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kotra.or.kr

우간다

KOTRA 나이로비 무역관 작성

KOTRA COUNTRY REPORT - 목 차 -

I. 국가 일반

국가 개요 2 정치사회동향 4 한국과의 주요 이슈 13

II. 경제

경제동향 및 전망 21 주요 산업동향 24 지역무역협정 체결현황 26

III. 무역

수출입동향 30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31 수입규제제도 33 대한 수입규제동향 34 관세제도 34 주요 인증제도 36 지식재산권 37 통관절차 및 운송 38 시장 특성 41 주요 전시회 개최일정 41 Ⅳ. 투자

투자환경 43 외국인 투자동향 49 한국기업 투자동향 54 투자진출 성공실패사례 57 주요 투자법 내용 59 노무관리제도 60 조세제도 62

V. 비즈니스 참고정보

물가정보 69 비즈니스 에티켓 70 출장 시 유의 및 참고사항 73 유관기관 웹사이트 79 KOTRA 무역관 안내 81

우간다 국가정보

자료원: CIA

1 / 83

우간다 국가정보

아프리카에서의 우간다 위치

Ⅰ. 국가 일반

1 . 국가 개요

가. 일반 사항

국가명 우간다 공화국(Republic of ) 적도에 위치한 아프리카 중동부의 내륙국 위치 접경국: 케냐, 남수단, 콩고민주공화국, 르완다, 탄자니아 면적 24만 1,550㎢(한반도와 비슷) 수도 캄팔라() - 해발고도: 약 1,200m 4, 010만 명(2015년, EIU추정치) 평균수명: 54.9세 인구 출산율: 4.37%(2015년 기준, 세계 3위) 인구성장률: 3.24%(세계 5위) Kampala(수도, 163만 명), Gulu(27만 명), Lira(23만 명), 주요 도시 Jinja(주요 수력발전시설 소재, 10만 명), Entebe(국제공항 위치, 4만 3,000명) 바간다(16.9%), 바냐콜(9.5%), 바소가(8.4%), 바키가(6.9%), 이테소(6.4%), 랑기 민족구성 (6.1%), 아콜리(4.7%), 바기수(4.6%), 루그바라(4.2%), 부뇨로(2.7%), 기타(29.6%) 등 34개 부족 언어 영어(공용어), 스와힐리어(2005년 9월부터 공용어), 루간다어(바간다족 언어) 종교 개신교(42%), 카톨릭(41.9%), 이슬람(12.1%), 기타(14%) 건국일 10월 9일(1962년 10월 9일 영국으로부터 독립) 정부형태 대통령 중심제 (임기 5년)

2 / 83

우간다 국가정보

대통령:Yoweri Museveni(1986년 쿠데타성공 이후 장기집권) 국가원수 부통령: Edward Ssekandi(2011년 5월) 총리: Ruhakana Rugunda(2014년 10월) 입법부 다당제(총 319석) 의회구성: 단원제, 총 374석, 임기 5년(직접 선출 238, 비례·직능대표 136) - National Resistance Movement(NRM, 여당): 263석 정당 - Forum for Democratic Change(FDC, 제1야당):34석 - Independent (무소속): 43석 외교노선 비동맹 중립 노선( 실질은 대서방 실리외교 추구) 자료원: EIU 국가보고서 2016년 6월

나. 경제 지표(2016년)

GDP 236억 달러 실질 4.9% 경제성장률 1인당 GDP 1,849달러(ppp) 실업률 26%(추정치) 물가상승률 4.6% 화폐단위 Uganda Shilling(USh) 환율 US$ 1 = USH 3,350(평균환율) 외채 55억 4,000만 달러 외환보유고 29억 5,000만 달러 산업구조 농업(26.7%), 산업(22.2%), 서비스(51.1%) 교역구조 수출: 27억 4,300만 달러 / 수입: 51억 1,600만 달러 주요 교역품 주요 수출품: 커피, 어류, 면화, 차 / 주요 수입품: 기계장비, 차량 및 부품, 화학제품, 석유제품 자료원: EIU 국가보고서 2016년 6월

다. 한-우간다 관계

의료협력협정(1986년 11월) 체결협정 EDCF지원-전화확충망 사업(1992년 3월 750만 달러 규모) 무상원조기본협정 체결(2012년 11월) 교역규모 수출: 2,015만 달러(△33.5%) / 수입: 1,344만 달러(▼34.6%) *한국무역협회 통계 수출: 의약품, 인조섬유, 건설 중장비, 발전기, 타이어, 승용차 등 교역품 수입: 연초, 동물성한약재, 커피 등 1998년: 총 2건, 28만 달러 투자교류 2011년: 총 3건, 80만 달러 (한국은행 2012년: 총 4건, 225만 달러 신고기준) 2013년: 대 우간다 투자 없음 교민 약 400명 자료원: 관세청 무역통계, Global Trade Atlas

3 / 83

우간다 국가정보

2. 정치·사회동향

가. 정치동향

약사

1894 영국, 빅토리아 호수 및 인도양 중간의 영토를 보호령으로 통치 1900 영국, Buganda에 자치권을 부여하고 기독교인 족장에 의한 입헌군주제로 전환 1902 우간다 동부지역이 케냐로 분리 1921 우간다 입법기관 설치. 그러나 1945년까지 우간다인 참여 불가 1962.10.9. 영국으로부터 독립 오랜 기간 갈등을 빚어왔던 남․북 지역 간의 화해를 위해 남부 Buganda왕Mutesa을 초 1963.10. 대대통령으로, 북부인인 Obote를 총리로 하는 초대 정부 출범 Obote, Mutesa 대통령을 축출하고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여 우간다 내 모든 왕국 폐지. 1966 Mutesa 영국으로 망명 1966-1971 Obote 집권 1971-1979 Idi Amin이 군사 쿠테타를 일으켜 Obote를 축출하고 집권 당시 제조업과 무역 분야 등 경제권을 장악하고 있던 6만 명에 달하는 아시아계(주로 인도 1972 계)을 추방하는 정책을 실시하여 대중적으로는 인기를 얻었으나 이로 인해 경제는 극심한 파탄상태에 빠짐 1979 탄자니아군과 합세한 우간다 게릴라군에 의해 Idi Amin 축출 Yusuf Lule, Godfrey Binaisa, Paulo Muwanga가 연달아 대통령에 임명되었으나, 단기 1979~1980 간에 그침 Obote가 전국적 선거를 통해 재집권. Museveni가 조직한 국가저항군(NRA:National 1980~1985 Resistance Army) 및 이를 지원하는 그룹들을 무자비하게 탄압 1980-1985 결국 Obote 정권은 Tito Okello가 이끈 군사쿠데타에 의해 전복 Museveni가 이끄는 NRA(National Resistance Army)가 격렬한 내전 끝에 권력을 장악 헸으며, NRM(National Resistance Movement) 의장인 Museveni가 대통령으로 취임 - NRA의 정치조직인 NRM은 지방 및 전국 단위의 회의체(council)로구성되어 있으며 지 도자들은 대중(grass-roots)에 의해 당원이 아닌 개인 자격으로 선출되며, 2005년 개정 헌법에 의해 다당제가 도입되자 정당조직으로 변모 1986.1. ※ Museveni 집권이후 북부 지역에서 신의 저항군(LRA: Lord‘s Resistance Army)이 반 정부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정부군과 LRA간의 내전으로 현재까지 200여 만 명의 난민이 발생하고 수 만 명이 사망 - LRA는 특히 아동들을 납치하여 소년병, 성노예로 사용하는 등 악명이 높아, 2005.10. 국제사법재판소(ICC)가 반군 지도자 4인에 대해 체포영장을 발부 1996.5. Museveni, 우간다 전통왕국을 부활시키나 정치적 개입은 금지 1996.5. 집권 10년 이후 최초의 대선에서 Museveni가 76%의 지지를 획득하여 대통령에 당선 1986년부터 금지된 다당제(multi-party system) 금지 여부와 NRM의 대중(grass roots) 2000 민주주의 지속 여부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 국민의 91%가 NRM시스템을 지지하였으 나 투표율이 51%로 저조하여 야당 측은 도덕적 승리를 주장 2001.1. 동아프리카 공동체(EAC: East African Community),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 간 공용 여

4 / 83

우간다 국가정보

권 및 국기, 경제·금융통합 논의 시작 우간다, 2000년 전 동맹국인 르완다가 콩고 내전에 가담한 것을 두고 적대국 (hostilenation)으로 지정 Kizza Besigye가 NRM으로부터 이탈하여 대선에 출마하였으 나, Museveni가 69%의 지지를 확보하여 대통령에 재선 - Besigye(28% 득표)는 부정선거 주장하며, 대법원에 제소하였으나 3-2로 패소하고 결 국 집권층의 정치적 탄압으로 남아공으로 망명 여성지역구 의원제(Woman District 2001.3. Representative)가 신설 됨. - 일반 지역구(constituency) 보다 넓은 지역을 관할하며, 유엔 새천년개발목표 중 하나인 ‘양성평등과 여성 세력화’의 일환으로 추진 ※우간다 정부는 매년 district 수를 늘리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여성 의원의 수도 수직상 승 Museveni 대통령은 정당활동 허용 및 다당제 복귀, 3선제한 폐지 등을 포함한 헌법개정 2003.1. 안을 제안하였으나, 야당 및 원조 공여국들로부터 영구집권을 위한 계획으로 비난 받음 우간다, 콩고민주공화국 동부로부터 남은 군대 철수. 수 만 명의 콩고 난민이 우간다로 이 2003.5. 주 LRA의 민간인 학살이 지속적으로 자행되는 가운데, LRA-정부 간 첫 번째 직접 협상이 이 2004 뤄졌으나 구체적 합의 없이 결렬됨 2005.7. 다당제 복귀, 대통령 3선 제한을 폐지하는 헌법 개정안 통과 2004.7.부터 LRA의 반인도적 범죄에 대한 국제형사재판소(ICC)의 조사가 시작되어, 2005.10. 2005.10. Joseph Kony 등 반군지도자 4인에 대한 체포영장 발부 야당 대표인 Kizza Besigye, 망명생활을 청산하고 귀국하자마자, 군사재판에 회부되어 테 2005.11. 러리즘 및 불법무기 소지혐의로 수감되었으나 2006. 1. 보석으로 석방 Museveni 대통령이 3선(59% 득표, 야당 Besigye 후보는 37% 득표)에 성공하고, 여당 2006.2. NRM이 국회에서 2/3 이상 의석 확보 2006.8. 정부와 LRA간의 적대행위 종식협정(cessation of hostility) 체결 우간다, 소말리아 안정화를 위해 아프리카 연합(AU: African Union)의 일원으로 평화유 2007. 3. 지군 파병 2월말 정부와 LRA와 정전(ceasefire) 협정이 체결되고, 3월에는 수단 Juba에서 개최된 평화협상이 마무리되었으나, LRA 지도자인 Kony가 ICC의 체포영장 철회를 주장하며 평 화협정 서명을 지연시킴. ※ 당초 양측은 ‘08.2월말 반군지도자 재판을 위해 우간다 대법원 내에 특별법정을 만들 2008.2.~ 기로 합의하였으나, ICC측은 나쁜 선례를 남기게 된다며 체포영장을 철회할 수 없다는 강 경한 입장 - 우간다 정부는 Kony가 평화협정에 서명하고 우간다 국내법정의재판관할권을 수용시 ICC의 체포영장 철회를 설득하겠다는 입장이나, Kony는 체포영장 철회가 우선되어야 한 다는 입장 Kony 및 LRA 병력이 근거지인 민주콩고(DRC)를 떠나 중앙아프리카공화국(Central 2008.4. African Republic)으로 이동하였으며, Kony는 4.15.로 예정된 평화협정 서명식에 나타 나지 않음. Kony는 정부와의 평화협정에 서명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였으며, LRA는 남부수단 지역을 습격하여 23인의 양민을 살해 2008.6. - 또한, 600여명으로 줄어든 병력을 보강하기 위해 DRC 및 남부 수단으로부터 1,000여 명의 양민을 납치하여 훈련 중이라고 보도됨.

5 / 83

우간다 국가정보

2008.11. 우간다, 남부수단, DR콩고는 LRA에 대한 공동작전 전개 우간다 수도 캄팔라에서 경찰과 Buganda족의 왕을 추종하는 세력 간 폭력 시위가 발생하 여 최소 15명이 사망하고 600여명이 경찰에 구금되는 사태 발생 2009.9. - 일부 야당 세력이 우간다 중앙 정부와 주종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Buganda족 내부 조직 에 잠입하여 활동. 이로 인해 최근 중앙 정부와 Buganda족 간의 주종 관계 악화 소말리아 근본주의 그룹, 소말리아에 주둔하고 있는 우간다·부룬디 평화유지군에 의한 민 2009.10. 간인 사망을 두고 보복 위협 Gilbert Bukenya 부통령, Sam Kutesa 외교부 장관 및 타 부처장관들과 함께 2007년 캄 2010.6. 팔라에서 개최된 영연방정상회의(CHOGM)당시 차량제공 명목으로 책정된 90억 실링에 대한 부정행위 혐의로 기소됨. 소말리아 이슬람 테러단체인 Al Shabab, 캄팔라 시내에 위치한 레스토랑에서 월드컵 경 2010.8. 기를 시청하고 있는 민간인에 대해 폭탄 테러를 자행해 최소 74명 사망 헌법 재판소, Besigye 야당대표의 반역죄(treason) 혐의 각하 나이로비에서 캄팔라행 버 2010.10. 스에 대한 폭탄 테러로 세 명이 사망 Museveni 대통령, 야당과 여당 지지자들의 충돌 속에 치러진 대선에서 압승, 4선에 성공 2011.2. (Museveni 68%, Besigye 26% 득표).Besigye 후보 측,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며 결과 에 불복 야당주도로 생필품 물가고와 정부의 무능함에 항의하는 군중들의 시위(Walk-to-Work 2011.4. 가두행진)이 벌어지고, 이에 대한 경찰의 과잉진압으로 Besigye가 총상을 입는 등 사상자 발생. 대규모 군중시위로까지는 발전하지 못함. 2011.7. 미국, LRA 소탕을 위해 100명의 군사고문단 파견

1986년 1월 취임한 무세베니 대통령은 국가 최고 통치 및 입법기구로서 NRC(국가저항 위원회) 설치에 이 어 국가저항운동(National Resistance Movement)이라는 일종의 정당을 결성하고, 재야 정치단체 및 반 Obote 정부 교전단체를 포용한 범국가적 차원의 내각을 구성(1986년 3월)했다.

1995년 10월 우간다 제헌의회에서 신헌법을 채택, 정당활동을 향후 5년간 금지하고 사실상 집권 국가저항 운동(NRM)의 선거운동만이 허용되는 무정당주의(사실상의 일당체제)를 확립했다. NRM에 의한 정치안정, 경제회복, 부패타파와 사회안정 도모를 위한 10대 시책의 표방과 실시로 오랫동안 정치, 사회적인 불안에 시 달려온 우간다 국민들은 현 정부의 평화회복과 치안유지 능력을 높이 평가, 지지하고 있으나 우간다 중심세 력인Baganda족 지도자 및 정치지도자들은 오래 계속되어온 NRM 체재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또한 미국, 서구 등 서방원조 제공국들은 우간다 민주화 이행 및 인권개선상황을 경제원조와 연계시켜 압력 을 가하고 있고, 기존 DP, CP 및 UPC 등 정당의 정치인들도 정당의 정치활동 허용 및 다당제 민주주의로서 환원을 주장, NRM 체제는 대내외적인 압력을 받았다. 상기 국제여론을 의식, 다당제 채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국민투표를 2000년 6월 3일부터 7월 2일까지 실시하였으나 무세베니 대통령이 주도하는 NRM 무정 당주의가 다시 지지를 확보하였고 다당제 실시는 연기되었다. 2001년 3월 12일 실시된 대통령선거에서 약 70%의 득표로 무세베니 대통령이 재선(차점자 Besigye는 25% 득표)되어 2001년 5월 12일 취임식을 가 진 바, 2006년까지 재임하게 됐다.

2001년 6월 26일에는 총선이 실시되어 NRM은 직접선출의석 214석 중에서 170석 이상을 석권하였고, 여 성, 노동자, 청년 등을 대표하는 국회의원까지 합치면 국회의 총 282 의석 중 230석 이상을 확보함으로써

6 / 83

우간다 국가정보

NRM 체제의 견고함을 과시함. 반면, 동 총선에서 다당제 주창자들이 종래 14석 수준에서 최소 42석을 확보 함에 따라 다당제지지 세력이 제한적이나마 강화되었으며, 2002년 1월 무세베니 대통령은 다당제 부활 검 토위원회를 구성했다.

정당제 부활에 대한 적극적 지지자는 제1부총리겸 내무장관 Eriya Kategaya 와 제3부 총리 겸 외무장관 James Wapakhabulo 등이며, Wapakhabulo 부총리는 2006년 대통령 선거에 입후보 의사를 이미 밝히고 있다. 차기 대선과 관련 무세베니 대통령의 정치적 동지이며 국민의 존경을 받고 있는 Kategaya 부총리는 무세베니 대통령의 후계자의 조속한 선정을 요구하고 있으나, 무세베니 대통령은 후계체제 논의 자체를 허용 치 않고 있어 집권연장 의혹을 사고 있다.

2003년 5월 24일자로 Dr. Kazbwe 부통령 및 차기 대선에 물망이 있는 Kategaya 제1부총리를 해임하고 Prof. Bukenya부통령을 임명한바, Bukenya부통령은 무세베니 대통령의 3선 출마를 허용하는 헌법개정에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어 무세베니 대통령의 집권연장 기도가 더욱 가시화되고 있다.

2005년 7월 대통령 3선 허용, 다당제 채택으로 2006년 2월 실시된 대선에서 Museveni 대통령 3선, 여당 NRM 국회 과반수를 확보했다. 2006년 8월 신의 저항군(LRA, Lord's Resistance Army)과 적대행위종식 협정(cessation of the hostilities agreement) 체결했으며, 1986년 무세비니 대통령의 권력장악 이래 북 부 아콜리족에 대한 무자비한 인종청소를 단행하자, 북부 Acholi족은 1987년 신의 저항군이라는 반군단체 를 결성하고 반정부 투쟁을 전개, 상기 내전으로 약 3만여 명의 양민이 사망하고 200여만 명 이상의 난민이 발생하였으며, LRA는 특히 어린 소년소녀들을 납치하여 소년병이나 성노리개로 사용하는 잔인함을 드러냈 다. 2004년 9월부터 국제사법재판소(ICC)의 조사가 시작되어 2005년 10월 반군지도자 4인에 대한 체포영 장이 발부됐다.

2007년 2월 정부 및 LRA간 정전협정(ceasefire)이 체결되고, 2008년 3월말부터 양측간 평화협정 서명이 예정되었으나, LRA측은 ICC의 체포영장 철회를 내세우며 평화협정 서명을 지연시키는 중이다. 양측은 반군 지도자들에 대한 재판관할권을 위해 우간다 국내특별법정을 설립하기로 합의하였으나, ICC측은 재판관할권 에 대한 완강한 입장이다.

2011년 2월 15일 국민총선거에서 Museveni 대통령이 68%이상 득표율로 야당 유력후보인 Bisegie를 제 치고4선 대통령으로 당선. 향후 국제관계를 비롯한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나, 25년 독재에 이은 독재 5년 연장이 된 셈이어서 장기집권에 대한 부담을 안게 되었다.

최근 정세

(2016년 2월 18일 총선) 총선을 앞두고 무세베니 대통령이 대통령 선거에 재 출마한 가운데 제 1 야당의 지 도자인 Kizza Besigye와 NRM의 전 사무총장이었던 Amama Mbabazi가 야당의 유력한 경쟁자로 대두되 고 있다. 야당의 분열과 아직도 전 국민의 85%를 차지하는 농촌 지역의 국민들이 집권당인 NRM을 지지하 고 있어 무세베니 대통령의 재선이 거의 확실시 되고 있다.

(2016년 우간다 정책) 핵심 정책은 재정건전성을 유지하면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를 성장시키는 데 집중 되어 있다. 정책 결정에 있어 시장의 자유를 중시하기 때문에 시장에 적극 개입하지는 않는다. 더불어 사회적 약자들을 위하여 사회연금과 실업자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을 기본으로 하는 국가사회보장정책을 개발하는 중이다.

7 / 83

우간다 국가정보

(국가개발계획 2단계 추진) 2015/16-2020/21에 걸쳐 계획된 국가개발계획 2(National Development Plan 2)는 본래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공적 투자를 확대하고 정부 물품의 조달과정과 민간-정부 합작 구조를 개선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우간다 실링의 평가절하와 함께 부채내역의 약화로(debt profile has weakened) 국제통화기금이 우간다 은행의 채무건전성 한계를 하향 조정하여 몇몇의 사회기반시설 개발 계 획은 연기된 상태이다.

나. 행정부

대통령

우간다는 대통령 중심제 공화국이며 총리가 임명되어 있다. 대통령 임기는 5년이며, 국가원수 겸 군통수권자 이다. 대통령은 총리, 내 각, 국회의원 등 임명권 및 국회 해산권을 보유한다. 대통령은 비밀 직접선거로 선출 (대통령 입후보는 당의 추천 필요)하며 궐위 시는 총리 가 권한 대행, 90일 이내 신임 대통령 선거를 치른다. 현 대통령Yoweri Museveni는 1986년 쿠테타 성공 이후 현재까지 30여년간 장기집권 중이며, 2011년 2 월 15일 대통령 선거에서 68% 이상의 득표율을 확보하여 재선에 성공, 2016년까지 5년간 대통령직을 수 행한다.

내각

행정부 내각임명권은 대통령의 권한이다. 장관 및 정무차관은 국회의원이 겸직하고 있다. 주요 정부 조직 및 2013년 장차관은 아래 표와 같다.

직책 이름 대통령 겸 군수통수권자 H.E. PRESIDENT YOWERI KAGUTA MUSEVENI 부통령 H.E. EDWARD KIWANUKA SSEKANDI

내각 및 장관

직책 이름 Prime Minister and Leader of Government Business RT. HON. Ruhakana Rugunda First Deputy Prime Minister & Minister of Public HON. HENRY KAJURA Service Second Deputy Prime Minister & Deputy Leader of HON.GEN.MOSES ALI Government Business in Parliament Minister & Minister for East Africa HON. KIRUNDA KIVEJINJA Minister for Security HON. MARY KAROORO OKURUT Minister of Presidency HON. TUMWEBAZE FRANK Minister of General Duties (Office of the Prime HON. KABWEGYERE TARSIS Minister) Minister of Gender, Labour and Social Affairs HON. MARY KAROORO OKURUT Minister of Trade and Industry HON. AMELIA KYAMBADDE

8 / 83

우간다 국가정보

직책 이름 Minister of Water and Environment HON. KAMUNTU EPHRAIM Minister of Agriculture, Animal Industry and HON. TRESS BUCHANAYANDI Fisheries Minister of Defence HON. CRISPUS KIYONGA Minister of Relief and Disaster Preparedness HON. ONEK HILARY Minister of Lands, Housing and urban HON. DAUDI MIGEREKO Development Minister of Health HON. TUMWESIGYE ELIODA Minister of Foreign Affairs HON. SAM KUTEESA Minister of Education and Sports HON. JESSICA ARUPO Minister of Energy and Minerals HON. IRENE MULONI Minister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HON. JOHN NASAASIRA Communication Technology Minister of Information & National Guidance HON. JIM MUHWEZI Minister of Local Government HON. MWESIGYE ADOLF Minister Without Portfolio (in-charge of Political HON. ABRAHAM BYANDALA Mobilization) Minister of Finance, Planning and Economic HON. Development Minister of Works and Transport HON. BYABAGAMBI JOHN Minister of Justice, Constitutional Affairs HON. KAHINDA OTAFIIRE Minister for Karamoja HON. JANET MUSEVENI Attorney General HON. PETER NYOMBI Ministerof Tourism and Wildlife HON. MARIA MUTAGAMBA Minister of Internal Affairs HON. ROSE AKOL OKULLU Government Chief Whip HON. NANKABIRWA RUTH

차관 (STATE MINISTERS)

직책 이름 Minister of State for Agriculture HON. VINCENT SSEMPIJJA Minister of State for Fisheries HON. NYIIRA ZERUBEL MIJUMBI Minister of State for Animal Industry HON. BRIGHT RWAMIRAMA Minister of State for Higher Education HON. TICKODRI-TOGBOA Minister of State for Primary Education HON. JOHN CHRYSOSTOM MUYINGO Minister of State for Sports HON. CHARLES BAKKABULINDI Minister of State for Energy HON. SIMON D'UJANGA Minister of State for Minerals HON. PETER LOKERIS Minister of State for Finance (General Duties) HON. FRED OMACH Minister of State for Planning HON. DAVID BAHATI

9 / 83

우간다 국가정보

직책 이름 Minister of State for Microfinance HON. CAROLINE AMALI OKAO Minister of State for Investment HON. AJEDRA GABRIELGADISON ARIDRU Minister of State for Privatization HON. ASTON KAJARA Minister of State for International Affairs HON. OKELLO ORYEM Minister of State for Regional Affairs HON. MATEKE PHILEMON Minister of State for Gender and Culture HON. RUKIA ISANGA N Minister of State for Labour, Employment and HON. KAMANDA BATARINGAYA Industrial Relations Minister of state for Elderly and Disability Affairs HON. SULAIMAN MADADA Minister of State for Youth HON. ANITE EVELYN Minister of State for Health (General) HON. BARYOMUNSI CHRIS Minister of State for Primary Health Care HON. OPENDI OCHIENG SARAH Minister of State for Housing HON. SAM ENGOLA Minister of State for Urban Development HON. NAJJEMBA ROSEMARY Minister of State for Lands HON. NANTABA AIDAH Minister of State for Economic Monitoring (Office HON. HENRY BANYENZAKI of the President) Minister of State for Ethics and Integrity (Office of HON. SIMON LOKODO the President) Minister of State for Nothern Uganda (Prime HON. REBECCA AMUGE OTENGO Minister's Office) Minister of State for Karamoja (Prime Minister's HON. BARBRA OUNDO NEKESA Office) Minister of State for Luweero Triangle (Prime HON. KATAIKE SARAH NDOBOLI Minister's Office) Minister of State for Teso Affairs (Prime Minister's HON. CHRISTINE AMONGIN APORU Office) Minister of State for Bunyoro Affairs (Prime HON. KIIZA ERNEST Minister's Office) Minister of State for Trade HON. DAVID WAKIKOONA Minister of State for Water HON. KIBUULE RONALD Minister of State for Environment HON. FLAVIA NABUGERA MUNAABA Minister of State for Transport HON. SIMON CHEMOIKO CHEBROT Minister of State for Works HON. ASUMAN KIYINGI Minister of State for Tourism HON. AGNES AKIROR Minister of State for Industry HON. MICHAEL WERIKHE Minister of State for Defence HON. GEN. JEJE ODONGO Minister of State for Vice-Presidents Office HON.VINCENT NYANZI Minister of State for Internal Affairs HON. JAMES BABA Minister of State for Justice and Constitutional HON. FRED RUHINDI Affairs

10 / 83

우간다 국가정보

직책 이름 Minister of State for Information Technology HON.NYOMBI THEMBO Minister of State for Local Government HON. ALEX ONZIMA Minister of State for Public Service HON. SEZI MBAGUTA Deputy Attorney General HON. MWESIGWA RUKUTANA Minister of State for Relief and Disaster HON. ECWERU MUSA FRANCIS Preparedness Minister of State for East African Affairs HON. SHEM BAGAINE AMBASSADOR TO THE UN, NEW YORK Dr. RICHARD NDUHUURA

다. 사법부

사법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최종항소법원(Court of Appeal): 형사 및 민사재판 고등법원(High Court): 형사 및 민사재판 하급지방법원(Resident & District Magistrate's Court): 5년 구금 이상 형사재판 대법원장(Chief Justice): Hon. Mr. Evans Gicheru

라. 의회

단원제이며 당 추천을 받은 입후보자를 직접 보통선거로 대통령 선거시 동시에 선출한다. 임기는 5년이며 직선의원 238명, 지방자치구별 여성대표 112명, 우간다 군부 대표 10명, 청소년 대표 5명, 지체장애자 대표 5명, 노동자 대표 5명, 국회의장 등 상임 의원 13명 등 총 375명으로 구성된다. http://www.parliament.go.ug)

주요정당

여당: NRM(National Resistance Movement Party)

당수: Museveni 대통령(1944년생) 의석수: 264석 2006년 총선을 앞두고 다당제가 도입되자 근대정당체제로 개편하였으며, 특정 지역·종족을 초월하여 다수 민중(grass roots)의 참여에 의한 지역·전국적 단위의 지도체제 확립

제1야당: FDC(Forum for Democratic Change)

당수: Kizza Besigye 의석수: 34석(2011년 2월 대선에서 Besigye 후보가 Museveni 대통령에게 패함으로써, 무례 세 차례나 대 선에서 고배를 마심. 2008.4월 Bugiri 지역 재보선 등 2006년 이래 6차례의 재보선에 후보를 내세우지 못 하는 등 최근 당세가 약화됐으나, 수도 캄팔라에서는 아직 상당한 영향력 보유)

11 / 83

우간다 국가정보

UPC(Uganda People's Congress)

당수: Dr. Olara A. Otunnu 의석수: 10석

DC(Democratic Party)

당수: Norbert Mao 의석수: 12석

무소속 43석, 기타 24석

마. 대외관계

서방국가와의 관계

과거 비동맹, 반식민주의 표방에 따라 중국, 쿠바, 북한, 리비아, 알제리, 탄자니아 등 사회주의 성향의 국가 와 긴밀한 관계 유지하고 있다. 과거 Amin, Obote, Museveni 대통령 등 독립 이후 지도자들은 국내권력기 반 강화를 목적으로 이전 정권과의 완전히 단절된 급진적 외교정책을 추진하였으며, 특히 급진성향의 국가 및 주장 등에 대한 공개적 지지를 드러냈었다.

과거 비동맹 노선의 추구 및 오랜 군사독재로 인해 서구 공여국 등과 긴장관계를 유지하기도 했으나, 경제성 장 우선정책에 따라 2005년에는 공여국들의 다당제도입 요구를 받아들이고 2007.11월에는 영연방 정상회 의(CHOGM: Commonwealth Heads of Government Meeting)를 캄팔라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등 영연방 및 서구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 중이다.

우간다 정부는 2010년 발생한 소말리아 이슬람 테러단체인 Al Shabab의 캄팔라 폭탄테러에 대해 강력 대 응하는 동시에 소말리아 임시정부 지원을 위해 소말리아 주둔 평화유지군 병력을 늘려나갈 것을 약속했다. 서구 공여국들은 우간다 정부에 부폐 척결 및 투명성 제고, 민주주의 시스템의 확산 등을 요구하며 거버넌스 (governance) 향상에 주력하고 있으나, 최근 고위급 관료들의 비리, 부패 스캔들이 연이어 불거져 나오면서 그 실효성에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의 대 아프리카 투자 및 원조가 크게 증가하면서, 우간다에 대한 중국의 정치, 군사, 경제 영역에서의 영 향력 또한 눈에 띄게 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타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에서도 대규모의 기반시설 공사를 토 대로 우호적인 관계로 나아가고자 한다.

아프리카국가 및 인접국과의 관계

우간다는 케냐, 탄자니아, 남수단, 콩고민주공화국 등으로 둘러싸인 내륙국으로 인도양으로 통하는 개방된 무역루트를 확보하는 것을 주요 외교목적으로 설정하였다. 특히, 케냐 몸바사 항을 통한 운송로에 대한 과도 한 의존을 축소하기 위해 탄자니아와의 관계개선을 중시하여 일시적으로 케냐와 다소 소원한 관계를 유지하

12 / 83

우간다 국가정보

기도 했으나, 1998년 Museveni 대통령의 케냐 Moi 대통령 취임식 참석 등을 계기로 케냐와의 관계 개선 모색(케냐와 국경분쟁 아직 있음)하였다.

케냐, 탄자니아, 브룬디, 르완다와 동아프리카 공동체(EAC; East African Community)를 결성하여 정치·경 제 통합을 목적으로 주변국과의 협력 강화 모색 (1996년 논의 시작, 1999년 서명). EAC 회원국 간 상호의 존도가 증대하면서 외교분쟁 가능성은 크게 줄고 있다. 2011년 8월 Museveni 대통령의 르완다 방문은 양 국 간 외교관계가 호전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EAC는 단기적으로 공동시장, 중장기적으로 화폐동맹 및 정치연합을 추진하였다. 2016년 동아프리카 공동체 내 국가와의 양호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우간다 정부는 더욱 포괄적인 통합에 대해 긍정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Museveni 대통령은 1986년 정권장악 이래 아프리카 역내 분쟁해결 및 협력을 위한 지역문제에서 중심적 역할을 추구하고 있으며, 특히 2007년에는 소말리아에 대한 AU 차원의 평화유지군 파병에 동참하는 등 동 부아프리카의 주도적 국가로서의 위상확립을 위해 노력 중이다. 특히, 2010년 발생한 Al Shabab(소말리아 이슬람 테러단체)의 캄팔라 폭탄테러에 대해 강력 대응하는 동시에 소말리아 주둔 평화유지군 병력 증강을 약속하였다. . 2016년에는 남수단의 평화유지를 위해 정치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Museveni와 수단의 Omar al-Bashir는 서로 경쟁자이지만 지역의 안정을 위해 협력하고자 한다.

우간다 북부반군인 LRA(Lord's Resistance Army)에 대한 수단정부의 지원과 수단남부 반군 SPLA(Sudan People's Liberation Army)에 대한 우간다 정부의 지원을 둘러싼 갈등으로 1995.4월 우간다․수단 양국관 계가 단절된 적도 있으나, 2003년 이래 양측이 반군에 대한 지원중단 등에 합의하는 등 관계 개선 중이다. 2011년 남수단이 독립함으로써, 양국 간 경제협력 및 무역량이 향후 크게 증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DRC 반군에 대한 우간다 측의 무기 공급, 국경지대인 DRC 동부지역의 권력공백으로 인한 LRA의 활동 등으 로 인해 우간다-콩고민주공화국 양국 간 긴장이 이어지기도 했지만, 2007.9월 양국대통령이 회동하여 반군 에 대한 군사협력 및 석유개발에 대한 협력에 합의, 07.12월 콩고민주공화국은 LRA에 맞서 우간다 지지 선 언, LRA 토벌을 위해 콩고민주공화국 영토 진입 동의하는 등 급속한 관계개선이 이뤄졌다.

다자관계

2009년 1월에 유엔안보리 비상임이사국(2009-2010) 수임국이 되었다.

3. 한국과의 주요이슈

가. 개요

우간다는 비동맹 중립주의를 표방하고 남북한 동시수교 형식을 취하고 있다. 한국과는 1962년 10월 우간다 를 정식 승인하고 1963년 4월 한국 대사관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1994년 10월 공관이 폐쇄되었다. 이후 1985년 총리겸 재무장관이었던 왈잉고, 1990년 제2부총리겸 외무장관 세모게레레, 1992년 상무장관 카 이자카, 1993년 상공장관 카이주카, 1997년 외차관 나베타가 방한 하였다.

13 / 83

우간다 국가정보

1986년 11월 한국-우간다 의료협력 협정을 체결하였다. 2012년 10월 우간다 Maria Kiwanuka 재정계획 경제개발부 장관과 우간다 현 박종대 대사가 한국-우간다 정부간 무상원조기본협정에 서명했다. 이 협정은 향후 양국 간 개발협력사업에 토대가 될 기본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협정이 체결됨에 따라 코이카 봉사단원 파견뿐 아니라 기존 진행 중인 코이카 사업(소로티 과일가공 공장 설립사업 등)도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최근 1994년도 폐쇄되었던 주 우간다 한국대사관이 2011년 12월 재개설됨으로써, 향후 활발한 정치·경제 협력에 대한 적극적 의사표시. 특히 Museveni 대통령은 박정희 대통령의 경제개발 전략 및 새마을 운동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표명하였다. 2013년 5월 Museveni 대통령은 공식 방한 계기 한-우간다 양국간 정상회 담을 개최하였으며, 이후 2014년 9월 유엔총회 계기 뉴욕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하였다.

외교약사

1963.3. 외교관계 수립 1963.4. 주 우간다 대사관 개설 1984.9. Obote 정부, 한국 대사 추방 Museveni 정부, 한국 대사 접수 ※ 84.9. 우간다 Obote 정부가 아국 언론의 비우호적인 보도를 이유로 주 우간다 대사를 추 1986.10. 방한 이래 2년여 간 공석이었다가 86.1월 Museveni 신정부 수립 후 86.10. 정보영 대사가 신임장을 제정함으로써 양국관계 정상화 1994.10. 주우간다 대사관 폐쇄 1995.5.7 권순대 주케냐대사 신임장 제정(이후 주케냐대사가 겸임) 1999.3.25 김성환 주우간다 명예영사 임명(주식회사 환성 사장, 1998년 5월 우간다 국적취득) 2007.3. 김항경 전차관(여수박람회 사절단장) 방문, 치안장관 면담 2011.5.18 주케냐캄팔라 분관 설립 2011.12. 30 주우간다 대사관 승격(공관장: 박종대 대사대리) 2014.7.19 박종대 주우간다대사 신임장 제정 자료원: 외교부

나. 한국-우간다간 경제협력 현황

유상원조(EDCF)

1992년 3월 전화통신망 확충사업(750만 달러) 2012년 교육개선사업(2680만 달러): 자금 지출 중

14 / 83

우간다 국가정보

무상원조

1991-2014년간 지원 실적: 총 2,999만 불 지원 2015년도 지원실적: 961만 불 (단위: 만 불)

연도 '91-'03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계

지원액 282 12 16 119 91 43 69 148 335 1,042 842 2,999

ㅇ 주요 지원사업

우간다 농업지오자 연수원 건립사업 (2011-15년, 350만 불) 우간다 직업훈련원 건립사업 (2011-17년, 450만 불) 우간다 엔테베국제공항 시스템 개선 사업 (2014-18년, 950만 불) 우간다 과일가공공장 건립사업 (2011-17년, 740만 불) 우간다 새마을운동 시법마을 건립사업 (2015-18년, 250만 불) 등

다. 투자관계

우리나라의 대 우간다 투자는 한국은행 신고기준으로 1998년부터 2015년까지 총 522만 달러의 투자가 이 뤄졌다. 특히 2012년에 총 2건 28만 달러로 가장 높았으며, 그 후 2013년 2건 123만 달러, 2014년 2건 64만 달러 등의 투자가 이뤄졌고, 2015년에는 1건 29만 달러 (실 투자액)의 투자가 이뤄졌다.

한국의 대 우간다 투자현황 (1998-2015년) (단위: 천 달러) 연도 신고건수 신규법인수 신고금액 송금횟수 투자금액 14 5 5,222 27 3,083

1998 2 1 280 1 15 2011 3 2 801 5 564 2012 4 2 2,250 8 938 2013 2 0 1,231 4 580 2014 2 0 641 6 56 2015 1 0 19 3 291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업종별로는 1998년 이후 2015년까지 농수산분야가 6건 347만 달러로 가장 많고, 그 외 제조업에 약 70만 달러, 도-소매업에 47만 달러 등이 이뤄졌다.

15 / 83

우간다 국가정보

한국의 대 우간다 업종별 투자 현황 (1998-2015년) (단위: 건, 개, 천 달러) 업종별 투자년도 신고건수 신고금액 총 계 14 5,222

농업, 임업 및 어업 2012, 2013, 2014 6 3,473 제조업 2011, 2013, 2015 3 699 도매 및 소매업 2012 1 469 부동산업 및 임대업 2011 2 30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1998 2 280 주: 2013년 대우간다 투자 전무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라. 한-우간다간 교류현황

2013년 우리의 대 우간다 경제-문화 교류 현황을 보면 아래 표와 같다.

한-우간다 교류현황 (2015년)

일자별 교류내역 2015.1. 한국농어촌공사 사장 우간다 방문 2015.3. 정종섭 행자부 장관 우간다 방문 2015.5. 한국 정보화 진흥원 우간다 정보접근화센터 개소식 개최 2015.5. 고위급인사 초청 새마을 운동 세미나 개최 2015.6. 외교단 부인회 초청 한국문화 소개 행사 개회 2015.7. 한-우간다 미래지도자 대회 개최 2015.8. 한-우간다 역사 세미나 개최 2015.8. 우간다 정부 조달 관계 국과장 15명 방한 연수 2015.11. 한국수출입은행 선임부행장 우간다 방문 2015.11. 글로벌녹색성장기구 총회 참석차 우간다 재무부 장관 방한 2015.11. 우간다 초등학교 대상 한국문화 소개 행사 개최 2015.11. 한국영화제 및 대사배 태권도 대회 개최 2015.12. 한국섬유산업연합회 대표단 방문 2015.12. 외교단 부인회 초청 한국문화 소개행사 개최

마. 현안사항

한국과 우간다 간 투자보장협정 및 이중과세방지 협정이 체결되지 않아 추진 중이다.

바. 한- 우간다 정상회담

2013년 5.29-31일간 우간다 무세베니 대통령은 한국을 방문하여 박근혜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정상회담에서 통상·투자, 에너지·자원 개발협력, 새마을운동 등 양국간 협력 증진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

16 / 83

우간다 국가정보

고, 공동성명을 발표하였다. 또한 한-우간다 양국은 수교 50주년을 맞아 양국 관계가 더욱 확대·발전해 나가 기를 희망하였으며, 새마을 운동을 포함하여 우간다의 여건에 맞는 맞춤형 개발협력 확대를 통해, 우간다 장 기 국가 개발계획인 ‘Vision 2040' 실현과 우간다를 포함한 아프리카의 행복시대를 앞당기기 위한 나눔과 기 여를 확대해 나가기로 합의하였다.

한-우간다 에너지-광물자원 협력 MOU 체결

근거 협약: 한-우간다 에너지-광물자원협력 MOU (2013년 5월 체결) 내용: 양국 간 석유가스 개발, 정유 공장 및 석유 파이프라인 개발, 소규모 채굴을 포함한 광물개발, 지질도 작성 및 연구, 에너지·광물 관련 교육 훈련, 석유·가스·광물 관련 산업 및 인프라 개발에 공동 참여 및 협력 주요 협력 활동으로는 (1) 유망광구에 대한 기술정보교환, 탐사·개발 위한 데이터 교환 및 공동연구, 우간다 국영석유회사 설립 협력 (2) 정보교환, 기술공유, 에너지광물자원 관련 입법 협력 등 양국 간 협력기관은 우간다 국영석유회사, 한국석유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한국광해관리공단 등이며, 활 동이행을 위한 공동위원회 설치하여 양국에서 2년에 한 번씩 교대로 개최하기로 함.

한-우간다 정상회담

자료원: 청와대 블로그

기대효과

우간다의 원유 발굴은 현재까지 총 35억배럴 정도 이상이 매장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현재까지 40%의 시 추가 이뤄진 데다 시추 성공률이 80%이상이어서 탐사가 완료되면 최소 80억 배럴 이상의 매장량이 기대되 고 있다. 우간다 정부는 원유를 자국내에서 정유하여 부가가치를 높여 수출하려는 의도로 정유공장 건설 계 획을 세워, 2012년말까지 타당성 조사를 진행, 1일 6만 배럴 정유 능력을 가진 정유공장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17 / 83

우간다 국가정보

우간다 석유 탐사지역

자료원: 우간다 에너지광물부

정유공장 건립 유망지역

자료원: 우간다 정유공장 프로젝트 타당성 조사보고서(2011)

18 / 83

우간다 국가정보

우간다 무세베니 대통령은 한국 방한 한-우간다 정상회담 이후 2013년 10월에 방문한 산업부 주관 민관사 절단 방문 예방 시 한국에 대한 강한 신뢰를 대내외적으로 표명하면서 동 정유공장 건설 국제입찰에 적극 참 여해 줄 것을 표명, 2014년 초 6개 입찰자 중에서 일본, 중국을 제치고 한국이 최종 2개 낙찰 대상으로 지목 되고 있다. 한국기업의 우간다 정유시설 수주 진출은 당장의 수익효과보다는 케냐를 비롯한 주변국에서 지속 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원유(케냐 약 100억 배럴 이상 매장 추정), 가스(탄자니아) 등의 정유 및 발전 플랜트 사업의 교두보 역할을 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우간다 에너지자원분야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주요 협력분야(제1항 1)

석유가스 개발 정유 공장 및 석유 파이프라인 개발 소규모 채굴을 포함한 광물개발 지질도 작성 및 연구 에너지·광물 관련 교육 훈련 석유·가스·광물 관련 산업 및 인프라

주요 협력 활동

(제2항 3) 유망광구에 대한 기술정보교환, 탐사·개발 위한 데이터 교환 및 공동연구, 우간다 국영석유회사 설 립 협력 (제4항) 정보교환, 기술공유, 에너지광물자원 관련 입법 협력

협력기관(제1항 3)

우간다 국영석유회사, 한국석유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한국광해관리공단 등

공동위원회 설치․운영(제7항)

활동이행을 위한 공동위원회 설치, 양국에서 2년에 한 번씩 교대로 개최, 공동위·구성·장소·일시는 양측 합의 하여 결정

MOU의 효력

(제6항) 법적의무 배제, 양국 각국의 재원·법 제도의 제한 받음. (제8항) 양국 간 旣체결된 약정에 따른 책무에 영향 없음. (제9항) 5년간 유효, 종료 시점 6개월 이전에 서면 통보하지 않는 한 2년씩 자동 연장, 종료 시에도 旣진행 활동은 완료까지 유지 자료원: www.president.globalwindow.org

19 / 83

우간다 국가정보

양국 정상 회담을 통한 경제 외교 성과

2013년 우간다 무세베니 대통령이 한국을 방한 한 이후, 2013년 10월에 한국 산업부 주관 민관사절단이 우 간다를 방문하여 대통령을 예방하였으며, 이때 동 정유공장 건설 국제입찰에 한국기업이 적극 참여해 줄 것 을 요청, 2015년 초 한국 GS건설이 콘소시엄으로 참가한 러시아계 RT리소스글로벌이 최종 우선협상자로 선정되었다. 2016년 7월 일일 정제량 6만 배럴의 Hoima 정유공장 프로젝트 관련하여 ‘15년 3월 이래 진행 해 오던 러시아의 RT Global 컨소시엄과의 협상 불발로SK 컨소시엄과의 재협상 가능성 높아짐에 따라 ’18 년 초 완공 예정이던 기존 계획도 지연될 것으로 전망.

한-우간다 정상회담 MOU체결

무역투자진흥협력 MOU를 통해 우간다의 경제, 통상 및 시장정보를 우리 기업들에게 제공해 비즈니스 창출 기회를 지원 확대할 예정. 표준 및 적합성평가분야 협력 MOU를 통해 우간다가 한국과 유사한 수준의 표준체계를 정립할 수 있도록 지 원할 예정. ICT 분야 협력 MOU 체결을 통해 국가정보통신망, 전자정부, 마스터플랜 등 우리 기업의 참여를 지원할 계 획. 정부 간 보건분야 협력, 양국 국립암센터 간 협력, 한국 국제보건의료재단과 우간다 국제 결핵연구소 간 협력 MOU를 체결함으로써 동아프리카 지역에 우리 보건산업의 진출 기반을 마련.

한-우간다 정상회담

자료원: 청와대 블로그

20 / 83

우간다 국가정보

Ⅱ. 경제

1. 경제동향 및 전망

가. 일반 현황

우간다는 Museveni 대통령의 집권이래 등락은 있지만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해왔다. 2006년 10.8%의 경 제성장률을 기록 후 점차 하락해 2012년에는 3.4%까지 하락했으나, 2013년 5.8%, 2014년 6.0%(EIU 추정치)를 기록하며 성장세로 돌아섰다. 그러나 이처럼 높은 경제성장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교통과 전력 인프라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우간다의 경제력은 농업에 치중돼(GDP의 총 23% 이상, 총 인구의 80%를 차지)있는 상태이다. 농업의존 도가 높은 상태에서 빈번한 가뭄으로 인해 식품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심각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기 때문에 우간다 정부는 농업생산력 향상에 지대한 노력을 기울여오고 있다. 한편 2014년 물가상승률은 곡물 생산의 향상 등으로 인해 낮게 유지되고 있다. 2013년에는 서비스 분야가 GDP의 50% 이상을 차지하면서 통신, 금융, 호텔 및 식당 서비스업이 대폭 성장하고 있다.

우간다의 Albert호수에서는 원유가 발견됐는데, 현재 40%정도 진행된 탐사 결과 14억 배럴 규모의 유전을 발굴한 상태이며 추가적인 유전 발굴이 기대된다. 우간다 정부는 유전탐사를 지속 실시하는 한편, 시추를 추 진하고, 시추된 원유를 정제하기 위한 정유공장과 운반하기 위한 송유관 등의 인프라 사업을 진행 중이다. 2014년 도요타가 우간다-케냐 간 송유관사업 컨설팅업체로 선정돼 2015년 중순까지 타당성조사 및 설계를 마무리 했다.

2015년 우리기업 SK와 러시아 기업 RT-Global Resources가 입찰경쟁 끝에 RT-Global Resources가 최종 선정됐다. 우리기업 GS건설이 RT-Global Resources 컨소시움으로 사업에 참여 중 이다. 2016년 2월 우간 다 정부와 러시아 컨소시움 사이 입찰계약 성명식이 예정돼 있었으나, 7월 협상이 불발로 끝나 SK 컨소시움 과의 재협상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기존 계획 또한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나. 2016년 경제전망

EIU는 우간다의 2016년 경제성장률을 우간다 정부의 지출 확대에 힘입어 GDP의 5.0%로 전망하고, 2017-20년까지 인프라 분야 투자로 실제 성장률이 평균 5.8%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외국인직 접투자 감소(5.6%), 교역적자확대(GDP 9.8%), 정부재정적자 확대(GDP 대비 5.5%), 물가상승, 실링화 평가절하(2015년에만 25% 절하) 등 풀어가야 할 여러 가지 경제적 난제가 있다.

주요 경제지수 변동추이 (2012-2016)

연도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경제성장률 (%) 2.6 4.4 4.7 4.9 5.0 물가상승률 (%) 14.0 5.5 4.3 5.2 10.3 환 율 (우간다실링) 2,505 2,587 2,600 3,24 3,672 외환보유액 (U$백만) 3,167 3,338 3,316 2,952 2,597

21 / 83

우간다 국가정보

연도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외채 (U$백만) 3,777 4,807 5,153 5,545 5,998 자료원: EIU 국가보고서 2016년 6월호 (*2015-16년은 추정치)

경제 호조 전망 근거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 박차

우간다 정부는 Tullow Oil사와 토탈석유, 중국해양석유개발공사(CNOOC)가 합작하는 총 29억 달러 규모의 석유 추가탐사 프로젝트를 승인했으며, 석유생산 허가권은 현재 중국의 CNOOC사가 유일하게 허가권을 부 여받았다. 우간다 정부는 Tullow사의 석유개발허가권도 2016년 내 발급할 예정이다. 원유 수출을 위한 송 유관 구간은 미확정이며, 우간다-인도양 해안간 세 개 후보 구간을 두고 정치적 경제적 계산 하에 동아프리카 국가 지도자 간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우간다 정부는 송유관 건설 뿐 아니라, 산업단지 조성, 석유 생산지 호 이마에 공항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인프라 예산 확대

우간다 2015/16년도 국가예산은 79.7억불로 우간다 정부는 인프라 투자기조 유지 및 공공 서비스 증진 테 마 하에 인프라 및 에너지 개발에 최우선 순위를 두는 한편 민간 부문의 농업, 산업 및 서비스 활동에 힘입어 경제 성장세를 유지해 나가고자 하고 있다.

라. 최근 경제 이슈

천연자원 개발

우간다의 석유자원 개발이 국제적 관심을 받는 가운데, 천연가스자원 역시 향후 개발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 인다. 2014년까지 확인된 천연가스는 우간다 원유개발지역인 서부 알버타인 지역에 매장된 1억 9,200만 입방피트의 수반가스(associated gas)와 930억 입방피트의 비수반가스(non-associated gas) 등을 비롯해 총 5천억 입방피트 규모이다.

ㅇ 수반가스 발견지역: Mputa, Waraga, Kingfisher, Nzizi

ㅇ 비수반가스 발견지역: Nzizi, Ngiri, Kasamene, Kigogole, Ngege, Jobi-Rii, Ngassa, Nsoga, Jobi East

우간다 정부는 탐사가 계속 진행되면서 매장량이 추가 발견될 것으로 예상하고 발견된 천연가스를 우간다의 전력 생산 확충을 위해 사용할 예정인데, 실제로 Mputa 지역의 원유와 Nzizi 지역의 천연가스를 이용한 발 전소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다.

22 / 83

우간다 국가정보

2015/16년 정부예산 발표

우간다 정부는 2015-16년도 국가 예산 79.7억 미불을 배정하고, 동 회계연도 GDP 성장률을 5.8%로 전망 했다. 동 회기에는 국방/안보, 민간창업 촉진, 인프라개발, 농업 등 1차산업의 상업화, 국내 세수 확대를 위한 역량개발, 사회서비스 증대 및 정부 효율성 개선 등 7개 분야에 집중할 계획이다.

주요 분야별 예산 배정 (단위: 억 달러, %) 분야별 배정 예산액 배정 비율 국방/안보 5.5 9% 교통 인프라 11.1 18% 교육 7.73 12% 보건 4.33 7% 수자원 1.92 3% 농업 1.70 3% 관광 등 0.53 1% 정보통신기술 0.32 1% 자료원: 우간다 재무부

도로 확충 및 교량 건설 등 교통 인프라 분야에 예산의 18.2%인 3.3조실링(약 11억 미불)을 배정했으며, 에 너지 생산 관련 현재 연간 840MW 전력 생산량을 2020년 2,500MW 및 2040년 41,738KM로 확충해 나 간다는 구체 목표를 제시했다. 우간다는 개발목표 달성을 위해 장기 저리 자금원인 양허성 차관 도입을 지속 모색하고, 비양허성 차관은 생산율이 높은 고정설비투자 재원으로만 한정해 차입할 예정이다. 무세베니 대통 령은 예산발표회에서 부정부패, 높은 문맹률, 작은 시장 규모를 경제 성장의 도전 요소로 지목하고, 이들 장 애가 해소되면 우간다가 연평균 7-10%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물가상승률 점진적 상승

우간다 중앙은행은 환율 인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로 기준 금리를 2015년 3월 11%에서 10월 17% 까지 상향 조정하는 긴축 통화 정책을 펼쳐온바, 동 정책의 효과로 실링 약세 및 전기세 인상, 기후 변화로 인 한 식량 가격 상승 요인에도 불구하고 물가 인상률 증가 추세는 비교적 점진적인 편이다. 우간다 통계청 발표 에 따르면 2015년 10월 기준 물가인상률 8.8%, 11월 기준 9.1%로 상승했다. IMF는 2016년 초 물가상승 률을 10.1%로 예상중이다. 우간다 중앙은행의 긴축정책은 성장 억제의 부정적 효과도 동반해 IMF는 우간 다 2015~2016년 경제성장률을 5.8%에서 5%로 하향조정했다.

23 / 83

우간다 국가정보

2. 주요 산업동향

가. 전체동향

우간다는 농수산업이 전체 GDP의 23%, 건축업이 13.7%를 차지하며 제조업은 약 8% 수준으로 아직 농 업 등 1차 산업의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분야별 GDP구성 (불변가격기준, 단위: %) 산업/연도 2010 2011 2012 2013 2014 농수산업 25.4 24.2 23.6 234. 23.0 제조업 8.4 8.3 8.0 7.7 7.7 건축업 5.6 6.2 6.0 6.3 6.5 부동산 5.2 5.0 5.1 5.2 5.3 기타 55.4 56.3 57.3 57.4 57.5 자료원: Uganda Statistical Abstract 2015

나. 주요 산업 소개

1) 농림수산식품 - 농업분야

GDP의 23% 수준을 차지하지만, 총 인구의 70-80%가 농업에 의존하고 있다. 대부분의 농업수확은 약 2 헥타르 미만의 소규모 농작지에서 전통적이고 단순한 농작법에 의해 산출되고 있는 형편이다.

농작물의 주는 식료품 조달을 위한 것으로 총 농업수입의 65%를 차지하며, 수출용 곡물은 전통적으로 커피, 면화, 차(Tea), 연초 등이었으나 최근에는 바닐라, 화훼, 코코아 등 외화벌이용으로 바뀌고 있으며, 총 농업 수익의 1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커피는 총 수출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아라비카 품종이 조금씩 증 가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로부스타 품종이 총 커피수출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2014년에는 전반적으로 곡물 수출액이 감소하였으나, 커피 4억 달러, 어류 1.3억 달러, 차가 0.8억 달러, 면 화가 0.2억 달러로 2011년 이래로 커피, 어류, 차, 면화의 품목 순위 변동은 없다.

주요 곡물 수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품목/연도 2011 2012 2013 2014 커피 467 372 450 410 어류 136 128 130 134 차(Tea) 72 74 76 84 면화 86 75 80 21 총 수출액 2,159 2,357 2,407 2,262 자료원: Uganda Statistical Abstract 2015

24 / 83

우간다 국가정보

2) IT - 서비스업 분야

서비스업 중 가장 빠른 성장을 보이는 분야는 통신과 금융 분야이다. 이는 동아프리카 전반에 걸친 휴대폰 사 용자의 급격한 증가와 금융시스템의 개선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2012년에 우간다 정부가 강력하게 시행 한 SIM 카드 사용자 정식 등록제 시행에 따라 잠시 가입자 수가 주춤했으나, 2013년 1829만명 (전년대비 9% 증가), 2014년 2069만명 (13.7%증가) 등으로 지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통신서비스 가입자 수 (단위: 만 명) 구분 2011 2012 2013 2014 총 가입자 수 1,716 1,667 1,820 2,069 유선 가입자 수 46 31 27 32 휴대폰 가입자 수 1,670 1,636 1,806 2,036 100명당 사용자 수 52.1 48.8 51.9 56.5 자료원: Uganda Statistical Abstract 2015

3) 광물/에너지 - 광업 분야

우간다의 지하자원은 민주콩고의 지질대를 공유하면서 상당한 매장량을 보유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아 직까지 전체적인 광물지도를 작성하지 못해 정확한 파악이 불가한 상황이다. 2014년 기준 시멘트 원료인 석 회석이 총 5,051만 달러로 가장 많이 생산되었으며, 이어서 포츨라나 601만 달러, 철광석 439만 달러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금은 공식 생산량 통계에는 소규모로 파악되나 비공식 생산 및 수출이 이뤄지고 있다. 코발 트의 경우 생산량이 2013년에 급격하게 줄었으며, 14년에는 통계 상 생산되지 않고 있다.

주요 광물 생산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광물 2010 2011 2012 2013 2014 석회암(Limestone) 34.96 44.34 44.83 42.91 50.51 코발트(Cobalt) 15.59 17.29 17.83 5.65 - 질석(Vermiculite) 0.29 1.82 12.00 0.51 0.59 포촐라나(pozzolana) 4.30 5.75 5.44 5.07 6.01 고령토(kaolin) 1.25 0.82 1.71 1.70 1.78 텅스텐(wolfram) 0.87 0.0 0.59 0.97 1.06 주석(tin, 순도 75%) 0.50 0 0.47 0.33 0.58 철광석(Iron Ore) 0.12 0.22 0.0 0.24 4.39 망가니즈(Manganese, 46% 이상 망가니즈) 0.01 0.13 0.0 0.0 - 금(Kg) 0.0 0. 0 1.0 0.0 섬장암질 골재(Syenitic Aggregate) 0.009 0.005 0.012 0.063 0.037 콜탄(coltan) 0.0 0.0 0.0 0.0 - 석고(Gypsum) 0.0 0.3 0.0 0.0 - 은(Silver) 0.0 0.0 0.0 0.0 - 총합계 57.9 70.41 82.92 57.47 64.99

25 / 83

우간다 국가정보

증가율 29 41 17 -24 6.2 주: 적용환율('10년 2,178실링; '11년 2,523실링; '12년 2,506실링; '13년 2,579실링; ‘14년 2,590실링) 자료원: Uganda Statistical Abstract 2015

알버트(Albert)호수에서는 약 20억 배럴 규모의 유전이 발굴되었으며, 추가 탐사가 진행됨에 따라 더 많은 원주가 발견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간다 정부는 2009년부터 하루에 4,000배럴을 정유 할 수 있는 정 유공장 건설을 추진하였으나, 정부내부와 해외 투자가들 사이의 이해관계가 얽혀 지연되다가 2013년 말에 한국기업을 포함한 6개 글로벌 정유 사업가들의 국제 입찰이 이뤄져, 2014년부터 시공 절차가 추진되고 있 다.

4) 건설/인프라/플랜트 - 건축업 분야

우간다의 건축업은 2014년 추정 GDP의 14.9%를 차지할 정도로 활성화되어 있다. 건축업의 성장세를 반 영하는 시멘트 소비현황을 보면 2008-2010년까지 매년 국내 소비량이 10% 이상 증가세를 보였으며, 2012년에는 178만톤을 생산, 45만 톤을 수입하고 52만 톤을 수출하여 국내 공급은 총 170만 톤을 소비, 2011년 대비 약 2.17%의 증가세를 보였다. 2013년에는 시멘트를 202만 톤 생산. 32만 톤 수입, 59만 톤 수출하였으며, 국내 공급은 총 175만여 톤을 소비, 전년도에 비해 약 3%의 증가세를 보였다. 2014년에는 생산량이 214만 톤으로 전년도에 비해 5% 증가하였으며, 수입 또한 39만 톤으로 전년도에 비해 20% 증가 하였다. 국내 공급은 205만 톤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하였으나 수출이 48만 톤으로 지난 해에 비해 18% 감소하였다.

시멘트 생산 현황 (단위: 천 톤)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생산량 1,347 1,666 1,780 2,023 2,141 수입 503 501 449 322 397 수출 362 502 528 593 485 순 국내 공급(NDS) 1,489 1,665 1,701 1,752 2,053 NDS의 연간 % 11.29 11.83 2.17 4.7 17.2 자료원: Uganda Statistical Abstract 2015

3. 지역무역협정 체결현황

가. 개요

우간다는 케냐, 탄자니아와 함께 1970년대 중반에 중단되었던 EAC(East African Community)를 2000년 7월부터 부활, 발전시킴으로써 3국간 정치, 경제, 사회 등 제반 분야에서의 긴밀한 협력체를 구성하는 데 적 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또한 PTA(특혜 무역 지대: Preferential Trade Area)를 통한 경협·교역 증진에 도 적극적이며 1993년부터 개편된 COMESA 동남 아프리카 공동시장 (Common Market of East and South Africa)에 회원으로 참여했고, 2000년 10월부터 역내 FTA회원으로 참가하였다.

26 / 83

우간다 국가정보

나. COMESA

세계적인 경제통합 움직임(EU, NAFTA, ASEAN등)에 의해 촉구됐으며 현존 PTA가 역내 경제 협력에 실질 적으로 기여하지 못한데 대한 대안으로 공동시장 창설을 위해 제시했다. (1993년 11월 PTA 정상회담에서 COMESA 구성에 관한 조약체결, 1994년 12월 동 조약 발효)

역내 생산력 증대, 관세장벽 철폐, 공동대외관세 채택 등을 목적으로 하고, 1999년 5월 20 ~ 21일 나이로비 에서COMESA 정상회의를 개최했으며, 2000년 10월 31일에 20개 회원국간에 COMESA 자유무역지대 (FTA) 출범을 이루었다.

규모

총인구 및 면적: 약 4억 명, 12.88백만 평방km 총 GDP 규모: 3,600억 달러 역외 수출량: 820억 달러 // 역내 수입량: 320억 달러 주요 지하자원: 239억 7,000만 달러(추정치) COMESA 수입(인산염(3,000억 M/T), 석유(1,050억 톤), 상당량의 우라늄, 니켈, 구리, 코발트 매장(금, 다 이아몬드, 백금, 크롬, 망간의 경우 전세계생산량의 대부분 차지)

회원국(19개국)

브룬디, 코모로, 콩고민주공, 지부티, 이집트, 에리트리아, 에티오피아, 케냐,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 스, 나미비아, 르완다, 세이쉘, 수단, 스와질랜드, 우간다, 잠비아, 짐바브웨 (탄자니아 제외)

다. 동아프리카 공동체 (East African Community)

시행배경

동아프리카 공동체(이하 EAC)는 케냐, 우간다, 탄자니아, 브룬디, 르완다 5개국의 정치, 경제 공동체이며, 관세동맹을 시작으로 단일 소비 및 투자시장을 형성해 향후 EU(European Union)와 같은 FAT체결, 단일화 폐 사용, 궁극적으로 정치연합까지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EAC의 첫 관심 사업이었던 관세동맹 합의는 EAC의 핵심 회원국이었던 케냐, 우간다, 탄자니아 정상들이 2003년 11월, 2004년 1월, 3월 등 회동을 통 해 수차례의 의견 조율이 있었으며, 2006년 1월 1일자로 시행하게 되었다.

관세동맹

2006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EAC 관세동맹은 역내 외 국가로 구분해서 적용되는데 역내 관세 동맹 국가간 거래에는 단일시장을 목표로 무세(0%)가 적용되며, 역외국가로부터 유입되는 물품에 대해서는 원부 자재는 0%, 중간재는 10%, 소비재는 25%를 적용하고 있다. 우간다 및 탄자니아는 자국산업 보호를 위해 케냐로 부터 유입되는 물품에 대해 2009년까지 한시적으로 일정률의 관세를 부과하다가 2010년 7월부터 일부 제 품을 제외하고 완전 무관세로 전환시켰다.

(참고: 구체적인 세율 및 정보는 동아프리카 공동체 홈페이지(영문) www.eac.int)

27 / 83

우간다 국가정보

라. 최근 제도 변경사항

동아프리카 공동체(EAC)는 주요 생활 필수품의 대외 공통 관세(CET)를 인하할 예정이다. 2013년 상반기 정상회담에서 관세 연합 프로토콜(Customs Union Protocol)을 제안하여 설탕(100%), 쌀(75%), 밀 (35%), 시멘트(35%)의 대외 공통 관세를 25%로 인하하기로 하였다.

2014년 10월 EAC 장관회의에서 원산지결정기준을 변경해 회원국 내 운송료를 해당국 내 부가가치기준에 포함시키기로 합의하는 한편, EAC 내 수출품의 무관세적용 기준인 수출 회원국 내 35% 부가가치 발생기준 을 30%로 하향조정하기로 결정하여 무관세수출 장벽이 한층 더 낮아질 예정이다. 한편, EAC 회원국들은 연방헌법 제정을 위한 준비를 추진 중이다. 2016년 내 연방헌법 초안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14년 11월 30일 나이로비에서 개최예정인 제16차 EAC 정상회담에서 연방헌법 제정에 관한 세부사항이 논의될 계획이다.

마 동아프리카 단일 통화 사용을 위한 준비

동아프리카 공동체(EAC)는 동아프리카 단일 통화 사용을 위해 2012~2013년간 일곱 차례의 회의를 갖고 단일 통화 사용을 위한 프로토콜의 조항 중 77개의 조항을 확정하였으며, 동아프리카 은행(East African Bank)을 설립하여 10년 간의 조정 절차를 통해 단일통화화 하기로 하였다. 2014년 10월, EAC통합위원회 가 2013년 합의했던 단일통화 프로토콜을 최종 승인하면서 단일통화 사용 추진에 탄력이 붙었다

바. EAC 단일시장 확대 움직임

아프리카의 3대 경제블록인 동남아프리카 공동시장 (COMESA, Common Market for East and Southern Africa), 동아프리카 공동체 (EAC, East Africa Community), 남부아프리카개발공동체 (SADC, Southern Africa Development Community)가 연합 해 단일 경제권 형성을 추진 중이다.

아프리카 기존 3대 경제공동체 26개 회원국 정상과 관련 인사들은 2008년 10월 22일 우간다의 수도인 캄 팔라에서 새로운 통합경제기구인 ‘아프리카 경제공동체(AEC; African Economic Community)’ 발족식을 가졌다. 이후 세부사항 조율 등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2014년 12월 이집트 카이로에서 EAC, COMESA, SADC 간 자유무역협정 서명이 계획되어 있다. 동 협정 타결 시 3개 경제블록을 통합한 총 26개국, 인구 6억2,500만 명, 아프리카GDP의 58%를 차지하는 1.2조 달러 규모의 아프리카 역사상 최대 단일시장이 출범하게 될 예정이다. 아프리카경제공동체의 핵심 공동체와 산하 단체를 보면 아래 표와 같으며, 동 아프리카경제공동체 회원국을 총 망라하면 사하라 이남 모든 국가가 이에 해당된다.

아프리카경제공동체 핵심 조직 및 국가별분포

핵심 공동체 산하 단체 Community of Sahel-Saharan States (CEN-SAD)

Common Market for Eastern and Southern Africa (COMESA) East African Community (EAC)

Economic Community of Central African States Economic and Monetary Community of (ECCAS/CEEAC) Central Africa (CEMAC)

28 / 83

우간다 국가정보

핵심 공동체 산하 단체 West African Economic and Monetary Economic Community of West African States (ECOWAS) Union (UEMOA) West African Monetary Zone (WAMZ)

Intergovernmental Authority on Development (IGAD)

Southern African Customs Union Southern African Development Community (SADC) (SACU)

아프리카 공동체

자료원: 위키피디아

29 / 83

우간다 국가정보

Ⅲ. 무역

1. 수출입동향

가. 수출입동향

우간다의 2015년 총 수출은 약 27억 달러이며 총 수입은 46억 달러이다. 무역적자가 19억 달러로, 2014년 23억 달러에 비해 감소했다. 수출이 2014년 대비 0.3% 정도 소폭 감소했으나 수입이 8% 정도 감소하여, 무역적자가 전년대비 약 17% 감소했다.

무역 수지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수출(FOB) 2,519 2,804 2,829 2.779 2,711 수입(FOB) 4,997 5,262 4,974 5,116 4,637 무역수지 -2,478 -2,458 -2,145 -2,340 -1,926 자료원: EIU우간다 국가보고서 2014년 11월

우간다의 대외 수출 품목은 농업생산물이 주를 이루며, 수입 품목은 주로 석유와 공산품 이다. 최근에 세계적 인 커피 가격 상승과 인근국가인 수단, 콩고민주공화국으로 수출이 증가하면서 전체적인 수출이 현저히 증가 세를 기록하였으나, 아직도 수입이 수출보다 현저히 높아 전형적인 무역역조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나. 품목별 수출입 통계

우간다 수출품목의 경우 2014년 커피가 약 4억 달러로 1위를 차지했다. 어류, 1억 3천만 달러, 차 8천만 달 라가 그 뒤를 이었다. 상위 수출품목 모두 농립어업 품목으로 우간다의 경제구조는 1차 산업 위주로 구성되 어 있다.

상품별 수출 (단위: 백만 달러) 품목 2011 2012 2013 2014 커피 467 372 450 410 어류 136 128 130 135 차(Tea) 72 74 86 85 면화 86 75 31 22 기타 1,398 1,709 1.710 1,609 총 액 2,159 2,358 2,407 2,261 자료원: Uganda Statistical Abstract 2015

30 / 83

우간다 국가정보

우간다 주요 수입품목은 기계류와 연료이다. 2014년 기준 16억 7700만 달러를 수입 (전년 대비 7.5% 증 가), 하였으며 이는 전체 수입의 24.6%를 차지한다. 연료는 14억 3000만 달러를 수입 (전년 대비 8.3% 증 가), 하였으며 이는 전체 수입의 23.5%를 차지 하였다.

상품별 수입 (단위: 백만 달러) 품목 2011 2012 2013 2014 기계/장비류(SITC 71-79) 1,575 1,550 1,560 1,677 생필품(SITC 00-09) 446 452 450 493 플라스틱화학제품(SITC 57-59) 725 750 730 298 연료(SITC 33-34) 1,308 1,318 1,320 1,430 기타 2,548 1,117 1,420 2,175 총 액 4,997 5,187 4,849 6,073 자료원: Uganda Statistical Abstract 2015

우간다의 주요 수출국은 남수단, 케냐, 민주콩고공화국 등으로 우간다와 인접한 아프리카 국가가 대부분이다. 수입국 역시 케냐, 남아공 등 아프리카 국가 또한 주요 수입국이지만 인도,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가 차지 하는 비중이 그에 비해 상당히 높다.

주요 국가별 수출입 추이 (2014 기준) (단위: %) 수출 수입 총 교역 대비 총 교역 대비 순위 국가명 순위 국가명 차지 비중 차지 비중 1 남수단 14.9 1 인도 24.3 2 케냐 14.6 2 중국 12.0 3 민주콩고 12.0 3 케냐 10.2 4 르완다 10.1 4 일본 5.8 5 수단 3.9 5 남아공 4.2 자료원: Uganda Statistical Abstract 2015

2.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가. 교역규모

우리나라의 대우간다 수출은 2014년 624만 달러, 2015년 2,015만 달러를 기록하여 전년 동기대비 약 220% 정도의 수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더불어 우간다로부터 수입도 2014년 755만 달러에서 2015년 기준 1,344만 달러로 전년대비 78%정도 증가하여 무역수지는 671만 달러이다.

31 / 83

우간다 국가정보

한국의 對우간다 수출입 추이 (단위: 만 달러)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수 출 2,585 935 1,541 624 2,015 수 입 1,068 682 696 755 1,344 수 지 1,517 253 750 -131 671 자료원: KOTIS

나. 교역품목

우간다의 경제구조는 인근국인 케냐나 탄자니아와 유사하여, 소비재 상품 대체산업으로 대부분의 원자재 및 기계류의 수입 의존형이며 대규모 투자를 필요로 하는 소비재 상품인 자동차, 가전제품 등의 자국내 제조업 체가 전무하여 수요 전량을 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 우간다와의 교역은 의약품, 자동차, 섬유제품, 화학제품, 중장비 제품 등이 수출 호조를 보이고 있다.

2015년 이전부터 주요 수출품목이던 정밀화학제품과 인조섬유장섬유사의 수출액이 각각 350만 달러, 250 만 달러로 전년도에 비해 150%, 66% 증가하고 기타 잡제품이 700만 달러로 크게 증가함에 따라 전체적인 수출량도 2,000만 달러로 전년도에 비해 33% 증가하였다.

한국의 對우간다 주요 수출품목 (2014년-15년) (단위: 천 달러, %) 순위 품목명 2014 2015 증가율 총계 15,100 20,153 33.5

1 기타잡제품 17 7,024 42,302.6 2 정밀화학제품 1,408 3,585 154.6 3 인조섬유장섬유사 1,569 2,503 59.6 4 열연강판 0 571 - 5 승용차 439 558 27.0 6 변압기 424 472 11.4 7 합성수지 552 424 -23.2 8 알루미늄케이블 270 396 46.6 9 건설중장비 405 355 -12.4 10 화물자동차 28 306 996.3 자료원: KOTIS

우간다로부터 주요 수입품은 담배, 커피, 동물성 한약재 등 주로 농산물이 주를 이루고 있다. 2015년에는 상 위 수입품목들의 수입액이 전반적으로 감소하여 전체적으로도 1,344만 달러로 전년도에 비해 약 35%의 수 입이 감소하였다.

32 / 83

우간다 국가정보

한국의 對우간다 주요 수입품목(2014년-15년) (단위: 천 달러, %) 순위 품목명 2014 2015 증가율 총계 20,539 13,441 -34.6

1 커피류 16,33 9,551 -41.6 2 연초류 3,245 2,662 -18.0 3 동물성한약재 245 596 143.8 4 금 267 18 -32.6 5 수목류 167 175 4.5 6 유선전송장치 60 72 19.2 7 기타가죽 55 56 1.3 8 화초류 21 36 72.7 9 기타인쇄물 0 26 - 10 채유종실 0 17 - 자료원: KOTIS

3. 수입규제제도

가. 수입절차

우간다내 수입절차는 녹색통관, 황색 통관, 적색 통관, 재수출 등 크게 4가지로 구분하며, 절차별 소요시간 및 적용 예는 아래와 같다.

수입철차별 소요시간 및 적용 상황

진행절차 소요시간 적용 예 녹색통관 1시간 통관서류 승인 취득하고, 지정은행을 통해 통관세 기납부 완료 시 황색통관 6시간 통관서류 승인만 취득한 경우 적색 통관 24시간 직접 물건 검색을 통해 하자증명이 필요한 경우 재수출 8시간 재수출을 위해 분리후 수출 증명 프로세스를 거치는 경우 자료원: 우간다 관세청

우간다 관세청 연락처

홈페이지: www.ura.go.ug P. O. Box 7045 Kampala, Uganda Tel: (+256-41) 417-443000 (Toll Free: 0800-11-7000) Fax: (+256-41) 744-2245 E-mail: [email protected]

33 / 83

우간다 국가정보

나. 수입금지 및 제한 품목

수입금지 품목

승용차용 중고 타이어 음란 영상매체, 인쇄물, 서적 등 수은이 함유된 비누류 또는 화장품류 동아프리카세관관리법(East African Community Customs Management Act, EACCMA) 156페이지에 명시된 품목들

특별 승인이 필요한 수입제한 품목 (Restricted Items)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 (시체 및 잔여물 포함) 무기 및 총알류 (활 및 화살 포함) 유전자 변형 생산품 동아프리카세관관리법(East African Community Customs Management Act, EACCMA) 157-8페이지 에 명시된 품목들

다. 수입쿼터

우간다는 수입쿼터를 적용하고 있지 않다.

주: 2014. 11. 확인 기준 정보

4. 대한 수입규제동향

2014년 하반기 확인 결과, 현재 우간다의 대한 수입규제는 없다.

5. 관세 제도

가. 우간다의 관세제도

우간다는 동아프리카공동체(EAC)회원국으로 케냐나 탄자니아와 유사한 관세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나. 관세율 종류

관세율 적용 종류에는 일반적 관세 이외에 반덤핑세, 상계관세 등으로 구분되며 특정 항목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한다.

34 / 83

우간다 국가정보

다. 일반관세

동아프리카 공동체 회원국으로써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제품에 대해서 25%의 수입관세와 16%의 VAT를 부과한다.

대표적인 관세율은 아래 표와 같다.

우간다 관세율표

대분류 소분류 관세 VAT 일반 식품류 25 0 유제품 60 16 쌀 35 200 식품류 종자류(씨) 10 0 식용류 10 0 설탕류 100 200 원료들 0 0 화학제품 페인트류 25 16 필름류 10 16 공기청소기 15 16 기계류 (전자제품) 냉장고 25 16 음식, 음료 제조 0 0 카펫 등 내장재 25 16 일반의류 25 16 섬유 및 의류 가정용 리넨 25 16 가발용 원사 0 16 기차 5 16 교통, 수송 승용차 25 16 자동차 부속류 15 16 타일류 15 16 세라믹 제품 25 16 유리제품 15 16 건축자재 제지류 25 16 철강제품 0 16 아연판 10 16 주: 2012년 12월 말 기준

특히, 승용차의 경우 케냐와는 다르게 8년이상 된 중고차의 수입이 허용되나 이 경우는 수입관세 25%, VAT 18%, 원천세 6% 등에 별도로 환경세 20%를 부과하며, 8년이상 된 중고차 수입 시 총 세금은 CIF 구 매가격의 69%의 세금을 부과한다.

35 / 83

우간다 국가정보

라. 반덤핑세 및 상세관세

수입품의 가격이 정상가보다 낮은 경우 또는 수입품이 우간다 시장을 해치거나 산업 발전을 저해한다고 판정 된 경우에 반덤핑세 또는 상세관세를 부과하는데 품목별로 상이 하며 반덤핑 세를 적용한 경우는 없다.

마. 비관세 장벽

2005년 1월 1월부터 시행된 동아프리카협동체(EAC) 관세동맹은 역내외 국가들에 대해 차별관세를 적용하 였으나 2010년 7월부터 동아프리카 공동체 회원국간 자유무역협정을 체결, 실질적인 관세 장벽이 무효화됐 다. 수출 전략으로 수출자유지역(EPZ) 및 MUB(Manufacturing Under Bond), 보세공장 (Bonded Ware House) 등 투자기업에게 인센티브가 부여되는 제도를 이용한 현지 진출로 동아프리카 공급을 꾀하는 방법 이 있다. 또, 역내국가 간 무세 통관으로 회원국에서 활동하는 기업들 의 가격 경쟁력도 높아질 것이다. 따라 서 완제품보다는 무관세가 적용되는 기계 및 원부자재 시장을 겨냥하는 것도 방편이다.

주: 2014년 하반기 확인 기준 정보임

6. 주요 인증제도

가. 우간다의 주요 인증제도

우간다는 우간다 표준청에서 품질인증제도를 전담하고 있다

Uganda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주소: Plot M217 Nakawa Industrial Area, P. O. Box 6329 Kampala 전화: +256-414-505995, +256-414-222369 팩스: +256-414-286123 이메일: [email protected]

주요 기능은 아래와 같다.

- 각종 품질 표준을 제도화하고 개발 - 표준, 품질보증, 시험검사 등 관련한 제반 정보를 제공 - 불량품, 규격미달 제품의 우간다내 시장 반입, 유통 감시 및 제제 - 각종 상거래에 사용되는 측정기 및 측정치 표준 제시 및 관리감독 - 각종 수출입 품목에 대한 품질적합 검사 및 승인 - 표준 품질관리를 위한 제조 공장 감수 및 제제조치 - 국내 및 국제 표준관리법과의 형평성 조율 및 적용 등

36 / 83

우간다 국가정보

우간다는 각종 수입품에 대하여 2010년 6월부터 선적전 사전 품질 검사대행기관으로 Intertek을 지정하여, PVoC를 수행하고 있는데, 대 우간다 수출품은 사전 한국의 Intertek 대행사로부터 품질적합성 검사를 통해 품질 적합증(Certificate of Conformity)을 우간다 수입자 측에 제출해야 한다.

CoC발급 절차는 아래 사이트를 참조하면 된다. www.export2uganda.com

7. 지식재산권

가. 개요

우간다 등록서비스 관할국(Uganda Registration Service Bureau)의 IP(Intellectual Property)부서에서 지 식재산권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위 기관은 우간다 법무부(the Ministry of Justice and Constitutional Affairs) 산하기관으로, 특허권, 상표권,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 업무 전반을 도맡고 있다. 하지만 지식재산권 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부족한 상황이어서, 지식재산권 신청이 저조한 편이다.

우간다의 지식재산권을 보장하는 법안은 특허법(Patents Act, Cap 216), 상표법(Trademarks Act No. 17), 저작권법(Act No.2006) 등이 있다. 현재 우간다 내부에서는 산업디자인법이 갖추어지지 않았으나, 영 국에서의 산업디자인 등록이 자동적으로 우간다에 적용되고 있다(UK Designs Act, Cap. 218).

나. 특허권

특허권은 지적재산을 보호함으로써 기술발전과 경제성장을 진작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허법 216조>에 따 른 권리다. 특허권을 부여 받을 경우, 해당 발명에 대해 15~20년 간 배타적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다. 특허 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해당 부서에 특허신청서를 제출 후, 약 6개월 간의 심사과정을 거쳐야 한다.

우간다에서 특허(Patent)를 취득할 수 있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새로울 것 ② 개인의 기술에 의존하지 않을 것 ③ 어떠한 분야의 산업에서도 활용 가능할 것

위의 특허기준을 완벽하게 충족하지 못한 발명에 대해서는 실용신안(Utility Model)을 부여한다. 새로운 발 명이되, 위의 기준 중 ②번 혹은 ③번만 해당될 경우 실용신안을 획득할 수 있다. 실용신안 역시 특허법에 근 거한 것으로, 완성 ‘과정’이 아닌 완성 ‘제품’에 한해서 등록이 가능하다. 실용신안을 획득하면 연장이나 갱신 없이 7~10년 간의 보호기간을 보장받을 수 있다.

다. 상표권

우간다에서 상표를 보호받기 위한 방법은 크게 두 가지이다. 먼저 ARIPO(African Regional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를 통해 등록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짐바브웨, 탄자니아, 르완다 등

37 / 83

우간다 국가정보

ARIPO 가입국가 모두에서 상표권을 보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는 우간다 관계당국에 직접 등록을 하는 방 법이다. 우간다 등록서비스 관할국(Uganda Registration Service Bureau)에 직접 상표권을 등록하는 절차 는 다음과 같다.

- IP(Intellectual Property)부서에 상표권 신청서를 제출한다. - 우간다 관보에 게재한 후, 60일 간 이의신청을 받는다. - 이의신청이 없을 경우 등록을 한다. - 승인된 상표권은 다시 우간다 관보에 게재된다.

상표권은 등록 후 10년 간 지속되며, 이후에는 상표등록을 갱신해야 한다. 한편, 상표권 등록 신청서 견본 목 록 및 양식은 http://www.ursb.go.ug/ 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라. 저작권

우간다에서는 저작권 법이 2007년 발효된 이후, 2008년부터 저작권 등록이 시작됐다. 때문에 아직까지 저 작권 등록 참여는 저조한 편으로 2012년까지 저작권 등록이 완료된 수는 총 116건뿐이다.

저작권은 우간다 시민 혹은 우간다 거주민의 작품이거나, 우간다에서 첫 선을 보인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일 반적으로 저작권 보호기간은 저작물이 공개된 시점으로부터 50년이다. 저작권은 상표권과 마찬가지로 60일 간 관보에 게재한 후에도 이의신청이 없을 경우 등록이 가능하다.

마. 우간다 지식재산권 관련 기관

Uganda Registration Service Bureau 주소: Plot 5 George Street, Georgian House P.O.Box 6848 Kampala Uganda Tel: +256 414 233 219 Fax: +256 414 250 712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ursb.go.ug

8. 통관절차 및 운송

가. 수입통관절차

우간다 내 통관절차는 녹색통관, 황색통관, 적색통관, 재수출 등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며, 절차 별 소요시간 및 적용 사례는 아래와 같다.

통관 절차 및 소요시간

진행절차 소요시간 적용 예 녹색통관 1시간 통관서류를 모두 승인받고, 지정은행을 통해 통관세 기납부를 완료한 경우

38 / 83

우간다 국가정보

황색통관 6시간 통관서류 승인만 취득한 경우 적색통관 24시간 직접 물건 검색을 통해 하자증명이 필요한 경우 재수출 8시간 재수출을 위해 분리 후 수출 증명 프로세스를 거치는 경우 자료원: 우간다 관세청

나. 통관구비서류

기본적으로는 선하증권(B/L), 세관신고서, 인보이스(invoice) 등의 서류를 준비해야 한다. 여기에 더해 포장 명세서(Packing List)를 준비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수입제한물품 (restricted goods)의 경우, 위의 필수 서 류와 함께 수입 허가서를 제출해야 한다. (수입제한물품 목록은 3장 수입규제제도 참고)

다. 주요항구

우간다는 내륙국가이기 때문에 물류를 운송할 수 있는 항구가 없다. 따라서 우간다는 가장 인접한 케냐의 몸 바사(Mombasa) 항구를 이용한다. 몸바사 항은 케냐의 남동해안에 위치한 정부 소유의 항구로, 케냐 항만청 (Kenya Ports Authority)에서 관리한다. 때문에 우간다 관세청은 케냐 항만청과의 협약을 유지하여 물류운 송에 차질이 없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다. 몸바사 항구 제반에 대한 상세 내용은 아래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케냐 항만청: http://www.kpa.co.ke/

자료원: 케냐항만청

한편, 몸바사 항구에서 캄팔라(Kampala)를 잇는 주요 교통수단으로는 육로수송과 철도수송이 있다. 철도수 송은 육로수송보다 이동거리가 43% 정도 길지만, 운송비용이 좀더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다. 2010년 기준 육로수송은 총 3,019달러, 323시간이 소요되며, 철도수송은 총 2,991달러, 462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 났다. 이들 운송수단 비용은 각각 총비용의 86%를 차지하는 수치이다.

39 / 83

우간다 국가정보

몸바사-캄팔라 간 운송비용 및 시간 (단위: 달러/TEU, 1시간) 캄팔라(도로) 캄팔라(철도) 요소 비용 시간 요소 비용 시간 항구 297 217 항구 297 217 도로 1,801 80 도로 - - 국경 - 26 국경 - 2 철도 - - 철도 1,762 243 호수 - - 호수 - - 운송 2,098 323 운송 2,059 462 화물 창고 이용료 300 - 화물 창고 이용료 300 - 기타 물품 621 - 기타 물품 632 - 합계 3,019 323 합계 2,991 462 자료원: East Africa Corridor Diagnostic Study: Northern Corridor (2010년 기준)

몸바사-캄팔라 간 운송비용 및 시간 비율그래프

자료원: East Africa Corridor Diagnostic Study: Northern Corridor (2010년 기준)

마. 우간다 관세청 (URA, Uganda Revenue Authority)

주소: P. O. Box 7279 Kampala, Uganda 전화번호: (+256-41) 417-443000 (Toll Free: 0800-11-7000) Fax: (+256-41) 744-2245 E-mail: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ura.go.ug

40 / 83

우간다 국가정보

9. 시장 특성

가. 소비자 특성

우간다는 일인당 국민소득이 2013년 기준 608달러로 소득수준이 케냐 보다 낮고(케냐 일인당 국민소득 약 1,000달러) 산업발전도 우리나라의 70년대 초반 수준에 머물고 있어 열악한 실정이다. 우간다의 수입 구조 는 기계 장비류가 총 수입의 30%를 차지하고 있어 일반소비재 시장이 크지 않은 편이며, 자동차 및 의류 등 도 중고제품의 수입이 범람해 신차 수입상 및 섬유 제조 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출은 커피가 총 수 출의 약 19%를 차지하며, 빅토리아 호수를 활용한 가공 어류 수출이 5% 정도 차지한다.

유통 및 시장 지배력은 인도계 상인들이 자본력과 상업력을 바탕으로 시장의 80% 이상을 확보하고 있다. 특 히, 인도계 무역상인은 주로 영국 등 유럽 및 중계 무역지인 두바이(다품종형 저가공급지로 시장 접합성이 높 음), 케냐 등으로부터 수입하는 성향이 높다.

나. 한국상품 인지도

전반적으로 케냐에서 진출한 삼성 휴대폰 및 전자제품, 우간다에 한국인 에이젼트를 둔 LG 가전 제품들이 현 지인들에게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다.

다. 유통채널

우간다의 유통구조는 시장이 협소한 관계로 다품종 소량 위주의 유통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일반적인 유통 구조는 제조업체/수입업체-중간도매상-소매상으로 유통구조가 변화하고 있으며 상당수의 도매상이 직접 수 입 및 소매하기도 한다. 일부 서민 친화형 소비제품은 상당수가 케냐와 두바이 등을 통해 유입되고 있다. 우 간다에도 대형 유통망들이 진입하고 있는데, 케냐에서 진출한 나쿠마트 등이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라. 유망상품

현지 유망상품은 Solar Panel, 통신장비(키폰 시스템), 건설자재, 보안장비, 사료, 액세서리(모조품), 저가 핸 드폰, 금고, 정수설비, 의료장비, 인쇄기기, 농업/원예/임업용 기계, 비료, 타이어, Bottling Machine, 순간 온수기, 방송장비, 산업용 환경 처리 시설, 미용용품, 진단시약 등 이다.

10. 주요 전시회 개최일정

가. 전시회 소개

캄팔라 국제 교육 전시회 (Kampala International Education Fair 2016)

개최국가/도시: 우간다/캄팔라 개최주기: 매년 2번 개회 최초개최년도: 2012년

41 / 83

우간다 국가정보

개최기간: 2016년 3월 25-26일 (잠정적) 전시장: Hotel Africana 주요참가국: 남아공, 중국, 케냐, 영국, 이집트, 파키스탄 등 전시분야: 교육관련 기자재 주최기관: Worldwide Education Group

우간다 자원-에너지 전시회 (Uganda Mining & Energy Conference 2016)

개최국가/도시: 우간다/캄팔라 개최주기: 매년 최초개최년도: 2013년 개최기간: 2016년 5월 25일-26일 (잠정적) 전시장: Kampala Serena Hotel 주요참가국: 미국, 캐나다, U.A.E, 중국, 케냐, 탄자니아, 이집트 등 전시분야: 지하자원 탐사 및 개발 관련 품목, 전력개발 관련 품목 등 주최기관: AME Trade Ltd. (http://www.umec-uganda.com/an-overview/)

우간다 국제무역 박람회 (East Africa Oil&Gas Expo 2016)

개최국가/도시: 우간다/캄팔라 개최주기: 매년 최초개최년도: 1994년 개최기간: 2016년 10월 4일-8일 (잠정적) 전시장: UMA Show grounds, Lugogo, Kampala 주요참가국: 영국, 남아공, 케냐, 중국, 대만, U.A.E, 이태리, 홍콩 등 전시분야: 종합 품목 주최기관: Uganda Manufacturers Association (www.uma.or.ug)

42 / 83

우간다 국가정보

Ⅳ. 투자

1. 투자환경

가. 일반환경

우간다의 지리적 이점

동아프리카 경제공동체 회원국으로 정치 경제적으로 케냐와 탄자니아와 이웃하면서, 르완다-부룬디 등과 육 상교통이 원활하여, 케냐의 몸바사 항과 탄자니아의 다레살람 항을 통해 수입된 품목의 내륙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투자 매력도

우리나라의 우간다에 대한 투자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국제무역개발기구 (UNTAD)등이 보는 우간다 의 매력도는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87년부터 이뤄진 경제개혁에 의해 우간다는 거시경제적 으로 장기간 매우 안정적인 경제를 보여왔다. 매년 약 6-7%대의 경제성장률을 꾸준히 이뤄왔으며, 인플레 이션이 인근국가에 비해 낮은 편이며 빈곤층도 점차 낮아지고 있다. 환율도 시장자율에 따르기 때문에 상당 히 안정적이고 자본의 유입 및 반출이 비교적 자유롭다.

둘째, 시장 접근성이 좋다. 케냐-탄자니아와 함께 약 9,000만 이상의 소비인구를 가진 동아프리카공동체 회 원국으로 동아프리카공동체 관세동맹을 맺어 역외 수입품에 대해 25%의 고정된 관세를 부여하고 있다. 우 간다는 케냐와 같이 COMESA의 회원국으로 우간다에 투자 시 총 19개 회원국 3억 8000만 소비자를 가진 아프리카 최대 상권에 대해 접근이 유리하다. 아프리카성장기회법(AGOA) 대상국으로 미국 시장에 무쿼터, 무관세 혜택으로 수출이 가능하며 유럽시장에는 'Everything But Arms(EBA)' 조약으로 특혜관세를 적용받 고 진출이 가능하다.

셋째, 천연자원의 매장고라 할 수 있다. 우간다는 기후와 강우량이 좋아 1년 2모작이 가능한 지역이다. 세계 2번째로 긴 나일강의 발원지이자 세계 최대 담수호로 알려진 빅토리아 호수의 가장 넓은 유역을 보유하고 있 어 나일퍼치, 틸라피아 등의 유럽 수출이 유명하다. 금, 아연, 석유, 다이아몬드 등 아직도 매장량이 정확히 파악이 어려운 지하자원들이 매장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 투자의 장단점

장점

기본적으로 노동집약적 산업이 발달한 반면 비교적으로 노동임금이 낮은 편에 속하고,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 능하기 때문에 노동집약적 산업의 투자진출이 유망하다. 아직도 식민지 시대의 낡은 산업 플랜트와 현저하게 낙후한 교통, 통신 인프라의 실제적인 교체시기가 되어 교체수요에 맞는 분야의 투자, 특히 IT산업 분야, 중 고 플랜트를 이용한 특수 제조분야, 도로 개·보수 분야들에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케냐, 탄자니아, 르완다, 브룬디, 콩고민주공화국, 남수단 등과 국경을 마주하기 때문에, 우간다를 통해 인근 국가 시장에 진출이 가능하다.

43 / 83

우간다 국가정보

단점

내륙국의 한계로 인해 제조 투자 시 원자재 등의 공급이 케냐의 몸바사 항을 의존할 수 밖에 없게 되어 물류 비용이 높은 편이며, 전기-수도 등 기본 인프라가 아직도 열악한 점이 단점이다. 노동력 면에서도 임금이 케 냐보다 저렴한 편이 아니면서 숙련된 기술자, 매니저 등을 발굴하는데 제한적이며 단순 노동자의 기본 숙련 도가 낮은 편이다. 우간다가 소말리 내란, 남수단 정치이슈, 민주콩고 지역 분쟁 등의 이슈에 연관되어 군사 들을 파견하고 있어 동아프리카 내 불안 요소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 무세베니 대통령의 25여년이 넘는 장기 독재 등으로 내부적으로도 정치불안 요소가 잠재하고 있다.

다. 투자유치기관

1) 정부 서비스 기관

우간다 투자청: Uganda Investment Authority(UIA)

우간다 투자청(Uganda Investment Authority, UIA)은 우간다 정부기관으로 우간다 투자법 1991 (Investment Code 1991, 2000년에 개정)에 의거하여 설립되었다.

위치: The Investment Centre, Plot 22B Lumumba Avenue , TWED Plaza 주소: P.O. Box 7418 Kampala, Uganda 전화번호: +256 414 301000 팩스: +256 414 342903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http://www.ugandainvest.go.ug

우간다중앙은행(Central Bank of Kenya)

주소: P.O Box 7120, Kampala, Uganda 전화번호: +256-414-258-441/6, 258-060/9, 259-090 +256-417-302-000, 312-392-000 팩스: + 256-41-4230878, 41-4233818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http://www.bou.or.ug

2) 투자관련 기타 서비스기관

자본시장관리국 (Uganda Securities Exchange Ltd.)

위치: Plot 71/73, Kampala Road, Prism Building, 4th Floor 주소: P.O.Box 23552, Kampala, Uganda 전화: +256 414 259 585, 342 818 / +256 312 370 815, 370 817, 370 818 팩스: +256 414 342 841 이메일: [email protected]

44 / 83

우간다 국가정보

홈페이지: www.use.or.ug 담당자: Mr. Gordon Mwebesa (Ag. Chief Executive) 참고사항: 주식시장을 관리 통솔하는 기관

우간다 제조자협의회 (Uganda Manufacturers Association)

주소: P.O. Box 6966 Kampala. Lugogo Show Grounds 전화: +256 414 221034, +256 414 287615/2 팩스: +256 414 220285 이메일: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uma.or.ug 참고사항: 1960년대에 설립되어 현재 약 760개 회원사를 거느리고 있음. 제조업자들의 권익보호 및 제조업 관련 제도 및 관련법 제정, 시행 등에 영 향력을 행사하는 민간단체

우간다 표준청 (Uganda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위치: Plot M217 Nakawa Industrial Area 주소: P.O.Box 6329 Kampala 전화: +256 414 505995, +256 414 222369, 0800133133 TOLL FREE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unbs.go.ug

라. 투자장려분야

우간다의 투자 핵심 분야는 농업, 어업, 임업, 제조 및 통신 분야로 파악된다. 농업분야는 커피와 바나나(우간 다 主食에 해당)가 세계에서 순위에 드는 생산국이며, 그 외에도 차(茶), 면화, 답배, 열대 과일류 등이 풍부 하여 현지 가공공장 투자를 통한 미국, 유럽 시장 판매 형식의 투자가 가능하다. 어업분야의 경우, 우간다의 빅토리아 호수를 통한 수산물 수획 및 수출이 우간다 외화수입의 2위를 차지할 정도여서 수산물 가공 분야 투자가 가능하다. 임업 분야는 우간다 내 490만 헥타르 면적이 산림으로 목재가공, 가구제조 등의 투자가 유 망하다.

우간다의 제조업은 최근 8년동안 국민 총생산의 10% 미만으로 우간다 정부에 가장 적극적으로 투자유치에 힘쓰는 분야이다. 음료제조, 가죽가공, 담배제조, 제지 및 의류제조, 의약품, 세라믹-유리 등의 제조, 비료제 조, 플라스틱 관련 제품 제조, 전자제품 어셈블리 등의 투자가 유망하다. 정보통신 분야는 우간다 정부가 2012년에 한국정부의 지원으로 우간다 전자정부 마스터 플랜을 완성하였으며, 아직 기본 통신 인프라가 부 족하여 우리 기업의 진출 여지가 가장 높은 분야로 파악된다.

마. 제한분야 및 금지분야

케냐와는 달리 우간다는 모든 분야의 외국인 투자가 허용되어 있다. 다만, 아래와 같은 분야 투자 시에는 투 자 인센티브가 적용되지 않는다

도·소매업, 개인 서비스 분야, 차량 대여 및 택시 운영사업

45 / 83

우간다 국가정보

제과-다과, 음식가공업 (수출목적이 아닌 내수용 사업인 경우) 우편서비스 사업 공공분야에 연관된 사업

바. 투자인센티브

1) 기본 투자 인센티브

우간다 투자 시 인센티브는 크게 자본금 회수, 감가삼각비용, 공장지대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등이 있으며 간 략하게 요약해 보면 아래와 같다.

투자 자본 충당금 (Investment Capital Allowances)

플랜트와 기기류에 대한 초기 투자설비 환수비용 캄팔라, 엔테베, 진자 등의 지역에 투자 시 50% 그 외 지역 투자 시 75% 초기시작 비용: 4년까지 매년 분할납부(연간 25%) 과학연구 비용 100%지원 교육비용 100%지원 자원탐사비용 100%지원 호텔, 병원, 산업용 건축물에 초기 공제액 20% 공제가능 연 충당금(감가자산) 감가 20~40% 한도 내에서 호텔, 병원, 산업용 건축물의 감가율 5% 지원

플랜트 및 기기류의 수입면세

우간다에 투자하는 모든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첫 입국 시 반입하는 소유품 및 소유 자동차(12개월 이상 소유) 에 대해 면세

수출 촉진 인센티브 및 시설

Manufacturing Under Bond(MUB) 원자재, 기계류, 공장설비 등 순수 투자용 수입품 무관세 적용 인지세(Stamp Duty) 면제 수출을 위해 수입된 물품 혹은 생산요소에 부과된 모든 관세에 대하여 전액/일부 환불 외부 유치자본 이자, 플랜트&기기류, 학술적 자료, 인체&동물 의약품, 원자재 등의 원천과세 면제 10년간 Corporate Tax 면세 수출세에 대한 세금감면/면제 제도 과실송금액에 대한 이중과세 미부과

자료원: 우간다 투자청(http://www.ugandainvest.go.ug/index.php/investment-incentives)

46 / 83

우간다 국가정보

투자인센티브 미적용

기본적으로 모든 분야에 해외직접투자가 가능하지만, 도소매업, 공공서비스업 (대중교통, 차량대여, 택시 등), 수출목적이 아닌 제과/제빵 사업, 우편/통신사업 등에 투자 시, 투자 인센티브를 적용받을 수 없다.

2) 동아프리카공동체 역내 관세면제 적용

우간다 투자자에 대한 수입관세 면제는 동아프리카공통체 (East Africa Commnutiy, EAC–케냐, 우간다, 탄 자니아, 르완다, 부룬디 5개국이 회원국임)의 면세조항을 우선 적용함. 동아프리카 경제 공통체 (EAC)의 역 외 관세는25%를 일괄적으로 부과하나, 하기 품목에 대해서는 우간다 관세청에 필요한 구비서류를 갖춰서 제출할 경우 차별적으로 환급 받을 수 있음 (하기 품목 및 요율은 2010-2015년까지 적용함).

동아프리카공동체 관세 면제적용 품목

면세 품목별 환급범위 공업용 설탕 90% 공책제조용 원자재, 타이어제조용 철선, 재생타이어용 철선, 재수출을 위한 생산재, 유제품용 알 100% 루미늄 캔 제조용 원자재 의류(HS 5901.10), 철제품(HS 7212.10/7228.30/7228.50), 0~10% 구리제품(HS 7408.29), 트랙터(HS 8701.20.90) 등 20톤이상급 트럭 (HS 8704.23.90) 0~25% 5톤이상-20톤미만급 트럭 (HS 8704.22.90) 10-25% 밀 (HS 1001.90.20/90) 10-35% 자료원: 우간다 관세청

수출진흥을 위한 면세 적용

보세창고(Manufacturing Under Bond, MUB)를 활용한 원자재 수입 시 보세창고 승인비용으로 매년 1500 달러를 부과하며, 원자재를 활용하여 제조한 제품의 최소 80%를 수출해야 함. 보세창고 면세는 세관 청장(Commissioner Customs)에게 서면으로 신청함.

VAT 면세: VAT등록 사업자의 경우, 우간다 내 소비재 생산을 위한 설비, 기계류 (HS코드 84, 85, 90항에 해당하는 품목), HS 7308.20으로 분류되는 타워와 축, HS 94로 분류되는 그린하우스, 냉동창고 (Cold room), HS 8705로 분류되는 특수목적 차량 등의 경우, 수입 시 VAT부과하지 않고 연기시켰다가, 동 수입 품목을 통해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최종 생산품에 대해 VAT를 부과함.

47 / 83

우간다 국가정보

감가상각비용 감면

투자 자산에 대한 감가상각 감면 비용적용은 아래 표와 같다.

감가상각 감면 비용 분류 및 조건

분 류 적용요율 적용 조건 클래스 1 40% 컴퓨터 및 전산장비 클래스 2 35% 30인승 미만 버스, 7톤 미만 상용차, 건설 및 토목 장비류 30인승 이상 버스, 7톤 이상 상용차, 특수 트럭, 트레일러, 트랙터, 플랜트 및 기계류 (특 클래스 3 30% 히, 농업, 제조, 광산개발용으로 투자한 경우) 기타 감가삼각 발생하는 자본재 (철도차량 및 장비, 선박, 예인선, 항공기, 각종 장비 및 클래스 4 20% 기계류, 사무용가구, 실내 장식용 설비 및 장비 등. (*원예를 위한 플랜트 및 그린하우스 설비 투자 시 5년간 설치비용에 대하여 적용) 병원, 호텔을 포함한 상업용 건물에 대하여 매년 a straight-line basis로 지정된 금액에 건물자산 5% 대하여 적용 임차, 특허, 로열티 등 무형자산에 대하여 유효기간 동안 매년 적용하며, 경우마다 각각 무형자산 차별적용 별도 적용 자료원: 우간다 투자청

3) 기타 특별 인센티브

원천세 감면: 석유 및 석유화학제품 (화장품, 섬유, 섬유사 제외), 플랜트, 기계류, 의약품 (동물 의약품 포함), 교육관련 기자재, 원자재 등에 대한 원천세를 100% 감면 지체장애자 고용주에 대한 세금 감면: 개인 투자가 중 총 고용인의 5%가 지체장애자인 경우 총 Income Tax 의2%를 감면함 농업융자금에 대한 Bad debts deduction: 농업, 임업, 수산업, 양봉, 동물사육, 양계 등의 사업에 투자한 융 자금에 대한 bad debts에 대하여 감면 혜택 부여

사. 시사점

우리 기업이 우간다에 투자하기 위해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이슈는 양국간 이중과세 방지협약임. 우간다는 현재까지 덴마크, 인도, 이태리, 모리셔스, 노르웨이, 남아공, 영국 (북아일랜드 포함), 잠비아 등과 이중과세 방지 협약을 시행하고 있으며, 벨기에, 중국, 네덜란드, 세이셸, 아랍에미레이트(UAE), 동아프리카 공동체(EAC, 케냐, 탄자니아, 르완다, 부룬디) 등과 협상을 진행 중임.

이중과세 방지협약 현황

국가별 배당금 이자 로얄티 관리비 협정일 시행일 벨기에 5% 10% 10% 10% 진행중

중 국 7.5% 10% 10% 10% 보류상태

덴마크 10% 10% 10% 10% ‘00.1.14. ‘02.1.1. EAC 7.5% 10% 10% 10% ‘98.10.27.

48 / 83

우간다 국가정보

이집트 10% 10% 10% 10% ‘98.10.31.

인 도 10% 10% 10% 10% ‘04.4.30. ‘05.7.1. 이태리 10% 10% 10% 10% ‘00.10.6. ‘98.1.1. 모리셔스 10% 10% 10% 10% ‘03.9.19. ‘05.7.1. 네덜란드 10% 10% 10% 10% ‘04.8.31.

노르웨이 10% 10% 10% 10% ‘99.9.7. ‘02.1.1. 세이셸 10% 10% 10% 10% 보류상태

남아공 10% 10% 10% 10% ‘97.5.27. ‘02.1.1. UAE 10% 10% 10% 10% 보류상태

영 국 15% 15% 15% 15% ‘92.12.23. ‘94.1.1. 잠비아 면제 ‘68.8.24. ‘64.1.1.

자료원: 우간다 투자청, 현지 일간지 관련기사 종합, 나이로비무역관 자체분석 등

2. 외국인 투자동향

가. 외국인 투자유치 제도 및 참고사항

투자인센티브

대우간다 투자자에 대해서는 크게 자본금 회수, 감가삼각비용, 공장지대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적용하며, 간략하게 요약해 보면 아래와 같다.

투자 자본금에 대한 인센티브

항 목 별 인센티브 적용 캄팔라, 엔테베, 진자에 투자시 50% 투자설비 환수비용 그 외지역 투자시 75% 초기시작 비용 4년까지 매년 25%씩 과학연구비용 100% 직원 연수비용 100% 광물 탐사비용 100% 호텔 및 투자용 빌딩 20% 자료원: 우간다 투자청

감가삼각비용 인센티브

항목 인센티브 투자 자산 감가삼각 허용비용 20-40% (컴퓨터 40%; 사무용가구 20%) 건물 (병원, 호텔, 공장) 감가상각 비용 5% 자료원: 우간다 투자청

49 / 83

우간다 국가정보

특수공장지대(Export Processing Zone과 동일) 투자시, 10년간 Corporation Tax 면세, 원자재, 기계류, 공장설비 등 순수 투자용 수입품 무관세 적용, 인지세(Stamp Duty) 면제, 수출세 면제, 외부 유치자본 이자 에 대한 원천세 면제, 과실송금액에 대한 이중과세 미부과 등 혜택을 제공

기본적으로 모든 분야에 해외직접투자가 가능하지만, 도소매업, 공공서비스업 (대중교통, 차량대여, 택시 등), 수출목적이 아닌 제과/제빵 사업, 우편/통신사업 등에 투자시, 투자 인센티브를 적용받지 못함.

우간다 투자 절차

대우간다 투자 절차를 단계별로 간략하게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우간다 단계별 투자절차

단계 내용 해당기관 소요기간 소요비용 및 기타 인지세: 명목투자금액의 1단계 회사명 등록 Registra General 2-14일 0.5% 2단계 투자증명서 취득 우간다투자청(UIA) 1-5일 없음 3단계 분야별 투자증명 취득 관련 기관 *UIA에서 상세정보 제공

4단계 전기, 전화, 상수도 관련 기관 *각 기관별 상이

*연간 약 300달러 5단계 (해외고용인) 노동비자 취득 이민국 2-4주 *UIA에서 이민국에 추천 6단계 납세자 번호 등록 우간다국세청 2-3일 없음 7단계 사업 개시

자료원: 우간다 투자청

우간다 투자청 (Uganda Investment Authority, UIA)

우간다 투자청은 우간다 내 모든 해외 직·간접 투자에 대하여 One-Stop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부기관이 다. 특히, 동 기관은 투자증명서 발급, 노동비자 취득, 전기/전화/상수도 설치, 투자분야 2차 증명서 취득, 현 지금융융자, 투자부지 확보 등을 전반적으로 지원해 주고 있어 대우간다 투자시 가장 먼저 접촉할 필요가 있 다.

투자청장: Mr. Frank Sebowa (The Executive Director) 주소: Plot 22B Lumumba Avenue, TWED Plaza , P.O. Box 7418 Kampala, Uganda 전화: (+256-41) 301000 팩스: (+256-41) 342903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ugandainvest.go.ug/

투자 유망 분야

투자 유망 분야로는 농수산업 (수산물 가공), 전력분야 (수력, 지열 등), 정유시설, 송유관 시설 등이 있다. 특 히, 우간다도 약 460MW의 지열발전 잠재력이 있으며, 나일강이 시작되는 진자강 유역 Musizi, Bogoye,

50 / 83

우간다 국가정보

Nengo 지역에 각각 10MW, 7.5MW, 12MW급 수력발전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2015 년부터 상업적인 석유채굴이 시작될 경우, 우간다 자체 정유시설을 건립할 예정이며, 가스를 이용한 발전, 송 전 등 부가적인 프로젝트가 추진될 예정이다.

나. 외국인 직접 투자 현황

대우간다 해외직접투자 (FDI|)는 2010년 13억 달러, 2011년 14억 달러, 2012년 17억 달러로 증가세를 보 였으나, 2013년에 14억 1400만 달러로 전년대비 18.5% 감소하였다. 전체 투자유치 감소의 주 요인은 2012년 주요 투자유치 분야였던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분야가 1억 4000만 달러 유치(전년 대비 -75.6%) 에 그친데 있다. 투자유치 분야에서는 금융-부동산 분야가 총 82건, 4억 1500만 달러로 전년대비 1.4배 정 도 증가하였으며, 제조업 분야 또한 총 192건, 3억 3000만 달러로 약 6%의 증가세를 보이며, 우간다 내 제 조업 투자가 활성화 되고 있다.

우간다 해외직접투자 유치 추이 (2011-13) (단위: U$백만, 건) 2011년 2012년 2013년 분야별 투자금액 투자건수 투자금액 투자건수 투자금액 투자건수 총 계 1,389 306 1,736 340 1,414 441 서비스(금융, 부동산) 254 88 173 59 415 82 제조업 655 105 311 151 330 192 전력-가스, 수자원개발 74 5 575 12 140 17 광산개발업 20 11 121 17 127 20 농림수산업 281 37 158 45 127 36 지역사회개발 9 7 52 16 117 23 건설업 45 20 32 13 100 35 교통 및 통신 29 14 299 9 48 20 서비스(호텔, 음식점) 22 19 15 18 10 16 자료원: 우간다투자청

2013년 기준 국가별 우간다 직접 투자는 중국이 62건, 2억 7000달러, 영국 18건, 1억 4633달러, 캐나다 4건 1억 4301달러, 인도 111건 1억 106만 달러 순이며, 한국은 투자가 전무 하였다.

국가별 우간다 해외직접투자 현황 (2013년) (단위: 천 달러, 건) 순위 국가별 투자금액 투자건수 1 중 국 270,172 62 2 영 국 146,330 18 3 캐나다 143,088 4 4 인 도 101,061 111 5 케 냐 64,739 13 6 네덜란드 55,150 1 7 이 란 31,309 2

51 / 83

우간다 국가정보

8 남아공 21,575 9 9 케이맨 제도 18,122 1 10 모리셔스 14,904 4 11 덴마크 10,345 6 12 아일랜드 9,987 3 13 미 국 9,100 8 14 파키스탄 5,510 16 15 독 일 5,154 7 16 UAE 4,262 4 17 에리트리아 4,232 14 18 에티오피아 3,543 8 19 수 단 2,746 4 20 지부티 2,600 1 자료원: 우간다 투자청 2013

UNCTAD가 파악한 2004년까지 국가별 대우간다 진출 주요 기업 및 투자 분야는 아래와 같다.

대 우간다 투자 해외 기업 및 투자분야 (2004년까지)

국가 기업명 투자분야 벨기에 Allied Bank International (U) Ltd 금융서비스 Canmin Resources Limited 자원개발 (vermiculite) 캐나다 Kasese Cobalt Company Ltd 자원개발 Uganda Bata Shoe Co. Ltd 제조(신발) 이집트 Kato Aromatic (U) Ltd 부동산 프랑스 Total Uganda Ltd 정유제품 Ibero (Uganda) Ltd (커피농장 운영) 제조(커피) 독일 Uganda Telecoms Ltd (독-우 합작) 통신 일본 Phenix Logistics Ltd 의류 BIDCO (U) Ltd 제조(식용유) Golf Course Holdings Ltd 쇼핑몰 Golf Course Investment Ltd 부동산 Mada Holdings (U) Ltd 호텔 케냐 Petro Uganda Ltd 정유제품 The Nation Group (The Monitor 신문 Newspaper) Tororo Cement Industries 제조(시멘트) Uganda Breweries (U) Ltd 제조(맥주) 리비아 Britania Allied Industries 제조(화장품/제과) 네덜란드 Unilever (U) Ltd 제조(식품,생필품) 한국 Hwan Sung Industry Ltd 제조(건축자재/어류가공) 싱가폴 Southern Range Nyanza Ltd 제조(의류)

52 / 83

우간다 국가정보

국가 기업명 투자분야 Century Bottling Company 제조(음료-코카콜라) Eskom Enterprises Africa 전력(발전) MTN (Uganda) Ltd 이동통신 남아공 Nile Breweries Ltd 제조(맥주) Shoprite Checkers (U) Ltd 유통 Stanbic Bank (U) Ltd 금융 수단 Concorp International Real Estates Ltd 부동산 스웨덴 Kuehne & Nagel (U) Ltd 운송 Airtel Uganda Limited 이동통신 스위스 Kyagalanyi Coffee Factory 제조(커피) Roko Construction Ltd 제조(가구/건축자재) 탄자니아 Bakhresa Grain Milling (U) Ltd 제조(밀가공) Balton (U) Ltd 수출품 방역 Barclays Bank 금융 Development Finance Company of Uganda 금융 Hima Cement Industries 제조(시멘트) Nakasero Soap Works Ltd 제조(화장비누) PriceWaterhouseCoopers 컨설팅 Roofings Ltd 제조(지붕재) 영국 Rwenzori Highlands Tea Company 제조(Tea가공) Shell (U) Ltd 정유제품 Speke Hotel Ltd 호텔 Standard Chartered Bank 금융 Uganda Baati Ltd 제조(지붕재) Tullow Oils 자원개발(석유) Uganda Tobacco Processors Ltd 제조(담배) Caltex Oil Uganda Ltd 정유제품 미국 Citibank 금융 Crown Beverages (U) Ltd 제조(Pepsi콜라) 이란 Halal Meat Company 제조(육류가공) 주: 2004년까지의 투자기업을 요약한 것으로 그 후 업데이트 자료 없음 자료원: UNCTAD 우간다 투자 가이드

53 / 83

우간다 국가정보

3. 한국기업 투자동향

가. 개요

우리나라의 대 우간다 투자는 한국은행 신고기준으로 1998년부터 2015년까지 총 522만 달러의 투자가 이 뤄졌다. 특히 2012년에 총 2건 28만 달러로 가장 높았으며, 그 후 2013년 2건 123만 달러, 2014년 2건 64만 달러 등의 투자가 이뤄졌고, 2015년에는 1건 29만 달러 (실 투자액)의 투자가 이뤄졌다.

한국의 대우간다 투자 현황 (1998-2015년) (단위: 천 달러) 연도 신고건수 신규법인수 신고금액 송금횟수 투자금액 14 5 5,222 27 3,083

1998 2 1 280 1 150 2011 3 2 801 5 564 2012 4 2 2,250 8 938 2013 2 0 1,231 4 580 2014 2 0 641 6 560 2015 1 0 19 3 291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의 대우간다 업종별 투자현황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대우간다 업종별 투자 현황 (1998-2014년) (단위: 건, 천 달러) 업종별 투자년도 신고건수 신고금액 총 계 14 5,222

농업, 임업 및 어업 2012, 2013, 2014 6 3,473 제조업 2011, 2013, 2015 3 699 도매 및 소매업 2012 1 469 부동산업 및 임대업 2011 2 30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1998 2 280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현지 개인투자로 환성(주문형 가구제작, 어류수출, 샌드위치 판넬 등 취급), 아라전자(각종 보안장비 및 보안 서비스), 그린보트(주차장 관리 서비스)등 투자 진출하여 있으며, 총 투자금액은 대략 400~500만 달러 정도 로 추정된다.

2013년 말에는 한국의 SK에너지가 60만 배럴 정유 능력을 가진 우간다 정유소 건설 프로젝트에 참가하였 으며 국제 입찰 참가기업 5개사 중 현재 러시아의 RT-Global Resources와 최종 경쟁 중이다. 2015년 2월 중 업체선정이 끝날 예정이며, 동 사업 참가가 확정되면 우간다로부터의 석유 수입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 다.

54 / 83

우간다 국가정보

2016년 7월 러시아의 RT-Global 컨소시엄과 협상 불발로, SK 컨소시엄과의 재협상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 라 18년초 완공 예정이던 Hoima 정유공장프로젝트 기존 계획도 지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나. 현지진출 한국기업

㈜ 환성 Hwansung Industries Ltd 주 소 P.O.Box 7628, Kampala, Uganda 전 화 +256 41 285 355/357 팩 스 +256 41 286 389 E-MAIL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hwansungbiz.com 해외대표 김성환 진출년도 1991 진출형태 생산법인 투자형태 단독 업 종 1 제조업 업 종 2 목재·가구·펄프·종이 취급분야 시스템가구(주방, 거실 가구), 어류가공 수출업 종업원수 5/350 투자금액(천 달러) 2,500 모기업명 ㈜ 환성(우간다 소재 기업이 모기업임. 한국내 미소재)

송도실업 Songdoh Ltd 주 소 P.O.Box 12021 Kampala, Uganda

전 화 +256 41 341 777 팩 스 +256 41 344 777

E-MAIL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 해외대표 김석영 진출년도 1992 진출형태 판매법인 투자형태 단독 업 종 1 도소매 및 유통 업 종 2

취급분야 안경, 주사기 종업원수 1/50 투자금액(천 달러) 1,000 모기업명 한국 내 모기업 없음.

그린보트 Green Boat Entertainment 주 소 P.O.Box 23027 Kampala, Uganda 전 화 +256 41 232 350 / 251 229

55 / 83

우간다 국가정보

그린보트 Green Boat Entertainment 팩 스 +256 41 345 562 E-MAIL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 해외대표 문효순 진출년도 1997 진출형태 서비스 법인 투자형태 단독 업 종 1 서비스업 업 종 2 기타 서비스업 취급분야 도로주차 관리사업 종업원수 1/480 투자금액(천 달러) 600 모기업명 한국 내 모기업 없음.

아라전자 Ara Electronics Ltd 주 소 P.O.Box 23099, Sure House, 1st Floor. Kampala, Uganda 전 화 +256 41 423 0994, 휴대폰: +256 77 240 8407 팩 스 +256 41 423 0991 E-MAIL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 해외대표 조장주 진출년도 1990 진출형태 현지법인 투자형태 단독 업 종 1 수입도소매 업 종 2 기타 서비스업 취급분야 보안장비, 통신장비 종업원수 1/10 투자금액(천 달러) 1,000 모기업명 한국 내 모기업 없음.

코리카 Korica (U) Ltd 주 소 P.O.Box 7287, Industrial Area. Kampala, Uganda 전 화 +256 41 312 264111/2, 휴대폰: +256 77 278 9222 팩 스 +256 41 312 264113/4 E-MAIL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 해외대표 김진오 진출년도 1990 진출형태 현지법인 투자형태 단독 업 종 1 제조 업 종 2 전력기자재 취급분야 변압기 (50-3,000MWA) 종업원수 1/50 투자금액(천 달러) 6,000 모기업명 한국 내 모기업 없음.

56 / 83

우간다 국가정보

4. 투자진출 성공·실패사례

가. 무역 진출 실패 사례

최근 우간다 무역사기가 심심치 않게 나타나고 있어 한국 업체들의 주의가 요망된다.

수입 대행사 사칭 사례

우간다의 PSM 멀티비즈니스라는 회사는 자신을 유력 바이어인 곰바 제너럴 에이전시의 지정 수입 대행사라 고 소개하면서 한국 GS칼텍스의 윤활유 수출 대행사인 R사와 공급계약을 맺었다. R사는 그러나 수출 추진과 정에서 석연치 않은 점이 많다고 보고 나이로비 무역관에 이 업체의 존재 여부와 신뢰성 조사를 요청했다.

이후 무역관이 우간다 기업에 날짜를 바꿔가며 수 차례 전화를 걸었지만 신호만 가고 응답을 들을 수 없었다. 결국 전화가 키고지 트레이더라는 회사로 등록돼 있음을 확인하고 이 회사 휴대폰 번호를 입수, 직접 통화한 결과 “PSM 멀티비즈니스라는 상호로 회사를 등록한 적이 없다”는 말을 들었다. PSM의 주소 역시 CJ 트레이 딩 컴퍼니라는 회사의 주소로 등재돼 있었다.

PSM가 추천한 곰바 제너럴 에이전시도 나이로비 무역관이 보유한 전화번호부에 등록돼 있지 않았다. 전화 는 수 차례의 통화시도에도 불통이었고, 팩스 번호 역시 스탄 K 엔터프라이즈라는 회사의 것이었다. 스탄 K 엔터프라이즈 역시 “우리는 우간다 회사이지만 곰바 제너럴 에이전시에 대해서는 전혀 들어본 바 없다”는 회 신을 받았다.

현지 업체 명의 도용 사례

작년 12월 우간다의 무지미아 엔터프라이즈 사는 두바 엔터프라이즈라는 현지 업체 명의를 도용해 한국 업 체로부터 비누 제조용 원자재를 수입했다. 한국 업체는 이후 대금 결제가 6개월 이상 늦어지자 우리 무역보 험공사에 수출사고 신고를 냈다.무역보험공사의 요청으로 코트라 나이로비 무역관이 조사한 결과 무지미아 사로부터 “두바를 위해 수입했는데 돈을 못 받고 있다”는 대답을 들었다. 하지만 두바는 “우리는 수입상이 아 니며 무지미아에게 수입을 의뢰한 적도, 물건을 받은 적도 없다”면서 “무지마아가 우리 회사 명의를 도용해 사기를 친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우간다 관세청을 통한 서류 확인 과정에서도 무지미아에게 사기를 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5년에 발생한 불량바이어 사례

2015.1-9월까지 코트라 나이로비 무역관에 우간다 진성 바이어 여부 확인을 요청하는 문의가 총 14건 에 달했다. (본사 바이어확인서비스 및 유선 연락 포함). 이는 2014년 6건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우간 다 바이어들의 한국 상품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도 있으나 그 만큼 불량바이어들이 한 국을 타켓으로 불법이민 또는 체류 등을 시도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특히, 2015년의 경우 우간다의 1개 불량바이어가 회사명을 4개 이상 바꿔가며 알리바바 사이트를 이용해 한국의 중소기업을 접촉하여 한국방문 사기극을 벌인 경우도 있어 향후 우간다 진성 바이어 파악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 우간다 바이어는 Sm Impex, Japani Amelica, Japan Auto Care, Eruma Roses 등으

57 / 83

우간다 국가정보

로 상호명을 바꿔가며 서로 다른 사람이름을 쓰고, 주소지들과 전화번호를 바꿔가며 사용하였으나 이메일 주 소는 모두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여러 회사들을 사칭한 이 바이어는 접촉한 한국 업체에게 구매를 위해서는 한국을 먼저 방문해야 함을 강조 하면서 초청장을 먼저 요구 (기본적으로 견적서를 받고 소정의 구매계약이 먼저 선행되어야 함)하였으며, 한 국 업체가 여권 사본을 요청할 경우, Ms. Milcent Nakyabadde, Mr. Nsubuga Hakim, Mr. Geofrey Lwanga, Ms. Sheila Lubega 등 실제 연락담당자와 다른 인물들의 여권 사본을 보내주면서 회사등록증, VAT등록증 등의 사본도 함께 보내 주기도 했다.

우간다 불량바이어가 사용한 상호명 및 기타정보

Co. Name Contact Person Address Mobile/Email Mr. John Uganda Plot 15 Wankuluku +256-775-575835 Sm Impex Ltd Mukisa Kampala [email protected] Japani Amelica Mr. James +256-758-036066 P. O. Box 7330 Kampala Reconditioned Cars Kakembo [email protected] Mr. Geoffrey Plot No. 1105 +256-700-162317 Japan Auto Care Ltd Lwanga Musajjalubwa Road [email protected] Mr. Jonathan Kalamba Plot 5 Kikuubo Road, +256-700-162317 Eruma Roses Ltd. Mr. Nsubuga Kampala [email protected] Haroun 자료원: 나이로비 무역관

그러나 무역관에서는 (1) 어떤 여권 사본은 사본 상의 직업란에 ‘운전수’라고 되어 있는 점 (2) 견적서 조차 받지 않고 우선 방문부터 하겠다는 점 (3) 실제 오더하려는 금액이 2-3만 달러 수준인데 3명의 직원을 제품 확인 및 공장 방문을 위해 보내겠다는 점 등을 근거로 집중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1-2명의 불량 바이어가 상 기 회사들의 상호명과 접촉점을 도용하여 일을 꾸민 것으로 파악하게 되었다.

불량바이어 확인하는 방법

최근 우간다 회사등록청 (Uganda Registration Services Bureau)은 정식 회사 등록한 현지 업체들을 온라 인으로 확인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웹사이트 http://search.ursb.go.ug:8080/ursb 를 방문하여 회 사등록번호를 입력하면 정식 등록여부 및 회사명, 등록년도 등의 기본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우간다 회사등 록청 담당자를 접촉하여 확인한 바 회사등록여부는 믿을 수 있으며, 거의 실시간 업데이트 되고 있다고 하였 다. 우리 기업들이 상기 회사등록청 확인 사이트를 활용하면 일차적으로 우간다 정부에 정식 등록된 회사여 부를 확인할 수 있어 연관된 불법 거래 나 무모한 기대감으로 시간을 소비하는 등의 헛수고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상기 사이트에서 정식 등록된 바이어로 확인된 경우에도 (1) 구체적인 구매계약 이전에 한국 방문부 터 주장하는 경우, (2) 거래상담 당사자가 아닌 제 3자를 대신 보내겠다고 하는 경우, (3) 구매 금액에 비해 한국방문 신청자가 터무니 없이 많은 경우 등 등에 대해서는 세심하게 추가 확인 절차가 필요하다.

58 / 83

우간다 국가정보

이 경우 일반적으로 (1) 한국 방문자의 여권 복사본을 요청하되 사진과 직업이 명시되는 첫 페이지 외에도 아 프리카를 제외하여 제 3국에 출장을 한 경험이 있는지 여부와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여권 페이지 사본도 같이 요구, (2) 실제 해외에서 무역거래가 있는지 여부 확인 – 주로 과거 거래를 증명할 수 있는 Commercial Invoice 사본, 최소 3개월에서 6개월에 해당하는 Bank Statement등을 추가 요구하여 바이어가 실제로 요 구한 서류를 제대로 제시하는 지를 보고 진성바이어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5. 주요 투자법 내용

가. 투자법

1991년 우간다를 더 매력적인 투자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해 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우간다 투자청(UIA) 가 투자자들을 끌어들이고 그들의 사업안의 시행을 돕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서비스들을 통해 이루어진다.

- 우간다의 투자기회 제공 - 전문가의 조언 - 허가, 면허, 증명의 간소화

또한 투자자들은 계약의 체결, 사업 파트너의 획득, 그리고 지적 재산의 보호를 받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나. 투자제한

외국인 투자자들은 모든 산업에 투자가 가능하나, 농업용토지, 작물, 그리고 가축생산물에는 투자제한법이 적용된다.

다. 투자라이선스

우간다의 외국인 투자자들은 투자자격증을 획득해야 하며 신청은 우간다투자청에서 담당하고 있다. 신청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서류들이 필요하다.

- 회사의 법인설립인가증, 회사설립계약서, 회사정관, - 사업안 - 자세한 투자프로그램의 설명과 프로젝트 파이넌스 능력의 증거서류

외국인 투자자들은 자격증을 받기 위해서는 십만 달러 이상의 투자계획을 증명해야 한다.

자료원: 딜로이트 Investing in Africa, Uganda

59 / 83

우간다 국가정보

6. 노무관리 제도

우간다 주요 고용조건

법정 최저임금

우간다의 법정 최저임금은 월급여 6,000우간다실링(미화 2.3달러)이다. 1984년에 지정한 이후 현재까지 개정하지 않았으나 2013년부터 25만 우간다실링(약 96달러)으로 개정을 추진 중에 있으며 2015년 7월에 최저임금법안 제정 계획이다. 통상적으로는 일반 노동자의 경우 약 100달러 수준이다..

최저임금 추이 (단위: 달러/월)

자료원: Doing Business database

법정근무 시간

우간다의 하루 법정 근무시간은 최대 10시간이고 주당 근로시간은 48시간이다. 노동법 상으로는 8시간을 근무하면 30분의 휴식시간을 가질 수 있다.

초과근무 수당

법정근로 시간 이외에 초과 근무 부여가 가능하며 시간당 월 급여의 1.5배, 주말과 공휴일 근무의 경우 2배 의 급여를 지불한다.

공휴일 및 휴가

우간다의 국가 공휴일은 연간 13일이며 6개월 이상 근무한 종업원에게 21일의 연간 유급 휴가가 주어진다 (연차 기간 아플 경우 병가로 인정되지 않음). 아플 경우 병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여성의 경우 토-일요일, 공 휴일 제외한 60일의 출산 휴가를 사용할 수 있고 남성의 경우 4일의 휴가가 허용된다.

60 / 83

우간다 국가정보

우간다의 법정공휴일과 휴무일

날짜 휴일명 1.1. New Year's Day 1.26. Liberation Day 3.8. International Women's Day 4.6~9. Easter Holiday 5.1. Labour Day 6.3. Martyrs' Day 6.9 National Heroes' Day 8.19. Eid al-Fitr(End of Ramadan) 10.9. Independence Day 10.26. Eid al-Adha(Feast of the Sacrifice) 12.25. Christmas Day 12.26. Boxing Day

노동조합

우간다는 노동자권익협회(National Organization of Trade Unions)가 20여 개의 노동조합을 회원으로 통 솔한다.

해고

우간다의 경우, 고용자는 해고 시 피고용인에게 명백한 해고의 사유를 설명해야 하며 고용인은 믿을만한 1명 을 증인 자격으로 참관시킬 수 있다. 피고용인이 해고 사유에 불만이 있을 경우는 해고된 날로부터 3개월 이 내에 노동청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피고용인의 해고사유가 현장에서 포착된 경우는 즉시 해고가 가능하 며 피고용인은 부당함을 느낄 시 해고일로부터 6개월 이내 노동청에 이의 제기가 가능하다.

사회보장제도

우간다는 법적으로 사회보장기금(National Social Security Fund)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비 거주 고용인을 제외한 16-55세의 고용인이 가입대상이다. 고용인이 10%, 피고용인이 5%를 부담한다.

자료원: 우간다 고용법, 임금법 및 양국 투자청 공개자료, 코트라 나이로비 무역관 자체 보유자료

61 / 83

우간다 국가정보

7. 조세제도

가. 개요

우간다의 세금은 경찰청장이 수장으로 있는 우간다 국세청(Uganda Revenue Authority)이 징수한다. 세금 의 부과 및 세금 징수관련 세법 등 아래의 항목과 관련해서는 우간다 내 세금부서와 세관이 담당하고 있다.

Customs Tariff Act, Cap. 337; East African Customs Management Act; East African Excise Management Act; Excise Tariff Act, Cap. 338; Income Tax Act, Cap. 340; Stamps Act, Cap. 342; Traffic and Road Safety Act, Cap. 361; Value Added Tax Act, Cap. 349; Finance Acts (Various); Gaming and Pool Betting (Control and Taxation) Act, Cap.292;

나. 소득세

우간다에서 소득세는 주로 소득이 있는 모든 개인과 단체에게 적용이 된다. 우간다 거주자에게는 전세계에서 의 수득에 대해 징수되나, 비거주자는 우간다 국내에서의 소득을 근거해 징수된다. 소득세는 크게 3종류로 분류되며 사업소득, 근로소득, 재산소득으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의 세금부과는 자체평가방식(self- assessed)이다. 이 시스템은 납세자가 스스로 자신의 소득을 계산하여 납부를 하여, 그 후 관세청에서 자진 납세자의 자료가 접수되면 감사의 여부를 검토하는 방식이다.

개인사업자의 세율

개인 소득세율은 개인이 속한 소득계층에 따른다. 우간다 거주민 연간소득 282만 실링까지 소득세 면제의 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그 위의 소득계층은 소득에 따라 10%~30%의 세율을 적용 받는다. 1억 2,000만 실링 이상의 소득이 있는 개인은 10%를 추가적으로 더 내야 한다.

우간다의 사업소득 세율

손익보고 세율 (CHARGEABLE INCOME, CY) 우간다 실링 (UGX, 연단위) 거주자 비거주자 0~282만 - CYx10% 282만~402만 (CY-2,820,000)x10% CYx10% 402만~492만 (CY-4,020,000)x20%+(120,000) (CY-4,020,000)x20%+(402,000) 492만 1억 2,000만 (CY-4,920,000)x30%+(300,000) (CY-4,920,000)x30%+(582,000) [(CY- [(CY-4,920,000)x30%+(582,000)] 1억 2,000만 초과 4,920,000)x30%+(300,000)] +[(CY-120,000,000)x10%]

62 / 83

우간다 국가정보

+[(CY-120,000,000)x10%] 자료원: Doing Business in Uganda, Taxation in Uganda

근로소득의 세율

고용주는 고용인의 급여에서 세금을 공제하도록 법으로 정해져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그에 상응하는 금 액을 지불해야 할 책임이 있다. 월 PAYE(Pay As You Earn)세율은 다음과 같다.

우간다의 근로소득 세율

손익보고 세율 (CHARGEABLE INCOME, CY) 우간다 실링 (UGX, 월단위) 거주자 비거주자 0~23만 5,000 - CYx10% 23만 5,000~33만 5,000 (CY-235,000)x10% CYx10% 33만 5,000~41만 (CY-335,000)x20%+(10,000) (CY-335,000)x20%+(33,500) 41만~100만 (CY-410,000)x30%+(25,000) (CY-410,000)x30%+(48,500) [(CY-410,000)x30%+(25,000)] [(CY-410,000)x30%+(48,500)] 100만 초과 +[(CY-10,000,000)x10%] +[(CY-10,000,000)x10%] 자료원: Doing Business in Uganda, Taxation in Uganda

회사의 소득세율

회사의 소득세율은 과세대상소득의 30%이다. 비거주자 회사의 경우 송환된 지점수익의 15%가 추가적으 로 과세 된다.

소규모 사업의 세율

거주자 기준 연간 매출 500만 우간다실링 이하 사업의 추정상 세율은 다음과 같다.

사업 매출별 세금

연간 총 매출(우간다 실링) 세금(확정) 500만 미만 - 500만~2,000만 10만 2,000만~3,000만 25만 이하 또는 총 매출의 1% 3,000만~4,000만 35만 이하 또는 총 매출의 1% 4,000만~5,000만 45만 이하 또는 총 매출의 1% 자료원: Doing Business in Uganda, Taxation in Uganda

63 / 83

우간다 국가정보

개인의 임대소득에 대한 세금

개인의 임대소득에 대한 세금의 책정은 개인의 사업소득과 근로소득과 별도로 부과된다. 임대소득의 세금은 판공비 20%와 2,820,000실링이하 면세 기준 값을 제외한 후 20%의 세율을 매긴다.

거주자와 비거주자에게 원천과세 납부

원천과세의 징수는 법률상 명시되어 있는 원천징수의무자가 지고 있다. 또한, 세금의 수취인은 세금이 원천 징수된 세액에서 지급받아야 할 사람이라면 누구나 될 수 있다. 세율은 Double Taxation Agreement에 근 거하며, 원천과세로 세액이 공제되거나 완납될 수 있다.

지불 유형별 원천과세 납부

지불 유형 거주자 비거주자 관리, 기술 또는 전문적인 요금 6% 15% 배당금 10% 또는 15% 15% 렌터 임대료 15% 이자 15%또는 20% 15% 사용료 재산소득 15% 자연자원 지불 재산소득 15% 연금 재산소득 15% 선박 경영자/용선자 기업소득 2% 항공 경영자/용선자 기업소득 2 도로 수송 운영자 (화물) 기업소득 2% 전기/TV/인터넷 서비스 기업소득 5% 수입(상품) 6% 5% 정부 또는 지정된 WHT 대리점에 공급 6% 6% 또는 15% 자료원: Doing Business in Uganda, Taxation in Uganda

소득세 보고의무

개인, 회사, 파트너십, 제단의 최종 연간 매출액은 한 해가 끝나고 6개월내로 접수된다. 회사의 임시 연간 매출액은 해당 회계연도가 끝난 후 6개월간 보관되며, 개인은 3개월간 보관된다. 해당년이 끝나기 전에 수정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 원천과세 신고서(PAYE 신고서 포함)는 다음 원천징수가 되는 달의 15일까지 보관된다.

다. 부가가치세(VAT)

VAT는 세금 청구가 가능한 사업자 만든 물건에 대하여 매기는 세금으로서 18%의 세율이 적용된다. VAT 청구가 가능한 기준은 연간 수입 5,000만 우간다실링 혹은 3개월간 1,250만 우간다실링 이상이다. 몇 거래 들은 VAT의 적용범위에 해당되지 않는데, 이는 VAT가 면제되는 품목들이기 때문이다. VAT이 0% 적용되 는 품목들은 zero-related supplies로 분류된다.

64 / 83

우간다 국가정보

부가가치세의 회계

VAT는 공급횟수에 따라 지불하게 된다. 부가가치세법 하에서 제화와 서비스의 공급이전에 다음과 같은 일들 이 앞서 발생한다.

공급에 대한 세금계산서의 발급 제화의 인도 서비스의 제공 제화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가공됨 제화나 서비스의 가격이 부분적으로 혹은 전액 지급됨

위와 같은 일들이 발생하고, 매입세액과 매출세액 차액을 지급액에 차이가 난다면 민원을 제기하여 차액만큼 세무당국에 지불하거나 현금으로 환급받도록 한다.

VAT 보고의 의무

모든 과세대상자는 세금 기간(월)동안의 수익을 해당 기간의 말일을 기준으로 15일 이내로 제출해야 한다.

라. 소비세

소비세는 명시된 수입품(서비스포함) 혹은 현지 생산된(locally manufactured) 제화와 서비스에 부과되며 소비세는 근본적으로 고가의 사치품에 매겨지는 경우가 많다. 세율의 적용은 특정 세율이 있거나 종과세(과 세물건의 가격에 따라 부과)에 기준한다. 세금은 수입가격에 따라 부과될 경우, 현지 생산된 제품은 ex- factory가격을 기준으로 세금을 매긴다. 현지 생산된 수출품의 경우 소비세는 면제된다. 소비세의 대상이 되 는 제화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의 경우 월수입을 상품이 전달된 다음달 15일까지 국세청에 접수해야 한 다.

마. 인지세

인지세는 인지조례에 근거해 징수되며, 이 세금은 권리나 채무 등의 창설, 이전, 제한, 연장, 소멸, 등을 기록 한 서류에 세금을 징수할 수 있다. 이 세법에 적용되는 문서는 현재 약 66여종으로, 인지조례 세율표에 명시 되어있다. 적용 가능한 세율은 고정세율 혹은 종가세 기준이다. 인지세는 주로 다음과 같은 서류에 적용된다.

진술서 협의 또는 양해각서 회사규약, 단체규약(0.5%) 통고 보험증서 위임장 약속어음 담보증권(0.5%) 차입 증명서(0.5%) 부동산의 이전(1%)

65 / 83

우간다 국가정보

바. 관세

이 세금은 세관에서 수입되는 물품(수입관세)이나 수출되는 물품(수입관세)에 부과되며, 우간다지역 전체의 관세법은 동아프리카공동체관세운영법2004(EACCMA)를 기본 법률체계로 하고 있다. 동아프리카공동체 간의 관세동맹은 회원국간의 국제무역을 촉진시키기 위해 행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우간다, 케냐, 탄자니 아, 르완다 그리고 브룬디가 관세동맹의 회원국으로 가입되어있다. 이들은 하나의 관세징수구와 무역권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더 큰 규모의 시장을 활용하여 경제성장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회원 국들은 이와 같은 사항에 동의하였다.

회원국간의 무역을 저해할 수 있는 내부관세의 철폐와 비관세 장벽 철폐를 통해서 하나의 시장과 하나의 투 자지역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점과 관련하여 동일 관세징수구의 주민이 생산한 상품의 이동에 관세나 할당 이 없다. 회원국 간 또는 다른 국가간과의 무역정책과 관련해 조화로운 정책을 펼치도록 한다. 수입관세는 비 회원국에서 수입된 상품에 부과되며 대외공통관세의 적용을 받는다.

관세동맹의 주된 특징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입관세는 비회원국의 수입상품에 적용되며 대외공통관세를 적용을 받는다. 회원국간의 교역제의 무관세, 무쿼터 움직임 비회원국에서 온 수입품에 대한 통일화된 안전 규제(ex: 식품위생 및 식품규격) 일반적인 관세규정과 서류심사를 포함한 절차 공용코드 및 교역제의 기술(記述) (Common Tariff Nomenclature (CTN)) 세금을 위한 교역제의 공용평가방식 (common valuation system) 관세동맹의 구조 i.e. guidelines for entering into preferential trading arrangements such as Free Trade Area’s (FTA), with third parties.

수입에 필요한 서류

세관신고를 위해 필요한 서류들은 다음과 같다.

선화증권 또는 항공화물운송장. 보험증명서 위탁구매견적인보이스 상업송장 생산지 증명서 수입제한상품의 허가서 구매승인서 포장명세서 무역 매매계약서 기타 부수적인 서류

66 / 83

우간다 국가정보

수입품의 가치평가

EAC가 없이 수입된 상품은 세금징수를 위해 가치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세관가격은 반드시 정해 져야 한다. 세관가격은 관세의 계산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수입세, 부가가치세, 원천과세, 소비세, 그리고 기타 다른 세금(ex: 환경세)가 포함되어있다. 적용 가능한 세율은 Customs External Tariff에 명시되어있다.

다음은 GATT에의해 채택된 상품가치평가방법을 순차적으로 열거한 사항이다.

거래가격(Transaction value) 동종동질품의 거래가격(Transaction value of identical goods) 유사물품의 거래가격(Transaction value of similar goods) 역산가격(Deductive value) 산정가격(Computed value) 합리적인 과세가격(Fall back value)

관세의 면제

개인수화물과 개인소지품의 경우, 관세 면제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반드시 여행객의 소유물이어야 한다. 반드시 여행객과 함께 있어야 한다. 물품은 개인/가정의 용도로 사용되어야 한다. 물품은 반드시 합법적인 물건이어야 한다. 물품은 반드시 세관에서 정한 한도내의 양이어야 한다.

성인 여행객의 면세한도

이하 열거된 물품들은 면세로 수입 가능한 상품이다.

증류주 1리터, 와인 2리터 이내 향수 1.5리터 이내 담배, 시가, 엽권연, 궐련, 코담배 250그램 이내 우간다 국외에 24시간 이상 체류한 사람 혹은 여행객의 경우 300달러 이내로 면세품반입이 가능하다.

5th Schedule EACCMA에 근거한 특정계층의 인사, 기관의 대한 관세면제

이하 열거된 사람에 의해 수입되거나 대신하여 수입된 상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대통령 역내국과 양자 또는 다자 협정을 맺은 기부 단체 국제, 지역기구의 외교적 승인이 있을 경우 장애인 랠리 드라이버(하나의 자동차와 부품들)

67 / 83

우간다 국가정보

다른 일반적인 예외사항들은 다음의 경우를 포함한다

사망자의 소지품 여행객의 개인수화물과 소지품 모기장과 모기장의 재료 약품의 생산에 쓰일 장치, 기계류 Florence Agreement에 명시되어있는 교육용 논문, 물품

주거국 변경/ 재입국하는 선의자에 의해 수입된 물품(관세면제)

의류 전에 거주하던 곳에서 사용했던 개인용품이나 가정용품 입국자 개인이 역외국에서 1년(배송에 걸리는 시간 제외)이상 소유한 자동차 1대(버스, 좌석 13이상의 미니 버스, 2톤 트럭이상은 제외된다)

임시체류(관세면제)

역내에 3개월 이내의 임시체류자의 수화물은 다음과 같은 항목에서 면세 제외대상이 제외된다.

개인용도로 수입된 비소비재로, 체류기간 만료 시에 반출될 물건 세관직원의 판단에 여행의 목적에 맞는 양과 종류의 소비재와 비주류(酒類)의 음료 역내에 있는 국제기구 본사의 직원이 협의를 위해 재입국할 시, 함께 반입하는 물건.

세율

일반적으로, 우간다가 속해있는 관세동맹 외의 국가에서 온 수입상품에 적용되는 세율은 다음과 같다.

수입관세- 25% 부가가치세- 18% 원천과세- 6% 물품세- 물품에 따라 다름

자료원: Doing Business in Uganda, Taxation in Uganda

68 / 83

우간다 국가정보

Ⅴ. 비즈니스 참고정보

1. 물가정보

가. 물가정보 (단위: 1달러(USD)=3,368.00우간다 실링(USH)) 가격 구분 항목 가격(USH) (USD) 1인 식사 한끼(저렴한 식사) 6,000.00 1.78 2인 식사(중간가격) 50,000.00 14.84 맥도널드 세트메뉴 20,000.00 5.93 식당 카푸치노(중간사이즈) 7,357.00 2.18 콜라 0.33L 1337.50 0.40 물 0.33L 1,012.50 0.30 우유 1L 2,150.05 0.64 식빵 500g 2,533.19 0.75 쌀 1kg 3,085.22 0.92 계란 12개 3,954.66 1.17 치즈 1kg 13,312.38 3.96 닭가슴살 1kg 12,791.32 3.8 사과 1kg 7,667.30 2.28 오렌지 1kg 6,350.30 1.88 식품 토마토 1kg 2,656.76 0.78 감자 1kg 2,041.70 0.60 양배추 1통 2,700.00 0.80 물 1.5L 1,816.67 0.54 담배 한 갑(말보로) 5,000.00 1.48 국산맥주 0.5L 3,388.89 1.01 수입맥주 0.33L 4,611.11 1.37 와인 한 병(중간가격) 26,500.00 7.86 시내버스 2,000.00 0.59 시내버스(월 정기권) 18,000.00 53.41 택시 기본요금 12,977.00 3.85 교통 택시 1km 5,029.20 1.5 휘발유 1L 3,627.69 1.08 승용차(폭스바겐 골프) 30,000,000.00 8902.08 헬스장(성인1인) 177,500.00 52.67 레져 테니스장 1시간(주말) 25,000.00 7.42 영화관 1석 20,000.00 5.93 리바이스 501 청바지 44,375.00 13.17 의류 여름드레스 (Zara, H&M, 등) 49,285.71 14.62

69 / 83

우간다 국가정보

가격 구분 항목 가격(USH) (USD) 나이키 운동화 95,075.26 28.21 남성화 116,111.11 34.45 85㎡ 아파트 기준 수도, 가스, 난방, 전기 204,000.00 60.53 공과금 선불 휴대폰 전화 카드 1분 307.80 0.09 (월) 인터넷(10Mbps, 데이터무제한, 케이블/ADSL) 30,000,000.00 71.22 시내에 위치한 아파트(방 1개) 560,909.09 166.44 외곽에 위치한 아파트(방 1개) 412,500.00 122.40 월세 시내에 위치한 아파트(방 3개) 1527,777.78 453.35 외곽에 위치한 아파트(방 3개) 923,000.00 273.89 시내에 위치한 아파트 1m2당 가격 4,195,847.69 1245.10 아파트 외각에 위치한 아파트 1m2당 가격 926,689.23 275.03 평균 월급 (세후) 556,250.00 165.06 월급 주택 담보 대출 연금리 21% 21% 주: 2016년 7월 기준 최신자료 자료원: http://www.numbeo.com/cost-of-living

2. 비즈니스에티켓

가. 개요

우간다인들은 여느 아프리카 국가에 비해 무척 예의 바르고 정중한 태도를 유지하는 것을 중시하는 민족이다. 이러한 그들의 민족적 태도는 상당히 보수적으로 비춰질 수 있다. 이는 가치와 원칙들이 그들의 신념에 기반 을 두고 이 원칙을 지키는 일을 무척 신성시 하는 민족이다. 서양문화에 익숙한 이에게 우간다의 문화를 모르 고 방문하는 경우 실수를 범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우간다인들은 예의를 매우 중시하기 때문에 방문자의 실 수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일부다처제라는 개념과 우간다의 ‘Other wife’라는 단어가 쓰임은 일부 다처제와 유사한 듯 보이나 일부다처제(Polygamy)와는 명백히 다른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나. 생활문화

복장

우간다인들은 대체적으로 심플하게 옷을 입는다. 제조업이 발달하지 않은 우간다에서는 대부분 선진국에서 수입한 중고의류를 이용한다. 캄팔라의 Owino 시장의 Value Village나 Salvation Army에 간다면 US달러 가격으로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이슬람 문화에 속해 있기 때문에 여성의 경우 짧 은 치마를 입을 경우 청바지나 레깅스와 함께 착용한다. 남성의 경우는 반바지 차림으로 외출하는 것을 삼가 해야 한다.

70 / 83

우간다 국가정보

중고의류이나 남성들은 잘 다려진 수트를 입고 다니는 모습을 자주 목격하게 된다. 그들과 비즈니스 상담을 할 경우 반드시 정장을 입을 필요는 없으나 예의를 중시하는 그들의 문화를 존중하는 자세에서 깔끔한 복장 을 추천한다. 우간다 전통의상으로는 남성은 Kanzu, 여성은 Busuuti(Gomesi라고도 불린다)를 입는다. Busuuti 와 Kanzu는 특별한 행사나 결혼식 때 즐겨 입는다.

공경

서양의 문화에서는 젊음을 축복으로 여긴다. 그러나 우간다에서는 평균 연령이 60세를 넘기지 못하기 때문 에 늙음을 대단히 영광스러운 것으로 생각한다. 종종 나이든 사람에게 Mzee(elder; 우간다인들이 노인에게 존경을 표하는 표현)라고 부른다면 이는 매우 존경을 표하는 뜻으로 충고와 조언을 구한다는 의미이다.

대화법

우간다인과 대화하기 위해서는 끈기를 가지고 그들의 이야기를 경청해 주어야 한다. 그들은 대화의 시작은 일반적으로 상대를 먼저 이해하기 위한 정보파악이 먼저라고 생각한다. 상대의 신상정보에 대해 꼬치꼬치 물 어보는 경우가 많다. 어디에 사는지 혹은 어떤 일을 하며 지내는지 등의 사소한 이야기를 길게 늘여놓는 경우 가 많다. 이러한 그들의 언어적 습관을 통해 지루해 하거나 이들의 삶의 가치를 결정하거나 원칙을 비난하는 일은 삼가 해야 한다.

그리고 우간다인과 이야기 할 때 Bwana (사장님 혹은 주인님: 동아프리카 일부에서 남자 윗사람을 부를 때 쓰는 호칭) 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일은 주의해야 한다. 이들이 말하는 Bwana는 미국의 대통령 버락 오바마 일 수도 있고 힐러리 클린턴을 지칭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우간다에서 ‘한 아이를 기르는데 한 마을이 필요하다’라는 말이 있다. 이들은 그들의 고향, 마을, 가족, 부모, 조부모가 한 마을에 사는 경우가 많다. 멀리 떨어져 살더라고 반드시 연휴 동안에는 고향마을로 모이는 것이 그들의 전통이다. 그들은 가족, 교회, 사원과 같은 관계중심적인 시각으로 상대를 보는 경우가 많다. 그들과 대화를 잘 이끌어 가기 위해서는 몇 장의 가족사진을 가져 가는 것이 좋다. 당신이 어디에 어떻게 사는지를 보여줄 수 있는 사진을 가져가면 우간다인들은 아주 좋아할 것이다.

인사법

우간다에서 가장 일상적인 인사법은 악수이다. 낯선 사람일지라도 그들은 쉽게 다가와 악수를 권하기도 한다. 남자와 여자 모두 악수 하는 일상화된 인사법이다. 그리고 아이들은 손님이 방문할 경우 무릎을 꿇고 인사를 한다. 이는 존경의 문화적인 표현하는 인사법 이다. 중심지 이외의 지방을 방문 할 경우 여성도 손님에게 무 릎을 꿇고 인사하는 경우도 있다.

시간개념

아프리카에서 ‘기차는 시간에 맞춰 달리지는 않지만 달리고 있다’ 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이 말의 의미는 정 각에 도착해야 하는 정차시간이 이나 5분이나 10분후 혹은 그 이상을 연착하게 되더라도 아무도 개의치 않 는다. 기차가 달리고 있다는 것이 중요할 뿐 언젠가는 도착할 것이라는 그들의 마음가짐이다. 이들에게 있어 시간은 단지 사무적인 단어가 아닌 관계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예를 들어 저녁초대를 받아 5시에 픽업시간을

71 / 83

우간다 국가정보

정했더라도 그들은 9시에 데리러 올 수도 있다. 이는 ‘우리는 지금 아프리카 시간에 있다(We are on Africa time)’ 라고 생각하는 여유롭게 행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일정이 이미 정해져 있더라도 그들의 시간개념에 대해 불만을 갖거나 화를 내기보다는 기다리는 동안 책을 읽는 등의 여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좋다.

우간다의 식사 문화

우간다는 손으로 밥을 먹기 때문에 밥을 먹기 전과 먹은 후 손을 씻는 것이 습관화 되어있다. 우간다에서는 아이들은 물론 식사 중에는 말을 걸지 않는 것이 식사예절이다. 식사가 끝난 후에는 반드시 식사를 주최한 이 에게 감사인사를 하고 식사를 준비한 이에게 ‘식사를 준비해 주셔서 고맙습니다(Thank you for cooking).’ 이라고 해야 한다.

다. 문화적 금기사항

공공장소에서 애정행각

공공장소에서의 키스나 다른 애정행각은 상대가 배우자일지라도 금지된다. 외국인에게는 관대한 편이나 이 는 Muzingu이며 우간다 문화에서 무엇이 허용되는지 모르기 때문이다. 우간다인들은 보통 공공장소에서 애정행각을 하지 않는다. 당신은 남자가 손을 잡고 잇는 것을 볼 수 있겠지만 그것은 우정의 표시일 뿐이다. 공공장소에서 키스를 하는 것은 문화적으로 허용 되지 않는다. 또한 무엇이 친밀을 결정하는지에 대해 대화 하는 것도 허용되지 않는다.

Museveni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자신은 아내와 공공장소에서 한번도 키스한 적이 없다고 말한 적이 있다.

우간다에서 사진찍기

우간다인들의 사진을 찍는 것은 모든사람이 카메라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드폰에도 카메라 기능이 생 기면서 굉장히 쉬워졌다. 만약 당신이 우간다인의 사진을 찍고 싶다면 그들의 허락이 필요하다. 가끔 우간다 인들은 당신이 찍는 사진으로 인해 이익을 챙길거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정중한 부탁을 하고 사진을 찍는 것 이 좋다. 나는 종종 그들의 사진을 찍을 때 그들에게 작은 것을 주었다. 거리의 풍경이나 시장, 행사를 찍을 때는 허가를 구할 필요가 없다. 사진을 찍지 말라는 사인이 있는 경우에는 사진을 찍지 말아야 하고 군 부대 나 경찰을 찍는 것은 좋은 생각이 아니다.

감정((ex.화)

우간다에서 절대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은 자신의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은 문화적 실수를 범하는 행위이 다. 감정을 분출하기 보다는 미소를 지으며 조용히 참으며 그들의 이야기를 끝까지 들어주는 것이 좋다. 이것 이 우간다의 방식이다. 화를 내는 행위는 관계를 염두에 두고 그들과의 공유를 통해 인내심을 발휘하는 것이 좋다.

“우간다는 동화이다. 아프리카의 다른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없는 특별한 풍경과, 기후 그리고 사람이 있다… 내가 전하려는 메시지는… 우간다에 집중하라

72 / 83

우간다 국가정보

– ‘The Pearl of Africa’, “Winston Churchill(My African Journey - 1908)”

3. 출장시 유의 및 참고사항

가. 비자

관광이나 단순 방문 목적의 경우는 관광비자를 취득해야 하는데, 공항 입국시에도 발급이 가능하다. 비용은 50달러 이며 비자 기간은 1-3개월까지이다. 관광이나 단순 방문 목적 외 취업, 사업 또는 봉사, 선교 등의 목 적으로 우간다를 방문하는 경우, 아래 내용과 같이 스페셜 패스(임시 고용 비자)나 고용허가 비자를 받아야 한다. EAC 3개국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는 2014년 3월부터 단일관광비자제도를 시행해오고 있다. 100달 러를 지불해 발급받으면 3개 국가를 90일 동안 자유롭게 여행 가능하다.

비자 종류와 구비서류

명칭 분류 구비서류 Class A 정부 및 외교 관련 취업 허가증 양식, 여권 사진 2매, 대사관 레터와 외교부 추천서 취업 허가증 양식, 여권 사진 2매, 기관 추천서, 관련 정부 부처 추천서, 범 Class A2 정부 계약자 죄 경력 증명서, 학위 증명서 취업 허가증 양식, 여권 사진 2매, 여권 사본, 기업 추천서, 토지 명의서 (Land title), 우간다 투자 면허, 농업부처 추천서, 지역 리더 추천서(LC 또 Class B 농업 투자자 는 RDC), 사업 계획서 및 프로젝트 타당성 조사서, 담보물(Security Bond), 범죄 경력 증명서 취업 허가증 양식, 여권 사진 2매, 여권 사본, 기업 추천서, 에너지 및 광물 Class C 채광 투자자 부처에서 발급된 면허증, 협회 정관 및 메모렌덤, 자원부의 추천서, 담보물 (Security Bond), 우간다 투자 면허, 범죄 경력 증명서 취업 허가증 양식, 여권 사진 2매, 여권 사본, 기업 추천서, 은행 거래 내역 서(Bank Statement), 우간다 투자 면허(적용가능한 경우), 협회 정관 및 Class D 사업 및 무역 메모렌덤, 법인회사 등록증, 세금 납부 내역서(Income tax clearance), 무역 허가증, 10만 달러 송금 증명서, 신원 보증서 또는 범죄 경력 증명서, 담보물(Security Bond) 취업 허가양식, 여권 사진 2매, 여권 사본, 기업 추천서, 담보물(Security Bond), 회사 서류: 정관, 메모렌덤, 등록증, 투자 면허증, 법인회사 면허 Class E 제조업 증, 은행 거래 내역서(Bank statement), 신원 보증서 또는 범죄 경력 증명 서 취업 허가 양식, 여권사진 2매, 여권 사본, 소개서(covering letter), 자격 Class F 전문직 증, 협회 등록증(예: 의사협회 등), 회사 서류, 신원 보증서 또는 범죄 경력 증명서, 담보물(Security bond) 자원봉사, NGO 종사 취업 허가증, 여권사진 2매, 여권 사본, NGO 등록증 사본, 범죄 경력 증명 Class G1 자, 선교사 서, 단체 추천서, 소개서(covering letter), 임명장, 자격증 Class G2 고용인 신청서, 여권 사진 2매, 여권 사본, 학위 증명서, 신원보증서(범죄 경력 증

73 / 83

우간다 국가정보

명칭 분류 구비서류 *취업허가를 미리 받은 명서), 임명장, 회사 추천서, 우간다 인을 고용하기 위해 노력한 증명서, 우 후에 입국이 가능함 간다 인을 대상으로 한 훈련 기회 투자 서신, 세금 납부 내역서(Income tax clearance), 정관 및 메모렌덤, 무역 면허증, 담보물(Security bond), 은행 거래 명세서, 법인 회사 등록증 임시비자 신청서, 고용주로부터의 첨부장(추천장) 첨부, l계약서 사본 첨 고용허가가 승인되기까 부, 자격증 여권 사본, 여권 원본, 왕복 비행기표 임시비자 지 유효 *Class G 신청자는 취업 허가 (Work Permit)가 진행될 때까지는 입국이 가능한 스페셜 패스를 받을 수 있음 자료원: 우간다 이민국

우간다 이민국

전화번호: +256 231031/342561/231641 홈페이지: http://www.mofa.go.ug/index.php/immigration

나. 환전

은행 및 Bureau de Change에서 자유로이 환전할 수 있으며, 2015년 평균 환율은 3240실링 이었다. (실시 간 환율 확인은 우간다 중앙은행 홈페이지 http://www.bou.or.ug/bou/home.html 참조)

다. Tip 제도

1~2달러 정도(2,400~4,800우간다 실링)를 Tip으로 주면 감사의 표시로 무난하다.

라. 우간다 공휴일 (2014년)

1월 1일: New Year's Day(신년) 1월 26일: National Resistance Movement Victory Day 3월 8일: Women’s Day (여성의 날) 4월 18일: Good Friday 4월 21일: Easter Monday 5월 1일: Workers Day(노동절) 6월 3일: Martyr’s Day (순교자의 날) 6월 9일: Hero’s Day (영웅의 날) 10월 9일: Independence Day (독립 기념일) 12월 25일: Christmas(성탄절) 12월 26일: Boxing Day 회교 휴일(해마다 변경): Idd-El-Fitri, Id Adhuda

한국과의 시차: 한국보다 6시간 늦으며, Summer Time은 실시하지 않는다.

74 / 83

우간다 국가정보

마. 주요기관 영업시간 및 휴무일

관공서: 07:30-15:30, 은행: 08:00-15:30 일반상점: 09:00-17:00 (일부 인도계 상점 13:00-15:00 점심시간) 우체국: 월-금: 08:00-16:30, 토: 09:00-12:00 박물관: 월-금: 07:30-3:30

바. 전기 사양

TV 및 VIDEO 방식은 유럽식 PAL 시스템을 사용하며, 전기 전압은 220-240V/50Hz (영국식)로 케냐와 동 일하다.

사. 우간다 주요 호텔 정보

Kampala Serena Hotel 전화: (041) 4309000 / (041) 430900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serenahotels.com

The Emin Pasha Hotel 전화: (041) 4236977/8/9 / (031) 2264712/3/4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eminpasha.com

Imperial Royal Hotel 전화: (041) 7111001/ (041) 7111001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imperialhotel.co.ug

Sheraton Hotel Kampala 전화: (041) 442000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http://www.sheratonkampala.com

Protea Hotel Kampala 전화: (041) 4550000/ (031)255000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proteahotels.com/kampala

Golf Course Hotel 전화: (041) 4563500 / (041) 4563500 / (031) 2302280 / (031) 230228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golfcoursehotel.com

75 / 83

우간다 국가정보

Grand Imperial Hotel 전화: (041) 4250681-8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http://www.imperialhotels.co.ug/grandimperialoverview.html

Speke Hotel Kampala 전화: (041) 4235332/5 / (041) 4259221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http://www.spekehotel.com

Africana Hotel Ltd 전화: (041) 4777000 / (041) 4777000. 휴대폰: (075) 2748080/1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hotelafricana.com.

Metropole Hotel Kampala 전화: (041) 4391000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metropolekampala.com

Mosa Courts Apartments 전화: (041) 4230321/4230292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mosacourt.info

Rwizi Arch Hotel 전화: (077) 2684839/ (078) 2915164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http://www.rwizihotels.com

Fairway Hotel 전화: (041) 4257171-2 이메일: [email protected] /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fairwayhotel.co.ug

Fang Fang Hotel 전화: (041) 4235828 / 4233115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fangfang.co.ug

Holiday Express Hotel 전화: (0312) 262858-9

76 / 83

우간다 국가정보

휴대폰: (077) 2669218 / (077) 2669218 홈페이지: www.holidayexpresshotel.com

캄팔라 중심부 외곽

Kabira Country Club 전화: (031) 2227222-3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http://www.kabiracountryclub.com/accommodation.htm

Speke Resort Munyonyo 전화: (031) 2227111 이메일: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www.spekeresort.com

아. 우간다 식당 정보

한식

Miso(한국식당) 주소: Plot 14, Mabua Rd, Kampala, Uganda 전화: (077)2741236

Arirang(조선인 운영) 주소: 15A Kyadondo Road, Nakasero, Kampala. 전화: (041) 4346777

중식 & 일식

Fang Fang Chinese Restaurant 주소: 1 Colville Street, Roof Terrace, Communications House, Kampala. 전화: (041) 4344806

Nanjing Restaurant & Motel 주소: 15 Impala Avenue, Kololo, Kampala. 전화: (041) 4340928

Yujo 주소: 4 Kyadondo Road, Nakasero, Kampala. 전화: (077) 2209999

77 / 83

우간다 국가정보

양식

Accacia Grill (스테이크 하우스) 주소: Metropole Hotel, 51/33 Windsor Crescent, Kololo, Kampala. 전화: (041) 4391000

Caffe Roma 주소: 689, Muyenga Road, Muyenga, Kampala. 휴대폰: (079) 2501847

Mamba Point Restaurant 주소: 22 Akii Bua Road, Nakasero, Kampala. 휴대폰: (077) 2243225

Mamba Point Pizzeria 주소: 62 Lumumba Avenue, Nakasero, Kampala. 휴대폰: (077) 2743227

Mediterraneo Restaurant (at Villa Kololo) 주소: 31 Acacia Avenue, Kololo, Kampala. 전화: (041) 4500533-4

Le Chateau 주소: 142 Ggaba Road, Kabalagala, Kampala. 전화: (041) 4510404

La Petite France (old Krua Thai) 주소: 34 Windsor Crescent, Kololo, Kampala. 전화: (031) 2517068

The Lawns 주소: 34 Impala Avenue, Kololo, Kampala. 전화: (041) 4250337.

The Pearl of Africa (Kampala Serena Hotel) 전화: (041) 4309000

기타

Bamboo Nest Pub & Restaurant (우간다식) 주소: 2nd Street Banda Zone, Kampala. 전화: (077) 2500011

78 / 83

우간다 국가정보

Haandi (북부 인도음식) 주소: 7 Kampala Road, 1st Floor Commercial Plaza, Kampala. 전화: (041) 4346283/4

Khana Khazana (인도음식) 주소: Acacia Avenue, Kololo, Kampala. 전화: (041) 4233049

Lotus Mexicana (멕시코 음식) 주소: 16 Ssezibwa Road, Nakasero Hill, Nakasero, Kampala. 전화: (041) 4669555

The Oriental Simply Thai (태국음식) 주소: Metropole Hotel, 51/53 Windsor Crescent, Kololo, Kampala. 전화: (041) 4391000

4. 유관기관 웹사이트

가. 정부 및 비즈니스 관련기관

Uganda Registration Services Bureau 주소: Plot 5 George Street, Georgiana House 4th floor P.O. Box 6848 Kampala, Uganda Tel: +256-41-4235915/233219/345727 Fax: +256-41-4250712 웹사이트: http://www.ursb.go.ug

Immigration Department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주소: Plot 75 Jinja Road P.O.Box 7191 Kampala, Uganda Tel: +256-41-4231031/231641 Fax: +256-41-4231188 http://www.mia.go.ug

Uganda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주소: Plot M217 Nakawa Industrial AreaP.O. Box 6329 Kampala, Uganda Tel: +256-41-4505995, 222367 Fax: +256-41-4286123 E-mail: [email protected] 웹사이트: http:// www.unbs.org

79 / 83

우간다 국가정보

Uganda Manufacturers Association 주소: Lugogo Show Grounds P.O. Box 6966 Kampala, Uganda Tel: +256-41-4221034/220831 Fax: +256-41-4220285 E-mail: [email protected]

National Environment Management Authority 주소: NEMA House, 3rd Floor, Plot 17/19/21 Jinja Road P. O. Box 22255 Kampala, Uganda Tel: +256-41-4251064/5/8 Fax: +256-41-4257521 E-mail: [email protected] 웹사이트: http://www.nemaug.org

Uganda Tourist Board 주소: 42 Windsor Cresent, Kololo P.O.Box 7211 Kampala, Uganda Tel: +256-41-4342196/7 Fax: +256-41-4342188 E-mail: [email protected]

Bank of Uganda 주소: 37/43 Kampala Road P. O. Box 7120 Kampala, Uganda Tel: +256-41-4258441/6, 341223 Fax: +256-41-4231549 웹사이트: http:// www.bou.or.ug

Uganda Export Promotion Board Conrad Plaza, 5th Floor P.O. Box 5045 Kampala, Uganda Tel: +256 414 230250/ 230233 Fax: +256-41-4259779 E-mail: [email protected]

나. 한국기관 및 한인단체

우간다 캄팔라/주우간다한인회 Korean Community Association in Uganda P.O.Box 7628 Kampala, Uganda Tel: (256-41)285355

주우간다 대사관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Plot14, Ternan Road, Nakasero, Kampala P.O.Box 27278, Kampala, Uganda email : [email protected] TEL(2라인):+256-414-500-197~8 Fax :+256-414-500-199

80 / 83

우간다 국가정보

한국국제협력단(KOICA) Tel: +256-414-258-637 Fax: +256-414-258-648

5. KOTRA 무역관 안내

가. 무역관 개설에서 현재까지

우간다는 나이로비 무역관의 관할지역으로, 무역관 연혁은 다음과 같다.

1969. 6. 20. 나이로비 무역관 개설 (초대 관장: 최홍식) 1988. 5. ~ 1991. 9. 한준우 전 부사장 8대 관장 역임. 2014. 8. ~ 현재 손병일 센터장 (16대 관장)

나. 위치 및 연락처

무역관 약도

무역관 오시는 길 (공항이나 시내에서 오실 때)

거리: 약 20km, 택시 또는 기타 교통수단 이용 시 20분 거리 시내위치 요금: 공항택시 Ksh2,000(약 25달러), 버스 등 여타 대중교통 없음 위치: International House 2층 Hilton Hotel에서 서쪽으로 바로 옆 건물, 건물 입구는 Barclays Bank 정문 맞은편 Mama Ngina Street 방 향

81 / 83

우간다 국가정보

무역관 연락처

주 소: Korea Business Center, Nairobi Commercial Section of the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ternational House 2nd Floor, Mama Ngina Street, P.O.Box 40569-00100 Nairobi, Kenya 전 화: +254-20-2220458 / 2228928 팩 스: +254-20-315706 이메일: [email protected] 또는 [email protected]

다. 무역관 근무시간

근무기간: 월~금 (휴무: 주말, 한국 국경일, 케냐 공휴일) 근무시간: 오전 8시 ~오후 5시 표준 시간대: UTC+03:00 (한국시간 -6시간)

라. 인원현황

나이로비 무역관은 본사직원 2명에 정규직 현지직원, 기사를 포함하여 6명이 근무하는 작은 무역관이다. 창 의력을 중시하는 가족적인 분위기이며, 정규직 현지직원의 한국말이 유창하여 회의를 한국말로 병행하는 등 케냐 내 “한국인 사무실”을 추구하고 있다.

성명 직위 전화번호 업무 손병일 관장 070-7735-9010 나이로비무역관 업무총괄 김태경 과장 070-7735-9007 마케팅 / 총무정산 윤 구 현지 070-7735-9009 정보조사 / 투자 / 방산 Wanjiru 현지 +254-(0)20-2220458 인콰이어리 / 전시정보 Dickson Matundura 현지 +254-(0)20-2220458 지사화사업 Gideon KirichiWang 현지 +254-(0)20-2220458 마케팅 Susan W. Koigi 현지 +254-(0)20-2220458 마케팅 김성윤 인턴 +254-(0)-792-746310 정보조사 보조

마. 사업안내

케냐, 우간다, 세이쉘, 코모로, 모리셔스 지역을 관할하며, 이 관할 지역 내의 시장개척사업, 시장조사사업, 지사화 사업, 해외진출지원, 방산품목 수출지원 등의 사업을 담당한다.

시장개척사업

무역사절단 상담 지원 KOTRA 본사, 지방자치단체, 수출유관기관 무역사절단 상담 주선 및 마케팅 지원 국내전시회 방한 바이어 구매단 구성 및 바이어 방한유치 국내 전시회 및 수출상담회 구매단 방한 유치 및 개별 바이어 방한 지원

82 / 83

우간다 국가정보

수출 인콰이어리 발굴 및 입찰 참가지원 수출 인콰이어리 및 입찰정보 전파(www.buykorea.org) 게재

해외세일즈 출장 지원 국내 중소기업의 동아프리카 세일즈 출장 지원 상담주선, 호텔예약, 안내 및 통역지원 등

조사사업

조사대행 서비스 (유료사업) 국내업체 현지 시장조사 및 바이어 발굴 조사대행 신청은 www.kotra.or.kr에서 회원 가입후 신청

수출 유망상품 및 산업별 시장동향 조사 주요상품 및 산업 시장동향조사 및 www.kotra.or.kr에 게재 수출 시장 및 경제동향 속보정보 게재(www.globalwindows.org)

지사화사업

사업개요 국내업체 동아프리카 진출을 위해 1년간 협약체결을 통해 마케팅 성약 지원 해외무역관이 해당업체의 지사역할을 수행하여 거래성약 추진 지원내용: 시장조사, 마케팅 지원, 현지 세일즈 지원, 입찰 참가지원 등

지원기간: 1년(계약일로부터 1년간) 참가비: 250만원(세금포함)

2016년 예정 주요사업

무역사절단 지사화사업: 현재 10개사 지원 중 수출상담회 바이어 유치 구매단 구성 전시회 참가: 현지에서 개최되는 유망 박람회 및 전시회에 한국관 구성 계획 중 인프라 개발프로젝트 발굴 수주지원

라무항 개발 (lapsset) 프로젝트 (항만, 파이프라인, 정유, 도로, 철도, 리조트개발) 콘자 IT씨티개발 도로 및 항만, 철도 개발 프로젝트 교통 및 IT 인프라 개발 동아프리카 물류허브 구축 조사 및 구축지원 프로젝트 파이낸싱 활용대책

83 /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