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자기반공학기술개발사업 Proton Engineering Frontier Project

양성자기반공학기술개발사업 Proton Engineering Frontier Project

최종연구보고서 KAERI/RR-2576/2004 (PE-30000-RZ-P034) 양성자기반공학기술개발사업 Proton Engineering Frontier Project 중 에너지 가속장치 개발 Development of the Medium Energy Linac Systems 연구기관 한국원자력연구소 과 학 기 술 부 제 출 문 과 학 기 술 부 장 관 귀하 본 보고서를 “ 양성자기반공학기술개발사업” 과제 (세부과제 “중 에너지 가속장치 개발에 관 한 연구”)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5. 7. 연 구 기 관 명 : 한국원자력연구소 양성자기반공학기술개발사업단 연 구 책 임 자:장 지 호 연 구 원:권 혁 중, 김 용 환, 김 한 성, 박 미 영, 설 경 태, 송 영 기, 조 용 섭, 최 현 미, 한 상 효, 홍 인 석. 최종연구보고서 초록 과제관리 해당단계 A-6-1 한국원자력연구소 단계구분 1단계 / 3단계 번호 연구기관 연구사업명 양성자기반공학기술개발사업 대과제명 양성자기반공학기술개발사업 연구과제명 세부과제명 중 에너지 가속장치 개발 내부 : 2.8 M․Y 정부 : 2,258,000 천원 연구기관명 한국원자력 해당단계 연구소 외부 : 3.0 M․Y 연구비 민간 : -천원 (연구책임자) (장 지 호) 연구인력 계 : 5.8 M․Y 계 : 2,258,000 천원 위탁연구 해당사항 없음 국제공동연구 상대국명: 해당사항 없음 상대국연구기관명: 참여기업 해당사항 없음 색 인 어 한글 : 양성자, 선형가속기, 중에너지 가속기, 빔 정합, 빔 인출 (각5개이상) 영어 : PEFP, proton, linac, DTL, MEBT, DT 요약(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개조식 500자 이내) 면수 P. 224 1. 연구개발목표 및 내용 목표: 21세기를 이끌어갈 나노공학, 생명공학, 정보통신, 항공우주, 의료, 국방 등 첨단산업기술 분야 의 원천/응용 기술 확보 밑 기초 과학 연구에 필수적인 장비인 중 에너지 양성자 가속장치를 개발함. 내용: - 100 MeV 가속장치 설계 - DTL 가속공동 제작 - MEBT(medium energy beam transport) 설계 2. 연구결과 - 20~60 MeV 가속장치로 DTL을 선택하고 설계: 10개 DTL 탱크로 구성 - 20~100 MeV 가속장치를 DTL로 하는 경우에 대해 설계: 총 20개 탱크로 구성 - DTL 탱크 일부에 대한 상세설계(탱크 직경, DT 및 전자석, 냉각, 각종 포트 등) 후 첫 번째 탱크 를 제작. - MEBT 설계: 각각 3개의 셀로 이루어진 소형 DTL 탱크 2개로 구성됨. 빔 인출계에서 빔 손실을 최소화 하고, 20 MeV 양성자 빔이 다음에 오는 DTL에 정합 입력시키는 것이 목적임. 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중에너지 가속장치에 대한 기본설계를 완료함으로서 100 MeV 가속장치 제작의 토대를 마련하고, 가속기 터널 설계에 대한 자료를 제공함. - MEBT 설계를 통해 가속장의 빔 정합 문제와 빔 인출시스템의 빔을 공급함으로서 20 MeV 양성자 빔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함. 요 약 문 Ⅰ. 제 목 : 중 에너지 가속장치 개발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가.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및 단계별 목표 양성자기반공학기술개발사업단의 목표 중 하나는 빔 전류가 20mA이고 에너지 가 20 MeV와 100 MeV인 양성자 빔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중 에너지 가속장치 개발”과제는 100 MeV 양성자 가속장치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1단계 3 차년도에 시작한 과제다. y 최종목표: 100MeV 가속장치 개발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단계별 목표는 아래 표와 같다. 제 1 단계에서는 100 MeV 가속장치 설계를 목표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100 MeV 가속장치 제작을 시작하게 된다. 가속장치의 설계와 제작은 1 단계에 걸쳐 수행한 “저 에너지 가속 장치” 개발에서 수행한 RFQ 및 DTL 설계, 제작 경험을 충분히 활용하여 효율적으 로 수행할 수 있다. 본 과제의 또 다른 세부목표는 20 MeV 양성자 빔을 사용자에 게 제공하는 동시에 다음에 오는 가속장치로의 정합입력을 목적으로 하는 MEBT 을 설계하는 것이다. 단계별 목표 1 단 계 ('02~'05) 2 단 계 ('05~'08) 3 단 계 ('08~'12) ∙20MeV 가속장치 이전 설치준비 완료 ∙100MeV 가속장치 설계 ∙60MeV까지 가속장치 ∙100MeV 가속장치 제작 본체 제작 완료 및 ∙20mA 빔 인출 시험 설치준비 완료 ∙100MeV 가속 장치 운영 ∙MEBT 및 빔 인출계 제작 및 설치준비 완료 - i - 나. 연구개발의 중요성 - 기술적 측면 21세기를 이끌어갈 나노공학, 생명공학, 정보통신, 항공우주, 의료 등 첨단 산업기술 분야의 원천/응용 기술 확보 및 기초연구에 있어서 양성자 가속기는 필수적인 장비다. 동시에 양성자 가속장치 개발 및 운용에 필요한 초고진공기 술, 고출력고주파기술, 초고정밀가공기술, 이온원개발 등 고부가가치 원천기술 을 개발하는 효과가 갖고 있다. 현재 미국 및 일본에서 추진 중인 대전류 양 성자 가속장치를 국내기술에 의해 자체 개발함으로써, 상기된 첨단산업기술을 조기에 자체기술로 확보가 가능함으로써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 경제·산업적 측면 중에너지 양성자 빔을 이용한 다양한 산업적 응용 및 가속장치 개발과 연 관된 첨단기술의 응용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 및 과학자/공학자 등의 고급두 뇌 직업 창출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인 예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중에너지 양성자 조사시설을 이용하여 의료용 및 산업용의 다양한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 및 수입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중에너지 양성자 가속장치를 이용하여 지구상에 인공 우주방사선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항공우주산업에 쓰이는 내방사선 반도체 소자 개발, 인공위성 등에 쓰이는 부품의 우주방사선 영향 평가 및 생명체에 미치는 우주방사선 효 과 등의 평가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그 외에도 중에너지 양성자 가속 장치에 필수적인 고출력 고주파 기술을 응용한 군사용 레이더/통신시설의 국 산화, 대전자전 등의 무기체계 개발, 원거리 통신시스템 개발 등에 활용이 가 능해지는 등의 매우 많은 경제·산업적 파급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 사회·문화적 측면 다양한 과학기술의 융합 장치인 양성자 가속기의 건설 및 운용에는 다양한 과학기술분야의 전공자의 협력이 필수적이므로 각 과학기술 분야의 활발한 교 류의 계기를 마련하고, 그 장비의 교육적 이용을 통한 고급 과학기술인재 양 성기반 확충하게 된다. 또한 미국, 일본등 선진국에서 현재 개발 중인 대전류 양성자 가속기를 비슷한 시기에 국내 기술로 건설함으로써, 해외의 우수한 과 학기술자와 대등한 교류가 가능해지게 된다. 이러한 대형 연구시설인 중 에너 - ii - 지 양성자 가속장치를 국내 기술에 의해 개발/운영함으로써 국내 과학기술을 한 단계 향상시킴으로써 자긍심 고취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중 에너지 가속장치”의 1 단계 목표인 100 MeV 가속장치 설계를 달성하기 위 해 다음 표에 있는 바와 같이 네 가지 세부목표를 세웠다. 중에너지 가속장치 설계 는 100 MeV 가속장치의 물리설계를 수행함으로써 100 MeV까지 양성자를 가속시 키 위한 효율적인 장치의 제작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가속공동 제작은 그 중 첫 번째 DTL 탱크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공학설계를 수행한다. MEBT 설계의 목표는 빔 인출과 빔 정합이라는 두가지 목적을 효율적으 로 달성하기 위한 MEBT의 물리설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빔 에너지 측정시스템 제 작은 Time of flight방법에 의해 양성자 빔의 에너지를 측정하는 장치를 설계, 제작 하는 것이 목표다. 이 방법은 gas scattering에 의한 에너지 측정장치와 상보적인 관계에 있다.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 구 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 제 1 차년도 - - 제 2 차년도 - - - 중에너지 가속장치 설계 제 3차년도 - 가속공동 제작 100MeV 가속장치 설계 (‘04.7.2~’05.7.1) - MEBT 설계 - 빔 에너지 측정 시스템 제작 다음은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를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①. 중에너지 가속장치 설계 여기에는 100 MeV 가속장치의 물리설계가 포함된다. 전 세계에서 개발되었 거나 현재 개발 중인 100 MeV급 양성자 가속장치를 조사하여, 최적의 가속장 치를 선택하고 이에 대한 물리설계를 수행함으로써 100 MeV 양성자 빔을 제 - iii - 공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게 된다. 물리설계는 빔동력학 계산을 기본으로 하 며, 효율적인 가속장치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를 바탕으로 전체 가속장치 의 틀을 잡게 된다. 이를 통해 전체 길이, 필요한 클라이스트론 수 등이 결정된 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두 번째 연구범위인 가속공동 제작을 수행하게 된다. ②. 가속공동제작 가속장치의 물리설계를 바탕으로 제작을 위한 공학설계에 들어간다. 공학 설계에서는 slug tuner, post coupler, stem 등이 주파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 하여 제작을 위한 가속장치의 치수를 결정한다. 이를 바탕으로 오차분석과 열/ 구조 해석을 수행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세한 설계를 수행한 후 제작하게 된다. 기초적인 조사에 의하며 양성자 빔의 에너지가 60 MeV까지 가속시키는 데 최적화된 가속장치는 DTL이다. 이 장치는 “저에너지 가속장치 개발”과제에 서 국내 기업체를 통해 제작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제작 기술은 이미 확보되었 다. 이 과정에서 외국의 전문가의 물리적/기술적인 조언을 얻는 TRM (Technical Review Meeting)를 통해 설계를 검증받았다. ③. MEBT 설계 외국에서 제작되는 MEBT은 RFQ와 DTL 사이에 오며, 저장링에 빔을 입 사시키기 위해 빔을 chopping하는 동시에 RFQ와 DTL 사이의 빔 정합을 수행 한다. 사업단에서 제작하려고 하는 MEBT(Medium Energy Beam Transport) 는 20MeV DTL 이후에 설치되며, 빔 인출 시스템과 같이 있다. 따라서 MEBT 은 20 MeV 양성자 빔을 인출하는 동시에 다음 단계의 가속장치로 정합된 빔 을 입사시키기는 것이 목적이다. 빔 인출 시스템을 통과하는 비의 크기를 조절 하고, 연직방향으로 빔을 정합시키기 위한 사극전자석의 사양과 빔 진행 방향 에서의 빔 정합을 위한 buncher cavity의 사양을 결정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통해 원하는 빔을 20 MeV 이후의 가속장치에 입사시킬 수 있는지 조사할 것 이다. ④. 빔에너지 측정시스템 제작 에너지가 20 MeV인 양성자 빔의 에너지를 측정하는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 는 것이 목표다. 여러 가지 면을 고려할 때 analyzing magnet을 사용하는 에너 지 측정시스템보다는 TOF(Time of Flight)를 이용한 방법이 타당한 것으로 보 인다. 이때는 빔 진단 장비로 제작된 BPPM을 신호를 얻는 장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pickup 및 측정을 위한 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을 수행하게 된다. - iv - Ⅳ. 연구개발결과 1. 중에너지 가속장치 설계 z 중에너지 가속장치 설계는 100MeV 가속기를 설계하는 것이 목적이다. { 특히 60MeV DTL(Drift Tube Linac)의 경우, 이 설계를 바탕으로 하여 두 번 째 세부 목표인 가속공동제작에 이용할 예정이다. z 여기서는 20MeV에서 100MeV까지의 가속기를 DTL로 하는 경우에 대해서 요약 하였다. 100MeV 가속기를 DTL로 채택하는 경우, 가속장치개발팀에서 현재 보유 하고 있는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빔동력학을 바탕으로 한 물리설계가 완성되었다. 이 설계에 사용된 기본사항은 다음과 같다. { 20MeV에서 100MeV까지 총 20 개의 DTL 탱크를 사용한다. { 한대의 클라이스트론으로 4대의 DTL 탱크를 운용할 것이다. 따라서 총 5 개 의 1MW 클라이스트론이 필요하다. 또한 제작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DTL 탱크의 길이는 5m를 넘지 않도록 했다. { 가속전기장은 1.3 V/m를 사용하였다. { 탱크 직경, DT 직경, bore radius, DT face angle, DT flat length, corner radius, inner nose radius, outer nose radius등 가속효율을 결정하는 여러 변 수에 대한 정량적인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결정된 DTL parameter는 다음 표와 같다. 단 탱크 직경과 탱크에 들어가는 셀의 보다 제세한 치수는 “나) 가속공동 제작”의 공학설계를 통해 결정된다. 변수 값 변수 값 운전온도 40 도 corner radius 5 mm 공진주파수 350 MHz inner nose radius 2 mm synchronous phase -30 도 outer nose radius 2 mm 탱크 지름 540 mm DT flat length 3 mm DT 지름 135 mm lattice FFDD bore radius 10 mm E0 1.3 MV/m Transverse DT face angle 40 도 0.23 pi mm-mrad emittance Longitudinal stem diameter 38 mm 0.12 deg-MeV emittance - v - z 100 MeV DTL을 구성하는 20개의 탱크 중 8개는 face angle을 40도, 다음에 오 는 8개는 50도, 나머지 4개는 60도로 한 100 MeV DTL 사양은 다음과 같다. 탱크 출력빔 에너지 total power 셀 수 길이(m) Klystron 수 번호 (MeV) (kW) 1 26 4.77 24.4 223 2 24 4.82 29.2 224 1 3 22 4.76 33.6 220 4 21 4.83 38.1 222 5 20 4.86 42.4 222 6 19 4.84 46.7 220 1 7 18 4.79 50.9 216 8 18 4.97 55.1 223 9 17 4.86 59.4 217 10 16 4.73 63.5 210 1 11 16 4.87 67.6 215 12 15 4.69 71.5 206 13 15 4.81 75.5 211 14 15 4.92 79.5 215 1 15 14 4.69 83.3 204 16 14 4.79 87.1 208 17 14 4.88 91.1 209 18 14 4.98 95.1 212 1 19 13 4.71 98.9 200 20 13 4.78 102.7 203 합계 96.35 5 - vi - 2.

View Full Text

Details

  • File Type
    pdf
  • Upload Time
    -
  • Content Languages
    English
  • Upload User
    Anonymous/Not logged-in
  • File Pages
    256 Page
  • File Size
    -

Download

Channel Download Status
Express Download Enable

Copyright

We respect the copyright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all users. All uploaded documents are either original works of the uploader or authorized works of the rightful owners.

  • Not to be reproduced or distributed without explicit permission.
  • Not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outside of approved use cases.
  • Not used to infringe on the rights of the original creators.
  • If you believe any content infringes your copyright, please contact us immediately.

Support

For help with questions, suggestions, or problems, please contac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