혀

▣ 필리핀, 금융상품 판매에 신규 규정도입

◦ 필리핀 중앙은행은 적절치 않은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위험이 증가하고 있다며 금융상품 마케팅 및 판매에 대한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정 - 필리핀 중앙은행은 지난 10월 29일 개최된 금융위원회 회의에서 “최소 기대(Minimum Expectation)”라는 신규 규정을 마련하고 금융상품과 유사 금융상품을 판매하는 금융기관을 감독할 것이라고 3일 발표 - 이에 따라 금융기관들은 고객들에게 제공되는 금융상품의 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적절한 정책과 절차 및 통제가 되었는지 감독을 받게 되어

▣ 필리핀, 3분기 시멘트 판매 18.6% 증가 ◦ 필리핀의 시멘트 판매가 3분기에 18.6%가 증가하여 5분기 연속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어 - 필리핀시멘트제조업체협회(CeMAP)는 지난 3분기 시멘트 판매량이 640만 톤으로 전년 동기 540만 톤에 비해 1백만 톤 증가하였다고 발표 - 필리핀은 공공 및 민간분야에 있어서 수 개의 인프라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정부의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예산이 확대됨에 따라 시멘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또한 필리핀의 기후가 작년에 비해 좋은 것과 함께 APEC 정상회담도 수요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연말까지 시멘트 판매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기대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필리핀 우버(Uber) 택시, 현찰지급 실험 중

◦ 필리핀 우버 택시는 고객층을 확대하기 위하여 3일부터 현찰도 받는 것을 시범적으로 실시 - 메트로 마닐라에서 우버 택시 고객들이 현찰로 비용을 지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기 시범 실시 이후 후 주내에 점진적으로 도입할 것이라고 밝혀 - 필리핀 우버 택시는 현재까지 신용카드 지급만 가능하였으나 현찰지급도 가능하게 되면 인도, 케냐, 사우디아라비아 및 베트남에 이어 5번째로 현찰을 받는 국가가 되는 셈

▣ Poe, 친부모 확인 DNA 테스트 결과 불일치로 나와

◦ 필리핀 대통령 선거 후보로 나선 그레이스 포에 상원의원은 친부모 확인에 대한 DNA 테스트 결과가 부정적으로 나왔다고 밝혀 - 포에 상원의원은 2명의 가능성이 있는 친척을 대상으로 DNA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나 일치하지 않았으며 이 결과가 필리핀 태생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주장 - 포에 상원의원은 필리핀의 법적 기초가 단순히 DNA에 의존하지 않고 필리핀에서 태어난 사람의 권리에 기초한다고 주장하였으며 그레이스 포에의 법률가인 Gorge Gracia는 1935년 헌법에 의해 그레이스 포에의 시민권은 유효하다고 주장

◦ 그레이스 포에는 1968년 9월 3일에 태어난 후 일로일로 지역의 자로에 있는 교회에 버려졌으며 이후 영화배우인 페르난도 포에 부부에 의해 양녀로 입양 - 포에의 DNA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면 필리핀인 부모를 가진 포에는 자동적으로 필리핀으로써의 지위를 가져 시민권에 대한 의혹이 해소되었을 것 - 포에는 오랫동안 기다려온 가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졌지만 DNA 테스트 결과가 부정적으로 나와 실망했으며, 사생활이라는 이유로 테스트한 대상의 이름은 밝히지 않아

▣ 필리핀 최초 지하철 프로젝트, 다음 정권으로 연장

◦ 필리핀 최초로 추진되고 있는 지하철 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조사 완료시점이 2017년으로 연기됨에 따라 다음 정권에서 착공이 가능 - 필리핀 교통통신부는 일본국제협력단(JICA)에 의해 수행되는 지하철 프로젝트에 대한 완전한 타당성 조사를 위해 18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발표 - 마카티-파사이-타귁을 연결하는 지하철 시스템은 총 3745억 페소(83억 달러) 규모로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와 마카티 중심 비즈니스 지역 그리고 SM Mall of Asia를 연결할 계획

◦ 필리핀 최초 지하철은 연장 20km로 16km의 터널과 4km의 지상철도로 구성되며 11개의 역사를 갖출 예정 - 필리핀 교통통신부는 마카티, 파사이 및 타귁의 교통 혼잡을 해소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대규모 지하철 프로젝트에 대해 일본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 - 필리핀 지하철 프로젝트는 관민합동사업(PPP)로 국가경제개발청의 투자조정위원회에 의해 지난 1월 14일에 승인을 받았으나 입찰 전에 예산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절차가 남아 있어 - 필리핀 교통통신부는 지하철 프로젝트 절차 상 현 정권 임기 중 국가경제개발청의 승인을 받기 어렵고 다음 정권에 의해 진행될 것으로 평가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투자진출 A to Z

필리핀으로 화장품 수출할 때 필요한 서류가 무엇인가요?

필리핀에 화장품을 수출할 때 다음과 같은 서류가 필요합니다.

□ 구비서류

○ 신청서 양식 - Revised Assessment Slip - Application Form(공증필) - BFAD Worksheet

○ 첨부 서류 - LTO복사본, 제품공급계약서(양사 간 자유양식) - Certificate of Free Sale, Certificate of Good Manufacturing Practice, Manufacturing License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발급가능)

□ 기술서

○ 구성 - 퍼센트(%)로 표기된 제품 성분표, 성분기술서

○ 완제품 기술서 - 완전품 스펙, 성분분석 증명서, 분석방법 증빙서류

○ 그 외 입증자료 - 영문라벨이 부착된 제품박스, 제품샘플 - 추가서류 (*필리핀 식약청에서 보완요청 시 제출) ① Material Safety Data Sheet ② Bioefficacy Study ③ Toxicity Study ④ Stability Study

□ 인증 비용

○ 초기 신청비용 500페소, 등록비용 750페소 (*제품종류별 100페소 / 종류가 6개 이상의 경우, 개당 50페소)이며 초기신청 후 1년간 유효하고 연장의 경우, 신청비용 2,500페소, 등록비용 3,750페소이며 5년간 유효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안내사항 1: 해외 무역․투자․프로젝트 심층정보 보기 - KOTRA 무역투자 정보포탈 (Globalwindow.org) 안내 - KOTRA는 한국기업의 무역투자 활동 지원을 위해 전세계 국가에서 무역관이 수집한 정보를 Global Window(www.globalwindow.org)를 통해 제공하고 있는 바, 많은 활용 바랍니다. ㅇ 해외투자․프로젝트 심층/분석정보 보기: globalwindow.org/투자속보/필리핀 국가 지정후 키워드검색 (해외투자진출/프로젝트 관련 과거/최근 정보 검색 가능) ㅇ 해외시장정보: 무역통상/경제산업/상품/국가정보 등 해외진출정보를 제외한 일반 통상/비즈니스 정보를 국별(필리핀 등)로 검색 가능

【2015.1~2015.11월 중 게재된 해외시장 정보, 필리핀 마닐라무역관】 (globalwindow.org 접속/해외시장동향과 /통상정보 전체 클릭, ‘필리핀’으로 국가 지정 후 키워드 검색)

․ 필리핀 아기용품 시장 동향 ․ 필리핀 장난감·게임시장 현황 및 전망 ․ 필리핀 외식산업 현장, 토종브랜드와 해외브랜드의 진검승부 ․ 필리핀 색조화장품 시장 동향 ․ 필리핀, 2014년 물류대란 재현되나 ․ 필리핀 헤어용품 시장 동향 ․ 성장 일로의 필리핀 소형 가전주방시장 ․ 투자기업 사칭한 필리핀 무역사기 주의보 발령 ․ APEC 회의 참관기: 통관 투명성·효율성 향상으로 비즈니스 촉진 ․ 필리핀 세법 개정안 내용을 한 번에! ․ 상승세를 타고 있는 필리핀 생수시장, 진출 가능성은? ․ 필리핀 가방·주얼리·시계류분야, 견고한 성장세의 기회 시장으로 부상 ․ 2015년 하반기 대필리핀 수출, 회복세를 향해 달려가나 ․ 필리핀 국세청(BIR), 금전등록기 설치 의무화 추진 ․ 필리핀 가정용품 시장 동향 ․ 2015년 1분기 대필리핀 외국인 직접투자 감소세 ․ 필리핀 안경류 시장 동향 ․ 필리핀 정부의 자동차산업부활종합전략(CARS Program) ․ 필리핀 소매업, 내수소비시장 잠재력 막대 ․ 제23회, FRANCHISE ASIA PHILIPPINES 2015 EXPO 참관기 ․ 2015년 1분기 필리핀 부동산 시장 동향 ․ 필리핀 고형폐기물 자원화, 유망 산업으로 발전 전망 ․ 필리핀 정부, 수입 신문용지에 세이프가드 발동 ․ 필리핀 중앙은행, 모든 신용카드와 ATM카드에 EMV 의무화 발표 ․ 급격히 성장하는 필리핀 LED 전등 시장 ․ 필리핀 관광산업 동향 ․ 현대차 필리핀 딜러기업(HARI), 물류센터 건설 계획 발표 ․ 2015년 필리핀 PPP 운송 프로젝트 ․ 필리핀, EU로부터 GSP+ 부여받아 우리진출기업에 수출 기회 ․ 필리핀 온라인쇼핑몰 시장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필리핀 인프라 프로젝트 현황

○ 도로 및 다리 (총 43건)

사업규모 프로젝트명 진행 단계 (백만 달러) Samar road rehabilitation project 완공 (Polangi-Hibulwangan-Trangi-Quezon-Mabinia) Balangkayan/Llorente – Guiuan, Contract Package 4 ,Eastern samar 51 건설 중 Barangay Tenani - San Julian /Sulat boundary,Contract Package 2, 58 건설 중 Estern Samar -SLEX link road PPP project, linking southern Cavite 47 건설 중 province to the Metro Cebu Expressway PPP Project, Visayas 건설 중 National Roads Improvement and Management Program-Phase II 576.02 건설 중 Ninoy Aquino International Airport (NAIA) Expressway Phase 2 358 건설 중 NLEX Harbor Link (Segment 9 & 10) Manila, PPP 246 건설 중 Samar road rehabilitation project 건설 중 (Bangkerohan-Galutan-Imelda-Hinatad-McKinley road) Samar road rehabilitation project 건설 중 (Colab-og-Lugib-Buenasuerte-Pasabuena-Maxvilla Road ) Samar road rehabilitation project 건설 중 (Polangi-Gebulwangan-Quezon-Trangue-Mabini road) Samar road rehabilitation project (San Isidro-Lope de Vega) 건설 중 Samar road rehabilitation project (Trujillo-Duran-Gemaraganan road) 건설 중 San Julian/Sulat – Balangkayan, Package 3, Eastern Samar 56.8 건설 중 Stage 3 project (Southern Luzon Expressway to the Northern 600.3 건설 중 Luzon Expressway), STAR Tollway Upgrading and Rehabilitation Project, Batangas 57 건설 중 province Tarlac-Pangasinan-La Union toll expressway (TPLEX) BOT Project 548.47 건설 중 Cavite-Laguna Expressway(CALAX) PPP Project 1240 낙찰 Central Luzon East-West Link Expressway (CLLEX) PPP Project, 685 입찰 중 Luzon Central Luzon Link Expressway Project (CLLEX) Phase 1 340 입찰 중 (Tarlac-Cabanatuan section), PPP Integrated Transport System (ITS) Project - Southwest Terminal, 90.7 입찰 중 Taguig City, PPP Laguna Lakeshore Expressway Dike (LLED) Project 2800 입찰 중 C-5 Modern Bus Transit System Project 141.86 승인 Tarlac-Pangasinan-La Union toll expressway expansion PPP 승인 Central Luzon Link Expressway Project (CLLEX) Phase 2 324 타당성조사 (Cabanatuan - Sanjose), PPP Davao-Samal Bridge Project, Mindanao 140 타당성조사 Panay-Guimaras-Negros Road Link PPP project, Visayas 659 타당성조사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사업규모 프로젝트명 진행 단계 (백만 달러) Calamba-Los Banos Toll Expressway PPP Project, Luzon 241.39 기획 중 Cebu-Bohol Translink Bridge PPP project, Visayas 기획 중 Connector Road with four lanes and three exits in Quirino, 521.6 기획 중 Espana and 5th Avenue Edsa- Flyover, Metro Manila 70.07 기획 중 Four-lane BOT expressway project between Cavite-Laguna (CALA) 370 기획 중 expressway [Laguna side and the ODA section] Kennon Road Mordernisation PPP project, Luzon 기획 중 Manila – Bataan Coastal Road PPP Project, Luzon 기획 중 Panguil Bay Bridge PPP project, Mindanao 102.3 기획 중 Pasig-Marikina Expressway PPP Project, Luzon 기획 중 Plaridel Bypass Toll Road PPP Project, Bulacan Province 기획 중 Rehabilitation of Integrated Transport System 기획 중 Project Skyway Stage 4/C-6 Expressway (Bulacan-Rizal-Manila-Cavite 638 기획 중 Regional Expressway) PPP Project, Luzon Southern Luzon Expressway-Toll Road 4 (SLEX-TR4) 3740 기획 중 Tagum-Davao-General Santos High Standard Highway PPP 62.21 기획 중 project, Mindanao Four-lane BOT expressway project, 402.3 연기 (NLEX) - South Luzon Expressway (SLEX), PPP finance Arterial Road Bypass Project Phase II 58.7 closure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철도 (총 14건) 사업규모 프로젝트명 진행 단계 (백만 달러) Manila Light Rail Transit (LRT) Line 1, North Extension, Roosevelt 230 완공 - North Avenue Manila Light Rail Transit (LRT) Line 2 - East Extension 50.3 건설 중 Manila Light Rail Transit (LRT) Line 1, Cavite Extension, Baclaran 1500 낙찰 (Pasay city) - Dasmarinas,PPP North-South Railway Project, South Line 3760 입찰 중 Philippines National Railways Track Improvement Project 3200 입찰 중 Manila Light Rail Transit (LRT) Line 2 - West Extension 승인 Manila-Makati-Pasay-Paranaque Mass Transit System PPP Project, 8390 승인 Luzon North-South Railway Project-South Line (Manila-Legaspi 3850 승인 City-Matnog-Batangas), PPP Bonifacio Global City Mass Transit (Monorail System) Project, 3000 타당성조사 Luzon Clark Rail Project, Malolos - Tarlac City 기획 중 Manila Light Rail Transit (LRT) Lines 1 and 2 and Metro Rail 145 기획 중 Transit 3 Rehabilitation Manila Metro Rail Transit (MRT) Line 7 Project, San Jose del 1041.59 기획 중 Monte - Quezon City NAIA-Clark Express Rail Link (phase 1 of revised NorthRail 2000 기획 중 project), Luzon Philippine National Railways (PNR) North (Tarlac-San Jose) and 2500 기획 중 South (Calamba-Batangas) Lines Development and Extension Project

○ 항구 (총 8건)

사업규모 프로젝트명 진행 단계 (백만 달러) Davao International Container Terminal, Panabo 63 완공 Manila North Harbour Development Plan - Phase I 311 완공 P1-B Seaport PPP Project, Freeport Area of Bataan 77.06 완공 Container Terminal A1, Port of Batangas, Phase 1 건설 중 Manila Bay-Pasig River-Laguna Lake Ferry System PPP Project 타당성조사 Central Spine RORO, PPP Project 1150 기획 중 Inland Container Depot, Laguna 30 기획 중 Manila International Container Terminal Expansion 300 기획 중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공항 (총 15건)

사업규모 프로젝트명 진행 단계 (백만 달러) Diosdado Macapagal (Clark) International Airport (DIMA) Airports 144 완공 Terminal 2 upgrade, Clark Freeport Zone, Pampanga Ninoy Aquino International Airport (NAIA), Airports Terminal 3 40 완공 Rehabilitation Mactan-Cebu International Airport Renovation and Expansion PPP 388 건설 중 Project, Lapu-Lapu Panglao International Airport (New Bohol Airport), Bohol PPP 91 낙찰 Puerto Princesa New International Airport, Palawawn PPP 82.9 건설 중 Bacolod-Silay International Airport PPP 452.6 입찰 중 Davao International Airport PPP 906.4 입찰 중 Iloilo Airport PPP 679.2 입찰 중 Laguindingan International Airport PPP Project, New terminal and 326.6 입찰 중 the O&M, Misamis Oriental Bicol International Airports Airport, Albay 104.81 승인 Diosdado Macapagal International Airport PPP project (Budget 165 타당성조사 terminal), Clark Freeport Zone, Pampanga Poro Point San Fernando Airport Development PPP Project 0 타당성조사 Gdofredo P. Ramos Airport Expansion (Boracay Airport), Caticlan 300 기획 중 Manila International Airport(replacement of Ninoy Airports 10000 기획 중 Aquino International Airport) Tuloy Yung International Airports Airport, Bulacan 6000 기획 중

○ 발전 및 송전 (총 80건)

사업규모 프로젝트명 진행 단계 (백만 달러) Caparispisan Wind Power Plant, Pagudpud, Illocos Norte 220 완공 Toledo coal-fired power plant Expansion project, Cebu 227 완공 Davao Coal fired power plant 546 완공 Burgos Wind Farm, Ilocos Norte 450 완공

Concepcion Coal-fired Plant (Unit 1), Barangay Nipa, Iloilo 332 건설 중 province Puerto Galera Wind Farm, Mindoro 150 건설 중 San Loranzo Wind Farm Project 140 건설 중 Pulupandan municipality wind power project, Negros Occidental 124.5 건설 중 Bacon-Manito (BacMan) geothermal project, Bicol 건설 중 Southern Mindanao Power Station (Kamanga Power Station) 건설 중 San Lorenzo wind farm, Guimaras 487.05 건설 중 Sitio San Ramon Coalfired Power Plant, Talisayan, Zamboanga 292 건설 중 Calaca Coal-Fired Power Plant Expansion Project, Phase - I, 500 건설 중 Batangas Pililia Wind Power Project, Rizal 226 건설 중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사업규모 프로젝트명 진행 단계 (백만 달러) Puting Bato Coal Fired Power Plant - Phase I, Calaca, Batangas 193.66 건설 중 Nabas Wind Power Project, Aklan 90.67 건설 중 San Gabriel Combined-Cycle Natural Gas-Fired Power Plant 600 건설 중 Unit 1 Sunwest Nine Mini Hydropower Power Plants IPP Project, Aklan and Antique 220 건설 중 Davao del Sur Coal-fired Power Plant 590.38 건설 중 Kauswagan Thermal Power Plant, Lanao del Norte, Mindanao 1000 낙찰 Barangay Bato Coal-fired Power Plant Project, Toledo 750 낙찰 Pumped storage hydropower plant, Rizal 낙찰 Maasim coal-fired and open-cycle gas turbine, Sarangani 892 낙찰 Visayas Clean coal-fired power plant 357 낙찰 Agus VI (unit 1 & 2) Hydropower Plant 35.4 낙찰 Backbone Project Stage 1, Visayas 296.7 승인 Sitio Nasulo Geothermal plant, Barangay Pugahan, Valencia, 104 승인 Negros Oriental Pagbilao Coal-fired Power Plant Expansion Project, Quezon 700 승인 Hydropower project, twin rivers of Apayao and Abulug, Cordilleras 1500 승인 Kapangan Hydropower Plant, Benguet province, Luzon 승인 Pasuquin Burgos Solar PV Plant 승인 Clark Freeport Zone Solar Power Project, Mabalacat, Pampanga 승인 Kalinga Geothermal power plant, Luzon 300 타당성조사 Clean coal-fired power plant, Luzon 타당성조사 Three new minihydropower plants, Mindanao 타당성조사 Ilaguen B Hydropower Plant and Bulk Water Reservoir, Isabela 290 타당성조사 Abuan Hydropower Plant, Ilagan, Isabela 99.5 타당성조사 Leyte-Mindanao Interconnection Project 500 타당성조사 Nueva Ecija hydropower plant, Pantabangan River, Central Luzon 타당성조사 Norzagaray plant, Angat River, Bulacan province, Luzon 타당성조사 Gas-based (LNG) Power Plant Project, Limay, Bataan 타당성조사 Micro Hydro Projects,Filipino, Isabela 280 기획 중 Binugao power station expansion project 기획 중 Calaca Coal-Fired Power Plant Expansion Project Phase - II 기획 중 Bolusao River hydropower project in Eastern Samar 566 기획 중 Davao Hydropower plant 390 기획 중 Chico River hydropower projects in Northern Luzon 680 기획 중 Rodriguez Wawa project, Rizal 873 기획 중 Avion open cycle natural gas-fired power plant, Batangas City 150 기획 중 Ifuago province Hydropower plant (HPP) 기획 중 Angat hydropower PPP project, Bulacan province 439 기획 중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사업규모 프로젝트명 진행 단계 (백만 달러) Masinloc coal-fired Power Plant Expansion Project, Zambales 1200 기획 중 Mindanao & Visayas hydropower plant 214 기획 중 Subic Bay Freeport Solar Power & Wind Power Expansion Project 200 기획 중 Magat Hydropower Plant Expansion Project, Northern Luzon 기획 중 Sibuguey Mine-mouth Power Plant Project 200 기획 중 Mine-mouth Coal Power Plant Project, Isabela, Luzon 200 기획 중 Cavinti Wind Power Project, Laguna 148.5 기획 중 Batangas-Mindoro Interconnection Project, Luzon 850 기획 중 Diduyon Hydropower Plant, Cobarroguis and Natipuhan, Quirino province 600 기획 중 San Buenaventura Coalfired Power Plant, Quezon 기획 중 Bulanog-Batang hydropower plant, Cagayan River, Mindanao 490 기획 중 Steag Expansion Project, Phividec, Misamis Oriental 기획 중 LNG Power Plant Project, Pagbilao Grande Island, Quezon 240 기획 중 Biliran Geothermal Power Project, Visayas 기획 중 Kanan Hydropower Plant, General Nakar, Quezon province, Luzon 기획 중 Mariveles Power Plant Expansion Project, Bataan province 1000 기획 중 Coal-fired power plant, Cadiz, Negros Occidental 기획 중 Mine-mouth coal-fired power plant, Davao Oriental mine, Mindanao 기획 중 Cagayan de Oro area Coal-fired Power Plant Project 기획 중 Tabangao LNG Power Plant Project, Batangas City 기획 중 Isabel Copper Plant, Leyte province, Visayas 300 기획 중 Forth phase Bataan Liquefied natural gas power plant 공시 Hagonoy Solar Power Project 공시 Redondo Peninsula solar power plant 공시 Rehabilitation Project, Mindanao 연기 Bataan wind farm phase III 연기

Subic Coal-fired Power Plant Expansion Project, Subic Bay 1280 유예 Freeport Zone Mount Apo Geothermal Power Plant Project, Kidapawan City 유예 finance Arterial Road Bypass Project Phase 2, Luzon 75.3 closure

○ 오일 및 가스 파이프라인 (총 2건)

사업규모 프로젝트명 진행 단계 (백만 달러) Petron Refinery Master Plan - Phase 2 (RMP-2) 2000 완공 Batangas-Manila (BatMan-1) Natural Gas pipeline PPP Project, Luzon 2100 타당성조사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수자원 (총 17건)

사업규모 프로젝트명 진행 단계 (백만 달러) Boracay Water and Sewerage System (Balabag Sewage Treatment 완공 Plant) Upgrade Project Rodriguez Water System project, Phaes 1, Rizal province 완공 Laguna Lake Water Supply Project (treatment facility), Rodriguez 232 건설 중 Cavite Water Project (Bulk Water Treatment Plant and 59 건설 중 Distribution Facility), Cavite, Maragondon River 59 Rodriguez Water System Project, Rizal 108.8 건설 중 Tamugan surface water development project 낙찰 Biwater package water treatment plant (BiPAK), Solano, Nueva 낙찰 Vizcaya province, Luzon New Centennial Water Source-Kaliwa Dam Project, PPP 417 입찰 중 Bulacan Bulk Water Supply Project, PPP, Bulacan province 561.6 입찰 중 EI Nido water supply system and sanitation PPP project, Puerto 타당성조사 Princesa, Palawan Pasig-Marikina River Channel Improvement Project Phase III 151.45 기획 중 Laiban Dam PPP project, Tanay, Rizal, Luzon 1173.12 기획 중 Jalaur River Multipurpose Project (JRMP) PPP - Stage II 249.35 기획 중 Balara Water Hub PPP project, Quezon city 476 기획 중 Flood management master plan, Metro Manila 8000 기획 중 Bayabas Small Reservoir Irrigation Project, Mindanao 기획 중 finance Metro Manila Wastewater Management Project, Luzon 371 closure

○ 상업용 건물 (총 7건)

사업규모 프로젝트명 진행 단계 (백만 달러) Philippine Arena, Bulacan province 175 완공 Regional Government Centre PPP, Barangay Mapagong, Calamba 56.72 완공 Century Spire Mixed-use Tower 건설 중 City of Dreams Manila Bay 1300 건설 중 Manila Bay Resorts Project, Manila Bay 750 건설 중 Pagcor Entertainment City Project, Paranaque, Manila Bay 1000 건설 중 Resorts World Bayshore project, Pagcor Entertainment City, 1100 건설 중 Manila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산업용 건물 (총 5건)

사업규모 프로젝트명 진행 단계 (백만 달러) Malampaya Project Phase 3 건설 중 Petron Bataan Refinery Expansion Project, Limay, Bataan, Luzon 2000 건설 중 LNG Regas Import Terminal, Batangas 기획 중 Cemex Luzon's Cement Plant Expansion 300 공시 Eagle Davao Cement Production Facility, Mindanao 400 공시

○ 교육, 보건, 기타 (총 4건)

사업규모 프로젝트명 진행 단계 (백만 달러) PPP for School Infrastructure Project (PSIP) Phase 2 (10,679 425 건설 중 classrooms) School Infrastructure PPP Project (PSIP) Phase 1, Ilocos 건설 중 Philippine Orthopedic Center PPP 128 낙찰 Regional Prison Facility, Fort Magsaysay, Nueva Ecija, Central 1,100.00 입찰 중 Luzon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주요 경제 지표

지표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OUTPUT 5.2 Real GDP 성장률 4.2 1.1 7.6 3.7 6.8 7.2 6.1 2015.1~3) Per Capita GNI 2,430 2,457 2,598 2,832 3,100 3,323 3,419 (Current Prices: U$)

Per Capita GDP 1,310 1,317 1,393 1,410 1,480 1,559 1,626 (Constant Prices: U$)

Saving Rate 28.2 32.7 31.1 29.4 30.2

PRICES(2006=100)

Core Inflation 5.8 4.2 3.6 4.3 3.7 2.9 3.0 1.5

EXTERNAL SECTOR -1,453 Trade Balance(U$백만불) -18,646 -13,860 -16,859 -20,428 -18,926 -17,662 -15,851 (2015.1~3) 28,804 Goods:U$백만불 34,679 29,143 36,772 38,276 46,384 44,512 47,758 (2015.1~6) Export (% Change) 5.7 -16.0 26.2 4.1 21.2 -4.0 7.3 -4.5 (2015.1~6) 15,700 Goods:U$백만불 53,324 43,003 53,631 58,705 65,310 62,174 63,609 (2015.1~3) Import -4 (% Change) 14.0 -19.4 24.7 9.5 11.3 -4.8 2.3 (2015.1~6) 1,636 Investments, Net(U$백만불) 1,370 -896 -11,491 -5,319 -6,748 2,230 10,084 (2015.1~6) Of which: Net Direct 630 -167 1,642 342 958 -90 789 Investments(U$백만불)

Net Portfolio Investments 1332 1,587 -2,054 -4,890 -3,663 -3,205 -1,001 2,460 (U$백만불) (2015.1~3)

Total Foreign Assets BSP 80,644 37,551 44,243 62,373 75,302 83,831 83,187 79,541 (U$백만불) (2015.1~6)

External Debt(U$백만불) 65,228 64,738 73,594 75,569 79,949 78,489 77,674

- 환율동향

2014 2015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페소/ 달러 44.75 44.07 44.08 44.71 44.47 44.47 45.21 45.64 46.69 46.95 46.08 47.03

원 / 달러 1,099.00 1,097.30 1,098.90 1,111.50 1092.60 1092.60 1113.90 1167.80 1176.20 1194.00 1147.00 1153.70

페소 / 원 24.58 24.56 24.90 24.93 24.86 24.57 24.57 24.64 25.19 25.43 24.89 24.53 자료원: 외환은행/METROBANK 매매기준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Biweekly, No. 176

▣ 해외투자진출 관련 정보서비스 안내

필리핀 투자․프로젝트 뉴스 지난호 보기 (KOTRA 마닐라 무역관 발간) 필리핀 투자뉴스의 지난호 보기를 원하시는 경우 상기 안내드린 ‘필리핀 비즈니스 클럽’ / ‘필리핀 투자프로젝트뉴스’ 란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으신바, 많은 활용 바랍니다.

OIS(해외진출정보시스템) 및 ‘필리핀 비즈니스 클럽(온라인카페)’ 운영 국내기업의 해외투자진출이 증가함에 따라 한국 정부는 해외투자진출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2007.12월 해외진출정보시스템을 오픈하였으며, KOTRA 마닐라 한국투자기업지원센터는 OIS내 ‘필리핀비즈니스클럽(온라인 커뮤니티)’을 운영하고 있는바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및 정보공유를 바랍니다. • 주요제공정보: 투자 Focus, 단신정보, 주간경제동향, 투자자료실, 투자뉴스, FAQ, Q&A 등 • 커뮤니티이용방법: 홈페이지(www.ois.go.kr)에서 커뮤니티(카페명: 필리핀, 비즈니스 클럽)에 접속하고 커뮤니티 가입 후 정보 이용

한국투자기업지원센터 법률/세무 고문 무료 상담 한국투자기업지원센터는 해외투자진출 기업 및 기투자 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진출 관련 제 도 (법률, 노무, 세무) 및 경영 애로에 대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전화, 이메일을 통한 상담도 가능하며, 매주 수요일 사전 예약에 의한 내방 상담을 실시하 고 있는바 필리핀 진출 기업 및 진출 추진 기업의 많은 활용 바랍니다. • 주 1회(매주 목요일) 사전 예약 업체에 한해 센터 내 고문(회계사)과 대면 상담 • 문의 이메일: [email protected] / 연락처: +63-2-893-3244,1183

해외투자․프로젝트 심층정보 보기 - 무역투자 정보포탈 (Global Window) 안내 - KOTRA는 한국기업의 무역투자 활동 지원을 위해 전세계 국가에서 무역관이 수집한 정보를 Global Window(www.globalwindow.org)를 통해 제공하고 있는 바, 많은 활용 바랍니다. • 해외투자․프로젝트 심층/분석정보 보기: globalwindow.org/투자속보/필리핀 국가지정후 키워드검색 (해외투자진출/프로젝트 관련 과거/최근 정보 검색 가능) • 해외진출정보를 제외한 일반 통상/비즈니스 정보를 국별(필리핀 등)로 검색 가능)

전문자료 보기 (KOTRA 마닐라 무역관 발간) 상기 Global Window 회원가입 / 발간자료 / 키워드 검색 (단, 무료자료에 한함) • 필리핀 투자프로젝트뉴스 모음집 (2015. 1): 무료 (마닐라 무역관 방문 시 제공) • 필리핀 투자실무가이드 2011 전면 개정판 (2011.12): 유료 • 필리핀 노동법 핵심 정리 (2011.3): 무료 • 필리핀 광물자원 개발투자 가이드 (2010.12): 무료 • IPP(독립/민자발전) 프로젝트 진출가이드 (2010.5): 무료 • 필리핀 RE(재생에너지) / CDM 프로젝트 진출가이드 (2009.10): 무료 • ADB 프로젝트 진출가이드 (20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