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BIF H Data Portal 검색기술보고서

GBIF 한국사무국 GBIF H Data Portal 검색기술보고서

초판 인쇄_2009년 11월 25일 초판 발행_2009년 11월 25일 번역 버전_v.1.0

옮긴이| 정영임, 박형선 펴낸이| 박영서

주소| 대전시 유성구 과학로 33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GBIF 한국사무국 전화| (042) 869-1762 팩스| (042) 869-1740 www.kbif.re.kr

© 정영임, 박형선 이 책은 GBIF 사무국에서 작성하고 배포한 GBIF Data Portal: a practical “hands-on” tutorial 자료를 원저자의 허락을 받고 번역한 것입니다. 이 번역물이 국내의 생물다양성데이터를 인터넷상에서 공유하고 활용하고자 할 때 참고자료로 사용되고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 니다. 단, 이 책을 참조할 경우 참조한 사실을 반드시 인용해야 합니다. 원본 파일은 다음 URL에서 볼 수 있습니다.

http://data.gbif.org/tutorial/tutorialHU U

이 책에 대한 의견이나 조언을 주시고자 할 경우, 또는 오자, 탈자, 오류 등을 발견했을 경 우 언제든지 다음의 저자에게 이메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영임 ([email protected] )UH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박형선 ([email protected] )UH

ISBN 978-89-6211-477-5 93470

Booklet and CD © 2007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GBIF).

Permission to copy and/or distribute all or part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herein is granted, provided that such copies carry due attribution to the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GBIF).

Printing history First printing June 2007 Second printing (with additions and corrections) September 2007

GBIF H Data Portal 검색기술보고서

목차

소개U U ...... - 1 -

GBIFU 포탈의 학명과 분류 U ...... - 3 -

GBIFU 포탈 내 지도 U ...... - 7 -

생물의U 종 또는 개체그룹 관련 정보 찾기 U ...... - 9 -

종U 또는 개체그룹 검색하기 U ...... - 9 -

사례:U Desert Kangaroo Rat U ...... - 9 -

분류U 탐색하기 U ...... - 12 -

사례:U 분류를 탐색하여 ‘Komodo Dragons’를 찾기 U ...... - 13 -

종U 또는 그룹의 개관 페이지 U ...... - 14 -

국가별U 정보검색하기 U ...... - 16 -

국가U 내 발생종의 검색 U ...... - 16 -

국가목록U 탐색하기 U ...... - 16 -

국가별U 개관페이지 U ...... - 18 -

사례:U 에콰도르 식물 종 U ...... - 20 -

사례:U 인도네시아에서 기록된 발생 탐색하기 U ...... - 22 -

발생U 검색하기 U ...... - 24 -

검색U 필터 이용하기 U ...... - 24 -

이용U 가능한 필터 범주 U ...... - 26 -

발생U 레코드에 대한 상세 보기 U ...... - 28 -

데이터U 집합에 관한 정보 찾기 U ...... - 31 -

데이터U 집합 검색 U ...... - 31 -

데이터U 집합 목록 탐색 U ...... - 32 -

데이터U 집합 개관 페이지 U ...... - 32 -

사례:U 지리참조된 레코드를 가진 데이터 집합 찾기 U ...... - 34 -

사례:U 덴마크의 데이터 제공자 찾기 U ...... - 35 -

사례:U 철새 U ...... - 37 -

구글U 어스에서 GBIF 발생 데이터 보기 U ...... - 39 -

사례:U 미모사 종 U ...... - 39 -

벌새U 기록 조밀도 U ...... - 42 -

소개0B

GBIF 데이터포탈은 GBIF 네트워크를 통해서 공유되는 수백만 건의 과학 데이터 레코드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데이터는 전세계의 광범위한 연구소 및 기관에서 널리 이용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데이터 제공자의 범위를 보고자 한다면 데이터 제공자와 데이터 집합 목록을 참조(data.gbif.org/dataset/).

현재 GBIF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되고 있는 데이터의 두 가지 종류는 다음과 같다.

z 종 발생 기록- (표본과 관찰 기록에 기반) – 특정 시기와 장소의 종 발생과 관련한 정보 z 생물의 이름과 분류 – 종의 이름(학명과 보통 이름)과 분류체계 내 분류 정보

GBIF는 단순히 하나의 분류학적 분류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GBIF가 사용할 수 있는 여태껏 출판된 모든 학명의 완전한 전자 카탈로그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류 체계와 학명의 목록은 발생 데이터의 탐색에 필수적이다. GBIF 포탈 서비스가 이 문제에 대해서 다룬 내용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3페이지의 ‘GBIF 포탈 내 학명과 분류’를 참조.

GBIF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되고 있는 데이터의 힘은 데이터의 대부분이 지리공간적으로 사상되고, 그 결과로 데이터가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이 될 수 있어서 학계의 다양한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데 있다. 7페이지에 있는 ‘GBIF 포탈 내 지도’는 포탈 검색 결과로 출력되는 지도의 특성과 이용에 대해 설명한다. 포탈의 그러한 기능은 이용자가 GBIF 네트워크에서 이용할 수 있는 수백만 건의 레코드 중에서 관심 있는 데이터 레코드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검색하고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정교한 도구이다. 데이터는 분류 경로(taxonomic lines), 지리 또는 시기별로 정렬될 수 있다. 많은 수의 가능한 필터를 적용해 지리적, 시기별 그리고 분류 기준(taxonomic criteria)을 복합적으로 매치한 기준에 부합하는 레코드를 다시 검색해 낼 수 있다. (24페이지의 ‘발생 검색하기’를 참조.)

- 1 -

GBIF의 화면 출력과 관련된 정보

z 포탈의 표준 레이아웃은 1024*768 혹은 이상의 크기에 최적화되었다. 당신이 이보다 작은 화면 크기를 사용하고 있다면 포탈 셋팅 페이지를 방문해서 작은 화면 사이즈를 선택하기를 권고한다.

z GBIF 포탈은 firefox(www.mozilla.comU )U 의 가장 최신 버전, Opera(www.opera.comU ),U

Internet Explorer(www.microsoft.com)U U 혹은 Safari(www.apple.comU )U 에서 화면이 가장 잘 표시됩니다.

이 튜토리얼은 포탈의 모든 가능한 탐색 기능을 철저히 밝히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포탈의 주요 기능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고, 찾고자 하는 레코드에 초점을 맞추어 탐색 파라미터를 결합하는 사례를 제공하자 한다. 당신이 이 튜토리얼의 인쇄 형태로 읽고 있든 온라인 자료를 이용하든 간에, 당신은 다른 탐색 윈도우를 이용하여 단계별 지시에 따를 수 있다. 만약 당신이 CD 버전을 이용하고 있다면, 주어진 예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여전히 포탈 자체를 통해 데이터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연결이 필요할 것이다.

- 2 -

GBIF1B 포탈의 학명과 분류

이용자를 특정 종 및 개체그룹의 관련된 정보로 안내하는 것이 GBIF 데이터 포탈의 목표이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데이터 제공자들에 의해 공유되는 분류군에 의존해야 한다. 포탈 내 모든 데이터 집합은 포함된 생물의 이름과 분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각 종의 발생 레코드는 생물이 동정된 학명을 포함하고, 상위 분류군 정보를 포함한다. – 때때로 종, 속, 과, 목, 강, 문, 계의 완전한 분류학적 정보가 포함되기도 하나, 보통은 작은 규모의 정보만이 포함된다. 분류가 어떻게 이용되느냐에 따라서 생물의 학명이 달라질 수 있다. 특히, 학명은 과학자들이 이용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꿀 수도 있고, 종이 다른 속으로 이동을 하거나 또는 다수의 종으로 분리될 수도 있고, 심지어는 다수의 종이 하나의 종으로 결합하기도 하므로 이름이 바뀔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변화는 생물의 동일한 집합을 지칭하기 위한 다른 수많은 이름의 사용을 야기한다. 동일한 생물에 대한 다른 이름을 동의어라고 부른다.

어떤 데이터 집합은 관련 그룹에 대해 현대의 분류 표준에 따라 조직되었으나(분류가 해당 데이터 집합 내의 모든 레코드에 대해 일관적임을 뜻함), 다른 데이터 집합은 표본이 수집되거나 목격된 당시에 기록된 정보만을 가지고 있어 추가적인 편차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 동일한 생물이 다른 이름 혹은 심지어 동일한 데이터 집합 내에서도 다른 분류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것은 특정 종의 레코드들이 다른 데이터 집합에서 다른 방식으로 명명되고/거나 분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포탈은 가능하면 정통 분류를 이용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류를 이용해서 데이터에 대한 구조를 세우고, 이 구조 안에 다른 이름이나 분류가 올바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조직한다.

그러한 정통 분류 중의 주요 출처 중의 하나는 다른 그룹의 생명체의 검토된 체크 목록을 하나의 전체적인 구조로 묶어 주는 ‘Catalogue of Life Annual Checklist

- 3 -

(data.gbif.org/dataset/provider/218)’로 현재 수백만 이상의 종을 포함한다. 이 체크 목록은 수많은 종의 동의어와 보통 이름을 포함한다. GBIF 포탈은 이 체크 목록을 포탈의 핵심 작업 구조로 채택하고 적합한 곳에 레코드를 결합하는 데 동의어 정보를 이용한다. 또한, 포탈은 ‘International Names Index (data.gbif.org/dataset/ provider/3)’를 식물의 이름에 대한 권위 있는 출처로, 그리고 ‘Index Fungorum

(www.speciesfungorum.oHU rg/Names/Names.asp)’UH 을 균류의 이름에 대한 권위 있는 정보로 이용한다.

- 4 -

이러한 자원들은 GBIF에 표상된 종 중에서 매우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레코드들은 이러한 자원들에 포함되지 않았다. 따라서 포탈은 이러한 자원들에 나타나지 않은 이름의 각각에 대해 계층 구 조 내부에 가장 적합한 위치를 찾아 주는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이용한다. GBIF는 이 자동 프로세스에 오류가 생기기도 한다는 것과 자동 프로세스 결과가 기껏해야 임시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심지어 그러한 레코드와 관련된 학명이 ‘Catalogue of Life’,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혹은 ‘Index Fungorum’ 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이용자들이 그들의 요구와 관련 있는 레코드를 발견할 확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자동 프로세스를 통해 분류된 이름은 ‘분류 탐색기’에서 회색으로 표시되어 있고, “승인되지 않은 이름”으로 접두어가 붙어서 분류 트리 아래에 포함되어 있다.

‘분류 탐색기’를 통해 이용자들은 자동으로 생성된 작업 구조를 열람할 수 있고, 각 개별 데이터 자원에 사용된 분류를 탐색할 수 있다. 이를 실행하려면, 데이터 집합에 대한 ‘개관 페이지 (Overview Page)’를 방문하여 페이지 상단에 위치한 파란색 ‘Action box’ 내 ‘Explore’ 오른편에 있는 “이름과 분류” 링크를 선택하라.

- 5 -

그러면 ‘분류 탐색기’ 창이 열려서 특정 데이터 집합에서 사용된 이름과 분류를 보여줄 것이다.

‘분류 탐색기’에서는 포탈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 집합을 통틀어 현재 생물 종 혹은 개체그룹의 분류를 비교할 수 있다. 페이지 상단의 분홍색 ‘Action box’ 내 “Classification of …” 링크를 선택하라. 이 링크는 포탈에 포함된 모든 데이터 집합의 현재 생물 종 혹은 개체그룹의 분류를 보여주는 화면을 표시한다.

- 6 -

GBIF2B 포탈 내 지도

GBIF 포탈은 각 생물 종 혹은 개체그룹, 각 나라, 그리고 각 데이터 제공자, 데이터 집합 및 데이터 네트워크별로 발생 레코드의 분포 지도를 개괄적으로 보여준다. 비슷한 지도들이 발생 검색에 대한 결과로 제공되기도 한다.

오직 지리참조된 레코드만이 지도에 표시되고, 동일한 레코드에서 국가명이 일치하지 않는 레코드는 배제된다. 지도는 지구상에 각 1.0도*1.0도 셀에, 때로는 각 0.1도*0.1도 셀에 발생하는 레코드의 수를 보여준다. GBIF 데이터 포탈 지도는 분포표시도수(a first indication of distributions)로 고안되었고, 검색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0.1도 이상의 해상도는 제공하지 못한다. 더 정교한 (greater) 지리공간적 해상도는 다른 컴퓨터 어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내보내어 얻을 수 있다. GBIF 포탈 내에서 생성된 지도는 기초 지리를 비교적 덜 상세하게 보여준다. 그러한 세부 사항은 데이터를 Google Earth에 익스포팅하면 얻을 수 있거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GIS 레이어에 데이터를 사상하여 볼 수 있다. (벌새에 대한 예는 42페이지에서, 식물 종에 대한 예는 39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단계별 가이드 1. 개괄 지도를 보여주는 페이지, 예를 들어, 어떤 종에 대한 개관 페이지를 찾아라 (‘9페이지의 생물의 종 또는 개체그룹 관련 정보 찾기’를 참조).

화살표

2. 각 지도의 이미지 가장자리에 경도와 위도가 표시된다. 중심 이미지 아래에 작은 지도는 더 큰 이미지의 지구에서 발췌된 지역을 보여준다.

- 7 -

3. 각 지도는 지도상에 다른 색상의 의미를 나타내는 색상표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색상은 모든 지도에서 같은 중요도를 가진다. 어두운 그림자는 레코드의 수적 증가를 나타낸다.

4. 탐색 종류에 따라서, 지도는 전세계를 보여줄 수도 있고, 관련 레코드가 좁은 지역에 한정된 경우 특정 지역을 집중적으로 조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도가 특정 국가의 레코드이거나 제한된 분포를 가지는 종에 대한 지도일 경우).

5. 지도는 최고 해상도 화면과 상관 없이 항상 1.0도 셀을 보여준다. 최고 해상도는 2도 경도와 1도 위도 사이의 범위의 지역을 0.1도 셀에 보여준다. 축도 상자 (색상표 아래, 지도의 오른편)는 각 지도의 셀의 크기를 가리킨다.

6. 지도 위에서 마우스를 이동시키면 붉은 직사각형이 나타난다. 직사각형을 이동시키려면 마우스를 이동시켜라. 마우스 클릭은 붉은 상자로 표시된 지역의 지도를 확대하거나(지도가 현재 1도 셀을 보여주고 있는 경우) 혹은 지도가 고해상도이면 0.1도 셀에 발생하는 레코드를 보기 위한 발생 검색 화면이 뜬다.

7. 화면은 다시 축소하려면 지도 오른편 상단에 있는 네 개의 화살표 아이콘을 클릭하라.

8. 지도의 네 가장자리에 위치한 네 개의 화살표 중 하나를 클릭하면 그 방향으로 화면이 회전한다.

줌 아이콘

색상표

축도 상자

9. 때때로 지도 아래 “View all…” 링크는 발생 검색 화면을 띄워 현재 지도상에 보이는 지역 내에 발생하는 지리참조된 레코드를 볼 수 있다.

- 8 -

생물의3B 종 또는 개체그룹 관련 정보 찾기

GBIF 포탈은 각 종의 이름, 분류, 그리고 추가적 정보로의 링크뿐만 아니라 종 발생 기록 (특정 장소, 특정 시기의 특정 종의 발생에 대한 세부 사항)의 형태로 존재하는 종의 분포에 관한 데이터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분류가 포함되었기 때문에, 하나 이상의 종을 포함하는 생물 그룹에 대한 데이터를 탐색하기 위해 분류를 이용할 수 있다.

종 또는 개체그룹에 대한 정보를 찾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해당 데이터를 직접 찾거나 혹은 “분류 탐색기”를 이용할 수 있다.

종4B 또는 개체그룹 검색하기

생물의 종 또는 개체그룹에 관련된 정보를 찾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포탈의 모든 페이지에 포함된 검색 상자를 이용하여 이름을 검색하는 방법이다.

단계별 가이드 1. 포탈의 홈페이지 혹은 여타 페이지에서 검색 상자에 학명이나 일반이름을 입력하고 검색을 클릭한다 (혹은 엔터키/리턴키를 누른다).

사례5B : Desert Kangaroo Rat

학명과 관련 발생 레코드 찾기

1. 데이터 포탈(data.gbif.org)의 검색 상자에 “kangaroo rat”을 입력한다.

2. 검색 결과 페이지는 “kangaroo rat”과 일치하는 처음 10개의 보통 이름을 보여준다. 이 리스 트 아래 “View all…” 링크는 “kangaroo rat”과 일치하는 모든 보통 이름의 목록이 있는 페이지로 연결된다. 보통 이름 정보는 학명 다음의 괄호 안에 있고, 분류학적 분류 정보는 각 링크의 오른쪽에 있다.

- 9 -

2. ‘데이터 이용에 관한 약관(한번 동의하면 다시 나타나지 않음)’ 아래에 “Agree”를 클릭하고 나면, 포탈은 검색 문자열과 매치하거나 검색 문자열을 포함하는 이름의 목록을 반환해 줄 것이다. 다수 일치 결과 사이에서 선택을 좀더 쉽게 하기 위해 전체 분류에서 그들의 위치에 대한 표지와 함께 학명이 반환될 것이다.

3. 검색 결과는 네 개의 범주(모든 결과를 보려면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거나 페이지 상단 근처에 범주 헤딩을 클릭하면 된다)로 묶여질 것이다: a. 학명 b. 보통 이름 c. 국가 d. 데이터 집합

4. 만약 검색 문자열이 이러한 범주 중 하나의 범주에 포함된 아주 많은 수의 아이템에 일치한다면, 처음 10개 항목만이 화면에 표시될 것이다. 나머지 일치 결과를 보고자 한다면, 목록 말단에 “View all…”로 시작하는 링크를 클릭하면 전체 목록에서 선택해서 볼 수 있을 것이다 (여러 페이지에 걸쳐 결과가 출력될 수 있음).

5. 선택한 생물의 종 또는 개체그룹의 개괄 페이지 (아래에 설명됨)를 보려면 학명 또는 일반 이름 범주 중의 한 이름을 클릭한다.

3. 검색 결과 페이지에 있는 목록의 이름을 하나 클릭하면, 그 종의 개괄 페이지가 열린다. ‘Action box’는 추가 정보에 대한 링크를 제공한다. ‘Action box’ 아래

- 10 -

선택된 종에 대한 포탈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분류의 목록이 위치한다.

4. 이 개괄 페이지의 지도는 ‘Desert Kangaroo Rat’의 지리참조된 발생 레코드의 시각적 요약을 제공한다. 지도 아래에 사상된 레코드의 수와 전체 레코드의 수가 표시된다.

- 11 -

생물의 종 또는 개체그룹 관련 정보 찾기

분류6B 탐색하기 ‘분류 탐색기’를 통해 포탈에 포함된 전체 생물의 분류를 탐색하여 새로운 종 또는 개체그룹의 위치를 찾으려면, 포탈 홈페이지에 있는 ‘종 탐색’ 링크나 모든 페이지의 상단에 위치한 배너에 SPECIES 링크를 선택한다.

알아둘 것: 이 화면을 통해 보이는 분류는 정통분류, 특히 Catalogue of Life Annual Checklist

(www.catalogueofl ife.org/),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www.ipni.orgHU ),UH Index Fungorum (www.speciesfungorum.org/Names/Names.asp) 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확장하여 생성한 분류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3페이지의 ‘GBIF 포탈의 학명과 분류’를 참조. 자동으로 생성된 확장 분류는 GBIF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데이터인 모든 종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실히 해야 한다. 이 자동 프로세스에서 야기된 문제를 발견하면 GBIF ([email protected])에 알려주기 바란다.

단계별 가이드

1. 포탈 홈페이지에서 ‘Explore Species’를 선택한다.

2. 포탈은 분류 트리의 상위 레벨(계)을 출력한다. 트리의 각 엔트리는 두 가지 액션이 가능하다: 이름의 오른편에 “overview”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종 또는 개체 그룹에 대한 ‘Overview Page’가 열릴 것이고, 이 페이지는 GBIF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모든 발생 레코드에 대한 접근을 포함한다. 이름의 왼편에 있는 플러스 기호 (+)를 클릭하면 해당 종 또는 개체 그룹의 하위 분류 뷰가 열릴 것이다. 이는 분류에 대한 직접적인 탐색이 가능하다.

- 12 -

3. ‘분류 뷰’는 현재 선택된 종 또는 개체 그룹으로의 빠른 링크가 있는 ‘Action box’가 포함된다.

현재 선택된 종에 대한 ‘개관 페이지(Overview Page)’에 대한 정보

‘Explore Occurrence’는 ‘Occurrence Search’ 페이지를 열어 이용자가 현재 선택한 정보에 대해 이용 가능한 발생 기록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Explore Classification’은 ‘Taxon Search’ 페이지를 열어, 이용자는 선택된 종 또는 개체 그룹의 분류를 포탈 내에서 이용 가능한 다른 데이터 셋과 비교를 해볼 수 있다. 4. ‘Action box’ 아래 ‘Search field’에 이름을 넣고 “검색”을 클릭하면 입력된 종 또는 개체 그룹에 대한 ‘분류 탐색 창’이 열린다.

사례7B : 분류를 탐색하여 ‘Komodo Dragons’를 찾기

분류 계층을 탐색하여 ‘Komodo dragons’의 기록을 찾으려면, 다음의 경로를 이용하라:

계: 동물계 문: 척색동물문 강: 파충강 목: 유인목 과: Varanidae 속: Varanus 종: Varanus komodoensis 종 개관 페이지로 가려면 “개관 페이지 보기”를 클릭하라. 거기서부터 발생 (기록)을 탐색하거나 발생 기록을 제공하는 데이터 집합을 나열하거나 기록 또는 지도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 13 -

종 또는 개체 그룹에 관한 정보 찾기

종8B 또는 그룹의 개관 페이 지

종에 대한 검색 또는 분류 탐색은 해당 종 또는 선택된 개체 그룹에 대한 ‘개관 페이지’로 연결된다. 화면에 표시된 것보다 더 높은 그룹핑(예: 속, 과, 문, 강, 목, 계)의 링크는 해당 그룹에 속하는 모든 종에 대한 기록의 개관 (페이지)를 연다.

‘개관 페이지’는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요약하고, 세부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를 포함한다.

‘개관 페이지’에 있는 몇 개 링크는 ‘발생 검색 페이지’로 연결된다. 해당 페이지를 이용하여 더 많은 정보를 얻고자 한다면 24페이지의 ‘발생 검색하기’를 참조.

이미지나 다른 추가 데이터나 정보가 이용 가능하다면 이러한 자원으로의 링크도 포함된다.

- 14 -

종의 학명은 해당 ‘개관 페이지’의 상단에 전체 분류 (체계)와 함께 있다. 분류 내 이름은 해당 개체 그룹의 ‘개관 페이지’로의 빠른 링크로 사용된다.

이 페이지는 현재 종 또는 개체 그룹으로의 링크가 있는 ‘Action box’를 포함한다: ‘발생(기록) 탐색하기’는 ‘발생 검색 페이지’를 열어 준다. 이 페이지는 해당 개체 혹은 종 그룹과 관련한 모든 이용 가능한 발생 기록을 보여준다. ‘이름과 분류 탐색하기’는 해당 개체 혹은 종 그룹의 ‘분류 탐색기’를 열어 준다. 국가별, 데이터 집합별 그리고 다운로드 기록별 목록을 만들어 주는 옵션 기능도 있다.

‘발생 개요 부분’은 모든 이용 가능한 지리참조된 기록과 종 발생 검색 페이지로의 링크를 제공한다.

지도는 오직 지리참조된 기록(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만을 포함한다. 지리참조 되지 않은 추가의 기록도 이용 가능할지도 모른다. 기록의 각 타입에 대한 건수는 지도 아래에 제공된다.

이러한 지도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11페이지의 GBIF 포탈 내 지도를 참조.

- 15 -

국가별9B 정보검색하기

GBIF 데이터포탈에서는 “종발생기록” (특정 종 및 특정장소와 특정시간에 발생에 관한 핵심요점)의 형태로 분포된 종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국가별 발생데이터의 요점을 이 포탈에서 제공한다.

국가10B 내 발생종의 검색

가장 쉬운 방법으로 각 페이지의 검색창에 국가이름을 입력함으로써 국가별 종 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

단계별 안내

1. 홈페이지의 검색창이나 다른 페이지에서도 국가명을 입력하고 검색키를 누른다. 검색엔진은 그 이름에 해당하는 검색열을 포함하는 국가명을 찾게 된다. “Guinea”를 입력한 경우 Guinea, Guinea-Bissau, Equatorial Guinea, and Papua New Guinea에 해당하는 종의 기록을 보게 된다. 2. 포탈은 검색 문자열에 일치하는 이름의 목록을 반환한다. 그 결과는 4개의 범주로 묶어 진다: a. Scientific names b. Common names c. Countries d. Datasets

3. 그 나라의 개관 페이지를 보기 위해 국가 범주에서 이름을 선택한다.

국가목록1B 탐색하기

다른 방법으로는, 알파벳 목록을 보면서 국가를 선택할 수 있다. ‘국가 탐색기 (Country Browser)’로 가려면, 포탈의 홈페이지에서 Explore Countries 링크를 선택하거나 모든 페이지 상단의 배너에 있는 COUNTRIES를 선택한다.

- 16 -

단계별 안내

1. 데이터 포탈 홈페이지에서 ‘국가별 탐험’ 선택 2. 알파벳 “A”로 시작하는 나라부터 국가별 목록이 나타나고 웹 페이지는 각각의 다른 알파벳은 해당 페이지로 링크되어 있다. 각 국가의 목록을 통해서는 포탈을 통해 접근 가능한 종 발생 기록 건수를 알 수 있고, 이 기록을 근간으로 국가별로 발생된 종의 수를 알 수 있다. 3. 해당 ‘국가 개관 페이지(country overview page)’로 가기 위해 국가명 선택한다.

- 17 -

국가별12B 개관페이지

Country Overview 페이지에서는 그 국가에서 발생된 종의 정보를 요약하여 보여준다. 이 페이지의 해당 링크를 통해서 종 발생 검색 페이지로 연결된다 – 이 페이지의 활용법을 알기 위해서는 24 페이지의 발생 검색하기를 참조.

단계별 안내 1. 국가별개관 페이지에서는 그 국가의 모든 종에 대한 가능한 지리참조기록에 해당하는 지도를 보여준다. 지도를 클릭하면 고배율로 확대된다(기록된 건의 밀집도는 한 셀당 0.1도에 해당되는 범위까지 내려가 보여줌); 그 이상으로 확대를 시도하면 ‘발생 검색 페이지’로의 직접 링크를 통해, 선택된 셀에 발생한 기록을 탐색할 수 있다. 2. 지도는 해당 국가 경계 내에서 발생한 좌표 위치를 가진 기록만을 포함한다(해당 국가에 좌표 위치가 없는 기록도 있을 수 있음을 기억하라). 지리참조된 기록은 그 국가에서 “모든 발생을 표시하기(View all occurrences)” 링크를 선택하여 볼 수 있다. 이러한 지도 사용에 대한 정보는 7페이지에 있는 GBIF 포탈 내 지도들을 참조하라. 3. 페이지는 국가로의 빠른 링크가 있는 ‘Action box’를 포함한다. ‘발생 탐색하기 (Explore occurrences)’는 그 국가에서 발생한다고 정의된 발생 기록을 보기 위한 ‘발생 검색 페이지 (Occurrence search page)’를 연다. 해당 국가 내 좌표를 가진 다른 기록들뿐만 아니라 발생 국가로서의 국가명을 포함하는 기록들의 결합된 정보이다. ‘..의 발생을 가진 데이터 집합을 나열하기 (List datasets with occurrences

- 18 -

in…)’는 해당 국가와 관련된 발생 데이터를 공유하는 데이터 제공자들의 목록을 열어 준다. 이 목록에서 하나 이상의 제공자를 (복수) 선택하는 것과 제공자들의 선택된 국가 내 기록만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예는 당신이 선택한 국가의 기록을 포함하는 31페이지의 ‘데이터 집합에 관한 정보 찾기’를 참조하라. 4. 다운로드 옵션은 기록 다운로드하기, Google Earth에서 표시될 수 있는 형태로 다운로드를 포맷팅하기, 선택된 국가와 관련된 데이터 제공자들 및 해당 국가에 위치한 데이터 제공자에 대한 정보 획득하기 기능을 포함한다.

- 19 -

사례13B : 에콰도르 식물 종 어떤 사람이 자신의 나라에서 발생하는 특정 개체 혹은 종 그룹의 목록을 갖고 싶어하는 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 사례는 자국의 식물에 관심이 있는 에콰도르의 사람에 대한 것이다. 그가 ‘국가 개관 페이지 (Country Overview Page)’와 ‘발생 검색 (Occurrence Search)’를 이용해 어떻게 목록을 얻을 수 있는지 보자:

에콰도르의 식물 종 찾기

1. 데이터 포탈의 검색창에 “Ecuador”를 입력한다. 2. 에콰도르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국가 섹션에 에콰도르를 선택하면 에콰도르의 ‘개관 페이지 (Overview Page)’로 이동한다.

3. 에콰도르 섹션의 활동 중 ‘발생 탐색하기 (Explore occurrence)’를 클릭하면, 에콰도르 기록에 대한 ‘발생 검색 (Occurrence Search)’이 열린다.

4. 식물 종에 관한 검색 범위를 제한하려면, 분류에 필터를 추가한다. ‘검색 필터 추가(Add search filter)’ 아래 드랍-다운 메뉴에서 ‘Classification ’를 선택하고, 분류 마법사를 연다.

5. 선택된 노드의 트리를 확장하기 위해 “계:식물계”를 클릭한다. 이를 통해 “분류는 계:식물계를 포함”이라는 필터가 만들어 진다.

6. 현재 표시된 필터를 추가하고 싶으면 ‘필터 추가하기(Add Filter)’ 버튼을 클릭한다. 새로운 필터가 ‘당신의 현재 검색 (Your current search)’ 부분에 나타날 것이다.

7. 새로운 필터를 검색에 적용시키려면 ‘검색 (Search)’ 버튼을 클릭한다.

- 20 -

8. GBIF 데이터 포탈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에콰도르 식물 종의 발생 기록의 목록을 검색하려면 “Actions” box 안에 “결과에 포함된 종 (Species included in results)”을 클릭한다.

9. 목록 안의 종 이름을 클릭하면 ‘종 개관 페이지 (Species Overview Page)’가 열리는데, 여기서 해당 종에 대한 국제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10. “…의 발생 보기(View occurrence records)”를 클릭하면 에콰도르 내 주어진 종에 대한 발생 기록을 볼 수 있다.

- 21 -

사례14B : 인도네시아에서 기록된 발생 탐색하기

이 사례에서는 ‘국가 개관 페이지 (Country Overview Page)’를 이용해서 인도네시아에서 발생하는 종에 대한 ‘분류 검색기 (Classification Browser)’에 도달하는 방법, 그리고 인도네시아에서 기록된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세계 데이터 집합을 찾기 위해 ‘발생 검색 (Occurrence Search)’이 있는 ‘국가 개관 페이지 (Country Overview Page)’를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인도네시아 내 종 찾기

1. 데이터 포탈 내에 있는 ‘COUNTRIES’를 클릭하여 국가명을 탐색한다.

2. ‘I’로 시작하는 국가명 목록을 열기 위해 ‘지리 탐색 페이지 (Geography Browser page)’ 상단에 있는 문자 I를 클릭한다.

3. ‘국가 개관 페이지 (Country Overview Page)’를 열기 위해 “Indonesia”를 클릭한다.

4. 인도네시아 내 종 기록으로 제한하여 ‘분류 탐색기 (Classification browser)’를 열기 위해 “인도네시아를 위한 Actions (Actions for Indonesia)” 부분의 “인도네시아에서 기록된 종 탐색하기 (Explore species recorded in Indonesia)”를 클릭한다.

5. 이름의 좌측에 있는 “플러스” 기호를 클릭하여 분류 트리의 단계를 연다.

인도네시아 발생 데이터 집합 찾기 1. ‘인도네시아 상자 (Indonesia box)’의 Actions 중 “인도네시아 발생이 있는 데이터 집합을 열거 (List datasets with occurrences in Indonesia)”를 클릭해서 해당 ‘발생 검색 페이지 (Occurrence search page)’를 연다.

- 22 -

2. 이 페이지에는 인도네시아에서 기록된 발생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집합이 열거되고, 데이터 제공자와 관련된 정보는 회색으로 표시된다. 이에 대한 정보를 더 찾고자 한다면 데이터 집합의 이름을 클릭하여 ‘데이터 집합 개관 페이지 (Dataset Overview Page)’를 연다.

3. 인도네시아에서 기록되었고 어떤 특정 데이터 집합에서 제공되는 발생을 검색하려면, 이름 옆에 있는 체크 박스를 선택하고(한번에 여러 개의 데이터 집합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페이지의 하단에 있는 ‘검색 세분화하기 (Refine search)’ 버튼을 클릭한다.

- 23 -

발생15B 검색하기

종 발생 기록에 접근하는 것은 GBIF 데이터 포탈의 핵심 기능이다. ‘발생 검색 페이지 (Occurrence Search page)’에서 제공된 기능은 관심 기록을 탐색하거나 위치시키기 위해 복잡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 포탈 내 존재하는 페이지의 상단에 ‘OCCURRENCES’를 클릭하여 ‘발생 검색 페이지 (Occurrence Search page)’로 접근한다. 포탈 내 다른 많은 페이지들은 이 페이지로의 링크를 제공하고 초기 검색 필터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한 개 종의 ‘개관 페이지 (Overview Page)’에서 ‘발생 탐색하기 (Explore occurrences)’ 링크는 그 종의 기록을 찾기 위한 ‘발생 검색 (Occurrence Search)’을 연다.

검색16B 필터 이용하기 어떻게든 ‘발생 검색 (Occurrence Search)’에 도달하면, 검색 필터의 추가 혹은 삭제를 통해 검색을 수정할 수 있다. 필터를 추가하는 것은 필터에 의해 구체화된 기준에 일치하는 발생 기록만을 결과로 반환할 수 있도록 검색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Poaceae’계에 속하는 식물로 결과를 제한하는 하나의 필터를 적용하고, 두번째 필터를 더하여 남아프리카에서 온 기록들로 결과를 추가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더 많은 필터가 적용될수록 검색을 정제하여 일치 기록의 범위를 줄여나갈 수 있다.

정제된 검색식이 구성되면, 적용되는 필터의 목록이 페이지 상단 우측에 표시된다. 각 필터의 오른쪽에 있는 ‘마이너스’ 기호를 클릭하면 그 필터는 제거된다.

만약 한 개 필터 범주가 두 번 적용되면(예: 학명은 Panthera leo이고 학명은 Panthera tigris), 포탈은 그것을 대안으로 여기고, 둘 중의 하나에 일치하는 기록을 반환할 것이다 (즉, 학명이 Panthera leo이거나 Panthera tigris인 것이 검색이 될 것이다).

단계별 안내 1. 페이지의 상단에 ‘OCCURRENCES’를 선택하여 ‘발생 검색 페이지 (Occurrence Search page)’를 연다. 2. “검색 필터 추가하기 (Add search filter)” 아래 드랍-다운 메뉴에서 하나의 필터 범주(학명, 분류, 국가 등)를 선택한다 (20페이지의 에콰도르 식물 사례 참조). 포탈은 해당 필터의 값을 구체화하여 적합한 필터를 자동으로 제공한다. 3. “Add filter”를 클릭하여 필터를 조정한다. 이 선택은 페이지의 상단 우측에 있는 ‘당신의 현재 검색 (Your current search)’ 아래에 검색 정의 부분으로 표시될 것이다.

- 24 -

4. 모든 필터가 조정되면, “검색(Search)” 버튼을 눌러 필터 목록이 적용이 되게끔 한다. 5. 포탈은 검색식과 일치하는 레코드 수의 어림값(indication) (결과 집합의 수가 적으면 정확한 수치, 그렇지 않고 1000개의 레코드가 넘으면 어림값)이 반환될 것이며, (최대 5개까지) 몇 개 사례가 화면에 표시될 것이다. 6. 이 시점에서, 당신은 검색을 바꾸거나 정제하여 다시 그것을 발행할 수도 있고, 혹은 결과의 이용을 시작할 수도 있다. 포탈은 가능한 Actions의 집합을 표시한다: A. 지도 상에 레코드 표시하기 – 지도로 검색 결과를 표시하며, 다른 지역을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심층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B. 레코드를 테이블로 표시하기 – 모든 발생 기록에 대해서 ‘발생 상세 보기 (Occurrence Detail view)’를 열 수 있는 기회가 있으므로 결과를 대충 훑어 본다 (레코드의 전체 상세,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추가 actions로의 링크 등. 발생 기록에 대한 상세 보기를 참조) C. 결과 다운로드하기 – 검색 결과를 XML 혹은 CSV 파일로 다운로드 받기 D. 구체화하기 – 특정 국가, 데이터 제공자 혹은 데이터 집합의 기록들 결과만 선택하기 E. 열거하기 – 검색 결과의 종

- 25 -

이용17B 가능한 필터 범주 z 학명 – 학명 (또는 학명의 일부)를 입력하고 “is” 와 “is like” 사이를 선택한다. 이 필터는 종의 분류와 상관 없이 종의 정의를 위해 붙여진 이름과 일치하는 레코드는 모두 반환한다. z 보통 이름 – 제공된 보통 이름 (만약 보통 이름과 그에 상응하는 학명이 GBIF에 제공되었다면)과 관련 있는 종의 모든 기록을 반환한다. z 분류 – 종 또는 개체 그룹을 분류 트리에서 선택한다. 이 필터는 선택된 트리 부분 내에 들어 있는 모든 종의 기록을 반환한다. z 유형 상태 – 유형이라고 표시된 종을 찾는다. z 국가 – 목록에서 하나의 국가를 선택한다. 이 필터는 레코드 좌표가 포함되었는지에 상관 없이 해당 국가로 정의된 레코드를 반환한다 (그러나 좌표 필터(경계 상자, 경도와 위도)를 추가하면 지리참조된 레코드만으로 결과가 제한될 것이다). z 지역 – 지리적 지역을 목록에서 선택한다. 이 필터는 선택된 대륙, 해양 지역 내에 위치한 모든 국가의 레코드를 반환한다. z 경계 상자 – 경도와 위도를 사용하여 정의된 직사각형을 선택하기 위해 지도를 이용한다. 이 필터는 주어진 직사각형 내 지리참조된 레코드만을 반환한다. z 위도 – 위도를 입력하고 “is”와 “greater than”, “less than” 사이를 선택한다. 이 필터는 선택된 위도에 일치하는 지리참조된 레코드만을 반환한다. z 경도 – 경도를 입력하고 “is”와 “greater than”, “less than” 사이를 선택한다. 이 필터는 선택된 경도에 일치하는 지리참조된 레코드만을 반환한다. z 좌표 상태 – “좌표 포함(includes coordinates)”을 선택하고 지리참조되지 않은 레코드는 제거한다. 반대로 “좌표 미포함 (does not include coordinates)”를 선택하면 지리참조된 레코드가 배제된다. z 좌표 issue – “감지된 이슈 (issues detected)”를 선택하면 의심가는 좌표를 가진 레코드를 정의할 수 있다. 그 반대는 “issues not detected”를 선택한다. z 데이터 제공자 – 목록에서 하나의 데이터 제공자를 선택한다. 이 필터는 해당 데이터 제공자로부터의 레코드만을 반환한다. z 호스트 국가 – 목록에서 하나의 국가를 선택한다. 이 필터는 해당 국가의 데이터

- 26 -

제공자들에 의해 공유되는 레코드만을 반환한다. z 데이터 집합 – 목록에서 하나의 데이터 네트워크 혹은 데이터 제공자를 선택하고, 두 번째 목록에서 하나의 데이터 집합을 선택한다. 이 필터는 선택된 데이터 집합의 레코드만을 반환한다. z 발생 일자 – 시작일과 종료일을 입력하거나 “특정일 사용(use specific date)”를 선택한다. 이 필터는 특정일 혹은 특정 기간에 발생한 레코드만을 반환한다. z 연 범위 – 특정 해 범위의 레코드를 선택한다. z 연 – 하나의 연도를 선택하고 “is”, “before” 혹은 “after”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 필터는 해당 연도의 선택 사항과 일치하는 레코드만을 반환한다. z 월 – 목록에서 월을 선택한다. 이 필터는 연도에 상관 없이 특정 월의 레코드를 반환한다. z 기관 코드 – 기관 코드를 입력하고 “is”나 “is like”를 선택한다. 이 필터는 특정 기관 코드를 가진 레코드를 반환한다. z 장서 코드 – 장서 코드를 입력하고 “is”나 “is like”를 선택한다. 이 필터는 특정 장서 코드를 가진 레코드를 반환한다. z 목록 번호 – 목록 번호를 입력하고 “is”나 “is like”를 선택한다. 이 필터는 특정 목록 번호를 가진 레코드를 반환한다. z 레코드 기반 정보 – 목록에서 레코드의 기반 정보 (표본, 관찰, 생존, germplasm, 화석)를 선택한다. 이 필터는 선택된 물체나 관찰의 유형에 근거한 레코드를 반환한다.

- 27 -

발생18B 레코드에 대한 상세 보기

발생 레코드는 ‘발생 검색 (24페이지의 발생 검색하기 참조)’를 이용하여 찾을 수 있다. 발생 검색에서 제공되는 테이블 보기에는, 각 레코드의 우측에 보기 링크가 있다. 이 링크는 ‘발생 상세 보기 (Occurrence detail view)’를 열어 준다. 그리고 ‘발생 상세 보기’는 해당 데이터 제공자의 웹 사이트로부터 원래 레코드를 직접 검색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한다.

단계별 안내 1. ‘발생 검색하기 (24페이지)’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 ‘레코드를 테이블로 보기’ 옵션을 선택한다.

2. 해당 레코드의 ‘발생 상세 보기’를 보려면 테이블의 가장 우측 열에 있는 ‘보기 (View)’ 링크를 클릭한다. 아래의 정보를 담은 새로운 페이지가 열린다 a. 데이터 제공자에 의해 제공된 많은 원래값 b. 모든 데이터 집합을 통틀어 레코드를 검색할 수 있는 필드의 해석 c. 개별 레코드 내 명백한 불일치에 대한 메모 (예: 일관성이 없는 국가와 좌표)

- 28 -

3. 페이지 상단에 “경고 (Warnings)” 상자가 있을지도 모른다. 이는 어떤 레코드 내 명백한 불일치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며, 레코드 기반 정보 (basis of record)와 같은 일부 중요한 데이터 요소가 포탈에 의해 자동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음을 강조하기도 한다.

4. 일련의 부제목 아래에 레코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데이터 집합 – 원 레코드의 메타데이터와 그것을 대표하는 표본 이 부분은 레코드와 관련된 모든 식별자를 포함하며, 데이터 제공자와 데이터 집합에 관한 페이지로의 링크를 제공한다. “레코드의 기반 정보 (basis of record)” 역시 표시한다. 이는 데이터 제공자가 지정된 시간과 장소에 발생하지 않았던 종을 보여주고자 할 때 사용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려준다 (예를 들어 레코드의 기반 정보는 수집본 내의 표본이거나,

관찰 혹은 화석). 포탈은 이 레코드에 대한 기반으로서 데이터 제공자에 의해 제공된 원래 정보(예: “S”)와 포탈이 그 값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예: “표본으로 해석”)를 보여 준다. 만약 포탈이 이 값을 해석하지 못하거나 값이 제공되지 못한다면, 레코드의 기반 정보는 ‘Unknown’으로 표시된다. 분류 – GBIF 포탈에서 사용된 분류와 데이터 제공자에 의해 부여된 여타 분류 정보를 포함하여 레코드의 정의와 관련된 정보. 각각의 경우에 포탈은 데이터 제공자로부터의 원 정보를 표시하고 포탈에서 레코드와 관련을 시켜 놓은 종 또는 개체 그룹을 보여 주는 개관 페이지로의 링크를 제공한다. 이는 동일한 이름을 가진 여러 종들이 있거나 포탈에서 사용하는 분류와 확연하게 다른 분류를 데이터 제공자가 부여한 분류일 때 특히 중요하다. 이 섹션은 해당 종을 동정한 사람에 대한 정보도 포함한다 지리공간정보 – 발생 위치와 일자에 대한 정보. 포탈은 데이터 제공자로부터 검색된

- 29 -

정보와 함께 포탈이 해당 정보를 해석한 것을 함께 보여 준다. 만약 레코드가 좌표를 가졌으면, Google Map은 해당 지역을 보여 준다. 이 섹션은 수집자 혹은 관찰자에 대한 정보도 보여 준다 (만약 데이터 제공자에 의해 이 정보들이 포함이 된 경우)

5. Action box 에 데이터 제공자로부터 얻은 원래 레코드(이는 추가 정보를 포함하고 있거나 포탈에 의해 색인된 이후로 수정이 되었을 수도 있다)를 검색할 수 있는 링크를 포함하여, 몇 개 링크와 관련 레코드를 찾을 수 있는 옵션 기능이 있다.

- 30 -

데이터19B 집합에 관한 정보 찾기

GBIF 포탈은 광범위하고 다양한 기구와 기관들로부터의 정보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한 가지 관점은 포탈이 각 데이터 제공자 혹은 한 개별 데이터 집합 혹은 이러한 데이터 집합이 속한 (기관 간) 정보 네트워크 중의 하나에 공유된 데이터의 요약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GBIF 데이터 제공자는 다른 유형이 있다: 1. 종의 이름과 분류에 관한 정보의 제공자 2. 다른 지역과 시기에 발생한 종 정보의 제공자 3. 이러한 종에 대한 다른 정보나 이미지 제공자

GBIF 포탈의 데이터 집합 분야는 세 종류의 모든 데이터 제공자에 대한 정보와 그들이 공유하고 있는 데이터 집합을 제공한다.

데이터20B 집합 검색

데이터 집합, 데이터 제공자 혹은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찾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각 페이지에 포함된 ‘검색 상자 (Search box)’를 이용해 이름으로 검색하는 것이다.

단계별 안내 1. 포탈의 홈페이지나 다른 여타 페이지에서 데이터 집합의 이름을 ‘검색 상자 (Search box)’에 입력하고 ‘검색 (Search)’을 클릭한다. 2. 포탈은 검색 문자열과 일치하거나 이를 포함하는 이름의 목록을 반환한다. 결과는 아래 네 개의 범주로 범주화된다. a. 학명 b. 보통 이름 c. 국가 d. 데이터 집합 3. 주어진 데이터 집합, 데이터 제공자 혹은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데이터 집합 개관 페이지 (Dataset overview page)’를 보기 위해 데이터 집합 범주에서 이름을 선택한다.

- 31 -

데이터21B 집합 목록 탐색 대신 알파벳 순서의 목록을 탐색함으로써 데이터 집합, 데이터 제공자 혹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 집합 탐색기(Dataset browser)’에 접근하기 위해, 포탈 홈페이지의 ‘Explore datasets (데이터 집합 탐색하기)’ 링크나 모든 페이지의 상단에 있는 배너에 포함된 ‘DATASETS’ 링크를 선택한다.

단계별 안내 1. 포탈의 홈페이지에서 ‘데이터 집합 탐색하기(Explore datasets)’ 선택한다.

2. 포탈은 “A”로 시작하는 데이터 집합, 데이터 제공자, 그리고 데이터 네트워크 이름의 목록과 각 알파벳 글자로의 링크를 제공할 것이다. 정보는 세 개의 분리된 범주 (어떤 범주는 알파벳 문자에 모두 나타나지만은 않을 수도 있다): 데이터 네트워크 – (기관 간) 수많은 제공자들의 데이터 집합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데이터 제공자 –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관 혹은 기구 데이터 집합 – 데이터 제공자들에 의해 공유되는 데이터 집합들

데이터2B 집합 개관 페이지 데이터 집합 개관 페이지는 관련된 기관, 기구 그리고 데이터 집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한 데이터 집합 혹은 주어진 데이터 제공자에 의해 제공받거나 혹은 데이터 네트워크에 포함된 모든 데이터 집합의 발생 데이터를 요약한다. 이 페이지의 몇 개 링크는 ‘발생 검색 페이지 (Occurrence search page)’로 연결된다 (24페이지의 발생 검색하기를 참조).

단계별 안내 1. 각 데이터 집합 개관 페이지는 데이터

- 32 -

집합, 데이터 제공자 혹은 데이터 네트워크(모든 종)에서 이용 가능한 모든 지리참조된 레코드를 위한 지도를 제공한다. 지도 위에서 클릭을 하면 고배상도로 세부를 확대할 수 있고 (각 0.1 * 0.1 크기의 셀에 대한 레코드의 조밀도까지 표시) 그리고 링크는 ‘발생 검색 페이지 (Occurrence search page)로 직접 연결되어 선택된 셀에서 발생된 레코드를 탐색할 수 있다. 2. 지도는 좌표를 가진 레코드만을 포함한다. 지도 아래 “모든 … 보기 (View all…)” 링크를 클릭하면 현재 지도에서 보이는 지역 내 발생한 이 데이터 집합에서 지리 참조된 레코드를 보기 위해 “발생 검색 보기 (occurrence search view)’를 열 수 있다. 3. 페이지는 데이터 집합, 데이터 제공자 혹은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빠른 링크를 가진 Action box를 포함한다. 4. 각 데이터 집합 개관 페이지는 관련된 기관과 기구에 대한 심화 정보를 보여 준다. 제공자와 네트워크 페이지는 관련 있는 데이터 집합으로의 연결을 제공한다. 데이터 집합 페이지는 데이터 제공자에 관한 정보와 데이터 집합이 속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로의 링크를 제공한다.

- 33 -

사례23B : 지리참조된 레코드를 가진 데이터 집합 찾기 특정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환경 입안자는 사상될 수 있는 수많은 데이터 레코드가 필요하다. 그는 아래의 과정을 따라 그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데이터 집합을 찾을 수 있다.

1. 포탈의 모든 페이지에 있는 배너에 ‘발생 (OCCURRENCES)’를 클릭하여 ‘발생 검색 페이지 (Occurrence Search Page)’를 연다. 2. ‘발생 검색 페이지 (Occurrence Search Page)’에서 “검색 필터 추가 (Add search filter)” 아래 드랍-다운 메뉴에서 “좌표 상황 (Coordinate status)”을 선택하면 오른쪽 드랍-다운 메뉴가 “좌표 포함하기”이다. “필터 추가하기 (Add Filter)”를 클릭한다. 3. 오른쪽으로 “당신의 현재 검색 (Your current search)” 아래에 ‘검색 (Search)’를 클릭한다. 이는 사상된 레코드가 지리참조된 좌표를 가지기 때문에 사상된 레코드만을 출력할 수 있도록 결과를 제한할 것이다. 이들 레코드의 일부는 보이는 페이지의 “예제 결과” 테이블에 리스트된다. 4. 이제 ‘Action box’에 있는 링크를 클릭함으로써 “포함할 데이터 집합을 구체화하기 (Specify Datasets to include)”를 선택한다.

5. 결과 페이지에서, Action box의 “포함된 데이터 집합 구체화하기 (Specify Datasets to be included)”를 클릭한다. 열린 페이지에서 데이터 집합이나 데이터 제공자의 이름을 클릭하면 해당 ‘개관 페이지 (Overview Page)’로 이동한다. 혹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집합으로부터의 그러한 레코드만을 보려면, 좌측에 있는 상자를 선택하고 “검색 정제하기 (Refine search)”를 선택한다.

- 34 -

사례24B : 덴마크의 데이터 제공자 찾기 한 덴마크 생물학 전공 학생은 그녀의 모국의 어떤 기관이 GBIF 네트워크를 통해 생물 다양성 데이터를 공유하고 있는 알고자 한다. 여기 그녀가 그 답을 찾는 과정을 소개한다.

1. 데이터 포탈의 ‘국가 (COUNTRIES)’ 링크를 클릭한다. 2. ‘지리 탐색기 페이지 (Geography Broswer page)’ 상단에 글자 ‘D’를 클릭하면, ‘D’로 시작하는 국가명의 목록이 열린다 (국가는 영문명 알파벳 순서로 정렬되어 있다).

3. “Denmark”를 클릭하면 ‘국가 개관 페이지 (Country Overview page)’가 열린다.

4. “Actions” box에서 “덴마크의 데이터 제공자에 대한 메타데이터 다운로드 하기”를 클릭하여 덴마크의 데이터 제공자의 목록을 검색한다.

5. ‘제공자 웹 서비스 응답 페이지’의 상단에 요청 요약은 덴마크의 두 데이터 제공자에 대한 레코드가 반환되었음을 보여 준다.

6. 제공자 웹 서비스 응답 페이지의 GBIF 데이터 제공자에 대한 메타데이터에서, 데이터 제공자가 먼저 나열되고, 그리고 각 제공자의 데이터 집합이 나열된다. 각 제공자에 대한 간단한 기술이 데이터 제공자 웹 사이트의 URL, 발생 기록의 건수 및 분류 단위와 함께 주어진다. GBIF 포탈의 ‘데이터 제공자 페이지 (Data provider page)’에서 주어진 링크를 클릭하면 ‘데이터 제공자 개관 페이지 (Data Provider Overview Page)’가 열린다. 7. 데이터 제공자에 의해 이용 가능하게 된 각 데이터 집합은 ‘제공자 웹 서비스 응답 페이지 (Provider Web Service Response page)’에 나열되어 있다. 데이터 집합에는 간단한 기술이 레코드의 건수와 접근 포인트에 관한 정보와 함께 주어 진다. GBIF 포탈의 ‘데이터 집합 페이지 (Dataset

- 35 - page)’에서 링크를 클릭하면 ‘데이터 집합 개관 페이지 (Dataset Overview Page)’가 열린다. 8. 관련된 분류군 개념은 해당 데이터 집합 아래에 나열되어 있다. 이름, 순위 그리고 분류군 개념의 출처가 주어 진다. GBIF 포탈의 ‘분류군 페이지 (Taxon page)’에 주어진 링크를 클릭하면 ‘분류군 개관 페이지(Taxon Overview Page)’가 열린다.

- 36 -

사례25B : 철새

조류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그의 헛간에서 봄과 여름 내 둥지를 틀었던 제비가 겨울에 어디로 가는지 알고 싶어 할지도 모른다. 이 사례는 해당 질문에 대한 답으로 한 해의 다른 시기에 만들어진 기록이 서로 어떻게 사상되는지를 보여준다.

1. 데이터 포탈의 검색 상자 안에 “barn swallow”를 입력한다. 2. 검색 결과 페이지의 보통 이름 섹션에 있는 “종: Hirundo rustica (영어: 제비)”를 클릭한다.

3. ‘Hirundo rustica’를 위한 ‘Actions’에서 ‘발생 탐색하기 (Explore occurrence)’를 클릭하여 ‘Hirundo rustica’를 위한 ‘발생 검색 페이지 (Occurrence Search page)’를 연다. 4. 특정 계절 동안 기록된 발생으로 검색을 제한하려면 월에 대한 필터를 만든다 (24페이지의 발생 검색하기 참조). “검색 필터 추가하기 (Add search filter)” 아래에 드랍- 다운 메뉴에서 “월”을 선택한다. 필터로 월에 대한 옵션을 제공하는 드랍-다운 메뉴에서 “1월 (January)”을 선택하고, “필터 추가하기 (Add filter)” 버튼을 클릭한다. 5. “좌표 상태 (Coordinate status)”는 “좌표 포함하기 (Includes coordinate)”로 하여 또 다른 필터를 추가한다. 6. “ 좌표 이슈 (Coordinate issues)”는 “아무런 이슈가 감지되지 않음 (No issues detected)”으로 하여 또 다른 필터를 추가한다. 7. 필터링된 결과를 검색하려면 ‘검색 버튼 (Search button)’을 클릭한다. 8. ‘Action section’의 지도에서 ‘일치하는 레코드 (matching records)’ 보기를 클릭하여 1월에 기록된 제비의 발생을 지도에 표시하는 페이지를 연다.

- 37 -

9. “당신의 현재 검색을 바꾸기 (Change your current search)” 위에서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발생 검색 페이지 (Occurrence Search page)’를 연다.

- 38 -

구글26B 어스에서 GBIF 발생 데이터 보기

구글 어스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설치 파일과 설치 안내를 얻기 위해 구글 어스 다운로드 사이트를 방문한다. (earth.google.com/download-earth.html)

사례27B : 미모사 종 이 데모 쇼는 하나의 속에 속하는 (이 예는 gnus Mimosa에 속하는 식물을 이용) 모든 종들의 위치 지표를 어떻게 찾고 다운로드하는지 그리고 그 정보를 구글 어스의 시각화 툴에서 보는지를 알려 준다.

1. 데이터 포탈 내 페이지의 검색 상자에 “”를 입력한다. 2.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속: Mimosa” (Plantae – Magnoliophyta – Magnoliopsida – – Mimosa 로 분류된)을 클릭하여 ‘미모사속 식물 (plant genus Mimosa)’의 개관 페이지를 연다.

3. “Mimosa를 위한 Action box”에 있는 “다운로드 섹션 (Download section)”에서 “구글 어스 내 위치 표지 지표 (Placemarks for Google Earth)”를 클릭한다. 4. 구글 어스 프로그램을 이용해 다운로드된 파일을 연다. 5. 클릭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나 구글 어스 화면의 우측 상단에 있는 도구를 이용해서 이미지의 회전, 기울기 또는 확대/축소를 조정한다. 미국을 보기 위해 구글 어스 화면을 회전해 보라. 종의 이름이 출력되는 단계로 이미지를 확대해 보라.

- 39 -

구글 어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데 따른 자세한 사항은 구글 어스 사용자 가이드 (earth.google.com/userguide/v4/)를 참조한다.

6. 위치 지표 저장하기: a. 전체 속에 대한 위치 지표를 저장하려면, ‘위치 구획 (Places pane)’에서 “GBIF 데이터 포탈 발생 검색 (GBIF Data Portal Occurrence Search)”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내 위치에 저장하기 (Save to My Places)”를 선택한다. b. 개별 종에 대한 위치 지표를 저장하려면, 종 이름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내 위치에 저장하기 (Save to My Places)”를 선택한다. 7. 구글 어스 인터페이스의 좌측에 있는 ‘위치 구획 (Places pane)’에 있는 체크-박스는 개별 종의 화면 표시를 켜거나 끄는데 사용된다. 구획의 스크롤 바를 내려 ‘Mimosa nuttallii’를 찾는다. 종의 화면 표시를 끄기 위해 이름의 왼쪽에

- 40 -

있는 체크 박스를 클릭한다. 다른 종을 선택하여 화면 표시를 끄거나 켠다.

8. 지도 위에 있는 개별 아이콘 하나를 클릭한다. a. 만약 그 아이콘이 단일 데이터를 표상한다면, 데이터 제공자와 해당 아이콘으로 표상되는 레코드의 ‘포탈 URL’ 에 대한 정보를 주는 대화 상자가 열린다. b. 만약 그 아이콘이 복수의 데이터 레코드를 표상한다면, 가지 끝에 단일 레코드 아이콘이 있는 분기형 도형이 열린다. 9. 대화 상자의 “포탈 URL”을 클릭하면, 선택된 레코드에 대한 GBIF 포탈의 ‘발생 검색 상세 보기 페이지 (GBIF portal Occurrence Search Detail View page)’를 보여주는 구글 어스 창의 하단에 인터넷 탐색기 구획이 열린다.

- 41 -

벌새28B 기록 조밀도

시나리오: 생물다양성 상태 평가에 사용할 지표 종을 찾고 있는 한 생태학자는 벌새를 지표 종으로 사용하기에 GBIF를 통해 이용 가능한 데이터가 충분한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 안내는 그녀가 구글 어스의 GBIF 포탈로부터 결과를 조직하여 북아메리카의 벌새 관련한 발생 레코드 조밀도(즉,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알아 보는 것)에 어떻게 접근하는지 알려 준다. 1. 포탈 내 페이지의 검색 상자에 “Trochilidae”를 입력한다. 2.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문: Trochilidae”를 클릭하여 Trochilidae (벌새)문에 속하는 조류의 개관 페이지를 연다. 3. Trochilidae를 위한 Action box에서, “구글 어스를 위한 1도 셀 조밀도 오버레이 다운로드하기(Download 1-degree cell density overlay for Google Earth)”를 클릭한다. 4. 구글 어스로 전환하여 다운로드된 파일을 연다. 5. 구글 어스 화면을 회전하여 북아메리카 내 발생(레코드)의 오버레이를 본다. 6. 좌측 사이드 바의 ‘위치 구역(Places section)’ 아래 위치한 슬라이더를 이용해 오버레이의 투명도를 조정한다. GBIF 포탈 내 생성된 지도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각 셀의 조밀도는 색상 코드로 표시된다. 7. 레이어를 저장하려면 좌측 사이드바의 위치 구획 내 설명 위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내 위치에 저장하기 (Save to My Places)”를 선택한다.

- 42 -

노트

- 43 -

CREDITS:

Information architecture and Tutorial: Donald Hobern Website and Tutorial Cover design: Ciprian-Marius Vizitiu Editing and layout: Meredith A. Lane Cover photographs © 2007 Deep Green Photography Production: Kailow Gaphic A/S, Vanløse, Denmark Certified by the internaional environmental standard ISO 14001 and by the international work safety standard OHSAS 18001

GBIF H Data Portal 검색기술보고서

초판 인쇄_2009년 11월 25일 초판 발행_2009년 11월 25일 번역 버전_v.1.0

옮긴이| 정영임, 박형선 펴낸이| 박영서

주소| 대전시 유성구 과학로 33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GBIF 한국사무국 전화| (042) 869-1762 팩스| (042) 869-1740 www.kbif.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