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법제동향 영국 디지털 경제법 (Digital Economy Act 2010)의 주요 내용 I. 입법 배경 및 경과 현실에 부합하는 건전한 디지털 환경의 구축 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 오늘날의 디지털 통신환경은 분명 이용자들 는 영국의 디지털 경제법(Digital Economy Act 로 하여금 과거에는 상상할 수도 없을 만큼 풍 2010) 역시 콘텐츠 서비스 산업의 부흥에 중점 부하고 다양한 지식 및 정보를 접근하고 공유 을 두는 영국정부가 비교적 자율적으로 운영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인터넷으로 대표 었던 온라인· 방송통신부문에 대한 강력한 개 되는 온라인은 수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음 입을 선언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란물이나 저작권 침해와 같은 불법 요소들이 영국 디지털 경제법의 배경 및 경과는 다음 확산되는 공간인 것 역시 사실이다. 특히 저작 과 같다. 2006년 의회에 보고된 ‘가우어 보고서 1) 권 침해로 인해, 오늘날의 디지털 통신환경 내 (Gowers Review of Intellectual Property)’ 는 의 창작· 지식산업이 위협받고 있으며, 그로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저작권 침해로 영국의 인한 경제적 손실 또한 천문학적으로 증가하는 지식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는 점을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기존 선진국들은 기존 지적하였다. 이후 이와 관련된 여론 수렴 및 입법 2) 법률의 재· 개정이나 새로운 법의 제정을 통해 자문의 과정을 거쳤고, ‘Digital Britain Report’ 1) Gower, Andrew, Gowers Review of Intellectual Property(London: Majesty’s Stationery Office 2006): http://www.official-documents.gov.uk/document/other/0118404830/0118404830.pdf. 2) Digital Britain Report는 2009년 12월 최종 업데이트 버전이 완성되었다. 참조: Department for Business In- novation and Skills &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Culture, Digital Brtain: Implemetation update (December 2009): http://webarchive.nationalarchives.gov.uk/+/http://www.culture.gov.uk/images/publica- tions/DB_Implementationplan_Dec09.pdf. 066 최신 외국법제정보 United Kingdom ● 가 2008년 10월에 착수되어 이듬해인 2009년 6 II. Digital Economy Act 2010의 구성 월 의회에 제출되었다. Digital Britain Report는 및 주요내용 디지털 경제법의 주요 근간이 된 것으로서, 영 국의 디지털 및 텔레커뮤니케이션 부분의 혁신 영국의 2010년 디지털 경제법은 크게 11개 과 질적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제안으로 조항(Sections)과 2개의 부칙(Schedules)으로 구 이루어져 있다. 성되어 있다. 새로 재정된 내용 대부분이 기 2009년 11월, 엘리자베스 2세 영국여왕은 상 존의 통신법(Communication Act 2003)의 저작 원(House of Lords) 개회 연설에서 “영국정부 권 관련 법률을 강화시키는 후속법령의 성격을 는 디지털 시대에 부합하는 통신 환경의 구축, 띠지만, 방송법(Broadcasting Act 1990), 비디오 미래 경제 성장의 지원, 경쟁력 있는 통신 및 공 녹화법(Video Recordings Act 1984), 공공 대출 공방송의 향상을 위한 법안을 제출할 것”이라 권리법(Public Lending Right Act 1979), 저작 고 밝혔고,3) 개회 후 상원의원 Peter Mandelson 권· 의장 및 특허권에 관한 법(The Copyright, 이 공식적으로 디지털 경제법을 제안하여, 법 Designs and Patents Act 1988) 등의 일부 항목 률 검토과정을 거쳤다. 이후 본 법안은 2010년 을 디지털 현실에 적합하도록 개정· 보완 및 3월 16일, 하원(House of Commons)에 초안이 삭제시켰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 제출되었다. 개인의 자유권을 지나치게 침해한 다. 다는 일부 여론의 반발과 영국 헌정사상 처음 으로 하원의 3차 토론조차 제대로 거치지 못한 1. OFCOM(Office of Communication : 법안4)이었음에도, 4월 6일, 당시 여당인 노동당 통신국)의 의무 및 권한 의 지지를 업고 찬성 189표, 반대 47표로 법안 2010년 디지털 경제법이 첫머리에서 규정한 이 통과되었다. 결국 디지털경제법은 4월 8일, 것은 OFCOM의 권한 및 감독 의무 강화이다. 여왕의 재가(Royal Assent)를 받아 법률로서 성 주요 내용은 크게 2가지로 OFCOM의 통신인 립되어 공표되었으며, 6월 12일부터 효력이 발 프라· 인터넷 도메인 등록관련 의무와 미디어 생하게 되었다. 콘텐츠 관련 권한 확대 및 보고의 의무로 나 3) Queen's Speech, Column 1 for House of Lords (18 November 2009): http://www.publications.parliament.uk/ pa/ld200910/ldhansrd/text/91118-0001.htm#09111813000012. 4) 영국 의회에서는 법률 제정을 추진한 법안들 중 충분한 법률 검토의 시간이 없을 경우에 여당은 토론· 논의절차 를 생략하고 하원에서 관련 법률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 절차를 Wash up stage라고 한다. 외국법제동향 067 외국법제동향 뉜다.5) 또한 OFCOM은 도메인 등록자· 사용자· 등록업체에 의해 웹 서비스가 불건전 혹은 불 (1) OFCOME의 통신 인프라 및 도메인 인터넷 공정하게 운용되는 인터넷 도메인의 구체적인 등록 등록 관련 의무(OFCOM Reports on Infra - 사항을 국무장관이 요구할 때에 보고 및 관련 structure, Internet domain names etc) 사항을 출간해야 할 의무를 지니게 되었다(본 본 조항 Section 1은 통신법 Part 2의 Chapter 법 Section 1: 통신법 134C). 다만 OFCOM이 1 134(A~C)로 추가된다. 주된 골자를 요약하 제출한 보고서의 일부 내용이 정보의 자유법 면, OFCOM은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 및 인터 에 침해된다고 여겨질 경우, 출간할 때 제외 넷 도메인 등록에 관한 내용을 반드시 보고서 시킬 수 있도록 했다(본법 Section 1: 통신법 로 작성해야 한다는 것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134C(4)). 다음과 같다. OFCOM은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의 (2) OFCOM의 미디어 콘텐츠 권한 확대 및 구체적인 사항을 디지털 경제법이 발효된 첫 보고의 의무(OFCOM Reports on Media 해와 그 이후 3년에 한 번씩(three-yearly inter- Content) vals)6) 국무장관(Secretary of State)에 보고하고, 본법 Section 29와 30은 통신법 264A의 각 그 보고서는 출판해야만 하는 의무를 지니게 항목에 새로 추가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 되었다(본법 Section 1: 통신법 134A). 또한 이 과 같다. 본법이 발효되기 전까지는 OFCOM 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들을 간추리면 의 공영서비스 관련 소관(所管: public-service 다음과 같은데, (1) 각 네트워크의 종류, (2) 각 remit) 텔레비전 방송으로 제한되어 있었다. 그 네트워크가 커버하는 지역 및 인구, (3) 각 네트 러나 개정된 본법(Section 30: 통신법 264A)은 워크의 비가동률(unavailability), (4) 각 네트워 OFCOM의 공영서비스 소관 업무를 텔레비전 크 사이의 공유 정도, (5) 외국 네트워크와 영국 방송뿐 아니라 라디오, 웹기반 스트리밍 서비 네트워크 사이의 수준 비교(본법 Section 1: 통 스(on-demand services) 및 기타 유사 웹사이트 신법 134B(1)(a~i)) 등을 꼽을 수 있다. 를 모두 포함시키고, 적어도 5년에 1회 이상의 5) 원안은 언급한 내용 외에 OFCOM이 텔레비전과 라디오 부분을 초월한 모든 미디어(all media)에 대한 감독 및 권한을 부여하자는 것이었으나, 보수당(Tory)의 강력한 반발로 폐기되었다. 참조 Guardian, “The digital economy bill: what made it,” (2010년 4월 8일): http://www.guardian.co.uk/technology/2010/apr/08/digital- economy-bill. 6) 원안(Bill)은 2년에 1회 보고하는 것으로 제안되었으나, 3년에 1회로 수정되어 제정되었다. 068 최신 외국법제정보 United Kingdom ● 해당 방송 및 콘텐츠 부문이 공영서비스 목적 다렸다가 갱신 전과 같은 이름으로 등록한다 에 준하는지 여부를 보고서로 작성하도록 했다. 거나(drop-catching), 투기를 조장하거나 소비를 본법은 또한 OFCOM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부추기는 도메인도 제재대상에 포함시켰다. 아 정보 수집 권한(information-gathering powers) 울러 이미 등록된 도메인이 의도적으로 피싱 을 통신 제공자 및 정보 제공자(업체)들에게까 (phishing), 스팸메일 보내기(spamming), 스파 지 확대했으며, 이를 위의 보고서에 추가시키 이웨어(spyware) 및 컴퓨터 바이러스 등을 이용 도록 했다.7) 자들에게 확산시킨다고 여겨질 때 역시 국무장 관의 제재를 받게 했다.8) 2. 인터넷 도메인 등록에 관련 조항(Powers 본 법안에 의한 국무장관의 구속력은 오직 영 in relation to internet domain registries) 국 도메인(.uk) 등록업체들에게만 있다. 만약 위 본 조항은 앞서 살펴보았던 OFCOM의 의무 반사항이 발생하였을 때, 국무장관은 관련 문 및 권한(본법 Section 1: 통신법 134A~C)과 밀 제를 OFCOM로부터 보고(Report) 받는다. 검 접한 관련을 가진다. 디지털 경제법의 Section 토 후 문제의 소지가 인정되면 국무장관은 등 19(통신법 124O로 추가됨)의 주요 내용은 도메 록업체에 반드시 그 사실을 공지하여야 하며, 인 등록업체· 사용자· 도메인 등록자 등에 의 아울러 문제점을 수정할 수 있는 일정기간 역 해 도메인 이름이 오용 혹은 불공정하게 사용 시 부여하여야 한다(본법 Section 19: 124O). 일 되거나, 등록업체들이 규정에 따라 문제에 적 정기간이 지났음에도 문제 해결이 되지 않았을 절하게 대응하지 못했을 경우에 국무장관(Sec- 경우, 국무장관은 법률(Section 20 및 21: 통신 retary of state)에게 해당 문제에 개입할 수 있 법 124P와 R)에 의거하여 도메인 등록업체의 는 권한을 주는 것이다. 해당 문제는 영국내의 관리자를 법정에 고소하거나, 문제 해결을 위 전자통신 서비스 및 네트워크의 명성이나 효 해 해당 업체의 정관(registry’s constitution)을 용, 그리고 영국 소비자나 공공 멤버들의 이익 법원이 개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게 된다. 국무 에 반하거나 반할 가능성이 있을 때이다. 장관은 또한 문제 등록업체의 운영자를 임명할 문제가 되는 구체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수 있으며, 그 운영자는 본법(Section 20: 통신 의도적으로 기존 도메인의 유효기간 만기를 기 법 124Q)에 의거한 권한과 의무를 행사함으로 7) The National Archive, Explanatory Notes for Digital Economy Act 2010(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2010): http://www.legislation.gov.uk/ukpga/2010/24/notes/division/5/3/2. 8) 위의 웹페이지 참조. 외국법제동향 069 외국법제동향 업체를 정상화시킬 수 있도록 했다. 저작권 침해 사실과 그에 따른 법적 절차 등에 관한 정보를 고지해야만 한다(Section 4: 통신 3. 온라인 저작권 침해: ISP의 공지 시스템과 법 124A 3(d), 5). ISP는 저작권 침해를 받은 저 기술적 기술적 제재 & 접근 웹사이트 차단 명령 조 작권자의 요청 시, 이용자의 반복 침해 행위에 항(Online copyright infringement : notifi - 관한 저작권 침해 목록(copyright infringement cation system and technical sanctions & list)을 축적 및 제공해야 하는 의무를 지니게 되 Website-blocking injunctions) 었다. 제공 시 개인 정보와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익명의 형태로 제공하여야 하며 저작권 (1) ISP의 공지 시스템과 기술적 제재 , 자의 소송9)을 위해 저작권 침해 목록과 관련하 ① 온라인 저작권 침해: ISP의 공지 시스템과 여 이용자의 개인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는 법 기술적 제재 & 웹사이트 접근 차단 명령 원의 명령을 통해 가능하다(Section 4: 통신법 (Online copyright infringement: notifica- 124B (1)). tion system and technical sanctions) 최초 의무(Initial Obligation)의 구체적인 실 저작권자는 이용자의 저작권 침해 행위 발생 행은 최초 의무 규범(Initial Obligation Code)에 시 인터넷 서비스업자(ISP)에게 저작권 침해의 근거하도록 했다. 이 최초 의무 규정은 산업계 증거, 시기와 이용자 주소의 IP 주소 등이 포함 의 제안으로 국무장관의 동의를 거쳐 OFCOM 된 저작권 침해 보고서(copyright infringement 이 승인하도록 되어 있으나(Section 5: 통신법 report)를 제출하는 동시에 ISP는 해당 이용자 124C (1), (10)), 제안이 없을 시에는 OFCOM 에 대해 고지(notification)의 의무를 지게 되었 이 승인하도록 허용하고 있으며, 국무장관의 다(Section 3: 통신법 124A(2)와 124A(4)). 저작 동의 시 최초 의무 규정을 승인할 새로운 규 권자는 침해 보고서를 1달 이내로 ISP에게 제 범(code)을 채택할 수 있다(Section 6: 통신법 출하여야 하며, ISP도 이용자에게 1달 이내로 124D (1), (8)).
Details
-
File Typepdf
-
Upload Time-
-
Content LanguagesEnglish
-
Upload UserAnonymous/Not logged-in
-
File Pages13 Page
-
File S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