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출 문 20 NIAⅡ-RER-07012 / 2007.12 한국정보사회진흥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2007 IPv6 동향에 관한 연구”의 최종 연구개발 2007 IPv6 동향에 관한 연구 결과보고서로 제출합니다. IPv6 Status Report 2007 2007년 12월 31일

수 탁 기 관 : 한국인터넷기반진흥협회

연구 책임자 : 안순식(한국인터넷기반진흥협회 사업실장)

참여 연구원 : 신용중(한국인터넷기반진흥협회 사무국장) : 한국인터넷기반진흥협회 예영선(한국인터넷기반진흥협회 차장) 최윤경(한국인터넷기반진흥협회 대리) 조영덕(이노인포 부사장) 이중희(이노인포 대리) 박종일(숭실대학교 전산대학원 박사) 김대원(숭실대학교 전산대학원 박사) 김진석(숭실대학교 전산대학원 석사) 박종진(숭실대학교 전산대학원 석사) 백혜원(숭실대학교 전산대학원 석사)

과제 관리자 : 이영로(한국정보사회진흥원 u-인프라구축 단장) 강선무(한국정보사회진흥원 u-인프라구축단 차세대인터넷 팀장) 김형순(한국정보사회진흥원 u-인프라구축단 차세대인터넷팀 책임연구원) 이재준(한국정보사회진흥원 u-인프라구축단 차세대인터넷팀 선임연구원) 요 약 문 3. 연구 개발의 내용 및 범위

1. 제목 본 연구에서는 IPv6와 관련하여 주소 현황을 정리하였고, IPv6 정책 및 표준화 활동을 점검하였으며, 나아가 IPv6 관련 산업의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2007 IPv6 동향에 관한 연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o IPv6 개요 2. 연구 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IPv6 정의 및 특성 - IPv6 활성화 필요성

2.1 연구 개발의 목적 o IPv6 주소 현황 - IPv6 주소 관리 본 연구는 2007년도 IPv6 동향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향후 나 - IPv6 주소 예측 아갈 방향을 점검해 보고, 나아가 IPv6 관련 실무자들과 일반 국민들에게 IPv6의

현황을 알림으로써 IPv6의 필요성을 고취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o IPv6 정책 및 표준화 활동

2.2 연구 개발의 필요성 o IPv6 주소 응용 및 서비스 현황

인터넷은 21세기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인프라로서 국가발전의 초석으로 o IPv6 관련 장비제조사 현황 작용하고 있다. 최근 해외에서 발표하는 주요예측을 보면 2012년경 IP 주소고갈이 예상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04년부터 정부가 시범사업을 통하여 IPv6 인프라구 o IPv6 발전 전망 및 시사점 축 및 서비스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나 IPv6의 확산을 위한 좀 더 적극적인 IPv6 정책 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정통부가 추진하고 있는 IT839 정책(8대 신규서비스, 3대 첨단인프라, 9대 신 4. 연구 결과 성장동력)에서 WiBro, DMB/DTV, u-Home, 텔레매틱스, RFID, W-CDMA, IT 서비스, 광대역융합서비스(IPTV) 등의 수많은 단말은 IP를 제공 받아야 하기 때문에 IPv6 주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의 지속적인 추가확보를 추진하고 IPv6로의 전환을 앞당겨야 한다.

1장은 IPv6의 정의 및 특성을 정리하였고, 기존 주소체계인 IPv4 주소 고갈에 현재까지 IPv6에 대한 정보가 산재되어 있을 뿐,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IPv6 주소의 등장배경, 특징, 활성화 보가 부족하여 체계적으로 IPv6에 대한 자료를 수집,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 필요성 및 관련 서비스 전망을 서술하고 있다. 다. 이와 같이 2007 IPv6 동향 연구는 정책 수립의 기초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관 련업계의 홍보를 통한 발전도 가능할 것이며, 일반인의 관심도를 제고시키는데 기 2장은 IPv6 주소 배정 현황과 IPv4 주소 고갈의 예측 현황을 기술하였다. 여할 것이다. 먼저 IPv6 주소 배정 현황은 국내․외의 대륙별 현황을 기술하고 있으며, IPv4 주소

고갈 예측 현황에서는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RIR(Regional

- iii - - iv - Internet Registries) 등 국제 주소관리 기구별로 예측하고 있는 주소고갈 예측 시점을 6. 기대 효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 IPv4 예측시기를 기술하였다.

o 정책 활용 가능성 3 ․ IPv6 , IPv6 장은 국내 외 정책 활동 및 표준화 현황으로 국내 활동을 정책 및 - 국내․외 IPv6 동향을 분석하여 국가의 IPv6 활성화 정책 수립에 기여 . IPv6 관련 기관 활동과 시범 서비스 현황에 관해 기술하였다 국내 정책 활동 현황 - 국내․외 IPv6 지원 정책 수립에 기여 으로 IPv6 보급 촉진 기본계획II와 IPv6 전략협의회를 기술하였으며, 시범 서비스에 2006 2007 . 대하여 년 시범 서비스들의 결과와 년 수행된 시범 서비스들을 기술하였다 o 경제․사회적 기여

- 2007 IPv6 동향을 제작․배포함으로써 IPv6에 대한 관심 고취에 기여 IPv6 , , , , , , IPv6 해외 활동으로는 미국 유럽 일본 중국 캐나다 호주 필리핀의 활동들 - IPv6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국민에게 IPv6 개념 전달 . IPv6 TTA, IPv6 을 제시하였다 관련 표준화 현황으로 국내 포럼 코리아의 표준 및 - IPv6 국내․외 상황을 비교․전달함으로써 IPv6 발전 방향 점검 IETF . 활동 사항과 해외 의 관련 작업그룹과 표준화 진행 사항을 제시하였다 - IPv6 후발업체 참여에 기여 - 국내 IPv6 시장 활성화에 기여 4장은 국내․외 주요 IPv6 응용 및 서비스 현황을 기술하였다. 국내 IPv6 관련 서 VoIP, UCC, , u-City , 비스를 이동통신 서비스를 활용한 치안서비스 고도화 사업모델 o 기술․산업적 기여 USN , KREONET . IPv6 활용 서비스 등으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그리고 해외 활동 및 - IPv6 표준화 동향 및 국내․외 정비 개발 현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IPv6 . 응용 서비스 현황으로 일본의 관련 응용 서비스들을 기술하였다 또한 운영체 IPv6 후발업체들의 기술 개발 및 적용 방식에 대한 방안 제시 IPv6 . 제 및 애플리케이션별 지원 현황과 윈도우 비스타를 기술하였다 - 국내․외 IPv6 응용 및 서비스의 예시를 통해 IPv6 상용화 방안 제시 및 해당 서비스 시장의 활성화 5 IPv6 장은 관련 장비제조사 현황을 설문 조사를 통하여 현재 겪고 있는 애로 - IPv6에 대한 국내 산업체의 연구․개발 방향 제시 사항과 IPv6 관련 장비 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 등을 정리, 분석하였다.

6장은 본 연구의 시사점을 다루었다.

5. 활용에 대한 건의

o IPv6에 대한 개념 정립 활용 o IPv6 도입의 당위성을 알리기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 o IPv6 시대에 대비를 위한 지도서로서 활용 o IPv6 관련 산업 동향 분석에 활용 o IPv6 향후 방향 수립에 참조

- v - - vi - - 목 차 - 3.2.2 해외 IPv6 표준화 현황 36

제 4 장 IPv6 주요 응용 및 서비스 현황 44 제 1 장 IPv6 개요 1

1절 국내 IPv6 주요 서비스 현황 44 1절 IPv6 정의 및 특성 1 4.1.1 VoIP 서비스 44 1.1.1 IPv6 등장 배경 1 4.1.2 IPv6 UCC 포털 서비스 46 1.1.2 IPv6의 특징 4 4.1.3 IPv6 기반 치안서비스 고도화 50 2절 IPv6 활성화 필요성 6 4.1.4 u-City 사업모델과 IPv6 시범서비스 52 4.1.5 USN 활용 서비스 60 4.1.6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63 제 2 장 IPv6 주소 현황 9 4.1.7 IPv6 이용현황 68 2절 해외 IPv6 주요서비스 현황 70 1절 IPv6 주소 관리 9 4.2.1 일본 IPv6 응용 서비스 70 2.1.1 국내 IPv6 주소 배정 현황 10 4.2.2 기타 국가의 IPv6 응용서비스 77 2.1.2 해외 IPv6 주소 배정 현황 11 3절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별 IPv6 지원 현황 80 2.1.3 대륙별 IPv6 주소 배정 현황 12 4.3.1 운영체제별 IPv6 지원 현황 80 2절 IPv4 주소고갈 현황 13 4.3.2 윈도우 비스타에서 IPv6 활용사례 82 2.2.1 IPv4 주소고갈 예측에 관한 연구 13 2.2.2 IPv4 주소고갈로 예상되는 문제점 15 제 5 장 IPv6 관련 장비제조사 현황 89 2.2.3 IPv4 주소고갈 예측시계 16

1절 IPv6 장비 설문 결과 89 제 3 장 IPv6 정책 및 표준화 활동 17 5.1.1. 개요 및 분석 방향 89 5.1.2. IPv6 제조 장비 및 솔루션 종류 89 1절 국내․외 IPv6 정책 17 5.1.3. IPv6 장비 기능 개발시 애로 사항 90 5.1.4. IPv6 91 3.1.1 국내 IPv6 정책 17 장비 제조 및 판매시 애로 사항 5.1.5. IPv6 93 3.1.2 해외 IPv6 정책 23 장비 제조시 중요 기준 5.1.6. IPv6 94 2절 국내․외 IPv6 표준화 활동 32 장비 산업 활성화를 위한 요구 사항 2절 IPv6 장비 출시 현황 95 3.2.1 국내 IPv6 표준화 활동 32

- i - - ii - 5.2.1. IPv6 국산 장비 대체 효과 95 그림 목차 5.2.2. IPv6 국산 장비 매출 현황 96 5.2.3. IPv6 국내 장비 현황 96 [그림 1-1] 연도별 국내 IPv4 주소 확보 현황 ····································································· 1 [그림 1-2] 전세계 인터넷 호스트 증가율 ············································································· 2 [ 1-3] IPv6 ························································································· 8 제 6 장 시사점 113 그림 기반 차세대 환경 [그림 2-1] 국제 인터넷 자원 할당 기구도 ··········································································· 9 1. 118 부록 인터넷주소자원에 관한 법률 [그림 2-2] 주요 국가별 IPv6 주소 현황 ·············································································12 부록 2. 2007년 IPv6 Ready 제품 목록 122 [그림 2-3] RIR별 IPv6주소 할당 현황 ················································································13 부록 3. 2007년 IPv6 관련 장비 및 솔루션 목록 129 [그림 2-4] 주소관리 기구별 IPv4주소 감소율 현황 ·························································16 부록 4. 2007년 IPv6 고객 만족도 조사 결과 161 [그림 2-5] IPv4 주소고갈 예측 시계 ···················································································16 부록 5. 약어표 163 [그림 3-1] IPv6 보급 촉진 기본계획Ⅱ의 세부 추진 내역 및 목표 ·····························17 [그림 3-2] 과학기술혁신본부 조직도 ···················································································18 [그림 3-3] IT839 부문별 전략 재조정 ·················································································21 [그림 3-4] 미국 IPv6 주소 사용률 예상 그래프 ·······························································24 참고문헌 167 [그림 3-5] vBNS 백본별 위치 구성도 ·················································································25 [그림 3-6] vBNS 백본 및 회선 구성도 ···············································································26 [그림 3-7] CA*Net3 구성도 ···································································································29 [그림 3-8] WIDE 6-bone 구성도 ··························································································30 [그림 4-1] VoIP 서비스 구성도 ····························································································44 [그림 4-2] 공공기관 VoIPv6 서비스 연동 방안 ································································45 [그림 4-3] 대구시청 VoIPv6 망 구성도 ··············································································46 [그림 4-4] UCC 포털 시범서비스 원격 영상제어 서비스 구성도 ································47 [그림 4-5] IPv6 기반 UCC 포털 사이트 DNS 구축 환경 ··············································47 [그림 4-6] KTH 개인화 서비스 인터넷 초기화면 및 망 구성도 ··································48 [그림 4-7] KTH 개인화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도 ····························································49 [그림 4-8] KTH P2P 개인화 서비스 구성도 ·····································································49 [그림 4-9] IPv6 기반 치안서비스 고도화 수행목표 개념도 ···········································50 [그림 4-10] IPv6 기반 치안서비스 구성도 ·········································································51 [그림 4-11] IPv6 기반 치안서비스의 유사 치안서비스 사례 ·········································51 [그림 4-12] IPv6 기반 u-Blue City (강릉)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 현황 ·····················53 [그림 4-13] IPv6 기반 u-Blue City (강릉) 서비스 ···························································53 [그림 4-14] 경포해변 IPv6 기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장비 설치현황 ·························54 [그림 4-15] 경포대 해수욕장 IPv6 인터넷 서비스 초기 접속화면 ·······························54 [그림 4-16] IPv6 기반 u-city 강릉 IP-USN 관제시스템 ·················································55

- iii - - iv - [그림 4-17] u-Sports Zone 서비스 시스템 구성 ·······························································55 [그림 4-52] IP주소 설정하기 ·································································································86 [그림 4-18] IPv6 기반 도농복합 중소도시 u-city 시범서비스 추진체계 ·····················56 [그림 4-53] 윈도우 방화벽 설정하기 ···················································································87 [그림 4-19] IPv6 기반 u-city 공주 시범망 구축현황 ·······················································57 [그림 4-54] 윈도우 방화벽 중 포트추가 설정하기 ···························································88 [그림 4-20] IPv6 기반 u-city 공주 시범망 세부 구축도 ·················································57 [그림 5-1] IPv6 제조 장비 및 솔루션 ·················································································90 [그림 4-21] 독거노인관리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58 [그림 5-2] IPv6 장비 기능 개발시 애로사항 ·····································································91 [그림 4-22] u-생활관리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58 [그림 5-3] IPv6 장비 제조 시 애로사항 ·············································································92 [그림 4-23] u-체험관광/학습/쇼핑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59 [그림 5-4] IPv6 장비 판매 시 애로사항 ·············································································93 [그림 4-24] IP카메라, PDA+RFID 안내 시스템 구성도 ··················································59 [그림 5-5] IPv6 장비 제조 시 중요 기준 ···········································································94 [그림 4-25] RFID 가축질병관리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60 [그림 5-6] IPv6 판매활성화 정부지원 사항 ·······································································94 [그림 4-26] IPv6 기반 USN 구조 ························································································60 [그림 5-7] IPv6 활성화 방안 ·································································································95 [그림 4-27] IPv6 기반 USN 기상 센서네트워크 ······························································61 [그림 4-28] IP-USN 무선 메쉬 네트워크 구성도 ·····························································61 [그림 4-29] IPv6 기반 USN 기상 센서네트워크 ······························································62 [그림 4-30] IP-USN 무선 메쉬 네트워크 관측소 구축 현황 ·········································62 [그림 4-31] IP-USN 무선 메쉬 네트워크 구성도 ·····························································63 [그림 4-32] KREONET IPv6 추진 체계 및 전략 ·····························································64 [그림 4-33] KREONET IPv6 연계 네트워크 구성도 ·······················································64 [그림 4-34] KREONET IPv6 서비스 구성도 ·····································································65 [그림 4-35] KREONET IPv6 백본 기반 VoIPv6 시범서비스 구성도 ··························66 [그림 4-36] 대덕특구 SuperSIReN 서비스 구성도 ···························································66 [그림 4-37] 대덕특구 SuperSIReN 클러스터링 연계 방안도 ·········································67 [그림 4-38] SuperSIReN의 2008년도 주요 사업내용 ·······················································67 [그림 4-39] SAVIC-NET FX 제품 구성 사진 ····································································71 [그림 4-40] IPv6 아이피토크 Mobile IP폰 ·········································································72 [그림 4-41] 일본 FreeBit의 VoIPv6 서비스 구성도 ·························································72 [그림 4-42] OCN 긴급 지진 속보 프로그램 ······································································73 [그림 4-43] IPv6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큐슈 기술학교 서비스 사례 ···························74 [그림 4-44] NTT West FLET'S HIKARI 프리미엄 서비스 구성도 ······························75 [그림 4-45] NTT West FLET'S v6 Appli 서비스 구성도 ··············································76 [그림 4-46] ipconfig를 통한 IPv6 주소 확인 ····································································83 [그림 4-47] www.vsix.net의 ddns 서비스 ·········································································84 [그림 4-48] 컴퓨터 환경에서 공유폴더 설정하기 ·····························································84 [그림 4-49] 윈도우 제어판에서 방화벽 설정하기 ·····························································85 [그림 4-50]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속성 설정하기 ·····························································85 [그림 4-51]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속성 중 영역 설정하기 ·············································86

- v - - vi - 표 목차 [표 4-7] IPv6 기반 액세스 소프트웨어 관련 애플리케이션 ···········································77 [표 4-8] IPv6 기반 메일관련 애플리케이션 ·······································································78 [표 4-9] IPv6 기반 멀티미디어 관련 애플리케이션 ·························································78 [표 2-1] 국내 연도별 IPv6 주소 배정 현황 ·······································································10 [표 4-10] IPv6 기반 근거리접속 관련 애플리케이션 ·······················································78 [표 2-2] 국내 IPv6 주소확보 현황 ·······················································································10 [표 4-11] IPv6 기반 WWW 관련 애플리케이션 ·······························································79 [표 2-3] 주요 국가별 IPv6 현황 ···························································································11 [표 4-12] IPv6 기반 프록시와 캐쉬 관련 애플리케이션 ·················································79 [표 2-4] RIR별 IPv6 주소 할당 현황 ··················································································12 [표 4-13] Windows 버전별 IPv6 지원 현황 ······································································80 [표 2-5] IPv4 주소고갈에 대한 각 리포트의 요약 ···························································15 [표 4-14] 운영체제별 IPv6 지원 현황 ·················································································81 [표 2-6] IPv4 주소고갈로 예상되는 문제점 조사 ·····························································15 [표 5-1] IPv6 제조 장비 및 솔루션 ···················································································96 [표 3-1] IPv6 이용 활성화 대책 및 추진일정 ···································································19 [표 5-2] 상용 국산 장비 및 솔루션 현황 ·········································································98 [표 3-2] 2007년도 IPv6 시범사업(KOREAv6) ····································································22 [표 3-3] 미 예산관리국의 IPv6 전환 계획 주요 내용 ·····················································24 [표 3-4] IPv6 표준 현황 ·········································································································33 [표 3-5] 운영 관련 표준 현황 ·······························································································33 [표 3-6] Mobile IPv6 표준 현황 ··························································································34 [표 3-7] 기타 워킹그룹 표준 기반 표준 현황 ···································································34 [표 3-8] TTA 자체 표준 현황 ·······························································································35 [표 3-9] IPv6 관련 TTA의 표준 제안 현황 ·······································································35 [표 3-10] IPv6 관련 IPv6 포럼코리아 표준 진행 현황 ···················································36 [표 3-11] 해외 IPv6 표준 전체 현황 ···················································································36 [표 3-12] IPv6 WG 표준 현황 ······························································································37 [표 3-13] IPv6 WG 표준화 작업 현황 ················································································37 [표 3-14] v6ops WG 표준 현황 ···························································································38 [표 3-15] v6ops WG 표준화 작업 현황 ·············································································39 [표 3-16] mip6 WG 표준 현황 ·····························································································39 [표 3-17] mip6 WG 표준화 작업 현황 ···············································································40 [표 3-18] monami6 WG 표준화 작업 현황 ·······································································41 [표 3-19] shim6 WG 표준화 작업 현황 ·············································································42 [표 3-20] 6LoWPAN 표준 현황 ···························································································42 [표 4-1] 프리챌의 UCC 포털 제공 서비스 ········································································48 [표 4-2] 국내 IPv6 이용자 확보현황 ···················································································68 [표 4-3] 2007년 IPv6 고객 만족도 조사 결과 ···································································69 [표 4-4] 일본 ISP 상용 IPv6 이용 서비스 현황 ·······························································70 [표 4-5] Alaxala 제품 IPv6 레디 로고 취득 현황 ···························································74 [표 4-6] IPv6 기반 일반 패치 저장소 관련 애플리케이션 ·············································77

- vii - - viii - 제 1 장 IPv6 개요 이중에서 우리나라는 2007년 12월 기준으로 58,844,672개의 IPv4 주소를 보유하고 있으나 83.3%인 약 4900만개가 이미 사용되고 있으므로,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의 보 급과 호스트의 증가에 맞춰 추가적인 주소 확보가 요구된다. [그림 1-1]은 연도별로 1절 IPv6 정의 및 특성 국내의 IPv4 주소 확보 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1991 WWW(World Wide Web) 1.1.1 IPv6 등장 배경 년 서비스 개발은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의 보급을 급격히 증가시켰으며 정보단말, 가전, 센서 네트워크 등에 신규 IP 주소 보급 역시 IPv4의 수요를 급증시킨 요인들이다. 또한 국내에서는 IT839 정책의 3대 인프라중 IPv6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IP 주소체계인 IPv4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하나인 IPv4 주소를 이용한 국내 정책과 각종 응용 서비스의 증가도 IPv4 주소의 새로운 IP 주소체계를 말한다. IETF의 공식규격으로, 차세대 인터넷통신규약이라는 부족 시기를 앞당기고 있다. 뜻에서 IPNG (IP Next Generation)라고도 한다. [그림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호스트는 현재 4억 5천개에 달 현재 사용하고 있는 IPv4는 32bit로 구성되어 약 43억 개의 주소를 만들 수 있다. 하고 향후 더욱 증가될 예정임에 반해 IPv4 주소는 현재 그 81%를 소비하였다. 이 하지만 사설용으로 예약된 주소영역과 연구용으로 사용되는 클래스 E1)와 같은 특수 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인터넷을 활용하는 서비스 영역이 점차 더 확대됨에 따 영역 때문에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주소의 수는 훨씬 적다.2) 라 조만간 IPv4의 주소자원은 전부 소진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007년 12월 기준) (2007년 12월 기준)

자료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NIDA), http://www.nida.or.kr [그림 1-1] 연도별 국내 IPv4 주소 확보 현황

1) Class E : 목적으로 예약되어 있으며 첫 번째 Octet(옥텟)의 최상위 비트는 '1111'로 고정되어 있다. [그림 1-2] 전 세계 인터넷 호스트 증가율 2) 2007년 12월 25일 현재 할당된 IPv4 주소 갯수는 2,566,212,268(59.7%)개이고, 특수용도를 목적으로 할당된 주소의 개수는 336,921,088(7.8%)개이며, 미 할당된 주소의 개수는 1,391,833,940(32.4%)개이다. 여기서 특수 용도의 주소란 RIR(대륙별 인터넷 주소자원 관리기관)을 통하여 할당되지 않는 IPv4 주소로 사설 네트워크나 멀티캐스트와 같은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IANA(인터넷 할당 번호 관리기관)이 직접 배정한 주소영역이다. 그리고 미 할당된 주소는 NIR과 ISP에 할당되지 않은 IANA와 RIR이 보유한 주소이다.

- 1 - - 2 - IPv4는 주소 고갈의 문제 외에도 다음과 같은 조건들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 되었다. 공하고 있다. 이러한 고유의 글로벌 IP 주소는 응용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위한 필수 기능인 데이터의 전달에 사용되는 메커니즘과 네트워크 장치를 위한 종단간 보안을 o 인터넷 성장으로 인한 백본 라우터들의 대규모 라우팅 테이블 유지 능력 단순화 시켜준다. 또한 주소 공간의 유연성은 사설 주소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지만, o 좀더 단순하며 간단한 자동 설정 및 리넘버링에 대한 요구 글로벌 주소가 폭넓게 제공되기 때문에 NAT를 비롯한 주소 재활용 기술의 사용 빈 o IP 수준에서의 보안에 대한 요구 도를 줄이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NAT 기반 네트워크에서는 손쉽게 얻을 수 없 o QoS에 대한 지원 었던 종단간 보안과 QoS를 제공할 수 있다.

.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라우터를 거쳐야 한다 두 호스트 1.1.2 IPv6의 특징 가 원활하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라우터는 전송 경로를 결정하고 그 경로를 유지해야 한다. 라우터가 경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라우팅 테 고유한 글로벌 IP주소에 대한 미래의 수요를 만족시키는 것 외에도 IPv6은 다음과 이블이다. IPv4가 개발될 당시에 인터넷에 연결된 호스트의 수가 많지 않아서 백본 같은 특징을 갖는다. 라우터들이 유지해야할 라우팅 테이블은 그리 크지 않았기 때문에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현재 대규모 라우팅 테이블을 유지할 수 있는 라우터의 부족은 향후에 네트 1) 확대된 주소 공간 워크에 많은 지연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거의 무한대에 달하는 주소의 수는 IPv6 네트워크를 구현함으로써 얻어지는 가장 또한 현재의 IPv4는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PDA, 홈 네트워크, 텔레매틱스, VoIP, 큰 혜택이다. IPv4에 비해, 주소를 128비트로 늘렸기 때문에 거의 무한대, 즉 43억4 휴대 인터넷 서비스 등 현재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의 요구는 고사하고 앞으로의 개 정도의 IP 주소자원 생성이 가능하다. 이것은 현재 세계 인구 한 명당 5만여 개 사용자 증가 및 인터넷 수요 증가를 수용할 수 없다. IPv6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도 의 IP를 나눠줄 수 있게 된다. 래한 신규서비스(Wibro, VoIP, 텔레매틱스 등)를 수용하고, 주소가 부족한 인터넷 개발도상국에도 end-to-end(단대단) 서비스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될 수 있는 글로 2) 헤더 포맷의 단순화 벌 환경을 위해 설계되었다.

IPv6 주소는 기존의 주소보다 4배 늘어난 만큼 헤더 크기가 증가되었지만 헤더의 IPv6에는 IPv4의 주소 고갈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기본으로 새로운 형식은 IPv4의 헤더에 비해 더 간단하게 설계되었다. 기본적인 IPv4의 헤더 크기는 기능과 개선 사항을 추가하여 개발되었다. IPv6는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의 20바이트에 지나지 않지만 옵션에 들어가는 변수의 길이로 인하여 패킷의 전체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네트워크 운영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크기를 증가하게 된다. 반면 IPv6 헤더 크기는 40바이트로 고정되어 있다. IPv6에서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까지 IPv4 주소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AT(Network 는 IPv4 헤더 필드 12개 중 불필요한 6개를 제거하였고, 그 중 일부 IPv4 필드들은 Address Translation),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DHCP(Dynamic Host 이름을 변경하여 유지하고 있으며, 효율을 증가시키고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기 위 Configuration Protocol) 등의 주소 재활용 기술을 통해 보완하여 왔다. 그러나 VoIP 한 필드를 추가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IPv6 주소의 설계가 간단해질 것이다. 및 P2P 등의 단대단 통신 수요가 증가하고 이동하면서도 끊김없는 인터넷 접속이 또한 IPv6 헤더 내에서 정의하지 못했으나 인터넷 데이터 전송에 필요하다고 요구되면서 IPv6는 주소부족 문제를 넘어 유비쿼터스 시대를 준비하는 기반 인프라 생각되는 부가 기능들을 확장헤더를 통해 제공하여 보안, 이동성 등을 강화하고 있다. 로 인식되고 있다.

3) 간편해진 주소설정기능 IPv6는 1995년 말 IETF IPv6 WG(Working Group)의 RFC 1883(Internet Protocol Versin 6 Specification)으로 처음 발표되었다. IPv6는 주소의 길이를 128 bit로 하여 IPv6 프로토콜 내에 내장된 주소 자동 설정 기능은 인트라넷 전체의 주소 관리를 지구상의 모든 네트워크 장치에 고유의 주소를 제공하고도 남을 정도의 용량을 제

- 3 - - 4 - 간편하게 함으로써 많은 수의 IP 호스트들이 쉽게 네트워크를 찾고 각각의 위치에 2절 IPv6 활성화 필요성 지정된 고유의 글로벌 IPv6 주소를 새롭게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자동 설정 기능은 휴대 전화, 무선 장치, 가전기기 등과 같은 새로운 장치들에 대한 플러그 앤 플레이 인터넷 주소의 부족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차세대 인터넷망을 구축하는 기반 인터넷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 결과 네트워크 장치들은 수동 설정이나 DHCP 기술인 IPv6의 연구개발 및 교육과 보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BcN(Broad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가 없어도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Convergence Network : 광대역 통합망)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All-IP 망으로 구 된다. 축되고 있기 때문에 핵심 전송 기술로써 IPv6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IPv6의 도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혜택은 다음과 같다. 4) 강화된 보안성

○ IPv4 주소 부족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 IPv4에서는 전송에 대한 보안을 해결하기 위해 IPSec(IP Security)이라는 별도의 확장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IPSec은 IPv4에서 옵션으로 사용되었으나, IPv6에서 국제 IPv6 포럼 의장은 ‘Global IPv6 Summit in Korea 2007’에서 2007년 현재 는 IPSec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인증헤더와 보안페이로드 캡슐화 헤더를 확장헤더 IPv4 인터넷 주소의 19%만이 남아 곧 주소고갈 문제에 직면한다고 경고했다. 특히 로 제공한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구현할 때 모든 IPv6 노드에 이 확장헤더를 적용시 아시아, 남미 등을 중심으로 IT 산업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IP의 수요는 급증하고 있 킬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보다 안전하게 해준다. 다. 국내의 경우 1994년 상용 인터넷 서비스 개시 후 급속히 주소의 소비가 증가하 여 지난 10년간 약 20배로 그 사용량이 증가하였다. 2004년 무렵 IT839 전략과 IPv6는 보안 확장헤더는 기밀성, 인증, 무결성 서비스를 제공하여 가상 사설망 u-City, u-Korea 등의 관련 사업이 추진되어 IP 주소 수요 증가가 이루어지고 있으 (VPN : Vertual Private Network) 구현을 쉽게 해준다. IPv6는 고유한 글로벌 주소 며, 해당사업이 활성화가 되는 시점에는 급격한 IP 주소 수요가 발생될 것이다. 특 와 보안을 제공하기 때문에 IPv6는 방화벽을 사용하지 않고도 종단간 보안 서비스 히 홈 네트워크 아파트에 구축될 홈 게이트웨이는 10년 후까지 사용될 것을 고려하 를 제공할 수 있다. 여 IPv6의 지원이 반드시 요구된다.

5) 개선된 Mobile IP ○ 쉽고 편리한 인터넷 실현

국내 인터넷 사용자 수는 2006년 12월 기준으로 3,412만 명이고 인터넷 이용률은 Mobile IP는 Mobile 장치들이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74.8%로 성숙기에 접어들어 있으나, 여전히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해주는 IETF 표준이다. IPv4에서 이동성 기능은 새로운 기능으로 추가되어야 했다. 절차가 필요하다. 또 홈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하여 가전제품 등을 중심으로 통신 반면에 Mobile IPv6는 IPv6에서 크게 수정된 프로토콜이 아니라, IPv6의 기능들을 기능이 추가되는 제품이 지속적으로 출시됨에 따라 일반 사용자들에게 전문가 수준 그대로 이용하면서 이동성을 제공하고자 하기 때문에 Mobile IPv4보다 효과적으로 의 네트워크 설정을 요구하게 되어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적응도를 감소시키고 있다.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으며 탁월한 규모의 확장성을 지니고 있다. 즉, 이웃 노드 발견 IPv6는 주소의 길이가 길어졌지만, 자동 주소 지정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전체 과 주소 자동 지정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이 이동하였을 때 자동으로 자신의 위치 적인 네트워크 운영을 단순화시킨다. IPv6의 자동설정 기능을 통해 일반적인 인터넷 정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신의 변한 위치정보를 필요한 노드들에게 알 서비스를 비롯하여 통신기능이 결합되고 있는 모든 생활 기기들을 편리하게 사용할 릴 수 있도록 목적지 옵션을 추가함으로써, IPv4에서는 존재해야만 했던 일부 신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이를 통한 관련 서비스의 활성화를 메시지들과 에이전트를 제거하였다. 또한 경로 최적화를 위한 프로토콜이 기본 기능 유도할 수 있다. 으로 제공되고 있다.

- 5 - - 6 - ○ 인터넷 구조개선 영역에 진출함으로써 새로운 수익모델을 발굴하고 있다. 향후 All-IP 광대역 통합망을 기반으로 개인방송, 맞춤형 콘텐츠, 시청자 참여형 방송 등 다양한 융합형 서비스가 인터넷 고도화에 따라 개인 사용자들 간의 파일을 주고받는 P2P 서비스가 급격히 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서비스 지원에 IPv6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증가하고 있으며, 서버없이 단말끼리 양방향 통신이 요구되는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생성되고 있다. 특히, VoIP 등의 서비스들은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해야 하므로 고정된 주소가 요구된다.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서비스에서는 end-to-end(단대단) 양방향 서비스 요구가 증가 하고 있으나, NAT와 같이 사설주소의 사용으로 인하여 서비스마다 부가적인 설정이 요구되어 서비스 확산에 장애가 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불편을 없애고 통신사업 자들의 신규 멀티-단말/멀티-IP 서비스에 대응하기 위한 기반 마련에 IPv6가 활용되 어야 한다.

○ 이동성의 완벽한 구현

, 유선 초고속 인터넷 또는 무선랜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단말의 자료 출처 : TTA 전략 표준화 로드맵 이동에 따라 네트워크 지역이 변경됨으로써 서비스 세션의 접속이 단절되어 재설정과 [그림 1-3] IPv6 기반 차세대 환경 재접속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게 된다. 현재 무선랜을 통한 인터넷 접속은 이동성을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정지역을 [그림 1-3]은 IPv6를 통한 차세대 통합 환경을 보여준다. 차세대 광대역 통합망을 벗어나게 되면 연결이 끊기고 다시 재접속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것은 활용한 IPv6기반 서비스의 활성화를 통해 유∙무선 및 방송 등 현재와 미래의 멀티 끊김없이 서비스를 유지해야하는 온라인 결제나 온라인 게임 등의 서비스에 치명적인 미디어 서비스를 효율적∙경제적으로 통합할 수 있다. IPv6로 인한 서비스 품질이 문제로 작용하여 서비스 활용에 장애가 되고 있다. IPv6는 이동 중에도 인터넷을 보장된 유선전화 수준의 음성 패킷 서비스가 경제적으로 제공되며, 음성∙데이터 끊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동형 인터넷 기반 구축을 위 통합 및 단일 인증 단말을 통한 유무선망 간의 끊김 없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한 최선의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즉, [그림 1-3]과 같이 IPv6는 통신망과 환경, 서비스를 연결하는 중요한 요소로써 차세대 통합 환경 실현을 위해 빠른 활성화가 요구된다. ○ 유․무선 통합 서비스 지원

최근 유무선간 연동 및 통합이 확대되고 이동 네트워크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휴대 인터넷이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 3.5세대 무선 통 신망에서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강화되고 있다. 또한 차세대인 4세대 통신은 IP 기반으로 통합하여 발전될 예정이다. 따라서 이동 네트워크 및 차세대 IP 단말들을 수용하고, Mobile IP와 망 이동성(Network mobility), 이종망 연동 기능 등을 지원 하기 위해서 IPv6가 요구된다.

○ 통신․방송 통합 서비스 지원

통신 사업자와 방송 사업자는 기존의 사업영역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융합 서비스 를 개발하고 이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직간접적으로 상대 사업

- 7 - - 8 - 제 2 장 IPv6 주소 현황 2.1.1 국내 IPv6 주소 배정 현황

1절 IPv6 주소 관리 국내 IPv6 주소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관리하는 APNIC에서 할당하고 있으며, ISP 업체들이 개별적으로 신청하여 주소를 할당하는 경우도 있지만 주소 할당은 현재 NIDA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IPv6 주소는 2005년을 기점으로 4,000개 IPv6 [ 2-1] ICANN 주소관리는 그림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제 인터넷 관리기구인 내 이상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2007년부터는 증가율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 AfriNIC 에 의해 관리되고 대륙별로 내고 있다. [표 2-1]은 국내 IPv6 주소 배정 현황을 나타낸 것으로 45개의 /32, /48, ( ), APNIC( · ), ARIN( ), LACNIC( ), RIPENCC( ) 아프리카 아시아 태평양 북미 중남미 유럽 등 /64급 주소를 확보한 상태이며 이 숫자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RIR(Regional Internet Registry)에 위임되어 분배하고 있다. APNIC은 한국인터넷진흥 NIR( 7 ) IP 원과 같은 국가단위로 구성되어진 아시아 태평양 개국 에 주소 공간을 배정 [표 2-1] 국내 연도별 IPv6 주소 배정 현황 , NIR LIR . LIR 하며 이 은 지역 단위에서 구성되어진 에 주소를 할당한다 이러한 들은 (2007. 8. 1 기준) ISP . 일반적으로 를 의미한다 구 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증감치 1 3 6 4 4 13 4,114 1,040 6 IPv6보유누적치 1 4 10 14 18 31 4,145 5,185 5,191 증가율 0% 300% 150% 40% 29% 72% 13270% 3509% 12% 자료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NIDA), http://www.nida.or.kr

다음의 [표 2-2]는 국내 IPv6 주소에 대한 확보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표 2-2] 국내 IPv6 주소 확보 현황 (2007.12.24 기준) 기관명 시작주소 프리픽스 확보일 주식회사케이티미래기술연구소 2001:0220:: /32 1999.10.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1:0230:: /32 1999.11.24. (주)엘지데이콤용산지점 2001:0270:: /32 2000.09.08. 케이티하이텔주식회사 2001:0280:: /32 2000.09.27. 하나로텔레콤(주) 2001:0290:: /32 2000.10.30. (주)케이티 망관리본부 2001:02B0:: /32 2001.01.02.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1:02B8:: /32 2001.01.15. 자료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NIDA), http://www.nida.or.kr 에스케이텔레콤(주) 2001:02D8:: /32 2001.04.06. [그림 2-1] 국제 인터넷 자원 할당 기구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1:0320:: /32 2001.08.23. 삼성네트웍스(주) 2001:0330:: /32 2001.09.20. 하나로텔레콤(주) 2001:0378:: /32 2001.12.18. IPv6 RIR TLA(Top Level Aggregator) 의 경우 대륙별 들이 레지스트리로서의 기능을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1:07FA:0000:0002:: /64 2002.01.17. 수행하는 기관에게 TLA Identifier를 배정하고 이 기관은 차례로 다른 ISP와 이용자 (주)한인터네트웍스 2001:0390:: /32 2002.02.07. (주)세종텔레콤 2001:03A8:: /32 2002.04.02. , ISP . 에게 주소 공간을 할당하며 는 최종 사용자에게 주소공간을 부여한다 (주)케이아이엔엑스 2001:07FA:0008:: /48 2002.04.02. 이와 같은 방식으로 2007년 12월 현재 57,311개의 주소를 배정한 상태이고, 드림라인(주) 2001:0C48:: /32 2002.08.12. 6 5,191 . (주)케이알라인 2001:0C98:: /32 2002.09.23.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는 위로 개를 차지하고 있다 (주)온세텔레콤 2001:0CF0:: /32 2003.01.22. 엔티티코리아(주) 2001:0D38:: /32 2003.05.15. 한국인터넷진흥원 2001:0DC5:: /32 2003.12.12.

- 9 - - 10 - 주식회사케이티프리텔 2001:0E60:: /32 2004.02.13. (2007.12.22 기준) (주)엘지데이콤용산지점 2001:0E78:: /32 2004.03.17. 영국 한국교육전산망협의회 2001:0E70:: /32 2004.03.17. 폴란드 기타국가 대만 2% 독일 4% 3% 에스케이텔링크주식회사 2001:0E98:: /32 2004.03.29. 이탈리아 4% 18% 주식회사에이치씨엔 2001:0EA0:: /32 2004.03.29. 7% 대한민국 프랑스 (주)케이티네트웍스 2001:0EA8:: /32 2004.03.31. 9% 14% (주)한국무역정보통신 2001:0EB8:: /32 2004.04.07. (주)엘지데이콤논현지점 2001:0ED0:: /32 2004.04.18. 주식회사 티브로드 전주방송 2001:0EE8:: /32 2004.05.17. 유럽연합 11% 오스트레일리아 한국컴퓨터(주) 2001:0EF8:: /32 2004.05.24. 일본 14% (주)케이티 망관리본부 2001:0EF0:: /32 2004.05.24. 14% SK네트웍스(주)서울지사 2001:0F28:: /32 2004.07.08. 주식회사아이네트호스팅 2001:0F48:: /32 2004.08.06. 한국인터넷진흥원 2001:0DCC:: /32 2005.04.27. : (NIDA), http://www.nida.or.kr (주)케이티 망관리본부 2400:0000:: /20 2005.06.01. 자료 출처 한국인터넷진흥원 (주)엘지텔레콤 2001:4430:: /32 2005.07.06. [그림 2-2] 주요 국가별 IPv6 주소 현황 (주)티브로드수원방송 2001:44D0:: /28 2005.11.10. 삼성네트웍스(주) 2404:0180:: /28 2006.08.29. 한국교육전산망협의회 2402:0000:: /22 2006.11.07. [표 2-3]과 [그림 2-2]는 2007년 12월 22일을 기준으로 해외 주요 국가별 IPv6 현 (주)티브로드동남방송 2401:4000:: /32 2007.03.16. (주)티브로드낙동방송 2406:4000:: /32 2007.03.16. 황을 나타낸 것이다. 독일이 9,651개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프랑스가 8,300개로 (주)이지오스 2405:C000:: /32 2007.05.09. 2위, 한국은 5,191개로 6위를 차지하고 있다. 주식회사케이티미래기술연구소 2407:C000:: /32 2007.05.22. 한국케이블TV푸른방송(주) 2407:2000:: /32 2007.07.16. 행정자치부 2401:A000:: /32 2007.08.03. 2.1.3 대륙별 IPv6 주소 보유 현황 자료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NIDA), http://www.nida.or.kr

대륙별 주소관리기구들의 특징은 크게 비영리 운영, 회원 중심 운영, 소회의 중심 2.1.2 해외 IPv6 주소 배정 현황 운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우선 이 기구들은 비영리 기구로 100% 회원비로 충당한 다. 또한 회원이 중심이 되어 운영을 하며, 해당 대륙 인터넷 이용자라면 누구든지 IPv4의 주소는 유럽 및 아시아에 비해 북미에 많은 양이 편중되어 있으나 현재 주소관리기구의 회원이 될 수 있다. IPv6는 이러한 주소 할당 편중 문제를 해결하여 고른 할당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표 2-3] 주요 국가별 IPv6 현황 [표 2-4] RIR별 IPv6 주소 할당 현황 (2007.12.22 기준) (2007.12.25기준) 순위 국 가 IPv6 주소 수 (/32) 구분 IPv6주소 수(/32) 비율(%) 1위 독 일 9,651 RIPENCC(유럽) 32,602 57.0 2위 프 랑 스 8,300 APNIC(아시아) 24,178 42.0 3위 오스트레일리아 8,235 ARIN(오세아니아) 370 1.0 4위 일 본 8,210 LACNIC(아메리카) 127 0 5위 유럽연합 6,157 AfriNIC(아프리카) 39 0 6위 대한민국 5,191 7위 이탈리아 4,133 자료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NIDA), http://www.nida.or.kr 8위 대 만 2,309 9위 폴 란 드 2,088 10위 영 국 1,150 기타국가 1,889

자료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NIDA), http://www.nida.or.kr

- 11 - - 12 - (2007.12.25 기준) 는 공간만을 이용하여 IPv4 주소의 고갈예측을 하고 있다. 이 리포트의 최대 특징은 IPv4 주소의 분배상황을 과거 10년간의 데이터를 이용 하여 주소 고갈예측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결과 본 리포트에 의한 RIR이 보유 하고 있는 풀 주소의 고갈시기를 2016년 1월로 예측하고 있다.

O Tony Hain에 의한 주소공간 소비의 실제적인 보고서 (A Pragmatic Report on IPv4 address Space Consumption)

Tony Hain에 의한 리포트에서는 과거 5년간을 이용하여 예측하고 있다. 그 이유 자료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NIDA), http://www.nida.or.kr IPv4 10 5 [그림 2-3] RIR별 IPv6주소 할당 현황 는 주소의 소비를 그래프로 그려서 계산한 결과 과거 약 년 전에서 약 년 전까지와 약 5년 전부터 현재까지의 소비 곡선이 달라졌으며, 특히 최근 5년 부분의 . Tony Hain IPv4 [표 2-4]와 [그림 2-3]은 RIR별 IPv6주소 할당 현황을 나타낸 것으로 RIPENCC가 소비속도가 빨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에 의한 주소고갈 IANA RIR 2009 2016 32,602개(57.0%)로 가장 많은 IPv6 주소 수를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APNIC이 예측에서는 및 주소 풀이 고갈하는 시기로써 년부터 년 사이로 . 24,178개(42.0%)로 많은 주소 수를 확보하고 있다. 예측하고 있다

O Geoff Huston ISP Column 2절 IPv4 주소고갈 현황 에 의한

Geoff Huston에 의한 리포트는 앞서 Geoff Huston이 작성한 ‘IP 주소 공간 리포트’ 인터넷의 보급은 IPv4 주소 사용량의 증대와 불가분의 관계이다. 약 10년 전부터 (IP Address Space Report)의 고갈예측시기의 예측논리를 변경한 것이다. 변경의 중 세계적으로 인터넷이 급격히 보급됨으로써 32비트 공간이라는 유한의 IPv4 주소공 요한 포인트는 과거 10년을 이요d하였던 것을 약 3년 (1,200일)으로 변경하고 있다 간이 부족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IPv4 주소이용 추세와 향후 예측을 2003년부터 는 점이다. 그 외의 논지는 거의 동일하다고 봐도 좋다. 2005년에 걸쳐 각국의 IP 주소 전문가가 IPv4 주소고갈 시기에 관해 다양한 각도에 서 예측하여 각종 리포트를 발표해 왔다. 이 리포트에 따르면 RIR의 주소풀이 고갈하는 것은 2013년 3월 23일로 하고 있 다. 단 이 리포트도 ‘IP 주소 공간 리포트’ (IP Address Space Report)와 마찬가지로 2.2.1 IPv4 주소고갈 예측에 관한 연구 IP주소의 분배, 할당상황에 따라 매일 갱신되고 있기 때문에 본 보고서가 읽혀질 때 에는 또 다른 예측이 나올 수 있다. O Geoff Huston에 의한 IP 주소 공간 리포트(IP Address Space Report) [표 2-5]는 IPv4 주소고갈에 대한 각 리포트의 요약을 나타낸 것이다. Geoff Huston에 의한 이 리포트에서는 과거 BGP3) 라우팅 테이블과 각 RIR4)의 분배리포트와 IANA의 RIR로의 분배상황 등 수많은 IPv4 주소 소비 예측에 유용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또한 IPv4 주소 공간을 상세하게 분류하고 각각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감안한 상태에서 이들 중에 LIR이나 최종 사용자에게 분배하

3) BGP(Border Gateway Protocol / RFC4271) : 경로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하나이다. 4) RIR(Regional Internet Registy) : 특정 지역내의 IP 주소의 할당업무를 하는 레지스트리의 총칭

- 13 - - 14 - [표 2-5] IPv4 주소고갈에 대한 각 리포트의 요약 (2006년 7월 기준) Internet Protocol Journal IP Address Space (A Pragmatic The ISP Column 문서명 The ISP Column report (potaroo) Report on IPv4 (Numerology) address Space Consumption) 발 행 2005. 12. 28 2003년 7월 2005년 9월 2005년 11월 년 월 필 자 Geoff Huston Geoff Huston Tony Hain Geoff Huston - 과거 10년간의 경향 - 과거 10년간의 경 - 과거 5년간의 경향 - 과거 10년간의 경 을 장래로 연장해서 향을 장래로 연장해 을 장래로 연장해서 향을 장래로 연장해 예측의 예측 서 예측 예측 서 예측 특 징 - BGP5)의 경로수를 - BGP의 경로수를 - BGP의 경로수를 고려 고려 고려 국제주소관리 기구 수준 2013년 1월 2021년 2012년 1월 24일 (IANA) 대 륙 별 2009년-2016년 자료 출처 : IPv4 Address Report, http://www.potaroo.net/ 관리기구 2016년 1월 2022년 2013년 3월 23일 수 준 (RIR) [그림 2-4] 주소관리 기구별 IPv4주소 감소율 현황 ISP별 수 준 2022년 8월 2029년 - 2017년 1월 16일 (BGP) 2.2.3 IPv4 주소 고갈 예측시계 BT IPv4 (http://www.potaroo.net/) 자료 출처 : 한국정보사회진흥원(NIA), IPv4 주소고갈에 대한 제언 사에서 운영중인 주소 보고서 사이트 의 자료들 을 근거로 하여 http://penrose.uk6x.com/ 사이트에 IPv4 주소고갈 예측 시계가 2.2.2 IPv4 주소고갈로 예상되는 문제점 남은 시간을 기준으로 매 시각 갱신되고 있다. 다음 [그림 2-5]는 IPv4 주소고갈 예 측 시계를 나타낸 것이다. (2007.12.20 기준)

[표 2-6]는 IPv4 주소고갈로 예상되는 문제점을 조사한 것이다.

[표 2-6] IPv4 주소고갈로 예상되는 문제점 조사 (2006년 7월 기준)

구 분 예상 문제점 IPv4 주소에 대한 갑작스런 수요 증가, IPv4 주소 사용 회피, IPv4 주소고갈 전 주소 고갈 시점의 연기 정책, IPv4/IPv6 혼재 IPv4 주소고갈 시점 주소의 재분배, IPv4/IPv6 혼재 IPv4 주소고갈 이후 IPv4 주소 거래, IPv6로의 이행, IPv4 인터넷 유지, IPv4/IPv6 혼재

자료 출처 : 한국정보사회진흥원(NIA), IPv4 주소고갈에 대한 제언 (2007.12.20 기준) 자료 출처 : IPv4 고갈 측정 프로그램 [그림 2-5] IPv4 주소고갈 예측 시계 5) BGP (Border Gateway Protocol/RFC4271) : 경로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하 나

- 15 - - 16 - 제 3 장 IPv6 정책 및 표준화 활동 실제 공공분야의 IPv6 선도 도입을 촉진하기 위하여 IT839 전략에 따라 추진하고 있는 각종 시범사업 참여기준에 IPv6 적용을 의무화하고, IPv6 기술교육 및 홍보활동을 강화하며, 향후 통신·방송 융합과 유·무선 통합환경에 맞는 이동성 및 고품질 보장 1절 국내․외 IPv6 정책 기술 등의 핵심기술을 개발하여 유비쿼터스 기반 환경으로 IPv6 기술이 이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3.1.1 국내 IPv6 정책 앞으로 본 계획을 통해 IPv6의 성공적 도입으로 IT839 전략 추진에 필요한 All-IP 환경의 기반인프라 제공으로 u-KOREA 건설을 촉진하고, 풍부한 IPv6 주소자원을 1) IPv6 보급 촉진 기본계획Ⅱ 바탕으로 사업자들이 인터넷 TV(IPTV), TV포탈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IT서비스 산업의 활성화가 기대되며, IPv6 기반의 장비와 단말 등 인터넷 장비산업의 정통부는 2004년에 수립한 “IPv6 보급 촉진 기본계획”에 대하여 그동안의 추진 발전이 크게 기대된다. 성과 ('04~'06년), 국내·외 시장동향 및 기술변화 추이 등을 반영한 “IPv6 보급 촉진 기본계획Ⅱ”를 수립하여 2006년 12월 28일에 발표하였다. 이는 그간 정부의 IPv6 정 2)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IPv6 안건 협의 책을 현시점에 맞게 재조정한 것이다. 2001년 2월에는 “인터넷 신 주소체계 도입을 통한 차세대 인터넷 기반구축 계획”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는 과학기술정책, 과학기술혁신관련 산업정책․인력정책 및 을 발표하였었고, 2000~2002년에는 IPv6 애플리케이션 개발, 6NGIX 구축 등과 같이 지역기술혁신정책과 국가연구개발사업에 관한 정책에 대해 조정하며, 국가연구개발 국내에 IPv6 토양을 다지는 기반 조성 사업들을 진행하였었다. 2004년 4월부터는 정 예산의 배분, 조정 등에 대해 협의한다. 통부에서 IT839 정책과 KOREAv6를 본격적으로 추진함에 따라 IPv6를 통한 미래 본 회의의 의장은 과학기술부장관이며 위원은 재정경제부 등 11개 관련부처 장관 신성장동력을 추진하는 시범사업을 수행하였었다. 과 국무조정실장, 대통령비서실 정책기획수석․정보과학기술보좌관, 과학기술혁신본 이번에 마련된 “IPv6 보급 촉진 기본계획Ⅱ”는 2010년까지 정부 및 공공기관의 부장들이다. IPv6 도입을 완료하고, IPv6 이용자 1,000만 명 확보를 목표로 IPv6 도입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각종 제도개선, 기존 윈도우 사용자 (윈도우 2000, 2003, XP)에 대한 IPv6 지원프로그램 공급기관 확대, IPv6 시범망을 관련업체의 제품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테스트베드로 제공하는 등의 새로운 계획을 마련하였다. 다음 [그림 3-1]은 IPv6 보급촉진기본계획Ⅱ의 세부 추진 내역 및 목표를 나타낸 것이다.

자료출처 :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과학기술혁신본부 운영계획, 2004. 11 자료출처 : 정보통신부, 2007 IPv6 보급 촉진 로드맵 [그림 3-2] 과학기술혁신본부 조직도 [그림 3-1] IPv6 보급 촉진 기본계획Ⅱ의 세부 추진 내역 및 목표

- 17 - - 18 - 조직의 운영은 [그림 3-2]와 같이 실무조정회의에서 의장인 과학기술혁신본부장과 2. 기술개발 및 표준화 활동 강화 정통부 관계부처 1급 위원들이 지원하고 있다. 이것은 협의나 조정이 필요한 과학기술혁신 ④ 핵심기술개발 추진 계속 (산자부, 과기부) 정책 현안이 있을 경우 수시로 개최된다. ⑤ 표준화 활동 강화 정통부, 산자부 계속 3. IPv6 기반의 응용서비스 개발 보급 정통부 ⑥ 민․관 협력체계 구축 운영 ’07. 6월 O IPv6 추진현황 (기예처, 업계) 정통부 ⑦ IPv6 시범사업 추진 ‘07. 5월~11월 (업계) 2007년 5월 정통부의 ‘차세대 인터넷프로토콜(IPv6) 이용 활성화 대책‘에 따르면 4. IPv6 보급․촉진을 위한 제도 개선 정부 및 공공기관은 2010년까지 IPv6 보급 확산을 위해 선도적이고 단계적인 전환 ⑧ IP주소할당세칙 및 도메인이름관리준칙 개정 정통부 ’07. 12월 재경부, 기예처, . IPv6 ⑨ 2008년도 세출예산집행지침 등 개정 협의 추진 ‘07. 하반기 계획을 추진중에 있다 또한 주소할당지침과 공공기관 인터넷 전화 참조모델 조달청(정통부) . 정통부 등의 수립을 위한 제도를 정비하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다 ⑩ IPv6 전략협의회 개최 ‘07. 9월 (업계) IPv6 현재 국내 통신사업자의 통신망중 무선 통신망은 로 대부분 전환되었지만 유 자료출처 : 정보통신부, 차세대 인터넷프로토콜 이용 활성화 대책 2007, 5 선통신망은 투자비의 부담으로 약 14.8%만을 IPv6로 전환하였다. 인터넷 장비시장 에서는 시스코, 주니퍼 등이 국내․외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IPv6 핵심 3) IPv6 콘텐츠 협의회 기술의 개발 및 기술이전을 통하여 중소 업체의 육성이 필요한 실정이다. 2007년 11월 9일 정통부 주최로 IPv6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협의하였다. O IPv6 이용 활성화 대책 협의회 위원은 정통부를 중심으로 한국정보사회진흥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인 터넷진흥원 등의 유관기관과 관계기업체의 위원 및 수행원 32명이 참석하였다. 본 본 회의에서 정통부가 내세운 활성화 대책에 의하면 IPv6 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 회의의 목적은 ISP, CP, 포털사업자 등에게 정부정책을 홍보하고, 인터넷 콘텐츠의 신망의 고도화를 내세웠다. 2010년까지 정부 및 공공분야의 통신망과 시스템을 IPv4 효율적인 IPv6 전환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것이다. 와 IPv6가 동시에 지원되도록 전환 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통신 사업자의 상용 통 본 회의를 통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현재 제공하고 있는 IPv4 기반 서 신망은 2010년까지 주요 전달망과 2013년까지 모든 가입자망에 대하여 IPv6 적용을 비스를 IPv6로 전환할 경우 이를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한 것을 인식하였다. 완료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한국정보사회진흥원에서 운용하고 있는 IPv6 가입자망(6KANet)과 포털사이 기술개발 및 표준화 활동 강화를 위해서 정부는 차세대 이동성 기술과 저전력 트(Vsix.net)를 이용하여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중에 있다. 또한 기존의 콘텐 IPv6 패킷전송 등의 주요 표준화 이슈를 발굴하여 국내 및 국제 표준화를 위해 적 츠를 IPv6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준비사항, 관련 기술 등에 대한 교육을 위해 통신사 극 추진하도록 하였다. 그 외에도 ISP, 포털사업자 등의 관련업체를 포함한 민․관 업자, 장비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전문가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ISP, 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기존 서비스를 IPv6로 전환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CP 등을 위한 교육과정을 추가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표 3-1]은 IPv6 이용 활성화 대책 및 추진일정을 나타낸 것이다. 4) IT839 전략 [표 3-1] IPv6 이용 활성화 대책 및 추진일정

추진과제 주관부처(협조) 추진일정 2004년 2월 처음 발표된 IT839 전략은 우리나라 IT산업 정책 전반을 포괄하는 1. IPv6 기반의 통신망 고도화 최상위 전략으로서, IT 산업의 미래 좌표를 제시하고 유비쿼터스 IT시대를 주도할 정통부 전달망 ‘10년 ① 통신사업자 상용망의 IPv6 전환 추진 (업계) 가입자망 ‘13년 신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 후 이 전략은 기존 8-3-9 체계를 정통부 ② 전자정부통신망 이용기관에 IPv6 확대 적용 ‘10년까지 , IT · (전부처, 지자체) 최대한 유지하면서 그동안의 기술 시장 환경 변화와 정책 우선순위를 반영하는 정통부 2006 2 IT839 ③ 국내 연구망을 테스트베드로 제공 ‘10년까지 범위 내에서 필요 최소한도로 추진하고자 년 월 새로이 조정된 전략을 (과기부, 업계) 발표하게 되었다. 조정된 전략에서는 서비스⟶인프라⟶신성장 동력으로 이어지는

- 19 - - 20 - 각 부문의 개념과 역할을 명 확 히 설정하는 한편, 8-3-9 부문간 연계성을 극대화하 5) IPv6 시범사업 KOREAv6 는 방향으로 일부 품목을 변경하였다. 다음 [그림 3-3]은 IT839 전략의 조정된 부문별 전략품목을 비교한 것이다. O 2007년 IPv6 시범사업 (KOREAv6) 추진 계획

O 3대 인프라 부문 2007년도 IPv6 시범사업은 경찰청, 지방자치단체, 통신사업자 및 장비제조업체 등 13개 기관(업체)이 총 38.5억 원 (정부 16억, 민간 22.5억)을 투입하여 2007년 말까지 USN의 칩, 태그, 리더기 등 기기적 요소를 신설된 RFID/USN 기기로 이동하였고 IPv6 이용자 20만명 및 176개 이용기관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광대역통합망의 기기적 요소를 기존 홈 네트워크와 통합하여 광대역/홈 네트워크 따라서 IPv6 기반의 대중적이고 보편적인 서비스를 발굴하여 일반 이용자에게 제공 기기로 하고, IP 미디어 등 서비스 요소들은 광대역 융합 서비스로 이동하는 한편, 하고, 2007년 말 상용서비스로 전환되면 국내 IPv6 이용도 더욱 활성화되고, 공공기관 기존 IPv6는 서비스 영역의 확대로 광대역통합망에 통합되었다. 또한 새로 신설된 의 IPv6 선도 도입을 촉진하여 국산 IPv6 장비에 대한 수요창출과 유비쿼터스 사회 소프트 인프라웨어는 소프트웨어와 인프라의 합성어로서 유비쿼터스와 컨버전스 를 앞당기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 [표 3-2]는 2007년도 IPv6 시범사 사회에서 이 영역이 핵심 인프라 역할을 하게 되었으므로 추가되었다. 업 KOREAv6를 설명하고 있다.

[표 3-2] 2007년도 IPv6 시범사업(KOREAv6)

참여기관․ 과제명 추진내용 업체 o IPv6 전용 UCC 서비스 개발 IPv6 UCC - IPv6 기반의 UCC 서비스, 블로그 서비스, 실시간 영상 전송 서비스 , 포털서비스 - IPv6 네트워크 카메라를 활용한 원격영상제어 서비스 아이비트 - IPv6 전용 UCC를 영문 콘텐츠로 제작하여 해외에 국내 IPv6 현황을 홍보 o IPv6기반의 음성과 영상 인터넷전화를 경찰청의 신고 시스템 및 미래환경에 대비한 SK네트웍스, 범죄 검거 시스템과 연계하여 국내 치안 환경 고도화 IPv6기반의 경찰청, - 영상 112 신고 서비스 치안서비스 고도화 삼성전자 - IPv6 기반 지능형 방범존을 통한 범죄자 검거 시스템 대구광역시의 o VoIPv6 시스템을 구축하여 대구시청 사용자에게 IPv6 기반의 VoIPv6분야 LG데이콤, 인터넷전화 서비스 제공 u-행정기반구축을 대구시청 - IPv6 기반 인터넷 전화, 메신저 통화, 주소관리 서비스 위한 IP망 시범사업 o 강릉시에 IPv6 유.무선 시범망을 구축하여 산불감시, 하천범람 감시 등 IPv6 기반 u-Blue 의 재난감시 서비스 등 제공 KT, , City 구현 및 - 경포대 무선 IPv6 시범서비스 A&D 시범서비스 - 강릉종합경기장 관리시스템 서비스 엔지니어링 - 산불감시, 하천범람 감시 등 재난감시서비스 IPv6기반 도농복합 o 도농복합 지역에 적합한 IPv6 통신망 구축 및 농촌지역에 적합한 KT, 중소도시 맞춤형 응용서비스 제공 공주시청, u-City 시범서비스 - 독거노인관리서비스, 관광안내서비스 등 에듀테크 자료출처 : 정보통신부, IT839 전략 자료출처 : 정보통신부, 2007. 08 발표자료 [그림 3-3] IT839 부문별 전략 재조정

- 21 - - 22 - 정통부에 따르면 KT, SK텔레콤, LG데이콤, KTF, 하나로텔레콤, LG텔레콤 등 주요 유무선 통신사업자들은 2008년부터 IPv6 상용화를 본격화하기 위해 관련 장비 및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T는 현재 IP 프리미엄 망의 백본 31개 노드를 모두 IPv4/IPv6 듀얼스택 장비로 구축했으며 2005년부터 IPv6 시범사업에 참여해 IPv6 기반의 와이브로 응용·콘텐츠· 시범서비스 등 3개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LG데이콤의 경우 자체적인 IPv6 상용망의 단계적인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정통부의 공공기관 VoIPv6 시범사업에도 나서고 있다. 현재 전국 6개 지역에 IPv6 백본을 구축했으며 국방부, 기상청, KISTI에 IPv6 기반의 VoIP 상용서비스를 제공하 고 있다. 자료출처 : IPv6 포럼코리아 워크샵 발표자료 SK텔레콤은 2007년까지 IP 백본에 대한 장비 대체 및 업그레이드를 통해 IPv6 기 [그림 3-4] 미국 IPv6 주소 사용률 예상 그래프 반을 구축하고 WCDMA에 대한 IPv6 기능개발 및 검증을 추진했다. KTF는 2004년 CDMA 기반 IPv6 시험망을 구축하고 한국정보사회진흥원과 'IPv6 Mobile 홈네트워크 시험망 구축 및 시범 서비스'를 수행했으며 IPv6 기반의 IMS(IP O 미 예산 관리국 Multimedia Subsystem)6) 구축 및 서비스 개발을 추진했다. 정통부는 2007년 이후 통신사업자들의 IPv6 도입 일정이 구체화되면 장비제조업 미 예산 관리국은 2005년 6월에 기업의 정보관리 책임자들에게 보낸 정부시책을 체가 출시한 IPv6 관련 제품들도 본격적으로 활용되고 향후 신규제품의 출시시기를 통해 2008년 6월까지 IPv6로 전환을 권고함과 동시에 망 전환계획 및 응용서비스 앞당기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모델 수립을 요청하였다. 다음의 [표 3-3]은 미 예산 관리국의 IPv6 전환 계획의 주 요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표 3-3] 미 예산 관리국의 IPv6 전환 계획 주요 내용 3.1.2 해외 IPv6 정책 단 계 전환 내용 - 연방 정부 기관은 IPv6 전환을 담당할 담당자 임명 1) 미국의 IPv6 정책 1단계 - 라우터, 스위치, 방화벽 등 IP장비들의 재고목록 작성 완료 (~2005. 11) - IPv6 전환 시의 경제적/운영상의 영향 및 위험 분석 시작 선도적인 인터넷 도입을 통해 인터넷산업의 주요시장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은 차 - CIO(Chief Information Officer) Architecture and Infrastructure 세대 인터넷에서도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하여 IPv6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중이다. Council의 전환 가이드라인을 사용하여 연방 정부 기관은 미국 정부의 선도정책으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할당된 IPv4 주소의 14억 개 이상 2단계 ‘Enterprise Architecture(EA)'의 일부로서 IPv6 전환 계획을 미 예산 을 확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세대 인터넷 시장을 선점하고자 정부가 수요자가 (~2006. 2) 관리국에 제출 되어 IPv6로의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 신기술의 도입에 있어서 정부기관이 구매자로 - 재고목록 작성 경과 및 IPv6 전환시 영향 조사 결과를 서의 역할을 하며 공공분야에서의 초기시장을 창출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미 예산관리국에 제출 [그림 3-4]는 2000년부터 2025년까지의 IPv6 주소 사용률을 예상한 그래프이다. 3단계 - IP 장비의 재고목록 작성 완료 (~2006. 6. 30) - 경제적/운영상의 영향 및 위험 분석 완료 4단계 - 미국의 모든 연방 인터넷 하부구조가 IPv4와 IPv6을 동시에 6) IMS(IP Multimedia Subsystem) : IP 기반으로 하여 음성,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등의 (~2008. 6. 30) 처리하는 듀얼스택 네트워크 전환 멀티미디어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자료출처 : GCN, http://www.gcn.com/vd1-no1/daily-updates

- 23 - - 24 - O 미 국방부 Internet2의 목적은 차세대 응용기술을 개발하고, 연구교육망 능력의 고도화를 위한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며, 새로 개발된 기술들의 상용화를 지원하는 것이다. 미 국방부는 2003년 10월부터 신규 구입하는 통신장비에 IPv6를 필수적으로 적용 대표적인 응용사업으로는 텔레비전 뉴스 Archive, 분산형의 원격 협동 과학실험, IP 하고, 2008년까지 국방정보망을 IPv6망으로 완전 전환할 예정이다. 미 국방부는 연 성능 측정, 강의/연구를 위한 네트워크 기반의 실시간 동영상, 대규모 지리정보시스 간 300억 달러 이상의 IT 인프라 구축 및 R&D 예산 중 상당 부분 IPv6로 전환을 템 분석 및 시각화 서비스, 응급의료 서비스 등이 있다. 위해 투입함으로써 IPv6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다음 [그림 3-5]는 인터넷을 통한 미래 군사력 운용 기반인 GIG(Global Information Grid)의 실제 운용 사례 보 vBNS Backbone Network Map 여주고 있다.

O Internet2 Governance

Internet2(http://www.internet2.edu)는 미국 내 120 여개의 대학들이 업계 및 정 부기관과의 협력하에 진보된 연구, 교육을 지원하는 차세대 인터넷 기술과 응용을 개발하기 위한 대학연합 주도의 공동연구 사업이다. 1997년 9월에 사업의 효율적 진행과 백본망인 Abilene 망의 성공적 구축을 지원 하기 위해 UCAID(University Corporation for Advanced Internet Development) 기구를 조직하였는데, UCAID 집행위는 사업의 추진 방향과 전략에 대한 기본 방향 을 제시하였고,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MIG Seminar -- ken lindahl 27 October 1999 11 자료출처 : http://bmrc.berkeley.edu/courseware/cs298/fall99/lindahl/talk1099.ppt#11, 2007.12 [그림 3-6] vBNS 백본 및 회선 구성도

Internet2의 백본은 [그림 3-5], [그림 3-6]과 같이 Abilene, vBNS(very high-speed Backbone Network Service)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기에는 vBNS를 백본망으로 하여 참여대학의 학내망을 연결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였고, 1999년부터 Abilene을 중심으 로 vBNS와 함께 Internet2 백본을 형성하고 있다.

2) 유럽의 IPv6 정책

O 유럽연합(EU) 자료출처 : Stanford, http://www.stanford.edu/services/internet2/vbns.html, 2007.12 [그림 3-5] vBNS 백본별 위치 구성도 유럽연합(EU)은 2001년 유럽 내에서의 IPv6 보급과 대규모의 배치를 위해 유럽

- 25 - - 26 - 산업계의 요청에 따라 EC IPv6TF를 설립하였다. Task Force에서 내린 결정사항과 O 캐나다 : CA*Net 프로젝트 권고사항들은 2002년 European Council 회의에 제출되었고, e-Europe 2005의 일부 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인 IPv6로의 전환이 추진되게 되었다. Task Force의 가장 IP를 이용한 교육, 연구 기관인 CA*Net는 캐나다 Canarie를 중심으로 개발중인 큰 업적으로는 유럽 국회가 IPv6로의 전환을 위한 활동을 다루게 하였다는 것이다. 차세대 인터넷 연구개발 망 구축 프로젝트로 2006년에 끝난 CA*Net2는 OC-3 회 또한 EC IPv6TF는 유럽의 국가별로 IPv6TF를 만들어 IPv6 관련 정책의 조율과 선7)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ATM PVC8) 백본을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2007 기술개발에 협력하고 있다. 2004년 1월 브뤼셀에서 IPv6 Task Force의 협력으로 년부터 새로이 시작된 CA*Net3는 현재 OC-489) DWDM10)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Global IPv6 Service Launch Event 가 개최됐다. 그 결과 EC는 IST(Informational 인터넷 망 구축작업을 진행중이다. CA*Net2의 IPv6 연구결과로는 Viagenie사를 중 Society Technology) 주관으로 2000년부터 40개 이상의 IPv6 프로젝트를 추진하였으며, 심으로 GiGaPop(GiGabit capacity Point of presence) 연결을 통한 IPv6 ATM PVC 2005년 현재 19개 프로젝트를 진행중에 있다. 특히 IPv6를 4G(4세대 이동통신) 이동 연결 및 기존 6bone11)과의 연결을 추진하였으며, STARTAP12)과의 IPv6 native 연결 통신과 Mobile TV(DVB-H)의 핵심기술로 선정하고 관련된 원천 기술을 축적하고 있 을 포함하고 있다. 다. 유럽 통신 산업체들은 라우팅 장비, 가전기기, 응용프로그램 부분에 걸쳐 사용가능한 [그림 3-7]과 같이 현재 진행중인 CA*Net3에서의 IPv6 망 구축작업은 PC 기반의 IPv6 제품을 준비중이다. 특히 Ericsson과 Nokia를 중심으로 Mobile 기술 및 서비스 터널링 서버/라우터를 각각의 GiGaPoP에 구축하여 운영중이며, 6to413), 6over414)와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스웨덴의 Skanova는 2001년부터 IPv6 상용서비스를 실시중이다. 같은 전환 기술들을 실험중에 있다. 현재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작업은 완료되었으 며, 이 네트워크 위에서 응용들을 실험중에 있다. O NATO C3

NATO C3(Consultation, Command and Control) Agency의 Rob Goode는 유럽 각 국 국방부의 IPv6 전환계획을 발표하였다. 오스트리아는 국방부 정책으로 2005년부 터 2013년까지 IPv6 전환을 의무화하기로 하였다. 프랑스는 2003년 MoD에서 듀얼 스택 시스템과 아키텍처 설계 시 IPv6 기능의 반영을 직접 요구하였으며, 스웨덴은 7) OC-3 : 155.560Mbps의 디지털 회선 또는 전용선이다. ANSI(미국표준협회)가 표준화한 동 2005년부터 신규 클라이언트에 듀얼스택을 채택하기로 결정하였다. 독일은 2007년부 기식 광통신망(SONET) 신호 계층에서 OC-1 회선(51.840Mbps) 3개를 다중화한 회선이다. 터 독일 연방군의 IT 시스템에 IPv6를 적용하여 미국 등 동맹국과의 연합작전 및 8) PVC(Permanent Virtual Circuit) : 고정 가상 회선은 패킷 교환망이나 ATM 망에서 특정 단말기 간을 고정적으로 접속해서 가상 회선을 설정하는 방식이다. 이 형태로 접속된 기기 간에는 언제나 데이터 . , 육해공 협력 작전의 효율 향상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또한 독일 연방군의 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이용자는 전용 회선과 동일한 감각으로 이용할 수 있다. IPv6 로드맵을 작성하였다. 9) OC-48 : 전송 속도 2 488Gbps의 디지털 회선 또는 전용선 미국표준협회 ANSI 가 표준화한 동기식 광통신망 SONET 신호 계층에서 OC 1 회선 51 840Mbps 48개 또는 OC 3 회선 155 560Mbps 16 개를 다중화한 고속 회선이다. O 노르웨이 : UNINETT 프로젝트 10)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파장분할다중화(WDM)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분 할되는 파장간 사이 밀도가 좁아져 용량과 채널을 대폭 늘어나게 한 고밀도 기술을 말한다. 11) 6bone : 1996 IPv6 . TCP/IP IPv4 UNINETT는 노르웨이에서 추진중인 ATM PVC 기반의 초고속 연구망으로 년에 구축된 이 취급하는 기간망이다 현재 인터넷이나 네트워크는 를 이용하고 있다. IPv6 관련 기술을 연구 개발하기 위한 통신망으로 북미, 유럽과 아시아 등 40여 20여 개의 연구소가 주축이 되어 차세대 인터넷 관련한 기술들을 시험중에 있다. 대 개국의 연구 기관과 라우터 벤더 등이 접속되어 있다. 표적인 프로젝트로는 IPv6 백본 구축, QoS, Mobility, Wireless 등이며, 이 중에서 12) STARTAP(The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Transit Access Point) : 미국 차세대 인터넷 교환센터 IPv6 테스트베드는 CISCO 4000 시리즈 IOS IPv6 베타 버전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13) 6to4 : 기존 IPv4 망을 전달망으로 사용해 섬처럼 서로 떨어져 있는 IPv6 망들을 연결시켜주는 터 있다. 이를 통하여, UNINETT IPv6 망은 현재 Tunnel Broker, IPv6 Native 실험실 널링 기술의 하나로, IPv6 주소에 IPv4 주소를 삽입해 IPv4 망에서는 IPv4 패킷으로 라우팅 처리되 구축, IPv6 DNS, FTP 프락시, IPv6 NAT(CISCO), Wireless Mobile IPv6 등을 실험중에 있다. 고 IPv6 망에서는 IPv6 패킷으로 라우팅 처리되는 기술이다. 14) 6over4 : 멀티캐스트가 가능한 IPv4의 듀얼스택 노드 사이에서 IPv6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 는 변환기술이다.

- 27 - - 28 - 3) 일본의 IPv6 정책

일본은 2001년 e-Japan 전략 수립 이후 2004년 12월 u-Japan 계획 수립하여 IPv6 기반 네트워크 인프라와 IT서비스를 발전시켜 2010년 세계 최첨단 유비쿼터스 사회로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06년 초에는 총리직속의 IT전략본부에서 e-Japan의 차 기전략인 ‘IT 신개혁 전략’을 발표하였고, 2008년까지 모든 일본 정부의 전자행정 서 비스를 IPv6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2007년 6월 1일에는 총무성에서 세계최첨단 정보통신국가를 지향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사회’ 건설을 위해 현실적 해결수단으로서 IPv6를 기반으로 하는 ICT 서비스·시스템 사례집을 발표하였다.

O WIDE 프로젝트

1998년부터 WIDE 등의 프로젝트를 통해 다른 국가들보다 일찍 IPv6 도입을 추진 하였던 일본은 IPv6를 신기술로서가 아닌 사회 기반기술로서 인식하고 2004년부터 Post-JGN IPv6 . 자료출처 : CANet , http://www.ot-canet.fr/ang/index.htm 사업을 기반으로 추진중이다 [그림 3-7] CA*Net3 구성도

O 프랑스 : G6bone과 Renater-2 프로젝트

프랑스는 G6라는 IPv6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며, 이와 관련하여 G6bone을 구 축하여 운영중에 있다. 1995년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대학 및 연구소를 중심으로한 IPv6 관련 실험망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참여기관으로는 CNRS15), ENST16), INRIA17), Dassault Electronique, Bull, Eurocontrol18) 등이 있다. Renater-2는 ATM 기반의 프랑스 연구개발 초고속 실험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중에서 IPv6 망 구축은 6Gbone과 연계되어 외부 6TAP과의 연동시험 등을 추진 하고 있다.

자료출처 : Wide Project, http://wide.ad.jp [그림 3-8] WIDE 6-bone 구성도

WIDE 프로젝트는 일본의 대표적인 차세대 인터넷 관련연구 프로젝트로 1998년 15) CNRS(Le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 국립과학연구센터 시작된 이래, 현재 39개의 대학과 66개의 회사들이 참여하고 있다. WIDE 프로젝트 16) ENST(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Télécommunications) : 프랑스 정보통신 대학 17) INRIA(Institut National de Recherche en Informatique et en Automatique)): 프랑스 컴퓨터 정보 내에는 총 18개의 워킹그룹들이 존재하며, 이 중에서 IPv6 관련연구가 가장 성공적으 과학 연구소 로 인정받고 있다. WIDE 프로젝트는 JB(Japan Backbone 초고속 테스트베드)를 구축 18) Dassault Electronique, Bull, Eurocontrol : 프랑스 컴퓨터 통신 관련 회사

- 29 - - 30 - 하고, 그 위에 IPv6, 멀티캐스트 등의 차세대 관련기술들을 실험중에 있으며 일년에 5) 기타 국가들의 IPv6 정책 두 번, 3월과 9월에 “WIDE 캠프”라는 IPv6 관련 워킹그룹 회의 및 데모 일정을 추 진하여 IPv6 관련 산출물의 시험작업을 추진중에 있다. 다음 [그림 3-8]은 WIDE O 대만 6-bone 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대만은 주요 망들(ASNet, TANET, TWAREN)이 IPv6를 지원하고 있으며 미국과 O KAME 프로젝트 주요 ISP들과 IPv6 연결을 지원한다. 기타 태국과 말레이시아는 이제 IPv6 배치에 관 한 과제들을 시작하고 있다. WIDE가 대학 및 연구소 중심의 프로젝트라면, KAME는 실제 IPv6 관련 코드구현을 목적으로 한 일본 7개 회사(Fujitsu, Hitachi, IIJ, NEC, Toshiba, YDC, Yokogawa)들의 O 필리핀 프로젝트로 1998년 4월부터 2000년 3월까지 2년간의 공동 프로젝트로 시작되었다. 현재 KAME 코드는 공개용으로 배포되는 코드 중 가장 안정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 필리핀 정부는 IPv6 도입 추진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정부부문의 선도적 으며, IPv6 기본규격 뿐 아니라, IPv6 기반 응용들도 제공하고 있다. 도입과 함께 민간부문 확산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피력하였다. PLDT (Philippine Long Distance Telephone Co. : 필리핀 장거리 전화회사)가 주관한 IPv6 포럼에 참석한 4) 중국의 IPv6 정책 정보통신 관련 정부관리 및 기업들은 IPv6 확산 필요성을 적극 지지하였다. 한편 관련 업계들은 IPv6는 인터넷의 성장을 가로막는 장벽으로, 휴대전화가 중국은 2000년부터 연구 교육망인 CERNET을 통해 IPv6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제 3, 4세대 단계를 거치고 있는 반면 인터넷은 여전히 제 1세대에 머물러 있음을 지 IPv6 관련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 결과 중국은 세계 최초로 자국산 라우터를 이용한 적하고 조속한 전환을 촉구하고 있다. IPv6 핵심망 ‘CNGI-CERNET2/6IX' 구축을 완료했다고 중국 신화 통신은 2006년 9월 에 발표하였다. 2절 국내․외 IPv6 표준화 활동 CNGI-CERNET2/6IX는 32비트 체계인 IPv4 대신 128비트 IPv6를 사용하여 IP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기존 망보다 높은 안정성을 확보하고 3.2.1 국내 IPv6 표준화 활동 있다. 이 네트워크는 중국산 IPv6 라우터를 사용한 최초의 국가 백본망이며 초당 2.5G~10GB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자랑한다. CNGI 백본 네트워크는 전국 20개 도 시에 분산돼 있는 25개 핵심 노드를 연결한다. 2006∼2010년까지 국가 경제사회개발 국내 IPv6 표준화 작업은 주로 TTA와 IPv6포럼코리아에서 진행하고 있다. 각 단 계획에 차세대인터넷 부문을 포함시켜 IT 국가 건설 핵심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체나 개인이 표준관련 제안서를 내면 TTA에서 인증시험, 의뢰, 보완 등 단계를 거쳐 표준으로 제정하게 된다. IPv6 포럼코리아는 IPv6 관련 표준화를 Service Transition, O CNNIC(China Internet Network Information Center) Network Deployment, IPv6 Address Policy, IOP, Service Infra, Security, Mobility 등 CNNIC는 중국의 IPv6 주소가 선진국에 한참 뒤쳐진 IPv6에 대한 자국의 현 실 관련 워킹그룹과 Deployment & Promotion Area, Technical Area에서 논의하고 있 태를 자각하여 IP주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폭적인 투자를 하기로 결정하였다. 다. 중국 정부는 2005년 말까지 중국 내 주요도시에 IPv6 사업망 구축으로 14억 위안을 투자하였으며, IPv6 네트워크는 2006년 이후에 상업적으로 운영하여 세계에서 가장 1) TTA 거대한 IPv6 상업망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IPv6 상업망은 5개 통신사 China Telecom, China Netcom, China Unicom, China Mobile, China Tietong 및 China TTA는 통신사업자, 산업체, 학계, 연구기관 및 단체 등의 상호협력과 유대를 강화 Education, Research Network가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중이다. 하고 국내․외 정보통신분야의 최신기술 및 표준에 관한 각종 정보를 수집, 조사, 연구하여 이를 보급하고 활용하게 하며 정보통신 관련 표준화에 관한 업무를 효율

- 31 - - 32 - 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정보통신 산업 및 기술진흥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기여함을 O Mobile IPv6 관련 표준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TTA에서 재정된 IPv6관련 표준은 총 97개이며 국외 IETF IETF의 mip6 WG 의 표준을 기반으로 제정된 표준은 총 3개 이다. IPv6에서의 의 IPv6, v6ops, mipv6 기타 IETF WG의 표준을 기반으로 제정된 표준과 TTA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 Mobile IPv6와 방화벽간의 문제 정의 등 표준들이 있다. 자체 표준들이 있다. [표 3-6]은 Mobile IPv6 표준 현황을 보여준다.

O IPv6 표준 [표 3-6] Mobile IPv6 표준 현황

IETF의 IPv6 WG 표준을 기반으로 제정된 표준은 총 46개 이다. IPv6 기본 표준, 표준번호 표준제목 제정일

주소 지정 관련,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 IPv6 구동환경 등 다양한 TTAE.IF-RFC3775 IPv6에서의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 2006.12

분야의 표준들이 있으며, 이 중 2006년 10월 이후의 표준 현황은 다음 [표 3-4]와 TTAE.IF-RFC3776 이동단말과 홈에이젼트간의 MIPv6 시그널링 보호를 위한 IPsec 사용 2006.12

같다. TTAE.IF-RFC4487 Mobile IPv6와 방화벽간의 문제 정의 2006.12 [ 3-4] IPv6 표 표준 현황 자료출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http://www.tta.or.kr 표준번호 표준제목 제정일 TTAE.IF-RFC3041 상태비보존형 IPv6 주소 자동할당에 대한 보안 확장 2006.12 TTAE.IF-RFC4007 IPv6 2006.12 유효 범위기반 주소 구조 O 기타 워킹그룹 표준 기반으로 나온 표준 TTAE.IF-RFC4193 고유한 로컬 IPv6 유니캐스트 주소 2006.12 TTAE.IF-RFC4022 전송 제어 프로토콜을 위한 IPv6 관리정보베이스 2006.12 TTAE.IF-RFC4087 IPv6 터널링 관리정보베이스 2006.12 IETF의 IPv6, v6ops, mip6 WG 을 제외한 기타 워킹그룹 표준을 기반으로 재정된 TTAE.IF-RFC4113 IPv6 2006.12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을 위한 관리정보베이스 표준은 총 8개 이다. [표 3-7]은 기타 워킹그룹 표준 기반 표준 현황을 보여준다. TTAE.IF-RFC4443 IPv6를 위한 인터넷 제어메시지 프로토콜 2006.12

자료출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http://www.tta.or.kr [ 3-7] O 운영 관련 표준 표 기타 워킹그룹 표준 기반 표준 현황

표준번호 표준제목 제정일 IETF의 v6ops WG 표준을 기반으로 제정된 최근 표준은 총 9개 이다. 3GPP 네트 TTAE.IF-RFC3963 NEMO를 위한 기본 IPv6 프로토콜 2006.12 워크를 위한 IPv6 전환 시나리오, 비관리형 네트워크에서의 IPv6 전환 시나리오 등 TTAE.IF-RFC3971 IPv6 환경에서 이웃 탐색 보안 기법 (SEND) 2006.12

관련 표준들이 있다. [표 3-5]는 운영 관련 표준 현황을 보여준다. TTAE.IF-RFC3972 암호학적으로 생성된 IPv6 주소 2006.12

TTAE.IF-RFC4177 IPv6 멀티호밍을 위한 구조적 접근방법 2006.12 [표 3-5] 운영 관련 표준 현황 TTAE.IF-RFC4214 사이트 내에서의 IPv6 자동 터널설정 프로토콜 (ISTAP) 2006.12 TTAE.IF-RFC4218 IPv6 멀티호밍 위협요소 2006.12 표준번호 표준제목 제정일 TTAE.IF-RFC4219 IPv6 2006.12 TTAE.IF-RFC3574 3GPP 네트워크를 위한 IPv6 전환 시나리오 2006.12 멀티호밍 개발자들의 고려사항 TTAE.IF-RFC3750 비관리형 네트워크에서의 IPv6 전환 시나리오 2006.12 TTAE.IF-RFC4380 Teredo : NAT 환경에서의 UDP를 이용한 IPv6 터널링 2006.12 TTAE.IF-RFC3904 IPv6 2006.12 비관리형 네트워크를 위한 전환 메커니즘 자료출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http://www.tta.or.kr TTAE.IF-RFC4029 ISP 네트워크에서의 IPv6 적용 시나리오 2006.12 TTAE.IF-RFC4038 응용계층에서의 IPv6 전환을 위한 요구사항 및 기법 2006.12 TTAE.IF-RFC4057 IPv6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시나리오 2006.12 O TTA 자체 표준 TTAE.IF-RFC4213 IPv6 호스트와 라우터를 위한 기본 전환메커니즘 2006.12 TTAE.IF-RFC4215 3GPP 네트워크에서의 IPv6 전환 고려사항 2006.12 TTA의 IPv6관련 표준 중에 국제표준 기반 없이 자체적으로 제정한 표준은 총 10 TTAE.IF-RFC4554 기업망에서의 IPv4-IPv6 공존을 위한 VLAN 사용 2006.12 개 이다. IPv6 IPsec IKE 표준적합성 시험, IPv6 주소 할당 지침서, 와이브로에서의 자료출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http://www.tta.or.kr IPv6 기술 등 표준들이 있다. [표 3-8]은 TTA 자체 표준 현황을 보여준다.

- 33 - - 34 - [표 3-8] TTA 자체 표준 현황 2) IPv6 포럼코리아

표준번호 표준제목 제정일 TTAS.KO-10.0125 sTLA 기반 IPv6 NLA 영역 할당 규칙 2001.12 IPv6 포럼코리아의 IPv6 관련 표준은 2006년 1월 3일에 제정된 “공공분야 인터넷 TTAS.KO-12.0032 IPv6 IPsec AH/ESP 표준적합성 시험 2005.12 VoIPv6 ” TTAS.KO-12.0033 IPv6 IPsec IKE 표준적합성 시험 2005.12 전화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참조 모델 만 발표되었고 현재 진행중인 포럼 TTAS.OT-10.0029 IPv6 주소 할당 지침서 2005.12 표준은 3개가 있다. [표 3-10]은 IPv6 관련 IPv6포럼코리아 표준 진행 현황을 보여준 TTAS.KO-01.0096 IPv6 애니캐스트 기반 디폴트 IPv6 DNS 주소 2006.12 다. TTAS.KO-10.0207 IPv6 기반 CDMA/WLAN 이종망간 연동기법 2006.12 TTAS.KO-10.0208 CDMA에서의 IPv6 주소 설정 기법 2006.12 [표 3-10] IPv6 관련 IPv6 포럼코리아 표준 진행 현황 TTAS.KO-10.0209 CDMA 망 상에서의 IPv6 네트워크 전환기법 2006.12 문서번호 표준제목 담당그룹 TTAS.KO-10.0210 와이브로에서의 IPv6 기술 2006.12 TTAS.KO-12.0043 IPv6 네트워크를 위한 침입탐지 및 방지 기능 요구사항 2006.12 WD-IPv6FS-6-1-R1-v1.0 WiBro상에서의 IPv6 Mobile WG WD-IPv6FS-7-1-R1-v1.0 저전력 개인네트워크에서의 IPv6 도입 Convergence WG 자료출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http://www.tta.or.kr WD-IPv6FS-8-1-R1-v1.0 일-대-다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적합한 멀티캐스트 보안 Security WG

자료출처 : IPv6 포럼코리아, http://www.ipv6.or.kr/ O IPv6 관련 표준 제안

IPv6 관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TA의 PG210 등이 TTA에 제안한 표준들은 총 3.2.2 해외 IPv6 표준화 현황 16개 있다. 계층적인 IPv6 이동성관리, IPv6노드 요구사항, IPv6 노드 정보 쿼리 등 표준 제안들이 있다. [표 3-9]는 IPv6 관련 TTA의 표준 제안 현황을 보여준다. 해외 IPv6 기술 표준화는 IETF의 IPv6와 v6ops WG(Working Group)을 중심으로 mip6, monami6, shim6, 6lowpan, mipshop, nemo, manet, hip, magma, dna, [표 3-9] IPv6 관련 TTA의 표준 제안 현황 softwire, trill, nsis 등 관련 워킹그룹에서 논의중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IPv6, v6ops, 제안번호 제안과제명 제안일 mip6, monami6, shim6, 6lowpan 6개의 워킹그룹에서 제정한 표준들을 바탕으로 2007-360 IEEE 802.15.4 네트워크에서 IPv6 패킷 전송 2007.05.28 2006 10 IPv6 . [ 3-11] 2007-489 Mobile IPv6를 위한 Mobile 노드 ID 옵션 2007.08.13 년 월 이후의 국외 표준화 현황을 제시한다 표 은 현재까지 작성 2007-490 Mobile IPv6 부트스트래핑의 문제 정의 2007.08.13 된 해외 IPv6 표준의 전체 현황을 보여준다. 2007-491 802.16기반 네트워크를 위한 IPv6 링크 모델 분석 2007.08.13 2007-492 IPv6 전환/상호존재 보안 고려사항 2007.08.13 2007-564 저전력 개인너트워크상의 IPv6 : 개요, 가정, 문제정의 및 목표 2007.08.13 [표 3-11] 해외 IPv6 표준 전체 현황 2007-565 이동 IPv6를 위한 빠른 핸드오버 2007.08.23 워킹그룹 표준(수) Draft(수) 2007-566 IPv6에서 너트워크 접속 검출하는 목적 2007.08.23 IPv6 4 4 2007-568 계층적인 IPv6 이동성관리 2007.08.23 v6ops 8 8 2007-569 802.11네트워크에서의 이동 IPv6의 빠른 핸드오버 2007.08.23 mip6 4 12 2007-572 브로드밴드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IPv6보급 시나리오 2007.08.23 monami6 0 3 2007-573 IPv6노드 요구사항 2007.08.23 shim6 0 6 6lowpan 2 0 2007-574 IPv6이웃탐색 프락시(ND 프락시) 2007.08.23 2007-575 링크-범주의 IPv6 멀티캐스트 주소를 생성하는 방법 2007.08.24 자료출처 : IETF Working Group, http://www.ietf.org/ 2007-576 IPv6 노드 정보 쿼리 2007.08.24 1) IPv6 2007-578 초소형 TCP/IPv6 기능 프로파일 2007.08.27 IPv6 WG은 IPv6 명세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인터넷 주소 부족을 포함해 기존의 자료출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http://www.tta.or.kr IPv4가 갖는 여러 가지 제약사항들을 해결하기 위해 1994년 초부터 IPNG(Internet Protocol for Next Generation) WG으로 IPv6 관련 핵심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화를 시작하였으며 2002년 IPv6 WG으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표준화 활동을 지속하여 왔 다. IPv6 WG에서는 IPv6 프로토콜의 표준을 완성하고 구현과 전개 경험을 기반으

- 35 - - 36 - 로 한 IPv6 명세서를 재검토 및 업데이트하는 등 표준화 작업을 통해 IPv6와 관련 2) v6ops(IPv6 Operations) 된 표준 83개를 작성하였다. v6ops WG은 실제로 IPv4에서 IPv6로의 전환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하고 O IPv6 표준 또한 어떤 방식으로 전환을 시도할 것인가를 파악하기 위한 그룹이다. v6ops WG에 서는 Enterprise, 3G, ISP 등 각각의 경우에 전환 시나리오 작업과 IPv6 응용, 및 IPv6 WG에서는 IPv6 기본 표준, 주소관련, MIB (Management Information Base), IPv6 응용개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표준화 하고 있다. 그리고 보안에 취약한 다양 Discovery, IPv6 구동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표준들이 있다. IPv6 WG에서 작성한 한 터널방식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표준화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IPv6 총 83개 표준 중 새로운 표준으로 폐기되거나 갱신된 표준을 제외하면 55개이다. 관련 총 27개의 표준들을 재정하였다. 예를 들면 RFC 2096은 RFC 4292 생성으로 인해 폐기 되였고 RFC 2011, RFC 2465, RFC 2466 은 RFC 4293이 생성된 후 폐기 되었다. IPv6 WG의 표준들은 대부분 2006년 전반기 이전에 발표된 것들로써 최근에 발표된 표준은 IPv6 위험 없는 주소 O v6ops 표준 자동 할당, IPv6에 위험 없는 주소 자동할당을 위한 프라이버시 확장 등 4개이다. v6ops WG에서 최근에 발표한 표준은 Enterprise 네트워크 관련 표준, ISP 네트워 IPv6 WG에서 최근에 발표한 표준 현황은 아래 [표 3-12]와 같다. 크 관련 표준, 보안 관련 표준들로 [표 3-14]와 같다. [표 3-12] IPv6 WG 표준 현황

표준번호 표준제목 표준 주제 제정일 [표 3-14] v6ops WG 표준 현황 RFC 4861 Neighbor Discovery for IP version 6 (IPv6) IPv6를 위한 Neighbor Discoverty 2007.09 표준번호 표준제목 표준 주제 제정일 IPv6 자동 주소 자동 할당(상태 RFC 4862 IPv6 Stateless Address Autoconfiguration 2007.09 ISP IPv6 Deployment Scenarios in 광대역 접근망에서 ISP의 IPv6 확산 시 비 보존형 방식) RFC 4779 2007.01 Broadband Access Networks 나리오 Privacy Extensions for Stateless Address IPv6에 자동 주소 할당을 위한 RFC 4941 2007.09 IPv6 Enterprise Network Analysis - IP IPv6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분석 - IP Autoconfiguration in IPv6 프라이버시 확장 RFC 4852 2007.04 Layer 3 Focus 계층 초점 RFC 5072 IP Version 6 over PPP PPP상의 IPv6 2007.09 RFC 4864 Local Network Protection for IPv6 IPv6를 위한 로컬 네트워크 보안 2007.05 자료출처 : IETF Working Group, http://www.ietf.org/ RFC 4891 Using IPsec to Secure IPv6-in-IPv4 Tunnels IPsec를 이용한 IPv6-in-IPv4 터널 보안 2007.05 Recommendations for Filtering ICMPv6 ICMPv6 RFC 4890 방화벽에서의 메시지 필터링을 2007.05 O 현재 진행중인 표준 Messages in Firewalls 위한 권고사항 Reasons to Move the Network Address 네트워크 주소 변환의 이동원인 : 시간 현재 진행중인 표준들로는 IPv6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한 IPv6 데이터그램 압축을 RFC 4996 Translator - Protocol Translator (NAT-PT) to 적 상태에 따른 프로토콜 변환기술 2007.07 Historic Status (NAT-PT) , IPv6 4 . [ 3-13] IPv6 WG IPv6 Neighbor Discovery On-Link IPv6 Neighbor Discovery On-Link 위한 협의 라우터 광고 표기 옵션 등 개가 있다 표 은 표준화 RFC 4943 유해 2007.09 Assumption Considered Harmful 가정 고려 작업 현황을 보여준다. IPv6 Transition Co-existence Security IPv6 IPv4/IPv6 RFC 4942 전환시 공존에 관한 보 2007.09 Considerations 안 고려사항 : IETF Working Group, http://www.ietf.org/ [표 3-13] IPv6 WG 표준화 작업 현황 자료출처

Draft명 Draft제목 Draft 주제 제안일 O 현재 진행중인 표준 draft-ietf-ipv6-ula Centrally Assigned Unique Local IPv6 IPv6 중앙 할당 방식의 유니 2007.06 -central-02.txt Unicast Addresses 캐스트 주소 draft-ietf-ipv6-deprecate Deprecation of Type 0 Routing Headers in IPv6 0 에서의 타입 라우팅 2007.06 -rh0-01 IPv6 헤더 제거 v6ops WG에서 현재 진행중인 표준들로는 802.16 네트워크에서의 IPv6 전개 시나 IPv6 draft-ietf-ipv6-compression Negotiation for IPv6 datagram compression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한 IPv6 2007.10 리오, IPv6 유니캐스트 주소 할당 고려사항, 주소 선택 기구를 위한 요구사항 등 총 -nego-v2-00.txt using IPv6 Control Protocol 데이터그램 압축을 위한 협의 8개가 있다. [표 3-15]는 v6ops WG 표준화 작업 현황을 보여준다. draft-ietf-ipv6-ra-flags IPv6 IPv6 Advertisement Flags Option 라우터 정보전달 표기 2007.09 -option-01 옵션

자료출처 : IETF Working Group, http://www.ietf.org/

- 37 - - 38 - [표 3-15] v6ops WG 표준화 작업 현황 mip6 WG에서는 IPv6관련 총 15개의 표준들을 작성하였으며 그중 RFC 3776이

Draft명 Draft제목 Draft 주제 제안일 RFC 4877에 갱신 된 것을 재외하면 IPv6에서의 이동성 지원, Mobile IPv6 라우터 draft-ietf-v6ops-802-16 IPv6 Deployment Scenarios in 802.16 802.16 IPv6 네트워크에서의 2007.04 14 , -deployment-scenarios-04 Networks 확산 시나리오 최적화 보안 설계 배경 등 총 개이며 이 중에서 최근에 발표한 표준 현황은 draft-ietf-v6ops-addcon IPv6 Unicast Address Assignment IPv6 유니캐스트 주소 할 2007.11 [표 3-16]과 같다. -07.txt Considerations 당 고려사항 draft-ietf-v6ops-scanning IPv6 Implications for Network Scanning 네트워크 스캐닝을 위한 2007.11 -implications-04 IPv6 암시 draft-ietf-v6ops-addr Requirements for address selection 주소 선택 기구를 위한 요 2007.11 O -select-req-04.txt mechanisms 구사항 현재 진행중인 표준 Problem Statement of Default Address RFC3484 디폴터 규칙의 draft-ietf-v6ops-addr Selection in Multi-prefix Environment: - 멀티 프래픽스 환경 운영 2007.10 mip6 WG에서 현재 진행중인 표준들로는 Mobile과 해당 IPv6 노드사이에 IPsec -select-ps-02.txt Operational Issues of RFC3484 Default 이슈에서 디폴터 주소선택 Rules 의 문제 기술 사용, 통합된 시나리오를 위한 MIP6-bootstraping, MIPv6에서 홈 정보 Discovery을 draft-ietf-v6ops-rfc3330 Special-Use IPv6 Addresses IPv6 2007.10 -for-ipv6-03.txt 주소 특수사용 위한 DHCP 옵션 등 총 12개가 있다. IPv6 Recommended Simple Security Capabilities 거주에 맞는 인터넷 [ 3-17] mip6 WG . draft-ietf-v6ops-cpe 표 은 표준화 작업 현황을 보여준다 in Customer Premises Equipment for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고객 2007.06 -simple-security-00 Providing Residential IPv6 Internet Service 전제 장비에서 간단한 보 안기능 권고사항 draft-ietf-v6ops-teredo Teredo Security Concerns Teredo 2007.11 [표 3-17] mip6 WG 표준화 작업 현황 -security-concerns-01 보안 고려사항 Draft명 Draft제목 Draft 주제 제안일 자료출처 : IETF Working Group, http://www.ietf.org/ draft-ietf-mip6-cn-ipsec Using IPsec between Mobile and Mobile IPv6 과 해당 2007.11 -06.txt Correspondent IPv6 Nodes 노드사이에 IPsec 사용 draft-ietf-mip6-generic Generic Notification Message for Mobile Mobile IPv6 3) mip6(Mobility for IPv6) 를 위한 2007.10 -notification-message-00 IPv6 일반적인 통지 메시지 draft-ietf-mip6 Why Authentication Data suboption is MIP6 인증 데이터 2007.08 -whyauthdataoption-04 needed for MIP6 서브옵션의 필요성 mip6 WG의 주요 목표는 광범위한 전개를 통하여 IPv6 mobility기능을 향상시키 draft-ietf-mip6-bootstrapping MIP6-bootstrapping for the Integrated 통합된 시나리오를 위한 2007.07 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WG에서는 mipv6의 상호운용성과 관련된 이슈들에 대한 신 -integrated-05.txt Scenario MIP6- bootstrapping draft-ietf-mip6-nemo Mobile IPv6 support for dual stack 듀얼 스택 호스트 및 Mobile 2007.11 속한 해결책도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기본 명세서를 유지하거나 프로토콜을 포함한 -v4traversal-06.txt Hosts and Routers (DSMIPv6) 라우터를 위한 IPv6 지원 . MIPv6 draft-ietf-mip6-ha Mobility Header Home Agent Switch 명세서 문제점의 진술과 같은 정보 문서를 제공한다 의 기본 스펙과 관련된 이동성 헤더 홈 에이전트 2007.12 -switch-06.txt Message 스위치 메시지 주요 문서가 대부분이 마무리 되어 있는 상태이고 현재는 MIPv6와 IPsec 등을 통한 draft-ietf-mip6 Home Agent Reliability Protocol 홈 에이전트 신뢰성 프로토콜 2007.11 . -hareliability-03.txt 보안성 향상 등에 대한 문서들이 적극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MIPv6 draft-ietf-mip6 DHCP Option for Home Information 에서 홈 정보 Discovery DHCP 2007.11 -hiopt-08.txt Discovery in MIPv6 을 위한 옵션 draft-ietf-mip6 O mip6 표준 RADIUS Mobile IPv6 Support RADIUS Mobile IPv6 2007.11 -radius-03.txt 지원 draft-ietf-mip6-experimental Mobile IPv6 Mobile IPv6 Experimental Messages 시험적인 2007.10 [표 3-16] mip6 WG 표준 현황 -messages-03.txt 메시지 draft-ietf-mip6-vsm Mobile IPv6 Mobile IPv6 Vendor Specific Option 매각인 특수 2007.10 표준번호 표준제목 표준 주제 제정일 -03.txt 옵션 Mobile IPv6 Operation with IKEv2 and the IKEv2 Mobile IPv6 draft-ietf-mip6 Mobile IPv6를 위한 RFC 4877 를 고려한 2007.04 Authentication Protocol for Mobile IPv6 2007.12 revised IPsec Architecture 운영과 교정된 IPsec 할당 -rfc4285bis-02.txt 인증프로토콜 IP Address Location Privacy and Mobile IP Mobile RFC 4882 주소 프라이버시와 2007.05 자료출처 : IETF Working Group, http://www.ietf.org/ IPv6: Problem Statement IPv6 : 문제점 명세 RFC 4977 Problem Statement : Dual Stack Mobility 듀얼 스택 이동성 : 문제점 기술 2007.08 MIPv6 bootstrapping RFC 5026 Mobile IPv6 bootstrapping in split scenario 분할 시나 2007.10 4) monami6(Mobile Nodes and Multiple Interfaces in IPv6) 리오

: IETF Working Group, http://www.ietf.org/ 자료출처 monami6 WG은 IPv6 멀티호밍과 Mobility 이슈를 따로 본격적으로 다루기 위하 여 신설된 그룹으로서 NEMO Basic Support와 그의 변형을 사용한 Mobile 라우터

- 39 - - 40 - 혹은 Mobile IPv6를 사용한 Mobile 호스트에서 다중주소의 동시 사용과 직송식 문 [표 3-19] shim6 WG 표준화 작업 현황

제점 조합을 위한 표준명세서 제작과 명백한 문제점 진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Draft명 Draft제목 Draft 주제 제안일 WG IPv6 멀티호밍을 위한 오류 에서는 터널 선택 기구 정의에 대한 계획을 하지 않지만 우선권 혹은 정책들에 draft-ietf-shim6-failure Failure Detection and Locator Pair 장탐지 및 Locator Pair 탐 2007.07 -detection-09 Exploration Protocol for IPv6 Multihoming 근거한 현존 기구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문서작성을 한다. 특히 활발한 패 험 프로토콜 계층 3 멀티호밍 shim 프 킷들이 상대방 피어와 교환될 수 있는 어떤 터널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draft-ietf-shim6 Applicability Statement for the Level 3 로토콜을 위한 응용성 진 2007.07 -applicability-03 Multihoming Shim Protocol (Shim6) 인터페이스 up/down 이벤트나 다른 고장 탐지기구와 같은 로컬 정보는 터널의 고 술 draft-ietf-shim6-hba-04 Hash Based Addresses (HBA) 해시 기반 주소 2007.10 장 탐지를 빠르게 사용할 수 있다. draft-ietf-shim6 shim6: Level 3 Multihoming Shim Protocol for shim6: IPv6를 위한 계층 3 2007.10 -proto-09.txt IPv6 멀티호밍 Shim 프로토콜 monami6 WG IPv6 에서 제정된 관련 표준은 아직 없고 현재 진행중인 표준은 shim6 프로토콜을 위한 디 draft-ietf-shim6-locator Default Locator-pair selection algorithm for 폴터 Locator-pair 선택 알 2007.07 Mobile IPv6에서 멀티호밍 분석, 다중 CoA19) 등록 등 총 3개가 있다. [표 3-18]은 -pair-selection-02 the SHIM6 protocol 고리즘 monami6 WG 표준화 작업 현황을 보여준다. draft-ietf-shim6-multihome Socket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멀티호밍 shim을 위한 소 2007.07 -shim-api-03 for Multihoming Shim 켓 API

[표 3-18] monami6 WG 표준화 작업 현황 자료출처 : IETF Working Group, http://www.ietf.org/

Draft명 Draft제목 Draft 주제 제안일 draft-ietf-monami6-mipv6-analysis-0 Mobile IPv6에서 멀티호밍 6) 6LoWPAN(IPv6 over Low power WPAN) Analysis of Multihoming in Mobile IPv6 2007.11 4 분석 다중 인터페이스와 글로벌 draft-ietf-monami6-multihoming-moti Motivations and Scenarios for Using 주소 사용을 위한 동기 및 2007.07 6LoWPAN WG IPv6 Adaptation Layer20) . vation-scenario-02.txt Multiple Interfaces and Global Addresses 은 기술표준을 담당하고 있다 시나리오 6LoWPAN은 IPv6를 IEEE 802.15.4 기반 Low-Rate WPAN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draft-ietf-monami6 Multiple Care-of Addresses Registration 다중 Care-of 주소 등록 2007.11 -multiplecoa-04.txt 를 연구하였으며 IPv6 패킷 전달을 위해 IEEE 802.15.4 MAC 계층과 IPv6 계층 사 21) 자료출처 : IETF Working Group, http://www.ietf.org/ 이에 Adaptation Layer를 두어 IPv6 및 UDP/TCP/ICMPv6 헤더압축, Adaptation Layer을 통한 메시 라우팅, IEEE 802.15.4의 16비트, 64비트 주소를 이용한 IPv6 주 5) shim6(Site Multihoming by IPv6 Intermediation) 소자동생성방법 등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6LoWPAN WG에서 최근에 발표 한 표준 현황은 아래 [표 3-20]과 같다. shim6 WG에서는 종단시스템 호스트의 IP 스택에 새로운 하위 계층을 끼워 넣는 IPv6기반 위치 멀티호밍 솔루션을 위한 명세서를 제공할 것이며 이 작업은 IETF [표 3-20] 6LoWPAN 표준 현황 multi6 WG을 통한 구조발전을 기반으로 한다. shim6 WG은 필요한 프로토콜 발전 표준번호 표준제목 표준 주제 제정일 . IPv6 over Low-Power Wireless Personal 과 요구된 프로토콜의 구조 및 보안 분석을 완성하는 것이다 Area Networks (6LoWPANs): Overview, 6LoWPAN , , RFC 4919 의 개요 가설 2007.08 shim6 WG IPv6 Assumptions, Problem Statement, and 문제점 명세, 목적 에서 제정된 관련 표준은 아직 없고 현재 진행중인 표준은 Goals HBA(Hash Based Addressed), 멀티호밍(Multihoming) shim을 위한 소켓 API(Application Transmission of IPv6 Packets over IEEE IEEE 802.15.4 RFC 4944 네트워크상의 2007.09 Program Interface) 등 총 6개가 있다. [표 3-19]는 shim6 WG 표준화 작업 현황을 802.15.4 Networks IPv6 Packet 전송

보여준다. 자료출처 : IETF Working Group, http://www.ietf.org/

20) IPv6 헤더를 압축하는 새로운 계층 21) UDP(User Datagram Protocol)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CMP(Internet Control 19) CoA(Care-of Address) : Message Protocol)

- 41 - - 42 - 7) 기타 워킹그룹 표준 제 4 장 IPv6 주요 응용 및 서비스

이 외에도 mipshop, nemo, manet, hip, magma, dna, softwire, trill, nsis 등 관련 1절 국내 IPv6 주요 서비스 현황 워킹그룹에서도 IPv6 관련 표준을 제정하고 있다. IPv6 관련 표준 외에도 IPv4를 위한 ad-hoc 네트워크를 위한 동적 소스라우팅 프로토콜, 호스트 정체 프로토콜 구조, 멀티캐스트 라우터 Discovery,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위한 요구사항 등 관련 4.1.1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 표준들에서도 IPv6에 관한 고려사항을 분석하고 있다. 또한 IPv6 관련하여 IEEE 802.16e 네트워크상에서의 MIPv6 빠른 핸드오버와 3G VoIP 서비스는 기존의 통신망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이 아닌 CDMA 네트워크를 위한 MIPv6 빠른 핸드오버, dna의 IPv6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인터넷 망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구현하는 새로운 방식의 통신서비스 기술이다. 부착 검색 등의 표준화가 진행중에 있다. 현재 네트워크는 점차 All-IP 네트워크로 변해가면서 VoIP 서비스에서 IPv6를 사 용하는 것은 많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우선 IPv6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IPsec은 보안 기능을 강화해 준다. 이것은 시그널링 메시지나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보안을 위해 VoIP 서버와 단말기 간에 IPv6를 사용함으로써 쉽게 보호가 가능하다. 또한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한다. 그리고 IPv6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규칙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고품질의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그램을 그 경로에 연관시키도록 허용하는 체계를 포함한다. 이는 고정 지연 시간내에 정보 전달을 보 장하고, 데이터의 손실률을 자동으로 점검해 준다. 다음 [그림 4-1]은 일반적인 VoIP 서비스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그림 4-1] VoIP 서비스 구성도

- 43 - - 44 - o 공공기관 VoIPv6 서비스 연결 구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LG데이콤은 수행 기간내에 VoIP 서비스 환경의 서비스 품질 정량화요소의 목표 공공기관 VoIPv6 시범서비스는 IT839의 8대 서비스 중 하나로 3대 인프라인 BcN 를 달성하여 10월말까지 대구시청 내 IPv6를 이용한 민원전화의 상용 전환을 완료 과 IPv6 기반에서 추진되고 있다. 이 서비스는 공공기관간 상호 운용성을 위한 참조 였다. 또한 3년 이내에 산하기관 전체에 VoIPv6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하 모델을 개발 및 검증하고 공공기관 VoIP 도입시 예산 절감 및 관련 산업 육성과 상 여 행정업무의 효율을 극대화고자 한다. 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2007년도 시장규모는 전 세계적으로 40억 달러, 한국 시 장의 경우는 8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자료출처 : 공공기관 VoIPv6 참조모델 [그림 4-3] 대구시청 VoIPv6 망 구성도 [그림 4-2] 공공기관 VoIPv6 서비스 연동 방안 4.1.2 IPv6 UCC 포털 서비스 공공기관 VoIP 참조모델은 정부기관에 VoIPv6 시스템 도입을 지원하는 도구로 사용자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사항을 정의한다. 공공기관 VoIP 참조모델에 정의된 1) 프리챌 [http://qix.freechal.com] 표준 프로파일을 수용한 제품을 구매함으로써 제품 간 호환성을 유지하고 사용자에 게 VoIPv6 시스템 이용 및 구축의 편의성, 서비스의 안전성을 제공한다. 공공기관 IPv6 UCC 포털 서비스는 IPv6 기반 서비스 망과 시스템 환경을 구축하여 IPv6 VoIP 구현을 위한 기술은 신호 프로토콜, 음성패킷 전송기술, VoIP 음성 코덱, 전용 UCC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IPv6 서비스의 저변 VoIP 정보보호 기술, 서비스 기술 등으로 구성된다. [그림 4-2]는 공공기관의 확대와 상용서비스로의 발전을 위한 서비스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VoIPv6 서비스 연동 방안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2007년 KOREAv6 시범서비스 중 하나인 IPv6 UCC 포털 서비스는 프리챌이 진행 이 서비스는 국방부, 기상청 등 26,000여 명을 대상으로 음성, 영상 VoIPv6 하고 있는 시범사업이다. 현재의 포털 시스템에서 IPv6를 도입하기 위한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KISTI, 대전시청, 대전시 보육센터, 한국정보사회진흥 구축을 위해 네트워크 변환기를 도입하였고 6KANET 백본 터널링 연동을 기반으로 원, NIDA, TTA 등의 공공기관에서도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 하여 IPv6 전용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2007년 9월에 1차로 UCC 포털 서비스를 오 픈한 후 문제점을 개선하여 11월에 2차로 원격 영상제어 서비스를 오픈하였다. 또한 O 국내 VoIPv6 시범서비스 현황 12월에는 한국정보사회진흥원 내 IPv6 체험관에서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소개하고 이를 시연하고 있다. 해당 사이트 주소는 http://qix.freechal.com이다. VoIPv6는 2007년 KOREAv6 시범서비스 중 하나로 2007년 10월 LG데이콤이 대구 현재 프리챌은 UCC 홈피 마이Q, UCC 게시판 QTV, 동영상 뉴스 등 다양한 시청에 u-행정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이 서비스는 현재 1,400명에게 350대의 IP전화 콘텐츠의 서비스를 포털에서 제공하고 있다. 다음 [그림 4-4]는 11월에 2차로 오픈한 를 공급하여 VoIPv6 상용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행정 업무의 효율을 증대하였다. UCC 포털 원격 영상제어 서비스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4-3]은 특정 운용 프로그램이 내재된 LG데이콤 IPv6 백본과 대구시청 망의

- 45 - - 46 - [표 4-1]은 프리챌의 UCC 포털의 제공 서비스에 대해 세부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표 4-1] 프리챌의 UCC 포털 제공 서비스

구 분 서비스 구축 비 고 홈피 서비스 내에 동영상의 자유로운 제작/ 업로드 UCC 홈피 ‘마이Q' 완료 기능 제공 UCC 게시판 'QTV' 오픈형 게시판 완료 동영상 뉴스 연합뉴스, SNTV 등에서 공급하는 동영상 뉴스 완료 QTV 내에 포함 동영상 지식백과 ‘지식Q' Q&A 서비스의 동영상 버전 완료 동영상 검색 마이Q, QTV, 지식Q 등 전체 콘텐츠에 대한 검색 기능 완료 Phone-to-Web 핸드폰으로 찍은 UCC를 웹으로 전송 완료 가상 룸 시스템의 꾸미기 아이템 구매를 위한 쇼핑 아이템몰 완료 몰 서비스 메 일 이메일 수신/저장/발신 서비스 완료 데모용/개인용 네트워크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재생,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원격영상 제어 서비스 2차 IPv6 전용서비스 원격 제어 기능 제공 [그림 4-4] UCC 포털 시범서비스 원격 영상제어 서비스 구성도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2) KTH [http://www.ktv6user.kr]

IPv6 개인화 서비스는 차세대 인터넷기반 구축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제 공 서비스망이다. 현재 개인화 서비스 구축을 위한 준비단계로 UCC, 개인방송, IPv6 메일 등 개인화 콘텐츠 서비스를 시행중에 있다. [그림 4-6]은 KTH 개인화 서 비스의 인터넷 초기화면 및 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그림 4-5] IPv6 기반 UCC 포털 사이트 DNS 구축 환경

[그림 4-5]는 IPv6 기반 UCC 포털 사이트에서 IPv6 전용 클라이언트와 IPv4 클라 이언트로 구축된 DNS 제어 환경을 나타낸 것이다.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그림 4-6] KTH 개인화 서비스 인터넷 초기화면 및 망 구성도

- 47 - - 48 - [그림 4-7]은 IPv6 터널 브로커를 이용한 KTH 개인화 서비스의 네트워크 구성도 [그림 4-8]은 KTH의 P2P를 이용한 개인화 서비스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IPv6 개인화 서비스가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내용이다. - IPv6 기반 UCC 서비스 - IPv6 기반 웹메일/웹하드 서비스 - IPv6 기반 개인 IP 및 DNS 서비스 - IPv6 기반 개인 웹 호스팅 서비스 - IPv6 기반 웹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Home 모니터링 서비스

본 시범사업을 통해 IPv6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과 IPv6 기반 u-city 핵심 서 비스 개발을 하였고, IPv6 시범서비스 운영을 통한 망 설계, 구축 및 운영 노하우 확보하였다. 향후 본 서비스는 통해 공공서비스를 위한 통합 네트워크 인프라 제공 및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촉진될 것이다. 또한 IT서비스의 기반마련으로 공공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업무의 효율화, 비용절감 및 대국민 서비스 개선을 추진할 것이다. [그림 4-7] KTH 개인화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도

4.1.3 IPv6 기반 치안서비스 고도화 본 서비스의 특징은 개인별로 공인 IPv6 주소 및 /64 프리픽스를 IPv6 over IPv4 터널을 이용해 할당해 주며 동시에 개인의 ID가 도메인 네임으로 등록된다. 이 도 2007년 KOREAv6 시범서비스 중 하나인 IPv6 기반 치안서비스는 경찰청과 SK네 메인 네임은 개인 PC의 homepage, 개인 방송, UCC 서버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트웍스, 삼성전자가 공동으로 운영중인 시범사업이다. [그림 4-9]는 IPv6 기반 치안 개인이 어디서 접속하든지 간에 항상 같은 고정 주소와 프리픽스를 받을 수 있다. 서비스 고도화의 세부적인 수행내용이다. 이 서비스의 추진 목적은 차세대 IT기술을 이용한 고도화된 치안서비스 구축으로 증가하는 국민 치안의 위험에 효율적으로 대 처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그림 4-8] KTH P2P 개인화 서비스 구성도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그림 4-9] IPv6 기반 치안서비스 고도화 수행목표 개념도

- 49 - - 50 - 현재 시범 치안 서비스와 같이 유사하게 운영되고 있는 사례로는 [그림 4-11]과 같이 실시간 화재 영상신고 서비스와 실시간 재난영상 신고시스템이 있다. 실시간 화재 영상신고 서비스는 충남 소방본부에서 시행중인 것으로서 화재신고와 소방법 위반신고를 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2006년 5월 구축되었으며 행정자치 부 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건설교통부의 실시간 재난영상 신고시스템은 2006년 6 월에 구축되어 재난신고와 환경오염행위 신고에 활용하고 있다.

4.1.4 u-City 사업모델과 IPv6 시범서비스

u-City는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에 기반을 둔 차세대 지능화된 도시의 새로운 패러 다임을 의미하며,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와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친환경·첨단·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자급자족형·지속가능한 구조의 도시개념이다. 이에 u-City를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그림 4-10] IPv6 기반 치안서비스 구성도 정보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도시 전반의 영역(공간, 사물, 인간, 서비스 등)을 융합하 여 통합되고, 지능적이며, 스스로 혁신되는 도시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본 서비스는 [그림 4-10]과 같이 IPv6를 기반으로 하여 네트워크 카메라와 영상분 u-City 사업을 사업주체, 사업규모, 사업대상 등을 기준으로 하면 신도시 건설을 석시스템을 운영하는 지능형 u-관제센터를 구축하는 것이다. 중심으로 한 City형과 도시재생 및 복합단지 개발과 같은 Town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능형 U-관제센터에서는 상황실 근무자가 환승역/공항 등에 설치된 CCTV의 영 City형 모델은 주거, 업무, 상가 등의 자족기능을 갖춘 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상을 인터넷 망을 통하여 센터로 전송하게 된다. 전송된 영상은 안면인식형 영상분 사업으로 본다. 행정상 광역/기초자치단체급 이상의 규모에 해당하며 대표적으로 석 시스템을 통해서 수배중인 수배자 및 미아/가출인 등의 사진과 비교하게 된다. u-서울, u-부산, u-전주, u-대구, u-대전, u-광주 등이 있다. 또한 국토 종합개발 계획 상황실 근무자는 관할지역에 출동을 요청하고 수배자 영상 정보를 휴대폰으로 에서 제 2기 신도시 개발 모델로 지정되어 현재 한국토지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전송하여 수사정보로 활용하게 된다. 화성 동탄 u-City, 성남 판교 u-City, 용인 흥덕 u-City와 대한주택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파주 운정 u-City를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광교신도시 u-City,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도시) u-City가 있다. Town형 모델은 최근 진행중인 건대 u-Starcity, 대전 Future-X, 청주 GWell City와 같은 사업들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상가, 오피스, 레저·오락시설, 주거시설, 교육시설 등 다양한 용도의 복합 건물군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적용하여 건설되는 개발사업 형태 이다.

1) IPv6 기반 U-Blue City 구현 및 시범서비스

IPv6 기반 u-city 구현 및 시범서비스는 2007년 KOREAv6 시범서비스 중 하나이 며 현재 강릉시와 함께 KT 미래기술연구소에서 수행중이다. [그림 4-12]는 IPv6 기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u-Blue City . [그림 4-11] IPv6 기반 치안서비스의 유사 치안서비스 사례 반 강릉지역의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 51 - - 52 -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그림 4-14] 경포해변 IPv6 기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장비 설치현황 [그림 4-12] IPv6 기반 u-Blue City (강릉)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 현황

위의 [그림 4-14]는 경포해변의 IPv6 기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비

본 사업의 목표는 유비쿼터스 사회의 조기구현을 위한 통합 네트워크 인프라 구 를 설치한 모습이다. 이 서비스의 주요 핵심은 기존의 CCTV와 Mesh 노드를 결합 IPv6 축을 통하여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적용과 참여를 하여 해변의 상황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경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공공 서비스의 시범 제공을 통하여 선도적 IT 서비스 모델을 IPv6 IPv6 u-city , , 확립하고 향후 확산에 대비한 기반의 서비스의 신뢰성 안정성 시 본 시범 서비스가 시행중인 주요 사업내용은 다음과 같다. 장성 등을 개발하고 확보하는 것이다. [그림 4-13]는 IPv6 기반 u-Blue City (강릉) . 서비스를 나타낸 것이다 O IPv6 기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경포대 해수욕장 및 강릉종합경기장 인근지역의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IPv6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개발환경을 제공 한다. 다음 [그림 4-15]는 경포대 해수욕장의 IPv6 인터넷 서비스 초기 접속화면과 회원가입을 보여주고 있다.

: 2007 KOREAv6 , 2007.12 자료출처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 4-13] IPv6 u-Blue City ( ) 그림 기반 강릉 서비스 [그림 4-15] 경포대 해수욕장 IPv6 인터넷 서비스 초기 접속화면

- 53 - - 54 - O IPv6 기반 u-방재서비스 제공 강릉시 종합경기장 u-Sports Zone내 IP-USN 및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시설, 이 용자, 선수의 안전관리 그리고 인터넷 서비스 및 VoIP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림 산불감시와 추적을 위한 적외선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산불의 조기발 4-17]은 u-Sports Zone 서비스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견과 사후 추적 관리를 하며 재난 및 상황 발생 시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관제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하천/저수지에 IP-USN을 구축하여 자연재난으로 2) IPv6 기반 도농복합 중소도시 맞춤형 u-city 시범서비스 부터 인근 거주자 및 문화재를 보호할 수 있다. IPv6 기반 도농복합 중소도시 맞춤형 u-city 시범서비스는 2007년 KOREAv6 시범서비스 중 하나이며 현재 KT 미래기술연구소가 공주시를 대상으로 에듀테크 (주)가 함께 수행중이다. 본 사업의 수행 목표는 IPv6 기반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공주시 주민과 관광객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IPv6 기반의 u-city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공공 및 민간부분에 IPv6의 본격적인 도입과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향후 IPv6 확산에 대비한 서비스의 신뢰성, 안정성, 시장성을 개발하고 확보하여 무선기반의 새로운 IPv6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및 확대에 기여하고자 사업의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그림 4-16] IPv6 기반 u-city 강릉 IP-USN 관제시스템 [그림 4-18]은 IPv6 기반 도농복합 중소도시 맞춤형 u-city 시범서비스의 추진체계 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4-16]은 강릉시청과 문화체육시설관리사업소에 설치된 IP-USN 관제시스템을 보여주는 것으로 중앙 통제는 강릉시청에서 한다.

O IPv6 기반 u-Sports Zone 서비스 제공

þ IP 카메라 서비스 (Surveillance) 제공 강릉시청 실내체육관 빙상경기장

통합 þ 이동형 무선 IP 카메라 서비스 제공 관리시스템 문화체육관리 이동형카메라 사업소 종합운동장

þ 무선 IP 음성방송 서비스 제공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Mesh AP [그림 4-18] IPv6 기반 도농복합 중소도시 u-city 시범서비스 추진체계

스포츠 u- 관리/방송 본 시범 서비스가 시행중인 주요 사업내용은 다음과 같다. 관리시스템 카메라/스피커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그림 4-17] u-Sports Zone 서비스 시스템 구성

- 55 - - 56 - O 공주지역 5도 2촌 마을 대상 유·무선통합 IPv6 시범망 구축 및 운영 O 도농복합 중소도시에 적합한 u-city 응용서비스 개발 및 제공

- 독거노인관리 서비스 : 본 서비스는 바이오센서를 활용한 독거노인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여 시청 관제센터로 전송한다. 이로 인해 독거노인들의 응급상황 발생을 신속하게 인지하고 대응하여 사고위험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다음 [그림 4-21]은 독거노인관리 서비스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그림 4-19] IPv6 기반 u-city 공주 시범망 구축현황 [그림 4-21] 독거노인관리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 u-생활관리 서비스 : 본 서비스는 IP-USN을 활용하여 마을의 상수도의 수질을 관리를 모니터링하여 시청 관제센터에 전송하여 실시간 수질관리 업무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마을의 상수도 수질의 향상을 통해 지역주민의 건강 증진을 도모 할 수 있다. 다음 [그림 4-22]눈 u-생활관리 서비스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 낸 것이다.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그림 4-20] IPv6 기반 u-city 공주 시범망 세부 구축도 [그림 4-22] u-생활관리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그림 4-19]는 IPv6 기반 u-city 공주의 시범망 구축 현황에 대한 위치와 거리를 - u-체험관광/학습/쇼핑 서비스 : 본 서비스는 계절별, 유형별, 코스별 체험관광 나타낸 지도이고, [그림 4-20]은 구축 현황을 지역별 망의 관계로 나타낸 것이다.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미리 체험해 볼 수 있는 학습콘텐츠를 제작하여 지식 기반

- 57 - - 58 -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학교 체험학습과 연계된 학습일지를 제공하고 학습 이력을 관리한다. 이로 인해 학교 교육과 연계된 체험학습을 할 수 있으며 농가체험의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하여 생활의 편의성 증대와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서비스 구축범위는 공주시 관내 5개 마을이다. 다음 [그림 4-23]은 u-체험관광/ 학습/쇼핑 서비스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그림 4-25] RFID 가축질병관리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4.1.5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활용 서비스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그림 4-23] u-체험관광/학습/쇼핑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USN 기술은 인간의 생활공간, 생활기기, 기계 등 모든 사물에 컴퓨팅, 네트워킹 기능을 부여, 환경과 상황의 자동인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가능하게 - IP카메라, PDA+RFID 안내 : 본 서비스는 주요 관광상품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하여 인간 생활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고도화하는 기술이다. 다양한 USN 응용서비스에 제공하는 것으로 마을의 체험관광 지역에서 관광상품의 소개와 이용방법을 제공 대한 기술적인 실행 가능성은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USN 응용서비스 시장 및 한다. 이것은 포털 시스템 및 마을 홈페이지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이와 같은 산업에서 기술 채택과 상업화는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농특산물 판매에 기여할 수 있다. 다음 [그림 4-24]는 IP 카메라, PDA+RFID 안내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그림 4-24] IP카메라, PDA+RFID 안내 시스템 구성도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그림 4-26] IPv6 기반 USN 구조 - RFID 가축질병관리 서비스 : 본 서비스는 PDA+RFID Reader를 이용하여 가축의 . 개별정보를 취득하여 시청 관제센터 내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송하여 관리한다 이 IPv6를 기반으로 한 USN 활용 서비스의 장점은 기존의 ZigBee 기반 소규모 센서

것은 축사의 위생상태의 관리가 가능하여 가축의 질병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시장이 글로벌 네트워크의 특징을 지닌 IPv6로 차별화를 두어 신규시장을 . [ 4-25] RFID 전염병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 그림 는 가축질병관리 서비 선점할 수 있다. 또한 대규모 망을 사용하는 서비스들을 USN과 같은 타 응용 . 스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서비스와 연계하여 안정성, 이동성, 관리에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림 4-26]은 IPv6 기반 USN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그림이다.

- 59 - - 60 - 특히 제주지역 기상센서네트워크 서비스는 기존의 IP 인프라를 기반으로 광범위 낸 것이다. 한 확장성을 제공하여 기상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또한 센서노드와 게 제주 지역 2단계로 구축된 무선 메쉬 네트워크 테스트베드는 [그림 4-29]와 같이 이트웨이, 싱크노드의 이동성을 보장하여 여러 지역의 기상 정보를 다각도로 수집할 남쪽 제주지역 12곳에 설치되어 있다. 수 있다. 제주 지역에 설치한 무선 메쉬 네트워크는 1단계 테스트베드로 제주 북동 부지역인 성산포 지역과 구좌읍사무소, 종달노드, 조위관측소의 4개 지역에 설치되 어 있다.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그림 4-29] IPv6 기반 USN 기상 센서네트워크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그림 4-27] IPv6 기반 USN 기상 센서네트워크 본 네트워크는 기상과 해양의 관측을 위한 IP-USN 인프라의 확산을 위한 2단계 테스트베드이다. 이것은 기상학적으로 의미있는 IP-USN 모델의 개발과 검증을 위한 [그림 4-27]은 IPv6를 기반으로 한 제주도 성산포 지역의 USN 기상 센서네트워크 것으로 국지 디지털 기상예보의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장기적 서비스를 나타낸 것이다. 이 지역에는 9개의 무선 메쉬 네트워크와 3개의 IP-USN과 운영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1단계에서 드러난 기술적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무선 메쉬 네트워크가 결합된 노드가 설치되어 있다. 취약점을 보완할 것이다.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그림 4-28] IP-USN 무선 메쉬 네트워크 구성도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 4-30] IP-USN [그림 4-28]은 IP-USN과 무선 메쉬 네트워크가 결합된 네트워크의 구성도를 나타 그림 무선 메쉬 네트워크 관측소 구축 현황

- 61 - - 62 - 위의 [그림 4-30]은 IP-USN 무선 메쉬 네트워크 관측소가 구축된 현황을 설명한 그림이다. 5종의 기상센서인 온도, 습도, 풍향, 풍속, 강우량을 사용하여 정확한 기상 상태를 체크한다. 이것은 또한 2.5km 간격의 격자구조로 9개 IP-USN 사이트를 설치하여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자료출처 : 2007 KOREAv6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2007.12 자료출처 :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http://www.kreonet.re.kr [그림 4-31] IP-USN 무선 메쉬 네트워크 구성도 [그림 4-32] KREONET IPv6 추진 체계 및 전략

위의 [그림 4-31]은 IP-USN 무선 메쉬 네트워크 구성도를 설명한 것으로 실시간으 현재 KREONET는 IPv6 응용분야를 확대하는 정책을 IPv6 참여기관을 대상으로 로 기상과 해양의 정보 및 국지 기상예보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또한 이것 펼치고 있으며 가입자를 대상으로 하여 기술 교육을 확대 실시하고 있다. 은 실시간으로 동영상을 제공하며 지진과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향후 이 연구망은 2010년 까지 IPv6만을 지원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 향후 IPv6 기반의 무선 메쉬 네트워크는 IPv6 기반 센서네트워크의 확산과 다양한 해 IPv6 전용 라우팅의 확대와 특화된 응용기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서비스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가 될 것이다. 또한 유선망에 비해 더욱 쉽게 IPv6를 도입하고 확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관련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 개발과 native IPv6 WMN 시험망을 구축하고 시험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4.1.6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KREONET(Korea Research Environment Open NETwork)는 국가 5대 기간전산망 중 하나로 국내 정부 출연연구소, 산업체부설연구소 및 대학의 연구 인력에게 국 내․외 과학기술 정보의 원활한 정보교류 환경제공을 목적으로 차세대 국가과학기 술력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계의 필수적인 기반구조이다. 다음 [그림 4-32]는 KREONET의 IPv6 추진 체계 및 전략을 나타낸 그림이다.

자료출처 :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http://www.kreonet.re.kr [그림 4-33] KREONET IPv6 연계 네트워크 구성도

- 63 - - 64 - 위의 [그림 4-33]은 KREONET IPv6 서비스의 연계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서비스는 국내 과학기술 및 연구개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하여 선진국 의 첨단 과학기술 정보 획득과 선도적인 공동 연구 수행 및 기술 교류를 중점으로 연구중에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KRENET와 미국의 StarLight 간 국가 연구망인 APII Testbed/KREONet2 연동회선을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APII 협력센터 와 공동 협력으로 관리 운영하고 있다.

STARLIGHT는 6REN(IPv6 Research & Engineering Networks)을 위한 STARLIGHT 에 종속된 6TAP(IPv6 transit peering point)를 지원함으로써 IPv6의 배치를 자동으 로 수행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6TAP은 IPv6 라우터 서버 장비들을 테스트하고 개발 하는 환경을 제공하며 또한 IPv6의 네트워크 관리 및 모니터링도 지원한다. [그림 자료출처 :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http://www.kreonet.re.kr 4-34]는 KREONET IPv6 서비스에 대한 구성도이다. [그림 4-35] KREONET IPv6 백본 기반 VoIPv6 시범서비스 구성도

2) 대덕특구 IPv6 클러스터링(SuperSIReN)

SuperSIReN(Super Science & Information Research Network)은 [그림 4-36]과 같 이 대덕 연구단지내에 위치하고 있는 주요 연구소 및 대학을 대상으로 고성능의 네트워크(기가급 이상의 대역폭)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여 최첨단의 응용기술 개발 및 Grid/e-Science 기반의 협업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현재 1단계 (시범구축 : 2003 ~ 2004) 7개 기관을 연결한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대상기관은 생명공학연구소, 기초과학연구소, 항공우주연구소, 지질자원연구소, KAIST, 충남대, KISTI 등이 있으며, 응용분야는 바이오인포메틱스, 첨단장비 그리드,

자료출처 :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http://www.kreonet.re.kr 지질/자원탐사, 항공우주 등이 있다. [그림 4-34] KREONET IPv6 서비스 구성도

1) KREONET IPv6 백본 기반 VoIPv6 시범서비스

[그림 4-35]와 같이 KREONET은 IPv6 백본을 기반으로 VoIPv6 시범서비스를 대전과 서울을 비롯한 9개 지역에서 수행하고 있다. 본 서비스는 KISTI 본원 등 전국의 지역망센터를 포함한 50개의 그룹이 이용하고 있다. 이것은 SIP와 H.323 프로토콜을 활용한 다자간 IPv6 음성 및 화상회의의 제공이 가능하다.

자료출처 :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http://www.kreonet.re.kr [그림 4-36] 대덕특구 SuperSIReN 서비스 구성도

- 65 - - 66 - 향후, 고성능·고대역폭을 필요로 하는 응용 연구지원을 위한 연구단지내 첨단 과 2008년도 SuperSIReN이 실시할 주요 사업내용으로는 IPv6 라우팅 연동 지원 및 학기술연구망 구축 필요성 증대 및 공동협업연구를 촉진시킬 활성화 방안 연구가 보안환경 기술을 지원하고 고정 IPv6 터널링 서비스 제공과 기술을 지원하는 것이다. 필요하며, 성공적인 SuperSIReN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하여 핵심 네트워킹 및 응용기 또한 대덕특구 내 IPv6 응용별 연구 클러스터를 지원하고 IPv6 특화서비스 발굴을 술을 연계시키는 첨단 협업연구 수요창출이 필요할 것이다. 위한 사전조사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림 4-38]은 SuperSIReN의 2008년도 주요 사업 내용을 나타낸 그림이다.

향후 KREONET IPv6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대덕특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IT기술을 대표하는 연구단지로서 고품질의 인적자원 및 다양한 분야의 IPv6 응용서비스 발굴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IPv6를 대중적으로 보급함으로써 슈퍼컴퓨팅과 같은 특화된 분야의 응용체계에서도 IPv6를 활용한 저변확대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1.7 IPv6 이용현황

자료출처 :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http://www.kreonet.re.kr 1) 국내 IPv6 이용자 확보 현황 [그림 4-37] 대덕특구 SuperSIReN 클러스터링 연계 방안도

국내의 IPv6 이용자수는 2006년 13만 명에서 2007년 24만 명으로 급격하게 증가 [ 4-37] SuperSIReN 그림 은 대덕특구 의 클러스터링 연계에 대한 방안을 나타낸 그 하였다. 이는 한국정보사회진흥원(NIA)에서 제공한 IPv6 시범서비스와 IPv6 포털서 . 림이다 비스 그리고 정보통신부와 정보사회진흥원에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추진한 IPv6 전환 컨설팅의 결과이다. 세부 IPv6 이용자 분포는 [표 4-2]와 같다.

[표 4-2] 국내 IPv6 이용자 확보 현황 (2007.12 기준)

구분 이용자수 서비스 개시 IPv6 포털(vsix.net) 71,587명 2003년~ 공공기관 VoIPv6 상용화 준비를 위한 KOREAv6 시범사업(기상청, 26,352명 2005년~ 국방부, KISTI 등) IPv6 기반 Wibro 시범망 구축 및 시범서비스 51,424명 2006년~ u-City(강릉) 구축을 위한 IPv6 기반의 u행정 시범서비스(강릉시) 250명 2006년~ IPv6 IPv6 UCC 포털서비스(qix.freechal.com) 40,435명 2007년~ 시범 IPv6 기반의 u-Blue City 구현 및 시범서비스 43,520명 2007년~ 사업 (강릉시) IPv6 기반 도농복합 중소도시 맞춤형 u-city 시범서비스 1,625명 2007년~ 미래 환경변화에 대비한 IPv6 기반의 치안서비스 고도화(경찰청) 3,412명 2007년~ 대구시 VoIPv6 분야 u-행정기반 구축을 위한 IPv6 시범서비스 자료출처 :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http://www.kreonet.re.kr 1,400명 2007년~ (대구시청) [ 4-38] SuperSIReN 2008 그림 의 년도 주요 사업내용 경기도 교육청 1,113명 2007년~ 합계 241,118명

- 67 - - 68 - 2) IPv6 고객 만족도 조사 2절 해외 IPv6 주요 서비스 현황

본 조사는 수행기관인 KISPA가 2007년 IPv6 고객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한 4.2.1 일본의 IPv6 응용서비스 것으로써, 조사기간은 2007년 3월 22일부터 11월 30일까지 8개월간이다. 조사대상은 2007년도에 IPv6 서비스를 제공받은 고객 578명에게 요청하였고, 조사방식은 E-mail 일본의 산업체들은 1998년부터 산·학·연 협동 기술개발을 추진해오고 있다. 세계 혹은 서면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최초로 IPv6 상용서비스를 실시한 이래 대다수 ISP들은 이미 IPv6 서비스를 제공하 고 있다. 인터넷이 사용 가능한 자동차나 기차, 원격 건강진단, 온라인 게임 등의 다 3) 고객 만족도 조사 결과 양한 영역에서도 IPv6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다음 [표 4-4]는 일본 기업들의 상용 IPv6 이용 서비스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IPv6 이용자, 교육 참가자, 사업 수행기관 등을 대상으로 개별분석을 한 결과 전 체적으로 96%의 만족도를 보였다. IPv6 서비스 분야별로는 IPv6 UCC 포털서비스, [표 4-4] 일본 ISP 상용 IPv6 이용 서비스 현황 미래 환경 변화에 대비한 IPv6 기반의 치안서비스 고도화, 대구시의 VoIPv6 분야 (2007.12 기준) u-행정기반 구축을 위한 IPv6 시범사업 등의 서비스를 사용한 이용자의 만족도는 회사명 개인사용자 법인사용자 95%를 나타냈다.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이 수행한 차세대인터넷기반구축 사업의 세부 IPv6 인터넷 접속 NTT Communication IPv6 인터넷 접속 과제를 수행한 수행기관의 담당자 만족도는 100%를 보여주었다. [표 4-3]은 2007년 (FTTH, ADSL, Wi-Fi,PHS, Dial-up) IPv6 native 망 IPv6 VPN(광섬유 이용, 편의점 정 IPv6 고객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이다. NTT-East (비디오 스트리밍, VoIP, TV전화, 파일공유) 보 단말에 데이터 전달 등) IPv6 native 망 IPv6 VPN(광섬유 이용, 편의점 정 NTT-West [표 4-3] 2007년 IPv6 고객 만족도 조사 결과 (비디오 스트리밍, VoIP, TV전화, 파일공유) 보 단말에 데이터 전달 등) KDDI - IPv6 인터넷 접속 (2007.12 기준, 명/%) IIJ - IPv6 인터넷 접속 만족도 Nfty IPv6 인터넷 접속(ADSL 이용) - 설문내용 좋 다 나쁘다 전 체 FreeBit IPv6 인터넷 접속(터널 서비스) - IPv6 사업 총괄 만족도 555(96%) 0 578 IIJ mio IPv6 인터넷 접속(터널 서비스) - IPv6 UCC 포털서비스 48(96%) 2 50 인터넷 접속 서비스 (IPv6 서비 NNT-ME(XePhion) - IPv6 기반의 치안서비스 고도화 52(100%) 0 52 스/전용선 이용) 대구시 VoIPv6 분야 u-행정기반 구축을 위한 IPv6 시범사업 84(93.3%) 6 90 자료출처 : IPv6 Promotion Council Japan, http://www.v6.pc.jp IPv6 기반 u-Blue City 구축 및 시범서비스 49(96%) 2 51 IPv6 기반 도농복합 중소도시 맞춤형 u-City 서비스 45(90%) 5 50 IPv6 전문가 양성 교육 수강생 250(97%) 8 258 1) 야마타케社 차세대인터넷기반구축 사업의 세부과제를 수행한 수행기관 27(100%) 0 27

야마타케는 IPv4/IPv6 기반의 센서를 활용한 빌딩 관리 솔루션 분야의 일본 시장 1위의 기업이다. 주요 사업 분야는 Living Sensor, Security Sensor, Controller, All System automatic 분야의 온습도, 압력 등 센서 기반 빌딩관리이며, Building Mangement System, BOSS 24 : Building Operation Support System, Building Renewal 서비스 등의 주 매출 분야가 있다.

- 69 - - 70 - 3) 미츠비시 종합연구소-아이피토크

미츠비시 종합연구소와 아이피토크는 [그림 4-40]과 같이 IPv6에 기반한 Mobile IP폰을 개발했다고 2007년 2월 발표했다. 이번 개발된 Mobile IP폰은 IPv6에 기반한 것으로, 개개 단말마다 글로벌 주소가 부여되기 때문에 무선 LAN를 적용하여 인터 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로써 IP전화나 P2P 어플리케이션을 보 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자료출처 : IPv6 Promotion Council Japan, http://www.v6.pc.jp Mobile IP폰 개발에서 미츠비시 종합연구소는 IPv6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였으며, [그림 4-39] SAVIC-NET FX 제품 구성 사진 아이피토크는 Mobile IP폰 개발 기술을 제공하였다. 이 단말은 IPv6에 적합한 제품 으로 인정하는 「IPv6 Ready Logo」를 취득하였으며, Mobile IP폰으로서는 세계에 [그림 4-39]는 이 회사의 주요 제품인 SAVIC-NEET FX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서 두 번째 제품이다. 것이다.

현재 제어 부분과 센서는 대부분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무선화가 주요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일부 센서의 경우 ZigBee를 채택하여 시제품을 개발하였으며, 특히 신축건물이 아닌, 기존 건물에 BA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 무선 기술이 주요 요소가 되고 있었다. 다만, 이 제품은 인터넷 기반이므로 보안문제가 대두되어 보안 자료출처 : IPv6 Promotion Council Japan, http://www.v6.pc.jp , VPN 문제 해결을 위하여 대체로 인트라넷에서 운용하고 있으며 외부의 경우 을 [그림 4-40] IPv6 아이피토크 Mobile IP폰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다. 야마타케는 일본 총무성에서 지원하는 IPv6 Promotion Council의 Application 4) FreeBit WG/Facility Network 그룹에서 활동하며 예산 보조금 지원을 받고 있다. 향후 출입 관리 시스템에 개별 IPv6를 적용하고 영상까지 통합하여 하나의 IPv6 망으로 통합 인터넷 전화사업자인 FreeBit는 [그림 4-41]과 같이 VoIPv6 기반의 전화서비스를 관리하는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제공하기 위해 2007년 상반기부터 현재까지 280개 기숙사에 20,000대 이상의 IP 전 화기 설치와 전화서비스를 제공하였다. 2) 아락사라 네트웍스

2004년 10월에 출범한 아락사라 네트웍스는 IPv4/IPv6 라우터, 스위치 제품이 주력 제품이다. 2006년 하반기에 1.25Tbps를 지원하는 AX6700 신제품을 출시하여, IPv4의 모든 기능을 IPv6에서도 동일하게 지원하여 True Dual Stack 장비라고 홍보 하고 있다. 특히 장비의 칩 전도를 높여, 타사장비에 비해 60% 정도의 전력을 소모 하며 장비원가를 낮추었다. 또한 VLAN 단위 QoS 기능지원 이외에 Flow Base QoS 기능을 지원하여 4개 응용 서비스 별로 QoS 정책 적용이 가능하여 IPTV, VoIP의 QoS 지원을 위하여 본 기능을 적용하려고 한다. 자료출처 : IPv6 Promotion Council Japan, http://www.v6.pc.jp [그림 4-41] 일본 FreeBit의 VoIPv6 서비스 구성도

- 71 - - 72 - 5) IPv6 멀티캐스트 서비스 O Alaxala Networks Corp.

O 긴급 지진 속보 2004년 10월에 출범한 Alaxala Networks는 IPv4/IPv6 라우터, 스위치 제품 등이 주력 제품이다. 1995년부터 IPv6의 개발과 제품화에 앞장서고 있으며 IPv6의 표준화 지진 발생시 기상청에 전달하는 긴급 지진 속보들을 지진이 발생하기 전에 IPv6 와 보급 활동에도 많은 공헌을 하고 있다. 멀티캐스트에 의해 수신 단말에 전달한다. 본 서비스는 이용자 전용 긴급 지진 속보 2006년 하반기에 1.25Tbps를 지원하는 AX 6700 시리즈 신제품을 출시하여, IPv4 를 재전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추정 진도와 유예 시간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수신 의 모든 기능을 IPv6에서도 동일하게 지원하는 True Dual Stack 장비라고 홍보하고 단말 측에 위치 정보를 설정하는 것으로써, 정밀도가 높고 속보가 가능하다. 있다. 또한 IPv6 포럼이 Alaxala IPv6 제품들의 상호접속성과 사양 준거성을 검증하 서비스 제공 개시시점으로써 PC를 수신 단말로서 이용되는 경우, OCN IPv6를 여 IPv6 Ready Logo를 인증하였다. 다음 [표 4-5]는 Alaxala 제품의 IPv6 Ready 기반으로 한 PC에 OCN 긴급 지진 속보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Logo 취득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수신할 수가 있다. [표 4-5] Alaxala 제품 IPv6 Ready Logo 취득 현황

제품시리즈 1단계 2단계(Core) AX5400S/7800S 취득완료(01-000280) 취득완료(02-C-000183) AX7800R/7700R AX6300S/6700S 취득완료(01-000390) 취득완료(02-C-000184) AX3600S 취득완료(01-000307) 취득완료(02-C-000182) AX2400S 취득완료(01-000391)*1 N/A AX2000R 취득완료(01-000306) - 자료출처 : Alaxala Networks, http://www.alaxala.com/

다음 [그림 4-43]은 Alaxala Networks의 IPv6 기반 멀티캐스트 라우터로 큐슈 기 술학교 캠퍼스를 서비스하는 사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새로운 서비스의 특징은 10Gbps를 지원하는 회선과 운용상 비용을 줄였고 데이터 통신과 음성 등의 IP 애플 자료출처 : NTT Communication, http://www.ntt.com/ [그림 4-42] OCN 긴급 지진 속보 프로그램 리케이션 기능도 추가하였다. 또한 시설 이전에도 대응이 쉬운 실용적인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위의 [그림 4-42]는 OCN 긴급 지진 속보 프로그램으로서 (주)하렉스와 (주)VAL연 구소가 공동으로 개발 및 제공하는 것이다. 수신한 정보와 미리 설정된 지역 정보 (위도, 경도, 지반정보)로부터 예측 진도와 주요동22)이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계산 하여, PC의 데스크탑에 팝업 윈도우의 형태로 알려준다. 본 서비스에서 IPv6 멀티캐스트 방식의 사용은 유니캐스트 전달에 비해 효율적으 로 지연을 방지하는 것으로 긴급한 상황의 지진 속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는 것을 가 능하게 한다. 또한 기존에 IPv4에서는 어려웠던 네트워크 내의 가정 LAN과 같은 수신 단말의 데이터 전달도 가능하게 되었다. 자료출처 : Alaxala Networks, http://www.alaxala.com/ [그림 4-43] IPv6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큐슈 기술학교 서비스 사례

22) : 초기 미동 다음에 오는 진폭이 큰 진동

- 73 - - 74 - O NTT WEST FLET'S HIKARI 프리미엄 서비스

100 Mbps 초고속 성능을 가진 광섬유 인터넷 접속 서비스인 FLET의 HIKARI 프리미엄 서비스는 비디오폰과 보안 기능의 표준을 가지고 있다. 각종 콘텐츠들은 NTT WEST의 지역 IPv6 네트워크 내의 라우터를 통해 IPv6 멀티캐스트 분배가 이루어진 후 이용자의 거주지 내 셋탑 박스를 거쳐 서비스 된다. 특히 HIKARI Denwa IP 텔레포니 서비스와 접속 시 사용했을 때 더욱 편리하다. [그림 4-44]는 NTT West FLET'S HIKARI 프리미엄 서비스의 구성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본 서비스는 다양한 거주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거주자들은 광섬유 전용선으로 공유할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100 Mbps의 속도의 인터넷 접속을 즐길 수 있 다. 특히 아파트 타입의 서비스는 현재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HIKARI Denwa IP 텔

레포니 서비스 또한 이용할 수 있다. 자료출처 : NTT West, http://www.ntt-west.co.jp/service_guide [그림 4-45] NTT West FLET'S v6 Appli 서비스 구성도

본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주요 기능들을 제공한다.

- 보안기능 : 바이러스 침입의 위협과 비인가 접속으로부터 NTT의 IPv6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를 보호한다. 게다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는 대응 파일로 최근 바이러스를 차단할 수 있다.

- 고화질 비디오폰 기능 : FLET의 v6 Appli 사용자의 컴퓨터를 고화질 비디폰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것은 텍스트나 멀티미디어 파일로 차세대 통신을 손쉽게 즐길 수 있다. 자료출처 : NTT West, http://www.ntt-west.co.jp/service_guide [그림 4-44] NTT West FLET'S HIKARI 프리미엄 서비스 구성도 - 광대역 비디오시청 기능 : 광대역 접속으로 비디오 서비스를 즐기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TV에 IPv6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한 셋탑 박스를 연결하기만 하면 O NTT West FLET'S v6 Appli 서비스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영화, 음악, 뉴스 같은 다양한 콘텐츠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NTT West FLET'S v6 Appli 서비스는 B FLET의 IPv6 텔레포니와 FLET의 ADSL 서비스를 기반으로 편리함을 더한 서비스이다. 다음 [그림 4-45]는 NTT West FLET'S v6 Appli 서비스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 75 - - 76 - 4.2.2 기타 국가의 IPv6 응용서비스 BSD 6to4 IPv6 http://www.feyrer.de/NetBSD/6to4.h 기반 시스템에서 의 셋업을 지원한 6to4 . tml 다 이것은 모뎀 다이얼 업의 시나리오를 위해 구성 되었지만 안정적인 IP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는 IPv6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http://www.ipv6.org/v6-apps.html 의 IPv6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정리한 리스트이다. O 메일 O 일반 패치(patch) 저장소 [표 4-8] IPv6 기반 메일관련 애플리케이션 (2007.12 기준) [표 4-6] IPv6 기반 일반 패치 저장소 관련 애플리케이션 IPv6 가용성을 Sendmail 8.9.1을 첨부하기 위한 패치 (2007.12 기준) Sendmail ftp://ftp.kyoto.wide.ad.jp/IPv6/mail/ 로서 WIDE 프로젝트에서 이용가능하다. ftp://ftp.kame.net/pub/kame/misc/ KAME 프로젝트에 의해서 관리되는 패치 저장소 Qmail http://www.rcac.tdi.co.jp/fujiwara/ IPv6 추가를 위한 패치들이다. ftp://ftp.kyoto.wide.ad.jp/IPv6/index.html WIDE 프로젝트에 의해서 관리되는 패치 저장소 Zmailer tp://ftp.funet.fi/pub/unix/mail/zmailer Zmail 소스가 가능한 사이트 주소이다. IPv6 http://www.imasy.org/~ume/ipv6/ IPv6 패치와 FreeBSD ports Exim tp://ftp.funet.fi/pub/unix/mail/zmailer 순수하게 를 지원하는 가장 안전하고 신뢰적인 MTA중 하나이다. KAME 프로젝트에 의해서 관리되는 IPv6-레디 애플 http://www2.kame.net/faq/fom.cgi?file=45 이것은 SMTP와 POP3를 지원하는 Inframail의 무료 리케이션/패치 Inframail - 개인 편집 포트이다. http://www.netbsd.org/packages/README-IPv6 NetBSD에 설치를 위해 가능한 IPv6 기반 애플리케 .html 이션 http://tipster6.ik.bme.hu/ipv6port/index.cgi?lang 헝가리에서 IPSTER6 프로젝트에 의해 찾을 수 있고 =en O 멀티미디어 확장 가능한 IPv6 애플리케이션과 포트 데이터베이스 [표 4-9] IPv6 기반 멀티미디어 관련 애플리케이션 리눅스 IPv6 애플리케이션 (2007.12 기준) http://bofh.st/ipv6/apps.shtml IPv6 애플리케이션/패치 리스트 http://www.v6.linux.or.jp/ Kernel IPv6 패치와 많은 가 강화된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즈 http://www.research.microsoft.co NT Robust Audio Tool IPv6 . http://www.bieringer.de/linux/IPv6/status/IPv6+L 를 위한 m/msripv6/ 의 기반 버전이다 IPv6 & RAT inux-status-apps.html 리눅스 윈도우즈 http://www.research.microsoft.co NT Multicast Session Directory IPv6 . 를 위한 m/msripv6 의 기반 버전이다 O IPv6 액세스 소프트웨어 SDR http://www.viagenie.qc.ca/en/qua Quake KAME Solaris8 IPv6 . [표 4-7] IPv6 기반 액세스 소프트웨어 관련 애플리케이션 ke.shtml 와 을 위한 포트이다 (2007.12 기준)

v6tun은 근거리 IPv6 네트워크에서 v6 over v4를 터 널링하는 BSD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분리된 IPv6를 O 근거리접속 v6tun ftp://ftp.kyoto.wide.ad.jp/IPv6/v6tun/ 수락하는 프로그램이다. 이것은 SSH를 거쳐 안전하 [표 4-10] IPv6 기반 근거리접속 관련 애플리케이션 게 구현될 것이다. 이 소프트웨어는 WIDE 프로젝트 (2007.12 기준) 사이트로부터 이용가능하다. 윈도우즈 95/98 또는 윈도우즈 NT4.0을 위해 프로토 SSH ftp://ftp.kyoto.wide.ad.jp/IPv6/ssh/ SSH 버전 1을 위해 IPv6를 추가하는 패치이다. 콜 교환 소프트웨어이다. 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http://www.hitachi.co.jp/Prod/comp/ Toolnet6 IPv4 IPv6 95/98 http://www.research.microsoft.co network/pexv6-e.htm 와 모두 윈도우즈 또는 윈도우즈 NcFTP MSR IPv6 NT . m/msripv6 를 위한 윈도우즈 버전이다 NT4.0에서 작업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이 접속할 수 있 다. lftp-2.0.x ttp://ftp.yars.free.net/projects/lftp/ IPv6를 지원하는 향상된 ftp 클라이언트이다.

- 77 - - 78 - 3 IPv6 O WWW 절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별 지원 현황 [표 4-11] IPv6 기반 WWW 관련 애플리케이션 (2007.12 기준) 4.3.1 운영체제별 IPv6 지원 현황

서버 ftp://ftp.kame.net/pub/kame/misc Apache Apache IPv6 . 1) Windows와 다른 운영체제에서 IPv6 지원 현황 / 에 를 추가하는 패치이다 http://www.research.microsoft.co Fnord! NT IPv6 . m/msripv6 윈도우즈 를 위한 가 가능한 웹 서버이다 IPv6를 지원하는 운영체제들이 현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IPv6에 관심을 IPv6 , , , 가지고 이용하려는 PC 이용자들도 늘어나고 있다. IPv6가 운영체제에서 이용되기 thttpd - 기반 심플하고 작고 이동이 가능하고 빠르며 안전한 웹 서버이다. 위해서는 각 운영체제마다 IPv6를 지원하고 있으면 그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는 많은 mini_httpd - IPv6와 SSL이 수반된 웹 서버이다. 애플리케이션 또한 IPv6가 지원하기 쉬워진다. 그러므로 운영체제별 IPv6 지원 현황 클라이언트 . http://www.mozilla.org/status/200 에 대해 살펴보자 Mozilla Mozilla 2000 4 11 IPv6 . 0-04-11.htm 는 년 월 일 이후로 만 지원한다 Internet http://www.research.microsoft.co MSR IPv6를 위해서 인터넷 익스플로러 4에 IPv6를 o Windows(PC) Explorer m/msripv6 추가하는 2진수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ftp://ftp.pasta.cs.uit.no/pub/Vermi lynx-2.8.2 - celli/lynx-282-v6-19990829 현재 PC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Microsoft사의 Windows 운영체제는 각 버전별 로 IPv6 지원 여부가 다르다. 다음의 [표 4-13]과 같이 Microsoft사는 2006년 이후부 O 프록시와 캐쉬 터 출시되는 운영체제에는 기본적으로 IPv6가 탑재되어 있다. 이들 운영체제에서는 [표 4-12] IPv6 기반 프록시와 캐쉬 관련 애플리케이션 기본적으로 IPv6가 사용되며, 이용자는 IPv4 기능을 제거하고 IPv6만 사용하도록 운 (2007.12 기준) 영체제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Windows Vista™은 초기에 http://www.vermicelli.pasta.cs.uit wwwoffle IPv6 WWW proxy . IPv6 주소를 취득하게 되면, 듀얼스택 모드로 IPv6를 우선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또 .no/ipv6/software.html 기반 이다 한 IPv6 터널 설정 시 ISATAP, Teredo, 6to4 터널 등 IPv6 전환기법으로 접속이 가 squid ftp://ftp.kame.net/pub/kame/misc/ - 능하다.

[표 4-13] Windows 버전별 IPv6 지원 현황 (2007.12 기준) 종 류 IPv6 지원여부 Windows 3.1,95,98,ME 전혀 지원하지 않음 Windows NT 4.0 이하 전혀 지원하지 않음 Windows 2000 Pro, Server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 필요 Windows XP OS 자체에 내장 Windows XP with Service Pack 1 이상 OS 자체에 내장 Windows Server 2003 OS 자체에 내장 Windows Vista™ OS 자체에 내장 Windows Server "Longhorn" OS 자체에 내장 Windows Server 2008 OS 자체에 내장 자료출처 : Microsoft Corporation, http://www.microsoft.com/

- 79 - - 80 - o Windows 이외의 운영체제(PC) 슈는 사용자 개인이다. 왜냐하면 윈도우 비스타의 IPv6로 업그레이드를 위해 요구되 는 중요한 문제는 IT분야의 관리자들의 교육에 달려있다. 어떠한 조직에서든 IPv6를 Windows를 제외한 많은 운영체제 개발 회사들은 향후 IPv6의 확대보급에 대비하 이용해 무엇을 하기 위해서는 교육이 가장 큰 걸림돌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사용자 기 위해 IPv6가 내장된 운영체제를 지원하고 있다. 다음의 [표 4-14]는 Windows 이 들이 얼마나 IPv4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던지 간에, IPv6를 서둘러 익히는 것은 단 외의 운영체제에서 IPv6지원 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순한 문제가 아니며 몇 주에 걸쳐 익혀야 될 숙제라고 UNH-IOL의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수석 매니저는 말하고 있다. [표 4-14] 운영체제별 IPv6 지원 현황 이처럼 우리는 IPv6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잘 구성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2007.12 기준) 우선 IT업계의 관리자들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훈련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종류 Linux Solaris HP-UX Mac OS Free BSD Open BSD IBM AIX IPv6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에 관심 있는 이용자들에게 친숙할 수 있도록 정부의 IPv6 5.3 IT 커널2.2 5.8 버전 11i 버전3 10.x버전 버전 2.7 관련기관 및 업계에서 기본 매뉴얼과 관련 정보를 보급하여 확산시키는데 많은 지원 버전 4이상 버전 5.0 .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버전 이상 자료출처 : Linux, Sun Sloaris, HP, Mac, IBM HomePage 4.3.2 윈도우 비스타에서 IPv6 활용사례

2007년 1월 말 IPv6 기능을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윈도우 비스타가 출시되었다. 이 2) 운영체제에서 IPv6 설정 시 문제점과 해결방안 전까지 윈도우 XP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IPv6 사용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윈도우 비스타가 출시되면서 다양하게 IPv6 Native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손쉽게 사 윈도우 비스타의 IPv6 스택이 시장에 선보인지 8개월이 지났지만, 윈도우 비스타 용할 수 있게 되었다. 와 이외의 환경에서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초기사용자들은 출력과 네트워크 윈도우 비스타 IPv6 기능을 사용하기 전에 윈도우 XP와의 차이점을 간단히 살펴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문제에 대해 지적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IPv6로 업그 보자. 우선 윈도우 XP의 IPv6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익스플로러에 한정되어 있다. 레이드하는 확장성을 고려해 볼 때, 이것은 사소한 결함의 일부라고 답변하고 있다. 게다가 Native IPv6를 확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윈도우 XP는 DNS 클라이언트가 윈도우에서 TCP/IP 구현 담당인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프로그램 매니저 크리스 미 IPv6 네트워크로 쿼리를 보낼 수 없기 때문에 IPv4의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첼은 윈도우 비스타와 네트워크가 연결된 프린터 사이 충돌은 상호 운용성의 문제 반면에 윈도우 비스타는 보안성이 강화되었다. IPSec도 지원할 뿐만 아니라 방화 라고 예측하고 있다. 컴퓨터의 구성 및 환경설정의 문제는 일반적인 것이고, IPv6 벽은 IPv6를 지원한다. 이것은 GUI로 모든 보안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주변의 라우터와 스위치의 네트워크 구성은 아직 불안정한 상태라고 한다. 그러나 사용하기 편리하다. 이러한 점들로 볼 때 윈도우 비스타는 기본적인 IPv6 이용에서 이러한 문제들은 IPv4 환경의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일어났기 때문에, 초기의 충돌 문 일상적인 이용으로 단계를 한층 높였다고 하겠다. 제들은 당연한 것이라고 간주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미 국방부와 Bechtel사를 포함한 대 1) 윈도우 비스타에서 IPv6 애플리케이션 사용하기 형 기업들이 윈도우 비스타의 IPv6 수용 가능성과 프로토콜 업그레이드와 관련한 환경설정의 문제들에 대해 연구중이라고 하였다. 이외에도 뉴 햄프셔 대학의 O IPv6 준비 UNH-IOL(Inter Operability Lab)은 어도비의 드림위버 웹 디자인 툴과 마이크로소 프트사의 미팅스페이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윈도우 비스타의 IPv6 환경설정 테 우선 사용자는 IPv6 환경이 필요하다. 여기서는 이용자가 사무실과 집에서 IPv6를 스트를 연구중에 있다. 또한 UNH-IOL에서 운영하고 있고,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이용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다음으로 필요한 것은 집의 컴퓨터에 도메인 네임을 IPv6 테스트베드인 Moonv6를 통해 테스트중에 있다. 할당하는 것이다. 이는 DNS 서버의 설정이 필요한데 일반 이용자가 하기에는 쉽지 그러나 결국 이러한 기술적인 문제들을 제외한 것들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큰 이 않은 일이다. 도메인 네임 할당을 이용자가 쉽게 하기 위한 방법은 [그림 4-47]과 같이

- 81 - - 82 - http://www.vsix.net, http://ocnipv6.jp/ 등에서 제공하는 Dynamic DNS를 이용하 거나 hosts파일에 임의로 도메인 네임과 IP를 매핑하는 방법이다. hosts파일은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에 존재한다. 또는 사무실의 PC에 존재 하는 이 파일을 열고 편집기를 활용해서 수정한다. 쉬운 방법이지만 IPv6 주소가 변 할 때 마다 수동으로 매번 해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 두 가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집에 존재하는 PC의 IPv6 주소를 확인해야 하는데 명령어 창에서 “ipconfig”를 이용하면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단 IPv6 주소 가 많이 할당되어 있어 이용자가 혼란을 갖을 수 있다. 이런 경우 '로컬 영역 연결' 에 있는 주소를 우선하고 로컬 영역 연결에 IPv6 주소가 없다면 “Tunnel adapter Automatic Tunneling Pseudo-Interface” 의 IPv6 주소를 취하면 된다. fe로 시작하는 주소는 외부 라우팅이 불가능하니 취하지 말아야 한다. [그림 4-47] www.vsix.net의 ddns 서비스 다음의 [그림 4-46]은 2001:2b8:80:11:2e0:91ff:fe0b:ac22 주소가 우선 사용할 수 있는 주소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만약 해당 주소가 없다면 'Tunnel adapter Automatic Tunneling Pseudo-Interface“에 존재하는 2001:2b8:2:fffd:0:5efe:202.30.83.12를 사용하면 O 집에서 사용중인 PC의 설정 된다. fe80::5efe:202.30.83.127 주소는 사용할 수 없는 주소이다.

다음에 필요한 것은 [그림 4-48]과 같이 집의 컴퓨터에 공유하고 싶은 폴더를 공유하기로 설정하는 작업이다. 공유하고자 하는 폴더에 커서를 대고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한 후에 공유를 선택하면 된다.

[그림 4-46]·ipconfig를 통한 IPv6 주소 확인

[그림 4-48] 컴퓨터 환경에서 공유폴더 설정하기

- 83 - - 84 - O 방화벽 세팅 그 다음은 위의 [그림 4-50]과 같이 속성창을 보면서 “일반 탭”을 체크하고 “보안 연결만 허용(S)”를 선택한다. 파일 공유 세팅을 끝내고 그대로 두면 보안의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방화벽에 보안 기능을 추가해야 한다. 따라서 방화벽에 특정 호스트에서만 접근을 허용하는 설정을 해줘야 한다. 추가로 통신 내용 보안을 위해서 IPsec을 설정해 준다. [그림 4-49]와 같이 [제어판]-[클래식 보기]-[관리도구]-[고급보안]이 설정된 윈도우 즈 방화벽 순서로 들어가서 왼쪽 패널의 인바운드 규칙을 선택한다. 그리고 “파일 및 프린터 공유(SMB-IN) 개인”, “공용”을 선택하고 더블 클릭한다.

[그림 4-51]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속성 중 영역 설정하기

[그림 4-51]과 같이 사무실에서 접속하는 것만 허용하도록 우선 영역을 선택한 후 원격 접속 IP를 추가한다. [그림 4-52]와 같이 해당 IP는 사무실의 IPv6 프리픽스나 [그림 4-49] 윈도우 제어판에서 방화벽 설정하기 사무실 비스타 호스트의 IPv6 주소를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확인을 두 번 한다.

[그림 4-50]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속성 설정하기 [그림 4-52] IP주소 설정하기

- 85 - - 86 - 2) 강화된 보안 기능

윈도우 비스타는 IPv6 IPSec의 기본적인 지원과 방화벽에서 IPv6 지원 강화로 보 안이 향상되었다. 그럼 IPv6의 특화된 기능을 이용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O IPv6와 주소필터

방화벽의 기본 개념은 통신 요소나 포트 등을 제한함으로써 안전한 통신을 제공 하는 것이다. IPv4에서는 특정 주소를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것이 어렵지 않았지만 IPv6에서는 주소 길이가 길어서 다소 번거롭다. 그러면 IP 주소를 활용해서 복잡하 지 않게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O 주소 필터 사용하기 [그림 4-54] 윈도우 방화벽 중 포트추가 설정하기

윈도우 비스타는 윈도우 XP에서 IPv4에 사용하는 방화벽과 동일한 형태를 IPv6에 그리고 나면 [그림 4-54]와 같이 윈도우에서 포트를 추가하는 기능이 있음을 확인 서 제공한다. 첫째로 [제어판]에서 [윈도우 방화벽]을 선택하고 [설정 변경]을 클릭한 할 수 있다. 여기서 포트와 이름을 넣고 추가를 한다. 이것은 윈도우 XP와 동일하 다. 다음 [그림 4-53]은 윈도우 방화벽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방화벽을 설 다. 단지 차이점은 범위 변경이라는 버튼을 통해서 IPv6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는 정 후 포트를 추가하는 '예외 탭'을 선택한다. 것이다.

[그림 4-53] 윈도우 방화벽 설정하기

- 87 - - 88 - 제 5 장 IPv6 관련 장비제조사 현황 참여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서비스, 솔루션 및 기타 장비(40.0%)’ 다음으로, ‘VoIP 장비 및 솔루션(40.0%)’, ‘라우터(33.3%)’와 ‘스위치(33.3%)’, ‘보안장비 및 솔루션(26.7%)’ 순으로 조사되었는데, 1절 IPv6 장비 설문 결과 이 결과는 제조사별로 강점을 갖고 있는 전문화된 분야에 치중하기 때문일 것이다.

(표본수=17) (단위 : %) 5.1.1. 개요 및 분석 방향 46.7

IPv6 관련 장비제조사는 IPv6 전용 또는 듀얼스택용 라우터, 스위치, 서버, VoIP 40.0 장비 및 솔루션, 보안장비, 서비스 및 기타 장비 등을 제조하는 기업을 의미하며, 33.3 33.3 본 장에서는 IPv6 관련 장비제조사의 현황 및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26.7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 ž 정리하고자 한다.

설문 조사의 자료를 수집한 기간은 2007년 8월 24일부터 시작하여 2007년 9월 7 일까지 조사되었다. 그리고 조사 방법은 전화로 사전 협조를 요청하여 인터넷과 팩스 등을 이용하여 응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사 대상은 IPv6 관련 장비 라우터 스위치 V oIP장비 및 솔 보안장비 및 솔루 서비스, 솔루션 및 제조사 30개 기업이었고, 이 중 17개 기업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였다. 루션 션 기타 장비

[그림 5-1] IPv6 제조 장비 및 솔루션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수집, 완성된 유효 응답 자료(raw data)를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IPv6 관련 장비제조사 설문의 주요 내용은 제조 장비 및 솔루션 종류, 장비 개발 5.1.3. IPv6 장비 기능 개발시 애로 사항 시 및 판매시의 애로 사항, 장비제조시의 중요시 여기는 기준 및 요구 사항 등이었 으며, 이를 통해 IPv6 관련 장비제조사의 애로 사항과 활성화 방안을 점검하였다. IPv6 관련 장비제조사는 라우터의 기능적 특징으로 IPv4와 IPv6 동시지원성, 무선 랜 지원, 고속성, 다양한 인터페이스, VPN 및 터널링 지원 등을 꼽고 있다.

5.1.2. IPv6 제조 장비 및 솔루션 종류 스위치는 IPv4와 IPv6 동시지원성, 멀티 포트, 규모별 지원(소형, 중형, 대형 등) 등을 특징으로 언급하고 있으며, 서버는 Mobile 및 방화벽 VPN 지원 등의 특징을 갖고 있고, VoIP 장비 및 솔루션은 IPv4와 IPv6 동시지원성, 무선랜 지원, 스피드 IPv6 관련 장비제조사에서 제조, 판매하는 장비는 라우터, 스위치, VoIP 장비 및 다이얼링, 개인비서 기능, 오디오 코덱, 화상 통화 기능, 비디오 영상 코덱 기능 등 솔루션, 보안 장비 및 솔루션, 서비스 솔루션 및 기타 장비가 생산, 판매되는 것으 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보안 장비의 경우에는 방화벽 VPN, 암호가속기능 등을 로 조사되었다. 특징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 중에서, ‘서비스, 솔루션 및 기타 장비(46.7%)’가 가장 높게 나타나 IPv6 관련 장비제조사 2개사 중 1개사 정도는 참여하고 분야로 나타났다. 이는 장비를 제조하 이러한 IPv6 장비의 다양하고 독창적인 기능 개발 및 제공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 여 공급하는 것과 더불어 그 장비를 운영, 보수 및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 89 - - 90 - IPv6 관련 장비제조사는 ‘최신표준의 반영(46.6%)’이라고 설문에 응답하였다. IPv6가 (표본수=17) (단위 : %) 아직까지는 초기 단계이므로 표준이 확정되어 있지 않고, 기술의 변화가 빠르기 때 66.7 문에 겪고 있는 애로사항일 것이다. 그 다음으로, IPv6 장비제조사 고유의 기능을 개발하기 위하여 ‘높은 개발비용(26.7%)’에 대한 부담과 ‘기능 및 성능 기준 불명확 46.7 (26.7%)’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40.0

26.7 26.7 (표본수=17) (단위 : %) 13.3 20.0 13.3 13.3 6.7 6.7 13.3 6.7 0.0 기능 및 성능기준 높은 개발비용 불명확 기술 한계 연구개발 투자 인력부족 장비표준화 미 생산원가 상승 기타 어려움 없다 26.7% 26.7% 재원부족 흡

1 1+2 최신표준의 반영 순위 순위 46.6% [그림 5-3] IPv6 장비 제조 시 애로사항

주1) 1순위 : IPv6 장비 제조시 애로사항에 대해 2순위까지 응답한 내용 중 1순위만의 응답 [그림 5-2] IPv6 장비 기능 개발시 애로사항 주2) 1+2순위 : IPv6 장비 제조시 애로사항에 대해 2순위까지 응답받은 내용 중 1순위와 2순위 응답 모두를 합한 비율

5.1.4. IPv6 장비 제조 및 판매시 애로 사항 IPv6 장비를 판매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점을 우선순위에 따라 2순위까지 응답받 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IPv6 관련 장비제조사의 IPv6 장비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점을 우선순위에 따라 2순위까지 설문으로 응답받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순위만의 응답 결과는, ‘적은 IPv6 수요(66.7%)’가 가장 높게 나타나 아직까지는 . 먼저, 1순위 응답만을 살펴보면, ‘연구개발(R&D) 투자재원부족(46.7%)’이 가장 큰 초기 시장이라 수요가 적어 매출이 적기 때문에 겪는 어려움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 (33.3%)’ IPv6 어려움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는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산업이기 때문에 ‘전문인 그 다음으로 이용기관수가 적음 이라고 장비제조사가 응답하였는데 이 력이 부족(13.3%)’하다는 점과 ‘생산원가 상승(13.3%)’에 따른 수익성 저하라는 응답 는 판로가 제한적이어서 판매가 어렵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기술한계(6.7%)’와 ‘장비표준화 미흡(6.7%)’의 순으로 조사되 었다. 1순위와 2순위를 합한 응답 결과를 보면, ‘적은 IPv6 수요(86.7%)’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이용기관수가 적음(80.0%)’, ‘정부지원책 미비(20.0%)’, ‘인력부족(6.7%)’과 1순위와 2순위의 응답을 모두 합한 결과를 보면, ‘연구개발(R&D) 투자재원부족 ‘어려움 없다(6.7%)’의 순으로 나타나 1순위 응답과 유사한 응답을 보이는 것으로 보 (66.7%)’이 가장 높았는데, 이것은 1순위 응답과 동일하였고, 그 다음으로 ‘어려움 없 아 IPv6 장비제조사가 판매시 겪는 가장 큰 애로 사항은 IPv6 수요가 미흡하다는 다(40.0%)’, ‘인력부족(26.7%)’과 ‘생산원가 상승(26.7%)’, ‘장비표준화 미흡(20.0%)’, 점으로 판단된다. ‘기타(13.3%)’, ‘기술 한계(6.7%)’ 순으로 나타났다.

- 91 - - 92 - (표본수=17) (단위 : %) (표본수=17) (단위 : 5점척도)

86.7 (단위 : %) 4.29 66.7 4.24 80.0 4.18

33.3 3.76 3.71 3.59 20.0 0.0 0.0 6.7 0.0 6.7

적은 IPv6 수요 정부지원책 미비 이용기관수가 적 인력부족 어려움 없다 음

호환성(IPv4/IPv6) 기본기능(접속/연동 설치 편리성 공공기관 인증 장비가격 판매가능성 1순위 1+2순위 등)

[그림 5-4] IPv6 장비 판매 시 애로사항 [그림 5-5] IPv6 장비 제조 시 중요 기준

주1) 1순위 : IPv6 장비 판매시 애로사항에 대해 2순위까지 응답한 내용 중 1순위만의 응답 주2) 1+2순위 : IPv6 장비 판매시 애로사항에 대해 2순위까지 응답받은 내용 중 1순위와 2순위 응답 모두를 합한 비율 5.1.6. IPv6 장비 산업 활성화를 위한 요구 사항

IPv6 판매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정부지원 사항을 분석한 결과, ‘IPv6 전환 5.1.5. IPv6 장비 제조시 중요 기준 시기 단축(53.3%)’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IPv6 도입기관 및 업체에 대한 인센 티브(46.7%)’라고 조사되었다. 반면 ‘IPv6에 대한 홍보’와 ‘IPv6 구축 및 운영 인력 IPv6 장비제조사에게 장비 제조시의 기준에 대해 어느 정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교육’이라는 응답은 필요 순위에서 뒤쳐져 응답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를 5점 척도로 질문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IPv6 장비 제조시, ‘호환성(IPv4/IPv6)(4.29점)’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 (표본수=17) (단위 : %) 타났는데, 이는 아직까지 IPv4를 이용하지 않고 IPv6만을 이용하고 있는 공공기관이 나 기업이 없기 때문에 양자에 모두 이용할 수 있어야 하는 점이 가장 중시되고 있 는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기준은 매출 확보를 위한 ‘판매 가능성(4.24 IPv6 전환시기 단축 53.3 점)’, ‘기본기능(접속/연동 등)(4.18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3개의 기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장비가격(3.76점)’, ‘설치 편리성 IPv6 도입기관 및 업 46.7 (3.71점)’, ‘공공기관 인증(3.59점)’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체에 대한 인센티브 낮게 나타난 3개의 기준도 5점 만점에 3.50점을 넘을 정도로 절대적으로는 높은 편 에 속하기 때문에 IPv6 장비제조사의 장비 제조시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고 보아 야 할 것이다. [그림 5-6] IPv6 판매활성화 정부지원 사항

- 93 - - 94 - IPv6 장비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방안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 5.2.2. IPv6 국산 장비 매출 현황 ‘IPv6 어플리케이션 개발(40.0%)’이 가장 높게 나타나 IPv6에 활용할 수 있는 어플리 케이션의 필요성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고, 다음으로 ‘국내․외의 IPv6 확산 IPv6 2007 (26.7%)’, ‘통신사업자의 IPv6망 구축(20.0%)’, ‘정부 지원(13.3%)’ 순으로 중요하다고 장비 구분별로 관련 년도 국내 장비제조사의 매출 현황을 아래 표와 같 응답하였다. 이 정리한 결과 대체적으로 VoIP 장비 솔루션의 매출액 비중이 많이 차지하고 있음 을 알 수 있으며, 이는 IPv6 VoIP 장비 솔루션이 외산제품과 비교할 때 경쟁력이 (표본수=17) (단위 : %) 있다고 볼 수 있다.

IPv6 어플리케이션 개발 40.0 [표 5-1] IPv6 국산 장비 매출 현황

2007년 12월 기준 국내/외 IPv6 확산 26.7 국산장비 매 출 액 비 고 통신사업자 IPv6망 구축 20.0 제조사 L 사 31,700,000,000 VoIP장비 솔루션 정부 지원 13.3 A 사 500,000,000 VoIP장비 솔루션 I 사 259,000,000 VoIP장비 솔루션 M 사 32,850,000 소형라우터 [ 5-7] IPv6 그림 활성화 방안 Y 사 25,000,000 서비스솔루션 및 기타장비 총계 32,516,850,000

2절 IPv6 장비 출시 현황 5.2.3. IPv6 국내 장비 현황

5.2.1. IPv6 국산 장비 대체 효과 정부가 오는 2013년까지 국내 모든 상용 통신망의 가입자망을 차세대 인터넷 주 소체계인 IPv6로 전환키로 함에 따라 국산 장비업계에도 특수가 일지 주목되고 있

프로젝트가 대형화되어 갈수록 외산에 대한 집중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다. 특히 그동안 외국 네트워크 장비업체들이 주도해 온 IPv6 장비시장에 국내 장비 있다. 2007년에도 수많은 정부부처 및 기관, 기업, 금융 등에서 네트워크 망을 업그 업체들이 국산화 바람을 일으킬지 주목된다. , . 레이드하면서 해당 장비를 선정할 때는 대부분 외산제품들을 찾고 있다 이러한 상 업계 전문가들은 정부의 IPv6 전환 방침이 당장 네트워크 장비 특수로 이어지지 2007 황을 배경으로 국내 장비제조사의 년도 매출액을 이용하여 국산 장비의 외산 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상당수 네트워크 장비업체들이 IPv6 전환을 염두에 장비 대체 효과를 개략적으로 추정해 보았다. 두고 IPv4/IPv6 듀얼 장비를 개발ㆍ공급해 온 데다, 가장 큰 수요 발생이 예상되는 , VoIP 324 6 , 먼저 국내 장비제조사의 장비는 약 억 천만원 정도가 제조 판매되었으 정부ㆍ공공기관의 경우도 시범사업 등을 통해 어느 정도 IPv6 주소체계를 갖춰가고 , 3 , 2 5 며 소형 라우터 장비는 약 천만원 정도 서비스 솔루션 및 기타 장비는 약 천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수혜는 분명해 보인다. 2010년 정부ㆍ공공 백만원 정도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국산 장비의 2007년도 전체 매출로 보면 약 325 기관에 이어 2013년까지 모든 상용 통신망의 인터넷 주소체계가 IPv6로 바뀔 경우, . 억원 정도가 외산 장비를 대체한 것으로 추정된다 IPv6를 지원하지 않는 네트워크 장비는 교체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 95 - - 96 - 한 업계 전문가는 "IPv6 주소체계가 본격화되면 일부 IPv4와 IPv6를 동시에 지원 [표 5-2] 상용 국산 장비 및 솔루션 현황

하는 듀얼스펙 장비를 제외하고 현재 인터넷망에서 사용하고 있는 라우터와 단말기 종류 모델명 개수 는 물론 허브, 스위치, 무선 공유기, 나아가 컴퓨터 운영체제(OS)까지 대부분 네트워 소호․ 머큐리 RUSH-1000W, 아이비트 Forsix-3100, LG-Nortel IP LDK-828, 다산네트웍스 7종 크 장비의 사용이 불가능하다"며 "결국 장비를 교체하거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홈라우터 V3302, 유비쿼스(구 로커스 네트웍스) PR304, P104, P108

해줘야 하는 만큼, 분명 새로운 시장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머큐리 RUSH-1004W, 아이비트 Forsix-3200, Forsix-2000R, 애드팍테크놀러지 이에 따라 네트워크 장비업체들의 IPv6 장비 상용화시범사업 등의 경우 국산 장 소형 AP2850, AP2830, 모다정보통신 U-ROAD1000, U-ROAD2000, 다산네트웍스 16종 V5224G, V5724G, V5424G, V6324F, GWIM , ( ) 비를 우선 채택하고 있는 만큼, 국내 네트워크 업체들의 IPv6 장비 출시가 이어질 라우터 유비쿼스 구 로커스 네트웍스 P8124G, P808FG, P8024G, P8524XG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중․대형 애드팍테크놀러지 AP5850, AP4820, AP4810, LG전자 MSR40콤텍시스템 AR40 삼 실제 국내 네트워크 장비 업체들은 2007년을 기점으로 IPv6 장비시장이 본격화될 8종 라우터 성전자 Ubigate iBG3026, Ubigate iBG2016, Ubigate iBG2006, 것으로 보고 있다. 2008년에는 스위치와 라우터뿐만 아니라, 유무선 통신단말기 분 모임스톤 IP-250, WP-150 삼성전자 OfficeServ 7200, OfficeServ 7400 ITP5021D, IPv6 . 야에 이르기까지 장비 개발 및 출시를 서두르고 있다 또한 국내통신장비 업체 ITP5100V, Office Serv SOHO, WIP 단말, IAP, IAP-M, IAP-E, WLAN MITs PDA, 들이 VoIP 시장을 겨냥하여 IPv6 기반의 IP-PBX(IP 사설교환기), 게이트웨이, 유무 WLAN WebPAD, SMT-R2000 아이비트 Forsix-1000S, Forsix-2100A, Forsix-2000R, 선 IP폰 출시가 이어질 전망이다. Forsix-1000M 애드팍테크놀러지 IPNext 200, IPNext 500, AP-IP200, AP-VP300, VoIP 장비 AP-MG5000, AP-MG3000, AP2650, AP-IP300, AP-VP500, IPNext700 모다정보통 이미 외국 네트워크 장비업체들이 주도하고 있는 스위치와 라우터 시장에 삼성전 53종 및 솔루션 신 M-SVP 2000, M-SVR 2000, U-Talk, Modacom PTT Solution, MobileIP/Fast 자를 필두로 다산네트웍스 등이 IPv6 장비를 출시했거나 개발중이다. 또 최근 본격 HandoverLG-Nortel ARIEL, iPECS LIK-100, iPECS LIK-300, LIP 6000, LIP 7000, 적인 시장형성 조짐을 보이고 있는 인터넷전화(VoIP) 시장을 겨냥한 IPv6 지원장비 IPLDK-50, IPLDK-100, IPLDK-300, IPLDK-600, LIP-7024DH, LIP-7016DH, 들도 이어지고 있는데, 제너시스템즈ㆍ애드팍테크놀로지ㆍ아이비트 등이 관련 제품 LIP-6030DH, LIP-6012DH MMC 테크놀로지 X7000Gv6, 제너시스템즈 XIP, X-SG, X-MS, X-AS, X-MRF X-SSW 을 출시 또는 준비하고 있다. NXG2000, SecuwayGate 100, SecuwayGate 1500, 삼성전자는 2008년에 IPv6 기반 중대형 스위치를 상용 출시할 계획이고, IP-PBX 시큐아이닷컴 퓨처시스템 보안장비 및 SecuwayGate 3000, SecuwayGate 6000, SecuwayGate 10000, FutureUTM100, 장비군에 IPv4/IPv6 듀얼스택을 지원한데 이어 2008년에는 차세대 시장을 겨냥한 12종 솔루션 FutureUTM 1500,FutureUTM 3000, FutureUTM 6000, FutureUTM 10000 CoreBell IP 영상 폰, IP 폰, 웹 PDA, 무선 랜 장비군에 IPv4/IPv6 듀얼스택을 지원할 계획 IPv4 IPv6 NATPT 변환 및 보안 솔루션 . IPv4/IPv6 L3 이다 이미 하반기에 듀얼스택을 지원하는 스위치를 선보인 바 있는 에스넷시스템 MePS-NMSv6, 넷채널 IPv6 구축 실습소프트웨어, 다산네트웍스 다산네트웍스도 2008년에는 IPv6 기가비트이더넷 스위치를 선보일 예정이다. V5224G, V5724G, V5424G, V6324F, 미리텍 MiriProbe, MiriCap, 씨엠 DAM, 아이 제너시스템즈도 최근 중소형 IP-PBX와 시그널링 게이트웨이에 IPv6 기술을 지원 비트 Forsix-1000M, Forsix-2000A, 아이엠넷피아 Ex-DS, Ex-Move6, Ex-FHOv6, Ex-RADIUSv6, SEND, exShare6, IPv6 시범서비스(LBS), Ex-WIMS, Ex-SM, 애드팍 한데 이어 2008년에는 IPv6 기반 대용량 소프트스위치를 비롯해, 미디어서버, 애플 서비스 테크놀러지 AP-VG1000, AP-VR2000, AP-VC200, AP-VC2000, AP-MC3000 유미테 . 리케이션 서버 등을 선보인다 솔루션 및 크 마이그레이션6, IPv6 Tunnel Broker 모다정보통신 Wi-NMS, NGC2000, 글로벌텔 46종 ‘글로벌 IPv6 서밋 2007’에서 라티프 라디드(Latif Ladid) 국제 IPv6 포럼 의장은 기타장비 레콤GT-View_CatchFlow IPv6, 네오텔레콤 Address Translator, BBMv6, DVRv6, 올해 IPv4 인터넷 주소의 19%만이 남아 곧 주소고갈 문제에 직면한다고 경고했다. NV4v6, 와이즈피어 폴더로, 위즈네트 6CAM, EG-RFID6, 위즈정보기술 IPv6 홈 컨 트롤링 시스템, 가전 제어 시스템, H.323 기반의 VoIP 시스템, IrDA/RFID와 연계한 그는 IPv6를 활용하는 킬러 애플리케이션으로 단기적으로는 가상사설망(VPN), 인터 회진용 디지털 차트 시스템, SPX2000i, 코어벨 64 Service Bridge, 64 DNX, 64 (VoIP), , , 3 (3G) NGN, 넷전화 게임 브로드밴드 세대 이동통신 등이 중장기적으론 원격 Router 퓨쳐시스템 IPv6 홈게이트웨이 제어, 휴대인터넷(와이브로), 홈네트워크, 전력선 통신 등을 꼽았다. 이와같이 IPv6를 합 계 142종 활용할 솔루션들이 활성화 된다면 IPv6 국산 장비의 시장 및 보급률은 급속히 증가 자료출처 : 2007 IPv6 동향, 2007. 12 될 수 있을 것이다.

- 97 - - 98 - 1) 퓨쳐시스템 o IPv6 용 Firewall & VPN 보안 장비 2007년 퓨쳐시스템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정보통신선도기반 기술 개발 사업 o IPv4/IPv6 듀얼스택 SecuwayGate 공동 연구개발에 참여하여 IPv4/IPv6 보안연동 기술, IPv4/IPv6 연동 방화벽 패킷 o 암복호화시 암호가속기 사용 1500 필터링 기술, IPv4/IPv6 연동방화벽/IPS 통합 구연 기술개발에 참여하고 기술을 o 성능 : 300 Mbps (‘06.06) , IPv6 FutureUTM 이전 받았으며 관련 해당 기술을 시큐웨이게이트 제품군과 제품군 o 방화벽 세션 : 400,000 . 에 적용할 계획이다 o IPSec Tunnel : 8,000 퓨쳐시스템은 2005년부터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이 KOREAv6 시범 서비스 사업의 o 10/100-TX (8 ports) 일환으로 추진하는 “홈네트워크 IPv6 시범 서비스”의 사업자로 선정돼 2005년 11월 2005 까지 연구과제를 수행했으며 퓨쳐시스템은 정보보호 업계에서는 처음으로 년 o IPv6 용 Firewall & VPN 보안 장비 6월 국제 IPv6포럼이 부여하는 ‘IPv6 Ready Logo’를 획득했다. IPv6 Ready Logo를 o IPv4/IPv6 듀얼스택 획득한 제품은 ETRI와 공동 개발한 IPv6용 VPN 장비 ‘시큐웨이게이트 6000’이다. o 암복호화시 암호가속기 사용 IPv6 Ready Logo는 국제 IPv6포럼이 전 세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인증제도로 SecuwayGate o 성능 : 1 Gbps 로고를 획득한 제품은 IPv6 망에서 장비 간 호환성을 충족시키고 IPv6 표준을 준수 3000 o 방화벽 세션 : 1,000,000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퓨쳐시스템은 TTA로부터 IPv6 Home Gateway 제품과 (‘06.06) o IPSec Tunnel : 10,000 시큐웨이게이트 6000제품에 대해서 Conformance & Interoperability 운용시험을 받 아 TTA Verified 인증서를 수령하여 IPv6에 대한 적합성 시험도 검증 받았다. o 10/100/1000-TX (6 ports) 퓨쳐시스템은 현재 IPv4/IPv6 Dual Network를 동시에 지원하는 Future UTM o 1000-SX (2 ports) 통합보안제품을 출시하여 도래할 IPv6 시장에 대비할 것이다. o IPv6 용 Firewall & VPN 보안장비 2008년에는 IPv6망이 도입된 공공기관에 IPv6와 IPv4를 동시에 지원하는 보안장 o IPv4/IPv6 듀얼스택 . IPv6 IPv6 비 수요가 예상된다 공공기관의 보안장비 수요는 보안 장비 시장의 태동 o 암복호화시 암호가속기 사용 SecuwayGate 이라 생각되며 이에 퓨쳐시스템은 점진적으로 민수 시장 등에도 IPv6망이 확대될 것 o 성능 : 2 Gbps 6000 을 예상하여 공공기관을 필두로 하여 IPv6 보안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o 방화벽 세션 : 2,000,000 세션지원 (‘06.06) o IPSec Tunnel : 20,000 세션지원 모델명 종류 주요기능 및 특징 제품 o 10/100/1000-TX (4 ports) (출시시기) o 1000-SX (4 ports)

o IPv6 용 Firewall & VPN 보안 장비 o IPv6 용 Firewall & VPN 보안 장비 o IPv4/IPv6 듀얼스택 o IPv4/IPv6 듀얼스택 보안장비 SecuwayGate o 암호가속기 사용 : FSC2002 o 암복호화시 암호가속기 사용 SecuwayGate 및 100 o 성능 : 200 Mbps o 성능 : 4 Gbps 10000 솔루션 (‘06.06) o 방화벽 세션 : 3,000,000 세션지원 o 방화벽 동시 세션 : 100,000 (‘07.08) o IPSec Tunnel : 20,000 세션지원 o IPSec Tunnel : 4000 o 10/100/1000-TX (4 ports) o 10/100-TX (8 ports) o 1000-SX (4 ports)

- 99 - - 100 - 2) 유미테크 o IPv6 용 Firewall & VPN & IPS 통합보안 장비 o IPv4/IPv6 듀얼스택 FutureUTM o 암호가속기 사용 : FSC2002 유미테크는 IT839전략의 차세대 3대 핵심인프라인 BcN, USN, IPv6 분야의 핵심 100 o 성능 : 200 Mbps 기술을 보유한 IT 관련 SW 및 솔루션개발 전문업체로서, 2005년도 한국정보사회진 (‘07.08) o 방화벽 동시 세션 : 100,000 흥원에서 주관한 “KOREAv6 시범서비스” 사업에 참여하여, “터널브로커를 이용한 o IPSec Tunnel : 4,000 고정주소 서비스”라는 Web 서비스와 접목한 IPv6 주소 보급 시범사업을 수행하였 o 10/100-TX (8 ports) 다. 국내 최초로 “IPv6 터널브로커”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일반 대중을 상대 o IPv6 용 Firewall & VPN & IPS 보안 장비 로 한 IPv6 포탈의 형태로 시범서비스 함으로서 상용화 기술력을 확보하였다. o IPv4/IPv6 듀얼스택 유미테크가 개발한 터널브로커 시스템은 IPv4와 IPv6가 혼재되는 전환기에 있어 FutureUTM o 암복호화시 암호가속기 사용 서 기존의 IPv4 환경의 모든 사용자들에게 별도의 추가비용 없이 간단한 클라이언 1500 o 성능 : 300 Mbps IPv6 IPv4/IPv6 (‘07.08) o 방화벽 세션 : 400,000 트의 설치만으로 주소를 자동으로 부여해 줌으로써 의 듀얼 환경을 o IPSec Tunnel : 8,000 제공해 줄 수 있다. o 10/100-TX (8 ports)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10여개의 터널브로커 서버가 주로 연구 목적 용도로 운영 o IPv6 용 Firewall & VPN 보안장비 되고 있으며, 상용화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는 회사는 Hexago사가 유일한 상황이다. o IPv4/IPv6 듀얼스택 또한, 2007년 유미테크는 중소기업청의 기술혁신개발 정책자금을 지원받아, 기 개발 o 암복호화시 암호가속기 사용 FutureUTM 된 터널브로커 시스템을 HW 제품화하여 상용화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개발을 o 성능 : 1 Gbps 3000 진행하고 있으며, 2008년도 1/4분기에 관련 산업계에 출시를 예정하고 있다. o 방화벽 세션 : 1,000,000 (‘07.08) 유미테크는 터널브로커의 상품화 출시를 앞두고, 2007년 11월 한국과학기술정보연 o IPSec Tunnel : 10,000 (KISTI) KREONET “IPv6 Portal" o 10/100/1000-TX (6 ports) 구원 의 연구망인 웹사이트 내에 을 구축하는 사업을 o 1000-SX (2 ports) 수주하여 구축 하였다.

o IPv6 용 Firewall & VPN 보안 장비 모델명 종류 주요기능 및 특징 제품 o IPv4/IPv6 듀얼스택 (출시시기) o 암복호화시 암호가속기 사용 o 국내 유일의 솔루션, FutureUTM o 성능 : 2 Gbps o 모든 IPv4 PC환경에 즉시 IPv6 6000 o 방화벽 세션 : 2,000,000 세션지원 IP 부여 가능 (‘07.08) o IPSec Tunnel : 20,000 세션지원 o IPv6 상용 Appliction 사용가능 o 10/100/1000-TX (4 ports) IPv6 Tunnel 주요기능 o 1000-SX (4 ports) 서비스 솔루션 및 Broker o IPv6-in-IPv4 tunnels (GOODM6) o NAT Traversal o IPv6 용 Firewall & VPN 보안 장비 기타장비 (‘07.12) o DNS o IPv4/IPv6 듀얼스택 자동 등록 기능 o AAA ( , , o 암복호화시 암호가속기 사용 솔루션 인증 권한 할당 FutureUTM ) o 성능 : 4 Gbps 과금 서비스 제공 10000 o OS Client o 방화벽 세션 : 3,000,000 세션지원 다양한 를 지원하는 (‘07.08) o Monitoring o IPSec Tunnel : 20,000 세션지원 o 10/100/1000-TX (4 ports) o 1000-SX (4 ports)

- 101 - - 102 - 3) 모다정보통신 o WindowsXP, WindowsCE OS 지원 2007년 모다정보통신은 WiBro 모뎀/모듈 등의 개발 공급으로 WiBro 시장리더로 o Linux OS 지원 사업을 진행 하고 있으며, IPv6 관련 핵심 기술과 VoIP(U-Talk), 망관리시스템 o Notebook, UMPC, PDA, PMP (Wi-NMS)을 포함한 응용서비스, IPv4/IPv6 지원 라우터(U-Road), IPv4/IPv6변환기, 등의 이동단말 지원 VoIPv4/ VoIPv6서비스 연동기(6-bridge)를 포함한 장비들을 개발해 제공하고 있다. o IEEE802.11a/b/g 지원 또한 해외사업으로는 각 사업자의 WiMAX사업 대응을 위해 USB Dongle, Express o MIPv6/MIPv4/Fast Handover 서비스구성도 Card, 내장 모듈, WiMAX 복합 단말 등을 개발 하였다. 프로토콜 처리 o IETF RFC 3775 Windows XP 및 WinCE 플랫폼 하에서 동작하는 SIP기반의 VoIP 솔루션(U-talk) (Mobility Support in IPv6) 은 PC, PDA 및 기타 휴대 단말에 탑재하여 실시간 음성/영상전화, 문자 채팅 및 Mobile 규격 준수 Presence, Instant Messaging 서비스 등을 제공함으로 VoIP 시장에 사업 활동을 하 VoIP 장비 및 IP/Fast o IETF RFC 3776 . IPv4/IPv6 U-ROAD 솔루션 Handover 고 있다 지원 라우터인 는 다양하고 확장성 있는 서비스를 제 (Using IPsec to Protect Mobile (‘07.05) 공하는 멀티서비스 처리 라우터로 유비쿼터스 시대를 준비하는 선도기업들에게 새 IPv6 Signaling Between 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구축이 가능하며, 쉽 Mobile Nodes and Home 고 편리한 운용성을 제공하는 제품이다. 이와 함께 모다정보통신은 이동성을 지원하 Agents) 규격 준수 는 Mobile IPv6와 Fast Handoff 기능을 Windows XP 및 Win CE기반으로 개발하 o IETF RFC4068 (MIPv6 Fast 였다. Handovers for Mobile IPv6)

또한 모다정보통신은 2006년부터 Wibro/IPv6 기반 융합 단말 플랫폼 개발을 수행 규격 준수 o IETF Mobile IPv4 RFC3344 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국내뿐 아니라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WiBro(WiMAX) 및 규격 준수 IPv6 관련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 개발을 진행중이다. o IPv6 Ready Logo Phase2 Test Pass

모델명 종류 주요기능 및 특징 제품 (출시시기) 4) LG-Nortel o IPv4/IPv6 동시 지원 라우터 o IPv4 와 IPv6 간 변환 및 연동 LG 노텔의 IPv6 활동으로는 3G 이동통신망의 IPv6 대응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기술 지원 o QoS (IP Diffserv, ATM IPv6 관련 기술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3G 이동통신망의 주요 구성노드인 SGSN U-Road 1000 QoS class) 기능 지원 (Serving GPRS Support Node),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IPv6 기능 (‘05.12) 소형 라우터 o 다양한 보안기능(IPSec, VPN, 을 부가함으로써 이동통신망의 IPv6 진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Wibro의 IPv6 기반 서 U-Road 2000 Firewall) 제공 비스를 위해서도 제어국 (ACR)과 기지국(RAS)에 IPv6 도입전략을 수립해 놓고 있 (‘05.12) o 이동성(Mobile IP/Fast 다. 또한, Enterprise 제품중에도 TTA의 IPv6 인증을 받은 제품들이 많이 있으며 소 handover, NEMO) 지원 기능 용량부터 대용량 및 터미널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키폰 시스템인 ipLDK-Series와 제공 PBX 시스템인 iPECS-100/300/600은 중소용량 제품으로써 소규모 인원 및 회선에 o 편리한 제어 및 관리 기능 적합한 시스템으로 IP 전화 단말기을 통합관리 할 수 있다. 특히 iPECS-100/300/600의 경우 All IP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Application

- 103 - - 104 - 및 Feature의 확장에 유리하다. iPECS-2000/Ariel은 중대용량의 IP-PBX 제품으로 국내 /외 본지사간은 물론, 콜센타, 학교 등에 적용되며 시스템의 Node를 분리하여 원격 IP LDK-50 (‘05.01) 지간 하나의 시스템으로 처리가 가능하여 Branch Solution에 적합하다. IP 전화 단 말로는 LIP-Series가 출시되어 있으며 2008년에는 3종의 대용량의 All IP 시스템 및 IP LDK-100 o 일반전화 단말 및 IP 전화단말 Wireless SOHO, 신규 단말의 출시가 예정되어 있다. (‘05.01) 통합관리 모델명 o 소용량 Pure IP-KTS 종류 주요기능 및 특징 제품 사진 (출시시기) IP LDK-300 o 성능 : 50, 100, 300, 600 회선 (‘05.01) 지원, IP-Phone50/100/300/600대 지원 o SIPv6, LG-Nortel Proprietary VoIPv6, IPv4/IPv6 Dual Stack o TTA IPv6 인증 획득 STAREX-ARIEL o 대용량 IP-PBX IP LDK-600 (‘05.01) (‘03.05) o 회선용량 : 13,000회선

o 일반전화 단말 및 IP 전화단말 통합관리 o 소용량 Pure IP-PBX iPECS-100/300/ o 성능 : 100, 300, 600 회선지원, iPECS-2000 o 중용량 IP-PBX 600 (‘05.10) IP-Phone 100/300/ 600대 지원 (‘06.10) o : 2,000 VoIP 장비 및 회선용량 회선 o SIPv6, LG-Nortel Proprietary Solutionl VoIPv6, IPv4/IPv6 Dual Stack o TTA IPv6 인증 획득

LIP-6004N (‘07.02) o IPv6 IP Phone 기본통화 LIP-6012DH o Transfer, Hold, Mute, Forward, (‘07.02) Hot/Warm Line, CID, Hot Desk LIP-6030DH IP LDK-828 o Speed Dial, 개인비서, o 소용량 IP-KTS (‘07.02) (‘05.11) 통화대기/예약 LIP-6048DSS o Audio Codec (‘07.02) (G.723.1, G.729, G711) LIP-7008DH o IPv4/IPv6 Dual Stack, VoIPv6 (‘07.02) o TTA IPv6 인증 획득 LIP-7016DH (‘07.02)

- 105 - - 106 - LIP-7024DH o 2 Line LCD VoIP용 유선 (‘07.02) IP Phone LIP-7024LDH ITP-50xx o 기본통화, Transfer, Hold, Mute, (‘07.02) (IP Phone) Forward 등 LIP-7048DSS (‘05.10) o Speed Dial, 통화대기/예약 (‘07.02) o Audio(G.711/723.1/729) o IPv4/IPv6 Dual Stack

o 3.5” TFT 칼라 LCD with ITP-51xx Navigation ( ) 5) 삼성전자 고급형 (IP Phone) o VoIP 유선 IP Phone (‘06.03) o Audio(G.711/723.1/729) 2007 SK , 2007 IPv6 삼성전자는 년도에 네트웍스 경찰청이 함께 참여한 년도 시범사 o IPv4/IPv6 Dual Stack 업인 "경찰 치안 고도화 사업"은 경찰청의 기존 음성기반의 신고서비스를 3G-VoIP o 3.5” TFT 칼라 LCD IP Video 간 영상통화를 활용한 Multimedia 기반 서비스로 고도화하여 대국민서비스 질을 향 Phone 상하였다. Video Phone o VGA급(640x480) CMOS Camera 3G폰으로 신고 받은 영상 신고 정보는 현장으로 출동하는 경찰관에게 영상통화를 (‘06.03) o H.263, MPEG4, G.7xx Voice 통해 재전송하여 사건현장 도착 전에 영상신고 정보를 획득하게 하여 정확한 사건 Codec 처리에 활용 가능토록 하였다. 또한 경찰청 내 VoIPv6 기반의 IPv6 영상폰을 경찰 o IPv4/IPv6 Dual Stack 청 국/관 실에 설치, 운용함으로서 향후 VoIPv6 기반의 경찰 전화망 구현의 초석을 o IPv6 Windows APIs 마련했다. Soft Phone o Windows Based Soft Phone 2008년부터 경찰청 구축 본 사업이 진행될 예정으로 삼성전자가 참여할 예정이며 및 o IP-UMS Server IP Solution o E-Mail Connector 향후 IPv6의 전국망 확산에 대비하여 소프트스위치, 미디어게이트웨이 및 셋톱박스 (‘06.05) o Fax Server 등 Core, Mobile, Home 분야에 확대 적용할 전망이다. o Web Server

o K/P에 라우터, 스위치를 복합한 6) 아이비트 Voice, Data 통합 제품 OfficeServ 7400 o Router, L2/L3 Switch, VPN, 아이비트는 2007년을 맞아 주력사업을 IPv4/IPv6 변환기와 IP-USN 솔루션 및 (IP K/P) Firewall, QoS, SIP-ALG IPv6 지원 네트워크 카메라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결과 IPv4/IPv6 변환기 분야에 (‘07.01) o IPv4/IPv6 Dual Stack, VoIPv6, SIPv6, RTPv6 서 2007년 상반기에 기가비트급 변환 성능을 낼 수 있는 Forsix-2100A 제품을 개발 VoIP 장비 및 o 400 하여 출시하였다. Forsix-2100A는 별도의 독립적인 IPv4 및 IPv6 포트를 갖추고 IPv4 솔루션 최대 가입자 와 IPv6 포트간에 인터넷 패킷과 SIP기반의 VoIP 패킷을 변환하여 준다. o Router, Switch, VPN, Firewall,

OfficeServ 7200 QoS, SIP-ALG 기가비트 이더넷 성능과 강력한 프로세서의 처리능력을 바탕으로 엔터프라이즈 (IP K/P) o IPv4/IPv6 Dual Stack, VoIPv6, 및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 시장을 목표로 한 Forsix-2100A는 단일 장치로 950Mbps

(‘05.09) SIPv6, RTPv6 이상의 IP 데이터그램 변환 능력(1480바이트 기준)을 보유하고 1000세션의 VoIP 호 o 최대 100 가입자 에 대한 동시통화를 지원하며, 사업자의 무정지 운영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한 이

- 107 - - 108 - 중화 옵션을 갖추었다. Forsix-2100A는 현재 IPv6기반 VoIP를 구축하는 지자체와 군 부대 등의 공공기관과 포털에 납품되어 운용중이다. o FTP-ALG, SIP-ALG 아이비트는 또한 IP-USN분야에서 IP-USN 통신노드인 IB-100N과 IP-USN 라우터 o 성능 : 95 Mbps 인 IB-100R 제품을 개발하여 출시하였다. 이 제품은 기상 환경이나 해양 환경 및 수 o VoIP 동시통화 : 150 세션 질오염을 모니터링하는 시범사업이나 u-health 관련 시범사업에 적용되어 그 안정성 o 2 x Fast Ethernet ports (traffic) 과 실용성을 확보하였다. 이외에도 아이비트는 2007년에 IPv6를 지원하는 일체형 네트워크 카메라와 카메 o IPv6 USN 라우터 (게이트웨이)

라 분리형 네트워크 서버/클라이언트를 개발 출시하였다. 기존 IP카메라는 IPv4에 o 10Mbps Ethernet 1 port IB-100R 기반하여, 사용자가 공유기의 포트 포워딩 기능 등을 설치하여야 원격으로 접속 가 o 54Mbps 802.11b/g Wi-Fi (option) (‘07.06) 능하였다. 그러나 아이비트의 IPv6 카메라는 막대한 IPv6 주소공간을 이용하여 공인 o IEEE 802.15.4 IP주소로 접속 가능한 기능을 갖추고 있어, IPv6 네트워크 카메라 분야를 선점한 일 o 6LoWPAN 준수 본 대기업의 기술력과 대등한 수준의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그중 S-152 네트워크 IP-USN Node & Router 카메라 서버 제품이 아날로그 카메라와 결합한 솔루션으로 IPv6 시범사업을 수행하 o IPv6 USN 노드 는 포털업체에 납품되어 UCC 포털에 IPv6 통신으로 실시간으로 카메라 영상을 중 o IEEE 802.15.4 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IB-100N o 6LoWPAN 준수 아이비트는 향후 IP 변환기의 시장 확대에 주력하면서 초소형 IPv6 네트워크 카 (‘07.06) o ADC 내장 (아날로그 센서 지원) 메라 제품 개발과 B-CDMA RF를 이용한 한국형 IP-USN 제품 개발을 추진하여 o UART 센서 지원 IPv6 기술의 시장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o IPv6 네트워크 A/V서버/클라이언트 모델명 o IPv6 (S-152) 종류 주요기능 및 특징 제품 지원 카메라 인코더내장 (출시시기) S-152/C-152 o IPv6 지원 카메라 디코더내장(C-152)

o 고성능 IPv4/IPv6 변환기 (‘07.04) o MPEG/MJPEG 지원 o IPv4/IPv6 듀얼스택 o 양방향 오디오 지원 (G.723/726) o NAT-PT, 6to4, Configured Tunnel o RS-232/485 제어 단자

Forsix-2100A o FTP-ALG, SIP-ALG(option) o IPv6 지원 네트워크 카메라 (Outdoor) IPv6 Network (‘06.11) o 이중화 지원기능(option) o MPEG/MJPEG 지원 Camera IPv4/IPv6 o 성능 : 950 Mbps I-531 o 양방향 오디오 지원 (G.723) (‘07.04) Translator o VoIP 동시통화 : 1000 세션 o RS-232/485 제어 단자 o 2 x 1Gb Ethernet ports (traffic) o 좌우 360도/상하 90도 Pan/Tilt o 27x Zoom o 기본형 IPv4/IPv6 변환기 o IPv6 지원 네트워크 카메라 (Indoor) Forsix-2000R o IPv4/IPv6 듀얼스택 I-600 o MPEG/MJPEG 지원 (‘04.08) o NAT-PT, 6to4, Configured (‘07.04) o 양방향 오디오 지원 (G.723) Tunnel o RS-232/485 제어 단자

- 109 - - 110 - o IPv4/IPv6 듀얼스택 o 고정형, 120fps 지원 o 듀얼 모니터 Emulation기능 o LCD : 12.1 인치 (‘07.10) o H.323, SIP Dual Stack지원 o LCD화면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기능 7) 애드팍테크놀러지 o 성능 : 초당 30프레임

2007년 5월 애드팍테크놀러지가 차세대 멀티미디어 통신시장을 겨냥해 IPv6 지원 IP 비디오 서비스 라우터 ‘AP-VR2000’을 내놓았다. 이 제품은 DSP 기반의 고성능 o 초당 30프레임중앙집중MCU기능 비디오 코덱과 고성능 라우터를 하나의 장비에서 통합 수용해 처리 및 전송지연을 o IPv4/IPv6 최소화한 네트워크 기반의 차세대 영상코덱 장비다. 네트워크의 브로드밴드화 추세 듀얼스택 에 따라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고화질 영상감시․교통관리․주차감시․환경 및 방 o 지원코덱 : H.263, MPEG4,H.264 AP-MC3000 ․ ․ ․ . o SIP, H.323 Dual Stack 지원 재감시 의회중계 실시간 영상전송 영상회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07.03) 2007년 9월에는 IPv6 기반의 IP 텔레포니 시스템 및 영상단말기를 첫 국산화하여, o 고성능 DSP기반의 화상회의 MCU 시장공략에 나섰다. 기업내 IP 텔레포니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IP-PBX(IPNext500)를 o G.711, G.726, G.729 지원 비롯해 VoIP 게이트웨이(AP 2650), 대용량 미디어게이트웨이(AP-MG5000), 고품질 o 10/100/1000-TX 2포트 지원 영상전화기(AP-VP300), IP 전화기(AP-IP200) 등을 모두 IPv6 기반으로 개발 하였다. 네트워크 장비 전문업체 애드팍테크놀러지의 2008년도 IPv6 추진 계획으로 o IP-PBX 는 멀티서비스 라우터 AP(Access Point) 시리즈 제품군의 KOREAv6 로고 인증 취 대용량 솔류션 득과 VoIP 상용 제품용 IPv6 핵심 기술 자체 개발 등이 있다. 또한 소형, 중형, 트 o IPv4/IPv6 듀얼스택 렁크 VoIP 게이트웨이에 대해 IPv6 시범서비스/시험운영 참여와 로고인증 취득을 o Dual 시스템프로세서 보드 추진할 계획이다. IPNext5000 o 시스템 프로세스 보드하드디스크 (‘07.03) o 10/100/1000-TX 2포트 지원 모델명 o SIP 종류 주요기능 및 특징 제품 시그널링 지원 (출시시기) o IVR, Voice Mail 기능 지원 o Video Conference 시스템 o 전원이중화, CPU이중화 구조 o IPv4/IPv6 듀얼스택 o IP AP-VC2000 o VGA(640x480) 영상통신지원 전화기 VoIP & Video (‘06.12) o 성능 : 초당 30프레임 o IPv4/IPv6 듀얼스택 AP-IP300 솔루션 o : H.263, MPEG-4,H.264 o 스피커폰 기능 및 다양한 기능키 지원코덱 (‘07.04) o 문서공유 기능 o SIP, H.323 Dual Stack 지원 o 4자 MCU 기능 제공 o 10/100Mbps 2포트 지원

AP-VP500 o 고화질 영상전화기

- 111 - - 112 - 제 6 장 시사점 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IPv6가 이미 오래전부터 연구되어 온 분야이기 때문에 현재까지 국내의 연구 결과가 크게 반영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동 통신 등 선도 , 2007년 IPv6 동향은 IPv6 도입현황에 대한 종합 통계에서 벗어나 국내․외의 적인 분야에 대한 국제 표준화 활동은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으나 보안과 관련된 . IPv6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국내를 비롯한 미 활동은 매우 미비한 만큼 이 분야에 대한 노력이 좀 더 요구된다 국, 일본, 유럽 등에서 국가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IPv6 정책과 응용 서비스 현황을 IPv6 . IPv6 조사하였으며, 국제 표준기구 IETF와 국내 TTA, IPv6 포럼 등에서 진행중인 표준화 마지막으로 관련 정책현황을 살펴본다 해외의 경우 로의 전환을 정부 , IPv6 활동에 대해서 파악하였다. 이번 장에서는 이러한 조사를 통해 나타난 IPv6 동향의 주도하에 진행하고 있으며 가 차세대 인터넷 환경에서의 주도권 획득에 중요한 . 주요 시사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요소로 보고 다양한 정책적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정부가 수요자이자 구매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신기술 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점은 . 먼저 IPv6 응용 서비스 부분의 경우,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상용화된 서비스보다 국내의 향후 정책 결정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시범 서비스가 지속되고 있다. 현재 시범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VoIP, UCC 포털, 2004 “IPv6 ” · u-City 등의 서비스들은 차세대 통합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로써 정통부는 년 보급 촉진 기본계획 을 수립한 이후 그 추진성과와 국내 “IPv6 II” 2006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IPv6로의 전환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한 것이 서비스의 외 시장동향 및 기술변화 추이들을 반영한 보급 촉진 기본계획 를 년 12 . IPv6 상용화에 대한 큰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정부의 정책에 따라 월에 새로이 발표하였다 이것은 그간 정부의 정책을 현시점에 맞게 재조정 . “IPv6 II” 2010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 것이다 보급 촉진 기본계획 는 현재 년까지 정부 및 공공기관의 IPv6 도입을 완료하기 위해 기반 정책들을 조성하여 추진중에 있다.

해외의 IPv6 응용 서비스 진행사항도 국내와 큰 격차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주소 2004 4 IT839 KOREAv6 IPv6 의 확보나 기반 망의 구축에 중점을 두고 IPv6 관련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 년 월부터 정책과 를 본격적으로 시행함에 따라 를 통한 . 로 나타난다. 현재 IPv6 서비스의 상용화를 실현한 국가는 일본이며, 대다수 ISP들 미래 신성장동력을 추진하는 시범사업을 수행하였다 특히 현재 가장 활발하게 제공 IPv6 UCC . 이 IPv6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즉, IPv6 되고 있는 서비스 중의 하나가 포털서비스이다 본 서비스는 올해에 개 40,435 서비스의 상용화는 ISP들의 적극적인 전환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이며, IPv6 기반 형 시된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이용자수가 명에 이르러 비교적 성공적인 서비스 . 12 IPv6 성이 서비스 상용화보다 먼저 해결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결과를 이끌어냈다 또한 월에 한국정보사회진흥원 내 오픈된 체험관에서는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소개하고 시연하여 IPv6 보급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시행 . 다음은 IPv6 관련 표준화 활동이다. 국제 표준기구인 IETF에서 주도적으로 진행 되었다 된 IPv6 표준화는 기술적 명세와 운영 관련 사항에 대한 활동이 완료된 상태이다. UCC KTH IPv6 최근에는 이동성과 보안에 최대의 이슈가 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표준화 활동 및 포털서비스 외에도 에서 수행한 개인화 서비스는 콘텐츠제공 서 UCC, , IPv6 .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비스망으로서 개인방송 메일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본 시범 사업을 통해 IPv6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과 IPv6 기반 u-city 핵심 서비스 개발 . 이전 국내의 표준화 활동은 기존 국제 표준을 그대로 가져오거나 국내 환경에 맞 을 하였다 향후 본 서비스는 공공서비스를 위한 통합 네트워크 인프라 제공과 다양 . 게 일부 수정하는 형태로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국내에서 먼저 국제 표준의 영 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촉진할 것이다 역을 제안하거나 국내 표준을 국제 표준화하는 등 국가적 위상을 높이는데 많은 노

- 113 - - 114 - 이외에도 국가에서 운영하고 있는 기간전산망 중 하나인 KREONET(Korea Research 업자의 경우 이용자 수준의 IPv6 도입과 장비의 교체 등 많은 고려 사항들이 존재 Environment Open NETwork)은 차세대 국가과학기술력 향상을 위한 과학기 하기 때문에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술계의 필수적인 기반구조로 정부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중의 하 나이다. IPv6 장비제조사는 IPv6 관련 장비와 솔루션, 서비스 등을 제조 ž 판매 ž 제공하 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IPv6 망 구축이 초기 단계이므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이 서비스는 향후 국내 IT 기술을 대표하는 연구단지로서 고품질의 인적자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상황 하에서 IPv6 장비제조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다음 원 및 다양한 분야의 IPv6 응용서비스 발굴의 가능성을 예측하게 한다. 또한 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IPv6를 대중적으로 보급함으로써 슈퍼컴퓨팅과 같은 특화된 분야의 응용체계 에서도 IPv6를 활용한 저변확대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첫째, IPv6 장비제조사들은 IPv6 모든 장비를 제조하기 보다는 해당 기업의 강점 을 살린 분야를 제조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추후 보다 전문화를 추구하여 세 정부는 이렇게 해마다 다양한 인프라로 시범서비스들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것은 계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국내 IPv6 보급 확산과 이용자확대 등 IPv6의 이용률을 높이고자 실제적인 서비스 방안을 계속 마련중에 있다. 실제 보급 확산이 예상보다 미흡했던 것으로 나타남에 둘째, 현재는 IPv6 장비제조 시 호환성과 판매가능성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 따라, 정부는 과학기술관계 장관회의를 통해 의결한 ‘차세대 인터넷주소체계(IPv6) 고 있는데, 앞으로는 기본기능 강화, 설치 편리성, 공공기관 인증에 대한 관심도 높 이용 활성화 대책(안)’을 마련하고 IPv6 지원 장비 전환율이 낮은 유선통신사업자와 여야 할 것이며, 나아가 가격 경쟁력을 갖추는 것도 중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공공기관에 IPv6의 도입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셋째, IPv6 장비제조사가 장비의 기능 개발 시 가장 큰 어려움인 ‘최신 표준의 반 특히 본 회의에서 정부는 2010년까지 정부 및 공공분야의 통신망과 시스템을 영’ 문제를 해결해 주기 위해 표준의 확정 및 기술 변화에의 대처 능력을 지원해 주 IPv4와 IPv6가 동시에 지원되도록 하는 전환 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통신 사업자 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발 비용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주기 위해 공동개발, 개발 비 의 상용 통신망은 2010년까지 주요 전달망과 2013년까지는 모든 가입자망에 대하여 용 지원과 같은 방안을 세워야 할 것이다. IPv6 적용을 완료하도록 논의하였다. 넷째, IPv6 장비 제조시의 애로사항은 연구개발비와 같은 투자재원이 부족하다는 그 외에도 기술개발 및 표준화 활동 강화를 위해서 정부는 차세대 이동성 기술과 점과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원가 상승에 따른 수익성 저하를 꼽고 있다. 국가 정책 저전력 IPv6 패킷전송 등의 주요 표준화 이슈를 발굴하여 국내 및 국제 표준화를 적 차원에서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투자재원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해보아야 할 위해 적극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ISP, 포털사업자 등의 관련업체를 포함한 것이다. 그리고 판매 시에는 판로가 제한적이어서 수요가 적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 민·관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기존 서비스를 IPv6로 전환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점이다.

이에 대해 통신사업자들은 정부의 정책에 원칙적으로 공감하고 있으나, IPv6로의 이상의 몇 가지 사항들을 종합해 보면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IPv6가 활성화되는 전체적인 전환 시기나 속도 등에 대해서는 유보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즉, 전반 것이다. 그래서 시장이 커지면 수요도 증대될 것이고, IPv6 장비제조사의 경쟁력도 향상 적인 시장 상황과 향후 IPv4 주소의 고갈 상황에 따라 점진적인 전환을 고려하고 될 것이며, 산업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져서 IPv6 전문 인력도 늘어날 수 있을 것이다. 있다. 특히 대부분의 백본망을 IPv6로 전환한 이동통신 사업자에 비해 유선통신 사 즉, 현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정책은 IPv6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급선무라고 판단된다.

- 115 - - 116 - 따라서, 정부의 IPv6 도입 확산을 위한 정부기관의 관련 장비 의무 구매 정책은 <부록 1> 국내 IPv6 장비의 국산화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국내 IPv6 장비시장은 외 인터넷주소자원에 관한 법률 산 장비에 의해 주도되어 왔으나, 2008년부터 정부의 IPv6 전환 정책 등에 따라 IPv6의 도입이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많은 국산 제품의 출시와 그에 따 2004 1 28 7142 . 1 른 교체 비용의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IPv6의 전환에 가장 큰 문제가 되 본 법률은 년 월 일에 제정되어 법률 제 호로 지정되었다 총칙 제 장 1조에서는 인터넷주소자원의 개발·이용을 촉진하고 인터넷주소자원의 안정적인 관 는 것은 장비의 교체에 따른 비용 부담인 만큼, 이러한 장비 시장의 변화는 IPv6 관 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인터넷 이용자의 편익을 증진하고 국가사회의 정보화에 이 련 기술 개발과 국내 IPv6의 도입에 큰 영향을 줄 것이며, 포털이나 콘텐츠 등 각종 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IPv6 서비스 개발에도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이다.

3.1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할당정책

본 법률은 2004년 12월 31일에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관리 준칙으로 지정되어 있 다.

제4조 (할당조건)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할당받고자 하는 자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개정 2005.9.21> 제5조 (할당대상) ① 진흥원은 관리대행자·독립사용자 또는 IP주소신청자에게 인터넷 프로 토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단, IP주소신청자는 망식별 번호를 보유하 고 있어야한다. <개정 2005.5.25> <개정 2005.9.21> ② 관리대행자는 인터넷접속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자에게 인터넷 프로토 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개정 2005.5.25> 제6조 (할당기준) 진흥원은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개정 2005.9.21> ①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주소가 80% 이상 사용된 경우 <개정 2005.9.21> ②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 주소가 별표 제1호 사용밀집도의 한계값 이상 사용된 경우 <개정 2005.9.21> ③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사용계획 및 신청수량이 적정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개정 2005.9.21> 제7조 <삭제 2006. 09. 07>

- 117 - - 118 - 제8조 (할당 등) 3. IP주소 수수료의 납부를 연기하고자 하는 자는 수수료 해당연도의 1월 ① 진흥원은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할당하는 경우 정보통신망을 이용 31일까지 이행보증보험증권과 납부연기신청서를 진흥원에 제출하여 하여 할당 내역을 신청자에게 통보하고 할당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납부 연기신청을 해야 한다. 이 경우 납부기한은 수수료 해당연도의 한다. <개정 2005.9.21> 10월 31일까지 연장될 수 있다. ②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할당받은 자는 할당정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4. 진흥원은 납부연기신청서를 접수하는 경우 IPv4주소 수수료의 1000 진흥원에 통보하여야 하고 진흥원은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한다. 분의 26에 해당하는 금액을 수수료 해당연도 2월부터 납부월까지 월할 <개정 2005.5.25> <개정 2005.9.21> 계산하여 연체료를 산정하고 별지 제6호서식을 이용하여 연체료를 청 제9조 (할당된 주소의 회수) 구한다. 진흥원은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 할당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② 진흥원은 관리대행자 및 독립사용자에게 IP주소를 할당하는 경우 IP주소 회수할 수 있다. <개정 2005.9.21> 수수료를 다음 각 호의 절차에 의하여 수납한다. ① 관리대행자 또는 독립사용자가 할당받은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반납 1. 진흥원은 할당일로부터 5일 이내에 별지 제5호 서식을 이용하여 청구 하고자 하는 경우 <개정 2005.5.25> <개정 2005.9.21> 한다. ②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할당신청서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가 허위임이 2. 관리대행자 및 독립사용자는 청구일로부터 40일 이내에 IP주소 수수료 확인된 경우 <개정 2005.9.21> 를 진흥원에 납부하여야한다. ③ 수수료 및 분담금을 납부하지 아니하고 진흥원이 지정한 날까지 정당한 3. IP주소 수수료의 납부를 연기하고자 하는 자는 청구일로부터 40일까지 사유를 소명하지 아니하는 경우 <개정 2005.9.21> 이행보증보험증권과 납부연기신청서를 진흥원에 제출하여 납부 연기 ④ 독립사용자가 할당받은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제3자에게 재할당한 사실 신청을 해야 한다. 이 경우 납부기한은 납부연기 신청일로부터 60일까지 이 확인된 경우 <신설 2005.5.25> 연장될 수 있다. 제10조 (주소이전) 4. 진흥원은 10월 31일 이후 IP주소를 할당하는 경우 당해 연도와 다음 관리대행자 또는 독립사용자는 할당받은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의 전부 연도의 IP주소 수수료를 함께 청구한다. 또는 일부를 이전하고자 하는 경우 사유 및 계획을 진흥원에 제출하여 승인 ③ 진흥원은 IP주소신청자에게 IP주소를 할당하고자 하는 경우 등록수수료와 을 받아야한다. <개정 2005.5. 25> <개정 2005.9.21> 함께 IP주소 수수료를 청구한다. 제11조(등록수수료) 2.2 IPv6 주소할당가격 ① 진흥원은 관리대행자 신청자를 관리대행자로 승인하는 경우 별지 제5호 서식을 이용하여 등록수수료를 청구한다. 본 법률은 2005년 6월 24일에 제정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관리 세칙으로 지정 ② 진흥원은 IP 주소신청자의 IP 주소 할당신청을 승인하는 경우 IP 주소 되어 있다. 신청자에게 별지 제 5호 서식을 이용하여 등록수수료를 청구한다. ③ 관리대행자 신청자 또는 IP주소신청자는 청구일로부터 40일 이내에 등록 제10조(수수료) 수수료를 진흥원에 납부하여야한다. ① 진흥원은 할당한 IP주소의 년간 IP주소 수수료를 다음 각 호의 절차에 ④ 진흥원은 10월 31일 이후 관리대행자 신청자를 관리대행자로 승인하는 의하여 수납한다. 경우 또는 IP주소신청자의 IP주소 할당신청을 승인하는 경우 등록수수료 1. 진흥원은 이전연도의 12월 1일까지 IP주소 수수료를 별지 제5호 서식을 와 다음 연도 분담금을 함께 청구한다. 이용하여 관리대행자 및 독립사용자에게 청구한다. 2. 관리대행자 및 독립사용자는 수수료 해당연도의 1월 31일까지 IP주소 수수료를 진흥원에 납부하여야한다.

- 119 - - 120 - [별표 제1호] 최소 할당 규모 <부록 2> 구 분 IPv4주소 IPv6주소 관리대행자 /21 /32 2007 IPv6 Ready 제품 목록 독립사용자 /24 /48 인터넷교환망을 운영하는 자 /24 /48 Approve Product Product Applied Country Logo ID d Date Vendor Name Product Name version Category date

Infinity 02-C-000161 20060911 Nortel Nortel Infinity UMT stack Release 1.2 Router 20060904 [ 2 ] < 2005.5.25> < 2005.9.21> CA 별표 제 호 관리대행자의 수수료 및 분담금 개정 개정 Infinity 02-CS-000161 20060911 Nortel Nortel Infinity UMT stack End-Node 20060904 ( ) Release 1.2 부가세별도 DCRS-7608, DCRS-7604, DCRS-6804, DCRS-6804L, 구분 금액 비고 Digital China DCRS-5924G, DCRS-5824GX, DCNOS_V5- 02-C-000131 20051130 Networks Ltd. DCRS-5512GC, DCRS-5652S, 6.2.0.0 Router 20050906 IPv4주소 수수료 /32 주소 당 30원/년 일할계산 DCRS-5628S, DCRS-5526S, IPv6주소 수수료 별표 제1호 한계값 1당 3원 최초할당시 DCR-25xx, DCR-27xx 관리대행자 분담금 300만원/년 선정연도제외, 일할계산 IPv6@BUPT 02-C-000148 20060613 R&D Team NISC6IDS V1.0 Host 20060510 Beijing Jiaxun Feihong 02-C-000151 20060615 Netowrk-Tech FH-IDS N100 V1.0 Host 20060510 [별표 제3호] 독립사용자의 수수료 및 분담금 <신설 2005.5.25> Co., Ltd Huawei-3Com H3C SR8800 Series,H3C S9500 (부가세별도) 02-C-000156 20060724 Technology VRP 5.0 Router 20060613 Co., Ltd Series 구분 금액 비고 ZTE 02-C-000158 20060815 CORPORATIO ZXR10 series router ROS V4.6 Router 20060616 IPv4주소 수수료 /32 주소 당 30원/년 일할계산 N 독립사용자 분담금 30만원/년 등록연도제외, 일할계산 ZyWALL5/ZyALL5UTM, ZyXEL ZyWALL35/ZyALL35UTM, 02-C-000159 20060828 Communication ZyWALL70/ZyALL70UTM, ZyNOS4.0 Router 20060804 s Corp ZyWALL2Plus,ZyWALL1050 DCRS-5500 series, DCRS-5650 [별표 제4호] 등록수수료 <신설 2005.5.25> <개정 2005.9.21> series, DCRS-5800 series, DCRS-5950 series,DCRS-6000 series, DCRS-6800 series, (부가세별도) Digital China DCRS-7600 series, DCRS-8000 Networks series, DCRS-9800 series, DCNOS_V5- 02-C-000166 20061117 7.1.0.0 Router 20061020 구분 금액 비고 CN Limited DCR-1780 series, DCR-2500 series, DCR-2680 series, DCR-2700 series, 관리대행자가 되고자 DCR-3680 series, DCR-6080 series, 300만원 선정연도, 일할계산 DCR-7880 series, DCR-8880 series, 하는 자 등록수수료 DCFW-1800 series IP주소신청자 등록수수료 300만원 부칙 제2조제3항의 유예대상자 제외 Infinite Shanghai 02-C-000169 20061220 Communication NGI 8000 series IXP 1.3.0 Router 20061204 Terminals Ltd. Hangzhou MSR Series, SR Series, S5500 Huawei-3Com Series, S5510 Series, S3610 Series, Comware 02-C-000179 20070312 Technology V5.20 Router 20070215 Co.,Ltd S7500E Series, S9500 Series Ruijie Networks RG-S8600,RG-S9600,RG-S7600,RG RGNOS 02-C-000204 20070820 Ltd. -S5750,RG-S3760 10.1 Router 20070710 Quidway NetEngine 5000E Quidway NetEngine 80E Quidway NetEngine 40E Quidway NetEngine 40E-4 Quidway NetEngine 80 Quidway NetEngine 40-8 Quidway NetEngine 40-4 Quidway NetEngine 40-2 HUAWEI Quidway NetEngine 16E Quidway 02-C-000205 20070905 TECHNOLOGIE NetEngine 16 Quidway NetEngine VRP 5.30 Router 20070823 S 08 Quidway NetEngine 05 Quidway NetEngine 20E-8 Quidway NetEngine 20-8 Quidway NetEngine 20-4 Quidway NetEngine 20-2 Quidway Multi-service Engine 60-16,Quidway Multi-service Engine 60-8, Quidway CX600-8 PS102, PS104, PS105, PS112, DE 02-C-000180 20070326 SEH a-fw-ps-6 Host 20061018 Computertechni PS113 series (typified by PS105)

- 121 - - 122 - k GmbH Co.,Ltd USAGI/WIDE DK 02-C-000128 20050909 Ericsson Telebit TIP R5C Host 20050801 02-C-000147 20060601 MIPL-USAGI UMIP-0.1 Host 20060428 FR 02-C-000152 20060626 6WIND 6WINDGate 2.6.0 release Router 20060331 Project TEPCO Samsung 02-CS-000157 20060727 MatrixQuestNET 1.15 End-Node 20060215 Electronics Co. UQUEST, LTD. 02-C-000134 20060221 Ltd India SISOv6 Stack 3.7.0 Router 20060106 TEPCO Software 02-C-000157 20060727 UQUEST, LTD. MatrixQuestNET 1.15 Host 20060313 Operations silex Samsung 02-C-000163 20061013 technology, Inc. SX-5000U2 1.1 Host 20060824 Electronics Co. RICOH Co., 02-C-000137 20060310 Ltd India SISOv6 Stack 3.7.0 Host 20051228 02-C-000168 20061213 RICOH LPUX IPv6 Stack 2 Host 20060921 Software Ltd. Operations RICOH Co., IN 02-CS-000168 20061213 RICOH LPUX IPv6 Stack 2 End-Node 20060921 Samsung Ltd. Electronics Co. Panasonic Ltd India IPsec BB-HCM515, BB-HCM515A, 02-CS-000137 20060310 SISOv6 Stack 3.7.0 End-Node 20051228 02-C-000170 20061222 Communication 3.00R00 Host 20061121 Software s Co., Ltd. BB-HCM515CE Operations Panasonic BL-C111, BL-C111A, BL-C111CE, Samsung 02-C-000171 20061222 Communication BL-C111E, BL-C111CN, 3.00R00 Host 20061124 02-CSM-0001 Electronics Co. s Co., Ltd. BL-C111BX 20060420 Ltd India SISOv6 Stack 3.7.0 MIPv6 MN 20051122 37 Sharp Software 02-C-000174 20070209 MX-M550/M620/M700 series 1.3 Host 20070111 Operations Corporation IX1000/IX2000/IX3000 Series (Typified 02-C-000177 20070223 Panasonic Panasonic IPv6 Stack 3.0.2 Host 20061211 02-C-000112 20050401 NEC Infrontia 7.0.14 Router 20050221 by IX2015) ALAXALA IX1000/IX2000/IX3000 Series (Typified IPsec 02-C-000182 20070409 Networks, AX3600S-series 10.5 Router 20070319 02-CS-000112 20060313 NEC Infrontia by IX2015) 7.3.21 SGW 20060131 Corp. IX1000/IX2000/IX3000 Series (Typified IPsec ALAXALA ALAXALA 02-CS-000112 20060307 NEC Infrontia by IX2015) 7.3.21 End-Node 20060209 02-C-000183 20070410 Networks, AX7800R/AX7700R/AX7800S/AX5400 10.5 Router 20070315 Corp. S-series Panasonic 02-C-000113 20050401 Communication BB-HCM311EX 103k06 Host 20050315 ALAXALA s Co., Ltd. 02-C-000184 20070410 Networks, ALAXALA AX6300S/6700S-series 10.5 Router 20070319 Corp. TEPCO 02-C-000114 20050401 matrixNET Ver 1.14 Host 20050301 UQUEST, Ltd. Allied Telesis SB-7804S, SB-7808S, SB-7816S, 02-C-000186 20070425 SB-7804R, SB-7808R, SB-7816R, 10.5 Router 20070419 02-C-000115 20050401 Panasonic IPv6 Stack 2.2.0.f Host 20050315 K.K. SB-5402S, SB-5404S IPsec 02-CS-000115 20051111 Panasonic IPv6 Stack 2.2.0.f 20051012 NEC End-Node 02-C-000187 20070425 Corporation IP8800/S3600 series 10.5 Router 20070420 02-C-000118 20050512 NEC CX5210 G2.7(8h) Router 20050325 IP8800/R400 Elmic series(IP8800/R401,R402,R403), 02-C-000121 20050606 Systems,INC. KASAGO IPv6 4.1.2.30 Host 20050524 NEC IP8800/S400 02-C-000188 20070425 Corporation series(IP8800/S401,S402,S403), 10.5 Router 20070420 NTT 02-C-000126 20050815 M-IPv6 Client version 3.7 Host 20050715 IP8800/S300 Corporation series(IP8800/S301,S302) 02-CM-00012 NTT 20060530 M-IPv6 Client v3.7 MIPv6 MN 20051228 NEC 6 Corporation 02-C-000189 20070425 Corporation IP8800/S6300, IP8800/S6700 Series 10.5 Router 20070420 NTT version 02-C-000195 20070612 Canon X3IM platform 1 Host 20070607 02-C-000130 20051012 Corporation Mobile IPv6 Agent type N1 G2.7(8h) Router 20050715 JP Fuji Xerox Co., 02-CM-00013 NTT 02-C-000196 20070614 Ltd. FX IPv6 Protocol Stack 1 Host 20060419 0 20060613 Corporation Mobile IPv6 Agent type N1 G2.7(8h) MIPv6 HA 20051228 Panasonic 02-CM-00013 NTT 20060613 Mobile IPv6 Agent type H2 5.0.35 MIPv6 HA 20051228 02-C-000197 20070628 Communication KU-U1600 Series 2 Host 20070529 5 Corporation s Co., Ltd. NTT 02-C-000198 20070704 Canon X3eTY2 platform and X7 platform 1 Host 20070628 02-C-000135 20060613 Corporation Mobile IPv6 Agent type H2 5.0.35 Router 20060403 T_ALL_R1_0 KAME TCP/IP Protocol Stack kame-20060 02-C-000199 20070710 Yokogawa EFP100 1_02_RELEA Host 20070409 02-C-000138 20060322 KAME 116-freebsd Router 20060213 SE (acting as a router) 54-snap Sharp Oki Electric 02-C-000202 20070806 Corporation Sharp IPv4/v6 Protocol Stack 1.4 Host 20070612 02-C-000139 20060322 Industry Co., OKI IPv6/v4 Dual Stack 1.10.0 Host 20060208 Ltd Fuji Xerox Co., 02-C-000203 20070806 Ltd. FXNIC IPv6 Protocol Stack 1 Host 20070629 Oki Electric IPsec 02-CS-000139 20060322 Industry Co., OKI IPv6/v4 Dual Stack 1.10.0 20060208 ALAXALA Ltd End-Node 02-C-000212 20071022 Networks AX620R-series 8.0.17 Router 20071017 Corporation KAME TCP/IP Protocol Stack kame-20060 02-C-000140 20060331 KAME 116-freebsd Host 20060213 ALAXALA IPsec (acting as a host) 54-snap 02-CS-000212 20071022 Networks AX620R-series 8.0.17 20071017 Corporation SGW Oki Information Panasonic System Solutions IPv6 02-C-000141 20060331 Systems IPv6 TCP/IP Stack For ESWare V1.0 Host 20060305 02-C-000214 20071031 Panasonic 1.00R01 Host 20071012 Co.,Ltd Stack IPsec 02-CS-000141 20060331 Oki Information IPv6 TCP/IP Stack For ESWare V1.0 20060305 02-C-000216 20071106 TOSHIBA TEC e-STUDIO ACP 2.0 Host 20070913 Systems End-Node CORPORATIO

- 123 - - 124 - N Cryptography Lab.) Panasonic DP-8060 / 8045 / 8035 / 3030 / 02-C-000224 20071217 Communication 1 Host 20071114 NIU s Co., Ltd. 2330 EE-CS(National ILan University SECUi.COM V1.3 02-C-000127 20050906 NXG2000 Router 20050801 College of Corporation (SecuiOS) 02-C-000207 20070920 Electrical IPv6 DNS ALG Proxy 1.1 Host 20070905 Future Engineering 02-C-000129 20050928 Systems, Inc. SecuwayGate 6000 FOS V3.0 Host 20050809 and Computer iBIT Science) 02-C-000132 20060112 Technologies iBIT TCP/IPv6 Router Protocol Stack 1.0.0 Router 20051111 NTU inc. EE-DDSN(Dep KR endable LG Electronics 02-C-000133 20060118 KP3500 2 Host 20051130 Distributed (LG Soft India) System and iBIT Networks Lab., 02-C-000175 20070215 Technologies iBIT Forsix-2100A 1.0.0 Router 20061204 02-C-000209 20071001 Department of DSMIPv6 HomeServer 1 Host 20070911 inc. Electrical Engineering, 02-C-000176 20070215 AhnLab, inc. SUHOSHIN Absolute 1000 1 Router 20070115 National 02-C-000201 20070801 LG N-Sys SafezoneIPS 1 Router 20070720 Taiwan ZyXEL University) 02-C-000123 20050729 Communication P662HW-61 V3.40(ACL.0) Host 20050614 MCU s Corporation CSIE&CCE(Min ZyXEL g Chuan 02-C-000124 20050729 Communication P662HW-61 V3.40(ACL.0) Router 20050627 University-Com s Corporation puter Science 02-C-000210 20071003 and Information M-blog server 1 Host 20070920 Intel Innovation IIC-IPV6RE Engineering & 02-C-000143 20060510 Technologies IXDP465 ADYLOGO2 Router 20060428 Computer and Ltd. -001 Communication D-Link-CAMEO Engineering) (D-Link Hon Hai Corporation/D-L 02-C-000211 20071012 Precision IND. T07X031.00 AD03008t6 Host 20070920 ink Systems, CO., LTD 02-C-000144 20060512 Inc. and DI-524D v6.5 Router 20060428 CAMEO 02-C-000215 20071105 ZyXEL ZyNOS 4.6.0 Host 20071025 Communication 02-CS-000215 20071105 ZyXEL ZyNOS 4.6.0 End-Node 20071025 s, Inc.) 02-C-000217 20071108 ZyXEL ZyNOS 4.6.0 Router 20071025 Intel Innovation IIC-IPV6RE IPsec 02-C-000146 20060601 Technologies IXDP425 ADYLOGO2 Router 20060516 02-CS-000217 20071108 ZyXEL ZyNOS 4.6.0 20071025 Ltd. -002 SGW CAMEO(CAME NIU-MLab (National Ilan O v6.6 build 02-C-000220 20071122 IPv6 DB ALG Proxy 1.1 Host 20071031 02-C-000149 20060613 Communication DI-624D 0002 Router 20060516 University s, Inc.) Multimedia Lab) CHTTL(Chungh NIU-MNLab wa Telecom (National Ilan Co., Ltd., 02-C-000222 20071129 University IPv6 P2P IPTV Box (client) 1.1 Host 20071024 TW 02-C-000150 20060613 Telecommunicat 6VCS v2.0 Host 20060428 Mobility ion Network Lab) Laboratories) CCU-HSNGL CAMEO(CAME (Chung Cheng O 02-C-000223 20071129 University High IMv6 Player(IPv6 Media Player) 1.1b Host 20071106 02-C-000153 20060711 Communication WBR-2310B1 v2.0 Router 20060630 Speed Network s, Inc.) Group Lab) CAMEO 3.7.0.12 (CAMEO b004 based 02-C-000155 20060721 Communication WBR-1310B1 v3.0 Router 20060707 on Nortel's 02-C-000111 20050401 Nortel Ethernet Routing Switch 8600 Infinity Router 20050221 s, Inc.) Protocol CHTTL(Chungh Stack wa Telecom Co., Ltd., 02-C-000116 20051006 Wind River Wind River Network Stack 3 Host 20050928 02-CS-000167 20061204 Telecommunicat 6VCS v3.0 End-Node 20061005 02-C-000117 20051014 Wind River Wind River Network Stack 3 Router 20050928 ion Foundry BigIron MG8, BigIron RX-Series, IronWare Laboratories) 02-C-000119 20050527 Router 20050518 US Networks NetIron 40G OS v2.2.0x CHTTL(Chungh Hewlett-Packar J7961A, wa Telecom 02-C-000120 20050527 Jetdirect Print Server Host 20050518 Co., Ltd., d Company J7961G 02-C-000167 20061204 6VCS v3.0 Host 20061110 Treck TCP, IPv6 option (same as Telecommunicat 02-C-000122 20050617 Treck, Inc. 4.1.2.30 Host 20050615 ion Elmic Systems' Kasago IPv6) Laboratories) Konica Minolta Business KSU-NSQC 02-C-000125 20051201 IPv4/v6 Protocol Stack 1 Host 20051201 LAB.(Kun Shan Technologies, 02-C-000190 20070507 University-Netw 6IDS 3.5 Host 20070409 Inc. ork Security and Quantum 02-C-000136 20060309 Spectracom NetClock 92xx 3.1.0 Host 20050803

- 125 - - 126 - Corporation Server Cisco 800 series, Cisco 1700 series, Software Cisco 1800 series, Cisco 2600-XM V5.6 (Often series, Cisco 2691 series, Cisco referred to as DART 2800 series, Cisco 3200 series, Cisco IOS 02-C-000142 20060421 Cisco Systems Cisco 3660 series, Cisco 3700 Router 20060414 V5.6) series, Cisco 3800 series, Cisco AS 12.4(9)T 5350 series, Cisco AS 5400 series, Xerox Cisco 7200 series, Cisco 7301 System series 02-C-000219 20071120 Xerox Xerox Phaser Printers/MFPs Firmware Host 20071113 version: 02-C-000145 20060530 kernel.org Linux 2.6.15 Host 20060510 1.3.7.P IPsec 02-CS-000145 20060530 kernel.org Linux 2.6.15 20060510 Konica Minolta End-Node Business 02-C-000221 20071122 IPv4/6 Protocol Stack 2 Host 20071114 FW Technologies, 02-C-000154 20060714 Qlogic QLE4060C/ISP4032/EP4032 99.2.0.49 Host 20060706 Inc. Software Konica Minolta Business IPsec 02-C-000160 20060911 LVL7 Systems LVL7 Systems FASTPATH Version Router 20060904 02-CS-000221 20071211 IPv4/6 Protocol Stack 2 20071206 K.7.3.1 Technologies, End-Node Inc. Hewlett-Packar 02-C-000162 20061012 d HP-UX 11i v2 Host 20061003 Hewlett-Packar 02-CS-000162 20061110 d HP-UX IPsec A.02.01 End-Node 20061026 02-C-000164 20061107 Dell Inc. PowerConnect 6200 (6224/6248) 1 Router 20061026 02-C-000165 20061116 IBM AIX 5.3.0.50 Host 20061101 02-CS-000165 20061123 IBM AIX 5.3.0.50 End-Node 20061101 Green Hills 02-C-000172 20061228 Software INTEGRITY OS 5.0.8 Host 20061218 Konica Minolta Business 02-C-000173 20070111 Technologies, IPv4/v6 Protocol Stack 1.1 Host 20070105 Inc. Hewlett-Packar 02-C-000178 20070308 d HP-UX11i Version 3 Host 20070221 EFI X3IM platform print controllers sold under the following product names: Canon imagePASS-H1; Canon Color Network Printer Unit-H1; Canon PS Print Server 02-C-000181 20070328 EFI Unit-H1; Canon imagePRESS 1 Host 20060126 Server T1; Canon imagePASS-J1; Canon Color Network Printer Unit-J1; Canon PS Print Server Unit-J1 Hewlett-Packar 02-CS-000185 20070417 d HP-UX IPsec A.02.01.01 End-Node 20070320 Hewlett-Packar HP-UX IPSec for HP-UX 11i 02-C-000185 20070417 d version 3 A.02.01.01 Host 20070410 SUN Solaris 2.10 02-C-000191 20070511 Microsystems Solaris Host 20070507 Inc Update 4 EFI X3eTY2 platform and EFI X7 02-C-000192 20070515 EFI platform 1 Host 20070425 Hewlett-Packar 02-C-000193 20070601 d HP LaserJet P3005n Printer 02.036.0 Host 20070521 Hewlett-Packar 02-C-000194 20070605 d HP LaserJet P2014n Printer 20070130 Host 20070521 ExtremeXOS ?, running on Extreme BlackDiamond 12800 series, ExtremeXOS 02-C-000200 20070720 BlackDiamond 10808, BD8800 Router 20070712 Networks series, Summit X450 series, Summit 12.0 X250 series Hewlett-Packar 20070529_02 02-C-000206 20070907 d LaserJet M2727n MFP 26 Host 20070830 02-C-000208 20070926 kernel.org Linux 2.6.20 Router 20070827 IPsec 02-CS-000208 20071004 kernel.org Linux 2.6.20 SGW 20070827 Microsoft Version 6.0 02-C-000213 20071025 Corporation Microsoft Windows Vista (Build 6000) Host 20071022 02-C-000218 20071114 EMC EMC Celerra Celerra Host 20071105 Network

- 127 - - 128 - <부록 3> o 외산

2007 IPv6 비 및 솔루션 목록 제조사 모 델 명 주요기능 및 특징 출시 시기

o IPv4/IPv6 듀얼 스택 라우터

o Static. RIPng, OSPFv3, IS-ISv6, BGP4+ 지원 1. SOHO/ (L3 스위치 포함) o IPv6 over IPv4, IPv4 over IPv6, IPv6 to IPv4 지원 LG 히다찌 GR2000-1B ‘02. 10 o o NAT-PT, IPv6 MIB, DHCPv6 /2B/2BH 모 델 명 주요기능 및 특징 출시 시기 o 성능: 2 ~ 8 Gbit/s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무선랜을 지원하는 2채널 VoIP Gateway로 IPv4, IPv6 Dual Stack 지원 RUSH-1000W '05. 06 o VoIP Protocol : SIP (Voice Codec : G.723.1, o IPv4/IPv6 듀얼스택 라우터 G.729a, G.711) o Configured 터널링 지원 ‘02. 10 주니퍼 J2300 o IPv4/IPv6 택 SOHO 라우터 네트웍스 o Static, RIPng, OSPFv3, IS-IS, MP-BGP지원 o 6to4/Configured 지원 o 성능 : 100Mbps CPU 처리 Forsix-3100 o IPSec/DHCP Server/client 지원 '04. 07 o RIPng, OSPFv3, BGP4+ 지원 o IPv4/IPv6 듀얼스택 라우터 o 100Mbps (4포트) 주니퍼 J4300 o Static, RIPng, OSPFv3, IS-IS, MP-BGP '04. 10 네트웍스 지원 o IPv4/IPv6 듀얼스택 라우터 o 성능 : 100Mbps CPU 처리 o Configured 터널링 지원, DNSv6, DHCPv6 지원 IP LDK-828 LG-Nortel o 성능 : 100Mbps '05. 11 o IPv6 Ready Logo PhaseⅠ취득 o IPv4/IPv6 듀얼스택 라우터 주니퍼 o Configured 터널링 지원 '04. 10 o IPv4/IPv6 듀얼스택 라우터 네트웍스 J6300 o Static, RIPng, OSPFv3, IS-IS, MP-BGP지원 다산네트웍스 V3302 '04. 10 o IPv6 Static Routing o 성능 : 100Mbps CPU 처리

유비쿼스 o IPv4/v6 dual stack, IPv4 NAT /DHCP지원, 무선랜지원 Cisco801 (구 로커스 PR304 o 6to4 / configured 터널링 지원, '04. 12 Cisco803 o ADSL, G.SHDSL, ISDN 지원 시리얼 라우터 네트웍스 o RIP/RIPng, RADIUS/TACACS, QoS 시스코 Cisco805 o IOS을 이용한 IPv6 기능 지원 ‘02. 02 시스템즈 Cisco826 o 성능 : ~2Mbps o High reliable 4 Port 라우터 유비쿼스 P104 '05. 11 Cisco827-V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PPPoE, DHCP server/relay Cisco828 o High reliable 8 Por이긍t 라우터 유비쿼스 P108 '06. 01 o PPPoE, DHCP server/relay

- 129 - - 130 - 2. 소형 (L3 치 포함) o 멀티서비스 라우터(IPv4/IPv6 듀얼 스택) o o 2개 멀티서비스 모듈 슬롯 (VoIP 및 IP 방송) 애드팍 o APOS 인터네트워킹 소프트웨어 (IPv4/IPv6) 모 델 명 주요기능 및 특징 출시 시기 AP2830 '05. 03 o 6to4, Configured IPv6 Multicast U-Road 1000 o IPv4/IPv6 동시 지원 Fast Hand off 지원 '05.12 테크놀러지 터널링 및 지원 o RIPng, OSPFv3, BGP4+ 지원 U-Road 2000 o IPv4/IPv6 동시 지원 Fast Hand off 지원 '05.12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IPv4/IPv6 택 L3 ,소형 스위치 다산네트웍스 V5224G '06. 09 o 16Port + 8 combo 기가스위치 지원 o IPv4/IPv6 듀얼스택 L3 중,소형 스위치 o IPv4, IPv6 Dual Stack Router 다산네트웍스 V5724G '06. 09 o 24Port 기가스위치 지원 o 6to4 Tunnel, Auto/Confiured Tunnel, ISATAP Tunnel, NAPT-PT o IPv4/IPv6 듀얼스택 L3 중,소형 스위치 다산네트웍스 V5424G '06. 09 삼성전자 GWIM o DHCPv4/DHCPv6 Server 기능 '07. 12 o 24Port 기가스위치 지원 o IPv4/IPv6 VPN 및 Firewall 지원 o IPv4/IPv6 L3 , 듀얼스택 중소형 스위치 o IPv4/IPv6 QoS 다산네트웍스 V6324F '06. 09 지원 o 24Port FX + 4Port 기가스위치 지원 o Hot Swap 기능 지원 o 무선랜을 지원하는 2채널 VoIP Gateway로 IPv4 IPv6 Dual Stack 지원 머큐리 RUSH-1004W '05. 11 유비쿼스 o VoIP Protocol : SIP (Voice Codec : G.723.1, o 10/100B-TX 및 100B-FX (전 로커스 P8124G '05. 03 G.729a, G.711) o 2개의 1000B-X 고정 포트 네트웍스) o IPv4/IPv6 듀얼스택 Access 라우터 o 6to4/Configured 터널링 지원, NAT/NAT-PT지원 Forsix-3200 o IPSec/DHCP Server/client 지원 '04. 07 o 8개 10/100B-TX (고정) 포트 o RIPng, OSPFv3, BGP4+ 지원 유비쿼스 P808FG o 용량: 5.6 Gbps, '05. 10 o 1Gbps (최대 2포트), 100Mbps (4포트) o Throughput: 4.2 Mpps o IPv4/IPv6 Translator o IPv6 변환 메카니즘 (NAT-PT)지원 (SIP-ALG옵션) o 24개 10/100B-TX 포트 o ISATAP/Configured/6to4/DSTM-TEP 터널 지원 아이비트 Forsix-2000R '04. 08 유비쿼스 P8024G o 용량: 17 Gbps, '05. 11 o DNS-ALG/FTP-ALG 지원 o Throughput: 13 Mpps o 성능 : 100Mbps / VoIP 100 사용자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Full gigabit 24 port o 멀티서비스 라우터IPv4/IPv6 듀얼 스택) 라우터 o 4 (VoIP IP ) o 다양한 링크 인터페이스 수용 개 멀티서비스 모듈 슬롯 및 방송 유비쿼스 P8524XG '07. 02 (8 ) 애드팍 o APOS 인터네트워킹 소프트웨어 (IPv4/IPv6) 포트 단위로 다른모듈지원 AP2850 '05. 03 o , , 테크놀러지 o 6to4, Configured 터널링 및 IPv6 Multicast 지원 고용량 고성능 고신뢰성 o RIPng, OSPFv3, BGP4+ 지원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 131 - - 132 - o o IPv4/IPv6 듀얼스택 라우터 모 델 명 주요기능 및 특징 출시 시기 o Configured 터널링 지원 o IPv4/IPv6 얼 스택 L3 스위치 주니퍼 네트웍스 M10i o Static, RIPng, OSPFv3, IS-IS, MP-BGP지원 '03. 05 o Static. RIPng, OSPFv3, IS-ISv6, BGP4+ GS3000-20E o IPv6 over IPv4, IPv4 over IPv6, IPv6 to IPv4 o 성능 : 12.8Gbps H/W 처리 LG '03. 11 GS3000-40E o NAT-PT, SNMPv1/v2, MIB-II, IPv6 MIB, DHCPv6 o IPv6 Ready Logo PhaseⅠ 취득 o 성능: 40 ~ 80 Gbit/s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모듈형 액세스 라우터

o Static. RIPng, OSPFv3, IS-ISv6, BGP4+ Cisco1760 o VPN 서비스, 음성/데이터 통합 서비스(VoIP) 지원 o IPv4/IPv6 듀얼 스택 L3 스위치 시스코 Cisco1751 o IOS IPv6 ‘02. 02 GS4000-80E 시스템즈 을 이용한 기능 지원 o IPv6 over IPv4, IPv4 over IPv6, IPv6 to IPv4 LG 히다찌 GS4000-160E '03. 11 Cisco1710 o 성능 : ~2Mbps o NAT-PT, SNMPv1/v2, MIB-II, IPv6 MIB, DHCPv6 GS4000-320E o IPv6 Ready Logo Phase I o 성능: 192/384/768 Gbit/s 취득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보안 서비스 통합용 모듈형 액세스 라우터 o IPv4/IPv6 듀얼 스택 L3 스위치 AX3630S-24 o IOS FW 솔루션 제공 o Static. RIPng, OSPFv3, IS-ISv6, BGP4+ LG 히다찌 AX3630S-24T2X '05. 10 o VPN 서비스 모듈을 이용한 IPsec Encryption 기 o IPv6 over IPv4, IPv4 over IPv6, IPv6 to IPv4 시스코 AX3630S-24 Cisco1841 능 ‘04. 10 o 성능 : 48Gbit/s ~ 88Gbit/s 시스템즈 o IOS을 이용한 IPv6 기능 지원 o IPv4/IPv6 듀얼 스택 라우터 o 성능 : ~2Mbps o Static. RIPng, OSPFv3, IS-ISv6, BGP4+ LG 히다찌 AX7702R o IPv6 over IPv4, IPv4 over IPv6, IPv6 to IPv4 '06. 03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NAT-PT, SNMPv1/v2, MIB-II, IPv6 MIB, DHCPv6 o Voice/보안등 멀티서비스 액세스 라우터 o 성능: 48Gbit/s o IPv4/IPv6 o 다양한 인터페이스 지원 듀얼스택 소형 라우터 Cisco2600 시스코 o IPsec Tunnel, IPv6 Multicast 지원 o IOS을 이용한 IPv6 기능 지원 ‘02. 02 시스템즈 시리즈 o IPv6 over IPv4 Tunneling 지원 NEC IX-2010 '02. 07 o 성능 : 2Mbps ~ 8Mbps o RIPng, OSPFv3, Policy Routing 지원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성능 : 95Mbps IPsec H/W처리 o IPv6 Ready Logo Phase I, II 취득 o 데이터/Voice/보안등 서비스통합 액세스라우터 o IPv4/IPv6 듀얼스택 라우터 o IPsec Encryption 및 IPS기능 지원 o Configured 터널링 지원 Cisco2800 시스코 주니퍼 o IOS을 이용한 IPv6 기능 지원 ‘04. 10 M7i o Static, RIPng, OSPFv3, IS-IS, MP-BGP지원 '03. 05 시스템즈 네트웍스 시리즈 o 성능 : 2Mbps ~ 8Mbps o 성능 : 8.4Gbps H/W 처리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IPv6 Ready Logo PhaseⅠ 취득

- 133 - - 134 - o 모듈형 멀티서비스 액세스 라우터 3. ∙대형 (L3 치 포함) o 디지털 및 아날로그 voice/fax over IP, FR 또는 Cisco3620 o ATM 시스코 Cisco3640 ‘02. 02 시스템즈 o IOS을 이용한 IPv6 기능 지원 제조사 모델명 주요기능 및 특징 출시 시기 Cisco3660 o 성능 : ~45Mbps o 통합형 Multi-Service 라우터 (Routing, Switching,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IPT, Security) o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액세스 라우터 o TTA IPv6 인증: TTA-V-N-07-012 o IP 텔레포니와 음성GW를 위한 인라인 전력공급. o 성능 : 530Kpps Forwarding o IOS 방화벽, VPN, Channelized T1/E1, Ubigate o H/W기반 IPv4, IPv6 스위칭 Cisco3700 '06.06 시스코 삼성전자 이더넷, ADSL ‘02. 02 iBG3026 o Hot-Swap 지원, 전원 이중화 시스템즈 시리즈 o IOS을 이용한 IPv6 기능 지원 o IPv4, IPv6 Voice Gateway 기능, SIP 지원, SIP ALG, Survivability , POE o 성능 : 45Mbps 지원 지원 o UTM Security지원 (FW, VPN, IPS, Anti-Virus,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모듈형 액세스 라우터(T3급) Anti-SPAM)

o VPN 서비스 모듈과 IOS IPS 기능 지원 o Multi-Service (Routing, Switching, 통합형 라우터 시스코 o VoIP 솔루션 (DSP, VWIC) 및 Voice GW 지원 IPT, Security) Cisco3800 ‘04. 10 시스템즈 o IOS를 이용한 IPv6 기능 지원 o TTA IPv6 인증 : TTA-V-N-07-011 시리즈 o 성능 : 45Mbps o 성능 : 300Kpps Forwarding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Ubigate o H/W기반 IPv4, IPv6 스위칭 '07.03 o 고정구성형 Intelligent Ethernet 스위치 삼성전자 iBG2016 o Hot-Swap 지원 Cat3750G-24TS o 10GE 업링크 인터페이스 제공 o IPv4, IPv6 Voice Gateway 기능, SIP 지원, SIP Cat3750-48TS o QoS(Quality of Service), 속도 제한, 보안 필터링, ALG Survivability지원, POE지원 시스코 Cat3750G-24PS ‘05. 03 시스템즈 Cat3750G-48PS 멀티캐스트 관리 기능 o UTM Security지원 (FW, VPN, IPS, Anti-Virus, Cat3750G-16TD-S o 성능 : 32Gbps Anti-SPAM)

o H/W 기반의 IPv6 서비스 제공 o 통합형 Multi-Service 라우터(Routing, Switching, Cat3560-24TS o 고정구성형 Intelligent Ethernet 스위치 IPT, Security) Cat3560-48TS o 1000BaseT 제공 o 성능 : 150Kpps Forwarding Cat3560-24PS Ubigate Cat3560-48PS o QoS(Quality of Service), 속도 제한, 보안 필터링, 삼성전자 o IPv4, IPv6 Voice Gateway 기능, SIP 지원, '07.10 시스코 ‘05. 03 IBG2006 시스템즈 Cat3560G-24TS 레이어 2-4의 Switching 서비스 제공 SIP ALG , Survivability지원 Cat3560G-48TS o 성능 : 32Gbps o Hot-Swap 지원, POE지원 Cat3560G-24PS o Security 지원(Firewall, VPN) Cat3560G-48PS o HW 기반의 IPv6 서비스 제공

- 135 - - 136 - o

o 멀티서비스 라우터 제조사 모델명 주요기능 및 특징 출시 시기 o 1개 모듈 슬롯 지원 (ATM, WAN 등) 애드팍 o IPv4/IPv6 듀얼 스택 라우터 AP4810 o 6to4, Configured IPv6 Multicast '05. 04 테크놀러지 터널링 및 지원 o Static. RIPng, OSPFv3, IS-ISv6, BGP4+ o RIPng, OSPFv3, BGP4+, MIPv6 지원 GR4000-80E o IPv6 over IPv4, IPv4 over IPv6, IPv6 to IPv4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LG 히다찌 GR4000-160E ‘04. 10 o NAT-PT, SNMPv1/v2, IPv6 MIB, DHCPv6 GR4000-320E o 성능: 192/384/768 Gbit/s

o 중형 IPv4/IPv6 듀얼스택 라우터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H/W 기반 QoS, IPv4/IPv6 ACL, o IPv4/IPv6 듀얼스택 라우터 o Static, RIP, RIPng, OSPFv2, OSPFv3, ISISv4, 주니퍼 o Static, RIPng, OSPFv3, IS-IS, MP-BGP지원 ISISv6, BGP4, BGP4+ 지원 M20 '99. 11 콤텍시스템 AR40 '06. 03 네트웍스 o 성능 : 25.6Gbps H/W 처리 o H/W기반 IPv4/IPv6 전환 서비스 o IPv6 Ready Logo PhaseⅠ 취득 o Configured tunnel, 6to4 tunnel

o 국제 인증 IPv6 Ready Logo 획득 o IPv4/IPv6 듀얼스택 라우터

o KoreaV6 시험운영 Logo 획득 o Configured 터널링 지원 주니퍼 M40e o Static, RIPng, OSPFv3, IS-IS, MP-BGP지원 '02. 10 네트웍스 o 성능 : 51.2Gbps H/W 처리

o IPv6 Ready Logo PhaseⅠ 취득 o Provides IP, MPLS, ATM and FR 서비스 라우터

o MPLS L2/L3 VPN, Traffic Engineering, o IPv4/IPv6 듀얼스택 라우터 Protection Switching/Rerouting o Configured 터널링 지원 M320 LG-Nortel MSR40 '03. 주니퍼 o OSPF, ISIS, RIP, BGP, LDP/CR-LDP, o Static, RIPng, OSPFv3, IS-IS, MP-BGP지원 '03 10 네트웍스 T320 IPv6- capable-PVC, SVC, Soft-PVC o 성능 : 320Gbps H/W 처리

o 40Gbps non-blocking 스위칭 용량 o IPv6 Ready Logo PhaseⅠ 취득

o IPv4/IPv6 듀얼스택 라우터

o Configured 터널링 지원 주니퍼 T640 o Static, RIPng, OSPFv3, IS-IS, MP-BGP지원 '02. 05 네트웍스 o 성능 : 640Gbps H/W 처리

o IPv6 Ready Logo PhaseⅠ 취득

- 137 - - 138 - o 중소형 WAN 에지 라우터 o 백본급 라우터 o 이더넷, 패스트 이더넷, 기가비트 이더넷, o 2.5 Gbps 토큰링, FDDI, 시리얼, ISDN, HSSI, ATM, 슬롯 당 Cisco12006 o DS3 (to DS1) & OC-48c/STM-16c Packet over HSSI, ATM, Packet over 채널형 Cisco7204 시스코 SONET, DPT/RPR 등 다양한 LAN및WAN 옵션 ‘02. 02 시스코 Cisco12008 까지 다양한 ATM, DPT/RPR, POS, GbE/FE 시스템즈 ‘02. 02 Cisco7206 시스템즈 o IOS에 기반 IPv6 기능 제공 Cisco12010 인터페이스 지원

o 성능 : 155Mbps Cisco12016 o HW 기반의 고속 대용량 IPv6 forwarding 지원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성능 : 30Gbps/40Gbps/50Gbps/80Gbps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코어 및 WAN Aggregation 라우터 o 대형 백본급 라우터

o 이더넷, 패스트 이더넷, 기가비트 이더넷, o 슬롯 당 10 Gbps 제공 토큰링, FDDI, 시리얼, ISDN, HSSI, ATM, Cisco7505 Cisco12404 o 채널형 DS3 (to DS1)~ OC192c/STM-64c까지 시스코 Packet over HSSI, ATM, Packet over Cisco7507 ‘02. 02 시스코 Cisco12406 다양한 ATM, DPT/RPR, POS, GbE/FE 지원 시스템즈 SONET, DPT/RPR 등 다양한 LAN및WAN 옵션 ‘03. 02 Cisco7513 시스템즈 Cisco12410 o IPv4/IPv6 또는 MPLS 포워딩 지원 o IOS에 기반 IPv6 기능 제공 Cisco12416 o HW 기반의 고속 대용량 IPv6forwarding 지원 o 성능 : 155Mbps o 성능 : 80Gbps/120Gbps/200Gbps/320Gbps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에지용 멀티서비스 통합용 코어라우터 제품군 o o 10GE, 1GE 와이어 속도의 액세스 서비스 백본급 라우터 Cisco7603 o 40 Gbps o L2/L3 switching, FW, IDS, Voice GW, IPsec, 슬롯 당 Cisco7606 시스코 NAM ‘03. 10 o 2*OC192c/STM-64c POS, 10GE, 등 지원 시스템즈 Cisco7609 시스코 Cisco12810 o HW IPv6 o ‘03. 10 기반 기능 지원 시스템즈 백만건의 라우팅 지원 Cisco7613 Cisco12816 o 성능 : ~720Gbps o HW 기반의 고속 대용량 IPv6 forwarding 지원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성능 : 800Gbps/1.28Tbps

o 메트로 에지 서비스 라우터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OC-48c/STM-16c, DPT/RPR 제공 o 통신사업자 백본급 라우팅 서비스 장비 Cisco10720 o IP CoS(class of service), VoIP, L2 VPN (EoM 시스코 ‘02. 02 o 멀티샤시 라우터 시스템으로 최대 92Tbps 시스템즈 시리즈 PLS와L2TPv3), L3 VPN (MPLS)등 서비스제공 시스코 확장가능 Cisco CRS-1 ‘05. 06 o HW PXF 아키텍처에 기반한 IPv6 지원 시스템즈 o 40Gbps (OC768 POS) 라우팅인터페이스 제공 o 성능 : ~2Gbps o HW 기반의 고속 대용량 IPv6 forwarding 지원

o 성능 : ~ 92Tbps

- 139 - - 140 - o 대형급 IP-PBX o 중형스위치 o 일반전화단말 및 IP 말 통합관리 Catalyst4503 o L2/L3 switching, Power of Ethernet기능 제공 o Call Manager 지원 삼성전자 IAP o 성능 : 65000 회선지원 '06. 06 시스코 Catalyst4506 o 신형 SupV-10GE를 이용한 10GE uplink ‘04 o SIPv6, Samsung Proprietary VoIPv6 시스템즈 Catalyst4507R interface지원 o IPv4/IPv6 Dual Stack Catalyst4510R o Supervisor SW 기반IPv6 기능 지원 o TTA IPv6 인증 획득(TTA-C-N-04-014, 2004년 12월) o 성능 : ~136G o 중형급 IP-PBX o 일반전화단말 및 IP전화단말 통합관리 o Call Manager o 백본스위치 지원 삼성전자 IAP-M o 성능 : 2000 회선지원 '06. 06 Catalyst6503 o 서비스 통합 :L2/L3 switching, FW, IDS, o SIPv6, Samsung Proprietary VoIPv6 시스코 Catalyst6506 Voice GW, IPsec, NAM 지원 o IPv4/IPv6 Dual Stack ‘03. 10 시스템즈 Catalyst6509 o HW 기반IPv6 기능 지원 o TTA IPv6 인증 획득(TTA-C-N-04-015, 2004년 12원

Catalyst6513 o 성능 : 720Gbps o 중형급 IP-PBX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o 일반전화단말 및 IP전화단말 통합관리 o Call Manager 지원 삼성전자 IAP-E o 성능 : 700 회선지원 '06. 06 o SIPv6, Samsung Proprietary VoIPv6 4. VoIP ․단말 o IPv4/IPv6 Dual Stack o TTA IPv6 인증 획득(TTA-C-N-04-016, 2004년 12원

o 중소형급 IP-K/P o o 일반전화단말 및 IP전화단말 통합관리 o 성능 : 200 회선지원(IP-Phone 포함) 제조사 모델명 주요기능 및 특징 출시 시기 삼성전자 OfficeServ 7200 o SIPv6, Samsung Proprietary VoIPv6 '05. 09 o IPv4/IPv6 Dual Stack o TTA IPv6 o IPv4/IPv6 택 IP Phone 인증 획득 IP-250 '05. 04 (TTA-C-N-04-013, 2004년 12월) 모임스톤 o 시그널링 프로토콜 : SIP o 3자 통화지원, PoE(Power over Ethernet) o 중형급 IP-K/P o 일반전화단말 및 IP전화단말 통합관리 o 성능 : 400 회선지원(IP-Phone 포함) o IPv4/IPv6 듀얼스택 WiFi IP Phone 삼성전자 OfficeServ 7400 o SIPv6, Samsung Proprietary VoIPv6 '07. 01 모임스톤 WP-150 o 시그널링 프로토콜 : SIP, SDP '06. 03 o IPv4/IPv6 Dual Stack o IEEE 802.11b/g 지원 o TTA IPv6 인증 획득 o 80.2.1x, WEP,WPA1, WPA2, WPA-PSK, WPA2-PSK (TTA-V-N-06-015,2006년8월7일)

- 141 - - 142 - o IPv6 Phone (2Line LCD VoIP용 유선 IP Phone) o SOHO WiFi 무선 단말기 접속 o 유무선 연동 서비스 o 기본 통화, Transfer, Hold, Mute, Forward 등 삼성전자 OfficeServ SOHO o SIPv6 Based VoIPv6 '06. 06 o Speed Dial, 개인비서, 통화대기/예약 o 40 Poly, 802.11b/g 지원 o IPv4/IPv6 Dual Stack 삼성전자 ITP5021D o Samsung Proprietary VoIPv6 '05. 09 o 통합형 Multi-Service 라우터 (Routing, Switching, o Audio Codec (G.723.1, G.729, G.711) IPT, Security) o IPv4/IPv6 Dual Stack o TTA IPv6 인증: TTA-V-N-07-012 o 성능 : 530Kpps Forwarding o TTA IPv6 인증 획득(TTA-C-N-04-017, 2004년 12월) o IPv6 Phone(3.5인치 칼라 LCD IP Video Phone) o H/W기반 IPv4, IPv6 스위칭 Ubigate o Hot-Swap , '06. 06 o VGA급(640*480) CMOS Camera 삼성전자 iBG3026 지원 전원 이중화 o IPv4, IPv6 Voice Gateway 기능, SIP 지원, o 기본 통화, Transfer, Hold, Mute, Forward 등 SIP ALG, Survivability지원 삼성전자 ITP5100V o Speed Dial, 개인비서, 통화대기/예약 ‘06. 03 o POE지원 o UTM Security지원 (FW, VPN, IPS, Anti-Virus, o Samsung Proprietary VoIPv6 Anti-SPAM) o H.263, MPEG4, G.7xx Voice Codec o 통합형 Multi-Service 라우터 (Routing, Switching, o IPv4/IPv6 Dual Stack IPT, Security) o Wireless 단말 WIP단말 o TTA IPv6 인증 : TTA-V-N-07-011 삼성전자 (WIP5100/ o SIP Based VoIPv6 ‘06. 03 6000) o 성능 : 300Kpps Forwarding o IPv4/IPv6 Dual Stack o 3.5인치 LCD o H/W기반 IPv4, IPv6 스위칭 Ubigate o 802.11b, SIP Based VoIPv6 o Hot-Swap '07. 03 삼성전자 iBG2016 지원 WLAN o Multimedia Player(VoD) o IPv4, IPv6 Voice Gateway 기능, SIP 지원, 삼성전자 '06. 12 MITs PDA o IPv4/IPv6 Dual Stack SIP ALG Survivability지원 o MMoIPv4/v6 o POE지원 o UTM Security지원 (FW, VPN, IPS, Anti-Virus, o TTA IPv6 인증 획득(TTA-C-N-04-006, 2004년 10월) o 7인치 LCD Anti-SPAM) o 802.11b, SIP Based VoIPv6 o 통합형 Multi-Service 라우터(Routing, Switching, o Multimedia Player(VoD) IPT, Security) WLAN 삼성전자 ‘06. 12 WebPAD o IPv4/IPv6 Dual Stack o 성능 : 150Kpps Forwarding o MMoIPv4/v6 Ubigate o IPv4, IPv6 Voice Gateway 기능, SIP 지원, '07. 10 삼성전자 iBG2006 SIP ALG , Survivability지원 o TTA IPv6 인증 획득(TTA-C-N-04-007, 2004년 10월) o Dual Band Wireless Access Point o Hot-Swap 지원 삼성전자 SMT-R2000 o 802.11a/b/g 지원 ‘06. 12 o POE지원 o Bridge/Router Mode o Security 지원(Firewall, VPN)

- 143 - - 144 - o IPv4/IPv6 Dual Stack o 7인치 컬러 TFT LCD 및 터치 스크린 서비스 o VoIPv4/VoIPv6 Gateway o 2포트 10/100Mbps 이더넷 및 1포트 콘솔 포트 o 6to4/configured 터널 지원 o APOS 인터네트워킹 소프트웨어 (IPv4/IPv6) o DNS-ALG/FTP-ALG 지원 아이비트 Forsix-1000S '05. 09 o OSD 프로그램 탑재 및 리모콘 제공 o NAT-PT/SIP-ALG o 640x480 VGA, 초당30프레임, MPEG-4 영상품질 o : 1Gbps / VoIP 1500 성능 최대 사용자 o IPv4/IPv6 듀얼 스택 지원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스택 사용 o SIP 및 H.323 VoIP 시그널링 스택 지원 아이비트 Forsix-2100A o Gigabit VoIPv4/VoIPv6 Translator (SIP) '06.11 o 고성능 미디어 게이트웨이 아이비트 Forsix-2000R o 소용량 IPv4/IPv6 Translator '04. 08 아이비트 Forsix-1000M o Mobile IPv6 Home Agent '05.09 o 1개의 시스템 인터페이스 모듈 슬롯 o IP-PBX 시스템 o 4 ( 16E1) 애드팍 개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모듈 슬롯 최대 o 2포트 10/100Mbps 이더넷 및 1포트 콘솔 AP-MG5000 '05. 10 테크놀러지 o APOS 인터네트워킹 소프트웨어 (IPv4/IPv6) o 2개 멀티서비스 모듈 슬롯 (VoIP 및 IP 방송 지원) o IPv4/IPv6 듀얼 스택 지원 애드팍 IPNext 200 o APOS (IPv4/IPv6) '05. 10 테크놀러지 인터네트워킹 소프트웨어 o SIP, H.323 및 MGCP 트리플 스택 지원 o IPv4/IPv6 듀얼 스택 지원 o 고성능 미디어 게이트웨이

o SIP, H.323 듀얼 스택 지원 o 1개의 네트워크 모듈 슬롯

o 10~50명 동시접속 및 100명 동시등록 o 2개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모듈 슬롯 (최대 8E1) o IP-PBX 시스템 애드팍 AP-MG3000 o 2포트 10/100Mbps 이더넷 및 1포트 콘솔 '05. 10 o 2포트 10/100Mbps 이더넷 및 1포트 콘솔 테크놀러지 o APOS 인터네트워킹 소프트웨어 (IPv4/IPv6) o 1개 멀티서비스 네트워크 모듈 슬롯 (HDD 탑재) o IPv4/IPv6 듀얼 스택 지원 o 2개 멀티서비스 모듈 슬롯 (VoIP 및 IP 방송 지원) 애드팍 IPNext 500 '05. 10 o SIP, H.323 MGCP 테크놀러지 o APOS (IPv4/IPv6) 및 트리플 스택 지원 인터네트워킹 소프트웨어 o 집합형 VoIP 게이트웨이 o IPv4/IPv6 듀얼 스택 지원 o 4개의 VoIP 모듈 슬롯 제공 (FXS/FXO/E&M 및 E1) o SIP, H.323 듀얼 스택 지원 o 2포트 10/100Mbps 이더넷 및 1포트 콘솔 애드팍 '05. 10 o 30~300 500 명 동시접속 및 명 동시등록 테크놀러지 AP2650 o APOS 인터네트워킹 소프트웨어 (IPv4/IPv6) o IP 전화기 (일반형) o IPv4/IPv6 듀얼 스택 지원 o 2라인 LCD 화면 o SIP, H.323 및 MGCP 트리플 스택 지원 o 2포트 10/100Mbps 이더넷 및 PoE 표준사양 o 고급형 IP전화기, 단축 버튼기(25Key) 제공, 애드팍 AP-IP200 o 1포트 FXO 아날로그 인터페이스 (PSTN 백업) '05. 10 스피커폰 기능 제공, 다양한 기능키 지원, 테크놀러지 애드팍 AP-IP300 ‘07 테크놀러지 대화면 Color LCD, SIP, H.323 Dual Stack 지원, o APOS 인터네트워킹 소프트웨어 (IPv4/IPv6) IPv4, IPv6동시 지원 o IPv4/IPv6 듀얼 스택 지원 o 고급형 IP영상전회기, 초당 30프레임 고화질 영상통신지원, 듀얼 모니터 Emulation기능, o SIP, H.323 및 MGCP 트리플 스택 지원 애드팍 AP-VP500 ‘07 애드팍 테크놀러지 12 LCD , H.323, SIP AP-VP300 o IP '05. 10 인치 대형 화면 듀얼 스택지원 테크놀러지 영상전화기 LCD화면의 터치스크린 기능, IPv4, IPv6 동시지원

- 145 - - 146 - o 차세대 IP-PBX, RADI 구성의 하드디스크 이중화로 o Redirection 기능 애드팍 IPNext700 '07 테크놀러지 VoIP 다양한 모듈 및 비디오 모듈장착 가능 o 사용자 정보/위치정보 제공 o Wireless 단말 MMC o IEEE 802.11b/g 지원 o Web 기반 GUI 제공 X7000Gv6 '06.08 테크놀로지 o 시그널링 프로토콜 : SIP, SDP o Buddy List 정보/Group 정보 관리 o IPv4/IPv6 Dual Stack o IPv4/IPv6 지원 SIP Soft-phone o IPv6 기반 대용량 소프트스위치 o 1:1 PC-PC / PC-Phone / Multi-line Call 기능 o Class 4 및 Class 5 지원 제너시스템즈 X-SSW ‘07. 06 o Instant Messaging (Presence/Text Chat) 기능 o SIP, SIP-T, H.323, MGCP, Megaco/H.248, 모다정보통신 U-Talk o NAT Traversal (STUN/TURN) '05. 06 SIGTRAN o Address Book / Call History / DTMF o IPv6 기반 중소형급 IP-PBX o Voice Mail / Call Recording / CID o SIP 및 H.323 XIP ‘06. 03 제너시스템즈 o 3-Way Call / 1:1 Video Telephony (V2.0지원) o SIP IP 단말 지원 o IPv4/IPv6 지원 Push to Talk 솔루션

o 최대 10,000 가입자 수용 o 발언권 제어 / PTT 발언자 표시 기능 o IPv6 기반 SS7 Signaling Gateway o PTT Priority 기능 / PTT 그룹 등록 X-SG o 최대 64 링크 ‘06. 03 제너시스템즈 o 음성 데이터 Multi-casting(방송기능) o SCCP, M3UA, SCTP, MTP3 Modacom 모다정보통신 PTT Solution '05. 08 o IPv6 기반 Media Server o Presence 서비스

o 컨퍼런스 (회의통화) o NAT Traversal (STUN/TURN) 제너시스템즈 X-MS ‘07. 09 o SIP, H.323, MGCP, MEGACO/H.248 o 가입자 1만명 수용 / 200 그룹 지원

o vXML, ASR, TTS o 그룹 사용자 등록 수: 200명 o WindowsXP, WindowsCE OS 지원 o IPv6 기반 Application Server 제너시스템즈 X-AS ‘07. 06 o Linux OS 지원 o 시그널링 프로토콜 : SIP 제너시스템즈 X-MRF o 미디어 처리 장치 ‘07. 06 o Notebook, UMPC, PDA, PMP등의 이동단말 지원 o IPv4/IPv6 지원 SIP Proxy Server o IEEE802.11a/b/g 지원 o VoIP 표준 SIP 프로토콜 지원(RFC 3261) o MIPv6/MIPv4/Fast Handover 프로토콜 처리 o Locating SIP Servers 기능 (RFC 3263) o IETF RFC 3775 (Mobility Support in IPv6)규격 준수 o 호 전달 및 라우팅, Session 관리 기능 모다정보통 MobileIP/Fast 모다정보통신 M-SVP 2000 '05. 03 o IETF RFC 3776 (Using IPsec to Protect Mobile '07. 05 o Stateful/Stateless Proxy 기능 신 Handover IPv6 Signaling Between Mobile Nodes and Home o NAT Traversal (STUN/TURN) Agents) 규격 준수 o Presence 및 Instant Messaging 지원 o IETF RFC4068 (MIPv6 Fast Handovers for Mobile o Concurrent 3,000 Call 지원 / 60 CPS o IPv4/IPv6 지원 SIP Registrar Server IPv6) 규격 준수

모다정보통신 M-SVR 2000 o VoIP 표준 SIP 프로토콜 지원(RFC 3261) '05. 03 o IETF Mobile IPv4 RFC3344 규격 준수

o 사용자 등록 및 인증(MD5) o IPv6 Ready Logo Phase2 Test Pass

- 147 - - 148 - o IPv4/IPv6 듀얼 스택 지원 중대형급 IP-PBX 5. 및 솔루션 o 일반전화단말 및 IP전화단말 통합관리

o 성능 : 국선, 내선 포함 15000 회선급 지원 LG-Nortel ARIEL '03. 05 o All IP 가입자 사용시 28560 회선 지원

100Mbps HW (VOIP Call)

o IPv6 Ready Logo PhaseⅠ취득 제조사 모델명 주요기능 및 특징 출시 시기 o 중소형급 IP-PBX o IPv6 Firewall & VPN 보안 장비 iPECS o 일반전화단말 및 IP전화단말 통합관리 o IPv4/IPv6 듀얼스택 LIK-100 o 암호가속기 사용 : FSC2002 OnBoard LG-Nortel o Call Manager/VPN/DSL 지원 '05. 10 SecuwayGate iPECS LIK-30 퓨쳐시스템 100 o 성능 : 100 Mbps '06. 06 0 o 성능 : 국선, 내선 포함 100/300 회선지원 o 방화벽 동시 세션 : 20,000 o IPv6 Ready Logo PhaseⅠ 인증 시험 완료 o IPSec Tunnel : 256 세션지원 o IPv4/IPv6 듀얼스택 지원 IP 전화 단말 LIP 6000 o 10/100-TX (4 ports) LG-Nortel o : 100Mbps '05. 03 성능 o IPv6 용 Firewall & VPN 보안 장비 LIP 7000 o IPv6 Ready Logo PhaseⅠ 진행중 o IPv4/IPv6 듀얼스택 o IPv6 IP Phoneo 기본 통화 SecuwayGate o 암호가속기 사용 : FSC2002 On Board o Transfer, Hold, Mute, Forward, 퓨쳐시스템 1500 '06. 06 LIP-7024DH o 성능 : 100 Mbps Hot/Warm Line, CID, Hot Desk o 방화벽 세션 : 100,000 세션지원 LIP-7016DH o IPSec Tunnel : 8,000 LG-Nortel o Speed Dial, 개인비서, 통화대기/예약 '07. 02 세션지원 LIP-6030DH o Audio Codec (G.723.1, G.729, G.711) o IPv6 용 Firewall & VPN 보안 장비 LIP-6012DH o IPv4/IPv6 Dual Stack, VoIPv6 o IPv4/IPv6 듀얼스택 SecuwayGate o 암복호화시 암호가속기 사용 '06. 06 o TTA IPv6 인증 획득 퓨쳐시스템 o IPv4/IPv6 듀얼스택 지원 중형급 IP-PBX 3000 o 성능 : 1 Gbps IPLDK-50 o : 500,000 o 일반전화단말 및 IP전화단말 통합관리 방화벽 세션 세션지원 IPLDK-100 o IPSec Tunnel : 10,000 세션지원 LG-Nortel o 성능 : 50/100/300/600 회선지원 '05. 01 IPLDK-300 100Mbps HW (VOIP Call) o IPv6 용 Firewall & VPN 보안 장비 IPLDK-600 o IPv4/IPv6 o IPv6 Ready Logo PhaseⅠ 진행 중 듀얼스택 o 암복호화시 암호가속기 사용 SecuwayGate o 성능 : 1 Gbps 퓨쳐시스템 6000 '06. 06 o 방화벽 세션 : 1,000,000 세션지원 o IPSec Tunnel : 20,000 세션지원 o IPv6 Ready Logo Phase-I, II o IPv6 Host Stack TTA Verified

SecuwayGate o IPv6 용 Firewall & VPN 보안 장비 퓨쳐시스템 '07. 08 10000 o IPv4/IPv6 듀얼스택

- 149 - - 150 - o 암복호화시 암호가속기 사용 o o 성능 : 4 Gbps 암복호화시 암호가속기 사용 o : 4 Gbps o 방화벽 세션 : 3,000,000 세션지원 성능 o : 3,000,000 o IPSec Tunnel : 20,000 세션지원 방화벽 세션 세션지원 o 10/100/1000-TX (4 ports) o IPSec Tunnel : 20,000 세션지원 o 1000-SX (4 ports) o 10/100/1000-TX (4 ports) o 1000-SX (4 ports) o IPv6 용 Firewall & VPN & IPS 통합보안장비 o IPv4/IPv6 듀얼스택 o o 암호가속기 사용 : FSC2002 FutureUTM o IPv4/IPv6 듀얼스택, OSPFv2, OSPFv3, 퓨쳐시스템 o 성능 : 200 Mbps '07. 08 100 BGP4 지원 o 방화벽 동시 세션 : 100,000 NXG2000 '05. 07 o 성능 : 2Gbps o IPSec Tunnel : 4000 o IPv6 Ready Logo PhaseⅡ(02-C-000127) o 10/100-TX (8 ports) o TTA Verified (TTA-V-N-05-013) o IPv6 용 Firewall & VPN & IPS 통합보안장비 IPv4 IPv6 o IPv4/IPv6 듀얼스택 o NP 기반의 기가비트 NATPT 및 보안 능력 NATPT 변환 o 암복호화시 암호가속기 사용 CoreBell o NP기반의 IP6 와 IPv4 공존환경에 대비한 '07. 10 FutureUTM 및 퓨쳐시스템 o 성능 : 300 Mbps '07. 08 고성능 정보보안장비개발(6to4 보안, 해킹보안) 1500 보안 솔루션 o 방화벽 세션 : 400,000 o IPSec Tunnel : 8,000 o 10/100-TX (8 ports) o o IPv6 용 Firewall & VPN 보안 장비 o IPv4/IPv6 듀얼스택 제조사 모델명 주요기능 및 특징 출시 시기 o 암복호화시 암호가속기 사용 FutureUTM o 성능 : 1 Gbps o IPv4/IPv6 듀얼스택, 6to4/4to6 auto-tunneling, '07. 08 퓨쳐시스템 주니퍼 6to4/4to6 NAT/PT 지원 방화벽 3000 o 방화벽 세션 : 1,000,000 NS204 '01. 10 네트웍스 o IPSec Tunnel : 10,000 o Static, RIPng, OSPFv3 지원 o 10/100/1000-TX (6 ports) o 성능 : 350Mbps CPU o 1000-SX (2 ports) o IPv4/IPv6 , 6to4/4to6 auto-tunneling, o IPv6 용 Firewall & VPN 보안 장비 듀얼스택 주니퍼 6to4/4to6 NAT/PT 지원 방화벽 o IPv4/IPv6 듀얼스택 NS208 '02. 05 네트웍스 o Static, RIPng, OSPFv3 지원 o 암복호화시 암호가속기 사용 o 성능 : 500Mbps CPU FutureUTM o 성능 : 2 Gbps 퓨쳐시스템 '07. 08 6000 o 방화벽 세션 : 2,000,000 세션지원 o IPSec Tunnel : 20,000 세션지원 o IPv4/IPv6 듀얼스택, 6to4/4to6 auto-tunneling, 주니퍼 6to4/4to6 NAT/PT 지원 방화벽 o 10/100/1000-TX (4 ports) NS500 '02. 05 o 1000-SX (4 ports) 네트웍스 o Static, RIPng, OSPFv3 지원 o 성능 : 650Mbps CPU FutureUTM o IPv6 용 Firewall & VPN 보안 장비 퓨쳐시스템 '07. 08 10000 o IPv4/IPv6 듀얼스택 주니퍼 NS5200-8G o IPv4/IPv6 듀얼스택, 6to4/4to6 auto-tunneling, '03. 05

- 151 - - 152 - 6. ∙ (NMS, ) 6to4/4to6 NAT/PT 지원 방화벽 솔루션 기타장비 네트워크 카메라 등

네트웍스 o Static, RIPng, OSPFv3 지원 o 성능 : 1Gbps CPU o

o IP/IPv6 전용 Firewall 시스템 제품군 모 델 명 주요기능 및 특징 출시 시기 PIX501 o 기가비트 이더넷 지원, 최대 8개의 10/100 FE o IPv6 반 NMS (IPv4/IPv6 모두 지원 가능) PIX506E 시스코 또는 기가비트 이더넷 인터페이스 ‘05. 03 SNMPv6/v4, ICMPv6 지원 시스템즈 PIX525 o 웹기반 실시간 /장애 관리 o IPv6 FW 지원 : PIX OS version 7.0 MePS-NMSv6 o 구성/자산 관리 및 Topology 조회 가능 '05. 11 PIX535 o 성능 : 10Mbps /100Mbps/1000Mbps o 성능/장애 통계 리포트 및 사용자 인증 o 시스코 IOS 기반 IP/IPv6 Firewall 시스템으로 o 관리규모 : 2000/1000/500/300/100 노드로 구분 Cisco IOS version 12.3T에서 제공 o ION 2005(TTA 상호운용성시험) 참가 시스코 IOS IPv6 FW ‘04. 06 시스템즈 o IOS 를 사용하는 Cisco Router에서 IOS 기반 o IPv6 네트워크실습소프트웨어 o IPV6 e-Learning IPv6 Firewall 기능 제공 컨텐츠 지원 IPv6 o 웝방식 사이버실습지원 구축 '05. 11 시스코 넷채널 Cisco FWSM o 모듈러 타입의Firewall 시스템 '05. 12 실습소프트웨어 o 동시접속 80명 실습지원 시스템즈 o 실습평가지원 o 시스코 Cisco ASA 특허등록 및 우수신기술 선정제품 o Firewall 및 VPN, IPS 통합 장비 ’06. 04 시스템즈 5500 series o IPv4/IPv6 듀얼스택 L3 중,소형 스위치 다산네트웍스 V5224G '06. 09 o 16Port + 8 combo 기가스위치 지원 o IPv4/IPv6 듀얼스택 L3 중,소형 스위치 다산네트웍스 V5724G '06. 09 o 24Port 기가스위치 지원 o IPv4/IPv6 듀얼스택 L3 중,소형 스위치 다산네트웍스 V5424G '06. 09 o 24Port 기가스위치 지원 o IPv4/IPv6 듀얼스택 L3 중,소형 스위치 다산네트웍스 V6324F '06. 09 o 24Port FX + 4Port 기가스위치 지원 o IPv4/IPv6 NetFlow v5/v9 생성기. o IPv4/IPv6 네트워크 패킷을 고속으로 캡쳐하여 플로우 (NetFlow) 정보를 생성 MiriProbe '05. o Neighbor Discovery, ICMPv6, Stateless Address Autoconfiguration 지원 o 장비 성능 : 1Gbps 지원 o 장비 설명 IPv4/IPv6 패킷 캡쳐 서버 o IPv4/IPv6 네트워크 패킷을 고속으로 캡쳐하여 서버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 미리텍 MiriCap '05. o Neighbor Discovery, ICMPv6, Stateless Address Autoconfiguration 지원 o 장비 성능 : 1Gbps 지원

- 153 - - 154 - o TSP, , Configured tunnel (IPv6 over IPv4) o IPv6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기반 방송 솔루션 o NAT-PT, 다이나믹DNS를 이용 AAAA,PTR 레코드 등록 Ex-WIMS o IPv6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기반 라이브방송솔루션 유라클 '05. 10 6 o '06. 01 디버깅과 모니터링 o IPv6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기반 다운로드 솔루션 o 인증(AAA models) o IPv6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기반 메시지교환솔루션 o RFC 2460, 2461, 2462, 2463, 2464, 3053 표준지원 o IPv6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기반VOD서비스솔루션 o 국내 유일의 솔루션, 유라클 Ex-SM o IPv6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기반경량화 인증솔루션 ‘05. 12 o 모든 IPv4 PC환경에 즉시 IPv6 IP 부여 가능 o IPv6 o IPv6 상용 Appliction 사용가능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기반동적그룹보안솔루션 IPv6 Tunnel o Secure neighbor discovery 솔루션 o IPv6-in-IPv4 tunnels 유미테크 Broker '07.12 유라클 SEND o CGA 기반의 IPv6 address 생성 기능 ‘06. 02 o NAT Traversal (GOODM6) o NDP의 보안 취약점 보완 o DNS 자동 등록 기능 o AAA 솔루션(인증, 권한 할당, 과금 서비스 제공) 유라클 exShare6 o IPv6 기반 실시간 공유 '06.10 o 다양한 OS를 지원하는 Client Monitoring o 비디오 게이트웨이 o 모니터링: 감시지역 선택, 카메라 및 센서모니터링 o 2포트 10/100Mbps 이더넷 및 1포트 콘솔 o 감시지역 관리 : 감시지역의 등록 및 수정 o 1포트 FXS 아날로그 인터페이스 AP-VG10 씨엠 o 경보방송 : 음성 방송 녹음 및 삭제, 음성방송전송 '06. 03 DAM 00 o APOS 인터네트워킹 소프트웨어 (IPv4/IPv6) 애드팍 o 녹화 및 통계관리: 녹화 동영상재생, 센서자료통계 '05. 10 테크놀러지 o OSD 프로그램 탑재 및 리모콘 제공 o 센서 데이터 및 경보 정보 설정 o 640x480 VGA, 초당30프레임, MPEG-4 영상품질 아이비트 Forsix-1000M o Mobile IPv6 Home Agent o 성능 : 100Mbps '05. 04 o IPv4/IPv6 듀얼 스택 지원 아이비트 Forsix-2000A o IPv4/IPv6 Transition device '06. 12 o SIP 및 H.323 VoIP 시그널링 스택 지원 o IPv4/IPv6 응용의 상호 연동(Dual stack) 솔루션 유라클 o 비디오 서비스 라우터 Ex-DS o 필요시Public IPv4또는Local IPv4주소의 할당기능 '02. 04 (구 IMnetpia) o 1개 멀티서비스 네트워크 모듈 슬롯 o DNSv4/DNSv6 브리지 기능 o IPv6 기반의 Mobile IPv6 솔루션 o 1개 비디오 모듈 슬롯 (2개까지 확장 가능) 유라클 Ex-Move6 '03. 11 o HA 및 Mobile Node 기능 o 2포트 10/100Mbps 이더넷 및 1포트 콘솔 애드팍 AP-VR2000 '05. 10 유라클 Ex-FHOv6 o IPv6 기반의 Fast Hand-Over 솔루션 '03. 11 테크놀러지 o APOS 인터네트워킹 소프트웨어 (IPv4/IPv6)

o IPv6 기반의 RADIUS 인증 솔루션 o 640x480 VGA, 초당30프레임, MPEG-4 영상품질 Ex-RADIUSv6 '04. 02 유라클 o Mobile IPv6 지원 기능 o IPv4/IPv6 듀얼 스택 지원

o Fast H/O 지원 기능 o SIP 및 H.323 VoIP 시그널링 스택 지원 o IPv6 기반의 LBS 광고 솔루션 IPv6 유라클 o 비디오 영상회의 장비, 다양한 AV입출력 시범서비스(LB o IPv6 기반의 화상 회의 솔루션 '04. 07 애드팍 AP-VC200 DSP '06 S) 테크놀러지 인터페이스 및 고성능 를 기반으로 최신의 o IPv6 AD-HOC communicator 기반의 솔루션 비디오/오디오코텍지원, IPv6지원

- 155 - - 156 - o 비디오 영상회의 장비, 4자 영상회의를 위한 MCU GT-View_ 기능과 듀얼 카메라 입/출력 인터페이스 지원, 글로벌텔레콤 o IPv6 트래픽 모니터링, 패턴분석, 사용자 모니터링 '04. 6 애드팍 AP-VC2000 '06 CatchFlow 테크놀러지 고성능 IP비디오 커뮤니케이션 솔류션, 영상회의 IPv6 및 AV방송동보 서비스 까지 통합 지원, IPv6지원 Address o DSTM, NAT-PT 등의 다양한 기능 o 비디오 영상회의 MCU장비, 최대 32자 영상회의를 네오텔레콤 ‘04.12 Translator o Embedded Linux, 고성능의 H/W Platform 애드팍 위한 MCU기능, H.263, MPEG-4, H.264 영상코덱 AP-MC3000 ‘07 o IPv6 옥외구조물 내 실내 환경을 실시간 감시/진단 테크놀러지 지원, SIP, H.323 듀얼 스택동시지원, IPv4,

네오텔레콤 BBMv6 o Web based SNMP 기능으로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 IPv6동시 지원 ‘04. 06 o IPv4/IPv6 듀얼스택 홈게이트웨이 o 자체 IPv6지원 웹서버,SNMP Agent 내장 IPv6 o 홈네트워크 서비스, 6to4 터널링 네오텔레콤 DVRv6 o 디지털 영상 보안 시스템 ‘04. 12 퓨쳐시스템 '06. 3 홈게이트웨이 o 성능 : 100 Mbps o IPv6 4채널 영상 감시 시스템

o IPv6 Ready Logo PhaseⅠ o Non PC 기반의 Stand-alone Type o IPv6 EMS/NMS 기반 개발 플랫폼 네오텔레콤 NV4v6 o Wavelet 기반의 영상 압축 ‘04. 06 o SNMPv6 , , 지원및 웹기반실시간장애 구성 성능관리 o IPv6를 지원하는 Client를 이용 IPv6 인프라를 통한 모다정보통신 Wi-NMS '05. 11 o 계층적 관리구조의 분산 망관리 솔루션 구축지원 실시간 영상 감시 o IPv6 ‘04 .06 o 성능 : 10000 노드 관리 와이즈피어 폴더로 기반의 클럽형 파일 공유 시스템 o IPv6 CDMA Stack 구성 o IPv6 Network Camera

o PPPv6(SLHCv6, IPV6CP), ICMPv6/NDP, o IPv4/IPv6 Dual Stack, 6to4 Tunneling 위즈네트 6CAM ‘04. 01 TCP/UDP/RAWfor IPv6, IPv6 Socket API, o IPv4/IPv6 Dynamic DNS support NGC2000 (IPv6 Mobile IPv6 o Optical x16 Zoom, External Pan/Tilt 모다정보통신 CDMA '05. 02 o IPv4/IPv6 Dual Stack Stack, IPv6 o IS-95-A/B / 3G 1x MC IS-2000 CDMA Cellular CDMA o 10/100 Base-T Ethernet (Auto detection) Module Module) 위즈네트 EG-RFID6 Interface ‘05. 01 o CDMA-1x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제공 o 1 RS-232 port (TTL type) o IPv6 데이터 통신 제공

IPv6 홈 o IPv6 기반으로 한 다양한 가전 기기를 PLC를 o NATPT 위즈정보기술 ‘03. 08 컨트롤링 64 Service o DSTM 지원 이용하여 컨트롤링 할 수 있는 모듈 CoreBell Bridge '06. 3 시스템 o 고속 서비스 ( 2 Giga ports ) 가전 제어 위즈정보기술 o IPv6 기반의 가전 제품 제어 시스템 모듈 ‘03. 08 시스템 o DNS Accelerator H.323 기반의 위즈정보기술 o H.323을 이용한 IPv6 기반의 VoIP 폰 ‘03. 08 o VoIP 시스템 CoreBell 64 DNX 라우터 기반 고속 서비스 처리 '06. 6 IrDA/RFID와 o Giga port Wire Speed 지원(2, 6 ports) 연계한 o 2.5G ~ 5Gbps 급 위즈정보기술 o IPv6 기반의 의료인용 디지털 차트 시스템 ‘04. 01 CoreBell 64 Router '07. 1 회진용디지털 o Dual Stack, Tunneling, Security 지원 차트 시스템

- 157 - - 158 - o o IP주소 및 서비스 관리를 포함한 IP통합 솔루션 Lucent o IPv4/IPv6 IP주소 통합관리 시스템 제조사 모델명 주요기능 및 특징 출시 시기 VitalQIP 7.0 '06. 06 o IPv6 관리도구 제공 o IPv4/IPv6 Networking 장비개발에 이용되는 Technologies o 성능 : 수백만 이상의 IP 관리 S/W Platform

o Static, RIP, RIPng, OSPFv2, OSPFv3, BGP, o IPv4/IPv6 Network간 IP Packet의 주소 변환 장비

BGP4+ o IPv4 와 IPv6 Network간 쌍방향 동시 Access 가능

o IGMPv2, PIM-SM(v4-v6), MLDv1, MLDv2 o NAT-PT, ALG와 연계하여 SIP 등의 계층 위반

o 6in4, 4in6, 6to4, 6to4 autoconf, ISTAP, DSTM, Protocol에 의한 통신 지원 6WINDGate AG8100T NAT-PT, ALGs for NAT-PT LG 히다찌 o ICMP/ICMPv6, ARP, NAT-PT, Masquerade, ‘04. 03 ADS/ AG8100S-T 6WIND '04. 01 6WINDGate o Firewall , QoS, IPSec VPN, IPv6 Mobility Home Static,DNS 연계 SDS Agent o SNMPv2, MIB-II, IPv6 MIB, Enterprise MIB o Address Management(DHCPv6 Client), Service o 성능: AG8100-T : 2Gbit/s, AG8100S-T : 0.5Gbit/s o IPv6 Ready logo Phase I Management(RADIUS Client for IPv4/IPv6) 취득 o SNMPv2 Agent(IPv4-IPv6), RMON, IPv4/v6 MIB,

MIB2 o IPv4/IPv6 듀얼 스택 Broadband Access Server

o IPv6 Ready Logo PhaseⅠ 취득 o ADSL, FTTH 및 CATV 등의Broadband Access

o IPv6 Ready Logo 획득: Host 와 Router 회선을 이용하는 User 수용 o User의 인증, IP Address의 할당 및 Access망 내의 o ANSI C 소스코드로 제공 Tunneling AG8100B 등의 설정 o Virtual Routing 지원 LG 히다찌 ‘04. 03 IPNET AG8100S-B o PPP, L2TP, PPPoE 및 RADIUS Client 등의 o IPSec, NAT 기본장착 Interpeak '04. 06 다양한User 관리 기능을 제공 o 다양한 API지원(Raw IP/UDP/TCP BSD 소켓 등) o Network 관리: SNMPv1/v2, IPv6 MIB o 지원 OS : Velos, Integrity, Itron, inux/MontaVista, o 성능: AG8100s-B 1 Gibt/s AG8100B 4 Gbit/s MQX, Nucleus, OSE/OSEck, ThreadX, Velosity, o IPv6 Ready logo Phase I 취득 VxWorks)

MDS9509

MDS9506 o IPv4/IPv6 지원하는 SAN 제품군 시스코 MDS9216i o IPv6를 이용한 IPv6 SAN 솔루션을 구현 '05. 12 시스템즈 MDS9140 o 성능 : ~1.4Tbps MDS9120

- 159 - - 160 - <부록 4> 3. 만족도 조사 결과

2007년 IPv6 고객 만족도 조사 결과 □ IPv6 사업 총괄 만족도 o 전체 : 578명( 555명 만족) o 만족 : 96%

□ 세부 만족도 1. 고객 만족도 조사 개요 o IPv6 UCC 포털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o 조 사 명 : 2007년 IPv6 고객 만족도 조사 - 전체 : 50명, 좋다 : 48명, 나쁘다 2명, 무효 : 0명 o 조사기간 : 2007. 3. 22 ~ 11. 30 - 만족도 : 96%(= 48/50 * 100)

o 조사대상 : 2007년 IPv6 서비스를 제공받은 고객 578명 o 미래환경변화에 대비한 IPv6 기반의 치안서비스 고도화 만족도 o 조사방식 : E-mail 혹은 서면 설문조사 방식 - 전체 : 52명, 좋다 : 52명, 나쁘다 0명, 무효 : 0명 - 만족도 : 100%(= 52/52 * 100)

o 대구시의 VoIPv6 분야 u-행정기반 구축을 위한 IPv6 시범사업 만족도 - 전체 : 90명, 좋다 : 84명, 나쁘다 6명, 무효 : 0명 - 만족도 : 93.3%(= 84/90 * 100) 2. 만족도 조사 결과 요약 o IPv6 기반 u-Blue City 구축 및 시범서비스 만족도 o IPv6 이용자, 교육 참가자, 사업 수행기관 등을 대상으로 개별분석을 한 결과 - 전체 : 51명, 좋다 : 49명, 나쁘다 2명, 무효 : 0명 전체적으로 96%의 만족도를 보였음 - 만족도 : 96%(= 49/51 * 100)

o IPv6 UCC , IPv6 포털서비스 미래환경변화에 대비한 기반의 치안서비스 o IPv6 기반 도농복합 중소도시 맞춤형 u-City 서비스 만족도 고도화, 대구시의 VoIPv6 분야 u-행정기반 구축을 위한 IPv6 시범사업, IPv6 - 전체 : 50명, 좋다 : 45명, 나쁘다 5명, 무효 : 0명 기반 u-Blue City 구현 및 시범서비스, IPv6 기반 도농복합 중소도시 맞춤형 - 만족도 : 90%(= 45/50 * 100) u-City 시범서비스를 사용한 이용자의 만족도는 95% o IPv6 전문가 양성 교육 수강생 만족도 o IPv6 전문가 양성 교육을 수강한 수강생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97% - 전체 : 258명, 좋다 : 250명, 나쁘다 8명, 무효 : 0명 - 만족도 : 97%(= 250/258 * 100)

o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이 수행한 차세대인터넷기반구축 사업의 세부 과제를 o 차세대인터넷기반구축 사업의 세부과제를 수행한 수행기관의 만족도 수행한 수행기관의 담당자 만족도는 100% - 전체 : 27명, 좋다 : 27명, 나쁘다 0명, 무효 : 0명 - 만족도 : 100%(= 27/27 * 100)

- 161 - - 162 - <부록 5> DWDM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EC IPv6TF European IPv6 Task Force 약어표 EDGE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ENUM Telephone Numbering Mapping Euro6IX European IPv6 Internet Exchanges Backbone AARNet Australian Academic Research Network Eurov6 The European IPv6 Showcase ADSL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EV-DO Evolution Data Only AFRINIC Africa Network Information Center FTP File Transfer Protocol ANF Advanced Network Forum in Korea FTTH Fiber To The Home APAN Asia-Pacific Advanced Network GDP Gross Domestic Product APNIC Asia-Pacific Network Information Center GGSN Gateway GPRS Support Network ARIN American Registry for Internet Numbers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AS Autonomous System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SP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GSN Goverment Service Network ASTI Advanced Science & Technology Institute GUI Graphic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HDTV High Definition TeleVision 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HDV High Definition Video CANARIE CAnadian Network for the Advancement of Research, IANA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Industry and Education ICANN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CERNET China Education Research Network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FO Chief Financial officer IP Internet Protocol CIDR Classes Inter-Domain Routing IPng Internet Protocol next generation CNGI China Next Generation Internet IPSec Internet Protocol Security CPG Customer Premise Gateway IPv4 Internet Protocol version 4 CPGv6 Customer Premise Gateway IPv6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 CRA Central Registration Authority IRR Internet Routing Registry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IRSG Internet Research Steering Group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RTF Internet Research Task Force DNS Domain Name Service IS-IS Intermediate System to Intermediate System DoD Department of Defense ISATAP Intra-Site Automatic Tunnel Addressing Protocol DSTM Dual Stack Transition Mechanism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DV Digital Video IST Information Society Technologies DVR Digital Video Recorder ITA International Tin Agreement

- 163 - - 164 -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pTLA pseudo Top Level Aggregation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QoS Quality of Service IX Internet Exchange RFC Request For Comment KANET Korea Advanced Network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KIESv6 Korea IPv6 Experience Sphere RH Routing Header KINX Korea Internet Neutral eXchange RIPE-NCC Réseaux IP Européens-Network Coordination Centre KISTI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RIPng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next generation KOREN KOrea advanced REsearch Network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KREONET KOrea Research Environment Open Network RIR Regional Internet Registry LACNIC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Internet Addresses Registry RTLS Real Time Location System LAN Local Area Network R&D Research and Development LIR Local Internet Registry SEND Securing Neighbor Discovery MAC Medium Access Control SGSN Serving GPRS Supporting Node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s SI System Integration MANET Mobile Ad hoc NETwork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MIPv6 Mobile IPv6 SLA Site Level Aggregation M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OHO Small Office Home Office MH Multi-Home SPSS Sta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MP Multi-Prefix sTLA sub Top Level Aggregation MPEG Motion Pictures Expert Group TANet Taiwan Academic Network MPLS 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TLA Top Level Aggregation NAv6TF North-American IPv6 Task Force UDP User Datagram Protocol NIDA National Internet Development Agency of Korea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NIR National Internet Registry VoIPv6 Voice over IPv6 NLA Next Level Aggregation VOD Video On Demand NMS Network Management System VPN Virtual Private Network NOC Network Operation Center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CN Open Computer Network WG Working Group OMB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 WiBro Wireless Broadband Service PLDT Philippine Long Distance Telephone WIDE Widely Integrated Distributed Environment PoE Power Over Ethernet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PS Proposed Standard 3GPP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PSDN Public Switched Data Network 6KANet IPv6 Korea Advanced Network PVC Permanent Virtual Circuit 6NGIX IPv6 Next Generation Internet eXchang

- 165 - - 166 - 참고문헌 33. ITFIND, http://www.itfind.or.kr 34. JUNIPER, http://www.juniper.net 35. KDDI, http://www.kddi.com 1. AFRINIC, http://www.afrinic.net 36. KOREN, http://www.koren21.net 2. APNIC, http://www.apnic.net 37. KT, http://www.kt.co.kr 3. ARIN, http://www.arin.net 38. KISTI, http://www.kisti.re.kr 4. BII Group, http://www.biigroup.com 39. KREONet2, http://www.kreonet2.net 5. BT, http://www.bt.com/ipv6 40. KTF, http://www.ktf.com 6. CA*net4, http://www.canarie.ca/canet4 41. LACNIC, http://lacnic.net 7. CERNET, http://www.edu.cn 42. LG데이콤 http://lgdacom.net 8. China IPv6 Forum, http://www.ipv6.net.cn 43. MCI, http://www.mci.com 9. CISCO, http://www.cisco.com/ipv6 44. Microsoft, http://www.microsoft.com/ipv6 10. CNNIC, http://www.cnnic.net.cn 45. Moonv6, http://www.moonv6.com 11. ETRI, http://www.etri.re.kr 46. NAv6TF (North American IPv6 Task Force), http://www.nav6tf.org 12. Esnet, http://www.6tap.net 47. NOMAD, http://www.ist-nomad.net 13. Ericsson, http://www.ericsson.com 48. NTT, http://www.nttv6.net 14. Eurov6, http://www.eurov6.org 49. NEC, http://www.nec.com 15. Eurov6 마드리드 쇼룸, http://www.madrid.eurov6.org 50. NOKIA, http://www.nokia.com/ipv6 16. Euro6IX, http://www.euro6ix.org 51. PoweredCom, http://www.poweredcom.net 17. FUJITSU, http://www.fujitsu.com 52. RIPE NCC, http://www.ripe.net 18. GÉANT, http://www.geant.net 53. SEEREN, http://www.seeren.org 19. Hewlett-Packard, http://www.software.hp.com 54. SEINIT, http://www.seinit.org 20. HITACHI, http://www.v6.hitachi.co.jp 55. Softfront, http://softfront.co.jp 21. IBM, http://www.software.ibm.com/ipv6 56. Sun Microsystems, http://www.sun.com/software/solaris/ipv6 22. IETF, http://www.ietf.org 57. TAHI, http://www.tahi.org 23. IIJ, http://www.iij.ad.jp/IPv6 58. TEIN, http://www.transeurasia.org 24. IPv6 Cluster, http://www.ist-ipv6.org 59. TTA, http://www.tta.or.kr 25. IPv6 deployment field Trial, http://www.v6trans.jp 60. TWNIC, http://www.twnic.net.tw 26. IPv6 forum, http://www.ipv6forum.org 61. UK6X, http://www.uk6x.com 27. IPv6 Ready Logo Program, http://www.ipv6ready.org 62. vBNS, http://www.vbns.net 28. IPv6 Protal of Taiwan, http://www.ipv6.org.tw 63. Vovida, http://vovida.org 29. IPv6 Promotion Council Japan, http://www.v6.pc.jp 64. WIDE, http://www.wide.ad.jp 30. IPv6 style, http://www.ipv6style.jp 65. WirelessCabin, http://www.wirelesscabin.com 31. IPv6TF SC, http://www.ipv6tf-sc.com 66. XMotion, http://www.ist-xmotion.org 32. IPv6 포럼 코리아, http://www.ipv6.or.kr 67. 강릉시, http://www.gangneung.go.kr

- 167 - - 168 - 68. 국내 IPv6 포탈 Vsix.net, http://www.vsix.net 연 구 책 임 자 : 안 순 식 (한국인터넷기반진흥협회 사업실장) 69. 광주기상청, http://gwangju.kma.go.kr TEL : 02-2051-4504, [email protected] 70. 모다정보통신, http://www.modacom.co.kr 71. 미국방부 (DoD), http://www.dod.mil 과제 관리 책임자 : 강 선 무 (한국정보사회진흥원 u-인프라구축단 차세대인터넷팀장) 72. 미국방정보체계국 (DISA), http://www.disa.mil TEL : 02-2131-0601, [email protected] 73. 삼성전자, http://www.samsung.com 74. 애드팍테크놀로지, http://www.addpac.com 75. 에스넷시스템, http://www.snetsystems.co.kr 76. 위즈정보기술, http://www.wizit.com 77. 아이비트, http://www.ibitworld.com 78. 정통부, http://www.mic.or.kr 79. 티맥스소프트, http://www.tmax.co.kr 2007 IPv6 동향에 관한 연구 80. 파란닷컴, http://vsix.paran.com 81. 퓨처시스템, http://www.future.co.kr 2007년 12월 인쇄 82. 하나로텔레콤, http://www.hanaro.com 2007년 12월 발행 83. 한국국방연구원 (KIDA), http://www.kida.re.kr 8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http://www.kisti.re.kr ● 발행인 : 김 창 곤 85. 한국인터넷진흥원 (NIDA), http://www.nida.or.kr ● 발행처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86. , http://www.nia.or.kr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서울 중구 무교동 77 87. 2006년 제주 워크삽, http://www.ipv6.or.kr/2006jeju TEL : 02-2131-0114 88. 6KANet, http://www.ngix.ne.kr ● 인 쇄 : 호정씨앤피 89. 6NET, http://www.6net.org 90. 6POWER, http://www.6power.org TEL : 02-2277-4718 91. 6TNet, http://www.6tnet.com.cn

92. 6TAP, http://www.6tap.net <비매품> 93. 6WIND, http://www.6wind.com 1. 본 연구보고서는 정통부의 출연금으로 수행한 정보통신 연구개발 사업의 연구결과입니다. 2. 본 연구보고서의 내용을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정통부 정보통신 연구개발사업의 연구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 169 -